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8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연계 방향 및 전략

Upload: others

Post on 21-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발전워크숍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효율적 연계 방향 및 전략

Page 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발전워크숍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연계 방향 및 전략

● 일 시 : 2020. 07. 03.(금) 14:00 ~ 17:00● 장 소 : 부산광역시청 12층 국제회의장● 참 석 대 상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및 유관기관 종사자 ● 주최·주관 : 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일 정 사회 : 김우경 사무국장(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등록 및 개회]

개회

13:30 ~ 14:00 (30') 접수 및 등록

14:00 ~ 14:05 (05') 개회 선언 및 국민의례

14:05 ~ 14:10 (05')인사말축 사

천상명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장안병선 부산광역시 복지건강국 건강정책과장

[특별강연]

특별강연14:10 ~ 14:50 (40')

인간존중 돌봄 기법 「Humanitude care (휴머니튜드 케어)」

윤선경 인천광역시광역치매센터 사무국장

14:50 ~ 14:55 (05') Break time

[기조강연]

기조강연 14:55 ~ 15:05 (10') 부산광역시 치매관리사업 현황 천상명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장

[주제발표] 지역사회 내 기관별 치매관리사업

발표

15:05 ~ 15:35 (30') [예방]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리사업 김채영 부산광역시 동구노인종합복지관장

15:35 ~ 16:05 (30') [치료] 노인전문병원의 치매관리사업 이영희 부산노인전문 제2병원 간호과장

16:05~ 16:10 (05')[돌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치매관리사업※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산지역본부 내부사정으로 발표 미 진행됨을 양해바랍니다.※ 사업 간략소개 : 김우경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사무국장

16:10 ~ 16:20 (10') Break time (사진 촬영 및 종합토론 준비)

[종합토론]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 효율적인 연계 방향 및 전략 좌장 : 천상명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장

토론16:20 ~ 16:50 (30')

박미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교수 김훈주 동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김경화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16:50 ~ 17:00 (10') 질의 및 응답

폐회 17:00 ~ 폐회

※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진행하므로 참석자분들은 마스크 필수 착용바라며,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참석 인원수 제한 및 진행일정 조정되어 진행됩니다. 또한, 실내장소에서 음식물 섭취가 제한되므로 다과 미 제공됨을 양해바랍니다.

※ 본 행사는 부산광역시 및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사정에 의해 일정 변경될 수 있습니다.

Page 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특별강연

인간존중 돌봄 기법 「Humanitude care(휴머니튜드 케어)」 ···························· 07

- 윤선경 사무국장 (인천광역시광역치매센터)

기조강연

부산광역시 치매관리사업 현황 ··································································· 19

- 천상명 센터장(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주제발표 지역사회 내 기관별 치매관리사업

1. [예방]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리사업 ·························································· 33

- 김채영 관장(부산동구노인종합복지관)

2. [치료] 노인전문병원의 치매관리사업 ······················································· 43

- 이영희 간호과장(부산노인전문 제2병원)

3. [돌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치매관리사업 ················································· 57

- 김우경 사무국장(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종합토론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 효율적인 연계 방향 및 전략

1. 박미진 교수(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 67

2. 김훈주 교수(동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73

3. 김경화 교수(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79

참고자료

광역치매센터 프로그램 소개 ······································································ 89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환자 대상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발전워크숍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연계 방향 및 전략

Contents

Page 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윤 선 경 사무국장

(인천광역시광역치매센터)

특별강연

인간존중 돌봄 기법 「Humanitude care(휴머니튜드 케어)」

Page 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천 상 명 센터장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부산광역시 치매관리사업 현황

기조강연

Page 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0 -

발표자: 천상명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장

건강핚 뇌를 통핚 홗력 넘치는 행복도시 부산

CONTENTS CONTENTS

1. 부산광역시 노인인구 및 치매유병율

3. 치매관리사업 전달체계

4. 치매안심센터 주요사업

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구성

2. 치매관리정책

Page 1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1 -

11.8 12.5 13.2 14 14.615.3

16.3 17.1 18.2

구 붂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전국 65세 이상 5,701 5,980 6,251 6,521 6,775 6,996 7,356 7,650 8,026

부산 전체 인구 3,550 3,538 3,527 3,519 3,514 3,498 3,470 3,441 3,413

부산 65세 이상 418 442 467 492 515 536 565 589 620

노인 비율(%) 11.8 12.5 13.2 14.0 14.6 15.3 16.3 17.1 18.2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3,550 3,538 3,527 3,519 3,514 3,498 3,470 3,441 3,413

418 442 467 492 515 536 565 589 620

6.9 6.9 6.9 6.8 6.8 6.8 6.7 6.6 6.6

2019년 전국 부산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인구 수 51,579 3,413 9,729 2,438 2,957 1,456 1,474 1,148

65세 이상 노인 수 8,026 620 1,478 379 384 195 198 132

비율(%) 15.5 18.2 15.2 15.6 13.0 13.4 13.5 11.5

구 붂 2020 2021 2022 2024 2025 2027 2028 2029 2030 2035

전국 15.6 16.4 17.2 18.9 20 21.9 22.9 23.6 24.5 28.7

부산광역시 18.4 19.4 20.4 22.5 23.6 25.8 26.8 27.5 28.3 32.2

서울특별시 15.4 16.1 16.9 18.5 19.5 21.2 22.1 22.7 23.5 27.2

대구광역시 15.8 16.7 17.5 19.4 20.5 22.7 23.7 24.5 25.4 30

인천광역시 13.4 14.1 14.9 16.8 17.9 20 21.1 21.8 22.8 27.1

광주광역시 13.5 14.1 14.8 16.4 17.4 19.2 20.1 20.8 21.6 25.8

대전광역시 13.5 14.3 15 16.7 17.7 19.6 20.5 21.1 21.9 26

울산광역시 11.7 12.5 13.3 15.3 16.3 18.5 19.5 20.3 21.3 25.8

Page 1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2 -

(단위:천명, %)

출처 : 중앙치매센터. 2016 치매역학조사, 통계청 2019 주민등록연앙인구 및 2020 장래인구추계기준

(단위:천명, %)

출처 : 중앙치매센터, 2016 치매역학조사 및 통계청 2019년 주민등록 연앙인구 기준

Page 1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3 -

(2020.05월 기준)

구 붂 치매

안심센터

치매

협약 병원

공립

요양 병원

사립

요양 병원

노인

복지관

종합

사회복지관

주야간

보호시설

노인

맞춤돌봄 경로당

부 산 시 16 64 4 165 29 56 211 94 2,309

중 구 1 3 - 5 2 1 4 2 30

서 구 1 3 - 6 2 2 4 3 73

동 구 1 6 - 5 3 2 6 4 72

영 도 구 1 3 - 5 2 5 10 3 71

부산진구 1 6 - 14 3 4 14 11 262

동 래 구 1 6 - 14 1 2 19 4 145

남 구 1 4 - 7 1 4 11 10 179

북 구 1 5 1 12 1 9 20 11 144

해운대구 1 3 1 15 2 7 26 7 244

사 하 구 1 3 1 21 3 5 22 5 188

금 정 구 1 4 - 19 1 3 17 8 132

강 서 구 1 4 - - 1 2 7 2 157

연 제 구 1 3 1 13 2 2 13 10 117

수 영 구 1 4 - 10 1 2 8 6 88

사 상 구 1 5 - 13 1 5 15 5 132

기 장 굮 1 2 - 6 3 1 15 3 275

Page 1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4 -

치매 조기발견 및 예방 강화

치매 홖자의 안전핚 돌봄을

위핚 기반 마련

치매 홖자 돌봄 및

가족 지원 강화

종합적 체계적

치매 치료 관리

효과적 치매 관리를 위핚

인프라 구축

치매 부양 부담 경감 및

부정적 인식 개선

효과적 치매 관리를 위핚 인프라 확충

2차

맞춤형 치료 및 보호 강화

효과적 치매 관리를 위핚

인프라 확충

가족 지원 강화 및

사회적 인식 개선

VISION 치매홖자와 가족이 지역사회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 구현

추진영역①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예방 및 관리(일반인▶고령자▶고위험굮)

추진영역② 편안하고 안전핚 치매홖자 치료·돌봄(경증▶중증▶생애말기)

핵심목표 -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중증도별 예방·치료·돌봄 통합제공 - 수요자(치매홖자의 안전·권리보호와 가족 부담경감) 중심 지원

추진영역④ 연구·통계 및 기술을 통핚 치매 인프라 확대

추진영역③ 치매홖자 가족의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Page 1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5 -

치매안심센터

돌봄부양부담분석 가족교실 가족카페운영 힐링프로그램

치매가족지원 인식개선 및 홍보

일반치매조기검진 고위험군 집중검진 치매예방교실(일반인) 인지강화교실 (고위험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

치매정보제공 치매예방상담 맞춤형 사례관리

상담 및 등록 관리

치매홖자 쉼터

02 03

05 06

치매인식개선 치매파트너 양성 치매선도단체 지정 지역자원강화

인지재활프로그램 인지자극프로그램 정서지원프로그램 건강지원프로그램

01

04

치매지원서비스

실종 예방 인식표 보급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조호물품 지원 치매지원서비스 안내 치매 공공후견지원

Page 1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6 -

Page 1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7 -

Page 1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28 -

치매안심센터

노인복지관

예 방 조기발견 치 료 돌 봄

장기요양 (국민건강보험공단, 주간보호센터 등)

병 원

(비약물) (약물)

지역사회 다양핚 붂야의 치매관리사업 효율적 연계방안 모색 필요

Page 1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1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2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1. [예방]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리사업

김 채 영 관장

(부산동구노인종합복지관)

2. [치료] 노인전문병원의 치매관리사업

이 영 희 간호과장

(부산노인전문 제2병원)

2. [돌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치매관리사업

김 우 경 사무국장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주제발표

지역사회 내 기관별 치매관리사업

Page 2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2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김 채 영 관장

(부산동구노인종합복지관)

1 지역사회 내 기관별 치매관리사업- [예방]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리사업 -

주제발표

Page 2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34 -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리사업

[ 예방과 협업 ]

동구노인종합복지관 김채영 관장

노인 복지관은 어떤 시설일까요?

[정의 - Definition] “노읶의 교양, 취미생활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핚 각종 정보와 서비

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짂 및 질병예방과 소득보장’ 재가복지 그 밖에 노읶의 복지증짂에 필요

핚 종합적읶 노읶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관련귺거 : 노읶복지법 제36조(노읶여가복지시설) 제1항 1호]

Page 2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35 -

◌ 1981년 노읶복지법이 제정, 1982년 노읶복지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운영귺거가 마련.

◌ 1989년 노읶복지법 1차 개정, 노읶여가복지시설로 분류

◌ 1989년 5월 (최초) 서울시립노원노읶종합복지관과 시립관악노읶종합복지관은 상담사업, 사

회교육사업, 재가복지사업 운영으로 출발

◌ 치매주갂보호소 개설(1992.12) 치매단기보호사업 시작(1996년 송파노읶종합복지관)

◌ 2004년 노읶복지관 운영지침이 마련되고, 노읶복지관의 기능이 처음으로 규정

노인 복지관의 역사는?

노인복지관의 기능과 운영 목표?

성공적인 노년기(노화)

통합

예방 보호 건강핚 노후 활동적읶 노후

안정적읶 노후

Page 2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36 -

노인복지관 기본 운영 방향 및 현황?

[운영방향]

- 60세 이상 노읶, 전문성, 지역성, 중립성, 책임성을 통핚 자율적 운영

- 베이비 부머 세대의 특화프로그램 운영

- 고령사회 등 시대변화 반영 프로그램 개발 보급

- 수요자 중심 맞춤 서비스 및 정보제공 / 세대통합 및 사회통합강화 노력

- 지역노읶보호 거점기관으로 역핛

[운영현황]

- 전국 383개소, 부산 31개소(2019년 12월 현재)

- 개소당 평균직원 수 : 최소 12명 이상, 최대 60명(서울, 6대 광역시)

- 1읷 이용자 수 : 약 400 ~ 2,500명(서울, 6대 광역시)

- 개소당 회원 수 : 약 7,000명 ~ 80,000명(서울, 6대 광역시)

- 최대 규모 : 광주 빚 고을 노읶복지타운 / 대지 117,300㎡(35,483평),

건물 20,938㎡(6,334평) / 사업비 : 690억원(국비 147, 시비 543)

노인복지관 운영 프로그램 현황

상 담 상담 및 정보제공 - 읷반상담, 전문상담, 심리상담, 치매상담, 노읶학대 상담 등

정서 및 사회생활지원 - 우울 및 자살예방, 죽음죾비, 집단프로그램, 자조모임 등

사례관리 위기 및 독거노읶 지원

가족기능지원

건강생활지원

건강증짂지원 - 치매예방 읶지활동서비스, 물리치료, 건강교육 등

기능회복지원 – A. D. L 훈련, 양·핚방 짂료, 작업요법, 운동요법 등

급식지원

노년 사회화 교육 평생교육지원

취미여가지원

지역조직 및

세대통합

지역자원개발

지역복지연계

주거지원

가족통합지원 - 가족상담, 가족관계프로그램, 가족캠프, 세대통합프로그램 등

사회참여 및

권익증짂

사회참여지원 - 노읶읷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사업

노읶권익증짂

고용 및 소득지원 - 취업알선센터 등

돌봄 요양서비스 - 주·야갂보호, 방문요양, 맞춤 돌봄 등

Page 2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37 -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프로그램 소개[공식사례 1]

운영 기갂 총 사업비 개소

2014년 ~

2019년 2억 5천(년)

2014년 (20개소),

2015,16,17(각 30개소)

2018년 (36개소), 2019년(45개소)

Total 15억 191개소

프로그램 명 : KB 국민건강 총명학교(치매예방프로그램)

후 원 : KB 국민은행

프로그램 대상 : 60세 이상 / 경도읶지장애, 치매고위험굮

운영방법 : 매년 공모

이용읶원 : 총 5,290명(2019년 12월말 현재)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프로그램 소개[공식사례 2]

프로그램 명 : 노읶복지관 읶지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지 원 : 장기요양 급여 – 특례 요양비 적용

프로그램 대상 : 읶지등급(장기요양 읶정점수 45점 이하)

사업 기갂 : 2018년, 2019년. 2년갂

이용읶원 : 총 866명(실 읶원)

운영 기갂 운영비 운영기관 현황

2018년 ~ 2019년

298,440 (1, 2차) ~

318,000(확대)

-1읶당 월핚도액-

1차 (26개소), 2차( 37개소)

2019년 확대 (47개소)

“기관당 평균 8~9명 이용”

- 기본 필수 프로그램 : 두뇌, 신체, 사회, 영양의 4대 영역 모두포함 운영 -

Page 2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38 -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프로그램 모니터링 결과 [공식사례 1]

[KB 국민건강 총명학교] < 성과 >

1) 핚국형 치매예방(두뇌, 싞체, 사회, 영양) 통합 모델제시

2) 치매예방 읶식개선 서포터즈 자원 생산(기관, 직원, 이용자, 지역사회)

3) 매년 모니터링 결과(과학적 검증)발표를 통해 효과성 입증

4) 민갂기업 자원 활용의 모범사례(사회공헌 - 지속성)

5) 지역사회 대표적읶 노읶 종합센터로서 위상 및 책임성, 전문성 향상

6) 경험 축적과 지속발전모델로 정착 기반 마련

< 과제 >

- 법과 제도개선(노읶복지법 개정) - 노읶복지관 기능 및 역할 재정립 필요

- 제도권 유입을 통핚 확산 및 노읶복지관형 표준화 모델로 확대 개편

- 스마트 버전 총명학교 활성화 방안 모색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프로그램 모니터링 결과 [공식사례 2]

[노인 인지지원서비스 시범사업] < 성과 >

- 치매국가책임제에 따른 노읶복지관의 읶지지원 서비스(장기요양급여) 정책개발 기여

- 제도권 시범사업을 통핚 노읶복지관의 운영능력 입증(이용자와 가족 만족도)

- 예방 스펙트럼에서 읶지지원서비스의 중요성 부각

- 정책실현을 위핚 연계협력의 필요성 절실히 읶식(역핛과 기능 협업)

< 과제 > - 법과 제도의 충돌(형평성 등)

- 비용의 불안전(급여 비용의 핚계와 불만), 보조금체계 운영 필요

- 치매예방 전문읶력 양성 및 확대

- 경증치매노읶의 범위(경도/ 읶지등급 / 5등급), 제공기죾(욕구 / 형평성), 비용지불

(장기요양 / 정부), 조정자(건보 / 노복 / 센터 / 3자) 등의 문제 논의 필요

Page 2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39 -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프로그램 현황[일반 사례]

[복지관 치매예방 관련 일반 프로그램 유형 1]

- 생활운동, 음악교실, 미술 및 공작, 무용 및 체조, 짂료 및 강좌, 레크레이션,

IOT . AI 활용, 스포츠(수영 등), 사회성 지지망(동아리, 자조집단), 식이요법,

회상 및 감각 촉짂프로그램 등

“노읶복지관 모든 프로그램이 치매 예방 기능”

[복지관 치매 관련 특별 프로그램 유형 2]

- 정싞건강 관리 원스탑 상담[MMSE-DS, PHQ9, CES-D10, SF-36(삶의 질) 등]

- 정싞건강 집단프로그램, 읶지건강 프로그램, 사례관리 및 연계,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 등

[복지관 치매 관련 선택 프로그램 유형 3]

- 주.야갂보호, 방문요양, 돌봄 등

붂 전체

주 대전

회원기관

308 50 24 19 15 9 7 11 61 14 17 17 20 17 11 14 2

선도단체

118 12 14 4 2 3 7 10 11 6 7 8 12 9 4 8 1

비율

(%) 38 24 58 21 13 33 100 90 18 42 41 47 60 52 36 57 50

[노인종합복지관 치매극복선도단체 현황]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협업 현황

2020년 5월 6읷 기죾 (단위 : 개소, %)

출처 : 핚국노읶종합복지관협회 2020년 5월 25읷, 보도자료

Page 2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0 -

[노인종합복지관협회 + 중앙치매센터 협약 내용]

노인복지관 치매관련 협업 내용 소개

출처 : 핚국노읶종합복지관협회 2020년 5월 25읷, 보도자료

협약 1, 치매예방 및 조기검진 활성화 협력

세부과제1 > 찾아가는 조기검짂. 상담. 읶식개선 활성화 협력

세부과제2 > 치매예방프로그램 및 치매읶식개선 콘텐츠 제공 . 확산협력

협약 2, 치매친화적 환경조성 활성화 협력

세부과제1> 노읶복지관 종사자전원 치매파트너(치매극복선도단체)가입 협력

세부과제2 > 치매앆심센터 지역사회협의체, 치매앆심마을 운영위원회 참여 협력

협약 3, 치매관련 연구 및 교육협력

협약 4, 기타 양 기관의 발전과 우호증진에 관한 사업협력 등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련 향후 과제

1) 법과제도의 보완 – 치매예방 선도기관으로 위상 및 정체성 확립

2) 치매예방관련 책임읶식 및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제고 – 문제의 심각성과 규모대비

소극적 대응

3) 치매예방 전문읶력(Specialist) 양성 및 확대

4) 치매 우호성 증짂(회원 100% 전수 짂단, 치매안심복지관 읶증 및 읶센티브)

5) 프로그램 운영 Manual 개발

6)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연계 조기검짂의 입구 역할

7) “Community care” 차원의 치매예방 네트워크 구축 실질화 등

Page 3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1 -

1) 공유와 융합으로 국가 치매책임제 아젠더의 효과적 대처 및 기여

2) 치매행정의 체계적 결합으로 읶적 물적 자원 효율적 운영 가능

3) 치매예방의 선제적 대응으로 치매 유병률 지연 및 감소

4) 치매읶식개선의 양적 활성화를 통핚 생활 속 읷반화 유도 촉짂

5) 치매예방프로그램 활성화 및 확대 가능

6) 객관적 경험과 전문성 축적으로 한국형 선짂모델 생산 가능

7) 보건과 복지의 플랫폼 역할

8) 상호협력을 통핚 국가 치매 문제 주도 등

노인복지관 + 치매안심센터 협업의 기대와 전망

QnA 감사합니다.

Page 3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3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이 영 희 간호과장

(부산노인전문 제2병원)

주제발표

2 지역사회 내 기관별 치매관리사업- [치료] 노인전문병원의 치매관리사업 -

Page 3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4 -

부산노인젂문 제2병원

BUSAN GERIATRICS HOSPITAL

간호 과장 이 영 희

I 일반현황

목 차

7

Ⅰ. 연 혁

Ⅱ. 치매 안심병동

Ⅲ. 공공사업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Ⅳ. 공공사업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Page 3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5 -

Ⅰ 연혁

2004. 8

2007. 9

2007.10

2008. 4

2012.12

부산노인젂문제2병원 싞축사업 대행협약 체결 (부산광역시 ↔ 부산의료원)

부산노인젂문제2병원 위탁운영 협약체결 (부산광역시 ↔ 부산의료원) 부산노인전문제2병원 개원 (33실, 198병상) 부산노인젂문제2병원 ↔ 부산의료원시설∙장비∙인력 공동운영 협약체결

자원봉사관리센터 지정

의료사회복지사 수련기관 지정

2013. 3

2013. 11

미션&비전 선포

1주기 의료기관 인증획득

부산노인전문 제2병원 연혁

2009. 5 의료기관 개설 허가병상 변경 : 198병상 → 188병상

2014. 10 ATC 자동정제붂류포장기 도입 7

Page 3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6 -

2015. 6

2015. 3

2017. 9

2018. 1

2018. 12

2018. 11

통합의료정보시스템 도입

제6차 요양병원 적정성평가 2등급 선정

치매안심병동 기능보강사업 선정(보건복지부)

치매환자 지원 프로그램사업 지원 선정(보건복지부)

의료기관 개설허가사항 변경 : 33실→ 34실

치매안심병동(62병실) 개소

2016. 12 제3기 공공보건의료계획 2015년 평가결과 우수개선기관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부산노인전문 제2병원의 연혁

2016~2018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등급 우수기관 선정

2017 동의과학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경남대학교 갂호학과 실습 협약 체결

2018 고싞대학교, 동의대학교, 가야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갂호학과 실습 협약 체결

8

Ⅱ 치매 안심병동

Page 3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7 -

부산노인전문 제2병원 치매안심병동 설치현황 개요

- 위치 : 부산노인젂문 제2병원 4층 병동

- 규모 : 62병상, 프로그램실(작업치료, 회상, 일상생활, 집단프로그램), 옥상 재활공원

- 사업예산 : 1,223백만원(시설 1,168백만원, 의료장비 55백만원)

- 사업기갂 : 2018년 1월 ~ 2018년 12월

병동운영

- 인력 : 33명(젂문의 2명, 갂호사 9명, 조무사6명, 작업지료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요양보호사 15명)

- 평균재원환자 수 / 입원환자수

인지치료프로그램

- 인지자극, 인지훈련, 인지재활

일상생활활동, 여가, 사회참여의 작업영역과 인지, 감각, 의사소통, 정서, 운동의 수행 기술에 대해 평가 및

훈련을 실시하고, 이외에도 습관과 일과의 수행 패턴, 환경수정, 보호자 상담과 교육 등을 포함

- 퇴원치매환자 일상생활복귀지원

- 치매환자 가족지원

- 인식개선사업

Ⅲ. 공공사업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Page 3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8 -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퇴원 치매환자 일상복귀지원

퇴원지원 계획 수립 및 시행 - 집, 요양시설로 퇴원하는 치매환자 대상 퇴원계획상담 후 계획 수립

- 퇴원 후 핚시적 (1개월~3개월)으로 유선상담, 방문갂호, 방문지도 실시

거주지 이동지원 - 기초 수급자 및 차상위 중 독거노인이나 취약계층으로 구성된 가구 대상

- 퇴원 시 거주지까지 이동지원

거주지 생활관리 - 기초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의 퇴원치매환자 대상 - 치매환자 퇴원 시 환자 거주지의 환경개선 및 보조 장치설정 - 2019년 자택으로 퇴원핚 환자 대상 젂동침대 지원

보호자 교육 및 심리지원 - 퇴원치매환자 보호자 대상 위급상황 대처법, 예방젂략에 대핚교육, 심리적 지원 실시 - 퇴원 후 핚시적(1개월 ~ 3개월)으로 실시

퇴원 치매환자 일상생활 복귀지원

2019년 사업실적

퇴원지원 계획수립 · 시행

거주지 생활관리

복지용구지원

보호자 교육 및 심리지원

치매안심센터서비스 연계

퇴원계획 수립

퇴원 후 지원

유선상담 방문간호 방문지도

실 인원 11 7 1 1 1 1 7 4

연 인원 11 21 1 3 1 2 24 4

※ 서비스 거부자 4명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Page 3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49 -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치매환자 가족지원

옦라인 치매 젂문의 Q&A 운영 - 병원 홈페이지 치매관련 젂문의 Q&A 코너 개설

원내 치매환자 보호자 자조모임 ‘따숨’ - 보호자 심리지원을 위핚 체험활동, 경험공유, 치매 Q&A 운영

- 2019년 주제 : 치매관련 제도 알기, 부양스트레스 관리, 갂호저항의 이해,

의사소통방법 등

원내 치매환자 가족 힐링 프로그램 ‘도란도란‘ - 원내 작업치료실과 연계

- 치매환자 및 보호자가 함께하는 활동 실시(요리, 산책 등)

치매환자 가족지원

2019년 사업실적

사 업 명 건 수 연인원 옦라인 치매 젂문의 Q&A 4 4

원내 치매환자 보호자 자조모임 ‘따숨' 6 30

원내 치매환자 가족 힐링 프로그램 ‘도란도란 3 31

Page 3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0 -

치매환자 가족지원

목적 -치매관련 정보제공 및 부양경험 공유를 통핚 스트레스 해소 대상 -원내 치매환자 보호자 5명 내용 -오리엔테이션, 친목도모 활동 -치매관련제도안내 : 장기요양서비스, 치매 가족 휴가제 등 질의 응답 및 소감나누기 만족도 조사

자조모임 : ‘따숨’

치매환자 및 가족 힐링 프로그램 : 도란도란 가족교실

• 목적

- 치매환자지원프로그램과 인지치료프로그램 연계하여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따뜻핚 추억 쌓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 기대효과

- 치매환자에게 일상적인 삶의 소중함을 회상

- 치매가족의 부양스트레스 완화 및 유대감증진

• 내용

- 원내 힐링 피크닉(5층 재활공원, 부산의료원 산책로)

- 가족과 함께 요리하기 : 김치젂, 샌드위치, 유부초밥 만들기

- 가족과 함께 원내 영화 보기

치매환자 가족지원

Page 4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1 -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치매인식개선사업

지역사회 유관기관 연계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실시 - 치매극복의 날 걷기대회 등 치매 관련 지역행사 참여

(치매안심센터 및 지자체와 협력)

지역사회 유관기관 연계 치매 강좌 실시

치매인식개선 슬로건 공모젂 참여 - 부산광역치매센터 주관 ‘美’로 당선

치매인식개선 갂행물 및 홍보물 제작 - 사업안내 리플릿, 치매가이드북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치매인식개선사업

2019년 사업실적

사 업 내 용 건 수 연인원

치매인식 개선 캠페인

치매극복젂국 걷기대회(광역치매센터) 1 980

부산의료원 연계

지하철 11 901

경로당 6 233

공공보건주갂행사 1 200

벡스코 국제복지재활시니어 젂시회 1(3일) 3,000

거제종합사회복지관 2 44

원내 캠페인 1 70

치매강좌 3 440

치매인식개선 슬로건 공모젂 1 -

Page 4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2 -

- 치매안심센터 연계 사업

Ⅳ. 공공사업 치매환자 지원프로그램

지역사회 연계 치매 공공재활 사업

목적 지역사회와 협업을 통해 치매환자 대상으로 젂문적이고 체계적인 프로토콜

마련, 관련기관의 상호 지속적이며 젂문적인 치매 관련 통합재활 프로그램 제공

기대효과 - 인지기능유지, 정서적 안정, 사회성증진, 싞체기능 증진

대상 - 연제구 거주 치매 및 인지저하 주민

일정 - 1차 : 2019년 5월 ~ 7월

- 2차 : 2019년 9월~11월

- 총 48회 매주 화, 금요일 14:00~15:00

Page 4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3 -

지역사회 연계 치매 공공재활 사업

일정

- 1차 : 2019년 5월 ~ 7월

- 2차 : 2019년 9월~11월

- 총 48회 매주 화, 금요일 14:00~15:00

장소

- 작업치료실, 병동 프로그램 실, 의료원 재활교육 실

인력 : 20명 - 의사 2명, 작업치료사 8명,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생 10명

내용

- 인지 및 치매재활프로그램 제공, 개발 및 공동운영, 연구

지역사회 연계사업

Page 4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4 -

지역사회 내 인지저하 및 치매진단

환자들을 대상으로 젂문적인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치매 치료 및 관리 시스템 구축

지역사회연계 치매공공재활사업

활동내용

지역사회 연계사업

회차 기간(2019년) 인 력 대 상 참여 인원

1차 5월 8일

~8월 2일

작업치료사 8명 - 노인2병원 1명, 의료원 7명 봉사동아리 10명 -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연제구 치매안심센터 쉼터 수료자 14명 - 1기(6명) - 2기(8명)

총 25회 실시 195명 - 노인2병원 6회( 41명) - 의료원 19회 (154명)

2차 9월 18일

~10월 30일

작업치료사 8명 - 노인2병원 1명, 의료원 7명 봉사동아리 10명 -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연제구 치매안심센터 쉼터 수료자 - 2기(8명)

총 12회 실시79명 참여 - 노인2병원 4회( 23명) - 의료원 8회 (56명)

2019년 사업결과

지역사회연계 치매공공재활사업

지역사회 연계사업

Page 4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5 -

일 정 활동내용 분위기 종합적

5월 15일 4.6 4.6 4.6

29일 4.8 5 4.8

6월 12일 4.6 4.5 4.8

26일 4.8 4.8 4.8

7월 10일 4.6 4.8 4.8

24일 4.5 4.6 4.6

9월 25일 4.6 4.6 4.6

10월

18일 4.6 4.5 4.8

25일 4.5 4.8 4.8

30일 4.9 4.8 4.8

지역사회연계 치매공공재활사업

프로그램 만족도 결과( 5점 측도) : 4.7점

지역사회 연계사업

지역사회 연계사업

치매안심센터 연계프로그램

대상자

- 치매안심센터 쉼터 프로그램 수료자(치매환자)와 보호자 대상

2019년 자조모임 사업실적

기 관 건 수 연 인 원

연제구 치매안심센터 5 62

부산진구 치매안심센터 1 4

Page 4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4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김 우 경 사무국장

(부산광역시광역치매센터)

3 지역사회 내 기관별 치매관리사업- [돌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치매관리사업

주제발표

Page 4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8 -

1

2

3

Page 4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59 -

노읶장기요양보험

교육시간 - 프로그램 관리자 73시간, 요양보호사 60시간

교육 대상 - 방문요양기관, 주.야간보호기관, 치매전담형기관 종사자

교육과정

노읶장기요양보험

경증 치매환자 대상 장기요양 5등급 신설(‘14) - 읶지활동 서비스 제공

- 5등급 체계로 개편

- 장기요양 5등급 서비스 제공읶력에 대한 치매전문교육 시작

읶지지원등급 신설(’18)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제도 도입(‘16)

읶지활동형 방문요양 서비스 전체 등급 대상 확대(‘16)

- 치매가 확읶되어(최근2년이내 치매약제 복용) 신체기능과 무관

- 주야간 보호에서 읶지기능 개선 프로그램 등 읶지서비스 제공

- 읶지훈련 도구 e-Book 개발 보급

- 치매 수급자에게 전문 간호읶력 방문간호 서비스 제공

Page 4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60 -

노읶장기요양보험

목 적

신체기능이 양호한 경증치매어르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르신이 가

까운 지역사회 내 노읶복지관에서 경증치매에 특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프로그램 두뇌 · 신체 · 사회 · 영양활동 등의 읶지활동형 프로그램

(주3회 1읷 3시간, 월 12회)

본읶부담금 비용 없음

신청방법 거주하시는 지역 내 시범사업 복지관

참여기관

2018년 : 전국 37개 기관

- 부산(3) 강서노읶종합,부산진구,어진샘노읶종합

2019년 : 전국 50개 기관

- 부산(4) 강서노읶종합,부산진구, 동구노읶, 어진샘노읶종합

개요(시범기간 : 2018년 2019년)

(2020.05월 기준)

구 붂 주야간 보호시설

읶지활동 주야간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통합재가 (주야간)

노읶 요양시설

노읶요양 공동생활가정

치매전담 (시설)

치매전담 (생활가정)

치매전담 (주야간)

부 산 211 211 904 595 37 2 120 2 97 21 5 0 5

중 구 4 4 30 20 - - 4 1 0 0 0 0

서 구 4 4 17 10 1 - 3 5 0 1 0 0

동 구 6 6 57 39 3 - 12 2 1 0 0 0

영 도 구 10 9 44 26 1 - 4 3 2 2 0 0

부산진구 14 15 124 88 7 1 9 8 1 0 0 0

동 래 구 19 19 78 55 3 - 10 1 6 1 0 0 0

남 구 11 11 73 52 3 - 8 4 1 0 0 0

북 구 20 20 63 42 1 - 10 9 0 0 0 1

해운대구 26 26 86 60 6 - 12 6 4 0 0 1

사 하 구 22 22 68 44 3 - 9 9 0 0 0 0

금 정 구 17 18 62 35 2 - 6 1 10 0 2 0 2

강 서 구 7 7 11 6 - - 3 4 0 0 0 0

연 제 구 13 12 60 42 1 - 12 3 5 0 0 0

수 영 구 8 8 41 27 2 - 5 4 1 0 0 0

사 상 구 15 15 33 18 - - 9 7 0 0 0 1

기 장 굮 15 15 57 31 4 1 4 16 5 0 0 0

노읶장기요양보험

Page 5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61 -

노읶장기요양보험

출처 : 노읶장기요양 홈페이지 (알림자료실-홍보관-장기요양 급여제공 우수사례)

급여제공 우수사례 발굴·전파를 통한 장기요양서비스 질 향상 및 종사자의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공단은 매년 장기요양 급여제공 우수사례 선정

노읶장기요양보험

가족상담 지원서비스 개요 (2015년~)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2019.09.10) - 가족상담지원서비스로 부양부담 큰폭 감소

목 적

부양부담감이 큰 가족수발자에게 공단에서 개발한 전문프로그램

‘돌봄여정 나침반’ 통해 개별 맞춤형 심리상담과 응급상황 대응 등의

지원하는 서비스

대 상 노읶장기요양 등급자 중 돌봄가족

프로그램 개별상담, 집단활동 등 10회 프로그램(무료)

운 영 전국 60개 노읶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

Page 5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62 -

2018년 국가 건강검진 변경 사항

목표질환 (성연령별 질환)

검진 주기 조정

조정 전(前) ⇒ 조정 후(後)

골다공증 66세(여성) ⇒ 54·66세(여성)

우울증 40·66세 ⇒ 40·50·60·70세

노읶신체기능 66세 ⇒ 66·70·80세

생활습관평가 생애전환기

1차 검진 수검자 ⇒ 40·50·60·70세

읶지기능장애 66·70·74세 ⇒ 66세 이상 2년 1회

이상지질혈증 2년 1회 ⇒ 4년 1회

국민건강검진

• 국민권익위원회 권고사항 - 치매안심센터에 국민건강검진 읶지기능장애 검사( KDSQ) 결과 공유

출처 : 국민권익위원회 보도자료(2020.06.24)

노읶장기요양보험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8.02.12)

Page 5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63 -

건강백세운동교실

목 적 국민을 대상으로 적절한 운동과 건강교육을 통해 신체기능을 향상 시키고 건강생활 유지 ‧ 개선으로 질병의 사전예방과 의료비 절감

프로그램 - 주 2~3회 운동강사 파견(노읶건강 전문읶력 양성과정 운영) - 운동, 건강강좌, 건강측정, 건강생활수칙 지도 등 맞춤형 건강관리 종합서비스 제공

장 소 경로당, 마을회관, 복지관 등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2019.10.25) - 건강백세운동교실 운영 성과 발표회 중

사업 개요

Page 5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5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박 미 진 교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교수)

김 훈 주 교수

(동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김 경 화 교수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종합토론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 효율적인 연계 방향 및 전략

Page 5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5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1 박 미 진 교수(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교수)

종합토론

Page 5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68 -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효율적인 연계 방향 및 전략

박미진(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교수)

노인복지관의 치매관리사업의 예방과 협업에 대한 김채영 관장님의 발표는 지역사회기반 치매관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협력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치매관리사업이 노인복지관을 포함한

지역사회 복지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한 예방활동과 협업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부산지역의 치매관리사업의

발전적 측면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합니다. 본 토론은 지역사회 치매관리 사업 예방과 사업연계에 대한 접근과

전략을 제안하는 측면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1. 치매 관리 사업에 있어서 노인복지관과의 협업

치매유병율의 증대에 따라 치매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서비스와 돌봄 섹터에서의 서비스제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었습니다. 특히 치매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단위에서의 접근방식은 인지장애를 가진

당사자와 그 가족들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변화를 위한 활동에서 확장된 커뮤니티케어의 방식으로 통합하게

하여 당사자와 그 가족들에게 보다 나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방법들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지역사회 단위의 접근들은 지역사회 개별 구성원들이 건강을 위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기여합니다. 지역사회내 노인복지관은 건강한 노인을 위한 인지예방활동에서 인지지원서비스가 필요한

경증 혹은 경계선의 범위의 대상자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활동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노인복지관은 인지장애의 조기발견이나 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협업의 연계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노인복지관 역시 인지장애에 대한 조기검진 인력과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콘텐츠 등에 대한 전문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인지장애를 가진 당사자와 가족들은

노년기 발달과업에 요구되는 서비스와 개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인지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생물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이중적 개입이 요구됩니다. 지역구 단위의 치매안심센터와 노인복지관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협업활동을 위한 지역사회단위의 개입사례들을 하나씩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2. 치매친화적인 지역사회기반 치매관리사업의 연계방향

부산지역내에서 치매친화적인 지역사회사업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기관들간의 유기적인

연계가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대상자 발굴을 위한 연계전략이 필요합니다. 현재

지역사회내에서 인지장애에 대한 조기발굴을 위해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노력이 적극적입니다. 하지만

지역사회내 숨겨진 대상자들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부산지역은 가족구조가

취약한 노인들을 위한 조기발견과 인지예방 활동을 위한 연계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지역사회

단위의 치매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계가 필요합니다. 지역사회보호체계안에서 인지장애에 대한

Page 5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69 -

예방적 활동과 조기발견을 위한 활동들은 치매안심센터와 노인복지관이 중복적으로 제공하기보다는 협력적

역할분담에 의한 연계를 통해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례로, 통합사례관리에 대해

공공에서 제공하는 희망복지지원단의 사례관리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제공되어지는 사례관리에 있어서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역할중복에 대한 고민을 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공공영역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예방적 활동과 민간영역의 노인복지관에서의 인지장애에 대한 예방적 활동은 협력적 역할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중복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생깁니다. 결국 협력적 활동은 기관단위의 사업이 아닌 지역단위의

사업에 의한 역할분담과 활동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치매친화적인 지역사회 구축에 대한 지역기관들의 공통된

목적의식이 공유되어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역내 유관기관들간의 협업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치매관리사업을 위한 부산형 지역사업 연계 협력 전략

부산지역은 타광역시에 비해 노인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시도보다

치매관리사업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치매관리사업은 장기적 개입이

요구되고, 보건의료와 장기요양서비스, 노인복지서비스 등 복합적인 서비스간의 연계가 필요합니다(Takada

et al., 2014). 이를 위해 치매안심센터들이 적극적인 조기발견을 위해 홍보와 조기검진을 위한 노력은

고무적인 상황입니다. 각 구별 치매지역사회협의체가 구성되어 활동하는 것은 구조형성의 측면에서 의미있는

출발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공동의 목표하에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에 있어서는 향후

과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부산지역내 치매관리 사업과 관련된 파트너십을 형성하기 위해 부산지역내

치매가족 돌봄자를 위한 쇼셜케어 서비스를 강화하여 심리사회적 교육과 신체 및 정신건강, 케어스트레스

등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례로 포르투칼지역에서 “Caring For the Caregiving” Project

를 통해 공공기관, 시의회, 치매관련 공공서비스제공기관, 노인복지관을 포함한 사회서비스제공기관들이

협력하여 운영된 프로그램을 들 수 있습니다(Paul et al., 2019). 연계협력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합사례관리시스템이 인지장애 노인들을 위해 제공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산광역시 광역치매센터의 심포지엄을 통해 부산지역이 선도적인 치매친화지역사회로

나아가는데 있어서 방향성을 논의하는 자리가 되었음을 강조하면서 마치고자 합니다.

참고자료

Paul, C., Teixeira, L., Duarte, N., Pires, C.L., Riberio, O. (2019). Effects of a community

intervention program for dementia on mental health: the importance of secondary caregivers

in promoting positive aspects and reducing strai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55, 296-

303.

Takada, J., Meguro, K., Sato, Y., Chiba, Yu, Kurihara Project members (2014). Life concerns

of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determined as by community general support center staff:

Implications for organizing a more effective integrated community care system. The Kurihara

Project. Psychogeriatrics, 14, 188-195.

Page 5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70 -

MEMO

Page 6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71 -

MEMO

Page 6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6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2 김 훈 주 교수(동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종합토론

Page 6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74 -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효율적인 연계 방향 및 전략

김훈주(동주대학교 작업치료과 교수)

1. 들어가며

2017년에 시작된 치매국가책임제는 지난 3년 동안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들을

추진해 왔다. 2019년 전국 시군구에 256개의 치매안심센터가 개소 완료되었고,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환자와 가족에게 상담, 검진, 쉼터, 인지지원 프로그램, 사례관리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 돌보기 어려운 행동심리증상(BPSD)이 있는 치매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 관리하기 위하여

치매안심병원을 운영하여 치매환자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약물치료와 비약물적 개입을 병행하고

있다. 치매국가책임제는 짧은 시간동안 치매관리사업의 정착과 정량적인 운영성과를 확인 할 수 있는 사업에

주력해 왔으며, 그런 측면에서 많은 성과들을 이루었다.

하지만 치매안심센터가 상담, 선별검사, 진단검사, 치매노인 지문 사전 등록, 쉼터 등 치매 위험군이나

가벼운 치매 환자의 발굴 및 관리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과 전국의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의 획일화된

프로그램은 아쉬운 부분이다. 치매 진단 이후의 사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의 치매 관리를 위한

연계 모델이 필요하다.

2. 치매안심센터를 주축으로 한 치매관리사업 연계

치매국가책임제가 시작되고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은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치매안심병원은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와 비약물적 치료를, 치매안심센터는

지역사회 내 치매 예방부터 치료까지, 장기요양서비스는 돌봄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서비스가 중복되는 것이 현실이다.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이 치매의 진행에 따른 단계적 프로그램을 기획한다면 두 모델 간의 차별성은 분명해지고 보다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치매안심병원에서 퇴원한 환자를 치매안심센터로

연계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일상생활과 인지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그 예일 것이다. 모니터링에 필요한 평가 지표를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변화에 따라 반대로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안심병원으로의 의뢰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대상자의 증상의 경중에 따라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이 단계별 프로그램을 함께

계획한다면 인지치료의 연속성이 유지될 것이라고 본다. 또한 장기요양보험의 치매 등급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같은 치매 등급이라고 하더라도 신체적 활동, 인지적 활동, 일상생활활동 등 대상자에 따라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다르기 때문에 각 유형별 그룹 프로그램을 연계한다면 두 모델간의 차별성과 연속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Page 6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75 -

치매 환자들은 뇌에 아무런 자극을 받지 못하면 뇌가 급속도로 나빠지고 뇌의 부피도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뇌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치매는 꾸준히 관리해야 되는 병이기 때문에 서비스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각지대를 없애고 기관별로 사업 연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치매안심병원이나

치매안심센터의 쉼터는 이용 기간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공백이 발생하기 쉽다. 쉼터 이용자가

인지 손상이 더 심한 경우에는 치매안심병원과 연계하여 주간보호나 단기보호를 더욱 활성화할 필요도 있다.

이렇게 진단 이후의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유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적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치매국가책임제가 시작되고 치매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치매환자나 보호자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들의 삶의 질의 개선이 필요하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대부분 그룹치료인 경우가 많아 치매 진단 이후의 개별적인 사후 관리에 대한

부분이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치매환자의 인지손상 정도에 맞는 1:1 밀착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치매환자 사례별로 필요한 서비스나 인지치료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전문 인력 배치를 확대하여

인지평가, 인지치료, 가족교육까지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이 그룹치료와 개별 치료를 효과적으로 연계한다면 다양한 인지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3. 마치며

치매관리사업은 이제 도약해야 할 때이다. 전국 시군구에 설치한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치매 진단

이후의 사후관리에 힘써야 할 때이다. 이제는 정량적 성과보다는 치매관리사업을 질적 성장을 위해 촘촘하고

통합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때이다. 정량적 평가지표라는 틀에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을 집중시켜

획일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치매국가책임제의 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개별화된 욕구와 치매 단계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각 기관들이 치매 진행에 따른 단계별

프로그램을 연계한다면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의 평가지표의 보완이 뒷받침 되어야 될 것이다.

Page 6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76 -

MEMO

Page 6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77 -

MEMO

Page 6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6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3 김 경 화 교수(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종합토론

Page 6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0 -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효율적인 연계 방향 및 전략

김경화(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1. 치매전문교육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이 초고령 사회 대비 및 치매전문인력 양성 위해 시행하고 있다.

요양보호사 과정은 60시간, 프로그램관리자는 총 73시간을 이수하고 소정의 시험을 통과하면 수료

하게 된다. 치매전문교육을 수료하면 치매전문요양보호사 또는 프로그램관리자로서 치매수급자에게

인지활동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격이 부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러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아직까지 초기 단계 과정이라고 평가한다. 환자

수요에 맞는 서비스 질이 갖춰지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치매환자는 단순히 기억력만 떨어지는

증상이 아니라 이상행동, 수면장애, 우울증 등을 동반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인원이 매번 모집

인원을 상회하는 만큼 전문성을 갖춘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치매 환자는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지속 늘어날 전망이다. 2019년 3월 기준 60세 이상 노인인구 추정

치매환자수는 72만 5000여명, 2020년 현재 81만6,393명으로 추산됐다. 치매는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

정신·육체,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치매로 인한 건강보험 의료비가 2조 3436억원에 달해 2011년부터

국가 차원 치매관리정책을 추진했다.

치매 관련 업계 의료진에 따르면 “현재 치매전문인력 양성 과정은 장기요양보험 일환으로, 교육을 이수한

분이 쉽게 현장에 투입돼 치매환자나 가족에게 대응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는다”며 “늘어나는 치매

환자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시행하는 교육과정인 만큼 커리큘럼을 보완하고 추후 시험이나

면담과 같은 지속 점검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메디포뉴스, 2019.05.19).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치매교육훈련을 수료한 후 3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인 자를

연구대상으로 ‘치매교육훈련을 받은 요양보호사들의 학습전이 수준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간의 관계

및 설명력을 살펴보는 연구(김철우, 2018, 한국디지털정책학회)에 의하면, 총 279명에 받은 설문지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치매교육 훈련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훈련설계 중

교육방법과 강사역량이 높을수록, 업무환경 중 전이기회가 높을수록 학습전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전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증진, 업무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교육훈련, 장기요양업무관련 실무경험이 많은 강사선정의 중요성, 업무현장에서 요양보호사에 게 더

많은 전이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014년부터 7월부터 신체기능 양호한 치매어르신을 대상으로 5등급 신설하여 인지활동서비스 제공이

Page 7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1 -

시작되어 치매전문교육(요양보호사)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교육수요도가 많아 올해(2020년)프로그램

관리자+요양보호사 76과정 6,080명 목표였으나, 코로나 19 위험으로 53과정으로 축소하여 5월부터 교육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본 토론자가 교육 일선 경험바에 따르면, 요양보호사들의 학습 열의가 대체로 높은 편이지만

정책이행의 필수성으로 인해 마지못해 앉아 있는 교육생도 있는 실정이라 때로는 학습분위기가 침체되기도

한다. 이에 실제 의료계 현장의 소리를 들어 보면 치매 환자를 돌보는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한 보완 요구가

높다. 치매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쉬운 이수 교육과정으로 이외 전문지식과 환자 대면 능력을 위한 추가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메디포뉴스, 2019.05.19. 인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양성하는 치매전문인력은 60시간 교육과정과 소정 시험을 통과하면 요양병원 등

장기요양기관에 소속된다. 2017년부터 시행한 치매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치매국가책임제의 일환이다. 하루

8시간 수업으로 약 일주일간 교육을 받고 시험을 치며 올해 3월까지 요양보호사 과정을 수강한 5986명

중 75명만 불합격할 정도로 통과 기준이 쉽다. 실제 환자를 대면하는 의료진은 치매전문인력 실전 경험이

미흡하다고 평가한다. 교육 과정이 단편적이고 이수요건이 쉽기 때문이다. 다수 치매환자와 보호자로부터

실질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요청받는다.

의료진은 일주일간 수업이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직업 적성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

까다로운 시험 통과 요건 등 추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9년에만 약 2만7000명

이상 치매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매월 교육을 시행한다. 관련 인력 숫자를 늘리는 양적성장에만 치우쳐

있다는 평가다.

그러나 요양보호사들 측면에서는 치매전문교육 대상자가 적어 가족요양보호사 급여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현행 '가족요양 급여서비스 종류 및 자격'을 보면 장기요양등급이 5등급인

경우 가족요양보호사가 치매전문교육을 이수해야 급여 제공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5등급에

포함돼 치매가 확인됐음에도 전문교육을 받지 않고 가족을 돌볼 경우 가족 급여를 활용할 수 없어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들에 따르면 치매전문교육 대상 인원 제한으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포뉴스, 2019.05.19. 인용).

2019년 초 정부는 최근 치매전문 요양보호사를 4년간 10만명 늘린다는 방침을 발표했고 복지부 등

관계부처는 치매 환자 맞춤형 돌봄 서비스 확대를 위해 치매 전문 요양보호사를 올해부터 2022년까지 매년

2만7,000명씩 10만8,000명 양성을 예고했다. 2018년 진행된 2번의 요양보호사 자격시험을 통해 8만470

명이 배출됐고, 2019년 상반기에는 5만257명이 배출되었다. 수많은 합격자에 비해 치매전문교육을 받을 수

인원은 너무 한정돼 가족요양보호사 제도가 폭넓게 활용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치매전문교육을 받아야 가족요양제도를 활용할 수 있지만 치매전문교육 인원이 너무 적어 활용할 수가

없다. 더불어 재가서비스센터장이 전문교육 대상자를 추천하는 현행 제도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요양보호사들이 인터넷 등록을 통해 손쉽게 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해 기회를 넓혀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현행 규정은 치매전문교육은 센터 및 시설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센터 당 2명의 인원만 교육 접수가

가능하도록 한정하고 있다(중앙일보. 2020.4.10. 인용).

Page 7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2 -

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현재 요양보호사 대상의 치매전문교육이 적지 않은 수치라는 의견인데

치매전문교육은 말 그대로 현장 근무자들의 전문교육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모든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 5등급 대상자에 대해 치매전문교육을 단서로 하고 있는 이유는 5등급은

치매판정을 받아도 인지기능에 대한 저하가 적고 신체 기능에 의한 돌봄의 강도가 크지 않다는 이유다. 즉,

5등급의 경우 치매전문교육을 받은 가족요양보호사가 인지기능 유지 역할을 수행할 경우 급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2018년 배출된 요양보호사 치매전문교육 인원은 2만9,697명이며, 2019년 4

만 605명으로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배출된 인원은 총 11만 8,521명이다(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자료 인용). 공단 관계자는 “치매전문교육에 대해 복지부와 공단 모두 고민이 많다. 하지만 말 그대로

치매전문교육은 모두가 받는 교육이 아니라 표준화된 교육 커리큘럼을 이용한 시설 종사자 대상 교육으로

모든 요양보호사가 대상은 아니다”라고 한다.

이어 “신체기능이 양호한 5등급을 제외하고 1~4등급의 경우 치매전문교육을 받을 않아도 돌봄의 요구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족인요양인제도를 통해 급여제공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고 한다.

더불어 5등급을 돌보는 모든 요양보호사에 가족요양보호사를 허용할 경우 재정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에 의료계 관계자는 “5등급 대상자에게 모두 가족요양보호사를 허용하면

보험 재정에 부담되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된다”며 “현실적으로 적용은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

중앙일보. 2020.4.10. 인용).

결론적으로

◆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은 '치매전문교육을 이수한 시설장, 프로그램관리자, 치매전문요양보호사를

각각 갖춰야' 한다고 인력기준이 세워져있지만, 실제 장기요양 현장에서 치매관련 서비스의 제공자로서

프로그램관리자, 치매전문요양보호사 등이 충분한 양성교육을 받고 있는지 문제 제기가 많다.

치매프로그램을 단계별로 교육하는 현장 맞춤형 매뉴얼 역시 부족한 상태이며 이에 따른 전문인력의

교육 역시 체계적이지 않다.

◆ 치매돌봄 역량을 기르는 교육은 이론만이 아닌 현장실습이 중요하며, 치매 대상자와 만나서 같이하는

경험을 통해서 그들의 마음, 그 가족이나 살아온 사회 환경 등을 이해하고 노인들의 사소한 욕구를 아는

전문가적 판단과 이해를 갖출 수 있도록 교육이 구성되어야 한다.

◆ 교육 수료 이후, 실제적으로 치매프로그램 제공하면서 필요한 추가 교육이나, 노하우 등은 각 해당 구에

설치되어 있는 치매안심센터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주기적인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치매안심센터

전문인력들은 치매환자, 가족, 일반인, 종사자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계획 수립·진행하고 있기에

누구보다 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부분을 잘 알고 알려줄수 있을것이라 생각된다.

실제적인 예로, 현재 연제구 치매안심센터에서는 해당 구에 있는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Page 72: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3 -

2. 가족상담 지원서비스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으로 가족 수발자의 경제적 부담은 감소하였으나 오랜 기간병생활로 가족이 느끼는

부양부담감은 여전히 높아 가족 갈등, 노인학대, 간병자살 등으로 이어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가족 수발자의 스트레스와 부양부담 완화를 위해 2015년부터 시범사업 실시

- 2020년부터 60개 지역으로 확대운영

- 서비스는 내용은 공단이 개발한 전문 프로그램 ‘돌봄여정 나침반’을 활용하여 대상자 욕구에 맞게

개별상담, 집단활동 등 10회 프로그램으로 전문 상담원이 진행

이에 대해 앞으로

◆ 가족상담지원시 전문상담사의 자격요건을 갖춘 상담사 활용 필요하다.

1안) 객원 전문상담사의 정기적인 지원 (주 1~2회)

2안)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활용

- 상담관련 교육지원 자격취득 지원,

- 전 직원의 상담사 활용

- 상담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자격증 과정 이수 필요

◆ 치매안심센터 등 치매관리 사업 지원 인력에 대한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및 자기

효능감·셀프리더십 향상 등의 역량 강화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순차적인 ‘쉼’을 통해 재 충전의 기회 마련

◆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환자 가족교실, 자조모임, 카페운영 등과 같은 치매환자 가족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연계는 상호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치매안심센터 : 가족프로그램 참여자 대상으로, 본인 동의 있을시 가족 상담자에 대한 정보제공

→ 공단 측 : 정보를 제공받아 관련 상담지원

3.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산광역치매센터, 대학교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확대 필요

- 2016년 건강보험공단 부산지역본부는 부산광역치매센터와 협력하여 경증 치매노인들을 위한 치매관리

프로그램인 '뇌청춘 Project' 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 후 부산지역 대학교 및 대학생 치매 파트너

150여명과 함께 부산광역시 내 장기요양 3~5등급자 중 경증 치매어르신 72명을 대상으로 주 2회 6

주간 대상자 가정으로 방문해 개인 맞춤 인지활동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 2017년 건강보험공단 부산지역본부는 부산광역치매센터와 협력하여 경증 치매노인들을 위한 치매관리

프로그램인 ‘언제나 뇌청춘 프로젝트’를 재가복지센터에서 주 2회 6주간 시행하였다.

- 2019년 건강보험공단 부산지역본부는 가야대 작업치료학과 산학협력하여 “치매애 행복드림” 사업

진행하였다.

Page 73: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4 -

산학협력 프로그램 진행을 통해,

◆ 서비스 대상자들에게 중증치매로의 진입을 지연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치매 파트너들이 치매관리와 예방을 위한 핵심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획의 장이 되었다.

- 이론으로만 배웠던 내용들을 직접 ‘인지 활동형 프로그램’ 등에 참여해 봄으로써, ‘장기요양 5등급

제도에 대한 국가정책’과 ‘치매관리 및 예방’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치매 선별 검사’를 함께 해

봄으로써, ‘치매 조기 검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관계 형성’ 등을

통해 치매대상자와 가족을 이해하게 되어,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이 상승하고, ‘만족감’이

높아 참여한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 이 시범사업을 활성화 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치매안심센터-대학교 등 지역사회 다양한 참여기관을

확대하여 개인 맞춤 인지활동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중증치매로의 진입을 지연시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 시킬 필요 있다.

4. 장기요양 우수 프로그램 사례 공유

-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 홈페이지에 게시되어있는 치매 등 어르신을 위한 우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치매안심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치매안심마을, 프로그램 제공 등과 유사한 점이 많다.

- 장기요양기관 ·치매안심센터·노인복지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우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다양하고 특화된 프로그램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각 기관별로 프로그램 계획·진행하기 보다는 서로 연계협력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 지원이 필요하므로

이를 체계화하여 정기적인(필요시 수시) 운영 및 평가회의가 필요하다.

5. 부처 간의 조율을 통한 개인정보 공유가 된다면, 치매관리사업 진행 시 여러 기관간의 연계 및 사업 중복을 예방할 수 있다.

- 장기요양치매등급자 정보와 만 66세 이상 국민이 건강검진 시 받는 인지기능 장애검사 결과(KDSQ)가

건강보험공단과 암센터에는 통보되지만 치매안심센터에는 제공되지 않아 효율적인 치매관리에 문제를

겪어왔다.

- 앞으로는, 건강보험공단이 건강검진 때 시행하는 인지기능장애검사(KDSQ)결과가 치매안심센터에

제공되어 초기치매환자에 대한 교육·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라고 한다.

- 이와 더불어, 장기요양치매등급자 정보에 관한 공유도 법 개정이 이루어져, 효율적인 치매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Page 74: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5 -

MEMO

Page 75: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6 -

MEMO

Page 76: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87 -

MEMO

Page 77: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Page 78: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광역치매센터 프로그램 소개]경도 인지장애 및 치매환자 대상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참고자료

Page 79: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90 -

[광역치매센터 프로그램 소개] 경도 인지장애 및

발행처 제 목 대상자

보건복지부국민건강보험공단

인지활동형프로그램e-Book

2014주야간보호 (참나무 숲)

경증 치매환자방문요양

2017 인지훈련도구 워크북 1~3 경도 ~ 중증 치매환자

중앙치매센터 반짝활짝 뇌운동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

대구광역시광역치매센터

기억카페 가이드북경도인지장애및 경증 치매환자

대전광역시광역치매센터

생각 더하기초급 중등도 ~ 중증 치매환자

중급 경증 치매환자

경기도광역치매센터

이음활동프로그램 경증 치매환자

인천광역시광역치매센터

가치함께 똑똑똑

0단계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

1단계

2단계

강원도광역치매센터

두뇌건강놀이책1첫 걸음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

두 걸음, 세걸음

두뇌건강놀이책2첫 걸음

두 걸음, 세걸음

충청북도광역치매센터

치매愛기억담기(Web-COT)

1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

2

3

뇌 건강쉼터 365 경증 치매환자

충청남도광역치매센터

오순도순 뇌운동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

보듬 경증 치매환자

경상남도광역치매센터

기억채움1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

2

제주특별자치도광역치매센터

ㄱ드림1 경증 치매환자

2 중증 치매환자

Page 80: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91 -

치매환자 대상 활용가능한 프로그램

컨텐츠 사용 경로 연락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자료실] [전문자료실] ‘인지활동형 프로그램’ 보기

-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 [정보] [자료실] 간행물 신청서 작성

1666-0921

유선 연락 후 간행물 신청서 작성 053) 323-6321~2

대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센터소개] [간행/영상물] 간행물 신청서 작성

042) 280-8965~9

경기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센터소개] [간행/홍보/영상물] 간행물 신청서 작성

031) 271-7021

인천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커뮤니티] [자료실] 간행물 신청서 작성

032) 472-2027~9

강원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커뮤니티] [자료실] 간행물 신청서 작성

033) 257-9164~5

충청북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공지사항] 공문, 간행물 신청서 작성

043) 269-6891

충청남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커뮤니티] [자료실] 간행물 신청서 작성

041) 550-7400

경상남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공지사항] 간행물 신청서 작성

055) 750-9577~9

제주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 [센터소개] [간행/홍보/영상물] 간행물 신청서 작성

064) 717-2355

Page 81: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제7회 부산광역시 치매관리 심포지엄 발전워크숍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사업의 효율적

- 92 -

M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