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양극 x선관및초점특성 -...

16
회전양극 X선관 초점 특성 회전양극 X선관 초점 특성

Upload: others

Post on 16-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 회전양극 X선관 및 초점 특성– 회전양극 X선관 및 초점 특성

  • • 2) 회전양극 X선관(rotating anode tube)

    ▫ 음극과 회전되는 양극으로 구성되는 X선관

    그림. 회전양극 X선관의 양극 구조

  • • (1)회전양극 구조

    ▫ 저지극 – 전자의 충돌면적이 고정되어있지 않고 회전하면 넓

    은 면이 되므로 충돌면적의 극대화를 이룸

  • ▫ 저지극 재질

    � 텅스텐판(W)에 몰리브덴(Mo)을 덧붙여 사용

    � Mo는 W보다 비중이 ½, 비열이 2배정도임.

    즉, 동일 중량일 때 열량이 약 2배가 됨

  • ▫ 고정자코일(stator)

    � X선유리관 외부에 위치하며 코일에 전류를 흘려 회전자

    계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함

    고정자코일

  • ▫ 회전자(rotor)

    � 저지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자코일에서 발생된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

    저지극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함

    � 베어링과 금속윤활유(은)를 사용하여 속도 증가

    � 회전자의 가속시간 및 제동시간

    � 양극의 직경, 양극의 무게, 가속 초기전압, 가속초기 및 후 전압은 다름

    � 일반회전양극 속도 = (120 x f ) / p [rpm]

    단, f : 주파수, p :자극수

    ⇒ 60Hz, 2극 일 때 회전속도는 3,600[rpm]⇒ 60Hz, 2극 일 때 회전속도는 3,600[rpm]

    � 고속회전양극

    � 고정자코일의 주파수를 3배 증가시킴

    � 회전속도는 9,000 ~ 10,800 [rpm]

    � 장점 – 매우 짧은 단시간부하에 적합

    • (2) 회전양극의 냉각특성 – 단시간부하에 적합

    • (3) 회전양극의 장점 – 실초점을 크게 하면서, 실효초점을 작게 할수 있다

  • • 3. X선관의 특성

    • 1) 초점특성

    ▫ 실초점 -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target에 부딪힌 실제 면적으로

    실초점 면적이 클수록 X선관의 허용부하가 커짐

    ▫ 실효초점 - 실초점을 수직면상으로 투영한 면적으로 클수록 선예도가

    나빠진다. 작을수록 화질이 좋다

    � 실효초점 = 실초점 × sinφ(φ= target angle)� 실효초점 = 실초점 × sinφ(φ= target angle)

  • ▫ 정초점 - 필라멘트의 전면에서 발생된 전자에 의해 만들어지

    는 초점

    ▫ 부초점 - 필라멘트의 측,후면 등에서 발생된 전자에 의해 만

    들어지는 초점

    � 정초점과 부초점 크기 - 집속통의 폭과 필라멘트의 깊이가 결정

  • ▫ 공칭초점 - NEMA규정에 따라 각 제조사에서 측정한 실효초점크기

    ▫ 등가초점 - 동일한 실효초점이지만 측정방법에 따라서 초점의 크기가

    달라지며, 이때 동일해상력을 가진 초점크기를 등가초점이라고 함,

    대전류에서 많이 발생,

    � kV증가시 - 초점크기 감소, mA증가시 - 초점크기 증가

  • • 2) 강도분포

    • 양극경사효과(heel effct) : 고속의 전자가 target에 충돌하여 X선을 발생시킬

    때 target심부에서 발생되는 X선은 target의 기울기 때문에 발생강도(발생량)

    는 음극측이 강하고, 선질(평균E)은 양극이 경선이 되며, 농도는 음극이 높다

    ▫ 감소 및 임상응용

    � 저감방법 : wedge형 filter사용, 부가여과판사용, 저관전압 사용, target각을 크게� 저감방법 : wedge형 filter사용, 부가여과판사용, 저관전압 사용, target각을 크게

    � 임상적용법 : 음극측에 환자의 두꺼운 부위-양극측에 얇은 부위로 검사, 촬영거리 증가

    ▫ 타깃각 감소시 나타나는 특징

    � 실초점 감소(허용부하 감소), 실효초점감소(선예도 증가), 이용선속 감소, heel effect

    증가

  • 음극측 양극측

  • • 3) X선 관전류 특성

    • 2극진공관에서는 관전압변화에 따른 관전류 특성이 공간전하영역과 포화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 공간전하영역 – 양극전압이 증가하는데 따라 전류가 양극전압의 3/2승으로 증가하는 영역

    ▫ 공간전하영역의 관전류 단, V : 관전압, d : 전극간 거리

    ▫ 공간전하효과(space charge effect)

    � 필라멘트에서 발생된 열전자의 대부분은 X선 발생시 양극으로 이동을 하지만 일부는 음극주위에� 필라멘트에서 발생된 열전자의 대부분은 X선 발생시 양극으로 이동을 하지만 일부는 음극주위에

    모여 있게 되는데 이 전자를 공간전하라고 함.

    � 양극으로이동하는 열전자수보다 발생된 열전자수가 높을 때 발생함

    � 공간전하들은 양극전압이 증가할 수록 양극측으로 이동이 많아져서 관전압 증가시 관전류가 증가

    되는 원인이 됨

    • 포화영역 – 양극전압의 증가와 상관없이 양극전류가 일정한 영역. X선 발생에 적절한 영역

    X선발생에 사용하는 영역

    ▫ 포화영역의 관전류 (Richardson의 공식) 단, T : 금속온도, φ : 일함수

  • • 4) 초점외 X선(off focus X-ray)

    ▫ 고속의 전자가 target에 충돌하면 일부는 음극방향으로 튕겨져 나온다.

    이때 튕겨나온 전자는 다시 양극쪽으로 끌려가며, 초점이 아닌 다른 부분에

    충돌하여 에너지가 낮은 X선 을 방출하는데 이것을 초점외 X선이라 함

    ▫ 특징

    � 화질을 저하, 대조도 감소, 환자피폭선량의 증가� 화질을 저하, 대조도 감소, 환자피폭선량의 증가

    � 발생강도 : 회전양극〉고정양극, 초점 부근〉초점 먼 거리, 고관전압〉저관전

    � 선질(평균E) : 초점 부근〈 초점 먼 거리

    � 검사방법 : pin-hole camera법

    � 감소방법 : 음극과 양극 사이에 콘 사용, 다중 조리개 사용

  • 집속통

    초점외 X선 영상저지극 전자이동 통로X-선 발생 통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