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180205 한국경영자총협회 김광두...

31
사람 중심 경제와 혁신

Upload: others

Post on 28-Dec-2019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사람 중심 경제와 혁신

  • 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

    v

    §

    v

    1

  • v

    §

    - 생활 기본권 보장 강화를 통해 사람다운 삶을 지원

    - 생활환경 투자를 통해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

    §- 지출비용 감소와가처분소득 증가에 의한 순소득 증가와 직접투자지출로내수부양효과

    §

    - 또한, 국가 부채 증대로 복지지출의 지속가능성이 위협

    최저임금인상, 근로시간단축, 비정규직의정규직화, 건강보험보장성강화, 통신료인하등

    재난․재해 예방, 안전시설, 환경, 공공시설 투자 등

    2

    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

  • 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

    §

    - 사람을 위한 투자 → 사람의 직무(전환)능력과 전문성 · 창의성 대폭 제고

    §

    - 또한, 사람의 부가가치를 올림으로써 자력에 의한 소득상승 기회 확대

    교육・훈련, 재교육・재훈련, 보육, 건강·의료, 문화·예술

    3

  • 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

    §

    §

    §

    v 투자재원: 재정과 인내자본(Patient Capital, 금융시장에서 동원할 수

    있는 정책성 자금, Impact Fund가 한 예)을 활용 할 수 있고,

    그 운용 방법은 선진 경험을 바탕으로 벤치마킹하면 됨

    4

  • 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Ⅰ. 사람 중심 경제 패러다임

    목 표

    기본생활권 보장

    추진전략 소득주도성장 + 혁신성장 + 공정경제

    소득과 일자리(지속가능성과 안정성)

    핵 심 정 책 성 과 지 표

    5

    사람의 능력 배양

    사람다운 삶의 보장

  • Ⅱ. 혁신성장 정부정책Ⅱ. 혁신성장 정부정책

    6

    혁신성장 관련 정부정책

    구분 발표정책

    핵심선도사업 추진

    ‣혁신성장 4대 혁신 및 핵심선도과제 선정 (‘17.11.28, 부처합동)

    ‣ 민관합동 「혁신성장 지원단」구성 및 점검회의 (’18.1.12, 기재부)

    과학기술 혁신

    ‣ R&D 과제 기획/선정/평가/보상 프로세스 혁신방안 (‘17.11.14, 과기부)

    ‣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17.11.30, 과기부)

    ‣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 (‘17.12.26, 과기부)

    ‣ 2018년도 과학기술· 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 (‘18.1.1, 과기부)

    ‣ 제2차 국가연구시설장비 운영·활용 고도화계획 수립 (‘18.1.22, 부처합동)

    ‣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2018년도 시행계획

    (‘18.1.24, 과기부)

    교육․훈련 혁신

    ‣ (가칭) 한국형 나노디그리 시범운영계획 (‘17.11.8, 교육부)

    ‣ 사람중심투자: 인재성장지원방안 (‘17.11.28, 교육부)

    ‣ 대학평가, 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 (‘17.11.30, 교육부)

    ‣ 제4차 산업혁명 인재양성 혁신선도대학 선정 ((18.1.15, 교육부)

  • Ⅱ. 혁신성장 정부정책Ⅱ. 혁신성장 정부정책

    7

    혁신성장 관련 정부정책

    구분 발표정책

    산업․경제혁신

    ‣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17.11.2, 부처합동)‣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17.11.2, 중소벤처부)‣ 비상장 중소벤처기업의 중간회수활성화 제도개선방안(‘17.11.15, 금융위)‣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판교 제2테크노밸리 활성화 방안’(‘17.12.11, 부처합동)‣ 혁신성장 지원 등을 위한 공공조달혁신방안(‘17.12.11, 기재부)‣ 새정부의 기업구조혁신 지원방안(‘17.12.18, 금융위)‣ 농업혁신성장을 이끌 청년창업농 육성대책 마련(‘17.12.21, 농림부)‣ 농업혁신성장을 이끌 청년창업농 육성대책 마련(‘17.12.21, 농림부)‣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통한 자본시장 혁신방안(‘18.1.11, 부처합동)‣ 혁신모험펀드 조성․운영 계획(‘18.1.17, 부처합동)‣「제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정부업무보고(‘18.1.24, 기재․과기․산업․국토․금융․국조실)‣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을 혁신성장 선도산업으로 육성(‘17.12.20, 복지부)

    사회․제도혁신

    ‣ 신산업 규제혁파와 규제샌드박스 추진방향 논의(’17.11.30, 부처합동)‣ 2017년 과학기술 규제개선방안 마련(‘17.12.08, 과기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전면 개편방안(‘17.12.28, 기재부)‣ 혁신선도사업(스마트시티,자율주행차,드론)에 대한 규제혁신 방향과 과제

    (‘18.1.22, 국토부)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8

    현재 플랫폼 정부

    Ø 부처별 시스템에서 업무처리Ø 필요 정보를 개인 PC 등에 분산 저장Ø 개별 판단에 따라 정보 업로드Ø 필요시 민간 검색사이트 활용

    Ø 모든 부처가 한 시스템에서 작업Ø 정책 정보까지 한 곳에 자동 축적Ø 접근 권한에 따라 자동 공유Ø AI 등 기술로 맞춤형 정보제공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9

    - 국내 해고법은 “근로 보호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음(

    - 이것은 노사 통합주의(구체적 법규기반 해고제, 독일)나 시장자유주의

    (자유의 원칙 기반 해고제, 미국)보다 보호의 벽이 높음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단체 교섭관련, 쟁의 행위 관련의 경우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0

    ① 명시적 규칙 미비로 근로조건과 무관한 사항에 대한 단체교섭

    요구 발생

    ②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이 짧아 노조의 잦은 파업권 행사

    ③ 대체인력 채용 불가로 사용자가 절대적으로 불리

    ④ 직장점거 파업이 보편화되어 있어, 사용자는 경영현장의 피해 감수

    - 독일은 쟁의 행위로 인한 손실 근로일수가(2010~2014, OECD, ILO 등)

    4일이나, 한국은 36.5일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1

    §

    가. 점진적 혁신과 급진적 혁신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2

    - 급진적 혁신은 新기술과 아이디어로 창업이 활발한 미국(실리콘밸리

    등)으로 대표되며, 점진적 혁신은 자동차, 화학 등 전통 제조업이

    골고루 발달한 독일이 대표적

    구 분 급진적 혁신 점진적 혁신

    혁신방식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축적을 통한 개선

    혁신결과 新산업·新제품 창출 → 외연(Frontier) 확장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

    혁신의 방식에 따라 미국은 창업기업, 독일은 강소기업이 많음- (미국) 전세계 186개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불 이상 스타트업)중 53%인 99개가 미국 기업(독일은 2%에 불과한 4개)(CB인사이트, ’17년)

    - (독일) 전세계 2,734개 히든 챔피언(강소 제조기업) 중 48%인 1,307개가일 기업(2위 미국은 366개(13%)) (헤르만지몬, ’13년)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3

    § 그간 우리 정부의 혁신정책은 빅데이터, IoT 등 첨단기술의

    상업화와 창업 등 주로 미국식 급진적 혁신에만 초점- 이로 인해 우리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제조업 등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다소 소홀했던 측면

    * (업체수) 제조업 40만개 >> 벤처기업 3만개 > 스타트업 0.5만개 (통계청, ’15년 등)

    ⇒ 점진적 혁신에 강점을 지닌 독일의 혁신 성공사례 참고 필요

    - 혁신 선도국인 미국·독일의 최근 혁신정책은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려는 움직임

    * (미국) 혁신기업 지원(Startup America) + 제조업 경쟁력 강화(Revitalizing Manufacturing 등)

    * (독일) 제조업 강화(Industry 4.0) + 스타트업 지원(Silicon Allee 등, ’16년 12조원 지원)

    - 경제의 활력과 포용적 성장을 위해 두 방식의 상호 보완 도모

    * (급진적) 스타트업 위주 + 승자 독식 vs. (점진적) 기존 산업 전반+상대적으로 고른 성과 분배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4

    § 독일은 GDP 기준 세계 4위의 경제대국으로, 부단한 혁신의결과 각 분야에서 건실한 국가경쟁력을 보유

    나. 독일 경제의 저력 : 균형 있고 탄탄하며 내실 있는 경제

    GDP통계(IMF, '17년) 全세계 미국 중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한국

    GDP규모 $79.3조 $19.4조 $11.9조 $4.9조 $3.7조 $2.6조 $2.6조 $1.5조

    GDP-세계 비중 100.0% 24.4% 15.1% 6.2% 4.6% 3.2% 3.2% 1.9%

    ▪ (Made in 브랜드 지수) 독일 1위 vs. 미국 8위 (Statista, ’17년)▪ (혁신역량 지수) 독일 4위 vs. 미국 2위 (WEF, ’17년)▪ (글로벌시장 주도 기업) 독일 6.3만개 vs. 미국 5.5만개 (헤르만지몬, ’13년)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5

    § 특히, 독일 제조업은 유럽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의 30%를

    차지하는 등 독일 경제의 중추적 역할- 독일 전체 기업 중 제조업 비중은 7.1%(업체 수 기준)에 불과하나

    고용의 25.1%, 매출액의 32.2%를 담당* 제조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기계, 화학 등은 세계 최고 수준

    § 아울러, 수출 포트폴리오, 대·중소기업 비중 등의 측면에서

    경제구조 전반이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음* (수출품목) 소비재 외에도 경기변동에 비교적 덜 민감한 자본재 비중이 상당

    * (대·중소기업) 다수의 건실한 중소기업(Mittelstand)이 경제저변을 든든히 뒷받침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6

    - 지역별로도 전체 기업의 약 70%가 소도시나 지방에 고르게 위치

    독일 대표 기업 예시

    화 학 BASF, Bayer, Merck

    자동차 BMW, Mercedes-Benz, Audi, Volkswagen

    금 융 Allianz, Commerzbank, Deutsche Bank

    인프라 Siemens, ThyssenKrupp, E.ON(발전)

    가 전 AEG, Miele, Braun, Leica

    기 타 Lufthansa, DHL, Adidas, SAP(IT)

    ⇒ 그 결과, 독일의 경제성장률과 고용상황은 유럽지역 최고 수준

    * ’10년 이후 경제성장률이 유로존을 크게 상회(+0.6~+2.1%)하면서, 고용률은 ’16년

    기준 74.7%로 주요국 대비 높은 수준 (OECD 평균 66.9%, 미국 69.4%, 한국 66.1%)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7

    § 독일은 장인정신, 완벽주의 등을 바탕으로 자동차, 정밀기계, 화학, 전기전자 등 기존 산업 內 제품의 품질과 생산 공정의개선에 주력- 고품질·우수한 디자인 등 非가격요소 차별화를 통해 경쟁국 대비

    고가*에도 불구, 다수 제조업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 例示: ① 독일 자동차의 평균 수출가격은 약 U$3만(’13년)으로 일본 제품 대비 143% 고가

    ② 독일산 인쇄기, 공작기계의 평균 수출가격은 일본 상품 대비 2~2.2배

    § 독일식 혁신은 기존 산업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혁신의 성과가 다양한 계층에 골고루 배분되는 구조

    전 세계 최고의 품질과 기술을 지속적인 축적과 개선을 통해 추구

    → 탁월한 품질은 기술력에서 나오고, 기술은 사람에서 비롯

    → 사람이 곧 경쟁력

    다. 독일 경제의 저력 : 균형 있고 탄탄하며 내실 있는 경제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8

    - 반면, 실리콘밸리식 급진적 혁신은 성공시 잠재력이 상당하지만, 小數의 승자와 多數의 패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

    § 한편, 혁신을 위한 인적투자는 기존 산업 근로자의 기술과 전문성

    을 축적·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독일식 혁신의 특징

    - 아이디어 위주로 창의성, 기업가 정신 배양에 초점을 두는

    실리콘밸리式 혁신과 차별

    혁신주체 혁신성과

    독일식혁 신

    자영업자 → 장 인(Master)

    중소기업 → 강소기업(Hidden Champions)

    대 기 업 →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실리콘밸리식혁 신

    창 의 적기 업 가

    →新산업·新제품 창출 (단, 성공확률이 낮고,

    혁신과정에서 전통산업 위축 가능성)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19

    ⇒ ① 독일식 혁신은 대다수 국민이 혁신의 주체가 되고, 혁신의 성과가국민에게 골고루 돌아간다는 측면에서 ‘사람중심 경제’와 일맥상통

    ② ‘사람중심 혁신성장’ 추진을 위해 현재 우리나라가 중점을 두고 있는실리콘밸리식 혁신과 함께 독일식 혁신방식 병행 필요

    라. 독일식 혁신의 원천이 되는 근본 가치①기본가치 중시 문화, ②사람이 우선인 인본 자본주의, ③사회적 시장경제 추구

    § (기본가치 중시 문화) 독일 국민은 정직과 신뢰를 바탕으로,

    법치주의, 인간 존엄, 사회정의 및 연대와 같은 기본가치를 중시- 인성교육과 배려·협동심·독립심·사회적 유대 중시 → 공동체 발전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0

    § (사람이 우선인 인본 자본주의) 노동시장, 복지제도 등

    사회전반에 걸쳐 인격과 인간의 체화된 능력인 기술에

    대한 존중 문화 확산- 종업원의 과도한 희생을 바탕으로 한 무리한 서비스는 지양 → 종업원 만족

    § (사회적 시장경제 추구)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하되, 사회적

    균등성을 또 다른 중요 가치로 삼아, 영미식 신자유주의의 문제점

    완화 추진- 바람직한 경쟁질서는 시장에 의해 저절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공정․경제정책의 지속실천에 의해 확립 → 대·중소기업 균형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1

    구 분 독일식 모델 영미식 모델

    시 스 템 사회적 시장경제 자유시장경제

    배 경 질서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핵심문화 장인Craftsman 문화 상인Merchant 문화

    국가역할 제한적 개입 허용, 필요시 시장 규제 개입 최소화, 시장에 일임

    추구가치 연대·공동체 정신, 장기 수익, 지속가능성 개인의 부와 성공, 단기 이익, 주주 이익

    경제정책 중소기업 중심, 사회보장 확대 대기업 중심, 사회보장 축소

    v 독일식 혁신의 주요 인프라 (상세내용 별첨)

    주요 인프라 주요 내용

    탁월한 인적자본 축적 시스템 교육 등 사회전체 시스템이 인적자본 축적 촉진

    공생하는 노사관계 근로자․기업․지역사회의 높은 신뢰와 긴밀한 협력

    최고 수준의 기술·품질 추구 고부가가치 생산구조와 최고품질 지향

    지역별 산업 클러스터 우수한 산관학 클러스터가 독일 전역에 고르게 분포

    강력한 과학기술 R&D 시스템 기초․응용과학 등 전문분야별 특화와 유기적 연계

    v 독일식 모델과 영미식 모델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2

    마. 우리나라 혁신정책 시사점

    1) 혁신정책 추진방향 : 실리콘밸리식 + 독일식 혁신 병행 추진

    § 실리콘밸리식 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과 상품을 만들어 우리

    경제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임에는 틀림없으나,

    § 협소한 혁신의 범주로 인한 한계*와, 그간 동 방식에 의한 민관의 혁신

    추진 성과가 부진**했던 점도 감안 → 독일식 혁신 병행 추진

    * 혁신정책의 지원과 성과가 스타트업 기업, 전문가 집단 등 소수에게만 귀속

    ** 스타트업 성공의 기준인 전 세계 유니콘 기업(186개)의 대부분이 미국(99개),

    중국(42개)에 치중되어 있고, 우리나라는 3개에 불과 → 유니콘 기업은 시장 규모가

    크고 벤처캐피탈 등 혁신자금조달이 활발한 지역이 유리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3

    § 독일은 대․중소기업의 제조업 국제경쟁력이 전반적으로 높고

    이것이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뒷받침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 우리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강화해 나갈 필요

    § 자영업자, 중소·대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지역적인 분포

    가 균형적인 독일의 사례를 참고하여 골고루 잘사는 경제구조 확립

    2) 독일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 벤치마킹

    3) 대·중소기업 및 지역적 균형발전 정책 마련

    4) 독일식 인적 자본 축적 시스템의 장점을 수용

    § 학력·학벌주의 없이 기술 장인(Meister)이 인정받고, 사회적 취약

    계층도 박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독일식 사람에 대한 투자’

    방안 검토 → 우리 실정에 맞게 좋은 점은 적극 수용

  • v 독일식 혁식의 주요 인프라v 독일식 혁식의 주요 인프라

    24

    ①탁월한 인적자본 축적 시스템, ②공생하는 노사관계, ③ 최고수준

    의 기술·품질 추구, ④독일 전역에 분포한 지역별 산업 클러스터, ⑤강력한 과학기술 R&D 시스템

    § (이원적 교육훈련체제) 직업학교에서 이론을 배우고 기업체에서

    기술훈련을 받는 듀얼 시스템(Dual System)을 효과적으로 운영- 또한, 독일 도제식 훈련(Lehrling)을 통해 숙련된 전문인력을 국가·

    기업 부담으로 양성하면서 사회 전체 인적자본(Human Capital) 축적

    § (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수준 높은 공교육) 국가가 교육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공교육을 통해 인성과 전문성을 갖춘 전인교육 추진- 실업학교를 거쳐 각자의 분야에서 마이스터(Meister)가 되면 박사학위취득과 유사하게 사회적으로 높은 대우를 받는 구조

    가. 탁월한 인적자본 축적 시스템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5

    § (축적된 전문성으로 인한 고용 안정성) 독일의 근로자는 노동력의

    비대체성 때문에 쉽게 해고할 수 없는 안정적 일자리 구축- 독일 제품의 세계 최고 품질은 각 분야에서 장기 훈련을 받아 최고 전문성과

    기술력을 지닌 근로자에게서 나오는 것임을 사회가 인식

    나. 공생하는 노사관계

    § 독일 정부는 불황 때 근로시간 단축제를 도입해 해고를 하지 않는

    기업에 임금 보전을 통해 고용유지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노사 화합

    도모- 근로자, 협력기업, 지역사회 등이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한 협력

    관계 유지* 중소기업은 근로자와 암묵적 종신계약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종업원을 해고하는

    사례가 적고, 불가피한 경우 최소한의 범위에서 실시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6

    § 최고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최고의 전문가인 마이스터의 협력

    이 절대적으로 필요- 이를 위해 회사는 직원들의 복지와 후생에 최선을 다하고 직원들은

    애사심이 높아져 회사를 평생 직장으로 인식

    다. 최고수준의 기술․품질 추구

    § (Made in Germany) 독일은 고부가가치 중심의 생산구조를 갖추고

    최상의 능력을 보유한 장인이 최고 품질의 제품 생산- 뿌리산업(주조, 금형, 용접 등)이 든든한 밑바탕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 세계

    최고수준의 뿌리기술은 제조기술과 융·복합되어 세계적 명품 탄생 견인

    §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완벽주의) 전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기술을

    목표로 생산공정을 지속 개선하는 무결점주(Perfektionismus) 추구- 국제규격(Global Standard) 이상의 엄격한 품질·기술 기준을 적용하여 무결점

    제품을 만들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7

    § (최고수준 제도) 잘 정비된 제도와 법규를 바탕으로 엄격하고 공정한

    법집행, 처벌의 확실성, 부패가 발을 들여놓을 수 없는 청렴사회- 경제·사회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제도를

    만들면서 국가·산업의 경쟁력을 강화

    라. 독일 전역에 분포한 지역별 산업 클러스터

    § 중앙·지방정부와 기업·연구소·대학을 중심으로 한 산·관·학 클러스터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며 국가 경쟁력 향상에 중요 역할* 첨단산업단지 15개, 화학산업 단지 60개, 혁신산업단지 100여개 등

    - 지역별 클러스터에서는 기초연구·개발에서 혁신에 이르는 종합형 연구를

    추구하며 연구결과의 실용성 및 사업화가 높은 수준* R&D 산학협력 분야: 독일은 세계 7위, 한국 27위(WEF, ’17년)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8

    § 기업·연구소·대학이 독일 전역에 분산되어 고루 분포하지만 각 지역

    클러스터 중심으로 모여 집적 및 네트워크 효과 유도- 이에 따라 주요 기업이 지방에 위치하면서도 인재를 확보할 수 있고

    고용주-근로자 간 상호의존성을 창출하여 낮은 이직률로 연결* 독일기업 평균 이직률 7.3%, 미국은 30% (중소기업연구원, ’09년)

    마. 강력한 과학기술 R&D 시스템

    § (유기적 네트워크) 정부 지원(기획·평가)과 연구기관의 자율성 간

    균형, 연구소 간 경쟁과 협력·연계가 유기적으로 조화- 기초․응용과학 등 전문분야별로 특화된 브랜드를 가진 공공·민간연구

    기관이 독일 전역에 균등 분포→ 기업 내 연구소 간 연계를 통해 R&D와 상업적 응용의 시너지 창출

  • 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Ⅲ. 혁신정책의 보완 방향

    29

    §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정부·공공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의 기술력

    을 보유한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R&D에 많은 투자* 기업 R&D 투자수준: 독일은 세계 4위, 한국 28위 (WEF, ’17년)

    * 정부 R&D 투자수준: 독일 약 27억 달러, 한국 약 13억 달러 (OECD, ’17년)

    주요 공공연구기관

    중점 연구분야소속 연구소

    연 혁

    막스플랑크 기초연구(자연과학·법률 등) 83개’48년 29개 연구소를 중심으로 설립 → 새로운연구주제 등장 시 협회에서 연구소 신설

    헬름홀츠장기·대형연구

    (에너지, 우주 등 6개핵심 분야)

    18개’70년대 원자력·우주 항공 등 대형 연구소의 과학기술 교류확대를 위해 국가연구소협회 설립→ ’95년 헬름홀츠 연구협회로 개편

    라이프니츠 협력융합연구(및 기초연구)86개

    (非대학)

    ’77.5월 연방·주정부 하에 46개 청색목록(BlueList) 연구기관 발족 → ’97년 라이프니츠 연구협회로 개편․발전

    프라운호퍼응용연구

    (공공·민간에 직접적으로 유용한 분야)

    67개’49년 바이에른 주정부 후원의 지역 비영리 단체로 출발 → ’61년 산업계·연구소·정부부처를 회원으로 하는 전국적 연구협회로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