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teotomy_현우_발표[1].pptx

71
Osteotomy & hump reduction GNUH ENT R4 Park Hyun-woo

Upload: entgo8282

Post on 08-Nov-2014

116 views

Category:

Documents


7 download

DESCRIPTION

Osteotomy & hump reductionOsteotomy OsteotomyTypes - Medial - Intermediate - lateral목적Bony pyramid 폭의 감소Hump resection 후 발생하는 open roof deformity의 교정 deviated nose 의 교정 – controlled fracture분류Endonasal / percutaneous osteotomyComplete osteotomy - percutaneousIncomplete osteotomy – endonasalMedial / lateral / transverse osteotomy효과Bony pyramid가 좁아진다Bony pyramid가 높아진다Bony pyramid 방향이 교정그림 1그림 2그림 3그림 4osteotome의 선택작은 osteotome : less bleeding, but weak큰 osteotome : easy complete osteotomy but more bleedingGuarded osteotome : 걸기 편하고 미끄러짐이적고 촉지하면서 osteotomy 가능Curved : lateral osteotomyStraight : lateral/medial osteotomymedial osteotomyNasal bone으로부터 septum을 분리Lateral osteotomy 작용을 도움3-4mm폭의 straight guarded osteotome을 이용15번 수술칼이나 D-Knife - ULC와 비중격 사이에 절개NB의 하단부(Open roof 의 상단부) ~ nasion 까지 단일로는 효과 없음의의 : Bony septum을 보존하면서 lateral osteotomy후 만들어지는 뼈조각이 원하는 모양으로 꺾일수 있도록 함.그림 6반드시 lateral osteotomy 시행 전에 함.Open approachULC에서 septum을 분리한 후 그 면에서 nasal bone에 osteotome 을 걸고 inner canthus를 향해서 진행(15~25o)하거나 paramedian 으로 평행하게 진행지나친 paramedian – rocker-bottom deformity그림 7그림 8ULC와 septum을 분리 하지 않았을때그림 11 - 주의사항Lateral osteotomyInternal continuous lateral osteotomyLocal injectionIT 기시부위의 pyriform apperture에서 periosteum까지 이르는 절개Osteotomy를 하려는 가상선을 따라 진행nasomaxillary groove로 올라가다가 안와하연에서 내측으로 연장, 내측절골선과 연결터널은 내측절골술이나 hump의 제거로 생긴 터널과 연결되지 않도록osteotome을 오른손으로 연필잡듯이 잡고 외측상방, 내측상방으로 방향전환손가락으로 절골도의 끝을 더듬어 끝이 상악골전두돌기의 기저부에 있음을 확인 그림 13그림 14High osteotomy 시 발생하는 stair step deformityPercutaneous lateral osteotomyNasofacial groove의 약간 medial에서 절개Angular artery 보호Osteotome insertion 후 아래로약간 당기면서 osteotomy 시행그림 17연속적인 절개선이 아니라 연속적인 작은 구멍을 만들어 시행2mm osteotomeCaudal (thin)  cephalo-medial (thick)그림 18장점 : 수술중 시야확보가 용이, 점막 손상 적음, 출혈 적음, 술후 부종 경감단점 : 뼈가 두꺼운 사람은 어려움, osteotomy line의 정확한조절이 어려움Transverse osteotomyParamedial에 가까운 medial osteotomy 와 low to low lateral osteotomy를 연결하기위해 시행양 미간정도 level에서 2mm osteotomeCartilage septum의 dorsal part가 ULC와 분리 되어 있어야 한다.고려사항 & 금기사항뼈의 두께Thick : lacrimal crest 근처, 반대측 nasal bone과의 junctionThin : lateral osteotomy 시작 부위Nasal bone이 작고 두꺼운 경우 또는 osteotomy Hx. 가있는 재수술일 경우 조각조각 골절이 발생 할수 있으므로 onlay graft가 더 좋음.Comminuted fracture  dorsum augmentation합병증출혈 – compression, packing, splintCauterizatioin 금기예방 : 수술전 국소 점막 수축제, 작은 osteotome, periosteum 부착 유지부종모양 변형 – incomplete osteotomyCallus형성Inverted V deformity – nasal bone과 ULC junction 함몰 Bony dorsum irregularity후각장애, 코막힘, lacrimal apparatus 손상Dorsal hump reduction그림 1미용적 고려사항Dorsal aesthetic line- 적절히 보존Supraorbital ridge corrugator medial canthal ligament keystone area tip defining point그림 2그림 3Dorsal hump의 분류Isolated humpGeneralized humpDeviated nose와 동반된 hump pseudohumpIsolated humpDorsal line에서 작은 hump가 삼각형의 형태로 갑작스럽게 돌출되어 있는 경우외상 병력이 많다.주로 bony vault, rhinionGeneralized humpBony vault로부터 시작하여 cartilage dorsum까지 완만외상병력이 없는경우가 많다.주로 발달상의 문제주로 cartilaginous portion부분에서 절제해야함.Deviated nose와 동반된 hump 많이 동반Dorsal hump reduction과 함께 deviated nose에 대한 교정도 동시에 함.PseudohumpDorsal hump가 있으면서 cartialginous dorsum의 높이가 낮아져 있는경우 교정 : dorsal hump reduction 뿐만 아니라 cartilaginous dorsum에 대한 augmentation, caudal septum의 support를 강화 수술방법Endonasal approachAnterior septal angle에서 시행한 Intercartilaginous incision사용연골과 연부조직의 분리Nasal bone의 subperiosteal dissectionCartilaginous vault 절제 – No 15Osseocartilaginous hump resectionRaspingOpen roof deformity  osteotomy그림 8Open approachMarginal incision & transcolumellar incisionBony vault – subperiosteal plane그림 10그림 11, 12ULC reduction – internal nasal valve 폐쇄 주의Spreader graft c septal cartilageDorsal nasal roof 의 유지와 재건Internal nasal valve의 복구와 유지Dorsal aesthetic line의 재건5-PDS – horizontal mattr

TRANSCRIPT

Page 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Osteotomy & hump reduction

GNUH ENT R4 Park Hyun-woo

Page 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Osteotomy

Page 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Osteotomy

• Types - Medial - Intermediate - lateral

Page 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목적• Bony pyramid 폭의 감소• Hump resection 후 발생하는 open roof

deformity 의 교정• deviated nose 의 교정 – controlled

fracture

Page 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분류• Endonasal / percutaneous osteotomy

• Complete osteotomy - percutaneous• Incomplete osteotomy – endonasal

• Medial / lateral / transverse os-teotomy

Page 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효과• Bony pyramid 가 좁아진다• Bony pyramid 가 높아진다• Bony pyramid 방향이 교정

Page 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

Page 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2

Page 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3

Page 1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4

Page 1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osteotome 의 선택• 작은 osteotome : less bleeding, but

weak• 큰 osteotome : easy complete os-

teotomy but more bleeding• Guarded osteotome : 걸기 편하고

미끄러짐이적고 촉지하면서 osteotomy 가능

• Curved : lateral osteotomy• Straight : lateral/medial osteotomy

Page 1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1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medial osteotomy

• Nasal bone 으로부터 septum 을 분리• Lateral osteotomy 작용을 도움• 3-4mm 폭의 straight guarded osteotome 을 이용• 15 번 수술칼이나 D-Knife - ULC 와 비중격 사이에 절개• NB 의 하단부 (Open roof 의 상단부 ) ~ nasion 까지 • 단일로는 효과 없음• 의의 : Bony septum 을 보존하면서 lateral os-

teotomy 후 만들어지는 뼈조각이 원하는 모양으로 꺾일수 있도록 함 .

Page 1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6

Page 1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반드시 lateral osteotomy 시행 전에 함 .

• Open approach– ULC 에서 septum 을 분리한 후 그 면에서

nasal bone 에 osteotome 을 걸고 inner canthus 를 향해서 진행 (15~25o) 하거나 paramedian 으로 평행하게 진행

– 지나친 paramedian – rocker-bottom de-formity

Page 1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7

Page 1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8

Page 1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1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ULC 와 septum 을 분리 하지 않았을때

Page 2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1 - 주의사항

Page 2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2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Lateral osteotomy

• Internal continuous lateral osteotomy– Local injection– IT 기시부위의 pyriform apperture 에서 periosteum 까지

이르는 절개– Osteotomy 를 하려는 가상선을 따라 진행– nasomaxillary groove 로 올라가다가 안와하연에서 내측으로

연장 , 내측절골선과 연결– 터널은 내측절골술이나 hump 의 제거로 생긴 터널과 연결되지

않도록– osteotome 을 오른손으로 연필잡듯이 잡고 외측상방 ,

내측상방으로 방향전환– 손가락으로 절골도의 끝을 더듬어 끝이 상악골전두돌기의 기저부에

있음을 확인

Page 2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3

Page 2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4

Page 2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High osteotomy 시 발생하는 stair step deformity

Page 2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Percutaneous lateral osteotomy– Nasofacial groove 의 약간 medial 에서 절개– Angular artery 보호– Osteotome insertion 후 아래로약간 당기면서

osteotomy 시행

Page 2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7

Page 2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연속적인 절개선이 아니라 연속적인 작은 구멍을 만들어 시행

– 2mm osteotome– Caudal (thin) cephalo-medial (thick)

Page 2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8

Page 3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장점 : 수술중 시야확보가 용이 , 점막 손상 적음 , 출혈 적음 , 술후 부종 경감

– 단점 : 뼈가 두꺼운 사람은 어려움 , osteotomy line 의 정확한조절이 어려움

Page 3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Transverse osteotomy

• Paramedial 에 가까운 medial os-teotomy 와 low to low lateral os-teotomy 를 연결하기위해 시행

Page 3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양 미간정도 level 에서 2mm osteotome• Cartilage septum 의 dorsal part 가

ULC 와 분리 되어 있어야 한다 .

Page 3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고려사항 & 금기사항• 뼈의 두께– Thick : lacrimal crest 근처 , 반대측 nasal

bone 과의 junction– Thin : lateral osteotomy 시작 부위– Nasal bone 이 작고 두꺼운 경우 또는 os-

teotomy Hx. 가있는 재수술일 경우 조각조각 골절이 발생 할수 있으므로 onlay graft 가 더 좋음 .

– Comminuted fracture dorsum augmen-tation

Page 3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3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합병증• 출혈 – compression, packing, splint– Cauterizatioin 금기– 예방 : 수술전 국소 점막 수축제 , 작은 osteotome,

periosteum 부착 유지• 부종• 모양 변형 – incomplete osteotomy• Callus 형성• Inverted V deformity – nasal bone 과 ULC

junction 함몰 • Bony dorsum irregularity• 후각장애 , 코막힘 , lacrimal apparatus 손상

Page 3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3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Lateral (low osteotomy)-> Nasolacrimal duct injury

Page 3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Low start or vertical -> Nasal obstruction

Page 3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Dorsal hump reduction

Page 4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

Page 4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미용적 고려사항• Dorsal aesthetic line- 적절히 보존• Supraorbital ridge – corrugator –medial canthal ligament – keystone area – tip defining point

Page 4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2

Page 4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3

Page 4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Dorsal hump 의 분류• Isolated hump• Generalized hump• Deviated nose 와 동반된 hump • pseudohump

Page 4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Isolated hump

• Dorsal line 에서 작은 hump 가 삼각형의 형태로 갑작스럽게 돌출되어 있는 경우

• 외상 병력이 많다 .• 주로 bony vault, rhinion

Page 4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4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Generalized hump

• Bony vault 로부터 시작하여 cartilage dorsum 까지 완만

• 외상병력이 없는경우가 많다 .• 주로 발달상의 문제• 주로 cartilaginous portion 부분에서

절제해야함 .

Page 4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4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Deviated nose 와 동반된 hump

• 많이 동반• Dorsal hump reduction 과 함께 devi-

ated nose 에 대한 교정도 동시에 함 .

Page 5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5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seudohump

• Dorsal hump 가 있으면서 cartialginous dorsum 의 높이가 낮아져 있는경우

• 교정 : dorsal hump reduction 뿐만 아니라 cartilaginous dorsum 에 대한 augmentation, caudal septum 의 support 를 강화

Page 5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5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수술방법

Page 5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Endonasal approach

• Anterior septal angle 에서 시행한 In-tercartilaginous incision 사용

• 연골과 연부조직의 분리• Nasal bone 의 subperiosteal dissec-

tion• Cartilaginous vault 절제 – No 15• Osseocartilaginous hump resection• Rasping• Open roof deformity osteotomy

Page 5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8

Page 5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5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5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Open approach

• Marginal incision & transcolumellar incision

• Bony vault – subperiosteal plane

Page 5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0

Page 6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1, 12

Page 6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ULC reduction – internal nasal valve 폐쇄 주의

• Spreader graft c septal cartilage– Dorsal nasal roof 의 유지와 재건– Internal nasal valve 의 복구와 유지– Dorsal aesthetic line 의 재건– 5-PDS – horizontal mattress suture - sep-

tum– 4-PDS – ULC, spreader graft, septum

Page 62: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63: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Osteotomy

• Open roof deformity 의 교정

Page 64: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dorsal hump reduction 에서 dorsal augmentation 과 tip surgery

• Hump 환자들에서 많은 예에서 underpro-jected tip 이 동반

• tip projection & support 를 개선 시키는 술식이 추가

• 적당한 dorsal augmentation

Page 65: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그림 16

Page 66: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합병증 및 주의 사항• Rasping 후 dorsum irregularity ir-

rigation or graft material• hump 의 과한 절제 – hump 를 다듬어서

다시 삽입 (Skoog’s method), septal cartilage graft

• Inverted V deformity – nasal bone & ULC

• Polly beak deformity

Page 67: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68: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69: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 Polly beak deformity– Soft tissue polly beak – soft tissue scar– Cartilaginous polly beak – 연골부의 소극적

절제 또는 골부의 과도한 절제– Relative polly beak – 술후 경과에서

발생하는 tip drooping

Page 70: Osteotomy_현우_발표[1].pptx
Page 71: Osteotomy_현우_발표[1].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