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126
기본연구 2009-23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Upload: others

Post on 23-Dec-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기본연구 2009-23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 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Page 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연구책임:김윤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Page 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서 문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는 고도의 첨단기술이 응용되는 분야일

뿐만 아니라 문화산업의 결과물로써, 가족단위 건전관광의 장을

제공하는 등 주목할 만한 다원적 정책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현황분석을 통해 볼 때 중요한 정책 기능을 가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안전사고 문제, 안전성 검

사의 신뢰성 문제 등은 유원시설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사회 전반에서 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가족관광객의 중요한 여가활동시설로서의 유기시설의 안

전은 반드시 지켜져야 할 부문입니다.

본 연구는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 제도를 개선하

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 및 신뢰성

을 확보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유원시설업을 영위하면서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시

설 안전 문제에 경종을 울렸다는 점에 의의를 가지고 연구에서 제

시된 각종 제도 개선 사항이 단계적으로 추진되어 이용객의 보다

안전한 이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새로운 정부의 정책환경 변화를 담은 유원시설업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연구 수행을 위해 소중한 말씀을

주신 관련 업계 및 전문가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09년 10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 정 갑 영

Page 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연구 요약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iii

1. 서론

❒ 연구배경 및 목적

○ 안전불감증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

지고 산업분야의 안전관리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용객이 급

증하는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되는 추세

○ 안전성 검사에 대한 정책적 영역이 불명확하여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검사 체계)과 신뢰성(검사 주체)에 대한 문제제기 증가

- 유기시설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산업

진흥 및 진입 정책 영역에 비해 정책관심도가 낮은 실정

- 유기시설(기구)의 안전사고는 2003년 이후 연평균 3건 정도

가 언론매체에서 문제제기를 할 정도로 지속적으로 발생하

고 있으나 안전사고 보고체계 및 대응체계 전무

○ 본 연구에서는 유기시설 및 기구의 안전성 검사 제도를 개선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범위 및 방법

○ 본 연구는 유기시설의 안전성 검사 제도와 안전사고 실태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국내외 사례를 벤치

마킹하여 안전성 검사의 정책 방향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

- 관광진흥법 제33조 (안전성검사 등) 1항 및 제80조 (권한의

위임․위탁 등) 3항

- 관광진흥법시행령 제65조 (권한의 위탁) 제1항 제3호

- 관광진흥법시행규칙 제40조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안

전성검사 등)

Page 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iv

2. 유기시설 안전성검사 현황 분석

❒ 유사 개념 검토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는 사전적 의미(오락으로 행하는 운동이

나 경기)로 볼 때에서 유원시설업의 주요시설로서의 본질적

의미 전달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

○ 각각의 개별법에서 유원시설, 유기시설, 유희시설, 놀이시설

등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됨으로써 정책 영역이 불명확하고,

유사시설과의 중복 등으로 인한 정책 추진 혼란 우려

❒ 안전성검사 제도

○ 허가전 검사 : 종합·일반유원시설업 운영자가 영업 허가전

신규로 도입하거나 이전하는 유기기구에 대한 안전상태를 확

인 받는 검사

○ 정기검사 : 종합·일반유원시설업 운영자가 매년 1회 이상 정

기적으로 유기시설 및 기구에 대한 안전상태를 확인받는 검사

○ 재검사 : 정기검사를 받은 유기기구 중 부적합 판정을 받은 유

기기구, 사고가 발생한 유기기구 또는 3개월 이상 운행을 정

지한 유기기구에 대하여 안전상태를 재확인 받는 검사

- 재검사는 정기 안전성검사와 동일한 절차, 검사항목으로 실시

○ 안전성 검사주체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위임을 받은 기관에서

실시하도록 규정하여 2009년도에는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와

대한산업안전협회가 지정됨

○ 안전성 검사를 통한 안전사고 사전예방 기능이 미약하고, 검

사대상이 제한적이며, 검사방법상의 과학적 절차가 미흡하며

검사주체의 공신력에 한계가 있음

○ 안전성 검사 및 안전사고와 관련한 보고체계 개선 필요

Page 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v

❒ 안전관리 제도

○ 안전 실태점검은 년 2회, 한국종합유원시설업협회 기술전문

가, 기초 자치단체의 문화관광 부서와 재난관리 부서 직원이

합동으로 실시

○ 안전관리자 교육은 관광진흥법에 의거하여 사업장에 배치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1회 이상 교육을 받아야 하나 재교육

에 대한 규정은 없어 지속적인 안전관리의 유지가 어려움

○ 사업주 교육, 종사원 교육(사업주가 자체적으로 실시), 담당공

무원 안전교육은 법적 의무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자발적인 참

여를 기대하고 있으나 참여율은 저조한 실정

❒ 유기시설(기구) 안전사고 현황

○ 유기시설(기구)의 안전사고는 일반 안전사고와 피해규모와 이

용객 수요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 유기시설 안전사고는 주행 및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사

고가 발생시 중상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음

- 이용객 수요 감소로 사고 보상과 별도로 막대한 영업손실이

발생함으로 업체자체적인 사고처리 경향이 강함

○ 2003년 이후 2008년까지 언론매체에 보도된 유기시설 관련 인

명피해가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18건으로 집게 됨(연평균 3건)

- 전체 업체 188개 중 1.6%가 안전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임

○ 한국소비자보호원(2002)의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에 따르면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피해를 입은 안전사고 건수가 53.6%를

차지하여 어린이의 유기시설 안전사고 대응체계 마련 필요

- 현행 법률상 어린이용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대부분이 안전

성검사 비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로 분류되어 있어 안전

성검사를 받지 않고 있는 실정

Page 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vi

3. 국내외 사례 분석

❒ 일본의 안전성 검사 제도

○ 유기기구의 사용허가를 받기 위한 운행 전 검사에는 설치 허

가를 주기 위한 건축 확인(설계 검사)과 사용 허가를 주기 위

한 착공 후의 중간 검사 및 완공 후의 완료검사가 있고 사용

허가 후 운행 중에는 정기검사를 받도록 제도화

구분 주요 내용

예방 기능 강화- 검사자 강습기관 지정

- 안전교육 기능의 제도화

검사대상과 방법의

적절성 확보

- 유기시설 대상 전체 검사

- 운행전 검사 3단계, 운행후 정기검사 및 검사보고서

제출 의무화

검사주체의 공신력

강화

- 건축확인검사, 중간검사, 완료검사의 경우 건축주사

(특정행정청), 지정확인검사기관(민간)이 담당

- 지정구조계산적합성판정기관을 지정

- 정기검사는 정기검사자격자 지정

사고보고체계(재발

방지) 구축- 안전사고 보고체계 규정(특정행정청)

특이사항- 유희시설을 승강기와 동일시하여 건축기본법 상에서

공작물로 지정하여 안전성을 확보

❒ 미국의 안전성 검사 제도

○ 미국의 유희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는 국제유기시설협회에서

미국재료시험학회(ASTM)의 F-24위원회에서 개발한 검사 기

준을 토대로 안전성검사 실시

○ ASTM의 F-24위원회는 유기기구 및 시설의 설계, 제조, 운행,

유지관리 및 검사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있으

며, 현재 미국의 42개 주에서 이 정비 기준에 따르고 있음

Page 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vii

구분 주요 내용

검사대상과 방법의

적절성 확보

- 유기시설 대상 전체 검사

- 주별로 각기 다르나 운행전 검사와 운행후 정기검사

실시후 보고 체계 의무화

검사주체의 공신력

강화

- ASTM의 F-24위원회에서 검사 기준 작성

- 각 주별로 공인 자격을 가진 전문 심사위원들이

ASTM의 기준에 따라 안전성 심사를 수행

❒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

○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을 통해 어린이놀이시설의 제작, 설

치 및 유지·운용에 관한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설치기준 및

정기검사 등 기본적이고 종합적인 안전관리 사항 등을 규정

구분 주요 내용

예방 기능 강화- 어린이 놀이기구 부품 및 모델 안전인증제

- 제조 및 보수업체의 제조설비에 대한 정기검사(연1회)

검사대상과 방법의

적절성 확보

- 대상 시설 전체 검사

- 설치 시의 설치검사→ 2년에 1회 이상 정기시설검사

- 월 1회 이상의 자체 점검후 기록 보관

- 자체점검 실적이 우수한 경우, 정기검사의 전부 또는

일부 면제

검사주체의 공신력

강화

-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안전검사기관/안전관리지

원기관으로 지정

- 안전관리지원기관으로 한국기기유화시험연구원 지정

❒ 승강기 시설 안전성검사 제도

○ 승강기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승강기 안전부품에 대

한 안전인증제도 및 승강기 안전성검사에 대하여 기준과 절차

등을 규정

Page 1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viii

구분 주요 내용

예방 기능 강화

- 승강기 제조 부품에 대한 강제 인증제 도입

- 승강기에 대한 인증제 도입(비강제, 인센티브)

- 특별관리 대상에 대한 정밀안전검사제도 도입

검사대상과

방법의 적절성

확보

- 대상시설 전체 검사

- 완성검사(승강기 설치를 끝낸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

정기검사, 수시검사(승강기 관리주체가 요청하는 경우)

- 안전인증을 받은 승강기는 완성검사 및 수시검사 일부를

면제

- 관리주체는 월 1회 이상 자체점검 실시 후 기록 작성 및

보존

검사주체의

공신력 강화- 행안부 장관의 지정으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담당

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설립 및 사고조사반 운영

- 사고조사판정위원회 운영(중대한 사고 보고)

4.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정책 방향

❙ 사전 예방 기능 강화

○ 위급 상황의 신속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사고 발생 후

의 관리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보다, 효과성 및 비용 측

면에서 사전예방의 원칙에 입각하여 안전성 검사를 보완

○ 유기시설에 대한 직접적 안전성 검사뿐만 아니라 부품, 제조

및 보수 업체, 특별관리 대상 유기기구 및 시설, 관리자 및 종

사원의 안전 교육 등 다각적 측면을 안전성검사 체계에 포함

❙ 안전성검사의 실효성 확보

○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은 안전성 검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Page 1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ix

개선이 필요하고, 검사대상과 검사방법 및 절차의 명확화를

통해서 확보 가능

❙ 사후 안전 관리의 지속적 유지

○ 안전성 검사에 대한 사후 안전관리를 위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보고체계를 강화하여 안전사고의 유형별 대응체계를 구축하

고 재발방지를 위한 별도의 체계 구축

❙ 검사 주체의 공신력 강화

○ 안전성 검사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문성과

공공성을 갖춘 검사 주체 선정이 중요

❒ 안전성검사 비교 검토

❙ 검사 대상

○ 비교 대상의 안전성검사 대상은 비교적 명확하게 법률로 규정

하고 있으나 유기시설은 검사 대상과 비검사 대상의 구분 모호

○ 외국사례와 비교할 때 복잡한 분류체계로 인하여 유사시설과

중복되는 혼란 및 어린이용 유기시설의 비검사 대상 분류

○ 부품 및 제조업자에 대한 안전 인증 절차가 미흡

❙ 검사 기준

○ 안전성 검사 기준은 비교 검토 대상 모두 법률로서 규정하고

있으나 기준의 적정성에 대한 검증 및 보완 시스템은 미국의

유희시설에서만 볼 수 있음

○ 대부분의 사례에서 검사 기준은 정부부처에서 마련하고 있으

나 미국의 경우는 비영리 민간기관(ASTM)에서 작성하였고,

기준의 내용도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분야까지 포함

○ 유기시설의 검사 기준에서는 사고 발생 유무 및 조치 기록, 안

전교육 및 안전관리 계획 등에 대한 세부 항목을 포함하여 안

전사고 예방에 기여 할 수 있음

Page 1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

❙ 검사 방법

○ 대부분 운행전 검사와 운행후 검사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검사

후에는 검사 결과를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불합격 기구에

대한 별도의 처벌규정은 없음

○ 승강기시설의 경우 특별관리가 필요한 기구에 대해서는 정밀

안전검사 실시

❙ 검사 주체

○ 검사주체는 대부분 전문적인 공공기관에서 담당하나 일본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민간기관에서 담당하고 보고체계를 강화

○ 유기시설과 관련하여 검사주체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검사

기관의 등록요건을 강화하고 안전성검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

한 기반마련 필요

❒ 안전성검사 개선 방안

○ 검사 대상과 관련해서는 안전사고 현황과 사례조사 결과를 토

대로 안전성 검사 대상과 비검사 대상 구분을 명확화

- 주행형 및 고정형 유기시설 전체 안전성 검사 실시, 안전성

검사 비대상 관람형 유기시설의 기준 명확화, 안전성검사 비

대상 놀이형 유기기구 범위 조정, 신종유기시설의 모니터링

강화 및 안전성검사 절차 도입 등의 개선방안 도출

○ 검사 기준과 관련해서는 기존 항목과 기준이 다양한 안전 기

준을 기초로 제시되는 만큼 안전사고의 예방차원에서 추가적

으로 보완할 사항을 제안

- 허가전 검사의 서류항목 기준을 보완하고, 시험운행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개선방안 도출

○ 검사 방법과 관련해서는 사례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체계

적인 검사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완

Page 1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i

- 유기시설(기구)의 부품 인증제 도입, 정밀안전성 검사 제도

도입, 안전성검사 결과 평가체계 도입 등의 개선방안 도출

○ 검사 주체와 관련해서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안전성검사 기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안전성검사 기관 등록기준 개선, 안전성 검사주체의 다각화,

장기적으로 유기시설 안전관리 주관기관 설립 등의 개선방

안 도출

○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와 관련해서는 재발방지를 위한 안전사

고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유원시설 안전관리를 위

한 정책적인 접근 방법 제시

- 장기적 관점에서 (가칭)유원시설안전관리법 제정, 안전사고

보고 의무화, 안전사고 조사기능 도입, 안전성검사 면제 제

도 도입 등의 개선방안 도출

구분 개선 내용

검사 대상

- 주행형 및 고정형 유기시설 전체에 대한 안전성 검사 실시

- 안전성검사 비대상 관람형 유기시설의 기준 명확화

- 안전성검사 비대상 놀이형 유기기구 범위 조정

- 신종유기시설의 모니터링 강화 및 안전성검사 절차 도입

검사 기준- 허가전 검사의 서류항목 기준 보완(예방 기능 강화)

- 시험운행 기준 강화

검사 방법

- 유기시설(기구)의 부품 인증제 도입

- 정밀안전성 검사 제도 도입

- 안전성검사 결과 평가체계 도입

검사 주체

- 안전성검사 기관 등록기준 개선

- 안전성 검사주체의 다각화

- 유기시설 안전관리 주관기관 설립(장기)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

- 유원시설안전관리법 제정(장기)

- 안전사고 보고 의무화

- 안전사고 조사기능 도입

- 안전성검사 면제 제도 도입

Page 1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iii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3

1. 연구 배경················································································3

2. 연구 목적················································································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5

1. 연구 범위················································································5

2. 연구 방법················································································7

제3절 선행 연구 검토····································································8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11

제1절 개념 정립············································································13

1. 유원시설 및 유기기구의 정의 ············································13

2.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설치·················································16

제2절 안전성 검사 제도·······························································18

1. 개요·······················································································18

2. 검사 방법··············································································19

3. 검사 항목··············································································24

4. 검사 주체··············································································26

제3절 안전관리 제도····································································27

1. 실태 점검··············································································27

2. 안전 교육··············································································27

제4절 유기시설(기구) 안전사고 현황··········································30

1. 언론매체 내용 분석······························································30

2. 소비자 보호원 안전사고 현황··············································32

3. 안전사고 문제점 분석··························································34

Page 1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iv

제3장 사례 분석 ··············································································37

제1절 해외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39

1. 일본의 안전성 검사 제도 ···················································39

2. 미국의 안전성 검사 제도·····················································44

제2절 국내 유사 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48

1. 어린이 놀이시설···································································48

2. 승강기 안전관리 제도··························································51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57

제1절 기본 방향 ··········································································59

1. 제도개선 방향·······································································59

2. 안전성 검사 주체별 역할·····················································61

제2절 안전성검사 비교 검토························································63

1. 검사 대상··············································································63

2. 검사기준················································································64

3. 검사 방법··············································································65

4. 검사 주체··············································································66

제3절 제도 개선 방안···································································67

1. 검사 대상··············································································68

2. 검사 기준··············································································74

3. 검사 방법··············································································75

4. 검사 주체··············································································78

5.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81

제5장 결론 및 제언 ········································································85

제1절 결론 ···················································································87

제2절 정책 제언···········································································89

Page 1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v

참고문헌 ···························································································91

ABSTRACT ·······················································································95

부록 ···································································································97

1. 유기시설․유기기구 안전성검사의 기준 및 절차···················97

2. 유기시설․유기기구 허가전 안전성검사 기준······················104

Page 1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vi

표 차 례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9

<표 2-1> 유원지의 유희시설 구분··················································14

<표 2-2> 유원시설 및 유사 개념 정리···········································16

<표 2-3>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설치관련 법․제도 현황 ··············17

<표 2-4> 허가전검사에 필요한 서류양식·······································20

<표 2-5> 정기검사에 필요한 서류양식···········································22

<표 2-6> 허가 전 안전성 검사의 검사항목(완성검사) ···················24

<표 2-7> 정기 안전성 검사 및 재검사의 검사 항목·····················25

<표 2-8> 안전관리 실태점검···························································27

<표 2-9>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사고 발생 현황····················31

<표 2-10> 연령별 안전사고 현황 ··················································32

<표 2-11> 공원 및 놀이시설에서의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 추이··33

<표 2-12> 안전사고 원인별 현황 ··················································33

<표 3-1> 일본 유희시설 안전성검사 제도 관련 법률····················42

<표 3-2> 미국 F-24의 주요 내용···················································46

<표 3-3>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체계·······································51

<표 3-4> 승강기 안전부품 관리체계··············································53

<표 3-5> 승강기 안전관리체계·······················································55

<표 4-1> 안전관리 관련주체별 역할··············································62

<표 4-2> 안전성 검사 대상 비교 검토···········································63

<표 4-3> 안전성 검사 기준 비교 검토···········································64

<표 4-4> 안전성 검사 방법 비교 검토···········································65

<표 4-5> 안전성 검사 주체 비교 검토···········································66

<표 4-6> 안전성검사 제도 개선 방안·············································67

<표 4-7> 안전성 검사 유기시설․유기기구의 분류체계···················68

<표 4-8> 안전성 검사 비대상 유기시설․유기기구의 분류체계·······69

<표 4-9> 관람형 유기시설 분류체계·············································70

<표 4-10> 유기시설(기구) 관련 부품의 법률적 관장 대상············76

<표 4-11> 안전성검사 기관 등록 요건 개선 방안·························79

Page 1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xvii

그림 차례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도······························································7

[그림 2-1]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성검사 절차·······················23

Page 1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i

제 1 장 서 론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2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 안전불감증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

지고 산업분야의 안전관리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용객이 급

증하는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되는 추세

- 2009년 11월 부산에서 일어난 실탄사격장 방화사고 등 관광

분야의 안전사고는 피해자 보상 문제와 더불어 관광객 감소

로 인한 산업 진흥의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 과학과 공학이 발전하면서 신종 유기기설이 등장하는 등 유기

시설 관련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안전 대책은 이

러한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 1999년 관광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유기시설과

유기기구를 운영하는 유원시설업이 관광진흥을 유도할 목적

으로 관광사업으로 편입됨

- 유원시설업은 공중위생법에서 이관되면서 관광여건을 조성

하고 관광자원을 개발하며 관광사업을 육성함으로써 관광진

흥을 유도할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전환됨

◦ 법률적 특성상 규제 제도인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성검

사 제도를 관광진흥법하에서 강력하게 추진하는데 한계

- 관광산업진흥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적 특성상 안전성 검사

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안전성과 관련한 정책영역보다 산

업 촉진을 위한 인허가 등의 영역이 강조되는 실정임

◦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관광진흥법 체계 안에서 안전성 검사는

정책 목표과 역할이 불분명하여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검사

체계)과 신뢰성(검사 주체)에 대한 문제제기가 증가함

Page 2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관광진흥법에서 검사대상, 검사기준 및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안전성검사 시스템에 대한 관리감독 및 모니터링 체

계 등은 미흡한 실정임

- 특히, 안전성검사 제도는 유원시설업의 허가조건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게임기구의 유기기구

승인 요청 등 제도적 허점이 드러나고 있음

- 유기시설과 유사한 어린이 놀이시설과 승강기 등은 시설의

안전관리를 위한 별도의 안전관리법을 제정하여 시설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

◦ 유기시설(기구)의 안전성검사는 시설 이용객의 인명과 직결되

는 중요한 사안으로서 일본과 미국의 유희시설 안전성검사 제

도 등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음

- 언론매체에 의해 문제점이 대두된 사례만으로도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사고가 총 18건 발생

하여 연평균 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9명이 사망하

고 64명 부상

- 한국소비자보호원(2002)의 유원시설 안전실태조사에 따르면,

13세이하의 어린이가 피해를 입은 경우가 전체의 53.6%를

차지하고 있고, 직접적인 기구결함에 의한 사고도 17.9%에

달함

- 현행 관광진흥법에서는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보고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고, 사고발생에 따른 후속적인 조치도 제도화

되어 있지 않는 등 제도적 문제점이 사회적 문제화

◦ 본 연구에서는 유기시설 및 기구의 안전성 검사 제도를 개선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Page 2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1장 서 론 5

2.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유기기구․유기기설의 안전성 검사 체계를 분석하고

선진 사례 조사를 통하여 검사 대상, 기준, 방법 주체 등 안전

성 검사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음

○ 이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지속적인 기구의 안전관리를 유지하며 궁극

적으로는 유원시설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음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유기기구․유기시

설을 대상으로 하되, 사례조사는 해외를 포함하여 진행

○ 시간적 범위는 1999년 유기시설․유기기구가 관광사업으로 전

환된 이후부터 관련 현황과 원인 등을 조사 분석

○ 내용적 범위는 유기기구․유기시설의 안전성 검사 현황을 다각적

으로 검토하여 문제점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 조

사를 통하여 안전성 검사의 정책 방향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

- 본 연구의 실질적 범위는 관광진흥법 제33조제1항 및 관광진

흥법시행규칙 제40조제6항의 규정에 의한 유기시설․유기기

구의 안전성검사와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가 아님을 확인하는 검사제도의 개선방안 제시

- 이와 더불어 동법 제80조제3항제4호 및 관광진흥법시행령

제65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따른 안전성검사기관에 관한 규

정의 개선방안 제시임

Page 2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를 포함하는 관광진흥법 관련 규정

【관광진흥법】

제33조 (안전성검사 등) ①유원시설업자 및 유원시설업의 허가 또는 변경허

가를 받으려는 자(조건부 영업허가를 받은 자로서 그 조건을 이행한 후 영

업을 시작하려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성

검사 대상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에 대하여 문화체육관광부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성검사를 받아야 하고, 안

전성검사 대상이 아닌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에 대하여는 안전성검사 대

상에 해당되지 아니함을 확인하는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문화체육관

광부장관은 성수기 등을 고려하여 검사시기를 지정할 수 있다.

제80조 (권한의 위임⋅위탁 등) ③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다음 각 호의 권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한국관광공사, 협회, 지역별⋅업종별 관광협회 및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전문 연구⋅검사기관이나 자격검정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관광진흥법시행령】

제65조 (권한의 위탁)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나 시⋅도지사는 법 제80조

제3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권한을 한국관광공사, 협회, 지역별⋅업종별 관

광협회, 전문 연구⋅검사기관 또는 자격검정기관에 각각 위탁한다.

3. 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및 안전성

검사 대상에 해당되지 아니함을 확인하는 검사에 관한 권한 : 문화체육관광

부령으로 정하는 인력과 시설 등을 갖추고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등록한 업종별 관광협회 또는 전문 연

구⋅검사기관(이하 "안전성검사 등록기관"이라 한다)에 각각 위탁한다. 이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안전성검사 등록기관의 명칭⋅주소 및 대표자

등을 고시하여야 한다.

【관광진흥법시행규칙】

제40조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등) ⑥ 제2항부터 제4항까

지의 규정에 따른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에 대한 안전성검사 및 안전성검

사 대상이 아님을 확인하는 검사의 세부기준 및 절차는 문화체육관광부장

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Page 2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1장 서 론 7

2. 연구 방법

○ 기초자료 조사는 공개된 자료가 많지 않음에 따라 관련 언론

동향에 대한 내용분석과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관련 관계자들

에 대한 심층 인터뷰 실시

○ 또한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와 관련 정부자료와 함

께 관련 논문이나 텍스트 등 문헌조사를 통한 내용 검토가 필

요하고, 정책방향 및 안전성 검사 개선을 위한 국내외 사례조

사(case study) 실시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도

Page 2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제3절 선행 연구 검토

○ 유원시설업과 관련한 정책적 측면에서의 선행연구로는 유원시

설업 육성방안(김상태, 2000)과 이동식 놀이기구 등 단기영업

제도 합리화 방안(문화체육관광부, 2008) 등 극히 제한적임

○ 유원시설업 육성방안에서는 유원시설업이 관광사업으로 전환

된 상황에서 법제도 정비를 통한 유원시설업의 체계적 정책지

원 방안을 도출함

- 기본방향을 직접적 지원보다는 산업 육성환경 조성에 주력

하고, 한국적 문화가 결합된 유원시설업 조성, 업체규모에

따른 차별적 지원방안 수립, 유기시설 제작업체를 육성대상

에 포함, 단계별 업종별 육성정책 수립 등으로 설정

- 정책과제로 법체계 정비, 금융 및 세제 개선, 정보․기술지도

의 강화, 인식제고 사업, 안전 전문인력 양성 개설, 안전검사

제도 정비, 소비자보호 대책 마련 등을 제안

○ 이동식 놀이기구 등 단기영업제도 합리화 방안에서는 이동식

놀이기구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임시영업 허가․관리 제도의 합

리적 개선방안을 도출함

- 이동식 놀이기구의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 확보와 사회전반

의 안전의식 고양, 관련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역할 분담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이동식 놀이기구의 안전성 제고 방안으로 허가전 안전성 검

사 강화, 안전성 관리체계 구축, 인허가 매뉴얼 제작, 일일

안전성 검사 강화, 안전관리자 고용 의무화, 실태점검 실시

효율화, 사고처리 시스템 구축, 안전 교육 강화 등을 제안

○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환경에 대응한 정

책영역을 조정하고 유원시설업 전반에서 법제 정비의 근거자

료로서 연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짐

Page 2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1장 서 론 9

구분 유원시설업 육성방안이동식 놀이기구 등 단기영업제도 합리화

방안본 연구

시기 2000년 2008년 2009년

연구 목적체계적 정책지원환경

조성

새로운 유형의

유기시설 제도 정착

새로운 환경에

대응한 안전성 검사

개선

정책 영역 유원시설업 전반 이동식 놀이기구 유원시설업 전반

연구 내용

산업 육성을 위한 각

부문별 정책 과제

도출

영업제도 합리화 및

안전성검사 제도화

안전성검사 관련

법제 정비의 근거

자료 생산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Page 2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1장 서 론 11

제 2 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2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13

제1절 개념 정립

1.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정의

가. 관광진흥법 상의 정의

○ 관광진흥법 3조 5항에서는 유원시설업(遊園施設業)을 유기시설

(遊技施設)이나 유기기구(遊技機具)를 갖추어 이를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다른 영업을 경영하면서 관광객의 유치 또는

광고 등을 목적으로 유기시설이나 유기기구를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게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2조 5항에 따르면 유원시설업(遊園施設業)

은 종합유원시설업, 일반유원시설업, 기타유원시설업으로 분류

- 종합유원시설업 : 유기시설이나 유기기구를 갖추어 관광객

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으로서 대규모의 대지 또는 실내에서

법 제33조에 따른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여섯 종류 이상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업

- 일반유원시설업 : 유기시설이나 유기기구를 갖추어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으로서 법 제33조에 따른 안전성검사 대상 유

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한 종류 이상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업

- 기타유원시설업 : 유기시설이나 유기기구를 갖추어 관광객에

게 이용하게 하는 업으로서 법 제33조에 따른 안전성검사 대

상이 아닌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업

○ 유원시설업자는 안전성검사 대상 혹은 안전성검사 비대상 유

기시설 및 유기기구를 반드시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규정함

- 유원의 사전적 의미는 산책하며 놀만하게 설비하여 놓은 공

원을 의미하며 이러한 공원에 설치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서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가 포함됨

Page 2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나. 기타법 상의 유사개념

1) 유원지

○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3장 제

4절에서는 유희시설과 유사한 유원지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음

- 동법 제56조에 따르면 유원지라 함은 주로 주민의 복지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오락과 휴양을 위한 시설을 말함

- 또한, 제58조 6항에서 유원지에 설치할 수 있는 시설로서 유희

시설을 포함하고 있고 유원지의 유희시설은 어린이용 유희시

설과 가족용 유희시설로 구분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유원지의 유희시설에 해당하는 시설로서 다음과 같은 시설을

법률로서 명시적으로 열거하고 있음

시설 구분 주요 시설

주행형 시설 밧데리카⋅스카이싸이클⋅미니스포츠카⋅밤바카 등

고정형 시설 다람쥐⋅바이킹⋅회전목마⋅회전비행기⋅번지점프 등

관람형 시설 거울집⋅영상모험관⋅환상의 집 등

놀이형 시설 실내사격⋅미로⋅파도풀 등

여가활동 및

운동형 시설

그네⋅미끄럼틀⋅시소 등의 시설, 미니썰매장,

미니스케이트장 등

기타 그 밖에 기계 등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유희시설

<표 2-1> 유원지의 유희시설 구분

2) 위락시설

○ 건축법시행령에서는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와 유사한 개념으로

위락시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

- 건축법 시행령의 위락시설로는 「관광진흥법」에 따른 유원시

설업의 시설, 그 밖에 제2종 근린생활시설과 운동시설을 제

외한 이와 비슷한 시설을 가리킴

Page 3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15

- 이외에 위락시설에 포함되는 기타시설로는 단란주점, 유흥주

점 등이 있음

3) 공원시설 중 유희시설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제2조 4항에서 도시

공원의 효용을 다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원시설에서 유희시

설을 설명하고 있음

- 공원시설 중 유희시설은 그네·미끄럼틀 등을 가리키며 이

외에 공원시설로 분류된 공원시설로는 도로 또는 광장, 분수․ 조각 등의 조경시설이 포함됨

4) 어린이 놀이시설

○ 어린이 놀이시설 관리법에서는 유기기구와 유사한 개념으로

어린이놀이기구에 대해 정의하고 있음

- 법 제2조 1항에서 어린이놀이기구라 함은 만 10세 이하의 어

린이가 놀이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그네, 미끄

럼틀, 공중놀이기구, 회전놀이기구 등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동시에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제2조제8호에 따른

안전인증대상공산품을 말하고 있음

5) 기타

○ 이외에도 특정법률로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서 테마파크가 있음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에 입각하여 유기시설의 유무에 관계

없이 전체의 환경 만들기와 쇼 또는 이벤트 등의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공간전체를 연출하여 제공하는 시설이나 공간을 의

미함

Page 3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구분 관련법규 정의

유원시설업 관광진흥법

유기시설을 갖추고 이를 관광객에게 영업하는 업

유원(사전적 의미): 산책하며 놀만하게 설비하여

놓은 공원

유기시설 관광진흥법유원시설 놀이기구를 지칭

유기(사전적 의미): 오락으로 행하는 운동이나 경기

유희시설

건축법시행령,

도시계획시설기

준에 관한 규칙

유원시설 놀이기구를 설치하여 영업을 하는 시설

유희(사전적 의미): 즐겁게 놀며 장난함 또는 그

런 행동

어린이

놀이시설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놀이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놀이기구가 설치된 놀이 공간

놀이(사전적 의미): 즐거움을 얻기 위하여 자발적

으로 행하는 모든 활동

유원지 도시계획법주로 시민의 복지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치하

는 오락과 휴양시설

테마파크 -

일정한 주제에 입각하여 유기시설의 유무에 관계

없이 전체의 환경 만들기와 쇼 또는 이벤트 등의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공간전체를 연출하여 제

공하는 시설

<표 2-2> 유원시설 및 유사 개념 정리

2.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설치

○ 유원시설은 설치를 비롯하여 안전관리 등의 사항은 관광진흥

법을 근거로 하고 있으나 유원시설의 설치에 관련된 법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

한 법, 수도권정비계획법, 도시 계획 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

치 기준에 관한 규칙, 건축법등 다양한 법․제도에 근거하여 그

운용과정이 복잡함

Page 3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17

관련법 주요내용

국토의 계획

이용에 관한

법률

제43조 2항

(도시계획시설의 설치․관리)

- 도시계획시설에 포함될 경우

제77조제1항

(건축가능지역)

- 상업(중심, 일반, 근린, 유통)지역

- 유원시설업은 건축법시행령 별표1(건축물의 종

류) 제12호(위락시설) 라목(관광진흥법에 의한

유원시설업의 시설, 기타 이와 유사한 것)에 규정

- 기반시설 안의 공원 시설에 포함될 경우

도시 계획 시

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 기

준에 의한 규

제57조

(유원지(오락․휴양시설)결

정기준)

- 일반상업지역, 준주거지역, 자연녹지지역, 계획

관리지역에 설치할 것

- 아름다운 자연환경, 교통시설 연결 등 이용이

편리할 것

- 규모는 1만㎡ 이상으로 성격과 기능에 따라 적

정하게 할 것제58조

(유원지 구조 및 설치기준)

- 유희시설, 운동시설, 휴양시설, 특수시설, 편익

시설, 관리시설, 편익․관리시설

도시공원

녹지 등에

관한법률

제2조

(공원시설 내용)

- 휴양시설, 유희시설, 운동시설, 식․동물원․수족

관, 박물관 등 교양시설제15조

(도시공원의 세분 및 규모)

- 생활권(어린이, 근린)공원, 주제(문화․체육․묘지

공원)

제16조

(공원조성계획의 입안․결정)

- 도시계획구역 안에서 도시계획시설의 설치와

관리를 도시계획으로 결정하고 도시계획시설

로서 유원지 및 공원시설의 계획과 작성, 인가,

공람, 고시, 인․허가에 관련된 사항을 규정시행규칙 제9조, 별표13

(공원시설의 설치․관리기

준)

- 공원 및 유원지의 정의, 결정기준, 유원지의 구

조, 설치기준 유희시설에 관련된 사항 규정

시행규칙 제10조

(공원시설의 안전기준)

- 공원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원시설의 안

전기준 제시

시행규칙 제11조

(공원시설의 설치면적 등)

- 이용료를 징수하는 유희시설(전력에 의해 작동

하는 것으로 한함)의 경우 10만㎡ 이상의 도시

공원에만 설치 가능

건축법

제72조

(특별건축구역 내 건축물

의 심의 등)

- 건축허가 대상, 절차, 건축물의 유지. 관리, 구

조 내력 등 허가 및 관리와 관련된 사항 규정

시행령118조

(옹벽 및 공작물 등에의 준

용)

- 건축허가 대상 및 절차, 건축물 유지관리에 관

한 구체적 사항 규정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관광지, 관광단지 설치 시

설 규정

(별표 19)

- 유원시설업 설치 가능(단, 관광단지에는 종합유

원시설업)

자료 : 관련 법규를 근거로 연구자 재구성

<표 2-3>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설치관련 법․제도 현황

Page 3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제2절 안전성 검사 제도

1. 개요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성 검사는 관광진흥법 제33조제1항

및 관광진흥법시행규칙 제40조제6항의 규정에 의한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와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

기구가 아님을 확인하는 검사제도를 의미함

○ 이와 더불어 동법 제80조제3항제4호 및 관광진흥법시행령 제

65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서는 안전성검사기관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음

○ 관광진흥법에 의거,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총 8개 조항으로 구성된 유원시설

의 안전성 검사기준 및 절차를 고시

- 목적, 적용범위, 용어의 정의, 안전성 검사 등 신청, 허가전

검사 기준, 정기 검사기준, 재검사 기준 및 검사 결과의 통보

등으로 구성 됨

○ 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는 크게 두 가지 면에서 구분하여 논

의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첫째는 설계단계의 안전성 여부의 판단 및 유기기구의 설치

및 완공에 따른 안전성 검사를 포함하는 운행 전 단계의 안

전성 검사가 있음

- 둘째는 영업 허가를 받고 유기기구의 운행 개시 후 유지관리

측면에서 실시하게 되는 운행 후 단계의 안전성 검사로 구분

- 운행 후 단계의 안전성검사는 정기검사와 정기검사에서 부

적합 판정을 받은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를 대상으로 실시하

는 재검사로 구분

Page 3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19

2. 검사 방법

가. 허가 전 검사

○ 종합·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 또는 영위하는

자가 영업 허가전 신규로 도입하거나 이전하는 유기기구에 대

한 안전상태를 확인 받는 검사를 말함

- 허가전 검사는 기계구조물의 주요재료, 구조계산서 등의 설

계 상의 검사를 통하여 유기기구의 안전계수, 할증계수 등을

고려한 강도계산 및 구조계산의 적합성 및 안전성이 확보되

는지를 검토하는 설계 검사와 유기기구의 완공과 더불어 설

치된 유기기구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완공 검사 등을 포함

- 허가전 검사를 거친 유기기구는 유원시설업장 내에 설치되

어 유원시설업에 대한 영업허가를 받게 되고 영업허가를 받

고 난 후, 유기기구는 비로소 운행을 개시하게 되며 운행이

개시된 후는 정기검사를 받도록 규정

○ 사업주가 유원시설 설치공사 착공 30일 전까지 허가 전 검사

를 신청하여야 하며,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는 검사완료 15일

이내에 검사결과를 신청업체 및 해당 기초 자치단체에 통보

○ 1개 팀당 4인 이상으로 구성된 검사팀이 설계도면 등의 서류

검사와 조립과정 검사, 사전 운행검사로 이루어지는 현장검사

를 실시

- 서류검사 : 하중강도, 구조 안전성, 구조계산서, 전기설비 등

성 4개 항목에 대한 설계검사 실시

- 현장검사 : 검사가 필요한 적정 시기에 검사반이 출동하여

검사기준과 절차에 따라 각 부분별 조립상태 및 시험운행을

실시하여 적격 여부를 판정

○ 허가 전 안전성검사는 자료검토 등을 감안하여 최소 2일에서

Page 3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2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약 30일 소요

- 허가 전 안전성검사 소요시간은 유기시설 종류 및 기종 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짧게는 하루에서 길게는 30일 이상의 검

사기간이 소요

○ 사업주가 유원시설 설치공사 착공 30일 전까지 허가 전 검사

를 신청하여야 하며, 이때 필요한 서류양식은 다음과 같음

허가전검사 신청서

운전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절차서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전체 조립도와 중요부분 상세도

구조계산서(중요부분)

전기회로도

유,공압 회로도

별지 제2호서식에 의한 유기시설, 유기기구 이력관리카드(이동식, 임시

유기시설, 유기기구에 한함)

기타 안전성 검토에 필요한 서류 및 도면

<표 2-4> 허가전검사에 필요한 서류양식

○ 위의 서류를 준비하여 접수가 완료되면 안전성 검사 기관에서

는 해당검사수수료를 신청업체에 통보하고, 신청업체 측에서

는 현장검사실시 이전에 검사수수료를 납부해야함

○ 안전성검사기관은 구비서류 검토 후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검

사완료 15일 이내에 검사결과를 신청업체 및 해당 기초 자치

단체에 통보해야 함

○ 현장검사는 검사가 필요한 적정 시기에 검사반이 출동하여 검

사기준과 절차에 따라 각 부분별 조립상태 및 시험운행을 실

시하여 적격 여부를 판정함

○ 허가 전 안전성 검사 소요시간은 유기시설 종류 및 기종 수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최소 2일에서 30일 이상의 검사기간

이 소요됨.

Page 3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21

나. 정기검사

○ 정기 안전성 검사는 종합·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는 자가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유기기구에 대한 안전상태를 확인

받는 검사를 말함

○ 허가 전 안전검사를 받은 날짜를 기준으로 12개월마다 매년 1

회 이상 정기적으로 안전상태를 확인받는 현장검사임

- 정기 안전성검사 기준일은 허가 전 안전성검사를 받은 날짜

를 기준으로 하고 기존 업체의 경우 유기기구조사서를 제출,

정기 안전성검사를 처음 받거나 대표자 변경 등의 변경사항

이 있을 경우 사업자등록증 사본, 유원시설업 허가증 사본을

첨부

○현장검사는 관광진흥법에 명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되어

해당항목의 세부 안전성검사기준에 따라 적합 여부를 판정

- 안전성 검사 기준은 KS(한국), ASTM(미국), DIN(독일),

JIS(일본) 등에 연관된 기준을 적용

○ 정기검사는 현장위주의 검사로 허가 전 안전성검사 이후 구조

변경, 강도 여부 등을 확인하는 검사로 허가전 안전성검사보

다 짧은 시간이 소요

○ 정기 안전성검사 기준일은 허가 전 안전성검사를 받은 날짜를

기준으로 하며 12개월마다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안전상

태를 확인받아야 함

○ 이 때 필요한 서류양식은 정기 검사 신청서 양식이며 기존 업

체의 경우 유기기구조사서를 제출해야 함. 또한 정기 안전성

검사를 처음 받거나 대표자 변경 등의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사업자등록증 사본, 유원시설업 허가증 사본을 첨부하여야 함.

정기 안전성 검사의 신청은 해당 정기검사만료일 20일 전에

완료하여야 함

Page 3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2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정기검사 신청서

유기기구조사서(기존업체)

사업자등록증 사본, 유원시설업허가증 사본(정기검사를 처음 받을 경우 또

는 대표자 변경 등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표 2-5> 정기검사에 필요한 서류양식

○ 위의 서류를 준비하여 접수가 완료되면 안전성검사기관에서는

해당검사수수료를 신청업체에 통보하고, 신청업체 측에서는

현장검사실시 이전에 검사수수료를 납부해야함

○ 안전성검사기관은 구비서류 검토 후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현

장검사가 종결되면 검사서를 해당업체 및 해당 기초 자치단체

에 통보해야 함

다. 재검사

○ 재검사는 정기검사를 받은 유기기구 중 부적합 판정을 받은 유

기기구, 사고가 발생한 유기기구 또는 3개월 이상 운행을 정지

한 유기기구에 대하여 안전상태를 재확인 받는 검사를 말함

- 정기안전성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유기기구, 사고가 발

생한 유기기구 또는 3개월 이상 운행을 정지한 유기기구에 대

하여 실시하는 안전성검사로 사고발생 즉시 사업주가 신청함

○ 재검사는 정기 안전성검사와 동일한 절차, 검사항목으로 실시

- 이 때 필요한 서류양식은 재검사 신청서 양식이며 유기기구

조사서이며 재검사 신청 사유 발생 즉시 신청해야함

- 접수가 완료되면 안전성검사기관에서는 해당검사수수료를

신청업체에 통보하고, 신청업체 측에서는 현장검사실시 이

전에 검사수수료를 납부해야함

○ 안전성검사기관은 구비서류 검토 후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현

장검사가 종결되면 검사서를 해당업체 및 해당 기초 자치단체

에 통보해야 함

Page 3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23

1단계허가 전

안전성검사신청단계

신청인 한국유원시설협회

안전성검사신청서작성검사 수수료납부 서류검토

현장검사(조립상태, 완성물검사)재검사

부적격 통보 안전성검사 결과 통보부적격 적격

검사서 통보 검사서 작성, 교부

해당 기초 자치단체에 검사결과 통보

2단계인․허가

신청단계

인허가 신청서 작성 기초 자치단체

자료: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 내부 교육자료(2009) 연구자 재구성

[그림 2-1]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성검사 절차

Page 3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2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3. 검사 항목

○ 허가 전 안전성 검사의 검사항목 중 설계검사는 하중에 대한

안전성, 전기설비 및 제어회로의 안전성, 무부하 및 부하 시운

전에 의한 안전성 등을 검토해야함

구 분 검 사 항 목

기초부 (1) 기초, (2) 기초연결부재(앵커볼트 등)

(3) 지주, (4) 철구조(목재구조 등)

승용물장치(1) 승용물, (2) 승용물 연결부

(3) 승용물 안전장치

궤도(수로,주로)장치(1) 주행궤도(수로, 주로 등), (2) 궤도받침부재

(3) 궤도안전장치(역주행방지장치)

구동장치

(1) 전동장치, (2) 감속장치, (3) 동력전달장치(체인,

벨트 등), (4) 기계요소장치, (5) 로프(강재로프,

섬유로프 등), (6) 컨베이어장치, (7) 차륜장치, (8)

유압장치, (9) 공압장치, (10) 수압장치

제동장치 (1) 제동장치, (2) 완충장치

물놀이 장치

(1) 튜브슬라이드, (2) 바디슬라이드, (3) 파도풀, (4)

유수풀, (5) 서핑라이드, (6) 수중모험놀이, (7) 급수

및 배수장치, (8) 부력기구

에어바운스 장치 (1) 에어바운스, (2) 송풍기

전기장치

(1) 배전반, 제어반 등의 설치, (2) 배전반 설비 등의

보호, (3) 제어회로의 보호, (4) 구동부의 보호, (5)

배전 및 배선기구, (6) 피뢰설비, (7) 접지설비, (8)

조명설비, (9) 절연저항, (10) 신호장치

운전조작장치 (1) 운전조작장치, (2) 비상조작장치

기타사항

(1) 부하시험, (2) 승강장, (3) 안전울타리, (4)

비상출구, (5) 안내표지판, (6) 안전점검판, (7)

풍속계, (8) 기타

<표 2-6> 허가 전 안전성 검사의 검사항목(완성검사)

Page 4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25

○정기 안전성 검사와 재검사 항목은 동일함

구 분 검 사 항 목

기초부 및 앵커볼트(1) 지반 및 기초, (2) 앵커볼트, (3) 지주,

구조부재, (4) 보조부재, (5) 체결부

승용물장치(1) 승용물구조, (2) 승용물 체결부, (3) 승용물

안전장치, (4) 승용물 기타장치

궤도, 수로, 주로장치(1) 궤도, 수로, 주로, (2) 받침지주, (3)

역주행방지장치

구동장치

(1) 감속기, (2) 축, 기계요소, (3) 전동기, (4)

클러치, (5) 축 및 베어링, (6) 기어, (7) 체인 및

스프로켓, (8) 벨트 및 풀리, (9) 로프, (10)

컨베이어장치, (11) 차륜장치

유압, 공압, 수압장치(1) 유압장치, (2) 공압장치, (3) 수압장치, (4) 밸브

및 배관장치

제동장치 (1) 브레이크장치, (2) 완충장치

물놀이 장치(1) 슬라이드, (2) 착지풀, (3) 파도풀, (4) 유수풀.,

(5) 급수장치, (6) 부력기구, (7) 신호장치

에어바운스장치 (1) 에어바운스, (2) 송풍기

전기장치

(1) 배전반, 제어반 등의 설치, (2) 배전반 설비

등의 보호, (3) 제어회로의 보호, (4) 구동부의

보호, (5) 배전 및 배선기구, (6) 피뢰설비, (7)

접지설비, (8) 조명설비, (9) 절연저항, (10)

신호장치

운전조작장치 (1) 운전조작장치, (2) 비상조작장치

기타시설

(1) 승강장, (2) 안전울타리, (3) 비상구, (4)

안전유도 표시, (5) 풍속계, (6) 안전점검판, (7)

기타 유기시설

<표 2-7> 정기 안전성 검사 및 재검사의 검사 항목

Page 4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2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4. 검사 주체

○ 안전성 검사는 관광진흥법 제80조(권리의 위임, 위탁 등)에 의

거 문화체육관광부의 위임을 받은 기관에서 실시하도록 규정

○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 2008-122 호에 의거 관광진흥법 제

33조제1항, 동법시행령 제65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따라

2009년도 유기시설․유기기구 안전성검사 기관을 다음과 같이

지정하여 고시함

- 유기시설․유기기구 안전성검사 수탁 기관으로 사단법인 한국

종합유원시설협회와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가 지정됨

- 안전성 검사 기관에 위탁된 내용은 관광진흥법 제33조제1항

및 동법시행령 제65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안전성검사

의 권한임

○ 안전성검사기관의 최소 검사원 등록기준은 7명으로서 전국적

으로 운행되고 있는 유원시설을 철저히 검사하기에는 역부족

인 것이 현실

○ 일본의 경우를 보면 안전성 검사를 건축주사의 업무 및 검사

자격증을 가진 자의 개인 업무로 규정하고 기구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있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

문 인력 부족으로 인한 관리 소홀을 방지하고 있음

- 일본은 유기기구의 소유자 및 관리자가 유기기구별로 건축주

사(특정행정청)를 통하여 안전성 검사를 받는 경우와 검사 자

격자(민간, 개인)에게 안전성 검사를 의뢰하는 경우로 구분

- 민간에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경우는 검사 자격자가 검사

후 특정행정청에 그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안전성 검사의 신

뢰성을 강화

Page 4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27

제3절 안전관리 제도

1. 실태 점검

○ 안전성검사와는 달리 실태점검은 매년 2회, 한국종합유원시설

협회 기술전문가, 기초 자치단체의 문화관광 관련 부서와 재

난관리 부서 직원이 합동으로 실시

- 실태 점검에 앞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소방방재청은 합동점검

반을 구성하여 표본점검을 실시하고 있음

○ 실태 점검 시 각 지자체는 영업허가 및 영업자의 준수사항을

검토하고, 재난관리부서는 일반시설물 관리 실태를 점검하며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는 유기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

구 분 내 용

시기 연 2회 / 2주간 성수기 이전 실시

대상 전국 종합 및 일반유원시설업체

구성 및 역할

․ 기초 자치단체 문화관광 부서 : 영업허가 및 영업자 준수사항

․ 기초 자치단체 재난관리 부서 : 일반시설물 관리 실태

․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 : 유기시설 안전점검 등

주: 2008년 기준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내부자료(2008) 연구자 재구성

<표 2-8> 안전관리 실태점검

2. 안전 교육

가. 사업주 안전 교육

○ 안전관리자 배치와 일일점검, 종사원의 안전교육에 대한 책임

을 맡고 있는 사업주 교육은 제도적으로 의무화되어있지 않음

Page 4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2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에 따라 교육 참여율이 매우 저조

○ 사업주 안전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

협회자율지도원, 대학교수로 구성된 강사를 주축으로 2일 동

안 유원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총괄적인 교육으로 진행

- 유원시설업 관계법령, 유기기구 사고사례 및 안전관리 사례,

유기기구 안전장치 개선사례, 유원시설 안전관리 및 운행자

안전관리요령, 유기기구 보존실무 및 사업주 안전점검 등을

교육

나. 안전관리자 안전 교육

○ 관광진흥법에 의거하여 안전관리자는 반드시 사업장에 배치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1회 교육을 받아야 하나 재교육은 이

루어지지 않고 있음

- 안전에 대한 국민의식 증가 및 변화하는 유원시설 환경적응

을 위해서는 재교육이 필요

○ 안전관리자 안전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유원시설협회,

협회자율지도원, 대학교수 외에 소방서 소속의 관련 등으로

구성된 강사를 주축으로 3일에 걸쳐 실시

- 유원시설업 관계법령, 안전관리자 임무 및 역할, 기계기초

및 설계도면의 이해, 유기기구 및 물놀이기구 안전점검 현장

실무, 사고사례분석, 사고처리절차 및 대응방법, 응급환자발

생 조치요령, 전기기초 및 실무사례 등의 안전관리 관련 교

육을 실시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안전관리자는

물론 공무원, 사업주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참여를 독려하고

질적 향상이 요구되나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의 교육인력 및

관련 재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

- 문화체육관광부 관광기금으로 소액지원 되어 활발한 교육활

Page 4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29

동을 시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다. 종사원 안전 교육

○ 종사원 안전교육은 사업주가 자체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

으나, 종사원 교육수준은 매우 열악함

- 유원시설업계의 상위 10개 업체의 경우 사업장 자체 안전교

육 내용 및 교육일정을 계획하여 종사원 교육을 시행하고 있

으나(한국관광연구원, 2000), 사업의 규모가 영세한 업장의

경우 열악한 환경으로 자체 교육에 어려움이 있고 시행되더

라도 교육수준이 매우 낮아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실정

라. 공무원 교육

○ 담당 공무원 안전교육은 법적의무대상이 아니며, 공무원의 자

발적인 참여를 기대하고 있으나 참여율은 저조한 실정

○ 공무원 안전교육은 3일 동안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유원시설협

회, 협회자율지도원,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강사진을 중심으

로 유원시설업과 관련한 인․허가 사항, 수시 검사 등 유원시설

업에 대한 종합적인 교육을 실시

- 관광산업에 대한 총괄적인 내용부터 유원산업 및 유기기구

소개, 유원시설업 관계법령, 유기기구 사고사례 분석, 안전

관리 지도요령 및 안전점검 실무요령 등을 다루어 효율적인

업무처리 수행을 돕고자 함

○ 관광 담당 공무원의 경우 자리이동이 많을 뿐만 아니라 복잡하

고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유원시설업의 특성상 공무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함

Page 4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3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제4절 유기시설(기구) 안전사고 현황

1. 언론매체 내용 분석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와 관련한 안전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

하고 있으나 대외적 이미지 등을 고려하여 사고 당사자간 합

의로조기에 사고를 무마시키는 경향이 있어 정확한 사고자료

수집 어려움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1월 1일부터 2009년 8월 31일까지 언

론매체 내용분석의 사고 일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놀이공원에

서의 안전사고는 점검 및 관리의 소홀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혼재하고 있음

- 2003년 이후 언론매체에 보도된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관련

인명피해가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18건으로 집게 됨

- 지난 6년간 연평균 3건 정도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안전사고

가 발생한 것으로서 이는 연간 100개 사업장 중 약 1.6개 사

업장에서 중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한 수준임(188개 사업장

기준)

○ 특히 어린이가 피해자인 사고의 비율이 높아 어린이들에게 안

전하고 재미있는 환상의 놀이기구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생명을 담보로 하는 위협 요소가 되고 있음

- 어린이 안전사고 피해는 성인에 비해 주의력이 부족하여 안

전사고의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법률에서는 어린이 안전수칙 등이 마련되지 않음

- 안전성검사와 관련해서는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속과

저회전 유기기구 및 유기시설에 대해서는 안전성검사 대상

기구에서 제외하고 있는 실정임

Page 4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31

사고

일자

사고

장소

사고

내용

2003

년 4

월 3

일대

전 꿈

돌이

랜드

스페

이스

어드

벤처

10m

상공

에서

정지

, 탑

승객

비상

대피

5

월 4

일대

전 꿈

돌이

랜드

스페

이스

어드

벤처

2중

추돌

, 염

모(1

4)군

등 2

4명 부

5

월 5

일진

주 진

주랜

놀이

기구

추락

, 손

모(7

)군 등

어린

이 6

명 부

2004

년 3

월21

일충

남 리

버사

이드

파크

랜드

놀이

기구

탑승

객 2

명 추

락,

부상

4월 5

일대

전 꿈

돌이

랜드

놀이

기구

어린

이 1

명 추

락,

부상

2005

년 9

월17

일대

구 우

방랜

드놀

이기

구서

어린

이 1

명 손

목 부

2006

년 3

월 6

일서

울 롯

데월

드롤

러코

스터

직원

1명

추락

, 사

3

월26

일서

울 롯

데월

드서

울 잠

실 롯

데월

드 무

료개

장이

벤트

관람

객 3

0여명

부상

4

월 9

일광

주 패

밀리

랜드

놀이

기구

서 어

린이

1명

추락

, 부

5

월14

일용

인 에

버랜

드놀

이기

구 운

행정

지 대

피소

6

월27

일서

울 롯

데월

드서

울 잠

실 롯

데월

드 놀

이열

차서

어린

이 1

명 부

10

월 1

일대

전 꿈

돌이

랜드

어린

이 2

명 추

락,

중태

10

월12

일대

전 꿈

돌이

랜드

롤러

코스

터 기

계오

류로

5m

상공

에서

정지

, 10

여명

비상

대피

2007

년 1

월14

일용

인 에

버랜

드가

고일

의 매

직배

틀 탑

승객

안모

(38:

여)씨

사망

8

월13

일부

산 월

드카

니발

이언

트 휠

의 관

람차

충돌

로 5

명 사

2008

년 1

월27

일광

주 패

밀리

랜드

르는

눈썰

매에

서 어

린이

2명

추락

, 부

6월

19일

인 에

버랜

드배

선반

교체

작업

인부

이모

(56)

씨 감

전사

, 에

버랜

드 전

체 정

7월

11일

서울

롯데

월드

놀이

용 열

차레

일에

아르

바이

트생

박모

(20)

양 다

리 끼

어 부

<표 2-9>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

전사고 발

생 현

Page 4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3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2. 소비자 보호원 안전사고 현황

가. 연령별 안전사고 현황

○ 한국소비자보호원(2002)의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에 따르면

1999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의 4년간에 걸쳐 한국소비자

원에 접수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피해를 입은 경우가 53.6%를 차지하여 어린이의 유기시설 안

전사고 문제가 심각한 수준임

- 어린이는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매우 크며 활동량이 많은 것

에 비해 주의력, 판단력 등 사고 대처 능력이 성인들에 비해

떨어지므로 이를 위한 안전사고 예방대책 마련이 필요함

- 특히, 8세 미만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전체의 25%를 차지하

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현재 대부분 안전성검사 비대상으로

분류되는 어린이용 놀이기구에 대한 안전성 검사의 기준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음

구 분 8세 미만 8~13세 14~19세 20대 30대 이상

빈도수(명) 7 8 2 4 7

비율(%) 25.0 28.6 7.1 14.3 25.0

<표 2-10> 연령별 안전사고 현황

자료: 한국소비자보호원(2002),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

○ 한국소비자보호원(2007)의 어린이 안전사고 실태조사에 따르

면 어린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에 이어서 공원

및 놀이시설이 두 번째로 많았으며 발생건수는 해마다 증가하

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1)

Page 4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33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유원시설 193 119 271 471 426 497

자료 : 한국소비자보호원(2007),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표 2-11> 공원 및 놀이시설에서의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 추이

나. 원인별 안전사고 현황

○ 한국소비자보호원(2002)의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 결과, 놀

이기구를 이용하다가 놀이기구로부터 이탈하거나 끼이는 직

접적인 원인과 더불어 놀이기구 외의 출입구나 분수대 등의

일반 시설물에서도 안전사고의 발생 건수 증가

- 이는 단순한 놀이기구의 안전검사, 정기 검사 등을 통한 시

설 검사로 그칠 것이 아니라 놀이 공원 내에 있는 모든 시설

물에 대하여 이용자(특히 어린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

한 유지, 보수 관리가 필요함

구 분 떨어짐

기구결함 및

관리 소홀

부딪힘 넘어짐운행자부주의

이용자부주의

기타

빈도수(명) 7 5 4 2 2 1 7

비율(%) 25.0 17.9 14.3 7.2 7.2 3.6 25.0

<표 2-12> 안전사고 원인별 현황

자료 : 한국소비자보호원(2002),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

1) 본 통계자료는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로 단정 짓기는 어려우나 유기시설을 운영하는 특정공간 내에서 발생한 안

전사고로서 어린이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대책의 시급성을 인지하기에는 충

분함

Page 4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3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3. 안전사고 문제점 분석

○ 일반 안전사고와 차별화되는 유기시설(기구) 안전사고의 특정

을 분석하고, 언론매체 분석과 한국소비자보호원의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검

토하여 정책 개선방안 기초자료로 활용

1) 유기시설(기구)사고와 일반 안전사고와의 차이점

○ 유기시설(기구)의 안전사고는 일반 안전사고와 비교할 때 피

해규모와 이용객 수요 및 대규모 영업 손실과 직결된다는 점

에서 차별화 되는 특징이 있음

- 유기시설 안전사고는 높이가 높거나 주행 및 회전속도가 빠

르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시 중상 이상의 인명 피해가 발생

할 개연성이 높음

- 또한 이용객 수요 감소로 사고 보상과 별도로 막대한 영업손

실이 발생함으로 업체자체적인 사고처리 경향이 강함

2)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대책 마련 필요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를 이용하는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 개선이 필요

- 유기시설 안전사고의 50% 이상이 13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

고일 정도로 어린이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음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특성상 가족을 동반한 어린이들의

이용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안전수

칙 및 안전성검사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음

- 현행 법률상에서는 어린이용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대부분

이 안전성검사 비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로 분류되어 있

어 안전성검사를 받지 않고 있음

Page 5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35

- 안전성검사 대상 선정기준을 보완하여 어린이용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에 대해서는 별도의 안전성 검사 절차를 이행하

는 제도 개선 필요

3) 유기기구 주변시설에 대한 안전대책 마련 필요

○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와 더불어 출입구 등 주변시설을 실태

점검 및 자체점검 항목에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

- 유원시설 안전실태조사 결과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에 의한

직접적인 안전사고와 더불어 유기기구 주변에 있는 일반적

시설에 의한 안전사고 비중도 높음

- 이용객의 혼잡도가 높고, 테마파크 분위기에 들뜬 상태에서

이용객이 부주의 할 확률이 높으므로 안전 수칙을 테마파크

곳곳에 적시하고, 사소한 주변시설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안전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토대 마련 필요

4) 유기시설(기구)의 내구연한 부재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에 대한 내구연한 규정이 없어 대부분의

시설들이 10년이 넘도록 부품교체나 수리만 한 후에 별도의

안전대책 없이 운영되고 있음

- 일부 영세업체에서는 20년이 넘게 사용되고 있는 유기기구

도 많고, 특히 이동식 유기기구에 대해서는 안전성검사 자체

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다 체계적인 내구연한 규정을 만들고

안전성검사 기준에서도 보다 명확한 기준 확립 필요

- 유기기구는 여러 안전 시험 및 검사를 거쳐 유원시설 내에

설치가 되겠지만 기계적 결함은 상시 존재하기 때문에 항상

안전에 대비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응체계 마련 필요

Page 5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3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5) 체계적 안전관리 대책 미흡

○ 유기기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관리를 위한 체계적

인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

- 현행 관광진흥법에서는 유원시설업의 산업진흥에 초점이 맞

춰져 있으므로 사업체 입장에서 산업 성장의 저해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는 관리감독 기능들을 강화하는데 한계가 있음

- 어린이놀이시설의 경우 안전관리법이 제정되어 부품에서부

터 완성품의 설치 및 유지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제도적 장치

하에서 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규정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

야 하고, 유원시설 전반에 걸친 안전대책의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

Page 5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2장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현황 분석 37

제 3 장 사례 분석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5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39

제1절 해외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

1. 일본의 안전성 검사 제도

가. 제도 개요

○ 일본 유희시설의 안전성검사는 제도상으로는 국내의 안전성

검사제도와 유사한 점이 많음

○ 특히, 일본의 경우도 유기기구의 사용허가를 받기 위한 운행

전 검사와 운행 후 검사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운행 전 검사

에는 설치 허가를 주기 위한 건축 확인(설계 검사)과 사용 허

가를 주기 위한 착공 후의 중간 검사 및 완공 후의 완료검사가

있으며 사용허가 후 운행 중에는 정기검사를 받도록 의무화

○ 유기기구의 설치허가 및 사용허가 절차는 건축 주사(특정행정

청)을 통하는 절차와 지정 확인 검사 기관(민간)을 통하는 절

차로 이원화되어 있는 점이 국내와 상이함

○ 특이한 점은 유희시설을 승강기와 동일시하여 건축기본법 상

에서 공작물로 지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음

○ 유기기구를 설치하고자하는 소유자가 유기기구를 설치하여 운

행 허가를 받아 운행하면서 밟아야 되는 절차를 순차적으로

정리하면 크게 유기기구의 사용 전의 허가와 관련한 검사제도

와 사용 허가를 받은 후 운행을 하면서 유지 관리를 해야 하는

검사제도로 구분

나. 세부 내용

1) 유기기구 사용전 검사 : 건축확인 검사, 중간검사, 완료검사

○ 먼저 유기기구를 설치하여 운행을 하기까지의 사용 허가와 관

Page 5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4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련한 검사제도의 절차는 설계단계의 확인검사, 착공 후의 중

간검사, 완공 후의 완료검사로 나누어 검사를 실시하고 있음

- 건축확인검사 단계에서는 국내의 안전성 검사 관련 고시에

나와 있는 것과 유사하게 설계도면, 기계재료, 구조계산서,

강도계산, 안전계수 등의 공학적 계산에 따른 안전성을 각

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하여 건축확인(설치허가)증을 발급

한 후 유기기구의 착공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구조계산이 주로 프로그램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것을 반영하여 지정구조계산적합성판정기관을

지정하여 전문적으로 심사를 하고 있음

- 지정구조계산적합성판정기관은 지정확인검사기관과는 다른

업무를 보고 있으며, 운행 후 검사인 정기검사 자격증을 부

여하는 국토대신 등록 강습을 할 수 있는 지정검사 자격자

등록 강습기관과도 다른 업무를 담당하는 별도의 전문기관임

○ 확인검사필증 및 완료검사 필증을 교부 받은 후 유기기구의

운행 및 사용이 가능함

○ 확인검사 및 완료 검사는 건축주사를 두고 있는 특정행정청

(관청)을 통하는 방법과 국토교통대신이 지정하는 지정확인검

사기관(민간)을 통하는 방법으로 이원화되어 있음

2) 유기기구 유지관리 검사 : 정기검사 및 자체점검

① 정기 검사

○ 사용 허가를 받고 유기기구를 운행하기 시작 한 후에는 유지

관리와 관련한 검사제도를 통하여 안전성을 확보

○ 유기기구에 대한 유지관리는 정기검사의 의무화를 통하여 이

루어지고 있으며, 정기검사는 특정행정청에 신청하여 검사자

격증을 가진 검사자격자에 의해 실시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Page 5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41

것을 연 1회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연 2회의

정기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임

② 자체 점검

○ 정기검사와는 별도로 자체 점검을 실시하고 있는데, 자체점검

에는 일일검사와 더불어 월 1~2회 정도가 보통이며, 이것은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음

○ 또한, 유기기구별 담당 검사자격자의 배치는 의무화 되어 있

지 않고, 기구별 안전관리자의 배치 또한 법률화 되어 있지 않

으나, 지침으로 배치를 권고하고 있음

② 정기검사 보고 제도

○ 일본에서 유기기구의 정기검사보고제도는 보고서 작성 미흡

및 검사의 전문지식 필요성에 따라 1970년 개정으로 검사 자

격자가 실시

○ 현재 일본에서 정기검사보고제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

는 관계 단체는 크게 국토교통성의 지도하에 있는 중앙법인과

각 도도부현의 지도하에 있는 지방법인으로 구분

○ 정기검사 보고서는 대략 6개월~1년 간격으로 특정행정청이

정하는 시기에 실시하여, 양식에 따른 정기검사결과보고서 및

정기검사결과보고 개요서를 제출하도록 의무화

○ 2008년 3월 10일 국토교통성 고시 제284호를 통해 정기검사

의 항목, 사항, 방법 및 결과의 판정기준 외 검사결과표 등이

제정되었으며, 그 중 정기검사 항목에 주행차량 및 차륜장치

는 탐상시험(자분탐상시험(MT), 초음파탐상시험(UT), 침투액

탐상시험(PT))이 포함되어 탐상시험결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정기검사기능이 강화되어 시간 및 비용 증가의 고충이 따름

Page 5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4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구분 법률 내용

건축확인 검사▶ 건축주사를 통한 절차(법 제6조 제1항 )

▶ 지정확인검사기관을 통한 절차(법 제6조의 2)

중간 검사▶ 건축주사를 통한 절차(법 제7조의 3)

▶ 지정확인검사기관을 통한 절차(법 제7조의 4)

완료 검사▶ 건축주사를 통한 절차(법 제7조 제1항)

▶ 지정확인검사기관을 통한 절차(법 제7조의 2)

건축기본법에

의한 인정.성

능평가제도와

확인검사

▶ 인정의 종류 : 형식적합인정, 구조방법 등의 인정

▶ 유희시설에 관한 형식적합인정을 득해야 하는 공작물

- 법 제68조의 10 제1항의 규정에 근거

- 워터 슈트, 코스터, 그 외 이것들과 유사한 고가의 유희시설

및 회전목마, 관람차, 옥토퍼시, 비행탑, 그 외 이것들과 유

사한 회전운동을 하는 유희시설로 원동기를 사용하는 것 중

바구니, 차량 그 외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부분 및 이것을 지

지하거나 매단 구조 상 주요한 부분 및 비상정지장치의 부분

▶ 유희시설에 관하여 구조방법의 인정의 대상부분

- 시행령에서 「국토교통대신의 인정」이 기술된 조항

- 령 제144조 제1항 제1호 (높이가 60m를 넘는 유희시설의 구

조계산)

- 령 제144조 제1항 제3호 (유희시설의 객석부분 승객낙하 방

지 구조)

- 령 제144조 제1항 제5호 (유희시설의 비상정지장치의 구조)

- 령 제144조 제2항 제3호 (령 제129조의 4의 의제처리규정_

유희시설의 객석부분에 있어서 주요한 지지부분의 구조)

▶ 인정.평가기관

- 형식적합인정 및 형식부재 등 제조자 인증 : 국토교통대신

뿐만 아니고 국토교통대신에 의해 지정 받은 지정인정기관

에서 실시할 수 있다.

- 구조방법의 인정 : 인정은 국토교통대신이 하지만, 전단계의

성능평가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대신 외 국토교통대신으로부

터 지정 받은 지정인정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다.

- 형식적합인정 및 형식부재 등 제조자 인증은 국토교통대신

또는 지정인정기관이 인정.인증을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는

국토교통대신은 실시하지 않고 지정인정기관에서만 실시하

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 3-1> 일본 유희시설 안전성검사 제도 관련 법률

Page 5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43

구분 법률 내용

건축주사

▶ 인구 25만 명 이상의 시는 그 장의 지휘 감독 하에 건축주사를

두어야 한다.

- 시, 군, 읍(앞 항의 시를 제외)는 그 장의 지휘감독 하에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확인에 관한 사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건

축주사를 둘 수 있다.

- 시, 군, 읍은 앞 항의 규정에 의해 건축주사를 두고자 하는 경우

는 사전에 그 설치에 대해 도,도,부,현(都道府縣)지사에 협의하

고 그 동의를 얻어야한다.

- 도도부현은 도도부현지사의 지휘감독 하에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해 건축주사를 둔 시, 군, ,읍의 구역 외에 설치하는

건축물에 관계되는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확인에 관한 사

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건축주사를 두어야 한다.

- 제1항, 제2항 및 앞 항의 건축주사는 시군읍 및 도도부현의 직

원으로 제77조의 58 제1항의 등록을 받은 자들 중에서 각각 시

군읍의 장 또는 도도부현지사가 임명한다.

정기검사의

보고

▶ 소유자는 정기적으로 검사자격자에게 검사를 시켜 그 결과를

특정행정청에 보고해야 한다.

정기검사

자격자

▶ 유희시설의 정기검사를 하는 자는 법 제12조 제3항에서 「1급건축사 및 2급건축사 또는 국토교통대신이 정하는 자격을 가

진 자」로 한정되어 있다.

▶ 국토교통대신이 정하는 자격을 가진 자는 국토교통대신이 정

하는 요건을 만족하여 다음의 어떤 것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 건축기준적합판정자격자

- 승강기검사자격자로서 필요한 지식 및 기능을 익히도록 하는

강습(이하 「등록승강기검사자격자 강습」)을 수료한 자

- 이외 국토교통대신이 정하는 자격을 가진 자

▶ 위의 규정에 근거한 강습은 (재)일본건축설비승강기센터가 실

시하는 강습이며, 2004년 10월 개정을 통하여 「대신지정강습」에서 「대신등록강습」으로 변경되었다.

Page 5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4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2. 미국의 안전성 검사 제도

가. 제도 개요

○ 미국의 유희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국제유기시설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musement

Parks and Attractions : IAAPPA)에서 미국재료시험학회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 ASTM2))의

F-24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비기준(Standards on Amusement

Rides and Device)을 토대로 유원시설에 대한 검사를 실시

○ ASTM의 F-24위원회3)는 유기기구 및 시설의 설계, 제조, 운

행, 유지관리 및 검사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의 42개 주에서 이 정비 기준에 따르고 있음

○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유기기구 및 장치의 안전기준에 대한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사항들을 법률 조항에 직접 기술하지 않

고 있으며, ASTM의 기준을 준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음

- 공인 자격을 가진 전문 심사위원들이 ASTM의 기준에 따라

안전성 심사를 수행

○ 미국 유기시설의 안전 기준은 매우 전문적이고 공학적 내용이

므로 기술자 및 각 분야 전문가들이 개발한 규격지침인

ASTM 기준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

2)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 1902년 발족된 미

국의 공업 원료 및 그 시험법의 표준화를 관장하는 기관으로서, 여러 분야에

서 전 세계적으로 쓰이는 규격 표준을 제공

3) F24 (Technical Committee F24 on Amusement Rides and Devices) :

1978년 설립된 ASTM의 여러 위원회 중 하나로서, 23개국 출신의 전문가

회원 480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 2회(2월, 8월)의 정기회의를 가지며 2~3

일간 약 100명의 회원들이 기술적 토론을 실시

Page 5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45

나. F-24 위원회의 정비 기준

○ F24에서 개발하는 기준들은 유기기구 관련 기술자 및 제작자,

유원시설 소유자 및 운영자, 검사요원 등 유원산업의 전 분야

에서 활용

○ 기준의 내용으로는 기구의 설계 및 제조/ 각종 테스트/ 작동

및 운영/ 보존 및 유지/ 점검/ 품질 보증/ 관련 전문 용어에

대해 다룸

○ 다국적 회원들의 협력을 통해 유원산업의 발전 속도에 발맞춰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안전 기준의 개발을 위해 노력

○ F24는 유기기구 및 유원시설과 관련한 기준 개발에 있어 각

세부적 영역에 따라 다음과 같은 9개의 하부 분과 위원회

(subcommittees)로 나누어짐

- F24.10 Test Methods (테스트 방법)

- F24.20 Specifications and Terminology (분류 및 용어)

- F24.24 Design and Manufacture (설계 및 제조)

- F24.30 Maintenance and Inspection (유지 및 검사)

- F24.40 Operations (운영)

- F24.60 Special Rides/Attractions (특수 기구 및 시설)

- F24.70 Water Related Amusement Rides and Devices (물

놀이 기구)

- F24.80 Harmonization (국제적 협력 및 적용)

- F24.90 Executive (행정)

○ 가장 최신판인 2007년 8차 개정안에는 총 17개의 기준이 있음

Page 6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4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기준명 내용

F 747Terminology Relating to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 관련 전문 용어)

F 770Practices for Ownership and Operation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소유 및 운영 지침)

F 846Guides for Testing Performance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운행 성능 검사 지침)

F 853Practices for Maintenance Procedures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보수 및 정비 절차 지침)

F 893Guides for Inspection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점검 지침)

F 1159

Practices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Patron Directed,

Artificial Climbing Walls, Dry Slide, Coin Operated and

Purposeful Water Immersion Amusement Rides and Devices

and Air- Supported Structures (고객 직접 운행 기구, 인공 암벽

등반, 미끄럼틀, 동전투입식 기구, 물놀이기구, 공기부양 장치의

설계 및 제작 지침)

F 1193Practices for Quality,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품질, 제작, 구조 지침)

F 1305Guides for Classification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 유형 분류 지침)

F 1957Test Method for Composite Foam Hardness - Durometer Hardness

(경도 테스트 방법)

F 2007

Classification, Design, Manufacture, and Operation of Concession

Go-Karts and Facilities

(고카트 경주 시설의 분류, 설계, 제작 및 운영에 관한 지침)

F 2137Practices for Measur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동력적 특성 측정 지침)

F 2291 Design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유기기구의 설계 지침)

<표 3-2> 미국 F-24의 주요 내용

Page 6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47

기준명 내용

F 2374

Design, Manufactur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Inflatable

Amusement Devices (공기주입식 기구의 설계, 제작, 운영 및 유지에

관한 지침)

F 2375

Design, Manufacture, Installation and Testing of Climbing Nets

and Netting/Mesh used in Amusement Rides, Devices, Play Areas

and Attractions (등반 그물망 및 유기기구와 유원시설의 각종 그물망

의 제작 및 설치, 테스트에 관한 지침)

F 2376

Classification, Design, Manufa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Water Slide Systems (물놀이기구의 분류, 설계, 제작, 구조 및

운영에 관한 지침)

F 2460Special Requirements for Bumper Boats

(범퍼보트에 관한 특별 사항)

F 2461

Manufactur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Aquatic Play Equipment (수상경기 장비의 제작, 구조, 운영 및 유지에

관한 지침)

Page 6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4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제2절 국내 유사 시설 안전성 검사 제도

1. 어린이 놀이시설

가. 제도 개요

○ 현행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은 어린이 놀이시설에 설치

되는 놀이기구에 대하여 어린이놀이시설의 제작, 설치 및 유

지·운용에 관한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설치기준 및 정기검

사 등 기본적이고 종합적인 안전관리 사항 등을 규정할 목적

으로 2007년 1월에 제정되어 시행

- 어린이 놀이시설을 설치하는 장소별·시설별로 어린이 놀이

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운용에 관한 안전관리기준이 미흡

할 뿐 만 아니라 관련 법령 및 관리주체의 다원화로 체계적

인 안전관리시스템이 미비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정

○ 동법률에서 어린이놀이기구의 안전검사 등에 관하여 규정하

고, 어린이놀이기구를 제조·수입하려는 자에게 안전검사기

관으로부터 안전검사 또는 안전인증을 받고 안전인증을 받은

경우에는 연 1회 이상 정기검사를 받도록 규정

○ 어린이놀이시설을 설치한 때에는 설치검사를 받도록 하고, 2년

에 1회 이상 정기시설검사를 받도록 하고 설치검사 및 정기시

설검사에 불합격된 경우에는 어린이 놀이시설의 이용을 금지

○ 어린이놀이시설의 관리주체는 어린이놀이시설의 기능 및 안전

성 유지를 위하여 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규정

- 안전점검결과 어린이놀이시설이 어린이에게 위해를 가할 우

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놀이시설의 이용을 금

지시키고 안전검사기관에 안전진단을 신청하도록 제도화

Page 6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49

나. 제도 주요 내용

1) 어린이놀이기구 제조업자 안전인증 절차

○ 어린이놀이기구를 제조하는 자(외국에서 제조하는 자를 포함)

또는 수입업자는 안전검사기관으로부터 해당 어린이놀이기구

에 대하여 매 출하 물량별 또는 매 수입 물량별로 안전검사를

받거나 모델별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함

○ 안전검사기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어린이놀이기구가 계속하여

안전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어린이 놀이기구

또는 제조업자의 제조설비·자체검사설비·기술능력 및 생산

체제에 대하여 연 1회 이상 정기검사 실시

- 다만, 정기검사 및 자체검사의 실적이 우수한 경우에는 정기

검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할 수 있음

○ 안전인증을 받은 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후 제조되는 어

린이놀이기구에 대하여 자체검사를 실시하고 그 기록을 작

성·보관해야 함

○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안전검사에 합격하였거나 안전인증

을 받은 어린이놀이기구에 대하여 어린이놀이기구의 몸체에

안전검사에 합격하였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부착해야 함

- 제조업자·수입업자·판매업자는 안전검사 또는 안전인증을

받지 아니하였거나 안전검사에 불합격한 어린이놀이기구에

대하여는 이용할 수 없음

2) 어린이놀이시설 설치시 안전 검사

○ 어린이놀이시설을 설치하는 자는 안전검사 또는 안전인증을 받

은 어린이놀이기구를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

○ 어린이 놀이시설 설치자는 어린이놀이시설을 관리주체에게 인

도하기 전에 안전검사기관으로부터 설치검사를 받도록 규정

Page 6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5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관리주체는 설치검사를 받은 어린이놀이시설이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전검사기관으로부

터 2년에 1회 이상 정기검사를 받아야 함

- 설치검사 및 정기검사에 합격된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설치검사 및 정기검사에 합격되었음

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여야 함

○ 설치시 안전검사를 받지 아니하였거나 설치검사에 불합격된

어린이놀이시설은 이용할 수 없도록 규정

- 관리주체는 정기시설검사를 받지 아니하였거나 정기시설검

사에 불합격된 어린이놀이시설을 이용할 수 없음

3)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 검사

○ 관리주체는 어린이놀이시설의 기능 및 안전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시설에 대한 유지관리를 이행

○ 관리주체는 설치된 어린이 놀이시설의 기능 및 안전성 유지를

위하여 법에서 정하고 있는 주기·방법 및 절차 등에 따라 당

해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함

○ 관리주체는 안전점검 결과 해당 어린이놀이시설이 어린이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이용을 금지

하고 1개월 이내에 안전검사기관에 안전진단을 신청하여야 함

- 안전진단 신청을 받은 안전검사기관은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신청인 및 해당 어린이놀이시설의 소관 행정기관

에 통보하여야 힘

- 안전진단 결과를 통보받은 관리주체는 해당 어린이놀이시설

이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리·

보수 등 필요한 조치를 실시하고 안전검사기관으로부터 해

당 어린이놀이시설의 재사용 여부를 확인받아야 함

Page 6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51

구분 검사대상 검사시기 검사기관 구분

설치

검사

안전검사 또는

안전인증을 받은

어린이놀이기구

어린이놀이시설을

관리주체에게

인도하기 전

안전검사기관표시

의무

정기

검사

설치검사를 받은

어린이놀이시설2년에 1회 이상 안전검사기관

표시

의무

안전

점검설치된 어린이놀이시설 월 1회 이상

관리주체 또는

대리인

기록.

보관

<표 3-3>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체계

2. 승강기 안전관리 제도

가. 제도 개요

○ 승강기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승강기 안전부품에 대

한 안전인증제도 및 승강기 안전성검사에 대하여 기준과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음

○ 승강기 및 승강기 안전부품에 대한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설계,

제조단계에서 안전성을 검증하는 체계 마련

- 승강기 제조업자 및 보수업자가 사후관리에 필요한 보수용

부품과 용역을 관리주체에게 적기에 공급하도록 하기 위하

여 보수품질 우수업체를 선정하여 업체간 품질경쟁을 유도

- 승강기 관리주체에게 월 1회 이상의 자체점검 및 사고발생시

보고를 의무화

○ 보수 하도급시 승강기 관리주체의 동의를 서면동의로 구체화

하고, 승강기 사고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승강기 이용자의 안전을 강화

Page 6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5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2007년 12월 국회를 통과한 개정 법률에서는 특별관리가 필요

한 승강기 시설에 대해 정밀안전검사제도 도입

- 오늘날 승강기는 대다수의 국민들이 이용하는 생활필수설비

로서 편리한 교통수단인 반면 사고가 발생하면 중상이나 사

망 등 심각한 상황 초래

- 이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승강기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정

밀안전검사를 도입·실시하고 평가하는 제도 도입

나. 제도 주요 내용

1) 부품 안전인증

○ 승강기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승강기 안전부품 제조

업자가 승강기 안전부품 모델별로 안전인증기관의 안전인증

및 검사를 받도록 규정

- 승강기 안전부품은 구체적으로 승강기의 부품 중 조속기, 비

상정지장치, 완충기, 상승과속방지장치용 브레이크 및 승강

장문 잠금장치 등을 의미함

○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승강기 안전부품의 안전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전부품제조업자의 공장

에 대하여 안전검사를 실시할 수 있음

○ 안전인증을 받은 안전부품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후 제

조되는 승강기 안전부품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제품검사를 실

시하고 그 기록을 작성하여 2년간 보관

○ 안전부품제조업자가 안전인증을 받은 경우에는 지식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승강기 안전부품에 안전인증의 표시를 해야함

○ 안전인증의 표시가 없는 승강기 안전부품의 판매·사용 등의

금지에 관하여 규정

○ 승강기 시설과 관련해서는 법률로서 안전부품에 대하여 강제

Page 6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53

인증을 받아 승강기의 모든 안전부품을 제조하는 자는 의무적

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고, 이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인증

표시를 하지 못하고, 수입, 판매, 진열할 수 없음

구분 내 용

인증기관 지정받은 안전인증기관

인증기준

- 승강기 안전부품

설계⋅제조⋅성능⋅제조설비⋅자체검사설비⋅시험검사 및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

- 승강기 조립 후의 승강기 안전부품의 성능에 관한 사항

- 제조과정⋅품질관리 및 공정관리 등 승강기 안전부품의

생산체계평가에 관한 사항

자체검사- 기록사항: 제품명 및 모델명, 검사의 연월일 및 장소, 검사자의

성명, 검사수량, 검사내용, 검사결과

사후검사

▶ 공장검사: 2년 주기

▶ 검사항목:

- 승강기 안전부품이 안전인증서에 기재된 제조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는지 여부

-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품의 목록에 의한 부품을

사용하여 생산하고 있는지 여부

- 인증기준에 따라 생산하고 있는지 여부

- 자체검사의 실시여부와 자체검사기록의 작성·보관 여부

<표 3-4> 승강기 안전부품 관리체계

2) 승강기시설 안전인증

○ 승강기 제조업자는 승강기의 안전성 확인을 위하여 필요한 경

우에는 승강기 모델별로 지정된 안전인증기관의 안전인증을

받을 수 있음

○ 안전인증을 받은 승강기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후 제조

되는 승강기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제품검사를 실시하고 그 기

록을 작성하여 2년간 보관

○ 승강기에 대한 안전인증은 안전부품과는 달리 강제인증이 아니

고, 임의인증이고 인증된 승강기에 대해서는 지식경제부령이 정

Page 6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5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하는 바에 따라 완성검사 및 수시검사의 일부를 면제할 수 있음

- 즉, 승강기제조자는 승강기에 필요한 안전부품은 안전인증을

받은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승강기 자체에 대하여는 인

증을 받지 않아도 판매하거나 진열할 수 있음

3) 승강기 안전성 검사

○ 승강기의 관리주체는 당해 승강기에 대하여 완성검사와 정기

검사 및 수시검사를 받아야 함

○ 완성검사는 건축물 기타 공작물에 승강기의 설치를 완료한 경

우에 실시하는 검사를 말함

○ 정기검사는 검사유효기간이 만료된 이후에 계속하여 사용하고

자 하는 경우에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검사임

- 이 경우 검사유효기간은 2년 이하로 하되, 검사유효기간의

산정방법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별도 규정

○ 수시검사는 사용 중인 승강기의 용도·제어방식·정격속도·

정격용량 또는 왕복운행거리를 변경한 경우, 승강기에 사고가

발생하여 수리한 경우 또는 승강기의 관리주체가 요청하는 경

우에 실시하는 검사임

○ 정밀안전검사는 승강기의 관리주체가 이용자의 안전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승강기에 대해 보다 강화된 기준을 가지고 안전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임

4) 자체점검

○ 승강기의 관리주체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자체적

으로 승강기 운행의 안전에 관한 점검(자체점검)을 월 1회 이

상 실시하고 그 점검기록을 작성·보존하여야 함

○ 승강기의 관리주체는 자체점검의 결과 당해 승강기가 안전운

행에 지장이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를 즉시 보수하여야

Page 6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55

하며, 보수를 할 때까지 운행을 중지하여야 함

5) 사고 조사

○ 승강기의 관리주체는 중대한 사고 또는 승강기 내에 이용자가

갇히는 등의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 때에는 승강기안전관리원

의 장에게 통보해야 함

- 이 경우 승강기안전관리원의 장은 통보받은 내용을 지식경제

부장관, 시·도지사 및 사고조사판정위원회에 보고해야 함

- 승강기안전관리원의 장은 승강기 사고의 효율적인 조사를

위하여 사고조사반을 둘 수 있으며, 지식경제부장관은 승강

기안전관리원이 조사한 승강기 사고의 원인 등을 판정하기

위하여 사고조사판정위원회를 둘 수 있음

단계별 안전관리제도 내용

제조단계

안전부품

인증제도- 강제인증: 지정된 안전인증기관에 의하여

안전부품에 대한 인증

- 임의인증: 인증을 받고자 하는 승강기제조자가

자율적으로 인증승강기안전

인증제도

설치단계 완공검사 - 승강기의 설치 완공 시, 운행을 위한 검사

유지.관리

단계

특별관리대

상 승강기

지정제도

- 사고가 발생한 승강기 등에 대한 안전을 위하여

특별관리를 위한 제도

정기검사 - 운행중인 승강기에 대하여 2년을 주기로 실시

자체점검 - 월 1회 관리주체에 의하여 실시

사고

수습

단계

사고조사

- 사고조사반: 승강기 사고의 재발방지 및 예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승강기

사고의 원인 및 경위 등에 관한 조사

- 사고조사판정위원회: 승강기안전관리원이 조사한

승강기 사고의 원인 등을 판정을 함

<표 3-5> 승강기 안전관리체계

Page 7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3장 사례 분석 57

제 4 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7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59

제1절 기본 방향

1. 제도개선 방향

가. 사전 예방 기능 강화

○ 사전 예방의 원칙은 보건, 환경, 도덕 등과 같이 국민들의 안

녕에 직접적인 위험의 소지가 있는 문제들에 대한 법적, 행정

적 조치를 규제하는 원칙

- 어떤 행동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지 확률적으로 불

확실(uncertainty)하고 위험한 상황의 결과가 그 성격상 돌

이킬 수 없는 비가역성(irreversibility)을 갖는 경우에 공중

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 미연에 막는 것이 법과 행정이 취해

야 할 가장 바람직한 방침

○ 유기기구의 안전사고는 그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과학적 수치

로 명백하게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성 검사의 필요성을

소홀히 여길 수 있으나, 사고의 결과는 인명을 앗아갈 수 있는

불가역적 결과를 초래하므로 사전예방의 원칙 적용 필요

- 재해의 불가역성, 심각성, 미래세대에 대한 영향, 대안의 이

용 가능성, 잠재적 위해의 증거 정도, 불확실성의 수준 등 여

러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의 정당성은

법률적, 사회적, 도덕적으로 중요

○ 유기시설에 대한 직접적 안전성 검사뿐만 아니라 부품, 제조

및 보수 업체, 특별관리 대상 유기기구 및 시설, 관리자 및 종

사원의 안전 교육 등 다각적 측면을 안전성검사 체계에 포함

Page 7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6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나. 안전성검사의 실효성 확보

○ 유기기구와 유기시설은 수십년을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

록 설계가 되고, 여러 안전시험 및 검사를 거쳐 설치가 되지만

기계적 결함은 상시 존재하기 때문에 관련 주체들의 안전불감

증에서 비롯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검사 시스템의 실

효성 확보 노력 필요

○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검사 절차상의 문

제점이 최소화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하고,

안전성 검사 과정이 투명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함

○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은 안전성 검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고, 검사대상과 검사방법 및 절차의 명확화를

통해서 확보 가능

다. 사후 안전관리의 지속적 유지

○ 안전성 검사에 대한 사후 안전관리를 위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보고체계를 강화하여 안전사고의 유형별 대응체계를 구축하

고 재발방지를 위한 별도의 관리 방안 마련

○ 따라서 유기시설과 유기기구에 대한 안전성 검사 체계를 지속

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관리 감독을 강화하

여 놀이기구로서 국민의 안전한 여가생활 도모에 기여

○ 유원시설업의 산업 진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전성

검사 기준을 강화하고 선진 검진체계를 개발하여 이용객의 생

명을 담보로하는 위험시설로 인식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

속적으로 안전한 놀이기구로서 역할을 유도

Page 7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61

라. 검사 주체의 공신력 강화

○ 안전성 전문 검사기관의 재정비를 통하여 체계적이면서도 지

속적으로 안전 검사 및 정밀안전검사 방법 등을 연구하여 제

도적 및 기술적으로 안전성 검사에 대한 수준을 높임

○ 안전성 검사는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는 만큼 국민적 공감

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문성과 공공성을 갖춘 검사 주체 선

정이 중요

2. 안전성 검사 주체별 역할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관리는 문화체육관광부, 기초 자

치단체(시․군․구),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와 사업주가 담당

○ 안전성검사(실태점검 포함)와 인허가 부문은 문화체육관광부(한

국종합유원시설협회가 부분 지원)와 기초 자치단체가 담당하는

반면, 안전교육은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 및 사업주가 담당

○ 주체별 주요 역할

- 문화체육관광부는 유기시설과 유기기구 안전성검사와 관련

하여 제도 정비 등을 통하여 검사에 대한 통합적 지원 및 조

정을 담당하고 실질적 안전성 검사의 실행주체임

- 기초 자치단체는 안전성검사를 제외한 인․허가 및 관리, 점검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향후 안전성검사 체계가 대폭적 개

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주도적 역할 담당 필요

-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의 경우, 인․허가 시 안전성검사 담당,

공무원, 안전관리자, 사업주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담당, 안

전관리자 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이외에도 유원시설업

체 및 유기기구 제작 업체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안전성검사

의 주체이면서 객체에 해당됨

Page 7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6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실질적 관리주체인 사업주는 안전

관리자를 배치하여 일일안전점검 및 종사원 교육 등을 지도,

감독하고 안전성검사 결과에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안전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대상 주체별 역할 근거 규정

문화체육

관광부

․ 관련법 제정, 실태점검 계획 수립 및

시행-

․ 교육계획 수립 및 교육 위탁 관광진흥법 제133조

기초

자치단체

․ 유원시설업의 허가 관광진흥법 제5조

․ 실태점검 시 관련부서와 합동점검

실시-

한국종합

유원시설

협회

․ 허가 전 검사, 정기검사, 재검사 실시 관광진흥법시행규칙 제40조

․ 안전관리자 교육, 안전관리자 양성

교육관광진흥법시행규칙제56조

․ 사업주 안전관리교육, 담당공무원

교육 -

․ 유원시설업체 및 유기기구제작 업체

관리-

유원시설

사업주

․ 안전관리자 배치, 일일안전점검, 운

영요원지도․감독 실시관광진흥법시행규칙 제42조

<표 4-1> 안전관리 관련주체별 역할

Page 7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63

제2절 안전성검사 비교 검토

1. 검사 대상

○ 비교 대상의 안전성검사 대상은 비교적 명확하게 법률로 규정

하고 있으나 유기시설은 검사 대상과 비검사 대상의 구분 모호

○ 외국사례와 비교할 때 복잡한 분류체계로 인하여 유사시설과

중복되는 혼란 및 어린이용 유기시설의 비검사 대상 분류

○ 부품 및 제조업자에 대한 안전 인증 절차가 미흡

구분 주요 내용 비교

유기시설

(한국)

- 안전성검사대상과 비검사대상을 열거적으로 규정 : 주행형/고정

형/관람형/놀이형

- 비검사 대상 기구에는 어린이용 기구가 대다수 차지

- 비검사 대상 중 놀이형 유기기구는 게임산업진흥에관한 법률의

게임물과 중복

- 부품의 경우에는 안전성 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에 부착

된 부품만 검사 대상으로 인정

유희시설

(일본)

- 건축기본법의 유희시설에 포함되면 모두 안전성검사 대상 : 고

가의 유희시설 및 회전운동을 하는 유희시설로 구분

- 건설성 고시에서 고가의 유희시설을 5종류로, 회전운동을 하는

유희시설을 7종류로 세분화

유희시설

(미국)

- ASTM의 기준에서는 모든 유기기구와 유기시설이 안전성검사

대상 : 이용자직접운전 기구, 인공 등반벽, 활주형 기구, 동전주

입식 주행 기구, 물놀이기구, 공기주입식 기구로 구분

- 미국은 주 별로 안전성검사에 대해 차별화된 규정

어린이

놀이시설

(한국)

-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인증대상공산품인

어린이놀이기구(부품 및 제조업자 포함)

승강기

(한국)

-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에 의해 승강기로 분류되는 시설로서 엘

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휠체어리프트 등 (제조업자 포함)

- 부품에 대한 강제인증제 시행

<표 4-2> 안전성 검사 대상 비교 검토

Page 7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6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2. 검사기준

○ 안전성 검사 기준은 비교 검토 대상 모두 법률로서 규정하고

있으나 기준의 적정성에 대한 검증 및 보완 시스템은 미국의

유희시설에서만 볼 수 있음

○ 대부분의 사례에서 검사 기준은 정부부처에서 마련하고 있으

나 미국의 경우는 비영리 민간기관(ASTM)에서 작성하였고,

기준의 내용도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분야까지 포함

○ 유기시설의 검사 기준에서는 사고 발생 유무 및 조치 기록, 안

전교육 및 안전관리 계획 등에 대한 세부 항목을 포함하여 안

전사고 예방에 기여 할 수 있음

구분 주요 내용

유기시설

(한국)

- 유기시설 유기기구 안전성검사의 기준 및 절차 고시

- 허가전검사는 설계검사와 완성기능검사의 안전기준을 분리

- 별도의 이동식․임시 유기시설․유기기구의 검사 기준을 설정

- 정기검사와 재검사의 안전성 검사 기준은 동일함

유희시설

(일본)

- 건축기준법에서 안전성검사의 항목, 사항, 방법 및 결과의 판정기

준 외 검사결과표 등 제정

- 모든 시설에 대해 동일한 기준 적용

유희시설

(미국)

- ASTM의 F-24위원회에서 안전성 검사에 대한 기준 마련(35개 주

에서 이 정비 기준 준용)

- 각종 표준지침/ 시험방법/ 표준절차/ 표준규격/ 표준용어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주별 동일기준 적용 유도

어린이

놀이시설

(한국)

- 어린이놀이시설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고시

- 그네/ 미끄럼틀/ 정글짐/ 공중 놀이기구/ 회전 놀이기구/ 흔들 놀

이기구 등 놀이기구의 종류에 따라 상세한 안전기준 마련

- 미국, 유럽, 일본의 안전규격 인용

승강기

(한국)

-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8-733호를 기준으로 함

- 점진적으로 검사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를 보임

<표 4-3> 안전성 검사 기준 비교 검토

Page 7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65

3. 검사 방법

○ 대부분 운행전 검사와 운행후 검사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검사

후에는 검사 결과를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불합격 기구에

대한 별도의 처벌규정은 없음

○ 승강기시설의 경우 특별관리가 필요한 기구에 대해서는 정밀

안전검사 실시

구분 주요 내용

유기시설

(한국)

- 운행 전 검사 : 허가전검사(설계검사+완성검사)후 영업허가 획득

- 운행 후 검사 : 정기검사(연 1회 이상), 재검사

- 설계검사는 서류 심사, 기타 검사는 육안과 기기 검사 병행

- 필요한 경우 비파괴검사, 계측검사, 조작검사 실시

- 안전부품 인증 및 제조업자 인증 등의 절차 전무

유희시설

(일본)

- 운행 전 검사 : 건축확인(설치허가를 주기 위한 설계검사)→ 중간

검사(사용허가를 주기 위한 착공 후 검사)→ 완료검사(완공 후)

- 운행 후 검사 : 연 1회 이상 정기검사 결과 보고 의무화

- 유희시설을 승강기와 동일시하여, 건축기본법 상 공작물로 지정

유희시설

(미국)

- 캘리포니아주 : 고정식 기구는 주 검사관이 연단위로 불시에 검

사하고 소유자는 연단위로 품질안전검사관에게 인증 받음

- 플로리다주 : 주 행정관은 고정식 놀이기구에 대해 6개월마다 검

사 실시(비파괴 전문가 동반)

- 노스캐롤라이나주 : 이동식 설비는 매 설치과정 마다 검사를 실

시하고, 고정식 유기시설은 두 달에 한번 작동 검사 실시

어린이

놀이시설

(한국)

- 설치시의 설치검사→ 2년에 1회 이상 정기시설검사, 월 1회 이상

의 안전점검 (설치검사 및 정기시설검사에 불합격된 경우에는 시

설 이용 금지)

- 자체검사의 실적이 우수한 경우, 정기검사의 전부 또는 일부 면제

- 검사 방법으로는 기계를 활용하여 검사

승강기

(한국)

- 승강기의 부품에 대한 강제인증제도 실시.

- 완성검사(승강기 설치를 끝낸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정기검사,

수시검사(승강기 관리주체가 요청하는 경우)

- 안전인증을 받은 승강기는 완성검사 및 수시검사의 일부를 면제

- 관리주체는 월 1회 이상 자체점검 실시후 기록 작성 및 보존

- 특별관리가 필요한 승강기에 대해서는 정밀안전검사 실시.

<표 4-4> 안전성 검사 방법 비교 검토

Page 7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6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4. 검사 주체

○ 검사주체는 대부분 전문적인 공공기관에서 담당하나 일본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민간기관에서 담당하고 보고체계를 강화

○ 유기시설과 관련하여 검사주체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검사

기관의 등록요건을 강화하고 안전성검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

한 기반마련 필요

구분 주요 내용

유기시설

(한국)

- 문화체육관광부의 검사 권한을 위탁받은 기관이 검사(2009년 한

국유원시설협회, 한국산업안전협회)

- 검사기관 등록요건은 인력기준/ 장비기준 등(비영리 법인)

- 완성검사, 정기검사, 재검사 검사기관 동일

유희시설

(일본)

- 건축확인, 중간검사, 완료검사의 경우 건축주사(특정행정청), 지

정확인검사기관(민간)이 담당.

- 건축확인검사는 지정구조계산적합성판정기관을 지정하여 심사

- 정기검사는 정기검사자격자 지정(1급 건축사 및 2급 건축사 또는

국토교통대신이 정하는 자격을 가진 자로 한정)

- 등록승강기검사자격자강습을 수료하고 그 수료시험을 통과하여

개인자격증 취득 가능(승강기 및 유희시설 검사자격 동시 부여)

- 국토대신등록강습은 지정검사자격자등록강습기관이 담당

유희시설

(미국)

- 국제유기시설협회(IAAPA)가 미국재료시험학회(ASTM)의 F-24

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비기준을 토대로 검사

- 미국 50개 주에서 사용하는 52개 규정 중, 41개 규정에서 소유주

가 유희시설 검사 의무를 가지도록 규정하고, 30개 이상의 규정

에서 행정기관이 감사, 운행정지, 사고조사 등을 하도록 규정

어린이

놀이시설

(한국)

- 설치검사 및 정기시설검사는 안전검사기관에서 수행

- 안전점검은 관리주체 또는 대리인이 수행

- 안전검사기관은 비영리법인 또는 단체로서 시험, 검사설비 및 검

사인력 등을 갖추어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신청한 기관.

-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안전검사기관/안전관리지원기관으로

지정, 안전관리지원기관으로 한국기기유화시험연구원 지정

승강기

(한국)

- 행정안전부장관이 지정한 검사기관이 승강기 관련 각종 검사 및

정밀안전검사를 대행

- 국내의 승강기 안전인증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담당

<표 4-5> 안전성 검사 주체 비교 검토

Page 7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67

제3절 제도 개선 방안

○ 안전성 검사를 통한 안전사고 사전예방 기능을 강화하고, 검

사대상을 명확히하며, 검사 기준 및 방법의 공정성을 확보하

고 검사주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의 안전성 검사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함

- 검사 대상에서는 안전사고 현황과 사례조사 결과를 토대로

검사 대상과 비검사 대상 구분을 명확화

- 검사 기준과 방법 및 주체 측면에서는 안전사고의 예방 기능

을 강화하고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종합적 안전관리체계에서는 재발방지를 위한 안전사고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유원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정

책적인 접근 방법 제시

구분 개선 내용

검사 대상

- 주행형 및 고정형 유기시설 전체에 대한 안전성 검사 실시

- 안전성검사 비대상 관람형 유기시설의 기준 명확화

- 안전성검사 비대상 놀이형 유기기구 범위 조정

- 신종유기시설의 모니터링 강화 및 안전성검사 절차 도입

검사 기준- 허가전 검사의 서류항목 기준 보완(예방 기능 강화)

- 시험운행 기준 강화

검사 방법

- 유기시설(기구)의 부품 인증제 도입

- 정밀안전성 검사 제도 도입

- 안전성검사 결과 평가체계 도입

검사 주체

- 안전성검사 기관 등록기준 개선

- 안전성 검사주체의 다각화

- 유기시설 안전관리 주관기관 설립(장기)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

- 유원시설안전관리법 제정(장기)

- 안전사고 보고 의무화

- 안전사고 조사기능 도입

- 안전성검사 면제 제도 도입

<표 4-6> 안전성검사 제도 개선 방안

Page 8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6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1. 검사 대상

가. 안전성 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기구

1) 안전성 검사 대상 유기기구 범위 조정

○ 현행 관광진흥법에서는 유기시설․유기기구를 조작하는 주체와

이동 강도에 따라 안전성 검사 대상과 안전성 검사 대상이 아

닌 시설 및 기구로 구분하고 있음

분류 내용

주행형

궤도

주행형

일정한 궤도(레일⋅로프 등)를 가지고 있으며 궤도를 이용하

여 승용물이 운행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주로

주행형

일정한 주로(도로 또는 이와 유사한 주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주로를 이용하여 승용물이 운행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수로

주행형

일정한 수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수로를 이용하여 승용물이

운행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자유

주행형

일정한 지역(공간 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지역(지면, 수면)을

이용하여 승용물이 운행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고정형

종회전

고정형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승용물이 수직방향으로 수직원운동

또는 요동운동을 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횡회전

고정형

수직축을 중심으로 승용물이 수평방향으로 수평원운동을 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복합회전

고정형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승용물이 회전⋅반회전 또는 직

선운동을 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승강

고정형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승용물이 상하운동 및 좌우운동으로 운

행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관람형

기계

관람형

음향⋅영상 또는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일정한 기계구조물 내

에서 시뮬레이션을 체험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입체

관람형

음향⋅영상 또는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설(건축물⋅일정한 공간 등)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체험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놀이형

일반

놀이형

이용객 스스로 가 일정한 시설 (건축물, 공간 등)에서 설치된

기계⋅기구를 이용하는 유기 시설 또는 유기기구

물놀이형물을 매개체로 하여 일정한 규격(틀 등)을 갖추어 이용자 스스

로 물놀이기계⋅기구 등을 이용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표 4-7> 안전성 검사 유기시설․유기기구의 분류체계

Page 8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69

○ 유기시설․유기기구를 조작하는 주체와 관련해서는 이용객이

스스로 참여하여 작동하는 유기시설을 안전성 검사 대상 유기

기구에서 배제

○ 이동 강도와 관련해서는 주행형은 시속 5킬로미터 이하, 고정

형은 회전반경이 3미터 이내의 기준 설정

- 관람형과 놀이형의 경우는 기구의 이동성을 전제하지 않는

유형이므로 이동강도와 관련한 기준 배제

○ 안전성 검사 대상이 아닌 주행형과 고정형 및 관람형의 유기

기구는 어린이가 주 이용층인 반면 놀이형의 경우는 성인용

오락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유형 내용

주행형

일정 궤도․주로․지역(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시속 5 킬로미터 이

하 속도로 이용자 스스로가 참여하여 운행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고정형회전반경이 3미터 이내로 이용자 스스로가 참여하여 작동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관람형일정한 시설물(기계․기구․건축물․보조기구 등) 내에서 이용자 스

스로가 참여하여 체험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놀이형

일정한 시설(기계․기구․공간 등) 내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하거나

롬 기억소자 등이 장착된 피시비(PCB) 형태 또는 컴퓨터 CD 등

을 이용한 프로그램 등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상황을 레버와 버

튼 또는 기구로 작동하여 이용자 스스로가 이용하거나 체험할

수 있는 기구로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사행성이 없는 유기시

설 또는 유기기구

<표 4-8> 안전성 검사 비대상 유기시설․유기기구의 분류체계

① 주행형과 고정형 유기기구 전체의 안전성 검사 실시

○ 주행형과 고정형의 안전성 검사 대상이 아닌 유기기구는 별도

의 약식 절차를 통해 안전성검사를 이행하는 것이 필요함

Page 8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7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특히 주 이용층이 어린이인 점을 감안하여 어린이의 기준에

맞는 별도의 기준이 보완되어야 함

- 약식절차는 안전성 검사 대상이 늘어남으로써 수수료 등 사

업자의 부가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실태

점검시 포함하는 방안 검토 필요

○ 주행형과 고정형의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는 일본과 미국 등

선진국의 유기시설 유형과 유사한 형태이고, 선진국에서는 유

기시설 전체에 대해 안전성검사를 실시함

② 안전성 검사 비대상 관람형 유기시설의 기준 명확화

○ 관람형 유기시설의 안전성 검사대상 여부를 구분하는 기준이

모호하여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기준 제시 필요

- 음향 및 영상 또는 보조기구의 이용 여부와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체험과 기계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체험의 여부

등은 안전성 검사 대상 여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부적절함

- 관람하는 좌석의 고정 여부 및 시설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서

검사 대상 여부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함

분류 기준

안전성

검사

대상

기계

관람형

음향⋅영상 또는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일정한 기계구조물 내

에서 시뮬레이션을 체험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입체

관람형

음향⋅영상 또는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설(건축물⋅일정한 공간 등)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체험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안전성검사

비대상

일정한 시설물(기계․기구․건축물․보조기구 등) 내에서 이용자

스스로가 참여하여 체험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표 4-9> 관람형 유기시설 분류체계

Page 8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71

2) 안전성검사 비대상 놀이형 유기기구의 범위 조정

○ 안전성 검사 비대상 놀이형 유기기구는 일정한 시설(기계⋅기

구⋅공간 등) 내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하거나 롬 기억소자 등

이 장착된 피시비(PCB) 형태 또는 컴퓨터CD 등을 이용한 프

로그램 등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상황을 레버와 버튼 또는 기

구로 작동하여 이용자 스스로가 이용하거나 체험할 수 있는

기구로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사행성이 없는 기구

○ 규정이 모호하여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게임물로 등급

분류 받은 기구를 비안전성검사 대상 놀이형 유기기구로 허가

요청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임

- 이러한 논란은 당초 공중위생법에서 정하고 있는 유기장업

이 문화체육관광부로 이관되어 게임진흥법과 관광진흥법으

로 각각 분리되는 과정에서 기존 사업자들을 보호할 수 있도

록 규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임(문화체육관광부, 2009)

【게임물산업진흥에관한법률】 제2조제1호/ 게임물정의

“게임물”이라 함은 컴퓨터프로그램 등 정보처리 기술이나 기계장치를 이용

하여 오락을 할 수 있게 하거나 이에 부수하여 여가선용, 학습 및 운동효과

등을 높일 수 있도록 제작된 영상물 또는 그 영상물의 이용을 주된 목적으

로 제작된 기기 및 장치를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것을 제외한다.

가. 사행성게임물

나. 「관광진흥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한 관광사업의 규율대상이 되는 것

다. 게임물과 게임물이 아닌 것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

【관광진흥법시행규칙】 별표 11/ 놀이형기구

일정한 시설(기계․기구․공간 등)내에서 보조기구를 이용하거나 롬 기억소자

등이 장착된 피시비(PCB)형태 또는 컴퓨터 CD 등을 이용한 프로그램 등으

로 화면에 나타나는 상황을 레버와 버튼 또는 기구로 작동하여 이용자 스스

로가 이용하거나 체험할 수 있는 기구로서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고 사행성

이 없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Page 8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7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① 대안 1 : 놀이형 유기기구를 안전성 검사의 범주에서 제외

○ 미국과 일본의 유희시설 분류체계에서는 우리나라의 놀이형에

해당하는 유기기구를 유원시설의 분류체계에서 배제하고 있음

○ 놀이형 유기시설(기구)은 유기시설(기구)의 도입 취지, 타 유

형 유기기구와의 유사성 등을 고려할 때 안전성검사 대상 및

비대상 유기기구의 성격과는 차이가 있음

○ 특히, 게임물로 분류되는 놀이기구에 대해서는 관리감독하고

있는 관련 규제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유기기구로 중복해서 관

리하는 형태가 비효율적임

○ 따라서, 안전성검사 및 비안전성 검사 대상 유기기구에서 놀

이형 유기기구를 삭제하고 부분적으로 안전성 검사가 필요한

유기기구에 대해서는 타 유형으로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함

○ 본 대안은 놀이형 유기기구 유형 자체를 제도적으로 삭제함으

로써 유원시설업의 허가(기타유원시설업)와 관련한 부가적인

제도 개선 병행이 필요함

② 대안 2 : 게임물 등급분류에 따라 놀이형 유기기구에 포함

○ 놀이형 유기기구 중에서 문제가 제기되는 기구는 게임물에 해

당하는 기구이므로 현행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의 규정을 개정

하여 조정이 가능함

○ 유원시설업과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는 전체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사업이므로 게임물 등급분류의 분류기준에 따라 성

인전용 게임물에 대해서는 유기기구의 유형에서 배제하는 방

법임

○ 놀이형 유기기구 유형이 존치되고 동 유형에 포함되는 기구의

범위가 조정됨으로써 기타유원시설업 등 유원시설업의 허가와

관련하여 법체계의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음

Page 8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73

나. 신종 유기시설 및 기구

○ 관광진흥법은 종합유원시설업 또는 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

기 위하여 허가를 받도록 하고, 허가요건으로 안전성 검사를

받아야 하는 유기시설과 유기기구를 열거적으로 규정

○ 입법의 형식을 안전성 검사 대상인 유기시설과 유기기구를 열

거적으로 규정함으로써 새로운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로서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에서 포함되지 않은 기구는 안전성검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형태임

○ 새로운 유형의 유기시설은 실제적으로 안전성검사를 받을 필

요가 없기 때문에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개전이전까지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전무함

① 신종 유기시설 및 기구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 업계의 대표격인 유원시설업협회에서 지속적으로 신종 기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

○ 신종 기구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관광진흥법 안전성 검사

대상 기구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노력 병행 필요

② 신종유기시설(기구)에 대한 별도의 검사 체계 구축

○ 별도의 안전성 검사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현행 안전성 검사

체계상 신규 기구를 도입하는 사업체에 부담이 될 수 있으므

로 허가전 안전성 검사 체계 안에서 신종 유기시설에 대한 내

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

Page 8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7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2. 검사 기준

가. 허가전 검사의 서류 항목 기준 보완

○ 현행 안전성 검사 항목 및 기준은 한국의 산업안전표준을 비

롯하여 EN(유럽), ASTM(미국), DIN(독일), JIS(일본)등을 토

대로 작성되어 대부분의 내용을 담고 있음

○ 안전성 검사의 궁극적 목표인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서 종사

원 안전교육, 안전수칙 등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계획에 대한

서류검사를 추가하여 검사항목에 포함

- 이러한 항목들이 포함됨으로써 사업주는 관련 계획들을 수

립해야하고 적극적 교육 및 안전의식 고취에 기여하게 됨

- 전문가의 의견에서도 허가 전 검사 시 유기시설(기구)의 사

고 및 시설 관리 기록, 안전교육 계획 등의 서류 보완이 필요

하다고 응답

○ 종사원 교육계획서, 종사원 교육카드를 작성․제출함으로써 영

업 이전에 사전준비가 이루어지도록 유도

- 현재 각 유원시설업체에서는 종사원 안전교육을 자체적으로

시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성화하고 교육실적을 사

진 자료화하여 제출하도록 유도

○ 외국에서 운행하던 유기기구가 국내로 임시 영업을 위하여 도

입․설치될 경우에는 외국 검사기관에서 실시한 검사결과서 및

시험성적서를 제출하도록 하여 검사기관에서 사전 검토하는

단계를 제도화

나. 시험운행 기준 강화

○ 실제 운행 시와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운행을 실시하도록 제도화

- 전부화 테스트4)(Full load Test), 인터록 테스트5)(Inter Lock

Page 8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75

Test) 등 실제 운행 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시험운행을 지

속 실시

- 현재 유기기구 및 시설 제작 매뉴얼에 시험운행의 방법, 횟

수에 대한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현재 각 유원시설의 시험운행에 대한 유기기구별 특성에 부합

하는 시험운행의 적정 방법 및 절차가 미흡함에 따라 시험운

행의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연구조사를 통하여 시험운행에 대

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여야 함

3. 검사 방법

가. 유기시설(기구)의 부품 인증제 도입

○ 현행 관광진흥법 제33조에 따른 안전성검사의 항목에 유기시

설 또는 유기기구의 부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 내용을 추가하

는 제도 도입 필요

○ 현행 제도에서도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유기기구 및 안

전성검사 항목과 안전성검사 대상이 아닌 유기시설⋅유기기

구의안전성검사 항목에서 부품과 관련하여 간접적으로 규정

- 구동장치 중 전동장치, 감속장치, 기계요소장치, 컨베이어장

치, 유압장치, 수압장치 동력전달장치(체인, 벨트 등), 로프

(강재로프, 섬유로프 등), 차륜장치, 공압 장치에 대하여 안

전성검사의항목으로 규정하고 있음

○ 안전성 검사 대상이 되는 부품은 유원시설업자가 설치하여 운

영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에 부착된 부품에 제한되고,

4) 기계에 실제 탑승인원을 탑승시켜 가동하는 실험

5) 출입문, 안전바 등이 안전하게 위치하고 난 뒤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

Page 8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7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범용적으로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조

및 수리되는 부품에 대해서는 안전성검사에 포함되지 않음

구분 관광진흥법 규율범위

기구에

부착된

부품

안전성 검사

대상 기구에

부착

안전성검사 항목에

포함된 부품포함

안전성검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부품불포함

안전성검사 비대상 기구에 부착 불포함

기구에 부착되지 않은 부품 불포함

<표 4-10> 유기시설(기구) 관련 부품의 법률적 관장 대상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부품 제조업자가 안전부품 모델

별로 안전인증기관의 안전인증 및 검사를 받도록 규정

- 유기시설의 안전부품은 구동장치 중 전동장치, 감속장치, 기

계요소장치, 컨베이어장치, 유압장치, 수압장치 동력전달장

치(체인, 벨트 등), 로프(강재로프, 섬유로프 등), 차륜장치,

공압 장치 등을 의미

○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성검사기관에서 인증하고 안전인증을 받

은 안전부품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후 제조되는 유기시

설 안전부품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제품검사를 실시하고 그 기

록을 작성하여 2년간 보관

○ 안전부품제조업자가 안전인증을 받은 경우에는 부품에 안전인

증의 표시를 해야 하고 안전인증의 표시가 없는 유기시설 안

전부품의 판매·사용 등의 금지에 관하여 규정

Page 8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77

나. 정밀안전성검사 제도 도입

○ 현행 관광진흥법에서는 성능의 저하로 이용자의 안전을 침해

하거나 침해할 우려가 있는 유기기구 및 유기기설에 대한 특

별관리 조치가 미흡함

- 설치 후 10년 이상 된 유기기구 및 유기시설을 년 2회 이상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도록 규정

- 유기기구 및 시설의 설치환경 및 관리상태에 따라 부식정도

및 성능 저하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에도 일률적으로 사용연

한 10년 기준을 정하는 것은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어려움

○ 유기시설 및 기구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선진화된 안전정책

과 안전관리기법을 활용한 안전관리기관의 역할강화가 필요

○ 10년 이상된 유기시설 및 기구에 대해 일률적으로 안전성 검

사 회수를 높이기보다는 안전기준에 미달되는 기구에 대해서

보다 정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

○ 정밀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기구의 예

- 정기 검사결과 결함원인이 불명확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밀안전성검사가 필요하다고 정기 안전성

검사 기관이 인정한 시설 및 기구

- 시설 및 기구의 결함으로 인하여 사람이 기구 안에 갇히는

등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 시설 및 기구

- 설치 후 15년이 도래한 시설 및 기구(우리나라 승강기 안전

관리 기준에 의거)

○ 정밀안전성검사에 불합격한 유기기구 및 시설은 운행할 수 없

으며 다시 운행하기 위해서는 정밀안전검사를 다시 받거나 보

수, 교체 등의 필요한 조치를 규정

○ 정밀안전성검사의 기준, 항목 및 방법 등은 문화체육관광부장

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 항목 및 방법 등을 따르도록 규정

Page 9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7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다. 안전성 검사 결과 평가제도 도입

○ 안전성검사기관은 구비서류 검토 후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현

장검사가 종결되면 검사서를 해당업체 및 해당 기초 자치단체

에 통보하도록 규정

○ 안전성 검사가 적법한 기준과 방법으로 이뤄졌고 검사 과정에

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환류체계를 점검하고 검증과정은

제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

○ 안전성검사가 안전사고 예방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검사 기준, 방법 등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

해서는 적절한 평가제도의 도입이 필요

- 평가 제도의 도입을 통해 육안검사와 기계검사의 개선 방안

을 모색할 수 있고, 평가체계에서도 추가적인 검사단계와 불

필요한 검사단계를 규명하여 개선 가능

- 또한 안전성검사가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검사로 인식될 수 있는 기회로 활용 가능

4. 검사 주체

가. 안전성검사기관 등록 요건 개선

○ 안전성검사 기관은 검사 수행을 위한 전문성과 영리를 추구하

지 않고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공정성을 수반할 수 있는 기

관으로 지정되어야 함

○ 유기시설 안전성 검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검사항

목에 포함되어 있는 비파괴 전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비파

괴 전문가가 포함되어야 함

Page 9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79

○ 안전성검사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전성검사자가 해

당 검사기관에 정규직원으로 채용되어 있어야 하고 검사 대상

인 특정 유원시설업체 및 유기시설과 유기기구 제작업체에 소

속되지 않은 전문가이어야 함

구분 등록요건

인력 기준

- 일련의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자 중 7명 이상을 채용하되,

기계분야 자격자 4명(가목 해당자 1명 이상을 포함하여야 한다),

전기 분야 자격자 2명 및 산업안전 분야 자격자 1명,

비파괴전문가 1명을 포함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전기 또는 기계안전 분야의

기술사 또는 공학박사와 이에 준하는 실무경력 보유자

- 특정 유원시설업체 및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제작업체에

소속되지 않은 전문가

장비 기준

- 검사기기: 회전속도계, 절연저항계, 전류계, 전압계, 소음계,

온도계, 와이어로프결함테스터, 초음파두께측정기, 조도계,

접지저항계, 광파거리측정기, 경도측정기,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베어링검사기, 가속도측정기,

토크렌치(torque wrench), 유압테스터, 레이저거리측정기

- 시험기기: 자분탐상(磁粉探狀)시험기, 초음파탐상기, 진동계,

진동분석장비[FFT분석기⋅임팩트해머(impact hammer) 및

모덜(modal)프로그램 포함]

- 컴퓨터프로그램: 구조해석용 프로그램

그 밖의

기준

- 비영리법인일 것

- 자체 사무실을 보유하고 2명 이상의 상근 관리직원을 둘 것

- 안전성검사와 관련하여 유원시설업 관광객에게 피해를 준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보증보험에 가입할 것

- 검사 신청 및 절차, 검사조직 운영, 검사결과 통지, 검사수수료

등이 포함된 안전성검사를 위한 세부규정을 마련하고 있을 것

<표 4-11> 안전성검사 기관 등록 요건 개선 방안

Page 9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8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나. 안전성 검사주체의 다각화

○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관광진흥법 제33조제1항, 동법시행령

제65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따라 각 연도별 유기시설․유기

기구 안전성검사 기관을 지정하여 고시

○ 안전성 검사의 전문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검사의 신뢰성을 제

고하기 위해서는 각 검사단계별로 안전성 검사 주체를 별도

지정할 수 있는 유연적 제도 도입이 필요

- 부품 인증기관, 설계 검사 기관, 완성검사 기관으로 구분하

여 검사 주체를 지정할 수 있도록 제도화(종합적인 안전성검

사 기관의 선정 별도 추진)

- 장기적으로는 안전성검사자 교육 및 양성기관, 사업자 안전

교육기관 등 교육관련 전문기관 선정으로 확대

- 일본은 유희시설에 대해 부품지정 인증기관, 완성검사 기관,

지정구조계산적합성 판정기관(설계 검사), 검사자 자격자 강

습기관 등 다양한 검사 주체 및 검사자 양성기관을 지정 관리

다. 장기적으로 안전관리 주관기관 설립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안전관리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별도의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관리를 주관하는 공공법인 조직 설립 필요

○ 안전관리를 주관하는 공공법인은 비영리로 운영되어야 하고

다음의 업무를 이행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에 관한 조사 연구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에 관한 교육, 출판 및 홍보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안전에 관한 정보의 수집 및 제공

- 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 및 정밀 안전성 검사 실시

- 그 밖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Page 9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81

5.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

가. (가칭)유원시설 안전관리법 제정

○ 유기기구 안전성 검사는 관광진흥법을 통해서 검사 대상, 검

사방법, 기준 및 검사 주체를 정하고 있으나 대부분 규제적 성

격을 갖는 내용이 관광진흥법의 특성과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많음

○ 유기기구보다 구조적으로 단순할 수 있는 어린이 놀이시설 및

승강기 시설에 대해서는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승강기

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하여 별도의 안전관리 시스

템을 운영하고 있음

○ 유원시설업이 2008년 현재 188개 업체가 운영중에 있는 상황

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관리에 관

한 법률 제정이 필요함

다. 안전사고 보고 의무화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 관련 안전사고의 책임은 관리주체에게

일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안전사고에 대한 별도의 보고체

계는 제도화되어 있지 않음

○ 유기기구 및 유원시설의 관리 및 운영 주체는 그가 관리하는

유기기구 및 유기시설로 인하여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관할 시․군․구청장에게 통보하고, 이 경우 시․군․구청장은 통보

받은 내용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보고 의무화

○ 미국과 일본의 유희시설 안전관리 체계에서는 중대한 사고 발

생시(사망이나 응급조치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관리주

체에게 보고하여야 하고 별도의 현장 정밀 검사 권한 부여

Page 9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8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다. 안전사고 조사 기능 도입

○ 유기시설 및 기구와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 후, 사고의 재발방

지 및 예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사고의 원

인 및 경위 등에 관한 조사를 실시 할 수 있도록 제도화

○ 관리주체는 안전사고의 효율적인 조사를 위하여 사고조사반을

둘 수 있으며, 사고조사반의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

은 정부에서 규정화 필요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조사한 안전사고의 원인 등을 판정하기

위하여 사고조사판정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하고 사고조사판

정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하여는 별도로 규정화

○ 일본, 미국 및 우리나라의 유사시설의 안전진단 체계 내에서

도 안전사고에 대한 보고절차와 별도의 조사체계는 중요한 부

분으로 다루어지고 있음

- 일본에서는 유희시설을 승강기와 동일시하여 건축기본법 상

에서 공작물로 지정하여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하면서 안전

사고에 대한 특정행정청 보고체계를 유지하고 있고, 별도의

조사체계 구축

- 미국에서는 주별로 상이하지만 대부분의 주에서 사고의 경

중 차이는 있지만 보고를 하도록 규정화하고 있는 경우가 많

고 별도의 정밀 조사 실시

- 우리나라의 승강기 안전진단체계에서는 별도의 보고절차가

의무화 되어 있고 이에 따른 사고조사반 구성 및 사고조사

판정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임

Page 9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83

라. 안전성검사 면제제도 도입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관리 체계 내에서 대규모 유원시

설업체는 연간 10회 이상의 안전성검사 및 실태조사를 받고

있는 실정

○ 대규모 유원시설업체일수록 안전사고로 인한 대외이미지 실추

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적인 안전점검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 사업자 자체적인 안전점검 시스템을 제도화하여 일정기간 단

위로 점검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고 안전점검 결과가 우수한

사업체에 대해서는 안전성검사(정기검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하는 제도 도입

○ 어린이 놀이시설과 승강기 시설의 경우에도 자체점검 결과에

따라 정기적인 안전성 검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하는 제

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임

Page 9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4장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85

제 5 장 결론 및 제언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Page 9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5장 결론 및 제언 87

제1절 결론

◦ 안전불감증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사회적으로 안전관리가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고 과학과 공학이 발전하면서 신종

유기기설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유기시설에 대한 안전 대

책은 이러한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 본 연구에서는 유기시설 및 기구의 안전성 검사 제도를 개선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 검사의 실효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 안전관리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선진화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음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제도를 분석하면 안전사

고의 사전예방 기능이 미약하고, 검사대상이 제한적이며, 검사

방법상의 과학적 절차가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검사주체의 공

신력에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음

○ 2003년 이후 2008년까지 언론매체에 보도된 유기시설 안전사

고는 총 18건으로 집게(연평균 3건)되고 있고 이는 전체 유원

시설업체 188개 사업체중 1.6%가 안전사고 사업장을 의미

○ 한국소비자보호원(2002)의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에 따르면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피해를 입은 안전사고 건수가 53.6%를

차지하여 어린이의 유기시설 안전사고 대응체계 마련 필요

○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의 문제점과 안전사고 실태를 바탕으로

국내외 유사사례 조사를 통한 안전성검사 개선 방향 설정

- 안전성검사 개선을 위하여 사전 예방 기능 강화, 안전성검사

의 실효성 확보, 사후 안전 관리의 지속적 유지, 검사 주체의

공신력 강화 등의 개선방향을 설정

○ 안전성검사 개선방향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검사 대상,

검사기준, 검사 방법, 검사 주체, 종합적 안전관리체계라는 분

류체계를 가지고 안전성 검사 개선방안 도출

Page 9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8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검사 대상과 관련해서는 안전사고 현황과 사례조사 결과를 토

대로 안전성 검사 대상과 비검사 대상 구분을 명확화

- 주행형 및 고정형 유기시설 전체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

하고, 안전성검사 비대상 관람형 유기시설의 기준을 명확히

하며, 안전성검사 비대상 놀이형 유기기구 범위를 조정하고

신종유기시설의 모니터링 강화 및 안전성검사 절차 도입 등

의 개선방안 도출

○ 검사 기준과 관련해서는 기존 항목과 기준이 다양한 안전 기

준을 기초로 제시되는 만큼 안전사고의 예방차원에서 추가적

으로 보완할 사항을 제안

- 허가전 검사의 서류항목 기준을 보완하고, 시험운행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개선방안 도출

○ 검사 방법과 관련해서는 사례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체계

적인 검사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완

- 유기시설(기구)의 부품 인증제 도입, 정밀안전성 검사 제도

도입, 안전성검사 결과 평가체계 도입 등의 개선방안 도출

○ 검사 주체와 관련해서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안전성검사 기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안전성검사 기관 등록기준 개선, 안전성 검사주체의 다각화,

장기적으로 유기시설 안전관리 주관기관 설립 등의 개선방

안 도출

○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와 관련해서는 재발방지를 위한 안전사

고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유원시설 안전관리를 위

한 정책적인 접근 방법 제시

- 장기적 관점에서 (가칭)유원시설안전관리법 제정, 안전사고

보고 의무화, 안전사고 조사기능 도입, 안전성검사 면제 제

도 도입 등의 개선방안 도출

Page 9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제5장 결론 및 제언 89

제2절 정책 제언

○ 본 연구는 그동안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주를

이루는 관광정책 연구 분야에서 소외되었던 안전이라는 주제

를 다뤘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와 성과가 있으나 근본적

한계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

- 첫째는 내용적 측면에서 안전성 검사의 절차와 제도상의 방

향성을 보완하는데 집중함으로써 기준과 방법상의 공학적

요소들을 기술적으로 검증하는데 연구의 한계가 있음

- 둘째는 이용객의 안전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안전성 검

사의 성격상 관광산업의 진흥이라는 대명제에 반하는 업계

의 규제강화 연구라는 한계를 가짐

◦ 연구의 한계와 더불어 본 연구는 검사 대상, 기준, 방법, 주체

등 안전성 검사 시스템을 개선하는 과제를 도출하면서 몇가지

정책적 제언을 고(告)함

- 첫째, 유기시설(기구)의 안전관리는 문화체육관광부 뿐만아

니라 행정안전부, 소방방재청, 지자체 등의 소관사항이므로

관련부처 및 유관기관과의 협조체제 구축이 필요

- 둘째, 안전사고의 유형에서 추락사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이용자의 귀책사유일 가능성이 있으

므로 안전성검사와 더불어 이용자 책임규정을 강화하여 불

합리한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 필요

- 셋째, 업계에서는 안전성 검사를 행정적 규제로 인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일정기간 무사고 업체 및 실태점검 우수 업체

등 여러 가지 기준 설정을 통해 업계에 안전성 검사와 관련

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이 폭넓게 제시되어야 함

- 넷째, 현행 관광진흥법상 유원시설업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소관업무는 인허가와 안전성 검사 등 규제정책에 집중되어

Page 10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9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있으므로 산업발전을 위한 본격적인 진흥정책의 추진이 필

요한 시점임(보건복지부에서 이관된 근본적 취지의 실현)

- 다섯째, 장기적 관점에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현행 관광진

흥법 하에서의 안전관리체계가 아니라 새로운 안전관리 법

률과 관리 조직을 통한 체계적인 안전관리 개선이 필요함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속적인 유기시설 및 유기기

구 안전관리를 위한 후속연구의 진행이 필요함

- 안전성검사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완비하고 난 후 업계와 안

전성검사 담당 기관에서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규제 순응도 연구 제안

-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해 행정안전부, 소방방재청 등과 연동

한 유기시설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 연구 제안

Page 10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참고문헌 91

참고문헌

건설교통부(2002), 「공원 및 유원시설의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김상태(2000), 유원시설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

______(2003), 관광객 여행안전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

구원

문화관광부(2006), 2006년도 제2차 안전관리자 교육자료

__________(2007a), 2007년도 제2차 안전관리자 교육자료

__________(2007b), 제 2회 유원시설 안전관리자 양성교육자료 제 1권

__________(2008a), 2008년도 제1차 안전관리자 교육자료

__________(2008b), 유원시설업 사업주 안전교육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08a), 「유기기구별 세부안정성 검사기준 마련 결과보

고서」______________(2008b), 「유기기구별 안전관리 및 점검매뉴얼 결과보고서」______________(2008c), 「2007년 기준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 보고서」______________(2008d), 「이동식 놀이기구 등 임시영업허가 합리화 방안」______________(2009a), 2009년도 제1차 안전관리자 교육자료

______________(2009b), 「유기기구별 안전관리 및 점검매뉴얼」______________(2009c), 유원시설업 사업주 안전교육

박필수(2005), 「산업안전관리론」, (주)중앙경제

소방방재청(2007), 시설물 안전관리기준 표준화방안

__________(2008), 「유원시설 등에서의 안전사고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국내외 안전관리체계연구」시민과학(2002), 사전예방원칙의 적용 및 사례

안홍준(2005), “대도시 공원 재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금강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밀양대학교 산업대학원

Page 10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9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이호성(2002), “테마파크의 라이드 어트랙션 디자인”, 경성대학교 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용민 외1명(2003), “아파트 단지내 아동 유희시설의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정지범(2009), 「국가종합위기관리」, 법문사

한건연(2008), 「新 재난안전관리」, R&D 프레스

한국소비자보호원(2002), 「유원시설 안전실태 조사보고서」________________(2007),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소비자안전

국 리콜제도팀

________________(2008), 국내 유원시설 안전사고 현황, 한국소비자보호

원 내부자료

한국정책과학학회(2007), 국민 안전의식 선진화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종합유원시설협회(2003), 전국 유원시설 편람

____________________(2006a), 유원시설협회보-유원산업 2006년 7월호

통권 제30호

____________________(2006b), 유원시설협회보-유원산업 2007년 7월호

통권 제32호

____________________(2006c), 유원시설협회보-유원산업 2008년 7월호

통권 제34호

미국소비자안전위원회(2005) 놀이기구 안전 사무소 사전(Dictionary of

state amusement ride safety officials -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미국소비자안전위원회(2005), Amusement Ride-Related Injuries and

Death in th United States: 2005 update -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ASTM(2008), ASTM standards on Amusement rides and devices-8th

Edition

UNESCO(2005), The Precautionary Principle

Page 10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참고문헌 93

국토교통성, 도시지역정비국 공원녹지과(2002), 도시공원에 있어서 유기

기구의 안전 확보에 관한 지침

일본사회자본정비심의회 건축분과회(2008), 승강기, 유원시설 등의 안전

확보에 대한 정비

(재) 일본건축설비승강기센터(2008), 승강기 검사자격자 강습 교재(昇降

機.査資格者講習テキスト)

(재) 일본건축설비승강기센터(2008), 승강기, 유희시설 정기검사업무 기

본서(昇降機、遊.施設 定期.査業務基準書)

Page 10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ABSTRACT 95

ABSTRACT

Improvement for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of Amusement Rides and Devi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amusement rides and devices, an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of us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subjects of the

safety inspection must be defined clearly.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the safety inspec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applied scientifically, through the rational process. The inspector

must be the certified organization which has the publicity and

expertise. And together, for the overall safety management, the

accidents report system should be prepared and in the long term,

the extra legislation is needed.

In this study, to achieve the sense of the presence, we

investigated the detail present status of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and research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afety

accidents. We benchmarked the advanced foreign instances of US,

Japan and others, also we studied the internal cases of the safety

inspections of the child play facility and the elevato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case studies,

we derived the direction of policies and the tasks for reformation

to approve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The direction of policies is established to enhance the

Page 10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9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pre-caution ability,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inspection, to maintain the after-accident safety control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trust of the inspector.

Along the direction of policies, in the categories of the

subjects, standards, methods, the inspector of the safety

inspection and overall safety management system, we derived the

various tasks for improvement.

To conclud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s, this study is

an user-oriented policy study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But

in the position of the amusement business sector, this study is

about the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When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implemented in reality, it may be asked that to what

extent do the amusement industry accept. So, in the next

following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incentives for the

business sector, there must be multilateral solu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Page 10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97

부 록

1. 유기시설․유기기구 안전성검사의 기준 및 절차

제정 1998. 8. 27 제1998-37호

개정 2000. 6. 30 제2000- 6호

개정 2004. 1. 5 제2003-18호

개정 2009. 1. 22 제2009- 4호

제1조(목적) 이 고시는 관광진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3조제1항

및 관광진흥법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40조 제6항의 규정

에 의한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이하 “안전성검사”라 한다)

와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가 아님을 확인하는 검사

(이하 “비검사대상 확인검사”라 한다)에 필요한 세부 기준 및 절차

를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① 안전성검사 및 비검사대상 확인검사(이하 “안

전성검사 등”이라 한다)에 대하여 관광진흥법령에 정한 것을 제외하

고는 이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② 이 고시는 법 제80조제3항제4호 및 관광진흥법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65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따라 안전성검사 권한을 위

탁받은 기관(이하 “안전성검사기관”이라 한다), 유원시설업자 및 유

원시설업을 하고자 하는 자 등에게 적용한다.

제3조(용어의 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유기시설․유기기구”라 함은 이용자에게 재미, 즐거움, 스릴을

Page 10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9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제공할 목적으로 제작된 장치 또는 시설물(건축물 또는 그와

유사한 시설물과 기구․기계를 결합한 형태로서 이를 이용하도

록 하기 위한 시설물을 포함하되, 건축법 등 다른 법령에 의하

여 허가․인가 등을 얻은 건축물과 유기기구의 부대시설물은 제

외한다)을 말한다.

2. “이동식․임시 유기시설․유기기구”라 함은 이동․조립․설치가 용이

하도록 트레일러, 자동차 등의 운송장치에 장착되어 이동할 수

있거나 이동식으로 개조되어 영구적인 기초부에 고정하지 않고

임시설치가 가능한 시설물을 말한다.

3. “안전성검사”라 함은 종합․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거나 또는

영위하고자 하는 자가 규칙 별표 11의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

설․유기기구에 대하여 영 제65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안

전성검사기관으로부터 안전 상태를 확인받는 검사를 말하며,

안전성검사는 허가전검사, 정기검사 및 재검사로 구분한다.

4. “허가전검사”라 함은 규칙 제40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종합․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 또는 영위하는 자가 유

기시설․유기기구를 신규로 도입하거나, 이를 이전하는 경우 및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일부

를 변경 또는 개조하는 경우에 안전 상태를 확인받는 검사를

말한다.

5. “정기검사”라 함은 규칙 제40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종합․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는 자가 허가전검사를 받은 다음 년도

부터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유기시설․유기기구에 대한 안

전상태를 확인받는 검사를 말한다.

6. “재검사”라 함은 규칙 제4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안전성검

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유기시설․유기기구, 사고가 발생한

유기시설․ 유기기구, 3개월 이상 운행을 정지하거나 최근 6개월

간의 운행정지기간의 합산일이 3개월 이상인 유기시설․유기기구

Page 10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99

에 대하여 안전상태를 재확인 받는 검사를 말한다.

7. “비검사대상 확인검사”라 함은 규칙 별표 11의 안전성검사 대

상이 아닌 유기시설․유기기구로서 위험요소가 적어 안전성 검사

를 받지 않아도 됨을 확인받는 검사를 말한다.

8.“이전”이라 함은 종합 또는 일반유원시설업을 영위하는 자가

일정한 허가구역 내에서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유기기구를

공간이동(다른 허가구역 이동포함)하는 경우를 말한다.

9.“설계검사”라 함은 허가전검사시 제4조제1항 각호의 서류를 통

한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에 관하여 검토하는 검사를 말한

다.

10.“적합”이라 함은 검사결과가 안전성검사항목 및 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판단되어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이다.

11.“개선필요”이라 함은 검사결과가 안전운행에는 지장이 없으나

안전성검사기준 및 기타 경미한 보완이 필요한 경우이다.

12.“부적합”이라 함은 검사결과가 구조 및 장치의 결함으로 인하

여 안전운행이 불가한 경우이다.

제4조(안전성검사 등 신청) ① 안전성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별지

제1호서식의 유기시설․유기기구 안전성검사신청서를 작성하여 허가

전검사의 경우에는 설치완료 60일전까지, 정기검사의 경우에는 검사

희망일로부터 20일 전까지 안전성검사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허가전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1. 운전 및 유지보수에 관한 절차서

2. 유기기설․유기기구의 전체조립도와 중요부분 상세도

3. 구조계산서

4. 전기회로도

5. 유공압회로도

Page 10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0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6. 별지 제2호 서식에 의한 유기시설․유기기구 이력관리카드(이동

식․임시 유기시설․유기기구에 한한다.)

7. 기타 안전성 검토에 필요한 서류 및 도면

② 허가전검사를 받기 위하여 제출된 제1항의 서류가 안전성검토에

부적합할 경우는 안전성검사기관에서 추가제출 또는 재 제출을 요

구할 수 있다.

③ 비검사대상 확인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영업개시 예정일로부

터 7일 이전까지 별지 제3호서식의 비검사대상 확인검사 신청서와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안전성검사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1.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제원, 기능 및 성능, 제조회사 등을 기재

한 설명서

2. 유원시설업 허가증 또는 신고증 사본(유원시설업의 허가를 득

하였거나 또는 신고를 한 경우에 한한다)

3.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전경사진

4. 기타 안전성 검토에 필요한 서류 및 도면

제5조(안전성검사신청의 반려) ①안전성검사기관은 다음 각 호에 해

당하는 경우에는 검사신청을 반려 할 수 있다.

1. 검사신청접수 일자를 기준으로 검사완료 요청일자가 1주일 이

내일 경우

2. 검사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1개월 이상 제출하지 않은 경우

3. 검사수수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② 검사신청을 반려한 경우에 안전성검사기관에서는 검사수수료를

검사신청자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단, 검사가 일정부분 진행된 경우

에는 발생된 경비를 제외하고 반환할 수 있다.

③ 검사신청자가 제2항에 의해 반려된 유기시설․유기기구의 검사를

다시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검사신청자는 제4조에 의한 검사신청을

Page 11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01

하여야 한다.

제6조(허가전검사 기준) ① 허가전검사는 설계검사를 거쳐야 하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하여야 한다.

1. 하중에 대한 안전성

2. 전기설비 및 제어회로의 안전성

3. 무부하 및 부하 시운전에 의한 안전성

② 유기시설․유기기구 구조계산을 할 때에는 다음 각 호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1. 자중 및 승객하중에 의한 안전성

2. 풍압하중에 의한 안전성

3. 적설하중에 의한 안전성

4. 지진하중에 의한 안전성

5. 기타 안전에 필요한 사항

③ 구조계산서 작성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구조계산서는 서술형으로 작성한 것을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전산해석을 이용한 결과를 제출할 경우에도 반드시 서술형 구

조계산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2. 구조계산서에는 해당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상황을 자유물체

도로 나타내어야 한다.

3. 유기시설․유기기구 운행에 따라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별표

1의 동적계수를 곱한 값으로 구조계산을 한다.

4. 허용응력은 재료의 기준강도를 안전계수로 나눈 값이다.

5. 안전계수는 하중조건 및 재료의 상태 등의 불확실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계수로써 별표2를 적용하여 구조 계

산한다.

6. 유기시설․유기기구에 사용되는 부재의 기준강도는 하중,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Page 11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0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가. 상온에서 연성재료가 정하중을 받을 경우 항복응력을 기준

강도로 사용한다.

나. 상온에서 취성재료가 정하중을 받을 경우 인장강도를 기준

강도로 사용한다.

다. 상온에서 반복하중 및 교번하중을 받을 경우에는 각각의 하

중에 대한 피로한도를 기준강도로 사용한다. 이때 안전율은

중복하여 적용하지 않는다.

라. 상온에서 동하중을 받을 경우는 항복응력을 기준강도로 사

용한다.

마. 긴 기둥이나 편심하중을 받는 부재의 경우에는 좌굴응력을

기준강도로 사용한다.

7. 하중에 의하여 발생한 최대응력은 허용응력보다 작아야 한다.

단 기준강도를 별표3의 피로한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대응

력이 피로한도보다 작아야 한다.

8. 별표4의 내풍․내진․내설 설계기준 및 적용범위에 따라 구조계

산서를 작성한다.

④ 안전성 검토에 필요한 기준은 KS(한국), EN(유럽), ASTM(미국),

DIN(독일), JIS(일본)등에 연관된 기준을 참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

⑤ 전기회로도는 전기결선도, 제어회로도 및 접지배치도 등이 포함

되어야 한다.

⑥ 허가전검사 기준은 별표5의 검사항목에 따른다.

⑦ 별표5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관계법령을 적용할

수 있다.

제7조(정기검사 기준) ① 정기검사 기준은 별표 6의 검사항목에 따

른다.

② 정기검사시 일부 항목이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재검

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Page 11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03

③ 별표 6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관계법령을 적용할

수 있다.

제8조(재검사 기준) 재검사 기준은 별표 6의 검사항목에 따른다.

제9조(검사결과 통보) ① 안전성검사기관은 검사 완료일부터 15일

이내에 그 결과를 해당 업체 및 관할 관청(시․군․구)에 통보하여야

하며, 안전성검사는 별지 제4호서식 및 별지 제6호서식 내지 별지

제9호서식, 비검사대상 확인검사는 별지 제10호서식을 각각 작성하

여 통보하여야 한다.

② 허가전검사는 설계검사 결과 안전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유기시설․유기기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완성검사를 실시하

여 그 결과를 통보하여야 한다.

③ 안전성검사기관은 안전성검사 결과, 부적합으로 판정한 유기시설․유기기구에 대해서 즉시 관할 시․군․구에 안전성검사결과를 통보하여

야 하고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은 해당 사업자에게 검사결과에 따른

개선사항 등을 권고하여야 하며 해당 유원시설업자는 관할관청의

권고사항을 이행한 후 서면보고하여야 한다.

부 칙

① (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경과조치) 이 고시 이전에 시행한 안전성검사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하지 아니한다.

Page 11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0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2. 유기시설․유기기구 허가전 안전성검사 기준

Ⅰ. 총 칙

1. 목 적

이 기준은 관광진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3조,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40조제 6항의 규정에 의한 유

기시설․유기기구 허가전검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규칙 별표11에서 규정된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을 대상으로 구조물의 설계, 구조계산의 기술적 기

준, 구조안전성 및 설치시 준수해야할 사항, 검사항목 등을 규

정한다.

2) 이 기준에서 제시하지 않은 사항은 KS, ASTM, EN, DIN, JIS

등의 규격을 참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

3) 이 기준에서 제시한 기준은 해당 기구에 장치 및 보조장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한다.

4) 이 기준이 적용되기 전에 제작된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적용에

서 제외한다.

Ⅱ. 공통기준

1. 기본 요구사항

1) 모든 유기시설․유기기구는 무부하 시험과 부하시험을 하여야

하며, 각각의 시험운행에서 전류치, 압력, 각종 유격 등을 측

정하여야 한다. 부하시험의 경우에는 어린이 1인당 400N, 성

Page 11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05

인 1인당 750N을 기준하여 정원의 100%로 부하하여 최소 10

회 이상 예상할 수 있는 조건으로 부하운전 시험을 하여야 한

다. 단, 회전관람차는 14. 부하시험 2)항에 의하여 부하시험을

시행한다.

2) 모든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정상작동 또는 비상정지, 정전, 고장,

제어회로 이상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예상 상황을 가정하여

점검하고 시운전하여야 하며 반드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모든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정상작동 또는 비상정지, 정전, 고장,

제어회로 이상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기계의 전복, 쏠림, 들

림, 이동, 변형 등이 없어야 하며 비상시 이용객을 안전하게

탈출 시킬 수 있어야 한다.

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동작은 모두 정상적이며 이용객 및 운행

자에게 위험요소가 없어야 한다.

5) 승용물이 공중에서 뜬 상태로 운동하는 유기시설․유기기구에

대하여 승용물 등 중요부위 이중안전장치 및 보호장치를 설치

하여야 하고, 이중안전장치 및 보호장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구조가 견고해야 한다.

6) 승용물을 지지하거나 매다는 장치는 강구조물을 사용하여야 하

고 견고한 구조이어야 한다. 단, 궤도용 침목은 목재를 사용할

수 있다.

7) 나사 또는 핀으로 연결된 부위는 이탈이나 이완을 방지하는 조

치를 하여야 하며,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볼트, 너트 부분에는

풀림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8) 대기동선을 포함하여 이용객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날카로운 부

위 및 위험한 돌출물 등이 없어야 한다.

9) 이용객의 머리보다 높은 장소에 설치한 장식물 등은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이중 안전장치를 하여야 한다.

Page 11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0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10) 궤도 또는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운동하는 유기시설․유기기구

는 승용물이 궤도 또는 와이어로프에서 이탈 및 탈락 방지를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1) 동일한 궤도에서 2개 이상의 승용물이 운행 될 경우 승용물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제어장치와 완충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단, 2개 이상의 승용물이 충돌했을 경우에도 이

용객 및 승용물에 위험요인이 없을 경우에는 완충장치만 설

치할 수 있다.

12)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궤도주행형 유기시설 ․ 유기기구는

역주행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3) 모든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운행 시작 신호 전달, 안내방송 및

주의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음향시설 또는 보조시설을 갖추

어야 한다.

14) 최고높이가 20m 이상인 유기시설․유기기구를 운영하는 유원

시설업체에서는 풍속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15) 운행시 승용물의 최고 높이가 20m 이상인 유기시설․유기기구

는 비상사태 발생시 비상조치가 가능한 차량 및 장치가 접근

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16) 무궤도열차의 회전반경은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최소 회전반경

보다 커야 되며, 경사도는 등판능력보다 적어야 한다.

17) 무궤도열차 안전문은 운행요원에 의하여만 개폐가 가능하여야

하고 높이는 700mm이상 이어야 한다.

18) 무궤도열차의 차량간 연결 장치는 반드시 대차프레임과 견고

히 연결되어야 한다.

19) 무궤도열차의 차량간 연결 장치에는 보조 연결 장치가 설치되

어야 한다.

20)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이용객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정원, 이용(제한)기준 등을 표시해야 한다.

Page 11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07

21) 승용물을 매다는 와이어로프의 수량은 2개 이상이어야 한다.

22) 로프 시브을 사용 할 때, 와이어로프가 로프 시브에서 탈락하

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있어야 한다.

2. 승용물

1) 승용물의 출입구 높이는 이용객이 승하차에 편리한 구조이어야

한다.

2) 승용물의 좌석부는 이용객의 탑승에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3) 승용물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1m이상 상승하는 승용물의 문

또는 문을 대신하는 장치는 이용객이 승용물 내부에서 열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하며, 문의 유격은 10mm이내여야 한다.

4) 승용물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1m이상 상승하는 승용물의 문

은 이중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5) 승용물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1m이상 상승하는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승용물이 밀폐되지 않은 승용물일 경우 이용객의 추

락을 방지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운행중 이용객이 승․하차하는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승용물 하단

이 승강장으로부터 300mm이상 높아서는 안 된다.

7) 운동특성에 따라 이용객이 좌석에서 승용물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유기시설․유기기구 또는 좌석에서 신체의 일부가 반동

이 생기는 유기시설․유기기구는 좌석과 승용물 바닥에 30mm

이상의 충격흡수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8) 이용객 신체의 일부가 승용물 밖으로 노출될 경우 운행 중 신

체가 주변물체와 부딪침이 없어야 한다.

9) 승용물 내부에는 안전주의 사항, 비상시 연락처 등의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10) 승용물에 부착된 창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창살이

필요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창살 간격은 150mm이내여야 한다.

Page 117: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08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11) 성인이 타는 긴 의자의 길이는 최소 400mm이상으로 하여야 하

고, 아동이 타는 의자의 길이는 최소 250mm이상이어야 한다.

3. 승강장

1) 바닥 및 천정에 현저한 녹, 부식 및 누수가 없어야 한다.

2) 바닥에 돌출부가 없어야 한다.

3) 부분적인 파손 또는 부식으로 이용객에게 위험을 초래할 우려

가 없어야 한다.

4) 운행 중 이용객이 대기동선에서 승강장으로 접근할 수 없도록

조치가 가능해야 한다.

5) 경사진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6) 회전부와 고정부로 이루어진 승강장에는 그 단차를 50mm이하

로 하고 회전부와 고정부간의 틈새는 30mm이하로 하며 회전

부 또는 고정부에 안전선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4. 안전울타리

1) 안전울타리 및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

직이는 1000N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이어야

한다.

2) 안전울타리는 승용물의 끝단에서 1.2m이상 떨어져야 한다.

3) 이용객이 안전울타리를 통과하거나 아래로 지나갈 수 없어야

하고 그 형태는 수직구조를 원칙으로 하고 수평구조 및 경사

각 60°이하의 경사구조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수직살의 간격은 100mm이하여야 하고 지면과 수평부재와의

간격은 100mm이하여야 한다.

5) 안전울타리에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어야 한다.

6) 안전울타리의 높이는 1.2m이상이며 충돌 우려가 있는 지역은

1.4m이상, 대형사고의 우려가 있는 위험지역은 1.8m이상이어

Page 118: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09

야 한다.

7) 이동식 울타리는 이용객이 쉽게 넘거나 이동시킬 수 없는 구조

여야 하며 승용물의 끝단으로부터 2m 이상 유격하여야 한다.

8) 안전울타리에는 심한 녹 및 부식이 없어야 한다.

9) 안전울타리에 설치된 문은 부식, 파손 및 심한 녹이 없고 개폐

및 잠김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5. 비상구

1) 비상발생 시 이용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구를 확

보하여야 한다.

2) 비상구 및 비상통로에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3) 비상구의 유도안내표지판을 적절히 배치하여야 한다.

4) 비상구는 정전 시에도 정상적으로 통행이 가능하도록 비상조명

이 설치되어야 한다.

6. 운전실

1) 현적한 녹, 부식 및 부분적인 파손이 없고 창과 문의 잠김이

확실해야 한다.

2) 운전실은 승객의 승차, 하차 및 운행 중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 운전실에는 운행자에게 필요한 비상연락망, 비상조치요령, 운전

조작요령, 근무수칙, 주의사항 등이 정확하게 게시되어야 한다.

4) 운행개시, 종료 또는 경보를 위한 벨, 부저 등의 음량은 적절

하고 신호기 등은 점등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5) 비상정지버튼은 운영자가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 작동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6) 방송설비의 설치는 견고하고 파손 등이 없으며 안내방송이 이

용객들에게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Page 119: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10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7) 이용객의 승차, 하차 및 운행 중 이용객 및 유기시설 ․ 유기기

구의 상태 확인을 위한 반사경, CCTV가 있는 경우에는 견고하

게 부착되어야 하며 파손이 없고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7. 점검로, 점검사다리

1) 궤도, 주로, 수로에는 점검로가 있는 경우에는 견고하게 설치

되어야 하고 현저한 녹, 부식 및 파손이 없어야 한다.

2) 궤도, 주로, 수로에 점검로의 폭은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3) 높이 2m 이상에 위치한 장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유기시설․유기기구에는 점검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단, 이동식 사다

리로 점검이 가능한 부분은 이동용 사다리로 대체할 수 있다.

4) 점검사다리는 견고히 설치되어야 하고 현저한 녹, 부식 및 파

손이 없어야 한다.

5) 점검사다리은 각 단은 2000N의 하중은 견딜 수 있어야 한다.

6) 점검사다리의 단과 단 사이 거리는 250mm 이하여야 한다.

7) 점검사다리의 입구는 쉽게 올라갈 수 없는 구조여야하고 별도

의 안전장치가 없는 점검사다리는 최소직경 800mm이상의 방

호울을 설치하야야 한다.

8) 점검사다리의 상단은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최고지점으로부터

600mm 이상 올라가 설치하여야 한다. 단, 최고지점 위로 설치

가 곤란할 경우에는 제외한다.

8. 출입문

1) 유기시설․유기기구 출입문은 이용객이 쉽게 열 수 없는 구조이

어야 한다.

2) 유기시설․유기기구 출입문에는 이용객의 무단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유기기구 출입문의 폭은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Page 120: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11

9. 옥내통로

1) 옥내통로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위험이 없는 구조이어

야 한다.

2) 옥내통로의 기울기는 7.5°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 입출구 통로의 폭은 1.2m 이상이어야 한다. 단, 펀하우스, 미

로 등 옥내통로 자체가 유기기구의 효과를 내는 경우에는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4) 3)항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수의 이용객만 이용도록 제

작, 설치된 대피통로는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10. 계단

1) 이용객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계단의 폭은 1m 이상이어야 한

다. 단, 제한된 수의 이용객만 이용하도록 제작, 설치된 대피계

단은 6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계단을 구멍이 있는 재료로 만들 때에는 물건 등이 낙하할 위

험이 없는 구조여야 한다.

3) 계단의 너비와 간격은 일정해야하고 15°이하여야 한다.

4)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바닥은 미끄럼 방지 구조

로 하여야 한다.

5) 계단의 발 딛는 부분의 폭은 240mm보다 커야 하고, 높이는

140~200mm여야 하며, 계단의 경사도는 일정해야 한다.

6)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0N이

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단, 운영자 용 계단 등의

난간은 500N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7) 계단은 5000N/m2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이여야 하며 안전계수는 4이상이어야 한다.

Page 121: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12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11. 안전유도표시

1) 입구, 출구 및 비상구가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2) 안전유도표시는 이용객이 보기 쉬운 곳에 부착되어야 한다.

3) 이용객이 안전수칙 및 탑승안내사항을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게시하여야 한다.

4) 이용객의 불편사항에 대한 신고 연락처를 게시하여야 한다.

5) 강풍, 강설에 의해 넘어지거나 날아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

하여야 한다.

12. 안전점검판

1) 일일안전점검판은 이용객이 보기 쉬운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일일안전점검판은 파손 및 오염이 없어야 한다.

3) 강풍, 강설에 의해 넘어지거나 날아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

하여야 한다.

4) 일일안전점검판은 유기시설․유기기구명, 안전관리자의 성명, 안

전성검사일자, 일일안전 점검결과 등이 기재되어야 한다.

13. 풍속계

1) 업체 내에서 최대풍속 지점에서 지면으로부터 10m 높이에 발

신기를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2) 발신기는 감지 및 작동이 확실하여야 한다.

3) 지시기는 작동이 정상적이고 경보설정치가 적절하고 확실하게

경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지시기에 경보 설정치를 10m/s로 설정한다.

14. 부하시험

1) 회전관람차 및 양수펌프 사용하는 유기기구를 제외한 유기기구

① 무부하 경우와 정격 적재량의 100%를 부하한 경우에 따라

Page 122: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13

정격전압에서 주행속도 또는 회전속도와 전류를 측정한다.

② 부하시험결과가 아래 표에 적합하여야 한다.

항목 무부하의 경우 정격적재량의 100%를 부하한 경우

속도설계도서에 기재된 속도의 110%

이하

설계도서에 기재된 속도의

90~105%

전류 전동기 정격전류치의 100% 이하 전동기 정격전류치의 100% 이하

2) 회전관람차 유기기구

① 무부하 경우와 정격 적재량의 50%를 편부하한 경우에 따라

정격전압에서 주행속도 또는 회전속도와 전류를 측정한다.

② 부하시험결과가 아래 표에 적합하여야 한다.

항목 무부하의 경우정격적재량의 50%를 편부하한

경우

속도설계도서에 기재된 속도의 110%

이하

설계도서에 기재된 속도의

90~105%

전류 전동기 정격전류치의 100% 이하 전동기 정격전류치의 100% 이하

3) 양수펌프를 사용하는 유기기구의 전동기 작동시험은 운행 시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전류는 전동기의 정격전류치의 100%

이하여야 한다.

Ⅲ. 구조계산 및 설계

1 하중

1) 이용객의 하중

① 성인의 경우

a) 2명 이상의 단위로 이용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1명당

750N을 적용한다.

b) 1명 단위로 이용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1명당 1000N

을 적용한다.

Page 123: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14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② 아동용 좌석일 경우 400N으로 계산하고 성인과 어린이 공

용일 경우에는 성인으로 계산한다.

③ 승용물 부분 및 승강장은 4000N/m2 하중으로 계산하고 군

중이 밀집된 승강장은 5000N/m2로 계산하며 좌석이 있는

승용물 부분은 정원수에 따라 하중을 계산한다.

④ 운영자 전용 계단과 육교 등은 1000N/m2로 계산한다.

2) 구동하중 및 제동하중

유기시설․유기기구의 구동하중과 제동하중은 구동 또는 제동되

는 이용객의 질량을 포함한 승용물의 질량과 가속도 또는 감

속도의 곱과 같다.

F dr= a dr×(mv+mp) , F br= a br×(mv+mp)

Fdr : 구동하중(구동력)[ N ], Fbr: 제동하중(제동력)[ N ]

a dr : 가속도[m/s 2 ], a br : 감속도[m/s 2 ]

m v : 움직이는 부분의 질량[ kg ]

m p : 이용객의 질량[ kg ]

단, 속력이 3㎧이하인 경우 a dr 또는 a br=0.7 [m/s2]을 적

용하여 구동하중 또는 제동하중을 계산한다.

3) 풍하중

① 바람에 의한 유기시설․유기기구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풍하

중과 풍하중이 작용하는 유기시설․유기기구의 투영면적의

곱으로 계산한다.

② 유기시설․유기기구의 구조계산에 적용하는 풍하중의 크기는

국토해양부가 정하는 “건축구조설계기준”의 설계 풍하중에

따른다.

4) 지진하중

① 지진에 의하여 유기시설․유기기구에 작용하는 밑면전단력,

수평비틀림모멘트, 전도모멘트 등으로 발생하는 하중으로

Page 124: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부 록 115

지진하중의 크기를 계산한다.

② 유기시설․유기기구의 구조계산에 적용하는 지진하중의 크기

는 국토해양부가 정하는“건축구조설계기준”의 설계 지진하

중에 따른다.

5) 적설하중

①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지붕장치에 쌓여있는 눈에 의하여 발

생하는 하중으로 적설하중의 크기를 계산한다.

② 구조계산에 적용하는 적설하중의 크기는 국토해양부가 정

하는“건축구조설계기준”의 설계 적설하중에 따른다.

6) 동적계수

유기기구 운행에 따라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지속적인 변동

이 발생하므로 작용하중에 별표1의 동적계수를 적용하여 구조

계산 및 설계를 수행하여야 한다.

2. 안전계수 및 허용응력

1) 기준강도

유기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부재의 종류, 하중의 종류, 안전수

명의 요구도, 사용환경에 따라 부재의 파괴요인을 고려하므로

기준이 되는 강도를 기준강도라 하고 기준강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① 상온에서 연성재료가 정하중을 받을 경우 항복응력을 기준

강도로 사용한다.

② 상온에서 취성재료가 정하중을 받을 경우 인장강도를 기준

강도로 사용한다.

③ 상온에서 반복하중 및 교번하중을 받을 경우에는 각각의

하중에 대한 피로한도를 기준강도로 사용한다. 이때 안전

계수를 적용하지 않는다.

④ 상온에서 동하중을 받을 경우는 항복응력을 기준강도로 사

Page 125: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116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용한다.

⑤ 긴 기둥이나 편심하중에서는 좌굴응력을 기준강도로 사용

한다.

2) 허용응력

① 허용응력은 기준강도를 안전계수로 나눈 값이다.

3) 안전계수

하중조건 및 재료상태 등의 불확실성 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

기위한 계수이다.

① 유기기구 구조부재의 위치별 안전계수는 별표2와 같다.

3. 피로한도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각 재료의 피로한도는 별표3과 같다.

4. 안전성평가

외력에 의하여 발생된 부재의 최대응력은 허용응력 또는 피로한

도 보다 작아야 한다.

Page 126: 유기시설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 Cultureline사고보고체계 (재발 방지) 구축 - 사고보고체계 의무화 - 승강기안전관리원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 시스템 개선 방안

발 행 인 정 갑 영

발 행 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 강서구 방화3동 827번지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http://www.kcti.re.kr

인 쇄 일 2009년 10월

발 행 일 2009년 10월

인 쇄 인 크리홍보(주)

ISBN:978-89-6035-183-7 93300

저자약력

김윤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