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15
작성 노민선 연구위원 중소기업 포커스는 중소기업연구원 홈페이지 에서도 보실 있습니다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Upload: others

Post on 23-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작성Ⅰ

노민선

연구위원(02-707-9843, [email protected])

※ KOSBI

중소기업

포커스는

중소기업연구원

홈페이지(www.kosbi.re.kr)

에서도

보실

있습니다.

제14-11

호 2014.10.06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Page 2: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

목 차

목 차

1.

서론

2.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보유

현황

3.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4.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

요 약

요 약

n

중소기업

인력은

근속기간이

짧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

또한

낮게

나타남

입사 1

퇴사하는

인력

비중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3

이상

높음

중소기업 1

인당

생산성은

대기업의 28.0%

불과

n

중소기업

대부분이

관리가

필요한

핵심인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직으로

인한

경영상의

피해가

크게

나타남

중소기업

핵심인력은 ‘

직무

기여도가

높아

해당

중소기업의

대표자가

장기재직이

필요하다고

지정하는

근로자’

말함(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제2

제6

호)

중소기업의 94.0%

회사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핵심인력이 1

이상

존재하며,

중소기업 1

개사당

평균 14.3

명의

핵심인력

보유

중소기업의 34.5%

최근 3

년간

핵심인력의

이직으로

인한

경영상의

피해

경험

-

피해

중소기업은

최근 3

년간

평균 1.9

건의

핵심인력

이직과 1

건당

평균 2.7

억원의

매출액

감소

피해

·

피해

중소기업 1

개사당

평균 5.2

억원

매출액

감소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응답

중소기업

평균

매출액(110.4

억원)

의 4.7%

수준

-

핵심인력

퇴사로

인한

대체인력 1

인당

평균 4,607

만원의

양성비용

소요

Page 3: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n

중소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핵심인력의 82.0%

가 1

이상

이직

경험

이직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은

평균 2.5

이직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39.5%

향후

기회가

된다면

회사를

옮길

의향

존재

중소기업

핵심인력은

이직

가장

고려하는

요소로 ‘

자기개발

기회확대

(43.0%)’

와 ‘

회사

대비

높은

급여

수준(28.5%)’

꼽았음

n ‘

중소기업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과

핵심인력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

중소기업의 90%

이상이

성과보상공제

사업

가입이

핵심인력의

이직방지와

회사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응답

핵심인력의 81.5%

성과보상공제

사업

가입이

현재

근무하는

회사에서

장기

재직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대답

n

중소기업의

핵심인력의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원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음

(1)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활성화

(2)

중소기업

핵심인력

전용

인적자원개발(HRD)

프로그램

도입

(3)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4)

중소기업

핵심인력

대상의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

Page 4: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1 /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1.

서론

n

중소기업의

인력부족

현상은

열악한

보상체계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이직률에

기인함

중소기업 R&D

인력의

평균

급여수준은

대기업의 46%

수준에

불과1)

하며,

중소

기업

경우 ‘

낮은

임금수준’

인력

채용시

느끼는

가장

애로사항으로

언급2)

이공계

인력

평균

이직률3) :

중소기업(16.8%) >

대기업(9.8%)

n

중소기업

인력은

근속기간이

짧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

또한

낮게

나타남

입사 1

퇴사하는

인력

비중4)

-

신입사원 :

중소기업(30.6%) >

대기업(8.6%)

-

경력사원 :

중소기업(21.2%) >

대기업(5.7%)

중소기업 1

인당

생산성은

대기업의 28.0%

불과5)

n

정부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장기재직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공제사업을

신설하였으며,

중소기업과

핵심인력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

마련이

요구됨

•「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개정」

통해

중소기업

핵심인력

성과보상기금

설치

관련

규정

신설(’14.1.21)

•「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시행령」, 「

공제규정」, 「

기금운용요강」

하위

법령

제반규정

제·

개정(’14.7.22)

•「

중소기업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출범(’14.8.21)

n

이에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이직

현황을

분석하고,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2013

재가공 2)

민선,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공제사업

도입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9

이공계

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2010.

4)

한국경영자총협회, 2012

신입,

경력사원

채용실태

특징조사, 2012.

5)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보고서, 2012.

Page 5: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2.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보유

현황

가.

핵심인력의

개념

유형

n

핵심인력은 ‘

직무

기여도가

높아

해당

중소기업의

대표자가

장기재직이

필요

하다고

지정하는

근로자’

말함(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제2

제6

호)

기업의

입장에서

현재와

미래의

기업

경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인력이며,

기업

차원에서

선정하고

육성하는

인력을

의미(

노민선, 2013)

n

핵심인력의

유형은

크게

가지로

구분할

있음

• (

기업경영

선도인력)

우수한

성과를

반복적으로

창출하며,

기업의

비전

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핵심전략을

중심적으로

추진하는

인력

• (

잠재력을

보유한

우수인력)

기업의

중점

추진사업이나

전략을

주도적으로

수행

하지는

못하더라도,

현재

맡은바

업무에

뛰어난

성과를

보이며

기업의

핵심가치

확보에

기여하는

인력

• (

대체불가

필수인력)

주요사업의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갑작스러운

대체시

기업경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력

[그림 1] 핵심인력의 유형

자료 :

노민선,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공제사업

도입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3.

Page 6: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3 /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나.

중소기업

핵심인력

보유

현황

n

중소기업은

회사

차원에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핵심인력을 1

개사당

평균 14.3

보유

직군별로는 R&D

인력이 1

개사당

평균 7.0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산직(3.5

명),

영업판매직(1.9

명),

사무관리직(1.9

명)

등의

순으로

나타남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기업의

핵심인력이 1

개사당

평균 15.0

명으로

비수도권

소재기업(13.5

명)

비해

다소

많았음

[표 1] 중소기업 1개사당 핵심인력 보유 현황

분 R&D

생산직

영업판매직

사무관리직

수도권 7.4 3.5 2.1 2.0 15.0

비수도권 6.5 3.6 1.6 1.8 13.5

체 7.0 3.5 1.9 1.9 14.3

(

단위 :

명)

자료 :

노민선,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공제사업

도입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3.

n

중소기업의 94.0%

회사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핵심인력이 1

이상

존재

직군별로는 R&D

인력

중에서

핵심인력이

존재한다는

기업이 94.0%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사무관리직(73.0%),

영업판매직(66.0%),

생산직(61.0%)

등의

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기업(94.5%)

비수도권

소재기업(93.3%)

비슷하게

나타남

-

비수도권

소재기업의

경우

생산직의

비중(68.9%)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표 2] 핵심인력 보유 중소기업 비중

분 R&D

생산직

영업판매직

사무관리직

수도권 94.5 54.5 70.9 78.2 94.5

비수도권 93.3 68.9 60.0 66.7 93.3

체 94.0 61.0 66.0 73.0 94.0

(

단위 :

명)

자료 :

노민선,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공제사업

도입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3.

Page 7: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3.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가.

중소기업

대상

실태조사

결과6)

n

핵심인력

이직

피해

경험

중소기업의 34.5%

최근 3

년간

핵심인력이

경쟁업체

등으로

이직하여

경영

상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남

기업유형별로는

일반

중소기업,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기업의

피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기업유형별 :

일반

중소기업(35.4%) >

혁신형

중소기업(34.1%)

-

지역별 :

수도권

소재기업(35.2%) >

비수도권

소재기업(33.9%)

[표 3] 핵심인력 이직으로 인한 피해 중소기업 비중

피해경험

있음

피해경험

없음

기업

유형

일반

중소기업 23(35.4) 42(64.6) 65(100.0)

혁신형

중소기업7) 46(34.1) 89(65.9) 135(100.0)

지역

수도권

소재기업 31(35.2) 57(64.8) 88(100.0)

비수도권

소재기업 38(33.9) 74(66.1) 112(100.0)

체 69(34.5) 131(65.5) 200(100.0)

(

단위 :

개사(%))

n

핵심인력

이직

건수

피해금액

피해

중소기업은

최근 3

년간

평균 1.9

건의

핵심인력

이직과

핵심인력

이직

1

건당

평균 2.7

억원의

매출액

감소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기업유형별로는

혁신형

중소기업이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이직

건수와

피해

금액

모두

것으로

조사됨

-

이직

건수 :

혁신형

중소기업(2.0

건) >

일반

중소기업(1.7

건)

- 1

건당

피해금액 :

혁신형

중소기업(3.1

억원) >

일반

중소기업(2.0

억원)

6)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에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중소기업 200

개사를

대상으로 2014. 7.

2(

수) ∼ 11(

금)

까지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임

7)

벤처기업,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경영혁신형

중소기업(Main-Biz)

의미

Page 8: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5 /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지역별로는

수도권

중소기업이

비수도권

중소기업에

비해

이직

건수와

피해

금액

모두

것으로

나타남

-

이직

건수 :

수도권

중소기업(2.1

건) >

비수도권

중소기업(1.8

건)

- 1

건당

피해금액 :

수도권

중소기업(3.4

억원) >

비수도권

중소기업(2.2

억원)

n

핵심인력

이직

기업

평균

피해금액

핵심인력이

경쟁업체

등으로

이직한

중소기업은 1

개사당

평균 5.2

억원*

출액

감소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남

* 응답 기업 200개사 평균 매출액(110.4억원)의 4.7% 수준

기업유형별로는

혁신형

중소기업,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기업의

피해

금액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

기업유형별 :

혁신형

중소기업(6.2

억원) >

일반

중소기업(3.3

억원)

-

지역별 :

수도권

소재기업(7.2

억원) >

비수도권

소재기업(3.6

억원)

n

핵심인력

퇴사시

대체인력

양성비용

핵심인력

퇴사로

인한

대체인력 1

인당

평균 4,607

만원의

양성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됨

기업유형별로는

일반

중소기업,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소재기업의

피해

금액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

기업유형별 :

일반

중소기업(5,083

만원) >

혁신형

중소기업(4,370

만원)

-

지역별 :

비수도권

소재기업(5,297

만원) >

수도권

소재기업(3,761

만원)

n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기여도

중소기업의 92.5%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가입이

핵심인력의

이직

방지에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7.5%

불과했음

중소기업의 91.0%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가입이

회사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9.0%

그쳤음

Page 9: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나.

핵심인력

대상

실태조사

결과8)

(1)

핵심인력

급여

수준

n 1

평균

급여

수준

중소기업

핵심인력 1

인당

평균

연봉은 3,953

만원으로

나타남

기업유형별로는

혁신형

중소기업,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기업의

연봉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기업유형별 :

혁신형

중소기업(4,026

만원) >

일반

중소기업(3,818

만원)

-

지역별 :

수도권

소재기업(4,312

만원) >

비수도권

소재기업(3,698

만원)

n

보유

능력

대비

급여

수준의

적정성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핵심인력의 47.5%

보유

능력

대비

급여

수준이

부족하다고

응답함

[표 4] 보유 능력 대비 급여 수준의 적정성(핵심인력)

매우

부족

다소

부족

적정

수준

다소

충분

매우

충분

인원

수 10 85 84 17 4 200

비중 5.0% 42.5% 42.0% 8.5% 2.0% 100.0%

(

단위 :

명)

(2)

핵심인력

이직

현황

n

이직

경험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82.0%

가 1

이상

이직

경험이

존재하며,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번째

직장이라는

응답은 18.0%

나타남

[표 5]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회사 이직 경험

이직

경험

있음

이직

경험

없음

인원

수 164 36 200

비중 82.0% 18.0% 100.0%

(

단위 :

명)

8)

핵심인력

성과보상기금

사업(

내일채움공제)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중소기업의

핵심인력 200

명을

대상으로 2014. 7. 2(

수) ∼ 11(

금)

까지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임

Page 10: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7 /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이직

경험

있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은

평균 2.5

이직한

것으로

나타남

n

이전

근무처

이직

경험이

있는

핵심인력의 81.1%

현재

회사에

입사하기

직전에

중소기업에

근무했던

것으로

조사됨

[표 6] 현재 회사 입사하기 직전 근무 직장

대기업

중소기업

외국계

기업

대학,

공공기관

창업

인원

수 18 133 2 5 6 164

비중 11.0% 81.1% 1.2% 3.0% 3.7% 100.0%

(

단위 :

명)

n

이직

사유

이직

경험이

있는

핵심인력들은

주요

이직

사유로 ‘

자기개발

기회

확대(32.3%)’

이전

회사

대비

높은

급여수준(23.2%)’

꼽았음

[표 7] 핵심인력 이직 사유

분 A B C D E F

인원

수 53 38 30 21 18 4 164

비중 32.3% 23.2% 18.3% 12.8% 11.0% 2.4% 100.0%

(

단위 :

명)

A : 자기개발 기회 확대 B : 이전 회사 대비 높은 급여 수준 C : 회사 근무 환경

D : 회사에서의 담당 업무 E : 회사 근무 지역 F : 이전 회사 대비 높은 직급

핵심인력이

현재

회사로

이직했을

이전

회사

대비

급여

인상액은

평균 398

만원

으로

나타남

(3)

핵심인력

이직

의향

n

이직

의향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39.5%

향후

기회가

된다면

회사를

옮길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Page 11: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표 8]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회사 이직 의향

이직

의향

있음

이직

의향

없음

인원

수 79 121 200

비중 39.5% 60.5% 100.0%

(

단위 :

명)

n

핵심인력

이직

희망

기관

이직

의향이

있는

핵심인력의

이직

희망기관은

중소기업,

대기업,

창업,

공공기관

등의

순으로

나타남

[표 9] 핵심인력 이직 희망 기관(복수응답)

중소기업

대기업

창업

공공기관

외국계기업

대학

인원

수 24 21 19 18 15 5 79

비중 30.4% 26.6% 24.1% 22.8% 19.0% 6.3% 100.0%

(

단위 :

명)

n

핵심인력의

회사

이직

고려

요소

중소기업

핵심인력은

이직

가장

고려하는

요소로 ‘

자기개발

기회확대(43.0%)’

회사

대비

높은

급여

수준(28.5%)’

꼽았음

[표 10] 핵심인력의 회사 이직 시 고려 요소

분 A B C D E F

인원

수 86 57 21 19 9 8 200

비중 43.0% 28.5% 10.5% 9.5% 4.5% 4.0% 100.0%

(

단위 :

명)

A : 자기개발 기회 확대를 통한 비전 제시 B : 현 회사 대비 높은 급여 수준

C : 근무 환경의 개선 D : 옮길 회사에서 담당할 업무

E : 옮길 회사의 근무 지역 F : 직급 또는 직위의 상향

중소기업

핵심인력이

스카우트를

제의받았을

급여

인상

희망액은

평균 944

으로

조사됨

Page 12: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9 /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4)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에

대한

인식

n

장기재직에

미치는

영향

핵심인력의 81.5%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가입이

현재

근무하는

회사에서

장기재직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함

[표 11]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가입이 장기재직에 미치는 영향

크게

영향

다소

영향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함

인원

수 47 116 37 - 200

비중 23.5% 58.0% 18.5% - 100.0%

(

단위 :

명)

n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사업

활성화

추진

과제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핵심인력의 42.0%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

참여기업에

대한

지원강화’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

[표 12]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 사업 활성화 과제(핵심인력 대상)

분 A B C D E

인원

수 84 53 39 17 7 200

비중 42.0% 26.5% 19.5% 8.5% 3.5% 100.0%

(

단위 :

명)

A : 참여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 B : 핵심인력 대상 역량강화 프로그램 도입

C : 복지상품 및 다른 금융상품 발굴 확대 D : 성과보상기금 사업에 대한 홍보 강화

E : 타 정부지원사업과의 연계 강화

<핵심인력 성과보상공제(내일채움공제) 사업 개요>

▪(사업내용) 핵심인력의 중소기업 장기재직 인센티브(성과보상)로 기업과 근로자의

공동적립금을 5년 이상 재직시 핵심인력에게 지급

▪(가입대상) 중소기업 + 핵심인력

* 중소기업 : 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上 지원업종 영위 기업

* 핵심인력 : 기업주가 장기재직이 필요하다고 지정한 재직근로자

▪(가입기간) 5년(최초 가입시), 3~5년(재가입시)

▪(납입비율) 핵심인력 : 중소기업 = 1 : 2 이상

▪(납입방식) 5년간 최소 2,000구좌 이상 가입 (1구좌 = 1만원)

▪(공제금리) 년 2.68% 내외(연복리, 연단위 변동금리)

Page 13: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4.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n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활성화

중소기업

핵심인력

전용

인적자원개발(HRD)

프로그램

도입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확대

중소기업

핵심인력

대상의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

(1)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사업

활성화

지방

중소기업에

편입된

전문연구요원이

성과보상

공제사업에

가입할

경우

정부가

일정

금액

매칭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인력부족률은 66.7%

수도권

소재기업(54.5%)

비해

높으며9),

전문연구요원으로

중소기업에서

지원종료일까지

근무한

연구인력의

61.9%

지원종료

당일에

퇴사10)

지방소재

중소기업에서

전문연구요원을

최소한 5

이상

근무할

있도록

도함으로써

인력부족률

완화

가능

현행

매칭

비중(

기업 :

근로자 = 2:1)

에서

기업

비중을

줄이고,

정부가

해당

감소분

만큼

매칭

성과보상

공제사업

납입비용을 R&D

조세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2014

납입

분에

대해서

소급

적용

-

정부는「

일자리

단계별

청년고용

대책(’14.4.15)」

통해

공제사업

납입비용에

대한 R&D

세액공제

적용

방침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법제화되지

않음

-

향후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개정시

해당

내용을

반영하고

공제사업

출범

(’14.8.21)

이후

중소기업

납입분에

대한

소급

적용

허용

9)

노민선,

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재직

공제사업

도입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3.

10)

노민선·

이희수,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

연구인력

고용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정책분석평가

학회보, 22(3), pp.199-229, 2012.

Page 14: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11 /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

(2)

중소기업

핵심인력

전용

인적자원개발(HRD)

프로그램

도입

성과보상

공제사업에

가입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핵심인력

역량강화

역량

전수

프로그램

도입

-

핵심인력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생애주기별

성장경로

제시

-

핵심인력의

보유

역량에

대한

중소기업

내부

전수

프로그램

도입

성과보상

공제사업에

가입한

중소기업

핵심인력을

대상으로

해외

연수

프로그램

도입

-

해외

기술경영

교육기관을

통한

중·

장기

연수(

최소 1

개월

이상)

-

글로벌 R&D

센터

산업연수

단기

연수(

최대 1

개월

이내)

(3)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성과보상공제

사업에서

중소기업

핵심인력이

납입하는

비용에

대한

과세특례

허용

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

제35

조의 2

따라

설치된 ‘

핵심인력

성과보상기금’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장공제회*’

범위에

포함

* 직장공제회 초과반환금에 대한 조세지원

- 종합소득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미합산(소득세법 제14조제3항제3호)

- 이자소득세 0∼4%(일반 이자소득세 15.4%)(소득세법 제63조)

정부 R&D

사업의

인건비

지원제도를

핵심인력

연구

인센티브

제도로

개편

-

중소기업

주관

과제에서

전체

인건비

신규인력

채용에 30%

이상

활용시

동일

금액을

기존

인력

중 ‘

핵심인력’

으로

지정한

인력에

대한

성과급으로

산정할

있도록

허용

(4)

중소기업

핵심인력

대상의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

생활안정자금,

학자금,

전세자금

단기자금

대출사업

추진

공제사업

회원카드제를

운영하고,

휴양시설,

문화공연,

의료지원

등의

복지서

비스

제공

Page 15: 중소기업 핵심인력 이직 현황 및 장기재직 활성화 방안(최종)mynewsletter.co.kr/kcplaa/201410-3/5.pdf · 2014. 10. 17. ·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개념

KOSBI

중소기업

포커스

발행인 :

김세종

편집인 :

김세종

발행처 :

중소기업연구원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189

중소기업DMC

타워 (121-904)

전화: 02-707-9800,

팩스: 02-707-9894

홈페이지: http://www.kosbi.re.kr

인쇄처 :

경성문화사

n

본지에

게재된

내용은

필자

개인(

연구진)

견해이며,

중소기업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n

본지의

내용은

상업적으로

사용할

없으며,

내용을

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