잠깨는 12억의 슈퍼 코끼리’…ictpdf.egreennews.com/398/39811.pdf · 수수, 콩,...

1
11 2014년 6월 11일 수요일 제398호 ‘글로벌 50’ 산업지도 ❹ / 인도 잠깨는 12 억의 슈퍼 코끼리 ’… ICT 분야서 글로벌 경쟁력 보유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찬란한 인더스 문명을 자랑하고 있는 국가가 인도다. 아리아인들이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거쳐 4~6세기 굽타왕조에 이르러 과학, 예술, 문화의 꽃을 피웠다. 이슬람교가 유입되면서 델리 술탄, 무굴 왕조 시 기를 지나면서 종교적 갈등이 발생했고 19세기 영국의 식민지 지배로 정치·경 제적으로 서양사상을 접하게 됐다. 영국 지배를 받기 전인 17세기부터 영국·프 랑스·네덜란드 등의 동양에 대한 무역권을 행사했던 동인도회사가 인도가 글 로벌 경제에 등장하게 된 시초다. 영국지배 후 분리 독립한 파키스탄과의 3차례 전쟁, 2008년 뭄바이 테러사건 등 외교 및 군사 상황에 따라 경제가 타격을 받기 도 했다. 인도는 세계 2위 인구보유국이고, 1990년 초부터 정부 주도의 경제정책 으로 인해 중국을 이어받을 유일한 국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의 경제성장은 1991년 정부가 ‘ 개방 시장경제’를 주창하면서 시작됐 다. 산업 규제 완화, 국영기업의 민영화, 해외무역 활성화, 외국인 투자 유치, 전 반적인 경제자유화 조치 등이 당시 슬로 건이다. 현재까지 이 모토를 중심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ICT산업을 활성 화시키기 위해 국가차원의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인도의 경제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무역수지, 예산 및 공공부채, 노동력 및 실업률, 주요 제 품 및 물가상승률 등을 살펴보자. 첫째, 인도의 2013년 GDP 구매력지수 는 2012년 대비 1820억 달러(약 185조 원)가 증가한 4조9620억 달러(약 5062 조원)로 세계 4위다. 실질 경제성장률은 2012년 5.1%에서 2013년에 4.7%로 소 폭 감소했으며 세계 64위에 머물고 있 현재 인도의 경제정책 과제를 보면 높 은 금리, 인플레이션, 지속적인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비즈니스 아웃소싱 서 비스의 인프라 확장, 소프트웨어 부문 인력개발을 위한 영어교육 기회 부여, 경상적자 감축, 빈곤과 부패, 여성 차 별, 비효율적인 전력 생산 및 유통 시스 템, 물 부족에 따른 농업 인프라 구축의 91년부터 개방 경제 채택 , GDP 구매력지수 세계 4위 무역 · 재정 쌍둥이 적자 불구 외국인 직접 투자 몰려 아시아의 떠오르는 태양 중국 뒤 이을 유일한 나라 시급, 도시와 농촌 간 격차, 심각한 수질 오염 등으로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문 화·정치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 다. 이러한 경제적 현안이슈에 맞춰 인 도에서는 IT, 섬유, 음료 등 주요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미래를 전망해 보자. 첫째, IT산업의 경우 이미 2007년 당 시 GDP의 5%를 차지할 만큼 발전속도 가 빠르다. 단순 아웃소싱으로 출발했 지만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로 글로벌 ICT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가트너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인 도의 소프트웨어 시장의 규모가 47억 6500억 달러(약 4조9300억원)로 2012 년 보다 10% 증가해 브릭스(BRICS) 중 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인도의 경우 베다 수학이라고 불리는 인도식 수학법이 있 는데 세계 최고 수준이다. 수학을 통해 IT뿐만 아니라 건설업, 금융 등 다방면 의 인재를 배출할 수 있는 기반이 교육 인 셈이다. 둘째,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1985년을 기점으로 규모의 경제를 통해 급성장했 다.2001년농업부문에도외국인직접투 자 제한을 해제했다. 노후화된 관련 시설부문을 보수 및 개 선하면서 세계 거대 섬유수출국의 지위 를 유지하고 있다. 통상 섬유산업을 면 화, 실크, 황마, 화학 섬유로 구분하는데 세계 시장에서 인도는 모두 5위권 이내 에 진입해 있다. 2013년 전체 섬유 부문 에서는 중국 다음으로 세계 2위를 기록 했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12년에 비 해 17.5% 상승했다. 마지막은 음료산업으로서 당연히 인 도의 차(茶)가 포함돼 있다. 차의 역사는 대항해시대 유럽의 제국들은 중국의 차 나무를 인도와 현재의 스리랑카인 실론 으로 옮겨 심은 데서 시작됐다. 영국과 중국의 아편전쟁, 미국 식민지의 주민들 이 영국으로부터 차 수입을 저지하기 위 하여 일으켰던 보스턴 차 사건이 모두 인 도의 차에서 출발한다. 인도는 현재 세 계 홍차 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차 생산대국이다. 인도는 거대 노동인구와 ICT산업, 외 국인 직접투자, 농업, 광물자원 등 세계 대국으로 올라가기 위한 인프라는 충분 히 갖췄으나 국내 정치, 사회, 문화는 선 진국이라고 하기에 부끄러운 면이 많다. 단번에 오랫동안 고착화된 사회체제를 바꿀 수는 없지만 이번에 새롭게 선출된 모디 총리가 선진적인 경제정책을 추진 해 민주적인 요소와 인도주의적인 시스 템을 잘 융합한다면 글로벌 선도국가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다. 올해 인도 총선이 예상됐기 때문에 지난해 정부의 국정 관리가 허술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GDP에서 가계소비는 56.4%를 차지하는데, 인도의 12억 명 인 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그 비중 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 가 내수소비를 소홀히 해 경제성장 추진 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교훈으로 삼아 내 수진작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둘째, 무역수지 현황을 보면 2013년 무역적자가 1543억 달러(약 157조원) 로 2012년 적자 규모인 1921억 달러(약 196조원)에서 373억 달러(약 38조원)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수출 의 절반이나 차지하는 적자 규모로 인 해 심각한 재정난이 초래되고 있다. 세 계 최대 금 수입 국가 중 하나인 인도는 무역적자 규모를 줄이기 위해 정부 차원 에서 강력하게 금 수입을 규제하고 있지 만, 밀수가 정상 수입규모의 4배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의 공식적 인 통계에 잡히지 않는 수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공식무역 외에도 참고할 부분은 많다. 인도의 회계연도가 4월1일부터 시작 돼 3월31일에 마감되는데 국제기관에 서 아직 2013/14 회계연도 수출입 대 상국 점유율이 정확히 집계되지 않아 2012/13 연도의 자료를 참고했다. 주요 수출입 대상국은 아시아, 아메리카, 중 동, 유럽 국가로 다양하게 교역 중이다. 인도의경우IT와에너지사업부문에 대 한 외국인 직접 투자자가 증가하면서 다 양한 대륙과의 교역도 자연스럽게 활성 화되고 있는 추세다. 셋째, 공공부채는 2012/13 회계연도 GDP의 51.8%로 그 이전 회계연도에 비해 0.1% 감소했지만 9107억 달러(약 932조원)로 결코 적지 않은 규모다. 정 부부채는 GDP 67.72%로 1조1900억 달 러(약 1218조 원)로 공공부채와 정부부 채만 합산해도 2013년 IMF 기준 GDP 인 1조7582억 달러(약 1796조원)를 넘 어선다. 예산은 적자로 GDP의 5.7%를 기록했는데, 2013년 편성된 예산금액 1813억 달러(약 185조원)인데 지출된 금 액이 2816억 달러(약 287조원)로 1003 억 달러(약 100조원)가 과다 지출됐다. 현재 무역·예산이 적자인 쌍둥이 적 자를 겪고 있는 국가는 많지만 인도의 경우 외국인 직접투자가 강하고, 거대 한 인구가 튼튼한 기반으로 버티고 있 어 재도약은 언제든지 가능하다. 환경에 대한 지원이 아직도 미미하지만 물에 대 한 위기의식이 확산되자 빗물을 이용한 식수확보 시설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 다. 국가 주요 산업부문의 지출과 국방 비, 기타 비용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필 요가 있다. 넷째, 2013년 기준 노동인구는 전체 인 구약12억명중4억8730만명으로절반 이되지않는다.신분제도인카스트로인 해 정상적인 국가 노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서민층이많은것이다.업종별노동 비율은 농업(49.0%), 산업(20.0%), 서비 스(31.0%)로 과거부터 농업국가임이 수 치상으로 분명히 드러난다. 실업률은 지난해 8.8%로 그 이전 해보 다 0.3% 올랐다. 카스트제도가 사라지 지 않은 한 실업률을 낮추기란 어렵다. 최근에는 영어와 IT관련 산업으로 몰리 ICT 활성화 국가적 노력 경주 SW규모 브릭스 중 1위 카스트 제도 등 정치 · 경제 · 사회적 온갖 문제 안고 있어 거대한 소비시장 바탕 무한 잠재력 언제든지 재도약 가능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록된 인도의 대표적 이슬람 건축 타지마할. 는 청년층들이 증가했는데, 계급으로 막 혀버린 사회적 지위를 극복하기 위해 새 로운 직업군을 선택하는 경향이 늘어났 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섯째, 농업국가인 인도의 주요 농산 물로는 쌀, 밀, 유채, 면화, 황마, 차, 사탕 수수,콩,양파,감자,유제품,양,염소,가 금류, 물고기 등이 있다. 수출 주력상품 은 면화인데 2010년에 시작됐던 수출 금 지조치로 인해 국제 면화가격이 급등한 적이 있다. 게다가 세계 면화 재고량의 60%를 차 지하는 중국의 면화정책에 따라 글로벌 시장이 변화하기 때문에 중국과의 협력 도 필수다. 산업제품으로는 섬유, 화학, 식품 가 공, 철강, 운송 장비, 시멘트, 광업, 석유, 기계, 소프트웨어, 제약 등이 있다. 품목 주요 국가(점유율) 금액 1위 2위 3위 4위 5위 2013년 2012년 석유제품, 보석, 기계 철강, 화학, 자동차, 의류 아랍에미리트 (12.3%) 미국 (12.2%) 중국 (5.0%) 싱가포르 (4.9%) 홍콩 (4.1%) 3132억달러 (약 329조원) 2968억달러 (약 303조원) 원유, 보석, 기계 비료, 철강, 화학 중국 (10.7%) 아랍에미리트 (7.8%) 사우디아라비아 (6.8%) 스위스 (6.2%) 미국 (5.1%) 4675억달러 (약 477조원) 4889억달러 (약 499조원) 인도의 무역 현황

Upload: others

Post on 29-Nov-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112014년 6월 11일 수요일제398호 ‘글로벌 50’ 산업지도 ❹ / 인도

잠깨는 12억의 ‘슈퍼 코끼리’…ICT분야서 글로벌 경쟁력 보유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찬란한 인더스 문명을 자랑하고 있는 국가가

인도다. 아리아인들이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거쳐 4~6세기 굽타왕조에 이르러

과학, 예술, 문화의 꽃을 피웠다. 이슬람교가 유입되면서 델리 술탄, 무굴 왕조 시

기를 지나면서 종교적 갈등이 발생했고 19세기 영국의 식민지 지배로 정치·경

제적으로 서양사상을 접하게 됐다. 영국 지배를 받기 전인 17세기부터 영국·프

랑스·네덜란드 등의 동양에 대한 무역권을 행사했던 동인도회사가 인도가 글

로벌 경제에 등장하게 된 시초다. 영국지배 후 분리 독립한 파키스탄과의 3차례

전쟁, 2008년 뭄바이 테러사건 등 외교 및 군사 상황에 따라 경제가 타격을 받기

도 했다. 인도는 세계 2위 인구보유국이고, 1990년 초부터 정부 주도의 경제정책

으로 인해 중국을 이어받을 유일한 국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의 경제성장은 1991년 정부가 ‘

개방 시장경제’를 주창하면서 시작됐

다. 산업 규제 완화, 국영기업의 민영화,

해외무역 활성화, 외국인 투자 유치, 전

반적인 경제자유화 조치 등이 당시 슬로

건이다. 현재까지 이 모토를 중심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ICT산업을 활성

화시키기 위해 국가차원의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인도의 경제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 무역수지, 예산

및 공공부채, 노동력 및 실업률, 주요 제

품 및 물가상승률 등을 살펴보자.

첫째, 인도의 2013년 GDP 구매력지수

는 2012년 대비 1820억 달러(약 185조

원)가 증가한 4조9620억 달러(약 5062

조원)로 세계 4위다. 실질 경제성장률은

2012년 5.1%에서 2013년에 4.7%로 소

폭 감소했으며 세계 64위에 머물고 있

현재 인도의 경제정책 과제를 보면 높

은 금리, 인플레이션, 지속적인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비즈니스 아웃소싱 서

비스의 인프라 확장, 소프트웨어 부문

인력개발을 위한 영어교육 기회 부여,

경상적자 감축, 빈곤과 부패, 여성 차

별, 비효율적인 전력 생산 및 유통 시스

템, 물 부족에 따른 농업 인프라 구축의

91년부터 개방 경제 채택, GDP 구매력지수 세계 4위

무역·재정 ‘쌍둥이 적자’ 불구 외국인 직접 투자 몰려

아시아의 떠오르는 태양…중국 뒤 이을 유일한 나라

시급, 도시와 농촌 간 격차, 심각한 수질

오염 등으로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문

화·정치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

다. 이러한 경제적 현안이슈에 맞춰 인

도에서는 IT, 섬유, 음료 등 주요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미래를 전망해 보자.

첫째, IT산업의 경우 이미 2007년 당

시 GDP의 5%를 차지할 만큼 발전속도

가 빠르다. 단순 아웃소싱으로 출발했

지만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로 글로벌

ICT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가트너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인

도의 소프트웨어 시장의 규모가 47억

6500억 달러(약 4조9300억원)로 2012

년 보다 10% 증가해 브릭스(BRICS) 중

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인도의 경우 베다

수학이라고 불리는 인도식 수학법이 있

는데 세계 최고 수준이다. 수학을 통해

IT뿐만 아니라 건설업, 금융 등 다방면

의 인재를 배출할 수 있는 기반이 교육

인 셈이다.

둘째,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1985년을

기점으로 규모의 경제를 통해 급성장했

다. 2001년 농업부문에도 외국인 직접투

자 제한을 해제했다.

노후화된 관련 시설부문을 보수 및 개

선하면서 세계 거대 섬유수출국의 지위

를 유지하고 있다. 통상 섬유산업을 면

화, 실크, 황마, 화학 섬유로 구분하는데

세계 시장에서 인도는 모두 5위권 이내

에 진입해 있다. 2013년 전체 섬유 부문

에서는 중국 다음으로 세계 2위를 기록

했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12년에 비

해 17.5% 상승했다.

마지막은 음료산업으로서 당연히 인

도의 차(茶)가 포함돼 있다. 차의 역사는

대항해시대 유럽의 제국들은 중국의 차

나무를 인도와 현재의 스리랑카인 실론

으로 옮겨 심은 데서 시작됐다. 영국과

중국의 아편전쟁, 미국 식민지의 주민들

이 영국으로부터 차 수입을 저지하기 위

하여 일으켰던 보스턴 차 사건이 모두 인

도의 차에서 출발한다. 인도는 현재 세

계 홍차 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차 생산대국이다.

인도는 거대 노동인구와 ICT산업, 외

국인 직접투자, 농업, 광물자원 등 세계

대국으로 올라가기 위한 인프라는 충분

히 갖췄으나 국내 정치, 사회, 문화는 선

진국이라고 하기에 부끄러운 면이 많다.

단번에 오랫동안 고착화된 사회체제를

바꿀 수는 없지만 이번에 새롭게 선출된

모디 총리가 선진적인 경제정책을 추진

해 민주적인 요소와 인도주의적인 시스

템을 잘 융합한다면 글로벌 선도국가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다. 올해 인도 총선이 예상됐기 때문에

지난해 정부의 국정 관리가 허술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GDP에서 가계소비는

56.4%를 차지하는데, 인도의 12억 명 인

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그 비중

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

가 내수소비를 소홀히 해 경제성장 추진

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교훈으로 삼아 내

수진작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둘째, 무역수지 현황을 보면 2013년

무역적자가 1543억 달러(약 157조원)

로 2012년 적자 규모인 1921억 달러(약

196조원)에서 373억 달러(약 38조원)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수출

의 절반이나 차지하는 적자 규모로 인

해 심각한 재정난이 초래되고 있다. 세

계 최대 금 수입 국가 중 하나인 인도는

무역적자 규모를 줄이기 위해 정부 차원

에서 강력하게 금 수입을 규제하고 있지

만, 밀수가 정상 수입규모의 4배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의 공식적

인 통계에 잡히지 않는 수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공식무역 외에도 참고할 부분은

많다.

인도의 회계연도가 4월1일부터 시작

돼 3월31일에 마감되는데 국제기관에

서 아직 2013/14 회계연도 수출입 대

상국 점유율이 정확히 집계되지 않아

2012/13 연도의 자료를 참고했다. 주요

수출입 대상국은 아시아, 아메리카, 중

동, 유럽 국가로 다양하게 교역 중이다.

인도의 경우 IT와 에너지 사업 부문에 대

한 외국인 직접 투자자가 증가하면서 다

양한 대륙과의 교역도 자연스럽게 활성

화되고 있는 추세다.

셋째, 공공부채는 2012/13 회계연도

GDP의 51.8%로 그 이전 회계연도에

비해 0.1% 감소했지만 9107억 달러(약

932조원)로 결코 적지 않은 규모다. 정

부부채는 GDP 67.72%로 1조1900억 달

러(약 1218조 원)로 공공부채와 정부부

채만 합산해도 2013년 IMF 기준 GDP

인 1조7582억 달러(약 1796조원)를 넘

어선다. 예산은 적자로 GDP의 5.7%를

기록했는데, 2013년 편성된 예산금액

1813억 달러(약 185조원)인데 지출된 금

액이 2816억 달러(약 287조원)로 1003

억 달러(약 100조원)가 과다 지출됐다.

현재 무역·예산이 적자인 쌍둥이 적

자를 겪고 있는 국가는 많지만 인도의

경우 외국인 직접투자가 강하고, 거대

한 인구가 튼튼한 기반으로 버티고 있

어 재도약은 언제든지 가능하다. 환경에

대한 지원이 아직도 미미하지만 물에 대

한 위기의식이 확산되자 빗물을 이용한

식수확보 시설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

다. 국가 주요 산업부문의 지출과 국방

비, 기타 비용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필

요가 있다.

넷째, 2013년 기준 노동인구는 전체 인

구 약 12억 명 중 4억8730만 명으로 절반

이 되지 않는다. 신분제도인 카스트로 인

해 정상적인 국가 노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 서민층이 많은 것이다. 업종별 노동

비율은 농업(49.0%), 산업(20.0%), 서비

스(31.0%)로 과거부터 농업국가임이 수

치상으로 분명히 드러난다.

실업률은 지난해 8.8%로 그 이전 해보

다 0.3% 올랐다. 카스트제도가 사라지

지 않은 한 실업률을 낮추기란 어렵다.

최근에는 영어와 IT관련 산업으로 몰리

ICT 활성화 국가적 노력 경주…SW규모 브릭스 중 1위‘카스트’ 제도 등 정치·경제·사회적 온갖 문제 안고 있어

거대한 소비시장 바탕 무한 잠재력 언제든지 재도약 가능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록된 인도의 대표적 이슬람 건축 타지마할.

는 청년층들이 증가했는데, 계급으로 막

혀버린 사회적 지위를 극복하기 위해 새

로운 직업군을 선택하는 경향이 늘어났

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섯째, 농업국가인 인도의 주요 농산

물로는 쌀, 밀, 유채, 면화, 황마, 차, 사탕

수수, 콩, 양파, 감자, 유제품, 양, 염소, 가

금류, 물고기 등이 있다. 수출 주력상품

은 면화인데 2010년에 시작됐던 수출 금

지조치로 인해 국제 면화가격이 급등한

적이 있다.

게다가 세계 면화 재고량의 60%를 차

지하는 중국의 면화정책에 따라 글로벌

시장이 변화하기 때문에 중국과의 협력

도 필수다.

산업제품으로는 섬유, 화학, 식품 가

공, 철강, 운송 장비, 시멘트, 광업, 석유,

기계, 소프트웨어, 제약 등이 있다.

구분

품목주요 국가(점유율) 금액

1위 2위 3위 4위 5위 2013년 2012년

수출

석유제품, 보석, 기계

철강, 화학, 자동차, 의류

아랍에미리트

(12.3%)

미국

(12.2%)

중국

(5.0%)

싱가포르

(4.9%)

홍콩

(4.1%)

3132억달러

(약 329조원)

2968억달러

(약 303조원)

수입

원유, 보석, 기계

비료, 철강, 화학

중국

(10.7%)

아랍에미리트

(7.8%)

사우디아라비아

(6.8%)

스위스

(6.2%)

미국

(5.1%)

4675억달러

(약 477조원)

4889억달러

(약 499조원)

인도의 무역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