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12
INVITED REVIEW J Neurocrit Care 2010;3 Suppl 2:S96-S107 ISSN 2005-0348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학교실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Ji So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ngnam, Korea Abnormal eye movements are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findings in strokes involving the brainstem and cerebellum. Eye move- ments comprise saccades, smooth pursuit, vestibulo-ocular reflex, optokinetic nystagmus, vergence, and fixation. Since each eye movement is controlled by distinctive neural structures, careful evaluation of eye motion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diag- nosis and treatment of stroke. J Neurocrit Care 2010;3 Suppl 2:S96-S107 KEY WORDS: Stroke · Eye movement · Brainstem · Cerebellum. S96 Copyright © 2010 The Korean Neurocritical Care Society Address for correspondence: Ji So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 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66 Gumi-ro, Bun- dang-gu, Seongnam 463-707, Korea Tel: +82-31-787-7463, Fax: +82-31-719-6828 E-mail: [email protected] 안구운동장애는 뇌줄기 및 소뇌를 침범하는 뇌졸중의 가 장 흔하고도 중요한 증상이므로, 안구운동 이상에 대한 정 확한 평가는 이 부위 뇌졸중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서 핵심 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안구운동은 홱보기(saccades), 부드런따라보기(smooth pursuit) 및 시선고정(fixation), 전정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시운동성안진(opto- kinetic nystagmus), 이명성 운동(vergence)인 눈모음(con- vergence)과 눈벌림(divergence)으로 분류되며, 이들의 이 상에 의한 안구운동장애로는 시선고정장애(안진 및 sacca- dic intrusion/oscillation), 눈근육마비(ophthalmoplegia) 및 안위이상(ocular misalignment) 등이 있고 눈꺼풀 및 동공 이상도 넓은 의미의 안구운동장애에 포함된다. 뇌줄기 부위 뇌졸중 뇌줄기에는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뇌신경 및 신경핵들이 위치하며, 이들과 안구운동의 핵상(supranuclear) 조절을 담당하는 구조물들을 연결하는 신경섬유들이 치밀하게 얽 혀있으므로, 모든 부위의 뇌줄기 병변에서 안구운동장애가 관찰될 수 있다(Fig. 1). 1 안진, 눈기울임반응(Ocular tilt re- action) 및 Horner 증후군은 뇌줄기 병변에서 공통적으로 보일 수 있는 증상들이다. 중추성 안진(central nystagmus)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말초성 안진과의 일반적인 감별점은 Table 1에서와 같다. 중추성 안진이 시선고정에 의해 약해지지 않는 것은 부드런따라보기 장애가 흔히 동반되기 때문이다; 전정핵에 서 안구운동핵으로 연결되는 신경로를 부드런따라보기 및 전정신경계가 공유한다. 순수한 수직, 수평 방향의 안진이나 회선안진(torsional nystagmus)은 중추성 병변을 시사한다. 순수하게 수직 방향의 안진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양쪽 전정 기관에서 서로 대응되는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상 방안진에서는 양측 앞반고리관, 하방안진에서는 양측 뒤반 고리관)만이 선택적으로 손상되어야 하나, 말초 병변에서는 이럴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순수한 회선 안진은 한쪽의 앞·뒤반고리관이 선택적으로 침범될 때 발 생하기 때문에 중추성 병변을 시사한다. 특별히 국재화 가치 (localizing value)를 갖는 중추성 안진은 눈모음뒤당김안 online © ML Comm

Upload: others

Post on 26-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INVITED REVIEWJ Neurocrit Care 2010;3 Suppl 2:S96-S107 ISSN 2005-0348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학교실

김 지 수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Ji Soo Kim, MD, PhD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ngnam, Korea

Abnormal eye movements are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findings in strokes involving the brainstem and cerebellum. Eye move-ments comprise saccades, smooth pursuit, vestibulo-ocular reflex, optokinetic nystagmus, vergence, and fixation. Since each eye movement is controlled by distinctive neural structures, careful evaluation of eye motion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troke. J Neurocrit Care 2010;3 Suppl 2:S96-S107

KEY WORDS: Stroke · Eye movement · Brainstem · Cerebellum.

S96 Copyright © 2010 The Korean Neurocritical Care Society

Address for correspondence: Ji Soo Kim, MD, PhD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66 Gumi-ro, Bun-dang-gu, Seongnam 463-707, KoreaTel: +82-31-787-7463, Fax: +82-31-719-6828E-mail: [email protected]

안구운동장애는 뇌줄기 및 소뇌를 침범하는 뇌졸중의 가

장 흔하고도 중요한 증상이므로, 안구운동 이상에 대한 정

확한 평가는 이 부위 뇌졸중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서 핵심

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안구운동은 홱보기(saccades),

부드런따라보기(smooth pursuit) 및 시선고정(fixation),

전정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시운동성안진(opto-kinetic nystagmus), 이명성 운동(vergence)인 눈모음(con-vergence)과 눈벌림(divergence)으로 분류되며, 이들의 이

상에 의한 안구운동장애로는 시선고정장애(안진 및 sacca-dic intrusion/oscillation), 눈근육마비(ophthalmoplegia)

및 안위이상(ocular misalignment) 등이 있고 눈꺼풀 및

동공 이상도 넓은 의미의 안구운동장애에 포함된다.

뇌줄기 부위 뇌졸중

뇌줄기에는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뇌신경 및 신경핵들이

위치하며, 이들과 안구운동의 핵상(supranuclear) 조절을

담당하는 구조물들을 연결하는 신경섬유들이 치밀하게 얽

혀있으므로, 모든 부위의 뇌줄기 병변에서 안구운동장애가

관찰될 수 있다(Fig. 1).1 안진, 눈기울임반응(Ocular tilt re-action) 및 Horner 증후군은 뇌줄기 병변에서 공통적으로

보일 수 있는 증상들이다.

안 진

중추성 안진(central nystagmus)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말초성 안진과의 일반적인 감별점은 Table 1에서와

같다. 중추성 안진이 시선고정에 의해 약해지지 않는 것은

부드런따라보기 장애가 흔히 동반되기 때문이다; 전정핵에

서 안구운동핵으로 연결되는 신경로를 부드런따라보기 및

전정신경계가 공유한다. 순수한 수직, 수평 방향의 안진이나

회선안진(torsional nystagmus)은 중추성 병변을 시사한다.

순수하게 수직 방향의 안진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양쪽 전정

기관에서 서로 대응되는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상

방안진에서는 양측 앞반고리관, 하방안진에서는 양측 뒤반

고리관)만이 선택적으로 손상되어야 하나, 말초 병변에서는

이럴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순수한 회선

안진은 한쪽의 앞·뒤반고리관이 선택적으로 침범될 때 발

생하기 때문에 중추성 병변을 시사한다. 특별히 국재화 가치

(localizing value)를 갖는 중추성 안진은 눈모음뒤당김안

online © ML Comm

Page 2: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 JS Kim

S97

FIGURE 1. Brainstem structures involved in ocular motor control. INC: interstitial nucleus of Cajal, MLF: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nuc: nucleus, PPRF: paramedian pontine reticular formation, riMLF: rostral interstitial nucleus of MLF.

Oculomotor nuc.Trochlear nuc.

riMLF

INC

PPRF

MLF

Abducens nuc.

Vestibular nuc.

진(convergence-retraction nystagmus), 시소안진(see-

saw nystagmus), Brun 안진 정도이며, 나머지 안진들은 뇌

줄기나 소뇌의 어느 부위 병변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중추성 안진도 말초성 안진(회선 성분을 동반한 일측성 수

평 안진)의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작은 소뇌 병변에서

는 현훈과 안진 외에 다른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2,3

눈입천장떨림(Oculopalatal myoclonus)

2~3 Hz 주기의 시계추안진(pendular nystagmus)이 입

천장떨림(palatal tremor)과 함께 관찰되며 심한 진동시

(oscillopsia)를 일으킨다.4 치아핵-적색핵-아래올리브핵

삼각로(dentato-rubro-olivary pathway, Guillain-Mol-laret triangle)의 손상에 뒤따르는 아래올리브핵(inferior

olivary nucleus)의 가성비후(pseudohypertrophy)에 동반

되나 정확한 발병 기전은 알지 못한다.5 눈입천장떨림은 중

심피개로(central tegmental tract)를 침범하는 뇌줄기 부

위 뇌졸중에서 수개월의 잠복기를 두고 발생하는 것이 일

반적이나, 드물게는 손상 후 24시간 이내에 수직 방향의 시

계추안진이 발생하기도 한다.6

눈기울임 반응(Ocular tilt reaction: OTR)

OTR은 관상 회전면(roll plane)에서의 전정안반사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1) 머리 기울임(head tilt), 2) 스큐편위(skew

deviation), 3) 안구회선(cyclotorsion)의 3가지 반응으로

이루어진다(Fig. 2).7 OTR은 말초전정에서부터 중뇌-사이

핵 접합부의 Cajal 사이질핵(interstitial nucleus of Cajal)

및 안쪽세로다발입쪽사이질핵(rostral interstitial nucleus

of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riMLF)에 이르는 모

든 부위의 병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OTR의 방

향은 머리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정한다. OTR에서 안구회

선은 머리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고, 스큐편위도 머

리가 기울어진 쪽 눈이 아래에 위치한다. 관상 회전면에서

의 전정안반사는 수직반고리관 및 이석기관(otolithic or-gan)에 의해 감지되어 전정신경핵으로 전달되고, 전정신경

핵에서 통합된 정보는 하부 다리뇌에서 반대편으로 건너간

뒤, 안쪽세로다발(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MLF)

을 따라 Cajal 사이질핵으로 가므로, 하부 다리뇌 아래쪽의

병변에서는 병변쪽으로, 위쪽의 병변에서는 병변 반대편으로

OTR이 발생한다.

스큐편위(Skew deviation)

스큐편위는 단안운동(duction)은 정상이면서 핵상(supr-anuclear) 병변에 의해 양쪽 눈이 위아래로 벌어진 것을 말

하며, 이석-안신경로(otolith-ocular pathway)의 병변이

원인이다. 스큐편위에서는 편위 정도가 작고 안구운동 범

위도 정상이기 때문에, 환자가 수직 방향의 복시를 호소하

고 안진 및 실조 등과 같은 뇌줄기 피개 부위 증상이 관찰

되면 스큐편위 유무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스큐편위는

시선에 따라(교대스큐편위, alternating skew deviation),

또는 주기적으로(주기성교대스큐편위, periodic alternat-ing skew deviation) 방향이 바뀌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8 교대스큐편위는 환자가 어느 한쪽을 바라볼 때는

한 쪽 눈이 위쪽에 있다가 시선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반

대편 눈이 위쪽으로 올라가는 경우로, 전체 스큐편위의 12%

정도에서 관찰된다. 수직 방향의 안진이 흔히 동반되며, 내

TABLE 1. Central vs peripheral vestibular nystagmus

Feature Peripheral CentralForm Mixed horizontal - torsional Purely vertical, torsional, or horizontal MixedDirection Unidirectional Direction changing or unidirectionalEffect of vision Suppression No suppressionAdaptation Subsides in days Often persistVertigo Prominent Mild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Other sign No Brainstem or cerebellar

Page 3: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J Neurocrit Care ▌ 2010;3 Suppl 2:S96-S107

S98

전하는 눈이 위쪽에 있을 때는(alternating adduction hy-pertropia) 덮개전(pretectum) 부위의 병변이, 아래쪽에 있

을 때는 하부 뇌줄기(경수-연수 접합부)의 병변이 흔한 것

으로 알려져 있다.9 교대스큐편위에서는 정면 주시에서 안

구의 위치가 정상일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내전안

이 위에 위치하는 경우는 양측성 도르래신경마비와 감별하

여야 한다.

안구회선(Cyclorotation)

안구회선은 일측성 뇌줄기 경색에서 흔히 발생하나,7 특별

한 증상이 없어 검안경으로 자세히 관찰하거나 안저 사진을

통해 확인하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OTR

에서 발생하는 안구회선의 정도는 양안에서 서로 다를 수

있으며(dysconjugate), 가쪽숨골증후군(lateral medulla-ry infarction)에서는 한쪽 눈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다.

숨골 부위 뇌졸중(Medullary stroke)

숨골에서 안구운동에 관여하는 구조물로는 전정신경핵,

설하주위신경핵(perihypoglossal nuclei) 및 아래올리브핵

(inferior olive) 등이 있다. 전정신경핵의 병변은 현훈 증상

과 더불어 다양한 중추성 안진을 발생시킨다. 안쪽(medial)

전정신경핵 및 설하전신경핵(nucleus prepositus hypo-glossus)은 신경적분체(neural integrator)로서 시선 유지

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곳에 병변이 생기면 시선유발안진

(gaze-evoked nystagmus)이 발생한다. 아래올리브핵은 오

름섬유(climbing fiber)를 통해 소뇌로 정보를 입력하며, 전

정안반사의 적응(adaptation)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들 구조물들은 주로 숨골의 뒤쪽에 위치하므로 가쪽숨

골증후군에서 흔히 침범되어 다양한 안구 운동 장애를 일

으킨다.

가쪽숨골증후군(Lateral medullary syndrome)

눈가쪽쏠림(Lateropulsion)

안구운동 범위에는 제한이 없으면서 양안이 병변 쪽으로

몰리는 현상으로, 환자에게 눈을 감았다 뜨게 하면 양쪽 눈

이 병변 쪽으로 쏠려있거나, 쏠려있다가 다시 중앙으로 되돌

아 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긴장성 편위(tonic de-viation)는 수직 안구운동에도 영향을 미쳐, 환자에게 위나

아래를 쳐다보게 하면 환자의 눈이 곧바로 위아래를 향하지

못하고 병변 쪽으로 비스듬히 움직인 후 다시 중앙으로 향하

는 양상을 보인다. 홱보기는 병변 쪽으로 향할 때는 겨냥과다

(hypermetria), 병변 반대 쪽으로는 겨냥부족(hypometria)

을 보이며(ipsipulsion), 병변 반대편으로의 부드런따라보

기 장애도 관찰된다.10,11 눈가쪽쏠림의 정확한 기전은 모르나,

반대편 아래올리브핵에서 소뇌로 가는 오름섬유가 가쪽 숨

골에서 침범되어 소뇌의 Purkinje 세포가 과활성화되기 때

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일반적으로 Purkinje세포는 동측의

꼭지핵(fastigial nucleus)을 억제하므로 Purkinje세포가

과활성화되면 꼭지핵에 의해서 흥분되는 반대편 정중곁다리

뇌그물체(paramedian pontine reticular formation: PP-RF)가 억제되어 긴장성 불균형(tonic imbalance)가 생긴다

는 것이다. 이외에도 이석 신경로(otolithic pathway) 또는

꼭지핵에서 뇌줄기로 정보 입력을 중개하는 juxtarestiform

body등의 관련성이 제기된 바 있다.

안 진

자발안진은 다양하게 관찰될 수 있다. 안진의 수평성분은

흔히 병변 반대 쪽을 향하나(pseudo-vestibular nystag-

Head tilt

OT

SD

FIGURE 2. A: Ocular tilt reaction (OTR) to the left with leftward head tilt, left skew deviation (SD) (hypotropic left eye), and ocular torsion (OT). B: Frequency (%) of each sign of OTR in acute uni-lateral brainstem infarctions (Modified from the data of Brandt and Dieterich, Ann Neurol 1994;36:337-347).

SD : 31%

OT : 83%

Brandt & Dieterich, 1994

Unilateralbrainstem stroke (100%)

A

B

Page 4: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 JS Kim

S99

mus), 윗쪽 숨골이 침범될 때에는 병변 쪽을 향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12 수직 성분은 주로 위쪽을 향하며, 회선안진은 어

느 방향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13 두진후안진은 대부분에서

병변쪽으로 발생하며, 병변 반대편으로 자발안진이 있는 환

자에서도 두진 후에는 안진의 방향이 바뀌어 나타나는 경우

가 흔하다.12 수평 안진에 동반되는 눈꺼풀의 떨림을 눈꺼풀

안진(lid nysatagmus)이라 하며, 눈모음에 의해 눈꺼풀안

진이 유발되는 경우를 Pick 징후(Pick’s sign)라 한다. 환자

에게 병변의 반대쪽을 계속해서 쳐다보게 하면 1분 정도 발

작적으로 지속되는 안진 및 현훈이 발생할 수 있다.

안쪽숨골증후군(Medial medullary syndrome)

안구운동장애는 비교적 드무나, 병변이 숨골의 피개 부위

를 침범하면 특징적인 안구운동 이상을 보일 수 있다.14,15 자

발안진은 주로 병변 쪽을 향하며, 시선유발안진도 병변 쪽을

바라볼 때 더 강하게 유발된다. 병변쪽을 향하는 자발안진이

나 시선유발안진은 설하전핵(nucleus prepositus hypoglos-si)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설하주위핵(perihypoglossal nu-clei)의 가장 아래쪽 부위인 사이질핵(nucleus intercalatus)

이 침범되면 드물게 상방안진이 발생할 수 있다.16 그러나 한

환자에서 양측성 병변에서 관찰되던 상방안진이 한쪽 병변

이 소실되면서 반시소안진(hemiseesaw nystagmus)로 변

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상방안진이 양측 앞반고리관에서 기원

하는 전정안반사로 침범되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17 OTR이나 눈가쪽쏠림은 병변 반대쪽으로 발생한다.14,15

다리뇌 부위 뇌졸중(Pontine stroke)

다리뇌에는 수평안구운동을 담당하는 갓돌림신경핵 및 다

발(fascicle), 수평 방향 홱보기의 폭발세포(burst cell)가 위

치하는 PPRF, 안구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중개하는 MLF,

전정신경핵의 일부 및 부드런따라보기 명령을 소뇌로 중개

하는 등가쪽다리뇌핵(dorsolateral pontine nucleus) 등이

위치한다(Fig. 3).18 다리뇌 부위 뇌졸중에서는 수평 안구운

동장애가 특징이나, 수직 안구운동의 조절에 관여하는 신경

섬유들도 MLF를 통해 중뇌 및 중뇌-사이핵 접합부로 향하

므로 양측성 병변이나 급성 병변에서는 경미하게나마 수직

안구운동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다리뇌 부위 뇌졸중에 의한

안구운동장애는 위의 구조물들이 어떤 조합으로 침범되느냐

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정중곁 다리뇌 경색(Paramedian pontine infarction)

정중곁 관통동맥(paramedian perforator)의 폐색에 의해

발생하며, 침범되는 안구운동 관련 구조물로는 갓돌림신경

핵 및 다발, MLF, PPRF들이 있다.

갓돌림신경마비

갓돌림신경마비는 병변 쪽 눈의 외전장애 및 내사시를

일으키며, 수평성 복시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스큐편위가

동반되면 병변 쪽 눈의 상사시(hypertropia)가 관찰되고 환

자는 수직 복시를 호소할 수 있으며, 급성기에는 마비된 쪽

으로 고개를 돌리는 경향이 있다.

핵마비(Nuclear paralysis)

갓돌림신경핵에는 동측의 바깥곧은근을 지배하는 운동신

경원과 반대편의 안쪽곧은근 아핵(medial rectus subnucl-eus)을 지배하는 중간신경원(interneuron)이 위치한다. 핵

마비에서 운동신경원 및 중간신경원이 모두 침범되면 병변

측으로 주시 마비가 발생하므로 PPRF 병변과 감별하여야

한다. 핵마비에서는 홱보기, 부드런따라보기 및 전정안반사

가 모두 이상을 보이나, 병변 반대편에서 중앙으로 되돌아오

는 안구운동은 정상인 것이 PPRF 병변과의 감별점이다. 갓

돌림신경핵은 MLF 및 PPRF와 인접해 있고, 특히 안면신경

이 갓돌림신경핵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아나가므로, 핵마

비에서는 동측의 핵사이눈근육마비(internuclear ophthal-moplegia) 및 말초성 안면신경마비가 흔히 동반된다.

다발마비(Fascicular lesion)

갓돌림신경 다발이 침범되는 경우로 반대편 편마비 및 동

측의 안면신경 마비가 동반되면 Millard-Gubler 증후군, 반

대편 편마비만 동반되면 Raymond 증후군이라 한다.

PPRF 병변에 의한 주시마비

PPRF는 갓돌림신경핵과 도르래신경핵 사이에서 다리뇌

FIGURE 3. Pontine structures regulating eye movements. CST: cor-ticospinal tract, CTT: central tegmental tract, ML: medial lemniscus, n: nerve, nuc: nucleus.

PPRF MLF

Abducens nuc.

Facial n.

Facial nuc.

CTT

ML

CST

Page 5: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J Neurocrit Care ▌ 2010;3 Suppl 2:S96-S107

S100

중앙 부위에 양쪽으로 위치한다. MLF 바로 앞쪽에 있으며,

수평 방향의 홱보기에 관여하는 폭발세포가 자리한다. 순수

한 PPRF 병변에서는 동측으로의 홱보기 마비만이 발생하여

야 하나, 대부분의 혈관성 병변에서는 부드런따라보기 및 전

정안반사를 담당하는 신경섬유들까지 모두 파괴되므로 대개

수평주시마비가 생긴다. 수직 방향의 홱보기는 병변 반대쪽

으로 비스듬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급성 양측 병변에서는 상

방 주시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핵사이눈근육마비(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NO)

측방 주시에서 병변 쪽 눈의 내전 장애와 반대편 눈(외전안)

의 해리성 외전안진(dissociated abducting nystagmus)

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증후군으로 반대편 갓돌림신경핵과

동측 눈돌림신경핵의 안쪽곧은근 아핵(subnucleus)을 연결

하는 MLF의 병변이 원인이다.19 INO는 눈모음 마비의 동반

여부에 따라 전(anterior), 후(posterior) INO로 구분되며,

다양한 형태의 시소안진 및 병변 쪽 눈의 상사시(반대편 스

큐편위)가 동반될 수 있다.20 증상이 경미하면 운동 범위의

제한 없이 내전 홱보기의 속도만 느려질 수 있고(adduction

lag, 내전지체), 이 경우 반대편 눈의 외전안진이 진단에 도

움이 된다. 해리성 안진의 기전은 안쪽곧은근 마비를 보상

하기 위한 신경지배의 증가가 Hering의 법칙에 의해 반대편

바깥곧은근에도 같이 전달되기 때문으로 설명한다.21 INO는

눈돌림신경 병변에 의한 안쪽곧은근 마비와 감별하여야 한

다(Table 2).22 이외에도 MLF에는 수직 방향의 부드런따라

보기, 전정안반사 및 눈모음에 관련된 신경섬유들이 위치하

므로, INO에서는 이들 안구운동의 장애가 동반될 수 있으

며, 양측성 병변에서 좀 더 심하게 관찰된다. 양측성 INO에

서 외사시가 동반되는 것을 wall-eyed bilateral INO(WE-BINO)하나, 외사시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모른다.23

하나반증후군(One-and-a-half syndrome)

일측성 주시마비와 INO가 동반된 경우로 한쪽 MLF와

PPRF 또는 MLF와 갓돌림신경핵의 병변에서 발생한다.13 환

자에서는 오직 반대편 눈의 외전만이 가능하며, 반대편 눈의

외사시가 동반될 수 있다(마비성다리뇌외사시, paralytic pon-tine exotropia).24 마비성다리뇌외사시는 PPRF 병변에 의

한 반대편으로의 주시편위가 동반된 INO로 인해 병변 쪽 눈

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눈찌운동(Ocular bobbing)

눈이 수 mm 정도 빠르게 아래로 움직였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서서히 되돌아오는 안구 운동으로 규칙적으로 발생

하는 경우도 있으나 리듬이나 빈도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눈은 곧바로 되돌아 오기도 하고, 어느 정도 간

격을 두고(10초까지) 원래의 위치로 향하는 경우도 있다. 전

형적인 눈찌운동은 양쪽 눈이 같이 움직이고 수평 안구운동

마비가 동반된 경우로 대개 다리뇌 출혈이나 경색에서 관찰

된다.25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다른 안구운동들과의 감별이

필요하다(Fig. 4). 경축성 눈꺼풀(spastic eyelid)는 환자가

계속해서 눈을 뜨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다리뇌 피개 부위

병변에 의한 혼수 환자에서 관찰된다.26 위눈꺼풀에 대한 억

제 이상이 원인으로 생각되나 정확한 원인 부위 및 발생 기

전은 알지 못한다. 다리뇌 병변에서 동공은 매우 작으나 불

빛반사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pinpoint reactive pupil).

가쪽 다리뇌 경색(Lateral pontine infarction)

다리뇌 휘돌이 동맥인 전하소뇌동맥(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의 폐색이 주된 원인이며, 안구운동장애는

정중곁 다리뇌 경색에서와 같이 두드러지지는 않으나, 전정

신경핵의 침범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중추성 안진이 발생

할 수 있다. 전하소뇌동맥의 폐색에서는 말초전정 및 소뇌

경색이 흔히 동반되므로 이로 인한 안구운동이상이 동시에

생길 수 있다.27 Brun 안진은 병변 쪽을 바라볼 때는 비교적

진폭이 큰 소뇌성 안진이, 병변 반대편 주시에서는 진폭이 작

은 전정안진이 관찰되는 것으로 소뇌다리(cerebellopontine

angle) 종양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나, 급성 병변에서

는 오히려 전하소뇌동맥 경색을 의심하여야 한다. 소뇌성 안

진은 소뇌 타래(flocculus)나 뇌줄기의 병변으로 인한 시선유

발안진이며, 반대편 주시에서 보이는 전정안진은 전정신경

FIGURE 4. Ocular bobbing and similar eye movements in vertical plane. Vertical arrows represent fast component while oblique ar-rows depict slow returning or deviating phases of these eye move-ments. 0° denotes a midposition in vertical plane.

ReverseBobbing

Dipping(Inverse bobbing)

Bobbing

00

TABLE 2. Characteristics of INO distinct from medial rectus palsy

1. Normal alignment in the primary position2. Abducting nystagmus in the contralateral eye 3. Normal adduction with convergence (posterior INO)

4. Absence of other signs of third nerve paresis (ptosis, mydriasis, vertical ductional deficits)

Page 6: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 JS Kim

S101

의 병변 때문이다. 이외에도 등가쪽 다리뇌핵의 침범에 의한

부드런따라보기 장애, 중심피개로의 손상에 의한 눈입천장

떨림, 안교감신경로의 병변에 의한 Horner증후군들이 관찰

될 수 있다.

다리뇌 출혈(Pontine hemorrhage)

다리뇌 출혈에서 관찰되는 안구운동이상은 기본적으로 다

리뇌 피개 부위 경색에서와 다를 것이 없다.

중뇌 및 사이핵 부위의 뇌졸중(Meso-diencephalic

stroke)

중뇌에는 수직 및 회선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눈돌림신경

핵 및 도르래신경핵이 위치하고, 중뇌-사이핵 접합부에는

수직 및 회선 안구운동의 핵상 조절에 관여하는 구조물들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중뇌-사이핵 부위의 병변에서는 수직

안구운동장애가 특징이다.28 또한 이 부위의 뇌졸중에서는

다리뇌의 수평안구운동 중추로 내려가는 신경로들이 침범

되어, 수평 안구운동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반된 다리

뇌 병변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중뇌 경색이 단독으로 발생하

는 경우는 드물며, 대개 “뇌바닥동맥첨부증후군(Top of the

basiilar syndrome)”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29

중뇌-사이핵 부위 뇌졸중에 의한 안구운동장애는 크게 도

르래신경 및 눈돌림신경마비, 그리고 덮개전증후군(pretec-tal syndrome)으로 나눌 수 있다.

도르래신경마비

뇌줄기 경색에 의한 도르래신경마비는 드물게 발생하며,30

위소뇌동맥(superior cerebellar artery) 경색에 동반될 수

있다. 핵병변에서는 반대편 도르래신경마비가 발생하며, 다

발병변에서는 침범 부위에 따라 동측, 반대측, 또는 양측 마

비가 발생할 수 있다.31 도르래신경이 마비되면 병변 쪽 눈

의 상사시 및 외회선이 관찰된다. 환자는 수직 복시를 호소하

며, 급성기에는 물체가 기울어진 것처럼 느끼기도 한다. 수

직 방향의 안구편위(vertical misalignment)는 병변의 반

대측을 바라볼 때와 병변 쪽으로 머리를 기울였을 때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인다. 눈돌림신경마비가 동반된 경우는 환자

에게 아래쪽을 쳐다보게 하여 눈이 내회선되는지를 살핌으

로써 도르래신경마비 여부를 알 수 있다. 스큐편위에서도 수

직 방향의 안구편위가 발생하고 낮은 눈 쪽으로 머리가 기울

어질 수 있으므로 도르래신경마비와 감별하여야 한다. 그

러나 도르래신경마비에서는 주시 방향 및 머리 기울임에 따

라 특징적으로 안구 편위의 정도가 변하고 마비된 눈(상위

안)에서 외회선이 동반된다는 점이 스큐편위와의 감별점이

다(스큐편위에서는 위쪽에 있는 눈이 내회선된다).31

눈돌림신경마비

중뇌 뇌졸중에 의한 눈돌림신경마비는 크게 핵성 및 다발

성으로 구분하며, 흔히 다른 신경학적 이상 소견을 동반한다.

핵마비

눈돌림신경핵은 바깥눈근육 및 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ebrae), 동공근을 담당하는 아핵(subnucleus)들로 구성되

며 이들 아핵들은 눈돌림신경핵에서 특정 부위를 차지한다

(Fig. 5).32 핵성 눈돌림신경마비의 진단에 적용되는 중요한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1) 위곧은근은 반대편의 눈돌림신경

핵에 의해 지배되며, 위곧은근을 지배하는 신경섬유는 핵에

서 서로 교차하므로 핵 병변에 의한 일측성 눈돌림신경마비

에서는 반대편 위곧은근마비가 동반되고, 한쪽의 위곧은근

마비가 단독으로 발생하지는 않는다. 2) 눈꺼풀올림근 및 동

공은 양측 모두 중앙에 위치한 단일 신경핵에 의해 지배되

므로 핵병변에 의한 눈꺼풀처짐 및 동공마비는 양측성으로

발생한다. 3) 아래곧은근 아핵(inferior rectus subnucleus)

은 눈돌림신경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여 이곳이 단독으로

침범될 경우는 핵병변에 의해 아래곧은근마비만 단독으로 발

생할 수 있다. 4) 양쪽 눈꺼풀올림근을 지배하는 중심꼬리핵

(central caudal nucleus)은 눈돌림신경핵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위쪽을 침범하는 핵병변에서는 제외될 수 있다.

다발마비

중뇌에서 눈돌림신경 다발이 침범되는 경우로 각 신경아

핵에서 나온 신경섬유들이 다발 내에서도 일정한 위치를 차

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임상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발

마비는 동반되는 신경학적 이상 소견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

된다.33

FIGURE 5. Organization of oculomotor nuclear complex. CCN: central caudal nucleus, DN: dorsal nucleus, EWN: edinger-Westphal nucleus, IR: inferior rectus. Only 3 nuclei are indicated for brevity.

Rostral

Ventral

Left lateral view Dorsal view

EWN

DN (IR)

CCN

Rostral

Page 7: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J Neurocrit Care ▌ 2010;3 Suppl 2:S96-S107

S102

덮개앞증후군(Pretectal syndrome)

덮개앞 영역(pretectum)은 중뇌와 사이핵 사이에서 위둔

덕(superior colliculus)의 바로 위에 위치하며 뒤맞교차(pos-terior commissure)의 양측에 걸쳐있다. 덮개앞 영역에는

수직 및 회선 안구운동의 핵상 조절에 관계하는 riMLF, Ca-jal 사이질핵 및 불빛반사나 이명성 운동에 관여하는 신경

섬유 등이 위치하고, 다리뇌의 수평안구운동 중추로 향하는

신경섬유들도 이곳을 통과하므로 이 부위에 병변이 생기면

수직 안구운동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신경안과적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28,34 이 부위는 뇌바닥교통동맥(basilar com-municating artery)의 분지인 후시상-시상하동맥(posteri-or or paramedian thalamo-subthalamic artery)에 의해

공급되며, 이 혈관은 시상의 등안쪽, 중뇌-사이핵 접합부, 상

부 중뇌 및 시상하핵(subthalamic nucleus)을 동시에 관류

하므로, 뇌졸중에 의한 덮개앞증후군에서는 이들 부위의 병

변들이 동시에 관찰되는 경우가 흔하다.

수직안구운동 장애

riMLF는 중뇌 덮개에서 상부 적색핵(red nucleus)의 등안

쪽 가장자리(dorsomedial edge)에 위치하며, 수직 및 회선

홱보기에 대한 폭발세포가 위치한다. 수직 주시마비의 가장

흔한 병변 부위로, 일측성 병변에서도 양측성 수직 안구운

동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상방주시를 담당하는 신경섬유는

riMLF에서 뒤쪽으로 향해 뒤맞교차를 통과하므로 뒤맞교

차나 수로주위 회백질의 병변은 상방 주시마비만 일으키기

도 한다. 하방 주시마비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며, 적색핵의 등가쪽이나 수로주위 회백질의 양측성 병

변에서 발생한다.35 일반적으로 상방 주시 제한은 홱보기에

서 가장 심하고, 부드런따라보기, Bell 현상, 전정안반사의

순서로 개선된다.

Cajal 사이질핵은 수직 및 회선 안구운동의 신경적분체 역

할을 하며, 이석반사에 관계하는 전정계로부터도 입력을 받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jal 사이질핵의 병변에서는 OTR,

시소안진 및 회선안진들이 관찰되고, 수직 방향의 시선 유지

에도 이상이 발생한다.

riMLF 및 Cajal 사이질핵 병변의 감별 진단은 Table 3에

서와 같다.36 핵성 눈돌림신경마비는 양측 위곧은근 및 동공

마비를 유발하여 덮개앞증후군의 양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눈돌림신경마비에서는 눈꺼풀처짐, 안쪽곧은근 마비가 동반

되고, 수직 방향 바깥눈근육이 비대칭적으로 침범되는 특징

을 보이며, 덮개앞증후군에서는 Bell 현상이나 인형안운동

에 의해 상방 안구운동이 개선되는 것이 감별점이다.

수직 하나반증후군(Vertical one-and-a-half syndrome)

양안의 상방 주시마비 및 한쪽 눈의 하방 주시마비로 인

해, 오직 한쪽 눈의 하전만이 가능하거나,37 양안의 하방 주시

마비 및 한쪽 눈의 상전마비로 한쪽 눈에서만 상전이 가능

한 경우로,38 덮개앞 영역의 불완전한 병변에서 발생한다.

이중 상전근마비(Double elevator palsy)

한쪽 눈이 내전 및 외전된 상태에서 같은 정도로 상전 마비

를 보이는 경우로 드물게 중뇌의 핵상 병변에 의해 발생한다.39

수평 안구운동 장애

중뇌-사이핵 부위 병변에서 보이는 수평 안구운동장애에

는 1) 가성 갓돌림신경마비(pseudo-abducens palsy), 2)

반대편으로의 홱보기 마비 및 3) 동측으로의 부드런따라보

기 마비 등이 있다.40 가성 갓돌림신경마비는 동반된 눈모음

연축(convergence spasm)에 의해 눈모음 긴장도가 증가

하여, 측방 주시에서 한쪽 눈의 외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마

TABLE 3. Comparison of the oculomotor effects between interstitial nucleus of Cajal (INC) and riMLF lesion

Eye movement INC lesion riMLF lesionSaccade, vertical Decreased Amp

Intact Amp-Vel relationshipDecreased Amp and Vel

NystagmusTorsional Vertical

IpsilesionalDownbeat, Upbeat (bilateral lesion)

ContralesionalNo

Smooth pursuit Impaired gainVOR (Vertical & torsional) Impaired gain and phase (bilateral lesion) Normal gain and phaseOTR

Ocular torsionSkew deviation

ContralesionalYes

ContralesionalNo

Gaze holding Impaired NormalAmp: amplitude, Vel: velocity

Page 8: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 JS Kim

S103

치 갓돌림신경 마비처럼 보이는 현상이다.41 홱보기 및 부드

런따라보기 장애는 대뇌에서 다리뇌의 수평안구운동 중추로

가는 신경로가 손상되어 발생하며, 인형안 검사나 caloric

검사에서 안구운동이 개선된다.

안 진

덮개앞증후군의 특징적인 안진은 눈모음-후퇴안진과 시

소안진이다.

눈모음-후퇴 안진은 덮개앞증후군을 결정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징후이나, 시선을 옮길 때에만(refixation)

나타나거나,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특히 상방주시에 의해 잘 유발되므로 OKN 드럼

을 아래로 돌리면 위로 향하는 안진 대신에 눈모음-후퇴 안

진이 유발된다. 시소안진은 한쪽 눈이 올라가면서 내회선

되고 반대편 눈은 떨어지면서 외회선되는 양상의 시계추안

진이 양쪽 눈에서 교대로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때로는 방

향의 역전 없이 한쪽 방향으로만 안진이 관찰될 수 있다(반

시소 안진, hemi-see-saw nystagmus).42

동공 이상

동공은 약간 산동된 상태이며 양측의 크기가 같은 것이 보

통이다. 불빛 반사는 감소되나 접근반사는 정상인 불빛-접

근반사해리(light-near dissociation)가 특징적인 징후이다.

눈꺼풀 이상

눈꺼풀뒤당김(Lid retraction)은 대칭적으로 관찰되고 상

방주시장애 정도와 비례하며 완전한 하방주시에서는 사라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눈꺼풀뒤당김은 위곧은근의 마비를

보상하기 위한 위곧은근에 대한 신경지배 증가가 이차적으

로 눈꺼풀올림근의 활동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으로 설명한

다. 일측성 눈꺼풀뒤당김, 상방주시마비 없이 눈꺼풀뒤당김

만 있는 경우는 덮개앞증후군의 가능성이 적으며, 반대편 눈

꺼풀처짐에 동반된 일측성 눈꺼풀뒤당김은 눈돌림신경 마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기 타

내사시(esotropia)는 하방주시에서 증가하여 V자 모양을

띠며, 외사시(exotropia)는 눈모음 긴장도의 소실 때문으로

생각된다.

첨부 뇌바닥 동맥증후군(“Top of the basilar” syndrome)

뇌바닥동맥 첨단부 폐색에 의한 특징적인 임상 증후군으

로 중뇌, 사이핵, 시상 및 관자-뒤통수엽 경색이 동반된다.

안구운동이상은 각 부위의 경색에서 발생하는 증상들이 혼

합된 양상으로 나타난다.29

소뇌 부위 뇌졸중(Cerebellar Stroke)

소뇌는 후하소뇌동맥(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전하소뇌동맥(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및 위소뇌동맥에 의해 공급되며, 이들 동맥의

경색에서는 뇌줄기 부위 경색이 흔히 동반되므로 소뇌 병변

자체에 의한 안구운동이상 만을 가려내기는 쉽지 않을 때가

많다. 또한 각 동맥에 의한 공급 영역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

으므로 임상 양상의 발현도 환자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뇌 병변에 의한 안구운동장애는 크게 3가지

로 분류된다. 1) 등쪽 벌레엽(dorsal vermis) 및 꼭지핵은 홱

보기의 조절에 관여하며, 이 곳의 병변에서는 홱보기의 겨냥

이상(dysmetria) 및 macrosaccadic oscillations(MSO)이

발생하고, 부드런따라보기 이상은 생기더라도 경미하다. 2)

타래 및 부타래(paraflocculus)는 부드런따라보기 및 전정

안반사의 조절, 시선유지에 관여하며, 병변에서는 부드런따

라보기 이상, 시선유발안진(gaze-evoked nystagmus), 반

동안진(rebound nystagmus), 하방안진 (downbeat nys-tagmus) 및 전정안반사의 적응 이상 등이 관찰된다. 3) 소

절(nodulus) 및 소뇌목젖(uvula)은 전정안반사의 반응 기간

을 조절하며, 병변에서는 전정 반응의 기간이 길어지고 주기

성교대안진(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소뇌 병변에 의한 비특이적 안구운동장

애로는 square wave jerks(SWJ)의 증가, 상방안진(upbeat

nystagmus), 시계추안진(pendular nystagmus)들이 있다.

후하소뇌동맥(PICA) 경색

PICA는 타래, 부타래, 소절, 소뇌목젖 등의 전정 소뇌(ves-tibulocerebellum)를 공급하므로 PICA 경색에서는 이들 부

위의 병변에 의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중

요한 것은 PICA의 원위부가 폐색될 경우 다른 중추신경계

증상 없이 현훈 및 말초성 양상의 안진만이 관찰될 수 있으

므로 말초 전정의 병변으로 쉽게 오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2,3

이 경우 시선유발안진이 있고 두부충동검사(head impulse

test)가 정상인 점이 말초 병변과의 중요한 감별점이다.43

후하소뇌동맥 부위 경색에서 자발안진은 주로 병변 쪽을

향하며, 두진후안진도 대부분에서 병변쪽으로 발생한다. 일

부 환자에서는 수평 방향의 두진 후에 하방안진이 발생할 수

있다.3 소뇌 소절 부위의 경색에서는 병변쪽을 향하는 자발

Page 9: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J Neurocrit Care ▌ 2010;3 Suppl 2:S96-S107

S104

안진과 두진후안진, 하방안진, 체위안진(positional nystag-mus), 주기성교대안진 등이 관찰되며, OTR은 병변 반대편

으로 발생한다.44-46

전하소뇌동맥(AICA) 경색

AICA는 위쪽 전정신경핵 및 소뇌의 타래, 소절과 소뇌목

젖을 공급하고, 내이동맥(internal auditory artery)을 통해

말초전정기관의 혈액 공급도 담당하므로 AICA 경색에서는

중추 전정기능의 이상에 의한 소견 및 말초 전정에서 보이는

임상양상들이 함께 관찰될 수 있다.47-51

위소뇌동맥(SCA) 경색

전형적인 SCA 경색에 의한 안구운동장애에는 contrapul-sion, 반대편 도르래신경마비, 동측 Horner증후군이 있으

나, 대부분의 경우 첨부뇌바닥동맥증후군(“top of the basi-lar” syndrome)에 동반되므로, SCA 경색에 의한 안구운동

장애는 주로 동반된 뇌줄기, 사이핵 및 뒤통수엽 병변에 의

한 경우가 많다. Contrapulsion이란 병변 반대쪽으로의 홱

보기는 겨냥과다, 병변 쪽으로의 홱보기는 겨냥부족을 보이

며 수직 방향의 홱보기는 비스듬하게 병변 쪽에서 멀어지는

현상을 말한다.52 Contrapulsion은 위소뇌다리(superior

cerebellar peduncle)와 인접한 꼭지핵 유출로(uncinate

fasciculus)의 손상으로 설명한다. 그 외에도 위쪽 벌레엽 병

변에 의해 상방안진이 발생할 수 있다.

소뇌 출혈

많은 경우 뇌줄기를 직접 압박하거나 동반된 수두증으로

인한 뇌줄기 압박 증상이 흔하므로, 소뇌 출혈 자체로 인한

안구 증상을 구별하기는 어렵다. 급성 병변에서는 다양한 형

태의 안진, 눈찌운동, 주시마비, 갓돌림신경마비 및 스큐편위

들이 발생할 수 있다.

시상 부위의 뇌졸중(Thalamic Stroke)

시상출혈(Thalamic hemorrhage)

시상출혈에서의 안구증상은 Fisher에 의해 처음으로 강조

되었으나,53 흔히 중뇌-사이핵 부위의 병변이나 뇌실 출혈

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들 안구 증상이 시상 자체의 병변에

의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을 때가 많다. 시상출혈에서의

안구운동이상은 병변이 광범위하거나 정중곁 부위에 병변

이 생기는 경우(paramedian lesion), 뇌실 출혈이 동반될 때

흔하며, 안구운동장애나 불빛반사에 이상이 있으면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시편위는 병변과 같은 쪽 또는 반대쪽으로 생길 수 있

고, 반대편으로 생기는 경우(wrong way deviation)는 출혈

부위가 비교적 클 때이다. 출혈 부위가 중뇌까지 연장되거

나, 중뇌가 압박을 받으면 환자의 눈이 코 끝을 향하는 “Peer-ing at the tip-of-nos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54 이외에

도 내사시 및 병변 반대편으로 향하는 OTR과 발작적인 스

큐편위 등이 보일 수 있다.36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안구 증상은 수직 안구운동마비이

나 시상 자체의 병변보다는 인접한 중뇌-사이핵 접합부의

병변 때문이다. 수평 안구운동장애는 대뇌에서 뇌줄기로 내

려가는 신경섬유가 시상 부위에서 차단되어 발생하며, 반대

편으로의 홱보기 장애 및 동측으로의 부드런따라보기 마비

가 흔하다. 동공은 특징적으로 아주 작으며(2 mm 정도) 불

빛반사는 관찰되지 않는다. Horner 증후군은 혈종에 의해

동측의 시상하부나 하향성 교감신경섬유가 압박되어 발생

한다. 드물게 눈찌운동, opsoclonus등이 보고된 바 있다.

시상경색(Thalamic infarction)

시상경색에서의 안구운동장애는 주로 후시상-시상하동맥

의 폐색에 의한 정중곁 경색(paramedian infarction)에서

관찰되며, 이 경우도 대부분의 안구운동장애는 동반된 중

뇌-사이핵 접합부의 병변에 의해 발생하므로, 덮개앞증후

군에서 관찰되는 안구운동장애와 양상이 동일하다. 그밖에

후맥락총동맥(posterior choroidal artery) 경색에서 상방

및 측방 주시마비, 축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전맥락총동맥

(anterior choroidal artery) 경색에서 병변 반대편으로의 홱

보기 장애가 관찰될 수 있다.

대뇌 부위의 뇌졸중

대뇌 부위 뇌졸중에서는 주시편위(gaze deviation)가 20%

정도에서 발생하며, 홱보기, 부드런따라보기 및 전정안반사

도 비대칭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눈꺼풀의 이상으로는 눈꺼

풀처짐, 눈을 뜨거나 감지 못하는 경우(눈꺼풀실행장애), 눈

을 뜨고 있거나 감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im-persistence) 등이 있다. 천막 상부(supratentorial) 병변에

의한 Horner증후군은 대개 같은 쪽의 시상-시상하부 병변

과 동반되나, 드물게는 대뇌 반구 자체의 병변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대뇌 반구의 병변에 의한 Horner 증후군은 속목

동맥 박리에 동반된 대뇌 반구 경색과 감별하여야 한다.

뒤대뇌 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 경색

뒤대뇌동맥 경색에서 나타나는 신경안과적 증상은 대뇌

Page 10: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 JS Kim

S105

피질(뒤통수엽 및 관자엽), 중뇌 또는 시상 부위의 병변에 의

한다. 뒤통수엽에 국한된 병변은 시야결손 부위에서 홱보기

겨냥이상을 일으키나, 정상 시야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부드런따라보기 및 OKN 반응은 정상이다. 뒤대뇌동맥 근

위부의 협착이나 폐색은 중뇌를 침범하여 Horner 증후군

을 포함한 다양한 안구운동장애를 유발한다. 뒤대뇌동맥의

근위부 폐색에 의해 반대편 반신마비, 반대편 발한과다 및

동측의 Horner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hemiplegia veget-ativa alterna).55

후천성안구운동행위상실증(Acquired oculomotor

apraxia)

전정안반사나 안진의 빠른 성분(quick phase, 속상) 같은

반사성 안구운동은 정상이나, 자발 안구운동이 소실되어, 환

자는 계속해서 정면만을 응시하는 현상이다. 급성 양측성 이

마엽 또는 뒤통수-마루엽 병변에서 관찰되며, 이러한 증상

이 시실조(optic ataxia) 및 동시실인증(simultanagnosia)

과 동반되면 Balint 증후군이라고 한다. 안구운동행위상실

증은 이마엽시야(frontal eye field)나 마루엽에서 위둔덕이

나 뇌줄기 그물체로 향하는 햐향신경로가 손상되기 때문으

로 여겨진다.

중대뇌 동맥(Middle cerebral artery) 경색

환자에게 눈을 감으라고 할 때 오른쪽 눈을 지나치게 꽉

감는 현상(excessive closure of the eye)이 우측 중대뇌동

맥 부위의 경색에서 관찰될 수 있고, 우측 대뇌 반구 병변에

서는 양측성 눈꺼풀처짐 및 상방 주시마비가 발생할 수 있

다. 일반적으로 이마-마루엽 병변은 병변 쪽으로의 안구편

위를 일으키고, 병변 반대편으로의 홱보기에서 잠복기 연장,

속도 저하 및 겨냥이상을 발생시킨다. 등가쪽 앞이마엽 피

질의 병변은 antisaccade 검사(시야에서 보이는 자극의 반대

편을 쳐다보도록 하는 검사)에서 장애를 보일 수 있다. 마루엽

병변에서는 병변 쪽으로 부드런따라보기나 OKN 반응이 감소

되고, Cogan 징후(spasticity of conjugate gaze)가 관찰될

수 있다. Cogan 징후란 눈을 뜨고 있을 때는 정상이나 환자의

눈을 감길 때 양쪽 눈이 병변 반대편으로 향하는 것을 말한다.

앞대뇌 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 경색

앞대뇌동맥에 국한된 경색에서 안구편위는 드무나, 무시

(neglect)에 동반된 반대편 주시우선(gaze preference)은

흔히 관찰된다. 보조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이나 꼬리핵(caudate nucleus) 병변은 기억 홱보기 검사에서

장애를 일으킨다.

기타 혈관성 병변에서의 안구운동장애

속목동맥 질환

속목동맥 폐색에서는 홍채의 허혈성 위축으로 인해 병변

쪽 동공이 커지고 불빛반사 이상이 관찰될 수 있다. 폐색으로

인한 대뇌 경색에서는 반대편으로의 주시장애 및 병변 쪽으

로의 주시편위 등이 흔한 증상이다.

목동맥 박리(Carotid artery dissection)

통증을 동반하는Horner 증후군이 약 58%의 환자에서 발

견된다.56 때로는 병변 쪽 눈이 산동되어 있으면서 불빛반사

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거나 사라진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섬

모체신경절(ciliary ganglion)에 대한 만성적 허혈로 설명

한다.57

목동맥해면정맥굴루(Carotid-cavernous fistula)

목동맥계와 해면정맥굴 사이의 비정상적 교통(communic-ation) 때문에 발생하며, 직접(direct) 및 경막성(dural)으로

분류된다. 직접 목동맥해면루는 두부 외상이나 동맥류에

의한 목동맥 파열이 원인으로, 누공이 눈확을 통해 배액되

고, 누공을 통한 압력차가 심해 박동성 안구돌출(proptosis),

잡음(bruit), 실명 등의 증상이 심하게 관찰된다.

경막성 해면루는 속목동맥 또는 바깥목동맥의 수막 분지

(meningeal branch)들이 해면정맥굴 안에서 파열되어 발

생하며, 증상은 직접 해면루에 비해 경미하다. 복시는 공통

된 증상으로, 외전 마비가 흔하나 안구운동마비는 모든 방

향으로 다 발생할 수 있다. 안구운동마비의 기전은 안구운동

신경의 손상 또는 바깥눈근육 자체의 울혈 및 경색으로 설

명한다.58

Dolichoectasia

혈관의 Dolichoectasia에 의해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

는 경우는 크게 혈전이나 색전에 의한 경색 및 인접한 뇌줄

기 및 뇌신경에 대한 직접 압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뇌신경 중에서는 안면신경 및 삼차신경이 가장 많이 침범되

며, 안구운동신경 중에서는 눈돌림신경마비가 가장 흔하고

드물게 갓돌림신경마비가 보고된 바 있다.

REFERENCES

1. Bogousslavsky J, Meienberg O. Eye-movement disorders in brain-stem and cerebellar stroke. Arch Neurol 1987;44:141-8.

2. Amarenco P, Roullet E, Hommel M, Chaine P, Marteau R. Infarction in the territory of the medial branch of the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0;53:731-5.

3. Kim JS, Ahn KW, Moon SY, Choi KD, Park SH, Koo JW. Isolated

Page 11: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J Neurocrit Care ▌ 2010;3 Suppl 2:S96-S107

S106

perverted head-shaking nystagmus in focal cerebellar infarction. Neu-rology 2005;64:575-6.

4. Moon SY, Park SH, Hwang JM, Kim JS. Oculopalatal tremor after pon-tine hemorrhage. Neurology 2003;61:1621.

5. Kim JS, Moon SY, Choi KD, Kim JH, Sharpe JA. Patterns of ocular oscillation in oculopalatal tremor: imaging correlations. Neurology 2007;68:1128-35.

6. Keane JR. Acute vertical ocular myoclonus. Neurology 1986;36:86-89.7. Brandt T, Dieterich M. Vestibular syndromes in the roll plane: topogra-

phic diagnosis from brainstem to cortex. Ann Neurol 1994;36:337-47.8. Keane JR. Ocular skew deviation. Analysis of 100 cases. Arch Neurol

1975;32:185-90.9. Keane JR. Alternating skew deviation: 47 patients. Neurology 1985;

35:725-8.10. Baloh RW, Yee RD, Honrubia V. Eye movements in patients with

Wallenberg’s syndrome. Ann N Y Acad Sci 1981;374:600-13.11. Kim JS, Moon SY, Park SH, Yoon BW, Roh JK. Ocular lateropulsion

in Wallenberg syndrome. Neurology 2004;62:2287.12. Choi KD, Oh SY, Park SH, Kim JH, Koo JW, Kim JS. Head-shaking

nystagmus in lateral medullary infarction: patterns and possible mech-anisms. Neurology 2007;68:1337-44.

13. Morrow MJ, Sharpe JA. Torsional nystagmus in the lateral medullary syndrome. Ann Neurol 1988;24:390-8.

14. Kim JS, Moon SY, Kim KY, Kim HC, Park SH, Yoon BW, et al. Ocu-lar contrapulsion in rostral medial medullary infarction. Neurology 2004;63:1325-7.

15. Kim JS, Choi KD, Oh SY, Park SH, Han MK, Yoon BW, et al. Medial medullary infarction: abnormal ocular motor findings. Neurology 2005; 65:1294-8.

16. Munro NA, Gaymard B, Rivaud S, Majdalani A, Pierrot-Deseilligny C. Upbeat nystagmus in a patient with a small medullary infarc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3;56:1126-8.

17. Choi KD, Jung DS, Park KP, Jo JW, Kim JS. Bowtie and upbeat nys-tagmus evolving into hemi-seesaw nystagmus in medial medullary in-farction: possible anatomic mechanisms. Neurology 2004;62:663-5.

18. Ahn SH, Choi KD, Kim JS, Park KP, Kim HJ, Jung DS. Ping-pong gaze in hemifield may indicate bilateral asymmetrical hemispheric le-sions. Neurology 2007;68:E8.

19. Cogan DG.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typical and atypical. Arch Ophthalmol 1970;84:583-9.

20. Oh K, Chang JH, Park KW, Lee DH, Choi KD, Kim JS. Jerky seesaw nystagmus in isolated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from focal pontine lesion. Neurology 2005;64:1313-4.

21. Baloh RW, Yee RD, Honrubia V.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 Saccades and dissociated nystagmus. Arch Neurol 1978;35:484-9.

22. Lee HS, Yang TI, Choi KD, Kim JS. Teaching video NeuroImage: iso-lated medial rectus palsy in midbrain infarction. Neurology 2008;71: e64.

23. Kim JS, Jeong SH, Oh YM, Yang YS, Kim SY. Teaching NeuroIm-age: Wall-eyed bilateral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WEBINO) from midbrain infarction. Neurology 2008;70:e35.

24. Sharpe JA, Rosenberg MA, Hoyt WF, Daroff RB. Paralytic pontine ex-otropia. A sign of acute unilateral pontine gaze palsy and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Neurology 1974;24:1076-81.

25. Fisher CM. Ocular Bobbing. Arch Neurol 1964;11:543-6.26. Keane JR. Spastic eyelids. Failure of levator inhibition in unconscious

states. Arch Neurol 1975;32:695-8.27. Kim JS, Lopez I, DiPatre PL, Liu F, Ishiyama A, Baloh RW. Internal au-

ditory artery infarction: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Neurology 1999; 52:40-4.

28. Sharpe JA, Kim JS. Midbrain disorders of vertical gaze: a quantitative re-evaluation. Ann N Y Acad Sci 2002;956:143-54.

29. Caplan LR. “Top of the basilar” syndrome. Neurology 1980;30:72-9.30. Kim JS, Kang JK, Lee SA, Lee MC. Isolated or predominant ocular

motor nerve palsy as a manifestation of brain stem stroke. Stroke

1993;24:581-6.31. Lee SH, Park SW, Kim BC, Kim MK, Cho KH, Kim JS. Isolated tro-

chlear palsy due to midbrain stroke. Clin Neurol Neurosurg 2010;112: 68-71.

32. Warwick R. Representation of the extraocular muscles in the oculomo-tor nuclei of the monkey. J Comp Neurol 1953;98:449-503.

33. Liu GT, Crenner CW, Logigian EL, Charness ME, Samuels MA. Mid-brain syndromes of Benedikt, Claude, and Nothnagel: setting the record straight. Neurology 1992;42:1820-2.

34. Keane JR. The pretectal syndrome: 206 patients. Neurology 1990;40: 684-90.

35. Hommel M, Bogousslavsky J. The spectrum of vertical gaze palsy following unilateral brainstem stroke. Neurology 1991;41:1229-34.

36. Oh SY, Choi KD, Shin BS, Seo MW, Kim YH, Kim JS. Paroxysmal ocular tilt reactions after mesodiencephalic lesions: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Neurol Sci 2009;277:98-102.

37. Bogousslavsky J, Regli F. Upgaze palsy and monocular paresis of do-wnward gaze from ipsilateral thalamo-mesencephalic infarction: a vertical “one-and-a-half” syndrome. J Neurol 1984;231:43-5.

38. Deleu D, Buisseret T, Ebinger G. Vertical one-and-a-half syndrome. Supranuclear downgaze paralysis with monocular elevation palsy. Arch Neurol 1989;46:1361-3.

39. Jampel RS, Fells P. Monocular elevation paresis caused by a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 Arch Ophthalmol 1968;80:45-57.

40. Zackon DH, Sharpe JA. Midbrain paresis of horizontal gaze. Ann Neu-rol 1984;16:495-504.

41. Jeong SH, Oh YM, Kim CY, Kim JS. Bimedial rectus hypermetabo-lism in convergence spasm as observed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J Neuroophthalmol 2008;28:217-8.

42. Daroff RB. See-Saw Nystagmus. Neurology 1965;15:874-7.43. Kattah JC, Talkad AV, Wang DZ, Hsieh YH, Newman-Toker DE.

HINTS to diagnose stroke in the acute vestibular syndrome: three-step bedside oculomotor examination more sensitive than early MRI dif-fusion-weighted imaging. Stroke 2009;40:3504-10.

44. Moon IS, Kim JS, Choi KD, Kim MJ, Oh SY, Lee H, et al. Isolated nodular infarction. Stroke 2009;40:487-91.

45. Nam J, Kim S, Huh Y, Kim JS. Ageotropic central positional nystag-mus in nodular infarction. Neurology 2009;73:1163.

46. Jeong HS, Oh JY, Kim JS, Kim J, Lee AY, Oh SY. 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 in isolated nodular infarction. Neurology 2007;68:956-7.

47. Kim JS, Cho KH, Lee H. Isolated labyrinthine infarction as a harbin-ger of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territory infarction with nor-mal diffusion-weighted brain MRI. J Neurol Sci 2009;278:82-4.

48. Lee H, Kim HJ, Koo JW, Kim JS. Progression of acute cochleoves-tibulopathy into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ion. J Neurol Sci 2009;278:119-22.

49. Lee H, Kim HJ, Koo JW, Kim JS. Superior divisional vestibular pare-sis in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farction. J Neurol Sci 2009; 285:250-3.

50. Kim JS, Lee H. Inner ear dysfunction due to vertebrobasilar ischemic stroke. Semin Neurol 2009;29:534-40.

51. Lee H, Kim JS, Chung EJ, Yi HA, Chung IS, Lee SR, et al. Infarction in the territory of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spectrum of audio-vestibular loss. Stroke 2009; 40:3745-51.

52. Ranalli PJ, Sharpe JA. Contrapulsion of saccades and ipsilateral ataxia: a unilateral disorder of the rostral cerebellum. Ann Neurol 1986; 20:311-6.

53. Fisher CM. The pathologic and clinical aspects of thalamic hemor-rhage. Trans Am Neurol Assoc 1959;84:56-9.

54. Choi KD, Jung DS, Kim JS. Specificity of “peering at the tip of the nose” for a diagnosis of thalamic hemorrhage. Arch Neurol 2004;61: 417-22.

55. Bassetti C, Staikov IN. Hemiplegia vegetativa alterna (ipsilateral Horner’s syndrome and contralateral hemihyperhidrosis) following proximal posterior cerebral artery occlusion. Stroke 1995;26:702-4.

Page 12: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 - JNC · 2015. 9. 9. · Vertigo Prominent Mild Auditory symptoms Hearing impairment, tinnitus Usually none Other sign No Brainstem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 JS Kim

S107

56. Mokri B, Silbert PL, Schievink WI, Piepgras DG. Cranial nerve palsy in spontaneous dissection of the extracranial internal carotid artery. Neurology 1996;46:356-9.

57. Newman NJ, Kline LB, Leifer D, Lessell S. Ocular stroke and carot-

id artery dissection. Neurology 1989;39:1462-4.58. Leonard TJ, Moseley IF, Sanders MD. Ophthalmoplegia in carotid ca-

vernous sinus fistula. Br J Ophthalmol 1984;68:12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