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234
C2008-39 | 2008. 11.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부연구위원

Upload: others

Post on 09-Feb-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C2008-39 | 2008. 11.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박 문 호

    국 승 용

    윤 병 석

    이 문 호

    김 태 균

    조 재 환

    연 구 위 원

    부 연 구 위 원

    연 구 원

    연 구 원

    경 북 대

    부 산 대

  • 연구 담당

    박문호

    국승용

    윤병석

    이문호

    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연구원

    연구원

    연구 총괄, 비전 및 발전방안

    농산물 수출, 유통개선

    자료 분석 및 정리

    자료 분석 및 정리

    김태균

    조재환

    경북대 교수

    부산대 교수

    농촌지역개발 총괄

    농촌지역 개발

  • i

    머 리 말

    WTO/DDA 체제의 출범, 국가 간 FTA 협상 추진 등, 국내 농산물 시장개방이 급진전

    되면서 우리나라 농업은 국제경쟁력의 확보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

    며, 이에 대응한 각종 대책수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종전의 생산위주의 농업정책에

    서 이제는 생활공간과 농촌 어메니티 등 농촌정책 차원의 접근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되고, 농산물의 산지 간 경쟁 및 수입 농산물의 국내시장 잠

    식이 심화되는 이러한 여건 하에서 국내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의 농업․농촌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지역농업의 약점과 대내외 도전을 극복하고, 강점과

    기회요인을 활용하고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도시근교 농업 및 농촌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발

    전대책을 수립하는 연구로서 대구광역시 농정의 장기비전, 계획의 수립과 그 추진방안

    을 모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이 가지고 있는 부존자원에 대한 조사와

    읍면별 실태조사 및 전문가 조사를 토대로 21세기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

    전전략을 제시하고, 부문별 발전계획 및 투․융자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현지조사 및 자료지원에 적극 협조하여 주신 대구광역시의

    농정 담당자, 시의회 의원, 지역 농업인, 생산자 단체 등 자문위원 여러분에게 감사드리

    며, 앞으로 이 연구 결과가 대구광역시 농업․농촌 발전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2008.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 iii

    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이 처해 있는 대내외적인 환경 하에서 광역시

    전체 및 각 지역별로 처한 농업․농촌의 지역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

    고 지역 농업의 장단점과 잠재력을 평가하여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① 정부의 『농업․농촌 발전대책』119조 투․융

    자계획에 근거하여 대구광역시의 농업․농촌발전방향을 설정하고, ② 현 시점에서의 농

    업․농촌의 부존자원 등의 실태조사 이후 대구광역시의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제시, ③ 특화작목(상품)의 선택 및 집중 육성 방안 모색․제시, ④ 친환경 기능성 농산물의

    생산-유통-소득이 보장되는 부문 육성을 통한 농업경쟁력 확보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1. 주요 연구 결과

    1.1.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1.1.1.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SWOT분석

    ○ 강점으로는 팔공산과 비슬산으로 중심으로 한 풍부한 자연생태자원이 있다는 점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지역 특산물, 그리고 농산물의 가공과 관광이 연계된 복합

    상품화가 가능하다는 것임. 또한 대구 및 경북권의 농산물 소비지 유통거점 등 대규모

    소비지가 입지한다는 점을 높게 평가할 수 있음.

    ○ 약점으로는 고지가, 영세규모의 농산업으로 인하여 규모화 영농이 곤란하다는 점이 있음.

    또한 부재지주 중심의 농지소유로 인하여 생산기반시설이 취약하며, 농업 인력이 고령화

    되어 선진농업 수용에 한계가 있음은 물론, 농산업의 추진력을 얻기가 힘들다는 점이 있음.

    ○ 기회요인으로는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수요의 확대, 신선편이 식품의 수요증대로

    인한 친환경 농업수요의 증대와 도시민들의 테마관광, 체험관광 등 관광수요의 증가를

    들 수 있음.

  • iv

    ○ 위협(Threat)요인으로는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농산물 가격의 하락과 급속한 도시화,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환경의 난개발 우려를 들 수 있음.

    1.1.2.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장기발전 비전을 “농업인과 소비자가 상생하는 녹색산업화”

    로 설정함. 이를 위하여 농업의 경쟁력 확보와 농촌다운 자연환경의 개발 및 보전을

    통하여 농업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표를 설정함.

    ○ 목표 달성을 위하여 농산업 혁신 및 농촌지역 개발과 관련한 농업, 농촌, 농업인 3개

    분야와 지역특화품목의 복합산업화, 친환경 생태․관광농업기반의 구축, 농업인력 육

    성 및 지원시스템 개발 등의 7개 과제를 설정함.

    - 지역특화품목의 복합산업화

    - 친환경 생태․관광농업기반의 구축

    - 농산물에 대한 마케팅지원의 활성화

    - 농촌생태․관광자원의 보전 및 효율적 이용

    - 도농 교류형 농업․농촌 관광프로그램 개발

    - 농업․농촌의 랜드마크 기능을 수행하는 매력 공간 창조

    - 농업인력 육성 및 지원시스템 개발

    1.1.3. 권역별 발전전략

    권 역 발 전 방 향

    팔공산․금호강 권역

    대구 연근산업 거점육성 팔공산 친환경 농업체험관광벨트 구축 팔공산 산림휴양 및 문화시설 확충 화훼산업 특구조성

    비슬산․낙동강 권역

    친환경 농업생산기반 구축 고품질 한우 생산․유통체계 구축 농업․농촌 체험단지 조성 현풍 IC 인근 농식품 유통단지 조성

    대구광역시 공통 권역

    동부권 종합유통센터 설립 대구 농산물 중심의 학교급식체계 구축 축산 브랜드육 타운 조성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공동브랜드 마케팅 추진 농업인력 육성 및 지원시스템

  • v

    1.2. 농산업의 혁신전략

    1.2.1. 기본방향

    ○ 대구광역시의 도시개발계획에 의하면 농업생산기반이 집단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역은

    상수원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에 한정될 것으로 전망됨. 이러한 전망 하에 농업생산 권역

    은 대구광역시 도시부의 팔공산․금호강 일대, 달성군의 낙동강 수계․ 비슬산 권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지역을 거점으로 주요특산 품목의 발전계획을 모색하고자 함.

    1.2.2. 추진전략

    ○ 대구광역시 농산업에서의 혁신을 위하여 농산지역 특화품목을 중심으로 ‘생산-가공-유

    통-관광’이 연계된 복합 산업 기반을 구축해야 할 것이며, 대구광역시 소비자에 초점을

    맞춘 유통시스템 구축 및 대표 농산물의 브랜드 마케팅 강화해야 함.

    - 팔공산 권역, 비슬산 권역에 위치한 청정 친환경 지역특산물로서는 반야월, 하빈

    의 연근, 용수골, 가창 정대의 미나리, 평광사과, 둔산체리 등

    1.2.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 연근산업 클러스터

    ○ 연근은 대구시의 대표 농산물로 세척, 절단 등의 단순 가공은 물론 주류, 음료, 화장품

    등 복합 가공을 통한 연근 산업의 부가가치 제고가 필요함. 이와 더불어 벼 대체 작물로

    타 지역 연근 생산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대구시에서 생산되는 연근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차별화가 필요함. 이를 위하여 대구시 내 반야월과 하빈에서 독립적으로 추진

    되고 있는 연근 산업 활성화 사업을 대구시 차원에서 통합하여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계기와 체계를 마련해야 함.

    ○ 이를 위하여 대구시, 동구, 달성군의 행정 및 연근 산업 관련 농협, 농업법인, 관련 연구

    기관이 참여하는 연근산업클러스터 사업단을 구성함.

    ○ 연근산업 클러스터를 통하여 대구 특산물인 연근 산업의 차별화와 부가가치 제고가

  • vi

    이루어질 것이며, 이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함. 나아가 연근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

    능성 가공품을 개발함으로서 대구 농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킴.

    □ 체험관광형 과수 유통기반

    ○ 대구지역 관광명소인 팔공산 권역에 형성되어 있는 평광사과, 둔산체리 등을 체험학습

    및 관광형 농장으로 조성하여 육성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하여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우량 품종 보급 및 묘목 갱신하고, 관․배수 시설개

    선, 농로 및 관광버스의 진입이 가능한 마을 진입로를 정비해야 함. 이와 더불어 소비자

    의 접근성을 위한 새로운 판매방식의 도입해야 함.

    ○ 대구 특산물인 평광사과, 둔산체리, 팔공산포도를 소비자체험․관광과 연계할 수 있는

    생산․유통기반을 조성하여 부가가치 제고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함.

    □ 친환경 미나리․산채 체험단지 조성

    ○ 기호식품인 미나리, 산채 등을 통하여 개발제한 지역인 팔공산 수계와 비슬산 수계

    청정지역의 농업적 이용을 활성화하고, 이를 활용한 체험형 생산단지 및 체험마을을

    조성함.

    ○ 이러한 사업은 생산단지 기술개발 및 생산․유통기반시설의 확충을 필요로 하며, 주산

    단지 중심에 체험시설의 체계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함.

    ○ 대구 특산물인 팔공산 정대 미나리 단지의 생산․유통기반 확충을 통하여 부가가치

    제고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함.

    □ 친환경 고품질 원예 생산․유통기반 조성

    ○ 옥포, 하빈, 논공 등 달성군지역에 산지가 형성된 참외, 수박, 토마토 등 과채류는 대구

    시의 주요 생산품목이지만 도시개발의 확충으로 향후 생산기반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

    되고 있음. 그러나 오랜 기간의 재배로 기술 수준면에서는 인근 대규모 생산지역에

  • vii

    비하여 뒤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친환경 고품질 재배기술의 확립과 대구시

    소비지 직거래를 통하여 생산․유통 면에서 차별화가 요구되고 있음.

    ○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 수경재배 등의 고품질 친환경재배기술 보급되어야 하며, 파이프

    등 하우스시설 개보수가 지원되어야 함. 또한 지력갱신을 위한 객토 지원이 필요함.

    ○ 친환경․고품질 재배기술의 확립을 통한 시장차별화를 통하여 농가소득증대

    □ 복합화훼단지 조성

    ○ 2011년 세계육상대회 등 대구시의 문화․체육 행사를 거치면서 대구시의 소득 수준과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화훼에 대한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라 생

    산․유통․전시․체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복합화훼단지를 필요로 함.

    ○ 불로동 화훼단지 종사자들을 주축으로 복합화훼단지 조성을 위한 민간 추진 기구가

    설립되어야 할 것이며, 행정기관에서는 복합화훼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다각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 이전이 불가피한 불로동 화훼단지를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는 생산․유통 단지로 재

    조성함으로써 대구 동구 권역의 화훼 생산 기반을 효과적으로 유지함. 화훼의 유통은

    물론 대구 시민이 다양한 화훼 체험 및 원예 치료 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생

    활의 다각화에 기여함.

    □ 한우 브랜드육 생산․유통 기반조성

    ○ 대구시의 축산은 지속적인 도시개발로 인하여 생산기반이 축소되고 있으나 한우의 경

    우는 팔공상강한우가 주요 브랜드로 명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영세 농가의 주요 소득

    원이 되고 있음. 그러나 시장개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팔공상강한우, 참꽃한우, 참연

    한우 등 난립된 브랜드를 통합하여 고품질 생산․유통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하여 조사료 생산기반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쇠고기 이력추적시스템의 도입에

    대비한 기반시설 구축되어야 할 것임. 또한 대구광역시 브랜드개발 및 소비지 직매장

  • viii

    이 준비되어야 함.

    ○ 대구 한우산업의 저비용․고품질 생산․유통체계구축을 통하여 농가소득 증대

    1.3. 농산물 유통 혁신전략

    1.3.1. 기본방향

    ○ 대구광역시는 영남권 중심 도시 중의 하나로 대규모 소비 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점,

    사과, 체리, 연근 등 오랜 역사를 가진 대표 품목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FTA 대책

    수립 등 지방자치단체가 농업 경쟁력 강화에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 등을 농산물

    마케팅의 강점으로 볼 수 있음.

    ○ 혁신도시 등 신도시가 건설되어 소비기반의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 믿을

    수 있는 고품질 안전농산물에 대한 선호가 확대된다는 점, 도시민들이 여가활용을 통

    해 농촌과 접촉이 확대될 것이라는 점 등은 대구시 농산물 마케팅의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대구광역시 농산물 유통은 경북지역의 소비 거점이라는 특성을 살려 지역 농산물의

    직거래 기반 확충 등 지역유통체계 확충으로 혁신을 이루고, 대구시 특화작목의 브랜

    드 마케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함.

    1.3.2. 추진전략

    ○ 대구 농산물의 지역유통체계 구축에 있어서는 첫째, 대규모 소비 기반을 활용하여 학

    교급식, 직거래 등 지역 단위 농산물을 효과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며, 둘째, 신도시 등 소비기반 확대를 예상, 농산물 종합유통센터를 설립하여

    도매 유통의 거점을 마련해야 함.

    ○ 비효율적인 소규모 산지유통조직들의 개별적인 마케팅은 시장 여건에 불리하므로 연

    합마케팅 조직을 설립하여 공동 마케팅을 전개해야 함.

  • ix

    ○ 대구의 사과, 연근, 체리 등 전국적으로 명성이 있는 대표 농산물의 브랜드 마케팅을

    강화하며, 가공 등을 통해 신상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함.

    1.3.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 동부권 종합유통센터 설립

    ○ 대구시 동부권과 경산 등 대구시 동부에 위치한 도시의 규모가 성장하고 있어 이들

    지역의 소비지 유통을 담당할 수 있는 유통시설이 필요하며, 또한 안전한 학교급식

    원료를 공급하는 학교급식지원센터가 필요함.

    ○ 이를 위하여 첫째, 대구시에서 도시계획을 통해 적정 부지를 확보해야 할 것이며, 농림

    사업 중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건립”사업을 활용하여 재원을 확보해야 함. 둘째, 종합

    유통센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운영 주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

    함. 셋째, 학교급식지원센터 사업은 대구시는 물론 인근 경북지역으로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 사업을 통한 기대 효과는 첫째, 인구가 확대되고 있는 대구 동부권에 생산자-소비자

    직거래 유통시설을 건설함으로써 대구시민이 우수한 농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입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는 점, 둘째, 유통센터의 운영에 대구의 농협 및 농업인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대구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판로 확보와 농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다는 점, 셋째, 학교급식 지원센터의 기능을 수행하여 대구 학생들에게

    고품질의 안전한 식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임.

    □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

    ○ 2010년부터 학교급식은 현행 위탁․직영 병행 체제에서 직영 체제로 전환될 예정이므

    로 안정적으로 학교급식용 식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시설과 조직이 필요함.

    ○ 먼저 이를 위하여 학교급식 지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생산자 조직이 결성되어야

    할 것이며, 종합유통센터의 급식 공급 시설을 활용함(단, 종합유통센터 설립 이전까지

    는 현재의 유통시설 활용).

  • x

    ○ 생산자들이 학교급식 사업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대구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판로를 개

    척하고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함. 학교급식에 제공되는 원료의 품질을 제고시킴으로써

    식중독 등 위생 사고에 따른 사회적 비용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학생들의 건강 증진

    에 기여함.

    □ 현풍IC 인근 농식품 유통단지 조성

    ○ 현풍 IC 인근 13ha의 농업진흥지역의 농업적 활용성 제고하고, 유리한 입지 특성을

    활용하여 소비지 유통단지로 개발함.

    ○ 이를 위하여 첫째, 부지 소유자 중심의 유통단지 조성을 위한 민간 협의기구가 결성되

    어야 하며, 행정기관은 도시계획을 통해 당해 부지의 용도변경을 추진해야 함.

    ○ 산업화 과정에서 고립될 것으로 예상되는 농업진흥지역을 농식품 유통단지로 조성하

    여 대구시 농업 발전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효과 기대

    □ 축산 브랜드육 타운 사업을 활용한 음식 테마공원 조성

    ○ 판매점과 음식점은 물론 다양한 편의시설을 구비한 브랜드육 타운을 조성하고 관광명

    소로 육성함으로써 대구시 브랜드 축산물의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함. 대구시민들에게

    는 대구시 브랜드 축산물은 물론 전국 유명 브랜드 축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이를 위하여 대구시, 대구축협, 달성축협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브랜드육 타운 건립을

    위한 부지 및 예산을 확보함.

    ○ 이 사업을 통하여 대구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의 브랜드화를 촉진하고 다양한 판로를

    확보함으로써 축산 농가의 소득 증대가 기대됨.

    □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 대구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도매시장 중간 유통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할

  • xi

    수 있는 다양한 유통 경로를 확보함.

    ○ 이를 위하여 첫째, 도로변 직판장을 설치하며, 둘째, 인터넷 제휴 마케팅 등을 실시함.

    ○ 소비자들이 농장에서 갓 수확한 신선한 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공간

    을 제공함.

    □ 공동브랜드 마케팅 추진

    ○ 대구광역시의 주요 품목에 대해 공동브랜드를 제정함으로써 브랜드 마케팅 관련 예산

    집행을 효율화하고 파워브랜드 육성이 가능함.

    ○ 대구시에서 생산되는 우수 농산물들은 브랜드 마케팅을 통하여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부가가치를 확대함. 이를 위해서는 브랜드 및 브랜드 기준 수립, 브랜드 홍보, 브랜드

    관리 등을 추진하는 통합적인 체계가 마련되어야 함.

    ○ 시군 지자체나 개별 생산자단체에서 추진하는 브랜드 사업을 시차원에서 통합함으로

    써 중복 투자에 따른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인지도 높은 파워 브랜드를 육성할 수

    있음.

    1.4. 농촌지역 개발전략

    1.4.1. 기본방향

    ○ 도시민들의 녹색체험에 대한 욕구 및 기대감 충족시키는 등 대구 도시민의 선호에 부

    합하는 농업ㆍ생태관광사업 개발함.

    - 청소년들의 생태체험공간으로써, 주부들의 전통문화체험 및 직거래장터공간으로

    써, 도시은퇴자들의 휴양공간으로써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도농 교류활동이 활발

    히 진행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

    ○ 둘째, 농업을 주축으로 가공ㆍ판매사업, 생태관광사업 등을 연계함으로써 농업경영인

  • xii

    의 실질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추진함으로써 소외된 농촌지역에 주민역

    량 강화 및 지역균형 발전에 기여함.

    ○ 셋째, 대구광역시 생태적 이미지 구축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 전체의 브랜

    드 가치를 높이고, 도농교류 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투자의욕을 고취시킴.

    1.4.2. 추진전략

    ○ 농업ㆍ생태관광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대상지 권역별 보전 및 원활한 추진을 위한 농업

    경영인 소득보상지원제도 정비

    ○ 기존에 농업ㆍ생태체험을 실시하고 있는 마을이나 주민단체 및 녹지나 생태가 잘 보전

    되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팔공산ㆍ금호강권역과 비슬산ㆍ가창권역으로 세분하여 특

    화, 대구 농업ㆍ생태관광사업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 구축.

    ○ 대구 농업ㆍ생태관광사업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를 구축, 그 추진주체로서 가칭 “농

    업ㆍ생태체험정보센터”를 중심으로 농업․생태체험 활동과 농산물직거래, 가공품 판

    매, 지역축제 등 농산업과 농촌체험 활동이 연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

    ○ 대구광역시는 먼저 농업ㆍ생태체험관광과 관련해서 가용할 수 있는 자금을 농업ㆍ생

    태체험관광 지원사업과 연계 운용, 도농 균형발전 도모 및 대구시 녹색체험 공간 제공

    측면에서도 대구시 예산편성 시 자체사업비를 우선적으로 반영

    ○ 농촌관광 주관기관(농협, 농업기술센터), 마을 지도자, 주민들의 의식격차를 완화하고

    농촌관광 거점 마을을 육성하기 위하여 마을별 특성과 여건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 훈

    련 실시

    ○ 대구 농업ㆍ생태 관광사업을 위하여 분산된 농촌관광 교류 채널(농협 또는 농업기술센

    터, 개인농장)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농촌체험정보센터와의 네트워크를 정비

    ○ 농촌관광정책의 주요 추진단위는 마을이므로 농촌의 자율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업대상 선정 시 공모제를 실시함으로써 주민 참여와 경쟁을 유도함.

  • xiii

    - 모든 마을이 농촌관광 마을로서 가능하지 않더라도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아름다

    운 경관을 가꿀 수 있도록 마을 가꾸기 콘테스트를 실시

    1.4.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 팔공산 친환경 체험관광벨트 조성

    ○ 팔공산권역은 도시 개발로부터 소외되어 있고 또한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됨으로

    써 토지이용에 제약을 받고 있으나, 그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팔공산 체험관광 벨트조

    성을 위한 볼거리, 놀거리, 먹거리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함.

    ○ 이를 위하여 먼저 마을공동주차장, 마을안길ㆍ농로확장, 자연정화 마을하수처리시설,

    화장실 등 기초생활부분이 정비되어야 할 것이며, 담장, 천수변 공간, 조경, 경관작물

    및 야생화 식재 등 경관부분이 개선되어야 함. 또한 농업ㆍ생태체험 운영주체 및 프로

    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

    ○ 이로써 지역 최대의 농업․생태체험 벨트가 조성되어 방문객 유치가 가능하며, 체험프

    로그램을 통한 지역민들의 소득 증대가 기대됨. 또한 지역민들에게 여가생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

    □ 연지 생태체험공원・마을 조성

    ○ 2007년 ‘연지 도시환경 디자인 개선사업’이 선정(2007.5.22)되어 연근 주산지인 동구

    대림, 금강동 일원을 중심으로 환경개선사업계획이 추진 중. 연을 테마로 동구지역의

    특성 및 역사·문화·자연을 아우르는 도시 이미지를 부각시킴.

    ○ 이를 하여 생태테마공원, 경관시설, 진입도로 등의 기반시설을 확충해야 할 것이며,

    연꽃 축제참여, 습지 식물원, 산책로, 공연장 등 휴양․체험 시설을 구비해야 할 것임.

    ○ 2011년 세계육상경기대회로 지역을 방문하게 될 외국인들에게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동구 지역의 관광명소로 부상할 것을 기대함. 연을 중심으로 한 역사·문화·자연을 아우

    르는 도시 이미지 부각. 연근 및 가공품을 브랜드화 하여 지역의 신성장산업으로 특화

  • xiv

    □ 초래봉 ‘산림휴양・문화학교’ 조성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초래봉숲(현 경북대학교 학술림)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림휴양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대구시민들에게 산림휴양․문화 및 숲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제

    공하여 보건휴양, 산림생태교육의 장(場), 산림문화 및 정서함양에 기여함.

    ○ 기 조성된 초래봉 산림휴양공간(산림욕장, 등산로, 임도)에 산림휴양․문화학교 교육

    관을 조성하여, 시민사회교육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함께 도시 내 현장에서 생태 숲

    교육을 통한 친환경적인 시민양성 교육의 장으로 제공하고 ‘사람과 숲이 어우러지는

    품격 있고 아름다운 대구 만들기(김범일 시장 취임사 일부)’의 실천 사례로 활용함.

    ○ 이로써 대구시 고유의 청정성과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지역브랜드 창출이

    기대되며, 타 지역과 차별화된 고품격 교육형 산림휴양․문화학교가 기대됨. 또한 지

    역 산림문화 및 숲 환경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상품화하여 부가가치 및 지역민 고용

    창출을 기대함 .

    □ 대니골 체재형 주말농장(Klein Garten) 조성

    ○ 달성군 구지면 징리와 오설리, 도동리 등을 포함하고 있는 대니골권역은 농림수산식품

    부가 지원하는 '2007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었음. 대니골 전통테마마

    을과 함께 도농 교류촉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농외소득

    사업, 즉 체재형 주말농원을 조성하여 분양할 필요가 있음.

    ○ 대니골 전통테마마을 주변에 체재형 주말농장을 조성하기 위하여 현재 경기도에서 성

    공적으로 추진한 바 있는 지역을 벤치마킹.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체재형 주말농장

    조성과 관련한 주요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며, 주민-행정기관의 파트너십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함.

    ○ 지역민들에게 여가 및 체험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만족도를 높이며, 도시민의 농촌정주

    가능성 모색함. 이와 더불어 농산물 직거래로 농가소득 증대가 예상됨.

  • xv

    □ 정대 웰빙 녹색농촌체험마을 조성

    ○ 가창면 정대리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됨으로써 토지이용에 제약을 받고 있는 지역임.

    이에 따라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여 농가소득 증대를 꾀하고, 대구시 도시민에게 웰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녹색농촌체험마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음.

    ○ 상수원보호구역과 개발제한구역의 공존으로 소득이 낮은 지역에 새로운 소득원 개발

    에 따른 소득기반의 확충이 기대되며, 또한 자연에서의 휴식뿐 아니라 미술광장이나

    조길방 가옥 등 문화체험공간을 통해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도시민에게

    수준 높은 휴식처를 제공함.

    □ 최정산 웨딩농원 조성

    ○ 최정산의 경우 바람이 많고 기온이 높아 작물재배 및 가축사육이 힘든 상황이므로 녹

    지공간을 활용한 웨딩농원 조성으로 새로운 명소로 부각시킬 계획임. 웨딩농원 및 화

    훼농장 조성을 통해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추구

    ○ 산림자원과 최정산 주변 자연경관을 활용함으로써 도시민의 만족도를 높이며, 접근성

    확대 및 자연친화적인 여가생활 공간 제공함. 최정산 웨딩농원을 이용하는 도시민의

    유치로 인근 농가와의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및 농가의 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가 기대됨.

    □ 전통한옥숙박체험마을

    ○ 지역 고유의 생활과정을 통해 토착․계승되어온 생활양식과 이를 구성하는 자연 자

    원․재화․문화를 포함하는 지역만의 특성 있는 향토자원을 개발 및 활용하여 부가가

    치를 창출함.

    ○ 농촌관광에 대한 대구시민들의 일정한 수요가 보장되므로 지역소득의 증가로 이어지

    게 됨. 지역 고유의 문화재 및 지역문화를 부각시킨 특성 있는 향토자원을 개발 및

    활용하여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됨. 또한 도시 인근의 전통한옥체험마을 조성으로 도농

    교류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음. 이를 통하여 유리한 지리적 조건과 관광자원의 교육

  • xvi

    적 효과로 가족단위의 도시민 및 교육단체의 체험관광 증가 예상

    1.5. 농업인력 육성 및 지원시스템 구축

    1.5.1. 기본방향

    ○ 지식기반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농업인 역시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다시 재활용하

    여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사람을 요구하고 있음. 따라서 농업분야의 신지

    식 농업인을 육성하고, 이들을 농업의 핵심인력으로서 지속적으로 유지․개선하는 지

    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

    ○ 또한 농업이 식품산업으로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개별 영농의 틀을 넘어 지역 단위의

    농업생산조직과 전후방 산업 그리고 행정과 연구개발 기능 등이 서로 긴밀한 네트워킹

    을 통해 지역농업 클러스터라는 새로운 주체의 형성이 필요함.

    1.5.2. 추진전략

    ○ 농업인력 육성을 위해서는 첫째, 대구시 지방농정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과 농

    정에 대한 지역 농업인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둘째, 농업

    인의 영농기술 애로를 극복하기 위한 1대 1 컨설팅 지원을 강화하고, 품목중심의 전문

    교육을 강화해야함.

    ○ 지역농업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품목별 산․관․학․연 클러스터를 구축함으로써

    품목단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품목단위의 연구개발을 활성화함.

    ○ 신정부는 농림수산업을 첨단 생산기술과 접목하고 유통, 서비스산업과 결합시켜 경쟁

    력 있는 2차, 3차 산업으로 업그레이드 한다는 취지에서 식품산업 업무기능을 보강하

    여 농림부를 “농림수산식품부”로 개편하였음. 이에 대응하여 대구광역시의 농정조직

    도 농림수산식품부의 식품산업본부 식품산업정책단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 보강

    이 필요함.

  • xvii

    1.5.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 대구농정포럼사업

    ○ 지역 내 농업인, 관련 단체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지자체 농정에 대한 의견수렴, 농정시

    책에 대한 이해증 진, 선도농업인의 성공 사례 확산 및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농정시책

    개발을 도모함.

    ○ 관내 각 품목별․부문별 농업인 및 전문가, 단체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포럼을

    실시하며, 그 가운데 우수농업인에 대하여 상 제정 시행함(농업분야, 농촌개발분야, 농

    업지도분야).

    □ 창업농 후견인 사업

    ○ 창업 후계농업인에 대한 맞춤형 지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전담 컨설팅 지원을 통한

    경영혁신 유도 필요

    ○ 우수후계인력에 대한 품목별 전문가와 멘토링 결연․지도

    - 컨설팅내용: 경영, 기술 컨설팅, 교육, 상담, 지도

    - 후견인: 농과대 교수, 신지식농업인등 전문가

    □ 품목별 전문교육사업

    ○ 수준별․단계별 맞춤형의 품목별 전문교육을 시행하여 수요자 중심의 교육 실현

    ○ 전문가 초청 세미나, 현장학습, 선진지역 견학 등 기술․시장․유통환경 변화에 대응

    한 실용교육, 품목별 학습조직 지원을 통한 자율교육이 필요함.

    □ 여성농업인 육성사업

    ○ 여성농업인의 영농능력 향상 및 복지 증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관련 프로그램 지원

    필요함.

  • xviii

    ○ 생활과학관 개설, 건전한 생활문화 교육, 여성농업인 지원 사업 등이 요구됨.

    □ 품목별 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 품목별 산․관․학․연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품목단위의 네트워크를 강화, 품목단위

    의 연구개발 활성화

    ○ 이를 위하여 연구개발분야는 공공․민간 연구소의 산․학․관․연 협력사업 개발을

    지원하고, 생산분야는 농가 학습조직을 구축하여 유통 및 고품질 생산을 교육함. 또한

    가공분야는 가공사업체, 협동조합과 연계하여 공동설비, 컨소시움, 및 협력체계를 구축

    하고 있으며, 마케팅․유통 분야는 생산조직, 가공업체, 협동조합, 마케팅 전문기관이

    상호 연계하여 공동브랜드, 연합마케팅, 공동판매, 공동시장울 개발함.

    □ 대구광역시 농정조직 개편

    ○ 대구광역시의 농정조직도 농림수산식품부의 식품산업본부 식품산업정책단 관련 업무

    를 수행하는 인력 보강 필요. 식품산업담당계의 업무분양은 농림식품부의 식품산업본

    부 식품산업정책단 관련업무로 설정

    2. 투․융자계획

    2.1. 투․융자 기본방향

    ○ 투․융자의 기본방향은 첫째, 투자사업의 선정은 사업주체의 정책의지, 지역파급효

    과, 지역 주민의 의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함. 둘째, 재정여건 및 사업의 국비

    보조금 의존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중앙정부의 투․융자 계획과 균형을 유지하도

    록 함. 셋째, 계획을 정합성을 위하여 대구광역시 관련계획의 틀을 고려하여 선정하

    도록 함.

  • xix

    2.2. 투․융자 선정 기준

    ○ 각 사업부문별로 제시된 프로그램을 효율성, 형평성, 실현가능성을 고려함

    - 투자수요조사 우선순위와 대구광역시의 역점사업 선 고려

    - 전문가 진단에서 필요로 하는 사업

    - 상위계획 또는 관련계획에서 설정된 사업

    - 장기발전계획 목표달성에 필요로 하는 사업

    2.3. 투자사업비 내역

    ○ 2009년부터 총 97,470백만 원을 투자예산을 선정

    ○ 재원별 예산은 국비 42,480백만 원, 지방비 45,050백만 원(시비 25,315백만 원, 구비

    19,735백만 원), 자부담 9,940백만 원으로 국비와 지방비 비중이 비슷하며, 예산의 대부

    분을 차지함.

    ○ 부문별 구성으로는 산업부문 21,360백만 원, 유통부문 61,800백만 원, 지역개발부문

    13,000백만 원, 인력육성부문 1,300백만 원으로 유통부문 사업 예산이 총 예산의

    63.4%에 해당함.

    ○ 단계별 예산구조는 2009년부터 2013년, 2014년 이후의 기간을 단계별로 구분한 예산

    은 중․장기에 집중되어 있음.

    - 단기(2009~2010): 16,890백만 원

    - 중기(2011~2012): 52,930백만 원

    - 장기(2013, 2014년 이후): 27,650백만 원

  • xx

    ABSTRACT

    A Study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s for Agriculture in the Suburban Areas of Daegu

    The world is currently experiencing further market liberalization alongside current trade negotiations and agreements such as DDA and FTAs. The changes of agricultural policies in the context of market opening focus on multilateral functions of agriculture. The changes in agricultural policies were made to compete with imports and they are predicte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local agricultural sectors. In particular, agricultural investment and related projects of local self-governments constitute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farmers and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ion and income level of each farm household. Accordingly,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plans by local self-governments hold a significant place in the nation's overall agricultural policy.

    This study examines regional,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features of the agricultural sector and rural communities of Daegu in the context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surrounding its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master plan suggestions for Daegu's suburban agriculture and communities by assess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concret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regions of Daegu based on the investment plan of Article 119 of the government's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Countermeasures." The second purpose is to present a vision and a development strategy for agriculture and rural regions of Daegu after researching their available resources as of today. The third is to present a method of selecting and intensively raising specialized crops. And the last is to devise measures of guaranteeing agriculture's competitiveness throug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vision and development strategy for agriculture and rural region of Daegu.

    The development vision for agriculture and rural region of Daegu lies on “the green industrialization for both farmers and consumer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ets a goal of improving farmers' quality of life through proper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natur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presented four innovation strategies on agricultural industries, circul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rur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and support system.

    The comprehensive innovation strategie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novation strategy on agricultural industries According to the city development plan of Daegu, the areas where a large

    agricultural production base can be maintained on a collective level are projected to be

  • xxi

    limited to water supply protection zones and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Under this projecti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base of Daegu can be classified into the Mt. Palgong and Kumho River region and the Nakdong River and Mt. Bisul region. Based on these regions, development plans for major specialty products of Daegu can be formulated. 2) The innovation strategy on the circul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s a major cit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Daegu has a large consuming base and it is expected to grow with the ongoing construction of new towns called "innovation cities." Furthermore, the preference for high quality and safe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expanding, and city dwellers' contact with rural regions will grow together with their need for leisure or recreational tours. Such being the case, the trends are becoming opportunities for the marketing of Daegu agricultural products.

    3) The innovation strategy on rural region developmentThe basic principles of rural development strateg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and ecological tourism projects, such as green experience tours, should be developed to correspond to the liking of Daegu citizens. Second, the real income of farmers should be increased by enabling them to expand their farming businesses in link with agricultural processing and marketing as well as eco-tourism. At the same time, the rural development strategy should strengthen the rural residents' capability and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Third, by building an eco-friendly image of Daegu, the city can raise the overall brand value of its agricultural products and inspire the local government to invest in rural-urban exchange projects.

    4) The innovation strategy on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and support systemThe new paradigm of knowledge-based agriculture requires farmers who can

    create knowledge and utilize it to increase the value-added of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support system that can foster and improve human resources armed with new knowledge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vestment plans are essential for carrying out the aforementioned strategies. First, in selecting an investment project,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examine and consider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enterprises, ripple effects on the region, and the opinion of local residents. Second, the investment plan should be balanc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investment plan in consideration of the plan's high dependence on national expenditure grants and financial circumstances. Third, the investment plan should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overall framework of Daegu's other related investment plans.

    Researchers: Park Moon-Ho, Kuk Sung-Yong, Yoon Byeong-Seok, Lee Moon-HoResearch period: 2007. 11. - 2008. 11.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 xxiii

    차 례

    제Ⅰ편 계획의 기조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1. 연구배경과 필요성 ········································································································3

    2. 연구목적 ·························································································································4

    3. 연구범위 ·························································································································5

    4. 주요 연구내용 ···············································································································6

    5. 연구방법 ·························································································································8

    6. 연구 추진일정 ·············································································································11

    제2장 농업․농촌의 여건변화와 미래모습

    1. 농업․농촌의 역할에 대한 국민의식 ·······································································12

    2. 세계 농업과 농정의 흐름 ··························································································18

    3. 농업‧농촌의 미래 모습과 메가트렌드 ······································································20

    제3장 대구광역시 관련 계획의 검토

    1. 농림수산식품부 농식품․농어촌 발전구상 ······························································24

    2. 한․미 FTA 농업부문 국내 보완대책 ·····································································27

    3. 2020 대구 도시기본계획 ····························································································29

    4. 달성군 장기발전계획 ··································································································31

    5. 달성군 지역농업발전계획 ··························································································33

    6. VISION 2015 동구 장기발전계획 ············································································34

    제Ⅱ편 계획의 기본구상

    제4장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입지분석

    1. 지리적 특성 ·················································································································37

    2. 자연적 특성 ·················································································································38

    3. 인구 및 토지이용 특성 ······························································································40

  • xxiv

    4. 농업․농촌 구조 ·········································································································43

    제5장 대구광역시 농업․농촌 부문별 실태분석

    1. 지역별 농업생산 실태 ································································································54

    2. 농산물 유통 실태 ·······································································································69

    3. 농촌지역 개발 실태 ····································································································81

    제6장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1. 대구광역시 농업․농촌 SWOT 분석 ·······································································98

    2.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100

    3. 권역별 발전전략 ·······································································································101

    제Ⅲ편 부문별 발전전략

    제7장 농산업의 혁신전략

    1. 기본방향 ·····················································································································109

    2. 추진전략 ·····················································································································109

    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110

    제8장 농산물 유통 혁신전략

    1. 기본방향 ·····················································································································123

    2. 추진전략 ·····················································································································123

    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124

    제9장 농촌지역 개발전략

    1. 기본방향 ···················································································································148

    2. 추진전략 ···················································································································149

    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151

    제10장 농업인력 육성 및 지원시스템 구축

    1. 기본방향 ·····················································································································179

    2. 추진전략 ·····················································································································179

    3.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182

  • xxv

    제11장 투․융자 계획

    1. 투․융자 기본방향 ····································································································189

    2. 투자사업의 선정기준 ································································································189

    3. 투자사업비 내역 ·······································································································190

    부 록

    부록 1. 한․미 FTA 농업 부문 협상 결과와 대구광역시 농업 전망 ····················195

    부록 2. 설문조사표 ·······································································································204

    참고문헌 ·····························································································································208

  • xxvi

    표 차 례

    제1장

    표 1- 1. 연구 추진 일정 ································································································11

    제2장

    표 2- 1. 국가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 ··································13

    표 2- 2. 현재 농업․농촌이 담당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 ··········································13

    표 2- 3. 미래 농업․농촌에 기대되는 역할에 대한 인식 ··········································14

    표 2- 4. 20년 후의 식량수급 사정에 대한 전망 ·························································14

    표 2- 5. 식량자급률에 대한 인식 ·················································································15

    표 2- 6. 우리 농업이 희망을 갖기 위한 조건 ····························································15

    표 2- 7. 농업인의 농촌 생활에 대한 만족도 ······························································16

    표 2- 8. 농업인의 농업 종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 ·····················································16

    표 2- 9. 농업인의 농촌 거주 의향 ···············································································16

    표 2-10. 은퇴 후 혹은 여건이 되면 농촌에 거주하고 싶은 의향 ····························17

    표 2-11. 도시민이 농촌에 거주하고 싶은 이유 ···························································17

    표 2-12. 세계 농업과 농정의 흐름 ···············································································20

    표 2-13. 산업사회 단계와 농업의 변화 ········································································21

    표 2-14. 농업․농촌의 메가트랜드 요약 ······································································22

    제4장

    표 4- 1. 대구광역시 성별 인구구조 ··············································································40

    표 4- 2. 대구광역시 연령별 인구구조 ··········································································41

    표 4- 3. 대구광역시 지목별 토지이용 ··········································································42

    표 4- 4. 대구광역시 경지면적 및 농가인구 ································································43

    표 4- 5. 대구광역시 자치구별 농업현황(2005) ···························································44

    표 4- 6. 전업․겸업별 농가구조 ···················································································45

    표 4- 7. 경영주 연령별 농가 수 변화 ··········································································45

    표 4- 8. 경지규모별 농가구조 변화 ··············································································46

    표 4- 9. 대구시 주요작물별 수확면적 추이 ································································47

  • xxvii

    표 4-10. 대구시 친환경 농산물 인증현황 ····································································51

    표 4-11. 대구시 농수산물 도매시장 현황 ····································································52

    표 4-12. 권역 내 관광자원 현황 ···················································································53

    제5장

    표 5- 1. 대구시 지역 및 품목농협 현황 ······································································70

    표 5- 2. 대구시 지역농협의 규모 추이 ········································································70

    표 5- 3. 사업 유형별 영농조합법인 현황 ··································································71

    표 5- 4. 매출 규모별 영농조합법인 현황 ····································································71

    표 5- 5. 주요 농산물의 지역 내 생산-소비 비교 ·······················································79

    표 5- 6. 대구시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취급하는 이유 ·························80

    표 5- 7. 정부 부처별 농어촌관광 관련사업 ································································82

    표 5- 8. 대구지역 농지 및 임야 현황 ··········································································84

    표 5- 9. 대구 도시민의 농촌관광 경험 ········································································93

    표 5-10. 대구 도시민의 농업․생태체험(팔공산․금호강 권역) ·······························94

    표 5-11. 대구 도시민의 농업․생태체험(비슬산․가창 권역) ···································95

    표 5-12. 연령대별․체험유형별 참가 확률 ··································································96

    표 5-13. 연간 도시 가구 당 체험비용 및 농산물 구입액 ··········································97

    제7장

    표 7- 1. 연근산업 클러스터 사업 투․융자 계획 ·····················································152

    표 7- 2. 과수생산․유통지원사업 투․융자 계획 ·····················································115

    표 7- 3. 친환경 미나리․산채체험단지 투․융자 계획 ···········································116

    표 7- 4. 친환경 고품질 원예․생산기반 투․융자 계획 ·········································118

    표 7- 5. 복합 화훼단지 조성 투․융자 계획 ····························································120

    표 7- 6. 한우 브랜드육 생산․유통기반 투․융자 계획 ·········································122

    제8장

    표 8- 1. 전국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설치 현황 ·····················································127

    표 8- 2.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건립사업 투․융자 계획 ······································129

    표 8- 3. 학교급식지원센터 지원 사업 투․융자 계획 ·············································133

    표 8- 4. 브랜드육 타운 설립 사업 투․융자 계획 ···················································139

  • xxviii

    표 8- 5. 직거래활성화 사업 투․융자 계획 ······························································144

    표 8- 6. 통합브랜드와 품목 대표 브랜드의 장단점 비교 ········································146

    표 8- 7. 공동 브랜드 마케팅 사업 투․융자 계획 ···················································147

    제9장

    표 9- 1. 팔공산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의 예시 ·······················································157

    표 9- 2. 팔공산 친환경 체험관광벨트 조성 사업 투․융자 계획 ··························158

    표 9- 3. 연지 생태체험공원․마을 조성 투․융자 계획 ·········································162

    표 9- 4. 초래봉 산림휴양․문화학교 조성 투․융자 계획 ······································165

    표 9- 5. 대구 도시민의 체재형 주말농장 참가 의향 ···············································167

    표 9- 6. 대니골 체재형 주말농장 조성 사업 투․융자 계획 ··································169

    표 9- 7. 정대 웰빙 녹색농촌체험마을 조성 투․융자 계획 ····································173

    표 9- 8. 최정산 웨딩농원 조성 투․융자 계획 ·························································176

    표 9- 9. 전통한옥숙박체험마을 조성 투․융자 계획 ···············································178

    제10장

    표 10- 1. 대구농정포럼사업 투․융자 계획 ······························································183

    표 10- 2. 창업농 후견인 사업 투․융자 계획 ··························································184

    표 10- 3. 품목별 전문교육사업 투․융자 계획 ·························································185

    표 10- 4. 여성농업인 육성사업 투․융자 계획 ·························································186

    제11장

    표 11- 1. 재원별 투․융자 예산내역 ·········································································191

    표 11- 2. 사업비 연도별 투․융자 예산내역 ····························································192

  • xxix

    그 림 차 례

    제3장

    그림 3- 1. 강한 농식품산업 만들기 구상 ····································································26

    제4장

    그림 4- 1. 미곡재배면적 변화 추이(2007) ···································································48

    그림 4- 2. 엽채류 재배면적 변화 추이 ········································································49

    그림 4- 3. 과채류 재배면적 변화 추이 ········································································50

    그림 4- 4. 조미채소류 재배면적 변화 추이 ································································50

    그림 4- 5. 과수 재배면적 변화 추이 ············································································51

    제5장

    그림 5- 1. 대구광역시 농업 입지도 ··············································································54

    그림 5- 2. 동구 지역 입지도 ·························································································55

    그림 5- 3. 북구 지역 입지도 ·························································································59

    그림 5- 4. 수성구 지역 입지도 ·····················································································60

    그림 5- 5. 달성군 지역 입지도 ·····················································································62

    그림 5- 6. 팔공산․금호강 권역 ···················································································86

    그림 5- 7. 비슬산․낙동강 권역 ···················································································89

    그림 5- 8. 농협이 지원하는 주말농장 ··········································································92

    제6장

    그림 6- 1.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의 비전과 전략 ···················································100

    제8장

    그림 8- 1. 신선편이 가공 및 소포장 시설 사례 ·······················································128

    그림 8- 2. 학교급식공급센터의 공급체계 사례 ·························································132

    그림 8- 3. 사업 예정 부지 위치 ·················································································134

    그림 8- 4. 농산물 직판장 모형(좌: 가평군, 우: 속초시) ·········································141

  • xxx

    제10장

    그림 10- 1. 집단학습 활성화를 통한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방안 ·····················181

    그림 10- 2. 대구광역시 농식품과 조직개편(안) ························································188

  • 제Ⅰ편 계획의 기조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제2장 농업․농촌의 여건변화와 미래모습

    제3장 대구광역시 관련계획의 검토

  •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3

    제 1 장

    계획수립의 개요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 최근 급변하고 있는 국내외 농업․농촌의 여건으로 말미암아 지역농업과

    농촌은 위기적 상황을 맞고 있음.

    ○ 급변하는 농업 여건: DDA 농업협상 진전에 따른 농산물시장과 유통시장의 개방 확대,

    한․미 FTA를 비롯한 FTA의 동시다발적 추진, 쌀 협상 타결로 인한 수입쌀 국내시판

    개시 등

    ○ 농업정책의 전환: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119조 농림투․융자계획의 조정, 각종 직불제

    의 확대 시행, 공공비축제 시행 등을 비롯한 쌀 정책의 전환 등

    ○ 농촌의 변화: 농촌 인구의 노령화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농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 정도에 따라 농촌지역의 삶의 질, 개별 농산물의 경쟁력 수준, 도농간․농가간

    소득 등의 격차 확대

    □ 최근 지역농업의 차별화 전략이 추진되면서 농산물의 브랜드화, 각종 C.I.

    사업 추진에 의한 지역 이미지 창출, 지역별 수출시장 개척 등으로 산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산지 간 경쟁 확대로 지역농업이 급속히 재편되면서 지역단위에서의 효율적이고 경쟁

  • 제1장 계획의 수립

    4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력 있는 유통체계를 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대구광역시는 지역농업 발전에 있어 많은 제약요인과 성장요인들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이들 요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기 지역 발전모형의 개

    발과 시행이 필요한 단계임.

    ○ 대구광역시 농업 제약요인: 도시화로 인한 휴경농지와 부재지주 증가, 개발제한구역

    등과 같은 다수의 규제지역 등

    ○ 성장요인: 대도시를 포괄한 대단위 소비시장, 농업과 공업의 조화로운 발전 가능성,

    도시근교농업으로서의 가치 등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과 동법 시행령(2000)에 의하면 지방자

    치단체는 5년 마다 농업․농촌발전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해야 하고, 『농

    업․농촌종합대책(2004. 2)』에 따르면 지역농업 특화발전을 위하여 시․

    도나 시․군이 자율적인 지역농업계획을 수립․추진하도록 하고 있음.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 42조 4항에 의거, 시장과 군수는 시․도 계획과

    그 관할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군 농업․농촌발전계획을 수립해야 함.

    □ 이상과 같은 제반 여건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한편, 향후 대구광역시의

    미래 농업․농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농림수산식품부의 농업․농촌

    투․융자계획(119조 농업․농촌투․융자계획)과 연계하여 대구광역시의

    경제, 농업, 자연자원, 관광문화환경 특성을 살린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됨.

    2.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농업․농촌이 처해 있는 대내외적인 환경 하

  •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5

    에서 광역시 전체 및 각 지역별로 농업․농촌의 지역적, 환경적, 사회경제

    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지역 농업의 장단점과 잠재력을 평가하여 대구

    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음.

    □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권역별 거점자원 특성화전략개발 및 추진계획을 수

    립함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포함함.

    ○ 정부의『농업․농촌 발전대책』119조 투․융자계획에 근거하여 대구광역시의 농업․

    농촌 발전방향을 설정함.

    ○ 현 시점에서의 농업․농촌의 부존자원 등의 지역 실태를 조사하고, 향후 대구광역시의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제시함.

    ○ 급변하는 주변 농업․농촌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특성에 맞

    는 특화작목(상품)의 선택 및 집중 육성 방안을 모색․제시함.

    ○ 친환경 기능성 농산물의 생산-유통-소득이 보장될 수 있는 부문을 육성하여 농업경쟁

    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강구함.

    3. 연구 범위

    3.1. 공간적 범위

    □ 대구광역시 도시근교 농업지역을 계획 대상구역으로 설정함.

    ○ 동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 제1장 계획의 수립

    6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3.2. 시간적 범위

    □ 기준연도는 2008년으로 하고 계획기간은 2009~2013년까지 5년간을 설정함.

    ○ 연차적 사업계획 제시

    ○ 2013년 농업․농촌발전의 비전 제시

    3.3. 내용적 범위

    □ 대구광역시 농업․농촌 종합발전계획의 기본방향과 비전

    □ 특화품목을 중심으로 한 농업 주요품목별 발전계획

    □ 농촌지역 종합발전계획

    □ 부문별․연차별 투․융자계획과 정책과제 및 발전방향

    4. 주요 연구내용

    4.1. 개방화 시대의 대구 농업․농촌 발전전략

    □ 대구 농업․농촌의 대내외적 여건변화와 전망

    □ 대구 농업 농촌의 특성분석

    □ 한미 FTA 타결에 따른 영향평가

    □ 대구 농업 품목별 발전전략

  •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7

    4.2. 지역농업인의 소득 및 경영 안정화 방안

    □ 농업 및 농외 소득 창출 방안

    □ 농업인의 경영안정화 방안

    4.3. 지역특화농업 부문별 육성 방안

    □ 시설원예, 과수, 축산, 특용작물 등

    □ 친환경농업 육성 방안

    □ 농업인력 육성 방안

    □ 한우핵심농가 육성

    □ 축산물 유통시설의 현대화 및 브랜드 육성

    4.4. 지역농촌 복지 증진 전략

    □ 농촌관광 및 도농교류확대

    □ 지역문화, 관광, 환경농업과 연계한 농업관광 개발

    □ 주말농원 활성화 및 도시주변 저수지 이용 방안

  • 제1장 계획의 수립

    8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4.5. 농산물의 유통 및 수출시장 다변화

    □ 지역농산물 수출 증대 방안

    □ 지역농산물의 유통체계 개선 방안

    □ 농산물직거래의 활성화 방안

    4.6. 투자진단 및 예산 확보방안

    □ 중장기발전 5개년 계획(2009~2013) 수립

    □ 농업․농촌 투자사업 진단 및 투자계획

    □ 예산 확보 방안

    5. 연구 방법

    5.1. 연구 세부설계 및 기초조사

    □ 기초자료 수집 분석(문헌․기술 등)

    □ 현장 기초조사 및 부문별 농정관련자 면접

    □ 세부 연구 방법, 방향, 일정, 연구진간 세부 연구 분담 설정

  •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9

    5.2 실태조사 및 기초자료 분석

    □ 2차 자료(secondary data)에 의한 지역농업의 거시적 구조분석

    ○ 기존 지방행정 자료 분석(행정 통계자료, 대구광역시 발전계획 등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

    □ 지역농업의 미시적 특성분석

    ○ 관련기관 및 단체 의견조사 : 대구광역시 관내 행정기관 및 공공,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

    된 자문단을 구성하여 수시 의견 교환

    ○ 주민설명회 개최 : 부문별 농업 관련 전문가 및 지역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역농업의 개발방향, 내용결정 등에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

    ○ 현지면담조사: 대구광역시 농업 농촌의 지역자원 및 개발수요 파악을 위한 현지조사

    □ 외국의 지역농업․농촌개발 사례조사(일본)

    ○ 대구광역시와 유사한 여건에 있는 일본의 지역농업․농촌개발계획사례를 조사하여 벤

    치마킹

    5.3. 기본목표 및 주요과제 방향 설정

    □ 실태조사 및 기초자료 분석을 토대로 기본목표 방향설정 및 중점 과제 발

    굴 및 개발

    □ 과제별 방향 설정 및 추진전략 수립

    □ 부문별 수요 전망

  • 제1장 계획의 수립

    10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5.4. SWOT 분석

    □ SWO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부문별, 지역별, 품목별로 강점과 약점을 도출

    하는 한편,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와 전망자료를 기초로 기회요인과 위협요

    인을 도출함.

    ○ 대구광역시 농업․농촌발전계획의 기본자료로서 활용

    5.5. 연구자문위원 구성 및 자문

    □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발전계획과 관련하여 지역의 전문가 및 연구원의

    전문 연구자를 연구자문으로 위촉하여 중간 연구 과정 및 최종 보고서 내

    용에 대한 자문 의뢰

    5.6. 종합분석 및 세부대안 개발

    □ 과제별 세부대안의 개발 및 주요 정책사업 도출

    ○ 대구광역시 농정 담당자와 연구진 공동

    □ 대구광역시 농업․농촌발전의 과제․부문별 투․융자계획의 수립

  •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11

    6. 연구추진 일정

    □ 연구기간 : 2007.11 ~ 2008.11(12개월)

    표 1-1. 연구 추진 일정

    구 분 일 자

    ○ 시 농정현황 파악 및 개발 기본방향 조사 07.11~08.1월

    ○ 지역 및 품목별, 분야별 조사 2~5월 (수시)

    ○ 지역부존자원 및 개발수요 조사(지역별 및 분야별) 4~6월

    ○ 연구자문회의 수시

    ○ 중간보고(계획 추진방향 제시) 9월

    ○ 세부추진계획 수립 8~10월

    ○ 단계별, 분야별 투․융자계획 협의 10월

    ○ 최종보고회 11월

    ○ 최종보고서 제출 11월

  • 제2장 농업 ․ 농촌의 여건 변화와 미래모습

    12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제 2 장

    농업․농촌의 여건 변화와 미래모습

    1. 농업․농촌의 역할에 대한 국민의식

    □ 도시민들의 농업에 대한 중요성 인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매년 농업인을 대상으로 의식구조 변화를 조사하고 있으나,

    2007년 1월에는 도시민까지 확대하여 도시민 1,500명과 농업인 2,000명을 대상으로

    국민의식 조사를 실시하였음.

    - 도시민 면접조사(담당: 리서치 앤 리서치):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광역

    도시 47.4%, 중소도시 52.6%)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허용 표본오차는 ±2.53%

    - 농업인 우편조사(현지통신원 2천 명 대상, 응답자 857명): 60세 이상 54.3%, 60세

    미만 36.8%

    ○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업의 중요성에 대하여 현재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는 응답이 도시민 88.4%, 농업인은 72.1%로 집계되어 농업인보다 도시민이

    농업을 더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제2장 농업 ․ 농촌의 여건 변화와 미래모습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13

    표 2-1. 국가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

    단위: 명, %

    구 분도시민 농업인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앞으로도 중요

    앞으로는 중요

    앞으로도 중요치 않아

    앞으로는 덜 중요

    모름/무응답

    1,221

    105

    49

    125

    -

    81.4

    7.0

    3.3

    8.3

    -

    516

    102

    87

    143

    9

    60.2

    11.9

    10.2

    16.7

    1.1

    계 1,500 100.0 857 100.0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결과(2007.1).

    표 2-2. 현재 농업․농촌이 담당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

    단위: 명, %

    구 분도시민 농업인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식량의 안정적 공급

    국토의 균형발전

    자연환경 보전

    전통문화의 계승

    관광 및 휴식의 장소

    전원생활의 공간

    기타

    모름/무응답

    1,266

    727

    327

    325

    217

    132

    2

    -

    42.3

    24.3

    10.9

    10.8

    7.2

    4.4

    0.1

    -

    697

    299

    464

    61

    63

    99

    4

    27

    40.7

    17.4

    27.1

    3.6

    3.7

    5.8

    0.2

    1.6

    계 2,995 100.0 1,714 100.0

    주: 2개씩 선택하도록 한 문항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결과(2007.1).

    □ 농업․농촌의 역할 로서 식량안정 공급을 중시

    ○ 농업․농촌의 역할에 대해서는 현재와 미래, 그리고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식량의 안

    정적 공급’이라는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꼽았음.

    - ‘식량의 안정적 공급’에 대한 인식은 현재가 미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농업

    인에 비해 도시민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음.

    - 자연환경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낮아지고 있는 반면, ‘국토의 균형발

    전’을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는 경향이 증가함.

  • 제2장 농업 ․ 농촌의 여건 변화와 미래모습

    14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연구

    ○ 이와 같이 국민들이 식량안보를 중시하는 배경에는 앞으로 식량수급 사정이 현재보다

    어려워 질 것이라고 스스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 향후의 식량수급 전망에 대하여 도시민의 51%와 농업인의 72%가 식량수급 사정

    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

    - 반면에 앞으로 식량사정이 나아질 것이라는 인식은 도시민이 11.6%, 농업인이

    8.2%에 불과함.

    표 2-3. 미래 농업․농촌에 기대되는 역할에 대한 인식

    단위: 명, %

    구 분도시민 농업인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식량의 안정적 공급

    국토의 균형발전

    자연환경 보전

    전통문화의 계승

    관광 및 휴식의 장소

    전원생활의 공간

    기타

    모름/무응답

    1,081

    684

    411

    342

    241

    234

    2

    -

    36.1

    22.8

    13.7

    11.4

    8.0

    7.8

    0.1

    -

    606

    282

    438

    91

    110

    134

    6

    47

    35.4

    16.5

    25.6

    5.3

    6.4

    7.8

    0.4

    2.7

    계 2,995 100.0 1,714 100.0

    주: 2개씩 선택하도록 한 문항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결과(2007.1).

    표 2-4. 20년 후의 세계 식량수급 사정에 대한 전망

    단위: 명, %

    구 분도시민 농업인

    빈도 비율 빈도 비율

    식량수급 사정이 어려워 질 것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임

    식량수급 사정은 지금보다 나아질 것임

    모름/무응답

    768

    558

    174

    -

    51.2

    37.2

    11.6

    -

    617

    145

    70

    25

    72.0

    16.9

    8.2

    2.9

    계 1,500 100.0 857 100.0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결과(2007.1).

  • 제2장 농업 ․ 농촌의 여건 변화와 미래모습

    대구광역시 도시근교농업 종합발전대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