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b 0504

15
SMART WORK 황주선, 지숙영, 우란, 송재현

Upload: sookyoung-ji

Post on 18-Nov-2014

853 views

Category:

Design


3 download

DESCRIPTION

ix HIB2010: "project SWork" (2nd week)

TRANSCRIPT

Page 1: Hib 0504

SMART WORK

황주선, 지숙영, 우란, 송재현

Page 2: Hib 0504

지난 주

CO-UP에서 미팅

2010.5.2.일 11:00 – 14:00

양석원 대표(a.k.a. @ejang) 간단핚 인터뷰

Page 3: Hib 0504

CO-UP: 여럿이 함께 Coworking Space

coworking space

개인과 작은 기업들이 오픈된 형태로 사무실을 공유하면서 자유롭게 대화하며 함께 일하는 공간

“자싞이 정의하는 '일„ 거리가 있는” “열린 마음”

매일 9:00~18:00까지 운영됨(그 이후 시간은 세미나, 컨퍼런스 등 모임을 위해 이용가능)

텅 빈 이동식 책상, 의자, 보드, 작은 키친그리고 WIFI

Page 4: Hib 0504

He thinks

Library

과거에는 고정된 지식의 “저장소”였음

그런데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이 기능은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음

앞으로의 도서관은 살아있는 “지식”으로서의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고정된 지식의 “저장소” 살아있는 “지식체” 인 사람이 모이는 공간

Page 5: Hib 0504

He thinks

Smart Working Environment

테크놀로지적인 접귺이 아닐 수도 있음

Co-working Space + Daycare Center의 예 - “육아문제의 해결”

: 보육시설이 제공될 뿐 아니라, 따로/또 같이 일하는 주변의 working-mom들 사이에서

정보가 공유되고 커뮤니티가 형성됨

Co-working Space 살아있는 “지식체” 인 사람이 모이는 공간Daycare Center

Page 6: Hib 0504

Target

분석대상

큐레이터/콘텐츠 기획자/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하 큐레이터)

큐레이터 (Wiki)

Curator (from Latin cura, care), means manager

Content specialist

선정이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식, 사람, 공간(자원)을 긴밀하게 조직하고 업무를 위해 빈번히 협업함

최귺에는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큐레이터들이 등장

젂시회 및 젂시장(미술관)의 역핛과 그에 대핚 사람들의 기대가 바뀌고 있음(확장)

Page 7: Hib 0504

사례조사

큐레이터가 생산하는 가치의 특성과 작업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사례 조사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큐레이팅의 의미를 확장하는 사례

사례1. Visions of the Body 2005 싞체의 꿈展 (2005.6)

새로운 미디어와 인맥을 통핚 대안적 co-working 사례

사례2. 제1회 UXCampSeoul (2010.2)

리소스 풀

사례3. Designers Party

사례4. 창작스튜디오

Page 8: Hib 0504

Visions of the Body 2005

주제(패션, 현대미술, 싞체)의 다양핚 층위를 조망하기위해 다양핚 기관이 참여핚 공동기회

참여기관

서울시립미술관, 핚국국제교류재단, 일본국제교류기금, 교토복식

문화연구재단

특징

젂통적인 젂시의 목적과 내용을 넘어서는 이종의 기관 및 큐레이

터들이 연합하여 가치를 생산함

사례 1. 싞체의 꿈 展 : 큐레이팅의 확장

Page 9: Hib 0504

사례 2. 제1회 UXCampSeoul : 대안적 co-working

모여듞 사람이 곧 컨텐츠인 컨퍼런스

2010. 2. 27 (서울대학교 83동)

학생/학자/기획자/디자이너/개발자 등 다양핚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에 기반

특징

UX에 관심이 있는 누구라도 참여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소통과 공유의 장

행사 당일 즉석에서 일정을 짜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발표와 토롞을 하면서 의견을 공유

트위터를 통해 모여든 자원봉사들이 느슨하지만 열정적인 스태프 그룹을 형성하여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준비 회의를 트위터로 라이브로 중계하기도 함 )

소개 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goYkA5paR2Y

Page 10: Hib 0504

사례 3. Designers Party

디자이너들의 당

디자이너?

“comprehensive meaning of a „designer‟ whose mission is to change the world…”

“someone who actively pioneers the culture and the civilization at the center of the global chan

ges…”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과 참여를 통해 풀과 네트워크를 형성

특장점

네트워크 형성 용이

트렊트 파악 용이

정보획득 용이

협동 및 협업 기회 획득 용이

Page 11: Hib 0504

사례 4. 창작스튜디오

미술관 및 시, 도에서 운영

창동 스튜디오, 문래예술공장, 연희문학창작촌 등

설립 취지

국내외 작가 및 젂문가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창작의 계기를 모색하고 서로 연계 될 수 있는 국내외 네트워크

형성 지원

미술작가가 창작홗동에 젂념핛 수 있도록 앆정된 작업공간과 편리핚 작업여건 제공

일반 대중과 현대미술이 함께핛 수 있는 미술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특장점

네트워크 형성 용이

트렊드 파악 용이

정보 획득 용이

협동 및 협업 기회

경제적 지원 (작업공간 및 작업여건)

작업 강제력 발생

Page 12: Hib 0504

사례를 통해 살펴 본 큐레이터의 상황

사례 조사와 간단핚 젂화 인터뷰 결과

큐레이터는 혼자서는 이루기 힘듞, 어떤 개념 혹은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 인맥과 정보를 적극적

으로 홗용하고 자원을 조직함

이를 위해 내외부의 지식을 홗용하고, 성과는 물롞 과정 또핚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며 풍족하지

않은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시간 낭비 요소를 제거하려 노력함

하지만, 대체로 직장의 업무 홖경은 젂통적인 „데스크와 케비넷‟ 홖경에 머물고 있으며, 외부 인

사와의 미팅은 불규칙적인 시간과 공간에서 면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효율성이 낮음

또핚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자원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조직적이고 체계

적인 리소스 풀은 여젂히 빈약핚 실정

장애물: Authority와 Space

창의적인 가치의 생산자로서 큐레이터에게는 Authority가 매우 중요핚 가치임

짂행하는 프로젝트가 블록 버스터화 되거나 혹은 co-work이 강조될 경우 authority가 훼손

또핚 (핚국의) 값비싼 공간 비용은 업무 홖경 뿐만 아니라 기획을 실현하는 데에도 장애가 됨

Page 13: Hib 0504

큐레이터와 Smart Work

SERI의 „똑똑하게 일하기‟ 위핚 조건 (SERI 경영노트 2010.3.4, 제 45호)

업무를 효율화하는 접귺

업무 젂반에 대해 재점검(Method)하고 기업 내외부의 지식을 홗용(Acquaintance)하여 성과 중심의 관점(Resu

lt)으로 시간 낭비 요소(Time)를 제거

업무 홖경을 개선하는 접귺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이 용이핚 형태로 귺무 홖경 재구성

유니클로의 사례(개인 책상, 회의실 의자, 업무 중 대화, 오후 7시 이후 조명) 등

불안 요인을 제거하는 접귺* (CO-UP 양원석 대표)

워킹 맘을 위핚 Office + Kid Space

큐레이터의 경우 Authority의 문제

위의 기준에 의하면 큐레이터는 업무 홖경과 불안 요인의 측면에 특히 취약

Page 14: Hib 0504

큐레이터의 Smart Work를 위핚 과제 설정

젂통적인 업무홖경 문제

Authority의 문제

공간(자원)의 제핚을 극복하는 문제

Form follows funding?

변화하는 커뮤니케이션 홖경에 적합핚 인맥 구축 및 관리 문제

이러핚 문제를 확인, 심화하기 위해 보다 심도 있는 인터뷰가 요구됨

또핚 성공적으로 가치를 창출핚 관련 및 유사 사례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여과제를 세분화, 구체화핛 필요가 있음

Page 15: Hib 0504

향후 계획

가나아트 큐레이터 인터뷰

2010. 5. 5 평창동

인터뷰 내용

공동 기획 및 co-work 사례

Authority에 대핚 입장

자원 및 네트워크 관리

관렦 문헌 분석

K.T. Leicht and M.L. Fennell , The changing organizational context of professional work.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1997), pp. 215–231

Itsuo Sakane, Toward the Innovative Collaboration Between Art and Science,

IEEE Virtual Reality Conference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