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18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1호, 16-33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1) 김신영 2) 요약 수적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긴 하나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명백한 정체성을 부여 받은 적도 없고 또한 소위 ‘386 세대’에서 나타나는 동세대인으로서의 동질감도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에는 베이비붐 세대의 실체, 이들의 삶과 의식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노력의 부족 또한 기여를 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 연구는 판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베이비 붐 세대와 노령 세대가 질적으로 다른 집단인지 여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문화적 활동,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고급문화향 유와 관련된 문화적 의식 및 활동정도가 주요 독립변수로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적 활동 측면에서의 차이는 두 세대를 구분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급음식문화에 대한 태도와 문화활동에 대한 선호 등 두 변 수는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를 유의하게 판별하였다. 주요용어 : 베이비 붐 세대, 고급문화활동, 판별분석 1. 서론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계급계층이나 젠더와 같은 고전적 사회 학 변수들과 함께 새로운 범주로서 세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다. 그러나 세 대에 대한 논의의 활발해짐과는 달리 세대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개념정의에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개념정의의 어려움에는 세대개념의 다차원적 사용에도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행위자, 분석틀로서 사회변화를 반영하 는 시대적 반영물, 또는 자본이나 정치적 이해를 실현하기 위한 허구적 기획물 등은 세대개념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예들이다. 많은 이견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세대 연 구자들이 동의하는 지점은 세대는 거시적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를 동시대적으로 경 험한 집단이며 사회변화의 역동적 과정 속에서 생물학과 역사가 만나는 지점에서 형 성된 개인 행위에 대한 실제적 구속력을 가지는 사회현상이라는 것이다. 세대 개념은 학문적으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가계 단 위의 세대구분, 생애주기의 동일한 단계, 동세대개념, 그리고 같은 역사를 공유한 코 호트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한국사회학회, 1994, 박길성 외, 2005). 기간 대부분의 세대관련 연구들은 세대를 구분 짓는 주요한 사회구조적 요인들을 1) 이 논문은 2011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1-330-B00111). 2) 부교수, 한양사이버대학교 시니어비즈니스학과.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2-Ju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통계연구(2013), 제18권 제1호, 16-33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1)

김신영2)

요약

수적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긴 하나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명백한 정체성을 부여 받은 적도

없고 또한 소위 ‘386 세대’에서 나타나는 동세대인으로서의 동질감도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에는

베이비붐 세대의 실체, 이들의 삶과 의식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노력의 부족 또한 기여를 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 연구는 판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베이비 붐 세대와 노령 세대가 질적으로

다른 집단인지 여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문화적 활동,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고급문화향

유와 관련된 문화적 의식 및 활동정도가 주요 독립변수로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적 활동 측면에서의 차이는 두 세대를 구분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급음식문화에 대한 태도와 문화활동에 대한 선호 등 두 변

수는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를 유의하게 판별하였다.

주요용어 : 베이비 붐 세대, 고급문화활동, 판별분석

1. 서론

개인의 사회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계 ‧계층이나 젠더와 같은 고 사회

학 변수들과 함께 새로운 범주로서 세 에 한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다. 그러나 세

에 한 논의의 활발해짐과는 달리 세 에 한 학문 근은 개념정의에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개념정의의 어려움에는 세 개념의 다차원 사용에도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행 자, 분석틀로서 사회변화를 반 하

는 시 반 물, 는 자본이나 정치 이해를 실 하기 한 허구 기획물 등은

세 개념이 활용되는 표 인 들이다. 많은 이견에도 불구하고 부분의 세 연

구자들이 동의하는 지 은 세 는 거시 정치, 경제, 사회 변화를 동시 으로 경

험한 집단이며 사회변화의 역동 과정 속에서 생물학과 역사가 만나는 지 에서 형

성된 개인 행 에 한 실제 구속력을 가지는 사회 상이라는 것이다. 세 개념은

학문 으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표 으로 가계 단

의 세 구분, 생애주기의 동일한 단계, 동세 개념, 그리고 같은 역사를 공유한 코

호트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한국사회학회, 1994, 박길성 외, 2005).

기간 부분의 세 련 연구들은 세 를 구분 짓는 주요한 사회구조 요인들을

1) 이 논문은 2011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1-330-B00111).

2) 부교수, 한양사이버 학교 시니어비즈니스학과. E-mail: [email protected]

Page 2: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17

찾고 특정 세 가 가지는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 으나 이러한 시도들은 여 히 탐색

이며 이론 치 함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한 세 를 구분하는 집합 이고 역

사 인 경험에 한 강조는 객 구조와 주 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세 의

형성이 아닌 독립 자의식을 가진 물화된(reified) 세 이미지를 생산하는 경향을 보

이고 있는 듯하다. 많은 학자들이 한국사회의 세 문제에 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정작 세 연구를 한 가장 기 인 사항들, 를 들면 세 성원의 구분, 세

분류, 세 형성과정 등에 해서 합의된 바는 극히 어 보인다(Rosenthal, 2000,

상진, 2004 재인용). 이 연구의 상인 한국사회의 베이비붐 세 에 해서는 ‘베이

비붐 세 가 과연 실재(實在)하는가?’에서부터 ‘실재한다면 그들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에 한 주/객 주의 근까지 다양한 연구문제들이 존재한다. 다양

한 주제들 가운데 이 연구의 주제는 베이비 붐 세 의 분류 는 구분 가능성에 한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보이는 베이비붐 세 에 한 심은 속한 고령화의 주요 원

인 가운데 하나로서 베이비 붐 세 의 노령 세 진입이라는 국가 차원의 인구

구조 변화와 그에 한 논의 속에서 생되는 노년기의 삶에 한 일반 으로 부정

념에만 근거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최근의 베이비붐 세 에 한 심은 경제발

과 건강 교육수 의 향상, 그리고 이에 따른 사회·문화 욕구의 상승과 함께 이들

을 활동성과 생산성을 갖춘 세 , 그리고 기존의 노년 을 뛰어 넘는 자유롭고 창조

인 인생기를 할 잠재력을 갖춘 세 로 바라보고자 하는 노년의 삶에 한 탈

통화된 사회분 기에 근거하고 있다(박경숙, 2005). 그러나 역사 으로 살펴보면, 비록

수 으로 다수를 차지해 왔기는 하나 한국의 베이비붐세 는 명백한 정체성을 부여

받은 도 없고 미국의 베이비붐 세 와 같이 강력한 개인성(individuality)을 바탕으

로 사회 변화를 주도했던 도 없다. 한 소 ‘386 세 ’에서 나타나는 동세 인

으로서의 동질감도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에는 베이비붐 세 의 실체, 이들의 삶과 의

식을 조망해 보고자 하는 노력의 부족 한 기여를 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 하여 본 연구는 베이비 붐 세 의 실재여부를 경험 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물론 과거 많은 실태조사 연구들은 베이비붐 세 가 과거의 노

령 세 와는 질 으로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태조사에 기반을 둔 기

술 연구가 가지는 한계는 여 히 존재한다. 이 연구는 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베이비 붐 세 와 노령 세 가 질 으로 다른 집단인지 여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분석을 한 모형에는 기존 베이비 붐 세 의 특성을 악하기 하여 활용되었던 많

은 변수들이 투입되었으나 이 연구는 그 에서 베이비 붐 세 의 문화 활동, 좀

더 구체 으로 말하자면 고 문화향유와 련된 문화 의식 활동정도를 주요 독

립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 세 에

한 이론 논의들이 개 될 것이다. 다음으로 이 베이비 붐 세 에 한 논의 그리고

과거 실태조사에서 밝 진 베이비 붐 세 와 노령 세 와의 차이들에 한 요약정리

가 이루어 질 것이다. 다음으로 베이비 붐 세 의 문화활동의 세 구분 효과에 한

실증 분석이 진행되고 분석결과가 제시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의 주요 결과에

한 요약과 함께 분석결과의 함의를 포함한 결론이 제시될 것이다.

Page 3: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18 김신영

2. 이론적 검토

2.1 세대론 개괄

세 에 한 사회과학 심은 칼 만하임에서 비롯된다. 만하임의 문제의식은 1

차 세계 이후 유럽에서 발견된 첨 한 세 간 갈등의 원인 실태에 한 분석

에서 시작한다. 그의 핵심 주장을 요약하면, 첫째, 다양한 세 의 공존은 사회 역동

성의 증거이며 세 간 갈등과 충돌은 오히려 사회발 에 없어서는 안 될 자연스러운

상이라는 것이다. 둘째, 만하임은 실증주의 입장에서 세 를 측정 가능한 사회

상으로 제하고 30년 단 의 세 를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생애 최 30년은 성장,

발달, 교육을 심으로 이루어지고 이후 30년은 직업을 통해 자신의 삶을 능동 으로

주도해 가는 시기이며 마지막 30년은 은퇴와 더불어 자신의 삶을 정리하는 시기로 규

정된다. 셋째, 세 가 사회변화의 원동력이 되기 해서는 단순히 시간과 공간을 공유

한다는 사실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세 를 묶어주는 힘이 필요하고 이를 해서는 어린

시 의 역사 경험에 한 무의식 공유가 필요하다고 주장 한다(Mannheim, 1964).

만하임 이후 세 에 한 주요 이론 논의로는 연령계층이론과 생애주기 근법

을 들 수 있다(Riley & Foner, 1988; Demos, 1996; 한경혜, 1996). 연령계층이론에 따

르면 연령과 세 는 사회계층구조 형성의 핵심원리이며 특정 사회의 자원과 기회의

분배양식은 연령과 세 를 기 으로 구분 서열화 된다. 연령계층이론에서 바라보

는 사회란 기본 으로 연령등 에 따른 연령층으로 구분 서열화 되어 있고 같은

연령층의 사람들은 같은 시 경험들을 통하여 유사한 념, 가치, 태도, 망 등을

가지게 되고 다른 연령층과 구별된다. 그러나 연령이나 코호트 자체가 사회변동의 설

명요인은 될 수 없으며 다른 실재 사회요인들의 조야한 지표일 뿐이라는 비 한

존재한다. 한편 생애주기 근법은 개인 시간과 역사 시간이 교차하는 과정에 주

목하며 사회 으로 구조화되고 사회구성원들에 의해 보편 으로 인식되는 사회 시

간표(social timetable)를 강조한다. 사회 시간표는 특정시기에 수행해야 할 개인의

목표와 역할에 한 규범체계를 제공하게 된다. 표 인 시기별 과업으로는 결혼, 출

산, 교육, 취업, 은퇴 등이 있다. 생애주기 근법의 에서 세 는 특정한 역사

시간을 공유하는 집단으로서 특정 세 가 공유한 역사 경험은 해당 세 특유의 가

치 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세 를 둘러싼 이론 논의는 크게 세 구조, 세 형성, 세 실천의 주제를 심으

로 이루어져 왔다. 세 구조란 동일한 역사 경험을 가지면서 동시 에 태어난 사람

들이 공유하는 객 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동일한 출생코호트에의 소속과 역사

경험의 공유가 자동 으로 세 형성을 보장해 주진 않는다. 세 가 형성되기 해

서는 공통의 출생시기와 경험을 토 로 하는 독특한 정체성, 자의식, 연 감 등에

한 공유가 필요하고 실제 사회변동을 이끌어 내기 해서는 이러한 세 의식 형성 과

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세 는 세 구조에서 세 형성으

로의 발 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세 구조에서 세 형성으로의 질 발 에 한 논

의는 마르크스주의 계 론의 즉자 계 의 자 계 화를 연상시킨다. 마지막으로

Page 4: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19

세 실천은 세 형성 이후 강한 결속력을 통해 사회변동의 세력으로 나서게 됨을 의

미한다. 일반 으로 정치운동 역에서 거론되는 운동세 의 경우 세 실천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일반 으로 세 실천은 특정 세 의 심과 이해의 구 을 목표로 이

루어지게 되며 특정정당이나 정책에 한 지지를 통해 세력화를 도모한다.

2.2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

한국의 베이비붐 세 란 일반 으로 한국 쟁 이후 1955년부터 1963년생을 지칭하

며 2010년 재 약 712만 명으로 체 인구의 약 14.6%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 고 비노인의 비율 한 매우 높아 고령사

회로의 진행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비노인집단인 베이비 붐 세 가

노년인구로 진입하게 될 경우 심각한 인구학 구조의 양 불균형을 야기하게 될 것

으로 망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 에 한 사회 심이 높아진 이유는 이들이 향

후 10여년에 걸쳐 량으로 퇴직집단에 편입됨으로써 생산 장에서 노동력이 감소하

게 되고 자산시장의 수 불균형으로 인해 자산가격의 하락이 시작되며 사회복지비용

을 증 시켜 국가재정을 압박할 가능성에 한 염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의 베이비붐 세 에 한 학문 심은 이미 1990년 부터 계속되어 왔

다. 미래의 노인층을 구성하게 될 베이비붐 세 에 한 망에 가까운 내용들이 주

를 이루었는데, 이를테면, 조성남(1998)은 베이비붐 세 가 노인이 되는 시기에는 기

본 인 생존을 넘어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노인문제가 표출될 것으로 측하 다.

한 미래의 노인들(즉 재의 베이비붐 세 )은 월등히 향상된 교육수 을 바탕으로

빈곤에서 벗어나 경제 풍요를 리기 시작한 세 로서 보다 독립 이고 자율

인 노년의 삶을 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망하 다. 정치 인 측면에서도 미래

의 노인들은 정치 자유과 권리를 내세우고 요구하는 가치 과 태도를 가질 것으로

망하 다(박경숙, 2004).

베이비 붐 세 , 는 베이비붐 세 의 특성을 이해하기 해서는 이들이 공유하

는 역사 기억들을 살펴보는 것이 요하다. 다소 장황할 수 있음을 무릅쓰고 베이

비 붐 세 가 공유하는 기억들을 살펴보면, 이들은 한민국 역사에서 고등교

육을 받은 최 의 집단이며 많은 숫자로 인하여 생애의 요한 심 마다 치열한 경쟁

을 경험해야 했다. ‘콩나물시루 교실’, ‘ 학교 입시’, ‘고등학교 입시’는 이들 세 의 학

창시 을 상징하는 단어들이다. 베이비붐 세 의 성장과정을 보면 한마디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상징되는 조국근 화와 함께 동고동락하 다고 할 수 있다(박길성 외,

2005). 이 세 의 부분은 유년시 에 가족 내에서 사회화 과정을 겪으며 자라났고

핵가족 제도의 선두에서 청장년 시 을 겪은 까닭에 통과 신이라는 양면 가치

을 가지고 있다. 한 베이비붐 세 의 부분은 시골에서 ․고교를 다녔으나 직

장, 교육, 가족이사, 결혼 등의 이유로 10-20 에 도시로의 규모 이주를 경험 한 도

시화 세 이기도 하다. 정치·사회 으로 이들은 1960년 빈곤의 시 를 거쳐 1970년

에 청년기에 유신시기를 맞이하 고 1980년 에 사회에 진출하면서 산업화가 가져

온 경제 풍요로움과 정치 민주화의 열망사이에서 갈등하 으며 1990년 후반 동

Page 5: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0 김신영

아시아 경제 기를 겪으며 구조조정 정리해고의 최 피해자 집단으로 부상하

다. 실제로 2010년 서울 베이비부머 패 연구 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삶

에 가장 큰 향을 미친 사건으로 체 응답자의 33.6%가 1997년 동아시아 경제 기

를 지목하 다3).

그 다면 베이비 붐 세 의 재 그리고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지 까지 진행되

어온 베이비 붐 세 련 연구 조사결과들을 요약해 보면, 베이비 붐 세 의 과

거 기억들이 다소 부정 인 측면에 치우쳐 있음에 반해 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 특

히 재의 노령 세 와 비교해 볼 때 베이비 붐 세 의 모습은 그다지 부정 이지만

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과거의 노년층과는 달리 새로운 라이 스타일을 형성

해 나가고 있으며 이들의 고령화는 새로운 산업 수요를 발생시킬 것이라는 기 감

한 존재한다. 정부 역시 고령화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베이비붐세 에 한

정책 심을 높여 가고 있는 상태이다.

은퇴 후 삶에 해서 베이비붐 세 는 노령 세 와는 다른 을 보이고 있다. 일

반 으로 노령 세 가 강요된 은퇴에 한 수동 응과 이에 따른 즐겁지 않은 여

가 투성이의 일상으로 특징 지워지는 반면 베이비붐 세 는 은퇴 후의 삶에 해 경

제 불안감이 없진 않으나 새로운 삶에 한 정 기 감 한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경제 인 측면 이 외 여가생활, 부부· 가족 계, 건강문제 등에 해서는 정

인 망과 기 를 가지고 있었다. 한 베이비붐 세 의 42.3%는 노후에 취미생활을

하고 싶고, 16.8%는 자원 사를, 9.1%는 종교 활동을 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나 은퇴

후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능동 이고 극 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 2010). 베이비붐 세 와 노령 세 는 성공 노화에 한 인식에 있

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정병은, 이기홍, 2010) 성공 노화와 자녀에

한 기 와 련하여 노령 세 는 가족 심 가치 과 자녀를 한 부모의 헌신을 여

히 강조한 반면 베이비붐 세 는 자녀로부터 독립 이고 자율 인 노년기를 성공

노화로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활동 측면에서 역시 노령 세 와 베이비붐 세 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술행사 람이나 술창작활동 참여의향 등에 있어서 베이비붐 세 는 노령 세 에

비해 압도 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람여부: 노인 24.7% vs 베이비붐

64.7%; 창작활동참여의향: 노인 2.5% vs 베이비붐 7.1%, 한국문화 정책연구원,

2010). 문화 술 스포츠 람행 역시 노인과 베이비붐 세 는 큰 차이를 보 다

(노인 13.9% vs 베이비붐 46.4%, 통계청, 2005). 보다 최근 자료 역시 문화 활동 측면

에서 베이비붐 세 와 노령 세 가 질 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을 보여 다. 통계청

의 2009 사회조사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 는(40 50 ) ‘신문구독비율’, ‘인터넷 신

문 비율’, ‘1인당 평균 독서권수’, ‘국내 경험’, ‘해외 경험’, ‘ 시설 이용

경험’, ‘문화 술 스포츠 람(평일 주말)’등에서 노령 세 에 비해(65세 이상)

월등히 높은 참여 정도를 보 다.

3) 다음으로는 1980년 주민주화운동(8.9%), 1979년 10.26 사태(6.7%), 1974년 육 수 여사 격사건

(5.7%), 2009년 노무 통령 서거(5.6%), 2010년 천안함 사건(4.9%) 등이 조사되었다.

Page 6: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1

3. 연구가설: 베이비붐 세대 문화활동의 세대 구별 효과

베이비 붐 세 에 한 ·정책 심의 이면에는 베이비 붐 세 의 노령 세

로의 진입이 한국 사회가 속한 고령화의 길을 걷게 되는 주요한 이유 가운데 하

나라는 사실이 존재한다.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련된 사회정책을 포 하는 제 2차

출산·기본계획에 베이비 붐 세 의 노후 빈곤 방을 한 선제 응이 독립된

장으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 역시 베이비 붐 세 가 노령 세 로 진입할 경우

상되는 심각한 문제들에 한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많은 연구들에서

한국의 베이비 붐 세 는 ‘ 고령자 집단’ 는 ‘ 기 고령자 집단’이라는 이름으로 불

리며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의 노령 세 와는 다름을 보이고 있다(김미령, 2011; 한경

혜 2010, 김 2011, 서수복, 2010). 결국 베이비 붐 세 에 한 학문 ·정책 ·

심은 새로운 노년세 의 등장 가능성에 있으며 이 연구의 목 한 이제 막 노

령 세 로의 진입을 시작한 한국의 베이비 붐 세 가 단순한 노령 세 로의 편입이

아닌 기존의 노령 세 와는 어떻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가라는 주제에 한 조심

스러운 탐색에 있다.

이미 과거의 연구들은 미국과 일본의 경험을 근거로 한국의 베이비 붐 세 가 기

존의 노년 세 와는 다른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측을 한 바 있다. 기본 인 생존을

넘어선 보다 높은 수 의 삶의 질을 추구할 것이라는 측은 베이비 붐 세 의 높아

진 교육수 과 빈곤은 벗어난 경제 풍요로움에 근거한다. 한 정치 자유와

권리를 주장하는 가치 과 태도를 가질 것이며 질병이나 빈곤과 같은 기본 인 욕구

역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노후를 안락하고 풍요롭게 하려는 욕구를 가질 것이

라는 측도 존재한다(조성남, 1998; 박경숙, 1999).

이러한 작업들의 연속선상에서 이 연구는 한국사회 베이비붐 세 의 자리매김을

한 작업의 일환으로 베이비붐 세 와 노령 세 의 차별 세 경험에 주목하고자

한다. 세 를 구분하는 다양한 세 경험 가운데 이 연구는 베이비붐 세 의 변화하는

문화 여가활동에 을 맞추고자 한다. 문화 행 에 따른 세 구분은 정치

역과 함께 소 ‘한국 세 론’에 따른 한국 사회 세 구분의 핵심 축으로 논의되어

왔다. 여기에는 1990년 이후 ‘신문화세 론’, 그리고 2002년 선결과 등이 주요하게

작용해 온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핵심가설은 “베이비붐 세 의 문화활동은 그들을

노령 세 로부터 구별해내는데 유의한 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연구가 던지는 질문은 “응답자의 다양한 특성들(사회인구학 특성, 정치 성향, 계

층 지 등)을 고려할 때 응답자의 문화 행 들은 그들을 세 로서 구분하는데

유의한 도움을 주는가?”이다.

문화 행 를 통한 세 연구는 문화자본에 한 이론 토 에서 진행되었다.

문화자본이란 상징 표 이 화폐나 재산과 마찬가지로 사회의 지배계 에 의하여 결

정된 교환가치라는 주장에 근거하여 성립된 개념이다. 즉 문화자본이란 돈, 상품 등과

같은 경제 자본과 조되는 비경제 자본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지배문화와 상 된

언어규칙, 지식이나 상징 의미체제, 사고나 행동유형, 가치, 심미 취향, 성향 등을

지칭하는 것이다(Bourdieu and Passeron, 1970). 문화자본 개념의 활용은 주로 근

Page 7: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2 김신영

고등교육의 계 재생산 효과를 논의하는 데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세 의 특성

을 악하는데도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의 주제와 련된 문헌을 살펴보면, 이기홍

(2005)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개념을 노년기에 용하여 한국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에 경제력뿐만 아니라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정도가 정 으로 향을 미치고 있음

을 밝 냈다. 보다 최근 연구에서 권 정과 박화옥(2008)은 베이비붐 세 의 문화활동

에 한 문화자본의 효과를 분석하 는데, 분석 결과 총 8개의 역의4) 참여 여부에

응답자들의 문화자본 보유 정도는 유의하게 정 인 효과를 보 다. 이상의 연구결

과들은 한국의 년 이상 연령집단의 특성 악에 문화자본 개념의 용이 효과 일

수 있음을 보여 다고 할 수 있다.

문화자본에 한 논의는 그것의 개념에서부터 시작하여 활용 역에 이르기까지 매

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이 지면에서 그것들을 모두 다루고자 하지 않는다. 이

연구가 문화자본에 한 이론 ·경험 논의들에서 차용하고자 하는 부분은 고 문화

의 향유에 한 것이다. 사실 문화자본을 연구하는 상당수의 학자들은 통 고 문

화 형태에 한 친숙함 는 지배 인 문화코드 습 에의 능숙함과 친숙함으로 정

의되는 고 문화자본에 심을 기울여 왔다(Kilbride, 2000; Jeannote, 2003). 이 연구

역시 고 문화에 한 인식 실제 향유, 음식문화, 언어사용 등의 고 문화자본 지

표들을 활용하여 이것들이 과연 한국사회의 베이비붐 세 와 노령 세 를 유의하게

구분해 주는 바로미터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경험 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4. 분석

4.1 분석자료 및 조사도구

이 연구는 2010년 수행된 ‘한국인의 문화자본에 한 인식 실태조사’ 자료(이

하 문화자본 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문화자본 조사의 표본은 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남·여 2,000명을 상으로 2010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성

별, 연령별, 지역별 표본 크기를 산출 한 후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를 바탕으

로 작성한 260,000개의 표본조사구(PSU) 10%에 해당하는 26,000개의 일반조사구

(표본조사구에서 집단시설 조사구 섬 지역 조사구 제외)를 표본틀로 활용 하 다.

계속해서 국을 16개 층으로 층화한 후 층 내에서 층화집락추출 방법으로 2,500개

표본 조사구를 1차로 추출하고 면단 지역을 제외한 후 200개 조사구를 무작 로 추

출하 다. 각 조사구별로 조사 상 가구를 10가구 내외 추출 한 후 조사 상 가구 내

에서 만 19세 이상 가구원 1인을 무작 로 선정하여 조사하 다. 구조화된 설문지

를 이용하여 1:1 면 면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편집 부호화 과정을 거쳐서

분석에 사용되었다. 질문의 주요 내용은 문화자본을 범주화하는 인지 경계의 척도

를 명확히 하려는 의도 하에 다양한 문화 활동들에 한 ‘선호’와 ‘실제 참여 행 ’, 어

4) 8개 역은 문화 술 직 람, 문화 술창작 발표, 문화시설 이용, 문화 술 동호회 활동, 체육활동

람, 역사문화유 지 방문, 거리 지역축제 참가, 그리고 사이버 매체 참여 활동 등이다.

Page 8: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3

떤 문화 취향이나 실천이 우리 사회에서 ‘고 스럽다’, 는 ‘멋지다’라고 인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문항들 주로 구성되었다. 역별로는 고 문화와 문화

의 역이 범 하게 다루어졌다.

이 연구는 체 응답자들 가운데 1963년 이 출생자들만을 분석 상으로 하고

있다. 체 문화자본조사 응답자 가운데 1963년 이 출생자들은 총 840명이었으며

체 응답자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베이비붐 세 , 즉 1955년에서

1963년 사이 출생자(47-55세)들은 367명으로 1963년 이 출생자 가운데 43.7%를 차

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이 후 노령 세 는 56.3%는(56세 이상) 1954년 이 출생자들

이다. 분석 상 응답자 가운데 51.9%가 여성이었으며(N=436), 57.4%는 직업을 가지고

경제활동에 참여를 하고 있었다. 거주 지역 별로 살펴보면, ‘서울을 포함한 역시 지

역’이 45.5%(N=382), ‘기타 시 지역’이 48.2%(N = 405)로 나타나 분석 상 부분이

‘시 지역 이상 규모’의 지역에 거주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분석 상 응답자들의 경제

상황을 알아보기 하여 가구수입을 물은 결과, ‘200만 원 이하’가 26.4%(N=222),

‘200만원-300만원 미만’(N=134)이 16.0%(N=156), ‘300-400만원 미만’이 18.6%(N=117),

‘400-500만원 미만’(N=100)이 13.9%, ‘500만 원 이상’이 약 25%(N =210)인 것으로 나타

났다.

이 연구의 핵심주제인 베이비붐 세 와 노령 세 와의 구분 가능성을 측하기

해 구성된 별모형에 투입 될 독립변수들은 크게 응답자의 사회·인구·경제 특성,

응답자의 문화 행 에 한 특성, 응답자의 정치 태도, 그리고 마지막으로 응답자

의 주 행복감과 역별 삶의 만족도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먼 응답자의 사

회·인구·경제 특성은 응답자의 성별, 교육수 , 주 생활수 , 응답자 가구의 한

달 수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 행 에 한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통제변수

들은 기존 베이비 붐 세 에 한 조사연구들에서 논의되었던 변수들을 심으로 선

택되었다. 가능한 많은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시킴으로서 모형의 설명력을 높임과 동

시에 2차 자료의 활용 폭을 최 화 하고자 하 으나 그것이 모형 구축의 자의 성격

을 여 주지는 못함을 인정한다.

이 연구의 핵심 독립 변수인 응답자의 문화 행 에 한 특성은 응답자의 주

문화소양 정도, 문화 활동 선호정도, 문화 활동 정도, 문화·교양 채 시청 정도,

고 음식 문화에 한 태도, 여가를 한 단체나 사회참여 정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 소양에 한 주 태도는 응답자의 ‘문화 소양’, ‘고 스러운 취향’,

‘미 기 ’, ‘다양한 취향’, ‘최신 문화 트 드’, ‘문화 소양의 요성’을 묻는 문항들

에 한 합산으로 측정되었다(Cronbach alpha = .776). 응답자의 문화 활동 선호 정도

는 ‘연극 람’, ‘뮤지컬 람’, ‘클래식 오페라’, ‘ 음악 콘서트 람’, ‘ 화 람’, ‘미

술 시회 람’, ‘무용 공연 람’, ‘사진 시회 람’, ‘문학 작품 읽기’, ‘클래식 악기

연주’, ‘밴드 악기 연주’, ‘미술 활동’, ‘소설 는 시 쓰기’, ‘사진 기(셀카 등 일상

인 사진 제외)’, ‘발 , 한국무용, 무용 하기’, ‘최신 유행 춤추기’등 열여섯 개의 문

화 활동에 한 선호정도를 합산하여 측정하 다(Cronbach alpha = .781).

응답자의 문화 활동 정도는 과거 일 년 간 ‘연극 람’, ‘뮤지컬 람’, ‘ 음악 콘

서트 람’, ‘ 화 람’, ‘미술 시회 람’, ‘사진 시회 람’, ‘문학 작품 읽기’, ‘사

Page 9: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4 김신영

진 기(셀카 등 일상 인 사진 제외)’ 등에 하여 실제 경험 정도를 물은 후 합산하

여 측정하 다. 원 자료는 총 열 여섯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자주 한 편이

다’와 ‘매우 자주 했다’라는 응답이 체 응답의 5%를 넘지 않는 문항의 경우 독립 변

수의 변량축소를 고려하여 분석에서 삭제하 다. 문화 교양 채 시청 정도는 ‘뉴스

보도’, ‘교육 로그램(학습, 외국어 등)’, ‘교양 로그램(자연 다큐멘터리, 건강, 역

사, 고 강의 등)’, ‘시사 로그램(시사 다큐멘터리, 정치나 경제 토크 쇼’, ‘순수 술

로그램(고 음악, 미술 등)’ 등의 로그램에 한 실제 시청 정도를 합산 하 다

(Cronbach alpha = .660). 고 음식 문화에 한 태도는 ‘유기농 식품’, ‘과일과 야채’,

‘균형 있는 양소 섭취’, ‘재료의 질’, ‘제철 음식’, ‘지역의 맛 집’ 등 열여섯 개의 문항

을 합산하여 측정하 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여가를 한 사회참여 정도는 ‘종교나

교회단체’와 ‘스포츠 크리에이션’ 등을 한 회원가입 활동여부를 합산하 다.

원 자료는 ‘ 술, 음악, 교육, 문화 단체’, ‘정당, 인권 등 사회단체’등이 있었으나 참여

여부 정도가 극히 낮은 수 이어서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응답자의 정치 태도는 응답자 자신의 정치 성향, 사회 신뢰수 , 정부의 개

입에 한 태도5)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범주는 응답자 자신의 행복감 정도

와 생활 역에 한 주 만족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의 표는 주요 변수들

의 기술 통계치이다.

<표 4.1> 주요 독립 변수 기술 통계

주요 독립 변수 문항 수 범 평균(표 편차)

주 문화소양 정도 6 6-24 15.78(4.29)

문화 활동 선호 16 16-68 40.94(10.32)

문화 활동 정도 8 8-34 21.26(4.98)

문화·교양 채 시청 정도 5 5-23 13.11(3.52)

고 음식문화향유 16 16-72 43.60(7.68)

정치 태도(진보 vs. 보수) 1 1-5* 3.38(.80)

한국사회 신뢰정도 1 0-10 5.30(1.81)

주 행복감 1 1-5 3.40(.75)

주 만족감(경제 역) 1 1-5 3.02(.84)

주 만족감(자녀 계) 1 1-5 3.78(.63)

주 만족감(여가생활) 1 1-5 3.31(.87)

정부개입찬성(빈부격차해소) 1 1-5 4.14(.75)

정부개입찬성(여성권리확 ) 1 1-5 3.51(.79)

정부개입찬성(노동자권리보호) 1 1-5 3.79(.77)

단체가입을 통한 사회참여 2 2-6 2.87(1.07)

가구 월평균 수입 1 1-7** 3.16(1.88)

가구 계 1 1-5 2.93(1.09)

주 계층의식 1 1-7 3.63(1.49)

응답자 교육수 1 1-9 4.60(2.31)

5) 정부개입에 한 태도는 ‘빈부격차 해소’, ‘여성권리 확 ’, 그리고 ‘노동자의 권리 보호’ 등을 한 정부

의 개입에 한 태도를 합산하 다(Cronbach alpha = .732).

Page 10: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5

* 응답자의 정치 태도는 1: 매우 진보 , 2: 다소 진보 , 3: 도, 4: 다소 보수 , 5: 매우 보

수 으로 측정되었다.

** 가구 월 평균 수입은 1: 199만 원 이하, 2: 200-300만 원 이하, 3: 300-400만 원 이하, 4:

400-500만 원 이하, 5: 500-600만 원 이하, 6: 600-700만 원 이하, 7: 700만 원 이상으로 측정되

었다.

*** 응답자 교육수 은 1: 졸이하, 2: 학 퇴, 3: 학졸업, 4:고교 퇴, 5: 고교졸업, 6: 문

학 퇴, 7: 문 졸업, 8: 학졸업, 9: 학원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4.2 분석결과

이 연구는 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어진 독립변수들이 노령 세 와 베이비붐

세 를 구분하는데 있어 얼마나 효과 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 으로 별분석

은 두 가지 분석 목 을 하여 활용된다. 첫째, 별분석은 일련의 독립변수들로 구

성된 모형이 집단 간의 차이를 별할 수 있는 능력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 그리

고 개별 변수들은 어느 정도의 별력을 상 으로 가지고 있는지를 알고자 할 때

활용된다. 둘째, 별분석은 체 인 구분의 유형에 개별 사례가 어느 정도 따르고

있는지를 별함수(discriminant function) 산출을 통해 식별해 내는 데 활용된다. 이

연구의 경우 분석 상의 문화 행 들이 베이비붐 세 와 노령 세 를 구별해 내는

데 어느 정도 효과 인가를 살펴보고자 하기 때문에 첫 번째 분석 목 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별함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D = B0+ B1X1+B2X2+ …………… ……BpXp(D: 별 수, B0: 별상수, B1…… Bp

: 별함수 계수, X1 …… Xp : 별함수에 사용된 독립변수)

별분석의 수행을 해서는 몇 가지 방법론 가정이 필요하다. 가장 먼 분석

에 포함된 모든 사례들은 종속 변수상 배타 인 집단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별변수는 등간척도 이상의 변수여야 하며, 독립변수들은 극단 상 계를 보여선

안 되며, 모집단의 공분산행렬은 각 집단마다 동일해야 한다. 그리고 각 집단은 다변

량 정규분포를 갖는 모집단에서 추출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경우, 분석에 투입된 모

든 독립변수들은 등간척도 이상 수 의 변수이며 독립변수 간에는 다소 높은 상 이

발견되긴 하 으나 VIF(Variation Inflation Factor)값은 모든 경우 10을 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B0X's M 검정결과 모집단의 공분산 행렬은 모든 집단에서 동

일한 것으로 나타나 분석의 기본 가정들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OX's

M=67.66, F=1.22, p=.129).

분석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한 개의 별함수가 도출되었다(Wilk's 람다 값 =

.634, χ2 = 368.83, df = 21, p = .00). 도출된 별함수의 고유값(eigenvalue)은 .557이

며 정 상 은 .605로 높게 나타났다. 고유값(eigenvalue)은 별함수가 어느 정도로

설명력이 있는지에 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통계 값이다. 고유 값의 산출

공식은 집단 간 제곱 합/집단 내 제곱 합이며 고유 값이 크면 별함수의 설명력이

Page 11: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6 김신영

높고, 작으면 별함수의 설명력이 약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일반 으로 고유 값이

0.4 이상이면 어느 정도의 측 설명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별분석에서 정 상

계수 집단과 별함수간의 상 계를 나타내며 다회귀분석의 상 계수

(multiple R)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표 4.2> Wilks의 람다 값 별 함수의 합도

함수 고유값 Wilk's 람다 χ2 정 상

1 .557 .634 368.83(df =21, p=.000) .605

다음 단계는 별함수에 나타난 독립 변수들이 갖는 별효과의 유의성을 악하

는 것이다. 먼 독립변수별 Wilk‘s 람다 값을 통해 집단별 평균값의 차이를 살펴보

면, ‘문화활동 선호’, ‘고 음식 문화 향유’, ‘정치 태도’, ‘월평균 수입’, ‘가구 계 ’,

‘교육수 ’ 등의 독립변수들이 시니어 세 와 노령 세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3> 집단평균의 동질성에 한 검정

Wilks람다 F 자유도1 자유도2 유의확률

주 문화소양 정도

문화 활동 선호

문화 활동

TV시청 정도

고 음식 문화향유

정치 태도(진보 vs. 보수)

한국 사회 신뢰 정도

주 행복감

주 만족감(경제 역)

주 만족감(자녀 계)

주 만족감(여가생활)

정부개입선호(빈부격차 해소)

정부개입선호(여성권리확 )

정부개입선호(노동자의 권리보호)

단체가입을 통한 사회참여

가구 월평균 수입

가구 계

주 계층의식

응답자 교육수

.958

.839

.924

.960

.799

.857

1.000

1.000

.997

.998

1.000

.997

.998

.990

.998

.837

.777

.976

.787

35.570

153.033

67.348

33.995

177.706

137.263

0.69

0.47

2.210

1.320

.001

2.575

1.878

8.396

1.315

160.052

235.633

19.995

222.255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820

.080

.000

.097

.111

.000

.000

.792

.829

.137

.251

.976

.109

.171

.104

.252

.000

.000

.232

.000

별함수의 계수는 비표 화 별함수 계수(Un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s)와 표 화 별함수 계수(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Page 12: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7

함수

1

주 문화소양 정도

문화 활동 선호합산

문화 활동

TV시청 정도

고 음식문화향유

정치 태도(보수 진보)

한국사회 신뢰정도

주 행복감

주 만족감(경제 역)

주 만족감(자녀 계)

주 만족감(여가생활)

.090

.267

-.007

-.105

.283

.237

-.007

.152

.112

-.045

-.001

함수

1

정부개입 찬성(빈부격차해소)

정부개입 찬성(여성권리확 )

정부개입 찬성(노동자권리보호)

단체가입을 통한사회참여

가구 월평균 수입

가구 계

주 계층의식

응답자 교육수

-.001

-0.37

-0.71

.148

.321

.514

.031

.476

function coefficients)가 있다. 비표 화 별함수 계수는 단이 불확실하고 유보된

사례수의 성향을 정하는데 는 측된 구분이 이미 주어진 사례의 구분 값과 비교

할 때 잘못 분류되었는지 여부를 별하는데 활용되며 원 자료(raw data) 값을 계산

에 활용하기 때문에 독립변수들의 상 별효과를 악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 이

를 해서는 원 자료를 표 화시켜 도출한 표 화 별함수 계수를 활용해야 한다.

표 화 별계수는 다회귀분석에서의 표 화 회귀계수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표 화 별함수 계수에 의하면 노령 집단과 베이비붐 집단의 구분에 상 으로

큰 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가구 계층’, ‘응답자 교육수 ’, ‘가구 수입’, 정치 성향‘,

‘고 음식문화선호정도’, ‘문화 활동에 한 선호정도’, ‘주 행복감’등인 것으로 나

타났다.

<표 4.5> 표 화 정 별함수계수

이 연구의 작업가설이 ‘고 문화에 한 인식 실제 향유, 고 음식문화, 언어사

용 등의 고 문화 련 지표들이 베이비 붐 세 와 노령 세 를 유의하게 구분 할 것

이다’임을 고려할 때 Wilk's 람다 값과 표 화 별계수의 결과들은 최소한 작업가설

의 부분 채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별함수 계수에 의해 분류된 결과를 보면, 노인 집단의 경우 약 76.1%(464명

353명)의 별 정확도를 보 으며 베이비붐 집단은 81%(358명 290명)의 별 정확

도를 보 다. 체 별정확도는 약 78.2%로 나타났다. 여기서 별 률은 회귀모형

의 설명력을 보여주는 R 제곱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별 률은 도

출된 별함수가 상을 얼마나 잘 분류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Page 13: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8 김신영

<표 4.6> 분류결과(단 : 명, %)

측소속집단체

노인 시니어

노인

시니어

353

68

111

290

464

358

노인

시니어

76.1

19.0

23.9

81.0

100.0

100.0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많은 조사연구들은 베이

비붐 세 가 노령 세 에 비해 교육수 , 경제력, 주 계층인식 등에서 높은 수

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해 왔으며 이 연구는 그 같은 결과들을 통계 으로 입증 하

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변수들은 평균 수에서도 세 간 큰 차이를 보

을 뿐 아니라(교육수 : 3.65(노인) vs 5.80(베이비붐), 월평균 수입: 2.51(노인) vs

4.04(베이비붐); 주 계 인식: 2.63(노인) vs 4.09(베이비붐)) 세 를 별하는데도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정치 태도 역시 과거 연구들에서 밝 진 바와

같이 베이비붐 세 는 노령 세 에 비해 덜 보수 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으며(3.52(노

인) vs 3.18(베이비붐) 차이는 통계 으로 유의하 다. 셋째, 이 연구의 주요 가설은

문화 활동에의 참여와 인식이 노령 세 와 베이비붐 세 를 별하는데 과연 유의

한가 으며 분석 결과 노령 세 와 베이비붐 세 의 문화 활동 측면에서의 차이는

두 세 를 구분하는데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 으로 고

음식문화에 한 태도(44.67(노인) vs 47.01(베이비붐))와 문화 활동에 한 선호

(38.73(노인) vs 43.84(베이비붐)) 등 두 변수는 노령 세 와 베이비붐 세 를 유의하

게 별하 다. 종속변수의 값을 기 으로 각 독립변수의 평균값이 어느 정도 차이

가 나는지에 해 분석하는 통계값인 Wilks의 람다 값 역시 ‘교육수 (.787)’, ‘주

계 치(.777)’, ‘응답자 가구 월 평균 수입(.837)’, ‘고 음식 문화에 한 태도(.829)’,

‘문화 활동에 한 선호(.839)’등으로 나타나 표 화 정 별함수 계수와 유사한 결

과를 보 다.

5. 소결

한국의 베이비 붐 세 가 노년에 진입하기 시작하는 2018년에 고령사회로, 베이비

붐 세 의 막내격인 1963년 출생자들이 노년기에 진입하게 되는 2026년에는 고령사

회에 진입하게 된다. 이후 2030년 한국의 노인비율은 체 인구의 24.3%가 되며 이는

OECD 국가 4 에 해당된다. 이처럼 한국의 고령화는 베이비 붐 세 의 고령화와

직결되어 있으며 이들에 한 사회 ·학문 심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

치지 않다. 특히 기존의 노령 세 와 구별되는 세 로서 베이비 붐 세 의 황과 특

징을 악하고 그들에 맞는 사회정책 개입의 지 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요한 작

업이다.

Page 14: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29

정부 역시 고령화에 응할 수 있는 장기 이고 종합 인 응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2차 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을 통해 베이비붐 세 에 한 정책 개입을 확

하고 있다.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소 생애주기별 복지정책에서 역시 베이비 붐 세

의 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주된 근로 생애의 성공 마무리와 동시에 생산 이고

건강한 노년 세 로의 진입이 베이비 붐 세 의 주된 과업이라면 이와 동시에 비되

지 않은 은퇴와 노후빈곤은 이들 세 를 상시 으로 하는 요인이다. 인구 고령화

시 의 베이비 붐 세 를 한 사회정책은 이들 세 의 과업 수행에 한 지원과 이

들 세 를 하는 요인에 한 사 방 는 제거를 목표로 해야 할 것이며 이

를 해서는 베이비 붐 세 의 타 세 와의 차이 는 집단 동질성에 한 연구가

필수 이다.

사회정책 함의와 함께 베이비 붐 세 의 노령 세 진입은 노화에 한 새로운

심을 불러 일으켰다. 신노년학의 주요 담론 하나는 노화에 한 부정 인 시각에

서의 탈피와 독립 이고 생산 인 노년기에 한 강조이다. ‘성공 노화(successful

aging)’ 는 ‘생산 노화(productive aging)’로 불리고 있는 노화에 한 새로운

의 형성에 베이비붐 세 의 등장은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실과 하, 그리고 은

둔으로 표되던 과거와 재의 노령 세 의 성공 노화가 소득보장과 의료보장을

심으로 신체 기능과 경제상황을 심으로 설명되었던데 반해, 베이비붐 세 의

면 등장은 성공 노화과정에서 인간생활의 정신 이고 문화 인 욕구 충족의

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이 연구 역시 베이비 붐 세 에 한 증 된 사회 심을 반 하고 있다. 기간

많은 조사연구들이 베이비붐 세 의 특수성 는 노령 세 와의 차별성을 밝 왔으

나 부분 기술 묘사에 머물러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을 두어 이 연구는 보

다 발 한 분석 기법을 통해 고 문화와 련된 행 나 태도가 실제 베이비 붐 세

를 노령 세 와 구별시켜 주는지를 악하고자 하 다. 분석결과, 노령 세 에 비해

베이비 붐 세 는 고 문화향유와 련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구별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부르디외가 이미 밝혔듯이 고 문화의 향유는 개인의 아비투스( 는 기

본원습, habitus)에 근거하며 이는 철 하게 계 이고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베이비 붐 세 가 재의 노령 세 에 비해 고 문화의 향유 정도가

높은 것은 일정 그들의 경제 상태를 반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 활동 측면에서 베이비 붐 세 의 특징은 이들 세 의 성공 노화가 어떻게

정책 으로 지원될 수 있는가에 한 시사 을 제공한다. 최근 들어 유행하고 있는

생산 노화에 한 심은 베이비 붐 세 를 포함한 기 노년층의 노동시장에서의

역할 유지를 강조한다. 문제는 성공 노화를 한 방법이 생산 노화에만 있는 것

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재 한국 고령화 정책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

붐 세 를 상으로 하는 정책들은 부분 고용유지, 일자리 창출, 빈곤, 소득보장에

치우쳐 있으며 문화 욕구의 충족은 심에서 벗어나 있는 것이 사실이다. 베이비

붐 세 의 문화 욕구와 활동은 이들 집단의 성공 노화를 한 요한 수단이며

이를 한 정책 개입의 확 가 요구 된다.

Page 15: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30 김신영

베이비 붐 세 에 한 심은 학문 임과 동시에 실천 이다. 다시 말하자면 베

이비 붐 세 의 형성과정 집단의 실체에 한 이론 근 못지않게 요한 사실

은 베이비 붐 세 의 경험과 의식에 한 냉철한 분석은 바로 ‘ 격한 변화’와 ‘불확

실성’으로 상징되는 한국사회의 성격과 미래에 한 그럴듯한 측의 단 를 제공해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베이비 붐 세 는 한국사회의 제도, 가치, 이념 등에 녹

아들어 있는 통 요소와 근 요소 그리고 탈 근 요소들을 다양한 형태의

응양식을 통하여 경험해 왔다. 세 경험의 단순한 스 치 수 을 넘어 보다 심층

이고 체계 인 경험 자료의 수집과 동시에 이들 자료에 숨겨진 의미를 해석하는

일은 수 다수집단으로서 실체를 확보하고 21세기 핵심 세 로 부상하고 있는 베이

비 붐 세 의 상에 걸 맞는 작업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갖는 한계를 지 하며 을 마무리 하고자 한다. 첫째, 특

정 세 를 상으로 하는 부분의 실증 연구들이 갖는 한계는 특정 인구집단에

한 지나치게 포 이고 일반 인 정의 내림에 있으며 이 연구 한 그것으로부터 자

유롭지는 못하다. 어 보면 베이비부머 세 는 유사한 시기에 출생이라는 개인사

경험의 공통성에 기반을 둔 인구학 정의일 뿐 그들 세 가 갖는 내부 이질성의

가능성 그리고 그것의 원인들, 컨 인 자원과 경제 자원의 축 과정, 농 과

도시 등의 거주공간의 차이, 신체 건강 노화 정도의 차이, 노동시장 참여 형태의

차이 등은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비 붐 세 내부의 이질성과 분화

가능성은 차후 연구의 숙제로 남는다.

둘째, 일반 으로 세 를 주제로 하는 연구는 코호트 효과의 확정(identification)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이는 코호트라는 개념 자체가 연령(age)과 시 (period)라는 두

축의 교차에 의해 규정되며 세 개의 효과가 항시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와

같이 횡단면 자료의 경우 효과의 혼재 문제는 매우 심각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가

능한 많은 수의 세 ( 를 들어 후 인 세 들)를 비교해 보는 것은 문제의 완벽한

해결은 아닐지라도 분석결과의 타당도를 보다 높여 수는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연구의 핵심 주제가 노령 세 에 진입하는 베이비 붐 세 와 노령 세 의 차이

에 한 것이므로 보다 다양한 인 세 와의 비교는 후속연구의 몫으로 남기고자 한

다.

(2012년 7월 26일 수, 2013년 1월 22일 수정, 2013년 3월 13일 채택)

Page 16: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31

참고문헌

권 정, 박화옥 (2008). “베이비붐 세 의 문화자본이 문화 활동에 미치는 향”, 『한

국노년학』, 28(3), 535-553.

김미령 (2011). “베이비 붐 세 , X 세 , 고령세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연

구”, 『노인복지연구』, 51, 7-34.

김 (2011). “일본 베이비 붐 세 의 은퇴와 고령자 고용학보 조치에 한 연구_한

국에의 시사 ”, 『한일경상논집』, 3-35.

박경숙 (1999). “노인의 삶의 질”. 김익기, 김동배, 모선희, 박경숙, 원 희, 이연숙, 조

성남, 한국 노령 세 의 삶_진단과 망. 서울: 미래연구인력센터.

박경숙 (2003). “세 계의 다양성과 구조”, 『한국사회학』, 36(2), 61-94.

박경숙 (2004). 『노령화와 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길성 (2002). “왜 세 인가”,『계간 사상』2002 가을호, 8-27.

박길성 (2002). “N세 의 문화와 세 경험”, 임희섭 외,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

』, 나남출 .

박길성, 함인희, 조 엽 (2005). 『 한국인의 세 경험과 문화』, 아산 단연구총

서, 제192호, 집문당.

박재흥 (1992). “한국사회의 세 문제: 질 근”, 한국사회사연구회 편,『한국산업사

회의 실과 망』, 문학과지성사.

박재흥 (2001). “세 연구의 이론 ·방법론 쟁 ”, 『한국인구학』, 24(2).

박재흥 (2003). “세 개념에 한 연구”, 『한국사회학』, 37(3), 1-23.

보건사회연구원 (2010). “베이비부머 생활실태 복지욕구에 한 조사”,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서수복 (2010), “베이비 붐 세 의 은퇴이주 요인과 주택 정책에의 함의”, 『국토계

획』, 45(5), 93-104.

이기홍 (2005).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 25(3), 1-21.

상진 (2004). “세 개념의 과잉, 세 개념의 빈곤”, 『한국사회학』, 38(5), 31-52.

정병은, 이기홍 (2009).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953-970.

정병은, 이기홍 (2010). “성공 노화에 한 세 별 인식 조사연구”, 『조사연구』,

11(2), 45-69.

조성남 (1998). 『고령화 사회와 상층 노인의 사회활동』, 집문당.

조성남, 윤옥경 (2000). “가치 과 행 양식의 세 간 차이와 유사성”, 『사회과학연

구논총』, 이화여자 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03-135.

조 성 (2010). 『문화향수실태조사』, 한국문화 연구원.

한경혜 (1993). “한국 남성의 성인기로의 이유형의 변화”, 한국사회사연구회 편,

『한국 근 가족의 재조명』, 문학과지성사, 121-171.

한경혜 (1996). “남성의 부모기로의 이와 직업역할: 이시기와의 련성을 심으

로 ”, 『 한가정학회지』, 34(2), 231-244.

Page 17: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32 김신영

한경혜 (2010). 한국 베이비 붐 세 의 가족에 한 이해. 2010년 한국가족 계학회

추계 학술 회 자료집, 9-31.

한국사회학회 (1994). 『한국사회의 세 문제』, 나남출 .

함인희 (2002). “베이비붐 세 의 문화와 세 경험”, 임희섭 외,『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 』, 나남출 .

홍두승 (1987). 『사회조사분석』, 다산출 사.

통계청 (1998~2010). 『사회통계조사』.

P. 부르디외. (1996).『구별 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상하. 최종철 역. 새물결.

Bourdieu and Passeron. (1970).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Thousands Oaks CA: Sage.

Demos, J. (1986). Past, Present, and Person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Jeannotte, M. S. (2003). Singing alone? The Contribution of Cultural Capital to

Social Cohesion and Sustainable Commun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9(1), 35-49.

Klecka, William R. (1980). Discriminant Analysis, Sage University Paper 19,

Beverly Hills: Sage.

Kilbride, K. M. (2000).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Human, Social, Cultural

Capital of Immigrant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ith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CERIS Working Paper Series, (13), Toronto: Joint

Centre of Excellence for Research on Immigration and Settlement.

Mannheim, K. (1928). 1952. " The Problem of Generations". Karl Mannheim.

Essays on Sociology of Knowled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Mannheim, M. (1964). "The Problem of Generations". Essays on Sociology of

Knowledge. Oxford Univ. Press.

Riley, M., A. Foner, & J . Waring. (1988). “Sociology of Age”. N.J. Smelser ed.

Handbook of Sociology. Newbury Park, CA: Sage, 249-290.

Rosenthal, G. (2000). "Historiche und Familiale Generationsabfolge", 162-178. in M.

Kohli & M. Szydlik (eds). Generationen in Familie und Gesellschaft.

Opladen:Leske & Budrich.

Page 18: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 · 2013-05-02 ·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33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Old-Age and Babyboom Generations: Focusing upon Cultural

Activities

Shinyoung Kim1)

Abstract

Although so-called the babyboom generation has well known from their birth cohorts, a number of questions have also arisen regarding their socio-political status as a generation.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s of high-class cultural activities upon discriminating babyboom generation and old-age generations. Utilizing national sample survey data collected in 2011, discriminant analysis shows that high-class cultural activities of the respondents significantly differentiate babyboom generations from old-age generation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babyboom generation are qualitatively different groups from old-age generations at least from cultural perspective.

Key words : babyboom generation, high-class cultural activities, discriminant analysis

1) Dept of Senior Business Management, Hanyang Cyber Univ.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