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7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김애옥 1 , 정성숙 1,2 , 김다은 1 , 하원호 3 , 문교태 3 , 최충호 1,2 , 홍석진 1,2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 예방치과학교실, 2 치의학연구소, 3 LG 생활건강기술연구원 Remineralisation effect of 1,500 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in enamel early caries lesion Ae-Ok Kim 1 , Seong-Soog Jeong 1,2 , Da-Eun Kim 1 , Won- Ho Ha 3 , Kyo-tae Moon 3 , Choong-Ho Choi 1,2 , Suk-Jin Hong 1,2 1 Department of Preventive & Public Health Dentistry, 2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Gwangju, 3 LG Household & Health Care Research Park, Daejeon, Korea Copyright © 2016 b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bjectives: We compared the effects of a 1,500 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and a 1,000 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which were revised up to the recent revision, and evaluated their effects on the tooth surface after adding bamboo salt to the preparations.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of four treatments (n=12 per treatment group): 1,500 ppm NaF, 2% bamboo salt+1,000 ppm NaF, 1,000 ppm NaF, and control treatment.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the experimental toothpaste, artificial saliva, and demineral- ized solution. The treated specimens were analyzed using Vickers surface hardness test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Results: The toothpaste with a high fluoride concentration (1,500 ppm NaF) showed more reminer- alization than did the toothpaste with a low fluoride concentration (1,000 ppm NaF). The 2% bamboo salt+1,000 ppm NaF group showed remineralization similar to the 1,500 ppm NaF group and higher surface microhardness than the 1,000 ppm NaF group. Conclusions: Toothpastes containing 1,500 ppm NaF have a higher preventive effect against dental caries than do toothpastes containing 1,000 ppm NaF. The addition of bamboo salt to fluoride-contain- ing dentifrices improves their effectiveness in preventing dental caries. Key Words: Bamboo salt, Early enamel caries, Remineralization, 1,500 ppm fluoride Received: December 5, 2016 Revised: December 10, 2016 Accepted: December 19, 2016 Corresponding Author: Suk-Jin Hong Department of Preventive & Public Health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3 Yongbong-ro, Buk-gu, Gwangju 61186, Korea Tel: +82-62-530-5835 Fax: +82-62-225-9618 E-mail: [email protect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6 December 40(4):270-276 https://doi.org/10.11149/jkaoh.2016.40.4.270 Original Article JKAOH is available at http://www.jkaoh.org pISSN 1225-388X / eISSN 2093-7784 치의학의 발전 이래 치아 경조직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하려는 연구는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그 중 1916년 이후 치아와 관 련성이 있는 것으로 인지된 불소는 체내외 어떠한 접근으로도 치아 경조직 손상 예방과 회복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 중 하나이다 1) . 구강에서 불소를 적용하는 방법에는 수돗물불소화사업, 전문 가 불소국소도포, 불소양치용액, 불소정제, 불소치약 등 다양한 방 법들이 있으며, 이 중 불소함유 치약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치아우 식증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 불소함유 치 약은 치아우식경험을 15-30%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여 러 문헌들을 통해 치아우식증의 발병을 약 24% 감소시키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 3,4) . 세계치과연맹 또한 적정량의 불소는 우식 예

Upload: others

Post on 09-Ap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김애옥1, 정성숙1,2, 김다은1, 하원호3, 문교태3, 최충호1,2, 홍석진1,2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예방치과학교실, 2치의학연구소, 3LG 생활건강기술연구원

Remineralisation effect of 1,500 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in enamel early caries lesion

Ae-Ok Kim1, Seong-Soog Jeong1,2, Da-Eun Kim1, Won- Ho Ha3, Kyo-tae Moon3, Choong-Ho Choi1,2, Suk-Jin Hong1,2

1Department of Preventive & Public Health Dentistry, 2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Gwangju, 3LG Household & Health Care Research Park, Daejeon, Korea

Copyright © 2016 b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bjectives: We compared the effects of a 1,500 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and a 1,000 ppm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which were revised up to the recent revision, and evaluated their effects

on the tooth surface after adding bamboo salt to the preparations.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of four treatments (n=12

per treatment group): 1,500 ppm NaF, 2% bamboo salt+1,000 ppm NaF, 1,000 ppm NaF, and control

treatment.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the experimental toothpaste, artificial saliva, and demineral-

ized solution. The treated specimens were analyzed using Vickers surface hardness test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Results: The toothpaste with a high fluoride concentration (1,500 ppm NaF) showed more reminer-

alization than did the toothpaste with a low fluoride concentration (1,000 ppm NaF). The 2% bamboo

salt+1,000 ppm NaF group showed remineralization similar to the 1,500 ppm NaF group and higher

surface microhardness than the 1,000 ppm NaF group.

Conclusions: Toothpastes containing 1,500 ppm NaF have a higher preventive effect against dental

caries than do toothpastes containing 1,000 ppm NaF. The addition of bamboo salt to fluoride-contain-

ing dentifrices improves their effectiveness in preventing dental caries.

Key Words: Bamboo salt, Early enamel caries, Remineralization, 1,500 ppm fluoride

Received: December 5, 2016

Revised: December 10, 2016

Accepted: December 19, 2016

Corresponding Author: Suk-Jin Hong

Department of Preventive & Public Health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3

Yongbong-ro, Buk-gu, Gwangju 61186,

Korea

Tel: +82-62-530-5835

Fax: +82-62-225-9618

E-mail: [email protect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6 December 40(4):270-276https://doi.org/10.11149/jkaoh.2016.40.4.270 Original Article

JKAOH is available at http://www.jkaoh.org pISSN 1225-388X / eISSN 2093-7784

서 론

치의학의 발전 이래 치아 경조직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하려는

연구는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그 중 1916년 이후 치아와 관

련성이 있는 것으로 인지된 불소는 체내ㆍ외 어떠한 접근으로도

치아 경조직 손상 예방과 회복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 중

하나이다1).

구강에서 불소를 적용하는 방법에는 수돗물불소화사업, 전문

가 불소국소도포, 불소양치용액, 불소정제, 불소치약 등 다양한 방

법들이 있으며, 이 중 불소함유 치약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치아우

식증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불소함유 치

약은 치아우식경험을 15-30%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여

러 문헌들을 통해 치아우식증의 발병을 약 24% 감소시키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3,4). 세계치과연맹 또한 적정량의 불소는 우식 예

Page 2: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김애옥 외 |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271

방에 도움이 되며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언급하고 있다5).

불소 함유 치약의 우식예방효과를 1,000 ppm으로 보고6)된

이래 국내 치약의 불소함유 상한 규제7)는 1,000 ppm까지였으며,

국내 시판 중인 불소함유 치약은 대부분 불소를 1,000 ppm 정도

함유하였다8). 외국의 경우, 네덜란드, 독일, 미국, 영국, 호주, 대

만, 싱가포르, 홍콩 등의 국가들은 우식예방 효과와 국민들의 수요

를 반영하여 치약 내 불소 함유량의 상한선을 우리나라보다 높은

1,500 ppm9,10)으로 설정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불소함유 치약은

대부분 1,350-1,450 ppm 정도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소속 소비자 안전조사 위원회 발표에 따

르면 ‘불소함유 치약의 우식 예방 효과’는 치약에 함유된 불소의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언급하였는데11) 이처럼, 불소 함유량에

따라 치아우식 예방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불소 농도에 따른 예

방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1,000-1,500 ppm의 불소를 함유한

치약의 사용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불소의 우식

예방의 효용을 고려하여 2014년 9월 의약외품 치약제의 불소배합

상한 규제를 1,000 ppm에서 1,500 ppm으로 상향 조정하는 관련

고시12)를 개정하였다.

Ha13)는 죽염이 초기 법랑질우식 표면하방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죽염은 초기 법랑질우식 표면하방의 결정구

조에 변화를 주지 않았으며, 죽염과 불화나트륨을 혼합하여 적용

한 경우 초기 법랑질우식 표면하방의 깊은 부위까지 불소의 침투

를 도와 재광화 효과가 상승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시개정에 따라 1,000 ppm의 불소함유를

1,500 ppm으로 증가시켰을 때의 재광화 효과 및 죽염을 함유한

경우의 재광화 효과 비교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고시개정14)으로 상향 조정된 1500

ppm 불소함유 치약과 기존 1,000 ppm 불소함유 치약의 효과를

비교하여 고농도 불소함유 치약 사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죽염

첨가 여부에 따라 치아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 연구재료

치아우식증이 없고 건전한 법랑질 표면을 가진 소의 상악 절치

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치약은 Table 1과 같았다.

2. 실험방법

2.1. 시편제작

육안상 우식소견이 없고 건전한 법랑질 표면을 가진 소의 상

악 영구전치 순면에서 직경 5 mm의 원통형태의 법랑질 시편을 평

평하게 잘라낸 후 아크릴봉에 자가중합형 레진으로 포매하였다.

이때 시편의 법랑질 표면이 아크릴 봉에 평행한 상태로 포매하고,

#60, #240, #600, #1200 연마지(Carbide, Buehler, Illinois, USA)

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시편을 연마하였다.

2.2. 표면미세경도 측정

연마된 시편의 법랑질 표면이 표면미세경도측정기의 압인 방

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200 gm의 하중으로 10초

동안 압인한 후 400 배율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법랑질 표면미세경

도를 측정하였다. 정상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가 260-340 VHN

범위에 해당하는 시편을 선택하였다.

2.3. 초기 인공우식 시편제작

인공우식용액(pH 5.0)은 수산화인산칼슘이 50% 포함된 0.1

M 젖산과 0.2% Carbopol polymer (ETD 2050, Noveon Inc,

Cleveland, USA)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14 ml의 인공우식용액에

시편을 넣고 37oC에서 34시간 동안 처리하여 초기 인공우식병소

를 형성하였다. 초기 인공우식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는 평균 25-

45 VHN 범위의 표면미세경도를 갖는 시편으로 각 군당 12개씩 4

군으로 선정하였다.

2.4. 시편처리(Chemical pH cycle Model by lactic acid)

시편처리는 구강 내 환경을 재현하는 방법으로 실험치약, 인공

타액, 탈회용액에 의한 순환처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치약의

형태는 시편 침지를 위해 치약 10 g에 인공타액 20 ml를 혼합하

여 처리 직전 슬러리 형태로 준비하였고, 초기 인공우식 시편에 각

군의 실험치약을 매 3분씩, 하루 3회 교반 하에 침지 처리하였다.

시편은 인공탈회 용액을 사용하여 1일 3시간씩 탈회 처리하였으

Table 1. Test groups for the study

Group Fluoride Bamboo salt Abrasive

1 1,500 ppm NaF -

Silica2 1,000 ppm NaF 2%

3 1,000 ppm NaF -

4 Free -

Table 2. Time table for treatment solution and artificial saliva cycle for

the period of 15 days

Time Treatment

09:00-09:03 Treatment Solution (Dentifrice)

09:03-11:00 Artificial Saliva*

11:00-11:03 Treatment Solution (Dentifrice)

11:03-14:00 Artificial Saliva

14:00-17:00 Demineralizing Solution†

17:00-17:03 Treatment Solution (Dentifrice)

17:03-Next morning Artificial Saliva

*The artificial saliva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0.22% Gastric mucin,

0.0381% NaCl, 0.0213% CaCl2·2H2O, 0.0738%, KH2PO4, 0.114% KCl.†Demineralization solution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0.1M lactic acid

0.2% carbopol solution and 50% saturated HAP.

Page 3: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J Korean Acad Oral Health | 2016;40:270-276272

며, 실험치약에 침지하는 것과 탈회 처리 이외의 시간은 시편을 인

공타액에 침지하는 방식으로 전체 과정을 15일 동안 반복하였다

(Table 2).

2.5. 시편처치 후 평가

1) 표면미세경도 측정: 시편 처치 후 법랑질 표면미세경도 변

화를 측정하기 위해 시편의 상, 하, 좌, 우측 4곳을 지정한 뒤 시

편 처리 전과 조금 떨어진 지점에서 표면미세경도측정기(Fm-7,

Future-tech Corp, Tokyo, Japan)를 사용하여 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측정하였다.

2)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분석: 시편은 각각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시료대 위에 고정하고,

2 kV와 2 mA 전압하의 진공 상태에서 1분 동안 2회 백금으로 피

복시킨(108auto, JEOL, Tokyo, Japan) 다음 주사전자현미경(JSM-

7500F, JEOL, Tokyo, Japan)을 사용하여 15 kV에서 50,000배,

100,000배의 배율로 법랑질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3)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분석: 시

편의 표면거칠기 변화는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Nanoscope Multimode, Digital Instruments, Woburn, MA,

USA)을 사용하여 거칠기 양상을 관찰하였다.

3. 자료분석

실험결과 확인은 이중맹검법으로 처리한 실험군을 담당자 입

회하에 디코딩하였으며 법랑질 시편은 각 군간 표면미세경도 차이

를 비교하기 위해 One way ANOVA를 사용한 후 Duncan’s test로

사후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21.0, Chicago,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

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연구 성적

1. 표면미세경도 변화

실험 처리 전 모든 군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는 36.57-36.72

VHN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5일 실험 처치 후 표면

미세경도는 1군 146.94±14.16 VHN, 2군 141.33±12.49 VHN,

3군 130.87±17.45 VHN, 4군 55.54±3.87 VHN 순으로 1군이

가장 높고 4군이 가장 낮은 표면미세경도가 나타났다(Table 3). 실

험 전후의 표면미세경도차(△VHN)는 1군(110.36±15.26)이 가

장 높았고, 2군(104.63±13.23), 3군(94.19±15.95), 4군(18.82±

4.71)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변화량의 군간 비교 결과는 1,500 ppm NaF를 함유하고 있

는 1군이 가장 높은 표면미세경도값을 보여주었으며, 1,000 ppm

NaF에 죽염이 포함된 2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1,000 ppm NaF에 죽염이 포함되지 않은 3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1,000 ppm NaF를 포함하고 있는 2, 3군을 비교

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죽염이 포함되어 있는

2군이 죽염이 포함되지 않은 3군에 비해 높은 재광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불소를 전혀 포함하지 않은 4군은 1군, 2군, 3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관찰

1군(1,500 ppm NaF), 2군(1,000 ppm NaF+2% BS)은 모든

실험군 중에서 가장 치밀하며 표면이 재석회화 된 양상으로 구

형의 결정구조가 촘촘하게 재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3군(1,000

ppm NaF)은 4군(Free Fluoride)과 비교하였을 때 재결정화 양상

을 보이고 1군, 2군과 비교하였을 때에는 탈회된 공극을 확인 할

수 있다. 4군(Free Fluoride)은 표면에서 탈회양상이 관찰되며 재

광화 양상이 강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Fig. 1).

3. 원자힘현미경을 통한 표면거칠기 관찰

AFM으로 각 군의 표면거칠기를 확인한 결과 다른 군들에 비

해 1군(1,500 ppm NaF)의 병소의 깊이가 적고 표면거칠기가 가

장 낮은 소견을 보였으며 2군(1,000 ppm NaF+BS 2%)이 3군

(1,000 ppm NaF)에 비해, 그리고 불소를 함유한 군들이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4군(Free Fluoride)에 비해 병소의 깊이가 적게 나

타나 표면거칠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소견을 보였다(Fig. 2).

고 안

1942년 NaF함유 치약에 대한 임상실험14)이 시작된 이후, 유럽

Table 3. Effects of the different dentifrices on lesion surface hardness according to chemical cycling methods (unit: VHN)

Group NTreatment Difference*

(△VHN) Before (0 day) After (15 day)

1,500 ppm NaF 12 36.57±5.19 146.94±14.16 110.36±15.26a

1,000 ppm NaF+2% BS 12 36.70±5.00 141.33±12.49 104.63±13.23a,b

1,000 ppm NaF 12 36.68±4.94 130.88±17.45 94.19±15.95b

Free Fluoride 12 36.72±4.79 55.54±3.87 18.82±4.71c

BS: Bamboo salt.

Values are mean±SD.

*P<0.05, by one way ANOVA.a,b,cThe same letter indic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Duncan’s test at α=0.05.

Page 4: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김애옥 외 |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273

전체 치약시장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15)할 정도로 불소함유 치

약의 발전은 급성장을 이루었다. 예방치과학의 발달과 그에 따른

임상적 시행, 여러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치약 내 불소의 효용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불소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보

편적으로 사용되는 치아우식예방제제로서 인체에 다양하게 접근

되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에 최초로 불소치약이 시판되었으

며, 현재는 대부분의 시판 치약이 불화나트륨과 일불소인산나트륨

등의 불소화합물을 기본적으로 배합하고 있다. 일불소인산나트륨

의 경우 각종 연마제에 대하여 안정적인 강점에도 불구하고 치약

의 효능에 관한 여러 연구 결과16,17)에 따르면 불화나트륨 함유 치

약이 일불소인산나트륨 보다 치아우식의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

라 초기우식을 더욱 재광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본 연구에

서 치약에 배합된 불화물은 불화나트륨으로 설정하였다.

Fig. 1. SEM images of bovine teeth

surface after treatment (A: 1,500 ppm

NaF, B: 1,000 ppm NaF+2% BS, C: 1,000

ppm NaF, D: free fluoride, 1: ×50,000, 2:

×100,000).

A2

B2

C2

D2

A1

B1

C1

D1

Page 5: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J Korean Acad Oral Health | 2016;40:270-276274

우리나라에서 치약의 유효 성분으로 불소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치아우식 예방물질로서 치약에 배합된 불

소화합물로 인해 치약이 효과적인 약리작용을 갖게 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한국건강증진개발원10)은 2016년 보도자료에서 우

리나라 12세 아동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우식을 경험하고 있으며,

매년 4조원 이상의 비용이 지출되는 심각한 사회적 부담으로 작

용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불소치약의 사용을 권장하였다. 특히 불

소치약의 농도가 1,000 ppm에서 1,500 ppm으로 상향 조정되면

서 1,500 ppm 불소함유 치약의 사용과 그 효용이 기대되는 시점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기존 국내 시판치약의 상한 농도인 1,000

ppm과 1,500 ppm의 비교를 통하여 초기우식 병변에서 고농도

불소치약의 효용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치약 내 불소의 형태는 불활성화 상태로 흡착된 형태나 유리불

소이온, 용액형태의 불소화합물 등으로 존재하며18), 치약으로 인

한 재광화 현상은 치약에 함유된 이러한 형태의 불소 성분이 치아

구조에서 불화칼슘으로 결합되고, 인산염이 존재하거나 특정 열역

학 상태에서 불화인회석으로 재결정화됨으로 일어난다19). 불소의

작용으로 인해 산에 의한 법랑질의 용해도는 낮아지며, 불소함유

치약으로 인한 이러한 예방효과는 치약 중의 불소량, 치약의 화학

적 조성과 물리적 성질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불소함유 치약의 농도를 각각 440 ppm과 1,450 ppm으로 설

정하여 5-6년 동안 7,422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20)

에서 1,450 ppm 불소함유 치약군이 440 ppm 불소함유 치약군

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우식 양상이 적었음을 보고하였다. 불

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우식 양상이 유의하게 적게 발

생한 이러한 연구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에서 15일 실험 처치 후

표면미세경도가 불소의 농도가 가장 높은 1,500 ppm NaF군에서

146.94 VHN으로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가 가장 높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이러한 경도변화가 1,500 ppm NaF함유 치약

이 1,000 ppm NaF함유 치약보다 더 재광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1,000 ppm NaF에 죽염을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표면미

세경도값을 보인 1,500 ppm NaF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으며 죽염이 포함되지 않은 같은 농도의 1,000 ppm NaF치약보

다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더 높은 표면미세경도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죽염이 치아의 재석회화와 관련하여 표면미세경도 증가에 도

움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존 연구에서 초기우식병소에 죽염과 NaF를 혼합한 치약을

Fig. 2. AFM images of bovine teeth surface after treatment (A: 1,500 ppm NaF, B: 1,000 ppm NaF + 2% BS, C: 1,000 ppm NaF, D: free fluoride).

0

40

20

0

202.5

5

7.5

10

nmA B

C D

�m

4020

020

2.5

5

7.5

10

0

�m

nm

0

80

40

0

40 2.5

5

7.5

10

nm

�m

8040

040

2.5

5

7.5

10

0

�m

nm

0

2.5

5

7.5

10

nm

�m

8040

040

2.5

5

7.5

10

0

�m

nm

0

40

0

2.5

5

7.5

10

nm

�m

8040

040

2.5

5

7.5

10

0

�m

nm

80

40

80

40

0

40

Page 6: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김애옥 외 |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275

처리하였을 때 NaF 치약군에 비하여 죽염과 NaF를 혼합한 치약군

에서 무기질 손실량이 더 적었고, 내산성 증진 효과가 있음을 보

고21)하였는데, 이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법랑질 경도 변화와 관

련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 상에서 1,500 ppm NaF

군과 죽염을 첨가한 1,000 ppm NaF군에서 죽염을 첨가하지 않은

1,000 ppm NaF군보다 법랑질 공극 부위가 더 촘촘하며 표면이

재석회화 된 양상으로 구형의 결정구조가 치밀하게 재형성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죽염에 각종 무기질 성분들이 존재한다는 연구결과22)와 죽염

과 NaF를 혼합하여 법랑질 표면하방의 재광화 양상에 대한 기존

연구13)에서 표면하방 150 mm까지 Ca, P, F의 수치가 증가하였고,

NaF만 사용한 경우보다 죽염과 NaF를 혼합하여 적용한 군이 불소

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도 초

기우식병변에서 이러한 죽염의 무기질 성분들이 표면하방의 미세

공극으로 침투하여 법랑질 공극을 메우고 대조군보다 표면을 조밀

하게 재석회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죽염은 초기우식 치면

에서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던 무기질 성분들과 함께 불소의 효

과적인 침착을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한 원자힘현미경은 색이 어둡고 진할

수록 거칠기가 크고 색이 밝아질수록 거칠기가 적음을 보여주는

데 원자힘현미경 상에서도 1,500 ppm NaF군의 병소의 깊이가 적

고 표면거칠기가 가장 낮은 소견을 보였으며 죽염을 첨가한 1,000

ppm NaF군이 죽염을 첨가하지 않은 1,000 ppm NaF군보다 병소

의 깊이가 적고 색상이 밝은 양상을 보여 표면거칠기가 상대적으

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면미세경도값과 주사전자현미경

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고농도의 1,500 ppm NaF군이 다른 군

들에 비해 더 높은 재광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인공우식법랑질에서 고농도의 불소와 죽염의 영향

을 살펴본 것으로 이미 탈회로 인해 칼슘 등 무기질이 많이 소실되

어 있는 상태로 정상법랑질보다 불소의 작용이 더 효과적일 것으

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또한 본 연구

에서 시행된 순환처리 과정은 인공타액만을 사용한 것으로 구강

내 환경을 정확히 재현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치면세

균막 내에서 불소의 작용을 포함한 임상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여

겨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죽염이 불소의 재광화에 미치는 양상이

추후 1,500 ppm의 고농도 불소함유 치약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내는가에 대한 연구와 본 연구에서 시행된 우식 환경 외에도 치

아 경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부식 환경에서도 효과적인지에 대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국

내 시판과 사용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치아우식증 예방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죽염을 불소와 함께 사용하는 것은 불

소의 재광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고려된다.

결 론

초기 인공우식 법랑질 표면에 농도가 다른 불소 또는 죽염이

함유된 치약을 처리시 법랑질의 재광화 효과를 평가한 결과 표면

미세경도 변화에서 불소가 함유되어 있는 치약이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치약에 비해 유의한 재광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또한 불소의 농도가 높은 치약(1,500 ppm NaF)이 불소의 농

도가 낮은 치약(1,000 ppm NaF)에 비해 재광화 효과가 높은 경향

을 보였으며, 2%의 죽염과 1,000 ppm NaF를 포함하고 있는 2군

이 1,500 ppm NaF를 포함하는 1군과 유사한 재광화 효과를 나타

내며 불소만 함유된 3군보다 표면미세경도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

다.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한 표면 관찰 결과에서

도 죽염과 불소가 함유된 경우 더욱 치밀하고 규칙적인 표면양상

을 나타내 재광화가 강하게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1,500 ppm NaF를 함유한 치약이

1,000 ppm NaF를 함유한 치약에 비해 더 높은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 불소함유 치약에 죽염이 추가될 경우 불소와 함

께 상호작용을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치아우식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of a WHO Expert Committee on

oral health status and fluoride use. Geneva:World Health Organiza-

tion;1994:1-37.

2. Shani Ann Mani. Evidence-based clinical recommendation for fluo-

ride use : a review. Arch Orofac Sci 2009:4;1-6.

3. Horowitz HS. The 2001 CDC recommendations for using fluoride

to prevent and control dental caries in the United States. J Public

Health Dent 2003;63:3-8.

4. Marinho VC, Higgins JP, Sheiham A, Logan S. Combinations of topi-

cal fluoride (toothpastes, mouthrinses, gels, varnishes) versus single

topical fluoride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adoles-

c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4;(1):CD002781.

5. FDI World Dental Federation. Promoting dental health through

fluoride toothpaste 2008. Stockholm:FDI World Dental Federation;

2008.

6. Murry JJ, Rugg-Gunnn AJ. Fluorides in caries prevention. 2nd ed.

Bristol:John Wright & Sons;1982:101-121.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edicines etc standard manufac-

turing standards some revision notices(011-37).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2011:1-24.

8. Kim JH, Jeong SS, Choi CH, Hong SJ. Fluoride concentration of

commercial dentifrices and effect of fluoride containing dentifrices

on artificial enamel carie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6;30:56-

66.

9. FDA 21 CFR Parts 310, 355 and 369 Anticaries drug products for

over-the- counter human use ; Final monograph. Feder Reg 1995:

60:52474-52510.

10.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What’s in the toothpaste?

Tooth decay prevention?. seoul:Korea health promotion founda-

tion;2016:1-4.

11. Europäische Kommission Scientific Committee on Cosmetic Prod-

ucts and Non-Food Products. Opinion of the Scientific Committee

on Cosmetic Products and Non-Food Products Intended for Con-

Page 7: 법랑질 초기우식병소에서 1,500 ppm 불소함유치약의 재광화효과 · 2017-01-05 · Methods: Experimental early artificial carie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one

J Korean Acad Oral Health | 2016;40:270-276276

sumers: The safety of fluorine compounds in oral hygiene products

for children under age of 6 years. SCCNFP 24th plenary meet-

ing;2003:1-26.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edicines etc Standard manufac-

turing standards Some revision notices(014-152). cheongju: Minis-

try of Food and Drug Safety;2014:1-9.

13. Ha MO. The effect of bamboo salt on remineralization of subsurface

of incipient caries enamel [master’s thesis]. Gwangju:Chonnam Na-

tional Uni- versity;2016. [Korean].

14. Bibby BG. A test of the effect of fluoride-containing dentifrices on

dental caries. J Dent Res 1945;24:297-303.

15. Marthaler TM1, O’Mullane DM, Vrbic V.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in Europe 1990-1995. ORCA Saturday afternoon symposium

1995. Caries Res 1996;30:237-255.

16. White DJ. Reactivity of fluoride dentifrices with artificial caries II.

Effect on subsurface lesions: F uptake, F distribution, surface hard-

ening and remineralization. Caries Res 1988;22:27-36.

17. Damato FA, Stephen KW KW, Edgar WM. In situ remineralization

studies using SMFP and NaF dentifrices. JDR 1994;73(Abstr):272.

18. Hagen AR. The state of fluorine in dentifrice systems. Acta Odont

Scand 1972:30;167-186.

19. Kwon JH, Park, HW, Lee JH, Seo HW. The analysis of remineraliza-

tion effect in fluoride varnish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

croscpoe.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8;35:57-64.

20. Davies GM, Worthington HV, Ellwood RP, Bentley EM, Blinkhorn

AS, Taylor GO, et 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ive-

ness of providing free fluoride toothpaste from the age 12 months

on reducing caries in 54-year old children. Community Dent

Health. 2002;19:131-136.

21. Ha MO, Choi CH, Youn HJ, Hong SJ. The effect of dentifrice con-

taining bamboo salt on the acid resistance of enamel.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0;34:482-490.

22. Kim HL , Lee SJ, Lee JH, Kim IC. Sulfur dioxide, mineral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generated during manufacture of

bamboo salt.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43:1248-1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