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point 프레젠테이션calslab.snu.ac.kr/hosts/treephys/doc/image/1211/2017_summer_pos… ·...

1
연구 배경 및 목적 This work was supported by Promising-Pioneering Researcher Program through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in 2015.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백운산 종간 수분 경쟁 Water competition of tree species in Mt. Baegun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전지현 1* , 이훈택 1 , 이민수 1 , 송우경 1 , 변시연 1 , 이복남 2 , 조성식 3 , 박주한 4 , 김현석 1234 ( 1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2 서울대학교 농업생명연구원, 3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농림기상학전공, 4 국가농림기상센터) 수목생리학연구실 Forest Ecophysiology Lab Figure 1. Long term survey of vegetation change in Mt. Baegun 연구방법 지난 15년간 이루어진 장기 식생조사에 따르면 백운산 내 침엽 수종이 활엽수에 비해 점차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이러한 침엽수의 감소는 침엽수종와 활엽수종의 수분경쟁으로 인한 결과라고 생각됨 따라서, 토심별 토양수 및 수종별 안정동위원소 (δ 18 O, δ 2 H) 분석을 통하여 계절에 따른 수분 이용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식생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함 1. 연구대상지 서울대학교 남부 학술림 (백운산 일대) 6개 조사구 (12임반 3소반, 12임반 4소반, 6임반 3소반, 10임반 8소반 , 35임반 6소반, 2임반 19소반) 2 - 19 35 - 6 10 - 8 6 - 3 Mt. Baegun , 본 포스터에서는 12임반 3소반 조사구 결과만 나타냄 Figure 2. Study sites in Mt. Baegun 0 500 1,000 1,500 2,000 2,500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Styrax japonicus Lindera erythrocarpa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Stewartia pseudocamellia Acer pictum Styrax obassia Neoshirakia japonica Cornus controversa Fraxinus sieboldiana Fraxinus chinensis Meliosma oldhamii Ilex macropoda Fraxinus mandshurica Abies koreana Carpinus cordata Zelkova serrata Prunus sargentii Morus australis Fraxinus chiisanensis Cornus kousa Alnus sibirica Platycarya strobilacea Meliosma myriantha Cornus walteri Betula schmidtii Quercus dentata Carpinus tschonoskii Castanea crenata Celtis sinensis Quercus acutissima Maackia amurensis Albizzia julibrissin Tilia amurensis Diospyros lotus Pinus koraiensis Kalopanax septemlobus Betula costata Rhus trichocarpa Abies holophylla Pyrus pyrifolia Betula chinensis Juglans mandshurica Rhododendron yedoense Malus toringo Number of trees Period 1 (1999-2003) Period 2 (2004-2007) Period 3 (2008-2012) Period 1 < Period 2 < Period 3 Quercus mongolica , Carpinus laxiflora , Lindera erythrocarpa , Stewartia pseudocamellia , Acer pictum , Acer pseudosieboldianum , Cornus controversa , Fraxinus rhynchophylla , Zelkoba serrata , Carpinus cordata , Styrax obassia , Styphnolobium japonicum , etc Period 1 > Period 2 > Period 3 Pinus densiflora , Quercus dentata , Betula costata , Juglans mandshurica Major species N DBH (cm) Height (m) Pinus densiflora 20 21.3 ± 5.7 14.7 ± 3.4 Chamaecyparis obtuse 21 18.8 ± 10.5 11.2 ± 4.3 Styrax obassia 3 9.8 ± 7.5 7.6 ± 4.6 12임반 3소반 (N 35˚ 02' 20.7'' E 127˚ 38' 42.4'‘) - 고도 : 523m, 경사 : 10° 동위원소분석기 (CRDS-IM , Picarro, USA)를 통해 토양수 및 가지 내 안정 동위원소 (δ 18 O, δ 2 H)를 분석함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이용해 Bayesian mixing model을 적용하여 (MixSIAR) 수종별 수분 이용 깊이의 분포를 파악함 2. 시료 채취 및 분석 15년간 880개 영구조사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화가 심한 수종 및 실험구 선정 2015년, 각 조사구별 5개의 위치를 선정하여 5개 깊이 (10, 30, 50, 100, 120cm)에 라이시미터 설치 2016년부터 계절별(봄, 여름, 가을)로 Vacuum pump (Vocupoter, UMS, USA)및 자체 제작한 물통을 이용하여 토양수 채취 및 가지 샘플링 Figure 3. Water bottle and vacuum pump Figure 4. Soil water 1. δ 18 O 결과 및 고찰 -15 -10 -5 0 -15 -10 -5 0 April July November 0 25 50 75 100 125 -15 -10 -5 0 Soil depth (cm) δ 18 O (‰) April July November Soil depth (cm) δ 2 H (‰) 30.1 20.2 29.8 33.2 15.4 31.1 12.8 8.1 11.9 7.3 0 20 40 60 80 100 Chamaecyparis obtuse Styrax obassia Proportion (%) April 20.7 14.3 20.7 17.2 10.8 21.4 21.1 22.7 18.7 20.6 27 19.8 20.4 25.2 19.4 0 20 40 60 80 100 Chamaecyparis obtuse Pinus densiflora Styrax obassia July 36.7 29.1 34.6 19.2 17.8 17.2 21.5 32.2 27.4 6.5 6.3 6 16.1 14.6 14.7 0 20 40 60 80 100 Chamaecyparis obtuse Pinus densiflora Styrax obassia November 2. δ 2 H 3. 수종별 수분 이용 깊이 결론 소나무는 여름철 다른 수종들에 비해 깊은 곳의 수분을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냄 특히, 봄과 가을에는 주로 토양 상층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였으며 여름철에는 모든 수 종들이 토심이 깊은 곳의 수분을 흡수하였음 본 연구 결과 소나무, 편백나무, 쪽동백나무의 계절에 따른 토심별 수분 이용 패턴을 알 수 있었으나 이를 통해 식생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에는 미비함 따라서 다른 사이트들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및 수액의 흐름에 관한 연구 가 추가적으로 필요함 -80 -60 -40 -20 0 -80 -60 -40 -20 0 0 25 50 75 100 125 -80 -60 -40 -20 0

Upload: others

Post on 18-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calslab.snu.ac.kr/hosts/treephys/doc/image/1211/2017_Summer_pos… · 수목생리학연구실 Forest Ecophysiology Lab Figure 1. Long term survey of

연구 배경 및 목적

This work was supported by Promising-Pioneering Researcher Program through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in 2015.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백운산 내 종간 수분 경쟁Water competition of tree species in Mt. Baegun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전지현1*, 이훈택1, 이민수1, 송우경1, 변시연1, 이복남2, 조성식3, 박주한4, 김현석1234

(1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2서울대학교 농업생명연구원, 3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농림기상학전공, 4국가농림기상센터)

수목생리학연구실Forest Ecophysiology Lab

Figure 1. Long term survey of vegetation change in Mt. Baegun

연구방법

지난 15년간 이루어진 장기 식생조사에 따르면 백운산 내 침엽

수종이 활엽수에 비해 점차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이러한 침엽수의 감소는 침엽수종와 활엽수종의 수분경쟁으로

인한 결과라고 생각됨

따라서, 토심별 토양수 및 수종별 안정동위원소 (δ18O, δ2H)

분석을 통하여 계절에 따른 수분 이용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식생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함

1. 연구대상지

서울대학교 남부 학술림 (백운산 일대)

총 6개 조사구 (12임반 3소반, 12임반 4소반, 6임반 3소반, 10임반

8소반 , 35임반 6소반, 2임반 19소반)

2-19

35-6

10-8

6-3Mt. Baegun

단, 본 포스터에서는 12임반 3소반 조사구 결과만 나타냄

Figure 2. Study sites in Mt. Baegun

0

500

1,000

1,500

2,000

2,500

Qu

ercu

s m

on

go

lica

Ca

rpin

us

laxi

flo

ra

Qu

ercu

s se

rra

ta

Qu

ercu

s va

ria

bil

is

Sty

rax

jap

on

icu

s

Lin

der

a e

ryth

roca

rpa

Pin

us

den

sifl

ora

Ace

r p

seud

osi

ebo

ldia

nu

m

Ste

wa

rtia

pse

udo

cam

elli

a

Ace

r p

ictu

m

Sty

rax

ob

ass

ia

Neo

shir

aki

a j

apo

nic

a

Co

rnu

s co

ntr

ove

rsa

Fra

xin

us

sieb

old

iana

Fra

xin

us

chin

ensi

s

Mel

iosm

a o

ldha

mii

Ilex

ma

cro

po

da

Fra

xin

us

ma

ndsh

uri

ca

Ab

ies

kore

an

a

Ca

rpin

us

cord

ata

Zel

kova

ser

rata

Pru

nu

s sa

rgen

tii

Mo

rus

au

stra

lis

Fra

xin

us

chii

san

ensi

s

Co

rnu

s ko

usa

Aln

us

sibir

ica

Pla

tyca

rya

str

ob

ila

cea

Mel

iosm

a m

yria

nth

a

Co

rnu

s w

alt

eri

Bet

ula

sch

mid

tii

Qu

ercu

s d

enta

ta

Ca

rpin

us

tsch

on

osk

ii

Ca

sta

nea

cre

na

ta

Cel

tis

sin

ensi

s

Qu

ercu

s a

cuti

ssim

a

Ma

ack

ia a

mu

rensi

s

Alb

izzi

a j

uli

bri

ssin

Til

ia a

mu

ren

sis

Dio

spyr

os

lotu

s

Pin

us

kora

iensi

s

Ka

lop

ana

x se

pte

mlo

bus

Bet

ula

co

sta

ta

Rh

us

tric

ho

carp

a

Ab

ies

ho

lop

hyl

la

Pyr

us

pyr

ifo

lia

Bet

ula

ch

inen

sis

Jugla

ns

ma

nd

shu

rica

Rh

od

od

end

ron

yed

oen

se

Ma

lus

tori

ngo

Nu

mb

er o

f tr

ees

Period 1 (1999-2003)Period 2 (2004-2007)Period 3 (2008-2012)

Period 1 < Period 2 < Period 3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lora, Lindera erythrocarpa, Stewartia pseudocamellia, Acer pictum,

Acer pseudosieboldianum, Cornus controversa, Fraxinus rhynchophylla, Zelkoba serrata, Carpinus cordata,

Styrax obassia, Styphnolobium japonicum, etc

Period 1 > Period 2 > Period 3Pinus densiflora, Quercus dentata, Betula costata, Juglans mandshurica

Major species N DBH (cm) Height (m)

Pinus densiflora 20 21.3 ± 5.7 14.7 ± 3.4

Chamaecyparis obtuse 21 18.8 ± 10.5 11.2 ± 4.3

Styrax obassia 3 9.8 ± 7.5 7.6 ± 4.6

12임반 3소반 (N 35˚ 02' 20.7'' E 127˚ 38' 42.4'‘)

- 고도 : 523m, 경사 : 10°

동위원소분석기 (CRDS-IM , Picarro, USA)를 통해 토양수 및 가지 내 안정

동위원소 (δ18O, δ2H)를 분석함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이용해 Bayesian mixing model을 적용하여

(MixSIAR) 수종별 수분 이용 깊이의 분포를 파악함

2. 시료채취및분석

15년간 880개 영구조사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화가

심한 수종 및 실험구 선정

2015년, 각 조사구별 5개의 위치를 선정하여 5개 깊이 (10, 30, 50,

100, 120cm)에 라이시미터 설치

2016년부터 계절별(봄, 여름, 가을)로 Vacuum pump (Vocupoter,

UMS, USA)및 자체 제작한 물통을 이용하여 토양수 채취 및 가지

샘플링

Figure 3. Water bottle and vacuum pump Figure 4. Soil water

1. δ18O

결과 및 고찰

-15 -10 -5 0 -15 -10 -5 0

April July November0

25

50

75

100

125

-15 -10 -5 0

Soil

dep

th (

cm)

δ18O (‰)

April July November

Soil

dep

th (

cm)

δ2H (‰)

30.120.2

29.8

33.2

15.4 31.1

12.8

8.111.9 7.3

0

20

40

60

80

100

Chamaecyparis

obtuse

Styrax obassia

Pro

port

ion

(%

)

April

20.714.3

20.7

17.2

10.8

21.4

21.1

22.7

18.7

20.6

27

19.8

20.425.2

19.4

0

20

40

60

80

100

Chamaecyparis

obtuse

Pinus densiflora Styrax obassia

July

36.729.1

34.6

19.2

17.817.2

21.532.2

27.4

6.5 6.3 6

16.1 14.6 14.7

0

20

40

60

80

100

Chamaecyparis

obtuse

Pinus densiflora Styrax obassia

November

2. δ2H

3. 수종별 수분 이용 깊이

결론

소나무는 여름철 다른 수종들에 비해 깊은 곳의 수분을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냄

특히, 봄과 가을에는 주로 토양 상층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였으며 여름철에는 모든 수

종들이 토심이 깊은 곳의 수분을 흡수하였음

본 연구 결과 소나무, 편백나무, 쪽동백나무의 계절에 따른 토심별 수분 이용

패턴을 알 수 있었으나 이를 통해 식생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에는 미비함

따라서 다른 사이트들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및 수액의 흐름에 관한 연구

가 추가적으로 필요함

-80 -60 -40 -20 0 -80 -60 -40 -20 0

0

25

50

75

100

125-80 -60 -40 -2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