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17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 김준영(한국고용정보원) 1. 서론 최근 인구고령화의 진전에 따라 근로자의 평균연령 증가나 고연령 근로자의 비중 증가와 같 은 노동력의 고령화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업체 패널자료(2000~2009년)를 이용하여 노동력의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사 업체 수준에서 ① 고령근로자의 비중 증가가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② 고연령층 고용과 청년층 고용 간에 대체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한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우리나라는 출산율의 감소와 평균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인구고 령화가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인구고령화는 잠재성장률의 하락을 초래하고 공적연금제도와 같은 복지제도의 존속을 위협하는 등 우리 사회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정년연장을 포함한 고령자 고용연장 제도 1) 를 도입하여 고령자 의 노동시장 참가를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약 710만 명으로 추산되 는 제 1차 베이비 붐 세대(1955-1963년 출생자)가 민간기업의 평균 퇴직 연령인 55세에 도달 하는 2010년부터 이들의 본격적인 노동시장 은퇴가 예상되고 있어 최근에는 고령자 고용연장 제도의 도입에 관한 검토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 그러나 한편에서는 고령자의 고용연장은 기업의 신규인력 채용을 위축시켜서 청년층의 취업 난과 실업을 더욱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 반론은 (1) 청년 고용 과 고연령 고용은 대체관계라는 가정과 (2) 노동수요가 단기에 고정되어 있다는 이른바 노동 총량설(a lump of labor)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반론의 유효성은 연령집단 간에 대체관 계가 존재하는지와 노동총량설의 타당성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노동총량설은 매우 특수한 조건에서만 성립되는 가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즉 한 경제의 노동수요는 임금수준, 생산성, 경기 변동, 산업구조의 변화, 기술 변화 등 다양한 요 인에 의해서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노동수요가 고정되어 있다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며 이 론적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Kaptevn et al, 2004; Kalwij et al, 2009; Joustin et al, 2010). Kapteven 등(2004)은 실업 감소와 고용창출을 목적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유럽 에서 실시된 노동시간 단축(일자리 나누기) 정책은 실질 임금의 상승을 초래하여 총고용을 감 1) 본 연구에서 고령자 고용연장 제도란 넓은 의미에서 고령근로자의 근무기간 연장을 의미하며, “점진적 퇴직제 도”, “정년연장 제도”, “임금피크제”, “퇴직 후 재고용제도” 등 다양한 형태의 제도를 아우르는 개념으 로 사용된다. 2) 대표적으로 대통령 직속기구인 사회통합위원회 세대분과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세대 일자리 공존 프로젝트 "를 들 수 있다(www.harmonykorea.go.kr/project/project7 참고).

Upload: others

Post on 31-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

김준영(한국고용정보원)

1. 서론

최근 인구고령화의 진전에 따라 근로자의 평균연령 증가나 고연령 근로자의 비중 증가와 같

은 노동력의 고령화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업체 패널자료(2000~2009년)를 이용하여

노동력의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사

업체 수준에서 ① 고령근로자의 비중 증가가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② 고연령층 고용과 청년층 고용 간에 대체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한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우리나라는 출산율의 감소와 평균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인구고

령화가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인구고령화는 잠재성장률의 하락을 초래하고

공적연금제도와 같은 복지제도의 존속을 위협하는 등 우리 사회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정년연장을 포함한 고령자 고용연장 제도1)를 도입하여 고령자

의 노동시장 참가를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약 710만 명으로 추산되

는 제 1차 베이비 붐 세대(1955-1963년 출생자)가 민간기업의 평균 퇴직 연령인 55세에 도달

하는 2010년부터 이들의 본격적인 노동시장 은퇴가 예상되고 있어 최근에는 고령자 고용연장

제도의 도입에 관한 검토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2)

그러나 한편에서는 고령자의 고용연장은 기업의 신규인력 채용을 위축시켜서 청년층의 취업

난과 실업을 더욱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 반론은 (1) 청년 고용

과 고연령 고용은 대체관계라는 가정과 (2) 노동수요가 단기에 고정되어 있다는 이른바 노동

총량설(a lump of labor)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반론의 유효성은 연령집단 간에 대체관

계가 존재하는지와 노동총량설의 타당성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노동총량설은 매우 특수한 조건에서만 성립되는 가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즉 한

경제의 노동수요는 임금수준, 생산성, 경기 변동, 산업구조의 변화, 기술 변화 등 다양한 요

인에 의해서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노동수요가 고정되어 있다는 주장은 비현실적이며 이

론적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Kaptevn et al, 2004; Kalwij et al, 2009; Joustin et

al, 2010). Kapteven 등(2004)은 실업 감소와 고용창출을 목적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유럽

에서 실시된 노동시간 단축(일자리 나누기) 정책은 실질 임금의 상승을 초래하여 총고용을 감

1) 본 연구에서 고령자 고용연장 제도란 넓은 의미에서 고령근로자의 근무기간 연장을 의미하며, “점진적 퇴직제

도”, “정년연장 제도”, “임금피크제”, “퇴직 후 재고용제도” 등 다양한 형태의 제도를 아우르는 개념으

로 사용된다.

2) 대표적으로 대통령 직속기구인 사회통합위원회 세대분과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세대 일자리 공존 프로젝트

"를 들 수 있다(www.harmonykorea.go.kr/project/project7 참고).

Page 2: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소시켜서, 결과적으로 실업 감소에 기여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청년 고용과 고연령 고용 간에 대체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토한 기존 연구들은 다소

상반된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연구는 연령집단들 간에 일정한 고용의 대체성이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대체율의 수준(degree of substitution)은 연구들 간에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

타났다(Hamermesh, 1993, table 3.9 참조). Card와 Lemieux(2001)는 CES 생산함수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여 청년 고용과 중고령 고용 간에 불완전 대체 관계(imperfect

substitutes)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Hebbink(1993)의 분석에서는 청년 고용과 고연령 고용 간에 양(+)의 대체관계는 발

견되지 않았고, 두 연령집단의 고용은 보완관계에 가깝다는 결론이 제시되었다. 1970년대 후

반~1990년대 중반에 유럽에서 실시된 조기퇴직제와 청년층 고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최근 연

구들은 조기퇴직제의 실시로 인한 장년층 고용율의 감소가 청년층의 고용율 증가 및 실업 감

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다(Kalwij et al,

2009; Jousten et al, 2010; Boesch-Supan et al, 2010; Kypten et al, 2010; Gruber & Wise,

2010).

일본의 사례를 분석한 연구 역시 위와 유사한 결론에 제시하고 있다. 유럽국가와는 달리 일

본은 조기퇴직 제도를 도입한 적이 없고 오히려 법정 정년연령을 단계적으로 높여 왔다는 점

에서 고용연장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일본의 법정정

년연령은 1970년대 이전의 55세에서 1990년에 60세로, 2006년부터는 65세로 단계적으로 높여

왔다.3) 그러나 정년연장이 청년층 고용에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으며

고연령층의 고용율 감소(증가)는 대체로 청년층의 고용 증가(감소)를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

다(Oshio et al, 2010; 太田, 2010).

국내 연구 역시 청년층 고용과 고연령층 고용 간의 관계는 대체관계가 아니라 보완관계에

가깝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김대일, 2004; 현대경제연구원, 2010; 권혜자, 2010). 먼저

김대일(2004)은 연령집단 간의 보완탄력성 추정을 통해서 총노동수요에서 고연령층과 청년층

간에 대체관계가 거의 없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현대경제연구원(2010)과 권혜자(2010)는 주

로 거시 노동시장 변수를 이용하여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와 제 1차 베이비 붐 세대가 주

로 고용되어 있는 일자리는 거의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베이비 붐 세대의 고용연장이 청년층

고용을 대체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청년층의 고용 변동은 다른 연령집단 고용의 변동뿐만 아니라 청년층의 규모, 의중

임금 수준, 진학률, 일자리 미스매치의 정도, 노동시장 참가 성향, 산업 및 직업구성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실제 기업에서 청년 고용이 고연령층 고용과 대체관

계에 있다하더라도 위의 요인들의 영향으로 거시집계 수준의 고용지료 상으로는 두 연령집단

간의 고용 변동은 보완관계에 가까운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청년 고용과 고연령층 고

용 간에 일자리 경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거시집계 고용지표가 아닌 사업

체 수준의 자료를 이용하여 두 연령집단 간의 고용변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용보험DB의 하부 DB인 고용보험 피보험자DB(이하 피보험자DB), 피보험자격 취

득자DB(이하 취득자DB), 피보험자격 상실자DB(이하 상실자DB)를 결합하여 창출된 2000~2009년

사업체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에서 청년 고용의 변동은 고연령층 고용 변동과 어떤 관계를

3) 2006년 4월부터 65세까지 근무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고령자 고용확보 조치”가 실시되고 있으

며 2010년 6월 현재 50인 이상 기업의 약 97%는 동 조치를 도입하고 있다(厚生労働省、2010).

Page 3: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갖고 있으며, 노동력의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배경을 제시하고, 관련된

기준 국내외 연구를 정리하였다. 이어서 제 II장에서는 분석 자료의 창출 과정과 내용을 기술

하고 실증분석 모형을 소개한다. 제 III장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제 IV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한다.

II. 자료와 분석모형

1. 분석자료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피보험자DB(피보험자 등록원표), 상실자DB, 취득자DB의 원시

자료를 결합하여 사업체 정보와 근로자의 특성 및 유입․유출 정보가 함께 포함되는 사업체 패

널 자료를 구축하였다. 고용보험 자료의 시계열적 일관성을 고려하여 2004년 1월부터 고용보

험의 임의가입 대상이 된 일용직을 제외한 상용직과 임시직(고용기간 1개월 이상)만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업체 패널자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구축되었다.

첫째, 피보험자DB에는 고용보험 피보험자의 인적 특성(개인 식별번호, 성, 학력, 연령, 피

보험자격 취득일(≒채용일), 대분류 수준 직종 등)과 사업체 특성(사업체 식별번호, 규모, 산

업, 지역, 설립연도, 사업자 등록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년 12월 31일

시점을 기준으로 피보험자의 특성(피보험자 수, 연령집단별 비중, 학력수준별 비중, 평균 연

령, 평균 근속연수, 여성 비율 등)과 사업체의 특성(사업체 식별번호, 산업, 지역, 기업규모

등)이 포함되는 연도별 고용보험 사업체 자료(1)를 구축하였다.

둘째, 상실자DB와 취득자DB에는 위에서 설명한 피보험자DB와 마찬가지로 피보험자격 상실자 

및 취득자의 다양한 인적특성(취득일, 상실일, 상실사유, 성, 연령, 학력 등)과 상실 전 사업

체와 취득 사업체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상실자DB를 이용하여 매년 1월 1일~12월 31

일 기간 중에 발생한 피보험자격 상실자의 인적 특성과 사업체 특성이 포함되는 연도별 상실

전 사업체 자료(2)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취득자DB를 이용하여 매년 1월 1일~12월 31일 기간

중에 발생한 피보험자격 취득자의 인적특성과 사업체 특성이 포함되는 취득자 사업체 자료(3)

를 구축 한 후, 사업체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상실 전 사업체 자료(3)와 통합하였다.

셋째, 사업체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구축된 세 가지 사업체 자료

(1,2,3)를 연결한 후, 2000~2009년 10개년의 사업체 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1998년 10월 이

후 고용보험 적용대상이 임시직 근로자(고용기간 1개월 이상)로 확대되어 1998년 전후 시점

간에 사업체별 근로자 수에 있어 시계열적인 단절이 발생하며, 1999년은 금융위기로 영향으로

예외적으로 대규모의 고용조정이 발생한 년도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2000-2009년 기간에 대해

분석을 하고자 한다.4)

넷째, 본 연구의 초점은 일정 기간 이상 존속되고 있는 보통 사업체에서의 청년고용과 고연

령층 고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2000~2009년 기간 중에 신규성립(창업, 신규

가입 등)하거나 소멸(폐업, 도산 등)된 사업체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4) 본 논문은 실증분석 모형으로 1차 차분방정식을 사용하므로 사실상 2001~2009년의 자료가 회귀분석에 사용된

다.

Page 4: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사용되는 사업체 패널자료는 2000년 12월 31일 시점에 존재한 사업체 중에서 2009년 12월 31

일까지 10년 동안 유지된 사업체만을 포함하는 완전 균형패널(strongly balanced panel)이다.

다섯째, 임금수준이 높고 연령증가와 함께 임금수준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연공적인 임금체

계를 가진 기업은 노무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청년층의 신규채용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

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임금이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의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중분류 수준(2-digit) 산업별

실질 시간당 급여액(정액금여 기준)과 “45-49세 대비 25-29세의 평균 시간당 임금 비율”(이

하 연공임금 수준)을 계산하여 위에서 구축한 사업체 패널자료에 연결하였다. 이 두 임금변수

는 중분류 산업별 평균치이므로 개별 사업체에는 외생적인 변수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구성

된 자료에 사업체가 속한 지역의 경기상황이 청년층 고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가능성을 고

려하여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이 제공하는 지역별 실업률을 추가하였다.

여섯째, 이런 과정을 거쳐서 창출된 사업체 패널 자료 중에서 2000~2009년 기간 중에 일용

직을 제외한 근로자 수가 평균 50인 이상인 사업체 중에서 농림어업을 제외한 10,932개 사업

체를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경우는 50인 이상 사업체에

비해서 신규성립과 소멸이 빈번하고, 청년층 혹은 고연령층 근로자를 전혀 고용하고 있지 않

은 사업체가 많아서 청년 고용과 고연령층 고용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지 않

다고 판단하여 제외하였다.

2. 기초 통계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서 구축된 사업체 패널자료에 포함된 표본 사업체의 기본 특성

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표본 사업체의 평균 근로자 수는 2001년의 약 246명에서 2009년에는 약 285명으로 증

가하였다. 2001~2009년의 사업체 당 평균 근로자 수는 약 267명이다.

둘째, 전년 기준 전체 근로자 수 대비 연령집단별 근로자의 순증감(취득자 수 - 상실자 수)

으로 계산된 연도별 고용성장률을 보면, 2001~2009년 기간에 전 연령 근로자는 연 평균 2.3%

순증가 하였고 29세 이하 청년 근로자는 연 평균 2.8% 순증가 하였다. 반면에 50세 이상과 55

세 이상 고연령 근로자는 같은 기간 각각 연평균 0.6%와 0.5% 순감소 하였다. <표 1>에는 제

시되어 있지 않지만 50세 이상 고연령 근로자는 2004년과 2006년을 제외한 전 분석기간 중에

순감소(취득자 수 < 상실자 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집단별 비중을 보면 29세 이하 청년층의 비중은 2001년 30.9%에서 지속적으로 감

소하여 2009년에는 18.8%로 하락한 반면에 50세 이상과 55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은 2001년에

각각 12.8%와 5.7%에서 2009년에는 각각 22.3%와 10.5%로 상승하였다. 근로자의 평균연령과

평균 근속연수 역시 이 기간에 꾸준히 상승하여 전반적으로 노동력의 고령화가 진전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50세(55세) 이상 근로자의 수는 순감소하고 있으나 내부 근로자의 연령증가

에 의해서 노동력의 고령화는 비교적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기업은 고연령 근로자에 대한 비자발적 형태의 고용조정을 실시하여 노동력의 고령화에 대

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1>은 본 연구에서 구축한 사업체 패널에서 작성된 50세 이

상 근로자의 비중, 50세 이상 비자발적 상실자5) 비중(50세 이상 비자발적 피보험자격 상실자

Page 5: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표 1> 표본의 특성

2001 2004 2006 2009 2001-2009 (연평균)

평균근로자수(명) 245.7 265.4 277.2 284.9 266.8

(791.8) (980.0) (1023.9) (1063.9) (960.1)

고용성장률(%)

전 연령 2.1 4.6 6.8 -0.1 2.3

29세 이하 3.6 3.4 2.6 2.0 2.8

50세 이상 -0.8 0.7 0.7 -1.3 -0.6

55세 이상 -0.8 0.7 0.7 -1.1 -0.5

연령별 구성(%)

30세미만 30.9 26.0 22.8 18.8 25.5

50세 이상 12.8 16.0 18.3 22.3 16.8

55세 이상 5.7 7.9 8.7 10.5 7.9

평균연령(년) 36.3 37.9 39.1 40.7 38.2

평균근속년수(년) 4.9 5.6 6.0 6.7 5.7

여성비중(%) 26.7 27.2 27.2 27.0 27.0

학력(%)

중졸이하 15.3 13.5 12.1 10.4 13.1

고졸 49.7 46.7 45.0 43.7 46.7

전문대졸 13.1 13.9 13.6 13.9 13.5

4년제 대졸 21.9 25.9 29.3 32.0 26.6

사업체 규모(%)

99인 이하 45.0 42.7 41.9 43.0 42.9

100-299인 40.7 41.7 42.0 40.5 41.5

300-999인 11.1 12.2 12.4 12.5 12.1

1,000인 이상 3.2 3.3 3.7 4.0 3.6

산업(%)

제조업 43.3 43.3 43.3 43.3 43.3

서비스업 47.0 47.0 47.0 47.0 47.0

그외 9.7 9.7 9.7 9.7 9.7

지역(%)

수도권 47.8 47.8 47.8 47.8 47.8

비수도권 50.2 50.2 50.2 50.2 50.2

사업체 수 10,932 10,932 10,932 10,932 10,932

주: ( )안의 값은 표준편차임

5)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 사유는 개인 사정에 의한 자발적 상실과 고용주 사정에 의한 비자발적 상실로 나눠진다. 이 중에

서 비자발적 상실에 해당하는 사유는 폐업,도산,공사중단, 경영상 필요에 의한 해고, 휴업, 임금체불, 회사이전 및 근로조건

변동, 기타 회사사정에 의한 퇴직 등이 있다. 우리나라 기업이 중고령자 고용조정 수단으로 많이 사용하는 권고성 명예퇴직

은 기타 회사사정에 의한 퇴직에 포함된다.

Page 6: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수/50세 이상 피보험자격 상실자 수), 50세 이상 정년퇴직에 의한 상실자 비중(50세 이상 정

년퇴직에 의한 피보험자격 상실자 수/50세 이상 피보험자격 상실자 수)의 추이를 보여준다.

<그림 1>은 50세 이상 상실자 중에서 비자발적 상실의 비중은 동 연령집단 근로자의 비중보다

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50세 이상 상실자 중에서 정년퇴직에 의

한 상실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그림 1>에 나타나 있는 50세(55세) 이상 고연령 고용의

순감소가 근로자의 자발적 이직이나 정년퇴직자의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니라 비자발적인 고용

조정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그림 1>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관련 지표 추이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4 5

5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단 위 : %

연 도

비 자 발 적 상 실 자 비 중 ( 5 0세 이 상 )정 년 퇴 직 에 의 한 상 실 자 비 중 ( 5 0세 이 상 )5 0세 이 상 근 로 자 비 중

자료: 본 연구에서 구축한 사업체 패널자료

넷째, 학력수준별 비중을 보면 중졸이하와 고졸 근로자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전문대졸과 4

년제 대졸 근로자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성근로자의 비중은 2009년 현재 27.0%이며

분석 기간 중에 큰 변동이 없다.

다섯째,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43.3%를 점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전체의 산업구조에 비해 제

조업 비중이 다소 과대 대표되고 있다. 한편 서비스업의 비중은 47.0%, 그 외 산업(건설업,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광업 등)의 비중은 9.7%이다.

여섯째, 사업체 규모를 보면 2001~2009년 기간 중의 평균 근로자 수가 99인 이하인 사업체

는 42.9%, 100-299인는 41.5%, 300-999인는 12.1%, 1,0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는 3.6%이다.

연도별 사업체 규모의 변동은 비교적 작으나 299인 이하 사업체의 근소한 감소와 300인 이상

기업의 근소한 증가가 관찰된다. 여기서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사업체 규모별 노동력 고령화의 수준과 청년층 및 고연령층의 고용성장률 추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표 2>에는 2001년과 2009년의 사업체 규모별 29세 이하와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 및

Page 7: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연령집단별 근로자 비중연 평균 고용성장률(%)

(2001-2009)

사업체 규모29세미만 증감

(%p)

50세 이상 증감

(%p) 29세미만 50세 이상

2001 2009 2001 2009

99인 이하 31.6 16.8 -14.9 13.1 24.1 11.1 1.5 -1.1

100-299인 29.3 18.8 -10.5 13.6 22.5 8.9 3.4 -0.3

300-499인 33.1 23.0 -10.1 10.7 19.0 8.2 4.9 0.2

500-999인 33.6 24.4 -9.2 9.9 16.9 7.0 5.1 0.1

1000-1999인 31.4 26.3 -5.2 8.4 14.6 6.2 5.3 -0.3

2000인 이상 35.7 26.9 -8.8 5.4 11.6 6.3 5.2 -0.5

사업체 전체 30.9 18.8 -12.1 12.8 22.3 9.5 2.8 -0.6

2001-2009년 기간의 29세 미만과 50세 이상 근로자의 평균 고용성장률(취득률 - 상실률)이 나

타나 있다. 모든 규모의 사업체에서 2001-2009년 기간 중에 29세 이상 근로자의 비율은 감소

한 반면에 50세 이상 근로자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노동력 고령화는 전 규모의 사업

체에서 진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율은

낮다. 그리고 2000인 이상 사업체를 제외하면 대체로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50세 이상 근로자

의 비중 증가폭과 29세 미만 청년층 근로자의 비중 감소폭이 작아지는 것도 볼 수 있다.

29세 미만 청년 근로자의 연평균 고용성장률은 모든 규모의 사업체에서 양(+)의 증가를 기

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사업체 규모가 커질수록 29세 이하 청년층 근로자의 고용성장

률이 뚜렷하게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는 청년 근로자의 고

용이 연 평균 5%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에서 노동력

고령화(50세 이상 근로자 비중 증가)는 청년층 고용 증가를 동반하는 과정임을 시사 하는 것

으로 보인다. 한편, 50세 이상 고연령층 근로자의 고용성장률은 300-499인과 500-999인 사업

체를 제외하면 음(-)의 증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체 규모에 따른 뚜렷한 특징은

발견되지 않는다.

<표 2> 연령집단별 근로자 비중 및 고용성장률

Page 8: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3. 분석모형

본 연구는 고연령 고용과 청년 고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고연령층의 고용변

동과 노동력의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변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아래의 방정식

(1)과 (2)와 같은 패널 고정효과 모형(Panel 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한다. 패널 모형을

사용하는 이유는 패널개체의 관찰된 특성뿐만 아니라 미관찰된 특성을 통제하여 두 연령집단

의 고용 간의 관계를 엄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1)

(2)

식 (1)과 (2)에서 종속변수인 는 사업체별 청년층(29세 이하)의 고용성장률(취득률 -

상실률)6)이다. 식 (1)의 관심변수인 는 사업체별 고연령층(50세 이상 혹은 55세 이상)의

고용성장률(취득률-상실률)이다. 식 (2)에서 은 노동력 고령화를 나타내는 변수이며

t-1기의 ① 50세(55세) 이상 근로자의 비율, ② 평균연평, ③ 평균근속년수를 차례로 사용한

다.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변수(여성비율(t-1기), 기업규모 더미

(4개), 산업 더미(9개), 지역 더미(16개 행정구역), 조사년도 더미, 지역별 GDP(t기), 중분류

산업별 로그 시간당 실질임금(t기), 중분류 산업별 45-49세 시간당 임금 대비 25-29세의 시간

당 임금 비율(t기))의 벡터이다.

이외에도 사업체별 학력변수(예: 평균 교육년수 혹은 전문대졸 이상 고학력 근로자 비율)

를 통제변수에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변수는 노동력 고령화 변수와 음

(-)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의심되어 통제변수에서 제외하였다. 한편 와 는 시간에 따

라 변하지 않는(time-invariant) 사업체의 미관찰 이질성을 나타내는 오차항(E()=E()0)이

며, 와 는 순수 오차항( ~ N(0,1), ~ N(0,1))을 나타낸다.

패널 자료를 이용한 선형회귀 분석은 크게 확률효과 모형(panel random effect model)과 고

정효과 모형으로 구분된다. 고정효과 모형은 식 (1)의 와 설명변수가 상관되어 있을 가능성

( ≠ , 단, 는 설명변수의 벡터)을 고려하는 반면에 확률효과 모형(panel random

effect)은 패널개체의 관찰되지 않은 특성 와 설명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없다

( )고 가정한다. 따라서 만약 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된다면, 불

편추정량을 얻기 위해서는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하우스만 검정(Hauseman test)을 이용하여 을 검증하였다. 대

부분의 모형에서 사업체의 미관측 이질성과 설명변수들이 독립이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된 것으

로 나타나서7) 본 연구는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다만 고정효과 모형

을 추정할 경우 산업이나 지역과 같은 시간불변(time -invariant) 변수의 추정량을 구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Hauseman & Taylor(1981)가 제안한 도구변수 추정량을 사용하면 이

6) 취득률과 상실률은 각각 전년 12월 31일 기준 전 연령 근로자 수 대비 당해 연도 1월 1일~12월 31일 기간 중

의 연령집단별 피보험자격 취득자 수 및 상실자 수로 정의하였다.

7) 확률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와 하우스만 검정 결과는 <부표 1>에 제시되어 있다.

Page 9: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문제를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산업이나 지역은 중요한 관심의 대상은 아니므로 도구변수

추정은 시도하지 않는다.

III. 청년고용과 고연령 고용 간의 관계 분석

1. 기본모형 분석결과

<표 3>에는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고연령층의 고용변동과 노동력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

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종속변수는 29세 이하 청년층 고용성장률(29

세 이하 취득률 - 29세 이하 상실률)이며, 관심 설명변수는 ①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성장

률(50세 이상 취득률 - 50세 이상 상실률, 동년), ② 55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성장률(55세 이

상 취득률 - 55세 이상 상실률, 동년), ③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 ④ 55세 이상 근로

자 비중(전년), ⑤ 평균 연령(전년), ⑥ 로그 평균근속년수(전년)이다. 관심 설명변수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의심되어 <표 3>과 같이 6개의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먼저 F검정 결과를 보면 개체특성의 이질성()이 모두 0이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모형으로 단순 결합OLS 모형보다 고정효과 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식 3>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0세와 55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성장률은 청년층 고용에 1%의 유의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모형 (1)과 (2)). 이는 50세(55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 증가

는 29세 미만 청년층 근로자의 고용 증가(감소)를 동반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50세 이상 근로

자의 고용증가가 청년층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는 청년층 고용과 고연령층 고용이 대체관계라기 보다는 보완관계에 가까운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사업체는 경기변동이나 기업경영 성과에 따라서 청년층과 고연령층 근로자를 동시에 감

소시키거나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모형 (3)-(6)은 노동력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명

변수로 노동력 고령화의 대리변수인 50세(55세) 근로자 비중, 평균 연령, 평균 근속년수를

차례로 사용한 결과이다. 분석 결과는 50세(55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근로자

의 평균연령과 평균 근속년수가 늘어날수록 1% 유의수준에서 청년층 고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업은 근로자의 연령구성을 최적(즉, 역U자 형태의 근로자 연령

구성)으로 유지하는 것을 지향하기 때문에 고령근로자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청년층 고용을 늘

이게 된다는 太田(2010)의 가설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기업규모 더미(1,000인 이상 =1)의 추정결과로 보면 29세 이하 근로자의 고용성장률

은 300-999인 사업체를 제외하면 대체로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낮다. 이는 사업체 규모가 클수

록 청년층 고용성장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앞 절의 <표 2>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넷째, 본 연구는 연공 임금이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산업별 45-49

세 대비 25-29세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수준"을 모형에 포함하였다. 이 변수는 모든 모형에서

1% 유의수준에서 청년층의 고용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령이 증가

Page 10: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표 3> 청년층 고용성장률의 결정 요인(고정효과모형)

모형

설명변수(1) (2) (3) (4) (5) (6)

50세 이상 근로자

고용성장률(동년)

0.085 **

(0.005)

55세 이상 근로자

고용성장률(동년)

0.058 **

(0.006)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

0.179 **

(0.007)

55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

0.179 **

(0.010)

평균 연령(전년)1.224 **

(0.025)

로그 평균

근속월(전년)

2.641 **

(0.175)

여성 근로자

비중(전년)

-0.146 ** -0.149 ** -0.152 ** -0.151 ** -0.152 ** -0.138 **

(0.008) (0.008) (0.007) (0.008) (0.007) (0.008)

사업체 규모

(1,000인 이상)

99인 미만(전년)-5.242 ** -5.476 ** -6.351 ** -5.854 ** -7.885 ** -6.063 **

(0.553) (0.554) (0.553) (0.553) (0.548) (0.554)

100-299인(전년)-1.960 ** -2.070 ** -2.599 ** -2.257 ** -3.785 ** -2.400 **

(0.536) (0.536) (0.535) (0.536) (0.531) (0.536)

300-999인(전년)0.334 0.315 0.083 0.239 -0.467 0.240

(0.493) (0.493) (0.492) (0.493) (0.487) (0.493)

산업별 45-49세 대비

25-29세 시간당

임금수준(동년)

-1.494 ** -1.485 ** -0.813 ** -1.187 ** -1.066 ** -1.667 **

(0.296) (0.296) (0.296) (0.296) (0.292) (0.296)

산업별 로그 시간당

임금(동년)

0.593 ** 0.519 * 0.255 0.370 -0.123 0.408 *

(0.201) (0.201) (0.200) (0.201) (0.199) (0.201)

지역별 실업률(동년)-0.120 -0.125 -0.134 -0.110 -0.124 -0.160

(0.118) (0.118) (0.117) (0.118) (0.116) (0.118)

상수항52.978 ** 48.332 ** 28.347 ** 37.232 ** -36.750 ** 31.572 **

(13.533) (13.564) (13.489) (13.505) (13.444) (13.520)

0.303 0.305 0.390 0.352 0.576 0.338

관측치 수 98,388 98,388 87,456 87,456 87,456 87,456

F 1.51** 1.52** 1.52** 1.53** 1.68** 1.46**

주) 1) ** p<0.01, * p<0.05

2) ( ) 안의 값의 표준오차임

3) 종속변수: 청년층 고용성장률 = (청년층 피보험자격 취득률 - 청년층 피보험자격 상실률)

4) 통제변수에는 산업더미(8개), 년도더미(9개), 지역더미(16개)가 포함되어있음

5) 는 전체 오차항의 분산에서 의 분산이 차지하는 비중을 추정한 것임

6) F검정은 귀무가설 : 모든 i에 대하여 =0에 대한 검정결과임

할수록 임금수준이 가파르게 높아지는 임금체계를 가진 기업에서는 노무비 부담으로 인해 청

년층 채용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는 통설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그러나 임금수준의 증가가 청년층 취업난의 원인이라는 통설과는 달리, 본 연구에

Page 11: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서 시간당 임금의 절대 수준은 청년층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 고용의 증가는 주로 임금수준이 높은 고성장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는 권혜자(2010)의

발견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여섯째, 모든 모형에서 여성 근로자의 비중은 청년층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 밖에 지역별 경기변동을 통제하기 위해 분석에 포함한 지역별 실업률의 추정

계수는 청년층 고용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성별 추정

사업체 패널의 전체 근로자를 분석한 앞 절에 이어서 본 절에서는 사업체 패널 내 근로자를

남녀로 구분한 후 고연령층의 고용변동과 노동력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여기서 일차적인 관심은 앞 절의 기본모형에서 본 고연령층 고용변동과 노동력 고

령화가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효과가 남녀 청년 근로자 간에도 일관되게 확인되는지 여

부이다. 기본 모형 중에서 여기서는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성장률과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

의 효과만을 남녀로 구분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표 4>에는 50세 이상 남녀 근로자의 고용변동과 50세 이상 남녀 근로자의 비중이 29세 이

하 남녀 근로자의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먼저 모형 (1)

에서 50세 이상 남녀의 고용성장률은 모두 29세 이하 남자의 고용성장률과 1% 수준에서 유의

하게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50세 이상 고용성장률의 추정계수는 동 연

령 여자보다 약 3배가량 커서, 남자 29세 이하의 고용은 여자 50세 이상 보다 남자 50세 이상

의 고용변동에 보다 탄력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모형 (2)에서 여자 29세 이하 근로자의 고용성장률은 남자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

변동과 1%의 유의수준에서 양(+)의 관계를 갖으나, 여자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변동과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확인할 수 없다.

셋째, 모형 (3)과 (4)는 남녀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이 남자 및 여자 29세 이하 고용성장

률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두 모형 모두에서 남녀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은 청년

층 남녀의 고용성장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추정

계수의 크기를 보면 모형 (3)에서는 남자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의 추정계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모형 (4)에서는 여자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의 추정계수가 상대적으로 커서, 29세 이

하 청년층의 고용성장률은 동성의 5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추정 결과에서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은 여자 근로자 비중 증가는 1%수준에서 유의

하게 남자 29세 고용증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나 여자 29세 이하 고용에는 비교적 큰 부정적

영향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는 여성근로자의 비중이 클수록 기업 내 남성 근로자의 희소가치

가 높아지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풍부해진 여성근로자의 가치는 낮아져서 기업은 남성 근로자

증가-여성근로자 감소의 방향으로 고용조정을 실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그 밖의 통

제변수의 추정결과는 앞 절의 기본 분석 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다.

Page 12: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표 4> 성별 청년층 고용성장률 결정 요인(고정효과 모형)

(1) (2) (3) (4)

종속변수29세 이하 남자

고용성장률

29세 이하 여자

고용성장률

29세 이하 남자

고용성장률

29세 이하 여자

고용성장률

남자 50세 이상 고용성장률(동년)0.033 **

(0.003)

여자 50세 이상 고용성장률(동년)0.011 **

(0.001)

남자 50세 이상 고용성장률(동년)0.170 **

(0.038)

여자 50세 이상 고용성장률(동년)-0.022

(0.018)

남자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0.114 **

(0.004)

여자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0.030 **

(0.003)

남자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0.178 **

(0.055)

여자 50세 이상 근로자 비중(전년)0.577 **

(0.041)

여성 근로자 비중(전년)0.050 ** -1.895 ** 0.043 ** -1.786 **

(0.005) (0.064) (0.005) (0.064)

사업체 규모

(1,000인 이상)

99인 이하(전년)-2.835 ** -16.657 ** -4.331 ** -19.718 **

(0.337) (4.671) (0.336) (4.661)

100-299인(전년)-0.983 ** -10.214 * -2.041 ** -11.362 *

(0.326) (4.521) (0.325) (4.509)

300-999인(전년)-0.102 -3.336 -0.799 ** -3.267

(0.300) (4.156) (0.299) (4.144)

산업별 45-49세 대비 25-29세

시간당 임금수준(동년)

-0.968 ** -0.574 * -0.492 ** -0.430

(0.180) (0.249) (0.180) (0.249)

산업별 로그 시간당 임금(동년)0.135 0.706 * -0.360 0.541

(2.444) (0.339) (0.243) (0.338)

지역별 실업률(동년)-0.037 -0.542 -0.026 -0.574

(0.072) (0.995) (0.071) (0.992)

상수항4.697 314.823 ** -9.389 243.831 *

(8.230) (114.102) (8.184) (113.725)

0.282 0.272 0.388 0.289

관측치 수 98,388 98,388 87,456 87,456

F 1.67** 1.07** 1.71** 1.09**

주) <표 3>과 동일

3. 고연령층 증가․감소 사업장별 추정

앞 절에서 청년층 고용변동은 고연령층 고용변동과 양(+)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본 절에서는 상이한 방향의 고연령층 고용변화, 즉 고연령층 고용의 증가와 감소(혹은 고

령자 비중의 감소와 증가)가 청년층 고용에 비대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윤윤규(2008)가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고연령층의 고용변동과 관련된 다음과

Page 13: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같은 2개의 더미 변수를 설정하여 고연령층 고용증가와 감소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의

비대칭성 여부를 검토한다.

고연령층 고용증가

고연령층 고용감소

이렇게 정의된 2개의 더미변수에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성장률( )을 결합하여 2개의

교호항( ,

)을 설정하였다. 이와 방법으로 앞에서 설명한 식 (1)의 을

로 대체하여 5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 증가와 감소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비대칭적 효과를 검토할 수 있다.

노동력 고령화의 증가 및 감소가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검토 역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노동력 고령화 증가

노동력 고령화 감소

여기서 노동력 고령화 지표로는 ① 50세(55세) 이상 고연령 근로자 비중, ② 평균 연령, ③

로그 평균 근속 월을 사용한다.

<표 5>에는 고연령 근로자의 고용변동을 양(+)의 고용성장과 음(-)의 고용성장으로 구분한

모형의 추정결과가 나타나 있다. 모형 (1)은 50세 이상 고연령 근로자의 양(+)과 음(-)의 고

용성장이 29세 이하 근로자의 고용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준다. 양(+)과 음(-)으로 구분된

50세 이상 고용성장률의 추정계수를 보면 29세 이하의 고용은 50세 이상 고용이 감소할 때보

다 증가할 때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는 55세 이상 근로자의 양(+)과 음(-)의 고용성장이 29세 이하 근로자의 고용성장

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모형 (1)의 결과에 비교하면 양(+)의 고용성장의

계수 값은 감소하였고 음(-)의 고용성장의 계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부호도 양(+)

에서 음(-)으로 바뀌었다. 이는 근로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고령층 고용변동에 대한 청년층

고용변동의 탄력성이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 하는 것으로 보인다.

모형 (3)-(6)은 노동력 고령화 관련 변수를 차례로 추정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고연령층의

양(+)과 음(-)의 고용성장률을 추정한 모형 (1)과(2)와는 달리, 노동력 고령화의 진전과 감소

가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효과의 뚜렷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Page 14: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표 5> 청년층 고용에 대한 고령자 고용의 증가․감소의 효과(고정효과 모형)

(1) (2) (3) (4) (5) (6)

50세 이상 양(+)의

고용성장률(동년)

0.106 **

(0.007)

50세 이상 음(-)의

고용성장률(동년)

0.038 **

(0.011)

55세 이상 양(+)의

고용성장률(동년)

0.085 **

(0.008)

55세 이상 음(-)의

고용성장률 (동년)

-0.005

(0.014)

50세 이상 비중 증가(전

년)

0.137 **

(0.007)

50세 이상 비중 감소(전

년)

0.145 **

(0.008)

55세 이상 비중 증가(전

년)

0.127 **

0.009

55세 이상 비중 감소(전

년)

0.136 **

0.011

평균 연령 증가(전년)1.022 **

(0.024)

평균 연령 감소(전년)1.028 **

(0.025)

평균 근속월 증가(전년)2.845 **

(0.179)

평균 근속월 감소(전년)2.964 **

(0.185)

0.305 0.307 0.392 0.361 0.563 0.342

관측치 수 98,388 98,388 87,456 87,456 87,456 87,456

F 1.50 1.51 1.54 1.540 1.66 1.46

주: 1) <표 3>의 통제변수가 포함되어 있음(결과 생략)

2) 그 외 <표 3>과 동일

V. 요약과 결론

거시 노동시장 지표를 이용하여 청년층 고용과 고령층 고용 간의 관계를 검토한 기존 연구

는 두 연령집단 간의 관계는 대체관계가 아닌 보완관계에 가깝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기

여는 사업체 수준에서 청년층과 고연령층 고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존 연구가 제시한 결

론의 타당성을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는 고용보험DB를 이용하여 구축한 사업체 패널자료(2000~2009년)를 이용하여 노동력

의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관심은 ① 고령근로자의 비

중 증가가 청년층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② 고연령층 고용과 청년층 고용

간에 대체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는 고연령층 고용의 변동은

청년층 고용의 변동과 양(+)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즉 고연령층 고용의 증가(감소)는

청년층 고용 증가(감소)는 동반하며 역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Page 15: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둘째, 본 연구는 노동력 고령화의 지표로 ① 50세(55세) 이상 근로자 비중, ② 평균 연령,

③ 평균 근속월을 차례로 사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

다. 분석결과는 대체로 노동력 고령화는 청년층 고용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연령층 고용의 양(+)의 변동과 음(-)의 변동이 청년층 고용에 비대칭적인 영향을

갖는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더미 변수를 사용하여 고용변동을 양(+)의 고용성장과 음(-)

의 고용성장으로 구분한 모형을 추정하였다. 양(+)과 음(-)으로 구분된 고연령층 고용성장률

의 추정계수를 보면 청년층 고용은 고연령층 고용이 감소할 때보다 증가할 때 더 탄력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동력 고령화의 진전과 감소가 청년층 고용성장률에 미치는

효과의 뚜렷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발견은 청년층과 고연령층 고용 간에 대체 관계가 존재한다는 통설에 대해 의문

을 제기한다. 우리나라 기업에서 청년층과 고연령층 고용은 동시에 증가하거나 감소하며 기업

내 노동력의 고령화 역시 청년층 고용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청년층 고용과 고연령층 고용 간에 대체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두 집

단 간의 관계는 보완관계에 가깝다는 것을 시사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고령자 고용연장 조치의 실시로 인해 기

업 내 고연령 근로자 비중이 증가하더라도 청년층 고용 사정이 악화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제시하는 바와 같이 고연령층 고용변동이 청년층

고용변동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면 고연령층 취업 증가가 청년층 취업 감소를 초래할 가능

성 역시 낮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년 고용은 고연령 고용이나 노동력의 연령구성 뿐만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현재에는 고연령 근로자는 생산성이 낮고 기업의 노무비 부담을 증가시키는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노동력 고령화가 더욱 진전되어 고령인력의 활용에 대한 국가적

대책이 마련되고 임금피크제가 실시되어 고령인력 고용에 따른 기업의 부담이 크게 감소한다

면 기업의 고령인력 활용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고령인력의 고용증가는 청년

층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청년층과 고연령층 간의 관

계에 대해서는 연령집단별 고용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함께 고려하면서 지속적으

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Page 16: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참고 문헌

권혜자, 『연령세대별 일자리 변화와 고용서비스 정책 과제』, 한국고용정보원, 2010.

김대일, 「고령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장지연 외.『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I

I』. 한국노동연구원, 2004. pp. 7~34.

윤윤규, 「노동조합과 고용조정 - 순고용변화에 대한 제품수요 충격을 중심으로」, 『노동경

제논집』31권 1호(2008.8): 35-72.

현대경제연구원, 『임금피크제 도입 관련 현안분석과 정책적 지원 과제』. 글로벌 산업구조

재편과 우리의 대응 전략(VIP Report) 10-11, 2010.

Borsch_Supan, A. and Schnabel, R., "Early Retirement and Employment of the Young in

Germany,"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10): pp. 147-266.

Card, D., and T. Lemieux, "Can Falling Suppl Explain the Rising Return to College for

Younger Men? A Cohort_Based Analysi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6,(2001): pp. 705-746.

Kalwij, A., A. Kapteyn, and K.D. Klaas, "Early Retirement and Employment of the Young,"

WR-47, RAND Labor and Population, Utrecht University. 2009.

Gruber, J. & D. A. Wise(eds),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ip to Youth Employmen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Hamermesh, D.S. Labor Dema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1993).

Hebbink, G.E., "Production Factor Substitution and Employment by Age group," Economic

Modelling, 10,(1993):pp. 217-224.

Jousten, A., M. Lefèbvre, S. Perelman, and P. Pesieau(2010), "The Effects of Early

Retirement on Youth Unemployment: The Case of Belgium,"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10): pp. 47-76.

Oshio, T, Shimizutani, S. and A. S. Oishi, "Does Social Security Induce Withdrawal of

the Old from the Labor Force and Create Jobs for the Young: The Case of Japa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2010): pp. 217-242.

太田聰一、高齢化と若年就業:その関連の再検討、慶応大学. 2010年2月

玄田有史、『ジョブクリエイションJob Creation in Japan』,日本経済新聞社,2004.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2010), 高齢者の雇用・採用に関する調査、JILPT調査シリーズ No.67。

Page 17: 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²½제학공동_2011_김준영...노동력 고령화와 청년층 고용: 사업체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부표 1> 청년층 고용성장률의 추정결과(임의효과모형)

설명변수(1) (2) (3) (4) (5) (6)

50세 이상 고용성장률0.100**

(0.005)

55세 이상 고용성장률0.075**

(0.006)

50세 이상 비중(전기)-0.052**

(0.003)

55세 이상 비중(전기)-0.049**

(0.004)

평균연령(전기)-0.198**

(0.007)

평균근속년수(전기)-1.760**

(0.069)

여성비중(전기)0.013** 0.012** 0.007** 0.009** -0.001 0.004*

(0.002) (0.002) (0.002) (0.002) (0.002) (0.002)

산업별 평균 시간당임금1.347** 1.549* -1.655* -1.225* -1.083 2.056**

(0.393) (0.696) (0.690) (.556) (0.425) (0.484)

45-49세 대비 25-29세

임금수준

1.216** 1.302** 1.368** 1.601** 1.037** 1.285**

(0.183) (0.184) (0.181) (0.182) (0.179) (0.179)

1000-299인1.843 1.891 1.812 1.852 1.764 1.937

(0.084) (0.084) (0.082) (0.083) (0.081) (0.081)

300-999인3.255 3.313 3.086 3.193 2.953 3.597

(0.129) (0.129) (0.126) (0.128) (0.124) (0.125)

100인 이상3.084 3.116 2.742 2.884 2.636 3.723

(0.220) (0.220) (0.216) (0.218) (0.212) (0.214)

지역별 실업률-0.098 -0.104 -0.096 -0.105 -0.095 -0.076

(0.118) (0.118) (0.118) (0.118) (0.119) (0.118)

상수항-14.996** -11.389** 12.366** 10.557** 12.427** -23.916**

(4.720) (4.725) (4.734) (4.866) (4.624) (4.656)

rho 0.0501 0.0502 0.0403 2.2649 0.0337 0.0368

관측치수 98,280 98,280 98,280 98,280 98,280 98,280

Hausman 검정 336.90** 317.73** 1532.10** 1036.51** 3730.64** 1221.81**

주) 1) ** p<0.01, * p<0.05

2) 종속변수: 청년층 고용성장률 =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률 - 상실률)

3) 통제변수에는 산업더미, 규모더미, 년도더미, 지역더미가 포함되어있음

4) Hausman 검정통계량은 귀무가설 에 대한 검정결과임. 단 여기서 는 설명

변수의 벡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