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1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https://doi.org/10.14373/JKDA.2020.26.2.101 Original Article 본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 중 일부임. 접수일 : 2019년 12월 26일, 수정일 : 2020년 2월 17일, 채택일 : 2020년 2월 26일 Corresponding author : Hei-Ryeo Yoon, Depart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54 Daehak-ro, Yesan-eup, Yesan 32439, Korea Tel : 82-41-330-1501, Fax : 82-41-330-1509, E-mail : [email protected], ORCID : https://orcid.org/0000-0002-9931-9518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대전·충남·세종지역을 중심으로- 유주희윤혜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외식상품학과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Snacks of Parents and Teacher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Ju-Hee Yu·Hei-Ryeo Yoon Dept. of Food 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32439,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n the Daejeon, Chungnam and Sejong region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by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a self-monitored survey, and 576 people (298 parents, 278 teach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66.4% of parents believed that the snacks provided at facilities are nutritious, and that traditional snacks are rich in nutrition but difficult to cook (66.1%). Further, 77% of pa- rents preferred traditional snacks, and 92% thought that traditional snacks should be passed on to future gen- erations and continuously developed. In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selling traditional snacks (41%) and a generalized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34%) are needed to expand the us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For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92.8% said that the number of snacks provided per day was twice, and snacks were made and served more than twice a week (77.7%). The reasons for not making these traditional snacksit more often were the long cooking time (47.1%) and lack of labor (2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raditional snacks among the type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type foodservice facilities for of traditional snack-focused foo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 tional snacks, it is necessary to create program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s and to develop traditional snack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s and programs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at chil- dren’s foodservice facilities. Key words : traditional snack,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y, health, nutrition

Upload: others

Post on 28-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https://doi.org/10.14373/JKDA.2020.26.2.101

Original Article

본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 중 일부임.

접수일 : 2019년 12월 26일, 수정일 : 2020년 2월 17일, 채택일 : 2020년 2월 26일† Corresponding author : Hei-Ryeo Yoon, Depart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54 Daehak-ro, Yesan-eup, Yesan 32439, Korea

Tel : 82-41-330-1501, Fax : 82-41-330-1509, E-mail : [email protected], ORCID : https://orcid.org/0000-0002-9931-9518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대전·충남·세종지역을 중심으로-

유주희ㆍ윤혜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외식상품학과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Snacks of Parents and Teacher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Ju-Hee Yu·Hei-Ryeo Yoon†

Dept. of Food 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32439,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n the Daejeon, Chungnam

and Sejong region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by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a self-monitored survey, and 576 people (298 parents, 278

teach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66.4% of parents believed that the snacks provided at facilities are

nutritious, and that traditional snacks are rich in nutrition but difficult to cook (66.1%). Further, 77% of pa-

rents preferred traditional snacks, and 92% thought that traditional snacks should be passed on to future gen-

erations and continuously developed. In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selling traditional snacks (41%) and a

generalized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34%) are needed to expand the us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For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92.8% said that the number of snacks provided per

day was twice, and snacks were made and served more than twice a week (77.7%). The reasons for not

making these traditional snacksit more often were the long cooking time (47.1%) and lack of labor (2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raditional snacks among the type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type foodservice

facilities for of traditional snack-focused foo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

tional snacks, it is necessary to create program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s and to develop traditional

snack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s and programs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at chil-

dren’s foodservice facilities.

Key words : traditional snack,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y, health, nutrition

Page 2: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02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서 론

한국의 전통음식은 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생활에

맞게 개발되어 전통문화와 함께 발전하면서 전해진

고유한 음식이다(Cho 2006). 여러 종류의 전통음식

중 전통간식은 떡류, 과정류, 음청류를 총칭하는 용어

로 제철에 나오는 식재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신선하

고 꿀, 생강, 쑥 등으로 맛, 향, 색을 향상시켜 기호성

을 높여준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했고, 핵가족화와

서구음식의 유입으로 전통음식의 이용 빈도가 낮아져

우리의 전통적인 맛이 사라지고 있다(Lee 2007). 주부

들을 대상으로 전통 한과류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

한 결과에 따르면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한

과를 만들기보다 시판되는 제품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명절이나 제사 이외에는 거의 먹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Kim 2002). 또한 부모의 사회진출

이 많아지면서 영ㆍ유아가 하루의 대부분을 어린이집

과 유치원에서 보내고 있는데,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에서 제공되는 총 81종의 간식 대부분은 서양식을 기

반으로 한 일반간식이고, 전통간식은 12종(떡류 6종,

과자류 1종, 음료류 5종)에 그치고 있다.

영ㆍ유아기의 영양섭취는 신체의 성장발달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균형 잡힌 식사와 간식은

영ㆍ유아가 건강하게 자라나는 데 필수 요소이며, 다

양한 질병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성장과 발

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영ㆍ유아 교육기관의 급ㆍ

간식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관련 연구에 따르면 정상

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Kwak 등 2010), 왕성한 성

장과 발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양적으로 많은 영

양소 공급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우수한 영양소가 공

급되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Moon 등 2012).

어린이집 이용률이 낮았던 과거에는 영ㆍ유아가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식사를 하는 장소가 개별 가정인

경우가 많았고, 부모가 영ㆍ유아의 식습관 형성에 가

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Yeoh 등 2014). 그러나 현대

사회는 부모의 사회진출이 많아지면서 영ㆍ유아가 가

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보육교

사가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Lee & Oh 2005). 영ㆍ유아는 보육기관에서 하루 한

번의 급식과 두 번의 간식을 섭취하게 되므로 계획된

급식과 간식을 통한 합리적인 영양공급이 필요하다

(Kwak 등 2010; Shin 2014). 현대사회에서 초래되는

질병의 대부분은 올바른 식습관으로 예방될 수 있으

므로 영ㆍ유아기 때부터 양질의 식단과 질 좋은 영양

간식을 제공해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정부 차

원에서 가정과 어린이집ㆍ유치원에서 체계적이고 효

과적으로 관리되도록 추진하고 있다(Yeoh 등 2014).

이에 따라 제철에 나오는 건강한 식재료를 활용한 우

리나라 전통간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전통

간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여전히 낮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Kim 등 2013). 그러

므로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의 활용도를 높여 영ㆍ

유아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갖게 하는 것은 그 무엇보

다 중요하다. 그러나 전통음식과 간식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초등학생, 중학생, 대학생, 주부

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영ㆍ유아 기관에 대한 연구

는 간식의 횟수, 영양, 교육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는

데 그쳐 영ㆍ유아 대상의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전

통간식에 대한 인식과 발전방안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급식소에서의 전통

간식 활성화를 위해 대전ㆍ충남ㆍ세종지역 어린이집

ㆍ유치원에 영ㆍ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와 실제

영ㆍ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

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전통간식의 활용

도를 높이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반영

시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Page 3: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0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Variable N %

Gender Male 20 6.7

Female 278 93.3

Area Small and medium sized city 144 48.3

Metropolitan city 154 51.7

Age (years) 20∼29 6 2.0

30∼39 153 51.3

40∼49 129 43.3

≥50 10 3.4

Level of education

High school 32 10.7

College 82 27.5

University 153 51.3

Graduate school 28 9.4

Others1) 3 1.0

Type of family Nuclear family 272 91.3

Extended family 26 8.7

Percentage of household chores

≤5% 14 4.7

25% 17 5.7

50% 69 23.2

75% 97 32.6

100% 101 33.9

Job Housewife 117 39.3

Self-employment 92 30.9

Functional and technical occupation

11 3.7

Official, professional 78 26.2

Etc. 0 0.0

Type of school your child goes to

Day care center 140 47.0

Kindergartens 151 50.7

Specialized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7 2.3

Total 298 100.01) Other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uneducated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대전ㆍ충남ㆍ세종지역 어린이급식소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과 해당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2019년 4월 9일부터 2019년

6월 15일까지 지역행사장과 어린이급식소 집합교육

장소를 직접 찾아가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14명의 설

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38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576명(학

부모 298명, 교직원 278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공주대학교 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사면제를 승인(KNU_IRB_2019_21)

받은 후 진행하였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설문지 구성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설문지 구성

은 설문변수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검토와 조작적 정

의를 통해 연구목적과 방법에 맞게 선정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류를 위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은 8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전통간식 인식정도, 관심

도, 기호도, 발전방안 등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 구성내용은 선행연구(Choi 2011;

Shin 2013; Yu 2015; Lee 2016; Sym 2018)를 참고하

여 재구성하였다.

2) 통계분석

조사된 결과는 SPSS ver. 20.0(IBM Corp., NY, USA)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초통계분

석(Descriptive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hi-square test), 분산분석(ANOVA test)을 실

시하였으며, 결과의 유의성은 P<0.05에서 검증하였

다. 어린이급식소 유형에 따른 변수에 대해서는 분산

분석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통해 그룹 간

차이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Page 4: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04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Table 2. Status of children’s snack intake.

Variable N (%)

What is important when offering snacks? Nutrition and health 217 ( 72.8)

Preference 59 ( 19.8)

Sanitation 21 ( 7.0)

Economy 1 ( 0.3)

Who coach and guide snacks? Mother 268 ( 89.9)

Father 9 ( 3.0)

Grand parents 18 ( 6.0)

Etc. 3 ( 1.0)

Who usually buy snacks? Mother 275 ( 92.3)

Father 11 ( 3.7)

Grand parents 8 ( 2.7)

Etc. 4 ( 1.3)

Why buy processed snacks? Cost reduction 11 ( 3.7)

Time saving 127 ( 42.6)

Child’s preferences 153 ( 51.3)

Etc. 7 ( 2.3)

Where to buy snacks? Discount stores 205 ( 68.8)

Traditional market 11 ( 3.7)

Supermarket 66 ( 22.1)

Etc. 16 ( 5.4)

Benefits for offering snacks at a children’s food service center Nutritional rich in dietitian diet 198 ( 66.4)

Making a good eating habit 63 ( 21.1)

Offering better snacks than home 17 ( 5.7)

No idea 20 ( 6.7)

Why child eats snacks? Hungry 148 ( 49.7)

Taste good 120 ( 40.3)

To hang out with friends 16 ( 5.4)

Etc. 14 ( 4.7)

Children’s favorite snacks? Bread, cake 69 ( 23.2)

Sweets, cookies 89 ( 29.9)

Jelly, candy, chocolate 72 ( 24.2)

Rice cake, traditional sweets 19 ( 6.4)

Ice cream 31 ( 10.4)

Beverages 18 ( 6.0)

Total 298 (100.0)

결 과

1. 학부모

1)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녀의 간식 섭취실태

조사대상자인 학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278명(93.3%)으로 ‘남성’ 20명(6.7%) 대비 상대적으로

많았고 거주지역은 ‘대도시(대전, 세종)’가 154명(51.7%),

‘중소도시(충남지역 시ㆍ군 단위)’는 144명(48.3%)으

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연령은 ‘30대’ 153명(51.3%),

‘40대’ 129명(43.3%), ‘50대 이상’ 10명(3.4%), ‘20대’

Page 5: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05

Table 3. Perception and use of traditional snacks.

Variable N (%)

Proportion of traditional snacks at child lunch Less 119 ( 39.9)

Moderate 123 ( 41.3)

A lot 9 ( 3.0)

No idea 47 ( 15.8)

Feeling about traditional snacks Rich in nutrition but difficult to cook 197 ( 66.1)

Tasteful 22 ( 7.4)

Tasteless 21 ( 7.0)

Feeling less accessible 58 ( 19.5)

Opportunities and places for traditional snacks Holiday 199 ( 66.8)

Children foodservice facility 21 ( 7.0)

Internet 32 ( 10.7)

Don’t eat often 46 ( 15.4)

Why not eat often Inaccessible 178 ( 59.7)

Tasteless 14 ( 4.7)

Don’t know what a traditional snack is 10 ( 3.4)

Cooking is complicated and takes so long 96 ( 32.2)

Total 298 (100.0)

6명(2.0%)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 153명

(51.3%), ‘전문대졸’ 82명(27.5%), ‘고졸’ 32명(10.7%),

‘대학원 이상’ 28명(9.4%), ‘기타’ 3명(1.0%) 순이었다.

가족형태는 ‘핵가족(부모, 형제, 자매)’이 272명(91.3%)으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확대가족(조부모, 부모, 형제,

자매)’은 26명(8.7%)이었다. 살림 전담 여부는 ‘100%

전담한다’가 101명(33.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5% 전담한다’ 97명(32.6%), ‘50% 전담한다’ 69명

(23.2%), ‘25% 전담한다’ 17명(5.7%), ‘5% 이하 전담한

다’ 14명(4.7%) 순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직업으로는

‘주부’ 117명(39.3%), ‘자영업’ 92명(30.9%), ‘공무원 및

전문직’ 78명(26.2%), ‘기능ㆍ기술직’ 11명(3.7%)이었

다.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린이급식소의 형태로는 ‘유

치원’ 151명(50.7%), ‘어린이집’ 140명(47.0%), ‘특화 어

린이집 및 유치원’ 7명(2.3%) 순으로 나타났다.

2)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이용실태

학부모 대상으로 자녀의 간식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자녀에게 간식 제공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영양과 건강’이라고

생각하는 학부모가 217명(72.8%)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기호면’ 59명(19.8%), ‘위생면’ 21명(7.0%),

‘경제면’ 1명(0.3%)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간

식지도 담당자는 ‘어머니’가 268명(89.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부모’ 18명(6.0%), ‘아버지’ 9명

(3.0%), ‘기타’ 3명(1.0%)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간

식 구입은 누가 하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어머니’

가 275명(92.3%)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아버지’

11명(3.7%), ‘조부모’ 8명(2.7%), ‘기타’ 4명(1.3%) 순

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간식 구입 품목으로 가공식

품을 구입하는 이유는 ‘자녀의 기호도’ 153명(51.3%),

‘시간 절약’ 127명(42.6%), ‘원가절감’ 11명(3.7%), ‘기

타’ 7명(2.3%)이었다. 간식 구입 장소로는 ‘대형마트’

가 205명(68.8%)으로 가장 많았고, ‘슈퍼마켓’ 66명

(22.1%), ‘기타’ 16명(5.4%), ‘전통시장’ 11명(3.7%) 순

으로 나타났다.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이

좋은 이유로는 ‘영양사 식단으로 영양이 풍부할 것 같

아서’가 198명(66.4%)으로 가장 많았고, ‘좋은 식습관을

Page 6: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06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Figure 2. Necessity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snacks and requirements for popularization.

Figure 1. Preference for traditional snacks.

길러줘서’ 63명(21.1%), ‘잘 모르겠다’ 20명(6.7%), ‘집

보다 맛있는 간식을 줘서’ 17명(5.7%) 순으로 나타났

다. 자녀가 간식을 섭취하는 이유로는 ‘배가 고파서’

148명(49.7%), ‘맛이 있어서’ 120명(40.3%), ‘친구들과

어울려 놀아야 해서’ 16명(5.4%), ‘기타’ 14명(4.7%)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가장 선호하는 간식의 종류로

는 ‘과자ㆍ쿠키류’ 89명(29.9%), ‘젤리ㆍ사탕ㆍ초콜릿류’

72명(24.2%), ‘빵ㆍ케이크류’ 69명(23.2%), ‘아이스크림

류’ 31명(10.4%), ‘떡ㆍ한과류’ 19명(6.4%), ‘음료류’

18명(6.0%) 순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전통간식 인식 정도 및 이용실태는 Table

3과 같다. 어린이급식소에서의 전통간식 제공비율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제공한다’가 123명(41.3%)으로 가

장 많았고, ‘적게 제공한다’는 119명(39.9%), ‘관심 있

게 안 봐서 모른다’ 47명(15.8%), ‘많이 제공한다’ 9명

(3.0%) 순이었다. 전통간식에 대한 느낌을 묻는 문항

에서는 ‘영양은 풍부하지만 조리방법이 어렵다’는 응

답자가 197명(66.1%)으로 가장 많았고, ‘접근성이 떨

어진다’는 58명(19.5%)이었다. 전통간식을 접하는 기

회 및 장소로는 ‘명절’이 199명(66.8%)으로 가장 많

고, ‘자주 접하지 않는다’ 46명(15.4%), ‘인터넷 쇼핑몰’

32명(10.7%), ‘어린이급식소’ 21명(7.0%) 순으로 나타

Page 7: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07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affs.

Variable N %

Gender Male 3 1.1

Female 275 98.9

Area Small cities 88 31.7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110 39.6

Big cities 80 28.8

Age (years) 20∼29 33 11.9

30∼39 68 24.5

40∼49 121 43.5

≥50 56 20.1

Level of education High school 30 10.8

College 136 48.9

University 94 33.8

Graduate school 14 5.0

Etc. 4 1.4

Position Facility manager 47 16.9

Nursery teacher 206 74.1

Cooking 25 9.0

Type Public 98 35.3

Private 77 27.7

Home 103 37.1

Working years ≤1 27 9.7

1∼5 91 32.7

6∼10 80 28.8

11∼15 46 16.5

16∼20 27 9.7

≥25 7 2.5

Number of a recipient for food service

≤20 131 47.1

20∼40 46 16.5

41∼60 43 15.5

61∼80 25 9.0

81∼100 6 2.2

≥100 27 9.7

Total 278 100.0

났다. 자주 접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접근성이

떨어지고 집에서 많이 못 먹어서’가 178명(59.7%)으

로 가장 많았으며, ‘조리방법이 복잡하고 조리시간이

길어서’ 96명(32.2%), ‘맛이 없어서’ 14명(4.7%), ‘전통

간식이 무엇인지 몰라서’ 10명(3.4%) 순으로 응답하

였다.

3) 전통간식에 대한 선호도 및 발전방향

전통간식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총 298명 중 229명(76.8%)이 전통간식을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났고, 69명(23.2%)이 선호하지 않는다

고 응답하였다. 선호하는 이유로는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에’가 95명(41.5%)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 고유

의 음식이라서’ 87명(38.0%), ‘맛이 익숙해서’ 44명

(19.2%), ‘조리방법이 과학적이기 때문에’ 3명(1.3%)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간식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조리시간이 길고 번거로워서’가 39명(56.5%)으로 가

장 많았으며, ‘맛이 없어서’ 19명(27.5%), ‘구입이 어

려워서’ 8명(11.6%), ‘가격이 비싸서’ 3명(4.3%) 순으

로 나타났다.

전통간식의 계승ㆍ발전 필요성 및 활성화를 위한

요건에 대한 조사결과는 Fig. 2에 정리하였는데, 총

298명 중 274명(91.9%)이 ‘계승ㆍ발전이 필요하다’로

응답하였고, ‘보통이다’는 19명(6.4%), ‘필요없다’는

5명(1.7%)으로 나타났다.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요

건에 대해서는 ‘가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 121명(40.6%),

‘인식의 보편화’ 102명(34.2%), ‘다양한 메뉴 개발’ 62명

(20.8%), ‘지역축제와 연관된 마케팅 강화’ 13명(4.4%)

순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직원

1)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간식 제공 현황

조사대상자인 교직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성별은 ‘여성’이 275명(98.9%)으로 설문에 참여

한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지역은 소도시(충남지역 군

단위), 중소도시(충남지역 시단위), 대도시(대전, 세종)

로 구분하였는데, ‘소도시’ 88명(31.7%), ‘중소도시’ 110명

(39.6%), ‘대도시’ 80명(28.8%)으로 조사되었다. 연령

은 ‘40대’ 121명(43.5%), ‘30대’ 68명(24.5%), ‘50대 이

Page 8: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08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Table 5. Status of snacks served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Variable N %

How many times a day do you offer snacks?

None 3 1.1

Once 12 4.3

Twice 258 92.8

Three times 5 1.8

How many times a week do you make snacks?

None 6 2.2

Once 56 20.1

Twice 73 26.3

Three or more times 143 51.4

Why not make a snack?

Due to lack of labor 57 20.5

Expensive 23 8.3

Takes a lot of time 131 47.1

Prefer to buy 28 10.1

Etc. 39 14.0

What kind of drinks are served?

Milk 228 82.0

Yogurt 17 6.1

Juice 8 2.9

Soft drink 19 6.8

Barley tea 6 2.2

Who coach and guide snack?

Facility manager 22 7.9

Nursery teacher 227 81.7

Cooking 24 8.6

Etc. 5 1.8

Who makes a diet? Centers for children’s foodservices

215 77.3

Facility manager 28 10.1

Nursery teacher 8 2.9

Hired nutritionists 22 7.9

Childcare information agency

4 1.4

Cooking staff 1 0.4

What factorsaffect snacks?

Parental needs 20 7.2

The preferences of the children

121 43.5

Cookbook or cooking magazine

3 1.1

Nutritional factors 134 48.2

Total 278 100.0

상’ 56명(20.1%), ‘20대’ 33명(11.9%) 순으로 나타났

다.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이 136명(48.9%)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졸’ 94명(33.8%), ‘고졸’ 30명(10.8%), ‘대

학원졸’ 14명(5.0%), ‘기타’ 4명(1.4%)이었다. 직책은

‘보육교직원’ 206명(74.1%), ‘시설장’ 47명(16.9%), ‘조

리원’ 25명(9.0%) 순으로 보육교직원이 가장 많았다.

어린이급식소 유형으로는 ‘가정형’ 103명(37.1%), ‘공

공형(국공립, 법인단체, 사회복지, 병설)’ 98명(35.3%),

‘민간형(민간, 직장, 사립유치원)’ 77명(27.7%)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은 ‘1∼5년’ 91명(32.7%), ‘6∼10년’

80명(28.8%) ‘11∼15년’ 46명(16.5%), ‘16∼20년’과

‘1년 미만’ 모두 27명(9.7%), ‘25년 이상’ 7명(2.5%)이

었다. 어린이급식소 급식대상자수는 ‘20명 미만’ 131명

(47.1%), ‘20∼40명’ 46명(16.5%), ‘41∼60명’ 43명

(15.5%), ‘100명 이상’ 27명(9.7%), ‘61∼80명’ 25명

(9.0%), ‘81∼100명’ 6명(2.2%)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어린이급식소의 하루 제공 간식 횟수로는 ‘2회

제공한다’가 258명(92.8%)으로 가장 많았고, ‘1회 제

공한다’ 12명(4.3%), ‘3회 제공한다’ 5명(1.8%), ‘제공

안 한다’ 3명(1.1%)으로 나타났다. 간식을 1주일에 몇

회 제조하여 제공하는지에 대한 문항에는 ‘3회 이상 제

조한다’가 143명(51.4%)으로 가장 많았고, ‘2회 제조한

다’ 73명(26.3%), ‘1회 제조한다’ 56명(20.1%), ‘못 만

들어준다’ 6명(2.2%)으로 나타났다. 간식을 자주 만들

어주지 못하는 이유로는 ‘조리시간이 많이 걸려서’가

131명(4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취사부 노동

력 부족’ 57명(20.5%), ‘기타’ 39명(14.0%), ‘사서 주는

것보다 잘 안 먹어서’ 28명(10.1%), ‘비용이 많이 들어

서’ 23명(8.3%)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급식소에서 간식으로 제공되는 음료의 종류

로는 ‘우유’ 228명(82.0%), ‘청량음료’ 19명(6.8%), ‘요

구르트’ 17명(6.1%), ‘주스’ 8명(2.9%), ‘보리차’ 6명

(2.2%) 순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급식소의 간식지도

담당자는 ‘보육교직원’이 227명(81.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원’ 24명(8.6%), ‘시설장’ 22명(7.9%),

‘기타’ 5명(1.8%) 순이었다. 급ㆍ간식 식단 작성자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215명(77.3%)으로 가장

많았고 ‘시설장’ 28명(10.1%), ‘상주 영양사’ 22명

Page 9: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09

Table 7. Demand for food education programs to activate traditional snack.

VariableTotal

(N=278)Public(N=98)

Civilian(N=77)

Home(N=103)

F P1)

Interesting and fun food education 4.06±0.792) 4.20±0.77a 4.09±0.85ab 3.90±0.73b 3.821* 0.023

Food education based on history 3.87±0.88 4.09±0.69a 4.04±0.94a 3.53±0.91b 13.038** 0.000

Food education to learn seasonal foods 4.03±0.81 4.08±0.70ab 4.25±0.83a 3.81±0.84b 7.243** 0.001

Food education using traditional ingredients 3.98±0.87 4.13±0.74a 4.08±0.91ab 3.77±0.91b 5.258** 0.006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among group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1) P-value by ANOVA test2) Mean±SD*P<0.05, **P<0.01

Table 6. Recognition of traditional snacks according to the groups.

VariableTotal

(N=278)Public(N=98)

Civilian(N=77)

Home(N=103)

F P1)

A food that has developed along with its own culture 3.93±0.902) 3.90±0.89 4.05±0.94 3.87±0.88 0.963 0.383

It is often used snack now 2.74±0.90 2.72±0.91 2.81±0.96 2.70±0.86 0.318 0.728

It was a favorite food from the royal family 3.37±1.06 3.30±1.08 3.51±0.95 3.34±1.11 0.926 0.397

Local food that has been kept by every region 3.83±0.95 3.86±0.87 3.91±1.03 3.75±0.96 0.696 0.500

A variety of recipes 3.69±10.3 3.61±1.06 3.86±0.90 3.63±1.09 1.456 0.235

The cooking process takes a lot of effort 4.05±0.88 3.98±0.92 4.17±0.99 4.04±0.75 1.013 0.364

Does not use much oil and sugar 3.27±1.05 3.13±1.10 3.32±1.07 3.36±0.99 1.312 0.271

Less nutrient loss during cooking 3.39±1.01 3.35±1.04 3.34±1.08 3.49±0.95 0.637 0.5291) P-value by ANOVA test2) Mean±SD

(7.9%), ‘보육교직원’ 8명(2.9%), ‘보육정보기관’ 4명

(1.4%), ‘조리교직원’ 1명(0.4%) 순으로 나타나 어린이

급식관리센터에서 제공되는 식단을 많이 활용하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다. 간식 제공에 영향을 끼치는 요

인으로는 ‘영양학적인 요인’ 134명(48.2%)으로 가장

높았으며, ‘원아들의 기호도’ 121명(43.5%), ‘학부모의

요구도’ 20명(7.2%), ‘요리 관련 도서’ 3명(1.1%) 순으

로 나타나 영양학적인 부분에 많은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전통간식 인식 정도와 프로그램 요구도

보육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어린이집을 3가지(공공형: 국공립ㆍ법인단

체ㆍ사회복지ㆍ병설, 민간형: 민간ㆍ직장ㆍ사립, 가정

형) 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Table 6). 전통간식

인식 정도에 관한 모든 조사문항에서 기관 유형별로

통계적인 차이가 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조사문

항 중 ‘조리과정에 손이 많이 간다’에 대해서는 ‘공공

형’, ‘민간형’, ‘가정형’이 각각 3.98±0.92, 4.17±0.99,

4.04±0.75로 가장 높은 인식 정도를 보였고, ‘현재 자

주 이용하는 간식이다’에 대해서는 각각 2.72±0.91,

2.81±0.96, 2.70±0.86으로 가장 낮은 인식 정도를 나타

냈다. 전통간식 인식 정도 문항 중 ‘우리 고유문화와

함께 발전해온 음식이다(4.05±0.94)’, ‘현재 자주 이용

하는 간식이다(2.81±0.96)’, ‘왕실 반가에서 즐겨먹던

음식(간식)이다(3.51±0.95)’, ‘지역마다 특색 있게 지켜

내려온 향토음식이다(3.91±1.03)’, ‘조리법이 다양하다

(3.86±0.90)’, ‘조리하는 과정에 손이 많이 가는 음식

Page 10: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10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Table 9. Necessity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snacks.

Variable Total Public Civilian Home χ2 P1)

Need 239 ( 86.0)2) 88 ( 89.8) 67 ( 87.0) 84 ( 81.6)

5.560 0.235No need 19 ( 6.8) 7 ( 7.1) 3 ( 3.9) 9 ( 8.7)

So so 20 ( 7.2) 3 ( 3.1) 7 ( 9.1) 10 ( 9.7)

Total 278 (100.0) 98 (100.0) 77 (100.0) 103 (100.0)1) P-value by chi-square test2) N (%): Number of subjects (% of subjects)

Table 8. Preference of collective education for traditional snacks.

VariableTotal

(N=278)Public(N=98)

Civilian(N=77)

Home(N=103)

F P1)

Nutrition education Nutrients and functions of traditional snacks

3.93±0.722) 4.00±0.76ab 4.12±0.67a 3.73±0.67b 7.428** 0.001

Teaching the correct intake of traditional snacks

3.91±0.74 4.01±0.73a 4.03±0.76a 3.73±0.70b 5.133** 0.006

Traditional snack education for obesity prevention

3.97±0.86 4.04±0.97ab 4.14±0.84a 3.79±0.72b 4.333* 0.014

Seasonal food and traditional snack education

3.95±0.76 3.98±0.77ns 4.06±0.73ns 3.83±0.76ns 2.162 0.117

Cooking practice How to cook traditional snacks

3.96±0.87 3.98±0.97ns 4.06±0.85ns 3.85±0.77ns 1.347 0.262

Modern traditional snack dishes

3.95±0.83 4.02±0.80ab 4.09±0.91a 3.79±0.79b 3.494* 0.032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among group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1) P-value by ANOVA test2) Mean±SD*P<0.05, **P<0.01

이다(4.17±0.99)’에서는 ‘민간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

지만 ‘기름과 설탕을 많이 쓰지 않는 조리법을 사용

한다’와 ‘조리과정 중 영양소 손실이 적다’의 두 문항

에서는 각각 3.36±0.99, 3.49±0.95로 ‘가정형’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식교육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모든 항목에 대한 그룹별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흥미와 재미 위주의 식교육’에

대해서 ‘공공형’은 4.20±0.77의 가장 높은 값을 보였

고, ‘가정형’은 3.90±0.73으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

다(P<0.05). ‘역사 이야기를 토대로 하는 식교육’에

대해 ‘공공형’과 ‘민간형’은 각각 4.09±0.69, 4.04±0.94

로 비슷한 요구도를 보였지만 ‘가정형’은 3.53±0.91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절기음식을

알아보는 식교육’에 대해서는 ‘민간형’이 4.25±0.83으

로 가장 높았고, ‘공공형’ 4.08±0.70, ‘가정형’ 3.81±0.84

순으로 나타났다(P<0.01). ‘전통식재료를 이용하는

식교육’에 대해서는 ‘공공형’이 4.13±0.74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민간형’이 4.08±0.91, ‘가정형’이 3.77±0.91

로 ‘가정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전통간식 관련 학부모 집합교육의 주제별 선호도

에 대한 설문결과(Table 8) 기관유형별로 대부분의 항

목에 대해서 차이를 보였는데, ‘민간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가정형’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영양교

육 주제 중 ‘전통간식의 영양소와 기능’에 대한 선호

도는 ‘민간형(4.12±0.67)’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

Page 11: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11

Table 10. Factors needed to popularize traditional snacks.

Variable Total Public Civilian Home χ2 P1)

Traditional snack recognition 96 ( 34.5)2) 30 ( 30.6) 31 ( 40.3) 35 ( 34.0)

3.431 0.753

Expansion of processed foods and stores 78 ( 28.1) 31 ( 31.6) 17 ( 22.1) 30 ( 29.1)

Various menu development 84 ( 30.2) 29 ( 29.6) 25 ( 32.5) 30 ( 29.1)

Marketing linked to local festivals 20 ( 7.2) 8 ( 8.2) 4 ( 5.2) 8 ( 7.8)

Total 278 (100.0) 98 (100.0) 77 (100.0) 103 (100.0)1) P-value by chi-square test2) N (%): number of subjects (% of subjects)

였고, ‘공공형’, ‘가정형’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1).

‘올바른 전통간식 섭취지도 교육’에 대해서는 ‘공공

형’과 ‘민간형’이 각각 4.01±0.73, 4.03±0.76으로 비슷

한 선호도를 보였고, ‘가정형’은 3.73±0.70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1). ‘비만 예방을 위한 전통간식

교육’은 ‘민간형’ 4.14±0.84, ‘공공형’ 4.04±0.97, ‘가정

형’ 3.79±0.72 순으로 나타나 선호도 차이를 보였다

(P<0.05). ‘절기음식 전통간식 교육’에 대해서는 ‘민

간형’이 다른 기관보다 약간 높은 선호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조리실습 주

제 선호도에서 ‘전통간식 기초조리 방법’은 ‘민간형’

이 ‘공공형’과 ‘가정형’보다 선호도 값은 약간 높았지

만 세 가지 기관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현대식 전통간식 가정요리 실습’에 대해서도

‘민간형’이 4.09±0.91로 가장 높았고, ‘공공형’ 4.02±0.80,

‘가정형’ 3.79±0.79 순이었다(P<0.05).

3) 어린이급식소 유형별 전통간식 발전방안

전통간식 계승ㆍ발전에 대한 생각은 Table 9와 같

으며, ‘계승ㆍ발전이 필요하다’가 239명(86%)으로 가

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그저 그렇다’ 20명(7.2%), ‘계

승ㆍ발전시킬 필요없다’ 19명(6.8%)으로 나타났다. 어

린이급식소 유형별로 전통간식의 계승ㆍ발전에 대한

생각의 차이가 있는지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해 갖추어야 할 요인에 대한

응답을 교차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전통간

식에 대한 인식의 보편화’가 96명(34.5%)으로 가장

많았고, ‘다양한 메뉴개발’ 84명(30.2%), ‘가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 78명(28.1%), ‘지역축제와 연계된 마케

팅’ 20명(7.2%) 순이었다. 어린이급식소 유형별로 전

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요인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고 찰

본 연구는 어린이집ㆍ유치원에 영ㆍ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와 실제 영ㆍ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직원

들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전통간

식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관련된 기초자

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녀의 간식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 학부모가 자

녀의 간식 제공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영양과 건강’이 217명(72.8%)이었고, 자녀가 다니는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이 좋은 이유에 대해

서는 ‘영양사 식단으로 영양이 풍부할 것 같아서’가

198명(66.4%), ‘좋은 식습관을 길러줘서’는 63명(21.1%)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학부모들이 자녀

에게 간식을 제공할 때 영양과 건강을 가장 고려하고

있으며,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이 영양적으

로도 우수하고 간식지도 또한 잘 되고 있다고 신뢰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Sym(2018)의 연구결과와 비슷

한 결과를 보였다. 어린이급식소에서의 간식 제공 현

황을 보면 ‘하루에 2회 제공한다’가 258명(92.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간식을 자주 만들어주지 못하는 이

Page 12: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12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유에 대해서는 131명(47.1%)이 ‘조리시간이 많이 걸

려서’라고 응답하였고, 간식지도 담당자는 227명

(81.7%)이 ‘보육교직원’이라고 하였으며, 급ㆍ간식 식

단 작성자는 215명(77.3%)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

터’라고 응답했다. Park & Kim(201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어린이집은 인력이 부족해 보육교직

원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영양사를 직접 채용

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재정적인 상황이 못되어 영ㆍ유

아들의 간식지도 및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 보

육교직원의 역할이 중요하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

터의 전문적인 급ㆍ간식 식단 제공이 실질적으로 많

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간식의 계승ㆍ발전이 필요하다’는 문항에 대

해 학부모 274명(91.9%)은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지

만, 96명(32.2%)이 ‘조리방법이 복잡하고 조리시간이

길어서’ 자주 이용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여 Lee 등

(2010)의 연구에서 전통음식의 단점은 복잡한 조리과

정이라고 보고한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어린이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 중 전통간식 제공비율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제공한다’가 123명(41.3%)으로 가

장 많았으며, 전통간식에 대한 느낌에 대한 질문에서

는 197명(66.1%)이 ‘영양은 풍부하지만 조리방법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전통간식을 접하는 기회 및 장

소로는 ‘명절’이 199명(66.8%)으로 가장 많았다. 자주

접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178명(59.7%)이 ‘접

근성이 떨어지고 집에서 많이 못 먹어서’라고 응답하

여 전통음식의 이용도와 관련된 선행연구(Lee 등 2010)

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학부모의 전통간식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총

298명 중 229명(76.8%)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이유로는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에’가 95명

(41.5%)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 고유의 음식이라서’가

87명(38.0%) 순으로 높았는데, Kim(2001)과 Lee 등

(2010)의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두 가지 변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 우리나라

전통음식을 건강식이라고 생각하고 자랑스러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간식을 선호하지 않

는 이유로 ‘조리시간이 길고 번거로워서’가 39명

(56.5%)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영양이 풍부하고 우

리 고유의 음식으로서 우월함에도 불구하고 조리방법

이 다소 복잡하고 어렵다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현대사회의 요

구에 맞춘 표준조리서가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할 것으

로 보인다(Hong 등 1999; Lee 등 2010).

전통간식 활성화를 통해 영ㆍ유아시기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갖게 하는 것은 우리의 전통 식문화를 계

승ㆍ발전시키고 아이들의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요건에 대해

서는 학부모의 경우 ‘가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40.6%)’,

‘인식의 보편화(34.2%)’, ‘다양한 메뉴개발(20.8%)’이 중

요하다고 하였지만, 보육교직원은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의 보편화(34.5%)’, ‘다양한 메뉴개발(30.2%)’, ‘가

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28.1%)’ 순으로 나타났다. 학

부모와 보육교직원 간 차이가 발생한 원인은 학부모

의 경우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아지고 핵가족 중심으

로 변하면서 생활의 간편성을 추구하는 가정이 많아

지다 보니(Kang & Chyun 1998) 실제 간식을 만들어

주기보다 영양가 높은 가공식품을 구입해서 주고 싶

어 하기 때문에 ‘가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보육교직원의 경우 한정된 전

통간식 메뉴(중앙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유아 레시

피)를 제공하는 것은 아이들의 기호도와 만족감을 높

이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메뉴 개발이 전통간

식 활성화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

된다.

어린이급식소 유형별로 전통간식을 확대하기 위한

식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와 영양교육 주제별 선호도

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어린이급식소 유

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가정형 어린이집은

공공형과 민간형에 비해 요구도 및 선호도가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가정형 어린이집은 만

1세 미만의 영ㆍ유아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교육보다

는 보육형태에 많이 치중하기 때문에 다양한 교육 프

로그램 적용이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Jang 2017).

Page 13: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13

또한 어린이집 시설 유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연구(Yu

2018) 결과에 따르면, 보육교직원의 관련 교육 수강

경험 유무에 따라 교육의 중요성 및 수행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시설의 규모가 작아 교직원 수가 적은

가정형의 경우 관련 교육을 받을 기회가 적어 민간과

국공립 어린이집 시설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전

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식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공공형과 가정형은 ‘흥미와 재미위주의 식교육’ 요구

도가 가장 높았고, 민간형은 ‘절기음식을 알아보는 식

교육’의 요구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관별 프로그

램 방향을 달리 설정하고 교육기관에서 원하는 주제

와 방향에 맞춘 식교육을 제공한다면 전통간식 활성

화를 위한 교육 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현대사회의 요구에 맞는 영양과 고유한 한국의 건

강한 맛을 담은 전통간식 상품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조리법을 간소화ㆍ표준화시켜 대중적인 소비가 가능

하도록 하여 현대인의 입맛을 사로잡아야 할 것이다.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존 어린이급식소에서 문제시되었던 영양관리와 식

단 및 조리를 담당할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정부차

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어린이

급식소별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리과정에 손이 많이 간다’라는 항목에 모두 가장

높게 응답하였는데, 이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전

통간식을 어린이급식소에서 직접 만들어 제공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어린

이급식소마다 정부의 지원으로 담당인력을 지원해주

면 정부 차원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여 부담이 될

것이고 인력 운영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급식의 영양과 위생을 관리하고 있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또는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전통간식을 어린이급식소에 제공해주고 교육을 진행

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전통간식 활성화뿐만

아니라 영ㆍ유아들의 식습관도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

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결과(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에 따르

면 어린이집에 제공되는 위생, 안전, 영양관리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4.91점/5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안전한 식재료의 위생적 관리, 연령별 영양요구량에

맞춰 과학적으로 설계된 식단 제공 등 어린이들의 올

바른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지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보면 학부

모들은 어린이급식소의 전문가가 제공하는 간식에 대

해 신뢰하고 있고, 어린이급식소는 업무적으로 어린

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의존하고 있어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학부모와 보육교직원은 전통간식이 소

중한 우리 식문화이면서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고 인식하고 있다. 어린이급식소의 전통간식 활성화

를 통해 영ㆍ유아들이 전통간식을 자주 접하고 올바

른 식습관을 갖는 것은 우리의 전통 식문화를 자연스

럽게 계승하면서 정서적, 건강적 측면에서 긍정적이

라 사료된다. 따라서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보육교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간식에 대한 이론 및 실습 교

육을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다양한 전통간식 레시피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조리 및 외식 분야

에서도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일반인들이 전

통간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 및 결론

어린이급식소에서의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해 대

전ㆍ충남ㆍ세종지역 어린이집ㆍ유치원에 영ㆍ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와 실제 영ㆍ유아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상태를 조사하여 전통간식의 활용도를 높이는 영

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76명

에 대해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간식 섭취실태를 조사

한 결과 자녀에게 간식 제공 시 가장 중요하게 생

Page 14: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114 |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연구

각하는 요소로 217명(72.8%)이 ‘영양과 건강’이라

고 하였고, 가정에서의 ‘간식지도’와 ‘구입’은 각각

268명(89.9%), 275명(92.3%)이 어머니가 담당한다

고 조사되었다. 자녀가 다니는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이 좋은 이유에 대해 ‘영양사 식단

으로 영양이 풍부할 것 같아서’가 198명(66.4%),

‘좋은 식습관을 길러줘서’가 63명(21.1%)으로 대부

분을 차지하였는데, 학부모들은 어린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간식이 영양적으로도 우수하고 간식지도

또한 잘 되고 있다고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2. 대부분의 어린이급식소에서는 258명(92.8%)이 ‘하

루에 간식을 2회 제공한다’고 응답하였고, 131명

(47.1%)이 ‘시간이 많이 걸려서’ 자주 만들어주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간식지도는 ‘보육교직원’이

담당하고 있는 곳이 227명(81.7%)으로 가장 많았

고, 급ㆍ간식 식단 작성자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

센터’가 215명(77.3%)으로 가장 많았다.

3. 학부모의 전통간식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229명(76.8%)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

는 이유로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에’가 95명(41.5%)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우리 고유의 음식이

라서’가 87명(38.0%)으로 나타났다. 전통간식을 선

호하지 않는 69명 중 39명(56.5%)은 ‘조리시간이

길고 번거롭다’고 하였고, 19명(27.5%)은 ‘맛이 없

다’고 응답하였다.

4. 어린이급식소 유형별 보육교직원의 전통간식 인식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비슷한 인식 정도를 보였다. 그

러나 전통간식의 활성화를 위한 식교육 프로그램

요구도와 영양교육 선호도에서는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가정형 어린이집은 공공형과 민

간형에 비해 요구도 및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5. 전통간식 활성화를 통해 영ㆍ유아기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갖게 하는 것은 우리의 전통 식문화를

계승ㆍ발전시키고 아이들의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

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전통간식의 활성화를 위해

서는 학부모의 경우 ‘가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

121명(40.6%),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의 보편화’

102명(34.2%), ‘다양한 메뉴 개발’ 62명(20.8%) 순

으로 중요하다고 하였지만, 보육교직원은 ‘인식의

보편화’가 96명(34.5%)으로 가장 많았고, ‘다양한

메뉴 개발’ 84명(30.2%), ‘가공식품 및 판매점 확대’

78명(28.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부모와 보육교직원 모두

전통간식을 계승ㆍ발전시켜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지

만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조리과정’과 ‘접근

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원재료의 다양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통간

식 조리 중에 발생하는 불편을 개선하여 손쉽게 전통

간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전통요리연구가, 연구자들

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표준화되어 적용하기 쉬운 전

통간식 매뉴얼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TV나 신문 등 다양한 언론매체와 워크숍, 세미나

등 대중적인 교육과 함께 영ㆍ유아 교육기관을 통한

우리의 고유한 전통간식이 계승되고 더욱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전통간식에 대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교직원 대상 연수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관련

주제의 관심도를 높이고 프로그램 운영 시 효율성이

증대된다(Lee 2013). 본 연구결과 어린이급식소 유형

별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식교육 프로그램 요구

도가 다르므로 교육 주제 및 과정 등 운영 차별화를

통해 전통간식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관심도를 높이

면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제공의 활성화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ORCID

유주희: https://orcid.org/0000-0003-2675-5973

윤혜려: https://orcid.org/0000-0002-9931-9518

Page 15: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 ·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J Korean Diet Assoc 26(2):101-115, 2020 | 115

REFERENCES

Cho JO (2006): Study on traditional food recognition and pref-

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om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pp.17-24

Choi HJ (2011):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popularization

method for the processed rice item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77-80

Hong KS, Baik SJ, Kim HS (1999):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Hum Ecol 8(2):373-385

Jang SH (2017):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menu management at daycare centers: an application of pro-

tection motivation theory. Doctor degree thesis. Dong-A

University. pp.5-10

Kang US, Chyun JH (1998):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od use patterns in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

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Korean J Diet Cult

13(5):461-474

Kim HH (2002):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pref-

erences of Korean cookies of housewives in Daegu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2(4):280-288

Kim MR, Kim YY, Kim YR, Yang YA, Yun AR, Lee NJ, Lee

YN, Lee JH, Jeon KS, Jung EK, Cho HS, Choi EK (2013):

Green food education for child. Knowledge Community.

Goyang. pp.132-135

Kim SM (2001): A study on the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

dents in the Kyung-book area on the traditional foods (2)-

the recognition, the seasonal customs and the life style.

Korean J Food Cook Sci 17(2):49-58

Kwak NU, Park DG, Park HM (2010): Children’s health

education. Knowledge Community. Goyang. pp.107-108

Lee BS, Park HJ, Jung JW (2010):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Korean J Culin Res 16(4):1-14

Lee EK (2016): The study on the awareness and acceptability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 focused on the compar-

ison of generational differences on the Gwangju·Cheonnam

region. Masters degree thesis. Nambu University. pp.20-28

Lee HJ (2007): Consciousness and utilization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oliday food: elementary school die-

titians in Jeon-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pp.48-51

Lee YJ (2013):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education on traditional Korean cuisine and cook-

ing activities. Masters degree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pp.16-18

Lee YM, Oh YJ (2005): A study on kindergarten’s meal serv-

ice program and children’s food intake. J Nutr Health 38(3):

232-24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Plan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p.71-80

Moon HJ, Kim HK, Park BM (2012): Child nutrition. Changjisa.

Seoul. pp.76-77

Park CH, Kim SL (2018):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Korean J Child Educ Care 18(2):85-102

Shin HN (2013): Effect on frequency of snack intake and pref-

erence of traditional food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besit. Masters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pp.14-15

Shin SS (2014): For infant teacher and parents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 Knowledge Community. Goyang. pp.62-63

Sym EB (2018): Menu pattern, food diversity, nutritional con-

tents and partent’s satisfaction on snack menus provid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Jeonbuk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pp.5-12

Yeoh YJ, Kwon SY, Lee YM (2014): Evaluation of menu pat-

tern and nutritional contents of snack menus provided b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5):614-620

Yu EC (2018):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ood allergy management in day 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17-25

Yu JS (2015):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s and eat-

ing-out behaviou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asters degree thesis. Kookmin University. pp.1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