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와인산업 동향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0193/1/eu... · 2019-01-30 · 2)...

26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세계농업 제149호 | 91 EU 와인산업 동향 * 이 혜 은 · 박 한 울 (한국제연구원 연구원) 1. 서론 14) EU 의 공동농업정책 (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 1992 년 및 1999 년의 개혁에 의 하여 가격지지에서 직접지불제도로 전환하였고 , 2003 년 개혁에서는 과거의 직접 지불 의 급부액수를 기초로 하여 생산 요소로부터 분리된 단일지불제도가 도입되었다 . 디커플링 (decoupling) 형 직접 지불이다 . 2003 년의 곡물 · 축산부문의 개혁 , 2004 년의 면화 , 호프 , 올리브 오일 , 담배 부문의 개혁 , 2006 년의 설탕부문의 개혁에 이어 , 장기간 에 걸친 개혁에서 뒤떨어져 온 와인 부문의 개혁이 진행 중이다 .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EU 지역 내에서는 와인 소비가 부진한 반면 EU 역내 · 역외 시장에 있어서의 뉴월드 (new world) 1) 와인과의 심한 경쟁으로 EU 산 와인은 어려운 상 황에 처해 있다 . 수요와 공급의 균형은 테이블 와인을 중심으로 크게 무너지고 있으며 구조적인 과잉생산이 심각하다 . 그리하여 EU 는 남은 와인의 처리에 엄청난 지출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유럽집행위원회는 와인 부문의 개혁을 추진하기 위하여 2006 6 , 유럽의회 및 각 료이사회에 대한 보고서 (COM 2006/319 final) 지속가능한 유럽의 와인 부문을 위하 * ([email protected], 02-3299-4244). 1) 호주, 칠레, 남아프리카, 미국, 아르헨티나 등.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세계농업 제149호 | 91

EU 와인산업 동향 *

이 혜 은 · 박 한 울(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1. 서론 14)

EU의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은 1992년 1999년의 개 에 의

하여 가격지지에서 직 지불제도로 환하 고, 2003년 개 에서는 과거의 직 지불

의 부액수를 기 로 하여 생산 요소로부터 분리된 단일지불제도가 도입되었다. 소

‘디커 링(decoupling)’형 직 지불이다. 2003년의 곡물·축산부문의 개 , 2004년의

면화, 호 , 올리 오일, 담배 부문의 개 , 2006년의 설탕부문의 개 에 이어, 장기간

에 걸친 개 에서 뒤떨어져 온 와인 부문의 개 이 진행 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EU 지역 내에서는 와인 소비가 부진한 반면 EU 역내·역외

시장에 있어서의 ‘뉴월드(new world)’1)와인과의 심한 경쟁으로 EU산 와인은 어려운 상

황에 처해 있다. 수요와 공 의 균형은 테이블 와인을 심으로 크게 무 지고 있으며

구조 인 과잉생산이 심각하다. 그리하여 EU는 남은 와인의 처리에 엄청난 지출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유럽집행 원회는 와인 부문의 개 을 추진하기 하여 2006년 6월, 유럽의회 각

료이사회에 한 보고서(COM 2006/319 final)인 ‘지속가능한 유럽의 와인 부문을 하

* ([email protected], 02-3299-4244).

1) 호주, 칠레, 남아프리카, 미국, 아르헨티나 등.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92 | 2013. 1

여(Vers un secteur vitivinicole europeen durable)’를 공표하고, 와인 공통 시장제도의 개

을 제언하 다. 그 후, 약 1년간의 비 기간을 거쳐 2007년 7월 4일, 와인 공통 시장제

도에 한 이사회 규정안(案)(Proposition de Reglement du Conseil portant organisation com-

mune du marche vitivinicole et modifiant certainsreglements)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랑스

등 생산국의 반 가 강하여 개 에 따른 변화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제안은 수정되었

다. 그것에 의하여 「EU와인 개 에 한 2006년 유럽집행 원회보고서」에서 언 되

어진 로, 재배 규제 해제의 연기(EU 수 에서는 2016년), 증류 보조 과 머스트(Mus

t)2)의 폐지 연기 는 계속, 경작 면 이기 정책의 완화, 보당(補糖)3)의 용인 등이

담겨 있다.

2007년 12월 19일의 농림수산장 이사회에서의 합의하고, 2008년 4월 29일 이사회

에서 채택되어 2008년 8월 1일에 신규정이 발효되었다.

2. EU 와인 시장의 동향

2.1. 와인 생산량·재배 면적의 동향

2008년 3월에 공표된 OIV4)의 통계자료(Note deconjoncture mondiale, mars 2008)에 의

하면, 2006년의 세계의 포도 재배 면 은 약 790만ha(추정)이며, 이 가운데 EU 27개

국은 체면 의 약 49%인 388만ha를 차지하고 있다. 그 에서도 특히 스페인이 가

장 많은 117만ha, 랑스는 89만ha, 이탈리아는 84만ha를 차지하고 있다. 2007년 1월

EU에 가입한 루마니아는 21만ha, 불가리아도 10만ha의 포도밭을 소유하고 있다.

한 2006년 세계의 생산량은 2억 8,660만hℓ5)(추정)이며, EU 27개국의 생산량6)

은 1억 7,836만hℓ에 이르고 있다. EU 구성 국가별로 살펴보면, 이탈리아 랑스가

가장 많고 스페인이 뒤를 잇고 있다.

EU 법에서 와인의 카테고리(category)는 VQPRD(vin de qualite produitdans une region

determinee)과 일상 소비용인 테이블 와인(vin de table)으로 구분된다. VQPRD은 그 명칭

이 한정된 지역에서 유래하 으며, 특별한 품질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생산 유통에

2) 수확한 포도를 줄기제거와 함께 으깨는 분쇄작업을 하여 포도즙, 과육, 껍질, 씨 등이 함께 섞인 상태.

3) 설탕이나 기타 당분으로 당분을 보충하는 것.

4) 포도·와인 국제기구: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Vine and Wine.

5) 헥토리터: hectoliter = 100ℓ

6) 머스트(Must): 과즙을 제외함.

세계농업 제149호 | 93

표 1 주요 EU 국가의 와인 생산량 추이단위: 천 hℓ

국가명  1999/2000 2000/2001 2001/2002 2002/2003 2003/2004 2004/2005 2005/2006* 2006/2007*

프랑스 60,535 57,540 53,389 50,352 46,360 57,386 51,344 51,600

이탈리아 58,074 54,088 52,293 44,604 44,087 53,135 50,462 52,036

스페인 33,723 41,692 30,547 33,478 41,843 43,168 35,505 37,896

독일 12,244 9,950 8,980 9,984 8,191 10,107 9,256 8,995

포르투갈 7,859 6,694 7,790 6,677 7,283 7,481 7,254 7,532

그리스 3,680 3,558 3,477 3,095 3,804 4,282 3,997 3,909

오스트리아 2,803 2,335 2,493 2,566 2,520 2,685 2,264 2,269

헝가리 - - - 3,333 3,800 5,272 3,567 3,271

자료: EU집행위원회.

한 EC 법 국내법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와인의 카테고리이다. 랑스의 AO

C7) VDQS, 스페인의 DO DOCa, 이탈리아의 DOC DOCG 등이 이것에 포함된

다. 카테고리별 생산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VQPRD는 증가 추세에 있는 반면, 테이블

와인은 감소 추세에 있다. 지리 표시를 인정받은 테이블 와인인 랑스의 뱅드페이

(vin de pays)는 EC 법에서는 테이블 와인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그림 1 VQPRD와 테이블 와인의 생산량 추이

VQPRD 생산량 테이블와인 생산량

(천 hl)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200

4/2

005

200

0/

2001

1997

/97

1992

/93

1988

/89

1984

/

자료: EU집행위원회.

7)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94 | 2013. 1

3. EU산 와인 소비량 동향

EU에서의 와인 소비량은 체 으로 침체되고 있으며 특히 테이블 와인의 소비가 격

감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VQPRD의 소비는 증가하고 있지만, 테이블 와인과 동일하게

생산 과잉 상태이다. 재 테이블 와인과 VQPRD의 소비량은 거의 비슷한 수 이다. 테

이블 와인의 소비량의 감소가 계속된다면 VQPRD의 소비량보다 어질 것이다.

그림 2 EU의 와인 생산량 및 소비량 추이

총 소비량 총 생산량

(천 hl)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0 2004/

2005

2000/

2001

1997/

97

1992/

93

1988/

89

1984/

85

1980/

81

자료: EU집행위원회.

그림 3 테이블 와인의 생산량 및 소비량 추이

테이블와인 소비량 테이블와인 생산량

(천 hl)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2004/

2005

2000/

2001

1997/

97

1992/

93

1988/

89

1984/

85

1980/

81

자료: EU집행위원회.

세계농업 제149호 | 95

와인 소비량의 동향을 구성 국가별로 살펴보면, 이탈리아 랑스가 감소 추세에

있는 반면, 국의 소비량이 폭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최 의 포도 재배 면 을 소유

하고 있는 스페인의 소비량에 근 하고 있는 것이 주목되고 있다.

그림 4 VQPRD 생산량 및 소비량 추이

VQPRD 소비량 VQPRD 생산량

(천 hl)

80,000

70,000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2004/

2005

2000/

2001

1997/

97

1992/

93

1988/

89

1984/

85

1980/

81

자료: EU집행위원회.

그림 5 VQPRD와 테이블 와인의 소비량 추이

VQPRD 소비량 테이블와인 소비량

(천 hl)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2004/

2005

2000/

2001

1997/

97

1992/

93

1988/

89

1984/

85

1980/

81

자료: EU집행위원회.

한 소비량은 지만, 네덜란드나 북유럽 국가들도 증가 추세에 있는데 핀란드나

아일랜드에서는 10년 사이에 소비량이 배로 증가하고 있다. 독일은 소비량이 소량 증

가하고 있으나,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소비량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96 | 2013. 1

4. EU산 와인의 수출·수입

EU산 와인의 수출량은 조 증가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수 으로 수입량이 증가하

고 있으며 10년 사이 거의 배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로 수입량 증가가 계속

된다면, 몇 년 후에는 수출량을 상회할 가능성도 있다. 한 액면에서는 수입액과

수출액과의 차이가 여 히 크다고 할 수 있다.

EU 역외에서의 수입량을 구성 국가별로 살펴보면, 국의 수입량이 가장 많고, 증

가율 한 크다. 1996년에 250만hℓ이었던 수입량이 2005년에는 500만hℓ에 달하고

있다. 한 네덜란드의 수입량도 폭 증가하고 있으며 100만hℓ를 과하고 있다.

통 인 와인 생산국인 랑스나 이탈리아 등에서는 국 등과 비교하여 수입량 자체

는 거의 없지만, 최근 역외에서의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외에, 덴

마크 등 북유럽 국가의 수입량 증가도 주목되고 있다.

EU산 와인의 수출 상 국은 수량 기 으로 할 경우 미국을 선두로 러시아, 스 스,

캐나다, 일본이 상 5개국을 형성하고 있다. 그 가운데 러시아로 수출하는 수량의 성

장이 하다. 2006년에는 캐나다 스 스를 제외하고 미국의 뒤를 이어 2 가 되

었다. 한 향후 국으로 수출되는 수량의 증가도 상된다. 액 기 으로 보면 미

국이 압도 으로 많으며 총수출 액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스

스, 일본, 캐나다, 러시아의 순이 되고 있다. 특히 일본으로 수출되는 와인은 와인의

단가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그림 6 EU 국가별 와인 소비량 추세

40,000

35,00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영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1996/97 1998/99 2000/2001 2002/2003 2004/2005

자료: EU집행위원회.

세계농업 제149호 | 97

그림 7 EU산 와인의 수입량 및 수출량 추세

수입량 수출량

(천 hl)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2004/

2005

2002/

2003

2000/

2001

1988/

89

1996/

97

자료: EU집행위원회. 

EU 역외 수입 상 국으로는 수량 기 으로 할 경우 호주를 선두로 칠 , 남아 리

카, 미국, 아르헨티나가 상 5개국을 이루고 있다. 한 액 기 으로 할 경우 호주,

칠 , 남아 리카, 미국, 뉴질랜드의 순이다.

 유럽집행 원회의 통계자료에 의한 EU 와인 시장 동향을 보면 특히, 통 인 생산

국·소비국에서는 일상용 테이블 와인을 심으로 소비량이 침체되고 있으며 과잉생산

이 만성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 네덜란드, 북유럽 국가 등에서는 소비량의

증가가 보이지만, 이들 국가에서 EU 역외 와인의 수입량이 폭 증가하고 있다는 사

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 결과 으로 EU산 와인이 「뉴 월드(New World)」와인에 시장

을 빼앗기고 있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그림 8 EU산 와인의 수입액 및 수출액 추세

수입액 수출액

(천 유로)

600,000

500,000

400,000

300,000

200,000

100,000

0 2006*-

EU25

2005-

EU25

2004-

EU15

2003-

EU15

2002-

EU15

2001-

EU15

자료: EU집행위원회.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98 | 2013. 1

그림 9 제3국으로부터의 수입량(EU 국가별)

(천 hl)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영국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1996/97 1998/99 2000/2001 2002/2003 2004/2005

자료: EU집행위원회. 

EU에서 남는 와인은 머스트(Must)로 사용되거나 증류되어, 음용 알코올 는 공업용 알

코올이 된다. 이러한 조치는 고액 보조 의 상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조 으로 인하

여 EC의 와인 계 산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 재까지 지 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하여 유럽집행 원회는 EU의 와인 생산자의 경쟁력 향상, 새로운 시장 획득, 수 균형

달성, 환경보 등을 목표로 하고 와인 공동시장제도의 근본개 에 착수하게 되었다.

5. EU 주요 국가별 개황

5.1. 이탈리아 와인

이탈리아의 포도 재배 면 은 약 92만ha (흑포도 65%, 백포도 35%), 연간 와인 생산

량은 약 590만kl로 랑스와 1∼2 를 다투고 있다.

이탈리아 원산의 주된 흑포도 품종은 네비올로(Nebbiolo), 산조베제(Sangovese), 바르

베라(Barbera)종, 백포도 품종은 트 비아노(Trebbiano), 베르디키오(Verdicchio), 맬버시어

(Malvasia)이며 외래품종으로는 포도인 카베르네 쇼비뇽(Cabernet Sauvignon), 멜롯(

Merot), 백포도인 샤르도네(Chardonnet), 피노 그리죠(Pinot Grigio)가 있다.

이탈리아에 와인 제조를 시작한 것은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서

포도 재배를 하면서 부터 다. 그리하여 에트루리아(Etruria) 문명 시 이탈리아 부

세계농업 제149호 | 99

에도 보 되어 약 2000년 로마인이 계승하면서 식민지화된 모든 지배지에 리 보

되면서 확 되었다. 랑크족(Franks)의 왕이었던 컬 제는 수도원의 와인 제조를

보호하 고, 세에는 수도원이 와인 제조에 큰 역할을 다하 다. 16세기에는 와인 생

산기술이 한 층 더 향상되었고 와인이 많이 보 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5.1.1. 이탈리아 와인의 품질분류

비노 다 타볼라(Vino da Tavola)는 랑스의 테이블 와인에 해당한다. DOC의 신청을

하지 않는 와인 보통 등 의 와인이 모두 포함되며 이탈리아 생산량의 80%는 이 등

에 해당된다. EU규정에서는 테이블 와인에는 타국에서 생산된 와인을 블 드(blend)할

수 있지만, 이탈리아에서는 모두 국내에서 수확된 포도만을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비노 다 타볼라(Vino da Tavola)는 비노 다 타볼라(V. d. T.)와 인디카츠오네 제오그라

피카 디피카(I. G. T.) 등 2개로 분류되는데, 비노 다 타볼라(V. d. T.)는 이탈리아 국내

에서 생산된 포도를 사용하며 와인의 색만을 기재한다. 인디카츠오네 제오그라피카

디피카(I. G. T.)는 산지명만 기재하거나 포도 품종명과 산지명을 기재한다.

지정지역 우량 와인은 원산지통제 명칭 와인(D. O. C.)과 보증 부착 원산지 통제 명

칭 와인 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e Garantita(DOCG와인) 이 있다. 2001년 4월

294개 상표 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DOC와인) 지정지역 우량 와인으로 각

주마다 와인의 명칭이 지정되고 있다. 포도 품종, 최 수확량, 양조법 등에 한 규정

을 만족한 와인만이 이 품질 분류명을 표시하는 것이 허락된다. 보증 부착 원산지 통

제 명칭 와인 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e Garantita(DOCG와인) DOC와인 에

서 더욱 엄격한 규정을 만족하고 국가의 제품검사에 합격한 와인에게만 허락되는 등

이다. 재 21개가 인정되고 있다.

5.1.2. 이탈리아 와인 산지

이탈리아는 세계 제1, 2 를 다투는 와인 생산국으로 소비량, 수출량 모두 랑스와

엇비슷하다. 온난한 기후에 혜택을 받고 있는 이탈리아는 토양도 포도 재배에 합하

여, 양질의 와인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 남북으로 긴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기후와 토

양에도 큰 차이가 있어 단맛에서 매운 맛, 가벼운 것에서 무거운 것, 드와인, 화이트

와인, 로제와인 등 다양한 종류의 와인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 양조

과정에서의 규정이 엄격하여 알코올 강화, 보당, 보산, 감소산 등이 제한되어 있어 양

질의 와인이 생산되고 있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00 | 2013. 1

그림 10 이탈리아의 와인산지 및 포도 품종

자료: 조셉 바스티아니치 등. 2010. 「이탈리아 와인 가이드」(주) 바롬웍스.

세계농업 제149호 | 101

와인의 생산지는 이탈리아의 국토인 20개주에 펼쳐져 있는데, 북부에서는 랑

스 와인에 가까운 와인, 부에서는 로마 시 부터의 통이 살아있는 품종군의 와인,

남부지역인 시칠리아, 사르데냐(Sardegna)에서는 다량의 와인이 생산되고 있다.

피에몬테(Piemonte) 지역에서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훌륭한 드와인을 생산하고 있

다. 피에몬테라는 말은 "알 스의 기슭"이라는 뜻으로 이 지역은 알 스의 빙하가 흘러

내려와 아름다운 계곡을 이루고 있다. 피에몬테의 드와인은 강건하고 진하며 독특하

고 숙성되면서 품질이 향상된다. 피에몬테의 최고의 드와인은 바롤로와 바르바 스

코이다. 피에몬테 지방을 표하는 포도종은 사실상 네비올로가 아니라 알바와 아스티

의 바르베라(Barbera)종으로 피에몬테 지방의 체 포도밭 가운데 약 반이 포도를 재

배하고 있다. 얼마 까지만 해도 보통 와인에 쓰이는 품종으로 여겨지던 바르베라 포

도는 발효기술의 개선과 새 오크통인 바리끄통 속 숙성을 통해 지나치게 강한 산성을

완화시켜 요즘은 이 바르베라 와인을 피에몬트 지방의 두 번째 와인으로 손꼽고 있다.

바롤로(Barolo)는 마을 이름인데, 바롤로 마을을 둘러싸고 약 2,000에이커의 면 에

포도나무가 심어져 있다. 바롤로(Barolo)는 최소 알코올 함유량이 13도에서 최고 15도

까지 이르는 와인으로 최소한 2년간을 오크통에서 숙성시키며 병 속에서 일정 기

간 동안 숙성시킨다. 이 와인은 진하고, 드라이하며 심오하다. 바롤로는 산딸기, 버섯,

낙엽이 한데 어우러진 것과 같은 복합 미묘한 향기를 풍기는데 모든 이탈리아 와인

에서 가장 좋은 향기를 발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바롤로는 최고 15년까지 숙성

시킬 수 있으며 숙성되면서 부드러워 진다.

바르바 스코(Barbaresco)는 바롤로와 동북쪽으로 이웃하고 있으며 포도 품종 한

네비올로로 같은 품종이다. 이 와인은 타나로 강으로부터 가을의 서리에 의해 향을

받으며 바롤로와 유사한 와인이지만 체 으로 볼 때 더 가볍고 섬세한 와인이다. 최

고 상태가 될 때까지 부드럽게 해야 할 정도로 지나치게 강하지는 않다. 따라서 안

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발 다오스타(Valle d'Aosta)는 이탈리아 와인지역 에서 가장 작고 아삐네(Alpine)산

맥의 북서쪽 맨 끝에 치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가장 높은 우리를 자랑하고 있다.

이곳의 포도재배는 산악기후에 의해 많은 향을 받아왔으며 수세기 동안 다양한 포

도 품종을 개발하여 왔으며 이곳에서는 높은 산도(High Acidity)와 오랜 기간의 숙성을

필요로 하는 드와인이 리 재배되고 있다. 이곳의 와인은 드라이하며 육류 음식에

잘 어울린다. 이 와인은 어도 3~4년 정도 숙성 시키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02 | 2013. 1

롬바르디아(Lombardia) 지역은 세 개의 주요 포도 재배 지역으로 나 어지는데 스

스 알 스에 의해 형성된 북쪽의 호수 지역, 피에몬테와 이웃 해 있는 남서쪽 지역, 아

다강(Adda River)에 의해 동서로 나눠진 동쪽지역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좋은 와인은

아다강이 흘러 내려 형성된 북쪽에서 생산된다. 발텔리나(Valtellina) 로는 스 스 국

경이 있으며 경사가 심하기 때문에 항상 그늘이 진다. 에서 보면 거의 수직으로 보

이는 포도원에서 발텔리아 와인이 생산된다. 이 지역의 주요 포도 품종은 네비올로인

데 두, 세 가지 다른 포도와 혼합하여 키아벤나스카(Chiavennasca)라는 이름으로 불리우

고 있다. 롬바르디아 동쪽은 가르다(Garda)호수가 있는 곳으로 트 비아노(Trebbiano)

포도 품종으로 만든 루가나(Lugana)라는 가벼운 화이트와인이 생산된다. 이 와인은 가

르다 호수에서 잡히는 신선한 송어와 잘 어울린다. 롬바르디아 지역에는 재 20개의

D.O.C 포도원이 있다.

베네토(Beneto)는 "로미오와 리엣"의 무 가 있는 베로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탈

리아에서도 피에몬테, 끼안띠 다음인 세 번째로 유명한 드와인 생산 지역이다. 북쪽

으로 베로나의 알 스, 비첸사의 돌로미티로 둘러싸인 베로나 언덕이 서서히 내

려오면서 포강과 아드리아해의 끝에 치한 기름진 평원에 이른다. 이 와인은 모벨 와

인처럼 록색 병에 들어 있는 엷은 색의 드라이 화이트와인으로 생선 요리에 아주

잘 어울린다고 알려져 있다. 쏘아베의 동쪽 감벨라라 지역에는 가르가네가 포도로 만

들어지는 가르가네가 디 감벨라라(Garganega di Gambellara)가 있는데 드라이 화이트,

스 트, 스 클링와인이 생산된다. 비앙코(Bianco)라 불리는 화이트와인은 85%가 토카

이(Tocai) 품종으로 만들어진다. 이 지역의 명주로는 알코올 도수가 높고 드라이한

드와인인 (Amarone)와 발포리첼라(Valpolicella)가 유명하다. 발보리첼라는 과거에는 호

평을 받는 와인이 아니었지만 아마로네 포도즙을 짜낸 꺼기에다 와인을 다시 한 번

발효시키는 리 소(ripasso)라는 옛날 양조 방법을 사용하여 풍부한 질감의 드와인으

로 재탄생 되었다.

트 티노 알 아디제(Trentino Alto Adige) 지역은 이탈리아의 가장 북쪽에 치해

있으며 오스트리아와 국경을 맞 고 있다. 이곳에서는 랑스와 독일의 통 인

포도 백포도 품종들이 재배된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매력 이고 믿을 만한 가벼운

맛의 와인을 생산하고 이곳은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매를 진하고 품질의 표

을 정하는데 가장 노력한 지역이다. 이탈리아 와인 수출의 반 정도가 이곳에서 이

루어지며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주 고객이다. 실바 , 트라미 , 리스링, 피노 블랑, 피

세계농업 제149호 | 103

노 그리죠 등 익숙한 포도 품종들이 이곳에서 주로 재배되는 것들이다. 볼자노와 메라

노 사이에 있는 테롤라노 부근 아디제 계곡 윗부분이 화이트와인을 생산하는 가장 좋

은 지역이다. 강 건 서남쪽 경사에서는 피노 블랑과 쇼비뇽 포도가 자라며 숙성된

와인은 달콤해지고 후해진다. 피노 블랑은 보다 가벼우며 사과 맛이 나고, 쇼비뇽은

강하면서 짙은맛의 견과류와 같은 맛이 난다. 알 아디제의 약간 쓴맛인데 이 지역의

독특한 맛이라고 할 수 있다. 볼자노 부근의 알 아디제에는 라고 디 칼다로(Lago di

Caldaro)와 싼타 마달 나(Santa Maddalena)라는 맛 좋기로 유명한 드와인이 있다. 싼

타마달 나는 유명하며 포도나무는 덮인 알 스가 보이는 경사가 심한 언덕에서

자란다. 칼다로와 맏달 나의 혼합용 포도인 라그 인(Lagrein)이란 포도가 이 계곡의

특징을 이루며 뚜렷한 개성을 가진 로제 와인을 만든다.

리울리 베네치아 리아(Friuli benezia giulia) 지역은 이탈리아의 동북쪽 코네에

치하고 아드리해의 해변 끝으로 약간 경사가 있다. 풍성한 포도 재배 지역이지만 4분

의 1만이 포도 재배에 알맞은 언덕에 치해 있다. 부분 지역의 포도 재배 특성은

앞서 언 한 베네토지역과 비슷하다. 양조장의 설비 기술이 가장 화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세계인에 입맛에 맞는 고품질의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이곳의 주요 와인 생산 지역을 크게 세 곳으로 나 수 있는

데, 동쪽 리울리 언덕의 꼴리 오리엔탈리 델 리울리(ColliOrientali del Friuli), 서쪽

리울리 언덕의 꼴리 그라베 델 리 리울리(Colli Grave del Friuli), 그리고 고리치아노

언덕의 꼴리 고리 아노(Colli Goriziano)이다. 이들 보다 약간 뒤떨어지는 것으로서 이

손쪼(Isonzo), 아퀼 이아(Aquileia), 라티쟈나(Latisana)가 있다.

리구리아(Liguria)는 이탈리아의 와인지역 에서 가장 작은 면 을 가진 지역의 하

나다. 그러나 이곳은 진정한 포도연구의 낙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지역의 오래된 옛

지역과 고 의 포도원에서는 100여종이 넘는 포도나무를 불 수 있다. 리구리아는 단지

2개의 DOC와인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의 남쪽 끝에서 만들어진다. 라 스페

치아(La Spezia)는 북쪽해안을 따라서 드라이 화이트와인인 칭퀘 테 (Cinque Terre)와

샤 트라(Sciacchetra)라고 알려진 같은 지역 포도로 만든 리퀘에르 와인이다.

이탈리아의 동부에 치한 에 리아 로마냐(Emilia Romagna)는 포 강변의 오른쪽

에서 산기슭에까지 이르고 있으며, 아뺀니니 산맥과 이어지는 하고 기름진 평야

지 이다. 이 지역은 포도 재배뿐만 아니라 와인 연구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기름진

땅은 포도의 생산을 늘려 주는데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세 가지 포도 품종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04 | 2013. 1

은 람 루스코(Lambrusco), 트 비아노 (Trebbiano), 알바나(Albana)이다. 모데나(Modena)

는 람 루스코 와인의 심지인데 여러 종류의 람 루스코 포도 품종이 이곳에서 재

배된다. 이들 품종들은 싱싱하고 세미 드라이(semi-dry)한 인기 있는 람 루스코 와인을

생산한다. 이 와인은 알코올 함유량이 10.5-11도로 낮은 편이며, 신선하고, 마시기 쉽

고, 향기와 맛이 상쾌한 와인이라고 한다. 모데나의 인근에는 르마(Parma)가 있는데

이 지역은 와인뿐만 아니라 마산 치즈(Parmasan Cheese)로 유명하다. 드와인에 마

산 치즈는 매우 잘 어울린다. 에 리아 로마냐의 심지인 볼로냐(Bologna)는 이탈리아

부에 치하며 미식가의 본고장이다.

토스카나(Toscana)는 이탈리아 와인의 본고장이며, 짚으로 싼 끼안띠는 세계인들의

뇌리 속에 이탈리아 와인을 생각나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포장법은 유리가 비 던 시

병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하여 개발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많이 쓰이지 않고 있

다. 포장하기가 힘들고 볏짚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곰팡이가 쉽게 피고,

원가가 많이 든다는 단 이 있다.

끼안티(Chianti)는 지역의 한계, 포도 품종, 생산 방법 등 D.O.C.법에 규정되어 있는

사항들을 정확히 지켜오고 있다. 끼안띠는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포도를 혼합하여 만

든다. 주요 품종은 산조베제(Sangiovese)로서 체의 50~80%, 까나이올로 네로(Canaiolo

Nero)가 10~30%, 화이트 트 비아노 토스카노(Trebbiano Toscano), 말바지아 델 끼안띠

(Malvasia del Chianti)가 10~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5% 정도는 이 지역 토종 포

도를 사용한다. 끼안띠의 통 인 양조 방법은 발효가 끝난 후 건포도로 만든 발효되

지 않은 와인을 첨가함으로써 와인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끼안티(Chianti)는 6개월에서

1년 정도 숙성시키는데 상큼하면서도 과일향이 그윽한 가벼운 와인이다. 이 와인은 기

름진 음식에 잘 어울리는데 와인에 포함된 산도가 음식의 소화를 도와주기 때문이다.

끼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는 포도원의 앙 지역에서 산출된 양질의 포도로 만

들어진다. 최소 2년을 오크통에서 숙성시키며, 모든 과정이 D.O.C.법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는 고품질 와인으로 알려져 있다. 끼안티 클라시코 리제르바(Chianti Classico

Riserva)는 병에 넣기 오크통에서 3년간 숙성시킨다. 이 와인은 끼안띠의 트 이드

마크인 짚으로 싸지 않으며 보르도 타입의 병을 사용한다. 이 와인은 여러 가지 면에

서 보르도의 샤 와인을 연상하게 한다. 병 모양, 품질, 통 있는 개인 회사 소유지

에서 포도가 재배되고 병으로 포장되는 것까지 비슷하다. 리제르바는 산도와 탄닌이

조화를 이룬 무거우면서도 부드러운 맛을 낸다. 이 와인은 보다 우아하고 섬세한 음식

세계농업 제149호 | 105

에 잘 어울린다.

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는 D.O.C.G.와인으로 강건하고 맛이 깊

으며 진한 향기를 발한다. 이 와인은 생산량이 고, 품질이 높으며, 오래 보 할 수

있어 국제 인 명성을 얻고 있다. D.O.C.법은 이 와인을 최소 4년을 오크통에서 숙성

시키도록 하고 있다. 비노 노빌 디 몬떼풀치아노(Vino nobile di Montepulciano)는 루

넬로 디 몬탈치노의 동쪽에 치해 있다. 이 와인은 4개의 포도 품종을 혼합하여 만드

는데 2년 이상을 오크통에서 숙성시키며, 리제르바는 3년, 리제르바 스페샬 는 4년을

숙성시킨다. 향기와 스타일이 끼안띠 클라시코와 비슷하다. 이외에도 비노 다 따볼라

등 에 속하면서도 세계 100 와인 하나인 사시까이야가 있다.

이탈리아 부 지역에 치한 움 리아(Umbria)에는 아씨시(Assisi), 페루지아(Perugia),

오르비에토(Orvieto)가 있다. 이곳은 기후가 온화하고 티베르(Tiber)강이 완만한 언덕 사

이로 흐르는 아름다운 고장이다.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은 특히 화이트와인의 포도 품종

에 매우 알맞은 조건이다. 이탈리아의 심장부라 불리는 움 리아는 양질의 포도를

량 수확할 수 있는 자연 인 조건이 잘 갖추어져 있는 지역이다. 오르비에토(Orvieto)는

이곳의 표 인 와인으로 국제 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쏘아베, 라스카티와 더불

어 가장 인기 있는 이탈리아 화이트와인이다. 미묘하고 섬세한 맛의 오르비에토는 이

지역의 통 인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오르비에토는 세코(Secco)8)와 아보카토

(Abboccato)9), 두 가지 타입으로 만들어진다. 둘 다 엷은 황 색을 띄고 있으며 과일향

의 신선함을 느낄 수 있고 뒷맛이 오래가는 것이 특징이다. 오르비에토 클라시코는 이

지역의 심지에서 수확한 포도로 만든 고품질 와인이다

이탈리아의 동부, 아드리아해를 향하고 있는 마르께(Marche)는 훌륭한 와인들이

생산되는 곳이다. 이 지역의 베르디끼오 데이 카스텔리 디 지(Verdicchio dei Castelli di

Jesi) 와인은 화이트와인 에서도 뚜렷한 개성을 지닌, 매우 드라이한 와인이다. 이 와

인은 엷은 록색을 띠며 섬세하고 우아한 향기를 풍기며 마신 후에 약간의 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아 루쪼 지역은 마르께 보다 산이 더 많은 지역으로 아드리아해의

해안선을 따라 치해 있다.

아풀리아(Apuglia)는 와인 생산에 있어서 다른 지역을 주도하고 있는데 재는 블

딩 와인의 주요 공 원으로서의 옛 이미지를 버리고 드뿐만 아니라 화이트와 로제

와인도 생산하기 시작하 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드와인은 색깔이 검붉고 알코올

8) 영어로는 dry.

9) 영어로는 semi-dry.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06 | 2013. 1

농도가 높지만 산도는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몇몇 지역에서는 균형 잡힌 와인들을

생산하는데 카스텔 델 몬테(Castel del Monte), 산세베로(San Severo)는 드, 화이트, 로제

와인으로 만들어진다. 특히 로제와인은 인기가 높은 편이다.

이탈리아 남서부, 나폴리 동쪽 베수비오산(Mt. Vesuvius)이 우뚝 솟아 있는 깜빠니아

(Campania)는 지구상에서 가장 독특한 지역 의 하나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검은 속

돌들이 땅에 깔려 토양을 기름지게 하고 있다. 작물이 생장하기에 이상 인 기후로 모

든 작물이 잘 자라는 곳으로 1년에 삼모작을 할 수 있다. 포도나무 역시 왕성하게 자

란다. 라크리마 크리스티(Lacrima Christi)는 깜빠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이다. 이것

은 베수비오산 근처의 낮은 산등성 포도원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무 드라이하지

않고 부드러우며 우아하고 향기가 좋은 황 색을 띄는 와인이다. 소량의 드와인과

로제 라크리마 와인도 생산된다.

바실리카타(Bacilicata)는 이탈리아 와인 생산 지역 에서도 하 에 랭크되고 있지만 이

곳에서 생산되는 알리아니코 델 불투 (Aglianico del Vulture)는 최고 와인이다. 이 와인

은 남부 이탈리아 지역의 와인 에서는 최상 에 속한다. 숙성을 오래하면 진한 향기를

풍긴다. 이곳은 이탈리아 포도 재배지 에서도 가장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 하나이며

알리아니꼬가 재배되는 산기슭은 화산 지 이다. 이 지역이 우수한 포도 재배 지역이라

는 것은 뛰어난 알리아니코 델 불투 (Aglianico del Vulture)와인만 도 알 수 있다.

이탈리아 서남부 가장자리에 치한 칼라 리아(Calabria)는 높은 산과 기름진 계곡,

황무지, 차가운 바람과 열 성 해안으로 서로 상반된 자연 조건을 지니고 있다. 포도

를 재배할 수 있는 땅이 많지 않고 부분이 드와인과 로제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마피아와 마살라로 유명한 시칠리아(Sicilia)는 이탈리아 반도 남서쪽에 치한 큰 섬

으로, 모든 유형의 와인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평범한 테이블 와인에서부터 알코올 함

유량의 많은 디 트 와인에 이르기까지 150여 종류에 이르고 있다. 마살라 와인은 까

타라토(Catarrato), 그릴로(Grillo), 인졸리아(Inzolia) 품종으로 만든 와인을 알코올 강화시

킨 것이다. 마살라 와인은 트라빠니(Trapani), 팔 르모(Palermo), 아그리젠토 (Agrigento)

지역에서 주로 생산된다.

이탈리아 본토에서 서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샤르데냐(Sardegna)는 코르크, 올리 ,

포도나무가 무성하게 잘 자라는 섬이다. 샤르데냐는 디 트 와인으로 잘 알려져 있으

나 인 방법으로 훌륭한 테이블 와인도 생산되고 있다. 이 지역의 한 두 와

인은 섬의 남쪽의 평원에서 생산되는 라구스(Nuragus) 화이트와인과 북쪽에서 생산

세계농업 제149호 | 107

되는 까논나우(Cannonau) 와인이 있다. 라구스 디 칼리아리(Nuragus di Cagliari)는 일

반 에게 매되는 것은 알코올 함유량을 12도 정도로 약하게 하고 있으며, 화이트

와인 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까논나우 디 샤르데냐(Cannonau di Sardegna)는 드

와인으로 섬 체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같은 포도 품종으로 드라이(dry), 세미 스 트

(semi-sweet), 스 트(sweet), 로제(rose) 와인으로 만들어진다.

5.2. 프랑스 와인

랑스의 포도 재배 면 은 약 91만ha (흑포도 65%, 백포도 35%)로 연간 와인 생산

량은 약 540만kl이다. 랑스의 와인의 역사는 기원 에 페니키아인(Phenician)이 마르

세유에 기지를 구축했을 당시 와인 만드는 기술을 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그 후

로마인의 륙정복과 함께 포도 재배는 역으로 확 되었다고 한다. 4세기 , 콘스

탄티 스 황제에 의해, 그리스도교가 공인되면서 미사(missa)10)용 와인의 수요가 포도

원의 발 을 진시켰고 로마제국의 붕괴 후에도 발 은 계속되었다. 사원이나 수

도회의 설립과 포도원의 발 은 동시 진행된 것이다. 12세기에 들어서면서 랑스 와

인은 국, 랑드르 지방, 게르만 제국에 수출되었고, 리 체제도 자리 잡 갔다.

  랑스의 와인은 이러한 역사를 배경에 통 인 포도 품종, 재배 방법, 양조 방법

을 고수하고 각 산지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발 해 왔다. 그리고 양도 많았을 뿐만 아

니라, 질 으로 매우 뛰어난 와인을 다양하게 생산하여 와인왕국에 어울리는 지 를

차지하기에 이르 다.

5.2.1. 프랑스 와인의 품질 분류

EU의 규정은 와인을 테이블 와인(vin de table)과 VQPRD(지정지역 우량 와인)으로 나

고 있다. 랑스에서는 그것을 둘씩에 나 어,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다.

테이블 와인의 약 40%를 차지하는 테이블 와인(vin de table)의 알코올 함유량은 생산

지역에 따라 8.5% 는 9% 이상, 15% 이하이다. 랑스산이라면 Vins de Tablefrancais(

랑스산 테이블 와인(vin de table))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테이블 와인(vin de table)은, EU

가입국산 와인의 블 드(blend) EU 지역내에서 생산된 포도 과즙을 랑스에서 빚은

와인과 배합한 것도 있지만, EU역외에서 수입된 와인의 블 드(blend)는 지되어 있다.

랑스 와인의 약 14%를 차지하는 뱅드페이(Vin de Pays)는 테이블 와인(vin de table)

10) 가톨릭 신앙생활의 중심을 이루는 종교의식으로, 하느님에게 드리는 제사.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08 | 2013. 1

에서 상 등 의 와인으로 산지가 명시되는 와인이다. 뱅드페이(Vin de Pays)의 경

우 품질기 은 지정 품종을 이용하여야 하며, 한정된 토지에서 생산되어 알코올 함유

량이 지 해 연안지방에서는 10% 이상, 기타 지방은 9.5% 내지 9% 이상이다. 한 분

석상의 규칙과 기 을 만족하여야 하는 특징을 가진 와인이다. 이것은 ONIVINS( 국

와인 동업자연합회)에 의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VDQS(Vin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우수 품질 제한 와인) 이 와인은 AOC와인

다음으로 치가 부여되고 있으며 법률로 정해진 원산지에서 만들어진 고 와인이

다. 포도 품종, 최 알코올도, 최 수확량이 한 규칙과 기 을 만족하고, INAO(국

립원산지명칭연구소)의 검사를 통하여 감정가의 시음 테스트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AOC와인에의 승격이 약속되어 있기 때문에 재 랑스 와인의 1%에 지나지 않고 있다.

AOC(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원산지 통제 명칭 와인)는 랑스 와인의 약 35%

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산지명이 와인의 명칭이 되는 것으로 1935년에 제정된 원산지

통제 명칭법 (AOC법)에 의해 규제되고 있으며 INAO(국립원산지명칭연구소)에 의해

리되고 있다. 재 AOC와인은 약 400개종이 있다. 규제 내용에는 생산지역의 지정,

포도 품종의 지정, 수확 시 포도 당분과 알코올 비율 규정, 1헥타르당의 와인 생산량,

포도의 정지(整枝) 재배법의 지정, 수확일의 결정과 양조법의 지정, 와인 품질의 결

정, 생산에 한 통제 리와 매매의 신고, 병포장 시 라벨 표시의 의무사항 등이 있

다. 원산지 표시 구역은 지방, 지구(地區), 마을, 밭과 다양한 구분이 있지만, 지방에서

지구, 지구에서 마을, 마을에서 밭으로 구역이 좁아짐에 따라 AOC법에 의한 규제가

엄격해진다. 즉 AOC명의 구역이 좁은 만큼 와인의 품질은 특징이 있는 것으로 고 품

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보르도 지방에서는 포도원을 샤토(chateau)라고 부르기 때문에 샤토(chateau)명칭이

붙은 와인이 많이 보이는데, AOC명이 지역명인 것부터 마을명인 것까지 다양하여 와

인의 품질에는 상당히 폭이 넓다고 할 수 있다. AOC와는 달리 와인 계 업자들이 와

인 제조 구역인 ‘Cru Classe’ ‘Grand Cru Classe’의 등 을 가진 지방이 몇 군데 있다.

1855년의 리 만국박람회 개최와 함께 보르도 상공회의소는 메독(Médoc)과 소테른

(Sauternes)의 샤토(Chateau)의 등 을 매겼다. 재도 효율 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Cru

Classe’에는 메독의 60개 샤토(chateau), 소테른의 26개 샤토(chateau)가 등 이 매겨져 있

다. 기타 지역에는 그라 (Graves)(1959년 등 ), 쌩떼 리옹(Saint-Émilion)(1955년 등 ,

1996년에 5회째 재검토) 등이 있다.

세계농업 제149호 | 109

그림 11 프랑스 보르도 지방

보르도

자료: www.google.com

부르고뉴 지방에는 보르도의 샤토(chateau)의 등 에 상당하는 것으로 끌리마(Climat

, 밭)의 등 이 있다. 특 (Grand Cru), 제1 (Premier Cru)의 등 이 있으며 등 끌리마

자체가 AOC명이 되고 있다.

5.2.2. 프랑스 보르도 와인

보르도 포도원은 랑스의 남서부 서양의 연안에 치하며 북극과 도의 정 앙

에 있으며 지롱드(Gironde) 지방 반에 걸쳐 있다. 가론(La Garonne)강과 도르돈뉴(La

Dordogne) 강 그리고 수많은 지류들이 이 포도원을 지나가고 있어 자연 으로 풍부한

수자원의 혜택을 받고 있다. 이 지방의 온도를 조 해주며 따뜻하게 해주는 더운 바다

바람인 걸 스트림(Gulf Stream)11)과 지롱드강(La Gironde)의 안으로 들어온 만과 강들

이 있고 서풍을 막아주는 랑드 숲으로 인해 이 곳 기후는 매우 온화하다. 가론강의 좌

안과 지롱드강의 내포 에 펼쳐진 토양은 개 자갈 많은 땅과 두께를 달리하며 쌓

여있는 가론강의 퇴 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갈이 많이 포함된 토양은 배수가 매우

11) 북대서양의 북아메리카 연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세계 최대의 난류(暖流). 멕시코만에서 대서양을 횡단하여 유럽 북서 해

안을 따라 흘러 북극해에 이름.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10 | 2013. 1

뛰어나며 열기를 품고 있을 수 있어 포도가 성장하는데 좋은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지방명칭을 가진 와인을 살펴보면 메독에 이어 그라 명칭은 드라이 화이트와인과

드와인에 용된다. 토질은 자갈 등 퇴 물 층이 모래 섞인 토양이나 토성 토양

에 섞여 구성된다. 몇 년 부터는 북부 그라 는 뻬싹- 오냥(Pessac-Leognan)이라는 자

신만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여기에서 모든 그라 지방의 그랑크뤼 와인을 발견할

수 있다. 남쪽으로는 토질에 모래성분이 더 첨가되며 화이트와인 생산이 유리하므로

드와인의 경우는 더 가벼운 성질을 띤다. 그라 쉬뻬리웨르는 감미가 풍부한 화이

트와인을 자랑한다. 그라 와인도 그랑 크뤼 상이 된다.

소테른은 스 트한 와인의 생산지인 이곳은 가론강 좌안에 치하며 석회질의 규

토, 그라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침에는 안개가 끼고 낮에는 활짝 개는 특수한

기후가 형성되어 "보트리티스 시네 아균(Botrytis Cinerea)"이 왕성히 번식한다. 이 주류

는 수확기에 다다른 포도에서 번식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서 당도를 높일 뿐만 아

니라 신맛을 없애주며, 익은 과실(살구, 복숭아)향, 아카시아, 오 지 껍질향을 내는 특

수 방향 물질을 생성시킨다. 쌩떼 리옹 지역은 도르도뉴강(La Dordogne)의 좌안에

치하며 리부른느 도시 주변지역에 퍼져있다. 메를로 품종이 주된 품종인 드와인 지

역이다. 실제로 이 지역에는 토양이 매우 다양하지만 체로 진흙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이 메를로 품종에는 최 의 조건이 되고 있다. 이 지역 와인은 주로 장기 숙성용

이 많으며 메독 와인보다 향의 변화가 두드러진 것이 특징이다. 이 포도원은 상이한

토양들로 구성된 세도시를 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석회질 고원, 석회 성분과 모래

진흙의 언덕들, 아래쪽은 진흙 섞인 모래가 주성분인 토양 등이 표 이다.

뱅 데 꼬뜨(Vins des Cotes)는 지롱드강(La Gironde), 가론강(La Garonne), 도르도뉴강(La

Dordogne) 우안에서 생산되는 와인이다. 산지에 따라 독특한 개성과 특징을 지녔으며

색, 향기, 농도, 과일 맛의 차이에 따라 구별된다. 앙트르 두 메르(Entre-deux-mers) 지역

은 가론강(La Garonne)과 도르도뉴 강(La Dordogne) 사이에 치한 이 포도원은 이곳을

둘러싼 두 개의 커다란 강으로 인해 그러한 이름을 얻게 되었다. 서양 연안의 늪지

를 끼고 있어 마치 두개의 내포로 형성된 바다를 안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언덕에

서 작은 골짜기로 갈수록 토양은 극단 으로 변해간다. 석회, 모래, 규암, 자갈 등이

부분 진흙과 섞여있는 것이 특징이며 감미하지 않은 화이트와인만을 생산하는 포도

원이다. 뽀므롤(Pomerol) 지역은 지하 토양은 철분이 함유된 충 층으로 이루어진 특성

을 갖고 있어 ‘쇠 꺼기’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이 와인들은 매우 강하며 풍부하고

세계농업 제149호 | 111

개는 붉은 열매나 숲의 어린 나무들의 향과 더불어 동물성 향이 살짝 난다. 뽀므롤

에는 공식 으로 그랑 크뤼 분류가 용되지 않는다. 롱싹(Fronsac) 지역은 릴(l'isle)

과 도르도뉴강 사이에 진흙과 석회성분, 혹은 진흙과 모래로 이루어진 언덕에 치하

고 있으며 롱싹과 까농 롱싹(Canon-Fronsac)은 알코올 함량이 높으며 장기보 이

가능한 드와인을 생산한다.

5.2.3. 프랑스 부르고뉴 와인

부르고뉴 지방의 포도원은 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포도원 하나이다. 서기 약 300

년경, 갈로 로망 시 에 한 로마 황제의 극 인 진흥 정책으로 이 지역 포도원은

속히 발 하게 되었다. 세에는 이 지방의 성직자들과 주들이 부르고뉴 와인을

랑스와 유럽 역에 알려 부르고뉴 와인은 오늘날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 로, 당

시 부르고뉴의 공작들은 거의 모든 나라에 표부를 설치하 으며, 그들이 지배하던

토는 오늘날의 네덜란드, 벨기에와 스 스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미사 집 과 환자

치료를 해 와인을 사용했던 가톨릭 성직자들이 수 세기에 걸친 와인 제조기술 완성

에 노력하면서 이 지방 포도원 발달에 큰 기여를 하 다. 포도원 면 은 24,000ha이다.

부르고뉴 지방의 자연 환경은 겨울에는 한랭하고 빙결기가 잦으며 여름에는 고온인

륙성 기후이다. 이 지역 사람들은 어린 묘목에 치명 인 춘빙(春氷) 상을 막기

하여 포도원 앙에 화덕을 만들어 체 으로 기온을 높인다. 토양의 다양성으로 인

하여 와인, 포도원, 상품명 한 다양하다. 샤블리(Chablis)포도원은 석회질의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양은 석회질의 이회토(弛灰土)이다. 꼬뜨 드 뉘(Cote de Nuits)포도

원은 가 르며 경사가 심하고, 석회질의 이회토와 편암질(片岩質)의 토로 이루어져

있다. 좀 더 활한 꼬뜨 드 본(Cote de Beaune)포도원은 남동향이며, 석회질, 토, 규

토로 이루어져 있다. 구릉이 연속 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마꼬네(Maconnais)포도원 역시

석회토와 토성 석회토로 이루어져 있다.

오쎄르시 근처에 치한 샤블리 포도원의 면 은 2,400헥타르 정도이며 석회암 토

양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포도원에서 재배된 샤르도네 포도는 감미를 하지 않은

화이트와인을 생산한다. 샤블리 와인은 포도원 근처의 땅에서 수확된 포도로 만들어

지는데 가볍게 마시기 좋으며 햇포도주로서 즉시 소비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12 | 2013. 1

그림 12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

자료: www.google.com

꼬뜨 드 뉘(Cotes de nuits) 지역의 토양 지하는 산성백포, 표면은 이회암(泥灰岩)12)으로

구성되었으며 약간 석회질이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으로는 나폴 옹 1세가 가장

애음했다고 알려진 샹베르땡(Chamcertin), 뮈지니(Musigny), 수도원의 지 으며 재 슈

발리에 뒤 따스뜨뱅(Chevalier du tastevin)의 본거지인 끌로드 부조(Clos de vougeot), 세계에

서 가장 우수한 와인의 하나를 생산하는 로마네 꽁띠(Romanee-Conti) 등이 있다.

꼬뜨 드 본(Cotes de Beaune) 지방의 토질은 꼬드 드 뉘 지역과는 매우 다르며 꼬드

드 본의 토질은 매우 다양하여 자갈이 많고 철분이 함유된 소 성분을 띤 토, 석회

질 토양, 이회암의 석회암, 맑은 이회암등을 포함하고 있다. 볼 (Volnay), 뽀마르

(Pommard), 본(Beaune), 알록스 꼬똥(Aloxe Corton)등 우수한 드와인을 생산할 뿐만 아

니라 몽라쉐(Montrachet), 뫼르소(Meursault), 꼬똥 지방에 포도원을 소유했던 샤를마뉴

제를 기념하여 명명된 꼬똥 샤를마뉴(Corton Charlemagne)등의 탁월한 화이트와인을

생산, 화이트와인은 섬세한 과일 향을 지닌 감미하지 않은 와인이다. 드와인도 완벽

하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장기보 용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꼬뜨 샬로네즈(Cotes de Chalonnaise) 지역에서 재배되는 포도품종 가운데 피노 와는

12) 석회분이 풍부한 퇴적암의 일종임.

세계농업 제149호 | 113

갈색 석회석 지 의 토양으로 이루어진 메르 (Mercurey), 지 리(Givry), 뤼이 일부

지역에서 재배된다. 그 외 비노 블랑, 피노 그리, 알리고떼, 가메 등의 여러 품종을 안

배하여 다양하게 재배하고 있다. 꼬뜨 샬로네즈의 북쪽에서 생산되는 부르고뉴 알리

고떼 부즈롱(Bourgogne Aligote Bouzeron)은 쉽게 마실 수 있는 감미하지 않은 화이트와

인이다. 서쪽의 꾸슈아 (Couchois) 포도원에서는 부르고뉴 드, 화이트와인을 생산한다.

마꼬네(Maconnais)는 과일풍미와 방향을 지닌 부르고뉴 크뤼의 다른 생산지이다.

일반 으로 이회암질이며 화이트와인을 생산하는 남부는 토와 석회질 토양이다. 마

꼬네 지역은 부분 화이트와인이나 소량의 드와인과 로제와인도 생산하고 있으며

가장 유명한 와인은 뿌이 퓌세(Pouilly Fuisse)이다. 이 와인은 녹색을 띤 빛 화이트와

인이며 일반 으로 숙성을 거치지 않고 마시거나 10년 이상의 보 기간을 거쳐도 향

기를 잃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마꽁 비라쥐는 부 화이트와인이며 감미가 없고 과일

향이 나며 숙성을 거치지 않고 마시기에 좋다.

5.3. 스페인 와인

스페인에는 로마시 이 부터 포도가 재배되었다. 3,000년 , 페니키아인들이 스

페인에 그들의 무역 거 을 세웠다는 것이 기록에 남아 있다. 폼페이의 폐허에서 발견

된 스페인산 와인 주 자(Wine Jar)는 로마 령기에 스페인과 로마 사이에 활발한 교

역이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8세기에 스페인을 정복한 무어인13)들의 통치 기간에도

포도 재배는 번창하 다. 이 기간에 증류기(Pot Still)가 사용되었는데 서기 900년경에

알코올 강화 와인(셰리)14)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스페인의 포도밭의 면 은 160만 ha로 넓이로는 세계 1 지만, 생산량은 300~400만

kl로서 이탈리아의 랑스의 약 50% 정도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포도가 다른 작물과

혼합 재배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스페인의 경우 스페인 독자 인 포도품종

이 많아 200종 이상의 포도품종이 재배되고 있지만, 일반 으로는 아이 (Airen)종 외

에 7개 품종이 체의 7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넓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산지

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와인의 생산지 호칭은 다른 국가들보다 뒤늦은 1926년에

리오하(Rioja)를 거 으로 시작되었으며, 1933년 헤 스(Jerez)가 명산지로서 정비되었

13) Moor인: 아프리카 북서부의 이슬람교를 믿었던 종족.

14) 셰리와인(Sherry Wine): 발효가 끝난 일반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를 높인 스페인 와인으로 포트와인(Port

Wine)과 함께 세계 2대 주정 강화 와인이다. 비교적 드라이하여 식사 전에 식욕을 촉진시켜 주는 식전와인(Aperitif Wine)으로

주로 이용됨.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14 | 2013. 1

다. 특히 1970년에는 이것이 개정되어, 국 인 원산지 호칭법(Denominaciones de

Origin, D·O)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이 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리오하(Rioja)나 헤 스

(Jerez) 등의 특히 명한 몇 개 지구를 제외하고 품질면에서는 아직 엄격한 리가 이

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EU에 가입하면서 EU집행 원회의 1987년 규정에 따라

랑스의 A.O.C와 같은 리를 실시하게 되면서 본격 인 정비의 강화가 개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재 39개의 DO 지구가 제정되었고, 다양한 와인에 각각의 토지의

통에 기 한, 생산지구, 포도품종, 토양, 양조, 숙성방법, 알코올 농도 등 화학분석식,

능검사 등을 규정해서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5.3.1. 스페인 와인의 주요 생산지역

라만차(La Mancha) 지역은 돈키호테로 유명한 곳이며 스페인의 부, 마드리드의 바

로 남쪽에 치하여 포도 재배 면 이 가장 넓어 많은 와인이 생산되기 때문이다. 라만

차 평원에서 생산되는 많은 와인이 발데빼냐스(Valdepenas) 마을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

며 이들은 13도 정도의 높은 알코올 함유량을 지닌 엷은 드와인으로 드 센시벨

(Cencibel)과 화이트 아이 (Airen) 포도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혼합은 효과 인

방법으로 최고의 발데빼냐스 와인은 강건하면서도 과일향이 나는 섬세한 와인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그림 13 스페인 와인 생산 지역

자료: www.google.com

세계농업 제149호 | 115

리오하(Rioja) 지역은 스페인에서 훌륭한 드와인을 생산하는 최고 산지이며, 자라

고자(Zaragoza)의 서쪽에 치한 에 로(Ebro)강 유역이다. 인 지역인 랑스의 보르도

에 포도 염병이 만연하여 상인들이 보르도를 체할 만한 지역을 물색할 때 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리오하(Rioja)지역의 표 인 포도품종은 템 라닐로(Tempranillo)이지

만 늘 가르나차(Garnacha)포도와 섞어 와인을 빚는다. 리오하 와인은 지역에 따라 특성

이 다른데, 리오하 바하(Rioja Baja)지역의 와인은 알코올 함량이 높고 맛이

하고, 리오하 알라베사(Rioja Alavesa) 지역의 와인은 숙성이 짧아 방 마실 수 있고 과

일 맛이 풍부하다. 리오하 알타(Rioja Alta) 지역은 고 와인 생산의 지역이다.

스페인의 가장 남쪽 안달루시아(Andalucia) 지방에 치한 헤 스 델 라 흐론테라

(Jerez de la frontera)는 3,000여 년 동안 무역 거 도시 으며 수 세기 동안 이곳에서

생산된 와인은 명성을 가지고 있다. 400여 이곳 와인을 국에 수출하기 해 술통

에 상표를 붙이기 시작하 다.

루에다(Rueda) 지역은 세고비아(Segovia)와 아빌라(Avila)의 북쪽에서 옛 왕국 온

(Leon)까지 이르는 황갈색 지 에 뻗어 있는 가스띨 (Castile) 평원을 두에로 강이 가로

지르고 있는데, 포르투갈에서는 도우르(Douro)라 부르는 이 강은 포트 와인(Port Win

e)15)의 고향이다. 사모라(Zamora)에서 아란다 데 두에로(Aran da de Duero)로 흘러 들어

가는 두에로와 그 지류가 이루는 좁은 계곡의 바야돌리드(Valladolid) 주변에는 오래

부터 와인 양조 통이 해 내려오고 있다. 이곳의 와인은 알코올 함유량이 많고

드와인은 검은빛이 나며 화이트와인은 완 히 숙성 되지 않은 셰리 와인과 비슷하다.

몬띠야(Montilla) 지역은 셰리의 고장 헤 스에서 북동쪽으로 100여마일 떨어진 곳에

몬띠야-모릴 스(Montilla-Moriles)지역이 치해 있다. 몬띠야 와인은 셰리와 거의 비슷

한데 조 다른 을 든다면 몬띠야는 띠나하스(Tinajas)라는 커다란 진흙 항아리에서

발효시킨다는 이다. 50여 년 까지만 해도 이 지역의 포도들은 두 지역이 하나인

것처럼 헤 스에서 블 드되었다. 이곳 와인의 특징은 높은 천연 알코올 함유량에 있

으며 셰리와는 달리 알코올을 강화하지 않은 상태로 수출된다. 몬띠야의 천연 알코올

도수는 16도 정도이다.

15) 발효 중인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한 포르투갈의 스위트한 주정강화 와인으로 셰리 와인(Sherry Wine)과 함께 세계 2대 주정

강화 와인으로 꼽히고 있음..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116 | 2013. 1

참고문헌

조셉 바스티아니치·데이비드 린치. 2010. 「이탈리아 와인 가이드」(주) 바롬웍스.

Andy Smith. 2008. Globalization Within the European Wine Industry: Commercial challenges but pro-

ducer domination. UACES.

石井圭一「生産過剰下の産地再編成―フランスにおけるテーブルワインの場合」人間と

社会(東京農工大学)2号.

蛯原健介「EU ワイン改革に関する2006 年欧州委員会報告書」明治学院大学法科大学院

ローレビュー8号.

蛯原健介. 2009. 「EU ワイン改革の背景」明治学院大学法学研究ローレビュー85号.

蛯原健介. 2009.「理事会規則479/2008号におけるEU産ワインの表示に関する規制」明

治学院大学法学研究ローレビュー86号.

참고사이트

日本山梨県ワイン百科 (www.pref.yamanashi.jp)

www.wine.or.jp「2008 年フランス産ワイン&スピリッツ輸出統計」WANDS291 号.

www.enotecaitaliana.jp

www.meijigakuin.ac.jp

www.jetro.g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