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설비규정mynewsletter.co.kr/kfpa/201410/pdf.pdf · 2014-10-16 · 1-jz9 8 7,m 9 @9 d fe q]...

269
소화설비규정

Upload: others

Post on 09-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소화설비규정

    2014. 4

  • - 총 목 차 -

    Ⅰ. 통칙

    Ⅱ. 초기소화설비규정

    Ⅲ. 소화전설비규정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Ⅵ. 스프링클러설비규정

    Ⅶ. 자동화재속보설비규정

    Ⅷ. 포소화설비규정

    Ⅸ. 이산화탄소소화설비규정

    Ⅹ. 할론1301소화설비규정

    Ⅺ.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규정Ⅻ. 소화설비할인율표ⅩⅢ . 부록

  • Ⅰ. 통칙

  • Ⅰ. 통칙

    Ⅰ- 1

    1. 본 규정은 화재보험의 소화설비할인율 산정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

    을 목적으로 한다.

    2.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소방관련 법령 및 건축

    관련 법령을 준용한다.

  • Ⅱ. 초기소화설비규정

  • Ⅱ. 초기소화설비규정

    Ⅱ- 1

    1. 소화설비(소화전설비, 소방펌프자동차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

    클러설비, 포소화설비 등)의 할인 전제조건으로 소방관련 법령에서 정

    한 기준에 따라 화재에 적응할 수 있는 소화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소방관련 법령 기준 중 완화규정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2. 소화기는 FILK 인증품인 경우에 한하여 소화기할인을 적용하며, 할

    인은 건물단위로 적용한다. 다만, FILK 인증품이 아닌 소화기의 추

    가설치는 가능하다.

    3. FILK 인증품인 소화기의 유효기한은 제조일로부터 5년으로 한다. 또

    한, 재 충약된 소화기는 FILK 인증품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4. 소화기는 1개월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외관점검 등 유지 관리하여

    야 한다.

  • Ⅲ. 소 화 전 설 비 규 정

  • 목 차

    A. 옥외소화전

    1. 일반 ·························································································Ⅲ-1

    2. 급수원 ·····················································································Ⅲ-2

    3. 가압송수장치 ·········································································Ⅲ-4

    4. 배관 ·························································································Ⅲ-6

    5. 소화전함 등 ·········································································Ⅲ-7

    6. 전원 및 동력 ·········································································Ⅲ-7

    7. 배선 ·························································································Ⅲ-8

    8. 유지관리 ·················································································Ⅲ-8

    9. 소화활동 인원 ·····································································Ⅲ-10

    세 칙 ····················································································Ⅲ-11

    B. 옥내소화전

    1. 일반 ·······················································································Ⅲ-12

    2. 급수원 ···················································································Ⅲ-12

    3. 가압송수장치 ·······································································Ⅲ-15

    4. 배관 ·······················································································Ⅲ-18

    5. 소화전함 등 ·········································································Ⅲ-18

    6. 전원 ·······················································································Ⅲ-19

    7. 배선 ·······················································································Ⅲ-20

    8. 유지관리 ···············································································Ⅲ-20

    9. 소화활동인원 ·······································································Ⅲ-21

    세 칙 ····················································································Ⅲ-22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1

    A. 옥외소화전

    가. 옥외소화전설비는 건물(옥외의 설비 및 장치를 포함한다) 및 그

    수용동산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 또는 연소 방지를 목적으로 옥외

    에 설치하는 소화설비를 말한다.

    나. 옥외소화전은 일반적으로 수원, 소화펌프, 전동기(또는 내연기관),

    기동장치, 배관 및 관 부품, 방수구(호스접결구), 호스, 노즐 등과

    일련의 소화용구를 수납하는 함으로 구성되며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의 인증품(FILK인증품), 국가인정품(KS제품

    또는 국가검정품)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인정되는 것이어야

    한다.

    다. 옥외소화전은 1개의 방수구(호스접결구)를 중심으로 옥외소화전

    (갑)의 경우 수평거리 30m, (을) 및 (병)의 경우에는 수평거리

    40m의 원으로서 건축물의 외곽을 밖으로부터 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라. 규정 「다」에도 불구하고 옥외소화전으로 포용이 되지 않는 부

    분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부분을 유효하게 포용할 수 있는 옥내

    소화전을 옥내소화전(을)의 방수성능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2

    가. 일반

    (1) 옥외소화전설비는 필요한 수압과 용량을 갖고 신뢰성 있는 2개

    이상의 독립된 급수원을 가져야 한다. 단, 2개의 급수원은 다음

    「나」및「다」의 1차 및 2차 급수원에 적합하여야 한다.

    (2) 1, 2차 급수원을 다른 소방설비용 수원과 겸용하여 설치하는 경

    우의 저수량은 각 소화설비에 필요한 저수량을 합한 양으로서

    해당 소화설비의 1, 2차 급수원 규정에 적합하고 나머지 소화

    설비는 국가화재안전기준의 규정량 이상이어야 한다.

    나. 1차급수원

    (1) 옥외소화전의 수원은 하천, 저수지 또는 그 밖의 실용상 풍부한

    수원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수원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저수조를 설치하여 다음에 따를 수 있다.

    구 분 유 효 수 량

    옥 외 소 화 전(갑) 80㎥ 이상

    옥 외 소 화 전(을) 50㎥ 이상

    옥 외 소 화 전(병) 20㎥ 이상

    (2) 소화전용 저수조의 유효수량이 50㎥ 이상 80㎥ 미만인 경우 80

    ㎥에 부족한 양을 방수개시 후 30분 이내에 자동 보급할 수 있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3

    는 경우에는 옥외소화전(갑)으로 인정한다.

    (3) 소화전용 저수조의 유효수량이 20㎥ 이상 50㎥ 미만인 경우 50

    ㎥에 부족한 양을 방수개시 후 30분 이내에 자동 보급할 수 있

    는 경우에는 옥외소화전(을)로 인정한다.

    (4) 소화전용 저수조의 유효수량이 14㎥ 이상 20㎥ 미만인 경우 20

    ㎥에 부족한 양을 방수개시 후 30분 이내에 자동 보급할 수 있

    는 경우에는 옥외소화전(병)으로 인정한다.

    (5)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1), (2), (3), (4)」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인정한다.

    (가) 옥외소화전펌프의 푸트밸브 또는 흡입배관의 흡수구를 다른

    설비(소방용 설비 이외의 것)의 푸트밸브 또는 흡입배관의

    흡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 그 격차가 유효수량 이상

    인 경우

    (나) 고가수조로부터 옥외소화전 설비의 입상배관에 물을 공급하

    는 급수구를 다른 설비의 급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

    그 격차가 유효수량 이상인 경우

    다. 2차급수원

    (1) 2차 수원으로 옥상수조를 설치하고 소화전의 배관에 항상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그 용량은 1차 급수원의 수량의

    50% 이상으로 한다.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4

    (2) 고위저수탱크(고가탱크 등 포함)를 급수원으로 하는 자연낙차압

    력방식으로서 급수원의 유효수량이 상기 「2-나」에서 정한

    수량 이상을 확보한 경우에는 2차급수원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2차급수원으로 소화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옥외소화전설비 전

    용으로 다음 각항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가) 1차급수원의 소화펌프와는 별도로 독립된 것이어야 한다.

    (나) 소화펌프는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어야 한다.

    (다) 펌프의 성능은 1차 급수원의 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

    는 것이어야 한다.

    가. 일반

    가압송수장치〔「전동기 및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자연낙차에

    의한 고가수조」,「압력수조」및「가압수조」〕는 당해 특정소방대

    상물에 설치된 옥외소화전(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의 옥외소

    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옥외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

    압력과 방수량이 다음에 기재한 성능 이상이어야 한다. 단, 하나의

    옥외소화전을 사용하는 경우 노즐선단의 방수압력은 0.7㎫를 초과

    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5

    구 분 방 수 압력 방 수 량

    옥외소화전(갑) 0.3㎫ 450ℓ/min

    옥외소화전(을) 0.25㎫ 350ℓ/min

    옥외소화전(병) 0.25㎫ 350ℓ/min

    나. 펌프방식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9)을 준용한다.

    다. 고가수조방식

    고가수조의 자연낙차압력을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고가수조의 낙차압력(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된 소

    화전호스 접결구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은 다음의 식에 의

    하여 산출한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할 것.

    H = h 1+ h 2+ h 3

    H : 필요한 낙차(m)

    h 1 : 소방호스 마찰손실수두(m)

    h 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m)

    h 3 : 소화전(갑)의 경우 30m, 소화전(을), (병)의 경우25m

    (2) 고가수조에는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오버플로우관 및 맨홀을

    설치할 것.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6

    라. 압력(가압)수조방식

    압력(가압)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다음 기준에 의하여 설치

    하여야 한다.

    (1) 압력(가압)수조의 압력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산출한 수치 이상

    으로 할 것.

    P = p 1 + p 2 + p 3 + p 4

    P : 필요한 압력 (㎫)

    p 1 :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p 2 :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p 3 : 낙차의 환산 수두압(㎫)

    p 4 : 소화전 (갑)의 경우 0.3㎫

    소화전(을), (병)인 경우 0.25㎫

    (2) 압력(가압)수조에는 수위계․급수관․급기관․맨홀․압력계․안

    전장치 및 압력저하방지를 위한 에어컴프레서를 설치할 것

    가. 급수관의 마찰손실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여야 한다.

    6.29․L․Q1.85

    h = × 106C1.85․D

    4.87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7

    h : 관 길이 L(m)에 대한 마찰손실수두(m)

    L : 관 길이(m) Q : 유량(ℓ/min)

    C : 120 (관마찰손실계수) D : 관의 내경(㎜)

    나.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9)을 준용한다.

    가. 각 소화전함에는 결합금구가 부착된 15m 이상의 호스 및 노즐,

    밸브개폐용 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예비호스는 총 소화전 개수의 20% 이상(최소 2개 이상)을 상비하

    여야 한다.

    다.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9)을 준용한다.

    가. 펌프용 동력으로서 전동기를 쓸 경우에 전원은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9)을 준용한다.

    나. 펌프구동용 내연기관(디젤기관)은 다음에 의하여야 한다.

    (1) 내연기관은 소화펌프의 기동용 압력스위치 작동에 의하여 자동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8

    으로 기동하고, 30초 이내에 정상 운전되며, 정격부하로 90분

    이상 운전할 수 있어야 한다.

    (2) 펌프실에는 내연기관의 연소(燃燒), 냉각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

    를 공급하는 설비를 설치하고 기관의 배기를 옥외로 안전하게

    배출하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연료탱크에는 내연기관을 정격부하로 90분 이상 운전할 수 있

    는 연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4) 펌프실내의 온도는 항상 5℃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5) 내연기관에 필요한 예비품(연료분사노즐 등), 부속품 및 공구를

    비치하여야 한다.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9)을 준용한다.

    가. 일반

    옥외소화전설비는 충분한 소화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점

    검과 정비를 실시하여 항상 유효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그 결과를

    관리기록부에 기록하여야 한다.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9

    나. 급수원

    (1) 수원은 항상 규정수량을 확보하여야 하며 침전물, 부유물 등의

    유무를 정기적(3개월에 1회 이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2) 수원의 급수설비는 충분한 점검 및 정비를 하여야 한다.

    다. 가압송수장치

    (1) 가압송수장치실은 항상 정돈하여야 하고 동결기간 동안에는 운

    전에 지장이 없도록 보온하여야 한다.

    (2) 가압송수장치는 아래의 사항에 유의하여 정기적(1개월에 1회

    이상)으로 기동, 부하운전 등의 시험을 하여야 한다.

    (가) 제어반의 스위치, 릴레이 등의 이상 유무 및 스위치 등의

    정위치

    (나) 펌프의 운전상황 및 성능

    (다) 구동기가 내연기관인 경우 연료의 보유량, 시동용 축전지,

    기관의 냉각수 및 급배기설비 등

    (라) 물올림장치의 자동급수장치 및 감수경보장치 등

    라. 방수시험

    3개월에 1회 이상 방수시험을 실시하여 방수압력, 방수량을 측정,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10

    기록한다.

    마. 소화전

    3개월에 1회 이상 각 소화전함의 호스, 노즐의 배치상황 및 호스,

    밸브 등의 손상 유무와 필요한 예비품이 상비되어 있는지를 점검한

    다.

    구내의 어느 곳에 대하여도 신속하게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잘

    훈련된 6명 이상의 인원이 상주하여야 한다. 다만, 각 소화전 위치에

    서 소화펌프를 원격 가동하여 신속하게 방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4명

    으로 할 수 있다.

  • A. 옥외소화전설비규정

    Ⅲ- 11

    1. 화재보험요율서에서 정하는 옥외소화전의 주요구성품이라 함은 호

    스, 노즐을 말한다.

    2. 옥외소화전설비는 1층과 2층에 한하여 할인율을 적용한다.

    3. 2호에도 불구하고 지반경사에 따른 피난 층이 다수 층이 될 경우

    에는 그 피난 층으로부터 각각 2개 층씩 할인율을 적용한다. (단,

    할인율이 중복되는 층은 중복 할인하지 아니한다)

    4. 할인 적용 제외 물건

    부록1과 같다.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2

    B. 옥내소화전

    가. 옥내소화전은 소화를 목적으로 옥내에 설치하는 소화설비를 말한다.

    나. 옥내소화전은 일반적으로 수원, 소화펌프, 전동기, 기동장치, 배관

    및 관 부품, 소화전함(방수구, 호스, 노즐포함) 등으로 구성되며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의 인증품(FILK인증품),

    국가인정품(KS제품 또는 국가검정품)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인정되는 것이어야 한다.

    다. 옥내소화전은 건축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1

    개의 방수구(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는 25m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단,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공간의 경우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다면 이를 적합한 것으로 본다.

    가. 일반

    (1) 옥내소화전설비는 필요한 수압과 용량을 갖고 신뢰성 있는 2개

    이상의 독립된 급수원을 가져야 한다. 단, 2개의 급수원은 다음

    「나」및「다」의 1차 및 2차 급수원에 적합하여야 한다.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3

    (2) 1, 2차 급수원을 다른 소방설비용 수원과 겸용하여 설치하는 경

    우의 저수량은 각 소화설비에 필요한 저수량을 합한 양으로서

    해당 소화설비의 1, 2차 급수원 규정에 적합하고 나머지 소화

    설비는 국가화재안전기준의 규정량 이상이어야 한다.

    나. 1차급수원

    옥내소화전의 1차급수원의 수원은 저수지 또는 그 밖의 실용상 풍

    부한 수량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위와 같은 수원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시 소화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저수조를 설

    치하여야 한다.

    (1) 옥내소화전(갑)은 지하층을 제외한 건물의 층수와 동일 층에 설

    치된 소화전 수에 따라 다음 표의 규정량 이상으로 할 것.

    층별 소화전수

    수원의 유효수량

    30층 미만30층 이상

    49층 이하50층 이상

    2개 이하 20㎥ 30㎥ 40㎥

    2개 초과 30㎥ 60㎥ 80㎥

    (2) 옥내소화전(을)은 지하층을 제외한 건물의 층수와 동일 층에 설

    치된 소화전 수에 따라 다음 표의 규정량 이상으로 할 것.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4

    층별 소화전수

    수원의 유효수량

    30층 미만30층 이상

    49층 이하50층 이상

    2개 이하 12㎥ 18㎥ 24㎥

    2개 초과 18㎥ 36㎥ 48㎥

    (3) 옥내소화전(병)은 지하층을 제외한 건물의 층수와 동일 층에 설

    치된 소화전 수에 따라 다음 표의 규정량 이상으로 할 것.

    층별 소화전수

    수원의 유효수량

    30층 미만30층 이상

    49층 이하50층 이상

    2개 이하

    3개

    4개

    5개

    5.2㎥

    7.8㎥

    10.4㎥

    13㎥

    10.4㎥

    15.6㎥

    20.8㎥

    26㎥

    15.6㎥

    23.4㎥

    31.2㎥

    39㎥

    다. 2차급수원

    (1) 2차 수원으로 옥상수조를 설치하고 소화전의 배관에 항상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그 용량은 1차급수원의 수량의

    50% 이상으로 한다.

    (2) 고위저수탱크(고가탱크 등 포함)를 급수원으로 하는 자연낙차압

    력방식으로서 급수원의 유효수량이 상기 「2-나」에서 정한

    수량 이상을 확보한 경우에는 2차급수원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5

    있다.

    (3) 30층 미만 건물로서 2차급수원으로 소화펌프를 사용할 경우에

    는 옥내소화전설비 전용으로 다음 각항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

    여야 한다.

    (가) 1차급수원의 소화펌프와는 별도로 독립된 것이어야 한다.

    (나) 소화펌프는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어야 한다. 다

    만, 1차 및 2차 급수원을 고가수조방식으로 설치하고 성능

    (선단방수압력 및 방수량)이 나오지 않는 최상위 방호구역

    에 대하여 비상전원이 연결된 전동기 펌프방식으로 가압송

    수장치를 설치한 경우의 소화펌프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최

    상위 방호구역의 성능확보를 위하여 설치된 소화펌프가 기

    동되지 않더라도 자연낙차압력으로 그 외 구역에 수원을 공

    급할 수 있어야 한다)

    (다) 펌프의 성능은 1차급수원의 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

    는 것이어야 한다.

    가. 일반

    가압송수장치

    가압송수장치〔「전동기 및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자연낙차에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6

    의한 고가수조」,「압력수조」및「가압수조」〕는 어느 층에 있어

    서도 당해 층의 모든 소화전(설치수가 5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5

    개)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노즐의 선단방수압력 및 방수량은

    다음에 기재한 성능 이상이어야 한다. 단, 하나의 옥내소화전을 사

    용하는 경우 노즐선단의 방수압력은 0.7㎫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구 분 방 수 압 력 방 수 량

    옥내소화전

    갑 0.25 ㎫ 250 ℓ/min

    을 0.2 ㎫ 150 ℓ/min

    병 0.17 ㎫ 130 ℓ/min

    나. 펌프방식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를 준용한다.

    다. 고가수조방식

    고가수조의 자연낙차압력을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고가수조의 낙차압력(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된 소

    화전 호스접결구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은 다음의 식에 의

    하여 산출한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7

    H = h 1+ h 2+ h 3

    H : 필요한 낙차(m)

    h 1 : 소방호스 마찰손실수두(m)

    h 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m)

    h 3 : 소화전(갑)의 경우 25m

    소화전(을)의 경우 20m

    소화전(병)의 경우 17m

    (2) 고가수조에는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오버플로우관 및 맨

    홀을 설치할 것.

    라. 압력(가압)수조방식

    압력(가압)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설

    치하여야 한다.

    (1) 압력(가압)수조의 압력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산출한 수치 이상

    으로 할 것.

    P = p 1 + p 2 + p 3 + p 4

    P : 필요한 압력 (㎫)

    p 1 :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p 2 :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8

    p 3 : 낙차의 환산 수두압(㎫)

    p 4 : 소화전(갑)의 경우 0.25㎫

    소화전(을)의 경우 0.2㎫

    소화전(병)의 경우 0.17㎫

    (2) 압력(가압)수조에는 수위계․급수관․급기관․맨홀․압력계․안

    전장치 및 압력저하방지를 위한 자동식 에어컴프레서를 설치할

    것.

    가. 급수관의 마찰손실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여야 한다.

    6.29․L․Q1.85

    h = × 106C1.85․D

    4.87

    h : 관 길이 L(m)에 대한 마찰손실수두(m)

    L : 관 길이(m) Q : 유량(ℓ/min)

    C : 120 (관마찰손실계수) D : 관의 내경(㎜)

    나.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을 준용한다.

    가. 소화전호스는 결합금구가 부착된 길이 15m 이상의 것을 설치하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19

    여야 한다. 다만, 소화전으로부터 반경 15m 원내에 당해 층의 모

    든 부분이 포용되는 소규모의 건물인 경우에는 길이 10m의 호스

    를 설치할 수 있다.

    나. 옥내소화전을 설치한 건물에는 소화전 총설치수의 20% 이상(최

    소 2개 이상)의 예비호스를 상비하여야 한다.

    다.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을 준용한다.

    가. 펌프용 동력으로서 전동기를 쓸 경우에 전원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을 준용한다.

    나. 펌프구동용 내연기관(디젤기관)은 다음에 의하여야 한다.

    (1) 내연기관은 소화펌프의 기동용 압력스위치 작동에 의하여 자동

    으로 기동하고, 30초 이내에 정상 운전되며, 정격부하로 90분

    이상 운전할 수 있어야 한다.

    (2) 펌프실에는 내연기관의 연소(燃燒), 냉각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

    를 공급하는 설비를 설치하고 기관의 배기를 옥외로 안전하게

    배출하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연료탱크에는 내연기관을 정격부하로 90분 이상 운전할 수 있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20

    는 연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4) 펌프실내의 온도는 항상 5℃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5) 내연기관에 필요한 예비품(연료분사노즐 등), 부속품 및 공구를

    비치하여야 한다.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을 준용한다.

    가. 일반

    옥내소화전설비는 충분한 소화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점

    검과 정비를 실시하여 항상 유효한 상태로 유지관리하고 그 결과를

    관리기록부에 기록하여야 한다.

    나. 급수원

    (1) 수원은 항상 규정수량을 확보하여야 하며 침전물, 부유물 등의

    유무를 정기적(3개월에 1회 이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2) 수원의 급수설비는 충분한 점검 및 정비를 하여야 한다.

    다. 소화펌프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21

    (1) 소화펌프실은 항상 정돈하여야 하고 동결기간 동안에는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보온하여야 한다.

    (2) 소화펌프는 아래의 사항에 유의하여 정기적(1개월에 1회 이상)

    으로 기동, 부하운전 등의 시험을 하여야 한다.

    (가) 제어반의 스위치, 릴레이 등의 이상 유무 및 스위치 등의

    정위치

    (나) 펌프의 운전상황 및 성능

    (다) 소화전의 위치에서 원격 또는 연동에 의한 기동시험

    (라) 구동기가 내연기관인 경우 연료의 보유량, 시동용 축전지,

    기관의 냉각수 및 급배기 설비 등

    (마) 물올림장치의 자동급수장치 및 감수경보장치 등

    라. 방수시험

    3개월에 1회 이상 방수시험을 실시하여 방수압력, 방수량을 측정,

    기록한다.

    마. 소화전

    3개월에 1회 이상 각 소화전함의 호스, 노즐의 배치상황 및 호스,

    밸브 등의 손상 유무와 필요한 예비품이 상비되어 있는지를 점검한

    다.

  • B. 옥내소화전설비규정

    Ⅲ- 22

    소화전 조작이 능숙한 2인 이상의 인원이 상주 하여야 한다.

    1. 화재보험요율서에서 정하는 옥내소화전의 주요구성품이라 함은 호

    스, 노즐을 말한다.

    2. 전 층에 자동식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서 옥내소화전

    미포용 부분이 아래의 용도인 경우에는 포용되는 면적에 한하여

    옥내소화전(병)의 할인율을 적용한다.

    가. 냉장 또는 냉동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나.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장소

    다. 발전소․변전소등으로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라. 식물원․수족관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마. 야외음악당․야외극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3. 할인 적용 제외 물건

    부록1과 같다.

  • Ⅳ. 소방펌프자동차설비규정

  • 목 차

    1. 일반

    가. 설비의 개요 ·····································································Ⅳ-1

    2. 소방펌프자동차(화학소방펌프자동차 포함)

    가. 성능 ···················································································Ⅳ-1

    나. 대수 ···················································································Ⅳ-1

    다. 장비 ···················································································Ⅳ-1

    라. 격납장소 ···········································································Ⅳ-2

    3. 수원

    가. 배치 ···················································································Ⅳ-2

    나. 수원 및 수량 ···································································Ⅳ-2

    다. 기타 ···················································································Ⅳ-3

    4. 소방대

    5. 유지관리

    가. 수원 ···················································································Ⅳ-4

    나. 소방펌프자동차 ·······························································Ⅳ-4

    다. 방수훈련 ···········································································Ⅳ-5

    세 칙 ·····················································································Ⅳ-6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1

    가. 설비의 개요

    소방펌프자동차설비는 목재, 섬유 등 일반가연물의 화재(일반화재)

    의 소화를 목적으로 소방펌프자동차를 화재현장과 가까운 수원까지

    이동하여 그 수원으로부터 흡입한 물을 노즐에서 방수하여 소화하

    는 설비를 말한다. 소방펌프자동차는 동력소방펌프가 자동차의 차

    대에 고정되어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자동차를 말한다.

    가. 성능

    (1) 소방펌프자동차는 건물 또는 옥외설비 및 장치의 각 부분에 계

    속하여 1800ℓ/min 이상을 유효하게 방수할 수 있어야 한다.

    (2) 소방펌프자동차는 각 노즐압력이 0.3㎫ 이상, 노즐 1개의 방수

    량이 450ℓ/min 이상의 능력을 가져야 한다.

    나. 대수

    소방펌프자동차 1대 또는 2대로 상기「2-가」의 규정을 만족하여

    야 한다.

    다. 장비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2

    (1) 상기「2-가」의 방수에 필요한 급수관, 호스(노즐 1개당 5본

    (本) 이상) 및 노즐은 탑재하여 두어야 한다.

    (2) 급수관, 호스, 노즐 및 기타 예비품은 상시 비치하여야 한다.

    라. 격납장소

    (1) 소방펌프자동차는 수원에서 주행거리가 1,500m 이내의 차고에

    배치하여야 한다.

    (2) 차고는 소방펌프가 언제나 신속하게 기동할 수 있도록 5℃ 이

    상으로 보온하여야 한다.

    가. 배치

    수원은 취수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 100m의 원으로서 건물

    또는 이외의 설비 및 장치를 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나. 수원 및 수량

    수원은 바다, 하천, 저수지 및 기타 실용상 풍부한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만약, 위와 같은 수원이 없을 경우에는 다음의

    각 호의 하나에 따른 저수탱크를 설치하여야 한다.

    (1) 유효수량 72㎥ 이상의 저수탱크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3

    (2) 유효수량 40㎥ 이상 72㎥ 미만의 저수탱크로서 72㎥에 부족한

    양을 방수개시 후 20분 이내에 급수할 수 있어야 한다.

    (3) 저수탱크에 의하지 않고 별도의 가압송수장치(공업용수 등)로

    급수할 경우는 펌프 정격토출량의 150% 이상으로서 40분 이상

    공급할 수 있는 양이어야 한다.

    다. 기타

    수원은 다음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흡입낙차는 4.5m 이내이어야 한다.

    (2) 수심은 상시 0.5m 이상이어야 한다.

    (3) 소방펌프자동차가 2m 이내에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소방펌프자

    동차의 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공지를 확보하여야 한다.

    (4) 흡입에 지장이 되는 토사 및 티끌먼지 등이 섞이지 않도록 하

    여야 한다.

    (5) 흡입관의 흡입구의 크기는 사각형인 경우에는 일변의 길이가

    60㎝ 이상, 원형인 경우에는 그 직경이 60㎝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6) 취수 장소에 유효수량을 명기한 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4

    특별히 훈련된 10인 이상의 소방대를 편성하고 주․야로 상주하여야

    한다.

    가. 수원

    다음 사항에 대하여 정기적(해당건물 또는 구내의 사정을 참작

    하여 3개월에 1회 이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1) 저수탱크는 상시 필요수량을 확보하고 부유물 등을 제거하여

    청정하게 보존하여야 한다.

    (2) 자연수원은 갈수기에도 필요수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수원은 소방펌프자동차의 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정비하여야 한

    다.

    (4) 수원에 이르는 소방펌프자동차의 통로는 주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나. 소방펌프자동차

    (1) 소방펌프는 매일 1회 이상 운전하여야 한다.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5

    (2) 연료탱크는 보유유량을 점검하고 상시 연료탱크 용량의 80%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 방수훈련

    구내의 어떠한 장소에 대해서도 5분 이내에 소화작업을 할 수 있도

    록 하여야 하며 3개월마다 1회 이상 방수훈련을 실시하고 방수압

    력, 방수량 등을 측정, 기록하여야 한다.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6

    이 세칙은 소방펌프자동차설비의 적용상 필요한 세목을 정한 것이

    다.

    1. 유효방수

    높이 15m 이상의 건물 및 옥외설비 및 장치의 유효방수에 필요한

    노즐압력은 다음 표와 같다.

    높이 (m)

    노 즐 구 경 (㎜)

    18 22 25 28 38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0.32

    0.35

    0.38

    0.42

    0.46

    0.50

    0.54

    0.60

    0.65

    0.72

    0.80

    0.87

    0.30

    0.32

    0.34

    0.37

    0.41

    0.44

    0.48

    0.52

    0.56

    0.61

    0.67

    0.73

    0.79

    0.30

    0.32

    0.34

    0.37

    0.40

    0.44

    0.47

    0.51

    0.55

    0.60

    0.65

    0.70

    0.76

    0.31

    0.33

    0.36

    0.39

    0.41

    0.45

    0.48

    0.52

    0.56

    0.60

    0.64

    0.69

    0.31

    0.34

    0.36

    0.39

    0.42

    0.44

    0.48

    0.51

    0.55

    0.59

    0.63

  • Ⅳ. 소화펌프자동차설비규정

    Ⅳ-7

    2. 화재보험요율서에서 정하는 소방펌프자동차의 주요구성품이라 함

    은 소방펌프자동차를 말한다.

    3. 소방펌프자동차설비는 1층과 2층에 한하여 할인율을 적용하되, 굴

    절사다리차, 고가사다리차 등 상승하여 높은 위치에서 방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소방펌프자동차의 경우에는 유효한 소화작업 범

    위의 층까지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4. 3호에도 불구하고 지반경사에 따른 피난 층이 다수 층이 될 경우

    에는 그 피난 층으로부터 각각 2개 층씩 할인율을 적용한다. (단,

    할인율이 중복되는 층은 중복 할인하지 아니한다)

    5. 할인적용 제외물건

    부록1과 같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 목 차

    1. 총칙 ·······················································································Ⅴ-1

    가. 설비의 개요 ·····································································Ⅴ-1

    나. 사용기기 ···········································································Ⅴ-1

    2. 설치기준 ···············································································Ⅴ-1

    가. 경계구역 ···········································································Ⅴ-1

    나. 수신기 ···············································································Ⅴ-1

    다. 중계기 ···············································································Ⅴ-3

    라. 감지기 ···············································································Ⅴ-3

    마. 음향장치 및 시각경보장치 ·········································Ⅴ-22

    바. 발신기 ·············································································Ⅴ-23

    사. 전원 ·················································································Ⅴ-23

    아. 배선 ·················································································Ⅴ-23

    자. 축적기능이 있는 기기 ·················································Ⅴ-23

    3. 유지관리 ·············································································Ⅴ-24

    가. 일반 ·················································································Ⅴ-24

    세 칙 ···················································································Ⅴ-26

    전기설비 중앙감시시스템에 대한 특례 ··························Ⅴ-27

    별표 1 ······················································································Ⅴ-34

    별표 2 ······················································································Ⅴ-37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

    가. 설비의 개요

    자동화재탐지설비는 건물 전체에 걸쳐 천장 등에 화재감지기를 설

    치하고, 그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수신기의 화재 표시등을 점

    등하고 소방대원 기타 관계자에게 화재 및 발화장소를 통지하는

    설비로 수신기, 감지기, 중계기, 음향장치, 배선 등으로 구성된다.

    나. 사용기기

    자동화재탐지설비를 구성하는 수신기, 발신기 및 감지기 등은 한

    국화재보험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의 인증품(FILK인증품), 국가

    인정품(KS제품 또는 국가검정품)이어야 하며, 이 규정에서 정한

    수신기, 발신기 및 감지기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 간주할 수 있다.

    가. 경계구역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나. 수신기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는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이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

    지하층 또는 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용적이 적은 장소 또는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 바닥간의 사

    이 거리가 가까운 장소로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기․연기 또

    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화재 시에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성능 이상의

    것(축적형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감지기회로의 감시전류

    를 단속적으로 차단시켜 화재를 판단하는 방식 외의 것을 말

    한다)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2-라-(1)―(가)」의 단서

    규정에 의하여 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수신기는 다음의 각 규정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가) 경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수신기의 근처에는 다음의 것을 비치해 놓아야 한다.

    ① 경계구역일람도

    ② 설비배치도

    ③ 수신기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④ 보수점검기록부 및 예비품(램프 및 퓨우즈 등)

    ⑤ 아날로그식 수신기의 경우에는 아날로그식 감지기의 주의

    표시 및 화재표시에 관련한 표시온도, 표시농도 등의 설

    정 일람도

    ⑥ 자동시험기능을 가지는 수신기의 경우에는 시스템 구성도

    (감지기, 중계기 및 수신기의 계통도에서 자동시험기능을

    갖지 않는 감지기를 구분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3

    (3)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자동화재탐지설

    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다. 중계기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라. 감지기

    감지기는 그 특성을 고려해서 설치장소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화재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아래의 규정에 따라 설치하도

    록 하고,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자동화재탐

    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1) 일반기준

    (가) 감지기는 부착높이에 따라 [표 1]에 의한 감지기를 설치하

    여야 한다. 다만, 지하층․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 하거나 실내 용적이 적은 장소,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

    내바닥과의 사이가 가까운 곳으로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기,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

    가 있는 장소(「2-나-(1)」의 규정에 의한 수신기를 설치한

    장소를 제외한다) 또는 위험물을 저장․취급하는 장소에는

    별표 1 및 별표 2에 의하여 그 장소에 적응성 있는 감지기

    를 설치하되 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는 별표 1

    을 적용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4

    부착높이 감지기의 종류와 종별

    4m 미만

    차동식(스포트형,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스포트

    형, 감지선형), 이온화식 또는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

    흡입형), 열복합형, 연기복합형, 열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4m 이상

    8m 미만

    차동식(스포트형,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스포

    트형, 감지선형) 특종 또는 1종, 이온화식 1종 또는 2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또는 2종, 열

    복합형, 연기복합형, 열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8m 이상

    15m 미만

    차동식 분포형, 이온화식 1종 또는 2종, 광전식(스포트

    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또는 2종, 연기복합형, 불꽃

    감지기

    15m 이상

    20m 미만

    이온화식 1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

    종, 연기복합형, 불꽃감지기

    20m 이상불꽃감지기, 광전식(분리형, 공기흡입형) 중 아날로그방

    주1) 다신호식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종별에 따른 부착

    면의 높이 중 가장 낮은 쪽의 높이를 적용하여야 한다.

    주2) 아날로그식감지기의 종류, 종별은 [표 7]의 설정표시온

    도 등의 구분에 따라 감지기의 종류, 종별을 적용하여야

    한다.

    주3) 감지기별 부착높이 등에 대하여 별도로 형식승인 받은

    경우에는 그 성능 인정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주4) 부착높이 20m 이상에 설치되는 광전식 중 아날로그방

    식의 감지기는 공칭감지농도 하한 값이 감광율 5%/m

    미만인 것으로 한다.

    (나) 교차회로방식에 사용되는 감지기, 유류취급소 등 급속한 연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5

    소 확대가 우려되는 장소에 사용되는 감지기 및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감지기는 축적기능이 없

    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연기감지기

    다음의 장소에는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식소

    화설비의 기동용으로 감지기를 설치한 장소 또는 「2-라-(1)―

    (가)」의 단서 규정에 의한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는 제외한다.

    (가) 계단․경사로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높이 15m 미만의 것

    은 제외한다)

    (나) 복도(보행거리 20m 미만의 것은 제외한다)

    (다) 전산실, 제어실 등 높임바닥(Access Floor)의 내부(높이 30

    ㎝ 미만의 것은 제외한다)

    (라)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덕트, 기타 이와 유

    사한 장소(2개 층마다 방화구획 된 것이나 수평단면적이 5

    ㎡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3) 차동식스포트형, 정온식스포트형, 열복합식스포트형, 보상식스

    포트형 및 열아날로그식스포트형감지기

    (가)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

    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6

    (나) 감지기 1개의 감지면적은 [표 2]의 바닥면적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한다.

    건물구조 및 감지기의

    종류․종별

    내화구조 건물내화구조 이외의

    건물

    4m 미만4m 이상

    8m 미만4m 미만

    4m 이상

    8m 미만

    차동식스포트형

    보상식스포트형

    1종 90 45 50 30

    2종 70 35 40 25

    정온식스포트형

    특종 70 35 40 25

    1종 60 30 30 15

    2종 20 - 15 -

    주1) 내화구조 건물이라 함은 주요구조부(기둥, 보, 바닥, 지

    붕 및 외벽)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에서 정한 내화성능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단, 보에 대해서는 철골이 노출되어 있어도 내

    화구조건물로서 취급한다(이하 같다).

    주2) 건물구조는 각 층 또는 각 실별로 판정할 수 있다(이하

    같다).

    주3) 열복합식스포트형 및 다신호식감지기는 그 감지기가 가

    지는 종별 및 부착면의 높이에 따라 정한 감지면적 중

    최대면적을 적용할 수 있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7

    주4) 열아날로그식스포트형감지기는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 특종

    을 적용한다.

    (다) 천장이 벽체 또는 깊이 40㎝ 이상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

    획된 경우에는 각 구획마다 상기 「(가)」~「(나)」의 규정

    에 의해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단, 깊이 40㎝ 이상 60

    ㎝ 미만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획된 면적 10㎡ 이하(정온

    식스포트형감지기의 경우에는 5㎡ 이하)의 소 구획이 인접

    하고, 그 소 구획을 포함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상기

    「(나)」의 규정에 적합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1개의 소 구

    획에는 감지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라) 천장의 경사가 3/10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가)」~「(

    다)」의 규정에 의해 감지기를 설치하는 외에 다음의 각 규

    정에 따라야 한다.

    ① 정상부에는 반드시 1열의 감지기를 설치한다.

    ② 감지기를 2열 이상 배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교차형으

    로 배치한다.

    (마) 정온식감지기의 성능을 가지는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①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는 주방, 보일러실 등으로서 다량의

    화기를 단속적으로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공칭작동

    온도가 평상시의 최고주위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

    ② 열복합식스포트형감지기는 공칭작동온도(2 이상의 공칭작동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8

    온도를 가지는 것은 가장 낮은 공칭작동온도)가 평상시의

    최고주위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

    ③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는 공칭작동온도가 평상시의 최고주

    위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

    ④ 열아날로그식스포트형감지기는 화재설정표시온도를 75℃

    이하로 하고 [표 7]의 설정표시온도의 범위 내로 하여야

    한다.

    (바)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 면에서 4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

    록 부착하여야 한다.

    (4) 차동식분포형감지기

    (가)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① 공기관은 양단을 1개의 검출부에 접속하고, 도중에서 분

    기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②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전체 길이는 100m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③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1.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④ 천장이 벽체 또는 깊이 60㎝ 이상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

    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 천장의 높이가 8m 미만의 경우 감지구역 마다 공기관

    의 길이는 20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천장의 높이가 8m 이상의 경우 감지구역 마다 공기관

    의 길이는 50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9

    ⑤ 공기관은 [표 3]에 의해 설치하여야 한다.

    건물구조 및 장소 내화구조 건물 내화구조 이외의 건물

    A 벽체 또는

    깊이 40㎝

    이상 보,

    기타 돌출

    부로 구획

    4 변 에

    평행하

    게 설치

    ∙상호간격 9m 이하

    ∙벽체 또는 40㎝ 이상

    의 보, 기타 돌출부에

    서 1.5m 이하

    ∙상호간격 6m 이하

    ∙벽체 또는 40㎝ 이상

    의 보, 기타 돌출부에

    서 1.5m 이하

    B

    한 방향

    에 평행

    하게 설

    ∙간격 6m 이하

    ∙벽체 또는 40㎝ 이상

    의 보, 기타 돌출부에

    서 1.5m 이하

    ∙간격 5m 이하

    ∙벽체 또는 40㎝ 이상

    의 보, 기타 돌출부에

    서 1.5m 이하

    C 폭이 좁고 긴 실

    벽체 간격이 3m이하의

    경우 에는 긴 쪽에

    평행하게 1본 이상

    벽체 간격이 2m이하의

    경우에는 긴 쪽에 평

    행하게 1본 이상

    D

    깊이 40㎝ 이상 60

    ㎝ 미만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획되어

    간격이 좁은 경우

    보, 기타의 돌출부의 간

    격이 3m 이하의 경우

    에는 각 구획마다 긴

    쪽에 평행하게 1본 이

    상. 단, 그 간격이 1.5m

    이하의 경우에는 하나

    걸러 설치 가능

    보, 기타의 돌출부의

    간격이 2m 이하의 경

    우에는 각 구획마다

    긴 쪽에 평행하게 1본

    이상. 단, 그 간격이

    1m 이하의 경우에는

    하나 걸러 설치 가능

    ⑥ 천장의 경사가 3/10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①」~

    「⑤」의 규정에 의해 공기관을 설치하는 외에,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 정상부에는 반드시 공기관을 설치한다.

    ㉯ 공기관의 경사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⑦ 공기관의 접속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력을 가지며

    공기 누설이 없고 공기저항의 증가가 없도록 하여야 한

    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0

    ⑧ 공기관이 굴곡되는 경우 굴곡부의 내측 반경은 0.5㎝ 이

    상으로 하여야 한다.

    ⑨ 공기관의 설치는 다음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 직접 조영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지지금속기

    구 등을 사용하되 고정간격은 40㎝ 이하로 할 것. 특

    히, 굴곡부 및 접속부를 고정할 때에는, 그의 양측 5㎝

    이내를 고정하여야 한다.

    ㉯ 메신저 와이어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행거 등을 사용하

    고, 고정간격은 40㎝ 이하로 할 것. 특히, 굴곡부 및

    접속부를 고정할 때에는 그 양측 5㎝ 이내를 고정하여

    야 한다.

    ⑩ 공기관을 조영재에 매입하지 않아야 한다.

    ⑪ 공기관이 벽체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보호관

    등으로 조치하여야 한다.

    ⑫ 검출부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벽면 또

    는 기둥에 설치하고, 수직면에 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나) 열전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① 열전대부는 극성이 잘못되지 않도록 직렬로 접속하고, 그

    양단을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

    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②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열전대부는 20개 이하로 하고,

    열전대부와 접속전선과의 최대합성저항치는 검출부에 표

    시된 수치 이하로 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1

    ③ 열전대부 하나의 감지구역은 [표 4]의 바닥면적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물구조 내화구조 건물 내화구조 이외의 건물

    부착면의 높이 8m 미만 8m 이상 8m 미만 8m 이상

    바닥면적 22 11 18 9

    ④ 천장이 벽체 또는 깊이 60㎝ 이상의 보, 기타의 돌출부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①」~「③」항 외에 다음의

    각 항에 따라야 한다.

    ㉮ 천장의 높이가 8m 미만의 경우에는 각 감지구역마다

    열전대부를 4개 이상 설치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

    하여야 한다.

    ㉯ 천장의 높이가 8m 이상의 경우에는 각 감지구역 마다

    열전대부를 10개 이상 설치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

    속하여야 한다.

    ⑤ 천장의 경사가 3/10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①」~

    「④」의 규정에 의해 열전대부를 설치하는 외에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 정상부에는 반드시 열전대부를 설치한다.

    ㉯ 열전대부는 경사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 열전대부를 2열 이상 배치할 필요가 있을 때는 교차형

    으로 배치한다.

    ⑥ 열전대부와 전선의 접속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력

    을 가지고, 절연열화 및 전기저항의 증가가 없으며, 극성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2

    이 잘못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⑦ 열전대부는 굴곡되지 않아야 한다.

    ⑧ 열전대부 및 접속전선의 설치는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 직접 조영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지지금속기

    구 등을 사용해서 고정 간격을 40㎝ 이하(열전대부를

    제외)로 하여야 한다. 특히, 굴곡부 및 접속부를 고정

    하는 때에는 그 양측 5㎝ 이내를 고정하여야 한다.

    ㉯ 메신저 와이어를 가설하는 경우에는 행거 등을 이용하

    고, 고정 간격은 40㎝ 이하로 하여야 한다. 특히, 굴곡

    부 및 접속부를 고정할 때는 그 양측 5㎝ 이내를 고정

    하여야 한다.

    ⑨ 열전대부를 조영재에 매입하지 않아야 한다.

    ⑩ 접속전선이 벽체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보호

    관 등으로 보호하여야 한다.

    ⑪ 검출부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벽면 또

    는 기둥에 설치하고 수직면에 대해서 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① 감열부는 극성이 잘못되지 않도록 직렬로 접속하고 그 양

    단을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도

    록 설치하여야 한다.

    ②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감열부는 15개 이하로 하고,

    감열부와 접속전선과의 최대합성저항치는 검출부에 표시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3

    된 수치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③ 감열부 1개의 감지구역은 [표 5]의 바닥면적 이하가 되도

    록 설치하여야 한다.

    건물구조

    감지기 종별

    내화구조의 건물 내화구조 이외의 건물

    8m 미만8m 이상

    15m 미만8m 미만

    8m 이상

    15m 미만

    1종 65 50 40 30

    2종 36 36 23 23

    주) 다신호식감지기는 종별 및 부착면의 높이에 따라 정한

    감지구역 중 최대 감지구역을 적용할 수 있다.

    ④ 천장이 벽체 또는 깊이 60㎝ 이상의 보, 기타의 돌출부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구획마다 2개 이상의 감열부를

    설치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여야 한다. 단, 각 구획의

    천장의 높이가 8m 미만으로 그 면적이 [표 5]의 수치 이

    하의 경우에는 감열부의 설치 수를 1개로 할 수 있다.

    ⑤ 천장의 경사가 3/10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①」~

    「④」의 규정에 의해 감열부를 설치하는 외에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 정상부에는 반드시 1열의 감열부를 설치하여야 한다.

    ㉯ 감열부를 2열 이상 배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교차형

    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⑥ 감열부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벽면 또

    는 기둥에 설치하고, 부착면에 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4

    (5)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감지기와 감지구역의 각 부분과의 수평거리가 1종에 있어서는 3m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는

    4.5m)이하, 2종에 있어서는 1m(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된 특정소

    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는 3m)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6) 이온화식스포트형, 이온화식 아날로그식스포트형, 광전식스포트

    형, 광전식 아날로그식스포트형 및 연기복합식스포트형감지기

    (가) 감지기는 벽 또는 보에서 60㎝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

    여야 한다.

    (나) 감지기 1개의 감지면적은 [표 6]의 바닥면적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부착높이감지기의 종류

    1종 및 2종 3종

    4m 미만 150 50

    4m 이상 20m미만 75

    주1) 연기복합식스포트형 및 다신호식감지기는 종별 및 부

    착높이에 따른 감지면적 중 최대의 면적을 적용할 수

    있다.

    주2) 이온화식 아날로그식스포트형 및 광전식 아날로그식스

    포트형감지기의 종별은 [표 7]의 설정표시온도 등에 따

    른 감지기의 종별을 적용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5

    (다) 천장이 벽체 또는 깊이 60㎝ 이상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

    획되는 경우에는 각 구획마다 상기 「(가)」~「(나)」의 규

    정에 의해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단, 깊이 60㎝ 이상

    1m 미만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획된 면적 10㎡ 이하의 소

    구획이 인접해서 그 소 구획을 포함한 바닥면적의 합계가

    상기 (나)의 규정에 적합한 경우에는 인접한 하나의 소 구

    획은 감지기의 설치를 생략 할 수 있다.

    (라) 경사 천장의 경사가 3/10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가)」~

    「(다)」의 규정에 의해 감지기를 설치하는 외에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① 정상부에는 반드시 1열의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감지기를 2열 이상 배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교차형으

    로 배치하여야 한다.

    (마)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

    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바)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20m(3종에 있

    어서는 15m)마다,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최상부에 설

    치하고, 수직거리 15m(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

    으로 하여야 한다.

    (사)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

    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6

    (아) 감지기는 천장면에 대해서 4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설치

    하여야 한다.

    (자) 천장 또는 반자 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7) 광전식분리형 및 광전식 아날로그식분리형감지기

    (가) 감지기의 수광면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

    다.

    (나) 감지기의 광축(송광면과 수광면의 중심을 연결한 선)은 나

    란한 벽으로부터 0.6미터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미터이

    내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라) 감지기의 광축의 길이는 공칭감시거리의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마) 감지기의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천장의 실내에 면한 부분

    또는 상층의 바닥 하부면을 말한다) 높이의 90퍼센트 이상

    이어야 한다. 특히, 천장의 높이가 20m 이상의 장소에는 천

    장면에서 4m 이내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바) 감지기는 벽에 의해 구획된 구역마다 그 구역의 각 부분에

    서 하나의 광축까지의 수평거리는 7m 이하가 되도록 설치

    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7

    (사) 그 밖의 설치기준은 제조사의 시방(示方)에 따라 설치하여

    야 한다.

    (8) 열연기복합식스포트형감지기

    (가) 감지기는 벽 또는 보에서 60㎝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

    여야 한다.

    (나) 감지기는 1개의 감지면적이 [표 2] 및 [표 6]의 바닥면적 중

    가장 큰 바닥면적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 천장이 벽체 또는 깊이 40㎝ 이상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

    획된 경우에는 각 구획마다 상기 「(가)」~「(나)」의 규정

    에 의해 감지기를 설치할 것. 단, 깊이 40㎝ 이상 60㎝ 미만

    의 보 기타 돌출부로 구획된 면적 10㎡ 이하(정온식스포트

    형감지기의 성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5㎡ 이하)의 소 구획이

    인접해서 그의 소 구획을 포함한 바닥면적의 합계가 상기

    「(나)」의 규정에 적합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하나의 소 구

    획은 감지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라) 천장의 경사가 3/10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가)」~「(

    다)」의 규정에 대해 감지기를 설치하는 외에 다음의 각 항

    을 따라야 한다.

    ① 정상부에는 반드시 1열의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감지기를 2열 이상 배치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교차형으

    로 배치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8

    (마)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의 성능을 가지는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칭작동온도가 평상시에 있어서 최고주위온도보

    다 20℃ 이상 높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바) 상기 「(가)」~「(마)」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앞에서 기

    술된 「(6)」 이온화식스포트형, 이온화식아날로그식스포트형,

    광전식스포트형, 광전아날로그식스포트형 및 연기복합식스포

    트형감지기」의 「(마)」~「(자)」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9) 불꽃감지기

    (가) 공칭감시거리 및 공칭시야각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른다.

    (나) 감지기는 공칭감시거리와 공칭시야각을 기준으로 감시구역

    이 모두 포용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 감지기는 화재감지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또는

    벽 등에 설치하여야 한다.

    (라) 감지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감지기는 바닥을 향하

    여 설치하여야 한다.

    (마) 감지기는 벽에 의해 구획된 구역마다 해당 구역의 바닥에서

    의 높이 1.2m까지의 공간(감시공간이라 한다)의 각 부분에

    서 해당 감지기까지의 거리(감시거리라 한다)가 공칭감시거

    리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바) 감지기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할 것. 단, 감지장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19

    해가 생기지 않도록 차광판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한다.

    (사) 비를 맞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외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아) 그 밖의 설치기준은 제조사의 시방(示方)에 따라 설치하여

    야 한다.

    (10) 공기흡입형광전식감지기

    (가) 설치장소, 감지면적 및 공기흡입관의 이격거리 등은 형식승

    인 내용에 따라야 한다.

    (나) 공기흡입형광전식감지기의 공기흡입장치는 공기 배관망에

    설치된 가장 먼 샘플링지점에서 감지부분까지 120초 이내에

    연기를 이송할 수 있어야 한다.

    (11) 아날로그식감지기

    설정표시온도 등에 따라 [표 7]의 감지기의 종류, 종별에 의한

    감지기를 선정해서 설치하여야 하고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다

    신호방식의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칭감시거리는 형식승

    인 내용에 따르며, 형식승인사항이 아닌 것은 제조사의 시방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0

    종 류 설정표시온도 등의 범위 종 별

    열아날로그식스포트형감지기

    주의표시

    설정온도

    (평상시최고주위온도+20)℃이상

    (설정화재표시온도-10)℃이하정온식

    스포트

    형특종화재표시

    설정온도

    (평상시최고주위온도+30)℃이상

    (평상시최고주위온도+50)℃이하

    이온화아날로그식스포트형

    또는

    광전아날로그식스포트형감지기

    주의표시

    설정농도2.5%초과5.0%이하 광전식

    스포트

    형1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를넘고15%이하

    주의표시

    설정농도5.0%초과10%이하 광전식

    스포트

    형2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를넘고22.5%이하

    주의표시

    설정농도10.0%초과15%이하 광전식

    스포트

    형3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를넘고22.5%이하

    광전아날로그식분리형감지기

    (L1이45m미만인것)

    주의표시

    설정농도0.3×L2초과⅔(0.8×L1+29)%이하 광전식

    분리형

    1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초과(L1+40)% 이하

    주의표시

    설정농도⅔(0.8×L1+29)%초과⅔(L1+40)%이하 광전식

    분리형

    2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초과(L1+40)% 이하

    광전아날로그식분리형감지기

    (L1이45m이상인것)

    주의표시

    설정농도0.3×L2%초과43.3%이하 광전식

    분리형

    1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초과85%이하

    주의표시

    설정농도43.3%초과56.7%이하 광전식

    분리형

    2종화재표시

    설정농도설정주의표시농도초과85%이하

    주) L1은 공칭감시거리의 최소치이고, L2는 공칭감시거리의 최

    대치이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1

    (12) 특수한 장소에 대한 설치기준

    (가) 습기가 많은 장소에는 방수형의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폭발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방폭형을 고

    려하여야 한다.

    (다) 분진이 많은 장소에는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공기관, 열전

    대부 또는 감열부를 설치하고, 검출부를 분진이 없는 장소

    에 설치하거나 방진을 고려하여야 한다.

    (라) 은폐된 공간에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험․점검이

    용이할 수 있는 감지기를 사용해서, 은폐된 공간 전체를 경

    계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단, 은폐된 공간에 설치하는 경

    우에는 전기기기(전동기, 투광기, 전열기) 등의 부근만 할

    수 있다.

    (마) 지하구 또는 기타의 장소에 설치하는 정온식․열복합식․열

    연기복합감지기선형감지기는 다음 규정에 의하여야 한다.

    ①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또는 먼지․습기 등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발화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하여

    야 한다.

    ② 천장이나 화재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

    여야 한다.

    ③ 보조선이나 고정금구를 사용하여 감지선이 늘어지지 않도

    록 설치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2

    ④ 단자부와 마감 고정금구와의 설치간격은 10센티미터 이

    내로 설치하여야 한다.

    ⑤ 감지선형 감지기의 굴곡반경은 5센티미터 이상으로 하여

    야 한다.

    ⑥ 감지기와 감지구역의 각 부분과의 수평거리가 내화구조의

    경우 1종 4.5미터 이하, 2종 3미터 이하로 할 것. 기타 구

    조의 경우 1종 3미터 이하, 2종 1미터 이하로 하여야 한

    다.

    ⑦ 케이블트레이에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트레

    이 받침대에 마감금구를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⑧ 지하구나 창고의 천장 등에 지지물이 적당하지 않는 장소

    에서는 보조선을 설치하고 그 보조선에 설치하여야 한다.

    ⑨ 플루팅루프탱크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설에 적합한

    받침대 등을 사용하여 원주를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⑩ 분전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돌기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그 곳에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⑪ 그 밖의 설치방법은 제조사의 시방(示方)에 따라 설치하

    여야 한다.

    (13) 감지기 설치의 생략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마. 음향장치 및 시각경보장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3

    바. 발신기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사. 전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아. 배선

    (1) 감지기 회로의 공통선은 지구음향장치와 공용하지 않아야 한

    다.

    (2) 폭발이 우려되는 장소에 배선하는 경우에는 방폭구조의 것으

    로 배선하여야 한다.

    (3)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자동화재탐지설

    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을 준용한다.

    자. 축적기능이 있는 기기

    (1) 축적형의 감지기, 축적식중계기 또는 축적식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경계구역마다 다음의 각 규정에 따라야 한다.

    (가) 감지기의 공칭축적시간과 중계기 및 발신기에 설정된 축적

    시간의 최대시간의 합계는 60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4

    (나) 축적식중계기 또는 축적식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온

    화식스포트형, 광전식스포트형, 연기복합식스포트형 및 광전

    식분리형감지기 이외의 감지기를 설치하는 때에는 중계기

    및 수신기에 설정된 축적시간의 최대시간의 합계는 20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하나의 경계구역에 축적형의 감지기 또는 축적식중계기를 설

    치하는 경우, 수신기는 해당 경계구역에 있어서 2신호식 기능

    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가. 일반

    (1) 자동화재탐지설비는 당해 설비의 기능을 숙지하고, 충분한 기

    능을 가진 자에 의해 정기적으로 시험․점검 및 정비를 행하

    고, 화재 시 즉시 작동할 수 있도록 상시 유효한 상태를 유지

    하여야 한다.

    (2)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한 건물이 증축, 개축, 기타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그 당시의 규정에 따라 신속하게 자동화재탐

    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변경이 있을 때에는 관련사항을 해당 도

    면에 기재하거나 재작성하고, 관련서류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

    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5

    (4)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한 건물의 변경 또는 자동화재탐지설

    비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수신기, 배선(경계구역,

    공통선, 절연저항 등을 포함), 감지기, 중계기 및 발신기 등에

    대해서 시험․점검을 하여 유효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5) 보수점검기록부를 비치하고, 다음의 경우에는 그 상황을 기록

    하여 유지관리에 참고하여야 한다.

    (가) 시험․점검 또는 정비를 할 때

    (나) 설비의 증설, 개수 또는 교체할 때

    (다) 설비의 작동 또는 고장이 날 때

    (6) 아날로그식수신기 또는 아날로그식중계기의 감도설정장치에

    의해 아날로그식감지기의 설정표시온도 등을 변경한 경우에는

    표시온도 등 설정 일람도를 재작성하여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6

    1. 화재보험요율서에서 정하는 자동화재경보설비의 주요구성품이라

    함은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중계기, 음향장치를 말한다.

    2. 자동화재탐지설비가 본 할인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설치

    된 경우에는 기본요율의 8% 할인을 적용한다. 다만, 자동식 소

    화설비가 설치되어 감지기가 미설치된 경우에는 기본요율의 5%

    할인을 적용하며, 자동식소화설비용 감지기가 본 할인규정에 적

    합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기본요율의 8% 할인을 적용한다.

    3. 자동화재탐지설비가 본 할인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설치

    되어 있고, R형수신기와 함께 설치된 특수감지기 설치면적이 건

    물 연면적의 70% 이상인 경우에는 기본요율의 10% 할인을 적

    용한다. 특수감지기라 함은 불꽃감지기,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차동식분포형감지기, 복합형감지기, 광전식분리형감지기, 아날로

    그식 감지기, 다신호식감지기를 말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7

    【전기설비 중앙감시시스템에 대한 특례】

    가. 전기설비 중앙감시시스템(이하 “전기설비 안전관리시스템”이라 한

    다)이라함은 수용가측 전기 수배전설비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는

    중앙감시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앙감시소에서 이상 유무를 원격감

    시하고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전기안전요원이 특정 이상상황을

    사전에 인지한 상태에서 전기설비의 점검 및 보수를 신속하게 함

    으로써 전기로 인한 화재사고를 예방 또는 경감할 수 있는 안전

    관리시스템을 말한다.

    나. 전기설비 안전관리시스템은 수용가 측 설비(감지장치, 감지상태를

    중앙감시소로 전송하는 장치)와 중앙감시소 측 설비(수용가에서

    전송된 감지내용을 표시․저장․출력하는 장치, 수용가 측을 감

    시․제어할 수 있는 장치, 수용가와 신호전송을 위한 장치)로 구

    성된다.

    다. 전기설비 안전관리시스템은 그 구성부품 및 시스템의 성능(감지

    기능 및 감시기능)에 대하여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

    구원(FILK)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가. 전기설비 안전관리시스템은 아래의 사항에 대한 감지 및 감시기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8

    능을 갖추어야 한다.

    (1) 과부하(과전류) 감지

    수용가 측에서 설정한 허용전류 이상의 과전류 통전 감지

    (2) 지락전류 감지

    수용가 측에서 설정한 영상전류(누전전류)의 흐름을 유효하게 감

    (3) 변압기 온도상승 감지

    변압기의 운전 중 이상상태로 인한 변압기의 온도상승 감지

    (4) 저압간선 온도상승 감지

    과부하(과전류 발생원)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간선의 온도상승 감

    (5) 누전감지

    (6) 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 감지

    나. 동 시스템의 감지 및 감시기능이 항상(24시간) 유효한 상태로 유

    지되도록 중앙감시소에는 감시요원이 상주해야 하며 이상상태 발

    생 시 전기사업법 제45조에 의거한 전기안전관리담당자가 신속히

    (1시간 이내) 출동하여 조치할 수 있어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29

    다. 수용가 측 및 중앙감시소 측 설비는 정전 시에도 예비전원에 의

    해 작동이 가능해야 한다.

    라. 동 시스템은 전자파 장해 등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가. 일반

    (1) 전기설비 안전관리시스템은 전기관계법령(전기설비기술기준 등)

    에 의거 적합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2) 수신반은 예비전원이 설치되어 상용전원 차단 시에도 유효하게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3) 중앙감시소는 수용가 측 수신반에서 전송한 감지내용을 저장하

    고 이를 모니터에 표시하여 적절한 감시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야 한다.

    나. 감지장치

    (1) 과전류 감지

    (가) CT 감지방식

    ① 부하측 선로의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30

    CT(Current Trans- former)를 이용하여 과전류를 검출하

    는 방식으로서 검출전류를 원하는 범위에 설정하여 유효

    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

    ② 과전류 감지 시 수용가 측 수신반에 과전류 상태를 표시

    하고, 과전류 신호를 중앙감시소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

    다.

    (나) OCR 작동감지방식

    ① OCR(Over Current Relay)의 작동상태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

    ② 동작전류 및 동작시한의 설정은 유효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력회사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③ OCR이 작동 시 수용가 측 수신반에 OCR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OCR 작동신호를 중앙감시소로 전송할 수 있어

    야 한다.

    (2) 지락감지

    (가) CT, ZCT 감지방식

    ① 부하 측 선로의 지락을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CT,

    ZCT(Zero Phase Sequence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

    하여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서 검출전류를 원하는

    범위에 설정하여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

    다.

    ② 지락감지 시 수용가 측 수신반에 지락상태를 표시하고,

    지락신호를 중앙감시소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나) GR 작동감지방식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

    Ⅴ-31

    ① GR(Ground Relay)의 작동상태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

    는 방식이거나 ZCT(Zero Phase Sequence Current

    Transformer)에 의한 감시선로의 누설전류를 유효하게 감

    지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

    ② GR 작동 시 수용가 측 수신반에 GR의 작동상태를 표시

    하고, GR 작동신호를 중앙감시소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

    다.

    (3) 변압기 온도상승 감지

    (가) 변압기 외함의 상승온도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

    어야 한다.

    (나) 감지온도는 변압기의 정상운전 시 예상되는 최고온도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다) 변압기 온도상승 작동 시 수용가 측 수신반에 온도상승 작

    동상태를 표시하고, 온도상승 작동신호를 중앙감시소로 전

    송할 수 있어야 한다.

    (4) 저압간선의 온도상승 감지

    (가) 변전실내 저압선로의 전선에 바이메탈 또는 Thermistor(열

    감응저항체) 등을 설치하여 전선의 온도가 전선의 허용온도

    (전선의 안전도 확보를 위한 허용전류에 따른 최고사용온

    도) 보다 높게 상승하였을 때 상승온도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

  • Ⅴ. 자동화재탐지설비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