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220
C 2009-27 | 2009. 7.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위촉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07-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C 2009-27 | 2009. 7.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

    전 창 곤

    조 명 기

    김 종 우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위 촉 연 구 원

  • 연구 담당

    전창곤

    조명기

    김종우

    연구위원

    연구위원

    위촉연구원

    연구 총괄, 종합유통센터 설립방향

    종합유통센터 운영계획

    문경시 유통실태파악 및 문제점 분석

  • i

    머 리 말

    급속한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에 따라 농업과 농산물유통에 대한 전통적인

    패러다임도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오늘날 농산물시장이 공급과잉구조로 전환되

    고 판매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존의 산지 유통체계로는 시장교섭력이나 시장지배

    력 제고를 통한 경쟁력 향상에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문경시 농업 역시 전통

    적 농산물 유통체계 하에서는 급변하는 국내외적 유통환경에 대한 적절하고 합

    리적인 대응을 통한 문경 농산물유통의 경쟁력 제고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문경시 농업 및 농산물 유통체계의 특성은 한 마디로 다품목 소량생산구조

    하에서 일부 품목의 경우 전국적인 주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나, 전형적인 개

    별․영세․분산적인 유통체계로 문경 농산물의 시장인지도, 시장교섭력, 시장

    지배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다. 특히 생산자 조직화 및 유통의 공동화․규모화

    미흡으로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는 소량․개별상품 중심의 출하형태로 유통

    기능이 매우 단순한 외부 의존형 유통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변하

    는 농산물 유통체계 하에서 문경 농산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획기적인 유통

    체계 개선의 수립과 운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당 연구원과 문경시간에 체결된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

    획 수립” 용역사업으로 급변하는 농산물 유통환경 하에서 문경시의 효율적인 농산

    물 유통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실천적인 종합 개선방안을 도출․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를 차질 없이 수행․완료한 연구팀의 노고에 감사하며, 특히 이 연구

    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제반 사항에 적극 협조해 주신 문경시 관계자와 연구자

    료 수집을 위해 협조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를 드린다. 이 연구가 문경시 농산

    물 유통체계 개선의 기본 지침서로 많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09.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 iii

    요 약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 필요성

    ◦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개선 필요성 증대

    - 소비자의 구매패턴 및 소비성향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

    ◦ 문경시 농산물의 합리적 판매전략 수립의 필요성

    - 소비지 유통체계 변화에 대한 합리적인 판매전략 수립 필요

    - 다양한 소매업태와 소비자 니즈충족의 거래기반 구축 필요

    ◦ 브랜드 농산물의 산지판매 및 가격형성 기능 모색 필요

    - 전국적 주산품의 브랜드마케팅 전략 수립 시급

    - 명품브랜드 산지가격 형성의 유통기구 개설 검토 필요

    ◦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의 획기적 개선 필요성 급증

    - 문경시 농산물유통의 종합적인 경쟁력 제고

    ◦ 문경시 농산물 브랜드마케팅 전략수립의 필요성 증대

  • iv

    1.2. 연구 목적

    ◦ 급변하는 농산물 유통환경 하에서 문경시 농산물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 효율적인 유통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실천적인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의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도출․제시

    2.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 및 전망

    2.1.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 실태

    ◦ 수요 및 소비측면

    - 소비자 농식품 소비성향의 다양화

    - 소비자 농산물 구매성향의 변화(신뢰구매, 가치구매 등)

    - 소비자 농식품 소비형태 변화(가공식품 및 외식소비 확대)

    ◦ 생산 및 공급측면

    - 시장개방화 가속과 국내시장 과잉공급구조 전환

    - 산지간․생산자간․국가간 품질 및 판매경쟁 심화

    ◦ 소매단계

    - 유통업체의 규모화, 체인화 진전과 소매업태의 다양화

    - 유통업태 분화 및 대규모화․체인화로 시장지배력 강화

  • v

    ◦ 도매단계

    - 다양한 도매유통업태 출현과 도매시장구조의 경쟁심화

    - 도매시장 중심 농산물 유통체계 붕괴와 다극화 전환

    ◦ 농식품 거래의 패러다임 변화

    - 농식품 거래에서 지식정보, IT 영향 급증

    - 경제기반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경제체제로 빠른 전환

    - 정보화의 진전과 실시간 마케팅

    - 농식품 거래정보의 실시간 쌍방향 동시 교류

    - 거래방법이 실물거래에서 디지털 거래로 다양화

    - 사이버마켓, 전자상거래, e-마케팅, 인터넷쇼핑몰 등

    2.2.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 전망

    < 기존 유통시스템과 새로운 유통시스템의 비교 >

    구분 기존 유통시스템 새로운 유통시스템

    유통경로

    ∙경로구성원 : 수집상, 도매시장, 위탁상,

    중간도매상, 재래시장

    ∙상호 독립적이며 거래관계 불확실

    ∙4~6단계의 복잡한 유통단계

    ∙경로구성원 : 산지유통센터, 종합유통센터,

    대형유통업체, 전자거래업체

    ∙장기적이고 전속적인 거래시스템

    ∙2~3단계의 단순한 유통단계

    유통주체 ∙영세규모의 전통적 상인 ∙규모화된 대형유통업체, 산지조직

    거래상품 ∙비규격품과 규격품의 혼용 ∙표준규격품, 목표시장 맞춤상품

    거래방식 ∙경매, 입찰, 상대거래 ∙예약상대거래, 통명거래, 전자거래

    물류실태 ∙물류 비표준화, 인력물류∙표준화, ULS, SCM, RFID, 자동수발주

    최적물류관리 시스템

    유통정보 ∙도매시장 거래정보 중심체계 ∙POS, EDI 활용, 쌍방향 동시흐름

  • vi

    < 농산물 물류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 >

    구 분 기존 패러다임 패러다임 변화 전망

    경제기반 ▪아날로그 경제활동 기반 ▪디지털 경제활동 기반 일반화

    물류기능 ▪단순 기능별 중심 ▪기능연계 및 프로세스 중심

    기능수행 ▪기능별 분업․독립적 기능수행 ▪물류사슬상 기능연계 효율화

    관리형태 ▪물류요소별 독립 관리 ▪물류 가치사슬 통합관리

    물류대상 ▪비차별화 상품과 고객 ▪목표시장 상품과 고객

    중심경로 ▪도매시장 상물미분리 ▪유통경로 다양화, 상물분리

    경쟁형태 ▪물량기준, 생산성 기준 ▪만족도, 수익성, 시간, 서비스

    인 프 라 ▪자체물류(자기, 2자) 중심 ▪아웃소싱 물류(3자, 4자) 중심

    2.3.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 시사성

    ◦ 소비자 지향적 유통체계 전환 필요성 증가

    ◦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

    ◦ 신유통체계에 적합한 생산 및 유통구조로의 전환 필요

    ◦ 신유통주체와 동등한 시장지배력을 가지는 산지조직화 필요

    ◦ IT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유통시스템으로 전환 필요

    ◦ 상류, 물류, 마케팅전략 등을 신유통시스템으로 전환 필요

    ◦ 브랜드 상품 생산 및 유통 중심체제로 전환 필요

    ◦ 농산물유통에서 지식정보, IT 활용기법 통합 필요

  • vii

    3. 문경 농업 및 농산물 유통의 현황과 문제점

    3.1. 문경시 입지 특성

    가. 교 통 및 경제 입지

    ◦ 경북 서북부 내륙지역과 한반도 중앙지역에 입지

    ◦ 중부내륙 고속도로 개통과 경제적 입지 양호

    ◦ 2021년까지 서울↔문경 1급노선 전철개통 전망

    나. 농 업 및 유 통 입지

    ◦ 전국적 농산물 주산지 형성

    - 고품질 사과, 오미자, 축산물 등

    ◦ 농산물 생산의 다양성 확보 가능

    ◦ 농업지역으로서의 인지도 전환

    ◦ 수도권 접근성 우위로 북부지역 유통흡인력 강화 전망

    - 북부지역 안동, 영주, 상주, 예천보다 교통입지 유리

    - 유통물량의 수집․분산 기능의 상대적 유리성 확보

    다 . 자연 및 문화․관광입지

    ◦ 관광 및 문화재 자원 확보와 관광수요 증가 추세

    - 높은 교통접근성으로 잠재적 관광수요 확보

  • viii

    ◦ 청정지역과 수려한 경관으로 높은 인지도 확보

    - 도시민의 휴식처 자연공간 확보로 방문수요 증가

    ◦ 자연․문화입지와 농산물유통의 연계 가능입지

    - 관광수요와 농산물 판매수요의 연계 가능

    3.2. 문경시 농업현황 및 특성

    ◦ 문경시 농가 및 농업인구 비율은 각각 29.1%, 27.4%로 매우 높은 수준

    - 전국 평균농가 및 농업인구 비율은 각각 7.4%, 6.8%

    ◦ 농경지 비율은 논 57.8%, 밭 42.2%

    - 전국 평균 농경지 비율은 논 60.1%, 밭 39.9%

  • ix

    ◦ 문경시 농산물 생산현황

    < 문경시 농산물 생산현황(2007) >

    단위 : ha, M/T, %

    구 분생산현황(ha, M/T) 구성비(%) 특화

    계수비고

    재배면적 생산량 재배면적 생산량

    식량작물

    미곡 5,280.0 26,082.0 78.1 83.0 0.88

    기타:밀,조,수수,메밀,팥,고구마,

    감자 등

    콩 992.2 1,730.0 14.7 5.5 2.07

    옥수수 115.3 473.5 1.7 1.5 1.08

    기타 374.9 3,152.4 5.5 10.0 -

    계 6,762.4 31,437.9 100.0 100.0 -

    채소류

    배추 232.5 11,977.2 30.1 52.0 1.19

    기타:오이,토마토,상추,양파,마늘

    무 20.5 1,093.1 2.7 4.7 0.15

    수박 21.5 736.0 2.8 3.2 0.18

    고추 288.8 664.2 37.4 2.9 0.83

    기타 208.9 8,563.2 27.1 37.2 -

    계 772.2 23,033.7 100.0 100.0 -

    특용작물

    오미자 370.3 1,977.2 67.7 91.3 77.11

     

    들깨 76.3 56.6 14.0 2.6 0.42

    참깨 57.7 41.0 10.6 1.9 0.29

    땅콩 42.5 90.6 7.8 4.2 2.04

    계 546.8 2,165.4 100.0 100.0 -

    과실류

    사과 1,645.7 54,883.2 83.9 82.0 9.00

    기타:복숭아,포도 등

    감 151.9 5,128.7 7.7 7.7 -

    기타 164.8 6,957.6 8.4 10.3 -

    계 1,962.4 66,969.5 100.0 100.0 -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2007 채소류생산실적」, 「2007 특용작물생산실적」문경시, 문경

    통계연보(2008)

  • x

    3.3. 문경시 농산물유통 현황 및 특성

    가. 주요 유 통 조직

    ◦ 농협조직

    - 5개의 농협조직과 2개의 전문농협 중심의 유통체계

    - 매취와 수탁사업 중심의 농협조직

    - 조합 연합 또는 공동 유통사업이 아닌 개별 조합 사업 중심

    - 조합별 사업규모의 영세성과 시장교섭력 상대적 미약

    ◦ 문경시 유통사업단 : 문경시 농축산물 생산 및 가공사업 주체로 구성된 연합

    판매사업조직

    - 엄격한 통제시스템이 없는 느슨한 형태의 공동판매조직

    - 참여회원의 상품을 공동으로 수집하여 판매하는 사업

    - 공동브랜드가 아닌 개별브랜드 상품의 다품목 영세규모

    나. 주요 유 통 시 설

    ◦ 문경농협 APC

    - 다양한 유통기능 수행 제한, 시설노후화로 물류비와 관리비 증가

    ◦ 점촌농협 공판장

    - 중도매인 부족과 적정가격 형성의 어려움, 물량확보의 한계

    ◦ 문경 거점산지유통센터

    - FTA 기금에 의해 사과주산지인 문경에 설립

    - 시설규모: 부지 29,950㎡(9,076평), 건축면적 9,267㎡(2,808평)

  • xi

    ◦ 미곡종합처리장(RPC)

    - 산동농협 운영, 산물건조장(DSC)은 점촌농협과 영순농협에서 운영

    - 친환경쌀 도정공장(영순면 소재)

    3.4. 주요 품목별 유통실태

    가. 사과

    ◦ 농협 사과유통실태

    - 처리물량 전체 생산량의 24.2%

    - 매취 50.5%, 수탁 48.3%

    - 공동계산비율은 22.0%

    - 주요출하처는 도매시장 47.3%, 대형유통점 44.1%

    나. 쌀

    ◦ RPC와 도정공장 개별 유통전략 추구, 개별농가 중심 판매

    ◦ 쌀 생산 및 유통의 조직화․공동화․규모화의 저위수준

    ◦ 낮은 브랜드화 수준과 브랜드 난립으로 브랜드효과 없음

    ◦ 문경 쌀의 낮은 인지도와 중저가 가격 형성

    다 . 오미자

    ◦ 전국 제1의 주산지에도 불구하고 인지도 저하

    ◦ 생산과 유통의 조직화․공동화․규모화 매우 미흡

    ◦ 농협과 일부 가공업체의 계약 및 수매 의존형 유통체계

    ◦ 개별농가의 산지수집상에 대한 높은 의존율

    ◦ 다양한 가공상품 개발에도 신뢰성 있는 대표브랜드 부재

    ◦ 특구지정에도 불구하고 문경오미자산업 클러스터 미구축

  • xii

    라. 축산 물

    ◦ 전형적인 사육농가 중심의 개별․영세 산지 유통체계

    ◦ 유통의 공동화․규모화 미흡으로 낮은 시장지배력

    ◦ 전국적인 브랜드인지도 저위수준

    ◦ 표준화된 공동브랜드 상품화 및 판매전략 부재

    3.5. 문경 농산물 브랜드화 실태와 문제점

    ◦ 실태

    - 다양한 브랜드 개발

    - 과실류, 축산물, 쌀 등에서 20개 이상의 브랜드 개발

    - 대부분 과실류 중심의 개별브랜드

    ◦ 문경농산물 브랜드화 문제점

    - 공동브랜드 추진 생산자 조직화 기반 미흡

    - 영세․개별 및 유사브랜드 난립과 브랜드간 시장충돌

    - 브랜드의 단순성과 비차별성

    - 공동브랜드 마케팅믹스 전략 부재

    - 브랜드가치와 브랜드문화에 대한 인식 결여

  • xiii

    3.6. 문경 농산물 유통체계 특성과 문제점

    가. 문경시 농 업 및 농 산 물 유 통 체계 특성

    ◦ 다품목 소량생산 구조 하 일부 품목의 뚜렷한 주산지 형성

    ◦ 유통체계는 전형적인 개별․영세․분산적 구조

    ◦ 생산자 조직화 미흡, 유통의 공동화․규모화 미흡

    ◦ 소량․개별 상품으로 단순 출하 중심의 외부 의존형 유통체계

    ◦ 낮은 공동유통으로 시장교섭력과 시장지배력의 상대적 저위수준

    ◦ 성공적 브랜드화와 시장차별화 기능이 매우 미흡

    ◦ 낮은 수준의 조직화․공동화․규모화로 브랜드 인지도․충성도 저위

    ◦ 산지 유통시설의 부족과 산지 거래교섭력 저위수준

    ◦ 산지단계 판매전략 부재와 분산체계 미흡

    나. 농 산 물 유 통 의 문제점

    ◦ 농산물 상류 및 물류의 전근대성과 비효율성

    - 유통경로의 다단계와 거래형태의 전근대성

    ◦ 유통시설의 미흡과 비효율적 유통체계

    - 유통의 외부 의존적 유통체계와 산지 판매전략 부재

    - 산지 유통시설의 기능 단순화로 가치창출 한계

    ◦ 유통의 규모화․공동화․조직화 수준 열위

    - 생산자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유통활동 저조

    - 주산지 품목도 시장교섭력과 지배력의 상대적 저위

  • xiv

    ◦ 강력한 브랜드화 미흡으로 전국적인 인지도 약화

    - 다양한 주체의 브랜드화 추진으로 낮은 인지도

    - 영세한 브랜드 규모와 제품 중심의 마케팅 전략

    ◦ 부가가치 창출여건 미흡

    -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관련 시설 부족

    ◦ 소비자 니즈와의 괴리

    - 다양한 소비자니즈에 부응하지 못하는 유통전략

    ◦ 문경 농산물의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 부재

    - 다양한 홍보 및 판촉전략 부족

  • xv

    4. 문경 농산물 유통체계 발전방향

    4.1. 문경시 농산물유통의 SWOT 분석과 발전전략

    가. SWOT 분석

    < 문경 농산물유통의 SWOT 분석 >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

    ∙ 일부 품목의 높은 특화계수와 주산지 형성

    ∙ 고특화계수 품목의 효율적 유통전략 용이

    ∙ 농업입지 특성으로 농업생산의 다양성 확보

    ∙ 교통입지여건 개선으로 전국적 접근성 양호

    ∙ 청정농업지역으로의 인지도 전환 추세

    ∙ 농업종사인구 등 농업기반의 우위성 확보

    ∙ 충분한 농업생산 경지면적의 확보 등

    ∙ 경영규모의 영세성과 상대적 경쟁력 저위

    ∙ 전형적인 영세․개별․분산적 유통체계

    ∙ 생산자조직화 및 유통공동화․규모화 미흡

    ∙ 소량 다품목 생산구조로 시장지배력 저위

    ∙ 산지유통시설의 부족과 거래교섭력 저위

    ∙ 외부의존적 유통체계와 산지 유통전략 부재

    ∙ 영세한 브랜드 난립과 인지도 저하

    ∙ 유통부문의 강력한 선도조직 부재

    ∙ 원료농산물 판매중심의 저부가가치 유통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서울↔문경 전철개통과 광역수도권화 전망

    ∙ 광역수도권화로 인구유입과 수요증대 전망

    ∙ 전입인구와 관광수요증대로 농산물수요 증대

    ∙ 광역수도권화로 경북북부지역 유통흡입력강화

    전망

    ∙ 자연경관과 청정지역의 인지도 확보 추세

    ∙ 웰빙지향으로 고품질, 안전식품 수요 증가

    ∙ 청정지역으로 고품질․안전농산물 생산적지

    ∙ 도시민의 휴식공간의 충분한 확보와 관광 및

    경관농업의 적지

    ∙ 가속적인 상품 및 유통시장 개방화

    ∙ 유능한 농업인력의 외부 유출 가속화

    ∙ 인근 시군지역과의 유사한 농업구조패턴

    ∙ 급변하는 유통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지연

    ∙ 탄광지역이라는 고정인식 타파의 어려움

    ∙ 재래식 농업구조 집착과 선도농가 부족

    ∙ 신성장산업으로서 농업에 대한 인식부족

  • xvi

    나. SWOT 전 략

    < 문경 농산물유통의 SWOT 전략 >

    S-O전략(강점과 기회 활용) W-O전략(약점보완, 기회활용)

    ∙ 관광 및 유입인구 증가와 수요확대전략 수립

    - 관광․휴식수요의 문경농식품 수요창출전략

    ∙ 유사농업구조 인근지역과 차별화전략 실천

    - 고소득 관광․휴식수요를 위한 명품화

    - 식품소비의 웰빙추구 트랜드 활용한 고급화

    ∙ 신수요 창출을 위한 생산․유통 인프라구축

    - 고품질 생산기반 구축

    - 관광수요와 접목한 산지 판매전략 개선

    ∙ 문경 농산물의 강력한 공동브랜드자산 구축

    - 특화계수가 높은 상품의 공동브랜드화

    - 소량품목의 고급화․명품화 전략 추구

    ∙ 경쟁력 있는 농업기반의 우위성 유지․확대

    - 고급화․명품화를 위한 우량농지의 보존

    ∙ 생산자 조직화를 통한 시장교섭력 확보전략

    - 고특화계수 품목의 시단위 생산자조직화

    - 소량 다품목 생산자의 유통․판매조직화

    ∙ 유통활동 공동화․규모화 전략 수립

    - 소량 다품목의 공동화․규모화 전략

    - 대량 특화품목의 공동브랜드화 추진

    ∙ 수요증가에 대응한 산지판매전략 수립

    - 명품 브랜드 상품의 산지가격 형성전략

    - 산지판매를 위한 적정 유통시설 설립

    ∙ 영세․유사․난립의 브랜드화 재정립

    - 시단위 공동․공통브랜드화 추진전략 수립

    ∙ 산지 유통시설의 재정비 전략 수립

    - 조직화․공동화․규모화 방향의 재정비

    - 신설 산지 유통․판매시설과의 연계전략

    S-T전략(강점활용, 위기극복) W-T전략(약점보완, 위기극복)

    ∙ 문경의 지역 이미지제고 전략 수립

    - 청정지역으로서의 홍보전략 적극 활용

    - 문경 농식품의 우수성․안전성 홍보전략

    ∙ 문경 농식품의 고급화․명품화 전략 수립

    - 다양한 상품화 전략으로 소비자 니즈 충족

    - 소량 다품목의 안전성․기능성 상품화 전략

    ∙ 경쟁력있는 유능한 농업인력 육성

    - 유능한 인력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책 모색

    - 선도농가 중심의 인력육성 전략 수립

    ∙ 다품목․소량 명품브랜드의 현지 판매전략

    - 관광 및 방문수요 연계한 현지 판매전략

    ∙ 문경농업과 연계한 관광수요 확보전략 수립

    - 관광농업과 경관농업 발전전략 수립

    ∙ 문경 농업구조 및 농업형태의 차별화

    - 대량 특화품목과 소량 다품목구조 발전전략

    - 관광․자연․경관․휴식 농업구조 발전전략

    ∙ 문경 유통전략의 차별화

    - 문경 농식품 브랜드마케팅 전략의 차별화

    - 상품화․가격․목표시장․홍보의 차별화

    ∙ 문경 명품브랜드의 수출상품화 전략

    - 대량 특화 품목의 수출상품화와 시장개척

    - 기능성․안전성 확보와 브랜드자산 구축

    ∙ 문경 신성장동력원으로서 농업인식 홍보전략

    - 향후 신농업구조에 대한 농업인의 인식전환

    - 문경 농식품 브랜드화에 대한 인식전환

  • xvii

    4.2. 문경시 농산물유통체계 개선 방향

    가. 문경시 농 산 물 유 통 의 비 전 과 과 제

    < 문경 농산물유통체계 개선의 중장기 비전과 과제 >

    문경농식품명품브랜드화

    ▪개별․유사․난립 브랜드 재정리▪문경시 공동브랜드 자산구축▪문경 공동브랜드의 차별화 전략▪공동브랜드의 체계적 홍보․커뮤니케이션

    ▪특화품목생산자조직화▪소량 다품목의 유통 공동화․규모화▪브랜드상품의 생산․ 유통 가치사슬화▪브랜드상품 새로운 판매전략

    ▪공동브랜드 이미지, 커셉, 포지셔닝 차별▪상품화 차별▪브랜드상품 목표시장 차별화▪브랜드상품 인지도․ 충성도 제고

    ▪새로운 유통시설설립▪새롱운 조직화와 운영주체 육성(선정)▪기존 유통시설과의 효율적 연계 활용▪새로운 유통시설의 효율적 운영체계

    시장교섭력과지배력 강화

    차별마케팅전략과유통활성화

    신유통시설설립과기존유통체계통합

    핵심

    과제

    ▪ 대중적 명품브랜드로 서의 문경 농식품

    ▪ 높은 시 장 교섭력과 시 장 선도의 문경 농 식품

    ▪ 신성장 동력원으로 차별화된 문경 농 식품 유 통 체계

  • xviii

    4.3. 새로운 기능의 산지유통시설 선정

    가. 적정 유 통 시 설 선 정

    (1) 시설별 특성 비교

    < 주요 유통시설의 특성 비교 >

    시설명 개념 주요기능 설립현황 문제점 비고

    도매시장

    ▪대량수집▪가격형성▪신속분산

    ▪거래기능▪가격형성▪일부물류기능▪정보수집분산

    ▪총48개소 -공영 32개소 -일반법정 10 -민영 2

    ▪소비지변화 대응한계▪소비자니즈 충족미흡▪미흡한 물류기능▪물량감소, 지원중단

    ▪농안법 제17조

    공판장▪농협판매장▪산지․소비지형▪도매기능수행

    ▪거래기능▪가격형성▪일부물류

    ▪총 88개소 -국고지원 30 -농협자체 58

    ▪수, 물량,상인수 감소▪물류기능 수행불가능▪영세성과 수익성문제

    ▪농안법 제43조

    거점APC

    ▪과수주산지건설▪규모화된 APC▪유통체계개선

    ▪상품화기능▪저장등 물류▪출하기능

    ▪17개소 설립 -12개소 운영 -5개소 추진중

    ▪상적기능 미약▪과수주산지 대상▪원물확보 어려움▪APC와 유사기능

    ▪농안법 제51조

    일반APC

    ▪종합상품화▪부가가치제고▪물류효율화

    ▪상품화기능▪일부 물류▪출하기능

    ▪265개소 운영▪소규모 단순물류기능▪낮은 가동율과수익성▪낮은 공동화,규모화

    ▪농안법 제51조

    종합유통센터

    ▪도매시장과 차별화▪유통경로 다원화▪생산자 출하처확대

    ▪고도 상품화▪다양한 물류▪거래기능▪정보센터기능

    ▪전체 17개소 - 16개소 운영 - 1개소건설중▪도시형,산지형

    ▪일부 적정입지문제▪기능수행 형태

    ▪농안법 제69조

    (2) 문경 농산물유통체계 개선을 위한 적정 유통시설 선정

    ◦ 고려사항

    - 문경 농산물유통체계의 비전달성을 위한 기능의 적합성

    - 급변하는 유통환경과 변화 전망에 부합되는 시설

  • xix

    - 기존 문경 농산물 유통체계의 문제점 해결 차원

    - 기존 유통시설의 효율적 연계에 적합한 시설

    - 향후 문경 농산물의 명품브랜드화를 위한 기능

    - 문경시의 교통․경제입지, 농업입지에 부합되는 시설

    - 정부의 유통정책과 지원 가능성 고려

    ◦ 적정 유통시설 선정

    - 관련법(농안법)에 의거 설치할 수 있는 유통시설 중 농산물종합유통센터

    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됨

    5.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 설립 방향

    5.1. 종합유통센터 건설의 필요성과 기본컨셉

    가. 종합유 통 센터 건설의 필요성

    ◦ 급변하는 소비지 유통환경 변화에 대한 적절하고 조속한 대응체제 구축 필요

    ◦ 소비지 시장구조의 개선과 다양한 거래형태에 대한 욕구 충족 필요

    ◦ 영세 분산적인 산지 유통체계의 조직화와 규모화 유도로 시장교섭력 제고

    ◦ 경쟁력 제고, 수요확대를 위한 소비자 지향적 상품화사업 필요

    ◦ 생산자와 소비자의 교류, 시민의 복지․문화․교육의 장 제공 필요

  • xx

    나. 종합유 통 센터 건설계획의 기 본방향

    ◦ 문경 농업구조의 특수성을 반영한 차별화

    ◦ 급변하는 소비자니즈 및 농산물 구매․소비 패턴 충족

    ◦ 농업생산 특성을 반영한 생산과 유통의 효율적 연계

    ◦ 타 종합유통센터 및 경쟁시장과의 차별화

    ◦ 기존 유통체계의 통합과 선도기능 수행

    다 . 종합유 통 센터 기 본 컨셉

    <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기본 컨셉 >

    ▪문경유통의 컨트롤타워

    ▪문경 명품브랜드화 기지

    ▪차별화된 종합유통센터

    ▪신뢰∙안심 유통시설

    문경농산물

    종합유통센터 컨셉

    문경농산물유통의

    컨트롤 타워

    ▪유통체계개선선도

    ▪기존유통과의 연계

    ▪유통체계의 조정

    기존과 차별

    ▪기능 차별화

    ▪시설 차별화

    ▪시스템 차별화

    신뢰․안심시설

    ▪생산과 유통의 연계

    ▪생산자․소비자신뢰 ▪판매상품 신뢰

    명품브랜드화 기지

    ▪명품브랜드화

    ▪고품질, 안전성, 기능성

    ▪품질인증

  • xxi

    5.2. 종합유통센터의 기능과 사업

    가. 종합유 통 센터의 주요 기 능

    <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주요 기능 >

    문경종합유통센터기능

    •상적(거래)기능

    •종합물류기능

    •디지털유통 대응기능

    •명품브랜드화 기능

    •유통정보센터 기능

    •교육․훈련․공익기능

    상적(거래)기능

    ∙문경 농식품 가격형성

    ∙문경 농식품의 도소매거래

    ∙현장도매․도매배송∙문경 노식품 소매직판

    ∙구색완비․원스탑쇼핑

    종합물류기능

    ∙문경브랜드 종합상품화

    ∙단순 및 고도화 물류

    ∙물류기지화

    ∙물류시설 임대

    디지털유통 대응기능

    ∙전자상거래․사이버마켓∙물류전산화․자동화대응∙전자상거래 물류기지

    ∙디지털유통의 일반화

    문경 명품브랜드화

    ∙브랜드개발 및 방향

    ∙브랜드마케팅전략

    ∙홍보․커뮤니케이션∙시장조사․시장개척

    종합유통정보센터 기능

    ∙전국농식품 유통정보센터

    ∙문경 농식품 유통정보센터

    ∙산지와 소비지 정보연계

    ∙문경농식품 수급․가격조절

    교육․훈련 및 공익적기능

    ∙농업․유통종사자 교육시설∙생산자․소비자 만남의 장∙지역축제 연계 기능

    ∙방문객 관광․체험기능∙지역경제 활성화 기능

  • xxii

    나. 종합유 통 센터의 주요 사업

    <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 사업부문 개요 >

    도소매사업

    ∙도매배송사업∙현장도매사업∙소매직판사업

    종합상품화사업

    ∙원형농산물상품화

    ∙가공상품화

    ∙브랜드상품화

    전자상거래사업

    ∙실물거래 보완

    ∙시장영역 확장

    ∙상품의 국제화

    • 종합유통센터 차별화 ▸ 마케팅전략 차별화, 기능과 사업차별화, 운영차별화

    • 유통환경 변화 대응 ▸ 소비자니즈 충족, 운영시스템 및 판매기법 개발

    • 판매증대 및 시장개척 ▸다양한 거래기법 활용, 유통센터 사업성 확보와 활성화

    • 명품 공동브랜드화 ▸문경농식품의 인지도 및 충성도 제고, 신뢰성제고

    • 다양화된 수요충족과 신수요 창출, 문경 산지 및 소비지 유통체계의 획기적 개선

    • 급변하는 국내외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문경 농산물의 인지도 및 충성도 제고

    • 종합상품화와 명품브랜드화로 문경농산물의 상품 차별화, 시장차별화, 가격차별화

    • 문경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와 사업다양화로 종합유통센터 활성화와 사업성 확보

    • 생산자․유통종사자 교류공간, 교육․훈련공간, 문경 축제 공간 활용

    명품브랜드사업

    ∙상품화차별화

    ∙시장․가격차별화

    ∙서비스차별화

    공익사업

    ∙교류공간제공

    ∙교육훈련사업

    ∙축제연계사업

  • xxiii

    5.3. 종합유통센터의 시설계획

    가. 종합유 통 센터의 필요시 설

    <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필요시설 내역 >

    구 분 주요 시설 세부시설

    판매시설

    집배송장상온배송장, 옥외배송장, 청과사무실, 직판사무실, 하역사무실,

    식자재사무실 등

    도소매(직판)

    매장

    소매매장, 청과․수산․축산저온매장, 베이커리, 고객식당,

    패스트푸드 등

    필수지원

    시설

    예냉시설 채소예냉실, 과일예냉실

    저온저장시설채소저온저장실, 과일저온저장실, 일반냉장실, 직판냉장실,

    소포장저온작업장, 소포장작업장

    소분포장지설 소포장작업실, 축산작업장, 수산작업장

    냉동창고 일반냉장․냉동, 수산냉동창고, 축산냉동창고, 일반냉동창고

    기타 가공생필품창고, 하역인부대기실,

    기타

    지원시설

    사무실․전산실사무실, 양호실, 회의실, 전산실, 서고, 거래처사무실, 식자재

    협력업체사무실 등

    주민문화시설 문화센터, 스포츠시설, 교육시설 등

    서비스시설 주민 및 직원 편의시설(식당, 휴게실, 이․미용실, 샤워실 등)

    전기․기계실 기계실, 전기실, 중앙감시실, 방재센터 등

    기타시설 폐수처리장, 쓰레기처리장, 화장실, 경비실 등

  • xxiv

    5.4. 종합유통센터 적정 취급규모

    가. 유 통 권역 설정

    ◦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특성과 상권

    - 산지형과 소비지형의 복합적 종합유통센터

    - 따라서 종합유통센터 유통권역은 수집권역과 분산권역으로 구분

    ◦ 수집권역 설정

    - 이론적 수집권역은 전국의 농축수산물 산지임.

    - 그러나 중소도시 문경지역 유통체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 수집권역은 문경시와 인근 시․군지역으로 제한적 설정 바람직

    - 수집권역은 문경시, 상주시, 충주시, 의성군, 예천군, 괴산군 가정

    - 수집권역으로 영향이 큰 부류와 품목은 주로 청과물로 예상

    - 수집권역내 동종의 유통기구가 전무하여 시장지배력에 영향 예상

    ◦ 분산권역(목표시장권) 설정

    - 사업활성화와 사업성은 분산권역의 규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

    - 분산권역은 업태, 사업목표, 상권유통체계, 동종업체와의 경쟁성에 영향

    받음.

    - 분산권역 내에는 동종의 유통기구가 없어 상대적 영향권 행사가 가능

    - 분산권역은 입지조건, 시장구조, 경쟁가능성, 권역특성을 고려하여 2개

    권역 구분

    - 제1권역은 문경시 지역으로 주로 도매 및 소매유통권역임 .

    - 제2권역은 문경시 인근 5개 시․군 지역으로 주로 도매 유통권역임.

    - 분산권역으로 영향이 큰 부류는 식품류, 생필품, 공산품, 축․수산물로 예상

  • xxv

    < 종합유통센터 유통권역 관계도 >

    ▪ 산지가격 결정

    ▪ 선별․가공

    ▪ 소분포장

    ▪ 브랜드화

    ▪ 규격화

    수집권역 분산 권역

    제1권역

    문경시

    제2권역

    주변 5개 시∙군

    제3권역

    전국 공급권

    제1권역

    문경시

    제2권역

    주변 5개 시․군

    제3권역

    전국 분산권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

    예약

    합의

    규격

    원형

    예약

    합의

    도매

    소매

    규격

    브랜드

    전자거래

    도매배송

    나. 예상공급량

    ◦ 공급물량 측면

    - 산지형 특성으로 취급물량 전망은 예상 공급물량에 크게 영향을 받음.

    - 수집권역은 제1권역 문경시, 제2권역 주변 5개 시․군권으로 구분

    - 권역별 예상 공급물량 비율 산정은 기존 종합유통센터 운영 결과와 주변

    5개 지역의 농업구조 특성과 입지여건을 고려하여 추정

    - 취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부류는 청과물(채소류, 과채류)로 한정함.

    - 특히 주변지역이 전부 사과주산지라는 사실을 고려

    - 종합유통센터의 구색을 고려 일부 전국권의 공급량을 고려

    - 수집권역에 대한 영향력은 유통센터의 사업활성화 시기를 가정

  • xxvi

    < 문경시 인근지역 농산물생산 현황 >

    단위 : M/T

    구분 문경시 상주시 예천군 충주시 괴산군 의성군 계

    식량작물 31,437.9 79,306.6 54,075.7 41,453.9 34,592.7 41,891.1 282,757.9

    채소류 23,033.7 25,204.0 48,040.5 22,440.1 33,961.5 64,157.5 216,837.3

    사과 54,883.2 20,298.2 15,652.0 28,261.9 5,362.0 41,802.0 166,259.3

    기타 12,086.3 62,411.0 3,030.0 16,493.0 3,015.0 13,829.5 110,864.8

    소계 66.969.5 82,709.0 18,682.0 44,754.9 8,377.0 55,631.5 277,124.1

    계 121,441.1 187,219.6 120.798.2 108,648.9 76,931.2 161,680.1 776,719.1

    ◦ 공급측면의 예상 취급량

    - 종합유통센터의 사업활성화는 건설 후 정상궤도로의 진입을 가정

    - 지역별 예상 공급량은 종합유통센터의 사업활성화 정도, 각 지역의 유통

    체계 및 판매시스템, 유사 유통기구의 경쟁정도 등에 의해 결정

    - 예상 공급량은 부류나 품목의 유통특성을 고려하여 결정

    - 기존 산지형 종합유통센터의 운영성과를 참조하여 적정 공급율 산정

    - 수집권역의 농산물 공급가능량은 100,104톤 정도로 예상

    < 문경 종합유통센터 예상 공급 가능량 추정 >

    단위 : M/T

    구분 문경시 상주시 예천군 충주시 괴산군 의성군 계

    식량작물 9,431 3,965 2,704 1,244 1,038 1,257 19,639

    채소류 11,517 1,260 2,402 673 1,019 1,925 18,796

    사과 38,418 3,045 2,348 2,826 536 4,180 51,353

    기타 6,043 3,121 152 495 90 415 10,316

    소계 44,461 6,166 2,500 3,321 626 4,595 61,669

    계 65,409 11,391 7,606 5,238 2,683 7,777 100,104

  • xxvii

    다 . 예상수요량

    ◦ 종합유통센터의 취급량은 예상공급량과 함께 예상수요량에 의해 결정

    - 각 분산권역별 인구, 1인당 소비량, 상권적용비율, 유통센터이용율을 고려

    - 예상 취급물량 = 총인구×1인당 소비량×종합유통센터 이용율×상권 적용비율

    - 한국농촌경제연구의 「식품수급표」 자료를 이용하여 2015년 1인당 소비량

    추정

    ◦ 권역별 시설이용 인구 및 수요량 추정

    - 권역별 인구는 각 지역의 연평균 인구증감율을 고려하여 추정

    - 제1권역 문경시, 제2권역 상주시, 예천군, 충주시, 괴산군, 의성군 설정

    - 상권적용 비율을 고려한 잠재적 이용인구는 총 305,000명으로 추정

    ◦ 상권적용비율 고려한 권역별 연간 수요량 추정

    - 권역별로는 제1권역(문경시) 41,448톤, 제2권역 127,472톤으로 추정

    < 권역별 상권비율을 적용한 소비량 추정치, 2015 >

    단위 : 톤

    구 분 곡류 채소류 과일류 축산물 수산물 계

    제1권역 14,729 11,223 3,415 7,944 4,137 41,448

    제2권역 45,298 34,517 10,503 24,430 12,724 127,472

    계 60,027 45,740 13,918 32,374 16,861 168,920

    ◦ 종합유통센터 이용율을 적용한 예상수요량

    - 상권 적용비율을 고려한 부류별 소비량 추정치에서 지역별․부류별 종

    합유통센터의 이용율을 이용하여 예상 수요량을 추정

    - 종합유통센터의 이용율은 권역별 유통체계 및 부류별 유통특성과 산지

    종합유통센터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

  • xxviii

    - 동시에 소매직판부문의 거래대상인 예상 생필품 및 일부 공산품 소비량을

    고려하여 추정

    - 따라서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제1권역 및 제2권역 예상수요량은 총 56,989톤

    내외로 추정

    < 권역별 유통센터 이용율을 적용한 소비량 추정치, 2015 >

    단위 : 톤

    구 분 곡류 채소류 과일류 축산물 수산물 계

    제1권역 4,419 6,734 2,049 6,355 3,310 22,867

    제2권역 6,795 5,178 1,575 3,665 1,909 19,122

    계 11,214 11,912 3,624 10,020 5,219 41,989

    라. 적정 취급량 추 정

    ◦ 예상 취급량 규모

    - 사업활성화 목표연도(2015)를 가정한 최소 공급 가능량은 105,114톤

    (축산물 포함)이며, 수요측면에서 최소 필요량은 56,989톤 수준

    - 공급량 추정은 식량작물, 채소류, 과실류이며, 수요량은 농축수산물 및

    생필품과 일부 공산품이 모두 포함

    - 예상 수요량 중 농산물이 약 26,750톤이기 때문에 취급량 중 외부지역에

    판매할 수 있는 량은 73,354톤임.

    - 또한 취급량 중 문경지역에서 공급할 수 없는 수산물 및 일부 축산물,

    생필품 및 일부 공산품 25,230톤 정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야 됨.

    - 따라서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예상 취급규모는 130,340톤 정도로 추정

  • xxix

    < 종합유통센터 취급물량의 예상 수급사정, 2015 >

    단위 : 톤

    구 분 곡류 채소류 과일류 축산물 수산물가공생필품

    공급량(A) 19,639 18,796 61,669 5,010 - - 105,114

    수요량(B) 11,214 11,912 3,624 10,020 5,219 15,000 56,989

    A-B 8,425 6,884 58,045 △5,010 △5,219 △15,000 -

    비고 외부판매 외부구매 -

    5.5. 종합유통센터 적정 시설규모 및 사업비

    가. 적정 시 설규모

    ◦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예상 취급물량을 고려한 적정 시설규모는 5,385평으로

    추정

    - 시설의 면적배분은 기존 종합유통센터, 도매시장 등 유사한 유통시설의

    단위당 거래규모를 고려한 원단위(原單位)를 추정하여 조정 후 적용

    ◦ 시설별로는 판매시설 3,250평(연면적 60.4%), 직판장 1,330평, 필수지원시설

    805평, 기타지원시설 1,330평으로 배분

    ◦ 필요 부지면적

    -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경우 산지와 소비지 유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거래 단위당 필요 부지면적 비율은 대도시 시설보다도 높음.

    - 기존 종합유통센터의 거래 및 시설규모와 부지면적, 운영자 의견 반영

    -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필요 부지면적은 최소 15,000평 이상이 되어야 될 것

    으로 판단

  • xxx

    < 문경 농산물 종합유통센터 적정 시설규모(안) >

    주요시설 세부시설 면적(평) 비율(%)

    판매시설

    집배송장 1,620 30.1

    옥외집배송장 300 5.6

    직판장

    농산물 550 10.2

    축산물 150 2.9

    수산물 150 2.9

    가공생필 480 8.9

    소계 1,330 24.7

    계 3,250 60.4

    필수지원시설

    예냉시설

    예냉실 80 1.5

    급냉실 40 0.7

    소계 120 2.2

    저온저장시설

    청과물 170 3.2

    축산물 50 0.9

    수산물 30 0.6

    소계 250 4.6

    소분소포장실

    (작업장)

    청과물 130 2.4

    축산물 80 1.5

    수산물 50 0.9

    소계 260 4.8

    냉동창고 통합 100 1.9

    농산물검사실 25 0.5

    일반창고 50 0.9

    계 805 14.9

    기타 지원시설

    사무실, 전산실 100 1.9

    출하주․거래처상담실 50 0.9

    휴게실, 식당, 탈의실 150 2.9

    화장실, 홀 등 공용면적 350 6.5

    기계, 전기실, 폐수처리장 400 7.4

    강당(1), 회의실(2) 150 2.9

    간이금융점포 30 0.6

    옥외수위실,화장실,

    쓰레기처리장 등 기타100 1.9

    계 1,330 24.7

    합 계 5,385 100.0

  • xxxi

    ◦ 1일 취급규모

    < 문경 종합유통센터 취급물량 및 금액 >

    구 분연취급량

    (톤)일취급량

    (톤)톤당단가(백만원)

    1일취급액(백만원)

    취급비율(%)

    곡물류 19,636 54.6 1.6 87.4 14,5

    청과물 80,465 223.5 0.9 201.2 33.5

    축산물 10,020 27.8 6.5 180.7 30.5

    수산물 5,219 14.5 4.8 69.6 11.6

    가공생필품 15,000 41.6 1.5 62.4 10.4

    소계 130,340 362.1 - 601.3 100.0

    * 톤당 단가는 2008년 기존 운영 종합유통센터의 평균 기준단가를 적용함.

    나. 건설사업비

    ◦ 건설사업비 추정

    - 유사한 농산물 유통시설 설계 및 건축 경험이 풍부한 건축설계사무소 업체

    의 자문을 받아 개략적으로 산정

    - 부지매입비는 미지수이기 때문에 건축공사비 중심으로 산정

    - 개략공사비이기 때문에 사업내용과 건축형태에 따라 변동 가능

    -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개략 건축공사비는 26,233,004천원으로 추정

    < 문경 종합유통센터 개략 건설사업비 추정 >

    단위 : 천원

    항 목

    ALT 내용 비 고

    부지면적 15,000평 최소한 필요 면적

    시설연면적 5,385평

    1. 부지매입비 -

    2. 건축공사비 26,233,004

    ① 공사비 19,901,975 조사가격(사례별 사업비 비교 참고)

    ② 부가가치세 1,990,198

    ③ 소계(①+②) 21,892,173

    ④기본 및 실시설계비 796,079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⑤ 합계(③+④) 22,688,252

    3. 감리비 995,909 건설기술관리법 전면책임감리기준

    4. 물류설비비 2,051,000 기존 시설의 운영자료

    5. 기본계획 및 운영방안 수립

    60,000일부 기 수행계획설계부문 수립 필요

    6. 설계보상비 437,843 회계예규 기준

  • xxxii

    5.6. 종합유통센터 건립추진 지원반 운영

    ◦ 건립추진 준비반 운영 필요

    - 효율적 추진을 위한 건설 및 개설준비반과 전담인력 확보 필요

    - 종합유통센터 개장․운영과 사업의 조기 활성화 계획 수립

    - 제도 및 규정제정 등을 위한 행정 및 유통분야의 전문 인력 필요

    - 운영주체 선정 및 협약체결, 관련 조례제정, 중장기 발전계획수립 등

    - 개설준비반은 운영주체 선정작업 이전에 발족

    < 종합유통센터 개설준비사업반의 조직 >

  • xxxiii

    6. 종합유통센터 운영계획

    6.1. 종합유통센터 사업 및 운영주체 선정

    가. 사업주체 및 설립유 형

    ◦ 단독추진

    - 지방자치단체, 생산자단체, 전문유통업체 단독 추진

    - 지자치의 경우 운영은 생산자단체나 민간유통업체에 위탁운영

    ◦ 컨소시엄추진

    - 지방자치단체, 생산자단체, 전문유통업체가 공동출자 법인

    ◦ 추진실적

    - 2009년 6월 현재 16개소 개장 1개소(양산) 추진 중

    - 공공유형 9개소, 생산자단체유형 5개소, 컨소시엄유형 3개소

    ◦ 사업주체

    - 문경시가 사업 추진주체가 되는 공공유형이 바람직

    - 종합유통센터 운영은 생산자단체에 위탁운영 바람직

  • xxxiv

    <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추진유형별 건설 실적 >

    구 분 개장된 곳 건설중 계

    공공유형(지자체추진)

    성남, 고양, 달성, 수원, 목포, 김해, 금산, 울산 (8)

    양산(1) 9

    생산자단체형 양재, 창동, 전주, 청주, 부산 (5) 5

    컨소시엄형 천안, 군위, 대전 (3) 3

    계 16 1 17

    나. 운 영주체 선 정

    ◦ 지자체가 사업추체인 경우 생산자단체, 전문유통업체 등에 위탁운영 조건

    - 종합유통센터 시설은 지자체가 소유

    - 농협중앙회 및 유통자회사, 지역농협단독, 농협컨소시엄, 전문유통업체,

    지자체․조합․유통업체 설립 법인 등

    ◦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잠재적 운영주체

    - 생산자단체, 민간유통업체, 지방자치단체 및 이들의 컨소시엄 형태가 가능

    - 생산자단체는 지역조합, 중앙회, 중앙회 자회사 등의 형태가 가능

    - 컨소시엄에는 지역조합-지역조합, 중앙회-지역조합-지방자치단체, 생산자

    단체-민간유통업체, 지방자치단체-민간유통업체, 민간유통업체-민간유통

    업체 형태가 가능

    ◦ 문경 종합유통센터 운영주체 선정 고려사항과 부적합 형태

    - 기능 및 사업부문, 농업구조, 기존 유통체계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

    - 기능 및 사업부문의 복잡성과 전문성은 유능한 대규모 민간업체 위탁 유리

    - 다품목 영세 농업구조, 농협중심의 기존유통체계 특성은 민간업체 부적합

    - 기존 유통업체와 대규모 민간유통업체와의 운영 및 사업방식의 차이

  • xxxv

    - 농산물 생산규모 및 상권 고려 시 적합한 민간업체 선정의 한계

    - 민간업체 단독 및 컨소시엄, 지역조합 단독, 지역조합-지자체 컨소시엄,

    지역조합-민간유통업체 컨소시엄 형태는 부적합으로 판단

    ◦ 운영주체 선정의 현실적 대안

    - 중앙회 단독, 지역조합 컨소시엄, 중앙회-지역조합 컨소시엄 형태 가능

    - 공공건설유형이기 때문에 중앙회 단독의 경우 분사형태가 가능

    - 중앙회-지역조합, 지역조합 컨소시엄의 경우 별도 운영회사 설립 필요

    - 기존 지역 유통주체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선정

    - 반드시 지역조합이 컨소시엄으로 참여 바람직

    - 운영주체 선정은 객관적 평가기준에 의해 공모를 통한 선정 바람직

    6.2. 종합유통센터 운영계획

    가. 종합유 통 센터 운 영체계

    ◦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기능

    - 문경 농산물유통개선의 컨트롤 타워 기능

    - 문경 농산물유통의 마케팅전략 수립 및 실행 본부 기능

    - 기존 유통시설과 기능의 통합․조정(수급조정, 출하조정 등)

    - 기존 유통시설의 선도 모델(상품화, 브랜드화 등) 기능

    - 문경 농산물의 명품브랜드화 전략(상품화 및 홍보) 기지

    ◦ 기존 유통시설과의 관계

    - 기존 유통시설과 독립적인 경쟁관계가 아님

    - 종합유통센터는 기존 유통시설의 컨트롤 타워

    - 종합유통센터는 기존유통시설에 모든 정보와 전략을 제공

  • xxxvi

    - 기존 유통시설은 동일한 유통전략 지침으로 공동목표 달성

    - 종합유통센터 중심의 공동브랜드화 실현

    - 종합유통센터를 중심으로 기존 시설과의 철저한 연계관계 형성

    - 그러나 기존 유통시설은 일부 독자적인 개별브랜드화 가능

    < 종합유통센터와 기존 유통시설과의 관계 >

    종합유통센터

    ▪유통전략통합▪정보네트워크화▪유통조정․통제▪유통전략허브▪규격․브랜드화

    조합APC

    ▪선별․포장▪규격․브랜드화

    조합APC

    ▪선별․포장▪규격․브랜드화

    조합RPC

    ▪선별․포장▪규격․브랜드화

    가공공장

    ▪주산품 가공▪특산품 가공

    거점APC

    ▪선별․포장▪규격․브랜드화

    ▪규격품 공급

    ▪브랜드상품

    ▪가공․원형

    ▪상품화 정보

    ▪출하정보

    ▪물류정보

    주변지역

    ▪권역 주산품 공급

    ▪1권역 동일상품

    전국 공급권

    ▪구색품 공급▪수급조절품 공급▪공산품․생필품 공급▪축․수산물 공급

    ◦ 기존 유통시설의 기능

    - 대표적 기존 유통시설은 5개 농협의 APC, 1개 전문조합 거점APC

    - 기존 기능은 독립적 개별브랜드 APC기능과 일부 공동브랜드화

    - 유통 및 판매전략은 개별조합별로 수립 및 실행

    - 개별조합 사업규모 영세성과 낮은 시장교섭력 및 시장지배력

  • xxxvii

    - 개별 조합의 영세규모 유통시설의 기능 제한적

    - 개별브랜드 중심으로 브랜드효과 저하와 공동브랜드와의 시장충돌

    ◦ 종합유통센터와의 연계 후 기존 유통시설의 기능

    - 상품화, 수급 및 물류정보를 종합유통센터로부터 받음(지시)

    - 제공받은 정보에 의해 동일목표 달성을 위한 기능 수행

    - 각 유통시설은 표준화된 공동브랜드 상품을 종합유통센터에 공급

    - 그러나 개별 유통시설은 일부 독자적 유통전략을 수행

    - 기존 유통시설별 목표시장 고객을 위한 개별브랜드 출하

    - 중장기적으로는 공동브랜드화를 위한 동일 유통전략 추구 바람직

    < 종합유통센터와 연계 후 개별 유통시설의 기능 >

    ▪ 공동브랜드 상품

    ▪ 규격상품▪ 개별브랜드 상품

    ▪종합유 통 센터 ▪ 도매시 장 ▪ 직거래 등

    나. 종합유 통 센터 운 영조직과 운 영인 력

    ◦ 종합유통센터의 운영조직은 기능별 조직과 부류별 조직으로 검토 가능

    ◦ 기능별 조직은 크게 사업지원부, 직판소매부, 도매물류부로 구성

    - 부류별로는 청과사업부, 양곡부, 축․수산부, 식자재부, 가공생필부

    ◦ 목표연도(2015) 적정 운영인력은 대안별 160~210명 정도로 추정

    - 정규직, 비정규직, 용역인력 운용체제

    - 사업지원 50~65명, 도매물류 40~55명, 직판소매 70~90명 수준

  • xxxviii

    다 . 종합유 통 센터 물 량 확보

    ◦ 청과물

    - 안정적 물량확보를 위해 기존 유통시설과의 철저한 연계 필요

    - 기존 유통시설로부터 표준화된 공동브랜드 청과물을 확보

    - 공동브랜드 사과물량 확보가 사업활성화의 가장 중요한 과제

    - 구색용을 위해 전국 주산지 생산자조직과 전속 출하계약 필요

    - 종합유통센터 머천다이징에 부합되는 OEM 방식으로 확보

    - 사업의 조기활성화를 위해 도매시장과 뚜렷한 차별화가 필수

    - 등급, 품질, 포장규격, 포장디자인, 포장재 등에서 차별화 필요

    ◦ 축산물

    - 축협과의 연계로 문경지역 브랜드 축산물의 우선 구매

    - 기존 축산물브랜드를 종합유통센터 축산물 공동브랜드화가 필요

    - 구색용은 축산물종합처리장(LPC)와 제휴를 통한 안정적 구매

    ◦ 곡물

    - RPC 보유조합(문경) 및 지역 친환경쌀 도정공장(영순면) 등과 연계하여

    공동브랜드 쌀을 우선적으로 확보

    - 종합유통센터 취급 쌀은 공동브랜드화 추진

    - 문경 인근지역에서 확보하는 경우 RPC와의 계약거래가 바람직

    - 소매직판부문의 구색을 위해 쌀 이외 다양한 곡물취급이 필요

    - 쌀 이외 소매직판용 곡물은 문경 지역조합 APC 등을 통하여 우선구매

    ◦ 수산물

    - 대중품목에 대한 산지위판장과의 직접거래가 가장 바람직

    - 산지위판장 중도매인 등과 계약을 통한 안정적인 거래처 확보

    - 소량품목의 경우 소비지 도매시장과 산지위판장을 활용 바람직

  • xxxix

    - 선어와 냉동어는 산지위판장, 패류와 건어물은 대규모 산지수집상과 중도

    매인, 활어는 생산자와 산지수집상이 바람직

    라. 종합유 통 센터 판로 확보 및 사업전 개

    ◦ 유통권역과 종합유통센터 운영과의 관계

    - 유통권역은 수집권역과 분산권역으로 구분

    - 종합유통센터 규모는 수집권역, 사업활성화는 분산권역에 영향

    ◦ 분산권역은 3개 권역으로 구분

    - 입지조건, 시장구조, 경쟁가능성, 권역특성을 고려

    - 제1권역은 문경시 지역

    - 제2권역은 상권특성이 유사한 인근 5개 시․군지역

    - 제3권역은 문경 농산물의 주요 판매지역인 전국 대도시 지역

    ◦ 전략적 대상업태

    - 도매사업의 형태는 도매배송과 현장도매의 혼합형이 바람직

    - 도매배송의 경우 가맹점 형태가 바람직

    - 도매사업 주력 대상업태는 중규모 비조직화 수퍼마켓, 자체 물류센터가

    없는 체인본부 및 가맹점, 중대형 독립할인점 등

    - 현장도매의 주력 대상업태는 구멍가게, 영세수퍼마켓, 기타 소매상 등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

    - 물류센터 미확보 유통업체는 계약을 통하여 물류센터 기능수행

    - 식자재 도매물류 사업의 기본형태는 회원제 현장도매가 바람직

    - 소매직판 사업의 대상은 문경시 및 인근 제2권역 거주 일반 소비자

    ◦ 도매물류사업 강화 방향

    - 도매시장과 차별화된 표준규격상품의 개발과 취급이 중요

    - 식자재사업, 전자상거래사업 등 도매사업 확장과 일괄 공급체계 구축

  • xl

    - 전자상거래는 사업초기부터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

    - 소비자 니즈의 다양화와 편의성 추구에 대한 신속한 대응방안이 필요

    - 대고객 물류서비스의 향상을 통한 비용절감이 필요

    - 전략적 제휴관계를 통한 고객 관리체계 구축이 바람직

    ◦ 단계별 사업전개 방향

    - 사업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계별 사업전개

    - 초기단계, 확장단계, 성숙단계로 구분하여 전략을 구상

    - 저수익․저위험 안정적 품목에서 고수익․고위험으로 취급품목 확대

    < 도매사업의 단계별 전개방안 >

    구 분 제1단계(초기) 제2단계(확장기) 제3단계(성숙기)

    취급

    품목

    과일류(공동브랜드사과 등)

    과채류, 근채류, 서류, 양채류,

    양곡, 축산물, 수산물, 생필품,

    일부 가공식품 등

    제1단계에 모든 가공식품과

    수입농축산물 등 추가

    제2단계에 주요 생활가전

    제품(공산품) 등 추가

    구매처제1권역 조합APC, RPC,

    영농조합법인, 축협, 수협 등

    제1단계와 동일, 식품 가공

    업체, 수입업체 등

    제2단계와 동일 가전제품

    및 일반 기업

    구매방식 유통계약, 매취, 수탁 생산 및 유통계약, 매취 생산 및 유통계약

    판매처소점포 슈퍼체인, 할인점, 백

    화점, 외식업체, 단체급식소

    다점포 슈퍼체인, 할인점, 외

    식체인, 수출전체 소매점(직판 : 소비자)

    판매방식 집배송+현장판매 집배송+현장도매+전자상거래 집배송+현장도매+전자상거래

    소매점

    조직화느슨한 가맹점 형태

    체인별 센터지원(조달, 배송,

    품질관리 전담)프렌차이즈형 조직화

    마. 물 류 계획

    ◦ 수배송 및 하역

    - 수송은 팔레트화에 의한 ULS 도입

    - 배송은 지역, 품목, 라인별 물량, 거리 등에 따라 배송형태 선정

  • xli

    - 하역효율성 제고를 위한 하역시설의 합리적 배치 및 설치 필요

    - 합리적(비용절감 및 하역효율성 제고, 기계화) 하역방법 선정

    ◦ 보관․저장, 가공․소포장

    - 상품별 보관방법 및 보관형태의 적정화

    - 상품유형별, 회전율별, 포장형태별, 출하량별 보관방식의 적정화

    - 수요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소분포장시설 설치

    - 소포장 및 가공사업 적정방법 선정(직영 또는 용역업체)

    ◦ 정보시스템

    - 수주에서 반품관리까지의 물류효율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 POS시스템 : 판매시점 모든 정보관리를 통한 물류합리화

    - EOS시스템 : 온라인 수․발주시스템 도입으로 경영합리화(JIT)

    - VAN시스템 : 유통센터와 구매자간 정보교환 정보통신망

    - EDI시스템 : 유통센터와 거래처간 전자문서 교환시스템

    - 유통센터 내 정보시스템(입하, 입고, 보관, 피킹, 출고, 판매, 재고확인)

    7. 문경농산물 브랜드화 방향

    7.1. 문경농산물(예: 사과) 브랜드자산 구성요소

    ◦ 브랜드자산 구성요소

    - 브랜드 인지도, 충성도, 지각된 품질, 연상 이미지 등으로 구성

  • xlii

    < 문경사과 공동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 >

    브랜드자산 요소 주요 내용

    브랜드 인지도

    ▪문경사과에 대한 친밀감과 호감

    ▪문경사과 품질과 신뢰성 의미

    ▪브랜드 연상이미지를 연결

    ▪문경사과를 구매대상 브랜드에 포함

    브랜드 충성도

    ▪마케팅 비용감소

    ▪유통에서의 레버리지 효과

    ▪새로운 고객확보의 기회부여

    ▪경쟁적 위협에 대처할 시간적 여유

    지각된 품질

    ▪문경사과 구매동기와 이유 제공

    ▪가격프리미엄 창출

    ▪차별화/포지셔닝의 기초가 됨

    ▪브랜드 확장기회 제공

    브랜드연상이미지

    ▪구매동기와 이유 제공

    ▪긍정적 태도와 좋은 느낌 창출

    ▪브랜드 확장기회 제공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소비자 인지도 내용 >

    인지도 요소 소비자가 인지하는 내용

    보조 인지

    (브랜드 재인)▪ 전에 본 문경사과 공동브랜드를 기억할 수 있는가

    비보조 상기

    (브랜드 회상)▪ 사과(예)를 보았을 때 문경사과공동브랜드를 상기할 수 있는가

    최초상기도▪ 사과를 보거나 구매할 때 제일 먼저 기억나는 브랜드가 문경사과 공동브랜드

    (새재아침)인가

    지배력 ▪ 많은 사과브랜드 중 문경사과 공동브랜드 한 가지만을 회상하는 능력

  • xliii

    7.2. 문경농산물 브랜드 차별화 방향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차별화 과정과 내용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차별화 과정과 내용 >

    공동브랜드 구축의 차별화 브랜드마케팅 프로그램의

    수립․실행의 차별화

    ▪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차별화▪ 브랜드 핵심가치의 차별화▪ 브랜드 요소의 차별화▪ 브랜드 포지셔닝의 차별화

    ▪ 목표시장의 차별화▪ 브랜드 제품전략의 차별화▪ 제품가격 전략의 차별화▪ 유통전략의 차별화▪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차별화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자산 구축의 차별화

    소비자의 문경농산물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의 차별화소비자의 문경농산물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의 차별화

    소비자가 문경농산물에 대해 평가하고 인식하는 품질의 차별화소비자가 문경농산물에 대해 느끼는 연상 이미지의 차별화

    국내시장에서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차별화 성과 실현

    경쟁산 지에 대한 문경농산 물 공동브랜드의 시장 경쟁력 우위 확보경쟁산 지에 대한 문경농 산물 공동브랜드의 시 장점유 율( 지배력) 제고

  • xliv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차별화 방향

    - 상품의 우수성(맛, 당도, 색택 등) 극대화를 통한 고급화 전략

    - 상품화 가치가 높아 가격차별화가 가능한 명품화 전략

    - 사과라는 대중과일과 주산지라는 특성을 살린 대중성 전략이 바람직

    - ‘고급화’, ‘명품화’, ‘대중화’를 모두 통합하면 ‘문경농산물(사과) 공동

    브랜드의 대중적 고급․명품화’ ’(mass + prestige = masstige)

    < 문경농산물(사과) 공동브랜드의 차별화 방향 설정 >

    문경사과의 고급화( 품질, 맛, 안전성)

    문경사과의 명품화( 이미지, 연상, 신뢰)

    문경사과의 대중화( 수요 범선호성, 광역성)

    문경사과의 대중적 고급명품화(masstige)

    차별화된 문경농산물(사과) 공동브랜드

    7.3.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자산 구축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자산 구축 개념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자산 구축의 개념 >

    문경농산물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소비자입장에서의문경농산물 브랜드자산

    종합유통센터입장의브랜드자산

    •광고

    •판매 촉진

    •인적 판매

    •홍보

    •이벤트 등

    •높은 시장 점유율

    •가격 프리미엄

    •낮은 가격 탄력성 등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호의도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충성도 등

  • xlv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자산 구축 단계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자산 구축 과정 >

    제5단계

    제4단계

    제3단계

    제2단계

    제1단계

    브랜드 자산 구축과 측정

    브랜드마케팅 프로그램 실행

    문경사과 브랜드 포지셔닝 설정

    문경사과 브랜드 요소 선택

    문경사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에 대해 소비자의 마음속에 심어주기를 원하는

    바람직한 연상

    ◦ 문경농산물(사과) 공동브랜드 핵심 아이덴티티(예)

    - 사과품질 : 사과재배에 적지로서 가장 맛있고 안전한 사과

    - 문경지역사과 : 청정지역에서 생산되는 고급․명품사과

    - 문경사람사과 : 순박하고 성실한 문경사람이 정성들여 키우는 사과

    - 문경자연 : 문경의 뛰어난 산수만큼이나 아름답고 예쁜 사과

  • xlvi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설정 예 >

    브랜드 아이덴티티 관점 설정 가능한 주요 내용

    ∙ 문경농산물(사과) 속성 위주의 아이덴티티 ∙ 뛰어난 맛(당도, 색택 등), 신뢰성, 안전성 등

    ∙ 지역과 사람으로서 아이덴티티∙ 문경지역의 청정성, 문경새재의 인지도,

    문경사람의 순박성과 성실성, 문경 자연 등

    ∙ 의인화된 아이덴티티 ∙ 순박한 시골사람, 시골 부모님 등

    ∙ 상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 문경의 청정자연과 풍광 표현(로고, 상징) 등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포지셔닝 설정 방향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가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심어주는 핵심가치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포지셔닝 설정 방향(예시) >

    브랜드 포지셔닝 관점 설정 가능한 주요 예시

    속성과 품질중심 포지셔닝‘고급명품과 안전한 사과이다’, ‘변함없이 맛있다’, ‘우리가 바라는

    바로 그 사과이다‘, ’신뢰가 간다‘ 등

    심리적․감성적 포지셔닝‘자연의 깨긋함을 먹는다’, ‘생산농민의 정성과 사랑을 느낀다’,

    ‘고향의 그리운 산과 들이 보인다’, ‘시골의 순수함이 있다’ 등

    상징적 편익중심 포지셔닝 ‘몸에 좋은 기능성이다’, ‘아무리 먹어도 안전한 명품이다’ 등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요소선택

    - 브랜드 요소는 일반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규정하는 요소

    - 브랜드 네임, 로고, 심벌, 캐릭터, 슬로건, 징글, 패키지, URL 등이 포함

    - 기억의 용이성, 유의미성, 호감성, 전이 가능성, 적용 가능성, 보호 가능성

  • xlvii

    < 문경농산물(사과) 공동브랜드 요소의 선택기준(예시) >

    선택 기준 주요 내용

    기억의 용이성∙ 소비자의 기억 속에 인지되기 쉬워야 됨

    ∙ 소비자가 쉽기 상기나 회상할 수 있어야 됨

    유의미성∙ 문경사과의 특성을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문경사과 속성과 정보전달이 잘 될 수 있어야 됨

    호감성

    ∙ 흥미롭고 재미있는 내용이 되어야 됨

    ∙ 풍부한 시각적, 언어적 이미지가 있어야 됨

    ∙ 미적으로 즐거워야 되고 보고 싶어야 됨

    전이 가능성∙ 문경 오미자나 쌀 등 타 농산물에도 적용 가능해야 됨

    ∙ 지역시장과 수출시장에서도 유효해야

    적용 가능성∙ 시간의 경과에도 탄력적인 적용이 가능해야 됨

    ∙ 시간 경과에 따라 갱신 가능해야 됨

    보호 가능성∙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됨

    ∙ 경쟁적 측면에서 보호받아야 됨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네이밍

    - 브랜드 네임은 브랜드 요소의 가장 핵심 부분

    - 소비자가 한 번 듣거나 보면 쉽게 기억할 수 있어야 됨.

    - 문경농산물의 속성이나 관련 정보를 쉽게 전달할 수 있어야 됨.

    - 발음하고 읽고 쓰는 것이 쉬우면서 간단해야 됨.

    - 차별적․개성적이고 의미가 있어야 됨.

    - 브랜드 네임은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바른 방법

    - 소비자들의 브랜드네임 커뮤니케이션 시간은 30초 정도로 매우 짧음.

    - 문경시의 기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문제점 노출

    - 현재 ‘새재의 아침’은 전체적으로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 네임으로서 유의

    미성, 호감성, 기억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상징성을 함축하고 있음.

    - 그러나 발음의 용이성이나 문자의 결합구조 등에서 문제점 노출

    - ‘새재아침’으로의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

  • xlviii

    - 로고와 심벌, 브랜드 슬로건, 브랜드 캐릭터, 브랜드 디자인과 포장, 징글

    (jingles) 등 다양한 브랜드 요소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화 추진방향

    - 기존 개별브랜드 중심에서 공동브랜드(새재아침)화 추진이 바람직

    - 공동브랜드의 핵심주체인 종합유통센터와 기존 개별브랜드 주체(지역농협

    등)와의 적절한 역할분담 필요

    <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화의 기본방향 >

    국내 농 산물 시 장 국내 농 산물 시 장

    조합 개별브랜드1

    조합 개별브랜드2

    조합 개별브랜드3

    조합 개별브랜드4

    조합 개별브랜드

    조합 개별브랜드5

    통 합된

    문경농 산 물

    공동브랜드

    조합별

    개별브랜드

  • xlix

    ABSTRACT

    A Comprehensive Plan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in Mungyeong

    This study is designed to set up a comprehensive plan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city of Mungyeo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istribution system and presented strategies for building strong agricultural product brands and a basic plan for establishing a new distribution facility in Mungyeong.

    Chapter 2 summarizes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The changing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requires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satisfy various consumers' needs, a distribution system that makes the best use of the IT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brand marketing strategies to manage and develop a successful brand.

    Chapter 3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in Mungyeong. Even though Mungyeong is a main producing district of apples and the fruit of Maximowiczia typica, the production scale of most agricultural products is small. In the case of apple, in particular, the negotiating power and the level of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loyalty are remarkably low because of confusingly similar brands.

    Chapter 4 suggests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ystem in Mungyeong through an SWOT analysis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1) build a strong brand asset and nationally famous agro-food brands, 2) establish strategies for reinforcing the market negotiating power and market strength, 3) set up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 brand of Mungyeong from others, 4) and establish strategies to connect and integrate a new distribution facility with the existing ones. On top of that, a general distribution center for agricultural products needs to be built in Mungyeong as it was found to be most suitable among five possible types of distribution facilities.

    Chapter 5 presents the basic direction of the general distribution center, including basic concept, main functions, proper volume of business, suitable

  • l

    scale and working expense of the center. The estimated dealing volume of the general distribution center is about 130,340 tons with a proper floor space of 17,802㎡. In addition, the cost of construction is about 26 billion won.

    Chapter 6 introduces the operating plan of the general distribution center. Although the type of an operating organization can vary, the best type is a consortium of regional associations, and the operating organization must be chosen based on an objective valuation through open bidding.

    Chapter 7 presents brand strategies to market agricultural products of Mungyeong. The general brand strategy of Mungyeong is to unify disjointed brands into a joint bran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recognize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of Mungyeong.

    Researchers: Jeon Chang-Gon, Cho Myung-Ki and Kim Jong-WooResearch period: 2009. 2. - 2009. 7.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 li

    차 례

    제1 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4

    3. 연구 기대효과 ·······························································································8

    제2 장 농 산 물 유 통 체계 변 화 및 전 망

    1.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 ················································································9

    2.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 전망과 시사점 ·····················································13

    제3 장 문경 농 업 및 농 산 물 유 통 의 현 황 과 문제점

    1. 문경시 농업의 입지 특성 ··········································································24

    2. 문경시 농업현황 ·························································································27

    3. 문경시 농산물유통 현황 및 특성 ·····························································30

    제4 장 문경 농 산 물 유 통 체계 발전 방향

    1. 문경시 농산물유통의 SWOT 분석과 전략 ··············································48

    2. 문경시 농산물유통체계 개선 방향 ·························································57

    3. 신기능 유통시설 선정 ················································································59

    제5 장 문경 농 산 물 종합유 통 센터 설립 방향

    1. 종합유통센터 건설의 필요성과 기본컨셉 ················································73

    2. 종합유통센터의 기능과 사업 ····································································77

    3. 종합유통센터 적정 취급규모 ····································································83

  • lii

    4. 종합유통센터 적정 시설규모 및 사업비 ··················································89

    5. 종합유통센터 건립추진 지원반 운영 ·······················································96

    제6장 종합유 통 센터 운 영계획

    1. 종합유통센터 사업 및 운영주체 선정 ·····················································98

    2. 종합유통센터 운영계획 ············································································104

    제7 장 문경농 산 물 브랜드화 방향

    1. 문경농산물(예: 사과) 브랜드자산 구성요소 ··········································119

    2. 문경농산물 브랜드 차별화 방향 ·····························································121

    3.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자산 구축 ···························································123

    부록 1: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건설 사업내용 및 운영현황 ·····················131

    2: 시군유통회사 추진 및 지원방안 ······················································145

    참고 문헌 ···········································································································157

  • liii

    표 차 례

    제2 장

    표 2-1. 새로운 산지유통체계 특성 ·····························································14

    표 2-2. 새로운 도매유통체계 특성 ·····························································15

    표 2-3. 새로운 소매유통체계 특성 ·····························································15

    표 2-4. 기존 유통시스템과 새로운 유통시스템의 비교 ···························18

    표 2-5. 농산물 물류환경의 변화 ·······························································19

    표 2-6. 농산물 물류의 발전추세와 전망 ····················································20

    표 2-7. 농산물 물류의 패러다임 변화 ······················································21

    제3 장

    표 3-1. 문경시 문화재 현황 ·········································································26

    표 3-2. 문경시와 전국의 농가호수 및 농업인구 비율 비교 ····················27

    표 3-3. 문경시 농경지 현황 ·········································································28

    표 3-4. 문경시 농산물 생산현황(2007) ······················································29

    표 3-5. 문경시 축산업 현황(2007) ······························································30

    표 3-6. 문경시 농협조직의 현황 ·································································31

    표 3-7. 문경농협 APC 사업현황(2008. 11) ·············································34

    표 3-8. 문경 거점산지유통센터의 시설 및 사업현황 ·······························35

    표 3-9. 문경사과의 농협취급 실태(2007) ···················································37

    표 3-10. 문경사과의 주요 출하처 비중(2007) ·············································37

    표 3-11. 문경사과의 집하 및 정산유형(2007) ·············································38

    표 3-12. 문경사과의 출하 브랜드 현황 ························································39

    표 3-13. 문경 오미자 생산 및 경영 추이 ····················································41

    표 3-14. 문경시 농축산물의 주요 브랜드 현황 ··········································43

  • liv

    제4 장

    표 4-1. 문경 농산물유통의 SWOT 분석 ····················································51

    표 4-2. 문경 농산물유통의 SWOT 전략 ····················································56

    표 4-3. 농수산물도매시장 설립 및 운영 현황, 2007 ································61

    표 4-4. 도매시장과 경쟁적 유통기구와의 비교 ·········································62

    표 4-5. 농산물공판장 설립 및 운영 현황, 2007 ·······································64

    표 4-6. 거점산지유통센터 설치사업 추진현황 ··········································65

    표 4-7. APC 설치 및 사업비 지원 추이 ····················································66

    표 4-8. 종합유통센터 운영 성과지표 및 목표 ··········································68

    표 4-9.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추진유형별 건설 실적 ··························68

    표 4-10. 단독추진 유형별 지원기준 ·····························································69

    표 4-11.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매출액 추이 ··············································70

    표 4-12. 주요 유통시설의 특성 비교 ···························································72

    제5 장

    표 5-1. 종합유통센터 유통권역 관계도 ······················································84

    표 5-2. 종합유통센터 수집권역 농산물생산 현황 ·····································85

    표 5-3. 문경 종합유통센터 예상 공급 가능량 추정 ·································86

    표 5-4. 권역별 상권비율을 적용한 소비량 추정치, 2015 ························87

    표 5-5. 권역별 유통센터 이용률을 적용한 소비량 추정치, 2015 ···········88

    표 5-6. 종합유통센터 취급물량의 예상 수급사정, 2015 ··························89

    표 5-7. 문경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필요시설 내역 ·································90

    표 5-8. 문경 농산물 종합유통센터 적정 시설규모(안) ····························92

    표 5-9. 문경 종합유통센터 취급물량 및 금액 ··········································93

    표 5-10. 문경 종합유통센터 개략 건설 사업비 추정 ·······························96

  • lv

    제6장

    표 6-1.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추진유형별 건설 실적 ··························99

    표 6-2.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건설․개장 현황 ·······································99

    표 6-3. 운영주체 선정시 고려사항 ···························································101

    표 6-4. 문경 종합유통센터의 잠재적 운영주체별 특성 비교 ················103

    표 6-5. 축산물 확보 및 판매 유형 ···························································110

    표 6-6. 곡물의 구매선별 특성 ···································································111

    표 6-7. 도매사업의 단계별 전개방안 ························································116

    제7 장

    표 7-1. 문경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소비자 인지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