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6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9/ July, 2000 904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9904-909, 2000 외상이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진동규·진병호·조용은·윤도흠·김영수 = Abstract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 Dong-Kyu Chin, M.D., Byung-Ho Jin, M.D., Yong-Eun Cho, M.D., Do-Heum Yoon, M.D., Young-Soo Kim,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jectives Most cases of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present with myelo- pathy or myeloradiculopathy, which sometimes is further complicated by minor trauma to the spinal cord. The main purpose of surgery in these patients is the alleviation symptoms but also as protection against further deteri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cervical OPLL. Methods Over the past 13 years, we have operated on 123 patients with myelopathy associated with cevical OPLL. Among these, thirty patients had cervical cord injury associated with major or minor trauma and their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were reviewed retrosepctively. Results As to cause of trauma, seventeen were related with traffic accident and 13 were related with minor slipping injury. The pre- and post-operative motor power were significantly weaker in the patients with trauma, but the degree of motor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trauma group:0.90±1.49, non-trauma group:0.41±0.80). 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en indirect minor trauma to the cervical spine can cause irreversible changes to the spinal cord if this is associated with underlying cervical stenosis with OPLL. Although less favorable results may be anticipated in patients with trauma, operative decompression could improve motor power and protect further deterioration. KEY WORDS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dudinal ligament·Minor trauma·Spinal cord injury. Key는 1838년에 처음으로 Guys Hospital Reports를 통하여 척추인대가 골화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14) , 이후 간헐적으로 경추 후종인대골화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그러 나 수술이나 부검으로 확인된 적은 없었고, 진단명도 각각 달랐으며, 병리학적 해석 또한 달랐다. 1960년에 Tsukim- oto 27) 는 경추의 골성 종양으로 진단되어 수술 받은 환자의 부검에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에 의한 척수장애를 처음으 로 보고하였다. 1964년 Terayama는 이 질환을 ossifi- 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이 라고 명명한 24) 이후 이 질환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졌고, 이 에 대한 연구가 특히 일본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후종 인대 골화증은 일본, 한국 및 중국에서 많이 호발하며, 동남 아시아 지역국가에서도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4)5)22) . 후종인대 골화증은 특징적으로 경추부에 발생하며, 척수 강내로 골화된 후종인대가 돌출되어 척수나 신경근을 압박 하여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서서히 진행하는 하지마비 혹은 사 지마비로 나타나며, 영구적인 신경학적 결손이 남게 된다 15) .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으로 경추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O

Upload: others

Post on 17-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2016. 11. 24.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July, 2000 904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9::::904-909, 2000

외상이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진동규·진병호·조용은·윤도흠·김영수 = Abstract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

Dong-Kyu Chin, M.D., Byung-Ho Jin, M.D., Yong-Eun Cho, M.D., Do-Heum Yoon, M.D., Young-Soo Kim,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Yonsei U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jectives::::Most cases of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present with myelo-pathy or myeloradiculopathy, which sometimes is further complicated by minor trauma to the spinal cord. The

main purpose of surgery in these patients is the alleviation symptoms but also as protection against further

deteri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cervical OPLL.

Methods::::Over the past 13 years, we have operated on 123 patients with myelopathy associated with cevical OPLL. Among these, thirty patients had cervical cord injury associated with major or minor trauma and their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were reviewed retrosepctively.

Results::::As to cause of trauma, seventeen were related with traffic accident and 13 were related with minor slipping injury. The pre- and post-operative motor power were significantly weaker in the patients with trauma, but the

degree of motor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trauma group:0.90±1.49, non-trauma group:0.41±0.80).

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en indirect minor trauma to the cervical spine can cause irreversible changes to the spinal cord if this is associated with underlying cervical stenosis with OPLL. Although less favorable

results may be anticipated in patients with trauma, operative decompression could improve motor power and protect

further deterioration. KEY WORDS: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dudinal ligament·Minor trauma·Spinal cord injury.

서 론

Key는 1838년에 처음으로 Guys Hospital Reports를

통하여 척추인대가 골화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14), 이후

간헐적으로 경추 후종인대골화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그러

나 수술이나 부검으로 확인된 적은 없었고, 진단명도 각각

달랐으며, 병리학적 해석 또한 달랐다. 1960년에 Tsukim-

oto27)는 경추의 골성 종양으로 진단되어 수술 받은 환자의

부검에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에 의한 척수장애를 처음으

로 보고하였다. 1964년 Terayama는 이 질환을 ossifi-

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이

라고 명명한24) 이후 이 질환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졌고, 이

에 대한 연구가 특히 일본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후종

인대 골화증은 일본, 한국 및 중국에서 많이 호발하며, 동남

아시아 지역국가에서도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4)5)22).

후종인대 골화증은 특징적으로 경추부에 발생하며, 척수

강내로 골화된 후종인대가 돌출되어 척수나 신경근을 압박

하여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서서히 진행하는 하지마비 혹은 사

지마비로 나타나며, 영구적인 신경학적 결손이 남게 된다15).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으로 경추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OOOO

Page 2: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2016. 11. 24.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진동규 · 진병호 · 조용은 · 윤도흠 · 김영수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July, 2000 905

경미한 손상으로도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임상에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가 경미한 외상 이후에 사지마비로 내원하는 경

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경추부의 후종인대 골화증 수술중 신경학

적 회복에 외상의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외상으로 악화된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83년부터 1996년까지 저자들의 교실에 경추 후종인

대 골화증으로 입원하여 수술받은 123명의 환자를 대상으

로 하여 이들의 임상기록과 방사선검사를 후향적으로 조사

하였다.

평균연령은 53세로 27세부터 81세까지 분포하였고 50

대가 47명으로 전체의 38.2%를 차지하였다. 남자 105예

그리고 여자 18예로 남녀 성비는 5.8:1이며 남자에서 월

등히 많이 발생하였다. 환자의 증세는 척수장애가 90%에서

있었으며, 이중 운동마비가 88%, 감각이상이 19%였다. 상

지의 방사통증은 56%에서 있었다.

이들 환자를 외상이 있었던 환자와 외상이 없던 환자로

분류하였을 때 총 123명의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에

서 30명(24.4%)의 환자가 외상과 관계된 환자였다. 외상

의 유형을 조사하였을 때 교통사고가 17명(승객 사고:14

명, 보행자 사고: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는 비교

적 가벼운 손상이었다(Fig. 1).

2. 연구 방법

수술 전, 후 환자의 운동신경의 마비를 근육의 운동력으

로 조사하여 완전마비인 Grade 0에서 부터 정상인 Gra-

de 5로 분류하였으며, 또한 운동마비의 호전 정도를 외상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수술 전과 수술 후 최소 2년 이상 경

과한 단순 X-선 검사를 비교하였다. 또한 척수강(spinal

canal)의 압박비율(골화된 인대의 폭/척수강의 직경)을 분

석하여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

였다.

3. 통계 방법

수치의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각 측정치의 수술

전후 비교는 Paired T-test 및 ANOVA test로 통계 처리

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1. 수술 전·후 환자의 운동신경 마비 회복

수술전 운동신경의 마비는 외상과 관련된 환자가 평균

2.07±1.76였으며, 외상이 없던 환자는 평균 3.76±1.01

로 외상과 관련된 환자에서 의의있게 약했다(p<0.05). 그

러나 운동마비의 회복정도는 외상과 관련된 환자에서는

0.90±1.49였으며, 외상이 없던 환자의 0.41±0.80보다는

의의있게 회복되었다(p<0.05)(Fig. 2).

2. 척수강의 압박 정도와 수술 전·후 운동신경 마비의

회복

외상과 관련된 환자의 척수장 압박비율을 조사하였을 때

평균 59.8±14.92였으며, 표준정규분포를 보였다. 척수강

의 압박의 정도와 수술전 환자의 운동마비에는 의의있는 상

관관계가 없었다(p>0.05). 그러나 수술 이후 환자의 운동

신경 마비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척수강 압박이 적

Fig. 1. The causes of accident in traumatic patients with cer-vical OPLL.

Fig. 2. Box plot demonstrating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otor grade who had suffered a traumaand those who had not.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otor grade are significantly lower in trau-ma group. But the degree of motor improvement issignificantly higher in trauma group.

Page 3: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2016. 11. 24.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외상이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July, 2000 906

을수록 환자의 운동마비는 보다 많이 회복되어 의의있는 상

관관계를 보였다(Fig. 3).

고 찰

한국 및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

진 후종인대 골화증은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

지만 주로 경추부에서 많이 발생하며, 중년이후의 남자에서

많이 발생한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아주 서서히 진행하며,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척추강이 40%이상 압박될 때까지 증

세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다21)25).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환

자들은 서서히 진행하는 척수의 압박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다. 환자의 증상이 서서히 진행하는 반면에 경추부 후종인

대 골화증 및 척추강의 협착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외상이

후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으며, 심한

손상이 아닌 아주 경미한 손상으로도 환자에서는 아주 치

명적인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7). Katoh등은 약

16.9%의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에서 척수의 압박증세

가 외상 이후 악회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저자에 따라서는

28.5%까지 보고되기도 한다8)13)28). 저자들의 연구에서 조사

한 123명의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에서도 30명(24.4%)의

환자가 외상 이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손상의 원인에

서 교통사고가 17예(승객:14예, 보행자:3예)로 56.7%를

차지하였고, 나머지 13예(43.3%)는 경미한 손상 환자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이 있는 환자에게 경미한 손상에도 쉽

게 척수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의 양상에서 외상이 없는 경추 후종

인대 골화증 환자의 증세가 서서히 진행하는 사지마비와

long-track sign인데 비하여, 외상에 의해 악화된 환자에서

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지가 하지보다 약한 중심척수증후

군(central cord syndrome)의 양상이었다. 이는 경추의 과

신전에 의하여 발생된다. 결국에는 척수의 중앙부가 손상을

받으며,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에서 상지로 가는

신경섬유가 손상을 받게됨으로써 상지가 하지보다 더 약하

게 된다16).

경추손상 이후 수술의 시기에는 논란이 있다. 손상 이후 부

종의 진행, 혈종의 형성 등으로 인하여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

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은 가능한 조기에 진행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에, 환자의 상태가 불안정하고 척수

에 부종이 있는 상태에서 조기수술후 환자의 신경학적 증세

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지연 수술(delyed surgery)이 좋다

는 주장도 있다6)10)19). 일반적으로 척수손상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하며, 약 50%에서는 완전마비의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그러나 외상으로 악화된 경추 후종

인대 골화증 환자의 경우 비교적 노령인구에서 발생하며,

다른 내과적인 질병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일반 전신

상태가 불안정하다. 또한 마비의 양상도 역시 완전마비가

아닌 불완전마비의 양상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술의 시기

를 외상 이후 약 2∼4주가 경과하여 척수 부종이 사라지고,

환자의 전신상태가 안정되며, 또한 환자의 신경학적 증세가

어느 정도 회복된 이후에 수술을 진행하였다.

수술방법에는 전방경유 감압술 및 추체간 골유합술, 경추

후궁 제거술, 경추후궁 확장 성형술11)20)23) 등이 있으며, 이

러한 수술방법들은 각각 장단점이 있고 적응증에 논란이 많

아서 적당한 수술법의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이 형태학적으로 분절형 혹은 기타형

이면서 길이가 3분절 이하인 경우, 경추간반 탈출증이 동반

된 경우는 전방경유 감압술 및 추체간 골유합술을 시행하였

다. 이는 척수압박의 직접원인이 되는 골화된 후종인대를

직접 제거하여 압박된 척수를 감압시키고, 신경공 감압술을

시행하여 신경근 또한 감압시킬 수 있다1)9). 그러나 경추 후

종인대 골화증이 여러 분절에 걸쳐있을 때는 시행하기에 위

험성이 있으며, 골화된 후종인대를 제거하는 도중 척수손상

또는 경막파열의 위험이 있다1)4)9). 또한 제2경추나 제1흉추

부위는 수술의 시행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으며, 과도한 출

혈의 위험이 있다. 반면에 형태학적으로 연속형 혹은 혼합

형이면서 길이가 4분절 이상인 경우, 척수압박이 심한 경우,

환자의 전신상태가 나쁜 경우는 경추후궁 확장 성형술을 시

행하였다. 경추후궁 확장 성형술에는 hemilateral open door

method11)12)26)와 midline splitting bilateral open method17)

가 있으며 저자들은 후자의 방법을 이용하였다(Fig. 4). 특

히 midline splitting method는 압박된 척수를 충분히 감압

Fig. 3. Linegraphs demonstrating the motor improvement ac-cording to compression ratio in the patients who hadsuffered a trauma. The degree of motor improvementis corelated with compression ratio.

Page 4: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2016. 11. 24.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진동규 · 진병호 · 조용은 · 윤도흠 · 김영수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July, 2000 907

하면서, 동시에 좌우 양쪽의 신경공 갑압술이 가능하여 수

술후 상지로의 방사통증을 줄일 수 있다.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환자의 나

이, 수술전 증상의 기간, 수술전 환자의 신경학적 결손, 외

상의 유무 등의 여러가지 인자들이 이들의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상에 의하여 악화된 환

자에서는 외상이 없었던 환자에 비하여 수술 이후 결과가

매우 나쁜 것으로 보고된다. 이미 척추협착증으로 척수가

심하게 압박을 받고 있을 때는, 경미한 손상일지라도 척수

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술후 예후가 나

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유리기(free radical), 허혈

성 변화, 출혈, 부종 등의 이차손상(secondary injury)이

영향을 줄 수 있다2)3)20). 수술후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외상

이후 악화된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에 대한 수술의 유

용성에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외상이후 악화된 경우 후종

인대 골화증 환자에서 수술로 신경학적 증상의 회복되었다

는 보고가 있다8)13).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외상이 있던 환자

에서는 외상이 없던 환자에 비하여 수술전, 후 환자의 신경

학적 증상은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나쁜 것을 알 수 있었

다. 이는 기존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이다. 그러나 신경학적

회복의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외상이 있던 환자의 회복 정

도는 외상이 없던 환자의 회복 정도보다 의의 있게 높은 것

을 알 수 있었다.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에서는 골화된 후종

인대에 의한 척수의 압박정도에 따라 수술이후 환자의 회복

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의 단면적의 크기가 클수록 수술후 환자의 회복이 좋으

며18), 또한 이는 외상후 악화된 경우에서도 같은 결과로 보

고된다8)13). 저자들의 연구 결과에서도 척수의 압박정도와

환자의 운동신경의 회복에는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비록 외상으로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되었을

지라도 수술은 진행되어야 하며, 이는 환자의 신경학적 회

복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더 이상의 손상에 대한 예방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1)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환자에서 외상을 동반한 경우는

전체의 24.4%를 차지하여 비교적 많이 빈도로 발생하였고,

사고의 유형은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경미한 손상으로

도 환자에서 치명적인 신경학적 증상을 야기시켰다.

2) 외상을 동반한 경추부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수술

전 운동신경마비는 외상이 없던 환자에 비하여 의의있게 약

Fig. 4. Radiographs of the patient with cervical OPLL which was complicated by trauma. A:Pre-operative cervical spine lat-eral X-ray demonstrating continuous type OPLL and OALL. B:Pre-operative cervical MRI showing severe cervical canal stenosis and high signal change in spinal cord. C:Post-operative cervical spine lateral X-ray showing cervical expansive laminoplasty.

Page 5: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2016. 11. 24.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외상이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환자의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July, 2000 908

했으며, 상지가 하지보다 약한 중심척수증후군의 양상이었

다. 그러나 운동마비의 회복은 외상과 관련된 환자에서 의

의있게 많이 회복되었다.

3) 후종인대 골화증에 의한 척수강의 압박의 정도는 수술

이후 환자의 운동신경 마비의 회복과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척수강 압박이 적을수록 환자의 운동마비는 보다

많이 회복되었다.

• 논문접수일:1999년 10월 29일 • 심사완료일:2000년 3월 7일 • 책임저자:진 동 규

135-270 서울 강남구 도곡동 146-9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전화:02) 3497-3390, 전송:02) 3461-9229

E-mail:[email protected]

References

1) Abe H, Ito T, Iwasaki Y, Nakayawa T:Anterior decompression for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 J Neurosurg 55:108-116, 1981

2) Braughler JM, Duncan LA, Chase RL:Interac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calcium in the pathogenesis of neuronal inj-ury. CNS Trauma 2:269-283, 1985

3) Braughler JM, Hall ED:Central nervous system trauma and stroke. I. Biochemical considerations for oxygen radical form-ation and lipid peroxidation. II.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vidence for involvement of oxygen radicals and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 Biol Med 6:289-313, 1989

4) Cheng WC, Chang CN, Lui TN, Lee ST, Wong CW, Lin YK:Surgical treatment for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 Surg Neurol 41:90-97, 1994

5) Chin WS, Oon CL: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spine. Brit J Radiol 52:865-869, 1979

6) Donovan WH, Cifu DX, Schotte DE:Neurologic and skeletal outcome in 113 patients with closed inuries to the cervical spi-nal cord. Paraplegia 30:533-542, 1992

7) Eismont FJ, Clifford S, Goldberg M, Green B:Cervical sagi-ttal spinal canal size in spine injury. Spine 9:663-666, 1984

8) Fujimura Y, Nakamura M, Toyama Y:Influence of minor tr-auma on surgical results in patients with cervical OPLL. J Sp-inal Disord 11:16-20, 1998

9) Griffith RH, George WS, Philip RW, Donald AR, Charles BW:Cervical spine stenosis secondary to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J Neurosurg 67:349-357, 1987

10) Heiden JS, Weiss MH, Rosenberg AW:Management of cerv-ical spinal cord trauma in Southern California. J Neurosurg 43:732-736, 1975

11) Hirabayashi K, Miyakawa J, Satomi K:Operative results and postoperative progression of ossification among patients

with ossification of cervical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Spine 6:354-364, 1981

12) Hirabayashi K, Satomi K:Operative procedure and results of expansive open-door laminoplasty. Spine 13:870-876, 1988

13) Katoh S, Ikata T, Hirai N, Okada Y, Nakauchi K:Influ-ence of minor trauma to the neck on the neurolo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of the cervical spine. Paraplegia 33:330-333, 1995

14) Key CA:On paraplegia depending on disease of the liga-ments of the spine. Guy’s Hospital Reports 3:17-34, 1838

15) Kim YS, Chin DK, Cho YE, Jin BH, Yoon YS, Park JP:Sur-gical treatment for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 J Kor Neurosurg 26:1307-1315, 1997

16) Levi AD, Tator CH, Bunge RP:Clinical syndromes associated with disproportionate weakness of the upper versus the lower extremities afte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Neuro-surg 38:179-185, 1996

17) Nakano K, Harata S, suetsuna F, Araki T, Itoh J:Spinous pr-ocess-splitting laminoplasty using hydroxyapatite spinous pro-cess spacer. Spine 17(3 Suppl):S41-43, 1992

18) Okada Y, Ikata T, Katoh S, Yamada H: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cervical spinal cord, dural tube, and spinal canal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normal adults and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Spine 19:2331-2335, 1994

19) Rizzolo SJ, Vaccaro AR, Cotler JM:Cervical spine trauma. Spine 19:2288-2298, 1994

20) Rozario RA, Levine H, Stein BM:Cervical myelopathy and radiculopathy secondary to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Surg Neurol 10:17-20, 1978

21) Shibasaki H, Nagamatsu K:Calc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its relation with cervical spondylosis. Clin Neurol 7:22-29, 1968

22) Soo YS, Sachdev AS:Calcification in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as a cause of cervical myelopathy. Med J Aust 1:743-745, 1971

23) Tatso I, Haruo T:Techinical improvements and results of la-minoplasty for compressive myelopathy in the cervical spine. Spine 10(8):29-36, 1985

24) Terayama K, Maruyama S, Miyashita R: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in the cervical spine. Orthop Surg 15:1083-1095, 1964

25) Terayama K, Mamiya N, Suzuki A: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 Clinical sym-ptoms, roentgenographic changes and treatment. Clin J Orthop 23:478-87, 1972

26) Tsuji H:Laminoplasty for patients with compressive myelop-athy due to socalled spinal canal stenosis in cervical and tho-racic regions. Spine 7:28-34, 1982

27) Tsukimoto H:A case report:autopsy of syndrome of compr-

Page 6: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the Cervical Spinejkns.or.kr/upload/pdf/0042000128.pdf · 2016. 11. 24. · Influence of Trauma on the Sur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진동규 · 진병호 · 조용은 · 윤도흠 · 김영수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July, 2000 909

ession of spinal cord of cervical spine. arch Jap Chir 29:1003-1007, 1960

28) Tsukimoto N: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

ment of the spine. Clin Orthop 184:71-84, 1984 29) Young W:Secondary injury mechanism in acute spinal cord

injury. J Emerg Med 11:13-22,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