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269
독도의 영유권 논쟁과 대책 차종환 (미국 LA) 신법타 (서울) 김동인 (평양) 공편저

Upload: others

Post on 28-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독도의 유권 논쟁과 책

차종환 (미국 LA)

신법타 (서울)

김동인 (평양)

공편저

Page 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동해의푸른물결

겨레의낯익은숨소리에

차마그모습을숨기지못한섬

독도 !

한핏줄, 겨레의문전옥답을바라보며

키워온꿈들

팔천만겨레의빛나는등대

독도여 !

오천년겨레의의지

파도가그를넘지못하는곳

겨레의미래, 독도여 !

한민족의희망이노저어이르는섬.

독도 !

우리들의축복으로

푸른파도위에피어난한송이꽃

겨레의사랑, 내사랑독도.

독도법타

Page 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5 펴내며

펴내며

지나가는사람들을붙들고‘이사람이분명히나의마누라’고되풀이말하

면, 내마누라가남의마누라로오해될수도있다. 당연한사실에대한지나친

강조는그당연함에대한회의를갖게한다. ‘독도는우리땅’이라고거듭주장

하는것도같은현상을불러일으킬수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겨레의섬독

도』와『한국령독도』를내게된것은, 독도에대한과학적접근과역사적통찰

을통해독도에대한사랑을확대할수있지않을까하는희망에서이고, 독도에

대한폭넓은이해는겨레의분신인독도를침략하려는외부세력의의지를분

쇄하는강력한무기가될수있다는생각에서이다.

이런뜻에서, 7년전독도로본적을옮겼던독도사랑의초심을살리고, 교포

이신차종환박사가북한의김동인박사를접촉하여박사의원고를얻고, 한미

인권연구소(소장, 이환수)의자료보탬과차박사본인의원고도첨부하여남북

한과해외동포가공동으로참여한『겨레의섬독도』와『한국령독도』를출간

하게되었다. 지리적으로세사람이멀리떨어져있어자료를정리하는데어려

움이있었으나, 뜨거운독도사랑의집중된결의로이책의원고를마감할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들은, 2006년 6월 12일 동해의 한일 배타적 경제수역

(EEZ) 경계획정회담에서독도를기점으로할것을우리정부가분명히할수

있도록했다. 노무현대통령도2006년6월22일해경관계자를초청한자리에

한국령독도

Page 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6

서‘정면대응을하지않을수없는상황’이라며해양주권수호의지를확실히

했다. 진일보한정부의자세에격려를보내지않을수없다.

조선중기의대표적학자였던미수허목선생은그가쓴‘동해비’에서동해

를‘백천조종(百川朝宗)’이라하여세계의바닷물이동해에이르러하나가된

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해를지키는수호섬이독도이다. 독도는동해를지키고, 우리는독도를지킴으

로서, 우리겨레의바다와땅을통일된지구촌의머리로할수있다. 동해의넉

넉한품은겨레의미래자원이저장된곳간이다. 이를개발하고사용할권리가

우리민족에게있음은두말할필요도없다. 독도에관련된자료를찾아허망한

침략이론을물리쳐, 겨레의자랑스런섬독도가겨레의품안에서그가치를발

휘할수있도록해야한다.

한국사람이라면독도사랑을구체적행동으로옮기는데주저가있을수없

다. 이에『겨레의섬독도』와『한국령독도』를출간하였으나미흡한부분이많

을것이다. 계속자료를 수정보완할예정이니필요한자료를제공해주시면걸

음을아끼지않겠다. 이책이독도사랑에대한국내외열기를응집시키고. 독

도수호를위해애쓰는분들에게보탬이될수있었으면한다.

2006. 광복절즈음하여

신법타

Page 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7 머리말

『울릉도동남쪽뱃길따라이백리외로운섬하나새들의고향

그누가아무리자기네땅이라고우겨도독도는우리땅』

(독도는우리땅, 작사·작곡 : 박인호, 노래 : 정광태)

일본의독도침탈야욕공세가점점노골적이며그수위를높이고있다

지난(2006년) 4월일본정부의‘독도주변해역수로조사’시도는일본해상보

안청주도아래아베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아소다로(麻生太郞) 외상과고이

즈미 총리까지도 망라된 일본정부의 독도침탈 야욕을 구체화한 작전이었다.

이는무력충돌을야기하는행위로, 한국정부로하여금한국해양경찰청5,000

톤급경비정을집중배치케하고해군함정을동원케하는등일촉즉발의위기

상황을조성한행위였다.

서기 512년(신라지증왕 13년) 신라 이사부장군은우산국(울릉도, 독도)을

정벌하고이를신라의영토로귀속하였다. 이로써독도는1500여년동안한국

의영토로그존재가치를빛내왔다. 이러한우리영토를일본은수시로침략하

는등만행을서슴지않고있다.

한국은1900년(대한제국광무4년) 10월27일「관보제716호」의CLR령제41

호로울릉도, 독도를울릉군수가관할토록한바있다

일본제국주의정부는, 한국의외교권과국방권을빼앗는「조·일의정서」를

머리말

한국령독도

Page 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8

체결한 1905년 1월 28일의일제각의에서독도의일본령편입을결의하였고,

동년2월22일시마네현고시제40호는독도를다께시마(竹島)라칭하고시마

네현영토에편입시켰으며, 7월에는러시아와중국침입을위한해군통신기지

를시설했다. 당시대한제국정부는일제의손아귀에서놀아나는힘없는왕조

로써5년후한일병합(1910)을당하는처지에서일제의일방적침탈에속수무

책일수밖에없었다.

1945년8월제2차세계대전패망과함께일본은한국을비롯한모든점령지

역을반환하였다. 1946년연합군최고사령관훈령제677호는울릉도, 독도, 및

제주도, 거문도등은일본영토에서제외하였으며‘맥아더라인’설정으로일

제정부의선박은독도접근이금지되었다. 그러나일본은 6.25 한국전쟁을통

해경제발전호기를맞으면서독도영유권문제를들고나왔다.

일본의 대한민국영토인 독도의 침탈 야욕은, 동해의 주도권과 울릉도보다

3배큰독도해저대륙과엄청난지하자원과수산자원의독점의도에있다.

박정희정부의1965년6월22일「한일어업협정」때까지도독도는‘우리땅’

이었으나, 1998년 11월 28일 새로 그은「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독도가

우리땅임이불분명해질수있는상황에처한바있다.

최근한일간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획정협상이계속되고있다. 일본은

1996년독도를일본영토라고주장하면서, 동해쪽EEZ경계를독도를기점으

로한국의울릉도와독도사이의중간선을한일EEZ 경계선으로할것을한국

에제안했다. 한국정부는동해의울릉도기점을취해도독도가한국EEZ안에

들어온다는울릉도기점유지주장과독도기점채택주장사이에혼선을빚은

일이있다. 이러한한국정부의안일한EEZ 울릉도기점주장은일본이독도를

기점으로주장하는바에따라독도를일본에빼앗기는결과를가져올수밖에

없다. 그러나2006년 6월 12일동해의한일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획정

회담에서우리정부가독도를기점으로할것을분명히하였으니다행한일이

Page 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9 머리말

아닐수없다. 일본은2000년까지4차례EEZ 경계획정협상에서한국정부의

제안을계속거부하여왔으며현재까지도일본은독도와한국울릉도사이의

중간선을계속주장하고있다. 한국정부는여기에단호히대처해야한다.

한일간에완전한합의가없는상태에서국제사회는법리적으로독도를일본

영토라고일본측의손을들어줄가능성이크다. 세계를지배하고있는일본의

경제력과한국보다월등한해군력을비롯한군사력과외교력을한국정부가무

엇으로감당할수있겠는가? 한일EEZ 경계를한국정부는독도를기점으로하

여강력히밀어붙여야국제사회와국제법에서독도영유권을옹호받을수있

다. 독도기점채택을통해독도가역사적으로는물론현실적으로도명백한한국

영토임을국제사회에확실하게선언하고영토주권을지켜야한다.

공동필자인법타스님은일본의독도침탈야욕으로부터우리의조국과강토

인독도를수호한다는강렬한애국애족심과‘한국인의긍지’로 2000년 10월

9일한글날에본적을독도로옮기는등독도수호에헌신적으로동참하고있다.

국토수호를바로조국평화통일운동의일환으로확신하고있기때문이다.

독도수호의강력한민족적의지의결집은일본의‘제국주의의부활과침략

야욕의부활’을막는길이며, 제2차세계대전을일으키고한국중국등세계를

침략하여저지른만행에대한당연한응징이다. 또한일본에게반성과참회를

촉구하는계기가될것이다. 세계평화와인류의공존공영을위해서도일본정부

의‘독도침탈만행’은당연히규탄받아야하고, 포기하도록만들일차적책임

이우리에게있다.

일본내에존재하는독도관련자료들조차발굴하면할수록한국땅임이분

명히 드러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2005년 2월 22일을‘다께시마(독

도)의날’까지제정하고독도침탈에발광을하고있다

민족정서상독도를잃는것은전국토를잃는것과같은자살행위이다. ‘독

Page 1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10

도는한국땅’이라고 한국인100%가주장한다. 일본인들의일부가독도를그

들땅으로만들려하고있다. 독도가역사적으로국제법적으로또한인문지리

상으로과연누구의땅인지를알아야국제무대에서우리의주장을힘있게펼

수있다. 여기에는감정적대응또는다혈적인자세를지양하고냉철하고이성

적이되어합리적인대처가필요하다. 최근국제여론조사에의하면말레이지

아와대만인은66.7%, 호주는58.8%, 인도네시아55.6%, 필리핀54.5%가독도

가일본땅이라고믿고있다는결과가나왔다. 이런잘못된현실을바로잡아야

한다.

남북을합치면세계적인국력이되고일본을능가할수있다. 이책은남측

인과북측인그리고해외동포가지금까지발표된자료를모아편집한보기드

문작품이다. 책의집필에는, 남측에서는7년전부터독도에본적을두고있는

독도지킴이신법타스님이참여했고, 차종환박사가방북시합의한바에따라

북측에서는김일성종합대학지구환경과학부교원 후보원사 교수박사 김동인

교수가참여했다. 이들이직접집필한원고와자료를중심으로미국LA에거주

하는교포차종환박사가주요정리를맡았다. 즉남과북해외동포등삼자가

통일된목소리로‘독도는우리땅’임을입증하는자료를모은것이다.

남측의국민, 북측의인민및해외동포등8천만겨레에게바치고자쉽게쓰

려고했다. 그러나북측자료를포함한전체적인자료를남측입장에서정리하

다보니북측인민에게는다소어색하고생리에맞지않는어휘나단어부분이

있으리라본다. 이점양해를구하고자한다.

이책에서는독도논쟁의원인을파악하기위해독도의개관, 생태계, 경제적

가치를먼저살펴보고독도영유권에대한한일양국의역사적기록과, 독도영

유권은한국에있다는일본측의자료와고지도까지열거했다. 최근일본교과

서왜곡문제와시마네현고시에의한독도편입의부당성, 독도영유권에대한

연합국의조치등도다루었다.

Page 1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1 머리말

모쪼록이책이두루읽혀일본의엉터리없는주장과만행을근본적으로분

쇄할수있었으면한다. ‘독도’라는우리국토를지키고일제의망령이되살아

나는것을막음으로써, 민족의자주역량과단결력을보여줄수있게되기를바

라는간절한소망으로이책을썼다. 이렇게남북한과해외동포간의민족대단

결속에서‘우리의소원’인민족의살길‘평화통일’을이루는날이앞당겨지리

라는희망을안고, 꿈은꼭이루어진다는일관된신념으로집필에임하였다.

독도는역사적으로나국제법적으로또는인문지리학적으로우리땅임이자

명하다. 일본의양심적인학자들은독도를일본소유라고하는것은무리수라

고주장한다. 우리남북및재외동포까지독도인우리땅을지키기위해나섰다.

독도영유권에대한남북학자들과재외동포들의주장에힘을실어주고여기

에국토수호권및생존권보호를위해재미 LA한미인권연구소(소장, 이환수)

도본서발행에참여하였다. 한미인권연구소는한국의유신정권과군사정권에

대항하여인권보호를위해투쟁하여성취했고재외동포권익을위해재외동포

법마련에중추적역할을했다.

내용이강호제현의기대치에못미친부분은판을거듭하면서수정보완하

고자한다. 아울러새로운보완자료를제공해주실것을기대한다.

끝으로이원고를타이핑해준이인용군과출판을통해참여해주신이주현

해조음출판사사장님께감사드린다.

2006년 광복절에즈음하여

저자 차종환(미국, LA)

신법타(서울)

김동인(평양)

Page 1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12

제1장독도영유권논쟁

1. 독도영유권분쟁- 19

2. 독도침범과망언- 22

3. 일본의독도침략과영유권- 25

4. 일본의독도영유권주장의부당성- 27

5. 독도영유권에대한한·일간의주장과변론- 30

6. 독도영유권에대한최근한·일공방전- 37

제2장독도문제에대한대책

1. 독도에관한심도있는연구- 44

2. 한국국민의정서일본에각인- 47

3. 분쟁에대한이성적인대응과홍보- 48

4. 지속적인소유권주장- 52

5. 독도답사권장- 52

6. 남북갈등틈을탄무력도발방지- 54

7. 한국의대응자세문제- 55

8. 영토분쟁은당사국교섭을통해해결- 56

차례

한국령독도

Page 1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3 차례

제3장국제사법재판소

1. 영토취득판정기준- 61

2. 국제사법재판소제소에대해- 63

3. 국제재판을받아야하나- 65

4. 국제사법재판소의판례- 67

5. 독도영유권을국제재판소에제소할경우승소율- 68

6. 국제사법재판소의결정적기일- 70

제4장독도관리와수호

1. 학술조사와평화선- 77

2. 독도폭격사건과위령비- 78

3. 독도관리- 81

4. 일본의독도침탈야욕- 83

5. 독도대표선출- 85

6. 독도박물관- 86

제5장독도지키기

1. 홍순칠- 91

2. 독도의용수비대- 93

3. 독도경비대- 99

4. 독도수호운동- 101

5. 독도지킴이- 103

6. 독도수호대- 110

7. 전세계로독도지키기물결- 112

Page 1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14

제6장한·일회담과독도

1. 한일회담과독도- 119

2. 한일조약과독도- 121

3. UN해양법협약의발효- 123

4. UN해양법협약과독도탈환작전- 124

5. 새한일어업협정과독도문제- 125

6. 독도주변의어업활동- 129

제7장한·일양국의독도인식과반응

1. 독도의인지- 135

2. 독도는일본땅이라고보는일본인의견해와반박- 139

3. 독도에대한일본인들의인식- 143

4. 한국의대일본독트린- 145

5. 독도에대한북측의인식- 148

6. 한국정치권의반응- 153

7. 일본정부의독도야욕- 154

8. 독도의날조례제정과정부의대응- 159

9. 독도와한류- 160

10. 일본의독도침탈시나리오- 161

제8장일본의양심적인학자들과언론의독도인식

1. 학자 - 169

2. 언론- 180

Page 1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5 차례

제9장독도명칭의변화

1. 한국문헌에나타난명칭- 185

2. 일본문헌에나타난명칭- 189

3. 기록에나타난독도명칭의시대적변화- 190

4. 유럽인들의독도명칭- 191

제10장동해와일본해

1. 우리민족의‘동해’명칭에대한애정- 197

2. 일본의일본해주장- 198

3. 동해의역사- 201

4. 지도에나타난동해- 203

5. ‘동해’이름되찾기- 208

제11장일본과중국및러시아의영토분쟁

1. 일본과주변국과영유권논쟁- 215

2. 센카쿠열도문제- 216

3. 북방의네개의섬- 223

부록1 독도문제에대한한·일양국의주장

부록2 독도관계연표, 일본의‘독도망언’역사, 독도는우리땅

약력

Page 1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1장

독도 유권논쟁

Page 1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 제1장

1 독도영유권분쟁

1945년8월15일우리나라는일제로부터해방됨으로써, 독도도마땅히본토

와함께해방을맞이했다고믿는것이상식이다. 실제로도1950년대이래지금

까지독도는한국정부의실효적인관할아래놓여있다. 그럼에도독도는분쟁

의소용돌이에서벗어나지못하고있다.

한국측에서볼때문제는두가지이다. 첫째는일본정부가주기적으로독도

를자국영토라주장하면서국제적인분쟁지로만들려고한다는점이다.

두번째는한국사회가그런일본측의태도에매우과민하고격렬하게반응

한다는점이다.1)

다시말해서, 한일양국간에마찰을야기하고있는독도영유권문제는다음

세가지요소로구성되어있다. 첫째, 양국국민정서의첨예한마찰과갈등. 둘

째, 국제법논리의적용을둘러싼국제법적논쟁. 셋째, 역사적사실의해석을

둘러싼역사학적논쟁으로나누어볼수있다.

먼저양국국민의정서면에서보면, 한국사람들은누구나독도가한국땅이

라고믿는다.

독도는긴역사속에서한국의영토였으며, 근대이후확정된국제법의원칙

에의거해서도분명한한국영토이기때문에한일간협상의대상이될수없다

는것이다. 그러므로무력으로타국을강점하는침략의역사가반복되지않는

한, 누구든엄연한타국의영토를빼앗을수는없다.

그럼에도불구하고현실에서는한국측의독도를지키자는운동과일본측의다

게시마를찾아오자는운동이제법맹렬하게펼쳐져왔다. 또해마다일본정부는

자국영토인다게시마를한국이무단으로점유하고있다는항의성성명을발표하

고있으며, 한국정부와민간은그런일본측주장의부당성을지적하고있다.

1) 이석우, 『독도분쟁의국제법적이해』p.22.

Page 2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다음국제법에서는국제분쟁의평화적해결방식으로서, 정치적분쟁과법률

적분쟁을이론적으로구별하고, 그해결방식을달리하고있다. 일본은독도문

제를한일간의법률적분쟁으로간주하면서국제사법재판소(ICJ)에제소하여

해결하자는주장을내놓은바있다. 이에대해한국정부는일반국제법상어떠

한국가도국제사법재판소에의해분쟁을해결할의무를지는것은아니므로,

일본의주장을받아들일수없다고반박하는한편, 적어도독도와관련해서는

법률적분쟁이존재하지않는다는태도를분명히하고있다.

또한독도영유권문제는순수하게정치적분쟁이기때문에사법적으로해

결될가능성이희박하다는의견도일찍이제시된바있다.

독도영유권문제의다음성격으로역사적사실의해석과이해를둘러싼논

쟁이등장한다.

독도(獨島)라는명칭은1904년일본해군소속군함이작성한일지에서최초

로발견된다. 여기에는조선인들이리앙쿠르라는바위섬을‘독도’로표기한다

한국령독도 20

광복 60주년기념

대구 불교 방송국

국토사랑 순례(팀장

법타스님) 2005. 6. 6

Page 2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는사실이기록되어있다. 한편한국측기록가운데는1906년강원도관찰사에

게보낸울릉군수심흥택보고서의‘本群所屬獨島’라는구절에서처음으로확

인된다. ‘獨島’라고표기한기록이근대초에야비로소등장하는것이다. 이런

사실은‘독도’라는명칭의역사를정리하는데적지않은어려움을초래한다.

한국의고문헌에등장하는우산도나삼봉도, 가지도등의명칭이독도를가

리킨다고단정짓기위해서는엄밀한고증을거쳐야하기때문이다. 일본측고

문헌의‘松島’나‘竹島’가각각무엇을지칭하는지파악하기위해서도역시동

일한작업을필요로한다.

해양에대한지식이불완전하던시기에특정獨島와관련된여러명칭이혼

재하는것은자연스러운일이다. 그러므로모호하고다양한명칭의공존은섬

에대한인식이그만큼부정확했다는것을의미하는경우가많다.

한일양국정부는모두 19세기말에야비로소독도의위치, 경관등에대해

객관적인사실들을확인할수있었다. 그이전에도독도에대한지식을갖고있

었지만그것들은그다지명료하지못했다.

이런점때문에독도영유권문제는사료의해석을둘러싼역사학적사안이

라는성격을갖게된다.

일본측은북방영토문제, 센카쿠열도문제에미칠영향때문에라도독도문

제에대해서외교적으로강경한태도를취할수밖에없는것으로보인다. 또현

재까지는일본국민들중상당수가독도영유권문제의내용은물론이고섬의

대략적인 위치조차 잘 모르고 있지만, 일본의 전반적인 우경화·군사대국화

추세속에서인접국가들과의마찰이심화될수록일본정부의주장이자국민

들사이에확산되어나갈가능성도커보인다. 이런상황에서무엇보다일본측

이내세우고있는주장의근거와논리, 그변화의배경과내용에대한연구·

검토가충실히이루어져야할것이다.

21 제1장

Page 2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독도침범과망언

일본극우단체들은, 독도는일본영토이므로한국으로부터실력을행사하여

서라도탈환하여야한다고하면서1959년9월초순약30명으로결성된‘독도

돌격대’라는명칭의단체가어선을타고와독도에상륙코자하였으나, 독도주

변을배회만하다가시마네현으로돌아갔다.

또같은해9월28일동경히비아공원에서‘殉國靑年團’, ‘松葉會’등24개

극우단체대표가모여 독도탈환문제를토의하고독도돌격대를조직키로 결정

하는한편, 3척의철선과대원150명을모집키로하고동경의고리대금업자로

부터일화 60만엔을조달하였다는사실이드러나기도하였으나실행은되지

않았다.

독도문제는 제2차 한·일회담(1953.4.15 ~ 7.23) 때에 일본측이 평화선을

논의하기위하여독도문제를끄집어내었으나한일회담과는관련됨이없는별

개의문제로취급되었다.

그러나1961년10월20일제6차한일회담이시작된뒤일본국회에서야당측

이독도문제를추궁하게되자일본외무성당국은국교정상화이전에한일양국

은 독도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면 한국이 응소한다는

협의가이루어지도록하겠으며, 이러한합의는국교정상화의전제조건이라고

하였다.(양태진, 『한국독립의상징독도』, p.161~162 인용, 백산출판사, 2004.)

1962년 12월 12일에있었던한일협정예비교섭석상에서독도는원래가한

국영토임이 분명하고 또한 한일회담의 현안도 아닌데 일본측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이를제기하여문제를더욱복잡하게만들고있음을유감스럽게생각

한다고우리의입장을밝혔다.

이후일본측은독도귀속문제에관한자기네입장을표명하는연례적인각서

를제시하는것이외에별다른말썽을일으키지않다가1963년4월3일한일간

의제반현안문제가가조인되고정식조인단계에접어들자또다시독도문제를

한국령독도 22

Page 2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기한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

지독도망언은지속되고있다.

그러나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

토 관할하에 있음은 명명백백

한사실이다.

그후독도영유권에대한일

본측의 주장과 대표적인 동향

을연대별로살펴보자.

1967. 3. 30. 사또 수상“방

한하게 되면 죽도의 귀속문

제를 한국측과 논의할 의향

이있다.”

1969. 2. 25. 아이찌 외상

“한국과공식외교경로를통

해죽도문제를협의하겠다.”

1977. 2. 5. 후꾸다수상“일

본의 영해를 12해리로 설정

시죽도는일본의고유영토

라는전제하에설치하겠다.”

1986. 9. 10. 쿠라나리 외상

“죽도는일본의영토이다.”

1988. 9. 16. 구소련정찰기독도상공비행시영공침범항의

1991. 8. 10. 외무성“죽도는법적, 역사적으로일본고유의영토임이명백하다.”

1995. 문부성초·중·고교검인교과서지침“한일간의국경선을죽도와울

릉도중간에긋도록”

23 제1장

일본의독도망언

Page 2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96. 2. 9. 이케다외상“독도는역사적으로보아도일본의고유영토이며

(한국측의접안시설공사는) 심히유감임.”

1996. 9. 30. 자민당선거공약으로독도영유권채택

1996. 일본국회200해리경제수역에독도포함의결

1997. 외교청서일본외교10대지침중독도탈환외교포함

1998. 1. 일본, 독도주변해역에해저광케이블설치공사

1998. 11. 일본자위대, 독도를가상한탈환훈련실시

1999. 일본인7명(6가구) 독도로호적이전

2000. 모리총리“일본고유영토”KBS 인터뷰

2000. 5. 일본외무성, 2000년외교청서독도고유영토기록

2000. 7. 주한일본대사, 한국에서독도고유영토망언

2001. 3. 9. 산케이토신문“독도는틀림없는일본영토다.”

2005. 2. 23. 시마네현독도의날제정

●2000년7월데라다데루스케주한일본대사월간중앙인터뷰

“다케시마는역사적으로는물론국제법적관점에서도명백히일본고유

의영토라는것이일본정부의명확하고도일관된입장이다.”

●2000년9월모리총리KBS와의특별대담

“우리나라는다케시마영유권문제에대해서역사적인사실에근거해서

도국제법상으로도명확하게우리나라의고유영토라는것이우리나라의

일관된입장이다.”

●2001년2월시마네현지사스미타노부요시시마네현의회발언

“다케시마는 국제법으로나 역사적으로나 명백한 일본의 영토이며, 이를

한국이불법점유하여일본이주권을행사하지못하고있는상태이다.”

●2002년 4월일본문부성의메이세이사「최신일본사」검정통과‘현대일

본의과제’에서 "영토문제에대해서는우리나라고유의영토가다른나

한국령독도 24

Page 2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라의위협을받고있는현실을간과해서는안된다……한국이시마네현

다케시마의영유권을, 또한중국이오키나와현의센카쿠제도의영유권을

주장하고있다.”

●2004년1월고이즈미총리

“다케시마는일본의영토, 한국측도잘분별해서대응했으면좋겠다.”

●2004년5월일본사도회독도불법점검시도

●2005년3월16일시마네현의회‘다케시마의날’제정조례안통과

●2005년4월5일독도영유권을주장하는왜곡교과서문부성검정통과

3 일본의독도침략과영유권

일본이말하는독도의‘실효적인지배와경영’의역사란실제에있어서남의

나라영토에대한끊임없는침탈의역사이며독도의조선영유권에대하여서는

일본의역대정부들도공식적으로거듭인정한바있다.

일본의독도침탈책동은14세기후반기이후왜구의울릉도침입으로부터시

작하여조선강점시기에이르기까지집요하게계속되었다.

1379년왜구가울릉도에침입하여15일간이나머무르면서섬주민들을살륙

하고재물을약탈하였다. (『고려사』권134 궐전신우5년7월)

1407년에는쯔시마수호종정무가조선정부에공물을바치면서여러부락사

람들을데리고울릉도에들어가살도록허가해줄것을요청해왔다. 이에대하

여국왕태종은그들이‘만약국경을넘어오면반드시말썽이있을것’이라고

하여제의를거절해버렸다. (『태종실록』권137년3월경오)

이때로말하면태종이강원도관찰사의제기를받아들여울릉도주민들을육

지로데리고나오도록명령한지불과4년이되는해였다. 쯔시마는이때에조

25 제1장

Page 2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선정부의‘공도정책’을엿보고울릉도를빼앗을탐욕을가지고있었던것이다.

그로부터 10년후인 1417년왜구가우산도와무릉도에또다시침입하였다.

(『태종실록』권3417년8월기축)

임진왜란때에도왜인들은울릉도에침입하여섬을폐허로만들었다. 이에

대하여실학자이수광은‘임진변후사람들이(울릉도에) 들어가본적이있으나

역시왜의약탈을입어다시인적이끊어졌다.’라고썼다. (『지봉유설』권2 지

리부)

울릉도와독도를빼앗으려는왜인들의책동은 17세기에들어와서노골화되

었다.

당시일본은조선정부의‘공도정책’을이용하여쯔시마로하여금음모적방

법으로조선정부를꾀어섬자체를빼앗도록하는한편호끼번이조선정부몰

래울릉도와독도수역에서수산자원을약탈해가도록하는두가지술책에매

달렸다.

1614년과 1615년 두 차례에 걸쳐 쯔시마에서는 사람을 파견하여 경상도와

강원도사이에있는‘의죽도’의크기와지형을탐측하려한다면서그영유권을

주장해나섰다. 그러나조선정부가의죽도를한때비워두었으나그영토를방

기한것은아니다. 즉조선시대한때시행하였던‘공도정책’이결코“타인이함

부로들어와사는것을허용한것이아님”을선언하였다. 따라서섬에드나드

는왜인을해적으로다스릴것임을엄중히경고하였다(『숙종실록』권2821년 6

월경술, 『증보문헌비고』권31).

쯔시마의간교한계책이파탄되자일본이도꾸가와막부는호끼번의오다니

와 무라가와 두 가문에게「죽도도해면허」(1618년) 와「송도도해면허」(1661년)

를발급하여월경어로를허락하는방법으로울릉도와독도에대한침탈행위를

감행하였다(남한도서『독도영유권에대한일본주장비판』).

울릉도와독도의산림과수산자원에대한일본인들의비법적인약탈행위는

그후에도끊임없이계속되었다.

한국령독도 26

Page 2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881년에는7명, 1882년이규원의검찰시에는78명, 1990년내부관리무용

정의순찰시에는 144명의왜인들이울릉도에비법적으로들어와자원약탈을

일삼고있었다(『고종실록』, 『울릉도검찰일기』, 『울도기』).

1904년‘리양꼬섬의영토편입’을청원한나까이역시1903년부터독도수역

에서비법적인물개잡이에종사한인물이었다(나까이이력서).

울릉도, 독도에대한끈질긴침탈행위속에서도엄연한역사적진실을가릴

수없었던일본은여러차례에걸쳐두섬의조선영유권에대하여인정하지않

을수없었다(김일성대김동인교수제공).

4 일본의독도영유권주장의부당성

일본은17세기초독도를처음으로발견한이래그주변수역을실제로전용

함으로써 일본 영토로서의 원시적 권원(Original Title)을 가지고 있었으며,

1905년2월정식으로영토편입조치를취함으로써국제법상유효한확정적권

원으로대체하였다고주장하고있다. 일본이독도를고유의영토라고주장하

면서그를선점한것이라고주장하는것은고유의영토가아니라는것을자술

한것에불과하다.

즉 일본은국제법상의선점(先占)에 의한합법적인영토취득이라고하면서

이에대해한국을비롯한타국으로부터아무런항의를받지않았다고주장하

고있다.

그러나국제법상으로선점에의한영토취득의효력이발생하려면①그지

역이무주지역(無主地域)이어야하고, ②그지역을영토로서취득하겠다는국

가의의사표시가있고또그의사를대외적으로공표하여야하며, ③그지역의

실효적점유가있어야한다. 그렇지만일본의독도편입조치는아래와같이세

27 제1장

Page 2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가지요건을모두구비하지못하고있으므로국제법상무효이다(자세한것은9

장에서다루었다).

첫째 : 독도는을릉도와더불어512년에한국영토가된이후계속적으로한

국의영토였으며, 1905년까지한국에의해서포기된적도없고일본을포함한

어느나라로부터도영유권도전을받은바없었으므로독도가무주지역이아

니었음은명백하다.

둘째 : 일본은영토취득의사를 1905년지방자치단체의고시를통해대외에

공표했다고하나이를국가의대외적의사표시로볼수없으며, 무엇보다도독

도는 1900년에이미한국정부의행정구역개편을통해한국정부의관할하에

있었다(1900년10월칙령41호공포및관보게재).

셋째: 일본은독도의현지측량, 토지대장에기입, 해산물포획면허등을채

용하였다고하나객관적으로국가영역으로서계속실효적으로지배했다는증

한국령독도 28

독도규탄대회

2006

Page 2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거가없다. 반면에한국은6세기이래정도의차이는있으나항상독도를실효

적으로지배해왔다.

1954년일본이국제연합에가입한이후에일본이우리의영토인독도에대

해일본의영유권을주장하는것은영토보전의원칙을규정한‘국제연합헌장’

제2조제4항의규정을위반하는것이다.

본토로부터멀리떨어진독도와같은무인도의경우과거시대에는확정적

주권행사의필요성이크지않았던것이사실이므로이에관한기록과증거평

가에는애매한부분이얼마든지있을수있다. 일본측이제시하고있는자료로

만본다면일본측논리는나름대로타당성을지닌것으로평가될수도있다.

그러나일본측의논리는자국측에불리한기록이나자료는개인의것에불

과하다거나제작자의착각에의한실수라며그가치를평가절하하고자국측에

유리한기록과한국측기록상의약점에만일방적으로근거하고있다는문제점

을지니고있다.

특히일본이확정적권원확립의중요근거로제시하고있는시마네현편입

조치는러일전쟁과일본의조선침략기도라는정치적배경을무시하면올바른

해석이나올수없다고본다. 한편독도문제에관한일본국제학자들의논문들

이대부분30여년전에쓰여진것이어서그이후한국학계등에서진행된연구

성과에대한충분한반박의자료가못된다.

일본은과거한민족에대해범한죄악을역사앞에속죄하고, 어두운과거

사를정리하기위해서라도국제법에앞서한국의선린으로서의가깝고도먼

관계를가깝고도가까운관계로의전환을위해성의를다해야할것이다. 국

제법은물론이고국제여론도시간이갈수록한국편에있다는사실을기억해

야한다.

29 제1장

Page 3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5 독도영유권에대한한·일간의주장과변론

지금까지앞에서언급된내용중에나타나있으나일본정부의대표적인주

장과우리의변론을문답식으로다시요약해보자.

일본측질문:

1. 이승만라인이란국제법상인정할수없는라인이아닌가?

2. 조선초기에조선이병역과부역기피자들의도피를막기위해또는고려

충신들의반란무리들의도피를막기위해공도정책을시행할때일본인

들이배타적경영권을받아울릉도를어업기지와벌목기지로활용하여막

부에진상품을상납했다. 1696년까지 80여년간조선측의아무런항의

없이평화적으로어업과벌목을하였다.

1693년 조선의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안용복은 울릉도에 나타나 시비를

걸다가일본까지잡혀왔고 1996년에다시일본을방문하여항의하자막

부는울릉도를조선에양도했다. 허나독도는이때양도한것이아니라고

주장한다.

3. 일본정부가울릉도도해허가증을일본인에게발부한것은외국으로보

고한것이아니다.

4. 숙종실록의안용복기록등을볼때조선의독도에대한인식이명확히되

어있지않다.

5. 안용복은정부의허락없이월경했기에중죄를면키위해거짓말을했을

것으로본다.

6. 조선은1696년이후3년마다울릉도를순찰키위해순찰관을파견했다고

하나독도까지순찰한기록이없다.

7. 17~19세기일본에서제작한다수의고지도에는독도가일본의영토로되

어있으나한국이자랑하는김정호의대동여지도에는독도가빠져있다.

한국령독도 30

Page 3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8. 1836년일본정부가야우에몽을사형시킨것은독도를간다고했다가울

릉도까지간죄목때문이라고한다. 즉독도는일본땅이라는것이다.

9. 조선정부는독도가우산도, 삼봉도, 가지도라고부른다고하나동국여지

승람에는우산도와‘울릉도’가동일한섬이고태종실록에86명의주민이

우산도에살고있다고한것은우산도가울릉도임이분명하다. 또한허복

(유명한정치인)이쓴‘동계’나이맹휴의‘춘관지’이수광의‘지봉유설’등

에도우산지가울릉도로되어있다.

한국측답변:

1. 독도는울릉도의부속섬이다.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에기록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기록된우산도와울릉도가동일한섬이라는것은주석에

나온작은글씨의설명이고본문에는별개의섬으로기록되었다.

2. 울릉도와독도에관한인지도는당시사람들로서는어려운문제였다.

3. 우산국의영토에독도가포함된다는기록이없기때문에독도는우산국에

포함되지않는다는이론은울릉도옆죽서도도기록에없기때문에우산

국영토에포함되지않는다는이론이다.

울릉도지역으로형성된우산국이신라에복속됨으로우산국대신우산도

라말한것이다. 우산도란당시울릉도, 독도, 죽서도등이포함된다. 세종

년간에김인우를우산무릉등처안부사로임명한것은이를증명하는것

이다.

4. 조선시대의공도정책으로울릉도를우산도또는무릉도라고부르는혼동

을거치다동국여지승람의지도를제작하면서, 울릉도를우산도, 독도를

무릉도라했다. 그후다시명칭의잘못을발견하여큰섬을울릉도, 작은

섬인독도를우산도라했다. 그후정상기가그린지도증보문헌비고, 만

기요람등조선정부가편찬한인문지리에는울릉, 우산이모두우산국이

었고우산은독도를말한것이다.

31 제1장

Page 3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5. 일본인은1618년부터1696년까지울릉도왕래도중독도를기항지로이용

했고, 1696년에울릉도반환시독도는반환한적이있기때문에일본영토

라고한다.

조선의공도정책으로울릉도독도가임자없는땅이된것이아니다. 즉

공도정책은영토방기정책이아니다.

영토를관리하는행정조치이다. 따라서일본정부는1407년, 1614년, 1615

년에울릉도를이용하자고청원했으나조선은거절했다.

6. 막부가발행한도항증서인주인(朱印)은자국민이외국무역을공인하는

증서였다. 자료에의해입증되고있다. 이것을루존섬이나캄보디아와는

다르다고변명하는것은설득력이없다. 당시막부는울릉도와독도가조

선영토임을알고있었다.

7. 1696년조일교섭에서울릉도는한국영토로인정하고도항을금지했으나

독도도항은금지한적이없다고한다. 당시안용복과의영유권문제는울

릉도와독도의소유권이조선에있다는사실이일본자료에도나온다.

울릉도만반환하고독도는반환하지않았다면그기록을제시해야할것

이다. 일본의주장이무리임을일본의가지무라히데끼와야마베겐따로

의논문에도나온다.

8. 일본은 독도를 조선에 반환하지 않았기 때문에 1618년부터 1905년까지

계속일본영토로인식하고있었다고하는데 1905년에새삼스럽게독도

를일본영토로편입한이유가무엇인가?

9. 일본명치유신이후1877∼1878년에외무성관리3인을조선에파견하여

울릉도와독도가조선에부속된경위를조사한결과조선의땅임을‘조선

국교제시말내탐서’에기록하고있다.

10. 조선의독도에대한인식은과거부터현재까지일관적이다. 우산도삼봉

도, 가지도돌섬(독도)등이름이변천되었을뿐이다.

일본은송도라고했다가죽도라고한다. 소나무대나무가나지않는섬의

한국령독도 32

Page 3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명칭이모순투성이다.

11. 안용복이죄를감면키위해과장진술했다고하는데안용복의심문은월

경즉도일에관한심문이지분쟁을야기시킨점이아니다.

12. 일본은 1905년 도근현 고시로 슬쩍 일본 영토에 편입했으나 조선은

1900년에고종황제께서울릉도를울릉도군으로승격시켜강원도에부

속시킨것을관보41호에당당히기재했다.

13. 1905년 이전에 일본인들이 만든 지도에 독도를 한국령으로 표시 했고

1905년이후에도많이있다(자세한것은별항참조).

1) 1906년일본군함대마호의항해일지

2) 1908년에발행한‘한국수산지’

3) 1923년과1933년에발행한‘조선연안수호지’

4) 1933년발행된교과서시바구조모리의‘신편일본사지도’색인

5) 1935년발행된샤꾸오슈나이의‘조선과만주안내’

6) 1936년일본육군참모본부육지측량부발행‘지도주역일람표’

14. 이승만라인은그후변경되었다.

일본: 시마네현고시제40호의정당성

1. 독도편입조치에항의가없었다.

2. 독도편입은침략행위가아니다.

3. 고시가대외적통고가없었다고하나, 당시의관행이었다. 도오꼬현의미

나미도리의편입도대외적통고없이행했다.

4. 통고가 영토 취득의 국제법상의 원칙은 아니다. 1928년 팔마스섬 사건,

1931년클리퍼튼섬등을보라.

5. 독도를울릉도의속도라고하는데울릉도와독도사이에탈베그(가장깊

은곳)가있다. 이런지리적식견이부족하기때문에속도라고한다.

6. 일본인중에는독도토지사용료지불자가있고정부소유지로관리하는

33 제1장

Page 3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등평화적이고실제적이며계속적인주권행사를한유효한권원이있다.

한국:

1. 편입조치는임자없는땅에해당되나당시독도는한국령이었다. 임자있

는땅의편입은불법이다. 영토의탈치행위이다.

2. 편입당시경쟁적주권자인한국정부에통지를하지않은것은국제법상

요구요건을충족시키지못한것이다.

3. 통고가국제법상필요조건은아니라고하면서팔마스섬의예를들고있

으나이섬은많은주민이살고있었기때문에은밀한주권행사는불가능

했다.

4. 1905년고시당시한국은항의가없었기에묵인한것으로보나1905년당

시이미한국은1904년2월23일체결된‘한일의정서’, 1904년8월22일

체결된‘제1차 한일협약’으로 사실상 일본의 피보호국 상태에 있었으며

한국의외교권은일본의수중에있었다. 이런상태에서한국측에통보도

하지않는고시에대해항의를기대하는것은언어도단이다.

5. 독도는일본이한국을침략하고식민지화과정에서편입되었기때문에카

이로선언의‘폭력과탐욕에의하여약취된지역’에해당된다. 따라서독

도는자동적으로반환되어야한다.

6. 1923년6월도근현교육회에서편찬한도근현지에독도편입당시일본인

들이독도는한국령임을알고있었다는구절이나온다. 이외에여러지도

에한국령임을표시하고있다.

7. 독도는사람이거주하기어려운작은섬이고교통이과거에는불편한곳

이어서실효적점유나주권행사가유인도와같이요구되지않기때문에

하지못한것이다.

8. 독도를근대행정구역에포함한것은일본의고시보다 5년일찍 1900년

에행했다.

한국령독도 34

Page 3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9. 일본자료및고지도에독도가한국령이라는기록이많이발견되고있다.

10. 독도가울릉도의부속도서혹은인접섬으로인식된것은자료로확인되

고, 울릉도에생활기반을가져야독도경영이가능했다.

일본:

1. 독도에관한본국의주권은 1946년 SCAPIN 제 677호에의해일시중단

되었으나1951년대일강화조약에의해다시회복되었다. 제주도, 울릉도

거제도는한국령으로되어있으나독도는누락되었다.

한국:

1. SCAPIN 제677호에독도가한국령에포함된사항이일본의반대조치가

없었으므로이내용은계속유효하다. 대일강화조약에도독도에대한아

무런별도조치가없다.

또한제주도울릉도거제도가한국의최외측섬은아니다그렇다면제주

도남쪽에있는마라도는일본영토라는말인가.

2. 강화조약협상당시미국을비롯한연합국과일본만참여했지한국은참

여하지못했고, 미국도중립을지킨결과독도를일본령으로인정한것은

아니다.

3. 미공군의독도연습지에대한한국의항의에제외조치(1953년2월27일)

를취한것은한국의영토임을입증한것이다.

일: 독도는무주지로한일간에아무런조약이없기때문에일본령이다.

한 : 막부시절에독도는일본령이아님을밝혔다. 이로인해도해금지령

까지내린것이다. 일본태정관의결정도일본령이아님을인정했다.

일: 시마네현이독도를일본영토로편입하기이전에일본어민이독도를

실효적으로경영하고있었다.

한 : 일본이울릉도에대한야욕을노골화하는것은청일전쟁이후였다.

35 제1장

Page 3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때일본정부는울릉도에서일본인들을퇴거시켜달라는조선측의퇴거

요구를무시하고심지어는대결하려는의지를보였다.

더욱이 1902년에는‘외국영해수산조합법’을 제정하여 이주어촌의 건설을

장려하고울릉도에일본인통제를위한다는명목으로경찰을파견하여실질적

으로치안권을장악하였다. 이미이웃국가의주권을존중한다는개념은존재

하지않았다. 이리하여조선본토보다한발먼저울릉도는일본제국주의의경

찰과통신등에의해주권을침탈당하는상황이된다.

그후러·일전쟁이일어나고강압에의해체결된한일의정서를통하여일

본은‘조선에서군사전략상필요한지점을수용할수있는권리’를갖는다고

하여조선전토에서군사지배를강화하였다. 울릉도에망루를건설하고해저

전신선을건설한일본해군은독도의군사적가치에주목하게되었다. 그리하

여조선전토의군사점령에앞서독도가1905년1월일본영토로편입되었다.

일: 무인도, 무주지독도를1905년2월22일시마네현고지40호로먼저경

영편입시켜세상에알린것은일본이므로선점권에의해독도는국제법상으

로일본영토다라는주장이다.

한 : 독도는국제법상무주지가아니다. 또한실질적으로한국정부가점유

하고있었다.

막부시절에무주지가아님을밝히었고 1870년일본외무성관리보고에울

릉도독도가조선에부속됨을표현했다. 또한 1877년에일본태정관은울릉도,

독도가일본영토와는무관함을명심할것이라고했다.

또한시마네현고시보다5년먼저1900년10월24일조선정부가관보41호

로독도의영유를선언했다.

한국령독도 36

Page 3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6 독도영유권에대한최근의한·일공방전

2005년2월23일, 일본시마네현의회‘다케시마의날’제정조례안상정을

하자이규형외교부대변인은, ‘즉각폐기촉구’공식성명발표했다. 이어서3

월1일노무현대통령은3·1절기념사에서‘과거사배상’에관한발언을하고,

3월2일반기문외교부장관은“성의있는자세보이라”대일강경발언을했다.

또한3월4일반기문장관은방일무기한연기를발표했다.

3월 8일아사히신문경비행기가독도상공진입을시도하다가철수했다.

그리고3월9일일본해경초계기가독도근접비행을시도했다. 또한당시반

기문장관은“독도는한·일관계보다상위개념”임을천명했다.

드디어3월10일시마네현의회총무위원회‘다케시마의날’조례안을가결

했다.

3월11일한·일학계, 시민단체, 후소시역사교과서왜곡비난회견을가졌다.

3월13일다카노주한일본대사는급거귀국했다.

3월 16일시마네현의회‘다케시마의날’조례안최종가결을했다. 정부는

일반인독도입도전면허용을했다.

이후양국정부의발언을보자

●3. 17 한국NSC상임위

독도영유권주장과과거사왜곡은과거식민지침탈을정당화하는것

이다.

●3. 17 마치무라외상

한국민의과거역사에관한심정에대해일본국정부로서무겁게받아들

인다.

●3. 23 노무현대통령

(일본과) 각박한외교전쟁도있을수있다.

37 제1장

Page 3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3. 25 고이즈미총리

노무현대통령과빨리만나고싶다.

●3. 27 노무현대통령

한일정상회담은예정대로할생각이다.

●3. 29 나카야마문부상

센카쿠열도와독도가우리땅이라는사실을학습요령지침에넣어야한다.

●3. 30 반기문장관

나카야마문무상발언은시대착오적이고식민역사를미화하는것이다.

●3. 30 마치무라외상

야스쿠니참배문제는한일정상이무릎을맞대고할얘기인데그런형식

(국민담화)으로얘기한것은아쉽다.

●3. 31 반기문장관

지난해12월노대통령은이부스키정상회담에서야스쿠니신사참배문제

를거론했었다.

한일간의갈등이심화하는가운데, 2005년4월7일파키스탄이슬라마다드

에서열린양국외교장관회담은, 예상대로뚜렷한성과를내지못한채양측의

입장만을확인하는자리였다. 하지만이례적으로장장1시간30여분간진행된

대좌에서 양측 외교수장은 관계 복원 필요성에도 어느정도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알려졌다. 가장먼저도마에오른회담주제는역시독도와교과서문제

였고, 자연회담은양측의팽팽한줄다리기로시작될수밖에없었다.

반기문외교장관은교과서에서역사왜곡의근본적인시정과독도영유권주

장의삭제를마치무라노부다카[町村信孝] 일본외무성장관에게강력촉구했

다. 전날이태식외교부차관이다카노도시유키[高野紀元] 주일대사에게밝힌

메시지와동일한것이다.

반장관은한발더나아가한국측의요구에도불구하고독도영유권주장을

한국령독도 38

Page 3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싣지않은일부출판사들마저도독도기술을추가할움직임을보이고있는데대

해강한어조로한일관계를해칠것이라고경고한것으로알려졌다. 일본정부

가독도기술에영향력을행사한데이어모든교과서들이독도를기술할경우

미래지향적인양국관계에치명적인악영향을끼칠수있다는지적도뒤따랐다.

이에대해일본측은여전히요지부동이었다. 마치무라장관은교과서기술

은전적으로출판사의몫이라고강변하면서방어선을그었다. 그는“2001년역

사교과서당시한국측이문제삼은부분등을자체검정과정에서상당히수정

됐다.”고말했다.

회담장분위기는전날제네바유엔인권위에서최혁제네바대표부대사가

일본측의군대위안부기술누락을맹비난해한일간갈등이국제무대에서외교

전으로비화한상황을그대로반영한것으로볼수있다. 이런가운데일본측은

자신들의최대현안이라할수있는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진출문제에대한

입장을밝힌것으로전해졌다.

한편회담장주변에서는관계복원을위한양측의움직임도감지됐다. 3월

23일노무현대통령의대국민담화직후양측정상들이정상회담필요성을강

조하면서싹텄던관계복원움직임이움트고있는것이다.

한외교소식통은“최근의한일현안을화재로비유하자면누가불을끈다고

해서꺼지는불이아니라전소해야꺼지는것들”이라고말했다.

모든 악재들이 단기적 폭발성이 제거되기까지 시간을 갖고 상황을 관리할

필요성이있다는얘기이다.

39 제1장

Page 4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40

제1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김명기, 『국제법으로 본 독도 영유권』- 대일강화조약 제2조를 중심으로, 한국독립 운동사

연구 제10집, 1996. 12

2. 김명기, 『독도 영유권에 관한 일본정부 주장에 대한 법적 비판』독도 연구 총서 10, 독도

연구 보전 협회, 2003

3. 김원식, 일본의 주장을 반증한 독도 논문집, 남향문화사. 1975

4. 김학준, 『독도는 우리땅』해맞이, 2004

5. 나홍주, 『日本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국제법상 부당성』전철. 1996

6. 신용하, 『한일간 독도 영유권 논쟁 시작 관계 자료』독도연구총서7, 독도 연구 보전 협회,

2000

7. 이경전,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부당성』정훈 1978. 8

8. 이석우, 『독도 분쟁의 국제법적 이해』학영사, 2005

9. 이 훈, 『조선후기 독도의 영속시비 한·일 양국간 영토인식의 역사적 재검토』- 한일관계

사 연구회, 학술발표 요지 1996

10. 정성화, 「전후 한국과 일본의 영토분쟁의 기원」명지대학교 인문과학 연구 논총 1993

11. 함순용, 「한·일 분쟁문제의 법적고찰」법정 12권 8호 통권 199호

Page 4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2장

독도문제에 한 책

Page 4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4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독도문제에관하여, 일본인들의소유권주장은해가거듭될수록강력하여

지는경향이있다.

과거에는중의원회의에서질의, 답변하는정도였는데1996년에는이께다유

끼히코(池田行彦) 외상이공개적으로항의를제기하였으며, 1995년도의문부

성검인정교과서지침에의하여, 1996년도부터초중고등학교의지리부도에

울릉도와독도사이에한일국경선을표기함으로써, 독도를일본령으로기정

사실화하여학생들에게교육시키고있다.

그리고 1996년 2월이께다외상의망언이있은후에일본극우파들이독도

상륙을기도하였으나, 일본정부의만류에의하여무산된바도있다. 독도가일

본령이라고교육을받고자기최면에걸린일본의극우파민간인들이영토수

복을빙자하여독도에대한상륙을도모하게될것이며, 이들은우리의독도수

비대와필연적으로충돌을하게될것이다.

그러면일본정부는자국민을보호한다는구실하에독도에군함을갖다댈

것이고이에한국에서도군함을보내게될것이다. 이런모습은2005년에어업

권때문에대치된모습을보았다.

미래에는국제사법재판소도, 국내법원과같이강제적관할권을갖게될것

이다. 그때에는일본의제소에대하여응소하지않으면자동적으로패소하게

될것이다.

한국이재판에만가면전적으로패소할것이라는얘기는아니다. 그러나사

소한것도집요하게물고늘어지는일본인들의속성을감안할때, 비록현재는

국제사법재판소부탁을거부하는정책을계속고수한다고하더라도, 한편으

로는재판준비도철저히할필요가있으며, 응고의원칙이적용될수있도록

만반의태세를갖추어야만할것이며, 우리영토임을입증하는자료발굴과홍

보에열을올려야할것이다.

43 제2장

Page 4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독도에관한심도있는연구

우리나라에독도와관련감정적격분을토해놓은글은많아도정작국제적

으로인정받는학술논문은많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최근에발표한양태진의조사에따르면, 독도에관한일본측연구는한국전

쟁전단행본 7권, 학술논문 9편이던것이전후에는단행본 15권, 학술논문

30여편으로늘어난데비해, 한국측연구는전전(戰前)의경우단행본은전혀

없고전후의경우단행본7권의실적을보일뿐이다.

다행히, 1996년 2월에신용하교수를중심으로‘한국독도학회’가창립되고

1997년 1월에 역시 신용하 교수를 중심으로‘독도연구보전협회’가 창립됐으

며, 1997년5월에김명기교수를중심으로독도조사·연구학회가창립된것은

크게환영해야할일이다. 그리고최근에한국에서그러한학회들이중심이되

어한국정부의입장을뒷받침하는새로운연구들이많이나오고있는것역시

경하할일이다.

이에비해일본학자들의출판은활발하지않으며특히최근에이뤄진한국

학자들의연구에대응하지못하고있다. 또한독도전문가인임영정동국대역

사교육과명예교수의최근조사에따르면, 우리나라에선 1952년부터 2003년

까지독도와관련한논문·기고문이850여종에달한다. 역사와관련된글이

150여종, 국제법과관련된글이600여종이다. 같은기간일본에선140여종

의글이있는데대부분학술논문이다.

양적으로보면일본보다앞선다. 하지만엄밀한사료검증을통한논문이적

다는데문제가있다. 임영정교수는“독도관련지도가한장발견될때마다흥

분해각종언론·잡지에서기획한글이대부분”이라며“150여종의역사관련

논설중학술적가치가높은논문은20여편에불과하다”고말했다.

우리나라에서독도를전문으로연구하는역사학자는손으로꼽을정도, 고

(故) 이병도·신석호·이성근선생이독도관련논문을1편씩쓴바있고, 생존

한국령독도 44

Page 4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역사학자로독도에관심을지속적으로보여온이는임영정·손병기(단국

대명예교수)·이상태(국사편찬위원회연구관) 씨등이다. 역사전공은아니지

만역사학자이상으로독도문제를지속적으로제기해온학자로는신용하서

울대명예교수가손꼽힌다.

이외에 김병렬·임채청·김학준·이석우·서대구 교수 등의 업적이 있고

한일관계사연구회단행본과독도연구보전협회의독도연구총서 10권은대단

45 제2장

울릉도최고봉

성인봉(공동저자 법

타스님)

2005. 6. 6

Page 4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히값진업적으로평가된다.

최근일본의역사왜곡에대응해결성된한국사연구단체연합의김도형(연세

대교수) 대표는“역사학계에서독도관련논문이거의없는것은사실”이라며

“이를역사학자개개인의문제로돌릴것이아니라‘영토문제’를포괄하는일

종의통괄기구를정부차원에서만들필요가있다’고밝혔다.

‘독도지키기’를목적으로만든시민단체는모두 15곳, 가장활발히활동하

는단체로꼽히는‘독도수호대’의김점구사무국장은“조만간일본을방문해

독도를일본땅이라고주장하는단체들과만나직접얘기를나눠볼예정”이라

고밝혔다.

일본사람들은독도를다케시마, 곧대나무섬이라는뜻으로죽도(竹島)라고

부르며자기네땅이라고주장한다. 대나무는전혀없는데도대나무섬이라고

부른다. 한국인은 100%가 독도를 우리 땅이라고 믿는데 반해 일본 사람은

99%가자기네땅이라고주장하고 1% 정도의양심적인학자들만이독도가한

국땅임을인정한다.

독도가한국땅임을인정하는극소수의일본사람들가운데대표적인사람

이가지무라히데키(梶村秀樹) 교수이다. 한국의역사에밝은이석학은『조

선연구』1978년 9월호에발표한논문에서독도가한국땅이명백한데도일

본이자기땅이라고우기는것은침략주의적근성의발로라고비판했다. 독

도영유권에대한역사적증거수집과함께국제법적논리개발을해야하리

라고본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민간의 적절한 역할분담 및 협조체계의 구축이 시급

하다.

한국령독도 46

Page 4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한국국민의정서일본에각인

“일본은19세기와20세기에국제재판을한경험이있다. 이기기도하고지

기도했다. 이런경험은국가의큰자산일수밖에없다.”

박춘호2)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은한국과일본의국제분쟁에대

한대처방안과연구수준이큰차이가있다고지적했다.

재판소가있는독일함부르크에머물다일시귀국한그를박헌영기자가서

울계동해양수산부내그의사무실에서만났다.

-독도문제로국제재판을하게되면“일반적으로영유권에관한문제는국

제사법재판소(ICJ) 또는국제중재재판에맡긴다. 그러나독도를중심으로해

양경계획정을할수있는지또는유인도로서배타적경제수역을가질수있는

지여부가쟁점이면ITLOS도재판관할권을가진다”

-독도는한국이오랫동안점유해온땅이다. “한국측증거가역사적·법적

으로강하다. 하지만재판은당사국이증거를제출하고법논리를구축해재판

부를설득하는일이다. 고난도의기술적작업으로누구도반드시이기거나진

다고할수없다.”

-한국이독도를실효지배하고있는사실은재판에서영유권을확정지어주

는결정적조건이되지못한다. “영유권이이미확립돼있으면실효지배여부

를논할필요도없기때문이다.”

“한국은국제재판경험이전무한반면일본은네차례나있다. 이미1872년

페루선박을기소해국제중재재판소에서승소했다. ICJ의전신인국제상설재

판소(PCIT·1922~45년)와ITLOS도경험했다.”

47 제2장

2) 국내외에서해양법분야의최고전문가로꼽힌다. 서울대정치학과를거쳐영국에든버러

대에서법학박사학위를받았다.

미국하버드대에서8년간연구원으로근무한뒤고려대교수를역임했다. 1996년출범한

ITLOS 재판관에피선됐다. 9월로9년간의임기를마친다.

Page 4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본의국제법에대한인식과연구수준은“한국과비교할수없을정도로

앞섰다. 19세기말서구열강과불평등조약을많이맺은경험이일본으로하여

금국제법연구에일찍눈을뜨게했다. 국제법학회가미국보다일본에서먼저

생겼을정도다.”

-세계의도서(島嶼) 분쟁은“현재30여건이존재한다.”

-영유권분쟁의합의는“당사국이영유권동결, 공동개발, 공동주권행사

등으로합의하기도한다. 모로코와스페인은해당섬을방치하기로합의해영

유권을동결한경우다. 미국과캐나다는섬을공동개발하기로했다. 영국과스

페인은공동주권을행사하는방안을논의중이다. 지금같은한·일관계에서

는상상하기힘든해결방안들이다.”

-독도문제는해결될수있는문제가아니다. 앞으로도오랫동안지속될것

이다. 따라서계속항의만하는것은가능하지도바람직하지도않다. 한국정부

는‘국민의감정이이정도’라는사실을일본측에각인시키는정도면충분하

다고본다.

-만의하나국제재판을해야하는경우를대비해준비할것은“세계적으로

진행중이거나타결된영토분쟁에대한선례, 국제재판제도, 일본주장의법

적근거등을연구해놓아야한다. 역사적문헌등증거자료의번역은양이방

대하고쉽지않은절차이므로미리준비해둬야한다.”

3 분쟁에대한이성적인대응과홍보

일본시마네현이‘다케시마의날’을제정한이후한반도에서뿜어나오는

반일의열기는태평양건너사는동포들도느낄수있을정도로뜨거웠다.

다케시마날의제정으로한·일간에또다시격량이일고있다. 이번에는독

한국령독도 48

Page 4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도문제와교과서왜곡이겹쳐우리국민감정이비등점(沸騰點)을넘도록끓어

오르고있다. 이무렵에노무현대통령의초강경담화까지발표됐다.

이런상황속에서이성적이며현실적인사고는설자리를잃고소위말하는

“목소리큰사람이이긴다”라는감정적이며일방적사고가압도한다.

이런상황에서한때일본은독도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가져가길원했다.

한국이반대하는이유는이길자신은있지만재판이의외의결과를가져올수

도있기때문이다. 또한독도가국제사회에서분쟁지역으로공인받는것자체

를차단하기위함이다.

영토분쟁의경우예전에는전쟁이유일한해결책이었다. 근래에도1982년에

영국과아르헨티나가포크랜드군도를두고전쟁을한적이있다. 하지만독도

를두고전쟁을할정도는아니다. 국제사법재판소나전쟁을통한해결책을제

외하고나면두가지방안이남는다.

첫째는 일본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는 것이지만 기대하기가 불가능하다.

둘째는한국이실효적점유를하고있는현상을유지하면서역사적법리적논

리를전개하여분쟁으로확대되는것을방지하는것이다. 물론이경우에는일

본에서수시로영유권주장을하며이를확인하려는시도를계속할것이다. 이

럴경우묵살을하거나적절한수준에서대응하는것이최선책이다.

독도문제를감정적으로확대재생산하면한국민들의감정해소에는도움이

될지 몰라도 독도가 분쟁지역이라고 널리 홍보하고 일본의 민족주의 의식을

고취하는역효과를가져온다. 우리국민은과거의쓰라린경험때문에일본에

대해서만은어떤계기가있을때마다과격한감정표출을서슴지않았는데이

번담화로더욱격화될까우려된다. 언제까지격앙된감정만으로계속대응해

야할것인지한번쯤숨을고르고곰곰이득실을따져보는자세도필요하다고

본다.

먼저시마네현의조례제정이현(縣)과중앙정부간의계산된역할분담이고

우리가이에말려든것은아닌지생각해봐야한다. 일본정부로서는시마네현

49 제2장

Page 5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의조치가일개현의행위인만큼관여할수도없으려니와, 또한그것이정부의

대외적입장천명에는해당되지않는다고피해갈수있는도피로(逃避路)를가

지고있는셈이다.

그뿐만아니라그러한조치가한국민의감정을극도로자극할수있다는것

을계산했을개연성도있다. 실제로세계언론은시마네현의움직임그자체에

는별로관심이없다가한국내곳곳에서일장기태우기, 일본지도자화형, 단

지(斷指), 분신기도등항의규탄시위가과격해지는데초점이맞춰졌다. 이로

써일본정부는한·일간영토분쟁의존재를국제적으로크게부각시키는성

과를거두었으며역설적이지만우리는그것을돕고있는셈이되었다.

일개현의회의조치에대해국회차원에서규탄결의와특위구성까지하며

정치권이총동원되는것이국제사회에어떻게비쳐질지도한번쯤생각해봐

야할것이다.

시마네현은일본의 47개현단위지자체중하나에불과하다. 그러한현의

조례제정은원래가역사적·법적·지리적으로우리고유영토이고우리가실

효적으로지배하고있는독도지위에전혀영향을미칠수없는것인만큼우리

는좀더의연해질필요가있다.

일본인모두가역사왜곡에동조하고영토야욕을갖고있는것은아니다. 극

도로흥분된감정표출은역사와영토문제에균형잡힌입장을견지하고있는

대다수일본인마저험한감을갖게하지않으리라고보기어렵다. 더욱이한국

문화에대해애정을갖고있는많은일본인, 한류에도취돼새로이한국에대한

호감을가지고한국을잘이해하려고노력하기시작한많은일본인마저등을

돌리게해서는안된다.

마산시의회가‘대마도의날’을선포하고여러지자체가쌍방주민간의이해

와교류증진을도모하는자매결연을취소하는것또한현명한처사라고보기

어렵다. 일본학생이나청소년들에게더많은방한기회를주어한국을잘이해

시키는것이앞으로이러한일이재발하지않게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한국령독도 50

Page 5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정부와국민모두가보다현실적이고냉철한논리적접근을적극화하는것

이일본내에서나국제적으로우리입장에대한공감대를넓힐수있다고본다.

일본정치인들의망언과독도문제는패망후60여년동안한두번이아니

고수백번반복돼왔다.

한국은 이럴 때일수록 더욱 냉정하고 이성적으로 항의와 시정을 요구하는

현명함이필요하다. 또한장기적대책과연구가필요하다.

최근과열된반일여론에착잡한기분이든다. “세계지도의97%가동해를

일본해로표기하고있는데일본해사이에있는독도를다케시마라고생각하는

것은당연하다”며“유럽최대의멀티맵사이트는울릉도까지도일본것이라고

해놓았다.”

우리가정작분노해야할일은시마네현의‘다케시마의날’제정이아니라

치밀한로비를통해독도, 동해의정보를왜곡해온일본의만행, 일본측주장

이파다하게퍼져있는현재의상황이라면국제기구에중재를맡겨도한국의

승산가능성은별로없다. 100년동안분노만했을뿐시정하려는움직임은하

지않았다. 분노의에너지를항의서한보내기등실천으로옮긴다면일본도두

려워하며만행을멈췄을것이다.

한국바로알리기반크가지난7년간찾아내고친해외의한국왜곡사례는

310건에달한다. “일본과중국이정부차원에서대대적으로우리역사를파괴

하고 있다면 우리는 민간 차원에서 해외 젊은이들의 인식자체를 변화시켜야

한다.”우리스스로수정된부분이나지도를만들어세계방방곳곳에보내자.

독도에대한한국의입장을충분히인식시키려면외국언론에자주연락해

끊임없이한국의입장을말하는것이좋다. 상대인일본을비난하는표현은되

도록피하면서오직독도가왜한국땅이며, 왜다른나라가자기땅이라고말

할수없는지를차분히설명하면된다.

독도수호담당인터넷동지들도양성해야한다. 독도의실효적지배를확대

강화해나가면서보다적극적인대일영토외교를전개해야한다.

51 제2장

Page 5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4 지속적인소유권주장

한국인은일본사람들이독도를자국령으로주장할때, 갑작스레반일민족

주의가분출하다가쉽게식어버리는경향을보여왔다. 그래서‘냄비민족주의’

라는비평도들어왔다. 일본문제에대해지나치게과민하게반응하는것도성

숙한국민의자세가아니고, 또그렇게쉽게달아올랐다가쉽게식어버리는것

도성숙한국민의자세가아니다.

독도에대해꾸준히연구하고지킬것은일관되게지속적으로지켜야한다.

일본과함께2차세계대전을일으켰던독일은자신의역사적과오를진심으

로사과하고전후(戰後) 청산을명백히다짐하는하나의징표로오데르·나이

세강(the Oder-Neisse) 동쪽의그넓은비옥한땅을폴란드(Poland)에넘겨주

었다. 남한보다약간큰이땅은역사적으로독일땅이었다. 그러나독일은이

땅을폴란드에넘겨줌으로써독일이영원히패권주의를포기하며남의영토를

침략하지않겠다는국가적의사를나라안팎으로보인것이다. 이에비해, 일본

은지난날의역사적범죄를진심으로사죄하지도않고있을뿐만아니라남의

땅을넘보는제국주의적발상에여전히사로잡혀있다. 이러한일본에대해서

는계속해서경계하고경고해야할것이다.

우리의힘을확장하기위해남과북이같은목소리로일본의망언에대해규

탄하고통일로가는길을단축해야한다.

5 독도답사권장

국민들에게독도의실체와진실을널리알리는일이다. 독도여행을권장하

고독도에발을딛게하고독도가우리땅임을실감하게하자. 독도를제눈으

한국령독도 52

Page 5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로보고독도를제발로디뎠을때독도에대한애정은더욱깊어질것이다.

국민의독도여행을권장하기위해1997년11월6일이후안전하고편리한선

착장을만들고, 울릉도로부터독도까지2시간 30분만에항해할수있는정기

적인쾌속성을운항시키고있는것은적절한조치들이다. 또독도에몇몇가구

가더상주할수있도록하고, 식수원(食水源)을개발하도록하며, 자연숲이형

성되도록돕는행정을펴는것이바람직하다.

사람이살고식수가있고자연숲이있을때독도는자연섬으로서의요건을

모두갖추게되며, 또그렇게될때독도는영토의경계로인정받는자연섬으로

서명실상부하게자신의지위를확보하게된다.

이러한배경에서, 정부가 2000년 4월 8일에독도를경상북도울릉도남면

도동소속으로부터경상북도울릉군울릉읍독도리로격상시키고거기에걸맞

게새로운지번을부여한것은잘한일이다. 독도를자신의호적에등재한국민

의수가2000년9월25일현재122가구438명에이르렀다. 이것은독도를유

53 제2장

독도 경비대에 위문

품 전달(송월주 스님

이 위성수신 TV와

일용품전달).

1995

Page 5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인도로만들어야한다는국민적여망의한결과라고하겠다.

독도영유권공고화차원에서천연기념물인독도의환경보존에지장이없는

선에서입도를사실상전면허용한것은잘한일이다.

6 남북갈등의틈을탄무력도발방지

현재독도는한국이영유하고있으며, 한국이정당한권원에기초하여관할

권을행사하고있다. 한국의관할권행사범위는독도의육지부분과그에인접

한영해와그상부공간인영공, 그리고접속수역에이른다. 일본이한일어업협

정의중간수역과관련하여무리한주장을해올경우, 한국으로서는한일어업

협정제16조제2항에근거하여이협정을종료시킬수있는권한을갖고있다.

이경우, 독도인접수역에대한관할권확대를통해한국의권리와이익을보전

해나갈수있을것이다. 그리고일본의독도에대한영유권주장이단순한外

交的항의를넘어, 실력을행사할위험성이있을경우에도관할권확대를통하

여한국의이익을지켜나갈수있을것이다.

그러나문제는관할권확대에대한對抗力은기본적으로힘의요소, 즉국가

의國力을바탕으로한다는점이다. 이런시점에서국토가분단되어안타깝다.

국력이남북갈등으로분산되어서는안된다. 남북통일은평화적으로가급

적빨리해결되어야한다.

일본은가고시마현에서독도탈환작전(군사연습)을 비밀리에수행해왔다

고알려져있다.

이런점을감안할때중·장기적으로는일본의군사도발에대비해현재전·

의경1개소대로구성된독도경비대를군대인원으로전환하는한편, 군사력증

강을토대로독도방어훈련도실시하는방안도적극고려해야할것이다.

한국령독도 54

Page 5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섬의실효적점유조건의하나에‘평화적점유’가있으므로민간인이1가구

이상독도에거주하고있는것이좋다. 신한·일어업협정후독도에거주하는

민간인김성도1가구를철수시켰는데이것도잘못된정책이다. 다시원상복귀

시키거나아예특별법을제정하여독도를친환경적으로개발할필요가있다고

신용하교수는주장한다. 독도는명명백백하게한국의배타적영토이므로정

부와국민이당당하게적극적으로보전하고지켜야일본의부당한도전을물

리칠수있다.

7 한국의대응자세문제

한국정부가독도문제에관하여취해온정책을세밀히관찰하면다음몇가

지를지적해낼수있다.

첫째로한국은현실적으로독도를점유하고있다는현상(現狀)에안주(安住)

하여독도문제의근원적인해결을위해적극적으로노력하지않고오히려중

요한일이대두될때마다독도문제를회피하는경향이있어왔다.

둘째로반일(反日) 감정에고조된국민의정서(情緖) 등을고려하여대일강

경자세를취하고, 이독도문제에관하여과도하게경직된주장을벌이다가, 한

편어느경우에는일본과의극한적대립을회피하기위해서일본의주장을갑

자기대폭수용(受容)하는등일관되지않고정리되지않은대응이있었던것도

사실이다.

셋째로 부당하고 집요한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대응논리를충분히마련해놓지못하고있다는점도있다.

한국은이제더는독도(獨島) 문제를회피하기어려운때가되었다. 1996년

이래유엔해양법협약의실질적인가동과더불어당면의과제로떠오른새로

55 제2장

Page 5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운어업제도및200해리배타적경제수역제도의실시와연관해서한일양국

은좁은동해(東海)에서의해양관할권의경계를획선해야만하게되었다.

8 영토분쟁은당사국교섭을통해해결

영토분쟁은만국공범의수용과정으로풀어갔다.

근대초기의국제법은물리적힘에바탕을둔서구제국의기준이었지만시

대적제약속에서일정한조정과정을거쳐모든주권국가들이준수해야할공

동의규칙으로정착해가고있다. 즉근대초기부터발생한국가간영토문제의

처리기준은확정된내용이이미설정되어있는것이아니라지속적으로논의

와합의를해나가야하는진행형의과제로서제기되었다고볼수있다.

1965년한일협정과1998년한일어업협정의체결등에서보는바와같이한

일간에있어서거의대부분의분쟁은외교적수단, 특히交涉을통하여해결되

고있다. 그리고장래발생하는분쟁의대부분도외교적경로, 즉직접교섭을

통해해결할것을규정하고있다.3)그리고세계의많은도서영유권분쟁이분쟁

당사국간직접교섭에의해해결되는것을관련분쟁사례를통해서도확인할수

있다.4)

일본은독도문제의분쟁해결수단으로직접교섭을고려하고있다. 1953년 7

월 12일일본선박이독도인접수역에서한국의독도경비대로부터총격을받

은사건이일어났다. 이문제와관련하여일본외무장관은1953년7월14일내

각회의에서한국과直接交涉(direct negotiation)을통하여독도문제를해결

한국령독도 56

3) 1965년한일협정상분쟁해결에관한교환공문

4) 김영구, 「한일간독도영유권문제의평화적해결방안」독도연구총서3

Page 5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할모든가능성을찾으려고한다고하였다.

그리고40여년이지난1996년2월 19일일본외무장관은중의원예산위에

서‘독도문제를 ICJ에 제소할 의향은 없느냐’는 한 일본 국회의원의 질문에

대해‘ICJ에제소할생각은없다’고말하면서, 독도문제의구체적인해결책에

대해서는‘냉정한 협의를 통해 적절한 해결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하였다.6)

그러나한국은 1996년 2월 20일한국외무장관(당시孔魯明)이기자회견에서

밝힌바와같이, ‘독도에대해정부는누차밝힌대로역사적, 국제법적으로한

국의고유영토이며, 한국정부는독도에대해실효적으로영유하고있고관할

권을행사하고있다. 독도는어떤교섭의대상도될수없다’는입장을견지하

고있다.7)

따라서독도에대해정당한영유권을갖고있는한국은, 교섭이분쟁해결의

기본적방법이긴하지만신중을기해야하며, 다음과같은점을고려해야할것

이다. 첫째, 해양문제에관한교섭이든영유권문제에관한교섭이든, 한국이주

의해야할것은독도가한국의영토라는사실이훼손되지않도록해야한다. 이

를위해서는영유권문제와해양문제를분리하여다루는것에대해주의를기

울여야할것이다.

둘째, 독도의기점사용에대해분명한정책과의지를가져야한다. 독도가해

양경계획정의기점이되느냐하는문제와관련해서는명확한규칙이없다. 대

개의경우, 일반적으로당사국간협의를통하여심각하게불균형적인경계선

을이루지않은경우에기점으로인정받고있다. 따라서한국은해양경계획정

시독도와일본의은기도를기점으로경계를획정하도록분명한정책과의지

를가져야할것이다.

셋째, 교섭과정에서작용되는국내·외적요인을신중히고려해야한다. 분

57 제2장

5) 연합뉴스 1996. 2. 20

6) 연합뉴스 1996. 2. 20

Page 5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쟁해결을위한교섭과정은일차적으로그것이상대국과의외교적인문제임에

도불구하고다양한국내·외적요인들이복합적으로작용하게되어매우역

동적인형태를띄게된다.8)그러므로분쟁당사국은국제적인규범속에서대외

적으로분쟁상대국과타협점을모색하면서, 동시에국내적으로국민혹은민

간부문의합의와동의를구하는작업을하지않으면안된다.

넷째, 한일관계는물론국제사회의평화와안전이위협받지않도록해야한

다. 영유권문제해결을위해시도되었던교섭의실패가오히려문제를악화시

키는역효과를낳기도한다. 그리고한일양국간과거역사적사실에대한역사

적동질감이나공통된국제법적평가가전제되지않은상태에서시도되는독

도문제해결을 위한 교섭은 오히려 문제를 복잡하게 하거나 국민들을 자극할

우려가있다.

제2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金九鎭, 「獨島에 대한 韓日분쟁과 대응책」안전보장 76호 1977

2. 김영구, 「한일간 독도 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안」독도연구총서 3, 독도연구보전협회,

1998

한국령독도 58

7) 엄태식, 이동윤, 한일어업협상과정의역동적분석: strategy 21 제3권제1호P.63

Page 5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3장

국제사법재판소

Page 6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6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영토취득판정기준

영토취득의방법에대하여, 국제사법재판소의최근판례들을검토해볼때,

현재독도의영유권분쟁의해결은다음과같은세가지유형으로나누어서생

각해볼수있다.

첫째, 역사증거의상대적힘에의해해결되는경우,

둘째,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해석이중점이되는경우,

셋째, 최근의실효적점유의요건에중점을두는경우가그것이다.

첫번째의경우에있어서는역사학자들과연계하여과거로부터현재에이르

기까지증거들을수집하고정리하는데많은준비를하여야할것이다. 그러나

앞서언급하였듯이ICJ(국제재판소)가제출된증거들을검토하는경우일반적

으로오래된여러불확실한증거들보다최근의매우확실한증거를상대적으

로중요하게평가하고이에의존하는경향이많으므로, 오래된고문서보다는

61 제3장

독도동도의해양경

찰대경비소건물신

축중 1995. 2

Page 6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상대적으로명확한근대의증거에초점을맞추는것이중요할것이다. 특히일

본학계에서우리의역사적증거에기초한주장들에대하여많은반론을제기

하고있는현실에서이에대한재반론및확실한입장정리가필요할것으로

보인다.

두번째의경우에 있어서는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해석문제가핵심적으

로부각될가능성이있다. 이는최근의 ICJ의판결이보여주고있는특징이기

도하다. 특히카타르-바레인사건및나이지리아-카메룬사건의경우에서도

과거식민지국혹은보호령의상태에있었던국가들의경우관련제국주의국

가혹은보호국의입장을보여주는문서(협약)가결정적으로영향을미쳤다는

점을살펴볼수있었다. 독도의경우에도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해석을통

하여그영유권문제를결정한다고하는것은국민감정에도다소맞지않는다

고여겨진다. 그러나최근의경향들을살펴볼때, 혹시ICJ에서이에대한해석

이중심이되는경우, 이에대한대비는반드시필요한것이다.

셋째, 실효적점유의요건에중점을두는경우가있을수있다. 이경우물론

과거의국가권한의실효적행사도중요하지만현재한국이독도를실효적으로

점유하고있다는사실또한우리에게가장중요한점이아닌가생각된다. 즉분

쟁당국이각각오랜과거의증거로부터실효적권한의행사를주장하는경우

가있을수있으며, 이러한경우ICJ는과거의실효적권한행사를통하여어느

일방의주장만을인정하기어려울수있다. 만약에양쪽이주장하는실효적권

한의행사를바탕으로 ICJ가어느일국의주장만을받아들일수없는경우안

정성(stability)의측면에서우리나라에의한50여년동안의실효적점유와현

재까지이루어지는국가권한의행사를완전히배제할수는없을것으로여겨

진다.

독도와관련하여양국간심각한분쟁이발생하지않는경우, 계속적으로실

효적점유를하고이러한상황이더욱오랜기간이어진다면어느순간그영유

권은확정된것으로인정받을가능성이있다. 실효적으로점유하고있는국가

한국령독도 62

Page 6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의영토적안정성(stability)이우선적으로고려될수있을것이다. 따라서이러

한상황을인정하기위한이론의구축도필요한것으로여겨진다.

2 국제사법재판소제소에대해

국제적인분쟁을사법적으로해결하기위하여국제사법재판소(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I.C.J)를두고있다. 국제사법재판소는각국가에서최고법

관의자격이있는자또는권위있는국제법학자로서의자격요건을갖춘15명

의판사로구성되어있는데판사의임기는9년이고총회및안전보장이사회의

표결에의하여매3년마다5명씩갱신된다. 재선도가능하다. 물론동일국적

인이2인이상선임될수는없다.

사건당사국이법원내에자국의국적을가진판사를가지고있지못한경우

당해사건에한하여임시로판사를선임할수있다. 이를국적판사혹은임시

판사(ad hoc judge)라고하는데당사국이원할경우다른나라의사람을선임

할수도있다.

법정은원칙적으로판사전원출석으로개정되는데9명이상의판사가출석

하면유효한재판이된다.

이러한국제사법재판소는법원규약에의하여강제적관할권을수락하지않

는한당사자가법원에사건의해결을부탁하기로합의하여야만사건을심사

할수있게되어있다. 그러나우리는일본이원해도응할필요가없다.

독도는역사적·국제법적·실효적점유에서명백하게대한민국의영토이기

때문이다. 한국은현재독도에대해‘실제영유권’을갖고있고일본은독도영

유권을‘주장’하고있다. ‘실제영유권의소유’와‘주장’사이에는천양지차가

있다. 따라서한국과일본사이에사실은‘독도영유권분쟁’은없다. ‘독도영유

63 제3장

Page 6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권논쟁’이있을뿐이다.

1954년부터일본은독도영유권논쟁을시작한이래, 국제사법재판소에가서

독도영유권을재판받고자제의한바있다. 국제법상연합국기관인‘연합국최

고사령부’가1946년독도의영유권에대해서한국영토로판정, 독도를주한미

군정에반환했고, 1948년 8월 15일에는대한민국이수립되자독도를즉각인

수하여대한민국영토로서통치하면서1948년12월12일국제연합으로부터국

제사회의합법적주권국가로승인받아당시의영토(독도포함)에대한통치권

을국제연합에서공인받았다.

그러므로대일본강화조약본문에‘독도’이름이한국영토와일본영토모두

에서누락되어있다할지라도, 그내부부수문서인「연합국의구일본영토처

리에관한합의서」(1950년)와「연합국최고사령부지령제677호」(1946년) 등에

의하여독도는국제법상명백하게한국영토임이판정된것이다.

따라서 독도는 역사적으로나국제법상으로명백하게 대한민국의고유영토

이기때문에이미판정받은한국영토를또판정해달라고국제사법재판소에

가야할필요가없는것이다.

다시말해서국제사법재판소에회부될사안이아니다. 이유는다음과같다.

첫째, 우리나라가독도영유권문제에대하여분쟁이있음을스스로인정하

는결과가되기때문이다. 우리정부는독도에관한영유권분쟁은없다는일관

된입장을견지하고있다. 국제사법재판소에분쟁을회부하는것은분쟁당사

국이상호합의할경우에만이루어질수있는데, 독도영유권을국제사법재판

소에분쟁을회부한다면, 우리나라가독도영유권문제에대하여분쟁이있음

을스스로인정하는결과가된다.

둘째, 독도는우리땅이다. 그런데재판을통해우리땅임을인정받을이유가

없다. 독도영유권은역사적사실과현재의실효적점유가어느국가에의하여

이루어지고있느냐에따라판단할문제인만큼, 재판소의법적판단으로해결

할수있는사안이아니다. 즉, 독도는처음부터지금까지우리의고유한영토

한국령독도 64

Page 6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고, 독도문제는국제사법재판소에회부될사안이아닌것이다. 입장을바꿔

대마도가우리한국의영토이기때문에국제사법재판소에가서그귀속을따

지자고하면일본은이에응하겠느냐는논리이다.

사실대마도가우리영토라고주장하는학자들도많이있다. 예컨대필자가존경

하는양태진선생같은분은, 대마도가역사적으로나지리적으로우리영토에속하

기때문에, 대마도에대한영유권을공식적으로제기해야한다고주장하고있다.

그러나이문제는본서의범위를벗어나는사항이기때문에다음기회로미룬다.

도서(島嶼)의영유권문제가쉽게국제사법재판소에회부될수없다는사례

는일본과중국과의영유권분쟁이되고있는센까쿠열도에서도그예를찾을

수있다. 이열도는현재일본이점유하고중국이영유권을주장하고있으나어

느일방도국제사법재판소에회부하자는주장을하지않고있다.

셋째, 한국은현존하는국제사법기관을불신하고있기때문이다. 무슨말인

가하면독도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제소할경우‘실효적점유’문제를판결

의가장중요한기준으로삼을것인바, 만에하나판사들이1905년의시마네

현편입을실효적점유의근거로삼을위험이있기때문이다. 우리가생각할때

는그런제국주의적인발상이어디에있는가라면서펄쩍뛸일이지만기실국

제사법재판소의판사들이소속된국가가과거의제국주의국가들이기때문에

이를전혀도외시할수도없는일이다. 더구나일본의오다시게루판사가국제

사법재판소의부소장직을역임하고있기때문에이러한제국주의적인판결의

우려를등한시할수없다.

3 국제재판을받아야하나

국제분쟁을국제재판에부탁하는것은국제사회에‘법의지배(rule of law)’를

65 제3장

Page 6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실현하자는것이다. ‘법의지배’는다음과같은경우에존재한다고생각된다.

첫째, 정의와인간의위신에대한존경이있어야한다.

둘째, 입법기관이형성되어그법령은설사부당하더라도복종되어야한다.

셋째, 당국에의하여제정된법령은사법기관에의하여성실하게실시되어

야한다.

넷째, 권력의남용으로부터피해자를보호하는독립의사법기관이상시있

어야한다.

허나오늘의국제사회는‘법의지배’와는대단히거리가먼시대에임하고

있다. 그러므로이러한상황밑에서이른바‘실정법’이라고하는것이정당치

않고, 또바로그러한실정법에의한사법적결정이외에다른해결방법이있다

면폭력에의호소를보게될것이다.

목표는어떻게해서라도실정법을유지하는가장효과적인방법을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이국제‘평화’를유지하는가장효과적인방법을모색하는것이

다. 정의가실정법에의하여이루어질수있다는것을부인하지는않으나. 실정

법이반드시정의와일치하는것이라고는볼수없다.

주지하는바와같이국내사회의분쟁은이것을해결하기위한정치적·사회

적및법적기구가거의완벽에가까우리만큼정비되어있으므로특별한경우

를제외하고는이러한기구를통하여분쟁이평화적으로해결되어가고있다.

그러나국제분쟁이꼭정의편에서는것은아니다. 따라서우리땅독도소유

권을국제재판소에가지고가는것은필요없는일이다. 그렇다고국제재판에

대한한국의태도가반드시적대적이라고할수있는것은아니다.

그예로서한국은한일협정중‘어업협정’(제9조)과‘재산및청구권에관한

문제의해결과경제협력에관한협정’(제3조)에서는중재재판을수락하였으

며, 일찍이‘한미우호통상항해조약’(제24조)에서는 ICJ에의한사법적해결의

의무를지고있다.

한국령독도 66

Page 6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4 국제사법재판소의판례

지금까지의국제사법재판소의판례를살펴보면, 20세기말까지세계에서대

국의압력에좌우되지않을만큼‘확립된권위’를가진국제법관행이라고하

는것은찾아보기어렵다.

예로부터국제법영역에는국내법에서의헌법등과같은성문법체계가없

다는데도이유가있다. 또판결이났다하여도판결대로실행되지않는경우에

도ICJ는어떠한강제력도없기때문에그만한비난이나보복을각오하면판결

에따르지않아도자유롭다는것이다.

또, 종래에나지금도국제사법재판소의재판관은대부분이백인이고그것도

선진국에속한사람이다. 물론재판관은직접국적에구속되지는않지만, 경험

적으로보아그가치관의체계가완전히중립적인것은아니었다. 지금의 ICJ

구성원은 대부분 제국주의적인 냄새가 난다. 그동안 국제사법재판소의 판례

중우리의영토독도사건과아주유사한것으로1953년에판결된영국·프랑

스간의‘만키에및에크레호군도사건’이라는것이있다.

만키에및에크레호군도라고하는것은프랑스의노르만디반도에서좀떨

어진무인(無人) 암초군으로옛날에는노르만디족의지배하에있었지만, 13세

기의영·프간조약으로애초노르만디공의소령(所領)은전부프랑스로권리

가이전되는것으로규정되었는데, 이섬의이름은명시되지않았다.

따라서프랑스측은당연히프랑스령으로생각해오면서어떠한행정적조

치도취하고있지않던사이에19세기에이르러, 그어업적가치를인정하였던

영국인이이용하기시작하여, 영국이종종행정조치를꾀하여왔다.

ICJ는프랑스의역사적정통성주장보다도영국의상세한19세기이후의실

질적점유의예증을중시하고, 프랑스가이들에게어떠한항의도하지않았음

을영유권의방치로간주하여영국에게승소판결을내렸던것이다. 이러한판

례에따라한국이영유권유지를소홀히한것으로보고일본의손을들어줄위

67 제3장

Page 6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험성도있다고볼수있다.

또한ICJ가취급하였던유일한아시아사건인타이와구캄보디아간의프레

보이헬사원사건은강자의손을들어준판례로볼수있다. 1904년에타이왕

국이당시의프랑스령인인도차이나와국경확정조약을맺을당시조약문구

상에는타이측에있는분수령의이사원은타이령으로되었지만, 타이왕의위

임으로부도(付圖)를 작성하였던프랑스군인이고의인지우연인지캄보디아

령에넣어버렸기때문에후에분쟁이일어났다.

ICJ는타이왕이부도를정정하도록하지않은채뒷날스스로복사하여배

포하였다는점을근거로타이측이부도를묵인하였다고취급하여, 캄보디아에

게승소판결을내렸다. 타이측에서는조약문구에정확히기재되어있었던것

이기때문에문제가되지않으며, 영유권에영향을주지않을지도라고생각하

여배부하였을지모르지만, 달리말해서스스로지도의잘못을정정할능력도

없는나라는벌을받아마땅하다는것이ICJ의견해였다.

따라서판결은캄보디아령으로인정하고말았다. 조약문보다지도를더중

시한판례는지금까지의판례를뒤집은결과이다. 그래서제국주의적성격을

보인ICJ는동양적인감각에는맞지않는것으로본다.

5 독도영유권을국제재판소에제소할경우승소율(勝訴率)

서울대신용하명예교수의글에서발췌해보자.

일본정부는한국정부에보내온1954년9월25일자구술서에서‘독도[죽도]’

문제는국제법의기본적원리해석을포함한‘영유권분쟁’이므로‘분쟁의평화

적해결’을위해국제사법재판소에그최종결정을위임하자고제안해왔다.

국제사법재판은국내법과는달리상대국가가위임을승락하여응소하지않

한국령독도 68

Page 6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으면안건이성립되지않는다.

대한민국정부는1954년 10월 28일자로일본정부에보낸구술서에서, 대한

민국이‘독도영유권’을갖고있음은논란의여지도없는것이라고하면서일본

정부의제의를단호하게거부하여응소하지않았다.

당시대한민국정부의입장은‘독도’는‘울릉도’의부속도서로서‘울릉도’

가한국영토임과똑같이‘독도’도한국영토이며, 이사실은SCAPIN 제677호

가국제법상법인보장해주었다고판단했으며, 일본이‘독도’를일본영토라고

주장해오는것은‘논쟁’을걸어오는‘주장’일뿐이지, 독도에대해일본은영

유권이전혀없으므로‘독도영유권영토분쟁’은없다는단호한입장이었다.

일본정부는제국주의가1905년1~2월에한국영토인‘독도’를‘무주지’라고

주장하면서일시침탈한경험이있다. 또한1951년의연합국‘대(對) 일본강화

조약’의초안작성때에도제1차미국초안부터제5차미국초안까지‘독도는

한국영토’임을 명문으로 기록한 것을 로비활동으로 제6차 미국 초안에서는

‘독도는한국영토’라는기록을지워버리고독도를일본영토에포함시키는조

약문초안을작성하는데성공한경험이있으며, 로비를통해미국을일본을위

해서일하도록조종하는데성공한경험이있다. 일본정부는국제재판은국력

과담합에의해결정되는것이지진실추구는그다음이라고생각하고행동하

여성공한경험이축적되어있다.

국제사법재판소의15인판사중의1인은일본인판사가배속되어있으며, 일

본정부는국제사법재판소운영비용의큰몫을내고있고, 로비활동에관한한

세계최강의자신이있다. 그러므로‘독도’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가져갈

수만있다면, ‘진실’이대한민국편에있다고할지라도, 최종재판의승리는일

본것으로만들어낼수있다는자신을갖고있는것으로관찰된다.

그러나대한민국의입장은일본과전혀다르다. 일본이‘울릉도’를일본영토

라고주장하면서국제사법재판소에제소했다고해서응소해서는안되는것과

똑같이울릉도의부속도서인‘독도’를이미연합국최고사령부가1946년에국

69 제3장

Page 7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법상합법적으로한국영토라고판정재확인까지해주었는데, 이미국제법

상합법적한국영토인‘독도’를국제재판의도마위에다시올려놓아서는절대

로안되는것이다.

독도에대해서도‘영유권분쟁’은없고, 독도는울릉도와똑같이한국영토이

다. 이것은움직일수없는‘진실’이다.

6 국제사법재판소의결정적기일8)

독도문제가미래에사법적해결의대상이되었다고가정할때결정적기일

(Critical Date)을언제로하느냐하는문제가제기될것이다. 이러한결정적기

일이후에행한실효적점유에해당하는조치는법정에서인정되지않기때문

에이는대단히중요한문제가될수있다.

그렇다면독도문제에있어서는과연어느시점이가장타당한결정적기일

이된다고볼수있는가를김병렬著『독도논쟁』241면과245면에서옮겨보자.

첫째는안용복이일본에가서호끼슈태수에게독도의영유권을주

장한 1696년이다. 이렇게될경우한국이주장하는것처럼안용복이

과연독도에대한영유권까지주장했느냐, 당시일본막부가울릉도

에대한영유권을포기할때독도까지포함되었느냐아니냐가문제가

될뿐그이후의일체의행위는증거로서의가치를상실하게되기때

문이다.

둘째는일본이시마네현고시로써독도를선점하였다고주장하는

1905년2월22일이다. 그러나이편입조치자체가선점에관한국제

한국령독도 70

8) 본항은김병렬교수의『독도논쟁』

Page 7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법의실정적규범에비추어보나또그당시의양국간의특수한정치

적배경에비추어보나도저히정당화될수없는것이므로이시점을

결정적기일로보는것은반드시타당하지못하다. 이시기를결정적

기일로본다면이시기이전에독도가임자없는땅이었는가, 일본의

시마네현고시가선점방식으로정당한것인가, 한국의무항의가일

본의시마네현고시를묵시적으로인정한것인가등이중요한쟁점이

되기때문에이에대한철저한대비가필요할것이다.

셋째는대일강화조약이체결된1951년9월8일을생각할수있다.

대일강화조약제 2조의“일본국은한국의독립을인정하고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를포함하는한국에대한모든권리, 권원및청구권을

포기한다.”는규정에대한양국의해석이상충하기때문이다.

한국측은이조항에서독도를일본에귀속시킨다는적극적인언급

이없는것은, 카이로선언, 포츠담선언및연합국이일본점령통치

중에행한연합국최고사령부지령제677호를포함한일련의조치에

의하여이미일본으로부터분리가확정된상태를확인한것이라고해

석하는데반하여일본측은이조항에서독도에관한명문규정이없

는것이이섬이한국에포함되어있지않기때문이라고해석하고있

는것이다.

그러나대일강화조약이영토문제에관하여최종적결정을하는것이

아니고이조약의체결이전에결정되니일본영토처리문제를확인하

는데그친것이기때문에이조약의체결시점을결정적기일로보는것

도타당하다고할수없다.

넷째로는 1952년 1월 18일에한국이‘인접해양의주권에대한이

승만대통령선언’을선포한데에대하여일본이항의각서를제출한

1952년1월28일을생각해볼수있다. 일본은이일자를결정적기일

이라고주장하면서이일자이후에한국이이섬에대하여행한일체

71 제3장

Page 7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의조치가이분쟁의법적해결에영향을미치는증거로서고려될수

없다고말하고있다.

그러나일본의이러한외교적항의만으로독도문제가한일양국간

의구체적인분쟁으로결정화(結晶化) 되었다고는볼수없다. 법원에

서이일자를결정적기일로택할가능성을전혀배제할수만은없는

바이일자를결정적기일로정한다고하더라도영·불간의망끼에및

에크레오섬사건에서판시한것처럼그이후의행위라도그것이당사

자의법적지위를개선할목적으로한것이아니라국가활동의계속적

인전개로서일관성이있게한것이한증거로써채택될수있다는점

을고려하여이에대한대비를계획적으로철저히하여야할것이다.

다섯째로일본측이독도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부탁할것을한

국측에제의해온1954년7월25일을생각할수있다. 한국의독도에

대한주권에대하여일본이단순한외교적인절충이나항의가아니고

정식으로 이 문제를 법적 분쟁으로 인정하고 사법적 해결에 부탁할

것을제의해왔다는사실은이문제의구체적분쟁으로의결정화(結

晶化)라고볼수있기때문이다.

만약이일자를결정적기일로한다면그이전에쌍방이이섬에대

하여취한모든조치는당연히증거로서채택될것이며, 또그이후의

행위라도그것이당사자의법적지위를개선할목적으로한것이아

니라면증거로서고려될수있는바이에대한주장의준비가필요하

다고할수있다.

여섯째로 한일 양국이 중재 재판 또는 사법적 해결에 부탁하기로

합의하는일자를생각할수있다. 만일이러한합의의성립을가정한

다면그일자야말로이섬의주권에관한쌍방의주장이완전히하나

의구체적인분쟁으로서결정화된시점이라고볼수있을것이다.

그렇게되는경우이일자이전에이섬에대해취해진모든주권행

한국령독도 72

Page 7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사는당연히증거로서고려된다. 여기에서우리는일본이틈만나면

독도에주둔하고있는경비대를철수하고시설물을철거하라는주장

을하는이유를짐작하게된다. 바로한국의실효적점유에관한항의

를제가함으로써법원에서이를증거로채택하지못하게하려는간교

한술수인것이다.

따라서미래에사법적해결에부탁하기로합의하는일자를결정적

기일로정하는것이한국측에는가장유리하다고볼수있지만이경

우에도일본이매번항의를제기하였다고하면서한국의실효적점유

를부인하는데대한완벽한대응책이모색되어야만할것이다.

73 제3장

제3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金奎昇, 「國際法上 韓日間 獨島紛爭에 관한 연구」, 건국대 碩士學位論文, 1987.

2. 金大明, 「國際法上 獨島의 地位」, 大邱大碩士學論文, 1992.

3. 金明基, 「國際法上 獨島의 領有權」, 고시계 259, 1978.

4. 金明基, 「獨島의 領有權間題에 관한 國際司法裁判所의 管轄權」, 立法調査月報, 267, 1979.

5. 金明基, 「獨島와 國際法」華學社, 1987.

6. 金明基, 「獨島間題에 대한 國際司法裁判所의 管轄權에 關한 연구」, 國際法學會論叢,

27-2, 1982.

7. 朴庚來, 「獨島, 歷史上·國際法上의 연구」, 國會保 35-3, 1964.

8. 박관숙, 「獨島의 法的地位 - 國際法上의 記錄」, 國際法學會論叢 1, 1956.

9. 박관숙, 「獨島의 國際法上 地位, 사상계」85, 1960.

10. 박관숙, 「領土取得에 關한 國際法的 연구」, 국제관계연구1권 1호, 1970.

11. 申東旭, 「독도와 국제재판」, 지양(之陽) 신기석(申基碩)박사 회갑기념 학술논문집

편찬위원회 편, 『지양 신기석박사 회갑기념 학술논문집』, 서울, 삼화인쇄주식회사, 1968.

12. 이석우, 『독도논쟁의 국제법적 이해』, 학영사, 2005.

13. 이한기, 「Critical Date의 연구, 國際法 學論叢」- 유진오박사 회갑기념논문집, 第11권,

제1호, 1966.

14. 이한기, 『國際분쟁과 재판』, 서울大學校「法學」第10卷 1권, 1968.

15. 이한기, 「독도분쟁과 재판」, 독도연구총서10, 독도연구보전협회, 2003.

Page 7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7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4장

독도관리와수호

Page 7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7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학술조사와평화선

1945년 8월15일, 광복과함께주권을되찾은대한민국은 1947년한국산악

회가중심이되어생물, 지리등에관한학술조사를실시하였고, 1951년9월8일

에전승연합국과패전일본사이에평화조약이체결됐다.

이평화조약이예정대로발효하게되면일본은미국의점령통치에서벗어

나주권을회복하도록되어있었다. 이렇게되면우선한국근해의어장을보호

해주던Mac Arthur Line(맥아더라인)이당연히철폐되게되어있었다. 한국

정부는이점을중시하게됐다.

Mac Arthur Line이철폐된다면한국의어장보호와어업발전은매우어려

워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평화조약이 발표한 뒤에도 Mac

Arthur Line이유지된다는취지를조약에명기해줄것을미국정부에요청했

으나받아들여지지않았다.

77 제4장

대한민국의

동쪽땅끝

2006. 3. 10

Page 7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에따라한국정부는자구책(自救策)을마련하기시작했으니, 그것이바로

평화선선포였다(1952년 1월18일). 이선언을통해한국정부는한국의인접해

양에대해주권을행사할것임을밝혔다. 한국의인접해양의자연자원, 광물,

수산물등을보호하고보존하며이용하려는데에있다. 또한어민과어업을보

호하려는데그뜻이있음을설명하면서, 한국의주권이행사되는범위를설정

한외곽선을평화선이라고불렀다.

이대목에서반드시기억해야할것은한국정부가독도를이선안에포함시

켰음은물론한국의영토임을당당히밝혔다는사실이다. 일본정부는평화선

에약이올라 1952년 7월13일에이른바ABC선의설정을발표했다. 해상보안

청순시구역이라는이른바 ABC선의안에독도는물론제주도까지포함시킨

것이다.

말하자면, 한국의 평화선에 대항하겠다는 뜻이었다. 국제연합군 총사령관

Mark Clark 대장은공산오열의잠입을막고전시밀수품의해상침투를봉쇄

하기위해한반도주변에해상방위수역을선포했다. 이른바Clark Line이선

포된것이다.

독도는물론이클라크라인안에포함됐다. 이클라크라인은한국의평화선

과거의비슷하게그어져한국은유리한입장에서게된반면일본의ABC선을

사실상무효화시켜일본은상대적으로불리한입장에서게됐다. 그래서일본

은이선도강력히부인했다.

2 독도폭격사건과위령비

1948년6월14일, 아직대한민국의정부도수립되어있지않은시대상황이었

지만, 제헌국회(제11차 본회의)에서는독도폭격문제를긴급동의로다루었다.

한국령독도 78

Page 7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헌국회는다수결로독도폭격사건을외무국방위원회에서처리토록넘기자는

의견이채택되어토론을종결하였다. 그후외무국방위원회에서어떻게처리되

었는지는알수없다.

1948년 6월29일미군당국은중앙청공보부를통해‘피해조사가완료되었

으니배상하러독도로출발하였다’는아주간단한발표만전하였다.

1948년 6월독도폭격사건은당시온국민에게큰충격을안겨준사건이며

결코묻혀질수없는사건임에도불구하고사건발생상황, 피해규모, 배상정도,

책임자처벌등사건의진상이사건발생후반세기가지났지만여전히제대로

규명되지않고있다.

독도폭격사건에대한진상규명은폭격당시생존자들의사망과사건자료에

대한접근제한으로인한진상규명의어려움, 재발방지및독도의영유권강화

라는측면, 그리고무참히희생된양민들의명예회복및그와관련된인간존엄

성확인이라는측면을고려해볼때, 독도폭격사건에대한진상조사는국가지

79 제4장

독도조난어민위령비

1950. 6. 8,

2005. 8. 15. 재건

립)

Page 8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원하에서이루어지는것이바람직하다고생각된다.

1948년6월8일선량한30여명의독도어민중16명이사망하고6명이중경

상을입었다. 즉 이들어민들이독도에피를뿌린지 3년이지난 1951년 6월

8일경상북도지사(조재천)의참석하에독도조난어민위령비를건립하고위령

재를 지내게 되었다. 당시 희생자는 30여 척의 배가 파손 되었기 때문에

150~320명정도라고생존자는말한다.

독도의동도가마주보이는서도자갈밭위쪽에위령비를세웠다. 그날바람

과파도가심한데도불구하고위령제는도지사를비롯하여많은울릉도주민

들의참석하에이루어졌다.

그러나위령비는일본측상륙자에의해파괴되었다. 이내동댕이쳐진위령

비가후에독도의용수비대(대장홍순칠)에의해건져졌으나, 이미위령비의모

서리군데군데가달아나고뒷면에새긴글들을알아볼수없게되었다. 조난당

한어민들을추모하고자했던비석마저조난을당하게되었던것이다. 이위령

비는1953년6월25일, 27일, 28일3차에걸쳐일본인의독도불법상륙에의해

파괴되었고, 이들은미국기를도용해배에달고독도에침입, 일본영유표시까

지해놓았다.

이에1953년7월8일 대한민국국회제19차본회의에서결의문을채택하였

고, 그이후인 7월 10일에는경상북도도의회에서도정부건의문을결의독도

수호를위한단호한조치를촉구하였다.

1952년당시미공군의독도폭격연습지지정해제와관련된한일양국의법

적지위, 그리고폭격연습이이루어진상황, 안전한항행을요구했음에도불구

하고학술조사단의독도입도에맞추어폭격이이루어진이유등그사건의진

상이제대로규명되어있지않다.

1952년9월제2차학술조사단은당시폭격으로인하여‘동도와서도가많이

분모되었으며동도의분화구의1각은완전히파괴되었음을확인’하였음을증

언하였다(동아일보, 1952년9월28일).

한국령독도 80

Page 8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3 독도관리

한국은대일강화조약의체결에앞서이미1948년8월에독립을하여사실상

독도의관리를회복한후현재에이르고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일본측은

1953년 7월13일자의「죽도에관한일본정부의견해」에서독도가일본영토의

일부라는 것은 강화조약의 주요 조인국인 미국에 의하여서도 당연히 그렇게

생각되고있다고주장하면서, 그근거로써다음과같은사실을내세우고있다.

즉「죽도는1952년2월28일에조인된미일안전보장조약의제3조에의한행정

협정」에따라합동위원회에서 1952년 7월26일에미일(美日)의대표간에체결

된「군용지사용을위한편의및지역에관한협정」에서독도가일본에포함된

다는전제하에미국안전군을위한연습기지의하나로서선정되었다.

그후에1953년5월19일자로미일합동위원회의소위원회는연습기지로부터

죽도를제외할것을결정하였으며틀림없이이조치는독도가일본영토의일

부라는사실에기초를둔거다라는것이다.

그러나이런견해는일본의일방적인그리고희망적인것에불과하다. 최근

에발견된자료에의하면미국방부가한국정부의승인을얻어독도를미공군

폭격연습장으로사용한사실이최근비밀해제된미정부문서에서확인됐다.

그동안미군이독도를폭격연습장으로사용했다는것은알려져있었지만미

국이 독도를 사용하기 위해 한국정부의 승인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일본이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 독도가 한국영토로

명기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독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하고 국제사법재판소

(ICJ)에독도문제를회부하려는움직임에제동이걸릴것으로전망된다.

미국립기록조사국(NARA) 비밀해제문서들에따르면지난51년당시미육

군사령부는장면국무총리와국방부장관, 내무부장관등에게‘리앙쿠트록스

(Lian-court Rocks) 독도’를미공군이 24시간폭격연습장으로사용할권한

을한국정부가승인해줄것을요청했으며, 리앙쿠트록스지명도‘독도(Dokdo

81 제4장

Page 8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Island)’라고분명히명기했다.

또한국정부는미정부의요구를받아들여연습장으로사용할수있는권한

을승인했으며, 이후미국방부는53년2월27일자로독도를더이상폭격연습

장으로사용하지않겠다는결정을한국정부와미외무부에전달했다.

이는51년9월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체결후에도미국이독도를한국영토

라고인정한객관적인증거로일본의독도영유권주장이억지라는것을다시

한번확인하는의미있는자료라고평가된다.

한편일본은2차대전종전후승전국과일본이맺은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에서한국영토를규정하는항목에독도에대한조항이없기때문에독도가일

본땅이라고주장해왔다.10)또한 1950년 6월한국전쟁이일어나자유엔국과

미국태평양공군사령관은‘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 Kore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을설정하여한국영토의상공방어구역을정해서현재까

지사용하고있는데, KADIZ 안에독도를포함시켜독도를한국영토로방어하

한국령독도 82

독도 관리인이 준비

한 방명록에 서명하

는 송월주 총무원장

스님과법타스님

1995. 2

Page 8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고있다. 유엔군공군은독도를한국영토로판정하여독도상공을KADIZ 안

에포함시키고있는것이다.

이사실은유엔군공군도독도를한국영토로지키고있음을명백하게나타

내는것이다. 한국은 1982년 국가지정천연기념물제336호로선정하여독도

해조류번식지로했다. 다시1999년에독도해조류번식지를독도천연보호구

역으로변경했다.

2000년 4월 7일에는행정구역명칭및지번변경을했다. 경찰청은21억원

을들여독도경비대의낡은청사를현대적시설로고치는리모델링작업을 준

비하고있다고2005년6월2일밝혔다.

경찰청관계자는“경비대원들의숙소와헬기장, 발전시설등청사전체에대

한2개월여간설계조사를한뒤시공사를선정해필요한부분을고칠예정이

며독도가천연보호구역인만큼친환경설계에신경을쓸것”이라고말했다.

독도경비대청사는 1977년에만들어진후 1991년현재규모로증축됐으며,

1997년8월개보수된바있다.

4. 일본의독도침탈야욕

1998년 11월, 일본해상자위대는항공자위대및육상자위대와합동으로‘독

도’를무력접수하는해상훈련을비밀리에‘이오지마’에서실시했음을, 거의1

년후인1999년에일본신문이알고보도했다.

또한 1999년에는일본인들의호적을‘독도[죽도]’에옮겨등재했다. 이것을

호적대장에등재시켜준행위는일본정부의행정행위이다. 호적이전을신청

한부분까지는일본국민민간인의행동이지만, 이것을접수하여호적을옮겨

등재시켜준행정행위는일본정부의행동으로서, 후에일본의독도행정의증

83 제4장

Page 8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거실례에사용하려고준비하는행동으로서, 대한민국의독도주권에대한중

대한도발행위이다.

2005년5월17일일본법무성은민주당이와구니데쓰히토중의원의서면질

의에대해“독도에본적을두고있는일본인은26명이지만주민표에기재돼있

는 사람은 없다.”고 답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은 한국정부와 한국

국민의독도영유수호의지가약하여돌파가능하면, 또는절호의기회가오면,

독도를침탈할의지를명백히가지고있다고본다.

1997년일본외무성의10대외교지침의하나에‘독도탈환(침탈) 외교’가설

정되어있음을상기할필요가있다. 일본정부는독도침탈계획을몇단계로설

정하여계획대로추진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한국국민과한국정부가강력

한독도수호의지와독도수호정책이실행되어야독도를지킬수있을것이다.

한국령독도 84

시마네현고시

제 40호

Page 8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5 독도대표선출

1) 사이버독도이장선출

2004년 6월 8일경북도에따르면최근실시된사이버독도이장선거에서,

주민수1500여명인동도마을이장에김예민(19·예비대학생·서울광진구)

군이, 주민수 1300여명인서도마을이장에박태호(11·초교5년·서울금천

구)군이각각선출됐다. 지난해11월1일부터12월31일까지실시된이번선거에

는동도마을에서20여명이, 서도마을에서는14명의주민이각각후보로출

마해, 사이버상에서치열한‘선거전’까지벌였다.

이장에뽑힌두학생은평소독도에대한관심이높아사이버주민이됐고내

친김에이장선거에나서당선됐다. 경북도관계자는“박군의나이가컴퓨터

게임에빠져있을정도로어리지만하루4~5번정도사이버독도를들러볼만

큼관심을가져마을주민들의지지를받은것같다”고말했다.

사이버공간에서만활동하는독도마을의이장은주민정보와마을홈페이지

를관리운영하고주민들의건의사항을경북도에전달하는일을한다. 임기는

1년이고보수는없다.

2) 독도초대이장선출

대한민국독도향우회는 2002년서울종로탑골공원에서‘독도리이장선

거’를 열고, 독도향우회 회장 최재익(49崔在翼·서울시의원)씨를 초대‘독도

이장’으로선출했다.

‘독도이장’은행정적인의무나책임이없는단순명예직이다. 선거에는독도

에호적을둔20세이상성인139명이투표에참여했다. 崔씨는이날선거에서

104표를얻어독도향우회김봉식(48)지도위원과서행렬(48)부회장을멀찌감치

85 제4장

Page 8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따돌렸다.

독도에호적을둔사람은839명이며이중20세이상으로주소와연락처가

파악된100여명이향우회가보낸투표용지를통해우편으로부재자투표에참

여했다.

30여명은현장에나와직접투표했다. 향우회측은선거결과에따라崔회

장을명예이장으로인정해줄것을경북도청과행자부등에요청할계획이다.

현재실정법상주소는실제거주를원칙으로삼고있어, 독도로의주민등록

이전은사실상불가능하다. 崔씨는“영토권을인정받는데가장필요한것은

‘이장’을뽑아행정력이미치고있음을보여주는것”이라며이번선거의의미

를강조했다.

6 독도박물관

울릉도도동리에독도박물관이있다. 독도박물관은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울릉군이대지를제공하고, 삼성문화재단이건축한건물에이종학초대

관장이30여년동안국내·외에서수집, 기증한자료를근간으로하고, 고홍

순칠대장의유품및독도의용수비대동지회와푸른독도가꾸기모임등의자료

를첨가하여1997년8월8일국내유일의영토박물관으로개관되었다.

독도박물관의 이종학 초대관장은 그곳이 독도를 지키고 알리는 데 중요한

증거가되길바랐다고한다. 보다많은사람들에게독도의가치는물론그곳이

변방의잊혀진땅이아닌살아숨쉬는우리의땅이라는것을자료를통해알리

고있다.

2002년부터이승진관장이지키고있다. 독도박물관의대지는2,441평정도

이다. 연면적이484평으로지하 1층과지상2층으로구성되어있다. 지상 1층

한국령독도 86

Page 8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에 있는 세 개의 전

시실을둘러본다. 먼

저 제 1전시실을 찾

는다.

그곳에는 서기

512년부터 1900년

대까지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러시아

에대해우리가알지

못하고 있었던 다양

한 역사적 자료들과

증거들이 전시되어

있다. 시대별고지도

를훑어보고나서제

3전시실로향한다.

여기에서는 한국

전쟁발발후독도를

다시 점령하려 했던

일본에 맞서 민간인

의신분으로독도를지켜냈던‘독도의용수비대’의활약상을볼수있다. 이곳

에서1988년결성한‘푸른독도가꾸기모임’의활동상이나일본의독도관련연

구서들과망언을담은자료등을확인할수있다.

광복이후지금까지이어져온일본의끈질기고집요한침략근성과이에대

응해온우리의모습을동시에볼수있다. 밖에는야외독도박물관이있다. 울

릉도독도박물관은독도및조선해(동해)를둘러싼관련자료를발굴하고수집

하여연구해나가고있다.

87 제4장

독도박물관앞에서

있는 본서의 공동저

자신법타스님

2006. 3. 10

Page 8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그리고일본의독도영유권주장을반박할수있는자료들을모으고있는중

이다. 이론의토대를충분히구축하여국민들의영토의식과나라사랑을더욱

고취시키는 것이다. 독도박물관에는 독도와 조선해[동해]를 둘러싼 관련자료

1300여점이소장돼있다. 독도자료만따져도고지도와문헌·사진등900여

점이넘는다.

자료를갖고싸우면일본은상대가안된다. 이승진관장은“일본이만든자

료가운데도‘독도가조선의영토’임을표기한게많다”며“이종학초대관장

이그런자료들을모아8년전쯤일본에제공하기도했다.”고말했다.

박물관측은지난해인터넷홈페이지(www.dokdomuseum.go.kr)에한글·

영어외에일본어서비스도추가했다. 자신감의표출인셈이다. 이관장은“그

동안우리나라가해외에독도관련자료를홍보하는일에소홀했던게사실”이

라며“이부분은반성해야한다”고말했다. 현재 독도박물관입구바윗돌엔

‘세종실록’제 1권의내용을옮겨적은‘대마도본시아국지지(對馬島本是我國

之地)̀란글씨가새겨져있다.

한국령독도 88

제4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정석조, 「평화선과 독도」, 상서 제14호 1997

2. 지철근, 『평화선』범우사 1979

3. 한규호, 「참극의 독도, 독도사건현지조사」, 신천지 3~6, 1948

4. 한우근, 「개항후 일본어민의 침투」동양학 1, 1971

5. 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 국제적 쟁점분석」독도연구총서10, 독도연구보전협회. 2003

Page 8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5장

독도지키기

Page 9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9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홍순칠(洪淳七)

홍순칠의가계(家系)는, 19세기말기부터울릉도와인연을맺어온집안이다.

할아버지재현(在現), 아버지필열(弼悅)로2남1녀중홍순칠은장남으로1929

년1월23일경북울릉군남면사동70번지에서태어났다.

할아버지재현은1882년고종의울릉도개척령이내려지자2년후인1884년

4월개척민제1진(52명)으로울릉도에도착, 개척민누구나그렇듯이감자옥

수수를재배하려하였다. 그러나수확은만족할정도가못되었다. 수시로들쥐

가나타나감자, 옥수수밭을쑥대밭으로만들때는농사에맥이풀려어찌할바

를몰랐다.

그러나 울릉도는 해산물이 풍부한 곳이라 개척민들은 밭농사 외에 바다로

눈길을돌려삶을개척해나갔다.

맑은날아침재현은성산봉산정에올라가사방을둘러보았다. 망망한대해

(大海) 가운데섬이바라보였다. 그는목선을타고그곳으로향하였다. 이당시

개척민이나이곳으로고기잡이를나온어민들은이섬을돌섬이라불렀다. 돌

섬주변은물개의낙원으로알려져왔다.

풍랑으로표류중식량이떨어지면이돌섬으로들어가물개를잡아그고기

로연명하는일이비일비재하였다. 재현일행도섬에다다른이후식량이떨어

지자물개잡이를궁리하게되었다. 이왕이면가장큰놈을잡고자도끼를휘둘

렀다. 물개가요동치며나뒹굴때갑자기고막을찢는총소리가났다. 총소리가

난쪽을바라보니일본인포수가바위틈에서기어나왔다.

이들은말이통하지않자필담을나눌수밖에없었다. 재현은일인에게어째

서남의나라땅에들어왔느냐하니, 자기이름을村山이라적고‘무라야마’라

한다면서, 통성명을한후하는말이, “죽도는일본땅이다. 나는일본황실에

동물을납품하는동물상(動物商)이다. 일본황실과영국황실동물원에보낼물

개를잡는중이다. 따라서물개사냥을방해하지말라”고일본사람은말했다.

91 제5장

Page 9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에대항하여홍재현은“이돌섬은우리나라땅으로나도우리나라동물원

에바칠물개를잡으러왔다. 그런데쓸만한종자가없어찬거리로구워먹을까

한다. 이어서말하기를물개를잡아가는것은네자유이지만나는물개사냥에

앞서너를붙잡아우리조정에바치는일이더급하게됐다”고하니, 그는몹시

당황해하며잘못하였다고연신머리를숙여용서를빌었다. 일본인은용서의

대가로일본황실에초청하겠다고하였다.

하지만홍재현은일본의간계에넘어가지않았다. 그후광복2주년이지난

1947년8월16~25일동안민정장관안재홍(安在鴻)의명에따라한국산악회가

독도학술조사를위해현지로가홍재현의적극적인협조를받았다.

이러한홍재현은독도수호의의인이며손자인홍순칠이있게한장본인이라

할수있다. 홍순칠의아버지홍필열은 1917년 6월 9일울릉도출생으로일본

음악학교에 유학하여 바이올린을 전공하고 귀국 후, 울릉도에서 음악교사로

있었으며, 1967년7월10일50세의젊은나이로세상을등졌다.

순칠은울릉도에서초등학교를마치고1944년3월25일서울에있는체신고

등학교를졸업하였다. 그후할아버지의영향으로순칠은 1953년 4월 20일에

독도에가서태극기를개양하고독도바위에‘한국령(韓國領)’이라고한문으

로새겨놓았다.

그리고동년8월23일일본해상보안청소속순시선을향해포격을가해격

퇴하면서1956년12월30일까지3년8개월동안투쟁한후한국국립경찰청에

독도수호의임무를인수인계시켜주었다. 홍순칠은독도를수호하면서섬으

로당당히인정을받기위해독도에식수가있어야하고, 사람이살아야하고,

나무가심어져야만하기때문에이조건을충족시키는과업을누군가해야하

는데홍순칠대장은자비로독도의용수비대를조직하여이과업을수행했다.

그는독도의용수비대해산이후인1961년 3월20일포항수산전문대경제학

과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6·25전쟁시 군에 입대하여 전투현장에

나아가활약하였고원산상륙작전 때부상을당해육군병원에서치료를받다

한국령독도 92

Page 9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가1952년7월15일전역하였다.

1966년4월12일독도수호의공로로근무공로훈장을받았고, 1996년4월보

국훈장삼일장과광복장을수여받았다. 홍순칠은안동사범학교출신인朴氷

嬉와결혼, 슬하에1남3녀를두었고1986년2월17일보훈병원에서58세로타

계하였다.

안용복이 조선시대에 독도를 지켜온 의인이라면, 홍순칠은 현대판 안용복

으로독도수호에헌신한의인(義人)이다.

2 독도의용수비대

1) 조직과활동

1952년2월27일미국이독도를미군폭격훈련지에서제외한뒤, 6·25전쟁

의혼란을틈타독도에대한일본인의침탈행위가잦았다. 심지어같은해8월

에는일본인들이불법으로독도에상륙해시마네현오키군다케시마[島根縣隱

郡竹島]라고쓴표목을독도에세우는등계속해서불법행위를저질렀다.

독도의용수비대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불법침탈 행위가 계속되자, 일본의

터무니없는독도소유권주장을근원적으로차단하고, 독도근해에나타나는

일본인들을축출함으로써일본어선의독도근해어로작업방지및울릉도주

민의생존권보호를목적으로조직되었다.

1954년 5월에정식으로조직되었는데, 이보다앞서 6·25전쟁에참여했다

가전상을입고특무상사로전역한울릉도출신홍순칠(洪淳七)은1952년가을

부터‘독도의용수비대’를만들기로결심하고, 부산으로가서단신으로독도를

지킬각종무기와장비를구입하였다. 이들은군인도검찰도아니기때문에전

93 제5장

Page 9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94

독도의용수비대

(독도박물관자료제공)

Page 9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사해도보상받을길도없었다.

무기와장비가갖추어지자, 홍순칠은 1953년 4월 20일드디어울릉도청년

45명으로독도의용수비대를조직할시동을걸었다. 대장은홍순칠이맡았고,

편제는각각 15명으로이루어진전투대2조, 울릉도보급연락요원3명, 예비

대 5명, 보급선 선원 5명 등으로 짜여졌다. 이 가운데 3명을 제외하면, 모두

6·25전쟁에참전했던전투원출신이다.

장비는경기관총2점, M2 3정, M1소총 10정, 권총 2정, 수류탄 50발, 0.5t

보트 1척등이다. 나중에박격포등을추가로구입하였고, 의용수비대원가운

데자의로빠진사람을빼고마지막까지남은사람은대장홍순칠을포함해모

두33명이다.

홍순칠은의용대조직과동시에보트를타고독도에도착해경비를시작하였

다. 의용대는같은해6월, 독도에접근한일본수산고등학교실습선을귀향조치

한뒤, 7월12일독도에접근하는일본해상보안청소속순시선PS9함을발견하

고경기관총으로집중사격해격퇴하였다. 이전투가의용대최초의전투이다.

첫전투에서장비의보충이시급함을깨달은홍순칠대장은다시육지로나

95 제5장

독도의용수비대

(독도박물관 자료제

공)

Page 9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가어렵게M2 2정과박격포한문을구입하였다. 이어8월5일에는동도(東島)

바위벽에‘韓國領(한국령)’이라는석자를새겨독도가한국영토임을분명히

하였다.

1954년8월23일, 독도에접근하려는일본순시선을총격전끝에다시격퇴

한뒤, 그해11월21일에는1,000t급일본순시선3척및항공기1대와총격전

을벌여역시격퇴하였다. 이전투로일본쪽에서16명의사상자가발생해일본

정부가한국정부에항의각서를보내기도하였다.

이후1956년12월30일무기와임무를국립경찰에인계하여울릉도로돌아

갈때까지수비대원33명은한국영토인독도를지키는데전념하였다. 이공

로로 홍순칠은 1966년 5등 근무공로훈장, 나머지 대원들은 방위포장을 받았

고, 홍순칠에게는1996년보국훈장삼일장이추서되었다.

이들전원은독도를지켜낸이땅의의병으로유공자가되었지만그에따른

보상은없었다고한다. 그들은울릉도의문전옥답을일인에게빼앗기지않았

으며그들의전투를통해독도가한국의실효적지배에있음을입증한것이다.

이런의로운업적을가진홍순칠은북한에서그의업적을찬양한바람에간첩

으로몰려가족까지곤욕을치른바있다.

한국전쟁기간중인1953. 6월일본인들이독도에상륙하여한국이설치한위

령비를파괴9)하고일본영토표지를하는등불법행위를자행했다.

한국의독도의용수비대10)는 1953.6.28∼7.1간무단상륙한일본인들을축출

하고일본영토표지를철거하였으며, 한국국회는 1953.7월독도를일본침공

으로부터보전할것을결의하고경비대를상주토록결정했다.

한국령독도 96

9) 일본인들은 1953.6.25∼28간 3차례에 걸쳐 미군기를 도용해가면서 독도에 상륙하여

1948년6월미군폭격연습으로희생된한국어부위령비를파괴했음.

10) 한국의‘독도 의용수비대‘는 1953.4.20일 울릉도 거주주민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단체

로, 초대대장은독도에서3대에걸쳐살면서어로활동을해오던홍순칠씨이며, 대원은

33명이었음.

Page 9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독도의용수비대명부

1953년

대장: 홍순칠당시25세

부관: 황영문

●전투대제1대

서기종, 김제두, 최부업, 조상달, 김용근, 김현수, 이현우, 김장호, 양봉준,

김수봉

●전투대제2대

정원도, 김영복, 이상국, 하백진, 이길현, 김경호, 김영호, 허신도

●수비대

김용학, 유원식, 고성달, 오일환, 정재덕, 한상용

97 제5장

독도 경비 초사 및

표식제막기념

2006. 3. 10

Page 9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수송대

이필영, 정이권, 안학률, 정현권

●보급대

김인갑, 구용복, 박영희

3) 독도의용수비대의법적성격

독도의용수비대는대한민국이정식으로임명한지휘자밑에서제복을착용

한상비군이아니었으므로, 대한민국의‘정규군(regular armies)’의성격을갖

지못하며, 평시에수시로훈련을받고전시에정부로부터소집되어조직되는

‘민병(militia)대’도아니며, 전시에국가의위기를방지하기위한지원과이에

대한정부의인가로조직된‘의용병(volunteer)단’도아니다.

독도의용수비대는, 미점령지역인독도의주민으로서적이접근해올때민병

대또는의용병단을조직하여교전자로서의요건을구비할시간적여유가없

어서자발적으로무기를들고적에게대항하는주민의집단이므로이는‘군민

병(leeve en masse)’의성격을갖는것이타당하다.

4) 공헌도

①독도의용수비대의독도실효적지배는일본의실효적지배를차단

만일독도의용수비대의실효적지배가없었다면, 지금의독도는일본의실

효적지배하에있을것이다. 독도의용수비대활동직전혹은직후일본은수차

례에걸쳐독도상륙을시도하였음이이를말해준다. 더불어조선시대공도정

책으로말미암아, 일본인들의 80여년가까운울릉도·독도에서의벌목, 어업

활동을방치하는결과를가져온것을고려하였을때, 독도의용수비대의활약

은일본의실효적지배를사전에방지하는적극적인개입이었다.

한국령독도 98

Page 9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②애국심을고양하고, 민족의자주의식을함양함으로서상징적, 정신적의

미를부여했다.

3 독도경비대

독도의용수비대의업무를이어받아경찰이경비임무를수행하게된것은,

1956년4월8일이다. 독도의용수비대로부터독도경비임무를인수받을당시

울릉경찰서에서8명의경찰관이입도하여의용수비대원과합동근무후, 1956

년12월30일독도의용수비대원은완전철수하였다.

그후국제사회에서일본의역할이증대되면서독도근해에일본순시선의

출현이급격히증가하였다.

99 제5장

독도해양경비대

(독도박물관 자료제

공)

Page 10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91년 5월 합참의장과 국방정책 비서관이 독도를 방문한 결과“독도는

군사적의미보다국가전략적가치가지대한만큼독도방위를견실히하기

위한경계태세, 지원체제등종합적검토가필요하다”고대통령에게보고

하였다.

이에대통령은종합적인대책을강구하라는지시를내렸고, 이러한지시에

의거하여경비막사를증축하고, 1993년 12월 25일에는레이더를설치하였으

며, 인원을증원하였다.

이어 1996년 5월에는독도해상경비및독도경비대보강대책을수립하기

위하여통합방위본부주관으로독도경비보강을위한군·경합동점검을실

시하였다.

경비체계개선보완을위하여울릉경찰서소속독도경비대와울릉도경비

를전담하고있는 318전경대와통합하여 1996년 6월 27일에는울릉경비대를

창설하고, 그예하에독도경비대를두었다. 독도경비대의작전지휘관은울릉

경찰서장이갖고있다.

1954. 5. 독도의용수비대창설(대장홍순칠)

1954. 8.10 무인등대설치

1956. 4.8 울릉경찰서·독도의용수비대공동경비

1956. 12.30 국립 경찰이 독도의용수비대의 업무와 장비 인수 후 경비

전담

1975. 10.10 독도경비경찰력조정(경찰3, 전경12)

1984. 7.6 제318 전투경찰대창설

1983. 12.20 경찰410 통제레이더기지창설

- 레이더요원11명배정으로총26명증원

1996. 2.11 독도경비경찰력보강

1996. 6.27 울릉경비대창설(제318경대와독도경비대통합)

울릉경비대독도경비임무수행

한국령독도 100

Page 10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4 독도수호운동

1945년조국해방이후일본이독도를다시탈취하려는시도가두드러지면

서한국에서독도를수호하려는운동이일어나게된다. 그가운데대표적인것

이독도의용수비대(獨島義勇守備隊)의결성과활동이었다. 제3대에걸쳐울릉

도에살면서독도에서어로활동을해오던홍순칠(洪淳七) 씨를대장으로하는

33명의청년들이독도의용수비대를결성하고1953년4월20일에독도의서도

에도착한때로부터3년8개월동안독도를지킨업적을남겼다(1956.2월부터

경찰경비로대치). 그뒤로는경상북도울릉군경찰서가독도수비를담당해

오고있다.

홍순칠 씨에 의한 독도의용수비대의 발족은, 시의적절한 애국적인 거사였

다. 이무렵부터일본의독도침범이일어나기시작했기때문이다. 구체적으로

101 제5장

송월주 총무원장스님

을 모시고 독도해양

경찰경비대위문.

좌로 부터 정념스님

(월정사 주지), 정빈스

님(총무원장 사서), 원

무스님(재무부장), 송

월주 총무원장님, 법

타스님(총무부장), 외

군법사와 경비 경찰

1995. 2

Page 10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53년5월28일에처음침범한것을시발로6월11일과6월17일및6월28일

에잇따라침범했다. 당시한국이설치한위령비를파괴하고일본령이라고표

시했다.

이때독도에서어로에종사하던우리어민들에따르면그들은늘미국국기

를단배를타고독도에상륙하는위계(僞計)를썼다고한다. 자국국기를당당

히달고상륙하지못한비겁한소행이다.

당시일본어민들의이러한독도침범의배후에는물론일본정부의부추김

이있었다. 독도가자기네소속이라고주장하는시마네현은시마네현어민들

을상대로1953년6월19일에독도에대한어업허가권을발부했던것이다.

그리하여6월 28일에독도를침범한시마네현어민들은미국국기를단두

척의배에타고와서「日本島根縣隱岐郡五箇村竹島(일본도근현은기군오

개촌죽도)」라는표목을세우고, 우리어민들에게“이섬은일본의영토이니앞

으로이섬에침범해작업을하면일본경찰에인치당한다”고위협한뒤물러났

다고한다.

일본인들의이러한망동을보고대한민국국회는1953년7월8일에「일본의

독도침범에대한결의안」을통과시켰다. 한국의영토인독도를일본의침공으

로부터보호하고보전할것을결의한것이다. 1953년 7월 10일에는경상북도

의회역시같은취지의결의안을통과시켰다.

이러한 우리 정부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도발적 행위는 계속됐다.

1953년10월23일에는해상보안청소속순시선2척이독도에접근해작업원을

상륙시켜산꼭대기와산기슭및그밖의암초등에설치된한국영토표지를철

거하고일본영토표지를설치했다. 순시선 2척가운데 1척에는중의원 1명과

외무성사무관1명이타고있었다. 이어1954년2월에는시마네현은쓰지(十富

藏) 등3인에게독도의인광(燐鑛) 채굴권을허가했으며, 그뒤일본정부는독

도에대한자위권의동원도주저하지않겠다고날강도같은수작을벌였다.

일본의파렴치한작태가지속되자, 한국정부도강경하게대응하지않을수

한국령독도 102

Page 10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없었다. 1954년11월30일에정부당국은독도에접근하는일본경비정에포격

을가하고, 계속침범이자행될경우전투기에의한폭격까지배제할수없다는

굳은 의지를 보이자 일본이 일시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한국정부는 1954년

8월15일정오부터독도등대를점등하고세계각국에이를통보했다.

1981년 12월에는 헬리콥터 착륙시설이 완공되었고, 1991년 12월 울릉도와

독도사이에전화케이블을설치했다. 1993년 12월에는레이더기지가설치되

었으며, 1996년2월부터는독도접안시설공사가시작되었다.

5 독도지킴이

1) 독도출생제1호

독도가출생지인‘독도1호한국인’이해병대에입대해포항에서한때근무

했다. 해병조강현일병, 그는출생지가‘울릉군울릉읍도동산63번지’(신고

당시주소)다. 63번지는독도다.

그가독도출생첫한국인이된것은, 외할아버지에서아버지로이어진가족

의독도사랑때문이다. 외할아버지최종덕씨는1965년독도에들어간뒤81년

주소지를독도로옮긴‘독도주민1호’다.

1965년고최종덕씨가독도서도에살면서독도는유인도가되었으며1989

년부터나무를심기시작, 현재2000여그루의나무가서식중에있다. 또1997

년에는독도접안시설을준공, 섬으로서의면모를갖추게됐다. 아버지조준기

(49) 씨도장인의뜻에따라해병대부사관으로제대한85년여름독도로들어

가‘독도주민2호’가됐다. 8년동안독도에서살았다.

조일병은 85년 2월의료시설이있는울릉도에서태어났다. 그러나조준기

103 제5장

Page 10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씨는아들의출생지를장인의거주지였던독도로올렸다. 출생지가독도인두

번째한국인도조일병의여동생한별(16)양이다. 조일병은두살때한달반동

안독도에서지냈다. 그러나섬이좁고경사진데다식수·의약품도부족해아

기가자랄환경이아니었다. 그래서그는어린시절의대부분을어머니와함께

울릉도에서보냈다.

아버지 조준기 씨는“독도에선 음식물부터 성냥개비까지 모두 울릉도에서

조달해야했다”며“하지만나같은젊은이가독도에없으면이섬은영원히멀

어질거라고생각했다”고말했다. 87년엔외할아버지최종덕씨가천신만고끝

에독도에만들었던집이태풍에완파되며, 최씨가충격으로세상을떠나기도

했다. 조일병은“한국인최초의독도출생이라는자부심으로가족의독도사

랑전통을내후대까지물려줄것”이라고말했다. 2005년11월12일현재본적

이독도로되어있는인구는566 가구에1889명으로되어있다.14)

조강현의외할아버지최종덕의독도와의인연은, 미역과전복을채취하기위

한국령독도 104

독도수호를위한태

극기사수

2005.

Page 10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해나섰다가(1965년) 87년까지무려22년의세월을독도에서살았다. 그는명실

상부독도의최초주민이다. 그는옹고집과배짱이강하고자기주장과개척정

신이강한사람이다. 독도의주인이기에군장성으로부터경례를받은사람이다.

*주민등록현황

●1965년3월 최종덕씨수산물을채취하기위해산67번지에거주

시작

●1981년10월14일 최종덕씨산67번지에최초로독도주민으로등록

●1987년7월8일 조준기(최종덕씨사위로부인최경숙) 등 가족 3명

산67번지에전입

●1987년9월23일 최종덕씨사망

●1991년2월9일 조준기씨산63번지로전입

●1991년11월17일 울릉도주민김성도, 김신열부부산63번지에전입

●1994년3월31일 조준기씨전출

●2003년11월19일 편부경씨(여, 시인) 독도주민등록

2) 독도주민세납부자

독도에거주지를두고 15년간지방세를납부해온사람이있는것으로밝혀

졌다.

주인공은‘독도지킴이’로이름난김성도(65) 씨. 1991년전입신고를한후

매년지방세인주민세를납부해오고있다.

울릉군청은 18일“경북울릉군독도리에주소지를둔김씨가매년3,000원

가량의주민세를내고있다”며“고지서에는김씨주소가독도리로기재돼있지

만발송은김씨가독도를오가면서생활하는울릉군도동으로하고있다”고설

명했다. 군청측은또“김씨는현재부인과함께독도리에주소지를두고거주

105 제5장

Page 10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하고있으며주민세는가구주인김씨에게만부과한다”면서“김씨는울릉도와

독도를오가며미역채취등어업으로생활하고있다”고덧붙였다.

김씨는2003년 11월 19일전입한시인편부경씨등이국민모금활동을벌여

건조한1.5톤급쪽배‘독도’호를11월 16일넘겨받아현재울릉도와독도를오

가며어로활동을하고있다.15)

1989년에는‘푸른독도가꾸기모임’이결성됐는데, 이모임들의회원들은매

년 독도에 나무를 심고 있다. 그들이 심은 나무들 가운데 1996년 4월 현재

1,500 그루가량이자라고있다.

한국령독도 106

가운데 독도 지킴이

김성도씨, 왼쪽은 본

서의 공동저자 차종

환 박사와, 오른쪽

법타스님

2006. 3. 10

15) 김신영(한국일보기자, 2005. 3. 18)

Page 10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3) ‘독도지킴이’마크로브모

“독도영유권문제는한국이일본과교섭해야할사안이아니다. 한국은독

도가자국의영토라는더확고한믿음을가지고일본이스스로독도영유권주

장을철회하기를기다려야한다. 독도문제를해결하는유일한방법은일본이

독도를포기하는수밖에없기때문이다.”

미국인‘독도지킴이’마크로브모(35)는한국인보다독도의역사를더잘알

고있고독도에관심을갖고있는세계인들에게널리알려진유명네티즌, 그가

운영하는독도홈페이지‘1948년독도폭격사건’은한국인이든외국인이든독

도를깊이이해하고자하는이라면누구나한번쯤방문했을곳이다.

로브모의홈페이지는2003년9월개설된이래지금까지수만명의네티즌들

이찾았다.

특히, 독도 분쟁의 역사를 적은 웹페이지(http://www.geocities.com/

mlovmo/page4.html)는 매일 4,000명 이상의각국네티즌들이방문하고있

다. 이페이지에는세계최대검색엔진구글에서‘Dokdo’를검색하면가장먼

저뜨는곳이다.

로브모가홈페이지에서공개한자료들은여러언론들도각별히주목하고있

다. 지난 23일 미주한국일보와 연합뉴스 등은 로브모가 미국국립기록조사국

(NARA)에서찾아낸독도관련문서들을분석해“미국이 1946년에이미독도

가한국땅이라는사실을인정했다”고보도했다.

로브모는이와관련해한국인들중에서도대학교수를비롯한연구자들한테

서많은이메일을받고있다고한다. 대부분로브모가쓴글을보고“독도의역

사를더확실하게알수있었다”며고마워하는편지들이다. 로브모는한국인

교수에게독도의역사를가르치는역사교사인셈이다.

로브모는이밖에도2003년영국왕립아시안학회한국지부에서발행하는학

술잡지(78호분)와 고려대학교 부속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한국사국제저널

107 제5장

Page 10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8월호)에‘1948년 6월독도폭격

사건에대한심층적연구’라는제목의논문을발표하기도했다.

미국미네소타미네아폴리스의한초등학교에서어린아이들을가르치며인

터넷을통해세계네티즌들에게독도의진실을전파하고있는로브모, 단지한

국에한번살았던인연때문에시작한그의꾸준한활동이그어떤한국인들의

활동보다도알찬결실을맺고있다.

즉, 로브모는10년전쯤한국에서잠시지내다가독도에관심을갖기시작했

다. 정확히는당시일본정부가독도를자국영토라고주장하는게언론에보도

된적이있었는데그때한국인들이거세게반발하는것을봤을때부터독도의

역사를공부했다.

“그때는한국어는물론, 한국과일본의역사도거의몰랐기때문에한국인들

의거센반발을이해할수없었다. 우선독도에대한자료와책들을찾아보기

시작했다. 대원사에서나온‘독도(빛깔있는책들 182)’라는책을읽기위해한

국어를공부했다. 그러다가 1948년 6월 8일미군이독도를폭격한‘독도폭격

사건’을알게됐다. 이사건과관련된자료들이미군에있을것이라생각하고

이때부터미국에있는자료들을뒤지고다니며본격적으로연구에몰두했다.

이 사건을연구하면서미국공군부대가독도를폭격해한국어부서른명

가량을죽거나다치게했다는사실을밝혀냈다. 이과정에실제로이폭격에

가담했던미국퇴역군인을인터뷰하기도하면서독도에대한관심이더깊어

졌다. 이후자연스럽게독도의영유권문제를이해하기위한공부를하게됐

다. 그러면서일본이19세기후반까지는독도를한국땅으로여기다가1905년

한국을실질적으로지배하기시작하면서독도를자국영토라고주장했다는것

을알았다. 이런사실을알리는영어사이트가없다는것을알고는일종의정의

감을느껴지금의홈페이지를만들었다.

독도를놓고한국과일본의외교적갈등이심각해지고있다.

사료들을볼때독도는한국의영토라고보는게더옳다. 심지어일본쪽사

한국령독도 108

Page 10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료나 지도들을 봐도 독도를 한국 땅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877년다조칸시절에일본정부가만든문서나지도들을보면당시일본인들

이독도를자국영토로여기지않았다는것을알수있다. 이밖에도독도가한

국땅이라는것을증명해줄사료들은많다.

많은학자들이나와똑같이생각한다. 대표적인이는한국의신용하교수(한

양대석좌교수)다. 신교수는학자답게치밀한자료와논리로독도의영유권문

제에관한진실을세계인들에게알린최초의학자다. 신교수의웹사이트를내

홈페이지에도연결해놓았다.

하지만한국인학자들만나와의견이같은것은아니다. 일본인학자가즈오

호리와히데키가지무라도각각1987년78년에일본이독도를자국영토로편

입하려고시도했던것은약한이웃나라들을침탈한제국주의국가의전형적인

모습이라는내용의출판물을냈다.

또‘다케시마의날’을지정해물의를빚은시마네현의한교수도독도가한

국영토라는증언을했다고한다. 독도의영유권문제에대해일본학자들은이

처럼엇갈린의견을내고있다. 이는일본학자들역시역사의진실을알고있

다는얘기다. 다만그들이그진실을받아들일용의가있느냐없느냐가다를뿐

이다.

사실일본이독도를지배하기위해현실적으로할수있는일은없다. 한국은

이미실질적으로독도를지배하고있다. 만약일본이뭔가를하고자한다면군

사적힘을써서독도를지배하는것뿐인데, 그러자면일본은한국과의외교관

계를완전히끊어야한다. 게다가국제사회의비판도받을것이다. 따라서일본

이그렇게나올가능성은없다.

이얘기는한국이독도를놓고일본과교섭할필요가없다는뜻이다. 독도영

유권문제는한국이일본과교섭해야할사안이아니다. 한국은독도가자국의

영토라는더확고한믿음을가지고일본이스스로독도영유권주장을철회하

기를기다려야한다. 독도문제를해결하는유일한방법은일본이독도를포기

109 제5장

Page 11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하는수밖에없기때문이다.

양국이진정한의미에서갈등을봉합하는일은일본정부가독도영유권주

장을과감하게철회하는것에서시작될것이다. 시간이좀걸리겠지만, 반드시

그렇게될것이라고생각한다. 그럴수밖에없는일이기때문이다. 한국은독도

문제에대한역사적진실을국제사회에차분하게알려가면된다.

로브모는홈페이지를운영하면서한국국민들이독도문제에대해매우깊

은공감대를갖고있다는것을알았다. 또한국인들의사고방식은진지하고잘

정돈돼있다. 이런점에서한국국민들에게때로감탄하기도한다.

하지만일본에대응하는방식은좀더성숙할필요가있다고생각한다. 미국인

들을비롯해다른외국인들과한국인들이독도의영유권을놓고일본인들과다

투다가폭력적인시위를벌이거나하는장면을보면오히려반감을품게된다.

물론현재한국인들의대응방식에무슨문제가있다는뜻은아니다. 다만노

파심에서 감정적 대응보다는 이성적 대응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할 따름이다.

또이게내가독도홈페이지를운영하는이유이기도하다.

이런이성적인노력들이모여많은세계인들이독도에관한오해를풀고일

본인들이억지주장을하고있다는사실을알게되기를바란다. 하지만세계인

들은대부분한국과일본의역사를모른다. 때문에한국인들은열정적으로일

본에대응하되과격한행동보다는논리적인말로이문제를풀어야한다.”

6 독도수호대

독도지키기운동의핵심은끊임없이물고늘어지는일본의독도영유권주

장에있으며국제적으로독도가일본의영토로인식되고있다는데있다. 이런

까닭에일회적이고감정적인대응은소모적일뿐효과적인수호방안이아니

한국령독도 110

Page 11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다. 우리가아무리감상에빠져독도는우리땅이라고외쳐도세계가독도를일

본땅으로생각하고있다면아무소용이없다. 일본의조직적인독도침탈작전

에맞서야한다. 일본이나름의논리로무장하고다케시마를외친다면우리정

부와사회또한보다논리적인증거로독도영유권주장을외쳐야한다.

따라서이러한취지와목적하에독도수호대는2000년3월1일출범하였다.

독도가안고있는문제에대한감정에치우친해결방법을지양하고독도문제

를보다합리적으로인식하여효과적인대안을제시실천한다는것이활동목

적이다. 미국과독일에도지부를설립했다고전한다.

이들은출범이후독도의용수비대를기리는사업을꾸준히진행해왔으며,

지난2004년에는20년만에창설50주년기념식을치르기도했다. 현재는독

도의용수비대 동지회의 실무를 맡고 있으며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

다. 거의2개월에한번씩주요활동을하고있다. ‘독도의날’(10월25일) 제정

을위해1000만명의서명운동도시행중이다.

111 제5장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독도표식

Page 11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7 전세계로독도지키기물결

1) 독도사랑협의회

일본시마네현의‘다케시마의날’조례안통과에대해세계각지의동포들이

‘독도지키기’에발벗고나섰다.

고국을떠나낯선땅에서살아오면서높은애국심을지켜온동포들이일본

의망발에대해단호하고계획적으로대응해야한다며다양한활동들을이어

가고있다. 현재동포들은세계각지에서한인단체들을중심으로일본규탄대

회를열고독도와관련된강연회를여는등구체적인활동을펼치고있다.

특히재외동포들은한국내의냄비근성이되살아나지않도록해야한다며장

기적이고논리적인대응에중심을두고구체적인활동계획을세우고있다. 해외

에는지금까지국내에서독도에대해무관심하던시기에도꾸준히독도지키기

활동을계속해온동포들이많다. 독도와관련된다수의단체들중‘독도사랑’이

라는표현을가장먼저사용하고문학, 학문적연구홍보활동을해온‘독도사랑

협의회’등은이번일을계기로독도바로알리기활동에더욱활기를띠고있다.

동포들이이처럼독도문제에적극나서는것에대해독도사랑협의회북미지

부회장을맡고있는박정순시인은“해외에나가면고국에대한애정이한층

높아지기때문에재외동포들은지금까지어려움속에서도꾸준히독도에대

한홍보활동을해오고있다”고설명했다.

2) 재미동포단체총연대

일본의독도도발에공동대처하기위한범미주한인연대기구가출범했다.

남가주미주한인재단(이사장차종환)과홍사단LA지부(회장이병도), 한국

통일문화 진흥회의 LA지부(회장 김도우), 한미인권문제 연구소(회장 김재동)

한국령독도 112

Page 11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등주요한인단체관계자들은지난2005년3월19일LA한인타운내가든스위

트호텔에서기자회견을열고‘우리땅수호와수복을위한재미동포총연대’

결성을선언했다.

총연대측은첫사업으로3월30일오후6시30분LA한국종합교육관에서

‘독도는우리땅’강연회를개최했다.

이날강연회에서는UCLA한국학연구소존던컨교수와독도의용수비대고

홍순칠대장의딸홍인숙씨가나서한국의독도영유권에대한역사적·실제

적근거를제시했다.

이병도흥사단LA지부회장은“본국국민들뿐아니라전세계한인사회의

최대현안으로떠오른독도분쟁에효과적으로대처하기위해모든미주한인

기관및단체들의힘을하나로모으는모임을만들었다”고밝혔다.

그는이어“일시적감정과공분에따른일회성운동을지양, 독도와간도등

우리땅을지키고되찾기위한활동을꾸준히펼칠계획”이라고덧붙였다.

향후총연대측은독도를일본땅으로표시한중앙정보국(CIA) 국가정보보

고서등관련정보왜곡사례를시정하기위해미국내주요정부기관및언론

을대상으로자료및서한발송작업을추진할계획이다.11)

미주동포중사이버홍보위원으로차종환, 김도우를재외동포재단에서임

명한바있다.

3) 각지역한인회와애국단체

LA 한인회가2005년4월24일다운타운일본영사관앞에서대대적인시위

를벌이기로결정한데이어뉴욕한인사회도21일일본영사관앞시위를통해

분노한한인들의목소리를전하기로결정하고준비작업에들어갔다.

113 제5장

11) 도종수, L.A 한국일보기자(2005. 3)

Page 11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애틀랜타에서는에모리대학한인학생들이주축이돼22일정신대피해자황

금주(86) 할머니를초청, 교내에서일제의만행을재학생들에게알리는강연회

를개최하기로했다. 학생들은황할머니의증언이다양한인종으로구성된재

학생들은물론현지언론에상당한반응을불러일으킬것으로기대했다.

이와함께각종비즈니스를운영하는한인들의일제만행규탄노력도더욱

활기를띠고있다.

‘황성주 생식 (대표 김태진)’은 현재‘바른 역사를 위한 정의연대’가 지난

1일부터시작한일본유엔상임이사국진출반대서명운동에한인들의참여를

독려하기위한광고를게재하기로했다. 송정훈매니저는“일본의억지에분노

를느껴이같은광고를준비하게됐다”며“인터넷으로운영되는서명운동이

용요령을한인들에게알리는내용이될것”이라고설명했다.

일본관광상품을판매하던시카고의동서여행사(대표김병구)도“일시마네

현의회가‘다케시마의날’을제정한것은국제질서를무시한것으로한일관계

회복때까지항의의뜻으로일본상품판매를중단한다”는내용의특별광고를

게재했다. 이같은사실이알려지면서시카고지역다른한인여행사들도이에

참여하려는움직임을보이는등미주한인사회의반일감정이시간을더하면서

더욱격앙되고있다.

한편인터넷서명운동은 18일정오현재2만6천명을넘어섰으며수일내3

만명을돌파할것으로예상된다.

이외에도캐나다, 호주, 유럽등에서도한인회및유학생들단체들중심으로

서명운동, 일본상품불매운동등을추진하고있다(L.A 한국일보김정희기자).

4) 한미인권연구소

L.A 한미인권연구소김재동회장중심으로간도찾기운동이전개되다가

독도문제가대두됨에따라독도지키기운동에앞장서고있다.

한국령독도 114

Page 11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또한한미인권연구소전국회장이환수, 이사장차종환은방학때중·고등

학생들을인솔하여독도를답사할계획이다.

5) 독도사이버홍보대사임명

외교통상부산하재외동포재단에서는독도를지키기위해세계각국과큰

도시에 1~2명정도독도사이버홍보위원을임명하여한국의독도영유권에

대한유리한여론을세계각국에홍보할계획이다.

미국L.A에서는차종환과김도우를임명했다. 차종환은북한학자(김일성대

교수) 및남한내독도지킴이학자와공동으로독도영유권에관한저서를집

필했다. 이것이본서이다.

115 제5장

한·미 인권연구소

소장 이사장 이·취

임식 후 독도 사수

및탐방을결의하다

Page 11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5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金敎植, 『獨島守備隊』鮮文出版社, 1979

2. *金明基, 『독도의용수비대와 국제법』다물, 1998.

3. 金元湜, 「日本外務省 <獨島報告書>를 비판한다」思想界, 1964

4. 朴鍾聲, 「섬(島)의 法的 地位」, 새法政 39, 1974.

5. 정광태, 『독도는 우리땅』, 영진닷컴, 2005

6. 최진섭, 독도 1번지의 주민 김성도 부부「독도에 살어리랏다」월간 말, 1996. 3

7. 洪淳七. 「전 재산과 온몸 바쳐 독도 지켰다」. 『신동아』. 1996년 4월호.

한국령독도 116

Page 11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6장

한∙일회담과독도

Page 11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1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한·일회담과독도(1962∼1965)

1961년5월16일에남한에서박정희(朴正熙)소장과김종필(金鍾泌) 육군중령

등이중심이된쿠데타가성공함에따라군사정부가형성된다. 이군사정부가

일본과의제6차한·일회담을개시하게되자일본정부는독도문제를다시

꺼낸것이다.

한·일회담의개막을위한예비절충제1차회의는 1962년 8월21일에일본

외무성에서열렸다. 이제1차회의로부터제3차회의까지는독도가전혀거론

되지않았다. 독도는 1962년 9월 3일에역시일본외무성에서열린예비절충

제4차회의에서비로소거론됐다.

일본측은독도문제를들고나오고한국측은국교정상화후에이문제를

논의하자고했다.

일본측은다시국교정상화후에국제사법재판소에제소하자는것을결정

하자고제의한다.

1962년 10월 22일 김종필 중앙정보부장이 도쿄를 방문하여 독도 문제는

한·일회담과는별개의문제이므로국교가정상화된후에시간을갖고해결

하자고한다.

김종필부장은1962년 11월 12일일본오히라외상과제2차회담을갖게된

다. 이때박대통령은김부장에게다음과같은내용의훈령을보낸다.

「일본측에서독도문제를다시제기하는경우에는독도문제가한·일회담

의현안문제가아님을지적하는동시일측이이문제를제기하는것은한국민

에게일본의대한(對韓) 침략의경과를상기시킴으로써회담의분위기를경화

시킬우려가있음을지적할것.」

그런데어찌된일인지훈령도무시하고제2차회담에서김부장은국제사법

재판소제소합의를끈질기게요구하는오히라외상에게‘제3국중재안’을내

놓았다. 이사실은1962년11월19일에일본외무성에서열린예비절충제15차

119 제6장

Page 12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회의회의록에서확인됐다. 3국조정론은일본이받아들이지않아폐기되었다.

이결과에대해이도성의「실록박정희와한일회담」에서“김종필의이러한

제안은미숙한외교술에기인하는대단히사려깊지못한행위였다는비판을

면하기어렵게되었다.”고기록하고있다.

1963년 7월일본을방문한김용식외무장관은“독도는한국의불가분의영

토이기때문에회담의제에포함되지않는다”고기자질문에답변했다.

결국한·일기본관계조약은독도에대해아무런조항도두지않았다. 이것

을두고가지무라히데키교수는“일본정부측은다케시마(竹島), 즉독도문제

에대해서는현상유지를실질상승인한다는크나큰양보를하게된것이다”라

고논평했는데, 한국측으로서는양보라는말자체를받아들일수없지만, 어떻

든독도가한국영토이므로의제로삼을수도없고거론조차될수없다는한국

정부의입장은관철된셈이다.

그리하여한국정부는조약에의해독도가한국영토라는사실이확인된것

으로보고, 그뒤국내법에의해독도주변에3해리의영해와12해리의전관수

역(專管水域)을설정했다. 그대신이승만의평화선은사라졌다.

당시현승일은“평화선의양보란국토의매각이다”라고시론을발표했다.

결국1964년3월24일‘대일굴욕외교’를규탄하는대규모학생시위가서울

대중심으로발생했다. 한국측대표인김종필은“독도를폭파해버리겠다”는

말을하기도했다는풍분이있었으나이말은일본측대표단의일원인이세케

유지로외무성아세아국장이처음한말이고김종필은회담을마치고귀국길

에농담으로기자들에게한말임이확인되었다.

그러나가지무라교수가지적했듯, “현지어민사이에서는국가의의지, 영

토문제와관계없이일본어선은3해리내의영해에는들어가지않는대신에

12해리 이내의 전관수역에서는 자유롭게 조업할 수 있다는 암묵적인 양해가

있었던것같다.”그래서“그이후어업문제에국한시켜두나라의어선이출어

하는형식으로상당기간평온한상태가유지되었다.”

한국령독도 120

Page 12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65년한·일기본협정은청구권금액과관련해당초일본측이5천만달

러만을주고협상을마무리하려했던기록이있다.

결국줄다리기를통해‘무상3억달러, 유상2억달러, 민간신용자금3억달

러’로종결됐지만청구권협상에대한일본의속내를읽을수있다.

1970년대중반이후어업문제들이새롭게많이발생하고, 해저자원을개발

하는기술이발전함에따라영해를200해리로설정하자는경향이세계적으로

일어났다. 사회주의국가들도여기에가담했다. 일본정부도그러한테두리안

에서독도에다시주목하게됐다. 만일한·일두나라가각각200해리영해를

설정하게되면두나라가운데어느쪽이독도를기점으로삼느냐에따라해역

에영향을미칠것이기때문이었다.

그러나두나라는실질적으로갈등의증폭을막는쪽으로움직였다. 「일본

정부는 1977년 7월1일부터영해 12해리법과어업수역200해리법을시행하면

서, 독도주변에는“고유영토론”에의해12해리의영해를설정하면서도어업수

역200해리법과관련해서는사실상적용하지않았다. 한국정부는1978년4월

30일에독도주변을포함해영해 12해리만설정했으며, 이 12해리안에일본

어선이들어와적당히조업하는것을비공식적으로묵인하고있는실정이다.」

2 한·일조약과독도

1965년한·일조약이조인될때까지독도문제가의제로나타난기록은없

다. 그러나일본측의신문은 1965년 6월 22일12)에시이나(椎名), 이동원(李東

元) 두외상의밀실회담에서독도문제처리방식에도합의를보았다고전하였

121 제6장

12) 한·일조약이조인된날.

Page 12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다. 합의의내용은“양국이별도의합의가없는한분쟁은양국이합의하는수

속에따르고, 조정에의하여해결을꾀한다”는적용대상으로독도문제를포

함하였던것이라고전해지고있다.

그렇지만, 이동원장관은그직후한국국회에서독도문제는분쟁문제가아

니며교환공문의적용대상도아니라고언명하여, 해석의어긋남을폭로했다.

이것을일본국회에서추궁당한시이나(椎名) 외상은직접적으로‘합의하였다’

라는답변은결코하지못하고, 주관적인해석내지기대를이야기하며말을회

피하였다. 최근이동원장관이“조약조인당일, 사토오(佐藤) 수상이다케시마

영유권을 일본에게 양도하지 않으면 조약에 조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압력을

넣었지만거부하였다”고했다.

아마시이나(椎名) 외상은전기한바와같은자기주장을내세우고, 이동원

외무장관은어떠한언질도주지않게적당히얼버무렸을것이다. 아무런문서

도남아있지않아구속력이없다.

일본정부는여기에서독도문제에관해서는현상유지를사실상승인한다

는커다란‘양보’를했다. 실제로한·일조약을보고, “거리낌없이말한다면,

실제문제로서다케시마를일본섬으로되찾을가망은거의없게되었다”고단

정하는국제법학자들도있었던것이다.

또, 동시에조인된어업협정등에는문구상으로는독도주변에관하여아무

런언급도없었고, 전관수역, 공동규제수역의명시적규정가운데도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한국측에서는조약에의하여독도가한국영토인것이확인되

었다고간주하여그후에국내법에의해독도주변3해리영해와12해리의전관

수역을설정하였다.

일본측은실질성은어쨌든지1953년이래이키어업협동조합회에독도주변

5백미터어업권을부여하고, 3해리영해도설정하였다. 그렇기때문에형식상

으로는이중으로어업권이설정됐다는기묘한형태로되어있다. 그렇지만현

지어민들사이에서는까다로운국가의지, 영토문제와는관계없이일본어선

한국령독도 122

Page 12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은3해리내의영해에는들어가지않지만12해리이내의전관수역에서는자유

롭게조업할수있다고하는암묵의양해가되어있다.

그뒤에어업문제에관해서만이야기한다면, 거의분쟁없이양국의어선이

함께출어하는형태로평온하게진행되고있다.

3 UN해양법협약의발효

한·일조약이후일본이독도를다시문제로제기하게된계기는1994년11

월16일에발효한「해양법에관한국제연합협약」(통칭「유엔해양법협약」)의마

련때문이다. 이 협약은섬도영해와접속수역과대륙붕및배타적경제수역

(EZZ)을가진다고규정한반면에“사람의거주또는독자적경제생활을지탱할

수없는암석”은대륙붕및배타적경제수역을가질수없다고규정했다.

독도를섬으로보지않고“사람의거주또는독자적경제생활을지탱할수

없는암석”으로보는견해도있고섬이라고보는견해도있다. 섬으로볼때독

도는영해와접속수역은물론대륙붕과배타적경제수역을당연히갖게되는

것으로풀이된다. 그렇다면한국과일본이각각배타적경제수역의경계를획

정할때독도가기점으로이용될수있을것인가의문제가제기된다.

“한·일간바다의거리는대부분400해리미만이어서피차200해리를선포

하게되면겹치는부분이생긴다.”전문적인용어로, 경계획정에관한문제가

일어난다. 그런데이문제에대해「유엔해양법협약」은형평한해결을달성하기

위해국제법에의거한상호합의에따를것을규정하고있다. 바꿔말해, “당사

국간의합의”이며그목적은“형평한해결”임을알수있다.

우리영토인독도가있는해역에는일본영토인오키시마도들어있다. 중간

선을긋는것이형평한해결을달성할수있는길일까? 아니면우리섬울릉도

123 제6장

Page 12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와일본섬오키시마사이에중간선을긋는것이형평한해결책일까?

해양경계를획정할때해당지역의지리적상황을고려한관계당사국들사

이의합의이다. 바로이점에서일본은독도가자신의“고유한영토”라고다시

주장하면서, 1996년1월하순에독도를포함한배타적경제수역200해리를선

포하기로의결한것이다.

그렇게해놓은뒤, 일본은그기선을어디로잡을것인가의문제를놓고한국

이독도를200 해리선포의기점으로잡지않으면일본도그렇게하지않을뜻

임을암시하고있다.

이러한일본정부의시도에대해, 한국정부는독도가한국의영토라는기존

의입장을확고히하여배타적경제수역의기점을독도로잡음과동시에배타

적경제수역의경계를한국의독도와일본의오키시마사이의중간선으로잡

아야한다는것이신용하교수의지론이다.

4 UN 해양법협약과독도탈환작전

UN 신해양법은1994년에발효되었다. 그후일본정부는1996년에UN 신

해양법을 채택키로 했으며 1997년에 일본정부는「10대 외교 지침」의 하나로

독도 탈환을 설정하여 맹렬한 공격적 외교와 로비를 전개하였다. 예를 들면

「일본정부는한국이외환위기에처하여1997년12월3일IMF 경제관리체제에

들어가는취약한처지에놓이자, 이를절호의기회라고생각했는지, ‘한·일어

업협정’을사전협의도없이1998년1월23일일방적으로파기한다고선언하였

다. 전시에적대국가에대해서나하는방자한외교만행을대한민국에자행한

것이었다. 한·일어업협정의내용에따라1년후인1999년 1월23일이후에는

차기의효력이발생하게되었다.」

한국령독도 124

Page 12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일양국은1999년1월22일까지의1년사이에신한·일어업협정을체

결하거나 또는 무협정 상태에서 일반국제법하의 어업을 하거나 양자 택일을

해야할형편에놓이게되었다.」

새로운한·일어업협정을위한한·일실무자회의가계속되고, 일본측은‘독

도’를 그 안에 포함한‘중간수역(잠정조치수역; 한·일공동관리수역) 설정을

골간으로한새협정안을내놓았다. 협의끝에양국연안에서35해리를중간수

역의좌변과우변으로하는‘중간수역’을설정하고독도는명칭표시없이‘중

간수역’안에포함시킨안이합의되어, 신한·일어업협정이양국정부사이에

1998년12월2일체결되고, 1999년1월6일한국국회비준이날치기로통과되

었다.

앞으로한국은독도를‘개발’하여어업기지로, 또는국내·외관광지로, 연

구실험기지로, 기상관측소기지로, 학생교육도장으로개발하면독도가한국

EEZ의기점으로되기에충분할것임은더설명을요치않는다고본다.

5 새한·일협정과독도문제

새한·일협정이1999년1월22일에두정부사이에비준서가교환됨에따라

그날로발효했다. 이로써1965년 12월 18일에발효한「한·일어업협정」은폐

기됐다.

이협정은, 그교섭의과정에서이미논란을불러일으켰지만, 체결과발효를

계기로특히한국사회에서많은학자들간에격론을불러일으켰다.

정부가 시도한 울릉도 기선안은 좁은 해역으로 인해 일본과의 EEZ경계선

획정교섭을벌여야하는현실을인정하면서, 독도에대한양국의마찰을굳이

불러일으킬필요가있느냐는인식에서비롯됐다.

125 제6장

Page 12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즉, 울릉도를 기

점으로 할 경우 여

기서 49해리 정도

떨어져 있는 독도

는 일본의 오키군

도에서 96해리 떨

어져 있는 상황을

볼 때 자연스럽게

우리 해역에 들어

간다는 것이 정부

의 계산이다. 그렇

게 되면 일본측과

불필요하게 독도를

놓고싸울필요가없지않겠느냐는판단인것이다. 정부는또현재국제법에서

요구하는「섬」의규정을충분히감안하고있다.

특히해양법제121조3항을유념하고있다.

이조항은「사람이정주할수없고(외부보급없이) 독자적인경제생활을할

수없는암석은EEZ와대륙붕을가지지않는다.」는내용이다.

우리측이독도를기선으로삼을경우일본은기다렸다는듯이국제법상개

념논쟁을유발시킬것이뻔한상황이므로이를피해갈수있는방안이울릉도

기선안의요지다. 어차피독도는현재우리의확실한관할하에있는상황이니

까서두를필요가없다는게정부당국자들의생각으로본다.

「새한·일어업협정」제9조제 1항에의하면, 독도는동해의‘중간수역’안

에위치하고있다. 이점과관련해, 신용하교수와김영구교수등은이조항으

로말미암아대한민국의독도영유권이흔들리게됐다고경고했다. “중간수역

안에있는독도에대한실효적지배는더이상보장될수없게됐다”는것이다.

한국령독도 126

Page 12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일어업협정은2002년1월22일효력이만료됐다. 그러나효력이만료돼

도한·일양국이협정파기의사를표시하지않을경우효력은자동연장된다.

이에대해유엔세계해양법재판소재판관박춘호(朴椿浩) 교수와백진현(白珍

鉉) 교수는“중간수역이란한·일두나라의배타적관할권이적용되지않는

수역을의미하는것으로독도문제의현상유지를위한요소”라고했다. 따라서

“새협정은독도영유권문제에대해긍정적인영향도부정적인영향도미치지

않을것이명백하다”고매듭지었다.

외교통상부의입장은박춘호교수및백진현교수의논리와같았다. 외교통

상부아시아·태평양국의윤병세(尹病世) 심의관은 1998년 10월 28일에국회

에서“독도가중간수역에둘러싸여있기는하지만독도및독도영해12해리가

중간수역인것은아니다”라고했다. 그에따르면, “새협정은두나라의배타적

경제수역만을대상으로하고있는데배타적경제수역은영해바깥에서부터시

작된다.”즉독도와영해12해리는어업협상의대상수역이아니다. UN 해양법

협약상배타적경제수역은그정의상영해밖에설정되는수역이다. 이상을요

약하면

첫째, 이협정은본질적으로한·일간어업문제에관한양자조약으로서독

도영유권에어떠한영향도미치지않는것으로평가된다(15조). 본래한·일

양국은협상과정중배타적경제수역(EEZ: Excusive Economic Zone) 경제획

정이어렵게되자독도와어업을분리, 독도문제는현상유지를하고어업질서

에관해협상을벌인것이며협정문안에도이협정이어업에관한사항이외의

국제법상문제에관한각체약국의입장을저해하지않는다고분명히규정하

고있다.

둘째, 동해중간수역이독도를둘러싸고있다고해서한국의독도영유권주

장에손상을미치는것은아니다. 협정의대상수역(對象水域)은양국의배타적

경제수역으로서, 배타적경제수역은해양법규정및한·일양국국내법에따

라영해를당연히제외하는것이다. 또한동해중간수역은어느한국가의전속

127 제6장

Page 12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적또는공동적관할권을인정하는것이아니라단순히양국어선의자유로운

조업을허용하는수역에불과하며공해(公海)와 유사한수역으로서공동관리

수역으로볼수없다.

셋째, 최근일부학자들은새협정문안에독도의지위에관해분명히언급했

어야옳았을것이라는주장을제기하고있으나이협정의성격상그것을언급

할필요가없다. 영유권분쟁조차존재하지않는다는한국측입장에비추어독

도의영해설정문제를일본과협의해서합의를이끌어낼대상으로삼는것자

체가오히려독도에대한한국측의우월한입지를손상시킬우려가있다.

이러한논쟁에서제기된쟁점들의하나는어업협정과독도의영유권과는무

관하다고주장하는학자들은1953년에국제사법재판소가「망끼에및에크레오

섬들 (Minquiers and Echrechos) 사건」에내린판결을중시한다. 이판결은

“이섬들을둘러싼영국과프랑스사이의영유권분쟁사건에서어업협정상섬

들의위치가공동어로구역안에있든그밖에있든영유권과는무관하다는원

칙을명시했다”는것이다. 또한한국헌법재판소도2001년3월21일한·일어

업협정헌법소원사건을기각하면서동협정은독도영유권문제와무관하다

고판시한바있다.

허나신한·일어업협정으로한국의독도영유권주장이예전과같지않은

점이내포되어있다. 일본은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협상에서독도가자국

의영토라고주장하다가철회한바있다.

종래에는독도주변수역이한국의단독관할수역이었으나, 현재는한·일

양국에의한국제관할(공동규제) 수역화됐다. 이또한우리의독도영유권‘유

지’에부정적인영향을미칠수있다.

한국정부의입장은하나의가능한법률적형식논리일뿐, 보다거시적인관

점에서는전혀다른논리도성립될수있음을유의해야하고우리정부는독도

가역사적으로나국제법적으로나명명백백한대한민국의고유한영토라는전

제하에보다단호하고강력하게대처함이타당하다고본다.

한국령독도 128

Page 12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점노무현참여정부의주장은당연한것으로본다.

한국정부는당시국내금융위기상황, 대일경제의존성, 신정부의국제사회

를의식한대일유화정책으로일본의의지를대부분수용한협정이었다.

역사적으로볼때동해에대한경계범위는여러번수정되어왔다. 1952년평

화선을선포하여독도및주변영해를확보한‘이승만라인’이있었고, 1965년

한일협정에서평화선을철폐하여독도주변영해를포기하고공해적인성격으로

지위를격하시킨‘박정희라인’이있었다. 그리고1998년어업협정은한·일양

국간에잠정합의수역을설정하여독도주변12해리에대해일본이한국의독자

적인어업활동을간섭할수있도록할수있는‘김대중라인’이형성된셈이다.

6 독도주변의어업활동

동해울릉도북쪽으로대화퇴(大和堆)라는얕은바다가있다. 이곳은쓰시마

난류와북한한류가교차하는해역으로조류(藻類)가발달해있으며, 플랑크톤

이풍부하여회유성어족이풍부하기때문에울릉도및동해안의어민들에게

주요한어장이되고있다. 이곳에서잡히는주요어종으로는오징어·명태·대

구·상어·볼락·고래·연어·송어등이있으며, 연간출어하는어선수는1천

여척, 어획고는약2만톤에이른다. 특히6월과7월에는오징어잡이배들이독

도주변에몰려들어집어등(集魚燈)을켜기때문에불야성을이룬다. 가관이다.

독도주변의암초주변에는미역·다시마등해초류와전복·소라등조개류

가무진장으로서식하고있어이를채취하기위하여많은어선들이모여든다.

울릉도주민들및동해안사람들은인근해안관청에해초채취허가를얻어서

도해안에서해초와조개류를채취해오고있으며, 최근에는전복, 소라를부화

하여양식을하기도한다. 바다농사를짓는것이다.

129 제6장

Page 13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130

독도 인근에서 조업

중인어선

2006. 3. 10

독도주변의양식업은전혀오염되지않은청정해역이라는점에서중요하다.

이들은서도해안가의파도를피할수있는곳에주거시설및해초건조장을설

치하고겨울에파고가높은2, 3개월을제외하고는이곳에나와작업을한다.

이곳독도는한때식수가없는것으로알려졌으나1965년서도의동북쪽해

안에서약5m 높이에있는동굴에서하루10드럼정도의담수가나오는것이

발견되어이곳에서작업하는어민들의식수문제를덜어주게되었다. 양이많

지않은것이흠이다.

Page 13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6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김동조(金東祚) 『회상 30년 한·일 회담』서울, 중앙일보사, 1986.

2. 김명기, 「독도영유권과 신한일 어업협정의 필요성」독도연구총서 9,

독도연구 보전 협회, 2002

3. 金柄烈, 獨島領有權 論爭과 排他的 經濟水域 外交 38, 1996.

4. 金溶植, 『희망과 도전: 김용식외교회고록』서울, 동아일보사, 1987

5. 金燦奎, 「獨島와 EEZ선포의 숨은 그림」새물결, 通卷180號, 1996.4.

6. 나홍주, 「한·일 어업협정 보완, 또는 종료 후 재협상 고찰」독도연구총서 9, 독도 연구

보전협회, 2002

7. 盧明濬, 「韓日間의 漁業協定」韓國學術진興財團 論文集, 1996.

8. 朴九秉, 「韓日近代漁業關係硏究」釜山水大硏究報告 7-1, 1967.

9. 朴九秉, 「韓末 東海浦漁業을 둘러싼 러·일의 角逐, 亞細亞硏究」13-2, 1970

10. 朴鍾聲, 「경제水域 基點으로서의 獨島에 關한 硏究」

(國際法學會論叢.第23권, 第1,2 합병호) 1978.

11. 陸軍本部, 「獨島問題와 韓國關係」同會刊, 1977.

12. 李度晟 편저. 『실록 박정희와 한·일 회담』, 서울, 寒松, 1995.

13. 李東元, 『대통령을 그리며』, 서울, 고려원, 1992.

14. 李瑄根, 『獨島問題와 韓國交涉』新思潮, 1962.3.

15. 최장근, 「어업협정과 독도 및 EEZ와의 관련성」독도연구총서 10, 독도연구보전협회, 2003.

131 제6장

Page 13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3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7장

한∙일양국의독도인식과반응

Page 13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3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독도의인지(認知)13)

국제법관행에서영토분쟁재정(裁定)의일부가되는역사적사실은, 일반적

으로말하면, 어느편이먼저알았는가와어느편이어느만큼계속적으로이용

해왔는가의두가지이다.

이미이섬의존재에대한인지는, 결론적으로말해현존하는문헌을솔직하

게읽어보면역시한국측문헌이빠르다. 울릉도라는별도의섬이한국의역사

서에등장하는것은 15세기중엽의‘우산도’(于山島)부터이고, 일본문헌에서

처음보이는것보다는약200년빠르다. 특히가장오래전에성립된『세종실

록지리지』에는“우산무릉(武陵) 두섬은현의정동쪽바다가운데있다. 두섬

은서로멀리떨어져있지않고바람이불어청명한날에는즉시바라볼수있

고”하여이도설(二島說)도일관성있게기술했고, 전술한자연조건에도정확

135 제7장

동도전경

2006. 3. 10

13) 카지무라히데키교수글에서발췌

Page 13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히합치한다.

여기에일본측에서는우산과무(울)릉은모두울릉도를가리키는동물이명

에불과한것이라고주장해왔다. 시대가흘러인식이확장됨과함께두이름이

서로다른두섬을가리키는것으로사용됐을가능성을부정할수는없다.

요컨대이시대한국인들의명칭에혼란이있고막연하다고는할지라도동

해가운데서로떨어져있는두섬이있다고인식하고있었던것은확실하다. 실

제로, 17세기말의안용복(安龍福)도‘우산도’를정확하게독도를가리키는말

로알고있었다.

한국측의문헌이시대가지남에따라혼란스러워지는이유는울릉도자체

에대한‘공도정책’(空島政策) 때문이었다. 이정책은1416년경시작해서1881

년까지계속됐다. 한국측은공도정책을취하긴했으나관에의한정기적순시

(巡視)는계속했기때문에영유권을포기하지는않았다고주장하였고, 일본측

도그것에직접적으로이론(異論)을제기하지는않는다. 그렇지만울릉도의공

도화(空島化)가독도에대한인식을막연하게만들었다는것은사실일것이다.

한국령독도 136

파도가 부서지는 동

도와서도사이해역

2006. 3. 10

Page 13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어쨌든공도정책은울릉도, 더구나독도문제를관제문헌에서아주하찮게취급

되도록했다. 또이공도정책때문에17세기일본의도항시대가있을수있다.

다음으로, 성종때(1470~1494년)의기록에등장하는‘삼봉도’(三峯島)에관

해서도‘우산도’의경우와기본적으로같다고말할수있다.

애초성종조의왕조기록에‘삼봉도’가빈번히나오는것은, “울릉도와는별

도로동해가운데삼봉도가있다”고전하는사람이있어왕조측이여기에도조

세를피해백성들이도망가지않았나생각하고여러번탐찰대(探察隊)를파견

했는데1476년김자주(金自周)가이끄는탐찰대를제외하고는모두탐찰에실패

했고, 그가운데울릉도일것으로오인해보고하는관리도있어결국왕조측에

도백성을축출하는것을목적으로하는탐찰은별가치가없다고보아단념하

기에이르렀다. 독도를발견하는데유일하게성공한김자주는이렇게보고했다.

서쪽으로7~8리떨이진섬에도착해닻을내리고보니섬북쪽에세개의바위가나란

히서있었다. 다음의작은섬은암석이나란히서있었고, 그다음에중간섬이있었는데,

중간섬의서쪽에도작은섬이있었다. 이섬들사이에는모두바닷물이통과하면서흘렀

고그바다섬가운데에도또한사람의모양을한것들이따로서있었는데숫자가약30

에이르렀다……

이기술에관하여한국의신석호는독도를동방해상으로부터멀리바라다본

모습과잘일치하며사람모양을했다는것은강치일것이라고설명하는데반

해, 카와카미는이것이야말로울릉도북안(北岸)의경관이라고설명하지만, 지형

도를비교하여보면독도의모습과더잘일치한다고생각된다. 별도의기록에

따르면김자주가“사람모양을한것이백의(白衣)를입은조선인과같았다.”라고

서술한것은왕조측의기대에부응하기위한윤색이었다고도생각할수있다.

따라서 15세기의 조선 민중은 막연하기는 하지만 독도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다고생각된다.

137 제7장

Page 13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본정부는오히려 2차대전이종결된 1945년이후에서부터‘죽도(竹島)의

영토화(領土化) 작업’을 신중(愼重)하고 지속적(持續的)인 태도로 계속하였으

며, 영유권주장과홍보를계속해온것이다.

일본정부는1951년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협상과정에서연합국측에게

조직적인로비를벌이는것에그치지않고, 그이후에계속해서일본국내지도

(地圖)와교과서등각종문헌(文獻)에독도(獨島)를죽도(竹島)로표기하여일본

의영토로나타냄으로써독도가일본영토임을홍보(弘報)해왔다.

뿐만아니라일본은집요한노력으로구미(歐美) 각국의문헌에독도가일본

영토로표기되도록집중적인노력을해왔다. 그리고이러한그들의노력은상

당한효과를내고있다(표참조).

이러한일본의태도와는대조적으로, 한국은독도(獨島)에대해신중하게수

립되고, 일관성(一貫性)있는영유권유지정책이결여되어있었다고말할수밖

에없다.

<표 1> 아세아국가들의한·일독도영유권조사, 한·일영유권주장의강도

한국령독도 138

(100분율)

Japan

Malaysia

Taiwan

Western Expatriates

Australia

Indonesia

Philippine

Hongkong

Asian Expatriates

Singapore

Tailand

South Korea

일 본 령

69.7

66.7

66.7

60

58.8

55.6

54.5

50

47.1

44.4

25

0

한 국 령

30.3

33.3

33.3

40

41.2

44.4

45.5

50

52.9

56.6

75

100

Page 13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독도는일본땅이라고보는일본인의견해와반박

일본이독도문제를거론하면서제기하고있는핵심적인사항은독도는역사

적사실로보나국제법상으로도일본고유의영토인데이섬을한국이불법점

거하고있는상태라는것이다.

요컨대이러한일본측의주장은①역사적권원, ②국제법상의정당성③

한국측의실효적관리에따른부당성이라는세가지사항으로집약된다.

첫째역사적권원을내세우기위해, 한국측사료에나타나있는관련기록을

인정할수없다고하면서연대적으로훨씬후대의특정지역에한정된민담이

나전문에따른신뢰하기어려운기록들을가지고역사적권원(歷史的權原)을

주장하고있다.

15세기이래우리나라고문헌(古文獻)가운데우산도(于山島)라고하는섬이

곧바로 독도인지에 대해서 의문시 된다고 하는가 하면, 우산도, 삼봉도(三峯

島), 가지도(可支島), 독도(獨島)에 해당한다는사실을입증할수있는근거가

없다고하면서거꾸로이와관련되고있는문헌에의해위의섬이름들이독도

가아니라는점을드러내주는것일수있다는날강도같은궤변으로우리의역

사적사실을애써부인하려하고있다.

그런가하면일본측이말하는독도에대한명칭인松島와竹島의잘못된기

록이나 호칭에 대해서는 서양인들의 착인(錯認)으로 돌리는 아전인수(我田引

水)격인논법을펼치고있다.

울릉도의도해금지령을막부가내리고울릉도를조선의영토로인정한사실

에대해서도독도가울릉도의屬島내지母子관계의섬임을부인, 울릉도와독

도를별개시하려하고있다.

즉한국측의울릉도일대에대한搜討政策遂行時독도까지관활한기록이

없음을보아울릉도는한국령으로인정하였지만독도에대해서는영토권을인

정하지않았다는것이다. 그후독도는일본인의航海중寄着地로또는漁撈操

139 제7장

Page 14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業地로이용해왔다는주장을내세우면서독도와의地緣性을부각시키려하고

있다.

그러나분명히일본정부의울릉도도해금지령실시이후哲宗때까지독도문

제에따른분쟁없이평온리에독도인근은울릉도주민의門前沃畓으로써어

로활동기지구실을착실히해온울릉도의屬島내지母子관계의섬임을상기

해야할것이다.

독도존재자체는적어도 17세기부터는일본과조선양쪽에명확히인지되

고있었다. 기술한바와같이명백히조선에귀속한다고주장한사실이나타나

고있다. 그러나일본문헌에는적어도조선측에속한다는사실을적극적으로

부정하는문헌은전혀없다.

한편, 일본측에서는일본에속한다고보는문헌과조선에속하거나또는적

어도일본의고유영토와는다르다고한문헌이병존하고있다. 그동안공도정

책을폐기한후1881년이래조선측에서급속히울릉도개발을진행시켰던것

은명백하다.

그로인해자연히울릉도정주자가독도에출어하게되고, 그와함께독도,

석도라는새로운명칭도생겼음에틀림없다. 1883년조선정부가동남제도(東

南諸島) 개척사겸포경사(捕鯨事)라는관직을마련하여김옥균을이자리에임

명하였던 것은 유명한 사실이고 그 임무에는 독도의 강치채취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883년 경 울릉도로 이주하였던 1862년생 홍재현(洪在現)의

“개척당시울릉도사람은즉시독도를발견하고미역, 전복, 강치등을채취하

러여러번독도에출어하고자신도수십번왕래하였다.”는증언을하고있다.

따라서1881년이래조선민중의독도인식과출어가어느정도진행되고있

었을가능성을전혀부정할수없다. 그러한실태를반영하는것으로써1900년

10월25일부한국정부칙령41호제2조의“(울릉)군청을대하동(臺霞洞)에두

고, 그구역은울릉전도와독도(석도)를관할하도록한다.”라는문구가있다.

둘째, 국제법상의정당성에대해언급하기를 1905년 1월 20일 일본내각은

한국령독도 140

Page 14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오끼도(隱岐島)에서서북쪽 85해리에있는무인도는타국에서이를점령했다

는인정할만한形迹이없고, 메이지(明治) 36년일본인나까이(中井養三郞)라

는자가漁舍를짓고人夫들과함께해산업에종사해오다가이번에영토편입

과임대원을출원하였는데심사하건대명치 36년이래나까이요사부로(中井

養三郞)란자가그섬에이주하여어업에종사했다는것은관계서류에의해명

백하므로국제법상점령의사실이있다고인정되어이것을일본땅으로각의

가결정, 국제법상합법적으로영토취득을했다는것이다.

그러나이섬은타국에서이를점령했다고인정할만한형적(形迹)이없을뿐

아니라, 서기512년인신라지증왕(智證王)13년이래, 우리의영토가된섬으로

그이후결코영토권의포기의사를표명한적이없는섬이다. 이러한섬에대해

타국에서이를점령했다고인정할만한形迹이없다는주장은역사적사실을

도외시한언어도단적행위인것이다. 따라서국제법에서말하는무주의땅을

선점하여자국영토화하는영토취득조건(領土取得條件)에전적으로배치되는

천만부당한조치인것이다.

무엇보다선점의요건중하나로보고있는대외적행위표시가없이대내적

표시에그침으로써실효성(實效性)을상실하고있다. 즉독도의일본땅으로편

입조치는일본이한국의외교권을강탈한상태에서그어떠한항변도표명할

수없었던상황하에이루어진것이므로이를묵인에의한영토취득으로볼수

없는것이다.

또한2차대전에서패한일본은세계1차대전이후폭력및탐욕에의하여약

탈, 도취등으로점령한모든지역으로부터추방된다는연합국측의카이로선

언에의해1945년한국이일본의지배를벗어남과동시에독도역시原狀回復

된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일본은독도가일본의한국점령으로일본령이

된것도아니며한반도를다스리기위한조선총독부의행정관할지가된영역

도아니라하면서애써전후처리의대상자가아님을주장하고있으나, 이는결

코받아들일수없는궤변에불과하다.

141 제7장

Page 14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셋째, 한국측의실효적관리에따른부당성을제기하고있으나, 이미역사적

사실로엄연히우리의영토로서관리되어왔음을수많은기록은입증하고있

다. 예컨대안용복도일건, 대한제국의칙령공포, 울릉도개척령등과광복이

후로는안재홍민정장관의명에의해1947년한국산악회가독도지역의학술조

사를실시하였는가하면, 대한민국건국후에는변영태외무장관의다음과같

은성명을통해독도수호의지를천명해온바있으며, 이후계속해오늘에이르

기까지실효적지배를하고있는것이다.

독도는일본의한국침략에대한희생지였다.

광복과함께독도는다시우리품안에안겼다.

독도는한국독립의상징이다.

이섬에손을대는자는모든한국민의완강한저항을각오하라!

독도는단몇개의바위덩어리가아니라우리겨레의닻이다.

일본이독도탈취를꾀하는것은한국재침략을의미하는것이다.

이후우리의이같은결연한의지와실효적지배에대해일본은외교적채널

을통해異議를제기해오고있으나우리국민모두는독도가단몇개의바위

덩어리가아닌우리겨레의닻임을상기하면서독도에대한올바른이해를통

해일본측의그릇된주장을바로잡아주게될때에비로소한·일양국은국제

사회에서진정한선린우호국으로자리매김함과동시에독도문제는자연히해

소될수있으리라전망된다(본장2절은양태진著한국독립의상징독도맺는말

(p.267~271)에서옮긴것이다).

불행하게도최근일본의‘새로운역사교과서를만드는모임’측이만든중학

교공민교과서에는독도사진이삽화로게재되었다. 나카야마문부과학상은학

습지도요령에독도가일본영토라는사실을분명하게담아야한다고주장하고

나섰다.

한국령독도 142

Page 14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사태의배경에는영토와역사인식문제를의도적으로자극함으로써일본국

민을 국가주의 깃발 아래 결집시키려고 의도하는 보수우경 세력이 존재하고

있다는점이다. 이들은침략국, 패전국의멍에로부터의탈피를목표로내세우

며과거일본에의해자행된침략의역사를정당화하려는경향을가지고있다.

또한이들은일본이평화헌법의족쇄에서벗어나일정한군사적역할을담

당할수있는‘보통국가’로전환해야한다고주장한다. 요컨대이들은영토, 야

스쿠니참배, 역사교과서, 헌법, 군사문제에관한강성주장을펼치며일본의

국가진로를오른쪽으로끌어가려고의도하고있는것이다. 독도문제의배경에

는이러한상황이존재한다.

이와같이우려되는상황전개에도불구하고일본사회전체가보수우경일색

으로치닫고있다고단정할수는없다.

일본에는정치적무관심층이광범위하게존재하고있으며소수이긴하지만

우경화를경계하는양심적인세력도존재한다.

차분히생각해보면한국과일본은자유민주주의와시장경제를공유하고있

는아시아의중요한두나라이다. 독도영유권이나역사인식을둘러싼대립은

양국모두의국익에도도움이되지않는다. 일본정부의보다성숙한자세와반

성이필요하며, 이를토대로한·일양국이자유와인권, 평화라는기본가치를

추구하는보편적입장에서서마찰요인을해소하고관리해나가야한다.

3 독도에대한일본인들의인식

한국인들과다르게일본인들의대다수가‘다케시마’, 즉독도를‘분명히일

본고유의영토’라고생각하고있다. 1965년이래잠깐동안그열기가식었던

‘다케시마문제’가다시클로즈업된 1977년 2월“다케시마는한치도의심할

143 제7장

Page 14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바없이일본고유영토”라고말한후쿠다수상발언이후, ‘아사히신문(朝日新

聞)’에이문제와관련된투고가전부7편게재됐는데뉘앙스는다르지만전부

가일본영토라는전제를깔고있다. 물론신문의투고란은투고자개개인의주

관뿐아니라투고를선별하는편집자의주관도반영하고있지만, 실제투고의

대부분은이러한의도아래쓰여졌다. 다른신문도마찬가지였다.

투고자들이대부분이러한인식으로부터출발해, 한국이일방적으로억지를

쓰고있다고생각하면서그에대한일본정부의소극적인태도를비난해, 아래

로부터의배외주의적압력을행사하고있다.

이런사태에관해서한국측의주장에대해상세한소개도하지않고일방적

으로일본측의주장을선전해왔던일본정부의태도에도책임이있다. 많은일

본국민은“후쿠다(福田) 수상이자신있게일본영토라고말하는것으로보아,

설마거기에상당한근거가없지는않을것”이라고생각하고있음에틀림없다.

또, 일본외무성이현재까지공표한문서들을솔직히돌이켜본다면이러한인

식에도달하지않을수없게된다. 실제로외무성은투고자들에게대답하는문

장가운데서

우리나라는다케시마가역사적으로보나국제법상으로보나우리고유의영토라고하

는것은명백하다는입장을갖고있습니다. 우리나라는한국에엄중항의하고, 그주장에

근거가없음을문서를제시해상세히설명했지만, 한국측은납득하지않고……

등의말을되풀이하고있다(아사히신문, 1979년 3월 12일자). 이러한사실

들을소박하게믿거나, 또는비판적으로검토할자료와여유를갖지못하는99

퍼센트이상의일본인들이한국의‘횡포’에불신을갖게되고, 일본측의소극

적태도를의아하게생각하게되는것은지극히자연스러운일일지도모른다.

이러한의식의상태는한국측의인식과아주다르다. 많은투고자들은사태

가해결되지못함을초조해하면서일본측이‘소극적자세’를가진원인은한

한국령독도 144

Page 14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의유착상태나‘무언가개운치않은상태’등에있지나않을까하고추정하는

혁신적비판의입장을취하고있다. 그러한가운데의아한상황에관한사고를

일보진전시켜, “한·일양쪽이증거를충분히제시해, 양쪽국민이납득할수

있는방법으로해결하기위한외무성당국의설명”을요구하고있다(본장의 3

절은카지무라히따키저『왜독도는한국땅인가』의9~11면에서옮긴것이다).

4 한국의대일본독트린14)

한국 정부는 2005년 3월 17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열고

독도사태와교과서왜곡문제로촉발된한·일관계악화와관련, 4개항의향

후한·일관계기조와5개항의대응방향을담은성명문을발표했다.

정동영 NSC 상임위원장겸통일부장관이발표한‘NSC 상임위원회성명

문’에서정부는독도및과거사문제와관련된일본내일각의행동을“과거식

민지침탈을정당화하려는의식이내재된엄중한시안”으로규정하고단호히

대처할것임을천명했다.

독도사태에대해“과거식민지침탈과정에서강제편입됐다고8·15 해방

으로회복한독도에대한일본의영유권주장은단순한영유권문제가아니라

해방의역사를부인하는것”이라고규탄했다. 교과서왜곡문제에대해선“국

제사회및일본의양심세력과연대하는등모든가능한수단을활용해대처해

나갈것”이라고밝혔다.

정부는일본의유엔안전보장이사회진출문제와관련해“이웃나라의신뢰를

먼저얻는것이지도적국가로의첫걸음”이라며“일본의움직임을주시하면서

145 제7장

14) 서승욱(중앙일보기자)

Page 14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적절히대응해나가겠다”고밝혔다. 또일제피해자배상문제에대해서는“그

동안정부는시민사회의요구에대해직접적대응을자제해왔으나 (이제부터)

우리정부가부담할일은직접해결해나갈것”이라고천명했다. 정부는특히

일본에대해“1965년한·일협정범위밖의사안들과관련해피해를본개인에

대해선일본정부가인권존중과인류보편적규범의준수차원에서해결하도

록촉구해나갈것”이라고밝혔다. “미래지향적한·일관계발전을위해과거

사문제를참여정부에서는건드리지않는다”고한방침을선회, 정면으로다루

겠다고선언했기때문이다. 거기에다어느때보다강한어조로일본을성토했

다. 앞으로상당기간적용될‘신강경독트린’을선포한것이다. 독트린의골자

는일본의과거사왜곡정면대응일본의과거사왜곡을바로잡기위한국제적

연대다.

성명은우선일본에대한실망과분노를노골적으로표현했다. “일본이과연

동북아평화세력으로이웃과공존하려는의지가있는지에대해근본적의문을

자아내고있다”고공격하고있다. 또독도문제에대해선“단순한영유권문제

가아니라해방의역사를부인하고과거침탈을정당화하는행위와다름없다”

고비난했다. 또 1995년무라야마총리담화와98년한·일파트너십공동선

언을통해천명한‘반성’과‘사죄’마저거두어들이려는것이아닌가하는의구

심마저갖고있다고했다.

한마디로“일본을믿을수없다”는것이다. 정부가이렇게강경하게된이유

를이태식외교부차관은‘혼자서는손뼉을칠수없다’는논리로표현했다.

“최근상황을볼때한국만과거를돌아보지않고미래로나간다고해서효

과가있겠느냐는문제가있다. 미래건설은함께손잡고나가야지한쪽당사자

가계속뒤를돌아보며과거를회고하면바람직한미래관계는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요컨대우리는일본에기대를걸고있었는데일본은이에아랑곳하지

않는데대한실망감을표현한것이다.

대응조치가운데눈에띄는대목은‘국제적연대구상’이다. 우리가혼자목

한국령독도 146

Page 14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소리를높여도일본이망언을반복하고있어이를국제적연대로방향을바꾸

겠다는뜻이다. 특히일본은유엔상임이사국진출을희망하고있어국제적압

력이가장유효한수단이라고본것이다. 또일본내의양심세력과극우세력을

분리해대응하겠다는의도도분명히했다. 일본전체를비판의대상으로만들

어우호세력까지등을돌리게하지않겠다는배려다.

지난해한류붐을보았다. 욘사마열풍에표출된평균적인조용한일본국민

의마음가짐이다. 일본에우도있고좌도있지만, 조리있게설명하면설득될

수있는세력이산재해있다. 교과서문제에서한국에동정적인일본의제1야

당대표가독도를일본영토라고공언하고있는시점에아직도고이즈미총리가

독도발언을자제하고있는것도눈여겨봐야한다.

<한·일관계4대기조>

①인류상식에기초한한·일관계세계사의보편적방식에입각한과거사

문제해결

②일본일각의독도및과거사관련행태단호대처

③우리의대의와정당성을국제사회에당당히전파

④합의된일본과의정치외교적교류는변함없이증진

<정부대응5대원칙>

①독도영유권확고히수호하기위한조치

②국제사회및일본의양심세력과연대해역사왜곡시정

③일제피해자문제정당하게해결노력

④일본의움직임주시하고적절히대응

⑤일본이동북아평화안정의동반자라는희망포기안해

147 제7장

Page 14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5 독도에대한북측의인식15)

새해벽두부터‘야스구니진쟈’에대한참배놀음으로일본사회에우경화, 군

국화의 분위기를 고취한 일본당국자가 최근에는‘독도영유권’망언으로 우리

나라에대한재침야망을노골적으로드러내놓았다.

여기 조선 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률가 학회는 일본의‘독도영유권’주장의

비법성을다시한번폭로단죄하고독도가우리나라의신성한영토임을만천하

에명백히밝힌다.

그들은「시마네현고시」가독도의‘영토편입’에관한일본의국가적의사가

명백히표시된법적문건이며따라서독도가실정국제법에따라‘일본의고유

영토’로편입되었다고주장하고있다. 「시마네현고시」의비법성은우선그것

이전통국제법상선점의원리에전적으로배치된다는데있다.

일반적으로국가의 관할영토범위는국내법이나인접국가들사이에 체결되

는국제조약으로확정된다. 그러나무주지역이나무주섬의경우그의귀속은

전통국제법상선점의원리에기초하고있다. 그러나우리나라역사를기록한

『삼국사기』,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등에는독도가

A.D 500년전부터우리나라의속국이였던우산국의영토였음을밝히고있으

며 1667년 일본에서 발행한『은주시청합기』, 1896년의 일본외무성이 발행한

도서들에서도독도가조선의영토라는것을명백히인정하고있다.

「시마네현고시」의비법성은또한그것이합법적인영토점유에관한국가의

대외적공시로, 주권적법률행위로되지않는다는데있다.

영토점유는나라의주권이행사되는지역과관련되는법률행위인것으로하

여국가의법률행위들에서도가장중요한행위의하나로되며반드시국가를

대표하는기관의공식적인의사표시가있어야하고국가의명의로내외에널

한국령독도 148

15) 2004. 1. 29 노동신문에서발췌

Page 14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리선포되어야한다. 대외적공포가실현되지못한국가적의사는국제적인정

을받을수없다. 때문에일본자신도오가사와라섬을자기영유로할때유럽

12개나라들에이섬에대한저들의관리를통보하였으며오가사와라섬의부

속섬인미나미도리섬의영토편입을결정하였을때에는그에관한고시를‘요

미우리신문’과‘미야꼬신문’을비롯한중앙신문들에널리게재하였다.

그러나‘독도편입’에관한일본의‘국가적의사’라고떠드는각의결정은정

부의 관보로 공포되지도 않았고 다른 나라들에 통보되지도 않았으며 국가의

정책을집행하는집행단위에불과한지방당국의관보에만게재되었을뿐이다.

당시일본의「시마네현고시」조작놀음에대하여알고있는것은일본정부각

료들과시마네현관리들을비롯한관계자들뿐이었으며절대다수의일본사람들

은물론일본에주재하는각국외교대표들도이에대하여전혀모르고있었다.

그것은「시마네현고시」제40호가조작된1905년이후일본에서발행된지리

책들과지도들(1908년『한국수로지』, 1923년『조선연안수로지』, 1938년 12월

일본‘여행협회’에서 발행한『여비와 비용계산』, 1945년 6월『조선연안수로

지』, (1951년일본학교교과서용으로출판된현대지도등)에독도가조선의섬

149 제7장

북한 발행 독도 기

념우표(법타스님

소장)

Page 15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으로정확히기록되고표시되어있는사실을통해서잘알수있다.

일본이정부의관보로써떳떳하게독도의영토편입결정을세상에발표하지

못하고다른나라들에도통지하질못한데는그럴만한이유가있었다.

그것은 1900년에벌써우리나라가그이전부터행사해오던독도의영유권

을근대의국제법적요구에맞게명백한법적구비요건을갖추어서칙령제41

호와정부관보로써다시금내외에널리공포하였기때문이다.

일본반동들은패망후에도독도에대한침략야망을버리지않고군국주의

의재생과함께독도강탈책동을더욱노골적으로감행하였다.

전후일본반동들이‘독도의영유권’을요구하는법률적론거의하나는제2

차세계대전말기와직후에연합국들이일본의전후처리와관련하여발표한

선언과 각서들에 일본의 영토에서 독도를 제외한다는 명문화된 규정이 없기

때문에일본의독도영유권은패전후에도계속유지된다는것이다.

패망한 일본의 장래문제와관련하여연합군들이발표한 국제법문서들로서

는‘카이로선언’, ‘포츠담선언’, 연합국최고사령부의각서등을들수있다. 이

규정은일제침략세력을완전히몰아내고조선을독립국으로발전시킨다는것

이다.

따라서일본이비법적으로강점한조선반도는물론그부속섬모두를조선

인민에게돌려주는것은카이로의기본정신이고요구이다.

1945년7월26일에서명된포츠담선언제8항에서도카이로의조항들이이

행되어야한다는것을재확인하고‘일본의주권은혼슈, 훗가이도, 규슈및시

고꾸와우리가결정하는여러작은섬들에국한되어야한다’고규정하였다.

여기서이야기하는작은섬들에대한범위는그후일본주둔연합국최고사

령부의각서에의해 1946년 1월 29일과6월22일두차례에걸쳐확정되고일

본정부에전달되었다.

이와같이‘카이로’와‘포츠담선언’그리고연합국최고사령부가발표한각서

들은모두역사적으로조선의고유영토로인정되어온독도의법적지위를국제

한국령독도 150

Page 15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적으로다시한번명백히확인해주고있다.

카이로와포츠담선언은「포츠담선언의조항수락에관한조서」, 「포츠담선언

수락통고서」, 「일본항복문서」등여러차례에걸치는일본정부의공식수락과

정을통하여연합국의일방적인선언이아니라전승국과전패국의합의문건으

로, 일본의 영토범위를 한정시키는 강력한 구속력을 가진 국제조약규범으로

되었다.

따라서일본이저들의주권이행사되는영토에독도를포함시키지않은카

이로와포츠담선언을공식수락한것은결국일본자신이독도를일본의땅이

아니라조선의섬으로공식인정하였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전후일본반동들이‘독도의영유권’을요구하여들고나온‘법률적론거’의

또 다른 하나는 1951년 9월 8일에 체결된‘대일강화조약’의 조선영역규정에

독도가들어있지않다는것이다. 그러나이주장은국제법적원리에맞지않는

궤변이다.

국제조약은조약체결에참가하고또조약을인정한국가들에대하여서만적

용되고그준수가요구되어야한다는것이국제법의일반요구이다. 우리나라

는‘대일강화조약’체결에참가하지도않았으며인정하지도않았다.

따라서이조약이우리와일본사이의전후처리문제를해결하는법적기준

으로될수는없다.

원래‘대일강화조약’체결마당에는미국의방해책동으로인하여일본에강점

되어가장큰인적, 물적피해를당한우리나라를비롯하여이전소련과중국,

인디아, 미얀마등응당참가하여야할많은교전국들이배제되고‘대일강화조

약’과아무런관계도없는미국의추종국가들만이참가하였다.

때문에우리나라는1951년9월 15일외무성성명을통하여이‘조약’의비법

성을밝히고그것을인정하지않는다른것을선포하였다.

작은섬을그와가장가까운거리에있는큰섬의부속섬으로인정하는것은

국제적관례이며여기에는일본도예외가아니다. 그것은일본이오가사와라

151 제7장

Page 15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섬에서동쪽으로660마일떨어진미나미도리섬을오가사와라섬의부속섬으로

보고일본의섬으로인정한사실을놓고서도잘알수있다. 그러므로조선의

섬으로표기된‘조약문’의울릉도에는당연히그부속섬까지포함된다고보아

야할것이다.

일본이조약문에섬이름이밝혀져있지않기때문에독도가조선으로부터제

외된다는것은말도되지않는다. 일본반동들은시마네현의관리들을부추겨

1951년8월30일시마네현의이름으로정부에‘시마네현영토다께시마의재확

인에대하여’라는이른바‘진정서’를내게하고그것을처리한다는구실밑에

미국에‘대일강화조약’에서독도를일본섬으로만들어줄것을애걸하였다.

미제는일본군국주의자들의이러한교활한책동에공감을표시하여‘대일강

화조약’의미국측‘6차초안’에독도를일본영토로표기하였다.

그러나 독도가 역사적으로 조선의 영토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던 영국을

비롯한회의참가국들의의견으로하여독도의일본영토표기는‘조약’에서삭

제되었다.

이상에서본바와같이일본반동들이독도에대한우리나라의영토적소속

을부정하고그것을일본의섬으로만들기위하여들고나오는논거들은모두

역사적으로는물론국제법적견지에서보아도아무런타당성이없는강도적인

논리로일관되어있는것들로서어떻게하나저들의독도강탈책동을합리화하

기위한궤변에지나지않는다.

그러면일본당국이역사적견지에서나국제법적견지에서이미그비법성이

명확하게증명된‘독도영유권’을계속운운하는이유는어디에있는가.

독도에대한일본정부관리들의발언들은결코그들의국제법에대한무식

이나사료에대한이해상착오에서오는것이아니라해외침략의칼부림으로

얼룩진과거사를찬미하며지난세기거품처럼사라져버린아시아맹주의꿈

을기어이이루어보려는시대착오적인군국주의해외팽창야망의집중적표현

이다.

한국령독도 152

Page 15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본이지난날의수치스러운역사의교훈을망각하고어리석게도해외팽창

의길로계속나간다면우리인민과아시아나라인민들의보다강력한규탄과

배격을받게될것이며자멸을재촉하는결과만을가져오게될것이다.

6 한국정치권의반응

시마네현독도의날제정으로한국의정치권도들끓었다. 여야할것없이강

경대응방침을밝혔다.

열린우리당임종석대변인은당차원의논평을통해“독도를한국이불법점

거했다고주장하는일본의행태를한국에대한명백한침략적저의로간주한

다”며“여당과정부는독도문제에대해일본과협상하지않을것”이라고밝혔

다. 열린우리당은17일긴급의원총회를열어당의단호한입을밝히는결의문

을채택했다.

한나라당은이날일본의독도영유권주장중단을촉구하고10월25일을‘독

도의날’로제정하는내용의결의안을국회에제출했다. 또 182억원을내년도

예산안에반영, ▶독도역사소책자1천만부발간▶독도영구거주민모집및

이주비지원▶500원짜리독도주화2종발행▶해군독도함건조및독도상공

방어용비행기도입등독도수호관련7대사업을벌여나가기로했다. 민노당

은일본총리의사과와주일한국대사의즉각소환, 독도관련특별법제정등

을촉구했다.

여야는이날원내수석부대표회담을열어의원20명이참여하는‘독도수호

및일본역사교과서왜곡대책특별위원회’를구성, 17일부터가동키로했다.

김태홍(열린우리당)·고진화(한나라당)·이영순(민주노동당)의원등여야의원

30여명은이날오후국회본청계단에서일본을규탄하는시위를벌였다.16)

153 제7장

Page 15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독도문제는이번사태처럼표면적으로드러나는경우를제외하고늘한·

일양국간외교부서의물밑신경전을펼쳐야하는사안이다.

일본외무성은지난40여년동안독도영유권을주장하는외교문서를꾸준하

게보내왔던것으로알려졌다. 외교부에따르면이문서에는‘독도가일본의영

토’라는주장이주로언급돼있다. 일본에서‘독도영유권’관련노트가오면우리

외교부는이에대해정부의입장을전달해왔다고한다. 이런상황에비춰보면,

독도는한·일간보이지않는논란의씨앗으로잠재해왔다고봐도무방하다.

일본의일개현에서촉발된양국간‘독도논란’에우리정치권과시민사회단

체등국가전체가들고일어나는모양새다. 집권여당이자주적외교정책에총

력을 기울일 경우, 국민정서가 정부입장과 동일해지고 궁극적으로는 지지도

상승도덤으로돌아올수있다는분석이다. 사실이사건으로노무현정권의지

지도가상승한결과도나왔다. 이사건에대해일본정부의대응은냉소적이라

고할만큼차분하게진행되고있다.

우리정부의‘대일신독트린’발표에대해일본외상은담화를통해“한국

민의과거역사에관한심정을무겁게받아들인다”고밝혔다. 외상담화는그럼

에도독도영유권, 교과서검정, 한일협정외식민지배피해자에대해서는한국

측의‘해법’에수긍하기어렵다는입장을내비쳤다.

7 일본정부의독도야욕

일본의영토야욕과군국주의근성은지금도역사를반성할줄모르는야만

민족근성의표본이다. 2005년3월독일을보라, 독일대통령인호르스트퀼러

한국령독도 154

16) 김정욱(중앙일보기자, 2005. 3. 17)

Page 15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는2005년3월2일이스라엘의회를방문, 눈물을흘리며나치시대당시독일

이유대인에게저지른범죄를사죄, 반성했다.

일본을보라, 고이즈미는태평양전쟁특급전범을군신으로모시는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면서도 한국민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당했던 역사의 고통과

피해에는한번도고개숙여사과하지않았다.

근자에독도에대한일본의영토야욕이점점노골화하고있다. 예전에는주

로일본정부관리가다케시마에대한영토주권을강변하는‘독도망언’의수준

에그쳤었다. 또일과성해프닝의성격이강했다. 하지만지금은단순‘거론’에

서더나가지방적입법행정조치와독도침범이라는‘행동’으로써일본의영유

권주장을기정사실화하려하고있다. 2004년 5월초‘니혼시도카이(日本土

道會)’회원4명의무모한독도상륙기도는그대표적인예이다.

단계적으로수위를높여가는추세에있다는것도주목할대목이다. 그동안

주일한국대사관앞시위등에머물렀던일본우익단체들의독도관련행보가

155 제7장

L.A에서 독도 지키

기 세미나 후 일본

정부의 독도 야욕규

탄대회(좌로부터 이

병도, 던칸 교수, 홍

순칠대장딸, 김재동,

차종환)

2005. 3

Page 15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근자에는선박을이용한해상시위, 독도상륙기도, 다케시마우표발행등으로

확대되어온것이다.

급기야2005년 2월 23일일본시마네현(島根懸)은역사적지리적으로나국

제법적으로나대한민국의고유한영토임이분명한독도에대해‘다케시마(竹

島)의날’을제정하는조례안을상정했고, 3월16일이를통과시키는폭거를자

행하였다.

또한주한일본대사는최초로서울한복판에서버젓이‘독도는일본땅’이

라고강변하기에이르렀다.

독도와관련된이같은일본의행태는영유권행사실적을축적하는한편, 이

를고리로이섬을자국의영토로호도, ‘기정사실’화하면서국제여론을가급

적자국에유리하게조성하려는데그목적이있다.

하지만 일본의 조치와 언사는 다분히 침략적이며 시대착오적이다. 우리가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독도를 호시탐탐 넘보는 일본의 강탈적 자세는 아직도

19세기적제국주의에서완전히벗어나지못했음을보여준다.

을사조약체결100주년에즈음해식민지배에대한진솔한반성대신또다

른영토야욕을드러낸독도망언은, 한류열풍속에서국교정상화40주년을

맞는올해(2005년)를‘한일우정의해’로지정한것을무색하게만들고있다.

일본은새교과서에서도독도는국제법상일본영토라고명시했다. 또한이

번에센카쿠열도의날을제정하여중국과도마찰을일으키고있다.

다카노도시유키주한일본대사의‘독도망언’에이어워싱턴주재일본대

사관의아가와나오유키공보공사가워싱턴포스트를통해“독도는일본영

토”라고주장했다.

다카노대사의‘독도망언’으로한·일간전례없이긴장이고조되고있음에

도일본이미국에주재하는고위외교관을동원해역사를왜곡한해외홍보전

까지나서자주미대사관도긴급대응에나서기로했다.

아가와 공사는 워싱턴 포스트가 한·일간 독도 분쟁 관련기사에서 동해와

한국령독도 156

Page 15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본해, 독도와다케시마란명칭을병기한지도를사용한것과관련해기고문

을내고“바다이름은일본해가맞으며, 독도도일본의한부분인만큼다케시

마라고불러야한다”고주장했다. 그는“일본은그바다를지난19세기초이후

전세계공동체가널리사용하는이름인‘일본해’로부르는것이필수적이라고

믿는다”고말했다.

오수동주미대사관공보공사는아가와공사의유엔관련주장에대해“유

엔이분쟁지역명칭은병기할것을권장하고있는데유엔전체의사도아닌한

사무실에서그같은주장을하는것은억지”라고지적했다.

마치무라노부타카일본외상의2005년 3월 16일담화문기조는‘3대현안

에는양보하지않겠다.’는것이다. 3대현안은대일청구권, 독도, 교과서왜곡

문제다. 거기에‘은근한협박, 약간의성의표시’와함께‘더는사태를악화시

키지말자는호소’를복합적으로담았다.

우선담화는최근사태의심각성을인정했다. ‘무겁게받아들인다(1항).’‘일

본이아시아에많은고통을안겨준역사적사실을겸허히받아들인다(4항).’표

현이그것이다. 외교부당국자는‘매우진지한표현’이라고평가했다. 양국이

미래지향적으로가야한다는점도인정했다.

그러나문제해결방식에는한국측과인식의차이가크다. 현사태와관련,

‘서로의마음에맺혀있는응어리를제거하자’고했다. 이번사태는일본시마

네현의독도조례제정과다카노도시유키(高野紀元) 주한일대사의“독도는

일본땅”발언으로촉발됐다. 그런데도‘일본도서운하다’는뜻을‘서로의마음

에맺혀있는응어리’로표현한것이다. 나아가‘상호인내와관용을가지고이

웃으로서서로도와가는정신이필요하다(4항)’고했다.

양측의공동책임으로몰고가며일본측의책임을희석시키려는뜻이다. 일

본의과거사왜곡시정을위해‘왜한국이상호인내와관용을가져야하는지’

의아할수밖에없다.

거기에‘약간의으름장’도곁들였다. 청구권문제와관련, “양국관계역사의

157 제7장

Page 15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톱니바퀴를되돌리는것은현명하다고할수없다”고했다. ‘현상변화를시도

하면양국관계가악화할것’이란시사다. ‘이점에관해한국의양식을확신한

다’고한것은‘일본은물러나지않는다’는태도를드러낸것으로외교부당국

자는해석했다.

이문제를제기하는것은양식이없는짓이란경고다. ‘양국은함께전진하

는파트너로함께대처해나가지않으면안된다(5항)’고했다. ‘한국이너무엇

나가지말라’는경고인셈이다.

독도에대해선“예부터입장차가있었다”고했다. 그러면서‘각각의주지의

입장은입장으로하고’라면서독도가일본영토라는기존의입장을재확인했

다. ‘감정적대립을말자’면서한국이너무감정적이라는비판도담았다. 교과

서문제에대해서도‘공정하고적절한검정’이란원칙론을반복했다. 다만청

구권문제와관련, ‘징용자유골조사에대한협조’약속을한것은종래보다

진전된것이다.

담화내용분석

▶사태심각성= 무겁게, 겸허히받아들인다.

▶해결방식= 서로의응어리를제거하자. 양국의노력필요

▶독도영유권주장= 각각의주지의입장은입장으로하고

▶대일청구권= 역사의톱니바퀴를되돌리는것은현명치않다.

▶교과서왜곡= 공정하고적절하게검정할것

한국령독도 158

Page 15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8 독도의날조례재정과정부의대응

한국정부는2005년3월16일일본시마네현의회가그간우리정부의거듭

된중지요청에도불구하고2월22일을‘독도의날’로제정하는조례안통과를

강행한것에대해강력히항의했다.

정부는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명백한우리고유의영토인독도에대

한우리의주권을손상시키려는불순한의도를가진동조례안의즉각적인폐

지를다시한번요구했다.

일본의 일개 지자체에 불과한 시마네현의 이러한 무분별한 행위는 아무런

국제법적효력도없으며독도의현지위에아무런영향을미치지않는다는것

을천명했다. 일본시마네현의이러한행위는국교정상화40주년인2005년을

‘한·일우정의해’로설정하고양국간인적·문화적교류를보다촉진함으로

써국민간이해와우정을강화해나가고자하는한국정부의노력을정면으로

훼손하는행위이다.

독도가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명백한대한민국고유의영토임을거

듭밝히며, 우리의독도영유권을침해하려는어떠한시도에대해서도단호히

대응해나갈것임을다시한번천명했다.

또한, 문화재청장은 2005년 3월 16일일반국민누구나가자유롭게독도를

방문할수있도록하는독도입도제도개선안을발표하였으며, 지자체차원에

서도다양한대응조치를발표하였다.

우리의독도영유권공고화를위한장기적대응전략을보다적극적으로추

진해나가면서독도영유권에대한오기사례등해외의잘못된시각을수정해

나가는노력도꾸준히계속해나가고자했다.

159 제7장

Page 16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9 독도와한류(韓流)

시마네현의회의독도의날선포는주민의관심을끌기위한작전으로본다.

또한일본중앙정부가북방영토에는지대한관심을표명하지만독도소유권에

너무등한시한데서왔다고본다.

따라서 보수 우익 쪽 국회의원으로부터 외무성은 어느 나라 외무성이냐고

성토를받고있다. 중앙정부는독도의날선포에크게신경을쓰지않다가실책

을맞이했다.

허나독도문제로시마네지방정부의가난한어촌이전국적세계적선전효

과를보고있다. 한류에들떠있는일본인들이나주한일본인은독도의소유권

에대해별로관심이없다.

한국민에게는‘독도는 우리 땅’시위가 산불 번지듯 한반도 전역에 번지자

“독도보다‘한류’가걱정이다”는한인들이있다.

“아무리‘다케시마의날’을제정한다한들독도가일본땅이되겠는가, 하지

만반일감정이너무강경일변도로나가면모처럼형성된한류에이상이생길

까걱정된다.

미주한인들은공간적으로조국과떨어져있어서그럴까한국TV뉴스를통

해반일시위현장의격렬함을보다보면‘감정이너무앞선다’는느낌을자주

받는다. 일본이괘씸한것은두말할필요도없지만, 그렇다고감정일변도로나

가서야득보다실이많지않겠는가하는우려이다.

한류가한랭전선으로얼어붙을까봐전전긍긍하는것은사실한국에서더강

하다. 일본에서뜨고있는한류연예인들, 한류관광으로재미를보는관광업계

에세이번‘독도’는예기치못한역풍이다.

그렇다면독도문제는실제로한류에얼마나영향을미치고있을까. 며칠전

마이니치신문은수학여행, 자매도시친선공연, 스포츠교류등양국간추진되

었던사업들이50여건중단, 연기되었다는집계를보도했다. 그런데대부분이

한국령독도 160

Page 16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측의요청에따라중단되었을뿐일본의일반대중은현사태를잘알지도

못한다고한다. 일본관광객들이한국에와서야독도문제가얼마나심각한지

를보고놀란다는것이다.

우리만일방적으로흥분하는것같아자존심이상하는측면이있다. 하지만

덕분에한류스타들의인기에는별지장이없다고하니그점은다행이다.

21세기한국이내세워야할자산이문화임은자명하다. 역사문제를바로세

우면서도대중문화로얻은타국민의호감역시잃지않는이성적전략이필요

하다. 지나친대응은아직도건재한한류에역효과를나타낼것이다.

10 일본의독도침탈시나리오

‘설마’했던일본의독도침탈시나리오가점차현실로드러나고있어충격

을던져주고있다. 독도유인도화국민운동본부황백현의장은5년전자신의저

서『대마도는한국땅, 독도는우리땅』에서일본의독도획득과정을 6단계로

나누어예상했는데, 공교롭게도실제와점차맞아떨어지고있다.

황의장은당시6단계를▲기록축적▲독도의한일공동관리수역화▲평화헌

법개정▲독도불시상륙▲국제사법재판소제소▲무력점령등으로나눠예

상했었다. 현재 3단계까지진행중이라는게황의장의설명, 더욱이이같은시

나리오는언제든지군사적충돌로치달을가능성까지내포해더욱더긴장감을

높여주고있다.

특히일본의헌법개정움직임이논의중인데다유엔안보리이사국으로서

의진출가능성역시점차커지고있어일본의독도점령6단계시나리오는더

욱더비상한관심을모을전망이다.

일본의독도침탈1단계시나리오는이미오래전부터시작됐다. 황백현의장

161 제7장

Page 16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밝힌1단계는독도가일본땅

이라는각종기록을축적하는것

이다. 이에 따르면 일본 시마네

현오키군 코카촌에“1883년에

독도수자원보호를시작했다”는

기록이 있었다거나, 1905년 시

마네현 고시 제 40호로 독도가

시마네현에속한다고발표한것

등이이에속한다.

이어일본은1954년히로시마

통상산업국장이 독도 광업권을

허가했고사업권자 1명이“한국측의‘불법점거’로인해채굴이불가능하므로

세금징수가 부당하다”고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을“이유없다”고 기각하는 등

독도가일본영토라는판례를남겨놓기도했다.

한국령독도 162

일본의독도반환요

구광고판

“돌아오라! 죽도 우

리곁으로”

“죽도의영토권확립

과 어업의 안전조업

의확보를”

Page 16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53년일본해상보안대원등이독

도에 기습상륙해 독도가 일본 영토라

는 표지판을 세운 것과 1999년 산인

역사관에 독도를 일본영토로 표기한

지도를 전시한 사례도 모두 1단계의

구체적실행방안으로평가된다.

1945년이후일본이세계각국에배

포한수십만부의지도와팜플렛은이

같은 전략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한

바있다.

2단계는1999년신한·일어업협정

에서 독도를 공동관리수역인‘중간수

역’으로만든것과깊은관련이있다. 이와함께일본은독도를‘리앙쿠르록스’

라고표시하도록전세계에로비를펼쳐온것으로전해진다.

163 제7장

“죽도여돌아오라섬

과바다”

“죽도는우리나라고

유의영토입니다”

“죽도는우라나라고

유의영토입니다”

Page 16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의독도영유를희석시켜‘공해상의섬’으로만들려는일본의의도에서

나온단어다. 3단계인일본의평화헌법개정역시집권당이개헌을추진중이라

는점에서현재진행형이라고할수있다.

현행일본헌법이일명평화헌법으로불리는것은제9조의내용때문인데

여기에는‘국가는전쟁을일으킬권리가없다는것을인정한다. 국가간의분쟁

을무력에의한위협이나무력공격으로해결하는것을부정한다(1항)’와‘이를

실현하기위해육군, 해군, 공군및그외의전력을보지[보유]하지않는다. 국

가는전쟁을일으킬권리가없다(2항)’는내용이담겨있다.

그런데최근들어일본정치권에선북한의위협, PKO파병등을이유로 9조

를손질해야한다는목소리가커지고있으며여론지지율도점차높아지고있

는상황이다.

전문가들은평화헌법이개정될경우자위대가군으로바뀔것은명확하며,

자위대의활동반경도한층더확대될것으로전망하고있다. 이렇게되면한국

은방위비만한국의전체예산과맞먹는금액으로증액하여일본군과대치해

야하는상황에직면할가능성도없지않다.

3단계까지가현재진행형이라면이후부터는미래예상시나리오와관련된

것들이다.

4단계에서일본이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진출과함께불시에독도상륙을

시도할것으로내다봤다. 이렇게될경우양국간무력충돌은피할수없게되

며, 결과적으로한국영토인독도를‘분쟁지역’으로만들려는일본의의도가성

공할것이라는예상이다.

5단계는일본이독도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제소하는것으로이는일본

관계자들이누차강조해왔던사안이기도하다.

이와관련, 일본이일단안보리상임이사국이되면국제사회에서의영향력

이한층더커지는만큼반드시관철시킬것으로내다봤다.

6단계는한·일무력충돌에관한것이다. 어느쪽이든국제사법재판소에서

한국령독도 164

Page 16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패할경우반드시불복할것이고, 이는최악의경우전쟁으로이어질가능성이

높다는게황의장의설명이다. 그는양측이맞붙을경우일본이무력으로독도

를빼앗는상황이연출될것이라고전망했다.

또다른관계자역시“가상적세계제2위인일본과한국간의독도전쟁은양

쪽의민족문제가얽혀있다는점에서어느쪽이든쉽게물러서지않을것”이라

고설명했다.

일본은이미 1950년대부터한국의독도점유에대해끊임없이이의를제기

해왔고일본관리들역시독도영유권을주장하는‘망언’을주기적으로내놨

다. 90년대중반일본자민련정부는아예독도영토회복을총선공약으로내

놓은적도있다.

이런흐름에서볼때이번‘독도의날’제정조례는일본이오래전부터준비

해놓은‘카드’의하나일가능성이높다. 더욱더큰문제는독도침탈시나리오

가앞으로도그대로진행될것이냐에대한것들이다.

165 제7장

제7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김영구,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문제」독도연구총서 10, 독도 연구보전협회 2003.

2. 獨島學會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독도영유권 문제와 민족의식」, 광복 51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움, 논문집 -1996.

3. 박경래, 「독도의 史法的연구」일요신문사 1965.

4. 박관숙, 「독도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법학 박사 학위논문 1968.

5. 배진수, 「세계 도서 분쟁과 獨島 시나리오」1997.

6. 신용하, 「일제하의 독도와 해방직후 독도의 한국반환 과정 연구」, 한국사회사 연구회,

논문집 1992.

7. 신용하, 「한국의 독도 영유와 일제의 독도침략,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제10, 1996.12

8. 정인섭, 독도 영유권 주장의 논리구조, 국제법적 측면을 중심으로, 독도연구총서1,

독도연구본전협회 1997

9. 한윤상, 「독도 문제와 한일관계」, 안전보장 1996.3.

10. 한일관계 연구회, 「한일 양국간 영토의식의 역사적 재검토」, 독도, 대마도 심포지움 1996.

Page 16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6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8장

일본의양심적인학자들과언론의독도인식

Page 16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6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학자

1) 하스미시게하코17)

독도 문제로한·일관계가얼어붙고있다. “한국과일본모두민족주의에

젖어있다. 일본은민족주의와역사적과오라는두가지문제를안고있다. 일

본에서민족주의가횡행하면일본의역사적과오는픽션이돼버린다. 과거의

역사에대해‘그런것은없었다’는식으로내셔널리즘에흡수돼버리면일본에

결코좋은일이아니다.

다케시마[竹島, 독도]가 누구의 영토인지를 일본인이 역사적으로 결정하는

것은자료가역부족하다. 서류상으로보면시마네현에병합된것으로돼있으

나한국과합의하에결정된것은아니다. 전세계가19세기말처럼민족주의에

휩쓸려있는것이걱정이다. 그리고(자신들이민족주의에빠져있음을) 의식하

지못하고있는것이가장무서운일이다.

대다수한국인은일본정부가시마네현의회의움직임을사전에막을수있

었다고본다.

그런점에서일본정부는외교, 대외정책을포기하고있다. 지금해서는안

되는일에정부가왜말을못하는지나도이해하지못하겠다.

앞으로교과서문제로양국관계가더어려워질것같다.

개인적으로는‘새로운역사를만드는모임’에반대하지만일본에선그들을

그만두게할수없다는한계가있다. 일본내교과서검정체계가그렇다. 그래

서내가유일하게희망을거는건일본국민이다. 일본국민이지금은정서적으

169 제8장

17) 하스미시게히코(蓮實重彦’68) 전도쿄대총장은일본에서‘행동하는양심’으로꼽히는

대표적지식인이다. 2001년총장재임때는이기준서울대총장을도쿄대졸업식에초청,

축사하는기회를제공했다. 도쿄대졸업식에서외국인총장이축사한것은개교이래처

음이었다. 그만큼한국에대한애정이깊다.

Page 17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로내셔널리즘으로흐르고있지만, 어느한순간에‘아니야. 이게아닌데’라고

반드시느끼게될것이다. 일본에서다케시마문제에대해지금여론조사를하

면75% 이상이‘다케시마는일본땅’이라고답하겠지만어느순간‘기다려봐,

이게아닌데’라고느끼는때가올것이다.

한·일관계는좋다가도어느순간역사문제등으로무너진다. 이는숙명적

이다.

일본은한반도및아시아제국을침략한사실로인해아마도2050년까지이

른바‘공격을받기쉬운(vulnerable)’국민이됐다고본다. 제2차세계대전이

후적어도1세기는가야되는문제다. 일본인은‘이제그만잊어도되는것아

니냐’고말할지모르지만일본이뭘해도앞으로50년은인근나라의그런반

응을감수해야할것이다. 일본은 50년동안조금이라도좋은방향으로이끌

어가는노력을해야한다. 그러나미국의이라크침략등전세계가전시화된

분위기가되자일본에선북한납치문제등으로전시인듯한멘털리티가퍼져

있다.”

2) 다카하시데츠아18)

역사교과서와 독도 문제를 둘러싼 한일간의 갈등이 첨예한 가운데 일본의

대표적지성다카하시데츠야(高橋哲哉) 도쿄대교수가최근일본사회의우경

화움직임에대해따끔한일침을날렸다.

‘국가주의를넘어서’‘일본의전후책임을묻는다’‘내셔널히스토리를넘어

서’등의저서로국내에도잘알려진다카하시교수는31일서울대한국문화연

구소(소장이태진)와이대학기초교육원(원장임현진) 주최로열린‘해외석학

초청강연회’에서“오늘날일본민족주의는정신의자유를위협하고정교분리

한국령독도 170

18) 도쿄대양심적인교수

Page 17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원칙을 무너뜨리려는 국가주의 세력들의 헌법 개악 움직임으로 위기에 처했

다.”며“일본내역사인식의위기는이같은민주주의의위기에서기안했다”고

주장했다.

그는또“평화헌법이규정하고있는정교분리원칙과관련해일왕과총리의

야스쿠니참배가이미4차례나위헌판결을받았다”며고이즈미준이치로일본

총리가 이를 무시하고 신사참배를 강행하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자

천박한역사인식을드러내는것이라고비판했다.

그는이외에도일본군대위안부문제를다룬NHK의프로그램이아베신조

자민당간사장대리와나카가와쇼이치경제산업장관등유력정치인들의압

력으로단축방영된사건을예로들며, 이들정치인들이최근물의를빚고있는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지지하는‘일본의 전도와 역사교육을

생각하는의원들모임’의핵심인물들임을지적하면서이러한사건들이일본

내‘정신의자유’의위기라고분석했다.

3) 나이토세이추19)

‘다케시마의날’을제정한시마네현의지역사학계권위자가일본정부와시

마네현의독도영유권주장을정면반박하는글과인터뷰를일본언론에잇따

라실었다.

나이토세이추(內藤正中·75) 시마네대명예교수는시마네현의유력일간지

인산인주오(山陰中央)신보(2005년3월13일자)와도쿄(東京)신문(17일자)에서

“일본고유영토론은근거가희박하다”며“일본정부의주장은대단히조잡한

설명”이라고비판했다. 나이토교수는『시마네현의100년』등다수의지역사저

서를펴냈으며최근10여년동안은지방고문헌을토대로독도문제연구에주

171 제8장

19) 시마네대학명예교수

Page 17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력해왔다.

나이토교수는기고문에서“일본이1905년독도를일본영토로편입할당시

‘무주지(無主地, 주인이없는땅) 선점론’을내세웠지만한국은그에앞서5년

전에독도가칙령으로울릉도의구역에포함된다는것을명확하게했다”고반

박했다.

또“일본이주장하는‘무주지선점’과역사적으로고유영토는앞뒤가안맞

는모순”이라고비판했다. 그는“696년일본중앙정부인막부는3년간조선정

부와교섭한결과독도가조선영토임을확인했다”는사실을제시했다.

그는이어1867년에도일본정부스스로독도가일본영토가아니라고인정

한역사적사실을들었다. 당시시마네현이“울릉도를현에포함시켜도괜찮겠

느냐”고메이지(明治) 정부에문의하자태정관(최고위급관리)이“울릉도와그

외한개의섬(독도)은우리나라와관계없다”는회답을보냈다는것이다.

4) 요시히로니헤이20)

“독도는분명한국땅이다.”

2005년 3월 15일시마네현이통과시킨‘다케시마의날’조례안에대해LA

에있는일본방송국인JATV의요시히로니헤이(33) 프로듀서는“지금까지가

만히있다이제와서독도를일본땅이라고주장하는것은이해할수없는행

동”이라며어이없어했다.

니헤이프로듀서가바라보는이번사건은조업구역확대를위한조치다. 그

는“시마네현은어업종사자가많기때문에독도는그들에게중요한어장이었

을것”이라고나름대로설명했다.

일본에한류열풍이불면서L.A내한인커뮤니티와문화를소개하는프로그

한국령독도 172

20) L·A 거주일본방송인

Page 17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램을제작, 일본커뮤니티에소개하는등커뮤니티간의교류를추진하고있는

그는한인들의분노가이해되지만이번일로한·일관계가악화되지않기를

바란다는바람을밝혔다.

그동안정부나언론을통해만났던1세들의한국과한국문화가조금은색안

경을끼고있었다면최근젊은세대사이에는한류열풍후‘한국도일본과비

슷한문화를갖고있는멋진이웃나라’라는생각이퍼지고있기때문이다.

니헤이프로듀서는“기성세대와는달리젊은세대들은한국을진짜이웃으

로생각하고있다”며“월드컵에서한국의승리를열심히응원한일본인들의모

습을기억해달라”고부탁했다.

독도사건이후다시지적받고있는교과서왜곡사태에대해서그는“정부

가아무리교과서를왜곡해도현직교사들은학생들에게사실을가르치고있

다”며기성세대시절은잊고 30~40대의젊은세대들이중심이되는일본을

기대해달라고강조했다.

“일본인들조차외면할정도로일본문화는지금바닥으로치닫고있다. 일본

이잘못한것이있다면인터넷과방송등을통해지적해주십시오. 우리가고쳐

나가겠습니다”라고했다.

5) 다와라요시후미21)

일본우익들의일제침략역사미화·왜곡교과서에맞서평생싸워온일본

인이있다. 시민단체‘어린이와교과서전국네트21(네트21)’의다와라요시후

미(俵義文·64)사무국장이다. 그는2001년‘새로운역사교과서를만드는모임

(새역모)’의‘역사교과서파동’이벌어졌을때시민들의반대운동을진두지휘

했다. 전체중학교에서‘새역모’교과서의채택률(0.039%)이매우낮았던데는

173 제8장

21) ‘어린이와교과서전국네트21’의사무국장

Page 17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그의공이가장컸다. 그가4년만에다시‘새역모’와일전을했다.

다와라사무국장은2001년새역모교과서의부당성을알리기위해전국150

곳을불철주야뛰어다녔다. 일본전역에서400개가넘는‘새역모반대시민조

직’을만들고, 2000번이상의반대집회를진두지휘했으며, 불채택운동의중

요한지침과논리를제시했다.

그는“새역모교과서로우리아이들을교육시켜선안된다는생각은누구나

갖고있었다”며“나는지역주민·시민단체·학부모들의공감대를넓히는일을

했을뿐”이라며겸손해했다.

그는1964년주오(中京)대법학부를졸업하고교과서출판사에입사했다. 65

년‘교과서재판’으로유명한이에나가(家永)재판에투신했다.

이에나가 도쿄교육대 교수가“일본의 교과서 검정은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위반된다”며국가를상대로소송을제기하자지원운동에뛰어든것이다. 그는

“당시일본정부는교과서검정을통해일본의아시아국가침략사실을쓰지

못하게했다”고밝혔다. 이재판은우여곡절끝에1998년이에나가교수가최

종적으로이겼다. 다와라국장은인생의절반을이재판에헌신한것이다.

그는“이에나가재판으로80년대중반부터90년대중반에걸쳐교과서들이

상당히개선됐다”고말했다. 이재판으로82년우익의역사교과서왜곡시도를

막을수있었다는것이다.

그는“32년에걸쳐얻은노력의결실과내인생의의미가새역모같은엉터

리조직에의해훼손되는것을도무지묵과할수없었다”고말했다. 그는98년

역사교과서왜곡을더욱탄탄히막기위해‘네트21’을조직했다. 그의월급은

줄곧100만엔이다. 2000년그만둔출판사에서받던연봉의8분의1수준이다.

그러나그는신이났다. ‘네트21’에동조하는시민이많아졌기때문이다. 그는

“2001년 4월 2000명이던회원수가현재5300명으로늘었다”고밝혔다. ‘네

트21’은회원이내는연회비(3000엔)로운영된다.

한국령독도 174

Page 17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6) 호사카유지22)

세종대일어일문학과호사카유지(49, 保坂祐二)교수는 2005년 3월 4일 독

도문제를다룬『일본古(고)지도에는독도없다(자음과모음발행)』을펴냈다.

그는여기서고지도및일제시대일본지도17장과일본정부고문서, 대한민국

칙령등생생한사료와증거를들이대며독도가한국땅임을증언했다.

“고지도들은 일본인들이 한국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비공개

자료이다. 2004년12월말부터4차례일본에가서정말어렵게구했다. 고지도

수집가를일일이수소문해비싼값을치르고얻어냈지요.”그가펼쳐보인것

은1876년9월작성·발행한『대일본전도(大日本全圖)』일본의각지역명칭이

상세히적혀있지만‘다케시마(竹島,독도의일본식명칭)’는없다.

그는또이지도의기초가된‘관판실측일본지도(官版實測日本地圖,1870

년)’의영상을모니터에펼쳐보였다. “이노다다타카(伊能忠敬)라는유명한지

도학자가작성한권위있는관찬지도이다. 여기에도시마네(島根)현에속한곳

으로 일본에서는 독도와 가장 가까운 오키(隱岐)섬은 있지만 독도는 없다.

1870년메이지정부가울릉도와독도가어느나라영토인가를조사했고조선

영토라는결론을내렸기때문이다. 에도시대에서메이지시대초기까지일본

은독도가조선영토임을확실히인식하고있었다. 이런지도들은한국쪽의결

정적증거가될줄안다.”

1926년작성후 1930년에수정한‘육지측량부출판지도구역일람도’에도독

도는들어있지않다. 독도는1905년시마네현에강제편입시킨이후에도일본

175 제8장

22) 세종대일어일문학과교수

호사카교수는일본에서태어나자랐지만 2003년에귀화한한국인이다. 도쿄대공학부

를졸업한그는한·일관계연구를위해고려대정외과에편입해일제시대일본의만행

에대한분석으로박사학위를받았다. 재일동포친구가많았던탓인지명성황후시해사

건같은양국의역사문제에관심이컸다. 86년한국여성과결혼해2남1녀를두었다.

Page 17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정부가관리하지않았음을보여주는자료다.

그는2005년2월일본의한현립지도센터를찾아가‘관판실측일본지도’를

열람하려했으나직원들이난색을표했다고한다. 한국에서온것을알고“문

제가될수있으니영상자료만내주겠다”고했다는것이다. 호사카교수는특

히지도의출처는절대밝힐수없다고했다. 일본에서알면원자료를모조리

없애버릴수있기때문이다.

독도는1975년일본정부건설성국토지리원이작성한국토기본도작성지역

열람도에도나와있지않다. 물론 TV에나오는일기예보지도에도독도는나

와있지않다.

호사카박사는 100년전 1905년 2월 22일일본이독도를시마네현에강제

편입시켰지만그이후일제시대에서까지시마네현은독도의존재를잊어버리

고있었다고고찰했다. 제국이된1917년작성한지도에도시마네현의관할범

위에독도는없다.

그러나이제외된독도가다시살아난것은일본외무성당국자들의엉뚱한

국제법의해석에있었다. 1952년 4월에발표된대일강화조약2조ⓐ에서‘일

본은대한민국의독립을승인하고제주도·거문도및울릉도를포함한한국에

대한모든권리와권원(權原) 및청구권을포기한다’는조문이다. 일본정부는

‘독도’가명기안된것을‘다케시마’가자기들섬이라는이유를대며국제법

상자기영토임을내세웠다.

그러나호사카박사의반박은명쾌하다. 그는일본의주장에대해“국제법상

금반언의원칙즉한번주장한것을, 상대방이그렇게믿고있는것을말을바

꾸어주장하는것은원칙위배다. 연합국사령부에의해독도는일본영토에서

제외되었다. 연합국인영국, 호주, 중국은독도를일본영토에서제외시킬것을

요구했으나미국은연합국각서3항ⓐ조를반복할필요를느끼지않았다. 독

도는시마네현의관할이아니기때문”이라고일축했다.

일본의고지도를살펴보면독도는지도에없기에일본섬이아니다. 역사적

한국령독도 176

Page 17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으로일본의섬인적이없다.

이번독도문제는일본이그들이유리하다고판단하는유엔과국제사법재판

소에서독도를분쟁지역화해영유권을찾으려하나이는국제법상으로연합국

들의‘금반언의원칙’을어긴것이다. 독도는국제법상으로한국땅이다.

7) 야마베겐타로23)

일본의양심적인조선사연구가인야마베겐타로(山邊健太郞)가도쿄에서출

판되던월간지『コリア評論(코리아평론)』1965년 2월호에발표한논문「다케시

마문제의역사적전망」은하나의고전이라고부를수있겠다. 이논문은『한국논

단』1996년 4월호 136~153쪽에「‘죽도’문제에대한역사적고찰」로역재되어

있다.

이논문에서그는일본이‘제국헌법’을만들때제국의‘고유한영토’를‘신

화(神話)에 있는 대로혼슈(本州:본주), 규슈(九州:구주), 시코쿠(四國:사국), 아

와지시마(淡路島:담로도)이다’라고명백히정의했음을상기시켰다. 그는다음

과같이덧붙였다: “나는이것을일본사가(史家)에얘기하니‘그것이야말로명

백한정의(定義)다’라고말하였다.”“이것을볼지라도일본의독도고유영토설

이근거가없음을알것이다”라고결론지었다.

8) 독일쿨마스교수의증언24)

독일의대표적인일본학교수가독도를둘러싼일본측의주장을날카롭게

비판하고나섰다. 독일뒤스부르크대동아시아학연구소에재직중인플로리

177 제8장

23) 일본의양심적인조선사연구가

24) 독일뒤스부르크동아시아학연구소에서연구하는독일에서손꼽히는일본통학자

Page 17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안쿨마스(56) 교수다. 그는지난2일스위스권위지인노이에취르히어차이퉁

(NZZ)에‘독도또는다케시마, 대한해협내의권리와역사’라는글을기고했

다. 기고문에서그는‘독도문제를국제법정에서다루자’는일본의주장에대

해“공평하고의미있는제안일까”라고물은뒤조목조목반박했다.

먼저그는독도를일본영토라고서울에서발언해물의를빚은주한일본대

사를“외교관에게매우중요한자질인예를갖추지못했다”고지적했다. 쿨마

스교수는독도문제를역사적인맥락에서짚어봐야한다고주장했다.

한국이독도문제를네덜란드헤이그의국제사법재판소(ICRC)에서처리하

는데반대하는것에대해서도“패소에대한두려움이있다는점에주목하는

것은이문제의역사적차원을제대로파악하지못한것”이라고풀이했다. 그

는“과거 국제법은 한일병합을 성사시킨 도구였다”면서“한국에서 헤이그는

매우고통스러운기억과연결돼있다”고지적했다.

그는“고종황제는 1907년 헤이그에서열린제2차국제평화회의에 3명의

특사를파견했다. 1905년일본이을사조약을맺고한국의외교권을빼앗은데

항의하기위해서다. 그러나일본은국제사회의동의하에헤이그회의에서외

교적으로한국을대표함으로써한국의주권박탈이국제법에의해적법한것

으로각인됐다”고덧붙였다.

쿨마스교수는“한반도는오키나와와훗카이도다음으로일본이추구한팽

창정책의목표였다”면서“일본은1870년대이후한국의힘을약화시키기위해

체계적으로작업하면서국제법을매우노련하게이용했다”고분석했다. 국제

법은이때까지강대국의명령을따르고반영하는것으로간주되고있다는지

적을덧붙였다.

쿨마스교수는1971년5월일본유학을떠나17년간현지에서거주하며일본

학을연구했다. 대학에서현대일본어와일본문화·역사를강의하고있는그

는독일에서손꼽히는일본통학자다.

한국령독도 178

Page 17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9) 카지무라히데키25)

독도의소유권에대한카지무라히데키교수의논문요점을보자

독도는“우리일본의선조가개발한섬입니다. 한국에그대로속해있다는것

자체가어처구니없는일입니다. 다케시마는이키의어민으로서는무엇과도바꿀

수없는‘재산’입니다.”(아사히신문기사) 이런일본신문의기사로볼때독도

문제는일본인에게우선첫째로팽창주의, 식민주의사상의뒤처리문제다.

전후반세기가지났지만, 뒤처리없이그것을자기운동시켜왔고반성없이

지나온이상, 전과다름없이그대로남아있는것이다.

전후의일본정부는독도문제에서출발부터잘못되어있다. 일본이100퍼센

트정당하고한국이100퍼센트오류라고하는논리를잔재주부리듯이만들어

서, 우습게본상대방에게강요하려했던것이잘되지않고국민의인식을오

도하여스스로도그논리에구속되어움직일수도없게되어위험스런혼미상

태에빠져있는것이다.

카지무라는일본정부의판단과는반대로독도문제는한국측에상당한일

리가있다고생각한다. 또독도문제는일본정부의주장이상당한무리가있고

센카쿠열도(尖閣列島) 문제는쌍방이거의반반씩일리가있으며, ‘북방영토’

문제는불충분하기는하지만일본측에일리가있다고생각한다고했다.

10) 佐藤正人26)

좌등정인은그의논문에서다음과같이언급하고있다.

‘독도문제’는일본정부가‘노일전쟁이진행되었을때독도를점령하였다는

179 제8장

25) 카지무라히데키 독도문제란무엇인가 다함께(2005. 3. 23 발행)

26) 일본의아세아문제연구소연구원

Page 18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역사적사실을인정하고독도재점령책동을그만둔다면평화적으로해결된다.

그것을 위해 특히일본인 근현대사연구자는 동아시아근현대사·세계근현

대사속에있어서독도의역사를더욱더실증적으로연구하고역사의진실을

일본민중으로서많은일본민중들에게알려주어야한다.

일본의독도재점령책동을저지하는일본인역사가의활동이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등현재의침략에반대하는국제적인연구활동과연결된다면더

우호적인모습이될것이다.

2 언론

1) NHK방송, 마이니치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및요미우리신문27)

일본주요통신과방송들은2005년 4월 17일한국정부가발표한대일정책

원칙을신속하게보도했다. 교도통신은“한국정부가‘다케시마의날’조례제

정을‘제2의침략’으로간주하고일본의진상규명과사죄, 반성을촉구했다”고

사실관계를전했다. 아침부터한국의거센반발을집회·시위화면과함께소

개한NHK등주요방송들도정부발표소식을주요뉴스로신속하게전했다.

독도파문과관련한일본신문들의논조는한·일우호를강조하는쪽과‘다

케시마의날’제정을정당화하는쪽으로양분됐다.

마이니치(海日)신문은양국우호를해치지않도록냉정하고슬기로운대처

가필요하다고지적했다. 마이니치는사설에서“양국은독도의영유권문제를

미해결로남겨둔채우호협력노력을계속해왔다”면서“지방자치단체에외교

한국령독도 180

27) 도쿄예영준특파원

Page 18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권이없는만큼조례가시행돼도영유권에는변화가없다”고강조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양국이 키워온 우호관계가 무너져서는 안

된다.”면서“한국에서는시마네현의조례제정이일본정부의뜻에따른것이

라고의심하는의견이있는것같으니양국정부가우선본심을털어놓아신뢰

관계를회복할필요가있다”고밝혔다.

반면요미우리(讀賣)신문은“한국이2차세계대전후독도를불법점령해왔

다"면서 "일본정부내에독도문제소관조직을설치하고학교에서도가르쳐야

한다는시마네현의요구는당연한것”이라고주장했다.

2) 아사히신문28)

일본아사히신문은2005년4월17일독도파문과관련해한국국민에게보

내는편지형식의사설을게재했다. ‘한국국민여러분에게’라는제목의이사

설은이례적으로경어체를사용했다. 평소일본정부의과거사반성과한·일

우호관계를강조해온아사히는사설에서“양국은이다툼을적당한선에서끝

내고양국관계를보다깊게만들어가야한다”고요청했다. 다음주요내용요

약을보자.

시마네현의회가‘다케시마의날’조례를가결했습니다. ‘영토’와‘역사’가

얽혀반일열기가높아지고있는것같습니다. 비약적으로확대된오늘의한·

일관계를생각하면얼마나불행한일입니까.

일본이다케시마영유를주장하는것은더오래전의역사해석이다르기때

문입니다. 옛날에는영토문제를마무리짓는유력한수단이전쟁이었지만한국

과일본이지금전쟁을할수있겠습니까. (양국은) 자유와번영을함께하는훌

륭한이웃이됐습니다.

181 제8장

28) 도쿄예영준특파원

Page 18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그렇다면현실적으로헤쳐나갈수밖에없습니다. 노무현대통령도‘실효지배

하고있으니소동을벌이지않는것이이익’이라고말씀하신적이있다고합니

다. 여러분중에서도냉정하게생각하자고말하는사람이적지않을것입니다.

장래는영토분쟁을넘어서섬이우호의상징이되는날이올수도있습니다.

독도문제를한·일이서로를생각해주는소재로삼았으면합니다.

제8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가지무라히데키(梶村秀樹). 「일본땅주장은팽창·식민주의의소산」『신동아』1996년 4월호.

2. 가지무라 히데키, 『독도문제란 무엇인가』다함께. 2005

3. 야마베 겐타로(山邊健太郞). 「‘죽도’문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한국논단』 1996년 4월호.

한국령독도 182

Page 18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9장

독도명칭의변화

Page 18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8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한국문헌에나타난명칭

독도는울릉도와더불어신라지증왕13년(서기512년)에신라에정복되었다.

일부일본인들은이때독도까지정복된것은아니라고하는데당시어업을주

업으로하던울릉도주민이바라다보이는섬인독도주변에출어를하지않았

을리없다고본다. 때문에독도는명백히우산국의영역권내였다고할수있다.

6세기초까지독도는울릉도와함께우산국(于山國)이라는나라를형성하고

있었고, 512년한국의영토로편입된이후에도독도와울릉도를포괄하는“우

산국”29)이라는명칭이15세기초까지사용되었다.

15∼18세기를거치면서독도는우산도(于山島)30), 세개의봉우리를가진섬

이라는뜻으로삼봉도(三峯島)31), 가지도(可支島)

32)등여러명칭으로역사문헌

에등장한다.

울릉도라는 명칭이 정착되면서 우산이라는 명칭은 그 부속 도서인 독도를

가리키게되었다. 고려말에는무릉도라는명칭이, 조선시대에들어서는우산

·무릉·울릉이라는명칭이등장한다. 그리고쇄환을위해관원을자주울릉

도에파견했다. 그결과울진현정동(正東) 바다에우산과무릉의두섬이있다

는것이분명하게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의기록이뒷받침해준다.

“우산(于山)과무릉(武陵) 두섬이현의정동바다가운데있다. 두섬이서로

거리가멀지아니하여, 날씨가맑으면가히바라볼수있다.”

185 제9장

29) 삼국사기의우산국(于山國)이라는명칭과삼국유사의우릉도(于陵島)라는명칭을분석해

볼때 6세기부터이미한국인들은독도를우산도(于山國), 울릉도를우릉도라고부르고,

우산국이라는명칭은두섬은물론주변의섬을포괄하는명칭으로사용했던것으로보임

30) 1425년 세종실록(世宗實錄) , 1432년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31) 1471년부터 1481년까지의 성종실록(成宗實錄)에 의하면 삼봉도(三峯島)에 관한 기록이

여러차례나옴. 특히1476년성종실록에는한국관리12명이삼봉도를관찰하고온내용

이상세히기술되어있음.

32) 1794년정조실록(正祖實錄)에의하면가지도(可支島)에서바다물소와같은가제(可支漁:

물개) 4∼5마리가뛰어올라그중2마리를쏘아잡았다고기록되어있음.

Page 18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여기서우산도는독도를, 무릉도는울릉도를가리킨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우산(于山)’을검색해보면7건의기사를확인할수있다. 그런데우산도는독

도이외에울릉도를가리키는경우도있다. 예컨대태종17년(1417) 기사가그

렇다.

19세기말한국정부가울릉도에대한이민정책을실시하기시작하면서‘돌

섬’, ‘독섬’이라는구어체가석도(石島: 돌섬의한문표기) 또는독도(獨島: 돌의

사투리인독을‘獨’으로, 섬을‘島’로한문표기)라는문어체로바뀐다.

1900년한국정부는칙령제41호를공포하여울릉도와독도를중앙행정구역

에편입시키면서독도를‘석도(石島)’로표기했다.

독도라는명칭이공식적으로처음사용된것은 1906년 강원도관찰사에서

보낸울릉도군수심흥택의보고서‘본군소속독도(本郡所屬獨島)’에서다.33)또

한한말지사황현의매천야록에서도나타난다.

주목해야할것은독도와울릉도는모자(母子) 관계에있다는점이다. 독도의

옛이름은우산도(于山島)지만, 더러자산도(子山島)라고도했다. 울릉도의자

도(子島)라는뜻이담겨있다.

사료에보이는독도명칭

한국령독도 186

33) 1906년 4월일본지방관리들이울릉도군수를방문하고독도가일본영토라고통보하

자, 울릉도군수는“울릉도소속독도를일본인들이자기네영토라고주장한다”고중앙

정부에보고했음.

서기 왕 조 독 도 자 료

1425

1432

1451

1472

세종7

세종14

문종1

성종3

于山

于山島

于山島

三峰島

『세종실록』7년12월계사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Page 18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87 제9장

1473

1486

1531

1694

1694

1696

1667

1751~

1763

1785

1794

1881

1823

1828

1840

1849

1855

1870

1875

1875

1875

1875

1876

1878

성종4

성종17

중종26

숙종20

숙종20

숙종22

현종8, 寬文7

영조74~39

1~13

정조9, 天明5

정조18

고종18

순조23, 文정6

순조28, 文판11

헌종6, 天保11

헌종15, 희영2

철종6, 2

고종7, 明治3

고종1, 明治8

고종1, 明治8

고종1, 明治8

고종1, 明治8

고종1, 明治9

고종15, 明治11

三峰島

于山島

于山島

三峰(島)

子山島

松島

松島

竹島

可支島

石島

松島

竹島

리앙쿠프

호넷

松島

松島

松島

于山島

于山島

松島

于山島

『선종실록』4년1월경자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숙종실록』20년8월기유

『울릉도사적』

『숙종실록』22년9월25일(무인)

『선은주시청합기』

『죽도도설』

『三國통람여지로정전도』(林子平)

『정조실록』18년6월무오

『승정원일기』

『은기고기집』

『죽오고』

『日本地도』(시볼트,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조선국제시말내람서」

(외무성좌절백아등)

『장중일본전도』(목원의장)

『대일본육해전도부조선』유구전도

『조선국세견도』(출문사만차랑)

『조선전도』(일본육군참모국)

「송도지의」(도변홍기)

(『죽도고증』下)

「日本정부공신국장답변서」

(전변태일) (『죽도고경』下)

Page 18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위의표는『독도연구』(한국근대사자료연구협의회, 1985)에수된송병기의「고종조의울릉도·

독도 경영」, 강만길의「외국의 문헌상에 나타난 獨島」, 양태진의『한국변경사연구』(법경출판사,

1989)등을참고로하여작성한것임. 왕조(앞 한국, 뒤일본)

한국령독도 188

1879

1880

1881

1894

1894

1899

1902

1904

1904

(9.25)

1905

2.22

1905

(7.31)

1906

(3.29)

1907

1907

1908

1910

고종16, 明治12

고종17, 明治13

高宗18

고종31, 명치27

고종31, 明治27

光武3

光武6, 明治35

광무8, 明治37

광무8, 明治37

광무8, 明治38

광무9, 明治38

광무10

隆熙1

隆熙1, 明治40

隆熙2

융희4, 明治43

松島

竹島

石島

랑고도

于山島

于山

랑고도

(松島)

량고도

獨島

竹島

(일본영토편입)

량고도

량고도

獨島

于山島

竹島(리앙쿠르)

于山(=松島)

량고도

『淸國輿地도』(고정의포)

『죽도고증』下

「승정원일기」

『산음실문』(1894. 2. 18)

『조선지리지』(대한제국학부)

『大韓輿地도』(大韓제國學부)

「韓國울릉도사정」

(부산주재일본영사관)

『독도영토편입및대하원(中井)』

『군함실고행동일지』

「島恨縣告示」

「울릉도현황」(재부산영사관)

「울릉도군수삼흥택의보고서」

(의정부외사국, 『각관찰도안』)

제1책보고서호외

『대한신지지』(장지연)

『조선수로지』(日本海군성)

『증보문한비고』

『조선산업지』(조선통감부)

Page 18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일본문헌에나타난명칭

일본의옛문헌들은독도가울릉도와더불어조선의영토임을증명하는명

백한자료들이많다. 그런데여기서우리가유의해야할점은메이지정부시대

의일본자료들가운데울릉도와독도를혼동해쓴경우가많다.

일본사람들가운데울릉도를다케시마가아니라마츠시마로부르면서마츠

시마를개척하려고하니허가해달라고정부에청원한경우가있다. 이런혼동

의이유는당시이섬들에대한일본사람들의지리학적지식이분명하지않았

기때문이었다. 그리고그사실은특히독도가일본의영토가아니었음을반증

하고있는것이다. 만일일본사람들이이섬들이, 특히독도가일본의영토였

음을인식하고있었다면, 그러한혼동을일으키지않았을것이다.

이러한지적에대해, 일본정부는다음과같이변명했다: (1)메이지시대의

초기까지일본사람들은일관되게울릉도를다케시마로독도를마츠시마로불

렀다. 지금은독도를다케시마(죽도)로부르고있다. (2)울릉도에대해측정을

잘못한유럽사람들이거기에근거해지도들을만든탓에국제적으로도울릉

도의명칭과위치에혼란이생겼고이것이일본에서도명칭의혼란을가져왔

다고한다.

일본의역사문헌들은 17세기초까지는독도에관한기록이없으며, 17세기

말부터1882년이전까지독도를“마쓰시마(松島)34)”라고표기하기시작했다.

1882년이후에는‘우산도’의일본호칭이없어졌으므로‘리앙꼬島’라고호

칭했다. 그섬을한국인들은‘독도’(獨島)라고쓴다고기록하고있으니, ‘于山

島(우산도) = 獨島(독도) = 리앙꼬’임이명백한것이다.

일본은 1905년독도를자국영토로강제편입하면서이름을다케시마(竹島)

189 제9장

34) 마쓰시마(松島)가처음등장한것은앞에서기술한책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임. 일

본에서 18세기중반발간된죽도도설(竹島圖說), 1801년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 1823

년은기고기집(隱岐古記集)등도독도를마쓰시마(松島)라고표기하고있음.

Page 19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라고바꾸었는데, 사실일본에서다케시마라는명칭은전술한바와같이17세

기말부터1905년까지울릉도를지칭하는데사용되었다.35)

3 기록에나타난독도명칭의시대적변화

독도의이름이시대변천에따라달라진다. 그러면서혼란을야기시키기도

한다. 1425년(세종7년) 세종실록에울릉도를무릉, 독도를우산이라했다.

1435년세종실록지리지에독도를우산도라고한다.

1472년성종실록에독도가삼봉도로나타난다.

그후우산도로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에나타나고1694년에울릉

도사적에삼봉및삼봉도로기록되어있고 1696년숙종실록에자산도로나타

난다.

1667년일본기록 은주시청합기에울릉도를죽도라하고독도를송도로기

록하고있다.

1763년까지계속독도를일본에서는송도로불렀다. 1785년 삼국통람여지

로정전도에독도를죽도라고했다. 송도라고했다가죽도로부르고다시죽도

로변하는모습이보인다.

1794년정조실록에는가지도라고했고1881년승정원일기에는독도가석도

로나온다.

1823년부터 1840년까지에는 송도와 죽도를 같이 사용한 기록이 일본에서

나타난다.

한국령독도 190

35) 이후일본인들은울릉도를과거독도를지칭했던마쓰시마(松島)로바꾸어부르고있음.

6에언급한일본책들은모두울릉도다케시마(竹島)로표기하고있음.

Page 19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849년에프랑스에서는리앙쿠르암이라했고 1855년에영국에서는호넷암

이라불렀다.

1870년에서 1875년및 1879까지독도를송도라고부르는기록이일본에서

나타난다.

1875년에는독도를조선에서는우산도라고한기록이다시보인다.

1880년에일본기록에독도가죽도로나타난다.

1881년(고종18) 승정원일기에독도를석도로기록하고있다.

1894년에는량고도및우산도로일본기록에나타난다.

1904년에 독도라는 말이 나타나고 1905년에 일본에서는 일본영토 편입시

죽도로기록하고있다.

1906년울릉도군수심흥택의보고서에현재의이름인독도라는기록이나

타난다.

그후우산도죽도(리앙쿠르), 우산=송도, 량고도등의이름이보인다.

4 유럽인들의독도명칭

1) 부솔레

1787년프랑스의선박이서양인으로는처음으로항해도중독도를발견하고

선박이름을따서독도를‘부솔레(Boussole)’섬이라고했다.

2) 리앙꾸르도(Liancourt Rocks)

1849년(헌종 15년) 프랑스의포경선리앙꾸르호(Liancourt)가이섬을발견

191 제9장

Page 19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하고선명(船名)을따서명명한것이다. 그후이명칭이외국에널리알려져지

도상에흔히사용되고있으며, 일본인들이 1900년대초까지사용하던리양고

도라는명칭도여기에서유래된것이다.

3) 우산도

프랑스외방선교회소속선교사들이1880년편찬한한·불사전의첨부물인

한국지도에독도가‘우산도(Ou-San)’로표기되어있는점은주목할만하다.

4) 미넬라이·올리브챠도(Minelai and Olivutsa Rocks)

1854년외교협상차일본을방문하였던러시아의함대중팔라다호는조선의

동해안을탐사하면서북상하였고올리브챠호, 바스토크호, 메인시코프호는나

가사끼에서타타르해협으로바로북상하였다.

1854년 4월6일일본을방문한후러시아의올리브챠호는독도를발견하여

동도에미넬라이라는이름을, 서도에올리브챠라는이름을붙이게된다.

1857년에러시아는한국의동해안실측지도를제작했다. 이지도에는독도

가세개의바위섬으로표현되어있으며독도의서도(西島)는‘Oliwuc’바위섬,

동도(東島)는‘Menelaus’바위섬으로표기되어있다.

5) 호넷도(Hornet Rocks)

1855년(철종6년) 영국의군함호넷호(Hornet)가발견하여측량한후선명을

따서명명하였다.

한국령독도 192

Page 19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3 제9장

제9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이병도, 「독도명칭에 대한 사적 고찰」조명기박사 회갑기념 불교사학논총, 1963

2. 이병도, 독도의 명칭에 대한 사적 고찰-우산, 죽도 명칭 고찰」불교사론, 1978.7

3. 이진명, 「프랑스 라페루즈 탐험대의 울릉도 탐사기」. 『신동아』. 1997년 6월호.

4. 임영정, 「일본의 독도 명칭의 변화와 그 성격」, 죽당 이현희교수 회갑기념

한국사학논총 동위원회간, 1997

5. 임영정, 「독도의 호칭에 관한 제설의 검토」, 오홍석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1995

6. 최명옥, 「독도지명의 언어학적 연구」, 외교사례연구회, 연구보고서, 1989

7. 한상복, 「독도의 옛 명칭은 우산도」, 현대해양, 1989. 2

Page 19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9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10장

동해와일본해

Page 19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19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우리민족의‘동해’명칭에대한애정

‘동해(East Sea)’는한반도동쪽에있으며, 한반도와러시아그리고일본열

도로둘러싸인지중해이다.

기원전부터동해는우리민족의생활터전이었으며, 우리민족과중국은예부

터이바다를‘동해(東海)’라고불렀다. 러시아도동쪽으로영토를확장하면서

‘동쪽해(Eastern Sea)’라고불러왔다.

유럽에서도한반도와일본열도사이에위치한이바다를 19세기말까지외

국인에게‘한국해(Sea of Korea)’, ‘동쪽해(Eastern Sea)’, ‘동양해(Oriental

Sea)’, ‘조선해(Sea of Chosun)’, ‘한국만(Gulf of Korea)’, 그리고‘일본해

(Sea of Japan)’등다양한이름으로불러왔다.

동해는설화와민속은물론한국문학의여러장르인시조, 가사, 한시등에

다양한형태로투영되어한국민의정서속에깊숙이자리매김해오고있다. 이

197 제10장

한국의 가장 오래된

지도인『신증동국여

지승람』에나타난동

Page 19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는곧바로동해라는명칭이한국민의형성에필수불가결한원류임을반증하

는것이다.

이처럼우리민족은역사적으로나민족정서적으로동해라는명칭에애정을

가지고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독도문제가불거짐과함께동해명칭에대한

일본측의일본해표기를계속해주장해오고있는데이는과거일본측의군국

주의적사고하에이루어진지난날잔존적사상을떨쳐버리지못한억지주장

인것이다.

앞으로의시대는내륙못지않은해양시대로의비중이높아진다고할때자

국의영역에속하는바다명칭조차올바로지키지못한다고하면그밖의문제

들에대해어떻게올바로대처할수있겠는가?

요컨대우리민족에게있어서동해는국가판도의영역이상으로신성시되어

온바다이다. 고대로부터우리민족은내륙에서는백두산을, 해양으로는동해

를신성시해왔음이주지의사실이다. 동해에대한민족적애정은그어떤여타

민족에비할수없을정도로깊고깊다.

이런연유로우리나라애국가첫머리에동해물과백두산이라는가사가자연

스럽게등장하게되었으며, 이같은감성은동해에대한일종의외경심과신앙

심을싹트게하여한민족의얼속에이어져내려오고있는것이다.

2 일본의일본해주장

17세기에서19세기후반사이일본에서도‘조선해’라는명칭이사용되었다

는역사적사실이밝혀지고있다. 일본인학자카스노가1975년발간한『일본

해연구』에의하면, 1825년경에서양인들에의해‘일본해’라는명칭이사용되

기시작하였으며, 일본 내에서는 19세기까지‘일본서해’, ‘타라해’, ‘조선해’

한국령독도 198

Page 19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등다양한이름이사용되었다고한다.

이외1883년일본과당시의조선사이에체결된외교문서집인『한국조약집』

에서도동해지역을‘조선해’로표기하고있다. 일본인학자의연구조사결과

에의하면일본이국내적으로‘일본해’라는명칭을일반적으로사용하기시작

한것은1885년발간된다카하시의「세계지도」에서동해지역을‘일본해’로표

기한시점부터라고한다.

이러한사실은19세기후반까지일본내에서조차‘일본해’가확립된명칭으

로널리사용되지않았다는사실을잘증명해주고있다.

1919년제1차세계대전이끝난뒤해양문제를다루는국제수로기구(IHO)가

만들어졌고, 이기구는처음으로안전항해와정확한통신을위하여바다명칭

을표준화하기로결의하게되었다.

그후10년간의준비를거쳐IHO는1929년『해양과바다의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를 발간하였는데, ‘동해(East Sea)’대신 일본해(Japan

Sea)’가국제표준이름으로등재되었다.

이로인해세계지도상에서동해의이름이바뀌게되었다. 그러나이시기에

한국은일제강점하에있었던때이고, 따라서 IHO총회에우리대표단을보낼

수가없었다.

그런관계로우리의지와는관계없이일본의의도대로이바다의이름이결

정되었던것이다. 『해양과바다의경계』개정판은1936년에나왔으나이때역

시우리는일제강점하에있었다.

그리고1953년에제3차『해양과바다의경계』수정판이발간될때에는불행

하게도한국이전쟁의혼란속에있었던관계로동해명칭을정당하게정정할

수가없었다. 이후제4차개정판이발간되지않아오늘날까지‘일본해’라는

명칭으로잘못쓰이게되는결과를초래하였다.

그간한국정부는국제수로기구에‘일본해’표기의부당함을지적하면서시정

해줄것을여러차례요구해왔으며지난2002년에는『해양과바다의경계』제

199 제10장

Page 20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4판개정초안에바다이름을삭제한안을제시한적이있으나철회된바있다.

그러나이안은현재검토중에있으며조만간국제수로기구의기술결의에

따라해결될것으로전망된다. 일본의일본해주장은세계지도상해역의명칭

을결정하는일반적인방법론에비추어보면설득력이없는주장이다.

대서양과영국을가르는해역은‘영국해’가아니라‘북해’로불리어지고

있는예만보아도일본의주장이억지임을쉽게알수있다. 일반적으로바다의

명칭을결정하는원칙은해역의왼쪽에위치하는대륙명을따르는것이다. 그

러므로유라시아대륙과한반도의동쪽에위치하는‘동해’는‘한국해’또는유

라시아대륙의‘동해’가되는것이적절하다.

일본은현재‘일본해’가전세계적으로광범위하게사용되게된것은일본식

민지배와는무관하다고주장하고있다. 그러나국제사회에서전세계적인지명

에관한합의가진전되던중요한시점에한국은주권을상실하고있었으며, 더

욱이한국어로된이름과한국어로된지명의사용마저허용되지않았다는사실

을상기해볼때일본의주장이설득력을가질수없음은너무나당연한일이다.

한국령독도 200

포르투갈 De Eredia

가 제작한 동양지도

에 동해라고 나타난

지도 (독도박물관)

Page 20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본은또한한국이 1992년에들어서갑자기‘일본해’사용을반대하고나

섰다고주장하고있다.

그러나한국은지난역사의어느시기에도‘일본해’라는명칭을인정한적

이없으며, ‘동해’명칭의회복을위한활동을지속적으로해왔다. 따라서일본

의이같은주장은그간한국의노력을부정하는일본측의일방적인주장이다.

1965년한·일어업협정체결당시한국과일본이해역의명칭에합의하지못

해결국‘동해’와‘일본해’를자국어판협정문에각각별도로사용키로결정한

사실만보아도한국이‘일본해’단독표기의부당성에대해끊임없이문제제기

를하여왔다는것을알수있다.

한국은1991년유엔에가입하면서부터‘동해’표기의정당성과‘일본해’단

독표기의부당성을국제사회에보다적극적으로제기하여왔다. 일본외무성

은2002년 8월‘일본해’단독표기의당위성을설명하는공식자료를발간하

였다. 그러나일본외무성자료에서언급된내용은많은부분이역사적사실에

비추어볼때적절한논리를갖추지못하고있다.

3‘동해’의역사

‘동해’이름이나오는첫역사적기록은『삼국사기(三國史記)』의고구려동

명왕에대한기술부분이며, 이는B.C 59년에해당된다.

그내용은북부여국의자리에장차고구려가건국될것이나북부여는이곳

을피하여동해가에나라를옮기라는것이다. 이기록은‘동해’라는명칭을삼

국이건국되기이전부터사용하기시작하였으며지금까지우리민족이2,000

여년간사용해온유구한명칭이라는사실을말해준다.

‘동해’라는이름은또한중국동북지역압록강중부의지안[집안]에남아있

201 제10장

Page 20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는고구려광개토대왕의업적을기념하여414년에세운기념비에도기록되어

있다.

이런동해에대한기록은심국사기에13회, 삼국유사에14회나될정도로빈

번하게 등장되며 고려사에도 고려 태조 11년(기원 928년), 고려 신종 즉위년

한국령독도 202

1809년에 조선해

(Sea of Joseon)로

표기된 지도(다가히

시제작)

1871년 요시시게 무

라가미가 제작한 지

도에 조선해라 표기

한지도

Page 20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197년), 인종 20년(1124년), 명종 6년(1176년)조에도계속해이어져오는데,

때로는국가를지칭, 때로는재이(災異)에따른관심때문에, 또는제사대상지

역으로그명칭은빈번하게등장해왔다.

조선조에도고려시기와같은정서로등장되었는가하면특히울릉도수토

(搜討)건과관련해빈번하게언급하고있다.

이밖에동해묘(東海廟) 관련기록으로고려사지리지에따르면강원도양양

에동해신사(東海神祠)가있었음을언급하고있다. 이밖에여지도서(輿地圖書)

에도동해를지키고다스리는동해묘를강원도양양군양양읍조산리에모셨

다고한다.

4 지도에나타난동해

동해명칭이세계지도상에서는, 16세기들어서양인에의한동양탐험이본

격적으로실시되기전까지는그이름이등장하지않은해역이었다.

그리고17세기에서19세기까지서양인들은이해역을‘한국해’, ‘조선해’,

‘동양해’, ‘일본해’, ‘중국해’등다양한이름으로표기하였다.

그러나이러한다양한명칭중가장빈번하게사용된명칭은바로‘한국해’,

‘조선해’, ‘동해’등한국과관계가있는명칭들이었다.

특히, 1615년 포르투갈의 디 에에디아(Manoel Godino De Eredia,

1563~1623)가그린세계지도상에표기된‘Mar Coria’는가장대표적인표기

이며1771년『영국대영백과사전(Encyclopaedia Britanica)』초판본아시아지

도상의‘Sea of Korea’는가장권위있는표기라할수있다.

한국 고지도 중에서 동해라 명기된 지도는『역대지도(歷代地圖)』, 『요도(搖

圖)』,『천하총도(天下總圖)』중「동국팔도대총도(東國八道大摠圖)」, 『동람도(東覽

203 제10장

Page 20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圖)』중「팔도총도(八道總圖)」, 『구폭도(九幅圖)』중「동국팔도대총(東國八道大

摠)」지도가있다.

우리나라고지도는대부분17세기이후에제작된지도들로그중바다이름

을명기한지도의99%가‘동해’라표시되어있다. 1531년에간행된지리지인

『新增東國輿地勝覽』의「八道摠圖」에는동해바다가아닌바닷가육지에‘동해

(東海)’라표시되어있다.

18세기후반에제작된『여지도(輿地圖)』는세계지도, 조선전도, 서울지도, 조선·

일본·유구국도, 팔도의도별지도, 중국16성도등3책으로구성된지도첩이다.

한국령독도 204

順番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年度

1794

1809

1810

1835

1844

1852

1853

1862

1865

1871

1882

1907

1908

1909

1930년대

1990년대

미상

미상

地圖名(製作者혹은發行處)

北�聞略附亞細亞全圖(柱川甫周譯)

新鐫總界全圖- 日本邊界略圖(高橋景保)

新訂萬國全圖(高橋景保)

嘉永校訂東西指球萬國全圖(丁子屋平兵衛)

伸製輿地全圖(箕作省吾)

地球萬國方圖(翠堂彭)

地球萬國方圖(作者夫詳)

環海航路新圖(廣賴保庵)

銅鐫大日本國細圖(上) 大日本總境略圖(玄玄堂)

地球萬國方圖(湯津香大金)

大日本朝鮮八道支那三國全圖(武田勝次郞)

大韓新地志附大韓全圖(玄聖運)

大韓帝國地圖(玄公廉)

最新高等大韓地誌附大韓全圖(鄭寅琥)

新訂萬國全圖(高橋景保再刊行)

嘉永校訂東西指球萬國全圖(岩田文庫)

萬國地球全圖(미상)

新刊地球全圖幷各國航旗圖譜完(미상)

表記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日本西海

大韓海

大韓海

朝鮮海

朝鮮海

朝鮮海

テウセンカイ

朝鮮海

독도박물관소장 (大韓海)표기지도목록

Page 20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이지도첩중조선전도인「아국총도(我國摠圖)」, 그리고「조선·일본·유규

국도」, 팔도의각도별지도등에‘동해(東海)’라표시하였다.

세계지도인「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에는‘소동해(小東海)’로 기록하였다.

이지도첩은국가에서편찬한정교하고상세한지도로추정되는데, 18세기말

국가와지식인들의동해에대한인식을보여주는귀중한자료이다.

18세기이후우리나라고지도에는‘동해(東海)’로표기한지도들이수적으로

나유형별로볼때광범위하게증가한다. 특히‘동해(東海)’로기록한지도는

편찬주체로볼때개인이편찬한지도[사택지도]보다는국가가편찬한지도[관

택지도]에서, 시기적으로는후기로내려올수록증가한다.

동해연구회가지난10여년간국제세미나등에보고한관련논문120여편과

16~19세기에제작된유럽고지도 762점에대해실시한조사에의하면, 전체

조사된고지도의58%에해당하는440개의지도에서한국과일본사이의해역

을한국과관계있는명칭으로표기하였으며16%에해당하는122개지도만이

‘일본해’를사용하였다. 이러한조사결과는 19세기까지이해역을표기하는

205 제10장

동해를 조선해라고

1845년에 James

Wyld(영국)가 제작한

지도

Page 20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206

18C 후반『여지도』

중「유구국도」에‘동

해’로명기

Page 20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데한국관련명칭이일본관련명칭보다국제적으로인정받았다는사실을명

백히보여준다.

한국과일본사이바다를‘동해’와‘한국해’로함께표기한1781년제작된

고지도가최근뉴욕거주이복수에의해발굴됐다. 이고지도는프랑스사이언

스 아카데미가 수작업으로 제작한‘중국과 인도의 지도’(CARTE DES

INDESET DE LA CHINE)라는 이름의 원본 지도로‘동해(MER

ORIENTALE) 또는(ou) 한국해(MER DECOREE)’라는해협명칭과제작자인

지리학자기요메들리슬레의이름이명확하게표기돼있다.

또한19세기일본인들이제작한지도에서도‘조선해’표기를찾아볼수있는

데, 이와같이‘조선해’표기를담고있는일본고지도는1794년‘카츠라가와’

207 제10장

미국 포경선의 독도

발견

Page 20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가제작한「아시아제도」, 1809년다카하시가만든「일본변계략도」및 1897년

기사쿠가만든「새세계지도」등을들수있다. 이중다카하시의지도는정부

가 제작한 공식 지도이다. 한편 중국의 역사 기록을 살펴보면 춘추전국시대

(BC 480~BC222)부터‘동해’라는명칭을사용하였음을알수있으며, 이러한

관행은수·당·명·청대까지계속되었다.

중국의역사에‘일본해’라는명칭이처음으로등장하는것은 1884년경이

다. 러시아의고지도또한17세기에서19세기중반까지동해지역을‘동해’또

는‘한국해’로 표기하였으나, 1813년 동해 지역을 탐험한 러시아인

「Krusenstern」이‘일본해’라는명칭을사용함에따라러시아에서그당시제

작된많은지도들도‘일본해’라는이름을사용하게되었다.

그러나러시아는19세기말까지도‘일본해’라는명칭을공식적으로사용하

지않았다. 워싱턴타임즈(2/21/03, 11/28/03), 뉴욕타임즈 (2/8/05), 등의지

도상에는동해와일본해를같이쓰고있다.

5‘동해’이름되찾기

우리는주권국가가되었고, 잃어버린이름을다시찾았지만, 바다이름은아

직도‘일본해’로남아있는곳이많다. 일본사람들스스로그부끄러운제국

주의가남긴바다의이름‘일본해’를‘동해’로환원하는데노력해야함에도

불구하고‘동해/일본해’의병기마저거부하고있다.

바다이름을하나로통일하는데연안의나라들이동의하지않으면두개의

이름을사용하도록하는것이국제협약으로되어있지만, 일본은오직‘일본

해’만을고집하고있다. 바다에는국경이없다.

지구는바다가있는유일한천체다. 이지구와바다를인류평화와공존의장

한국령독도 208

Page 20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場)으로만들어가는일

이 21세기의가장중요

한 과제다. 20세기의

어두웠던 역사, 부끄러

웠던 침략사를 청산하

려면 반드시 잃어버린

바다의 이름을 되찾아

야 한다. 바다 이름은

일본과 한국만의 정치

적 분쟁대상이 아니다.

침략자들이 만들어 유

통했던20세기의부당한이름을지우고원상회복하는것은인류공동의관심사

이며과제다.

한반도의 일제강점으로 인해 지난 100년간‘일본해’라는 이름이 통용되었

다. 그러나우리가동해의명칭에대해전술한역사적근거를내세우며주장하

지않는다면‘빼앗긴이름’인동해를다시찾을수없으며국제사회가공통으

209 제10장

동해(East Sea)

동해

Page 21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로인정할수있는이름을갖는다는것도보장할수없는일이다.

일본제국주의팽창전쟁, 그여파로잃어버린‘동해’라는바다이름을찾는

일은당연한것임을세계에알리고되찾아야한다. 양심과지성을갖춘세계인

들은잃어버린이름을되찾는데동참해주리라믿는다. 정의는반드시승리할

것이기때문이다. 그것이인류역사의전진일것이다.

고지도에나타난시대별바다이름

※동해에는동해외에조선해, 동양해, 조선만, 동양해등이포함됨

※본자료는영국국립도서관, 캠브리지대학, USC, 워싱턴D.C, 국회도서관, 모스크바해군도서

관, 프랑스국립도서관, 경희대도서관, 히루아오야마연구자료등을총망라한것임.

한국령독도 210

구분

한국관련명칭

일본관련명칭

중국관련명칭

기타

합계

1500

-

-

16

13

29

1600

39

17

28

41

125

1700

341

36

10

80

467

1800

60

69

-

12

141

1900

-

1

-

-

1

Total

440

123

54

146

763

%

58

16

7

19

100

Page 21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11 제10장

분쟁지역인 경우 국

제법에 따라 병용하

는 지도

Page 21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212

제10장의인용및참고문헌

1. 김신, 「East Sea」한국학술정보 (서울: 2004).

2. 동해연구회, 「동해」동해연구회, 2005

3. 서정철, 『서양고지도와 한국』대원사 (서울: 1991).

4. 양보경, 「朝鮮時代 古地圖에 표현된 東海地名」문화역사지리, 제16권 제1호(통권 22호),

2004

5. 양태진, 「한민족의 東海바다」한솔, 5.6月 합병호, 통권 12호, 1995

6. 유철종. 「해양주권시대의 동해 관리」. 시사월간 윈(WIN), 1996년 5월호.

7. 이기석, 「동해 지리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통용을 위한 방안」대한지리학회지, 제33권

제4호, 1998

8. 이상태, 「일본해가 밀어낸 동해 명칭, 한국사연구」제 107호, 1999, pp.137∼156.

9. ki-Suk Lee etc, 『East Sea in Old Western maps』The KoreanOverseas

Information Service, Shinyou Printin Co, 2004

Page 21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제11장

일본과중국및러시아의 토분쟁

Page 21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1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일본의주변국과영유권논쟁

일본과관련한주변도서영유권문제로는, 한국과대립하고있는독도(獨島)

문제이외에도, 러시아와의북방4도문제,36)중국과의조어도(釣魚島) 문제등

이37)있다. 위의두경우와비교해서독도(獨島)/다께시마(竹島) 문제는일본국

민에게는가장잘알려져있지않은편이다.

잘알려져있지않기

때문에소수의우익인

사를제외하고는이섬

이 어느 쪽 땅이든 일

반국민의관심은아주

희박하다. 그러나소수

의일본전문가층에서

는 이 독도에 대한 일

본정부의영유권주장

이근거가희박하고무

리한것이라는것을잘

알고있다.

세계 2차 대전 전에

탈취한 영토들에 대한

문제는 대부분 해결되

었다. 그 결과가 구체

적으로다음과같이나

215 제11장

대마도는 본래 우리

나라땅

36) 북해도북쪽에있는4개의섬을일본에서는북방영토라고부른다. 러시아가관할하고있다.

37) 중국에서는센카쿠열도를댜오워다오라고부른다. 이곳은현재일본이관할하고있다.

Page 21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타났다. 우선대만은 1945년 10월 25일에정식으로중화민국의영토로환원

됐다.

이어 남(南)가라후토(樺太:사할린Sakhalin) 및 쿠릴열도(千島列島:천도열도

Kuril)는1945년9월20일에소련이이미영토로확보한북(北)가라후토와함께

소연방을구성하는하나의주로서사할린주라는이름으로러시아에편입됐다.

이어적도(赤度) 이상의태평양제도(諸島)는 1947년4월2일에미국에의한

신탁통치협정이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에서승인됨으로써미국이신탁통치

하는지역으로결정됐다.

2 센가쿠열도(Senkaku Is) 문제

1) 조어도의현황

일본은 중국과는 센가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釣魚島)의 영유권을 두고

분쟁을벌이고있다.

센가쿠열도는중국대륙과대만, 오키나와사이에있다. 1997년11월영유권

을보류하고체결된중·일어업협정으로논란이잦아드는듯보였지만, 2000

년대에접어들어일본의우익단체들이등대를설치하자이에항의해서중국과

대만의강경민족주의단체들이섬에상륙해시위를벌이는사건이계속일어

나면서갈등이재발하고‘국제적인화제’가되고있다.

2차세계대전후‘일본은강점한영토를돌려주어야한다’는포츠담선언을일

본이받아들였음에도불구하고1951년미국과체결한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이

센가쿠열도를일본의영토에포함시킴으로써논란의불씨가되었다. 그러나중

국이전후센가쿠열도에대해그다지관심을기울이지않았던것도사실이다.

한국령독도 216

Page 21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그러다가 1960

년대 말 국제연합

(UN)의 지원 하에

실시된 해저 학술

조사에서센카쿠열

도 인근에 막대한

양의 석유가 매장

되어 있을 가능성

이 제기되면서 중

국과 일본 양국간

영유권 분쟁이 불

붙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일

본은시모노세키조약이라는국제조약을통해‘정당하게’할양받았고, 그이후

실효지배를해왔기때문에센카쿠열도에대한중국측의영유권주장은해양

자원을노린터무니없는논리라는것이다.

2차대전 후 센카쿠열도는 오키나와와 함께 미군에 관할권이 이양되었다가,

1972년오키나와가일본으로반활될때같이일본으로반환되면서중국과일본

간의영토분쟁이본격화되었다. 독도문제로인해우리의시야에는들어오지않

았지만, 최근들어센카쿠열도를둘러싼분쟁도본격화될조짐을보이고있다.

2005년 3월 4일자‘아사히신문’의보도에따르면, 일본정부는주변해역에

서의영유권분쟁이나지원전쟁등에대한대응능력을강화하기위해관계부

처연락회의를설치하기로했다고한다.

독도문제는한국에양보해버리자는일본의양심가들의비판의목소리도있

음을밝혔다. 또한 3월 15일자‘도쿄신문’은일본방위청이중국에대한경계

를 강화시키기 위해 센카쿠열도와 근접해 있는 오키나와현의 섬에 자위대를

217 제11장

Page 21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주둔시키는방안을검토중이라고보도하기도했다.

이경우일본은분쟁지역최전방에‘군대’를배치하게된다. 이지역의마찰

이악화된다면우리로서도곤란한상황이발생한다. 이지역은중국과대만이

동남아시아국가들과분쟁을벌이고있는남사군도와함께중요한해로(海路)

에위치하고있기때문이다.

일본의조어도(釣魚島)편입에대한중국의반일감정이노골화하고있다. 중

국대학생들이베이징에서대규모반일집회를열기로하고, 인터넷을통해조직

적으로집회계획과행동강령을알리며네티즌의참여를독려했다. 베이징의대

학생들은중국최대의메신저‘QQ메신저’등을통해관련소식을알리고있는

데, 이에따르면‘중관촌하이룽의반일시위에뜻있는중국인은펼침막을만들

어참가하기바란다’고촉구했다. 집회관계자는“애국학생들의자발적인모임

으로, 일본전자제품판매상들은일본제품을판매하지말것을촉구할것”이라

고설명했으며, 베이징TV가집회현장에서생중계할예정이라고알렸다.

중관촌은중국에서가장큰규모의전자상가이며하이룽빌딩은중심에위치

해있다. 이같은반일집회모의는현재중국전역에서일본제품불매운동등반

일감정이확산되고있는데대한정부의대응이없자대학생들이나선것으로

풀이된다.

주도하는대학생들은“애국행위는위법이아니다. 전세계에‘동방의거룡’

(중국)이있다는것을알게하자”고주장하고있다. 현재중국정부가반일감정

한국령독도 218

Page 21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수위를조절하고있다.

그러나 중국인들의 반일(反日)시위가 심각한 수준이다. 중국 중앙텔레비전

(CC - TV)에나온시위대들의인터뷰를보면출전을앞둔병사처럼결의에차

있다. 하나같이‘일본을용서할수없다’는내용이다. 상하이(上海)에서는일본

학생을폭행하는사태가발생하기도했다.

시위는일본의역사교과서왜곡이촉발시켰다. 이번에검정을통과한일본

교과서들은일본에의한1937년난징(南京)대학살‘사건’으로, 30년대일본의

중국침략은침략이아니라‘전쟁’이라고표기해중국인들을분노케하고있다.

2005년4월2일쓰촨성(四川省) 성도청두(成都)에서시작된반일시위는며칠

을두고베이징(北京)과광저우(廣州)로번져전국으로확산됐다.

특히4월9일베이징시위는여러가지면에서의미가깊다. 우선시위가자

발적이다. 중국의민심이그대로반영됐다는얘기다. 주도세력도중국최고명

문대중하나인베이징대학생들이다. 미래의중국을이끌젊은이들이반일에

앞장서고있는것이다.

앞으로중·일관계가간단치않을것이라는전망이나온것도이때문이다.

대학생들은아침일찍움직였다. 삼삼오오짝을이룬이들수백명은천안문사

태때출정식을벌였던캠퍼스내‘싼자오디(三角地)’에모여학교부근중관춘

(中關村)으로이동했다. 오전10시쯤칭화(淸華)대등주변의대학에서모인학

생들과시민들은1만명을넘었다. 시위대는가두시위과정에서2만여명으로

불었다. 시위대들은‘일본상품을사지맙시다’‘일본은반성하라’라는구호를

외쳤다. 한때주변일본상품판매점에진입을시도하기도하였다.

그러나경찰과일부시위대가말렸다. 시위현장에배치된경찰병력이300

여명에불과한것도극히이례적이다. 이정도시위규모라면중국정부는통

상수천명의경찰을동원해저지한다. 그리고사회불안을막는다는명분을내

세운다. 따라서이날시위는정부가묵인했다고보면된다.

대사관과관저주변은경찰병력이이중삼중으로경계했다. 그러나날이저

219 제11장

Page 22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물자시위대는대사관을향해돌은던져유리창이돌에맞아깨졌다. 이에경찰

은관저주변간선도로를모두폐쇄했다. 시위대는그래도반일구호를그치지

않았다. 이들은오후8시가넘어서야자진해산했다.

무려 12시간에걸친시위였다. 반일시위는온라인에도예외가아니다. 9일

오전 11시부터오후 5시까지일본외무성홈페이지는불통이었다. 일본측은

중국인들의사이버공격이원인이라고분석했다. 베이징시위도중문자메세

지도‘반일’로넘쳐났다.

“앞으로한달동안일본상품을사지맙시다. 침략을정당화하는일본을용

서하지맙시다. 20여명의친구들에게이메시지를전해주십시오”라는내용

이었다.

이메세지는줄잡아수만명의베이징시민의휴대전화에무작위로전송됐

다. 같은날저녁상하이한식당에서는중국인들이일본학생2명에게한국인인

지일본인인지를물은뒤일본인이라고대답하자맥주잔과재떨이로폭행했다.

학생들은병원으로옮겨져치료를받고퇴원하였다. 한편중국정부는폭력

시위를자제하라는원론적입장만되풀이할뿐이다. 시위를막겠다는얘기는

아직없다. 국민의반일분위기를무시할수도없고그렇다고일본과의관계악

화에서오는국가적손해를무시할수도없기때문이다.

중국과일본간외교적갈등이심화되고있는가운데양국간의영유권분쟁

이일고있는동중국해섬들에대한상호강경대치도격화되고있다.

동중국해의댜오위타이(釣魚島·일본명센카쿠)를지키기위한중국민간단

체바오댜오(保釣)연합회소속대원7명이2005년5월24일오전일본군함의

감시망을뚫고이섬에상륙, 중국국기인오성홍기(五星紅旗)를꼽고댜오위타

이가중국영토임을주장하는경계비를남겼다고홍콩의친중국계일간지문

화보가2005년5월26일보도했다.

일본은해상보안청소속무장경찰18명을헬리콥터로이섬에투입, 상륙한

중국인7명을연행한것으로알려져이들의석방을둘러싸고외교적마찰이예

한국령독도 220

Page 22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상되고있다. 바오댜오연합회는지원자16명을모집한후100t급선박을빌려

23일댜오위타이부근해상에접근해7명이야음을틈타소형상륙정으로일

본군함4척의경계를뚫고댜오위타이상륙에성공했다.38)

일본과중국이벌여온조어도(중국명댜오위다오, 일본명센카쿠제도) 영유

권분쟁에대만까지가세했다. 대만은자국어민보호를이유로정치인들까지

탑승한군함을댜오위다오인근해역으로출동시켰다. 돈독한우호관계를유

지해온일본과의관계를감안해영유권분쟁과관련된주장을일절자제해온

이전의태도와는판이하게달라진모습이다.

이는야당·어민들의반발을더는외면할수없었기때문이다. 센카쿠열도

는현재일본이실효지배하고있다. 대만입법원과국방부장, 여야의원14명

은21일해군호에몸을실었다. 대만어민들이일본순시정에나포되거나쫓겨

나곤했던댜오위다오해역으로출동하기위해서였다.

대만해군은 10여 척의군함과순시선, F-16전투기를배치해일본측과의

무력충돌가능성에대비했다. 이들일행은대만동북부쑤야오항을떠나쑤야

오·댜오위다오간중간선을넘어섰다. 이들은함정위에서‘국가주권을지키

자!’‘중화민국만세’등을외치며국기인청천백일기를흔들었다.

대만어민들은“정부가어업권을보호해주지못한다면중국의오성홍기(五

星紅旗)를내걸고라도조업을계속할것”이라고말했다. 최근대만어선을일

본해군이나포한이후어민들의반발은더욱거세졌다.

여기에일부정치인이호응했다. 일본측은무대응으로일관했다. 섣부른무

력대응이대만은물론중국까지자극할수있다고판단했기때문이다. 중국은

내심흐뭇한표정이다. 이번사태를계기로대만과일본간의틈새를최대한벌

릴수있다는계산을갖고있다. 대만독립단체의한관계자는“중국은▶대만

합병▶일본반대▶미국견제의3중전략을구사하고있다”고분석했다.

221 제11장

38) 베이징송대수특파원

Page 22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조어도(釣魚島)의역사

조어도(중국명댜오위다오, 일본명센카쿠제도)는대만동북부200km이며,

일본오키나와남서부300km 지점에위치한무인군도로써, 5개의섬과3개

의암초로구성되어있다.

일본은 1895년 청일전쟁후에체결된「시모노세키조약」에서중국으로부터

대만과이섬들을할양받아오키나와현에편입시켰다. 즉전리품(손해배상)으

로할양받았다. 그후세계2차대전후(1945년) 맥아더사령부의Scapin(맥아

더사령부의고시)에서는이섬이일본의영토에서제외되었으나, 1951년의「샌

프란시스코강화협정」(미·일간의전쟁종말조약)에서는조어도를다시일본

영토에포함시켰다. 일본이「국제법으로또한, 역사적으로일본영토」라고주

장하는근거가여기에있다.

반면, 중국과대만은‘무력에의한영토약탈은국제법상무효’라고반박하

고 있다. 중국 측은 일본이 1884년 이 섬(조어도)을 발견했다는 주장에 대해

1534년중국이더먼저발견했다고주장한다. 특히중국의영유권주장은1968

년이지역에서다량의석유자원이확인되면서본격화되었다.

반면일본은이들섬을실효적으로점유하면서주변해역에서석유시추작

업을하는등영토권을행사해왔다. 중국과대만은2백해리경제수역설정과

관련, 일본정부가우익단체를앞세워해저자원을선점하려하고있다고비난

하고있다.

그러나중국정부는경제관계, 특히중국의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일

본의지지가필요하다는점때문에적극대응을피하였다. 센카쿠(尖閣·중국

명댜오위다오)열도에는일본인18명, 배타적경제수역(EEZ)설정을놓고중국

과갈등을빚고있는최남단바위섬오키노도리(沖의島)에는일본인 122명이

각각본적을두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한국령독도 222

Page 22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3 북방의네개의섬

일본이 주변국과의 영토분쟁에서, 북해도(훗카이도) 동쪽 오호츠크해에 나

란히늘어서있는북방4개섬문제는전후일본의최대관심사였다.

일본의거리에서‘북방영토즉시반환하라’는현수막을내건우익단체들의

방송차량을보는것은어렵지않다. 북방4개섬에관한 한일본의일반시민들

도2차세계대전이끝난직후소련이무력으로빼앗았다는정서가일반적이다.

북방4개섬문제란훗카이도(Hokkaido)와캄차카반도사이에있는쿠릴열

도 남단의 하보마이(Habomai), 시코탄(Shikotan), 에토로후(Iturup), 쿠나시

리(Kunashir) 등에대한영유권문제이다.

일본은이4개의섬이훗카이도에속한일본영토이기때문에모두돌려달라

고요구하고있다. 그러나러시아는이중에서하보마이와시코탄은돌려줄수

있지만에토로후와쿠나시리는원래쿠릴열도에속하기때문에돌려줄수없

다는입장을취하고있다.

‘북방영토’의 역사는 17~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쿠릴열도와 사할린

은원래아이누족이살고있던곳이다. 당시동진정책을추진하고있던러시아

와훗카이도를넘어북상하고있던일본이이곳을넘보기시작했다. 아이누족

의의사와는상관없이러시아와일본은1855년과1875년두번에걸쳐조약을

체결하였다.

1855년에는쿠릴열도남단4개의섬인에토로후, 쿠나시리, 시코탄, 하보마

이를일본이갖고, 쿠릴열도(Kuril) 북부는러시아가갖는대신사할린은공동

관할로했다. 그러다가 1875년에는사할린을러시아가그리고쿠릴열도는일

본이갖기로결정한다.

그러나1905년러·일전쟁에서승리한일본은북위50도선을경계로사할

린남부까지차지하게되었다.

1945년 일본이전쟁에서패하자당시소련은사할린뿐만아니라쿠릴열도

223 제11장

Page 22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천도열도) 남단까지모두무력으로점령해버렸다. 일제강점기사할린으로강

제징용되었던조선인들이사할린에억류된것은이시기다.

이때부터지금까지일본과러시아는‘북방영토’영유권분쟁을벌이고있다.

러시아는구소련시절일본과체결한1956년의일·소공동선언을기초로시코

탄과하보마이반환은받아들일수있다는입장인반면, 일본은1945년소련이

일본의패전을기해무력으로점령했기때문에4개섬모두를돌려줘야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1960년일본이미국과신안보조약을체결하자소련은그섬의반환

약속을이행하지않았다. 1973년다나카수상이소련을방문하였을때“미해

결문제가운데는북방4도문제가포함되어있음을확인받고싶다”라고추궁

하자 브레즈네프는“다아(Yes)”라는 대답으로 영토 문제가 미결임을 확인 한

바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소련측은그후“일소간에영토문제는존재하지

않는다”라는자세를견지하고있었다.

일본이4도문제에기대를갖게된것은고르바초프정권이탄생하고부터였

다. 고르바초프서기장은슈와르드나제전외상과함께종래의“니엣(No)”외교

를버리고관계개선을위하여긍정적인태도를취했다.

세바르드나제전외상은1988년12월에일본을방문하고평화조약작업부회

(作業部會)를발족시켜영토문제를토의하기시작했다. 1991년 2월제7회회

의에이르기까지일본과소련양측은각자의주장을모두제시했으나합의점

을찾지못했다. 이러한소련대표의경직된태도와는달리소련내에서의의견

은백출하고있다.

러시아공화국의옐친대통령은시간을가지고단계적으로해결하자는의견

을 제시하는가 하면 프라우다 지의 오프니치니토프 논설위원은 북방 4도를

UN관리로하고일본, 소련이공동으로개발하고자제창하고있다. 2섬의반환

은일본이납득하지않음으로3섬을반환하자는3도반환론, 4섬을3단계로나

누어반환하자는의견도나오고있다.

한국령독도 224

Page 22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최근 전 소련군 참모총장 아트르메이프 대통령고문이 일본 언론기관과의

인터뷰에서3도반환교섭에응하라고언명하고있음은, 고르바쵸프대통령이

나군부에영향력을갖는인물의발언으로서주목을받고있다.

북방4도는옛날일본사람도러시아사람도아닌아이누족이살고있던섬

이다. 이섬들을둘러싸고일본과소련이각축을벌이는이유는이들섬의전략

적경제적가치때문이다.

첫째, 전략적인면을보면제2차대전후소련이이들섬을손에넣음으로써

군사적요충인오호츠크해를완전히소련의영향권안에둘수있게되었다는

점이다. 에토로후도·히토카츠부는제2차대전시일본의진주만공격에동원

한연합함대가정박했던곳이기도하다.

둘째, 경제적인면을보면이들 4개섬의주면은츠시마해류와일본해류가

마주치는곳으로서세계에서유수한어장이다.

어획량이많을뿐만아니라어종도연어, 송어, 가재등고급어종이다. 또한

이들섬에는금과은이나오며온천, 호수, 그리고풍치가수려한해안관광자

원이풍부하다. 2001년러시아의푸틴대통령과일본의모리총리는‘2개섬은

반환하고남은2개섬은교섭해간다’는기획적인타협에이르기도했었다.

그러나이러한타협안은일본내우익과외무부일부관료들, 이익집단들의

로비에의해일본이‘4개섬일괄반환론’으로급선회하면서물거품이되었다.

특히2001년4월취임한고이즈미총리는북방영토에지대한관심을표명했

고, 2002년 9월에는현지총리로서는처음으로북방영토를시찰해러시아를

자극하기도했다. 한때예정되었던푸틴대통령의방일이연기됐는데이는‘북

방4개섬’에대한일본의강경입장때문인것으로보도되고있다.

흥미로운것은이문제에관한한독도와달리일본이국제사법재판소로가

는것에소극적이라는점이다. 일각에서는국제사법재판소로이문제를가지

고가서2개섬반환으로결정될경우, 일·소공동선언을뒤집고‘4개섬일괄

반환론’으로급선회한일본의입장이난처해질것을우려하기때문이라는해

225 제11장

Page 22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석도있다.

현재이문제는2차세계대전당시교전국이었던일본과러시아의평화협정

체결의핵심의제가되어있기도하다. 양국의주변해역에서의어로문제등은

상당히실질적으로해결해가고있다.

한국령독도 226

제11장의인용및참고

林英正, 『日本의 領有權주장의 검토-獨島, 釣魚島를 中心으로』東國史學 0300, 1996

Page 22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2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228

본서의인용및참고문헌

金炳烈, 『獨島냐 다께시마냐』다다미디어, 1997.

김병렬, 『독도에 대한 일본 사람들의 주장』다다미디어, 2001.

김병렬, 『독도논쟁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다다미디어, 2005.

김학준, 『독도는 우리땅』해맞이, 2004.

김화홍, 『독도는 한국땅』인간과 자연사, 2005.

朴觀淑, 「獨島의 法的地位」국제총론, 1956.

서대구JC, 『독도가 한국을 살린다』백운서당, 2004.

신용하, 『獨島 보배로운 韓國領土』知識産業社, 1996.

신용하, 『獨島의 民族領土史 연구』知識産業社, 1996.

신용하,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주장비판』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양태진, 『한국독립의 상징독도』백산, 2004.

外務部, 「獨島관계자료집(別冊)」外務部, 1977.4.1.

外務部, 「獨島관계자료집 II,」外교部, 1977.

외교안보연구원편, 「韓國의 領土 : 獨島,」외교안보연구원, 1990.

李漢基, 『韓國의 領土』서울大學出版部, 1969.

자연보호중앙협의회, 「鬱陵島 및 獨島 자연실태종합학술보고서」

崔南善, 『鬱陵島와 獨島(육당 최남선전집)2』고려대학교부설아세아 국제연구소, 1965.

韓國近大史자료연구협의회, 「獨島연구」韓國近代史자료연구협의회, 1985.

韓國史學會, 「鬱陵島ㆍ獨島 학술조사연구」韓國史學會, 1978.

韓國精神文化연구원. 「독도국제학술회의논문집」1996.

한일관계사연구회, 『獨島와 對馬島』지성의 샘, 1996.

海軍大學, 제2회 해양법학회세미나-「해양력과 국제법」1983. 10. 21~23日

Page 22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부록1독도문제에 한

한∙일양국의주장

Page 23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3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 한국측주장과일본측반박

(1) 地理的근거

한국측주장: 獨島는鬱陵島에서49해리의거리에위치하고있는鬱陵島의

屬島로서古來로부터鬱陵島의漁民이獨島의漁場에서出漁하였고기항지로

도使用하였음.

일본측반박: 獨島는韓國本土보다거리상으로日本本土에가까우므로옛

날부터日本漁夫들이航海上, 漁業上으로鬱陵島航海時에獨島를中繼基地

로使用하였음.

(2) 역사적근거

한국측주장

①『삼국사기(三國史記)』에의하면원래독도와울릉도가우산국(于山國)에

포함되어있었는데512년신라22대지증왕13년6월에하금주(何琴州, 현재의

강릉)의 군주였던이창(伊滄) 이사부(異斯夫)가 목우사자(木偶獅子)를 많이만

들어이로써우산국사람들을위협하여항복을받았다는기록이있다.

②고려와조선초기에걸쳐서오늘날의독도가우산도(于山島)·삼봉도(三

峰島)·가지도(可支島) 등으로명명되었으며그때부터지금까지한국이관리하

여왔다.

③『세종실록(世宗實錄)』과『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독도가강원도

울진현에소속된속도(屬島)로기록되어있음. 우산도와무릉도로열거됨. 우산

도가독도를지칭.

④『숙종실록(肅宗實錄)』에의하면 1693년에대마도도주가울릉도를일본

의영토인‘다케시마(竹島)’라하고어렵(漁獵)과벌목을자행하므로동래수군

231 부록1

Page 23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으로일본어를잘하던안용복(安龍福)이울릉도에건너가일본인을모두내쫓

았고, 1696년에는단독으로일본의에도(江戶)에가서울릉도·우산도의감세

관(監稅官)이라자칭하여일본정부에어렵과벌목을엄중항의하고, 울릉도가

한국의영토임을승인한도쿠가와(德川) 막부의문서를받아온기록과같은해

도쿠가와막부에서일본어부의울릉도출어금지가발표된기록이있는바, 당

시울릉도의속도인독도도마땅히한국의영토임.

⑤1878년에일본어민이막부(幕府)에‘송도개척원(松島開拓願)’을제출하였

으나독도가한국영토임을알고각하(却下)하였으며, 또한그후‘독도편입및

대하원(獨島編入및貸下願)’을제출하였던중정양삼랑(中井養三郞)은원래독

도를한국영토로믿고있었닫고일본시마네(島根) 현지(懸誌)에기록되어있음.

⑥ 1875년 일본 육군참모국에서 발행한『조선전도(朝鮮全圖)』와 1878년에

삼금석(森琴石)이 간행한『대일본 육해전도 부조선류큐전도(大日本 陸海全圖

附朝鮮琉球全圖)』등다수의일본측고지도에독도가한국의영토로표시되어

있고또한1904년11월日本군함‘對馬號’가鬱陵島와獨島를조사하고다음과

같은報告를하였음. “鬱陵島에있는多數의거주자들이매년하절기에獨島에

上陸하여그섬의近方에서어업에從事하고있음.”

⑦‘리앙꾸르(獨島)’領土編入및貸下願을提出한日人中井養三郞은원래

同島를朝鮮領土로믿었다고島根현교육회편島근현지에記載되어있다.

⑧일측많은古地圖에독도가조선령임을표시하고있다.

일본측반박

①한국측의고전문헌이나사실의인용은부정확한것이며, 이에대한해석

도오해가충만하므로한국측의주장을신빙하기어렵고또한신라시대의우

산국은오직울릉도하나만을말하고있다.

② 독도는‘다케시마(竹島)’라고 하여 옛날‘마쓰시마(松島)’라는 이름에서

일본인에게알려졌고, 그것이일본영토의일부로주지되어서도쿠가와(德川)

한국령독도 232

Page 23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3대장군, 이에미쓰(家光) 시대막부에서미자(米子)의정인(町人) 대곡(大谷)·

촌천양가(村川兩家)에 대하여다케시마의지배가허가되었다. 울릉도(松島)에

도항할때에는이섬이중계기지로서어부들이어렵도행하였다.

③ 조선의 고대문헌을 통하여 고찰해보아도『세종실록』에 있는 우산도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있는 김자주(金自周)가 조사한 삼봉도(三峰

島)가오늘의다케시마라고논증된기록은없으며『동국여지승람』에있는김자

주의기사는실은『성종실록(成宗實錄)』의오해이며『세종실록』의우산무릉(于

山武陵)에 관한 기사에도‘新羅時稱于山國一治鬱陵島’라는 일절이 있으며,

『동국여지승람』의 우산도·울릉도에 관한 기사 가운데서도‘一說于山鬱陵本

一島’라실려있고또하나『문헌촬록(文獻撮錄)』등에는삼봉도·우산도·울릉

도가모두동일한섬이라고매우명확히설명되어있음.

④안용복사건의기사는그가귀국후비변사(備邊司)에서취조를받았을때

의공술(供述)인바그내용에는허위가많았으며, 또한그는불법출국및부단

국제문제야기죄(不斷國際問惹起罪)로처벌을받았음.

⑤송도개척원(松島開拓願)과‘독도영토편입원및대하원(貸下願)’은모두

편자들의오해에서기인된것으로中井養三郞의‘竹島영토편입및대하원’을

보더라도한국정부가주장하는바와같은‘조선정부로부터동도(同島)를빌

려허가를얻도록일본농상무성(農商務省)에신청하였다’라는기록은없다.

⑥지도의간행자나보고서의작성자는원문을망각하고단순히전문(傳門)

에의하여기록한것으로서편자(編者)의불찰이었고, 군함대마호의보고원문

‘울릉도로부터도래하는자’라고기록되어한국측이주장하는바와같은‘울

릉도주민’이라고쓰여있지않으며, 이자들은당시일본어부들이고용하였던

울릉도민임에불과하다.

⑦同記事는編者의오해에기인한것임.

⑧언급없음.

233 부록1

Page 23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3) 일본의독도편입조치(措置)의합법성여부

한국측주장

①일본이국제법상의선점이론을적용하여독도를주인이없는지역으로

취급하고1905년2월22일자‘시마네(島根) 현고시(懸告示) 제40호’에독도를

일본의영토로편입조치한것은일본이그당시까지독도를일본의영토로생

각하지않고있었다는유력한반증이되며, 또한이와같은영토편입조치를

한후곧대외에공포하여야함에도불구하고비밀리에행하였으므로 1907년

일본에서 간행된 전연우언(田淵友彦)의「한국신지리(韓國新地理)」와 1933년

일본해군수로부에서발행한「조선연안수로지(朝鮮沿岸水路地)」등에여전히

독도가한국의영토로표기되어있었음. 또한歷史地理中�細雪湖의論文, 旅

路및費用계산(1938年) 등은如前히獨島를韓國領土로表記하였음.

②1904년8월22일‘한·일협약’의결과일본에서매수하여파견한미국인

외교고문스티븐스가한국의외교실권을장악하고있었으므로독도의일본영

토편입조치를알면서도항의를하지못한형편이었고, 러·일전쟁당시일본

은전략적견지에서필요하다고인정되면한국의어떠한부분도점령할수있

다고규정되어있음.

일본측반박

①‘시마네[島根] 현고시(懸告示) 제40호’로독도를시마네현에편입조치한

것은당시일본이자국(自國)의영토를편입조치할때관행한고시방법이었으

며, 동편입조치후에간행된간행물들은일본정부가동(同) 편입조치를비밀

리에취한결과가아니고오직간행물필자의인식이부족하였기때문임.

②당시한국정부의외교고문은스티븐스로서일본과는하등의관련이없

었던사람이었고, 러·일전쟁때한국의영토보존의목적을달성하기위하여

필요에따라서는군략상의요지를일시점령할수있었으나독도의일본영토

한국령독도 234

Page 23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편입조치와는하등관계가없음.

(4) 2차대전전후연합국의제반조치

한국측주장

① 1943년‘카이로선언’에서“일본은폭력및탐욕(貪慾)에의하여약취(略

取)한일체의지역에서구축(驅逐)된다”라고규정되었고, ‘포츠담선언’에서도

이규정이재인식되었으니일본이약취(略取)한독도는한국에반환하여야함.

② 1946년 3월 22일자‘스케핀’제677호에는“일본통치권이행사될수있

는지역으로4대도(大島)와대마제도(對馬諸島) 등을포함하는약천여개의인

접제소도(諸小島)에한정하고울릉도·독도·제주도·유구제도(硫球諸島) 등

을제외한다”고하였음.

③일본인의어업구역을한정한1946년6월22일자‘스케핀’제1033호에서

‘맥아더라인’은독도동방12리의해상을통과하였고, “일본인선박및인원은

이후북위 37도 15분, 동경 131도 53분에있는독도의 12리이내로접근하지

못하며또한독도에는여하한접촉도금함”이라공시하였음.

④1947년연합군극동위원회는“일본의주권은4개본도(本島) 및앞으로결

정될제인접소도(諸隣接小島)에국한된다”고하였고, ‘스케핀’제677호에의하

여비인접도서로규정된독도는당연히일본으로부터분리됨.

⑤ 1951년‘상항평화조약(桑港平和條約)’은“일본의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

고제주도·거문도및울릉도를포함한한국에대한모든권리권원(權原) 및

청구권을포기한다”라고하여이제까지의연합국의제반조치를재인식하였으

니한국부속도서의하나인독도도당연히우리영토에의귀속이확정되었음.

일본측반박

①독도를약취(略取)한것이아니고당시일본의국내관례에의하여자국의

235 부록1

Page 23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영토를편입한것이므로한국에반환할의무가없음.

②‘스케핀’제677호는당시연합국점령하의잠정적인조치였고동일한각

서제6항에“각조항은어느것도일본국영토귀속의최종적결정이아니다”

라고기재되어있음. 이미 1951년 12월 5일에총사령부각서에따라‘스케핀’

제677호에의하여통치권이잠시정지되었던남서제도(南西諸島) 중북위 30

도와29도의섬들이일본정부의행정권하로되돌아왔으며1953년 12월에는

엄미군도(奄美群島)의행정권도일본측에반환되었고, 또남은남서제도및유

부암(�婦岩)의 남방제도·충(沖)의 섬들·남도도(南島島)에 대해서도 일본에

잔존주권이있음이확실하여졌음.

③ 동(同) ‘맥아더 라인’은 1951년‘상항평화조약(桑港平和條約)’의 발효로

동시에소멸되었음. 또한같은각서제3항에명시한바와같이해당구역혹은

기타여하한구역에관해서도국가통치권·국경선·혹은어업권에대한최종

결정이아니므로지금까지의일본의통치권을부정하는것이아님.

④동(同) ‘스케핀’제677호에의하여행정권이정지되었던치무군도(齒舞群

島)를 일본이‘상항평화조약(桑港平和條約)에 기본된권리·권원(權原)·청구

권을방기해야할천도열도(千島列島) 중에는포함되지않았듯이독도도같은

경우임.

⑤동(同) ‘상항평화조약’에서는독도는한국의영토로포함되지않았음. 즉

이것은연합국총사령부각서와‘상항평화조약’사이에는전혀관계가없음을

명백히입증하여주고있음.

한국령독도 236

Page 23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2 일본측주장과한국측반박

(1) 역사적근거

일본측주장

① 1618년미자(米子)의정인(町人) 대곡심길(大谷甚吉)·촌천시병위(村川市

兵衛)가에도(江戶) 막부로부터울릉도의도항을허가받아약80년간경영하였

고, 독도를울릉도와일본본토사이의중간기항지로혹은어로지로사용하였

음.

②일본고지도에독도가일본의고유영토로기록된것으로제등모편(齊藤

某編)의『오키[隱岐] 시청기(視廳記)』를들수있고여기에는‘울릉도와독도가

일본의서북부한계임’이라고기록되어있음.

③1696년에앞에기록된미자(米子)의정인(町人) 대곡(大谷)과촌천양가(村

川兩家)에대하여울릉도도항금제봉서(禁制奉書)가내려졌으나독도도항금

제봉서는일본사전편에걸쳐서한번도내린기록이없음.

④ 한국의 유명한 김정호(金正浩)의『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도 독도에

해당하는도명이나오지않음

⑤1901년현채(玄采)의『대한지지(大韓地誌)』에는한국영토의동쪽한계를

동경130도35분으로하고있으니독도는포함되지않았음.

한국측반박

①위에기술한일본인의울릉도도항은국제법상타국영토의침범행위이

며독도를중계기항지로사용한것은더욱명백한침범행위임

②당시일본은오늘날독도를‘마쓰시마[松島]’라하였고, 울릉도를‘다케시

마(竹島)’라명칭을혼용하였으며동해상에 2개도가있었다는것도인정하지

못하고있었음. 『오키[隱岐] 시청기(視廳記)』의원문을살펴보면“오키시마[隱

237 부록1

Page 23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岐島]로서일본서북부의한계를삼는다”라는기사가있으니이것이정당한일

본학자의견해임.

③독도는울릉도의속도임으로독도금제봉서를별도로내릴필요가없다

고봄.

④간행자의불찰로인하여누락된것으로간주됨.

⑤1930년6월에간행된‘역사지리(歷史地理)’에실려있는통연설호(桶烟雪

澔)의소논문「일본해에있는다케시마의일·선관계(日 關係)에대하여」라는

기사중에는“다케시마와울릉도는지금조선강원도에속하여조선영토로서

는일본해최동단에속하여있다.”라고기록되어있어독도를조선소속으로인

정하였음.

(2) 영토편입조치

일본측주장

① 일본 정부는 옛날부터 자국(自國) 고유의 영토였던 독도를 관례에 따라

1905년2월22일각의결정(閣議決定)에이어‘시마네[島根] 현고시(懸告示) 제

40호’로서시마네현에편입시켰음.

②영토편입조치이후곧독도를시마네현토지대장에게재하고1905년8

월에송영무길(松永武吉) 시마네현지사일행및익년(翌年) 3월에신전(新田)

시마네[島根] 현 제3부장이 각각 독도를 실제 조사하고 중정양삼랑(中井養三

郞)에게어로면허를함으로써국제법상정당한경영을하였고이에대한한국

측의하등의이의가없었음은선점(先占)의 3대구비요건을충족한것으로입

증함.

한국측반박

①일본정부가관례에의하여독도를시마네[島根] 현에편입한자체가국제

한국령독도 238

Page 23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법상선점(先占)의이론에위배가되며, 이와같은사실은중정양삼랑(中井養三

郞)이영토편입및대하원을제출할때까지독도가일본의영토가아니었음을

스스로반증하는것임.

②1906년신전(新田) 시마네현제3부장일행이울릉도에기항하였을때군

수심흥택(沈興澤)이중앙정부에통보한내용을보면“본군(本郡) 소속독도를

일본인이스스로자국의영토라고하니조량(照亮)이있길바랍니다”라고쓰였

는데, 당시한국은러·일전쟁중강제로조인한‘한·일협정서’에의거하여

일본에완전매수된미국인외교고문‘스티븐스’가한국의외교실권을장악하

고 있었으므로 자연히 묵살되었고 이와 같은 내용이 황현(黃玹)의『매천야록

(梅泉野錄)』에도일본인이억지로독도를일본영토라고하고갔다”라고기록

되어있다.

(3) 연합국의조치

일본측주장

① 1951년‘상항평화조약(桑港平和條約)’에 의거하여 일본은 충승(沖繩)과

북방영토를보유하고전쟁전의일본영토를다시찾았으므로독도도당연히

일본에귀속되어야함.

②‘미·일안전보장조약’이체결된이후인 1952년에미·일안보합동위원

회가독도를미공군의폭격연습지로선정한것은독도가일본의영토라는기

초위에서취해진조치임.

한국측반박

①‘상항평화조약’은‘스케핀’제677호와 제1033호를 재인식하는 효과를

가지고있으므로독도는당연히한국영토임.

②미·일안보협동위원회의미국은전승연합국의일원으로서의미국이아

239 부록1

Page 24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니었고또한미공군당국은한국정부의항의에대하여독도를폭격연습에서

제외하였다는통보가있었음. 최근발견된비밀문서해제에서당시미국은독

도가한국땅임을알고있었음.

※위자료는『韓國의領土硏究』外交安保연구원(1999년 4월 30일)과양태진편『獨島연구문헌

집』(1998년8월7일)을참고하여다시작성하였음.

한국령독도 240

Page 24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부록22-1 독도관계연표

2-2 일본의‘독도망언’역사

2-3 독도는우리땅

Page 24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4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부록 2-1 독도관계연표

512년 지증왕 13년 6월에于山國이歸服하고해마다토산물을바치게되었다. 우산국은溟

州의정동에있는바다가운데있는섬으로혹은鬱陵島라고도하는데, 그지방은백

리로사람들은험한것만믿고굴복하지않으므로伊滄異斯夫를何瑟羅州의軍主로

삼아이들을복속시키게하였다.

자료 : 『三國史記』권4 新羅本紀, 『三國史記』권44 列傳異斯夫조

930년 고려태조13년고려에귀속되어조공관계유지.

1018년 高麗 島中調査獻物. 玄宗 9年(1018) 現 咸鏡道地方에살던女眞族이于山國을侵入하

여島民을자주납치함으로島民을內陸으로移住시키고오래도록이섬을비워두었

다. 東女眞人의침해에서于山國을求함, 李元龜를파유, 農器등보냄.

1123년 仁宗時代(1123) 李陽實이사람을보내鬱陵島에서土産物을 取하여進上하였다.

1141년 溟州道監察使李陽實은사람을시켜鬱陵島中의珍寄한物品을採取하여獻上함.

1157년 毅宗 11年(1157) 金條立을보내鬱陵島의産物을調査하고獻物케함.

1243년 明宗 27年(1197) 崔忠獻이 島民을 東部 鬱陵島로 移住시켜 農事를 지었으나 風波로

인하여다시西方으로還去시켰다.

1246년 권형충, 史挺純을鬱陵島按撫使로任함.

1346년 忠穆王 27年(1346) 3월에 우릉島人이朝廷에왔었다(以上의 高麗時代의史實은 1849

年刊日本의「靑邱要覽坤」에실려있음).

1375년 倭人, 우릉島에 15日間머뭄.

1379년 倭人, 鬱陵島進入.

1412년 鬱陵島에서于山國에移住한者있음.

1416년 (태종 16년) 김인우(金麟雨)를 武陵等處 안무사로 삼아 울릉도에 進入한 피역민들을

쇄출코자 파견. 호조참판 박습의 계언 중에‘무릉도의 둘레는 7息이나 되며 그 옆에

小島가있다. 그 田은가히 50여결이된다. 예전에方之用이라는자가 15가를이끌고

들어와살고있으며, 때로는왜인을가장하여본토를구량한다’고함.

자료 : 태종실록 16/9, 경인

243 부록2

Page 24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417년 金麟雨를잉撫使로任命于山島民을引出함. 同時에于山島土産物등을지참헌납.

1417~1706년 空島정책의적극화.

1425년 (세종 7년) 재차金麟雨를命하여鬱陵島에서철수시켜空島로함. 김인우를于山·武

陵等處의安撫使로삼아울릉도에파견하다.

于山의피역男婦 20인을수포하여돌아와충청도심원山군에移置함.

자료 : 『세종실록』8년 8월갑술, 『세종실록』7년 10월을유

1432, 1454년 (세종 14년, 단종 2년) 于山과 武陵의 두섬이 울진현 정동의 바다 가운데 있는데 두

섬이거리가서로멀지아니하여날씨가맑으면바라볼수있다.

자료 : 『세종실록』권 153 지리지, 강원도울진현조

1438년 (세종 20년) 전호군 남회, 전부사직 曹敏을 武陵島순심 경차관에 임명, 도망 인구를

조사하도록함.

남녀 66인을수검하여쇄환하고토산품을가지고와서복명.

자료 : 세종실록 20/4 갑술, 세종실록 20/7 무술

1451년 (문종 1년) 여기에는 鬱陵島가 있다. 이 현(울진현)의 정동쪽 바다 가운데 있다. 신라

때에는于山國, 武陵또는羽陵이라고불렀으며, 섬의주위는 100리이며지증왕 12년

에 항복해왔다. (…) 혹자는 말하기를于山과武陵은원래다른 2개의 섬인데그거

리가가까워서맑은날에는눈으로바라다볼수있다고한다.

자료 : 『고려사』권 58 지리지東界울진현조

1457년 (세조 3년) 前中樞院副使 柳守剛, 于山·武陵의 雨島에 설립할 것을 건의함. 이에 于

山·武陵양도에대한 현읍의설치는 양도의水路가험난하여왕래하기가곤란하며,

海中 孤島에 설읍하면 持守하기가 곤란하다. 단 강원도 인민이 유우하지 않을 수 없

으니바람이자기를기다려朝官를보내쇄환해야할것이다.

자료 : 『세조실록』3년 4월기유

1469년 삼봉도로호칭

1472년 (성종 3년) 朴宗元을三峰島경차관에임명하고, 삼봉도의수도를명함.

자료 : 성종실록 3/4 정묘

1476년 (성종 7년) 영흥인金自周, 상봉도를찾기위해출항, 독도발견보고.

자료 : 성종실록 7/10 정유

한국령독도 244

Page 24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481년 (성종 12년) 여지승람간행

자료 : 현존하지않음.

1486년 (성종 17년) 東國輿地勝覽간행

자료 : 현존하지않음.

1531년 (중종 26) 于山島·鬱陵島·武陵이라고도 하고 우능이라고도 한다. 雨島는 울린현의

정동의바다가운데있다. 세 봉우리가하늘로곧게솟았으니남쪽봉우리가약간낮

다. 날씨가맑으면봉우리위의나무와산밑의모래톱이역력히보이고바람이잔잔

하면이틀만에도달할수있다. (…) 일설에는于山과울릉은원래 1島라고한다.

자료 : 『新增東國輿地勝覽』권 24 강원도울진현조

1568~1608년 누차對馬島를통하여日本비위논책

1592~1609년 임진란에의하여歲船停止

1614년 「지봉유설」에一島異名說

1615년 倭奴島圖作成운운으로東萊府使朴慶業으로하여금再犯없도록통고

1618년 松平新太郞은막부의認可를얻어大谷·村川 두명에게竹島도항을許可함.

1666년 김수홍『天下古今總覽圖』

1667년 (현종 8년) 은기의 州治로부터 2日1夜를 가면 松島(독도)가 있고 또 1일 정도를 가면

竹島[울릉도]가있는데, 이 두섬은무인도로서여기서고려를바라보는것이마치운

기(出雲)에서은기를바라보는것과같다.

자료 : 『은기시청합기』(일본, 齋謄豊仙)

1693년 安龍福事件 - 東萊의漁夫安龍福이鬱陵島부근에서倭人을發見, 퇴거시킴, 安龍福

隱岐를거쳐渡日함.

1693~1694년 鬱陵島의領有權問題로朝鮮정부외 對馬번과와交涉이있었음.

예조참판 李會는 宗義倫에 書를 보내 鬱陵島는 日本에서 말하는 竹島로서 조선영토

라하고對馬島住는, 鬱陵島가日本領土라고主張

1694년 (숙종 20년) 삼척검사장한상, 울릉도에다녀와三峰島(독도)를육안으로관찰.

울릉도에서동쪽을바라보니바다가운데섬이하나있는데아득히동남방에위치하

며, 울릉도의 1/3에못미치고거리는 300여리에지나지않는다.

자료 : 『鬱陵島事蹟』(申光璞)

245 부록2

Page 24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695년 (숙종 21년) 대마도주宗義眞, 제2차 서계중 4개조가사실과다르다며이에대해답

변 요구→종의진이 교섭 전말을 막부에 보고하자 막부에서는 죽도[울릉도]가 조선의

지계가분명하니일본어선의왕래를금하며이를조선측에알리라고지시.

자료 : 숙종실록 21/6 경술→朝鮮通交大紀8, 善隣交事考 4, 告竹島一件事考

1696년 (숙종 22년) 安龍福이 울릉도에 출어한 일본 어선을 추격하여 松島(子山島, 독도)에

간후이어玉岐도(隱岐)를 거쳐伯耆州로가서조선땅인울릉도와자산도(독도)에 일

본어민이와서불법출어하고있음을막부에直訴.

자료 : 『숙종실록』22년 8월 임자, 『숙종실록』22년 9월 을해·무인, 『증보문헌비고』

31, 『興地考』19

1697년 (숙종 23년) 安龍福의民間활동으로朝鮮領土임을확인시킴, 關白出漁금지, 영의정유

상운, 울릉도수토문제를건의→3년마다순검키로함.

자료 : 승정원일기, 숙종 23/4, 13일

1700년 정상기『東國地圖』를製作하여于山을처음으로鬱陵島外에表記.

1711년 三陟영장朴錫昌鬱陵島를시찰, 地圖를作成하여돌아옴, 搜土管理.

1785년 일본의지도학자하야시(林子平)의『三國通覽圖說』에도東海(일본해)의 두섬을‘松島’

와‘竹島’로표기하고‘두개의섬이모두조선의영유임’을표시.

1792년 (정조 16년) 鬱陵島는 울진의正東海中에있으며일본의은기주와가깝다. (…) 원래

于山國이었다. 여기지에 이르기를 울릉·우산은 모두 울릉국지이며, 于山은 倭人이

말하는소위松島이다.

자료 : 『增補東國文獻備考』

1794년 獨島를可支島라고도함.

1809년 (순조 9년) 鬱陵島는 울진의 正東 海中에 있으며 일본의 은기주와 가깝다. (…) 원래

于山國이었다. 興地志에 이르기를 鬱陵·于山은 모두 于山國地이며, 于山은 倭人이

말하는소위松島이다.

자료 : 『만기요람』군정편

1811년 (순조 11년) Arrow Smith 지도에 Dagelet과 Argonaute가 별개의두섬으로존재하는

것으로표기.

한국령독도 246

Page 24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815년 (순조 15년) Thomson의 <조선 및 日本圖>에 Dagelet와 Argonaute가 별개의 두 섬

으로존재하는것처럼표기.

1840년 (헌종 6년) Siebold의 <일본도>에 Degelet와 Argonaute가 별개의 두 섬으로 존재하

는것으로표기하고, 일본측지도에입각전자를Matsusima에, 후자를 Takesima에

비정.

1849년 (헌종 15년) 프랑스 포경선 Liancourt호가 독도 발견(북위 37̊ 14’, 동경 129̊

35.2’) Liancourt Rocks로명명.

1854년 (철종 5년) 러시아 군함 Pallada가 이끄는 Olivutsa호가 독도를 精測, Menalai

Olivutsa라명명(북위 37̊ 14’, 동경 129̊ 36.51’).

1856년 (철종 7년) 영국Homet호가독도를측량Homet Rocks라명명

1858년 (철종 9) 『中國水路誌』제2판 발행, ⇒ 독도를 <Homet>로 표기, 영국 군함에 의한발

견에대해언급.

1859년 (철종 10년) ‘Actaeon 호의항해기’부도에울릉도동북편의속도인죽도를 Boussle

Rock으로표기.

1861년 (철종 12년) 『중국수로지』제3판발행.

⇒ 브로우튼의항해(1797년), 露盤 Pallas 호의항해(1854년), Ward 함장의측량(1858

년) 사실 등을 기록하고, 독도를 <리앙쿠르>로 표기하면서 다케시마 또는 아르고노트

는지적된경위도에존재하지않는다고서술.

1864년 金正浩『大東興地圖』發刊.

1869년 (고종 6년, 명치 2년) 일본 - 朝鮮의‘海陸軍武備之虛實目器械精粗之事’를 탐지하기

위하여外務省出仕佐田白芽·森山茂·齊藤榮등 3명을조선에파견.

일본 - 外務省出仕佐田白芽등, < 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에죽도(울릉도)와송도(독도)

가각기다른두섬이며이들은‘조선부속’임을보고.

1877년, 1880년 (고종 14년, 명치 10년) (고종 17년, 명치 13년) 일본태정관울릉도와독도가일본영토

가아님을명언,

일본 - 9월. 죽도·송도에 대한 조사를 위해 군반 天城을 현지 파견, 송도는 조선의

울릉도이며죽도(竹島)는 그옆에있는작은섬임이밝혀짐. “지금의송도는元祿12년

(숙종25)에일컬었던죽도로일본판도밖에있는땅이다.”라고보고.

247 부록2

Page 24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881년 (고종 18년) 이때부터獨島의名稱이나타남.

開척령發布, 拓民정책를취함.

日本漁民의鬱陵島잠침에關해朝鮮정부, 日本정부에엄중항의함.

1882년 12월 ‘울릉도개척령’발표.

1883년 4월 (高宗 20년) 각도에서모집한 16호 54명入居.

1883년 9월 일본정부가울릉도에불법체류중이던일본인 254명전원철수시킴.

1883년 檢察使李圭遠, 本島검찰로日本과領土權問題再演

地方長官을통해鬱陵島도항금지를통보함.

1884년 金玉均이 東南諸島開拓使 兼 捕鯨事로 任命되어 鬱陵島開拓에 全力을 注入 16世帶

54名에대하여物資, 食糧을주어移住시킴.

1885년 朝鮮領土임을재확인케하고日本人을세출함.

1894년 太田方次郞『朝鮮地理誌」獨島를于山島로칭하고 130̊ 50′E로記함.

宗孟과『日淸韓三國興地全圖』

地學協會『朝鮮全圖』

淸水常太郞『淸韓三國興地圖』

森琴石『改正增補大日本海陸全圖』

赤松範靜『大日本朝鮮新選支邦興地圖』

淸水常太郞『淸韓三國地圖』

1895년 (고종 32년) 1월, 울릉도수토제도폐지→專任島長임명.

1898년 (광무2년) 5월, 지방관제개편으로울릉도島감제를법제화, 도민가운데서長監임명.

1899년 玄采『大韓地誌』. 韓國學部『大韓全圖』

1900년 (광무 4년) 內部 시찰관우용정이부산주재일본부영사를대동하고울릉도시찰, 불

법체류한일본인들을소환할것을요구.

일본인의울릉도잠입, 수목벌채에의한주민과의분규수습.

도세조사 - 호구400여호, 민 1,700여명, 경지 7,700여마지기.

울릉도에군설치건의.

10월, 칙령 제41호. ‘鬱陵島를 울島로 개칭하고 島監을 郡守로 개정하는 건’을 제정

한국령독도 248

Page 24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반포(관보에 게재)하고 중앙정부에서 관리 파견→제2조에 울도군의 관할구역으로 울

릉전도·죽도와함께石島(독도)를규정.

1901년 鬱陵島長을鬱陵郡守로승격시킴.

1903년 中井養三郞內務外務農商務三大臣에게“이앙코島영토편입및貸下願“提出

1904년 (광무 8년, 명치 37년) 2/23, 한일의정서 강제 체결→전국의 군사적 요지 점령, 일본

군의전략상필요장소임의사용과일본의내정간섭충고권장의대러시아전쟁수행

과관련한독도의군사적가치인식.

8월, <제1차한일협약>→고문정치시작, 한국의외교권사실상장악.

9월, 일본, 어민中井養三郞, <리앙쿠르섬의영토편입및貸下願>을내각에제출.

1905년 (광무 9년, 명치 38년) 1/28, 일본내각, <독도에대한영토편입조처> 결정.

2/22, 일본, 島根현고시제 40호(獨島를竹島로명명하고그영토를비밀리에편입).

7월, 일본 해군, 독도에 망루 설치. 7/31, 부산주재일본영사관, <鬱陵島現況>을 보고하

면서그부속도서로서獨島에대해언급→자기정부가독도에대해영토편입을포고

한사실을모르고있음.

1906년 (광무 10년명치39년) 일본, 興原福市, 울릉도와독도를답사하고 <竹島및鬱陵島> 저술.

일본, 島根懸사무관 등, 죽도 답사 후 울릉도군수 심흥택에게‘다케시마가 이제부터

일본에편입되었음을통고→심흥택은이사실을강원도관찰사서리이명래에게보고

→이명래는이를의정부삼정대신박제순에게보고.

5/20, 指令제3호, ‘독도는대한제국의영토임’을재확인.

1907년 (융희 1년) 울릉도및독도의관할권이속(강원도→경상남도).

1910년 (융희 4년, 명치 43년) 일본, 한국을 병합하여 한국 본토와 그 부속도서 전부를 식민

지로강점.

修交編集部『最新滿韓大地圖』發刊

「韓國水産誌」재一집제一편제七장에竹島(Liancourt Rock)를韓國領으로표시.

1914년 경상남도에서경상북도울도군으로편재(관할권이전)

1915년 朝鮮敎育會雜誌「鬱陵島狀況」記述.

1918년 「朝鮮地理자료」(總督部) 鬱陵島를竹島로表記

「最新東部西伯利亞戰地一람도」

249 부록2

Page 25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19년 中井猛之進「鬱陵島植物조사」

1920년 水路部『日本水路誌』發刊

水로部『朝鮮沿岸水路誌』發刊

1924년 齊藤勝歲『支那全圖』發刊

陸地測量部『動部支那圖』發刊

1930년 통세운호『地理歷史』에는鬱陵島와竹島를江原道에속하는朝鮮領이라表記.

1933년 『朝鮮沿岸水路誌』第二편鬱陵島및竹島를記하고이것을韓國領으로표시.

1943. 11. 30. 이집트카이로선언.

1945. 7. 26. 미·영·중·소연합국거두의포츠담(Potsdam)선언

‘(제8항) 카이로 선언의 제조항은 이행되어야 하며, 일본의 주권은 혼슈우(本州)·혹

까이도오(北海道)·규우슈우(九州)·시꼬꾸(四國)와 연합국이 결정하는 작은 섬들에

국한될것이다.’

1945. 8. 15. 일본의패망과포츠담선언의무조건수용, 한국의전국토와부속도서의반환.

1945. 9. 2. 태평양 지구 미군 사령관 Douglas MacArthur는 점령군 사령관으로서 일본의 어로

활동을 일본 본주(本州) 및 혹카이도(北海道) 주변의 일정해역에 한정하는 조치

(MacArthur) 선포. (독도는물론제외됨)

1945. 9. 6. 항복 이후 일본에 대한 미국의 초기정책 지침:[미국 대통령→SCAP](United States

Initial Post-Surrender Policy for Japan) 일본“주권(Japanese Sovereignty)”의 지

리적범위를한정함. “北海道, 本州, 九州, 및四國과주변제小島”.

1945. 9. 27 일본의漁撈활동제한조치(MacArthur Line)의범위를확장(독도는물론제외됨).

1945. 11. 3. 일본의 점령과 관리를 위한 초기 지침. 점령군 사령관이 행사할 권한의 적응에 있어

「일본영역범위」를정의함.

“일본의 4개 本島 즉 北海道, 本州, 九州, 및 四國과 對馬島를 포함한 1000여 개의

인접한제小島”

1946. 1. 29. 약간의 주변 지역을 정치상 행정상 일본으로부터 분리하는 각서 : [SCAP→일본 제

국정부](SCAPIN 677)

일본의종래식민통치영역에대한주권적관할을분리함.

한국령독도 250

Page 25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일본의 영역은 일본의 4개 本島 즉 北海道, 本州, 九州 및 四國과 對馬島를 포함한

1000여개의인접한제小島로제한하고”, “울릉도, 독도, 거문도및제주도를일본의

영역범위에서제외함.”(3항)

“한국에대한일본제국정부의정치적행정적관할을배제함.”(4항)

1946. 6. 22. 일본의 어업 및 포경업을 위한 인가구역의 설정 : [SCAP→일본 제국정부](SCAPIN

1033)(MacArthur Line 범위확장실시)

일본의 선박과승무원은독도로부터 12해리 이내에접근하지못하고이섬에어떠한

접촉도불가함.

1947. 8. 16~25. 한국학술조사단독도탐사(단장. 申奭鎬)

1948. 6. 30. 미국공군기폭격연습중, 독도에출어중인한국어선을폭격함. 어부 30여명이사망.

8. 15. 대한민국정부수립.

서기 1949년 : 스캡핀No.2046호의맥아더라인은獨島를韓國領土로규정.

1950. 6. 25. 한국전쟁발발.

1951. 4. 25. 한국정부가미국제5공군당국에독도어민피폭사건에관한조회.

5. 4. 미국제5공군의회신. (독도주변수역에출어금지조치한사실이없음, 독도는미제

5공군의연습목표로되지않았음.)

6. 독도조난어민위령비를제막.

7. 19 주미 한국 대사, 미일 평화조약의 미국 측 초안에 일본의 영역권에서 제외되는 한국

의도서에독도를포함할것을요구하는공문을발송.

8. 10. 미국국무성은한국대사의요구를거절함.

9. 8. 미국일본간의강화조약체결.

10. 20. 한일회담개시.

1952. 1. 18. 인접해양에대한대통령의주권선언 (평화선선언)

1월18일 이승만대통령이「대한민국 인접 해양의 주권선언」이른바 평화선선언

「平和線宣言」발표. 1952. 1. 18에‘리승만라인’을선포했고, 그선안에독도가

있다. 일본을 통치한 연합군최고사령부(SCAP)는 1946. 1. 29. 일본정부에 하달

한 지시령(SCAPIN) 677호 3항에서“일본 영토는 홋카이도, 혼슈, 큐슈, 시코구

251 부록2

Page 25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등 4개주섬들과약천개의주변작은섬들로제한한다”며‘웃즈로[울릉도]’,

‘리앙쿠트락스[독도]’, ‘쿠엘파트[제주도]’를일본영토에서제외시킨다”고명시

했다.

1. 28. 일본의항의각서(독도영유권주장)

2. 12. 한국, 독도영유권을재천명.

4. 25. MacArthur Line 철폐.

4. 28. 미국일본간의강화조약발효.

5. 28. 일본어업지도선(島根丸) 독도침범.

6. 25. 일본수산시험선(미국기게양) 독도침범. 조난어민위령비를파괴.

6. 27. 일본인(8명) 독도상륙협박파괴행위.

6. 28. 일본해상보안청순시선2척, 미국기를계양하고독도침범, 경계표목과게시판을설치.

7. 12. 일본선박독도침범, 한국경찰과충돌.

7. 26. 미일안보조약 실시관련, 미일합동위원회에서 독도를 미국 공군의 연습 지역으로 지

정함.

7. 27. 한국전쟁휴전성립.

9. 17. 일본수산시험청선박독도침범. 일본관리다수독도상륙.

표준世界地圖에 獨島를 TAKESHIMA(다께시마)로 表記치 않고 CHUKDO(죽도)라고

韓國音으로씀.

1953. 2. 27. 한국정부의항의로미국공군은독도를연습지역에서제외함.

4. 27. 한국독도의용수대창설(대장 홍순칠등민간인), 독도경비

7. 13. 일본은독도영유권에관한일본정부의입장을역사적인사실등을인용주장.

9. 9. 독도의 영유권에 대한 일본 측 주장을 역사적 사실을 들어 반박(한국측 구술서 : 한

국정부견해-I).

한국의 6·25전쟁 혼란을 틈타 일본인이 수차 독도에 상륙하여 <위령비>를 파괴하

고, 독도에‘日本領土’라는표시를함.

7월, 한국국회, 독도를일본의침공으로부터보전할것을결의하고경비대를상주시

키기로함.

한국령독도 252

Page 25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54. 8. 1. 한국은독도에등대설치함.

8. 10. 등대점화개시각국에통보

8. 23. 일본해상보안청순시선독도에접근, 의용수비대의총격을받음.

9. 25. 일본독도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제소할것을제의.

10. 28. 한국독도영유문제를국제사법재판소에제소하는제의거절.

11. 21 일본선박 2척독도침범시도, 의용수비대의포격을받고철수.

1955. 7. 8 한국독도에신등대를설치함.

1965. 6.22 소위구-한일어업협정을체결했습니다. 여기에서도독도는우리땅이었다. 1965

년한일협정당시, 돈을주는대가로일본이또독도를거론했다. 1965. 5. 17, 존

슨대통령은방미중인박정희전대통령을만나한일협정진척을축하하면서독

도를일본과공유하라, 공동등대를설치하라종용했다. 박정희는이를‘있을수

없는 일’이라고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미국이 힘으로 밀어붙이려 했지만(1965.

6. 15, 국무부문건 364호) 박정희는장관급회담을거절하겠다며맞섰다. 미국대

사는“박정희는 그 무엇으로도 독도를 바꾸려 하지 않는다”며 밀어붙이기의 불

가능성을본국에보고했다.

1956. 4. 8 독도수비를국립경찰로경비임무인수결정.

1956. 12 한국경찰독도경비차독도에상주. (의용수비대해산)

1957년 일본, 한국관민의독도상주및등대상존에항의.

1959. 9. 15. 일본해상보안청순시선(헤쿠라) 독도영해침범. 항의.

1961년 한국, 일본의항의에반박.

1962년 일본, 한국아마추어통신원의독도상륙활동에항의.

1962. 12. 22. 일본해상보안청순시선(오오끼) 독도주변해역순시.

1963. 1. 8. 한국경찰순시선(화랑호) 시마네현에표류.

1963년 일본, 한국경비정의무기반입에항의.

1964년 일본, 한국경찰의독도퇴거요구.

1964. 1. 31. 일본해상보안청순시선(헤쿠라) 독도주변해역순시.

1965. 2. 13. 일본해상보안청순시선(오오끼) 독도주변해역순시.

253 부록2

Page 25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6. 22. 한일기본관계조약, 한일어업협정체결.

분쟁의해결에관한교환공문

(한일간의분쟁은외교경로를통하여해결.

합의된절차에따라조정으로해결: 독도문제에관한언급누락)

울릉도주민최종덕독도에거주.

12. 17. 1953. 7. 13. 일본정부견해(독도영유의역사적고증)에대한한국정부의답변서.

12. 18. 한일기본관계조약, 한일어업협정발효.

1969년 일본순시선독도침범.

1971년 韓國自然保存硏究會「鬱陵島」종합學術조사보고書發刊.

1972년 한국독도에반항구적등대설치. 일본은항의.

1973년 한국독도종합개발계획수립. 일본항의.

1974년 1. 30.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양국에 인접한 대륙붕의 북부구역의경계획정에 관한

협정」체결.

1975년 일본, 독도에서의한국관헌의퇴거와건물철거요구.

1976년 8월‘제2차종합학술조사’(한국자연보존협회주관). 『자연과보존』제22·23호에결과발표.

1977년 9월‘제3차 울릉도·독도에 대한 학술조사’(경북대학교 주관). 『울릉도·독도답사기

요』발표.

1978. 6. 22. 「대한민국과일본국간의양국에인접한대륙붕의북부구역의경계획정에관한협정」

발표.

1979. 12. 대한국제법학회독도학술연구조사(대한국제법학회)

1980년 최종덕독도전입.

1981년 제4차종합학술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주관). 울릉도및독도에관한지질·지형·생

물·토양·해양·인문등조사.『울릉도및독도종합학술조사보고서』에결과발표. 헬

리콥터이착륙시설설치.

1982. 10. 14. 울릉도주민최종덕독도에주민등록.

1987년 최종덕의딸내외가독도의유일한주민으로거주.

한국령독도 254

Page 25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91. 12. 울릉도독도간해저전화 cable 설치. 김성도부부독도에주민등록.

1993. 3. 포항지방해운항만청독도접안시설공사착공.

500ton 선박의접안규모. 예산 156억원. 레이더기지실치.

1996. 2. 일본 수상(하시모토), 배타적 경제수역 설정시 독도에서 기점한다는 기본방침 발표.

한국접안시설공사착수.

한일양국독도영유권문제다시부각됨.

1996. 6. 20. 일본직선기선선포.

1996년 배타적경제수역설정시일본이독도를기점으로삼을것인가의여부를놓고한·일

양국마찰.

1997. 4. 일본의신영해침범한국어선의무차별나포.

1997. 11. 6. 한국의독도접안부두공사완공. 울릉읍도동에독도박물관건립.

1998. 1. 23. 일본한일어업협정일방파기, 유인등대완공

11. 28 독도를 포기하는 신-한일협정에 서명했다. 1999. 1. 6. 국회에서 토의도하지 않

고여당의날치기로단숨에통과시켰다. 1999. 1. 22부터발효됐다. 이때새로그

은‘배타적경제수역’(EEZ)에는독도가우리땅이어렵게되었다.

1999. 유인등대공식가동

2000. 8. 7. 해양수산부 장관이 말했다. “독도가 우리의 영토라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냉엄한국제현실속에서는우리주장만하기힘든부분도있다”

2004. 7. 21 노무현대통령은제주도에서고이즈미일본총리와의정상회담에서또이렇게말

했다. “다케시마 문제에 관해서는 좀 적당하게 얘기하고 넘어가겠다. 이런 자리

에서 재론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재론하지 않겠다 이런 정도로 말씀을 드리

겠다”일본시사통신은 7. 22일“일본과한국의주장이첨예하게대립하고있는

영토문제에서한국대통령이일본의견해를용인?”이렇게보도했다.

2005. 3. 16. 시마네현의회‘독도의날’조례제정.

김성도(가족명) 독도거주

255 부록2

Page 25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부록 2-2 일본의‘독도망언’의역사

1965. 9. 좌등영작(佐�榮作) 수상

“독도는예부터일본영토라는데의심이없다”

1984. 2.10. 아베외상

“독도는국제법상이나역사적으로볼때일본영토”, “독도를한국이불법점거하

고있는것은유감이며평화적수단으로꾸준히해결을추진하겠다”

1986. 9. 한일외상회담구라나리외상

“다케시마는일본영토문제임을제기한다”

1996. 2. 일본연립여당

“독도가지난 1905년 일본영토로등록돼시마네(島根)현이관할토록결정했는데

도 한국 측은 아무런 의사표시를 하지 않고 인정했다. 한국 측의 독도 접안시설

공사에적극대처하라”

1996년 베스트셀러『대장성극비정보』中“일본의해군력은미국, 러시아에 이어세계 3

위다. 독일·영국·프랑스는아무것도아니다. 어마어마한해군력을보유하고있

다. 다케시마문제를두고한국의김영삼대통령이한국해군이어떻고저떻다고

얘기했다는데바보아닌가. 해상 자위대의이지스함한척만가면아마한국해군

7,8할은전멸이다. 이건과장이아니다. 7, 8할은바다에서몽땅사라지게된다”

1996. 9.30. 일본자민당의총선공약

“독도는일본영토임을모든기회를동원해한국측에주장한다”

한국령독도 256

Page 25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1996.10.06. 일본자민당정조회장야마자키다쿠(山崎拓)

“자민당총선공약에독도와디아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센카쿠열도) 영유권을

명기한것은정당”, ”이를항의할경우내정간섭적인것이될우려가있다”

1996.10.22. 외무성 하시모토히로시(橋本恕) 대변인“다케시마는우리 영토며이 같은사실

은변함이없다”

1996년 일본자민당외교조사회

“다케시마는틀림없는일본영토”, “2백 해리배타적경제수역(EEZ) 설정 때 다

케시마가한국수역에포함돼서는안된다”

2000. 9. 21 모리요시로총리

“다케시마영유권문제에대해역사적사실에근거해서도, 국제법상으로도명확

하게일본의고유영토라는것이일관된입장”(김대중대통령의방일을하루앞

둔 당시 KBS와의 인터뷰, 당시 KBS가 모리의‘독도 영유권’주장 발언을 빼뜨

린채방송해물의를빚었다)

2001. 2. 27. 시마네현스미타노부요시지사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일본 영토이자 시마네현 5개 촌에 속해있

다.”, “한국이독도를불법점거하고있다”

2004. 1. 9. 고이즈미준이치로총리

한국의 독도 우표발행계획에대해“다케시마는일본영토며한국은잘분별해

서대응했으면좋겠다”

257 부록2

Page 25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258

작사, 작곡 박인효

노 래 정광태

독도는 우리 땅

Page 25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약력

Page 260: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61: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서울대학교사범대학생물학과 1954∼1958

•이학박사 (도목생육에미치는초생부초의영향, 동국대) 1966

•농학박사 (사막식물의생리생태학적연구, C.C.U.) 1976

•교육학박사 (한미교육제도비교연구, P.W.U.) 1986

경력

*동국대농림대및사대교수(해직교수) 1965∼1976

*Bateson 원예대학장1971∼1972

*UCLA 객원교수 1971∼1974

*한미인권연구소이사장2004

現 ·재미동포권익향상위원회공동대표 2004∼

·미주한인재단이사장 2004∼

·한미평화협의회회장 2005∼

훈·포상

*L·A시우수시민봉사자상(L·A시의회) 1994

*대통령훈장(국민훈장목련장) 외다수의훈·포상수상 2005. 12

261 양력

차 종 환 ( 車 鍾 渙 )(Cha, Jong Whan)

Page 262: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저서

한글저서

『自然科學개론』(단국대학출판부, 1970)

『生物生理生態學』(일신사, 1975) 외100여권

번역서

『침묵의봄(I)』(세종출판사, 1975)

『침묵의봄(Ⅱ)』(세종출판사, 1975)

영문전서

『Interaction of Limiting Factors in Crop Production』

(Macel Derkker, 1990) 외6권

한국저서속

『6.15 공동선언과조국통일』(편저) (한통연, 2003)

『21세기를맞는오늘의북한』(양동출판사, 2005) 외다수

연구논문

자연과학분야(생물)

한국내학술지60편

국제학술지120편

사회과학분야

『북한식량난의원인과해결책』(한민족포럼, 2001년8월) 외16여편

한국령독도 262

Page 263: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 동국대학교불교대학원인도철학과(문학석사) 1976

• 미국CA SOUTH BAYLO 대학교명예철학박사취득 1985

• 미국미조리주(MI) St. Louis시Clayton Univ. 철학박사 1996

• 숭실대학교통일정책대학원고위지도자과정수료 1994

• 동국대학교불교대학원최고경영자과정수료 2004

•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박사과정이수중 2005∼

경력

* 국립전남대학교철학과국민윤리학과강사 1980. 3 ~ 86. 8

* 불교신문사부사장 1985 ~ 86. 7

* 조계종총무원총무부장 1995. 6 ~ 96. 6

* 대구불교방송창립초대사장. 1995. 10. 5 ~ 2000. 10. 30

통일, 인권사회운동(NGO)

* 1989∼2006 현재북한40여회방문, 세계30여개국순방 1989 ~

263 양력

법타스님

법명: 법타(法陀) 법호: 중화(中和)

1965년충북보은군속리사법주사에서득도

본적: 경상북도울릉군독도리30번지

Page 264: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現 ·동국대학교석림동문회장 2001. 10 ~

·총동창회부회장

·은해사주지 2002. 5 ~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창립회장취임(1995년) 1992. 2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창립(경실련) 지도위원

·북한황해북도사리원시만금동정방산성불사인근에「금강국수공장」 설립.

운영1997. 12 ~

·민화협, 통일연대, 공선협, 아름다운재단, 대구경북시민회의공동대표.

·3·1절남북공동행사공동대표.

·6·15 선언남북공동행사공동대표

훈·포상

* 제8회만해대상(실천부문) 수상 2004. 8. 12

* 대통령으로부터체육훈장모란상수여(2003 대구하계U대회공로) 2004. 9. 6

* 민화협으로부터「민족화해상」수상 2004.12.

* 정일형, 이태영자유민주상(민주통일부문)수상 2006. 4. 8

저서

*『현대의종교』전남대학교, 1985

*『중원에서서』민족사, 1988

*『평화통일은진정한대승보살행』,삼각형프레스, 2003

*『북한의절과불교(북한불교답사기)』, 민족사, 1995

*『북한불교연구』민족사, 2000

*『세조임금첫한글반야심경연구』, 민족사, 1985

*『21세기를맞는북한의오늘』, 양동출판사, 1985

한국령독도 264

Page 265: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논문

*「남북한불교교류와전망」한국불교총람

*「11면관세음보살에관한연구」(석사)

*「20세기최근세북한불교에관한연구」(박사) 외다수

265 양력

Page 266: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김일성종합대학지구환경과학부교원, 후보원사, 교수, 박사

•북측독도연구 1인자

김 동 인 ( 金 東 寅 )

한국령독도 266

Page 267: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68: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Page 269: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bubta.tnaru.com/files/mc/cscenter/0/57/한국령_독도.pdf다고하였다. 우리민족의미래가동해와함께함을암시한것으로, 이러한동

한국령독도 - 독도의영유권논쟁과대책-

2006년 7월 5일 인쇄2006년 7월 17일 발행

편저자 차종환, 신법타, 김동인발 간 한미인권연구소|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

발행처

등 록 2002. 3. 15 제2-3500호(100-380)서울시중구묵정동28-9 명성빌딩306호전화(02) 2279-2343전송(02) 2279-2406메일[email protected]

값 15,000원

ISBN 89-91107-21- 4 03900

도서출판 해조음

이주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