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설계에서 협동 글쓰기 가르치기210.101.116.28/w_files/kiss61/20402797_pv.pdf ·...

2
26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7, No. 1, pp. 26~41, January 2014 공학설계에서 협동 글쓰기 가르치기 권성규 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Teaching Collaborative Writing in Engineering Design Courses Sunggyu Kwon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utomotive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ABSTRACT This paper recommends to teach technical writing as a part of the curriculum of engineering design courses. Some features of both engineering design and keystone design course as well as capstone design course for engineering students are studied before the relationship of those features with written communication are investigated.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writing are reviewed, some aspects of integration of teaching technical writing into engineering design courses are evaluated. Technical writing for engineering students is best taught by collaborative writing approach in engineering design courses. Keywords: technical writing, collaborative writing, engineering design, capstone design, team work I. 서 1) 공과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은 공학교육인증과 관련하여 시작 하게 된 것이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KEC2005’ 기준 2 에 공대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성취해야 하는 12가지 학습성과 가 열거되어 있는데, 그 중 ‘(7)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 는 능력이 있다. , 기준 3에 의하면, 인증을 받으려는 공과 대학 학과는 설계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최소 54학점 이상의 전공 교과목을 학생들이 배우도록 해야 하고, 설계 교육과정에 는 기초설계와 종합설계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설계/프로젝트 교과목은 일련의 설계/프로젝트 구성 요소들과 다양한 현실적 제한 조건들도 다루며, open-ended problem, communication skill, teamwork을 모두 다루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게 편성되 어야 한다. 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공과대학들은 늦어도 2 학년 1학기에는 기초설계 1) 를 가르치고, 그 이후 다양한 전공 과목들에서 설계 요소 2) 들에 대해 가르친 후, 4학년에는 종합 Received 16 January, 2014; Revised 27 January, 2014 Accepted 28 January, 2014 †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각 대학 개별 학과마다 기초설계 과목(보통 3 학점) 이름이 다양하 , 예를 들어, ‘창의공학설계,’ ‘창의공학설계입문등이 있고, 논문에서는 공학설계입문(keystone design)’이라는 이름을 쓴다. 2) 학생들은 일부 전공 선택 과목들에서도 과목 주제와 관련한 설계 요소들을 배우고 그에 상응하는 (개별)설계 과제를 해야 한다. 설계 3) 를 가르친다. 4) 학생들은 기초설계에서 설계가 무엇인지 를 경험하고, 종합설계에서는 여러 교과목들에서 배운 요소 설 계 지식들을 총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드러내어야 한 . 과목 학습목표중 하나인 의사소통 기량 개발의 성취 정도는 보통 보고서와 발표에 의해 평가된다. Paretti(2008)에 따르면, 어디를 가도 엔지니어들이 더욱 효 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기를 바라고, 공학 교육 연구 자료에 는 글쓰기와 말하기를 전공 주제와 통합하는 수많은 과제와 과 목들의 예가 있다. 그러나 그 자료들에서 공대생들이 의사소통 기량들을 어떻게 개발하고 그리고 그렇게 개발하는 것이 실제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자세히 점검한 것은 찾 아보기 어렵다. 기초설계 교육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설계와 관 련한 글쓰기 능력 개발에 대한 것은 드물다. 설승기(2000)에는 제에는 반드시 보고서가 포함된다. 3) 이 과목의 이름도 다양한데, 이 논문에서는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으로 쓴다. 캡스톤디자인은 공학교육인증제가 도입되기 전 에는 졸업 논문, 졸업 작품 혹은 졸업 프로젝트의 형태로 운영되든 과목이다. 캡스톤디자인은 공대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된다. 생들이 몇 명씩 팀을 짜서 지도교수를 정한 후 설계 주제를 선정 하는 형태와 팀들에게 모두 같은 설계 주제가 주어지는 형태가 있 (임동진, 2006, p. 59). 4) “공학설계 과목의 목표는 학생들이 과학, 공학 과학, 사회 및 인문 학 과목들에서 배운 것들을 실제 엔지니어링 문제들의 해결에 적 용하는 기량들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Dixon, 1966, p. 9).

Upload: others

Post on 09-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공학설계에서 협동 글쓰기 가르치기210.101.116.28/W_files/kiss61/20402797_pv.pdf · 제품 고안, 및 작품 제작 등에 관한 것인데 반해 , 의사소통을

26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Vol. 17, No. 1, pp. 26~41, January 2014

공학설계에서 협동 글쓰기 가르치기권성규†

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Teaching Collaborative Writing in Engineering Design CoursesSunggyu Kwon†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utomotive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ABSTRACTThis paper recommends to teach technical writing as a part of the curriculum of engineering design courses. Some features of

both engineering design and keystone design course as well as capstone design course for engineering students are studied before the relationship of those features with written communication are investigated.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writing are reviewed, some aspects of integration of teaching technical writing into engineering design courses are evaluated. Technical writing for engineering students is best taught by collaborative writing approach in engineering design courses.

Keywords: technical writing, collaborative writing, engineering design, capstone design, team work

I. 서 론1)

공과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은 공학교육인증과 관련하여 시작

하게 된 것이다.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KEC2005’ 기준 2

에 공대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성취해야 하는 12가지 학습성과

가 열거되어 있는데, 그 중 ‘(7)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

는 능력’이 있다. 또, 기준 3에 의하면, 인증을 받으려는 공과

대학 학과는 설계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최소 54학점 이상의

전공 교과목을 학생들이 배우도록 해야 하고, 설계 교육과정에

는 기초설계와 종합설계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설계/프로젝트

교과목은 일련의 설계/프로젝트 구성 요소들과 다양한 현실적

제한 조건들도 다루며, open-ended problem, communication

skill, teamwork을 모두 다루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게 편성되

어야 한다.

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공과대학들은 늦어도 2

학년 1학기에는 기초설계1)를 가르치고, 그 이후 다양한 전공

과목들에서 설계 요소2)들에 대해 가르친 후, 4학년에는 종합

Received 16 January, 2014; Revised 27 January, 2014Accepted 28 January, 2014†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각 대학 개별 학과마다 기초설계 과목(보통 3 학점) 이름이 다양하

여, 예를 들어, ‘창의공학설계,’ ‘창의공학설계입문’ 등이 있고, 이 논문에서는 ‘공학설계입문(keystone design)’이라는 이름을 쓴다.

2) 학생들은 일부 전공 선택 과목들에서도 과목 주제와 관련한 설계 요소들을 배우고 그에 상응하는 (개별)설계 과제를 해야 한다. 과

설계3)를 가르친다.4) 학생들은 기초설계에서 설계가 무엇인지

를 경험하고, 종합설계에서는 여러 교과목들에서 배운 요소 설

계 지식들을 총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드러내어야 한

다. 과목 학습목표중 하나인 의사소통 기량 개발의 성취 정도는

보통 보고서와 발표에 의해 평가된다.

Paretti(2008)에 따르면, 어디를 가도 엔지니어들이 더욱 효

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기를 바라고, 공학 교육 연구 자료에

는 글쓰기와 말하기를 전공 주제와 통합하는 수많은 과제와 과

목들의 예가 있다. 그러나 그 자료들에서 공대생들이 의사소통

기량들을 어떻게 개발하고 그리고 그렇게 개발하는 것이 실제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자세히 점검한 것은 찾

아보기 어렵다.

기초설계 교육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설계와 관

련한 글쓰기 능력 개발에 대한 것은 드물다. 설승기(2000)에는

제에는 반드시 보고서가 포함된다.3) 이 과목의 이름도 다양한데, 이 논문에서는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으로 쓴다. 캡스톤디자인은 공학교육인증제가 도입되기 전에는 졸업 논문, 졸업 작품 혹은 졸업 프로젝트의 형태로 운영되든 과목이다. 캡스톤디자인은 공대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된다. 학생들이 몇 명씩 팀을 짜서 지도교수를 정한 후 설계 주제를 선정하는 형태와 팀들에게 모두 같은 설계 주제가 주어지는 형태가 있다(임동진, 2006, p. 59).

4) “공학설계 과목의 목표는 학생들이 과학, 공학 과학, 사회 및 인문학 과목들에서 배운 것들을 실제 엔지니어링 문제들의 해결에 적용하는 기량들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Dixon, 1966, p. 9).

Page 2: 공학설계에서 협동 글쓰기 가르치기210.101.116.28/W_files/kiss61/20402797_pv.pdf · 제품 고안, 및 작품 제작 등에 관한 것인데 반해 , 의사소통을

공학설계에서 협동 글쓰기 가르치기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1), 2014 27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의 창의공학설계 과목의 강의 내용표가

제시되어 있으나, 의사소통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주로 조별 발

표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이형(2005)이 실험을 주요

주제로 하는 공학설계입문 과목을 개발하기 위해 제시한 교과목

내용에는 기술보고서 작성법과 구두발표 기법 등이 포함되어 있

으나,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2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는 창의적 공학

설계 과목의 초점은 CAD를 활용한 도면 작성과 로봇 경연대회

이고,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계 및 제작 과제의 초점

은 연구계획서, 조사보고서, 설계보고서 및 제품 개발 계획서 작

성인데(이은화, 2007), 다양한 장르의 문서를 학생들이 작성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글쓰기 관련 교과 내용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종합설계 과목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도, 주로 아이디어 생성,

제품 고안, 및 작품 제작 등에 관한 것인데 반해, 의사소통을 위

한 설계 글쓰기 교육 개발을 위한 노력은 미미하다.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4학년 학생들은 문제 상황을 중심에 두고 협동 작

업을 거쳐 문제를 해결하며 졸업설계 및 제작과제 과목을 이수

하는데 연구계획서, 연구논문 작성 및 연구 발표를 한다(이은화

2007). 이태식(2009)은 캡스톤디자인 과목이 지식의 전달을 통

한 프로젝트의 진행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팀원 간의 토의나

수집한 자료에 대한 분석도 없이 교수나 조교의 추천에 의존하

여 주제가 선정되는 등의 문제를 지적하고, 팀워크 역량 증대를

강조하며, 의사전달 방법의 교육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또 서

울과학기술대 기계설계자동화공학부의 캡스톤디자인 교과목(4

학년 1년간) 운영 개요(이희원, 2010)에서 발표자료 작성과 발

표요령에 대한 교육내용은 있으나 설계보고서와 최종보고서에

대한 교육내용은 없고, 평가도 발표 위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동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4학년 학생들은 팀별 프로

젝트로 1년간 수행하는 종합설계기반 두 과목(전공연구 I/II)에

대해 개별 설계팀은 ‘프로젝트 주제검토,’ ‘연구과제계획서,’ 및

‘프로젝트수행 결과보고서’ 세 가지 문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

는데, 그 과목들의 교육 내용에는, 개별 문서의 세부내용 목차는

제시되어 있으나(이동명, 2012), 그 문서 작성을 위한 교육 내

용이 포함되어 않아 아쉽다.

또, 팀 활동을 강조하는 공학설계 수업 방식에 대한 관심은

나타나고 있으나, 팀워크에 바탕을 둔 글쓰기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관심은 적다. 주종남(2006)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한

팀 활동 과정을 언급하였으며, 신민희(2009)는 PBL(문제중심

학습법)5)이 설계 교과목이 요구하는 학습경험을 제공한다는 측

5) PBL은 “복잡한 실제 세계의 맥락에서 자주 발견되는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유의미한 해결책을 찾아냄으로써 교과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전략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면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고 PBL을 공

학설계 수업의 방법적 틀로 제시하였다. 이희원(2010)은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과 교수가 학생들을 충분히 관찰할 수 있는 과목

의 특징을 들어 캡스톤디자인을 전형적인 PBL 체제의 과목으로

보았다. 김성봉(2010)은 공학도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

르기 위해 설계교과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였으나, 15

주 설계교육 수업 시나리오를 보면, 예를 들어, ‘성공적인 대학

축제’와 같은 ‘문제’를 제시하는 등으로 주제가 공학설계에 관

한 것이 아닌 아쉬움이 있다.

대부분의 대학들에서 가르치는 글쓰기 교육과정은 공대생들

이 엔지니어로서 필요한 글쓰기 의사소통 능력6)을 기르기에는

미흡하다. 교양 글쓰기와 전공 글쓰기의 연계성이 거의 없어서,

교양 작문강좌에서 학습한 내용은 전공 영역에 대한 글쓰기 과

제를 하는데 거의 효과가 없다(최건아, 2012)7). 신선경(2008)

에 따르면, 공대생들을 위한 “과학기술의 연구 방법론에 기반

한 학술적 글쓰기”와 “과학기술자의 직업 활동에 기초한 실용

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하는 현행 글쓰기 “교과목의 목적과 내

용이 공학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그런 글쓰기 교육은 “전공 지식에 대한 이해와 실제적

적용, 현실적 필요에 따라 창의적 설계를 돕는 구체적 의사소통

기술8)에 대한 내용을 적극적으로 담고 있지 못하다.” 또 실험에

대한 보고서를 쓰고 발표할 역량이 갖춰지지 않은 “공학계열 저

학년 학생들에게 과학논문 작성법을 교수한다는 것은 갓난아기

에게 밥을 먹이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이인영, 2010). ‘전

공글쓰기’에서 자기성찰이나 피상적이거나 가상적인 주제(예,

PBL을 위한 ‘문제’)에 대한 글쓰기를 학습하는 것도 공학설계보

고서를 쓰는 역량 개발에 별 도움이 되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다

(김혜경, 2010). 따라서 ‘주제 중심’ 글쓰기에서 학습한 명제적

쓰기 지식을 조사와 탐구를 병행하는 ‘관계망’식 쓰기를 통해 절

수업 모형이고,” “학습자들이 실제적이고 상황적인 문제를 가지고 소집단 내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하는 수업 방법이다”(김성봉, 2010, p. 4311).

6) 연구 기술 개발 자료들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합성하고, 그래프와 표 등 시각자료를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자료를 제시하며, 응집력과 설득력 있게 논증할 수 있는 능력(Yalvac, 2007, p. 119).

7) 그렇지만, “교양교육 경험을 전공 강좌 수강과 통합시킴으로써… (교양과 전공) 양쪽 분야의 … 상호증진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양과 전공의 연계교육을 통해 학습의 전이가 보다 수월해 질 수 있고, 교양교육에서 얻은 비판적 사고나 문제 해결 스킬들을 자신의 전공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김순임, 2013, p. 49).

8) 엔지니어들은 다음 유형의 의사소통에 능숙해야 한다: 글쓰기(보고서, 제안서, 메모, E-메일, 지침서, 회의록), 구두 발표(회의, 설계 검토, 최종 발표), 시각 자료(스케치, 도면, 표, 그래프, 차트, 포스터, 슬라이드), 수학식(방정식, 통계 분석), 대인 관계(팀 회의, 고객 회의, 사용자 및 전문가 인터뷰)(Yarnoff, 2010, p.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