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6
대한골절학회지 제 19 권, 제 4 호, 2006년 10월 Journal of the Korean Fractrure Society Vol. 19, No. 4, October, 2006 412 통신저자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576-31 대구파티마병원 정형외과 Tel053-940-7320Fax053-954-7417 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도 대한골절학회 제32차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Se-Ang Cha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Fatima Hospital, 576-31, Sinam-dong, Dong-gu, Daegu 701-600, Korea Tel82-53-940-7320Fax82-53-954-7417 E-mail[email protected]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신동주변영수장세앙박옥랑* 김신윤 황대희이성락김동영 대구파티마병원 정형외과, 산부인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분만과 관련한 치골 결합 분리의 임상적 특징 및 발병률을 알아보고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위험인자를 확인하며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66,721명의 분만 중, 치골 결합 분리로 진단된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골 결합부 분리 증상이 없었던 산모 498명을 대조군으로 정하고 χ 2 -검사와 Student t-검사를 사용하여 위험인자를 분석하였고, 최종 추시에서 방사선학적 평가와 Majeed의 방법을 이용한 기능적 평가를 하였다. : 치골 분리의 간격은 평균 13.8 mm (범위, 643)이고 최종 추시상 평균 4.9 mm (범위, 316)였으며 증상의 발현은 분만 중에서부터 분만 후 3일까지 다양한 시기에 나타났다. 발병률은 927명 중 1명이었고 통계학적 검증을 통하여 신생아의 체중, 분만 2기의 지연, 분만 시 흡인기의 사용이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최종 추시된 63명 중 우수 52예 (82.5%), 양호 9예 (14.3%), 보통 2예 (3.2%)였다. :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는 태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분만 2기가 지연되는 경우, 분만 시 흡인기가 필요한 경우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최종 추시 상 다양한 방사선학적 결과에도 불구하고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색인 단어: 골반골, 치골 결합부, 분리, 분만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Dong-Ju Shin, M.D., Young-Soo Byun, M.D., Se-Ang Chang, M.D., Ok-Rang Park, M.D.*, Shin-Yoon Kim, M.D. , Dae-Hee Hwang, M.D., Sung-Rak Lee, M.D., Dong-Young Kim, M.D. Departments of Orthopaedic Surgery, Obstetrics and Gynecology *, Daegu Fatima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 Daegu,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incidence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the lesion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two cases of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among 66,721 delivery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4 was selecte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498 cases without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Several factors increasing the risk of this lesion were assessed using χ 2 -test and Student t-test.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13.8 mm (range, 643) and finally 4.9 mm (range, 316). Onset of symptoms occurred variably from labor to postpartum day 3. Incidence of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was one among 927 deliveries. The separation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with respect to birth weight, the prolonged 2nd stage of labor, and the use of vacuum-delivery. Of 63 cases at final, 52 cases (82.5%) had excellent result, 9 (14.3%) had good and 2 (3.2%) had fair.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high birth weight, the prolonged second stage of labor and vacuum-delivery were risk factors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This lesion was treated well with conservative methods, although variable radiological findings were noted at final follow-up. Key Words: Pelvis, Symphysis pubis, Separation, Childbirth

Upload: others

Post on 16-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대한골절학회지 제 19 권, 제 4 호, 2006년 10월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Jo u r n a l o f th e K o r e a n F r a c t r u r e S o c ie t y

V o l . 1 9 , N o . 4 , O c to b e r , 2 0 0 6

412

통신저자:장 세 앙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576-31대구파티마병원 정형외과Tel:053-940-7320․Fax:053-954-7417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도 대한골절학회 제32차 춘계학술대회에서발표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Se-Ang Chang, M.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gu Fatima Hospital, 576-31, Sinam-dong, Dong-gu, Daegu 701-600, KoreaTel:82-53-940-7320․Fax:82-53-954-7417E-mail:[email protected]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신동주․변영수․장세앙․박옥랑*․김신윤†․황대희․이성락․김동영

대구파티마병원 정형외과, 산부인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목 적: 분만과 관련한 치골 결합 분리의 임상적 특징 및 발병률을 알아보고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위험인자를 확인하며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66,721명의 분만 중, 치골 결합 분리로 진단된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골 결합부

분리 증상이 없었던 산모 498명을 대조군으로 정하고 χ2-검사와 Student t-검사를 사용하여 위험인자를 분석하였고, 최종 추시에서

방사선학적 평가와 Majeed의 방법을 이용한 기능적 평가를 하였다.

결 과: 치골 분리의 간격은 평균 13.8 mm (범위, 6∼43)이고 최종 추시상 평균 4.9 mm (범위, 3∼16)였으며 증상의 발현은 분만

중에서부터 분만 후 3일까지 다양한 시기에 나타났다. 발병률은 927명 중 1명이었고 통계학적 검증을 통하여 신생아의 체중, 분만

2기의 지연, 분만 시 흡인기의 사용이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최종 추시된 63명 중 우수 52예 (82.5%), 양호 9예 (14.3%), 보통

2예 (3.2%)였다.

결 론: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는 태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분만 2기가 지연되는 경우, 분만 시 흡인기가 필요한 경우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최종 추시 상 다양한 방사선학적 결과에도 불구하고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색인 단어: 골반골, 치골 결합부, 분리, 분만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Dong-Ju Shin, M.D., Young-Soo Byun, M.D., Se-Ang Chang, M.D., Ok-Rang Park, M.D.*, Shin-Yoon Kim, M.D.†, Dae-Hee Hwang, M.D., Sung-Rak Lee, M.D., Dong-Young Kim, M.D.

Departm ents of Orthopaedic Surgery, Obstetrics and Gynecology*, Daegu Fatima Hospital, Departm 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incidence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the lesion and the outcome of treatment.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two cases of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among 66,721 delivery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4 was selecte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498 cases without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Several factors increasing the risk of this lesion were assessed using χ2-test and Student t-test.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13.8 mm (range, 6∼43) and finally 4.9 mm (range, 3∼16). Onset of symptoms occurred variably from labor to postpartum day 3. Incidence of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was one among 927 deliveries. The separation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with respect to birth weight, the prolonged 2nd stage of labor, and the use of vacuum-delivery. Of 63 cases at final, 52 cases (82.5%) had excellent result, 9 (14.3%) had good and 2 (3.2%) had fair.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high birth weight, the prolonged second stage of labor and vacuum-delivery were risk factors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This lesion was treated well with conservative methods, although variable radiological findings were noted at final follow-up.Key Words: Pelvis, Symphysis pubis, Separation, Childbirth

Page 2: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413

서 론

치골 결합은 2개의 치골이 섬유성 연골로 연결된 비활액

막성 관절로 약 1∼1.5 mm의 수평운동과 약 2 mm의 수직

운동이 일어난다6,8). 임신 상태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

으로 간격이 증가하며 이는 태아의 산도통과를 용이하게 한

다2,9,12)

. 그러나 드물게 임상 증상을 유발할 정도의 병적 치

골 결합부 분리가 발생하여 치료의 대상이 된다. 이에 저자

들은 72명의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환자를 경험하였

기에 이러한 병적 분리의 임상적 특징 및 발병률을 알아보고

병적 분리를 경험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위험

인자를 분석하며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분만

하였던 산모 66,721명 (자연 분만 49,166명, 제왕절개 17,555

명, 쌍생아분만 1,329명) 중에서 임신기간 중 또는 분만 전후

로 치골 결합부에 동통, 압통 및 보행 장애 등의 임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120명이었다. 이 중 분만 진통 시작 이후 또는

분만 후 상기 임상 증상과 방사선 소견상 치골 결합부의 뚜

렷한 분리가 나타나서 산부인과에서 정형외과로 의뢰된 산

모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72명의 환자 중 48명은 자연 분

만 후, 5명은 제왕절개 후 증상을 호소한 경우였고, 18명은

분만 진통 중 증상이 발현하여 제왕절개를 시행한 경우였으

며, 1명은 분만 진통 중 증상이 발현하였으나 자연 분만을

시행한 경우였다. 대조군은 1996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

지 본원에서 분만한 산모 38,660명 중 치골 결합부 분리 증

상이 없었던 산모 498명 (자연 분만한 산모 267명과 제왕절

개로 분만한 231명, 쌍생아 분만 8명)을 임의로 추출하였다.

1. 치료방법

연구 초기에는 방사선학적 치골 결합분리의 정도에 관계

없이 대개 절대 침상 안정 및 골반 교차 견인을 원칙으로 치

료하였으나, 연구 후기에는 가능하면 골반 압박 보조기를 바

로 착용시키고 통증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조기 보행을 허용

하였다. 증상 완화를 위해 수유 중이었던 산모를 제외한 산

모에서 진통 소염제를 복용하였다. 27명의 환자에서 절대 안

정 및 골반 교차 견인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평균 견인 기

간은 18.6일 (범위, 5∼40)이었다. 45명의 환자에서는 골반

압박 보조기를 착용하고 가능한 조기 보행을 시행하였다.

2. 위험인자의 통계학적 분석

산모의 산과력, 나이, 키, 몸무게, 체중증가, BMI (body

mass index), 신생아의 성별, 키, 몸무게, 쌍생아, 태위, 임신

기간, 분만 방법, 분만 2기의 시간을 위험인자로 정하고 통

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MicrosoftⓇ

Excel 2002를 사용하여

χ2-검사와 Student t-검사로 검증하였다. 유의수준은 p-value

<0.05로 하였으며 평균의 신뢰구간은 95% 신뢰수준에서 구

하였다.

3. 치료 후 평가

72명의 환자 중 63명의 환자가 1년 이상 추시관찰 되었고,

환자의 기능적 상태의 평가를 위하여 동통 30점, 서기 36점,

앉기 10점, 성생활 4점, 노동 20점을 기준으로 우수 (excel-

lent), 양호 (good), 보통 (fair), 불량 (poor)으로 평가한 Ma-

jeed의 방법13)을 이용하여 최종 평가하였고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최종 추시 시 치골 결합의 간격 및 방사선학적 변화

를 확인하였다.

결 과

1. 임상 양상 및 이학적 소견

임상 양상은 그 정도는 다르나 전예에서 치골 결합부의 통

증 및 보행 장애 등을 호소하였으며 치골 결합부의 압통이

있었다. 그 외에도 치골 결합부의 종창 및 간격이 촉지되거

나 편측 고관절의 운동제한 혹은 천장 관절의 압통 등이 있

었다. 증상의 발현은 분만 진통 중 발생한 경우가 19명

(26.4%), 분만 후 당일 발생한 경우가 46명 (63.9%), 1일 후

Table 1. Initial and final degree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umber of cases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Size of gap (mm)

Initial (%) Final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5 0 44 (69.8) 6∼10 29 (40.3) 16 (25.4)11∼20 31 (43.1) 3 (4.8)21∼30 9 (12.5) -31∼40 2 (2.8) -41∼45 1 (1.3)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Total 72 (100) 63 (1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age 3: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414 신동주, 변 수, 장세앙, 박옥랑, 김신윤, 황대희, 이성락, 김동

발생한 경우가 2명 (2.8%), 2일 후 발생한 경우가 3명

(4.2%), 3일째 발생한 경우가 2명 (2.8%)있었다.

2. 방사선 소견

산부인과에서 정형외과로 의뢰되었을 당시에 앙와위에서 촬

영한 골반 전후면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치골 결합부의 간격은

평균 13.8 mm (범위, 6∼43)였고, 최종 추시에서 치골 결합부

의 간격은 평균 4.9 mm (범위, 3∼16)였다 (Table 1).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치골 관절면의 경화, 미란

또는 흡수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Fig. 1).

3. 산모의 역학 및 위험인자의 분석

치골 결합 분리군의 임신력은 평균 1.32회 (범위, 0∼6),

출산력은 평균 0.54회 (범위, 0∼3), 유산력은 평균 0.76회

(범위, 0∼5)였으며, 대조군의 임신력은 평균 1.31회 (범위,

0∼8), 출산력은 평균 0.61회 (범위, 0∼2), 유산력은 평균

0.69회 (범위, 0∼6)였다. 제시한 여러 가지 인자 중 태아의

체중과 분만 2기의 시간이 치골 결합 분리군에서 의미 있게

Fig. 1. A 26 year old female felt click sound and pain over her symphysis pubis during vaginal delivery. (A) Anteropoterior radiograph of the pelvis, made on the first day postpartum, shows a 43 mm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and widening at right side sacro-iliac joint. (B) After pelvic sling, anteroposterior radiograph of the pelvis, made on the third day postpartum, shows reduc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to 4 mm. (C) Anteropoterior radiograph of the pelvis, made on the 13th month postpartum, shows increased width of the symphysis pubisto 16 mm, and sclerosis of right pubic joint.

A B C

Table 2. Statistical analysis of quantitative variables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and of the control group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eparation (n=72) Control (n=498)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Variables p-value*Mean Confidence Mean Confidenc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Maternal factors

Age (years) 28.03 ±0.66 28.56 ±0.35 0.1631Height (cm) 160.16 ±1.66 159.22 ±1.20 0.3752Weight (kg) 66.31 ±1.67 67.60 ±0.81 0.1730Weight gain (kg) 13.77 ±1.23 13.51 ±0.46 0.7175BMI (kg/m2) 26.25 ±1.16 26.31 ±0.46 0.9167

Newborn factors†

Height (cm) 49.94 ±0.84 49.68 ±0.21 0.5579Weight (g) 3390 ±118 3164 ±42 0.0007

Delivery factorDuration of pregnancy 39.29 ±0.38 39.08 ±0.14 0.3001Duration of 2nd stage of labor 24.51 ±5.25 15.67 ±1.72 0.002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Significance between the sepa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Student t-test p<0.05, †Newborn factors: in cases except twin cases.

Page 4: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415

높았으며, 또한 체중 4,000 g 이상의 태아와 분만 시 흡인기

를 사용한 경우가 보다 많았다. 산모의 산과력, 나이, 키, 몸

무게, 체중증가, BMI, 신생아의 성별, 키, 쌍생아, 태위, 임신

기간은 대조군과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2, 3).

4. 최종 추시의 기능적 결과

최종 추시 관찰된 63명의 환자에서 우수가 52명 (82.5%),

양호가 9명 (14.3%), 보통이 2명 (3.2%)이었으나 불량은 1명

도 없었다. 보통의 결과를 보인 2명 중 1명은 최초 방사선

검사에서 9 mm의 치골 결합 분리를 보였던 환자로 최종 검

사에서 4 mm로 정상 간격을 회복했으나 환자는 지속적으로

통증을 경우였고, 최종 방사선 검사에서 11 mm 이상

의 분리가 남아있었던 3명은 각각 우수, 양호, 보통의 결과

를 보였다.

고 찰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 분리는 1824년 Nicholson이 처음

보고한 후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10), 발생 빈도는 저자마다

다양하여 521명 중 1명에서 30,000명 중 1명까지 보고되고

있다2,3,9,15∼17)

. 이러한 발생 빈도에서의 차이는 병의 진단 기

준이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임상 증상의 유무로만 진

단한 경우도 있고2,17)

치골 결합 부위의 10 mm 이상의 뚜렷

한 방사선학적 분리 소견이나 촉진으로 진단한 경우도 있으

며3,11) 또한 임상 소견의 발생 시점이 임신 후기에 시작한 경

우를 포함할 것인가 또는 분만 중이나 분만 후에 발생한 경

우만으로 정하는가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방사선학

적 판단기준에 있어서 10 mm 이하의 치골 결합 분리는 정

상으로 생각하는 저자3,11)

도 있으나 Moon과 Han14)

은 한국인

에서 치골 관절 간격이 6 mm 이상이거나, 상하 이동이 3

mm 이상인 경우 방사선학적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

다. 저자들의 경우에는 뚜렷한 임상 증상이 있어 산부인과에

서 정형외과로 의뢰가 되었던 경우 중 임상증상이 분만 중

또는 분만 후에 발생한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발생빈도는 927

명 중 1명꼴로 발생하였고 전예에서 최초 방사선 소견 상 최

소 6 mm 이상의 결합 분리가 관찰되었다.

Estrogen과 Relaxin이 치골 결합의 분리 발생에 중요한 역

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7,18) 임신 중 치골 결합 분

리 환자에서 혈중 Relaxin의 증가가 확인되었다7,12)

. 노르웨

이인을 대상으로 한 Saugstad18)

의 보고에 의하면 산후 골반

통 및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군에서 만삭분만, 4,000 g 이상

의 신생아, 여아, 선천성 고관절 탈구가 유의하게 많았다고

보고하였고 Moon 등16)

은 질식 분만 후 증상이 있었던 55명

의 산모와 정상대조군과의 비교연구에서 산모의 나이, 출산

횟수, 출산시간, 임신기간 및 산모의 체중증가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생아의 몸무게는 상당정도 유의

한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aylor와 Sonson19)은

자연 분만 후 발생한 11명의 분석에서 출산력, 산모의 나이,

태아의 크기, 골반의 크기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8명에

서 분만 2기의 시간이 30분 이내로 나타나, 빠른 분만진행을

위험인자로 지적하였다. 빠른 분만의 진행과 난산은 다른 저

자들에 의해서도 위험요인으로 강조되었다17)

. 본 연구에서는

분만 2기의 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는데 이는 치골 결합 분리

군에서 분만 2기의 지연과 함께 흡인 분만의 수도 많았던 것

으로 미루어보아 난산이 상대적으로 많았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난산에 의해 분만 2기가 증가하였고 따라서 흡인기의

사용이 증가하였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분만의 속도

의 개념이 아니라 에너지양의 개념으로, 태아와 자궁에 의해

치골 결합에 가해지는 힘이 분만진행이 지연됨에 따라 힘을

받는 시간이 늘어나 치골 결합 분리를 야기시키는 에너지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신생아의 몸무게는

Table 3. Statistical analysis of qualitative variables of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and of the control group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eparation Control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Variables p-value*

Cases Total Cases Total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arity (primipara/total) 41 72 277 498 0.8328Twin (twin/total) 2 72 1,329† 66,721† 0.6334Fetal presentation (breech/total‡) 2 70 45 490 0.0741Newborn sex (female/total‡) 31 70 247 490 0.3379Newborn weight (>4,000 g/total‡) 8 70 21 490 0.0116Use of vacuum (use/total§) 9 49 24 267 0.0485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Significance between the sepa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χ2-test p<0.05, †Total twin cases of delivery cases from 1992 to 2004, ‡Cases except twin cases, §Cases except cesarean section.

Page 5: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416 신동주, 변 수, 장세앙, 박옥랑, 김신윤, 황대희, 이성락, 김동

치골 결합 분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Saugstad의 연구에서

와 같이 4,000 g 이상의 신생아가 유의하게 많았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가 효과적이나5,6,11,16,17,19)

,

불충분한 정복, 재발성 분리, 지속적 동통, 개방성 분리 등의

경우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6,11).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는 침상안정 상태에서 모래주머니를 양측에 받치거

나, 넓은 반창고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골반을 교차 견

인하는 방법4,9)으로 치료하거나, 골반 보조기를 착용하여 조

기 보행을 허용하는 방법이 있다19)

. Moon 등16)

은 수상 1년

후의 기능적 평가에서 최종 방사선 사진 상의 치골 관절 간

격은 임상적 결과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고 하였다. Taylor와 Sonson19)

은 24∼48시간의 짧은 침상안

정 후 골반 보조기 착용하여 조기 보행을 시켜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Copeland6)도 골반 교차 견인이 장기간의 침상

안정으로 혈전 색전증 등의 내과적 문제와 신생아와의 긴밀

한 유대와 양육에 있어서 정신 사회학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골반 보조기 사용과 조기 보행이 더 좋다고 하였다. 실

제로 Babarinsa 등1)은 분만과 연관된 치골 결합부 동통이 있

었던 9명의 환자 중 2명이 폐전색증으로 사망하였음을 보고

하고 치골 결합부에 동통이 있을 경우 예방 약물의 사용을

권유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최종 방사선 검사에서 3명

의 환자가 11 mm 이상의 분리가 남아있었으나 기능적 결과

는 다양하여 각각 우수, 양호, 보통의 결과를 보였다. 불량의

결과는 한 명도 없었으며, 보통의 결과를 보인 2명도 최종

방선선 검사 상 치골 관절 간격과 관계없이 증상을 호소하였

다. 이렇듯 치골 관절 간격과 관계없이 장기간의 추시 관찰

상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인 점으로 생각해 본다

면 앞에서 여러 저자들이 제안하였듯이 산모의 내과적 문제

와 정신 사회학적 문제를 고려하여 조기 보행을 허용하는 보

존적 치료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분만과 관련된 치골 결합의 분리는 태

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분만 2기가 지연되는 경우,

분만 시 흡인기를 사용한 경우에 그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

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종 추시 상 다양한 방사선학적 결

과에도 불구하고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

며, 앞으로 골반보조기 착용 후 조기 보행을 허용하는 보존

적 치료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참 고 문 헌

1) Babarinsa IA, Adewole IF, Fatade AO and Ajayi AB: Obstetric pubic symphysis arthropathy: a study of nine cases. J

Obstet Gynaecol, 19: 620-622, 1999.2) Boland BF: Rupture of the symphysis pubis articulation

during delivery. Surg Gynec and Obstet, 57: 517-522, 1933.3) Callahan JT: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Am J Obstet

and Gynecol, 66: 281-293, 1953.4) Chung YK, Shin SI and Na SJ: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vaginal delivery. A report of two cases. J Korean Fracture Soc, 11: 269-273, 1998.

5) Cibils LA: Rupture of the symphysis pubis. A case report. Obsetet Gynecol, 38: 407-410, 1971.

6) Copeland CE: Pelvic ring disruption in women: genitourinary and obstetric implications, In: Tile M, Helfet DL, Kellam JF eds. Fractures of the pelvis and acetabulum.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W: 329-341, 2003.

7) Crim MW and Moss SW: Pelvic diastasis in pregnancy. Am Fam Physcian, 35: 185-186, 1987.

8) Gamble JG, Simmons SC and Freedman M: The symphysis pubis. Anatomic and pathologic considerations. Clin Orthop, 203: 261-272, 1986.

9) Hong SM, Kim HT, Byun YS, Kim HM, Park YM and Jeon SY: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childbirth. J Korean Orthop Assoc, 34: 1109-1114, 1999.

10) Lee KH, Lee SW, Kim SK and Kwon KW: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 report of 5 cases -. J Korean Orthop Assoc, 25: 575-578, 1990.

11) Lindsey RW, Leggon RE, Wright DG and Nolasco DR: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in association with childbearing. A case report. J Bone and Joint Surg, 70-A: 289-292, 1988.

12) MacLennan AH, Nicolson R, Green RC and Bath M: Serum relaxin and pelvic pain of pregnancy. Lancet, 2: 243- 245, 1986.

13) Majeed SA: Grading the outcome of pelvic fractures. J Bone Joint Surg, 71-B: 304-306, 1989.

14) Moon WN and Han JY: Radiographic appearance of the symphysis pubis: criteria of symphysis pubis after normal delivery. J Korean Orthop Assoc, 34: 969-972, 1999.

15) Moon WN, Han JY, Oh HJ and Suh SW: Diastasis of the symphysis pubis after delivery. J Korean Orthop Assoc, 36: 473-478, 2001.

16) Moon WN, Joo KY and Suh SW: Diastasis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vaginal delivery. J Korean Fracture Soc, 14: 37-43, 2001.

17) Reis RA, Baer JL, Arens RA and Stewart E: Traumatic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spontaneous labor.

Page 6: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 2016. 7. 8. · The final outcome was evaluated on radiographs and the grading system of Majeed. Results: Mean width of the joint was initially

분만에 의한 치골 결합의 분리 417

Surg Gynec and Obste, 4: 336-354, 1932.18) Saugstad LF: Persistent pelvic pain and pelvis joint

instabililty.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41: 197-201, 1991.

19) Taylor RN and Sonson RD: Separation of the pubic symphysis. An underrecognized peripartum complication. J Reprod Med, 31: 203-206,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