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위협...

12
계속되는 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 www.me.go.kr

Upload: others

Post on 05-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계속되는 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

환 경 부www.me.go.kr

Page 2: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1. POPs란무엇일까요?

2. POPs와스톡홀름협약

3. POPs는어떤문제를 일으키나요?

4. POPs는어떻게 우리몸에들어오나요?

5. POPs를줄이는 방법은 있나요?

Co n t e n t s

Page 3: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인류는 역사이래 수많은 화학물질을 개발하고 사용해

왔습니다. 그 중에는 사람과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도 많습니다. 이들 유해물질

중에서 특히 독성이 강하면서도 분해가 느려 생태계에

오랫동안 남아 피해를 일으키는 물질을 잔류성유기오염

물질( Per s i s t ent Org a n ic Pol lut a nts, 이하 POPs라

부르기로 함)이라 합니다.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02/03

1. POPs란무엇일까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 O P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어 다른 물질들과 구별됩니다.

•독성( t o x i c i t y )

암, 내분비계장애(환경호르몬) 등을일으킬수 있습니다.

•잔류성( p e r s i s t e n c e )

분해가 매우 느려 생태계에 오래 남아 피해를 줍니다.

•생물축적성( b i o a c c u m u l a t i o n )

먹이사슬에서위로올라갈수록생체내축적정도가커집니다.

•장거리 이동성( l o n g-range transport)

바람과 해류를 따라 수백, 수천 k m를 이동합니다.

Page 4: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OPs는 국경을 넘어 이동하고 생태계에 오랫동안 남아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지구촌의 모든 국가들이 동참하

여야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국제연합( U N )은 이러한문제를해결하기위한국제사회의

노력을주도하고있습니다. 2001년5월2 3일 POPs 규제를

위한 스톡홀름협약이 채택되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1 5 1개 국가가 서명을 하였습니다.

이 협약에는2 0 0 3년 5월현재 3 1개 국가가가입하였으며,

2 0 0 4년에는 발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협약이 발효되면 가입국은 다음과 같은의무를 지게됩니다.

- DDT, PCBs 등제품으로 생산되는 P O P s의

생산·사용·수출입규제

- 다이옥신등 부산물로 발생하는 P O P s의 최소화

- POPs를 포함한 제품 및 폐기물의 환경친화적 처리

- 환경중에남아있는 POPs 실태조사

2. POPs와 스톡홀름협약

스톡홀름협약

협약의무사항

Page 5: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스톡홀름협약은 1 2종의 POPs를 우선규제 대상물질로

선정하였습니다. 이물질들은쓰임새나만들어지는과정의

차이에 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부산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농약을사용하다두통과호흡곤란을겪는예는흔히있습니다.심하면

쓰러지거나전신마비가일어나기도합니다.스톡홀름협약은 9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을 P O P s로 지정하였습니다. 잘알려진 D D T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P C B s는 1 9 2 9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열에 잘 견디며 화학적으로 안정

되기 때문에 특히 변압기와 축전기의 절연유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

습니다.

부산물이란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물질이 아니라 산업공정에서 원하지 않게

발생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OPs중 부산물에는 다이옥신과 퓨란,

Hexachlorobenzene (HCB), 그리고P C B s가 포함됩니다.

POPs로 규제되는 물질의 수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

으로 보입니다.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04/05

어떤물질이POPs인가요?

산업용화학물질( P C B s )

유기염소계농약

부산물(다이옥신과퓨란)

스톡홀름협약의규제대상물질

알드린(Aldrin), 클로르단(Chlordane), 디디티(DDT),

디엘드린(Dieldrin), 엔드린(Endrin), 헵타클로르(Heptachlor),

미렉스(Mirex), 톡싸펜(Toxaphene), HCB(Hexachlorobenzene)

다이옥신(Dioxins), 퓨란(Furans), 다염화비페닐( P C B s )

H C B ( H e x a c h l o r o b e n z e n e )

다염화비페닐( P C B s )

유기염소계 농약

산업용 화학물질

폐기물 소각 또는산업공정 부산물

스톡홀름협약의1 2종물질의실제수는?

1 2종의 P O P s가 단 1 2개의 개별적 물질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다이옥신

이나 퓨란, PCBs 등은 각각 화학구조가

비슷한여러개별물질들의무리를가리킵니다.

게다가 이들 물질이 자연환경에서 부분적

으로 변화하여 생기는 것들이 P O P s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그들도 협약의 지정

물질로 같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실제로

1 2종의 P O P s에 포함된 개별물질의 수는

4 5 0여개에 가깝습니다.

알아두기

생산물이면서부산물인 물질

협약에서 지정한 1 2종의 POPs 가운데

P C B s는 산업용 화학물질이면서 동시에

부산물이기도합니다. 그이유는 P C B s가

한편으로는 대량생산된 물질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쓰레기 소각등의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HCB도

마찬가지입니다. 농약으로 쓰기 위하여

생산되기도하지만부산물로도발생합니다.

알아두기

Page 6: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 C B s나 D D T가 새의 몸 속에 쌓이게 되면,

그 새의 알은 껍질이 정상보다 얇아집니다. 이런

알들은 잘 깨지기 때문에 부화율이 낮아집니다.

그 때문에 1 9 5 0년대와 6 0년대 미국의 대머리독

수리와 펠리컨 등의 수가 급격하게 줄었습니다.

1 9 7 0년대 초에 미국의 남부캘리포니아에 사는

갈매기의 알도 같은 이유로 얇아진 것이 발견되었

습니다. 또, POPs의 독성으로 인하여 부화하기

전에 새끼가 기형이 되어 죽기도 합니다.

1 9 7 0년대에 북미의 온타리오호의 한 지역에서는

바다갈매기 새끼의 8 0 %가 부화되기도 전에 죽은

것으로추정되었습니다. 부화되지못한 알을조사해

보니, 눈이 없거나 부리가 뒤틀린 상태로 죽은

새끼가 알 속에 들어있었다고 합니다.

부화하지 못하는 알

과학자들은 D D T를 천국에서 지옥으로

간 물질이라고합니다. DDT는세계 농업

발달에 기여하였고, 그 살충효과를 밝힌

스위스의 한 과학자는 노벨상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모든 곤충에 즉각적인 살충

효과가 있어 2차 세계대전 중 열대지방

에서 싸웠던 군인들의 말라리아 예방에

크게 공헌하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

서도 6.25 전쟁이후에 이나벼룩을 잡기

위해 D D T를 인체에 직접 뿌렸던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DDT의 유해성이

드러나면서 미국에서는 1 9 7 2년 농작물에

대한 DDT 사용을 금지하였고 우리나라

에서도 발암, 면역저하, 뇌 손상 등을

일으키는 독성 농약으로 분류돼 1 9 7 5년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DDT 이야기

Page 7: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06/07

가장 걱정스러운 점은 POPs가 동물의 생식기능을 약화

시킨다는 점입니다. 알이 정상적으로 부화되지 않거나

암컷끼리 짝짓기를 하는 등 이상행동을 일으킴으로써

개체수의감소를 가져오게합니다.

또한 POPs는동물들의 면역력을약화시킵니다.

1 9 8 0 ~ 9 0년대유럽에서바다표범과돌고래등이전염병으로

인해 급격하게줄어든이유가POPs에의한 면역력의감소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POPs는암을 일으키는물질이기도합니다. 호흡기계통의

암, 유방암, 고환암등을일으키며기형을유발하기도합니다.

생식기 발달의 저하, 성장지연 등을 일으키는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이기도합니다.

3. POPs는어떤 문제를 일으키나요?

생태계에큰피해를줍니다

사람들도큰피해를받습니다

[ P O P s의 피해]

Page 8: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공기, 물, 우유, 그리고 육류, 어패류 등 식품을 통해서

우리몸에들어옵니다. 피부를통해들어올가능성도있습니다.

어린 아이는 태어날 때부터 엄마의 몸 안에 축적되어

있던 POPs를 태반을 통해 물려받기도 합니다. 장난감을

빨거나, 흙장난을 할 때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흙 속의

POPs를섭취할 수도 있습니다.

POPs는식품을 통해서 가장 많은 양이 들어오게 됩니다.

식품 중에서도 육류, 어패류, 낙농제품(우유, 버터,

치즈), 기름에튀긴 음식 등의기름기가많은 것들이 문제

라고할 수 있습니다. POPs는기름과친하기때문입니다.

그러면, 식품에 들어있는 POPs는 어디에서 왔을까요?

쓰레기처리및산업공정의소각, 농약살포, 그리고화학제품의

제조·사용·폐기과정등을통해서배출되었던POPs가돌고

돌아 결국 식품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POPs로 오염된

식품을 우리가 먹게 됩니다. 따라서, POPs의 영향을

줄이려면 근본적으로 POPs의 배출 자체를 줄일 수 밖에

없습니다.

4. POPs는어떻게 우리 몸에 들어오나요?

우리몸으로들어오는모든것들을통해들어옵니다

주로식품을통해들어오며

환경중의POPs가식품으로들어갑니다

Page 9: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08/09

보통공기나물을통해서들어올수 있는P O P s의 양은상대적으로적습니다.

P O P s는 휘발성이 작기도 하지만 공기는 기체이기 때문에 밀도가 작아서

스스로 담아낼 수 있는 P O P s의 절대량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물에는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아주 적은 양만 섞여 있습니다. 그러나 P O P s의 배출이

많은 지역에서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은 오염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공기나 물을 통한 섭취량이 상당할 수 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숨쉬거나 물 마실 때

침전물

공기

「P O Ps의 인체 유입경로」

Page 10: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OPs 문제에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민·기업·

정부 모두가 협조하여 대처해야 합니다.정부는 배출 및

오염현황을파악하고관리 대책을수립·추진하여야하며

기업은 기술개발등을 통해 배출 저감에 노력해야합니다.

국민들도오염저감노력에 적극 동참해야 합니다.

•P O Ps 관리를 위한 법적 제도 마련

•다이옥신, PCBs, HCB의 배출원 파악과 배출량 조사, 주요

배출원 규제계획 수립

•P O Ps의 환경 중 농도, 인체 노출량과 영향의 지속적 조사

•P O Ps로 인한환경및 건강피해를최소화할 수 있는기준치 설정

•국제적 협력을 통한 동북아 지역규모의모니터링 계획

•P O Ps의 저감을 위한 교육·홍보

•P O Ps 관리를 위한 국가이행계획 작성

5. POPs를줄이는 방법은 있나요?

정부가할일

국민

정부기업

Page 11: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 O Ps 관련 국제협약 및 국내 법규 준수

•환경친화적기업경영 노력 강화

•산업용 P O Ps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나 청정기술 개발

•재활용 시스템 구축 및 효율적인 쓰레기 감량

•다이옥신등 부산물로 발생하는 P O Ps의 배출 저감

•일회용품의사용 자제

•재활용을위한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고 재활용품 사용증대

•지방질이 많은 육류, 어패류보다 곡류, 채소, 과일이 풍부한 식단

선택

•음식물의보관시 플라스틱 용기나 PVC재질의랩의 사용 저감

•특히 임신과 수유기에 태아와 젖먹이 아이를 위해 신중히 식품

선택

•고기나 생선류는 타지 않을 정도로 익혀서 먹음

•빨래나 청소할 때 염소 성분의 표백제 사용 저감

•가정에서쓰레기 소각 자제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10/11

산업체가할일

우리가할일

Page 12: 계속되는위협 잔류성유기오염물질kfem.or.kr/wp-content/uploads/2003/07/data_envinfo_epds_2192_pops.pdf · 차이에따라유기염소계농약, 산업용화학물질,

P O Ps의 사용 및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는

농약, 플라스틱등의석유화학관련제품의사용을가능한한

줄여야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P O Ps 가운데에서도

다이옥신과 퓨란, PCBs, HCB 등의 배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들의 주 배출원인 쓰레기의 소각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쓰레기를 적게 만들어 내는 생활

방식을 몸에 익히고, 생겨난쓰레기도현명하게재활용하는

것이중요합니다.그러나사실줄여야 할 것은쓰레기뿐만

이 아닙니다. 소비를절제하는습관이야말로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대량 소비는 쓰레기로 인한 P O Ps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자원고갈과환경오염 등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환경친화적 소비가 POPs 발생을 줄이는 길!

재생종이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