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30
| 33 | [DOI] http://dx.doi.org/10.21487/jrm.2019.11.4.3.33 【연구논문】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1) 박 신 향* 논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 고, 학생들의 인식이 개인변인(성별, 전공,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의 D 대학에서 2019년 1학기에 재학 하였던 272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창의성의 일반적 인식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을 개인과 사회발 전에 핵심적인 요소로, 그리고 누구나 가질 수 있고 배울 수 있는 능력으로 인 식하였다. 둘째, 창의적인 개인 인식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적 학생이 학교 에서 좋은 성적을 받거나, 반대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데에는 다소 동의하지 않 았다. 그러나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을 때 더 창의적임에는 강하게 동의하였다. 셋째, 창의성 교육 인식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창의성 발휘의 기회나 활동 경험은 다소 부족 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인식은 개인변인(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창의성, 창의성 교육, 창의적 개인, 대학생 인식 Ⅰ. 서론 21세기는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문화를 특성으로 한다. 특히 우리가 직면하게 되는 4차 산업혁명은 첨단 정보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 대구한의대 기초교양대학 조교수

Upload: others

Post on 2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33 |

[DOI] http://dx.doi.org/10.21487/jrm.2019.11.4.3.33

【연구논문】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1)

박 신 향*

논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인식이 개인변인(성별, 전공,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의 D 대학에서 2019년 1학기에 재학하였던 272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일반적 인식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을 개인과 사회발전에 핵심적인 요소로, 그리고 누구나 가질 수 있고 배울 수 있는 능력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창의적인 개인 인식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적 학생이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거나, 반대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데에는 다소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을 때 더 창의적임에는 강하게 동의하였다. 셋째, 창의성 교육 인식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창의성 발휘의 기회나 활동 경험은 다소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인식은 개인변인(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창의성, 창의성 교육, 창의적 개인, 대학생 인식

Ⅰ. 서론

21세기는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문화를 특성으로

한다. 특히 우리가 직면하게 되는 4차 산업혁명은 첨단 정보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 대구한의대 기초교양대학 조교수

Page 2: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34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분야들 간의 연결과 융합을 지향한다. 이러한 시대적 방향은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인재상을 필요로 한다(백승수, 2017). 21세기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는, 지식과 정보

의 습득에 국한되지 않고 급변하는 새로운 상황에 유연히 적응하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융합하며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와 생산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람일 것이다.

미래사회의 인재상과 관련하여,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은 4차 산업혁명시대

에 요구되는 직무능력 10가지를 제시하였고 그 중에서 복잡한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그리고 창의성을 2020년에 필요한 능력으로 꼽았다. 국제연합(UN)은 2010년 창조산

업 분석에서 일자리 창출과 혁신 사회통합을 주도하는 요소로 창의성, 지식과 문화,

기술을 언급한 바 있고, 유럽연합(EU)은 2009년을 ‘창의성과 혁신의 해’로 선정하여

혁신과 창의성이 앞으로의 사회 경제 발전에 주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미래 인재상의 핵심 요소는 바로 창의성이다(황농문,

2018).

일반적으로 창의성이란 우리가 계속 가져 왔던 기존의 방식이나 틀을 넘어서서

사회가 요구하는 새롭고 유용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Hennessey &

Amabile, 1988). 이 과정에서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개인

의 사고방식과 실행력이 주목받게 되었는데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변화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창의성은 단순히 직업

선택의 특정한 요소로 뿐만이 아니라 사회혁신의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은 교육 분야에 여실히 반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제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창의성 신장’을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교육부, 1997). 이에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초중등 교육을 중심으로 하여 발표된 창의성 연구 논문들도 상당한 수에 이른다.

최근에는 대학에서도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데, 사실 학생들의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두고 있는 대학에서 최근에서야 창의성 교육

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점은 다소 아쉬움을 남긴다. 대학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들

도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초중등 교육과 비교해 볼 때 연구 분야의 다양성이나

수 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부족함이 있다(권보영, 2019). 특히, 대학 환경에서 창의성

Page 3: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35 |

인식을 알아본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창의성 함량이라는 대학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학 구성원들이 창의성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창의성 인식이 창의성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본다면, 창의성 교육의 실행에 앞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대학 구성원들의 창의성 인식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대학의 실질적인 주체인 대학생들이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관하여 어떻

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또한 창의성에 대한 대학생

들의 인식이 개인변인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추가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 이를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분석하여 앞으로 대학의 창의성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

1.1 창의성의 정의와 수준

창의성이란 무엇인가와 관련하여서 매우 다양한 정의들이 제시되어 왔다.

Barron(1988) 그리고 Hennessey와 Amabile(1988)는 창의성을 새롭고(novel) 적절

한(appropriate) 것을 만들어 내는 개인 능력이라고 정의하였고, Guilford(1950)는

새롭고 신기한 것을 산출하는 힘으로, Eysenck(1994)는 새로운 관계를 볼 수 있고,

비범한 생각을 산출할 수 있고, 전통적 사고 패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세 가지의

능력으로 창의성을 정의한 바 있다. 지금까지 논의되 다양한 창의성의 정의 중에서

Plucker et al.(2004)의 정의가 창의성 연구 분야에서 비교적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다소 애매하고 일관성 없이 정의되어 있음

Page 4: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36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을 지적하며, 창의성 표준 정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Plicker et al.(2004)은

비즈니스, 교육, 심리학 학술지에 발표된 30개의 연구와 창의성 학술지에 발표된 60개

의 연구를 선정하여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해당 연구들에서 창의

성의 공통적인 속성을 찾아내고, 명시적(explicit) 그리고 암묵적(implicit) 창의성의

속성을 분석하여 창의성 표준 정의를 도출하였다. Plicker et al.(2004)에 따르자면,

창의성이란 개인 또는 집단이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새롭고 유용하다고 인정되는

특출한 산출물을 생산해 낼 수 있는 태도, 과정,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정의된다.

창의성 연구가 예술이나 과학 분야 뿐 만 아니라 많은 다른 분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창의성의 수준 또한 다양화 되어 왔다. Kozbelt et al. (2010)

은 창의성을 큰 창의성과 작은 창의성으로 구분하였는데 전자는 프로이트, 피카소와

같이 누구나 인정하는 명백한 창의성을 의미하고, 후자는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보편적 수준의 창의성을 뜻한다. Kaufman과 Beghetto(2009)는

창의성을 큰 창의성(big-C creativity), 전문적 창의성(pro-C creativity), 작은 창의성

(little-C creativity), 미니 창의성(mini-C creativity)에 해당하는 네 개의 수준으로

세분화 하였다. Kaufman과 Beghetto(2009)의 큰 창의성과 작은 창의성은 Kozbelt

et al.(2010)과 맥락을 같이 하며, 전문적 창의성은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전의 전문가

적 수준에서의 창의성을 의미하고, 미니 창의성은 개인의 경험과 행동 및 사건이

개인에게 의미 있는 해석을 지닐 때 나타나는 과정 중심 창의성을 뜻한다(조연순·정지

은(2012)에서 재인용). 창의성의 수준과 관련한 이상의 연구들은 창의성이 위대한

업적을 남긴 학자나 예술가들의 탁월한 능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

들의 다양한 일상 활동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능력까지 아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1.2. 창의성 교육

창의성의 신장은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 교육목표 중의 하나로 선정되었고(교육

부, 1997),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창의·인성 교육이라는 개념을

소개하여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 바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이에 우리나라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는 창의성 계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시행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는 등 창의성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박병기와 강현

Page 5: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37 |

숙(2007)은 창의성을 주제로 하여 발표되었던 441개의 학술지 논문 및 학위 논문을

메타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사용된 학술지 논문의 약 34%, 학위 논문의 약 71%에

해당하는 연구들이 창의성 교육방법의 개발과 효과검증을 살펴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창의성 연구에서 창의성 교육이 가지는 중요도를 알 수 있게 한다.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진행된 연구들은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정은

이(2003)와 박병기(2004)는 교양수업에서 창의성 프로그램 또는 기법의 활용이 대학

생들의 창의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정명화와 신경숙(2004)에서는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및 성향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던 강정하와 최인수(2006)의 연구에서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

다. 이와는 달리, 최경희 외(1998)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창의성의 정의 및 구성요소,

교수학습방법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을

즉각적으로 수업에 도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이경화 외(2009)는 초중

등 교사들이 다양한 창의기법을 숙지하지 못하여 교과와 연계한 창의적 기법 활용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라고 보고하였다. 강승호 외(2001)에서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지만, 창의성 교육의 실행에는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들은 창의성 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이상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의 해결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2.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 인식 선행 연구

창의성 함량이라는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창의성 교육을 실행하는 주체자,

즉 교수자와 학생들이 어떤 신념과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교수자가 가지는 창의성의 신념에 따라 학생들의 창의력은 신장될 수도 또는

억압될 수도 있다(권보영, 2019; Runco, 2003). 학생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

다. 유사한 창의성 교육 환경 아래에서도 창의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따라 그

효과나 결과가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도 창의성 또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해 왔다.

Page 6: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38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먼저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을 알아본 연구들을 살펴보면,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던 다수의 연구들(강승호 외, 2001; 이강열,

1998; 장금수, 1997)은 유사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강승호 외(2001) 연구에서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을 교육목표로 삼은 것에는 대부부분 바람직하다고 평가하였지

만, 창의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았으며, 창의성 교육의 실제 적용 또한 매우

미흡하다고 하였다. 이강열(1998)과 장금수(1997)의 경우에도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

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창의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 이해도, 자신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인문교양 교수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인식을 알아본 권보영

(2019)의 연구에서 교수들은, 창의성 교육이 중요하며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을 교수

자의 역할 중 하나로 인지하고 있었지만, 교수자 스스로가 창의성 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훈련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도 교수자의 인식과 크게 다르지 않았

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인식을 조사한 정옥분

외(2005) 연구에서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창의성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

었으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창의성 교육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여학생들에 비해

남학생들이, 그리고 고등학생보다 중학생들이 창의성 교육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이경화 외(2010)의 대학생들 또한

창의성 교육의 중요도는 인지하고 있지만, 대학 창의성 교육 만족도에서는 낮은 만족

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창의성 발휘가 쉽지 않다고 응답 하였는데, 창의성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다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본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하면, 교수자와 학생 모두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음을 추측

하게 한다. 하지만 창의성 연구 분야에서 창의성 및 창의성 인식을 알아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성 인식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 교육의 실질적인 주체인 대학생들이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을

Page 7: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39 |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해당 연구 분야에 실증적 자료를 보충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인식이 학생들의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창의성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면

대학의 창의성 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창의성

교육의 향후 계획 수립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과제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

의 인식이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

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1)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대학생들의 ‘창의적 개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생들의 창의적 개인에

대한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대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D대학에서 2019학년 1학기에 재학하였던

295명의 대학생이다. 전공에 따른 창의성 인식을 알아본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공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교양 선택 수업의 수강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설문

에 응한 295명의 학생 중에 성실하게 설문에 응하지 않은 학생, 설문을 완수하지

Page 8: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40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않은 학생, 기초조사 내용을 누락한 학생의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최종 연구

대상은 272명으로, 이들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 분포는 <표 1>과 같다.

구분 n % 구분 n %

전공계열

공학 계열

(화장품공학, 산업디자인공학,

제약공학, 식품조리학 등)87 32

학년

1 학년 50 18

인문사회 계열

(상담심리학, 복지학, 통상경제,

경찰행정, 글로벌관광 등)95 35 2 학년 94 35

의과학 계열

(보건학, 물리치료, 의료공학, 뷰티케어 등)

65 24

3 학년 90 33

의학 계열 (한의학, 간호학) 25 9

성별남자 81 30

4 학년 38 14여자 191 70

합계 272 100 합계 272 100

<표 1> 연구 대상의 전공계열, 학년 및 성별 분포(N=272)

전공 계열별 학과를 간략히 소개하면, 공학 계열에는 화장품공학, 산업디자인공학,

제약공학, 식품조리학 등의 학과가 포함되어 있고, 인문사회 계열에는 상담심리학,

복지학, 통상경제, 경찰행정, 글로벌관광 등이, 의과학 계열에는 보건학, 물리치료,

의료공학, 뷰티케어 등이, 그리고 의학 계열에는 한의학과 간호학이 포함되어 있다.

3. 연구 도구

이 연구의 주요 도구는 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이다. 이는 연구자가,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인식을 알아본 Diakidoy와

Kanari(1999)에서 사용된 설문지와 교수들의 창의성 인식을 연구한 권보영(2019)의

Page 9: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41 |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 적절하

도록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것이다. 설문지는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창의성의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 8개 문항,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4개 문항, 창의성 교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7개 문항,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었다. 모든 설문 문항은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며, 리커트 5점 척도로 제시되었다.

19문항에 대한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검사에서 Cronbach a 계수가 .82로 나타나,

적정한 수준에서 연구 도구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이 연구의 자료는 지면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설문조사는 2019년 5월

13일부터 5월 20일까지 약 2주 간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설문조사를 실행하고자

하는 수업의 담당 교수에게 사전 동의를 구하고, 정규 수업 중에 연구자 또는 담당

교수가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직접 배부하였다. 학생들에게 연구 의도를 간략히 설명하

였고, 설문조사 응답 내용은 연구외의 목적으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서면과 구두로 명확히 밝혔다. 학생들은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요청받았고, 설문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배부 받은 설문지를 기입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된다고 안내 받았다. 회수된 295개의 설문지 중에서 무기입, 미완성

또는 불성실로 판단되는 21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72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5.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 과제인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생들

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에 답하기 위해 우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문항별 평균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이러

한 평균이 학생들의 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개인변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항목별 평균을 종속변수로 하는 t-검정과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

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에서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Page 10: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42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Ⅳ. 결과 및 논의

1.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 인식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본 8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는 <표

2>와 같다.

문항 내용평균(M)

표준편차(SD)

1 모든 사람에게는 창의적 잠재성이 있음 4.25 .76

2 창의성은 배울 수 있음 3.23 1.00

3 창의성은 개인과 사회발전에 핵심 요소임 4.39 .67

4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음 4.33 .67

5 지능이 높을수록 창의성도 높음 2.82 1.06

6 창의적 결과물은 지속적 노력의 결과임 3.25 .92

7 창의성 표현에는 해당영역의 선행지식이 필요함 3.57 .88

8 일부 교과목은 다른 과목보다 더 창의적임 3.59 .84

<표 2>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기술통계

창의성에 대한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문항 가운데에 ‘모든 사람에게는

창의적 잠재성이 있음’, ‘창의성은 개인과 사회발전에 핵심 요소임’ 그리고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음’의 세 항목의 평균은 모두 4.25점을 넘어

학생들이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의성은 배울 수 있음’, ‘창의

적 결과물은 지속적 노력의 결과임’, ‘창의성 표현에는 해당영역의 선행지식이 필요

함’, 그리고 ‘일부 교과목은 다른 과목보다 더 창의적임’의 네 문항에서는 학생들이

어느 정도 동의한다고 답하였다. ‘지능이 높을수록 창의성도 높음’ 문항의 경우에는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중심으로,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본 선행 연구에는 정옥분

Page 11: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43 |

외(2011)가 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창의성의 보편성

(누구에게나 창의적 잠재성 있음)’ 문항에 보통 수준으로 동의하였고, ‘창의성 증진

가능성(창의성은 배울 수 있음)’에는 다소 강하게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대학생

들이 창의성을, 누구나 가질 수 있으며 향상 시킬 수도 있는 능력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창의성이라는 것이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부여된 것이 아니라 계발여하

에 따라 습득 또는 증진 가능한 보편적 능력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

이 인식하는 창의성의 정의와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과제는 아니었으

나, 정옥분 외(2011)의 연구에서 ‘일상적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문항에서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형태의 창의성을 경험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약

75%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창의적 산물 측면에서는 직접 만들어 내는 것, 예를 들면

재활용, 장식품 만들기, 새로운 요리 하기, 독특한 파워포인트 구성 등을 꼽았고, 창의

적 사고 측면에서는 독특한 아이디어, 기발한 아이디어, 실수 이후 대처 방안 등을

꼽은 바 있다. 결국, 본 연구와 정옥분 외(2011)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을 Kozbelt

et al. (2010)의 작은 창의성, 즉,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보편적

수준의 창의성으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알아본 기술통계는 <표 3>과 같다. 이러한 기술통계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일시한 결과는 <표

4>와 <표 5>와 같다.

Page 12: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44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문항 1 2 3 4 5 6 7 8

내용

누구나 창의적 잠재성 있음

창의성배울 수

있음

개인/ 사회발전에 핵심 요소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에 영향 받음

지능높으면 창의성 높음

창의적 결과물 지속적 노력의 결과임

창의성 표현에 해당영역 선행지식 필요

일부 교과목은 더 창의적

성별

남MSD

4.25 .78

3.30 1.11

4.40 .65

4.30 .69

2.851.14

3,47 .88

3.40 .88

3.49 .89

여MSD

4.25 .76

3.231.00

4.39 .67

4.33 .67

2.821.06

3.25.91

3.57 .88

3.59 .84

학년

1MSD

4.35 .82

3.201.01

4.46 .65

4.42 .70

2.921.06

3.22 .82

3.66 .94

3.72 .93

2MSD

4.27 .74

3.171.03

4.30 .73

4.36 .65

2.901.09

3.26 .93

3.61 .91

3.64 .77

3MSD

4.16 .79

3.22 .95

4.39 .63

4.30 .66

2.76 .99

3.26 .94

3.57 .82

3.44 .85

4MSD

4.34 .63

3.421.08

4.50 .65

4.21 .70

2.661.14

3.26 .98

3.39 .89

3.66 .88

전공

공학 MSD

4.21 .80

3.231.03

4.45 .68

4.45 .66

2.781.09

3.20 .95

3.64 .84

3.63 .88

인문사회

MSD

4.26 .79

3.12 .99

4.35 .67

4.14 .71

2.731.00

3.25 .89

3.43 .93

3.51 .85

의과학

MSD

4.29 .61

3.371.00

4.34 .69

4.37 .55

2.911.01

3.23 .93

3.52 .87

3.55 .73

의학MSD

4.28 .84

3.28 .94

4.44 .65

4.56 .71

3.121.30

3.48 .87

4.00 .76

3.88 .93

<표 3>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른 창의성에 대한 대학생의 일반적인 인식의

기술통계

Page 13: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45 |

남자 여자 t 유의확률문항6

창의적 결과물은 지속적 노력의

결과임

평균 3.47 3.16 2.599 .01

표준편차 .88 .92

사례 수 81 191

문항7창의성 표현에는

해당영역의 선행지식이

필요함

평균 3.40 3.65 -2.210 .029

표준편차 .88 .88

사례 수 81 191

<표 4> 성별에 따른 창의성에 대한 대학생의 일반적인 인식 t-검정 결과

항 제곱 합자유도

평균제곱

F유의확률

사후분석

문항4사회문화

적, 환경적 요소에

영향 받음

집단간 6.18 3 1.06 4.761 .003의학, 공학

>인문사회

집단내 116.04 268 .43

합계 122.22 271

문항7창의성 표현에

해당영역 선행지식

필요

집단간 7.06 3 2.35 3.097 .027의학 >공학,

의과학, 인문사회

집단내 203.48 268 .76

합계 210.53 271

<표 5> 전공에 따른 창의성에 대한 대학생의 일반적인 인식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창의성에 대한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t-검정 분석 결과, ‘창의적인 결과물은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임’ 그리고 ‘창의성 표현

에는 해당영역의 선행지식이 필요함’에 해당하는 두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문항6: t=2.599, p=.01, 문항7: t=-2.210, p=.029). ‘창의적인 결

과물은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임’이라는 점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동의하였고, 반면에 ‘창의성 표현에는 해당영역의 선행지식이 필요함’에서는 여학생

Page 14: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46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들이 남학생보다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과 관련하여, 본 연구와 정옥분 외(2011)의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보편성(누구나

창의적 잠재성이 있음)’, ‘창의성 신장 가능(창의성은 배울 수 있음)’ 그리고 ‘창의성과

지능과의 관계(지능이 높으면 창의성 높음)’에 해당하는 세 공통 문항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남녀 학생 모두 창의성은 누구나 가질 수 있고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창의성과 지능은 관계없다는 데에 비슷하게 동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결국 창의성이라는 것이 개인의 노력이나

계발 여하에 따라 증진될 수 있는 인간능력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들이 창의성 증진에 대한 필요성이나 욕구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대학 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전공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 차이를 알아본 일원배치분산분석에서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음(문항4)’, 그리고 ‘창의성 표현에는 해당영역

의 선행지식이 필요함(문항7)’의 두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문

항4: F(3, 271)=4.761, p=.003, 문항7: F(3, 271)=3.097, p=.027). 이러한 통계적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한 Duncan 사후분석 검증 결과, 공학

계열 학생들이 의학 계열과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보다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음’에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표현에는

해당영역의 선행지식이 필요함’ 문항에서는 의학 계열 학생들이 공학, 인문사회, 의과

학 계열 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년에 따라

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있어 연구 대상 집단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거의 동일한 교재와 교육 시스템 속에서 초, 중, 고 교육과정

을 거친 우리나라 학생들이 창의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도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고

하겠다.

Page 15: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47 |

2. 대학생의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인식

두 번째 연구과제인 대학생의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기술통계는

<표 6>과 같다.

문항 내용 평균(M)표준편차

(SD)

9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 받음 2.65 .86

10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 2.61 .93

11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을 때 더 창의적임 3.88 .84

12 나는 창의적 롤모델이 될 수 있음 2.95 1.01

<표 6>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대학생 인식의 기술통계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문항 중에서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을 때 더 창의적임’ 문항

에서 보통 이상으로 동의한다고 응답하였고, ‘나는 창의적 롤모델이 될 수 있음’에는

동의하는 수준, 그리고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 받음’과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에는 다소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음’에 다소 동의하지 않는다는 결과는 정옥분 외

(2011)의 결과와도 유사하다. 이들의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과 학업성적의 관계

가 매우 약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대체적으로 학생들이 창의성과 학업성적이 긍정적

인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이 주입식, 암기식 위주로 흘러온 것과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중, 고등학

교를 거치면서 입시교육 위주로 실행되는 우리 교육의 현실 속에서 개인의 창의성이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 교육실태의 단면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대학교육 역시

개인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이 필요함에도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는지 성찰해 볼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다음으로,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과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

을 때 더 창의적임’에 해당하는 두 문항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교수자 인식을 조사한

Page 16: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48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권보영(2019)의 연구에서 약 66%에 해당하는 교수자들이 ‘창의적인 학생들은 학교에

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에 동의한 반면 본 연구의 대학생들은 이 문항에 다소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학생 교수자 간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교수자들의 수업방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

은 교수자 중심의 강의 형식이 대다수를 이룬다(유정아, 2011). 창의적인 교육을 실행

하기가 어렵거니와 창의성을 기르는 교육방법에 대하여 교수자들이 충분히 시도해

보지 못하는 현실과 관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즉 교수자의 입장에서는 창의적 학생의

특성들이 학교 수업에서 문제요소로 인식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을 때 더 창의적임’의 항목에서는 본 연구의 학생들은 매우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 권보영(2019)의 연구에서도 약 95%의 교수자가 매우 또는 보통 이상으로

동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재적 동기는 창의성을 저해하고 내재적 동기는

창의성에 유의하다는 선행 연구(김청자, 2005)를 지지하는 결과로, 결국 창의성 함량

또는 창의성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내적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인식을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알아본

기술통계는 <표 7>과 같다.

문항 9 10 11 12

내용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

받음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

학생은 동기부여 되었을 때

더 창의적임

나는 창의성 롤모델이

될 수 있음

성별

남평균

표준편차2.511.00

2.541.00

3.89 .94

3.22 .98

여평균

표준편차2.79 .79

2.63 .89

3.88 .80

2.841.01

학년

1평균

표준편차2.56 .90

2.86 .83

3.96 .86

2.641.06

<표 7>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른 창의적 개인에 대한 대학생 인식의 기술통계

Page 17: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49 |

대학생의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인식을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알아본

기술통계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는 <표 8>, <표 9>, <표 10>과 같다.

남자 여자 t 유의확률문항12

나는 창의성 롤모델이

될 수 있음

평균 3.46 3.75 -2.666 .008

표준편차 .96 .76

사례 수 81 191

<표 8> 성별에 따른 창의적 개인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t-검정 결과

항 제곱 합 자유도평균제곱

F유의확률

사후분석

문항10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

집단간 8.64 3 2.87 3.439 .017 한의과 >웰니스융합, 의과학,

바이오산업

집단내 224.27 268 .84

합계 232.91 271

<표 9> 전공에 따른 창의적 개인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2평균

표준편차2.85 .79

2.64 .96

3.89 .89

3.021.04

3평균

표준편차2.49 .82

2.54 .93

3.83 .75

2.90 .93

4평균

표준편차2.66 .97

2.34 .91

3.87 .91

3.32 .99

전공

공학평균

표준편차2.66 .87

2.56 .97

3.91 .83

2.971.02

인문사회

평균표준편차

2.59 .87

2.52.86

3.82 .91

2.871.00

의과학

평균표준편차

2.74 .83

2.58 .92

3.86 .85

3.14 .92

의학평균

표준편차2.64 .86

3.16 .89

4.08 .57

2.721.24

Page 18: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50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항 제곱합 자유도평균제곱

F유의확률

사후분석

문항9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 받음

집단간 6.54 3 2.18 3.024 .03

2학년>3학년

집단내 193.27 268 0.72

합계 199.82 271

문항12나는 창의성

롤모델이 될 수 있음

집단간 10.59 3 3.53 3.533 .0154학년>1학년, 3학년

집단내 267.79 268 .99

합계 278.38 271

<표 10> 학년에 따른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창의적 개인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t-검정 결과 ‘나는 창의성의 롤모델

이 될 수 있음’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2.666, p=.008). 전공에 따른 창의적 개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는,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F(3, 271)=3.449, p=.017), Duncan 사후분석 결과 의학 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

의과학, 공학 계열 학생들보다 해당 문항에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의학 계열의 학문적 성격과도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의학 계열은 다른

전공보다도 암기학습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시험도 빈번하다.

그러므로 창의적이기보다는 짧은 시간에 많은 지식을 암기하는 학생이 전공교육에서

더 높은 성과를 획득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학문적 성격에서 창의적 학생이 오히려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할 개연성이 높다고 하겠다.

학년에 따른 창의적 개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도,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음’과 ‘나는 창의성 롤모델이 될 수 있음’의 두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Duncan 사후분석에서 2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보다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음’에 더 강하게 동의한 것으로, ‘나는 창의성

롤모델이 될 수 있음’에는 4학년 학생들이 1학년과 3학년 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동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설문지의 19개 문항 중에서 오직 두 개의 문항에서만

Page 19: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51 |

학년에 따른 인식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성별이나 전공 계열에 비하여 학년

변인은 대학생들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인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학년에 따라 창의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던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보고서(최창덕 외, 2011)에서도 창의적 역량, 창의적 환경,

창의적 인재 양성 저해 요인 등 모든 항목에서 학년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공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을 연구하였던 강승희 외(2016)에서도 오직 하나의

하위 요인에서만 학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강승희 외(2016)에서는 4학년 학생들이

1학년 학생들보다 더 높은 창의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

서도 4학년 학생들이 ‘나는 창의성 롤모델이 될 수 있음’이라는 항목에 가장 강하게

동의한다고 응답하여,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창의성에 대한 자발적 판단과 실제 검사

결과가 일치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 항목을 제외하고서는 어느

연구에서도 학년에 따른 창의성 능력 및 인식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 인식에 있어서 학년 변인은 다소 낮은 민감성을 가지는 변인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3.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본 기술통계 결과는 <표 11>과 같다.

학생들은 ‘창의성은 학습능력 향상에 필요함’, ‘창의성은 대학에서 교육해야할 핵심

역량임’, 그리고 ‘교수는 학생의 창의성 함양을 도와야 할 책임이 있음’에 어느 정도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에서 창의성 발휘의 기회가 많음’, ‘나는 수업시간에

창의적 활동을 한 경험이 많음’, 그리고 ‘우리대학은 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강조함’의

항목에는 다소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결과가 선행 연구들에서도

발견되었다.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본 이경화 외(2010)

와 이미나 외(2012)의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창의성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하

였으나, 창의성 교육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선행 연구들과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높은 인식 수준에

비해, 실제 대학생들이 느끼는 창의성 교육은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Page 20: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52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문항 내용평균(M)

표준편차(SD)

13 학교 정규수업을 통해 창의성 발달이 가능함 3.00 .93

14 학교에서 창의성 발휘의 기회가 많음 2.93 1.04

15 창의성은 학습 능력 향상에 필요함 3.61 .85

16 창의성은 대학에서 교육해야할 핵심 역량임 3.60 .88

17 교수는 학생의 창의성 함양을 도와야 할 책임이 있음 3.59 .89

18 나는 수업시간에 창의적 활동을 한 경험이 많음 2.88 .90

19 우리대학은 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강조함 2.82 .88

<표 11>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기술통계

대학생의 창의적인 개인에 대한 인식을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알아본

기술통계와, 통계적 차이를 알아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는 <표 12>, <표

13>, <표 14>과 같다.

문항 13 14 15 16 17 18 19

내용

학교 수업을 통해

창의성 발달이 가능함

학교에서

창의성 발휘의 기회가 많음

창의성은 학습

능력 향상에 필요함

창의성은

대학에서

교육해야할 핵심

역량임

교수는 학생의 창의성 함양을 도와야 하는

책임이 있음

학교수업에

서 창의적 활동의경험이 많음

우리대학은 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강조함

성별

남MSD

3.14 .83

3.071.02

3.46 .85

3.57 .95

3.49 .96

2.96 .91

2.94 .91

여MSD

2.95 .97

2.861.05

3.68 .84

3.62 .86

3.63.86

2.85 .89

2.76 .87

학년

1MSD

2.80 .95

2.901.11

3.54 .91

3.44 .91

3.46 .91

2.68 .96

2.64 .92

<표 12>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기술통계

Page 21: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53 |

남자 여자 t 유의확률

문항14학교에서

창의성 발휘의 기회가 많음

평균 3.22 2.84 2.900 .004

표준편차 .98 1.01

사례 수 91 191

문항15창의성은 학습 능력 향상에

필요함

평균 3.26 3.01 2.140 .033

표준편차 .91 .86

사례 수 91 191

문항18학교 수업에서 창의적 활동의경험이 많음

평균 3.46 3.68 -2.004 .046

표준편차 .85 .84

사례 수 91 191

<표 13> 성별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t-검정 결과

2MSD

2.98 .93

3.00 .98

3.60 .81

3.65 .78

3.63 .83

3.02 .79

2.98 .78

3MSD

3.04 .97

2.831.02

3.76 .78

3.57 .97

3.63 .93

2.87 .94

2.72 .90

4MSD

3.24 .79

3.001.16

3.42 .98

3.79 .88

3.58 .98

2.84 .97

2.87 .99

전공

공학MSD

3.09 .99

3.001.03

3.71 .89

3.67 .91

3.77 .95

3.06 .93

2.91 .94

인문사회

MSD

2.98 .91

2.921.08

3.52 .88

3.59 .93

3.37 .88

2.85 .97

2.80 .92

의과학

MSD

2.98 .86

2.92 .97

3.63 .72

3.60 .77

3.69 .77

2.94 .63

2.92 .65

의학MSD

2.84 .99

2.721.14

3.60 .91

3.44 .92

3.56 .96

2.24 .88

2.28 .94

Page 22: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54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항 제곱 합 자유도평균제곱

F유의확률

사후분석

문항17교수는 학생의 창의성 함양을

도와야 하는 책임이 있음

집단간 8.19 3 2.73 3.49 .016

바이오산업>웰니스융합

집단내 209.51 268 .78

합계 217.70 271

<표 14> 전공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t-검정 결과 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학교에서 창의성 발휘의 기회가 많음(문항14)’과 ‘창의성은 학습

능력 향상에 필요함(문항15)’의 두 문항에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동의하

는 것으로 나타났고(문항14: t=2.900, p=.004, 문항15: t=2.140, p=.033), ‘학교수업

에서 창의성 활동 경험이 많음’에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t=-2.004, p=.046). 전공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의 일원

배치분산분석 결과 ‘교수는 학생의 창의성 함량을 도와야 하는 책임이 있음’ 문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발견되었는데, Duncan 사후분석에서 공학 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보다 해당 문항에 더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년에 따른

창의성 교육 인식 통계분석에서는 어느 항목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우선, 성별에 따른 창의성 교육 인식 차이의 경우, 본 연구의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

다 ‘창의성은 학습능력 향상에 필요함’에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창의성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살펴본 정혜인(2004)은 창의성이 높은

남학생들이 과학이나 예술영역에서 높은 학업성적을 획득하였다고 하였다. 학습능력

향상과 높은 학업성적을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창의성

과 학습능력 또는 창의성과 학업성적 간에 긍정적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거나 실제

이를 더 많이 경험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경우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과 관련된 문항인 ‘창의성은 대학에서 교육해야 할 핵심 역량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정옥분 외(2011) 연구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

Page 23: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55 |

보다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항목들에서

도 두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정옥분 외(201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들

이 여학생들보다 학교에서 창의성을 표현할 기회가 더 적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학교에서 창의성 발휘의 기회가 많음’에

더 강하게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수업에서 창의성 활동 경험이 많음’의

경우 본 연구의 여학생들은 남학생들보다 해당 문항에 더 강하게 동의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성별에 따른 창의성 교육 인식 연구들의 결과는 아직 일관되지 못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창의성 교육 인식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지속적

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공에 따른 창의성 교육 인식 차이에서, 공학 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

보다 ‘교수는 학생의 창의성 함량을 도와야 하는 책임이 있음’ 문항에 더 강하게 동의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공학 전공 계열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

다. 연구가 진행된 대학의 공학 계열은 화장품공학, 화장품소재공학, 산업품질공학,

산업디자인공학, 제약공학, 식품생명공학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화장품 바이오산업

의 현장실무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산학연계 환경구축 및 학생들의 창의 융합

적 사고 함량에 다년간의 노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학문적 특성상,

자기학습 위주인 인문사회과학 전공보다 실험 및 실습 지도가 필요한 공학 전공 학생

들이 교수들의 조력을 더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미나 외(2012)의 연구에서도 공학

전공 학생들이 다른 전공 학생들보다 창의성 교육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나타난 점을 고려해 본다면, 본 연구의 공학 계열 학생들은 창의성 교육에 다소 높은

민감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추측되며, 나아가 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교수자의

역할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Ⅳ.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

들의 인식이 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age 24: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56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연구 과제인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

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에 대한 분석결과, 대학생들은 창의성이 개인과 사회발전에 핵심적인 요소이며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창의성은 누구나

가질 수 있고 배울 수 있는 것이며, 창의성과 지능 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

였다. 전공에 따라서 의학 계열 학생들이 다른 계열 학생들보다 창의적 표현에 해당영

역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문항에 강하게 동의하였고, 공학 계열 학생들은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보다 창의성이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는 문항에 더

강하게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의 일반적인 인식에 관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이 창의성을 몇몇 사람들만이 가지는 특별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누구

나 가질 수 있으며 개인의 노력이나 교육환경에 따라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또한 대학생들이 창의성 증진에 대한 강한 필요성과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바, 대학 교육이 학생들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연구과제인 “대학생들의 창의적 개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생들의

창의적 개인에 대한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창의적 학생들이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거나 또는 창의적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이는

창의성이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다소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전공에 따른 창의적 개인 인식에서는 의학 계열 학생들이 다른 계열 학생들보다

창의적 학생은 학교에서 종종 어려움을 겪는다는 문항에 강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번한 시험과 많은 양의 지식을 짧은 시간에 습득해야 하는 의학

전공 환경에서는 창의적 학생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는, 4학년 학생들이 1학년 학생들보다 더 강하게 자기

자신을 창의성의 롤모델로 바라보고 있었다. 4학년 학생들이 1학년 학생보다 높은

창의적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선행 연구(강승희 외, 2016)의 결과를 고려해보면,

Page 25: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57 |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창의적 능력에 대한 자기 판단과 실제 검사 결과가 일치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본 연구와 선행 연구들에서 학년에 따른 창의성

능력, 인식 차이가 거의 발견되지 않아 학년 변인은 다소 낮은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으

로 해석된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인 “대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대학생들

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개인변인(성별/학년/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주요 분석 결과로는 우선, 대학생들은 창의성을 학습능력 향상에 필요한 것으로,

대학에서 교육해야할 핵심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에서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기회 또는 창의성 활동을 해본 경험은 많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결국 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도나 필요도에 비해,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제 창의성 교육은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 도달하지는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성별에

따른 인식 분석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학습능력 향상에 창의성이 필요하다

는 문항에 더 많이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정혜인, 2004)에서도

남학생들이 창의성과 학업성적 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응답하였다는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남학생들은 창의성과 학습능력 또는 창의성과 학업성적 간 긍정적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공에 따른 창의성 교육 인식에서는,

공학 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 계열 학생들보다 교수가 학생의 창의성 함량을

도와야 하는 책임을 가짐에 더 강하게 동의하였는데, 이는 공학 전공 계열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빈번한 실험과 실습을 수행해야 하는 공학 계열 학생들은

자기학습 위주인 인문사회과학 전공 학생들보다 교수자의 조력에 상대적으로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대학생들

이 창의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지난 20년

간 대학들이 저마다의 방법으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힘써왔던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창의성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기대치에 비해 학생들의 창의성

발휘 기회나 경험은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라는 점에서, 앞으로는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인 측면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요구들과, 성별, 전공, 학년 등의 개인변인

Page 26: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58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에 따른 인식 차이는 향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방법 계발에 반드시 고려되어

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설문조사 대상이 단일 대학의 학생들이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를 일반

화 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전공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수가 계열별로 고르지

못하였다는 점에서도 연구 결과의 해석에 한계가 있다. 또한 교수자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주로 참고하여 학생들의 인식 조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는 점, 그리고

오직 폐쇄형 문항만으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심도 있게 파악

하지는 못하였다는 점도 이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일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

기 위해서 후속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 최적화된 연구 도구의 개발이 선행

되어야 할 것이며, 더 폭넓은 대상으로 더 다양한 전공 분야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Page 27: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59 |

참고문헌

강승호·김양숙·이순정. 2001. “중학교 창의성교육의 실태, 문제점 및 발전방향.” 『교

양평가연구』 제14권 2호: 71-107.

강승희·윤소정·이경창. 2016. “공과 대학생의 창의성 과목 수강 경험과 학년에 따른

창의성 인식 차이.” 『한국기계가공학회지』 제15권 6호: 16-23.

강정하·최인수. 2006. “창의적 문제해결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제20권 3호:

679-70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 199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서울: 교육부.

권보영. 2019. “인문교양 교수자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

13권 1호: 57-87.

김청자. 2005.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외재적동기와의 관계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3권 3호: 75-101.

박병기. 2004. “교양강좌를 이용한 대학생 창의성 교육의 효과분석.” 『교육심리연

구』 제18권 2호: 69-81.

박병기·강현숙. 2007.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교육심리연구』 제21권 1호:

233-264.

백승수.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제11

권 2호: 13-51.

유정아. 2011.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연

구』 제28권 2호: 51-72.

이강열. 1998. “창의성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논총』제7

권: 96-120.

이경화·성은현·최병연·박춘성·전경원·하종덕·한순미. 2009.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성 교육 혁신 방안 연구』교육과학기술부.

Page 28: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60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이경화·유경훈·김은경. 2010.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심리연

구』 제24권 2호: 327-346.

이미나·이화선·최인수. 2012.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 연구에 대한 전공계열별 인식

비교.” 『교육과정연구』 제30권 3호: 353-376.

장금수. 1997. 『초등학교 창의성 지도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정명화·신경숙. 2004.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

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8권 3호: 287-301.

정옥분·김경은·박연정. 2005. “청소년과 교사가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제17권 1호: 29-53.

정옥분·임정하·정순화·김경은·박연정. 2011.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창의

성에 대한 암묵적 접군을 중심으로.” 『한국생할과학지』 제20권 1호:

39-55.

정은이. 2003. “개별·협동학습에 따른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7권 1호: 281-297.

정혜인. 2004. 『평가 방법을 달리한 학업성취도와 창의력 요소간의 상관관계』 계명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연순·정지은. 2012.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분석: 창의성 교육의 유형을 중심으

로.” 『교육방법연구』제24권 4호: 659-682.

최경희·조연순·조덕주. 1998.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육과정

연구: 현행 교육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18권 2호: 149-160.

최상덕·김진영·반상진·이강주·이수정·최현영. 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RR 2011-01.

황농문. 2018. “4차 산업혁명과 창의성 교육.” 『철학과 현실』127-144.

Barron, F. 1988. “Putting creativity to work.”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98

Page 29: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61 |

Diakidoy, I. N. and Kanari, E. 1999. “Student teachers beliefs about creativity.”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2): 225-243.

Eysenck, H. J. 1993. “Creativity and personality: Suggestions for a theory.”

Psychological Inquiry, 4: 147-178.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Hennessey, B. A. and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8.

Kaufman, J. C. and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Kozbelt, A., Beghetto, R. A. and Runco, M. A. 2010. “Theories of creativity.”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47.

Plucker, J. A., Beghetto, R. A. and Dow, G. 2004.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otential,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 83–96.

Runco, M. A. 2003. “Education for creative potential.”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 317-324.

Page 30: 대학생의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신향_4권3호.pdf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는 기대 수준 및 요구가 충족되지

| 62 | 연구방법논총 | 2019년 가을호 제4권 제3호

Th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Sinhyang Park*

2)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students' perceptions differ with the students' individual variables(gender, major, and academic year). To this end, 272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onsidered that creativity is a crucial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ey also considered creativity as an ability possessed by everyone and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Second, many students believed that creativity has no correlation with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stu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needs of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while they showed that the amount of creativity expressing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provided for them in school was not satisfactory.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udents’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perceptions were also found according to the students' individual variables(gender, major, academic year).

Keywords: creativity, creativity education, creative individuals, college student perceptions

투고일: 2019.09.29 심사일: 2019.10.23 게재확정일: 2019.11.06

* Assistant Professor, Daegue Haany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