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20
강 현 미 * 송 주 은 **

Upload: others

Post on 03-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생태유아교육연구

2014. 제13권 제1호 , 155 - 174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

강 현 미* ․ 송 주 은**

요 약

본 연구는 숲 체험 실시여부와 숲 체험 운영(숲 체험 횟수, 경력)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

에 차이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

인 만 3, 4, 5세 유아 118명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100명의

연구대상 유아 총 218명을 대상으로 8개 영역 70문항으로 구성된 다중지능 검사도구를 사용

하여 숲 체험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숲 체험 실시여부

에 따라 다중지능 총점 및 신체-운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탐구 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숲 체험 횟수와 경력에 따라 다중지능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제어 유아(young children)

숲 체험 활동 (forest activities)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

※ 논문 접수 : 2013. 07. 31 / 수정본 접수 : 2013. 09. 01 / 게재 승인 : 2013. 12. 13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원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수료(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Ⅰ. 서 론

최근 유아교육에서 이슈화되는 것들을 살펴보면 자연체험, 생태교육, 바깥놀이, 산책 등 유

아들이 좀 더 자유롭게 놀며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임재택(2012)에

의하면 (사)한국숲유치원협회를 통해 2010년 본격적으로 한국형 숲유치원 시범운영기관을 모

집한 결과 전국적으로 109기관이 참여하는 등 숲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관심도가 높았으며,

숲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을 숲 유아교육기

관이라 부르고, 이는 매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숲 유치원, 숲 놀이학교, 숲 반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유아교육기관의 숲 체험 활동은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데 임재택(2012)이 지향하는 한국형 숲 유치원은 기존의 바깥놀이나 산

책과는 달리 1주일 내내 매일 숲에 나가고, 1일 4시간 이상 숲에서 활동하며, 반구성은 혼합

연령반으로 구성한다. 일본의 숲유치원은 9시 반부터 1시까지 영아반은 주 2일, 유아반은 주

3일 산 속에서 활동하는 프로그램을 의미(아이가와 아키고, 2011) 하는 등, 숲 체험 활동은 참

여횟수, 참여시간, 참여연령과 교사의 역할이 숲 해설가인지, 주 교육・보육자인지에 따라 수많은 형태가 나타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유아 한명이 일회성으로 참여하는 소풍이나 견학

같은 숲 체험이 아니 정해진 참여횟수 만큼 지속적으로 숲으로 가고, 숲에 도착해서는 2시간

이상 충분히 숲을 체험 할 수 있는 여유가 주어지는 활동을 숲 체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덴마크에서 시작된 숲 유치원은 2008년부터 국내 수도권 국유림을 중심으로 북부 지방산

림청에서 시범 도입하면서 현재 전국 지방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 기존 유아교육기관의 숲

반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보여 지고 있다.

이처럼 숲과 자연을 가까이 하고자 하는 데는 현대 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

와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다. 요즘은 어디를 가나 ‘힐링(healing)’, ‘웰빙(well-bing)’과 같이

치유의 의미를 가진 단어를 많이 접할 수 있는데 그만큼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자본

주의 시대의 물질적 혜택 이면을 자각하며, 외적이고 물질적인 만족이 아닌 정신적 가치와

내면의 가치를 더욱 소중히 여기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박이문, 2010). 숲과 조화롭게 살아

가는 삶이야말로 웰빙(well-bing)을 넘어 내추럴빙(natural-being)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신원섭, 2007).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고 자연의 품에서 가장 큰 평화를 느낀다. 숲은 인간의

심리와 정서를 자극하여 자연에 대한 친근감과 친화력을 갖게 하고 때로는 그 장엄함으로 경

외심을 느끼게도 한다(송주은, 2011).

또한 인간의 발전과 행복을 위한 수단으로 자연을 무분별하게 사용한 결과들이 점점 대두

Page 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57

되기 시작하면서, 2012년 도입된 5세 누리과정에서는 사람과 자연과의 관계를 존중하는 내용

이 구성되었다. 이로 인해 누리과정 교육내용은 자연이 정복의 대상이 아닌 인간과 함께 살

아가는 공생의 관계이며, 자연 속 아름다움과 가치를 깨달을 수 있게 하는 점 등을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자연의 가치를 깨닫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이루어지

고 있는 대・소집단 활동 시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전달, 책을 통해서는 절대 이루어질 수 없으며, 유아가 직접 숲이나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환경 속으로 들어가야만 한다.

아이들이 숲을 체험하는 것은 많은 의미를 가진다. 루소와 페스탈로치와 같은 근대 교육사

상가들은 ‘자연’을 기초로 한 교육을 통해 인간의 내재된 자연성을 발현시키고자 하였으며,

유아교육의 관점에서도 아이들에게 숲은 자연 만물과 관계 맺고, 비형식적인 놀잇감으로 창

의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키워내는 최고의 장소이다. 이처럼 유

아기 때는 여러 가지 분야를 접하고 보다 많은 경험을 통해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 할 수 있

도록 자극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 시기는 두뇌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시점

으로 유아기는 환경의 조성을 통해 지능 발달이 촉진될 수 있으며, 환경이 다중지능발달에

중요한 작용(Gardner, 2001)을 하기 때문이다.

Gardner(1983)에 의해 제안된 다중지능은 그의 저서인 '마음의 틀'에서 인간의 지능은 서

로 독립적이며 매우 다양해서 여러 종류의 지능(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논리-수학

적 지능, 공간적 지능, 언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으로 구성

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기존 인지적 영역만을 측정하여 유아를 판단하는 IQ 측정의 한

계점에서 벗어나 지능에 대한 큰 변화를 불러왔다. 그는 여덟까지 지적능력을 계발하는 것은

사회 속에 직면해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계발하는 것으로 보았으며(Gardner, 1983),

이는 새로운 변화와 역할이 요구되는 현 시대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유아들의

다중지능을 알아내고 분석하여 평가해 내는 것은 유아가 가진 다양한 능력을 계발하고 발달

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유아의 다중지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중지능이론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김명희, 김영천, 1998)를 비롯하여 다중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실태(하

순련, 서현아, 2013)에 관한 기초연구,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상관관계(장영

숙, 강경석, 송경희, 2003),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다중지능 특성비교(전민정, 김삼섭,

2012) 및 가베활용 프로그램(김미정, 서영숙, 2008), 동화에 기초한 영화 만들기 활동(김명화,

류혜숙, 2010), 뇌 발달 프로그램,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 전통요리 통합 활동(전일우, 2011)

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 등 최근 유아의 다중지능에 대한 관심이

다소 높은 실정이다.

Page 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하지만 다중지능 연구가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발하게 적용(김미정, 서영숙, 2008)되는 것

에 비하면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숲 체험이나 자연 체험 활동

이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송경희(2002)에 의

하면 다중지능의 각 능력은 두드러지게 발달하는 시기가 있으며, 특히 유아기는 환경 조성을

통해 지능 발달이 촉진되므로 환경에 의한 다중지능 발달에 큰 영향을 받는다(문병환, 2008)

는 점에서 현장에서 다중지능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인 과제일 수밖에 없다. 특히 2012년도

도입된 5세 누리과정과 2013년 3~4세까지 확대된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을 살펴보면 유아의

전인발달을 강조하고 있고, 이는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등의 5개 영역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이러한 누리과정의 5개 영역은 다중지능이론과 연계하여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숲은 이

러한 유아의 전인발달을 이루어줄 수 있는 좋은 환경이다.

숲이 유아의 전인발달에 좋은 환경이 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숲 체험을 통하

여 유아의 주의집중이 향상되었으며(이명환, 김은숙, 2011),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마지순, 2008; 최정애, 서현아, 2010), 기초체력이 증가하였을 뿐

만 아니라(김은주, 변지혜, 2012; 김은주, 임재택, 변지혜, 2012;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 2012),

감성지능(김덕건, 김효진, 2006), 미술표현능력 및 창의성(안명숙, 2013)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숲이 유아의 전인발달에 얼마나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지를 뒷받침 해준다.

게다가 요즘 아이들은 유아 시절의 대부분을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낸다. 즉, 유아교육기관

의 환경은 유아의 사회・정서의 발달뿐만 아니라 인지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숲 유치원을 운영하는 기관은 주 1회 숲으로 나가는 형태가 가장 많

이 나타나는데(임재택, 2012), 이는 독일이나 일본의 숲 유치원과는 달리 현행 유아교육과정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속에서 숲 활동을 병행하기 때문에 일주일 내내 숲으로 가기엔 여

러 가지 문제점이 기인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숲 체험 활동의 실시여부와 유아의 다중지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숲 체험 모습 중 1주일 동

안 참여하는 횟수와 유아가 참여하는 지속성의 년 수에 따른 차이를 통해 다중지능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숲 체험 활동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의 다중지능에 차이가 있는가?

Page 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59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운영

등원 및 자유놀이, 숲에 갈 준비 및 오전 간식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숲으로 이동

숲 체험, 점심

숲에서 유치원, 어린이집으로 이동

오후 간식

이후 일과 진행

2. 숲 체험 운영(숲 체험 횟수, 경력)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에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일반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3, 4, 5세 유아 118명, 숲 체

험 유아교육기관 2곳의 만 3, 4, 5세 유아 100명으로 총 2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

구대상으로 선정된 유아교육기관들은 운영형태나 주체와 상관없이 5학급 이상의 규모를 가

진 기관으로 모두 국가수준의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유아교육기관은 유치원 1곳

어린이집 2곳으로 선정하였다.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차이 비교를 위해 유아의 실외활동은 하

루에 1시간 이상 바깥놀이의 형태로 이루어지나 숲 체험 활동은 전혀 하지 않는 기관으로 선

정하였다.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은 유치원 1곳, 어린이집 1곳으로 바깥놀이 외에 주기적으로

주 1~2회 또는 주 3~4회 씩 하루에 2시간~4시간 정도 숲에서 유아의 놀이가 이루어지는

기관이다.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운영은 각 기관의 등원시간 및 숲으로 출발하는 시간

의 차이만 있을 뿐 숲에서 점심을 먹으며 충분히 숲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있으며, 주제별

활동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가 탐색하고 관찰하며 놀이를 할 수 있고 담임교

사와 숲 해설가가 동행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운영과 연구대

상으로 선정한 유아의 연령 및 성별은 다음 표 1, 2와 같다.

<표 1>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의 일과운영

Page 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연령 구분성별

계남 여

만 3세일반유아교육기관 24 13 37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23 13 36

만 4세일반유아교육기관 23 18 41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10 18 28

만 5세일반유아교육기관 20 20 40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12 24 36

계 112 106 218

<표 2> 유아의 연령 및 성별 (N=218)

2. 검사도구

유아의다중지능평가를위하여본연구에서는 Shearer(1996)에 의하여개발된MIDAS(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를 노운서(2007)가 유아교사가 평정하도록 사

용한 다중지능 검사도구를 활용하였다. 다중지능 검사도구는 음악적 지능 9문항, 신체-운동

적 지능 8문항, 논리-수학적 지능 8문항, 공간적 지능 7문항, 언어적 지능 10문항, 대인관계

지능 9문항, 개인이해 지능 9문항, 자연탐구 지능 10문항으로 총 8개 영역, 70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본 검사도구의 각 문항별 반응 양식은 Likert식 5점 척도(1점=전혀아니다, 2점=아

니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그렇다)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다중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중지능 검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표 3> 다중지능 검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 α

음악적 지능 9 1-9 .95

신체-운동적 지능 8 10-17 .88

논리-수학적 지능 8 18-25 .94

공간적 지능 7 26-32 .65

언어적 지능 10 33-42 .88

대인관계 지능 9 43-51 .92

개인이해 지능 9 52-60 .94

자연탐구 지능 10 61-70 .90

다중지능 전체 70 1-70 .98

Page 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61

하위요인일반(N=118) 숲 체험(N=100)

t평균(M) 표준편차(SD) 평균(M) 표준편차(SD)

음악적 지능 30.16 5.47 31.16 9.13 -.96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3년 2월 6일부터 2월 28일까지 일반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118명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100명 총 218명의 유아를 대상

으로 진행되었다. 유아의 다중지능 검사는 유아의 담임교사에 의해서 측정되었으며, 검사를

실시하기 전 방문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교사에게 검사도구에 대한 전반적인 지침 및 측정방

법,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주었다. 한 유아당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정도로 나타났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Window용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

다.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들의 다중지능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다음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

시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의 경우 사후 집단비교는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 실시여부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을 비교한 결과

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

숲 체험 활동 실시여부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들의 다중지능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들의 다중지능 비교 (N=218)

Page 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신체-운동적 지능 28.13 4.30 29.49 5.52 -2.01

논리-수학적 지능 24.05 6.07 24.55 7.51 -.53

공간적 지능 24.27 4.70 24.00 4.61 .43

언어적 지능 30.46 5.77 32.01 8.40 -1.56

대인관계 지능 28.52 6.82 31.45 6.40 -3.25

개인이해 지능 28.31 6.43 29.36 8.09 -1.53

자연탐구 지능 30.87 6.31 34.67 6.61 -4.33

다중지능 총점 224.76 37.33 236.69 45.42 -2.09

하위요인 횟수 N M SD F 사후검증

음악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30.19 5.49

4.89a<c

b<c주 1~2회(b) 75 29.85 6.88

주 3~4회(c) 26 34.77 13.12

신체-운동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8.09 4.30

8.08a<c

b<c주 1~2회(b) 75 28.59 5.27

주 3~4회(c) 26 32.23 5.35

p<.05, p<.01, p<.001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의

다중지능을 비교한 결과 다중지능 하위요인 중 신체-운동적 지능(t=-2.01, p<0.5), 대인관계

지능(t=-3.25, p<.01), 자연탐구 지능(t=-4.33, p<.001), 다중지능 총점(t=-2.09, p<.05)으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의 유

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에 비하여 신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탐구 지능 및

다중지능 총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숲 체험 운영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

1) 숲 체험 횟수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

숲 체험 횟수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유아교육

기관과 유아, 주 1~2회 숲 체험을 하는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 주 3~4회 숲 체험을 경

험하는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들의 다중지능에 대한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숲 체험 횟수에 따른 유아들의 다중지능 차이 (N=218)

Page 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63

논리-수학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4.09 6.08

9.18a<c

b<c주 1~2회(b) 75 22.88 7.29

주 3~4회(c) 26 29.19 6.01

공간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4.29 4.71

4.20 b<c주 1~2회(b) 75 23.21 4.67

주 3~4회(c) 26 26.19 3.62

언어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30.46 5.80

11.48a<c

b<c주 1~2회(b) 75 30.20 8.15

주 3~4회(c) 26 37.15 6.72

대인관계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8.48 6.84

9.67a<c

b<c주 1~2회(b) 75 30.39 6.14

주 3~4회(c) 26 34.58 6.11

개인이해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8.27 6.45

9.56a<c

b<c주 1~2회(b) 75 27.67 7.97

주 3~4회(c) 26 34.35 6.06

자연탐구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30.85 6.34

10.29a<b

a<c주 1~2회(b) 75 34.16 6.03

주 3~4회(c) 26 36.08 7.93

다중지능 총점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24.72 37.48

11.06a<c

b<c주 1~2회(b) 75 226.95 43.91

주 3~4회(c) 26 264.54 37.03

p<.05, p<.01, p<.001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숲 체험 횟수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총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1.06, p<.001), 주 3~4회(M=264.54, SD=37.03)의 숲 체험을 경험

하는 유아가 다중지능 총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 1~2회(M=226.95, SD=43.91), 일반유

아교육기관(M=224.72, SD=37.48)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다중지능을 살펴본 결과,

전 영역에서에서 숲 체험 횟수에 따라 다중지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숲

체험 횟수에 따른 다중지능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주 1~2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집단 간,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

하는 집단 간, 주 1~2회와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집단 간 다중지능에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age 1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하위요인 횟수 N M SD F 사후검증

음악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30.19 7.38

4.59

a<d

b<c

1년 미만(b) 32 38.41 5.33

1년 이상 2년 미만(c) 43 30.70 8.00

2년 이상 3년 미만(d) 26 35.15 12.70

신체-운동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8.09 4.29

7.05

a<c

a<d

b<c

b<d

1년 미만(b) 32 26.78 5.52

1년 이상 2년 미만(c) 43 30.51 5.01

2년 이상 3년 미만(d) 26 31.27 5.14

논리-수학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4.09 6.08

8.35

a<d

b<d

c<d

1년 미만(b) 32 21.00 8.26

1년 이상 2년 미만(c) 43 24.14 6.27

2년 이상 3년 미만(d) 26 29.42 5.67

공간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4.29 4.71

5.23 b<d1년 미만(b) 32 21.78 5.54

1년 이상 2년 미만(c) 43 24.12 3.66

2년 이상 3년 미만(d) 26 26.46 3.35

언어적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30.46 5.79

11.34

a<d

b<c

b<d

1년 미만(b) 32 27.28 8.55

1년 이상 2년 미만(c) 43 32.44 7.40

2년 이상 3년 미만(d) 26 37.04 6.42

대인관계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8.48 6.84

10.24

a<c

a<d

b<d

1년 미만(b) 32 27.88 7.33

1년 이상 2년 미만(c) 43 31.93 4.47

2년 이상 3년 미만(d) 26 35.12 5.60

개인이해 지능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8.27 6.45

10.62a<d

b<c1년 미만(b) 32 24.59 8.52

2) 숲 체험 경력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

숲 체험 경력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유아교육

기관과 유아, 숲 체험 경력 1년 미만의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 숲 체험 경력 1년 이상 2

년 미만의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 유아, 숲 체험 경력 2년 이상 3년 미만 숲 체험 유아교육기

관 유아들의 다중지능에 대한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숲 체험 경력에 따른 유아들의 다중지능 차이 (N=218)

Page 1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65

1년 이상 2년 미만(c) 43 29.91 7.05b<d

2년 이상 3년 미만(d) 26 34.42 5.44

자연탐구 지능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30.85 6.34

9.42

a<c

a<d

b<c

1년 미만(b) 32 31.91 6.38

1년 이상 2년 미만(c) 43 26.12 5.62

2년 이상 3년 미만(d) 26 35.62 7.44

다중지능 총점

일반유아교육기관(a) 117 224.72 37.48

11.40

a<d

b<c

b<d

1년 미만(b) 32 209.63 46.18

1년 이상 2년 미만(c) 43 239.86 39.37

2년 이상 3년 미만(d) 26 264.50 34.11

p<.05, p<.01, p<.001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숲 체험 경력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총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1.40, p<.001), 2년 이상 3년 미만(M=264.50, SD=34.11) 숲 체험 경

력이 있는 유아가 다중지능 총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년 이상 2년 미만(M=239.86,

SD=39.37), 일반유아교육기관(M=224.72, SD=37.48), 1년 미만(M=209.63, SD=46.18)의 순으

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다중지능을 살펴본 결과, 전 영역에서에서 숲 체험 경력에 따라 다

중지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숲 체험 횟수에 따른 다중지능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1년 이상 2년 미만 경력이 있는 집단 간,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2년 이상 3년 미만 경력이 있는 집단 간, 1년 미만과 1년 이상 2년

미만 경력이 있는 집단 간, 1년 미만과 1년 이상 2년 이상 3년 미만 경력이 있는 집단 간, 1년

이상 2년 미만과 2년 이상 3년 미만 경력이 있는 집단 간 다중지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Ⅳ. 논 의

본 연구는 숲 체험 활동 여부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숲 체험을 실시

하는 유아교육기관과 실시하지 않는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 218명을 대상

으로 숲 체험 운영의 차이에 따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으며, 연구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실시 여부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숲

Page 1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체험활동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전체적으로 다중지능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

며, 세부적으로는 신체-운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탐구 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

타났다. 이는 숲 체험 활동을 실시했을 경우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유아보다 다중지능을 높여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숲 체험 활동은 유아의 신체-운동을 높여주고, 대인관계를 향

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자연에 대한 관심을 보다 높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

과는 숲 교육이 유아와 자연과의 관계, 사회적 기술, 창의성을 발달 시켜준다는 연구결과와

일치 한다(Matthies, Sarah, 2011). 먼저, 신체발달과 관련된 영역인 신체-운동적 지능이 일반

유아교육기관 유아보다 높게 나타난 이유는 숲 속에서 유아들이 마음껏 뛰어놀고 목적지까

지 오르고 내려오는 과정 속에서 신체적 발달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같은 밖이라 하

더라도 놀이터에서의 한정된 공간이 아닌 숲이라는 열린 공간, 자유로운 공간 속에서 시냇물

을 건너고 나무에 올라가는 등의 자신의 신체를 보다 많이 움직이게 되어 신체-운동적 지능

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숲 체험이 유아의 신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숲 반과 일반학급 유아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

력을 비교분석(김은주, 안세정, 송주은, 2012)한 연구결과 및 숲을 통해 몸의 건강을 지킨다는

신원섭(2007)의 주장과 일치한다. 성인뿐만 아니라 유아의 35%가 정상 체중의 20%를 초과하

는 비만(신원섭, 2007)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숲은 고혈압, 암과 같

은 큰 질병부터 비만, 아토피와 같은 아이들이 겪는 질병을 치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숲 체험

활동의 필요성은 두 말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영역

인 대인관계 지능의 차이는 우에하라 이와오(2007)에 의하면 숲에서는 ‘숲’을 상대로 놀이하

며 친구들과 단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좋아지며, 숲 유치원이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맺는데 효과가 있다(김은주 외, 2012)는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또한

숲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놀잇감을 찾고 옮기며 자신들만의 놀이를 찾아나가거나 숲에 잘 오

르지 못하는 친구를 도와주는 등의 친사회적 행동뿐만 아니라 타인의 존중하고 협동하는 것

을 배우게 되어 대인관계 지능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는 유아들

의 우위에서 권력과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들과 같은 위치에서 함께 숲을 느

끼고 생활해 나가며, 오히려 숲에 대해서 유아가 스스로 학습하여 교사를 가르쳐주는 경험을

통해 대인관계 속에서 자신감을 기르는 경험이 되었을 것이다. 이는 숲 체험을 통해 타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뿐만 아니라 함께 상호공존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는 연구결과(고민경,

2011)와 일치하며, 자아중심적 모습에서 협동하는 관계를 형성하였다는 연구결과(임재택, 하

정연, 이소영, 신주연, 2012)를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자연을 이해하고 자연과 더불어

지내는 영역인 자연탐구 지능이 일반유아교육기관보다 높게 나온 결과는 숲 체험 프로그램

Page 1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67

에 참여한 유아가 환경에 대한 태도에 민감하고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최정애, 서현

아, 2010; 강선미, 이정화, 정연옥, 2011; 강영식, 김용숙, 2012; 강영식, 2013)를 지지한다. 뿐만

아니라 숲에서의 모험을 통해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야생 동물에 대한 지지 전략, 행동 등

이 변화했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상통 한다(Agatha, Julie & Noeleen, 2009). 이러한 결과는 숲

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장소이며, 계절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숲이 변화하는

과정을 보고 느끼고 만지는 경험을 통해서 유아는 보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 경이로움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숲과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유아는 자연이 인간의 도구와

수단이 아니라 자신이 보호하고 함께 살아가야 할 공동체적인 존재로 여기게 되며, 작은 생

명체도 소중히 여기는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와 자연이 함께할 수 있는 시간

을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숲은 낯설지만 흥미로운 새로운 환경과 살아 숨 쉬는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숲 속

의 모든 자연물과 생명체는 유아들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가 됨과 동시에 아이들이 탐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숲 체험 운영(숲 체험 경력, 횟수)에 따라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숲

체험 횟수와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경우 숲 체험을 경

험하지 않거나 주 1~2회 실시하는 것보다는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경우, 숲 체험을

경험하지 않거나 1년 미만, 1년 이상 2년 미만의 숲 체험 경력이 있는 유아보다는 2년 이상

3년 미만 숲 체험 경력이 있는 유아의 경우에 다중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횟수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중지능 총점 및 모든 다중지능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보다는 주 3~4

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경우, 주 1~2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유아보다는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경우 다중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먼저, 주 1~2회 보다는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

하는 유아의 자연탐구 지능을 제외한 7개 하위요인의 다중지능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숲 체험을 경험하는 경우 더 자주 숲에 나갈수록 유아의 다중지능이 높아진

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중지능의 8개의 하위요인 중 자연탐구 지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숲 체험 시 가장 직접적으로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변인이 바로 자연에 대한 관심과 태도로 추측해볼 수 있는데, 숲 체험 활동이 관련 변인에

미치는 선행연구(최정애, 서현아, 2010; 강선미, 이정화, 정연옥, 2011; 강영식, 김용숙, 2012;

강영식, 2013)를 살펴보면 대부분 자연 또는 환경적 태도와 관련된 변인으로 이루어져 있음

을 알 수 있다. 즉, 자연탐구 지능에서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가 숲 체험을 경험한 유아와 모

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주 1회 숲에 나가더라도 숲이란 자연과의 교감뿐만 아니라

Page 1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친화력, 자연에 대한 고마움, 생명존중에 대한 태도와 인식과 관련된 자연탐구 지능을 증진시

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좋은 환경이므로, 최소한의 숲 체험 활동이라도 반드시 필요함

을 시사한다. 또한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숲 체험을 실시한 집단의 차이에서는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유아와 공간적 지능을 제외한 7개의 하위요인의 다중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연탐구 지능은 주 1~2회 숲 체험을 실시하는 집단과도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주일에 경험하는 숲 체험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다중지

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탐구 지능을 제외하고 주 1~2회 숲

체험을 실시하는 집단과는 다중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최소 주 1

회 숲 체험을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숲 체험 경험이 1년에 48번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

로, 다차원적 인지적 특성인 다중지능이 발달하기에는 적은 경험의 횟수일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숲 운영 횟수가 주 3회 이상이 적합하다는 송주은(2011)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각 지능이 독립적이나 상호작용하는 다중지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주 3회

이상 숲으로 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주

3~4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집단에서 유일하게 공간적 지능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드너가 제시하는 공간적 지능이란 3차원의 세계를 잘 변형시키는

능력이며, 이 지능은 그림그리기나 만들기 등과 같이 미술 활동과 관련이 깊다. 즉, 숲 체험을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은 일반유아교육기관에서 자유선택활동시간이나 조형 활동 시간에 그

림그리기, 만들기, 도표 등 공간적 지능과 관련된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술과 관련된 특별활동 또한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송강숙, 2013), 주 3~4

회 숲 체험을 경험하는 집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유추해 볼 수 있으며,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서 공간적 지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노운서

(2007)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숲 체험 경력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중지능 총점 및 모든 다중지능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숲 체험 경력이 있는 유아의 경우 경력

이 많아질수록 다중지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의 다중지능

차이를 살펴보면, 숲 체험 경력이 1년 미만인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숲

체험 경력이 1년 이상인 집단부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숲

체험 경력이 1년 미만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은 이유로는 유아들이 숲을 놀이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 속에서 여러 가지 자연물을 능동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익숙해지며 숲

에서의 경험이 자신의 생활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하는데 어느 정도의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횟수와 경력의 교차분석 결과 숲 체험 경력이 1년 미만인 집단은 주 1~2회 숲

에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지능 영역이 향상되

Page 1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69

기 위해서는 주 3회 이상 운영이 적합하다는 시사점을 살펴볼 때, 1년 미만이라는 짧은 기간

이라도 1주일 동안 숲에 나가는 횟수를 늘린다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지능의 영역에서

효과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숲 체험 경력이 1년 이상 가지고 있는 유아의 경우 다중지능 전

체 총점 및 7개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간적 지능에서는 유의미한 차

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공간적 지능은 다중지능의 7개 하위요인과는 달리 유아가 어느 정도

성장한 다음에 발현되며 지속적인 자극과 꾸준한 연습으로 발달되기 때문에(최윤의, 2011),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와 1년

이상 2년 미만, 2년 이상 3년 미만 경력이 있는 집단과 차이가 나타난 다중지능의 하위요인

은 신체-운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탐구 지능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앞서 살펴본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숲 체험 유아교육기관의 다중지능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하

위요인과 같은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운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탐구 지능이

숲 체험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다중지능의 하위요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숲 체험을 실시할 때에 적어도 1년 이상의 기간을 지속적이고 꾸준

하게 숲 체험을 경험시켜줄 수 있도록 계획할 필요성이 있음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또한 숲

체험 경력이 있는 유아의 다중지능 차이를 살펴보면, 논리-수학적 지능에서만 1년 이상 2년

미만과 2년 이상 3년 미만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수학이 확실하고 실제적인 경험

을 통해서 형성되며, 논리-수학적 지능은 자유로운 주위환경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박신자, 2012). 따라서 숲에서 자연물을 통한 측정, 연산, 분류, 패턴 등의 사용은 매

우 실제적인 수학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이남희, 2011), 이러한 결과는 숲에서 지낸 경

력이 많으면 많을수록 논리-수학적 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듯 유아의 다중지능은 단일적인 숲 체험 실시여부에 따라서도 설명될 수 있으나 숲

체험의 실시여부 뿐만 아니라 횟수, 경력 등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변인분석을 통해 유아의 다중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숲 체험 운영 변인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유아의 숲 체험 경험이 다중지능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숲 체험 활동이

1년 이상 꾸준히 지속될 경우 신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탐구 지능에서부터 영향력이

드러남을 고려해 볼 때, 일반유아교육기관에서도 숲 체험을 나갈 수 있도록 진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다중지능 연구에 후속적인 연

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종단적 연구방법이 아닌 횡적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는데, 이는 숲 체험 운영(숲 체험 횟수, 경력)에 따라

Page 1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다양한 시각으로 숲 체험의 효과를 보기 위함이었으나 이로 인해 유아들의 다중지능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가정・유아교육기관 환경)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유아의 다중지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인들을 최대한 통제한 종단적 연

구를 실시하여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더욱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양

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검사도구 자료수집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므로 숲 체험이 유아의 다

중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부족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는 연구자가 유아를 직접적으로 참여관찰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

여 유아의 다중지능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Page 1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71

참 고 문 헌

강선미, 이정화, 정연옥(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

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05-124.

강영식(2009). 숲체험 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와 생명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

구, 14(4), 137-158.

강영식, 김용숙(2012). 생명존중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

아교육연구, 17(2), 1-18.

고민경(2011). 유아의 숲 체험에서 나타난 ‘관계’의 현상학적 접근.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5(1), 225-25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보

건복지부.

김덕건, 김효진(2006).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5(1),

57-82.

김명화, 류혜숙(2010). 동화에 기초한 영화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 유아

교육학연구, 14(5), 135-156.

김명희, 김영천(1998). 다중지능이론 : 그 기본 전제와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16(1), 299-330.

김미정, 서영숙(2008). 가베 활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아동연구, 21(1),

21-42.

김은주, 변지혜(2012). 유아교육기관의 숲반과 일반반 유아의 체형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77-299.

김은주, 안세정, 송주은(2012). 저소득층 유아들의 숲유치원 경험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2(4), 311-339.

김은주, 임재택, 변지혜(2012). 숲반과 일반학습 유아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 비교 분석, 한국

영유아교원교육연구, 16(2), 167-186.

노운서(2007).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다중지능 차이에 관한 연구: 주제중심, 몬테소

리, 생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마지순(2008).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체

육학회지, 9(1), 85-101.

문병환(2008). 아버지의 양육참여 정도에 따른 유아의 놀이유형과 다중지능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신자(2012). 숲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숲활동.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

Page 1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사학위논문.

박이문(2010). 예술과 생태. 서울 : 미다스북스.

박지원(2004).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유치원 통합교육의 효과. 총신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백혜정, 김현신, 우남희(2005). 조가시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

영유아보육연구, 43, 22-43.

송강숙(2013).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 실태 및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송경희(2002). 유아의 多衆知能과 어머니의 子女敎育觀과의 關係 硏究.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송주은(2011). 숲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원섭(2007). 숲으로 떠나는 건강 여행. 서울 : 지성사.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2012).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체력 및 행복

감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6(6), 5-26.

아이가와 아키고(2011). 아이들과 자연에서 생활한 30년!. 숲에서 찾은 미래, 숲유치원, 제3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자료집, pp.63-90. 10월 19일. 서울 : 국회의원회관 1층.

안명숙(2013). 숲에서의 놀이경험을 통한 유아미술교육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및 창의석에 미

치는 영향. 홀리스틱교육연구, 17(1), 105-131.

우에하라 이와오(2007). 내몸을 치유하는 숲. 서울 : 넥서스BOOKS.

이남희(2011). 숲유치원에서의 수・과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환, 김은숙(2011).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49-170.

임재택(2008). 생태유아교육개론[제3판]. 서울 : 양서원.

(2010). 이제는 숲이다 : 숲과 아이들의 만남. 제2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자료집,

pp.4-16. 6월 4일. 서울 : 국회 의원회관 1층

(2012). 한국형 숲유치원의 성격과 활성화 방안. 유아교육기관의 숲 체험교육 제대로 알

기, 2012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77-87. 5월 26일. 서울 : 서

울교육대학교 종합문화관 1층.

임재택, 이소영, 김은주(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임재택, 하정연, 이소영, 신주연(2012). 숲활동에서 형성되는 유아들의 관계 탐색: 매일 숲으로

Page 1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173

나가는 ‘어울림숲반’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119-145.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2003).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연구, 10(3),

247-269.

전민정, 김삼섭(2012). 일반유아와 발달장애유아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통합교육연구, 7(2),

81-100.

전일우(2011). 전통요리 통합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225-241.

정종진(2004). 초등학생용 표준화 다중지능검사 개발연구. 아동교육, 13(2), 221-238.

조영민, 신원섭, 연평식, 이효은(2011). 숲 체험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

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 69-75.

최윤의(2011). 공간적 지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37, 53-61.

최정애, 서현아(2010).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

향. 생태유아교육연구, 9(1), 71-94.

하순련, 서현아(2013).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한국

보육지원학회지, 9(2), 331-355.

Agatha, G., Julie, D., & Noeleen, R.(2009). Young Children Learning for the Environment:

Researching a Forest Adventure. Austral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5,

83-94.

Gardner. H.(1983).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 Basic Book.

Gardner. H.(2001). 다중 지능 :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ery : 문용린 역. 서울 : 김영사.

Matthies, P. L., & Sarah, K.(2011). Swi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Forest Edu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2(3), 152-167.

Page 2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345_S K q2*# eAB-./0xya Pvw JgÒ?-G3e1 }+Ò }¡"-fg 3{12eqr3 eABW e12-fg 3{qr3 ¡" 3 P eABvweAB°± 1¶ -.a]ÍZ.1 3 \7

1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based on forest activities provided by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Hyun Mi Kang, Joo Eun S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engaging forest activities(i.e., how many

times and how long a child experiences these activities) affects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 4-, and 5-year-old children who either

attended regular child education institutes(n=118) or attended child education institutes with

forest activities included in the curriculum(n=100). The survey consisted of 70 questions on

eight topics, including a multiple intelligences meas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o what domains of multiple intelligences were affected by forest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total score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measure, as well as on the scores for physical-kinematic intelligence, personal

relations intelligence, and nature research intelligence. In addition, the total scores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measure and all subscal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forest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