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람이병기의시조론과사상적기반 · 2020. 1. 16. ·...

22
55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 ** 강연호 *** | 원광대 < 목차 > 서론 1. 가람의 시조혁신론 2. 가람의 시조와 근대적 인식 3. 결론 4. 이 논문은 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 수행됨 * 2018 . 이 논문은 년 제 회 익산학 심포지엄 원광대학교 익산학연구소 주최 ** 2019 5 ( , 201 에서의 발표문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 을 수정 보완한 것임 9.11.7.) · .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 국문초록 본고는 고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담당한 가람의 시 조론을 재검토하면서 그 바탕에 자리잡은 사상적 기반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전통시가로서의 시조를 오늘날에도 창작하고 향 . 유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가람은 년대에 일어난 시조 . 1920 부흥운동에 적극 참여하면서도 그저 전통에 대한 지향이나 근대에 대한 , 반발만으로는 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 식하면서 시조의 혁신을 주창하게 된다 시조혁신론은 고유의 전통 정형시 . 가로서의 복원이 아니라 자유시의 정제된 지향으로서 시조의 확산을 기하 려는 의도를 분명히 보여준다.

Upload: others

Post on 05-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55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1) **2)

    강연호***3) | 원광대

    < 목 차 >

    서론1.가람의 시조혁신론2.가람의 시조와 근대적 인식3.결론4.

    이 논문은 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 수행됨* 2018 .이 논문은 년 제 회 익산학 심포지엄원광대학교 익산학연구소 주최** 2019 5 ( , 201

    에서의 발표문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 을 수정 보완한 것임9.11.7.) · .「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국문초록

    본고는 고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담당한 가람의 시조론을 재검토하면서 그 바탕에 자리잡은 사상적 기반을 살피는 데 목적이있다 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전통시가로서의 시조를 오늘날에도 창작하고 향.유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가람은 년대에 일어난 시조. 1920부흥운동에 적극 참여하면서도 그저 전통에 대한 지향이나 근대에 대한,반발만으로는 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시조의 혁신을 주창하게 된다 시조혁신론은 고유의 전통 정형시.가로서의 복원이 아니라 자유시의 정제된 지향으로서 시조의 확산을 기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보여준다.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56

    서론1.

    시조는 조선시대에 융성한 정형시가 양식이면서 현재까지도 면면히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어 이른바 국민문학적 전통시가로 흔히 인식되고 있다 향가 속. ,요 경기체가 가사 등 우리나라의 전통시가들이 모두 한때의 성쇠를 통해 이제, ,문학사적 집적물로만 남아 있는 데 반해 오늘날에도 시조는 여전히 창작 향, ·유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 자체로 시조가 문학 양식으로서의 가치와 생명.력을 나름대로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람은 또한 이와 같은 시조혁신론에 입각한 실제 작품을 성공적으로 구현한다 자신이 제안한 시조의 혁신안과 작시원리를 바탕으로 뛰어난 작품.을 창작하여 현대시조의 새로운 미학을 보여준다 전통시가인 고시조와 달.리 현대시조가 현대시의 한 영역임을 분명하게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작품으로 창작하여 실증한 것이다.가람의 삶은 우리말과 글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하여 시조창작과 시조혁

    신론 주창 고전적 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국문학 연구로 귀착된, ( ) ,古典籍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람시조의 특징은 관념의 제시로서의 시조가 아니.라 대상에 대한 객관적 이미지를 통한 실감의 정서를 표출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결과적으로 가람은 이른바 문학의 근대적 자장.속에서 개인의 섬세한 내적 정서를 정제된 서정으로 표출하는 데 주력한시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시조부흥운동의 주류에서 나타난 고전의 답습이 아

    니라 현대적 계승과 창조에 의미가 있다 이러한 시조혁신론의 바탕에 민.족주의적 이념성과 미학적 심미성의 두 모습을 볼 수 있다 가람의 시조혁.신론과 시조 창작 역시 그의 언어관과 민족의식의 소산이라는 점에서 총체적으로 그 배경에 국학정신이 배어 있다.

    주제어 가람 이병기 고시조 현대시조 시조혁신론 정형시 자유시, , , , , , ,▣ :이념 심미성 연작, ,

  • 강연호

    57

    두루 알고 있듯이 시조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정제된 우리나라 고유의정형시가 양식이다 현재는 이 시기의 시조와 현대의 시조를 구분하기 위해 흔히.고시조와 현대시조라는 변별적 지칭을 쓰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고시조와 현대.시조가 단순히 시기상의 구분을 위한 명칭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다시 말하자면 고시조와 현대시조는 모두 시조라는 공식적인 문학 양식으로서의명칭을 공유하고 있는 작품군이지만 그 성격은 판이하다 무엇보다도 고시조는.문학만의 장르가 아니라 음악과 혼재된 장르였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전통시가로서의 시조는 기본적으로 시조창이나 가곡창으로 노래된 양식이다 반.면에 현대시조는 이제 더 이상 이러한 음악적 자질을 갖고 있지 않다.바로 이 지점에서 가람 이병기가 언급되곤 한다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변별.

    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가람이라고 평가되기 때문이다.시조가 비록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온 전통 장르이지만 가람 이전까지는 이렇다 할 이론적 뒷받침이 없이 이어져온 것도 부인할 수 없다 가람은 시조에 대.한 이론적인 모색과 정립을 통해 고시조와 달리 현대시조를 가능케 한 선구적역할을 한다 물론 가람을 기억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흔히 시조시인으로 가. .장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가람의 생애와 업적을 살펴보면 요즘에 널리 익숙해진, ,용어로 가히 탁월한 인문학자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가.람은 시조시인이자 시조학자로서 그리고 국문학자이자 국어학자이자 서지학자,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민족의 얼과 글 그리고 문화를 지킨 문화 사, ,상가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이러한 사실은 최근 가람 이병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축적

    된 그동안의 연구 성과, 1)에 힘입은 바 크다 가람에 대한 연구는 가람 사후에.

    1) 대표적인 연구 성과들을 들면 다음과 같다.최승범 가람 이병기론 서설 전북대 논문집 전북대학교 김윤, , 15, , 1973. /「 」식 시조의 재창조와 그 한계 가람론 한국문학사논고 법문사, , , , 1973. /-「 」황종연 조선주의로부터의 이탈 이병기의 시조 부흥론에 관한 고찰 국어국, ,-「 」문학논문집 동국대학교 이형대 가람 이병기와 국학 민족문학13, , 1986. / , ,「 」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강영미 이병기의 시조론과 창작에 관한10, , 1997. / , 「소고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김제현 가람 시조론, 15, , 1999./ , ,」 「 」한국 현대시조 작가론 태학사 허윤회 조선어 인식과 문학어의 상, , 2002./ ,Ⅰ 「상 가람 이병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26, , 2004. /- 」이지엽 가람시조의 혁신성과 현대적 계승 이병기론 우리시대 현대시조 작, ,-「 」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58

    그의 생애와 인품에 대한 회고로부터 시작하여 한동안 특히 시조시인이자 시조학자로서의 면모에 주로 집중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국문학사와 고전문학 연구,자로서의 업적뿐만 아니라 서지학자로서의 역할까지도 재조명되고 있으며 나아가 가람의 삶과 학문 그리고 작품들을 한데 포괄하여 그 정신적 영역까지 아,우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이 글은 그중에서도 가람의 시조론을 재검토하면서 가람의 삶과 사상적 면모

    를 살피려는 목적을 갖는다 가람의 시조론이 갖고 있는 독자적인 성격은 그.자체로서 전통시가로서의 시조를 오늘날에도 창작 향유하게 한 초석의 역할을·하고 있지만 그 시조론의 바탕에 자리잡고 있는 가람의 사상적 입장을 심층적으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시.조에 대한 가람의 입론과 함께 그의 다양한 활동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가람의 시조혁신론2.

    시조에 대한 가람의 논의는 흔히 시조혁신론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의 입론.을 살피려면 우선 시조혁신론이 어떤 배경에서 나오게 되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년대의 시조부흥운동을 함께 한 가람에 의해 년 시조혁신론. 1920 1932이 주창된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이 입론의 핵심에 다가갈 수 있는 길이기 때

    가론 태학사 전도현 이병기의 한글 문예운동에 대한 일고찰, , 2007. / , ,Ⅱ 「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최원식 고전비평의 탄생 가20, , 2009. / , -「람 이병기의 문학사적지성사적 위치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49, , 2․ 」012. / 이민희 가람 이병기 저작물에 관한 기초 연구, ,「 」 민족문학사연구 58,

    오문석 이병기의 시조론과 문장 의 기획 국제어문 국제어문2015. / , , 66,」학회, 2015. / 조해숙 가람 이병기기의 시조비평 특징과 고시조선의 의의, ,「 」한국시가문화연구 한국시가문화학회 김남규 시와 시가의 경계에38, , 2016. / , 「서 기획된 조선 시형이라는 이념 한국어문, Journal of Korean Culture 36,」학국제학술포럼 배은희 년대 시조담론 연구 안확 이병기 조윤, 2017. / , 1930 - , ,제를 중심으로 시조학논총 한국시조학회 이명찬 근대시사에, 49, , 2018. / ,」 「있어서의 시조부흥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시학연구 한국시학회, 57, , 2」

    문신 가람 이병기의 어다음왜 적 언어의식 연구 열린정신019. / , “ ( )” ,語多淫「 哇 」인문학연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20-2, , 2019.

  • 강연호

    59

    문이다.두루 알고 있듯이 시조는 조선시대에 크게 융성한 전통시가의 한 양식이다.

    흔히 현대시조와 구분하기 위해 이 시기의 시조를 고시조라 통칭한다 여기서.유념해야 할 것은 전통시가로서의 시조는 창 으로 구연되는 음악과 혼재된( ) ,唱장르였다는 사실이다 가람은 시조가 이러한 전통시가로서의 음악적 성격에서.탈피하여 문학적 시가 양식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제시한다.시조에 대한 가람의 관심은 년대 중반에 본격화된 시조부흥운동과 함께1920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최남선 조운 이은상 정인보 그리고 이병기 등에. , , , ,의해 주도된 시조부흥운동은 우리의 전통시가인 시조를 계승하여 새롭게 발전시키겠다는 뜻을 내세우고 있었다 이러한 지향으로만 보면 이 운동은 구투의.시조를 답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적 정형시의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주체적 시양식을 정립하고자 한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시조부흥운동.의 본질적 속성을 이해하려면 시조가 과연 당대에 부흥을 필요로 하고 있었는‘ ’가 하는 의문부터 다시 검토하게 한다 부흥이란 말의 사전적 의미는 쇠퇴하였.던 것을 다시 일어나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데 시조는 당시 쇠퇴하였던 양,식이 아니라 오히려 어느 정도 면면히 계승되고 있던 전통시가 양식이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시조부흥운동을 둘러싼 저간의 사정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일반적으로 근대시의 전개는 정형시에서 자유시로의 전환을 기반으로 한다.

    그래서 신문학 초기부터 나온 자유시로의 지향 흐름만으로 보면 얼핏 시조의자리는 위태로워 보일 수도 있었다 최남선이 신문학 초기에 신시 라는 형. ( )新詩식 실험을 모색한 과정도 근본적으로는 이와 같은 맥락을 담고 있다 사실 시. “조는 대부분의 논자들이 인정하듯 유교적 이념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정제된형태의 정형시 이지만 조선후기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갈등( )” “ ”定型詩 2)으로 인해 도전을 받고 있었다는 것이 당대의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조가 이미 쇠퇴한 시가 양식이었다면 몰라도 당대에 어느 정도.면면히 이어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보면 새로운 시형식을 주창하던 최남선에,의해 주도되었다고 할 수 있는 년대 시조부흥운동의 출현은 다소 뜻밖으로1920여겨질 만하다.

    2)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쪽· , , , 1973, 128 .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60

    최남선은 조선의 풍토와 조선인의 성정이 음조를 빌어 조선국토 조선인“ ” “ , ,조선심 등을 표현한 필연적 양식 으로 시조를 조선의 국민문학으로 삼고자 했” “ ”다.3) 최남선의 경우는 이런 점에서 문학 자체보다는 계몽의 도구로서의 신시운동을 펼치다가 결국에는 시조라는 전통 정형시로 기울어진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시조부흥운동은 그 이념적 지향이 다른 무엇보다 앞.서 제시될 수밖에 없었고 그러다 보니 카프의 등장에 맞서고자 하는 민족문학계의 대응 방안이었다는 식의 문단 헤게모니와 관련된 진단도 가능하게 되었던것이다.그런데 이와 달리 가람 이병기는 시조부흥운동에 적극 참여하면서도 그저 전

    통에 대한 지향이나 근대에 대한 반발만으로는 시조의 부흥이 그렇게 말처럼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시조의 혁신을 주창하게 된다.가람이 의도한 시조의 부흥이란 이런 점에서 전통시가로서의 부흥이 아니라 다른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시조에 대한 가람의 논의는 우선 시조의 형식에 대한 정체성을 규명하는 데

    서 출발한다 시조부흥운동과 관련하여 이병기는 시조란 무엇인고 동아일보. (「 」라는 글을 통해 시조의 명칭과 종류 운율 그리고 형식, 1926.11.14.-12.13) , ,

    등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시도한다 대략적으로 여기서 시조가 시조 가 아. ( )詩調니라 시조 이며 그 종류는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구분한다는 것( ) , , , ,時調그리고 장 구의 체제라 하면서도 실제로는 장 구의 체제로 보아야 한다는3 6 3 8것 등이 주창된다 특히 시조의 형식과 관련하여 여기서 장 구론에 대해 살. 3 8펴볼 필요가 있다.

    자 자: (6 9 ) / (6 9 )初章 初句 終句∼ ∼자 자: (5 8 ) / (6 9 )中章 初句 終句∼ ∼

    자 자 자 자: (3 ) / (5 8 ) / (4, 5 ) / (3, 4 )終章 初句 二句 三句 終句∼ 4)

    시조의 형식을 기존의 장 구나 장 구로 설명한 입장들과 달리 이병기3 6 3 12는 위와 같이 장 구로 파악한다 이는 시조의 장 구조를 초장의 구 중장3 8 . 3 2 ,의 구 그리고 종장의 구로 각각 나누어 그 형식을 규정한 것이다 다시 말2 , 4 .

    3) 최남선 조선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 조선문단 쪽, , , 1926, 4 .「 」4) 이병기 시조감상과 작법 가람문선 신구문화사, , , , 1966,「 」 쪽302 .

  • 강연호

    61

    해 초장과 중장을 합한 구와 종장의 구가 전체 구의 형식을 이룬다고 본4 , 4 8것인데 다만 초중장의 구와 종장의 구는 그 성격이 균등하지 않다는 점을, 4 4강조하고 있다 초장 중장의 구는 그 안에 구의 작은 도막인 구두 를 지. 4 ( )句讀닌 데 반해 종장의 구는 작은 도막인 구두를 지니지 않는다고 하면서 이와, 4 ,같은 불균등한 구 형식으로 인해 미묘한 율격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른바8 .장 구론에 입각한 가람의 시조 형식 설명은 그 자체로는 크게 지지받지 못한3 8입론이었지만 그럼에도 나름의 논리와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특히 시조의 자.수 에 대해 엄격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는 점과 종장의 시행을 초중장과는( )字數매우 다르게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크다 왜냐하면 기존의 장 구론. 3 6이나 장 구론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글자수에 대한 제한을 비교적3 12강조하고 있으며 초장과 중장과 종장을 한꺼번에 정형적으로 설명하고자 했기,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장 구론은 나름대로 기존의 유형화된 이론적 틀에서. 3 8벗어나 시조의 형식적 특성을 발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였다고 하겠다.가람의 이러한 설명은 그 형식적 특징을 특히 종장에서 찾고자 하는 시조의,기본적인 이론적 틀과 관련해 앞으로 보다 깊이 있는 논의를 기다리고 있다.아울러 오늘날 현대시조에서 여러 가지 파격과 실험을 보여주고 있는 현실에비추어 보면 가람의 장 구론이 갖는 의미는 더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3 8진다 여기서는 우선 가람이 왜 장 구나 장 구가 아니라 굳이 장 구를. 3 6 3 12 3 8주장하고자 했을까를 추정해보기로 한다.

    한데 는 그뿐만 아니라 누누이 말함과 같이 나 보다도 더욱, ,時調 漢詩 和歌스러운 으로서 곧 가지로 나눌 수 있는 이 을 무엇이 그自由 小詩形 三百餘 形式

    리 하다고 할까 나 와도 이나 아우 사이며 와도. , ( )不便 童謠 民謠 兄 自由詩新詩그다지 먼 사이는 아니다 라고 나 하여 놓으면 곧 시가 되는. 自由詩 文字 羅列것이 아니고 그 과 할 만한 그 도 있어야 한다, .內容 合 形式 5)

    위 인용에서 눈에 띄는 것은 가람이 자유스러운 소시형으로서 곧 삼백여 가“지로 나눌 수 있는 이 형식 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과 더 나아가 자유시” “ ( )新詩와도 그다지 먼 사이는 아니다 라는 언급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가” .

    5) 이병기 시조는 혁신하자 동아일보 가람문선 같은, , , 1932.1.23.-2.4. ,「 」책, 쪽314 .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62

    람의 시조론은 처음부터 시조가 정형시 라기보다는 정형적 자유( ) ( )定型詩 整形的시와 가깝다는 유연한 입장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람의 장. 3구론이 자수 기준으로 보면 그 넘나듦이나 취사가 매우 자유스럽다는 것도 이8와 관련된다 말하자면 가람의 시조론은 단순히 시조의 부흥이 아니라 근대의.자유시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의 성격을 초기부터 지향하고 있다고하겠다 시조의 자유시적 유사성을 강조하되 다만 시조만의 정형시가로서의 특. ,성이 종장에 집약됨을 초중장과 다른 종장의 형식으로 규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가람의 시조론이 더 본격적으로 제시된 글이 바로 시조는 혁신하자 이다. 1「 」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이 글에서 가람은 시조가 기존의 가창 에서 벗932 ( )歌唱

    어나 문학 양식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는 초기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한 최남선 등이 여전히 시조를 전통시가의 보존과 계승이라는 이념적 지향에만 머물러 있었던 것과는 다르게 문학으로서의 본질적 지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므로 오늘날부터는 으로 보는 보다도 으로 로 보는-音樂 時調 文學 詩歌로 다시 말하면 부르는 보다도 짓는 읽는 로 하자는 것이, ,時調 時調 時調 時調

    다 따라서 그 도 달라질 것이다. .格調 6)

    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이처럼 음악으로 부르는 시조가 아니라 문학으로 짓거나 읽는 시조로 바뀌어야 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즉 창 으로 구연되는 기존. ( )唱의 양식과 달리 작 으로 창작되는 문학 양식으로의 정립을 처음부터 분명히( )作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창에서 작으로 바뀌는 데 그치는 정도가 아니라 문학.양식으로의 창작을 미리 전제한다는 점에서 그에 알맞은 형식과 내용의 대대적인 변화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가람은 시조에 대해 이러한 혁신을 주창하면서.그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여섯 가지 제안을 내세운다 즉 실감실정. ( )實感實情⓵을 표현하자 취재 의 범위를 확장하자 용어의 수삼 선택 격조( ) ( )取材 數三⓶ ⓷ ⓸

    의 변화 연작 을 쓰자 쓰는 법 읽는 법( ) ( ) ,格調 連作⓹ ⓺ 7)등이 그것이다.시조 혁신을 위한 가람의 여섯 가지 제안은 서로 별개의 입론이 아니라 긴밀

    6) 이병기 시조는 혁신하자 가람문선 같은 책 쪽, , , , 325 .「 」7) 같은 책 쪽, 316 .

  • 강연호

    63

    하게 관련을 맺고 있다 우선 첫째로 내세운 실감실정의 표현이란 기존의 시조.작품들이 구태의연한 소재나 주제 그리고 비슷비슷한 어투와 전개 한문이나, ,한시의 시상 차용 등에 그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실생활에서 얻은 체험을 바탕으로 한 정서의 구현을 강조한 것이다 이 제안은 이어지는 두 번째의 취재.의 범위 확장과도 연결된다 즉 옛 시조 작품들이 서로 비슷비슷한 이유는 취.재의 범위가 제한되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면서 대상을 달리 보면 얼마든지 재료가 확장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 용어의 수삼 선택 역시 기존. ,의 시조가 갖고 있는 상투적인 표현이나 어법을 탈피하여 일상어나 문명어 때,로는 서양말이나 신조어도 다양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다.네 번째로 내세운 격조의 변화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조가 이제는 음악으로 부르는 시조가 아니라 문학으로 짓는 시조 읽는 시조로 바뀌어야 한다는,것인데 그러면 그 격조도 달라지게 되며 이때의 격조는 작가 자신의 감정으로,흘러나오는 리듬이 작품의 내용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다섯 번째 연작으로 쓰자는 것은 과거에 비해 복잡해진 오늘날의 체험과. ,정서를 담아내기 위한 표현방법의 실제로서 연작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람이 말하는 연작은 한 제목 안에 여러 수가 단순히 나열된 것이 아니라 한 제목 아래 작품들이 각기 독립된 것이면서도 전편으로서의 통일성도 갖춰야 한다는 단서를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쓰는 법과 읽는 법은 앞서 내세운.격조의 변화와도 관련을 맺고 있는 제안으로서 기존의 시조 창법과 달리 문학으로 짓는 시조에 맞도록 쓰는 법을 개발하자는 것과 함께 이를 잘 완미( )玩味하여 읽는 법도 익혀 나가자는 뜻을 담고 있다.가람의 이러한 여섯 가지 제안 중에서도 마지막으로 제시된 쓰는 법과 읽는

    법의 강조는 얼핏 평이한 주장처럼 간과되기 쉽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중요한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는 그 와 이 곧 가 되어야 합니다 곧.詩歌 意味 韻律 一體 意味 韻곧 가 되리만큼 되지 않으면 이른바 그 의 이 잘된, ,律 韻律 意味 內心律 表現

    것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그리하여 은 리듬이어야 합니다 이것이 리듬과는 다릅니.韻律 詩的 音樂的

    다 리듬은 소리 그것에만 이 있을 뿐이고 리듬은 로 쓰인. ,音樂的 感覺 詩的 詩그것의 를 생각게 하는 것이라야 합니다 그래서 리듬과.言語 意味 詩的 音樂的

    리듬과는 마땅히 하여 보아야 합니다.區分 8)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64

    가람은 일찍부터 시조를 음악으로서의 창에서 분리하여 문학으로서의 작을강조했는데 운율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이러한, .언급은 흔히 내재율이라고 규정하는 자유시의 운율에 대한 설명과 거의 일치한다 이런 점에서도 가람은 시조를 정형시로 본 것이 아니라 차라리 자유시의.정제된 지향으로 보고자 했던 것이다 쓰는 법과 읽는 법에 대한 강조도 고유.의 전통 정형시가로서의 복원이 아니라 자유시의 정제된 지향으로서 시조의 확산을 기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

    는 짓기도 잘 하려니와 또한 읽기도 잘 하여야 한다 비록 짓기는 잘 하.詩였더라도 읽기를 잘못하면 그 맛이 아니 나고 짓기는 잘못하였더라도 읽기를,잘하면 딴 맛이 생기기도 한다 중략 이같이 는 읽는 법으로 하여. ( ) 詩 魅… …을 더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읽는 법까지라도 잘 하여야 하겠다. .力 時調

    읽는 법은 과도 다르다 은 그 에 맡겨두고 우리는 누구나 다른.唱法 唱法 專門家를 읽고 하는 것과 같이 도 읽어야 하겠다 이든 이든 어.詩歌 鑑賞 時調 朗讀 默讀

    느 것이든 의 마음대로 할 것이다 잘 하도록 읽으면 좋다. .自己 玩味 9)

    이처럼 가람이 시조의 쓰는 법과 읽는 법에 대한 강조를 여러 글을 통해 표명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그가 기존의 노래와 다른 차원에서 시조의 위상정립에 대해 모색을 거듭했다는 것을 보여 준다.가람의 시조혁신론은 결국 시조를 고유의 전통적 장르로 복원시켜 이른바 조

    선심을 담은 조선의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내세우려 한 데서 그치지 않고 더,나아가 근대문학의 자장 속에서 시조가 갖춰나가야 할 개성적인 작품을 추구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보면 현대시조를 고시조에 맞추려 하면서.민족적 동일성을 추구하겠다며 내세웠던 년대의 시조부흥운동은 가람에게1920있어 그저 이념적 좌표였을 뿐이다 시조부흥운동은 그 자체로는 민족주의적.입장에서 시조를 현대에 되살리려 한 노력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도 있으나 그,것이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시조론의 제시나 창작방법론의 모색으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고 하겠다 다만 이념 지향의 당위적 제시에 그치고 말았던 것.이다.이러한 사정을 극복하고자 기획된 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앞서 언급한 시조란「

    8) 이병기 시조와 그 연구 같은 책 쪽, , , 248-249 .「 」9) 이병기 시조는 혁신하자 같은 책 쪽, , , 331 .「 」

  • 강연호

    65

    무엇인가 와 시조는 혁신하자 외에도 시조는 창 이냐 작(1926) (1932) ( ) ( )唱 作」 「 」 「이냐 시조의 발생과 가곡과의 구분 시조의 기원과 형태(1930), (1934), (19」 「 」 「 」

    시조 감상과 작법 고시조의 감상과 비평 시조창작론34), (1936), (1949),「 」 「 」 「 」등의 글을 통해 거듭 제시된다 가람의 이러한 시조 혁신의 입론들은(1957) .

    결국 전통시가인 고시조의 답습이라는 차원에서의 부흥이 아니라 근대의 새로운 현대시가 양식으로서 한국적 정형시의 주체적 미학을 새롭게 개발하고 정립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가람의 시조와 근대적 인식3.

    주지하다시피 가람은 시조에 대한 현대적 이론을 정립한 첫 이론가이자 이,를 실제의 뛰어난 작품으로 실증한 시조시인이기도 하다 현대시조의 정립과.관련하여 가람의 위상은 사실 시조혁신론의 주장을 단순히 주장으로 그친 것이아니라 실제 작품으로 구현했으며 그 문학적 형상화와 성취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는 데서 가늠해야 할 것이다 가람은 자신이 정리하고 제안한 시조론에.입각하여 시조를 단순히 고전시가의 계승 차원에 머물게 하지 않고 현대시의자장 속에 편입시키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한다.

    그의 는 하고 함이 이를 읽는 이가 로 삼을만한 것이時調 敬虔 眞實 平生敎科요 에서 찾기 어려운 과 리알리티에 한 점으로서는 차라리. 傳來時調 自然 徹底̇ ̇ ̇ ̇ ̇ ̇ ̇ ̇ ̇ ̇ ̇

    으로써 의 한 에 케 하는 바가 잇다.近代的 詩精神 時調再建 熱烈 意圖 敬服̇ ̇ ̇ ̇ ̇ ̇ ̇ ̇ ̇ 10)

    가람시조집 에 붙인 정지용의 발문에서 전래시조에서 찾기 어려운(1939) “자연과 리알리티에 철저한 점으로서는 차라리 근대적 시정신으로써 시조재건”이라는 언급은 사실 가람의 시조 작품에 대한 선구적이면서도 정확한 인식이라할 수 있다 가람에 의해 시조가 고전의 계승에 그치지 않고 현대시의 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게 될 것임을 일찌감치 포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로 뎌져 두어 미미히 숨을 지고

    10) 정지용 이병기 가람시조집 문장사 쪽, , , , , 1939, 103-104 .跋「 」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66

    따뜻한 봄날 돌아오기 기다리고음음한 눈얼음 속에 잠을 자던 그 梅花

    손에 이아치고 바람으로 시달리다곧고 급한 성결 그 애를 못 삭이고맺었던 봉오리 하나 피도 못한 그 梅花

    다가오는 추위 천지를 다 얼려도찾아드는 볕은 방으로 하나 차다어느 뉘 다시 보오리 자취 잃은 그[ ]世 梅花

    전문梅花「 」 11)

    가람은 복잡해진 현대의 체험과 정서를 정제된 시조 형식에 담아내기 위한방안으로 연작으로 쓸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이때 가람이 말하는 연작은 앞서.언급했듯이 단순히 단형 시조의 병렬적 연결이 아니라 각기 독립적으로 읽을,수 있는 작품이면서도 전체 시상의 전개와 집약 등을 통일되도록 하자는 것을의미한다 이러한 연작에의 제안을 구체적으로 실현한 작품은 가람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진 연작 외에도 여럿이 있는데 이 작품 도 그 중,蘭草 梅花「 」 「「 」의 하나이다 이 작품은 가람의 시조론과 창작방법이 고스란히 구현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즉 실감실정의 표현 소재의 확장 용어의 참신성과 격조의 변. , ,화 연작의 구성 등이 화초를 수년간 기르다가 얼려죽이고 만 소회와 잘 어우,러져 성공적으로 형상화된 사례라 하겠다 각 수가 시조의 전통 율격을 따르고.있으면서도 동시에 현대적이면서 새로운 감각과 격조를 담고 있어서 정형의 시조라기보다는 마치 현대 자유시의 어법으로 읽히는 느낌을 갖게 한다 특히 각.수마다 종장에서의 명사형 결구를 통일함으로서 그만 얼려죽이고 만 매화에 대한 안타까움과 애석함의 정서를 절묘하게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마지막 수에.서 매화는 이미 자취를 잃었는데 찾아드는 볕은 방으로 하나 차다고 하는 대, ,비는 실감실정의 사생 을 강조한 가람의 시조론에 걸맞는 절묘한 배치라( ) ,寫生할 것이다 이 작품에서 찾아드는 볕 의 이미지는 가람이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 ”일제에 피검되어 투옥된 경험을 소재로 한 다음 시조작품에도 재현되고 있어흥미롭다.

    11) 이병기 가람문선 앞의 책 쪽, , , , 22 .梅花「 」

  • 강연호

    67

    종일 꿇고 앉아 만 바라본다鐵窓몹시 소란하던 바람이 잠잠하고얄포시 비끼는 볕도 들락말락 하여라

    아직도 에는 이 남았건만閭閻 古風팥죽도 없이 도 지나가고冬至창살에 비끼던 볕이 한치 남아 자랐다

    부분洪原低調「 」 12)

    이 작품은 익히 알려져 있듯이 가람이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피검되어 투옥된경험을 소재로 하고 있다 전체 수로 된 연작시조인데 그 중에 마지막 두 수. 29에 철창 사이로 비끼는 볕의 이미지가 중첩되어 나타나 있다 인용된 두 수‘ ’ .중에서 얄포시 비끼는 볕 과 창살에 비끼던 볕 의 되풀이는 그만큼 옥중의 상“ ” “ ”황에서의 참담함을 섬세하게 사생 해주는 이미지가 아닐 수 없다 이 연작( ) .寫生작품 역시 단순히 단형 시조의 병렬 연결에 그치지 않고 각기 독립적이면서도동시에 전체 시상의 연결과 통일성을 보여주고 있어 가람의 연작 주장이 실제작품으로 잘 구현된 사례라 할 수 있다.가람에 대한 평가는 한동안 유가적 형이상학13)나 고전과 국학의 전통 계

    승14) 혹은 풍류를 겸비한 상고주의, 15) 등으로 규정된 바 있다 이러한 평가들.이 갖는 함의는 말하자면 전통지향이라 규정할 수 있겠는데 근래에는 가람의,문학과 삶에서 오히려 근대지향이나 근대적 인식을 부각16)시키는 쪽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가람에 대한 이러한 양가적인 시각의 존재는.그가 주도적으로 관여한 문장 지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비슷한 양상을 발견하게 된다 년 창간된 문장 지를 중심으로 하여 이태준 이병기 정지용. 1939 , ,「 」

    12) 이병기 같은 책 쪽, , , 56-57 .洪原低調「 」13) 김윤식 주자학적 세계관과 시조 양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 , , 1984.「 」14) 이형대 가람 이병기와 국학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 10, , 1997.「 」15) 황종연, 이병기와 풍류의 시학 한국문학연구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8, , 19「 」

    85.16) 배개화 이병기를 통해 본 근대적 문학어의 창안 어문학 한국어문학, , 89,「 」

    회, 2005.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68

    등의 실질적 편집 구성원들이 고전문학의 발굴과 주해 등에 힘썼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일방적으로 전통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었다.는 기존의 평가 역시 달라지고 있어서 최근에는 근대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논의17)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형편이다.이러한 양가적인 시각은 가람의 시조 작품과 그의 시조론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람은 문장 지의 시조부문 추천을 맡으면서 조남령 김상옥. , ,이호우 등의 시조시인들을 배출해 내는데 이들은 모두 현대시조의 가능성과,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 가람을 비롯하여 이들 시조시인들의 활동은 단순한 전.통지향이나 상고주의와 다른 것이었으며 년대 최남선을 비롯한 국민문학, 1920파들의 이념형에 치우친 이른바 조선심과도 다른 것이었다 바로 이 지점에서‘ ’ .이병기의 시조혁신론과 시조 창작이 근대적 인식과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을확인할 필요가 있다.가람은 국권이 기울던 시대에 태어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말과 글,

    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며 국문학 연구와 창작에 천착하게 된다 그는 한성사범.학교 재학 시절부터 조선어강습원에 나가 주시경의 조선어문법 강의를 수학했으며 년에는 조선어연구회를 결성하고 간사로 활동한다 년에 조선어, 1921 . 1931학회로 개명된 이 단체는 우리말글 보급운동을 전개하여 문맹퇴치와 민족의식고취에 큰 역할을 한다 결국 가람의 삶을 따라가 보면 그의 학문과 문학 활동.은 이처럼 우리말과 글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하여 시조창작과 시조혁신론 주창 고전적 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국문학 연구로 귀착된다고 할 수 있, ( ) ,古典籍다.가람의 정규 학업은 한성사범학교가 최종이며 이후에는 거의 독학으로 이루

    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가람은 스스로도 학문의 가장 중요한 대상은 서.지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평생을 통해 고서 및 옛 문헌의 수집과 분류 그리,고 감정과 해제 등에 힘을 쓴다 가람의 국문학과 고전문학 연구는 이와 같은.서지학적 고증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는 데서 큰 의의를 지닌다 특히 가람이.여류문학과 내간체 등 한글 문체의 고전작품들을 높이 평가18)하고 있으며 이에

    17) 이에 대해서는 이경애 전통지향과 근대지향의 간극을 넘어서 가람 이병기의, -「근대의식 국어문학 국어문학회 참조, 69, , 2018. .」

    18) 한글문체의 고전 작품에 대한 가람의 경도는 다음 언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강연호

    69

    대한 주해를 덧붙이는 데 힘을 썼다는 사실에서 그가 우리말글을 갈고 닦는 데얼마나 주목했는지를 새삼 확인할 수 있다.가람의 학문에 대해 체계적이지 못하고 잡학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거의 독학에 의존한 수학 과정을 거쳐서인지 근대적 학문연구의 방법론.과는 달랐으며 다만 서지학적 고증을 기반으로 하여 국문학과 고전문학 국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기된 지적으로 보인다 사.실 가람의 시조혁신론 역시 뚜렷한 논리에 입각한 주장이라기보다는 기존의 고시조 작품들을 사례로 열거하면서 자신의 입론을 펼친 까닭에 얼핏 무질서한구석도 적잖이 나타난다.하지만 가람은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민족의 얼과 문화를 지키려 노력한 민

    족학자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실천한다 가람 스스로의 회고에 따르면 가람의.생애는 고서 와 난초 와 백묵 으로 반생 을 보냈다“ ( ) ( ) ( ) ( ) ”古書 蘭草 白墨 半生 19)고요약된다 여기서 고서는 그의 국문학 연구로서의 서지학적 고증을 의미한다고.볼 수 있고 난초는 그가 가까이 한 화초를 통한 시조 창작과 풍류를 말하며, ,백묵은 교육에 몸을 담고 우리말글과 민족의 유산을 후학들에게 전해주려 한삶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겠다.이러한 가람의 삶과 사상적 기반을 특히 그의 시조혁신론 주창의 이유와 과

    정을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는 이며 이면서도 꼭 있어야 할 까닭은 도리어 그 과,時調 定型 古典的 定型그 에 있다 이나 와 같은 의 을 맛보는 우리로서 그. ,古典的 漢文 英語 外國 文學래도 의 맛을 보자면 무엇이 있나 나 처럼 은 못되었.朝鮮語文學 漢詩 英詩 發達다 하더라도 적어도 조선말로써 조선말답게 적은 것이며 조선말로서의 목숨,과 넋이 있는 것 아닌가 그리하여 조선말에 쓰인 과 을 보여주는 것. 典型 軌範이 아닌가 우리는 이것을 보고 일일이 그대로 을 하거나 을 하거나. 模倣 引用할 건 아니라도 거기에서 무슨 이나 를 얻을 것 아닌가.傳統 暗示 20)

    이것이 로도 하지마는 우리말글로는 더욱 보배로운 것이다 그때“ .史料 重要 恒쓰던 또는 한 가 많이 섞이고 한 말이 없이, , ,用 漢字語 特殊 尊敬語 宮中語 雜俗한 말만 가지고 쓴 것이다 너무 점잖은 하다고 할망정 그 많은 아름. ,典雅 語彙

    다운 알뜰한 가 한 의 일을 싸고 돌며 한 의,詞調 筆致 慘酷 思悼世子 奇薄 自己 一을 말하였다 이병기 한중록 해설 문장 제 호 쪽.”( , , 1 , 104 )生 「 」

    19) 이병기 고전문학론 문학 권 호 쪽, , 6 3 , 1950. 138 .「 」20) 이병기 시조는 혁신하자 가람문선 앞의 책 쪽, , , , 314 .「 」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70

    가람의 이러한 언급을 통해 그의 시조혁신론 역시 우리말과 글에 대한 연구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한글과 시조의. “연결을 통해 국어의 문학 혹은 문학의 국어를 상상해 나아가는 과정‘ ’ ”21)으로볼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가람의 시조론이 당대의 시조부흥운동과 같.은 이른바 문화적 민족주의 운동과 관련을 맺고 있다는 데 있다 시조와 관련.하여 가람이 언급한 조선어문학의 맛 이나 조선말로서의 목숨과 넋 등의 표“ ” “ ”현은 말하자면 최남선의 조선국토 조선인 조선심 등의 표현과 다르지 않다“ , , ” .여기서 시조는 결국 조선어문학의 대표적 장르이며 조선인과 조선심의 필연적양식으로 간주된다 그렇지만 시조는 일부 사설시조나 평민층의 참여를 예외적.으로 할 뿐 역사적으로 조선심의 필연적 양식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럼에도 시조를 조선심의 필연적 양식으로 간주하는 무리한 시도는 당대의 민족주의 이념 지향과 맥을 같이 한다 가람이 시조부흥운동에 적극 가담했다는.점에서 그 역시 이러한 문화적 민족주의 성향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부인할수는 없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가람이 주창하고 있는 시조혁신론과 그.의 시조 작품들을 통해 이러한 성향과는 다른 지향을 동시에 보여주었다는 것도 충분히 부각되어야 한다 가람은 이른바 문학의 근대적 자장 속에서 개인의.섬세한 내적 정서를 정제된 서정으로 표출하는 데 주력한 시인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양면적 속성에 주목하여 가람의 사상에서 민족주의적 이.념성과 미학적 심미성의 상충적인 요소를 지적22)하는 시각도 있다.그렇지만 전통과 근대의 교섭 과정에서 가람의 학문과 시조혁신론 그리고,

    시조 창작의 궤적을 따라가 보면 그의 사상적 좌표가 실제로는 이념형이 아니라 실증형에 기울어져 있었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조론에 있어서.가람은 당위로서의 시조부흥이 아니라 실제로서의 형식과 방향에 대한 입론에주력한다 그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고전의 답습으로서의 시조부흥운동의 문제점.을 직시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형식의 자유로움과 새로운 격조의 창조를 주장하여 시조가 현대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노력을 경주했던것이다 당대의 시조부흥운동이 자유시와 다르게 전통 정형시가로의 복귀를 주.

    21) 허윤회 조선어 인식과 문학어의 상상 가람 이병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 - ,「 」연구 집 민족문학사학회 쪽26 , , 2004, 287 .

    22) 전도현 이병기의 한글 문예운동에 대한 일고찰 이념성과 심미성의 괴리 양, -「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쪽, 20, , 2009, 114-115 .」

  • 강연호

    71

    장하는 결과를 낳은 데 그치고 있다면 가람은 오히려 정제된 정형적 자유시 지향으로서의 시조를 주창했으며 이러한 제안과 입론을 바탕으로 뛰어난 작품을,창작하여 현대시조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데 성공한다 결국 시조를 고.전으로만 묵힐 것이 아니라 현대시의 한 양식으로 진입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실증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은 시조부흥운동의 주류에서.나타난 고전의 답습이 아니라 현대적 계승과 변형에 의미가 있다.가람은 전통시가인 고시조와 달리 현대시조가 현대시의 한 영역임을 분명하

    게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작품으로 창작하여 실증한다 가람시조의 특징은.관념의 제시로서의 시조가 아니라 대상에 대한 객관적 이미지를 통한 실감의정서 표출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가람이 시조에 대한 근대적인. “미의식을 체계화된 논리를 통해 본격적으로 제시 했으며 가람 이후 비로소 한” , “국의 시조는 근대적인 미의식을 탐구하게 되었다”23)는 평가가 있다.이런 점에서 민족주의적 이념 지향과 개인주의적 심미 지향을 상충적 양자택

    일의 문제로 간주하는 것은 동의하기 어렵고 또한 그것이 어떤 특정한 가치에,대한 차등을 내포한 지적이라면 더욱 설득력이 떨어진다 결론적으로 보면 가.람의 시조혁신론과 시조 창작 역시 그의 언어관과 민족의식의 소산이라는 점에서 총체적으로 그 배경에 국학정신이 배어 있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결국 우리말 연구와 한글운동 시조론의 제시와 창작 고전의 발굴 그리고 국, , ,문학 연구로 이어지는 가람의 삶은 그 자체로 의의를 갖는다.

    결론4.

    본고는 고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담당한 가람의 시조론을 재검토하면서 그 바탕에 자리잡은 사상적 기반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었다.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전통시가로서의 시조를 오늘날에도 창작하고 향유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가람은 년대에 일어난 시조부흥운동에 적. 1920극 참여하면서도 그저 전통에 대한 지향이나 근대에 대한 반발만으로는 시조,

    23) 이재복, 가람 이병기의 시조는「 「 革新하자 에 나타난 현대성의 의미」 」, 우리말글 52호, 우리말글학회, 2011, 316쪽.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72

    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시조의 혁신을 주창하게 된다 시조혁신론은 고유의 전통 정형시가로서의 복원이 아니라.자유시의 정제된 지향으로서 시조의 확산을 기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보여준다.가람은 또한 이와 같은 시조혁신론에 입각한 실제 작품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다 자신이 제안한 시조의 혁신안과 작시원리를 바탕으로 뛰어난 작품을 창작.하여 현대시조의 새로운 미학을 보여준다 전통시가인 고시조와 달리 현대시조.가 현대시의 한 영역임을 분명하게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작품으로 창작하여실증한 것이다.가람의 삶은 우리말과 글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하여 시조창작과 시조혁신론

    주창 고전적 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국문학 연구로 귀착된다 그 중에, ( ) , .古典籍서도 특히 가람시조의 특징은 관념의 제시로서의 시조가 아니라 대상에 대한객관적 이미지를 통한 실감의 정서를 표출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있다 결과적으로 가람은 이른바 문학의 근대적 자장 속에서 개인의 섬세한 내.적 정서를 정제된 서정으로 표출하는 데 주력한 시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가람의 시조혁신론은 시조부흥운동의 주류에서 나타난 고전의 답습이 아니라

    현대적 계승과 창조에 의미가 있다 이러한 시조혁신론의 바탕에 민족주의적.이념성과 미학적 심미성의 두 모습을 볼 수 있다 가람의 시조혁신론과 시조.창작 역시 그의 언어관과 민족의식의 소산이라는 점에서 총체적으로 그 배경에국학정신이 배어 있다.

  • 강연호

    73

    참고문헌

    자료< >이병기 백철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 , , 1957.이병기 국문학개론 일지사, , , 1961.이병기 가람문선 신구문화사, , , 1966.

    논저< >강영미 이병기의 시조론과 창작에 관한 소고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 , 15,「 」사학회, 1999.

    김남규 시와 시가의 경계에서 기획된 조선 시형이라는 이념, , Journal of「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Korean Culture 36, , 2017.

    김윤식 시조의 재창조와 그 한계 가람론 한국문학사논고 법문사, , , , 1973.-「 」김윤식 주자학적 세계관과 시조 양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 , , 1984.「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 , , 1973.김제현 가람 시조론 한국 현대시조 작가론 태학사, , , , 2002.Ⅰ「 」문신 가람 이병기의 어다음왜 적 언어의식 연구 열린정신 인문, “ ( )” ,語多淫「 哇 」학연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20-2, , 2019.

    배개화 이병기를 통해 본 근대적 문학어의 창안 어문학 한국어문학, , 89,「 」회, 2005.

    오문석 이병기의 시조론과 문장 의 기획 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 66, ,」2015.

    이경애 전통지향과 근대지향의 간극을 넘어서 가람 이병기의 근대의식 국, - ,「 」어문학 국어문학회69, , 2018.

    이명찬 근대시사에 있어서의 시조부흥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시학연, ,「 」구 한국시학회57, , 2019.

    이재복 가람 이병기의 시조는 하자 에 나타난 현대성의 의미 우리말, ,革新「 「 」 」글 호 우리말글학회52 , , 2011.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74

    이형대 가람 이병기와 국학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 10, , 1997.「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 , 1966.전도현 이병기의 한글 문예운동에 대한 일고찰 이념성과 심미성의 괴리 양, -「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 , 2009.」

    조해숙 가람 이병기기의 시조비평 특징과 고시조선의 의의 한국시가문화연, ,「 」구 한국시가문화학회38, , 2016.

    허윤회 조선어 인식과 문학어의 상상 가람 이병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 - ,「 」연구 민족문학사학회26, , 2004.

    황종연 이병기와 풍류의 시학 한국문학연구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 8, ,「 」1985.

  • 강연호

    75

    Abstract

    A Study on the Theory of Sijo and Ideological Basis of GaramLee Byung-gi

    Kang, Yeon-ho(Wonkwang Univ.)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Garam's theory of Sijo,which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modern succession anddevelopment of Gosijo, and to look at the ideological foundationunderlying it. Garam's theory of Sijo Innovation plays an importantrole in creating and enjoying a Sijo even in modern times. While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ijo Revival Movement that took place inthe 1920s, Garam puts forward the innovation of Sijo, recognizing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modern succession and developmentsimply by pursuing tradition or protesting against modern times. Thetheory of Sijo Innovation clearly shows the intention of spreading thesijo as a refined form of free verse, not as a restoration as atraditional fixed verse of its own.Garam also successfully creates a real work based on this theory of

    Sijo innovation. Garam creates outstanding works based on hisproposed innovation plan and creative methods to show the newaesthetics of the modern Sijo. Unlike Koshijo, a traditional poetry, heclearly suggests that modern Sijo are an area of modern poetry, andthat he creates them into real works to prove them.Garam's life begins with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writing

    and comes down to creation and innovation of Sijo, the collection andarrangement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Koreanliterature. The characteristic of Garam Sijo is meaningful in that it

  • 가람 이병기의 시조론과 사상적 기반

    76

    has succeeded in expressing sentiment of real emotion throughobjective images of objects, not as a demonstration of ideas. As aresult, Garam can be evaluated as a poet who focuses on expressinga person’s delicate inner emotions in a refined lyric within themodern nature of literature.Garam's theory of Sijo Innovation is meaningful in modern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not in the mainstream of the SijoRevival Movement. On the basis of this theory of Sijo Innovation, wecan see two aspects of nationalistic ideology and aestheticism.Garam's theory of Sijo Innovation and creation of Sijo are also theresult of his linguistic views and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re isa spirit of national studies in the background.

    Key words Garam, Lee Byoung-gi, sijo, Gosijo, modern Korean s▣ :ijo, theory of Sijo Innovation, fixed verse, free verse, ideology, aestheticism, serial sijo

    접수일자 심사일자 게재결정: 2019. 11. 15 : 2019. 12. 18 : 2019.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