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18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사 사사사 사사사사사사 4 사사사

Upload: quamar-phillips

Post on 01-Jan-2016

40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DESCRIPTION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발표자 국제통상학과 4 조슬기. 목차. 사건개요 사건의 쟁점 당사국의 주장 패널의 판결 WTO 패널 판결의 효력 발표자의 견해. 사건개요 -1). EC 유럽공동체 [European Community] – 제소국 Korea – 피제소국. 사건개요 -2).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발표자 국제통상학과 4 조슬기

Page 2: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목차사건개요사건의 쟁점당사국의 주장패널의 판결WTO 패널 판결의 효력발표자의 견해

Page 3: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사건개요 -1)

EC 유럽공동체

[European Community] – 제소국Korea – 피제소국

Page 4: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사건개요 -2) EC 는 한국조선사의 저가 수주 , 설비

확장 등이 정부 보조금 지급에 의한 것이라는 의혹을 90 년대 중반부터 제기

특히 IMF 이후 도산위기에 몰린 조선사들을 퇴출시키지 않고 채권 은행단의 구조조정 조치 ( 부채 탕감 , 출자 전환 ) 를 통해 회생시킨 것은 명백한 보조금 지급에 해당한다고 문제를 제기

Page 5: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양측은 수차례 협의 끝에 2000 년 6 월 보조금 불지급 , 상업적 가격 관행 등을 약속하는 한 -EC 조선 합의록을 체결

EC 는 합의록 체결에도 불구하고 한국 조선사의 저가 수주가 계속되는 것은 한국 정부의 부당한 지원 탓이라고 단정하고 2001 년 10 월 무역 장벽 조사 절차 (TBR) 를 발동 , 한국의 조선 업계과 EC 업계의 피해 등에 관해 조사

Page 6: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양측은 2002 년 두 차례에 걸쳐 타협을 시도하였으나 선종별 최저 수주가 수준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함

EC 는 무역장벽 조사 결과 한국 정부의 부당한 지원이 EC 조선 업계에 부정적 효과를 가져왔음을 결론 짓고 2003 년 6 월 한국을 WTO 에 제소하게됨 .

Page 7: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사건의 쟁점피제소국은 수출 보조금의 지원

하였는가 ? 어느 국가가 보조금 지급을 통해 타

국가의 이익에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경우 보조금 지급 국가는 불리한 효과 제거 조치를 취하거나 보조금을 철폐 해야 함 .- 불공정한 무역행위

Page 8: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당사국의 주장 - EC-1)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재정적인

기여 수출입 은행 (KEXIM) 이 선수금 환급 보증과 제작 금융

지원 구조조정 조치 ( 채무 재조정 , 출자 전환 ) 를 통하여

청산되어야 할 조선사의 생존과 회생 EC 는 정부의 이러한 혜택부여가 저가 수주를

가능하게 했다는 주장 - EC 의 조선업계의 이익의 심각한 손상 ( 부정적 효과 ) 주장

Page 9: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당사국의 주장 EC-2)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재정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주장

수출입은행은 정부의 지시나 위임을 받는 국책은행으로서 조선사에게 대출과 채무보증을 제공함으로써 재정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주장

Page 10: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수출입 은행 (KEXIM) 의 선수금 환급 보증과 제작 금융 선수금 환급 보증 (Advance Payment Refund Guarantee B

ond)• 수입자가 수출목적물 인도 전에 지급하는 선급금 (

수출자 입장에서는 선수금 ) 에 대하여 수출자 귀책 사유로 인하여 계약조건대로 수출목적물을 인도하지 못하는 경우에 그 선수금을 반환할 것 을 보증하는 것 .

• 통상 선박을 발주한 선주는 조선사에 선박건조에 필요한 비용 중 일부를 선수금으로 제공 . 만일 조선사가 사정이 있어 선박을 건조하지 못할 경우 선수금을 반환 받아야 할 것인 바 대개 금융 기관이 선주에 대해 선수금 환급을 보증하고 조선사는 금융 기관에 보증 수수료를 지불하게 되는데 EC 는 수출입은행이 한국 조선사에 대해 보증 수수료를 낮게 책정하여 특혜를 제공하였다고 주장

Page 11: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선박 제작 금융 (preshipment loan)• 일반적으로 제작 금융이란 금융기관이 수출

대상물 제작에 필요한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출자 에게 대출하여 주는 것을 말함 .

• 선박건조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조선사는 수주시 제작 금융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금리는 조선사의 신용상태에 따라 달리 적용됨 . EC 는 한국 조선사가 신용상태에 비해 낮은 금리로 제작금융을 조달하였으며 이는 보조금에 해당한다고 주장

Page 12: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구조조정 조치 ( 채무 재조정 , 출자 전환 ) 를 통하여 청산되어야 할 조선사의 생존과 회생

• 청산되어야 할 한국 조선사가 보조금 ( 구조조정 ) 으로 인해 생존 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개선된 재무 상태로 인해 저가 수주 공세를 펼 수 있었고 구조조정 대상이 아니었던 타 한국 조선사도 경쟁력을 유지 하기 위해 수주가를 같이 인하할 수 밖에 없었음

• 세계 조선시장은 단일 시장이며 한국이 압도적인 수주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한국의 저가 수주로 인해 세계 조선가가 인상이 억제되거나 하락되었으며 타 조선 국가는 하락된 조선가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음

• EC 는 심각한 손상을 입은 선종으로 EC 조선업계가 한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콘테이너선 , 화물 / 화학물질 운반선 , LNG 선 3 개 선종을 거론하였고 한국 조선사의 수주량이 증가한 시기에 동 선종 가격이 하락하였다는 증거를 제출

Page 13: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당사국의 주장 - KOREA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재정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주장

• 수출입 은행의 금융 제공 등 영업행위를 시장 경제 원칙 하에 일반 은행이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시행하여 왔다고 주장

• 수출입 은행이 국책은행이라 하더라도 정부의 관행에 개입되지 않으면 수출입은행의 행위가 재정적 기여를 하였다고 볼 수 없음

Page 14: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수출입 은행 (KEXIM) 의 선수금 환급 보증과 제작 금융

선수금 환급 보증 수수료 및 제작금융의 이자율이 시중 은행보다 저렴하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EC 가 일반적인 비교 기준을 제시하였어야 하나 그러지 못하였다고 반박

Page 15: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구조조정 조치 ( 채무 재조정 , 출자 전환 )를 통하여 청산되어야 할 조선사의 생존과 회생• 한국은 세계 조선 시장이 반드시 단일 시장은 아니며

선박크기 등에 따라 경쟁 관계가 다르므로 보조금으로 피해본 동종 상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고 수주량과 국제 조선가가 반대 흐름을 보였다는 EC 주장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

• 한국은 구조조정이 없었다면 자국 조선사가 폐쇄되는 것이 아니라 타 조선사로 매각 되었을 것이므로 보조금과는 상관없이 조선 3 사의 조선 능력은 계속 존재 한다고 설명하고 보조금이 과다 능력을 존재하게 한 요인이라는 EC 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음

Page 16: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패널의 판결 ( 결론 ) 대출이나 채무보증은 전형적인 수익적 지출에 해당하므로

일반 적으로 정부에 귀속되는 기능으로 보아야 한다고 정리 , 수출입은행은 한국 조선사에 재정적 기여에 해당한다고 판단

수출입은행이 각 조선사에 지급한 개개의 선수금 환급 보증 및 제작 금융 중 일부는 수출 보조금으로 인정

수출 보조금으로 판정된 개개의 선수금 환급 보증 및 제작 금융이 수주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 인정 -90 일 이내에 철회할 것을 권고

구조조정 지원조치에 대해 정부의 지시나 위임 및 혜택 부여가 입증 되지 못했으므로 보조금이 아니라고 판정

Page 17: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WTO 패널 판결의 효력

사건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면 , 피제소국은 WTO 에 의한 어떠한 무역제재가 가해지기 전에 패널 보고서의 권고에 따른 이행조치를 수행해야 한다 .피제소국이 이행조치를 따를 수 없다면 , 제소국과 상호간에 받아들일 수 있는 보상조치에 대해 협상을 개시해야 한다 . 납득할 수 있는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 제소국은 DSB 에게 피제소국에게 제재를 가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 , 제재가 가해질 경우에는 실용적인 범위 내에서 분쟁과 동일한 분야의 제재조치가 취해진다 .( 보복성조치 )

Page 18: Measures Affecting Trade in Commercial Vessel (EC vs. KOREA-) Commercial Vessels 사건

발표자의 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