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142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및 서비스

Upload: jinho-park

Post on 15-May-2015

463 views

Category:

Education


3 download

DESCRIPTION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총서 시리즈8.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및 서비스

TRANSCRIPT

Page 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및 서비스

Page 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목 차

제1장 서론·················································································1

1. 디브러리 포털의 목표···············································································1

2. 포털 협력망 연구의 필요성·····································································2

3. 포털 협력망 연구의 내용 및 범위·························································3

제2장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4

1. 대상 자원의 범위·······················································································4

2. 대상 자원의 선정 기준 ·············································································6

3. 대상 자원 및 기관 선정방법·································································10

4. 서비스 대상 콘텐츠 범위·······································································14

제3장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15

1. 포털 서비스 기획방향·············································································15

2. 메인포털 서비스 ·······················································································20

3. 지역포털 서비스 ·····················································································27

4.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34

5. 다문화포털 서비스 ·················································································42

6. 장애인포털 서비스 ·················································································52

제4장 디지털정보공유 협력망 ·············································55

1. 협력망 구축을 위한 선결조건·······························································55

2. 협력망 운영 사례 ···················································································55

3. 협력망 운영 사례 분석의 시사점·························································63

4.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66

5. 지역포털 협력망 ·······················································································80

6.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88

7. 다문화포털 협력망 ···················································································94

8. 장애인포털 협력망 ·················································································110

9. 디지털정보공유협의회 운영 정관·······················································120

[참 고 문 헌] ···································································································127

Page 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표 목 차

<표 1> 협력대상기관 ························································································5

<표 2> 협력 대상기관 선정 기준··································································11

<표 3> 웹 자원 평가 요소 채택 여부 - 디브러리····································12

<표 4> 웹 자원 선정 기준 - 디브러리························································13

<표 5> 포털 차별화 전략 ··············································································19

<표 6> 메인포털 서비스 구성 ······································································22

<표 7> 지역포털 서비스 구성········································································29

<표 8>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 ······························································35

<표 9>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범위····························································36

<표 10> 다문화포털 서비스 구성··································································43

<표 11> 다문화포커스 구성내용 ··································································48

<표 12> 다문화정보 구성내용 ······································································49

<표 13> 장애인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53

<표 14> 국가지식포털의 분야별 정보센터 및 주요 지식정보················58

<표 15> 협력기관 지원방안 ··········································································72

<표 16> 협력기관 참여 범위 ········································································74

<표 17> 기관 선정의 우선순위 - 장서 기준 ············································75

<표 18> 기관 선정의 우선 순위 - 경제성 기준 ······································76

<표 19> 주제별 순위························································································90

<표 20> 다문화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및 단체··································96

<표 21> 다문화지식정보원 콘텐츠 유형······················································97

<표 22> 해외사례 장애인 협력망의 특징··················································112

<표 23> 국내 장애인 관련기관 ··································································114

<표 24> 협력망 대상기관 선정····································································114

<표 25> 장애인포털 협력망 연계방식 정의··············································116

Page 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그 림 목 차

[그림 1] 포털 구축 개요···················································································5

[그림 2] 포털 서비스 구성도·········································································16

[그림 3] 검색 서비스 ·····················································································16

[그림 4] 참여 서비스 ·····················································································17

[그림 5] 공유 서비스·······················································································17

[그림 6] 활용 서비스·······················································································18

[그림 7]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21

[그림 8] 지역포털 메인화면···········································································30

[그림 9]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31

[그림 10]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37

[그림 11]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39

[그림 12] 다문화포털 메인화면·····································································45

[그림 13]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46

[그림 14] 다문화포털 다국어 화면·······························································51

[그림 15] 장애인포털 메인 화면···································································53

[그림 16] 디브러리 협력망 기본 모델·························································67

[그림 17] 다층적 협력망 모델·······································································68

[그림 18]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연계 모델···············································68

[그림 19] 협력망 메타 모델···········································································69

[그림 20] 협력망 활성화 모델·······································································70

[그림 21] 협력망 조직도·················································································71

[그림 22] 디브러리 지역포털 협력망 모형·················································81

[그림 23]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81

[그림 24]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82

[그림 25] 국립디지털도서관 직할의 협력망 모형·····································83

[그림 26] 지역포털 협력망 운영원칙···························································85

[그림 27] 지역포털의 단계적 운영방안 ·····················································85

[그림 28] 지역포털 협력망 조직도표···························································87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중심의 다문화포털 협력망 구축···················98

[그림 30] 다문화포털 협력망 모형·······························································99

[그림 31] 다문화포털 주제별 모형·······························································99

Page 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그림 32] 다문화포털 협력망 확장·····························································103

[그림 33] 협력대상기관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105

[그림 34] 다문화지식정보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105

[그림 35] 다문화포털 협력망 활성화 방안···············································109

Page 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 -

제1장 서론

1. 디브러리 포털의 목표

가. 디브러리 미션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전 세계 고품질 지식정보의 통

합검색 환경인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국민이 평생 학습하고 연구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열람공간을 구축하여 국민의 정보력 강화에 기여한다.

나. 디브러리 목표

목표1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적 정보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목표2 이용자의 정보 접근 및 사용의 편리성, 균등성 그리고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개방형 체제를 구축한다.

목표3 이용자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정보서비스 및 정보활용능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목표4 장애인, 이주민, 노령계층, 외국인, 저소득가정 등 사회적으로 정보취약계

층이나 정보취약지역에 속한 국민을 위한 시스템과 서비스를 지원한다.

목표5 디브러리는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서비스와 협력 및 연계를 통

해 세계지식정보 유통 구현에 이바지 하며, 국가 대표 디지털도서관으

로서 독창성과 정체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목표6 디브러리 운영조직과 자원구축을 위한 경영관리 체제를 수립한다.

디브러리의 사명과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적인 단어는 통합과 개방이다.

통합은 국내외에 산재하는 디지털도서관의 고품질 정보자원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것이고, 개방은 디브러리 정보자원의 접근과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가 가

능한 개방형 체제를 지향한다는 의미이다.

통합은 내부적/관리적 개념이며, 개방은 외부적/서비스적 개념이다. 통합과

개방은 개별적인 개념이 아니며,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디브러리 서비스를

창출한다. 또한 통합과 개방은 정보공유와 이용자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중요

한 수단이다. 전 국민을 위한 정보공유 환경, 이용자 참여 환경을 제공하여 전

국민의 지식 활용능력 향상에 이바지하게 된다. 이는 지식 강국의 대한민국

실현의 바탕이 되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기반이 될 것이다.

Page 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 -

2. 연구의 필요성

인터넷의 등장 및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서비스의 범위가 한층 더

확대, 변화되고 있다. 과거 도서관에서의 정보서비스가 정보에 대한 소유 및

제공, 활용의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정보 위치 파악 및 위치 정보의 제공 그리

고 제공된 정보의 활용 개념에 이르기까지 그 서비스 범위가 광범위하게 변화

되고 있다.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는 단순히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와 이의 연계를 통한 정보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

적인 정보에 국한되는 것이 현실이다. 즉,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

문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포털 서비스 기관들은 가치

있는 정보의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치 있는 정보의 지속적인 확보

를 추구하는 포털 서비스 기관과 정보의 효율적인 제공을 원하는 소장기관은

상호간의 약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호 협력관계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지금까지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노력은 대부분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

공을 주도해 왔던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서관은 이와 관련

된 노하우를 축적해 오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정보서비스의 활성화와

더불어 소규모의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개별 기관들도 서로 간의 접촉을 통하

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협력체를 구성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기 위

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보 소장기관들이 이용자에 대한 정보의 직

접 제공을 선호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포털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이들에게 소

장정보에 대한 연계 혹은 접근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리라는 점이

다. 특히 정보의 가치 상승과 더불어 정보 소장기관들은 유사 정보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서비스함으로써 정보서비스 기관

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용자에게 디지털 자원에 대한 막힘없는 연계와 제공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디브러리는 가치 있는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제공 가치가 있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브러

리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분야별, 분야간 디지털 자료

에 대한 원문정보는 물론 목록과 같은 서지정보의 확보와 이를 공유․소장할

수 있는 공동이용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인프라의 구축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소장기관들과의 협력은 반드시 필

요하다.

Page 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이 디브러리 포털을 통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정보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자료 소장기관과의

협력망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데 있으며, 이에 요구되는 협력망 구성의 기본

원칙, 운영 방안, 협력 대상 정보 및 기관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전 세계 고품질 지식정보의 포

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브러리 포털의 서비스 방안을 기획하는 것이며,

통합검색 포털과 참여형, 공유형, 개방형 포털 서비스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통

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포털 서비스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에서 수행될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n 디브러리 포털의 종합적 협력망 구축

n 검색, 참여, 연계, 활용 서비스를 위한 민간, 공공기관 중심의 협력 대상

기관 조사 분석

n 민간 포털 등의 장서 리스트 및 장서 메타 데이터 구축

n 협력망 구축 기본 모형 개발 및 협력망 운영 방안 수립

n 디브러리 포털의 서비스 기획 및 운영방안 수립

n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범위 및 선정기준

Page 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 -

제2장 디브러리 포털 콘텐츠

1. 대상 자원의 범위

디브러리에서 주어진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 자원 즉 수집대

상 정보원과 수집 대상 정보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에 대한 현황이 우선적으

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 다음은 대상 자원을 선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우

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수집 및 서비스 대상 자원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수집 대상 자원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대상 자원에 대한 목록

을 작성하는 것이다.

셋째, 선정 대상 자원을 소장하고 있는 협력 대상기관에 대한 현황을 파악

하는 것이다.

넷째, 협력 대상기관에 대한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대상기관을 선정하는 것

이다.

현재 서비스 중인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 항목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서

비스되고 있는 아이템을 기준으로 수집 및 서비스 대상 자원의 기준을 정하

고, 디지털 도서관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의 보유정도와 기관의 권위 등에 따

라 대상기관의 현황 파악 및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함께 디브러리에서

우선적으로 서비스해야 할 장서와 디브러리의 사명, 목표 등을 고려하여 대상

장서에 대한 선정 기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n 대상 장서 및 기관의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하위포털 간 선정 장서 및 기관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

- 포털 간 장서나 기관의 중복이 발생될 경우 기관이나 장서가 제한적인

포털에 우선 배정 (예: 다문화포털 우선)

- 정책포털과 지역포털의 경우 대상 정보의 성격에 따라 배정

- 메인포털과 정책포털의 경우 정책 포털에 우선으로 배정

- 서비스는 수집과 구분하여 통합검색, 하위포털별 검색 등을 통하여

누락이나 중복이 나타나지 않도록 유도

Page 1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 -

협력망 협력 대상 설명 비고

지역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16개시도)지자체, 단체

정책 공공기관(정부기관, 투자기관, 연구소, 위원회, 부속기관)

다문화

동아시아국립도서관(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몽골, 타이완,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파키스탄, 인도, 네팔 등)

국외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문화원, 다문화관련단체(안산이주민센터, 한국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메인

민간상용(전자책, 해외저널), 포털사이트

방송(한국정책방송, EBS, KBS, 아리랑TV 등)

한․중․일 국립도서관, Open Archives, Open Library 국외

장애인 장애인 관련기관

<표 1> 협력대상기관

[그림 1] 포털 구축 개요

Page 1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 -

2. 대상 자원의 선정 기준

가. 선정 기준의 필요성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지식정보의 생산형태는 과

거 실물 공간을 통한 정보의 유통 체제에 적합했던 인쇄매체에서 가상공간을

통한 신속하고 제한 없는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매체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

다. 이에 따라 과거 실물 공간에서의 정보유통의 핵심임을 자부해왔던 도서관

의 지위가 후발 주자인 포털 사이트나 유사 정보센터에 위협받고 있다. 다행

히 도서관도 이러한 위기감을 인식하고 과거의 인쇄매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

이고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나 유

럽을 비롯한 정보 선진국들의 도서관은 가상공간인 인터넷을 통한 정보유통

보편화 노력과 함께 온라인 디지털자원을 수집․보존하고, 저작권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디지털자원은 그 범위와 양적 측면에서 방대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료 또한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도서관별

로 적합한 온라인 디지털자원의 수집을 위한 선정지침을 마련하여 그 지침을

충족시키는 디지털자원만을 수집하고 있다. 디브러리는 과거 도서관이나 정보

센터에서 부가적인 서비스로 제공하던 디지털 정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아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전자도서관이다. 따라서

디브러리는 고품질의 온라인 디지털자원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수집을

위한 선정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브러리에서의 자료 선정 기준은 디브러리의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

여 요구되는 고품질의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대상 자원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웹 자원으로

그 형태와 관계없이 지식정보가 우선이다.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식정보 가

운데 디브러리에서 수집, 서비스하고자 하는 웹 정보자원은 데이터베이스 형

태와 문서 형태의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웹 자

원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반면에 문서형태의 웹 자원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

는 웹 문서들로 인터넷의 페이지를 통하여 정보의 직접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웹 자원을 통칭한다.

그러나 디브러리에서 수집, 서비스하고자 하는 정보자원은 웹 정보자원의

형태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하지만 그 자체가 지식정보로서의 역할 수

행이 가능한 것인가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브러리에서 자

Page 1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 -

료의 기준은 웹 자원의 형태로 구분하기 보다는, 지식정보로 분류될 수 있는

모든 자원 중에서 디지털 형태로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웹 정보자

원에 대한 평가기준이 되어야 한다.

디브러리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에 대한 평가 기준과 선정

기준을 엄격히 구분하면 의미적으로 차이가 있다. 평가 기준은 대상 자원을

주어진 원칙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인 반면에 선정 기

준은 다양한 정보원을 디브러리에서 수집 혹은 서비스 대상으로 선택하기 위

하여 제시된 기준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디브러리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정

보는 정보로서 그리고 지식의 제공을 위하여 최소한의 가치가 있어야 함을 고

려하여 평가 기준에 따라 특정 등급 이상의 정보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디브러리에서 자료의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과 선

정 기준은 의미적 차이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 정보자원에 대한 품질 평가는 내용적 측면, 이용자 측면(서비

스 측면), 그리고 시스템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

하여 제시된 평가기준을 우선적으로 분석하되 개인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기준과 도서관 혹은 기관 차원에서 웹 정보 자원의 선정을 위하여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종합하여 새로운 선정 기준을 제시한다. 다만 디브러리의 경우,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기준이 되어야 하며, 특히 대상 정보의 입수 가능

여부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직접 입

수 혹은 교환 등을 통하여 직접 연계가 가능한 웹정보 자원의 경우와 단순 연

계와 간접 연계를 통한 서비스 대상 자원을 구분하여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즉 정보의 교환이나 수집을 통하여 직접 연계가 가능한 정보자원의 경

우 품질적 측면을 서비스나 시스템적 측면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

연계와 간접 연계의 경우 3 가지 측면을 균등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디브러리에서의 장서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장서만으로

한정한다.

나. 디브러리의 정보 수집 정책

1) 일반 포털과의 차별화는 필수

n 일반포털이 보편적이고 상업적인 유형의 정보 유통과 전문지식에 대한

1차적 접근점을 제공한다면 디브러리는 심층적 지식 정보에 대한 사용

자 중심 (원문 혹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제공)의 시스템적 접근을 제공

한다.

Page 1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 -

2) 일반적 질의사항은 민간 일반포털의 지식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것이 현재

이용자들의 추세임을 볼 때

n 일반적 사항의 정보는 일반포털에서 해결

n 전문지식정보에 있어서는 디브러리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이

디브러리의 성패 여부 결정에 절대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 일반 포털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지식정보의 검색 범위를 확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식정보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4) 디브러리는 포털의 서비스 형태를 참고하여 대중화에 부응하되 검증된 지

식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서비스함으로써 신뢰를 축적하여야 한다.

다. 대상 정보원

디브러리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

원과 디지털 도서관에서 제공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원을 포함한다.

n 지식정보의 정의

- 다양한 데이터들이 정제되어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자원

- 지식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정보

- 지식화가 가능하거나 지식화된 정보

- 지식으로 활용가치가 있거나 실제 지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보

- 지식정보의 집합체는 장서로 표현

라. 장서의 범위

디브러리에서 수집하고 서비스하는 장서의 범위는 지식정보로서 도서관에

서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디지털화되거나 디지털화 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1) 디지털 장서의 범위

n 디지털화된 모든 정보로 디브러리를 통하여 서비스 가능한 것

n 전자정보원, 웹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n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화된 디지털 자원의 집합체. 일반

적으로 동일한 유형 혹은 동일한 주제의 데이터를 모아 놓은 데이터베

이스

n 인터넷 등을 통해 개인용 혹은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정보통신 단

말기에서 전자적으로 유통 (검색, 서비스) 될 수 있는 텍스트, 소리, 동

Page 1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 -

영상정보 등을 담고 있는 컴퓨터 파일

2) 장서 선정 기준의 확보

n 일반 도서관 대상

- 국내외의 다양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장서 선정 기준 확보

- 이론적 근거에 따른 장서 선정기준 확보

n 문헌정보학 관련 단행본, 논문 등

n 웹 사이트

n 포털 사이트

- 네이버, 구글 등 주요 상용 포털

- Gils, usa.gov, Google Scholar, inforoute, NSDL 등의 공공 포털

n 정보센터

n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

마. 디지털 자원의 수집 원칙

1)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자원

n 유용성, 저작자의 평판, 제공된 정보의 유일성, 학술적 내용, 정보의 최

신성, 업그레이드 빈도, 접근의 용이성 등

n 정보로서의 이용가치

n 선정기준에 부합

2) 공신력, 품질이 보증될 수 있는 자원을 우선적으로 수집

n 공공 데이터베이스

3) 지식정보에 대한 망라적 수집

n 자료 형태, 주제에 대한 범위 제한 철폐

바. 디지털 자원 - 우선 수집 대상

1) 공공기관, 학회, 대학 등에서 생산된 디지털 형태의 정보자원으로 학술적

가치를 가진 것

n 대학 간행물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논문집 등)

n 회의자료

n 전자저널

2) 협회 등 비영리 단체에서 생산된 정보 가운데 학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Page 1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 -

3) 민간이나 영리단체에서 생산된 정보로 학술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4) 기타 정보로서의 가치가 있는 자료

사. 수집 제외 대상 자원

1) 블로그 사이트

n 자신의 생각을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지 않고 게재하는 웹사이트

2) CAMS

n LAN 전용선이 카메라에 직접 연결되어 실시간 이미지를 인터넷에 전송

하여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볼 수 있도록 한 사이트

3) 토론리스트, 채팅 사이트

4) 게시판과 뉴스 그룹

5) 뉴스 사이트

6) 인쇄물이 존재하는 온라인 일간 신문

7) 광고 사이트

3. 대상 자원 및 기관 선정방법

가.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디브러리가 주어진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원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디브러리는 협력 대상기관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하며, 그 기

준은 대상기관의 권위, 대상 기관에서 생산되는 정보의 양, 대상 기관에서 제

공할 수 있는 정보의 양, 보유 정보의 품질, 보유 정보의 디브러리에서의 유용

성 정도, 정보 보유량, 기관의 성격, 협력 정도, 비용 혹은 노력 요구 정도 등

으로 정리될 수 있다.

협력 대상 기관을 선정함에 있어 디브러리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n 디브러리가 추구하는 목표 이용자 (Target user)

n 목표 이용자들이 추구하는 정보의 형태

n 다양한 정보원의 포함 여부

n 디브러리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식정보의 포함 여부

Page 1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 -

평가 요소 상세 내용권위 대상 기관의 명성, 권위, 사회적 인지도 등

정보 생산량 생산되는 정보의 총량

정보 제공량 디브러리에 제공 가능한 정보의 양

보유 정보의 품질 대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질적 측면

보유 정보의 유용성 정도대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디브러리에서의 서

비스 가치 정도

정보 보유량 대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총량

성격(공공, 상업, 기타) 대상 기관의 성격

협력 정도 디브러리와의 협력 정도 (참여 기관의 의향)

요구 정도 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예상되는 비용, 노력,요구 정도

이용자 만족도 소장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 정도

<표 2> 협력 대상기관 선정 기준

이러한 우선 고려사항을 포함하여 채택된 협력 대상기관의 선정 기준은

다음의 표와 같다.

나.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방법

대상 자원 및 기관의 선정 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첫째, 디지털 자원 평가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한다.

둘째, 평가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주체를 집단으로 구분한다.

셋째,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을 경우 평가 요소를 의미상 유사한 개념으로

통합하거나 단순화한다.

넷째, 통합되거나 단순화된 평가 요소들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든다.

다섯째, 평가 요소별로 각 집단에서 출현하는 빈도를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여섯째, 부여된 등급에 기준하여 평가 기준으로 채택한다.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제시된 평가 기준을 단순화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제시된 평가 기

준을 살펴보면 크게 웹 사이트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기준, 웹 사이트에서 제

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평가 기준, 그리고 시스템 차원에서의 웹 사이트

자체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구별된다. 평가 주체에 따라 정량적 지표와 정성

적 지표로 구분하기도 하고, 이용 측면이나 서비스 품질 측면 등으로 다르게

제시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평가 요소에 대한 단순화를 우선적으로 시도

하였으며, 시스템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콘텐츠의 평가 기준과 중복되거나 보

충할 수 있는 경우는 포함시키되 나머지는 제외하였다.

웹 자원에 대한 평가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Page 1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 -

연구 구분

평가 요소

출현

횟수

(개인)

출현

횟수

(도서관)

출현횟수

(정보센터)

출현횟수

디브러리

채택여부

이용편의성 4 7 2 13 O

최신성 3 6 3 12 O

권위 3 7 2 12 O

접근성 4 5 2 11 O

정확성(신뢰성) 4 3 2 9 O

주제범위 2 6 0 8 O

적합성(요구부합정도) 1 6 1 8 O

비용 0 6 1 7 O

가치(유용성) 2 3 2 7 O

표준 준수 1 4 1 6 O

이용자 선호도

(요구정도)0 6 0 6 O

자원 유형

(메타, 원문, 서지 등)2 2 1 5 O

객관성 2 1 2 5 O

일관성 1 1 2 4 O

유효성(Availability) 0 3 1 4 X

문서형태(pdf, html, jpeg) 0 4 0 4 O

이용보장(과거, 향후) 0 3 0 3 O

완전성 1 0 2 3 O

안정성 1 2 3 X

정보량 3 3 X

S/W, H/W 의존 정도 3 3 X

유일성 1 0 1 2 O

언어(사용언어) 0 2 0 2 O

디자인 2 2 X

사명부응정도 1 1 O

<표 3> 웹 자원 평가 요소 채택 여부 - 디브러리

공공도서관, 개인 연구자, 그리고 정보센터나 데이터베이스 평가 기관에서 지

시하고 있는 요소들을 비교하였으며, 제시된 25개의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

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브러리에서의 웹 자원 선정 기준이 제시되었

다. 여기에 제시된 기준은 디브러리에서의 수집 대상 정보 가운데 품질 기준

으로 적부를 판정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합

하다. 각각의 주체별로 제시된 25개의 평가 요소 가운데, 정보의 유효성 등 5

개의 요소를 제외한 20개 요소가 선정되었다.

디브러리에서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 요소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

으로 고려한 사항은 각 주체별 혹은 집단별로 평가 요소로 채택한 빈도수이

다. 빈도수를 최우선 기준 요소로 채택한 이유는 웹 자원에 대한 평가 기준이

Page 1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 -

평가 요소 평가 내용 비고

최신성 정보의 최신성, 갱신 빈도 등

접근성 정보에 대한 접근 용이성 정도 (접근 제한 정도 등)

정확성 포함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

객관성 정보의 객관성

일관성 포함된 정보의 형식상의 일관성 유지 정도

완전성 포함된 정보의 완전성

유일성 정보의 고유성 혹은 유일성

자원 유형 메타 데이터, 원문, 서지 데이터 등 포함된 정보의 유형

문서형태 포함된 정보의 문서 형태 (pdf, html, jpeg)

권위 정보의 저작자나 생산자의 권위

주제범위 포함된 정보의 주제 범위

적합성 포함된 정보의 이용자 요구 부합 정도

비용 정보의 입수에 소요되는 비용

가치 정보의 유용성 등 정보의 종합적인 가치

표준 준수 데이터의 표준 준수 (예: DC, MARC 등)

이용자 선호도 타 정보에 비해 이용자가 선호하는 정도

이용편의성 검색의 용이성, 가독성 등

이용보장 포함된 정보의 이용에 대한 보장 여부

언어 포함된 정보의 언어 (사용언어)

사명부응정도 수집된 정보와 디브러리의 사명과의 부합 정도

<표 4> 웹 자원 선정 기준 - 디브러리

시대별로, 기관별로, 평가 주체별로 변화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것은 그 만큼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하기 때문으로 해석하였

다.

그러나 콘텐츠와 무관하게 시스템적 측면이 강한 안정성이나 디자인, H/W

의존성, S/W 의존성, 정보량, 정보의 유효성 등은 배제되었다. 특히 정보의 유

효성은 출현 빈도는 적지 않으나, 디브러리에 주어진 사명을 준수하는데 걸림

돌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되어 제외되었다. 정보의 유효성이란 주변

혹은 유사 도서관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정도로서 정보의 유효성이 높을

수록 당해 도서관에서 자료를 수집할 필요성이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

서 정보의 유효성은 정보 수집 및 서비스의 망라성을 중시하는 디브러리의 정

책과 부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디브러리의 수집 대상 자원은 웹 사이트와 기관별로 웹을 통하

여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화된 정보이며, 이에 대한 평가 요소로 선정된 기준

은 모두 20개이다. 그 구성은 다음의 <표 4>과 같다.

Page 1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4 -

4. 서비스 대상 콘텐츠 범위

n 학술자료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및 포털 협력망 참여기관 연계 자료, 학위논

문, 학술지 서지정보 및 원문정보

- 네이버 책정보 등 민간상용DB

n 전문정보

- 국가지식포털 국가지식자원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문화콘텐츠

- 국가기록포털 국가기록물

- 국립중앙도서관 OASIS 및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

- 네이버 전문정보

n 해외정보

- 오픈 DB 및 해외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정보

- OAI 기관 및 해외국립도서관, Open Library 등

n 정책정보

-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생산 및 소장 공공정보

- 정부 발행자료 및 2차 가공 정책테마정보

n 지역정보

- 16개 시․도 지역 소식, 지역테마, 지역 향토자료 등

- 도서관, 박물관, 지자체 등이 보유한 디지털자원 연계

n 지식공유 (향후계획)

- 학술․연구․창작 관련 생산물을 등록 및 공유

- 논문, 창작물, 교육․문화 프로그램, 사업취업 문서 등

Page 2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5 -

제3장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1. 포털 서비스 기획방향

가. 포털 서비스 구성

n 포털 서비스는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

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구현한다.

-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

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를 구현한다.

-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n 디브러리 포털은 메인포털을 비롯하여 지역포털, 정책정보포털, 다문화

포털, 장애인포털 등 하위에 구성된 특성화 포털과 유기적으로 통합되고

이용자 특성 및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콘텐츠 및 서비스를 특성화한다.

n 지역포털은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우수한 콜렉션 발굴

및 확보와 지역에서 생산, 관리되는 지역지식정보의 통합적 검색을 통

하여 지역지식정보 콘텐츠를 연계함으로써 대한민국 지역지식정보의 메

타포털 역할을 목표로 한다.

n 정책정보포털은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으로

부터 생산되는 전자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며, 정책정보 자원의 부처

간 상호교환 및 공동활용을 통하여 정책정보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일

반 이용자에게는 정책정보의 체계적인 통합 검색을 통하여 원문까지 서

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 다문화포털은 자국민, 이주민, 다문화가정, 유학생 등 대한민국에 거주

하는 다양한 다문화인의 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 다문화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기관,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콜렉션

의 지속적인 확보와 자국의 문화와 타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소통하

며, 교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age 2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6 -

[그림 2] 포털 서비스 구성도

[그림 3] 검색 서비스

n 장애인포털은 대학 도서관, 특수 도서관 등에 분산되어 있는 장애인 지

식정보를 수집하여 장애인에게 통합적인 검색 및 원문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며 온라인 및 장애인 전용단말기에서 공통으로 활용가능 한 디지

털 지식정보의 지속적인 구축 및 활용 체계 마련을 목표로 한다.

n 포털 서비스 구성도

나. 검색 서비스

Page 2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7 -

[그림 4] 참여 서비스

[그림 5] 공유 서비스

다. 참여 서비스

라. 공유 서비스

Page 2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8 -

[그림 6] 활용 서비스

마. 활용 서비스

Page 2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9 -

구분 디브러리포털 민간포털 공공포털

목적공익적 콘텐츠 검색

협력형 일반 포털 추구

상업적 정보 검색

일반 포털 추구

공익적 콘텐츠 검색

분야별 전문 포털 추구

대표

포털디브러리

구글, 네이버, 다음, 야후

국가지식포털,

문화포털, 지역포털(대

구포털, 공주사랑 등)

운영

체계

참여기관 협력체계 중심

전국적 협력형 운영조직

포털 및 CP 체계

다수의 운영조직

전담기관 관리체계중심

소수의 운영조직

역할전 분야 포털 서비스

전 분야 활용성 제고

시류적인 포털 서비스

수익 창출 제고

전문 분야 포털 서비스

전문 분야 활용성 제고

범위

공익적, 보존가치, 소외가

국가적 일반(전 분야의 고

품질 지식정보-지역, 정책,

다문화, 장애인, 해외 등)

엔터테인먼트

상업적 일반 (생활, 연예,

증권, 부동산, 뉴스, 영화,

음악, 지도, 책)

공익적, 보존가치

기관의 사업범위 내

(해당 분야 공공기관

생산정보)

확충

방식연계 콘텐츠의 증대 접속 콘텐츠의 증대 보유 콘텐츠의 증대

사이트

연계

형태

-주 : 웹데이터베이스

-부 : 웹사이트

-주 : 웹사이트

-부 : 웹데이터베이스

(일부시도)

-주 : 웹데이터베이스

-부 : 웹사이트

서비스전 분야 이용자 요구 중심

협력체계 활성화 강화

이용자 흥미 중심

자유로운 이용자 참여

분야별 전문성 중심

이용의 활성화 강화

장점

-폭넓은 주제 분야의 디지

털정보를 공신력 있는 도

서관에서 검증하여 제공

-콘텐츠 및 서비스의 신뢰

성 높음

-선별적 정보가치 높음

-통합 및 연계검색을 통한

편리함 높음

-디지털정보영구보존을 통

한 소멸 사이트정보 제공

-사이트 제공을 통한 일

상생활정보의 신속한

제공

-재미있는 정보가 많음

-데이터의 양이 무수히

많음

-의도된 검색의 편리함

제공

-영구보존성 없음

-해당분야에 대한 정확

하고 편리한 정보를

제공함

-공공기관 생산물로 신

뢰성 높음

-생산적 정보가치 높음

-분야별 검색 기능 일

부 제공

-연구보존성 고려하지

못함

단점

-재미있는 정보 부족

-정보의 질적 수준 저하

-정보의 신뢰성 부족

-상업적으로 의도한 정보

많음

-제한적 정보 제공

<표 5> 포털 차별화 전략

바. 포털 차별화 전략

Page 2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0 -

▪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 유통 허브

- 디브러리 포털에서는 국내외 고품질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온라인으로 다양한 디지털 지식정보 이용 가능

▪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형 서비스 제공

- 가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과의 협력

- 도서관 및 국내외 공공기관, 민간단체 등 다양한 기관들과 데이터 연계

▪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특성화 포털 서비스 제공

- 지식정보를 검색, 공유, 참여, 활용할 수 있는 메인포털

- 특성화된 전문포털(지역포털, 다문화포털, 정책정보포털, 장애인포털)

2. 메인포털 서비스

가. 디브러리 포털 목적

나.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범위

1) 디브러리 메인포털

: 학술정보, 전문정보, 정책정보, 지역정보, 해외정보, 블로그 등

2) 정책정보포털

: 정책자료, 테마기획, 참고정보원, 검색노하우 등

3) 지역포털

: 지역소식, 지역정보, 지역포커스 등

4) 다문화포털

: 다문화소식, 다문화포커스, 주제별 다문화 정보 등

5) 장애인포털

: 시각원문 및 대체자료, 커뮤니티 등

Page 2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1 -

[그림 7]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다. 디브러리 포털 메인화면 (http://www.dibrary.net)

Page 2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2 -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디브러리

소개

디브러리 소개 디브러리의 소개

디브러리 포털 디브러리 포털의 소개

배너달기

정보광장 디브러리 정보광장 소개 및 예약

디브러리 협력망 디브러리 협력망 소개 및 신청

디브러리 친구 디브러리 친구 커뮤니티 링크

검색

통합검색 디브러리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상세검색 디브러리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디렉토리 사이트 디렉토리 서비스

RSS 국내 기관/단체 RSS 정보 서비스

웹진 국내 기관/단체 웹진 정보 서비스

학술정보

목록정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록 정보

원문정보 국립중앙도서관 구축 원문 정보

웹DB 국립중앙도서관 구독/구매 웹DB 정보

학위논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네이버 책정보 네이버 책정보

전문정보

국가지식자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지식포털 제공 정보

오아시스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제공 정보

문화콘텐츠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제공 정보

과학기술정보 NDSL 제공 정보

국가기록물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 제공 정보

네이버전문정보 네이버 제공 전문정보

특허 NDSL 특허정보

표준 NDSL 표준규격정보

해외정보

해외공개 학술정보 Open Access 해외 학술정보

해외학술회의 NDSL 제공 해외주요 학술회의자료

해외학술논문(영․미권) NDSL 제공 영․미권 해외 학술지 논문

해외학술논문(중․일권) NDSL 제공 중․일권 해외 학술지 논문

정책정보 정책정보 정책정보포털로 링크

지역정보 지역정보 지역포털로 링크

질의응답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로 링크

커뮤니티카페

블로그

고객만족센터

공지사항

이용도움말

문의하기 고객 문의

불편사항신고 불편사항신고

나의 질문내역 질문 작성 및 내역 확인

기타사항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홈페이지 개선의견

<표 6> 메인포털 서비스 구성

라. 서비스 구성

Page 2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3 -

▪ 국립중앙도서관의 원문정보, 목록정보, 웹DB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원문정보 : 국문중앙도서관에서 구축한 원문DB 중 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이용 허락을 받은 자료에 대해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무료로 이용 가능

- 웹DB :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독 및 구매한 웹DB에 대한 검색을

제공하며, 국립중앙도서관내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

- 목록정보 :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및 외국자료의 목록정보에

대한 통합검색을 제공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국내 석․박사학위논문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네이버 책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지식포털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국립중앙도서관 OASIS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의 문화유산, 예술, 문화산업, 도서관, 체육,

관광 소식 등 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 논문, 연구보고서, 동향분석,

사실정보 등 과학기술 및 산업의 전문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국가기록원의 나라기록포털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일반기록물,

시청각기록물, 총독부기록물, 해외기록물, 역사기록물, 행정박물기록물

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네이버가 제공하는 학술자료, 전문보고서, 특허/KS표준, 통계 등

전문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한국특허, 미국특허,

일본특허, 유럽특허, 국제특허 등 2천만건의 특허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한국산업,

국제표준화기구, 국제전기기술위원회 규격 등 NDSL의

표준규격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마. 학술정보

바. 전문정보

Page 2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4 -

▪ 오픈액세스(Open Access) 방식으로 제공되는 해외 주요 대학,

연구기관, 공공기관의 학술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해외주요 학술회의자료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제공하는 해외 과학기술분야 핵심

학술지 수록논문에 대한 통합검색 제공

▪ 디브러리 협력망 연구에서 조사된 사이트(콜렉션 메타데이터) 5,000여

건에 대하여 사이트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

▪ 문화역사, 과학기술, 교육학술, 경제건설, 사회과학 등 5개 디렉토리

▪ 대분류는 각 주제별 소분류로 사이트 정보 제공

- 문화역사 > 문화일반, 전통문화, 예술, 미술, 박물, 역사, 관광, 체육,

인물, 다문화, 언론방송, 게임 (12개 소분류)

- 과학기술 > 순수과학, 기술과학, 정보통신, 환경 (4개 소분류)

- 교육학술 > 학술논문, 도서, 철학종교, 학교교육, 사회교육, 언어

(6개 소분류)

- 경제건설 > 경제경영, 건설교통, 국토지리, 해양, 산업, 통계, 특허,

노동, 농림수산, 기획재정, 금융 (11개 소분류)

- 사회과학 > 사회일반, 법률, 보건복지, 행정안전, 외교, 국방, 통일,

보훈 (8개 소분류)

사. 해외정보

아. 디렉토리 서비스

Page 3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5 -

▪ 국내외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에서 발간하고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웹진, 뉴스레터, 발간물, 사보 등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 웹진은 기관 분류별, 주제 분류별로 제공

▪ 국내외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에서 제공하는 RSS 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 RSS는 기관분류별로 제공

- 지역 / 정책 / 다문화 / 기타

▪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관 RSS feed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관의 최신 소식을 편리하게 구독할 수 있도록 함

▪ 지식정보 공유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 블로그와 카페는 지식을 생성하고, 다른 이용자들과 상호교류하며,

지식정보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 블로그/카페 서비스 항목

- 블로그 및 카페 기능은 디브러리 공통 기능으로 구현되며 카테고리,

공지사항, 글쓰기 등으로 구성

▪ 블로그/카페의 활성화 방안 마련

- 향후, 각 협력망 별로 참여기관이 블로그를 통해 기관을

브랜드화하고, 대국민 정보공유 채널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

공간의 역할 제공

자. 웹진/RSS

1) 웹진

2) RSS

차. 블로그/카페

Page 3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6 -

▪ 웹2.0의 OpenAPI를 디브러리 포털에 적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표준적인 지식정보의 검색 및 재사용(XML형태의 검색결과 제공)이

가능하도록 함

▪ 디브러리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술자료, 해외정보 등에 대한 검색

결과를 API로 제공하는 서비스

▪ 디브러리 포털 OpenAPI는 디브러리 포털의 메타데이터를 웹 2.0의

열린 검색 방식으로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에게

다양한 검색조건으로 제공하며, 검색결과를 XML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디브러리 포털 활용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자 함

▪ 디브러리 포털 OpenAPI는 사용을 원하는 공공기관, 민간기업, 협회,

연구소, 전문가 등이 소정의 이용등록절차를 걸쳐 인증키를 부여

받은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

카. OpenAPI (추후 서비스 예정)

Page 3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7 -

3. 지역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지역포털 서비스 목표

가) 지역정보의 체계적 분류 및 지역 학술연구․지식정보의 통합검색 제공

나)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정보․지식의 통합 콜렉션 구축

다)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지역정보의 발굴, 수집, 보존, 활용

라) 이용자 참여로 다양한 정보가 생산, 공유, 활용되는 Library2.0 서비스

2) 지역포털의 역할

가) 도서관, 미술관, 박물관, 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집, 지방자치단체 등 기

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지역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체계 마련

나) 분산 생산, 관리, 검색되는 지역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 통합 검색 제공으

로 국가 지역지식정보의 메타포털 역할 수행

다) 지역주민을 비롯하여 전 국민의 검색과 접근, 활용이 가능한 지역 콘텐

츠 추천, 선별 및 연계 서비스 제공

라) 지역정보 활성화를 통해 지역정보 대표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강

화 및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3) 지역포털 서비스의 특성

가) 도서관 서비스 중심을 자료 소장의 관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의 관점으로 확장

나) 사서, 전문가 및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공유를 통해 성장하고 가치

를 창출하는 개방형, 참여형 포털 서비스 구축

다) 지역의 공공기관 및 민간의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전국적인 지식정보

공유협력네트워크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1) 지역 디렉토리

가) 지역별 디렉토리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나) 기관별 디렉토리 : 도서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지방자치단체

2) 지역정보

16개시도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 관련기관(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

집), 지방자치단체, 지역단체 등에서 수집한 지역별 콘텐츠를 테마별로 추천

Page 3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8 -

소개 (문화, 예술, 관광, 축제, 기관정보 등)

3) 지역포커스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기관의 정보원을 소개, 전국 지역별로 구분하여 제공

4) 지역 소식

지역별 소식 및 행사, 축제 정보에 대한 통합 제공

5) 지역자료

지역포털 협력망 기관의 디지털자료에 대해 웹크로링 데이터를 제공

다. 서비스 구성

1) 구성방향

가) 지역포털 서비스는 디브러리 메인포털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검색, 참

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된다.

(1)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

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2)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구현한다.

(3)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

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를 구현한다.

(4)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

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

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2) 서비스 목적

가) 지역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통합적으로 제공

나) 지역 기관의 정보 연계 및 공유를 통해 지역정보 이용을 활성화

다) 학술적, 정보적 가치가 있는 지역정보를 발굴, 수집, 보존, 활용

3) 서비스 내용

가) 지역에 의한, 지역에 관한, 지역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메타포털

서비스

나) 지역지식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및 지역 정보원에 대한 지역별, 기관별

디렉토리를 제공

다) 지역포털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식, 테마정보, 향토자료 제공

라)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도서관/미술관/박물관/문화원 등 각종 문화기관, 단

Page 3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29 -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지역포털

소 개

지역포털 서비스 지역포털의 목적, 특징, 주요서비스 등

지역포털 협력망 지역포털 협력망의 목적, 조직도

지역포털

검색

통합검색 지역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상세검색 지역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기관별

디렉토리

도서관 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미술관 미술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박물관 박물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문화기관문화원, 문화의집, 문예회관 사이트

정보장서 등록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지역언론 지역언론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연구기관 국립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단체 지역 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지역소식

행사 지역별 행사 정보 제공 등록

공연․전시 지역별 공연․전시 정보 제공 등록

축제 지역별 축제 정보 제공 등록

지역정보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충북/충남/전북/전남/경

북/경남/제주

전국 16개시도 및 232개 시군구

지역의 지역개요, 지역일반현황,

지역 역사/유래, 지역 상징물, 지역

문화/관광, 지역 주요기관 정보

제공

콘텐츠

구축

지역포커스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충북/충남/전북/전남/경

북/경남/제주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기관의

정보원을 소개하는 지역포커스

콘텐츠를 전국 지역별로 구분하여

제공

콘텐츠

구축

지역자료

서울/부산/대구/인천/광

주/대전/울산/경기/강원/

충북/충남/전북/전남/경

북/경남/제주

지역포털 협력망 기관의

디지털자료에 대해 웹크로링

데이터를 제공

웹크로링

커뮤니티 지역블로그 지역 협력기관의 블로그 운영추후

서비스

<표 7> 지역포털 서비스 구성

체 및 개인과의 지역정보 공유 및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정보 소통을 위

한 정보 발굴 및 통합적 지역정보 제공

4) 지역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Page 3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0 -

[그림 8] 지역포털 메인화면

5) 지역포털 메인화면 (http://region.dibrary.net/)

Page 3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1 -

[그림 9]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6) 지역포털 통합검색 화면

Page 3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2 -

▪ 전국 16개시도 및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 기본정보 및 소개

정보를 수집하여 각 지역에 대한 일반현황, 유래/역사, 지역상징물,

문화/관광, 지역 주요기관 웹사이트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

▪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송부 받은 텍스트 및 이미지,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지역의 정보를 구성항목에 따라 콘텐츠 1건으로 구성

▪ 지역정보공유협의회 참여기관에 대한 정보원을 소개하는 서비스로

기관의 주요 서비스 및 발간물 등 핵심 정보를 테마 콘텐츠로

구성하여 디브러리 지역포털에서 제공

▪ 지역포털 협력체계 참여기관으로부터 송부 받은 텍스트 및 이미지,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기관의 정보를 구성항목에 따라

콘텐츠 1건으로 구성

▪ 지역포털 협력망 참여를 신청한 기관 중 양질의 디지털 정보를 다수

보유한 기관 자료에 대하여 웹크로링을 통해 데이터 수집

▪ 수집된 지역자료는 지역별로 서비스 제공

▪ 수집 대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제목, 기관명, 등록일자, 설명, URL로

서비스

라. 주요서비스

1) 지역정보

2) 지역포커스

3) 지역자료

Page 3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3 -

▪ 지역 기관의 행사, 공연/전시, 축제 관련 최신 소식에 대한 알림서비스

제공 : 16개시도 각 지역별 소식

▪ 향후 운영방안

- 현재는 지역포털 담당자가 해당 소식을 조사 및 업로드 하나, 추후에

는 지역 단위 협의체에서 주도적으로 서비스 운영하여 협력기관에서

소식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서비스 예정

- 지역포털 메인에서는 통합적으로 서비스하고, 각 지역거점 포털에서는

지역별 알림서비스로 해당 지역 정보만 모아서 제공

4) 지역소식

Page 3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4 -

4.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정책정보의 정의

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정책입안 활동에 필요한 정보

나)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결정, 정책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다) 연구자와 일반국민 등이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정보

2)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목표

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정책자료에 대한 통합접근점 제공

나) 정책정보포털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정책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

다) 정책전문 사서의 상호협력을 통해 생산되는 정보와 국립중앙도서관 정책

자료과 자체생산 정보의 유기적 활용

3) 정책정보포털의 역할

가) 정부기관 및 산하기관, 유관기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정책정보자원 메

타연계 및 통합검색 서비스

나) 주제별, 기관별 맞춤정보 제공 및 정책정보 참고봉사 서비스 제공

다) 핵심 현안 및 관심 이슈 등 활용성이 높은 정책정보에 대한 2차 가공 및

제공

4) 디브러리 포털 서비스 특성

가)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결정, 정책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

나)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이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선별, 추천, 가공 서비스 제공

다) 국내 정부간행물, 국제기구 발간자료, 국제회의자료, 해외 정부기관 자료,

국내외 정책정보 온라인DB, 해외 수집 한국자료 등을 제공

라) 국내외 공공 및 민간 지식정보기관과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범국가적

지식정보공유협력모델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n 정책정보 검색

- 정책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으로 사이트, 전문정보, 정책정보 등 검색

n 정책자료

Page 4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5 -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정책정보포털소개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정책정보포털 서비스의 목적 및 내용 소개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정책정보공유협의회 및 대상기관 소개

검색통합검색 정책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상세검색 정책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정책자료

최신정책자료국내․외 주요 정책관련 기관 발행 최신자료 수집․제공

사서추천자료국립중앙도서관에 입수된 정부간행물 신간자료소개

테마기획 국정과제 관련자료정부 100대 국정과제 관련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및 해외 온라인 디지털자료 제공

- 국내 및 해외 주요정책 관련기관 발행 자료

n 정책정보 참고정보원 디렉토리

- 정책정보 관련 참고정보원에 대한 디렉토리 분류 제공

n 정책정보 테마기획

- 국정과제, 대통력 업무보고, 해외정책 사례 정보

n 정책정보 검색 노하우

- 정부기관 자료실 담당자 소개 및 자료 검색 노하우를 분야별로 제공

n 정책정보 커뮤니티

- 정책정보 담당자들이 운영하는 온라인 교류 공간(정책정보 블로그)

다. 서비스 구성

1)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방향

포털 서비스는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

가)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

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 구현

나)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다)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

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 구현

라)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

스 교육 기반 마련을 통해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

시키고 정보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서비스 구현

2)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Page 4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6 -

상위탭 하위탭 검색 범위

사이트 - 장서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정보원

전문정보일반정보

DB연계 방식으로 수집된 전문자료

- 대한민국 정책포털의 ‘전문자료’

-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식정보 검색시스템(IKIS)

- 정책연구정보서비스(PRISM)

- 국외출장연수정보시스템

법령정보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제공 현행법령

행정기관 업무보고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보고자료 제공

참고정보원

국내정부정보원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정보원 제공

외국정부정보원 외국 정부기관 및 정부간행물 정보원 제공

국제기구정보원 주요 국제기구 정보원 제공

국제회의정보원 주요 국제회의 정보원 제공

검색노하우

정책정보 검색노하우정책 전문사서들의 정책정보 검색방법 및 참고정보원에 대한 노하우 소개

정책용어사전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용어사전소개 및 링크

정부기관자료실 소개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실 소개

정책정보길라잡이정책이슈 관련정보 제공, 추천 사이트 소개 등각종 유용한 정책정보 제공

알림마당 공지사항 공지사항, 행사 등 안내

기관회원서비스

협력기관 대출신청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관외대출 신청

정기이용증 발급 공무원 정기 이용증 발급신청

바로가기

국가별 중앙행정기관6개국(우리나라,미국,영국,캐나다,일본,중국)의 중앙행정기관 사이트 바로가기

정책정보포털 협력기관

정책정보공유협의회 참여 신청기관 사이트 바로가기

커뮤니티 정책정보 블로그

정책 전문사서, 공직자, 정책정보 담당자가 운영하는 블로그현재 '해외기록으로 보는 한국'(해외수집기록물블로그), '동북아이야기'(동북아자료실 블로그) 운영 중임

<표 8>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구성

3) 정책정보포털의 통합검색 범위

Page 4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7 -

통계정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제공 통계정보

정책정보

정책정보포털 자료 정책정보포털 자체 구축자료

정부간행물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검색의 ‘정부간행물’

정책소식 부처별 정책정보 및 보도자료

웹문서 - 웹크로링 방식으로 수집된 웹문서

블로그 - 정책정보포털 관련 블로그 문서

<표 9>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범위

[그림 10]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4) 정책정보포털 메인화면 (http://policy.dibrary.net)

Page 4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8 -

5)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http://policy.dibrary.net)

Page 4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39 -

▪ 이용자들의 관심 현안 및 정책 이슈를 반영하는 테마를 설정하여,

국․내외 관련 자료 및 정보원 제공

▪ 국정과제 관련자료 :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와 관련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및 해외 온라인 디지털자료를 수집․선별하여 제공

[그림 11] 정책정보포털 통합검색 화면

라. 주요 서비스

1) 정책자료

▪ 최신정책자료

- 국내 ․ 외 주요정책관련 기관에서 발행된 최신자료를 수집․제공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발행기관, 정보유형, 주제 분야, 등록일

▪ 사서추천자료

- 국립중앙도서관에 입수된 정부간행물 신간자료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표제, 저작자, 발행처, 발행년, 형태사항,

표지이미지, 소개, 목차

2) 테마기획

Page 4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0 -

▪ 서비스 구성항목

①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 도서 : 제목, 저작자, 발행자, 발행년도, 청구기호, 목차, 원문

- 학위논문 : 제목, 저작자, 발행자, 발행년도, 청구기호, 원문

- 학 술 지 : 기사명/저작자, 발행년도, 수록잡지명, 발행자

② 온라인 디지털정보

- 해외학술DB : 기사명, 저작자, 발행년도, 수록잡지명, 수록정보,

DB명, 언어

- 외국정부기관 : 제목, 국가, 기관명, 발행년도, 원문

- 국제기구 : 제목, 기구명, 발행년도, 원문

▪ 행정기관 업무보고 : 국내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보고자료 제공

▪ 정책정보 검색 노하우

- 정책 전문사서들의 정책정보 검색방법 및 참고정보원에 대한

노하우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KDC 및 DDC 분류, 키워드, 내용,

작성기관, 작성기관URL

▪ 정책용어사전

-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용어사전 소개 및 링크

- 서비스 구성항목 : 사전명, 제공기관명, 소개, 사전구분

3) 참고정보원

▪ 국내정부정보원 :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제공

▪ 외국정부정보원 : 외국 정부기관 및 정부간행물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 국제기구정보원 : 주요 국제기구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 국제회의정보원 : 주요 국제회의 사이트 소개, 주요 정보원 제공

4) 검색노하우

Page 4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1 -

▪ 정부기관 자료실 소개 : 정부 및 공공기관 자료실 소개

- 서비스 구성항목 : 자료실개요, 이용안내, 장서현황, DB현황,

연락처 등

▪ 정부정보 길라잡이

- 정책이슈 관련정보 제공, 추천 사이트 소개 등 각종 유용한

정책정보 제공

- 서비스 구성항목 : 제목, 내용, 첨부파일

Page 4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2 -

5. 다문화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다문화포털 서비스 목표

가) 다문화 소통을 위한 지식정보의 발굴, 수집 및 통합 정보 제공

나) 이주민의 정보요구 및 생활적응을 지원하는 다문화정보서비스 체계구축

다) 정보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다문화정보의 활용성 강화

라) 이용자 참여로 다양한 정보가 생산, 공유, 활용되는 Library2.0 서비스

2) 다문화포털의 역할

가) 분산 생산, 관리, 검색되는 다문화 디지털지식정보자원의 통합 검색 제공

으로 다문화지식정보의 메타포털 역할 수행

나)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등 이주민을 비롯하여 내국인

을 대상으로 검색과 활용이 가능한 다문화 콘텐츠 추천 및 선별 제공

다) 동아시아국립도서관, 대사관, 문화원, 다문화관련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

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다문화정보자원의 연계 및 공유체계 마련

3) 다문화포털 서비스의 특성

가) 한글, 영어, 중국어(간체), 베트남어, 타이어(태국), 일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등 7개 언어 기반 서비스

나) 다문화 관련 전문가 및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공유를 통해 성장하

고 가치를 창출하는 개방형, 참여형 포털 서비스 구축

다) 다문화 관련 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의 디지털자원을 공유하는 전국적

인 지식정보공유협력네트워크 구축

나. 서비스 대상 및 범위

1) 다국어 검색

가) 다문화정보공유협의회를 통해 수집한 다문화정보원 및 콘텐츠에 대한 다

국어 기반 검색 제공

나) 동아시아국립도서관, 재외 한국문화원, 주한 해외대사관, 주한 해외 문화

원, 다문화 관련 정부기관, 다문화 관련단체 콘텐츠 연계

2) 다문화 주제별정보

가) 이주민의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주제별 콘텐츠 제공

나) 생활정보, 교육정보, 정책정보, 문화콘텐츠 등

Page 4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3 -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다문화포털

소 개

다문화포털

서비스다문화포털의 목적, 개요 등

다문화포털

협력망다문화포털 협력망의 목적, 참여기관 등

다문화포털

검색

통합검색 다문화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

상세검색 다문화 정보에 대한 상세 검색 -

기관별

디렉토리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대사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공공기관 다문화 관련 공공기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다문화단체 다문화단체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주한해외문화원 주한해외문화원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3) 다문화포커스

가) 다문화 관련 기관 소개

나)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소개

4) 다문화 소식

가) 다문화 관련 소식 및 행사, 축제 정보에 대한 통합 제공

나) 다문화 소식 수집 및 등록

다. 서비스 구성

1) 서비스 구성방향

가) 다문화포털 서비스는 디브러리 메인포털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며, 검색,

참여, 공유, 활용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

나) 디브러리가 수집 및 연계하는 장서 및 콘텐츠에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 구현

다) 개방, 공유, 참여를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이용자 참여 서비스 구현

라)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공유 협력체계 구현

마) 디브러리 이용자 공간 및 포털을 통한 정보리터러시 및 정보레퍼런스 교

육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복지를 실현하는 서비스 구현

2) 다문화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Page 4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4 -

재외한국문화원 재외한국문화원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국립도서관 국립도서관 사이트 정보 장서 등록

다문화소식

소식 다문화 관련 언론보도 한국어

행사 다문화 관련 행사 소식 한국어

영상뉴스 다문화 소식에 관한 영상뉴스(MNTV) 웹크로링

다문화정책

정책자료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 자료 소개구축/번역

법령 다문화 관련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한국어

조례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관련 조례 한국어

교육정보 교육자료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제공구축/번역

생활정보 생활자료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의료 등의 정보 제공구축/번역

문화정보

다문화 책 다문화 관련 책 소개 및 책 정보 제공 한국어

문화콘텐츠다문화/이주민 관련 영화, 방송 등

문화 및 미디어 콘텐츠 제공구축/번역

다문화

포커스다문화 포커스

다문화 기관⁄단체 정보,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정보를 제공구축/번역

7개 국어 서비스

한글,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베트남어, 타이어(태국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

<표 10> 다문화포털 서비스 구성

Page 5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5 -

[그림 12]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3) 다문화포털 메인화면 (http://multiculture.dibrary.net/)

Page 5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6 -

[그림 13]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4)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화면

Page 5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7 -

▪ 다문화 관련 언론보도 : 관리자가 언론보도 등록

▪ 다문화 관련 행사소식 : 관리자가 조사 후 등록, 또는 해당

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제공 받아 등록

▪ 다문화 소식에 관한 영상뉴스

- MNTV 다국어 영상뉴스를 웹크로링 방식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제공(이주민방송 MNTV)

▪ 다문화소식 정보구성 항목

- 소식 : 제목 / 출처 / 보도일자 / 링크 URL

- 행사 : 행사명 / 주관기관 / 기간 / 장소 / 홈페이지 / 내용 /

첨부파일

- 영상뉴스 : 등록일자, 제목, 기관명, 설명, 등록일, (언어)

▪ 다문화 정책 :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 자료, 다문화

관련 법령 및 조례 등을 소개

▪ 교육정보 : 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을

소개

▪ 생활정보 : 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의료 등의 정보를

소개

▪ 문화정보 : 이주민 대상 문화 정보, 다문화 관련 문화 공연, 방송, 영화

등 미디어 소개

▪ 다문화 기관⁄단체 정보, 다문화 관련 주요 이벤트 정보를 제공

▪ 한국어로 구축하여 한국어 페이지에 등록하며, 6개 다국어로

번역/감수하여 해당 언어페이지에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

라. 주요 서비스

1) 다문화포털 통합검색

2) 다문화소식

3) 다문화포커스

Page 5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8 -

상위메뉴 하위메뉴 상세작업내용

개요 제목Ÿ 다문화관련 기관명 또는 다문화축제나 이벤

트 이름을 입력한다.

  소개

Ÿ 해당사이트의 소개글, 안내문 등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소개글이 없는 경우 사이트를 살펴보고,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잘 소개될 수 있도록 유의하여 5줄 내외로 작성한다.

  주최, 주관 Ÿ 주최, 주관기관명을 입력한다.

  주소, 문의처 Ÿ 주소,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웹사이트url Ÿ 웹사이트url을 입력한다.

  관련이미지

Ÿ 웹사이트에서 다문화 관련 기관, 축제·이벤트 관련이미지를 2~3장 스크린샷하여 따로 저장한다.

Ÿ 이미지파일은 하나의 콘텐츠 당 하나씩 폴더를 만들어 이미지를 저장한다.

주요서비스

서비스명 Ÿ 서비스내용은 주로 웹사이트에 있는 서비스 항목들을 정리하여 작성하며, 해당 기관의 다문화 관련 주요 사업을 소개한다.

Ÿ 제공하는 서비스가 여러 개 있을 경우, 서비스 목록을 여러 개 작성한다. (다문화포커스 예시 참조)

Ÿ 서비스항목 작성은 서비스명, url, (서비스에 관한)설명, 관련이미지 순으로 한다.

url

설명

관련이미지

연관사이트

사이트명 Ÿ 소개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사이트를 소개한다.

Ÿ 소개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다문화이벤트 또는 축제사이트를 소개한다.

Ÿ 연관사이트가 여러 개인 경우, 해당 연관사이트를 모두 작성한다.

Ÿ 연관사이트 항목 작성은 사이트명, url, 사이트 설명, 관련이미지 순으로 한다.

url

설명

관련 이미지

<표 11> 다문화포커스 구성내용

n 다문화포커스 콘텐츠 구성항목 및 주요내용

Page 5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49 -

상위메뉴 하위메뉴 상세작업내용

테마소개 테마명Ÿ 다문화정보의 대상이 되는 항목의 제목을 적는

다.

  테마개요 Ÿ 테마에 대한 소개글이 있다면, 참고하여 작성하

고, 소개글이 없다면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해서 정리한다.

  정보제공기관 Ÿ 정보제공기관을 적는다. (웹사이트 개설기관)

  정보출처url Ÿ 정보제공기관의 url을 링크시킨다.

  관련이미지

Ÿ 웹사이트에서 해당 다문화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2~3장 스크린샷하여 따로 보관한다.

Ÿ 이미지파일은 하나의 콘텐츠 당 하나씩 폴더를 만들어 이미지를 저장한다.

주요서비스 서비스명 Ÿ 서비스명을 기입한다.

  서비스 내용Ÿ 해당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기입한다. 소개글이

있는 경우 참조하여 요약·작성하고, 없는 경우는 직접 작성한다. 5줄 내외로 작성한다.

  원문파일 url Ÿ 원문파일을 바로 볼 수 있도록, 해당페이지의

▪ 다문화정책 :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다문화 관련 정책 자료, 다문화

관련 법령 및 조례 등을 소개

▪ 교육정보 : 다문화 관련 학술·연구자료,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을

소개

▪ 생활정보 : 이주민의 실생활에 필요한 복지, 소비, 의료 등의 정보를

소개

▪ 문화정보 : 이주민 대상 문화 정보, 다문화 관련 문화 공연, 방송,

영화 등 미디어 소개

4) 다문화정보 (정책/교육/생활/문화)

n 다문화정보 콘텐츠 구성항목 및 주요내용

Page 5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0 -

url을 링크시킨다.

제공기관의 다른 정보

제공기관명 Ÿ 해당 부가정보의 제공기관명을 기입한다.

  제공 서비스Ÿ 위에서 소개한 정보와 관련된 기타 정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콘텐츠 항목들의 제목을 적고, 간단한 설명을 적는다.

 포커스링크

urlŸ 다문화포커스 url을 링크한다.

연관사이트 사이트명Ÿ 해당사이트와 같은 주제나 테마를 가진 다른

사이트를 소개한다.

  url Ÿ 연관사이트의 url을 명시한다.

  설명 Ÿ 연관사이트에 대한 간략한 요약글 작성. 연관사

이트에서 서비스하는 콘텐츠들을 소개하고, 간략한 설명을 덧붙인다.

<표 12> 다문화정보 구성내용

▪ 다문화 관련 책 소개 및 책정보 제공

▪ 다문화 책정보 구성항목

- 표지 이미지, 책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년, ISBN, 책소개, 목차 등

5) 다문화 책

Page 5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1 -

마. 다문화포털 다국어 페이지

<영어> <중국어>

<일본어><태국어>

<베트남어><타갈로그어>

[그림 14] 다문화포털 다국어 화면

Page 5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2 -

[그림 15] 장애인포털 메인 화면

6. 장애인포털 서비스

가. 서비스 목표 및 특성

1) 서비스 목표

장애인 협력망을 통해 참여기관 콘텐츠의 통합 검색을 서비스함으로써 각

기관별 신규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의 중복을 방지하고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강화하고자 함

2) 서비스 내용

- 원문도서, 시각장애인용 대체자료, 청각장애인용 대체자료의 검색 및 열람

- 관련 기관 정보, 추천도서 정보 제공

- 커뮤니티, 자료실, 자유 게시판을 통한 참여형 서비스

- 장애인 관련 자료(통계, 발간자료, 법령자료 등) 게시

- 협력기관과의 정보 공유

나. 서비스 구성

1) 장애인포털 메인화면 (http://able.dibrary.net/)

Page 5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3 -

상위메뉴 하위메뉴 주요내용 비고

장애인포털

소개

장애인포털이란? 장애인 포털 소개

주요서비스 안내포털 주요서비스 및 시각장애인 특화기능

안내

참여기관 안내 참여기관 안내 및 자료 목록

검색통합검색

시각원문, 종합목록, 디지털콘텐츠 및 장애인정보 등에 대한 키워드 검색

상세검색시각원문, 종합목록, 디지털콘텐츠 및

장애인정보 등에 대한 상세 검색자료검색

/열람 안내자료검색 이용안내 자료검색 이용안내 및 제공 콘텐츠 설명

공개자료실

장애인 통계자료등록 장애인 현황, 고용관련 통계 등 장애인

관련 통계자료(엑셀, PDF파일)

장애인관련

법령자료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복지법 등 장애인 관련 법령자료

도서관관련

법령자료

도서관법, 독서문화진흥법, 저작권법 등 도서관관련 법령자료

발간자료국립중앙도서관, 문화체육관광부 등에서

발간된 장애인 관련 발간자료

장애인 관련기관 장애인 관련기관 링크 및 정리파일

알림공간

공지사항 공지사항 및 새소식 게시판

자주하는 질문 빈도가 높은 주요 질문 및 답변 정리

대체자료예정목록국립중앙도서관 및 기타 장애인도서관에서

제작 준비 중인 자료 목록

정보공간

장애인 뉴스 장애인 행사에 대한 공지, 뉴스, 정부시책 등

장애인 도움정보 장애인 혜택정보

장애인

건강/재활정보

장애인 재활관련 정보 및 서비스 제공기관 등

장애인 교통정보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방법, 특수차량

이동서비스 등

장애인 채용정보 장애인을 위한 구직/구인 정보

장애인 교육정보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 성교육,

수화/점자교육정보 등

장애인 도서관정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법 및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참여공간 추천도서관리자 및 포털 이용자가 감명 깊게 읽은 책

소개

1) 장애인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Page 5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4 -

자유게시판 게시판 형태의 커뮤니티 서비스

오류신고포털 내용 및 검색된 도서정보 등의 오류

신고

국립장애인

도서관

지원센터

지원센터 소개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업무 및 연락처,

찾아오는 길 안내

장애인정보누리터장애인정보누리터의 일반사항 및 기능, 구성

안내

국가상호대차서비스(책바다)

메뉴 클릭 시

‘국가상호대차서비스(책바다)’ 사이트로

이동

http://nl

.go.kr/ni

ll/

국립중앙도서관메뉴 클릭 시 ‘국립중앙도서관’ 사이트로

이동

http://nl

.go.kr/

<표 13> 장애인포털 서비스 메뉴 구성

Page 6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5 -

제4장 디지털정보공유 협력망

1. 협력망 구축을 위한 선결조건

가. 기본 원칙

1) 국가(공공)의 책임주의 및 대국민서비스의 공익성 추구

2)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 협력 및 공유 지향성 명확화

3) 도서관 협력 체계 및 분산 통합형 관리체계 수립

4) 이용자 접근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정보서비스 실현

5) 공공 및 민간의 견고한 파트너십 형성

나. 협력망 구축 시 고려사항

1) 디브러리 포털의 총체적 협력망 구축 및 운영 표준 수립

2) 국립중앙도서관 협력부서 및 관련 업무 프로세스 반영

3) 협력이 필요한 국립중앙도서관 내 시스템 관련사항 반영

4) 국내외 대표 지식정보 사이트 및 장서 조사

5) 기존 연구 및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조사

2. 협력망 운영 사례

Urquhart(1981, 98)는 “어떠한 도서관도 외로운 섬은 아니다.”라고 하여 단

위 도서관이 더 이상 독립적으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며, 도서

관간의 협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정보의 양

적 팽창과 더불어 정보의 이동과 활용이 편리해진 상황에서 어떠한 도서관도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는 없으며,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고

따라서 타 도서관과의 협력은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수적

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서관 혹은 정보 제공기관 간의 협력망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호혜적 입장에서 협력하기를 동의한 협의체로 일반적으로 지역단위, 국

가 단위, 도서관의 형태 및 주제 분야 등으로 구성된다. 도서관 간 협력의 대

표적인 형태는 정보의 공동 수집을 위한 협력망과 자료의 공동활용, 업무 효

율화를 위한 협력망으로 구분할 수 있다.

Page 6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6 -

가. 정보공유를 위한 협력망

1) 국내 사례

정보 공유를 위한 국내에서의 도서관 협력망은 일반적으로 관종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국가 차원 혹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관종별 도서관간

의 정보 공유를 위한 대표적인 협력망은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공공

도서관 협력망,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술정보협의회, 대학도서관 중

심의 한국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전문도서관 분야의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국가연구정보협의회, 그리고

학술지 공동 활용 협의회 등이 있다.

국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서관 협력망은 국내 생산 지식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국가전자도서관 사업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 지역 내 도서관 간

정보 공유를 위한 협의체는 신촌지역 4개 대학도서관, 경기지역 6개 대학 외

국학술지 공동 구독 협의회, 대구 경북대학도서관 연합회 등이 있으며, 상호간

의 협력을 통하여 도서관 간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관

종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협력망인 공공도서관 협력망, 대학도서관 협력망,

전문도서관 협력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 공공도서관 협력망

공공도서관 협력망은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16개 지역의 대표도서관을

선정하고 지역별로 자료의 공동 활용을 통한 도서관 운영의 효율화를 도모하

고 있다. 공공도서관 협력망의 운영 목적은 도서관 간 상호협력 및 자원 공유

로 대국민 서비스 수준 향상, 자료의 효율적 관리와 유통으로 지식과 정보 활

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 구축, 지역 간 지식 및 정보의 격차가 없는 문화

선진 인프라 구축, 그리고 정보화, 세계화, 전문화에 따른 국가 지식정보의 경

쟁력을 제고시키는 데 있다.

공공도서관 협력망은 2007년 말 현재 607개 도서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16

개 지역대표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이 연계되어 참여 협력형의 국가 협력

컨소시엄을 형성하고 있다. 협력망의 운영은 협력 운영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

기 위하여 과거 국립중앙도서관을 최상층으로 하던 계층형에서 일반 공공도서

관들이 직접 참여하는 분산형, 참여 소통형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향후

모든 관종의 도서관이 연계되는 전국적 도서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게 될 것이

다.

Page 6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7 -

나) 대학도서관 협력망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국가지식정보센터가 전담하여 주도하는 학술

정보공유협의체는 국내 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학술정보의 원활한 유통 및 대학

도서관 간 정보 교류의 활성화를 위하여 구성되었다. KERIS는 전국 대학도서

관의 단행본, 학술지, 학위논문에 대한 소장정보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

축하였으며. 565개 기관 회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64만 건의 국내외 학위

논문 원문, 97만 여 건의 학술지 논문 원문, 784만여 건의 목록 데이터를 제공

하고 있다. 또한 회원기관 간 자료공동이용 협약을 기반으로 668개 기관이 참

여하는 상호대차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학술정보공유협의체에서 참여 기관과 KERIS의 역할은 명확하게 구분된다.

우선 KERIS는 회원기관들이 종합목록시스템을 통하여 소장 목록 데이터를 입

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 운영하며, 학술정보의 관리 및 연계 체제의 구

축을 지원한다. 반면 회원기관들은 자관 소장 자료에 대한 목록정보를 제공하

고 상호대차에 참여함으로써 도서관간의 학술정보 공동 활용 및 학술연구자에

게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 이외에도 회원기관들로 구성된 정보수집, 공동이용, 공동편목 등을 위한

각종 위원회구성과 운영, 회원기관 간 학술정보 공유 촉진을 위한 학술대회의

개최, 해외 학술정보의 발굴, 해외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공동 수집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국내 대학에서 생산되는 연구 활동의

결과물을 자동으로 수집하기 위한 학술정보 유통체계 시스템인 dCollection을

개발, 보급하여 정보의 생산과 동시에 즉시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특

히 '학술자료구축시스템'은 학술자료를 생산하는 참여기관들이 직접 메타데이

터와 원문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회원기관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다) 전문도서관 협력망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도서관 중심의 협력망은 과학기술정보관

리협의회, 연구정보협의회, 의학도서관협의회, 신학도서관협의회 등이 있다. 전

문도서관 협력망은 일반적으로 동일, 혹은 유사한 주제 분야의 도서관들이 기

관 간 교류 및 정보 공유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발적으로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같은 국가차원의 대규모 정

보센터가 중심이 되어 다수의 전문도서관들이 전문분야의 정보를 수집하고 공

동으로 활용하는 유통체제를 유지하고 이용하는 형태가 있다.

Page 6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8 -

유사 주제 분야의 도서관 간의 협의체 구성 및 운영의 대표적인 사례는 한

국의학도서관협의회이다.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는 1968년에 설립된 이래로 의

학정보의 관리와 회원 상호간의 친목, 조사연구, 자료의 교환 및 상호대차 협

력, 직원들의 자질 향상, Workshop, 강습회, 전시회 등의 개최와 외국 단체들

과의 협력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규모 정보센터 혹은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협력망의 대표적인 사례

는 KISTI와 전문도서관 간의 정보자원의 공동 활용을 위한 상호협력이다.

KISTI는 2001년 산업기술정보원과 연구개발 정보센터가 통합되어 새롭게 발족

한 기관으로 과학기술분야의 전문도서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과학기술분야의

국가 지식 정보인프라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외 학술자료에 대한 원문서비스는 자체 소장 정보는 물론 기관 간 협력

을 통하여 국내외 주요 정보제공기관의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국가에서 지원되는 연구의 결과로 생산된 과학기술정보의 디지털 형태로

의 자동 수집과 제공, 그리고 해외 학술지의 공동 구독을 위한 기관 간 협의

체인 KESLI(Korean Electronic Site License Initiative)를 통한 협력활동이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다.

라) 국가지식자원 협력망

국가지식자원 협력망은 국가지식포털을 통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자료의 디

지털화와 온라인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촉진하기 위한 협력체제로 국가

지식포털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국가지식포털은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의

일환으로 각 기관별로 디지털화된 국가지식자료를 통합검색을 통하여 국민들

에게 보다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구축된 정보제공체제이다.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전담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과학기술, 교육학술,

문화, 역사, 산업경제, 정보통신, 건설기술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여 분야별 정

보센터를 지정하고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협력망을 이루고 있다. 한

국문화정보센터를 비롯한 정보센터들은 1,050여개 기관과 연계하여 메타데이

터를 수집하고 유통시스템을 통해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지식포털에

서 제공하는 주요 정보는 <표 14>와 같다.

Page 6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59 -

분야분야별

정보센터정보 연계기관 제공 지식정보

역사 국사편찬위원회

Ÿ 민족문화추진위원회

Ÿ 서울대학교 규장각

Ÿ 한국학중앙연구원

Ÿ 장서각 소장 국학자료

Ÿ 한국경학자료 DB Ÿ 한국고전적 종합 DB Ÿ 한국고전종합 DB Ÿ 한국역사정보 통합 DB Ÿ 한국학 고전원문정보 DB

정보

통신

정보통신연구진흥

Ÿ 한국정보화진흥원

Ÿ 정보통신연구진흥원

Ÿ 한국전산원

Ÿ 정보통신정책연구원

Ÿ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Ÿ 한국정보보호진흥원

Ÿ 정보통신 종합 DB

과학

기술

과학기술정보연구

Ÿ 과학기술분야 전문정

보센터

Ÿ 과학 및 산업기술 정보 DB Ÿ 국가생물자원 통합 DB Ÿ 국가생물종지식정보 DB Ÿ 국가생태계정보 통합 DB Ÿ 인간유전체 지식정보

Ÿ 종합수의과학지식정보 DB Ÿ 한의학지식정보자원

교육

학술

한국교육학술정보

Ÿ 전국 대학교 및

Ÿ 대학연구소 등

Ÿ 국가과학영재 통합정보 DB Ÿ 국가학술연구 DB Ÿ 국회입법활동 지원관련 원문Ÿ 사이버교과서 박물관

문화 한국문화정보센터Ÿ 문화체육관광부

Ÿ 문화관련 기관, 단체

Ÿ 국가기록영상 DB Ÿ 국가문화유산 종합 DB Ÿ 중요전적문화재 원문DB Ÿ 국방기록물 영상 DB Ÿ 문화예술 종합정보 DB

건설

기술

한국건설기술연구

Ÿ 국토해양부

Ÿ 대한주택공사

Ÿ 한국토지공사

Ÿ 한국도로공사

Ÿ 건설교통기술 지식정보 DB Ÿ 국토공간 영상정보 DB Ÿ 산림정보탐사용 항공사진 DB

산업

경제산업연구원

Ÿ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관Ÿ 출연 연구기관 지식정보 DB

해양

수산국토해양부

Ÿ 국립수산과학원

Ÿ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Ÿ 21세기 북한 자연인문지리

DB 등법률 법제처 Ÿ 근대법령 지식정보DB구축

특허

정보한국특허정보원

국가

전자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Ÿ 국회도서관

Ÿ 법원도서관

Ÿ 과학기술정보연구원

Ÿ 한국교육학술정보원

Ÿ KAIST 과학도서관

Ÿ 농진청 농업과학도서관Ÿ 국가지식포털

Ÿ 국내 주요 도서관 소장 문

헌정보

<표 14> 국가지식포털의 분야별 정보센터 및 주요 지식정보

Page 6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0 -

국가지식포털은 국내 생산 각종 지식정보자원의 수집, 축적, 보존, 공유, 활용

등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관리과정을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필요

한 지식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전자적 공유체제를 추구

하고 있다. 국가지식포털은 1,050개에 달하는 국가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국

가지식정보자원을 통합적으로 검색이 가능하고 원문에 대한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국가차원에서 예산을 지원하여 구축하는 사업을 통한

것이기 때문에 참여 기관별로 예산 지원 여부에 따라 소장 자료에 대한 업데

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자료의 최신성 확보

차원에서의 문제 소지가 있다.

2) 국외 사례

초기 도서관 간의 협력 업무는 여러 도서관의 소장 자료에 대한 목록 정보

를 포함하고 있는 종합목록의 작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작성된 종합목록을

기본으로 하여 도서관간의 상호대차와 원문복사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이 연

구에서는 대표적인 도서관 협력망으로 OCLC, TEL(The European Library), 민

간 차원의 정보 검색 및 포털 서비스 제공기관인 Google을 선정하였다.

가) OCLC

1967년 미국 오하이오주 소재 대학도서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비영리기관으

로 시작하였으나 그 후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세계적인 규모의 도서관 협력

망으로 성장하였다. OCLC는 회원기관들의 자발적인 연합체 성격을 가지고 있

으며, 전문정보센터를 인위적으로 지정하거나 운영하지는 않는다. 현재 전세계

112개국의 6만여 개 기관이 OCLC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OCLC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크게 몇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회원기관들이 소장한 자료에 대한 종합목록과 온라인 공동편목을 통

한 서지정보의 공유이다.

둘째, 공동편목과 메타데이터, 장서관리, 디지털화와 보존, e-Content, 참고

정보봉사 및 자원공유와 상호대차서비스(ILL: Interlibrary Loan)의 제공이다.

셋째, OCLC Research Institute를 통하여 회원들 간 정보의 공유와 편리한

접근을 위한 시스템 차원의 연구 및 개발 업무의 수행이다.

넷째, 전문(Full-text)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운영이다.

OCLC는 상업적 데이터베이스 회사, 연구소 등에서 제작한 데이터베이스를

표준화된 검색시스템을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는 그 범위를 확대하여 대학연구기관, 국립(전문)도서관, 국립연구소, 민간

Page 6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1 -

연구소, 협회, 정부기관 등이 제작한 전문정보 데이터베이스들을 확보하여 제

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회원기관에 대한 혹은 회원기관 간 협력서비스로서 서지정보 제

공 서비스, 개별 도서관이 OCLC를 통하여 전 세계의 도서관에 접근할 수 있

도록 하는 통합 접근 서비스, 통합 장서관리 및 편목서비스, 자료 공유서비스,

그리고 다음 세대에 연구 자료를 전달하기 위한 문서보관 및 자료 보존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나) TEL (The European Library)

TEL은 2000년 유럽국가도서관장회의(CENL)에서 국가 간 정보 격차를 해소

하고 지역의 모든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통합도서관을 구

축할 것을 합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언어, 문화, 제도, 전산시스템 등 여러

면에서 차이점이 많은 유럽 각국의 국가도서관이 EU 시민들에게 통합서비스

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이 사업의 주관은 영국의 국립도서관(BL)이며, 이탈리아, 독일 등 총 9개 국

립도서관이 참여하고 있다. 협력 분야는 6개의 작업영역(work package)으로

구분하되 주요 국가의 국립도서관이 분담하여 추진하고 있다. 6개의 작업영역

은 출판사와의 관계 (주관: 네덜란드KB), 비즈니스계획과 모델 수립 (주관: 영

국BL), 메타데이터 개발 (주관: 네덜란드KB), 상호운용 가능한 시범서비스 (주

관: 독일DDB), 배포와 이용 (주관: 독일DDB), 그리고 전체적인 운영은 영국의

BL이 맡고 있다.

TEL은 유럽의 48개국 국립도서관들이 협력체제 하에 연합하여 자료를 공유

하고 이를 공동으로 서비스하는 도서관시스템으로, 현재 참여하는 48개 국립

도서관 가운데 31개 도서관이 소장한 자료에 대해 웹을 통하여 원문 혹은 서

지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TEL의 서비스는 전통적인 도서관 서비스도

제공하지만 시공의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상의 공간을 통하여 35개 언

어로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유럽 전역의 도서관에 소장된 1.5억만 건의 자료

가 TEL의 통합검색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으나 각 국가 도서관별로 Z39.50서

버 및 검색 프로토콜을 통하여서만 가능하다.

회원 도서관은 TEL에 참여하는 유럽의 국가도서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

여하는 국가도서관은 국가별 납본처로서, 그리고 서지 통정센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을 의미한다. 국가별로 대표하는 참가

대상 국립도서관은 우리나라의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도서관들이

Page 6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2 -

다.

TEL은 서비스 대상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으며, 도서관에 소장하고 있는 모

든 형태의 자료를 찾고자 하는 모든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모든 학문분야에 걸쳐 서비스가 가능한(저작권 문제가 해결된 장서

에 국한)다양하고 방대한 전자 형태의 장서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유

럽의 문화와 관련된 정보자원들을 제공하고 있다.

참여 국가의 구성은 현재 유럽연합사서협의회의 회원국인 유럽의 48개 국

대표 도서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총괄적 참여(Full participants)와 부분적 참여

(Basic participants)의 2개 집단으로 구분되어 있다. 48개 국 가운데 31개국은

총괄적 참여를, 그리고 나머지 17개국은 부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다) Google

세계 최대의 포털인 동시에 검색 사이트인 구글은 검색에서의 기술력과 검

색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으며, Google Scholar는 학술자료 발행처

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온라인상의 세계 최대 학술자료 공급처로 등장하고 있

다. 학술정보 발행처들의 경우 이용자들에 대한 접근점 확대를 위하여 Google

Scholar를 이용하고 있으며, Google은 검색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하

여 학술자료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Google과 이용자 집단을 확보하려는 학술

자료 발행처들의 관심의 부합은 상호간 협력을 촉진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Google은 다양한 연구 분야의 정보원에 대한 색인 생성과

생성된 색인에 대한 해당문헌을 Google Scholar을 통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Google은 또한 포털사이트로서 최대 약점인 지식정보 보급 기반을 확대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도서관과의 협력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서관과

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Google은 도서관 링크 프로그램의 제공이나 도서

관 지원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Google에서 제공하는 도서관 링크 프로그램은 Google의 링크 분석(link

solver)을 통해 자료를 이용하는 도서관의 경우, 해당 자료에 대한 링크를

Google Scholar의 검색결과에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한 번의 검

색으로 관련된 정보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 지원 검색

은 OCLC의 Open WorldCat에 소장 도서를 등록한 도서관의 경우, 사용자가

지역 도서관에서 실물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Open WorldCat 데이터베이스로

연결되는 링크가 Google Scholar의 각 도서 검색결과에 표시되도록 하여 이용

자들이 필요에 따라 직접 도서관을 방문하거나 도서관 상호대차를 이용하여

Page 6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3 -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학술자원이나 지식정보의 획득을

위한 Google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서관들은 지식정보의 제공처로서

자신들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Google과 같은 상업적 기관과의 협력과

경쟁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 영국국립도서관인 British Library

의 경우 로봇을 이용하여 자관의 목록정보를 수집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

스하던 Google을 상대로 법적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또한 대규모의 도서관

들이 포털사이트에 대한 자료 제공을 기피하고 있다. 이에 따라 Google의 경

우 로봇에 의한 일방적인 정보의 확보와 이에 대한 서비스를 추구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도서관이나 정보서비스 기관과의 협약을 통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지식정보의 안정적인 확보와 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라) OAI (Open Archive Initiative)

OAI는 메타데이터 수집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정보서버 간의 상호 운용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국제적인 프로젝트이다. OAI는 공개 가능한 디

지털 콘텐츠의 효율적인 유통 및 활용을 목적으로 상호 운용성을 갖는 표준을

개발, 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 협력망 운영 사례 분석의 시사점

국내외 도서관 협력망은 자료의 공동 수집을 위한 협력망과 자료의 공동 활

용 및 업무 효율화를 위한 협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의 사례 분석을 통

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협력망의 성공을 위한 다양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 국내 도서관 협력망 사례 분석의 시사점

국내 도서관 협력망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성공적인 도서관 협력망이 구성

되기 위해서 선결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 도서관의 역량 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도서관 협력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개별 도서관은 충분한 자원, 협력에 필요한 인력 및 재

원 확보를 통하여 개별 도서관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개별 도서관은 협력

체계에 참여하며, 협력망 내의 다른 도서관의 역량을 적절히 활용하여 개별도

서관 역량 강화를 이룰 수 있다.

Page 6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4 -

둘째, 개별 도서관이나 사서들로 하여금 도서관간 협력에 대한 인식을 강화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서관 협력에 관한 교육 훈련을 강화해

야 하고, 사서의 능력 개발 및 훈련과정에도 도서관 협력에 대한 과정을 도입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협력체계 단위로도 협력 담당자 대상 교육이나 인식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서관 협력에 관한 매뉴얼 제작 및 훈련교재

발간 등 협력의 중요성, 가치, 방법 등에 대한 적극적인 분위기 조성에 노력해

야 한다.

셋째, 도서관 협력에 관한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추진하는 것이다. 개선

방안에는 협력을 전제로 주제별, 혹은 지역별 분담 수서를 실행하되 상호대차

및 자료의 공동 활용을 촉진시키는 것, 자료이관 및 교환, 폐기, 제적에 관한

법적 기반 정비, 도서관 협력 활성화에 기여하는 도서관 및 직원에 대한 인센

티브 제공, 기타 도서관 협력 활성화를 위한 각종 법적, 제도적 정비를 도모하

는 것이다.

넷째, 국가적 차원에서 도서관 간 협력체계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협

력체계를 관종별, 지역별로 통합적/단순화/체계적으로 재조직하되 실질적인 도

서관 간 협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구축된 도서관 협력망의 운영을

위한 인력 및 운영비의 지원과, 개별 도서관에 전담인력 배치, 도서관 관련 정

책 수립 및 집행과정 등에서 도서관 협력망에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나. 국외 도서관 협력망 사례 분석의 시사점

국외 도서관 협력망은 동일 관종 간 협력에서 다양한 관종을 포함하는 도서

관 협력망으로, 도서관 간 상호대차의 확대로, 학술자료의 공동 수집 및 공동

이용으로, 통합도서관 모델의 출현, 그리고 협력형 디지털 정보서비스의 활성

화로 변화, 발전되고 있다.

첫째, 과거 단일관종 혹은 유사관종 도서관의 협력체제에서 다양한 이용자

의 정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관종의 도서관이 협력망을 이루어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가는 추세이다. 다중관종 도서관협력망은 공식적으로 이용자

에 대한 정보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도서관이 함께 일하는 상호협력적인 조직

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서관 협력망은 자발적이고 보완적이어서 쌍방향적인

협력과 협동을 포함한다. 다만 협력망에 참여한 모든 도서관은 우선적으로 각

도서관이 수행하여야 할 서비스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관의 이용자 요구에

기본적으로 충실해야 한다.

Page 7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5 -

둘째, 도서관 간 상호대차에 대한 요구 증가이다. 효율적인 상호대차 방안으

로 지원과 통제가 가능한 대형도서관이나 도서관 협의체를 통한 모형이 채택

되고 있다. 시행 방법은 우선 지역적으로 가까운 도서관 또는 비슷한 규모의

도서관 간 협력을 통한 상호대차를 실시하고 점차 이를 확대하여 대규모의 대

학 도서관을 협력망에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출판물 가격의 지속적인 인상과 대규모 정보 보급자들의 정보 독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서관 간 협력망이나 컨소시엄을 통해 학술정보자료의 공동

수집 및 공동이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영국, 호주, 캐나다, 그리고 대

만 등 여러 나라들은 국가 차원에서 공동 수서 및 공동 활용을 지원하고 있

다.

넷째, 협력형 통합도서관 모델의 출현이다. 통합도서관 모델은 서로 다른 도

서관 운영주체가 상호간 협약에 의해 동일한 도서관 공간에 각자의 이용자에

게 서비스하는 형태이다. 통합도서관 모델로 대학이나 학교도서관이 지역 주

민에게 개방되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통합도서관 모델을 채용하는

도서관이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다.

다섯째, 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의 활성화이다. 이용자 정보 요구가 다양

화, 고도화, 전문화됨에 따라 개별 도서관이 이용자의 즉시적인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이 협력

형 디지털 정보서비스이다. 인터넷의 활성화와 더불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Ask A Librarian", "Question Point" 등 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가 활성화되

고 있으며, 특히 과학 분야 디지털도서관 운영 및 웹2.0 개념을 적용한 사용자

참여형 어노테이션 시스템 개발과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Page 7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6 -

4.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가. 협력망 모델 개요

1) 디브러리 협력망의 정의

디브러리 협력망은 새로운 디지털 정보환경의 변화와 이용자의 수준

높은 요구사항에 부응한 디지털 지식정보의 협력체계이자, 정보서비스의 기반

이 된다.

n 디브러리 협력체계는 디브러리 협력망에 참여하는 디브러리 및 협력기

관의 운영체계이다.

n 디브러리 정보서비스는 디브러리 협력체계를 토대로 운영되는 Library

2.0 서비스를 추구한다.

n 디브러리 포털은 디브러리 협력체계 및 정보서비스를 근간으로 글로벌

서비스를 지향하는 플랫폼이다.

2) 디브러리 협력망의 기본원칙

n 대국민 정보서비스로서 국가(공공)의 책임주의 및 공익성을 추구한다.

n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의 협력 및 공유 지향성을 명확히 한다.

n 참여 및 활용을 유도하는 디브러리 협력 체계를 수립한다.

n 이용자 접근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정보서비스를 실현한다.

n 공공 및 민간의 견고한 파트너십을 형성한다.

3) 디브러리 협력망 구성

n 메인 협력망 : 민간상용(전자책, 해외저널), 한중일국립도서관, Open

Archives, Open Library, 방송 등

n 지역 협력망 :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문화의집,

지방자치단체, 지역단체 등

n 정책 협력망 : 공공기관(정부기관, 투자기관, 연구소, 위원회, 부속기

관 등)

n 다문화 협력망 : 주한해외대사관, 주한해외문화원, 다문화관련단체 (다

문화 어린이도서관, 한국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다문화관련 공공기관, 동아시아국립도서관

n 해외 협력망 : 해외국립도서관, 유수한 해외정보원

n 장애인 협력망 : 장애인관련기관

Page 7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7 -

[그림 16] 디브러리 협력망 기본 모델

4) 협력망 모델 제안

가)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기본 모형

n “디브러리”가 가장 중심에 존재하며, “핵심협력기관”과의 긴밀한

협조 하에 하부에 존재하는 세부대상기관과의 간접적 협력 연결고리를

형성한다.

n “국립중앙도서관”은 다수의 세부 대상기관과의 긴밀한 연결고리를 거

느리고 있는 “핵심협력기관”과의 협력만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인 협력정책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 다층적 협력관계 모델

각 연계 대상 기관이나 사이트의 상황, 협력관계, 연계방법 등에 따라서 세

가지 형태의 다층적 세부 협력모델로 접근한다.

Page 7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8 -

[그림 17] 다층적 협력망 모델

[그림 18] 디브러리 포털 협력망 연계 모델

다) 메인 포털과 하위 포털의 연계

각 하위 포털에서 연계되어 협력하는 대상기관은 종합적으로 메인포털과 연

계되며 메인 포털은 종합적인 연계 협력망과 더불어 다른 포털과 같은 메인

포털 고유의 협력망을 가진다.

라) 협력망 메타 모델

n 메인 포털의 협력망 모델이 하부 포털의 협력망 모델을 포괄하는 개념

Page 7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69 -

[그림 19] 협력망 메타 모델

을 도식화

n 각 하부 포털의 협력망 모델이 특성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

으므로 이를 메타모델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일반화 시킬 수 있음

n 예를 들어, “다문화포털”에서 협력망의 대상이 “기관”이 아니라

“개인”이 될 수도 있음

나. 연계 모델에 따른 기술적 검토

1) 소결합 모델 (coarse-grained model)

메인 혹은 하위 포털에서 연계대상 사이트로의 단순 링크정보(linkage

information) 또는 연계대상 기관이나 그 사이트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n 연계대상 기관 소개

n 연계대상 기관의 서비스 소개

n 연계대상 기관의 서비스 활용 방법 (매뉴얼)

n 연계대상 기관과의 협력연계 추진 현황 등

2) 중결합 모델(middle-grained model)

해당 장서는 연계대상 사이트에 존재하며, 메인 및 하위 포털에서 장서에

대한 메타검색 및 원격 접근(서비스용)만 이루어진다.

Page 7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0 -

[그림 20] 협력망 활성화 모델

n Open URL

n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n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n UDDI 및 Web Service

3) 밀결합 모델(fine-grained model)

연계대상 기관 혹은 사이트의 장서(디지털 콘텐츠)가 직접 메인 및 하위 포

털로 수집되는 형태이다.

n OAI-PMH(Open Archives Initiative-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을

통한 수집

n Z39.50을 통한 수집

4) 성공적인 연계 협력을 지속하기 위한 세부적 확인 사항

n 협력기관의 결합형태상의 변화

n 다양한 형태의 “Promotion” 방법 제안

n 시대적, 현상적 변화에 따른 기관 선정기준의 변경

n 시대적, 현상적 변화에 따른 장서 선정기준의 변경

n 서비스 성공여부와의 관계

n “밀결합” 이후의 발전 관계

n 시대적, 현상적 변화에 의한 기관 발전방향에 따른 연계방안

n 시대적, 현상적 변화에 의한 장서 확산정책 변화에 따른 연계방안

n 시대적, 현상적 변화에 의한 서비스 안정화에 따른 연계방안

Page 7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1 -

[그림 21] 협력망 조직도

다. 협력망 모델 적용

1) 협력망 구성 원칙

디브러리 협력망 구성 원칙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n 국가(공공)의 책임주의 및 대국민서비스의 공익성 추구

n 국내외 고품질 지식정보 협력 및 공유 지향성 명확화

n 도서관 협력 체계 및 분산 통합형 관리체계 수립

n 이용자 접근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정보서비스 실현

n 공공 및 민간의 견고한 파트너십 형성

2) 협력망 조직도

3) 협력기관 운영정책

n 협력의 원칙

- 디브러리를 통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및 협력기관의 사이트가 활성화되

는 상생의 Library 2.0 서비스를 지향

n 협력의 대상

- 디브러리 장서의 기준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서

비스할 수 있는 정보원 (단체 또는 개인)

n 협력기관의 홍보

- 디브러리 포털 및 협력망을 통하여 협력기관 사이트와 장서에 대한 소

개 및 홍보

Page 7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2 -

구분 명칭 설명

서비스

측면

OpenAPI

검색서비스

Ÿ 디브러리포털의 지식정보 검색 : 서지 및 소장처 정보

(단행본73만)

Ÿ 원문에 대한 접근의 제공 : 국립중앙도서관의 원문(단

행본30만, 기사130만)

OpenCollection

제공서비스

Ÿ 디브러리포털의 지식정보 콜렉션의 제공

-국립중앙도서관의 메타데이터

-디브러리포털 협력망에서 수집한 메타데이터

Ÿ 협약에 의한 콜렉션 수집권한의 부여

상용DB의

공동이용

Ÿ e-book, 해외저널 등 상용DB의 공동이용

-공동구독, 공동구매, 할인연계 등

운영

측면

최신정보화

교육제공

Ÿ 최신 정보화교육의 제공

-Library 2.0 포털서비스, 디지털 장서관리, 온라인참고

봉사 등의 프로그램

협의체 활성화를 Ÿ 협의체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예산지원

n 장서의 디지털화 기획

- 디브러리 협력기관의 오프라인 장서에 대한 단계별 디지털화 계획을 수

n 장서의 공동구매 추진

- 디브러리 협력기관이 필요로 하는 장서의 공동구매 및 국가라이센스의

확보

n 장서의 공동이용 제공

- 디브러리 내 수집된 국내외 장서에 대한 검색과 콘텐츠 이용이 가능하

도록 Open Access 기능을 제공

n 장서의 서비스플랫폼 제공

- 디브러리 포털 플랫폼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최신 정보서비스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

n 장서의 통계정보 제공

- 디브러리 포털 및 협력망을 통한 협력기관 장서의 다양한 이용 통계정

보를 제공

n 최신정보의 교육 제공 :

- 디브러리 관련 최신 기술 및 시스템에 대한 국가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제공

라. 협력기관 지원 방안

Page 7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3 -

위한 예산지원 -지역, 정책, 다문화, 장애인 등의 소협의회에 대한 지

우수 협력기관

개인의 포상

Ÿ 우수 협력기관 및 우수 개인의 포상

-문화체육관광부 및 국립중앙도서관의 평가 및 포상

사업

측면

공동연구 및

공동사업

Ÿ 분야별, 분야간 공동연구 및 공동사업

-통합검색, 아카이브, 표준화 등

<표 15> 협력기관 지원방안

마. 협력망 구성 방안

협력망을 구성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된 협력망 구성 기관 분석에 따라 밀

결합, 중결합, 소결합으로 구분하되 결합정도에 따라 정보 교환 및 공동 활용

집단(밀결합 집단), 정보 공유 집단(중결합 및 소결합 집단), 그리고 기타 (구

입 및 서비스)로 구분한다.

1) 정보 교환 및 공동 활용을 기반으로 하는 구성 방안

n 디브러리의 자료 가운데 제공 가능한 자료 목록 및 설명 자료 작성

n 디브러리가 필요로 하는 자료 목록 작성 (전체 및 기관별, 따라서 기관

별 소장 자원에 대한 파악이 우선)

n 밀결합 협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정보 교환이 이루어져야 함

n 디브러리 자료를 자체 서비스하는 것이 불가능한 기관의 경우 해당 기

관의 이용자들이 디브러리를 제한 없이 활용 가능하도록 공개

n 참여 가능한 기관 리스트 작성

2)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구성 방안

n 정보의 공동 활용 (메타데이터의 교환 혹은 제공, 원문은 직접 연계, 중

결합 기관에 적용)

n 단순 연계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으로 연계, 소결합 기관에 적용)

n 디브러리 자체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필요로 하는 기관에 제공

n 참여 가능한 기관 리스트 작성

3) 구입 및 서비스 기반의 구성 방안

n 상용 혹은 준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구입/라이센스에 대한 협약

n 디브러리 서비스의 경우 최소한 디브러리에 접속하는 개인 이용자에게

는 특별한 제한 사항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함, 따라서 가능한 무

제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협약을 시도

n 대상 기관 리스트 작성

Page 7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4 -

구분 설명 협조사항

연계회원

Ÿ 고품질의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협의회가 정의한

데이터베이스 수준(일정한

형식으로 정보를

수집ㆍ공유하는 형태)의

협력을 희망하는 단체 또는

개인

Ÿ 가입 후 데이터베이스 수준의

연동이 되도록 필요한 DB수집 관련

기술적 조치를 협조

Ÿ 협의회는 연계회원의 DB가 시스템에

반영되기 위한 제반기술을 제공

참여회원

Ÿ 웹문서 수준 (웹페이지를

색인ㆍ연계하는 형태)의

협력을 희망하는 단체 또는

개인

Ÿ 가입 후 웹문서 수준의 연동이

되도록 필요한 웹사이트 정보수집

허가에 따른 기술적 조치를

취하도록 협조

<표 16> 협력기관 참여 범위

바. 협력망 추진 방안

1) 협력망 참여 기관의 범위

2) 대상 기관의 선정

디브러리에서 협력망을 체결하고자 하는 기관은 디브러리가 필요로 하는 정

보자원을 소장하고 있는 모든 기관이다. 그러나 디브러리가 협력을 추진하는

모든 대상 기관이 협력망에 참여할 수는 없다. 결국 대상기관은 대상 기관의

자의적인 결정에 따라 협력망에 가입하거나, 디브러리가 선택하여 협력망 가

입 기관으로 선정하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는 전자에 해당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기관에 대한 선정은 협력 대상 선정 기준을 참고한다.

가) 대상기관의 의지에 따른 협력 대상 기관의 선정

디브러리 협력망 구축의 성공 여부는 디브러리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소장

하고 있는 많은 기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협력망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들은 협력망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

양한 혜택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대상기관의 의지에 따른 협력망에의 참여는 디브러리가 원하는 기관을 선정

하는 것이 아니라 디브러리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이 자관

의 필요에 따라 디브러리 협력망에 참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협력

대상 기관의 의지에 따른 협력망에의 참여 형태는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자

Page 8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5 -

대상기관의지

디브러리의 의지

협력망

직접참여

협력망

자의적 참여

협력망

타의적 참여참여반대

핵심장서 보유 (상) ① ① ① ⑩

핵심장서 보유 (중) ② ② ② ⑩

핵심장서 보유 (하) ③ ③ ③ ⑩

필요장서 보유 (상) ④ ④ ④ ⑩

필요장서 보유 (중) ⑤ ⑤ ⑤ ⑩

필요장서 보유 (하) ⑥ ⑥ ⑥ ⑩

필요장서 미 보유 ⑦ ⑩

의적으로 참여하는 기관, 디브러리와의 협의를 통하여 협력망에 참여할 수 있

는 기관, 그리고 참여를 희망하지 않는 기관의 4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n 협력망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 디브러리와의 정보 공유

- 원문 및 메타데이터를 공유

n 디브러리 협력망에 자의적으로 참여하는 기관

- 공문발송으로 참여를 결정한 기관

- 장서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공유하는 기관

n 디브러리와의 협의를 통해 협력망에 참여를 고려할 수 있는 기관

- 디브러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기관

- 원문 및 메타데이터 공유 혹은 메타데이터의 공유

n 참여를 희망하지 않는 기관

나) 소장 자료 기준 대상기관의 선정

다음으로 협력 대상기관의 선정을 디브러리에서 전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

다. 이 경우는 디브러리 협력망의 구축을 위한 기관의 선정은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의 소장 여부 등 특정한 기준에 따라 디브러리에서 선정할

수 있다. 대부분 디브러리 협력망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이 대상 기관에 해당된다. 디브러리의 의지에 따른 대상 기관을 선

정하기 위한 기준은 필요로 하는 핵심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정도에 따라 필수

협력기관, 필요 협력기관, 잠재적 가치 보유 협력기관, 그리고 협력 불필요 기

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Page 8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6 -

(미래 가능성)

필요장서 미 보유

(비고려 대상)⑩

<표 17> 기관 선정의 우선순위 - 장서 기준

n 추천 우선순위 : 디브러리 이용자에 대한 효율적 서비스를 위하여 장서

의 획득과 이를 위한 노력 정도를 반영한 추천 (<표 17> 참조)

- 번호는 우선순위를 의미하며 장서 및 경제적 가치를 종합한 기준에 따

라 ⓐ, ⓑ, ⓒ, ⓓ 집단으로 구분

ⓐ 집단 : 디브러리에서 가장 우선적인 협력 대상으로 ①

ⓑ 집단 : 장서로서의 가치가 중간 순위에 있는 ②, ③

ⓒ 집단 : 현재 장서로의 가치는 없지만 향후 가능성이 있는 ④, ⑤

ⓓ 집단 : 추천 배제 기관 ⑩

n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 (레벨 상,

중, 하로 구분)

- 필수적으로 자료의 공유가 필요한 기관

n 핵심장서는 아니지만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 (레벨 상, 중, 하로 구분)

n 현재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관

(미래의 가능성)

n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장서에 대한 보유 가능성 희박

(미래 가능성 부재)

다) 경제성 기준 대상기관의 선정

협력 대상 기관을 선정하는 데 있어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에 대한

소장여부와 더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디브러리에서 협력 대상기관

을 선정하고 협력을 결성하여 정보 공유와 같은 실질적인 협력이 이루어지기

까지 소요되는 비용, 시간, 노력 등을 반영한 경제성이다.

Page 8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7 -

대상기관의지

디브러리의 의지

협력망

직접참여

협력망

자의적 참여

협력망

타의적 참여참여반대

핵심장서 보유 (상)

① ④ ⑦

핵심장서 보유 (중)

핵심장서 보유 (하)

필요장서 보유 (상)

② ⑤ ⑧필요장서 보유 (중)

필요장서 보유 (하)

필요장서 미 보유

(미래 가능성)③ ⑥ ⑨

필요장서 미 보유

(비고려 대상)⑩

<표 18> 기관 선정의 우선 순위 - 경제성 기준

n 경제성 기준 : 디브러리에서 협력 기관 및 대상 장서를 획득하는데 소

요되는 노력 대비 가치에 기준 (<표 18> 참조)

- 번호는 우선순위를 의미함

- ①은 경제성 측면에서 최고의 가치를, ⑩은 가치가 없음을 의미

- 경제성 기준에 따른 집단은 ⓐ, ⓑ, ⓒ, ⓓ로 구분

ⓐ 집단 : 협력 대상 기관이나 장서를 획득하는데 있어 노력이 요구되

지 않는 ①, ②, ③

ⓑ 집단 : 협력 대상 기관이나 장서를 획득하는데 있어 약간의 노력으

로 가능한 ④, ⑤, ⑥

ⓒ 집단 : 협력 대상 기관이나 장서를 획득하는데 있어 적극적인 노력

으로 가능한 ⑦, ⑧, ⑨

Ⓓ 집단 : 협력 대상 기관이나 장서의 획득이 불가능한 ⑩

3) 협력 대상 기관 조사

n 협력 대상 기관은 각 협력망별로 그룹을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대상

기관에 대한 기관 및 정보원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다.

n 메인포털 : 민간상용포털, 한중일국립도서관, Open Archives 등

n 지역포털 :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지방자치단체 등

n 정책포털 : 정부기관, 투자기관, 연구소, 위원회, 부속기관 등

n 다문화포털: 동아시아국립도서관, 문화원, 대사관, 다문화관련단체 등

n 장애인 : 장애인 관련 기관 및 협회, 단체 등

Page 8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8 -

4) 협력망 대상기관 접촉 (협상 및 협약)

디브러리 협력기관의 협약을 위한 기본 업무는 다음과 같다.

n 신청서 제출 : 디브러리 협력기관 신청서 양식에 준하여 작성한 신

청서를 국립디지털도서관 디브러리 협력망 담당자에

게 제출

n 신청서 검토 : 디브러리 협력기관 검토위원회를 통하여 협력기관의

신청서 검토

n 장서의 확인 : 신청기관의 신청서에 기초하여 장서의 시스템적인

확인

n 협력기관 승인 : 디브러리 협력기관 승인위원회를 통하여 협력기관의

승인 및 통보

n 장서의 수집 : 장서수집 어댑터를 통한 콘텐츠 메타데이터의 수집

직접 접근 방법과 간접 접근 방법으로 구분하여 접근 할 수 있다. 협력 대

상기관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디브러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참여를 독

려할 수 있는 직접 접근 방법이 선호되지만 경우에 따라 간접 접근 방법을 활

용할 수도 있다. 현 상황 하에서 어떤 경우든 디브러리와의 협력을 중개할 수

있는 인맥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가) 직접 접근 방법

n 설명회 혹은 공청회 개최

- 정보 소장 혹은 이용자 집단 기관 전체를 대상

- 관심을 보이는 기관에 대한 리스트 작성 (기관장에게 디브러리를 설명

할 수 있는 자료 제공), 관심을 보이지 않는 기관, 그러나 디브러리에서

필요로 하는 기관은 특별 관리

n 전화 (의견 교환 및 의사 확인)

n 공문 발송 (우편 및 이메일)

n 직접 방문 및 협의

나) 간접 접근 방법

n 기관(장) 사이의 협력

n 협의체 구성

- 협의체의 구성은 자원의 확보는 물론 이용자 집단의 확보와도 직결

- 하위 포털별, 협력 대상 기관의 형태별, 주제별 등

(메인포털의 경우 의학도서관협의회, 전자책출판협회 등)

- 디브러리에서 주관하기 보다는 기존의 협의체에 단순 회원으로 가입 등

Page 8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79 -

(협의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수단을 마련, 운영비의 일부 지원, 출장

비 지원 등 예산 차원의 지원, 교육 및 회의 장소의 제공 등이 요구)

5) 협의체 구성 방법

n 기존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모임(예: 공공도서관협의회)을 활성

화하고, 여기에 정보 공유를 위한 위원회를 결성하여 운영

n 기존의 정보관련 다양한 협의체(예: 의학도서관협의회)에 디브러리가 참

여하는 방법

n 디브러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새로운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법 (가칭:

디지털 정보공유협의회)

마. 디지털자원공유협의회 운영

1) 디지털자원공유협의회 개요

n 목적: 디지털자원의 공유를 위하여 참여 및 연계의 장을 마련하고 다양

한 활동의 체계적인 지원

n 역할

- 디지털자원 공유의 연구분야 선정·조사

- 디지털자원 공유의 중장기 로드맵 수립

- 디지털자원 공유의 시스템 및 정보기술 표준 수립·관리

- 디지털자원 공동이용 시스템 구축·운영

- 디지털자원 대국민서비스 체계 수립·관리

- 국제적인 공동연구 및 공동사업 추진

- 국내외 홍보 및 보급 확산을 위한 사업

- 전문가 네트워크 구성 등

2) 디지털자원공유협의회 정관 구성

n 제1장 총칙

n 제2장 조직의 구성 및 운영

n 제3장 회원

n 제4장 임원

3) 디지털자원공유협의회 정관 전문 : 부록 참조

Page 8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0 -

5. 지역포털 협력망

가. 지역포털 협력망의 모형

1) 기본원칙

지역포털의 협력망은 효율적으로 구축․운영되기 위하여 협력 대상 기관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협력망 모형을 적용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한다. 이는 지

역포털의 협약대상 기관과 지역이 특정 기관과 지역에 한정된 것이 아니기 때

문이다.

광범위한 기관과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포털의 협력망을 원활하게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종다양의 기관 및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협력망 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협력망 모형을 모든 협력대상 기관 및 지역에 적용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 및 기관에 맞는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복수 유형

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지역포털은 분산 집중형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

다. 즉 특정 유형의 기관이나 지역의 기관이 중심이 되어 협력망을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을 경우, 지역포털은 이 기관을 중심으로 분산형 협력망을 구축․운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협력망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기관이

없을 경우, 디브러리가 직접 협력망을 구축․운영하는 집중형 협력망을 구축․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분산 집중형 모형은 다양한 기관 및 지역의 상황에 적합한 협력망을

적용하여, 초기 단계에서 원활한 협력망 구축과 향후 효율적인 협력망 운영방

안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2) 구축모형

지역포털 협력망 모형은 협력망 구축 및 운영의 중심기관을 세 가지 유형으

로 구분하고자 한다.

n 제1형 지역거점기관 중심 협력망

n 제2형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 협력망

n 제3형 디브러리 직할(直轄) 협력망

세 가지 유형의 협력망의 모형을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22]와 같다.

Page 8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1 -

[그림 22] 디브러리 지역포털 협력망 모형

[그림 23]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가) 제1형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

지역거점기관 중심 협력망은 지리적 지역에 따라 협력망을 구축하는 모형이

다. 즉 이 모형은 지역의 기관 중에서 그 지역의 협력망 구축에 주도적 역할

을 하며, 협력망 구축 후 운영의 책임을 지는 기관을 중심으로 협력망을 구축

Page 8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2 -

[그림 24]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의 협력망 모형

하는 것이다. 지역거점기관의 대표적인 예로는 지역대표도서관이나 시․도청,

시․도 교육청 등이 있다.

지역대표도서관의 경우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도청의 경우 시․군․구 등 지역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시․도 교육청의 경우 지역의 시․군․구 등

지역 교육청과 각급학교를 중심으로 한 협력망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지역거점기관은 지역의 동종(同種) 기관을 중심으로 한 협력망을 기반으

로 삼고, 이 협력망을 활용하여 지역포털에서 그 지역의 지식정보를 운영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을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23]과 같다.

나) 제2형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의 협력망

유형별 대표기관 중심의 협력망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협력망이 아니라, 기

관의 유형별로 협력망을 구축․운영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동일한 유형의 기

관들 중에서, 이 기관들의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거나 이미 협력망을 구축하

여 운영하고 있는 기관이 지역포털에서 그 분야의 협력망 구축 후 운영의 책

임을 지는 기관을 중심으로 협력망을 구축하는 모형이다. 유형별 대표기관의

예로는 박물관포털을 운영하는 국립중앙박물관, 관광 관련 기관의 협조로 관

광지식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해양관련 기관의 협력으로

해양수산연구정보포털을 운영하는 국립수산과학원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별 대표 기관은 동종 유형의 기관을 통합하는 협력망을 이미 갖

추고 있는 경우로, 이 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이들 협력망이 지역포털에 참여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후 이 유형별 대표 기관이 지역포털의 협력

Page 8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3 -

[그림 25] 국립디지털도서관 직할의 협력망 모형

망에서 자신들의 협력망 대표로 운영을 이끌어 가게 될 것이다. 유형별 대표

기관 중심의 협력망을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24]와 같다.

다) 제3형 디브러리 직할(直轄)의 협력망

제1형의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과 제2형 유형별 대표 기관 중심의 협

력망에도 속할 수 없는 기관의 경우에는 디브러리가 직접 협약을 맺어 협력망

을 구성하는 제3형의 모형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디브러리 산하에 지역정보서비스를 총괄할 부서로 가칭(假稱) ‘지

역 정보 서비스과’를 두고, 이 부서가 협약대상 기관과 직접 협약을 맺어 협

력망을 구축한 뒤 운영하게 된다.

이러한 제3형의 모형은 제1형의 지역거점기관 중심의 협력망과 제2형 유형

별 대표 기관 중심의 협력망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당지역이나 해당

기관에서 협력망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지역이나 기관들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특정 지역에 아직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협력망

이 구축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우선 제3형의 방식으로 협력망을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지역대표도서관 등의 지역거점기관이 설립되면 해당기관으로 이관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디브러리 직할의 협력망을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25]와 같다.

라) 협약대상기관 및 우선순위

지역포털은 디지털 지역지식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협

력망을 구성하여 운영하게 될 것이다. 협약대상기관 및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

다.

Page 8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4 -

① 공공기관

② 공적인 성격의 기관

③ 공적인 인증이나 검증을 받은 민간기관 또는 개인이 생산한 정보

지역포털 협력망에서 협약대상 기관 중 최우선적으로 협약을 맺어야 하는

기관은 공공기관이 될 것이다. 공공기관은 품질이 검증된 정보를 제공하는 지

역지식정보원으로, 지역포털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협약

을 맺어야할 기관이다.

공공기관 다음의 협약대상기관은 공적인 성격의 기관(예를 들면, 협회, 비정

부기구(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이 될 것이다. 이들 기관은

공공기관에 못지않게 검증된 양질의 지역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민간기관 또는 개인이 생산한 정보 중 공적인 인증을 받

은 정보를 대상으로 협약을 맺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

로는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민간지역포털과 특정 분야의 전문가

가 다년간에 걸쳐 검증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적인 인증이나 검증은 지역포털에 포함되는 정보의 질

을 보장하고 담보하는 데 중요한 조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지역포털 협력망의 운영방안

1) 운영원칙

지역지식정보는 모든 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하나의 지역에도 다

양한 형태의 기관들이 지역지식정보를 생산․제공하고 있다. 디브러리의 지역포

털은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과 그 지역에서 지역지식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기

관을 대상으로 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광범위한 지역과 다양한 기관을 대상

으로 하는 지역포털이 초기단계에서부터 모든 지역의 모든 기관과 협력망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단계적으로 지역포

털을 발전시키는 운영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포털 협력망에 대해 단계적 발전의 운

영원칙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포털은 세 단계 즉,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의 세 단계를 거쳐 그 범위를 확대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Page 9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5 -

[그림 27] 지역포털의 단계적 운영방안

[그림 26] 지역포털 협력망 운영원칙2) 운영체계

가) 단계적 운영

단계적 운영원칙에 따라 지역포털 운영체계 역시 단계별로 점진적인 확대

방식으로 운영되게 될 것이다. 먼저 이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27]와 같

다.

Page 9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6 -

지역포털은 앞서 언급한 대로, 광범위한 지역과 모든 유형의 기관을 대상으

로 하기 때문에 도입기부터 밀결합 형식으로 운영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

서 초기에는 대부분 소결합 방식으로 운영하되, 링크서비스는 1차 년도에 완

벽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시범사업 대상

기관과는 콜렉션을 중결합 및 밀결합 형식으로 운영하여 차후 성장기 및 성숙

기에 모범사례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성장기 및 성숙기로 발전하

면 소결합 형식의 운영보다는 콜렉션이 구축된 기관들을 대상으로 중결합 및

밀결합 방식의 협력 형태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관리방식도 도입기에는 디브러리가 직할하는 형태로 운영하게 되겠지만, 성

장기 및 성숙기로 발전하면 지역거점기관과 유형별 대표기관을 통한 분산운영

을 확대하여 진정한 국가적 차원의 지역포털 협력망을 이끌어 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 협의회 및 소협의회, 지역포털 유형별 운영위원회 구성

디브러리는 제1형, 제2형, 제3형으로 구축된 협력망을 최종적으로 하나의 포

털로 통합․운영하게 될 것이다. 지역포털의 총괄운영을 위해 디브러리는 산하

에 가칭‘지역정보서비스과’와 총회, 운영위원회로 구성된 가칭‘디지털정보

공유협의회’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이 협의회는 디브러리 지역정보서비스에

관련된 총괄적인 내용에 대한 협의 및 협력방안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협의회는 참여 및 연계 기관과의 원활한 협력을 위한 소협의회인 지역정보

공유소협의회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정보 공유소협의회는 지역포털모

형의 제1형, 제2형에 속하는 기관과 디브러리 산하의 가칭‘지역정보서비스

과’로 구성될 것이다. 초기 디지털 자원공유 소협의회에 참여하는 기관은 도

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지방자치단체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거점기관과 유형별 대표기관, 가칭‘지역정보서비스과(디브러리

산하)’산하에는 별도의 운영위원회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이 운영위원회는 실

무적인 차원의 문제, 예를 들면 새로운 지역정보원으로 추천된 자료의 업로드

여부 결정 등을 협의하고 논의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지역포털을 총괄할 협력망의 조직을 도표로 제시하면 [그

림 28]과 같다.

이 모형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문화체육관광부는 도서관정책에 관련된 주

무부서로서 지역포털을 포함한 디브러리 전반에 관련된 관련부처와의 정책조

정 및 협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특히 지역포털은 지방자치단체와

관련해서는 행정안전부, 교육자치단체와 관련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 등과의

Page 9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7 -

[그림 28] 지역포털 협력망 조직도표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각종 문화원

등 문화체육관광부 내의 주요산하기관 및 부서들과의 협의와 조정이 필요하다

는 점에서, 그 역할이 중요하다.

Page 9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8 -

6.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가. 정책정보포털 협력망 구축방안

1) 협력망 구축을 위한 기본 활동

본 연구에서 조사된 온라인 정책정보자원 현황분석에 의하면 정책정보를 제

공할 수 있는 기관은 354개 기관이다. 이 기관들과 모두 협력하여 디브러리에

서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가능한

많은 기관과 협력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방

법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시범사업을 통해 한 두개의 주제, 또는 몇 개의 주요기관을

선정하여 이들 기관과의 협력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고 이를 점차 다른 주

제, 또는 다양한 기관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는 것이다. 이 방법을 채택한다면

서비스 초기의 콘텐츠 양은 적을 수 있지만, 단계별로 견고하게 정책정보포털

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범사업 선정주제 및 기관을 정하기가

쉽지 않고, 사업 초기 콘텐츠 양의 부족으로 이용자들의 외면을 받기가 쉬운

것이 단점이다.

두 번째 방법은 디브러리의 정책정보포털을 설명하는 공청회를 개최하고,

정책정보 포털에 협력의사가 있는 기관을 중심으로 협력망을 활성화해 나가는

것이다. 협력의사가 있는 기관을 중심으로 포털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

로 몇 개의 주제분야 및 기관에 대한 정책정보포털 서비스는 성공적으로 이루

어질 수 있지만 전체적인 정책정보포털 서비스에는 역시 미흡할 수 있다. 공

청회 개최 후 피드백을 받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고, 공청회의 반응이 좋지

않을 경우 참여 기관이 많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거쳐야 하는 중

요한 과정임에는 틀림없다.

세 번째 방법은 조사된 354개 기관을 대상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명의의

공문을 발송하고 이들에게 디브러리의 정책정보포털에 대한 참여의사를 일괄

적으로 묻는 것이다. 공문에는 본 연구에서 조사된 기관별 콘텐츠 현황도 함

께 알려주고 협력을 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은 가장 광범위하고, 다수

의 협력 기관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한편, 정책정보포털은 디브러리의 다른 포털과는 달리 크게 두 방향에서 협

력을 강구해 보아야 한다. 하나는 기관의 홈페이지를 관리하고 홈페이지 상에

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의 정보화담당관실의 협력이고, 또 다른 하나는

Page 9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89 -

정책정보자료를 수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이다. 정

부부처 기관과의 협력이 이루어질 때 이 두 부서(정보화담당관실과 자료실)와

의 협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다.

2) 정보화담당관실과의 협력망 구축

가) 다층적 협력망 모델

(1) 소결합(coarse-grained) 연계

n 단순 링크정보(linkage information) 제공

n 협력대상 사이트에 대한 전체적인 소개 및 일반정보 제공

n 협력망 초기단계

(2) 중결합(middle-grained) 연계

n 장서에 대한 검색 및 접근 인터페이스 연계

n 메타검색 및 원격접근 형태로 서비스 구성

n 협력망 발전단계

(3) 밀결합(fine-grained) 연계

n 디브러리 협력대상사이트 간 원격 장서수집 시스템 연결

n 협력대상 기관으로부터 원문데이터 수집 후 디브러리에서 서비스

n 협력망 성숙단계

나) 협력대상 선정

구체적으로 어느 기관과 어떤 단계를 거쳐 협력을 해야 하는가?

첫 번째 단계는 디브러리의 정책정보포털을 설명하는 공청회, 공문 등을 통

해 가능한 다수의 협력기관을 확보하는 것이다. 즉, 시범사업으로 한 두 개의

주제 또는 몇 개의 주요기관을 시발점으로 삼아 정책정보포털을 활성화 하는

것 보다는 다수의 주제, 다수의 기관을 동시에 확보하여 서비스의 시발점으로

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해 보인다. 초기에는 콘텐츠의 내용이 산만할 수도 있

으나 홍보와 계속적인 협력망 구축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판단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조사된 354개 기관 중 콘텐츠의 양이 1만 건 이상인 기관(11

기관, 3.11%)을 대상으로 밀결합 협력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콘텐츠의 양이

1만 건 이상인 기관은 354개 기관의 3.11%에 불과하지만, 차지하는 콘텐츠는

전체 63만여 건 중에서 47.22%(296,621건)를 차지할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Page 9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0 -

순위 콘텐츠 수에 의한

주제별 순위

기관평균 콘텐츠 수에 의한

주제별 순위1 경제 경제2 행정 여성3 보건 보건4 농업 노동5 해양 행정6 문화․체육․관광 외교7 교육․과학․기술 환경

세 번째 단계는 조사된 354개 기관 중 콘텐츠의 양이 5,000건에서 1만건 사

이의 기관(12기관, 3.38%)을 대상으로 역시 밀결합 협력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다. 콘텐츠의 양이 5,000건에서 1만 건 이하인 기관은 354개 기관의 3.38%에

불과하지만, 차지하는 콘텐츠는 전체 63만여 건 중에서 12.40%(77,931건)를 차

지하고 있다.

네 번째 단계는 국가전자도서관1)의 7개 참여기관, 대한민국전자정부2), 국가

지식포털3), 행정안전부의 정책연구정보서비스4), 국회도서관의 입법정보서비

스5) 등과 중결합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의 수를 대량 확보하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 단계는 협력이 이루어지지 못한 모든 정부기관들에 대하여 소결

합 협력을 체결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단계는 주제 분야별로 협력망을 정비하고 강화하는 단계이다. 협

력망의 주제 분야별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단계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어떤

주제 분야부터 먼저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인가? 여기에는 두 가지의 선정기준

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14개의 주제 분야 중 콘텐츠의 수가 가장 많은 주제

부터 시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각 주제별로 기관평균 콘텐츠 수가 가장

많은 주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14개의 주제 분야 중 콘텐츠의 수가 가장 많

은 분야는 경제 분야이고, 기관평균 콘텐츠의 수가 가장 많은 분야 역시 경제

분야이다. 주제 분야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경제 분야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

람직해 보이고, 그 다음에는 협력망이 활성화되어가는 분야부터 협력망을 강

화해 나가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19>는 콘텐츠 수에 의한 주제별

순위와 기관평균 콘텐츠 수에 의한 주제별 순위를 나타내고 있다.

1) http://www.dlibrary.go.kr

2) http://www.korea.go.kr

3) http://www.knowledge.go.kr/main.jsp

4) http://www.prism.go.kr

5) http://www.nanet.go.kr/02_lawinfo/06_legservice/legservice.jsp

Page 9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1 -

8 환경 농업9 노동 교육․과학․기술10 외교 법제11 여성 해양12 국방 국방13 법제 통일14 통일 문화․체육․관광

<표 19> 주제별 순위

다)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망 구축

정책정보포털에는 정책정보의 통합접근 및 2차정보 제공, 그리고 정부부처

자료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구심적 역할 수행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

다. 정책정보포털이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의 홈페이지 상의 정보만을 제

공 또는 연계한다면 이는 반쪽짜리 포털에 불과할 것이다. 정책정보의 2차정

보 제공 및 정부부처 자료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1) 정부부처 자료실의 현황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자료과 에서는 이미 2007년 2월 1일부터 3월 25일까지

409개 중앙행정 부처자료실을 대상으로 현황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총 409

개관 중 221개관(54.03%)으로부터 회신을 받았고, 회신기관 중 75개관에서 자

료실이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따라서 146개관(409개 기관의 35.7%)을 대상으

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n 146개 응답기관의 자료실을 운영하는 인력은 1명이 47개관(32.19%), 2명

이 46개관(31.51%)으로 대부분의 기관이 1~2명의 인력으로 자료실을 운

영하고 있었으며, 전혀 없는 경우도 6개관(4.11%)이나 되었다.

- 자료실의 전문 인력 분포는 절반정도에 이르고 있으며, 사서직이 기록

연구사의 임무를 겸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 응답기관 중 41개관(28.08%)에는 전문 인력 없이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

었다.

n 응답기관의 총 장서량은 5,004,353책이며, 국내서가 외국서의 약 3배 이

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응답기관 중 84개관(57.53%)에서 1만 이상-5만

미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관의 유형별 DB

구축량은 다음과 같다(중복응답 처리).

- 목록 DB 구축: 65개관 2,609,482건

- 목차 DB 구축: 26개관 914,062건

- 원문 DB 구축: 27개관 112,074건

Page 9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2 -

n 응답기관 자료실의 총 예산규모는 약 117억원으로 나타났고, 그 상세내

용은 다음과 같다.

- 자료구입비 103억원

- 정보화비 14억원

- 예산이 1천만원 미만인 자료실은 19개관(13.01%) 이었다.

- 예산이 1천만원 이상 - 1억 미만인 자료실은 83개관(56.85%) 이었다.

- 예산이 1억원 이상인 자료실은 24개관(16.44%) 이었다.

- 예산이 10억원 이상의 자료실은 2개관(1.36%) 이었다.

n 응답기관의 주요 수행업무는 자료정리(26.88%), 대출서비스(21.39%), 자

료구입(18.79%), 열람서비스(10.69%) 순이다.

n 1일 이용자수는 30명 미만(67.80%)이 대부분이었다.

- 1일 평균 이용자가 1명이 안되는 경우도 있었다.

n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에 지원요청하고 싶은 서비스의 응답수

와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중복 응답 처리).

- DB 지원: 49건(25.13%)

- 정책정보서비스 교육 및 워크숍: 44건(22.56%)

- 기관 대출: 33건(16.92%)

- 협력형 참고봉사: 29건(14.87%)

- 종합목록구축: 26건(13.33%)

- 자료실 홈페이지 구축: 13건(6.67%)

n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협력망 확대 구성에 대한 설문에는 108개관에서

참여를 희망하였다. 10개관에서는 기관내부 검토나 협력망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검토 후 고려하겠다고 응답하였고,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

답한 기관은 8개관으로 그 이유는 자료실 운영이 미비하기 때문으로 응

답하였다. 무응답도 20개관이나 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행정 부처자료실의 환경은 예산, 인력 등 여

러 면에서 열악함을 알 수 있다. 소속기관 자료실간 통합검색이나 다양한 디

지털 콘텐츠 구축에 대한 요구는 높으나 예산 및 인력이 열악하므로 디브러리

의 정책정보포털을 통한 정보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자료정리

가 가장 높은 업무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 정책정보포털을 통하여 공동목

록 활성화 등으로 자료정리 업무를 개선할 여지가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

Page 9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3 -

고질의, 신간안내 등은 매우 중요한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업무비중이 매우 낮

았다. 디브러리의 정책정보포털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업무로 판단된다.

(2) 협력대상 선정

정보화담당관실과의 협력에 관하여서는 홈페이지 상에서 정책정보를 제공하

는 354개 기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07년 정부조직 기준에 의하면 우리

나라에는 460개의 정부조직이 있지만, 460개 중 몇 개가 자료실을 가지고 있

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2007년 국립중앙도서관 정책 자료과의 설문조사에서는

409개 중앙행정 부처자료실을 대상으로 현황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총 409

개관 중 221개관(54.03%)으로부터 회신을 받았고, 회신기관 중 75개관에서 자

료실이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따라서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 모집단도 홈

페이지 상에서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354개 기관으로 설정하여도 무방하다고

판단된다.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대상 선정은 정보화담당관실의 협력대상 선정 방

법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차이가 나는 부분은 정부부처 자료실의 2007년

현황 조사에서 이미 108개 자료실이 정책정보포털 협력망에 참여의사를 표시

하였다는 점이다. 앞에서 언급한 정보화담당관실의 협력대상 선정 방법 외에

추가로 108개 자료실과 협력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목록 DB 구축(65개관), 목

차 DB 구축(26개관), 원문 DB 구축(27개관)을 하고 있는 기관들과의 긴밀한 협

력망도 요구된다.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에서는 제3장에서 제시한 정책정보포털의 주요서비

스들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공동목록 활성화를 위한 ‘정책정보 공동이용

서비스’, ‘국내외 정책정보 DB의 통합검색 및 연계’, ‘기관대출’은 설문

조사에서 정부부처 자료실 담당자들이 요구한 바로 그 서비스들이기 때문이다.

정부부처 자료실과의 협력은 정보화담당관실와의 협력보다 한층 더 긴밀한

1:1 대응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정책정보 포털의 서비스들은

자료실 담당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으면 활성화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정책정보포털의 내용 및 효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Page 9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4 -

7. 다문화포털 협력망

가. 포털 협력망의 정의

▪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다문화사회 속의 국내 거주자를 위한

지식정보의 관문으로서 포털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관련 기관 및

단체의 협력체계를 말한다.

포털(Portal)의 사전적인 의미는 ‘입구’ 또는 ‘관문’을 의미한다. 검색사

이트인 네이버6), 구글7) 등을 일반적으로 포털사이트라고 하는데, 포털사이트

란 집안으로 들어갈 때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현관처럼 네티즌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 늘 거치도록 만든 사이트를 말한다. 즉 인터넷에 접속해 브라우저

를 실행하였을 때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모아놓

은 사이트를 말한다. 따라서 포털사이트는 네티즌들이 굳이 특정한 서비스를

위해 다른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

다.

다문화포털 협력망 모형 구축에 관한 본 연구는 다문화지식정보라는 특수한

정보포털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한 협력망 모형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다문화포털은 다문화사회 속에서 그 구성원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위해 여러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 한 곳에서 다양한 다문화지식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이러한 다문화포털 서비

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말한다.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n 국내 이주민 (결혼이민자, 이주근로자, 유학생, 코시안 등)의 정보 접근

권 제공을 위한 관련 기관 및 민간단체의 협력

n 다문화 관련 고품질정보 교류 및 전파를 위한 관련 기관 및 민간단체의

협력 네트워크

n 다문화 온라인 정보포털 서비스 구현 및 운영 협력체계

6) http://www.naver.com7) http://www.google.com

Page 10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5 -

나. 포털 협력망의 기본원칙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다문화관련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국내 해외문화원,

해외기관 등을 협력대상자로 한다. 즉 협력망의 협력대상자는 국내 이주민(결

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다문화가정, 유학생 등)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

나, 기존 내국인 및 국내 이주민의 다문화를 상호 이해하기 위한 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및 단체이다.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n 국가 지방자치 단체의 다문화 통합을 위한 책임의식

n 기관 및 단체의 기능과 역할에 따른 관리/운영체계 구축

n 콘텐츠의 질적 수준 보장을 위한 콘텐츠별 거점기관 지정 및 중점 지원

n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과 공생을 위한 관련 기관/단체의 파트너십

n 지역/해외/정책정보 포털 협력망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n 일관된 협력체제 유지를 위한 법적 근거 및 Win-Win 전략

다. 다문화지식정보 관련 기관 및 단체 분석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예술교육팀이 보유하고 있는 다문화관련 기관 및 단

체 명단을 중심으로 다문화포털 협력대상 기관을 조사하였다. 누락된 관련 기

관 및 민간단체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문화지식정보 온라인 정보원을 검색하여

협력대상자를 추가 입력하여 최종 리스트를 작성하였다.

문화예술교육팀이 보유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는 347개 이었다. 이들 기관

및 단체 중 188개 기관 만이 온라인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것은 다문화포털 협력대상 기관 가운데 54%만이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

하고 있었다. 지역문화원, 국어상담소, 문화부 및 산하단체의 공공기관은 55개

기관 중 단 2개 기관(국립국어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만 온라인 다문

화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민간단체에 비하여 매우 저조한

온라인 정보원 제공률을 나타내었다(0.36%). 민간단체는 293개 단체 중 186개

단체에서 온라인 다문화지식정보를 제공하였다(64%). 이것은 다문화관련 기관

의 온라인 정보서비스 제공이 미흡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다문화지식정보 온라인 정보원 수집 작업을 통하여 이들 기관 및 단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원을 수집하고 문화예술교육팀이 미보유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

명단을 추가 입력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수집된 다문화지식정보를 온

라인으로 제공하는 기관은 문화예술교육팀의 기관 및 단체를 포함하여 299개

Page 10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6 -

기관이었다. 이들 기관이 제공하는 온라인 정보원은 343개 이었다.

구분 국내 국외 합계(비율)공공기관 25 14 39 (13%)국제기구 1 1 2 ( 1%)대사관 41 0 41 (14%)도서관 1 0 1 (0.3%)민간단체 145 27 172(58%)연구소 1 0 1 (0.3%)

해외문화원 21 16 37 (12%)협회 5 1 6 ( 2%)합계 240 59 299(100%)

<표 20> 다문화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및 단체

이들 온라인 다문화지식정보를 제공하는 299개 기관 가운데 20개 기관만이

2개 이상의 온라인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서

울가톨릭사회복지회’는 ①한빛종합사회복지관8), ②일산종합사회복지관 다문

화 가족지원센터9)를 운영하고 있었다. ‘국제교류문화원’은 ①TaLK(Teach

and Learn in Korea)10) ②국제교육진흥원11), ③국제교육진흥원-한국유학안내12)

를, ‘생명의전화’는 ①서서울생명의전화13), ②생명종합사회복지관14) 등을 운

영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콘텐츠의 양과 질에 관계없이 오직 하나

만의 온라인 홈페이지 및 정보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문

화관련 기관의 온라인 사이트 운영비율 64%와 비교해 볼 때, 각 기관과 단체

는 온라인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 할 수 있다.

라. 다문화포털 협력망 구축 모형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정부기관과 민간단체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협력망을

확충하고자 한다. 이것은 민간단체의 경우 단시간에 그 협력을 이끌어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상위기관의 정책에 따라 움직이기 쉬운 정부기관 및 공공기

관부터 협력을 시작하여 점차 다문화포털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다문화관련 민

간단체까지 협력망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협력망을 구성하였다.

8) http://www.han-bit.or.kr9) http://www.ilsanwelfare.or.kr10) http://talk.mest.go.kr11) http://www.ied.go.kr12) http://www.studyinkorea.go.kr/english/index.jsp13) http://www.happylife.or.kr14) http://www.saengmyeong.net

Page 10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7 -

정보유형 형태 내용

생활정보 웹페이지교통/지리, 복지/체육시설정보, 소비생활정보, 의료, 지역행정, 초중고 교육정보, 법률, 정책 등

학술정보메타데이터, 온라인 원문

단행본, 연간물, 신문, 연구자료

문화정보

웹페이지, VOD,

온라인원문, 이미지

각국 문화정보(우리나라 포함) : 대중문화, 전통문화, 언어, 역사, 관광 등

프로그램정보 웹페이지취업정보, 언어/컴퓨터 등 교육정보, 각종 문화행사정보

커뮤니티정보 웹페이지 각종 온라인커뮤니티 게재글, 상담정보 등

홍보정보 메타데이터 다문화 관련 유용한 기관, 사이트, 인물 등 안내

<표 21> 다문화지식정보원 콘텐츠 유형

1) 다문화지식정보 콘텐츠 유형

국내외 다수의 다문화관련 온라인 사이트를 조사하여, 그들이 제공하는 콘

텐츠를 생활정보, 학술정보, 문화정보, 프로그램정보, 커뮤니티정보, 홍보정보

의 6개로 분류하였다. 실제 다문화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는 생활정보, 취

업정보가 가장 우세하였다. 다문화인 유형별로, 결혼이민자는 한국어 교육

(43.1%), 취업을 위한 기술 교육(27.6%),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생활정

보(26.7%), 일자리 알선(25.0%) 등으로 나타났다. 외국인노동자는 한국어, 한국

사회에 관한 지식과 정보, 모국에 대한 정보 순이었다. 다문화포털은 다문화인

에게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생활정보, 프로그램/행사정보

를 중요한 콘텐츠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온라인 사이트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다문화인은 내국인과는 다르게

국가/지역, 종교에 따른 자신들만의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서로간의 정보를 교

환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지

식in의 정보 이용 및 활용에 관한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문화인에게는

매우 소중한 콘텐츠로 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다문화지식정보관련 온라인 사이트를 분석한, 다문화지식정보 콘텐츠 유형

에 따른 정보형태는 다음과 같다.

Page 10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8 -

[그림 29] 국립중앙도서관 중심의 다문화포털 협력망 구축

2) 다문화포털 협력망 모형

다문화포털은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정부기

관, 지방자치단체, 문화원, 대사관, 민간단체 등에 이르는 협력망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가는 협력망 모형을 제시한다. 해외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의 입지와

특징을 살려 동아시아지역 국립도서관과 협력망을 체결하여 상호 협력을 우선

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지방의 경우 지역대표 도서관을 중심으로 하여 공공

도서관까지 확대함으로써 차별화된 다문화 콘텐츠를 확보하고 그 기반을 견고

히 한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지역별로 대표

격의 공공도서관이 있다. 지역 대표의 공공도서관을 구심점으로 다문화지식정

보를 위한 공공도서관 협력망을 구축하여 운영한 후 어느 정도 안정화될 경우

협력이 가능한 공공도서관들과 협력하여 단계적으로 협력망을 확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은 정부기관들과의 협력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여 정부관련 기관의 다문화 정보를 확보하고 구축한다. 정부기관 그룹

또한 우선 협력이 가능한 정부기관을 선별하여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어느 정

도 안정화될 경우 협력이 가능한 또 다른 정부기관과 단계적으로 협력망을 확

장한다.

도서관 협력을 시작으로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문화원, 대사관

순의 협력망을 확장하고 다문화포털 협력망을 완성한다. 다문화포털 콘텐츠

가운데 생활정보 유형의 지역, 법률, 정책, 연구 자료는 다문화포털 협력망으

Page 10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99 -

[그림 30] 다문화포털 협력망 모형

[그림 31] 다문화포털 주제별 모형

로는 미흡할 수 있으므로 다른 디브러리 하위 포털 협력망과 유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이를 보완한다.

Page 10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0 -

3) 다문화포털 협력 추진방향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중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태국 등 동아시아 국립도

서관, 필리핀문화원 등의 주한해외문화원, 베트남대사관 등 주한해외대사관,

한국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민간기관, 주동경 한국문화원 등 재외한국문화

원, 보건복지부 등 다문화관련공공기관을 협력대상으로 하여 콘텐츠 주제 분

류에 따른 포털 협력망을 구축해야 한다. 다문화인들은 대부분 자국의 책을

보고 싶어 하지만,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이를 제공하고 있지 못

하고 있다. 따라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해외 국립도서관 등과 연계하여 도서

의 원문을 상호 교류하고 온라인으로 전자책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

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다문화 정보서비스는 장서의 경우, 공공기관에서 생산

한 연구보고서, 생활정보 자료 외에는 미비한 상태이고, 다만 소량의 자료를

민간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동아시아 국립도서관과의 자료 교류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 수준의 협력과 정형화된 메타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형

태의 상호 참여형 협력이 필요하다. 주한 해외문화원과 주한 해외대사관은 상

호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자료 공유, 자국인 질의응답 등의 협력방안, 즉 연계형

협력을 한다. 전국 각지 민간단체의 경우 다문화인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자료의 질과 양이 미비하기 때문에 다문화관련 자료

의 공유와 생산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공공기관은 정책정보포털 협력망과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하여 다문화관련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다문화 관련기관 유형별 협력방안은 관련 기관을 국내외로 구분하여 동아시

아 국립도서관, 주한 해외문화원, 주한 해외대사관, 민간기관, 공공기관과의 협

력방안을 연계와 참여로 구분하여 분류한 것이다. “연계형” 협력은 데이터

베이스 수준의 협력으로 일정하게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형태를 말하고,

“참여형” 협력은 웹사이트 수준의 협력으로, 웹로봇으로 웹페이지를 색인하

는 형태를 말한다.

마. 다문화포털 협력망 운영방안

1) 운영 원칙 및 운영체계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국민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국내 거주하는

다문화인에게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함께 사는 사회 및

글로벌 사회에서의 경쟁력 있는 국가를 지향하는 것이다. 뿌리 깊은 단일민족

Page 10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1 -

국가에서 정체되어 있던 사회구조가 글로벌한 다문화사회 국가로 변모해 가면

서 다문화인 간의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다문화 지식과 관

련된 기관 및 단체들의 협력망은 다음의 운영원칙에 따라 운영되어야 한다.

첫째, 우리나라 지식정보의 총체인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제11조(재한외국인의 사회적응 지원)에 따르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재한외국인이 대한민국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

본적 소양과 지식에 관한 교육․정보제공 및 상담 등의 지원을 할 수 있다”고

지정하고 있다. 또한 제18조(다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에 따르면 “국가 및 지

방자치단체는 국민과 재한외국인이 서로의 역사, 문화 및 제도를 이해하고 존

중할 수 있도록 교육, 홍보, 불합리한 제도의 시정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다문화인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모든 사회구성원의 지식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우선적이라 할 것이다. IFLA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서도 지식정보의 보고인 도서관의 역할을 명시하고 있다. 즉, 다문화도서관 서

비스는 소수 인종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인종이나 문화적 배경이

다른 그들의 정보 요구를 경시하거나 소홀히 하지 않도록 공평한 정보서비스

를 제공하며 이를 통한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상호 이해할 뿐 아니라, 의

사소통을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IFLA는 현재 다문화도서관서비스분과를 설치하여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으

로 다양한 사회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

다. 따라서 국가대표 도서관으로서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포털 협

력망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인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괄해야 하여, 국내 모든 이용

자를 위한 대국민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소수인종으로서 다문화인은

사회적응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기초적인 생활여건을 마련하는데 있

어서 언어, 문화, 관습, 행정, 기타 정보 미비로 인하여 기본적인 생활권을 보

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문화포털은 다문화인이 필요로 하는

거주지 안내, 생활안내, 언어교육, 취업안내 등 모든 정보를 포괄하여 제공해

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다문화 관련 정보를 제공 또는 서비스하는 정부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종교단체 등 관련 기관 및 단체를 그 대

상으로 해야 한다. 정부의 다문화 정책에 따라 각양각계에서 소외되는 다문화

인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일자리 알선을 위한 한국고용정보원을 비

롯하여 외국인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고충 상담소를 운영하는 외국인노동

자상담소, 노동자센터, 외국인상담센터, 다문화가정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선교

Page 10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2 -

회 등 민․관 각 계층의 지원, 자료 제공 및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내외 모든 기관 및 단체를 다문화포털 협력망에 참여시켜 명실 공히

대한민국 다문화포털로서 면모를 갖추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협력망 내의 기관 및 단체는 단계적으로 협력망을 확장하여야 한다.

민간단체의 경우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상호 협력이 매우 어려운 실정

이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지원금으로 유지되는 민간단체의 경우 개별

기관의 실적과 성과를 토대로 예산이 배정되는 만큼 단체 간의 협력을 도모하

기란 쉽지 않다. 그러므로 협력의 필요성을 상호이해하고 당위성을 인지해야

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쉽게 협력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그룹을 우선으로 소

규모 콘텐츠 및 서비스 기반의 다문화포털 운영을 시작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운영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단체 등 해당기

관과 접촉하여 협력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야 한다. 단계적인 관련 기관 및 단

체를 협력망 안으로 포함할 때에는 기관의 성격 및 기능, 상위기관 및 지원기

관, 제공하는 다문화서비스 및 콘텐츠 등을 중심으로 기관을 그룹핑하여 소

협력망을 구성하도록 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다섯째, 소협력망은 주관기관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자치권을 소유하여 협

력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협력망 조직상 상위기관과의 협력을 긴밀히 도모

해야 한다. 이것은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규모가 확장되었을 경우를 말하는 것

으로 협력망의 주관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모든 협력기관을 관리, 감독하

는 것이 아니라 소협력망의 주관기관을 중심으로 다문화포털에서 역할과 책임

을 갖고 맡은 바 소임에 충실히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를 중심으로

‘학술정보’를 첫 번째 포털 콘텐츠로 선정하여 학술정보를 제공하는 공공도

서관을 위한 협력망을 구성한다. 이들 공공도서관은 국가 대표도서관인 국립

중앙도서관에서 모든 관리, 감독을 일임한다.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공공도서관

소협력망을 이끄는 국립중앙도서관은 자치적인 계획에 따라 지역대표 도서관

을 우선 협력대상으로 하여 다문화포털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대표 도서관은 각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포함하여 그 지역의 모든 학

술정보를 수집, 공유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 제공하는 것이다. 정부 관련기관

역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기관이 되어 문화정보를 중심으로 산하기관들의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수집하여 다문화포털에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장기적인 협력이 가능하도록 각 소협력망 주관기관 및 소속 기관의

대표자를 선출하여 위원회를 조직하여 정기적인 운영현황과 문제점 등을 공유

해야 한다. 위원회는 꾸준한 연구를 통하여 협력 및 서비스의 질적 양적 성장

이 꾸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문화인의 의견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위원

회 구성 시 국가별, 지역별 다문화인의 대표자를 선정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

Page 10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3 -

[그림 32] 다문화포털 협력망 확장

고 확대함과 동시에 정기적인 간담회와 설명회, 만남의 장 등을 마련해야 한

다. 이들의 목적은 장기적인 로드맵을 통하여 디지털자원 공유에 관한 연구,

관련 표준 수립,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국제적 공동연구 및 사업 추진, 홍보

등 다문화포털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사업을 주관하는 것이다.

2) 운영방안

다문화포털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모든 소협력망과 기타 협력기관을 관리,

감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문화 관련 기관 및 단체의 협력 가능성 등

제반 환경을 고려한 단계적인 운영과 확장이 필요하다. 협력대상 기관 선정은

협력주관기관 및 협력대상기관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진다. 다문화포털 협력망

은 다문화관련 지식정보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다문화 지식정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일정 수준의 규모로 보유하고 또한 지

속적으로 생산해야 한다. 즉 협력대상기관은 객관적인 기준에서 협력 주관기

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의 다문화지식정보 콘텐츠 기준에 부합되어야 한다. 또한

내재적으로 협력대상기관이 다문화 협력망에 참여할 의지가 있어야 한다. 만

일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한 일원으로서 참여하기로 합의가 되었다면, 협력기

관의 참여 의지 수준과 콘텐츠 유형 및 보유 수준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해 갈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협력대상기관 명단을 확보하여 단계적으로 성장시키도

록 한다. 3단계에 걸친 협력망 구축을 통하여 협력대상기관 대비 100% 협력

체계 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관 협력률 30%, 85%,

100%의 단계적 협력망 구축을 통하여 20%, 70%, 100%의 콘텐츠 구축률을 달

성하는 것이다. 기관의 협력관계의 유지는 콘텐츠 구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기관 협력 및 콘텐츠 확보 성장률을 예측할 수 있

다.

Page 10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4 -

협력을 원하는 다문화 관련 모든 기관 및 단체와 협력체계를 구성하되, 각

단계의 협력망 성장 목표치를 설정하여 이와 부합하는 협력대상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협력망 구축 및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특히 다문화관련 기관은

공공기관보다 민간단체가 많은 것이 특징으로, 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콘텐츠

공유, 교환, 활용 및 적극적인 협력 활동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다문화포

털 협력망은 국내 다문화인에게 평등한 지식정보를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

해주어야 할 사명이 있으므로, 다문화인이 필요로 하는 모든 콘텐츠를 포털사

이트를 통해 서비스하기 위하여 3단계로 나누어 협력기관을 확장해야 할 것이

다.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구성과 운영은 주요 소협력망과 다문화지식정보 콘

텐츠를 중심으로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n 1단계 (2008~2009년)

- 도서관 중심 소협력망 구성

- 동아시아 국립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협력을 위한 이해관계 도입

n 2단계 (2010~2011년)

- 해외문화원, 대사관, 정부 및 지역 공공기관 중심의 소협력망 구성

- 기존 협력기관의 협력 강화 : 콘텐츠 확충 및 서비스 개발

- 민간단체 협력을 위한 이해관계 강화

n 3단계 (2012~2013년)

- 민간단체 소협력망 구축

- 기존 협력기관의 협력 강화 : 콘텐츠 확충 및 서비스 개발

- 협력망의 유지, 성장을 위한 장기적 협력 체계 구축

1단계는 국립중앙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망을 구축하여 학술정보 중심의

다문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는 것이다. 2단계는 문화원, 대사

관 그리고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 중심의 협력망을 구축하고, 교

통/지리, 복지/체육시설정보, 소비생활정보, 의료, 지역행정, 초중고 교육정보,

법률, 정책 등 생활정보와 대중문화, 전통문화, 언어, 역사, 관광 등의 각국 문

화정보 중심의 다문화콘텐츠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3단계는 민간단

체 중심의 협력망을 구축하여 곳곳에 숨어 있는 다문화인에게 더욱 다가갈 뿐

아니라 다문화인 개인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 추진단계에서 협력을 희망하는 협력의지가 있는 기관이 있다면, 중점 협

력대상기관이 아니더라도 다문화포털 협력망에 부합될 경우 우선순위와 협력

수준에 따라 협력기관에 포함되어야 한다.

Page 11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5 -

[그림 34] 다문화지식정보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

[그림 33] 협력대상기관 유형별 협력 추진방안

다문화 콘텐츠 또한 중점 협력대상기관에서 제공 가능한 학술정보, 생활정

보 및 문화정보, 법률, 취업, 지역, 정책, 생활, 의료, 상담, 인권, 문화, 교육

등 모든 다문화 관련 콘텐츠가 주요 대상이다. 1단계에서는 협력기관을 확보

하기 위한 첫 단계로 다문화관련 기관을 소개하고 해당 사이트로 연결정보를

제공하는 등 홍보정보가 가장 많은 콘텐츠 비율을 차지할 것이다. 그러나 2, 3

단계의 추진단계를 거치면서 콘텐츠 비율은 급격히 낮아질 것이다. 추진단계

에 따라 이용자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국적별 종교별 다문화인의 커뮤니티정보

는 급격히 증가해 갈 것이다.

Page 11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6 -

주 협력대상 해외 국립도서관,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등

주요 콘텐츠 학술정보, 생활정보, 문화정보 등

3) 1단계(2008~2009년) : 도서관 협력망 구축

다문화포털을 주관하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동아시아국립도서관과 다문화

인의 접근이 용이한 공공도서관을 우선 협력대상으로 한다. 최근 대학들의 유

학생 수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의

협력을 통하여 대학도서관까지 협력망을 확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

을 것이다. 이들 공공도서관 소협력망과 대학도서관의 소협력망은 다문화포털

의 콘텐츠 가운데 다언어의 도서, 신문, 잡지 및 학술자료의 학술정보 콘텐츠

를 그 협력대상 콘텐츠로 한다. 오프라인 학술정보에 대한 개별 콘텐츠의 메

타데이터와 온라인 학술정보에 대한 개별 디지털콘텐츠 및 메타데이터가 정보

공유와 수집을 위한 대상 자료이다.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거나, 기존 협력체계를 통하여 다문화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문화체험프로그램, 취업정보 등의 프로그램/행사정보도 공공도서

관 및 대학도서관 소협력망에서 일부 수집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제외한 다문화 관련 기관 및 단체들에 관하여 다문화포털 협력망

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상호 이해관계를 성립

시키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포털은 RSS와 같이 손쉽게 기

관 및 단체 사이트에서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또는 정보서비스를 제

공함으로써 다문화포털의 유용성을 관련 기관과 단체에게 홍보할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다문화포털에 이들 기관과 단체 사이트를 소개 및 안내하는 서비

스를 제공하고 이용이 많은 사이트는 포상함으로써 이들 기관과의 유대관계를

성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도서관 협력망은 다언어의 오프라인 학술정보에 대하여 국내에 거주하

고 있는 다문화인을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다문화인에게 제

공되는 오프라인 학술정보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외 국립도서관과의

협력망을 구축한다.

콘텐츠별 구축은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도서관 주축의 협력망 구성

단계이므로, 현재 매우 부족한 학술정보를 협력망 내 전체 콘텐츠의 20%까지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앞으로 발간되는 학술정보를 꾸준히 확보할 수 있는 기

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국의 국립도서관과의 협력체계를 확고히 하

Page 11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7 -

주 협력대상 해외문화원, 대사관 및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노동부 등 다

문화관련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주요 콘텐츠 보건의료 및 법률자료를 포함한 생활정보, 문화정보

주 협력대상 민간단체

주요 콘텐츠 법률, 취업, 지역, 정책, 생활, 의료, 상담, 인권, 문화, 교육

여 다언어 장서 수집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협력망 1단계의 협

력대상기관 가운데 협력의 필요성을 이미 인식하고 있는 기관과는 적극적으로

협력체계를 구성하여 이들의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어느 정

도의 공공기관을 확보하여 이주민이 가장 필요로 하는 생활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4) 2단계(2010~2011년) : 문화원, 대사관 및 정부기관/지방자치단체 협력망

조사결과 다문화인이 가장 시급히 필요로 하는 생활정보를 더 확충하고 인

종간의 이해와 화합을 위한 문화정보를 확충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관련

모든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소협력망을 구축한다. 서울글로벌센터

(http://global.seoul.go.kr/)를 운영하는 서울시청, 외국인을 위한 전자정부

HiKorea(http://www.hikorea.go.kr/pt/index.html)을 운영하는 법무부/지식경제부/

노동부를 비롯하여 국가인권위원회,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등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협력대상이다. 또한 국제교류센터,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

터, 각국 문화원도 협력대상이다.

2단계에서는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여 다음 3단계

의 민간단체와 협력이 가능하도록 유대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콘텐츠 구축은

1단계에서 부족하였던 문화정보를 더 확충하여 포괄적인 다문화 콘텐츠를 구

성하여야 한다. 물론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많은 양의 콘텐츠를 확보하여 양

적․질적 성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것으로 생활정보, 학술정보, 문화정보 및

기타 다문화지식정보를 구축하여 분야별로 균형을 이룬 다문화지식정보의 활

용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2단계의 콘텐츠는 전체 목표 구축량(100%)

대비 70%에 이르는 콘텐츠 구축을 이루어야 한다.

5) 3단계 : 민간단체 협력망

Page 11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8 -

등 제공가능한 모든 다문화지식정보 콘텐츠

도서관, 정부기관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구축되는 다문화 관련 콘텐

츠는 전체 다문화 콘텐츠에 비추어 볼 때 아직은 미진한 단계이다. 민간단체

에서는 생활정보, 학술정보, 커뮤니티, 프로그램, 문화정보, 등 다문화와 관련

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단체의 다문화 콘텐츠는 각 기

관에 분산되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민간단체가 앞서 구성한

다문화포털 협력망에 흡수될 때 다문화인을 위한 완성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콘텐츠는 전체 구축목표량(100%)을 달성한다. 이 단계에서는 기관 및 단체와

연결된 모든 다문화인이 다문화포털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커

뮤니티정보가 보다 증가할 수 있도록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바. 활성화 방안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점진적인 방법으로 접근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도입

단계에서는 다문화지식정보로서 유용한 콘텐츠를 발굴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

도록 공식적인 협력을 체결하고, 상호협력하기 위한 콘텐츠 및 역할을 설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협력을 통하여 다문화포털 시범서비스를 운영하고, 다

문화포털에서 서비스하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및 관련 기관의 피드백을 반

영해야 한다.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실적을 포상함으로

써 질적 양적 성장을 꾀한다. 다문화포털 협력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주

관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 협력기관 대표자 및 이용자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

성하여, 정기적인 워크샵을 통해 상호이해를 강화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

여 연구하고 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성장단계를 거친 후, 다문화포털 협력망은 유기적인 유지관리 및 잠

재적인 성장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성숙단계에 진입하게 된다.

Page 11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09 -

•관련 콘텐츠 발굴 및

협력체결

•다문화 콘텐츠별 가장

근접한 정보서비스

운영기관을 우선 선정

•정보공유협의회 구성 및

시범서비스 운영

도입단계

•다문화 콘텐츠별거점기관 중심의 운영

•정기적인 콘텐츠 콜렉션평가 및 포상을 통한콘텐츠 질적, 양적 성장도모

•새로운 다문화 콘텐츠기획 및 개발

성장단계

•정보공유협의회 중심의

자치운영

•협력기관의 적극적인

콘텐츠 공유 협력

•축적된 콘텐츠를 통한

부가가치 사업

성숙단계

•관련 콘텐츠 발굴 및

협력체결

•다문화 콘텐츠별 가장

근접한 정보서비스

운영기관을 우선 선정

•정보공유협의회 구성 및

시범서비스 운영

•관련 콘텐츠 발굴 및

협력체결

•다문화 콘텐츠별 가장

근접한 정보서비스

운영기관을 우선 선정

•정보공유협의회 구성 및

시범서비스 운영

도입단계

•다문화 콘텐츠별거점기관 중심의 운영

•정기적인 콘텐츠 콜렉션평가 및 포상을 통한콘텐츠 질적, 양적 성장도모

•새로운 다문화 콘텐츠기획 및 개발

성장단계

•정보공유협의회 중심의

자치운영

•협력기관의 적극적인

콘텐츠 공유 협력

•축적된 콘텐츠를 통한

부가가치 사업

•정보공유협의회 중심의

자치운영

•협력기관의 적극적인

콘텐츠 공유 협력

•축적된 콘텐츠를 통한

부가가치 사업

성숙단계

[그림 35] 다문화포털 협력망 활성화 방안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활성화는 기관과 정보서비스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

할 수 있다. 기관과의 협력 측면은 다음과 같다.

n 다문화포털 협력망을 위한 위원회 운영

n 다문화포털 정보서비스 제공 및 활용

n 협력기관 홍보 및 포상

n 점진적인 다문화지식정보 콘텐츠 확충

n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등을 위한 다문화 도서관 설립이 필요함(특

히, 다문화인이 밀집된 지역, 외국인센터에 도서관 설립 필요)외국어로

된 콘텐츠 필요함(정보의 다언어화)

다문화포털 협력망의 활성화를 위한 정보서비스 측면은 다음과 같은 점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n 통합검색, 분류검색 등의 다양한 정보 접근점 제공

n 이주민의 안정적인 생활 정착을 위한 교육 지원

n 이주민 자녀를 위한 교육 지원

n 멀티미디어, 전자책 서비스 실시

n 각국 문화, 역사 소개 및 홍보

n 국내외 다양한 문화행사 안내

n 콘텐츠 연계를 통한 부가가치 서비스

n 종파를 초월한 네트워크

n 외국어 제공 서비스

n 정보공유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n 검색기능 강화 : 언어별 검색, 국가별 검색, 제공 서비스별 검색, 컬렉션

/토픽(관심주제별) 검색

Page 11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0 -

8. 장애인포털 협력망

가. 개요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는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의 일환으로, 장애인 기관

별로 분산된 장애인 관련 콘텐츠의 통합검색을 위해 협력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장애인의 정보접근성과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을 장애인포털 협력망의

목적으로 한다.

n 정보소외계층 이용자 접근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정보서비스 실현

n 참여 기관의 사이트가 활성화 되는 서비스 지향

n 정보소외계층을 고려한 정보서비스로서 국가의 책임주의 및 공익성 추구

n 고품질 지식정보 협력 및 공유 지향 디브러리 장서의 통합 관리체계 구축

장애인포털 협력망은 ‘소외계층 이용자가 디브러리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

이트를 통해 협력 기관이 제공한 콘텐츠를 통합 검색/열람 할 수 있는 시스템

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세부과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다.

나. 장애인 협력망 사례조사

1) 프랑스 장애인도청

프랑스에는 장애인에 대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 행정기

관인 장애인도청(Maison départementale des personnes handicapées, MDPH)이

있다. 사회보장제도 발달에 따라 관련 서비스가 증가되면서 각 정부 부처별로

Page 11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1 -

장애인 관련 기관을 산발적으로 설립하였으며, 그로 인해 기관의 비효율적인

운영 및 시스템 장애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 개정된 장애인 법에 의해 장애인도청이 설립되었다. 장애인도청은 교

육부와 보건부 등 정부 산하 장애인 관련 조직 및 기관의 업무를 통합하고,

서비스에 대한 심의, 결정 및 조정 권한을 가진 기관이다.

장애인도청은 도(Departement)별 기관으로 총 100개가 있으며, 이 중 파리시

를 관할하는 장애인도청의 주소가 http://www.handicap.paris.fr 이다. 이 사이

트에서는 장애와 관련된 교육, 문화, 주거 등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 수집은 기관 및 조직의 업무 통합을 기반으로 각 산하기관의 공식적 업

무 협조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프랑스 현지 저작

권법을 준수하여 제공된다.

2) 장애 정보 전문 검색엔진 Lazarum

장애와 관련된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무료 검색엔진이다. 인터넷에 대

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웹 표준기구) 기준에 맞추어 개발되었으며, 장애인들이 접근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발되었다. 이 사이트의 특징은 시각장애인들로 구성된 직원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LazarumGoogle, Yahoo, MSN, Altavista 등 다양한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이

가능하며, 그 중 Exactseek.com을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저작권 문제

에 대해서는 Lazarum 또한 검색엔진이기 때문에, 이곳을 통해서 얻게 된 자료

및 문헌들에 대한 저작권은 원 자료의 제작자 또는 출판사와 직접 해결해야

한다.

3) 데이터베이스

Louis 데이터베이스는, 미국 전역의 약 180여개 기관에서 제작되었거나 비

치된 180,000권의 책과 점자, 큰 활자, 컴퓨터 파일, 음성녹음 자료 등을 제공

하고 있다. 전맹 시각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그 외 장애인들도 등록

이 가능하다.

이용자는 구매(다운로드)와 자료 검색을 통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구

매의 경우 회원가입 후 이용 가능하며, 검색의 경우는 목록 검색 후 상세 페

이지로 이동 시 자료의 상세 정보 및 제공처의 연락처와 사이트 주소를 안내

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연결된 사이트로 이동하여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

매 및 자료 검색 시 장애인 인증 절차는 거치지 않는다.

이곳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정보의 제작자 또는 관리자가 서면으로 자신이

Page 11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2 -

기관 협력망 유형 특징

프랑스

장애인 도청장애인 서비스 통합

정부 산하 장애인 관련 기관의

상위 행정기관임

Ÿ 장애인 관련 기관 업무 통합

Ÿ 장애인 서비스에 대한 심의, 결정, 조정

Ÿ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장애 관련 정보 서

비스

가진 정보를 Louis 데이터베이스에 올리겠다는 약정서를 보내고 사이트에 탑

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단, NLS(the Library of Congress National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Physically Handicapped : 맹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

립도서관 서비스)에 이미 올라간 자료는 올릴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는데,

NLS는 미국의회도서관 내 조직으로 52개 전국 지부를 통해 시각장애인 관련

자료 제작 및 우편대출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Louis에 올라온 정보 또는 제품

은 Louis 데이터베이스 사이트를 통해서 구입이 가능하고, 제작자들에게 직접

연락을 해서 구입할 수도 있다. 자료 및 제품에 대한 저작권은 원 자료 및 제

품의 제작자와 직접 해결해야 한다.

4) 장애인용 디지털 도서 제공 비영리조직 Bookshare.org

읽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에게 온라인상에서 접근 가능한 디지털 형

태의 도서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의 비영리 조직 “Bookshare.org”은 미국 교

육부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아 미국 학교에서 공부하는 학생 전체(유치원에서

고교 성인 교육으로 배우는 사람 등)에게 무료로 수만 점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자료에는 교과서, 문학, 현재 인기 있는 서적, 저널, 신문 등 다양하

게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저작권법 예외 규정에 의해 대상자에게 전문을 디

지털화해 제공하는 것이 인정된다.

학생 이외의 개인 이용자에게는 유료로 서비스 중이며, 구독비는 이용자 등

록 시 $25, 연회비는 $50이다. 사이트에 등록된 이용자의 경우, 다운로드 받은

자료를 Victor Reader Soft DAISY player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다.

외국에서 접속할 경우는 제한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등록을 원할 경우는

개인 자격으로 등록해야 한다. 외국에서 등록할 경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

료 중 약 15% 정도만 구독이 가능하며 1,500권 정도의 스페인어 자료와 4500

권 정도의 영어로 된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공유된 자료의 저작권은

원 자료의 제작자 또는 출판사와 직접 해결해야 한다.

Page 11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3 -

Ÿ 행정력을 동원하여 공식적 업무 협조 요청

가능

아르헨티나

Lazarum.com

장애정보

전문검색엔진

웹상의 정보를 검색하는 엔진기능

Ÿ 장애인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화면 및 검색

기능구현

Ÿ 자료검색 시 타 일반 검색엔진을 통한 검색

결과까지 볼 수 있도록 구성

미국

Louis

데이터베이스

장애 관련

유료자료 및

제품 정보 수집

수요자-공급(판매)자 간 연계 역할

Ÿ 장애인 관련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책, 점

자, 큰활자, 디지털파일, 음성파일 등 제공

Ÿ 이용자가 사이트 내 정보 및 제품 구매 가능

Ÿ 자료/제품 생산자(기관)은 자료/제품 정보 등

록을 통해 광고 및 판매 대해의 이점이 있음

미국

Bookshare.org

자체 제작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정부 예산 지원을 통한 콘텐츠 자체 제작

Ÿ 미국 내 학생에겐 무료 서비스

Ÿ 일반 회원은 이용자 등록 후 유료 서비스 이

용가능

<표 22> 해외사례 장애인 협력망의 특징

5) 결론

해외 사례를 통해 디브러리 장애인포털 협력망에서 고려해야 할 특징을 살

펴보았다. 제시한 장애인 협력망은 각 나라의 환경과 제반사항에 맞게 각각의

유형으로 운영 중이다. 국내의 경우도 현실에 맞는 장애인 협력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애인 협력망은 다음과 같은 제약사항을 가지고 있다.

n 국립중앙도서관과 타 장애인 관련 기관 간 수평적 관계

n 유료 서비스 도입 고려를 위한 제반 여건 불충분

n 자료의 검색 뿐 아니라 열람 및 이용에 대한 서비스 필요

이런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수평적 장애인 관련 기관들의 협력 모델로서 장

애인 협력망을 구축해야 하며, 협의체를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참여기관의 이

익을 대변할 수 있는 주관기관이 필요하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

태는 참여기관을 통해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를 무료로 검색 및 열람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참여기관의 자료를 가져오는 수집 방식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소지가 있거나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를 수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연계망 구축 시 기관 사이트 내 콘텐츠 공유 범위와 해당 콘텐츠에

Page 11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4 -

No. 구분조사

기관수No. 구분

조사

기관수

1 시각장애학교 13 6 종교 5

2 복지관 12 7 인터넷사이트 15

3 생활시설 8 8 청각장애학교 20

4 점자도서관 31 9 특수교육연구기관 1

5시각장애인

관련단체14 10 청각장애인관련단체 19

<표 23> 국내 장애인 관련기관

구분 기관명 주요보유자료 자료유형 선정근거

시각장애인

복지관

실로암 복지관전문도서

일반자료텍스트 기준 1,2,3,4해당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일반자료 텍스트, 음성자료 기준 1,2,3,4해당

하상장애인 복지관일반도서

학습자료텍스트, 음성자료 기준 1,2,3,4해당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다. 장애인포털 협력망 구축 방안

1) 연계 대상기관 선정

가) 장애인 관련 기관 조사

장애인포털 협력망에 참여 가능한 기관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 시각 및 청각

장애 관련 기관들을 아래와 같이 조사하였다. 총 138개 기관에 대한 정보를

기관 성격에 따라 10개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나) 협력망 참여 대상기관 선정

조사된 138개 기관중 아래 정의된 4개의 선정기준을 근거로 각 기관을 평가

하였으며, 그 중 2개 항목 이상에 해당되는 32개 기관을 협력망 대상 기관으

로 선정하였다.

기준 1. 지속적인 콘텐츠 자체 생산능력(인력, 기술, 예산) 보유

기준 2.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off-line, on-line)월 이용자 500명 이상

기준 3.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상위 10% 이내 포함

기준 4. 도서 또는 학습자료 중심 기관 보유 자료 100건 이상

Page 12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5 -

호산나 복지재단일반도서

전문도서텍스트 기준 1,2,4해당

점자도서관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일반도서

전문도서

학습자료

텍스트, 음성자료 기준 1,2,3,4해당

한국점자도서관일반도서

디지털도서

텍스트, 디지털

(daisy)기준 1,2,3,4해당

경북점자도서관 일반도서 음성자료 기준 1,2,3,4해당

부산점자도서관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1,2,3,4해당

소리도서관(LG상남도서관)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1,2,3,4해당

기타도서관

마포평생학습관시각장애인실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4해당

대한적십자사점자도서관실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4해당

한밭도서관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4해당

마포점자도서실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4해당

부천점자도서관 일반도서 텍스트 기준 4해당

국가기관 국립특수교육원교수-학습자료

교과용 도서텍스트, 멀티자료 기준 1,2,3,4해당

시각장애

특수학교12개 맹학교

교수-학습자료

교과용 도서텍스트, 멀티자료 기준 1,4해당

청각장애인

복지관

청음회관 일반자료/동영상 텍스트/동영상 기준 1,2,3,4해당

한국농아인협회 일반자료/동영상 텍스트/동영상 기준 1,2,3,4해당

제주도농아복지관 일반자료/동영상 텍스트/동영상 기준 1,4해당

삼성소리샘복지관 일반자료/동영상 텍스트/동영상 기준 1,4해당

대구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 일반자료/동영상 텍스트/동영상 기준 1,4해당

<표 24> 협력망 대상기관 선정

2) 연계 방식 정의

협력망 구축 시 디브러리와 각 기관 간 연계 방식은 연계 범위와 접속 방식

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세 가지 방안이 있다.

1안의 경우에는 협력망 참여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장애인포털 협력

망 사이트에서 통합 검색하고, 열람 시에는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여 별도 로

그인이 필요하다. 해당 기관은 사이트 Hit수가 늘어나 이용이 활성화되는 장점

이 있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기관별 회원 가입 및 로그인에 따라 콘텐츠 접

근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2안은 협력망 참여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장애인 협력망 사이트에서

통합 검색하고, 1안과 달리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에 통합 로그인 후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여 콘텐츠를 열람하는 경우이다. 1안과 마찬가지로 해당 기관

Page 12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6 -

No 연계방식참여기관정

보제공범위

참여기관

사이트

접속방식

콘텐츠

검색 방식

콘텐츠 열람

방식

1안

기관

메타데이터

제공 + 기관

사이트 로그인

후 콘텐츠 접근

허용 기관

메타데이터

제공

Link

방식으로

기관

사이트로

이동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검색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

로그인

불필요)

콘텐츠 검색 후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여

로그인 후 자료

열람

(참여기관

사이트 로그인

필요)

2안

기관

메타데이터

제공 + 기관

사이트 로그인

없이 콘텐츠

접근 허용

콘텐츠 검색 후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여 자료

열람

(장애인포털

협력망사이트

로그인필요)

3안

기관

메타데이터와

콘텐츠(file)

제공 +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을 통해

콘텐츠 열람 및

다운로드

기관

메타데이터및

콘텐츠(file)

제공

참여기관

사이트

연계 없음

콘텐츠 검색 후

사이트 이동

없이 자료열람

및 다운로드

(장애인포털

협력망사이트

로그인필요)

<표 25> 장애인포털 협력망 연계방식 정의

은 사이트 Hit수가 늘어나 이용이 활성화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용자도 한 번

의 로그인으로 협력망 참여 기관의 모든 콘텐츠 열람이 가능하여 1안보다 접

근 편의성이 개선된 안이라고 볼 수 있다.

3안은 협력망 참여 기관이 콘텐츠 원본을 디브러리에 제공하여 서비스 하

는 방안으로 이용자는 협력망 참여 기관이 제공한 모든 자료를 사이트 이동

없이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을 통해 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다. 기관별 사

이트 이동이 없어 이용자 측면에서는 가장 이용 편의성이 우수한 안이나, 기

관 입장에서는 기관 사이트로 이동이 없기 때문에 Hit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없다.

Page 12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7 -

3) 기관 참여 현황

앞서 선정된 32개 기관에 대해 2008년 10월~11월에 걸쳐 ‘장애인 디지털자

원 공유 협력 참여 요청 건’이라는 제목으로 협력망 참여 공문을 발송하였으

며, 참여 신청서를 첨부하여 회신을 요청하였다. 총 11개 기관에서 참여 신청

서를 회신 받았으며. 이 중 디지털 형태의 자료를 보유하지 않은 기관과 저작

권 침해 소지가 있는 자료를 보유한 기관을 제외하고 6개 기관을 최종적으로

협력망 참여 기관으로 선정하였다.

참여 방식에 대해 6개 기관 중 3개 기관이 1안(기관 메타데이터 제공 + 기

관 사이트 로그인 후 콘텐츠 접근 허용), 3개 기관이 2안(기관 메타데이터 제

공 + 기관 사이트 로그인 없이 콘텐츠 접근 허용)을 선택하였으나, 연계 방식

일원화에 따른 개발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1차 연계 시에는 6개 기관 모두

1안으로 연계하기로 합의하였다.

라. 장애인포털 협력망 운영 방안

장애인포털 협력망은 장애인이 접근 용이한 사이트를 구축하여 유익하고 차

별화된 장애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많은 장애인들이 편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인포털 협력망의 효율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콘텐츠 확보

를 위한 운영방안은 다음과 같다.

n 참여기관 확충을 통한 콘텐츠 확대

n 고객 요구분석을 통한 서비스 확대

n 통합 장애인 인증 시스템을 통한 연계 방식 개선

n 서비스 장애 유형 확대

1) 참여기관 확충을 통한 콘텐츠 확대

사이트에 대한 높은 인지도와 장애인 이용자 확보를 위해 참여기관을 지속

적으로 확충하여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다량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표 참여기관 주축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협력망 운영을 통해 장애

인포털 협력망의 위상을 높이고, 기대효과 창출 및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통해

미참여 기관들을 협력망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가) 참여기관 대표자 회의 운영

국립중앙도서관과 협력망 참여기관 간의 효율적인 업무 협조를 주도하고 운

Page 12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8 -

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참여기관의 의견과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공동 협의체

개념의 대표자 회의를 운영한다.

나) 자료 공동 개발 사업 시행

자료 공동 개발 사업은 참여기관을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

다. 공동개발 사업 참여 시 얻게 되는 이익과 사업 결과의 파급효과를 통해

자료 개발 능력을 가진 기관들이 협력망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유인책으로서

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2) 고객 요구분석을 통한 서비스 확대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의 향후 발전 방향 및 개선사항 도출을 위해서는

운영 중 발생하는 고객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트

초기 구축 시 제공되는 콘텐츠는 장애인 관련 주요 기관 및 단체에서 보유중

인 콘텐츠 위주로 서비스가 될 것이다. 이를 이용하는 많은 장애인 또는 장애

인 관련인들의 사이트 이용 중 발생하는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사이트 운영 정

책에 반영하는 것은 이용자들로 하여금 사이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

한 과제가 될 것이다.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의 주 이용자들로부터 이용 중 발생한 개선사항

및 장애인포털 협력망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안을 수렴 및 선별하여 협력망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요구사항 수렴을 통한 이용자와 국립중앙도서관 간 상호 의견 교류를 통해,

향후 협력망의 유지보수 및 개선 방향을 수립하고 신규 사업 창출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3) 통합 장애인 인증 시스템을 통한 연계 방식 개선

정보 접근에 있어서의 장애인 이용자 편의를 고려할 때, 장애인포털 협력망

사이트를 통해 자료 검색 후 열람을 위해 각 콘텐츠 제공 기관에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는 방식은 다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 회원관

리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식(연계방식 2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1차

구축을 위해 기관별 연계 방식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개별 회원관리를 희망하

는 기관의 요구가 있었으며, 기술적 관점에서는 자료 열람 시마다 기관과 장

애인포털 협력망 간 DB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보안상의 이슈가 있다. 또

한 시스템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상이한 각 기관과의 통합 회원관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장애인들이 각 기관 회원가입 시 불편함을 느끼고,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

되는 부분은 장애인 인증 절차이다. 회원가입 요청자가 장애를 증명하는 서류

Page 12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19 -

를 기관으로 발송하면 기관의 검증 후 최종 회원가입이 가능하므로 그 시간

동안은 콘텐츠 열람이 불가능하다. 또한 여러 사이트의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각 기관별 장애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장애인포털 협력망은 이러한 기술적 문

제와 기관의 개별 회원관리에 대한 요구를 감안하면서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

하는 ‘통합 장애인 인증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포털 협력망에 장애인 인증을 완료한 이용자가 참여기관 사이트에 회

원가입 요청 시 기관은 장애인포털 협력망으로부터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

으며 이 경우 별도의 장애인 인증절차를 생략한 채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통합 장애인 인증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인포털 협력망 뿐 아니라

참여기관 시스템 또한 기능 일부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각 기관과의 명확한 기

능 정의 및 업무 협조가 선행되어야 한다.

4) 서비스 장애 유형 확대

장애인포털 협력망 1차 구축 연계 대상 기관은 시각/청각 장애 관련 기관을

위주로 선정 하였다. 시각/청각 관련 기관이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

로 그 범주 안에서 참여기관을 확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향후에는 그 외 장

애 유형에 특화된 기관들을 장애인포털 협력망에 참여시킴으로써 장애 유형의

구분이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장애 유형에 따라 이용 가능한

콘텐츠나 정보가 다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역과 유형의 콘텐츠들을 확보하

여 모든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장애인포털 협력망이 되어야 한다.

Page 12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0 -

제 1 장 총 칙

제1조(명칭)

이 협의회는 “디지털자원공유협의회(이하 협의회)”라 한다.

제2조(목적)

협의회는 디지털자원의 공유를 위하여 참여 및 연계의 장을 마련하고 다양한

활동의 체계적인 지원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3조(소재지)

협의회의 사무소는 디브러리(국립중앙도서관) 내에 둔다.

제4조(사업)

① 협의회는 다음 각호의 사업을 한다.

1. 디지털자원 공유의 연구 분야 선정·조사

2. 디지털자원 공유의 중장기 로드맵 수립

3. 디지털자원 공유의 시스템 및 정보기술 표준 수립·관리

4. 디지털자원 공동이용 시스템 구축·운영

5. 디지털자원 대국민서비스 체계 수립·관리

6. 국제적인 공동연구 및 공동사업 추진

7. 국내외 홍보 및 보급 확산을 위한 사업

8. 전문가 네트워크 구성

9. 그 밖에 협의회의 목적에 의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제 2 장 조직의 구성 및 운영

제5조(조직)

① 협의회는 총회, 운영위원회 및 사무국으로 구성한다.

② 협의회는 제4조의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결

을 거쳐 분과위원회와 소협의회 등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제6조(총회)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의결한다.

1. 정관의 개정에 관한 사항

2. 회원의 권리·의무와 관련한 중요사항

3. 의장, 부의장, 운영위원회 위원장 및 감사의 선출과 해임에 관한 사항

4. 예산 및 결산의 승인

5. 합병 또는 해산에 관한 사항

9. 디지털정보공유협의회 운영 정관

Page 12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1 -

6. 운영위원회 및 회원 5분의 1 이상이 제의하는 사항

7. 그 밖에 협의회의 운영에 필요한 주요사항

제7조(총회의 구성)

총회는 연계회원 및 참여회원의 모든 회원으로 구성한다. 회원의 정의는 제3장

에서 기술된다.

제8조(총회의 운영)

① 정기총회는 의장이 매년 1회 소집하고, 의장 또는 운영위원회의 요구가 있

을 때에는 임시로 이를 소집한다.

② 총회의 의결은 연계회원 재적회원 3분의 1 이상 출석에 출석한 회원의 2분

의 1 이상의 찬성으로 한다. 다만, 가부동수인 경우에는 의장이 결정권을

갖는다.

③ 부득이한 이유로 회의에 불참하는 회원은 서면으로 표결권을 의장 또는 출

석하는 타회원에게 위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출석한 것으로 본다.

제9조(운영위원회)

① 운영위원회는 협의회 운영 전반에 대한 사항과 총회의 위임사항을 다루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1. 사업계획 및 예산에 관한 사항

2. 사업추진 실적 및 결산에 관한 사항

3. 신입 회원의 승인 및 회원의 제명에 관한 사항

4. 분과위원회, 소협의회의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5. 총회에 상정할 안건의 심의

6. 그 밖에 정책자문, 추진사업 선정 등 협의회의 발전을 위한 사항으로서

운영위원회가 인정하는 사항

② 운영위원회는 사업계획과 전년도 사업추진실적을 정기총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제10조(운영위원회의 구성)

① 운영위원회는 10인 내외의 임원으로 구성한다.

② 운영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임원으로 구성한다.

1. 운영위원장

2. 각 분과위원장

3. 각 소협의회장

4. 특별위원

③ 운영위원회에 간사 1인을 두되, 간사는 사무국장이 된다.

④ 의장은 협의회의 발전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운영위원회에

참석하여 의견을 표시할 수 있다.

Page 12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2 -

제11조(운영위원회의 운영)

①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또는 재적임원 3분의 1

이상이 요구하는 경우 운영위원장이 소집한다.

② 운영위원회의 의결은 재적임원의 2분의 1 이상 출석에 출석임원의 2분의 1

이상의 찬성으로 한다. 다만, 가부동수인 경우에는 운영위원장이 결정권을

갖는다.

③ 의결사항이 경미하거나 또는 부득이한 것으로 운영위원장이 인정하는 경우

서면심의에 의한 방법으로 의결할 수 있다.

제12조(분과위원회)

① 협의회는 제4조 제1항의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분과위원회를

설치·운영한다.

② 각 분과위원회의 구성과 세부 임무 및 운영 등에 관련한 사항은 운영위원

회에서 정한다.

③ 협의회는 다음 각호의 분과위원회로 초기 구성한다.

1. 기술분과위원회

․ 시스템 및 정보의 표준 관리, 정보화 품질 평가/관리 등 디지털자원

공유에 필요한 제반 기술사항을 담당

2. 교육분과위원회

․ 디지털자원 관련 포털서비스, 장서관리 등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담당

3. 저작권분과위원회

․ 디지털자원공유 관련 법․제도 및 저작권 관련 담당

4. 해외분과위원회

․ 해외정보의 기획·수집과 관련기관(국공립도서관, 국제기구 등) 협력

등 해외디지털자원 공유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담당

제12조의2(소협의회)

① 협의회는 참여·연계 기관의 원활한 협력을 위하여 분야별 소협의회를 운

영하고, 소협의회의 구성과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은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

② 소협의회는 소협의회 운영 전반에 대한 사항을 다루며, 다음 각 호의 사항

에 운영위원회에 제출한다.

1. 소협의회의 사업계획 및 추진실적

2. 소협의회의 신입 회원의 추천

3. 소협의회의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4. 소협의회에 상정할 안건

5. 그 밖에 소협의회의 발전을 위한 사항

③ 소협의회는 사업계획과 전년도 사업추진실적을 정기총회에 보고하여야 한

다.

제12조의3(소협의회의 구성)

Page 12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3 -

① 소협의회는 다음 각 호의 임원으로 구성한다.

1. 소협의회장

2. 소협의회 산하 각 협의체회장

② 운영위원장은 소협의회의 발전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소협

의회에 참석하여 의견을 표시할 수 있다.

③ 협의회는 다음 각호의 소협의회 및 산하협의체로 초기 구성한다.

1. 지역정보공유협의회

․ 시도별 지역협의체로 구성(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예회관,

지자체, 단체)

2. 정책정보공유협의회

․ 공공기관, 정책자료실

3. 다문화정보공유협의회

․ 국내외 다문화협의체

4. 장애인정보공유협의회

․ 장애인관련기관

제12조의4(소협의회의 운영)

① 소협의회는 소협의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또는 소협의회 소속 연계

회원의 3분의 1 이상이 요구하는 경우 소협의회장이 소집한다.

② 소협의회의 의결은 소협의회 소속 연계회원의 2분의 1 이상 출석에 출석회

원의 2분의 1 이상의 찬성으로 한다. 다만, 가부동수인 경우에는 소협의회

장이 결정권을 갖는다.

③ 의결사항이 경미하거나 또는 부득이한 것으로 소협의회장이 인정하는 경우

서면심의에 의한 방법으로 의결할 수 있다.

제13조(사무국)

① 운영위원회는 협의회의 제반사무를 집행·처리하기 위하여 사무국을 설치

한다.

② 사무국은 협의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전반적인 사업수행을 지원한다.

제14조(협의회 이외의 기구와 공동연구 및 공동사업 등)

① 협의회의 조직은 국내외 기관과 다음 각 호의 방식에 따라 공동연구 및 공

동사업을 할 수 있다.

1. 공동연구는 협의회의 연구의 일부·전체를 다른 기구와 공동으로 수행

하는 것을 말한다.

2. 공동사업은 협의회의 사업의 일부·전체를 다른 기구와 공동으로 수행

하는 것을 말한다.

제 3 장 회 원

제15조(연계회원의 정의 및 기술적 조치사항)

Page 12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4 -

① 연계회원은 고품질의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협의회가 정의한 데이터베

이스 수준(일정한 형식으로 정보를 수집·공유하는 형태)의 협력을 희망하

는 단체 또는 개인으로서 신청에 의하여 소정의 절차로 승인된다.

② 연계회원은 가입 후 데이터베이스 수준의 연동이 되도록 필요한 DB수집 관

련 기술적 조치를 협조한다. 협의회는 연계회원의 DB가 시스템에 반영되기

위한 제반기술을 제공한다.

③ 연계회원이 운영하는 사이트 내 디브러리와 연결되는 URL의 변경시 이를

사전에 통보하여 관리한다. 협의회는 기술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를 점

검할 수 있도록 제반기술을 제공한다.

④ 연계회원이 운영하는 사이트가 폐쇄되기 전 3개월 전에 사전통보 해야 한

다. 사이트 폐쇄를 포함하여 대국민서비스에 심각한 성능의 문제 및 기능적

오류를 대비하여 협의회가 정한 백업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협의회는 제반

기술을 제공한다.

제16조(참여회원의 정의 및 기술적 조치사항)

① 참여회원은 웹문서 수준(웹페이지를 색인·연계하는 형태)의 협력을 희망하

는 단체 또는 개인으로서 신청에 의하여 간소한 절차로 승인된다.

② 참여회원은 가입 후 웹문서 수준의 연동이 되도록 필요한 웹사이트 정보수

집 허가에 따른 기술적 조치를 협조한다.

제17조(회원의 권리, 의무 및 제명)

① 회원은 협의회의 운영 및 각종 연구 및 사업에 참여하고, 협의회의 규정에

따라 그 결과를 이용할 권리가 있다.

② 회원은 정관을 준수하고, 운영위원회가 정하는 소정의 회비를 납부할 의무

가 있다.

① 회원이 협의회의 목적에 위배되거나 품위를 손상시키는 행위를 한 때에는

운영위원회의 결의에 의하여 제명할 수 있다.

제 4 장 임 원

제18조(의장)

① 의장은 협의회를 대표하며, 총회의 의장이 된다.

② 의장의 선출과 임기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의장은 총회에서 선출한다.

2. 의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3. 의장은 필요한 경우 그 권한을 부의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

③ 의장이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때에는 부의장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제19조(부의장)

① 부의장은 의장을 보좌하며, 부의장의 선출과 임기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부의장은 2인 내외로 구성한다.

Page 13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5 -

2. 부의장은 의장의 추천으로 총회에서 선출한다.

3. 부의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② 부의장이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때에는 의장이 그 직무대

행자를 지명한다.

제20조(운영위원회 위원장)

① 운영위원장은 운영위원회를 총괄하며, 활동결과를 의장과 총회에 보고하여

야 한다. 운영위원장의 선출과 임기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운영위원장은 의장의 추천으로 총회에서 선출한다.

2. 운영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② 운영위원장이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때에는 의장이 그 직

무대행자를 지명한다.

제21조(특별위원)

특별위원은 운영위원회의 일원이 되며, 특별위원의 선출과 임기는 다음 각 호

에 따른다.

1. 특별위원은 5인 내외로 구성한다.

2. 특별위원은 총회에서 선출한다.

3. 특별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4. 소속법인이나 단체의 대표자격으로 특별위원에 선임된 자가 해당 법인

또는 단체로부터 퇴임한 경우에는 그 후임자가 특별위원의 직무를 승

계한다.

제22조(분과위원장)

각 분과위원장은 활동 결과를 운영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 각 분과위원장의

선출과 임기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각 분과위원장은 운영위원회 의결로 선출한다.

2. 각 분과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23조(소협의회장)

① 소협의회는 회원의 호선에 의하여 1인의 회장을 선출한다.

② 소협의회장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24조(사무국장)

사무국장은 사무국의 활동을 총괄하며, 활동 결과를 운영위원회에 보고해야 한

다. 사무국장의 선출과 임기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사무국장은 의장이 지명한다.

2. 사무국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제25조(감사)

① 협의회에 2인 이내의 감사를 둘 수 있고, 감사의 선출 및 해임 등에 관한

Page 13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6 -

사항은 총회에서 정한다.

② 감사는 협의회의 재정 및 회계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그 결과를 총회에

보고한다.

③ 감사는 감사결과 부정 또는 부당한 사항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운영위원회

에 그 시정을 요구하거나 운영위원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④ 감사가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때에는 의장이 그 직무대행

자를 지명한다.

<부 칙>

이 정관은 총회에서 개정 의결한 날부터 시행한다.

Page 13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7 -

[참 고 문 헌]

강민수. 2004. 국가지식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교육인적자원부, 2007,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교육복지정책과

구효중.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평생학습 협력망 구축. 서울교육소

식, 117호(2007): 11- 12. <http://ebook.sen.go.kr/src/viewer/main.php?h

ost=main&site=seoul_edu_news117&category=0&page=0&pagenum=0&r

ef=http://ebook.sen.go.kr/src/intro/%3Fhost%3Dmain%26site%3Dseoul_ed

u_news117&search=>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디지털 자원 선정지침』.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6년도 도서관 협력망 운영계획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립중앙도서관. 2006년도 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 공공도서관.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립중앙도서관. 2007. 『2007년도 정부기관자료실 현황조사 결과보고서』. 서

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8. 『정부 및 공공기관 정책정보서비스 담당자 워크숍 자

료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10.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5.

국무조정실, 2006, 국제결혼가정의 사회적응 지원대책 관련 행정서비스 모니터

국회입법조사처. 2008. 현행법률의 주요내용과 쟁점, 2:사회 문화. 서울: 국회

입법조사처.

권경아. 2007. 문화소외계층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방안 연

구 : 외국인 노동자, 여성결혼이민자(자녀포함)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예술대학원.

권영득. 민속생활사박물관 협력망사례로 본 박물관 활성화 방안연구: 박물관교

육과 유물정리 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근로복지공단. 2006. 외국인근로자지원사업(기관) 제도개선 및 중장기계획 수

립을 위한 연구.

김남일, 2007, 열린 사회 구현을 위한 외국인정책 방향, 한국사회학회 사회학

대회 논문집

김솔. 2008. 다문화정책지원센터의 운영을 통한 국제결혼가정구성원의 사회통

Page 13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8 -

합방안에 관한 연구.『제1회 이민정책분야 우수논문 공모전 수상작

품』.

김종학, 2007,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 및 지원 체계,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5권 4호

김진석. 시도 지역혁신협의회 운영실태 분석연구. 2007. <http://www.iric.or.kr/d

ocument/modules/download.php?ori_filename=운영실태_보고서_-_시도_

협의회.pdf&filename=15151517.pdf>

김화순, 신재영, 2005, 북한 이탈주민의 취업눈높이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고

용 지원제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43호

남기윤. 2004. 지식정보자원DB 시스템의 이용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e-비즈니스

학과.

대한민국정부,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지원』, 제74회 국정과제회의

자료, 2006.4.26

대한민국정부. 2006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 대한민국정부, 2006. <ht

tp://www.kcc.go.kr/user.tdf?a=user.board.BoardApp&c=2001&mc=P_05_0

4_07&board_id=KCC_05_04_07>

동북아시대위원회. 2007.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최종보고서』.

문형남. 2008. 『웹 접근성 구축 성공 사례 : 웹 접근성 평가 결과를 중심으

로』. 발표자료 (2008.06.25). [cited on 2008.8.4].

<file.blog.empas.com/attachfile_download.php?a=29831727&seq=10390179>

문화체육관광부, 2008,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

박물관협력망. <http://conet.museum.go.kr>

박찬훈. 2008. 『디지털 정보 평가에서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학위 논문.

박천응. 2007. 비영리 조직(NGO)의 전략경영에 관한 연구 :안산이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법무부, 2007, 2007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서혜란 등. 2006. “통합적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국가기반 전자기록관리시스템

참조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1): 301-333.

여성가족부,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오경석 외. 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오경석,정건화. 2006. 안산시 원곡동 “국경없는 마을” 프로젝트 : 몇 가지 쟁

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1):72-93

Page 13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29 -

유네스코, 이주자가 본 한국의 정책과 제동,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

교육원

윤희윤 등. 2007.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협력망 구축 및 운영방안 연

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이상복 등. 2008. “전국적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90-111.

이수상, 조용완, 2007,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한국교육학

술정보원

이수상. 2006.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

학회지』, 23(4): 257-275.

이용남 등. 도서관 협력망 협력사업 표준모델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

관, 2001.

이은철, 심효정. 2008.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격차해소 기여도 분석을 위한 기

초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309-325.

이응봉, 조현양, 류범종, 최재황, 2001. "과학기술분야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향

상을 위한 품질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3): 109-132.

이지연 등. 2007. “국가지식정보의 유통 현황 분석 및 유통방안에 관한 연

구.” 정보관리학회지, 24(3): 299-319.

이현실, 황동렬, 2007, 외국인 학생을 위한 대학도서관 정보이용 교육 사례 연

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권 4호

장호광. 온라인 박물관 협력망 10월 중 오픈. e-박물관신문, 2007년 10월(제

434호). <http://www.museum.go.kr/e-paper/200710/index.html>

전우홍, 2006,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Study Korea Project), 교육인적자원부

정세진. 2007. 외국인 이주노동자 지원단체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실천신학전공.

제갈 종기. 2007.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신라대 사회복

지대학원.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제주넷”우수성 입증,“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

지 <http://www.jeju.go.kr/contents/index.php?mid=010101&job=detail&eb

_seq=90695>

조석주. 2007. 다문화공생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기능 강화방안 : 외국인근로

자 및 결혼이민자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1(3): 3-46

조순영. 2002. 『해외학술DB 선정 및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

국교육학술정보원

Page 13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0 -

조용완,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보요구와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

보학회지, 40권 3호

조용완, 2007, 이주민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의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

보학회지, 38권 2호

조용완.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보행태와 정보빈곤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현양, 최재황, 이혜영. 2007.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 시범사업 :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최혜자. 2007. 예술경영의 새로운 환경, 다문화사회. 『2007 한국예술경영학회

제13회 학술심포지엄 ‘다문화사회, 문화예술교류와 예술경영의 과

제』

최환. 박물관 전문인력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 개발. e-박물관신문, 2008년 6월

(제442호). <http://www.museum.go.kr/e-paper/200806/index.html>

통계청, 2007, 혼인통계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7, 다문화가족 백서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7, 외국인근로자 상담 및 평가 매뉴얼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7. 다문화가족 백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6. "포털과 지식정보서비스-포털사이트를 통한

지식정보 유통 현황과 과제." 『KDPC 지표이슈』, 2006. 10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7. 『2007년 공공정보 활용 현황 및 수요 조사 결과보

고서』. 서울: 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한국사회학회. 2007.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최종보고서』.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

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다민족ㆍ다문화사회 진전에 있어서의 사회 갈등 양

상과 극복과정: 호주와 일본의 사례.

한국인터넷진흥원.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 <htt

p://kosis.nso.go.kr:7001/ups/chapterFile.jsp?pubcode=KP&chid=300807&pub

=3&userip10.134.2.229&bookname=한국의사회지표&chaptername=8-7.최근

1개월이내인터넷이용여부(인터넷이용률)&userip=10.134.2.229&linkfile=KP/

KQ0807.xls>

Page 13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1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새터민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성택. 2004. “국가 통합 도서관 협력 체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

도서관ㆍ정보학회지, 35(1): 31-35.

한혜영, 조현양. 2003. "해외학술 전자정보의 국가적 컨소시엄 정책 개발 연

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97-120.

행정자치부. 2007 행정자치백서. 서울: 행정자치부, 2007. <http://www.mopas.g

o.kr/gpms/upload/ebook07/02/index.html>

행정자치부. 2007 행정자치통계연보. 서울: 행정자치부, 2007. <http://www.mop

as.go.kr/gpms/upload/ebook07/01/index.html>

홍현진, 노영희. 2007.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운영 및 발전방안 연

구.』서울: 국립중앙도서관.

황동열. 미술관 협력망 구축․운영 방안 연구. <http://blog.naver.com/hdyhyohge?

Redirect=Log&logNo=130034169823>

Beck, Susan. Evaluation Criteria for Electronic Resources. Rutgers University

Libraries. [cited on 2008.8.20].

<http://www.libraries.rutgers.edu/rul/staff/collection_dev/policies/

eresource_criteria.shtml>

Bobby King, 2000, this is not your father's bookmoblie, Library Journal

Boston University Law Library. 2003. Electronic Resources Collection Policy.

[cited on 2008.8.20].

<http://www.bu.edu/lawlibrary/technical/collectiondevelopment/

eresources.html>

Boyce, W. F., , Promoting health in multicultural populations: a handbook for

practitioners, Elsevier Science B.V., Amsterdam.

Bunch, Allan.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 their origin, scope and

development. London: Clive Bingley, 1982.

Caldwell, Naomi Rachel, 2002, A comparison of selection tool sources for

developing collections of books about American Indians: General and

specialized tools. , University of Pittsburgh.

Caldwell, Tracey. Gateway to your soul. Information World Review vol.

212(2005): 23-24

Casals, N. T., , Group Rights as Human Rights A Liberal Approach to

Page 13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2 -

Multiculturalism , Kluwer Academic Publishers

CECILIA MENJ?VAR, OLIVIA SALCIDO , , Immigran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Arizona State University

Chapman, T. K., , Desegreg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Embracing and Manipulating Reform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Choi, J.-S. Choi, S., , Social work intervention with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micro and macro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LTD

Currance, Joan C., and Karen E. Pettigrew. Online community information:

creating a nexus at your library. Chicago: ALA, 2002.

Edwards, Judith. 1998. The good, the bad and the useless: evaluating Internet

resources. Ariadne 16 (July). [cited on 2008.8.20].

<http://www.ariadne.ac.uk/issue16/digital/>

Facchi, A., , Multicultural Policies and Female Immigration in Europe,

BLACKWELL PUBLISHERS LTD.

Friedland, William H.;?Nelkin, Dorothy, , Migrant Agricultural Workers in

America's Northeast.,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Hammer, L., , The Human Right to Culture and Migrant Workers in Israel,

MICHIGAN STATE UNIVERSITY

Howard-Hassmann, R. E., , Multiculturalism, Human Rights, and Cultural

Relativism: Canadian Civic Leaders Discuss Women's Rights and Gay

and Lesbian Rights, KLUWER LAW AND TAXATION PUBLISHERS

IFLA Library Services to Multicultural Populations Section

Ingoldsby, Bron B., Ed.;?Smith, Suzanna, Ed., 1995, Families in Multicultural

Perspective., Guilford Publications

James A. Banks, ,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sions,

and Practice,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Vol. 19, (1993), pp.

3-49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Jochelson K, Mothibeli M, Leger JP.,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migrant labor in South Africa, St. Antony's College

Kirmayer, L. J. Weinfeld, M. Burgos, G. Fort, G. G. d. Lasry, J.-C. Young,

A., , Use of Health Care Services for Psychological Distress by

Immigrants in an Urban Multicultural Milieu, CANADIAN PSYCHIATRIC

ASSOCIATION

Page 13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3 -

Kirmayer, L. J., , Cultural Consultation: A Model of Mental Health Service for

Multicultural Societies,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 48, no

3, April 2003

Library of Congress. 2004. Electronic Resources, Selection Guidelines (2004).

[cited on 2008.8.20].

<http://www.loc.gov/acq/devpol/electronicselectionguidelines.html>

Loobuyck, P., , Liberal Multiculturalism: A Defence of Liberal Multicultural

Measures without Minority Rights, SAGE

Looney, Michael, and Peter Lyman. Portals in higher education. Educause

Review vol. 35, no. 4(2000): 28-37.

Lynch, 1983, The multicultural curriculem, London: Batsford Academic and

Education Ltd

Obiakor, Festus E., ,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oday's Schools, PRO-ED, INC.

Oder, N., 2003, Growing into a changing city, Library Journal

Overview of portals. Library Technology Reports (2002 Nov-Dec): 4-7.

Peiro, A. M. Velez, E. Calderon, E. Martinez, J., , Bioethic and legal

challenges in multicultural health attendance, EDICIONES DOYMA SA

Pettigrew, Karen E. Nurses' perceptions of their needs for community

information: Results of an exploratory study in Southwestern Ontario.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37(1996): 351-360.

Pettigrew, Karen E., and M. A. Wilkinson. Control of community information:

an analysis of roles. Library Quarterly vol. 66, no. 4(1996): 373-407.

Pratyusha?Tummala-Narra1 ?, , Mothering in a Foreign Land,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analysis

Roberts, K. D., , China's "Tidal Wave" of Migrant Labor: What Can We

Learn From Mexican Undocumented 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CENTER FOR MIGRATION STUDIES

San Francisco Public Library. 2008. Collection Development Plan: Electronic

Resources Collections. [cited on 2008.8.20].

<http://sfpl.org/librarylocations/administration/cdp/electroniccol.htm>

Seneviratne, Wathamnel. Local information upload strategy in building up

rural community information pages on the internet: an approach to

attending the information needs of rural Sri Lanka. The International

Page 13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4 -

Information & Library Review vol. 36(2004): 241-252.

Sleeter, Christine E.;?Grant, Carl A., ,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Smith, Alastair. 2005. Criteria for evalu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cited on 2008.8.20].

<http://www.vuw.ac.nz/staff/alastair_smith/evaln/>

Straehle, C., , Multicultural Jurisdictions - Cultural Differences and Women's

Rights, Ayelet Shachar, Palgrave Macmillan LTD

Tellez, K., , What student teachers lear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ir cooperating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he IFLA Multicultural Library Manifesto

The New York Public Library. Se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cited on

2008.8.20]. <http://www.nypl.org/databases/select.html>

Tilman, Hope N. 2003. Evaluating Quality on the Net. [cited on 2008.8.20].

[cited on 2008.8.17]. <http://www.hopetillman.com/findqual.html>

Uniken Venema, H. P. Garretsen, H. F. L. Van der Maas, P. J., , Health of

migrants and migrant health policy, the Netherlands as an example,

PERGAMON PRESS

University Libraries, University of Maryland. 2008.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tatement: Electronic Resources. [cited on 2008.8.20].

<http://www.lib.umd.edu/CLMD/COLL.Policies/elecrescdp.html>

Urquhart, D.J. 1981. 『The Principle of Librarianship』. Metchen: The

Scarecrow.

Virtual Library of Virginia. VIVA Collection Development Principles and

Selection Criteria. [cited on 2008.8.20].

<http://www.vivalib.org/committees/ruc/principles.html>

Walter, Scott, 2005, Moving Beyond Collections:Academic Library Outreach to

Multicultural Student Centers, The University of Kansas Information

Services Articles and Books

Wilson, Christine. 2007.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2007.

University of Auckland. [cited on 2008.8.20].

http://www.library.auckland.ac.nz/about/biblio/cdp/coldev.htm

Women and Migration in Asia: Migrant Women and Work, Taylor & Francis :

Volume 4

Zhenzhen Zheng, Yun Zhou, Lixin Zheng, Yuan Yang, Dongxia Zhao,

Page 14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5 -

Chaohua Lou and Shuangling Zhao, , Sexual Behaviour and

Contraceptive Use among Unmarried, Young Women Migrant Workers

in Five Cities in China, Reproductive Health Matters

Zielstra, Julie. Building and testing a Web-based community network. The

Electronic Library vol. 17, no. 4(1999): 231-238.

Page 14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6 -

『디브러리 총서8』을 만든 사람들

총괄

최경호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단장)

여위숙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

실무팀

류은영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주무관)

류희경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주무관)

신은정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실무관)

김현성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실무관)

서정혜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실무관)

추진팀

김희석((주)오티앤씨 이사)

박영호((주)오티앤씨 부장)

이태화((주)오티앤씨 차장)

이혜영((주)오티앤씨 과장)

연구팀

조현양(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오동근(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최재황(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곽승진(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김유승(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김종애(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최성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여지숙(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상후(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장혜리(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age 14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 137 -

홍진원(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홍기숙(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정서영(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정수(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문정(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자문위원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최흥식(전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이수상(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김성희(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홍기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