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21
김주연 * 김정민 ** 김경숙 ***

Upload: others

Post on 17-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제12권 제3호 , 25 - 45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주연* ‧ 김정민** ‧ 김경숙***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 5세, 2개 학급

의 유아들로서 실험집단 19명과 비교집단 17명 총 36명이었고, 5주 동안 일주일에 3회씩 총

15회, 실험집단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자유신체활동에 참여하였

다. 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지구력으로 구성된 안

을섭(2005)의 기초체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은영

(2007)과 최지연(2012)의 기본운동능력 검사 중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후 실험집단은 기초체력의 민첩

성에서 향상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기초체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실험 후 실험

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이 비교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어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기초체력(basic physical fitness)

대근육 조작운동(gross motor maneuverability)

※ 논문 접수 : 2013. 10. 30 / 수정본 접수 : 2013. 12. 11 / 게재 승인 : 2013. 12. 18

*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Ⅰ. 서 론

유아기에 기본운동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유아는 이후에 보다 정교하고 복합적인 운동능력

을 발달시키는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황순각, 2001). 유아기에 신체활동이 중요한 이유는

유아기에 습득되어진 기본운동능력 발달이 이후 복잡한 운동기능 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일생동안의 신체 움직임과 운동능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Parish, Rudisill & Onge,

2007). 따라서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를 반영한 다양한 신체활동들을 제공하여 유아들이

건강을 유지ㆍ증진하고 활동과정에 즐거움을 느끼면서 기초체력과 기본운동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누리과정에서는 자신의 신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즐겁게 신체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유아기에 필요한 기본운동능력을 기르고, 건강

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 중의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교육과

학기술부, 2012).

유아들의 기초체력과 운동능력향상을 위해 유아기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아파트 중심의 주거환경, TV나 컴퓨터 게임, 스마트폰 사용, 부모의 학업 강

조 등으로 인해 현대의 유아들은 대근육 활동에 참여할 기회와 시간이 매우 제한되어 있으

며 이는 유아들의 기초체력과 운동능력 저하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강화영, 2008; 이

기숙, 박은혜, 김희진, 김현정, 2004). 또한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

하는 유아들이 증가하고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아교육

기관에서 유아들에게 효율적이고 다양한 신체활동을 제공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신체활동 시간의 부족,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부족,

신체활동 공간 및 교구의 부족 등으로 유아들의 체력향상과 운동능력을 증진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신체활동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김미환, 김용미, 2006). 신체활동을 제공

하는 경우에도 기본운동기술들을 골고루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의도된 프로그램이 아니

라 대부분 유아들이 자유롭게 바깥놀이 활동에 참여하며 교사는 유아의 안전을 고려한 보

호 차원의 지도 역할 수행만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유용탁, 2009).

김주연, 김경숙(2011)의 연구에서는 매일 신체활동을 실시하는 유아교사가 30% 이하였으며,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바람직한 신체활동을 위한 교육 목표, 운영 실제, 지도 방식,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자신의 신체활동 지도의 전문성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였다. 따

라서 유아의 운동능력과 기초체력 향상을 위해 올바른 신체활동을 유아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유아 뿐 만 아니라 교사 역시 흥미를 갖고 전개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필

Page 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27

요하다.

기초체력이란 건강한 인간 활동을 하는데 바탕이 되는 힘이며(박대근, 2009), 운동이나

일을 할 때 계속하여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힘이라 할 수 있다(김희정, 2009).

학자들의 견해는 차이가 있으나 기초체력은 근육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신체 전체 위치를 변화시킬 때 순간적인 힘을 발휘하는 순발력, 정해진 공간에서

몸 전체나 부분적인 동작을 빠르게 변경 또는 방향을 바꾸는 민첩성, 일정한 속도나 강도

를 갖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구력, 마지막으로 움직이거나 정지한 상태

또는 다양한 자세에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평형성으로 구성되어 있다(김수옥, 2011).

신체활동은 기초체력 향상을 위해 유아들이 참여해야 할 필수적인 활동들 중의 하나로

Gallahue(1993)는 유아기의 신체활동과 신체활동 중 습득해야 할 기본운동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유아기는 기본운동능력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결정적 시기로서 기본운동능력은

신체를 효율적으로 움직이는데 필요한 운동능력으로 유아가 걷기 시작하는 생후 약 1년부

터 활발해지기 시작하여 유아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해 간다(박대근, 2009). 기본운동능력

은 이동 운동, 비이동 운동, 조작 운동으로 구분된다(Gallahue, 1993). 이동 운동에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움직이는 동작으로 걷기, 달리기, 점프하기, 호핑, 스키핑, 뛰어넘기, 미끄러지기,

갤로핑 등의 움직임이 포함되며 비이동 운동은 구르기, 비틀기, 균형 잡기, 회전하기 등의

장소를 이동하지 않고 몸을 축으로 움직이는 동작 운동을 말한다. 조작운동 중 대근육 조

작운동에는 물체로부터 힘을 받거나 물체에 대해 힘을 주는 운동으로 던지기, 잡기, 차기,

드리블, 굴리기, 트래핑, 발리 등이 있다(최지연, 2012; 황순각, 2001).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은 매개물을 이용하여 대상을 통제하면서 수행하는 운동으로 이동운

동과 비이동운동의 조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박은영, 2007). 이동운동과 비이동 운동에

참여하면서 동시에 대근육 조작운동기능이 포함된 대표적인 신체활동이 공을 활용한 운동

이다. 공은 유아들이 선호하는 주요 운동도구 중 하나이다(김상용, 김성호, 2001). 공은 종

류가 다양하며 활동의 주제나 목적에 따라 필요한 형태나 특성의 공을 선택하여 제공함으

로써 유아들의 흥미나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안광용, 2010). 또한 공을 활용한 활동은

혼자서도 즐길 수 있으며 여러 사람과도 함께 게임의 형태로도 즐길 수 있어 유아들의 관

심과 흥미에 따라 활동형태도 융통성 있게 변화시킬 수 있다.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과정에서 유아들은 이동 운동과 비이동 운동의 여러 운동 기술들을

복합적으로 경험하게 된다(김상용, 2001; 최지연, 2012).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하면서 유

아들은 공을 손으로 던지고, 잡고, 발로 차고, 굴리는 등 다양한 대근육 조작운동을 하게

되며 동시에 걷기, 달리기, 점프하기, 호핑, 스키핑 등 다양한 이동 동작과 균형 잡기, 회전

Page 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하기 등의 장소를 이동하지 않고 몸을 축으로 움직이는 비이동 동작을 연습할 기회를 갖는

다. Hurlock(1978)이 주장한 것처럼 공놀이에 참여함으로써 유아들은 근력,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지구력 등 기초체력도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

아의 기본운동능력을 고루 발달시키며 동시에 유아들의 기초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표

적인 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심재희, 2003; 임진성, 2004).

공을 이용한 운동 중 가장 간단한 유형은 유아가 공을 만지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다양

한 크기의 공,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공을 조작하기, 한 손 혹은 양손, 한 발 혹은 양발을

활용하여 공 조작하기 등의 형태로 공을 활용한 신체운동이 시작된다. 유아들에게 적용하

기 적합한 공 운동의 종류로 조작수준이 낮은 공 운동과 간이 스포츠형 공 운동을 들 수

있다. 조작수준이 낮은 공 운동은 기본적인 운동 능력을 발달시키며 동시에 공을 활용한

다양한 운동 종목에 대한 흥미와 친숙성을 높일 수 있다. 간이 스포츠형 공 운동은 정식

스포츠를 게임 형식으로 수정하여 몇 가지 기본적인 스포츠 기술을 익히게 한다(김원준,

2010; 임진성, 2004). 심재희(2003)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조작수준이 낮은 공 운동 프로그램

으로 기본운동요소를 기초로 한 ball sports program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체육전

담 교사가 운영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들은 개별 혹은 소집단으로 축구, 농구, 배구에

서 활용되는 기본 기술들을 연습할 다양한 기회들을 갖게 된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

아들은 일반체육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에 비해 이동, 비이동 운동능력 뿐 아니라 대근육 조

작운동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기초체력도 향상되었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유아교사가 제공하는 신체활동은 창의적 표현 중심의 동작활동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회성(김설아, 2013; 김은경, 2008; 한재영, 2010), 창의성(이여일, 2005;

최영훈, 2009; 최지영, 황선자, 2010), 정서(김현심, 2009; 이지영, 2012; 정경일, 2009) 등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신체활동이 계획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일주일에 1-2회 회당 20분가량 체육전담교사가 유아들의 운동능력과 기초체력에 중점을 둔

신체활동을 제공하거나 유아교사가 운영하는 창의적 동작활동 중심의 신체활동을 주로 제

공하고 있다(명경숙, 2013; 이차숙, 2011). 유아들의 기초체력과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신체

활동의 중요성(강화영, 2008)을 감안할 때 유아교사들도 활용할 수 있는 신체운동능력과 체

력증진을 주요목적으로 구성된 유아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유아교사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고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

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Page 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29

연구문제 2.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

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이 2개 학급 만 5세 유아 36명으로서 두 학

급을 각각 실험집단(남 10명, 여 9명)과 비교집단(남 7명, 여 10명)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두 집단 유아들의 부모에게 본 연구에서 실시할 검사와 실험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설명

하고 참여동의서를 받은 후 검사와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유아들의 연령, 신장과 체

중은 표 1과 같다. 표 1에서와 같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연령(t=-1.5, p>.05), 신장

(t=1.76, p>.05), 체중(t=.95, p>.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두 집단 유

아들은 연령, 신장, 체중이 동질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담임교사의 교육경력은 실험집단 교

사가 8년이었고 비교집단 교사는 4년이었으며 두 교사 모두 3년제 대학교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였다.

<표 1> 연구대상

구분실험집단 비교집단

tM(SD) M(SD)

연령 67.41(3.39) 69.41(4.33) -1.5

신장 114.79(4.45) 112.32(3.89) 1.76

체중 21.49(3.17) 20.55(2.64) .95

p>.05

2. 연구도구

1) 기초체력 검사도구

유아의 기초체력을 알아보기 위해 안을섭(2005)이 사용한 기초체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Page 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유아의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지구력의 체력요소를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

검사의 내용 및 검사 방법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유아의 기초체력 검사내용 및 방법

체력요소

검사내용 검사방법측정단위

검사자료

유연성앉아서허리굽히6기

무릎을 펴고 상체를 앞으로 최대한 굽혀 발바닥을 지난 손가락 끝부분의 위치와 발바닥(맨발)까지의 거리를 0.1cm단위로 측정한다.

cm 줄자, 자

민첩성5m왕복달리기

일정한 거리를 빨리 달리는 데 필요한 각 근력 그리고근의 수축 속도와 방향 전환을 위한 바른 정지동작 및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 민첩성을 측정한다.

cm

빨간색공2파란색공2칼라콘2초시계

평형성한발로중심잡기

일정폭의 테두리 안에 한 발로 중심을 잡되 발이 테두리 바깥으로 벗어나면 종료한다.

초색테이프초시계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빠른 동작으로 최대한의 힘을 낼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두 발을 모으고 선 자세에서 팔의 진동과 무릎의 탄력을 이용하여 되도록 멀리 뛰는데 착지 지점에는 매트를 이용한다.

cm줄자매트

지구력 V자 앉기

복근의 지구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두 손을 복부에 얹은 후 앉은 다음 신호에 따라 두 발을 모아 40〫정도 올려 V자 모양을 되게 공중에 머물러 있게 한후 중심을 잃지 않고 오래 유지하는 시간을 기록한다.

초초시계매트

2)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도구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은영(2007)의 유아운동능력 검사도구와

최지연(2012)의 기본운동능력 검사도구 중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

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기준이 불분명하여 평가자의 주

관적 소견이 점수 배정에 큰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을 수정ㆍ보완하였다. 수정한 자료

는 유아교육 전공의 박사과정 2명과 체육교육 전문가 1명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는 공 던지기, 공받기, 공 튀겨잡기, 공차기, 공굴리기로

구분되며 각 항목은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을 획득할 수 있어 유아가 획득할 수 있는 총

점수는 5점-25점이었다.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도구의 검사문항과 평가준거를 표 3에

제시하였다.

Page 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31

<표 3>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도구의 구성

하위

요소평가기준 점수

던지기

어깨와 허리를 사용하여 매우 잘 던진다. 5

정확하고 속도가 있으나 팔만 사용하여 던진다. 4

목표에 가까이 가지만 부정확하고 약하고 공을 밀듯이 던진다. 3

흉내만 내며 부정확하게 공을 밀듯이 던진다. 2

던진 공이 힘없이 바로 앞에 떨어진다. 1

받기

두 팔과 양손으로 잡는 동작이 정확하고 매우 잘 받는다. 5

두 팔과 양손으로 이용하여 잘 받는다. 4

잡는 동작이 보통이다. 3

동작이 서투르고 받지 못한다. 2

전혀 받지 못한다. 1

비이동

튀겨잡

능숙하고 정확하게 튀겨 잡는다. 5

약간 불안하게 보이나 잡는다. 4

겨우 잡을 수 있다. 3

튀겨서 잡으려고 시도만 한다. 2

전혀 못한다. 1

차기

공을 차기 전에 공을 차기 위해 발을 뒤로 굴려서 목표지점을 향해 정확하게

차기를 한다(반동 이용).5

공을 차기 전에 공을 차기 위한 준비를 하나 (반동을 이용하지 못하고) 제자리

에서 목표를 향해 차기를 한다.4

공을 차기를 하나 (목표지점을 향해) 부정확한 방향으로 약하게 차기를 한다. 3

공을 차기위한 동작이 서투르며 차기를 힘들어 한다. 2

전혀 공을 차지 못한다. 1

굴리기

공이 10cm 이상의 높이로 튀지 않고, 바닥에 근접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공굴

리기를 한다.5

공을 굴리기는 하나 정확한 방향으로 공을 굴리지 못한다. 4

공을 굴리기와 튀기기를 반복하며 정확한 방향으로 굴린다. 3

공을 굴리기와 튀기기를 반복하며 부정확한 방향으로 굴린다. 2

전혀 공을 굴리지 못한다. 1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3년 3월 25일부터 5월 7일까지 총 6주로, 4일간의 예비 연구 및 사전검사,

5주간의 실험처치, 2일간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연구주제와 관련된 문헌들을

Page 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수집하여 고찰한 후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과 연구도구를 선정하고, 검사도구의 적절

성 및 사용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서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일간의 사전검사를 실시

하였다. 검사는 모든 종목에 대해 2회씩 실시하였으며 2회 실시 중 높은 측정치를 최종 점

수로 하였다. 실험처치는 5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매주 3

회씩 5주 동안 15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자유 신체활동을 동일한 회기로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처치가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1) 예비연구

본 연구를 시행하기에 앞서 연구 집단과 비슷한 환경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명(남 2명, 여 2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가. 예비실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의 소요시간, 절차, 방법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실험을 실

시하였다. 실시결과 소요시간은 30분정도였으며, 유아들은 공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에 협동

하고 경쟁하며 흥미를 가지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공놀이 과정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예방이나 대처방법에 대해 충분한 인지가 부족하여 사고가 발생

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30

분간 실험과 사고예방책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매회기 활동 시작 전에 유아들에게

활동 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해 설명을 해주고 규칙을 정하여 유아들이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하기로 하였다.

나. 예비검사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검사도구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검사는 어린이집 강당에서 연구자와 유아가

1:1로 실시하였으며 유아 1인당 약 15분정도 소요되었다. 검사과정에 별다른 문제점은 발견

되지 않았다.

2) 검사자간 일치도

정확하게 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줄자와 초시계를 사용하여 기초체력의 하위

요소를 측정하는 훈련을 반복하였다. 대근육 조작운동능력검사는 유아의 조작운동행동의

수준을 검사자가 평정해야 하는 도구로 검사자간 일치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두

Page 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33

연구자가 각자 유아 4명의 검사결과를 채점하여 결과가 불일치한 경우 채점 기준을 논의하

는 등 검사와 채점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검사자간 일치도는 80%이었다.

3) 사전검사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의 사전검사는 총 3일(2013년 3월27일 - 3월 29일)간

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어린이집의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강당에서 연구자 2명이 실시

하였다.

4) 실험처치

가. 실험처치 기간 및 일과 운영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13년 4월 1일-2013년 5월 3일까지 주 3회씩 5주간 총 1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한 어린이집의 두 개 학급으로 동일한 보육과정

으로 운영되었다. 연구기간 동안의 두 집단의 하루일과는 표 4와 같으며, 본 연구의 실험은

공간크기나 비치된 도구 면에서 동일한 환경으로 구성된 지상 4층과 지하 1층에 위치한 어

린이집의 강당 2곳에서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4층 강당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유아교

사경력이 있는 연구자가 본 실험을 담당하였고, 담임교사는 유아들의 수업 분위기 조성을

위해 보조교사 역할을 수행하였다. 비교집단은 지하 강당에서 자유 신체활동을 하였다. 이

때 비교집단의 담임교사는 각 유아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

하였다. 연구기간 동안의 두 집단의 하루일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하루일과

실험집단 활동시간 비교집단

등원 및 실내자유선택활동 09:00~10:00 등원 및 실내자유선택활동

정리정돈 및 화장실가기 10:00~10:10 정리정돈 및 화장실가기

오전간식 10:10~10:30 오전간식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10:30~11:00 자유 신체활동

대소집단활동 11:00~11:50 대소집단활동

점심식사 11:50~12:40 점심식사

특별활동 12:40~13:00 특별활동

실내자유선택활동 13:00~14:30 실내자유선택활동

평가 및 귀가지도 14:30~15:00 평가 및 귀가지도

Page 1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내용은 유아신체활동에 관련된 여러 문헌(교육과학기술부, 2012; 류

삼태, 1996; 윤예희, 박정민, 1999; 이영자, 이기숙, 이정욱, 2004; 이현균, 2012; 주종은,

2005)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1차 개발하였다. 개발한 신체활동들이 유아교사가 운영하기에

내용이나 방법 면에서 적합한지 검증하기 위해 어린이집 교사 5명과 유아교육 박사과정생

1명, 유아체육 전문가 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연구자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교사가 운영하기에 적절하다고 평가

되었다.

<표 5>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내용

회기 활동명 활동내용대근육

조작운동요소기초

체력요소

사전회기

재미있는 공놀이를해요

공놀이 안전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

1 주거니 받거니 다양한 방법으로 공 던지고 받기 던지기/받기

유연성민첩성평형성순발력지구력

2 통통통 튀겨요 다양한 방법으로 공 튀기고 잡기 튀기기

3 데굴데굴 굴려요 여러 가지 공을 굴리기 굴리기

4 뻥 차오! 벽에 공차기 차기

5 미니축구 여러 명이 한꺼번에 골대에 슛하기 차기

6 휙!휙! 던져요! 여러 가지 공을 한손으로 던지기 던지기

7 공! 어디가! 공간을 이동하며 공받기 받기

8 여기! 저기! 공 패스하고 드리블하기 받기/튀겨잡기

9 슛! 골~인! 목표물에 공 던져 골인하기던지기/받기/튀기기

10 친구야! 공 받아라~ 1:1로 공을 발로 주고받기 굴리기/차기

11 내 공을 받아라~ 목표물까지 공을 발로 차기 차기

12미니피구게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피구게임하기 던지기/받기

13 럭비게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럭비게임하기던지기/받기/차기

14 농구게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농구게임하기 던지기/받기

15 축구게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축구게임하기차기/받기/굴리기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내용은 표 5와 같으며 실험집단의 신체활동은 개인 또는 소그룹으

로 실시되었다. 본 활동들은 유아들이 공 던지기, 공 받기, 공 튀겨잡기, 공 차기, 공 굴리

Page 1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35

기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고루 갖도록 공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활동계획안

의 예는 표 6과 같다.

다. 비교집단 : 자유 신체활동

비교집단은 자유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지하 강당의 교구장에 공, 훌라후프, 오자미, 평균대를

비치하였고 강당 바닥에는 색 테이프를 부착해 두었다. 유아들은 대부분의 시간동안 놀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하는 잡기놀이, 스트레칭 등의 게임에 참여하였으며 일부 유아들은

훌라후프 돌리기, 평균대 걷기, 색 테이프 따라 걷기 등 도구를 사용하는 놀이에 참여하였

으나 지속시간은 길지 않았다.

<표 6> 12회기 실험집단 활동계획안

기본운동능력

관련 내용⦁한 손, 두 손으로 던지기, 받기

활동명 미니 피구 게임

활동목표⦁공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목표물에 보낸다.

⦁공을 한 손과 두 손으로 정확하게 던지고 차는 연습을 한다.

활동자료 영상, 그림자료, 탱탱볼

활동방법

<도입>

- 준비운동 하기

- 미니 피구게임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 게임할 때 주의 할 점 알아보기

<전개>

두 팀으로 나누어 미니 피구게임을 한다.

-두 팀으로 나누어 한 팀은 직사각형 네모 안에서 공을 피하는 게임

다른 한 팀은 각각 5명으로 나누어 가로지점에서 서서 공을 던져 네모 안에 있

는 친구를 맞추기 (2m,7m직사각형 만들기)

-네모 밖으로 나가거나 공이 몸에 맞으면 네모 밖에서 게임 관람하기

-상대방의 네모 안에 있는 친구를 공으로 다 맞추면 게임 마무리하기

<마무리>

공을 정리하고 유아들의 안전을 점검하기

5) 사후검사

사후검사는 실험처치가 끝난 2013년 5월 3일~5월 7일까지 실시되었다. 기초체력 및 대

Page 1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기초체력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유연성

공변인 사전유연성 109.07 2 54.57 5.34*

주효과 집단간 4.81 1 4.81 .47

오차 316.62 31 10.21

전체 1653.29 34

기초체력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민첩성

공변인 사전민첩성 5.67 2 2.84 4.00*

주효과 집단간 4.14 1 4.14 5.84*

오차 21.98 31 .71

전체 790.60 34

기초체력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평형성

공변인 사전평형성 5170.53 2 2585.27 9.72**

주효과 집단간 146.59 1 146.59 .55

오차 8243.14 31 265.91

전체 30819.31 34

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 자료처리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대근육 조작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의 사전ㆍ사후 점수를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 분석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

1. 기초체력에 대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의 효과검증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의 기초체력 5개 하위요소 각각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

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조정된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8에 제시하였다.

<표 7> 유아의 기초체력 요소에 대한 집단 간 공변량 분석

Page 1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37

기초체력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순발력

공변인 사전순발력 743.11 2 371.56 1.09

주효과 집단간 31.78 1 31.78 .09

오차 10544.271 31 340.14

전체 425994.00 34

기초체력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지구력

공변인 사전지구력 4312.30 2 2156.15 1.98

주효과 집단간 1135.31 1 1135.31 1.04

오차 33797.46 31 1090.24

전체 70959.45 34*p<.05,

**p<.01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기초체력의 5개 하위요소 중 실험에 참여한 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발견된 요소는 민첩성(F=5.84 p<.05)이었으며 표 8에서

처럼 실험집단의 사후조정점수(M=4.39, SD=.21)가 비교집단의 사후조정점수(M=5.09,

SD=.21)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민첩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소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민첩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표 8> 기초체력 사전·사후 검사와 조정된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

하위요소

실험집단 비교집단

사전검사 사후검사 조정된사후검사

사전검사 사후검사 조정된사후검사

M(SD) M(SD) M(SD) M(SD) M(SD) M(SD)

유연성 5.64(4.50) 6.70(3.70) 6.40(.78) 4.52(1.84) 5.32(3.50) 5.63(.78)

민첩성 4.98(.59) 4.41(.63) 4.39(.21) 4.76(1.55) 5.06(1.05) 5.09(.21)

평형성 14.80(12.98) 21.52(23.47) 24.78(4.02) 21.53(13.21) 23.73(16.88) 20.48(4.02)

순발력 80.74(33.07) 107.15(21.24) 109.29(4.92) 113.08(15.41) 113.74(15.20) 111.59(4.92)

지구력 16.57(13.74) 35.14(43.45) 36.95(8.07) 21.63(16.47) 27.02(21.43) 25.22(8.07)

2.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대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의 효과검증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

Page 1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9과 같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조정된 사후 검사

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험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점수는 자유 신체활동을 실시

한 비교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66.62,

p<.001). 표 10에 의하면 실험집단의 사후조정점수(M=23.00, SD=.50)가 비교집단의 사후조

정점수(M=17.17, SD=.50)보다 높았다.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의 하위요소인 공 던지기(F=8.79

p<.01), 공 받기(F= 45.96, p<.001), 공 튀겨잡기(F= 37.50, p<.001), 공 차기(F= 21.24,

p<.001), 공 굴리기(F= 18.96, p<.001)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의 사후조정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조정점수보다 높았

다. 이러한 결과는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증진에 긍정적 효

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표 9>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대한 집단 간 공변량 분석

하위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던지기

공변인 사전공던지기 6.62 2 3.31 5.59**

주효과 집단간 5.20 1 5.20 8.79**

오차 18.35 31 .592

전체 561.00 34

하위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받기

공변인 사전공받기 17.61 2 8.80 27.42***

주효과 집단간 14.76 1 14.76 45.96***

오차 9.95 31 .32

전체 629.00 34

하위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튀겨잡기

공변인 사전공튀겨잡기 21.83 2 10.91 24.07***

주효과 집단 간 17.01 1 17.01 37.50***

오차 14.06 31 .45

전체 564.00 34

하위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차기

공변인 사전공차기 9.62 2 4.81 10.72***

주효과 집단간 9.53 1 9.53 21.24***

오차 13.91 31 .45

전체 536.00 34

Page 1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39

하위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굴리기

공변인 사전공굴리기 10.67 2 5.34 10.30***

주효과 집단간 9.82 1 9.82 18.96***

오차 16.06 31 .52

전체 595.00 34

하위요소 변량원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

대근육

조작성

총합

공변인 사전 대근육조작성 305.08 2 152.54 35.92***

주효과 집단간 282.94 1 282.94 66.62***

오차 131.65 31 4.25

전체 14157.00 34

**p<.01, ***p<.001

<표 10>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의 사전·사후,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집단하위요소

실험집단 비교집단

사전검사 사후검사조정된사후검사

사전검사 사후검사조정된

사후검사

M(SD) M(SD) M(SD) M(SD) M(SD) M(SD)

공 던지기 3.59(.71) 4.41(.80) 4.41(.20) 2.76(.90) 3.53(.72) 3.53(.20)

공 받기 3.24(.97) 4.88(.33) 4.87(.14) 3.12(.86) 3.53(.80) 3.55(.14)

공튀겨잡기

2.82(1.23) 4.71(.47) 4.66(.17) 2.41(1.00) 3.18(.88) 3.22(.17)

공 차기 3.24(.75) 4.41(.71) 4.41(.16) 3.24(.44) 3.35(.61) 3.35(.16)

공 굴리기 3.12(.70) 4.65(.70) 4.66(.18) 3.82(1.19) 3.35(.72) 3.51(.18)

총합 16.00(2.78) 23.06(1.60) 23.00(.50) 15.35(1.69) 17.12(2.45) 17.17(.50)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

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

어진 주요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참여한 후 실험집단 유아들의 민첩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

었으나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 지구력의 다른 체력요소에서는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

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아들에게 몸의 움직임을

많이 요구함에 따라 공놀이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신체를 대응해야 하는 상황을 많이 경험

Page 1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민첩성이 더욱 증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공을 활용한 신체

활동 중 실험집단 유아들은 공을 손에서 놓치지 않기 위해, 또는 원하는 곳까지 공을 보내

거나 받기 위해 순간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동작을 여러 번 하였으며 공을 던질 때 목표물

에 맞추려고 다시 던지기를 시도하고 공을 받을 때 역시 날아오는 공을 꼭 받아야겠다는

생각으로 공이 다가오는 위치로 몸을 이동하기도 했다. 심재희(2003) 역시 공놀이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한편, 기초체력 요소 중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 그리고 지구력에서는 공을 활용한 신체

활동에 참여한 후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기초체력은 신체활동

뿐만 아니라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증가되는 유아의 기본적인 근육양이나 평상시

유아가 섭취하는 영양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단시간 활동이 아닌 지속적인 활동

을 통해 증진된다는 선행연구결과들(윤애희, 박정민, 1999; 조성미, 2009)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5주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지구력이나 평형성을 의미 있게 향

상시키는데 다소 활동시간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와 자유 신체활동에 참

여한 비교집단 유아 모두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이 향상되어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가 공을 활용하여 체계적으

로 신체활동에 참여할 때 유아들은 이동운동, 비이동 운동, 조작운동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가지며 다양한 방식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체계적으로 연습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줄넘기, 공, 훌라후프 등의 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

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김수옥(2011), 김학민(2007), 주종은

(2005) 등의 연구 결과와 같다. 유사한 맥락에서 이현균(2012)은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창의

적 손유희 신체활동이 아닌 운동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통합적 프로그램을 실시했을 경우

유아의 운동능력이 많이 향상된다고 하였으며 심재희(2003)도 도구를 사용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에서 유아가 친숙하게 여기는 공을 활용하

여 체계적인 신체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이 향상된 결과를 뒷받

침하고 있다. Hatzitaki, Zisi, Kollias & Kioumourtzoglou(2002) 역시 신체활동 중, 자신의

신체를 충분히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운동능력이 향상

된다고 하였다. 유아들이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하는 것 보다 일정한 프로그램의 형식을 띄

운 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운동능력이 더 향상됨을 보여준 황선자(2010)도 본 연구의 결과

와 맥을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 실시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아들

Page 1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41

이 좋아하는 공을 가지고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대근육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유아들의 동

기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Haubenstricker, Branta, 그리고 Seefeldt(1983)는 숙련된 조작운동능력은 성숙에 의해 자동

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연습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체계적이고 조직

적으로 신체활동을 제공할 때, 유아들은 더 많은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신체활

동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참여한 신체활동에 포함된 운동 기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조작운동능력은 고도의 운동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매

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아기부터 그 기초를 다질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김선진 외, 2003; Pellegrini & Smith, 1998; Ulrich, 2002). 덧붙여,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흥미 있어 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며 초등학교의 구기 체

육교과 시작 전 유아에게 구기 체육교과의 선행지식이나 활동을 경험하게 하는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공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을 활용한 체계적 신체활동이 단기적 활

동이 아니라 교육과정 안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유아의 기초체력과 조작운동능력 향

상 뿐 아니라 초등학교 체육교과와의 연계를 위해서도 유아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

째, 본 연구의 실험은 5주간의 비교적 단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그 결과 유아들의 기초체력

요소 중 민첩성은 향상되었으나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 지구력을 향상시키는데 5주간은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아의 모든 기초체력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의 평가기

준이 불분명하여 체육교육 전문가와 상의하여 평가기준을 보다 객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참여한 검사자들 간의 검사일치도가 80%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

들의 대근육 운동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검사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강화영(2008). 보육시설 유형별 신체활동 현황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연수 자료집. 서울: 교육과학

Page 1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기술부.

교육부(1999).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김미환, 김용미(2006). 경기지역 병설유치원의 유아체육교육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7, 21-42.

김상용, 김성호(2001). 초등학교 체육시설 및 교구 실태 분석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7(2), 177-188.

김선진, 한동욱, 박승하, 김용호(2003). 운동발달의 이해.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설아(2013). 신체 게임 활동이 종일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

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옥(2011). 기본 운동 능력을 고려한 신체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

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원준(2010). 유아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은경(2008).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 참여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연, 김경숙(2011). 유아교사의 신체활동 지도실제와 지도스트레스.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51-174.

김학민(2007). 유아의 체육활동에 따른 체력 변화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심(2009). 유아체육활동이 농촌지역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정(2009). 가정과 연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삼태(1996). 유아 체육놀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Ⅰ).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명경숙(2013).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대근(2009). 3, 4, 5세 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경향 조사. 유아교육학논집, 5(2), 131-160.

박은영(2007).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지적능력 및 운동능력 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재희(2003). 유아의 기초운동능력요소를 기초로 한 Ball sports program model 개발 연

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광용(2010). 놀이를 통한 도자 조형 연구: 공놀이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Page 1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43

석사학위논문.

안을섭(2005). 유아의 체력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애희, 박정민(1999). 유아체육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유용탁(2009). 유아교육기관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기숙, 박은혜, 김희진, 김현정(2004). 우리나라 유아의 하루일과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163-188.

이여일(2005). 리듬을 이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자, 이기숙, 이정욱(2004). 유아 교수ㆍ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이지영(2012). 신체활동을 통한 정서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차숙(2011). 유아체육교육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3), 89-106.

이현균(2012). 유아의 대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체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

증.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진성(2004). 아동의 공 운동 기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경일(2009). 유아의 체육활동 참여가 정서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미(2009).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윤신(2012). 놀이운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종은(2005).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운동능력 및 신체적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영훈(2009).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지연(2012). 한국무용을 활용한 신체활동과 유아의 운동능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지영, 황선자(2010).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261-282.

한재영(2010).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사회성발달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Page 2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선자(2010). 통합적 동작 교육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순각(2001).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 유아의 지각운동능력과 신체적 자

아개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Gallahue, D. L. (1993).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Brownㆍ

Benchmark Publishers.

Haubenstricker, J., Branta, C., & Seefeldt, V. (1983). Preliminary validations of a

developmental sequence for the long jump.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and Dance. Minneapolis, MN.

Hatzitaki, V., Zisi, V., Kollias, I., & Kioumourtzoglou, E. (2002). Perceptual-motor

contributions to static and dynamic balance control in children. Journal of Motor

Behavior, 34(2), 161-170.

Hurlock, E. B. (1978). Child development. New York :McGraw Hill.

Parish, L. E., Rudisill, M. E., & Onge, P. M. S. (2007). Mastery motivational climate:

Influence on physical play and heart rate in African American toddler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8(3), 171-179.

Pellegrini, A. D., & Smith, P. K. (1998). The nature and function of a neglected aspect

of play. Child Development, 69(3), 577-598.

Ulrich, D. A.(Eds.). (2002).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Austin, TX: Pro-Ed.

Page 2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6. · h606\ LëHb fg u) u òn ß6A i-u) .T W6 # LëH@ÄÅe #) .T W6 HGe #) # ' ) 7j®@ VÚ ) ~B VÚ ) < ab ÆH@LëHbab #) ôBHb'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45

Abstract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on you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basic physical fitness

Ju Youn Kim, Jung Min Kim, Kyung Sook Ki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with balls on you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their basic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were 34

five-old-years children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 from

two classes out of H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free physical

activities, three times a week for five weeks. The tool measuri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was modified based on the tests utilized by Park (2007) and Choi (2012).

The tool to measure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included five items(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which were selected from items of tests first

developed by Ann (2005)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ss motor maneuver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basic physical fit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physical activities using are meaningful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basic their physical fit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