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 5. 15 제호 | - korea...

18
| 2010. 5. 15 제 호 |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박기범, 홍성민, 엄미정

Upload: others

Post on 12-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 2010 5 15 제983712983724호 |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박기범 홍성민 엄미정

목 차

lt 요 약 gt

Ⅰ 작성 및 필요성 4

Ⅱ 고용현황 및 당면 과제 5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참고문헌

「STEPI Insight」는 녹색성장 미래 성장잠재력 고령화 양극화 환경 안보 등 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주요

사회경제와 관련된 정책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정책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발간되고 있습니다

| 2010 5 15 제983712983724호 |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박기범 홍성민 엄미정

lt 요 약 gt

작성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 시대에 들어서며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절실

2000년대 들어 지식서비스업과 전문직 중심으로 고용이 창출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한 수준

이에 따라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실업자만 증가하고 이공계 대졸자의 70가

축적한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등 고급인력의 유휴화가 심각한 상황

고용 현황 및 당면 과제

2009년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하였으며 최근 5년간 순중가한 일자리는

약 95만개에 불과하였고 특히 전문직 일자리 비중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가운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이 47에 불과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이며 이공계

인력의 경우 13만이 전공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며 취업한 상태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과제 1]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전문성을 지닌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선진국 대비 현저히 부족한 연구지원인력

비중을 확대하고 전문화를 추진

연구개발비의 일정 부분을 전문 연구지원인력의 채용유지 시스템을 확충하는 데

투자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에서 확충하여야 하는 전문 연구

지원 인력의 일자리 창출 필요

[과제 2]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

지자체별로 lsquo지역RampD센터rsquo를 설립하여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및 전략기술 RampD 수행 등에 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 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 지원

[과제 3]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

고용창출력이 높은 고성장 분야에 대해 RampD 투자를 전략적으로 배분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과정에서 고용창출력을 평가할 수 있는 부가적 지표를

활용하여 고용창출이 유망한 부문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도록 유도

|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I 배경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명 시대를 맞아 고용창출력 제고 시급

rsquo09년의 전체 유휴인력 규모가 1051만명에 달하는 등 유휴인력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짐

- rsquo00년이 114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rsquo01년과 rsquo05년도 100만명을 초과

유휴인력은 실업자에 구직단념자를 더한 개념으로 구직단념자란 lsquo직장을 구하기 힘들어서rsquo 등

노동시장 사정에 따라 비자발적으로 구직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되어 실업자에서

제외된 인원을 의미

[그림 1] 유휴인력 및 실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1144

1016

821908

9601012

949891 888

1051

979899

752818 860 887

827 783 769

889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유 휴 인 력 실 업 자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중요

지식경제시대가 점점 심화되면서 RampD 투자 등 기술혁신의 경제기여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고용창출에서도 중요한 역할 수행 가능

- 일본의 경우 rsquo71~lsquo04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무려 488에

달하며 우리나라도 rsquo91~lsquo06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299까지 상승

선진국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제고를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5|

STEPI Insight 제46호

[사례] 선진국 정책

∙미국 rsquo09년 9월 lsquo미국 신 략 -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진rsquo의 발표를 통해

신의 궁극 목표로 고용 창출 강조

∙ 일본 rsquo09년 12월 결정한 lsquo신성장 략rsquo 과학기술 입국 략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이공계

박사 완 고용 달성을 제시

경제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고용창출력이 점점 저하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력 제고에 노력해야 할 시점

- 직접적인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들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력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 필요

II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전문직 일자리 부족으로 고용창출력 저하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8에 불과

- rsquo09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3506만명에 그쳤으며 최근 5년

동안 순증가한 일자리 수는 949만개에 불과

- 제조업에서 341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으나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부문에서 1456만개의 일자리가 증가

[그림 2] 취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22557 22856 23151 23433 23577 23506

41774130

4057 40143 963

3836

16542 16897 17298 17679 17906 17998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전 산 업 제 조 업 (C ) 사 회 간 접 자 본 및 기 타 서 비 스 업 (D~U)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2: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목 차

lt 요 약 gt

Ⅰ 작성 및 필요성 4

Ⅱ 고용현황 및 당면 과제 5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참고문헌

「STEPI Insight」는 녹색성장 미래 성장잠재력 고령화 양극화 환경 안보 등 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주요

사회경제와 관련된 정책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정책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발간되고 있습니다

| 2010 5 15 제983712983724호 |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박기범 홍성민 엄미정

lt 요 약 gt

작성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 시대에 들어서며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절실

2000년대 들어 지식서비스업과 전문직 중심으로 고용이 창출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한 수준

이에 따라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실업자만 증가하고 이공계 대졸자의 70가

축적한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등 고급인력의 유휴화가 심각한 상황

고용 현황 및 당면 과제

2009년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하였으며 최근 5년간 순중가한 일자리는

약 95만개에 불과하였고 특히 전문직 일자리 비중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가운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이 47에 불과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이며 이공계

인력의 경우 13만이 전공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며 취업한 상태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과제 1]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전문성을 지닌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선진국 대비 현저히 부족한 연구지원인력

비중을 확대하고 전문화를 추진

연구개발비의 일정 부분을 전문 연구지원인력의 채용유지 시스템을 확충하는 데

투자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에서 확충하여야 하는 전문 연구

지원 인력의 일자리 창출 필요

[과제 2]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

지자체별로 lsquo지역RampD센터rsquo를 설립하여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및 전략기술 RampD 수행 등에 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 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 지원

[과제 3]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

고용창출력이 높은 고성장 분야에 대해 RampD 투자를 전략적으로 배분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과정에서 고용창출력을 평가할 수 있는 부가적 지표를

활용하여 고용창출이 유망한 부문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도록 유도

|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I 배경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명 시대를 맞아 고용창출력 제고 시급

rsquo09년의 전체 유휴인력 규모가 1051만명에 달하는 등 유휴인력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짐

- rsquo00년이 114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rsquo01년과 rsquo05년도 100만명을 초과

유휴인력은 실업자에 구직단념자를 더한 개념으로 구직단념자란 lsquo직장을 구하기 힘들어서rsquo 등

노동시장 사정에 따라 비자발적으로 구직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되어 실업자에서

제외된 인원을 의미

[그림 1] 유휴인력 및 실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1144

1016

821908

9601012

949891 888

1051

979899

752818 860 887

827 783 769

889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유 휴 인 력 실 업 자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중요

지식경제시대가 점점 심화되면서 RampD 투자 등 기술혁신의 경제기여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고용창출에서도 중요한 역할 수행 가능

- 일본의 경우 rsquo71~lsquo04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무려 488에

달하며 우리나라도 rsquo91~lsquo06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299까지 상승

선진국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제고를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5|

STEPI Insight 제46호

[사례] 선진국 정책

∙미국 rsquo09년 9월 lsquo미국 신 략 -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진rsquo의 발표를 통해

신의 궁극 목표로 고용 창출 강조

∙ 일본 rsquo09년 12월 결정한 lsquo신성장 략rsquo 과학기술 입국 략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이공계

박사 완 고용 달성을 제시

경제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고용창출력이 점점 저하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력 제고에 노력해야 할 시점

- 직접적인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들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력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 필요

II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전문직 일자리 부족으로 고용창출력 저하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8에 불과

- rsquo09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3506만명에 그쳤으며 최근 5년

동안 순증가한 일자리 수는 949만개에 불과

- 제조업에서 341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으나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부문에서 1456만개의 일자리가 증가

[그림 2] 취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22557 22856 23151 23433 23577 23506

41774130

4057 40143 963

3836

16542 16897 17298 17679 17906 17998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전 산 업 제 조 업 (C ) 사 회 간 접 자 본 및 기 타 서 비 스 업 (D~U)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3: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lt 요 약 gt

작성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 시대에 들어서며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절실

2000년대 들어 지식서비스업과 전문직 중심으로 고용이 창출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한 수준

이에 따라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실업자만 증가하고 이공계 대졸자의 70가

축적한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등 고급인력의 유휴화가 심각한 상황

고용 현황 및 당면 과제

2009년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하였으며 최근 5년간 순중가한 일자리는

약 95만개에 불과하였고 특히 전문직 일자리 비중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가운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이 47에 불과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이며 이공계

인력의 경우 13만이 전공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며 취업한 상태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과제 1]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전문성을 지닌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선진국 대비 현저히 부족한 연구지원인력

비중을 확대하고 전문화를 추진

연구개발비의 일정 부분을 전문 연구지원인력의 채용유지 시스템을 확충하는 데

투자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에서 확충하여야 하는 전문 연구

지원 인력의 일자리 창출 필요

[과제 2]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

지자체별로 lsquo지역RampD센터rsquo를 설립하여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및 전략기술 RampD 수행 등에 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 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 지원

[과제 3]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

고용창출력이 높은 고성장 분야에 대해 RampD 투자를 전략적으로 배분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과정에서 고용창출력을 평가할 수 있는 부가적 지표를

활용하여 고용창출이 유망한 부문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도록 유도

|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I 배경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명 시대를 맞아 고용창출력 제고 시급

rsquo09년의 전체 유휴인력 규모가 1051만명에 달하는 등 유휴인력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짐

- rsquo00년이 114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rsquo01년과 rsquo05년도 100만명을 초과

유휴인력은 실업자에 구직단념자를 더한 개념으로 구직단념자란 lsquo직장을 구하기 힘들어서rsquo 등

노동시장 사정에 따라 비자발적으로 구직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되어 실업자에서

제외된 인원을 의미

[그림 1] 유휴인력 및 실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1144

1016

821908

9601012

949891 888

1051

979899

752818 860 887

827 783 769

889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유 휴 인 력 실 업 자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중요

지식경제시대가 점점 심화되면서 RampD 투자 등 기술혁신의 경제기여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고용창출에서도 중요한 역할 수행 가능

- 일본의 경우 rsquo71~lsquo04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무려 488에

달하며 우리나라도 rsquo91~lsquo06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299까지 상승

선진국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제고를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5|

STEPI Insight 제46호

[사례] 선진국 정책

∙미국 rsquo09년 9월 lsquo미국 신 략 -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진rsquo의 발표를 통해

신의 궁극 목표로 고용 창출 강조

∙ 일본 rsquo09년 12월 결정한 lsquo신성장 략rsquo 과학기술 입국 략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이공계

박사 완 고용 달성을 제시

경제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고용창출력이 점점 저하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력 제고에 노력해야 할 시점

- 직접적인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들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력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 필요

II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전문직 일자리 부족으로 고용창출력 저하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8에 불과

- rsquo09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3506만명에 그쳤으며 최근 5년

동안 순증가한 일자리 수는 949만개에 불과

- 제조업에서 341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으나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부문에서 1456만개의 일자리가 증가

[그림 2] 취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22557 22856 23151 23433 23577 23506

41774130

4057 40143 963

3836

16542 16897 17298 17679 17906 17998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전 산 업 제 조 업 (C ) 사 회 간 접 자 본 및 기 타 서 비 스 업 (D~U)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4: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과제 2]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

지자체별로 lsquo지역RampD센터rsquo를 설립하여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및 전략기술 RampD 수행 등에 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 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 지원

[과제 3]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

고용창출력이 높은 고성장 분야에 대해 RampD 투자를 전략적으로 배분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과정에서 고용창출력을 평가할 수 있는 부가적 지표를

활용하여 고용창출이 유망한 부문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도록 유도

|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I 배경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명 시대를 맞아 고용창출력 제고 시급

rsquo09년의 전체 유휴인력 규모가 1051만명에 달하는 등 유휴인력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짐

- rsquo00년이 114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rsquo01년과 rsquo05년도 100만명을 초과

유휴인력은 실업자에 구직단념자를 더한 개념으로 구직단념자란 lsquo직장을 구하기 힘들어서rsquo 등

노동시장 사정에 따라 비자발적으로 구직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되어 실업자에서

제외된 인원을 의미

[그림 1] 유휴인력 및 실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1144

1016

821908

9601012

949891 888

1051

979899

752818 860 887

827 783 769

889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유 휴 인 력 실 업 자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중요

지식경제시대가 점점 심화되면서 RampD 투자 등 기술혁신의 경제기여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고용창출에서도 중요한 역할 수행 가능

- 일본의 경우 rsquo71~lsquo04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무려 488에

달하며 우리나라도 rsquo91~lsquo06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299까지 상승

선진국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제고를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5|

STEPI Insight 제46호

[사례] 선진국 정책

∙미국 rsquo09년 9월 lsquo미국 신 략 -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진rsquo의 발표를 통해

신의 궁극 목표로 고용 창출 강조

∙ 일본 rsquo09년 12월 결정한 lsquo신성장 략rsquo 과학기술 입국 략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이공계

박사 완 고용 달성을 제시

경제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고용창출력이 점점 저하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력 제고에 노력해야 할 시점

- 직접적인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들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력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 필요

II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전문직 일자리 부족으로 고용창출력 저하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8에 불과

- rsquo09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3506만명에 그쳤으며 최근 5년

동안 순증가한 일자리 수는 949만개에 불과

- 제조업에서 341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으나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부문에서 1456만개의 일자리가 증가

[그림 2] 취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22557 22856 23151 23433 23577 23506

41774130

4057 40143 963

3836

16542 16897 17298 17679 17906 17998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전 산 업 제 조 업 (C ) 사 회 간 접 자 본 및 기 타 서 비 스 업 (D~U)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5: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I 배경 및 필요성

유휴인력 100만명 시대를 맞아 고용창출력 제고 시급

rsquo09년의 전체 유휴인력 규모가 1051만명에 달하는 등 유휴인력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짐

- rsquo00년이 114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rsquo01년과 rsquo05년도 100만명을 초과

유휴인력은 실업자에 구직단념자를 더한 개념으로 구직단념자란 lsquo직장을 구하기 힘들어서rsquo 등

노동시장 사정에 따라 비자발적으로 구직을 포기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되어 실업자에서

제외된 인원을 의미

[그림 1] 유휴인력 및 실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1144

1016

821908

9601012

949891 888

1051

979899

752818 860 887

827 783 769

889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유 휴 인 력 실 업 자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중요

지식경제시대가 점점 심화되면서 RampD 투자 등 기술혁신의 경제기여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고용창출에서도 중요한 역할 수행 가능

- 일본의 경우 rsquo71~lsquo04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무려 488에

달하며 우리나라도 rsquo91~lsquo06년 사이 RampD 스톡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299까지 상승

선진국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제고를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5|

STEPI Insight 제46호

[사례] 선진국 정책

∙미국 rsquo09년 9월 lsquo미국 신 략 -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진rsquo의 발표를 통해

신의 궁극 목표로 고용 창출 강조

∙ 일본 rsquo09년 12월 결정한 lsquo신성장 략rsquo 과학기술 입국 략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이공계

박사 완 고용 달성을 제시

경제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고용창출력이 점점 저하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력 제고에 노력해야 할 시점

- 직접적인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들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력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 필요

II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전문직 일자리 부족으로 고용창출력 저하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8에 불과

- rsquo09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3506만명에 그쳤으며 최근 5년

동안 순증가한 일자리 수는 949만개에 불과

- 제조업에서 341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으나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부문에서 1456만개의 일자리가 증가

[그림 2] 취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22557 22856 23151 23433 23577 23506

41774130

4057 40143 963

3836

16542 16897 17298 17679 17906 17998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전 산 업 제 조 업 (C ) 사 회 간 접 자 본 및 기 타 서 비 스 업 (D~U)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6: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5|

STEPI Insight 제46호

[사례] 선진국 정책

∙미국 rsquo09년 9월 lsquo미국 신 략 - 지속가능한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진rsquo의 발표를 통해

신의 궁극 목표로 고용 창출 강조

∙ 일본 rsquo09년 12월 결정한 lsquo신성장 략rsquo 과학기술 입국 략의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이공계

박사 완 고용 달성을 제시

경제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고용창출력이 점점 저하되고 있는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력 제고에 노력해야 할 시점

- 직접적인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이들의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경제

전반의 고용창출력을 제고시키려는 정책이 필요

II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전문직 일자리 부족으로 고용창출력 저하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은 08에 불과

- rsquo09년 취업자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3506만명에 그쳤으며 최근 5년

동안 순증가한 일자리 수는 949만개에 불과

- 제조업에서 341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으나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부문에서 1456만개의 일자리가 증가

[그림 2] 취업자수 추이 (단위 천명)

22557 22856 23151 23433 23577 23506

41774130

4057 40143 963

3836

16542 16897 17298 17679 17906 17998

0

5000

10 000

15 000

20 000

25 0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43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전 산 업 제 조 업 (C ) 사 회 간 접 자 본 및 기 타 서 비 스 업 (D~U)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7: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6|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산업에서는 지식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부각되나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

- rsquo05~rsquo09년 사이 산업별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식서비스 중 보건 및 사회복지

(408만개) 교육서비스(286만개) 사업지원 서비스(258만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238만개) 등에서만 고용창출력이 부각되고 정보서비스 금융 및

보험 여가 관련 서비스 등은 일자리 창출 수준이 2~4만개 수준으로 미흡

rsquo07년 산업별 취업자 구성에서 지식서비스업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금융middot보험부동산middot사업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나라는 135에 불과 선진국은 198~312

[표 1] rsquo05~09년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산업A

농림 어업B 업 C 제조업

D 기

가스

수도

E 하수

폐기물

처리

F 건설업

도소매

음식숙박

(GI)

H 운수업J 정보

서비스

949 -176 8 -341 24 22 -98 -323 111 46

K 융

보험업

L 부동산

임 업

M 문

과학

기술

N 사업

지원

서비스

O 공공

행정 등

P 교육

서비스

Q 보건

사회 복지

R 여가

서비스

S 기타

개인

서비스

기타

(T U)

29 47 238 258 264 286 408 44 89 11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여전히 미흡한 수준

- rsquo05simrsquo09년 사이 직업별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전문직(962만개)이

독보적인 가운데 단순노무직(401만개) 사무직(293만개)만 증가

[그림 3] rsquo05~09년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 4 9

‐ 5 3

9 6 2

2 9 3

‐ 7 8 ‐ 2 1 6 ‐ 1 7 3 ‐ 1 7 2 ‐ 1 4

4 0 1

‐ 4 0 0

‐ 2 0 0

0

2 0 0

4 0 0

6 0 0

8 0 0

1 0 0 0

1 2 0 0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8: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Ⅱ 고용현황 및 당면과제 |7|

STEPI Insight 제46호

- 우리나라 전문직 비중은 rsquo07년 198로 선진국의 22~39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며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 비중은 48에 불과(통계청 지역별 고용

조사 2008)

전문직 비중(ILO 2008) 한국 198 일본 224 호주 323 프랑스 311

독일 345 스웨덴 390 영국 269

과학기술 일자리 부족으로 고급 인력의 유휴화 심각

2000년대 들어 늘어난 실업자는 4년제 대학 이상 학력자가 대부분

- rsquo00~rsquo09년 사이 실업자는 전체적으로 9만명이 감소하였으나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92만명이 증가하였고 특히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실업자가 73만명

증가

[그림 4] rsquo00~rsquo09년 학력별 실업자수 변화 (단위 천명)

‐90

‐44

‐70 ‐68

19

73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100

전학력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경제활동인구조사)

이공계 인력의 경우 전공지식을 활용한 취업은 13 수준에 불과

- rsquo08년 이공계 전공자 가운데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151 실업자 비중이

22를 차지하며 취업한 이공계 전공자 중 관련 전문직 외 취업자 비율이

509에 달하여 과학기술 전문직 비율은 318에 불과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9: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8|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5] 이공계 인력의 진로 개괄 (단위 )

자료 통계청 2008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재구성(엄미정 외 2009)

지난 10년 이상 추진되어 온 대학 출연(연) 등 공공부문의 효율성 제고 노력은

지원인력의 감소와 비정규직화를 유발하여 최근에는 오히려 연구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

- 대학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5배 연구인력 규모 2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rsquo94년 대비 95수준으로 감소

- 출연(연)은 rsquo94~rsquo06년 사이 연구비 2배 연구인력 규모 15배 증가 그러나 연구

보조기능인력은 50 연구행정인력은 20 각각 감소

기술혁신의 고용창출 기여도 미흡

꾸준한 RampD 투자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효과는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준에 정체

- RampD 투자 상위 기업 대상 국제비교 결과 우리나라는 지난 3년간 RampD 투자는

84 증가하여 중간 수준이었으나 종업원수 증가율은 06에 그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0: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9|

STEPI Insight 제46호

[그림 6] 주요국의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lsquo06~rsquo08)

한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스위스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2

0

2

4

6

8

10

12

14

-2 3 8 13 18 23 28

RampD 투자 증가율()

고용증가율

(

)

주 RampD 투자 상 2000 기업을 상으로 하며 한국기업은 22개가 포함

자료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III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확대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과제 1

선진국 수준으로 산학연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 및 양적 확대 추진

- 전문성을 가진 연구지원인력은 연구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서 현격히 작으며 감소추세도 급격하게 진행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설계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이나 연구행정 및 연구지원사무 등의 업무에 종사

-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와 연구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연구지원인력

비중은 40 수준에서 15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

연구지원인력 비중(rsquo07년) 독일 424 프랑스 420 일본 243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1: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10|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그림 6] 연구지원인력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0

1 0

2 0

3 0

4 0

5 0

6 0

1 9 9 2 1 9 9 3 1 9 9 4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2 0 0 6 2 0 0 7

한 국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선 형 (한 국 )

-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 수준(40)으로 연구지원인력을 확충할 경우 추가적으로

FTE 기준 10만여명의 전문직 일자리 창출도 가능

[표 2] 산학연별 연구지원인력 일자리 창출 (단위 명)

구분 공공연구기 학 기업체 합계

총 연구개발 련인력(FTE) 21807 44150 171643 237600

연구원수(FTE) (A) 16098 28386 155506 199990

연구보조원(FTE) (B) 5709 15764 16137 37610

BA () 262 357 94 158

BA비율 40 달성시 필요

연구보조원 (FTE)5023 3160 87534 95717

주) FTE 상근상당인원(Full-Time Employee)

공공 연구부문의 경우 인력구조에 대한 규제 완화로 연구지원인력의 전문화와

확충 유인

- 대학 연구비 지원시 연구지원체제의 확충 여부에 따라 차별화

- 출연(연) 평가시 연구지원인력 비중 감소를 강제하는 규제 제거 필요

출연(연)의 기능직 중 46(2009년 현재)가 비정규직(출연(연) 내부자료)

- 공공 연구부문의 연구지원인력 확충에 있어서는 여성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할당제 도입도 검토할 필요

민간 부문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건비 비율 상향 조정 등 규정 개선을

통해 연구지원인력 비율 상향 유도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시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사용 확대 연구지원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고려 가능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2: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1|

STEPI Insight 제46호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및 산업 연계 강화로 일자리 창출과제 2

지자체별로 lsquo(가칭)지역RampD센터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지역의 이공계 인재를 활용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지원 전략

기술 RampD 등을 담당할 연구개발전문센터를 설립

- 지역RampD센터는 기술분야 중심인 출연(연)의 공동연구분원 등의 형식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설립하되 지자체의 매칭을 통해 산업단지 및 선도산업과의

연계를 강화

rsquo09년 11월 현재 전국의 국가산업단지는 총 40여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

2개 이상의 선도 산업 또는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 중

- 평균 500명의 연구인력을 고용하는 종합적인 RampD센터로 설립할 경우

연구인력 8000명과 연구지원인력 3200명 등 총 1만2천명의 고용 창출 가능

현재 출연(연) 가운데 종합적인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춘 KIST가 460명 중소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연구원이 379명의 연구인력을 보유

[사례] 해외의 지역 공공연구조직

∙ rsquo10년 재 독일 기 연구 심의 막스 랑크 연구회(MPG)는 80개 연구조직 가운데 72개

연구조직이 국 각 지역에 산재 총 12000여명 고용

∙ 마찬가지로 독일 산업기술 심의 라운호퍼 연구회(FhG)는 16개 지역에 80개 연구조직을

보유하고 총 15000여명 고용

∙ 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산하에 9개 연구소 19개의 지역사무소 1100개의

연구실을 국에 두고 총 33000여명을 고용

기술창업 배태조직인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설립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과제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lsquo공동연구법인rsquo

등의 설립을 장려하고 특히 기업 이외의 학연 중심 공동연구과제의 경우

별도의 연구법인 설립을 의무화

- 이공계 학부 및 석사 졸업생의 전문직 취업 촉진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및 연구소의 기술창업 배태 조직으로 활성화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3: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12|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고성장 High-tech 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고용창출력 제고과제 3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대한 RampD 투자의 전략적 배분 강화

- RampD투자 등 기술혁신활동이 일자리 창출이나 유지에 기여하는 경로는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창출은 기술창업 등을 통해 새로운

벤처기업의 설립과 고용 촉진을 가져옴

- 고부가가치화는 부품소재산업의 중소기업과 같이 경쟁력 저하로 고용이

소멸되고 있는 부문의 고용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

KIAT의 rsquo06simrsquo08년 lsquoRampD 스코어보드rsquo 자료를 이용 업종별로 RampD투자액 변화와 종업

원수 변화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기록한 업종이 전체 27개 중

14개 업종에 달함

기술혁신활동의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용창출이 더 활발한

분야에 RampD자원 배분 강화 필요

- 신성장동력 분야 벤처기업 및 부품소재 중소기업 일반보다는 고용창출력이 높은

부문에 우선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

STEP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① 고기술산업의 RampD 투자가 중저기술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 고용 유발(배용호 외

2006)

②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기록한 중소기업의 경우 고용증가율이 연평균 262로

145 감소한 일반기업과 대조(임채윤 2009)

RampD 과제 기획 및 선정 과정에서 고용창출이 유망한 고기술업종 및 고성장

중소기업 부문 등에 우선적으로 투자

- 민간 투자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 및 선정에

있어서 최소한 부차적인 지표로 고용창출력을 평가

- 이를 위해 우선 연구개발 성과 조사 및 분석 시스템을 확충하고 부문별 고용

창출력 등을 지속적정기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4: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Ⅲ 고용창출력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3|

STEPI Insight 제46호

[전망]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 효과

∙ RampD 투자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미흡한 고기술산업의 고용창출력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

∙ 표 인 업종 화학 기계 의료정 기기 자 기 자동차 등

KIAT의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표 인 업체들의 3개년 고용증가율이 EU RampD

스코어보드에 포함되는 선진국 업체 수 으로 상승할 경우 향후 3년간 연평균 63의 고용

증가율 달성 가능

[그림 7] 산업별 RampD 투자증가율 대비 고용증가율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화학

기계

전자

의료정밀기기

자동차

전기

-4

-2

0

2

4

6

8

10

12

0 5 10 15 20 25

RampD 증가율()

고용증가율

(

)

EU

한국

자료 1) EC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RampD Scoreboard 2009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5: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14|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

제46호 STEPI Insight

참고문헌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의 진로와 경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배용호 외(2006)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채윤 외(2009) 「세계 선도 중소기업의 성장과정과 혁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09) 「RampD Scoreboard」

EC(2009) The 2009 EU Industrial RampD Investment Scoreboard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6: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제1호 정부 RampD 100억 달러 시대의 쟁점 -2007년 과학기술정책 8대 이슈-(200712) 제2호 RampD 투자를 통한 성장잠재력 확충 방안(2007226) 제3호 RampD 투자와 설비투자(2007412) 제4호 한미 FTA와 제약산업의 활로(2007514) 제5호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 전략(200768) 제6호 기업의 Ramp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20071228) 제7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2008530)제8호 창의적 프론티어 연구 환경 조성에 대한 탐색(2008616) 제9호 대개도국 호혜적 과학기술협력의 비전과 과제(200886)제10호 기후변화 대응의 과학기술정책과제(2008822)제11호 학연협력의 방향과 당면과제(2008930)제12호 저탄소 사회의 동력과 실현 기술의 특성(20081210)제13호 2009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0911) 제14호 세계적 과학자 양성 및 연구환경 조성방안(2009115)제15호 상생과 공영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200921)제16호 서비스 RampD 강화를 통한 경제난국 극복(2009215)제17호 글로벌 相生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주도형 ODA 추진 방안(200931)제18호 이공계 박사인력 수급 환경의 변화(2009315)제19호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는 RampD서비스업 육성전략(200941)제20호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G-20 lsquo그린rsquo 정상외교 전략(2009415)제21호 배아줄기세포 RampD 정책 동향과 시사점(200951)제22호 북한의 핵 및 로켓기술 개발과 향후 전망(2009515)제23호 창조선도형 RampD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원천연구 추진체제 개선 방안(200961)제24호 과학기술계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정책과제(2009615)제25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전망 경기불황 영향분석과 극복방안(200971)제26호 우주개발과 우주산업의 연계방안(2009715)제27호 특허사냥꾼(Patent Troll) 활동에 대응한 지식재산 정책과제(200981)제28호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2009815)제29호 태양광 기술의 전망과 과제(200991)제30호 2008년도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조사와 시사점(2009915)제31호 북한의 경제발전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2009101)제32호 창의적 인재육성의 근본적 한계와 당면과제(20091015)제33호 고성장 중소기업 육성 정책 방향과 과제(2009111)제34호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기관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20091115)제35호 기술혁신형 기업 구조조정 추진체계 개선방안(2009121)제36호 100대 제조업 고성장 기업의 전략과 혁신 특성(20091215)제37호 2010년 과학기술정책 10대 과제(201011)제38호 저탄소 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지역 녹색혁신역량 제고 방안(2010115)제39호 글로벌 녹색경제질서 주도를 위한 lsquoG20 Seoul Initiativersquo(201021)제40호 소외계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2010215)제41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성과와 과제(201031)제42호 서비스산업 혁신과 성장동력화를 위한 서비스 RampD 추진 전략(2010315)제43호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를 통한 OECD 국가의 비교(201041)제44호 거대 공공 SampT 챔피언 발굴 및 글로벌 산업화 전략(2010415)제45호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주요 정책이슈와 과제(201051)제46호 기술혁신 기반 고용창출력 제고 방안(201051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stepirekr) 내『STEPI Insight』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국가발전을 선도하는 ldquoGlobal Leading Think Tank로서

과학기술활동 및 과학기술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 제반문제의 연구분석을 통하여 국가

과학기술정책수립과 과학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연구기관입니다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

Page 17: | 2010. 5. 15 제호 | - Korea Universityoxygen.korea.ac.kr/index.files/policy/policyref/hrd-univ/...지식경제시대 심화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고용창출력 제고가

∷ STEPI Insight 제46호 ∷

|발 행 인|김석준

|편 집 인|김석준

|발 행 일|2010년 5월 15일

|발 행 처|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록번호|서울라09680

|주 소|156-849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길 44 전문건설회관 20F 26F 27F

|T E L|02)3284-1835

|F A X|02)849-8017

|인 쇄 처|경성문화사(T02-786-2999)

필자 박기범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부연구위원

(E-mail solistepirekr Tel 02-3284-1787)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2005 (주) LG CNS 연구개발센터

2000-2001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1998-2000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주요연구실적 박기범 외(2009) 녹색성장전략을 위한 핵심인력양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0)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내 연구조직 내실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기범 외(2008) 이공계 인력수급구조의 특성과 정책적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필자 홍성민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단장

(E-mail hsamustepirekr Tel 02-3284-1922)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9-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2009 한국산업기술진흥원(구 한국산업기술재단)

1996-2001 현대경제연구원

1993-1995 한국노동연구원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민 외(2009)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유형별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1권

4호(통권 77호) pp 271-292

홍성민 외(2009) 중소제조업체의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불균형 원인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3호(통권

76호) pp 19-37

필자 엄미정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력단 연구위원

(E-mail umistepirekr Tel 02-3284-1846)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주요경력 2000-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2009 대통령 자문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1999-2000 에너지관리공단

주요연구실적 엄미정 외(2009) 이공계 인력 진로 및 경력분석을 통한 생애주기형 과학기술인력 지원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9) 과학기술인력통계조사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엄미정 외(2008)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 교육과학기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