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부른유동성 과잉에투자상식이...

1
천정부지 금값 연일 신고가 8월 인도분 3월 대비 31.1% 상승 각국 경제재개 뒤 주가도 회복 S&P3월 이후 40% 이상 올라 투기등급 회사채 정크본드도 지난달 美서 月최대 규모 거래 고수익 주식에 투자하면서도 코로나 재확산 불확실성에 안전자산인 금 등에도 관심 초저금리도 동반투자 부추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 9) 대유행 8개월 새 글로벌 자산시장이 격변하고 있다. 릫위험자산인 주식과 안 전자산인 금값은 반대로 움직인다릮라 는 상식을 깨고 동반 상승하는 반면 글 로벌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달러화 가치는 떨어지고 있다. 위기 국면에서 도 투기등급 회사채인 정크본드시장은 성장세를 보였다. 각국 정부와 중앙은 행의 막대한 유동성 공급에 경기 부진 이 겹치면서 새로운 형태의 코로나19 맞춤형 릫포트폴리오 조합릮이 만들어지 고 있다. 새로운 조합은 금과 주식이다. 28일 (현지시간)8월 인도분 금값은 올해 3월 저점 대비 31.1% 상승세를 보이며 연일 신고가를 경신 중이다. 일부 전문가들 은 트로이온스당 2000달러를 넘어 3000 달러도 웃돌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주식시장 역시 상승세를 이어가 고 있다. 이날 S&P500 지수는 전 거래 일 대비 0.65% 하락한 3218.44를 기록해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해 3월23일 이후 에만 43.8%가 오른 상황이다. 안전자산 으로 여겨지는 금값이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과 반대 흐름을 보이던 점을 고려 하면 이례적인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상식을 깨는 자산시장의 새로운 현상 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시중 에 공급된 막대한 유동성을 이유로 설명 한다. 미국 투자은행(IB) JP모건체이스 는 룕내년 중순까지 전 세계적으로 15조 달러(약 1경8000조원)의 유동성이 추가 공급될 것룖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통 신이 취합한 미 연방준비제도(Fed) 자 료에 따르면 미국의 통화량(M2) 공급은 지금까지 3조달러 늘었는데, 앞으로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J P모건은 룕현재의 낮은 금리를 고려할 때 증가한 유동성은 결국 주식시장 등으 로 향할 것룖이라고 예측했다. 유동성 확대는 지난 3월 급격히 경색 된 채권시장도 살려냈다. Fed와 유럽 중앙은행(ECB)등 주요국 중앙은행들 이 투자등급은 물론 투기등급 회사채 까지 사들이자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달래졌다. 회사들은 저금리로 비용 조 달 부담을 줄였다. 신용평가사 S&P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발행된 회사채 규 모는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한 2조달 러 규모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투기 등급 회사채인 정크본드시장은 전례 없이 금리를 낮춘 Fed의 지원을 바탕 으로 고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수단으 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지난달 미국에 선 월 단위로 사상 최대 규모로 거래되 기도 했다. 이는 안전자산인 금과 위험자산인 주 식, 정크본드 등이 동반 상승하는 이상 현상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미국, 유럽 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늘 어나는 등 시장 불안이 여전한 점도 금 과 주식 조합 투자를 부추기고 있다. 투 자자들이 일부 수익은 추구하되 주식 투 자에 대한 헤징(위험 회피) 차원에서 금 을 선택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초저금리도 금과 주식 등의 투자를 부 추기고 있다. 미 투자사 베녹번글로벌포 렉스의 마크 챈들러 수석 시장 전략가는 룕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물가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마이너스에 진입했다룖 고 설명했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 은 0.57%에 불과한 수준이다. 반면 금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인식되 던 달러화 가치는 흔들리고 있다. 당초 올해 3월만 해도 달러는 금 등을 제치고 독보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다. 하지 만 봉쇄 정책 해제 후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 이어지면서 미국 경제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다. 미국 재정 적자 와 무역 적자라는 릫쌍둥이 적자릮 양상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달러화 가 치를 끌어내리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대 규모 경기 부양책 여파로 향후 인플레이 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달러보다는 금이 안전하다는 인식도 나 오고 있다. 특히 Fed가 올 연말까지 채 권 매입을 연장하겠다고 밝혀 달러 약세 가 이어질 것을 시사했다. 다만 금값 상승세가 고점으로 달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드칼리 트 레이딩의 공동 창업자 칼리 가너는 기술 적 분석에서 볼 때 룕최근 금값 등의 상승 세는 불확실한 상황룖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룕달러 가치가 계속 떨어진다면 금 값이 상승세를 보일 수 있겠지만, 여기 에는 아주 커다란 가정이 들어간 것룖이 라고 지적했다. 나주석굛 현진 기자 gonggam@ 5 2020년 7월 30일 목요일 코로나가 부른유동성 과잉에 투자상식이 깨졌다 희비 엇갈린 억만장자들 IT굛바이오 기업 소자 자산 늘고 이동제한에 항공 투자자는 손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자본의 흐름은 릫그들만의 리그릮에도 균열을 일으켰다. 비대면(언 택트), IT, 코로나19 백신 같은 바이오 관 련 기업 소유자들은 자산이 크게 늘었 다. 반면 이동 제한으로 항공주 투자자 들은 손해를 봤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집 계한 릫세계 500대 부자릮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가장 덕을 본 억만장자는 미국 전자 상거래업체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최 고경영자(CEO)다. 올해 들어 늘어난 베 이조스 CEO의 자산 규모는 665억달러 (약 79조원)에 달했다. 총 자산은 1810억 달러(약 217조원)로 증가했다. 소비자 들의 쇼핑 패턴이 온라인 중심으로 자리 잡은 데다 재택근무 확산으로 기업들의 클라우드 수요가 늘면서 아마존웹서비 스(AWS) 역시 고성장세를 기록했기 때 문이다. 지난해까지 세계 부호 순위 1굛2 위를 다투던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MS) 창업자와의 격차는 670억달러까 지 벌렸다. 베이조스 CEO 다음으로 자산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억만장자는 전기차업 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다. 자산 규모로는 9위이지만 올해만 448억달러 를 벌어들여 증가 폭 측면에서는 베이조 스 CEO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했다. 중국인들도 신흥 부호 대열에 합류했 다. 올해 들어 자산이 급증한 상위 10명 가운데 4명이 중국인이다. 마화텅 텐센 트 CEO는 재산이 136억달러 늘었다. 반면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CEO 의 재산은 166억달러(약 20조원) 줄었 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입은 항공업계 에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입었다. 명품 역시 코로나19의 위기를 피하지 못했다. 세계적인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 에에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은 올해 들어 재산이 166억달러(약 20조원) 줄었다. 재희 기jayful@ 이 와중에 웃는 베이조스 … 굴욕 맛 본 버핏 코로나 장기화에 경기회복 기대감 낮아… 정책 선택 제한적 Fed굛BOE 마이너스 금리 전망은 부작용 우려에 가능성 낮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 19) 사태 후 전 세계 경기가 방향을 잡 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주요 국 중앙은행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 다. 경기 회복 기대감이 낮아져 선택 할 수 있는 정책 역시 제한적일 수밖 에 없기 때문이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에 따르면 이날부터 이틀간 연방공개 시장위원회(FOMC)를 여는 Fed가 결과물로 내놓을 수 있는 정책은 없 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Fe d는 이미 기준금리를 릫제로(0)릮 수준 으로 낮추고 대규모 자산 매입에도 나선 상태다.이에 따라 이번 FOMC 에서는 성명을 통해 정책 지원 의지 를 강하게 밝히는 등 방향성을 제시 하는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영국계 자산운용사 슈로더스의 빌 칼 라한 투자 전략가는 CNBC방송에 룕시장 에서는 Fed의 초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계속해서 기대하고 있고 Fed도 이번 회 의에서 (이러한 기대를) 실망시키지 않 을 것룖이라면서 룕아직 우리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중심에 있다 는 점을 감안할 때 투자자들의 유일한 의문은 Fed가 얼마나 완화적인가 하는 것일 뿐룖이라고 말했다. 중앙은행들은 지난 3월 이후 기준 금리를 빠르게 낮추고 자산 매입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대부분의 통화 정책을 꺼내들었다. 시장 유동성은 급격히 늘어났고 당장은 자금 경색과 같은 금융시장 위기는 발생하지 않았 다. 다만 미국을 비롯해 유럽, 일본 등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가 커지며 릫V 자 회복릮 기대감은 낮아 졌고 중앙은행들은 다음 카드를 고민 하고 있다. 3월과는 실업률, 인플레이 션, 환율 등 금융시장의 상황이 크게 달라져 고려해야 할 요소가 더욱 많 아진 상태다. 당장 추가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은 크지 않다. 지난달까지 만 해도 시장에서는 Fed, 영국중앙 은행(BOE)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 입할 수 있다는 전망들이 나왔다. 하 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의견이 잇 따라 나오면서 현재는 가능성이 낮 은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인민은행 도 지난 20일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 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3개 월 연속 동결했다. 중국이 경기 회복 을 보이고 있어 금리를 낮추지 않았 다는 평가가 있지만 일각에서는 시 중에 풀린 유동성이 부동산 등으로 흘러가 자산 버블을 양산한다는 우 려가 나온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 인다. 금리 외에 자산 매입, 수익률 곡선 제어정책(YCC) 등 다른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면서 도입하거나 조절할 가능성이 크다. 마이너스 금 리 상태인 유럽중앙은행(ECB)나 일 본은행(BOJ)은 자산 매입 규모를 조 절하며 사태를 예의 주시하는 상황 이다. Fed는 장기 국채 금리 상한선 을 제한하는 YCC를 검토하고 있다 고 밝혀 하반기 중 이를 도입할 수 있 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진 jhj 48@ 어진 팬데믹 머리 싸맨 각국 중앙은행

Upload: others

Post on 05-Aug-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코로나가부른유동성 과잉에투자상식이 깨졌다pdf.leaders.kr/2020/07/30/20200730-05.pdf2020/07/30  · 각국경제재개뒤주가도회복 S&P3월이후40%이상올라

천정부지금값연일신고가

8월인도분 3월대비 31.1%상승

각국경제재개뒤주가도회복

S&P 3월이후 40%이상올라

투기등급회사채정크본드도

지난달美서月최대규모거래

고수익주식에투자하면서도

코로나재확산불확실성에

안전자산인금등에도관심

초저금리도동반투자부추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

9)대유행 8개월새글로벌자산시장이

격변하고있다. 릫위험자산인주식과안

전자산인 금값은 반대로 움직인다릮라

는상식을깨고동반상승하는반면글

로벌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달러화

가치는 떨어지고 있다. 위기 국면에서

도투기등급회사채인정크본드시장은

성장세를 보였다. 각국 정부와 중앙은

행의 막대한 유동성 공급에 경기 부진

이 겹치면서 새로운 형태의 코로나19

맞춤형 릫포트폴리오 조합릮이 만들어지

고있다.

새로운 조합은 금과 주식이다. 28일

(현지시간)8월인도분금값은올해3월

저점대비 31.1%상승세를보이며연일

신고가를 경신 중이다. 일부 전문가들

은트로이온스당 2000달러를넘어 3000

달러도 웃돌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주식시장 역시 상승세를 이어가

고 있다. 이날 S&P500 지수는 전 거래

일대비 0.65%하락한 3218.44를기록해

하락세를보였지만,올해 3월23일이후

에만 43.8%가오른상황이다.안전자산

으로여겨지는금값이일반적으로주식

시장과 반대 흐름을 보이던 점을 고려

하면 이례적인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상식을깨는자산시장의새로운현상

에대해전문가들은코로나19이후시중

에공급된막대한유동성을이유로설명

한다.미국투자은행(IB)JP모건체이스

는 룕내년 중순까지 전 세계적으로 15조

달러(약 1경8000조원)의유동성이추가

공급될 것룖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통

신이 취합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자

료에따르면미국의통화량(M2)공급은

지금까지 3조달러 늘었는데, 앞으로도

이런흐름이이어질것이라는얘기다. J

P모건은 룕현재의 낮은 금리를 고려할

때증가한유동성은결국주식시장등으

로향할것룖이라고예측했다.

유동성확대는지난 3월급격히경색

된 채권시장도 살려냈다. Fed와 유럽

중앙은행(ECB)등주요국중앙은행들

이 투자등급은 물론 투기등급 회사채

까지 사들이자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달래졌다. 회사들은 저금리로 비용 조

달 부담을 줄였다. 신용평가사 S&P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발행된 회사채 규

모는전년동기대비 49%증가한 2조달

러규모로사상최대를기록했다.투기

등급 회사채인 정크본드시장은 전례

없이 금리를 낮춘 Fed의 지원을 바탕

으로고수익을낼수있는투자수단으

로여겨졌다.이에따라지난달미국에

선월단위로사상최대규모로거래되

기도했다.

이는안전자산인금과위험자산인주

식, 정크본드 등이 동반 상승하는 이상

현상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미국, 유럽

을중심으로코로나19확진자가다시늘

어나는 등 시장 불안이 여전한 점도 금

과주식조합투자를부추기고있다.투

자자들이일부수익은추구하되주식투

자에대한헤징(위험회피)차원에서금

을선택하고있다는평가도나온다.

초저금리도금과주식등의투자를부

추기고있다.미투자사베녹번글로벌포

렉스의마크챈들러수석시장전략가는

룕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물가 등을

고려하면사실상마이너스에진입했다룖

고 설명했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

은0.57%에불과한수준이다.

반면금과함께안전자산으로인식되

던 달러화 가치는 흔들리고 있다. 당초

올해 3월만해도달러는금등을제치고

독보적인안전자산으로여겨졌다.하지

만 봉쇄 정책 해제 후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계속이어지면서미국경제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다. 미국 재정 적자

와무역적자라는 릫쌍둥이적자릮양상이

더욱확대될것이라는전망도달러화가

치를끌어내리는모양새다.무엇보다대

규모경기부양책여파로향후인플레이

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달러보다는금이안전하다는인식도나

오고 있다. 특히 Fed가 올 연말까지 채

권매입을연장하겠다고밝혀달러약세

가이어질것을시사했다.

다만금값상승세가고점으로달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드칼리 트

레이딩의공동창업자칼리가너는기술

적분석에서볼때 룕최근금값등의상승

세는 불확실한 상황룖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룕달러 가치가 계속 떨어진다면 금

값이 상승세를 보일 수 있겠지만, 여기

에는아주커다란가정이들어간것룖이

라고지적했다.

나주석굛정현진 기자 gonggam@

52020년 7월 30일 목요일

코로나가부른유동성과잉에투자상식이깨졌다

희비엇갈린억만장자들

IT굛바이오기업소유자자산늘고

이동제한에항공투자자는손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자본의 흐름은 릫그들만의

리그릮에도균열을일으켰다. 비대면(언

택트), IT,코로나19백신같은바이오관

련 기업 소유자들은 자산이 크게 늘었

다. 반면 이동 제한으로 항공주 투자자

들은손해를봤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집

계한 릫세계500대부자릮에따르면코로나

19로가장덕을본억만장자는미국전자

상거래업체아마존의제프베이조스최

고경영자(CEO)다.올해들어늘어난베

이조스 CEO의 자산 규모는 665억달러

(약79조원)에달했다.총자산은1810억

달러(약 217조원)로 증가했다. 소비자

들의쇼핑패턴이온라인중심으로자리

잡은데다재택근무확산으로기업들의

클라우드 수요가 늘면서 아마존웹서비

스(AWS)역시고성장세를기록했기때

문이다.지난해까지세계부호순위 1굛2

위를다투던빌게이츠마이크로소프트

(MS) 창업자와의 격차는 670억달러까

지벌렸다.

베이조스CEO다음으로자산이가장

큰폭으로늘어난억만장자는전기차업

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다. 자산

규모로는 9위이지만 올해만 448억달러

를벌어들여증가폭측면에서는베이조

스CEO에이어두번째를기록했다.

중국인들도신흥부호대열에합류했

다. 올해들어자산이급증한상위 10명

가운데 4명이 중국인이다. 마화텅 텐센

트CEO는재산이136억달러늘었다.

반면워런버핏버크셔해서웨이CEO

의 재산은 166억달러(약 20조원) 줄었

다.코로나19로직격탄을입은항공업계

에투자했다가큰손실을입었다.

명품역시코로나19의위기를피하지

못했다.세계적인명품그룹루이뷔통모

에에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은올해들어재산이 166억달러(약

20조원)줄었다. 권재희 기자 jayful@

이와중에웃는베이조스…굴욕맛본버핏

코로나장기화에경기회복기대감낮아…정책선택제한적

Fed굛BOE 마이너스금리전망은부작용우려에가능성낮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

19)사태후전세계경기가방향을잡

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주요

국중앙은행들의고민도깊어지고있

다. 경기회복기대감이낮아져선택

할수있는정책역시제한적일수밖

에없기때문이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에따르면이날부터이틀간연방공개

시장위원회(FOMC)를 여는 Fed가

결과물로 내놓을 수 있는 정책은 없

을것이라는평가가나오고있다. Fe

d는 이미기준금리를 릫제로(0)릮 수준

으로 낮추고 대규모 자산 매입에도

나선 상태다. 이에 따라 이번 FOMC

에서는 성명을 통해 정책 지원 의지

를 강하게 밝히는 등 방향성을 제시

하는수준에머무를것이라는예측이

나온다.

영국계자산운용사슈로더스의빌칼

라한투자전략가는CNBC방송에룕시장

에서는Fed의초완화적인통화정책을

계속해서기대하고있고Fed도이번회

의에서 (이러한기대를)실망시키지않

을것룖이라면서 룕아직우리가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대유행)의중심에있다

는 점을 감안할 때 투자자들의 유일한

의문은Fed가얼마나완화적인가하는

것일뿐룖이라고말했다.

중앙은행들은 지난 3월 이후 기준

금리를 빠르게 낮추고 자산 매입에

적극적으로나서면서대부분의통화

정책을 꺼내들었다. 시장 유동성은

급격히늘어났고당장은자금경색과

같은금융시장위기는발생하지않았

다.다만미국을비롯해유럽,일본등

세계곳곳에서코로나19재확산우려

가커지며 릫V자회복릮기대감은낮아

졌고중앙은행들은다음카드를고민

하고있다.3월과는실업률,인플레이

션, 환율등금융시장의상황이크게

달라져 고려해야 할 요소가 더욱 많

아진상태다.

당장추가금리인하카드를꺼내

들가능성은크지않다.지난달까지

만 해도 시장에서는 Fed, 영국중앙

은행(BOE)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

입할수있다는전망들이나왔다.하

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의견이 잇

따라 나오면서 현재는 가능성이 낮

은것으로평가된다.중국인민은행

도지난 20일 사실상기준금리역할

을하는대출우대금리(LPR)를 3개

월연속동결했다.중국이경기회복

을보이고있어금리를낮추지않았

다는 평가가 있지만 일각에서는 시

중에 풀린 유동성이 부동산 등으로

흘러가 자산 버블을 양산한다는 우

려가나온점이영향을준것으로보

인다.

금리외에자산매입,수익률곡선

제어정책(YCC) 등 다른 정책들을

지속적으로검토하면서도입하거나

조절할 가능성이 크다. 마이너스 금

리상태인유럽중앙은행(ECB)나일

본은행(BOJ)은자산매입규모를조

절하며 사태를 예의 주시하는 상황

이다. Fed는 장기국채금리상한선

을 제한하는 YCC를 검토하고 있다

고밝혀하반기중이를도입할수있

다는전망이나온다.

정현진 기자 jhj48@

길어진팬데믹…머리싸맨각국중앙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