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낮은일자리노동수급미스매치심화...

1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산물의 유통단계를 줄이고 물류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온라 인경매를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T는 지난해 온라인경매의 시범 운영을 통해 시장경쟁력과 적합성 등을 검증해 양파, 깐마늘, 무, 배추, 감귤, 수박 등 6개의 품목을 선정하 고 올해부터 매일에서 주 1회까지 상 시 경매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산지의 생생한 영상을 스 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신개념 모 델을 도입,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중 간유통 단계없이 농산물을 거래함으 로써 물류효율성을 높였다. 고대로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위축됐던 전국 부 동산 경매 시장이 다소 회복되고 있 는 추세지만, 제주지역 경매 시장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8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 이 발표한 2020년 6월 경매 동향 보 고서 에 따르면 전국 경매 진행 건수 는 1만3947건으로 이 중 5087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36.5%로 전월 대비 0.8% 증가했으나,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4.1% 떨어진 73.0%를 기 록했다. 전국적으로 보면 경매 시장의 소 화량을 나타내는 낙찰률이 두달 연 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제주지역 경매 시장 지표는 여전히 전국 최하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달 제주지역 경매 진행 건수 는 360건으로 이 중 112건이 낙찰됐 다. 낙찰률은 전월보다 2.7% 떨어진 31.1%로 전국 최하위권으로 나타났 다. 제주보다 낙찰률이 낮은 지역은 충북(29.3%), 경남(29.2%) 곳뿐이다.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20.8%나 떨어진 54.3%로 전국 최하 위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 상업시설의 경우 109건 이 경매에 부쳐졌으나, 이 중 15건만 낙찰되면서 낙찰률 13.8%, 낙찰가율 46.8%를 기록했다. 한편 제주시 용강동 소재 체육용 지가 감정가의 43%인 158억원에 낙 찰되면서 제주지역 최고 낙찰가를 기록했으며, 2위는 서귀포시 중문동 소재 전 20억7216만원, 3위는 제주 시 도두2동 소재 전이 20억5000만원 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서귀포시 동 홍동 소재 아파트에는 27명의 응찰 자가 몰려 제주지역 최다 응찰자 수 를 기록하기도 했다. 김현석기자 [email protected] 제주지역은 다른 시도에 비해 높은 고용률과 낮은 실업률 등 고용지표 는 양호한 편이나 인구 증가세 둔화 와 질적으로 낮은 수준의 일자리 문 제, 노동수급의 미스매치 심화 등 구 조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8일 발표한 제주지역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과 따르면 제주지역 고성장기 (2011~2017년)중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 및 고용률은 각각 4.0%, 67.9 %로 전국(1.5%, 60.2%)에 비해 견 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 동인구가 크게 증가(2010년 28만 9000명→2017년 38만2000명)하고 경제성장세가 높은 수준을 지속(전 국 3.0%, 제주 6.4%, 2011~2017년 연평균 기준)하는 등 노동수급이 견 조한 흐름을 보인데 기인한 것이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전국 평균 대비 5%p 이 상 상회해 2019년에는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69.9%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경제성장률 하락과 인구순유입 둔화 등으로 점 차 고용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2018 년 제주경제가 2005년 이후 처음으 로 역성장을 기록(-1.7%)하면서 취 업자수(-0.6%) 등 고용지표가 하락 것이다. 2010년부터 제주지역의 노동공급을 견인해 온 인구순유입도 2016년을 정점으로 유입폭이 축소 (2010년:+437명→2016년:+1만4632 명→2018년 +8,853명→2019년:+ 2936명)되고 있다. 올들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관광관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 여건이 한층 더 악화되는 모습을 보 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5월중 일시휴직자는 전년 동기대비 1만8400명 증가했으며 실 업급여 신규 신청자수도 4월까지 7454명을 기록해 전년에 비해 59.9% 증가했다. 제주지역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는 2011~2017년 도내 이주 증가로 확대됐으나 최근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인구순유입(15세 이상)은 2016년 중 +1만2127명으로 최대 규 모를 기록했으나 2018년 이후 급격 히 축소(2018년 +7067명→2019년 + 2121명)됐다. 또 임금근로자 중 임시 일용 근로 자가 상당수 차지해 상용근로자 비 중(61.6%)이 전국에서 가장 낮다. 2019년 제주지역 비정규직 비중은 44.6%로 전국 평균(36.4%)을 8.2% p 상회하면서 17개 시도 중 두번째 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아울러 노동시장 내 직종별 구직 구인 불일치 정도를 계량적으로 추 정하기 위해 노동시장 미스매치 지 수를 작성한 결과 제주지역 수준은 전국 평균에 비해 큰 편으로 나타났 다. 2012~2015년 대비 2016~2019년 미스매치 지수 증감을 보면 전국은 +1.0이지만 제주는 -0.9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 제주본부 관 계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 안정 및 제주지역 노동시장의 구조 적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외 투자유 치 등을 통해 관광산업을 고도화해 제주가 괜찮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정책당국, 업 계 및 학계 간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 청년층 구직-구인 미스매치 완화 를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고 주문했다. 고대로기자 2020년 7월 9일 목요일 6 경제 주간 재테크 핫 이슈 정우 유안타증권 금융센터 제주본부점 삼성전자가 지난 7일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영업이익 8.1조 원으로 주요 증권사들의 예상치 였던 6조원에서 7조원 후반을 대 폭 상회하는 실적을 보였다. 그리 고 삼성전자의 실적 발표를 기점 으로 국내증시도 실적시즌에 돌 입하게 되는데 이에 맞춰 투자자 들의 관심도 코로나19 이후 기업 들의 실적 변동에 쏠리고 있다. 현재 코스피의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는 128.3조원, 2분기는 27.1조원이며 이는 연초 대비 각 각 -24.9% , -27.4% 조정된 수치 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업 실 적 추정치는 지속적으로 하향 조 정 중이며 이에 맞춰 내년에 대 조정치도 하향 조정을 하고 있으나 하향 속도 자체는 올해 추정치 하향속도 보다는 더디게 조정을 보이고 있다. 현재 2분기 실적은 최악을 기 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코로 나19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 심리 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개인들의 소비심리 역시 얼어붙어 자연스 럽게 기업실적 역시 최악을 예상 하고 있다. 하지만 실물경제와 괴 리가 있는 것으로 예상되기에 예 상치보다는 좋게 나오는 기업이 많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도 영업이익 8.1조원으로 예상치를 뛰어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기 에 이러한 기조가 2분기에 이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실적 서프라이즈는 주 가지수에 어느정도 반영돼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실적 서 프라이즈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 으나 실제 주가에 반영되는 모습 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에 뒤늦게 실적을 보고 증 시에 투자하기보다는 현재 주가 지수 수준에 맞춰 볼 필요가 있 으며 중소형 개별 종목들이 실적 서프라이즈에 따른 주가 탄 력이 더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증시의 급격한 반등으로 기업 벨류에이션에 대한 부담감이 최 근에 대두되고 있는데 이번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증시도 성장주 에서 실적가치주로의 전환 가능 성이 보이고 있다. 2014~15년 코 스닥 상승 당시 성장주들이 급등 하면서 벨류에이션에 대한 부담 감이 쌓이고 이후 실적 바닥을 확인하면서 횡보, 그리고 다시 실 적 회복에 따른 벨류에이션은 정 상화되면서 주가가 오르는 실적 장세가 이어졌다. 이번에도 2분기 에 실적 바닥 이후 3분기 회복이 라는 틀에서 움직인다면 이번 실 적시즌은 유동성 장세와 실적장 세 중간의 쉬어가는 징검다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또 이러한 쉬 는 장세에서는 기존 유동성 장세 에서의 주도주에 더해서 실적 장 세에서 주도주로 합류하게될 종 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성장주 중심의 주도주인 2차전 지, 바이오, 인터넷 업종도 순환 매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 지만 앞으로 12개월간의 예상 매 성장률이 높지만 최근 증시 상승률 대비해서는 저조한 IT/하 드웨어와 반도체 업종, 컨텐츠업 종이 실적시즌 이후에 부각되면 서 실적가치주들이 주도주에 더 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번 2분기 실적 시즌에 발표되는 실적과 함께 향후 12개월 선행 실적을 미리 파악하고 새로 합류 하게될 실적주도주에 대한 투자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8코스피지수 2158.88 -5.29 코스닥지수 765.96 +6.80 가(WTI, 달러) 40.62 -0.01 살때 팔때 살때 팔때 환율(원) 1USD 1216.93 1175.07 1EUR 1375. 50 1321. 84 100 1131. 347 1092. 44 1CNY 178.93 161. 89 질 낮은 일자 노동수급 미스매치 심화 제주 바나나 수확 체험 8서귀포시 남읍 신흥의 농업회사법인 유진팡 농을찾관광객들이 바나나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

Upload: others

Post on 25-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질낮은일자리노동수급미스매치심화 주간재테크핫이슈pdf.ihalla.com/sectionpdf/20200709-84102.pdf · 62020년7월9일목요일 경제 주간재테크핫이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농

산물의 유통단계를 줄이고 물류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온라

인경매를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T는 지난해 온라인경매의 시범

운영을 통해 시장경쟁력과 적합성

등을 검증해 양파, 깐마늘, 무, 배추,

감귤, 수박 등 6개의 품목을 선정하

고 올해부터 매일에서 주 1회까지 상

시 경매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산지의 생생한 영상을 스

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신개념 모

델을 도입,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중

간유통 단계없이 농산물을 거래함으

로써 물류효율성을 높였다. 고대로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위축됐던 전국 부

동산 경매 시장이 다소 회복되고 있

는 추세지만, 제주지역 경매 시장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8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

이 발표한 2020년 6월 경매 동향 보

고서 에 따르면 전국 경매 진행 건수

는 1만3947건으로 이 중 5087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36.5%로 전월

대비 0.8% 증가했으나,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4.1% 떨어진 73.0%를 기

록했다.

전국적으로 보면 경매 시장의 소

화량을 나타내는 낙찰률이 두달 연

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제주지역 경매 시장 지표는 여전히

전국 최하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달 제주지역 경매 진행 건수

는 360건으로 이 중 112건이 낙찰됐

다. 낙찰률은 전월보다 2.7% 떨어진

31.1%로 전국 최하위권으로 나타났

다. 제주보다 낙찰률이 낮은 지역은

충북(29.3%), 경남(29.2%) 단 두

곳뿐이다.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20.8%나 떨어진 54.3%로 전국 최하

위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 상업시설의 경우 109건

이 경매에 부쳐졌으나, 이 중 15건만

낙찰되면서 낙찰률 13.8%, 낙찰가율

46.8%를 기록했다.

한편 제주시 용강동 소재 체육용

지가 감정가의 43%인 158억원에 낙

찰되면서 제주지역 최고 낙찰가를

기록했으며, 2위는 서귀포시 중문동

소재 전 20억7216만원, 3위는 제주

시 도두2동 소재 전이 20억5000만원

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서귀포시 동

홍동 소재 아파트에는 27명의 응찰

자가 몰려 제주지역 최다 응찰자 수

를 기록하기도 했다.

김현석기자 [email protected]

제주지역은 다른 시도에 비해 높은

고용률과 낮은 실업률 등 고용지표

는 양호한 편이나 인구 증가세 둔화

와 질적으로 낮은 수준의 일자리 문

제, 노동수급의 미스매치 심화 등 구

조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8일 발표한

제주지역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과

제 에 따르면 제주지역 고성장기

(2011~2017년)중 연평균 취업자수

증가율 및 고용률은 각각 4.0%, 67.9

%로 전국(1.5%, 60.2%)에 비해 견

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

동인구가 크게 증가(2010년 28만

9000명→2017년 38만2000명)하고

경제성장세가 높은 수준을 지속(전

국 3.0%, 제주 6.4%, 2011~2017년

연평균 기준)하는 등 노동수급이 견

조한 흐름을 보인데 기인한 것이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전국 평균 대비 5%p 이

상 상회해 2019년에는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69.9%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경제성장률

하락과 인구순유입 둔화 등으로 점

차 고용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2018

년 제주경제가 2005년 이후 처음으

로 역성장을 기록(-1.7%)하면서 취

업자수(-0.6%) 등 고용지표가 하락

한 것이다. 2010년부터 제주지역의

노동공급을 견인해 온 인구순유입도

2016년을 정점으로 유입폭이 축소

(2010년:+437명→2016년:+1만4632

명→2018년 +8,853명→2019년:+

2936명)되고 있다.

올들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관광관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

여건이 한층 더 악화되는 모습을 보

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5월중 일시휴직자는 전년

동기대비 1만8400명 증가했으며 실

업급여 신규 신청자수도 4월까지

7454명을 기록해 전년에 비해 59.9%

증가했다.

제주지역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는 2011~2017년 도내 이주 증가로

확대됐으나 최근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인구순유입(15세 이상)은

2016년 중 +1만2127명으로 최대 규

모를 기록했으나 2018년 이후 급격

히 축소(2018년 +7067명→2019년 +

2121명)됐다.

또 임금근로자 중 임시 일용 근로

자가 상당수 차지해 상용근로자 비

중(61.6%)이 전국에서 가장 낮다.

2019년 제주지역 비정규직 비중은

44.6%로 전국 평균(36.4%)을 8.2%

p 상회하면서 17개 시도 중 두번째

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아울러 노동시장 내 직종별 구직

구인 불일치 정도를 계량적으로 추

정하기 위해 노동시장 미스매치 지

수를 작성한 결과 제주지역 수준은

전국 평균에 비해 큰 편으로 나타났

다. 2012~2015년 대비 2016~2019년

미스매치 지수 증감을 보면 전국은

+1.0이지만 제주는 -0.9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 제주본부 관

계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

안정 및 제주지역 노동시장의 구조

적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며 국내외 투자유

치 등을 통해 관광산업을 고도화해

제주가 괜찮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정책당국, 업

계 및 학계 간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

해 청년층 구직-구인 미스매치 완화

를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고 주문했다. 고대로기자

2020년 7월 9일 목요일6 경 제

주간 재테크 핫 이슈

현 정 우

유안타증권

금융센터

제주본부점

삼성전자가 지난 7일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영업이익 8.1조

원으로 주요 증권사들의 예상치

였던 6조원에서 7조원 후반을 대

폭 상회하는 실적을 보였다. 그리

고 삼성전자의 실적 발표를 기점

으로 국내증시도 실적시즌에 돌

입하게 되는데 이에 맞춰 투자자

들의 관심도 코로나19 이후 기업

들의 실적 변동에 쏠리고 있다.

현재 코스피의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는 128.3조원, 2분기는

27.1조원이며 이는 연초 대비 각

각 -24.9% , -27.4% 조정된 수치

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업 실

적 추정치는 지속적으로 하향 조

정 중이며 이에 맞춰 내년에 대

한 조정치도 하향 조정을 하고

있으나 하향 속도 자체는 올해

추정치 하향속도 보다는 더디게

조정을 보이고 있다.

현재 2분기 실적은 최악을 기

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코로

나19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 심리

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개인들의

소비심리 역시 얼어붙어 자연스

럽게 기업실적 역시 최악을 예상

하고 있다. 하지만 실물경제와 괴

리가 있는 것으로 예상되기에 예

상치보다는 좋게 나오는 기업이

많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도

영업이익 8.1조원으로 예상치를

뛰어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기

에 이러한 기조가 2분기에 이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실적 서프라이즈는 주

가지수에 어느정도 반영돼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실적 서

프라이즈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

으나 실제 주가에 반영되는 모습

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에 뒤늦게 실적을 보고 증

시에 투자하기보다는 현재 주가

지수 수준에 맞춰 볼 필요가 있

으며 중소형 및 개별 종목들이

실적 서프라이즈에 따른 주가 탄

력이 더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증시의 급격한 반등으로 기업

벨류에이션에 대한 부담감이 최

근에 대두되고 있는데 이번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증시도 성장주

에서 실적가치주로의 전환 가능

성이 보이고 있다. 2014~15년 코

스닥 상승 당시 성장주들이 급등

하면서 벨류에이션에 대한 부담

감이 쌓이고 이후 실적 바닥을

확인하면서 횡보, 그리고 다시 실

적 회복에 따른 벨류에이션은 정

상화되면서 주가가 오르는 실적

장세가 이어졌다. 이번에도 2분기

에 실적 바닥 이후 3분기 회복이

라는 틀에서 움직인다면 이번 실

적시즌은 유동성 장세와 실적장

세 중간의 쉬어가는 징검다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또 이러한 쉬

는 장세에서는 기존 유동성 장세

에서의 주도주에 더해서 실적 장

세에서 주도주로 합류하게될 종

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성장주 중심의 주도주인 2차전

지, 바이오, 인터넷 업종도 순환

매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

지만 앞으로 12개월간의 예상 매

출 성장률이 높지만 최근 증시

상승률 대비해서는 저조한 IT/하

드웨어와 반도체 업종, 컨텐츠업

종이 실적시즌 이후에 부각되면

서 실적가치주들이 주도주에 더

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번 2분기 실적 시즌에 발표되는

실적과 함께 향후 12개월 선행

실적을 미리 파악하고 새로 합류

하게될 실적주도주에 대한 투자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8일코스피지수 2158.88

-5.29▼ 코스닥지수 765.96

+6.80▲ 유가(WTI, 달러) 40.62

-0.01▼

살때 팔때 살때 팔때환율(원) 1USD 1216.93 1175.07 1EUR 1375.50 1321.84

100 1131.347 1092.44 1CNY 178.93 161.89

질 낮은 일자리 노동수급 미스매치 심화

제주바나나 수확 체험 8일 서귀포시 남원읍 신흥리의 농업회사법인 유진팡 농원을 찾은

관광객들이 바나나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