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31
T T A S t a n d a r 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제정일: 2014년 12월 17일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세스 : 제 2 부- 과제 관리 프로세스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 Part 2 - Project Management Process

Upload: others

Post on 30-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T T

A S

t a n

d a

r 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제정일: 2014년 12월 17일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세스 :

제 2 부- 과제 관리 프로세스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

Part 2 - Project Management Process

Page 2: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제정일: 2014년 12월 17일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세스 :

제 2 부 – 과제 관리 프로세스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

Part 2 - Project Management Process

본 문서에 대한 저작권은 TTA 에 있으며, TTA 와 사전 협의 없이 이 문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업적 목적으로 복제 또는 배포해서는 안 됩니다.

Copyrightⓒ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4. All Rights Reserved.

Page 3: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i

서 문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한 과제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 주요 내용 요약

본 표준은 사업 수주, 과제 계획, 과제 수행 관리, 위험 관리, 외주 관리, 요구 사항

관리 등 6 종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는 크게 요약, 프로세스 활동,

프로세스 적용으로 기술된다.

3.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본 표준은 연구개발사업에 적합한 과제 관리 프로세스들을 규정하여, 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4. 참조 표준(권고)

4.1. 국외 표준(권고)

- CMMI Version1.3, CMU-SEI, 2010.11.

-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국내 표준

- 해당 사항 없음.

5. 참조 표준(권고)과의 비교

5.1. 참조 표준(권고)과의 관련성

본 표준은 CMMI V1.3의 프로세스 형식과 내용을 참조하여 R&D 사업에 특화시켜서

Page 4: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ii

개발하였다. 아울러, 표준의 본문 및 Tip의 내용은 PMBOK의 내용들을 참조하였다.

5.2. 참조한 표준(권고)과 본 표준의 비교표

TTAK.OT-11.0018-Part2 CMMI V1.3 비고

1. 개요 ㅡ 추가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ㅡ 추가

3. 참조 표준 (권고) ㅡ 추가

4. 용어정의 ㅡ 추가

5. 사업 수주 프로세스 ㅡ 추가

6. 과제 계획 프로세스 PP 참조

7.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PMC 참조

8. 위험 관리 프로세스 RSKM 참조

9. 외주 관리 프로세스 SAM 참조

10. 요구사항관리 프로세스 REQM 참조

6. 지식 재산권 관련 사항

본 표준의 ‘지식 재산권 확약서’ 제출 현황은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표준을 이용하는 자는 이용함에 있어 지식 재산권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 후 이용한다.

※본 표준과 관련하여 접수된 확약서 이외에도 지식 재산권이 존재할 수 있다.

7. 시험 인증 관련 사항

7.1. 시험 인증 대상 여부

- 해당 사항 없음.

7.2. 시험 표준 제정 현황

- 해당 사항 없음.

Page 5: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iii

8. 표준의 이력 정보

8.1. 표준의 이력

판수 제정‧개정일 제정‧개정 내역

제 1 판 2014.12.17. 제정

TTAK.OT-11.0018-Part2

8.2. 주요 개정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Page 6: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iv

Preface

1. Purpose of Standard

This recommendation describes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to perform the R&D

project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2. Summary of Contents

This recommendation details the project acquisition, project planning, project

monitoring & control management, risk management,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and requirements management processes to perform the R&D project. The overview,

process activity and deployment of each process are described.

3. Applicable Fields of Industry and its Effect

This recommendation specifies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for the R&D project;

as a result, the R&D project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4. Reference Standards (Recommendations)

4.1. International Standards (Recommendations)

- CMMI Version1.3, CMU-SEI, 2010.11.

-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Page 7: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v

This Recommendation refers to the CMMI V1.3.

5.2. Differences between Reference Standard(Recommendation) and this Standard

TTAK.OT-11.0018-Part2 CMMI V1.3 Remarks

1. Introduction ㅡ add

2. Scope of this standard ㅡ add

3. Reference Standards ㅡ add

4. Terms and Definitions ㅡ add

5. Project Acquisition Process ㅡ add

6. Project Planning Process PP reference

7.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process PMC reference

8. Risk Management Process RSKM reference

9.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Process SAM reference

10. Requirements Management Process REQM reference

6. Stat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related to the present document may have been declared to TTA. The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se IPRs, if any, is available on the TTA Website.

No guarantee can be given as to the existence of other IPRs not referenced on the

TTA website.

And, please make sure to check before applying the standard.

7. Statemen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7.1. Objec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7.2. Standards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Page 8: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vi

8. History of Standard

8.1. Change History

Edition Issued date Outline

The 1st edition 2014.12.17. Established

TTAK.OT-11.0018-Part2

8.2. Revisions

- None

Page 9: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vii

목 차

1. 개 요 ······························································································· 1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 1

3. 참조 표준(권고) ················································································· 1

4. 용어 정의 및 약어 ··············································································· 1

5. 사업 수주 프로세스 ·············································································· 2

5.1. 개요 ··························································································· 2

5.2. 사업 수주 활동 ············································································· 4

5.3. 사업 수주 적용 ············································································· 5

6. 과제 계획 프로세스 ·············································································· 6

6.1. 개요 ··························································································· 6

6.2. 과제 계획 활동 ············································································· 7

6.3. 과제 계획 적용 ············································································· 8

7.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 9

6.1. 개요 ··························································································· 9

6.2. 과제 수행 관리 활동 ····································································· 11

6.3. 과제 수행 관리 적용 ····································································· 12

8. 위험 관리 프로세스 ············································································ 13

8.1. 개요 ························································································· 13

8.2. 위험 관리 활동 ··········································································· 14

8.3. 위험 관리 적용 ··········································································· 15

9. 외주 관리 프로세스 ············································································ 15

9.1. 개요 ························································································· 15

9.2. 외주 관리 활동 ··········································································· 17

9.3. 외주 관리 적용 ··········································································· 18

Page 10: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viii

Contents

1. Introduction ······················································································· 1

2. Constitution and Scope ········································································· 1

3. Reference Standards (Recommendations) ················································· 1

4. Terms and Definitions ··········································································· 1

5. Project Acquisition Process ···································································· 2

5.1. Overview ····················································································· 2

5.2. Project Acquisition Activity ······························································· 4

5.3. Project Acquisition Deployment ························································· 5

6. Project Planning Process ······································································· 6

6.1. Overview ····················································································· 6

6.2. Project Planning Activity ·································································· 7

6.3. Project Planning Deployment ···························································· 8

7.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Process ····················································· 9

7.1. Overview ····················································································· 9

7.2.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Activity ··············································· 11

7.3.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Deployment ········································· 12

8. Risk Management Process ··································································· 13

8.1. Overview ··················································································· 13

8.2. Risk Management Activity ······························································· 14

8.3. Risk Management Deployment ························································· 15

9.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Process ················································ 15

9.1. Overview ··················································································· 15

9.2.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Activity ··········································· 17

9.3.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Deployment ····································· 18

Page 11: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세스 : 제2부 - 과제관리 프로세스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

Part 2- Project Management Process)

1. 개요

본 표준은 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과제관리

프로세스의 활동들과 프로세스 적용 시 고려하여야 할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본 표준은 사업 수주, 과제계획, 과제 수행 관리, 위험 관리, 외주 관리, 요구사항관리

등 6 종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는 크게 요약, 프로세스 활동,

프로세스 적용으로 기술된다.

3. 참조 표준(권고)

- CMMI Version1.3, CMU-SEI, 2010.11.

-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 용어 정의 및 약어

4.1 용어 정의

4.1.1. 사업

조직이 고객과 협약(협정, 계약)한 과제. 협약과제라고도 함

4.1.2. 사업책임자

연구협약(계약)에 의하여 사업을 수행 관리하는 책임자

Page 12: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2

4.1.3. 요구 사항(requirements)

명시적 또는 묵시적인 요구(needs)나 기대(expectation)

4.1.4. 이해 당사자(stakeholder)

연구개발 결과물에 책임을 지거나 영향을 받는 개인이나 단체

4.1.5. 프로세스(process)

입력을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상호관련 되거나 상호 작용하는 활동의 조합

4.2. 약어

CMMI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MD Man Day

PA Project Acquisition

PM Project Monitoring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P Project Planning

QA Quality Assurance

RFP Request for Proposal

RM Risk Management

SAM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SPIC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5. 사업 수주 프로세스

5.1. 개요

5.1.1. 목적

고객의 요청에 따라 사업을 제안하고, 채택된 사업에 대해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여

협약을 체결하기 위함이다.

Page 13: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3

5.1.2. 시작 조건

[시작 기준 ] 고객에 의한 기술수요조사/기획보고서 작성이 요청되거나 RFP 가

공고된다.

[입력물] RFP

5.1.3. 활동도

(그림 5-1) 사업 수주 프로세스 활동도

5.1.4. 확인

- 고객이 사업수행계획서를 확인한다.

- 품질보증담당자가 QA 검토를 통하여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확인한다.

5.1.5. 종료 조건

[종료 기준] 최종 확정된 사업수행계획서를 바탕으로 협약 체결이 완료된다.

[출력물] 기술수요조사서, 사업제안서, 사업수행계획서

Page 14: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4

Page 15: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5

5.1.6. 측정 지표

- 투입공수: 사업 수주를 위해 투입된 공수(MD)

- 사업 수주예산: 사업 수주 프로세스를 통하여 수주한 사업 예산

- 사업 수주 성공률: 수주한 사업 건수/제안한 사업 건수

5.2. 사업 수주 활동

5.2.1. 기술수요조사/기획보고서 작성 (PA 1)

새로운 사업 발굴을 위하여 고객으로부터 요청 받은 기술수요조사서 또는

기획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본 활동은 생략할 수 있다.

5.2.2. 제안서 작성 및 제출 (PA 2)

고객이 공고한 제안요청서(RFP)의 내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 내용을 기반으로

사업제안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사업제안서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

� 수행결과의 기대효과

� 국내외 기술 및 표준화 현황 조사 및 분석

� 연구개발 내용의 혁신성과 독창성

5.2.3.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PA 3)

선정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여 고객에게 제출한다.

� 사업수행계획서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연구개발 현황 및 접근방법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연구개발 추진체계 및 방법

�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

Page 16: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6

� 기대성과

� 추진 일정계획

� 활용(산업화) 방안

� 주요 기자재 및 시설

� 위탁/용역 계획

� 참여인력 및 연구기관

� 연구개발비 내역

5.2.4. 사업수행계획서 협약 (PA 4)

고객과의 협의를 통해 최종 확정된 사업수행계획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고객과 협약을

체결한다.

� 조직에 따라 연구관리담당부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5.3. 사업 수주 적용

5.3.1. 조정 지침

- 계속 사업의 경우 PA3~PA4만 수행할 수 있다.

- 조직 내부 사업의 경우 PA3~PA4만 수행할 수 있다.

5.3.2. 교육 및 훈련

사업책임자는 사업 수주를 포함한 과제관리 프로세스 이행에 관한 내용을 숙지한다.

5.3.3. 도구 및 장비

프로젝트 관리 도구

5.3.4. 관련 프로세스

과제 계획 프로세스: 사업 수주 프로세스의 결과인 사업수행계획서를 기본으로

실행과제를 계획한다.

Page 17: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7

6. 과제 계획 프로세스

6.1. 개요

6.1.1. 목적

협약된 사업수행계획서를 바탕으로 사업 수행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과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6.1.2. 시작 조건

[시작 기준 ] 사업수행계획서가 협약 완료된다.

[입력물] 사업수행계획서, 조직 표준프로세스, 참여 인력 경력사항

6.1.3. 활동도

(그림 6-1) 과제 계획 프로세스 활동도

6.1.4. 확인

- 사업책임자가 과제 계획을 확인한다.

Page 18: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8

- 품질보증담당자가 QA 검토를 통하여 프로세스 수행여부를 확인한다.

6.1.5. 종료 조건

[종료 기준] 과제 계획 단계의 작업산출물이 확정되고 이해 당사자들에게 전파가

완료된다.

[출력물] 사업프로세스, 실행예산편성표, 공동연구수행개발계획서, WBS

6.1.6. 측정 지표

- 투입공수: 과제 계획 활동을 위해 투입된 공수(MD)

- 과제 계획 변경 건수: 사업을 수행하면서 변경한 과제 계획 건수

6.2. 과제 계획 활동

6.2.1. 사업프로세스 수립 (PP 1)

조직 표준프로세스를 토대로 사업의 특성에 따른 사업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사업

참여자와 이를 공유한다.

� 사업프로세스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직 표준 프로세스의 Tailoring한 내용 또는 사업 특이 사항

� 프로세스 구성도

� 프로세스 별 담당자, 입력물, 출력물, 활동 설명

6.2.2. 실행예산 편성 (PP 2)

사업의 실행예산 편성지침에 따라 실행예산을 편성한다.

� 조직에 따라 실행예산편성표를 연구관리담당부서에 송부하고 계정을 부여 받을 수

있다.

Page 19: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9

6.2.3. 공동연구수행개발계획서 작성 및 협약 (PP 3)

공동연구기관의 책임자와 함께 공동연구수행개발계획서를 작성하고 협약을 체결한다.

� 공동연구가 없는 경우는 이 활동을 생략한다.

� 조직에 따라 연구관리담당부서의 협조를 받아 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

6.2.4. WBS 작성 (PP 4)

사업 수행을 위한 WBS를 수립한다.

� WBS는 가능한 상세한 수준으로 연구결과물의 생명주기(life cycle) 및 사업수행에

필요한 관리 활동을 포함하여 작성한다.

� 수행인력계획 입력 시 조직의 참여인력 경력사항를 참조하여 투입 인력의 자격이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한다.

� 일정계획 입력 시 사업수행의 주요 산출물에 대한 개발 계획을 함께 수립한다.

6.3. 과제 계획 적용

6.3.1. 조정 지침

소규모 사업은 사업프로세스 수립을 생략할 수 있다.

6.3.2. 교육 및 훈련

- 프로세스 교육 (SPICE, CMMI)

-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 PRINCE II

6.3.3. 도구 및 장비

프로젝트 관리도구

Page 20: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0

6.3.4. 관련 프로세스

- 사업 수주 프로세스: 사업 수주 프로세스에서 작성된 사업수행계획서를 바탕으로

실행과제계획서를 작성한다.

-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는 과제 계획 프로세스의

결과물인 사업수행계획서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7.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7.1. 개요

7.1.1. 목적

실행과제계획에 따른 일정, 비용, 공수, 규모, 결함 데이터 등 모든 측면에서 과제의

진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계획으로부터 벗어난 활동에 대하여 시정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7.1.2. 시작 조건

[시작 기준 ]

- 과제 계획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 사업프로세스와 WBS가 작성된다.

[입력물] 사업수행계획서, 사업프로세스, WBS.

Page 21: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1

7.1.3. 활동도

(그림 7-1)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활동도

7.1.4. 확인

- 사업책임자가 주간회의를 통하여 과제수행 상태를 확인한다.

- 이해 당사자들이 마일스톤 점검을 통하여 과제수행 상태를 확인한다.

- 사업책임자와 외부 고객이 사업결과보고서와 사업결과물을 확인한다.

- 품질보증담당자가 QA 검토를 통하여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확인한다.

7.1.5. 종료 조건

[종료 기준] 사업결과보고서 및 사업결과물들이 고객에게 제출된다.

[출력물] 주간진도보고서, 이해 당사자 회의록, 마일스톤 점검 회의록

프로젝트로그, 사업결과보고서, 사업결과물, 프로세스 개선제안서

7.1.6. 측정 지표

- 투입공수: 과제 수행 관리 활동을 위해 투입된 공수(MD)

- 과제 진척율: 수행 완료된 태스크 수/계획된 전체 태스크 수

Page 22: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2

- 이슈 해결율: 이슈 해결 건수/이슈 발생 건수

7.2. 과제 수행 관리 활동

7.2.1. 주간업무회의 (PM 1)

주간 단위(또는 일정 주기)로 과제회의를 통해 과제 세부활동 수행 내역을 파악하고

중요 사항에 대해 주간진도보고서를 작성한다.

� 주간진도보고서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사업수행계획서의 요구사항 대비 진척도 또는 실행과제계획서 상의 목표 대비

진행상태

� 사업 달성도(performance measures)로서 일정, 공수, 비용, 산출물의 계획 대비

편차

� 결함, 위험요소, 발생 데이터, 이슈, 결과물 변경 요구

� 내부 및 외부 이해 당사자로부터 도출된 기술사항이나 이슈

7.2.2. 이해 당사자 회의(PM 2)

이해 당사자들 간에 존재하는 주요 의존 관계를 도출하고, 이해 당사자들과 과제의

세부활동 및 산출물, 이슈/위험을 검토하기 위한 회의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이해

당사자 회의록을 작성한다.

7.2.3. 마일스톤 점검 회의(PM 3)

사업 수행 마일스톤의 완료 시점에 이해 당사자들과 함께 마일스톤 점검을 수행한 후

마일스톤 점검 회의록을 작성한다.

7.2.4. 이슈 관리(PM 4)

주간진도보고회의, 이해 당사자 회의 및 마일스톤 점검을 통하여 도출되는 이슈에

대하여 이슈 분석 - 시정조치 시행 – 시정 조치 관리의 절차로 관리한다.

Page 23: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3

7.2.5. 결과물 등록 (PM 5)

사업에서 산출된 연구개발 결과물(특허, 논문, 프로그램 등)을 주어진 절차에 따라

등록하고 지적 재산권을 확보한다.

7.2.6. 사업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출 (PM 6)

사업의 전체 활동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사업결과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연구개발

결과물들과 함께 고객에게 제출한다.

7.3. 과제 수행 관리 적용

7.3.1. 조정 지침

- 해당 사항 없음.

7.3.2. 교육 및 훈련

-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 PRINCE II

7.3.3. 도구 및 장비

- 프로젝트 관리 도구

- 이슈관리 도구(Redmine, Trac, Mantis)

7.3.4. 관련 프로세스

- 과제 계획 프로세스: 과제 계획 프로세스의 결과물인 실행과제계획서를 기준으로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 프로세스 개선 프로세스: 과제수행기간 동안 프로세스 실행의 효과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안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 형상관리 프로세스: 과제수행기간 동안 각 산출물들의 등록 및 변경사항 발생시

형상관리 활동을 수행한다.

Page 24: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4

8. 위험 관리 프로세스

8.1. 개요

8.1.1. 목적

과제 수행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발생 이전에 식별하고 이의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8.1.2. 시작 조건

[시작 기준 ] 과제 계획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입력물] 사업프로세스

8.1.3. 활동도

(그림 8-1) 위험 관리 프로세스 활동도

Page 25: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5

8.1.4. 확인

- 이해 당사자들이 식별된 위험을 확인한다.

- 품질보증담당자가 QA 검토를 통하여 프로세스 수행여부를 확인한다.

8.1.5. 종료 조건

[종료 기준] 식별된 위험이 해결되고 사업이 종료된다.

[출력물] 위험 관리대장

8.1.6. 측정 지표

- 투입 공수: 위험 관리 활동에 투입된 공수(MD)

- 미식별 위험 건수: 사전에 식별되지 않아 문제점으로 발생한 위험 건수

8.2. 위험 관리 활동

8.2.1. 위험 도출 (RM 1)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을 도출하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과 처리

기준들을 고려하여 위험 관리대장을 작성한다.

8.2.2. 위험 분석 및 대처 방안 수립 (RM 2)

도출된 위험에 대하여 발생 가능성과 영향도를 분석하여 위험 등급을 결정하고,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를 수립하고 담당자를 지정한다.

8.2.3. 위험 모니터링 (RM 3)

분석된 위험 항목들에 대해 수립된 대처 방안에 따라 진행되는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 항목을 재평가한다.

8.2.4. 위험 처리 (RM 4)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위험 항목들에 대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조치에 대한

Page 26: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6

근거를 기록한다.

� 과제가 종료된 이후에 위험 관리 프로세스와 수행 결과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

위험 관리 프로세스가 효과적임을 보장하고, 차기 과제에서 프로세스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 지를 결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8.3. 위험 관리 적용

8.3.1. 조정 지침

이 프로세스는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내에서 이슈 관리 활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8.3.2. 교육 및 훈련

- 해당 사항 없음.

8.3.3. 도구 및 장비

- 해당 사항 없음.

8.3.4. 관련 프로세스

- 과제 계획 프로세스: 위험 관리계획은 과제 계획 프로세스에서 수립할 수 있다.

-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위험에 미리 대처를 못했거나 또는 위험 수용 전략으로

위험이 발생한 경우에는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에서 이슈로 등록되어 처리될 수

있다.

9. 외주 관리 프로세스

9.1. 개요

9.1.1. 목적

협약된 사업수행계획서에 따라 외주계획을 수립하고, 외주의 진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외주계획의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획득하기 위함이다.

Page 27: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7

9.1.2. 시작 조건

[시작 기준 ] 과제 계획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입력물] 사업수행계획서, 사업프로세스

9.1.3. 활동도

(그림 9-1) 외주 관리 프로세스 활동도

9.1.4. 확인

- 사업책임자가 외주결과물을 확인한다.

- 품질보증담당자가 QA검토를 통하여 프로세스 수행여부를 확인한다.

9.1.5. 종료 조건

[종료 기준] 계획된 외주결과물이 평가되고 결과물이 획득된다.

[출력물] 외주요구서, 외주수행계획서, 외주관련 회의록, 기술검수서, 외주결과물

Page 28: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8

9.1.6. 측정 지표

- 투입 공수: 외주 관리 활동에 투입된 공수(MD)

- 납기 준수율: 납기일에 맞추어 외주결과물을 납품하는 비율

9.2. 외주 관리 활동

9.2.1. 외주요구서 작성 (SAM 1)

사업수행계획서의 외주(위탁/용역)계획을 바탕으로 외주요구서를 작성하여

구매관리담당부서에 제출한다.

� 외주요구서에는 다음의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 외주 기관의 수행능력 평가

� 외주 기관이 준수해야 할 규정과 선정기준

9.2.2. 가격 조사 및 공고 (SAM 2)

구매관리부서는 외주 가격을 조사하고 외주요구서를 공고한다.

� 수의계약, 제한경쟁, 공개입찰에 따라 가격조사 및 공고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9.2.3. 규격(현장) 설명회 개최 (SAM 3)

필요 시 입찰참가 예정 외주 기관들을 대상으로 사양설명회를 개최한다.

� 규격(현장) 설명회는 의무사항이 아닌 경우 생략할 수 있다.

9.2.4. 입찰 및 계약 (SAM 4)

사업책임자와 구매관리담당부서장은 입찰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외주 기관을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한다. 계약 체결 시 외주 기관이 작성한 외주수행계획서를 첨부한다.

Page 29: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19

9.2.5. 과제 수행 관리 (SAM 5)

외주 기관이 제출한 외주수행계획서를 바탕으로 진도 및 진행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 이를 기록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계약변경사항이 발생되는 경우, 외주 기관과 합의된 방식에 따라 변경한다.

9.2.6. 수행결과 평가 (SAM 6)

외주수행계획서와 외주계약서를 바탕으로 수행결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기술검수서)를

작성하여 구매관리부서에 제출한다.

9.3. 외주 관리 적용

9.3.1. 조정 지침

조직의 외주 관리규정이 있는 경우 이에 따른다.

9.3.2. 교육 및 훈련

- 해당 사항 없음.

9.3.3. 도구 및 장비

전자입찰시스템

9.3.4. 관련 프로세스

- 과제 계획 프로세스: 외주계획을 과제 계획 프로세스에서 수립할 수 있다.

-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 외주과제 수행 관리는 본 과제 수행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Page 30: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OT-11.0018-Part2 20

표준 작성 공헌자

표준 번호 : TTAK.OT-11.0018-Part2

이 표준의 제정‧개정 및 발간을 위해 아래와 같이 여러분들이 공헌하였습니다.

구분 성명 위원회 및 직위 연락처 소속사

과제 제안 박영식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프로젝트 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표준 초안 제출

오행석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프로젝트 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정효택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프로젝트 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박영식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프로젝트 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함영환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프로젝트 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표준 초안 검토

오영배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프로젝트그룹 의장 [email protected] 수원여대

외 프로젝트 그룹 위원

표준안 심의

박승민 소프트웨어/콘텐츠

기술위원회 의장 [email protected] ETRI

외 기술위원회 위원

사무국 담당

김영화 - [email protected] TTA

이혜진 - [email protected] TTA

Page 31: T T A S t a n d a r d- PMBOK Guide 5th Edition, PMI, 2013. 4.2. Domestic Standards - None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세스 : 제 2 부 - 과제관리 프로세스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

Part 2 -Project Management Process)

발행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발행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463-82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47

Tel : 031-724-0114, Fax : 031-724-0109

발행일 : 20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