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268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교사용 지도서 한국사 한글학교 학생용

Upload: others

Post on 17-Ap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교사용 지도서

한국사한 학교 학생용

Page 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 목차 |

한국사한 학교 학생용

일러두기 |

총 론 | I. 한국사 인식 ……………………………… 6

II. 한국사 교육방법………………………… 20

제1단원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제1과 우리 민족은 언제 이루어졌나…… 35

제2과 고조선으로 나라를 처음 열다 …… 39

제3과 여러 부족국가들…………………… 43

제2단원 |삼국의 발전

제1과 고구려 ……………………………… 51

제2과 백제 ………………………………… 56

제3과 신라 ………………………………… 61

제4과 가야 ………………………………… 65

제5과 삼국의 문화………………………… 69

제6과 신라, 삼국을 통일하다 …………… 74

제3단원 |통일신라와 발해

제1과 통일신라의 발전과 쇠퇴 ………… 83

제2과 통일신라의 사회와 문화 ………… 87

제3과 발해의 건국과 문화 ……………… 92

제4단원 |고려의 건국과 외세의 침입

제1과 다시 민족을 통일하다…………… 101

제2과 고려사회의 발전 ………………… 106

제3과 거란, 여진, 몽고와의 전쟁……… 110

제4과 고려의 문화 ……………………… 115

교사용 지도서

Page 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제5단원 |조선 전기 사회

제1과 조선의 건국과 발전……………… 125

제2과 조선의 사회는 어떠했는가……… 130

제3과 사림과 당쟁 ……………………… 134

제4과 임진왜란의 극복 ………………… 139

제5과 병자호란과 북벌운동 …………… 144

제6단원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제1과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 153

제2과 학문의 새 경향, 실학 …………… 157

제3과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다………… 162

제4과 조선 사회의 변동………………… 169

제7단원 |외세의 침략과 민족의 대응

제1과 대원군의 쇄국정책 ……………… 179

제2과 동학혁명과 갑오개혁 …………… 184

제3과 국권을 빼앗기다 ………………… 189

제4과 나라를 구하기 위한 노력 ……… 194

제8단원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제1과 일본의 무단정치 ………………… 205

제2과 독립운동의 전개 ………………… 210

제3과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215

제4과 무장독립투쟁과 광복군 ………… 220

제5과 국내의 항일운동과 해방………… 225

제9단원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제1과 민족의 해방과 남북의 분단 …… 237

제2과 현대사회와 민주주의의 발전…… 242

제3과 경제 발전과 대한민국의 위상 … 248

제4과 북한 사회의 전개………………… 253

제5과 통일정책과 남북 화해의 모색 … 259

제6과 재외동포 사회의 발전…………… 264

Page 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 일러두기 |

‘한 학교학생용한국사교사용지도서’는‘한 학교학생용한국사’교재를사용하는교사의수

업준비와수업진행을원활하게하기위하여집필되었다.

1. 이지도서는역사를전공하지않은한 학교교사가재외동포초등학교고학년(4~6)을대상으로

수업하는것을전제로집필되었다.

2. 이지도서는총론과각론으로구성되어있다. 총론에서는한국사교육의방향과방법을제시하

고, 각론에서는교과서차례대로수업의구상과보충자료를실었다.

3. 각론은교과서의순서대로배치되어있다. 각론의각부분내용은다음과같다.

[단원이해]교사가한국사의내용전개를파악하도록각단원에서다루는역사의흐름과주요내용

을실었다.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세계사속에서한국사를파악할수있도록세계사와한국사의주요연표

를실었다.

[중심주제] 1시간수업에서중심으로다루어야할중심개념을제시하 다.

[유의점]수업에서염두에두어야할논란대상이나쟁점사항을다루었다.

[학습노트]학생들이수업시간에사용할수있는문제를실었다. 단순한문제에서활동과제까지10

문항이내로제시했다.

[용어해설]교사가교과서본문에등장하는역사적용어를파악할수있도록용어별로설명하 다.

[그림해설]교사가교과서에실려있는사진, 그림, 지도를파악할수있도록설명하 다.

4. 교사는이지도서를다음과같이이용하면효과적이다.

1) 총론을읽고한국역사와역사교수법, 연간수업계획서등지도방향을모색한다.

2) [단원이해]를읽고단원에서다루는역사의흐름과내용구조를파악한다.

3) [이시대의세계와한국]을보고세계사와연관하여수업을구성한다.

4) [중심주제] [유의점]을보고수업에서중심이될주제를정한다.

5) [용어해설] [그림해설]을본문이해에참고한다.

6) [학습노트]를출력하여직접수업시간에사용할수있다.

Page 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I. 한국사 인식

II. 한국사 교육 방법

Page 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I.한국사인식

1. 반만년 역사

우리는흔히한국사를‘반만년역사’라고부른다. 이것은『삼국유사』에나오는고조선건

국 시기를 BC 2333년으로 해석하 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고조선이 세워진 때를 기원전

10C로보는것이학계의통설이고보면, 사실한국사는3000여년의역사가되는셈이다.

물론 한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이 3000여 년 전이라는 말이 아니다. 한국에서 발굴된

구석기유적을보면, 한반도에는70만년전에사람이살고있었다는사실이확인되며, 이연

대는전기구석기시대에속한다. 따라서한반도에는매우이른시기부터사람들이거주해왔

으며, 그만큼사람이살기적합한곳이었다고볼수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에서는 인류사를 선사(先史)시대와 역사(歷史)시대로 나눈다. 선사란

역사이전의시기라는뜻으로석기시대, 주로돌을도구로사용했던시대를뜻한다. 즉구석

기시대와신석기시대를일컫는것이다. 반면역사시대란기록이나온이후의시대를말한다.

일반적으로문자는청동기시대에등장하기때문에, 청동기시대이후를역사시대로본다. 특

히청동기시대에국가가형성되기때문에역사시대는고조선건국과연결되는것이다.

한국사에서역사시대의시작은고조선의건국이며, 한국에서청동기시대를BC 10C 로본

다. 그러므로고조선의건국을BC 10C로보는것이다. 즉이때부터한국사의역사시대가시

작되는것이다.

그이후한국의역사는왕조의교체를거듭하면서변천하 다. 한국사의대략을보면, 고조

선1000년, 신라1000년, 고려500년, 조선500년, 근ㆍ현대150년으로3000여년의역사가

된다. 이렇게보면한국사의변천은단조롭다. 이웃중국의역사변천과비교해보더라도이러

Page 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한현상은뚜렷하다. 그러나세계사적으로보았을때, 몇몇고대문명중심지역을제외한다면

한국사는일찍부터시작되었고, 상당한독자성을유지하 다고보아도좋을것이다.

그러면, ‘반만년 역사’라는 용어는 틀린 것인가? 엄 한 수치로 보자면 사실과 다르며 과

장된것이다. 일연이『삼국유사』에서단군이고조선을건국한시기를중국은왕조와비견한

것은몽고족의침략에대응하는의식의발로로해석된다. 또한근대이후에반만년역사라는

용어가자주사용된것은, 일본제국주의의지배에대한저항과민족독립국가건설의의지가

표출된것이었다. 그러므로반만년역사라는용어는한민족의자주독립정신이라는상징성을

지니고있다고볼수있는것이며, 그용어자체가또하나의우리역사인것이다.

2. 삼천리강산

‘반만년 역사’와 더불어 한민족을 상징하는 말로는‘삼천리금수강산’, ‘삼천만 동포’라

는말이있다. 이러한말들은한국인들이근대민족국가건설을위해민족의동질성을강조한

것이었다. ‘삼천리금수강산’은 한반도가 남북으로 3천리라는 것, 그리고 비단을 펼쳐 놓은

듯이아름답다는자부심의표현이다. 곧삼천리강산은한민족의역사적터전을뜻한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역사적 터전이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고조선,

고구려, 발해에 이르는 한국사의 터전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요하에서 중국 동북3성지역, 그

총론 ● 7

한국사 주요 흐름

구석기 시대 70만 년 전

신석기 시대 1만 년 전

청동기 시대 BC 10C

고조선 시대 BC 10C ∼ BC 2C

삼국 시대 BC 2C ∼ 7C

남북국 시대 7C ∼ 9C

고려 시대 10C ∼ 14C

조선 시대 15C ∼ 19C

식민지 시대 20C 전반기

남북한(분단) 시대 20C 후반기

Page 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리고연해주를포괄하고있었다.

몇가지이견이있기는하지만고조선의 역은대략요서지방에서중국동북지역을거쳐한

반도북부에달하는지역이었고, 고구려의 역또한요동에서한반도중부까지, 그리고발해

의 역은연해주를포괄하여고구려보다넓었다고볼수있다. 즉고려이전의한국사의 역

은한반도와중국동북지역, 연해주를포함하는넓은지역이었다.

고려의 민족재통일과 발해의 멸망 이후 한국사의 역은 한반도 내부로 축소되었으나, 고

려의 끊임없는 북진정책과 조선초기의 북방개척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강역이

형성되었다. 그리하여삼천리강산이된것이다.

3천리 강산은 조선 8도라는 명칭으로 확립된다. 조선은 지방행정조직을 정비하면서 서울

주변의경기도, 그리고각지역의주요도시의이름을따서모두8도를두었다. 경상도(경주와

상주), 전라도(전주와 나주), 충청도(충주와 청주), 강원도(강릉과 원주), 황해도(황주와 해

주), 평안도(평양과안주), 함경도(함흥과경성) 등.

한반도는동북쪽으로갈수록지대가높고산이많은반면, 서남쪽은평야지대가많다. 한반

도의기후는사계절이뚜렷한온대계절풍기후로벼농사가잘되었다. 벼농사는단위면적당

생산성이높아서많은인구를부양할수있었다. 한반도에살았던인구수를추정해보면, 대략

고려시대까지는500만명이었다가, 조선초에700만명, 조선중기에1000만명을넘어선다.

그리고조선후기에인구가증가하여1910년에는1700만명을넘고, 일제시대에2000만명,

해방후에는3000만명이되었다(현재남북한인구는7000만명). 이러한측면을주목한다면

한반도는기후조건과토지의비옥도등농경조건에서질높은 토 으며, 이러한조건이한

국인들이풍성한문화를이룰수있는경제적토양이되었다. 특히한반도의중심을가로지르

는 한강유역은 정치나 경제 등에서 한국사의 중심무대가 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삼국의 주요

경쟁지 고, 조선에이르러정치, 경제, 문화의중심지가되었다. 서울이한강의하류에위치

하고있는것은우연이아니다.

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 ● 9

3. 한국의 역사인식, 사관(史觀)

1) 역사책과 역사관

한국인들은 삼국시대 이래로 스스로의 역사를 기록하여 왔다. 고구려는『유기』, 『신집』,

백제는『서기』, 신라는『신집』이라는 역사책을 편찬했으나 전해오지 않으며, 현재 전해지는

한국사의 인구 변천

고려까지 약 500만

조선 초기 약 700만

조선 중기 약 1000만

조선말기 약 1700만

일제시대 약 2000만

해방직후 약 3000만

현재(남북한) 약 7000만

평양

서울

부산

요서지방

청천강

대동강

한강

낙동강산동반도

요동지방

한국사의 무대

연해주

Page 1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역사서중가장오래된것은고려중기에김부식이쓴『삼국사기』이다. 이후『삼국유사』, 『고려

사』, 『동국통감』등많은역사서들이전해오고있다. 한국인들은한국사를어떻게서술했을까?

역사가들이역사책을쓸때, 수천년또는수백년에이르는긴역사를한눈으로파악하기란

쉽지않다. 그래서역사가들은긴역사를하나의관점으로꿰어그변화를추적하고자노력한

다. 이처럼역사를보는눈을사관(史觀)이라고부른다.

사관은마치안경과같아서어떤시각으로보느냐에따라역사가다르게보인다. 그리고사

관은시대에따라역사가에따라다르게나타나는바, 사관이란일정한시대, 일정한사람들이

자신과 세계를 인식하는 창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스스로의 역사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우리의역사인식을심화시킬수있다.

2) 왕조사관

전근대 한국인들의 주요한 사관은 왕조(王朝)사관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왕조사관이란

말그대로왕의입장에서역사를바라보는것이다. 왕조사관에서가장중시하는것은왕의통

치에관련된것이었다. 특히왕조사관은역사를치(治)와난(亂)으로나누어본다. 치란잘다

스려지는시대를말하고, 난이란백성이왕에거역하여반란을일으키는시대를뜻한다. 그러

므로 치의 시대를 높이 평가하고 난의 시대는 폄하하는 것이다. 이를 포폄(褒貶)이라고 하는

데, 왕조사관의가장두드러진특징이다.

‘만적의 난’이나‘동학란’이라는 사건의 호칭에서, ‘난(亂)’이란 바로 왕에 대한 반란을

뜻하는것이다. 신분해방이나수탈반대와같은요구를내걸고하층민이봉기할때, 왕의시각

에서본다면그것은반란일따름이었다. 따라서왕조사관은왕과귀족을중심으로한지배층

의시각에서역사를보는것이다.

고려와조선에서펴낸『왕조실록』은왕조사관을대표한다고볼수있다. 비록고려의『삼국

유사』는불교사관이며, 조선후기실학자의사서는민족이나자주에대한관심이증가되지만,

조선시대까지의주류사관은왕조사관이었다.

1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1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 ● 11

3) 근대계몽사학

개항후열강의침략으로야기된조선의위기는왕조사관의위기를초래하 다. 선각지식

인들은 더 이상 치와 난, 충성됨과 사악함, 왕도와 패도라는 유교적 관점으로는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어렵다고판단하 다.

선각지식인들은당시세계를풍미하고있던사회진화론을수용하 다. 사회진화론이란다

윈의자연진화론을사회에적용시킨것으로, 한사회나국가도우승열패, 약육강식의경쟁상

태로보는사고방식이었다. 사회진화론은강자인제국주의가약자인식민지를지배하는것을

정당화시키는사상이었다.

한국의선각지식인들이사회진화론을수용하 을때, 그들이취할수있는구국의방안은

분명하 다. 힘있는자만살아남을수있다는시각을가졌기에, 조선이살아남을수있는방

법은힘을기르는것, 실력을기르는것이었다. 선각지식인들은힘을기르고자산업을발달시

키고교육을진흥시키는데심혈을경주하 다. 이들은먼저국민을계몽해야했기에, 계몽운

동을펼쳤다. 그것이애국계몽운동이었다.

신채호, 박은식등애국계몽사상가들은국민들에게애국심을고취시키기위하여역사를서

술하 다. 미국이 어떻게 독립하 는가(『미국독립사』), 베트남이 어떻게 망하 는가(『월남

패망사』), 이탈리아는 어떻게 통일되었는가(『이태리건국삼걸전』)와 같은 외국의 흥망사를

소개하고, 『을지문덕전』, 『강감찬전』등우리역사의위인전을저술하 다. 즉역사를통하여

국민을계몽시키고자했던것이다. 그런까닭에근대계몽사학이라고부른다.

4) 민족사관

근대계몽사학은외세의침략에대한선각지식인의대응이었지만, 계몽운동을통하여외세

를막아낸다는것은매우어려운일이었다. 그리하여1905년을사조약에이르면사실상한국

의 주권은 일제의손에 넘어가버렸고, 1910년한민족은주권을완전히상실하고말았다. 그

후한국인의목표는민족의독립이었다.

Page 1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승열패를역사법칙으로인식했던사회진화론의입장에서본다면, 강자일제가약자조선

을점령한것은역사의법칙이었다. 그입장에서는일제의지배를수용할수밖에없었다. 많은

선각 지식인들이 주권 상실 후 독립운동을 포기한 데에는 사회진화론이 미친 향도 적지 않

았다.

더욱이일제는한국의역사를왜곡하여일제의지배를정당화시키고자한국사를식민사관

으로날조하여유포시켜나갔다. 한국인지식인중에서식민사관에서포섭된자또한적지않

았다. 이러한상황에서민족의선각자들은일제의지배에저항할강력한사상을다듬었다. 그

것이바로민족주의 다.

신채호는 1908년 대한매일신보에「독사신론(讀史新論)」을 연재하 다. 그는 이 에서

민족주의를 내걸고 민족주의를 고양시키기 위하여 역사를 강조하 다. 민족주의 사관의 첫

걸음이었다.이후민족사관은민족독립운동과민족국가수립의중요한정신적지주가되었다.

민족주의 사관은‘민족’을 불멸의 존재이자 역사의 주체로 보았다. 민족사학자이자 독립

운동가 던 박은식은 민족혼(民族魂)을 강조하여 비록 국가라는 형태가 사라졌다 할지라도

민족혼만 살아 있으면 국가는 재건될 수 있다고 보았다(혼백魂魄사상). 그는 이런 입장에서

일제의한국침략사인『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사인『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서술하 다.

신채호도낭가(郞家)사상을민족정신으로보고한국고대사의 광을드러내기위하여『조선

사연구초』, 『조선상고사』를저술하 던것이다.

우리가 민족의 얼이라고 할 때‘얼’은 바로 민족사관의 민족정신을 뜻하는 것으로 식민지

시대정인보가개념화한것이었다. 민족사관에서불멸의존재인민족정신은한민족이이민족

의지배속에서도독립정신을잃지않는기반이되었다.

한편, 1920년대 이후에는 한국에 사회주의가 풍미함에 따라 사회주의적인 관점에서 한국

사를 연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백남운은 한국 경제사를 연구하여 한국사의 보편적인 발전

을 강조하 다. 이는 일제가 한국사에는 발전이 없다고 왜곡한 정체성론에 대한 비판이었다.

1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1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 ● 13

또한문헌을고증하여근대실증주의역사연구를심화시키려는노력도존재하 다.

4. 식민사관, 그 왜곡된 역사관에서 벗어나기

1) 역사의 날조, 식민사관

사관은안경과비슷한역할을한다고볼수있다. 여기서안경은사물과눈사이에존재하는

것으로(눈-안경-사물의 관계), 사람이 사물을 인식하는데 일정한 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색안경을쓰면그색으로세상을바라보게되는것이다. 때로는안경이사물을바르게인식시

키기도하지만반대로사물을왜곡시키기도한다.

인식은인간이행동하는데적지않은 향을미치게된다. 비록스스로는그것이진실이라

고믿고행동했다할지라도그믿음이왜곡된인식에기초한것이라면, 그에게서올바른행동

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흔히들 이완용을 지칭할 때‘만고역적’이나‘매국노’라는 수

식어를동시에사용한다. 이완용이한일합방을추진한것은조선이일제에병합되는것이조

선인의행복이라는왜곡된시각에서비롯되었다. 그러하 기에1919년3·1운동이일어났을

때, 이완용은적극반대하 던것이다. 이처럼인식틀, 세계관, 그리고그기초인역사관은인

간의행동을결정하는중요한요소가된다.

일제가한국사를왜곡한것은한국인들이자기역사에대하여부정적인시각을갖도록하는

데있었다. 일제는한반도를침략하면서부터의도적으로한국사를왜곡하 다. 한국사의부정

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이를 식민사관이라고 부른다. 일제가 식민사관을 날

조한의도는분명하다. 자기역사나자기민족에대하여자부심을가지지못한사람들, 자기역

사에대하여모멸감을느끼는사람들이어떻게민족독립운동에나설수있겠는가? 결국식민

사관의역할은한국인에게자기비하감을가지게함으로써한국인들의독립의지를꺾어버리

고일제의지배를수용하도록하는데있었다.

식민사관의 한국사 날조는 장기간동안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지만, 대체로 정체성론과 타율

성론으로정리될수있다. 정체성론은주로경제사분야에대한왜곡으로서한국사는발전이없

Page 1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어서고대단계에머물고있다는주장이다. 이시각에서보면, 일제의한반도침략은침략이나

수탈이아니라한국을근대화시켜준것으로둔갑하게된다. 이른바‘식민지근대화론’, ‘식민

지시혜론’이되는것이다. 백남운이경제사를연구하여한국사가세계사적보편성에따라발

전하 다는것을밝히려한것은바로정체성론이라는식민사관을극복하는데목적이있었다.

또하나의식민사관인타율성론은한국인들은스스로역사를발전시킬능력이없는민족이

며, 따라서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이나 일본에 종속되어 독자적인 역사를 이루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식민사관에서는 한국은 반도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대륙세력이 강하면 대륙에

종속되고해양세력이강하면그에종속될수밖에없는지정학적운명을가지고있다고주장하

다(반도성론). 그래서 고조선을 중국인이 세웠다는 기자조선설, 고대 한반도 남부를 일본

이 지배하 다는 임나일본부설이 강조된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한국 고대에 북쪽은 중국의

지배, 남쪽은일본의지배를받다가, 삼국통일이후한국은중국에복속되며, 1910년일제의

조선병합은일본이잃어버린 토를되찾은것으로해석되는것이다. 곧일제의침략이정당

화되는것이다.

또한 일제는 조선이 망한 이유로 당파성을 내세웠다. 한국인들은 당파성이 강하며 심지어

한국인의유전형질속에는당파성이있다고까지말하 다. 그래서한국인의민족성을바꾸지

않으면독립할수없고, 독립이되더라도독립을유지할수없다고주장하 다. 한국인들의독

립에대한의지를짓밟아버리고자한것이다.

요컨대일제는조선지배를정당화, 합리화시키기위하여정체성론, 타율성론, 반도성론, 당

파성론 등 식민사관으로 한국사를 왜곡하 다. 그리하여 일제의 지배와 수탈을 합리화, 정당

화시키고, 한국인들에게자기부정적인인식을갖도록하여한국인의독립정신을말살하고자

하 다. 일제의식민사관은식민통치의고등전략으로한국정신에대한지배를시도한것이었

다. 따라서 식민사관에 오염되어 있는 한 한국인들은 식민지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기 어

려우며, 나아가올바른역사적활동을할수없게된다.

1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1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 ● 15

2) 정신적 오염, 식민지 근대화론

민족사관과 식민사관의 대립은 극명했다. 일제가 식민사관을 체계화하기 위해서 조선사편

수회를만들고『조선사』37권을펴낼때, 그목적이박은식의역사책이읽히는것을막기위해

서라고밝히고있는점에서도여실히드러난다. 이렇게볼때, 역사관의대립은정신적 역에

서의 토싸움이었다.

종종정신적인편향은현실의물질적조건보다더큰위력을발휘하는경우가있다. 식민사

관에 오염된 정신은, 식민지시대는 물론이고 해방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위력을 발휘해 왔다.

지금도많은일본인들의사고속에서일제의한국지배가한국을근대화시켰다고인식되고있

음을본다. 즉, 많은일본인들은문명-야만의이원론적인잣대를사용하여, 문명일본이야만

한국을 문명화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서구 제국주의가 사용한 문명 - 서양, 야

만- 동양이라는인식틀, 그래서문명- 서양이야만- 동양을문명화시키는것이‘백인의명백

한 임무’로 규정되는 제국주의 침략논리를 원용한 것이었다.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이

었다. 식민지 근대화론이 해방 이후 한국인의 사고틀에서도 종종 발견된다는 점은 정신적인

오염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의 일부 경제사학자들은 식민지 시대의 경제발전을

1960년대이후한국의경제개발과연결시키고있다.

이런 측면에서 식민통치자, 식민사학자,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날조했고, 현대 일본의 보수

우익, 그리고한국의일부경제사학자들과미국의동양사학자들이주장하는‘식민지시혜론’

이나‘식민지근대화론’을따로주목할필요가있을것이다. 식민지시혜론은‘일본은조선에

게은혜를베풀었다. 중국에예속되어있던조선을독립시켰다. 조선은일본에고마워해야한

다.’라는 논리이다. 또한 식민지 근대화론은‘일본은 고대단계에 머물러 있던 조선을 근대화

시켰다. 철도, 도로 등 근대 시설을 만들었다.’라는 주장이다. 만약 식민지근대화론이 정당화

된다면, 일제의한민족지배가정당화되고독립운동은부정되는현대판제국주의의침략논리

에매몰될위험성이있다.

Page 1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식민지근대화론은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강하다. 근대화의 상징

이라고 말하는 철도는 근대문명의 이기이지만, 한반도에서 철도는 일제 침략군인과 군량을

실어나르는도구이자조선에서수탈한물자를실어가는수단이었다. 철도라는근대적수단은

근대화가아니라오히려근대적철저한수탈을의미하는것이었다. 식민지공업화의진행으로

한국인노동자들의임금은줄어들었고, 일제의‘산미증식계획’으로조선에서쌀생산량은늘

었으나오히려조선인일인당쌀소비량은줄어들었다. 따라서식민지시대의근대라는것은

표면으로 드러난 외형과는 달리 한국인들의 삶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운 것이었고, 식민지

근대의한반도는한국인에게는암울한공간이었다.

식민지근대화론의본질적인허구는무엇인가. 근대는단순히철도, 공장, 신작로만뜻하는

것이아니다. 정치적으로는민주주의, 사회적으로는평등사회, 사상적으로합리주의등을포

괄하는개념이다. 군사적지배와폭력, 야만성이난무하는식민지조선에서근대를논하는것

자체가별의미가없다. 특히근대는주체의문제와관련된다. 근대는근대민족국가건설과직

결되는개념이다. 주권을상실한식민지상태를근대라고보기는힘들것이다. 설령철도나공

장이늘었다고할지라도식민지조선은근대가아니다. 그것이근대라면왜곡된근대일따름

이다. 이처럼단지철도나공장, 그리고경제수치만으로근대를말하는것은식민지근대화론

이매우허약한토대위에서있는이데올로기라는사실을보여준다.

5. 동아시아 역사전쟁, 미래지향적 역사 전망하기

1) 미래지향적 한국사 제안

역사적현재는과거- 현재- 미래의시간적연속선상에존재한다. 즉현재에사는우리들이

보다밝은미래를전망하면서과거를바라다보는것이다. 그런측면에서역사는현재를사는

우리에게과거경험이라는교훈을줄뿐만아니라현재를성찰하고미래의지향점을제시하는

역할을하게된다.

해방후한민족의역사는식민지시대한국인들이구상했던미래와는거리가멀었다. 즉해

방은독립으로직결되지못한채, 미국과소련이분할하여지배하는군정으로이어졌고, 3년

1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1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 ● 17

간의군정이후민족분단과전쟁으로진행되었다. 즉해방된한국인들은또다른고난속에서

미래를전망해야했던것이다.

분단 상황에서 남북한의 미래 전망은 각기 다른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한반도 북쪽에서는

식민지의 청산이 곧 사회주의 체제의 건설로 연결되었고, 역사인식은 주체사상으로 나타났

다. 주체사상은 말 그대로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사상의

결합체로보인다.

반면한반도의남쪽에서는민주주의의건설을향한노력들이경주되었다. 1960년4·19혁

명, 1980년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항쟁을분수령으로한국에서는민주주의정치체제

를 실현시키는데 성공하 다. 이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된 경제개발의 성과와 결합되면서

세계 속에서 역동적이고 긍정적인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88올림픽과

2002년월드컵은한국과한국인에대한위상변화를보여주기에부족함이없었다.

1990년대현실사회주의의몰락이후, 남북한은서로다르지만심각한위기를경험하 다.

남한에서는외환위기, IMF 구제금융으로많은사람들이어려움을겪었고, 북한의경제위기,

핵위기는현재까지이어지고있다. 그렇지만2000년한국역사상처음으로남북한정상이평

양에서 회담을 하고 6·15공동선언을 발표한 후, 남북한은 민족 공조와 교류를 통해 평화통

일을향해조금씩나아가고있다.

반만년한국의역사, 특히식민지를경험한근대사와분단과전쟁을경험한현대사를돌이

켜볼때, 우리는한국의역사가행복한것이었다고보기는힘들것이다. 그래서한국의지성

함석헌은 한국사를‘고난의 역사’라고 불 던 것이다. 지금 우리가 한국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는 여전히 중요하다. 여기서 필자는 이렇게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의 한국을 50년 전,

또는100년전과비교해보자는것. 50년전한국은분단과전쟁의시기 고100년전의한국

은일제의침략과식민지화의과정이었다. 그속에살았던한국인과현재의한국인은어떠한

가? 이 단순한 비교만으로도 우리는 쉽게 한국인의 진취성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세계인들도그것을인정하는데인색하지않으리라생각된다.

Page 1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희망을 안고 미래를 바라보기. 그 속에서 우리의 역사를 정립해 내기. 우리가 이러한 시각

을가지기만한다면, 좌절과절망과부끄러움의역사는희망과자부심의역사로대치될수있

다. 조선시대에이르기까지장구한전근대사는뿌리깊은전통으로해석될수있으며, 근대식

민지시대는자랑스러운민족해방투쟁의과정으로, 현대의분단과전쟁은민주주의와민중의

사회적지위향상으로자리매김할수있으리라고본다. 과연역동적인한국사 다고.

2) 평화와 공존을 새로운 가치로

이제잠시눈을밖으로돌려보자. 지금세계는21세기형세계체제로재편되는과정에있고,

그속에서국가들은새로운차원의치열한경쟁을벌이고있는형국이다. 동아시아의사정도

심각하기는어느지역못지않다고생각된다. 남북한의분단, 북한핵문제와더불어동아시아

패권다툼이전개되고있다.

이런와중에서등장한것이동아시아삼국사이의역사분쟁이다. 어떻게보면지금동아시

아는역사전쟁중이다. 남으로는일본의역사왜곡, 북으로는중국의역사왜곡이한국사를빼

앗아가려고한다. 일본은한국, 러시아, 중국과 토분쟁을일으키면서, 내적으로는역사교

과서를왜곡하여과거일제의침략을정당화시키고있다. 중국은‘동북공정’으로고조선, 고

구려, 발해사를중국사로편입시키려는작업을하고있다.

요컨대동아시아는지금패권경쟁과함께역사전쟁이진행중인것이다. 여기서일본과중

국의목적은은폐되지않는다. 일본은과거침략전쟁을미화함으로써일본국민들에게대외진

출의사고방식을주입하려는것이며, 중국은현재중국의 토안에있는모든역사를중국사

로편입함으로써다민족국가로서의중국의체제를공고하게유지하려고하는것이다. 즉중

일양국은역사를현실에이용하고있는것이다. 이런경우를역사의이용(Use of History)이

라고 한다. 많은 경우 역사의 왜곡은 사실에 대한 무지나 연구의 미진에 있는 것이 아니라국

가나정권이자신의행위를정당화시키려고역사를의도적으로이용하는데있는것이다. 이것

이동아시아역사전쟁의본질이라고할수있다.

동아시아패권다툼, 동아시아역사전쟁이이지역의밝은미래를담보해주리라고기대하

1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1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총론 ● 19

기어렵다. 지난1세기동안의역사를돌이켜보면일제의침략은피침략국뿐만아니라침략국

자체국민에게도말할수없는고통과비극을야기하 다. 일본이가지고있는또하나의피해

의식, 유일한원자폭탄피해국이라는사고방식속에서, 왜그자명한원인을말하지않는것인

지이해하기힘들다. 결국팽창, 대립, 전쟁, 지배를통해서는동아시아사람들의행복을기대

할수없다는말이된다.

동아시아가지향할새로운가치가필요한시점이다. 그가치는평화와공존이되어야하리

라고생각된다. 공동번 을목표로하는것. 그러나과거의경험을돌이켜보면중국이나일

본에게이러한고급가치관을기대하는것은무리가있어보인다. 중국은‘중화사상’에기초

한 수천 년 동아시아 패권국가의 위상을 여전히 상상하고 있을지 모른다. 일본은 일제가 2차

대전중에점령했던한반도, 만주, 중국, 동남아시아일대의‘대동아공 권’의환상을지니고

있을지모른다. 그러한한, 중국과일본은동아시아의평화와공존을제기하고이끌어갈자격

이없는것이다.

여기서 한반도와 한국인의 역사적 전망이 나온다.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대륙과 해양이 교

차되는 지점, 동아시아의 중심점으로서의 지정학적 위상을 가져왔다. 동아시아사 전 과정을

통하여한반도가중요한전쟁에서그전쟁터가되었다는달갑지않는사실은오히려한반도의

지정학적중요성을증명해주는것이라하겠다. 이충돌과분쟁의소용돌이속에서한없이고

통을받아온한민족, 한국인이야말로평화와공존의가치를인식하고, 그기치를높이들자격

이있는것이다. 동아시아평화체제의건설, 나아가세계평화에의기여, 어쩌면그것은21세

기한국인이동아시아에서, 세계에서수행해야할역할이아닐까생각해본다.

Page 2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II. 한국사교육방법

1. 역사수업의 특징

1) 과거에 대한 역사적 이해

역사란과거에일어났던사실을말하지만, 우리가과거에일어났던모든사실들을알수도,

기록할 수도, 그리고 배울 수도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사람은 기록된 역사책을 통하여

역사를 알 수 있고, 역사책은 역사가가 과거의 사실들을 연구하여 쓴 것이다. 이때 역사책의

저자나 독자들은 과거에 일어났던 수많은 사실들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 의미가

있다고생각하는것들을기록하고기억한다. 이를역사적사실(史實)이라고한다.

아무리중요한역사적사실이라고하더라도역사에서는그사실들을하나하나낱개로기억

하는 것이 아니다. 역사는 역사적 사실들을 시간을 기준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즉 시대와 시

대, 시기와시기, 그리고사건과사건을서로연관지어이해하는것이다. 이런까닭에가장중

요한역사적이해방법은인과관계(因果關係)이다. 역사는역사적사건을원인- 결과로연결

시켜이해하고자하는것이다. 그래서고대에서현대까지, 그리고우리가다루는첫사건에서

마지막사건까지역사는인과관계로연결된하나의긴고리를형성하게된다.

역사를 인과관계로 이해한다는 것은, 한 사건은 홀로 존재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하나의

사건속은몇가지의요소들로구성된다는것을뜻한다. 이를세분화하면다음과같다.

① 그사건은어떤조건속에서일어났는가? = 배경

② 그사건은왜일어났는가? = 원인

③ 그사건이시작된계기는무엇인가? = 발단

④ 그사건은어떻게진행되었는가? = 전개

2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⑤ 그사건은결국무엇을초래하 는가? = 결과

⑥ 그사건으로다른것들이어떻게변했는가? = 향

⑦ 그사건이지니는의미는무엇인가? = 의의

요컨대, 역사적이해라는것은, 하나의시대와뒤이은시대가연결된다는것, 그속에서사

건들은인과관계로연결된다는것, 그리고인과관계는한사건의배경, 원인, 발단, 전개과정,

결과, 향, 의의를통해파악될수있다는것을뜻한다.

2) 역사를 가르친다는 것

역사적이해방법은곧바로역사교수법으로연결된다. 역사를배우는것은과거의사실들을

암기하는것이아니라, 역사적사고를이해하는것이기때문이다. 역사인식이다. 그런데역사

에서다루는과거사실들은현재존재하지않는것이라는데역사교육의어려움이있다. 예컨대

안중근의사가1909년이토히로부미를사살한사건을보면, 지금은안중근도이등방문도그

장면도없다. 다만그에대한자료(사료)가남아있을뿐이다. 역사가들은이사료들을이용하

여이사건을재현해내는것이요, 역사교사는역사가가재현한사건을가르치는것이다.

결국과거의사건이란현존하지않는것이되는데, 이때우리는어떻게과거의사실들을생

생하게 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역사 수업에서나타나는 가장 큰 고민이 된다. 그리고이

고민을해결하기위하여여러가지역사수업방법이등장하는것이다.

암기, 외운다는것. ‘역사는암기과목이다’라는말에서보듯이과거사실들을암기함으로

써역사를공부하려는생각들이있다. 물론암기는중요한일이지만, 그것은꼭역사공부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모든 학습에는 암기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분명히 지적하건대, 암

기를통해서과거의사실들을생생하게재현하는것은불가능하고, 같은맥락으로암기를통

한역사교수법은상당한한계를가질수밖에없다.

그래서역사교육의중요한방법으로등장하는것이, 상상적이해와과학적이해이다. 상상

적이해라는것은내머리속에그때의사실들을생생하게떠올려보는것이다. 역사의주인공

총론 ● 21

Page 2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이되어그사건속에뛰어드는일이다. 학생들은감정이입, 공감등을통하여이미사라지고

없는과거를머릿속에재현할수있을것이다. 아마안중근의사가이토히로부미를사살하는

사건을머리속에재구성하는것이가능할것이다.

과학적이해는논리적연결이다. 사건과사건의 연결, 시기에서시기로의변화, 시대와 시

대의차이는역사인식을통하여쉽게인지될수있다. 이러한과정속에서과거의사건들이체

계적으로정리될수있으며, 학생들은과거의사실들을논리적으로이해하는것과써보는것,

말하는것이가능할것이다. 그리고안중근의사가이토히로부미를사살한사건을이맥락속

에서이해할수있을것이다.

과거에일어났던일, 지금은현존하지않는일을학생들에게가르치는역사수업에서는, 위

의두가지방법, 즉상상적이해와과학적이해의방법이유효할것이다. 그리고이두가지방

법을적절하게종합하여수업을구상하고진행하는것이필요하다고본다.

2. 다양한 역사수업 방법

1) 역사를 이야기하기, 강의식 수업

학교와역사책과역사과목이없었던아득히먼시절에역사가어떻게전해졌는가를생각해

보는것이역사수업구상에도움이된다. 아마연륜이있는할아버지나할머니와같은어른들

이나이어린어린이들에게‘옛날옛적에이런일도있었단다.’라는식으로말했을것이다. 그

리고그런방식들이세대와세대를이어갔을것이고, 그것이역사가되었을것이다. 이처럼역

사 교육의 원초적인 형태는 이야기 고, 지금까지도 여전히 이야기는 역사교육의 중요한 방

법이된다.

역사는 이야기이고 역사교육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고 하는 사실은, 강의식 수업이 역사

수업의 중요방법이라는 것을 뜻한다. 강의식 수업이란 바로 이야기로 진행하는 수업을 말하

며, 모든수업에가장기초적인요소가된다. 특히역사수업에서는강의식방법이필요하며,

어쩌면역사수업의성공과도직결된다고말하고싶다. 왜냐하면, 역사와역사교육은바로이

2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야기와직결되어있기때문이다. 가장좋은역사수업은입담이있는교사가구수하게옛날이

야기하듯이역사적사실을술술이어가는것일지도모른다. 그과정에서학생들은과거사실

을머릿속에그리면서(상상) 자연스럽게과거를이해하게될것이다.

강의식 수업의 또 다른 장점은 논리적으로 체계적으로 역사를 이해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이 시대와 시대의 흐름, 시기간의 차이, 사건들 사이의 인과관계, 그 연결을 이해하는

것은쉽지않다. 이때강의식수업방법은위력을발휘할수있다. 교사는강의를통하여학생

들에게역사를체계적으로, 조직적으로, 계통적으로이해시킬수있으며, 학생들은시대와시

기, 그리고각사건을일목요연하게이해하는것이가능할것이다.

이런측면에서강의식수업은역사교실에서가장흔하게, 그러나가장중요하게사용되어

야할것이다. 강의식수업방법은학생을지루하게한다는오해는해명될필요가있다. 강의식

방식이종종잠오는수업을만들기도하지만, 모든죄를그에게돌리는것은부당하다. 역사

교실에서학생들의머릿속에상상적인역사공간이창출되기만한다면, 그리고인과관계의사

슬이이어지기시작한다면, 교사의말하나하나가학생들의호기심을작동시킬것이다.

강의식수업에대한또하나의오해는강의식수업은암기식수업이라는것이다. 우리는종

종 역사수업에서 강의 - 암기로 이어지는 현상을 본다. 그리고 한국의 많은 학생들이 역사는

암기과목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역사 - 강의 - 암기의 관계가 형성되어 버렸다. 그러나 사실

이관계속에서역사교육이행해질때, 역사는세상에서가장재미없는것이되고, 역사수업은

거의실패로귀결되고만다.

성공하는 수업을 위해서는 이 고리를 해체해야 한다. 우선, 역사는 결코 암기가 아니라는

사실을인식해야할것이다. 역사는이해를통해이루어지는것이다. 역사교육의주요목표는

과거의사실을기억하는것이아니라, 역사적사고방식을배우는것, 즉역사인식이라는사실

을상기하는것이도움이될것이다. 다음으로강의식수업과암기식공부는별상관관계가없

다는사실을알아야한다. 강의란학생과교사사이의교류이며, 암기는학생들의머리속에서

이해- 암기의관계에서나타나는요소일뿐이다. 다시말해교사 - 학생사이의역사적이해만

총론 ● 23

Page 2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으로역사수업은충분히성공한것이며, 학생들이역사적사실을암기하든지말든지하는것

은순전히학생들의선택사항이다. 아마학생들은재미있는부분만기억하게될것이다.

2) 학생을 수업의 주체로 만들기, 토론하는 역사교실

강의식수업방법이가장효과적인역사수업방법이라고할지라도, 교사와학생의관계에

서일방통행의수업시간이될수있는위험성은여전히존재한다. 이를보완할수있는수업

방법이 토론식 수업이다. 토론 수업은 학생들을 수업 주체로 등장시키며 수업의 주연배우로

만들기때문에, 활기찬수업을이끌어낼수있는장점이있다.

특히토론식수업은특정주제에대하여깊이있게접근할수있게하는데효과적인방법이

다. 한주제를깊이있게다루고자할때, 강의식수업은세 하고체계적인설명의측면으로

접근할것인데비해, 토론식수업은다양한요소들이제기되고서로충돌하고제거되고정돈

되는과정을밟게된다. 그과정에서토론에참여하는학생들은자연스럽게주제에익숙해지

며, 깊이있게이해하게되는것이다.

토론식 수업에서 가끔씩 당혹스러울 때는 학생들이 토론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데 있

다. 토론하라고강요하더라도결과는크게좋아지지않으며이수업은실패하게된다. 성공적

인토론수업을만들기위해서는주제와자료라는두가지측면에주목할필요가있을것이다.

역사에서토론꺼리는무수히많지만모든것이토론의주제가되는것은아니다. 예를들면,

‘신라의삼국통일과정’이라는주제는토론에적합하지않은반면, ‘신라의삼국통일은바람

직했는가?’라는 주제는 좋은 토론꺼리가 된다. 전자가 강의식 수업에 적합한 주제라면 후자

는 토론식 수업에 적합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이

유’는강의식이나토론식이나모두유효할것이다. 토론주제는충분한토론의소지를담고있

어야한다는말이되겠다.

비록 토론주제가 적합하다고 할지라도 학생들이 토론 자료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토론이

활발하게진행되지않을것이고, 토론수업의효과를기대하기도어렵다. 그러므로아직결론

2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이주어지지않은주제에대하여충분한자료를제공하는것이우선과제가된다. 학생들이자

료를찾아올수도있을것이고, 교사가자료를선별하여제공하는것도가능하겠다.

3) 역사를 보여주기, 이미지와 상

역사시간에사용할수있는재료는무엇일까에대한인식전환이필요하다고생각된다. 역

사시간이니까역사책이나사료등역사에관련된자료만이용한다고생각하기쉬우나, 꼭그

런것만은아니다. 역사수업에서는역사인식에도움이될만한모든것이수업자료로사용될

수있다. 최근신문기사, 오늘찍은사진, 소설책, 화나 상프로그램, 사진자료나유물….

역사수업의목표달성에도움이될만한것이라면무엇이든수업자료로사용하겠다는생각을

가지면, 우리주변에수업자료는무궁무진할것이다. 이러한자료를사용함으로써수업의단

조로움을피할수있으며, 다양하고흥미로운수업진행이가능해진다.

이미지나동 상을역사수업에이용하는것은이제그렇게보기어려운일이아니다. 역사

적 유적이나 유물의 사진, 사건 사진, 사건의 진행에 대한 동 상, 인터뷰 자료, 다큐멘터리

등은매우유용한역사수업자료가된다. 역사시간에이러한자료를활용하면, 학생들이과거

역사에대한보다선명한상을구성하는데도움이된다.

사진이나 동 상을 역사 수업에 활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해야

할것이다. 이러한자료는책과인터넷사이트등에다양하게널려있으니관심을갖고구하면

그렇게어렵지않게접할수있을것이다. 다음으로수집한자료들을가공해서사용해야할것

이다. 사진자료들은파워포인트프로그램을이용하여효과적으로활용할수도있으며, 동

상자료는필요한부분만취하여재편집하는것이좋다.

그러나이미지나 상자료의활용이역사수업에서부차적인부분에해당한다는사실에유

의해야할것이다. 생각과는달리이미지나 상자료들이학생들에게체계적으로역사를이

해하도록하는경우가많지않다. 또한지나치게이미지, 상위주로수업을구성할경우의

외로식상함이나타나기도한다. 그러므로이러한자료들은꼭필요한부분에필요한만큼만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수업의 일부분을 차지하도록 수업을 구상하는 것이

총론 ● 25

Page 2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좋을것이다.

한편역사수업에노래를활용할수도있을것이다. 이미지가시각적효과를이용한다면, 노

래는청각적효과를이용하는것이다. 과거에불렸던노래는그스스로역사성을지니고있기

때문에, 노래를활용한수업은상당히즐거운수업이될수있다.

4) 다양한 역사 이벤트, 역사재판, 역사극

항상 같은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은 역사수업을 진부하게 여길 것이며, 교사

가기대한효과를바라기어려울것이다. 그래서역사수업에다양한이벤트성수업이마련되

는것이좋다. 마치사람들이일년을살면서간간히축제를즐기듯이.

역사수업에서시도될수있는이벤트는매우다양할것으로보이며, 지금까지많이시도되

고있는역사수업의형태로는역사재판, 역사연극등이있다.

역사재판 수업은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재판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에는 재판관,

피고, 검사, 변호사, 증인이등장하고, 참관하는학생들은배심원역할을하게된다. 이때교

실은법정의모습을띠게되고, 수업의진행은재판의진행과정과유사하게진행될것이다.

역사재판수업은사전준비가필요하며, 주어진주제에대하여역할을맡은학생들은상당

한수준으로준비를해야할것이다. 그만큼이수업의효과도좋다. 수업이즐거운놀이가되

며자연스럽게주제를깊이있게파악할수있게된다. 이러한장점을주목한다면학기당1회

정도로역사재판수업을진행하면학생들에게기억할만한수업경험으로남을것이다.

연극식수업은역사적사건을연극으로공연해보는것이다. 이수업에는대본, 배우, 감독,

무대등연극적요소가그대로도입된다. 그러므로학생들이팀을만들어준비하는것이효과

적이다. 대본부터학생들이작성해도좋고, 주어진대본이라도무난하며, 상당한연습을거친

후공연으로수업이마무리된다.

그 밖에도 우리가 구상하는데 따라서 다양한 이벤트성 역사수업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2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역사신문만들기수업, 그림그리기수업, 역사일기쓰기수업등. 이벤트수업의특징은학생

들이수업의주체가된다는것, 그래서즐거운수업이된다는점이다. 다만준비과정이필요하

다는점에서자주시도되기는어려울것이다.

3. 역사수업의 설계, 시간계획과 연간계획

1) 수업의 구상

수업은교사와학생의관계속에서실행되는것이므로역사수업을구상함에있어서교사의

조건과학생의조건을고려하는것이필수적이다. 역사를가르치는교사는역사전공여부, 개

인적능력, 개인적취향등에서상당히다양할것이다. 역사를배우는학생또한연령이나학

습능력, 지역적인조건, 학교제도, 문화적특징등에따라서매우다양하다. 바람직한역사수

업을설계하기위해서는교사와학생의조건들을알맞게조합하는것이필요하다.

또한역사수업이행해지는사정도다양하다. 정규학교와주말학교, 월말학교, 수시학교, 그

리고사용하는언어, 거주하는지역의역사와역사인식, 사회문화적인성격등. 예를들어유

럽권에거주하는학생을대상으로할경우유럽의문화풍토와유럽사의전개과정을염두에두

고수업을구상해야하며, 학생들의연령이나수업시간등과결합시켜구상하여야할것이다.

이처럼교사의 조건, 학생들의 조건, 수업이 일어나는상황의 차이가존재하기 때문에, 특

정한수업방법이최상이라고말하기는곤란하다. 어떤지역에서최상의수업모형이다른지

역에서도최상이된다는보장은없다. 따라서교사가역사수업을구상할때는창조성을발휘

해야할것이다. 즉주관적, 객관적조건에따라수업방법론을달리해야한다는점을인식하

는것이중요하다.

그럼에도불구하고바람직한역사수업을위하여일반적으로고려해야할점이있다. 우선,

한시간의수업을구상하더라도다양한수업방법을결합시키는것이좋다. 한시간을강의식

수업으로진행하는것도가능하겠지만, 토론식과결합할수도있고, 이미지나 상자료를보

여주면서진행하는것도가능하다. 이렇게한시간속에다양한방법이사용될때, 역사수업

총론 ● 27

Page 2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은흥미롭고알차게진행될가능성이커지는것이다.

다음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가능하면 재미있게 수업을 구상하자는 것이다. 공부는 놀이라

는발상이필요하다고본다. 꼭심각하고엄숙하게수업이진행되어야잘된수업이라고보기

는어렵다. 오히려학생들이즐겁게, 주체적으로참여하면서, 즉즐기면서도목적을달성하면

더좋을것이다.

셋째, 역사수업에서는의미를추구하는것이필요하다고본다. 역사라는학문이그러하거

니와역사수업에서도‘왜역사를가르치는가?’또는‘학생들은왜역사를배우는가?’라는질

문을마음에담아둘필요가있다. 역사는의미를추구하는학문이기때문이다. 그러므로한국

사전체의의미를어떻게잡을것인지, 각단원이나각시간에어떠한의미를추구할것인지를

미리생각하고역사수업을구상하는것이도움이된다.

2) 연간 계획 만들기

『한 학교학생용한국사』교과서는총9개단원, 40개학과로구성되어있다. 한국의학생

들을 기준으로 말한다면, 1시간 수업 분량은 대략 초등학생은 1개 학과, 중학생은 2~3개 학

과, 고등학생은1개단원의수업이가능할것이다. 그러나재외동포의경우여러가지조건에

따라서시간당수업분량을조정해야함은말할필요도없겠다.

또한이교과서의구성은대체로초등학생이40시간공부할수있는분량으로구성되었다.

그러므로이교과서를사용하여수업할때40시간을확보하는것이가장효과적이며, 이럴경

우1시간에1학과를소화하는것으로계획하면될것이다.

그러나많은경우, 아니대부분의한 학교에서1년에이러한시간을확보하는것이불가능

할것이다. 여기서수업계획의어려움이존재한다. 만약1년에20시간을확보할수있다면간

단하게해결할수있다. 그것이어려우면수업연한을2년으로잡으면될것이다. 그러나그것

도어려울경우에는어떻게할것인가?

우선, 모든학생이한국사를처음부터끝까지다배운다는생각에매달릴필요가없을것이

다. 물론그렇게된다면더없이좋겠지만경우에따라서는고대사나중세사, 또는독립운동사

2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만으로도그만큼의의미가충분히있다는점을인식할필요가있다.

다음으로, 생략하기, 건너뛰기의방법을생각해도좋다. 예컨대한국고대사의경우라면교

사가 역사적 맥락을 잡아 주고 그 중에서 한 학과만 가지고 수업을해도 좋다고 본다. 위에서

언급했지만 역사를 배우는 것은 과거 사실을 아는 것보다 역사적인 사고를 배우는 것이기 때

문이다.

셋째로, 무리하게진도를나가려고하면자칫교사나학생에게나모두실패하는수업이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역사는 가능하면 좁고 깊게 가르쳐야 성공하는 수업이 된다.

그러므로의욕이넘쳐서시간내에소화할수없는분량의학습을시도한다면, 재미없는수업,

압박받는수업이될가능성이크다. 더욱이교과서에는학생들이처음접하는단어나개념, 사

건이많이등장한다. 그모든것을소화시키려고해서는안된다. 예컨대1개학과를1시간에

수업하려할때, 그학과에서다루는내용을이야기로풀어내고, 필요하면한두개문단만가

지고깊이있게이해하도록하는것이더낫다는것이다.

결국연간수업계획을구상함에있어서 1) 교사, 학생, 주변조건을고려하는것, 2) 모든

내용을다가르치려고생각하지말고, 모든문장을다다루려고생각하지않는것, 3) 무리하

게많은내용을가르치려고하지않는것, 4) 그리고몇시간의수업이나몇가지내용만으로

도 상당한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 등을 유념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업 계획표는전

적으로교사의구상에달려 있다고볼 수 있고, 수업의성공은많은 부분 수업계획에의존하

고있다는점을지적하고싶다.

총론 ● 29

Page 3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Page 3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나라의 성립

제1단원

제1과 우리 민족은 언제 이루어졌나

제2과 고조선으로 나라를 처음 열다

제3과 여러 부족국가들

Page 3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3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석기 시대

인류초기역사를이해하는기준은도구이다. 역사학자들은도구의사용에따라역사를구

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구분하 다.

석기시대는구석기시대와신석기시대로구분한다. 한국의구석기시대는약70만년전에

시작되어약1만년전에끝났다. 구석기란돌을깨뜨려만든도구인뗀석기(타제석기)를뜻한

다. 구석기인들은생존자체가목적이었다. 그들은동굴이나토굴에살면서무리지어생활하

다. 그리고사냥, 물고기잡이, 열매나식물채취등으로생활을유지하 으며, 음식물이부

족하면이동하 다. 이구석기시대는인류역사의대부분을차지한다.

약1만년전에시작된신석기시대는돌을갈아서만든간석기(마제석기)를사용한시대이

다. 이때비로소인간은농경과목축을시작하 다. 신석기인들은강가나바닷가에살면서마

을을 이루고 정착생활을 하 고, 샤머니즘·애니미즘·토테미즘 등의 신앙생활을 하 다.

그러나아직생산력이미약하여공동생산과공동분배경제 으며, 사유재산이나계급이나타

나지않았다.

2.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

한국에서 청동기는 지금부터 3000년 전에 시작되었다. 인간이 청동기를 사용하면서 역사

는요동쳤다. 청동기는매우유력한전쟁무기 다. 이단계에이르면생산력이발달하여사유

재산과 계급이 발생하 고, 국가가 성립되어 정복전쟁이 진행되었다. 고조선이 성립된 것도

이때이며, 세계4대문명도청동기문화를기반으로하 다.

고조선은한국최초의국가로서예맥족이요령, 만주, 한반도북부지역을 역으로건국하

다. 고조선의중심지에대해서는논쟁이있으나, 초기에는요령지역, 후기에는평양지역이

중심지 다고볼수있을것이다.

고조선은 단군조선에서 위만조선으로 변천하 다. 단군조선은 단군이 건국하 다가 기원

전 2세기경 중국 쪽에서 이동한 위만에 의해 위만조선으로 이어졌다. 위만조선은 동북 아시

단원이해

Page 3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33

아의강자로서중국한나라와대립하다가기원전108년한과의전쟁에서패하여멸망하 다.

한은고조선의 토에4개의군을두어다스리려고하 으나낙랑을제외한다른군현은한민

족의저항으로곧한반도에서쫓겨났다.

일연이쓴『삼국유사』를보면, 단군은홍익인간을건국이념으로했다고기록되어있다. 또

단군왕검에서단군은제사장, 왕검은정치적지도자의뜻으로고조선은제정일치의사회 음

을보여준다. 중국사서『한서』지리지에는고조선의법3조가전해오는데, 생명과노동력존

중, 노예제사회, 가부장제사회등의모습을알수있다.

3. 철기 시대와 여러 국가의 발흥

한반도에철기가전래된것은고조선시대인기원전4세기 고, 기원전1세기경한반도남

부지방까지 전파되었다. 철은 청동기를 대체하 고, 특히 철기가 농기구로 사용되면서 농업

생산력에큰발전을가져왔다.

고조선이 멸망하자, 철기에 기반을 둔 여러 나라들이 만주와 한반도 각지에서 성장하 으

니,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한, 변한, 진한 등이었다. 이들 나라의 역사는 중국의 사서

『삼국지』위지동이전에기록되어있는바, 각지역의풍습과대략적인모습을알수있다. 이

들나라는대부분여러부족들이동맹을맺는연맹왕국의모습을취하고있었다. 그중고구려

는정복국가의면모를지녔고후에삼국중에서가장강력한고대국가로성장하 으며, 마한

에서는백제, 변한에서는가야, 진한에서는신라가성장하 다.

Page 3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3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70만 년 전구석기문화

BC 8000 신석기문화

BC 2333 고조선건국

BC 1000 청동기시대시작

BC 300 철기문화보급

BC 194 위만조선시작

BC 108 고조선멸망

세계사

BC 3000 세계 4대 문명형성시작

BC 700 중국 춘추시대

BC 334 알렉산드로스동방원정

BC 221 진의 중국통일

BC 202 한의 건국

96 로마 5현제시대

220 한 멸망, 위촉오삼국시대

320 인도 굽타왕조성립

Page 3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35

제1과. 우리민족은언제이루어졌나

도구 사용의 의미

인간, 나약한 신체조건의 소유자, 날카로운 이빨이나 발톱이 없으며 게다가 날개조차 없는 인간이

어떻게 생존을 유지했고 마침내 자연의 지배자가 될 수 있었을까?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도구의 사용이었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도구로 사용되었던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각 시대에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즉 구석기

시대 - 채집경제, 신석기 시대 - 생산경제와 정착생활, 청동기 시대 - 계급과 국가의 형성 및 정복

전쟁, 철기시대 - 생산력의발전을중심으로수업을진행할수있다.

1.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문자발명을기준으로선사시대와역사시대로구분한다. 문자는청동기시대에출현하기때

문에구석기시대와신석기시대는선사시대이고, 청동기, 철기사용이후부터역사시대가된

다. 그러므로청동기시대에형성된고조선때부터역사시대로보는것이가능하다.

우리나라초기도구사용시기는다음과같다.

·구석기시대: 70만년전 ·신석기시대: 1만년전

·청동기시대: 기원전10세기 ·철기시대: 기원전4세기

2. 민족의 형성

일반적으로 민족은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 형성된다고 본다. 민족은

오랜역사를통해민족언어, 민족문화등공통의문화를이룸으로써형성된다. 이것이객관

적요소이다. 동시에민족은동질의민족의식을가져야하는데, 이것이주관적요소이다.

민족형성의시점은전근대민족형성설과근대민족형성설이있다. 전자에따르면한민족

이형성된때를청동기시대의고조선으로상정하는것이가능하다. 즉한민족의기틀은청동

중심주제

유의점

Page 3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3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다음시대를차례로나열해봅시다.① 청동기시대 ② 구석기시대 ③ 신석기시대② - ③ - ①

2. 교과서에있는가족그림은어느시대의생활모습일까요?신석기시대

3. 교과서에서그릇은무엇을하는데사용하 을까요?곡식을저장하거나요리를하는데사용하 다.

4. 청동으로만든칼로무엇을하 을까요?청동기시대에정복전쟁에사용하 다.

5. 우리민족은언제형성되었나요?청동기시대

6. 고인돌은무엇인가요?청동기시대족장의무덤이었다.

7. 하늘에제사를지낸까닭은무엇이었을까요?추수감사와동질의식형성

8. 내가신석기시대에살고있습니다. 오늘하루에일어났던일들을일기로써봅시다.

학습노트

기 시대에 형성되었다고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근대민족형성설에서 보면한 민족은 외세

의침략에맞섰던개항이후에형성되었다고볼수있다.

한국인들은세계사에서도드물게오랫동안같은지역에서같은역사, 같은문화, 같은인종

을 보존해 왔기 때문에 동질성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다. 민족 형성에 대한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고조선 이후를 전근대 민족(민족의 원형 형성)으로, 개항 이후를 근대 민족 형성으

로이해하는것이가능하다고생각된다.

Page 3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37

구석기 | 뗀석기또는타제석기라고불리며, 구석기시대에사용된돌로만든도구이다.

구석기는사냥용·조리용도구가있다. 구석기유적지는한반도에널리분포되어있다. 평남

상원검은모루동굴의유적은70만년전의구석기유적지로확인되었다.

신석기 | 간석기또는마제석기라고부른다. 한반도에서신석기시대는1만년전에시

작되었다. 신석기인들은간석기로농경과목축, 수렵, 어로를하며생활하 고, 움집을짓고

정착생활을하 다. 움집이주로큰강가나바닷가에분포하고있는것은그곳이농경목축등

에유리하 기때문이었다. 또그들은옷을짜서입었고, 빗살무늬토기, 갈돌등을사용하여

곡식을 저장하거나 곡식을 빻아 음식을 요리하 다. 이때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등

원시신앙도등장하 다. 그러나사유재산이나계급이없는평등사회 다.

청동기 | 청동은구리와주석의합금. 우리나라청동기는기원전10세기경북방에서전

래되었다. 청동은매우귀한물건이었으므로상층민들이소유할수있었고, 청동으로칼을만

들어전쟁에사용하거나, 청동거울, 청동방울등을만들어족장의권위를과시하는데이용

되었다. 청동기사회의가장두드러진특징은사유재산과계급이출현하 다는것, 그래서국

가가 형성되고 정복전쟁이 행하여졌으며, 문명이 형성되었다. 세계 4대 문명이 형성된 것도

이때의일이며, 우리역사에서는고조선이건국되었다.

고인돌 | 고인돌은돌을고여놓았다는뜻. 고인돌은청동기시대족장의무덤이다. 고

인돌은한강을기준으로북방식고인돌과남방식고인돌로나뉜다. 청동기시대에는지배계급

이 등장하 으며, 그들은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큰 돌로 무덤을 만들었다. 고인돌,

돌무지무덤(돌을쌓은무덤), 돌널무덤등이그것이다. 돌무덤의크기는족장의지배력, 경제

력과연결되어있다.

용어해설

Page 3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3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신석기 그림 | 6쪽 위 그림. 신석기 시대의 생활모습을 그린 것이다. 배경에는 움집이

두채서있다. 움집은원형이나네모꼴의반지하집으로4, 5인의한가족이사는공간이다.

남편은간석기로만든사냥도구를수리하고있고아내는옷을만들고있는모습이다. 그리고

자녀는 조개껍데기로 만든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개를 구하기 쉬운 해안

가에살고있음을알수있다.

빗살무늬토기 | 6쪽아래, 7쪽가운데그림. 빗살무늬토기란빗(머리빗는도구)의살

무늬를넣은아래가뾰족한토기이다. 토기란흙으로빚은그릇. 토기는신석기시대부터출현

하여, 이른민무늬토기, 덧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가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에는민무늬

토기, 미송리식토기로발전된다. 토기의출현은농경및정착생활과연관된다.

비파형 동검 | 7쪽위의칼. 비파형동검이란비파처럼생긴청동검이라는뜻이다. 이

동검은요령식동검, 또는북방식동검이라고도불린다. 이러한동검을가진부족은힘이강하

여서다른부족을정복하 다. 비파형동검은철기시대에이르면가늘고긴세형동검으로바

뀐다.

돌화살촉, 돌칼 | 7쪽 위 가운데. 간석기이다. 간석기는 섬세하게 가공되어 예리하다.

간석기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 고, 청동기 시대에 이르면 한층 세련된 석기가

출현한다.

청동방울 | 7쪽위마지막그림. 8개의방울이달린청동기이다. 이청동기는지배계층,

즉 족장이 사용했으리라고 추측된다. 당시의 족장은 정치와 제사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었다.

따라서이청동방울은제사장의권위를나타내는역할을했을것이다.

갈돌 | 8쪽중간위그림. 갈돌은음식을빻는데사용되는도구이다. 신석기시대후기

부터농경이시작되어 조, 피, 수수와같은곡물이생산되었고, 이곡물을가공하는데갈돌이

사용되었다.

고인돌 | 8쪽중간아래의그림. 북방식고인돌로, 청동기시대족장의무덤이다. [용어

해설] 참조.

백두산 | 8쪽아래. 백두산은한민족의성스러운산으로추앙받았다. 『삼국유사』에단

군이태백산에건국하 다는기사가나오는데, 이때태백산은백두산을지칭한다고생각된다.

그림해설

Page 3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39

제2과. 고조선으로나라를처음열다

고조선의 건국이념, 홍익인간(弘益人間) = humanism

고려시대일연이쓴『삼국유사』에실려있는고조선건국기록은다음과같다.

“고기(古記)에 이런 말이 있다. 옛날 환인의 아들 환웅이 천부인 3개와 3,000의 무리를 이끌고 태

백산 신단수 밑에 내려왔는데 이곳을 신시라 하 다. 그는 풍백, 우사, 운사로 하여금 인간의 360

여 가지의 일을 주관하게 하 는데 그 중에서 곡식, 생명, 질병, 형벌, 선악 등 다섯 가지 일이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이로써 인간 세상을 교화시키고(제세이화)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 다(홍익인간).

이 때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기를 원하므로 환웅은 쑥과 마늘을 주고 이것을 먹으면서 100일 간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하 다. 곰은 금기를 지켜 21일 만에 여자로 태어났고

환웅과혼인하여아들을낳았다. 이가 곧단군왕검이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바로고조선의건국이념인홍익인간이다. 홍익인간이란인간을 널리이롭게한

다는 뜻으로 인간중심주의를 말한다. 실제 고조선에서 홍익인간을 내세웠는지는 알 수 없겠지만,

오랜 기간 동안 우리 민족은 홍익인간이 건국이념이라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

서한민족의지향점이휴머니즘, 평화주의 다는점을강조할필요가있다.

1. 기자동래설

고조선에대해서는3조선설이있다. 즉고조선이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으로이어

지다가한에게멸망했다는것이다. 그러나기자조선은존재하지않는것으로보는것이학계

의정설이다. 기자조선이란중국은나라의성인기자가고조선왕이되었다는것으로사료의

근거가미약하다. 조선시대이이는기자가고조선을세웠다고하 는데, 이는화이론에입각

하여조선이중화의나라라고강조하려는의도를가진것이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4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4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2. 위만의 소속

중국진한교체기때위만이고조선에와서준왕을몰아내고위만조선을세웠는데, 이위만

이중국민족인가한국민족인가하는논쟁이있다. 위만은중국에거주하고있던한국민족으

로보는것이타당하다. 기록에따르면위만이고조선에올때상투를틀고있었는데상투는한

민족의풍습이었다는점, 고조선의준왕이위만을신뢰하 다는점, 그리고새나라를세운후

에도여전히조선이라는국호를쓰고있었다는점에서위만은중국지역에거주하고있던예맥

족(한국민족의옛이름)으로판단된다.

1. 우리나라에서처음세워진나라이름은무엇입니까?고조선

2. 고조선을세운분은누구입니까?단군왕검

3. 홍익인간이란무슨뜻입니까?널리인간을이롭게한다.

4. 고조선의 역은어디 습니까?중국의동북부와한반도북부

5. 고조선사람들은자기들을누구라고생각했습니까?하늘의자손

6. 8조법금에는어떤내용이실려있습니까?도둑이없다. 여인들이정숙했다.

7. 고조선의유물은무엇이있나요?청동칼, 청동 거울, 쇠로 만든농기구와무기

8. 선생님에게들은단군이야기를써봅시다.

학습노트

Page 4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41

고조선 | 한민족이 처음 세운 국가.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 걸쳐 존재하다가 중국

한나라에게망하 다. 그후‘조선’이라는용어는한민족이세운나라이름으로쓰이곤했다.

조선시대가있고, 지금북한의국명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다. 이와함께한국인이주

로사용한국명은고구려, 고려와같은‘Korea’가있고, 삼한에서비롯되어대한민국에서보

이는‘한(韓)’이있다.

단군왕검 | 고조선을창건한왕. 단군은제사장, 왕검은정치적지배자를뜻한다. 단군

은당시청동기를사용하는강력한정복국가의족장이었을것이다. 고조선건국설화를보면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곰과 결혼하고 호랑이를 내쫓았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고조선의

역사를반 하고있다. 즉환웅부족이곰부족과연합하고호랑이부족을축출하 다고볼수

있는것이다.

아사달 | 고조선의수도.

홍익인간(弘益人間) | 고조선의 건국이념.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중심

주제] 참조.

위만 | 단군조선의준왕을몰아내고위만조선을세운사람. [유의점] 참조

한나라의 침입 | 고조선이번성하고있을때중국대륙에서는한나라가성장하여, 고조

선과한은동북아시아의패권을놓고경쟁하 다. 한의연이은침입에도고조선이잘방어하

으나, 기원전 108년 한 무제의 대대적인 침략과 고조선 지배층의 내분으로 인해 고조선의

수도왕검성이함락당하여고조선이멸망하 다.

8조 법금 | 『한서』지리지에실려있는고조선의법. 8조가있었다고하나3조가전한다.

사람을죽인자는사형에처하고, 도둑질한자는노비로삼으며, 남을해친자는곡식으로갚

는다는내용이다. 또고조선의여인은정절을잘지켰고도둑이없는사회 다고기록하고있

다. 이를통하여생명존중, 노예제사회, 사유재산, 노동력중시, 가부장제사회등고조선사

회의모습을알수있다. 사료원문은다음과같다.

“고조선에서는백성들에게금하는법8조를만들었다. 그것은대개사람을죽인자는

즉시죽이고, 남에게상처를입힌자는곡식으로갚는다. 도둑질을한자는노비로삼는

다. 용서받고자하는자는한사람마다50만전을내야한다. 비록용서를받아보통백

용어해설

Page 4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4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성이되어도풍속에역시그들은부끄러움을씻지못하여결혼을하고자해도짝을구할

수없다. 이러해서백성들은도둑질을하지않아대문을닫고사는일이없었다. 여자들

은모두정조를지키고신용이있어음란하고편벽된짓을하지않았다. 농민들은대나무

그릇에음식을먹고, 도시에서는관리나장사꾼들을본받아서술잔같은그릇에음식을

먹는다.”- 중국 후한때반고가쓴『한서』지리지

단군왕검 | 8쪽그림. 고조선을세운시조. [용어해설] 참조

고조선의 세력범위 | 9쪽위의지도. 고조선의 역과중심지문제는여전히역사학자

의관심거리이자 논란의대상이다. 사료에나오는지명의현재위치를알수없기때문에여러

가지이론이존재한다.

고조선의 역은 대체로 요서 일부지역과 요동반도, 만주, 한반도 북부에 걸쳤다고 본다.

그증거로는당시에사용되었던비파형동검과북방식고인돌의분포지역이이지역과일치한

다는점을들수있다.

고조선의 중심지 문제는 3가지 학설이 있다. 요령 중심설, 평양 중심설, 그리고 이동설이

다. 이동설은초기고조선의중심은요령이었으나한나라와의경쟁에서 려평양으로옮겼다

는것이다. 청동기시대의비파형동검과철기시대에사용된세형동검의분포지역은다소차

이가있는데이를이동설의근거로삼기도한다.

청동거울 | 8쪽아래의위. 청동으로만든 거울이다. 청동기시대에는 거친무늬거울을

사용하다가 철기시대에는 잔무늬 거울로 변하 다. 청동 거울은 족장의 권위를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

옹기로 만든 관 | 8쪽아래오른쪽끝. 옹관묘라고도한다. 항아리를사람의관으로사

용했다. 옹관묘는중국북동부와한반도, 일본에이르기까지널리분포하는무덤양식이다. 주

로청동기에서철기시대에걸쳐서존재했다.

철기 | 8쪽아래왼쪽두그림. 기원전4세기와기원전2세기, 중국의정세혼란으로대

규모이주민이고조선에들어오면서고조선에철기가수입되었다. 철기의사용과보급은무기

와농기구등에서큰변화를이루었다.

그림해설

Page 4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43

제3과. 여러부족국가들

초기 국가 여러 나라의 생활모습

중국 남북조 시대 진수가 쓴『삼국지』위지 동이전을 보면 고조선 멸망 이후에 등장한 여러 나라의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하여 초기 국가들의 생활모습을 알 수 있다. 각 나라들의 정치

와 경제, 그리고 문화의 차이를 통하여 흥미로운 수업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가 왜 강력

한 정복국가가 되었는지, 한국인의 축제 모습은 어떠하 고 결혼풍습은 어떠했는지, 왜 한반도 남

부에는저수지가많은지를이야기하면좋을것이다.

1. 한사군의 설치와 소멸

고조선이번성하고있을때한반도남부에는진국이있었다. 고조선과한이정면충돌한경

제적인 원인의 하나는 고조선이 진과 한 사이에서 중계무역에 종사하 다는 것이다. 고조선

이망한이후, 한은고조선지역에낙랑, 진번, 임둔, 현도등4군을설치하 으나곧고구려,

부여등이등장하여한사군을몰아내었다. 즉고구려의성장과정은한의세력을몰아내는과

정으로볼수있다. 한사군은곧이주또는소멸하 으나낙랑군은오래남아있다가4세기고

구려에의해축출되었다.

2. 국가발전단계론

국가가발생하고변화되는과정은역사가국가를기본단위로변천하 다는점에서역사학

자들의관심을받아왔다. 한국사에서국가의발생과변천에대해서는여러가지학설이있지

만, 한국의역사교과서에서는대략다음과같이정리하고있다.

1) 청동기시대의고조선: 군장국가, 군장(족장)이통치하는형태

2) 철기시대의부여, 고구려등: 연맹왕국, 여러군장국가들이연맹을맺어형성된국가

3) 고대왕국: 고구려, 백제, 신라등3국, 왕권이강화되어왕이지방까지지배하는중앙집

중심주제

유의점

Page 4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4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권국가

4) 전제국가: 통일신라와발해의남북국시대, 왕권이전제화되어강력한권력을행사하던

시대

부여 | 부여는5부족연맹국가. 왕이있었으나왕권은지방에미치지못하 다.

“벼슬이름을따라마가, 우가, 저가, 구가, 대사, 대사자, 사자라칭했으며마을에는

부자(호민)가 있고 하호라고 불리는 백성은 다 노비가 되었다. 여러 가들은 별도로 4출

1. 고조선이망한후등장한여러나라의이름을써보세요.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한, 진한, 변한

2. 부여에서하늘에제사를지내는행사를무엇이라고불 나요?고

3. 고구려에서하늘에제사를지내는행사를무엇이라고불 나요?동맹

4. 고구려와옥저의결혼풍습은어떻게다른가요?고구려는데릴사위제, 옥저는민며느리제

5. 삼한에는왜저수지가많을까요?물이많이필요한벼농사를지었기때문이다.

6. 쇠가많이생산되어외국으로수출한나라는무엇인가요?변한

7. 지도를그리고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한, 변한, 진한의위치를표시해봅시다.

학습노트

용어해설

Page 4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우리 민족과 나라의 성립 ● 45

도를주관하는데큰곳은수천가이며작은곳은수백가 다. 옛날부여의풍속은가뭄

이나장마가계속되어오곡이잘익지않으면그허물을왕에게돌려‘왕을마땅히바꾸

어야한다.’또는‘죽여야한다.’라고주장했다.”- 『삼국지』위지동이전 -

고구려 | 5부족연맹국가. 농토가적은지역에자리잡고있었기때문에정복국가의모

습을띠었다.

“큰산과깊은골짜기가많고평원과연못이없어서산골짜기를따라살며골짜기물

을 마셨다. 좋은 밭이 없어서 힘들여 일구어도 배를 채우기에는 부족했다. (중략) 나라

안의대가들은밭을일구지않았으며앉아서먹는자가만여명이나되었다. 하호들은멀

리서쌀, 어물, 소금을메어다공급해주었다. 큰창고는없고집집마다작은창고가있

는데이를부경이라하 다.”- 『삼국지』위지동이전

삼한 | 마한, 진한, 변한. 제정이분리되어정치적지배자를신지, 견지라고하고, 제사

장은 천군이라고 부르며 소도라는 곳에 거주하 다. 벼농사가 발달하 으며, 특히 변한에서

는철이많이생산되어낙랑, 일본등지로수출되었다.

“한은 대방의 남쪽에 있으며 동서는 바다를 한계로 삼고 남쪽은 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중략) 각기장수가있어서우두머리를신지라하고그다음을읍차라하 다. (중

략) 토지가 비옥하고 아름다워 오곡과 벼를 재배하기 알맞으며 누에를 칠 줄 알아 비단

과베를만들었다.”- 『삼국지』위지동이전

“귀신을믿어서나라의읍들이각기한사람씩을세워천신에게제사하는것을주관케

하 으니그이름을천군이라고하 다. 나라마다각각소도라부르는별읍이있는데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귀신을 섬긴다. 모든 도망 온 자들이 소도에 이르면

돌려보내지않으니도적질을좋아했다.”- 『삼국지』위지동이전

고 | 부여의축제. 고는북을치며맞아들인다는뜻. 축제는하늘에제사를지내고

음주가무를즐기는문화행사 다.

동맹 | 고구려의축제. [그림해설] 참조.

데릴사위제 | 고구려의결혼풍습이다. 남자가여자집에가서노동을해주고여자를데

려오는형태.

“혼인할때미리말로정하고여자측에서자기들이살고있는큰집뒤에사위집이라

는조그만집을하나만든다. 사윗감은저물녘에도착하여문밖에서자기이름을아뢰고

Page 4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4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무릎을꿇고절하여여자와함께자기를구걸한다. 이렇게재삼간청하면여자의부모가

청을들어사위집에서자도록허락하고곁에다돈과폐백을놓아둔다. 그후자식을낳

아자란다음에라야부인을남편의집으로가게한다.”- 『삼국지』위지동이전

민며느리제 | 옥저의 결혼풍습. 일종의 매매혼으로 볼 수 있다. 남자 집에서는 결혼할

어린여자를데려올때일정한금액을제공한다.

제천 의림지 | 10쪽사진. 삼한에는경제력이발달하 는데, 철제농기구를사용하여벼

농사를지었다. 벼농사에는물이많이필요하 기때문에저수지가축조되었다. 제천의림지,

김제벽골제등이그것이다. 이러한경제력을기반으로후에백제, 신라, 가야가성장한다.

청동 농경문 | 11쪽위. 청동기에그림을새겼는데, 한남자가쟁기질을하는모습이다.

경제성장을보여준다.

제천행사 그림 | 11쪽아래. 부여의 고, 고구려의동맹, 동예의무천, 삼한의계절제가

있었다. 삼한의5월계절제는후에단오로, 10월추수감사제는후에상달고사로계승되었다.

부여: “정월의제천행사는나라의대회로연일먹고마시며춤추는데이를 고라하

다. 이때에는형벌을중단하고죄수들을풀어주었다.”- 『삼국지』위지동이전

고구려 :“백성들이 노래 부르고 춤추기를 좋아하여 나라 가운데 마을에서는 저문 밤

에남녀가무리로모여노래하며즐겨놀았다.”- 『삼국지』위지동이전

동예 : “해마다 제천행사에는 밤낮으로노래하고 춤추고술을 마시는데이를 무천이

라한다.”- 『삼국지』위지동이전

삼한: “항상5월이면파종을마치고귀신에게제사지낸다. 여러사람들이모여노래

하고춤추고술마시며, 밤낮을쉬지않는다. 그춤은수십인이모두일어나서로따라

가며 발자국을 옮길 때마다 자세를 높 다 낮추었다 하는데 수족이 함께 잘 어울렸다.

10월농사가끝난후에도또이와같이하 다.”- 『삼국지』위지동이전

그림해설

Page 4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제2단원

제1과 고구려

제2과 백제

제3과 신라

제4과 가야

제5과 삼국의 문화

제6과 신라, 삼국을 통일하다

Page 4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4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고대왕국의형성

우리가삼국시대라고하면고구려, 백제, 신라를일컫는다. 삼국시대에가야가공존했으니

4국시대라고불러야할터인데, 왜 3국시대라고할까? 고대왕국의체제를갖춘나라만삼국

으로지칭했기때문이다. 즉삼국시대라는용어는가야가고대왕국단계에도달하지못했다는

역사적사실이함축되어있는것이다.

고대왕국은중앙집권체제를갖춘나라이다. 중앙집권국가라고부르기도한다. 중앙집권이

란 중앙이 지방까지 지배한다는 뜻이니, 중앙집권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왕권 강화가 필수적

이라할것이다. 중앙집권국가에서는왕이지방관이나군대를파견하여지방을다스리고, 지

방의족장을중앙귀족으로포섭하여관료제나신분제를정비한다. 특히이때사상의통일이

필요한데, 삼국은당시한반도에전래된불교를지배이념으로삼았다.

권력이 중앙으로 모이면 파괴력이 강해진다. 고대국가에서는 이 힘을 토의 확장에 사용

하 다. 그래서삼국은끊임없는정복전쟁을벌 다. 『삼국사기』에전쟁기사가많은것은이

때문이다. 한편가야는중앙집권을이루지못하고연맹왕국단계에머물 기때문에비록경

제력이나문화적능력이뛰어났지만효과적으로그힘을사용하지못하고, 결국백제와신라

에분할점령되고말았다.

2. 삼국시대의전개과정

삼국 중 가장 먼저 중앙집권체제를 이룬 나라는 고구려 다(2세기). 그리고 백제(3세기),

신라(4세기)가뒤를이었다. 이러한차이는당시문화의중심지가한반도서북부 기때문이

며, 신라는 지리적으로 동남쪽에 치우쳐 있어서 문화수용과 정치발전이 상대적으로 늦었다.

반면신라에는화백제도나화랑도에서보듯이전통적인요소가많이남아있다.

삼국은4세기신라가고대왕국을이루면서본격적인경쟁체제에돌입하 다. 삼국경쟁에

서 한강유역은 상당한 중요성을 지녔다. 삼국 경쟁의 요충지인데다 산물이 풍부했기 때문에

이지역을장악한나라가경쟁에서유리했다. 한강유역은대체로4세기에는백제, 5세기에는

단원이해

Page 4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49

고구려, 6세기에는신라에속하 다. 이는삼국의주도권장악과연결된다.

4세기에는먼저백제가위력을떨쳤다. 근초고왕은한강유역과마한지역을아우르고고구

려를 격파한 다음 요서, 산둥, 일본지역까지 진출하는 해상왕국의 면모를 보 다(교과서 17

쪽지도참조).

반면5세기는고구려의시대 다. 광개토대왕과장수왕은만주와한반도북부를장악하고

동아시아의패권을행사하 다. 이에대항하여신라와백제는나제동맹을맺어맞섰다.

그러나6세기가되면신라가기지개를켰다.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을거치면서국력을키

운신라는한강하류를차지하여주도권을잡았다.

7세기는삼국통일기이다. 신라는중국의통일왕조당과나당동맹을맺고, 백제와고구려를

차례로 격파하 다. 그러나 삼국통일은 대동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제한된 통일이었다. 곧

고구려옛땅에는발해가일어섰다. 남북국시대가전개된것이다.

Page 5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5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BC 57 신라건국

BC 37 고구려건국

BC 18 백제건국

53 고구려태조왕고대왕국시작

234 백제 온조왕고대왕국시작

346 근초고왕즉위

356 신라 내물왕즉위고대왕국시작

413 장수왕즉위

433 나제동맹성립

540 진흥왕즉위

660 백제 멸망

668 고구려멸망

676 삼국통일완성

698 발해 건국

세계사

25 후한 건국

220 후한 멸망. 삼국시대시작

316 5호 16국 시대시작

375 게르만대이동시작

476 서로마제국멸망

486 프랑크왕국건국

589 수의 중국통일

610 무함마드, 이슬람교창시

618 당 건국

645 일본 다이카개신

Page 5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51

제1과. 고구려

5세기의세계, 고구려가동아시아의중심이었다!

5세기 지도를 펴놓고 본다면 고구려는 단연 동아시아의 패자 다. 중국은 남북조시대의 분열기

고 일본은 이렇다 할 국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광개토대왕 - 장수왕 - 문자명왕에 이르는

시기 고구려의 판도는 요동과 만주, 그리고 지금의 충청도 지역인 남한강 상류에 도달하고 있었다.

백제와 신라는 고구려의 위협에 눌려 신라는 사실상 고구려에 예속되었고, 백제는 한강 유역을 상

실하고 웅진(공주)으로 수도를 옮겨야 했다. 신라와 백제는 나제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저항했으나

어려움이 있었다. 5세기 고구려는 한반도에서는 남하정책을 지속하고 대륙을 향해서는 북위, 남송,

유연과교류하여패권을행사하 다.

1. 한반도의방파제

고구려의민족사적위치는대륙으로부터한민족을지켜내는민족의방파제역할을수행하

다는데있다. 고구려는6세기말이후중국에서수, 당의통일왕조가등장하여한반도를넘

보자, 과감한 대 중국 투쟁을 전개하 다. 그리하여 수나라의 두 차례 대규모 침략을 물리쳤

다. 수는고구려원정실패로망하고말았다. 수를이은당의침략에도고구려는안시성전투

등에서 과감하게 맞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처럼 민족의 방파제 역할을 하던 고구려가 7세기

멸망하고만이유는, 연개소문의독재와그의사후고구려지배층의내분, 그리고나당동맹군

의침입때문이라고볼수있다.

2. 광개토대왕릉비문과임나일본부설

광개토대왕릉비는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소개한 비. 중국 길림성 통구에 위치해 있는 거대

한비석이다. 이비문의내용은세부분으로되어있는데 1) 고구려의역사, 2) 광개토대왕의

정복업적, 3) 무덤의관리에대한것이다. 일제는이비문을증거로임나일본부설(고대일본

이한반도남부를지배하 다는설)을주장하고있다. 비문중에‘신묘년에왜가바다를건너

중심주제

유의점

Page 5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5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와백제, 임나, 신라를쳐서신민으로삼았다.’는부분을취한것이다.

그러나 1972년 재일 사학자 이진희가 일제의 비문조작설을 밝혀 낸 이래 증거로서의 의미

를상실하고있다고보여진다. 일본측의조작을바로잡을경우‘신라와백제가고구려에조

공을바쳐왔는데신묘년이래조공을바치지않으므로고구려가신라, 백제, 왜구를쳐서신민

으로삼았다.’라는내용이되며, 역사적사실에부합하는것이다.

일본이임나일본부설의근거로삼는것은『일본서기』의신공황후한반도남부지역정벌기사,

광개토대왕릉비신묘년기사, 칠지도명문등이지만, 고대왕국을형성하지도못한일본의사정

에비추어볼때임나일본부설은허구이며, 위의증거도이설을확인해주지못하는것이다.

1. 고구려를세운사람은누구입니까?주몽(동명성왕)

2. 소수림왕때고구려에는어떤변화가있었습니까?불교수용, 태학 설립

3. 광개토대왕이라는이름은무슨뜻일까요?넓은 토를개척한왕이라는뜻.

4. 고구려가동아시아에서가장힘센나라가되었던때의왕은누구입니까?

장수왕

5. 고구려를침략한중국의두통일왕조는무엇입니까?수, 당

6. 수나라의공격을물리친고구려장수는누구입니까?을지문덕

7. 당태종의침략을물리친전투는무엇입니까?안시성전투

8. 용감한고구려군인모습을그림으로그려보자.

학습노트

Page 5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53

고구려 | 삼국 중의 한 나라로 정복 국가적 성격을 띤 군사력이 강한 나라 다. 기원전

37년 주몽이 건국하 고 668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 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발해가

뒤를 이었다. 고구려라는 명칭은 후에 고려로 이어졌고, 고려시대 아라비아 상인들에 의해

Corea라는이름으로세계에알려지게된다.

주몽 | 고구려의시조왕. 재위기원전37년~기원후19년. 성은고씨. 이름은주몽. 사서

에의하면주몽의아버지는천제의아들인해모수 다. 주몽의어머니인하백의딸유화부인

이해모수와정을통한뒤집에서쫓겨났다. 이때동부여의금와왕이태백산남쪽우발수에서

유화부인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이상히 여겨 방 속에 가두었더니 햇빛이 따라다니며 비친 뒤

태기가있어큰알을하나낳았다. 금와왕이갖은수단을써서알을없애려하 으나불가능하

고결국알속에서한사내아이가태어났다. 이아이는어려서부터활을잘쏘아‘활을잘쏜

다.’라는부여말을따이름을주몽이라하 다. 후에부여왕자들의시기때문에주몽은무리

를이끌고졸본에와서고구려를건국하 다.

소수림왕 | 고구려제17대왕. 재위371년~384년. 소수림왕의아버지고국원왕은평양

성에서백제의근초고왕과맞서싸우다가전사하 다. 소수림왕은국력을키우고자전진에서

불교를 수용하여 공인하 고, 태학이라는 국립대학을 설립하 으며, 율령을 반포하 다. 이

후광개토대왕, 장수왕의 토확장은소수림왕의국력정비에기반한것이었다.

불교수입 | 고구려소수림왕372년에전진의순도로부터수용. 불교는고대국가의사상

통일에기여하 다.

태학 | 소수림왕이설치한국립대학. 고구려는초기부터한자를사용하 으나소수림왕

이중국의문물을수용하여국력을신장하고자태학을설립하 다. 태학은귀족자제의교육기

관으로유교의경전과문학, 무예등을교육하 다. 태학은기록이전하는우리나라최초의학

교이다. 한편지방에는경당이라는학교가있었다.

광개토대왕 | 374년~412년. 고구려제19대왕. 재위391년~412년. 본명은담덕. 락

이라는 연호를 사용했으므로 락대왕이라 일컬어졌으며,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

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그는시호처럼고구려의 토와세력권을크게확장시

켰다. 이때고구려는요동과만주의대부분, 그리고한반도의임진강이북지방을차지하 다.

용어해설

Page 5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5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또한신라내물왕의요청으로군대를파견하여한반도남부지방을평정하 다.

장수왕 | 394년~491년.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년~491년. 광개토대왕의 맏아들.

100세가까이장수하 으므로장수왕이라부름. 중국의남북조와적극적인외교관계를맺어

고구려의 국제지위를 높 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귀족 세력을 약화시켰다. 또한 남하정책

을펴백제개로왕을전사시키고한강유역을차지하 다.

을지문덕 | 고구려의장수. 수양제가100만대군으로고구려를침입하고, 그중별동대

30만으로 평양성을 공격하자, 을지문덕은 수나라 군대를 평양성 근처까지 유인한 후 기습공

격을가하 다. 수나라군대가후퇴하자살수강가에매복한고구려군이공격하여대승을거

두었다. 이를살수대첩이라고한다.

호우명 | 14쪽위. 1947년경주호우총에서발굴된그릇으로밑바닥에‘을묘년국강상

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紆十)’이라고 새겨져 있다. 장수왕

이아버지광개토대왕을기리기위해만든것으로, 이그릇이신라에서출토된것은고구려의

향력이신라에미치고있었음을뜻한다.

광개토대왕릉비 | 14쪽아래왼쪽. 고구려제19대임금인광개토대왕의업적을기리기

위하여아들인장수왕이414년(장수왕2)에세운비석. 중국길림성집안현에있는비석. 광개

토왕릉비는 그 거대한 규모나 독특한 형태, 뛰어난 자체와 같은 외형적인 모습으로도 역사

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며, 1,770여 자에 달하는 비문의 내용은 당시 고구려의 팽창사실을 말

해주는중요한사료이다. [유의점] 참조.

고구려의 토 확장 | 5세기장수왕때고구려의 역을표시하고있다. 요동반도와만

주의대부분, 그리고남한강상류까지 토를넓혔다. 고구려가남한강상류에진출한사실은

중원고구려비를보면알수있다.

살수대첩 | 612년( 양왕23) 평양성부근까지침략하 다가후퇴하는수의군대를고

구려가살수(지금의청천강)에서크게격파한싸움. [용어해설참조]

안시성전투 | 안시성은고구려가요동지역방어를위하여요하유역에축조한성. 645년

(보장왕4) 고구려를침략한당나라군대는개모성, 비사성, 요동성, 백암성을차례로함락시

그림해설

Page 5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55

키고안시성을공격하 다. 고구려군은고립된가운데에서도3개월간당나라15만군대를막

아내었다. 설화에따르면이때의장수가양만춘이며, 당태종은퇴각하면서다시는고구려를

침범하지말라고지시를내렸다고한다.

수렵도 | 고구려무용총에그려져있는벽화모습의일부. 고구려인의활기찬모습을보

여주는그림이지만, 지금은많이훼손되어원모습을찾아보기힘들다.

연가7연명금동여래입상 | 15쪽 아래‘명가10년명금동불’은‘연가 7연명금동여래입

상’으로바로잡는다. 동에금을입힌금동불로고구려에서불교가흥하 음을보여준다.

Page 5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5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2과. 백제

백제의변천

백제사는 수도의 변천으로 파악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강유역의 위례성, 5세기 웅진천도, 6세기 사

비천도. 그 중 4세기 근초고왕의 해상왕국 건설을 백제의 특징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중심

으로백제사를보면다음과같다.

3세기 고이왕 때 고대왕국을 형성한 백제는 한강유역을 기반으로 옛 마한 지역을 아울러 나갔다.

특히 4세기 근초고왕 때에는 남해안에 도달하고 제주도 지역까지 진출하 다. 백제팽창의 특징은

해상진출이었다. 백제는 중국의 요서, 산둥 지역과 일본으로 진출하 다. 이후 백제는 중국 남조 및

일본과는계속친선을유지하 다.

특히 백제는일본에많은문화를전달하 다. 4세기 근초고왕때아직기와왕인이한자와유교문화

를 전하 으며, 6세기 성왕 때 노리사치계가 불교를 전달하 다. 이러한 백제의 문화전달은 일본의

아스카문화형성에 향을주었다.

그러나 5세기 이후 백제는 어려움을 겪었다. 고구려의 잇단 남하정책으로 수도 위례성을 상실하고

웅진(공주)으로 천도했다. 6세기 성왕은 백제의 중흥을 내걸고 사비(부여)로 천도, 이름을 남부여로

고치고,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때 한강 유역을 회복하 으나 결국 신라에서 빼앗겼다. 그 후

국력이약화되었다.

1. 부여족이세운나라들

백제는 부여족이 세운 나라 고 왕족의 성씨도 부여 씨 다. 부여족이 세운 나라가 부여 -

고구려 - 백제로이어진것이다. 주몽이부여에서갈라져나와고구려를세웠고, 온조가고구

려에서남하하여백제를건국하 던것이다. 그래서부여족3국사이에는문화적유사성이있

다. 백제의 무덤양식은 고구려와 같이 돌무지무덤에서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었다. 돌무지

무덤으로서울석촌동고분이있고, 굴식돌방무덤으로공주송산리고분, 부여능산리고분이

있다. 특히공주송산리고분중무령왕릉은벽돌무덤으로이곳에서많은유물이발굴되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5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57

2. 백제 문화의세련성

삼국중백제의문화가가장세련되었다고평가되고있다. 백제는중국의남조와계속교류

하 는데, 남조는남북조시대한족이세운동진, 송, 제, 양, 진등의왕조 다. 중국남조의

문화는북방민족이세운북조와달리매우세련되었다. 백제문화는그 향을받은것으로보

인다. 백제는 한성시대, 웅진시대, 사비시대를거쳐 변천하 는데, 각 수도에 고분군을남기

고있다.

3. 백제의중국진출

다음의중국측사료는백제가중국에서차지한지역을보여준다.

1) “백제국은 본래 고려(고구려)와 함께 요동의동쪽1,000여 리에 있었다. 그 후 고

려가 요동을 차지하니 백제는 요서를 차지하 다. 백제가 통치한 곳을 진평군(진평현)

이라한다.”- 『송서』

2)“처음백가(百家)로서바다를건넜다하여백제라한다. 진대에구려(句麗 : 고구

려)가이미요동을차지하니백제역시요서, 진평의두군을차지하 다.”- 『통전』

3) “태화14년(490년)에위의효문제가기병수십만을동원하여백제를공격하여그

국경을 넘었다. 백제 동성왕은 사법명, 찬수류, 해례곤, 목간나 등 장군을 보내 위나라

의군대를크게격파하 다.”- 『송남서』

Page 5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5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백제 | 삼국중의한나라. 기원전18년에온조가건국한이래660년나당연합군에의해

멸망하 다. 처음온조가나라를세웠을때는십제라고하 다가한강유역을확보한후백제

로고쳤다.

온조 | 백제의건국시조. 재위BC18년~28년. 고구려의시조주몽의아들. 『삼국사기』

1. 백제를세운사람은누구인가요?온조

2. 백제의 토는어느쪽으로확장되었습니까?한반도서남쪽과중국, 일본

3. 백제의수도는어떻게바뀌었을까요?위례성, 웅진성, 사비성

4. 백제문화의특징은무엇입니까?섬세한아름다움

5. 백제문화가일본에전해져어떤문화를이루었을까요?아스카문화.

6. 백제의미소라고불리는아름다운불상이름은무엇입니까?서산마애삼존불

7. 백제에남아있는탑이름두가지를써보세요.익산미륵사지석탑, 정림사지5층 석탑

8. 백제가근초고왕때해상으로진출했던지역을지도로그려봅시다.

학습노트

용어해설

Page 5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59

에소개된건국설화에의하면, 주몽이부여에서남하하여두아들을두었으니, 맏아들이비류

이고둘째아들이온조 다. 후에주몽이북부여에서낳은아들이와서태자가되자, 비류와온

조는10명의신하와함께따르는백성들을거느리고남쪽으로내려왔다. 비류는바닷가에있

는미추홀로가고, 온조는하남위례성에도읍한뒤나라이름을십제라고하 다. 이후비류가

죽자 미추홀의 백성들이 모두 위례성으로 돌아왔으므로 나라 이름을 백제(百濟)로 바꾸었으

며, 부여(夫餘)를성씨로삼았다고한다.

무령왕릉 | 공주송산리고분군에위치하고있는백제25대무령왕(501~523)과왕비의

무덤. 왕과왕비의묘지석이출토된것으로유명한벽돌무덤이다. 1971년 7월 5일송산리5,

6호분의 누수 방지를 위한 배수로 작업 도중 우연히 발견되어 발굴 조사되었다. 묘지석을 통

하여이왕릉이무령왕릉임을알수있었다.

이곳에서 모두 108종 2,9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중에서 왕과 왕비의 금제관식,

왕과 왕비의 금제 귀걸이, 왕비의 금제 목걸이, 왕의 금제 뒤꽂이, 왕비의 은팔찌, 거울 3점,

왕과왕비의묘지석, 왕비의두침, 왕의족좌등은각기국보154~165호로지정되어있다.

아스카문화(飛鳥文化) | 일본아스카시대의문화. 7세기전반에백제의 향을받은일

본최초의불교문화로서, 나라현의호류사에대표적인유물이남아있다.

무령왕릉 | 16쪽위왼쪽. 공주송산리고분군에포함되어있는벽돌무덤. 도굴되지않

은채발굴되어많은유물이나왔다. [용어해설] 참조.

서산마애삼존불 | 16쪽위오른쪽. 충청남도서산에있는백제시대마애삼존불. 가운데

본존불의높이는273.5㎝. 좌우에있는보살상의높이170㎝이며, 국보제84호. 백제시대최

고걸작품인이마애삼존불은특히미소가아름다워‘백제의미소’라고불린다. 이불상이위

치한서산은중국의불교가태안반도를거쳐백제의수도인부여로가던길목에위치해있다.

이 옛길의 입구에 새겨진 이 마애불은 600년 당시 중국 불교문화의 자극을 받아 찬란하게 꽃

피웠던 백제미술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가운데 본존은 크게 뜬 눈, 둥근 얼굴에 넉넉하고

풍만한미소를한껏머금고있어중생들의어떠한염원도성취시켜줄것같은자비로운부처

님의형상을하고있다. 또한좌우협시로입상과반가상을배치하여특이한배치구도를창출

그림해설

Page 6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해낸백제인들의뛰어난미적감각이반 된중요한불상이다.

백제금동대향로 | 17쪽위. 1993년충청남도부여능산리절터에서출토된백제의향로

로높이는64㎝이며, 국보제287호. 아래대좌에는머리를들어올린용이조각되어있고, 향

로의몸과뚜껑은연꽃봉우리모양인데, 뚜껑에는74곳의산이중첩되어있다. 향로전체에는

5명의 악사(樂師)를 포함한 18명의 인물이 있고, 봉황과 용을 비롯한 65마리의 다양한 동물

들이등장해있다.

이향로의조형성과회화성은탁월한예술적감각과독창성을발휘하고있다. 전체적인구

성과문양의치 한구상, 특히역동적인용트림하는모습을도안화한작품은어디서도찾아

보기힘들다. 이향로는백제가부여로도읍을옮긴후정치적안정을되찾은7세기초백제인

들의정신세계와예술적역량이함축되어있는백제공예품의진수이다.

백제전성기 지도 | 17쪽하왼쪽. 4세기근초고왕때백제의 역과해상진출로이다. 백

제가 중국에 거점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중국이 남북조의 분열기 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핵심주제][유의점] 참조.

익산미륵사지탑 | 17쪽아래, 가운데그림. 전라북도익산시미륵사지에있는백제의석

탑으로 높이 14.24m이며, 국보 제11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으로 나무탑 형식으

로 축조되었다. 1910년 허물어져 가는 석탑을 보존하기위하여 시멘트를 발라 석탑을 보존시

켜왔으나최근다시복원이진행되었다. 익산미륵사에는동탑과서탑의쌍탑이있었는데서

탑이남아있다. 교과서에실려있는사진은원래의모습으로복원된동탑의모습니다. 탑의건

립연대는백제말기인무왕대(600년~641년)로추정된다.

정림사지오층석탑 | 충청남도 부여 정림사지에 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높이는

8.33m, 국보제9호이다. 이탑은백제탑의전형적인모습을보여주는5층탑이다. 백제의5층

탑은옥개석이날렵하게생겨백제미술의세련미를보여주고있으며, 이양식이일본에전해

져목조5층탑이세워졌다. 1층탑신에당나라의장수소정방이백제를평정한공적이새겨져

있어한때‘평제탑’이라고불리기도하 다.

Page 6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61

제3과. 신라

변방의나라가패권을장악한까닭

고대사회로갈수록인간은자연환경의 향을많이받는다. 한반도 동남부에위치해있었던지정학적

향으로신라에는문화전달이늦었으며, 그 결과고대왕국의성립도늦었다. 신라는 4세기내물왕때

에 비로소 고대왕국을 이루었으나 여전히 고구려의 향권 아래 놓여 있었다. 이러한 신라가 삼국의

경쟁에서승리할수있었던요인은무엇인지를살펴보는것은신라를이해하는하나의방법이된다.

신라는 5세기까지고구려의남하정책에대하여나제동맹으로맞섰으나국력을키우기힘들었다. 그

러나 6세기 신라의 성장은 괄목할 만하다. 지증왕 때에는‘신라’라는 국호와‘왕’이라는 칭호를 사

용한 데서 보듯이 국가의 튼튼한 기반을 닦았고, 뒤이어 법흥왕 때에는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

인하여내적인통일성을강화한후금관가야를복속시켰다.

이를 기반으로 진흥왕 때에 신라의 토는 크게 팽창하 다. 우선 백제와 연합하여 한강유역을 확보

하고당항성을건설해중국으로가는길을마련하 다. 이는후에나당동맹을가능하게한조건이되

었다. 또한이때김춘추, 김유신이라는걸출한인물이등장하여삼국통일을이루어나가게된다.

이처럼 신라는 비록 출발은 늦었으나 내적인 기반을 착실히 닦아 삼국통일을 이룩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기 고유의 문화와 사상을 기본 토대로 하여 외적 문화를

주체적으로수용하는것이중요하다는사실을강조할수있다.

1. 신라문화의의미

신라가삼국을통일함으로써신라문화가한국문화의중심에자리잡게된다는점은의미가

있다. 위에서언급했듯이신라는고대 한반도에서주변에위치해있기때문에그만큼토착성

이강했다. 특히화랑도와화백제도는신라의공동체적씨족사회의유습으로서공동체적성격

이한국문화의중요한요소로발전하는계기가된다.

2. 신라와불교

고구려와백제는4세기불교의전래와더불어불교를국가종교로공인하 다. 그러나신라

중심주제

유의점

Page 6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는토착세력과토착신앙이강하 기때문에불교가5세기에전래되었으나6세기법흥왕때와

서야공인되었다. 그것도이차돈의순교를겪고서야가능했던것이다. 이과정에서주목할일

은신라의불교, 한국의불교는단순히외래종교를그대로도입한것이아니라한국적인정서

에 맞도록 개편하여 수용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인은 불교든, 유교든, 근대 이후의 기독교든

외래문화를모두한국화시켜주체적으로수용했다는데그특징이있다.

1. 신라가삼국중에서가장늦게발전한까닭은무엇입니까?한반도의동남쪽에치우쳐있었기때문에

2. 신라에서불교를국교로정한왕은누구인가요?법흥왕

3. 화랑도를만든왕은누구인가요?진흥왕

4. 화랑들이한일은무엇일까요?몸과마음을수련하고, 전쟁에참가

5. 진흥왕이넓은 토를차지할수있었던원인은무엇입니까?화랑정신

6. 화랑출신으로서삼국통일에큰역할을한장군은누구입니까?김유신

7. 국가의중요한일을결정하는회의기구는무엇인가요?화백

8. 신라의신분제는무엇입니까?골품제

9. 신라는삼국중에서가장후진국이었습니다. 그런데신라가삼국을통일하게되지요. 신라가삼국을통일할수있었던이유가무엇이었을까요?

학습노트

Page 6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63

용어해설

신라 | 서기전57년부터935년까지존속하 던고대국가. 처음에는나라이름을서라

벌, 사로등으로부르다가지증왕때신라(新羅)로확정하 다. 시조박혁거세부터경순왕까

지56대, 992년간존속하 다.

박혁거세 | 신라의시조. 재위BC 57년~AD 4년. 경주지방에사로6촌에서촌주들이

왕을세우려할때양산밑나정에서큰알이출현하 는데, 이알에서탄생하여성을박씨로

하 다. 16세에여섯마을의왕이되었고국호를서라벌로하 고, 수도에금성을쌓았다.

법흥왕 | 신라제23대왕. 재위514년~540년. 법흥왕은신라의내부를정비하는데심

혈을기울 다. 율령을반포하고관리들의관복색을정하 다. 특히신라의사상을통일하기

위하여 불교를 공인하고자 하 으나 토착세력의 반항이 심하 다. 이에 법흥왕은 이차돈을

희생시켜불교국가를이루었다. 이러한기반위에서금관가야를병합하 다.

진흥왕 | 신라제24대왕. 재위540년~576년. 진흥왕은대외원정으로 토를확장하

다. 고구려가약해진틈을타백제의성왕과함께한강유역을확보한후, 다시백제로부터한

강유역을빼앗아확보하 다. 그는또대가야를복속시켰다. 진흥왕의 토확대과정은비석

을통하여확인할수있다. 남한강상류를확보하고단양적성비를세우고, 그이후가야지역을

정복하고 창녕비를, 한강하류를 확보하고 북한산비를 세웠으며,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 함경

도지역에이르러황초령비, 마운령비를세웠다. 이러한 토확장의과정에서화랑도를정비

하여인재양성의기반으로삼았다.

화랑도 | 신라때청소년들로조직되었던수양단체. 풍월도(風月徒)라고도한다. 화랑

도는법흥왕때시작되었으나진흥왕때조직이완비되었다. 진골출신이화랑이되고그아래

수천명의낭도들이따랐다. 화랑도는보통15세에서3년간수련을하 다. 그들은천하명산

을다니면서학문과무술을연마하 다. 『삼국사기』에‘현명한재상과충신이여기서솟아나

고, 훌륭한장수와용감한병졸이이로말미암아나왔다.’고한바와같이, 화랑도는많은인

재를배출하 을뿐아니라삼국통일의대업을달성하는데크게기여하 다. 후에원광은화

랑의법도로세속5계를주었는데, 임금에게충성하고, 부모에게효도하고, 친우에믿음이있

으며, 살생을함부로행하지말고, 전쟁에서물러나지말라는내용으로되어있다.

김유신 | 595년(진평왕17)~673년(문무왕13). 신라의장군. 금관가야의왕족으로신

Page 6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라의진골에편입되었다. 15세에화랑이된후삼국간의많은전투에참가하여큰공을세웠다.

김유신의여동생은후에태종무열왕이되는김춘추의부인이되었다. 김유신과김춘추는무와

문을맡아삼국통일을이루는데가장중심적인역할을하게된다. 특히김유신은여러전투에

서승리를거두어삼국을통일하는데중추적인역할을하 다.

화백제도 | 화백제도는신라의귀족회의. 대표는상대등. 원시집회소에서기원하 다.

신라는 국가의 중대사가있으면 화백회의를 열어 만장일치제로통과시켰다. 화백(和白)이라

는말이만장일치를뜻하며, 왕과귀족사이의갈등을조정하는역할을하 다.

골품제 | 신라의신분제도. 고대사회는엄격한신분제사회 고, 귀족, 평민, 천민으로

구성되어있었다. 골품제는경주지방의귀족들의신분제 으며, 왕족으로성골과진골, 그리

고 귀족으로 6두품에서 1두품까지 총 8등급제 다. 진덕여왕 이후 성골이 없어져 통일에 큰

기여를한태종무열왕부터진골에서왕이나왔고, 1~3두품은평민이되었다. 골품제는각신

분이승진할수있는상한선을제한할뿐만아니라가옥이나의복등생활전반을규제하 다.

금 귀걸이 | 18쪽위. 신라는금은세공기술이뛰어나금관, 금팔찌, 금귀걸이등화려

하고세련된유물을남겼다.

신라의 전성기 지도 | 6세기진흥왕때의판도. [핵심주제] [용어해설] 참조.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 진흥왕은37년간재위하는동안낙동강서쪽의가야세력을완전

병합하 고, 또한강하류유역으로진출하여서해안지역에교두보를확보하 으며, 동북으로

는함경남도이원지방까지경략하는등활발하게정복사업을벌 다. 진흥왕순수비는이렇게

확대된 역을 진흥왕이 직접 순수하면서 민심을 살피고 국가에 충성과 절의를 바친 자에 대

한공로의포상을선포하고군신이함께경하한것을기념하기위하여세운비이다. 북한산비

는조선후기김정희가발견하 으며신라의한강유역장악을상징한다.

황룡사 터 | 아래배경그림. 황룡사는553년(진흥왕14)에왕궁을짓던자리에서황룡

이나타났으므로여기에절을짓기로하고황룡사라한뒤569년(진흥왕30)에완성하 다. 여

기에황룡사9층목탑이있었는데, 이탑을세우면아홉오랑캐가항복해올것이라하여호국

불교를나타냈다. 그후고려때1238년(고종25)에몽고군에의해황룡사전체가불타버렸다.

그림해설

Page 6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65

제4과. 가야

경제문화강국인가야가일찍망한까닭

가야는한반도남부백제와신라사이에위치하고있었다. 낙동강하류의비옥한지역은대략낙동강

을가운데두고그동쪽에는신라, 서쪽에는가야가자리잡았다. 가야가위치한지역은옛변한지역

으로서 기후가 온난하고 토질이 비옥할 뿐만 아니라 철의 생산지로서 농경이 발달한 곳이었다. 당시

철의생산은높은제련기술이있어야가능한것이었는데, 가야는철을생산하여해외로수출하는철

의왕국이었다. 즉가야는당시기술과경제의대국이었다.

가야는 이러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찬란한 문화를 이루었다. 현재 남아 있는 가야유적지와 여기서 발

굴되는 철기, 토기 등의 유물을 보면 가야는 뛰어난 문화 창조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왜가야가결국신라에병합되고마는것인가? 국가체제상의한계 다. 가

야는 6개의작은국가의연합형태, 즉 6가야연맹국이었다. 그러므로각국가들의경제적·문화적능

력은뛰어났으나, 그것을하나의정치적·군사적힘으로모으지는못하 던것이다.

그리하여 5세기광개토대왕의남한원정과장수왕의남하정책으로큰타격을입었고그동안맹주

던김해의금관가야는쇠약해졌다. 곧이어맹주의자리에오른고령의대가야도이렇다할힘을발휘

하지못한채결국패망의길로접어들었다.

국가란 집중력이 있어야 힘을 발휘할 수 있다. 고대에는 중앙집권국가가 가장 효과적으로 국력을 발

휘할수있는정치체제 다. 중앙집권국가를건설하지못한채분산되어있던가야가더이상의역사

적발전을이룩하지못하 다는점에주목할필요가있을것이다.

1. 가야와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의허구는이미앞의총론에서서술한바있다. 일본이가야를지배한것이아

니라오히려일본은가야문화권의 향아래있었다고보아야할것이다. 일본의스에키토기

는 가야토기의 향으로 발달하 으며, 일본은 가야의 선진 제철기술의 혜택을 받고 있었다.

아마일본은가야에서철을수입하기위하여가야에오기도했을것이고, 그대가로뭔가를지

불해야했을것이다. 그대가의일부가용병일가능성도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6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2. 금관가야에서대가야로주도권이전

가야는6부족연맹체의성격을지니고있었다. 2~3세기경가야는김해의금관가야중심이

었으나, 5세기 이후에는 고령의 대가야가 맹주가 되었다. 금관가야보다 북쪽에 있는 대가야

가가야연맹맹주자리에오른것은, 대가야가자리잡은고령지역이산악지대여서평야에자

리잡은금관가야보다지형상유리했기때문이다.

1. 가야를처음세운왕은누구입니까?김수로왕

2. 가야가성장했던곳에있던강이름은무엇입니까?낙동강

3. 가야에서발달하 던기술은무엇입니까?제철기술

4. 가야는철을어디로수출하 습니까?낙랑, 일본

5. 가야연맹의맹주는어떻게바뀌었습니까?금관가야에서대가야로

6. 금관가야는왜약해졌습니까?광개토대왕의남한원정

7. 가야는어떻게망하 습니까?신라에정복당했다.

8. 여러분이가야에살았다면철을가지고무엇을만들지써보세요.

학습노트

Page 6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67

낙동강 | 남지방전역을유역으로하여그중앙저지대를남류하여남해로흘러드는

하천. 길이506.17km로한반도에서압록강다음가는제2의강이다. 강원도에서발원하여경

상북도와경상남도를관통하여남으로흘러내린다. 조선시대이강의서쪽을경상우도라하

고이강의동쪽을경상좌도라고불 다. 경상우도의중심지는진주이고, 좌도의중심은대

구이다. 낙동강은하류지역에이르면서점차큰평야를이루고있는데, 가야는낙동강주위에

형성되었다.

금관가야 | AD 42년부터532년까지지금의김해지방에존속했던6가야의하나. 『삼

국유사』가락국기에는 초대 수로왕에서 마지막 구형왕까지의 계보가 남아 있다. 금관가야는

낙동강하류의삼각주지역에자리잡아농업이발달하 고, 남쪽으로는바다에접해있어낙

동강을이용한해상왕국건설에적합한위치를차지하고있었다. 또한근처에철산지가많아

철기문명을발전시키기에도유리했다. 가야가국가를형성해나아가는초기에금관가야가맹

주국역할을할수있었던이유도이러한입지조건과무관하지않다. 그러나금관가야는더이

상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5세기 고구려 광개토왕의 임나가라 정벌 때에 일대 타격을 받고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후 백제의 압력에 시달리던 금관가야는 532년 결국 구형왕이

신라에 투항함으로써 역사에서 사라지고 만다. 그러나 그 혈통은 구형왕의 아들이었던 김무

력을 거쳐 손자인 김유신에까지 이어졌다. 김무력은 백제와의 전쟁인 관산성전투에서, 김유

신은고구려와백제의압력을극복하고신라의주도아래통일을이루는데결정적인공을세

워그가문은왕비까지배출한신라의진골귀족으로자리잡게되었다.

대가야 | 지금의고령지방에있었던가야국. 『삼국사기』지리지에는고령군이원래대

가야국이었다고한다. 시조이진아시왕으로부터도설지왕까지16대520년인데, 신라진흥왕

에게멸망하 다. 대가야도금관가야와비슷한시기에하나의국가로자리잡았을것으로생

각되지만, 크게세력을떨치기시작한것은5세기이후 다. 가야내부에서중심적인역할을

하던금관가야가고구려의공격으로몰락하자, 상대적으로피해를덜입은대가야가맹주자

리를차지하게되었을것이다. 대가야는중국과의외교관계, 신라와결혼동맹을통해세력을

유지하려하 으나실패하 고, 562년신라진흥왕때이사부와사다함이지휘하는신라군의

기습을받아멸망하고말았다.

용어해설

Page 6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김수로왕릉 | 금관가야를 건국한 김수로왕의 능. 『삼국유사』가락국기를 보면 김수로

왕이가야를건국한설화가나온다. 기록된바, 구지봉에9간(족장)들이203명의무리를거느

리고 모 을 때, 하늘로부터“하늘이 나로 하여금 이곳에 새로 나라를 세워 다스리라 명하므

로, 내가거기로내려가고자한다.”라는소리를들었다. 그리고6개의황금알이담긴금상자

를받았는데, 몇시간뒤그알속에서나온아기들이6가야국의왕이되었으며, 그중가장먼

저나와‘수로’라는이름으로불린키가가장큰인물이금관가야를세웠다고한다.

가야의 무사 | 금관가야때무사의인형. 철로무장한철갑병이다.

가야금관 | 가야의금동관이다. 신라보다세공기술이뒤처졌다.

가야 철갑옷 | 철로만든갑옷. 가야는철갑병을거느렸고기병은물론말에게도철갑을

입혔다.

칼자루 장식 | 칼자루끝에는원모양이있고그속에용이나봉황을조각하여넣었다.

이같은용봉대도는상당한지위에있는사람들만소유할수있었다고보며, 가야지역에서다

수출토되었다.

가야토기 | 가야에서출토되는토기로신라토기와는차이가나며, 일본스에키토기에

향을끼쳤다.

6가야의 위치 지도 | 낙동강을중심으로일어난수십개의작은국가가차츰확대되면

서 부족국가를 형성하여 6가야로 발전하 다. 금관가야(金官伽倻 : 지금의 김해), 아라가야

(阿羅伽倻:지금의함안), 대가야(大伽倻 : 지금의고령), 소가야(小伽倻: 지금의고성), 고

령가야(古寧伽倻:지금의상주), 성산가야(星山伽倻 :지금의성주)를말한다.

그림해설

Page 6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69

제5과. 삼국의문화

삼국문화의성격

삼국의문화는각각개별적인특징을지니고있으면서동시에공통적인문화의성격을지니고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삼국은 각자 자기 색깔의 문화를 이루고 있었던 바, 고구려의 문화는 씩씩

하고활기에찬화려한문화 고, 백제는우아하고매우세련된문화를이루었다. 신라의문화는토착

성을바탕으로소박한면을지녔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삼국 문화는 공통성을 지니고 있었다. 삼국은 언어가 비슷한 것에서 보듯

이동질의토대위에서출발하 다. 그리고중국으로부터들어온문화적요소, 한자와유교와불교등

의 요소를 수용하 으며, 모두 새로운 문화요소를 자기 문화의 틀 속에 녹여 내었다. 특히 불교는 삼

국인들의심성에중요한요소가되어, 종교와사상뿐만아니라정치와사회에도큰 향을미쳤다. 그

래서삼국문화의요체를귀족중심의불교문화라고하여도큰무리는없을것이다.

또한삼국문화는고대동아시아속에서중국문화와일본문화를연결하는역할을하 다. 멀리인도

에서중국을거쳐온불교, 중국에서전래된한자와유교등의문화요소를나름대로소화하여일본에

전달하는역할을하 다.

1. 삼국의무덤

고대무덤은사료가적은고대사회의모습을전해준다는측면에서중요시된다. 무덤의양

식은고구려와백제가비슷한유형을보이는반면신라무덤은다른형태를띠었다. 삼국의무

덤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고구려 : 초기돌무지무덤(장군총과같은피라미드형)에서후기굴식돌방무덤으로바뀌

었다. 굴식돌방무덤은 시신을 두는 돌방이 있고 그것을 연결하는 굴이 있는데, 이때 무

덤내부는벽화로장식되었다. 굴식돌방무덤은도굴이쉬워남아있는유물이적다.

2) 백제: 고구려와비슷한양상으로전개되었다. 한성시대에는돌무지무덤(서울석촌동고

분)이었으나, 웅진시대와사비시대에는굴식돌방무덤으로바뀌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7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7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3) 신라 : 신라에서는 돌무지덧널무덤이 만들어졌다. 이 무덤은 경주 시내 곳곳에서 볼 수

있는거대한규모의무덤으로서, 그내부로부터널, 덧널, 돌무지, 봉분으로구성되어있

다. 이무덤은도굴이어려워많은유물을간직하고있다.

2. 삼국 문화의일본전파

삼국문화는각각일본에전파되어일본아스카문화를형성하는데 향을주었다. 고대일

본에전래된한국문화의주요요소는다음과같다.

1) 고구려: 종이와먹(담징) 불교(혜자, 혜관)

2) 백제: 한지(아직기) 유학(왕인), 불교(노리사치계)

3) 신라: 조선술 축제술(한인의연못)

4) 통일신라: 불교문화(의상의화엄사상), 유교문화(설총, 강수).

Page 7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71

1. 빈칸을채워보세요.삼국의문화는( )을중심으로발전하 으며, ( )가바탕을이루었다.

귀족, 불교

2. 삼국시대사람들이불교를받아들여국교로삼은까닭을써보세요.사상통일, 호국불교

3. 삼국시대사람들은어떤 자를사용했을까요?한자, 이두

4. 삼국에는어떤교육제도가있었습니까?고구려: 신라: 백제:

태학 / 국학 / 오경박사

5. 삼국시대학생들은학교에서무엇을배웠을까요?유학

6. 고구려고분은어떻게생겼을까요?피라미드형돌무지무덤, 벽화가있는굴식돌방무덤

7. 고분에서는어떤물건들이나올까요?금관, 토기

8. 삼국의문화가일본에전파된것에는무엇이있습니까?불교, 유교, 종이, 먹, 축제기술, 조선기술

9. 삼국의문화가일본으로전파된까닭을써보세요.

학습노트

Page 7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7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불교의 역할 | 불교는기원전5세기인도에서석가모니에의해창설된종교. 불교의세

계관은 윤회세계로부터 해탈을 지향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중시하는

소승불교와대중구제를목적으로하는대승불교로나누어진다. 소승불교는동남아시아로전

파되었고, 대승불교는비단길을통하여후한때중국으로전파되고, 다시삼국시대에한반도

로전해졌으며, 한반도를통하여일본에전해져, 동아시아의주된종교로자리잡았다.

한국인들은 불교를 접함으로써 원시종교에서 벗어나 고등종교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한

국의불교는한국의민간신앙과결합되었으며특히삼국시대의불교는사상통일과왕권강화

로 이어져 중앙집권국가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고, 불교를 통하여 나라를 보호하려는 호국불

교의성격을띠었다.

삼국시대에는교종이발달하여, 화엄종, 법상종, 법성종, 계율종, 열반종등5개종파를이루

었고, 신라하대에이르면중국에서창시된선종불교가유행하 다. 이렇게형성된한국불교는

고려시대까지한국인의정신세계의중심이되었고, 조선에서는억불정책을취하 으나여전히

민간에서는불교가유행하 다. 불교사상은한국인의기본적인심상구조를이루고있다.

유학 | 중국의한자는철기와더불어전래된것으로보이며, 곧이어유학도전해졌다.

유학은중국의춘추전국시대공자와맹자에의해확립된사상으로한국의정치와교육, 문화

에큰 향을미쳤다. 유교는인간관계를인(仁)을통해확립하려고하 고, 인이행동으로드

러나는예(禮)를중시하 다. 그리하여충(忠), 효(孝), 신(信) 등의윤리를강조하 으며, 삼

강오륜은행동윤리가되었다.

태학 | 소수림왕때설치된고구려의국립대학. 귀족자제들은이곳에서유학과무술을

배웠다.

국학 | 682년(신문왕2) 설치된신라시대의교육기관이다. 이때는통일후이므로교과

서에삼국시대에설치되었다는것은오류이다. 국학에서는귀족자제들에게유학을가르쳤다.

통일 후 전제왕권의 강화를 위하여 유교윤리가 필요하 으므로, 신문왕은 국학을 설치하여

유교정치이념을확보하고자한것이다.

오경박사 | 오경이란유교의주요경전으로, 시경, 서경, 주역, 춘추, 예기를말한다. 오

경박사는백제시대오경에능통한전문학자로백제에서유교교육이행하여졌음을보여준다.

용어해설

Page 7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73

고분 | 고대지배층의무덤이다. 고대지배층들은무덤의규모를크게함으로써왕권을

과시하려고하 다. 삼국의무덤유형에대해서는[유의점] 참조.

벽화 | 벽화란굴식돌방무덤의벽에그려진그림을말한다. 고구려와백제에는굴식돌

방무덤이유행하 는데, 이무덤의내부는벽화로장식되었다. 고구려벽화는화려한색채를

통하여고구려인들의예술적감각을보여주었다. 벽화의소재로는생활모습을나타낸것, 사

신도(청룡, 백호, 주작, 현무등동서남북의방향신을그린그림), 그리고불교도등이있다.

천마도 | 경주천마총에서출토된신라인의그림. 하늘을날아가는말을그렸다. 천마도

는말을장식하는장니라는기구에그린그림이다.

장군총 | 중국길림성집안현통구의용산에있는고구려고분. 잘다듬은1,100여개의

화강암으로 7층의 피라미드형으로 쌓았다. 무덤의 제1층은 평면이 정방형으로 각 변의 길이

가31.5m이고, 이무덤의높이는12.4m, 면적은960㎡나된다. 현재장군총은장수왕릉으로

추정하고있다.

수렵도 | 집안지역고구려고분인무용총에있는벽화. 고구려인들의기상이잘드러난

다. 이고분에는수렵도와함께무용도도그려져있다.

주인 정 고분벽화 | 고구려벽화에그려진무덤주인의모습이다.

금관식, 금관 | 신라인들의뛰어난금세공기술을보여주는작품이다.

기마형 토기 |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한 삼국시대(5세기)의 상형 토기.

높이23.2 cm, 너비14.7cm, 바닥길이9.2cm로, 국보제275호이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금동불을 삼국 모두 제작하 으며 주로 귀족들이 신앙하던

불상이다. 백제의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6~7 세기경에제작된매우뛰어난작품으로높

이93. 5cm, 국보제83호이다. 이반가사유상과비슷한나무로만든반가사유상이일본교토

의고류지에있어한일문화교류사에서큰쟁점이되어왔다.

무령왕릉 내부 | 공주송산리고분군에위치한무령왕릉은벽돌로만든굴식돌방무덤.

도굴되지않은채발굴되어많은부장품이나왔다. 사진에서보이는두개의석판이왕과왕비

의지석으로무덤주인을기록하고있다.

그림해설

Page 7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7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6과. 신라, 삼국을통일하다

삼국통일을어떻게볼것인가?

신라는 나당동맹을 맺고 660년 백제,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그리고 다시 한반도에 토적 야

망을 가진 당과 나당전쟁을 벌여 당군을 물리치고 삼국을 통일하 다.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은 의의

와 한계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삼국통일의 의의는 민족사와 민족문화의 정통

성을확립한것으로높이평가되는한편, 고구려지역의 토를통합하지못한한계를지닌것이었다.

신라의삼국통일후곧고구려옛땅에서발해가건국된것이이를증명하고있다. 남한의역사학계에

서는신라의삼국통일을인정하고있지만, 북한의역사학계는이후고려의통일을최초의민족통일로

보고있는것도이와관련된다.

또한나당동맹에대한평가에도입장을달리할수있다. 삼국을하나의민족으로보는입장에서는신

라의 나당동맹은 신라가 민족을 배신하고 외세를 끌어들인 것으로 평가하는 반면, 삼국의 독자성에

주목한다면신라의나당동맹은뛰어난외교전략으로평가될수있다.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은 일정한 한계를 지니지만 민족사의 최초의 통일로 평가하는 것이 균형 잡힌

태도라고보여진다. 비록후에발해가일어나남북국의형세를이루었다고할지라도신라에의한삼

국통일은인정될수있다고보는것이가능할것이다.

1. 삼국통일

신라에의한삼국통일에대해서는다음과같은사실을염두에두자.

1) 토의상실문제(대동강~원산만이북쪽경계)

2) 당을이용했는가, 당에이용당했는가?

3) 나당동맹은민족에대한배신인가, 현명한외교적판단인가?

4) 발해의등장, 통일신라라는용어가타당한가?

5) 민족문화의기반을이루었다는점.

중심주제

유의점

Page 7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75

2. 7세기 동아시아국제정세

6세기진흥왕이한강하류를점령함으로써한반도내에서는고구려와백제의동맹관계가형

성되었다. 이러한한반도의국제관계는동아시아전체로확대되어한반도를중심으로십자형

외교가형성되었다. 즉북쪽의돌궐- 고구려- 백제- 왜의남북세력과신라- 당의동서세력

이서로대립하 다. 삼국통일은이러한동아시아국제정세속에서이루어졌다.

3. 당의 이이제이(以夷制夷) 정책

이이제이란오랑캐를이용하여오랑캐를제압한다는뜻으로, 중국의역대왕조가실시한전

통적인 외교 전략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삼국통일을 바라보면 신라는 당의 이이제이 정책에

이용당한 것이며, 통일 후에 신라가 계속 발해를 견제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신라의측면에서보자면동아시아의국제관계를시의적절하게이용했다는측면도간

과할 수 없다. 즉 당과 신라는 서로를 이용함으로써 국익을 추구해 나갔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Page 7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7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삼국시대말기고구려의국력이약해진원인은무엇입니까?수당과의전쟁

2. 고구려와백제의공격을받은신라는어떻게대응했습니까?당과동맹

3. 삼국통일에서큰공을세운두사람은누구입니까?김춘추, 김유신

4. 백제가나당연합군의공격을받을때백제를지키기위해5백결사대와함께전사한장군은누구입니까?

계백

5. 백제와고구려는누구에게멸망했습니까?나당연합군

6. 신라는왜당과전쟁을벌 습니까?당이한반도전체를차지하려고하 기때문에

7. 삼국통일을달성한왕은누구입니까?문무왕

8. 신라가삼국을통일한데대하여토론한후, 평가를써봅시다.

학습노트

Page 7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삼국의 발전 ● 77

나당동맹 | 신라가한강유역을독차지한후백제와의사이가나빠지자, 신라의김춘추

는고구려와의동맹관계를수립하고자고구려에갔으나실패하 다. 그러자김춘추는648년

(진덕여왕 2) 당나라에 들어가 적극적인 친당정책을 추진하 으며, 당 태종으로부터 백제공

격을위한군사지원을약속받았다. 이로써나당동맹이성립되었다.

김춘추 | (603년~661년) 신라제29대왕. 재위654~661. 삼국통일기나당동맹을성립

시키고 삼국통일 전략을 수립한 외교가 다. 김춘추는 백제의 공격으로 자신의 사위가 죽자

고구려에원병을청하러갔다가실패하고다시당에가서나당동맹을맺었다. 김춘추는김유

신의누이동생과정략결혼을한후세력을강화시켰고, 진덕여왕이죽자왕위에올라태종무

열왕이되었다. 태종무열왕은친당정책으로체제를정비한후당과연합하여백제와고구려

를계속공격하 고, 마침내660년백제를멸망시켰다. 그뒤를문무왕이이었다.

문무왕 | ‘문무왕(김춘추)’라는 교과서의 내용은 틀렸음. 김춘추는 태종무열왕이고,

문무왕은 김춘추의 아들인 김법문이다. 문무왕을 김춘추로 본 것은 교과서 필자의 착각으로

보인다.

문무왕은 신라 제30대 왕. 재위 661년~681년. 문무왕은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왕위를 계

승한 후까지 내내 삼국통일전쟁과 나당전쟁을 치러야 했고, 마침내 삼국통일을 완성하 다.

문무왕은죽으면서자신을바다에장사지내왜구를막으라고유언을남겼고, 동해안감포앞

바다의대왕암은문무왕릉으로알려져있다.

계백장군 | 백제말기의장군. 660년신라의김유신이이끄는5만군대가탄현을넘어

백제의수도인사비성가까이까지이르고, 당나라의소정방이거느린13만대군이백강(금강)

어귀로진입하여백제를위협하자, 계백은백제의결사대5천명을이끌고신라군을맞아출전

하 다. 출전하기에앞서“지금국가의앞날을알수없다. 내처와자식이적군의포로가되어

노비가될지도모르는데, 살아서욕을당하느니차라리죽는편이낫다.”라고말한뒤가족을

모두 죽 다고 한다. 계백의 결사대는 황산(지금의 논산)의 들판에서 신라군대와 네 차례 전

투를 벌이는 동안 신라 군사들의 사기를 꺾고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 다. 그러나 당시

16세의 신라 화랑 관창의 희생으로 신라군이 총공격하자, 계백과 500 백제결사대는 장엄한

최후를마치게된다.

용어해설

Page 7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7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연개소문 | 고구려말기의대막리지, 장군. 642년보장왕을옹립하고대막리지가되어

정권을장악했다. 당태종이645년17만의대군을이끌고침입하자이를격퇴하 으며, 이후

4차례걸친당의침입을모두막아냈다.

삼국을 통일한 태종 무열왕 김춘추 | 김춘추는나당동맹을성립시키고김유신과함께

삼국통일에기여한인물로후에태종무열왕이되었다. 그러나삼국통일을완수한왕은문무

왕이므로이그림의제목은무리가있다. [용어해설] 참조.

평양성 | 고구려의마지막수도. 고구려의초기수도는졸본이었다가이어서퉁구(국내

성)로옮겼다. 5세기장수왕때고구려의국력이강성해지자다시평야지대인평양으로천도

하 다. 고려때평양은북진정책의중심기지가되었다.

백마강 | 백강이라고도하나주로금강으로불림. 금강은전라도장수에서출원하여충

청도를지나서해안군산으로흘러드는강. 금강은백제의수도웅진, 사비를거쳐흐르기때

문에백제역사와관련이깊다.

낙화암 | 부여지역에있는금강변의절벽. 백제가당에의해멸망하자3천궁녀가이곳

에서뛰어내렸다는슬픈전설이전하는곳이다.

매초성 전투 | 매초성은지금의경기도양주지역. 매초성은신라가나당전쟁에서큰승

리를거둔지역이다. 675년(문무왕15) 9월29일에당나라의이근행이20만의대군을거느리

고쳐들어오자신라군이매초성에서이를크게격파하여패주시켰다. 이승리로북쪽육로로

부터의당나라군대의침략을막아낼수있었다. 한편신라는금강하구기벌포에서당의해군

을격파하 다.

감은사 탑 | 동해감포의감은사터에있는탑2기로높이각13.4m. 『삼국유사』를보

면, 신문왕이아버지문무왕을위해문무왕이짓고있던감은사를682년(신문왕2)에완공하

다. 감은사는바다의용이된문무왕이드나들수있도록수로를내었다. 감은사터에남아

있는두기의탑은통일신라의전형적인3층탑으로통일의위용을잘드러내고있다.

그림해설

Page 7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제3단원

제1과 통일신라의 발전과 쇠퇴

제2과 통일신라의 사회와 문화

제3과 발해의 건국과 문화

Page 8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8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남북국 시대

7세기중엽부터10세기초까지한국사는남쪽의통일신라와북쪽의발해로나뉘어진행되

었다. 이를한국사에서는남북국시대라고이름한다. 발해는고구려를계승한나라 으나발

해가망한뒤발해사에대한관심은사라져갔는데, 조선후기유득공은『발해고』를지어발해

를우리역사로복원시켰다. 유득공의말을들어보자.

“고려가발해사를짓지않았으니고려의국력이떨치지못하 음을알수있다. 부여

씨가망하고고씨가망하자김씨가그남쪽을 유하 고, 대씨가그북쪽을 유하여발

해라 하 다. 이것이 남북국이라 불리는 것으로 마땅히 남북국사(南北國史)가 있어야

했음에도고려가이를편찬하지않은것은잘못된일이다.”- 유득공의『발해고』

유득공의문제제기가있은후발해사는한국사로원상회복되었다. 식민지시대민족사학자

들도발해사를강조하 고해방후발해사는한국사에자리잡았다. 통일신라와발해로전개

되는이시기의역사를남북국시대라고보는것이바른역사인식이다.

2. 통일신라 역사의 전개과정

신라의역사를상대, 중대, 하대로시기구분하여인식하는것이일반적이다.

1) 신라상대는삼국시대의신라로7세기중엽까지이며이때는성골출신이왕이되었고귀

족의권한이상대적으로강했던시기 다. 반면신라중대와하대는통일신라시대이다.

2) 신라 중대는 7세기 중엽에서 8세기까지의 시기이다. 이때는 태종무열왕계 진골이 왕위

를 계승했던 시기로, 전제왕권이 강화되었고 진골귀족의 세력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

다. 왕은 6두품과 연결되어 정치를 행하 다. 이때 교종 불교가 발전하 으며 석굴암,

불국사등불교미술이발달하 다.

3) 신라하대는9세기를말한다. 이때는내물왕계진골이왕위를계승하 으나치열한왕위

단원이해

Page 8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81

쟁탈전으로 왕권이 약화되고 진골귀족의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6두품은 정계에서 소외

되었다.(최치원의 예) 신라 하대는 정치가 문란하고 백성에 대한 수탈이 심해지자 농민

반란이 잇달았고, 이를 기반으로지방에는호족이할거하 으니궁예, 왕건, 견훤 등이

었다. 신라는곧후삼국의분열시대로접어들었다. 신라하대에는개인적인성향이강조

되는선종불교가유행하여호족과연결되었다. 후삼국은결국고려에의해통일되었다.

3. 발해사의 전개과정

발해사에대한사료는그리많지않아서발해사의내용을자세히알기는어렵다. 발해는고

구려가망한후고구려유민대조 에의해건국되었다. 발해의지배층은고구려유민이었고

피지배층은말갈족으로구성되었다. 발해의역사는고왕, 무왕, 문왕, 선왕때두각을드러내

었다. 발해는고왕대조 이건국한이래, 무왕때에는당과대결하 고, 문왕때부터당과교

류하며당의문물을수입하기도하 다. 그리하여선왕때에는만주와연해주, 한반도북부를

차지하여 대제국을 이룩하 다. 중국인들은 발해를‘해동성국’이라고 불 다. 그 후 발해는

거란족에게멸망하 고, 발해의유민은고려에통합되었다.

4. 발해와 통일신라의 관계

발해와통일신라는신라도를통하여사신과물자를교류하 다. 그러나두나라사이는친

선관계라기보다는경쟁관계로보인다. 당은통일신라를통하여발해를견제하려는정책을썼

고, 통일신라는발해가망할때발해를공격하기도하 다. 또한당에서두나라의사신과학

생들이서로윗자리를놓고다투었다.

한국의역사가들은통일신라와발해의역사적위치를놓고서로다른견해를보이기도하

다. 고려시대 김부식이『삼국사기』에서 신라를 정통으로 본 이후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이에

따랐으나, 한말신채호는고구려 - 발해를정통으로인식하 다. 즉신라정통론, 고구려정통

론이대립되고있는모습이다.

Page 8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8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676 신라, 삼국통일

698 발해건국

751 불국사 석굴암 중창 시작

828 장보고, 청해진 설치

900 견훤, 후백제 건국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 왕건, 고려건국

926 발해멸망

935 신라멸망

936 고려, 후삼국 통일

세계사

710 일본, 나라 천도

755 당, 안사의 난

771 카를루스 대제, 프랑크 왕국 통일

794 일본, 헤이안 천도

829 잉 랜드 왕국 성립

907 당 멸망

916 거란 건국

Page 8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83

제1과. 통일신라의발전과쇠퇴

나라가 성할 때와 망할 때

통일신라는 신라 중대와 신라 하대로 구분된다. 중대와 하대를 비교해 보면 한 국가의 흥망이 잘

대조된다. 그러므로 이를 통하여 나라가 성할 때나 망할 때를 인식하는 것은 유효한 역사인식의 방

법이 된다. 도식적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대 : 왕권강화, 왕과 6두품과 결합. 통치체제 정비, 녹읍 폐지 정전 지급. 교종불교 발달. 조형

미술의 전성기.

2) 하대 : 왕권약화, 6두품이 소외되어 반 신라세력이 됨. 진골귀족 연합정치 - 왕위쟁탈전. 대토지

소유. 농민 수탈 강화와 농민 반란. 호족 성장. 선종불교 발달.

요약하면, 신라 중대에는 정치체제가 잘 정비되고 민에 대한 수탈이 제한되었다. 이를 통해 뛰어난

불교문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신라 하대에는 정치기강이 문란하고 농민수탈이 지나쳐 농민반란이

일어났다. 이를 근거로 지방 호족이 흥기하여 결국 신라는 멸망에 이르 던 것이다.

1. 전제왕권의 강화 - 만파식적

통일신라 중대에는 왕이 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 즉 전제왕권이 형성되었다. 통일 이

후신문왕때에는귀족에대한대대적인숙청이일어났다. 이리하여왕족진골과귀족진골이

구분되었다.

‘만파식적’에대한기사는전제왕권강화를이해하는데도움이된다. 신문왕은삼국통일의

두 웅이었던 김춘추(태종무열왕)와 김유신(의 여동생)을 이은 손자이며, 삼국통일을 완성

한 문무왕의 아들이었다. 신문왕은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안에 감은사를 지어 추모했

는데, 죽어서바다의용이된문무왕과하늘의신이된김유신이합심하여용을시켜대나무를

보냈다. 이 대나무를 베어서 피리를 만들어 부니 나라의 모든 걱정 근심이 해결되었다 한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8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8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피리가만파식적이다. 이피리는국가의모든일을장악한전제왕권의상징이다.

2. 지배층 구조

통일신라는왕- 진골귀족- 6두품이최고지배층을형성하 다. 6두품은행정과 학문적인

능력이뛰어난 계층이었다. 일반적으로지배층 사이에서는왕권이강화되면6두품과연결되

어 정치를 행하 고 상대적으로 진골귀족의 농민 수탈이 줄어들었다. 이때가 신라 중대 다.

그러나진골귀족의세력이강하면농민수탈이심해져서농민의저항이나타난다. 이때가신

라하대이다.

1. 삼국을통일한후신라의모습은어떻게변했습니까?국토의 확대와 인구의 증가

2. 통일후신라에서문화가발달한까닭은무엇입니까?정치 사회의 안정, 경제의 발달

3. 장보고는어떤일을했습니까?청해진 건설, 해적소탕

4. 당시신라는어떤나라와무역을하고있었을까요? 일본, 당과 무역

5. 신라말이되면서중앙정치에어떤일이일어났을까요?왕위 쟁탈전

6. 호족은어떤사람일까요?농장과 노비 소유. 무장세력

7. 후삼국시대는어떤때입니까?신라, 후백제, 후고구려의 대립

8. 통일신라와발해사람들사이가어떠했을지토론후써보세요.

학습노트

Page 8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85

장보고 | 9세기신라의장수. 일찍이당에건너가벼슬을하다가당에서신라인들이노

비생활을하는것을보고분개하여귀국하 다. 장보고는인신매매를근절시키기위하여1만

의군사로전라도완도에청해진을설치하고청해진대사가되어해적을소탕하 다. 장보고

는일본과당을잇는해로를장악하고삼각무역을하 다. 그는중앙의왕위쟁탈전에가담하

여, 838년 반란을 일으켜 민애왕을 죽이고 신무왕을 즉위시키기도 하 다. 845년 자신의 딸

을왕비로들여보내려다실패한후이듬해중앙정부에서보낸자객에게살해되었다.

청해진 | 신라 흥덕왕 3년(828년) 장보고가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에 설치한 진. 당시

한반도를중심으로한해상교통로의하나로중국의양쯔강하구나산둥성에서황해를건너흑

산도근해에이르러다시한반도연안의각포구로항해하는항로가있었다. 완도는신라, 당,

일본의 3국을 잇는 가장 중심이 되는 이 해상로에있었으며, 청해진은 지금의 완도읍 일대에

해당된다. 청해진의군 본거지는완도읍장좌리앞의장군섬으로섬전체가군사요새가되

었다.

왕위쟁탈전 | 8세기후반진골귀족들의왕위쟁탈전이치열하게전개되었다. 768년혜

공왕때김대공의난으로시작되어96각간의반란이3년간지속되었고, 그결과선덕왕이즉

위하게되는데이때부터경순왕까지가신라하대이다. 이후에도왕위쟁탈전이계속되어하대

의기간155년동안22명의왕이교체되면서재위1년미만의왕이4명이나되었다.

호족 |신라말고려초의사회변동을주도적으로이끌어간지방세력에대한칭호. 호족

은중앙의귀족과대비되는개념으로그지방의토착실력자를말한다. 신라말기중앙정부의

지방통제력이약화되자지방에는중앙에서상대적으로독립된세력이성장하게된다. 중앙에

서낙향한진골귀족이나지방의촌주, 그리고지방군사세력은독자성을키워갔다. 호족은지

방의행정과조세권을장악하고사병을갖추었다. 양길, 궁예, 견훤, 왕건등은지방의유력한

호족이었다. 이들은신라말에새로운세력으로등장하여고려의성립에큰역할을하 다.

후삼국시대 | 후백제와후고구려가세워져신라와함께다시정립했던시대. 먼저후백

제가건국되었다. 신라군장교 던견훤이반란의무리를이끌고무진주(지금의광주)와완산

주(지금의 전주)를 점령하고 900년 후백제를 건국하 다. 뒤이어 신라의 왕자출신인 궁예가

송악(지금의 개성)을 수도로 910년 후고구려를 건국하게 된다. 궁예는 국호를 마진, 태봉으

용어해설

Page 8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8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로바꾸고수도를철원으로옮겼다. 이때왕건등이궁예를몰아내고송악에서고려를건국하

다(918년). 이후 후백제와 고려의 패권 쟁탈전이 전개되었으나 결국 고려가 승리하 고,

신라의항복을받아후삼국을통일하게된다(936년).

안압궁 | 경주시인왕동에있는궁. 정원에안압지라는인공연못을조성하 다. 『삼국

사기』를보면문무왕이“궁안에연못을파고산을만들어화초를심고진기한새와짐승을길

다.”고 기록하고 있다. 안압지는 삼국통일을 전후로 조성하기 시작하여 674년(문무왕 14)

에완성하 다. 발굴조사에의해, 석축호안으로둘러싸인연못과3개의섬, 그리고연못서쪽

의호안변에서5개의건물터와서쪽, 남쪽으로연결되는건물터들이밝혀졌다. 그림의건물

은 복원한 것. 이곳에서 발견한 유물은 연못 안팎에서 출토된 유물만 1만 1,000여 점에 달하

는데, 이를통하여신라귀족들의화려한생활을엿볼수있다.

통일신라의 토 | 통일신라는9주5소경을두었다. 9주는옛고구려, 백제, 신라땅에

각각 3개주를 두었고, 지방의 중심지에 5소경을 두었다. 5소경은 북으로부터 북원경(원주),

중원경(충주),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금관경(김해)로 지방의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

고, 신라수도금성이동남쪽으로치우친것을보완해주는역할을하 다.

부도 | 승려의사리나유골을 안치한묘탑. 승탑이라고 한다. 신라하대선종불교가 유

행하면서고승들이다수출현함에따라승탑이많이만들어졌다. 승탑의기본형은8각원당형

으로, 8각형집모양으로만들어졌으나, 조선때부터는석종형이라하여돌로범종처럼만들

었다.

그림해설

Page 8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87

제2과. 통일신라의사회와문화

통일신라 사회와 문화의 특징

통일신라 사회는 여전히 골품제라는 엄격한 신분제가 지켜지는 사회 고, 최고의 지위를 누린 사

람들은 왕실과 진골귀족, 그리고 6두품이었다. 통일신라의 귀족문화는 이들에 의해 발달하게 된다.

통일신라의 문화는 불교문화와 유교문화가 중심이 된다. 불교는 신라사회의 중심종교로서 역할을

수행하 고, 그에 따라 많은 불교 유적이 남아 있다. 불국사와 불국사 경내의 석가탑과 다보탑, 그

리고 토함산의 석굴암이 대표적이다.

또한 신라에서 불교는 정치이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불국사라는 명칭에서 보듯이 신라

인들은 경주를 불국, 즉 부처의 나라로 만들고자 하 다. 그리고 전생의 부처가 현세의 왕이 된다

는 전륜성왕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석굴암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지만 현실에서는 왕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었다. 결국 신라의 불교는 현실 정치체제를 옹호하는 역할을 하 던 것이다.

반면, 신라의 유학은 실용적인 정치에 활용되었다. 유학자들은 대부분 6두품으로, 그들은 왕권을

강화시키고 국가체제와 행정을 실무적으로 이끌었다. 국가에서는 국학이라는 국립대학을 세워 유

학교육을 진흥시키고, 독서삼품과를 두어 유교경전을 공부한 유학자들을 등용하고자 한 것도 합리

적인 정치를 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므로 통일신라의 문화는 정치와 연결된 불교와 유교를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

겠다. 그 중 불교가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 다.

1. 통일신라 예술의 특징

석굴암, 석가탑과다보탑을보면, 우리는그뛰어난조형미에감동하게된다. 그래서통일

신라예술의특징은균형미, 조화미, 정제미, 통일미로 규정된다. 이러한조형미는신라중대

에형성된것으로서통일신라의안정된정치, 교종불교의균형잡힌모습에서비롯된것이다.

한국문화사에서신라중대만큼조형미술이발달한때를발견하기는쉽지않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8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8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2. 통일신라의 찬란한 문화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요하게 다룰 수 있겠다.

1) 유학자- 설총(이두, 「화왕계」), 강수(외교문서, 「답설인귀서」), 최치원(신라하대, 「토

황소격문」)

2) 승려 - 의상(「화엄일승법계도」), 원효(『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혜초(『왕오

천축국전』)

3) 조형미술- 석굴암, 불국사(석가탑, 다보탑), 금동불

4) 인쇄술-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세계최고의목판인쇄물)

1. 통일신라의국립대학은무엇이었습니까?국학

2. 통일신라에서유학자를채용하고자하는관리채용제도는무엇인가요?독서삼품과

3. 신라의대표적인유학자는누구입니까?설총, 최치원

4. 통일신라에서발달한문화는무엇일까요?천문학, 성 쌓는 기술, 범종, 금동불 / 불교, 유교

5. 신라를대표하는승려는누구입니까?의상, 원효

6. 혜초가인도를여행한후에남긴기행문은무엇입니까?왕오천축국전

7. 통일신라불교미술의자랑거리는무엇일까요?불국사, 석굴암, 다보탑, 석가탑

8. 세계에서가장오래된목판인쇄물은무엇입니까?무구정광대다라니경

9. 석굴암, 석가탑, 다보탑에서어떤아름다움을느낄수있는지써봅시다.

학습노트

Page 8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89

독서삼품과 | 독서출신과라고도 한다. 788년(원성왕 4) 설치된 일종의 과거제도로 신

라시대의관리등용방법. 신라는골품제에따라관리승진이규정되어있어서진골이주요관직

을 독점하 다. 정부는 독서 성적에 따라 3품으로 나누어, 주로 6두품인 유학자들을 관리로

임용함으로써진골을견제하고왕권을강화하고자하 다. 독서출신과는진골의반발로성공

을거두지는못하 으나유학을보급하고유학자계층을형성시키는데기여하 다.

이두 | 한자의음과훈을빌려우리말문장을표기한차자표기중하나. 당시우리나라에

는말은있었지만문자가없었기때문에한자의음과뜻을이용하여기록하 는데, 이를이두

라고하 다. 이두는대체로실용문에이용되었다.

설총 | 원효와요석공주의아들. 신라의유명한유학자. 이두를총정리하 고「화왕계」

를써서유교의도덕정치를주장하 다.

최치원 | 8세기후반에당에유학하여과거에급제, 당에서벼슬을지냈다. 이때당에서

는황소의난이일어났는데, 이난의토벌에참가하여‘토황소격문’이라는명문장을남겼다.

이후귀국하여신라에서관직에올라진성여왕때정치개혁한10여조를올렸으나, 신라하대

정치의문란때문에수용되지않았다. 이에최치원은관직을버리고가야산해인사로들어가

일생을마쳤다. 신라하대6두품출신의대표적인유학자로서한국에서유학의시조로추앙받

는다. 저서로는『계원필경』등이있다.

범종 | 불교에서사용되는동으로만든종. 현재남아있는우리나라범종으로가장오래

된것은상원사동종이며, 가장뛰어난것은성덕대왕신종이다. 성덕대왕신종은일명에 레

종으로불리며, 종의제작을위하여자식을봉양한슬픈이야기가전해온다. 성덕대왕신종은

아름다운비천상이조각되어있으며, 이후한국종의기본형이되었다.

의상 | 625년(진평왕47)~702년(성덕왕1). 통일신라시대의승려. 의상은당에유학하

여화엄의깊은뜻을깨닫고‘화엄일승법계도’를지었다. 귀국한후부석사를짓고화엄경을

강의하 으며, 해동화엄종의창시자가되었다.

원효 | 617년(진평왕 39)~686년(신문왕 6). 통일신라 때의 승려. 650년 의상과 함께

당에유학하려하다가고구려군사에막혀되돌아왔고, 661년다시의상과함께유학길을떠

났다. 도중에해골물을마시고난후깨달음을얻고유학을포기하 다고한다. 이때그는“모

용어해설

Page 9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든것은마음에달렸으며, 사물자체에는깨끗함이나더러움이없다. 진리는결코밖에서찾을

것이아니라자기자신속에서찾아야한다.”는것을얻었다. 원효는태종무열왕의딸요석공

주와결혼하여설총을낳았고, 후에불교를민중에게전하기위해‘무애가’를부르며거리를

떠돌았다. 그가남긴『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십문화쟁론』은 불교에대한 깊은이해

를담고있어서오늘날에도읽혀지고있다.

혜초 | 704년(성덕왕3)~787년(원성왕3). 통일신라시대의승려. 중국을통하여인도

를 기행하고 신라에 돌아와 활약하 다. 혜초가 쓴 기행문인『왕오천축국전』은 1908년에 프

랑스의동양학자펠리오(Pelliot, Paul)에의하여중국간쑤성의둔황에서발견되었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통일신라때간행된세계에서가장오래된불경인쇄본. 1966년

에 경주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할 때 제2층 탑신부에서 나왔다. 이 경전은 정확한 인쇄연대를

알수없지만늦어도석가탑이건립된751년에인쇄된것으로보인다.

성덕대왕신종 | 신라성덕왕을위하여주조된범종. 봉덕사종, 에 레종이라고도한다.

높이333㎝, 입지름227㎝. 국보제29호로국립경주박물관에있다. 우리나라에현존하는최

대의종으로서각부양식이풍요하고화려한동종의하나이며, 통일신라시대범종을대표한다.

석굴암 | 경주시토함산에있는절. 751년(경덕왕15) 김대성에의하여창건되었다. 인

공으로석굴을조성한석굴사원. 석굴전실에는석벽에팔부신중이4체씩마주보고있고, 좌

우에 2체의 금강역사가 있으며, 그 안으로 4체의 사천왕이 조각되어 있다. 석굴내부에는 약

2.72m의 본존불상이 안치되어 있으며, 본존불 바로 뒤 중앙에는 십일면관음보살의 입상이

조각되어있고, 그좌우로10체의십대제자입상이부조되어있다.

12지신상 | 31쪽우측위그림. 12지신상은12지의동물들을새긴것으로주로무덤을

호위하는석조물로조성되었다.

불국사·석가탑·다보탑 | 751년(경덕왕) 김대성에 의해 건축되었다. 두 탑은 불국사

내부에 있는 쌍 탑으로 서탑은 석가탑, 동탑은 다보탑이다. 석가탑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3

층석탑의모습을보이고있으며, 다보탑은석가탑과균형을맞추어독창적으로만든것으로

신라인의창의성을볼수있다.

9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그림해설

Page 9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91

첨성대 | 경주에있는천문대. 높이는약9.5m. 선덕여왕때(632~647년)에축조. 고대

국가에서천문은왕이주관하는중요한일로서달력을만들거나국가의중대사를해석하는역

할을하 다.

Page 9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9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3과. 발해의건국과문화

발해의 소속

발해의 옛 토는 현재 중국, 한국, 러시아가 분할하여 지배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발해사의 소속에

대하여 각국의 입장이 다르다. 중국과 일본은 발해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보고, 러시아는 변방의 독

립국으로 보고 있다. 역사는 역사 자체로 보아야 한다. 중국이나 러시아가 현재 옛 발해의 토를

지배하고 있다고 해서 그 역사를 자신의 역사로 편입시키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현재 자

신의 정치적 목적에 역사를 이용하는 역사 왜곡이 된다.

발해사는 고구려를 계승한 한국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대조 이 고구려의 유민이었다는 점, 스스

로 고구려 후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발해의 문화가 고구려 문화를 계승하 다는 점에

서 발해사를 한국사로 보는 것이 올바른 판단이다.

1. 발해의 외교관계

발해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 연해주에 이르는 대 토를 가진 국가 다. 그러므로 당은 발

해를견제하기위하여통일신라를활용하는이이제이의외교정책을진행하 다. 이에발해는

북으로는돌궐, 남으로는왜와친선을도모하면서당과통일신라를견제해나갔다.

2. 발해사가 한국사인 근거

1) 발해의 고구려 계승 : 남송 때 홍호가 쓴『송막기문』: “발해의 왕성으로 대씨 외에 고,

장, 양, 오, 이씨등으로구성되어있고, 대씨와고씨가절대적으로많다.”

또『구당서』에는“대조 은본래고구려의별종이다(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라는기록

이있다.

2) 발해의종족구성: 일본의역사서인『유취국사』: “고구려고씨가당에게멸망된뒤대조

이처음으로발해를세웠다. 백성에는말갈인이많고, 토인이적다. 촌장은모두토인이되

중심주제

유의점

Page 9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93

는데, 큰촌은도독이라하고, 다음은자사라하고, 그아래는모두수령이라한다.”

3) 발해인의자기인식: 발해가일본에보낸국서에서스스로는‘고려왕’이라고칭하고있

다. 727년(무왕 9년) 일본에 사절을 보내면서 발해는“고구려의 옛 토를 회복하고 부여에

서전해내려온풍속을간직하고있다(復高麗之舊居 有夫餘之遺俗)”(『속일본기』신구5년

1월17일조)고하 으며, 일본도‘발해는옛날고구려다(渤海郡者 舊高麗國也)”(신구4년

9월12월29일조)라고하 다. 일본이발해에파견한대사는‘고려사(高麗使)’ 다.

4) 발해 문화 요소 : 고구려 문화를 기반으로 당 문화를 수용하 다. 고구려 요소-5경(5부

제), 온돌, 무덤, 문화. 당의요소- 3성6부, 상경성(주작대로)

1. 발해를세운사람은누구입니까?고구려 출신의 장군 대조

2. 중국에서는발해를어떻게불 습니까?해동성국

3. 발해의 토는어디까지미쳤는가요?만주, 한반도 북부, 연해주

4. 발해와통일신라를합쳐서어떻게불러야할까요?남북국시대

5. 발해와당의관계는어떻게변하 습니까?대립에서 친선으로

6. 발해에서유학이발달한것을알수있는사실은무엇입니까?주자감, 당나라 과거에 합격

7. 발해문화의특징은무엇입니까?웅장하고 힘이 넘치면서 부드럽고 세련됨.

고구려 문화를 기반으로 당 문화 수입

8. 발해가고구려를계승하 다는사실을알수있는것은무엇인지조사해보세요.

학습노트

Page 9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9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발해 | 698년고구려유장대조 이세워220여년간지속된국가. 발해는926년거란

족에게망했고, 발해의지배층은고려에편입되었다.

대조 | 발해의시조. 재위699년~719년. 고구려유민으로서당나라의 주지방에끌

려갔다가696년 거란족 이진충이반란을일으켜 주지방이 혼란해지자말갈족 추장인 걸사

비우와함께유민들을거느리고동쪽으로이동하 다. 당나라군의추격으로걸사비우가죽자

말갈족까지흡수하여세를불리면서계속동쪽으로이동하다가천문령전투에서크게승리하

여당군의추격을물리치고길림성돈화현동모산에성을쌓고도읍을정하 다. 699년에국

호를진으로정하 고, 후에발해가되었다.

해동성국 | 발해전성기때당에서발해를불 던명칭. 선왕때발해는통일신라이북

고구려와부여의옛 토를발판삼아중흥의위업을이루었다. 당시지방을5경15부 62주로

개편하고학술을진흥시키는등발해의전성기를이루었다. 이때당으로부터‘해동성국’이라

는칭호를얻었다.

발해의 토 | 전기에해당하는문왕때까지는돈화와목단강유역에서두만강하류일

대까지, 서쪽으로는휘발하와혼하의분수령까지걸치는정도 다. 그러나제10대왕인선왕

대에는해동성국으로서사방5천리에다가5경12부62주의넓은 토를차지하게되었다.

발해는전성기에대동강이북에서요하를거쳐흥안령아래의눈강하류지역, 그리고헤이

룽 강을 거쳐 연해주 전체를 포함하면서 다시 남으로 내려와 원산 주변지역에 이르는 광대한

토를가졌던것이다.

주자감 | 발해의교육기관. 유학교육뿐만아니라국자학이나태학등의교육기관관할

및율학, 서학, 산학등기술교육까지주관하 다.

과거시험 | 시험을거쳐관리를등용하는제도. 과거제도는중국수나라때처음으로실

시된후당대부터발달하기시작하 다. 과거는천자가귀족세력을제압하고중앙집권적인관

료체제를확립하기위하여실시한것이다. 중국에서비롯된과거제도가우리나라에도입된것

은고려광종때 다.

당 유학 | 통일신라와발해는당에유학생을파견하여문물을수입하고자하 다. 유학

은 보통 숙위학생 제도로 이루어진다. 숙위학생이란 당에 파견하는 국비 유학생으로 당에서

용어해설

Page 9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통일신라와 발해 ● 95

유학경비일부를부담하 다. 숙위학생은당에유학하면서외국인들을대상으로실시되었던

빈공과에응시하고, 합격하여관리생활을하기도하 다.

발해의 전성기 지도 | 남쪽으로통일신라와접경, 대동강~원산만. 요동일부와만주연

해주까지 대 토를 형성하 다. 발해는 5경이라 하여 다섯 개의 수도를 두고 전국을 15부로

나누어다스렸다. 발해는문왕때수도를상경으로옮겼고, 그후잠시동경으로천도한적도

있으나, 다시상경을수도로삼았다.

발해 불상 | 33쪽아래좌측. 금동불의형태이다.

발해 용두 | 용두는용머리. 건축장식물로제작되었다.

발해 이불병좌상 | 두부처가나란히앉아있는모습. 발해의불상의고구려적인특색이

강하게나타난다.

발해 벽돌무늬 | 연꽃무늬가새겨져있다.

귀면 | 귀신얼굴을하고있다. 악귀를쫓아내는역할을함.

그림해설

Page 9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Page 9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외세의 침입

제4단원

제1과 다시 민족을 통일하다

제2과 고려사회의 발전

제3과 거란, 여진, 몽고와의 전쟁

제4과 고려의 문화

Page 9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9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고려 500년 왕조

고려시대 500년은 국내외에서 역동적인 역사변동을 보여주었다. 내적으로는 지배계층의

변동이몇차례일어나고피지배층의저항도거세었다. 외적으로는대륙정세의변동에따라

연이어외세가고려를침략하 다.

고려시대사는 내외적으로 급변하는 역사적 현실 속에서 고려가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지,

그리고 어떻게 새로운 역을 개척해 나갔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

다. 특히그과정에서도고려는끊임없는북진정책을계속실시하여북쪽으로 토를넓혀나

갔고, 한민족의 역이압록강과두만강을경계로삼을수있는기반을마련하 다.

고려에서Corea가나왔음은이미언급하 지만, 고려시대가역동적이었다는점을상기한

다면, ‘다이내믹 코리아!’라는 구호의 역사상과 현실상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것이한국인의성격을보여주는것이라고생각해도좋다고본다.

2. 고려 지배계층의 변화

고려 개창의 주역은 호족세력이었다. 호족들은 고려를 건국한 후 중앙의 지배귀족으로 편

입되었고지방에서는향리세력으로 지배권을행사하고있었다. 고려전기지배층은문벌귀족

으로 이들은 유학자이며 과거를 통하여 정계에 진출하 고, 학벌이나 결혼을 통하여 벌족을

형성하여특권을행사하 다.

그러나 문벌귀족의 권력 독점은 무신들의 저항을 낳아 11세기 말 마침내 무신정변이 일어

나고그결과무신들이권력을독점하 다. 무신들은강화도로천도하여몽고침입에맞서싸

웠다. 그러나12세기말고려는원에항복하여80년동안원의간섭을받았다.

14세기중엽공민왕의등장으로고려가원의간섭으로부터벗어나자주권을회복하 으나,

중앙정치의부패를청산하지못하고멸망하여조선이건국된다.

이리하여고려시대의역사는크게귀족의시대 - 무신의시대 - 몽고간섭기 - 공민왕개혁

기등4시기로나누어진다. 이에비추어정리하면다음과같다.

단원이해

Page 9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99

1) 936년후삼국통일, 1126년이자겸의난, 1135년묘청봉기

2) 1170년무신정변, 1231년몽고침입, 1232년강화천도, 1270년개경환도, 몽고간섭시작

3) 1250년공민왕개혁정치, 1288년위화도회군, 1392년고려멸망, 조선건국

3. 고려시대 국제관계

고려시대동아시아정세는크게요동쳤다. 10세기중국에서송이성립하 으나, 송은중국

의역대왕조중에서가장약체왕조로, 끊임없이거란족, 여진족, 탕구트족, 몽고족등이민족

의침입에시달렸다. 11세기크게성장한거란족이요를세워송을위협하자, 12세기송은새

롭게등장한여진족(금)을이용하여요를격퇴하는데는성공하 으나, 금에게수도를함락당

하고강남으로이동하여남송이되었다. 13세기에는몽고족이크게흥기하여금과송을모두

멸하고원을세웠다. 원은14세기한족의저항으로물러나고, 한족이명을개창하 다.

이러한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은 고려에 직접 향을 미쳤다. 10세기 고려는 친송배요

정책으로 거란을 배척하자, 거란은 3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입하 다. 고려는 서희의 담판과

강감찬의귀주대첩등으로거란침입을물리쳤다. 그후12세기여진이등장하여고려에사대

관계를 요구해 오자, 고려의 문벌귀족은 사대를 형식적으로 수용하는 현실적인 외교정책을

폈다.

그러나13세기몽고족의침입에대하여고려는강화천도까지단행하면서약40년간저항하

다가 결국 항복하고 원의 간섭을 받게 된다. 14세기 중엽 공민왕은 반원 자주화 정책으로 원

세력을몰아내는데는성공하 으나, 뒤이어대륙으로부터홍건적의침입과바다로부터왜구

의침략을받았다. 이때성장한무인세력중이성계일파는조선건국주체가된다.

고려시대국제관계를세기별로간단히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10세기친송배요

2) 11세기거란(요) 침입- 1차침입서희의담판, 3차침입강감찬의귀주대첩

Page 10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0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918 고려건국

936 고려 후삼국통일

1019 귀주대첩

1107 윤관, 여진 정벌

1135 묘청의서경천도운동

1170 무신정변

1231 몽고 1차 침입

1251 공민왕의개혁시작

1270 개경환도

1271 여원, 일본원정

1359 홍건적침입

1388 위화도회군

1392 고려 멸망

세계사

960 송 건국

962 오토1세, 신성로마황제대관

987 프랑스, 카페왕조시작

1037 셀주크투르크제국건국

1066 노르망디공윌리엄, 잉 랜드정복

1115 금 건국

1192 일본, 가마쿠라막부성립

1206 징기즈칸, 몽고통일

1215 국 대헌장

1271 원 제국 성립

1302 프랑스삼부회성립

1338 일본, 무로마치막부성립

1338 국 프랑스, 백년전쟁시작

1368 원 멸망, 명 건국

3) 12세기여진침입. 김부식의사대주의와묘청의북진주의대립

4) 13세기몽고침입, 강화도시대

5) 13-14세기몽고간섭

6) 14세기홍건적, 왜구의침입. 최무선, 최 , 이성계등무인의성장.

Page 10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01

제1과. 다시민족을통일하다

후삼국의 통일, 고려가 승리한 까닭

10세기 초 한반도는다시삼국으로정립되었다. 신라는 경상도일대에만통치권을행사하기에그쳤

고, 견훤이 세운 후백제가 한반도 남서부를 장악하고 강력하게 부상하 다. 또한 한반도 중부지방

에는궁예의후고구려, 그 뒤를이은왕건의고려가건국되어있었다. 삼국간의각축전은주로후백

제와고려사이에서일어났으며최종승리는왕건에게돌아갔다.

후삼국시대의 주인공은 견훤, 궁예, 왕건이었다. 이들은 후삼국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 시대를

열어갈 역사적 임무를 부여받은 호족들이었다. 이 중 왕건이 최종 승리를 거둔 원인이 어디에 있는

지를파악하는것이후삼국시대역사를이해하는하나의방법이된다.

왕건은 탄탄한 호족의 지지 기반, 백성을 위한 위민정치, 대외적인 안목 등을 가졌기 때문에 후삼국

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고 보인다. 후삼국 시대라는 역사의 큰 변동기에서 궁예의 후고구려,

견훤의후백제, 왕건의고려가자웅을겨루는모습으로다가가는것이가능할것이다.

1. 호족과 6두품

후삼국시대의 주역들, 그리고 고려건국의 주역은 호족이었다. 호족은 지역의 반(半) 독립

적인 무장 세력이었으나 신라의 모순 속에서 성장하여 그것을 극복할 사명을 지닌 역사의 주

역으로 볼 수 있겠다. 호족에 합세했던 세력이 6두품이었다. 6두품은 유학적인 실력을 갖춘

세력으로써호족과함께신라사회의모순을극복하고새로운체제를여는데기여하 다. 고

려는호족과6두품의연합세력에의해건국된것이다.

2. 새로운 사상

새로운시대는무력만으로이루어지는것은아니다. 신라하대에는새로운사상이유행하여

호족의 사상적인 기반이 되었다. 선종불교가 유행하여 중앙의 권위를 부정하고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을 내세워 호족과 결합되었다. 또한 이때 성행한 풍수지리설이 호족의 기반이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0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 신라말에사회가혼란해진까닭이무엇입니까?왕위쟁탈전, 농민반란, 호족등장

2. 농민들은왜반란을일으켰을까요?지배층의수탈

3. 신라말에지방에서새로등장한세력을무엇이라고불 습니까?호족

4. 견훤이세운나라이름은무엇이었습니까?후백제

5. 궁예가세운나라이름은무엇이었습니까?후고구려

6. 왕건은어디에서어떤나라를세웠나요?개성, 고려

7. 후삼국시대에왕건이승리한이유에대하여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10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되었다. ‘송악 길지설’은 장차 개성에 나라가 선다는 것으로, 이는 신라 중앙정부의 권위를

약화시키고고려의입지를강화시켰다.

Page 10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03

농민반란 | 9세기신라하대가되자중앙정부의수탈에저항하는농민봉기가광범위하게

일어났다. 대표적인 농민봉기는 진성여왕 때 일어난 원종 애노의 반란이었다. 『삼국사기』에

는이렇게기록되어있다.

“이때어떤이름모를사람이시국정책을비방하는방을관청거리에붙 다. 왕이사

람을시켜수색하 으나잡지못하 다.(중략) 진성여왕3년(889년) 나라안의여러주,

군에서 공부(세금)를 바치지 않으니 창고가 비어버리고 나라의 쓰임이 궁핍해졌다. 왕

이 사신을 보내어 독촉하 지만, 이로 말미암아 곳곳에서 도적이 벌 떼같이 일어났다.

이에 원종, 애노 등이 사벌주에 의거하여 반란을 일으키니 왕이 나마 기에게 명하여

잡게하 다. 기가적진을쳐다보고는두려워하여나아가지못하 다.”- 『삼국사기』

진성왕조)

태봉 | 후삼국가운데하나 던나라의이름. 901년궁예에의해건국되어18년간존속

하 으며, 918년 왕건에 의해 멸망하 다. 진성여왕 대에 이르러 신라의 통치력이 약해지자

각지에서반란이일어났다. 궁예는신라타도와고구려의부흥을내세우면서나라이름을후고

구려라하 다. 이로써명색만남아있던신라, 견훤의후백제와더불어후삼국이정립하게된

것이다. 후에수도를철원으로옮기고, 국호를마진으로개칭하 다가다시태봉으로고쳤다.

그러나 국가의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궁예는 점차 사치와 자만심에 빠지게 되었다. 철원으

로도읍을옮기면서궁궐과전각을수리하는데사치와낭비가심했으며, 결국세금과부역이

과중하게 부과됨으로써 백성이 도탄에 빠지게 되었다. 또한 미륵불을 자칭하고 머리에 금관

을쓰고몸에가사를입으며큰아들을청광보살, 작은아들을신광보살로삼는등파행적인행

동을하 다. 뿐만아니라말년에는의심증이심하게나타나부인과두아들뿐만아니라, 문무

관료에서평민에이르기까지반역죄를씌워무고하게죽 다. 결국궁예는918년부하들의추

대를받은왕건에의해서축출되었고, 태봉도건국한지18년만에멸망하게되었다.

후백제 | 900년견훤에의하여건국되어936년9월고려태조왕건에게멸망당할때까

지 2대 45년간 존속하 던 나라. 신라의 장수 견훤은 무진주(지금의 광주)를 중심으로 하여

백제를 부흥하겠다는 결의를 보이며 후백제를 건국하 다. 이후 후백제는 궁예가 세운 후고

구려및신라와함께후삼국시대를전개하며통일전쟁의대열에나섰다. 처음궁예의세력에

용어해설

Page 10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0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비하여열세에처하 으나, 궁예에서왕건으로의정권교체기를이용하여후삼국중가장강

성한나라로성장하 다. 927년에는신라수도경주를침공하여경애왕을살해하고경순왕을

세웠고, 또 공산전투에서 왕건의 고려군을 대파하여 확실한 우위를 점하 다. 그러나 930년

지금의안동고창전투에서고려에대패한뒤934년에는웅진(지금의공주) 이북의30여성을

빼앗겨점차국운이쇠하여갔다. 한편후백제왕실내부에서왕위계승문제로불화가생겨935

년에아들신검등이견훤을금산사에유폐하는사건이일어났다. 이사건으로후백제의내정

은큰혼란에싸이고견훤이금산사를탈출하여고려로귀순하게되면서부터급격히쇠퇴하기

에이르 다. 마침내936년고려군이견훤을앞장세워총공세를폈던일리천전투에서대패

함으로써후백제는멸망하고말았다.

후삼국시대 지도 | 경순왕의신라, 왕건의고려, 견훤의후백제가정립한형상. 세나라

가서로다투었기때문에후삼국시대라고한다. 지도에서전라도지역의나주는왕건이해군

으로공격하여점령함으로써후백제세력을약화시킬수있었다.

궁예, 왕건, 견훤의 경쟁을 보자. 먼저 궁예와 왕건의 대결. 궁예는 몰락한 왕자출신으로

891년기훤의부하, 이듬해양길의부하가되어세력을기른후양길을쳐서강원, 경기, 황해,

충북일대를장악하고901년후고구려를세우고스스로왕이되었다. 그는송악의호족왕건

의항복을받고왕건으로하여금전라도금성(나주)을점령하게해후삼국의주도권을잡는듯

하 다. 그러나결국918년왕건에게축출당하고만다. 궁예와왕건의싸움에서왕건이승리

한까닭은무엇인가?

무엇보다도궁예의세력기반에문제가있었다고생각된다. 궁예는초적(도적)의무리를기

반으로했기때문에끊임없이정적을제거해야했고, 또한국호를바꾸고수도를옮기는데서

보이듯이신라사회의모순을극복할뚜렷한방도를제시하지못하고가혹한수탈을일삼았다.

이러한과정에서민심의이반이일어났던것이다.

반면왕건은두가지측면에서궁예를극복하 다. 왕건은탄탄한지방호족의기반을가지고

있었다는점, 그리고농민에대한수탈을완화하여백성들의지지를받을수있었다는점이다.

왕건과 견훤의 대결에서도 왕건이 승리하 다. 견훤은 신라의 무장 출신으로 지방에서 농

그림해설

Page 10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05

민반란이일어나자900년후백제를세우고왕위에올랐다. 이름을후백제라고한데서보이듯

이백제부흥이라는지역민들의기대에부응하고자하 다. 후백제가강해지자신라는왕건에

의존하게되고, 이를견제하고자견훤은경주로진격하여경애왕을살해하 다. 후백제와신

라의관계가악화된것은당연한일. 또한후백제는견훤과아들의사이가관계가나빠져서아

들이견훤을금산사에감금하게되고, 견훤은왕건에게도망해버린다. 결국왕건은내분에빠

진후백제를간단히제압하고신라의항복을받아최종승자가된것이다.

포석정 | 경주남산기슭에있는잔치를하기위해만든석구이다. 위에서원형으로된

길을따라물이흘러내려아래에서다시합쳐지는모양이다. 경애왕이이곳에서잔치를벌이

다견훤에게죽임을당했다.

금산사 | 전북김제모악산에있는사찰. 599년백제법왕때창건되었다고하나확실하

지 않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다시 중건되었다. 미륵전이 빼어남. 후삼국시대

견훤이아들신검에의해유폐되었다가고려로탈출한다.

견훤성| 견훤이왕건과싸우기위해서쌓았다고전해지는성. 강원도원주에있다.

Page 10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0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2과. 고려사회의발전

귀족의 나라, 고려

고려는 귀족의 나라 다. 귀족들은 혈연과 학연으로 세력을 형성하 기에 문벌귀족이라고 불린다.

귀족들은 5품 이상의 고위관직을 차지했으며, 음서라고 하여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또한 공음전이라 하여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아서 세습할 수 있었다. 즉 귀족은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측면에서 특권을 부여받았던것이다. 그러므로 귀족의 특징을파악하면 고려의성격이

뚜렷해진다.

10세기는 고려의 체제 정립기 다. 이때 태조(왕건), 광종, 성종 등 걸출한 왕들이 등장하여 고려의

체제를 정비시켜 나갔다. 태조는 위민정책, 숭불정책, 북진정책으로 건국 기반을 닦았고, 광종은 과

거제 실시 등으로왕권을 확립하 다. 성종 때에는 유교정치이념을채택하고중앙과지방의정치체

제를세웠다.

그러나 문벌귀족 위주의 체제는 무신들의 불만을 야기시켰고, 급기야 무신정변으로 이어졌다. 무신

들은 1170년 쿠데타를 일으켜 문벌귀족 세력을 내쫓고 권력과 부를 독점하 다. 왕은 존재했으나

실권은 무인들이 장악하 다. 무신들 사이에 권력투쟁이 전개되어,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으로

권력이이어졌으나최충헌이후최씨집안에서권력을독점하 다. 최씨 무신정권은최충헌 - 최우

- 최항 - 최의에 이르기까지 4대 60여 년간 권력을 장악하 다. 최우 때에는 강화로 천도하여 몽

고와항쟁하 다.

1. 유교와 불교가 공존한 나라

성종은최승로의시무28조를채택하 는데, 그중에유교정치이념이들어있었다. 이때부

터고려는정치와교육은유교를바탕으로행하여졌다. 그러나사회와문화는불교중심이었

다. 고려에서는유교와불교가별충돌없이공존하는사회 다.

2. 고려의 북진정책

통일신라의북쪽국경선은대동강에서원산만까지 고그이북은발해가차지하고있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0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07

그러나발해가망한후발해 토는한민족의생활공간에서제외되었다. 고려는고구려계승

의식을지니고있었으므로고구려의옛땅을회복하기위하여끊임없는북진정책을실시하

다. 태조때청천강에서 흥만선을확보하 고, 10세기말거란의1차침입때압록강하류까

지 도달하 다. 그리고 14세기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면서 함경도 지역까지 북진할

수있었다. 서경(평양)은북진정책의기지로서중요시되었다.

1. 태조왕건은후삼국을통일한후어떠한정책을폈습니까?북진정책

2. 광종의정책은어떠했나요?과거제실시(노비안검법, 공복제도, 칭제건원)

3. 성종의업적을써보세요.유교정치, 지방관파견

4. 고려때학교는어떤것이있었습니까?국자감, 향교

5. 고려가국경지대에파견한지휘관은무엇입니까?병마사

6. 고려에서숭상한종교는무엇입니까?불교

7. 우리나라가Korea(Corea)로불리게된까닭은무엇입니까?고려가아라비아와교역하면서상인들에의해유럽에까지

그이름이전해짐.

8. 고려의지배계층은어떻게변했습니까?문신에서무신으로

학습노트

Page 10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0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왕건의 정책 | 태조왕건(재위918년~943년)이당면한가장큰과제는지방의호족을

어떻게통합할것인가하는데있었다. 이를위해왕건은지방호족의여인들과정략결혼을하

여정실부인만30여명에달하 다. 또한기인제도라는호족자제인질제도와지방책임지배

를담당할사심관제를실시하기도하 다. 그러나고려에서는지방향리의세력이여전히강

하 다.

또한 왕건은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백성들에게 여러 종교를 허용하 으며, 불교를 숭상하

도록장려하 다. 고려라는국호가고구려를계승한다는뜻처럼북진정책을추진하 다.

광종의 정책 | 광종(재위 949년~975년)은 왕권강화를 위하여 심혈을 기울 다. 그는

개국공신 세력을 숙청한 후, 과거제를 실시하여 신진관료를 등용하 고, 노비안검법을 실시

하여귀족들이불법으로소유한노비를해방시키고자하 다. 또한황제라칭하고광덕, 준풍

등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왕권을 강화시키려고 노력하 다. 광종의 과감한 정책은 후세에는

비판을받았다.

성종 | 성종(재위960년~997년)은유교이념에따라통치체제를정비하 다. 그는최승

로의개혁안(시무28조)을수용하 는데, 여기에는유교통치이념의채택, 지방관파견, 귀족

들의 권위 인정 등이 포함되어있었다. 성종은이를 바탕으로2성 6부의 중앙관제, 국립대학

국자감을설치하고, 지방중심지12목에최초로지방관을파견하 다.

국자감 | 고려의국립대학. 고려는개경에국립대학으로국자감을두고유학과기술학

을 가르쳤다. 유학 과정으로 국자학, 태학, 사문학을 두고 신분별로 입학시켰으며, 율학, 서

학, 산학등기술학도가르쳤다. 고려의지방교육기관으로는향교가있었다.

병마사 | 고려가양계에파견한지방관. 고려의지방제도는5도양계 다. 5도는남쪽

에두었던5개의행정기관으로안찰사를파견하 다. 반면북쪽국경지대에는양계를두고병

마사를파견하여국방력을강화시켰다.

아라비아 상인 | 고려시대수도개경의외항이었던벽란도는국제무역항으로송나라상

인등외국상인들이드나들었고, 여기에아라비아상인들까지와서교역하 다. 당시아라비

아상인은대식인이라고불렸고이들에의해Corea라는국명이해외에알려지게되었다.

무신의 난 | 1170년정중부, 이의방, 이고등무신들이중심이되어쿠데타를일으키고

용어해설

Page 10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09

문신들을숙청하 다. 당시고려는문신중심의체제여서무신들은관직이나토지지급등에서

불이익을받고있었다. 이에불만을품은무신들이정변을일으켜권력을장악하 다. 무신들

은내적으로권력다툼을벌이면서정치적, 경제적실권을장악하고민중에대한수탈을심화

시켰다. 이때공주명학소에서망이망소이, 개경에서만적, 울산에서효심, 청도에서김사미

등이수탈반대와신분해방을내걸고봉기하 다. 최충헌은이들반란을진압함으로써장기집

권의길을열었다. 무신정권은1270년까지유지되었다.

고려의 토 지도 | 고려는3경제도를두었다. 초기에는개경, 서경, 동경을3경으로

하 으나후에동경을남경으로바꾸었다. 지도를보면북쪽국경선이압록강하구에도달하

고있는데, 이는거란의1차침입이있었던10세기말성종때의국경선이다.

개성 만월대 | 개성송악산남쪽기슭에있었던고려의왕궁터. 길이약445m, 너비약

150m에이른다.

개성 남대문 | 개성에 있는 문루. 고려 공양왕때 착공하여 조선 태조때 완공하 다.

6·25 전쟁때크게파손되었으나전쟁후에복구되었다.

고려의 국제무역 | 고려는활발한국제무역을벌 다. 고려의제1 무역상대국은송이

었다. 송과의무역은주로해로를통해이루어졌는데, 종이, 인삼등을수출하고서적등문화

용품이나사치품을수입하 다. 여진이나거란과도무역이이루어져은을받고식량이나농기

구를팔았다. 일본과는수은, 유황등을수입하고식량, 인삼, 서적등을수출하 다.

그림해설

Page 11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1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3과. 거란, 여진, 몽고와의전쟁

복잡한 국제관계를 능동적으로 극복한 고려

고려시대에는 동아시아정세가 긴박하게 변하 고, 거란(요), 여진(금), 몽고(원), 홍건적과 왜구의 침

입이 잇달았다. 고려는 이러한 변화에 때로는 전쟁으로 때로는 협상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갔다. 고려시대를복잡한국제관계속에서고려의대응을통해바라보는것이고려사를이해하는

하나의방법이될것이다.

1. 고려의 대외정책

10세기말에서11세기까지동아시아에서는거란족이강력한세력을형성하고중국의송을

위협하고 있었다. 고려는 송과 친선관계를 유지하면서 거란을 배척하 다. 거란(요)은 우선

고려를굴복시킨후송을치기위하여3차례에걸쳐고려를침입하 다. 993년1차거란침입

에대해서는서희가외교에나서송과의관계를단절하는대신오늘날평안북도지역인강동6

주를얻었고이로써고려의 토는압록강하류지역에도달하 다. 고려가송과의관계를단

절하지않자 거란은연이어2차, 3차 침입을감행하 다. 여기에대해고려는무력으로맞섰

다. 1010년 거란은 강동6주 회수와 단송을 요구하며 침입하여 개경을 함락시켰으나 고려를

굴복시키지못하고퇴각하 다. 1018년거란은3차로침입하 으나강감찬등이잘막아내었

고퇴각하는거란군대를귀주대첩에서크게격파하 다. 이로써고려는거란침입을맞아오

히려강동6주를회복하 다.

12세기에는 여진족이 흥기하여 1115년 금을 세웠다. 여진족은 만주지역에 거주하면서 역

사적으로우리민족의지배를받던종족이었다. 1107년고려의윤관은여진을정복하고동북

9성을 쌓았다가 돌려준적이 있었다. 여진은 요를 멸하고 송을 패배시켜 중국의화북 지방을

지배한 후, 고려에게 형제관계를 요구해 왔다. 이에 고려의 권력자 이자겸은 금과 타협하여

평화를유지하 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1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11

13세기에는 몽고가 크게 일어나 동아시아를 제패하 다. 몽고는 1231년 1차 고려를 침입

하자최우는일단강화하고돌려보낸후이듬해강화도로천도하여장기항전을벌 다. 이후

몽고는30년에걸쳐6차례침입하여한반도를휩쓸었다. 몽고침입에대해고려인, 특히천민

들은치열하게항전하 다. 1270년무신정권이무너지자고려는몽고와협상을벌여고려문

화를유지한다는조건아래개경으로돌아왔다. 이후몽고의간섭하에들어갔으나왕조는유

지되었다.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하면서 이미 쇠약해진 원에 대하여 반원정책을 추구하여 한반도 내

몽고세력과몽고풍습을몰아내고쌍성총관부등상실했던 토를회복하 다. 그후한족반

란군인홍건적의침입과왜구의잦은침입에도고려는굳건히맞서싸워냈다.

이처럼고려는외적의위협과침입에대하여때로는전쟁으로때로는협상으로대처하면서

급변하는국제정세에대처하 다. 이러한고려의국제적대응능력은높이평가될수있을것

이다.

2. 민중들의 치열한 대몽항쟁

몽고군이전국을휩쓸때지배층은강화도에들어가있었다. 그러므로민중들은국가의보

호를받지못하고피해를당하 다. 이에고려의민중들은과감한대몽항쟁을전개하 다. 반

면 지배층의 수탈이 대몽항쟁을 약화시키기도 하 다. 때로는 민중들이 지배자의 수탈이 힘

겨워 몽고군을 반기는 경우도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정한 국방력은 민에게서 나온다는

것을확인시켜준다.

Page 11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1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발해를멸망시킨종족은누구입니까?거란

2. 거란이고려를침입한까닭은무엇입니까?고려와송의관계단절

3. 거란족을물리친사람은누구입니까?서희, 강감찬

4. 거란족을물리친방법은무엇이었습니까?외교와전쟁

5. 여진족을정벌한고려의장수는누구입니까?윤관

6. 고려인들은몽고족의침입을어떻게막아냈을까요?강화천도, 전 국민의단결

7. 몽고에끝까지저항한군대는무엇이었습니까?삼별초

8. 한때강력했던거란, 여진, 송은멸망해버렸으나고려는계속유지되었습니다. 그이유에대하여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거란족 | 퉁구스족과몽골족의혼혈로형성된유목민족. 5세기이래요하에서여러부족

으로분열되어거주하 는데, 916년거란을건국하 다. 거란은중국으로진출하기위해926

년발해를멸망시키고화북지방을획득하고, 947년국호를요로개칭했다. 960년송이건국

됨으로써송과대치하는상태가되었다. 거란은송을치기전에3차례에걸쳐고려를침입하

용어해설

Page 11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13

으나고려는이를잘막아내었다. 거란은뒤이어일어난금에의해서쪽으로이동하 다.

서희의 외교담판 | 서희(942년~998년). 고려전기의문신, 외교가. 그는거란의1차침

입 때 적장 소손녕과 협상하여 강동6주를 얻었다. 소손녕은 거란의 침입의 원인이 고려의 옛

고구려땅점령과친송외교에있다고하 다. 이에대하여서희는고려는국호를고려, 도읍

을 평양으로 삼은 것은 고구려의 전통을 이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하면서 오히려 거란의 동경

(요양)까지도고려의 토라고주장하 다. 또친송외교는고려와거란사이에있는여진때

문에 육로를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므로 여진을 쫓아내고 그 땅을 고려에 편입시키게 되면

자연히 거란과의 통교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설득하 다. 이에 거란은 그의 요구대로 이행할

것을약속하고철수하 다. 그결과994년(성종13)부터3년간고려는거란과의약속대로압

록강동쪽의여진족을축출하고, 장흥진, 귀화진, 곽주, 귀주, 흥화진등에성을쌓았다.

강감찬 | 948년~1031년. 고려전기의명신. 1018년서경유수가되어거란의재침에대

비하 다. 그해 거란의 소손녕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공하자(거란의 3차 침입), 상원수가

되어 거란군을격파하 다. 특히 귀주 대첩은우리나라 전쟁사에큰 승리의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이후거란은고려를치려는야욕을버리고평화적국교를맺었다. 강감찬은전란후에는

개경방어를위해나성을쌓을것을주장하여외침에대비하 다.

윤관 | (?~1111년). 고려전기의문신. 별무반을조직하여여진족을토벌하고동북9성

을쌓았다.

원의 지배 | 몽골족은 대제국을 수립한 후 차가타이한국, 오고타이한국, 킵차크한국,

일한국등각지를분할, 왕조를세워통치하 다. 원은 13세기중반부터14세기중반에이르

는약1세기사이, 중국본토를중심으로거의동아시아전역을지배한몽골족의왕국(1271년

~1368년). 고려는 1270년 개경 환도 이후 원의 간섭을 받았다. 이때 왕은 원의 임명을 받고

원의옹주와결혼하 다. 중앙관청도격하되었으며, 정동행성, 다루가치등의기관을통하여

공물을바쳐야했다. 특히원이요구하는공녀는심각한사회문제가되어조혼의풍습이유행

하기도하 다. 이때는친원파가위세를부렸는데, 이들을중심으로한지배세력을권문세족

이라고부른다. 14세기중엽원의세력이약화되자공민왕은원의세력을축출하 다.

화백제도 | 화백제도는신라의귀족회의. 대표는상대등. 원시집회소에서기원하 으

며신라는국가의중대사가있으면화백회의를열어만장일치제로통과시켰다. 화백(和白)이

라는말이만장일치를뜻하며, 이를통해왕권과귀족사이의갈등을조정하는역할을하 다.

Page 11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1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골품제 | 신라의신분제도. 고대사회는엄격한신분제사회 고, 귀족, 평민, 천민으로

구성되어있었다. 골품제는경주지방의귀족들의신분제 으며, 왕족으로성골과진골, 그리

고귀족으로6두품에서1두품까지총8등급제 다. 통일후에는성골이없어지고진골에서왕

이나왔으며, 1~3두품은평민이되었다. 골품제는각신분이승진할수있는상한선을제한하

을뿐만아니라가옥이나의복등생활전반을규제하 다.

배중손 | (?~1271년). 고려원종때의장군. 삼별초를지휘했던인물. 원종은강화도에

서개경으로나갈것을결심하고삼별초에대해서도강화도철수명령을내렸다. 그러나삼별

초는이에응하지않고왕족온을새왕으로옹립하고저항을계속하 다. 이때배중손은삼별

초를총지휘하 다. 그는새왕을옹립한3일후에본거지를강화도에서진도로옮겼다. 그는

진도에방어성곽을구축하고용장성을축조하여장기항전의태세를다져나갔다. 당시삼별초

의 세력은 서남해안 일대와 내륙의 전주에서도 조세를 징발할 정도 다. 고려에서는 몽고와

연합하여삼별초를공략하 으나번번이실패하 다. 그러나1271년5월홍다구가몽고의대

군을이끌고고려, 몽고연합군과합세하여격전끝에진도를함락시켰다. 이리하여삼별초가

세운왕승화후온은전사하고배중손도사망한것으로보인다. 진도가함락된후삼별초의남

은무리들은제주도로본거지를옮겨김통정의지휘아래2년여항전을계속하 다.

서희의 담판 | [용어해설] 참조

윤관의 여진정벌 | [용어해설] 참조

처인성 싸움 | 경기도용인에있는토성. 고려고종19년(1232년)의몽고제2차침입때

몽고장수살리타가처인성을공격하자승장김윤후가승군을이끌고항전하여살리타를화살

로쏘아죽이자지휘자를잃은몽고군이패주하 다. 이전투는그리치열한것은아니었으나

이전투의승리로적은더이상남하하지못하고남쪽지방에서전쟁의피해를줄이게되었다.

삼별초 |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 최씨무신정권의군대. 몽고에대항하여싸움. [용어

해설] 참조

그림해설

Page 11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15

제4과. 고려의문화

다양성의 힘!

고려시대 문화는 공예미술이나 인쇄술에서 보듯이 매우 우수한 문화를 창조하 다. 이러한 고려문

화의 저력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한국인의 인종적 우수성이나 지역 또는 문화적 전통에서 찾을

수도 있겠으나, 필자는 고려문화의 우수성을 다양성에서 찾고자 한다. 고려에서는 불교문화와 유교

문화가 어그러짐 없이 공존하고 융합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민간문화도 존속했다. 다양한 가치

체계의 공존과 어우러짐은 새로운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법이다. 고려가 바로 이러한

다원적문화공간속에서새롭고뛰어난문화를창출할수있었다고보는것이가능하리라고본다.

1. 고려문화의 특징

고려문화는귀족중심의문화, 불교중심의문화라는점에서는통일신라의문화와크게다

르지 않다. 귀족들은 화려하고 세련된 문화를 남겼고, 불교문화도 많이 발전했다. 그러면 고

려문화의특징은어디에있는가? 무엇보다도우선고려문화는공예미술에서두각을드러내었

다. 통일신라의문화가조형미술중심이라면고려문화는확실히공예중심이었다. 특히고려

청자는뛰어난아름다움을창출하여한국의미를보여주고있다.

다음으로고려문화는괄목할만한기술의발달을낳았다. 특히인쇄문화에주목할필요가

있다. 이미통일신라때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8세기중엽에목판인쇄술로찍은것이며, 고

려 대장경은 매우 뛰어난 목판 인쇄 기술을 보여준다. 고려의 인쇄술은 한걸음 더 진전한다.

1234년 금속활자를 발명한 것이다. 이때 상정고금예문을 금속활자로 찍었다는 기록이 있으

며, 1377년직지심체요절은현재전해지고있는가장오래된금속활자본이다.

인쇄술과기록문화의발달은한국문화의두드러진특징중의하나이다. 한국인들은무(武)

보다는문(文)을중시하는문화를이루어왔다. 개항이후서양인들이한국을보고놀란점중

의 하나가 집집마다 책이 있으며 아무리 가난한 집이라도 선비들이 을 읽고 있다는 사실이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1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1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다. 그만큼한국인들이전통적으로문(文) 중심의고급문화를누려왔음을보여주는것이다.

2. 고려청자의 발달과정

고려청자의우수성을이미지를통하여사실적으로보여줄때, 고려문화의뛰어난미가전

달될 것이다. 청자란 푸른 도자기라는 뜻이다. 자기는 토기에 유약을 발라서 다시 구워낸 수

준높은그릇이다. 청자는유약의발명과도자기제작기술의뛰어남을보여줌과동시에, 색,

선, 형의 아름다움을 창출할 줄 아는 고려인의 미적 감각을 보여준다. 청자발달 과정은 다음

과같다.

·11세기순수청자발달: 색과선으로아름다움표현

·12세기상감청자발달: 고려인이개발한상감기술을도자기에적용. 푸른바탕에흰무늬

의조화가아름답다.

·13세기몽고의침입으로청자쇠퇴, 15세기분청사기로발전.

Page 11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숭불정책 | 고려는불교를국가이념으로삼았다. 태조왕건은유언으로자손들에게내

린훈요10조의제1조에서불교를숭상하라고지시하 다. 광종은승려들의과거시험인승과

를 설치하고, 국가에서 가장 존경받는 승려에게 국사, 왕사라는 호칭을 내렸다. 숭불정책은

고려시대내내지속되었다.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17

1. 고려의국교는무엇이었습니까?불교

2. 고려에서유명한승려에게주는명칭은무엇입니까?국사, 왕사

3. 팔만대장경을조판한이유는무엇이었을까요?불교의힘으로나라를지키기위하여

4. 고려시대나라를다스리는사상은무엇이었습니까?유교

5. 고려말새로들어온유학을무엇이라합니까?성리학

6. 고려시대의대표적인역사책은무엇입니까?삼국사기, 삼국유사

7. 고려시대에유행한빼어난도자기를무엇이라고합니까?청자

8. 고려인들은어떻게세계에서최초로금속활자를발명할수있었는지에대해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용어해설

Page 11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1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국사, 왕사 | 국사는신라와고려시대에학식과인격을갖춘승려에게임금이내리던칭

호로승려의신분계급중가장높은지위. 왕사는고려때임금의스승이되었던승려. 국사와

왕사는대체로가장높은계급을가진승려가운데에서선정되었다.

팔만대장경 | 고려고종때대장도감에서판각하여, 해인사에보관되어있는대장경. 고

려시대에판각되었기때문에고려대장경이라고하며, 매수가8만여판에달하고8만4,000번

뇌에대치하는8만4,000법문을수록하 기때문에팔만대장경이라고하며, 두번째다시새

겼기때문에재조대장경이라고도한다. 고려의대장경은3가지가있었다. 초조대장경은거란

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조판되었고, 대각국사 의천이 속장경을 간행하 으나 대구 부인사에

보관중모두몽고침입때소실되었다. 이에최우정권은강화도에서몽고침입을막기위해새

로이 대장경을 조판하 는데, 이것이 현재 전하는 팔만대장경이다. 호국불교의 모습을 보여

준다.

안향 | 1243년~1306년. 고려시대의명신이며학자. 1289년 11월에왕과왕후를모시고,

원에가서주자서를손수베끼고공자와주자의화상을그려이듬해돌아왔다. 이로써우리나라

에성리학이전해졌다. 성리학을공부한신진관료들을신진사대부라고하며, 이들은고려말권

문세족의부정부패와불교의폐단을비판하 고, 이성계와결합하여조선을건국하게된다.

성리학 | 중국송나라때주희가완성한유학의한갈래. 주자학, 송학, 정주학등으로도

불린다. 유학은공자와맹자가창시한사상체계. 시대가변함에따라유학내의다양한학문이

성립하 다. 한, 당왕조에서는훈고학이, 송에서는성리학이, 명에서는양명학이, 청에서는

고증학이각각발달하 다. 성리학은중국의관학으로자리잡은대표적인유학으로, 인간의

본성과우주의이치를탐구하는철학적인성향이강하 다. 고려 말에전래되어조선의정치

이념이되었다.

김부식의『삼국사기』| 고려 인종 23년(1145년)경에 김부식 등이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의역사를기술한역사서. 현재전하고있는가장오래된역사책이다. 이책은저자인김

부식의입장이반 되어있다. 즉『삼국사기』는유교적사대주의의입장을지니고있고, 삼국

중 신라를정통으로인정하고있다. 이는 묘청의북진주의에대립되었던 김부식의정치적입

장을정당화하는것이다.

일연의『삼국유사』| 고려 충렬왕 때의 보각국사 일연(1206년~1289년)이 신라, 고구

려, 백제 3국의 유사(남겨진 이야기)를 모아서 지은 역사서. 불교적 입장에서 서술하 고,

Page 11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고려 건국과 외세의 침입 ● 119

『삼국사기』에서 다루지 않았던 신기한 이야기들도 기록하고 있다.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기

사가『삼국유사』의 첫머리에 나오는 것처럼, 몽고 지배기 민족의식을 높이려는 목적이 개재

되어있다.

고려청자 | 고려시대를대표하는도자기. 하늘색빛을띠는도자기로, 순수청자에서상

감청자로발달하 다. [유의점] 참조.

금속활자 | 고려에서 세계 최초로 발명함. 1234년『상정고금예문』인쇄, 세계 최초.

1377년『직지심체요절』은현존세계최고(最古)의금속활자본(프랑스국립박물관소장) [유

의점] 참조

월정사 8각9층탑 | 강원도평창월정사경내에있는고려시대의석탑. 높이15.2m. 국

보제48호. 각시대에유행하는탑의양식이있다. 백제에는5층탑이유행했고, 통일신라에서

는3층탑이유행한반면, 고려시대에는다각다층탑이만들어졌다. 월정사8각9층탑은팔각형

돌을9층으로쌓았으며, 고려후기의경천사지10층석탑은10층으로쌓았다.

팔만대장경 | 고려는세차례대장경을조판하 다. 초조대장경, 속장경(몽고침입으로

소실), 팔만대장경. [용어해설] 참조.

직지심체요절 | 현재전하는세계최초의금속활자본(1377). [중심주제] 참조

고려청자 | 43쪽 아래. 6개의 도자기중 아래쪽에나란히 있는처음 3개는 순수청자이

며, 나머지는상감청자이다. 순수청자는사물의모양을본떠아름다움을나타내는기법이있

다. 첫 그림은 청자향로로서 국화를 본떴다. 위의 뚜껑은 국화꽃, 가운데 본체는 국화잎으로

표현했고, 받침대는 3마리의 토끼가 받치고 있다. 두 번째 청자는 두꺼비 모양이며, 세 번째

청자는청자로만든부처이다. 뒤에있는세가지청자는상감청자이다. 상감기법이란그릇의

표면을파내고그곳에흰색흙을채운후유약을발라구워내는고려특유의청자제작법이다.

그러므로한국의가을하늘색인비색을바탕으로흰무늬가나온다. 마지막에있는매병은푸

른가을하늘에구름이떠있고학이날아다니는풍경을보여주고있는고려상감청자의걸작

이다.

그림해설

Page 12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Page 12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제5단원

제1과 조선의 건국과 발전

제2과 조선의 사회는 어떠했는가

제3과 사림과 당쟁

제4과 임진왜란의 극복

제5과 병자호란과 북벌운동

Page 12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2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조선 500년의 전개

조선은15세기에서19세기까지500년간유지된장기왕조 다. 조선500년은한국사의마

지막왕조로서한국전통을완성시킨시대 다. 그러므로조선사를통하여우리는한국의전

통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조선 전기에 형성된 체제와 문화는 한국의

전통문화에서중심내용을채우고있다고볼수있다.

조선사는임진왜란을계기로후기로전환되었다. 임진왜란은동아시아역사에서전환점이

었다. 중국에서는명·청왕조가교체되었고, 일본에서는에도막부가성립되었다. 조선에서

는비록왕조는유지되었으나내부적으로는큰변화가있었다. 그내부적인변화가무엇인가

를추적하는것은의미가있다. 역사학자들은조선후기의역사에서근대적요소, 자본주의적

요소를발견했기때문이다.

2. 조선 전기(15세기∼16세기)

15세기는조선이국가체제를정비하던때 다. 조선건국의주체 던신흥무인과신진사대

부들은왕과신하가되어, 즉군신(君臣)관계를맺고새로운조선왕조체제를구축하 다. 15

세기를주도한것은조선의건국주체 던정도전등혁명파사대부로이들을관학파, 사장파,

훈구파라고 불린다. 이들은 성리학을 조선의 기본 이념으로 확립하고, 성리학적인 국가체제

를 정비하여 나갔다. 군신이 주도하는 왕조체제, 농업 중심의 자급자족 경제체제, 양반 중심

의신분제에기초한사회질서를확립하고, 15세기말『경국대전』으로집약하 다. 이법전은

조선의기본법이었다.

조선초기는찬란한민족문화가창조되었던시기 다. 혼의, 간의, 앙부일귀, 자격루, 측우

기등실용과학기술이발달하 고, 무엇보다도한 창제에서보듯이정신문화또한크게성

장하 다. 또한건국의진취적인기상은국토확장으로이어져압록강에서두만강에이르는국

토의원형이형성되었다.

16세기를조선중기로보는것이가능하다. 조선중기는조선이성숙하는시기로볼수있으

단원이해

Page 12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23

니, 성리학의심화발달이이를잘보여주고있다. 성리학은이기론이라는조선특유의발전을

보 다. 이때이황과이이등성리학의거장들이등장하 다. (지금한국1천원지폐에새겨

진주인공은이황이고, 5천원권주인공은이이이다.) 성리학이론은조선후기까지계속심화

되어갔다.

16세기는 지배층의 상호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하 다. 15세기 정계를 주도했던 훈구파에

대항하여사림파가등장하 고이들사이의정쟁이전개되어사림파가큰화를입었다. 이를

사화라고한다. 16세기는사화의시대 다. 또한조선의지배체제가고정되어가면서여러가

지사회모순이등장하는시기 다. 부의집중으로민(民)의생활이어려워지고국가재정이악

화됨으로써이후조선은임진왜란과병자호란에서큰어려움을겪게된다.

3. 조선 후기

17세기 이후 조선을 말한다. 16세기 말 임진왜란과 17세기 초 병자호란은 조선 사회를 크

게뒤흔들어놓았다. 조선은양란이후정치제도등지배체제를정비하 고, 이로써이후300

년을유지할수있는토대를마련했다고볼수있을것이다.

17세기이후조선의정치는붕당정치의형태로진전되었다. 성리학의각학파는당파를이

루고 중앙정계에서 서로 대립하 다. 이러한 정쟁은 학문과 정책에 기반한 정치의 전개라는

긍정적인 요소와 정치가 당리당략에 흔들리는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그래서 17

세기의붕당정치는18세기에는탕평정치로, 19세기에는세도정치로변해갔는데, 세도정치는

부정적으로평가된다.

조선후기여러가지모순이등장함에따라, 이를극복하고자하는노력이다양하게전개되

었다. 실학이라는 새로운 시각의 실용 학문, 농업, 상업, 수공업 등에서 보이는 새로운 성장,

민중문화의대두등. 이러한제요소는근대사회를지향하는것이었고, 실제신분제는붕괴양

상을보이고있었다.

그럼에도불구하고19세기조선의모습은오래된왕조의퇴락한모습을보여주기에충분하

Page 12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2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1392 조선건국

1394 한양 천도

1443 훈민정음창제

1519 기묘사화

1592 임진왜란

1623 인조반정

1627 정묘호란

1636 병자호란

1653 하멜, 제주도표착

세계사

1368 명 건국

1429 잔 다르크, 국군 격파

1453 비잔티움제국멸망

1455 국, 장미전쟁시작

1492 콜럼부스, 아메리카항로개척

1517 루터의종교개혁

1519 마젤란, 세계일주

1536 칼뱅, 종교개혁

1588 국, 무적함대격파

1603 일본, 에도막부성립

1618 독일, 30년 전쟁

1642 국, 청교도혁명

1644 명 멸망, 청 건국

다. 정치권력은한가문에의해좌우되었고(세도정치), 정부관리들의농민수탈이극에달하

으며(삼정문란), 이에 대항하는 농민의 봉기가 잇달았다(홍경래의 난, 임술민란). 바로 이

러한 때 열강의 침략이 시작되었으니, 한국인의 운명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기 시작한

것이다.

Page 12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25

제1과. 조선의건국과발전

한국 전통의 형성

우리가 한국인, 한국문화라고 할 때, 그 특징적인 요소는 무엇일까? 한국 전통이 조선시대에 완성

된 모습을 보 다고 할 때, 조선의 기본 틀을 갖추게 된 조선 초기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 유효하

리라고 본다. 이때의 기본적인 요소가 500년간 심화, 변형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이다.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한국 전통의 요소를 보자. 유교적 전통. 성리학적 사고방식이 정치, 경제, 사

회, 문화 등 제분야를운 하는원리 다. 그러므로유교적사유틀은한국의전통문화에서핵심요

소가 된다. 백성을 위하는 위민 정치, 문(文)을 중시하는 문화, 농업중시의 경제관, 상하관계가 중시

되는 사회와 가족 등은 음으로 양으로 현재 한국인의 사고에 향을 끼치고 있다. 중앙집권적 정치

체제와 관료 중심적 사고방식도 한국의 전통적 요소가 될 것이며, 조선 8도, 3천리 강산이라는 자

의식도 이때부터 형성되었다. 특히 조선 초 한 이 창제되어 한국인의 문화생활의 기초가되었음도

기억해야할것이다.

1.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 조공책봉(朝貢冊封)체제

동아시아에서는서양인들이이해하기어려운독특한국제질서가자리잡고있었는데, 그것

이조공책봉체제이다. 이체제를제대로이해하는것이전통시대동아시아를이해하는데, 그

리고중국과한국, 그리고일본의역사를이해하는데필수적이다.

조공책봉체제란 천자가 제후인 왕을 임명하며(책봉), 왕은 천자에게 예물을 보낸다(조공)

는 관계를 말한다. 이 체제는 중국 주나라 봉건질서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것이 중국과 다른

나라와의관계로확산된것이다. 그리고고대이래로중국과한국, 일본, 베트남등여러나라

사이의기본적인국제질서로자리잡았다.

조선은 왕위 계승 때 중국 황제의 임명을 받는 형식을 취했고, 1년에 3차례씩 정기 사절단

을파견하고조공품을바치고하사품을받았다. 이때주의할것은중국왕조와조선의관계가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2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2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실질적 예속관계가 아니라 형식적인 관계 다는 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중국왕조는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았고 양국 관계는 상호 독립적이었다. 근대의 국가관념으로서는 이 체제

를이해하기힘들기때문에종종오해가발생한다.

한국과중국의관계에서조공책봉체제가자리잡게된이유는무엇인가? 강국중국과상대

적으로국력이약했던조선사이에현실적이고합리적인관계 기때문이다. 중국왕조는조

선이중국의변방을침범하지않을것을보장받을필요가있었고, 조선으로서는강국의인정

과대외안정, 그리고문물의수입을보장받는안전장치가필요했던것이다. 이러한상호이해

관계속에서조공과책봉이라는형식적인관계가형성되어유지되었다.

근대 서구열강이 동아시아를 침범할 때, 조공책봉체제를 이해하지 못하 다. 예컨대 한국

과미국이개항교섭을할때, 미국은조선이청과어떠한관계인지, 즉조선이중국의예속국

인지독립국인지를알지못했다. 이때청의입장은‘조선은중국의예속국이지만, 중국은조

선의 내정과 외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라는 것이었으며, 조선과 미국의 수교를 알선해 주었

다. 여기서형식적예속과실질적독립이라는전근대동아시아의독특한국제질서, 조공책봉

체제의성격을파악할수있을것이다.

2. 군신공치(君臣共治)

조선의 정치는 분명히 왕국이었다. 그러나 그 운 에서는 왕이 독재를 행하는 전제군주제

가아니라왕과신하가함께통치하는군신공치의형태 다. 여기에조선정치의특징과탁월

함이있다. 조선정치제도에는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이라는삼사가존재했는데, 이들의고

유한 역할이 왕의 실책을 지적하며 잘못된 정치를 비판하는 것으로 왕권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 다. 그리하여 왕의 권력 독점과 전횡을 방지하는 장치가 합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존재할

수있었다. 견제와균형속에서조선은500년을유지할수있었다.

Page 12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27

이성계 | 1335년(충숙왕복위4)~1408년(태종8). 재위1392년~1398년. 조선제1대왕.

이성계는동북지방(오늘날의함경도)에서원의쌍성총관부를몰아내는데공을세움으로써등

장, 이후에홍건적, 왜구등을격퇴하면서실력자로부상하 다. 1388년위화도회군으로정치

군사적실권을장악하고조선을건국하여태조가되었다. 이성계는건국이념으로숭유억불정

책, 농본억상정책, 사대교린정책을내걸고한양으로천도하여500년왕조의기반을닦았다.

홍건적 | 중국에서몽고족왕조인원의지배를타도하고한족왕조인명나라창건의계

기를만든종교적농민반란. 머리에붉은띠를둘 다고해서홍건적이라고함. 고려에두차

용어해설

1. 이성계가조선을건국할수있는계기가된사건은무엇이었습니까?위화도회군

2. 조선은무슨뜻인가요?고조선을계승한나라. 맑은 아침의나라

3. 조선의수도는어디 습니까? 지도에서찾아봅시다.한양, 지금의서울

4. 조선의8도를써보세요.경기도,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5. 태종의업적은무엇입니까?호패법, 신문고

6. 세종의업적을써보세요.집현전설치, 한 창제, 물시계, 해시계, 금속활자개선, 4군 6진 개척등

7. 조선의기본적인통치법전은무엇인가요?경국대전

8. 조선시대에형성된한국문화의특징이무엇인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Page 12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2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례 침입. 고려 공민왕 때인 1359년 4만 무리로 1차 침입하여 서경을 함락시켰고, 1361년 10

여만무리로이차침입하여개경을함락시켰다.

일본해적(왜구) | 13~16세기에 걸쳐 한국과중국의 연안에수시로 침입하여인명을 해

치고재산을약탈하던일본의해적집단. 특히고려말우왕때왜구의침입이극에달하 다.

위화도 회군 | 1388년(우왕 14) 명나라의요동을공략하기위하여출정하 던이성계

등이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을 폐위시키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 위화도는 의주의 압록강

하류에있는섬. 당시고려와명나라의관계는명나라가무리한공물을요구하는등으로매우

긴장되어 있었는데, 1388년에는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하여 평안도 지역을 차지하겠다고

통고하자, 정부의 실력자 최 은 요동정벌을 계획하고 이성계 등을 지휘관으로 하는 정벌군

을파견하 다. 이때이성계는군대를회군하여쿠데타를일으켜최 을숙청하고우왕을몰

아낸후권력을장악하 다.

조선 | 1392년 이성계에 의하여 건국되어 1910년 일제에 강점당할 때까지 존속하 던

왕조. 조선(朝鮮)은아침의나라라는뜻으로, 고조선을계승하 다는의미를담고있다.

태종 | 1367년(공민왕 16)~1422년(세종 4). 조선의 제3대 왕. 재위 1401년~1418년.

이방원은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 다. 쿠데

타를통하여권력을장악, 조선2대왕정종에이어왕위에올랐다. 태종은왕권을강화하고호

패법을실시하는등조선의기반을다졌다.

호패법 |호패는조선시대16세이상의남자에게발급된패. 호패법은호구조사로호적

을작성하는제도. 호적은호주와그가족을기록한호구대장으로부역과공물을징수하는기

초자료로쓰 다.

신문고|조선시대에청원, 상소, 고발을위해설치하 던북. 신문고가의금부에설치되

어있었고주인이나상관에대한고발이금지되어있었으며 무고가엄금되어있었으므로일반

백성이이용하는데는한계가있었다.

물시계, 해시계 | 세종때만든시계. 물시계를자격루, 해시계를앙부일귀라고불 다.

이 밖에 천체관측기구인 혼의, 간의와 측우기 등이 이 때 발명되었다. 이러한 과학기술은 중

농정책과관련이깊다.

세종 | 1397년~1450년. 조선제4대왕. 재위1418년~1450년. 세조의셋째아들, 원래

세조의장남인양녕대군이왕위를계승해야했으나그가왕위를양보함으로써세종이세조의

Page 12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29

뒤를이었다. 조선시대명군으로이름이높다. 세종은왕권과신권의조화를이루는모범적인

유교정치를 행하 고, 4군 6진의 개척으로 국토를 넓히고 쓰시마를 정벌하여 왜구를 토벌하

다. 또한 세종은 물질문화와 정신문화를 발전시켜 민족문화의 발전에 기여하 다(현재 한

국지폐의최고권인1만원지폐에들어가있는인물).

성종 | 1457년~1494년. 조선제9대왕. 재위 1469년~1494년. 세조때부터편찬되고

있던경국대전을완성하여조선의통치체제를완성하 다. 그는유교주의를심화시키고각종

책을편찬하여조선의문물을정비하 다. 또한훈구파의횡포를견제하고자김종직등사림

파를등용함으로써이후사화가일어난단서가되기도하 다.

조선초기의 토 확장 | 4군은조선전기북서방면의여진을경략하기위해압록강상

류에두었던여연, 자성, 무창, 우예등4군. 6진은조선세종때동북방면여진족침입에대비

하여두만강하류지역에설치한종성, 온성, 회령, 경원, 경흥, 부령등의여섯진.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443년(세종 25)에 창제한 우리 문자.

1446년(세종28) 정인지등이훈민정음에대하여설명한한문해설서(훈민정음해례본)는한

의원리를체계적으로설명하고있는데, 그‘세종어제훈민정음서문’에한 창제목적이드

러난다. 우리나라의말이중국과달라서어리석은백성들이말하고자하는바가있어도제대로

표현하지못하므로, 이를불쌍히여겨한 을만들었다는것. 당시많은유생들의반대에도불

구하고세종이한 을공포한것은, 백성들에게유교윤리를보급하고자하는목적이있었다.

경국대전 |세조에서시작하여성종때완성한조선의기본법전. 조선건국초의여러법

전과그뒤의법령을종합하여만든조선최초의통일법전. 6분방식에따라이전, 호전, 예전,

병전, 형전, 공전의순서로되어있다. 여기에는조선의인사, 재정과세금, 각종행사, 군사제

도, 산업등에대한규정이정리되어있다.

경복궁 |서울에있는조선시대의정궁. 도성의북쪽에있다고하여북궐이라고도불렸다.

태조이성계는1392년조선을건국한다음즉위3년(1394)에수도를한양으로옮긴후경복궁

을짓기시작하여, 그다음해에경복궁을완성하 다. 임진왜란때불타없어진것을19세기흥

선대원군이중건하 다. 그러나일제식민지시대때대부분헐렸다가최근복원되고있다.

그림해설

Page 13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3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2과. 조선의사회는어떠했는가

조선 지배체제의 특징

조선이라는국가의특징이라면첫째가양반관료중심의사회요, 둘째가중앙집권체제라는것이다.

조선의 신분제도는 법적으로는 양인과 천민으로 나뉘었으나, 실제 사회적으로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4신분이었다. 양반은 고귀관직과 부를 독점한 지배세력이었고 중인은 하층 지배세력이었다.

상민은농공상에종사하는평민이요, 천민의대다수는노비 다.

양반은 조선의 지배층이었다. 양반은 성리학을 공부하고 과거를 통하여 관직에 진출했으며 조선의

정계를 주도하 다. 양반이 귀족신분인 점에서는 고려 때와 비슷하지만, 과거라는 관문을 통과해야

고위관직에등용되었기에능력이한층중요시되었다. 조선은양반관료층에의해서주도되었다.

또한 조선은 중앙집권이 잘 정비된 국가 다. 각 도에 관찰사(감사)를 파견하고 그 아래 부, 목, 군,

현마다 수령을 파견하 다. 지방관은 지방에서 왕을 대신하여 백성을 다스렸다. 이처럼 조선은 중

앙의명령이지방에서그대로집행될수있는중앙집권체제를갖춘나라 다.

이처럼조선왕조는양반관료를지배층으로하는체제와규율이잘갖추어진중앙집권국가 다.

1. 견제와 균형의 정치

조선의중앙관제는왕- 의정부- 6조체제 다. 의정부는3정승이정책을합의하여결정하

고, 이러한정책은이·호·예·병·형·공이라는6부가분담하여시행하 다. 조선정치

제도의특징은왕권을견제하는제도를법적으로보장한데있었다. 왕권강화에기여하는승

정원(비서실)과 의금부(반역자 재판기구)가 있는 반면, 왕권을 견제하는 삼사(사간원, 사헌

부, 홍문관)이설치되어균형이유지되었다.

2. 유교적 경제관

국가의 기본 산업 정책이 농본억상이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농업을 장려하는 여러 가지

정책을폈고, 반면에상업과수공업은국가에서철저하게통제하고억압하 다. 유학적경제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3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31

관에서는농업은부를증진시키는데비해서상업과수공업은사치와낭비를조장한다고보았

기때문이었다. 그래서사농공상(士農工商)은사회적으로통용되는신분이었다.

1. 조선시대의지배층은누구 습니까?양반

2. 조선시대중앙의핵심국가기관은무엇입니까?의정부, 6조

3. 조선지대지방은누가다스렸습니까?관찰사, 수령

4. 조선시대지방군을지휘하던장군은누구 습니까?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5. 조선시대대표적인과학기술은무엇입니까?측우기해시계, 물시계.

6. 조선시대농업을발전시키기위해서어떤일을했습니까?토지를늘이고저수지수축. 종자 개량등농업기술개발

7. 조선시대서울과지방에는어떤시장이열렸습니까?육의전(시전), 5일장(장시)

8. 조선시대의왕은어떤일을했을까요? 만약여러분이왕이라면어떤일을했을지써보세요.

학습노트

Page 13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3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양반 | 고려, 조선시대의지배층. 양반이라는용어는관제상의문반과무반을총칭하는

개념으로, 조회할때남향한국왕을중심으로문반은동쪽, 무반은서쪽에섰는데, 이두반열

을양반이라고하 던것이다. 문무양반, 동서양반으로불렸다. 조선사회에서양반은지배계

층을뜻하 다. 양반, 중인, 상민, 천민등4신분중에서최고의신분. 16세기이후벼슬에오

르지않더라도양반신분은세습되었다.

의정부 | 백관을통솔하고서정을총괄하던조선시대최고의행정기관. 고려시대최고

회의기관이던 도평의사사가 조선시대에는 의정부로 바뀌었다. 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 3

정승으로구성되었다.

6조 | 고려, 조선시대에행정실무를총괄하던6개의관청. 이, 호, 예, 병, 형, 공의여

섯개부서를말한다. 담당했던주요일은다음과같다. 이조(吏曹) - 문관의인사. 호조(戶曹)

- 국가재정, 세금. 예조(禮曹) - 교육, 외교, 과거. 병조(兵曹) - 군사, 국방, 무관인사. 형조

(刑曹) - 형벌. 공조(工曹) - 토목, 건축, 수공업등산업.

군과 현 | 조선시대지방행정단위. 조선은전국을8도로나누고, 그아래, 부, 목, 군,

현을두었다. 도에는관찰사를파견하 고그아래단위에는수령을파견하 는데, 각각부사,

목사, 군사, 현령(현감)을두었다.

수령 | 부, 목, 군, 현에파견한지방관. 부사, 목사, 군수, 현령(현감). 임기는5년이었

고출신지에는임명되지않았다. 수령은임명지에서행정, 군사, 교육, 조세, 산업등모든일

을주관하 다.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 조선전기의지방군제에서각도에는병 과수 을두고병

마절도사와수군절도사를파견하여군사를지휘하 다. 병마절도사는조선시대각도의군사

지휘관. 수군절도사는조선시대각도의수군을지휘, 감독하기위하여두었던무관.

측우기 | 조선시대에우량측정용으로쓰인관측장비. 1441년(세종23)에측우기를발

명하여 관상감과 각 도의 감 에 비치하고 우량을 측정하도록 하 다. 이탈리아 갈릴레이

(Galilei, G.)의온도계발명(1592년)이나토리첼리(Torricelli, E.)의수은기압계발명(1643

년)보다 훨씬 앞선 세계 최초의 기상관측장비 다. 따라서 측우기는 세계기상학사에서 관천

망기시대에뒤따르는측기시대를약150년정도앞당긴것이었다.

용어해설

Page 13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33

육의전 | 조선시대서울종로에설치되었던여섯종의상점. 조선에서는서울종로를중

심으로 도로변에 상점가를 만들고 상인들에게 대여하여 점포세와 상세를 거두었다. 이를 시

전이라고 한다. 이러한 시전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선전( 廛:비단), 면포전(綿布廛:무

명), 면주전(綿紬廛:명주), 지전(紙廛:종이), 저포전(苧布廛:모시, 베), 어물전(魚物

廛:생선) 등이었는데, 이를 육의전이라 하 다. 시전 상인들은 궁중과 관청의 수요품을 공

급하고중국에보내는물품도책임지고조달하 다. 6의전은다른시전보다큰국역을부담함

으로써 특정상품의 전매특권(금난전권)을 보장받거나, 또는 정부필수품의 조달상 필요에 의

해서상업상의특권을부여받았다.

5일장 | 조선시대지방에서열리던시장. 조선시대에는장시라고불 다. 15세기말부

터 출현하기 시작하 고 점차 5일마다 열리는 정기 시장으로 발전하 고, 5일장에는 보부상

들이오가며상업을하 다.

품계석 | 조선시대조회를할때각관리들이설위치를정해놓은돌. 조선시대에는문

관무관각18등급이있었는데, 정일품, 종일품에서정구품, 종구품까지 다.

측우기, 자격루, 해시계 | 1과와2과의 [용어해설] 참조.

선잠례 | 왕비가양잠을해보이던국가행사. 조선시대에는농업과양잠을중시하는중

농정책을폈다. 왕은농사를중시한다는것을보여주기위하여사직이나선농단에나아가친

히제사를지내고밭을갈며백성들에게모범을보여주고자했다. 왕비는직접양잠을행하여

잠업의소중함을백성들에게널리일깨워주려고했다. 왕비의이러한양잠시범을권잠례라

이름하여잠업의소중함을일깨워주고, 특히양잠의풍요를기원하는국가적인의식으로매

년음력3월에선학제, 즉선잠제를거행하 다.

그림해설

Page 13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제3과. 사림과당쟁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한 사림

조선시대 학문과 정치를 주도한 사람들을 사대부(士大夫)라고 부른다. 사는 유학을 공부한 선비를

뜻하고, 대부는 관직을 가진 관리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관리들은 우선 유학을 공부한 후 과거

를통해정계에진출하여활동을하는사람이다. 즉 조선의 관리는기본적으로유교적소양을갖춘

학자 던 것이다. 수기치인(修己治人),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는 사대부가 추구하

는 생활철학이었다. 그런 면에서 조선시대는 학문과 정치의 일치를 추구하 고, 유교적인 이상세계

를 현실에서 구현하려는 정치를 꿈꾸었다. 조선의 정치는 성리학자, 특히 사림들이 이상적인 유교

정치를 구현하려고 하는 과정으로 전개되었다는 점, 그리고 그들의 입장 차이에서 16세기 사화나

17세기 이후당쟁과같은정권다툼이진행되었다는점을주목할필요가있을것이다.

1. 당쟁을 보는 시각

당쟁(黨爭)은당파싸움이라는뜻이다. 일제식민사관에서는조선이멸망한원인을당쟁이

라고선전하고조선인은당파성이라는민족성을가지고있다고주장하 다. 이름하여당파성

론이다. 한국사학계에서는이러한식민사관을극복하기위하여17세기붕당정치, 18세기탕

평정치, 19세기세도정치로조선후기정치사를정리하고있다. 일제가주장한당파성론을어

떻게볼것인가? 일제가조선의정치에서당파성이라는특수성을내세운것은일제가조선침

략을정당화하기위하여조선의당쟁을지나치게과장한것이다. 필자가보기에조선시대권

력다툼은 어느 시대, 어느 역사와 비교해 보더라도 유독 심했다고 보기 어렵다. 권력이 있는

곳에권력다툼이있는것은인간사의보편적인현상에불과한것이다. 조선의정치는무력을

사용한것이아니라정책, 이론, 도덕등을주제로한논쟁으로서, 오히려수준높은문(文)의

정치를구사했다고보는것이객관적일것이다.

13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유의점

중심주제

Page 13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35

2. 16세기 과학기술이 침체한 이유

15세기에 찬란했던 과학기술이 16세기에는 별 발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까닭이 무엇일까? 16세기 사림의 집권과 연관시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15세

기를주도한관학파는새왕조개창의주역으로서중앙집권, 부국강병, 민생안정을목적으로

현실적이고실제적인정책을펼쳤고, 과학기술, 실용기술은관리가마땅히추구해야할바

다. 그러나16세기등장한사림은성리학의이상인의리와도덕을내세우고왕도정치를추구

하는데정열을쏟았다. 그결과현실적인과학기술이나실용기술은부차적인요소로취급되

었다. 사림의사고방식은과학기술의진전을제약하 다.

1. 조선중기지방에서등장한새로운세력은누구입니까?사림

2. 사림은무엇을하는사람들인가요?성리학연구와제자양성

3. 사림이주장한바는무엇입니까?도덕, 의리 숭상. 향촌자치주장

4. 사화는어떻게해서발생했을까요?사림의중앙정계진출로기존관료와대립

5. 조선후기정치에서는어떤일이일어났을까요?당쟁

6. 조선후기당파는어떻게갈라졌습니까?동인과서인. 동인은남인과북인, 서인은노론과소론으로분당

7. 왜모든정치에는권력다툼이일어나는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Page 13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3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사림 | 조선중기정치와사회를주도한새로운정치세력을지칭하는말. 사림이란용어

는고려말, 조선초에독서인층, ‘선비의무리’를지칭하는뜻으로사용되었다. 사림과비슷

한용어로사인(士人), 사류(士類), 사족(士族), 사대부(士大夫)가있는데, 이가운데사인과

사류는 선비와 선비의 무리라는 뜻으로, 사족과 사대부는 지배층인 양반을 의미하는 용어로

각각사용되었다.

조선시대 학계와 정계를 주도한 사람들은 사림이었다. 사림은 고려 말 정몽주 등 성리학자

들의후예로서도덕과의리를중시한유학자, 또는도학자 다. 이들은지방에거주하는지주

계층이자 성리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이기론을 발전시켰다. 또한 이들은 서원과 향약을 통

하여지방에서실권을행사하는세력으로성장했으며, 16세기이후중앙정계로진출하여기존

훈구파정치세력을비판하면서왕도정치를추구하 다. 사림은학파와당파를형성하 는데,

경상도지방의사림은 남학파와동인을, 기호지방의사림은기호학파와서인을이루었다.

사림의 정계 진출은 중앙 정계의 권력다툼을 초래하 다. 훈구파는 원칙론자인 사림을 중

앙정계에서축출하 는데, 이를사화(士禍)라고한다. 16세기사화로큰피해를입은사림들

은이기론을연구하고제자를기르면서지방에서자기세력을길 고, 임진왜란이끝난17세

기이후중앙정계를장악하게된다. 그후사림은여러붕당으로나뉘어서로대립하여정쟁을

벌 는데, 이를 흔히‘당쟁’이라고 한다. 당쟁이라는 용어는 일제 식민사관에서 부정적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붕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붕당정치는 사림의

정치참여폭을넓히고상호비판과견제의기능을갖춘긍정적인의미가있다. 그러나시간이

지날수록당리당략에의한당파싸움으로변질된부정적인측면도가지고있었다.

향촌자치 | 향촌은지방을뜻하며, 자치는지방세력이자기지방을다스린다는뜻. 중

앙집권에 대비되는 개념. 조선은 중앙집권체제가 잘 정비된 국가 으나, 지방에서는 향촌자

치를허용하 다. 각고을에유향소나향청을두어지방의유력자들을지방행정에참여시켰

다. 한편사림은지방에뿌리를내리고있는세력으로서향촌자치를주장하 고, 서원이나향

약을 통하여 지방에 세력을 형성하고 농민에게 지배력을 행사하 다. 16세기에는 사림의 세

력이강하여지방관조차사림의 향을받을정도 다.

사화 | 조선중기인연산군대부터명종연간까지여러차례에걸쳐신진사류들이훈신,

용어해설

Page 13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37

척신들로부터받은정치적탄압. ‘사림(士林)의화(禍)’의준말로서, 보통1498년 무오사화,

1504년갑자사화, 1519년 기묘사화, 1545년 을사사화등사대사화를가리킨다. 무오사화는

성종실록 편찬 때 김종직이 쓴‘조의제문’(弔義帝文) 등의 사초 문제로 발단하 다. 훈구파

는신진사림들의세조의정통성부정과자신들에대한비판을못마땅하게여기던차에, 유자

광 등이 사초의 내용을 근거로 신진사림들을 탄핵함으로써 벌어진 옥사이다. 갑자사화는 연

산군의 생모인 성종비 윤씨의 폐출과 사사(賜死)에 대해 연산군이 관련자를 색출하여 보복,

살륙함과아울러이를이용하여척신세력인임사홍등이훈구사림세력을제거하고자꾸민사

건이었다. 기묘사화는중종때조광조등신진사류의급진적인개혁에대한불만과그들의정

치적 압박으로 위기에 처한 훈구파가 위훈삭제사건을 계기로 일으킨 옥사이다. 을사사화는

명종때왕실의외척인윤임중심의대윤과윤원형중심의소윤이서로반목하여, 소윤이대윤

일파가역모하고있다고무고하여빚어진사건이었다.

당쟁 | 조선 후기부터 형성된 정치 운 형태. 대표적인 붕당으로 동인과 서인, 그리고

남인, 북인, 노론, 소론등이있었다. 붕당이나타나게된요인으로벼슬할사람은많은데비

하여관직이부족했기때문이라는분석이많으며타당성이있다. 붕당간의경쟁이심해져상

대 당파를 죽이기까지 하는 일당전제화는 사족의 경제적 사회적 기반 약화와 연결되어 있었

다. 붕당의전개과정은이러했다. 선조때동인과서인이분당되어동인이집권하 고, 동인은

다시남인과북인으로나뉘어졌다. 광해군때에는북인이정권을잡았고, 이에대해서인이쿠

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니 이것이 인조반정이다. 이후 서인과 남인이 공존하며 정권

이교체되었고, 숙종때서인이노론과소론으로분당된후대체적으로노론이집권하 다. 18

세기 조와정조대에는당쟁을막기위해왕권을기초로탕평책이실시되었으나, 왕권이약

해진19세기에는한가문이권력을독점하는세도정치가행해졌다.

퇴계 이황 | 1501년(연산군7)~1570년(선조4). 조선중기의대표적인학자이자문신.

이황은‘동방의주자’라고불릴만큼주자의학설을깊이있게연구하 다. 이기(理氣) 이원

(二元)론의입장에서이(理)를중시하는주리론적입장에섰고경상도남인들이그의학통을

이었다. 대표적인저서로성리학의핵심을10장의그림으로나타낸『성학십도』가있다.

그림해설

Page 13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3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율곡 이이 | 1536년(중종31)~1584년(선조17). 신사임당의아들. 조선중기의학자,

문신. 기호학파의 중심인물이며, 서인과 노론 계열에서 그의 학풍을 이었다. 이이는 이기(理

氣)를모두중시하 으나일원(一元)론적입장을가지고있었기때문에상대적으로기(氣)를

강조. 그는현실개혁에관심을가지고수미법(공납을쌀로거두자는주장), 10만양병설을주

장하 다. 대표적인저서로『성학집요』가있다.

과거시험 | 조선시대관직에나아가는주요한수단. 문과, 무과, 잡과가있었으며문과

가중시되었다.

도산서원, 소수서원 | 서원은조선중기이후지방에세워진사립교육기관. 사림은지방

에서자신의제자들을교육하기위하여서원을세웠다. 서원은선현에제사하고성리학을공

부하며제자를교육하는기능을가졌다. 중종때백운동서원이최초 으며이서원은명종때

이황의건의로사액서원이되었다. 사액서원은국가로부터토지와서적, 노비를제공받았고

세금은면세되었다. 서원은사림의중요한지역기반이되었으며붕당의근거지 다. 후에흥

선대원군은서원의폐해를없애고자대부분의서원을폐지하 다. 소수서원은경북 주에있

으며안향등을모셨고, 도산서원은경북안동에있으며 이황이학문을연구했던곳에그를추

모하여세웠다.

Page 13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39

제4과. 임진왜란의극복

임진왜란과 동아시아의 변화

임진왜란은 1592년에서 1598년까지 2차례에걸쳐일본군이대규모로조선을침략한전쟁이다.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삼국이 참전한 전쟁이었다. 일본의 전국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부하 공신들에게 나누어 줄 봉토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국 정복을 계획하 다. 이는 장기간의 전쟁

으로 성장한 일본의 군사세력의 불만과 욕구를 대외 침략으로 해소하려는 시도 다. 일본은 국내

불만을 대외 침략으로 해소하려는 성향이 강했고 역사적으로도 종종 분출되었으며, 그 첫 대상이

한반도인 경우가 많았다. 한반도는 대륙과 해양을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 기에, 동아시아의 역사변

동 때마다 전쟁에 휩쓸려 들어가거나 전장이 되기 쉬웠다. 임진왜란이나 뒤이은 병자호란도 그런

경우 다. 따라서 임진왜란은 동아시아의 전쟁이었고, 그 향으로 동아시아의 형세가 크게 바뀌었

다. 먼저 전쟁을 일으킨 일본에서는 에도막부가 성립되어 19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었으며, 중국 대

륙에서는 명나라가 망하고 만주족이 세운 청이 등장하여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다. 즉 임진왜란

은참전국두나라의정권을교체시킨것이다. 반면에정작전장이되었던조선왕조는유지되었다.

조선이 당한 전쟁피해는 적지 않았고 그로 인한 변화도 많았으나 왕조 자체는 지속된 것이다. 왜

그랬을까? 조선의 제 모순은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부차적인 것으로 뒤로 려 났다는 것, 그리

고 전쟁 후 수습의 과정에서 제도의 개선이 있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이

망하지 않고 장기 지속된 것이 한국사의 행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역사란 변화하는 것이고, 변해

야 할 때 변해야만 진보가 있는 것이다. 조선이 비록 전후에 다소 개혁을 하 다고 할지라도 조선

이 가지고 있었던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하 고, 이것이 한국사의 발전을 제약했음도 사실이다. 그

리하여 19세기 후반 열강의 침략을 받았을 때 조선은 무력한 모습을 보 고, 민족사의 비극으로 연

결되었다.

1. 조선의 패배와 승리

흔히들 전쟁의 승리가 뛰어난 장수들이나 무기, 전술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사실전쟁의승패는국력에의해좌우된다. 임진왜란에서조선이졸지에전 국토를유린당한

까닭은무엇이며, 결국은전쟁을승리로이끌었던원인이무엇인지생각해보는것이필요하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4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4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다. 전쟁 초기 조선이 패한 것은 16세기 조선의 체제가 무너져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

다. 대토지소유확산으로농민은궁핍해졌고그결과국가재정이약화되었다. 그리하여군사

제도는붕괴하여전쟁을치러낼만한군사력을소유하지못하 다. 이이가10만양병설을주

장했던것, 그리고그것이추진되지못했던것은당시의사정을잘보여주는것이다.

한편 조선이 승리했던 이유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에서 찾는 것은 단견이다. 조선의

승리 요인은 전쟁의 과정을 통해서 점차 조선의 국력이 재정비되어 힘을 발휘했기 때문에다.

정부에서 조직하지 못했던 군사력은 재야 유생들이 중심이 된 의병으로 분출되었고, 조선의

군사기술은이순신이라는장수를통하여해전에서발휘되었다. 무엇보다도조선인들의문화

적우월감을빼놓을수없다. 조선인들은일본인에대하여문화적인우월감을가지고있었기

때문에 일본군의 일시적인 무력 점령을 마음으로 수용하지 못하 고, 그것이 전쟁에서 승리

할수있는정신적인힘으로나타났다.

2. 경복궁이 불탄 사연

한국의불교문화재를보면대체로17세기에중건되었다는사실을알수있다. 임진왜란때

소실된것을전후에재건한것이다. 그만큼임진왜란은조선의문화재에큰피해를주었고, 그

중의하나는조선의정궁인경복궁이불탄것이다. 경복궁이불탄사연을통해우리는왜란당

시의 조선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경복궁의 소실은 일본군에 의해서 자행된 것이 아니

라, 서울의민중에의해서행해진것이다. 왜란으로선조가백성들몰래북쪽으로피신하려고

하자민중들의분노가폭발하 다. 민중들은평소에군림하다가위기를당하여지배자만도망

가는모습에분노하며북쪽을향하는선조의행렬에돌을던지면서비난하 고경복궁에불을

질 다. 왕조시대지배자와민중의관계에대하여생각하게해주는장면이다.

Page 14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41

임진왜란의 전개과정 | 1592년부터1598년까지2차에걸친왜군의침략으로일어난전

쟁. 1597년 제2차 침략전쟁을 따로 정유재란이라고도한다.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히데요

시가1592년4월13일침략을시작하여14일, 15일부산과동래를함락시키면서전쟁이시작

되었다. 일본군의총병력은약20만이었는데이중부산과동래를함락시킨제1군은중로(中

路)로동래 - 양산 - 청도 - 대구 - 인동 - 선산 - 상주 - 조령 - 충주 - 여주 - 양근 - 용진나루 -

경성동로, 제2군좌로(左路)는동래 - 언양 - 경주 - 천 - 신녕 - 군위 - 용궁 - 조령 - 충주 -

용어해설

1. 왜란직전일본을통일한사람은누구입니까?도요토미히데요시

2. 일본은왜조선을침략했을까요?국내불만세력의관심을밖으로돌리고, 대륙 침략의야심을채우기위해

3. 임진왜란초기의전쟁사정은어떠했습니까?조선의패배

4. 임진왜란때국민들이자발적으로만든군대를무엇이라고합니까?의병

5. 조선의해군이바다에서승리한까닭은무엇입니까?뛰어난전략과무기, 거북선

6. 일본군이다시침입한것을무엇이라고합니까?정유재란

7. 일본의대대적인침략에도불구하고결국조선이일본군을물리칠수있었던이유에대하여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Page 14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4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죽산- 용인- 한강, 제3군우로(右路)는김해- 성주- 무계- 지례 - 등산 - 추풍령- 동 - 청

주- 경기도의3로로나뉘어서울을향하여북상하 다.

조정에서는 신립을 도순변사로 임명하여 왜군을 방어하게 했으나, 신립은 충주 탄금대의

방어 작전에서 패하 다. 신립의 패전보고가 있자 4월 30일 선조는 평양을 향하여 피란길에

오르고민이일어나공사노비의문적이있는장례원과형조의건물을불태우고경복궁, 창덕

궁등궁궐과관청에들어가약탈을하 다. 왜군은상륙20일만에서울을점령하고, 북진하

여평양은부산상륙이후60일도못되어함락, 거의무방비상태인전국토는함경도까지진

출한적에게짓밟히게되었다.

서울이함락되고함경도지역까지왜군의침략을당하고있을때해상의싸움은연전연승을

거두었다. 전라좌수 의수군절도사로있던이순신은옥포의첫해전에서승리를거둔후당

포, 당항포, 한산도, 부산등지에서계속큰전과를거두었다.특히한산도대첩은진주성싸움,

행주산성싸움과더불어임진왜란3대첩으로꼽힌다.

한편의병이전국각지에서봉기하 다. 남에서는유림곽재우, 김면, 정인홍등이, 호남

지방에서는 고경명, 김천일, 호서에서는 조헌 등이, 함경도에서는 정문부가 거병하 다. 조

선은 명의 구원을 요청하자 명에서는 조선 땅에서 왜군을 격퇴해야 한다는 판단 아래 파병을

결정하고, 4만 5000의 원군을 파병하여 평양성을 공격, 이를 탈환하 다. 임진강을 끼고 조

선, 명의연합군과왜군이대치하고있을때, 강화회담이시작되었으나일본의무리한요구로

강화는좌절되었다.

1596년 12월, 정유재란이 일어났다. 이 때 왜군 총병력은 14만 1500명이었다. 왜군은 경

상도 전라도 일대를 침략하 으나, 백의종군 끝에 다시 수군통제사로 임명된 이순신이 명량

대첩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이듬해 8월 도요토미가 죽자 이를 계기로 왜군은 총퇴각하 다.

이순신의 조선 수군은 노량에서 최후의 해전을 벌여 승리하고 이순신은 장렬한 최후를 마쳤

다. 이로써7년에걸친왜란이끝났다.

왜군침입로 | 위의[용어해설] 참조

행주대첩 | 임진왜란때권율이경기도광주의행주산성에서왜군을대파한싸움. 권율

그림해설

Page 14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43

은1593년(선조26) 2월 1만여병력을행주산성에집결시켰는데, 총퇴각을서두르던일본군

이3만여병력으로공격해왔다. 이에권율은갖은방법을동원하여왜군과맞서치열한싸움

을 계속하 으며, 심지어 부녀자들까지 나서 관민이 일치단결하여 싸웠다. 이때 부녀자들이

긴치마를잘라짧게만들어입고돌을날라서, 석전으로적에게큰피해를입혔는데, 여기에

서‘행주치마’라는 명칭이 생겼다는 이야기가 있듯이 당시 행주산성의 싸움은 치열하 다.

마침내일본군은큰피해를입고퇴각하 는데, 이를행주대첩이라고한다.

곽재우 | 조선중기의의병장. 임진왜란이일어나자의령에서의병을일으켜대승을거

두고 정유재란 때는 화왕산성을 수비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의주로 피난하자 의령에

서 의병을 일으켰다. 1592년 5월 함안군을 점령하고 정암진 도하작전을 전개한 왜병을 맞아

싸워 대승을 거두었다. 이때 홍의(붉은 옷)를 입고 선두에서 많은 왜적을 무찔 으므로 홍의

장군이라고도불렸다.

한산대첩 | 1592년(선조25) 7월7일한산도앞바다에서조선수군이일본수군을크게

무찌른전투. 한산도대첩은행주대첩, 진주대첩과더불어3대대첩으로일컬어지는사상최대

의해전으로, 이를통해왜의수륙병진정책은완전히좌절되었다. 전라우수사이억기, 경상우

수사원균과합세한전라좌수사이순신은거제도와통 만사이에있는견내량이협소하여해

전에 적합하지 않음을 파악하고, 왜선을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하여 학익진을 펼치며 왜군을

포위섬멸하 다.

거북선 | 임진왜란직전에이순신장군의고안으로건조된세계최초의돌격용철갑전선.

이순신 | 1545년~1598년. 32세에무과에급제하여함경도와전라도에서무관직을지

냄. 1591년(선조24) 유성룡의천거로절충장군, 진도군수, 전라좌도수군절도사에부임하

다. 이듬해임진왜란이일어나자옥포, 사천포, 당포, 당항포, 한산도, 부산포등의해전에서

대승을거두었다. 1593년부산과웅천에있던일본군을격파함으로써남해안일대의일본수

군을완전히일소한뒤한산도로진 을옮겨최초의삼도수군통제사가되었다. 1597년파직

당하여 백의종군하 으나, 다시 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 그는 12척의 함선과 빈약한 병력을

거느리고 명량에서 333척의 적군과 대결, 31척을 격파하는 대승을 거두었다(명량대첩). 이

승리로조선은다시해상권을회복하 다. 1598년(선조31) 2월고금도로진 을옮긴뒤, 11

월에 명나라 제독 진린과 연합하여 철수하기 위해 노량에 집결한 일본군과 혼전을 벌이다가

유탄에맞아전사하 다(노량해전).

Page 14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4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5과. 병자호란과북벌운동

현실과 명분 사이에서 고통을 당하는 한국인들

조선시대 27명의 왕 중에서 군(君)의 명칭을 달고 있는 사람은 연산군과 광해군이다. 이들은 재위

중 쿠데타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나 왕자의 신분이 된 자들이다. 그래서 조선시대의 시각에서는 부

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광해군에 대한 현대 역사가의 평가는 정반대이다. 조선시대의 시각과

는달리광해군을개혁정치를시도하다가보수층에의해제거당한것으로파악하는것이다.

광해군은 선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고, 임진왜란 전후 처리에 심혈을 기울 으니, 양전사업 실

시, 성지 성곽 수리, 사고(史庫) 정리, 동의보감 편찬 등의 정책을 실시하 다. 그리고 몰락하는 명

과 성장하는 후금 사이에서 신중하고 현실적인 중립외교정책을 실시하 다. 이러한 광해군의 정책

은보수적인서인들의불만을야기시켰고, 급기야서인은인조반정을일으켜광해군을축출하 다.

서인정권은대외정책은친명배금, 즉 명과친선을도모하고후금을배척하는정책으로전환하 다.

서인의 논리는 명은 중화이며 임진왜란 때 위기에 처한 조선을 구해준 은인이라는 시각이었다. 그

러나 서인의 외교정책은 후금과 후금이 이름을 바꾼 청의 침입을 초래하 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이었다. 조선은임란이끝난지얼마되지않아다시전란에휩싸이게되었고많은피해를당했다.

서인정권은청을오랑캐라고보면서그에저항하 으나, 결국 항복하고말았다. 그 후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청이 패할 때까지 청에 대한 조공책봉체제를 유지하 다. 즉 서인의 명분, 중화사상이 전

쟁을불러온것이었다.

전쟁이 끝난 뒤 서인 정권은 청에 복수하자는 북벌운동을 벌 다. 그러나 이미 조선은 중국대륙을

장악한청과싸울힘도없었고또한전쟁을벌일수도없었다. 그러나 서인은북벌정책을강화시켜

나갔다. 북벌운동은 명분에 불과하 고 서인정권의 유지를 위한 군사적, 사상적 기반이었을 따름이

었다. 현실적인눈을갖지못한채권력유지를위한명분에빠진조선정부아래서민(民)의 생활은

힘들어져갔다.

1. 환향녀와 화냥년

한국인들이쓰는욕중에화냥년이있는데, 이는매춘부나갈보등정조관념이없는여인들

을비하하여쓰는말이다. 이말은병자호란때나왔는데, 이단어를통해조선지배층의위선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4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45

적인사고방식을볼수있다. 병자호란때많은부녀자들이청군에끌려갔고몸값을지불하면

풀려나조선으로돌아올수있었는데, 유독양반집부녀자가많았다. 정부에서는서울에우물

을파놓고여기서목욕을하면청에서당한치욕이사라진다고말하 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논란이 있었고, 환향녀, 즉 고향으로 돌아온 여자는 정절을 잃은 부도덕한 여자로 치부되었

다. 여기서환향녀가화냥년으로변한것이다. 사료를보자.

“임진왜란때사대부의부녀들이적진에잡혀갔다가살아서돌아온자를시집에서이

혼하고개취할것을청하여조정에서는의논이많았다. 선조가이르기를'이것은음탕한

행동으로절개를잃은것에견줄것이아니니버릴수없다'하여허락하지않았다. 이제

와서청나라로부터속환된자에대하여조정에서다시장가드는것이나 인연을끊는것

을허락하지않는것이옳다는의논이있었으니임금이전교하기를‘선조(先朝)의정한

예에따라시행하라’고하 다.”- 이긍익『연려실기술』

2. 만주족

청을세운민족이만주족인데, 이종족은우리민족과가장가까이살면서많은관계를맺은

종족이다. 일찍이 고구려와 발해의 지배 아래 있는 말갈족이었으며, 고려 때에는 금을 세운

여진족이었다. 그리고조선전기에는야인으로불리며조선에의존하고있던부족이었다. 그

런데조선후기여진족이흥기하여후금을세우고이어서국호를청으로고치고중국대륙을

차지하여지배자가되었다.

Page 14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4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용어해설

1. 임진왜란이후중국대륙에는어떤변화가일어났습니까?명에서청(후금)으로

2. 후금과청이조선에침입한사건을무엇이라고합니까?정묘호란, 병자호란

3. 청의침입에대하여조선은어떻게대응했습니까?남한산성에서저항하다가항복하 다.

4. 청에게항복한후조선에서는어떠한운동이일어났습니까?북벌

5. 청을정복하려는계획을세운왕은누구입니까?효종

6. 왜청을정복하지못했을까요?청이강성해졌기때문에

7. 조선사람들은청에대하여어떤생각을가지고있었는지토론해봅시다.

청을오랑캐라고생각했다.

학습노트

정묘호란 | 1627년(인조5) 만주에본거를둔후금(後金)의침입으로일어난조선과후

금사이의싸움. 1616년만주에서건국한후금은광해군의적절한외교정책으로큰마찰이없

이지냈으나광해군의뒤를이은인조가친명배금을내걸고명을후원하자, 명나라를치기위

해 중국 본토로 진입하려던 후금은 배후를 위협하는 조선을 정복하여 후환을 없앨 필요가 있

었다. 후금은이괄의난을계기로조선을침입하 다.

Page 14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조선 전기 사회 ● 147

1627년 l월 3만의 후금 군대는 평양을 점령하고 남하하자 인조와 관리들은 강화도로 피신

하 다. 후금군은2월9일조선에게① 명나라의연호를쓰지말것, ② 왕자를인질로할것

등의조건으로화의를교섭하 다. 이에양측은① 화약후후금군은즉시철병할것, ② 후금

군은철병후다시압록강을넘지말것, ③ 양국은형제국으로정할것, ④ 조선은후금과화

약을 맺되 명나라와 적대하지 않을 것 등을 조건으로 정묘조약을 맺었고 후금군도 철수하

다. 이를정묘호란이라고한다.

병자호란 | 1636년(인조14) 12월부터이듬해1월에청나라의조선에대한제2차침입

으로 일어난 전쟁. 정묘호란 때 조선은 후금과‘형제의 맹약’을 맺고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

그러나 후금은‘형제의 맹약’을‘군신의 의’로 개약할 것과 무리한 세폐와 정병 등을 요구해

오자 조선에서는 그들의 요구에 응하지 않고 후금에 대하여 선전포고를 하자는 척화배금(斥

和排金)의목소리가높았다.

1636년 4월후금은국호를청으로고치고, 그해12월대군을이끌고조선침입을감행하

다. 청군은심양을떠난지10여일만에압록강에이르 고, 14일에이미개성을지나는등매

우 빠른 속도로 내려왔다. 인조는 강화도로 가는 모든 길이 막히자, 세자와 백관을 대동하고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다. 청군의 선봉부대는 남한산성을 포위하고, 청 태종은 다음해 1월 남

한산성밑에20만의군사를포진시켰다. 이러한대치상태는40여일간지속되었고, 남한산성

을향한지방각도의관군들은청군에게패전을거듭하 다. 남한산성은고립되고성안의식

량도바닥나기시작했다.

조선 정부에서는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이 계속되는 가운데, 결국 청과 강화하기로 결정

하 다. 강화내용으로, 첫째, 조선은청에신하의예를행할것. 둘째, 명과의관계를끊으며,

명의연호를버릴것, 셋째, 조선왕의장자와차자, 대신의아들을볼모로보낼것, 넷째, 청이

명을 정벌할 때 조선은 원군을 파견할 것 등 조선에 치욕적인 것이었다. 결국 인조는 세자와

함께삼전도에서굴욕적인항복을했고, 청은조선의소현세자와봉림대군을볼모로삼고척

화를주장한대신들을잡아청으로돌아갔다. 이를병자호란이라한다.

북벌계획 | 조선효종때청나라를정벌하려했던계획. 조선은병자호란때삼전도에서

치욕적인 항복을 하 다. 오랑캐로 멸시해오던 청나라에게 무조건 항복하고 그 속국이 됨으

로써 조선왕조의 명분과 권위는 땅에 떨어졌으며, 청나라에 볼모로 갔던 소현세자와 봉림대

군도온갖고초를겪어야했다. 소현세자는그곳에서천주교를비롯한서양의새로운문물에

Page 14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4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접하고환국하 으나곧사망하 고, 왕위는동생봉림대군에게계승되었다. 새로즉위한효

종은병자호란의치욕을씻기위하여북벌을계획하게되었다.

조선은 남한산성의 방비를 강화하기 위해 수어청의 군사력을 정비하 고, 이완을 대장으

로 하여 어 청군을 크게 증가시켰고, 당시 제주도에 표착하 던 네덜란드인 하멜(Hamel,

H.) 등을 시켜 신무기를 만들게 하 다. 또한 송시열, 송준길 등 재야의 인재들을 등용하여

국정을쇄신하고전력증강에힘쓰는한편, 의주부윤임경업을시켜명과동맹을강화하 다.

그러나명나라는결국청나라에게멸망당하 고, 효종이재위10년만에별세하여이북벌계

획은좌절되고말았다.

북벌계획은병자호란이후청에대한복수심, 그리고중화사상이바탕이된명분론에따른

것이었다. 이러한북벌론의기초에는명에대한의리를지키자는대명의리론, 명이망한이후

이제는조선만이중화라는소중화론이있었다. 결국북벌론은서인정권의전쟁책임회피와

중화사상에뿌리를둔존화주의의발로 다.

효종 | 1619년(광해군11)~1659년(효종10). 조선제17대왕. 재위1649년∼1659년.

1636년병자호란이후, 이듬해강화가성립되자형소현세자와함께청에볼모로끌려갔다. 8

년만인 1645년 소현세자가 먼저 돌아왔다가 갑자기 죽자 귀국하여 세자로 책봉된 후, 1649

년 인조가 죽자 즉위하 다. 오랜 기간의 볼모 생활을 하면서 생긴 청에 대한 원한과 조정의

반청 분위기로 북벌계획을 추진하 다. 김상헌, 송시열, 송준길 등 반청파를 중용하고 군사

력을길러청을정벌하려고하 으나성공하지못하 다.

남한산성 | 경기도광주군중부면산성리에있는조선시대의석축산성. 병자호란때인

조가피신하 던곳. 이후에수비력을강화시켜수어청을두어방어하게하 다.

임경업 | 594년(선조 27)~1646년(인조 24). 조선 중기의 무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만주족과싸워공을세웠다.

그림해설

Page 14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향한 움직임

제6단원

제1과 조선후기 사회의 변화

제2과 학문의 새 경향, 실학

제3과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다

제4과 조선 사회의 변동

Page 15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5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근대 초기 유럽과 아시아

조선사는15세기에서19세기까지5백년간진행되었다.(제5단원[단원이해] 참조.) 같은때

서양사에서는근대를향한일련의움직임이진행되었다. 서양사는14세기이후르네상스- 대

항해시대- 종교개혁- 시민혁명- 산업혁명을거쳐근대를형성해나갔다. 거시적으로볼때,

서양사의진전은세계사에서서양이역사의전면에두각을드러내는계기가되었고, 이후서

양세력이비유럽지역에긍정적이든부정적이든큰 향을끼치게된다.

시민혁명과산업혁명은서양사에새장을열었다. 시민혁명으로민주주의라는정치체제를

열고, 산업혁명으로자본주의체제를형성시켰다. 그리고19세기말이되면서양의주요국가

들은제국주의로전환되어비유럽지역을침략하여식민지로종속시키기시작하 다.

반면, 아시아지역은전통왕조가유지되고있었다. 서아시아의오스만투르크제국, 남아시

아에서 인도의 무굴제국, 그리고 동아시아에서는 중국대륙의 청 제국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조선왕국, 일본의에도막부가자리잡고있었다.

청은17세기이래크게성하여동아시아의패권을장악하 고, 광저우를통하여유럽과무역

을하 고그과정에서유럽의문물이소개되고있었다. 조선은청을통하여서양문물을일부

수입하 다. 이처럼근대초기동아시아에서는점차서양과의교류가점차증가하고있었다.

2. 조선 후기의 변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정치, 군사, 세제 상 일정한 개혁을 추진하 다. 그러나

이러한개혁은왕조의틀내에서행하여졌기때문에민생의안정을기대하기힘들었다. 여전

히양반지주가대토지를소유하 고농민의대다수는소작농이었으며, 백성의대부분은정부

와지주의수탈에어려움을겪고있었다.

농민들은 농업기술의 혁신을 통하여 생존을 도모하 으며, 이때 모내기(이앙법)가 광범위

하게 행하여졌다. 모내기는 벼, 보리 이모작을 가능하게 하 고, 특히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

산량이늘어났다. 또한일부농민들은인삼, 담배, 면화, 약재, 채소등을재배하여판매하기

단원이해

Page 15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51

시작하 다. 이앙법과상품작물재배는농민의수입을크게증가시켰고, 농민은경우에따라

서는이전보다10배이상의수입을올릴수있었다. 이러한농민들은점차부농이되어갔고,

새로운세력을형성하 다.

농업에서생산력의증가는상업과수공업, 광업의발달을가져왔다. 상인들의활동이활발

해지면서전국이5일장으로연결되었고상업도시가성장하 으며도매업을주로하는거상들

이 활동하 다. 전국이 하나의 유통권으로 편성되었고 상평통보라는 동전이 1차적 유통수단

으로자리잡았다. 이에따라수공업의생산도활기를띠어갔고전국적으로유명한상품들이

생산되었다. 이제조선은유통경제체제에돌입하게되었다.

경제적변화는사회적변화를동반하고있었으니, 신분제가크게동요, 변화하 다. 경제력

을 가진 상민들은 양반 신분을 획득함으로써 양반계층이 크게 늘어나고 상민과 노비는 점차

줄어들었다.

조선의사회와경제가변화함에도불구하고조선의지배층이나지배정책에는큰변화가없

었다. 이에새로운사상이등장하 으니, 실학, 서학, 동학등이었다. 이들3학문은성리학의

한계를지적하고새로운개혁과새로운사회전망을제시하 다.

실학자들은유학의테두리내에서개혁안을제시하여부국강병민생안정에도달하고자하

다. 실학자들은크게두부류 으니, 유형원, 이익, 정약용등은농업과제도개혁을주장하

고,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등은상업과기술혁신을주장하 다. 또한평등의식의성장에

따라 천주교가 조선에서 유포되기 시작하 으며, 19세기 중엽에는 동학이 창시되었다. 그러

나주류성리학이나정부에서는이들의혁신적인사상을사악하다며배척하고탄압하 다.

3. 조선 후기 변화의 의미

조선후기경제, 사회, 문화에서새로운경향은뚜렷하다. 그의미는무엇인가? 역사학자들

은 이러한 변화를‘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으로 인식한다. 즉 조선 후기 조선 사

회 내부에서 자본주의가 싹텄으며, 이러한 자본주의는 외부로부터 이식된 것이 아니라 조선

Page 15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5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의내부에서발생했다는것이다. 이러한시각은식민사학의정체성론을극복하는것이며, 한

국사의자발적이고주체적인발전을적극인정하려는것이었다. 즉서양에서민주주의, 자본

주의, 평등 사회, 합리주의가 등장할 시점에, 조선에서도 자본주의 맹아, 신분제의 붕괴, 실

학사상의형성등이나타났다는입장이다.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1636 병자호란

1708 대동법 실시

1750 균역법 실시

1776 규장각 설치

1801 신유박해

1811 홍경래의 난

1860 동학 창시

1862 임술민란

세계사

1644 청, 중국 통일

1688 , 명예혁명

1776 미국, 독립선언

1789 프랑스, 인권선언

1814 빈 회의

1830 프랑스, 7월 혁명

1840 아편전쟁

1858 인도, 무굴제국 멸망

1861 미국, 남북전쟁 시작

Page 15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53

제1과. 조선후기사회의변화

근대경제로 진전하는 한국사

근대사회는 정치체제에서 민주주의, 경제에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평등, 사상에서 합리주의를 일컫

는다. 근대사회의 성장을 가시적으로 보여준 지역은 유럽이었다. 그러면 한국사에서는 근대사회의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묻는 것은 조선 후기의 역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조선 후기는 외형적으로 볼 때에는 여전히 왕조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내부에서는 근

대적인 요소들이 등장하 고, 그 결과 조선 사회는 크게 변화하고 있었다. 제1과에서는 산업분야의

근대적 요소를 다루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농업 : 이앙법(모내기) 일반화로 농업 생산력의 증대. 일인당 경지 면적의 확대(광작). 상품작물의

재배. 농업 자본가 형의 지주 출현.

2) 상업 : 전국적인 5일장과 보부상의 등장. 주요 상업도시와 전국적인 유통망 형성. 여각, 객주, 선

상 등 독점적 도매상인(도고)의 등장. 개성의 송상, 의주의 만상, 평양의 유상, 서울 중심의 경강

상인, 동래의 내상 등 거상의 등장. 상평통보의 전국적인 유통.

3) 수공업 : 수공업 생산의 증가와 민 수공업의 등장. 상인이 주도하는 선대제 수공업과 독자적으

로 생산하는 독립수공업, 그리고 가내 수공업의 발달.

4) 기타 : 광업에서 은광개발의 활성화. 대청무역과 대일본무역의 성장.

이러한 산업상의 변화는 자급자족, 농업 중심의 봉건 경제에서 벗어나 근대적 자본주의적 생산 경

제 모습을 띤 것이었다. 그래서 이를 자본주의의 싹으로 파악할 수 있다.

1. 자본주의 맹아론의 등장 배경

자본주의 맹아론이 등장한 것은 식민사관, 그 중에서도 정체성론을 극복하는 과정이었다.

정체성론은 한국의 경제는 발전이 없었고 특히 고대 단계에 머물고 있어서 중세가 없었다는

것으로, 일제식민지배를정당화하는논리 다. 한국의역사학자들은조선후기의경제를연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5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 임진왜란이후조선의경제는어떻게되었을까요?파산상태 다.

2. 양란후세금제도는어떻게바뀌었나요?대동법, 균역법 실시

3. 농민들은어떠한노력을했습니까?수리시설, 농사기술 발달(이앙법 실시)

4. 조선후기에경제는어떻게바뀌었습니까?지주와 부농 발생. 시장과 대상인 등장

5. 조선후기근대화되어가는모습에는어떤것이있는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15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구한결과, 조선후기에이미자본주의가싹트고있었다는사실을확인하 다. 물론자본주의

경제체제에들어섰다는것은아니지만, 자본주의적인요소가내부에서자생적으로성장하고

있음을확인한것이다.

그러면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가 싹텄다면 왜 조선은 결국 식민지로 전락되고 말았던 것인

가? 여기서두가지측면을주목할필요가있을것이다.

하나는, 조선은여전히왕조지배체제가유지되고있었다는점이다. 조선의정치는17세기

붕당정치, 18세기탕평정치, 19세기세도정치로변해갔지만, 이러한정치질서는여전히민주

주의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그리고 정치권력은 새롭게 성장하는 자본주의적인 요소나 근

대적인요소를수용하지않았을뿐더러대외적인새로운사상이나기술을수용하는데도인색

하 다. 특히19세기세도정치기에이르면한가문이권력을독점하고농민들을수탈하는데

만 열을올릴뿐새로운시대를여는데는전혀관심이없었고, 오히려탄압으로일관하고있

었다. 즉조선후기정치면에서근대를기대하기란힘들었다.

둘째는, 조선후기에 성장하고 있던 상업자본, 산업자본이 일제의 경제침탈로 몰락하고 파

멸의길로들어섰다고파악하는것이다. 그리하여자생적근대화의길이막히고식민지종속

경제가되었다. 그렇게보면식민지근대화론의허구가드러난다.

Page 15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55

제도개혁 | 임진왜란후조선의제도는변하 다. 우선정치제도변화로서국정최고기관

이었던의정부의역할이줄어들고대신비변사가최고기관이되었다. 원래비변사는외척침

입을막기위한임시기구 으나, 왜란후의정부3정승, 공조를제외한5조판서, 대제학, 5군

대장등전현직관리들이모여국정전반을논의하는최고기구가되었다. 군사제도에서는

중앙군이5위에서5군 으로바뀌었고, 지방군은 진군에서속오군체제가되었다. 또한조

세제도가 개혁되었다. 조선의 조세제도는 주로 농민에게 부과하는 전세, 군역, 공납이었다.

전세제도는 연분9등법에서 정법으로 전환하고, 군역제도로 균역법을 실시하 고, 공납제

도에는대동법을실시하 다. 이러한제도의개혁은일시적인사회안정을가져왔다.

대동법 | 조선후기에실시한공납제도. 원래공납은민호(民戶)를대상으로특산물을

현물로징수하여정부에서사용하던세금이었으나부정이많고농민부담이늘어대동법을실

시하 다. 대동법은 토지 1결당 쌀 12두를 거두는 것. 따라서 토지를 많이 가진 양반 지주의

부담은늘고소작농이대다수인농민의부담은줄어들었다.

균역법 | 군역은농민이담당하던병역의무이다. 조선초기에는농민이직접군대에갔

으나어려움이있어군포를징수하 다. 조선후기농민이지던군포액수가증가하여농민이

어려움에처하게되자정부에서는균역법을실시하 다.( 조) 균역법은이전에농민이부담

하던군포2필을1필로줄여주는것으로농민의부담이줄어들었고, 반면지주나양반에게일

정액을부과시켜군역부담이약간평준화되었다. 그러나이제도는19세기다시문란해졌다.

수리시설 | 저수지나보를만들어농지에물을대는시설. 벼농사는물을많이필요로하

는 작물이며, 조선후기 이앙법(모내기)이 일반화되자 물은 농사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그래서저수지가많이축조되었고정부에서도저수지의독점을막기위해이를감독하 다.

지주와 부농 | 조선후기의농업은크게변하 다. 농민들이이앙법을실시하고상품작

물을 재배함에 따라 소작농 중에서도 부농이 생겼고 그들은 토지를 매입하여 지주가 되고 신

분을사서양반이되었다. 이들은종래의지주와는달리자본주의적인경 을하 는데, 임금

노동자(머슴)를 고용하여 농사를 짓고, 수확물을 판매하여 소득을 올렸다. 이러한 반면 대다

수 농민들은 몰락하여 머슴이 되거나 상업, 수공업, 광업 등으로 전업하 다. 이리하여 조선

후기농민의계층이분해되어갔다.

용어해설

Page 15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5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조선후기의 세금 내는 모습 | 농민들이내는세금은주로쌀이나곡물, 베등이었는데,

상평통보가사용됨에따라돈으로세금을낼수도있었다. 전국각지에서거둔세금은강이나

바다를따라배로서울까지운반하 는데, 이러한제도를조운제도라고한다.

상평통보 | 조선시대의화폐. 1678(숙종4)년부터조선말기까지유일한법정화폐 다.

조선후기유통경제가발달함에따라이전에는쌀이나베를교환수단으로사용하 으나이제

화폐가필요하게되었고, 정부에서는상평통보를발행하여유통시켰다.

시장 | 조선후기상업이발달함에따라시장이번성하 다. 조선시대에는시장을장시

라고불 다. 15세기말전라도에서시작된장시는시간이지남에따라5일마다서는정기시

장으로바뀌었고, 보부상들이5일장을돌아다니며장사를하 다. 조선후기5일장은증가하

여전국을거미줄처럼연결하 고, 그중중심장시는상설시장으로발전하 다. 또한전국교

통요지에상업도시가성장하 으며그곳에도매업을하는거상들이성장하 다. 특히배를

가지고물품을운송하여장사를하는선상이활약하 다. 서해와한강을통하여서울과지방

사이에어물과곡식을나르면서장사를했던경강상인이대표적인선상이었다.

타작도 | 김홍도가그린타작도를보면조선후기농촌모습의한단면을볼수있다. 그

림에서오른쪽위에갓을쓰고누워있는사람이아마지주이거나지주의마름일것이다. 타작

을감독하고있는것은소작료(지대)를징수하기위해서이다. 조선시대소작료는일반적으로

수확량의절반을받아가는타조법(병작반수)이었는데, 매우고율의소작료 다. 그래서소작

농들은여러가지방법으로소작료를적게내려고하 고지주는이를막기위해경계를게을

리 하지 않았다. 한편 조선 후기에 수확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소작료(도지)를 받는 도조법이

등장하 다.

일본사신 접견도 | 조선은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교린정책을 사용하 고, 일본과

교역을해줌으로써일본의침입을막고자하 다. 그래서조선전기에는제한된무역을허용

하고 있었다. 일본인들은 주로 쓰시마 도주가 중심이 되어 부산 동래에 와서 무역을 하 다.

일본이조공품을바치면조선에서는그물건을팔아그들이원하는쌀등으로바꾸어주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도 일본과 무역을 재개하여 부산포에 있는 왜관을 통한 무역을 허용하 다.

무역의형태는조공무역이었다. 이러한무역은강화도조약전까지지속되었다.

그림해설

Page 15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57

제2과. 학문의새경향, 실학

실학의 성격

17세기 이후 조선의 지식계에서는 새로운 기운이 나타난다. 조선 후기 사회변동에 정부와 기성 성

리학계에서 대응하지 못함에 따라, 부국강병과 민생안정을 위한 모색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들은

유학자들이었으나 성리학의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사회개혁안을 제시하 다.

역사학자들은 이들을 실학자라고 부른다. 실학은 비록 유학의 틀 내에서이긴 하지만 이전과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은 민족적인 면을 강조하고 피지배층의 어려움을 대변하고 있었다. 또

한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 고, 실용을 강조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실학은 성리학적인 한계

를 극복하려고 하는 근대 지향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후에 개화사상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므로

실학은 근대적 사상의 싹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1. 실학과 두 학파

개혁안은크게두가지방향에서제기되었다. 경기도남인계열에서는유형원, 이익, 정약

용등이중심이되어농업중심의제도개혁안을제시하 으니이들을경세치용학파라고부른

다. 다른개혁안은서울의노론에서대두하 으니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등이었는

데, 이들은상공업중심의기술혁신안을제기하 기때문에이용후생학파라고불린다.

두개혁안은서로관심이달랐다. 경세치용학파는몰락하는농민에초점을두고토지개혁안

을중심으로정치제도, 군사제도, 조세제도, 신분제도등개혁안을제시하여농민들의생활안

정과부국강병을목적으로하 다. 반면이용후생학파는상공업을진흥시키고기술을개발하

여부국강병을달성하자는것으로당시성장하고있던상공업자들에게초점을맞추고있었다.

특히실학자들중에정약용은실학을집대성하 는데, 민권을강조한점, 공동생산을강조한

점은 당시로서는 매우 진보적인 사상이었다. 또 박제가는 생산보다 소비를 강조하고 청과의

무역을 주장하 는데 유교적인 경제관을 벗어난 근대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당시 국

학에대한관심이증가하여많은저서가나왔는데, 우리의역사, 국토, 한 등을다루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5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5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실학은무슨뜻입니까?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

2. 실학은왜등장하게되었을까요?전쟁 후 조선사회에 많은 문제점이 생겼기 때문에

3. 실학자들은무슨생각을했습니까?토지 조세 제도 개혁, 서양 과학기술 수용, 상업과 무역 발달

4. 정약용이토지개혁을주장한목적이무엇이었을까요?백성들의 생활 개선

5. 박지원과박제가의주장은무엇이었습니까?다른 나라의 앞선 문물 수용

6. 실학은후에어떤사상에 향을주었을까요?개화사상

7. 우리사회를어떻게바꾸면좋을지써보세요.

학습노트

2. 실학의 한계

실학자들의주장은조선사회의모순을극복하자는것으로근대지향성이드러나지만, 실학

의가장큰한계점은실제정책으로수용되지못했다는점이다. 조선의권력자들은오히려근

대적인사상을억압하고자신들의기득권을유지하는데급급하 다. 실학뿐만아니라근대적

평등을주장하던서학도사학으로억압하 다. 1801년신유박해이후로실학은급격히쇠퇴

하 다. 집권층의 폐쇄적인 사고와 정책은 조선이 능동적으로 근대로 전환하는 길을 차단하

기에조선은이후큰시련을겪게된다.

Page 15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59

실학 | 조선후기, 당시지배계급의학문이던성리학의공리공론을비판하면서실사구

시(實事求是)와이용후생(李用厚生)에관하여연구하던학문. [중심주제] [유의점] 참조.

조선시대에들어와숭상되었던성리학은후기에들어와참신한기운을잃고공허한이론으

로일관하여현실과동떨어진학문이되고말았다. 이때사실에입각한새로운비판정신을불

어넣은 것은 당시 청나라에서 들어온 고증학과 서양의 과학적 사고방식이었다. 실학은 이를

배경으로조선후기에대두된일련의현실개혁적사상체계를말한다. 이사상은당시조선왕

조의모순된사회체제를극복하고새로운사회의형성을지향하고있었으며, 그 역은정치,

경제, 언어, 지리, 천문, 금석문등전분야에미쳤다.

토지제도 개혁안 | 균전론, 한전론, 여전론. 경세치용학파들은농민의생활을안정시킴

으로써국가재정을튼튼히하고이를통해부국강병이가능하다는입장을가지고있었다. 그

래서토지제도의개혁을중심으로삼았다. 유형원은균전론을제시하여신분별로토지를재분

배하고이를통해군사문제와교육문제를해결하려고하 다. 이익은한전론을제시하여토지

소유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제한함으로써 점진적인 토지소유의 평등을 이루어가자고 하 다.

정약용의토지개혁안은매우이상적이었다. 그는여전론을주장하 는데, 마을단위로토지를

공유소유하고공동경작하여세금을제하고노동량에따라수확을분배하자고하 다.

박제가 | 1750년( 조26)~1805년(순조5). 조선후기의실학자. 19세때박지원의문

하에서 실학을 연구했으며 이덕무, 유득공, 이서구 등의 북학파 실학자들과 교유하 다.

1776년( 조 52) 이들이 합작한 시집『건연집』이 청나라에 소개되어 우리나라 시문 사대가

의한사람으로알려졌다. 그는1778년(정조2) 청에다녀온후이후실사구시의사상을바탕

으로『북학의』를저술하 다.

개화사상 | 개항후서양의문물을수용하여조선을개혁해야한다는사상. 김옥균, 박

효, 서광범등은1884년갑신정변을주도하 으나실패함.

박지원 | 1737년( 조13)~1805년(순조5). 조선후기의실학자, 호는연암, 『연암집』

용어해설

그림해설

Page 16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6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은그의저서를 모은책. 박제가, 이서구, 서상수, 유득공등과학문적으로깊은교유를가졌

다. 이때홍대용, 이덕무등과도이용후생에대하여자주토론하 다. 1780년(정조4) 약4개

월 동안 북경, 열하 등을 기행하 다. 그곳에서 경험한 것을 기술한 것이『열하일기』로 그의

평소 소신이었던 이용후생에 관한 생각이 이 저술에 담겨져 있다. 그 뒤 1786년 이후 벼슬에

나가한성부판관, 안의현감, 양양부사등을역임하 다.

정약용 | 1762년( 조 38)~1836년(헌종 2). 조선 후기의 실학자, 문신. 1783년(정조

7) 생원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이벽을 통해서 서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 다. 1789년 과

거에합격한후관직생활을하면서정조의총애를받아중요한역할을수행하 으니, 수원성

축성을총감독하기도하 다. 그러나정조가갑자기죽자18년동안유배생활을하게되었다.

다산은1801년(순조1) 신유박해때장기에유배되었다가, 뒤에황사 백서사건에연루되어

강진으로이배되었다. 그는18년동안의유배생활동안학문에전념하여학문적체계를완성

하고 많은 저술을 했다. 그의 저서는 500여권에 달하는데『여유당전서』라고 불린다. 대표작

은지방관리들의행실을다룬『목민심서』, 정치개혁을다룬『경세유표』, 토지개혁을주장한

『전론』, 민권을강조한『탕론』등을들수있다. 1818년오랜기간의강진유배에서풀려나고

향으로돌아와저술생활로여생을보냈다.

거중기 | 정약용이수원성을축조하기위해서고안한기계. 청을통해서수입된테렌쯔

의『기기도설』을참고하여제작하 다. 정약용은기술이인류생활진보에기여한다고생각하

여중시하 다. 또한그는정조가수원을행차하는것을돕기위해서한강에배다리를놓기도

하 고, 유배생활중에종두법을발명하기도하 다.

수원화성 | 18세기말정조가수원에건축한성. 정조는아버지사도세자의능이있었던

수원에이성을쌓고장용 이라는군대를양성하 다. 정조는남인을중심으로정치를하면

서노론을견제하고자했으며수원성의장용 을무력적인기반으로삼고자하 다. 수원화

성은이러한정치적목적을가지고정약용의설계를기초로축조한뛰어난과학적인구조물이

다. 돌과벽돌을과감하게혼용한방법, 거중기등의기계를크게활용하고, 화포를주무기로

하는방어구조등은다른성곽에서볼수없는새로운것이다.

대동여지도 | 1861년(철종12)에김정호가만든우리나라지도. 김정호가손수판각하

고발간하 다. 축척은약16만분의1로접음지도이다. 모두펼치면세로7m, 가로3m에달

하는 커다란 우리나라 전도가 된다. 읍과 읍 사이의 도로를 선으로 표시하고, 10리마다 눈금

Page 16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61

을표시하여거리를알수있도록하 다. 조선후기를대표하는지도로산과강, 거리의표시

등으로당시상인들이이용하기편리하도록하 다.

Page 16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6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3과. 문화를더욱발전시키다

조선 후기의 문화

조선 후기 문화를 살펴보는 데 주목할 두 가지는 자신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는 점과, 민

중 문화가 성장한 점이다.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자기 문화에 대한 관심은 실학자들의 국학 연구에

서도 잘 드러나지만 그림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정선은 진경산수화를 그려 우리나라의 산천을 사실

대로 그려내었으며, 김홍도와 신윤복은 조선의 풍속을 그렸다.

민중문화의 성장은 민중 계층의 사회적·경제적 의식의 향상을 배경으로 하 다. 조선 후기가 되면

서당이 많이 설치되어 민중들도 을 읽을 수 있었고, 장시가 전국적으로 개설됨으로써 상행위뿐만

아니라 정보와 오락을 제공해 주는 장소가 되었다. 그리하여 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요소인 한

소설, 탈춤, 민화, 사설시조 등이 발달하 다. 이 시기에 나타난 인물들과 작품을 통하여 조선 후

기 문화에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1. 조선시대 그림

조선시대에 그림을 남긴 화가는, 중인 신분으로 전문화가인 화원과 양반 사대부의 문인화

가가있었다. 조선시대의그림은시기에따라다음과같이화풍이변화하 다.

15세기 : 인물화와 산수화를 진취적이고 낭만적인 모습으로 그렸다. 안견의 몽유도원도,

강희안의 고사관수도가 대표적이었다. 16세기 : 자연에서 아름다움을 찾으려는 성향이 강하

여4군자가널리그려졌다. 이정, 황집중, 어몽룡, 신사임당등이유명하다. 17세기, 18세기:

이때는세가지화풍에주목할필요가있다. 정선은진경산수화의기법으로금강전도, 인왕제

색도등을그렸고, 김홍도와신윤복은풍속화를그렸으며, 강세황의 통골입구도에서는서

양화풍의 향을 볼 수 있다. 19세기에는 다시 4군자 중심의 그림이 유행하 으니, 장승업,

신위등이활약하 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6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63

2. 조선시대의 도자기

고려시대를대표하는도자기가청자라면, 조선시대에는백자가제작, 사용되었다. 조선초

기에는분청사기가나왔는데회청색의투박한아름다움을보여주고있다.(63쪽아래그림중

첫번째, 세번째그림) 조선중기에들어서면서순백색미를자랑하는순백자가제작되었고

(63쪽 아래 그림 중 둘째와 넷째 그림), 점차 여기에 청색 그림을 넣는 청화백자가 널리 사용

되었다. 청화백자는흰색바탕에푸른색그림으로아름다움을표현하 고, 조선시대를대표

하는도자기가된다.

1. 조선후기문예가크게일어났을때왕은누구입니까?조, 정조

2. 정조가세운도서관이름은무엇입니까?규장각

3. 조선시대일반백성들은어디에서공부를하 을까요?서당

4. 조선시대여류작가이름을써보세요.신사임당, 황진이, 이매창, 혜경궁 홍씨

5. 서민문학으로한 로쓰인책들은어떤것들이있나요?홍길동전, 흥부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춘향전

6. 농민들이즐겼던문화에는어떤것들이있습니까?판소리, 창극, 농악, 탈춤, 가면극, 꼭두각시놀음

7. 조선후기를대표하는화가는누구입니까?김정희, 정선, 김홍도

8. 조선후기에세워진건축물을찾아봅시다.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수원 화성

9. 조선시대에는어떤도자기가만들어졌습니까?.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학습노트

Page 16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6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조 | 1694년(숙종20)~1776년( 조52). 조선제21대왕. 재위1724년~1776년. 탕

평책을 실시하여 정치를 안정시키고자 하 고, 균역법을 실시하는 등 개혁적인 정치를 실시

하 다. 문예부흥에관심이많아많은책을편찬하 다.

정조 | 1752년( 조28)~1800년(정조24). 조선제22대왕. 재위1777년~1800년. 학

문을 좋아하는 군주라고 불린다. 정조는 탕평책을 계승하고 규장각을 설치하여 학문을 장려

하면서학술을통한정치를구현하고자하 다. 그리하여정조대에는실학이크게융성하

고, 많은서적들이간행되었다.

서당 | 조선시대향촌사회에기반을둔사족과백성들이주체가되어설립, 운 한사설

초등교육기관. 서당의인적구성은훈장, 접장, 학도로이루어진다. 훈장은자격이나학력이

천차만별이었으며, 접장은 오늘날의 조교와 같은 성격을 지닌 일종의 보조교사이다. 학도는

남자 위주로 7~8세에 입학하여 15~16세에 마치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20세가 넘는 경우도

많았다. 여자를위해집안에서당이설립되기도하 다. 서당은시대에따라모습이달라지지

만, 일반적으로3가지형태가있었다. 권력가들이자신의집에만들어자제를교육하던서당,

양반들이마을에세워양반자제들을교육하던서당, 훈장이자신의집에세워생계를유지하

던자 서당등. 서당에서는초보적인한자와유교서적을교육하 으며, 개항이후에는개량

서당이라하여서양학문을가르치기도하 다.

신사임당 | 504년(연산군10)~1551년(명종6). 조선초기의대표적인여류예술가. 율

곡이이의어머니로잘알려진신사임당은여성으로서학예에뛰어났을뿐아니라효성과덕성

을겸비하 고, 덕이높은부인이자어머니로서우리나라의전인적인여성상을대표하는인물

이다.

황진이 | 조선시대의시인, 명기(기생). 그녀의생존연대는불확실, 대략1502년경(연

산군말년이나중종초)에나서1540년(중종35)경 40세미만의젊은나이에죽은것으로추

측함. 사서삼경을읽고시, 서, 음률에능하 다. 그녀는기생이되어문인, 유학자들과교류

하며 탁월한 시서 및 가창, 출중한 용모로 그들을 매혹시켰다. 세련되고 절제된 감정의 표현

을 이룬 한시 작품이나 인간의 정서와 애정을 고운 우리말로 표현한시조에서 보여준 다양한

수사법과언어의적절성은자신의정서나감정을자신의의지로승화시켜서정적으로표현한

용어해설

Page 16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65

최고의여성작가라할수있다. 황진이는서경덕, 박연폭포와함께송도삼절로불리고있다.

이매창 | 1573년~1610년성은이씨. 명기로서가사, 한시, 시조, 가무, 현금에이르기

까지다재다능한여류예술인이었다. 70여작품이전해온다.

혜경궁 홍씨 | 1735년~1815년. 조선 조의아들사도세자의비이며정조의어머니이

다. 사도세자의 참사를 중심으로 자신의 일생을 회고한 기록한『한중록』은 궁중문학의 대표

작이다.

홍길동전 | 조선광해군때허균이지은고전소설. 조선세종때를배경으로홍판서의서

자홍길동의활약상을그린최초의한 소설이다. 홍길동은서자로서의한을품고무예를익

혀활빈당을만들어의로운도적활동을벌이다가후에율도국이라는이상사회를만든다는내

용. 조선시대 신분제의 모순, 농민수탈의 모순을 극복하고자하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저자

허균의이상을소설형식으로표출한것으로볼수있다.

구운몽 | 조선숙종때김만중이지은고전소설. 주인공이8선녀의후신인8명의여자들

과 차례로 만나 아내로 삼고 화롭게 살다가 만년에 인생무상을 느끼고 호승의 설법을 듣고

크게깨달아8선녀와함께불문에귀의한다는내용. 현실 - 꿈 - 현실로이어지는작품구성을

가지고있다.

흥부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춘향전 | 조선후기민담의형태로전해오던

이야기들이소설의형식으로만들어진고전소설. 흥부전, 심청전, 춘향전은판소리로만들어

지기도하 다. 형제우애, 효, 계모, 사랑등을다룸. 서민들의일상생활을소재로삼아그들

의한을읊은것. 당시사회상을반 한것으로권선징악적인구성을가지고있다.

판소리 | 한사람이긴이야기를노래로부르면서몸짓(발림)과말(아니리)을섞는성악

의한분야. 판소리12곡은〈장기타령〉〈변강쇠타령〉〈왈자타령(무숙이타령)〉〈배비장타령〉

〈심청전〉〈흥부전〉〈토끼타령〉〈춘향전〉〈화용도〉〈강릉매화타령〉〈가짜신선타령(옹고집

전)〉〈옹고집전〉등. 고종 때 신재효가〈춘향가〉〈심청가〉〈흥부가〉〈수궁가〉〈변강쇠타

령〉〈적벽가〉등여섯마당을정리하 다.

창극 | 좌판소리를연극의형태로변형시켜공연하는극이다.

두레 | 한마을의성인남자들이협력하며농사를짓거나, 부녀자들이서로협력하여길

쌈을하던공동노동조직. 두레에의한공동노동은모내기, 물대기, 김매기, 벼베기, 타작등

경작전과정에걸친것이고, 특히일시적으로많은품이요구되는모내기와김매기에는거의

Page 16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6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두레가동원되었다.

농악 | 농부들이일하거나의식을치를때행하는우리나라고유의음악. 넓은의미의농

악은꽹과리, 징, 장구, 북과같은타악기를치며, 행진, 의식, 노동, 판놀음등을벌이는음악

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농악에 쓰이는 악기를 풍물이라 하는데, 대부분 타악기이며, 호적

과나발은관악기이다. 농악은꽹과리가주가되며, 꽹과리제1주자인상쇠가농악대를지휘

한다. 현대에들어무대음악으로변형된사물놀이가있다.

탈춤 | 얼굴에 탈을 쓰고 추는 한국의 춤. 가면무용이라고도 한다. 신라시대에 유행한

처용무등이궁중무용으로전해지고, 이것이고려, 조선시대에이르러서는민속무용으로크

게발전하 다. 즉산대놀이탈춤, 봉산탈춤, 오광대탈춤, 오방신장무, 사자탈춤등으로발전

한것이다.

가면극 | 한사람또는여러사람의연기자가가면으로얼굴이나머리전체를가리고, 본

래의얼굴과는다른인물이나동물또는초자연적존재등으로분장하여연출하는연극. 현전

하는것은중부지방의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서북지방의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

탈춤, 남지방의통 오광대, 고성오광대, 가산오광대, 수 야류, 동래야류가있으며, 이밖

에 하회별신굿탈놀이와 북청사자놀음이 있다. 탈놀이의 내용은 파계승, 몰락한 양반, 무당,

사당과거사, 하인과기타의남녀노소서민들의등장을통하여현실을폭로, 풍자한다.

꼭두각시놀이 | 민속인형극. 총 8마당으로주인공과배우들이재담, 노래, 춤등을공

연한다. 꼭두각시놀음은주로각농촌마을로돌아다니면서하 고, 높게무대를설치한후인

형조종사는그포장막속에들어가서인형을조종한다. 무대위에서는인형들이서로대화하

고춤을추며노래를부른다.

김정희 | 1786년~1856년. 조선 후기 문신, 서화가, 금석학자. 독창적인 추사체를 대성

시켰다. 세한도는김정희의대표적인그림이다.

정선 | 1676년~1579년. 조선 후기의 화가. 당대 최고의 화가로 진경산수화의 새로운

경지를열었다. 인왕제색도, 금강전도가대표작이다.

김홍도 | 1745년~?. 조선후기의화원. 정조의총애를받은화가로당대에크게이름을

떨쳤다. 그는다양한그림에능하 으나특히풍속화에서이름이높다. 김홍도의필치는담백,

소탈하며서민생활을대상으로요점만을간추려익살스럽게표현하 다.

신윤복 | 1758년~? 조선후기의화가. 신윤복풍속화의소재는김홍도와는달리여성,

Page 16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67

양반등이었으며, 이들사이의애정행각이나유흥적인모습을그려내었다. 화려한채색과세

련된필치로풍자적으로당시사회를묘사하 다. 선유도, 심계유욕도, 미인도등이대표작으

로꼽힌다.

화엄사 각황전 | 전라남도구례화엄사에있는조선시대의2층불전. 각황전은원래장륙

전터에조선시대에건물을새롭게지은것이다. 장륙전은임진왜란때화재로소실되었기때문

에, 1699년부터1703년(숙종19)에걸쳐중건되었는데, 이때숙종이각황전이라사액하 다.

법주사 팔상전 | 충청북도보은군속리산법주사에있는조선시대의목조오층탑. 석가

모니의 일생을 8장면으로 묘사한 그림을 팔상도라고 하며 팔상도를 봉안한 건물을 팔상전이

라부른다. 임진왜란으로인해소실된것을1602년(선조35)부터재건계획을세워1605년에

복원공사를 시작하 고, 1626년(인조 4)까지 21년에 걸쳐 건축하 다. 우리나라에 원형이

그대로보존된유일한목조5층탑이다.

백자 | 백색도자기. 철분이적은백색의태토에투명한유약을시유하여높은온도에서

구운 자기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제작되었다. 조선시대의 도자기를 대표한다. [유의점]

참조.

분청사기 | 점토에투명유를바르고백토로분장을하거나상감기법을사용하여만든다.

회청색바탕에무늬가있다. 분청사기는고려청자에서조선백자로넘어가는과도기150여년

동안전국적으로제작되었다. 우리고유의장식과해학적인문양, 과감한기형등이특징이다.

청화백자 | 백색의태토위에산화코발트를주성분으로하는안료로그림을그린뒤백

색유를바르고높은온도에서구운백자의일종. 백색바탕에푸른색그림이나타난다. 조선

시대의대표적인도자기.

규장각 | 조선 후기에 왕실도서 보관 및 출판과 정치자문 등을 담당하던 국가 기관.

1776년(정조1) 대궐안에설치하여역대왕들의유물을관리하도록하 다. 정조는즉위직

후규장각을설치하여실력있는서얼을등용하기도하 는데, 이는외척과환관등의세력을

억누르고정적을제거하기위한것이었다. 그후규장각은정치연구, 자문기관이되었다. 현

재규장각문헌들은서울대학교에서보관하고있다.

그림해설

Page 16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6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수박도 | 신사임당이남긴그림으로수박, 나비, 벌등을여성적인필치로묘사하 다.

서당도 | 김홍도의 풍속화로 서당의 모습을 익살스럽게 묘사하 다. 당시 서당교육의

성행과서민문화발달의모습을보여준다.

월하정인도 | 신윤복의그림으로달아래연인들을그리고있다. 신윤복은양반, 기생,

여인등을풍자하는그림을많이남겼다.

농악, 탈춤, 판소리 사진 | 63쪽위에서부터. [용어해설] 참조

백자 | 조선시대를대표하는도자기. 63쪽아래사진중첫째와셋째는분청사기, 둘째와

넷째는순수백자이다.

Page 16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69

제4과. 조선사회의변동

조선 말기의 모습

19세기가 되면 조선은 오래된 왕조의 노쇠한 모습을 드러낸다. 19세기의 모습을 요약하면 세도정

치, 삼정문란, 민란으로 특징지어 말할 수 있다. 세도정치는 연이어 나이 어린 왕이 즉위하면서 소

수 가문에서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형태를 말한다. 안동 김씨, 풍양 조씨가 대표적인 세도가 다. 세

도가들은 자신들이 권력을 독점함으로써 권력 기반을 축소시켰고 견제세력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부정부패가 만연하 다. 더욱이 관직을 파는 매관매직이 성행하여 정치기강이 문란해졌다.

삼정문란은 전정(토지세), 군정(군포세), 환곡이었다. 특히 환곡의 문란이 백성들을 가장 괴롭혔다.

환곡은 원래 춘대추납으로 농민의 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으나 고리대로 변질되었으며 19세

기가 되면 세금으로 바뀌었다. 농민들의 생활은 몰락하여 유랑민이 증가하고 그들이 도적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리하여 사회가 혼란스럽고 조선이 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사상이 유행

하 으니, 정감록이 대표적이었다.

세도정치와 삼정문란으로 살기 어려워진 농민들은 정부에 청원을 하기도 하고 비방하는 벽서를 내

걸기도 하 지만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민중들은 정부에 대하여 무력으로 저항하는 민

란을 일으키기에 이르 다. 1811년 평안도 지역의 농민반란(홍경래의 난)은 지역차별과 정부수탈에

반항하여 일어난 대규모 저항이었다. 1862년 진주 농민봉기로 시작되어 삼남을 중심으로 전국에

번진 임술민란은 조선시대 모순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19세기의 사회모습은 몰락해 가는 나라꼴이었다. 민중들은 저항의 수위를 높이고 민중의 입장을 대

변하는 동학이 창시되었다. 조선의 어려움은 이에서 그치지 않았다. 당시 밖으로는 서양의 열강들

이 침략하던 시기 고 서양세력에 대한 위기의식이 점차 고조되어 갔다. 조선은 이러한 내외적 어

려움을 극복해야 했다. 이때 등장한 사람이 흥선 대원군이었다(1863년).

1. 조선 후기 신분제 변동의 모습

조선후기각지방의호적을검토해보면당시신분제가어떻게붕괴되어가는지를살펴볼

수있다. 노비는도망과해방을통해그숫자가거의무시할수있는정도가되었으며, 상민도

돈을내고양반이되거나(납속, 공명첩), 족보위조, 불법결혼등의방법을통하여양반으로계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7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7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층상승하 다. 이러한경향은평등사회로나아가는과정으로이해될수있다. 이러한경향을

다음자료를보면뚜렷해진다.

연도 양반 상민 노비 총호수

1690 9.2 53.7 37.1 3156호

1729 18.7 54.7 26.6 3092호

1783 37.5 57.5 5.0 2810호

1853 70.3 28.2 1.5 2935호

2. 평등사상의 확산

조선후기가되면평등사상이확산되는데, 이러한경향은서학과동학의확산을통하여확

인하는것이가능하다. 서학(천주교)이정부의가혹한탄압에도불구하고조선사회에널리전

파된주된요인은평등사상이었다. 또한동학도인간평등을내걸었다. 당시민중들속에동학

과 서학이 전파된 것은 이러한 종교들이 민중들이 희구한 평등사상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

다. 평등사상의 전파는 신분제를 기초로 한 조선의 지배체제를 거부하는 것이므로 근대지향

이라고평가할수있다.

Page 17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71

세도정치 | 조선후기총신또는척신이오로지정치를한변태적인정치. 원래세도(世

道)정치란‘널리사회를교화시켜세상을올바르게다스리는도리’라는사림의통치이념에서

나온이상적인정치도의를의미하 으나, 19세기세도(勢道)정치는척신이나총신이강력한

권세를 잡고 전권을 휘두르는 부정적 정치형태를 말한다. 세도정치는 주로 19세기 순조, 헌

종, 철종의3대60년간행하여졌는데, 왕이어린나이에즉위하여왕권이약함에따라왕실과

그에연결된안동김씨, 풍양조씨가문에서권력을전횡하 다. 순조때에는풍양조씨와안

동김씨가, 헌종때에는풍양조씨, 철종때에는안동김씨일가에서세도를행사하 다. 이로

1. 조선후기신분제는어떻게변했을까요?양반이 늘어나고 평민과 노비가 줄어들었다.

2. 상민들이양반이되는방법에는어떤것이있었습니까?양반 족보를 사거나 몰락한 양반과 결혼

3. 세도정치란무엇인가요?왕비의 집안이 권력 독차지(소수 가문에서 권력 장악)

4. 세도정치의모습을써보세요.벼슬을 사고 팔며 관리의 횡포 심함.

5. 정부의수탈에대하여농민들은어떻게대응했습니까?민란(홍경래 반란, 진주민란)

6. 동학은어떤내용을담고있었을까요?인내천 사상(인간평등사상)

7. 정부에서천주교와동학을탄압한이유는무엇인지토론해봅시다.평등사상

학습노트

용어해설

Page 17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7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써 사림의 정치 참여와 비판이 차단되었고 세도가들의 자의적인 권력행사로 매관매직, 농민

수탈등이자행되어정치를위기에빠뜨렸다. 흥선대원군이등장하여세도정치를청산하고자

하 다.

홍경래의 반란 | 1811년(순조 11)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홍경

래, 우군칙등이중심이되어평안도지역에서일으킨대규모농민반란. 1811년12월18일에

거병, 그들의격문은크게세가지로, 첫째는서북인에대한차별철폐, 둘째는안동김씨세도

정권의 타도, 셋째는 신인, 정인이 출현했으니 그를 참 임금으로 세우겠다는 것이었다. 봉기

군은남진군과북진군으로나뉘어거병한지열흘만에관군의별다른저항도받지않고청천

강이북10여개지역을점령하 다. 이반란의지도부는부농, 상인층이었고, 소농, 빈농, 유

민, 임노동자등이동참하 다. 홍경래의난은5개월동안계속되었고조선정부는중앙군을

파견, 정주성을폭파하여진압하 다. 반란진압후2000여명이처형되었다.

진주민란 | 1862년(철종 13) 경상도진주에서삼정의문란과관리의불법수탈에항거

하여일어난농민운동. 진주민란의원인은삼정(전정, 군정, 환곡)의문란과이에기인한백

성의도탄에있었으며, 직접동기는경상도우병사백낙신의불법탐학에있었다. 백낙신은부

임한이래갖은방법으로농민을수탈하여, 그금액이줄잡아4만~5만냥이나되었다. 이에대

항하여진주인근의유계춘, 김수만, 이귀재등은2월18일새벽에봉기하여진주를점령하

다. 진주민란을 계기로 농민봉기는 삼남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퍼졌다. 이를 임술민란이라

고한다. 민란은주로몰락양반이주도하여농민들이봉기하는형태로일어났고지방관아를

점령하여수령과아전을징벌한후해산하 다. 민란은일시적인형태로이쪽저쪽에서지속적

으로발생하 으나근본적인해결책은나오지않았다.

천주교 | 서학이라고도불렸다. 한국에천주교가전래된것은청에와있던예수회선교

사를 통해서 다. 17세기 이수광은 청을 방문하여 천주교에 접하고 그의 저서『지봉유설』에

서천주교를처음소개하 다. 조선의지식인들은처음에는천주교를학문으로서연구하다가

점차 자생적으로 신앙인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천주교의 평등사상은 민중들의 호응을 얻어

18세기이후민중들에게전파되기시작하 다. 정부에서는천주교를사교로규정짓고탄압하

으니 이를 박해라고 한다. 정조 때 천주교 신자를 발견하여 신해박해를 가했으며, 순조 때

신유박해를단행하 다. 그후헌종때에는기해박해가있었고, 고종때흥선대원군이대대적

인병인박해를가해수천의천주교도와한국이와있던프랑스신부가죽임을당하 다. 프랑

Page 17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 173

스는이를빌미로병인양요를일으켰다.

동학 | 1860년(철종11) 최제우에의해창도된민중종교. 동학은모든인간이한울님이

라는절대자를모시고있으므로, 신분, 계급, 학식등의차이를불문하고모두평등하다고주

장하 다. 이는 근대사회의 구성요소인 평등사상과 인본주의의 토대가 되었으며, 양반신분

제사회의차별과억압에시달려온민중들의변혁요구를대변하는사회개혁사상으로발전하

다. 신분제를 부정하는 인간평등 사상, 외세를 막자는 반외세 민족사상, 새로운 세상을 갈

구하는 혁명사상을 내포하고 있어서 민중 사이에 널리 퍼졌다. 정부에서는 금압하 으나 동

학은민중사이에널리퍼졌고, 1894년동학농민전쟁의중심사상이되었다. 이후동학은천

도교로개명하여식민지시대독립운동에도큰역할을하 다.

족보 | 족보는같은동족의시조로부터족보편찬당시의자손까지계보를기록한것이

다. 족보는동족간의종적인계열을확립하여문중의단결을도모하 으며외적으로는문중

의위력을과시하는데도사용되었다. 조선후기양반의족보를사거나위조하여불법으로양

반이되는경우도많았다.

정주성 공위도 | 홍경래반란군의거점. 이곳전투에서패하여홍경래반란은막을내렸

다. [용어해설] 참조

평양감사선유도 | 지방관은농민들을공적인일뿐만아니라사적인일에도동원하 다.

이그림은지방관이농민을수탈하는한모습을보여준다.

최제우 | 1824년(순조24)~1864년(고종1). 동학의교조. 16세이후10여년동안구

도의길을걸었고36세때인1860년 4월5일, 한울님의강화를체험하고동학을열었다. 『동

경대전』을그의말을기록한동학의교리서. 1864년3월10일혹세무민의죄목으로효수형에

처해졌다.

절두산 | 목을베는산이라는뜻. 서울특별시마포구합정동한강변에있는가톨릭교순

교사적지. 절두산이라고불리게된것은병인양요이후1만여명의가톨릭(천주교) 신자들을

붙잡아이곳에서목을잘라처형한데서연유한다.

그림해설

Page 17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Page 17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우리 민족의 대응

제7단원

제1과 대원군의 쇄국정책

제2과 동학혁명과 갑오개혁

제3과 국권을 빼앗기다

제4과 나라를 구하기 위한 노력

Page 17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7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제국주의와동아시아

조선은1876년에개항을하여1910년에식민지로전락하 다. 이시기세계사는제국주의

의시대 다. 독일의빌헬름2세가신항로정책을내걸면서대외진출을본격화하자 국, 프

랑스등유럽국가들은대외팽창을서두르면서제국주의경쟁체제에돌입하 다. 이들은경

쟁적으로비유럽지역을식민지로재편해나갔다. 먼저아프리카가분할되었고이어서아시아

각국이식민지로전락되기시작하 다. 서구열강의침략을당하게된비유럽지역각나라에

서는한편으로는무력으로서양세력에저항하면서, 다른한편으로는서양의문물을수용하여

근대국가로전환하려고노력하 다.

동아시아도 제국주의의 침략에서 벗어나지 못하 다. 동아시아의 강국 청은 1840년 이래

아편전쟁, 애로우전쟁등을겪으면서불평등한체제속으로편입되더니1900년전후에는제

국주의열강의반식민지로전락하고말았다. 일본은1854년미국의무력에의해강제개항되

었으나, 1868년메이지유신을통해근대국가로성장하더니, 곧대외침략전쟁에나서제국주

의로전환하 다. 일본은비유럽지역에서유일하게근대화에성공하여제국주의로전환된나

라가되었다.

1894년청일전쟁은동아시아의큰전환기 다. 이전쟁에서일본이청을누름으로써청이

누려왔던동아시아패권은이제일본으로넘어가게되었다. 일본은이전쟁이후대만과한반

도에대한침략을본격화하 다. 반면청은이제자국의주권을지키기에도힘겨웠다.

2. 조선의개항

조선의개항이1876년, 즉제국주의가시작되는시점에일어났다는것, 그리고인근일본에

의해 강요되었다는 점에서 특별히 불행한 일이었다. 일본은 미국이 일본을 개항시킨 전례를

모델로삼아군대로개항을강요하여강화도조약을맺었고, 이로써조선은불평등하게세계

제국주의체제속으로편입되었다.

1882년조미조약을계기로조선의국제관계는서양제국으로확대되었는데, 이는청이조

단원이해

Page 17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77

선에서일본을견제하기위하여구미각국과의조약을강요하 기때문이었다. 물론그조약

들은모두불평등조약이었고조선의불이익은늘어갔다. 한편1884년조선과러시아의조약

은 한반도를 세계 제국주의 충돌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러시아는 한반도를 통하여 남하정책

을추진하 고 국은이에맞서거문도를점령함으로써한반도는세계제국주의의양대세력

이충돌하는장이되고말았다. 결국조선의개항은무력에의한강요로시작되어제국주의열

강의침략의장으로귀결되고말았다.

3. 근대 여명기조선의운명

열강의침입에직면하여조선은한편으로는그들의침략을막아내야했고다른한편으로는

근대국가를건설해야했다. 이를위해조선의각계층에서는여러가지노력을전개하 다.

이시기를다양한방법으로이해하는것이가능하겠지만, 외세의침략에초점을맞추어이

해하는것이편리하다. 제국주의열강중에서한반도에 토적야심을가진나라는청, 일본,

러시아삼국이었다. 이들사이에한반도를두고치열한경쟁이전개되었고두차례의전쟁을

통해한반도에서승부가결정되었다.

1894년청일전쟁에서일본이승리함으로써한반도는일본의세력권에포함되는듯했으나,

남하정책을추진하고있던러시아의견제를받았다. 이에일본은 국, 미국등해양세력의지

원을받으면서1904년러일전쟁을일으켜승리하고곧이어한반도의주권을유린하 다.

이 와중에서 조선은 근대국가를 건설하기 위하여 1884년 갑신정변, 1894년 갑오개혁,

1896년독립협회운동, 1905년이후애국계몽운동을전개하 고, 외세의침략을저지하고자

주 국가를 세우고자 1894년 동학농민전쟁, 1895년 이래 의병전쟁을 전개하 다. 그러나 한

국인들의 반봉건 반외세 근대화 운동은 열강의 침략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1910년 식민지

로전락하고말았다.

Page 17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7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1863 흥선대원군집권(~73)

1866 병인박해, 병인양요, 제너럴셔먼호사건

1871 신미양요

1875 운요호사건

1876 강화도조약

1882 임오군란, 조미조약, 조 조약,

1883 조독조약

1884 갑신정변, 조러조약

1885 거문도사건

1894 동학농민전쟁, 갑오개혁, 청일전쟁

1896 독립협회성립

1897 대한제국성립

1904 러일전쟁

1905 을사조약

1907 고종 강제퇴위, 군대해산

1910 경술국치

세계사

1870 보불전쟁

1871 독일제국성립

1882 독, 오, 이 삼국동맹성립

1885 인도 국민회의성립

1894 청일전쟁

1904 러일전쟁

1907 삼국 협상성립

1911 신해혁명

Page 17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79

제1과. 대원군의쇄국정책

흥선대원군의정치를어떻게평가할것인가?

한국사에서 근대 첫머리를 장식하는 인물은 흥선대원군이다. 그는 고종의 아버지로서 고종의 즉위

와 함께 10년간 권력을 장악하 다(1863년∼1873년). 흥선 대원군의 정책은 내정으로는 왕권강화

를, 외정으로는 통상 거부를 중심으로 삼았다. 흥선대원군은 개항 직전의 10년간 정치를 이끌어 갔

는데, 개항 이후 한국사가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는 측면을 고려하면서 그의 정치가 갖는 의미를 음

미해보는것이필요하다.

흥선대원군 집권기 동아시아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생각해 보자. 청은 아편전쟁과 난징조약으로 개

항을 한 후, 1860년대부터 양무운동이라는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유신을 단행한 이후 역시 근대국가체제를 확립해 가고 있었다. 이처럼 동아시아 이웃 나라들이 근

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을 즈음에 흥선대원군은 서양문물의 수입을 거부하고 왕권 강화를 통해

전통체제를재정립하려는정책으로일관하고있었다. 이러한측면을주목한다면흥선대원군은부정

적으로평가받을수밖에없을것이다.

반면, 흥선대원군의 국내정치는 세도정치를 청산하고 민생을 안정시키는 데 일정하게 기여하게 된

다. 경복궁 중건이나 이로 인한 당백전의 발행과 같은 폐정도 있었지만,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를

청산하고 삼정문란을 바로 잡았으며 서원을 철폐하여 당파싸움의 고리를 끊고자 하 다. 그리하여

흥선대원군시기에는민란이잠잠해지기시작하 다.

일부분의 성공과 일부분의 실패, 그렇다면 흥선대원군의 정치를 어떻게 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

가? 대외강경책으로열강의침략을막아낸정책에대한긍정과부정, 왕권의강화, 지배체제확립을

통한 사회 안정의 긍정성과 한계, 이 사이에서 여러 가지 평가가 가능하겠지만, 주권을 수호하려는

방향에서는올바르다고보지만그방법에서는구태의연한것이었다고평가하는것이가능할것이다.

1. 강화도조약(1876년)

강화도조약은 한국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조약이었다. 일본은 1875년 의도적으로

운요호를조선에파견하여횡포를부리자조선군이이에대응사격을하 다. 일본은이를구실

로강화도조약을강요하 다. 강화도조약은치외법권( 사재판권), 해안측량권을인정한전형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8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 19세기말조선은어떤형편이었습니까?조세제도문란, 민란 계속. 서양과일본의침략

2. 흥선대원군이나라안에서편정책은무엇이있습니까?인재고루등용, 서원 폐쇄, 경복궁중건

3. 흥선대원군이나라밖에대한정책으로는어떤것이있습니까?천주교도박해, 프랑스함대와미국군함을몰아냄

4. 조선이일본과맺은근대적조약은무엇입니까?강화도조약

5. 조선은서양어느나라와조약을맺게됩니까?미국, 국, 러시아

6. 조선과열강이맺은조약내용에대하여알아봅시다.불평등조약

7. 흥선대원군은정치를잘했는지못했는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18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적인불평등조약이었다. 이조약으로조선은본격적인외세의침략을받게된다. 특히치외법

권은조선에서범죄를저지른일본인을일본이재판한다는것으로일본의조선침략을허용하는

주요한수단이되었다. 또한서양각국과의조약에서도치외법권이허용되었고, 더나아가최혜

국조관을설정하여열강의조선침략이가속화되었다. 서양과개항에대해서는[단원이해] 참조

2. 고종의대외전략

고종은열강의침입에대응하여동도서기론(우리의체제를유지하면서서양의기술을수용

하려는정책)을통하여근대국가를만들려고시도하 으나여의치못했다. 고종의주권유지

정책은세력균형정책으로, 열강중한나라가조선을독점하지못하게함으로써독립을유지

하려고하 다. 청일전쟁후일본과러시아사이에세력균형이이루어지자이를기회로대한

제국을 세우고 황제로 즉위하 으며, 광무개혁을 통하여 국권을 신장시키려고 하 다. 그러

나1904년러일전쟁으로세력균형이무너지자일제에게주권을빼앗기고말았다.

Page 18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81

쇄국정책 | 쇄국은나라문을걸어잠근다는뜻. 흥선대원군의대외정책을뜻한다. 그는

서양을오랑캐라고인식하여서양의문물을배척하고천주교를탄압하 으며프랑스및미국

과 전쟁을 벌여 물리쳤다. [유의점] 참조. 쇄국정책이라는 용어는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부정

적으로평가하는용어이므로통상거부정책이라는용어가타당하다.

흥선대원군 | 1820년(순조20)~1898년. 조선말기의왕족, 정치가. 고종즉위후1863

년부터1873년까지권력을장악함. [단원이해] [유의점] 참조. 권력에서물러난후흥선대원군

은1882년임오군란때재집권하 지만, 청국군의개입으로청국으로연행되어3년간유폐생

활을겪었다. 1885년2월귀국한뒤에도정권에대한집념을버리지않고1887년재집권하려

고 시도하다 실패하 다. 1894년 갑오개혁 때는 국왕으로부터 군국기무를 총괄하도록 위임

받기도하 으나곧은퇴하 다. 1895년을미사변때일본측이그를받들고경복궁에쳐들어

가 명성황후를 살해하고 대원군의 위세를 빌려 만행을 은폐하고자 하 으나, 이듬해 아관파

천으로친러정부가들어서자은거하 다.

고종 | 1852년(철종3)~1919년. 조선제26대왕. 재위1864년~1907년. 외세의침입과

정에서 조선을 유지하고자 갖은 노력을 했으나 1907년 일제에 의해 왕위에서 퇴위하 고,

1919년사망, 이를계기로3·1운동이일어난다.

천주교도박해 |병인박해. 1866년(고종3) 프랑스인천주교신부와조선인천주교도가

탄압받은 사건. 흥선대원군은 천주교도가 외세를 끌어들일 것이라는 생각으로, 1866년 1월

초국내에있던프랑스신부와천주교도를잡아들이기시작했고, 다블뤼(Daveluy) 등 9명의

프랑스신부를체포해처형시켰다. 리델(Ridel)신부는조선을탈출, 청나라의톈진으로가서

프랑스 동양함대 사령관 로즈(Roze)에게 구원을 요청, 로즈는 프랑스 군함을 이끌고 쳐들어

와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흥선 대원군은 오랑캐의 발자국으로 더럽혀진 땅은 그들과 통하는

무리의피로씻어내야한다고주장하여프랑스함대가거슬러들어왔던양화진(절두산)을처

형지로정하고이곳에서천주교도를대량으로처형하 다.

프랑스 함대 | 병인양요. 1866년(고종3) 대원군의천주교도학살, 탄압에대항하여프

랑스함대가강화도에침범한사건. 프랑스의로즈제독은순양전함게리에르를비롯, 모두함

대 7척과 600명의 해병대를 이끌고 강화성을 점령하고, 무기, 서적, 양식 등을 약탈하 다.

용어해설

Page 18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8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조선은강화도각지에서프랑스군대에대항하여싸웠고, 양헌수부대가정족산성에서프랑스

군을격파하 다. 이에프랑스군은문화재를약탈한후퇴각하 다.

미국함대 |신미양요. 1871년(고종8) 미국이1866년의제너럴셔먼호사건을빌미로조

선을 개항시키려고 무력 침략한 사건. 신미양요의 발단은 제너럴셔먼호 사건이었는데, 미국

상선이었던 이 배는 1866년 평양에 들어와 무역을 요구하 고 이를 거부당하자 평양 일대를

약탈하다가침몰당했다. 미국은이책임을묻는다는구실로조선을침입하 다. 미국아시아

함대 사령관 J.로저스는 군함 5척, 함재대포 85문, 해군과 육전대원 총 1,230명을 이끌고

1871년 5월조선을침략하 고, 미군은6월10일군함2척을앞세우고육상전투대원644명

으로 강화도를 점령하 다. 그 후 미군은 이곳에서 조선정부를 상대로 위협적인 외교적 수단

으로 조선을 개항시키려 하 으나, 흥선대원군의 강경한 정책과 조선 민중의 저항에 부딪혀

뜻을이루지못하자, 성과없이일본으로철수하 다.

강화도조약 | 1876년(고종 13) 2월 강화도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정식

명칭은조일수호조규이며병자수호조약이라고도한다. 주요내용은‘제1조조선국은자주국

으로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보유한다. 제2조 양국은 15개월 뒤에 수시로 사신을 파견하여

교제사무를협의한다. 제5조조선은부산이외에통상에편리한항구2개소를선정한뒤20개

월 이내에 개항하여 통상을 허여한다. 제7조 조선은 연안항해의 안전을 위해 일본 항해자로

하여금해안측량을허용한다. 제10조 개항장에서일어난양국인사이의범죄사건은속인주의

에입각하여자국의법에의하여처리한다. 제11조양국상인의편의를꾀하기위해추후통상

장정을체결한다.’등이다.

통상조약| 서양각국과의수교. 1882년조미조약을시작으로조 조약, 1884년조러조

약, 1886년 조불조약을 체결하 다. 모두 치외법권을 인정한 불평등 조약이며, 최혜국조관

(한나라에게맺은조약은자동적으로다른나라에게도적용됨)이포함되어열강의조선침략

이가속화되었다.

흥선대원군 | [용어해설] 참조.

경복궁 경회루 | 흥선대원군이중건한경복궁에속한건물. 외국사신을접대하거나연

그림해설

Page 18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83

회를베풀었던장소.

척화비 | 흥선대원군이외세를배격하기위해세운비석. 내용- ‘서양오랑캐가쳐들어

온다. 싸우지않으면화친을하는것이요, 화친을주장하는것은나라는파는일이다. 나는이

를 자손만대에 경계하노라. 병인년에 짓고 신미년에 세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戒我子孫萬代 丙寅作 辛未立).’

강화도 돈대| 강화도에설치된방어기지.

Page 18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8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2과. 동학혁명과갑오개혁

갑오년의 3대 사건

1894년은 갑오년으로 한국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이 해에 한국인의 운명에 향을 끼친 3

가지사건이연이어일어났기때문이다. 즉 동학농민전쟁과청일전쟁, 그리고갑오개혁이었다.

동학농민전쟁은한국 역사상최대의 농민봉기 다. 이 사건은 기존에빈발하고 있던 민란의국지성

을 극복하고 전국적인 규모로 봉기하 으며, 반봉건 반외세의 기치를 높이 들어서 전쟁과 같은 양

상을 보 다. 전라도에서 봉기한 농민군은 정부군을 격파하고 호남의 중심도시인 전주를 점령하기

에 이른다. 조선 정부는 자력으로 농민군을 막지 못하자 청에 원군을 청하 고, 조선에서 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청은 군대를 파견하 다. 그러자 일본도 군대를 파견하 고, 결국 조선은 청일 양국

군이 주둔하는 형국이 되었다. 위기를 느낀 정부는 농민군과 협상하여 휴전을 하고 청일 양국군의

철수를요구하 다.

그러나 일본군은이미 청과의 전쟁을 계획하고있었기때문에전쟁을도발하 다. 청일전쟁이 발발

한 것이다. 이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 다. 한편 일본은 전쟁과 동시에 조선 정부를 점령하고 친

일 내각을 수립하고, 근대적 개혁을 요구하 다. 이를 갑오개혁이라고 한다. 이 개혁은 근대적 내용

을 담고 있었지만한편으로는일본의침략을가속화시키는것이었다. 이에 정부와 휴전했던 농민군

은다시봉기하 다. 일본군과정부군은농민군과전쟁을벌 고, 농민군이패배하게된다.

갑오년의 3대 사건. 동학농민전쟁의 반봉건 반외세 개혁은 실패로 돌아가고, 청은 전쟁에 패하여

조선에서물러났으며, 일본은친일정부를구성하여한국정부개혁에간섭하게된다.

1. 동학혁명의성격

1894년 농민봉기를 부르는 이름은 다양하다. 동학란, 동학혁명, 동학농민운동, 동학농민

전쟁, 갑오농민전쟁등. 앞에붙은용어는주체를나타내고뒤의용어는성격을규정하는것이

다. 주체를 동학이냐 동학과 농민이냐 아니면 농민이냐의 문제, 그리고 반란이냐, 혁명이냐,

그냥 운동이냐, 농민전쟁이냐의 문제. 필자는 농민이 주체이지만 동학이라는 종교도 무시할

수 없다고 보며, 혁명이나 운동이라기보다는 정부군 및 일본군과의 전쟁이라고 보기 때문에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8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85

동학농민전쟁이라는용어가가장타당하다고본다.

2. 갑오개혁의내용과성격

갑오개혁은 내용으로 볼 때 근대적 성격이 뚜렷하다. 정치면에서는 내각제와 입헌군주제

실시, 경제면에서는조세금납화, 은본위화폐제도, 도량형의통일등자본주의적개혁, 사회

면에서는신분제폐지, 연좌제나고문의폐지등. 그러나군사적개혁은미진하 으며특히일

본의강요에의해갑오개혁이진행되었다는점은한계 다. 결국갑오개혁은근대체제를지향

하 으나자주성이라는측면에서는한계를가진개혁이었다고볼수있다.

1. 동학농민운동이일어난원인은무엇입니까?지방관리들의가혹한수탈

2. 농민군의지도자는누구 나요?전봉준

3. 농민군의목적은무엇이었습니까?부정한관리를처벌하고, 외국의침략으로부터나라를구하려고

4. 농민들이설치한개혁자치기구는무엇입니까?집강소

5. 농민군은어느나라군대와맞서싸웠을까요?일본군, 정부군

6. 동학농민전쟁당시일어난국제전쟁은무엇입니까?청일전쟁

7. 동학농민전쟁당시정부에서는어떤일을하 습니까?갑오개혁

학습노트

Page 18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8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동학혁명 | 1894년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을 지도자로 농민들이 반봉건 반외세를

목표로일으킨봉기. [중심주제] [유의점] 참조.

갑오개혁 | 894년(고종31)에집권한개화당정권이전통적인봉건체제를근대적인체

제로 개혁한일. 갑오경장이라고도한다. 갑오개혁은김홍집을수반으로한 친일 내각에서3

차에걸쳐실시되었다.

1차개혁 : 청일전쟁발발직후제1차김홍집내각에서진행. 군국기무처라는초정부적기

관을통하여급진적인개혁을진행하 다.

2차개혁 : 일본이청일전쟁에서우세해지자갑신정변실패후일본에망명해있던박 효

를불러들여김홍집, 박 효연립내각을구성하여개혁을추진하 다. 이때‘홍범14조’를발

표하여갑오개혁을기정사실화하고, 조선이청으로부터독립한다는데초점을두었다.

3차개혁 : 1895년민씨의친러내각(제3차김홍집내각)으로개혁이중단되었다가일본이

명성황후를죽이는만행을저지른후제4차김홍집내각을구성하여단행한개혁. 을미개혁이

라고한다. 이때단발령을강제로단행하 다. 한국인들은명성황후시해와단발령에반대하

여 의병을 일으켜 저항하 다. 갑오개혁은 1896년 아관파천으로 친러내각이 수립됨으로써

실패로끝났다.

전봉준 | 1855년(철종6)~1895년(고종32). 조선말기동학운동의지도자. 키가유난

히작아흔히녹두장군이라고일컬어졌다. 1894년 1월, 고부군수조병갑이농민에게과중한

세금을 거두고 만석보 신보를 만들어 수세를 징수하자, 고부군민을 이끌고 봉기하여 관아를

점령하고 조병갑을 몰아내었다(고부민란). 그러나 사정이 나아지지 않자 전봉준은 손화중,

김개남과 함께 고부, 태인, 무장, 금구, 정읍, 부안 등지에서 봉기하여 황토현과 황룡촌에서

정부군을 격파하고 전주를 점령하 다(1차 전쟁). 그러나 정부의 요청으로 청군이 들어오고

일본군이잇달아들어와국가존위가위태롭게되자탐관오리의응징, 노비의해방, 토지균분

제실시등12개개혁안을약속받고정부와휴전하 다(전주화약). 이후농민군은전라도일

대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개혁을 추진하 다. 전쟁에서 우세한 일본이 조선의 내정을 간섭하

자다시봉기하여조선일본연합군과맞서공주우금치에서전투를벌 으나패배하 고, 순

창으로피신했으나체포되어서울로압송, 재판을받고1895년3월사형당하 다(2차전쟁).

용어해설

Page 18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87

집강소 | 1894년동학농민전쟁때농민군이전라도각고을관아안에설치하 던농민

자치기구. 전주화약후전봉준은전주성안에전라좌우도대도소를설치하고군현단위로집강

소를 두었다. 집강소는 전라도 53주읍의 관아 안에 두고, 동학교도가 각 고을의 집강이 되어

지방의치안질서가그들에의하여유지되기에이르 다. 이때전봉준은금구, 원평을근거지

로 전라우도를 장악하 고, 김개남은 남원을 근거로 하여 전라좌도를 장악하 다. 집강소에

서는치안과행정을담당하고이곳을통하여폐정개혁을추진하 다.

전봉준과 동학농민군 | 백산은고부에위치한지역으로1차전쟁때집결했던곳. 전봉

준은이곳에서농민군의조직을정비하고창의문을발표하 다. 다음은창의문의내용이다.

“우리가의를들어이에이름은그본의가다른데있지아니하고창생을도탄에서건

지고국가를반석위에두자함이다. 안으로는탐학한관리의머리를베고밖으로는횡포

한강적의무리를구축하고자함이다. 양반과지주의앞에서고통을받는민중들과방백

과수령의밑에서굴욕을받는하급관리들은우리와같이원한이깊은자다. 조금도주

저치 말고 이 시각으로 일어서라. 만일 기회를 잃으면 후회해도 미치지 못하리라. 호남

창의대장소백산에서”

우금치 전적비 | 우금치전투를기념한전적비. 우금치전투는1894년11월동학농민군

이충청남도공주의우금치에서관군및일본군과치른전투. 2차농민전쟁때봉기한4만명

의 농민군은 충청감 소재지이며 서울로 가는 길목인 공주를 공격하 다. 우금치는 공주로

들어가는 고개 이름. 농민군 주력부대는 6, 7일간에 걸친 40~50회의 격전을 치르는 공방전

끝에동학농민군은우수한근대식무기와장비로훈련된일본군에게많은사상자를내면서참

패하 다. 이후농민군은1만여명의병력중겨우살아남은500여명으로항전을거듭하면서

후퇴하다가후일을기약하면서해산하 다.

청일전쟁 | 1894~1895년사이에청과일본이조선의지배권을놓고다툰전쟁. 1894년

7월 말 일본은 청군을 기습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8월 1일의 개전 후 9월에는 평양

육전과황해해전에서우세를확보, 10월에청국 토에진격하여봉천남부를제압하고북양

함대를격멸하 다. 일본군에게패한청국은1895년3월에휴전, 4월에시모노세키에서강화

그림해설

Page 18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8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조약을체결하 다. 일본은① 조선에서의청국의종주권파기, ② 랴오둥반도와타이완, 펑

후섬의할양, ③ 배상금2억냥지불, ④ 열국과같은특권을인정하는통상조약의체결등을

얻었으나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3국간섭으로랴오둥반도는반환되었다.

Page 18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89

제3과. 국권을빼앗기다

러일간의대립과한국

1894년청일전쟁에서승리한일본은한국을속국으로삼으려는계획을세웠다. 그러나한국에 토적

야심을품은러시아가개입함으로써한반도를둘러싸고러시아와일본의대립이격화되었다. 양국간

의대립은 1904년러일전쟁때까지 10년간계속되었다.

청일전쟁후일본은청으로부터한반도, 대만, 요동반도를얻으려고하 다. 이에 대하여러시아는프

랑스와독일을끌어들여삼국간섭을함으로써결국일본은요동반도를청에반납하고말았다. 청일전

쟁이후한국에서는친일정권이수립되어권력을잃었던민씨는러시아의힘을빌려권력을되찾으려

고 친러정권을 수립하 다. 이 때 일본은 명성황후를 잔인하게 살해하는 만행을 자행하 다(1895 을

미사변). 일제의 만행에 대하여 의병이 봉기하 다(을미의병). 고종은 일본의 만행에 위협을 느끼고

1996년러시아공사관으로옮겨갔다(아관파천). 러일양국사이에끼인한국의모습이었다.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의 간섭이 심해지자, 서재필 등은 독립협회를 창설하여 러시아를 비판하 다

(1896). 고종은환궁하여대한제국을선포하고황제가되었다(1897). 러일간의세력균형이이루어진짧

은기간은대한제국이부국강병을이루고자주권을지킬방안을찾을수있는기회 다. 그러나대한

제국은 이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 다. 독립협회에서 주장한 민권을 수용하지 않고 오히려 독

립협회를해산시켜버렸다. 그리고 황제권을강화하여국방력을강화하려고하 으나, 국민의 지지가

없는개혁은성공하기어려웠다.

1904년러일전쟁발발, 일본의승리는대한제국의운명을결정하 다. 일제는미국, 국, 러시아의동

의를얻어한반도를보호국화하 고(1905년) 몇 단계의과정을거쳐 1910년 주권을빼앗아버렸다. 대

한제국과 고종황제의 외교정책, 즉 열강 사이의 세력균형을 통해 주권을 유지하려는 정책의 한계는

뚜렷했다. 세력균형이무너졌을때독립을유지하기힘든것이었다.

1. 황제권과민권의대립

대한제국과 독립협회는 조선의 힘을 길러 조선의 주권을 지키자는 목적에서 동일하 다.

그러나그방법이달랐기때문에결국독립협회는대한제국에의해해체되고말았다. 대한제

국은 황제권의 강화라는 방법을 통하여, 독립협회는 민권을 신장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9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9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고자했다. 황제권과민권이충돌한것이었다. 독립협회해산이후대한제국이주권을침탈당

하는과정을보면, 민중의참여없이황제권만으로주권을지키는것이어렵다는사실을보여

준다.

2. 독립협회의 3대사상

독립협회는 자주독립, 자유민권, 자강개혁이라는 3대 사상을 가지고 활동하 다. 조선이

독립을 유지하려면 민권을 신장하고 폐정을 개혁하여 힘을 길러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독

립협회는이를실천하기위하여토론회, 강연회를개최하 고, 여기에서울의시민들이적극

참여함으로써 활동이 강화되었다. 개항 후 한국 민중들은 개화사상에 반대하는 입장을 가져

왔으나, 독립협회단계에서민중이참여한것이었다. 국민을주체로세웠을때국민에게서나

라를지킬힘이나온다는사실을다시한번확인해준다.

Page 19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91

1. 일제가명성황후를살해하자한국인들은어떻게대응했습니까?항일의병을일으킴

2. 고종이러시아공사관으로옮겨간일을무엇이라합니까?아관파천

3. 독립협회는어떤일을했습니까?독립신문발간, 독립문건립

4. 고종이황제가되면서조선의이름은어떻게바뀌었습니까?대한제국

5. 러일전쟁후한국은어떻게되었습니까?을사조약체결로외교권을빼앗김

6. 고종황제가세계여러나라에독립을호소하기위하여어떤일을했습니까?

세계만국평화회의에억울함을호소함

7. 일제가한국의주권을빼앗아간과정을써보세요.을사조약후고종강제퇴위, 군대해산, 사법권과경찰권빼앗음, 한일합방

8. 왜한국이일본의식민지가되었는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명성황후 살해 | 을미사변(1895). 1895년(고종32) 10월8일새벽조선주재일본공사

미우라고로우의지휘하에일본군수비대, 사경찰, 낭인배등이경복궁을습격하여조선의

왕비인명성황후를살해하고그시신을불태워버린야만적사건.

항일의병 | 을미의병(1895). 1895년명성황후시해사건과단발령의시행에분격한유

용어해설

Page 19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9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생들이 친일내각의 타도와 일본세력의 구축을 목표로 일으킨 대규모 봉기. 이후 1905년 을

사의병, 1907년 정미의병으로 계승되었다.

아관파천 | 아관은러시아공사관, 파천은왕이옮겨가는일을뜻함. 명성황후가시해된

을미사변 이후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과 왕세자가 1896년 2월 11일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

겨간사건을말한다.

각종 이권 피탈 | 아관파천후조선의주권은크게침해를당하 고, 조선의이권이열

강으로 넘어갔다. 각국이 차지한 주요 이권은 다음과 같다. ·미국 : 서울 전기 전차 시설권,

경인선부설권, 운산금광개발권·러시아: 압록강, 두만강, 울릉도산림채벌권· 국: 은산

금광채굴권·프랑스: 경의선부설권·독일: 당현금광채굴권·일본: 직산금광채굴권, 경

부선부설권

서재필 | 1864년(고종 1)~1951년. 개화기의 정치가. 미국 귀화명은 제이슨 필립

(Jaishon,P.) 1883년개화사상의 향으로일본유학, 1884년갑신정변에참가, 실패후일본

을거쳐미국에망명. 미국에서의학을공부하고의사가됨. 1895년말에귀국하여정부의지

원으로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를 세워 고문이 되었다. 그러나 정부와 갈등으로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미국에서 독립활동을 벌임. 1945년 일제가

항복한후미군정의초청으로 최고정무관이되어잠시귀국했다가다시미국으로돌아갔다.

윤치호 | 1865년(고종2)~1945년. 한말의정치가, 민족운동가. 1881년조사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1883년까지 신학문을 공부하 다. 1884년 아버지가 갑신정변에 연

루되자 상해로망명하고 이어서 미국으로망명하여 공부를 계속하 다. 1895년 귀국하여 정

부 관료를 지내고 독립협회 2대 회장을 지냈다. 을사조약 이후에는 대한 자강회에 참여하여

계몽운동을벌이기도하 다. 그러나한국이일제의식민지가되자105인사건에연루되어고

난을 겪었다. 이후 그는 한국의 독립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여 독립운동을 포기하고 일제의

지배에협력하 다.

독립신문 | 1896년창간되었던우리나라최초의민 일간지. 독립신문은한 과 문으

로펴냄. 독립신문은근대민족주의사상, 민주주의사상, 자주적근대화사상을강조하여국민

들을계몽하 다. 독립협회해산이후1899년폐간되었다.

대한제국 | 1897년10월12일부터1910년8월29일까지존속하 던국가. 제국은황제

가다스리는나라. 동아시아에서는황제아래왕이있었기에대한제국의성립으로고종은왕

Page 19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에서황제로지위가승격되었다.

을사조약 | 1905년11월17일일본이우리나라의식민지화계획의예비수단으로한국

의외교권을박탈하기위하여강제로체결한조약. 원명은한일협상조약. 제2차한일협약, 을

사5조약이라고도함. 이후일제는통감부를설치하고이토히로부미를통감으로파견하여한

국의내정을간섭하 다. 한국인들은을사조약에반대하는투쟁을격렬하게전개하 다.

세계만국평화회의 | 제1차는1899년26개국, 제2차는1907년44개국의대표가네덜란

드의헤이그에서회합, 군비축소와평화유지책을협의한국제회의이다.

군대해산 | 1907년일본에의하여대한제국의군대가강제로해산된사건. 해산된군인

들은일본군과전투를벌이고의병이되었다.

한일합방 | 일제의침략으로국권을상실한1910년의경술국치를이르는말. 1910년8월

22일이완용과 조선통감데라우치 마사타케 사이에 합병조약이 조인되었다. 일제는조약 체

결후한국인의반항을두려워하여발표를유보하면서, 정치단체의집회를철저히금지하고원

로대신들을연금한뒤인8월29일순종으로하여금국권이양의조칙을내리도록하 다. 8개

조로된이조약은제1조에서‘한국정부에대한모든통치권을완전히또 구히’일제에양

여할것을규정하고있다. 이로써조선왕조는건국된지27대519년만에망하 다.

이준 | 1859년(철종10)~1907년. 애국계몽운동가. 독립협회, 보안회, 신민회등에참

여하여계몽활동을펼치다가, 1907년 헤이그에고종 특사로파견되어일제의침략을규탄하

다가순국하 다.

독립문 | 서울특별시서대문구에있는구한말의석조문. 서재필이중심이되어청사신

을 접하던 은문을헐고그자리에독립문을세웠다.

최익현 | 1833년(순조33)~1906년. 위정척사사상을지닌유생으로1876년개항반대,

1895년단발령반대등의활동을벌이다가, 을사조약이후1906년의병봉기를하 다. 일제

가그를쓰시마섬으로데려갔으나오랑캐음식을거부하다가그곳에서순국하 다.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93

그림해설

Page 19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9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4과. 나라를구하기위한노력

일제의침략에대한구국투쟁

1905년 을사조약에서 1910년 경술국치까지의 기간은 일제의 주권침탈기 고, 이에 대항하여 한국인

들은주권수호투쟁을전개하 다. 이때 주권수호투쟁은크게두방향으로진행되었으니, 하나는 의병

투쟁이요, 다른하나는애국계몽운동이었다.

의병투쟁은 크게 세 차례 진행되었으니,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 이후에 일어난 을미의병, 1905년

을사조약 이후에 일어난 을사의병, 그리고 1907년 군대해산 이후에 강화된 정미의병이었다. 의병은

유생이의병장이되고농민들이참가해의병부대를형성하 다. 그러나을사의병이후에는점차평민

의병장이증가하 다. 의병은전국에걸쳐일어나일본군과전투를벌 다. 그러나근대화된일본군의

무력과일본군의초토화작전에 려점차약해졌고, 국권상실이후만주로건너가독립군으로전환

되었다.

애국계몽운동은무력으로일본에대항하는것은불가능하다고보고, 먼저실력을기른이후에독립을

쟁취하고자 하 다. 그래서 애국계몽운동가들은 산업을 진흥시키고 교육을 진작하여 힘을 기르고자

하 다. 또한그들은단체를결성하여일제의침략에맞섰는데, 1904년 보안회가일제의황무지개척

권 요구를 좌절시킨 후, 1905년 헌정연구회, 1906년 대한자강회, 1907년 신민회를 조직하여 일제의

침략에저항하 다. 그러나 일제의침략을막기에는역부족이었고, 신민회는 장기적인독립운동을계

획하여 해외에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나섰다. 1910년 국권 상실 후 일제가 105인 사건을 조작하여 애

국계몽운동가들을대거검거함으로써애국계몽운동은큰타격을입었다.

1. 일제의한국침략에대한열강의반응

1905년 일제가 을사조약을 한국에 강요할 때 당시 세계 강국이었던 미국, 국, 러시아는

이에 동의하 다. 미국은 가스라 태프트 약에서, 국은 제2차 일동맹을 통하여 일제의

한국지배에 동의하 는데, 이는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하여 일제가 한국을 지배하는 것이 자

국의 이익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러일전쟁에서 패배한 후 일제의 한국 지배를

용인할수밖에없었다. 또한1910년경술국치때에도강대국들은일제의한국병합이한국인

중심주제

유의점

Page 19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95

들에게행복을가져다줄것이라며동의하 다. 결국열강은제국주의적인관점에서한국문제

를다루고있음을보여준다.

2. 애국계몽사상가들의의병관

애국계몽운동과의병전쟁은주권수호라는같은목표를가졌으나서로힘을합치지못한것

은안타까운일이다. 당시애국계몽운동가들은의병을도적으로부르거나, 실현불가능한일

을한다고보았다. 의병전쟁에대하여비교적우호적인입장을가지고있었던황성신문의기

사를보면애국계몽사상가들의의병관을볼수있다.

“진실된마음으로국권을만회코자할진대눈앞의치욕을참고국가원대의계획을도

모하라. 일체 병기를 버리고 각자 향리로 돌아가, 농사꾼은 농업을 열심히 하고 수공업

자는공업을열심히하여각기산업에종사하여자산을저축하고자제를교육하여지성

을계발하며실력을양성하면다른날에독립을회복할기회를자연히기대할수있을것

이다.”- (『황성신문』, 1907. 9. 25 사설)

주권수호를위해서는실력양성과무력투쟁이모두필요한것이었는데도서로를용납하지

못한점이한계 다. 이두계열은1910년주권상실후독립운동에서결합되어갔다.

Page 19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 일제가한국의군대를해산시켰을때해산된군인들은어떻게행동했습니까?

무장의병투쟁을벌 다.

2. 안창호선생은어떤일을했습니까?애국계몽단체인신민회조직

3. 의병이일본군에게 린까닭은무엇일까요?일본군의근대적무기, 일본군의초토화작전

4. 의병은후에어떤일을했을까요?만주와중국, 연해주에서독립운동(독립군)

5. 안중근의사, 전명운ㆍ장인환의사, 이재명의사는어떤일을했습니까?한국침략의원흉인이토히로부미암살. 일본의한국침략을옹호하는

미국인스티븐스사살. 매국의원흉이완용저격.

6. 애국단체들은어떤방법으로항일운동을전개했을까요?민족교육, 신문 잡지발간

7. 주권을지키기위해노력한종교는무엇이었습니까?대종교, 천도교, 기독교

8. 학자들은어떤일을했습니까?역사연구를통한민족의자각, 애국계몽운동

학습노트

19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19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97

안창호 | 1878년(고종15)~1938년. 독립운동가. 안창호는청일전쟁후실력양성의중

요성을 인식하고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하 다. 이때 그는 평양에서 정부비판과 민중의

각성을주장하는연설로명성을얻었다. 1902년미국으로건너가샌프란시스코에서한인친

목회, 대한인공립협회를설립하 다. 1906년귀국하여이듬해신민회를조직하고, 평양에대

성학교, 태극서관, 도자기 회사를 세워 실력양성에 힘썼다.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하고 이듬

해미국으로건너가, 1912년샌프란시스코에서대한인국민회중앙총회를조직하고, 1913년

로스앤젤레스에서흥사단을창설하 다. 1919년3·1운동직후상해로가서대한민국임시정

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대리직을 맡았다. 1924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활동하다가, 1926

년중국으로돌아와독립운동을계속하 다. 1932년윤봉길의거직후붙잡혀서울로압송되

어4년형을받고복역하다가1935년가출옥, 1937년 6월재수감되었다가같은해12월에병

으로석방되었으나이듬해3월순국하 다. 안창호는실력양성을통하여독립을얻을수있다

는실력양성론을대표하는독립운동가 다.

신민회 | 국권회복을목적으로1907년서울에서조직된전국규모의비 결사. 안창호

는 미국에서 돌아와 대한매일신보의 주필 양기탁과 비 결사조직을 결성하는 데 합의하고,

1907년 4월초양기탁, 전덕기, 이동휘, 이동녕, 이갑, 유동열, 안창호등7명을창건위원으

로하여, 노백린, 이승훈, 이시 , 이회 , 이상재, 윤치호, 이강, 조성환, 김구, 신채호, 박은

식 등을 중심으로 신민회를 창립하 다. 신민회는 공화정치체제를 지향하면서 산업과 교육

등 실력양성운동을 벌여 나갔다. 일제의 주권 침탈이 가시화되자 장기적인 독립운동을 위하

여해외에독립운동기지를건설하 다. 1910년일제의105인사건으로해체되었다.

안중근 | 1879년(고종16)~1910년. 조선말기의교육가, 의병장, 의사. 17세에천주교

에입교, 러일전쟁후상해로망명했다가귀국하여실력양성을위한교육활동을벌 다. 1907

년 러시아 땅으로 건너가 김두성, 이범윤과 함께 의병부대를 만들고 대한의군참모중장이 되

어 일본군과 전투를 벌 다. 1909년 비 결사 단지회(손가락을 잘라서 맹세함)를 조직하

고, 그때한국침략의원흉이토히로부미가하얼빈을방문한다는소식을듣고사살하기로하

고우덕순, 조도선, 유동하등과함께계획을세움. 1909년 10월 26일이토히로부미를태운

특별열차가하얼빈에도착, 코코프체프와열차회담을마치고차에서내려오는이토히로부미

용어해설

Page 19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9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를사살하 다. 안중근은현장에서러시아경찰에게체포되어일본경찰에넘겨져재판을받

고, 1910년3월26일오전10시여순감옥형장에서순국하 다.

전명운 | 1884년(고종21)~1947년. 독립운동가. 1905년하와이이민후1906년샌프

란시스코로 이주, 막노동을 하면서 공립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하 다. 이때 통감부 친일외교

고문인 미국인 스티븐스(D.W. Stevens)가 미국에 와서 일본의 한국침략을 옹호하자, 1908

년3월23일, 스티븐스를권총으로저격하 으나불발로끝나자격투를벌 다. 이때같은목

적을 가진 장인환이 스티븐스를 저격하 고(이틀 후 사망), 거사 후 장인환과 함께 체포되었

으나, 애국심에 불타는 당당한 호소에 감복한 재판관이 전명운에게 무죄를 선고, 1908년에

석방되었다.

장인환 | 1876년(고종13)~1930년. 독립운동가. 1905년2월하와이로이민, 1906년8

월샌프란시스코로갔다. 을사조약후대동보국회에가입하 다. 1908년 3월대한제국의외

교고문 스티븐스(D.W. Stevens)가 샌프란시스코에 와서 일본의 침략을 정당화하는 선전활

동을 하자 여기에 항의하 으나 스티븐스는 수용하지 않았다. 이에 장인환은 스티븐스를 사

살하기로 하고, 3월 23일 아침 전명운과 격투 중이던 그를 사살하 다. 장인환은 채포된 후

25년형의판결을받고10년간복역한후1919년에가석방되었다.

이재명 | 1890년(고종 27)~1910년. 조선 말기의 의사. 1904년 하와이로 이민 갔다가

1907년귀국. 이토히로부미를암살하려고시도하다가안창호의만류로보류, 연해주로가서

다시이토를암살하려다가안중근에의해사살되었다는소식을듣고귀국하 고, 1907년친

일매국노이완용을습격해중상을입히고체포되어사형을선고받았다.

대종교 | 1909년나철이창시한종교. 단군을신앙하는민족종교로국권상실후만주

에본부를두고독립운동을전개하 다.

천도교 | 동학의계승적발전형태로서, 1905년손병희에의해창도된근대민족종교.

천도교는3.1운동을주도하는등독립운동에앞장섰다.

한국역사연구 | 일제의한국침략이가속화되자신채호등선각지식인들은민중들에게

애국심을북돋우기위하여외국흥망사, 한국의위인전등역사를서술하 다.

Page 19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해산군인의 항전 | 군대해산당일해산군인들은일본군과전투를벌인후의병으로전

환하 다. [중심주제] 참조

안중근 | 1909년이토히로부미를사살함. [용어해설] 참조.

안창호 연설 | 안창호가평양에서실력양성을역설하고있는모습, 안창호는명연설가

로이름이높았다. [용어해설] 참조.

외세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대응 ● 199

그림해설

Page 20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Page 20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독립운동

제8단원

제1과 일본의 무단정치

제2과 독립운동의 전개

제3과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4과 무장독립투쟁과 광복군

제5과 국내의 항일운동과 해방

Page 20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0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제국주의와 식민지

1910년 한국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했을 때, 세계는 제국주의 분할이 완료된 상태 고,

동아시아삼국의운명도엇갈렸다. 일본은제국주의로전환하 고, 한국은일제의식민가되

었으며, 중국은1911년 신해혁명으로중화민국을세웠으나여전히내분과열강의침략에시

달리고 있었다. 한민족은 잃어버린 국가를 되찾는 것이 최대의 과제가 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치열하게독립운동을전개하 다.

한국이 식민지에서 독립되는 것은 세계정세와 긴 히 연결되어 있었다. 제국주의 국가 간

의대립과균열은식민지민족에게독립의기회를제공해줄수있었다. 1914년~1918년제1

차 세계대전은 제국주의의 균열을 가져왔고, 한민족은 1919년 3·1운동으로 독립투쟁을 벌

다. 그러나국제정세는한민족에게유리하지않았다. 일제는전승국에속해있었고다른제

국주의국가들도한민족의독립에동의하지않았다.

1931년 이후 일제의 대륙 침략과 1941년 태평양전쟁은 줄기찬 독립투쟁을 전개하던 한민

족에게독립의기회를제공하 다. 그리하여1945년제2차세계대전이끝나고일제가패망했

을때한민족은독립을달성할수있었다.

2. 일제 식민통치의 특징

제국주의사를연구하는학자들은일제의한민족통치가유달리악랄했다고평가하고있다.

일제는 급격한 근대화의 결과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약점이 많았고, 그것을 식민지에 전

가하 기 때문이며, 또한 문화적으로 우월감을 가지고 있었던 한민족이 일제의 지배를 수용

할수없었고그만큼치열하게독립운동을전개하 기때문이다.

일제의한민족지배는군사적점령에가까운무력에의한통치 다. 조선총독은일본내각

의간섭도거의받지않은채한반도에서행정, 사법, 입법등제분야에서전권을행사할수있

었고, 한반도전체를군대와헌병, 그리고경찰로감시하고억압하 다. 한민족에게는일체의

권리를허용하지않았으며, 일제의지배에저항하는행위는야만적으로처벌당하 다.

단원이해

Page 20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03

또한 일제의 한민족 지배는‘동화주의’를 내걸고 민족말살통치를 자행한 데 특징이 있다.

일제는‘일본은문명국이고조선인은야만족이기때문에야만족조선인을문명인으로만들기

위해조선인을일본인으로만들어야한다.’라고주장하 다. 그러나그실상은한민족의민족

정신을 없애려는 민족말살정책이었다. 이를 위해 일제는 한국인에게 갖은 미신적인 행위를

강요하 다. 민족말살통치는제국주의역사에서도유례를찾기힘든악랄한통치형태 다.

3. 민족 독립운동

한민족은 식민통치 전 기간 동안, 국내외를 막론하고 줄기차게 독립운동을 전개하 다.

1910년대에는국내에서는비 결사를통해, 해외에서는독립운동기지건설을통해독립운동

을시작하 고, 마침내1919년3·1운동으로폭발하 다. 3·1운동은민족운동의분수령이었

다. 이후한민족의독립운동은다양한방향에서다양한방법으로본격화되었다. 해외에서는대

한민국임시정부가수립되어활동하 고, 만주에서는무장독립전쟁이본격화되었다. 국내에서

도중산층과지식인이중심이된계몽운동, 노동자와농민이중심이된민중운동, 6·10만세운

동과광주학생운동과같은시위투쟁, 청년, 여성, 학생, 소년등의민족운동이활기차게전개되

었다. 또한의열단과애국단을결성하여일제수탈기관의폭파와일제침략자를처단하 다.

한민족은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사회주의를 독립운동의 방법으로 수용하기도 하

다. 그리하여 독립운동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양 측면에서 진행되었는데, 한민족은 보다

효과적으로독립운동을전개하기위하여좌우합작, 민족유일당운동을전개하 다. 그리하여

국내에서는신간회가창립되어활동하 고, 해외에서도민족유일당운동이지속되었다.

한민족의 독립투쟁은 다른 민족의 해방투쟁과 보조를 같이하 다. 특히 한반도와 국경을

접하고있는중국민족과함께일제침략자에대항하 다. 일제의만주침략이후한국의독립

군은중국군과연합하여일제와싸워큰타격을주었으며, 한중연합군은일제가항복할때까

지 일본군과 강력한 전쟁을 벌여 나갔다. 또한 2차 세계대전 때에는 연합군과 보조를 맞추어

일제의침략전쟁에대항하 다.

Page 20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0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1909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 경술국치

1919 삼일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20 봉오동, 청산리 전투

1923 물산장려회 창립총회

1926 6.10 만세운동

1927 신간회 설립

1929 광주학생운동

1932 이봉창, 윤봉길 의거

1941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 선전포고

세계사

1912 중화민국 성립

1914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919 파리 강화회의

1920 국제연맹 성립

1929 세계 경제 대공황

1931 만주사변

1933 독일, 히틀러 총통에 취임

1937 중일전쟁

1939 제2차 세계대전 발발

1940 태평양 전쟁 발발

1943 이탈리아 항복

1945 독일, 일본 항복.

Page 20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05

제1과. 일본의무단정치

일제 식민통치의 전개

일제의 식민통치를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편리하다. 조선총독부의 억압통치와 무력에 의

존한 통치형태라는 측면에서는 전 시기에 걸쳐 동일하지만, 일제의 통치 형태는 시기에 따라 변화

를 보인다.

일제의 한민족 통치는 1919년 3.1운동과 1931년 만주사변을 전환점으로 변화하 다. 1910년대 일제

의 통치를 무단통치라고 부른다. 일제는 헌병경찰로 한반도 전역을 점령하고 통제하 다. 한국인들

에게는 일체의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가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이 때 경제에 대한 각종 법

령을 만들어 한민족의 경제적 생존권을 약탈하 다.

1919년 3.1운동은 세계를 놀라게 하 다. 일제는 한민족을 무력으로만 다스리는데 한계를 느끼고

통치정책을 전환하 으니, ‘문화정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문화정치’는 일제가 한민족을 문화적

으로 다스린다는 것인데 그것은 대내외적 선전에 불과하 고, 이를 통해 민족을 분열시켜 식민통치

를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오히려 일제는‘산미증식계획’과 같은 경제정책을 실시하여 식민지

수탈을 가속화하 다.

1929년 세계 경제대공황이 일본을 강타하자 일제는 대륙침략에 나서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중

일전쟁, 1941년 태평양 전쟁을 도발하 다. 일제는 한반도를 침략전쟁의 병참기지로 삼아, 한국인들

을 전쟁에 내몰고 전쟁 물자를 약탈하 다. 이를 위해 일제는 민족말살 정책을 자행하 다.

1. 일제의 경제 수탈

일본은급격한공업화로식량이부족하 고상품시장이협소하 다. 일제는이러한경제적약

점을식민지조선을수탈함으로써메우려고하 다. 일제의경제수탈을요약하면다음과같다.

① 1910년대:토지조사사업실시로토지약탈. 회사령, 광업령, 어업령등발포.

② 1920년대:산미증식계획 실시로 식량 약탈. 관세폐지, 회사령 폐지로 일본 상품과 자

본수출.

③ 1930년대~40년대: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기지화 정책. 국가총동원령 이후 전쟁물자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0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0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약탈. 징용, 징병, 정신대등인적인수탈과공출등물적인수탈자행.

2.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란 한민족을 일본 천황의 신하 백성으로 만든다는 뜻으로 민족말

살통치를의미한다. 일제는식민지지배기간내내황국신민화를내걸었다. 식민지교육의목

표가 황국신민화 으며 이러한 의식을 학생들에게 주입시키기 위해서 일본어 교육을 강요하

고 역사를 왜곡하여 한국사를 일본사에 포함시켜 가르쳤다. 특히 수신이라는 교과목을 만들

어일본천황의위대함을선전하는데열을올렸다.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은 침략전쟁과 함께 미치광이 형태로 전개되었다. 한국인들에게

‘황국신민 서사’를 외우게 하고, 일본 종교 사원인 신사에 강제로 참배하게 하 으며, 일본

천황을향해절을하도록강요하 다. 일본어를강제로사용하게하고심지어한국인의이름

을일본식이름으로고치도록강요하기까지하 다.

1. 일제가한민족을지배하기위해서설치한통치기구는무엇입니까?조선총독부

2. 조선총독은어떠한권한을가지고있었습니까?한국의 정치, 군사, 행정 등 모든 권한

3. 일제지배아래에서한민족은어떠한처지가되었습니까?인간의 기본권에 해당하는 출판, 집회와 결사의 자유 상실

4. 일제는자기의명령에따르지않는한민족을어떻게대하 습니까?체포, 투옥, 고문, 감시

5. 일제가한국인들의경제권을빼앗기위해어떠한일을했습니까?토지조사사업,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통해 이권 침탈

6. 일제가한국인들을수탈한이유는무엇입니까?일본 경제 발전을 위하여

7. 일제의지배를받고있다고상상하고오늘의일기를써봅시다.

학습노트

Page 20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07

조선총독부 | 1910년8월29일국권피탈과함께서울에설치되어, 1945년8월15일일

제의패망까지한국을식민통치하다가, 1945년9월9일미국과정식항복조인식을가질때까

지존속하 던일제침략기관

조선총독 |일제는8월29일이른바‘한일합병조약’의발표와함께, ‘조선총독부설치

에관한칙령’을발표하고, 9월30일에는‘조선총독부관제’를공포하 다. 이에따라10월1

일조선통감이던데라우치(寺內正毅)가초대총독에임명되었다. 이어서하세가와(長谷川好

道, 2대, 부임일시 : 1916년 10월), 사이토(齋藤實, 3대, 1919년 8월), 우가키(宇垣一成, 4

대, 1927년 4월), 야마나시(山梨半造, 5대, 1927년 12월), 사이토(6대, 1929년 8월), 우가

키(7대, 1931년 6월), 미나미(南次郞, 8대, 1936년 8월), 고이소(小磯國昭, 9대, 1942년 5

월), 아베(阿部信行, 10대, 1944년7월) 등이조선총독을지냈다.

조선총독은일본천황에직속되었으며, 조선통치에관한한일본내각총리대신과동등한권

한을가졌다. 3·1운동후인1919년8월총독부관제를개정하여, 문관도총독에임명될수있

도록규정되었지만, 모두육, 해군대장이임명되었다.

조선총독의권한은“식민지조선에대한제반정무를통할하며,”광범한범위의군대지휘권

과치안상필요에의한출병권을가졌다. 제령과조선총독부령을발동하는권한, 재판소설치

와폐쇄및판사의임면, 징계권등을장악함으로써, 한국인의생사여탈도재량으로결정할수

있었다. 이외 조선왕실과 귀족에 대한 감독권을 관장함으로써, 흡사 독립왕국의 전제군주와

같은존재 다.

무단정치 | 1910년대일제의한국통치형태. 헌병이경찰의임무를대신하 기때문에

헌병경찰통치라고도한다.

토지조사사업 | 1910년부터1918년까지일제가우리나라에서식민지적토지제도를확

립할목적으로실시한대규모의조사사업. 일본은한반도를강점하자마자1910년9월토지조

사령을 공포한 후 약 2천만 원의 경비를 들여 1918년까지 8년간 토지소유권 조사, 토지가격

조사, 지형지모조사를실시했다. 토지소유권조사로토지대장을만들고, 토지가격조사로지

세부과를위한표준을만들었으며, 지형지모조사를통해지형도를작성하 다. 일제는토지

조사사업을 통하여 전 토지의 40%를 국유지라는 명목으로 수탈하 고, 지세 수입을 확보하

용어해설

Page 20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0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여식민통치에이용하 다.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 | 1908년 일제가 한국에 대한 경제수탈을 목적으로, 농업경

과이민사업을수행하기위하여설립한반관반민형태의국책회사. 동척은막대한토지를소

유하여일본인에게싼값으로토지를불하하여일본인지주를생성시켰고, 한국농민에게소작

을주어막대한소작료를거두어갔다. 또한동척은금융기관의역할을하 으며, 산미증식계

획을실시하고공업경 에투자하기도하 다.

데라우치 총독부임 | 데라우치마사다케. 1852년~1919년. 일본의군인, 정치가. 1910

년 제3대 조선총독으로 부임하여 이완용 친일 내각으로부터 경찰권을 넘겨받아 삼엄한 분위

기속에서한일합방을성사시켰다. 이어서제1대조선총독이되어강력한무단통치로한민족

을고통속에몰아넣었다. 1916년일본수상이됨.

조선총독부 건물 | 일제가 1916년 식민통치의 위엄을 과시하고자 경복궁 근정전 앞에

세워총독부청사로사용한건물. 일제는조선총독부를건축하면서경복궁을훼손하 고, 그

후 경복궁 건축물을 해체하 다. 조선 총독부 건물은 해방 후 주한미군사령부에 의해 군정청

으로 사용되었고, 정부수립 후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한 주요 행정부처가 자리를 잡아 중앙행

정관청으로서기능하여중앙청으로불렸다. 총독부건물을정부관청으로사용하는데대한비

판이 일자, 1986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조하여 사용하다가, 1995년 8·15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철거되었다.

만주로 떠나는 일본군 |일제시대일본군은한반도, 만주등지에배치되어주둔하 다.

한반도지역에주둔한부대를조선군이라하고, 처음에요동반도에주둔시켰다가만주지역에

주둔 시킨 부대를 관동군이라고 불 다. 일본군은 침략전쟁에서 잔인한 행위를 한 것으로 유

명하며, 심지어관동군은사람으로생체실험까지자행하 다.

쌀 유출 | 산미증식계획. 일제가조선을일본의식량공급지로만들기위해1920~1934

년 실시한 농업정책. 일제는 본국에서 쌀이 부족하자 한반도에서 쌀을 증산하여 일본으로 가

져가려는 산미증식계획을 세웠다. 그리하여 조선에서 토지개량, 수리시설 개량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조선에대한쌀수탈을강행하 다. 그결과수리조합비등으로한국의농민들이몰

그림해설

Page 20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09

락하 으며, 많은쌀이유출되었다. 1920년과1930년을비교해보면, 생산량은1천2백만석

에서1천3백만석으로늘었는데비해, 수탈량은170만석에서540만석으로증가하여한국쌀

의 절반가량을 수탈해 갔다. 그 결과 한국인 1인당 쌀 소비량은 1920년 0.63석에서 1930년

0.45석으로줄어들었다.

토지조사사업 | 1912년~1918년, 일제가한반도의토지를조사한정책. [용어해설] 참

조. 토지조사사업은한국인의반대속에서진행되었다. 토지조사원이토지를조사할때경찰

을대동하 다.

Page 21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1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2과. 독립운동의전개

1910년대 독립운동

1910년대는 일제의 측면에서 보자면 식민통치의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 고, 한민족의 입장에서 보

면 독립투쟁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 다. 그리고 식민통치 10년이 지나는 시점에서 1919년 3.1운동

이 폭발하게 되는 것이다.

1910년대 국내의 독립운동은 의병과 비 결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의병부대는 약화되거나 국

외로 이주하 지만 1910년대 전반기까지 국내에서 일제와 전쟁을 벌 다. 비 결사는 말 그대로 비

리에 만든 조직으로, 1910년대 지식인들이나 학생, 독립지사들이 비 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운동

을 전개해 나갔다.

한편 1910년대는 해외에서도 독립운동의 기반을 다지는 시기 다. 해외 독립운동은 한민족이 거주

하는 곳에서 한민족을 근거로 일어났다. 한민족이 가장 많이 거주했던 간도에서 여러 독립운동 단

체가 만들어졌으며, 연해주나 상해, 그리고 미주지역에서도 독립운동이 진행되었다.

일제 식민지 시대 독립운동이 얼마나 큰 고통 속에서 일어났는지를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해

외 독립 운동가들은 경제적, 육체적 고통을 불굴의 의지로 버텨내야 했고, 더욱이 일제 정들의

감시와 체포 위협 속에서 독립투쟁을 벌여야 했다. 국내의 독립운동은 더욱 힘들었다. 경찰의 감시

가 철저했고 경찰에게 즉결처분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었다. 독립 운동가들은 경찰에

검거되면 이루 말할 수 없는 고문을 당하고, 목숨을 잃는 일도 많았다. 일제시대 독립운동은 목숨

을 내걸고 일제와 맞서는 행위 던 것이다.

1. 일제 경찰의 고문

일제경찰은독립운동가들에게악랄한고문을가하 다. 독립운동가에게는거꾸로매달거

나고춧가루를탄물을코에부어넣는방법, 손가락사이에나무토막을끼워비트는방법, 전

기를 통하게 하는 전기고문 또는 잠을 못 자게 하는 방법 등 여러 잔인한 고문이 행하여졌다.

일제경찰의 고문은 식민지 시대 내내 자행되었고, 그들의 고문에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목숨

을잃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1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11

2. 애국계몽사상가들의 분화

애국계몽운동에참여하 던근대적지식인들은1910년국권상실을겪으면서분화되었다.

이들지식인들중일부는독립운동을포기하고은거하거나일제의지배를수용하 다. 인간세

계는 경쟁사회이고 우승열패가 역사와 사회의 법칙이라는 사회진화론의 향권 아래 있었던

많은지식인들은, 일제의조선지배를역사의법칙으로수용하게되었던것이다. 사회진화론

적사고방식이갖는한계 다.

그러나많은계몽사상가들은민족독립운동에나섰다. 이들은민족주의사상으로무장하고

일제로부터잃어버린주권을되찾으려고하 다. 그러나독립운동의방법을놓고크게두갈

래로갈라졌다. 안창호를중심으로한한갈래의사람들은실력양성을통한독립운동방법론을

지향했고, 신채호나이동휘를중심으로한다른갈래의사람들은무장투쟁을통한독립운동에

나섰다. 실력양성론과무장투쟁론은당시대표적인독립운동방법론이었다.

Page 21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1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임병찬 | 1851년(철종2)~1916년. 한말의병. 1906년최익현과함께의병을일으켰다

가사로잡혀일본대마도에끌려갔다가1907년귀국하 다. 1912년고종의 명을받고독립

의군부를 조직하여유생 중심의 비 결사를만들고, 1914년 조직을 전국으로확대하여대한

독립의군부로만들었다. 그리고일본의내각총리대신과조선총독및주요관리에게국권반환

요구서를보내한국강점의부당함을밝히는한편, 일제를일시에구축하려는의병운동을계

획하 다. 그러나 독립의군부의 조직과 계획이 드러남에 따라 대부분의 조직원과 함께 잡혀

용어해설

1. 일제는민족운동지도자들을어떻게대하 습니까?체포, 투옥

2. 비 항일단체는어떤조직들이있었습니까?대한독립의군부, 조선국권회복단, 광복회, 국민회

3. 독립군이창설된지역은어디 습니까?만주, 러시아 연해주

4. 1914년블라디보스톡에세워진정부이름은무엇입니까?광복군 정부

5. 신민회출신들이해외에서세운학교는무엇입니까?신흥무관학교

6. 망명지역에서세운학교에서는무엇을가르쳤습니까?민족교육과 독립군 지휘관 양성을 위한 군사교육

7. 중국상하이와미국에는어떤독립운동단체가있었습니까?신한청년단, 대한인국민회

학습노트

Page 21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13

거문도로유배되었다가유배지에서병으로순국하 다.

대한독립의군부 | 1912년에 유생과 의병 출신을 중심으로 조직된 항일독립운동단체.

위의임병찬참조. 일제를내쫓은후왕조를부활하려는복벽운동이었다.

조선국권회복단 | 1915년경상북도달성에서조직된비 결사단체. 서상일을구심점

으로 윤상태, 이시 등이 1915년 1월 15일, 경상북도 달성군에서 경북지방의 유림들을 포

섭, 본단을 조직하 다. 무장투쟁을 지향하는 단체로 1910년 단원을 만주로 보내 독립군과

연결을시도하 고, 1919년3.1운동을주도하 으며임시정부에군자금을보내는등독립운

동을 벌이다가 일제 경찰에 탐지되어 단원 36명이 체포되었다. 공화주의를 내걸고 활동하

고1910년대내내활동하 던조직력이강한단체 다.

광복회 | 1915년 7월대구에서결성되었던독립운동단체. 1913년경상북도풍기에서

채기중을중심으로창립한광복단과1915년초대구에서박상진을중심으로창립한조선국권

회복단의일부인사가1915년7월15일통합하여결성한것. 1910년대국내에서가장두드러

진활약을펼친독립운동단체로꼽힌다. 이단체의목표는국내에100개의거점을두고군자

금을모아무기를구입하여장비를갖추고독립군을길러중국의신해혁명처럼일제히혁명을

일으켜 공화주의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군자금을 모아 무기를 구입하 고,

이를위해일제의재산을탈취하거나부호들에게강제모금하 으며일제에 고하는친일부

호들을처단하기도하 다. 1918년초 전국의조직망이발각되어박상진, 채기중, 김한종등

은사형선고를받고순국하 으며, 그밖에수많은인사가옥고를치 다.

대한광복군 정부 | 1914년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에서권업회를이끈이상설등이중

심이 되어 조직한 망명정부. 권업회의 이상설, 이동휘 등은 시베리아와 만주 및 미주 지역에

흩어져있는무장독립운동단체를모아효과적인독립전쟁을전개하기위한조직을갖추기로

합의, 1914년대한광복군정부를수립하고대통령에이상설, 부통령에이동휘를선출하 다.

대한광복군정부 산하에 편성된 광복군은 1914년 당시 이상설 주관 하에 있던 3만 명의 시베

리아병력과만주에서수만명, 미국에서855명의한인이훈련받고있었다고한다. 광복군정

부는이들을중심으로국외의모든독립운동을주도하면서본격적인독립전쟁을준비하 으

나1차대전중권업회가해산당하면서활동이어려워졌다.

신흥무관학교 | 1919년만주에설립되었던독립군양성학교. 신민회출신이동녕, 이회

, 장유순 등은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해, 1910년 7월 남만주 유하현 삼원보에 정착하

Page 21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1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고, 1911년이듬해한인자치기관인경학사를조직하 다. 그리고청년들을조국광복의중견

간부로 양성시킬것을 목적으로하는 신흥강습소를설치하 고, 신흥 중학교를거쳐 1919년

유하현에서신흥무관학교가되었다. 교육과정으로는하사관반3개월, 특별훈련반1개월, 장

교반 6개월 등 3개 과정을 두어, 폐교될 때까지 2,100여 명의 독립군을 배출하 다. 1920년

폐교되었으나여기서양성된사관생도들이무장독립투쟁에참여하 다.

신한청년단 | 1918년 11월경 중국 상해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발기인은 김규식,

여운형, 김철, 서병호, 선우혁, 조동호, 장덕수 등이었으며, 김구, 이광수, 안정근, 한원창,

한진교, 김순애등이이사로선임되었다. 1918년12월외교에능한김규식을파리강화회의에

한국대표로파견하면서본격적인활동을전개하 고, 3·1운동을일으키고확산시키고자노

력하 으며, 후에임시정부요인으로활동하 다.

대한인국민회 | 1910년미국에서조직된재미한인항일독립운동단체. 1908년장인환,

전명운의친일미국인스티븐스저격의거를계기로, 미국샌프란시스코의대한인공립협회와

하와이의 한인합성협회를 통합하여 1909년 2월 국민회가 결성되었고, 이듬해 대동보국회를

흡수하여 대한인국민회로 개칭하 다. 대한인국민회는 조직을 세계 각지로 확대하고, 1912

년에는북미, 하와이, 시베리아, 만주등각지방총회의대표자회의를소집하여샌프란시스코

에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설치하는 등 재외한국인의 권익을 대변하는 최고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대한인국민회는재미교포들의친목단결을도모하는한편, 파리강화회의등에서외교

활동을폈고, 3·1운동때미주지역3·1운동을벌이는등조국의독립을쟁취할목적으로다

방면의활동을전개하 다.

항일의병 | 80쪽위- 군대해산당시의시가전삽화. 아래- 맥켄지가찍은의병사진.

대성학교 | 1908년 안창호가 평양에 설립한 중등교육기관. 105인 사건으로 1912년 폐

교됨.

대한인국민회 | [용어해설] 참조

그림해설

Page 21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15

제3과. 3·1운동과대한민국임시정부

민족운동의 활화산

1919년 3·1 운동은 민족독립투쟁의 열기가 활화산처럼 폭발한 사건으로 민족해방투쟁의 금자탑이었

으며, 세계 약소민족 독립투쟁의 선구이자 한국인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알린 거사 다. 이 운동에는

국내에서 남녀노소와 지역에 관계없이 전 민족이 봉기하 으며, 해외에서 한민족이 거주하는 곳이라

면어디서나만세운동이일어났다. 한민족의독립열망이그만큼컸던것이다.

3·1운동이 이토록 거대하게 폭발한 것은 일제의 지배정책에 있었다. 한민족은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와 경제수탈로 노예상태가 되어 있었다. 무엇보다도 한민족은 이민족의 지배를 용납할 수 없었

다. 나아가 1919년은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체제가 재편되고 있는 중요한 시점이었다. 당시 세

계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고, 파리강화회의에서 세계 개조의 기운이 감돌았다. 한민족은 이

를기회로독립을성취하려고하 던것이다.

1. 세계사적 의미

3·1운동은민족운동의금자탑일뿐만아니라세계사적사건이었다는사실을지적할필요

가있다. 1차세계대전이후식민지민족해방투쟁이고양될수있는국제정세가전개되고있

었고, 3·1운동이그선두를장식하 다. 중국에서는 5·4운동이일어났고그선언문에한국

의3·1운동을본받자고하 다. 3·1운동을뒤이어인도와중동지역에서도민족해방투쟁이

전개되었다.

또한3·1운동은한민족의독립의지를세계에분명히전달하 다. 한국이일제의식민지로

전락하 을때 국, 미국등강대국들은그사실을당연시하고심지어축복이라고까지언급

하 다. 그러나 3·1운동의 전개와 일제의 잔인한 탄압 과정에서 열강이 한민족의 독립의지

를확인하 고, 나아가일제의잔인한한국통치를비판하는계기가되었다.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1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1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2. 3·1운동의 민족사적 의미

3·1운동을민족운동의분수령이라고한다. 즉이운동에서다양한민족운동이갈라져나왔

다는 뜻이다. 3·1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치 방법을 바꾸었고 적으나마 열린 공간을 만들었다.

또한 1920년대 농민, 노동자 등 민중들이 독립운동의 전면에 나서고 사회주의 운동이 도입되

었으며, 중산층과 지식인, 여성, 청년, 학생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해외에는 대한민국 임

시정부가설립되었고무장독립투쟁이본격화되었다.

1. 민족최대의독립운동은무엇이었습니까?3·1운동

2. 3·1운동에앞서일본에서일어난독립운동은무엇입니까?2·8 독립선언

3. 해외에서독립시위가일어난곳은어디입니까?만주, 연해주, 일본, 미국

4. 일제는한민족의만세시위를어떻게대하 습니까?철저한 진압

5. 3·1운동의결과어떤일이있었습니까?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

6. 3·1운동의만세시위장면을그림으로그려봅시다.

학습노트

Page 21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17

3·1운동 | 1910년대 일제무단통치와 세계정세의 변동을 배경으로 하여 형성된 한국

인의 항일민족의식이 1919년 3월 1일을 기하여 폭발한 반일민족독립운동. [주제이해] [유의

점] 참조.

3·1운동의 기운은 해외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상해의 신한청년단에서는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를파견하여외교활동을벌 고미국의대한인국민회에서도외교활동에나섰으며, 만주

지역에서는무오독립선언을발표하 고, 일제의수도동경에서2·8독립선언이발표되었다.

이러한정세를자각한한국인지도자들을천도교, 기독교, 불교를중심으로민족대표를선

임하고 독립선언을 하기로 결정하 다. 청년과 학생들은 독립운동의 연락과 확산 등 실무적

인일에기여하 다. 그리하여1919년3월1일전국의주요도시에서만세시위가터져나왔고,

곧이어전국으로확산되었다. 3·1운동은3월말에서4월초에정점에달하 고, 이때는농촌

에서5일장을중심으로시위가전개되었으며, 일제의발포에맞서폭력시위가증가하고있었

다. 박은식의『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의하면, 3월1일부터5월말까지전국211개부, 군에

서1,542회의만세시위운동이전개되었으며, 참가인원은202만 3,098명으로기록되어있으

나, 실제로는그규모와인원이이를초과하 을것이다. 한편국내의시위운동소식은해외로

전파되어, 3월 10일 이후부터 남북만주, 연해주 그리고 미주의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만세시

위운동이전개되었다.

일제는한민족의평화적인만세시위에총칼로대응하 고, 시위참가자들을체포하여투옥

하고갖은고문을가하 다. 그과정에서생명을희생당한사람도적지않았다. 4월15일화성

군 제암리교회의 학살사건을 비롯하여 전국적인 학살과 연행이 자행되었다. 『한국독립운동

지혈사』에의하면, 3월1일부터5월말까지의피해상황은사망자7,509명, 부상자4만6,948

명등이었고, 상해의 자신문에의하면, 3월한달사이에8,350명이사망하 다고한다.

2·8독립선언 | 1919년2월8일일본도쿄의한국유학생들이한국의독립을선언한민

족운동. 1차대전이후상해의신한청년당과미주의대한인국민회의외교활동에자극을받은

재일유학생들은1919년1월6일동경의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오늘의정세는우리조선

민족의 독립운동에 가장 적당한 시기이며, 해외의 동포들도 이미 실행운동에 착수하고 있으

므로, 우리도마땅히구체적인운동을개시하여야한다.”라고결의하 다. 이때선출된실행

용어해설

Page 21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1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위원들은조선청년독립단을조직하고, 독립선언서를기초하 다. 2월 8일오전청원서와선

언서를동경주재각국대사관, 공사관과일본정부의각대신, 일본귀족원, 중의원, 조선총독

및각신문사로발송하 고, 오후2시기독교청년회관에서600여명이참석한가운데독립선

언서를낭독하 다. 이에일본경찰이해산을요구하 고, 학생들과경찰사이에격투가벌어

져실행위원등27명이연행되었다.

비폭력운동 | 3·1운동은비폭력의원칙으로계획되었다. 초기3·1운동을주도하 던

기독교, 천도교등종교단체에서는평화적인독립선언을하기로하 으며, 3월1일선언서발

표당일민중들의분위기가심상치않자태화관이라는요리집에서선언서를발표하고스스로

자수하 다. 3·1운동에참가한한국인들은평화적인만세시위를벌 다. 그러나일제는평

화적만세시위대에발포하 고사상자가속출하 다. 일제는 만세시위가일어난지역에헌

병경찰을 동원하여 살인, 방화, 폭력을 자행하 다. 특히 수원 제암리 교회에서는 마을 사람

들을교회당에가두고불을질러죽이는만행을저질 다. 이사실이미국과유럽에알려져일

제의 잔인성이 만천하에 폭로되었다. 이처럼 일제의 만행이 자행되자 농촌 중심의 만세시위

에서는 점차 폭력적인 시위가 증가하 다. 농민들은 일제의 착취기관을 공격하기도 했는데,

일제의지배와수탈에억눌렸던농민들의분노가폭발한것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 1919년 4월 13일중국상해에서수립되어, 일제패망때까지항일

독립운동의중심적역할을수행한우리나라의임시정부. 3·1운동후독립에대한기대로상

해, 노령, 서울에서임시정부가수립되었다. 상해에서는신한청년당을중심으로한독립운동

가들이프랑스조계에서임시정부수립을준비하 다. 4월11일임시의정원을구성하고, 대한

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 다.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을 선포하 다. 이후 노령 대한

국민의회및한성정부와의통합과정을거쳐, 1919년9월에이르면국내외독립운동의총본산

으로서면모를갖추었다. 임시정부의통합과정은한성정부의법통을계승하여이승만을대통

령으로하 고, 외교독립운동노선을채택하여상해에정부를두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한국사최초의3권분립에기초한민주공화정정부 다.

그러나 3·1운동이 실패로 끝나자 독립운동의 방법을 둘러싸고 국민대표회의가 소집되었

다. 여기서실력양성론, 무장투쟁론등이제기되었으나합의를이루지못하 고, 더욱이이승

만이 독립청원 사건으로 대통령직에서 탄핵되는 등 임시정부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임시

정부는1932년윤봉길의거이후중국국민당정부의지원을받았으며, 중일전쟁이후충칭으

Page 21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로옮겨가한국광복군을창설하여중국군과함께일제와전쟁을벌여나갔다. 그러나연합국의

강대국은임시정부를인정하지않았으며, 그때문에일제패망후임시정부는독립국가수립

의주역이되지못하 다.

탑골공원 | 서울특별시종로구종로2가에위치한공원. 탑동공원, 파고다공원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세조때세운원각사가있던곳이며, 지금도10층석탑이있다. 1919년3월1일

독립선언서가낭독되고일제에항거하는만세운동이점화된곳이다.

민족대표 33인 | 손병희, 최린,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

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이종일, 홍병기(이상 천도교계 대표), 이승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 , 최성모, 이필주, 박동완, 김창준, 신석구, 신흥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이상 기독교계 대표), 한용운, 백용성(이상 불교계 대표). 천도교계

의손병희와기독교계의이승훈이중심이되어민족대연합을이룸으로써3·1운동의불씨를

당겼다. 유교계에서는민족대표가참가하지못하고독자적으로파리에독립청원을보내는파

리장서운동을벌 다.

독립선언문 낭독 | 3월 1일 오후 2시 종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29명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일경에연행되자, 종로탑골공원에서민족대표를기다리던수천명의학생과시민

들은2시30분경독자적으로선언식을거행하고, 만세시위행진에들어갔다.

상해임시정부 | [용어해설] 참조. 초기임시정부체제는내각책임제 고초대내각은다

음과 같았다. (1919년 4월~9월) 국무총리 : 이승만, 내무총장 : 안창호, 외무총장 : 김규식,

군무총장: 이동휘, 법무총장: 이시 , 재무총장: 최재형, 교통총장: 문창범.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19

그림해설

Page 22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2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4과. 무장독립투쟁과광복군

무장독립투쟁의 전개과정

무장독립투쟁은 만주, 중국본토, 노령에서 부단히 전개되었기 때문에 복잡하여 한눈에 파악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무장투쟁은 가장 적극적인 독립운동 방법이었기 때문에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하게 다루

어야할것이다.

무장독립투쟁이 본격화된 것은 3.1운동 이후인 1920년대부터이다. 1910년대부터 무장투쟁을 준비해오

던 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군들은 3.1운동에서 일제의 만행을 경험하고 무장투쟁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느꼈다. 그리하여 1920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에서 무장독립투쟁의 찬란한 깃발을 올

렸다. 두 전투에서 패배한 일본군이 간도에 거주하는 한민족을 무차별 학살하자(간도참변), 독립군은

대한독립군단을 형성하여 노령 자유시로 이동하 다. 여기서 독립운동 사상 최대의 참극인 자유시 참

변이 일어난다. 독립군의 주도권 다툼에서 비롯된 내부대립은 소련군의 개입으로 유혈사태를 빚고, 독

립군이약화되는계기가되었다.

그러나 1923년에서 1925년 사이에 만주에서는 다시 독립군이 결성되었으니, 육군 주만 참의부, 정의

부, 신민부 등 3부 다. 이들 기관에서는 이 지역의 한민족을 관할하는 민정기관과 독립군을 관장하는

군정기관을두었다. 이때민족유일당운동이전개되어독립단체는국민부와혁신의회로재정립되었고,

조선혁명당의조선혁명군과한국독립당의한국독립군으로재편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이 일어나고 일제가 만주를 점령하자, 한국의 독립군은 중국군과 연합작전으로 일본

군과 전쟁을 벌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동북항일연군이 결성되어 일본군과 전투를 벌 다. 그러

나한중연합군은일본군에 려중국본토와노령으로이동하지않을수없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중국 본토는 일본군에게 점령당하 고, 장제스는 충칭, 마오쩌뚱은 옌안에 근거

를 두고 제2차 국공합작을 형성하여 일본군과 싸우고 있었다. 이 때 김원봉은 조선의용대를 결성하여

무장투쟁에나섰으며, 조선의용대의일부는충칭으로가서임시정부산하의한국광복군과합세하 고,

일부는옌안으로가서조선독립동맹의조선의용군이되어중국공산군과연합하여일본군과싸웠다.

한국광복군은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으면서 일본군과 맞섰다. 또한 국군과 협조하기 위하여 인도

버마 전선에 파견되었고, 미군과 연합하여 국내정진군을 결성하 다. 그러나 1945년 일제가 패망할

당시한국의독립군들은한반도에서너무멀리떨어져있었고, 자력으로일본군을몰아낼수없었다.

중심주제

Page 22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21

독립군의 성향

1920년대 한국 독립운동에 사회주의 세력이 등장하여 한 세력을 형성하 는데, 무장독립

투쟁에서도그러한모습이나타났다. 한국인무장독립군에는민족주의독립군과공산주의독

립군이 있었다. 그리하여1920년대 후반 이래 민족유일당 운동이 전개되어독립군이 통합되

어나갔지만, 완전한통합에는이르지못하 다. 김원봉의조선의용대중일부는화북으로옮

겨가 조선의용군이 되는데 이 부대는 공산주의 독립군이었고, 충칭의 임시정부 산하에 있는

한국광복군은김원봉의조선의용대를수용한민족주의성격이강한독립군이었다. 그리하여

해방후한국광복군은남한으로, 조선의용군은북한으로들어오게된다.

유의점

1. 만주에서언제부터무장독립운동이본격화되었습니까?3·1운동 전후

2. 봉오동전투에서승리한독립군대장은누구입니까?홍범도

3. 청산리대첩이란무엇입니까?김좌진의 북로군정서가 중심이 되어 일본군을 격파한 승리

4. 일제가간도지방의한민족을무참히학살한까닭은무엇일까요?경신참변

5. 만주사변후한국의독립군은어떻게활동했습니까?중국군과 연합하여 일본군과 전투를 벌 다.

6. 한국광복군은어떻게활동했습니까?연합군 일원으로 참전, 미국군과 함께 한반도에 상륙하기 위한

연합작전을 세움.

7. 독립군은어떠한어려움을이겨야했는지생각해봅시다.

학습노트

Page 22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2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대한독립군 | 1919년 3·1운동이후북간도에서조직된항일독립운동단체. 의병장출

신홍범도를사령관으로구의병, 노동자, 농민을중심으로한독립군부대로봉오동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대한독립군은 1919년 8월 최초로 국내진입작전에 나서 두만강을 건너 갑

산, 혜산일본군을공격한데이어강계, 만포진을함락시키고, 자성에서3일간의교전끝에대

승을 거두었다. 1920년 6월 일본군이 봉오동을 공격해 오자 봉오동 전투를 벌여 약 700명의

부대로큰승리를거두었다. 그후이부대는청산리전투에참가하여승리하고대한독립군단

에편성되어노령으로이동하 다.

봉오동 전투 | 1920년6월7일홍범도의대한독립군, 안무의국민군, 최진동의군무도

독부군약700여명이일본군을맞아봉오동에서대승리를거둔전투. 대한민국임시정부의발

표에따르면일본군측전사자157, 중상200, 경상100명이나독립군측은전사자4, 중상2

명에불과했다고한다.

북로군정서 | 만주길림성왕청현에본부를둔독립군부대. 1919년북간도에있던대종

교 중심의 중광단(정의단)이 김좌진에게 맡겨 훈련시킨 독립군 부대로 1920년에는 1,600명

이넘었다. 그해 10월북로군정서는만주에있던독립군부대와함께청산리에서일본군1만

명과3일간10여차례전투를벌여대승을거두었다.

청산리전투 | 1920년 10월 21일부터6일동안김좌진의북로군정서, 홍범도의대한독

립군, 안무의 국민국 등 독립군 연합부대 약 2천여 명이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 약 5천명에

맞서대승을거둔싸움. 일본군의사상자는대략2천∼3천명으로추정된다. 청산리전투는한

국독립전쟁사상최대의대첩이다.

경신참변 | 간도참변이라고도한다. 1920년 10월간도에서한국인들이일본군에의하

여무차별학살당한사건. 1920년일제는만주의관동군에조선에주둔하고있던일본군병력

까지합류시킨대규모정규군을간도로보내, 독립군을토벌한다는명목으로그지방에살고

있던한국인을대량으로학살하 다. 독립군을추격하던일본군이청산리전투와봉오동전투

에서오히려독립군에게전멸에가까운패배를당하자, 이에대한보복으로일본군은한국인

에 대한 무차별적인 학살 작전을 전개하 다. 3~4개월에 걸쳐 수많은 한국인 마을들을 불태

우고 재산과 식량을 약탈하 으며, 한국인들을 보는 대로 학살하 다. 10월 9일에서 11월 5

용어해설

Page 22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23

일까지27일간간도일대에서학살된사람들은확인된수만해도3,469명에이른다. 그외확

인되지않은숫자와3~4개월에걸쳐학살된수를합하면피해자는적어도수만명에이르 을

것으로추정된다.

만주사변 | 1931년류탸오거우사건을계기로시작한일본군의중국동북지방(만주)에

대한 침략 전쟁. 일본의 관동군은 동북 3성을 점령하고 이듬해 내몽골의 열하성 지역을 포함

하는만주국을수립하 다.

한국광복군 | 1940년9월17일중국충칭에서조직된항일군대. 총사령이청천, 참모장

이범석. 3개의 지대로 편성.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1941년 12월 9일 대일선전을 정식으로

포고하 으며, 1942년7월에김원봉의조선의용대가광복군에편입되었고, 김원봉은광복군

부사령에 취임하 다. 해방 직전에는 한미합동작전으로 국내정진군을 편성하여 진격하려다

가출동시기가임박하여일제가항복함으로써실현되지못하 다.

청산리대첩 | 1920년 10월 21일부터26일 사이 북간도에서북로군정서와대한독립군

을비롯한독립군연합부대가일본군5개사단병력을무찌른대일전투. [용어해설] 참조.

홍범도 | 1868년(고종5)~1943년. 독립운동가. 1896년철령에서의병을조직, 강원도

와 함경도에서 활약. 1907년 9월 해산군인, 광산노동자, 농민 등이 합류하여 홍범도 부대를

형성하여, 일진회 소탕, 갑산과 북청간의 일본군용화물 호위병 습격, 북청수비대 기습공격

등, 산악지대에서의뛰어난유격전술로신출귀몰하다는일본군의평가를받았다. 1908년국

외로이동하여, 만주, 노령지역을무대로국내진공작전을전개하 다. 1920년 6월봉오동전

투 승리의 주역으로 활동하 고, 10월의 청산리전투에서도 크게 활약하 다. 이후 대한독립

군단을조직하여노령으로이동하 다. 1921년 5월이르쿠츠크에서소련적군제5군조선여

단1대대장에부임하 다. 6월에자유시참변을겪었고, 1923년군복을벗었다. 1927년소련

공산당에 정식으로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1938년 스탈린정권의 한인 강제이주 정책에 의해

카자흐스탄으로갔다가, 1943년10월25일사망하 다.

김좌진 | 1889년(고종26)~1930년. 독립운동가. 애국계몽운동가로활동하다가, 1911

년에체포되어2년6개월동안서대문형무소에서옥고를치 다. 1918년만주로건너가서대

그림해설

Page 22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종교에 입교하고, 무오독립선언서에 참여. 1919년 북로군정서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0년

10월청산리전투에서대승을거두고, 대한독립군단이결성되자부총재로취임. 1925년 3월

신민부를 창설하고 군사부위원장 및 총사령관으로 활동, 1929년 신민부의 후신으로 한국총

연합회가결성되자주석으로선임됨. 1930년1월24일암살당하 다.

지청천 | 1888년(고종25)~1959년. 독립운동가, 정치인. 한국독립군총사령관을지냈

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의광복군총사령관에임명되어항일전을수행하다가해방후귀국,

대동청년단을창설했다. 제헌국회의원, 제2대국회의원을지냈다.

이범석 | 1900년~1972년. 독립운동가, 정치가. 1920년청산리전투에참가. 중국군장

교로활동하다가1941년한국광복군참모장. 1948년정부수립후초대국무총리가되었다.

22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2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제5과. 국내의항일운동과해방

민족 앞에 단결하는 한국인

1920년대 이후 한국의 독립운동사의 특징 중 하나는 이때 사회주의 사상이 들어와 독립운동에 일정

한 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이후 독립운동은 우파와 좌파로 분열하여 대립하는 측면이 적지 않았다.

우익 민족주의 계열은 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문맹퇴치운동 등 실력양성운동을 전개하 다.

반면 좌익 사회주의 계열은 노동운동, 농민운동, 여성운동, 학생운동, 청년운동 등 제 분야에 향을

끼쳤다. 또한 6.10만세운동이나광주학생운동과도일정정도연관되어있었다.

신간회가 좌우합작, 민족유일당 운동의 산물이었다는 점은 민족운동의 분열을 막으려는 노력으로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민족유일당 운동은 국내외에서 해방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194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김구 - 김원봉의 좌우합작 형태 고, 1944년 건국동맹은 여운형 - 안

재홍의 좌우합작의 모습을 띠고 있었다. 그러나 해방 때까지 완전한 민족유일당을 이루지 못했다는

점이한계 다.

이와 같이 민족유일당 운동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은, 한국의 현대사가 이념에 따른 분단의 역사이

며, 냉전이끝났음에도통일이이루어지지않은지금, 민족통일이라는과제와연결되어있다고본다.

1. 민족주의, 사회주의 용어문제

민족주의와사회주의를부르는용어로일반적으로우파, 좌파를사용한다. 우리민족이식

민지시대에 사회주의를 수용한 주된 목적이 사회주의를 이용하여 민족의 독립을 이루려는데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민족을 부정하는 사회주의 이론과는 달리 한국의 사회주의는

민족주의적성격을띠고있다. 그래서민족주의와사회주의를지칭할때민족주의우파, 민족

주의좌파라는용어를사용하기도한다.

2. 식민지 한국지식인의 고뇌

일제지배하한국지식인들은힘든시절을보내야했음에틀림없다. 폭력적인식민지권력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25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2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2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속에서독립운동에나서는것은쉬운일이아니었고, 그렇다고일제의지배를그대로수용할

수도없었다. 그래서식민지지식인은반일독립운동과친일민족반역사이에다양한형태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1920년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은 정치운동을 배제하고 문화운동을

고창한 경우 다.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침략전쟁으로 민족말살통치가 강화되고 한국 지식

인들이침략전쟁에협조하기를강요당했을때많은경우자의든타의든일제의정책에협조할

수밖에없었을것이다. 그과정에서많은지식인들이일제의침략전쟁과대동아공 권건설을

수용하고침략전쟁에적극협력하기도하 다. 이들은일제의승승장구가한국인에게도보다

나은미래를약속한다고보았고한국인의일본화가한국인의지위를상승시킬것이라고기대

하 던것이다.

Page 22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27

1. 1920년대두차례일어났던대규모시위운동은무엇입니까?6·10 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2. 민족의힘을키워장차독립하기위해서벌 던운동은무엇입니꺼?조선 물산장려운동, 민족학교 설립, 문맹퇴치운동

3. 자신의목숨을바쳐일제침략자들을죽이려고했던두사람은누구입니까?

이봉창, 윤봉길

4. 1920년대여러갈래의국내독립운동을하나로통일하 던단체는무엇입니까?

신간회

5. 1930년대일제는어떤대외정책을추진하 습니까?만주와 중국대륙 침략

6. 일제는침략전쟁을위해서한반도를무엇으로만들려고했습니까?병참기지

7. 일제침략전쟁아래서한민족이당했던일들을써보세요.식량과 자원을 빼앗기고 우리말 우리 역사를 못 배웠으며

일본 이름을 강요당함.

8. 1945년8월15일에무슨일이있었습니까?조국의 광복(일제의 항복)

학습노트

Page 22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2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용어해설

6·10만세운동 | 1926년 6월 10일 순종의 장례일에 일어난 항일민족운동. 6월 10일

오전순종의상여가종로3가네거리를지날때학생300여명이‘조선독립만세’를외치며격

문을뿌렸다. 이를신호로관수교, 을지로경성사범학교, 훈련원, 동대문, 신설동, 동묘, 독립

문부근에서만세시위가벌어졌다. 시민들도학생들의시위운동에합류함으로써, 만세시위는

제2의 3·1운동과 같은 상황으로 발전하 다. 서울에서의 만세시위 소식은 전국으로 퍼져갔

다. 6·10만세운동은1920년대국내민족운동의중심세력이었던학생층과대중의역량이결합

한결실이었다. 또한민족주의세력과사회주의세력의연합을성사시킴으로써, 민족협동전선인

신간회의결성계기가되었고, 이후국내외독립운동에서민족협동전선운동이추진되었다.

광주학생운동 | 1929년11월3일광주에서시작되어해를넘겨서울을비롯한전국으로

파급되고, 만주, 일본등지에도 향을미친항일학생운동. 광주학생운동의직접적인도화선

은1929년 10월 30일나주역에서발생한한국과일본학생간의충돌. 광주학생들은1929년

11월 3일, 12일에 대규모 시위를 벌 고 시민들도 동참하 다. 학생들은 격문에서‘조선인

본위의교육’, ‘식민지노예교육제도철폐’, ‘일본제국주의타도’, ‘피억압민족해방만세’등

을 주장하 다. 학생시위는 11월에 목포, 나주 등 전남 인근지역으로 확산되었고, 12월에는

학생들이가장많은서울까지파급되었다. 서울의신간회중앙에서는광주학생운동에호응하

고자민중운동자대회를개최하려하 으나경찰의저지로무산되었다. 학생운동은해를넘겨

1930년1월15일서울시내의각급학교학생5천여명이제2차항일시위를단행하 다. 1930

년 1월과 2월의 학생시위와 동맹휴교는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의 거의 모든 도시로 확산되었

다. 광주학생운동에참여한학교는무려149개교 으며, 참여학생수는5만4천여명에이르

다. 광주학생운동은3·1운동이후최대의독립시위 다.

물산장려운동 | 1920년대 초부터 1930년대 말까지 거족적으로 전개된 경제자립운동.

1920년 평양에서 시작되어 서울로 전파되었고 1923년에 활발하게 일어났다. 조선상품을 이

용함으로써 조선인의 산업을 발전시키자는 운동으로 민족역량개발을 목적으로 하면서 동시

에민족기업의설립을촉진한경제자립운동의성격을갖고있었다. 그러나이운동은민중의

요구를충족시키지못했다는한계를가지고있다

민풍개선운동 | 일제가1910년대한국의농촌에실시한식민정책. 일제는교풍회를조

Page 22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29

직하여한국인의독립의지를산업개발과문명개화쪽으로유도하려고하 다. 민족운동으로

보기어렵다.

민족학교 설립 |민립대학설립운동. 1922년일제가공포한조선교육령에따라관립경

성제국대학 설립에 대응하여 이상재를 비롯한 민족주의자들이 민족교육과 민족간부 양성을

목적으로민립대학을설립하려고한운동. 일제의탄압으로실패하 다.

문맹퇴치운동 | 을읽지도쓰지도못하는사람들에게읽고쓰는법을가르쳐깨우치는

일체의운동. 조선일보의문자보급운동과동아일보의브나로드운동을들수있다. 조선일보

는1929년여름방학을맞아귀향하는남녀학생을동원하여한 보급반을조직하고문자보

급운동을벌 다. 동아일보는일제치하인1929년 7월부터‘아는것이힘, 배워야산다.’라

는표어아래‘브나로드운동’을벌여1931년부터1934년까지학생들을조직하여농촌에한

보급과문맹퇴치운동을벌 다.

신간회 | 1927년2월서울에서‘민족유일당민족협동전선’이라는표어아래민족주의

를 표방하고 민족주의 진 과 사회주의 진 이 제휴하여 창립한 민족운동단체이다. 1920년

대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의 대립, 일부 민족주의자들의 독립운동 포기와 자치운동 주장,

민족단일단체의요구등을배경으로, 비타협민족주의자와사회주의자가연합하여신간회를

창립하 다. 강령은 조선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해방의 실현, 전민족의 현실적 공동이익을

위하여 투쟁함, 모든 기회주의 부인 등이었다. 초대 정, 부회장은 이상재와 권동진. 신간회

는광주학생운동을지원하고고통당하는한국인의처지를대변하는여러가지일들을하 다.

1930년에는전국에140여개의지회와3만9,000여명의회원을확보. 그러나일제가활동을

제약하고 지도부가 일제에 타협적인 모습을 보이자, 사회주의 측에서 해소론을 제기하 고,

1931년5월에자진해산하 다.

병참기지화 정책 | 일제가1931년만주사변을전후한시기부터1945년광복될때까지

한반도를일본의대륙침략및태평양전쟁을위한전쟁및군수물자의공급기지로이용한식

민지 정책. 일제는전쟁수행을위한 군수물자수탈, 인력의강제동원, 대륙 침략을위한 식

량증산정책, 황국신민화정책등으로한민족을약탈하 다.

민족말살정책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의 뿌리를 말살하려 한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

책. 민족말살정책은일제의일관된식민통치정책이었으나1930년대침략전쟁이후강화되었

다. 일제는한국인에게‘황국신민(皇國臣民 : 일본국왕의백성이라는뜻)’의식을불어넣으

Page 23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3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려고‘동방요배’라하여국왕이있는동쪽을향하여‘최경례(큰절)’를하게하고, 또‘황국

신민의서사’를외게하며, ‘단발령’과‘신사참배’의강요, 한국어교육의금지등을강요하

다. 1939년에는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어야만 하는‘창씨개명’을 법제화하여 개명을 강요

하 다.

전쟁수탈 | 일제는침략전쟁을위하여한반도에서징병, 징용, 정신대등인적인수탈과

공출로 대표되는 물적인 수탈을 자행하 다. 일제는 1938년 국가총동원령을 만들어 침략전

쟁에전력을집중시키려고인적, 물적자원을마음대로동원, 통제하 다. 이법은조선적용

되어강제징용, 징병, 식량공출등전시통제체제가시행되었다.

1) 징병 : 일제는한국인을군인으로동원하 다. 1938년지원병제를실시1만5천명을동

원하고, 1943년학도지원병제실시로4천5백명의학생을전장으로끌어갔다. 1944년

징병제를강행하여패전때까지약20만명을징집했다.

2) 징용 : 1938년이후국민징용령을실시하여노동력을강제동원, 1939년부터1945년까

지100만명이넘는한국인을끌어갔다. 이들은주로탄광, 금속광산, 토목공사, 군수공

장에서 일본군의 감시아래 가혹한 강제노동에 시달렸다. 강제 징용된 한국인들은 일본

본토, 중국, 동남아시아각지로끌려갔고, 기 유지를이유로대량학살되기도하 다.

3) 정신대 : 일제는 한국 여성을 강제로 징발하여 일본군대 위안부로 삼았다. 일제는 한국

여성들을군수공장이나매춘굴에팔아넘겼고, 1938년이후병사들의사기진작을위해

조선여성의 위안부 징발이 본격화되었으며, 1944년 여자정신대근무령을 발표하여 12

세에서 40세까지의 한국여성 징발을 합법화하 다. 일제가 동원한 종군위안부 숫자는

약20만명으로그중80%~90%가한국여성이었다. 일제는패전직전종군위안부를학

살하기도하 다.

4) 공출 : 일제가중일전쟁이후실시한농산물수탈정책. 일제는쌀을강제로공출하게하

고 식량 배급제를 실시하 다. 한국 농민들은 1940년에서 1945년까지 전 생산량의

40%~60%를 강제 공출 당했다. 일제의 공출은 식량뿐만 아니라 금속, 가죽, 식물기름

등에까지확대되었다.

Page 23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일제의 식민지배와 독립운동 ● 231

6·10 만세운동 | 1926년순종인산행렬에서만세시위가일어났다. [용어해설] 참조.

이봉창 | 1900년~1932년. 독립운동가. 한국과일본에서노동자로지내다가1931년상

해의대한민국임시정부를찾아가김구의주선으로한인애국단에가입하 다. 1932년 1월 8

일일본천황히로히토가만주국괴뢰황제부의와관병식을거행할때, 사쿠라다문앞에서관

병식을 끝내고 돌아가는 히로히토를 향하여 수류탄을 던졌으나 히로히토를 명중시키지 못하

고체포되고말았다. 그해10월비공개재판을받고사형당했다.

윤봉길 | 1908년~1932년. 독립운동가. 1918년덕산보통학교에입학하 으나3·1운

동이일어나자자퇴하 다. 1926년부터농민계몽, 농촌부흥운동, 독서회운동에힘을쏟았다.

1930년 3월6일“장부가집을나서면살아서는돌아오지않겠다”는편지를남기고중국으로

가서김구를만나독립운동에목숨바칠각오를피력하 다. 1932년 4월 26일에는한인애국

단에입단하고, “나는적성으로써조국의독립과자유를회복하기위하여한인애국단의일원

이되어중국을침략하는적의장교를도륙하기로맹세하나이다”라고선서하 다. 4월 29일

정오에홍구공원에서거행된기념식단상을향하여물통모양의폭탄을던졌고, 식장에있던

일제상해파견군사령관시라카와, 일본거류민단장가와바다등이죽고, 제3함대사령관노무

라중장, 제9사단장우에다중장, 주중공사시게미쓰등은중상을입었다. 거사직후현장에서

잡혀 일본으로 끌려가 총살형으로 순국하 다. 윤봉길의 의거는“중국군 100만 대군이 거둘

수 없는 전과를 대한남아 한 사람이 해냈다”는 중국민의 평가를 받았다. 이를 계기로 중국정

부는대한민국임시정부와한인독립운동가들에대한재정적지원을확대하 고, 한중연합전

선의형성이구체화되었다.

광복군 OSS대원 |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는전략정보국. 제2차세계대

전시 미국의 정보기관이다. 한국광복군은 국내정진군을 편성하여 1945년 5월부터 서안에서

OSS가진행하는특수훈련을받았다. 국내정진군은한반도에투입되어일본군의배후를공격

할계획이었다. 그러나일제의조기항복으로무산됐다. 국내정진군은OSS측의비행기로그

해8월18일여의도비행장에착륙했으나서안으로돌아가야했다.

그림해설

Page 23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Page 23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현대사회

제9단원

제1과 민족의 해방과 남북의 분단

제2과 현대 사회와 민주주의 발전

제3과 경제 발전과 대한민국의 위상

제4과 북한 사회의 전개

제5과 통일정책과 남북 화해의 모색

제6과 재외동포 사회의 발전

Page 23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3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한국 현대사의 시기구분

한국 현대사는 1945년 해방에서 현재까지의 역사를 말한다. 이 시대는 1945년 해방에서

1948년분단까지를한시기로, 그이후남북분단시대를다른한시기로나누어살펴볼수있

다. 현대사를정리하는방법은여러가지가있을수있겠으나, 현재한민족의최대과제를민족

통일로본다면남북관계를중심으로정리하는것이의미가있다. 이런관점에서한국현대사를

본다면다음과같은시기구분이가능할것이다.

·1945년∼1948년 : 미소군정기

·1948년∼1972년 : 남북한의극한대립기

·1972년∼1990년 : 남북한의상호공존기

·1990년∼현 재 : 화해와통일의시기

2. 미소 군정기(1945∼1948년)

1945년 8월한민족은해방을맞았으나, 1948년 8월남한단독정부를수립함으로써한민족

은통일된민족국가를건설하지못하고분단되고말았다. 한민족이해방후3년만에분단된이

유는무엇인가? 해방3년동안국내외적으로민족국가의건설을좌절시킨요소들을살펴보자.

1) 미소군정과냉전은확실히분단의외인으로작용하 다. 일본의항복이후미국과소련은

3.8선을기준으로남북한을분할점령하기로하고, 각각군정을실시하 다. 그리고1945년12

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국인 임시정부 설치, 미소공동위원회의 합의, 그리고 최고 5년간

의신탁통치후독립이라는독립국가수립절차를합의하 다. 그러나미국과소련의이해관계

충돌, 냉전의확대는미국과소련의대립을격화시켰고, 미소공동위원회에서한국인임시정부

를만드는일은실패하고말았다. 미국은한반도에서친미국가를, 소련은한반도에서친소국가

를세우기를원했고, 두강대국의입장은화해할수없었다. 결국미국은한국문제를UN에이

관하여남한단독정부수립으로귀결시켰고, 소련은북한에또다른국가를만들었던것이다.

2) 좌우 대립은 분단의 내인으로 작동하 다. 식민통치 하에서 우익과 좌익은 국내외에서

단원이해

Page 23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35

독립운동에기여했을지라도두세력은서로대결하는관계 다. 남한에서는‘신탁통치’문제

를둘러싸고우익측은‘반탁’, 좌익측은‘모스크바의정서지지’로대립하 는데, 이러한대

결은권력을향한욕구와연결되어있었다. 그리하여미군정의지지를받는우익권력이탄생

하게된다. 북한에서는반대의방향으로나아가좌익정권으로귀결된다. 이과정에서남한의

좌우합작위원회는분단을막기위한노력으로평가될수있으나좌우익모두로부터외면당하

다. 김구는뒤늦게남북협상에나섰으나이미분단이대세가된이후 다.

3. 남북한의 극한 대립기(1948∼1972년)

분단후남한은자본주의체제, 북한은사회주의체제로나아갔고, 6·25 전쟁은남북대결

을극한상황으로몰아갔다. 또한‘반공’과‘반미’는남북한이체제를유지하기위한수단이

었고, 나아가독재체제를정당화하는데이용되었다. 남북한은서로상대를소멸해야할대상

으로규정하 다. 남북한의대결은세계사적인냉전체제, 동아시아적인냉전체제가한반도에

구현된형태 다. 이속에서민족통일은구호에그칠수밖에없었다.

4. 남북 상호 공존기(1972∼1990년)

세계사적인데탕트의전개, 특히미국과중국의수교는미국-일본-남한, 소련-중국-북한으

로이어지는대결구조를유지하는데어려움을주었다. 남북한은1972년 7·4 공동성명에합

의하고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원칙에 합의하 다. 극한대립에서 상호공존정책으로 전환

한것이다.

5. 남북 화해 통일기(1990년∼현재)

1990년대현실사회주의의몰락, 미국의제1강국으로의부상은한반도지형에새로운변화

를 주었다. 북한은 생존 자체를 고민해야 했으며, 남한은 북방외교를 전개하 다. 이 과정에

서 남북은 서로 화해하며 평화통일의 길을 모색하 다.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남북

비핵화선언, 남북합의서채택등은구체적인결과 다. 그후북한의식량위기와남한의경제

위기를 지나고 난 후 2000년 남북한 정상들이6·15 공동선언을 발표하 다. 남북한은 통일

의방법에합의한것이다. 현재한민족은합의에의한평화통일의길을걷고있는과정이라고

볼수있을것이다.

Page 23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3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이 시대의 세계와 한국

한국사

1945 일본 항복.

여운형건국준비위원회발족

미소군정시작. 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문제발생

1946 미소공동위원회시작

좌우합작위원회활동

1948 김구, 남북협상. 5.10 총선거

대한민국성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성립

1950 6·25 전쟁 발발

1960 3·15 부정선거. 4.19 혁명

제2공화국성립

1961 5·16 군사쿠데타발생

1962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시작

1963 제3공화국성립

1965 한일 수교, 베트남파병

1972 유신체제(제4공화국). 7.4 공동성명

1979 10·26 사건. 12·12 쿠데타

1980 광주민주화운동. 제5공화국수립

1987 6월 항쟁. 제6공화국수립

1991 남북기본합의서합의

남북한유엔에동시가입

2000 남북정상회담, 6.15 공동선언

세계사

1947 트루먼독트린, 냉전시작

1955 반둥회의

1959 쿠바혁명

1964 중국, 문화혁명시작

1969 중소 국경분쟁

1970 닉슨독트린

1980 이란 이라크전쟁

1990 독일 통일

1995 세계무역기구출범

2001 미국, 세계무역기구피폭

Page 23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제1과. 민족의해방과남북의분단

분단과 전쟁

우리는 한국현대사를생각하면무엇보다먼저왜 한 민족이두 편으로나뉘어져동족상잔의 6·25

전쟁을 벌 는가라는 의문을 갖게 된다. 분단과 전쟁이라는 이 두 가지 요소는 한국현대사를 규정

하는기본구조를만들어놓았다.

한국분단의 원인으로 제기되는 것이 외인론과 내인론이다. 외인론은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분할 점

령이 분단의 제1요인라는 것이고, 내인론은 미소분할점령 속에서 한민족이 단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분단에 이르 다는분석이다. 어떤 요인이 더 결정적이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초점에

따라달라질수있지만, 두 가지요인이모두작용했다는점은쉽게이해할수있다.

필자는 미소의 분할 점령을 분단의 배경으로 보고, 그 속에서 한민족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이 우리 현대사를 역동적으로 볼 수 있으며, 장차 통일을 모색하는 데도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

다. 한국의 분단을 외적인 결정론으로만 판단하는 것은 지나치게 운명론적인해석이라고 보기 때문

이다. 해방 공간에서 민족 통일정부를 세우는데 부정적인 역할을 한 세력들과 그들의 행위를 분석

해보는것이필요할것이다.

6·25 전쟁은 분단의결과이다. 한민족은해방 3년만의분단을수긍할수없었을것이고, 남북한 정

권도이점에서는크게다르지않았다. 비극적인것은남북한권력자들이자기정권에게정통성이있

다고 주장하며 전쟁을 통해 상대를 제거함으로써 통일을 이루려는 발상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북한 정권의‘민주기지론’남한 정권의‘북진통일론’은 이 점에서는 동일한 패턴이다. 그 결과는 참

혹했고결코전쟁을통해서통일될수없다는교훈을얻는데너무많은지불을해야했다.

1. 해방 3년의 과정, 해방에서 분단으로

1945년에서 1948년까지 3년은 한국현대사의 구조를 결정한 중요한 시기 고, 그만큼 복

잡하게전개되었다. 그과정을간단히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1943년 : 카이로선언, 1945 포츠담선언- 독립약속, 미소간의38선합의, 군정실시

2) 1945년 8월 15일 : 건국준비위원회결성(여운형중심), 건국작업진행, 조선인민공화

국건국, 지방인민위원회설치, 미군정의인정을받지못함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37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3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3) 1945년12월: 모스크바3상회의(미· ·소외상), 모스크바의정서

4) 1946~1947년: 2차에걸친미소공동위원회개최, 임시정부에참가할단체문제로결렬

5) 1947~1948년 : 미국은 한국 문제를 UN에 이관, 한국 총선거 결정, 소련 거부, 남한만

단독선거 실시, 헌법제정, 대한민국 성립,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세움, 38선

은군사분계선에서국경선으로바뀜

6) 1950~1953년: 6·25전쟁

2. 해방 정국의 정치

분단의과정에서한국인정치세력들의활동모습을살펴보는것은이시기를이해하는데도

움이된다. 북한에서는소련의지원을받은김일성을중심으로급속한권력집중이이루어지

는데비해남한의사정은매우복잡하다. 남한의사정을간단히정리한다.

1) 1945년12월 : 김구계열, 이승만계열, 한국민주당(한민당) 계열-신탁통치반대운동,

박헌 등조선공산당계열-모스크바의정서총체적지지. 좌익과우익의대립심각, 폭

력·테러횡행

2) 1946~1947년 : 미소공동위원회 난항, 여운형, 김규식 중심으로 좌우합작위원회 활동,

미소공위재개·성공및모스크바의정서시행촉구

3) 1946년: 이승만남한단독정부수립주장, 도미외교활동

4) 1947년: 미소공위결렬이후미국은이승만, 한민당과함께남한단독정부수립추진

5) 1948년 : 4·3 제주도사건, 김구김규식의남북협상추진, 10·19 사건, 남북한에분단

정부수립됨

23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3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39

용어해설

38선 |제2차세계대전이끝나면서미, 소양국이북위38도선을경계로한반도를남과

북으로 나누어 점령한 군사 분계선. 2차 대전 말기 1945년 8월 8일 소련이 대일전에 참전하

고, 8월10일일본이무조건항복을수용하자미국정부는일본군항복접수와소련군남하저지

를위하여소련에38선을제안하고소련이이를수용하 다. 즉한반도에서38선을기준으로

이남은미군이, 이북은소련군이일본군의항복을접수하기로하 다. 그리하여남북한에미

군과소련군이들어와군정을하게되었고, 임시분계선이었던38선은민족분단선이되었다.

그림해설

1. 한민족이독립을하게된원인은무엇입니까?독립운동과연합군의승리

2. 해방후한민족은왜분단이되었을까요?미국과소련이남북에들어옴

3. 1948년한반도의남북에서각각어떤나라가세워졌습니까?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6·25전쟁은왜일어났습니까?남북한의대립과갈등, 북한의남침

5. 전쟁은어떻게전개되었습니까?초기북한의남하, 중기 유엔군은북진, 후기 휴전선으로고착

6. 전쟁은어떻게끝났습니까?휴전

7. 한민족이해방된지3년만에분단되었는지토론해봅시다.

8. 6·25 전쟁은한민족에게어떤결과를가져왔는지생각해봅시다.

학습노트

Page 24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6·25 전쟁이후38선은휴전선으로대치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

한반도 북쪽에 있는 공산주의 정권, 1948년 9월 9일 수립. 국제사회에서는 보통 북조선

(North Korea)으로표기하기도한다. 한국전체면적22만1,336㎢의약55%인12만2,762

㎢, 행정구역은9개도와1개직할시(평양), 3개특급시(남포, 나선, 개성)로이루어져있다.

6·25전쟁 | 1950년 6월25일북한이중국과소련의후원아래전면남침을함으로써

미국등유엔16개국, 중국등외국군대까지가담하여1953년까지한반도에서전개된대규모

전쟁.

1) 전개과정 : 4기로 나누어진다. 제1기는 북한의 남침에 의한 남진 시기로서 1950년 6월

25일부터 9월 14일까지, 제2기는 인천상륙작전 이후 미국과 유엔군의 북진 시기로서

1950년 9월 15일부터 11월 24일까지, 제3기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에 따른 재남진

시기로서 1950년 11월 25일부터 1951년 7월 9일까지, 제4기는 한반도 중부에서 전선

이고착된채휴전협상이진행되던시기로서1951년 7월 10일부터1953년 7월 27일까

지이다.

2) 규모: 남북한사이의전쟁이미국및유엔군의개입, 그리고중국군의참전등을통해국

제전쟁으로 비화됨. 이 전쟁에 미국과 중국은 각각 30만 명이 넘는 대군을 파견했고

국, 프랑스, 호주, 터키등유엔회원국에서도수만명의병력이참전했다. 전쟁기간동

안한국군은최초의10만명미만에서휴전무렵에는55만명수준으로증강됐고북한군

도20만명미만에서26만명선으로다소늘어났다. 모두합쳐150만명가까운대병력

이한반도에서3년간의격전을치 다.

3) 전쟁피해 : 전쟁기간동안남한100만, 북한200만의민간인희생을포함해서모두500

만명가까운인명피해가있었다. 남한의재산손실은1951년중반까지당시국내총생산

의두배가까운30억달러수준, 북한은평양이전파되는등무척심각한피해를입었다.

4) 향 : 남북한에 이승만과 김일성의 독재 권력이 강화되었고, 남북한 사이에 적대의식

이심화되어민족분단이고착화되었다. 또한세계사적의미로미소양대진 이정면에

서충돌한2차대전이후최대의전쟁이었으며, 이전쟁으로세계는냉전체제가완성되

었다.

24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4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41

해방 만세 | 1945년8월15일일제가항복을발표하고서대문형무소에갇혀있었던독

립운동가들이석방되자, 석방된독립운동가들이만세를부르는장면. 이날여운형이중심이

되어건국준비위원회가결성되어활동을시작하 다.

이승만 | 1875년(고종12)~1965년. 독립운동가, 정치가. 대한민국초대대통령. 1895

년배재학당을졸업하고독립협회간부로활동하다가1898년수감, 1904년석방. 미국에건

너가 학업, 1910년 프린스턴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 받음.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

령, 국제연맹 위임 통치론으로 탄핵 받고, 미국에서 구미위원부를 만들어 활동하 다. 1945

년 귀국하여 1946년 남한단독정부 수립 주장, 1948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 다.

1952년 발췌개헌, 1954년 사사오입 개헌, 1960년 3·15 부정선거 등 독재정치를 하다가 4

월혁명이후하와이로망명, 그곳에서사망하 다.

김일성 | 1912년~1994년. 북한의정치가겸일제시대항일운동가. 항일투쟁경력에대

해서는논의가분분하나북한의주장에따르면, 1926년타도제국주의동맹조직, 1932년항

일유격대창건, 1935년조국광복회창건, 1937년보천보전투승리등활동의하 다고한다.

해방 후 북한에서들어와1948년 내각 수상이 된 후 박헌 의국내파, 김두봉의연안파 등을

제거하고장기집권하 다.

휴전협정 | 1953년7월27일국제연합군총사령관과북한군최고사령관및중공인민지

원군사령관사이에맺은한국군사정전에관한협정. 1953년7월27일판문점에서국제연합

군 총사령관 클라크(Mark Wayne Clark)와 북한군 최고사령관 김일성, 중공인민지원군 사

령관 펑더화이가 최종적으로 서명함으로써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는 군사분계선, 비

무장지대, 휴전조치, 전쟁포로에대한조치등이규정되어있다.

그림해설

Page 24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4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2과. 현대사회와민주주의발전

한국 정치, 민주주의의 성취

분단 이후 한국이 이룩한 중요한 성과는 민주주의를 성취했다는 점이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으

로 이어지는 한국의 역대 정권은국민들의자유와권리를속박하는독재정권이었다. 한국의 국민들

은 장기간에 걸쳐 치열한 반독재 투쟁을 전개하 다. 독재 권력이 경찰과 감옥, 심지어 살인으로

민주화운동을탄압하 으나, 한국인들은이에굴하지않았다. 그리하여 1960년 4·19 혁명, 1980년

광주민주화 운동, 1987년 6월 항쟁을 통하여 절차적 민주주의를 쟁취하게 된다. 현재 한국의 정치

는 비록 한계는 있을지라도 세계 어느 국가에도 뒤지지 않는 민주헌법과 민주주의 제도를 정착시

켰고, 한국인들은한국의민주주의쟁취를자랑스럽게생각하고있다.

현대한국의정치사를간단히정리하는것은쉽지않으며, 공화국별로정리하는것이도움

이된다. 한국은현재제6공화국이다. 1공화국은이승만정부, 2공화국은장면의내각책임제,

3공화국은박정희정부, 4공화국은박정희의유신체제이며, 5공화국은전두환의5공정권이

었다. 그리고6월항쟁이후노태우, 김 삼, 김대중, 노무현으로이어지는현공화국이제6공

화국이다. 공화국별로일어났던주요한사건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제1공화국(이승만 정권) : 1948∼1960년

① 1948년 : 반민족행위자처벌특별위원회

② 1949년 : 농지개혁(유상몰수유상분배)

③ 1950~1953년 : 6·25전쟁

④ 이승만의독재화과정: 1952년발췌개헌- 대통령직선제,

1954년사사오입개헌- 3선개헌

⑤ 원조경제, 반공주의, 경찰, 폭력으로권력유지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4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⑥ 1960년 : 3·15부정선거, 4월혁명으로붕괴

2. 제2공화국(민주당 정권) : 1960∼1961년

양원제·내각책임제, 5·16쿠데타로붕괴

3. 제3공화국(박정희 정권) : 1963∼1972년

① 1960년 : 5·16 쿠데타로성립. 박정희. 반공, 경제개발내세움

② 1961~1963년 : 군정실시, 중앙정보부, 민주공화당창설

③ 1962~1971년 : 제1, 2차 경제개발

④ 1965년 : 한일수교(대일청구권문제로6·3항쟁). 베트남파병

⑤ 1969년 : 3선개헌, 독재화

4. 제4공화국(유신체제) : 1972∼1979년

① 유신헌법대통령의절대권력(긴급조치권, 유정회국회의원, 대통령간선제)

② 민주화운동치열(지식인, 학생, 종교인)

③ 1972년 : 7·4공동성명(남북관계가무력대결에서평화공존으로)

④ 1979년 : 부마항쟁, 10·26으로붕괴, 12·12사태전두환신군부쿠데타

5. 제5공화국(전두환 정권) : 1981∼1987년

대통령간선제(7년단임), 민주정의당, 민주화운동고조. 1987년6월항쟁으로파탄

6. 제6공화국 : 1988년∼현재

① 대통령직선제, 민주주의진전

② 노태우대통령(북방정책, 남북기본합의서, 3당합당, 민주자유당)

③ 김 삼대통령(신한국당, 경제위기)

④ 김대중대통령(2000년남북정상회담, 6·15선언)

⑤ 노무현대통령(참여정부)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43

Page 24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 이승만정권은집권연장을위해어떻게했습니까?3·15 부정선거

2. 이승만의자유당정권은어떻게무너졌습니까?4·19민주시민혁명이일어났다.

3. 군인이었던박정희소장은어떻게권력을잡았나요?군사정변

4. 박정희대통령이독재를행하기위해어떻게했습니까?유신체제와긴급조치

5. 박정희독재정권에대하여학생과시민들은어떤일을하 습니까?독재반대시위

6. 박정희정권이무너진후광주에서는어떤일이있었습니까?광주민주화운동, 신군부의유혈진압

7. 전두환독재정권은어떻게무너졌습니까?6월 항쟁

8. 남북한의국가원수가처음만난일은무엇입니까?남북정상회담

9. 한국인들이어떻게민주주의를이룩할수있었는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24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4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45

자유당 | 1951년 12월에창당되어약 10년간 존속하 던 한국의보수정당. 이승만의

권력유지를 위하여 창당되었고 제1공화국의 집권여당이었다. 1952년 발췌개헌, 1954년 사

사오입개헌을주도하 고, 4월혁명이후붕괴되었다.

3·15 부정선거 | 1960년 3월 15일실시된정부통령선거에서이승만정권이자행한

부정과 폭력을 동원한 선거. 제4대 정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은 이승만, 이기붕이 출마하고,

민주당에서는 조병옥, 장면이 출마하 다. 이때 조병옥이 사망하여 이승만은 당선이 확정되

었으나, 이기붕의부통령당선을위해광범위한부정선거가자행되었다. 전국적으로유령유

권자조작, 4할사전투표, 입후보등록의폭력적방해, 관권총동원에의한유권자협박, 야당

인사의 살상, 투표권 강탈, 3~5인조 공개투표, 야당참관인 축출, 부정개표 등. 그 결과 자유

당후보의득표율이95~99%에이르 으나하향조정하여이승만963만표(85%), 이기붕833

만표(73%)로발표하 다. 선거당일마산에서부정선거반대시위가일어났고4월혁명으로

이어졌다.

4·19 혁명 | 1960년4월19일에절정을이룬반독재투쟁. 정부수립이후, 허다한정

치파동을 야기시키면서 구집권을 꾀했던 이승만과 자유당정권의 12년간에 걸친 장기집권

을종식시키고, 제2공화국의출범을보게한역사적전환점이되었다.

5·16 군사정변 | 1961년 5월16일소장박정희의주도로육군사관학교8기생출신

군인들이 중심이 되어 제2공화국을 폭력적으로 무너뜨리고 정권을 장악한 군사정변. 군사혁

명위원회를조직하고, 반공, 친미, 부패일소, 경제개발, 민정이양등6개항의혁명공약발표.

미국 정부의 지지표명, 장면 내각의 총사퇴, 대통령 윤보선의 묵인 등에 의하여 성공하 다.

군사혁명위원회는국가재건최고회의로재편되어3년간군정실시. 군정기간중반대파숙청,

중앙정보부 설치, 민주공화당 조직 후, 1963년 말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에서 승리하여

제3공화국이출범하 다.

박정희 | 1917년~1979년. 군인, 정치가.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문경소학

교에서 교직생활을 하다 1940년 만주의 신경군관학교에 입학하면서 군대에 들어갔다. 군관

학교 수료 후 일본육군사관학교로 전학하여 1944년 졸업과 함께 만주군 소위로 임관되어 해

방때까지일본군장교로참전하 다. 1946년귀국하여육군사관학교에들어가제2기로졸업

용어해설

Page 24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하고육군대위로임관되었으며, 1953년장군이되었다. 1961년제2군부사령관으로재직중

군부쿠데타를 주도하여 정권을 장악한 후 18년 5개월간 집권하 다. 1972년 유신체제로 독

재를 행하며 민주화운동을 탄압하다가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피살

되었다.

유신체제 | 1972년10월17일박정희의‘10월유신’으로시작되어1979년10월26일

박정희가 시해될 때까지 7년간 지속된 독재체제, 유신헌법에 의해 뒷받침 되었다. 유신체제

는대통령간선제, 국회의원3분의1 독차지, 국민의기본권을제약할수있는긴급조치권, 대

통령의절대권력보장등을특징으로하는권위주의적독재체제 다.

긴급조치 | 유신헌법에 의해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는 대통령의 특권,

1974년1호를발표한후9호까지발동됨. 민주화운동을탄압하는수단이었다.

광주민주화운동 | 1980년5월18일에서27일까지광주시민들이계엄령철폐와전두환

퇴진, 민주주의실시등을요구하여벌인민주화운동. 1979년신군부세력이12·12 쿠데타

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전국확대조치를 발표하고 민주인사들을

체포·투옥하기 시작하자 광주에서 공수부대의 과잉진압에 반발하며 일어났다. 5월 18일부

터시작된시민항쟁은계엄군을몰아내고시민공동체를이루었으나5월 27일새벽계엄군이

무력진압하여막을내렸다.

전두환 | 1931년~현재. 군인, 정치가. 12·12군사정변을 일으킨 신군부의 중심인물.

민주화운동과 광주항쟁을 진압하고, 1981년 제12대 대통령에 당선. 군부독재를 행하다 6월

항쟁으로국민의저항을받음.

6월 항쟁 | 1987년6월전국적으로일어났던민주화시위. 전두환의군부정권에반대하

여대통령직선제를요구하 던민주화운동이었다. 1986년서울대학교학생박종철이경찰

의 물고문으로 숨지면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전두환 대통령은

4·13 호헌조치로독재체제를유지하려고하 으나국민의저항으로결국대통령직선제개

헌이이루어졌다.

노태우 | 1932년~현재. 신군부의중심인물. 12·12 쿠데타참가. 6월항쟁때대통령

직선제를수용한다는6·29 선언발표, 뒤이은대통령선거에서당선되어제13대대통령(재

임1988~1993)을지냈다. 대통령재직중북방외교를전개하여러시아, 중국과의국교를수

립하 다.

24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Page 24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47

김 삼 | 1927년~현재. 한국의정치가. 9선국회의원. 1985년김대중과함께민주화추

진협의회공동의장직을맡는등민주정치를위해노력한야당의대표적인물이었다. 6월항쟁

후1987년통일민주당을창당하여총재가되었고, 1990년민주자유당을창당, 대표최고위원

이되었다. 1992년14대대통령선거에서당선, 군부특권층제거, 금융실명제실시등의정책

을실시하 으나대통령재임중외환위기를맞았다.

김대중 | 1926년~현재. 한국의야당정치인으로정치민주화를추진하면서군사독재정

권으로부터많은고통을당함. 제15대대통령을지냈으며재임중외환위기를극복하고, 북한

을방문하여분단후최초로남북정상회담을열고6·15 공동선언을발표하 다. 2000년한

국인으로서는최초로노벨평화상을받았다.

Page 24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제3과. 경제발전과대한민국의위상

세계인들은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6.25전쟁의 참상, 놀라운 경제성장, 88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 아마 이러한 사건들이 세계인의 인식 속에서 한국의 상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

을 했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세계인들은 한국을 매우 역동적인 나라로 인식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전쟁의 참상을 딛고 경제개발에 성공한 진취적인 한국인으로. 한국은 2차 대전 식민지에서 독립한

신생국으로 경제개발에 성공한 몇 안 되는 나라 중의 하나임에 틀림없고, 아직까지 꾸준히 성장의

동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한국의 경제성장이 가능

했던 것인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근면하고 창의적인 한국인, 한국의 경제개발 계획,

현재 한국인들이세계경제에기여하고있는점등을지적해야할것이다.

한국의 경제개발은 1962년부터 시작된 몇 차례에 걸친 경제개발5개년 계획을 통해 이루어졌다. 초

기 10년간은 경공업을 중심으로, 그리고 1972년부터는 중공업을 중심으로 경제개발이 이루어졌다.

한국의경제개발전략은정부가주체가되었고수출중심의경제개발전략에따라이루어졌다.

한국은 1979년 경제위기, 1997년 외환위기와 IMF 금융지원 등 몇 차례의 경제 위기가 있었으나 이

를 극복하고, 조선, 자동차, 반도체, 휴대폰 등을 중심 산업으로 착실히 경제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경제는무역규모면에서도세계 11위를 기록하며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는

등 선진국에 진입하는 데 성공하 다. 88올림픽이나 2002년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최근에 동아

시아로확산되는한류열풍은한국의경제성장을토대로하고있는것이다.

1. 한국 경제의 그늘

한국 경제가 놀라운 성장을 이룬 것은 사실이었지만, 경제개발의 과정에서 나타난 어두운

측면을함께살펴보아야균형있는역사인식이될것이다. 다음과같은측면이지적될수있다.

1) 수출주도형경제개발전략의결과한국경제의대외의존성은심화되었다.

2) 정부주도형경제개발의결과재벌중심의경제, 정경유착등의문제가나타났다.

3) 경제개발과정에서노동자, 농민들의희생이있었고, 특히농업생산력이상대적으로침

24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4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49

체되었다.

4) 경제개발을위해서는독재가가능하다는개발독재론이성행하여한국의민주주의발전

이오랫동안억압받았다.

5) 압축근대화의과정에서인권, 평화, 환경, 도시, 노동, 가치관혼란등새로운문제들이

등장하 다.

이러한문제들은민주주의의진전, 노동운동, 농민운동, 시민운동의성장을통하여극복되

고있으나아직까지도해결해야할과제가많이남아있다.

2. 세계 속의 한국경제

한국의경제규모는세계11위이다. 국내총생산(GDP)은1953년13억달러, 1962년23억

달러 으나 경제개발계획을 진행하여 1972년 106억 달러, 1986년에는 1076억 달러, 1995

년에는5173억달러로늘어났고, 2003년에는6085억달러가되었다. 그결과한국의경제규

모는2003년현재미국, 일본, 독일, 국,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스페인, 캐나다, 멕시코

에이어세계11위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GNP)은 세계 30위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1953년 67달러, 1962년

87달러에서 1970년 249달러, 1980년 1598달러, 1990년 5886달러, 2000년 1만 841달러,

2003년에는1만2646달러가되었다.

한국경제의무역의존도(수출입의대GNP 비율)는1953년13.0%에서계속상승하여1981

년 83.9%에 이른 후 하락세로 돌아서서 1993년 54.4%를 기록했다가 다시 상승세로 반전하

여2004년에는사상최고치는86.3%를기록하고있다. 한국경제가높은해외의존성을지니

고있음을보여준다.

Page 25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5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 한국경제의성장에기여한정책은무엇입니까?경제개발 5개년계획

2. 한국경제개발전략은무엇이었습니까?수출중심정책, 중공업중심의생산구조

3. 농촌현대화를낳은정책은무엇입니까?새마을운동

4. 한국경제가선진국에진입하게되었다는사실을보여주는것은무엇입니까?

1988년 서울올림픽개최, 국제무역기구와경제협력개발기구가입

5. 지금한국경제는세계에서어느정도수준입니까?세계 11위

6. 세계속에서한국의위상이어떻게변했는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경제개발5개년계획 | 국민경제의획기적인발전을도모하여5개년단위의경제계획으

로 구체화되었다. 1962~1982년까지 4차에 걸쳐 경제 개발 계획이 실시되었으며, 1982년부

터는 그 명칭이 경제사회개발계획으로 바뀌어 실시되었다. 1982~1986년의 제5차,

1987~1991년의 제6차, 그리고 1992~1996년의 제7차 경제 사회 발전 5개년 계획으로 이어

졌다. 그러나제7차는김 삼정부의신경제계획이겹쳐추진됨에따라1996년에5개년계획

은사실상종료되었다.

수출중심정책 | 한국의주요경제개발전략으로자본, 기술, 원료를해외에서수입하여

국내산업을발전시킨후완제품을수출하려는경제개발전략이다. 그결과한국경제는고도

성장을하 으나대외의존도가심화되었다.

용어해설

Page 25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51

중공업중심 | 1972년3차경제개발계획부터본격적으로추진, 산업구조의고도화를목

표로철강, 석유, 비료, 시멘트, 기계, 전자, 조선등의중화학공업을육성하 다.

국제무역기구(WTO) | 1986년에시작된우루과이라운드협상은GATT의문제점을해

결하고발전시키는작업을과제로채택하여1991년 1월다자간무역기구를설립하자는데합

의하 다. 다자간무역기구는 미국이 WTO(World Trade Union: 세계무역기구)로 명칭을

바꾸자고하여1995년1월WTO가출범하게되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 1960년12월유럽경제협력기구(OEEC)의18개회원국과

미국, 캐나다 등 20개국 각료와 유럽 공동체들의 대표가 모여 경제협력개발기구조약(OECD

조약)에서명함으로써탄생, 1961년 9월 20개국을회원국으로한경제협력개발기구로확대,

개편되었다. 1990년대이후한국, 그리스, 멕시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등비선진국

까지회원국으로가입하여2002년현재회원국은30개국이다.

한류열풍 | 1990년대말부터동남아시아에서일기시작한한국대중문화의열풍. 1998

년중국에서한국대중문화의열풍이일자, 2000년 2월중국언론이붙인용어. 이후한국대

중문화의열풍은중국뿐아니라동남아시아전역, 그리고일본으로확산되었다.

새마을 운동 | 근면, 자조, 협동의기치아래생활태도혁신, 환경개선, 소득증대를통

한낙후된농촌을근대화시킨다는취지로1971년부터전국적범위에서전개된정부주도의지

역사회개발운동. 1971년부터1984년까지새마을운동에투입된물량은총7조 2천억원으

로정부에서57%, 주민이11%, 민간단체가32%를부담하 다. 투자내역을보면, 생산기반

에22.2%, 소득증대에42.8%, 복지환경에27.5%, 정신계발에2.8%, 도시및공장새마을운

동에4.7%가투자되었다. 새마을운동의성과로는하천정비, 교량건설, 수리시설확충, 농

경지확장등을통한식량자급기틀마련, 농가소득증대등을들수있다. 새마을운동은농촌

에서 시작되어 도시로 확산되었으며, 유신체제를 지탱하는 한 버팀목이 되는 측면도 있었다.

1970년대후반이후새마을운동은농가주택개량사업추진에따른농촌부채문제, 새마을운

동조직의부정부패문제등을낳기도하 다.

수출산업 | 한국의수출은1952년에서2004년까지약9200배증가하 다.(2770만달

그림해설

Page 25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5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러에서 2538억 달러로) 이러한 수출 증가는 한국의 경제개발전략이 수출주도형인데 기인한

바크며, 정부는수출을장려하는각종정책을시행하 다. 한국의수출은1960~1970년대초

반까지섬유, 합판, 신발류등경공업제품이주종을이루었으나, 1970년대후반부터1988년

까지 철강, 기계, 선박, 전자제품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리고 1989년부터는 전자제품, 섬유

제품, 기계류등의수출이큰폭으로늘어나면서수출주종품목으로부상하 다. 수출시장별

로는과거한국의수출증대에크게기여한미국, 일본, 유럽공동체등3대 선진국시장에대

한 수출 비중이 1989년 이후 크게 낮아지고,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개도국에 대한 수출 비중

은 증가하고 있다. 2004년 현재 한국의 수출 비중은 중국이 19.6%, 미국이 16.9%, 일본이

8.5%를차지하고있다.

서울모습 | 서울은대한민국의수도이며한국성장의모습을상징적으로보여준다. 서

울은인구1000만을넘어선거대도시이다(2006. 6. 30 현재, 1034만4440명). 2001년말현

재 서울에서는 하루에 311명이 태어나고, 104명이 사망하며, 212쌍이 결혼하고, 79쌍이 이

혼한다. 가구당 인구는 2.9명으로 1980년 4.5명, 1990년 3.8명에서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1인당급수량은390ℓ, 유류소비량은19만5천배럴, 범죄건수는하루에1,123건에이

르고 있으며, 쌀 소비량은 274만 1040kg, 소고기는 1,127마리, 돼지고기는 1만 487마리가

소비된다.

Page 25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53

제4과. 북한사회의전개

주체의 나라, 북한

민족사적관점에서보자면북한은분단의한축이며장차민족통일의한주체이다. 이런측면에서북

한의현대사와그것이만든현재의북한체제를이해하는것이필요하다. 북한현대사의두드러진특

징을꼽자면, 북한은사회주의체제이며북한사회주의는주체사상에기초하고있다는점을주목할필

요가있을것이다.

북한 정권은 1948년 출발 시에는 공산주의 연합정권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나, 6.25전쟁 이후 박헌

을중심으로한국내공산주의세력이숙청되었고, 뒤이어 1950년대중반에연안파와소련파역시숙

청되어, 김일성을중심으로한독점권력체제가형성되었다. 또한북한의경제는 1950년대에이미협

동농장으로대표되는사회주의체제로전환되었다.

북한은 중소분쟁의 과정을 겪으면서 주체사상을 확립하 다. 주체사상은‘정치에서의 자주, 경제에서

의자립, 국방에서의자위’를강조한다. 따라서북한은정치적으로독립적, 또는고립적성격이강하며

경제적인면에서자급자족적인성격을띠고있다.

그리하여 북한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는 남한의 그것과 많은 차이를 드러내게 된다. 민주주의 정치

체제와자본주의경제체제를가진남한과사회주의정치체제와경제체제를가진북한, 앞으로민족통

일의과정에서이러한차이를어떻게극복할수있을지에대하여지혜를모아야할것이다.

1. 남북한 현대사의 비교

현대사에서남북한이오랫동안서로상대를적으로규정하고대립했다는사실은민족사의

비극이었다. 남북은서로민족사의정통성을차지하려고치열하게경쟁을벌 다. 이과정에

서남북은매우이질적인사회를구성하 다. 2007년현재남북의경쟁에서남한이우위에있

는 것으로 생각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6·25 전쟁 이후 경제 재건에서 북한이 앞서

나갔으나, 1960년대 이후 남한은 경제개발의 성공으로 북한을 추월하 다. 1980년대 이후

북한경제는침체의모습을보 고, 1990년대현실사회주의권의몰락이후북한경제는심각

한위기에빠졌고현재에도계속되고있다. 정치적인측면에서보자면, 북한이공산주의적권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5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5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력독점체제를유지한반면, 남한에서는민주화에성공하여독재체제를극복하 다. 그결과

북한에서는권위주의적통제사회가유지되는데비해남한에서는국민의자유와권리가보장

되고 있다. 분단 반세기가 지나면서 남북한 사이의 이질감이 심화되어 있으며, 이의 극복이

민족의과제가되었다.

2. 북한의 핵위기

현재북한핵문제는세계인의주목을받고있으며,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그리고남북

한이참가하는6자회담이진행되고있다. 현실사회주의의몰락이후세계의최강대국미국은

북한을‘악의축’으로규정하고압박을가했고, 위기에빠진북한은생존그자체가문제가되

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북핵문제는 이 과정에서 야기되고 진전되고 있다. 그 전개과정을 간

단히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1985년 : 핵무기확산금지조약(NPT) 가입, 국제원자력기구(IAEA)의안전조치협정

체결 의무 불이행, IAEA사찰 결과 핵무기 제조 이상의 플루토늄 추출, 핵 재처리 시설

확인→ IAEA 특별사찰요구, 북한거부. NPT 탈퇴

2) 1994년10월 : 미국과북한제네바협정(북한NPT 잔류, 핵안전협정이행, IAEA 사찰

수용, 대신2003년까지경수로2기건설과중유지급합의→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KEDO) 구성)

3) 2002년 : 미국의중유지급중지, 북핵재개발및NPT 탈퇴. 전쟁의위협, 북한미국에

불가침조약요구

4) 2003년8월27일 : 6자회담시작, 2007년현재진행중(남·북·미·일·중·러)

5) 2007년10월9일: 북한핵실험실시

Page 25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55

김일성 | 1912. 4. 15∼1994. 7. 8. 북한의 주석, 본명은 김성주. 북한의 최고위직을

지내며, 남조선노동당등의국내파와소련파, 옌안파등을숙청하여권력체제를구축하 다.

제1과[용어해설] 참조

항일유격대 | 김일성을중심으로한항일독립군부대를말하며, 북한의주장을고려하

여김일성과항일유격대의활동을연표로정리하면대략다음과같다.

·1936. 3 동북항일연군제2군3사장

용어해설

1. 분단후북한의권력자는누구 습니까?김일성중심의항일유격대출신

2. 6·25 전쟁이후북한의경제는어떻게변해갔을까요?사회주의경제체제로전환

3. 북한의사회주의경제의모습은어떠한가요?협동농장, 공장 나라소유, 상업 활동금지

4. 북한경제는어떤어려움을가지게되었습니까?식량과에너지부족

5. 북한은이어려움을어떻게극복하려고하 습니까?우리식사회주의를내세우내부결속강화, 개방정책가속화

6. 1990년대중반북한의권력자는어떻게바뀌었습니까?김일성사망, 국방위원장김정일통치

7. 지금남북한은어떤관계인지토론해봅시다.경제협력과문화교류로통일지향

학습노트

Page 25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5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1936. 7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6사장으로 4사와 함께 백두산지구 유격구 건설, 조국

광복 회조직을국내에넓히기위해1937.6 보천보공격

·1939. 5 함경북도무산지구전투

·1939. 8 만주안도현대사하전투

·1940. 3 화룡현홍기하전투

·1940. 1 제1차하바로프끄스회의이후소련으로이동

·1940. 10 블라디보스톡에남야 건설

·1942. 7 남야 과 북야 을 합쳐 동북항일연군교도려 편성(일명 국제홍군 제88특별

여단) 만주지방에소부대파견

·1945. 7 조선에서의당건설과해방사업을추진할“조선공작단”성립

·1945. 9 원산으로귀국하여북한정권의핵심이됨.

사회주의 경제체제 | 사회주의경제체제란생산기반을국유화하는것이다. 6·25전쟁

으로초토화된경제는사회주의경제건설을가속화시켰다. 북한의사회주의건설은초기에는

성공적으로보 으나, 1960년대이후과도한군사비지출과지나친자립성때문에한계에봉

착하게된다. 북한의경제개발과정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전후복구사업과3개년계획(1954∼1956년) : 6·25로경제철저히파괴 → 전후복구

에전력, ‘중공업우선으로농업과경공업동시발전’정책(중공업중심) ⇒ 전쟁이전

의수준으로회복

2) 5개년 계획(1957~1961년) : 농지 → 협동 농장화(공동생산과 경 , 개인 상공업과 사

유제인정하지않음), 천리마운동(1956. 12월노동당전원회의에서김일성제안 → 노

동당총노선. ‘천리마 웅’, 노동력최대동원목적, 50년대후반에서60년대전반에

걸쳐사회주의건설에큰역할) ⇒ 3년만에달성, 농공불균형문제 ⇒ 본격적인사회주

의체제확립

3) 제1차 7개년계획(1961~1967년) : 공업의양적질적개선, 전면적인기술개혁과문화

혁명, 인민생활의급속한개선목표 → 소련의원조중단과군사비지출로지연, 3년연

장, 1970년마무리

4) 인민경제6개년계획(1971~1976년) : 현대적공업화, 생산력발전, 생활향상도모, 대

중동원의존, 자본기술부족 ⇒ 농업부진, 생필품부족

Page 25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57

5) 제2차7개년계획(1978~1984년), 제3차7개년계획 : 농공의종합발전, 인민생활향상

도모 ⇒ 철저한 계획 경제, 지나친 자립 경제, 과도한 국방비 지출, 에너지와 간접자본

부족으로어려움, 군대를현장에투입, 남한에군비축소제의, 외국과경제교류확대기

도(1984 합작회사경 법(합 법), 1980년대말나진선봉지역경제특구)

6) 1990년대 : 사회주의권몰락, 연이은흉작으로경제적어려움에봉착.

협동농장 | 북한은 1954년부터 농업을 사회주의적으로 개조하는 사업을 추진하 다.

빈농을핵심추진세력으로삼고중농과결합하여농업협동화를추진하 다. 농업부문에서는

전쟁으로농업생산력이파괴되었고, 전농가호수의40%가빈농이었던것은오히려노동력을

조직하고, 협동농장을만드는데유리한조건을제공해주었다. 농업의협동화는매우빠른속

도로 진행되었다. 전체 농지면적 중 1954년에 30.9%, 1955년에 48.6%, 1956년에 77.9%,

1957년에93.7%가협동농장으로바뀌었다.

김정일 | 1942. 2. 16~현재. 북한의정치가. 국방위원회위원장, 조선노동당중앙위원

회총비서, 조선인민군최고사령관, 정치국상무위원, 최고인민회의제10기대의원등의공식

적인직함을가진현북한의최고실력자이다. 1994년아버지인김일성국가주석이사망하자

후계자로서권력을승계하 다.

천리마동상 | 천리마는하루에천리를달린다는전설속의말. 천리마운동은생산증대

를 겨냥한 북한의 노동강화운동이다. 1958년부터 전국적으로 전개, 1972년 헌법에서는“천

리마운동은사회주의건설의총노선이다”라고규정하 다.

평양의 어린이들 | 북한의학교제도는인민학교4년, 고등중학교6년, 대학4~7년으로

되어있다.

평양시내 | 사진에서보이는평양은매우규격화된모습이며, 멀리주체사상탑이보인

다. 평양은북한의수도로주체사상을바탕으로했다고하여도지나친말이아니다. 150m가

넘는주체탑이평양을상징하고있으며, 이주체탑은인민대학습당과김일성광장을마주하고

있다. 그꼭대기에서바라본평양시내는자로잰듯반듯반듯하다.

인민대학습당 | 평양의중심부김일성광장에있다. 도서와학습실, 강사를갖추어놓고

그림해설

Page 25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58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과학, 기술, 문화에관한지식을보급하고학습시키는곳. 근로자와청소년의사상교양을강화

하고과학, 기술, 문화지식을보급하며사회인텔리화의중심기지가되는사상문화교양기

관이다.

Page 259: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제5과. 통일정책과남북화해의모색

남북한의 대립과 화해

남북한의관계는 20세기후반세계정세의변화와깊은연관관계가있다. 2차세계대전이후세계사는

냉전에서데탕트로, 그리고사회주의몰락에따른냉전체제의해체로진행되었다. 한국사의전개도이

와 연동되어, 1948년 분단, 1950∼1953년 6·25전쟁을 거친 후 1950년대와 1960년대는 전면적으로

대립하는 양상을 띤다. 그러나 1970년대 세계사적 데탕트의 분위기로 남북한은 공존 관계로 전환하

며, 1990년대이후사회주의몰락과북한의위기이후화해와평화통일을모색하고있다.

이 과정에서 남북한 당국이 합의하여 발표한 대표적인 문건은 3개이다. 즉 1972년 7·4 공동성명,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그리고 2000년 6·15 공동선언이다. 7·4 공동성명으로 남북한은 극한대립

과무력대결을지양하고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통일원칙에합의하 고, 남북기본합의서는남

북한의화해, 협력, 교류를광범위하게규정하 다. 그리고 6·15 공동선언에서남북은통일의방안에

합의하 는데, 남한의 남북연합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안을 비슷하게 보고 이 방법으로

남북을통일하기로하 다.

그리하여 1990년대이후남북한은상호신뢰를회복하여갔고, 철도와도로가연결되고있으며, 이산

가족이나 관광객의 상호 방문, 물자 교류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금 남북은 평화통일을 향하여

한걸음씩전진하고있다.

남북한의 통일정책

남북한은분단이후서로에게많은통일방안을제안해왔으나, 이러한제안중에서자신의

입장만강조하여상대측에서수용할수없는것, 국내외적선전용으로제안된것도적지않다.

1950년대, 1960년대의남북한은서로적대적인관계 기때문에이때제안된통일방안은서

로에게수용되기힘들었다.

1970년대이후, 7·4남북공동성명과남북기본합의서를거치면서평화통일은통일의기본

원칙이되었다. 남북한이내어놓은통일방안을보면, 대체로남한은‘두개의한국’정책에

입각한국가연합안을체계화해왔으며, 북한은1960년 연방제를처음제기한이래고려민주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59

중심주제

유의점

Page 260: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60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연방공화국안으로연방제를정식화해왔다. 통일에대한접근에서는북한이정치군사적측면

을강조하고, 남한이경제문화교류를강조하 다.

2000년6·15 공동선언에서남북은낮은단계의연방제와연합제에공통성이있다고보고,

그단계에서통일을진행시키기로합의하 다. 즉북측이주장하는연방제통일방안과남측이

주장하는연합제통일방안을결합시키려하 다.

1) 남측의 연합제안 : 남한의통일방안은민족공동체의회복발전이라는통일개념하에자

유 민주주의를 통일철학으로 자주, 평화, 민주의 원칙을 바탕으로‘한민족공동체 통일

방안’을추진하여1민족1국가1체제1정부의완전한통일국가를목표로하고있다. 또

한남한은전제조건없이북한에대해동반자적관계를인정하며남북간교류를통한화

해협력의구축을바탕으로남북연합에서1민족1국가의통일국가를완성하는방식으로

점진적이고단계적으로해결하려고한다.

2) 북측의 연방제안 : 북한은 전한반도의 공산화라는 통일개념 하에 주체사상을 통일철학

으로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의원칙하에‘고려민주연방공화국창설’을추진하여1

민족1국가2제도2정부의연방국가를목표로하고있다. 북한은과도체제없이바로연

방제를실시하며교류와협력은연방제실시이후로미루는급진적이고일괄타결식으로

해결을주장한다.

이러한 차이점 속에서 남북한은 6·15 공동선언 이후 ①상대의 주권을 인정한 채, ②민족

동질성회복을위해경제, 사회, 문화등제분야의교류협력을증진시켜나가는과정을통하

여, ③점진적인방법으로통일을추진하고있다.

Page 261: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1. 6·25 전쟁후이승만정부의통일정책은무엇이었습니까?북진멸공통일

2. 민주당정권은어떤통일정책을주장했습니까?유엔감시하의총선거

3. 박정희정권의나라시책은무엇이었습니까?반공

4. 남북공동성명의내용은무엇입니까?자주, 평화, 민족대단결로통일하자는것

5. 2000년6월남북정상회담에서합의한내용은무엇입니까?자주적인평화통일, 상호교류, 경제 협력

6. 지금남한과북한은어떤방법으로통일하려고하고있을까요?상호협력하고교류함으로써통일하려고함

7. 한민족통일에어려운점이무엇인지토론해봅시다.

학습노트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61

북진 멸공통일 | 1950년대초이승만정권이내세운통일방안. 이승만은6·25전쟁때

휴전에반대하고유엔군이북진하여통일하자는정책을내걸었다. 또한6·25전쟁직후에는

통일문제를미수복지역에대한수복의개념으로보고무력에의한북진통일을주장하 다.

유엔감시 하의 총선거 | 제1공화국과제2공화국의통일방안.

남북공동성명 | 1972년 7월 4일남한의이후락중앙정보부장과북한의김 주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이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발표한 성명. 이 성명은 통일의 원칙으로, 첫째, 외

세에의존하거나외세의간섭을받음이없이자주적으로해결하여야한다. 둘째, 서로상대방

용어해설

Page 262: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62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을반대하는무력행사에의거하지않고평화적방법으로실현하여야한다. 셋째, 사상과이념

및제도의차이를초월하여우선하나의민족으로서민족적대단결을도모하여야한다고밝힘

으로써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3대원칙을공식천명하 다.

남북고위급회담 | 남북한간의긴장완화와관계개선을위하여총리급이정치, 군사문제

를협의하는회담. 1990년부터1992년 10월까지8차회담이열렸고, 1991년 12월제5차남

북고위급회담에서는 남북기본합의서로‘남북간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

서’가채택, 서명되었다. 남북기본합의서의주요내용은상대방체제의존중, 무력사용의금

지와무력침략의포기, 각분야에서의교류, 협력과자유로운인적왕래및접촉등. 1992년2

월제6차회담에서의‘비핵화공동선언’과‘분과위구성, 운 합의서’와함께발효되었다.

정상회담 | 남한의김대중대통령과북한김정일국방위원장이평양에서2000년6월13

일부터15일까지2박3일동안가진정상회담. 남북한의정상이직접만나기는한반도가분단

된이후처음있는일이다. 김대중대통령과김정일국방위원장은6월14일오후3시부터6시

50분까지3시간50분에걸친마라톤정상회담끝에6·15공동선언을합의하 다. 그내용은

첫째, 통일문제의 자주적 해결, 둘째, 1국가 2체제의 통일방안 협의, 셋째, 이산가족 문제의

조속한해결, 넷째, 경제협력등을비롯한남북간교류의활성화등이다. 공동선언문의원문

은다음과같다.

조국의평화적통일을염원하는온겨레의숭고한뜻에따라대한민국김대중대통령

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0년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평양에서역사적인상봉을하 으며정상회담을가졌다.

남북정상들은분단역사상처음으로열린이번상봉과회담이서로이해를증진시키

고남북관계를발전시키며평화통일을실현하는데중대한의의를가진다고평가하고다

음과같이선언한다.

1. 남과북은나라의통일문제를그주인인우리민족끼리서로힘을합쳐자주적으로

해결해나가기로하 다.

2. 남과북은나라의통일을위한남측의연합제안과북측의낮은단계의연방제안이

서로공통성이있다고인정하고앞으로이방향에서통일을지향시켜나가기로하 다.

3. 남과북은올해8·15에즈음하여흩어진가족, 친척방문단을교환하며비전향장

기수문제를해결하는등인도적문제를조속히풀어나가기로하 다.

Page 263: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63

4. 남과북은경제협력을통하여민족경제를균형적으로발전시키고사회·문화·체

육·보건·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져 나가기

로하 다.

5. 남과북은이상과같은합의사항을조속히실천에옮기기위하여빠른시일안에당

국사이의대화를개최하기로하 다.

김대중 대통령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하도록 정중히 초청하 으며, 김

정일국방위원장은앞으로적절한시기에서울을방문하기로하 다.

2000년6월15일대한민국대통령김대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방위원장김정일

이산가족 상봉 | 남북분단으로인해1000만정도의이산가족이발생. 7·4공동성명이

후 1985년‘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으로 이산가족의 첫 상봉이 이루어졌

다. 당시남측35명과북측30명만이가족을만났다. 첫상봉이후15년이지난2000년6·15

공동선언 이후 2000년 8월 제1차 이산가족방문단 교환이 성사되었으며, 현재까지 이산가족

상봉이이어지고있다.

남북적십자회담 | 주로이산가족문제해결을위한남과북의적십자단체책임자들이벌

이는회담. 1971년8월20일판문점에서첫적십자사간접촉을시작한이래현재까지진행되

고있다.

남북정상회담 | [용어해설] 참조

그림해설

Page 264: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64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제6과. 재외동포사회의발전

재외동포의 역사

한민족의인구는식민지시대 2천만이었는데해방후에는 3천만, 그리고지금은 7천만이넘는다. 그중

700만이 해외 동포이니한민족의 10%가 해외에 거주하고있는것이다. 이제 한국이 세계속의한국

이듯이, 한민족의 거주나 역할도 세계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또한 한민족의 자부심으로 느껴질

수있다고생각된다.

그러나 700만 재외 동포가등장하게된역사적배경은결코행복했던것은아니었다. 오히려 어둡고

힘든 역사를 통하여 재외동포 사회가 형성되었고, 그 과정에서 동포들은 한민족의 해방과 번 을 위

해피땀을쏟았다.

해외에서 한민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중국의 동북부이다. 한국인의 해외 이주는 19세기 말,

즉 조선 말기부터 시작되었다. 조선 지배층의 수탈을 견디다 못한 한국인들은 두만강을 넘어 간도로

만주로 이주하여 살 길을 찾아 나섰다. 1910년 식민지가 되면서 이주민의 숫자는 더욱 증가하 다.

생계형 이주뿐만 아니라 독립운동이나 정치적 망명을 위한 이주도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식민지 시

대말기일제에의해강제로끌려간한국인도적지않다. 중국의동북부지역이나연해주에이주한한

국인들은 이 지역의 대부분을 개척하여 생계의 터전으로 삼았고, 민족의 독립운동은 이를 기반으로

크게 일어났다. 그러나 이 지역 한민족은 1920년 일본군의 간도참변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

었다. 연해주지역의한민족은 1937년소련당국에의해중앙아시아로강제이주당하 다.

한국인의일본으로의이주도생계에의한이주가많았고, 일제에의해징용등으로끌려간사람도많

았다. 이들은 1923년 관동대지진때일본인들에의해학살당한슬픈역사를간직하고있으며, 일본인

의 민족차별의 학대를 견뎌내야 했다. 특히 사할린으로 끌려갔던 한국인들은 그 후 오랫동안 고국으

로돌아올수없었다.

미주지역으로의 이주는 농장 노동자들의 이민이 시초가 되었고, 생계나 학업, 독립운동을 위해 많은

사람이이주하 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 많은한국인의미국이주가이루어져미국내에서한국인

동포사회를형성하게되었다.

이처럼한국인들의해외이주는한민족이겪은역사적고통을함께하는것이었고, 그 목적이생계, 문

명의수입, 민족독립운동, 새로운개척등으로다양할지라도한민족의독립과번 에중요하게기여해

왔음을주목해야할것이다.

중심주제

Page 265: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65

1. 재외 동포의 역사성

재외동포는현재지역에따라각각다른역사성을갖기때문에, 그점에유의하면서접근할

필요가있을것이다. 각지역이주의역사가또하나의중요한역사교육의소재이다. 또한지

금거주하는지역의역사나인종, 문화가각각다르므로, 거주지역의역사, 문화를고려, 비교

하면서한국사에접근하면좋을것이다.

2. 뿌리의 중요성

사람에게 뿌리를 확인하는 것은 정체성에 관련된 부분이며, 사람은 정체성이 확립되었을

때안정된정서구조를가지고생활할수있게한다. 재외동포가한 과한국사를배운다는것

은바로이정체성을확립하는것이라는점을강조하여야하겠다. 모국에대한무조건적추종

이나숭배가아니라장구한민족사와민족문화를통하여현재나의위치, 나의좌표를확인하

는것이한국사교육의목표가되어야할것이다.

유의점

Page 266: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266 ● 한국사 교사용 지도서

강제동원 | 일제가침략전쟁을목적으로한민족을징병, 징용, 정신대로끌고간일. 9

단원제5과[용어해설] 참조

스탈린의 강제이주 | 옛소련스탈린은1937년9월21일부터11월15일까지연해주에

용어해설

1. 한민족의재외동포는얼마나될까요?700만 명

2. 재외동포가많이거주하는지역은어디인가요?중국, 일본, 구소련, 미국 등 4개국

3. 한민족이중국, 일본, 러시아지역으로많이이주한까닭은무엇입니까?일제시대생계, 독립운동, 강제동원등의이유로이주함

4. 러시아로이주한동포들은어떤어려움을겪었습니까?스탈린의강제이주정책

5. 중국동북3성에거주하는한민족은어떻게살고있습니까?우수하고경제적자립도가높다.

6. 미국에사는동포들의생활은어떠한가요?미국사회에서중요한위치를점하고있다.

7. 재외동포는어떤역할을하고있습니까?동서양문화를융합하고, 한국과세계를연결하며, 남북한의

민족화합을이끄는역할을한다.

8. 지금내가왜이곳에와서살게되었는지우리가족의역사를써보세요.

학습노트

Page 267: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민족의 해방과 현대사회 ● 267

살던고려인들을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등중앙아시아로강제이주시켰다. 당시연해주

에정착한사람은17만여명으로, 1860년이래70년간이곳을개척해온터 다. 고려인들은

강제이주의쓰라림에도불구하고불굴의정신력과끈기, 근면성으로소련전역의‘노력 웅’

1천200여명중750여명을배출해현지인들의뇌리에우수민족으로각인됐다. 고려인들은현

재카자흐스탄10만명, 우즈베키스탄20만명등구소련지역에약50 여만명이거주하고있

다.

재일동포 | 일본에 주하고있는한국인. 재일동포는대체로식민지시대생계를위해

도일한한국인과일제에의해강제로끌려갔던한국인들중귀환하지못한사람들로이루어졌

다. 재일한국인의증가는1911년 2,527명, 1920년에는3만 189명, 1930년에는29만 8,061

명, 1938년에는 79만 9,878명. 1939년 이후 한국인 강제연행자 수는 67만 명. 재일동포는

1923년관동대지진때6천여명이일본인에의해학살당하는비극을겪었다. 또한강제징용

당한한국인들은위험한탄광, 공사장, 군수공장등에배치되어비참한생활을하 다.

1945년해방당시200만명에달했던재일한국인은140여만명이본국으로귀환하고나머

지 60여만 명이 잔류해 재일동포가 됨. 1952년에 56만 6,647명, 1974년에 63만 8,806명,

1992년말현재71만 2,519명. 재일동포단체로는대한민국을지지하는민단과북한을지지

하는 조총련이있다. 재일동포는일본에의해 민족적차별과불이익을당하고있어재일동포

의법적지위에관한문제는한일간의현안이되고있다.

동북3성 | 중국의 최동북쪽에 위치한 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 등 3성을 통틀어

일컫는말. 이지역에약200만명의한민족이 집해살고있다.

세계 속의 한국인(2007년 현재)

·유럽지역: 341,643명 ·북미지역: 2,307,872명

·아시아호주지역: 352,264명 ·아프리카지역: 7,336명

·일본지역: 616,168명 ·중국지역: 2,517,209명

·중남미지역: 83,020명 ·중동지역: 8,278명

Page 268: ® Ñ ( ² àauskec.kr/data/file/sub07_01/2083853881_i5k8qJQx_2f91d2f... · 2018-09-10 · 5 ñ ] ¶ y Ý % ¶ D d ´ Ê yjjjjjj125 ¶ D % × ¯ î × >jjj130 ? ü ljjjjjjjjj134

한국문화교육총서 ⑨

한 학교 학생용한국사

인 쇄 일 2006년 12월 20일발 행 일 2006년 12월 30일발 행 인 서 훈(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이사장)인 쇄 처 신사

한국문화교육총서발행위원회(가나다순)

위 원 장 박갑수(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명예교수)위 원 김중순(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박희양(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상임이사)윤경로(한성대학교 총장)한상진(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기획진행 강성봉 김은경 안종국 장상권집 필 진 강현주 신용균 조현용디 자 인 (주)제이스커뮤니케이션즈

(재)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Koreans Abroad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385-63 공덕빌딩 5층(121-020) 전화 02-3272-3022 FAX 02-3273-0882E-mail: [email protected]: http://www.korean-edu.net

※ 이 책은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책으로 비매품입니다

교사용 지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