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14
청능재활 AUDIOLOGY· REVIEW PAPER 2013;9:113-126 ISSN 1738-9399 Copyright 2013 Korean Academy of Audilogy 한국어 어음청각검사의 개발과 표준화에 대한 고찰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 청각언어연구소 , 1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청각학과 · 2 한우재 1 방정화 · 2 ABSTRACT A Review of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n Korean Speech Audiometry Woojae Han 1 and Jungwha Bahng 2 1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2 Department of Audi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Seoul, Korea It is well known that assessment of speech perception is one of essential elements in audiology including it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s. Numerous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peech perception assessment materials in order to give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better treatment to hearing-impaired listeners. One of primary goals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Korean Speech Audiometry (KSA) (Lee et al., 2010) in terms of its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and thus to increase awareness among professionals about its strengths and weaknes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speech perception performance in adults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those with hearing loss. This paper includes reviews of three speech perception tests, e.g., Word Recognition Score (WRS),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and Sentences Recognition Score (SRS), which have a small set of experiments and outputs based on two requirements of the speech perception assessment, call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WRS showed an inter-list difference up to 20% in 25 subjects with 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even i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mong lists. In SRT, there were spondees having unequal sound pressure levels and several tense (or fortis) sounds in the lists. Lists of the SRS showed a ceiling effect in either the normal hearing or the hearing-impaired listeners in spite of a good validity. The authors expect that audiologists will have a new insight and intuition on the speech perception tests after reading this review paper. Also, the authors ask the audiologists to know that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KSA is an on-going process and it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Key words: Korean speech audiometry (KSA), Word recognition scores (WRS), Monosyllabic words,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Bisyllabic words, Spondee, Sentence recognition scores (SRS) INTRODUCTION 일상생활의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는 어음청각검 사는 난청인들의 진단과 재활적 측면에서 청각학의 논문접수일 : 2013 11 30 게재확정일 : 2013 12 05 교신저자 방정화 : ,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06-18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Tel: (070) 8680-6933, Fax: (02) 3451-6618 E-mail: [email protected] 113

Upload: others

Post on 09-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청능재활AUDIOLOGY· REVIEW PAPER2013;9:113-126

ISSN 1738-9399Copyright 2013 Korean Academy of Audilogyⓒ

한 어 어음청각검사의 개발과 표준화에 대한 고찰

한림 학 연과학 학 언어청각학부 청각언어연, 1 한림 학원 학 청각학과· 2

한 우 재1방 화·

2

ABSTRACT

A Review of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n

Korean Speech Audiometry

Woojae Han1 and Jungwha Bahng2

1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2Department of Audi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Seoul, Korea

It is well known that assessment of speech perception is one of essential elements in audiology including it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s. Numerous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peech perception

assessment materials in order to give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better treatment to hearing-impaired listeners. One

of primary goals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Korean Speech Audiometry (KSA) (Lee et al., 2010) in terms of its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and thus to increase awareness among professionals about its strengths and

weaknes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speech perception performance in adults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those with hearing loss. This paper includes reviews of three speech perception tests, e.g., Word Recognition Score

(WRS),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and Sentences Recognition Score (SRS), which have a small set of

experiments and outputs based on two requirements of the speech perception assessment, call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WRS showed an inter-list difference up to 20% in 25 subjects with 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even i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mong lists. In SRT, there were spondees having unequal

sound pressure levels and several tense (or fortis) sounds in the lists. Lists of the SRS showed a ceiling effect in

either the normal hearing or the hearing-impaired listeners in spite of a good validity. The authors expect that

audiologists will have a new insight and intuition on the speech perception tests after reading this review paper.

Also, the authors ask the audiologists to know that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KSA is an on-going process and

it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Key words: Korean speech audiometry (KSA), Word recognition scores (WRS), Monosyllabic words,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Bisyllabic words, Spondee, Sentence recognition scores (SRS)

INTRODUCTION

상생 사 통능 하는 어 청각검

사는 난청 들 진단과 재 에 청각학

논 일 월 일: 2013 11 30

게재 일 월 일: 2013 12 05

교신 방 화: , 서울시 강남구 치동 906-18

한림국 학원 학

Tel: (070) 8680-6933, Fax: (02) 3451-6618

E-mail: [email protected]

113

Page 2: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14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여러 가장 본 청 실 장,

도 사 능 평가하는 청 검사보다

많 보 공한다변 어 청( , 2005b).

각검사는 채 통한1910 Campbell

미 (Nonsense syllables via telephone channel)

시 재 지 많 검사도 들 개 었

고 달하 검사 결과 통하여 난청 들 말,

지각 능 하여 사 통장 도 청,

실 병변 에 한 보 보장 택, ,

보장 합 재 청능훈 평가 계, ,

청각처리장 별 재 등에 용한 보

공한다.

본 에 는 재 내에

고 리 사용 고 는 한 어 어 청각검사(Korean

학 단Speech Audiometry, KSA)( , 2010)

어 지도검사 어(Word Recognition Score, WRS),

지역 검사(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장 지도검사(Sentence Recognition Score, SRS)

심 어 청각검사 도 객 에 가장

시 는 타당도 신뢰도(validity) (reliability) (Lucks

심 어Mendel & Danhauer, 1997)

청각검사 도 개 지 연 과

살펴보고 해 하 고 한다· . 어 타당도 신

뢰도 는 어 청각검사 도 개 하고 하는

차1) 여러 심리 들에 근거하여 한 어

어 청각검사 고찰하고 한다.

REVIEW OF THREE SPEECH

PERPCETION TESTS

1) Process of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for

speech perception test battery (Linguist, 1953; Lucks

Mendel & Danhauer, 1997): 1. Define the test; 2.

Prepare a large pool of prospective test items; 3.

Pretest this pool of items by administering them to a

large number of subjects drawn from the population

to which the final form of the test will be

administered; 4. Conduct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rospective test items using data from part of the

sample; 5. Construct one or more forms of the test

to meet all criteria; 6. Cross-validate the test using

data from those subjects held out of the initial

psychometric evaluation; 7. Validate the final forms of

the test on a new sample of appropriate subjects.

단어 지도 검사1. (Word Recognition Score,

WRS)

재 에 리사용하고 는 용단어 지도

검사는 한PAL PB-50 Central Institute for the

Deaf (CID) Auditory Test W-22 Northwestern

University Auditory Test Number 6 (NU-6)

어 에 주 사용하고 본, Japanese

마크는Monosyllabic Word List 67-S, Danish

등 보편 사용하Monosyllabic Test (DANTALE)

고 다 내에 는 과거 다 한 검사 가 었는.

창 는 개 단 어 개 하, 1961 50

고 함태 또한 한 어 단 어 시, 1962

하 다 진 미 하 학 언어청각학. 1970

과 도움 미 단 만들었 , 1976

창 에 가 운 미 단 ,

찬 과 한태 는 미 단 어1985 CNU

시하 다PB-50 List A & B .

한편 동용 단어 지도 검사 경우 에 는,

Haskin 50-item Phonetically Balanced Kindergarten

Word List (PBK-50), Discrimination by Identification

of Pictures (DIP) test, Word Intelligibility by Picture

Identification (WIPI), Northwestern University

등Children's Perception of Speech (NU-CHIPS)

내에 는, Evaluation of Auditory

Response to Speech-Korea (EARS-K) Hallym

University Word Discrimination Test by Pictures

등 사용 고 다(HU-WDP) .

변 한 어 단 실태 사연2005

에 는 학 연 합 병원 비,

후과 난청 에 지 단 어,

사용하고 지 하 다 여 개 사. , 80

에 다 한 단 어 사용하고 고13

그 함태 단 어 가1962 68.8%(55

개 에 사용하고 다변 그) ( , 2005b).

러나 는 시 에 사용 에는 라는50

시간 과 체 어 빈도 하 어

운 상 에 만들어 포

빈도는 체 어 과 다 다 라 러.

한 검사도 개 해 는 균

룬 단 (Phonetically Balanced monosyllabic

Page 3: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W Han & J Bahng : Review of Korean Speech Audiometry 115

어 사용해 한다변word; PB word) (

변 여러 학 들 시, 2001, 2005a).

한 상 어 는 어 과 동 한 균

포가 고 고 단어 상용 과 커

하 어 간 평균 난 도가 균 어 하고,

어 간 균 루어 한다 민(

만 채 원 하나, 2011; , 1987; , 2008; &

진 과거 단 한 어, 2007).

단 들 극복하 해 한 어 어 청각검사 단

어 지도검사가 새 개 었다 진( , 2008).

단어 지도검사는 지각 (perceptual) 능

검사 지 하나 검사 개 과 단계에,

어 는 심리 평가하는 검(psychological)

사들과도 사하다 라 심리학(Bilger, 1984).

원리가 단어 지도 검사 에 용

고 검사 얻어진 결과 타당도, 2) 신뢰도가

립 다 보다 하게 검사 목 공해

다 민감도는 검사가 얼마나 객 고 하게.

피검 말지각 능 할 는가 미하

지만 상에 사용 는 많 검사들 필,

재 청각언어 지 민감한 검사가 지 못

하고 다 본 에 는 어 청각 검사도 개.

해 진 말지각 연 학 들 주장하

는 타당도 검사 재검사 신뢰도 에 단어-

지도검사가 그 건 충 하고 는지 객

살펴보 다.

단어 지도검사 도 개 과 해 는

다 차가 다 검사 상과 목.

규 어 어 하고 해당 검사 항목들

철 비해 한다 각주 참 그 다 피검(< 1> ).

본 할 만큼 충 한 하는

것 다 본 사용하여 검사 항.

목 심리학 평가 시행해 한다 모든 에.

충 는 하나 상 검사 행하고 심리학

평가 상 한 피검

용하여 피검사 간 검사 시행한다 또한 타당한.

피검 들 새 운 샘플 검사 태

한다 단계에 피검 새 운 본 용 고.

2) 타당도는 측타당도 내용타당도(Predictive validity), (Content

구성타당도 안면타당도validity), (Construct validity), (Face

의 가지 요소로 분석 어야 한다validity) 4 (Walden.1984).

검사 항목들 타당도 신뢰도 가 집

어 한다 러한 개(Linquist, 1953).

차 가지고 단어 지도검사 도 개 과

과 연 에 해 하 다.

재 개 단어 지도검사 도 개 과

살펴보 단 차 시 참고 료 에, 1

많 사용하고 는 어 함태 변(1962, 1986),

등과 해 등(2001, 2006, 2007) (2003)

별 어 용 어 그 에 한 어 어

료 송 본 신 잡지 에, , ,

빈도가 단어 학 동 과 학, ,

용 어 목 등 사용하 다 러한 후보 단어들.

용과 학 용 학 용 리하여 하,

고 용 경우 개 학 용 개1,167 , 1,441 , 학

용 개 후보 단어 하 다1,351 .

탕 단어 도 상용도 포 균, , ,

비 사 차 단어 하 고1 ,

어 사 어 학 후보 목,

거쳐 차 심리 향 능 곡 시하 다1 .

단계 시 해 난 도 하고 차 심2 2

리 향곡 시하 다 단계에 는 체. 3

빈도 난 도 도 어 간 균 상, , ,

비동질 신 한 검사 해 간단하게 시 었는,

지 검하 다 마지막 평균 심리 향 곡.

모든 내용 검 미 통해 개

시 시하 다 그 결과 용 경우 그.

상 만 상 개 개 리스트13 50 4

개 단어 공하고 학 용 경우 만200 , 6~

개 개 리스트 개 단어 학12 25 4 100 ,

용 경우 만 3~ 학 동 하게5

개 단어 공하 다100 .

개 단어 지도 검사도 타당도 신뢰도

에 검 해 보 다 타당도란 검사도 가 실.

하고 하는 것 하고 는가 나

타내는 도 미하 타당도는,

다 가지 타당도 타당도 내용타당4 ( ),

도 타당도 타당도 나뉜다, , (Walden, 1984).

첫째 타당도 는 행검사, (predictive validity)

료가 다 검사 료보다 에 사용 는 경

우 단 어 검사결과는 후 검사결과 할

Page 4: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16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어 한다 타당도 역시. (criterion validity)

검사결과가 다 검사들과 얼마나 합하느냐 하는

경험 차원에 단할 다 째 내용타당도. ,

는 단 검사가 실 하고(content validity)

하는 내용 나 주 다루고 는가 말한다.

째 타당도 는 평가, (construct validity)

에 한 심리학 들 공·

직 도 말한다 째 타당도. ,

는 피검 에 평가하 는(face validity)

것 평가하고 는가 하는 것 다.

다 째 신뢰도 는 복 에도 어느, (reliability)

도 동 한 결과가 나 하 동 한 상에게

상 사용하거나 상 다 검사 가

했 그 결과가 고 어

한다.

첫째 타당도 용 단 어, (KS-

는 개 과 에 단어별 주 특 과MWL-A)

심리 능곡 비 하여 난 도 하고 목

간내 동질 하 목 간내 단어 지도 검/ , /

사 상연 통하여목 간내동질 하 다/ .

학 용(KS-MWL-S), 학 용(KS-MWL 또한-P) 심

리 향 능곡 용하여 1~10, 1~20, 1~ 개25

항목 난 도가 차 지는 것 나

타내어 개 단어 내에도 균 과 난 도10, 25

맞 어 신 평가할 도 고 하여 검사 용

도 것 타당도가 것 다 또한 차 심. 1

리 향 능 곡 난 도 하고 단계2

시 하여 어 학 하여 어학

검 고 상 청 과 난청 상, 2

차 심리 향 능 곡 만들어 청각학 검 한

에 타당도 나타내었다.

째 내용타당도 살펴보 함태 과, (1962)

변 어 토 해(2006) , (2003)

등 별 어 용 어 과 한 어 어

료 송 본 신 잡지 빈도, , ,

단어 참 하여 한 용(KS-MWL-A)

사 통장 도 하 해 체

빈도 도 시 어 균 갖 어, , ,

한 에 는 내용 타당도가 지만 학,

용 경우 상 체(KS-MWL-P)

찾 가 어 워 용에 운 단어 췌

한 내용 타당도 에 한 었다.

째 타당도 에 하 심리 향,

능 곡 귀 단 지50%

에 강도 하여 평균강도 어난+/- 1SD

단 어 후보단어에 거하 고 심리 향 능

곡 울 각 단 어 가

하여 평균 가 어난 단(%/dB) +/-1SD

어 거한 과 과 체

비 과 실질 단어 택에 취할 는

료 빈도 한 에· ·

타당도가 다고 할 다.

째 타당도 살펴보 단 어 상,

연 용 학 용 학 용, ,

나누어 개 하고 평가한 에 어 에 비

해 타당도 나타내었다.

마지막 신뢰도는 미한다, .

신뢰도 타당도 계 살펴보 신뢰도가 다고

해 타당도가 것 니지만 타당도

해 는 드시 신뢰도가 한다(Lucks-Mendel

어 간 내 단어 지도 검사& Danhauer, 1997). /

상연 통하여 어 간 내 동질 한 에/

는 신뢰도가 다고 할 지만 에 는 CID

검 하 해 본 상 검W-22 4,080 사

하 고 우리나라는 용 차 차 학, 1 30 , 2 48 ,

용 차 차 학 용 차1 12 , 2 30 , 1 23 , 2

차 상 검사하 다 는91 . CID W-22

연 에 비해 상 가 연 었다.

에 는 많 본 상 포함한 후 연 가

필 하겠다.

실험 및 결과1)

보다 한 목 간 신뢰도 하여 실험

진행하 다 상 는 질 경 없는 도.

감각신경 난청 주 별 어 포25

고 하여 청 역 가 6 40 ~ 60 dB HL

남 여 연 진행하45 ~ 60 14 , 11

다 한 단 검사 개 목. 4 ,

개 단 강도200 (most comfortable

level, MCL)에 검사 얼마나 해하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 하 다 검사(%) .

Page 5: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W Han & J Bahng : Review of Korean Speech Audiometry 117

장비는 청 검사AA30 (Interacoustics Co.) TDH

헤드 용하여 청능사39 (Telephonics Co.)

가 진행하 다.

에 목 간 료도 리하Table 1

평균 지 차 보 다, 10.4% 20% .

목 간 차 보 하여 본 t 검

(paired t- 실시한 결과 리스트간에는 한test)

차 는 없는 것 었 나(p > 0.05),

신뢰도 는 검사 도 가 하여 후 검사 재-

검사 실험 진행 어 할 것 보 다.

결 한 어 어 청각검사 단어 지도검

사 단 는 어 들 단 보 하여

타당도 타당도 내용타당도 타당도, , ,

한 결과 검사 어 가지고 다.

그러나 학 용 어 경우 상(KS-MWL-P)

체 찾 가 어 워 용에

운 단어 췌한 내용 타당도 에 한계

보 다 신뢰도 에 상 청 상 실시.

하 는 신뢰도 보 지만 는 천장효과

나타냈고 도 감각신경(ceiling effect) , 25

난청 상 개 개 단 검사한4 , 200

본 실험 결과에 간 차 가 지20%

나타났다 민 단어 가 가할 단. (2011)

어 지도 평행검사신뢰도는 상 계가 지고

신뢰 간 뚜 하게95% (confidence interval)

진다고 하 다 단어 가 많 신뢰도가.

지고 신뢰 간 지므 단어 에95%

신뢰도 신뢰 간 다 므 검사효과 해 하는

해 한다고 지 하 다 라 닌.

어 검사 신뢰도 보한 후 연 가

진행 어 할 것 다.

Table 1. 도 감각신경 난청 를 상 로 쾌 수 에 단 검사 개 개 단 반25 4 ( 200 )

비(%)

상 1(%) 2(%) 3(%) 4(%) 평균(%)쾌 수

dB HL

차범

(Max-Min)

1 44 48 40 44 44.00 95 8

2 70 82 80 84 79.00 90 14

3 82 74 90 80 81.50 90 16

4 46 48 38 46 44.50 90 10

5 74 64 70 72 70.00 90 10

6 80 74 72 82 77.00 90 10

7 68 72 76 72 72.00 90 8

8 70 62 78 68 69.50 85 16

9 52 48 58 62 55.00 85 14

10 78 82 80 72 78.00 85 10

11 46 42 48 52 47.00 85 10

12 44 40 52 54 47.50 85 14

13 70 72 68 70 70.00 85 4

14 54 48 66 46 53.50 85 20

15 88 86 84 84 85.50 85 4

16 54 52 50 56 53.00 85 6

17 46 42 54 56 49.50 85 14

18 86 88 90 88 88.00 80 4

19 86 90 84 90 87.50 80 16

20 84 86 84 88 85.50 75 4

21 90 84 80 84 84.50 75 10

22 86 86 80 90 85.50 75 10

23 90 92 92 84 89.50 75 8

24 88 80 78 88 83.50 75 10

25 78 76 84 86 81.00 75 10

Mean 70.16 68.72 71.04 71.92 70.46 83.80 10.40

Page 6: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18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단어 지도검사 개 단계에 연 들에 해

한 살펴보 첫째 모든 후보목,

도에 한 등 미 하다고 한 에

에 고 민 연1968 2000

원에 지 여러 학 가 한 어 어 연

한 것 해가 등 별 어 용 어2003

리하 고 진 에 는 토(2008)

도 단어 하 다 하지만 한 어 단어.

가 하게 사용 는 없다고 여겨지 도

검 하는 과 필 하다고 본다 째 많 후. ,

보 개 개 하여 심리 향곡1,465 200

시하 는 는 개 모 검사하여1,465

한 것 니라 개 에 만 한 것 후200

보단어들 심리 향 능곡 개만 하여200

연 한 타당도 에 큰 한 다.

째 단 비 에 한 료가 미 하다는,

한 에 하여 본 에 다 과 같 내

연 가 살펴보 다. 는 감Erber(1972)

각신경 청각장 보다 에 는

지각하는 어 워하는 경향 실

도 에 한 변별에 어 움 한다고

보고하 다 한 어 과 과. (1993)

사 연 에 한 어 단 시

간 짧 간에 나타나고 모 차

지하나 짧 것 도 고 것( , , )앋

도 다고 하 병곤( , , , ) (2005)

향학 보다는 에 는

는 강한 에 지 가진 모 에 차폐 어 지각하

는 근본 어 움 다고 하 고 그 우

리말에는 가 없는 운체계·

라고 보고했다 지 승 연 에 는. & (2000)

우리나라 에 개 말 리만 실 에7

별해 하는 항목 어 지각 못해도 청각

장 동 지각하는 어 움 보 는 마찰 과

찰 어 상 지각 도가

게 나타났다 한동 에 하 청각장. (2011)

상 연 결과 비 할

보다 가 다고 보고하 다.

째 단어 지도검사 어 는 단어 빈도,

근 어 모 (neighborhood activation theory)

어 에 한 향 고 하지 못한

보고하 는 근 어 모 어 특 과

식 계 한 것 근 어는 목 어

하나 차 별 는 는 단어 말한다 빈.

도 도 하 빈도는 사용하는 단어 빈도,

말하고 고 도는 근 어 많 갖고 는 단어

고 도는 다 도는 미한 차.

가 없었고 빈도는 미한 차 가 었다 빈, . ,

도 가 단어 지 가 고 라 근

어 모 단어 지 도 도,

빈도에 향 많 다 하지만 어 빈도. ,

도 모 미한 차 가 었 한 빈도만,

미하게 나 다 또한 동과 경우 어 능.

한 에 연 에 한 고 도 필 하

다는 행연 토 근 어 모 검사도

개 시에 드시 고 어 할 사항 여겨진

다 후 후 연 계 시 에 언 한 내용들 참.

고한다 보다 나 단어 지도 검사가

것 다.

어 지역치 검사2.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상에 사 통 능 하 해 는

청 검사 어 어 지역 검사 시행하

여 청 실 도 보다 하게 단해 한다

어 지역 검사는(ASHA, 1988).

에 동 한 강 시하는 강강격 단어(spondee

사용하여 역 하는 것or spondaic word)

다 어 청 검사는 검사어 듣고 라 말할.

는 가장 강도 단 하는 검사

에 검사 결과 토 향후 보청 또는 공 우

합과 청능 재 효과 할 ,

단어 지도검사에 해 료 사용할

다 는 어 지. McArdle & Hnath-Chisolm(2009)

역 검사 결과는 도 청 검사 평균역 (pure

차 검사 신뢰도 해tone average, PTA)

할 단어 지도검사 사용,

다고 하 다 또한 검사 결과는. 난청

별과 어 청 검사 평균 역(malingering)

상 검사 신뢰도 하 한 목

도 사용 다 어 청(Katz, 2002).

Page 7: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W Han & J Bahng : Review of Korean Speech Audiometry 119

검사 청 검사 차 가 내 상±6 dB

계가 다고 간주하고, ±7~ 내에 포12 dB

함 다 신뢰도가 그 차 가 상, ±13 dB

신뢰도가 낮다고 보고한다(Brandy, 2002).

내에 는 함태 진(1962, 1986), (1970),

담 등 한 어 검사 어 가 재하지(1976)

만 재 검사 어 는 CD

한 어 진 가 하다( , 2008a) .

검사 어 는 각 어 강도가 동 해

하고 어 과 단어 간 가청도 동질, ,

비 사 등 고 어 한다

한 어 가 개(Hudgins et al., 1947).

내 상에 가장 많 사용 어 함

태 검사어 는 강강격 단어에(1962)

어 개 었지만 가지 내포하고 다.

개 어 는 상36

는 과 경 상 많[ , , , ] ,ㄱ ㄹ ㅂ ㅇ

포함하고 고 비 게 포함하는, [ ]ㄴ

보 다변 또한 검사 마다( , 2005a).

다 어 사용하 에 한 역

비 하 어 고 사용빈도가 들 다 포,

함 어 다 검사 상 연 가 고 지.

고 만든 시 래 어 시 맞지,

는 단어도 포함 어 었다 러한 보 하.

고 한 어 진 가 개( , 2008a)

었다 재 개 한 어 는 용.

개 학 용 개 학 용 개 단어36 , 24 , 12

어 다 본 에 는 개 실험 통하여.

통하여 는 검사 어VU meter

차 상 어 포 트, ,

등 탕 검사 어 개 건

고 하여 한 어 고찰하고 한다.

실험 및 결과1)

어 지역 검사에 사용 는 강강격 단어(spondee

words) 고 특 동 강 한 어에(i.e., )

도 었는지 보 하여 어 에CD

어들 사용하여 에VU meter +3 dB HL

과하거나 또는 미만에 해당하는 단어-3 dB HL

량 하 다 어 재생하 해. CD GSI

청 검사 장61 Audiometer CD Player 사

용하 다 어 청각검사 가 지 에 라. CD 재

생 트랙 통하여 보1 1,000 Hz (calibration)

한 후 강도 시하여 진행하 다50 dB HL .

에 해당하는 하VU meter ±3 dB HL

다 에 해당하는. VU meter ±3 dB HL

한 결과는 다 과 같다(Table 2).

Table 2. 에 따른 어 분VU meter ±3 dB HL KSA

KS-BWL-A1편 >3 지 · 달 · 걀 · 시 >3 간 · · >3 신 >3 발 · · 콩 >3

안 >3 개 · 마 · · 허 · 리 · · 심 >3 · 래 · · ·

KS-BWL-A2사 · 람 · 토 · 끼 · 병 · 원 · 등 >3 · >3 밭 · 과 · ·

>3 곳 · · · 문 >3 · 나 · · 극 · 장 · 가 · ·

KS-BWL-A3그 · 림 >3 아 · 들 <3 팥 · 죽 · 동 >3 생 >3 목 · · 냄 >3 새 ·

바 · 다 · · 연 · · 시 >3 >3 · 방 · · 느 · >3

KS-BWL-S1날 · 개 · 창 >3 문 >3 동 >3 생 >3 약 · · 호 >3 박 · · 연 ·

거 · 울 >3 토 · 끼 · 회 >3 사 · · 래 · 신 >3 발 · · ·

KS-BWL-S2나 · · 참 · 새 · 달 · 걀 · >3 산 · 학 · · >3 갑 ·

그 · 림 >3 >3 · · · 병 · 원 · 과 · · · 콩 >3

KS-BWL-P거 · 울 >3 안 >3 경 >3 전 >3 화 >3 >3 >3 당 >3 근 >3 가 · >3

사 · 과 · 나 · 무 >3 신 >3 발 · 모 · · 연 >3 필 · >3 차 ·

에 지 과하는[ ]>3 : VU meter +3 dB HL

에 지 지 미 지 못하는[ ]<3 : VU meter -3 dB HL

Page 8: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20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Table 3. 법 상에 따른 어 분KSA

KS-BWL-A1편지 [ - ] 달걀 [ - ] 시간 [ - ] 꾼[ ] 신발 [ - ] 콩 [ - ]

안개 [ - ] 마 [ - ] 허리 [ - ] 심 씸[ ] 래 [ - ] [ - ]

KS-BWL-A2사람 [ - ] 토끼 [ - ] 병원 [ - ] 등 [ - ] 밭 받[ ] 과 [ - ]

곳 곧[ ] [ - ] [ - ] 나 [ - ] 극 극짱[ ] 가 [ - ]

KS-BWL-A3그림 [ - ] 아들 [ - ] 팥죽 팓쭉[ ] 동생 [ - ] 목 [ - ] 냄새 [ - ]

바다 [ - ] 연 [ - ] 접시 접씨[ ] [ - ] 방 [ - ] 느낌 [ - ]

KS-BWL-S1날개 [ - ] 창 [ - ] 동생 [ - ] 약 약꾹[ ] 박 [ - ] 연 [ - ]

거울 [ - ] 토끼 [ - ] 사 [ - ] 래 [ - ] 신발 [ - ] [ - ]

KS-BWL-S2나 [ - ] 참새 [ - ] 달걀 [ - ] 우산 [ - ] 학 학꾜[ ] 장갑 [ - ]

그림 [ - ] [ - ] [ - ] 병원 [ - ] 과 [ - ] 콩 [ - ]

KS-BWL-P거울 [ - ] 안경 [ - ] [ - ] [ - ] 당근 [ - ] 가 [ - ]

사과 [ - ] 나 [ - ] 신발 [ - ] 모 [ - ] 연필 [ - ] 차 [ - ]

[ - ]: same spelling in pronunciated notation

한 용 어 내에 VU meter

지 과하는 개 는+3 dB HL KS-

에 개 에 개BWL-A1 7 , KS-BWL-A2 4 , KS-BWL

에 개 었 한 학 용-A3 7 ,

어 에 개KS-BWL-S1 8 , KS-BWL

에 개 마지막 한 학 용-S2 5 ,

어 는 개 나타났다(KS-BWL-P) 14 한.

어 개 개144 45 (

지31.25%) VU meter +3 dB HL

과했고 에KS-BWL-A3 ‘ 들’ ‘들’ VU meter

지 지 미 지 못하는 것 나타났다-3 dB HL .

는 어 에 사용 는 강강격 단어 고 특

한 어 특 상 새 개 한 어

어 에 도 한계 나타남 다.

어 동 하게 들어가는 단어나 가( ,

살펴보 남 에 해 시 었, )

보다 여 에 해 시 었 많

에 지 과한 것VU meter +3 dB HL

나타났다 는 에 차 생각 후.

보 어 할 것 본다 특 상 경.

가 어나는 개 단어6 ‘ 심 극장 죽, , , ,

시, ’ 개 단어 심 시에 는3 ( , , )

과하는 것 나타났다VU meter +3 dB HL .

어 에 경 가 어난 단어 목 다 과

같다 한 어 특 상 간과할 없는 상(Table 3).

지만 경 가 특별 많 어나는 목 사용,

하 경우 상 청 과 달리 난청 에게는 운

규 에 한 새 운 지식 에 시

키는 것 람직하다( , 2011).

실험 및 결과2)

진 에 언 했듯(2008a, 2008b) ,

목 간 가장 많 하는 단어들에 한

재 고찰 해 프 그램 Praat(Boersma

사용하& Weenink, University of Amsterdam)

여 재 어 포 트 강(formants)

도 하 다 또한 학 용 어 에.

개 당시 울 가 가장 만한 단어 보고 었

‘모 ’ 가장 한 단어 ‘당근’과 차 도 동 한

통하여 보 다.

목 간에 가장 많 하는 단

어들 포 트 주 강도는 다 과 같다(Table

에 는4). , KS-BWL-A1 ‘시간 신, ’ 단어에 가

장 많 보 단어들 가(pitch)

동 한 주 나타났지만 포 트가 질 주,

차 가 차 가하 다 에 는. KS-BWL-A2

‘과 가, ’ 단어에 가장 많 보 다.

단어들 가 동 한 주 나타났고(pitch) ,

강도에 도 큰 차 가 없었다.

Page 9: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W Han & J Bahng : Review of Korean Speech Audiometry 121

Table 4. ‘시간 신발, ’, ‘과 가, ’ 포 트 주 수 및 강도 차

Pitch(Hz) F1 F2 F3 Intensity

시간 114 584 1963 2840 73.7

신발 114 598 1915 2759 74.8

과 110 539 1484 2750 73.1

가 110 582 1607 2662 73

Table 5. 당근과 모 포 트 주 수 및 강도 차

Pitch(Hz) F1 F2 F3 Intensity

당근 199 473 1744 2837 74.4

모 190 658 1390 2938 73.6

결 강도에 는 큰 차 보 지

나 포 트 주 에 는 단어들간 뚜 한 차

가 보 다 는 단어들 특 상.

같 시 하고 동 한 강도,

에 도 차 가 없 에 상 청 들에게도

돈과 나타났 것 생각한다.

한편 울 에 차 보 해 학,

용 가장 울 가 한 당근 과 가장 울 가‘ ’

만한 ‘모 ’ 한 결과 포 트, 2

하고 과 포 트에1 3 ‘모 ’가 100~185

주 가 나타났다 하지만. (pitch)

강도에 는 ‘당근’ 게 나타났다(Table 5).

는 과 모 에 라 에 지 또한 차

가 에 ‘당근’ 가장 운 단어 나타났

다고 볼 다.

라 차 나 목 간 가장 많,

하는 단어들간 주 비 했 차

보 고 므 검사목 한

생각 다 또한 학 용 어.

한 과 에 참여한 상 (10

상 청 남 동 한 결과)

나타낼 므 상 보 한 후

연 가 필 하겠다.

문장 지도 검사3. (Sentence Recognition

Score, SRS)

장 상생 에 하게 고 청각

능 가장 하는 극 단 난청 들,

말 리 듣는 어 지 능 하게 평가하

해 는 장 지도 검사 드시 포함하여 실

시해 한다 보(Lucks Mendel & Danhauer, 1997).

건복지 에 상 공 우 식(2005) , 15

상 에게 용 는 건강보험 귀 청 고

도 상 난청 보청 착용 상태(70 dB HL)

에 장언어평가 실시하 나타나는 행

하 용 다 단 어 어50% .

검사에 비하여 장 지도 검사는 상에 청 실

심한 보청 공 우 착용 에게 주 사용

고 지만 그 행 결 하는 언어평가도 는 매

우 다 하 에 검사도 가 필 하다.

장 지도 검사는 Pediatric Sentence

Intelligibility (PSI), CID Everyday Sentence,

Bamford-Kowal-Bench (BKB), Hearing In Noise

Test (HINT),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SPIN),

등Quick Speech In Noise Test (Quick SIN)

다 하나 재 내에 사용 장 지도 검사,

는 장검사 그 해 하여 사용하고

어 한 어 고 특 고 하여 개 장검사

는 극 드 다 러한 실 고 하여 장. ,

는 다 한 말 리에 한 사 통 능 실(2008)

질 가능하고 장 지 검사,

에 합 한 어 특 연 별 특 에,

맞게 루어진 어 장 루어진 장 지

Page 10: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22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도 검사 개 하 다 본 에 는 상생 에.

실 사 통 듣 능 하 해

용 평가하고 난청 도 청 실 청, ,

각 재 등 고 하여 포 청능 비스 공

하 한 장 지도 검사 고 한 특 고 하

타당도 검사 재검사 신뢰도 에 재 개-

장 하고 한다.

장 지도 검사 장 장 는( , 2008)

에 립 미1914 Central Institute for the

탕 미Deaf (CID) Armed Forces-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ttee on Hearing and

에 재향 상 상생 사BioAcoustics

통 청각 능 평가하 해 시한 장

고 하여 개 었다 또한 상생 장. CID

검사에 채택한 장 탕 한 어

특 과 연 별 특 고 하여 용만 상( 13 )

학 용 만( 6~ 장 개 하 다 어12 ) .

차 장 시 장 간단, 1

살펴보 다 과 같다.

첫째 어 연 과 고 한 상,

생 에 사용 는 고빈도 어 하 고

사 한 다 한 단어들 포함하 다.

용 어 는 등학 고학 한 어 ,

학 용 등학 학 한 어 사1

용하 송어 송극본 어 검사, , ,

용 프 그램 동 책 등에 빈도 가 어, 1

차 하 다 등 별 어 용 어 등. 1

과 등 에 하는지 검하여 어 목 하2

다 째 장 고 하여 라. ,

말하 에 한 장 하 다 는.

단 과 복 하 고 장 태는 한 어

장 결 산 빈도 고 하여 , ,

등 다 하 장 는 단,

억능 고 하여 개 단어 한하 다9 .

째 차 개 장들 장 당 낱말, 1 1,000

3~ 개가 포함 는 단 과 복 각9

각 사용하고 장 태는50% (60%),

(10 ~ 타20%), (20%), (0 ~ 비10%)

하여 한 어 별 빈도 과 비 하여

균등하게 하 다 각 연 별 개 목 에. 10 10

개 장 개 장 택하 고 모든 장100 ,

상 연 게 평가 었다 째3.5 . ,

개 장들과 각 장 개 목 단어들100 40

난 도는 심리 향 능 주 특 포,

하고 하여 용과 학 용 각 개8

장목 하 다 특 목 간 동질.

장 목 간 심리 향곡 에 해당하는 역50%

울 하여 하 고 주 특

(Computerized Speech Lab, CSLTM,

용하여 하 다 장들Model 4500) .

에는 사 한 2~ 개 목 단어 포함하6

고 비, 2 46%, 3 23%, 1 17%

차지하 고 사, 는 사가 동사가51%, 37%

나타내었다.

개 용 학 용 장 타당도

에 하 다 장 여 고 상생 에.

주 쓰 는 어 지 하

한 낮 상 하 다 또한 한.

어 특 과 연 별 특 고 하여 었고

라말하 에 한 장 하 다 장 태.

는 단 과 복 사용하여 다 보

장 난 도는 상 과 학 동

상 하 다 라 내용 타당도 타당도. , ,

타당도가 모 하 다 장 목 간 어.

택 장 빈도 포 주, , ,

특 심리 향 능 난 도가 균등하게

어 었다 연 별 모든 목 에.

빈도가 균등하 각 연 별 목 간,

주 심리 향 능 에 한 차 가 없

므 목 간 난 도 동질 또한 하 다.

실험 및 결과1)

실 목 간 행도 개 과 에 포함 지

건청 난청 상 편 한 강도,

에 장검사(most comfortable level, MCL)

실시하여 단어 지도검사 결과 비 하 다 상.

는 건청 과 난청 합8 6 ( 1 , 1

감각신경 건청 경우 목, 4 ) , 4

1~ 나 지 목4, 4 5~ 지 들 주었고 난청8

Page 11: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W Han & J Bahng : Review of Korean Speech Audiometry 123

Table 6. 건청 과 난청 난청 순 평균역치 단어 지도 장 지도, , (%), (%)

피검난청

(PTA)

단어

지도검사목록1 목록2 목록3 목록4 목록5 목록6 목록7 목록8

1NH

(0)100 100 97.5 100 100 - - - -

2NH

(3.3)100 97.5 100 100 100 - - - -

3NH

(2.5)100 100 100 97.5 100 - - - -

4NH

(3.3)100 100 100 100 100 - - - -

5NH

(0)100 - - - - 100 100 100 100

6NH

(1.6)100 - - - - 100 100 100 100

7NH

(-1.6)100 - - - - 95 100 97.5 100

8NH

(3.3)100 - - - - 100 100 100 100

9CHL

(55)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SNHL

(22)92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1SNHL

(42)72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2SNHL

(55)68 97.5 95 97.5 97.5 100 95 97.5 95

13SNHL

(67)68 95 95 97.5 97.5 100 100 95 95

14MHL

(65)72 100 100 97.5 100 100 97.5 97.5 100

(* NH: Normal Hearing, CHL: Conductive Hearing Loss,

SNHL: Sensorineural Hearing Loss, MHL: Mixed Hearing Loss)

에게는 쪽 청 가진 귀에 개 목8

모 들 주었다 연 상 난청. ,

평균역 단어 지도검사 목 별 장(PTA), (%),

지도검사 결과는 에 시하 다Table 6 .

건청 과 난청 상 한

용 장 사용하여 검사한 결과 모든 피검 들,

장 지도는 상 나타났 목95%

간 지도 차 는 2.5 ~ 다 건청 과 난5% .

청 단어 지도 검사 결과는 68 ~ 100%

보 는 장 지도는, 95~ 100%

나타났다. 는 장검사가 단 에 비해 장

내 단 여 에(contextual cue)

단어 지도 검사 보다 장 지도 검사 행

훨 게 나타난 것 짐 할 다 그러나.

건청 과 난청 장검사 행 비 해보 ,

모 상 청 실 도에 행95%

차 가 나타나지 다 본 실험 라는. 14

한 참여 원 건청 과 난청 행

할 는 없다 그러나 없는 상.

에 장 지도 검사 하는 내 달리,

청각검사실 처럼 어 다(i.e., ,

등 사용하여 실 사 통 능)

하는 목 본 검사 도 사용한다

난청 사 통 상태 하는 용할

것 생각한다.

한편 학 용 장 지도 검사는 청각장,

Page 12: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24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별 재가 한 시 에 실시하 상생

사 통 능 에 한 보 공하여 효과

재 계 하고 시행할 다는 에 큰 장

갖고 다장 학 용 연( , 2008).

만 3~ 상생 장검사에 사5

용한 장 하여 한 어 특 에

한 가지 장 워 장 하6

다 첫째 상생 에 사용 는 연 고 한 고. ,

빈도 어 택하 다 어 는. (2004)

연 에 주 용 었 에 처 하는3

고빈도 사 동사들 었다 그 에는 어.

빈도 연 료 용 송 어, , 2~ 6

동 언어목 등 참고하여 었다 사용.

어 는 ‘ 거 우산 차 운동장 달리, , , , , ,

복 냉장고 주스 엄마 리 강 지, , , , , , ,

신 끼리 곰 그 포도 공 누나 가, , , , , , , ,

장난감 동생 랑 나 건 모 고, , , , , , ,

책 빵 고 집 말 동차, , , , , , , , ,

다 니 우 컵, , , , , ’ 개 사46

그리다 펴다 타다 하다 다 다 만지다 나‘ , , , , , , ,

다 지다 다 다 다 내 다 주다 꺼, , , , , , ,

내다 다 신다 다 담다 뜨리다 들어가다, , , , , , ’

개 동사 다 째 고 사는 포함하지 는21 . ,

가능한 다 한 단어들 어 택하 다.

어 들 사는 모 보통 사들 ‘엄마 집, ,

동생’ 등과 같 단 어 ‘강 지 고 랑, , ’

등과 같 생어, ‘장난감 동차 고, , ’ 등과 같

합 어들 었다 고 사는 포함하.

고 지 보통 사 다 하고 많 단어들

택 었다 째 하여 낱말. ,

한다 한 목 당 장 각 는. 10

개 개 개 개2 1 , 3 3 , 4 1 , 5 5

었다 동 에 개 낱말 라 말하. 4 7

과 행하 상 행 보 다90% (

주 연 내용 근거 하여, 2003). 2~5

었다 째 체 어 빈도 포는 어. ,

상용빈도 사하도 하 다 동.

언어 달에 사용 는 어 사빈도는 용사

사 동사 상 에3~8%, 70% ( , 2004)

장 어 는 상용빈도가 사 동사만

사용하 다 장 연 에 하 장. (2008)

에 사용 사는 연 에 용하(1997)

여 빈도 나타난 ‘ 는 가 에 에/ , / , / ,

과 만 사용하 나 실 장/ , / ’

하고 는 사는 에도 ‘ 하고/ , ’ 등

포함하고 었다 결어미는. ‘ 다 라 거- , - , - , -

어, - , - , - ’ 등 다 하게 사용하 다.

다 째 장 는 용과 달리 연 고 하여,

단 만 사용하 다 각 목 장들. ‘주어 목+

어 어+ ’ 또는 ‘목 어 어+ ’등과 같 단

었다 여 째 장 태는. , 60%,

10~ 타20%, 0~ 하 다 장 에 사10% .

용 장 태는 과60% 40%

었 장 에 시 장 태(2008)

과는 다 게 사용 지 다 는 그.

림 어 움 택하지 것 본다.

가지 하여 장 하여6

장 연 검사 실시하 다 연 검사는 만. 5

모든 장 평균 상4.26±1.21 3.6

었 장 연스러움 검 었다 또한.

용한 주 특 과 역 에50%

한 심리 향 능 통하여 목 간 난 도 동

등 검사 결과 본 결과 내 편차 주, 5 dB

특 과 각 목 간 울 차 심리 향 능 검사

결과들 통계 목 간 난 도 차 가 없

나타났다장 장 연 에( , 2008). (2008)

하 검 장들 탕 개10

장 개 목 과 병 없는4 3 ~ 5

남 각각 동 에게 그림 사용하여 장검사5

실시한 결과 행 검사 상에게96.5% ,

검사 난 도 그림 한 것 나타

났다 또한 장 는 목 간 포도 목 간.

난 도가 균등하 고 어 행능 검사하 에

합하게 었 므 내용 타당도 타당도는

것 한다 장 에 사용 어 들 만.

3~ 상 에게 한 어 검사 에5

한 장 장 었 므 타

당도가 것 나타났다 끝 본 장 가.

용한 상 뿐만 니라 다 한 신 잡 비 용

한 경에 검사 시행할 도 후 연 진

행한다 상에 어 청각검사 지 사용

것 라 한다.

Page 13: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W Han & J Bahng : Review of Korean Speech Audiometry 125

CONCLUSIONS

어 청각검사는 난청 들 사 통능 평가

하 한 가장 필 다 들 본.

고 청능사들 새 운 시 과 심 가

지고 한 어 어 청각검사 개(KSA)

과 해했 하 청각학 많 연,

진들 시간과 에 하여 개 한 어 어

청각검사가 학 연 합 병,

원 비 후과 난청재 등 장에 는 청능,

사들 한 사용 보 과 거쳐 한 청각

학 신뢰도 타당도 지닌 어

청각검사 도 리매 하 란다.

Acknowledgements

본 한림 학 학원 사 통합·

업 말지각연 에 심도 게 다루어진 토 과I

탕 었습니다 본 는.

업에 한 어 어 검사도 사랑하고 끼는 마

열 다하여 고민하고 하여 도균,

도연 지 재 진, , , , , ,

지 미 학생가나다 에게 고마움 합니, ( )

다 끝 한 어 어 청각검사 개 학. ,

진 진 장 경원, , , , ,

님 가 지 고에 감사( )

경 합니다.

REFERENCES

해. (2003). 등 별 어 용 어 . 울 도:

.

민 한 용 단 어 신뢰. (2011).

도 연 한림 학원 학 사학. .

한 어 과 과 사 연. (1993). .

거 학 집, 1, 131-140.

란 미 동 결어& . (2004). 3-4

미 달. 언어청각장 연 , 9(3), 22-35.

진 하나 신 욱 도 빛나, , , , , .

한 용 단 개(2008). . 청능재 ,

4, 126-140.

창 미 단 어 에 한 상. (1976).

각 난청별 어 청 과 청 과 상

계에 한 연 . 산 과 학 잡지.

한동 심 용 진 지각검사 주, , & . (2011).

별 청 역 상 계 연 . 청능재 , 7,

153-163.

주 장 에. (2003). 4 ~ 8

동 장 라 말하 행 . 단 학 학원

사학 울. .

찬 한태 한 어 청 검사 단& . (1985).

어 에 한 연 . 한 비 후과학

지, 28(3), 269-278.

변 한 어 별 빈도 본 한. (2001).

어 타당PB Word . 한 비 후과학 지,

44, 485-489.

변 어 료도 검사 단 어. (2006).

에 필 한 한 어 단 어 보. 한청

각학 지, 10(1), 12-15.

변 단 어 에 과. (2007).

빈도 . 한 비 후과학 지, 50, 573-578.

변 진경 승신 한, , , & . (2005a).

어 에 보 는 과다한 경 상 한:

어 체 함태 어 빈도 비 .

한 비 후과학 지, 48, 596-600.

변 민 한 고 민, , , & . (2005b).

병원에 사용하고 는 한 어 단 어

실태 어 빈도 . 한 비 후과학

지, 48, 1086-1090.

보건복지 여 용. (2005). 에

한 사항 보건복지 고시( 2004-93 ).

공 우 식 동 운규 사용 능. (2011).

연 . 단 학 학원 사학 울. .

. 한 동 태 습득에 한(1997).

연 사 가 는 도: , , , , . 말언어장 연- , 2,

27-42.

만 . (1987). 신 비 후과. 울 각: .

진 격 단어 단 에 한 통. (1970).

계 고찰. 한 비 후과학 지, 1, 1-3.

병곤 학생들 어 지 연. (2005). .

Page 14: 한국어어음청각검사의개발과표준화에대한고찰 ...e-asr.org/upload/pdf/asr-9-2-113.pdf · 2016-11-10 · 청각검사도구로개발되기까지의연구방법및과정을

126 AUDIOLOGY 청능재· 2013;9:113-126

과학, 12(3), 139-151.

한어린 송 프 그램에 어. (2005). ‧

실태에 한 연 주 학. .

학 어 청각 검사 연. (2012). .

과 연 , 2(1), 28-35.

학 진 진 장 경원, , , , , .

(2010). 어 청각검사. 울 학지사: .

담 한 어 청 검사어집에 한. (1976).

연 . 한 비 후과학 지, 19(1), 17-25.

지 승 심도 감각신경 청각장& . (2000).

동 지각 산 연 . 언어청각장

연 , 5(2), 159-175.

장 학 재, , , , & . (2008).

장 지검사 한 한 학 용 장

개 . 청능재 , 4, 178-187.

진 경원 한 경 학, , , , & . (2008a).

어 지역 검사 한 한 용

어 개 . 청능재 , 4(1), 28-36.

진 경원 한 경 학, , , , & . ( 어2008b).

지역 검사 한 한 학 용 학

용 어 개 . 청능재 , 4(1), 37-47.

에 동 내용어 어. (2004). 3 8

달 연 . 나사 학 재 복지 학원 사학

충남. .

창 한 어 어 료도 그 어 청. (1961).

검사 택에 한 상 고찰. 한 비 후과

학 지, 6(1), 22-65.

채 원. (2008). 어 청 검사 한청각학. . 청각

검사지 . 울 학지사: .

함태 어 청 검사어 료도 검사. (1962).

실험 . 진 학, 9(2), 38-41.

함태 한 어 청 검사어 에. (1986).

한 연 . 학, 7(1), 1-49.

하나 진 어 청 검사용 한 어 단& . (2007).

어 사. 청능재 , 3(1), 64-73.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1988).

Guidelines for determining threshold level for

speech. ASHA, 30, 85-89.

Bilger, R. C. (1984). Speech recognition test development.

In E. Elkins (Ed.), Speech Recognition by the Hearing-

impaired. ASHA Report, 14, pp.2-15. Rockville, MD:

Asha.

Brandy, W. T. (2002). Speech audiometry. In J. Katz

(Ed.)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pp.96-110).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Cambell, G. A. (1910). Telephonic intelligibility. Philosophical

Magazine, 19, 152-159.

Erber, N. P. (1972). Auditory, visual and auditory-visual

in the recognition of oral speech stimuli.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2, 423-425.

Hirsh, I. J., Davis, H., Silverman, S. R., Reynolds, E.

G., Elder, E., & Benson, R .W. (1952).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speech audiometr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7, 321-337.

Hudgins, C. V., Hawkins, J. E., Karlin, J. E., &

Stevens, S. S. (1947). The development of recorded

auditory tests for measuring hearing loss for speech.

Laryngoscope, 57, 57-89.

McArdle, R. & Hnath-Chisolm, T. (2009). Speech audiometry

In J. Katz , L. Medwetsky, R. Burkard, L. Hood

(6th Ed.).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pp.64-79).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Linquist, E. (1953). Educational measurement. Washington,

DC: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Lucks-Mendel, L. & Danhauer, J. L. (1997). Audiologic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 Speech Perception

Assessment.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 Inc.

Penrod, J. P. (1994). Speech threshold and word

recognition/discrimination testing. In: Katz J. (4th

Ed.).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pp.147-164).

Baltimore: Willians& Wilkins.

Silverman, S. R. & Hirsh, I. J. (1955).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speech in clinical audiometry.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64(4), 1234-

1244.

Walden, B. E. (1984). Validity issues in speech recognition

testing. In E. Elkins (Ed.), Speech Recognition by

the Hearing-impaired. ASHA Report, 14, pp.16-18.

Rockville, MD: As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