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도 실행 사업계획 및 예산안 - kedi.re.kr · 교육조사․통계에 관한...

451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차 임시이사회 년도 실행 사업계획 및 예산

Upload: others

Post on 25-Oct-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제172차 임시이사회

    2014년도 실행 사업계획 및 예산(안)

    2014. 4. 29.

  • 목 차

    □ 2014년도 실행 사업계획 및 예산(안) 요약 ··· 3

    □ 2014년도 예산 변경(안) ····································· 7

    □ 2014년도 실행 사업계획(안) ·······························11

    Ⅰ. 기관운영 ·············································································15

    Ⅱ. 사업추진방향 ···································································23

    Ⅲ. 2014년도 사업개요 ···························································27

    Ⅳ. 단위사업별 세부내역 ·····················································35

    1. 기관고유사업 ·································································37

    가. 기본연구사업 ·····························································39

    나. 연구관련사업 ···························································177

    다. 연구지원사업 ···························································187

    2. 일반사업 ·······································································207

    3. 시설사업 ·······································································327

    4. 수탁용역사업 ·······························································331

    □ 2014년도 예산서 ··············································339

  • 2014년도 실행 사업계획 및 예산(안) 요약

  • - 3 -

    Ⅰ. 2014년도 실행 사업계획(안) 요약

    1. 기관고유사업

    가. 기본연구사업(단위 :천원)

    번호 기본연구과제명 과제구분(기초/정책) 연구예산 연구기간 연구책임자

    합계 총 20건(수시포함) 기초 7 /정책 12 3,158,000

    1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책 100,000 ’2.1.~11.31. 정미경

    2교원의 업무시간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정책 75,000 ’2.1.~11.31. 정바울

    3교원 중․장기 수급 전망 체계 구축 연구

    기초 60,000 ’2.1.~11.31. 김기수

    4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 연구 : 생애진로개발을 중심으로

    정책 80,000 ’2.1.~11.31. 김경애

    5지방교육자치법규의 제정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정책 65,000 ’2.1.~11.31. 황준성

    6 남북한 교사 역할 비교 분석 연구 기초 60,000 ’2.1.~11.31. 김정원

    7산‧학 연계 강화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정책 75,000 ’2.1.~11.31. 김미란

    8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정책 95,000 ’2.1.~11.31. 신철균

    9한국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참여 실효성 제고 방안

    정책 80,000 ’2.1.~11.31. 최정윤

    10교육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국제기구와의 네트워크 강화 방안 연구

    정책 70,000 ’2.1.~11.31. 허 주

    11 아시아 국가 교육지표 조사 연구 기초 100,000 ’2.1.~11.31. 임후남

    12교육소외 청소년을 위한 방송통신중‧고등학교 운영 방안 연구 정책 80,000 ’2.1.~11.31. 강성국

    1321세기 글로벌 교육개혁 동향 분석 연구(II) -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국제비교 -

    기초 85,000 ’2.1.~11.31. 김태준

    14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IV) - 중학교 연구 -

    기초 200,000 ’2.1.~11.31. 남궁지영

    15 2014 한국교육종단연구 정책 800,000 ’2.1.~11.31. 김양분

    16201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정책 80,000 ’2.1.~11.31. 김정민

    17중학교 학생의 학업 유형과 실태 분석

    정책 80,000 ’2.1.~11.31. 류방란

    182014 교육지표‧지수 통합조사 – 초·중·고등학생의 역량 수준을 중심으로 -

    기초 200,000 ’1.1.~11.31. 강영혜

    19

    OECD 장기적 국제협력사업- OECD 국제협력사업- OECD ESP 역량 역동성 종단

    연구(Ⅰ): OECD 측정도구의 한국 타당화

    기초 250,000 ’1.1.~12.31. 허 주김미숙

    20 수시연구사업 - 523,000 - -

  • - 4 -

    나. 연구관련사업 (단위 : 천원)번호 연구관련사업명 사업예산 사업기간 사업책임자합계 총 3건 226,166 -

    1 교육정책포럼 및 연구 콜로키움 운영 33,000 `1.1.~12.31.(1/1) 연구기획실장

    2 국제협력사업 188,000 `1.1.~12.31.(1/1)국제교류협력

    실장

    3 취업통계 조사 지원을 위한 연수 보강 사업 5,166 `1.1.~12.31.(1/1)이기준

    (교육통계연구센터)

    다. 연구지원사업 (단위 : 천원)번호 연구지원사업명 사업예산 사업기간 사업책임자합계 총 5건 1,087,676 -

    1교육연구지원

    - 연구·성과 및 예산 기획340,000 `1.1.~12.31.(1/1)

    연구기획실장,예산기획실장

    2학술지 발간

    - 교육개발, 영문저널, 한국교육, 연구위원컬럼,국제학술지 게재 지원

    321,676 `1.1.~12.31.(1/1)홍보기획실장,국제교류협력

    실장

    3 대외지원홍보 219,000 `1.1.~12.31.(1/1) 홍보기획실장

    4 정보자료운영 113,000 `1.1.~12.31.(1/1) 정보화기획실장

    5 전산운영 64,000 `1.1.~12.31.(1/1) 정보화기획실장

    2. 일반사업 (단위 : 천원)

    번호 연구과제명 연구예산 연구기간(년차) 연구책임자 비 고

    합계 총 12건 3,064,437

    1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II)- 초등교원 인성교육 연수 자료 개발 -

    226,994 `1.1.∼12.31.(2/3) 현 주

    2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II)

    220,783 `1.1.∼12.31.(2/5) 유현숙

    3 탈북청소년의 교육종단연구(V) 107,784 `1.1.∼12.31.(5/6) 강구섭

    4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대학생 역량 지수 개발 연구 -

    250,188 `1.1.∼12.31.(3/5) 김창환

    5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III)- 지방대학의 교육실태 및 성과 분석 -

    112,839 `1.1.∼12.31.(3/5) 박성호

    6 학교폭력 예방 문화 정착방안 연구(I) 190,000 `1.1.∼12.31.(1/3) 박효정

    7

    2014 교육시설정책지원(BTL) 연구 및 사업- 초등학교 내 영유아교육 및 보육 통합시설 통합 모형 개발 연구

    - 학교안전강화를 위한 보안시스템 설치 및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944,574- 100,000

    - 100,000

    `1.1.∼12.31.(계속연구) 조진일

    8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 연구(II) - 미래 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

    111,843 `1.1.∼12.31.(2/3) 홍영란 협동

    9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 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I)

    136,458 `1.1.∼12.31.(2/3) 최상덕 협동

    10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협력에 관한 연구 – 중남미 교육협력방안 연구(II) -

    232,966 `1.1.∼12.31.(2/3) 윤종혁 ODA

    11 정보화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 445,003 `1.1.∼12.31.(1/1)정보화

    기획실장

    12 정보보안시스템 구축 85,005 `1.1.∼12.31.(1/1)정보화

    기획실장

  • - 5 -

    3. 시설사업 (단위 : 천원)

    번호 연구과제명 연구예산 연구기간(년차) 연구책임자 비 고

    합계 총 3건 3,440,690

    1 청사관리 및 유지보수 252,690 `1.1.~12.31.(1/1) 시설지원실장

    2 임차료 196,000 `1.1.~12.31.(1/1) 시설지원실장

    3 지방이전비 2,992,000 `1.1.~12.31.(1/1) 청사이전추진단장

    4. 수탁용역사업(단위 : 천원)

    번호 연구과제명 연구예산 연구기간(년차) 연구책임자 비 고

    합계 총 3건 38,380,000

    1 2014년도 교육통계연구센터 사업 4,900,000 ’1.1.~12.31.(1/1)

    2 2014년도 방송통신중·고등학교 운영지원 사업 5,500,000 ’1.1.~12.31.(1/1)

    3 기타 수탁연구사업 27,980,000 ’1.1.~12.31.(1/1)

  • - 7 -

    Ⅱ. 2014년도 예산 변경(안)

    1. 수지예산(안) 총괄표

    1) 수입예산(안)

    (단위 : 천원)양식 AB0 01

    구 분 ‘13예산1 ‘14예산2[A]‘14예산

    변경(안)[B]증△감

    [B-A] 비율(%)

    합 계 82,132,255 59,089,166 62,675,380 3,586,214 6.1

    1. 정부출연금 16,762,000 16,858,000 16,858,000 - -

    ㅇ 인건비 9,333,000 9,596,000 9,596,000 - -

    ㅇ 기관고유사업비 3,246,000 3,246,000 3,246,000 - -

    ㅇ 일반사업비 3,061,000 2,888,000 2,888,000 - -

    ㅇ 경상운영비 682,000 682,000 682,000 - -

    ㅇ 시설비 440,000 446,000 446,000 - -

    2. 자체수입 60,024,969 39,239,166 41,211,249 1,972,083 5.0

    ㅇ 수탁용역수입 36,589,000 39,024,000 40,848,000 1,824,000 4.7

    ㅇ 이자수입 186,000 179,166 179,166 - -

    ㅇ 기타수입 23,249,969 36,000 184,083 148,083 411.3

    3 전기이월금 5,345,286 - 1,614,131 1,614,131 순증

    4. 차입금 - 2,992,000 2,992,000 - -

    * 2013년도 예산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제148차 이사회(2013.3.29)에서 승인

    * 2014년도 예산은 국회 최종 승인(‘14.1.1, ‘14년도 정부출연금 반영)을 반영하여 작성

    2) 지출예산(안)

    (단위 : 천원)양식 AB00 2

    구 분 ‘13예산1 ‘14예산2[A]‘14예산

    변경(안)[B]증△감

    [B-A] 비율(%)

    합 계 82,132,255 59,089,166 62,675,380 3,586,214 6.1

    1. 인 건 비 11,638,000 11,988,000 11,988,000 - -

    2. 연구사업비 43,839,627 42,726,000 46,076,625 3,350,625 7.8

    3. 경상운영비 937,166 937,166 1,021,065 83,899 8.9

    4. 시 설 비 25,717,462 3,438,000 3,440,690 2,690 0.1

    5. 차입금이자상환 - - 149,000 149,000 순증

  • - 8 -

    2. 지출예산(안) 내역

    (단위 : 천원)양식 AB00 3

    구 분 ‘13예산 ‘14예산[A]‘14예산변경(안)

    [B]

    증△감[B-A]

    비고

    합 계 82,132,255 59,089,166 62,675,380 3,586,2141. 인건비 11,638,000 11,988,000 11,988,000 -ㅇ 기본연봉 6,574,000 6,768,000 6,768,000 -ㅇ 성과연봉 2,976,000 3,063,000 3,063,000 -ㅇ 기타수당 368,000 376,000 376,000 -ㅇ 법정부담금 1,720,000 1,781,000 1,781,000 -ㅇ 기관장성과연봉 - - - -ㅇ 결원인건비 - - - -

       

    2. 연구사업비 43,839,627 42,726,000 46,076,625 3,350,625ㅇ 기관고유사업비 6,085,895 3,282,000 4,471,842 1,189,842

    - 기본연구사업비 3,890,000 2,588,000 3,158,000 570,000

    (수시연구사업) 700,000 308,000 523,000 215,000

    - 연구관련사업 760,699 186,000 226,166 40,166

    - 연구지원사업 1,435,196 508,000 1,087,676 579,676

    ㅇ 일반사업비 3,373,412 2,888,000 3,064,437 176,437-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II) - 초등교원 인성교육 연수 과정 및 연수 자료 개발 -

    200,000 200,000 226,994 26,994

    -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II)

    205,461 200,000 220,783 20,783

    - 탈북청소년의 교육종단연구(V) 116,175 100,000 107,784 7,784-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대

    학생 역량 지수 개발 연구 -278,720 250,000 250,188 188

    -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III)- 지방대학의 교육실태 및 성과 분석 -

    107,420 100,000 112,839 12,839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안전한 학교문화 정착방안 연구(I)

    - 190,000 190,000 -

    - 2014 교육시설정책지원(BTL) 연구 및 사업

    1,114,310 918,000 944,573 26,573

    -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 연구(II) - 미래 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

    100,000 100,000 111,843 11,843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 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I)

    150,000 100,000 136,458 36,458

    -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협력에 관한 연구 – 중남미 교육협력방안 연구(II) -

    231,645 200,000 232,965 32,965

    - 정보시스템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 428,392 445,000 445,003 3

    - 정보보안시스템구축사업 220,013 85,000 85,006 6

    - 학생의 학교부적응 진단과 대책 221,275 -  -  -

    ㅇ 수탁용역사업비 30,469,000 36,556,000 38,380,000 1,824,000ㅇ 청년인턴십운영 - - 160,346 160,346

  • - 9 -

    구 분 ‘13예산 ‘14예산[A]

    ‘14예산변경(안)

    [B]

    증△감[B-A]

    비 고

    3. 경상운영비 937,166 937,166 1,021,065 83,899ㅇ 기본공과금 449,872 449,872 449,872ㅇ 자산관리유지비 46,630 46,630 78,630 32,000

    ㅇ 인력관련경비 80,240 80,240 132,139 51,899ㅇ 기타운영비 360,424 360,424 360,424 0

    4. 시설비 23,460,740 3,438,000 3,440,690 2,690ㅇ 청사관리 및 유지보수 250,000 250,000 252,690 2,690ㅇ 임차료 190,000 196,000 196,000 0ㅇ 지방이전비 23,020,740 2,992,000 2,992,000 0

    5. 차입금이자상환 - - 149,000 149,000

  • 2014년도 실행 사업계획(안)

  • 목 차

    Ⅰ. 기관운영 ······················································································15

    Ⅱ. 사업추진방향 ············································································23

    Ⅲ. 2014년도 사업개요 ····································································27

    Ⅳ. 단위사업별 세부내역

    1. 기관고유사업 ···········································································37

    가. 기본연구사업 ·······································································39

    나. 연구관련사업 ·····································································177

    다. 연구지원사업 ·····································································187

    2. 일반사업 ·················································································207

    3. 시설사업 ·················································································327

    4. 수탁용역사업 ·········································································331

  • - 15 -

    양식 EP01

    ○ 기관의 목적 (정관 제2조)

    한국의 전통과 현실에 알맞은 새로운 한국적 교육 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에 관한 종합적이며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한국 교육이 당

    면한 제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혁신적인 교육체제를 개발함으로써 교육의

    발전에 기여함.

    ○ 기관의 사업(주요 기능) (정관 제5조)

    - 국가의 교육발전을 위한 종합적이며 체계적인 정책의 연구·개발

    - 학교교육 현장 혁신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 및 지원

    -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에 관한 종합평가 지원

    - 교원양성기관에 관한 종합평가 지원

    - 교육조사․통계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개발 및 보급- 원격교육 등의 연구개발 및 운영 지원

    -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개발

    - 교육시설에 관한 연구·사업 및 교육시설 민간투자사업 지원 업무

    - 교육에 관한 국제 연구·협력 및 정보자료 수집·분석

    - 연구·사업의 출판·발표·보급 및 이에 따른 수익사업

    - 기타 법령 및 정부위탁에 의한 사업과 개발원의 설립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 상기의 연구‧사업과 관련된 교육 연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상기의 연구‧사업과 관련된 부대사업

    Ⅰ. 기관운영

    1. 기관의 목적 및 사업(주요기능)

  • - 16 -

    양식 EP02

    □ 인구학적 환경 변화

    ◦ 저출산에 의한 전반적 구조조정 요구 심화

    - 우리나라의 인구규모는 2010년 4,888만명에서 2018년 4,934만명을 정점으로 감소

    하기 시작하여 2050년에 4,234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임.

    - 저출산 현상에 따라 학생수도 급감할 것으로 예측되며, 초등학생 수는 이미 급격

    히 감소하고 있고, 5년 후부터는 중․고등학생수도 급감할 것으로 예측됨.

    - 인구 감소로 인하여 학생 수와 학교 수의 감소가 예상되고 학급당 학생 수 감소,

    교원 1인당 학생 수 감소, 학교규모의 축소, 소규모 학교 증가, 교직원의 정원 기

    준의 변화, 인구 희소 지역 및 농산어촌 학교 재구조화 등 교육 전반에 직․간접

    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됨.

    ◦ 노령화에 의한 경제 성장률 하락 및 세대 간 갈등 심화

    - 저출산 지속으로 인하여 유소년인구 및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제1차 베

    이비붐세대인 1955-1963년생 712만명과 제2차 베이비붐세대인 1968-1974년생 716

    만명이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노년층에 진입하면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됨.

    - 인구 감소는 노동력의 감소, 잠재성장률 하락, 사회적 지출 증가(연금, 보험, 의료,

    사회복지)에 따른 국가경쟁력 약화, 노년부양비 상승, 사회적 활력 저하, 세대 간

    갈등 등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됨.

    □ 경제적 환경 변화

    ◦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청년 실업 심화

    - 글로벌 경기 침체로 경제활동인구의 높은 실업률이 장기간 유지됨에 따라, 직업과

    연계한 진학 및 직업교육을 통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함.

    - 전체 실업률 3.1%(79만 5천명) 대비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7.3%(31만 4천명)

    로 최근 3년 간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있음.

    - 구직활동 및 취업 후 직무향상을 위해 직업교육을 받는 자발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2. 연구환경 분석 및 연간 기관운영 목표

    1) 외부 환경 분석

  • - 17 -

    ◦ 소득의 양극화로 인한 소득 수준 별 교육격차 심화

    - 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소득 수준에 따라 교육비 지출 격차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저소득층의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한 교육기회의 제한이 우려됨.

    - 소득 5분위 별 가구당 가계수지 조사 결과 상위 20%의 교육비항목 지출은

    384,200원으로 하위 20%의 교육비항목 지출 65,500원과 비교하여 약 5.8배 이상

    의 격차를 보임.

    - 월평균 소득 100만원 이하 가구에서 사교육비로 월평균 6만 8천원을 지출하는

    반면, 월평균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금액은 44만원으

    로 고소득 가정일수록 자녀교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이 증가하는 상황임.

    □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

    ◦ 학문 간 융복합으로 새로운 영역 창조

    -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학문들이 고유의 분야에서 보편적이고 단편적으로 영향

    을 미치던 수준에서 벗어나 학문간 융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영역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방식이 변화함.

    - 학습토론 및 소통과 협력 수업을 지향하며, 과학, 기술, 예술 분야 등 다양한 소

    양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

    을 실시함.

    ◦ 글로벌 교류·협력 기회 증가

    - 국격이 신장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으

    며,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을 통해 국제사회 현안을 함께 해결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하고 있음.

    - FTA 및 국제교류의 가속화와 더불어 교육의 글로벌화가 진전되면서 학생 뿐 아

    니라 교육기관의 이동 및 국제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

    적 연구협력과 정책 교류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 OECD DAC 가입으로 개도국 교육발전 지원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원 요청국에 대한 국별/권역별 개발협력 전략에 따른 전문적 교육 컨설팅과

    교육정책전문가 연수 제공 강화가 요청됨.

    ◦ 개인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보장하는 문화 확산

    - 몰개성과 획일적인 풍토에서 벗어나 개인의 자율성과 개성이 존중되면서, 대안

    학교, 홈스쿨링 등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교육이 실시됨.

  • - 18 -

    ◦ 사회 교육 복지분야 및 다문화 수요 증대 및 확충

    - 탈산업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인간다운 삶과 더불어 사는 사회를 지향하는 복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상응하도록 다양한 복지를 확충하고 있으나, 다

    문화 가정 및 새터민 등 새로운 교육소외 계층이 등장함.

    □ 첨단 IT 기술의 발달

    ◦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교육환경의 변화

    -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교육 자율성을 부여하고, 맞춤형 교

    육이 가능하도록 교육환경이 변화되고 있음.

    - 국내 5개 시․도교육청 및 세종시에 총 13개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를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 적용과 확산이 용이하도록 스마트교실 구축·운영 가

    이드라인을 개발 중임.

    ◦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지식의 생산

    - 정보기반사회에서 생산한 지식을 공개·공유하고 협업에 의하여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순환구조 속에서 서비스 간 융·복합을 통해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

  • - 19 -

    2) 내부 여건 분석

    외부환경

    내부역량

    기회 위협

    •경제,사회,기술환경 등의 변화와 ,교육정책연구에 대한 대내외 수요자의 다원화로 선제적 교육정책 연구 요구

    •FTA 및 국제교류 가속화에 따른 국제적 연구협력 요구와 한국교육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위한 KEDI의 역할에 대한 요구 증대

    •학문간 다양한 융·복합 연구수요 및 환경 확대

    •이전 지역의 연구기관, 대학, 교육기관 등 관련기관과의 협력기회 확대

    •국책연구기관, 대학중점연구소, 민간연구소, 학술단체 등 교육정책분야 연구기관이 많아짐에 따라 본원의 차별적인 역량 및 기여 요구

    •기관 이전에 따른 위탁사업의 지속적운영의 불확실성

    •기관 이전 후 업무환경 변화에 따른 구성원의 근무여건 악화

    •기관 이전에 따른 인력수급 및 운영의 어려움

    •교육정책연구 및 사업분야의 축적된 역량 및 노하우 보유

    •광범위한 교육관련 정보,지식,통계 DB등 연구 인프라 보유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다양한 연구․사업 네트워크 확보

    •다양한 연구와 사업을 운영한 경험을 통해 교육정책의 미래 청사진과 비전 제시 능력 보유

    SO 전략 ST 전략

    ‣ 한국 교육체제의 글로벌 확산

    ‣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심층적 연구협력 강화

    ‣ 연구성과 관리 및 활용체계 확립

    ‣ 중장기 교육정책 선도를 위한 자체의제 발굴기능

    강화

    ‣ 정책 실효성 관점의 연구·사업 신규영역 확대

    ‣ 연구성과의 적극적인 홍보 및 확산

    •정책 지원 사업 증가에 따른 교육정책 연구 개발에 대한 집중도 저하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한 프로세스 체계화 미흡

    •사업 증가에 따른 비정규직의 고용 및 의존도 증가

    •연구인력들의 대학 유출로 인한중간급 연구인력의 부족

    •구성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관차원의 지원체계 미흡

    WO 전략 WT 전략

    ‣ 연구와 사업 시너지 창출을 위한 조직 운영 개선

    ‣ 전문성, 책무성 신장을 통한 연구·사업 역량 강화

    ‣ 협력적 조직문화 활성화‣ 성공적 기관 이전을 위한

    효과적 업무 환경 조성

  • - 20 -

    양식 EP05

    □ 연대별 교육정책 변화

    [그림] 시대 별 교육 정책 변화

    □ 새로운 교육정책 요구에 따른 KEDI 연구 방향 설정

    ◦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추진

    - 자유학기제 등 학교교육 정상화, 인성교육과 학교폭력예방, 대학특성화 및 재정

    지원 확대 등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

    정책 개발 및 제공 강화

    ◦ 개인주의에서 공동체주의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 경쟁적 성적 중심의 수월성 추구 및 엘리트중심교육에서 협력적 능력 중심의

    형평성 추구 및 공동체적 삶을 본위로 하는 교육으로 패러다임의 전환 촉진

    ◦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 교육 강조

    - 기초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 배려와 협력, 도전과 열정, 자율과 책임, 글로벌

    의사소통능력 등을 갖춘 품격 있는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상 확립

    3) 연구 환경 분석

  • - 21 -

    양식 EP05

    [그림] KEDI 4대 경영 목표 및 실천과제

    4) 기관운영 목표

  • - 22 -

    양식 EP06

    □ 기관의 경영목표를 실현하고,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와 교육부의 주요 정책을 지원

    할 수 있는 연구‧사업 추진

    국정기조 추진전략 국정과제 주관부처

    경제부흥 민생경제 29 교육비 부담 경감 교육부

    국민행복

    창의교육

    68 대학 특성화 및 재정지원 확대 교육부

    69 교원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 교육부

    70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 교육부

    71 전문대학을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집중 육성 교육부

    72 100세 시대 평생학습체제 구축 교육부

    73 학벌이 아닌 능력중김 사회 만들기 고용부

    국민안전 76 학교폭력 및 학생위험 제로 환경 조성 교육부

    사회통합 103 지방대학 지원 확대 교육부

    평화통일

    기반구축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126 통일 대비 역량강화를 통한 실질적 통일준비 통일부

    신뢰외교 133 ODA 지속 확대 및 모범적·통합적 개발협력 추진 국조실

    추진기반신뢰받는

    정부134 국민 중심 서비스 정부 3.0 구현 안행부

    3. 연구기관 관련 국가적 정책과제

  • - 23 -

    양식 EP07

    ◦ 글로벌 리더로서의 미래교육체제 연구 강화

    ◦ 새 정부의 행복교육정책 실현 연구 및 정책 개발 제공 강화

    ◦ 사교육 완화 및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 개발

    ◦ 교육양극화 해소 및 교육복지 실현 연구 강화

    ◦ 생태학적 공동체위주의 새 교육패러다임 개발

    ◦ 개인의 사교육비 부담 경감 방안 연구 강화

    ◦ 대학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한 지속적 연구 개발

    ◦ 한국교육 국제화 및 국제 협력 연구 강화

    ◦ 미래지향적 교육통계 DB 개발 및 제공시스템 강화

    ◦ 학제간, 융복합 교육정책 연구 추진

    양식 EP08

    ◦ 기관 경영목표의 정책 연구 방향, 국정과제,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 등을 종

    합적으로 고려한 연구 추진

    ◦ 미래 한국교육 정책을 새롭게 선도할 수 있는 연구 추진

    ◦ 박근혜 정부가 시행해야 할 교육정책 연구 추진

    ◦ 핵심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연구 추진

    ◦ Evidence-Based Research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 추진

    ◦ 실‧센터, 부서의 장기적인 계획에 기초한 연구 추진

    Ⅱ. 사업추진 방향

    1. 2014년도 사업목표

    2. 연구사업 운영방향

  • - 24 -

    양식 EP09

    ◦ 우리 기관의 설립목적과 기능 및 연구사업 운영방향에 부합하는가?

    ◦ 우리 기관 연구역량의 결집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가?

    ◦ 정부의 주요 교육정책 방향과 사회적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

    ◦ 국가 교육정책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

    ◦ 합리적·과학적인 교육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교육기초이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가?

    ◦ 정부가 당면한 교육현안 해결 및 미래 한국 교육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가?

    ◦ 국내·외 기관(대학)과 상호 교류협력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가?

    양식 EP10

    원외 원내

    전체 연구사업심의위원회 재검토 후 확정

    익년도 연구과제 후보 선정

    공모 및 제안

    ➤ 정책 수요자의기대와 요구 분석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정책 현안 대응∘현장 밀착형 연구결과 산출

    ∘교육경쟁력 제고

    ➤ 연구사업과제에 대한 정부 및

    교육현장 의견수렴

    ∘청와대, 교육과학기술부,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 유관기관 등

    ◦ 정책현안위원회 운영◦ 교육정책 네트워크 운영◦ 연구위원 워크숍,

    브레인스토밍 운영

    부서별 장단기 연구사업

    계획 수립

    전체 연구사업심의위원회 개최

    - 장단기 연구사업계획 수립- 과제 제안서 검토

    3. 연구사업 선정기준 및 절차

    가. 선정기준

    나. 선정절차

  • - 25 -

    양식 EP11

    ◦ 국정과제 지원과 2014년도 사업 목표(정책연구 방향) 및 연구사업 운영방향에

    대표적으로 부합하고 있는 연구사업 선정

    - 미래 한국교육 정책 선도할 수 있는 연구

    - 박근혜 정부가 추진해야 할 교육정책 연구

    - 핵심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 제시 연구

    - Evidence-Based Research에 기여

    - 기관의 조직적‧전문적 역량 발휘

    ◦ 기관 연구역량의 결집효과 극대화 및 국가 교육정책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대표 연구사업 선정

    양식 EP12

    번호중점연구사업명

    중점연구사업 요약

    1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 자유학기제는 선행학습과 반복적, 문제풀이식 보충학습의 학교 교육

    에서 소질과 적성에 부합하는 진로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학교 교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적인 정책 방향임. 국정과제 ‘꿈과 끼를 살

    려주는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적 정책 방안인 자유학기제는 2013년

    연구학교 운영을 시작으로 확대되고 향후 전면 도입될 예정임.

    - 중학교 교육 실태와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

    하여 자유학기제 정착의 성공 요인과 저해 요인을 제시하고, 자유학

    기제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운영 시사점을 도출함. 이를 통

    해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함.

    2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협력에 관한 연구 – 중남미 교육협력방안 연구(II)- 한국은 수원국에서 OECD DAC 회원국이 된 최초의 사례로서 후발

    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교육ODA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그 동안

    교육개발원에서는 아시아 개발도상국가 및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

    의 교육협력 연구를 추진한 바 있음.

    - 중남미 권역 및 중점지원국가에 대한 교육·인재육성협력을 통해 한국

    의 교육외교, 자원외교 전략을 강화하고 남남협력체제의 연계망 구축

    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2013년부터 중남미 교육협력 방안 연구를 수

    행하고 있음.

    4. 중점연구사업

    1) 선정기준

  • - 26 -

    양식 EP12

    번호중점연구사업명

    중점연구사업 요약

    - 1차년도 연구의 각 국가별 교육체제 및 지원현황 분석에 기초하여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볼리비아, 과테말라 등 5개국에 대한 현안과제 협력 전략과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통한 협력추진 계획을 도출하여 정부가 효율적으로 추

    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함.

    3

    2014 교육지표·지수 통합조사- 데이터기반 정책 수립 및 정책 성과 관리가 강조되면서 학생의 발달

    수준이나 학교교육의 실태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국

    가 수준의 기초 자료 구축이 요청됨.

    - 한국 초중고 학생의 전인적 발달 실태와 수준을 주기적으로 조사, 공

    표하여 교육 현황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보 관리함.

    - 교육통계 자료와 설문조사 중심의 자료를 연계하여 과학적 정책 수립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나 ‘초·중

    등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등에서 개발되고 있는 교육지표

    및 지수 산출 자료를 장기적으로 제공함.

  • - 27 -

    양식 EP14

    번호 과제명개 요

    1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중등교육에서 융합교육 활

    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교원의 업무시간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일선 학교 교원의 업무시간 실태를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토대로 교원 시

    간 부족, 업무시간 운영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법적, 정

    책적, 실천적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자 함.

    3

    교원 중·장기 수급 전망 체계 구축 연구

    - 교원이 교육에 전념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교원 수급 과

    부족을 우선 해결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적정 규모의 교원을 안

    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시급함. 본 연구에서는 교원 수급 중장기 전망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해외 사례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분

    석하여 수급 정책에 필요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4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 연구 : 생애진로개발을 중심으로

    - 학교 부적응 학생이나 학업중단 위기 학생에 대한 대응 방안은 많은 연

    구에서 수행되어 왔으나 학교 밖으로 이탈한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해서

    는 적절한 대응 방안이 마련되지 못함.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복귀나

    취업 진로 개척 등을 위한 방안 및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 관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5

    지방교육자치법규의 제정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지방교육자치가 활성화되고 민선교육감이 선출되면서 교육‧학예사무에 관한 조례 및 교육규칙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 지방교육자치법규의

    제정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방교육자치 시대의 자치법규 개선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함.

    6

    남북한 교사 역할 비교 분석 연구

    - 남북한 교사의 역할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 접점과 교사를 둘러싼 갈등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통일 후 남북한 교육통합 방안을 모색함.

    아울러 약 250명 규모의 탈북 교사 분석을 통해 탈북학생 교육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Ⅲ. 2014년도 사업개요

    1. 기관고유사업

    가. 기본연구사업

  • - 28 -

    양식 EP14

    번호 과제명개 요

    7

    산·학 연계 강화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특성화를 통한 고등교육기관 역량 강화로 산업과 지역

    이 필요로 하는 우수인재를 양성․배출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과 연계하여 산업현장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능력과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개편하기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모델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8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중학교 교육 실태와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

    여 자유학기제 정착의 성공 요인과 저해 요인을 제시하고, 자유학기제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운영 시사점을 도출함. 이를 통해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함.

    9

    한국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참여 실효성 제고 방안-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관한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국제개발협

    력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자 함. 이를 통해 국정과제로 제시된 ‘ODA 지속확대 및 모범적‧통합적 개발협력 추진’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대학의 개발협력사업 전문성 강화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10

    교육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국제기구와의 네트워크 강화 방안 연구- 국제기구와의 협력이 다변화되면서 효율적인 국제협력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를 대표하여 국제기구와의 협력 연구 및 사업에 참여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국제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국제기구와의 연구·사업 협력에서 필요한 국내 정부출연 연구기관 간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11

    아시아 국가 교육지표 조사 연구- 선진국 중심의 OECD 교육지표가 매년 발표되고 있으나 아시아의 특성

    이 반영된 교육지표·지수를 개발하고 공표하여 아시아 국가의 교육 현

    황을 분석함으로써 아시아권에서의 한국교육의 역할을 강화하고 아시아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

    12

    교육소외 청소년을 위한 방송통신중․고등학교 운영 방안 연구- 급증하고 있는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가 시도교육청의 핵심 이슈로 부각됨

    에 따라 2013년 방송통신중학교 2개교가 설립되었음. 방송통신중·고등학

    교의 온라인 교육 인프라를 활용하여 학업중단학생 등 교육소외 청소년을

    위한 교육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운영 모델을 개발하고자 함.

    13

    21세기 글로벌 교육개혁 동향 분석 연구(II) -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

    인성교육 국제비교 -- 21세기 글로벌 사회에서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에 관하

    여 OECD등 국제기구 및 주요국의 최신 동향, 사례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

    하고 창의 인성 역량수준의 국제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진단함으로써 향후

    창의 인성교육 정책방안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14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IV) - 중학교 연구 -- 학교 교육의 투입-과정-산출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의 변화 경향을 종단적으로 파악할 필

  • - 29 -

    양식 EP14

    번호 과제명개 요

    요에 따라, 초·중·고 학교급별 3년을 주기로 동일 학교의 동일 학년

    학생을 조사하는 학교패널설계방식의 종단연구를 실시함. 2014년도에는

    4주기 중학교 조사 자료 분석과 4주기 초등학교 조사를 수행함.

    15

    2014 한국교육종단연구- 교육개선을 위한 인과관계의 규명, 학생 및 학교의 변화 성장 추이 이해

    및 예측,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필요에 기반하여 학생의 교육적 경험과 성취에 대한 종단 자료 구축, 학생의 지적, 정의적, 사회문화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자료 수집, 교육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 상급학교 진학과 교육 이동에 대한 자료 수집, 정성적 차원의 통계 자료 제공, 교육정책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학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연구임. 2014년도에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패널, 한국종단연구2013 패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 분석을 수행함.

    16

    201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교육에 대한 국민 여론을 1년 주기로 조사함으로써 교육정책에 대한 여

    론 및 여론의 변화 추이를 파악함. 이를 통해 정부가 추진하는 교육정책

    현안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17

    중학교 학생의 학업 유형과 실태 분석- 중학교 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업에 대한 적응 양상을 유형화하여 각 유

    형별 특성과 실태를 드러내고자 함. 특히 학업에 성공적인 경험을 하는

    학생이나 심각한 부적응 학생이 아닌 별로 눈에 띄지 않는 다수의 학생

    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보고자 함.

    18

    2014 교육지표·지수 통합조사 – 초·중·고등학생의 역량 수준을 중심으로 - - 한국 초·중·고 학생의 전인적 발달 실태와 수준을 주기적으로 조사, 공

    표하여 교육 현황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보 관리함. 교육통계 자료와 설문조사 중심의 자료를 연계하여 과학적 정책 수립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나 ‘초·중등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등에서 개발되고 있는 교육지표 및 지수 산출 자료를 장기적으로 제공함.

    19

    OECD 장기적 국제협력사업- OECD 교육사업 관련 국내외 연구사업기관 간의 정보 공유 및 협력 체계

    를 구축하여 OECD 교육협력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 국내 OECD 관련 교육협력사업 결과가 국내 정책 개발‧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내 정책 및 연구의 질을 제고하고자 함.

    - OECD 국제협력사업- OECD ESP 역량 역동성 종단연구(Ⅰ): OECD 측정도구의 한국 타당화

    20

    수시연구사업- 사회적‧시대적 환경 변화로 인한 정책 현안 연구사업 및 정책적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사업 발굴 및 수행

  • - 30 -

    번호 과제명

    개 요

    1

    교육정책포럼 및 연구 콜로키움 운영- 주요 교육현안에 대한 적절한 정책대안 제시 및 올바른 교육여론 형성

    과 한국 교육의 긍정적 미래비전 제시

    2

    국제협력사업- 국제교류·협력 사업

    - 해외 연구 기관들과의 협력 구체화, 실질적인 연구 및 교류 사업 추진

    - KEDI-UNESCO Bangkok 공동 아태지역 교육 전문가 세미나 개최

    3

    취업통계 조사 지원을 위한 연수 보강 사업

    - 취업교육통계 담당자에 대한 교육확대 및 조사지원을 위한 콜센터 보강

    을 통해 취업통계조사의 원활한 진행과 자료의 정확성을 제고하고자 함.

    번호 과제명

    개 요

    1

    교육연구지원

    - 기관 연구·사업의 전략적 기획- 연구·사업의 효율적 운영·관리·지원- 연구 예산의 합리적 편성·관리·지원

    2

    학술지 발간- 「교육개발」(연 4회), 「한국교육」(연 4회), 「KEDI 연구위원 컬럼」및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연 2회) 발간 및 배포- 연구직원의 연구 역량 및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제 및 국내 학술지 논문게재 지원

    3대외지원홍보- 연구결과의 홍보·출판 사업

    4정보자료운영- 연구성과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정보자료 지원

    5전산운영- 연구성과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및 전산지원 운영·관리

    나. 연구관련사업

    다. 연구지원사업

  • - 31 -

    번호 과제명

    개 요

    1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II) - 초등교원 인성교육 연수 자료 개발 - -‘인성교육 중심 수업 강화’가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성의 다양한 측면에 기초한 인성 요인을 탐색한 1차년도 연구에

    기초하여,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한국 초·

    중등 학생의 인성 수준 분석과 학생의 인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및

    가정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함.

    2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II) - 교육의 결과나 교수의 연구성과 등을 중시하는 대학평가에서 교육의 과정

    을 중시하는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하는 연구임. 대학의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정보

    를 제공하고자 함. 동시에 정부의 대학재정지원 사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

    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대학의 자체평가 기능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3

    탈북청소년의 교육종단연구(V)

    - 탈북청소년의 한국 정착 과정에 대한 심층적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 2010

    년부터 기초연구를 포함하여 3차에 걸친 탈북청소년 교육종단 조사 연구를

    수행해 왔음. 2014년도는 종단연구의 4차년도로서 중1에서 고3에 이르는 조

    사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종단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함.

    4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 대학생 역량 지수 개발 연구 - - 박근혜 정부의 국정목표인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대

    학에서 창의적 인재를 키우는 노력이 매우 긴요함. 창의역량을 포함한 한국

    대학생의 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지수를 개발하고 측정함으로써 대

    학생 역량의 문제점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5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III) - 지방대학의 교육실태 및 성과 분석 -

    - 지방대학 교육을 내실화하고, 대학 경쟁력 제고 정책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

    보다 지방대학의 교육 실태 및 성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함. 이 연

    구에서는 학생 단위의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고, 지방 대학의 교육자 및 학

    생 면담자료 등을 바탕으로 지방대학의 교육 수준 및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함. 이를 통해, 지방대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

    을 제안하고자 함.

    6

    학교폭력 예방 문화 정착방안 연구(I)

    - 안전한 학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안전한 학교모형을 개발하는 한편, 학

    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생의 또래문화, 가정 및 지역사회 문화를 분석하고,

    학교문화 형성요인을 분석하여 단위학교에서 실질적으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안전한 학교문화를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2. 일반사업

  • - 32 -

    번호 과제명

    개 요

    7

    2014 교육시설정책지원(BTL) 연구 및 사업

    - 초등학교 내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시설 모형 개발 연구

    - 학교안전강화를 위한 보안시스템 설치 및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교육시설 통합시스템 운영

    - 2014 KEDI 교육시설 포럼

    - 2014 KEDI 교육시설 국제화

    - 선진형 교육시설 민간투자사업 운영모델 개발

    - 2014 교육시설 BTL사업 매뉴얼 개선

    8

    (협동)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 연구(Ⅱ) - 미래 전망 및 세대통합성

    진단검사 개발 - - 저출산 고령화가 맞물린 한국 사회는 인구구조 변화를 비롯하여 교육체제,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

    나 이에 대처하는 사회 시스템은 이러한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

    음. 특히 인구구조 변동과 관련하여 세대통합의 방향 제시와 개선 전략 마

    련이 요구됨. 2014년도 2차년도 연구에서는 교육 및 정보체제에 있어서의

    세대통합 관련 미래 전망 및 이슈 발굴, 세대통합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

    는 진단검사 개발 및 예비조사 실시를 추진하고자 함.

    9

    (협동)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 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I) - 3개년으로 계획된 연구의 2차년도 연구로서 1차년도 연구를 통해 도출한

    한국형 21세기 핵심역량 교육 및 학습생태계 형성 모델을 토대로 혁신적

    교육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함. 즉 한국 교육의 상황에서 요구되는 21세기

    핵심역량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평가제도의 혁신과 함

    께, 학교, 가정, 지역사회 및 세계를 연계하는 학습생태계 구축 방안을 제

    시하고자 함.

    10

    (ODA)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협력에 관한 연구 – 중남미 교육협력방안 연구(II) - - 한국이 지정한 중남미 지역의 중점협력대상국에 대해 효율적이며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체적인 협력지원방안을 제시하고, 권역별 및 국가별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여 협력사업 중심의 모니터링 및 후속조치를

    실현하고자 함.

    11

    정보화사업 -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

    - 정보보안시스템 구축

  • - 33 -

    번호 과제명

    개 요

    1교육통계연구센터 운영사업

    - 2014년도 교육통계센터 운영사업 추진

    2방송통신중·고등학교 운영지원 사업

    - 2014년도 방송통신중·고등학교 운영사업 추진

    3기타 수탁용역사업

    - 기타 2014년도 수탁용역사업 추진

    번호 과제명

    개 요

    1

    청사관리 및 유지보수

    - 청사 노후화(40년이상 경과)로 노후 건물 및 시설물의 유지 보수 정비- 보일러 및 냉동기 등 기계설비의 정기적 보수 점검외- 전기 및 소방설비 점검 보수 외

    2임차료 - 신규 기능 수임에 따른 공간 부족으로 외부 사무실 임차 운영

    3

    지방이전비-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18조에의하여 정부의 공공기관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

    고 지역의 특성있는 발전을 위하여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시책

    에 따라 추진

    3. 시설사업

    4. 수탁용역사업

  • Ⅳ. 단위사업별 세부내역

  • 1. 기관고유사업

  • 가. 기본연구사업

  • - 41 -

    양식 EBBP21

    과제구분 정책

    구분 선정

    사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정규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중등교육에서 융

    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

    ▣ 연구책임자 양식 EBBP02

    정미경 부연구위원

    ▣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양식 EBBP22

    ㅇ 박근혜 정부는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의 엔진이 될 수 있는 국가 경제의

    패러다임을 ‘창조경제 구현’으로 정하고 7대 실천전략을 제시한 바 있음. 창

    조경제란 ‘창의성을 우리 경제 핵심가치로 두고 과학기술과 ICT(정보통신기

    술) 융합을 통해 산업과 산업이 융합하고 산업과 문화가 융합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임(2013년 4월 4일 조선일보

    기사).

    ㅇ 또한 급속한 사회 변화와 예측이 어려운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

    떠한 미래 사회가 도래해도 변화한 환경에 적응하고, 그 안에서 새롭고 유

    의미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인재가 요구되고 있음.

    ㅇ 융합교육이 미래 사회 발전에 기여할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학습자

    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 하에 미국의

    STEM교육, 영국의 CP프로젝트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융합교육에 대한 다

    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1년부터 시작된 융합인재교육

    (STEAM)이 미래부 및 교육부에서도 ‘창의적 융합 인재’양성을 위해 계속 강

    조되고 있는 현실임.

    ㅇ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국가적 현안과 불확실성이라는 시대적·사회적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창의·융합형 인재가 요구되는 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적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실제 학

    교 현장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의 특성 및 융합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실제 수업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임.

    가. 기본연구사업

    1. 연구과제명: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 42 -

    ▣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양식 EBBP04

    구 분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연구내용

    주요선행연구

    1

    ▪연구명: 수학 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연구자: 임유정(2012)▪연구목적: 학교 교육 현장에 즉각적인 응용이 용이한 수학 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 수업의 개발 과정에 관한 모형 제시 및 적용을 통해 융합 수업 개발 과정의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연구대상: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융합 수업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18명(남: 9명, 여: 9명)대상

    -개발된 수업이 융합 수업 내용 중 수학 개념인 급수를 이해해야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급수에 대한 개념을 익힌 2학년 학생이라는 제한 조건 필요

    ▪융합 수업 모형 개발▪융합 수업 모형 적용을 위한 수업 설계

    ▪수업 실시 및 평가-교사 및 학생 인터뷰-설문조사

    ▪융합 수업 과정은 주제선정, 관련 교과 선정, 수업설계, 교과별 수업지도안 작성 및 교재 제작, 융합 수업 전 과정에 대한 최종 논의, 수업실행, 수업평가 7단계로 설계되며, 수업 진행 후 평가 내용을 피드백 하는 순환적 과정임

    ▪주제: 카오스, 프랙탈 그리고 복잡계

    -관련교과: 과학, 수학, 사회, 국어▪수업설계-주제에 대한 교과별 및 통합연구-전체 수업 흐름에 맞춘 각 교과별 수업 유형 설계

    -각 교과별 수업은 100분씩 진행,마지막 프로젝트 수업은 모둠별 토론시간을 포함하여 200분으로 구성됨

    ▪각 교과별 수업지도안 작성 및 교재 제작

    ▪수업실행 및 평가-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융합 수업에 대해 대부분 만족스럽다고 응답, 특히 학생들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모둠활동을 통한 협동력 및 타인 의견을 수용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고 보고함

    2

    ▪연구명: 예술(음미)과 수학 통합 교수학습자료 개발

    ▪연구자: 박종률(2013)▪연구목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예술(음/미)과 수학 통합 교수·

    ▪연구방법-예술과 수학 간 공통 연계 학습 요소 추출(2009 개정 중학교 음악·미술·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관련 문헌 수집, 세미

    ▪미술과 수학 통합 교수학습자료1.자연수를 이용한 원 디자인:중학교 1,2학년 대상으로 고안된 수업,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15명씩 2개 반 대상

    ▣ 연구 목적 양식 EBBP23

    ㅇ 이에 본 연구는 창조경제 구현이라는 국가적 현안과 불확실성이라는 시대적·사

    회적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해야 하는 바 초·중등

    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교육에서

    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임. 본 연구에서의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이란 정규 교과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과 간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의미함.

  • - 43 -

    ▣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양식 EBBP04

    구 분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연구내용

    학습 자료를 개발, 모의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 및 즉시 적용을 위한 수업 모델을 제안하고자 함

    나)-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검토-연수 프로그램 개발

    으로 3차시에 걸쳐 모의적용2.정다면체의 5기지 비밀-모의적용: 중학교 1학년 학생 4명 대상으로 총 18차시에 걸쳐 적용

    3.다알리아 디자인-모의적용: 전남대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 심화반 학생 20명 대상(초 5-6학년)

    4.폴리노미오그래피-중학교 3학년 학생 대상5.운주사와 수학▪음악과 수학 통합 교수학습자료1.피보나치 수열과 음악-중학교 1학년 학생 8명, 총 2차시에 걸쳐 모의 적용

    2.함수를 이용하여 노래 탐구하기-중학교 1학년 학생 3명 대상, 총

    4차시 걸쳐 모의 적용3.정간보와 악보 만들기-중학교 1학년 학생 대상, 총 3차시 걸쳐 모의 적용

    4.모차르트의 주사위와 자작곡 만들기

    -중학교 2학년 학생 3명 대상, 총 3차시 걸쳐 모의 적용

    5.여러 가지 음계와 나만의 악기 만들기

    -전남대 초중등 영재교육원 학생 대상, 총 3차시 걸쳐 2회 모의 적용

    3

    ▪연구명: 창의성 계발을 위한 통합형 프로그램 개발

    ▪연구자: 이미경(2011)▪연구목적: 수학, 과학분야 영재들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수·과학과 예술의 통합형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개발대상: 초등4,5,6학년,중등1,2,3학년 두 단계로 구분하여 구성

    ▪통합교과 및 수준:: 수학·과학과 예술교과 결합: 1단계(주종적 통합), 2단계(나열적 통합), 3단계(초월적 통합)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모형, 문제중심 학습법, 주제적 학습법, 프로젝트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 개발▪프로그램개발-개발의 방향 및 수업개발의 구조설계, 예시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실행, 실행결과분석, 보완 및 완성, 세부프로그램개발, 프로그램검토, 프로그램인쇄

    ▪프로그램 시범적용 결과: 만족도와 의견을 평가하기 위하여 4종의 설문평가지 사용

  • - 44 -

    ▣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양식 EBBP04

    구 분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연구내용

    학습법, 공연활동 학습법, 직소우Ⅰ형 협동학습법 사용하여 개발

    ▪교육매채: 교사용(디지털, 일반),학생용을 구분

    양식 EBBP05

    본 연구

    ▪연구명: 초·중등학교 융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구목적: 초·중·고등학교 정규 교육과정 운영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 선행연구가 초등학생 대상 또는 초·중등학생 중에서도 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것에 반하여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초·중·고등학교의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문헌 분석▪전문가협의회 운영▪프로그램 개발▪타당성 평가

    ▪창의·융합형 인재의 개념▪창의·융합형재 육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념 및 범위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개발▪프로그램 타당화

    ▣ 주요 연구내용 양식 EBBP06ㅇ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음.

    첫째, 창의·융합형 인재의 개념은 무엇인가?둘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의 이론적 모형은 무엇인가?셋째, 초·중등학교 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는 무엇인가?넷째,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은 학교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ㅇ 연구내용 위에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1. 이론적 기초가. ‘창의·융합형 인재’의 개념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모형

  • - 45 -

    2. 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가.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나.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다. 융합교육 정책에 대한 요구

    3.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가.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원칙과 방향나. 프로그램 적용 수업 모형 개발다. 교수-학습자료 개발라. 수업평가 자료 개발

    4. 초·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 평가가. 타당성 평가

    5.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가. 인적·물적 지원 방안나. 법적 지원 방안

    ▣ 연구추진방법 양식 EBBP07

    1. 관련 문헌 및 프로그램 분석- 창의·융합형 인재의 특성, 개념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마련 및 내용 구성을 위하여 국내·외 융합형 교육 관련 문헌과 교육프로그램을 분석

    가. 국내·외 융합인재, 융합교육 관련 문헌 분석나. 국내·외 초·중등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분석

    2. 전문가 협의회 운영- 본 연구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과 연구내용에 대한 검토를 받고, 개발한 프로그램 구성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전문가 협의회 개최가. 목적

    - 연구의 구체적 추진 방향 설정- 설문조사 문항 개발-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대한 협의- 프로그램 개발 안에 대한 협의 - 프로그램 활용 방안에 대한 협의- 융합교육을 위한 정책적 방안 탐색

    나. 대상- 융합교육 관련 전문가, 교수, 초·중등 교원

  • - 46 -

    다. 방법- 해당 주제에 따라 각각 1-4회 개최

    3. 설문조사가. 조사 목적

    -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현장에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교사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나. 조사 도구 개발

    - 문헌 분석 및 전문가 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초안 마련 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개발다. 조사 내용

    - 배경변인-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요구

    라. 조사 대상 및 방법- 교사 대상- 학교급(초·중·고)과 지역규모(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별 3%를 무선표집 후(총 302개교), 각각 학교별 교사 8명을 군집표집(총 2,416명)- 온라인 조사

    마. 조사 결과 분석- 문항별 빈도 분석 및 조사 대상별 교차분석(검정)

    4.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목표 설정 후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실제 프로그램 개발

    5. 프로그램 타당성 평가 조사- 프로그램 개발 후 초·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모의 적용하여 내용의 적절성, 학습자 발달 수준의 부합 여부, 학습자 참여 유발 정도,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수정·보완

    ◦ 정책수요처(정부, 기관 등) 양식 EBBP08

    - 교육부

    - 시·도교육청

    - 단위학교

    ◦ 국정과제 관련성 양식 EBBP09

    국정기조추진전략 국정과제

    코드 명 코드 명

    2 5 창의교육 66 학교 교육 정상화 추진

    ▣ 관련부처 및 국정과제 관련성

  • - 47 -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양식 EBBP24첫째, 창의·융합형 인재의 개념 정립

    둘째, 초·중등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모형 정립 및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을 통해 향후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준거 제공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양식 EBBP25첫째,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 개선을 선도할 수 있음

    둘째, 향후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셋째, 궁극적으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초석이 될 것임.

    ▣ 연구기간 양식 EBBP11

    연구년차 (1/1년차) 연구기간 10 개월 시작일 2014.02.01 종료일 2014.11.30.

    ▣ 기대효과

    ▣ 연구예산(천원)양식 EBBP12

    구분 내용 금액합계 100,000

    사업인건비비정규직 보수(연구보조원급, 법정부담금포함)2,600,000원(석사급)×1인×9개월

    23,400 23,400

    공공요금사례품 발송료 6,000원×302개교우편료

    1,812210

    2,022

    수용비

    보고서 인쇄료소모품비 146,800원×10월프로그램 자료 인쇄비 50원×150쪽×200부소모품비설문조사 사례품 5,000원×302개교×8명

    4,0001,4681,500500

    12,080

    19,548

    연구기자재및임차료

    대실료 1,400,000원×1실×2회 2,800 2,800

    여비시내교통비 20,000원×4인×5회국내출장비 130,000원×2인×2회

    400520 920

    연구정보활동비

    도서구입비 1,800 1,800

    전문가활용비

    원고료 8,000원×545매보고서 평가료 200,000원×5인보고서 심의료 200,000원×3인×2회협의회 회의비 200,000원×8인×5회

    4,3601,0001,2008,000

    14,560

    회의비협의회 식비 25,000원×9인×15회간담회 식비 25,000원×9인×7회

    3,3751,575 4,950

    외부 용역비 및 분담금

    교과융합형 프로그램 개발비10,000,000원×3개 학교급

    30,000 30,000

  • - 48 -

    ▣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 교사들의 직무(수업 및 행정업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한 가지 관점

    은 ‘시간’이라는 렌즈임. 교사들에게 시간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언제나 희소

    한 자원임. 교사들을 두고 ‘시간의 포로'라고 할 만큼 시간은 교사들의 직무

    와 활동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차원의 자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 그러

    나 교사에게 시간이 이렇게 중요한 차원의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별로 많지 않음

    ◦ 2003년 이전에는 교사의 시간 활용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그 이후로 교사

    들의 시간 차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많지 않았다는 점과 또 지난 10년간

    교사들의 시간 활용을 둘러싼 사회적, 교육적 여건에 급격한 변화(스마트 기

    술의 혁명적인 확산, 학교 폭력 문제의 심화 등등)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한다

    면 현 시점에서 교사들의 시간 활용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절실하다고 판단.

    ◦또, 교사들은 언제나 시간 부족을 호소함. 최근 정부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원

    의 수업 시수의 적정화 방안이나 행정 업무 경감 정책은 궁극적으로 교사들

    의 만성적 '시간 기근(time famine)‘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음. 시간 부족으로 인해 교사들은 직무 스트레스, 수업 준비 부족에 대한

    자책, 학생들과 질 높은 관계 형성의 단절을 경험한다고 토로함

    ◦ 교사의 시간과 관련된 연구들은 교사의 시간을 수업 시수와 행정 업무 시간

    으로 구분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의 물리적 양에만 주목하여 행정업무 경감

    과 수업 시수제 적정화를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경향이 있었

    음. 이처럼 교사의 시간을 수업 시수와 행정 업무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은 교

    2. 연구과제명: 교원의 업무시간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양식 EBBP02

    정바울 부연구위원

    양식 EBBP21

    과제구분 정책

    구분 선정

    사유

    이 연구는 일선 학교 교원의 업무시간 실태를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토대

    로 교원 시간 부족, 업무시간 운영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

    적인 법적, 정책적, 실천적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정책 연구에 해당됨.

  • - 49 -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주 요

    선 행

    연구

    1

    -과제명: 정광희 외(1999),

    학교급별 교원의 주당 적정

    수업 시수 및 배치기준에

    관한 연구

    -목적: 교원 주당 수업시수

    현황 조사 및 분석하여 대

    응책 탐색

    -문헌연구

    -학교급별 의견 조사

    -정책토론회

    -해외사례조사

    -전문가협의회

    - 교원 정원 산출 기준 및

    요소를 분석하고, 교원 배치

    기준 및 문제를 분석함

    - 교원배치규모 및 주당 수

    업 시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탐색

    2

    -과제명: 박영숙 외(2003),

    각급 학교 교원의 적정 수

    업시수 설정 및 배치 기준

    개선 방안 연구

    -목적: 교원 배치 기준 개선

    을 위하여 적정 수업 시수

    를 설정, 제시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출장 면담 조사

    -설문조사

    -해외 출장

    -실무자 협의 실시

    -교원의 주당수업시수 현황

    및 적정 수업시수 설정 요

    구 분석

    -교원 배치 기준의 현황 및

    개선 요구 분석

    - 각급 학교 교원의 적정수

    업시수 설정 방안 및 배치

    기준 개선방안

    3

    -과제명: 박덕규 외(2003),

    교원의 표준 수업 시수 설

    정 연구

    -목적: 서울의 실정에 맞는

    적법한 교사 1인당 주당 수

    업시수 결정

    -교사의 적정 수업 시수에

    관한 의견 조사

    -전문가협의회

    -정책협의회

    -표준수업시수의 선행연구

    분석

    -표준수업시수 정책에 대한

    각급 학교별 교원의 의견

    수렴

    -적정수업시간 수 및 업무

    분석

    4

    -과제명: 김이경 외(2005),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

    석 및 기준 개발 연구

    -문헌연구

    -교원직무수행 실태 분석을

    위한 조사 실시

    - 교직에서 요구되는 교원의

    직무 영역 및 내용 분석

    -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조

    사의 직무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의 활동 가운데 가장 표면적인 차원에 주목

    하는 것으로 전형적인 행정적, 관료제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음

    ◦ 따라서, 교사들의 주장하는 시간 부족 현상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

    이 주관적인 인식의 문제인지 실제적인 현상인지, 또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시간 부족 문제의 해결이 왜 그렇게 어려운 지를 밝혀주

    기 위한 교사들의 '시간 활용(time-use)'에 대한 총체적이고(holistic) 보다 심

    층적인(in-depth) 연구가 필요함.

    ▣ 연구 목적 양식 EBBP23◦ 본 연구는 교원의 시간 활용에 대한 심층적인 실태 파악을 기초로, 교원들의

    시간 부족 현상에 대한 실제를 나타내고, 그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함.

    ▣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 - 50 -

    ▣ 주요 연구내용

    ◦ 교사 시간의 차원, 시간 활용 대한 이론적 조명

    ◦ 외국의 교원 시간 관련 정책 사례 분석

    ◦ 통계적, 질적 방법을 통한 총체적인 교사 시간 활용 실제 분석

    ◦ 시간 부족 현상 극복 및 효과적 시간 활용을 위한 방안 마련

    ◦ 교원 업무 시간 활용 실태 파악을 통한 교사 시간 부족 현상 극복 방안 모색

    ▣ 연구추진방법 양식 EBBP07

    ◦ 문헌 연구

    - 문헌연구 : 교원의 시간 활용, 시간 부족 등에 관한 국내·외 문헌 분석

    ◦ 통계적 연구 방법

    - ESM log분석 : 교사의 활동 내용, 누구와 함께, 어디서, 그것이 도움이 되

    었는지 아니면 방해가 되었는지 여부, 속도, 왜? 등을 중심으로 분석

    ◦ 질적 연구 방법

    양식 EBBP05

    본 연구

    -과제명: 정바울 외(2014), 교

    원의 업무시간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목적: 교사의 (직무) 시간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을 바

    탕으로 ‘교원의 시간 부족’ 문

    제의

    -문헌조사

    -ESM log 분석을 통한 교원

    시간 활용 분석

    -Shadowing, interviewing,

    Daily logs and diary를 통한

    시간활용 유형 개념화

    -설문조사

    -전문가협의회

    -교사 시간 분석에 대한 이론

    적 조명

    -외국의 정책 사례 분석

    -교사의 시간 활용 실제를 통

    계적, 질적으로 탐색하여 심층

    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

    -목적: 타당하고 현장 적합

    성 높은 국가 차원의 교원

    직무 수행 기준을 개발

    -면담 출장 조사

    -교사 직무 수행 영역 검토

    및 사례 분석

    -전문가협의회 및 워크숍개

    - 외국의 직무수행 기준 개

    발 과정 및 운영 실태 분석

    - 교원의 직무 영역 및 내용

    에 따른 기준 개발

    5

    -과제명: 정영수 외(2011),

    학교업무체계 효율화를 위

    한 교직원 직무분석

    -목적: 교사 업무수행에 대

    한 업무 과중 인식 및 업무

    부담감의 요인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제언

    -문헌조사

    -직무분석

    -방문조사

    -실무자워크숍, 전문가협의

    회, 정책토론회 개최

    - 교직원 직무수행 현황 분

    석을 통하여 교사의 직무분

    석 내용 및 기준을 개발

    - 교사의 직무기준 설정, 교

    사의 행정업무 처리량 및

    소요시간 산출

    - 행정직 직무분석 내용 및

    기준 개발

  • - 51 -

    - 쉐도잉, 인터뷰, 시간일지 및 일기 : 교사 시간 활용 양상에 대한 질적인 이

    해를 도모함

    ◦ 설문조사

    - 내용 : 교사들의 시간 활용 및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

    ◦ 전문가 협의회

    - 교육행정, 교육법, 교원정책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의회를 통해

    교원 시간 부족 및 시간 관련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한 객관성

    및 전문성 제고 및 개선 방안의 정련화

    ◦ 정책수요처(정부, 기관 등)

    - 교육부

    -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

    - 일선 초, 중, 고교

    ▣ 연구기간 양식 EBBP11

    연구년차 (1/1년차) 연구기간 10 개월 시작일 2014.02.01 종료일 2014.11.30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교사 시간 활용 및 시간 부족 현상에 대한 이론 심화

    - 교원의 교육 전념 여건을 조성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시간에 대한 분석

    으로 정책 개발 및 실행에 있어 이론적 토대 제공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 교원 시간 부족 현상 해소

    - 수업 중심의 교사 문화 조성 및 교원의 근무 여건 선진화

    - 학교급별, 지역별, 그리고 교과별 교사 업무 시간 운영 실태 자료

    ◦ 국정과제 관련성 양식 EBBP09국정기조

    추진전략 국정과제

    코드 명 코드 명

    2 5 창의 교육 69 교원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

    ▣ 관련부처 및 국정과제 관련성

    ▣ 기대효과

  • - 52 -

    ▣ 연구예산(천원) 양식 EBBP12

    구분 내용 금액

    합계 75,000

    사업인건비

    연구조원(석사)- 급여 2,100,000원×10개월 = 21,000,000원- 교통비 120,000원×10개월 = 1,200,000원- 법정부담금 22,200,000원×0.12 = 2,664,000원일용직 50,000원×10일×2명 = 1,000,000원

    25,864

    공공요금 우편료 20,000원×5회=100,000원 100

    수용비보고서 인쇄료 4,000,000원소모품비 1,886,000원복사제본비 200,000원

    6,086

    연구정보활동비 도서구입비 1,500,000 1,500

    연구기자재 및 임차료

    회의실 임차료 50,000원×6회=300,000원 300

    여비국내여비 130,000원×3명×5회=1,950,000원시내교통비 20,000원×1회×10개월=200,000원

    2,150

    전문가활용비

    협의회 회의수당 200,000원×6명×2회=2,400,000원보고서 심의 수당 200,000원×4명×1회=800,000원공동연구원 연구활동비(1) 400,000원×9개월×2명=7,200,000원공동연구원 연구활동비(2) 300,000원×9개월×2명=5,400,000원연구협조 사례비 50,000원×250명=12,500,000원면담자 사례비 100,000원×10명×2회=2,000,000원

    30,300

    회의비전문가 협의회 식비 25,000원×15명×8회=3,000,000원연구진 간담회비 25,000원×4명×17회=1,700,000원

    4,700

    외부용역비 및 부담금

    설문조사비 4,000,000원 4,000

  • - 53 -

    양식 EBBP01

    3. 연구과제명: 교원 중․장기 수급 전망 체계 구축 연구

    ▣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양식 EBBP22

    ㅇ 교원이 교육에 전념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교원 수급 과부족

    을 우선 해결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적정 규모의 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시급함.

    ㅇ 적정 규모의 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관리하기 위해서는 학생 인구 증감

    및 교육과정 운영 변화 등 교원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화 요인과

    연계하여 관련 변수를 지속적으로 추정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수급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절차와 체계는 확립

    되어 있지 않음.

    ㅇ 교원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정하고 현

    장의 수요 변화와 연계한 수급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

    준의 수급 전망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수급 중장기 전망체계는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방법으로 운영되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함.

    양식 EBBP21

    과제구분 기초

    구분 선정

    사유

    교원 중․장기 수급 전망체계 구축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수급 전망 방법론과 이론적 모형을 탐색하고, 해외 운영 사례 등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

    초 자료를 제시하기 때문임.

    ▣ 연구 목적 양식 EBBP23

    ㅇ 본 연구에서는 교원 수급 중장기 전망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해외

    사례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수급 정책에 필요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연구책임자 양식 EBBP02

    김기수 부연구위원

  • - 54 -

    ▣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양식 EBBP04

    구 분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연구내용

    주요선행연구

    1

    -과제명: 교원 중장기 수급 계획 재검토 및 보완 연구

    -연구자(년도): 박영숙외 5인(2007)-연구목적: 교원 수급 계획에 영향

    을 주는 변수 전망을 토대로 교 육인적자원부가 2006년도에 수 립한 ‘2006~2020 교원 중․장기 수급 계획(안)’을 재검토하고 보 완

    -문헌연구-통계 시뮬레이션 및 추정용역-전문가 협의회-지역간담회-정책 워크숍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 수급 정책 변화 요구 분석

    -주요국의 교원 수급 사례 분석-교원 중장지 수급 계획의 재검토 및 보완 방향 정립

    -초중등 교사의 중․장기 수급 계 획 보완

    -유아교육 및 특수교육 교사의 중․장기 수급 계획 보완

    -비교수전문직 교사의 중․장기 수급 계획 보완

    2

    -과제명: 교육서비스업 인력의 중장기 수급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자(년도): 박영숙외5인(2007)-연구목적: 교육 서비스업 인력 수급에 적합한 수급 전망 모형을 정립하고, 교육 서비스업 인력의 중․장기 수급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책 지원 과제를 개발하여 제시

    -문헌 연구-통계 시뮬레이션 및 추정 용역,-전문가협의회-지역간담회-정부 및 시․도교육청 관계자 실무 협의회

    -정책 토론회 -출장 면담 조사

    -교육 서비스업의 중․장기 비전과 과제

    -교육 서비스업 인력 수급 전망 체계 구축 현황 및 문제 진단

    -교육 서비스업 인력의 수급 진단및 변화 요구 분석

    -외국 사례 분석- 교육 서비스업 인력의 중․장기수급을 위한 지원과제 탐색

    양식 EBBP05

    본 연구

    - 기존 연구가 교원 중장기 수급 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방안 및 지원 과제 개발에 주력한 반면,- 본 연구는 교원 중장기 수급 관련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지속․관리하는 전망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시하고자 함

    -문헌연구-해외 사례 집필-전문가협의-정책협의회

    -수급전망 모형 정립-수급 전망 체계 구축 현황 및 문제 진단

    -해외 사례 분석-수급 전망체계 구축 방향과 과제

    ▣ 주요 연구내용 양식 EBBP06

    ㅇ 선행연구 및 관련 이론 분석

    ㅇ 교원 수급 전망 모형 정립

    - 수급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 변인 분석 등

    ㅇ 교원 수급 전망 체계 구축 현황 및 문제 진단

    - 수급 전망 방법 및 체계의 현황

    - 수급 전망에 활용하는 데이터 유형 및 관리 방식

  • - 55 -

    ◦ 정책수요처(정부, 기관 등) 양식 EBBP08

    - 교육부 교원정책과

    ◦ 국정과제 관련성 양식 EBBP09국정기조

    추진전략 국정과제

    코드 명 코드 명

    2 5 창의교육 66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2 5 창의교육 69 교원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양식 EBBP24

    - 교원 수급 산출 기준 및 방법론 정립

    - 교원 수급 전망 및 데이터 관리 모형 제시

    - 교원 수급 전망 구축 사례 제시

    - 교원 관련 데이터의 변화 추이 정보 제공 등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양식 EBBP25

    - 교원 수급 과부족 해속 및 규모의 적정화

    - 교원 수급 규모의 지속 전망 및 안정 확보

    - 교원 수급 데이터의 정책 활용

    - 수급 전망 체계의 SWOT 등

    ㅇ 외국의 교원 수급 전망체계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추출

    - 미국, 캐나다,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