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40
제 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 독도 귀속문제 * 조 성 훈|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본고는 일본이 독도영유권에 대해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 근거가 있다고 내세우지만 이러한 자신 , 감의 이면에는 리앙쿠르섬 이 일본주권에 속한다 는 미국정부의 지지에 힘입 “‘ (Liancourt Rocks)’ 은 바가 큰 것으로 보고 전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독도귀속문제와의 상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 . 한때 연합국총사령부 훈령을 통해 한국의 독도영유권을 인정한 듯 했던 미국 측은 냉전이 본격화 되면서 미군 주둔 류큐 확보 등 미국의 이익을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독도의 가치를 소홀히 여긴 , 나머지 일본정부의 독도영유권 주장에 대해 동조하였다. 따라서 미국 측은 독도문제에 관해 방관자적 위치에 있지 않았으므로 일본의 독도영유권을 지지 했던 러스크 서한과 밴플리트 보고서 등의 작성 경위를 비롯해 연합국총사령부와 국무부 합참 사이 , 에 논의되었던 내부문서의 공개와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책임이 있다. 주제어 독도영유권 시볼드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미국의 대일정책 카이로 정신 러스크 : , , , , , 서한 밴플리트 보고서 , * 이 논문은 년 정부재원독도연구사업비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 2007 ( ) . 국제 지역연구 여름 17 2 2008 pp. 41- 80

Upload: others

Post on 24-Dec-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2

독도13 귀속문제

조성훈|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

본고는 일본이 독도영유권에 대해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 근거가 있다고 내세우지만 이러한 자신 감의 이면에는 리앙쿠르섬 이 일본주권에 속한다 는 미국정부의 지지에 힘입ldquolsquo (Liancourt Rocks)rsquo rdquo은 바가 큰 것으로 보고 전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독도귀속문제와의 상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때 연합국총사령부 훈령을 통해 한국의 독도영유권을 인정한 듯 했던 미국 측은 냉전이 본격화되면서 미군 주둔류큐 확보 등 미국의 이익을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독도의 가치를 소홀히 여긴 나머지 일본정부의 독도영유권 주장에 대해 동조하였다

따라서 미국 측은 독도문제에 관해 방관자적 위치에 있지 않았으므로 일본의 독도영유권을 지지했던 러스크 서한과 밴플리트 보고서 등의 작성 경위를 비롯해 연합국총사령부와 국무부 합참 사이 에 논의되었던 내부문서의 공개와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책임이 있다

주제어 독도영유권 시볼드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미국의13 대일정책 카이로13 정신 러스크13 13 13 13 13 13 13

서한 밴플리트13 보고서13

이13 논문은13 년13 정부재원독도연구사업비으로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13 지원을13 받아13 연구되었 2007 ( )

국제지역연구13 권13 호13 여름13 17 2 200813 pp 41-80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42 조성훈

머리말I

년13 월13 일13 조인된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제 조에서13 일본이13 한국에13 1951 9 8 2

반환해야13 할13 섬으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이13 포함되었으나13 독도는13 제외

되었다 이를13 두고13 일본13 측은13 독도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그들이13 포기해야13

할13 대상이13 아니라면서13 평화조약이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정한13 것으로13 주장

하였다 이러한13 자신감을13 바탕으로13 독도분쟁을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제소하겠다

고13 강조했다 반면 한국13 측은13 독도가13 열거되지13 않았다고13 해서13 한국영토에서13

배제된13 것은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벤자민13 시벳 김진홍( 2006 246 2006 62-

북한에서도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언급된13 울릉도에13 독도가13 포함된13 것으로13 63)

이해하여13 일본13 영토가13 아니라는13 점이13 국제법적으로13 공식13 인정되었다고13 주장

했다1

그런데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을13 주도했던13 미국13 정부는13 초안13 작성13 당시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주장했음에도13 불구하고13 내부적으로13 ldquolsquo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고13 결론을13 내린13 적이13 있었다 즉13

년13 월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13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13 한일간의13 1954 2 1953 11 1954 1

경제13 및13 영토13 문제를13 분석한13 문서13 가운데13 이미13 미국정부는13 독도가13 일본영토

에13 속한다고13 여겼지만 이13 논쟁에13 개입하기를13 거부하고13 이13 분쟁을13 국제사법

재판소에서13 다루는13 것이13 적절하다면서13 일본과13 한국에13 비공식적으로13 제안하

기도13 했다고13 정리했다2 이는13 년13 월13 일13 러스크13 차관보의13 서한을13 통 1951 8 10

해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는13 답변과13 맥을13 같이하고13 있는13 것

1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pp「 」 985172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26-27 「 」

조선녀성2005 2005~6 p985172 985173 83

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

이13 문서는13 년13 월13 일 미13 대통령13 특사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등13 미13 군사사Archives 1954 5 6

절단이13 휴전13 후13 한국군13 증강계획과13 군사원조13 등을13 협의하기13 위해13 내한했을13 때 그의13

파일에13 첨부된13 자료이다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3

으로13 보인다 이렇게13 일본의13 입장을13 지지했던13 미국은13 한일간의13 독도분쟁에13

개입을13 피할13 수13 없게13 되었다

최근13 일본13 외무성은13 밴13 플리트 문서와13 러스크13 (James A Van Fleet)

서한13 등을13 인용해13 독도영유권을13 주장하는데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Dean Rusk)

다3 이미13 년13 월13 일 일본13 사회당13 의원이13 1960 4 6 lsquo죽도rsquo가13 한미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로13 한국에13 속한13 것이13 아니냐고13 질문했다 같은13 달13 일 후지야마 8 (藤山

외상이13 의회13 안보조약특별위원회에서13 ) 愛一朗 ldquo문서는13 없으나13 미국이13 한미상호방위조약에13 죽도가13 한국영토라고13 간주될13 여지는13 없었고 오히려13 미국은13

죽도를13 일본영토로13 인정했다rdquo고13 답변했다 또한13 미13 국무부에서는13 기시 (岸信

일본13 수상이13 미국13 정부가13 한국의13 독도주장을13 인정한13 적이13 없다고13 말한데13 ) 介대해13 반대할13 입장이13 아니지만13 평화조약13 제 조를13 통해13 한일간에13 해결되기를13 22

기대했다4 더욱이13 미국13 측은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독도를13 한국령이라 5

고13 작성했으나 년13 월13 일13 작성된13 차13 초안부터13 일본령이라고13 바꾸 1949 12 15 6

었다가13 제외시켰다 이러한13 미국의13 방향전환이13 독도영유권13 분쟁을13 가속화시

켰다5

일본13 측은13 미국의13 지지를13 받았다고13 자신함으로써 한국의13 독도인식과13 주장

이13 오히려13 독단적이라고13 비난했다 일본13 사회에서는13 여전히13 ldquo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을13 비준한13 국가가13 개국이고 세계적으로13 독도가13 한국영토라고13 주42

장한13 나라는13 한국밖에13 없다rdquo 는13 주장이13 나오고13 있다( 2006 128) 北岡俊明그들이13 역사성과13 국제법상13 근거가13 있다고13 내세우고13 있지만 이러한13 자신감의13

이면에는13 년대13 미국의13 적극적인13 지지에13 힘입은13 바가13 큰13 것으로13 보인다1950

기존연구13 가운데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가13 누락되었던13 배경으로13

당시13 한국정부의13 독도영유권에13 대한13 입증소홀과13 자료제한 일본의13 왜곡된13 정

보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 의13 적극적인13 로(William J Sebald)

비에13 의해13 일본13 측13 입장이13 반영되었다는13 점이13 지적되었다 이13 때문에13 시볼드

3 일본13 외무성13 아시아대양주국13 북동아시아과 다케시마13 문제를13 이해하기13 위한13 竹島「의13 포인트10 20082 httpwwwmofagojpmofajareatakeshimaindexhtml」

4 ldquoDepartment to AmEmbassy Tokyordquo April 1 11 19 1960 RG Central Decimal

File 1960-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63

5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씨13 남겼다 한겨레신문 2007 7 10 「 」 985172 985173

44 조성훈

의13 역할이13 크게13 부각되었고13 전후13 영토처리에13 있어서13 연합국의13 영토13 불확장13

원칙이13 일본과13 미국의13 정치화13 속에13 국제법적인13 근거보다13 정치적으로13 결정되

었다고13 비판했다 이러한13 요소로13 인해13 독도침략의13 주체는13 일본13 우익이지만

그13 배후에13 미국이13 있다는13 주장도13 제기되었다6

따라서13 본13 연구에서는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와13 러스크13 서한13 등에서13 드러나는13

독도에13 대한13 미국정부의13 정책이13 일본정부의13 로비13 수준과13 시볼드의13 역할을13 넘

어13 미국의13 안보적13 필요 와13 연관된13 것으로13 보고 전후13 미국의13 (security needs)

대일전략과13 독도귀속문제와의13 상관성에13 대해13 고찰하려고13 한다

일본의13 전쟁책임과13 미국의13 전후13 처리II

연합국의13 전후처리와13 카이로13 정신13 1

일본13 측이13 독도를13 고래로부터13 이를13 인식하고13 또한13 유효하게13 경영해왔다고13

주장하였지만한영구( 윤덕민13 편 그들도13 독도의13 일본13 편입이13 2003 98)

년에13 이르러13 비로소13 이루어졌다는13 점은13 부인하지13 않는다 이러한13 일본의13 1905

독도편입13 조치의13 불법성에13 대한13 논의는13 국제법적13 측면13 외에13 연합국측이13 승전13

후13 일본의13 침략전쟁13 책임을13 어느13 시기까지13 소급할13 것인가라는13 점과13 접하게13

연결되었다7 이에13 대한13 해답은13 년13 월13 카이로선언에13 명시된13 제 차13 세 1943 12 2

계대전13 후13 일본13 영토에13 대한13 기본방침이다 이13 선언에는13 일본으로부터13 박탈

할13 영토에13 관한13 대13 범주가13 정리되어13 있다 첫째13 일본은13 년13 제 차13 세계3 1914 1

6 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 1999 「 」위논문 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 의13 시발 역사비평 p143 2005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 2005 「 」 985172구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131 2006 60 985173 「 」 985172 985173홍성태 일본의13 독도침략과13 미일동맹 년13 월13 (httpwwwpeoplepower21org 2006 3「 」일13 열람 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30 ) 2005 985172 985173

7 최장근은13 대서양헌장과13 카이로선언에13 나타난13 동맹국의13 영토불확장13 원칙을13 강조했다

최장근( 2005 35)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5

대전13 이래13 획득하거나13 점령한13 태평양지역의13 모든13 섬을13 박탈한다 둘째13 일본

이13 만주 타이완 펑후제도 등과13 같이13 중국으로부터13 탈취한13 모든13 ( ) 澎湖諸島영토는13 중국에13 반환한다 셋째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이다rdquo8 그러므로13 한국의13 경우는13 셋째에13 해당된다 포츠

담선언13 제 항에서도13 8 ldquo카이로선언의13 모든13 조항은13 이행되어야13 하며 일본의13 주

권은13 혼슈( )本州 홋카이도( )北海道 큐슈( )九州 시코쿠 와13 연합국이13 ( )四國

결정하는13 작은13 섬들에13 국한될13 것이다rdquo라고13 적시되어13 있다

일본13 측에서는13 카이로선언에13 독도문제가13 애매하게13 처리되었다고13 하지만

카이로선언의13 정신대로13 라면13 일본은13 전쟁13 ( 2007 123) 田中宏 板垣龍太編이전13 국경으로13 복귀해야13 했다 그13 시기는13 중국을13 비롯해13 한국의13 경우 거슬러13

올라가면13 세기13 말까지13 갈13 수13 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13 제 조에서13 명시19 2

한13 ldquo일본이13 한국의13 독립을13 승인한다rdquo는13 법적13 조치는13 바로13 년13 월13 조인1910 8

된13 한일병합조약을13 무효화하는13 것을13 의미한다는13 견해도13 있지만 일본의13 팽창

정책이13 본격화된13 청일전쟁13 시기까지13 가능할13 것이다 년13 월13 체결된13 한 1965 6

일기본관계에13 관한13 조약13 제 조에13 2 ldquo 년13 월13 일13 및13 그13 이전에13 대한제국1910 8 22

과13 일본제국13 간에13 체결된13 모든13 조약13 및13 협정이13 이미13 무효임을13 확인한다rdquo고13 규정되었다 이13 의미는13 이13 조항의13 적용을13 받는13 조약과13 협정이13 한일합병조약

을13 비롯해13 한일의정서 제 차13 한일협약 제 차13 한일협약13 등으로13 이13 시기13 일 1 2

본이13 한국에13 관해13 취한13 모든13 조치가13 해당될13 수13 있었다9 타이완은13 이미13 대일

강화조약에서13 청일전쟁13 이후에13 맺어진13 모든13 구조약을13 무효화하였다10

전쟁13 말기13 내각을13 이끌었던13 해군13 대장13 출신13 스즈키 일본13 수( ) 鈴木貫太郞

상은13 카이로선언에13 의한13 연합국의13 방침을13 ldquo연합국은13 일본을13 메이지유신13 전

8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pp 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존협회3-4 2000 3 pp985172 985173241-244

9 일본13 측에서는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본문이나13 교환공문에도13 독도를13 전혀13 언급하지13 않았

음을13 강조하고13 있다(田中宏 최근13 한일회담13 당시13 양국은13 독도문 123) 板垣龍太編

제를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언급하지13 않고13 장차13 해결해야13 한다는13 것으로13 약속했다고13 한

다 노13 대니얼 한일협정13 개월13 전13 독도 약 있었다 월간중앙( 5 lsquo rsquo 2007 4)「 」 985172 98517310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90- 면 원용석92 1965 985172한일회담13

년14 985173 삼화출판사 p 한영구12 44 윤덕민13 편 985172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985173 1 p 308

46 조성훈

밑줄 필자의13 일본으로13 축소하고13 그13 영토는13 인정하려고13 하는13 것( ) rdquo으로13 이해하면서13 일본의13 독립을13 훌륭하게13 보증하는13 안이라는13 의견을13 표명했다11 그가13

이러한13 논리를13 내세운13 배경은13 일본이13 전쟁에서13 패배한13 것이지13 멸망한13 것은13

아니므로 대륙을13 잃어도13 일본13 열도가13 건재하면13 도서국가로서13 재생할13 희망이13

충분히13 있다는13 인식으로부터13 비롯되었다 또한13 이13 시기13 무조건13 항복을13 주장

한13 사람은13 도고13 시게노리 외상을13 비롯한13 외무성13 관리들이었다( ) 東鄕茂德 12

히로시마에13 이어13 나카사키에13 원자폭탄이13 투하된13 이후에도13 천황제를13 유지

하고13 그를13 보호하기13 위해13 노력했던13 일본13 측은13 결국13 무조건항복을13 했다 요시

다 전13 일본13 수상은13 일본인이13 자신들의13 패전을13 솔직히13 인정했다고13 했( ) 吉田茂

으나 이러한13 논리는13 전후에13 뒤바뀌었다 종전13 직후13 일본13 ( 1967 79) 吉田茂외무성13 관리들은13 근본적으로13 태평양전쟁에13 대한13 책임은13 있지만 그13 이전에는13

문제가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13 그들은13 러일전쟁13 이후13 미국과13 영국13 등이13 일본13

측13 주장에13 동조했던13 점을13 지적했다 즉13 영토문제에13 대해13 획득13 당시13 국제법상13

그리고13 국제관례상13 보통이라고13 인정되었던13 그런13 방식에13 의해13 취득되었고13 세

계13 각국도13 오랫동안13 일본영토로13 승인했던13 곳인13 바 일본으로서는13 이들13 지역

의13 포기에는13 이의가13 없지만13 이들의13 보유만으로13 국제적으로13 범죄시하여13 징벌

적인13 의도를13 가지고13 이들13 지역의13 분리와13 관련된13 제문제13 해결의13 지도원리로13

삼는다는13 것은13 승복할13 수13 없다고13 정리했다 다카사키13 소우지 하지( 1998 8)

만13 그들은13 전후처리13 대책을13 위한13 연구자료에서13 일본의13 영토결정13 문제는13 제1

차13 세계대전13 이전에13 일본에13 속한13 제소도를13 귀속시켜야13 한다고13 했다 이13 때13

제주도도13 포함시켰다14 그러므로13 그들은13 ldquo죽도가13 원래13 한국영토가13 아니고

전후일본이13 반환해야13 할13 지역은13 년13 월13 한일협상조약13 당시의13 한국영1910 8

11 스즈키13 수상은13 포츠담선언13 직후13 일본13 군부의13 반대로13 이를13 묵살했다가13 두13 번의13 피폭13

후13 무조건13 받아들였다( 1979 日本外務省編 985172終戰史料985173 4 pp東京 北洋社 18- 22)

12 일본외무성편 985172종전사료985173 4 p 김일상13 역17 ( ) 2000 石川泰志 985172일본해군국방사상사985173 한국해양전략연구소 p 567

13 2006 外務省編纂 985172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條約 準備對策985173 p日本外務省

183

14 領土條項「 」 외무성편찬1946 1 31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pp 47-4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42 조성훈

머리말I

년13 월13 일13 조인된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제 조에서13 일본이13 한국에13 1951 9 8 2

반환해야13 할13 섬으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이13 포함되었으나13 독도는13 제외

되었다 이를13 두고13 일본13 측은13 독도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그들이13 포기해야13

할13 대상이13 아니라면서13 평화조약이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정한13 것으로13 주장

하였다 이러한13 자신감을13 바탕으로13 독도분쟁을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제소하겠다

고13 강조했다 반면 한국13 측은13 독도가13 열거되지13 않았다고13 해서13 한국영토에서13

배제된13 것은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벤자민13 시벳 김진홍( 2006 246 2006 62-

북한에서도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언급된13 울릉도에13 독도가13 포함된13 것으로13 63)

이해하여13 일본13 영토가13 아니라는13 점이13 국제법적으로13 공식13 인정되었다고13 주장

했다1

그런데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을13 주도했던13 미국13 정부는13 초안13 작성13 당시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주장했음에도13 불구하고13 내부적으로13 ldquolsquo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고13 결론을13 내린13 적이13 있었다 즉13

년13 월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13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13 한일간의13 1954 2 1953 11 1954 1

경제13 및13 영토13 문제를13 분석한13 문서13 가운데13 이미13 미국정부는13 독도가13 일본영토

에13 속한다고13 여겼지만 이13 논쟁에13 개입하기를13 거부하고13 이13 분쟁을13 국제사법

재판소에서13 다루는13 것이13 적절하다면서13 일본과13 한국에13 비공식적으로13 제안하

기도13 했다고13 정리했다2 이는13 년13 월13 일13 러스크13 차관보의13 서한을13 통 1951 8 10

해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는13 답변과13 맥을13 같이하고13 있는13 것

1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pp「 」 985172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26-27 「 」

조선녀성2005 2005~6 p985172 985173 83

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

이13 문서는13 년13 월13 일 미13 대통령13 특사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등13 미13 군사사Archives 1954 5 6

절단이13 휴전13 후13 한국군13 증강계획과13 군사원조13 등을13 협의하기13 위해13 내한했을13 때 그의13

파일에13 첨부된13 자료이다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3

으로13 보인다 이렇게13 일본의13 입장을13 지지했던13 미국은13 한일간의13 독도분쟁에13

개입을13 피할13 수13 없게13 되었다

최근13 일본13 외무성은13 밴13 플리트 문서와13 러스크13 (James A Van Fleet)

서한13 등을13 인용해13 독도영유권을13 주장하는데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Dean Rusk)

다3 이미13 년13 월13 일 일본13 사회당13 의원이13 1960 4 6 lsquo죽도rsquo가13 한미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로13 한국에13 속한13 것이13 아니냐고13 질문했다 같은13 달13 일 후지야마 8 (藤山

외상이13 의회13 안보조약특별위원회에서13 ) 愛一朗 ldquo문서는13 없으나13 미국이13 한미상호방위조약에13 죽도가13 한국영토라고13 간주될13 여지는13 없었고 오히려13 미국은13

죽도를13 일본영토로13 인정했다rdquo고13 답변했다 또한13 미13 국무부에서는13 기시 (岸信

일본13 수상이13 미국13 정부가13 한국의13 독도주장을13 인정한13 적이13 없다고13 말한데13 ) 介대해13 반대할13 입장이13 아니지만13 평화조약13 제 조를13 통해13 한일간에13 해결되기를13 22

기대했다4 더욱이13 미국13 측은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독도를13 한국령이라 5

고13 작성했으나 년13 월13 일13 작성된13 차13 초안부터13 일본령이라고13 바꾸 1949 12 15 6

었다가13 제외시켰다 이러한13 미국의13 방향전환이13 독도영유권13 분쟁을13 가속화시

켰다5

일본13 측은13 미국의13 지지를13 받았다고13 자신함으로써 한국의13 독도인식과13 주장

이13 오히려13 독단적이라고13 비난했다 일본13 사회에서는13 여전히13 ldquo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을13 비준한13 국가가13 개국이고 세계적으로13 독도가13 한국영토라고13 주42

장한13 나라는13 한국밖에13 없다rdquo 는13 주장이13 나오고13 있다( 2006 128) 北岡俊明그들이13 역사성과13 국제법상13 근거가13 있다고13 내세우고13 있지만 이러한13 자신감의13

이면에는13 년대13 미국의13 적극적인13 지지에13 힘입은13 바가13 큰13 것으로13 보인다1950

기존연구13 가운데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가13 누락되었던13 배경으로13

당시13 한국정부의13 독도영유권에13 대한13 입증소홀과13 자료제한 일본의13 왜곡된13 정

보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 의13 적극적인13 로(William J Sebald)

비에13 의해13 일본13 측13 입장이13 반영되었다는13 점이13 지적되었다 이13 때문에13 시볼드

3 일본13 외무성13 아시아대양주국13 북동아시아과 다케시마13 문제를13 이해하기13 위한13 竹島「의13 포인트10 20082 httpwwwmofagojpmofajareatakeshimaindexhtml」

4 ldquoDepartment to AmEmbassy Tokyordquo April 1 11 19 1960 RG Central Decimal

File 1960-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63

5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씨13 남겼다 한겨레신문 2007 7 10 「 」 985172 985173

44 조성훈

의13 역할이13 크게13 부각되었고13 전후13 영토처리에13 있어서13 연합국의13 영토13 불확장13

원칙이13 일본과13 미국의13 정치화13 속에13 국제법적인13 근거보다13 정치적으로13 결정되

었다고13 비판했다 이러한13 요소로13 인해13 독도침략의13 주체는13 일본13 우익이지만

그13 배후에13 미국이13 있다는13 주장도13 제기되었다6

따라서13 본13 연구에서는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와13 러스크13 서한13 등에서13 드러나는13

독도에13 대한13 미국정부의13 정책이13 일본정부의13 로비13 수준과13 시볼드의13 역할을13 넘

어13 미국의13 안보적13 필요 와13 연관된13 것으로13 보고 전후13 미국의13 (security needs)

대일전략과13 독도귀속문제와의13 상관성에13 대해13 고찰하려고13 한다

일본의13 전쟁책임과13 미국의13 전후13 처리II

연합국의13 전후처리와13 카이로13 정신13 1

일본13 측이13 독도를13 고래로부터13 이를13 인식하고13 또한13 유효하게13 경영해왔다고13

주장하였지만한영구( 윤덕민13 편 그들도13 독도의13 일본13 편입이13 2003 98)

년에13 이르러13 비로소13 이루어졌다는13 점은13 부인하지13 않는다 이러한13 일본의13 1905

독도편입13 조치의13 불법성에13 대한13 논의는13 국제법적13 측면13 외에13 연합국측이13 승전13

후13 일본의13 침략전쟁13 책임을13 어느13 시기까지13 소급할13 것인가라는13 점과13 접하게13

연결되었다7 이에13 대한13 해답은13 년13 월13 카이로선언에13 명시된13 제 차13 세 1943 12 2

계대전13 후13 일본13 영토에13 대한13 기본방침이다 이13 선언에는13 일본으로부터13 박탈

할13 영토에13 관한13 대13 범주가13 정리되어13 있다 첫째13 일본은13 년13 제 차13 세계3 1914 1

6 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 1999 「 」위논문 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 의13 시발 역사비평 p143 2005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 2005 「 」 985172구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131 2006 60 985173 「 」 985172 985173홍성태 일본의13 독도침략과13 미일동맹 년13 월13 (httpwwwpeoplepower21org 2006 3「 」일13 열람 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30 ) 2005 985172 985173

7 최장근은13 대서양헌장과13 카이로선언에13 나타난13 동맹국의13 영토불확장13 원칙을13 강조했다

최장근( 2005 35)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5

대전13 이래13 획득하거나13 점령한13 태평양지역의13 모든13 섬을13 박탈한다 둘째13 일본

이13 만주 타이완 펑후제도 등과13 같이13 중국으로부터13 탈취한13 모든13 ( ) 澎湖諸島영토는13 중국에13 반환한다 셋째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이다rdquo8 그러므로13 한국의13 경우는13 셋째에13 해당된다 포츠

담선언13 제 항에서도13 8 ldquo카이로선언의13 모든13 조항은13 이행되어야13 하며 일본의13 주

권은13 혼슈( )本州 홋카이도( )北海道 큐슈( )九州 시코쿠 와13 연합국이13 ( )四國

결정하는13 작은13 섬들에13 국한될13 것이다rdquo라고13 적시되어13 있다

일본13 측에서는13 카이로선언에13 독도문제가13 애매하게13 처리되었다고13 하지만

카이로선언의13 정신대로13 라면13 일본은13 전쟁13 ( 2007 123) 田中宏 板垣龍太編이전13 국경으로13 복귀해야13 했다 그13 시기는13 중국을13 비롯해13 한국의13 경우 거슬러13

올라가면13 세기13 말까지13 갈13 수13 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13 제 조에서13 명시19 2

한13 ldquo일본이13 한국의13 독립을13 승인한다rdquo는13 법적13 조치는13 바로13 년13 월13 조인1910 8

된13 한일병합조약을13 무효화하는13 것을13 의미한다는13 견해도13 있지만 일본의13 팽창

정책이13 본격화된13 청일전쟁13 시기까지13 가능할13 것이다 년13 월13 체결된13 한 1965 6

일기본관계에13 관한13 조약13 제 조에13 2 ldquo 년13 월13 일13 및13 그13 이전에13 대한제국1910 8 22

과13 일본제국13 간에13 체결된13 모든13 조약13 및13 협정이13 이미13 무효임을13 확인한다rdquo고13 규정되었다 이13 의미는13 이13 조항의13 적용을13 받는13 조약과13 협정이13 한일합병조약

을13 비롯해13 한일의정서 제 차13 한일협약 제 차13 한일협약13 등으로13 이13 시기13 일 1 2

본이13 한국에13 관해13 취한13 모든13 조치가13 해당될13 수13 있었다9 타이완은13 이미13 대일

강화조약에서13 청일전쟁13 이후에13 맺어진13 모든13 구조약을13 무효화하였다10

전쟁13 말기13 내각을13 이끌었던13 해군13 대장13 출신13 스즈키 일본13 수( ) 鈴木貫太郞

상은13 카이로선언에13 의한13 연합국의13 방침을13 ldquo연합국은13 일본을13 메이지유신13 전

8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pp 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존협회3-4 2000 3 pp985172 985173241-244

9 일본13 측에서는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본문이나13 교환공문에도13 독도를13 전혀13 언급하지13 않았

음을13 강조하고13 있다(田中宏 최근13 한일회담13 당시13 양국은13 독도문 123) 板垣龍太編

제를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언급하지13 않고13 장차13 해결해야13 한다는13 것으로13 약속했다고13 한

다 노13 대니얼 한일협정13 개월13 전13 독도 약 있었다 월간중앙( 5 lsquo rsquo 2007 4)「 」 985172 98517310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90- 면 원용석92 1965 985172한일회담13

년14 985173 삼화출판사 p 한영구12 44 윤덕민13 편 985172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985173 1 p 308

46 조성훈

밑줄 필자의13 일본으로13 축소하고13 그13 영토는13 인정하려고13 하는13 것( ) rdquo으로13 이해하면서13 일본의13 독립을13 훌륭하게13 보증하는13 안이라는13 의견을13 표명했다11 그가13

이러한13 논리를13 내세운13 배경은13 일본이13 전쟁에서13 패배한13 것이지13 멸망한13 것은13

아니므로 대륙을13 잃어도13 일본13 열도가13 건재하면13 도서국가로서13 재생할13 희망이13

충분히13 있다는13 인식으로부터13 비롯되었다 또한13 이13 시기13 무조건13 항복을13 주장

한13 사람은13 도고13 시게노리 외상을13 비롯한13 외무성13 관리들이었다( ) 東鄕茂德 12

히로시마에13 이어13 나카사키에13 원자폭탄이13 투하된13 이후에도13 천황제를13 유지

하고13 그를13 보호하기13 위해13 노력했던13 일본13 측은13 결국13 무조건항복을13 했다 요시

다 전13 일본13 수상은13 일본인이13 자신들의13 패전을13 솔직히13 인정했다고13 했( ) 吉田茂

으나 이러한13 논리는13 전후에13 뒤바뀌었다 종전13 직후13 일본13 ( 1967 79) 吉田茂외무성13 관리들은13 근본적으로13 태평양전쟁에13 대한13 책임은13 있지만 그13 이전에는13

문제가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13 그들은13 러일전쟁13 이후13 미국과13 영국13 등이13 일본13

측13 주장에13 동조했던13 점을13 지적했다 즉13 영토문제에13 대해13 획득13 당시13 국제법상13

그리고13 국제관례상13 보통이라고13 인정되었던13 그런13 방식에13 의해13 취득되었고13 세

계13 각국도13 오랫동안13 일본영토로13 승인했던13 곳인13 바 일본으로서는13 이들13 지역

의13 포기에는13 이의가13 없지만13 이들의13 보유만으로13 국제적으로13 범죄시하여13 징벌

적인13 의도를13 가지고13 이들13 지역의13 분리와13 관련된13 제문제13 해결의13 지도원리로13

삼는다는13 것은13 승복할13 수13 없다고13 정리했다 다카사키13 소우지 하지( 1998 8)

만13 그들은13 전후처리13 대책을13 위한13 연구자료에서13 일본의13 영토결정13 문제는13 제1

차13 세계대전13 이전에13 일본에13 속한13 제소도를13 귀속시켜야13 한다고13 했다 이13 때13

제주도도13 포함시켰다14 그러므로13 그들은13 ldquo죽도가13 원래13 한국영토가13 아니고

전후일본이13 반환해야13 할13 지역은13 년13 월13 한일협상조약13 당시의13 한국영1910 8

11 스즈키13 수상은13 포츠담선언13 직후13 일본13 군부의13 반대로13 이를13 묵살했다가13 두13 번의13 피폭13

후13 무조건13 받아들였다( 1979 日本外務省編 985172終戰史料985173 4 pp東京 北洋社 18- 22)

12 일본외무성편 985172종전사료985173 4 p 김일상13 역17 ( ) 2000 石川泰志 985172일본해군국방사상사985173 한국해양전략연구소 p 567

13 2006 外務省編纂 985172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條約 準備對策985173 p日本外務省

183

14 領土條項「 」 외무성편찬1946 1 31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pp 47-4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3

으로13 보인다 이렇게13 일본의13 입장을13 지지했던13 미국은13 한일간의13 독도분쟁에13

개입을13 피할13 수13 없게13 되었다

최근13 일본13 외무성은13 밴13 플리트 문서와13 러스크13 (James A Van Fleet)

서한13 등을13 인용해13 독도영유권을13 주장하는데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Dean Rusk)

다3 이미13 년13 월13 일 일본13 사회당13 의원이13 1960 4 6 lsquo죽도rsquo가13 한미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로13 한국에13 속한13 것이13 아니냐고13 질문했다 같은13 달13 일 후지야마 8 (藤山

외상이13 의회13 안보조약특별위원회에서13 ) 愛一朗 ldquo문서는13 없으나13 미국이13 한미상호방위조약에13 죽도가13 한국영토라고13 간주될13 여지는13 없었고 오히려13 미국은13

죽도를13 일본영토로13 인정했다rdquo고13 답변했다 또한13 미13 국무부에서는13 기시 (岸信

일본13 수상이13 미국13 정부가13 한국의13 독도주장을13 인정한13 적이13 없다고13 말한데13 ) 介대해13 반대할13 입장이13 아니지만13 평화조약13 제 조를13 통해13 한일간에13 해결되기를13 22

기대했다4 더욱이13 미국13 측은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독도를13 한국령이라 5

고13 작성했으나 년13 월13 일13 작성된13 차13 초안부터13 일본령이라고13 바꾸 1949 12 15 6

었다가13 제외시켰다 이러한13 미국의13 방향전환이13 독도영유권13 분쟁을13 가속화시

켰다5

일본13 측은13 미국의13 지지를13 받았다고13 자신함으로써 한국의13 독도인식과13 주장

이13 오히려13 독단적이라고13 비난했다 일본13 사회에서는13 여전히13 ldquo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을13 비준한13 국가가13 개국이고 세계적으로13 독도가13 한국영토라고13 주42

장한13 나라는13 한국밖에13 없다rdquo 는13 주장이13 나오고13 있다( 2006 128) 北岡俊明그들이13 역사성과13 국제법상13 근거가13 있다고13 내세우고13 있지만 이러한13 자신감의13

이면에는13 년대13 미국의13 적극적인13 지지에13 힘입은13 바가13 큰13 것으로13 보인다1950

기존연구13 가운데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가13 누락되었던13 배경으로13

당시13 한국정부의13 독도영유권에13 대한13 입증소홀과13 자료제한 일본의13 왜곡된13 정

보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 의13 적극적인13 로(William J Sebald)

비에13 의해13 일본13 측13 입장이13 반영되었다는13 점이13 지적되었다 이13 때문에13 시볼드

3 일본13 외무성13 아시아대양주국13 북동아시아과 다케시마13 문제를13 이해하기13 위한13 竹島「의13 포인트10 20082 httpwwwmofagojpmofajareatakeshimaindexhtml」

4 ldquoDepartment to AmEmbassy Tokyordquo April 1 11 19 1960 RG Central Decimal

File 1960-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63

5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씨13 남겼다 한겨레신문 2007 7 10 「 」 985172 985173

44 조성훈

의13 역할이13 크게13 부각되었고13 전후13 영토처리에13 있어서13 연합국의13 영토13 불확장13

원칙이13 일본과13 미국의13 정치화13 속에13 국제법적인13 근거보다13 정치적으로13 결정되

었다고13 비판했다 이러한13 요소로13 인해13 독도침략의13 주체는13 일본13 우익이지만

그13 배후에13 미국이13 있다는13 주장도13 제기되었다6

따라서13 본13 연구에서는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와13 러스크13 서한13 등에서13 드러나는13

독도에13 대한13 미국정부의13 정책이13 일본정부의13 로비13 수준과13 시볼드의13 역할을13 넘

어13 미국의13 안보적13 필요 와13 연관된13 것으로13 보고 전후13 미국의13 (security needs)

대일전략과13 독도귀속문제와의13 상관성에13 대해13 고찰하려고13 한다

일본의13 전쟁책임과13 미국의13 전후13 처리II

연합국의13 전후처리와13 카이로13 정신13 1

일본13 측이13 독도를13 고래로부터13 이를13 인식하고13 또한13 유효하게13 경영해왔다고13

주장하였지만한영구( 윤덕민13 편 그들도13 독도의13 일본13 편입이13 2003 98)

년에13 이르러13 비로소13 이루어졌다는13 점은13 부인하지13 않는다 이러한13 일본의13 1905

독도편입13 조치의13 불법성에13 대한13 논의는13 국제법적13 측면13 외에13 연합국측이13 승전13

후13 일본의13 침략전쟁13 책임을13 어느13 시기까지13 소급할13 것인가라는13 점과13 접하게13

연결되었다7 이에13 대한13 해답은13 년13 월13 카이로선언에13 명시된13 제 차13 세 1943 12 2

계대전13 후13 일본13 영토에13 대한13 기본방침이다 이13 선언에는13 일본으로부터13 박탈

할13 영토에13 관한13 대13 범주가13 정리되어13 있다 첫째13 일본은13 년13 제 차13 세계3 1914 1

6 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 1999 「 」위논문 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 의13 시발 역사비평 p143 2005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 2005 「 」 985172구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131 2006 60 985173 「 」 985172 985173홍성태 일본의13 독도침략과13 미일동맹 년13 월13 (httpwwwpeoplepower21org 2006 3「 」일13 열람 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30 ) 2005 985172 985173

7 최장근은13 대서양헌장과13 카이로선언에13 나타난13 동맹국의13 영토불확장13 원칙을13 강조했다

최장근( 2005 35)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5

대전13 이래13 획득하거나13 점령한13 태평양지역의13 모든13 섬을13 박탈한다 둘째13 일본

이13 만주 타이완 펑후제도 등과13 같이13 중국으로부터13 탈취한13 모든13 ( ) 澎湖諸島영토는13 중국에13 반환한다 셋째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이다rdquo8 그러므로13 한국의13 경우는13 셋째에13 해당된다 포츠

담선언13 제 항에서도13 8 ldquo카이로선언의13 모든13 조항은13 이행되어야13 하며 일본의13 주

권은13 혼슈( )本州 홋카이도( )北海道 큐슈( )九州 시코쿠 와13 연합국이13 ( )四國

결정하는13 작은13 섬들에13 국한될13 것이다rdquo라고13 적시되어13 있다

일본13 측에서는13 카이로선언에13 독도문제가13 애매하게13 처리되었다고13 하지만

카이로선언의13 정신대로13 라면13 일본은13 전쟁13 ( 2007 123) 田中宏 板垣龍太編이전13 국경으로13 복귀해야13 했다 그13 시기는13 중국을13 비롯해13 한국의13 경우 거슬러13

올라가면13 세기13 말까지13 갈13 수13 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13 제 조에서13 명시19 2

한13 ldquo일본이13 한국의13 독립을13 승인한다rdquo는13 법적13 조치는13 바로13 년13 월13 조인1910 8

된13 한일병합조약을13 무효화하는13 것을13 의미한다는13 견해도13 있지만 일본의13 팽창

정책이13 본격화된13 청일전쟁13 시기까지13 가능할13 것이다 년13 월13 체결된13 한 1965 6

일기본관계에13 관한13 조약13 제 조에13 2 ldquo 년13 월13 일13 및13 그13 이전에13 대한제국1910 8 22

과13 일본제국13 간에13 체결된13 모든13 조약13 및13 협정이13 이미13 무효임을13 확인한다rdquo고13 규정되었다 이13 의미는13 이13 조항의13 적용을13 받는13 조약과13 협정이13 한일합병조약

을13 비롯해13 한일의정서 제 차13 한일협약 제 차13 한일협약13 등으로13 이13 시기13 일 1 2

본이13 한국에13 관해13 취한13 모든13 조치가13 해당될13 수13 있었다9 타이완은13 이미13 대일

강화조약에서13 청일전쟁13 이후에13 맺어진13 모든13 구조약을13 무효화하였다10

전쟁13 말기13 내각을13 이끌었던13 해군13 대장13 출신13 스즈키 일본13 수( ) 鈴木貫太郞

상은13 카이로선언에13 의한13 연합국의13 방침을13 ldquo연합국은13 일본을13 메이지유신13 전

8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pp 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존협회3-4 2000 3 pp985172 985173241-244

9 일본13 측에서는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본문이나13 교환공문에도13 독도를13 전혀13 언급하지13 않았

음을13 강조하고13 있다(田中宏 최근13 한일회담13 당시13 양국은13 독도문 123) 板垣龍太編

제를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언급하지13 않고13 장차13 해결해야13 한다는13 것으로13 약속했다고13 한

다 노13 대니얼 한일협정13 개월13 전13 독도 약 있었다 월간중앙( 5 lsquo rsquo 2007 4)「 」 985172 98517310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90- 면 원용석92 1965 985172한일회담13

년14 985173 삼화출판사 p 한영구12 44 윤덕민13 편 985172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985173 1 p 308

46 조성훈

밑줄 필자의13 일본으로13 축소하고13 그13 영토는13 인정하려고13 하는13 것( ) rdquo으로13 이해하면서13 일본의13 독립을13 훌륭하게13 보증하는13 안이라는13 의견을13 표명했다11 그가13

이러한13 논리를13 내세운13 배경은13 일본이13 전쟁에서13 패배한13 것이지13 멸망한13 것은13

아니므로 대륙을13 잃어도13 일본13 열도가13 건재하면13 도서국가로서13 재생할13 희망이13

충분히13 있다는13 인식으로부터13 비롯되었다 또한13 이13 시기13 무조건13 항복을13 주장

한13 사람은13 도고13 시게노리 외상을13 비롯한13 외무성13 관리들이었다( ) 東鄕茂德 12

히로시마에13 이어13 나카사키에13 원자폭탄이13 투하된13 이후에도13 천황제를13 유지

하고13 그를13 보호하기13 위해13 노력했던13 일본13 측은13 결국13 무조건항복을13 했다 요시

다 전13 일본13 수상은13 일본인이13 자신들의13 패전을13 솔직히13 인정했다고13 했( ) 吉田茂

으나 이러한13 논리는13 전후에13 뒤바뀌었다 종전13 직후13 일본13 ( 1967 79) 吉田茂외무성13 관리들은13 근본적으로13 태평양전쟁에13 대한13 책임은13 있지만 그13 이전에는13

문제가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13 그들은13 러일전쟁13 이후13 미국과13 영국13 등이13 일본13

측13 주장에13 동조했던13 점을13 지적했다 즉13 영토문제에13 대해13 획득13 당시13 국제법상13

그리고13 국제관례상13 보통이라고13 인정되었던13 그런13 방식에13 의해13 취득되었고13 세

계13 각국도13 오랫동안13 일본영토로13 승인했던13 곳인13 바 일본으로서는13 이들13 지역

의13 포기에는13 이의가13 없지만13 이들의13 보유만으로13 국제적으로13 범죄시하여13 징벌

적인13 의도를13 가지고13 이들13 지역의13 분리와13 관련된13 제문제13 해결의13 지도원리로13

삼는다는13 것은13 승복할13 수13 없다고13 정리했다 다카사키13 소우지 하지( 1998 8)

만13 그들은13 전후처리13 대책을13 위한13 연구자료에서13 일본의13 영토결정13 문제는13 제1

차13 세계대전13 이전에13 일본에13 속한13 제소도를13 귀속시켜야13 한다고13 했다 이13 때13

제주도도13 포함시켰다14 그러므로13 그들은13 ldquo죽도가13 원래13 한국영토가13 아니고

전후일본이13 반환해야13 할13 지역은13 년13 월13 한일협상조약13 당시의13 한국영1910 8

11 스즈키13 수상은13 포츠담선언13 직후13 일본13 군부의13 반대로13 이를13 묵살했다가13 두13 번의13 피폭13

후13 무조건13 받아들였다( 1979 日本外務省編 985172終戰史料985173 4 pp東京 北洋社 18- 22)

12 일본외무성편 985172종전사료985173 4 p 김일상13 역17 ( ) 2000 石川泰志 985172일본해군국방사상사985173 한국해양전략연구소 p 567

13 2006 外務省編纂 985172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條約 準備對策985173 p日本外務省

183

14 領土條項「 」 외무성편찬1946 1 31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pp 47-4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4: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44 조성훈

의13 역할이13 크게13 부각되었고13 전후13 영토처리에13 있어서13 연합국의13 영토13 불확장13

원칙이13 일본과13 미국의13 정치화13 속에13 국제법적인13 근거보다13 정치적으로13 결정되

었다고13 비판했다 이러한13 요소로13 인해13 독도침략의13 주체는13 일본13 우익이지만

그13 배후에13 미국이13 있다는13 주장도13 제기되었다6

따라서13 본13 연구에서는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와13 러스크13 서한13 등에서13 드러나는13

독도에13 대한13 미국정부의13 정책이13 일본정부의13 로비13 수준과13 시볼드의13 역할을13 넘

어13 미국의13 안보적13 필요 와13 연관된13 것으로13 보고 전후13 미국의13 (security needs)

대일전략과13 독도귀속문제와의13 상관성에13 대해13 고찰하려고13 한다

일본의13 전쟁책임과13 미국의13 전후13 처리II

연합국의13 전후처리와13 카이로13 정신13 1

일본13 측이13 독도를13 고래로부터13 이를13 인식하고13 또한13 유효하게13 경영해왔다고13

주장하였지만한영구( 윤덕민13 편 그들도13 독도의13 일본13 편입이13 2003 98)

년에13 이르러13 비로소13 이루어졌다는13 점은13 부인하지13 않는다 이러한13 일본의13 1905

독도편입13 조치의13 불법성에13 대한13 논의는13 국제법적13 측면13 외에13 연합국측이13 승전13

후13 일본의13 침략전쟁13 책임을13 어느13 시기까지13 소급할13 것인가라는13 점과13 접하게13

연결되었다7 이에13 대한13 해답은13 년13 월13 카이로선언에13 명시된13 제 차13 세 1943 12 2

계대전13 후13 일본13 영토에13 대한13 기본방침이다 이13 선언에는13 일본으로부터13 박탈

할13 영토에13 관한13 대13 범주가13 정리되어13 있다 첫째13 일본은13 년13 제 차13 세계3 1914 1

6 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 1999 「 」위논문 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 의13 시발 역사비평 p143 2005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 2005 「 」 985172구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131 2006 60 985173 「 」 985172 985173홍성태 일본의13 독도침략과13 미일동맹 년13 월13 (httpwwwpeoplepower21org 2006 3「 」일13 열람 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30 ) 2005 985172 985173

7 최장근은13 대서양헌장과13 카이로선언에13 나타난13 동맹국의13 영토불확장13 원칙을13 강조했다

최장근( 2005 35)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5

대전13 이래13 획득하거나13 점령한13 태평양지역의13 모든13 섬을13 박탈한다 둘째13 일본

이13 만주 타이완 펑후제도 등과13 같이13 중국으로부터13 탈취한13 모든13 ( ) 澎湖諸島영토는13 중국에13 반환한다 셋째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이다rdquo8 그러므로13 한국의13 경우는13 셋째에13 해당된다 포츠

담선언13 제 항에서도13 8 ldquo카이로선언의13 모든13 조항은13 이행되어야13 하며 일본의13 주

권은13 혼슈( )本州 홋카이도( )北海道 큐슈( )九州 시코쿠 와13 연합국이13 ( )四國

결정하는13 작은13 섬들에13 국한될13 것이다rdquo라고13 적시되어13 있다

일본13 측에서는13 카이로선언에13 독도문제가13 애매하게13 처리되었다고13 하지만

카이로선언의13 정신대로13 라면13 일본은13 전쟁13 ( 2007 123) 田中宏 板垣龍太編이전13 국경으로13 복귀해야13 했다 그13 시기는13 중국을13 비롯해13 한국의13 경우 거슬러13

올라가면13 세기13 말까지13 갈13 수13 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13 제 조에서13 명시19 2

한13 ldquo일본이13 한국의13 독립을13 승인한다rdquo는13 법적13 조치는13 바로13 년13 월13 조인1910 8

된13 한일병합조약을13 무효화하는13 것을13 의미한다는13 견해도13 있지만 일본의13 팽창

정책이13 본격화된13 청일전쟁13 시기까지13 가능할13 것이다 년13 월13 체결된13 한 1965 6

일기본관계에13 관한13 조약13 제 조에13 2 ldquo 년13 월13 일13 및13 그13 이전에13 대한제국1910 8 22

과13 일본제국13 간에13 체결된13 모든13 조약13 및13 협정이13 이미13 무효임을13 확인한다rdquo고13 규정되었다 이13 의미는13 이13 조항의13 적용을13 받는13 조약과13 협정이13 한일합병조약

을13 비롯해13 한일의정서 제 차13 한일협약 제 차13 한일협약13 등으로13 이13 시기13 일 1 2

본이13 한국에13 관해13 취한13 모든13 조치가13 해당될13 수13 있었다9 타이완은13 이미13 대일

강화조약에서13 청일전쟁13 이후에13 맺어진13 모든13 구조약을13 무효화하였다10

전쟁13 말기13 내각을13 이끌었던13 해군13 대장13 출신13 스즈키 일본13 수( ) 鈴木貫太郞

상은13 카이로선언에13 의한13 연합국의13 방침을13 ldquo연합국은13 일본을13 메이지유신13 전

8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pp 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존협회3-4 2000 3 pp985172 985173241-244

9 일본13 측에서는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본문이나13 교환공문에도13 독도를13 전혀13 언급하지13 않았

음을13 강조하고13 있다(田中宏 최근13 한일회담13 당시13 양국은13 독도문 123) 板垣龍太編

제를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언급하지13 않고13 장차13 해결해야13 한다는13 것으로13 약속했다고13 한

다 노13 대니얼 한일협정13 개월13 전13 독도 약 있었다 월간중앙( 5 lsquo rsquo 2007 4)「 」 985172 98517310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90- 면 원용석92 1965 985172한일회담13

년14 985173 삼화출판사 p 한영구12 44 윤덕민13 편 985172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985173 1 p 308

46 조성훈

밑줄 필자의13 일본으로13 축소하고13 그13 영토는13 인정하려고13 하는13 것( ) rdquo으로13 이해하면서13 일본의13 독립을13 훌륭하게13 보증하는13 안이라는13 의견을13 표명했다11 그가13

이러한13 논리를13 내세운13 배경은13 일본이13 전쟁에서13 패배한13 것이지13 멸망한13 것은13

아니므로 대륙을13 잃어도13 일본13 열도가13 건재하면13 도서국가로서13 재생할13 희망이13

충분히13 있다는13 인식으로부터13 비롯되었다 또한13 이13 시기13 무조건13 항복을13 주장

한13 사람은13 도고13 시게노리 외상을13 비롯한13 외무성13 관리들이었다( ) 東鄕茂德 12

히로시마에13 이어13 나카사키에13 원자폭탄이13 투하된13 이후에도13 천황제를13 유지

하고13 그를13 보호하기13 위해13 노력했던13 일본13 측은13 결국13 무조건항복을13 했다 요시

다 전13 일본13 수상은13 일본인이13 자신들의13 패전을13 솔직히13 인정했다고13 했( ) 吉田茂

으나 이러한13 논리는13 전후에13 뒤바뀌었다 종전13 직후13 일본13 ( 1967 79) 吉田茂외무성13 관리들은13 근본적으로13 태평양전쟁에13 대한13 책임은13 있지만 그13 이전에는13

문제가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13 그들은13 러일전쟁13 이후13 미국과13 영국13 등이13 일본13

측13 주장에13 동조했던13 점을13 지적했다 즉13 영토문제에13 대해13 획득13 당시13 국제법상13

그리고13 국제관례상13 보통이라고13 인정되었던13 그런13 방식에13 의해13 취득되었고13 세

계13 각국도13 오랫동안13 일본영토로13 승인했던13 곳인13 바 일본으로서는13 이들13 지역

의13 포기에는13 이의가13 없지만13 이들의13 보유만으로13 국제적으로13 범죄시하여13 징벌

적인13 의도를13 가지고13 이들13 지역의13 분리와13 관련된13 제문제13 해결의13 지도원리로13

삼는다는13 것은13 승복할13 수13 없다고13 정리했다 다카사키13 소우지 하지( 1998 8)

만13 그들은13 전후처리13 대책을13 위한13 연구자료에서13 일본의13 영토결정13 문제는13 제1

차13 세계대전13 이전에13 일본에13 속한13 제소도를13 귀속시켜야13 한다고13 했다 이13 때13

제주도도13 포함시켰다14 그러므로13 그들은13 ldquo죽도가13 원래13 한국영토가13 아니고

전후일본이13 반환해야13 할13 지역은13 년13 월13 한일협상조약13 당시의13 한국영1910 8

11 스즈키13 수상은13 포츠담선언13 직후13 일본13 군부의13 반대로13 이를13 묵살했다가13 두13 번의13 피폭13

후13 무조건13 받아들였다( 1979 日本外務省編 985172終戰史料985173 4 pp東京 北洋社 18- 22)

12 일본외무성편 985172종전사료985173 4 p 김일상13 역17 ( ) 2000 石川泰志 985172일본해군국방사상사985173 한국해양전략연구소 p 567

13 2006 外務省編纂 985172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條約 準備對策985173 p日本外務省

183

14 領土條項「 」 외무성편찬1946 1 31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pp 47-4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5: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5

대전13 이래13 획득하거나13 점령한13 태평양지역의13 모든13 섬을13 박탈한다 둘째13 일본

이13 만주 타이완 펑후제도 등과13 같이13 중국으로부터13 탈취한13 모든13 ( ) 澎湖諸島영토는13 중국에13 반환한다 셋째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이다rdquo8 그러므로13 한국의13 경우는13 셋째에13 해당된다 포츠

담선언13 제 항에서도13 8 ldquo카이로선언의13 모든13 조항은13 이행되어야13 하며 일본의13 주

권은13 혼슈( )本州 홋카이도( )北海道 큐슈( )九州 시코쿠 와13 연합국이13 ( )四國

결정하는13 작은13 섬들에13 국한될13 것이다rdquo라고13 적시되어13 있다

일본13 측에서는13 카이로선언에13 독도문제가13 애매하게13 처리되었다고13 하지만

카이로선언의13 정신대로13 라면13 일본은13 전쟁13 ( 2007 123) 田中宏 板垣龍太編이전13 국경으로13 복귀해야13 했다 그13 시기는13 중국을13 비롯해13 한국의13 경우 거슬러13

올라가면13 세기13 말까지13 갈13 수13 있다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13 제 조에서13 명시19 2

한13 ldquo일본이13 한국의13 독립을13 승인한다rdquo는13 법적13 조치는13 바로13 년13 월13 조인1910 8

된13 한일병합조약을13 무효화하는13 것을13 의미한다는13 견해도13 있지만 일본의13 팽창

정책이13 본격화된13 청일전쟁13 시기까지13 가능할13 것이다 년13 월13 체결된13 한 1965 6

일기본관계에13 관한13 조약13 제 조에13 2 ldquo 년13 월13 일13 및13 그13 이전에13 대한제국1910 8 22

과13 일본제국13 간에13 체결된13 모든13 조약13 및13 협정이13 이미13 무효임을13 확인한다rdquo고13 규정되었다 이13 의미는13 이13 조항의13 적용을13 받는13 조약과13 협정이13 한일합병조약

을13 비롯해13 한일의정서 제 차13 한일협약 제 차13 한일협약13 등으로13 이13 시기13 일 1 2

본이13 한국에13 관해13 취한13 모든13 조치가13 해당될13 수13 있었다9 타이완은13 이미13 대일

강화조약에서13 청일전쟁13 이후에13 맺어진13 모든13 구조약을13 무효화하였다10

전쟁13 말기13 내각을13 이끌었던13 해군13 대장13 출신13 스즈키 일본13 수( ) 鈴木貫太郞

상은13 카이로선언에13 의한13 연합국의13 방침을13 ldquo연합국은13 일본을13 메이지유신13 전

8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pp 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존협회3-4 2000 3 pp985172 985173241-244

9 일본13 측에서는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본문이나13 교환공문에도13 독도를13 전혀13 언급하지13 않았

음을13 강조하고13 있다(田中宏 최근13 한일회담13 당시13 양국은13 독도문 123) 板垣龍太編

제를13 한일기본조약에서13 언급하지13 않고13 장차13 해결해야13 한다는13 것으로13 약속했다고13 한

다 노13 대니얼 한일협정13 개월13 전13 독도 약 있었다 월간중앙( 5 lsquo rsquo 2007 4)「 」 985172 98517310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90- 면 원용석92 1965 985172한일회담13

년14 985173 삼화출판사 p 한영구12 44 윤덕민13 편 985172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985173 1 p 308

46 조성훈

밑줄 필자의13 일본으로13 축소하고13 그13 영토는13 인정하려고13 하는13 것( ) rdquo으로13 이해하면서13 일본의13 독립을13 훌륭하게13 보증하는13 안이라는13 의견을13 표명했다11 그가13

이러한13 논리를13 내세운13 배경은13 일본이13 전쟁에서13 패배한13 것이지13 멸망한13 것은13

아니므로 대륙을13 잃어도13 일본13 열도가13 건재하면13 도서국가로서13 재생할13 희망이13

충분히13 있다는13 인식으로부터13 비롯되었다 또한13 이13 시기13 무조건13 항복을13 주장

한13 사람은13 도고13 시게노리 외상을13 비롯한13 외무성13 관리들이었다( ) 東鄕茂德 12

히로시마에13 이어13 나카사키에13 원자폭탄이13 투하된13 이후에도13 천황제를13 유지

하고13 그를13 보호하기13 위해13 노력했던13 일본13 측은13 결국13 무조건항복을13 했다 요시

다 전13 일본13 수상은13 일본인이13 자신들의13 패전을13 솔직히13 인정했다고13 했( ) 吉田茂

으나 이러한13 논리는13 전후에13 뒤바뀌었다 종전13 직후13 일본13 ( 1967 79) 吉田茂외무성13 관리들은13 근본적으로13 태평양전쟁에13 대한13 책임은13 있지만 그13 이전에는13

문제가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13 그들은13 러일전쟁13 이후13 미국과13 영국13 등이13 일본13

측13 주장에13 동조했던13 점을13 지적했다 즉13 영토문제에13 대해13 획득13 당시13 국제법상13

그리고13 국제관례상13 보통이라고13 인정되었던13 그런13 방식에13 의해13 취득되었고13 세

계13 각국도13 오랫동안13 일본영토로13 승인했던13 곳인13 바 일본으로서는13 이들13 지역

의13 포기에는13 이의가13 없지만13 이들의13 보유만으로13 국제적으로13 범죄시하여13 징벌

적인13 의도를13 가지고13 이들13 지역의13 분리와13 관련된13 제문제13 해결의13 지도원리로13

삼는다는13 것은13 승복할13 수13 없다고13 정리했다 다카사키13 소우지 하지( 1998 8)

만13 그들은13 전후처리13 대책을13 위한13 연구자료에서13 일본의13 영토결정13 문제는13 제1

차13 세계대전13 이전에13 일본에13 속한13 제소도를13 귀속시켜야13 한다고13 했다 이13 때13

제주도도13 포함시켰다14 그러므로13 그들은13 ldquo죽도가13 원래13 한국영토가13 아니고

전후일본이13 반환해야13 할13 지역은13 년13 월13 한일협상조약13 당시의13 한국영1910 8

11 스즈키13 수상은13 포츠담선언13 직후13 일본13 군부의13 반대로13 이를13 묵살했다가13 두13 번의13 피폭13

후13 무조건13 받아들였다( 1979 日本外務省編 985172終戰史料985173 4 pp東京 北洋社 18- 22)

12 일본외무성편 985172종전사료985173 4 p 김일상13 역17 ( ) 2000 石川泰志 985172일본해군국방사상사985173 한국해양전략연구소 p 567

13 2006 外務省編纂 985172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條約 準備對策985173 p日本外務省

183

14 領土條項「 」 외무성편찬1946 1 31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pp 47-4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6: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46 조성훈

밑줄 필자의13 일본으로13 축소하고13 그13 영토는13 인정하려고13 하는13 것( ) rdquo으로13 이해하면서13 일본의13 독립을13 훌륭하게13 보증하는13 안이라는13 의견을13 표명했다11 그가13

이러한13 논리를13 내세운13 배경은13 일본이13 전쟁에서13 패배한13 것이지13 멸망한13 것은13

아니므로 대륙을13 잃어도13 일본13 열도가13 건재하면13 도서국가로서13 재생할13 희망이13

충분히13 있다는13 인식으로부터13 비롯되었다 또한13 이13 시기13 무조건13 항복을13 주장

한13 사람은13 도고13 시게노리 외상을13 비롯한13 외무성13 관리들이었다( ) 東鄕茂德 12

히로시마에13 이어13 나카사키에13 원자폭탄이13 투하된13 이후에도13 천황제를13 유지

하고13 그를13 보호하기13 위해13 노력했던13 일본13 측은13 결국13 무조건항복을13 했다 요시

다 전13 일본13 수상은13 일본인이13 자신들의13 패전을13 솔직히13 인정했다고13 했( ) 吉田茂

으나 이러한13 논리는13 전후에13 뒤바뀌었다 종전13 직후13 일본13 ( 1967 79) 吉田茂외무성13 관리들은13 근본적으로13 태평양전쟁에13 대한13 책임은13 있지만 그13 이전에는13

문제가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13 그들은13 러일전쟁13 이후13 미국과13 영국13 등이13 일본13

측13 주장에13 동조했던13 점을13 지적했다 즉13 영토문제에13 대해13 획득13 당시13 국제법상13

그리고13 국제관례상13 보통이라고13 인정되었던13 그런13 방식에13 의해13 취득되었고13 세

계13 각국도13 오랫동안13 일본영토로13 승인했던13 곳인13 바 일본으로서는13 이들13 지역

의13 포기에는13 이의가13 없지만13 이들의13 보유만으로13 국제적으로13 범죄시하여13 징벌

적인13 의도를13 가지고13 이들13 지역의13 분리와13 관련된13 제문제13 해결의13 지도원리로13

삼는다는13 것은13 승복할13 수13 없다고13 정리했다 다카사키13 소우지 하지( 1998 8)

만13 그들은13 전후처리13 대책을13 위한13 연구자료에서13 일본의13 영토결정13 문제는13 제1

차13 세계대전13 이전에13 일본에13 속한13 제소도를13 귀속시켜야13 한다고13 했다 이13 때13

제주도도13 포함시켰다14 그러므로13 그들은13 ldquo죽도가13 원래13 한국영토가13 아니고

전후일본이13 반환해야13 할13 지역은13 년13 월13 한일협상조약13 당시의13 한국영1910 8

11 스즈키13 수상은13 포츠담선언13 직후13 일본13 군부의13 반대로13 이를13 묵살했다가13 두13 번의13 피폭13

후13 무조건13 받아들였다( 1979 日本外務省編 985172終戰史料985173 4 pp東京 北洋社 18- 22)

12 일본외무성편 985172종전사료985173 4 p 김일상13 역17 ( ) 2000 石川泰志 985172일본해군국방사상사985173 한국해양전략연구소 p 567

13 2006 外務省編纂 985172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條約 準備對策985173 p日本外務省

183

14 領土條項「 」 외무성편찬1946 1 31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pp 47-4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7: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7

토rdquo 이므로13 독도는13 그13 대상이13 아니라고13 반박했다( 2006 50) 玄大松일본정부의13 주장을13 반박하기13 위해13 한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1959 1 7 ldquo우리는13

독도문제의13 해결에13 중대한13 열쇠가13 되는13 연합국의13 일본영토13 처리방침과13 정신rdquo을13 지적한13 적이13 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전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 1996 46)

책13 속에서도13 미13 군부에서는13 이러한13 맥락을13 견지한13 경우가13 있었다 년13 1946 7

월 미13 합참의장실의13 한13 조사에서는13 년부터13 년까지13 일본의13 팽창과 1868 1942

정을13 지도에13 표시하면서 전후13 일본의13 항복시기와13 년13 시기의13 방어선 1868

을13 동일하게13 표기하였다(perimeter) 15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도13 미국영 국 중국13 지도자들이13 카이로선언을13 통해13 일본의13 영토를13 년의13 것으로13 축1868

소해야13 한다고13 결정했고 포츠담회담에서13 카이로선언의13 조건을13 재확인한13 것

으로13 평가했다16 러시아의13 한13 연구자도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13 등은13 카이

로선언에13 의해13 전후13 연합국이13 일본의13 침략에13 대한13 처벌로13 그들이13 무력이나13

탐욕으로13 점령한13 모든13 영토에서13 일본을13 배제한13 원칙에13 해당한13 것으로13 이해했

다(Valery Glushkov 2006 53-54)

사실13 전후13 평화조약을13 준비하는13 일본13 당국자는13 제 회13 범미회의에서13 국제8

법의13 근본주의로서13 무력13 또는13 비평화적13 수단에13 의한13 정복으로13 이루어진13 영토

의13 점령13 또는13 획득 그리고13 그13 변경13 등은13 효력을13 발생하지13 않는다는13 사실을13

인지하고13 있었다17 일본13 지식인13 가운데에서도13 한국병합이나13 중국침략 동남

아시아의13 진출13 등은13 모두13 년13 이후13 제국주의적13 일본의13 팽창13 결과를13 잘13 1868

드러낸13 것으로13 인식하는13 이들이13 있다 그들은13 중일전쟁13 이후13 lsquo 년전쟁15 rsquo의13 뿌리가13 메이지유신13 이래13 일본의13 팽창주의에서13 비롯된13 점을13 지적하면서 카이

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은13 만주사변부터13 lsquo 년전쟁15 rsquo만의13 문제뿐만13 아니라 청일

전쟁부터13 패전시기까지13 년간의13 문제에13 해당한다고13 주장했다 즉13 일본에서13 50

15 ldquoJapanese Expansion 1868 to Nov 1941 and Dec 7 1941 to July 31 1942rdquo 군사편찬연구소Chairmans Offices ldquoSummary Report(Pacific War)rdquo July 1 1946

MF 536

16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군사편찬연구소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June 30 1957 MF 76 p iii

17 「武力 獲得 領土否認 宣言によって した について 」 1938 「平和會義參考書」 1946

9 15 1961 日本 防衛省 防衛硏究所 圖書館 深律榮一 「領域取得 法理の 」

985172國際法外交雜誌985173 60-3 p 322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8: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48 조성훈

천황을13 숭배하는13 핵으로서13 제국의식 아시아에13 대한13 멸시가13 광범하게13 확산된13

것은13 청일전쟁13 이후이고13 러일전쟁의13 승리로13 이러한13 경향이13 결정적으로13 만들

어졌으며13 그13 연장선상에서13 한일병합 중국에13 대한13 개조13 요구 만주사변13 등 21

으로13 이어졌다는13 평가이다18

미국의13 독도13 가치13 인식과13 정책13 혼재2

독도의13 가치인식(1)

독도13 문제에13 대한13 인식을13 살펴보면 미국13 측은13 일본13 정부와는13 큰13 차이를13

보였다 일본13 정부는13 년13 월13 독도를13 시마네 현으로13 편입할13 당시에13 1905 1 ( )島根러시아와13 전쟁을13 시작하면서13 독도주변이13 전략적으로13 중요한13 가치를13 지닌13 수

역이었으므로13 일본13 영토로13 편입했다 그13 결과13 동해에서13 러시아13 발틱함대와13

교전할13 때13 독도가13 일본해군의13 작전에13 기여했다 즉13 일본13 해군은13 독도와13 본토

를13 잇는13 해저선을13 부설하여13 울릉도에13 설치된13 감시망루와13 함께19 블라디보스

토크로13 항해13 중인13 러시아13 군함을13 추적할13 수13 있어서13 도고 함대가13 ( )東鄕平八朗

러시아13 태평양13 제 함대를13 격파할13 수13 있었다 최근13 연구에서도13 러시아에서2 3

는13 일본이13 독도를13 소유하면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의13 해상을13 통과하는13 어떤13 국가

의13 선박13 항해도13 감시를13 받게13 될13 수13 있는13 전략적13 가치가13 있다고13 평가하였다20

18 년13 월13 중국과13 일본이13 국교를13 정상화할13 때 저우언라이13 총리는13 년부터13 반1972 9 ldquo1894

세기에13 걸친13 일본13 군국주의자의13 중국침략으로13 중국인민은13 극히13 가혹한13 환난을13 입었

다 고13 언급하여 일본의13 중국침략이13 청일전쟁을13 시작으로13 러일전쟁 중일전쟁으로13 이rdquo

어졌음을13 지적했다 타나카13 히로시13 외( 2000 72)

19 독도에13 망루설치는13 이13 지역에서13 년13 월13 하순13 해전이13 끝난13 후인13 월에13 착공했다1905 5 7

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연합국총사령부13 일( 2005 p198) 985172 985173반명령13 제 호에13 의하면 일본대본영은13 연합군최고지휘관에13 대해13 일본13 및13 일본이13 지배1

하는13 모든13 지역에13 관한13 지상 항공 방공부대의13 장소 연안방어시설 해군함정 병력13

등에13 대한13 완전한13 정보를13 제공하도록13 했다 대본영13 육군참모본부13 종전처리13 관계특별(「서류철 일본방위연구소 하지만 독도에13 설치된13 망루 1945 8 21~9 5 71 ) 宮崎 」는13 이미13 철거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군으로부터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특별한13 보고가13 없었을13

것으로13 보인다

20 Ruben Kazariyan 2006 「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p 이예균74 김성호 1988 985172일본은13 죽어도13 모르는13 독도이야기13 88985173 예나루 p 186 1979 外山三朗 985172日淸 日露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9: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49

러일전쟁13 시13 lsquo일본해전rsquo의13 승리로13 일본은13 동해13 해역을13 완전히13 일본지배13 아래13 두게13 되었다 년13 일본13 국방방침에13 따르면 한반도13 북부와13 황해지역을13 1914

언급하고13 있으나13 동해와13 독도는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았다21 육군의13 경우이긴13

하지만 년13 전국13 육군13 국토방위계획에13 따르면 조선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일 1939

본군은13 연안지역13 가운데13 진해만 영흥만 나진13 등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수립하면서13 조선군사령관은13 해군13 및13 서부13 방위사령관과13 협동하여13 북부조선해협에13 있

는13 해상교통을13 엄호하고13 또13 상공으로부터13 적의13 공격에13 대해13 부산13 부근의13 주

요13 시설을13 엄호하도록13 했다 영흥만의13 경우에는13 원산 통천 고원 문천 덕

원 안변13 등이고13 나진만에는13 나진 웅기13 등이었다 또13 포시에트13 방면의13 적에13

대해13 일 로국경을13 수비하도록13 했다22 소련군이13 태평양전쟁에13 개입할13 무렵13

미군과13 함께13 한국에서13 합동작전을13 펼치기를13 기대했지만 미군은13 일본13 남쪽13

지역의13 전선에13 집중하고13 있었으므로13 군함과13 병력13 등의13 부족을13 이유로13 이를13

고려하지13 못했다23 그러므로13 미군의13 본토상륙전에13 대비해야13 할13 절박한13 상황

에13 놓인13 일본군은13 동해지역에13 대한13 구체적인13 대응이13 긴급하지13 않았을13 것이

미국과13 소련13 등은13 오키나와 쿠릴열도 남사할린13 등의13 처리에13 관심을13 가졌

다 년13 말13 미13 국무부13 산하에13 1943 ldquo동아시아13 담당부처13 간13 지역위원회(the Inter-

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가13 설치되어13 전후13 패전13 일본의13 제반사항을13 논의하는13 과정에서13 작성된13 ldquo미국의13 대일13 전후13 목적rdquo에서13 영토문제가13 중요한13 의제13 중의13 하나로13 다루어졌으나 쿠릴열도 류큐 보닌섬들13 등

에13 대한13 처리에13 중점을13 두었고 한국의13 경우는13 독립과13 전후13 국제적13 감 독13 문

제가13 논의되었으므로24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따로13 언급될13 여지가13 없었다

大東亞海戰史985173 p東京 原書房 254

21 「日本帝國 國防方針の 」 47 1 明治 年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外山三朗 985172일청 일로 대동아해전사985173 p 283

22 1939 12 日本 陸軍參謀本部 全國陸軍國土防衛計劃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23 한철호13 역 1998 985172미국의13 대한정책13 1834~1950985173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p 98

24 ldquoReport on the Work of the Inter-Divisional Area Committee on the Far Eastrdquo Oct 1- 정용욱Feb 1 1944 이길상13 편 1995 985172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985173 다락방1 pp 428- 이창위13 등432 2006 985172동북아13 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985173 다운샘 p 92 p玄大松 領土 誕生ナショナリズムの985172 985173 54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0: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50 조성훈

전후13 미국13 대표단의13 일원으로13 평화조약과13 미군13 주둔문제에13 대해13 교섭하였

던13 러스크는13 독도문제를13 평화조약에서13 사소한13 문제로13 인식했고 년13 월13 1951 8

한국정부에13 보내는13 서한에서도13 독도를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바위섬이라고13 했다

정병준 딘13 러스크 년13 미국13 정부13 내13 논의에( 2006 4 1991 100 124) 1954

서도13 lsquo리앙쿠르섬rsquo은13 한국과13 일본의13 중간에13 위치하나13 사람이13 살지13 않는13 불모의13 바위들이라고13 정리되었고 미13 극동사령부13 역사실에서는13 독도를13 (barren)

황량한13 섬 으로13 인식했다(a desert island) 25 미13 국가안보회의13 준비를13 위한13 실

무자는13 년대13 초13 박정희13 정권시기에13 한일관계에13 있어서13 청구권 어업협정13 1960

등이13 주요한13 이슈이고 독도는13 작은13 문제13 중의13 하나 로13 하찮은13 (minor issues)

섬 이라고13 분석했다(an inconsequential islet) 26 이처럼13 미국은13 독도문제를13

중요하게13 여기지13 않았다27

그런데13 년13 월13 일13 시볼드가13 버터워스 국무1949 11 14 (Walton Butterworth)

부13 극동담당13 차관보에게13 ldquo리앙쿠르암다케시마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장은13 오래( )

되고13 타당성이13 있는13 것으로13 사료됨 이13 섬에13 기상관측소와13 레이다기지를13 설

치하는13 안보적13 고려가13 바람직할13 것rdquo이라고13 보고했다 정병준 이( 2005a 159

창위13 등 이는13 독도가13 미군의13 전진13 레이더기지로서13 전략적13 가치 2005 102)

가13 크다는13 의견으로 독도를13 소홀히13 해왔던13 기존의13 미국13 입장과는13 배치되는13

것으로13 보인다

25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48

26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27 이러한13 인식에13 비하면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한국13 내13 재산은13 무척13 많았다 연합국총사

령부에서는13 일본13 은행13 및13 재무부13 전문가와13 함께13 전후13 일본의13 재외재산평가를13 실시했

다 한국 만주 북중국 타이완13 등지에13 남아13 있는13 일본재산이13 총13 억13 달러이고13 그 240

중13 한국에13 있는13 그들의13 재산13 규모를13 억13 달러13 규모로13 평가해13 전체의13 를13 차지528 22

했던13 것으로(ldquoSCAP to WARCOS for Dpt of State Estimate of Japanese External

군사편찬연구소 이해했던13 점은13 독도문제13 등을13 상쇄Assetsrdquo Dec 9 1946 MF 159)

시킬13 것으로13 받아들일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13 때문에13 미국은13 한국13 측이13 강화회의에13 참

석을13 요구하는13 점을13 들어주지13 않는13 대신에13 한국13 내13 일본재산권13 주장을13 포기하도록13 했

다는13 주장도13 있다( 1965 144-145) 中保與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1: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1

미국의13 정책13 혼재(2)

독도에13 대한13 인식이13 미흡했던13 미국의13 전후13 정책은13 이13 섬을13 한국13 영토에13

포함시켰음에도13 불구하고13 한편으로13 대일13 점령정책을13 수행하면서13 일본13 측에13

포함되는13 듯한13 모순된13 조치를13 취해서13 한일13 간의13 갈등을13 초래하는13 요인이13 되

었다

년13 월13 일 미군은13 일본과13 항복문서를13 조인하면서13 일본영토는13 연합1945 9 2

국최고사령부가13 통치하게13 되고13 한국은13 북위13 도선을13 경계로13 미군과13 소련군38

이13 분할13 점령했다 이13 때13 연합국최고사령관13 지침13 제 호 점령군13 2 (1945 9 2)

경계13 부속13 에13 의하면 선13 이남13 남한지역은13 미13 제 군이13 담당하도록13 했다A 38 24

지도상에13 울릉도와13 독도가13 표시되지13 않았으나13 위치상13 포함되어 한국13 측이13

독도를13 점유할13 수13 있었다 대마도를13 포함해13 혼슈는13 제 군 큐수13 등은13 제 군 6 10

홋카이도는13 제 군이13 담당했다8 28

미국최고사령부는13 훈령13 제 호로13 677 ldquo약간의13 주변지역을13 통치상13 행정상13 일본으로부터13 분리하는13 각서rdquo(SCAPIN 677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의13 제 항에서13 한국과13 관Separation of Certain Outlying Areas from Japan) 3

련하여13 일본13 영역으로부터13 분리되는13 섬으로서는13 울릉도 리앙쿠르13 섬과13 제주

도가13 열거되었다 이13 때13 함께13 발표된13 지도에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직접적13 행

정지역인13 일본과13 남한을13 구분하면서13 독도는13 남한에13 귀속시키고13 대마도는13 일

본에13 소속시켰다신용하13 편저( 2000 254- 그러나13 이13 훈령의13 제 항에서256) 6

는13 이13 지령13 가운데13 어떠한13 규정도13 포츠담13 선언13 제 항에13 언급된13 8 lsquo작은13 섬들rsquo의13 최종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의13 정책을13 표시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규정하여13

논란의13 여지를13 남겼다

일본인이13 독도13 근처에서13 잇따라13 마찰을13 일으키자13 연합국최고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 훈령13 제 호로13 1946 6 22 1033 ldquo일본의13 어업13 및13 포경업의13 허가13 구역을13 설정하여13 일본인의13 선박13 및13 승무원은13 금후13 북위13 도13 분 동경13 도13 37 15 131 53

분에13 있는13 독도의13 해리13 이내13 수역에13 접근하지13 못하며13 또한13 그13 섬에13 어떠12

한13 접근도13 하지13 못13 한다rdquo고13 발표하였다 맥아더라인이라고13 불렸던13 이13 선은13

28 「大本營 陸軍參謀本部 終戰處理關係特別書類綴」 1945 8 21~9 5 71 宮崎

日本防衛硏究所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2: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52 조성훈

일본인의13 어로활동13 범위를13 일본열도13 주변에13 벗어나서13 조업하는13 행위를13 제한

하는13 조치로13 독도13 근해에서13 그들의13 어로활동을13 금지시킴으로써 독도가13 명시

적으로13 한국영토에13 포함되는13 결과를13 낳았다

맥아더라인이13 연합국최고사령부의13 명령에13 의해13 설정되었지만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한국정부가13 일본과13 해결해야13 할13 영토13 및13 어업권문제가13 맥아더라인

으로13 해결되었다고13 이를13 받아들였다29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독도가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에13 일본행정권에13 속하지13 아니한13 것이13 명기되어13 677

있는13 것처럼13 우리영토가13 분명하다고13 주장했다30 이러한13 논리는13 국내13 연구자

를13 비롯해13 북한에서도13 널리13 주장되었다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

회 2002 52)

그러나13 일본13 측에서는13 연합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행정권분리13 각서677

가13 독도를13 일본의13 영역주권으로부터도13 분리했다고13 볼13 수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

제 항에서13 훈령의13 어떤13 조항도13 포츠담13 선언의13 제 조에13 있는13 소도서의13 최종6 8

적인13 결정에13 관한13 연합국13 측의13 정책을13 나타내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규정에13 의해13

뒷받침된다는13 논리이다 즉13 일본13 측에서는13 독도가13 훈령13 제 호에13 의해13 한국 677

으로13 분리된13 것이13 아니라 lsquo행정권의13 정지rsquo로서13 lsquo영유권13 박탈rsquo이13 아니라고13 주장했다 후일13 오키나와가13 반환된13 것을13 보아도13 분명하다고13 반박하였다 한국13

연구자13 가운데에서도13 훈령13 제 호는13 전시13 점령13 당국의13 점령지13 통치를13 목적677

으로13 한13 과도기적13 조치에13 불과하다는13 입장을13 취하는13 법학자도13 있다31 그러

므로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에서13 한국의13 독립은13 보장되었지만 아쉽게도13

독도의13 포함여부가13 명시되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영토의13 범주13 가운데13 연합군이13

결정하는13 제소도13 중의13 하나에13 해당되는지13 다툼이13 생겼다

미국은13 년13 초부터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13 작성에13 착수했다 년13 월13 1947 1947 3

29 변영태 1956 lsquo「 맥아더라인rsquo에13 대하여」 1951 8 31 985172나의13 조국985173 자유출판사 p

23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

30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31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lsquo rsquo p「 」 죽도인41 「가 독도인가 열 2002 8 1 httprickkiuchihpinfoseekcojpkakolog(2007 6 8 」람 김석현 독도13 영유권과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SCAPIN 677 p「 」 44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3: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3

일13 미국은13 대일강화조약을13 위한13 첫13 초안을13 작성한13 후 년13 월까지의13 19 1949 11

초안에서13 lsquo제주도 거문도 울릉도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rsquo을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곳으로13 명기했다 그러므로13 독도는13 일본의13 영역13 밖에13 있었다

하지만 미국13 정책문서13 가운데에는13 독도가13 누락된13 경우나13 미국13 측이13 적극

적으로13 일본영유권을13 지지할13 때도13 있었음을13 찾아13 볼13 수13 있다 년13 월13 동 1946 2

아시아13 담당13 부처간13 지역위원회13 회의록에서13 일본의13 외곽13 및13 소도의13 처분은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및13 한국의13 모든13 여타13 근해13 도서를13 언급함으로써 32 독

도는13 누락되었다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예비13 초안 1946 3 6 (PR- 에서13 제주도40) 거문도 울릉도와13 다른13 모든13 한국의13 연안13 도서들(all other offshore Korean

은13 새로운13 한국에13 귀속한다islands) 33고13 함으로써13 독도는13 명시되지13 않았다

미국13 측은13 남한13 미군정13 관할13 아래에13 있는13 독도에13 대해13 일본13 정부의13 설득

과13 제안을13 받아들여13 공군의13 폭격연습장으로13 이용하면서 일본영유권을13 인정

하는13 조치를13 취했다 년13 월13 일13 연합국13 최고사령부는13 훈련13 제 호 1947 9 16 1778

로13 독도를13 극동공군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했다34 이미13 미13 극동군사령부는13

년13 월13 일부로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분리되어13 창설되어13 일본은13 물론 필1947 1 1

리핀 남한지역을13 작전대상으로13 삼고13 있었다 35 이13 때문에13 미13 극동군사령부에

서는13 작전지역으로13 한국의13 울릉도와13 독도13 지역을13 일본과13 구분할13 개념이13 필요13

없었을13 런지13 모른다 그런데13 미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과에서는13 미 일합동위원회(US- 가13 독도를13 일본정부13 시설로13 지정한13 것이13 정당Japan Joint Committee)

함으로13 한국정부가13 독도를13 포함한13 여러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행정권을13 정지시킨

훈령13 제 호에13 의한13 주장에13 의해13 이13 섬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권행(suspended) 677

사를13 방해하지13 않는다는13 입장을13 취했다36

32 이석우13 편 2006 985172대일강화조약자료집985173 동북아역사재단 p 29

33 군사편ldquoDisposition of the Outlying and Minor Japanese Islandsrdquo March 6 1946

찬연구소 HM 1999

34 최장근 주일13 정치고문13 시볼드는13 월13 초에13 부임했으므로13 그의13 영향력은13 제 2005 44 9

한적이었을13 것이다

35 The Office of the Military History Officer HQ AFFEEighth Army(Rear) ldquoThe

Far East Commandrdquo Jan 1 1947 - 군사편찬연구소 June 30 1957 MF 76 p iii

36 「부산13 미13 대사관에서13 국무부13 극동아시아13 과장」 1952 12 4 RG 59 Liancourt

군사편찬연구소rocks HM 1999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4: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54 조성훈

미군이13 독도를13 폭격연습장으로13 지정한13 후 미13 공군의13 훈련과정에서13 독도13

인근에서13 조업13 중이었던13 한국인13 어선을13 공격하는13 사고가13 일어나면서13 그13 처리

를13 둘러싸고13 독도의13 관할권에13 대해13 관심이13 컸다 년13 월13 일13 오전13 시 1948 6 8 12

경13 울릉도부근13 독도에서13 미역을13 따고13 있던13 어선13 척이13 난데없는13 비행기의13 15

폭격을13 받았다 이미13 독도에는13 년13 월13 일에도13 이와13 같은13 폭격이13 있었 1947 4 16

다는데13 인명의13 피해는13 없었다고13 한다 년13 월13 일에도13 미군13 폭격사건 1952 9 15

이13 있었다37 이러한13 사건을13 계기로13 년13 월 미군13 당국은13 독도를13 폭격연 1953 1

습13 지역에서13 제외하였다 그런데13 미군은13 독도를13 폭격훈련구역으로13 해제할13 때13

미일안보협약에13 의거한13 lsquo미일합동위원회13 소위원회rsquo에서13 확인했고 이를13 토대

로13 일본13 내무성은13 년13 월13 일13 고시13 제 호로13 해제사실을13 공시하였다1953 3 19 28

김영구 년13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 2006 16) 1954 11 17 (Shigenobu

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주일13 미군이13 일본정부의13 승인아래13 독도를13 Shima)

군사시설로13 이용하고13 후에13 반환하려는13 조치는13 미국이13 독도에13 대한13 일본의13 주

장을13 인정한13 것이라고13 말했다38

그러나13 당시13 이철원13 공보처장은13 우리13 어부들이13 불의의13 참변을13 당하여13 그13

위령비를13 당시13 경북지사13 조재천의13 명의로13 세운13 일도13 있다면서13 일본인의13 망설

과13 야욕은13 철저히13 분쇄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39 하지만13 당시13 남한13 미13 군정은13

독도폭격사건에13 대해13 미13 극동사령부에13 미루고13 적극적으로13 조치를13 취하지13 않

아13 독도의13 귀속문제를13 분명히13 하지13 않았다

37 985172경향신문985173 1948 6 12 985172서울신문985173 홍성근 1948 6 12 2003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985172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연구사985173 pp 82-83

38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39 985172서울신문985173 1951 11 2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5: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5

미국의13 동아시아13 전략변화와13 독도영유권III

동북아13 냉전13 격화와13 일본13 중시1

중국의13 공산화 한국전쟁13 발발13 등으로13 아시아에서13 반공기지로서13 일본의13 역

할에13 대한13 기대가13 높아져13 감에13 따라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강화조약 동맹조

약 미군주둔협정13 등을13 체결함으로써13 일본에13 대해13 초기의13 복수심을13 협력으로13

바꾸었고13 일본의13 재등장에13 대한13 두려움을13 냉전13 뒤로13 사라지게13 했다40 즉13 아

시아에서13 공산주의를13 막는13 보루로서13 일본의13 중요성이13 커지자13 미국13 정부는13 그

들의13 역사적13 책임13 문제를13 서둘러13 치워버렸다 그13 영향으로13 평화조약13 당시13 한

일간에13 영토분쟁이13 가시화되고13 있는데 미국은13 러스크13 서한과13 같이13 독도의13

일본영유권에13 대한13 분명한13 입장을13 취하게13 되었고13 일본의13 무장을13 용인하기도13

했다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년13 신년사에서13 일본의13 헌법상13 전쟁과13 무장 1950

의13 포기는13 외부13 도발에13 대한13 자위권까지13 완전히13 부정하는13 것이13 아니라고13 했

다 년13 월13 요시다13 수상은13 일본13 의회13 연설에서13 전쟁의13 포기는13 자위권을13 1950 2

포기하는13 아니라는13 견해를13 말했다41 일본에서는13 이를13 전쟁에서는13 졌지만13 외

교에서는13 승리했다고13 평가했으나 한국13 입장에서는13 점점13 악조건으로13 떨어지

는13 것으로13 더욱13 실망하게13 되었다42

년13 월13 대일13 강화조약의13 초안을13 작성하기13 시작하였을13 때 이13 무렵13 동1947 3

서냉전이13 시작되었다 맥아더는13 년에13 이미13 아시아에서13 공산주의의13 위협 1946

40 년13 월13 일13 실시된13 천황의13 전후13 조치에13 대한13 갤럽조사에서13 응답자의13 는13 1945 5 29 33

그의13 처형을13 주장했고 는13 재판회부 는13 투옥 는13 추방을13 원했다 17 11 9 (Tsuyoshi

Hasegawa 2005 Racing the Army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222)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NY WW Norton amp Com p 242

41 ldquoEffects of Japans Renunciation of War on Japanese Contribution to Military

군사편찬연구소Sanctionsrdquo 1950 HM 1969

42 안재홍 「恐日 排日 抗日」 985172한성일보985173 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1948 6 16

985172민세13 안재홍선집985173 지식산업사2 1980 256- 면257 細川隆一朗 1983依岡顯知

lsquo985172 吉田茂rsquo 人間秘話985173 pp東京 文化創作出版 134-135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6: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56 조성훈

과13 소련을13 조심할13 것을13 주소련13 미국대사13 해리만 으로(W Averell Harriman)

부터13 들었다 기시13 전13 일본13 수상도13 이미13 년13 월경13 전후처리를13 둘러싸고13 1946 8

미국과13 소련의13 대결하고13 있음을13 알았다고13 회고했다 맥아더의13 정치고문인13 시

볼드는13 년13 월13 미소13 냉전의13 분위기를13 충분히13 들었다고13 했다1947 10 ( 原彬久編2003 50-51 William J Sebald 1965 61 Michael Schaller 1985 65)

이를13 반영하듯 년13 월13 일13 소련13 공산당13 기관지13 1947 9 2 985172프라우다985173지에서는13 지난13 개월13 동안13 미국이13 동아시아의13 정책방향이13 중국으로부터13 일본으로13 이동6

했다고13 평가했다 당시13 모스크바13 언론은13 대일전에서13 소련의13 역할을13 부각시키

는13 한편13 군사적13 반동주의와13 재벌을13 지지하는13 미국의13 대일정책을13 비판하면서13

전13 세계적으로13 미국정책을13 전면적으로13 공격하였다43

이13 무렵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을13 아시아의13 반공기지로13 바꾸기13 위해13 점령

정책을13 전환하였다 년13 월13 일 일본13 1947 5 3 lsquo신헌법rsquo 기념일에13 맥아더는13 대일

점령정책이13 ldquo군사작전이라는13 냉혹한13 태도로부터13 보호군으로서의13 우호적인13 지도로13 이행한다rdquo고13 말했다 미13 국무부13 평화조약13 실무팀에서도13 일본의13 영토

제한은13 미국의13 필수적13 안보13 필요 와13 중국과13 소련에13 (essential security needs)

대한13 조치에13 일치시켜13 가능한13 관대하게13 처리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이었다44

년에13 이르러13 동서냉전이13 더욱13 격화되었다 이해13 월에는13 소련의13 원폭1949 9

보유가13 분명해졌고 월에는13 중공이13 정권을13 장악했으며13 동독정부가13 수립되 10

었다 월에는13 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가13 설립되었고13 연말에는13 11 (COCOM)

마오쩌둥이13 모스크바를13 방문하여13 중소동맹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와13 같이13 일

본을13 둘러싼13 국제정세가13 급변하자 미국13 정부는13 일본의13 조기강화에13 보다13 적

극적으로13 나서서13 일본의13 안전보장과13 관련된13 군사기지문제를13 강화문제의13 중

심으로13 삼게13 되었다45 년13 미13 국무장관13 번스 가13 일본의13 1946 (James F Byrnes)

점령상태는13 년간13 계속될13 것이라고13 언명했지만 맥아더는13 군사적으로13 장기15

43 군사편찬연구소ldquoWSD to SCAP(Political Advisor)rdquo Sep 4 1947 MF 160 ldquoWar

같은13 문서철to SCAP(for Political Adviser)rdquo Sep 7 1947

44 「국무부13 메모 일본13 평화조약 」 1947 8 25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7 pp 56- 허종호57 985172미제의13 극동정책과13 조선985173 평

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8- 면19

45 「對日講和問題について」 외무성사료관 1950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7: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7

점령이13 효과적이13 아니라고13 본국13 정부에13 진언했다(William J Sebald 1965

246 1995 75 79) 上野昻志미군13 당국은13 극동에서13 중국 소련 북한을13 둘러싼13 방위망을13 구축하면서13 이

미13 그들의13 동향을13 파악하고13 이에13 대한13 대비책을13 강구13 중이었다 특히13 소련의13

위협으로부터13 태평양지역에서13 안보를13 단독적으로13 확보하는데13 부담을13 느낀13

미군은13 극동에서13 일본을13 중심으로13 방어전략을13 구축했다46 이13 때문에13 시볼드

는13 일본의13 무장해제가13 향후13 일본13 방위를13 저해할13 것이라고13 우려했다(William

J Sebald 1965 80)

6 전쟁이13 발발하자 전략적13 차원에서13 일본의13 가치가13 급상승했다 즉13 13 25

6 전쟁으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가13 후방지원기지와13 같이13 구체적으로13 나타25

났다 중국군이13 개입하자 일본을13 강화하려는13 정책의13 중요성이13 증가했다 더

욱이13 한반도에서13 미군이13 크게13 고전하면서13 일본은13 미국의13 완전한13 협력자로서13

자유주의13 국가의13 극동방위선을13 유지하는13 일익이13 되어13 갔다 이러한13 일본의13

전략적13 가치13 상승은13 일본13 외교의13 초미의13 과제인13 강화조약의13 체결과13 독립에13

유리한13 여건을13 조성했다47

년13 월13 일 트루먼13 대통령이13 대일강화에13 관한13 성명을13 발표했고 국1950 9 5

무부도13 패전국을13 제약하는13 일반평화조약과13 근본적으로13 성격이13 다르게13 일본

을13 민주주의13 진영의13 일원으로서13 그들로13 하여금13 협력하게13 하고13 혹은13 일본을13

활용하는13 기초를13 두려13 한다는13 구상을13 밝혔다48 일본13 측도13 미국의13 정책이13 동

아시아에서13 일본의13 잠재력을13 통해13 군사적으로나13 경제적으로13 미국의13 부담을13

경감시켜13 소련에13 대한13 세계정책적13 혹은13 전략적13 견지로13 일층13 활용하려는13 것으

로13 받아들이면서 일본을13 완전히13 자주적13 국가로13 회복시켜13 자유진영의13 대등한13

46 ldquoDraft Paper on Assumptions for Japanese Peace Treatyrdquo Aug 22 1947 985172한국전쟁자료총서13 7 - 미국무부정책기획실문서985173 pp 63-64 Plans and Estimates Branch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S FEC GHQ ldquoIntelligence Estimate Far Eastrdquo

군사편찬연구소Nov 15 1949 SN 53

47 「講和問題 動向の 」 1951 1 18 2007 外務省編纂 985172 日本外交文書 サンフラ

ンシスコ平和條約 大米交涉985173 p東京 外務省 150 1999 五百旗豆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66-67

48 「米國 對日平和條約案 構想の の 」 1950 10 2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

조약13 대미교섭985173 외무성 pp 12-14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8: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58 조성훈

일원으로13 대우해13 줄13 것을13 주장했다49

미13 군부는13 극동에서13 정치적13 군사적인13 불안정성13 때문에13 조기강화론을13 반대

하면서13 일본으로부터13 전략적13 기지를13 확보하려13 했다 합동참모본부는13 마리아

나 캘로린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를13 비롯해13 류큐 요코스카13

해군기지13 등이13 최소한13 필요하다는13 입장이었고 맥아더는13 일본에13 미군13 35000

명의13 병력을13 주둔시켜서는13 소련이13 의지만13 가진다면13 쉽게13 제압할13 수13 있으므로13

일본의13 방어력의13 요새는13 오키나와가13 되어야13 한다고13 강조했다50 년13 월13 1949 6

일 정리된13 국가안보회의13 문서 에13 따르면13 일본13 섬들은13 극동지역15 (NSC 49)

에서13 미국의13 안보적13 이해에13 관해13 전략적으로13 매우13 중요하다고13 평가했다 그13

이유로13 보닌13 섬 들은13 태평양지역에서13 미13 잠수함(Bonin Islands )小笠原諸島과13 함선이13 안전하게13 항해할13 수13 있는13 장거리항해 시설이13 있었고(LORAN)

오키나와13 기지는13 한국이나13 베트남까지13 항공작전을13 수행할13 수13 있었으며13 핵을13

저장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었다51 그러므로13 합참을13 비롯해13 미군으로서는13 동아

시아에서13 전략13 지역13 대상에는13 울릉도와13 독도13 등은13 전혀13 고려되지13 않았다 더

욱이13 일본13 의회는13 물론13 일본시민들이13 얄타회담에13 따라13 소련에13 속하게13 될13 쿠

릴열도와13 남사할린13 등에13 대해13 일본영유권을13 주장하면서 오키나와도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청원서를13 제출했다 일본의13 반발이13 강하면13 강할수록13 미국은13

일본에13 양보를13 할13 수13 밖에13 없었을13 것이다

49 「國際情勢 一考察についての 」 1950 10 13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

약13 대미교섭985173 pp 53-54 「 訪日 關 件ダレス に する 」 같은13 자료집1950 12 27 p

112

50 ldquoNSC 132 Recommendation with Respect to US Policy toward Japanrdquo Oct 7

1948 985172미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13 -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국방군사연구소 1996 p

556 ldquoMemo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1949 HM 1969 ldquoAmerican Bases

in Japanrdquo April 6 1950 HM 1969 ldquoNSC 60 Japanese Peace Treatyrdquo Dec 22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1949 3 p 598

51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985173 국방군사연구소13 한국전쟁자료총서13 3 pp 585-588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p 44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19: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59

대일강화조약13 체결과13 독도문제13 2

미국과13 소련13 사이에13 냉전이13 구체화될13 시기인13 년13 월13 맥아더는13 기자회1947 3

견에서13 일본과의13 조기13 강화를13 표명했고 월13 중순13 재차13 언급했다 사실13 조기 8

강화가13 이루어졌다면13 연합국13 사이에서13 가지고13 있던13 일본에13 대한13 적대감이13 강

해서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이13 구현되기에13 유리했을13 것이다 그러나13 미13 군부의13

조기강화13 반대와13 소련과의13 갈등으로13 인해13 년부터13 미국13 정부는13 일본과의13 1949

강화안을13 구체화할13 수13 있었다박진희( 2005 15 1985 105 金原左門Hugh Borton 2002 210)

일본은13 왜13 독도에13 대한13 야심을13 버리지13 못했을까 한국정부의13 평화선13 선언

이후13 일본13 국내정치에서13 13 독도문제의13 제기가13 자신들의13 재무장을13 촉구하기13 위

한13 것으로13 이해되기도13 했지만52 포츠담선언에서13 일본의13 영토는13 개13 주요13 도 4

서와13 기타13 연합국에13 의해13 규정된13 작은13 도서로13 한정되었기13 때문에13 일본정부는13

작은13 도서13 범주에13 속한13 섬13 가운데13 오늘날까지도13 러시아를13 비롯해13 중국 한국13

등과13 논쟁이13 되고13 있는13 남쿠릴열도 센카쿠 독도를13 확보하려13 했던13 것이다

일본의13 lsquo독도의13 영토화13 작업rsquo은13 이미13 년13 종전13 직후부터13 이루어졌다1945

일본13 당국은13 패전13 직후13 외무성13 조약국을13 중심으로13 년13 월13 일13 1945 11 21 lsquo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rsquo를13 설치했다 이13 간사회에서는13 lsquo평화조약13 체결문제13 기본방침rsquo lsquo조약체결문제의13 금후13 관측rsquo 등과13 함께13 고유영토13 확보를13 위한13 이론무

장을13 준비했다53 년13 월 평화조약문제연구회간사회의13 제 차13 보고회에 1946 5 1

서13 일본의13 근접13 제소도에13 대한13 판정은13 민족적 지리적 역사적 경제적13 논거

에13 의해13 극력13 일본국에13 보유될13 수13 있는13 범위의13 확대를13 도모하도록13 했다54

군사적13 필요를13 내세우지는13 않았다 이13 연구간사회에서13 오키나와 사할린 쿠

52 「독도사건에13 관한13 진상보고」 「 회13 국회임시회의13 속기록16 」 18 1953 7 7

53 下田武三 「外務省 講和準備における 985173 985172戰後日本外交 證言の 985173 985172戰後日本防

衛問題資料集985173 1 pp 284- 김영구285 2002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985172독도영유권13 연구논집985173 독도연구보전협회 p 98

54 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 「제 차13 보고1 」 외무성편찬 1946 5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95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0: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60 조성훈

릴열도13 등13 각13 지역에13 대한13 역사 지리 민족 경제13 등13 모든13 측면에서13 일본과13

불가분의13 관계에13 있음을13 상세히13 진술한13 자료만13 해도13 권이13 되었다 이를13 토7

대로13 미국13 정부13 특히13 시볼드13 고문을13 상대로13 독도의13 일본13 영토화에13 직접13 참여

한13 것은13 요시다13 수상을13 비롯한13 일본13 정부13 자체였다김영구( 2002 94-95)

년13 이전에는13 연합국총사령부와13 어떠한13 자료라도13 서로13 주고받지13 못했1948

다는13 요시다13 수상의13 회고와는13 달리 년까지13 종전연락사무국13 총무부장 1947

요꼬하마13 종전연락사무국장 외상13 등이13 연합군총사령부13 정치고문 미국과13 영

국13 등13 연합국의13 외교관을13 만나13 연합국의13 강화구상을13 탐색하고13 일본의13 희망을13

전달했다 즉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의13 호의에13 의해13 ( 1985 106) 金原左門

극히13 비공식적인13 형태이지만13 일본13 외무성으로부터13 총사령부13 외교국에13 자료

를13 제출하여13 워싱턴으로13 보내는13 루트를13 열었다55

이에13 따라13 이러한13 연구자료들은13 년13 월13 이전부터13 미국13 측에13 전달되었1947 3

다 일본13 측이13 이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의13 반응을13 물었을13 때 애치슨 (George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는13 참고가13 된다는13 정도로13 답변하면서 미Atcheson Jr)

국정부가13 일본의13 전략적13 지역에13 대해13 신탁통치할13 뜻이13 있지만13 기타13 지역에13

대해13 아직은13 구체적인13 움직임은13 없다는13 언질을13 주었다56 그러므로13 이13 때13 일

본13 측은13 독도13 등에13 대해13 미국이13 그다지13 주목하지13 않고13 있음을13 알13 수13 있었을13

것이다 이어서13 년13 월에13 작성된13 1947 6 ldquo태평양13 및13 일본해의13 제제도rdquo에13 대해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을13 통해13 그13 해13 월13 국무부에13 송부되었다 이13 문서에13 9

일본이13 옛날부터13 울릉도와13 죽도와13 관계해13 왔고13 년13 월13 일13 시마네현13 1905 2 22

지사가13 죽도를13 은기 섬의13 관할로13 공표하여13 공식적으로13 일본영토가13 되었( )隱岐

다고13 주장했다 이를13 반영하여13 년13 월13 시볼드의13 보( 2006 68) 1949 11玄大松고서가13 이루어졌다

그13 결과13 미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까지13 한국의13 영토로13 명시되어13 있던13 5

독도를13 미국13 국무부의13 주도로13 차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누락시켰다 기존13 연구에6

55 1991 吉田茂 「講和條約 日本側 準備につぃて の 」 985172 10回想 年985173 大嶽秀夫編

985172戰後日本防衛問題資料集985173 1 pp東京 三一書房 283-284

56 「朝海 會談アチソン 」 외무성편찬6 1947 3 12 2006 回 985172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985173 일본외무성 p 168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1: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1

서13 일본13 측이13 주일13 일본정치고문13 시볼드를13 통해13 독도를13 한국령으로13 한13 연합

국최고사령부13 훈령13 제 호의13 수정을13 위한13 로비결과로13 이해했다이상면677 (

정병준2001 234 2005a 166)

그런데13 여기에서13 꼭13 지적해야13 할13 점은13 맥아더 도13 시(Douglas MacArthur)

볼드13 주장에13 동조했다는13 것이다 요시다는13 맥아더와의13 관계를13 완벽한13 우호관

계 라고13 표현했다 그는13 회고록에서13 평화조약과13 (perfectly friendly relations)

관련해서13 맥아더와13 덜레스 의13 역할을13 높이13 평가하였으나(John Foster Dulles)

시볼드에13 대해서는13 단13 번13 언급을13 했을13 뿐이다2 57 시볼드는13 애치슨에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정치고문13 겸13 외교국장13 등으로13 임명되었다 그는13 맥아더의13 1947 9 2

정치고문이었지만 한편으로13 미13 국무부13 대표이기도13 했다 년13 월13 정치고 1946 4

문부가13 연합국총사령부의13 외교국이13 되었다 정치고문은13 대일이사회13 미국대표

와13 연합국총사령부13 외교국장13 등13 개의13 자격을13 가졌다3 58

애치슨13 후임으로13 임명된13 시볼드가13 미13 외교계에서13 비중이13 낮았기13 때문에13

정치고문으로서13 역할이13 감소되었다는13 평도13 있지만정병준( 2005a 148

시볼드는13 맥아더의13 신임을13 얻어13 언제든지13 그와13 Hugh Borton 2002 215)

의견13 교환을13 할13 수13 있었다 그는13 맥아더와13 달리13 일본인과13 가능한13 한13 많이13 만

났고 일본천황의13 초청도13 맥아더의13 승인을13 받아13 갔다 그는13 이러한13 노력이13 일

본과의13 관계정상화에13 기여한다고13 믿었다 시볼드는13 년13 월13 중순13 맥아더 1949 8

와13 대화한13 후13 국무부에13 보낼13 강화조약안을13 마련하면서13 조기강화론도13 덧붙였

다 다시13 월13 하순13 그는13 일본을13 주권13 국가로13 회복시키는데13 일본인에게13 스스 9

로13 활력을13 되찾을13 수13 있도록13 해야13 한다는13 생각을13 맥아더에13 보고했고 맥아더

도13 강화조약이13 단순하고13 일반적13 기준으로13 작성되어야13 한다고13 말했다 시볼드

는13 그13 동안의13 강화조약의13 초안13 작성이13 일본의13 군사주의가13 아시아의13 가장13 큰13

위협이13 되므로13 이를13 방지하여야13 한다는13 개념13 아래13 이루어져서13 베르사이유13 조

57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pp 53 243

300

58 외무성편찬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준비대책 p985172 985173 83 1988 竹前榮治 日本占領 985172GHQ p高官 證言 東京 中央公論社の― 985173 132 ldquo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Japan(Atcheson)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Nov 23 1945 FRUS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1969 p 700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2: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62 조성훈

약의13 재판이고 년13 월13 일13 국무부에서13 작성한13 초안은13 여전히13 징벌적13 1949 11 2

태도가13 남아13 있다고13 평가했다 맥아더도13 이를13 싫어했고13 달리13 작성되기를13 원

했다박진희( 2005 18 William J Sebald 1965 62 66-69 243 246

249)59

년13 월13 미13 국무장관13 애치슨 은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을13 1950 4 (Dean Acheson)

위해13 특사로13 덜레스를13 임명함으로써13 조약13 체결과정에서13 새로운13 변수가13 될13 수13

있었다 그는13 한국전쟁이13 일어난13 후13 일본이13 공산주의의13 위협에13 자각할13 것이

라고13 기대하고 이13 기회를13 이용해13 서둘러13 강화교섭을13 서두르도록13 애치슨13 국

무장관에게13 건의했다( 1999 68 U Alexis Johnson 1984 93 五百旗豆眞

152- 이해13 월13 일13 미13 국무장관과13 국방장관13 사이에13 합의한13 합동메모가13 153) 9 7

사실상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되었다 주요13 내용은13 미군이13 일본에13 주둔할13 권리를13

가지고13 있으며 마리아나와13 마셜제도13 등에13 대한13 전략적13 신탁13 통치와13 류큐에13

대한13 배타적인13 전략적13 통제13 등이었다 월13 일13 트루먼13 대통령은13 강화교섭을13 9 8

추진할13 조건에13 대해13 국방부와13 국무부의13 합의13 정리한13 정책문서 를13 (NSC 601)

승인했다 트루먼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덜레스에게13 이13 합동메모를13 토대로13 1951 1

한국전쟁의13 호전13 여부에13 상관없이13 일본과의13 평화조약을13 추진하기를13 기대했

다60

년13 월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인13 앨리슨 이13 덜레스13 평1950 9 (John Allison)

화조약13 초안을13 검토하면서 독도를13 일본령에13 포함시킨13 결정이13 나중에13 분쟁을13

불러일으킬13 수13 있음을13 지적했다61는13 점이13 크게13 부각되기도13 했다 그러나13

년13 월13 중순13 러스크 국무부13 극동국장 앨리슨13 동북아시아13 1950 10 (Dean Rusk)

과장13 등과13 강화조약문제에13 대한13 토의에서13 하보마이 시코탄 오( ) ( ) 齒舞 色丹

59 한13 일본연구자 는13 맥아더가13 독도를13 한국에13 귀속시킨13 초안에13 대해13 이의를13 제( )原君枝

기하면서13 반대로13 독도를13 일본에13 귀속시키도록13 하여13 년13 월13 작성된13 초안에서13 독1949 12

도가13 삭제되었다고13 주장했다 손춘일( 2006 80-81)

60 ldquoTruman to Mr Dullesrdquo Jan 10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군사편찬연구소Foster Dulles HM 1969 ldquoMemo for the Presidentrdquo Sep 7 1951

국방군사연구소 1996 985172미13 국가안전보장회의13 문서- 한국전쟁자료총서13 3985173 pp 602- 604

61 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p 6 「독도13 영유권13 분쟁 미국이13 불

씨13 남겼다」 985172한겨레신문985173 2007 7 10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3: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3

키나와13 등이13 언급되었을13 뿐이었다62

년13 월부터13 년13 월까지 미13 국무부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작성하1950 9 1951 1

면서13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버마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13 등과13 최소한13

한13 차례13 이상13 대개는13 몇13 차례의13 의견13 교환이13 있었다 그13 결과13 대일강화13 원 7

칙을13 수립했다 이13 대13 원칙에서도13 일본의13 조선의13 독립13 승인 류큐와13 오가사 7

와라13 섬들에13 대한13 미국의13 신탁통치13 등만13 언급되었다63

덜레스는13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13 등지를13 돌면서13 대일강화

조약13 초안을13 조정하였다 덜레스는13 년13 월에13 이어13 년13 월과13 월에13 1950 6 1951 1 4

일본을13 방문했다 덜레스는13 년13 월13 일13 도착하여13 주일간13 이상을13 도쿄 1951 1 25 2

에13 머무른13 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과13 공동성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서울은13 2 11

중국군에13 빼앗긴13 상태에13 있었다 그들은13 일본13 재군비문제로13 충돌했다 미국

으로서는13 일본의13 재군비가13 일본이13 자유세계의13 강화에13 공헌하려는13 의사표시

로13 중요했다 또한13 강화13 후13 미군13 주둔을13 확보하기13 위해13 일본에13 대해13 관대한13

평화조약안을13 제시하여13 일본13 측13 교섭자를13 즐겁게13 했다 일본주권의13 회복을13

비롯해13 일본의13 지리적13 지역을13 획정하는13 문제도13 포함되어13 있었다 당시13 맥아

더는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대해13 일본에게13 주권의13 흔적을13 남기는13 데에13 일방적으

로13 반대했다 그러나13 맥아더의13 주장이13 조정되어13 요시다는13 미국13 안에13 그다지13

반대하지13 않고13 협상13 결과에13 크게13 만족을13 나타냈다64 따라서13 덜레스는13 이13 때13

독도13 귀속문제를13 일본13 측에13 묵인한13 것으로13 보인다

덜레스의13 방일13 기간13 중13 개인은13 물론13 정당사회단체에서13 그에게13 수많은13 청

원서를13 보냈다 그13 가운데13 관서상공회의소에서는13 독도문제를13 언급함이13 없이13

쿠릴열도 류큐 보닌13 등의13 섬들이13 역사적으로13 인종적 경제적인13 견지에서13 일

62 「講和問題 關 米國務省係官 談話に する 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3 대미교섭 985173 pp 61-62

63 「 7米國 對日講和 原則の について」 1950 10 14 985172일본외교문서 샌프란시스코평

화조약13 대미교섭985173 p 75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64 ldquoStatements by Dulles and Yoshidardquo Feb 11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ldquoTranscript fro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William J Sebaldrdquo Nov 3 1971 pp 28 31 40 五百旗豆

1999 眞 985172戰後日本外交史985173 pp東京 有斐閣 70-72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4: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64 조성훈

본에13 계속13 귀속되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 일본13 사회민주당13 대표도13 쿠릴열도

남사할린 하보마이 시코탄 오키나와 보닌 토리시마13 등을13 포함한13 동남쪽13

섬들은13 일본이13 확보해야13 한다고13 주장했다65

년13 월13 덜레스는13 강화조약13 조정안을13 미13 의회의13 외교위원회에13 제출했1951 3

고 이어서13 로스앤젤레스에서13 강화조약13 초안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영토관련13 중

에서13 미국이13 류큐와13 보닌제도에13 신탁통치를13 할13 것이고 일본은13 남사할린과13

쿠릴열도를13 소련에13 돌려주도록13 했으나13 독도에13 관한13 사항은13 표현되지13 않았

다66

이에13 따라13 한국정부가13 독도영유권을13 본격적으로13 주장했으나 미국정부는13

lsquo리앙쿠르13 섬rsquo이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고13 결론을13 내린13 탓에13 평화조약에13 일본으로부터13 포기할13 섬의13 대상13 리스트에13 포함시키지13 않았다 미13 국무부는13 한국정

부에13 비 히13 미국의13 입장을13 알렸으나 공개하지13 않았다 이어서13 년13 월13 1951 8

일13 애치슨13 미13 국무장관13 명의로13 주한13 미13 대사에게13 7 ldquo미국13 측13 지리학자나13 한국대사관13 모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찾는데13 실패했다 따라서13 우리가13 이와13 관련13 한13

내용을13 조속히13 듣지13 못한다면 이들13 도서들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권을13 확인하고

자13 하는13 한국의13 제안을13 고려할13 수13 없다rdquo 이석우13 편 는13 전문을13 보( 2006 254)

냈다 이에13 대한13 한국의13 답변도13 들을13 겨를도13 주지13 않고 년13 월13 일13 러 1951 8 10

스크13 차관보는13 한국의13 독도요구에13 대해13 동의할13 수13 없다고13 하면서 그13 근거로13

ldquo미국의13 정보에13 의하면13 리앙쿠르13 섬은13 한국의13 일부로13 취급된13 적이13 한13 번도13 없고13 년경부터13 일본의13 시마네13 현의13 관할13 하에13 있었다1905 rdquo는13 서한을13 한국정부에13 보냈다67 그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을13 위해13 교섭하면서 몇13 가지13 중요13 사항

만13 강력히13 주장하고13 나머지13 사항에13 대해서는13 모두13 양보했다고13 자랑했다딘13 (

65 ldquoLetters addressed to Ambassador to Dullesrdquo RG 59 Confidential US State

군사편찬연구소Department Special Files Japan 1947~1956 Vol 23 HM 1988

66 ldquoStatement by Chairman Connallyrdquo March 9 1951 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미13 국무부13 블루틴」 No 614 1951 4 9

67 「일본13 우익이13 lsquo독도는13 일본땅rsquo 주장하는13 이유 」 985172오마이뉴스985173 2005 4 10 ldquoKenneth

T Young Jr 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 E Allan Lightner

군사편찬연구소American Embassy Pusan Koreardquo Nov 5 1952 HM 1999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NA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5: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5

러스크 그가13 평화조약에13 사소한13 것이라고13 뿌리쳤던13 일13 가 1991 100 124)

운데13 독도문제도13 포함되었을13 것이다 당시13 미13 국무부는13 러스크13 서한13 내용을13

일본13 측에는13 알리지13 않았지만68 이13 서한은13 후에13 독도문제와13 관련된13 미국의13

정책결정에13 중요한13 근거가13 되었다 이는13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영토처분과13 관

련해서13 내세운13 평화조약상의13 명문규정에서13 일반적이고13 간결한13 원칙이석우(

속에13 누락된13 것이13 아니라 미13 국무부가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을13 인2005 117)

정하는13 셈이어서13 강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누락은13 기정사실화13 되었다이창위13 등(

일본에서도13 러스크13 서한으로13 미국은13 한국의13 주장을13 받아들이지13 2006 93)

않고 일본영토의13 범위에서13 명백히13 독도를13 제외시켰던13 것으로13 이해했다쓰카 (

모토13 다카시 1996 64)

주한13 미국대사관측은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국무부의13 인식과는13 차이가13 있었으

나 결국13 국무부13 방침에13 따랐다 즉 독도문제에13 관한13 년13 월13 러스크13 서 1951 8

한을13 들어13 본적이13 없었던13 주한13 미13 대사관에서는13 평화조약13 제 조가13 수정될13 것2

도13 아니고13 그렇다고13 한국의13 주장을13 부인하는13 것으로13 이해하지13 않았다

(Article 2(a) was not to be amended but had no inkling that that

그런데13 주한13 미13 대decision constituted a rejection of the Korean claim)

사관에서는13 년13 월13 일13 국무부13 동북아시아13 과장13 케네스1952 11 14 (Kenneth T

로부터13 편지를13 받고서야13 자신들이13 국무부13 방침과는13 다른13 입장이었Young Jr)

음을13 알았다69

실제로13 일본정부가13 년13 월13 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정부에13 1954 9 25

국제사법재판소13 제소를13 제안했으나 이13 해13 월13 일13 한국정부는13 이를13 거부 10 28

했다 월13 일 주미13 일본13 대사13 시마가13 미13 국무부를13 방문하여13 이에13 대해13 11 17

설명하였을13 때 극동담당13 부차관보인13 시볼드는13 일본이13 그러한13 조치를13 취하는13

것은13 자유라고13 말했다 그는13 한국이13 유엔이나13 국제사법재판소에13 소극적일13 것

68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69 ldquoE Allan Lightner American Embassy Pusan Korea to Kenneth T Young Jr

군사편찬연구소Director Officer of NE Asian Affairs tordquo Dec 4 1952 HM

유엔군사령관13 클라크도13 독도문제에13 관한13 한국의13 강경한13 자세가13 전혀13 터무니없1999

는13 것이13 아니라는13 점을13 이해했다 김동조( 1986 75)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6: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66 조성훈

이므로13 일본의13 주장을13 계속13 유효 하게13 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는13 의견을13 제(alive)

시하여70 일본에13 대한13 지지를13 보냈다 이13 무렵에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여전히13 러

스크13 서한을13 토대로13 한국이13 일본과13 문제를13 해결하기를13 바랐지만 년13 1953 11

월13 말13 미13 국무부13 터너 가13 미국이13 한일양국과의13 관계를13 (William T Turner)

악화시킬13 시간이13 없다고13 지적하면서 양국의13 주장의13 유효성을13 떠나13 손을13 뗄13

것을13 제안했던13 것처럼71 변화의13 조짐이13 있었다 하지만13 년13 월13 당시에도13 1954 6

강화조약13 초안13 당시13 ldquo독도는13 일본주권에13 속한다rdquo는13 분석은13 여전히13 유효해서13 이를13 바꿀만한13 상황이13 발생하지13 않았던13 것으로13 평가되었다72 이후13 러스크13

미13 국무장관은13 년대에13 이르러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이라는13 기존의13 방침13 대1960

신에13 한일13 양국의13 독도공유론을13 제기하였다 즉13 년13 월13 일 그가13 미국 1965 5 17

을13 방문한13 박정희13 대통령에게13 독도문제13 해결을13 위해13 한국과13 일본이13 등대를13

설치해13 공동소유하는13 방안을13 제의했던13 점은13 전후의13 독도에13 대한13 정책이13 문제

가13 있음을13 인식했던13 것으로13 보인다

한국정부의13 대응과13 한계IV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었고13 시볼드가13 부임했지만 년까지1947 1949

도13 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독도가13 한국영토로13 되어13 있었다 미국의13 대일강화조

약의13 특사로13 임명된13 덜레스는13 한국의13 입장에13 비교적13 호의적이었으므로13 아직13

한국의13 주장이13 반영될13 여지는13 있었으나13 너무13 늦었고13 체계적이지13 못했다

정부수립13 이전에는13 더더욱13 조직적인13 대응이13 어려웠다 전후13 한국은13 년간13 3

독립정부를13 갖지13 못한13 상황에서13 새로운13 국가건설을13 둘러싸고13 미소간의13 대립13

속에13 국내정치세력도13 좌우익으로13 나뉘었다 국내정치세력들과13 지도자들은13 신

70 군사편찬연구소ldquoMemo Liancourt Rocksrdquo Nov 17 1954 HM 1999

71 ldquoMemo in Regard to the Liancourt Rocks (Takeshima Island) Controversyrdquo Nov

군사편찬연구소30 1953 HM 1999

72 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Van Fleet Report Files

Defense - Special Assistant 1954 Bo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7: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7

탁통치와13 미 소공동위원회13 개최 한국문제의13 유엔이관 남북협상13 등에13 골몰

한13 나머지13 미13 공군의13 독도폭격사건을13 제외하고는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거의13 관심

이13 없었다

년13 월13 맥아더는13 일본과13 평화조약에13 대한13 구상을13 공표했고 이13 해13 1947 3 7

월13 일13 극동위원회에서13 11 ldquo일본의13 주권은13 혼슈 홋카이도 큐슈 시코쿠와13 금

후13 결정될13 수13 있는13 제소도에13 한정될13 것이다rdquo라고13 하는13 대일13 기본정책을13 발표했다 이13 때13 일본에서는13 ldquo독도는13 일본영토다rdquo라는13 여론이13 크게13 일어났다 이

에13 대응하여13 한국산악회를13 중심으로13 울릉도 독도학술조사단을13 파견하였다신석호 김영구( 1965 16 2002 127 William J Sebald 1965 244)

년13 월13 일1948 1 27 lsquo남조선13 과도입법의원rsquo 명이13 대마도13 반환요구청원서 60

를13 제출했다 그13 후13 월에13 애국노인회에서13 독도 대마도 파랑도에13 대한13 영유 8

권13 주장을13 담은13 청원서를13 연합국총사령부에13 제출했고 이13 무렵13 이승만13 대통

령도13 대마도13 반환요구를13 언명했으며13 이듬해13 월13 다시13 이를13 언급했다 이승만13 1

대통령이13 대마도13 반환을13 요구한13 것은13 대일배상요구를13 위한13 강경한13 제스처였

다 그러나13 당시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는13 이미13 대마도를13 일본령으로13 간주했기13

때문에13 외교국장13 시볼드는13 크게13 반발했다박진희 강로향( 2005 6 27

1966 31- 년13 월 일본에13 한국대표부를13 설치하면서 이승만13 대통령32) 1949 1

은13 주일대사가13 대표부사무실에13 출근하는13 것이13 아니라13 연합국총사령부로13 출

근한다는13 각오로13 총사령부와13 긴 한13 유대를13 강조했다 그러나13 대까지13 평균13 5

개월13 밖에13 지나지13 않는13 초기13 대사의13 잦은13 교체는13 당시13 현안인13 대일배상문7

제 교포의13 법적13 지위와13 그13 처우13 등의13 해결에13 도움이13 되지13 못했다강로향 (

1966 31- 김동조 정병준34 1986 19 2005a 152-153)

주일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도13 미13 군정의13 국무부13 관리를13 통해13 한국에13 관한13 보

고서를13 정기적으로13 받았고 한국13 인사를13 만나거나13 직접13 방문하기도13 했다

년13 월13 하순 신성모13 국방장관이13 로버츠 주한13 미13 군1949 10 (William Roberts)

사고문단장과13 일본을13 방문해서13 시볼드를13 만난13 적이13 있었다 이때13 주로13 국군

의13 방위능력에13 대해13 논의했다 시볼드는13 (William J Sebald 1965 177 182)

년13 월13 하순13 제섭 대사의13 한국13 방문시13 동행하여13 이승1950 1 (Philip C Jessup)

만13 대통령을13 방문했고 국회를13 찾았다 73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이나13 변영태13 외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8: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68 조성훈

무장관13 등은13 덜레스나13 시볼드가13 일본에13 동정적이라고13 인식했다 프란체스카13

여사는13 시볼드가13 아무리13 한국에13 대해13 편견을13 가지지13 않으려고13 노력한다13 해도13

일본에13 우호적이었다고13 이해했다74 그러나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적극적인13 대응

은13 하지13 못했다

년13 월13 일 장면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러스크를13 방문하여13 대일강화조약1950 4 3

문제의13 진전을13 묻고13 한국은13 일본의13 압제에13 의한13 가장13 큰13 피해국의13 하나라는13

점을13 상기시켰다75 그13 후13 같은13 해13 월13 일13 장면13 대사는13 한국을13 곧13 방문할13 6 3

예정이던13 덜레스를13 만찬에13 초청했다 월13 선을13 방문하면서13 국군이13 장비13 면 5 38

에서나13 인력13 면에서13 매우13 부족함을13 절감했던13 그는13 덜레스에게13 시급한13 두13 가

지13 특별13 요청을13 했다 첫째는13 선을13 직접13 눈으로13 보고13 확인해달라는13 것이었 38

다 북한이13 한국을13 공격해오면13 우리는13 그들과13 맞서13 싸울13 수13 없을13 정도로13 빈

약하므로13 선을13 보지13 않으면13 한국에13 가는13 의미가13 없다면서 시찰13 후13 미국에13 38

돌아와13 국무부와13 관계당국을13 설득하여13 더13 많은13 군사원조를13 할13 수13 있도록13 해

달라고13 말했다 둘째는13 국회에13 나가13 한국에13 어떤13 상황이13 일어난다고13 해도13 미

국을13 지켜낼13 것이라는13 연설을13 요청했다76 그러므로13 이13 시기에13 장면은13 일본

과의13 평화조약13 문제에13 대해13 언급할13 여유가13 없었다

하지만 전쟁13 중임에도13 불구하고13 한국13 정부는13 대일강화조약에13 참가할13 의지

가13 강했다 이승만13 대통령은13 년13 월13 일13 국회에서13 시정연설을13 하면서13 1948 9 30

대일강화회의에13 참가하도록13 연합국에13 요청한13 적이13 있었다 년13 월13 장면13 1951 1

대사가13 미13 국무부에13 한국의13 대일강화조약13 협상과13 서명에13 참가를13 요청했을13

때 덜레스로부터13 긍정적인13 답변을13 받았으므로13 한국13 정부에서도13 대일강화회

의에13 참가할13 수13 있을13 것으로13 기대했다 박진희 김동조( 2005 22 1986 12)

73 ldquo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rdquo January 28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p 19-23

74 「이승만이13 필립13 한에게」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951 4 13 「프란체스카여사가13 올리버13 박사에게」 같은13 문서철 1954 11 5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Dr Pyun Yung Tairdquo Sep 29 1964 pp

9-12

75 ldquoMemo Situation in Koreardquo April 3 1950 FRUS Vol VII Korea 1950 p 42

76 ldquoTranscript of Dulles Oral History in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Chang Myunrdquo Nov 3 1971 pp 7-9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29: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69

이미13 맥아더13 장군은13 년13 월13 일13 도쿄에13 들린13 한국의13 합동통신사13 사장13 1947 3 27

김동성과13 회견에서13 ldquo앞으로13 열린13 강화회의에13 한국도13 당연히13 대표를13 보낼13 것이라고13 말했고 무초 주한13 미국13 대사도13 한국을13 강화회의에13 (John J Muccio)

참가시키도록13 본국13 정부에13 건의했다다카사키13 소우지( 1998 18)

그러나13 한국의13 연합국13 지위13 요구에13 대해13 미13 국무부에서13 미온적인데다가13

일본이13 크게13 반발했기13 때문에13 한국은13 제외되었다 년13 월13 일13 요시다13 1951 4 23

일본13 수상은13 덜레스와의13 비 회담에서13 lsquo한국13 참여13 불가론rsquo을13 제시했다77 이

에13 대해13 변영태13 외무부장관은13 ldquo원래13 평화는13 이웃에서부터13 출발해야13 하고 또

한13 적대성이13 있는13 곳에13 실현되어야13 한다rdquo고13 주장하면서13 대일강화조약에서13 한국이13 제외된다는13 것은13 ldquo불합리의13 절정rdquo이라고13 비판했다78 이승만13 대통령도13

한국이13 대일강화회의13 정식13 조인국에서13 제외된데13 대해13 ldquo우리는13 설사13 민주주의13 병기창에서13 무기대여를13 받지13 않았다13 하더라도13 우리는13 어떠한13 다른13 나라보다

도13 장구한13 세월을13 두고13 일본과13 투쟁하여13 왔다 또13 우리는13 그13 위치상으로13 보

아13 대일관계가13 항상13 우리13 자신뿐만13 아니라13 동양의13 안전과13 평화를13 유지함에13

있어서도13 가장13 중요한13 의미를13 띠우고13 있는13 것이다 나는13 이와13 같이13 명백한13

사실에13 대하여13 의문을13 품는13 자가13 있다고는13 생각할13 수13 없다rdquo면서13 제외된13 이유를13 이해할13 수13 없다고13 비판했다79

년13 월13 하순13 미13 국무부가13 한국정부에13 강화조약13 시안을13 수교하면서1951 3

한국정부의13 대응도13 본격화되었다 이13 초안은13 월13 일13 주미13 한국대사관을13 통 3 27

해13 이송되었으나 대통령13 비서실에서13 처리를13 하지13 않고13 있었다김동조 ( 1986

우리나라에서13 대일강화초안을13 먼저13 알게13 된13 사람은13 법무부13 법무국장13 홍10)

진기였다 그는13 년13 월13 말13 강화조약13 초안이13 실린13 1951 3 985172아사히신문985173을13 보고

그13 내용13 중13 우리나라와13 이해관계가13 있는13 부분이13 적지13 않고13 귀속재산13 처리규

정이13 불리할13 것이라는13 판단13 아래13 유진오를13 찾아갔다 그는13 조13 항에13 한국 2 A

의13 부속도서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만13 명시되어13 있어서 부속도서의13 범위

77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일본13 비 외교의13 승리 httpblogkoreakrmainlog- ― 「 」년13 월13 일13 열람printdoblogld(2007 7 15 )

78 변영태 「대일강화조약에13 대하여」 1951 8 20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p 236-237

79 985172대구매일신문985173 1951 9 6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0: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70 조성훈

에13 전부를13 열거할13 필요는13 없지만13 한일간의13 분쟁이13 있을13 수13 있는13 독도와13 같은13

곳은13 한국영토임을13 평화조약에13 명기해야겠다는13 생각을13 했다 수소문13 끝에13 초

안을13 찾아 장면13 총리와13 김준연13 법무장관이13 이13 대통령을13 만나13 ldquo귀속재산13 처리와13 영토문제를13 수정해야13 한다rdquo고13 설명했으나 이13 대통령은13 주일13 연합국총

사령관13 맥아더가13 선처할13 것을13 약속했으므로13 조약의13 수정요청이13 필요13 없다는13

입장이었다다카사키13 소우지 당시13 이승만13 대통령은13 일본이13 대일( 1998 19)

강화조약이13 비준될13 때까지13 재일교포만13 다루고13 다른13 사항은13 미루기로13 주장하

는13 등80 적극적이지13 못했다

다행히13 년13 월13 일 외무부에13 설치된13 1951 4 16 lsquo대일강화회의13 준비위원회rsquo에서는13 영토문제에13 관해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외에13 독도와13 파랑도를13 넣기로13 했다 파랑도는13 실재13 여부가13 확실치13 않았으나13 비록13 실존하지13 않더라도13 해로

울13 것이13 없다는13 의견을13 모아13 포함시켰다81

미국정부는13 년13 월13 일 대일강화조약13 차13 초안을13 한국13 정부에13 보냈1951 7 7 2

다 이는13 월13 일13 성안되어13 월13 일13 수정된13 미 5 3 6 14 영13 합동초안이었다 이에13

대해13 월13 일 양유찬13 주미13 한국대사는13 덜레스를13 방문하여 독도의13 영유권13 7 19

인정 맥아더라인13 존속 재한13 일본재산의13 한국에의13 양도13 등에13 대한13 의견서를13 전달했다 그는13 한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있는13 파랑도와13 독도를13 대한민국이13 소

유하기13 위해 또한13 한일13 간에13 어업권을13 위요한13 분쟁이13 발생하지13 않도록13 맥아

더라인을13 유지할13 목적으로13 한국이13 대마도를13 요구하는13 대신에13 파랑도와13 독도

를13 요구하고13 있다고13 말하였다 이13 때13 덜레스는13 일본이13 한국을13 병합하기13 전에13

독도가13 한국령이었는가를13 물었고 이에13 대해13 양유찬13 대사는13 그렇다고13 답변했

다 덜레스는13 그렇다면13 일본이13 포기해야13 하는13 영토에13 독도를13 포함시키는13 것

은13 문제가13 없다고13 대답하는13 등13 대단히13 동정을13 가지고13 있으며13 한국의13 이13 요구

80 한일관계 년13 말이나13 년13 초13 메모 이승만1951 1952 「 」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

81 조선일보 동아일보사13 편 제 공화국1951 9 22 1975 1 5 pp985172 985173 985172 985173 유진오218-219

는13 년13 월13 한국산악회 회장13 홍종인 가13 해군협조를13 얻어13 해도에13 표시된13 해상을13 1951 8 ( )

답사했지만13 발견하지13 못함으로써 실재하지13 섬을13 영토라고13 주장함으로써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실수를13 저질렀다고13 회고했으나 중국과의13 분쟁을13 대비하는13 결과를13 낳았다 이렇

게13 파랑도는13 그13 실재여부에13 논란이13 있었으나13 년13 제주대학교13 팀의13 조사로13 실체가13 1984

확인되었고13 년13 월13 교통부13 수로국에서13 수심13 측량 조석13 관측을13 실시했으며13 1986 10

년13 이어도13 종합해양과학기지가13 구축되었다200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1: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1

를13 검토한13 후13 자기에게13 회답하여13 주겠다고13 약속하였다82

변영태13 외무부장관도13 년13 월13 일13 1951 8 1 ldquo대일강화조약13 초안에13 있어서13 한국의13 입장은13 불리한13 것이13 아니라고13 낙관적이었다 그는13 초안13 제 조에13 있어13 한 2

국의13 독립을13 승인함과13 동시에13 제주도 울릉도 거문도 독도13 등을13 포함한13 대일13 합병13 당시13 한국13 소유의13 영토를13 년13 월13 일부터13 방기할13 것과13 제 조에13 1945 8 9 4

있어13 일본은13 년13 월13 일13 후13 한국에13 있는13 법인을13 포함한13 일본13 및13 일본13 1945 8 9

국민의13 재산과13 한국인에13 대한13 모든13 청구권을13 방기할13 것13 등을13 주장했다 그리

고13 대마도에13 있어서는13 만일13 한국13 소유13 영토로서13 귀착된다면13 수락하겠지만13 그

렇지13 않는13 경우에는13 유엔13 탁치로써13 비무장지대로13 규정하기를13 요구하면서 아

울러13 맥아더라인13 문제는13 연합국총사령부에서13 어떠한13 새로운13 협정을13 세워주

지13 않는13 한13 현13 라인을13 존속시키지13 않으면13 안13 될13 것이라고13 말했다83 월13 일13 8 3

양유찬13 주미대사도13 대한민국을13 일본에13 대한13 참전국으로13 인정하여13 강화조약13

조인식에13 참가함이13 허용되어야13 하고 일본은13 파랑도와13 독도에13 대한13 요구를13

철회할13 것13 등을13 요구했으며 외무부에서도13 독도가13 한국의13 영토임을13 증명하는13

물적13 증거와13 자료를13 수집하여13 관련13 자료를13 월13 일13 보냈다9 1 84 그러나13 러스크13

서한에서13 드러나듯이13 미국정부는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인정 맥아더라인의13 존

속13 주장에13 대해13 거부했다

한국은13 독도문제를13 둘러싸고13 미국과13 협상하는13 과정에서13 다른13 나라의13 지지

를13 확보하지13 못했다 영국이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에서13 독도를13 한국영토에13 포함

시켜13 한때13 한국의13 입장을13 반영한13 듯13 보였으나정병준 그13 외의13 ( 2005b 152)

극동위원회13 국가13 가운데13 독도문제에13 대해13 관심을13 가진13 나라는13 없었다 영국

의13 초안도13 미국과13 협의과정에서13 독도는13 lsquo일본13 영토rsquo나13 lsquo일본이13 포기해야13 할13 지역rsquo 양쪽에서13 다13 빠지고13 말았다 이미13 쓰카모토는13 독도가13 한국령으로13 작성

된13 영국13 초안이13 미국과13 공동초안을13 작성할13 때 한국의13 영역으로13 규정될13 도서

로서13 제주도 거문도 울릉도13 등13 개13 도서만13 언급되고13 독도는13 언급되지13 않았 3

다고13 지적했다쓰카모토13 다카시 이러한13 과정13 속에13 이루어진13 대( 1996 57)

82 985172서울신문985173 한표욱1951 7 21 985172한미외교요람기985173 pp 298-300

83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3

84 985172민주신보985173 1951 8 6 9 1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2: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72 조성훈

일평화조약에13 대해 러스크는13 소련과13 그13 위성국가를13 제외한13 모든13 국가의13 지

지를13 받았다고13 만족했다딘13 러스크( 1991 124)

미국과13 영국13 등에13 의한13 전후처리는13 처음부터13 제한적인13 요소가13 있었다 소

련 중국 인도13 등은13 미국13 주도에13 의한13 강화조약과13 미국의13 오키나와13 보닌제도

에13 대한13 신탁통치에13 대해13 카이로선언이나13 포츠담선언13 어디에도13 이들13 지역에13

대한13 미국의13 주장이13 언급되어13 있지13 않다고13 반대했다85 그러나13 냉전시대에13

더군다나13 반공주의적13 이승만13 정부는13 이들13 국가와13 접촉을13 하려는13 시도도13 있을13

수13 없었다 미국에서도13 맥카시13 선풍으로13 빈센트 보톤 (John C Vincent)

등이13 국무부에서13 다른13 곳으로13 전출가거나13 대학으로13 옮겼다(Hugh Borton)

(Hugh Borton 2002 216- 다행히13 냉전의13 종식으로13 앞으로13 독도13 영유217)

권13 문제에13 대해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과13 협조가13 가능할13 것이다 (Ruben

Kazariyan 2006 75-76)

한편13 한국정부는13 대일평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강요하지13 못하자 샌프란시스코13 강화조약13 체결13 직후13 lsquo맥아더라인rsquo의13 철폐를13 예상하여13 수산자원13 보호와13 한일13 간의13 어업분쟁을13 방지하기13 위해13 년13 월13 1952 1

일 국무원13 고시13 제 호로13 18 14 lsquo대한민국13 인접해양에13 대한13 대통령의13 주권선언rsquo 즉13 평화선을13 발표했다 평화선은13 한일간의13 어업권의13 경계를13 표시한13 것이지만

이13 평화선에13 독도가13 포함됨으로써13 미국과13 일본의13 정책에13 크게13 대립하게13 되었

다 이미13 이13 선언은13 년13 월13 일13 샌프란시스코13 회의가13 열리기13 하루13 전인13 1951 9 8

일 제 회13 임시13 국무회의를13 통과했다한표욱 이에13 대해13 일본13 7 98 ( 1984 314)

정부는13 년13 월13 일13 1952 1 28 ldquo일본13 영토인13 이13 섬에13 대한13 한국의13 주장을13 인정하지13 않는다rdquo는13 내용의13 항의문을13 우리13 정부에13 보내13 왔다 한국13 정부는13 월13 2 12

일13 반박13 항의문을13 일본13 정부에13 보냈고 이를13 일본13 정부가13 반박하면13 다시13 반

박하기를13 반복했다86

평화선이13 선포된13 지13 개월13 뒤인13 년13 월13 하순13 유엔군13 사령관13 클라크8 1952 9

85 「 1 7 講和條約 第 對日平和條約 關 合衆國 原則提案 蘇聯 回答及に する の と号周恩來聲明」 1950 12 William J Sebald ldquo日本外務省史料館 With Macarthur in Japanrdquo pp 259-260

86 「우리13 측13 lsquo독도분쟁은13 없다rsquo 단호 한 일13 영유권분쟁13 역사」 985172한국일보985173 1997 8 27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3: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3

가13 한국전쟁의13 작전상13 북한군의13 잠입을13 막고13 전시13 수출(Mark W Clark)

입을13 봉쇄하기13 위해13 한반도13 주변에13 해상방위선을13 설정했다이원덕( 1996

49- 클라크라인으로13 일컬어진13 이13 선의13 안쪽13 수역이13 평화선의13 안쪽13 수역50)

과13 거의13 겹쳐서13 평화선13 선포를13 간접적으로13 지원했기13 때문에13 한국정부로서는13

여러모로13 유리한13 입장에13 서게13 됐다

이승만13 라인이13 제기된13 배경에는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13 맥아더라인이13

폐지되었지만 일본어선의13 침범과13 북한의13 간첩활동이13 증가되어13 한국13 정부는13

자위의13 견지에서13 해상방위가13 절대13 필요했기13 때문이었다 평화선은13 년13 일 1905

제가13 시마네현13 고시로13 빼앗아간13 독도를13 한국영토로13 공표했다는13 점에서13 한국

외교사상13 중요한13 의미를13 지녔다87

한국정부는13 평화선이13 맥아더라인을13 재천명한13 것이라는13 입장이었다 대일평

화조약이13 일본인들에게13 맥아더라인을13 수용하도록13 조약을13 수정하는13 데13 실패

했기13 때문에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의13 유지가13 정당하다고13 주장했다 그리고13

한국정부는13 일본이13 맥아더라인을13 상호조약으로13 인식할13 준비가13 될13 때까지13 lsquo침입rsquo 방지를13 위한13 한국해군의13 병력13 사용에13 대해13 입장을13 분명히13 했다 88 이13 처

럼13 샌프란시스코조약13 이후에도13 한국정부는13 맥아더라인이13 명칭이13 무엇이든지13

간에13 평화선으로13 무슨13 대가를13 치르더라도13 지킬13 작정이었다89 나아가서13 한국

군13 연합참모본부에서는13 년13 월13 일 정일권13 육군참모총장을13 비롯해13 해1956 1 31 공군13 및13 해병대대13 사령관의13 공동명의로13 유엔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해13 적의13 침략

으로부터13 한국을13 보호하기13 위해13 평화선과13 한국해상방위선을13 일치시킬13 것을13

제안했다90

이처럼13 한 일13 양국13 수역13 안에13 평화선이13 선포되어13 있었지만 일본13 어선들

은13 맥아더라인13 때와13 마찬가지로13 여전히13 한국13 측의13 전관수역을13 침범하여13 불법

87 김동조13 회고록 나와13 이승만대통령 문화일보 (5) 1999 7 17「 」 985172 98517388 미국13 국무부13 정책연구과13 문서(Documents of the Division of Historical Policy

한국전쟁13 자Research of the US State Department Korea Project File Vol X)

료총서13 35 pp 251-255

89 변영태 「한국13 어로관리구역에13 대해서」 1952 5 2 985172나의13 조국985173 p 247

90 공보실 「유엔군13 당국13 및13 미국에13 대하여13 한국의13 평화선과13 해상방위선의13 일치를13 제안한13 군13 수뇌부의13 공동성명」 외무부1956 1 31 985172동아일보985173 1956 2 1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4: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74 조성훈

어로작업을13 계속했다 한국정부로서는13 해군력을13 동원해13 일본어선을13 나포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고13 결국13 양국간의13 긴장이13 고조되었다 년까지13 한국13 정부에13 1965

의해13 나포된13 일본어선이13 모두13 척이고13 억류된13 어부들은13 명이었다326 3904 (上

이에13 대해13 일본이13 강력히13 반발하면서13 한일간의13 갈등은13 1955 81) 野昻志첨예화되었다 년13 월13 일 요시다13 수상은13 이승만13 라인을13 결코13 인정하지13 1954 1 8

않을13 것이라고13 선언하면서 그13 해결은13 일본의13 국력에13 의해13 이루어질13 것이라

고13 항의했다91

당시13 국제적으로13 영해13 해리와13 공해13 자유의13 원칙이13 확고한13 때여서 평화선3

은13 국제법과13 국제관례에13 위반되는13 것이라는13 비난에13 부딪혔다 미국정부는13 평

화선이13 해상에서13 마일에13 대해13 배타적13 어업권을13 주장하는13 법률적으로13 50~200

성립되지13 않는13 혹은13 지지할13 수13 없는 것으로13 공해의13 자유(legally untenable)

원칙을13 위반한13 것이므로13 이에13 반대한다는13 뜻을13 한국정부에13 몇13 번13 알렸다 그

들은13 이13 문제가13 유엔과13 같은13 곳에서13 공론화되지13 않으면13 한국정부를13 지지할13

수13 없다고13 했다92 이에13 대해13 한국정부는13 미13 국무부에13 평화선13 문제에13 대한13

중재자의13 임명을13 요청했으나 그들은13 한국의13 평화선을13 지지하지13 않는다고13 재

확인했다93

맺음말V

이상에서13 살펴본13 대로13 미국의13 전후처리13 과정에서13 독도문제가13 해결되지13 못

한13 채13 오늘날까지13 한일간의13 갈등의13 요인이13 되고13 있다 미국을13 비롯한13 연합국

측이13 ldquo일본은13 폭력과13 탐욕에13 의해13 약탈한13 모든13 지역으로부터13 축출될13 것rdquo이라

91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사편찬위원회13 소장1954 7 22

92 ldquoPosition Paper Korea-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Japan Relationrdquo Nov 1961

소편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1999 pp 593-594

93 「한일관계13 메모」 이승만13 서한철 국편1954 7 22 ldquoBackground Paper Korean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편Japanese Relationsrdquo May 18 1962 1999 9851725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 p 252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5: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5

는13 카이로선언의13 정신에13 의해13 일본의13 대외팽창이13 시작된13 청일전쟁13 이전시기

까지13 전쟁책임을13 소급시켰다면13 독도문제는13 이미13 해결되었을13 것이다 일본13 측

도13 전쟁말기13 스즈키13 수상이13 카이로선언의13 취지대로13 일본의13 독립을13 보장받는13

대신13 메이지13 유신13 이전13 영토로13 축소하려는13 점을13 수용하려13 했던13 정신으로13 되

돌아갔다면13 독도분쟁은13 제기되지도13 않았을13 것이다

한13 때13 연합국총사령부13 훈령13 제 호나13 제 호로13 한국의13 독도영유권을13 677 1013

인정한13 듯13 했던13 미국13 측은13 일본의13 항복이후13 그들에13 대한13 분노는13 점차13 사라진

데다가13 년13 중반13 이후13 냉전이13 본격화되면서 카이로선언과13 포츠담선언에13 1947

명시된13 정신에13 의하지13 않고13 동아시아에서13 미국의13 이익을13 관철시켰다 이13 과

정에서13 이루어진13 미국의13 대일유화정책13 속에서13 일본정부가13 독도에13 대한13 영유

권을13 적극적으로13 주장하기에13 이르렀고13 독도를13 불모지로13 인식하여13 그13 가치를13

중시하지13 않았던13 미국은13 일본의13 영유권13 주장에13 동조하고13 말았다 독도의13 귀

속문제를13 둘러싸고13 연합국총사령관의13 정치고문인13 시볼드13 의견이13 중요한13 계

기가13 되었지만 그의13 안은13 맥아더도13 동의했고13 미13 국무부에서도13 인정했던13 것

이다 미국의13 이러한13 입장은13 일본13 외무성이13 밴13 플리트13 장군13 문서와13 러스크13

서한을13 적극13 활용하고13 있는13 것처럼 전후13 한국과13 일본이13 역사적13 화해를13 제대

로13 이루지13 못하게13 만드는13 데13 중요한13 한13 원인을13 제공하였다

패전13 직후부터13 시작된13 일본의13 준비와13 미국에13 대한13 설득에13 비해13 한국의13 대

응은13 너무13 늦었다 한국정부는13 이미13 미국과13 일본13 사이에13 영토문제가13 거의13 확

정된13 후에13 독도의13 영토주장을13 본격화했다 또한13 이13 과정에서13 냉전체제13 아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13 미국의13 대일정책에13 반대하는13 세력과13 협력할13 수13 없었으

므로13 국제사회에서13 우리13 측13 주장에13 동조하는13 지지세력을13 확보할13 수13 없었다

따라서13 냉전이13 종식된13 오늘날13 독도의13 귀속문제는13 연합국의13 전후처리13 정신

이13 미국과13 소련의13 냉전체제13 아래13 왜곡된13 점을13 지적하여야13 한다 특히13 미국13

측은13 독도문제에13 관해13 방관자적13 위치에13 있지13 않았으므로13 일본의13 독도영유권

을13 지지했던13 러스크13 서한과13 밴13 플리트13 보고서13 등의13 작성13 경위를13 비롯해13 연합

국총사령부와13 국무부 합참13 사이에13 논의되었던13 내부문서의13 공개와13 적극적인13

해결책을13 제시할13 책임이13 있다 한일13 국교정상화를13 위한13 청구권13 문제에13 있어

서13 한국의13 배상권13 외에13 일본13 측도13 한국에13 청구권이13 있다고13 주장을13 해왔으나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6: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76 조성훈

미국정부가13 년13 월과13 년13 월13 1952 4 1957 12 ldquo일본은13 한국에13 대해13 구일본인13 재산청구권을13 주장할13 수13 없다 그러나13 이13 사실은13 한일간13 재산청구권을13 해결하는

데13 있어13 감안되어야13 한다rdquo94고13 회답함으로써13 일본13 정부는13 미국13 측13 각서를13 수

용한13 사례에서13 보듯이13 독도문제에13 있어서도13 미국의13 인식태도가13 중요하다

끝으로13 소련과13 동구권이13 붕괴되면서13 대일강화조약의13 체결13 무렵13 냉전적13 이

해관계에13 따라13 지지를13 받지13 못했던13 러시아 중국 인도13 등의13 협력을13 받을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13 만큼13 독도문제의13 해결을13 위해13 객관적인13 여건이13 형성되었다고13

할13 수13 있겠다 국제사회에서13 우리의13 입장을13 지지해줄13 세력을13 확보하려는13 노

력이13 계속13 필요하다

참고문헌

차13 사료lt1 gt

고려대13 아세아문제연구소13 일본연구실13 편 한일관계자료집 고려대출판부 1976 1 985172 985173국방군사연구소13 편 한국전쟁자료총서 국방군사연구소 1996~1997 3-7 985172 985173외무부 독도관계자료집13 외무부 1977 1 985172 985173이석우편 대일강화조약13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06 985172 985173정용욱 이길상13 편 해방13 전후13 미국의13 대한정책사13 자료집 다락방 1995 1-2 985172 985173한국정신문화연구원13 현대사연구소13 편 1999 5985172 과13 박정희13 정부의13 수립16 985173한영구 윤덕민13 편 현대13 한일관계13 자료집 오름 2003 1 985172 985173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등 985172 985173 985172 985173 985172 985173

2006 外務省編纂 平和條約 準備對策 日本外務省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2007 外務省編纂 日本外交文書 平和條約 大米交涉 東京サンフランシスコ985172 985173

外務省ldquoPresent Status of Japan-Korea Relationsrdquo June 16 1954 Defense - Special Assistant

Van Fleet Files 1954 Bx 11 Record Group 330 National Archives

ldquoVan Fleet Missionrdquo 1954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Program Far East

George C Marshall Library and Archives

군사편찬연구소Japanese Peace Treaty Papers John Foster Dulles HM 1969

94 민주공화당선전부 1965 985172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985173 pp 20- 대한민국정부13 편21 1997

985172한일회담13 합의사항985173 민속원 p 34 中保與作 985172日韓新時代985173 pp 143-146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7: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7

차13 사료lt2 gt

논문1)

김영구 독도13 영유권13 문제에13 관한13 기본입장의13 재정립 독도학회13 편 독도영유 2002 「 」 985172권13 연구13 논집 독도연구보전협회 985173

김진홍 일본에13 의한13 독도13 침탈과정과13 연합국에13 의한13 독도13 분리과정에13 관한13 고 2006 「찰 독도조사연구학회 독도논총 1-2」 985172 985173

렴춘경 일본13 반동들의13 독도강탈행위와13 그13 부당성 력사과학 2001 2001-3「 」 985172 985173박진희 전후13 한일관계와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2005 「 」 985172 985173

131

벤자민13 시벳 독도냐13 다케시마냐 일본과13 한국간의13 영토분쟁 동북아의13 평화를13 2006 「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II 985172 985173

손춘일 한일독도분쟁에13 대한13 중국의13 인식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 2006 「 」 「제질서와13 독도 」

쓰카모토13 다카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3 시13 독도13 누락과정13 전말 한국군사문 1996 lsquo rsquo 「 」제연구원 한국군사 3985172 985173

오제연 평화선과13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 2005 14「 」 985172 985173이부균 한일13 독도13 영유권13 분쟁과13 미국의13 입장 단국대13 정치외교학과13 박사학위 1999 「 」

논문

이상면 독도13 영유권의13 증명 서울대13 법학 2001 42-4「 」 985172 985173이석우 독도분쟁과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의13 해석에13 관한13 소고 서울국제법연 2002 「 」

구원 서울국제법연구 9-1 985172 985173이석우 2005 「 년13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에서13 독도의13 영토13 처리13 과정에13 관한13 연구1951 」

고구려연구재단 북방사논총 7 985172 985173정병준 윌리암13 시볼드와13 독도분쟁의13 시발 역사비평 2005a lsquo rsquo 71 「 」 985172 985173정병준 영국13 외무성의13 대일평화조약13 초안 2005b 「 부속지도의13 성립 과13 한국13 (1951 3)

독도13 영유권의13 재확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4 」 985172 985173정병준 한일13 독도영유권13 논쟁과13 미국의13 역할 역사와13 현실 2006 60 「 」 985172 985173정성화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과13 한국 1990 「 미국 일본의13 외교정책의13 고찰 명지대13 」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7 985172 985173조선민주주의13 인민공화국13 력사학학회 독도는13 그13 누구도13 침범할13 수13 없는13 조선의13 2002 「

신성한13 령토이다 력사과학1-2 2002 2-3」 985172 985173조성훈 북한의13 한일협정13 인식과13 남북협력방안 한국현대사연구회 근현대사강 1999 「 」 985172

좌 11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국제법적13 쟁점13 분석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권13 2003 「 」 985172

연구사 2003985173호사카13 유지 샌프란시스코13 평화조약13 조문작성과정에서13 본13 독도문제13 대한민 2006 2 「 」

국순국선열유족회 순국 186985172 985173홍성근 독도폭격사건의13 진상규명과13 주요13 쟁점 독도학회13 편 한국의13 독도영유 2003 「 」 985172

권13 연구사 985173독도는13 명실공히13 우리나라의13 고유한13 령토 공훈과학자13 리영환을13 만나다 조선 2005 「 」 985172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8: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78 조성훈

녀성 2005~6985173독도의13 문제점에13 관하여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Ruben Kazariyan 2006 「 」 「

국제질서와13 독도 」동해상의13 독도 영남대13 독도연구소 동아시아의13 국제질서와13 Valery Glushkov 2006 「 」 「

독도 」Sean Fern 2005 ldquoTokto or Takeshimardquo Stanford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5-1

단행본2)

강로향 주일대표부 동아 연구소13 출판부 1966 PR 985172 985173김동조 회상13 년13 한일회담 중앙일보사 1986 30 985172 985173김병렬13 외 한일전문가가13 본13 독도 다다미디어 2006 985172 985173김영구 독도영유13 주권의13 위기 려해연구소 2006 985172 985173김용식 새벽의13 약속 김영사 1993 985172 985173다카사키13 소우지 김영진13 역 검증13 한일회담 청수서원( ) 1998 985172 985173동북아의13 평화를13 위한13 바른역사정립기획단 독도논문번역선 다다미디어 2006 II 985172 985173딘13 러스크 홍영주( 정순주13 역 냉전의13 비망록 시공사) 1991 985172 985173민주공화당선전부 한일국교정상화13 문제 1965 985172 985173변영태 나의13 조국 자유출판사 1956 985172 985173송병기13 편 독도영유권자료선 한림대13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985172 985173송병기 고쳐13 쓴13 울릉도와13 독도 단국대출판부 2005 985172 985173신용하13 편저 독도영유권13 자료의13 탐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000 3 985172 985173안재홍선집13 간행위원회13 편 민세13 안재홍선집 지식산업사 1980 2 985172 985173이원덕 한일과거사13 처리의13 원점 서울대출판부 1996 985172 985173외무부편 외무행정의13 년 1959 10 985172 985173외무부 1961 第六次韓日會談 平和線985172 一般請求權 船舶委員會 會議錄985173원용석 한일회담13 년 삼화출판사 1965 14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관계참고문서집 외무부 1958 985172 985173외무부 한일회담백서 대한민국정부 1965 985172 985173이창위13 등 동북아지역의13 영유권분쟁과13 한국의13 대응전략 다운샘 2006 985172 985173지철근 평화선 범우사 1979 985172 985173최장근 일본의13 영토분쟁 백산자료원 2005 985172 985173최장근 독도의13 영토학 대구대13 출판부 2008 985172 985173한국외대13 독도문제연구회 자료집 독도의13 어제와13 오늘 1995 985172 985173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985172 985173

김일상13 역 일본해군국방사상사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2000 石川泰志 985172 985173 1967 高木㧾吉 太平洋戰爭 陸海軍 抗爭 東京 經濟往來社と の985172 985173 1985 金原左門 戰後史 焦點 東京 有斐閣の985172 985173

1967 吉田茂 日本 決定 百年 東京 日本經濟新聞社を した985172 985173 1985 東鄕茂德 時代 一面 東鄕茂德外交手記 東京 原書房の985172 985173 2006 - 北岡俊明 嫌韓流 東京 總合法令出版ディベ ト985172 985173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39: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제 차13 세계대전13 후13 미국의13 대일전략과13 독도13 귀속문제2 79

1995 上野昻志 戰後再考 東京 朝日新聞社985172 985173 1976 松下芳南 日本國防 悲劇 東京 芙蓉書房の985172 985173

1999 五百旗豆眞 戰後日本外交史 東京 有斐閣985172 985173 2003 原彬久編 岸信介證言錄 東京 每日新聞社985172 985173

1979 4 日本外務省編 終戰史料 東京 北洋社985172 985173田中宏 2007 20 板垣龍太編 日韓新 始 章 東京 岩波書店たな まりのための985172 985173

2004 下條正南 竹島 日韓 東京 文藝春秋は どちらのものか985172 985173 2006 玄大松 領土 誕生 京都 書房ナショナリズムの ミネルヴァ985172 985173

U Alexis Johnson 1984 The Right Hand of Power Prentice-Hall Inc

Hugh Borton 2002 Spanning Japans Modern Century NY Lexington Books

Michael Schaller 1985 The American Occupation of Japan Oxford Oxford Univ

Press

Shigeru Yoshida 1961 The Yoshida Memoirs London Heinemann

Tsuyoshi Hasegawa Racing the Army 2005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J Sebald 1965 With MacArthur in Japan 등 NY WW Norton amp Com

The US Strategy Toward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and the Dokdo Issue

Cho Sung HunSenior Fellow Military History Compilation Institute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dquolsquo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rdquo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

Page 40: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2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97/1/2.%e1%84%8c%e1%85%a9%e1%84… · 제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2 독도귀속문제*

80 조성훈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Key Words Claims to Dokdo William J Sebald the treaty of San Francisco the

Cairo Declaration Rusks letter US policy toward Japan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13 선임연구원13

경기도13 군포시13 궁내동13 백두한양아파트13 992-1802

Tel_01013 877713 975413 13 13 E-mail_qurinocho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