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0 no.1 june - 14... · 2011. 7. 15. · jae-seob lee, ji-hoon choi a study on selecting...

174
제 10권 제 1호(통권 14호) 서울 서초구 반포동 520-3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 조영준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 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재섭, 최지훈 무기체계 연구 개발사업 협상대상 업체 선정 개선방안 연구 장희선, 나성후 비정형 건축물 외장패널의 설계 및 생산체계에 관한 연구 최정민, 옥종호, 장현승 영국의 ‘경쟁적 대화절차(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에 대한 고찰 김대인, 문수영 국내 엔지니어링산업의 사업대가 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오세욱, 이승현, 김대인 반도체 산업 인력의 조달 계획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활용 김홍일, 신중경, 임호순 BTL 사업자 선정절차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전지환, 원유만, 김용수

Upload: others

Post on 14-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제 1

    0권 제

    1호( 통

    권 1

    4호 )

    제 10권 제 1호(통권 14호)

    서울� 서초구� 반포동� �5�2�0�-�3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 조영준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 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재섭, 최지훈

    무기체계 연구 개발사업 협상대상 업체 선정 개선방안 연구 장희선, 나성후

    비정형 건축물 외장패널의 설계 및 생산체계에 관한 연구 최정민, 옥종호, 장현승

    영국의 ‘경쟁적 대화절차(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에 대한 고찰 김대인, 문수영

    국내 엔지니어링산업의 사업대가 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오세욱, 이승현, 김대인

    반도체 산업 인력의 조달 계획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활용 김홍일, 신중경, 임호순

    BTL 사업자 선정절차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전지환, 원유만, 김용수

    �V�o�l�.�1�0� �N�o�.�1 �J�u�n�e�.�2�0�1�1

    520-3 don

    A Suggestion of Delay Cost Calculation and Adjustment Young-Jun Cho

    Policy Roadmap for the Market Improvement of IndustrializedConstruction Method and Materials Il-Han Yu, Sun-Gu Park, Mi-Young Jung

    Impacts Analysis on Construction Companies due tothe Widespread of Smart Phone Jae-Seob Lee, Ji-Hoon Choi

    A Study on Selecting Negotiation Company in Weapon System R&D Hee-Seon Jang, Sung-Hu Na

    A Study on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Free-Form Building’s Cladding System Jeong-Min Choi, Jong-Ho Ock, Hyun-Soeng Jang

    A Study on‘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in UK Dae-In Kim, Soo-Young Moon

    The Research of Improving the Domestic Engineering Fee Guidelines Se-Wook Oh, Seung-Hyun Lee, Dae-In Kim

    Appling System Dynamics for Supply Planning of Human Resource in Semiconductor Industry Hong-Il Kim, Joong-Kyung Shin, Ho-Sun Rhim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s Plans for SelectionProcedure of BTL Contractor Ji-Hwan Jeon, Yoo-Man Won, Yong-Su Kim

  • ◆ 회장단 명단 ◆

    회 장 : 이현수

    부회장 : 김용수, 김준한, 김정현, 류성국, 양준석, 정동욱, 최정욱

    편집위원회 명단

    - 위원장 : 김용수

    - 위 원 : 강인석, 강창구, 김대인, 김명수, 김선민, 김홍률, 박승욱,

    박승환, 유일한, 이민재, 이종광, 이훈영, 허대식, 황창용

    - 편집담당 : 송민경

    ISSN 1738-2009

    사단법인 한국구매조달학회 제10권 제1호(통권 14호)ㆍ비매품ㆍ격계간지

    2011년 6월 30일 인쇄

    2011년 6월 30일 발행

    발행처 : 사단법인 한국구매조달학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520-3 서울지방조달청 305 (우 137-756)

    Homepage : www.kapsm.or.kr

    TEL : 02-590-8639, 590-8870, FAX : 02-532-8918

    E-mail : [email protected]

    발행인 : 이현수

    인쇄처 : 한국학술정보(주)

    Homepage : www.kstudy.com

    TEL : 031-940-1062, FAX : 031-908-3181

    E-mail : [email protected]

  • 차 례

    ➊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

    【조영준】/ 1

    ➋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

    【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15

    ➌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재섭, 최지훈】/ 31

    ➍무기체계 연구 개발사업 협상대상 업체 선정 개선방안 연구

    【장희선, 나성후】/ 43

    ➎비정형 건축물 외장패널의 설계 및 생산체계에 관한 연구

    【최정민, 옥종호, 장현승】/ 61

    ➏영국의 ‘경쟁적 대화절차(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에

    대한 고찰

    【김대인, 문수영】/ 77

    ❼국내 엔지니어링산업의 사업대가 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오세욱, 이승현, 김대인】/ 95

  • ❽반도체 산업 인력의 조달 계획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활용

    【김홍일, 신중경, 임호순】/ 115

    ❾BTL 사업자 선정절차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최고가치를 고려한 평가법을 중심으로

    【전지환, 원유만, 김용수】/ 135

    ❿논문집 규정 및 부속규정 / 149

  • 한국구매조달학회지 논문접수일: 2011.03.08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수정접수일: 2011.06.12pp.1~14 게재확정일: 2011.06.17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

    조영준(중부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국문요약

    건설현장에서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건설공사의 공기에 직접적 또

    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공사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사건들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는 유형

    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행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는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다양한 유형

    의 사건들이 발생하였을 때 당사자 간에는 그로 인한 효과에 대하여 클레임이나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연장과 관련한 공사계약일반조건의 내용과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공

    사중단, 공정차질 등 다양한 유형에 따른 사항을 고찰하고, 그로 인한 비용 산출 공식을 도출한 후 일반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제어: 공기연장, 공정지체, 공사중단, 비용산출

  • 2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1.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설현장에서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 건설현장에서 공기연장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발주자의 요구나 지시, 주변 민원 등에 의한 중단, 자재공급 지연 등으로 인한 공정

    지체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사건들은 건설공사의 공기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

    고, 공사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는 유형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행 공공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는

    세분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사건들이 발생하였을 때 당사자 간에는 그로

    인한 효과에 대하여 클레임이나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설사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공사계약일반조건에 규정된 현

    실성 있는 공기연장 및 그로 인한 계약금액조정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설사업을 대상으로 하며, 계약금액조정방법 중 발주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인한 공기연장으로 인한 계약금액조정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복합공종이 아닌 단일공종으로 한

    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전제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각종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공기연장과 관련한 이론 및 해결내용 등을 고찰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실정 공기연장 및 계약금액조정과 관련한 조항과 그로 인한 파급효과 및 문제점

    에 대하여 분석한다.

    셋째, 공기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와 그로 인한 계약금액조정 시 고려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

    고자 한다.

    3) 선행연구 고찰

    기존에 공기연장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CPM기법을 이용한 공기지연분석에 관

    한 연구(황문환 외 2인, 1989)에서는 공기지연에 대한 책임소재가 판정된 것을 전제로 하여 전체공사

    의 지연에 영향을 준 공정과 기간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김영재 외 3인(1999)은 공기지

    연 관련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공정관리기법을 활용하여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의 분석방법을

    다루고 있다. 김동진 외 5인(1999)은 공기지연의 유형을 구분하고 공기지연 영향 평가기법을 고찰한

  •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조영준 3

    후 건설공사 공기지연일수의 분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Hamish(2002)는 공정차질클레임을 정량화하여 청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으나 현실적으로 활용

    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조영준(2010)은 현재의 공기연장비용산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

    적인 대안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강성원(2010)은 실비를 산정할 수 있는 근거를 보완하고 있으나

    실제의 계약조건에 맞추는 것은 어렵다. 이재섭(2005)은 계약당사자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 공기지연

    의 해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조영준과 이상범(2005)은 계약금액산정의기준이 되는 구간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방안

    으로 명확한 공기연장사유, 수정공정표제출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기간의 산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2. 공기연장 및 계약금액조정의 특징고찰

    1) 근거법령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계약법)에서는 제19조(물가변동 등에 의한 계약

    금액조정)에서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공사ㆍ제조ㆍ용역 기타 국고에 부담이 되는 계약을 체결한 다음 물가의 변동, 설계변경 기타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인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할 필

    요가 있을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계약금액을 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시행령 제66조(기타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에서는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공사ㆍ제조등의 계약에 있어서 공사기간ㆍ운반거리의 변경등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된 내용에 따라 실비를 초과하지 아니하

    는 범위 안에서 이를 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사에 있어서 계약금액의 증감분에 대한 일반관리

    비 및 이윤 등은 계약상대방인 시공자가 제출한 산출내역서상의 일반관리비율 및 이윤율 등에 의하

    되 재정경제부령이 정하는 율(일반관리비율 100분의 6, 이윤 100분의 15)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

    고 있다(동법시행규칙 제8조 참조).

    기획재정부 회계예규인 공사계약일반조건(이하 일반조건) 제23조(기타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에는 계약담당공무원이 공사기간ㆍ운반거리의 변경 등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된 내용에 따라 실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이를 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계약상대자인 시공자가 공기연장사유가 계약기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는 계약기간 종료 전에 지체 없이 수정공정표를 첨부하여 계약담당공무원과 공사감독

    관에게 서면으로 계약기간의 연장신청을 하도록 하고, 계약금액 조정신청은 계약의 종료전에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연장사유가 계약기간 내에 발생하여 계약기간 경과 후 종료된 경우에는 동 사

  • 4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유가 종료된 후 즉시 계약기간의 연장신청과 계약금액 조정신청을 함께하여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6조).

    2) 관련유권해석 및 일반조건의 변천

    일반조건에 계약금액조정시점에 대한 사항이 명시되지 않고, 어떤 시점에 변경해야 하는 사항이

    있지 않아 별도의 유권해석을 통해 이들을 정리하였다.

    그 변경된 내용에 대한 해석(회제 41301-167: ’01.1.31)

    국가기관이 체결한 공사계약에 있어서 계약상대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경우

    에는 실비산정기준 제3조의 규정에 정한 바에 따라 계약금액을 조정하는바, 이 경우 공사기간 연장

    사유가 발생된 비용을 산정, 조정하는 것임.

    계약금액조정시점에 대한 해석(회제 41301-954: ’99.4.2)

    실비산정기준에 의한 실비의 산정은 실제 사용된 비용 등 객관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자료에 의하

    여야 하는바, 공기연장사유가 종료된 시점에서 공기연장합의와 동시에 계약금액을 조정하는 것이 타

    당하다고 봄.

    이상의 유권해석 이후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에서는 일반조건 제26조의 내용 중 계약기간연장

    사유가 발생하였을 때 계약기간연장만 신청하도록 한 것을 2006년부터 적용되는 일반조건에서는 계

    약기간종료 전에 계약기간연장과 동시에 계약금액조정요청을 하도록 변경하였다.

    3. 현행 일반조건의 현황 및 문제점

    현재 일반조건에서 공기연장 및 계약금액조정과 관련된 조항은 매우 많다. 일반조건에 반영된 이

    러한 조건들은 그 내용이 유기적으로 공기연장조항 및 그로 인한 계약금액조정조항에 적절히 반영되

    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조항의 경우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 조항 각각의 문제점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조영준 5

    관련조항 공기연장 관련 조항 현황 및 문제점

    제5조(통지 등)통지 시 문서로 보완해야 하는 시점과 통지를 받고서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의 효력이 미비하다.

    제11조(공사용지의 확보)

    계약상대자가 공사의 수행에 필요로 하는 날에 대한 개념을 일방적으로 정하게 된다면 발주자의 의견이 배제될 수 있어 공기연장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제16조(공사감독관)계약담당공무원은 계약상대자의 시정요구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할 경우, 통지를 받은 날부터 조치를 하는 날까지의 처리가 별도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제19조의7(설계변경에 따른 추가조치 등)

    계약상대자가 당해공종의 수정공정예정표를 작성하기 위한 절차가 별도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유권해석(회제41301-954: ’99.4.2)에서는 공기연장사유가 종료된 시점에서 공기연장을 합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설계변경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제23조(기타 계약내용의 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

    대부분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경우는 연장사유가 종료된 시점에 비로소 확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사기간의 변경은 변경되는 부분의 이행에 착수하기 전에 완료한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4조(응급조치)시공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재해방지 등 응급조치로 인해 공사가 중단된 경우에 처리방법이 60일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응급조치상황을 입증하는 것이 어렵다.

    제25조(지체상금)지체상금을 부과하지 않는 사항을 몇 가지로 특정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 계약상대자가 공기연장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대한 사항이 결여되어 있다.

    제26조(계약기간의 연장)

    계약기간연장사유가 발생된 시점에 조치해야 하는 사항이 정해지지 않았고, 연장사유가 종료되는 시점에 조치해야 하는 사항이 정해져 있지 않다. 여러 건의 연장사유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한번만 연장요청해야 하는지 등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계약상대자의 책임 없는 사유인지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의 해석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제38조(발굴물의 처리) 발굴물의 처리와 관련하여 공사가 중단되는 경우 그 처리기간에 대한 방법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제47조(공사의 일시정지)

    공사의 일시정지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을 산출하는 사항과 실비에 의해 비용을 산출하는 기준이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제47조의2(계약상대자의 공사정지 등)

    계약상의 의무인지를 확정하는 절차가 별도로 규정되지 않으며, 계약담당공무원이 계약상대자로부터 의무이행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의 기간에 발생하는 비용의 처리에 대해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일반조건 상의 공기연장 관련 현황 및 문제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행 일반조건에는 다양한 공기연장유형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의 유형은 실비로 한정하고 있으며, 현실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게 날 수 있는

    사항을 배제하고 있다.

    4. 공기연장유형 및 계약금액조정방법

    현행 일반조건에서 공기연장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발주자의 변경지시(예시 추가

    공사)로 인한 공기연장, 공사중단으로 인한 공기연장, 공정지체로 인한 공기연장 등 크게 3가지로 정

    형화하고, 이들 3가지 유형의 공기연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6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1) 발주자의 변경지시로 인한 공기연장

    발주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추가공사 등의 지시가 있고, 이로 인해 계약기간이 조정되는 경우는

    일반조건 제5조, 제19조, 제23조, 제25조, 제26조의 내용을 적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계약금액조

    정은 제26조에 의할 경우 실비를 산정해야 하지만, 제20조에 의할 경우 예정가격작성기준에 따라 추

    가공사를 이행하기 전에 그 금액을 확정해야 한다.

    발주자의 변경지시로 인해 공기가 연장되는 경우를 그림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그림 1 참조).

    그림 1. 발주자의 변경지시로 인한 공기연장

    2) 공사중단으로 인한 공기연장

    발주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공사중단 등의 지시가 있고, 이로 인해 계약기간이 조정되는 경우는 일

    반조건 제5조, 제23조, 제25조, 제26조, 제47조, 제47조의2의 내용을 적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발주자의 공사중단지시로 인해 공기가 연장되는 경우를 그림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그림 2 참조).

    그림 2. 공사중단으로 인한 공기연장

  •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조영준 7

    공사중단으로 인한 공기연장의 경우 계약금액조정은 중단으로 인한 기간이 전체계약기간에서 60

    일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전체 중단기간이 60일 이내의 경우에는 실비에 따라 그 비용

    을 산정하며, 60일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잔여계약금액에 초과일수 1일마다 지연발생 시점의

    금융기관 대출평균금리를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준공대가 지급시 계약상대자에게 지급( =잔여계약금

    액 × 초과일수 × 금융기관평균대출금리)하여야 한다.

    3) 공정지체로 인한 공기연장

    공정지체로 인한 경우는 현행 일반조건에서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제5조, 제23조, 제25조,

    제26조를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다.

    공정지체가 발생되어 공기연장이 되는 경우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그림 3 참조).

    그림 3. 공정지체로 인한 공기연장

    공정지체로 인해 현실에서는 공사중단효과가 발생될 수도 있지만 일반조건에서는 이를 별도로 반

    영하고 있지는 않다.

    5.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의 산출

    건설공사는 시간에 따라 목적물이 완성된다. 이는 건설공사가 시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의

    미한다. 건설공사를 시간의 함수로 표기하는 데는 목적물의 수량과 목적물의 단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목적물의 수량과 단가를 곱한 수치의 합이 전체 공사금액이 된다. 즉, 전체공사금액을 산출의

    목적물로 할 것인지, 전체 목적물의 수량을 목적물로 할 것인지에 따라 산출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

    미한다. 본 절에서는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의 산출방법의 프로토타입을 산출식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 8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1) 당초공사기간 및 공사금액

    만약 전체공사금액을 산출내역서상 내역항목인 단위목적물의 수량과 단위목적물 단가의 함수로

    표기한다면 다음 식 1과 같다.

    × ······················································································· 식 1

    여기에서,

    전체공사금액 : TC(Total Cost)

    단위목적물 수량 : q

    단위목적물 단가 : c

    간접공사비 : IC(Indirect Cost)(=경비 + 일반관리비 +이윤)

    당초계약기간 내에 특별한 지체 없이 수행되는 경우로 n개의 공종으로 표시할 수 있다면, 위 공식

    에서 단위시간당 투입되는 비용의 합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시간의 함수를 적용하

    여 다음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식 2

    위 공식에서 발주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추가공사가 1건 지시되었고, 그로 인해 공사기간이 K기간

    만큼 연장된다면 이때는 당초에 투입되는 직접공사비 비용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때는 공사

    기간의 연장에 따라 실비가 추가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기간에 추가될 수

    있는 실비는 기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요소가 적용될 수 있다. 기간에 따른 요소가 적용되는 주요 항

    목은 구체적으로 현장사무소의 손료, H형강 등과 같은 가설자재 등이 될 것이다. 만약 해당공종의 이

    행을 위해 장비를 이동, 투입, 철수해야 하고, 그 비용이 공사비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그와 관련된 비

    용을 실비에 포함할 수도 있다.

    2) 추가공사로 인한 실비산정

    추가공사로 인한 실비는 크게 공종추가(Extra Work)와 부가공사(Additional Work)로 구분될 수 있다.

    공종추가로 인한 실비는 AEe(Actual Expenses due to Extra Work)로 표기할 수 있고 부가공사로 인한

    실비는 AEa(Actual Expenses due to Additional Work)로 표기할 수 있다. 우선 1개 공종추가로 인해 공

  •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조영준 9

    기가 연장되었을 경우 그로 인한 실비를 산출식으로 표기하면 다음 식 3과 같다.

    × ··········································································· 식 3

    특정공종의 1회 물량증가로 인해 공기가 연장되었을 경우 그로 인한 실비를 산출으로 표기하면 다

    음 식 4와 같다.

    × ··········································································· 식 4

    r개 공종이 추가되어 공기가 연장되었을 경우에 공종마다 그로 인한 실비를 일반화된 산출식으로

    표기하면 다음 식 5와 같다.

    ×

    × ············································ 식 5

    여기에서,

    특정공종이 u번 추가되어 공기가 연장되었을 경우에 그로 인한 실비를 산출식으로 표기하면 다음

    식 6과 같다.

    ×

    × ·········································· 식 6

    여기에서,

    r개 공종이 추가되고, 특정공종이 u번 추가되어 공기가 k만큼 연장되었을 경우에 그로 인한 실비를

    산출식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

    ×

    × ··········· 식 7

    여기에서,

  • 10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3) 공사중단으로 인한 실비

    발주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인해 발주자가 공사중단지시를 하고, k기간 동안 공사를 중단하는 경우

    에는 공사중단에 따라 실비가 추가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기간에 추가될 수 있는 실비는 추가공사의 지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비용에서 후속공종의

    이행을 위해 필요하지만 중단기간 중 현장에 투입함으로 인해 정지비용이 더 투입된다면 장비의 철

    수, 투입비용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현장사무소의 인력과 관련된 비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

    이다.

    공사중단으로 인한 실비 AEs(Actual Expenses due to Suspension)의 산정식은 다음 식 8과 같이 나타

    낼 수 있다.

    × ············································································ 식 8

    특정공종의 공사중단이 간헐적으로 전체 p번의 중단이 발생하고, 전체중단 기간이 k라고 할 경우

    에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된 공식을 산출할 수 있다(식 9 참조).

    ×

    ·································································· 식 9

    여기에서,

    4) 공정지체로 인한 공기연장

    발주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특정공종(Special Work)에 공정지체가 발생하고, k기간 동안 공사기간

    이 연장되었을 경우에는 실비와 더불어 직접공사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비용은 특정공종을 정상

    적으로 이행하지 못하여 생산성의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벌충하기 위해서는 지체된 기간 중 저

    하된 생산성만큼 직접노무비의 인원을 증가하여 투입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특정공종의 당초 계획

    된 일정을 Planned Schedule(PS)로 표기하고, 지체된 전체기간을 Disruption Delay Disruption(DD)으로 표

    기할 수 있다. 또한 지체된 기간 중 계획 생산성(PP: Planned Productivity)과 달성 생산성(EP: Executed

    Productivity)의 개념과 지체생산성(DP: Disruption Productivity = PP - EP)을 도입할 수 있다. 이 개념을

    적용하여 지체로 인해 공사기간이 연장됨으로 인해 발생된 직접공사비는 지체기간과 지체생산성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시간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콘크리트공이 있고, 하루에 8시간을

    일을 할 수 있다. 그런데 하루에 7시간만 일을 하도록 하였다면 계획생산성은 8시간 동안 할 수 있는

  •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조영준 11

    생산량이 될 것이며, 달성생산량은 7시간 동안 달성한 생산량으로 표기될 것이다. 이로 인해 직접재

    료비는 당초 투입하고자 하였던 수량만큼 7시간 분량만큼 투입되므로 변동은 없고, 다만 기계경비부

    분에서 7시간 동안 달성한 생산성으로 표기될 수 있다. 즉, 지체된 기간은 8시간이 되는 것이고 지체

    로 인해 연장된 시간은 8시간에서 7시간을 공제한 1시간이 된다. 따라서 지체로 인한 비용은 지체로

    인해 공기가 연장된 1시간 동안 직접공사비의 증가량만큼 산출하여 당초 공사비에 더하고, 아울러

    지체로 인해 연장된 1시간 동안의 실비를 산출하면 될 것이다. 그런데 실비는 실제 발생된 비용을 말

    하는 것이 되어야 하므로 1시간 동안의 실비를 현실적으로 고려할 수 없다. 또한 실제 하루를 8시간

    으로 가정할 때 하루는 7시간, 그다음은 6시간, 그다음은 4시간 등 다양하게 지체되는 경우가 발생된

    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기간을 계산할 때는 실비를 산출할 수 있는 최소단위를 날 또는 주일 단위로

    확정하여 해당기간 중 지체로 인해 연장된 기간을 합산하여 산출하여야 할 것이다.

    이 기간 중에 추가될 수 있는 실비는 장비를 다른 현장으로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비의 철수

    나 투입에 따른 비용은 별도로 소요되지 아니하지만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현장사

    무소의 인력에 대한 인건비는 연장기간 중 지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지체기간 중 투입되는 전체비용 중 절반은 이미 공식에서 고려되었기 때문에 추가되는 비용은 절

    반으로 하여 산출하고,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간접공사비를 추가로 계산하면 된다.

    그리고 공정지체로 인해 늘어난 기간만큼 기간의 비용으로 산출할 수 있는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

    며, 현장사무소 손료, 가설자재의 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체로 인해 공기연장이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일단위로 환산하여 식으로 나타내면 하루는 8시간

    이므로 생산성 저하(여기서 생산성 저하라 함은 학습효과의 저하로 인한 사항 등 포괄적인 사항이

    포함된 것을 의미함)된 것과 투입된 비용을 곱한 후 당초 비용에 추가하면 되고, 이를 식으로 나타내

    면 다음과 같다.

    특정공종의 공정지체로 인한 공기연장 시 실비 AEd(Actual Expenses due to Disruption of Special

    Work)의 산정식은 다음 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식 10

    여기에서 약어는 다음과 같다.

    PS(As-Planned Schedule): 당초 계획일정

    DD(Disruption Delay Disruption): 지체로 인해 공기연장된 일정

    PP(Planned Productivity): 하루 8시간 계획 생산성

    EP(Executed Productivity): 하루 달성 생산성

  • 12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DP(Disruption Productivity = PP- EP): 하루 8시간 동안 지체공종의 투입량(직접노무비, 기계경비)

    Cd(Cost of Special Work Disruption): 지체공종의 단가(직접노무비, 기계경비)

    ICd(Indirect Cost of Special Work Disruption): 지체공종의 수행으로 인한 간접공사비

    특정공종에서 m번의 지체가 발생하였고, 지체기간마다 생산성이 저하되었다고 하며, 각 지체기간

    의 합은 k라고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화된 식을 만들 수 있다. 단, 각 지체기간의 합은 다음

    식 11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 ································· 식 11

    여기에서,

    5) 공기연장으로 인한 산출식의 일반화

    이상의 경우는 특정공종 1개의 추가, 중단, 지체에 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특정공종이

    여러 개일 경우에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자.

    추가, 중단, 지체되는 특정공종이 여러 개(s개)일 경우에는 위에서 적용한 식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 ················································· 식 12

    이를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식 13

  • 공기연장으로 인한 비용 산출방안 연구-조영준 13

    6. 결 론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사유가 다를 경우 그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도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현행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는 그에 대한 방법을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정식으로 인한 해법은 건설공사에서도 많은 분야에서는 시도된 적이 있으나 공기연장

    과 관련해서는 특별히 시도된 적이 없는 분야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에 의해 수행되었다. 미흡한 이

    론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체적으로 제도에 적용하는 사항은 별도의 연구

    과제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성원. (2010). 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간접비 지급방안 개선. 한국원가관리협회. 기획재정부 국고국 회계제도과.

    p70.

    김동진, 이재섭, 이현수. (1998). “동시발생 공기지연을 포함한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의 분석방법”. 대한건축학

    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1호: p1139.

    김영재, 홍정석, 김경래, 김재준. (1999).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공기지연 관련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5권 7호(통권 129호): p117.

    대한상사중재원. (1998). 중재판정 제98111-0006호(1998.4.8).

    미국 송사 Smith v. United States

    이재섭. (2005). “계약당사자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 공기지연의 해석방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1권 제8

    호(통권 202호): p165.

    이재섭. (2010). 공사이행기간의 변경에 따른 간접비 증감금액 산정방법. 동국대학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조영준. (2010). 이론과 실무-건설계약관리. 한올출판사. p140.

    조영준, 이상범. (2005). “공공건설사업에서 계약기간 연장처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황문환, 임광수, 신현식. (1989). “CPM 기법을 이용한 건설공사의 공기지연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

    발표논문집. p533.

    Hamish Lal. (2003). Quantifying and Managing Disruption Claims. Thomas Telford. London. pp27-48.

    기획재정부. (2010). 회계예규 공사계약일반조건(2010.11.30)

    회계예규 기획재정부 회제 41301-167: 2001.1.31.

    회계예규 기획재정부 회제 41301-954: 1999.4.2.

  • 14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Procurement and Supply ManagementVol.10 No.1 June. 2011

    A Suggestion of Delay Cost Calculation and Adjustment

    Young-Jun Cho(Professor, Joongbu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mail protected]

    Abstract

    Various type of incidents have been occurred in the construction site. These affect some times directly or indirectly construction time and cost. There is not minute contents stipulated in the general construction contract conditions, So there is an possibility of claim or dispute.

    Therefore, some researches about prolongation and disrup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n generalized new type of calculation method we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Key Words: Extension of time, Disruption, Suspension, Calculation

  • 한국구매조달학회지 논문접수일: 2011.04.27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수정접수일: 2011.06.09pp.15~30 게재확정일: 2011.06.17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

    유일한(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email protected]

    박선구(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원)

    [email protected]

    정미영(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email protected]

    국문요약

    건설 기능인력의 고령화 및 숙련인력의 부족 등으로 건설현장의 생산방식은 과거처럼 노동력에 의존하기 힘

    든 상황이다. 최근 들어, 모듈러 공법 및 조립식 부재를 활용한 공업화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

    나, 아직까지 활성화 단계로 접어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업화 건축은 공기단축, 공사비절감, 가변성확

    보 등의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인 저변 확대와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건설산업의 미래 유망기

    술로 부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업화 건축의 수요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개선 대안들을 검토한

    후, 각 대안의 우선순위에 입각한 정책개선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모두 18개 요소의 정책개

    선 과제들을 건설산업 선진화, 건설회사 발전, 자재회사 발전 기반 로드맵 상에 제시하였다.

    주제어: 공업화 건축, 모듈러, 건설정책, 로드맵

    * 본 연구는 포스코 마케팅전략실 수요개발그룹과 RIST강구조연구소의 연구비 지원(계약번호: 2010DCA3617)으로 이루

    어졌음.

  • 16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1. 서 론

    공업화 건축은 과거 PC(precast concrete) 주택으로 불리던 공업화 주택의 개념이 건축 전반에 확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992년 국토해양부에 의해 도입된 공업화 주택은 주요 구조부의 전부 또는 일

    부를 모듈 형태로 공장에서 미리 생산해 조립하는 주택을 말한다. 그 개념이 건축 전반으로 확대된

    공업화 건축은 PC, Steel, 조립식 복합부재, 건식공법, 모듈러 시스템 등을 활용한 건축 방식을 통칭하

    며, 적용 대상도 주택에서 오피스, 상업시설, 병원, 학교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건설기술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도 공업화 건축 관련 시장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

    다. 영국의 modular building, 미국의 manufactured house, smart system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유일

    한 외, 2011). 이러한 선진시장의 흐름과, 국내 건설시장이 처한 환경1) 등을 종합해 볼 때, 국내 건설

    산업에서도 공업화 건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질 전망이다.2)

    노무 중심 기존 건설산업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으며, 건설산업 선진화 차원에서 공업화 또는 시스

    템화 시공에 대한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지만, 공업화 건축에 대한 전반적인 공감대 형성과 정책적 지

    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건설산업의 선진화를 촉진하고,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 등에 부응함과 동시에 건설산업 분야에서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중ㆍ장기적 정책개선 로드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수행 절차는 다음의 과 같이 요약된다.

    그림 1.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 건설 기능인력의 고령화, 숙련인력 부족, 노무비의 지속적인 상승 등 현장의 노동력 공급 문제가 가장 대표적임.

    2) 공업화 건축을 대표하는 모듈러 시장은 국내의 경우, 2009년 이전까지 100억 원 규모에서 2010년 427억 원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2011년에는 1000억 원 이상 규모로 크게 확대되고 있음. 모듈러 기술이 발달한 영국은 전체 건설시장의

    약 2.1%를 모듈러가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조봉호 외 2011).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17

    2. 환경분석

    1) 공업화 건축 관련 환경변화 요인

    공업화 건축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크게 거시환경 측면과 투입요소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우선, 거시환경 측면에서 건설산업의 성장률, 건설투자, 사회ㆍ문화적 환경변화, 제도ㆍ정책적 환경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건설산업의 성장률은 GDP 및 타 산업에 비해 크게 저조한 수준이

    며, 건설투자 역시 1인당 GDP 1만5천 달러 이후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어 OECD 선진국들과 유사한

    역 U자의 패턴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ECD 2009). 즉, 건설산업은 산업 수명 주기상 성숙

    기에 진입해 향후 성장지표가 하향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새로운 공법과 시스템, 상품에 대한 개

    발이 시급하다. 사회ㆍ문화적으로는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과 세계 최고속도의 고령화는 노동공급을 위축시켜 생산성을 하락시키고 기능인력 부족 문제

    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크며, 3인 이상의 가구가 줄고 1∼2인의 소형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게 될 것이다. 제도ㆍ정책적으로도 발주제도의 다양화 등으로 기술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기술의 융ㆍ복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다음으로, 건설 투입요소 측면에서 인력ㆍ자재ㆍ장비ㆍ기술에 대한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건설현장의 40대 이상 기능인력 비중은 74.2%(2009년 기준)로 전체 취업자의 40대

    이상 비중(57.9%)을 크게 상회하고 있으며, 3D 업종 기피현상 등으로 건설 취업자 수도 2000년대 중

    반 이후 계속 감소 추세에 있다. 또한, 과 같이 주요 선진국의 기능인력 취업자 비율이 한국보

    다 다소 낮은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건설 기능인력 비율도 현재보다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공업화 건축의 확대에 대한 대비가 정책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아울러

    자재(강재, 건재 등)와 장비기술은 공업화 건축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발달하고 있으며, 기술의

    융ㆍ복합화 추세에 따라 자동화 시공도 확대되고 있다.

    구분 한국 일본 호주 프랑스 독일 스웨덴 영국 미국

    기능인력 비율(%) 32.6 31.0 25.9 30.2 30.6 25.6 18.0 21.8

    기술인력 비율(%) 10.8 - 13.7 18.9 20.4 19.7 14.3 -

    주: 나라마다 기능인력과 기술인력 비율을 구분하는 방식의 차이는 일부 존재함.자료: ILO 노동통계(2008년 기준), 한국노동연구원의 “2008 해외노동통계”에서 인용함.

    각국의 직종대분류별 기능인력과 기술인력 취업자 구성비

  • 18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2) SWOT 분석

    공업화 건축 관련 환경변화 요인 등 제반 환경분석 내용을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업

    화 건축의 대표적인 강점(strength)은 공기단축과 인건비 절감이며, 폐기물 감소와 자원의 재활용 증대

    도 주요 강점에 속하였다. 반면, 주요 약점(weakness)은 제조업과 건설업자 간의 갈등 야기 등이 거론

    되었다. 기회(opportunity) 요인으로는 도시형 생활주택 활성화 정책 등이 있으며, 위협(threat) 요인으

    로는 홍보 부족과 안전 등의 성능에 대한 인식 미흡 등 문제가 있었다. SWOT 분석 내용을 토대로

    SO, ST, WO, WT의 대응전략을 제시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공업화 건축 관련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검토

    3. 건설업계 인식조사

    1) 조사 개요

    SWOT 결과로 도출된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건설업계의 의견을 포괄적으로 수렴하여,

    우선순위에 입각한 제도 및 정책개선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자 설문을 통한 건설업계 인식조사를 수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19

    행하였다. 설문은 건설공사 공종별 실질적인 시공의 주체이면서 공업화 건축 활성화 또는 저해의 핵

    심 이해관계자 위치에 있는 전문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업규모, 지역, 업종별로 안분된 대

    한전문건설협회 대표 회원사들에게 설문서를 배포하여 모두 202개 업체로부터 회수된 설문서를 분석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02개사의 분포 현황은 다음의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설문에 응답한 전문건설업체 분포 현황

    2) 조사 결과

    전문건설업체들은 공업화 건축 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해 43.2%가 ‘있다’로 응답하였고, 10.1%는 ‘없

    다’, 46.7%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대형업체일수록 필요성이 있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전반적으로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매우 높은 것을 볼 때 아직까지 공업화 건축에 대한 인식 확산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공업화 건축 활성화의 주요 배경으로는 ① 인력수급의 어려움(27.5%), ② 지속적인 기술개발의 영향(24.9%), ③ 현장 시공여건의 변화(17.8%), ④ 공기단축의 필요성 증대(17.0%)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공업화 건축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는 ① 관련 제도의 정비(30.8%), ② 생산업체 육성 및 지원(17.8%), ③ 품셈 및 실적공사비 적정화(15.0%), ④ 기술제안 중심으로 입ㆍ낙찰제도 개편(15.0%)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타의 조사 결과는 다음 , 과 같이 나

    타났다.

  • 20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활성화가 예상되는 ‘공사’ 활성화가 예상되는 ‘업종’ 활성화가 예상되는 ‘부위’

    구분 응답(%) 구분 응답(%) 구분 응답(%)

    공장 21.4 금속구조물ㆍ창호 공사업 18.9 벽체(wall) 34.5

    저층형 주택(빌라, 단독주택 등)

    16.5지붕판금ㆍ건축물

    조립공사업18.9

    모듈러(modular) 및 경량철골구조

    32.9

    오피스 및 사무용 빌딩 16.2 실내건축공사업 18.2 지붕(roof) 14.9

    고층형 주택(아파트, 주상복합 등)

    14.9 강구조물공사업 13.5 바닥(floor) 7.1

    리모델링공사 9.7 철근ㆍ콘크리트 공사업 11.5 기초(foundation) 6.3

    상업시설 9.4 철강재설치공사업 9.1 코어/계단실 3.1

    기타 답변의 합 11.9 기타 답변의 합 9.9 기타 1.2

    [합계] 100.0 [합계] 100.0 [합계] 100.0

    공업화 건축 적용 활성화가 예상되는 분야

    공업화 건축의 가장 큰 장점(효과) 공업화 건축의 가장 큰 단점(우려)

    구분 응답(%) 구분 응답(%)

    대량생산 및 인건비 절감 등에 따른 공사비 절감

    32.2건설업의 제조업화에 따른 시공자의

    산업적 역할 축소27.1

    조립식공법에 의한 공기단축 31.1하자발생시 자재 생산자와 시공자간의 책임 논란

    발생26.8

    규격화 된 공장생산에 따른 품질확보 12.5 소비자/사용자 만족도 저하(거주성능, 디자인 등) 12.1

    사용 중 평면변경, 구조변경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8.4 시공자의 공사이윤 감소 11.8

    기타 답변의 합 15.8 기타 답변의 합 22.2

    [합계] 100.0 [합계] 100.0

    공업화 건축의 장점(효과) 및 단점(우려)

    건설업계 인식조사 결과, 공업화 건축은 주로 공장, 주택, 오피스 등에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벽체ㆍ지붕ㆍ바닥 부위 내지는 경량철골구조의 모듈러 방식이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전문건설업종 중에서는 창호ㆍ지붕ㆍ금속구조물ㆍ실내건축ㆍ건축물조립공사 업종에 주로 해당될 것으로 관측된다. 공업화 건축은 대량생산이 수반될 경우, 공사비 절감 및 공기단축에 효과가 클 것으로 예

    상되지만,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 건설업자의 반대 우려, 하자발생시 책임 논란 등이 주요 장애요인

    으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21

    4. 제도 및 정책분석

    공업화 건축에 직접적으로 관여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 및 정책을 ① 중장기 계획, ② 유관 정책 및 제도, ③ 외국의 동향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우선, 정부의 중장기 계획으로는 국가 과학기술기본계획, 제3차(’08∼’12) 건설산업진흥기본계획, 제4차(’08∼’12)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 건설산업 선진화방안(’09), 국토해양부 R&D 중장기계획, 2011년 주요 정부부처(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공정위 등) 업무계획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유관 정책 및 제도는 녹색성장 정책,

    국가에너지ㆍ자원기술개발 정책, 동반성장 정책, 기업환경 개선대책, 도시형 생활주택 활성화 정책,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 히든챔피언 육성 정책, 철강구조물 공장인증제도,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녹색

    인증제도,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 인증제도 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동향은

    주요국의(일본, 중국, 호주,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건물 및 주택 관련 정책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싱가포르의 CONQUAS 제도,3) 일본의 건설공사 automation 추진 사례4) 등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제도ㆍ정책분석 결과와 함께 앞서 기술한 환경분석(Ⅱ장), 건설업계 인식조사(Ⅲ장)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해서 ① 건설산업 측면 정책 개선, ② 건설기술 측면 정책 개선, ③ 평가/인증 관련 기준 정비, ④ 시장 확대 및 활성화 지원의 4개 영역(category)에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건설산업 측면 정책 개선의 세부 추진과제로는 건설업의 제조업화 추진, 기능인력

    부족 개선대책 마련, 건설 자재/장비산업 육성이 포함되었고, 두 번째 영역인 건설기술 측면 정책 개

    선의 세부 추진과제로는 신기술/신공법의 적극 활용, 표준품셈/실적공사비 현실화, 중소기업 육성

    R&D 확대가 포함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평가/인증 관련 기준 정비에서는 입찰 시 인센티브 부여,

    건축물 인증관련제도 활성화, 성능 및 생산기준 정비의 세부 추진과제가 제시되었고, 네 번째 영역인

    시장 확대 및 활성화 지원에서는 도시형 생활주택 보급 활성화, 리모델링 시장 활성화, 그린홈/그린

    빌딩 건립 지원의 세부 추진과제들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4개 영역의 12개 세부 추진과제(factors)는 다음의 와 같이 정리된다.5) 에 제시된 12개 세부 추진과제는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

    이지만, 그 중요도와 효과(기대 효용)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추진과제가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와 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어떠한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4개 영역, 12개 세부 추진과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relative

    3) 싱가포르의 CONQUAS 제도는 당초(1989년) 건설품질 평가시스템으로 도입되었으나, 자국의 건설인력이 부족한 관계

    로 인력절감, 공기혁신 등을 위한 재료, 공법적용 등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음.

    4) 3D(Difficult, Dirty, Dangerous)로 불리던 일본 건설산업을 3C(Clean, Comfortable, Creative)로 전환하는 정책

    의 일환으로, 일본의 주요 건설사들은 자동화 시공기술을 통해 건설공사 현장을 제조업과 같은 환경으로 변화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음. Shimizu건설의 ‘smart system’은 automation 추진의 대표적 사례임.

    5) 제도 및 정책 분석은 a) 관련 문헌조사 및 자료검토, b) 제도 및 정책개선 후보과제 item 도출, c) 후보과제의 분류 및

    유형화 작업, d) 12개의세부 추진과제로 압축, e) 4개의영역으로 grouping하는 방식으로 수행됨.

  • 22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weights)와 기대 효용(effectiveness values)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그 우선순위에

    입각한 제도ㆍ정책개선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점추진과제개요(세부추진내용)

    영역(category) 요소(factor)

    A. 건설산업 측면 정책 개선(Construction Industry)

    01. 건설업의 제조업화 추진3D 산업 한계를 극복하고 건설현장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조업과의 융/복합 등 건설생산체계 개편 추진

    02. 기능인력 부족 개선대책 마련숙련인력 부족 및 기능인력 고령화 대책으로서 자동화/시스템화를 추진하는 등 생산성을 높이는 정책 추진

    03. 건설 자재/장비산업 육성건설자재의 고성능/친환경화 추세 및 높아지는 장비 의존도에 대응하고자 전반적인 자재/장비산업 육성 추진

    B. 건설기술 측면정책 개선

    (Construction Technology)

    04. 신기술/신공법의 적극 활용건설기술의 발전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신기술/신공법에 대한 정부의 구매확대 및 세제지원 등의 정책 추진

    05. 표준품셈/실적공사비 현실화과도기적인 미래유망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적정한 가격이 보장되도록 품셈/실적공사비 현실화

    06. 중소기업 육성 R&D 확대건설 분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및 고용촉진, 스타기업 육성 등을 위해 중소기업 맞춤형의 R&D 지원 확대

    C. 평가/인증 관련기준 정비

    (Codes and Standards)

    07. 입찰 시 인센티브 부여자원(재료)축적, 폐기물저감/재활용, 인력감축 등 기술제안 및 실적에 대한 입찰시의 인센티브 기준 확대 추진

    08. 건축물 인증관련제도 활성화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친환경, 주택성능 등)를 통합하고, 성능기반으로 인증방식을 전환하는 등 법령 정비

    09. 성능 및 생산기준 정비공장인증제도,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등의 공업화 관련 인증기준의 현실화 및 다양화를 위하여 세부기준 정비

    D. 시장 확대 및활성화 지원

    (Market Activation)

    10. 도시형 생활주택 보급 활성화인구의 고령화, 1∼2인 가구의 급속 증가 등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형(소형) 생활주택 보급의 활성화 지원

    11. 리모델링 시장 활성화도시재정비, 노후공동주택 시설개선, 도심오피스 재실 리모델링 등 증가되는 리모델링 공사의 활성화 지원

    12. 그린홈/그린빌딩 건립 지원그린홈/그린빌딩 보급 확대를 위한 금융혜택, 시범단지의 조성, 분양가 가산비 인정 등의 건립 활성화 정책 추진

    공업화 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개선 후보과제

    5. 개선방향 제시

    1) 전문가조사에 의한 정량분석

    공업화 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ㆍ정책 개선방향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기대 효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조사를 수행하였다. 전문가조사를 통해 중점 추진과제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23

    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절차는 다음과 같이 8단계로 요약된다.

    a. 제도ㆍ정책 개선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의 계층적 구조 설정

    : 상위의 4개 영역(category)과 하위의 12개 요소(factor)들로 구성된 계층분석 모델

    b.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적용을 위한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sheet 작성

    c. 전문가조사 대상사 선정

    : 공업화 건축과 관련성 있는 국내 분야별(학계, 연구계, 산업계 등) 전문가로 구성

    d.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중점 추진과제 영역별, 요소별 중요도 평가

    e. 전문 소프트웨어인 Expert Choice(version 2000)에 의한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입력 ⇒ 일관성(CR값) 검증 ⇒ 일부 오류 보정 ⇒ 상대적 가중치 계산

    f. 중점 추진과제 영역별 가중치, 요소별 가중치, 정규화(영역별×요소별) 가중치 도출

    g. 12개 중점 추진과제 요소별 기대 효용(실제 개선효과) 평가6)

    : 건설산업 선진화 측면, 건설회사 발전 측면, 자재회사 발전 측면으로 구분하여 평가

    h. 가중평균(효용치×정규화 가중치)에 의한 12개 중점 추진과제의 우선순위 도출

    상기의 조사에는 모두 50인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기업 및 협회 등 유관단체의 업

    무대표자 15인, 10개 대학의 교수 등 15인, 5개 관련 연구기관의 연구전문가 19인, 국토해양부 관계자

    1인이 참여하였으며, 응답자 개요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4. 전문가조사 참여자(응답자) 분포

    전문가조사 결과, 제도 및 정책개선 중점 추진과제의 4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건설산업 측면

    정책 개선(0.314), 시장 확대 및 활성화 지원(0.300), 건설기술 측면 정책 개선(0.212), 그리고 평가/인증

    6) 공업화 건축 활성화를 위한 12개 중점 추진과제 요소(factor)가 실제 적극적으로 추진된다고 가정할 경우, ① 건설산업

    선진화 차원, ② 건설회사 발전 차원, ③ 자재회사 발전 차원에서 각 요소별 기대 효용(effectiveness values)이 어느

    정도인지 10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청하였음. 즉, 12개의 중점 추진과제 요소가 공업화 건축 활성화에 어느 정도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각각의 요소들이 ① 건설산업의 선진화, ② 건설회사의 발전, ③ 자재회사의 발전

    에 어느 정도나 기여할 것인지의 예상되는 개선효과의 정도(기대 효용)를 차등적으로 평가한 것임.

  • 24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12개 중점 추진과제 요소(factor)기대 효용 평가 결과(10점 척도)

    a) 건설산업 선진화 차원 b) 건설회사 발전 차원 c) 자재회사 발전 차원

    01. 건설업의 제조업화 추진 6.03 5.78 7.33

    02. 기능인력 부족 개선대책 마련 7.98 8.18 7.46

    03. 건설 자재/장비산업 육성 6.01 6.05 7.93

    04. 신기술/신공법의 적극 활용 4.85 5.27 5.18

    05. 표준품셈/실적공사비 현실화 4.54 5.04 4.63

    06. 중소기업 육성 R&D 확대 4.05 4.20 4.53

    07. 입찰시 인센티브 부여 3.42 3.93 3.57

    중점 추진과제 요소별 기대 효용

    관련 기준 정비(0.174)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의 하위에 있는 12개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그린

    홈/그린빌딩 건립 지원(0.407)이 가장 높았으며, 기능인력 부족 개선대책 마련(0.391), 성능 및 생산기

    준 정비(0.386)도 상당히 높았다. 반면, 도시형 생활주택 보급 활성화(0.270), 건축물 인증관련제도 활

    성화(0.275)의 중요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소별 중요도에 영역별 중요도가 함께 반영된 정규화

    가중치 도출 결과는 다음의 그림 5와 같다.

    아울러, 건설산업 선진화, 건설회사 발전, 자재회사 발전의 3가지 차원에서 10점 척도로 평가한 기

    대 효용(추정되는 실제 개선효과)의 합(총점)7)은 자재회사 발전 차원이 66.93으로 약간 높았으나, 건

    설회사 발전 차원이 65.81, 건설산업 선진화 차원이 63.21로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

    추진과제 요소별 기대 효용 평가 결과는 다음의 와 같다.

    그림 5. 중점 추진과제 요소별 정규화 가중치

    7) ∑ (12개 요소별 효용치 평균값×12개 요소별 정규화 가중치×10), 여기에서 효용치는 10점 척도로 산정한 값임.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25

    08. 건축물 인증관련제도 활성화 2.91 2.74 2.94

    09. 성능 및 생산기준 정비 4.31 4.34 4.57

    10. 도시형 생활주택 보급 활성화 4.50 4.97 4.54

    11. 리모델링 시장 활성화 6.05 6.61 5.95

    12. 그린홈/그린빌딩 건립 지원 8.55 8.69 8.30

    [합계] 63.21 65.81 66.93

    주: 조사된 효용치(10점 척도) 평균값에 그림 5의 정규화 가중치가 반영된 가중평균 값임.

    2) 제도 및 정책개선 로드맵

    전문가조사에 의한 정량분석 결과로 도출된 중점 추진과제별 중요도 및 기대 효용 등에 따라 공업

    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제도ㆍ정책개선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로드맵은 12개 중점 추진과제를 분석된 우선순위에 따라 향후 5년간의 시계열적 추진전략으로 제시한 것이며, 활성화를 저해하는 장

    애요인(barrier factors)에 대한 개선대책도 반영하였다. 또한, 개선과제들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운영부

    문 과제(support system)도 로드맵에 함께 반영하였다.

    로드맵은 산업정책 개선, 기술정책 개선, 법적 기준 정비, 시장 활성화 지원, 장애요인 극복, 지원

    시스템 운영의 6개 부문에서 모두 18개의 중점 추진과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9개 과제는 정책

    측면의 과제이고, 4개 과제는 법/제도 측면의 과제이며, 나머지 5개 과제는 개선활동에 해당하는 과

    제이다. 로드맵은 건설산업 선진화 기반(그림 6), 건설회사 발전/육성 기반(그림 7), 자재회사 발전/육

    성 기반(그림 8)의 3가지로 제시하였다.

    그림 6. 건설산업 선진화 기반 로드맵

  • 26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그림 7. 건설회사 발전/육성 기반 로드맵

    그림 8. 자재회사 발전/육성 기반 로드맵

    그림 6의 ‘건설산업 선진화 기반 로드맵’은 기능인력 부족 및 고령화 대응방안 수립과 그린홈/그린

    빌딩 보급 확대 정책 추진이 가장 강조되고 있다. 또한, 전문건설업계 반대 극복을 위한 방안 수립도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되었다. 그림 7의 ‘건설회사 발전/육성 기반 로드맵’은 주택/오

    피스 시설개선 등 리모델링 활성화도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장애요인 극복 과제로는 공업

    화 건축 관련 인식개선 및 홍보활동 강화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되었다. 그림

    8의 ‘자재회사 발전/육성 기반 로드맵’은 건설 자재/장비산업 육성(고성능화, 친환경화)과 건설업-제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27

    조업 융ㆍ복합 등 생산체계 개편 추진이 상대적으로 강조되고 있다.이 밖에 지원 시스템 운영 부문에서는 기획단/연구단 형태의 TFT 운영을 통해 R&D 사업의 상세

    기획, 연구 및 홍보성 활동, 제도 및 정책개선 건의 활동 등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로드맵에 포

    함시키고 있다.8)

    상기의 로드맵에서 제시한 18개 중점 추진과제들의 보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각

    각의 과제별로 템플릿 형태 action plan을 제시하였다. Action plan은 전문가조사에 의한 정량분석 결

    과, 건설업계 인식조사 결과, 환경분석 내용, 관련 제도 및 정책분석 내용 등을 모두 종합하여 제시

    하였다.

    그림 9와 그림 10은 18개 action plan 중 2개를 샘플로서 제시하는 것이다. Action plan은 다음과 같

    은 내용들을 포함한다.

    a. 과제 분류: 유형(◈: 정책, ◎: 법/제도, □: 개선활동), 부문(category), 중요도(relative

    weights), 기대 효용(effectiveness values), 우선순위(1단계, 2단계, 3단계)

    b. 현황 및 문제점

    c. 개선방향

    d. 중점 추진내용: 현행(As-Is), 개선(To-Be)

    그림 9. 정책 부문 과제의 action plan(샘플-1)

    8) 그림 6∼8의 로드맵은 전문가조사를 통해 도출된 우선순위에 따라 중점 추진과제를 시계열적으로 제시한 것이지만, 과

    제별 소요기간과 상호 연계방안(선후행관계) 등은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후속과제를 통해 로드맵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28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그림 10. 법/제도 부문 과제의 action plan(샘플-2)

    6. 결 론

    국내외적인 건설산업의 환경변화 측면에서 볼 때, 공업화 건축은 향후 지속적인 활성화가 예상되

    고 있다. 지속적인 기능인력 감소 등으로 정부는 공업화 건축 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펼 가

    능성이 존재하며, 소형가구의 증가 및 도시형 생활주택 활성화 또한 공업화 건축 수요 활성화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공업화 건축의 주력 시장과 상품도 종전의 단순한 조립식 공장이나 PC주택에서 벗어나 적

    용 대상이 고층형 주택이나 오피스/사무용빌딩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시공 부위는 주로 벽체, 바닥,

    지붕 등에서 부분적으로 공업화 부재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건축 시스템 자체를 경량철골구조 기반

    의 모듈러(modular) 시스템으로 적용하는 경우도 상당히 늘어나고 있다. 금속구조물, 창호, 지붕판금,

    실내건축, 건축물조립 등이 공업화 건축의 주력 공종이기 때문에 전문건설업체들과의 관련성도 상당

    히 밀접한 실정이다.

    공업화 건축이 중ㆍ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최우선적 개선과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그린홈/그린빌딩 보급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와 연계된 상품 및

    시공 수요 창출에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기능인력 부족 및 고령화의 대응방안으로서 건축시공의 자

    동화/시스템화를 위한 정책 건의가 필요하다. 셋째, 주택/오피스 시설개선 등의 기존 건축물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하며 이와 연계된 자재나 공법 개발에 노력하여야 한다. 넷째,

  •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로드맵-유일한, 박선구, 정미영 29

    건설업의 제조업화 및 건설업과 제조업의 융ㆍ복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수립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부의 소재/부품산업 육성 정책과 연계하여 건설 자재/장비산업 육성 정책을 적극 건의하고

    관련 분야 중소ㆍ중견 스타기업(히든챔피언) 육성 정책이 적극적으로 건의되어야 할 것이다.상기의 개선과제 추진을 위해서는 관련된 R&D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정책개발 연구를 수행하며,

    인식 개선을 위한 대외홍보 등의 활동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전

    문분야별 시공의 주체인 전문건설업계가 보다 적극적으로 공업화 건축 활성화에 가담할 수 있는 여

    러 가지 방안을 마련한 후, 전문건설업체들의 인식 전환을 이끌어내 실제 현장에서의 공업화 채택을

    늘리도록 하는 것이다.

    1. 국내 문헌

    국토연구원. (2009). 주요국의 국토해양 정책동향 분석 연구. 국토해양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11). 강건재 수요활성화를 위한 법ㆍ제도 개선사항 분석 및 로드맵 작성. RIST 강구조연

    구소.

    대한건축학회. (2010). 강건재 설계, 제작, 시공 개선을 위한 법ㆍ제도 제개정 및 요소기술 개발. RIST 강구조연구소.

    유일한, 박선구. (2011). “공업화 건축 수요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방향”. 한국구매조달학회 2011년 춘계학술발표대

    회 자료집.

    조봉호 외. (2011). 건축용 강건자재 시장분석 및 중장기 시장전망. RIST 강구조연구소.

    한국노동연구원. (2008). 2008 해외노동통계.

    2. 국외 문헌

    OECD. (2009). National Accounts of OECD Countries: 1970-2007.

    Buildoffsite. (2007). Offsite Construction Industry Survey 2006.

    Juan P. Garcia Abondano. (2005). Alternative Housing Systems: The Hybrid Home. Purdue University.

    MSI Data Report. (2008). Modular and Portable Buildings: UK. MSI Reports Ltd.

  • 30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Procurement and Supply ManagementVol.10 No.1 June. 2011

    Policy Roadmap for the Market Improvement of Industrialized Construction Method and Materials

    Il-Han Yu(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email protected]

    Sun-Gu Park(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email protected]

    Mi-Young Jung(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email protected]

    Abstract

    Due to the aging workforce and the insufficient skilled manpower, the prod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sites can not rely on labors, like it did in the past. Recently, the interests in industrialized construction, us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 and prefabricated subsidiary materials, are soaring, but it hasn’t enter the activated stage yet. The industrialized construction has the strengths in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s, cost savings, securing flexibility. So, if the technical base is expanded and political support is materialized, it can be highlighted as a promising future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various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he demand for the industrialized construction, and propose the roadmap for the policy improvement, in terms of the order of priority of each alternative policy. In conclusion, the policy improvement objectives of total 18 elements are proposed on the roadmap, based on the advance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development development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ompanies.

    Key Words: Industrialized Construction, Modular, Construction Policy, Roadmap

  • 한국구매조달학회지 논문접수일: 2011.04.29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수정접수일: 2011.06.10pp.31~41 게재확정일: 2011.06.17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재섭(동국대학교(서울) 건축공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최지훈(동국대학교(서울) 건축공학과 학사수료)

    [email protected]

    국문요약

    최근 산업 간의 융합이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 건설산업 역시 IT산업과의 융합을 통하여 건설생산성 및 효율

    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최근 건설산업에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혁신을 몰고 온 스마트

    폰을 건설산업에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크나큰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사진촬영 기능 및 음성녹음 기능과 더불어 Wi-Fi와 3G망을 통하여 실시간 네트워크 접근성을 가지고 있어 건설현

    장과 본사 및 협력업체 간의 실시간 의사전달과 정보공유 등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건설사업관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건설기업의 BSC 4가지 관점에서 미치는 영향요인을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도

    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요인의 중요도를 AHP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설기업의 전략

    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주제어: 건설모바일오피스, AHP, 건설기업전략

  • 32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1.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과 Tablet PC가 이슈화되고 있다. 이는 PC와 같

    은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시각적인 측면과 휴대성 및 이동성이 뛰어나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산업은 정보 및 운영 프로세스의 가변요소를 가지고 있어 실시간적인 의사결정과 대응이 요구

    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현장관리를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IT기술의 활용 또는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건설산업의 정보는 설계 및 계획단계에서 수립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

    장에서의 자료를 수집하여 관리한다는 관점에는 기존에 도입된 IT기술의 경우 이를 기록하고 관리하

    는 업무가 현장에서 바로 이루어지기 어려워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황에 대해 효과적으

    로 대응함에 있어서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일부 국내 건설사들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스마

    트폰을 현장직원에게 지급하여 업무에 적극 활용토록 권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장점은 이동성과 휴대성을 비롯하여 사진촬영, 음성녹음 등의 기능과 더불어

    각종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Wi-Fi 및, 3G망을 통해 실시간 네트워크 접근성을 가지고 있어 건설산

    업에서의 스마트폰 도입은 크나큰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마트폰의 도입이 건설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건설기업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도입에 따른 건설기업의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Balanced Score Card

    (이하, BSC)와 Analytic Hierarchy Process(이하, AHP),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을 활용한 기업의 경쟁우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재섭, 최지훈 33

    그림 1. 연구방법 및 절차

    2. 예비적 고찰

    1) 선행연구의 고찰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고 그 활용성이 인정됨에 따라 건설산업에서도 새로운 관리 모

    델의 패러다임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건설현장과 기업 관리에 탄력적 운용을 위하여 스마트폰 활

    용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도 활성화되고 있다. 관련 연구의 동향은 과 같다.

    저자 연구주제

    진상윤 외 5명(2010) 스마트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진도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이현수 외 2명(2010) PMIS 기반의 스마트폰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제안

    이왕제 외 1명(2010) 스마트폰을 활용한 GS건설의 EIP+TPMS운영사례

    안치선 외 5명(2010)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향

    최윤길 외 5명(2010) 효율적인 건설현장 정보수집 및 기록을 위한 정보센서 적용방안

    이문규 외 5명(2010) 스마트폰을 이용한 효율적인 건설현장 업무관리 방안 제시

    권기덕 외 4명(2010)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건설분야 스마트폰 관련 선행연구

  • 34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아직까지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제시한 연

    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2) 건설 모바일 오피스모델

    최근 스마트폰 기능이 확대되고,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건설산업에서 스마트폰을 효

    과적으로 사용하여 건설사업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이 일부 건설회사에서는 이미 모

    바일 오피스를 도입하고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모바일 오피스는 실시간으로 정보

    관리 및 상호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신속한 업무 파악과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업무능률의 극

    대화가 가능하며, 공사 관련 정보 및 기술자료 축적을 통한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과 공사

    관계자의 협업 환경 기반을 조성할 수 있으며 GPS기반의 시스템과 위치추적을 통하여 건설시공단계

    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성능 카메라 기능을 통하여 자료수집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활용하며, 3차원 그래픽을 통하여 현재 건설산업에서 사용되는 BIM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적용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Autodesk, Graphisoft, Bentley모델을 iPad에서 리뷰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진

    행되고 있다.

    그림 2. 건설 모바일 오피스 모델

    3) BSC기반의 스마트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요인 도출

    BSC는 1992년 Harvard대학 교수인 Rovert S. Kaplan과 David P. Norton 박사에 의해 창안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조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과중심의 경영관리시스템이다. 즉, 조직의 비전과

  •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재섭, 최지훈 35

    전략을 조직 내ㆍ외부의 균형 잡힌 주요성과지표(KPI)로 재구성하여 전체 조직이 목표달성을 위해 활동에 집중하도록 하는 전략적 기업경영(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시스템이다. 또한, 기업의 비

    전과 전략에 근거하여 핵심성공요인 및 주요성과지표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평가 및 개선하기 위한

    제도로 재무제표상에 나타나는 과거의 성과뿐만 아니라 지식/기술, 인적자원, 정보 등에 투자되는 미

    래의 성과를 함께 고려하는 균형적인 다차원의 성과측정 체계이다. 즉, 재무적 측정방식을 유지하면

    서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등을 장기적으로 재무적 성공에 연결 시켜주는 총체적이고 통

    합된 측정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BSC Model의 4가지 관점인 재무적ㆍ고객적ㆍ프로세스ㆍ학습 및 성과 관점 기반으로 스마트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영향요인들을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세부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1) 재무적 관점

    건설기업의 재무적 관점에서 스마트폰이 건설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생산성 향상, 실시간 자재관리, 리스

    크 절감으로 3가지 영향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기업의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국가정책, 고부가

    가치창출, 세계적 추세로 3가지 영향요소를 다음 와 같이 각각 도출하였다.

    BSC 관점 영향요소 세부요소 진상윤(2010) 이현수(2010) 이왕제(2010) 안치선(2010) 최윤길(2010)

    재무적관점

    수익성

    생산성 향상 ● ●

    실시간 자재관리 ●

    리스크 절감 ● ●

    성장성

    국가정책 ●

    고부가 가치창출 ● ●

    세계적 추세 ● ● ●

    재무적 관점의 영향요인

    (2) 고객적 관점

    건설기업의 고객적 관점에서 스마트폰이 건설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기업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협업 및 의사결정, 정보의 시각화,

    실시간 자료 확인으로 3가지 영향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기업의 시장성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초기시

    장 선점, 산업 표준적 정보제공, 정보교환 및 상호 호환으로 이러한 3가지 영향요소를 다음 과

    같이 각각 도출하였다.

  • 36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1년 06월)

    BSC 관점 영향요소 세부요소 진상윤(2010) 이현수(2010) 이왕제(2010) 안치선(2010) 최윤길(2010)

    고객적관점

    고객만족

    협업 및 의사결정 ● ● ● ●

    정보의 시각화 ● ●

    실시간 자료 확인 ● ● ●

    시장성

    초기시장 선점 ● ●

    산업 표준적 정보제공 ● ●

    정보교환 및 상호호환 ● ●

    고객적 관점의 영향요인

    (3) 프로세스 관점

    건설기업의 프로세스 관점에서 스마트폰이 건설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와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프로젝트별 정보공유, 실

    시간 업무처리, 정보의 통합관리로 3가지 영향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기업의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

    요소로 건설업무의 통합, WBS 및 표준화, 정보통합 및 성능분석으로 3가지 영향요소를 다음

    와 같이 각각 도출하였다.

    BSC 관점 영향요소 세부요소 진상윤(2010) 이현수(2010) 이왕제(2010) 안치선(2010) 최윤길(2010)

    프로세스관점

    업무프로세스

    P/J별 정보공유 ● ● ●

    실시간 업무처리 ● ● ●

    정보의 통합관리 ● ●

    연구개발

    건설업무의 통합 ● ●

    WBS 및 표준화 ● ● ●

    정보통합 및 성능분석 ● ●

    프로세스 관점의 영향요인

    (4) 학습 및 성장 관점

    건설기업의 학습 및 성장 관점에서 스마트폰이 건설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

    구와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기업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지식기반 시스템 구축, 프로

    젝트 관련자의 정보공유, 공사관련 자료의 실시간활용 3가지 영향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기업의 정보

    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소로 자료의 망실 재입력, 업무의 신속화 및 오류감소,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예측으로 이러한 3가지 영향요소를 다음 와 같이 각각 도출하였다.

  • 스마트폰 확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재섭, 최지훈 37

    BSC 관점 영향요소 세부요소 진상윤(2010) 이현수(2010) 이왕제(2010) 안치선(2010) 최윤길(2010)

    학습 및 성장관점

    지식공유

    지식기반 시스템 구축 ● ● ●

    P/J 관계자의 정보공유 ● ● ●

    P/J 자료 실시간 활용 ●

    정보화역량

    자료의 망실 재입력 ● ●

    업무의 신속화 및 오류감소

    ● ●

    P/J의 프로세스 예측 ● ●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영향요인

    3. AHP분석 및 계층별 중요도 분석

    1) 설문조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건설기업에 미치는 영향요소와 세부요인들을 도출하고, AHP를 통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한 설문지를 건설 관련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직접방문과 E-mail을 활

    용하여 2010. 10. 27∼2010. 11. 10까지 2주간 배포 및 수집하였다. 설문측정 방법은 7점 척도로 각 요인 간 쌍대비교 방법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120부의 설문지 중

    98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제1계층 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한 BSC모델 개념을 이용하여 재무적, 고객적, 프

    로세스,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