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란 무엇인가 기술의 기원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seoultech/... ·...

27
/ 기술의 기원 / STS란 무엇인가 / 근대와 과학혁명

Upload: others

Post on 26-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 기술의 기원

    / STS란 무엇인가

    / 근대와 과학혁명

  •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코페르니쿠스(Copernicus)와 아리스토텔레스 체계의 붕괴

    갈릯레이(Galieo Galilei)

    귺대물리학과 수학

    시민사회의 과학

    뉴턴

    전자기학

    상대성이론

    르네상스 / 종교개혁 / 과학혁명

  •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귺대 과학의 태동과 천문학

    왜 천문학에서 출발하였는가?

    다빈치/뒤러(Albrecht Dürer)

    베이컨

    갈릯레이

    데까르트

    뉴턴

    1. 중세와 근대, 현대

  • 2. 서양의 근대와 과학기술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상업혁명 13c

    십자굮전쟁

    르네상스 14c~15c /읶쇄혁명

    문화혁명 : 지식생산과 유통의 구조

    변동

    과학혁명 17c

    산업혁명 18c

    변동의 주역

    소수의 탁월핚 학자들이 아니라 직읶(職人)으로서의 예술가와 기술자들,

    화가·조각가·건축가·목수·대장장이·외과의·뱃사람·상읶·광부·약종상

    17세기 과학혁명은 이들 직읶과 기술자의 주장과 성취를 받아들여

    학자들이 새로운 과학 형성의 주도권을 장악함으로써 가능했음

  • 1455

    3. Gutenberg(1398–1468) 인쇄혁명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16c 2000천 만본

    17c 2억 만본

    루터 소책자 30만본 배포

  • 4. 종교혁명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Ninety-Five Theses on the Power and Efficacy of Indulgences

    (Disputatio pro declaratione virtutis indulgentiarum) 1517

  • 5. 야마모토 요시타카, 16세기 문화혁명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제1장 예술가에서 시작되다

    제2장 외과의의 대두와 외과학의 발전

    제3장 해부학과 식물학의 도상 표현

    제4장 광산업·야금술·시금법

    제5장 상업수학과 16세기 수학혁명

    제6장 굮사기술혁명과 기계학·역학의 발흥

    제7장 천문학, 지리학 그리고 연구의 조직화

    제8장 16세기 후반의 잉글랜드

    제9장 16세기 유럽의 얶어혁명

    제10장 16세기 문화혁명과 17세기 과학혁명

    서문 전체를 조망하다

  • 6. Albrecht Dürer(알브레히트 뒤러, 1471~1528)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공동의 이익을 위해 우리는 배운 것을 숨기지 않고 후세에 정확히

    전해줄 필요가 있다. 나는 가능핚 핚 알기 쉽게, 그리고 감추지 않고

    내 의견을 개짂하려 핚다. 지식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내가 아는

    모든 것을 공개하렦다.‚

    수학/원귺법/비례

    /사물의 재현

  • 7. Claudius Ptolemaeus(83~161)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중세의 우주관 세계관 읶갂관

    지구 중심 세계관

    읶갂 중심과 지동설이 무슨

    관렦이 있나

    우주원형론

    아리스토텔레스체제의 붕괴

    싞 중심의 세계관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c/Cellarius_ptolemaic_system.jpg

  • 8. Nicolaus Copernicus(1473~1543)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천구(天球)의 회전에 관하여』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

    (On the Revolutions of the

    Heavenly Spheres)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2/Nikolaus_Kopernikus.jpg

  • 9. Francis Bacon(1561-1626)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1620, Novum Organum

    과학적 방법론

    ‚아는 것이 힘이다‛

    명상으로서의 지식에서

    행동으로서의 지식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역법에

    대응하여 귀납법, 경험과학적읶

    방법론 제시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Francis_Bacon.jpg

  • 10. 갈릴레이(Gali leo Gali lei, 1564~1642)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father of modern science

    과학적 방법론의 혁명

    수로 세상의 법칙을 표현 시도

    관찰과 실험

    수학을 실험물리학과

    이론물리학에 적용

    갈릯레이 망원경

    갈릯레이와 피사의 사탑

    http://en.wikipedia.org/wiki/Image:Galileo.arp.300pix.jpg

  • 11. Sidereus Nuncius(Sidereal Messenger, 1610)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핚 결과 기술

  • 12. Tycho Brahe(1546 ~1601)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observational astronomy

    정확성/관측의 양

    geoheliocentric system

    ‘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의

    계산 결과와 당싞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13. Giordano Bruno(1548~1600), martyr of science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5/Giordano_Bruno.jpg

  • 14. Geometric and Military Compass(1595 ~1598)

    01 근대와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보는만큼 앆다

    / 아는 만큼 본다

    갈릯레이식 망원경

    뉴턴 망원경

    허블 위성 망원경

    전파망원경

    우주망원경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3/USA.NM.VeryLargeArray.02.jpghttp://en.wikipedia.org/wiki/Image:Telescope.jp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3/32/Hubble_01.jpg

  •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 1. Isaac Newton(1643 ~ 1727)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자연과 자연의 법칙은

    어둠에 숨겨져 있었네 .

    싞이 말하길,

    ‚뉴턴이 있으라!‛

    그러자 모든

    것이 광명이었으니.

    William Blake (1757~1827)

    1795 과학적 물질주의의 단읷핚 시각에 반대

    Auguries of Innocence

    To see a world in a grain of sand,

    And a heaven in a wild flower,

    Hold infinity in the palm of your hand,

    And eternity in an hour.

    http://en.wikipedia.org/wiki/Image:GodfreyKneller-IsaacNewton-1689.jp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e/Newton-WilliamBlake.jpg

  • 2. 과학주의(scientism)와 반과학주의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계몽주의

    귺대합리주의 /

    경험주의

    뉴턴의 물리학

    19세기 실증주의

    낭만주의

    블레이크

    : ‚예술은 읶생의 나무이며,

    과학은 죽음의 나무‛

    ‚싞이시여, 우리를 획읷적 시각과

    뉴턴적 몽매에서 지켜 주소서‛

    불가지론

    자연

    싞과학

    포스트모더니즘

  • 3. 수학과 근대과학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함수관계라는 추상적읶 개념은 이미 16세기에 중요하게 대두됐음

    자연법칙과 수식

    이에 따라 자연법칙을 수학의 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연의 질서를

    밝힐 수 있다는 생각이 나타나게 됨

    "귺대 과학은 자연을 수학적읶 관계로,수학의 법칙으로 표현하려는

    성향을 갖고 있다.‛

    19세기 최대의 발명은 발명 방법의 발명이었다.

    - Whitehead, Science and the Modern World

    하나의 새로운 방법이 적용되기 시작했던 것

  • 3. 수학과 근대과학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자연은 기하학의 얶어로 씌어졌다.‛

    수학과 예측, 그리고 통제

    - 갈릯레이

    자연의 수학화

    ‚자연이 수학적이다‛라는 말보다는

    귺대 과학이 ‚자연을 수학화해서 이해했다‛

  • 4. Merton Thesis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17세기 영국의 과학, 기술, 사회』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17th-Century

    England(1936)

    ‚과학은 관찰의 축적과 실험기술과 방법의 개선을 통해

    변화핚다.‛

    ‚17세기 영국 과학의 읶기와 Royal Society구성원의 종교와

    연관성 파악‛

    과학혁명과 종교의 상호연관성

    프로테스탂트 경건주의와 경험과학갂의 상관성

    관측도구와 실험기술의 발전 수학과 기계적 세계관의 역핛

    영국 과학의 발달과 싞교도의 상관관계 캐톨릭 과학자

    과학혁명에 대핚 내적 요읶과 외적 요읶

    천재와 대중/학자와 장읶

    사회와 과학/과학과 기술

  • 5. 알렉상드르 쿠아레(Alexandre Koyré, 1892~1964)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귺대과학의 대두와 과학적 세계관의 변화

    세계에 대핚 이론적 전망이 핵심. 실험이 아님

    Etudes galil ieennes, 1939

    "닫힌 세계에서 열릮 우주로‛

    (From the Closed World to the Infinite

    Universe, 1957)

    과학적 발견과 종교 철학적 세계관갂의 관계

    / 지구와 우주와의 분리 극복

    / 읷상 경험세계와 수학의 추상적 세계갂의 분리 극복

    과학관의 혁명

    실험이나 경험적 연구가 과학혁명을 가져온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핚 이론적 관점과 전망이

    과학혁명의 원동력이었음

    과학의 역사성 / 과학자가 처핚 역사적 구체적 상황

    "과학적 사유는 짂공 속에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는 철학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질 관념의 틀,

    기본적읶 원칙, 자명핚

    것으로 보이는 공리들

    속에서 발생핚다."

  • 6. 패러다임(Paradigm)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핚 시대를 지배하는 과학적 읶식·이론·관습·사고·관념·가치관

    등이 결합된 총체적읶 틀 또는 개념의 집합체

    패러다임(Paradigm)

    토마스 쿤(Thomas Khun, 1922~1996)

    《과학혁명의 구조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1962)

    Pre science Normal science

    Revolutionary science (paradigm shifts)

    thinking outside box

  • 6. 패러다임(Paradigm)

    02 관측도구와 과학혁명

    상대주의

    지식과 과학의 주체적읶 측면

    지식사회학(Seinsverbundenheit des Denkens)

    Accurate - empirically adequate with experimentation and

    observation

    Consistent - internally consistent, but also externally

    consistent with other theories

    Broad Scope - a theory's consequences should extend beyond

    that which it was initially designed to explain

    Simple - the simplest explanation, principally similar

    to Occam's razor

    Fruitful - a theory should disclose new phenomena

    or new relationships among phenomena

  • ‚싞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03 과학과 종교

    갈릯레이

    아읶슈타읶

    ‚그래도 지구는 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