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12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방향 서울교대 권정민 교수

Upload: jungmin-kwon

Post on 11-Apr-2017

304 views

Category:

Education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4차산업혁명과교육의방향

서울교대 권정민 교수

Page 2: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1848 유럽혁명프랑스에서시작

50개국으로확산

특히네델란드, 독일, 이태리, 오스트리아, 덴마크, 헝가리

2011 아랍의 봄튜니지아에서 시작

리비아, 이집스, 예멘, 시리아, 이라크, 모로코, 바레인, 알제리, 이란,

레바논, 요르단, 쿠웨이트, 오만, 수단, 모리타이나,

사우디

2017 대한민국명예혁명

대학생, 서울에서 시작

전국으로확산

공통점: 1) 청년중심, 중산층, 헬국가 2) 시스템변화요구 3) 새로운미디어

1848 2011 2017

Le Figaro, Corriere

Della Sera, Die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SNS, Citizen

Journalism

Major Media, Citizen

Journalism, Lightening

Speed Communication

Page 3: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2차산업혁명시대인재상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 변화

반복적이고고된노동을해줄노동직근로자, 기술에숙련된기술직근로자, 사무직및행정직근로자, 전문직근로자, 외교관이나공무원같은소집단지배층이필요해짐

교육 = 산업적 과정학생 = 일정품질이 보장된 생산품

기초학업능력과 산업에서 요하는기술을 갖춘, 거대한기계의 부품

Page 4: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초연결성

비판적사고능력시민정신글로벌사고

불확실성

문제해결력자기주도성

인공지능, 자동화

윤리의식창의성협업능력

빠른 변화

적응력유연성

다문화역량

4차산업혁명시대인재상

Page 5: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물고기를 잡아주지말고 잡는 법을

가르치라”(기술)

지금물고기잡는방법의문제점은무엇인가? (비판적사고)

물고기를왜잡아야/잡지말아야하는가? (시스템사고, 윤리적가치판단)

물고기만이답인가? 대안은없는가? (창의적사고)

교육 패러다임 FOCUS의 변화

Page 6: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우리의아이들을어떻게교육시켜야하는가?

Page 7: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 Sharing: facebook에자기개인적정보셰어링에서부터전문가, 비전문가들의문제해결관련셰어링까지포함

• online sharing->offline sharing

• 협력-> 혁신

• 정치집단이될수있음. 시민의식필요

• 문제해결중심

• 학교에서 sharing = cheating

협력

Page 8: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 지식=무료

• 자동화, AI 등으로인해단순기술, 암기지식, 의미없는문제풀이등은시간낭비

• 시민의식과윤리가기반이된창의력

• 자기주도성, 기업가정신

• 자기반성적사고: 미국의사회교과의예

창의력과비판적사고능력

Page 9: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 빠르게변화하는시대와새로운가치에대한적응력

• 다양성, 불확실성을포용할수있는유연성

• 공감능력

• 의사소통능력

• 평가의변화

• 평생교육

적응력과유연성

Page 10: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 라디오(1920-40년대), TV (1950-1980년대), 컴퓨터(1980년대-2000년대)

• 학교에어떤테크놀로지가정착하기위해서는상당히긴검증의시간이필요. 기술이너무빨리달라지기때문에학교완전한정착이어렵다 (Woefel & Tyler).

• 학년이올라갈수록활용이어려웠음. 콘텐츠부족

• 학교/교사/학생주도가아닌기술개발자주도

• 경험, 협력, 상호작용, 사회성이지식보다더중요해지는추세

• 교육은지식을매개로한인간과인간사이의상호작용과사랑임.

교사직업의미래는?

Page 11: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 1915년존듀이 <민주주의와교육> : “아이들이학교에서얼마나많은시간을낭비하고있는가!”

• 학교의기능: 문화(문화유산의전달), 사회(사회화), 경제(인적자원개발), 개인(내면세계계발)

• 쓸모있는/없는지식에대한사회적합의필요

• 계산공부 vs. 계산기공부

학교교육 90%, 미래에쓸모없다?

Page 12: 권정민 4차혁명과교육

[email protected]

현재의교육을강화하는수단으로사용되면안됨

물리적인프라와교육과정선진화가우선되어야함

실제세계에서의상호작용, 학습, 문제해결방법과

비슷해야함

신기술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