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central component

11
ERP Central Component SAP Retail Version 1.0

Upload: nirmala-last

Post on 05-Dec-2014

2.264 views

Category:

Technology


9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Erp Central Component

ERP Central Component  

SAP Retail 

Version 1.0

Page 2: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문서 제 . 개정 이력

개정번호 작성일 내용 작성자

2006.02.28 핵심정리 김 동 귀

Page 3: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1.SAP Retail ? 아래의 그림에 잘 나타나 있다 .보통 오해를 많이 하는데 Retail 은 별개의 모듈이 아니라 SAP 의 Industry-Specific Solutions 이라는 점이다 .

너무나 당연하게도 그 안에 SAP 의 ERP Central Component 가 있다 . 흔히 전통적으로 말하는 SD,MM,LE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 이것들의 sub-set 으로 봐도 되지만 Retail 산업군에 적합하도록 특수한 기능이 있는 점을 제외하면전통적인 ERP 모듈과 다를 것이 없다 . 여기에 + 하여 FI/CO/TR 등의 FCM 모듈과 결합하여 CORE ERP 의 기능을수행 할 수 있다 .SAP Retail is a fully integrated, self-contained system comprising all the functions you require to model retailbusiness processes. SAP Retail also includes general SAP components such as Financial Accounting,Controllingand Human Resources.즉 Retail 이 MM 이나 SD 와 같은 개별 ERP Component 라기 보다 집합의 개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And at the heart of the system is functionality specially developed for retailing (IS-R). The functionality is based on the SAP components Materials Management (MM), Sales and Distribution (SD), Logistics - General (LO) and Logistics Execution (LE). Links can also be created to new dimension systems, such as SAP Business Information Warehouse (SAP BW) and SAP APO.

R/3 Enterprise 처럼 SAP 는 전통적으로 확장이 가능하도록 ( 네고블럭을 생각하면 좋다 ) 각 모듈을 끼워맞출 수도 있고확장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개별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4: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2. SAP Retail Overview . Retailing 에 특화되어 있다는 점은 이미 강조하였는데 그 수단에 대해서는 정리하고 있는 나도 궁금해하고 있고점점 더 지식의 깊이를 더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ㅁSAP Retail is a completely integrated retailing system. It maps the complete set of business processes required for competitive assortment strategies, different retail formats, and ECR-driven logistics and distribution. It provides all the functions necessary for modeling business processes in a retail company뭐 좋은 말만 나오는 것 보면 역시 광고 잘한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포인트는 Retailing 에서 필요한 고객대응을 어떤 지향으로 풀어나가야 하는 가이다 .보통 SCM 이론서에 나오는 용어 중 하나가 ‘ QR’ ,’ECR’ 이 있다 .펌질 하나만 하자… ^^

QR (Quick Response, 신속대응 ) - 배경미국 내 전체 의류 소비량 중 수입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1 년에는 2.1%, 1971 년에 6.8%, 1981 년에 15.4% 그리고 1990 년에 26.2% 로 증가하였다 . 수입 증가로 인한 기업간 경쟁의 심화와 함께 급변하는 시장 상황이라는 환경적 요소로 인해 1980 년대 초 미국의 의류업체들은 새로운 대응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 이러한 동종 업체간의 경쟁 심화 , 국내 시장개방에 따른 경쟁 심화 , 고객욕구의 다양화 , 유통업자의 협상력 증대 등과 같은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 이러한 환경 요소들을 대처하고 나아가서 능동적으로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경영기법으로 QR 이 개발 , 사용되었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5: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2. SAP Retail Overview (계속 ). - 개념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점에서 즉시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QR 기법의 구축이 기본이 된다 . 특히 QR시스템은 계절상품의 취급에 있어서 획기적인 개선이 가능하게 하였다 . 밀어내기 방식에 의한 생산 /공급방식에서는 계절 상품의 경우 판매가 개시되기 훨씬 전에 이루어지는 초기 발주에 의해 모든 것이 행해진다 . 따라서 , 실제 수요에 의한 재발주는 행해지지 않는 것이 통례가 되어 있다 . 그러나 , QR 시스템의 구축은 발주에서 제품이 조달되는 기간을 단축시킨 것을 의미하므로 기존 초기발주에 의해 전적으로 이루어지던 생산공급방식이 계절 수요에 탄력적을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 필요 기술QR 기업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구매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생산자에게 주문을 내는 활동 등도 실시간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 정보의 실시간 연결 이외에도 제품이 상점에 배달되는 유통시스템까지 정비되지 않으면 안된다 .(활용 기술 : 컴퓨터지원설계 , 바코딩 , 전자주문시스템 , 기업간 정보공유체계 )

ECR (Efficient Consumer Response, 효율적 고객대응 ) - 배경1990 년대로 들어 , 불경기에 따른 위축과 실직에 대한 불안감은 고객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비용을 줄이면서 적기에 꼭 필요한 상품만을 사기 위해 , 자기들이 원하는 것이 정말 무엇인지 그것을 언제 어떻게 원하는지에 대한 요구가 매우 커졌다 . 또한 고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업간 경쟁이 심화됨으로 인하여 대 고객 서비스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 이러한 기업환경 변화와 고객에 대한 의식 전환은 1990 년대 초반 들어 식료품 산업을 중심으로 ECR 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탄생하게 하였다 . 기본적인 EDI망에 새로운 개념의 아이디어가 도입된 것이다 . - 개념ECR 은 원료공급업자에서부터 매장까지의 전체 공급사슬을 리엔지니어링 함으로써 비효율과 초과비용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즉 ECR 은 전체 공급사슬상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 기술 , 비용 , 표준화 등을 공유함으로써 제조업자가 함께 상호 이익을 낼 수 있게 한다 . - 필요 기술EDI 와 바코드를 기본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발주 (CAO), 크로스도킹 통과형 물류센터 , 가치사슬분석 (VCA), 활동원가회계 (ABC), 카테고리 관리 , 연속적인 제품보충 (CRP), 배송상품의 순서선정 (Sequencing of parcels) 의 상호 연관적인 8 가지 도구가 사용되어 진다 .

각 경영기법의 출현배경을 찾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왜냐하면 출현배경은 그 기법이 어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

결론적으로 QR 과 ECR 의 큰 차이점은 ECR 은 기업 내부 및 공급사슬전체에 리스트럭처링 (restructuring) 을 통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 QR 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고객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고객대응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 ECR 은 내부 및 협력업체간 업무 프로세스를 분해 및 재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요소들을 최소화 (원가개념의 도입 ) 함으로써 공급사슬전체를 통해 효율적으로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경영기법이다 . 출처 : 대한상의 SCM홈페이지 (www.scm.korcham.net) 와 유통물류진흥원홈페이지 (http://scm.eankorea.or.kr)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SAP Retail 이 ECR-Driven 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아직 와닿지는 않는다 . 다만 자동발주나크로스다킹등 이런 용어들은 계속해서 SAP Retail 에 등장한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뭐 그런 사상을 좀 도입했나보다정도로만 여겨도 좋을 듯 하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6: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2. SAP Retail Overview (계속 ). Retailing 을 풀어서 말한다면 the procurement, storage, distribution, and sale of merchandise 이다 . 즉 위의 테마로구성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 구매 ,저장 ,분배 ,판매… 뭐 전통적인 도 - 소매 프로세스의 구성물이다 . ^^The key retailing processes include:• Assortment Management • Sales Price Calculation • Promotion Management • Allocation • Requirements Planning and Purchasing • Goods Receipt • Invoice Verification and Subsequent Settlement of End-Of-Period Arrangements • Warehouse Management • Picking and Delivery • Billing • Store Supply

위 Key Point 를 모두 이해하고 , 설계하고 , 구현할 수 있으면 하산해도 좋을 듯… ^^ 아직 나도 진행행이다 .다음 그림은 Integration of SAP Retail in the Standard Environment 이다 . 특별한 것은 없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7: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2. SAP Retail Overview (계속 ). 다음은 전형적인 ECC 기반의 시스템 구성도인데 Web Browser 를 통하여 결국 인티그레이션을 한다는 점 자기들은 실컷 SOA 기반의 아키텍쳐 즉 , ESA 를 백번 자랑하지만 여깃 SAP 에 oriented된 ALE/IDOC 으로 인터페이스 하는 것을더 좋아 한다는 점 ( 뭐 XML 도 된다고 하는데 별로 본적도 없고… -_-) 에서 역시 솔루션벤더의 요소기술에 따라 간다는점은 다른 솔루션과도 큰 차별은 없다 . 오픈 아키텍쳐 , 오픈 플랫폼이라는 점은 동의 한다 .

하긴 R/3 4.6C 시절 POS I/F 를 idoc 파일 ( 이거 상당히 피곤하다 ..-_- 계층구조형의 파일인데 라인별로 컬럼위치잘 기억하고 파일 만들때에도 그것을 바탕으로 노가다 해야 한다 . 주는쪽이든 받는쪽이든 분해를 해야 한다는뜻이다 . 뭐 BizTalk 과 같은 메시징 교환 시스템에서는 idoc 을 무지하게 잘 알아서 해독을 잘 해준다고 하지만…써본적이 없으니 패스~!!) 을 만들어 ftp 통신을 했던 생각이 난다 .그걸 결국에는 RFC 로 바꾸어서 ‘ WPUK’ 라는 BDC 를 실행하는 것으로 implementation 을 했지만… .결국 I/F 는 너와 나의 대화인데… 빠르게 안정적으로 대화하려면 역시 EAI 가 필요하단 말인가… idoc 에 대한퍼포먼스는 아직까지 나는 장담하지는 않는다… 좀 느슨하다… 마치 XML 처럼… ^^

어쨌거나 POS 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촉각을 다툰다면 ALE/idoc 은 비추라고 할 수 있지만 대략 10 초 ~10분정도딜레이 되는 것은 OK라고 한다면 충분히 고려해볼 만 하다고 본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8: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2. SAP Retail Overview (계속 ). 다음의 연관주제는 추후 계속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 다만 항목이 무엇인지 정도는 인지하도록 한다 .The following areas are important for distributed data processing:• POS InterfaceYou can use the POS interface functions to link up the POS systems in your stores to the SAP Retail system.

• SAP Retail StoreSAP Retail Store is a separate software product that enables you to run SAP Retail functions designed or adapted by SAP for specific use in-store.

• Distribution of Applications to Multiple Systems (ALE)The technology described here allows you to distribute the functions contained in the central SAP Retail system among several SAP systems, and to connect non-SAP systems.

• AFS/SAP Retail interfaceUsing this interface it is possible to link an AFS system with SAP RetailAFS 는 Apparel and Footwear Solution 이다 . 즉 어패럴 및 신발 산업에 대한 솔루션을 말한다 .(참조 : http://www.sap.com/industries/consumer/pdf/AFS_Solution_Brief_2002.pdf )

3. Configuration as SAP Retail지금까지… SAP Retail 과 SAP ECC 와 프로세스적인 측면에서 overview 를 하였는데…SAP Retail 과 ECC 와의 근본적인 configuration 상의 차이가 있다… 안타깝게도… SAP측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In all other functions that are also relevant for retail, it is possible to use articles. However, it is often not possible to use articles in production-oriented functions. Note that most of these functions have not yet been tested with articles. There are no restrictions for using materials in an ECC system set up as SAP Retail, however, apart from in the Material Ledger and MRP Area functions.

즉 대부분의 Business Function 은 ECC 나 Retail 이 부합 (relevant) 하지만… Retail 은 Production-oriented 하지 않기때문에 M/L 이나 MRP Area funciton 은 apart from 즉 , except for 하게도 ECC 와 다르다는 얘기이다 .왜 그럴까… MRP 는 이해가 간다 . Retail 에서 MRP( 생산 자재소요계획 ) 에 대응하여 RP( 보충계획 ) 가 있기 때문이다 .M/L 은 왜 지원하지 않는 것인가… 그래서 material 이라는 용어 대신에 ‘ article’ 이라는 용어를 쓴 것인가…material master 와 article master 의 구조적인 차이를 알아야 한다는 것인가… ^^그 외의 configuration 은 알려진 대로 ECC system 과 차이가 없다 . 당연하게도 SAP Retail 도 ECC 기반이기 때문이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9: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3. Configuration as SAP Retail (계속 )그런데 포인트는 왜 없느냐이다 . 없는 것은 알겠는데… 왜 M/L Acctive 가 없느냐… 이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지만너무 고민할 필요는 없다 . ^^ built-in 되어 있지 않은 걸 어쩌란 말이냐…라는 뜻에서이다 . 전통적으로 M/L 이 어디에 쓰이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간략하게 개념정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M/L 은 Product Cost Controlling (CO-PC) 의 비용분석의 한 툴이다 . CO-PC 라는 것이다 . 제조업 마인드가있다면 이 용어만 봐도 금새 알아차릴 수도 있겠다 . M/L means…Tool that collects transaction data for materials whose master data is stored in material master.The material ledger uses this data to calculate prices to valuate these materials.The material ledger is the basis of actual costing. It enables material inventories to be valuated in multiple currencies and allows the use of different valuation approaches.좌우간 이 부분이 SAP Retail 에서 안되는 것은 분명한데 , Retailing 을 하는 고객이 M/L 으로 actual costing 분석을하려 한다면 그 연유가 무엇인지 궁금해 할 필요는 있겠다 . 추후 이 부분에 대해 더 깊이 있게 다루어 보도록 한다 .(누가 알려주면 더 좋겠다… ^^)

또 하나의 관점으로 앞서 언급했던 ‘ Material’ vs ‘Article’ 이다 .Article 은 분명 상품마스터 (Matrial Master) 라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material 과 차이점은 다음의 두 가지 관점이다 .• Specific additional data is integrated, for example, purchasing info records, listings and sales price calculations.• Several organizational levels, for example, sites and distribution chains, and for generic articles several articles, can be processed online in one single maintenance transaction.

In the material master you can process only one material or one plant at a time, but in the article master the system transfers data from higher levels to the dependent levels, provided you have not maintained these differently. For example, the system transfers data from a generic article to all its variants. It also transfers data from reference sites to individual sites.

generic article ( 대표상품이라고도 한다 ) 은 대표적으로 ‘의류’가 되겠고 그 variants 로 볼 수 있는 것은 사이즈 ,컬러등을 들 수 있다 . article master 를 다루게 되면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고 , 대표상품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 BOM 하고는 다소 다르며 패키지상품하고도 다른 개념으로 하나의 대표코드로 collective 하게 즉 generic 하게 동일 단품의 다른 속성 (variants) 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상품으로 retailing 에 있어서 오더 프로세스나 구매 프로세스에 다중레벨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이것 또한 추후 다루도록 하겠다 .

3.1 Standard Functions Used in SAP Retail with Articles• Materials Management (MM)• Sales and Distribution (SD)• Production Planning (PP)• Service Management (SM)• Quality Management (QM)• Foreign Trade뭐 이 정도로 정리하자 . 자세히 다루기에는 하나 하나의 덩어리가 너무 크다 . -_-

3.2 Standard Functions Not Supported in SAP Retail 허걱 ..페이지가 잘릴라고 하니까 다음장에…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10: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3. Configuration as SAP Retail (계속 )3.2 Standard Functions Not Supported in SAP Retail • Variant configuration with inventory-managed variants• Long-term planning• Co-product production• Foreign Trade

- Legal controls

- Preference determination

- Letter of credit processing for import

- Forms: Single registration, collective registration• Production resources/tools• Material ledger• Valuation levels above the plant (company code)• Plan article changes (change service)• Revision level for articles• Manufacturer part number management• Proportion unit, active ingredient unit of measure• Creation of articles using the CAD interface• Inflation handling for South America• Requirements planning areas• Transaction parameters and planning parameters (process manufacturing)• Plant maintenance (PM) – 안 되는 것은 아님 . 보장 못함• Subcontracting with generic articles – 안 되는 것은 아님 . 보장 못함• LIFO and FIFO analysis – 안 되는 것은 아님 . 보장 못함• Production planning (PP-PI) – 안 되는 것은 아님 . 보장 못함• Using serial numbers with generic articles – 안 되는 것은 아님 . 보장 못함• Project System (PS) – 안 되는 것은 아님 . 보장 못함

크게 관심 가질만한 부분은 역시 Material ledger , Valuation levels above the plant (company code) 정도이다 .

SAP Retail 에 적합한 용어의 예는 다음 표를 참조하도록 한다 .

사이트는 물류센터 (DC)/ 점포 (store) 로 나누며 article master 의 1:n 의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 (view 가 있다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

Page 11: Erp Central Component

매뉴얼활동명매뉴얼단계명SAP Retail시스템명

2006.02작성일

김 동 귀작성자요약 정리mySAP ECC 6.0 SAP Retail 요약 정리

4. Organizational Structure 말이 필요 없다 . 그림으로 확인하자 .

Description

Basic PrinciplesProcess

OverviewSub ModuleRetailIndustry

SAP Retail 에 대한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