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宋代塔形舍利酶焐 - kyungpook national...

49
北宋塔形舍利 * ( ) 慶大 머리말 . . 縣 阿王塔 塔形 舍利 현존하는 . 北宋塔形舍利 1. 北部地 出土品 2. 部地 出土品 . 北宋塔形舍利 特徵 형식분류 1. 사리엄 성방식 2. 맺말 . 머리말 I. ` 혼란한 통하여 세진 화에 대해서는 다방면 에서 연가 루어지 나 현존 헌 및 료가 풍부한 불 , 미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료 소개 외 심도 깊 연가 진행 되 다 보기 어렵다 사제나 특정 종파별 불사상 및 대 . 간행 등 중심로 한 불사적 점에서 연가 활발하게 진행 된 것는 달리, 1) 불 련 현존 에 대한 연는 아직까지 미 진한 편다 각지 사찰에 존재하는 불조각나 사벽화 . 및 건축 등에 대한 연가 비적 심도 깊게 진행된 것에 비해, 2) 방대 도 정부 적부 재로 한학술진흥재단 지 * 2007 ( ) 받아 수행된 연 사회분야 ( : KRF-2007-358-G00005). 1) 송대 불사에 대한 기본적 연로는 , ( : 石修禪宗史 東京 , 1987) ; , ( : , 1989) ; 出版社 黃枝 社會 學生書 등 참조 , - ( : , 2001) . 成順 東京 山喜房佛書林

Upload: others

Post on 17-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의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 )周 炅 美 釜慶大

    머리말.Ⅰ과 의. 縣 阿育王塔 中國 塔形Ⅱ 鄮

    舍利莊嚴具

    현존하는 의. 北宋代 塔形舍利Ⅲ莊嚴具

    1. 北部地域 出土品

    2. 南部地域 出土品의.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特徵Ⅳ

    형식분류1.사리장엄의 구성방식2.맺음말.Ⅴ

    머리말I.`혼란한 을 통일하여 세워진 의 문화에 대해서는 다방면五代十國 宋

    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존 문헌 및 유물 자료가 풍부한 불,교미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자료 소개 이외의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사원경제나 특정 종파별 불교사상 및 대장.경 간행 등을 중심으로 한 불교사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된 것과는 달리,1) 불교 관련의 현존 유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편이다 각지의 사찰에 존재하는 의 불교조각이나 사원벽화. 宋代및 건축 등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심도 깊게 진행된 것에 비해,2) 방대이 논문은 년도 정부 교육인적자원부 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2007 ( )받아 수행된 연구임 인문사회분야( : KRF-2007-358-G00005).

    1) 송대 불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로는 , ( :石井修道 宋代禪宗史 硏究 東京 大の, 1987) ; , ( : , 1989) ;東出版社 黃敏枝 宋代佛敎社會經濟史硏究 臺北 臺灣學生書局

    등을 참조, - ( : , 2001) .佐藤成順 宋代佛敎 硏究 元照 淨土敎 東京 山喜房佛書林の の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70

    한 관련 자료가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의 탑과 불(960-1127)北宋代사리장엄구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하다.3)북송대 불사리장엄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가장 큰 원인은 중국내에

    서 관련 발굴자료에 대한 공개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나의 탑을 발굴하여 간략한 약보고 형식으로 출토 유물들.이 소개되고 나면 별도의 자료 소개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관련 유물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게다가.송대에는 하나의 탑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의 양과 종류가 방대하고 성

    격이 다양하기 때문에 간단한 보고서만으로는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해석이 상당히 어렵다 당대까지와는 달리 북송대 불사리장엄은 여러.시대에 걸쳐 재매납되기도 하며 다양한 공양인들에 의해 복합적으로,발원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또한 불사리장엄구만 출토되는 것이.아니라 불상이나 경전 그리고 용도가 불확실한 다양한 공양구들이 함, ,께 출토되기 때문에 각각 유물의 성격과 기능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

    가 많다 이러한 연구상의 난제들의 극복을 위해서는 각 출토지별 유.

    2) 북송대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개설서로는 다음 글 참조. · ,小川裕充弓場紀知 世· 5 · · · ( : , 1998) ; Marsha界美術全集東洋編 第 卷 五代北宋遼西夏 東京 小學館

    Weidner(ed.), Latter Days of The Law: Images of Chinese Buddhism, 850-1850(Lawrence : Spencer Museum of Art, University of Kansas ; Honolulu :

    최성은 의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4) ; , (高麗時代 佛敎彫刻 對中關係「 」의 한국미술사학회 편 예경, , , 2004), pp.107-152 ; ,高麗 美術 對外交涉 姜熺靜 「의 당대와는 달리 송대· · ( 43, 2006.8), pp.267-290.五代北宋遼 美術 中國史硏究」

    의 목조 건축물 및 벽화 불교 조각들은 상당수 남아 있기 때문에 개별 유물이나, ,유적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목록은,

    의 책 뒤쪽 참고문헌 목록을 참조· .小川裕充弓場紀知3) 발굴보고서 이외의 북송대 불사리장엄에 대한 연구는 다음 글 참조. ,外山潔 館「

    ( ) ( 8, 1992), pp.101-120 ; ,藏舍利容器 上 泉屋博古館紀要 上同 館藏舍について 」 「( ) ( 10, 1994), pp.90-132 ; , ,利容器 下 泉屋博古館紀要 長谷川道隆 宋について 」 「

    -遼代佛塔 舍利觀 地宮 涅槃圖 出土石彫浮彫 對照資料の と にみる ガンダ ラ を として―( 32, 1994.5), pp.143-166 ; Hsueh-Man Shen古文化談叢」 , Buddhist Relic

    Deposits from Tang (618-907) to Northern Song (960-1127) and Liao(907-1125) (PhD. Diss. Unversity of Oxford, 2000) ; ,沈雪曼 遼與北宋舍利塔內「

    ( 12, 2002), pp.169-212.藏經之硏究 美術史硏究集刊」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71

    물의 성격을 자세하게 연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본고에서는 이러한 난점을 고려하면서 북송대 불사리장엄구 중에서,

    도 특히 를 중심으로 당시 불사리장엄의 특징을 살펴보塔形舍利莊嚴具

    겠다 탑형사리장엄구란 탑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사리장엄구로서 그. ,기원은 인도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4) 그렇지만 탑의 형태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도 여러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탑형사리장엄구 안에는 이나 의. 寶珠形 骨牙形 眞身를 봉안하기도 하지만 인 를 봉안하기도 한다, .舍利 法身舍利 經典 5) 또

    한 내부에 아무 것도 봉안된 것이 없는 이 안에 사리장엄구小塔 大塔

    와 함께 봉안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공양소탑의 용도는 정확하게,알려진 바가 없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가 봉안되었던 예들. 身舍利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현재까지 북송대의 불사리장엄구는 여곳 이상에서 출토되었는데20 ,

    탑형사리장엄구가 발견된 곳은 개소 정도이다 먼저 중국의 탑형사12 .리장엄구의 발전과정을 간단히 살펴 본 후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의 현존예를 중심으로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겠다.

    과 의. 縣 阿育王塔 中國 塔形舍利莊嚴具Ⅱ 鄮불사리신앙의 발전과 함께 인도와 간다라 지역에서는 탑형사리장엄

    구의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지역의 탑형사리장엄구는,그 지역에서 유행하던 형식의 형태를 모방한 모습으로 만覆鉢塔 佛塔

    들어졌다 중국에 처음 전래된 탑형사리장엄구의 형태도 이러한 서역.식 복발탑 형식을 따른 것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4) 탑형사리장엄구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로는 주경미 탑형 사리장엄구 건축 이미, :「지의 공예적 변용 미술사와 시각문화 참조( 5, 2006.10), pp.224-249 .」

    5) 사리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서는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 ,참조2003), pp.14-21 .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72

    현존하는 문헌 기록 중에서 중국의 탑형사리장엄구와 관련된 가장

    이르면서도 중요한 기록은 의 에 있었다고浙江省 會稽 縣 阿育王寺鄮전하는 관련 기록이다 회계 은 현재의 에.阿育王塔 縣 浙江省 寧波鄮해당하는 곳으로 에는 현재까지도 가 남아 있다 회계, .寧波 阿育王寺 鄮의 아육왕탑은 의 사문 이 발굴한 것으로 인도의 아육왕이,縣 西晋 慧達조성한 탑에서 출토된 이자 탑형사리장엄구이다 회계 의 아.小塔 縣鄮육왕탑에 대해서는 등, , ,高僧傳 集神州三寶感通錄 梁書 南史에 관련 기록이 전하는데 그 내용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

    의 기록에서는 혜달이 황폐해진 아육왕탑에서 신비한 불꽃高僧傳

    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새로 감실과 섬돌 을 고쳐 쌓았다는 내용[ ]龕砌만 나오기 때문에 아육왕탑의 형태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

    지 않았다 그 이후 아육왕탑은 군수인 가 고쳤다. .孟顗 6)혜달이 발굴한 회계 아육왕탑의 형태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록縣鄮

    된 것은 이 편찬한 이다.唐代 道宣 集神州三寶感通錄 7)혜달은 인도 스님의 말을 따라 남쪽 땅으로 가서 회계의 바닷가와( )

    산과 늪에 이르러 곳곳에서 탑과 불상을 찾아보았으나 아무도 옛 절터나

    유서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 이에 혜달은 슬픔에 가슴이 막히고 번민하고.원통하나 몸을 던져 사정을 아뢸 땅도 없었다 그런데 홀연히 한밤중에.땅 아래로부터 종소리가 들려왔다 이에 그는 곧 어렴풋이 그 땅을 기억.하여 나무를 잘라 절을 만든 지 사흘 만에 홀연히 과 사리가 땅 밑寶塔

    에서 솟아올랐다 그 신령한 탑의 모습은 푸른빛을 띠고 있었으며 돌과.비슷하였으나 돌은 아니었으며 높이가 자 치이며 둘레가 치였고 층1 4 7 5노반으로 구성된 것이 마치 인도의 于闐8)에서 만든 탑과 비슷하였다 앞.

    6) 혜달의 아육왕탑 발견 고사에 대해서는 권13, T2059, 50: 409c-410a.高僧傳“···頃之進適會稽禮拜 塔 此塔亦是育王所造 歲久荒蕪示存基蹠 達翹心束想乃見神鄮光焰發 因是修立龕砌 群鳥無敢棲集 凡近寺側畋漁者必無所獲 道俗傳感莫不移信 後

    .”郡守孟 復加開拓顗7) 최근 집신주삼보감통록 의 미술사적 사료 가치에 대해서는 일본 와세다대학 미술사학과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도움이 된다 이에 대해서는. ,肥田路美 「

    - - (1) (美術史料 集神州三寶感通錄 硏究 解題 奈良美術硏究として む と読 釈読 」참조7, 2008.6), pp.66-114 .

    8) 은 현재 중앙아시아의 호탄 으로 현재 행정구역상 중국 위구(Khotan) ,于 新疆省闐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73

    면의 창문은 열려 있고 사방 둘레에는 하늘의 방울이 달려있고 가운데에

    는 구리로 만든 경쇠가 매달려 있었다 늘 종소리가 난 것은 아마도 이.경쇠소리였던 모양이다.탑신 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모두가 여러 부처님과 보살 금강역사, ,기타 온갖 종류의 상들이었는데 그 모습이 지극히 미세하였고 눈, ,聖僧

    을 깜박거리며 눈동자를 주시하여 자세히 보니 곧 그 안에 의 불상百千

    이 나타나면서 얼굴과 눈 손 발이 모두 갖추어져 있었으니 이것이야말, , ,로 신비로운 공로이며 성스러운 자취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사람의 지혜

    로 만들 수 있는 탑이 아니었다.지금 이 탑은 큰 목탑 안에 봉안되어 있으며 에는八王日 9) 그것을 메

    고 마을을 한 바퀴 도는데 이를 보는 사람은 모두 그 아래에 절하고 염

    불하지 아니하는 이가 없다 그 안에 봉안한 사리는 목탑의 밑바닥 왼편.에 있으며 많은 고적이 있다.10)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혜달이 발굴한 아육왕탑은 불상과 여러 가,

    지 상들이 새겨진 으로 중앙아시아 호탄 지역의 탑과 유사한 형,小塔태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에는 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탑형사리장.엄구이기도 했다.현재 호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에 남아 있는 탑은 모두 불보살상이

    장식된 높은 방형 기단 위에 복발을 얹은 복발탑 형식으로 간다( 1),圖라지역의 탑들과 유사한 형식이다 한편 중국 에는 방형의. , 南北朝時代단층탑신 위쪽 사방 모퉁이에 꽃장식을 얹고 그 위에 복발과 상륜을,얹은 서역식 들이 다수 제작되었다 그러므로 혜달이 처음( 2). ,寶塔 圖

    르자치구에 속한다.9) 이란 천지의 모든 신과 음양이 교대하는 일로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8 , , , , ,八王日추 추분 입동 동지를 이르며 남북조시대 이후부터 의례일로 알려져 왔다 보다, , , , .자세한 내용은 위의 글 각주 참조, , pp.94-95, 61 .肥田路美

    10) , T2106, 52: 404b-404c. “集神州三寶感通錄 卷上 如言南行至會稽海畔 山澤處處求覓 莫識基 達悲塞煩惋投告無地 忽於中夜聞土下鍾聲 即迂記其處剡木 三日緒 為剎間忽有寶塔及舍利從地踊出 靈塔相狀 色似石而非石 高一尺四寸 方七寸 五層露盤青似西域于 所造 面開窗子四周天鈴 中懸銅磬每有鍾聲 疑此磬也 繞塔身上並是諸佛闐菩薩金剛聖僧雜類等像 狀極微細 瞬目注睛乃有百千像現 面目手足咸具備焉 斯可謂

    神功聖跡 非人智所及也 今在大木塔內 於八王日舁巡邑里 見者莫不下拜念佛 其舍利

    한글 번역은 박건주 외 한글대장경.” ,者在木塔底 其塔左側多有古跡 集古今佛道동국역경원 을 참조하여 수정하였음( , 1999), pp.372-373 .論衡 外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74

    발굴한 아육왕탑은

    간다라 및 중앙아시

    아지역의 탑들과 비

    슷한 서역식 복발탑

    형식이거나, 혹은남북조시대의 서역

    식 보탑의 형태와

    유사한 형식을 한

    탑형사리장엄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에는 후대에 세워진 커다란唐代

    목탑 안에 이 소탑이 봉안되어 있었

    으며 매년 각 절기 때마다 사리를,마을로 이운하는 의례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정해진 일자에 진신사리.를 꺼내어 마을을 도는 의舍利移運

    례는 남방의 스리랑카에서 세기 이5후 발달한 의례로서,11) 에唐代 寧波서도 이러한 의례가 행해졌음을 알

    려주어 주목된다.회계 은 가 공縣塔 南朝 梁武帝鄮

    양한 이후 그 명성이 더욱 높아졌다.에 의하면 양무제는 아육道宣 縣鄮

    왕탑을 년 에 중수하면서3 (522)普通새로 목탑을 건립했다고 한다.12) 양

    11) 주경미 스리랑카의 와 동아시아의, T2085, 51: 865a-b ; ,高僧法顯傳 佛齒精舍「역사와 경계( 69, 2008.12), pp.133-165.求法僧」

    12) , T2106, 52: 405a. “集神州三寶感通錄 卷上 梁祖普通三年 重其古跡建木浮圖 堂.”殿房廊周環備滿 號阿育王寺

    라와크 스투파 세기 중국 호탄 소재< 1> . 4-8 .圖 新疆省

    세기 중국< 2> . 6-7 .圖 西域式寶塔浮彫하남성 보산 영천사 소재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75

    무제가 아육왕사를 중수했다는 기록은 및 에도 전縣 梁書 南史鄮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에 앞서 년에 회계 의 탑을 개조하였는데 옛 탑을 여니 사리2 ,縣鄮가 나왔다 광택사의 을 비롯하여 네 명의 승려와 사인 를 보. 釋敬脫 孫照내 잠시 동안 맞이하여 궁으로 맞아들였다 고조는 예배를 바치자 바로.현으로 돌려보내 사리를 새로운 탑 아래에 넣었으니 이 현의 탑이 또한,유살하가 찾은 바이다.13)

    에 전하는 년 의 연대가 언제인지는 자세하지 않으나“2 ” ,梁書 14)의 기록이 맞는다고 본다면 년에 처음으로, 2集神州三寶感通錄 普通

    아육왕탑을 열고 사리를 꺼낸 후 년에 탑을 완성한 것으로 보는3普通것도 가능할 것이다.15) 여하튼 양무제의 아육왕탑 중수와 진신사縣鄮리의 공양은 현재의 의 아육왕탑 중수보다는 일찍( )金陵 南京 長干寺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된다.16) 양무제의 아육왕탑 중수는 중국에縣鄮서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형사리장엄구를 공양한 가장 이른 예로서 중

    요하다.양무제는 일생에 두 곳의 아육왕탑에서 진신사리를 발견하고 탑을

    중수했는데 그 하나가 아육왕탑이고 다른 하나는 금릉 의, 縣 長干寺鄮아육왕탑이다 양무제는 년 월에 금릉 아육왕사의 탑을 고. 3 (537) 8大同쳤는데 옛 탑의 아래에서 사리와 부처의 손톱과 머리카락을 꺼냈다, .13) 권 제54, 48, . “梁書 列傳 諸夷 扶南國條 先是二年 改造會稽 縣塔 開舊塔出舍鄮利 遣光宅寺釋敬脫等四僧及舍人孫照暫迎還臺 高祖禮拜竟 卽送還縣入新塔下 此縣

    .”塔亦是劉薩何所得也14) 지금까지 의 해석은 년 즉 년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 ” ‘ ’ 2 , 536先是二年 大同다 그러나 앞 문장( , , : , 1997, p.66).諏訪義純 中國南朝佛敎史 硏究 京都 法藏館の과의 관계로 볼 때 년보다 년 앞선 년 즉 년으로 볼 수도 있, 11 2 9 , 543大同 大同으며 과의 관계로 보면 년 즉 년으로 보는 것도 가, 2 , 521集神州三寶感通錄 普通능하므로 정확한 연대에 대해서는 단정하기 어렵다.

    15) 이러한 견해는 에 의해서도 제시된 바 있다 위의 글( , , p.108).肥田路美 肥田路美16) 이후 양무제는 년 에도 무현 아육왕사를 다시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6 (540)大同는데 이것이 사찰의 중수인지 아니면 탑의 중수인지는 알 수 없다 대동 년 중, , . 6수 기록에 대해서는 “( ) .”大同 六年 詔越州守臣蕭 重修 縣阿育王寺 佛祖通紀詧 鄮권 참조37, T2035, 49: 351b .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76

    당시 땅을 척 파서 여러 가지 공양구를 발굴했고 거기서 또다시 척4 , 9넘게 파서 을 찾았다 아래에서 과 으. , ,石 石 石函 鐵壺 銀坩 金鏤罌磉 磉로 이루어진 사리장엄구를 발굴했는데 에서는 밤톨만한 사리가, 金鏤罌개 나왔다고 한다 또한 석함내에 있던 또다른 에서는 사리3 . 4琉璃椀개와 부처의 머리카락과 손톱 매가 나왔다4 .17) 양무제는 이듬해인 大

    년 에 이들 사리를 위해서 쌍탑을 새로 세웠는데 이때4 (538) , ,同 金罌으로 이루어진 사리장엄구를 만들어 매납하였다, , .玉罌 七寶塔 石函 18)

    이때 만들어진 칠보탑 형태의 사리장엄구는 현존하지는 않지만 황제,에 의해 봉헌된 중국 최초의 진신사리 공양용 탑형사리장엄구로 볼 수

    있다 양무제 연간의 아육왕탑 및 아육왕탑에 봉안된 탑. 縣 長干寺鄮형사리장엄구 관련 기록은 남조 황실에서 독특하게 발전시킨 탑형사리

    장엄구 형식의 존재를 알려준다.양무제가 의 아육왕탑을 중수한 이후로도 여러 황제들이 이 탑縣鄮

    에 대한 공양과 사찰의 중수를 도왔다 에 의하면 의. ,佛祖統紀 陳 宣와 의 도 이 탑을 예경했다고 한다.帝 唐 中宗 19) 그러나 아육왕탑縣鄮이 다시 명성을 얻게되는 것은 세기 시대이다10 .吳越國 20)

    의 창건자 는 년 아육왕사의 아육왕탑을2 (916)吳越國 錢 貞明 縣鏐 鄮수도 의 로 맞이하여 공양하였다.杭州 羅漢寺 21) 이후 의 손자錢 錢弘鏐

    17) 권 제54, 48, . “梁書 列傳 諸夷 扶南國條 初穿土四尺 得龍窟及昔人所捨金銀鐶釧釵鑷等諸雜寶物 可深九尺許 方至石 下有石函 函內有鐵壺 以盛銀坩 坩內有金磉 磉鏤罌 盛三舍利 如粟粒大 圓正光潔 函內又有琉璃椀 內得四舍利及髮爪 爪有四枚 並

    .”爲沉香色18) 권 제54, 48, . “梁書 列傳 諸夷 扶南國條 至四年九月十五日 高祖又至寺設無 大㝵會 竪二刹 各以金罌 次玉罌 重盛舍利及爪髮 內七寶塔中 又以石函盛寶塔 分入兩刹

    .”下 及王侯妃主百姓富室所捨金銀鐶釧等珍寶充積․ ․ ․19) 권53, T2035, 49: 461a. “佛祖統紀 陳宣帝 遙敬寶塔 度二七僧 唐中宗 敬仰寶塔

    .”敕送供施20) 의 무현 아육왕탑 신앙에 대해서는 ,吳越國時代 小野英二 吳越國 縣阿における「 鄮

    참조( 7, 2008.6), pp.133-140 .育王塔信仰 諸相 奈良美術硏究の 」21) 권 42, T2035, 49: 390c. “( )佛祖統紀 貞明二年 吳越王錢 遣沙門淸外同弟錢鏐 鏵往四明阿育王山 釋迦舍利塔 船泊西陵塔 夜放光浙江如晝 王躬迎至羅漢寺 廣陳供

    .”養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77

    은 아육왕탑의 형태를 본따서 팔만사천탑을 만들어 배포하였俶 縣鄮다 이 만든 팔만사천탑은 을 봉안한 법사리탑으. 錢弘俶 寶篋印陀羅尼經로서 년과 년 등 두 번에 걸쳐 제작되었다, 955 965 ( 11).圖 22)

    시대의 은 당시 아육왕탑 형식을 모방한 것으吳越國 錢弘俶塔 縣鄮로 알려져 있지만 혜달이 발굴했던 초기의 아육왕탑 형식과 똑같은,형태였다고 보기는 어렵다.23) 오랜 세월 동안 아육왕탑의 형태도縣鄮변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형식은. 10錢弘俶塔세기 이후의 무현 아육왕탑을 모방한 독특한 탑형식으로서 지, 浙江省역을 중심으로 한 강남지역에서 널리 제작되었으며 그중 상당수는 진,신사리 봉안을 위한 탑형사리장엄구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볼.때 아육왕탑의 존재는 남북조시대부터 북송대까지 중국내의 탑, 縣鄮형사리장엄구의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다.년 은 으로 귀의하면서 아육왕탑을 송 황실에978 錢弘俶 北宋 縣鄮

    가져가서 바쳤다.24) 그 이후 송대 황실에 전해진 아육왕탑의 행縣鄮방에 대해서는 한동안 알려진 바가 없다 송 년 에. 2 (989)太宗 端拱 開에 세워진 의 아래에 봉안된 이 아封 開寶寺 寶塔 阿育王佛舍利塔 縣鄮육왕탑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25) 이후의 행방과 경로는 자

    22) 팔만사천탑에 대해서는 의 과,錢弘俶 周炅美 吳越王 錢弘俶 佛舍利信仰 莊嚴「 」역사와 경계 참조 은( 61, 2006.12), pp.7-85 . 寶篋印陀羅尼經 一切如來秘密全身

    의 줄임말이다(T1022, 19: 710-712) .寶篋印陀羅尼經23) 이후의 기록에서도 무현 아육왕탑의 형태는 각각 차이가 있다 집신주삼보.唐代감통록 에서는 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년 아육(T2106, 52: 404b), 743五層露盤왕사를 방문했던 일본 승려 은 위에 노반이 없다 고 기록했기 때문‘ [ ]’鑑眞 上無露盤이다 이후 무현 아육( , , T2089, 51: 989c).遊方記抄 第七 唐大和上東征傳 唐代왕탑의 형태에 대해서는 , (大島幸代 縣阿育王塔 形狀 關 基礎的考察 奈の に する「鄮 」

    참조7, 2008.6), pp.141-154 .良美術硏究24) 권53, T2035, 49: 461b. “佛祖統紀 宋太宗 吳越王入朝 僧統贊寧奉釋迦舍利塔

    .”入見滋福殿25) 권43, T2035, 49: 400b. “( )佛祖統紀 端拱 二年 開寶寺建寶塔成 八隅十一層 三十

    개보사.”六丈 上安千佛萬菩薩 塔下作天宮奉安阿育王佛舍利塔 皆杭州塔工喩浩所造는 후에 로 사액을 받았다.福勝寺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78

    세하지 않지만 에는 즉 현재의 에, ,南宋代 縣 阿育王寺 寧波 阿育王寺鄮다시 아육왕탑이 돌아왔다고 알려져 있다 의 침략으로 수도를. 金 杭州로 옮긴 의 황실에서 아육왕탑을 공양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南宋 縣鄮으며,26) 현재까지도 에는 원래의 아육왕탑이라고 전하는寧波 阿育王寺

    점이 사찰 내에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1 .小塔 27)아육왕탑이 처음 발굴된 이후 에는 탑형사리장엄구의,縣 隋唐代鄮

    존재가 종종 나타난다 의 관련 문헌에서는. 隋文帝 仁壽舍利莊嚴 莒州에서 사리탑을 세울 때에 인근에서 를 발굴하여 거기에,定林寺 銅浮圖

    다 사리를 봉안하여 탑 안에 재매납했다고 한다.28) 이 때 척의 땅 속8에서 발굴된 는 정수리가 평평하고 기단이 둥글고 두 개의 문,銅浮圖이 있으며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는 것으로 보아 역시 서역식 탑형, ,태를 한 탑형사리장엄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에 재매납할 때에. 隋代는 과 으로 사리장엄구를 구성했다는 점이 주목된다.甁 塔

    에서 발견된 에 의하면< > ,河北省 定縣 靜志寺塔 地宮 唐代重葬記 唐년 발견된 사리장엄구 중에 에 봉안된 것으로 보이2 (848)代 大中 隋代

    는 즉 칠보로 꾸며진 은탑이 있었고 그 은탑 안에 사‘ ’, ,七 燎繞銀塔珎리를 봉안한 유리병 개가 있었다고 한다2 .29) 현재 수대의 은탑은 현존하지 않아서 그 형태를 알 수 없지만 이렇게 유리병과 은탑으로 구성,된 수대의 탑형사리장엄구의 존재가 명문으로 확인된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가 되면 탑형사리장엄구의 형태가 완전히 변화하여 방형단층탑唐代

    26) 권53, T2035, 49: 461b. “佛祖統紀 高宗親洒宸翰賜佛頂光明之塔 孝宗遣內侍李.”裕文 至育王山迎佛舍利塔 詣行在所奉安觀堂 焚香瞻禮

    27) 이 은 형식에 속하며 탑신 표면은 투각되어 있는데 그 사이로 내,小塔 錢弘俶塔부에 봉안된 사리 과를 할 수 있다 이 의 존재에 대해서 알려주신1 .親見 小塔 阿

    의 스님께 감사를 드린다.育王寺 客堂 釋印山28) 권26, T2060, 50: 672c. “( )續高僧傳 釋曇觀 仁壽中歲 奉敕送舍利於本州定林寺初停公館 卽放大光 掘基八尺獲銅浮圖一枚 平頂圓基兩戶相對 制同神造雕鏤駭人 乃

    는 현재 이다.” .用盛舍利安甁置內 莒州 山東省 莒縣29) , ( , 1972.8), p.51, 14 .內石函盖上的志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79

    형식이 중심이 된다 의. 唐代탑형사리장엄구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陝西省 扶風縣

    에서 출토된 점3法門寺塔 地宮의 탑형사리장엄구이다.30) 唐황실에서 발원하여 봉안된 것

    으로 보이는 이들은 모두 방형

    의 단층탑형식이며 그중, 地宮에서 출토된 것은前室 漢白玉

    이라고 불린다( 3).阿育王塔 圖의 아육왕탑은 아法門寺 縣鄮

    육왕탑과는 매우 다른 형태로

    서 목조건축이나 중국적인 형,태의 방형탑 형식을 따른 것이

    지만 명칭은 아육왕탑으로 동,일하다.또한 에는 중국내에 아唐代

    육왕탑이 여기 이상이 있었20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탑형식은 서로 달랐던 것으로 생각된다, .31)그러므로 이러한 예들로 볼 때 이라는 용어는 특별한 형태, ‘ ’阿育王塔의 탑형식을 뜻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탑에 공양된 사리의 의미와 관련

    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은 아육왕 조탑고사 및 양무제의. ‘ ’阿育王塔아육왕탑 공양 등과 관련하여 볼 때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을, ‘ ’지칭하는 용어로 볼 수 있다 이렇게 형태는 다르지만 아육왕탑으로. ‘ ’불리는 중국의 탑형사리장엄구들은 대부분 황실의 후원을 받는 진신사

    30) 이들 점의 탑형사리장엄구에 대해서는 주경미 위의 글 참조3 , (2006), pp.234-237 .31) 주경미 의 전승 연구, ( 28, 2007.9), pp.369-408 ;中國 阿育王塔 東洋古典硏究「 」

    , ( 7,淸水紀枝 感通錄 見 中國 阿育王塔 舍利 關係 奈良美術硏究に える の と の「 」2008. 6), pp.166-173.

    < 3> . .圖 漢白玉阿育王塔 唐 陝西省 扶風縣출토 소장.法門寺塔 地宮 法門寺博物館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80

    리 공양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주목된다.32)에 들어와서 탑의 형식이唐代

    다양화되면서 탑형사리장엄구의,형식도 점차 다양해진다 년의. 848기년명이 있는 河北省 定縣 靜志

    에서 출토된 은탑은 절寺塔 地宮

    대연대가 알려진 중요한 탑형사

    리장엄구이다 이 은탑은 현( 4).圖재 알려진 의多角塔形舍利莊嚴具

    가장 이른 예로서 주목된다 이.은탑의 내부에서는 사리를 봉안

    한 개의 유리병이 발견되었다고2하므로,33) 역시 수대 이후에 보이는 유리병과 금속제소탑 형식을 따라서 사리장엄구의 구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의.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Ⅲ의 멸망 이후 이 건국하기 직전까지의 에는 각 지唐 宋 五代十國時代

    역별로 여러 개의 들이 병립하면서 지역별로 서로 다른 문화를 발小國

    전시켰다 이 시기에는 강남에 있던 을 중심으로 불교문화가 크. 吳越國게 발달했으며 특히 의 마지막왕인 의 팔만사천탑 제작, 吳越國 錢弘俶

    32) 이와 관련하여 까지의 중국 황실에서 행해진 진신사리공양은 정치적 성격을唐代강하게 띤 경우가 많았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周炅美 中國 古「

    의 정치적 성격 의 선전물로서의-代 皇室發願 佛舍利莊嚴 易姓革命 眞身舍利供養」참조( 33, 2003.2), pp.363-382 .東洋學

    33) , ( : , 2003),河北省文物局 編 河北文物精華 定州文物藏珍 廣州 岭南美術出版社의 설명 참조p.111, 10 .圖

    년< 4> . 848 .圖 銀塔 唐 河北省 定縣 靜志寺塔출토 소장.地宮 定州市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81

    과 을 비롯한 여러 불사리장엄의 예들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雷峰塔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불사리신앙과 장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吳越國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이후 중국에서는 가 주로 사용되었다고 알려唐代 棺槨形舍利莊嚴具

    져 있지만 에는 탑형사리장엄구의 존재도 상당히 중요하여, 北宋代 棺과 을 함께 봉안하기도 했으며 이나 등 다양한 도,槨形 塔形 函 甁 器形

    사리장엄구로 사용되었다 한편 탑형사리장엄구도 탑형식의 다양화와.함께 여러 가지 형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북송대 사리장엄구의 형식.적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여기에서는 현존하는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를 출토지별로 북부

    지역과 남부지역으로 나누어 좀 더 자세히 고찰하겠다 북부지역은 산.서성 등에 해당하며 남부지역은 일대를 중심, , ,河南省 河北省 浙江省으로 한 강남지역에 해당한다 탑형사리장엄구는 북부지역에서 개소. 5 ,남부지역에서 개소의 유적에서 출토되었다7 .

    1. 北部地域 出土品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도 황실을 중심으로 사리신앙이唐代 北宋代

    어느정도 발달한 것으로 보이지만 수도였던 근처에서 사리, 開封 宋代장엄구가 발견된 예는 많지 않다 북부지역 출토의 북송대 사리장엄구.는 대부분 으로 탑형사리장엄구는 그에 비해 적은 편이다, .棺槨形

    년(1) (977 )河北省 定縣 靜志寺塔 地宮 出土品북부지역에서 출토된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 중에서 가장 이른

    예는 년경에 봉안된 에 봉안된 들이977 河北省 定縣 靜志寺塔 地宮 銀塔다.34) 의 안에서는 개의 과 등 여4 ,靜志寺塔 地宮 石函 銀塔 銀棺 金棺러 형식의 사리장엄구 세트가 한꺼번에 발견되었다 에. 靜志寺塔 地宮34) 의 발굴보고서는 위의 글 참조, , pp.39-43 .靜志寺塔 地宮 定縣博物館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82

    서 출토된 은탑은 모두 점인데 현재는 그중 점만 공개되어 있다4 , 3 .35)점은 년에 제작된 것이고 다른 점은 에 제작된 것1 848 ( 4), 2唐代 圖 宋代으로 추정된다 에서 출토된 에 의하면. 靜志寺塔 地宮 宋代志石 太平興년 에 새로 봉안한 사리장엄구 중에는 점이 포함되어2 (977) 2國 銀塔子

    있었다.36) 아마도 송대지석에 기록된 은탑자 점은 현존하는 점의 은2 2탑으로 추정된다( 5, 6).圖

    의 내에서 함께 발견된 이 점의 은탑은 구성과 형태 크2 ,地宮 石函기가 서로 비슷하여 같은 시기에 같은 공방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

    된다 둘 다 육각의 단층탑 형식으로 나팔형으로 벌어지는 위에. , 臺座를 얹은 후 난간을 돌리고 그 위에 을 얹었다 지붕의 각, .仰蓮座 塔身

    모서리 위에는 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을 달았고 그 아래에는 각각,여러 개의 을 매달았다 상륜부는 연꽃모양의 받침 위에 꽃봉오리.風鐸모양의 를 얹은 형태로서 이나 는 표현되어 있지 않다, .寶珠 寶輪 寶蓋정면에는 모두 빗장이 달린 문을 표현하였고 그 좌우에는 갑옷을 입,은 호법신중이 서 있다 은탑의 기본형태는 년명의 은탑 형식을 계. 848승하지만 훨씬 장식적이고 세장한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명문이 대좌부에 새겨진 은탑에는 “造塔都維那尼 尼悟堅 尼瑞超□□

    尼瑞敬 尼惠 尼 俗弟子韓氏 俗弟子李氏 僧 僧 節 俗弟子□ □□ □□ □

    [ ] [ ] [ ]施 氏 瑞 引器 曾 氏造塔 願以此功德普霑諸有情 同歸解脫道□□□이라는 내용이 있다 탑신부 정면의 위와 아래부분[ ] ” ( 5).齊 到涅盤城 圖

    에 명문에 새겨진 은탑에는 “善心寺尼 功德普 于一切我 與衆生□□□ □ □이라는 내용이 있어서 선심사의 비구니가 봉헌한 것임”皆共成佛道崇□

    을 알 수 있다 명 은탑은 높이 이며( 6). “ ” 26cm , “圖 造塔都維那 善心寺명 은탑은 로 크기는 거의 차이가 없다” 26.3cm , .尼

    35) 공개되지 않은 은탑 점은 역시 육각단층탑으로 위에는 보주가 달리고 기대부1 ,분은 으로 말린 형태의 탑이다 명문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정면에는 문이. ,花形있고 그 좌우면에는 각각 하늘에서 내려오는 비천상이 칠보문을 배경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은탑은 현재 정주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자료가 공. ,개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정확한 제작연대를 파악하기는 힘들다.

    36) 위의 글 참조, , p.43, < > .定縣博物館 圖六 五 塔基銘文号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83

    명 은탑에서는 내부에서 사리가 발견되어 이 은탑이 사리“ ”善心寺尼장엄구로 사용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37) 사리가 어떻게 봉안되어있었는지는 자세하지 않지만 함께 출토된 은탑에서도 유리병에, 唐代사리를 넣어서 봉안했던 것으로 볼 때 별도의 사리용기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명 은탑은 내부에 사리가 봉안되어. “ ”造塔都維那있었는지의 여부가 불확실하다 그러나 이 두 개의 은탑은 서로 쌍으. ,로 만들어져서 처음부터 함께 봉안되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그런 점에,서 쌍탑의 의미를 가진 탑형사리장엄구로 볼 수 있다.37) 위의 책 의 설명 참조, , p.112, 14 .河北省文物局 編 圖

    명 은탑 북송< 5> “ ” .圖 造塔都維那년경977 . 河北省 定縣 定志寺塔 地宮출토 소장. 定州市博物館

    명 은탑 북송 년경< 6> “ ” . 977 .圖 善心寺尼출토.河北省 定縣 定志寺塔 地宮

    소장定州市博物館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84

    은탑의 제작방식은 둘 다 얇은 은판을 두드려서 타출하여 문양을

    만든 후 은판끼리 이어서 만든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와, . 寶珠연꽃봉오리 등은 모두 개의 은판을 두드려서 만든 형태를 맞붙, 2風鐸

    인 것이다 과 및 이 모두 사용되었다 이. , .打出 蹴造 陰刻 部分鍍金技法러한 제작방식은 세기 후반 의 제작방식을 계승한 것으로9 唐代 金銀器서 주목된다 특히 두 탑의 대좌부분의 표현과 구성방식은 세기 후반. 9의 출토의 은제 향로나 은그릇의 대좌 표현과 공통된法門寺 地宮

    다.38) 그렇지만 당초문과 칠보문 등의 문양 형태 호법신중의 양식 사, ,슬장식 등은 금속공예품과는 다른 방식을 보여준다 또한 전반적.唐代으로 땜과 연결부분의 접합이 매끄럽지 못하다 한편 문 양편에 서있.는 호법신중의 경우 명 은탑에서는 별도의 은판을 타출, “ ”造塔都維那하여 표현하여 탑의 난간부분에 접합하고 있는데 명 은탑, “ ”善心寺尼에서는 탑신 자체에 새겨넣고 있어서 서로간의 표현 방식이 약간 차이

    가 있다 상륜의 보주에서부터 각 모서리까지 영락을 연결한 방식도.두 은탑은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서로 공통된 양식이기는 하지,만 동일인이 제작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이 두 은탑은 북송대 탑형사리장엄구의 비교적 이른 예로서 이후,

    인근의 출토 은탑의 가 된다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 중.淨衆院 先例에서 다각탑형사리장엄구는 지역의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河北省 定州

    보여주는 형식이다 이러한 다각탑형사리장엄구는 북송대의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이후 의 불사리장엄구 중에서 종종 보, 遼代이는 형식이다 지역에 일찍부터 와 의 격전지이자 국경지. 定州 遼 北宋대였음을 고려한다면 이후 불사리장엄에 보이는 다각탑형사리장, 遼代엄구는 이러한 지역의 불사리장엄의 영향을 받은 것일 가능성이定州

    있다.

    년(2) (997 )河北省 定縣 淨衆院塔 地宮 出土品

    38) 등 참조( : , 1999), 21, 27 .唐皇帝 贈 物 長岡 新潟縣立近代美術館 圖 圖からの り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85

    년 발굴된1969 河北省 定縣 淨衆院塔 地은 의 인근에서 발견되었으며 벽,宮 靜志寺塔돌을 쌓아 만든 방형 구조물이다 사방 벽에.

    를 비롯한 벽화가 그려진 의 중涅槃圖 地宮

    앙에는 사리장엄구인 커다란 이 놓여石函

    있었다 석함 내부에는 과 을 비롯. 銀塔 銀棺한 다양한 유물이 봉안되어 있었으나 발굴,보고서의 내용이 소략하여 구체적인 사리장

    엄방식은 알 수 없다.39) 은淨衆院塔 靜志寺에 비해 조금 늦은 년경 세워진 것으997塔로 알려져 있다.

    석함 내에서 출토된 은탑은 높이地宮

    로 에서 출토된 은탑들35.5cm , 靜志寺塔 地宮과 제작기법 및 양식상 공통점을 가지고 있

    다 그렇지만 출토 은탑( 7). ,圖 靜志寺塔 地宮이 모두 단층탑인 것과는 달리 이 은탑은, 2층의 탑신부를 가지고 있으며 기단의 형태,도 나팔형에서 육각형으로 변화되었다 탑신.주위에 칠보문을 양각한 난간을 돌린 점은

    명 은탑과 같은 양식이지만 별도로 만은 용과 명문판을 탑“ ” ,善心寺尼신 양쪽에 부착하여 장식하고 있는 점은 명 은탑의 제작“ ”造塔都維那방식과 공통된다 역시 탑신의 층 정면에는 문이 표현되어 있는데 문. 1 ,의 양측에는 각각 와 이라는 내용이 새겨진 명문판을“ ” “ ”善心寺 舍利塔배치하였다 명문의 내용으로 볼 때 이 은탑은 사리를. , 봉안한 탑으로생각된다 탑신의 다른 면에는 각각 비구입상이 선각으로 표현되어. 5있다 한편 탑신 층의 중앙에는 보살좌상이 별도의 판으로 만들어져. , 2놓여 있는데 이러한 도상 배치는 사리탑의 구성에서 보기 드문 것이,

    39) 발굴보고서는 위의 글, , pp.43-45.定縣博物館

    은탑 북송 년경< 7> . 997 .圖河北省 定縣 淨衆院塔 地宮

    출토 소장. 定州市博物館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86

    다 탑의 상륜부는 중의 와 꽃모양 원통형으로 표현된 등으. 2 ,寶珠 寶輪로 구성되어 있어서 출토품에 비해 상륜부의 표현이 복잡한, 靜志寺塔형식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탑 상륜부에서 지붕 모서.리까지 내려오는 사슬의 연결방식 와 의 제작방식, ,寶珠 風鐸 打出技法방식 등은 출토품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어서 이들 은靜志寺塔

    탑들의 제작이 같은 전통 아래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한편 에서는 보기드물게 석조 방형탑이 탑형사리장엄淨衆院塔 地宮

    단층석탑 북송 년< 8> . 995 .圖 河北省출토.定縣 淨衆院塔 地宮

    소장定州市博物館

    이층석탑 북송 년< 9> . 995 .圖 河北省출토.定縣 淨衆院塔 地宮

    소장定州市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87

    구로 사용되었다 문의 양측에 놓여져 있던 점의 석조 방형탑은. 2地宮둘 다 높이가 미터가 넘는 비교적 큰 석탑이다 이 두 석탑1 ( 8, 9).圖안에는 각각 사리가 가득 들은 도자기병이 봉안되어 있었다.40)높이 의 단층석탑은 방형과 연화형의 대좌 위에 을 얹118.4cm 塔身

    은 형식으로 탑의 정면에는 과 구를 새겼으며 다른 면( 8), 1 , 3圖 門 坐佛에는 명문을 새겼다 명문에 의하면 월 일에 이 사. (995) 4 4宋 至道元年리탑을 만들었다고 한다.41) 탑신 위에는 지붕돌을 얹었고 그 위에는,

    과 그리고 다시 과 등을 얹은 독특한 상륜,仰蓮石 人面石 仰蓮石 寶珠형식을 보여준다 이 탑 안에서는 사리가 봉안된 이. 白釉蓮花文長頸甁발견되었다고 한다.높이 의 층석탑은 아래층 탑신의 옥개석이 지붕대신113.6cm 2 天蓋을 한 점이 독특하다 역시 상륜부에는 과 그리( 9). ,形 圖 仰蓮石 人面石고 다시 과 를 얹었다 층 탑신의 앞면과 뒷면에는 을 새. 1仰蓮 寶珠 門겼으며 그 양쪽에는 명문을 새겼다 명문은 으로, . ‘ ’佛眞身舍利權隱塔內시작하며 역시 월 일에 세웠다고 하여 앞서 석탑(995) 3 20 ,宋 至道元年보다 조금 일찍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42) 이 탑 안에서도 역시 사리를 담은 백유장경병이 출토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두 탑은 모두 문,양쪽에 쌍으로 봉안되었던 사리장엄구였음을 알 수 있다.이 두 석탑은 형태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각각 내부에 사리를 봉안,

    하고 지궁문 양쪽에 배치되었던 한쌍의 사리장엄구였다 이렇게 한 쌍.의 탑형사리장엄구를 한 안에 봉안하는 예는 정지사탑 지궁 출토地宮

    은탑의 예와 상통하며 주로 북송대의 북부지역에서 보이는 사리장엄,방식이다.

    년(3) (999 )河南省 密縣 法海寺塔 地宮 出土品40) 위의 글, , p.44 ; , (定縣博物館 劉福珍 淨衆院塔基地宮出土兩件舍利塔 文物春「 」

    34, 1996.4), pp.88-89.秋41) 명문은 위의 글 참조, , p.88, .劉福珍 托片一42) 위의 글 참조, p.89, .托片二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88

    년 발굴된 은 상층과 하층으로 이루1966 河南省 密縣 法海寺塔 地宮어진 층의 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은 석함 뚜껑 및 내부2 .石函 地宮출토 유물 중의 명문으로 보아 년 경에 봉안된 것으로2 (999)北宋 咸平추정된다.43)

    발굴보고서에 의하면 法海寺

    에서 사리는 주로 하층석塔 地宮

    함에 봉안되어 있던 三彩琉璃舍

    안에 봉안되어 있었다 이.利匣은 기본적으로三彩舍利匣 唐代

    이후 유행한 사리장엄구寶帳形

    형식을 계승한 것이다 그( 10).圖러나 사방에 문이 있고 문 옆에,호법신중이 지키고 있으며, 天蓋형태의 지붕 모서리 사방에 꽃모

    양의 돌출된 장식이 나타나는 점

    등으로 볼 때 의 형태에 방寶帳

    형단층탑 형식이 결합되어 나타

    난 북송대의 변형된 방형단층탑

    형식의 탑형사리장엄구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은 보기드문. 舍利匣북송대의 로서 의 안쪽 벽에는, “ ”三彩 塔身部 咸平元年十一月三日張家記라는 명문이 있고 뚜껑의 내벽에는 이, “ ”咸平元年十一月三日施主仇知訓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제작연대가 년임을 알 수 있다 이 사998 .리갑의 내부에는 백자합 점 은제합 점 등의 사리가 봉안된 사리합2 , 2점과 여러 개의 유리병 등이 출토되었는데 구체적인 장엄방식은 자4 ,세하지 않다.한편 에서는 사리장엄구로 사용되었던 것은 아니지만法海寺塔 地宮

    43) , ( , 1972.10), pp.63-66.金戈 密縣北宋塔基中的三彩琉璃塔和其 文物 文物「 它 」

    북송 년경< 10> . 999 .圖 三彩舍利匣 河南省지궁 출토 소장. .法海寺塔 河南省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89

    점이 사리장엄구인 과 함께 발견되었다 그중 점은3 . 2三彩小塔 舍利匣앞쪽에 쌍으로 놓여진 상태로 하층석함에 봉안되었고 비교적,舍利匣

    대형에 속하는 점은 상층석함에 별도로 봉안되어 있었다1 .三彩小塔과 함께 쌍탑으로 봉안된 은 둘 다 층방형탑 형식4舍利匣 三彩小塔

    이다.44) 높이 의 은 층 의 앞면과 뒷면에 문이 열려47.5cm 1小塔 塔身있어서 뚫렸는데 양측면 벽에 각각 과, “ ” “咸平 年 月 日 僧□ □ □ □□□□

    라는 내용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문 양쪽에는 천왕상이 시립하” .番□고 있다 층 안쪽에는 이 안치되어 있다고. 1 塔身 釋迦多寶 二佛竝坐像한다 상륜부는 여러 개의 과 를 얹은 형식이다 또다른. .寶輪 寶珠 小塔은 높이 로 역시 층 내부에는 이 안치되어 있고51.5cm , 1 ,塔身 佛坐像양측벽에서도 각각 연화좌에 앉은 불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 탑의 명.문은 층 탑신 앞쪽에 있는 편액에 쓰여 있는데 라는 간단2 , “ ”比丘僧□한 내용뿐으로 공양자를 밝힌 것으로 생각된다 상륜부는, . “ ”咸平 年□명 탑과는 달리 위에 구멍뚫린 이 있고 그 위에 과,寶輪 覆鉢 仰蓮 寶를 얹은 형식이다 이 두 개의 은 에 봉안되.珠 三彩小塔 淨衆院塔 地宮어 있던 석탑의 계보를 잇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淨衆院塔 地宮의 석탑이 사리를 봉안한 탑형사리장엄구였던 것과는 달리 이 들小塔

    에는 사리가 봉안되어 있지 않았다 이 들에는 에 사리 대. 小塔 塔身部신 불상이 봉안되어 있어서 중앙의 탑형사리장엄구인 을, 三彩舍利匣위한 장엄구 혹은 의 일종으로 생각된다, .供養小塔상층석함에서 별도로 출토된 은 높이 이며 대좌 길98.5cm ,三彩小塔

    이 의 층방형탑으로 비교적 큰 편이다30.5cm 7 .45) 이 도 역시 하층小塔의 쌍탑과 마찬가지로 층에 사리대신 불좌상이 봉안되었다1 .塔身部탑의 크기가 봉안된 장소인 석함의 크기보다 컸기 때문에 지붕을 열,어서 탑신부 옆에 놓여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층 탑신의 정면에 있는. 2장방형의 편액에 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咸平二年四月二十日施主仇訓

    44) 위의 글 호 과 호 의 설명 참조, pp.63-64. 1 2 .三彩琉璃方塔 三彩琉璃方塔45) 위의 글 의 호 참조, p.64 3 .三彩琉璃方塔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90

    있어서 역시 공양자와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공양소탑으로 생각된다, .에서 출토된 점의 은 사리 대신 불상을 봉3法海寺塔 地宮 三彩小塔

    안한 공양소탑이며 사리장엄구 앞에 쌍으로 배치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들은 사리를 봉안하지 않은 공양소탑으로서 사리장엄구와.함께 지궁이나 천궁에 매납된 비교적 이른 예로서 중요하다.

    년(4) (1032 )河南省 鄧州市 福勝寺塔 地宮 出土品년 발견된 의 에서는 쌍의1988 1河南省 鄧州市 福勝寺塔 地宮 鐵製錢이 발견되었다 이 쌍은 뒤쪽 중앙에 놓인 위. 1弘俶塔 鐵塔 地宮 石函

    에 동서 양쪽으로 놓여 있었는데 그중에서 서쪽에 놓인 탑 안에 사리,병 개가 봉안되어 있었다2 ( 11).圖 46)이 쌍은 년에 제작된 팔만사천탑의 하나1 965鐵製錢弘俶塔 錢弘俶

    였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후 에서 로 바뀌어, 福勝寺塔 身舍利莊嚴具재매납된 것이다. 福

    은勝寺塔 地宮 地宮

    에서 발견된 記 宋 天년 에 건립10 (1032)聖

    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47) 복승사탑이 세워진 는 북송에鄧州

    귀의한 오월국의 錢

    이 말년에 거주弘俶

    했던 곳이다 그는.년 으로 봉해988 鄧王

    46) · , (河南省古代建築保護硏究所河南省文物硏究所 河南鄧州市福勝寺塔地宮 文物「 」쌍의 철탑 사이에는 철제 향로가 놓여져 있었다, 1991.6), pp.40-41. 1 .

    47) 의 내용은 위의 글 참조 그에 의하면 원래 사찰명은< > , p.46 . ‘地宮記 鄧州 龍興이라고 한다’ .寺 大悲院

    기와 북송 하남성< 11> 2 . .圖 鐵塔 香爐 福勝寺塔 地宮出土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91

    져서 에 부임해왔다가 그해 월 일 사망하였다8 24 .鄧州 48) 그러므로 이은 그의 유품이었던을 것을 재봉안한 것일 가능성이 크며,錢弘俶塔 49)

    의 재활용 혹은 재봉안 방식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중요하다, .小塔에서는 쌍의 을 탑형사리장엄구로 배치하면1福勝寺塔 地宮 錢弘俶塔

    서 그 중 하나의 탑 안에만 유리제 사리병 개를 봉안하였다 사리장2 .엄 방식은 일반적인 탑형사리장엄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병과 탑을 세,트로 구성하고 있다 쌍탑의 탑형사리장엄구를 배치하는 것은 앞서 고.찰한 출토 송대 은탑 쌍이나 출1河北省 靜志寺塔 地宮 淨衆院塔 地宮토 석탑 쌍의 예와 유사한 방식이지만 사리가 쌍탑 중에서 한쪽에만1 ,봉안된 예로서 주목된다.

    출토 은탑(5) 山東省 莘縣년 의 에서 출토된 은탑은 보기 드문1968 山東省 莘縣 宋代塔 塔身部

    방형다층탑 형식의 탑형사리장엄구이다( 12).圖 50) 은판을 두드리고 접어서 붙여 만든 이 탑의 제작방식은 나 출토 은河北省 靜志寺 淨衆院

    탑과 유사하다 특히 대좌나 난간의 표현 타출과 부분도금기법은 매우. ,비슷하다 그러나 탑의 형식은 완전히 달라져서 방형 층탑으로 발전. 13하였다.은탑의 전체 높이는 이며 기단부는 육각형이다 그러나 층69.4cm , . 1

    탑신 이상은 모두 방형탑으로 매 층마다 탑신부에 난간을 돌리고 옥,개부분의 각 모서리에는 풍탁을 달았다 상륜부는 연화와 보륜 보주. ,등으로 화려하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층부터 층까지의 탑신부에는 내부에 불좌상을 봉안하였으며 층1 3 , 4

    48) 의 말년에 대해서는 권480, 239, 3, ;錢弘俶 宋史 列傳 世家 吳越錢氏條 吳建참조, ( , 1998.2), pp.84-90 .華 吳越國王錢俶墓誌考釋 中原文物「 」

    49) , ( - ,黎毓馨 阿育王塔的發現與初步整理 天覆地載 雷峰塔天宮阿育王塔特展 杭「 」: , 2009), p.19.州 浙江省博物館

    50) , · (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精華大 典金銀玉石卷 上海 上海 書出版社辞 辞과 설명 참조 발굴보고서는 미상이다1996), p.137, 141 . .圖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92

    탑신에는 사리가 봉안된 사리합을 봉

    안하였다.51) 함께 봉안되어 있던 사리합의 형태는 자세하지 않지만 다층탑,의 상층부에 사리를 봉안한 보기 드문

    예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방형다.층탑 형식의 탑형사리장엄구 안에 불

    상과 사리를 함께 봉안하는 것은 세11기경의 사리장엄방식으로 추정된다.

    2. 南部地域 出土品을 중심으로 한 남부,江蘇省 浙江省

    지역에서 출토되는 송대 불사리장엄구

    는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탑의 보다는 탑신부의 여러 층에地宮

    서 각각 사리장엄구가 발견되는 경우

    가 많으며 여러 시대의 유물들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또한.

    와 를 한 탑의 다른 층에法舍利 身舍利

    봉안하는 경우도 있고 발원자의 구성

    도 다양해진다.남부지역의 송대 불사리장엄의 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년부908

    터 년까지 와 일대에 자리잡고 있던 의 존재이978 杭州 浙江省 吳越國다 특히 의 마지막 왕 은 아육왕의 팔만사천탑 고사를. 吳越國 錢弘俶본따서 스스로 팔만사천탑을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으며 을 비, 雷峰塔롯한 여러 개의 대탑을 건립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송이 건국한 년. 960부터 이 북송에 귀순하는 년까지의 기간에 제작된 남부지역978吳越國51) , ( : , 2008), p.166.賀云翺 中國金銀器鑑賞圖典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은탑 북송 출토< 12> . . .圖 山東省 莘縣소장山東省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93

    의 불사리장엄구는 사실상 의 치세에서 봉안된 것이다.錢弘俶 吳越國이 망하고 난 이후에도 의 경계 내에 있던 일대, ,吳越國 浙江省 江蘇省의 에는 그 영향을 받은 형식의 사리장엄구가 다수 제작佛塔 錢弘俶塔

    되었다.북송대 남부지역에서 발견된 탑형사리장엄구는 시대의 것을吳越國

    포함하여 모두 곳에서 출토되었다7 .

    년(1) (961 )江蘇省 蘇州 虎丘 云岩寺塔 出土品년 이하 에서는 의 층과 층에서 각1956 ( ) 2 3虎丘 云岩寺塔 虎丘塔 塔身

    각 사리장엄구가 출토되었다.52) 그중에서도 탑형사리장엄구는 층에서3발견되었다 층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는 과 그리고. 3 ,石函 鐵函 鐵製金

    과 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사리는 내부에 봉( 13) .塗塔 圖 金甁 鐵製金塗塔안되어 있었던 안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안에 다,金甁 虎丘塔시 봉안되었다고 한다.53) 을 싸고 있었던 비단에는 “鐵製金塗塔 惠□□

    와 등/ ” “ ”, “ ”郞舍此 子一枚裏 迦叶 來眞身舍利寶塔 辛酉歲題 舍永充□襆의 묵서명이 씌여져 있었다.54) 여기에서 는 년으로 추정된다961 .辛酉묵서명에 등장하는 은 비단을 희사한 사람인데 그가 사리장엄구,惠郞도 함께 발원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한편 여기에 봉안된 사리가 가.섭여래의 진신사리라고 쓰인 것으로 볼 때 이 사리장엄구는 의, 過去佛사리를 봉안한 비교적 이른 예이다.한편 의 정상부에는 대신 작은 이 있었다鐵製金塗塔 覆鉢 木造覆鉢塔

    이 의 탑신부에는 원래 이 봉안되어 있었다고( 14).圖 木造覆鉢塔 小玉幢한다 이 은 높이 의 작은 방형단층소탑의 형태로 정확한. 2.8cm ,小玉幢

    52) 출토품에 대해서는 다음 글 참조. ,虎丘塔 蘇州市文物管理委員會 蘇州虎丘云岩「( , 1957.11), pp.38-45 ; ,寺塔發現文物內容簡報 文物參考資料 上同 蘇州虎丘塔」

    ( : , 1958) ; ,出土文物 北京 文物出版社 蘇州博物館 編 蘇州博物館藏 虎丘云岩寺, ( : , 2006).塔 瑞光寺塔文物 北京 文物出版社

    53) 위의 책, , p.36.蘇州博物館 編54) , ( : , 2008), p.239.陳嶸 主編 蘇州云岩寺塔 維修加固工程報告 北京 文物出版社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94

    용도는 알 수 없다 안에 이 소탑을 봉안한 이유는 정확하. 木造覆鉢塔게 알 수 없으나 소탑을 봉안한 은 별도의 사리장엄구로, 木造覆鉢塔보거나 혹은 의 부속 사리장엄구로 보아야 할 것이다.鐵製金塗塔탑의 중심 사리장엄구로 봉안된 은 형식을 그대鐵製金塗塔 錢弘俶塔

    로 따르고 있으며 과 으로 구성된 탑형사리장엄 방식의 전형을, 塔 甁보여준다 형식을 따라서 제작된 소탑들은 탑내에서 종종 발. 錢弘俶塔견되기는 하지만 정확한 출토상황이나 공반 유물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리봉안이 확인되는 예는 많지 않다 에서 출. 虎丘塔토된 형식의 사리장엄구는 이러한 탑형사리장엄구 중에서는錢弘俶塔

    발굴상황이 비교적 정확히 알려진 중요한 예이다 한편 위에. 錢弘俶塔놓여져 있던 도 이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사리장엄구 형식木造覆鉢塔

    으로서 주목된다 이러한 복발탑 형식의 소탑은 서안 혜광탑 소주. , 瑞이나 온주 백상탑 등에서도 발견되었으며 혜광탑 출토품의 경,光寺塔

    북송 년경< 13> . 961 .圖 鐵製金塗塔 江蘇省 蘇州출토 소장.虎丘塔 蘇州博物館

    북송< 14> .圖 木造覆鉢塔년경961 . 江蘇省 蘇州출토.虎丘塔 蘇州博物館소장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95

    우에는 사리장엄구로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년(2) (971-977 )浙江省 杭州 雷峰塔 出土品년과 년에 걸쳐 발굴된 에서는 과 에서2000 2001 杭州 雷峰塔 天宮 地宮

    각각 은제 탑형사리장엄구가 기씩 출토되었다 이 은탑 점은1 . 2 錢弘俶형식을 따른 탑형사리장엄구의 예로서 매우 중요하다 은.塔 雷峰塔 錢이 말년에 발원하여 그의 왕비를 위해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弘俶

    며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어 주목되고 있다, .55)발굴당시 에서 출토된 은탑은 완전히 부서진 채로 발견되었지天宮

    만,56) 최근 에서는 이 은탑을 완전한 형태로 복원하였다浙江省博物館탑의 형태와 도상의 배치 제작기법이나 상륜부의 구조 등은( 15). ,圖

    에서 출토된 은탑과 매우 유사하다.地宮 57) 다만 에서 출토된 은탑天宮내부에는 작은 이 사리장엄구로 봉안되어 있었고 에서 출토,金甁 地宮된 은탑 내부에는 이 봉안되어 있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金棺

    의 과 에서 출토된 은탑 점은 국왕인2雷峰塔 天宮 地宮 吳越國 錢弘의 발원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형식의 보기,俶 錢弘俶塔드문 은제 탑형사리장엄구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에서 제. 吳越國작된 것이기는 하지만 북송이 건립된 이후에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여기에서는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로서 함께 고찰하였다 이러한. 錢

    형식의 탑형사리장엄구는 이후 의 경내에 속했던 강남지弘俶塔 吳越國

    역을 중심으로 송대에 지속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북부지역과는 확실

    히 다른 강남 불교의 독자적인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는 중요한 형식으

    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출토 탑형사리장엄구는. 雷峰塔 吳越國

    55) 출토 유물에 대해서는 주경미 중국 의,雷峰塔 浙江省 杭州 雷峰塔 佛舍利莊嚴「 」불교미술사학( 4, 2006.11), pp.343-365 ;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 杭州雷峰塔五「

    ( 552, 2002.5), pp.4-32 ; , ( :代地宮發掘簡報 文物 上同 雷峰遺珍 北京 文物出」, 2002); , ( : , 2005).版社 上同 雷峰塔遺址 北京 文物出版社

    56) , p.66, .雷峰塔遺址 圖八八57) 지궁출토 은탑의 사진 및 도면은 참조, pp.128-133 .雷峰塔遺址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96

    문화가 북송 불교문화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된

    다.

    년(3) (1011 )江蘇省 南京市 長干寺塔 地宮 出土品년 에서 출토된 은2008 江蘇省 南京市 長干寺塔 地宮 七寶阿育王塔

    현재까지 알려진 형식의 탑형사리장엄구 중에서는 가장 큰錢弘俶塔

    것이다( 16).圖 58) 탑의 높이는 약 이며 대좌 밑면의 길이는 각120cm ,58) 은 으로 알려진 의 으로 세기에 파손되었19南京 長干寺塔 大報恩寺塔 明代 琉璃塔다가 최근 에서 이 발굴되었다 을 비롯한.塔址 宋代 地宮 七寶阿育王塔 地宮 出土은 현재 에 소장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발굴보고서는 간행되지 않,品 南京市博物館았다 양무제의 공양을 받았던 의 는 에 로 개칭되었다가. 南朝 長干寺 宋代 天禧寺

    과 세기 후반< 15> , 10 .圖 銀塔 金甁 浙江省 杭州출토 소장.雷峰塔 天宮 浙江省博物館

    북송 년< 16> . 1011 .圖 木胎銀塔 江蘇省출토.南京 長干寺塔 地宮

    소장南京市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97

    정도의 크기이다 이 탑은 로 형태를 만든 후 그 위에 얇은50cm . ,木製은판을 덧씌워 만든 것으로 표면에는 수정과 마노 유리 등을 붙여 장, ,식하고 을 하였다 이 은 내에 봉안되.鍍金 七寶阿育王塔 長干寺塔 地宮어 있던 과 안에 봉안되어 있었으며 여러 겹의 비단으로 싸,石函 鐵函여 있었다.

    에 기록된 에 의하면 은< >石函 金陵長干寺眞身塔藏舍利石函記 地宮년 에 건립되었다고 한다4 (1011) .北宋 眞宗 大中祥符 59) 또한 윗면鐵函

    에는 “ ”, “ ”, “ ”, “ ”, “佛頂眞骨 感應舍利十顆 諸聖舍利 金棺銀槨 七寶阿育王등의 명문이 있어서 부처의 과 사리를 봉안한 사리장엄구임” ,塔 頂骨

    을 전하고 있다 아직까지 칠보아육왕탑의 내부 유물은 공개되지 않고.있는데 선 촬영에 의하면 과 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내부에, X 金棺 銀槨봉안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명문의 내용과 출토정황으로 볼 때. ,북송대 의 사리장엄구는 - - - -長干寺塔 地宮 金棺 銀槨 七寶阿育王塔 鐵函으로 구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렇게 형식의 탑형사리장.石函 錢弘俶塔

    엄구와 이후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사리장엄구를 결합한 사唐代 棺槨形

    리장엄방식은 말기의 출토품과 유사하면서도 보다吳越國 雷峰塔 地宮

    발전된 양상을 보여주어 주목된다.이 칠보아육왕탑은 표면에 과 마찬가지로 개의 본생담을4錢弘俶塔

    부조로 표현하고 있는데 각각, “ ”, “ ”, “薩 太子飼虎 大光明王施首 尸毗埵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주목된다 이제까지”, “ ” .王救 命 須大拿王鴿

    사방의 본생담은 “ ”, “ ”, “錢弘俶塔 薩 太子本生 尸毘王本生 月光王本埵등으로 알려져 왔는데”, “ ” ,生 快目王本生 60) 이 칠보아육왕탑에서는 快

    대신 으로 기록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目王本生 須大拿王本生 61) 표현

    다시 에 로 바뀌었다 의 연혁에 대해서는 제주도. ,明代 大報恩寺 大報恩寺 朴現圭 「과 의 관계 ( 58, 2009.2), pp.136-141法華寺 三尊佛像 南京 大報恩寺 中國史硏究」

    참조.59) , ( - ,黎毓馨 阿育王塔的發現與初步整理 天覆地載 雷峰塔天宮阿育王塔特展 杭「 」

    : , 2009), p.23.州 浙江省博物館60) 탑신부의 본생담 도상에 대해서는 주경미 위의 글, (2006.11), pp.356-錢弘俶塔

    참조360 .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98

    된 도상은 다른 의 본생담과 유사하지만 등장인물이 좀 더,錢弘俶塔많아지고 복잡하며 장식문양이 곳곳에 배치된 점은 훨씬 발전된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본생담의 좌우에 불좌상과 화려한 당초문을 조각하.여 장식하고 있는 점이나 금시조의 도상이 봉황의 형태를 닮아 화려하

    고 사실적으로 변형된 점 그리고 아래 윗면에 금강저 형태의 장식문,양대를 배치한 것은 북송대 불교미술 양식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시기의 탑형사리장엄구에 비해서 은판의 부조가 상당히吳越國

    고부조로 타출되어 있으며 진주와 같은 여러 가지 보석을 감입하는,등 장식기법이 발전했다.

    에서 출토된 칠보아육왕탑은 북송대 초기의 남南京 長干寺塔 地宮

    부지역 탑형사리장엄구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주목된다 은 사. 長干寺塔실 양무제연간 이후부터 부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아육왕탑이 있었던

    곳으로서 유명했던 곳이다 이후 의 사리는 여러 번 이운된. 長干寺塔것으로 보이는데 그중에서도 년경 에 의해서 발굴되어, 848唐末 李德裕일부가 으로 이운된 것이 사리장엄구와 함께 현전하고鎭江 甘露寺鐵塔

    있다.62) 그러므로 북송 초기에 봉안한 이 과 의七寶阿育王塔 金棺銀槨사리장엄구는 당시 새롭게 을 중요시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長干寺塔아직까지 출토 사리장엄구에 대해서는 전모가 공개되지南京 長干寺塔

    않았기 때문에 자세한 연구가 어렵지만 에서 북송으로 연결되, 吳越國는 남부지역의 탑형사리장엄구의 연구에서 이 칠보아육왕탑은 매우 중

    61) 일반적으로 불교미술에서 수다나본생은 에(T171, 3: 418c-424a)太子須大拏經나오는 모든 것을 보시하는 수다나태자 이야기를 뜻한다 이 칠보아육왕탑에서도.

    대신 자로 쓰여 있기 때문에 수다나본생의 명칭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 ” “ ”拏 拿다 그러나 칼을 들고 서 있는 주인공의 모습은 수다나태자본생담의 내용과 어울. ,리지 않으며 태자가 아닌 왕으로 지칭된 점도 조금 차이가 있다 눈을 보시하는, .

    에서 주인공의 이름은 라고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상의“ ” ,快目王本生 須提羅혼동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도상 해석에 대해서는 기존의.전홍숙탑 도상과의 관계 및 출토품의 구체적인 자료 공개와 조사 이후에 좀 더

    심도 깊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62) 주경미 위의 책, (2003), pp.306-312 ; · ,江蘇省文物工作隊鎭江分隊鎭江市博物館 「

    ( 1961.6), pp.302-315.江蘇鎭江甘露寺鐵塔塔基發掘記 考古」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99

    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년(4) (1013 )江蘇省 蘇州 瑞光寺塔 出土品년 제 층의 천궁에서는 여러 가지 사리장엄구가1978 3蘇州 瑞光寺塔

    발견되었는데,63) 그중에서도 방형목함 안에 봉안되어 있던 眞珠舍利寶은 북송대의 유일한 형태의 탑형사리장엄구이다.幢 經幢이 은 목조로 만든 후 칠을 하고 진주와 각종 보석을 감입하고寶幢

    금은실로 연결하여 장식한 것이다 전체 높이는 로 상당( 17). 122.6cm圖히 큰 편이다 와 그리고 등 세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 ,臺座 幢身 塔刹각 부분마다 여러 가지 조각과 장식이 부착되어 매우 화려하다 팔각.형의 각 면에는 각각 의 명호와 “ ”幢身部 過去七佛 南無摩訶般若波羅蜜이라는 구절이 새겨져 있고 그 안에는 푸른색의 작은, 葫蘆形 磁器甁이 있었다 병 안에는 사리 립과 과 가 봉안. 9 大隋求陀羅尼經 梵文經咒되어 있었다.64) 또한 윗부분에는 선정인의 을 봉안한 작은幢身 祖師像

    이 놓여 있었고,銀製鍍金龕 65) 상륜부의 윗부분에도 역시 작은 木製龕과 이 놓여져 있었다.金甁 66)이 진주사리보당은 중의 안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의2 ,木函 黑漆 外정면 외벽에는 의 해서로 이라“ ”函 白漆 瑞光院第三層塔內眞珠舍利寶幢

    는 명문이 쓰여 있다 바깥쪽 에 이 채색으로 그려진. 四面 四天王像 內에는 안쪽벽에 와“ ” “函 大中祥符六年四月十八日記 都勾當方允升妻孫氏등의 묵서명이 쓰여 있어서 북송 년에 발원된 것임을 알 수” 1013十娘

    있다.67) 사방의 사천왕상 중에서 이 들고 있는 탑의內函 北方 多聞天형태는 의 형상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어서( 18),寶幢 圖 68) 당시 불교63) · , , (蘇州市文管會蘇州博物館 蘇州市瑞光寺塔發現一批五代 北宋文物 文物「 」

    위의 책1979.11), pp.21-31 ; , (2006).蘇州博物館 編64) 위의 글 위의 책· , , p.24 ; , , p.135.蘇州市文管會蘇州博物館 蘇州博物館 編65) 위의 책, , pp.136-137.蘇州博物館 編66) 위의 책, pp.141-142.67) 위의 글· , , p.21.蘇州市文管會蘇州博物館68) 내함 사천왕상의 양식에 대해서는 출토 사리목함의,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100

    계에서 과幢 의塔 구별이 엄격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69) 이러한 경당 형태의 탑형사리장엄구는 남부지역에서는 출토품이 현재瑞光寺塔

    연구 참조> ( 77, 2008), pp.41-75 .天王圖 美術資料」69) 의 성격이 과 유사하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 -經幢 塔 劉淑芬 罪與度亡 佛頂尊灭

    참조 경당과 탑은( : , 2008), pp.103-113 .勝陀羅尼經幢之硏究 上海 上海古籍出版社다른 성격을 가진 부분도 많지만 세기경이 되면 서로 유사한 속성을 가지는, 11부분이 많다.

    북송 년< 17> . 1013 .圖 眞珠舍利寶幢출토.蘇州 瑞光寺塔 蘇州博物館소장

    북송 년< 18> . 1013 .圖 彩繪木造內函 蘇州출토 소장.瑞光寺塔 蘇州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101

    까지로는 유일하지만 원통형 혹은 팔각형의 탑 형식을 발전시킨 것이, ,라는 점에서는 출토 은탑이나 출토 은제도금靜志寺塔 遼代 慶州白塔

    사리탑 출토 은제도금사리탑 등과 형식적 측면에서 연결된, 朝陽北塔다.70)한편 의 층 천궁에서는 두 개의 금동소탑이 발견되었는데3 ,瑞光寺塔

    두 소탑의 형식은 모두 형식을 따른 것이다 이들 두 개의.錢弘俶塔형식의 금동소탑은 내부에 별도의 사리봉안장치를 가진 것으錢弘俶塔

    로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아마도 공양소탑으로 봉안되었던 것일 가능,성이 있다.71)그 외에 출토위치와 상황이 정확하지는 않은 복발탑형의 木製小塔

    이 하나 출토되었는데,72) 내부가 비어 있는 것으로 보아 무엇인가를봉안했을 가능성이 있는 장엄구이다 이러한 형식은 앞서 고찰한. 虎丘출토 목제소탑과 유사한 것으로 에서도 출토된 바 있,塔 溫州 白象塔

    다.73) 이러한 복발탑형 사리장엄구는 북송대 남부지역에서 종종 보이는 것으로 탑 상륜부의 역할을 하는 사리장엄구일 가능성이 있다, .

    년(5) (1042 )浙江省 瑞安市 慧光塔 出土品년부터 년 사이에 발굴된 에서 출토된 사리장1966 1967 瑞安市 慧光塔

    엄구 일괄품은 구체적인 사리봉안방식이 알려져 있지 않다.74) 그렇지만 여기에서 출토된 은 방형다층탑 형식의 탑형사銀製鍍金方形七層塔

    리장엄구로 추정되어 주목된다 이 은탑은 사리장엄구의 으( 19).圖 外函

    70) 과 출토 사리장엄구에 대해서는 ,遼代 慶州白塔 朝陽北塔 周炅美 遼 興宗年間「의 참조(1031-1055) ( 35, 2005.4), pp.197-221 .佛舍利莊嚴 硏究 中國史硏究 朝」

    출토 은제도금사리탑은 · ,陽北塔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朝陽市北塔博物館 編 朝陽참조( : , 2007), 40 .北塔考古發掘與維修工程報告 北京 文物出版社 圖版

    71) 위의 책 참조, , pp.188-198 .蘇州博物館 編72) 위의 책, p.187.73) 에서는 층에서 점 출토되었다 도판은1 2 . · ,白象塔 溫州市文物處溫州市博物館 溫「

    참조( 372, 1987.5), p.4, .州市北宋白象塔淸理報告 文物 圖一」74) , ( 1973.1), pp.48-53.浙江省博物館 浙江瑞安北宋慧光塔出土文物 文物「 」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102

    로 알려진 안에 봉안描金堆漆舍利箱

    되어 있었다고 하는데,75) 은탑 내부의출토품이 무엇인지는 정확하지 않다.그러나 의 높이가 이며41.2cm ,外函 外에서 나온 다른 유물들은 모두 크기函

    가 내외인 점으로 보아 이10cm , 外函은 기본적으로 높이의 은탑을34.8cm봉안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

    정된다.이 과 같이 높이가 높은外函 彔頂形

    형식은 의 이方形函 雷峰塔 地宮 鐵函

    나 의 및 ,虎丘塔 天宮 石函 鐵函 南京의 등과 같은 형식長干寺塔 地宮 鐵函

    으로 탑형사리장엄구의 에 종종, 外函사용되는 형식이다.방형다층탑 형식의 탑형사리장엄구

    는 북부지역의 출토품(山東省 莘縣 圖과 비교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형12) ,

    다층탑의 제작시기가 세기 전반에11해당함을 알 수 있다.

    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慧光塔 外函

    는 또다른 사리장엄구로는 사리를 담

    은 여러 가지 형태의 과銀甁 琉璃甁

    및 높이 의 복발탑형10.3cm 銀製鍍金식의 사리장엄구 등이 있다 이 복발탑형 사리장엄구 안에는 사( 20).圖리를 봉안한 이 봉안되어 있었다 복발탑의 외면에는. “金甁 弟子胡用□

    라는 명문이 있어서 년” 1035勾當僧慶恩可觀景祐二年乙亥歲十二月日造75) 과 설, II ( : , 2004), p.183, 151東京國立博物館 編 中國國寶展 東京 朝日新聞社 圖명 참조.

    은탑 북송 년< 19> . 1042 .圖 浙江省출토 소장.慧光塔 浙江省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103

    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76) 이 복발탑은 이나 출토의 목제 복발탑형虎丘塔 瑞光寺塔

    식을 금속제로 번안한 것으로서 상륜부의 표현,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의 바닥면에 써진 명문에 의하면 의,外函 外函제작시기는 년 즉 년 월이라고 하2 , 1042 12慶曆므로,77) 은탑의 제작시기도 비슷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 이나 복발탑형 사리장엄구의. 銀甁명문 중에는 년 혹은 년 등의 기년명1033 , 1035이 보이기 때문에,78) 이들 사리장엄구가 비교적오랜 기간동안 제작되어 함께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사리장엄구의 봉안은 세기. 11중반 이전에 이루어진 중요한 예이다.

    년(6) (1047 )浙江省 安吉縣 芝塔 出土 銀塔灵년 의 층과 층 사이에서 발견된1994 9 10浙江省 安吉縣 安城 芝塔灵

    에서는 형식의 은탑이 사리장엄구로서 봉안되어 있었다天宮 錢弘俶塔

    은탑( 21).圖 안에는 유리병과 동전 수정구슬 등이 봉안되어 있었다고,한다.79) 아마도 유리병은 사리를 봉안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즉 병과.탑을 세트로 갖추어 사리장엄구로 봉안했던 것이다 함께 출토된 공양.구로는 천매가 넘는 동전이 출토되었는데 가장 늦은 동전은 년6 , 1039경의 였다.皇宋通寶 80)은탑의 높이는 이며 대좌 측면부에 음각으로 명문이 쓰여 있27cm ,

    76) , - ( : ,浙江省博物館 編 東土佛光 浙江省博物館典藏大系 杭州 浙江古籍出版社참조2008), p.174 .

    77) 위의 글, (1973.1), p.51.浙江省博物館78) 년명의 은 위의 책 참조1033 , (2008), p.173 .銀甁 浙江省博物館79) , ( 2003.1), pp.54-55.周 樂 浙江安吉 芝塔天宮出土唐宋錢 中國錢弊亚 「 灵 」80) 위의 글 참조.

    은제복발탑 북송< 20> .圖년1035 . 浙江省 慧光塔

    출토 소장. 浙江省博物館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104

    다 명문의 내용은. “安吉縣永安鄕城南保/奉佛女弟子裵氏三娘 將粧奩浪銀制造/塔一所安眞身舍利佛骨 舍入永安院塔/心內資荐夫主施十二郞慶 歷七年歲次

    등으”丁亥四月朔日畢工記銀匠李宥昌로,81) 은으로 탑을 만들어서 眞身舍利와 을 안치하였다는 것이다 은탑.佛骨의 제작연대는 년에 해당한다1047 .이 은탑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錢弘俶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탑신 사면의,塔본생도의 표현은 능화형 안에 배치하고

    인물의 배경을 투각하여 표현한 점 등

    이 매우 독특하다 또한 장식문양의 형.태나 사방 모서리의 불전도 표현 상륜,부의 표현 등이 세기의 과는10 錢弘俶塔완전히 달라진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은탑은 형식을 따르면錢弘俶塔

    서도 독특한 양식을 보여주는 세기11중반경의 탑형사리장엄구이다.

    (7) 浙江省 海寧市 智 塔 出土品标년 의 에서 출토된 탑형사리장엄구는2003 浙江省 海寧市 智 塔 地宮标

    별도로 만들어진 위에 이 올려진 형식이다(陶製臺座 銅製錢弘俶塔 圖22).82) 대좌 안쪽에 마련된 공간에 은제 원형합이 봉안되어 있었고 그,

    81) , - ( : ,浙江省博物館 編 天覆地載 雷峰塔天宮阿育王塔特展 杭州 浙江省博物館2009), p.131.

    82) 의 발굴보고서는 ·海寧市 智 塔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海寧市文化广電新聞出版局标참조 은 의 에, ( : , 2006) .編 海寧智 塔 北京 科學出版社 智 塔 東晋時代 八福塔标 标

    서 기원한 것으로 에 중건되었으며 에 을 보수했다고 한다 그 후, .宋代 明代 地宮

    은탑 북송 년< 21> . 1047 .圖 浙江省출토.安吉縣 芝塔 天宮灵

    소장安吉縣博物館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105

    안에는 사리가 매 들어 있었다2 .83)탑의 형식은 일반적인 형錢弘俶塔

    식을 따르고 있으며 표면에 녹이 심,한 편이라 정확한 도상은 파악하기

    어렵다 상륜부는 다른 에 비. 錢弘俶塔해 높고 크며 잘 남아 있다 대좌 윗.부분에 봉안된 은제 원형합에는 표면

    에 꽃 문양이 음각되어 있으며 한쪽

    에 고리가 달려 있다 합이나 탑의 형.태로 보아 북송대에 봉안된 것으로,추정되지만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기,는 어렵다.

    지궁에서는 이 사리장엄구智 塔标이외에 유사한 형식의 銅製錢弘俶塔

    이 점 더 출토되었다 상륜부가 없어1 .진 이 동탑은 내부에 전홍숙 팔만사

    천탑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년, 955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84) 나란히 봉안된 점의 전홍숙탑은 아마2도 이후에 탑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재봉안된 탑형사리장엄구로宋代

    추정되지만 정확한 매납연대는 알 수 없다, .

    의.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特徵Ⅳ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으나 완전히 무너져버려서 발굴조사를 진행한 후 년2004에 새로운 탑을 그 자리에 건립하였다.

    83) 내부와 은 위의 책 및 참조, p.54 p.118 .陶製臺座 銀盒84) 위의 책 참조, pp.58-63 .

    과 북송< 22> . .圖 銅塔 陶製臺座 浙江省출토.海寧市 智 塔 海寧市博物館标소장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106

    이상에서 북송대 탑형사리장엄구를 출토지별로 크게 북부지역과 남

    부지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북부지역에서 개소 남부지역에서 개. 5 , 7소 등 모두 개소에서 탑형사리장엄구가 출토되었으며 여기에서 출12 ,토된 예들은 모두 여점 이상이 된다 이는 북송대 불사리장엄이 출20 .토된 곳에서 약 절반 정도에서 발견되었음을 뜻한다.북송대에는 하나의 탑 안에 탑형사리장엄구만 봉안된 경우보다는

    사리장엄구나 법사리장엄구를 비롯한 여러 세트의 사리장엄구棺槨形

    가 함께 봉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같은 탑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나 다른 탑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들 혹은 동시대의 불교미술품과의 관,계에 대해서 좀 더 다각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동시대 출토품이나 불교미술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송대 탑형

    사리장엄구의 형식과 구성방식의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형식분류1.현재까지 출토된 개소의 탑형사리장엄구 및 공양소탑을 탑의 형12

    식별로 고찰하면 크게 , , , ,多角塔形 方形塔形 錢弘俶塔形 經幢形 覆鉢塔등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5 .形

    (1) 多角塔形式먼저 다각탑형에 속하는 것은 출토 은탑과河北省 靜志寺塔 地宮

    출토 은탑 뿐으로 모두 북부지역 특히,淨衆院塔 地宮 河北省 定州地에서 출토되었다 은탑과 은탑은 모두 평면이 육.域 靜志寺塔 淨衆院塔각형인 단층 혹은 층탑 형식으로서 세기 후반 의, 2 , 10 河北省 定州 地域독특한 불사리장엄 방식을 보여준다.이들은 지역의 탑형식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일 가능성도 있定州

    지만 그것보다는 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의, 靜志寺塔 地宮 隋代 七이나 현존하는 출토 년명의 은탑의 형태를848燎繞銀塔 地宮 唐代 宋珎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107

    에 모방하여 만들어진 의 으로 해석된다 의.代 古式 再現 靜志寺塔 宋代은탑 은 년명 은탑 의 형태를 좀 더 사실적인 건축의 형( 5, 6) 848 ( 4)圖 圖태로 변형시킨 것으로 정면에 문을 배치하고 난간을 돌리고 있는 점, ,상륜부와 풍탁의 조형이 사실적인 점 등은 달라진 양식이다. 靜志寺塔보다 조금 늦은 시기에 세워진 의 은탑 은 상륜부의 형태( 7)淨衆院塔 圖가 복잡해지고 탑신부가 층으로 변형된 점으로 보아 동시대의 탑 형2식을 본따서 좀 더 사실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다각탑형 사리장엄.구는 이후의 의 이나 탑형사리장엄구 및 사리장多角多層形 小塔 經幢形

    엄구 등으로 발전한다.

    (2) 方形塔形式방형탑형에 속하는 북송대의 탑형사리장엄구는 河北省 定縣 淨衆院

    에서 출토된 한 쌍이 비교적 이른 예에 속한다 출토.塔 石塔 淨衆院塔석탑은 방형단층탑과 방형이층탑인데 상륜부의 형태가 복잡해( 8, 9),圖지면서 탑의 높이가 높아진 점이 특징이다 의 에서. 唐代 法門寺塔 地宮출토된 탑형사리장엄구가 모두 방형단층탑 형식이었던 것을 생각해 본

    다면 이러한 방형탑형 사리장엄구는 의 형식에서 변형된 것( 3),圖 唐代으로 생각된다.

    에서 출토된 은 과 방河南省 密縣 法海寺塔 地宮 三彩舍利匣 寶帳形

    형단층탑 형식이 결합된 독특한 형식으로 이러한 형( 10),異形方形塔 圖식도 의 영향이 에 변형된 것이다 에서는 사.唐代 北宋代 法海寺塔 地宮리 대신 불상을 봉안한 공양소탑들의 존재도 함께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방형다층탑 형식이다 그러므로 방형다층탑형식의 사리장엄구.나 공양소탑은 세기 후반경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했음을 알 수10있다.

    출토의 은탑은 보기 드문 북부지역의 금속제 방형다층山東省 莘縣

    소탑이다 이 은탑에서는 층과 층에 불상을 그리고 층에는( 12). 1 2 , 4圖사리를 봉안하고 있었으므로 불상과 사리를 소탑에 함께 봉안한 탑형,

  • 60 (2009. 6)中國史硏究 第 輯108

    사리장엄구의 예로서 매우 중요하다 형태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 浙江에서도 방형다층탑형식의 은탑이 출토되었다( 19).省 瑞安市 慧光塔 圖

    이것은 현재까지 남부지역에서 출토된 북송대의 유일한 방형다층탑형

    식으로 세기 중반의 중요한 예이다 한편 이러한 방형탑 내에는, 11 . , 甁을 로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內容器

    (3) 錢弘俶塔形式은 혹은 등으로도 알려진,錢弘俶塔形式 阿育王塔形式 寶篋印塔形式

    독특한 탑형식이다.85) 이 탑형식의 기원은 아육왕사의 아육왕탑縣鄮에서 찾을 수 있으나 직접적으로는 세기 후반 의 왕 이10 吳越國 錢弘俶만든 팔만사천탑 형식의 영향이 중요하다 의 팔만사천탑은. 955錢弘俶년과 년 등 차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탑의 형식은 기본적으로 방965 2 ,형단층탑이지만 탑신 윗면에 지붕 대신 사방 모서리에 을馬耳形裝飾

    세운 점이 특징이다 탑신 사방에는 동일한 도상으로 추정되는 폭의. 4본생담을 새겼으며 대좌부에는 불좌상과 보리수를 배치한 점도 공통,된다.북송대의 사리장엄구로 사용된 예는 출토 ( 11),福勝寺塔 雙鐵塔 圖 虎출토 출토 점 출( 13), 2 ( 15),丘塔 鐵製金塗塔 圖 雷峰塔 銀塔 圖 長干寺塔

    토 출토 은탑 출토( 16), ( 21), (七寶阿育王塔 圖 芝塔 圖 智 塔 東塔 圖灵 标등으로 현존하는 북송대 탑형사리장엄구 중에서 가장 많은 형식22) ,

    이다 또한 출토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부지역에서 출토되. 福勝寺塔었기 때문에 지역적 특징을 강하게 보이는 형식이다, .

    은 이 팔만사천탑을 만들기보다 조금 이른 950錢弘俶塔形式 錢弘俶85) 이러한 탑형식은 일본에서는 으로 중국에서는 으로 부르는 것,寶篋印塔 阿育王塔이 일반적이다 보협인탑이라는 명칭은 보협인경을 봉안한 탑이라는 뜻으로. , 錢弘팔만사천탑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아육왕탑이라는 명칭은 아육왕탑.俶 縣鄮

    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는 아육왕탑과 형태가 다른 아육왕탑이. 縣鄮여러 곳에 있었으며 남북조시대의 아육왕탑 형식과 세기 이후 에서 새, 10 吳越國로 유행한 탑형식은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탑형식을 유행시킨 의 이름을 따서 으로 지칭한다.錢弘俶 錢弘俶塔形式

  • 의 ( )北宋代 塔形舍利莊嚴具 硏究 周炅美 109

    년경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86) 에浙江省 台州市 黃岩 石寺塔 天宮灵서 출토된 는 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과 동일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