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97
’08 석사학위논문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Determination for Building Army Future Combat System(FCS) 국방관리대학원 국방관리전공

Upload: jungin90

Post on 27-Jul-2015

1.03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08

사석사학위논문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Priority Determination for Building

Army Future Combat System(FCS)

국 방 대 학 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관리전공

서 용 채서

Page 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석 사 학 위 논 문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Determination for Building

Army Future Combat System(FCS)

국 방 대 학 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관리전공

서 용 채

Page 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Determination for Building

Army Future Combat System(FCS)

지도교수 송 영 일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12월 일

국 방 대 학 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관리전공

서 용 채

Page 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서용채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지도교수 송 영 일

심사위원 유 규 열

심사위원 이 상 진

2008년 12월 일

국 방 대 학 교

Page 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감사의 글

먼저 2년간의 배움의 기회를 허락해 주신 육군 선후배님들께 진심으로 감

사합니다.

배움의 결실을 맺기까지 2년간 지도하고 이끌어주신 송영일 교수님과 한결

같은 열정으로 가르쳐주셨던 이상진 교수님, 자상하고 세심한 가르침을 주신

유규열 교수님과 문성암 교수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국방관리

경영의 든든한 리더 최석윤 선배, 항상 함께 고민하고 답을 주시던 박사과정

오진석 선배, 늘 힘들 때 나에게 지혜가 되어준 장호정 선배와 후배 고재현,

연구실에서 함께 동고동락 했던 동기 이근록과 후배 양정관, 이혁진 같은 좋

은 선후배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학문적 성숙이상으로 소중한 것이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군에 있는 아들을 위해 모진 고생 마다하지 않으시며 힘든 세

월 살아오신 가장 사랑하는 나의 어머니, 하늘에서 항상 저를 돌봐주고 계시

는 아버지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사위를 아들같이 믿고 지원을 아

끼지 않으시는 장인어른과 장모님, 어려운 환경에서도 불평없이 밝고 훌륭하

게 커준 동생, 이 모든 분들이 있었기에 제가 이 자리에 설 수 있었다고 생각

하며 진심어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끝으로 지난 2년간 학업에 정진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격려와 배려로 내조

해준 아내 향선과 귀엽고 사랑스런 딸 수연이에게도 깊은 감사와 사랑의 마

음을 전합니다.

수연이의“아빠!”하는 말을 뒤로 한 채 야속하게 연구실로 향할 수밖에 없었

던 미안한 아빠의 마음을 이해해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수연아, 미안하고 항상

사랑한다.”

2008년 12월 국방대학교 율곡관 213연구실에서

육군 대위 서용채

Page 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i -

요 약

최근 국방장관이 모든 위협을 대비한 포괄적 안보태세 구축을 위한 우리

군의 미래전투체계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현재 우리 군은“국방개

혁”이라는 하나의 큰 시대적 과도기 속에서 제한된 국방예산으로 첨단기술

무기체계를 배치하여서 감축된 인력으로 인한 전투력의 공백을 대체하고자

한다. 이에 육군은「육군비전」을 근거로 미래 육군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해당하는 미래전투체계의 소요를 판단하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선

진국에서는 앞 다투어 미래의 전투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전개될 미래전 양상의 변화를 직시하여 미래전투체계

구축에 대한 당위성을 제기하였고, 미 육군에서 추진 중인 FCS(Future

Combat System)를 참고하여 우리가 구축해야할 미래의 전투체계 즉, 한국

형 육군 FCS 구축시 고려해야할 사항과 요구되는 능력들에 대해서 알아보았

다. 이를 토대로 육군의 FCS 구축에 있어서 개별 전투체계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AHP 기법을 이용하였다. AHP 기법을 이용한 분

석을 위해 모형을 구성하였는데 고려사항으로 안보 환경과 기술적 환경을 계

층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육군 FCS 구축에 있어서 각 체계별 요구능력을 고

려하기 위해 「육군비전」 및 「지상전 개념서」등을 근간으로 하여 타격·

정보/통신·기동·생존·전투지속능력의 6개 항목으로 요구능력 계층을 설정

하였다. 그리고 미군의 FCS 개별체계와 국과연에서 연구하고 있는 무인전투

체계에서의 개별체계들을 참고로 유인·무인지상·무인공중·병사·지휘통제

체계의 5개 항목으로 개별전투체계 계층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FCS 관련 연구 및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국방과학연

구소의 연구원과 육군 전발단 및 교육사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또한 제한적이지만 설문의 기타의견란을 통해서 FCS 관련 전

문가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존 전력의 단순한 성능개량을 지양하고 미래를 대비한

Page 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ii -

육군의 체계적인 전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한국형 육군 FCS 구축

의 당위성을 피력함과 동시에, 육군의 FCS 구축에 대한 개별 전투체계에 대

한 우선순위를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 있을 육군 FCS 관련사업의 구체적인

마스터플랜 작성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고려사항 계층에서는 기술적 환경이 안보 환경보다 중요도

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FCS라는 미래에 구축할 전투체계가 현 상황

에서 볼 때 기술적인 면에서 제약이 많음을 반증한 결과로 여겨진다. 요구능

력 계층의 중요도를 종합한 결과는 정보통신능력, 타격능력, 기동능력, 생존능

력, 전투지속능력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FCS의 주요한

특성이 네트워크를 통한 시스템복합체계이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육군 FCS 구축의 개별 전투체계 계층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

과는 지휘통제체계, 무인공중체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병사체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군의 FCS 체계개발 로드맵과 비교시 우리 육군은 유인체계

가 우선순위화 된 것이 특징적이다. 이를 분석하자면 우리 육군에서는 유인체

계가 중심이 되고 무인지상체계는 보조적 수단으로써의 운용을 강조 한 것으

로 보이며,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미 육군이 추진하고 있는 FCS 마스

터플랜과 대동소이한 결과이다. 또한, 지휘통제체계에 대한 구축의 우선순위

가 현저히 높은 것은 미래전에서의 시스템복합체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

음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 무인전투체계, 미래병사와 관련된 체계 및 UAV 등의 연구개발이 제

각각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FCS 라는 거시적인 복합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위에서 분석한 결과를 참고로 개별 전

투체계별 중요도를 통한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다 더 체계적이고 부족한 점

을 진단하여 정해진 기간에 성공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FCS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질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 연구

에서는 보다 더 상세한 데이터와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델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키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육군 FCS 구축을 위한 연구 분석 노력이 필

요할 것이다.

Page 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iii -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육군 FCS 구축의 이론적 고찰 ·································7

1. 미래 지상전 개념 ········································································7

2. 육군의 역할과 요구능력 ··························································10

3. FCS의 개념 ················································································14

4. 육군 FCS 구축의 고려요소 ····················································16

제2절 선진국의 FCS 구축 동향 ········································29

1. 미 국 ······················································································30

2. 유 럽 ······················································································35

3. 이스라엘 ······················································································36

제3절 이론적 고찰의 시사점 ···············································37

Page 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iv -

제3장 연구모형의 설정

제1절 AHP 기법 ····································································40

1. AHP 분석의 개요 ·····································································40

2. AHP 기본 전제 ·········································································41

3. AHP 분석절차 ···········································································41

제2절 육군 FCS 구축의 모형구성 ····································44

1. 고려사항 계층 구성 ··································································44

2. 요구능력 계층 구성 ··································································45

3. 개별 전투체계 계층 구성 ························································47

4. 연구모형 ······················································································50

제4장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 분석

제1절 AHP 설문조사 ····························································52

제2절 AHP 조사결과 및 분석 ············································53

1. 고려사항 계층의 중요도 분석 ················································53

2. 요구능력 계층의 중요도 분석 ················································54

제3절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 분석 ··························56

1. 타격능력 ······················································································56

2. 정보통신능력 ··············································································57

3. 기동능력 ······················································································58

4. 생존능력 ······················································································59

5. 전투지속능력 ··············································································60

6. 육군 FCS 구축 우선순위 종합 분석 ····································60

Page 1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v -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3

1. 연구 결과의 요약 ······································································63

2. 연구의 시사점 ············································································6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67

1. 연구의 한계 ················································································67

2. 향후 연구방향 ············································································67

참고문헌 ······················································································69

부 록 ······················································································72

1. 설 문 지 ································································································72

Page 1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vi -

<표 목 차>

<표 2-1> 육군의 미래 지상전 중심개념 ······································9

<표 2-2> 미래의 전투체계 요건 ··················································15

<표 2-3> 한국과 주변국과의 분쟁요인 ······································25

<표 2-4> 미국의 FCS 예상 획득비용 ········································27

<표 2-5> 주요 전력증강사업 지연·축소 현황 ························28

<표 2-6> 추가 첨단전략 확보 소요 ············································29

<표 2-7> 각국의 무인전투체계 발전 현황 ································29

<표 3-1> Saaty 교수가 제시한 이원비교시 중요도 척도 ·····43

<표 3-2> 미 FCS의 기본 요구사항 ············································46

<표 3-3> 미래 한국 육군의 요구능력 ········································46

<표 3-4> 요구능력 분류 종합 ······················································47

<표 4-1> 설문지응답 인원 및 유효응답인원·비율 현황 ······52

<표 4-2> 직급별 분포 현황 ··························································53

<표 4-3> 군 또는 연구관련 분야 근무연수 현황 ····················53

<표 4-4> 고려사항 계층의 중요도 분석표 ································54

<표 4-5> 요구능력 계층 중요도 분석표 ····································54

<표 4-6> 타격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56

<표 4-7> 정보통신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57

<표 4-8> 기동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58

<표 4-9> 생존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59

<표 4-10> 전투지속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60

<표 4-11> 육군 FCS 중요도 종합 분석표 ·······························61

Page 1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vii -

<그림 목차>

<그림 2-1> 한국형 FCS 구축에 관한 기술식별 ······················20

<그림 2-2> 한국과 미국의 국방로봇 자율화 기술 비교 ········21

<그림 2-3> 기술식별에 대한 기술 분류 ····································22

<그림 2-4> 감지센서 연구개발 로드맵 ······································22

<그림 2-5> 미국의 FCS 복합시스템 ··········································32

<그림 2-6> 미국 FCS의 개발 로드맵 ········································34

<그림 3-1> AHP의 기본 계층모형 ·············································42

<그림 3-2> FCS System of systems ·····································48

<그림 3-3> 국과연 체계개발 로드맵 ··········································49

<그림 3-4> 육군 FCS 구축 계층 모형 ······································51

<그림 4-1> 요구능력 계층 중요도 도표 ····································55

<그림 4-2>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 도표 ··························62

Page 1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미래를 대비하여 현 전력체계를 증강시키는 것은 장기적인 차원에서 추진하

지 않으면 일관성과 효율성을 보장받기 어렵다. 하지만 미래의 불확실성에

있어서 사전에 타당한 대비책을 결정하여 추진해 나간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

만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예측하고 미리 준비해야 하는 이유는

이순신 장군이 왜침에 대비하여 거북선을 앞세운 획기적인 전력체계를 개발

해서 나라를 구한 것과 같다. 이에 우리 군은“국방개혁 2020”이라는 큰 변

혁의 틀을 만들어 병력위주에서 첨단기술 장비위주로 변모하고자 한다. 현재

병력위주의 중심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육군은 가장 큰 변혁의 대상이다.1)

이에 육군은「육군비전」을 발간하여‘어떻게 싸울 것인가’와 미래전을‘어

떻게 대비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개념들을 발전시키고, 그러한 개념에 근거

하여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소요를 도출함으로써‘비전(Vision)→개념

(Concept)→소요(Requirements)’를 체계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방개혁을 통해 2020년까지의 중·장기적 차원의 준비를 하고 있

다. 하지만, 이보다 앞선 2020년 이후의 초장기적 차원의 준비에 관해서는

첨단기술을 위시한 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에 비교하여 다소 부진하다. 즉 현재

연구개발 중인 무기체계들이 미래전에도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

1) 2005년 말에 정립된 국방개혁에서는 육군이 2005년 550,000명의 인원을

2020년에는 371,000명으로 감축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감소는 부분적으

로 한국인의 출산율 감소에 기인하는데, 출산율 감소는 한국군에 대한 가용자원을

감소시키고 있다.

Page 1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 -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전의 양상으로 발전될 미래전의 관점에서 볼 때 동시·

통합전의 준비는 되어 있는가? 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에 육군은

2030년을 목표연도로 설정하고, 또한 이 시기의 미래 전장의 양상을 파악하

고, 이에 필요한 미래전투체계의 개발 및 발전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 육군의 현주소를 직시하여 '08년 9월 초 국방장관은 미래전투체계

관련 개념 구체화2)를 지시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할 것으로 판단

된다.

이러한 미래전투체계의 주안은 정보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센서 등 첨단 과

학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차기 전투발전 개념의 연

장선으로어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진행된 이라크전을 고찰한 결과 미래전 양

상에서 공통으로 제시되는 항목들로서 물리적 전장의 확대, 전장의 네트워크

화, 정보전 및 사이버전의 확대, 정 타격체계 발달로 인한 핵심기능 집중타

격, 인간중시 개념의 확산에 따른 비살상전의 확대, 그리고 무인 무기체계의

등장에 따른 전장의 무인화 성향 등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이라크전 뿐만

아니라 미래에 예상되는 한반도 전략 환경의 역동적 변화와 급격한 군사과학

기술의 발전은 우리 군으로 하여금 다양한 안보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쟁수행 개념의 발전과 이를 토대로 한 합리적인 군사력 건설을 요구

하고 있다. 특히 미래의 불연속 및 비선형의 분산된 전장에서 활동하는 부대,

병사, 플랫폼, 감시자산, 타격체계 등은 고도의 분산을 유지하면서 안전성·신

뢰성·지속성을 갖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장상황 인식을 공유하고, 전력운용

의 동시성을 달성하며 군사적 행위를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위에 합동전력은 각 군간 물리적으로 균형된 발전이 관건이 아

니라 유기적 연계와 임무에 중심을 둔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합동전력 발전의 중심에 있는 육군 전력의 중요성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2) 장관 지시/강조사항(08-81차), 2008. 9. 8. ADD 국방과제 토의시

Page 1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 -

2. 연구목적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국방 선진국들은 미래전장 환경에 대한 새로운 전

력으로 무인전투체계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무인전투체

계가 단지 무기체계 중의 하나로써 접목되고 있는 개념이다. 이에 미국은 미

래전투체계(Future Combat System, 이하 : FCS)라는 유·무인전투체계와

병사체계를 아울러서 네트워크화한 통합된 신개념의 전투체계를 구축하고 미

래 부대구조 발전의 토대를 마련해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국방개혁의 가장 큰 변혁의 대상인 우리 육군이 단순히 무인전투체계에 대한

개발과 도입 수준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미래전의 양상에 부합된 유인, 무인

전투체계가 네트워크화 되어 통합 전투수행이 가능한 전투체계로의 발전이

요구된다.

동북아 역내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자원이 부족한 우리의 입장에서는 경제

적 이득과 함께 첨단화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FCS는 효과성이 매우 높은

전투체계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IT분야에서 세계 선두그룹에 속해

있으며,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술력과 미래전장 환경을

대비해 본다면 미래전투체계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시스템이라 생각된다.

21세기의 전쟁발전 단계를 살펴보면, 종전의 플랫폼(Platform)중심의 전쟁

에서 네트워크중심 전쟁으로, 접적·선형·근거리전투에서 비적접·비선형·

원거리 전투로, 일련의 순차적 연속작전에서 동시 통합작전으로, 물리적 파괴

중심의 소모전쟁에서 효과기반(Effect Based)의 마비전쟁으로, 그리고 적의

영토를 축차적으로 점령한 다음 중심(重心)을 장악 및 지배하는 전쟁수행 방

식에서 적의 전략적·작전적·전술적 중심을 동시·병행 공격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군의 조직도 소형화되고, 분산, 모듈화, 네트워크

화 되고 있으며, 첨단 군사과학의 발달로 전쟁도 최소한의 희생으로 최단 시

간 내에 스마트하게 승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3) 이 때문에 오늘날

3) 권태영, “21세기 정보사회와 전쟁양상의 변화,”「21세기 군사혁신과 한국의

국방비전」(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1998), p.43

Page 1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 -

세계 각국은 자국의 능력과 상황에 적합한 방법으로 미래전을 대비한 FCS를

구축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정부는 2005년 9월

에 새로운 국방목표를 설정하고“국방개혁 2020”을 발표하여 병력을 감축

하는 대신 첨단장비로 전력공백을 보완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 구축하

고 있는 FCS 구축 노력에 비교하면 아직 부족한 면이 많다. 이에 병력위주에

서 첨단과학기술군으로의 가장 큰 폭의 개혁을 단행하는 육군의 발전방향에

귀추가 주목된다. 아직 우리 군에 있어 FCS에 대한 인식과 준비가 미흡한 가

운데 그나마 무인 로봇을 활용한 무인전투체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 국방장관이 지시한 FCS 관련 연구와 함

께 정책적인 검토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현존 전력의 단순한 성능개량을 지양하고 미래

를 대비한 육군의 체계적인 전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한국형 육군

FCS 구축의 당위성을 피력하고자 한다.

둘째, FCS 관련 전문가의 판단을 통한 AHP 분석 방법론을 통해서 육군의

FCS 구축에 대한 개별 전투체계의 우선순위를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 있을

육군 FCS 관련사업의 구체적인 마스터플랜 작성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논문의 연구범위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범위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간적 범위는 국방개혁의 최첨단에 있는 우리 육군의 미래전을 대비

한 육군 미래전투체계로 규정하여, 이를 위한 개별 전투체계는 육군 각 병과

적 차원의 FCS 구축이 아니라 합동성에 기반한 통합적 차원의 육군 FCS(유

인체계, 무인비행체계, 무인지상체계, 지휘통제체계, 병사체계)로 한정해서 분

Page 1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 -

석했다. 그리고 시간적 범위는 미국의 이라크전 이후로부터 변화된 전쟁양상

을 반영하고‘국방개혁 2020’의 연장선상에서 우리 육군 FCS가 구축될

것으로 판단하여 2030년까지로 한다.

본 연구의 장절편성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서론으로써 연구의 배경과 목젹,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

하여 기술하였다.

제2장은 육군 FCS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로써 미래 지상전의 개념, 미래

우리 육군의 역할과 요구되는 능력, FCS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그리고 선

진국 추진하고 있는 FCS 구축에 대한 동향은 어떠한지를, 우리 육군이 FCS

를 구축함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통한 시

사점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AHP 기법을 이용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AHP에 이론

적 설명과 육군 FCS 구축을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제4장에서는 AHP 설문조사와 이를 통해 연구모형에 대한 중요도와 종합적

인 우선순위(서열척도)를 분석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주로 기존연구 자료의 수집에 의한 문헌위주의 기술적 연

구와 계층분석기법(AHP)을 이용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로는 미래전 양상과 수행개념, 육군의 역할 및 요구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 「육군비전」, 「지상전 개념서」와 「미래 지상작전 및 전

투발전」 등의 개념서를 참고하였으며, FCS의 개념, 선진국의 FCS 구축 동

향은 주로 미 RAND 연구소 및 육군 교육사의 해외군사자료수집 정보를 참

고했고, FCS 구축을 위한 기술적 환경에 대해서는 국방과학연구소 및 군사전

Page 1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 -

략문제연구소를 비롯한 국·내외 저자들의 논문과 간행물을 참고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조사는 국방과학연구소의 연구원과 육군 전투발

전단과 육군 교육사 전투발전처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여 FCS와 관련하

여 개념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는 Excel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시 직접방문을 통한 의견수렴을 통해서 전문가 및 실무관계

자들로부터 관련 연구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자문을 받을 수 있었다.

Page 1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 -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육군 FCS 구축의 이론적 고찰

1. 미래 지상전 개념

가. 미래전의 패러다임 변화

노훈(2007)의 연구4)에서 보면 최근에 발발했던 전쟁인 걸프전, 코소보전,

아프간전, 이라크전은 미래전이 어떻게 전개되어 나갈 것인가 하는 단초를 제

공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이라크 간에 12년 간격으로 벌어진 걸프전과 이라

크전을 비교해보면 그 변화 방향을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이는 대

략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투입 전력 규모의 감소이다. 미군은 걸프전시 50만 명에서 이라크전

에는 30만 명으로 투입병력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라크군도 150만 명에서

35만 명으로 감소하였다. 폭탄의 투하량 면에서도 이라크전은 걸프전에 비해

33만 톤에서 22만 톤으로 감소한 반면, 정 유도무기 비율은 7.8%에서

68%로 증가하였고, 정보 및 탐색자산은 걸프전대비 4배로 증가하였다.

둘째, 물리적 전장공간의 범위 확대이다. 걸프전 이후 우주에 대한 의존성

이 증대되었고 사이버 공간이 새로운 전장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미

지상군은 이라크전시 위성기반의 디지털 정보체계에 더욱 의존하였고, GPS체

계는 기동 및 타격수단을 포함한 모든 장비의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이는 컴

퓨터 주파수대역을 걸프전 대비 28배나 증가시켰고, 한편으로 전쟁기간 중

벌어진 해커전은 미래 새로운 전장공간으로서 정보전의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4) 노훈, “2020년 이후 지상전 개념 및 전투발전 연구,”「지상군 미래전력 창출

구상」, (서울 :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2007), p. 21-22.

Page 2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 -

하였다. 아울러 지리적 거리에 대한 의미도 많이 변화되었다. 전략폭격기는

미 본토에서 직접 출격하였고, 전술기도 공중급유기를 이용하여 원거리 작전

임무를 수행하였다. 부대전개기간 역시 걸프전시 7개월이 소요되었으나 이라

크전시는 3개월로 단축되었다.

셋째, 전쟁 수행 및 작전 속도의 신속화 추세이다. 첨단 네트워크 전력의

위력이 신장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적탐지-정 타격의 사이클이 걸프전시 수

일-수시간에서 이라크전시는 수시간-수분대로 획기적으로 단축되었다. 지상

군 기동속도는 걸프전시 40Km 수준에서 이라크전시는 80Km 수준으로 배가

되었고, 걸프전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체계 간 또는 부대 간 상호연동,

동기화(synchronicity) 능력이 이라크전시 많은 향상을 보였다. 네트워크화

에 따른 속도의 충격 및 마비효과 창출로 물리적 대량파괴 및 대량살상 없이,

43일이 걸렸던 걸프전에 비해 이라크전은 27일이라는 단 기간에 스마트한

전승을 성취할 수 있었다.

넷째, 전장 가시화의 향상이다. 적 탐지능력은 걸프전시 15%에서 이라크전

시는 70%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우군 오인 사격율이 걸프전시 18%에서 이

라크전시는 14%로 감소하였고, 무인기 및 정찰기를 비롯한 다양한 ISR5)자

산과 C4I체계의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다섯째, 신종특수무기의 발전이다. 지상로봇체계는 비록 실험목적으로 전장

에 투입된 수준이지만 무인정찰 및 공격기와 더불어 미래 전투방식을 변혁시

킬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시켜 주었다. 아울러 e-Bomb 및 탄소섬유탄 등과

같은 비살상무기도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렇듯 미래전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가운데 우리 육군도 이에 상응하는

전투체계로의 발전을 꾀하는 움직임이 요구되며, 현재는 이러한 모습이“국방

개혁 2020”을 통해 1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 보고 이보다 앞선 2020년

이후에 대한 준비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5) ISR은 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의 약어로 정보, 감시 정찰

을 의미한다.

Page 2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9 -

나. 미래 지상전 수행개념

앞에서 살펴본 변화되는 미래전의 양상을 통해‘우리 육군은 어떻게 미래전

을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과 함께 이에 해당하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에 육군은 미래 지상전 수행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명시하였다.

미래 지상전 수행개념6)은 다점·다정면 동시 공세적 기동전으로 다차원으

로 확대된 전장공간에서 적의 전략적 및 작전적 중심을 식별하고 공세적인 작

전수행개념과 군사적 태세를 기초로 하여 가용 전투력을 동시·통합하여 여러

지점 및 방향에서 타격 및 기동한다는 방식이다. 이로써 적의 전투의지를 조

기에 효과적으로 박탈하고 전쟁을 최단 시간 내 종결시키는 것이다.

<표 2-1> 육군의 미래 지상전 중심개념

인간중심의 전투·핵심요원에 대한 공격/방호·비살상전(피아간 인명피해 최소화)·심리전

전공간·다차원

동시·통합전투

·전투공간의 확대 (기동력/화력/지휘통제범위 확대)·사이버 공간의 활용·정보우위의 확보·동시·통합작전 강화

전략적·작전적

중심의 집중타격

·적 중심에 대한 타격·우군 중심에 대한 방호·효과중심 작전(정 타격/탐지회피 능력 발전)·비대칭전

正·奇 배합의 기동전

·입체고속 기동전(입체기동/기동지원수단 발전)·비선형전 ·분권화 대응

출처 : 육군본부,「미래 지상작전 및 전투발전」(2004), pp.28-52 요약

<표 2-1>에서와 같이 미래전에서 육군은 모든 전투원들의 역량에 높은 가

치를 둔 인간 중심적이며, 지상뿐만 아니라 공중 및 사이버 공간까지 포함한

동시·통합전투를 진행하며, 적의 결정적 중심을 타격하는데 전력을 집중하고,

6) 육군본부, 「미래 지상작전 및 전투발전」, 2004, p.28

Page 2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0 -

정공법7)과 기공법8)을 조화시키는 기동전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상전 수행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작전수행의 주체인 인원의 손실

을 최소화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인장비, 무인장비

그리고 운용자인 인간이 전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전투임무를 수행하는 시스

템복합체계인 FCS가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군사용 무인

장비가 인간을 대신해서 치열한 전장 속으로 신속히 전개하여 작전에 투입된

다면, 전투원의 생존성 및 전투지속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무인장비의 전투

제한 및 사각지대에서는 첨단장비로 무장한 유인체계에 의한 작전수행의 융통

성과 전투효율이 획기적으로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육군 비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래 지상전 개념을 살펴보면 군사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장을 가시화하고 전투력 운용의 시·공간적 제약 요소

극복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쟁수행 양상이 전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네트

워크 중심으로 변화되고, 미래 지상군의 전투수행개념은 첨단화된 감시-결심

-타격체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가용 전투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동시·통

합 운용함으로써 전투력 발휘를 극대화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동시·통합전을

발전시켜 합동작전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2. 육군의 역할과 요구능력

성공적으로 육군 FCS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육군의 역할과 요구하는 능력

이 무엇인지 알고 이를 토대로 구축해야할 것이다. 이에 미래 육군의 모습을

상정하여 2008년 4월에 발간한 「육군비전」과 이를 근거로 미래 작전환경

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육군이“어떻게 싸울 것인가?”와

“무엇을 대비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한 문서인「지상전개념

서」를 통해서 육군의 역할과 요구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7) 정공법(正攻法)은 정상적인 상식에 의한 공격방법을 뜻한다.

8) 기공법(奇功法)은 특이한 술수에 의한 공격방법을 뜻한다.

Page 2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1 -

가. 육군의 역할9)

「지상전개념서」에 의하면 육군의 역할은 다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전쟁억제에 주도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육군은 국경선이나 분쟁지역

의 최첨단에 위치하여 군사적 활동을 통해 우리의 능력과 의지를 과시함으로

써 적의 도발의지를 분쇄하여 전쟁억제에 주도적으로 기여한다.

둘째, 국지전의 조기 종결 및 확전을 방지한다. 육군은 제한된 특정지역에

서 무력 도발시 확전방지를 위해 분쟁지역을 한정하고, 현장에서 작전을 종결

하여 원상을 회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셋째, 전쟁종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전례에서 볼 수 있듯이

정 타격으로 핵심시설을 파괴하고 주도권을 장악하였더라도 적의 의지를 완

전히 분쇄하여 전쟁을 종결하는 전력은 지상군이었다. 특히 한반도의 산악지

형을 고려시 적과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적을 격멸, 전쟁을 종결하는 것은 지

상군만이 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이다.

넷째, 국내 안정화 작전과 국외 평화작전의 주역이다. 육군은 국가질서 회

복, 치안유지, 국가적 재해·재난 등을 포함한 전투 전·중·후 안정화 작전

과 국경방어를 책임진다. 또한 세계평화와 국익보호를 위한 국외에서의 평화

작전시 현장에서 장기간 주둔하면서 주민과 직접 접촉하여 실시하는 작전은

육군만이 가능하다.

다섯째, 국가 전쟁지속능력 창출 및 보장이다. 전시 전방 전투력의 지속적

지원을 위하여 병력 및 물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미래지향적 관점에서는 평시 군사력 운영은 경제성을 추구함이 당연하고, 전

시에는 인적·물적 자원에 대하여 동원전력의 신속한 전력화가 전쟁 승패에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동원전력의 대부분을 육군전력이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 역시 육군의 역할로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전쟁지속능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병참선을 보호하여야 한다. 병참선 보호가 특별히 중요한 이

유는 한국의 주요 항구가 남해안에 위치해 있고, 또한 주요 장비의 정비를 담

당하는 시설들이 동남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병참선이 신정되어 있기 때문이

9) 육군본부, 「지상전개념서」, (2008), pp.33-36. 요약 재구성.

Page 2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2 -

다. 따라서 450㎞ 이상의 병참선 보호는 전쟁지속능력 보장을 위하여 필수적

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며, 이것 역시 육군의 핵심적 역할이다. 특히 우리의 지

형은 터널과 교량이 산재해있고 산악지역이 많은 관계로 적의 항공타격이나

특수부대에 취약점이 많으며, 미래 전투가 전선의 비선형화 추세로 발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병참선 보호는 더욱 중요하면서도 복잡한 역할로 인식되

고 있다. 따라서 전시 국가의 전쟁지속능력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보장하는

것은 전쟁 수행 및 승패를 좌우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로 작용한다.

나. 육군의 요구능력10)

다음은 미래전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능력을 전장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 정보우위의 확보 및 유지능력이다. 미래전에서 상대적 정보우

위를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능력은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

를 위한 주요수단은 UAV, 무인지상센서, 감시정찰로봇 등 무인체계와 적지

종심에서 작전을 실시하는 적지종심부대 등이 될 것이다. 또한 미래 육군의

작전 영역은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어떠한 형태의 작전임무를 부여

받더라도 전장에 관한 지형 및 기상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적시에 적절한 형

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제대별 C4I 체계와 연

동하여 관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변화무쌍한 전장상황에 신속 정확하게 대

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전투력의 동시·통합 능력이다.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미래 전장

에서는 전 전투요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다. 이는 적

절한 전투력의 발휘와 생존성 보장을 위하여 전투요소가 공간상으로 분산화

된 상황에서도 동시·통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미래

전은 육군이나 해군, 공군의 단독 작전이 아닌 합동작전의 형태로 진행될 것

이며, 따라서 이러한 환경 하에서 작전하는 육군은 해·공군이 지원하는 전투

10) 황치복, “한국군 지상군 미래전투체계(FCS) 구상.”「지상군 미래전력 창출

구상」, (서울 :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2007), pp. 188-196.

Page 2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3 -

력을 임무와 상황에 부합하도록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여야 한다.

셋째, 효과위주의 정 타격능력이다. 미래전은 적 핵심표적에 대하여 효과

적으로 정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적이 가진 타격체계의

사거리 밖에서 적의 핵심표적을 정 하게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정 타격능

력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육군에게 요구되는 정 타격능력은 전장

의 가시화와 정 타격수단, 그리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발휘할 수 있다. 주요 타격체계는 유인전투체계와 공격능력을 가진 무인기,

비가시선 발사체계, 로봇체계 중 공격능력을 가진 로봇 등이 될 수 있다. 타

격체계의 운용은 모든 가용한 화력자산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표적의 성질

과 타격요망효과, 가용한 화력자산 등을 고려하여 지정하고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각종 무기체계는 다양한 종류의 지능형 탄약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

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넷째, 결정적 기동능력이다. 미래전에서 적의 중심과 취약점으로 신속하게

기동하여 결정적인 작전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은 바로 기동성에 달려있다.

이러한 기동성 향상을 위해서는 주요 무기체계를 자주화함으로써 기동수단의

지원소요를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현재의 주요 무기체계보다 훨씬 우수한 도

로 및 야지횡단 능력과 장애물 극복능력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군이

상대적으로 우세한 기동성을 갖기 위해서는 적의 기동능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비가시선 발사체계와 지상무인센서, 그리고 무인공격지능지뢰

등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운용함으로써 적 부대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봉쇄

하며 주요부대에 대하여 효과적인 전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효과적 방호능력이다. 방호는 적의 위협으로부터 아군의 전투력을

보존함으로써 조직전인 전투력의 발휘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능력이다.

이를 위해 적 위협에 대한 조기탐지를 위해서 전장가시화는 반드시 필요하며,

적 공격징후를 탐지하고 이를 전 전투요소에 조기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조기경보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적의 위협을 사전에 제거하는 적극적인 방

호는 가장 효과적인 방호대책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장거리 정 타격수단을

이용, 제거 가능하다. 적의 공중공격 능력은 직접적인 위협이 될 것이며, 다층

Page 2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4 -

적인 방공작전을 위하여 상급부대의 정보와 무인비행체계를 활용하여 적의

공격을 탐지하고 비가시선 발사체계의 대공유도무기를 활용하여 적의 공중공

격을 무력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미래에도 화생방 등 대량살상무

기로부터의 위협은 계속될 것이며, 이를 위해 무인체계를 이용한 탐지 및 감

시정찰과 병행하여 지휘통제체계를 통한 실시간 전파가 가능해야 한다. 그리

고 병사체계에 있어서 제독 능력의 확보와 방호를 위한 수단은 필수적이다.

여섯째는 능률적 지원능력이다. 능률적인 전투근무지원 능력은 부대의 지속

적인 전투력 발휘를 보장한다. 미래에는 전 부대의 자산이 가시화되고 이를

통한 부대의 소요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전투부대가 소요요청 전에 필요한

시간과 장소에 적량의 전투근무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기동화 된 전투부대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위한 전투근무지원

부대의 기동성도 전투부대와 동일한 수준으로 발전되어야 하며, 이는 장갑화

와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모듈단위 정비교체가 가능토록하고, 인원에

대한 피해가 발생했을 때는 즉각적인 지원이 가능토록 장갑화 된 의무지원차

량에서 소규모 이동병원 개념의 제한된 외과수술 능력을 보유토록 설계될 것

이다.

3. FCS의 개념

가. FCS의 정의

미래전투체계(FCS)란 유·무인, 공중, 지상 체계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첨단 훈련모델을 이용하여 자체적

으로 훈련 및 군수지원이 가능하여야 하고, 동시에 강력한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전투체계를 의미한다.11)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미래전은

먼저 보고 먼저 결심하고 먼저 타격해야만 전쟁에서 승리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미래 전장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센서체계와 지휘통제체계 그리고 타

11) 상게서, p. 125.

Page 2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5 -

행 위 체 계 내 용

선견

(先見)

센서

체계

레이다, 레이저 등을 이용한 다양한 센서들을 차량·군함

등 지상 및 해상 플랫폼과 유무인 항공기 등 공중 플랫폼,

위성 등 우주 플랫폼들을 활용하여 다층화·다양화

선결

(先決)

지휘

통제

체계

지역과 공간에 무관하게 산재되어 있는 다층화·다양화

된 플랫폼에 탑재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정보들을 네트워

크를 이용하여 실 시간적으로 수집 및 분석

선격

(先擊)

타격

체계

지역과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타격체계들과 센서체계 그리고 지휘통제체계들이 네트워크

로 연결되어 위협정보 및 지휘통제 신호들을 적시에 제공

격체계들이 네트워크로 통합되어 효과중심의 동시·통합전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에 해당하는 미래의 전투체계가 뒷받침 되어야 함은

자명하며, 아래 <표 2-2>를 통해서 보다 상세히 그 요건을 알아 볼 수 있다.

<표 2-2> 미래의 전투체계 요건

또한, 우리가 개발하고자 하는 육군 FCS가 추구하는 개념은 개별체계 각각

의 성능만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체계 속에서 각 체계의 성능발휘의

보장이다. 즉, 개별 체계의 고유 성능을 최상으로 보장한 가운데 주변 체계와

연동 및 네트워킹으로 FCS 개념에 적합한 체계를 개발하여서 국방예산의 낭

비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 육군 FCS의 필요성

냉전시대와 같이 확실한 적(위협)이 없어지고,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각

종 불확실한 국지 분쟁에 수시로 개입해야 하는 미국으로서는 분쟁지역에 적

절한 규모의 전투력을 신속히 투입하여 독자적으로 일정기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입장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기존 중무장 사단은 너무 무

겁고 경보병 부대는 전투력이나 작전지속능력이 문제가 되었다. 이를 해결하

기 위해서 미 육군은 새로운 개념의 전투체계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으

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FCS가 탄생되었으며, 보다 발전적으로

Page 2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6 -

현존 위협은 물론 2025년 이후의 위협에도 대처할 수 있는 체계로 구축 중

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육군의 경우, 현재 직접 주적인 북한과의 대치로 인해 미 육군

의 범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 분쟁에 운송수단을 이용한 신속전개에 대한 필

요성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나, 앞으로의 안보적 상황이 북한의 직접적

인 위협뿐만이 아니라 동북아 지역의 자국 영향력 확대를 위해 영토 및 자원

에 대한 분쟁의 소지와 국내의 다양한 유형의 테러와 범죄 및 폭력 등의 비

군사적 위협을 포함한 잠재적 위협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미래전은 네트워크

중심의 시간이 전장을 지배하는 양상으로 변모하고 있어 육군의 입장에서

FCS는 앞으로의 도전적 과제이자 그 해결책이 아닐 수 없다.

4. 육군 FCS 구축의 고려요소

위에서 고찰한 미래전을 대비하여 육군 FCS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려해

야할 요소들이 무수히 많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가지로 우

리의 기술적 환경, 안보적 환경 그리고 경제적 환경을 토대로 하였다.

가. 기술적 환경

FCS 구축에 대한 의지가 아무리 대단하여도 기술적 수준이 뒷받침되지 못

한다면 독자적인 개발은 불가하다. 따라서 미 육군 FCS의 개별 전투체계와

비교한 우리의 현 기술적 수준에서의 개발 가능성을 먼저 살펴보고, 현재 추

진 중인 우리의 무인전투체계를 통해 FCS 구축에 대한 가능성을 연계해 살

펴보도록 하겠다.

(1) 미 육군의 FCS와 비교한 우리의 기술적 수준

먼저, 미국이 개발하고 있는 FCS를 중심으로 황치복(2007)의 연구12)를

12) 황치복, 전게서, p. 161-165

Page 2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7 -

통해 우리의 기술적 개발 가능성을 분석해 보겠으며, 우리의 전력구축 시점을

“국방개혁 2020”이 끝나는 2025년 이후인 점을 감안하여 현시점에서는

다소 미흡하지만 앞으로 15년 정도의 짧지 않는 기간 동안 기술 습득이 가능

한 점을 충분히 예상하여 분석하였다.

유인체계는 보병전투차량, 지휘통제차량, 감시정찰차량, 전차, 자주 곡사포,

박격포차량, 구난정비차량, 의무지원차량 등 8종이다. 이들은 대체로 공통된

차체를 기본으로 사용하면서 동일한 기동속도와 동일한 항속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우리도 이와 유사한 체계들은 이미 개발해 본 경험

을 가지고 있다. 유인 플랫폼과 화기는 이미 개발을 완료하여 야전에 운용 중

인 자주 곡사포, 현재 전력화 예정인 차기 전차 및 장갑차 등이다. 지휘통제

및 통신은 육·해·공군의 C4I체계, 센서네트워크체계, 그리고 조만간 착수

예정인 군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및 전술데이터링크(TDL) 사업을 통해

기술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유인체계 자체 방호를 위한 능동

방호기술은 차기전차 개발 과제에 포함되어 있어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

도 수준의 체계 및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미국에서도 현재 문제

가 되고 있는 소형 경량화기술과 생존성향상 기술은 우리에게도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나 우리 군은 미국과 원거리 원정을 위한 목적이 아니므로 소

형 경량화와 생존성 향상은 절충 가능한 부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

서 유인체계는 일부 제한되는 기술 분야가 있으나 플랫폼, 화기, 그리고 센서

및 지휘통제 네트워크 등 필요한 체계는 개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비행체계는 소대형(Class Ⅰ), 중대형(Class Ⅱ), 대대형(Class Ⅲ), 여

단형(Class Ⅳ) 4종을 미국이 개발하고 있다. 주요 임무는 감시 정찰, 상황인

식, 화생방 탐지, 표적지시, 통신 중계, 전자전 공격 등 다양하다. 플랫폼에

대한 우리의 개발 경험을 살펴보면, 군단급 군용 및 소형 상용 UAV, T-50

고등훈련기 및 한국형 헬기사업(KHP)을 추진하였거나 현재 추진 중에 있다.

플랫폼보다 중요한 것은 각종 센서체계와 지능화체계이다. 이 부분은 현재까

지 항공기용 네비게이션 및 통합전자전체계를 통하여 부분적인 기술은 확보

하고 있으나 미국이 추구하고 있는 수준에는 다소 제한되므로 빠른 시간 내

Page 3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8 -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무인비행체계 4종은 일부 센서

및 지능화 분야에서 기술이 제한되나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필요한 기술을

확보한다면 체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미국도 중대급과 대

대급에 대한 UAV 군 요구조건을 세부적으로 정하지 못하여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우리도 군 운용개념을 정확하게 정립하는 것이 관련 기술

확보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무인지상체계는 비가시선 발사체계, 무인공격 지능지뢰, 지상센서 등 3종을

미국이 개발하고 있다. 비가시선 발사체계는 미래전투체계 중에서 가장 혁신

적인 무기체계이다. 발사탄은 적 부대나 특정 표적을 정 타격하는 정 공격

탄과 적 지역 상공에서 순항비행하면서 공격 가능한 표적을 찾아 공격하는

순항비행탄이 있다. 체계의 운용 방법은 수송기나 헬기로 적 종심지역에 투하

하여 이동하는 적 병력이나 차량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이를 원거리에서 공격

하는 방법과 우군 지역에서 운용자가 직접 지상표적이나 공중 저공 표적에

대하여 공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비가시선 발사체계는 기존의 단거리

화포에만 의존하였던 화력을 장사정화·정 화하여 지휘관의 화력운용 폭을

대폭 확대한 획기적인 변화이다. 무인공격 지능지뢰는 부대 방호나 경계 제공

등 병력의 절약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상황을 인지하여 공통 상황도에 자

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상 센서는 적을 탐지, 식별, 조기 경보용, 그리고

도시 및 지하작전에서 경계, 조기경보 및 징후 탐색을 위한 도시작전용이 있

다. 유사한 체계의 개발 경험을 살펴보면, 비가시선 발사체계 개발 기술은 함

정용 수직발사체계와 다련장 개발을 통해, 무인공격 지능지뢰 개발 기술은 지

능형 탄약 개발을, 그리고 무인지상센서 개발 기술은 항공기용 통합전자전체

계와 로봇 센서 개발을 통해 부분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나 지능화 자동화 센

서 기술과 생존성 향상 기술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장기간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을 고려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체계 개발기술은 확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된다.

로봇체계에는 장갑형 로봇차량, 병사용 감시정찰로봇, 그리고 다목적 로봇차

량이 있다. 장갑형 로봇차량에는 정찰감시 표적획득용과 돌격용이 있으며 다

Page 3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19 -

목적 로봇차량에는 공격용, 지뢰제거용, 그리고 수송용이 있다. 장갑형 로봇차

량은 정찰/감시, 사격지시, 전장피해평가, 통신 중계 등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공용 유도무기를 장착하고 있어 적의 주력전차도 파괴할 수 있다. 병사용 감

시정찰로봇은 지상 및 지하의 감시 정찰, 터널과 하수도의 감시 및 지뢰와 부

비츄렙 탐지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다목적 로봇차량은 하차 보병의

화력지원, 지뢰 제거, 장비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체계는 고도의 지능화 자율화된 체계이며 다양한 고성능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과연과 전자통신연구소가 주관하여 견마형 로봇

을 개발하고 있으나 이는 원격 제어하여 단순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초보적

수준의 로봇으로 자율화된 주행과 합동으로 운용할 수 있는 요구 수준에는 거

리가 멀다. 따라서 로봇체계는 각 종 K계열 지상용 차량, 장갑차 및 항공기

등을 개발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능화·자율화 체계 및 고성능 센서

관련 기술은 부족한 실정으로 이들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병사체계는 개인화기, 네트워크 통신, 공용 작전 상황도, 그리고 방호체계로

나누어진다. 병사체계는 현재 소요는 반영되어 있으나 아직 사업화는 되지 못

한 실정이다. 추진계획은 단계적 추진을 위해 현 수준에서 추진할 수 있는 수

준을 Level-1, 이를 순차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Level-2, Level-3로 발전

시켜 나가는 개념이다.「국방개혁 2020」에 차기 단일형/복합형 소총을 비롯

한 Level-3 병사체계가 반영되어 있다. 개발 가능성을 분석해 보면, 개인화

기는 차기 소총을 이미 개발 완료단계에 있다.

네트워크체계는 상용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군용 TICN,

무선 LAN 등을 개발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공용 작전 상황도는 군용

및 상용의 안경용 전시기 기술을, 그리고 방호체계는 화생방 보호의 개발 기

술과 방탄용 소재 개발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한국 육군 FCS 구축에 관한 기술적 환경

현재 육군과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복합전력체계에 대한 발전방향을

Page 3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0 -

검토하고 있다. 이는 아래 <그림 2-1>을 통해서 구체적인 기술식별에 관한

연구가 이미 2006년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림 2-1> 한국형 FCS 구축에 관한 기술식별13)

국방 무인지상 로봇의 경우 현재 군은 연구개발쪽으로 획득방법의 방향을

잡고 있다. 이미 국방부는 지난 2003년‘지능형 감시·경계용 로봇’개발에

산자부와 함께 민군겸용기술과제로 개발에 참여하여 현재 완성단계에 있으며

곧 시험평가를 앞두고 있다. 그리고 산자부와 함께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네트워크 기반 다목적 견마로봇’을 개발하기로 했으며 국방과학연구소는

무인차량인 XAV를 개발 중이다. 무기체계 개발을 시작하는 작업도 중요하지

만 개발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키는 작업도 매우 중요하다. 국방 무인지상 로봇

의 연구개발 사업은 당장 5년이나 10년을 보고 하는 사업이 아닌 20~30년

13) 국방과학연구소, “국방로봇 추진계획,”(2006) p. 37.

Page 3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1 -

후의 우리 군의 미래전력을 건설하는데 핵심 요소가 된다. 우리 군이 미래

‘자주국방’을 위해서는 미래전력의 핵심인 국방로봇을 연구개발을 통하여

획득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앞서 제시한 해외도입과는 차별화된

성능과 국산화 기술의 확보로 무장을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야 할 것이

다.14) 아래의 <그림 2-2>에서와 같이 미국과 우리나라의 국방로봇에 대한

자율화에 대한 기술을 비교 분석해 보면, 2006년 기준으로는 미국은 6단계

우리는 3단계로 8~10년 정도의 기술적 수준의 차이가 나지만, 2015년경에

는 미국은 7단계, 우리는 6단계로 기술적 수준의 차이를 4~5년 정도로 좁힐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2> 한국과 미국의 국방로봇 자율화 기술 비교15)

또한 국과연은 식별한 기술에 대하여 각 핵심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분류를 다음의 <그림 2-3>과 같이 하였다.

14) 최근하, “미래전투체계 획득전략 및 대응방향,”(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2007), pp. 52-55. 요약 재구성.

15) 국방과학연구소, 전게서, p. 10.

Page 3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2 -

<그림 2-3> 기술식별에 대한 기술 분류16)

아래 <그림 2-4>는 분류된 핵심기술 중 감지센서에 관한 연구개발 로드맵이다.

<그림 2-4> 감지센서 연구개발 로드맵17)

16) 상게서, p. 43.

17) 상게서, p. 45.

Page 3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3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 육군이 구축 중인 FCS의 개별 전투체계별로

우리의 체계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또 우리의 현재 무인전투체계에 대한 진

행 중인 노력을 볼 때, 기술적 수준이 가히 불가능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장래를 내다볼 때, 연구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이 미래를 선도할 수 있

으리라 본다.

나. 안보환경의 변화

냉전종식 이후 국가 간 전면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었으나 테러, 국

제조직범죄, 대량 살상무기 확산, 자연재난 등 초국가적이고 비군사적인 요소

가 국가 안보와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은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국제협력을 추구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북한이라는 직접적 위협에 처해있으며, 또한 미래 지상전

개념을 발전시킬 때 중요한 고려요소로서 동북아 주변국간 경쟁관계 심화와

이에 따른 군사적 긴장 형성은 우리의 안보를 저해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이

되고 있으며, 미래 한반도 안보환경에서는 특정 국가의 군사조직이 아닌 비군

사적 위협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들을 토대로 우

리의 안보환경에 대한 변화를 「지상전 개념서」를 근거로 알아보자.

(1) 북한의 위협

미래에 예상되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첫째, 북한은 심각한 경제난과 식량난, 국제적 고립과 체제위기의 심화로

인해 정치적 목적달성과 전면전의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국지적 군사행동을

할 수 있다. 국지전이 확대되어 전면전 형태가 되거나 기습공격에 의한 전면

전이 발발했을 때, 북한은 정규·비정규전의 배합전으로 전쟁의 주도권을 장

악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또한 강력한 화력과 기계화, 자주화 기동부대로 전

과확대를 달성하여 동맹국가의 증원군 도착 이전에 전쟁을 종결하는 단기속

전속결전략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북한이 내부통제력을 상실하게 되면, 내란 및 대량난민 발생 등을 유

Page 3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4 -

발할 수 있어 한반도와 동북아에 심각한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북한은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최대의 위협으로서 체제의 불안정성과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면 될수록 북한에 의한 도발 가능성은 증대될 것이다.

(2) 비군사적 위협

국제사회에서의 비군사적 위협은 국제 테러, 국가 정보체계 마비를 목적으

로 한 사이버 테러공격, 해상 교통로상 해적행위, 국제 범죄조직의 치안질서

파괴, 불법체류와 입국으로 인한 사회질서 혼란과 국가 간 갈등, 어업분규,

핵 폐기물 불법처리, 자원 확보 등을 들 수 있으며, 정치·종교적 목적으로

국외 체류 중인 국민의 억류 및 납치 활동도 증가할 것이다. 우리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비군사적 위협은 반체제 또는 극좌·우 조직에 의한 테러, 정

치·경제적 위기에 따른 치안질서 혼란, 국가 기간산업의 파업·태업, 자연재

난, 마약 반입, 입국, 전염병, 환경오염 등이 있다. 또한, 북한에 의한 비

군사적 위협요인은 간첩과 특수공작원에 의한 체제전복 활동과 테러, 북한체

류 한국인 억류, 대량 난민사태 발생 등이 있다. 이렇듯 미래 한반도 작전환

경을 고려해 볼 때, 주요 군사적 위협 이외에도 국가안보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비군사적 위협유형은 더욱 다양화될 것이며, 이와 같은 초국가적이고 비군

사적인 위협의 등장은 전통적인 위협에 대한 개념을 바꾸어 놓고 있다.

(3) 잠재적 위협

한반도는 해양세력의 대륙진출과 대륙세력의 해양 진출 시 전초기지라는 지

리적, 전략적 특수성으로 인해 주변국간의 이해관계가 상충될 때 그 분쟁의

중심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동북아 역내 국가들 간 이해상충은 자

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문제를 둘러싼 분쟁에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배타적 경제수역(EEZ), 대륙붕 경계를 포함한 영토 및 도서 영유권 문제는

한국과 주변국간 정치·외교적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으며, 향후 군사적 긴장

관계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쟁들은 군사적 충돌 형태의 국지분쟁 또

는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급변하는 국제관계

Page 3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5 -

에서 우리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으로 평가된다. 아래 <표

2-3>을 통해서 한국과 동북아 주변국과의 구체적인 분쟁요인에 대해서 알아

볼 수 있다.

<표 2-3> 한국과 주변국과의 분쟁요인18)

성 격 분 쟁 요 인 대상국

국경분쟁 간도, 백두산, 두만강 영유권·통항·개발문제 중·러

해양경계분쟁 대륙붕,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확정 문제 일·중

해양자원분쟁 석유, 천연가스, 어업자원관리·개발 문제 일·중·러

도서분쟁 독도영유권 문제 일

환경분쟁해양에 대한 핵·화생무기, 오염물질 폐기 문제.

대기오염에 의한 주변국 영향 문제일·중·러

항로통항분쟁 남방 및 북방 행상교통로(바시, 쓰가루 해협등) 문제 일·중·러

민족분쟁해외교포 문제(중국 내 조선족 자치구,

재일동포, 러시아 연해주 동포 위상 문제)일·중·러

기 타 주변국들간 분쟁시 한국과의 마찰 문제 일·중·러

다. 경제적 환경

무엇보다 우리 육군의 FCS 구축에 있어서 관심사항은 경제적인 환경이 될

것이다. 하나의 무기체계가 도입 결정되더라도 이에 상응하는 예산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이는 추진자체가 무산되기 때문이다.

18) 윤영식, “군사력의 의의와 건설방향,”차영구, 황병무 편, 「국방정책의 이론

과 실제」 , (서울 : 오름, 2002), p.503

Page 3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6 -

(1) 미 육군의 FCS 구축에 관한 경제적 환경

먼저, 우리보다 앞서서 FCS를 구축하고 있는 미국의 경제적 환경을 살펴

보자.

미 육군의 평가에 따르면 다양한 FCS 장비들을 구매하기 위한 연간 총예

산은 거의 $100억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과거 유사 사업 수준의 비용 증가

가 있다면 연간 비용은 $160억에 이를 수도 있다. 더욱이, 육군이 현재 일정

에 따라 FCS 차량들을 배치한다면 노후화되고 있는 육군의 기존 지상 장갑

차량들을 정비 및 개량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연간 $10억 이

상, 그리고 그 후에는 그보다 적은 금액의 추가 자금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현재 계획된 FCS 사업의 대안으로서 이 사업의 통신장비 및 일부 감시 장비

는 유지하되 지상차량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면 연간 사업비용이 약 $50억

내지 $70억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을 따르면 육군은 일부 FCS 기술을 기존의 기갑 장갑차량에

결합하여 이 차량들을 동시에 개량함으로써 그 능력을 강화하고 유효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렇게 할 경우 육군은 현재 FCS 사업으로 추구

하고 있는 잠재적인 이점을 포기해야 한다.19)

미국의 경우를 다음 <표 2-4>를 통해 살펴보면, 2007년에서 2025년 까

지 19년 간 68∼162조원으로 연간 3.5∼8.5조원의 비용이 예상된다. 이는

우리 군의 연간 국방예산이 25조원임을 감안할 때, 14∼34%에 이르는 막대

한 비용이다. 이렇듯 미국에서도 FCS를 추진함에 있어 예산의 제약과 앞으로

의 증가분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적 환경의

어려움 속에서도 미 육군은 FCS를 장기적인 미 육군 발전에 대한 로드맵 차

원에서 계속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19) 육군 전투발전단 옮김, 「미 육군 미래전투체계 사업 및 대안」, CBO, The

United State Future Combat System Program and Alternative, (2006).

pp. 8-9.

Page 3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7 -

(단 : 10억 US달러, 2006년 )

연구개발 조달 총 획득

정부안

통령 산안에 포함된 비용 21 101 122

FCS 사업 증가분 1a 0 6 6

기존 차량 개량

CBO 추산 추가 비용

2023∼2025년 FCS 장비 지속 구매 0 18 18

기존 차량 추가 개량b 2 15 17

총계 23 139 162

안 1. 정보 수집 공유

FCS 장비c 15 46 61

체계 개량b 2 36 38

총계 17 82 99

안 2. 장거리 타격

FCS 장비d 15 52 67

체계 개량b 2 36 38

총계 17 88 105

안 3. 신규 차량 기술

FCS 장비e 16 52 68

체계 개량b 2 33 35

총계 18 85 103

안 4. 기존 체계 개량

FCS 네트워크 14 16 30

체계 개량b 2 36 38

총계 16 52 68

출처: 상게서, p. 25.

주: 이 표의 추산 비용은 과거 유사 국방 사업에서와 같은 비용증가 가능성을 포함하지 않음.

a. 15개 여단분 FCS 장비 도 개발 조달비용 포함. 이는 육군이 계획안 27개 여단(19개 역 여단 8개 주방 군 여단)의 반 이상에 해당함.

b. 2011년 이후 에이 람스 차, 래들리 장갑차, M113 계열차량, M109 자주포의 차종별 평균연령을 상 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한 개량비용 포함.

c. 무인지상감시장비, 무인항공기(I, II, III, IV형) 네트워크 포함

d. 무인지상감시장비, 무인항공기(III, IV형), 비가시선 발사체계 네트워크 포함.

e. 유인차량(지휘통제차, 구 차, 비가시선 박격포, 비가시선 자주포, 보병수송차) 네트워크 포함.

<표 2-4> 미국의 FCS 예상 획득비용(2007~2025)

(2) 한국 육군의 FCS 구축에 관한 경제적 환경

현재 진행 중인 국방 로봇개발 사업에 비추어서 우리 육군의 FCS 구축에

관한 경제적 환경을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국방 로봇개발 사업의 경우 연구개발과 전력화를 위한 예산확보는 그리 쉬

Page 4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8 -

워보이지 않는다. 국방부 추산에 의하면 국방개혁으로 인하여 군 병력 감축과

전력증강에 따른 무기체계 현대화 비용이 약 272조 원이 필요하고 2020년

까지 인력 및 운영비로 349조 원이 필요하여 총 621조 원이 소요된다고 한

다. 국방개혁에 국방비의 많은 비용이 국방개혁에 투입될 것이며 2020년까지

의 전력증강 사업에 국방 로봇이 빠져있는 상태에서 국방 로봇사업의 안정적

예산확보는 어려워 질 것으로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현재 <표 2-5>와 같

이 국방비 부족으로 인한 주요 전력증강사업의 지연·축소는 예산 확보가 그

리 쉽지 않음을 분명히 보여준다.20)

<표 2-5> 주요 전력증강사업 지연·축소 현황21)

사 업 명 최초 계획 조 정

·KA1전차

·7,000톤급 구축함

·F-15K 전투기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차기유도무기

(SAM-X)

·공중급유기

'99~'08 : 456대

'99~'08 : 3척

'99~'08 : 120대

'99~'04 : 4대

'99~'05 : 72기

'00~'05 : 5대

'99~'08 : 323대

'01~'12 : 3척

'02~'09 : 40대

'04~'10 : 4대

'04~'10 : 48기

'04~'10 : 4대

국방 로봇사업뿐만이 아니라, 추가적인 첨단전략무기의 확보에 대한 소요

또한 다음의 <표 2-6>에서와 같아서 앞으로 육군의 FCS 구축에 대한 예산

의 확보는 더욱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20) 최근하, 전게서, pp. 63-64.

21) 국회도서관 홈페이지, www.nanet.go.kr , “참여정부의 국방정책 2003,”p.

127. 참조.

Page 4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29 -

<표 2-6> 추가 첨단전략 확보 소요22)

장비명 대수 예산(원) 장비명 대수 예산(원)AWACS 0대 2조 차기호위함 0척 2.4조공중급유기 0대 1.2조 차기유도무기 00기 2.4조F-15K 전투기 00대 5.1조 정찰위성 0대 0.3조이지스함 0척 3.2조 K1A1 전차 000대 3조214급 잠수함 00척 1.2조 K9 신형자주포 000대 3.5조

이렇듯 우리 육군의 FCS 구축에 있어서도 안정적인 예산확보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는 단계적인 국방비의 증액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안정적인

예산확보를 위한 사업의 체계적인 마스터플랜에 의한 일정관리가 필수적일

것이다.

제2절 선진국의 FCS 구축 동향

범세계적으로 첨단과학기술의 발전 추세에 힘입어 미국을 비롯하여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인명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요망되는 전투

효과 달성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전쟁수행방식인 무인전투체계의 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미국만이 FCS의 개념을 적용하여 보다 혁신적인 변화로

선도하고 있다.

<표 2-7> 각국의 무인전투체계 발전 현황

구 분 미 국 프랑스 독 일 일 본

개발단계일부배치

+체계개발

기술개발+

탐색개발체계개발 기술개발

개발전략 혁신적 변화 점진적 변화 점진적 변화 점진적 변화

체계구성신규 유인체계

+무인로봇

기존 유인체계+

무인로봇

기존 유인체계+

무인로봇

기존 유인체계+

무인로봇

출처 : 육군 교육사, 전투발전 제122호, 2006, p. 54.

22) 최근하, 전게서, p. 64.

Page 4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0 -

앞의 <표 2-7>과 같이 현재 선진국들은 FCS의 근간이 되는 무인전투체계

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에 대해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와 투자를 하는 것

은 인명중시 사상과 경제성 측면 때문으로 해석된다. 즉, 무인전투체계를 구

성하는 무인장비에는 인원이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장비가 파괴되어도 인명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유인장비의 방호력 향상을 위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인형 전차의 인명보호를 위해서는 신형 대전

차화기로부터 방호될 수 있도록 방호력을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막대한 비용

을 투자하여 방호력을 향상시킨다 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공격무기가 개발

되기 때문에 방호력 향상과 공격무기 개발의 악순환은 계속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무인 전투시스

템이 등장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고, 이를 유인체계와 연관하여 혁신적으로 변

화시킨 것이 바로 FCS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FCS에 대한 연구개발은 미국

에서 가장 활발하며, 프랑스, 독일, 영국, 이스라엘에서도 유사한 연구가 이루

어지고 있다.23)

1. 미 국

미국은 1999년 10월 당시 미 육군 참모총장인 에릭 신세키가 전 보병사단

의 경량화 및 모듈화를 통해 목적군(Objective Force) 구조로 육군을 개혁

하는‘미래육군전략’을 발표하였고, 이러한 개혁의 과정 속에서, 목적군의

주요 장비 획득 프로그램으로 FCS가 도입되었다.24)

미 육군의 미래전투체계(FCS)는 광범위한 통신·정보 네트워크로 연결된

14개의 유·무인 체계의 연구, 개발, 획득 프로그램으로, 최첨단 네트워크 구

조를 통해 타군과의 연계, 상황인식 및 이해 향상, 동시·통합된 작전수행을

23) 장무수, “무인 전투체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

교, 2006), pp. 12-13.

24) 육군 교육사령부, 「주간 해외 군사자료 정보」, 제08-36호, (2008), p. 4.

Page 4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1 -

가능케 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반면 FCS 프로그램은 고도의 기술개발과 막대

한 예산을 요하여, 예산의 제한으로 인해 최초 계획된 18개 체계에서 14개로

규모가 축소되었다.25)

최근하(2007)의 연구26)에 의하면 미국의 FCS는 네트워크 중심의 복합시

스템(System of systems)이 그 핵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FCS는 많은 무

기체계의 전력요소들이 하나의 통합전력처럼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유인·무

인, 공중·지상 무기체계를 통합하여 전쟁을 수행하는 구조라고 설명할 수 있

다. FCS는 그 자체가 하나의 기본전투 단위이기도 하고 또한 미래통합 전력

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단위이기도 하다. 미래전투체계는 그 전략과 전술측면

에서 지휘부와 지휘·통신 없이도 자율적인 전투수행이 가능하고 또한 전투

공간에 적은 병력으로 직사·곡사·정 지능탄의 다양한 화력의 선택으로 대

량 화력의 투입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병사나 무인 항공기 및 로봇의 네트

워크 센서를 이용하여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정보획득도 가능하여 독자적인

전투결심 수행능력을 보장함으로써 전술 및 전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런 미국의 미래전투체계의 핵심적 역할은 바로 무인항공기를 포함한 무인

로봇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미국은 유인체계와 무인체계를 약 2:1비율로 구

성된 실험여단을 2008년에 창설하여 2012~2014년 사이에 실전배치를 계획

하고 있다. 이렇듯 FCS는 유인체계를 중심으로 무인체계가 전투를 수행하는

개념이며 무인체계는 네트워크 중심의 복합시스템이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FCS의 구성은 아래의 <그림 2-5>와 같이 크게 5가지의 개별 전투체계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미 육군의 FCS 구성에 대한 영문적 해석27)에 따라 그

명칭이 다소 상이하나 그 개념적 차이는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용부분에

대해서는 각 논자의 고유한 명칭의 사용을 허용하였음을 명시한다. 따라서 그

25) 상게서, 제 08-31호, (2008. 8. 14), p. 5.

26) 최근하, 전게서, pp. 22-24.

27) 예를 들어 ‘Unmanned Aerial Vehicle’을 한글로 표기하는데 있어‘무인비

행체계’나 ‘무인공중체계’로 달리 표현하여 통일 되지 않음을 뜻한다.

Page 4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2 -

구성을 살펴보면 유인차량그룹으로 구성된 유인체계, 무인기그룹으로 구성된

무인공중체계, 그리고 무인차량그룹, 무인지상로봇과 기타 무인장치로 구성된

무인지상체계, 미래의 전사를 모델화 한 병사체계와 전체를 네트워크로 구성

하는 네트워크체계로 나누어진다.

<그림 2-5> 미국의 FCS 복합시스템28)

조정재(2006)의 연구29)에서 미군의 미래전투체계의 무기체계를 대별하면

유인장비, 무인장비로 대별할 수 있고 이를 기능별로 분류하면 기동 및 화력,

표적 및 정보수집 장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중 핵심 장비는 18개이며, 유

인장비는 탑승전투차량(Mounted Combat Sys tem), 보병수송차량(Infantry Carrier Vehicle), 비가시선 화포(Non-Line-of Sight Cannon), 비가시선

박격포(Non-Line-of Sight Mortar), 정찰/감시차량(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Vehicle), 지휘통제차량(Command and Control Vehicle), 의

28) 국과연, “지상 무인전투체계 발전방향,”2007, p. 4.

29) 조정재, “미 육군의 미래군 무기체계 연구,”「전투발전」, 제 124호(2006),

pp. 37-48

Page 4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3 -

무차량(Medical Vehicle Treatment and Evacuation), 미래전투체계 구난

및 정비차량(FCS Recover and Maintenance Vehicle)이며, 무인장비는 무

인지상감지기(Un attended Ground Sensors), 비가시선 발사시스템

(Non-Line of Sight Launch System)과 지능형 탄약시스템(Intelligent

Munitions System)을 통합한 무인 발사체계, Ⅰ/Ⅱ/Ⅲ/Ⅳ급 무인항공기

(ClassⅠ/Ⅱ/Ⅲ/Ⅳ Un manned Aerial Vehicle), 무장로봇 차량(Armed

Robotic Vehicle), 소형 무인지상차량(Small Unmanned Ground Vehicle),

다기능용/군수 및 장비차량(Multi-functional Utility/Logistics and

Equipment Vehicle)이다.

미 육군은 여기에다 네트워크와 전투원을 합쳐 하나의 거대한 통합 시스템

(System of system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투원들은 이들 장비와 각종

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가 상호 연결되어 있어 이들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

에 그림으로 보면서 주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을 미군은 지상

군 전투첩보망(WIN-T : War fighter Information Network-Tactical)이

라 부르며, 미 육군 미래전투체계의 중추(中樞)를 이루게 될 것이다. 이들 장

비를 개발하면서 미래군에 적용될 새로운 개념과 완성도 높은 설계 및 구성

품들에 대한 평가와 실험에 병행하여 현재군부대에 배치되어 검증 과정을 거

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다.

현재 미 육군은 2008년에 300여개에 달하는 신기술 체계를 현 육군 체계

에 도입하고 2012년에는 여단전투단에도 FCS를 도입할 예정에 있다.

최근, 미 육군에 대해 FCS 장비를 갖추고 워게임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

과 FCS가 실 전장에서 군인의 생존성과 임무 수행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라크 전장을 적용하여 실시한 워게임 시뮬

레이션 결과 현 여단의 임무달성 소요시간은 3시간이었고, 피해현황은 사망

6명에 부상 50명인 반면, FCS 여단전투단은 1시간 만에 임무를 달성하였으

며 피해 현황은“0”으로 나타났다. FCS 획득 및 기술적 실현가능성에 있어

서 변혁과 관련된 기술 발전의 위협을 최소화 하고, 작전의 통합성을 보장하

기 위해 21세기형 기술 조직을 운용하고 있다. 특히, 육군 평가 특수임무부대

Page 4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4 -

는 FCS 기술들이 도입되기 전에 시뮬레이션 상의 작전환경에서 충분한 시험

평가를 통해 FCS 적용가능성 및 위험성을 판단하여, FCS 획득과 관련한 타

당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완벽한 네트워크 체계가 구축된 육군의

구조는 FCS 신기술 적용에 있어 기술적인 실현가능성을 제공한다.30) 아래

<그림 2-6>은 미국의 FCS의 개발 로드맵이다.

<그림 2-6> 미국 FCS의 개발 로드맵31)

2. 유 럽

30) 육군 교육사, 전게서, 제 08-31호, (2008. 8. 14), p. 5.

31) 국방과학연구소, 전게서, p. 5.

Page 4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5 -

장무수(2006)의 연구32)에서는 프랑스 육군은 미국의 FCS 개념보다는 축

소된 형태이지만 소형 무전기를 장착한 새로운 장륜형 차량 개발을 계획 중

에 있다. 현재 개념형성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인데, 운용 기본개념은 무인

전투차량이 전투부대의 선단에서 적을 공격하고, 무인기가 감시정찰기능을 수

행하는 개념이다. 한편 차량의 경우도 곡사 및 직사가 가능한 20톤급 이내의

전투차량을 고려하여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는 기술탐색 및 시

스템 개념형성 단계이므로 차후에 체계개발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대해 확인

할 수는 없으나 미국의 FCS와 유사한 개념으로 체계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영국은 미국의 FCS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

판 FCS를 개발하고 있다. 연구개발이 진행중인 분야는 지휘통제, 병력수송,

박격포 운반, 정찰·감시, 직접교전, 간접화력, 군수지원 등 전반에 걸쳐 있으

며, 신속배치 즉, C-130급 수송기로 수송이 가능한 형태에 역점을 두고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국판 FCS의 실전배치는 2009년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이며, 독일의 경우에는 무인차량에 대한 기술위주로 연구하는 단계

이지만 기술면에 있어서는 미국 다음으로 앞서 있고, 또한 무인차량에 대해서

는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무인전투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

자가 뒷받침된다면 세계적인 무인전투시스템 강국으로 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하였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최근하(2007)의 연구33)에 의하면 독일의 경우 유럽 내

에서 가장 활발히 무인지상로봇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 이다. 특히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독일의 벤처기업인 로보워치가 개발한 “오프로(OFRO)”라

는 대테러 경계용 로봇을 선보여 로봇 분야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현재

독일은 PRIMUS(Program Intelligent Mobile Unmanned Systems)라는 무

인 로봇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독일은 미국과의 공동연구가 활발히 진

행 중 인데 도시환경에서의 소형로봇 차량, 야외지형에서의 자율항법과 관련

하여 AUTONAV(Autonomous Vehicle Navigation Control System)라는

32) 장무수, 전게서, pp. 19-20.

33) 최근하, 전게서, pp. 32-33.

Page 4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6 -

공동연구가 2001년 까지 진행되었다. AUTONAV의 성공으로 2005년까지

연구가 연장되어‘전투용 로봇’에 초점을 맞춘 사업협약이 추진되었다. 그리

고 현재 미국과의 공동연구로 진행 중인 전투로봇 사업은 DEA 1324(군사용

로봇)와 전투용 로봇사업이 진행 중이다.

최근 2008년 9월 22일자 육군 교육사 주간해외군사자료 정보에 의하면 현

재 프랑스 육군은 미군 및 NATO군과의 상호 운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합동

참모본부와 조달본부가 공동으로 대대급 이하 제대에 필요한 통신네트워크,

경보병, 연료효율이 뛰어난 전투차량, 수색·정찰 로봇체계 등을 획득하기 위

해 Scorpion 프로그램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 계획은 152억 달러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초기 단계를 진행 중이다. 이 계획

의 목적은 변화무쌍한 위협을 극복할 수 있는 강력한 네트워크 중심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여러 방산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

해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2025년에 완성될 예정이며, 장·단기전, 대반군전

및 인도주의적 지원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미래의 프랑스군

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영국은 부대방호를 강화

하고 우군에게 적 위협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라크와 남아프칸에서

‘Desert Hawk Ⅲ’라는 전술무인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3. 이스라엘

황치복(2007)의 연구34)에서는 이스라엘의 연구개발 전략은 지능화·자동

화·네트워크화를 위한 핵심기술인 소프트웨어기술과 정보통신기술 개발에

치중하고 하드웨어는 가능한 한 외국에서 도입하여 우수한 소프트웨어기술을

이용하여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과거부

터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기체계분야는 지휘통제 및 사격통제장치, 공

용유도탄, 각종 유도탄 기만장비(채프/플레어), 전자전장비, 전자광학 추적장

34) 황치복, 전게서, pp. 151-153.

Page 4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7 -

비 등이었다. 현 시점에서 볼 때 이 분야의 기술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을

벗어나서 국외수출까지 하고 있고, 첨단기술을 근간으로 개발에 집중하고 있

는 감시정찰 및 통신 중계용, 전자전용 무인기는 자국은 물론 국외 수출까지

하고 있고, 미래전에 대비한 무인기들을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스라엘

은 자국방어에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개발여건이 부족한 전략분

야의 무기개발은 우방국인 미국은 물론 러시아, 중국까지 협력하여 개발하는

국익우선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실례로 이스라엘은 전력화만 되면 주변국의

미사일 등 공중위협을 순식간에 무력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무기인 레이저무

기, 중장거리미사일 등 신종무기들은 미국과 협력 개발하여 실전에 배치한 바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이스라엘은 최전선에서 순찰과 경비를 담당할 군용로봇 ‘가디

엄’을 개발하여 실전 투입을 앞두고 있으며, 이 로봇은 야간 투시경 등 첨단

센서와 기관총 등으로 중무장하고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교통표지판

등을 인식, 복잡한 시가지 정찰을 할 수 있으며 360도 회전 카메라로 수상한

점을 발견하면 즉시 후방의 조종실로 경보를 보낼 수 있다.‘가디엄’의 조종

석은 대형 스크린 2대와 조이스틱으로 구성돼 있어 커다란 전자오락 기계처

럼 되어 있고, 이 군용 로봇의 개발자에 의하면 플레이 스테이션 게임기를 즐

기는 아이라면 누구나 즉시 조종할 수 있다고 말했다.35)

제3절 이론적 고찰의 시사점

미국은 과거 이라크전 등의 전훈분석을 통해서 군의 변혁을 추진하였고 그

일환으로서 첨단과학기술과 정보력의 우위를 바탕으로 미래전을 대비한 FCS

의 2015년에 전력화하는 장기적 차원의 군사력 정비 목표 및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유럽의 대부분 국가들도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35) 정영오, “이스라엘, 로봇병사 개발 곧 실전투입,”「한국일보」, 2008. 4. 30.

Page 5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8 -

FCS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 또한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개혁의 중심인 육군을 첨단 과학기술군으로

변모하고자 한다. 이에 미래전에서 주요 전투력의 수단이 될 FCS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최근에는 FCS에 대한 개념정립과 군사용 로봇에 대한 연구개발도

착수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 전체적으로 FCS에 대한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이

분명치 않은 상태에 있다. 이제 막 FCS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우리로써는

우리가 처한 안보환경과 기술적 환경, 그리고 경제적인 환경에 대한 과제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우리 육군의 FCS 구축에 관해 다음

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해 볼 수 있다.

첫째, FCS의 구축은 시대적 요구이다. 미래전에 대한 패러다임과 수행개념

이 변화함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움직임 또한 FCS로의 전환으로

포착되고 있다. 이러한 FCS 구축은 미래전장에서 상대적 전력 우위를 확보하

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또한, FCS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정립에서

시작해 우리 여건에 맞는 FCS로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미래 안보 환경은 위협의 요소가 매우 다양화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현재 북한이라는 직접적인 위협에 대해 국방비를 투자하고 있으나, 미래의 다

양화 된 위협을 대비한 전력에 관한 준비가 요망된다.

셋째, FCS 구축에 막대한 예산이 요구되는 바 사용군과 국민에 대한 합의

가 요구될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언론매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서 여론의

인지와 합의 없이는 사업의 진행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왜 FCS를

구축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제대로 FCS를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 수요군과 국민에 대한 올바른 홍보와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위의 사항을 고려할 때,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육군 FCS의 구축이 반

드시 필요하다. 미 육군에서 구축중인 FCS는 우리의 기술적·경제적 환경과

분명히 다르다. 이를 감안할 때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육군 FCS의 구축

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육군 FCS의 구축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Page 5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39 -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각 요소의 중요도를 고려한 우선순위를 알아보고자 한

다.

Page 5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0 -

제3장 연구모형의 설정

제1절 AHP 기법

본 연구에서는 육군 FCS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려요소, 요구능력,

개별 전투체계에 계층분석의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요소의 중요도 선정은 계층적분석 (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였다. AHP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관련 실무 및

전문지식을 갖춘 국방과학연구소, 육군 전투발전단 및 교육사령부 전투발전처

관련 인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AHP 기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AHP 분석의 개요

AHP 기법은 1980년 T. L. Saaty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으며, 미 국무부의

무기통제 및 군비 축소국에서 인간이 의사결정을 행할 때, 두뇌가 단계적 /

위계적으로 작용하는 사실에 착안하여 의사결정을 합리적, 능률적으로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

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

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의사결정 방법이다. AHP는 의사

결정 과정에 포함시켜야할 요소와 계층 간의 상호관계를 설정하여 수평적 요

소 간 정량적인 비교가 불가능한 사항에 대해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판단을

객관화할 수 있도록 1:1 쌍대비교를 통하여 요소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하

위계층의 평가가 상위계층에 전달되는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

방법이다.36)

Page 5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1 -

2. AHP의 기본 전제

AHP는 다음과 같은 기본 전제가 충족하면, 일반적인 의사결정문제에 적용

할 수 있다.

첫째, 역수성(Reciprocal Comparison)이다. 의사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

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짝지어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선호의 강도를 표현

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A가 B보다 α배 중요시된다고 하면, B는 A보

다 1/α배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둘째, 동질성(Homogeneity)이다. 중요도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정해진 척

도(Bounded Scale)에 의해 표현된다. 즉, 비교대상 간에는 비교가능한 일정

한 범위를 갖는 기준들이 존재해야 한다.

셋째, 독립성(Independency)이다.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는 동일수준에

있는 요소들은 특성이나 내용 측면에서 서로 관련성이 없어야 한다.

넷째, 기대성(Expectation)이다. 계층구조는 의사결정에서 고려되는 모든

사항을 완전하게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3. AHP 분석절차

첫째,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구조화 하는 것이다. 의사결정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나열하여, 여러 단계의 상이한 계층으로 분류하고, 각 계층

에 있는 비슷한 요소끼리 묶어 나가면서 문제를 계층화 한다. 기본적인 AHP

계층을 살펴보면 <그림 3-1>과 같이 최상위 계층에 의사결정의 목표(Goal)

가 주어지고, 중간 계층에 대안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Criteria)이 주어

지며, 최하위 계층에 대안(Alternative)이 주어진다.

36) Ronald A. Howard, “Decision Analysis : Practice and Promise,”

Management Science, vol. 34, no. 6, June, (1998), pp.681-685.

Page 5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2 -

<그림3-1> AHP의 기본 계층모형

한 계층의 요소들은 인접한 상위계층의 요소에 대하여 종속적이어야 하고,

동일계층 내 요인들 간에는 독립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둘째, 상대적 중요도의 설정이다. 여러가지 기준들의 중요도를 한번에 한

쌍씩 쌍대비교(1:1비교)함으로써 여러가지 의사결정 요소들의 가중치 또는

중요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같은 수준에 있는 요소를 대상으로 쌍대비교를 실시한다. 속성 i의 중

요도를 , 속성 j에 대한 속성 i의 상대적 비중을 = 라고 정의하

여 비교행렬 A를 작성한다.

Page 5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3 -

쌍대비교를 통하여 얻은 값을 이용하여 평가기준 , , …, 이

갖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 , … , 을 정하는 것이다. Satty는 이러

한 중요도 추정방법으로 다음의 관계식을 이용하는 고유치 방식을 제안하였

다.

A ∙ = ∙ 여기서 A는 쌍대비교의 결과로 얻어진 정방행렬이

며 는 A의 최대고유치, 는 고유벡터이다.

쌍대비교시 아래의 <표 3-1>과 같이 상위요소에 대해 기여하는 정도를 9

점 척도로 부여한다. 상위요소에 대한 직계 하위계층이 n개의 요소가 있으면

모두 n(n-1)/2회의 비교가 필요하다.

<표 3-1> Saaty 교수가 제시한 이원비교시 중요도의 척도37)

계량

수부여Definition Explanation

1 동등하게 선호 두 개의 활동은 목 에 동등하게 기여한다.

3 약간 선호경험과 단으로 미루어 볼 때 한 활동

이 다른 활동보다 약간 요하다.

5 강하게 선호경험과 단으로 미루어 볼 때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강하게 요하다.

7 매우 강하게 선호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매우 강하며

이는 실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9 극단 으로 선호다른 활동에 비해 한 활동의 요도가

극단 으로 강하다.

2, 4, 6, 8 근 해 있는 가까운 숫자간의 사이 약간의 량보다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의 역수 만일 한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요한 경우 ( : 3) 후자의 활동은 자

의 활동과 비교하여 그 역수( : 1/3)의 값을 갖는다.

37) Thomas L. Saaty, “How to make a decision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rch 48, (1990), p.15

Page 5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4 -

셋째, 논리적 일관성 유지이다. AHP에서는 비교행렬의 고유벡터를 활용한

쌍대비교 결과의 통합과정에서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를 도출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자의 논리적 일관성 여부를 확인하고 의사결정

의 합리성과 논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일관성 비율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CR = CI / RI 여기서 CI는 일관성

지수로 CI = (- n) / (n-1) 이다. RI는 무작위 지수(Random Inde

x)38)로 평가기준의 개수 n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낸다.

제2절 육군 FCS 구축의 모형구성

1. 고려사항 계층 구성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먼저, 제2장의 이론적 고찰

을 통한 고려사항, 즉 기술적 환경, 안보 환경, 경제적 환경을 통해서 미래전

을 대비한 육군 FCS 구축을 위한 요구능력을 고려하였다.

첫째, 기술적 환경 하에서는 개별 전투체계별로도 무수히 많은 요구능력들

이 있을 수 있다. 유인체계 한 가지만 예를 들어도 C4I 및 센서네트워크에

관한 기술 능력 그리고 자체 방호능력을 위한 기술력, 장갑차량의 기동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소형화 경량화 기술 등 수십 수백 가지의 기술이 있을 수 있

다.

둘째, 안보적 환경 하에서는 직접적 위협인 북한에 대한 장사정 미사일에

대한 요격능력과 북한의 무력적 군사활동에 대한 정보·감시·정찰(ISR)능

38) RI의 값에 대한 표이다.

n 1 2 3 4 5 6 7 8RI 0.00 0.00 0.58 0.90 1.12 1.24 1.32 1.41

Page 5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5 -

력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지휘통제체계에 의한 판단능력 및 경보

의 전파, 정보 전달을 위한 네트워크 능력 등의 요구능력들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주변국들과의 분쟁 등 비군사적 위협과 테러, 체제 전복을 위한 반국

가적 활동 등 잠재적 위협이 증대됨에 따라서 정보·감시·정찰(ISR)능력과

전투력의 신속전개를 위한 경량화·소형화, 정 타격 및 요격능력 등이 요구

된다.

하지만 경제적 환경에 따른 요구능력에 대한 도출에 있어서는 예산의 제약

이라는 단서 외에 우리의 경제적 현실을 감안하여 개별 전투체계에 어떠한

능력이 요구되고 또 불필요한지에 대한 파악이 쉽지 않으며, 현재 FCS 구축

에 구성이 되는 개별 전투체계에 대한 예산 산출에 대한 데이터도 전무한 실

정이라서 AHP 분석을 위한 쌍대비교 또한 의미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환경 하에서의 요구능력은 고려사항 계층에서

제외한 고려사항 계층 모형을 설정하였다.

2. 요구능력 계층 구성

먼저 육군이 나아갈 방향을 명시한 기준서로서의 「육군비전」을 통해 살펴

보면, 다양한 위협 및 미래전 양상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한 질적 우위의 첨

단무기 및 장비 확보를 위해 크게 다섯 가지 요구능력을 확보 및 구축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① 제대별 전천후 감시 및 정찰수단을 확보한다. ② 제대별

전장기능을 통합 운영하는 지휘통제체계를 구축한다. ③ 장거리 정 타격체계

를 구축한다. ④ 결정적 기동이 가능한 수단을 확보한다. ⑤ 적극적 방호 및

효과적 지원수단을 확보한다. ⑥ 신개념의 무기체계를 개발한다. 로 명시되어

있다.39)

이를 근거로 「지상전 개념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구능력 또한 전장기능

별(정보, 지휘통제, 화력, 기동, 방호, 전투근무지원)로 구체화 하고 있다. 여

39) 육군본부, 육군비전, (2008). pp.12-13. 요약정리

Page 5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6 -

기서 우리보다 앞서서 이미 FCS를 구축 중에 있는 미국의 경우 FCS가 구비

해야할 능력에 대해 혹자들은 감성적, 환상적인 예측을 하고 있지만 꿈에도

상상치 못한 것들은 바랄 수 없으며, FCS의 구축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언급한다.

FCS의 기본 요구사항40)으로 <표 3-2>와 같이 다섯 가지로 규명하고 있다.

<표 3-2> 미 FCS의 기본 요구사항

요구사항

사격능력 기동성 생존성 전투지속성 통신능력

제2장의 이론적 고찰에서 규명한 황치복(2007)의 미래 육군의 요구능력을

재언급하면, 아래 <표 3-3>과 같다.

<표 3-3> 미래 한국 육군의 요구능력

요구능력

① 상대적 정보우위의 확보 및 유지능력

② 전투력의 동시·통합 능력

③ 효과위주의 정 타격 능력

④ 결정적 기동능력

⑤ 효과적 방호능력

위의 내용을 개념에 맞게 재구성하여 요구능력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타

격능력, 정보·감시 능력, 기동능력, 생존능력, 전투지속능력, 지휘통신능력,

방호능력, 동시·통합능력 등 총 8개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

분화 된 8개 항목에 대해서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으

나 AHP 기법의 특성상 설문자가 응답해야 할 설문 문항 수는 n(n-1)/2가

40) 육군 교육사령부 옮김, 「미래전투체계(FCS)의 기본 요구조건」, Brian J.

Dunn, Equipping the Objective Force, (Military Review, 2002), p. 5.

Page 5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7 -

되어 집중력 저하로 일관성 비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성격이 비슷한 항

목은 통합하여 정보·감시 능력과 지휘통신능력 그리고 동시·통합능력을 하

나로 묶고, 생존능력과 방호능력을 하나로 묶어서 <표 3-4>에서 보는바와

같이 총 5개의 항목으로 재분류하여 구성하였다.

<표 3-4> 요구능력 분류 종합

구분 내 용

타격

능력

◦ 기본 으로 이 가진 타격체계의 사거리 밖에서 의 핵심표 에 한 효과 인 정 타격을 할 수 있는 장거리 정 타격능력

◦ 의 장갑차, 하차보병 그리고 헬리콥터에 한 다 임무에 한

융통성을 포함

정보 /

통신

능력

◦ 장에 한 지형 기상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시에 한 형태

로 제공할 수 있고, 다량의 통신 데이터를 소화해 낼 수 있는 능력

◦ 투요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합동성에도 부합

할 수 있는 능력

기동

능력

◦ 의 심과 취약 으로 신속하게 기동하여 결정 인 작 에 기여

하는 능력

◦ 주요 무기체계들의 자주화와 도로 야지횡단 능력 그리고 장애물

극복능력

◦ 의 기동능력을 제한하는 기동능력을 포함한 개념

생존

능력

◦ 의 으로부터 아군의 투력을 보존함으로써 조직 인 투력의

발휘를 보장하기 한 능력

◦ 화생방 등 량살상무기로부터의 제독 방호력을 포함

투지속능력

◦ 부 의 지속 인 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한 능률 인 투근무지원 능력

◦ 자산의 가시화로 지원 소요의 실시간 측이 가능한 능력을 포함

3. 개별 전투체계 계층 구성

아직까지 한국의 육군에 FCS를 적용한다는 공식적인 논의가 없었음에도

Page 6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8 -

이미 상당한 체계들이 UAV 및 견마형 로봇과 무인전투 차량 등 차기 장기

개발 무기체계로 예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미 개발된 체계이거나 개발예정

인 체계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개발이 요구되는 체계를 선별하여 계층으로 구

성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미군이 요구하고 있는 FCS의 세부 체계별 성능에는

우리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요구성능에는 크게 차이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군이 FCS를 구축함에 있어 개략적인 준거의 틀로

활용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 판단된다. 미군의 FCS는 아래

<그림 3-2>와 같이 유인체계(Manned System) 8종, 무인공중체계

(Unmanned Aerial Vehicles) 4종 , 무인 로봇체계 3종(6개 체계), 총 18

종의 21개 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는 미래병사체계(FSS)와 네트워크

체계는 FCS의 개념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별도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

황이다.

<그림 3-2> FCS System of systems41)

41) TACOM, “FCS case 06-183,”Smart Book, (2006). p. 6.

Page 6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49 -

우리나라의 경우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지상 무인전투체계 발전방향에 대해

서 사전연구 과정에서 미군의 FCS 개념을 적용하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한

유·무인 시스템 통합의 복합체계(System of systems)를 구축하고자 하는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그림 3-3> 국과연 체계개발 로드맵42)

위의 <그림 3-3>과 같이 국과연에서는 무인체계, 병사체계와 유인체계 그

리고 지휘통제 체계의 4가지 체계로 로드맵을 제시하여 체계개발 방향을 제

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군 FCS 구축을 위한 개별 전투체계를 앞에서 제시한 미

군의 사례와 국과연에서 제시한 로드맵을 종합하여 유인체계, 무인공중체계,

42) 국방과학연구소, “지상 무인전투체계 발전방향,”(2007), p. 16.

Page 6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0 -

무인지상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의 5가지 체계로 하여 모형을 설정하였

다. 설정한 개별전투체계 계층에 대한 구성 모형은 미군의 FCS 개념을 적용

한 것으로써 우리 군의 경우는 예산과 기술적 차이로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개별 전투체계 계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세부 내용은 부록의 설

문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4. 연구모형

강성진, 이상진(1996)43)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AHP 분석과정을 설

명할 수 있다. 개별 전투체계가 미래전을 대비한 육군 FCS 구축이라는 목표/

개념, FCS 구축 고려요소와 연계되어 결정되어야하고, 연계결정을 위해서는

개별 전투체계들의 구축 목표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

서 기여도 평가가 쉽지 않는데, 이는 구축목표가 사람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고, 이 목표 달성을 좌우하는 고려요소분야도 다수가 존재하며, 고려요소와

개별 전투체계의 요구능력에 대한 이해관계도 서로 상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이 바로 계층화 분석과

정이다.

이 기법은 먼저 주어진 문제를 계층구조로 분해한다. <그림 3-4>를 참고

하기 바란다.

첫째, 계층1은 미래전을 대비한 육군 FCS 구축이라는 목표 계층이다.

둘째, 계층2는 기술적 환경에서의 FCS 요구능력과 안보적 환경에서의 FCS

요구능력으로 구분한다.

셋째, 계층3은 계층2의 고려요소에 있어 FCS의 중점 요구능력분야들을 선

정한다.

43) 강성진, 이상진, “한국적 전략개념과 투자 우선순위 결정 방안 검증,”

「정책연구보고서 96-17」제266호, 서울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

소, 1996, p. 5.

Page 6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1 -

넷째, 계층4는 중점 요구능력분야에 대한 개별 전투체계를 나열한다.

앞에서 살펴 본 각 계층을 토대로 육군의 FCS 구축을 위한 의사결정 관련

요인들을 분류하여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여 아래 <그림 3-4>와 같이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림 3-4> 육군 FCS 구축 계층모형

Page 6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2 -

제4장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 분석

제1절 AHP 설문조사

육군 FCS 구축에 관련한 분석모형과 각 계층별 관련 내용을 토대로 설문

을 실시하였고 설문내용은 제3장에서 구축한 연구모형을 토대로 각 계층별

요소들에 대한 세부설명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쌍대비교를 위한 항목들

로 구성하였다. 자세한 사항은‘부록’을 참고하기 바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의 대상을 육군 FCS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관련자로서

국방부 예하 전문부서인 국방과학연구소, 육군 전투발전단(전투개념과 등),

육군 교육사 전투발전처에서 근무하고 있는 연구원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

였으며, 조사기간은 2008년 9월 29일부터 10월 6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

고, 조사방법은 직접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7부를 배포하여 25부 회수를 회수하였다. 설설문지응답 인원

및 유효응답인원44)·비율 현황은 다음 <표 4-1>과 같다.

<표 4-1> 설문지응답 인원 및 유효응답인원·비율 현황

소 속 설문응답 인원 유효응답 인원 유효응답 비율

국방과학연구소 12명 9명 75%

육군 전발단 10명 7명 70%

교육사 3명 2명 66%

계 25명 18명 72%

설문대상자들의 직급별 분포는 군인이 44%, 연구원이 48%(책임연구원:

44) Saaty는 쌍대비교시 우선순위를 설정함에 있어 일관성 지수가 0.1보다 작거

나 같아야 타당하며, 0.2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Page 6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3 -

32%, 선임연구원: 16%, 연구원: 8%) 그리고 군무원이 8% 이다. 특히, 연구

원의 경우 책임연구원의 비율이 월등히 높고, 군인의 경우는 대상이 모두 영

관 장교임을 알 수 있다. 직급별 분포 현황은 아래의 <표 4-2>와 같다.

<표 4-2> 직급별 분포 현황

구 분군인 군무원 연구원

소령 중령 4급 책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원

총 25(명) 2 9 2 8 4 2

군 또는 연구관련 분야 근무연수를 보면 11년 이상 근무한 인원의 비율이

전체의 80%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세부적 현황은 아래의 <표 4-3>

과 같다.

<표 4-3> 군 또는 연구관련 분야 근무연수 현황

구 분 3~5년 6~10년 11년 이상

총 25(명) 1 4 20

제2절 AHP 조사 결과 및 분석

육군 FCS 구축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사항 계층 및 요구

능력 계층의 중요도, 그리고 위의 모든 것을 고려하여 육군본부 현역군인과

연구원의 견해와 전테집단으로 분리해서 분석하였다.

1. 고려사항 계층의 중요도 분석

<표 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군 FCS 구축을 위한 2가지 고려사항의

Page 6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4 -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했을 때 전체적 견해는 기술적 환경(0.568), 안보환경

(0.432) 순으로 나타났다.

<표 4-4> 고려사항 계층의 중요도 분석표

구 분 현역군인 연구원 전체 종합

안보 환경 0.411 0.454 0.432

기술적 환경 0.589 0.546 0.568

위의 결과를 살펴보면, 현역 군인과 연구원 모두 육군 FCS 구축에 있어서

기술적 환경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는 육군 FCS 구축이 현

재의 안보 환경에 있어 직접적인 위협인 북한과 주변국과의 내재된 분쟁으로

인한 잠재적 위협과 비군사적 위협에 대한 요구보다는 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점과 우리의 기술적 수준이 미국 FCS 구축의 기술수준에 미치지 못함에 기

인하여 기술적 환경이 더 중요하게 판단된 것으로 보인다.

2. 요구능력 계층의 중요도 분석

<표 4-5> 요구능력 계층 중요도 분석표

구 분 타격능력 정보통신능력 기동능력 생존능력 전투지속능력

안보

환경

현 역 0.173 0.390 0.149 0.184 0.102

연구원 0.181 0.432 0.145 0.133 0.107

종 합 0.177 0.412 0.147 0.158 0.104

기술

환경

현 역 0.186 0.422 0.154 0.135 0.101

연구원 0.163 0.478 0.129 0.104 0.125

종 합 0.175 0.452 0.141 0.118 0.112

전체 종합 0.176 0.434 0.143 0.135 0.108

<표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려요소에 대한 각 요구능력의 중요도를

Page 6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5 -

분석해 보면, 안보환경에 있어서는 정보통신능력(0.412), 타격능력(0.177),

생존능력(0.158), 전투지속능력(0.104) 순으로 중요도가 판단되었고, 기술적

환경에 있어서는 정보통신능력(0.452), 타격능력(0.175), 기동능력(0.141),

생존능력(0.118), 전투지속능력(0.112)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종합은 기

술적 환경을 고려한 순위와 같은 정보통신능력, 타격능력, 기동능력, 생존능

력, 전투지속능력 순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그림 4-1>으로 가시화

하였다.

0

0 .0 5

0 .1

0 .1 5

0 .2

0 .2 5

0 .3

0 .3 5

0 .4

0 .4 5

0 .5

타 격 능 력 정 보 통 신 능 력 기 동 능 력 생 존 능 력 전 투 지 속 능 력

안 보 환 경 기 술 환 경 전 체 종 합

<그림 4-1> 요구능력 계층 중요도 도표

위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보통신능력은 안보환경과 기술적 환

경 모두에서 압도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한 미래

전장에서 정보의 획득이 최우선시 됨을 반영한 것이고, 또한 FCS 구축에 있

어 강조되는 복합체계(System of systems)의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통신능

력이 그 핵심으로써 또한 중요도에 최우선순위로 반영된 것이라 판단된다. 그

다음으로는 타격능력으로서 안보적 차원에서는 입수된 정보력으로부터 정

타격 하는 것이 적으로 부터의 최상의 방어이자 공격시에도 임무달성의 핵심

Page 6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6 -

요소이기 때문이다. 또 기술적 환경에 있어서도 장거리 정 타격전력 가운데

유도무기가 방위력개선비에 차지하는 비율이 15%(1조 1,770억원)45)인 만큼

현 투자비를 감안할 때 앞으로 우리의 기술력이 뒷받침되리라는 예측 때문일

것이다. 3순위로 주목해야 할 점은 안보환경에서는 생존능력이 우선시 되었

으나, 기술적 환경을 고려할 시 기동능력이 보다 우선시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안보적 차원에서 북한의 장사정포와 화생방 공격의 위협으로부터 생존

성 문제에 비중을 둔 것으로 판단되며, 기술적 차원에서는 성공적 임무완수를

위한 작전운영성능에 있어서 기동력의 중시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신분별로는 안보환경에 있어서 연구원들은 생존능력에 비해 기동능력이 중

요시 된다고 판단하였으나, 현역 군인은 기동능력보다는 생존능력에 비중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는 중요도 순위판단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제3절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 분석

1. 타격능력

<표 4-6> 타격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구 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타격

능력

현역 0.105 0.144 0.175 0.096 0.479

연구원 0.270 0.142 0.174 0.117 0.295

종합 0.170 0.146 0.182 0.109 0.390

우선순위 3 4 2 5 1

타격능력에 있어서 육군 FCS의 개별 전투체계 간 우선순위는 <표 4-6>과

같이 타격능력의 경우 지휘통제체계(0.390), 무인공중체계(0.182)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였고 유인체계(0.170)가 세 번째로 중요시하는 전투체계로 평

45) 국방부 홍보관리관실, 국방부 보도자료, 2008. 1. 2. p. 6.

Page 6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7 -

가되었다. 또한 무인지상체계(0.148)가 병사체계(0.109)보다 더 중요시하고

있다.

특히 지휘통제체계의 중요도가 상당히 높게 평가되었는데 이는 지휘통제체

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순히 FCS의 각 장비들을 합쳐놓은 것 이상의 능

력으로 원거리 및 복잡한 지형에서 보안성 및 신뢰성 있는 타격 정보를 이용

가능하도록 한 체계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무인공중체계가 유인

체계나 무인지상체계보다 중요도의 우위를 나타난 것 또한 정보력에 의한 표

적의 탐색과 적의 중심으로보다 깊숙이 침투하여 조종사의 희생없이 공중타

격 임무수행이 가능한 무인 정찰 폭격기 즉, 이라크 및 아프칸에서 활약 중인

미국의 프레데터46)와 같이 타격능력에 비중을 둔 것으로 보인다.

신분별에 있어서는 현역의 경우, 무인공중·지상체계에 대한 타격능력을 중

요시한데 비해서 연구원들은 유인체계를 우선시하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는 현역의 경우 현재 개발중인 무인공중·지상체계에 대한 타격 정 도의 향

상에 무게를 둔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원은 현 유인체계의 타격능력을 보다

향상된 유인체계의 필요성을 반증한 결과로 보인다.

2. 정보통신능력

<표 4-7> 정보통신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구 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정보

통신

능력

현역 0.123 0.159 0.226 0.112 0.379

연구원 0.131 0.133 0.259 0.117 0.358

종합 0.127 0.145 0.242 0.113 0.369

우선순위 4 3 2 5 1

정보통신능력에 있어서는 <표 4-7>과 같이 지휘통제체계(0.369), 무인공

46) RQ-9 프레데터는 무인 정찰 폭격기이며 양 날개길이 20m, 작전시간 14시

간, 무장은 GPS 유도 합동정 직격탄(JDAM), 레이져 유도탄(GBU-12), 헬파이

어 미사일 등이 있다.

Page 7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8 -

중체계(0.242)가 각각 1, 2위를 무인지상체계(0.146)가 세 번째로 중요시하

는 전투체계로 평가되었고 유인체계(0.127)가 병사체계(0.113)보다 더 중요

시되고 있다. 정보통신능력에 있어서 지휘통제체계의 중요도가 상당히 높게

평가된 것은 당연한 결과로 판단되며, 무인공중체계가 무인지상체계나 유인체

계보다 중요도의 우위를 나타난 것 또한 위 타격능력에서와 비슷하게 무인

정찰기에 의한 정보수집 및 통신 중계에 비중을 둔 것으로 보이며, 주목할 점

은 유인체계보다 무인지상체계가 다소 중요도가 높게 나온 것 또한 정보수집

에 있어서 위험도가 높은 적진에 무인장비 투입으로 인명의 희생없이 임무가

가능한 것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신분별로는 위의 결과와 우선순위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기동능력

<표 4-8> 기동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구 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기동

능력

현역 0.132 0.177 0.222 0.101 0.367

연구원 0.324 0.212 0.167 0.133 0.163

종합 0.212 0.201 0.205 0.121 0.259

우선순위 2 4 3 5 1

기동능력에 있어서는 <표 4-8>과 같이 지휘통제체계(0.259), 유인체계

(0.212), 무인공중체계(0.205), 무인지상체계(0.201), 병사체계(0.121) 순

으로 나타났다. 기동능력에서는 병사체계를 제외한 나머지 체계들의 값이 근

소함으로 중요도의 편차가 크지 않다. 특히 무인공중체계(0.205)와 무인지상

체계(0.201)는 0.004의 차이로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유인체계가

무인체계(무인공중·지상체계)보다 높은 중요도를 차지한 것이 괄목할만하다.

이는 기동능력에 있어서 유인체계인 장갑차량의 경량화를 통한 기동력의 증

대가 요구되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되며 유인체계는 인명의 탑승이 되는

Page 7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59 -

점을 감안하여 기동력의 증대가 생존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분별로는 현역의 경우는 대기동 즉 적의 기동을 차단 및 저지하기위한 것

을 염두하여서 지휘통제체계와 무인공중체계에 대한 중요도를 높이 평가하였

고, 연구원의 경우는 유인체계와 무인지상체계의 지상 장비의 기동성에 대한

우선순위화 한 것이 특징적이다.

4. 생존능력

<표 4-9> 생존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구 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생존

능력

현역 0.148 0.183 0.168 0.146 0.355

연구원 0.292 0.151 0.140 0.230 0.186

종합 0.210 0.172 0.158 0.187 0.270

우선순위 2 4 5 3 1

생존능력에 있어서는 <표 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휘통제체계(0.270),

유인체계(0.210), 병사체계(0.187), 무인지상체계(0.172), 무인공중체계

(0.158) 순으로 나타났다. 생존능력에서는 유인체계와 병사체계의 중요도가

무인체계(무인지상·공중체계)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임무수행에 있어서 생

존성을 인명에 비중을 둔 결과로 보이며, 유인체계에서는 기동력을 높이기 위

한 경량화로 인해서 장갑 방호력이 다소 감소되지 않을까에 대한 우려를 통

해 생존성 문제를 체계구축의 하나의 과제로 보고 있는 것이 반영된 듯 하고

, 병사체계 또한 생존에 있어서 취약한 화생방 방호력에 무게를 둔 것으로 판

단된다.

신분별로는 연구원의 경우는 위의 결과와 같이 유인체계와 병사체계의 생존

능력에 중요도를 높이 평가한 반면, 현역은 생존성 향상을 위해 지휘통제체계

를 통한 사전 탐지·전파와 무인지상체계와 무인공중체계를 통한 직접적인

Page 7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0 -

인명피해를 없도록 하여 생존능력을 증대시키데 초점을 둔 것으로 판단된다.

5. 전투지속능력

<표 4-10> 전투지속능력에서의 육군 FCS 우선순위 분석표

구 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전투

지속

능력

현역 0.176 0.196 0.143 0.172 0.311

연구원 0.317 0.153 0.130 0.193 0.207

종합 0.240 0.177 0.138 0.185 0.258

우선순위 2 4 5 3 1

전투지속능력에 있어서는 <표 4-10>과 같이 지휘통제체계(0.258), 유인체

계(0.240), 병사체계(0.185), 무인지상체계(0.177), 무인공중체계(0.158)

으로 생존능력과 같은 결과 순으로 나타났다. 유인체계 및 병사체계에서의 지

속적인 전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위한 능률적인 전투근무지원 및 자산의 가시

화로 지원 소요의 실시간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시된 결과로 판단

된다.

신분별에 있어서 연구원은 유인체계와 병사체계의 유류·탄약·물자의 원

활한 보급을 통한 직접적인 전투지속능력의 향상을 중요시하였지만, 현역의

경우는 지휘통제체계를 이용한 자산가시화로 지속적인 전투지원이 가능해야

하는데 우선순위한 것이 특징적이다.

6. 육군 FCS 우선순위 종합 분석

앞에서 언급한 고려사항 및 요구능력을 모두 종합하여, 5가지의 육군 FCS

의 개별 전투체계 즉,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

제체계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4-11>과 <그림 4-2>와 같다.

Page 7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1 -

육군 FCS의 개별 전투체계에 대한 종합 우선순위는 지휘통제체계(0.329),

무인공중체계(0.202), 유인체계(0.169), 무인지상체계(0.159), 병사체계

(0.130)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휘통제체계를 제외한 나머지 체계들의 값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미래전 양상에 맞게 네트워크화

된 지휘통제체계를 중심으로 각 체계들의 시스템복합체계로의 구축이 중요하

다는 인식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 미군이 이라크 등지의 작

전에 투입하여 그 위상과 유용성이 입증되어 무인 정찰 폭격기는 핵심전력으

로 등극함에 따라 무인공중체계의 중요성 또한 부각된 결과라 판단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상에 있어서는 무인지상체계보다는 유인체계가 다소 중요하다

고 판단된 이유는 설문의 기타 의견란을 통해볼 때 유인체계가 지상전투의

중심이 된 가운데 무인지상체계는 보조적 수단으로써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

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짐작된다.

<표 4-11> 육군 FCS 우선순위 종합 분석표

구 분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타격

능력

현역 0.105 0.144 0.175 0.096 0.479

연구원 0.270 0.142 0.174 0.117 0.295

종합 0.170 0.146 0182 0.109 0.390

정보

통신

능력

현역 0.123 0.159 0.226 0.112 0.379

연구원 0.131 0.133 0.259 0.117 0.358

종합 0.127 0.145 0.242 0.113 0.369

기동

능력

현역 0.132 0.177 0.222 0.101 0.367

연구원 0.324 0.212 0.167 0.133 0.163

종합 0.212 0.201 0.205 0.121 0.259

생존

능력

현역 0.148 0.183 0.168 0.146 0.355

연구원 0.292 0.151 0.140 0.230 0.186

종합 0.210 0.172 0.158 0.187 0.270

전투지속

능력

현역 0.176 0.196 0.143 0.172 0.311

연구원 0.317 0.153 0.130 0.193 0.207

종합 0.240 0.177 0.138 0.185 0.258

전체 종합 0.169 0.159 0.202 0.131 0.329

우선순위 3 4 2 5 1

Page 7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2 -

0

0.05

0.1

0.15

0.2

0.25

0.3

0.35

유인체계 무인지상체계 무인공중체계 병사체계 지휘통제체계

<그림 4-2> 육군 FCS 구축의 우선순위 도표

제2장에서 살펴본 미 육군이 진행 중인 FCS 구축의 단계를 비교하여 볼

때, 미 육군은 Spin Out 1에서 4까지의 단계별로 나누어 추진하고 있는데,

네트워크체계는 1에서 4단계까지의 전체기간 동안 구축이 되고, 1·2단계에

서 무인공중체계와 기타 무인지상체계로 분류한 무인지능화탄약을 비롯한 센

서를 개발하고, 2·3단계에서 무인지상체계가 진행되며, 이어서 마지막 4단

계에 유인체계와 병사체계를 완성하여 최종적으로 FCS 여단을 창설하는 것

으로 마스터플랜을 작성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본 연구에서 조사 분석을

통해 산출한 한국 육군의 FCS 구축 우선순위와 비교 했을 때 무인 지능화탄

약 및 센서 등의 기타 무인지상체계를 AHP 분석의 편의상 무인지상체계로

함께 묶어 분석한 것과 지상전력에서 유인체계를 중심으로 무인지상체계는

이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판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가운데, 이 두

가지를 제외하고는 미 육군이 계획추진 중인 FCS 구축의 우선순위와 대동소

이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Page 7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3 -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 연구 결과의 요약

현재 우리 군은“국방개혁”이라는 하나의 큰 시대적 흐름에서 한정된 국방

예산으로 첨단장비를 통해서 감축된 인력으로 인한 전투력의 공백을 대체하

고자 한다. 이에 육군은‘육군비전’을 준거로 새롭게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해당하는 미래 전력체계의 소요를 판단하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에서는 앞 다투어 미래의 전투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전개될 미래전 양상의 변화을 통해서 미래 전투체계

구축에 대한 당위성을 제기하였고, 미 육군에서 추진 중인 FCS를 통해서 우

리가 구축해야할 미래의 전투체계 즉 한국형 육군 FCS 구축에서 고려해야할

위협, 기술적 수준 등의 환경적 고려사항과 이를 구축하는데 요구되는 능력들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우리 육군의 FCS 구축에 있어서 개별 전

투체계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AHP 기법을 이용하였다.

AHP 기법을 이용한 분석을 위해 모형을 구성하였는데 고려사항으로 안보 환

경과 기술적 환경으로 계층을 구성하였고, 또한 육군 FCS 구축에 있어서 각

체계별 요구능력을 고려하기 위해 「육군비전」 및 「지상전 개념서」등을

근간으로 하여 타격·정보/통신·기동·생존·전투지속능력의 6개 항목으로

요구능력 계층을 설정하였으며, 미군의 FCS 개별체계와 국과연에서 연구하고

있는 무인전투체계에서의 개별체계들을 참고로 유인·무인지상·무인공중·

병사·지휘통제체계의 5개 항목으로 개별전투체계 계층을 구성하였다. 설문

대상은 FCS 관련 연구 및 실무를 하고 있는 국방과학연구소의 연구원과 육

Page 7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4 -

군 전발단 및 교육사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고려사항 계층에서는 기술적 환

경(0.568)이 안보 환경(0.432)보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FCS라는 미래에 구축할 전투체계가 현 상황에서 볼 때 기술적인 면에서 제

약이 많음을 반증한 결과로 여겨진다. 요구능력 계층의 중요도를 종합한 결과

는 정보통신능력(0.434), 타격능력(0.175), 기동능력(0.143), 생존능력

(0.135), 전투지속능력(0.108)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FCS의 주요한 특성이 네트워크를 통한 시스템복합체계이기 때문이라 판단된

다. 또한 미래전에서는 먼저 보고, 먼저 결심하고, 먼저 타격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공격에서뿐만 아니라 방어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방어로서 타격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된 것임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군수지원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전투지속능력이 최하위로 평가된 것

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육군 FCS 구축의 개별 전투체계 계층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

과는 지휘통제체계(0.329), 무인공중체계(0.202), 유인체계(0.169), 무인지

상체계(0.159), 병사체계(0.13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군의 FCS 체계개

발 로드맵과 비교시 우리 육군은 유인체계가 우선순위화 된 것이 특징적 이

다. 이를 분석하자면 우리 육군에서는 유인체계가 중심이 되고 무인지상체계

는 보조적 수단으로써의 운용을 강조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

하고는 미 육군이 추진하고 있는 FCS 마스터플랜과 대동소이한 결과이다. 또

한, 지휘통제체계에 대한 구축의 우선순위가 현저히 높은 것은 미래전에서의

시스템복합체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 무인전투체계, 미래병사와 관련된 체계 및 UAV 등의 연구개발이 제

각각 진행 중에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FCS 라는 거시적인 복합체계를 구성하

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위에서 분석한 결과를 참고로 개별 전투체계

별 중요도를 통한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보다 더 체계적이고 부족한 점을 진

단하여 정해진 기간에 성공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Page 7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5 -

2. 연구의 시사점

위에서 살펴본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 육군의 FCS 구축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휘통제체계를 중심으로 네트워크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이는 연

구결과에서 지휘통제체계 구축이 가장 우선시된 것과 같이 현재 무인전투체계

의 개발만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 육군에 있어 유·무인전투체계의 상호 네트워

크를 통한 복합시스템체계로써 시너지를 발휘하는 것이 우선시됨을 뜻한다.

둘째, 연구개발 사업 초기에 면 한 기술 분석이 요구된다. 연구결과에서도

기술적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과 같이 면 한 기술 분석을 통해서 현실

성 있는 기술개발계획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FCS가 상상속의 환상

적인 전투체계로 머물지 않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셋째, 유인체계를 중심으로 무인지상체계는 보조적 수단으로 발전시켜나가

야 할 것이다. 이는 유인체계의 중요성이 무인지상체계보다 우선시 된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전장에서 인명의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 개발한 무인지상체계

가 역으로 인명의 경시와 인간을 무능화시켜서 주객이 전도되는 상황이 발생

하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넷째, 우리의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FCS 구축은 세계 방위산업

시장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요구능력 계층에서 정보통신능력에

대한 높은 중요도가 나타남은 세계 무선인터넷시장에 있어서 무선데이터통신

및 와이브로(WiBro)47)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을 가지고 있는 우리에게 체계

47)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는 이동하면서도 초고속인터

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휴대 인터넷을 말한다. 정보통신부·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와 이동통신 업체들이 상용 서비스를 목표로 개발하는 무선 휴대인터넷 서비

스이다. 휴대형 무선단말기를 이용해 정지 및 보행 또는 시속 60㎞로 이동시에도 고

속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

되었고, '05년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에 의하여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었다. '07년

10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와이브로를 3세대 이동통신의 6번째 기술표준으로

채택했다.

Page 7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6 -

및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비용 절감을 통해 FCS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타 국

가들에 비해서 방위산업 시장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기화를 제

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FCS 구축을 위한 민군겸용기술(Dual Use Technology)에 대

한 지원 및 투자의 확대도 요구된다. 위의 결과에서 무인체계에 대한 높은 중

요도를 감안한다면 민간 부분의 산업로봇체계에 있어서 선진국 반열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기술을 활용한 Spin-on 효과를 토대로 FCS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FCS 구축을 통해 축적된 기술을 Spin-off 하는 방법을 통해

서 결과적으로 민(民)과 군(軍)이 함께 기술적 향상이 가능한 Spin-up 효과

를 발휘할 수 있다. 이는 수요군의 차원이 아닌 국가경쟁력 차원에서의 발전

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Page 7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7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 연구의 한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육군 FCS 구축에 관한 우선순위 설정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들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제한된 국방예산 하에서 효율적인 육군 FCS 구축을 한다는 전제하에

고려사항 계층에서 경제적 환경을 고려하지 못했다. 이는 우리 육군 FCS의

개별 전투체계에 대한 예산소요 자료의 부재에 기인하여 경제적 환경에 대한

쌍대비교를 반영하지 못한 것이다.

둘째, 설문조사시 항목이 많아질수록 응답자의 일관성이 낮아질 것을 우려

하여 설문항목을 제한하였다. 때문에 평가항목을 좀 더 세부적으로 구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현재 우리 군이 FCS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단계에서 전문가들의

설문조사에 대한 전문성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즉,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육

본 전투발전단 및 교육사의 실무자 등의 비교적 FCS에 관한 전문조직을 설

문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나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모두 수렴한 설문결과라고

신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육군 FCS 구축에 관한 개념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 할 때, 개별 전투체계에 관한 대안의 결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

각된다. 다시 말해 예산의 제약으로 유인체계의 체계개발이 아닌 성능개량의

대안을 고려하는 문제와 개별 전투체계에 있어서 어떠한 기종을 포함 및 누

Page 8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8 -

락시킬 것인가의 대안을 놓고 연구하여 보다 FCS 구축에 보다 구체적인 방

안을 제시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미 육군의 FCS를 토대로 연구하였으나, 앞으로 여러 선진

국들의 FCS 개발에 대해 연구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선진국들의

FCS 구축에 대해서 비교분석을 하는 것도 우리의 FCS 구축에 필요한 연구

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육군 FCS 구축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나, 차후에는 합

동군사력 건설의 관점에서도 군별 전력구축에 중복 및 상쇄됨이 없도록 삼군

합동차원의 한국군 FCS 구축에 대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age 8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69 -

참 고 문 헌

1. 국 문

○ 강성진, “군사분야 의사결정에 있어 AHP 응용사례 연구,”「교수논

총」제14집, 서울 : 국방대학교, 2007.

○ 강성진, 이상진, “한국적 전략개념과 투자 우선순위 결정 방안 검증,”

「정책연구보고서 96-17」제266호, 서울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1996.

○ 국방과학연구소, “지상 무인전투체계 발전방향,”2007.

○ ______________, “국방로봇 추진계획,”2006.

○ 국방부 홍보관리관실, 국방부 보도자료, 2008.

○ 권태영,“21세기 정보사회와 전쟁양상의 변화,”「21세기 군사혁신과

한국의 국방비전」,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1998.

○ 노훈, “2020년 이후 지상전 개념 및 전투발전 연구,”「지상군 미래전력

창출 구상」, 서울 :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2007.

○ 육군 교육사령부, “주간 해외 군사자료 정보,”제 08-36호, 2008.

○ 육군 전투발전단 옮김, 「미 육군 미래전투체계 사업 및 대안」, CBO,

The United State Future Combat System

Program and Alternative, 2006.

○ 육군본부, 「지상전개념서」, 2008.

○ ________, 「육군비전」, 2008

○ ________, 「미래 지상작전 및 전투발전」, 2004.

○ 윤영식, “군사력의 의의와 건설방향,”차영구, 황병무 편, 「국방정책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오름, 2002.

○ 이용복, “서열척도를 이용한 AHP그룹의사결정 방법,”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6.

Page 8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0 -

○ 장무수, “무인 전투체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동국

대학교, 2006.

○ 정영오, “이스라엘, 로봇병사 개발 곧 실전투입,”「한국일보」, 2008.

4. 30.

○ 조정재, “미 육군의 미래군 무기체계 연구,”「전투발전」, 제 124호,

2006,

○ 최근하, “미래전투체계 획득전략 및 대응방향,”(석사학위논문, 한남대

학교, 2007.

○ 황치복, “한국군 지상군 미래전투체계(FCS) 구상.”「지상군 미래전력

창출 구상」, 서울 : 한국 전략문제연구소, 2007.

2. 문

○ Bennett, Bruce W., "US Army Combat Development Applied to

the ROK Army," CA : RAND National Security

Research Division, 2007.

○ Howard, Ronald A., “Decision Analysis : Practice and Promise,”

Management Science, vol. 34, no. 6, June, 1998.

○ Saaty, Thomas L., “How to make a decision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rch 48, 1990.

○ Shanley, Michael G; Crowley, James C; Lewis, Matthew W; Masi,

Ralph; Leuschner, Kristin J; Straus, Susan G; & Angers,

Jeffrey P. “Supporting Training Strategies for Brigade

Combat Teams Using Future Combat Systems(FCS)

Technologies,”CA : RAND ARROYO CENTER, 2007.

○ TACOM, “FCS case 06-183,” Smart Book, 2006.

Page 8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1 -

부 록

Page 8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2 -

육군 미래 투체계(FCS) 구축을 한

개별 투체계의 우선순 결정 련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포 안보태세를 유지하고 미래 을 비하기

한 육군 미래 투체계(FCS) 구축에 있어서 개별 투체계들의

우선순 결정을 해 작성된 설문서입니다.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13조에 의거하여 오직 연구의

목 만을 해 사용되며, 분석과정에서 통계 처리되어 익명성이

보장되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육군의 미래 투체계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극 인 조 부탁드립니다.

2008년 9월

국방 학교 국방 리 학원 서 용 채

지도 교수 송 일

연락처: 군) 901-2130

H/P) 010-5077-7879

E-mail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Page 8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3 -

설 문 서 내 용

○ 「국방개 2020」의 연장선에서 육군의 미래 투체계(FCS)를 구

축하기 한 우선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개별 투체계들이

미래 을 비한 육군의 FCS 구축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를 평가하

기 해 다음과 같은 세부 기 들을 계층화 하 습니다.

Page 8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4 -

○ 세부 기 들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보

환경

◦ 북한의 심각한 경제난과 체제 기 등의 문제로 인한 군사 도발의

가능성

◦ 동북아 역내 국가들과의 이해상충으로 인한 해양 토문제

◦ 국제사회 인 테러, 북한에 의한 체제 복 난민사태 그리고

국내에서 발생가능한 등

기술

환경

◦ FCS 구축에 한 우리의 기술 개발 가능성

(유인·무인·병사·지휘통제 체계에 한 우리의 기술 수 )

타격

능력

◦ 기본 으로 이 가진 타격체계의 사거리 밖에서 의 핵심표 에

한 효과 인 정 타격을 할 수 있는 장거리 정 타격능력

◦ 의 장갑차, 하차보병 그리고 헬리콥터에 한 다 임무에 한

융통성을 포함

정보

/

통신

능력

◦ 장에 한 지형 기상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시에 한 형태

로 제공할 수 있고, 다량의 통신데이터를 소화해 낼 수 있는 능력

◦ 투요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도록하여 합동성에도 부합

할 수 있는 능력

기동

능력

◦ 의 심과 취약 으로 신속하게 기동하여 결정 인 작 에 기여

하는 능력

◦ 주요 무기체계들의 자주화와 도로 야지횡단 능력 그리고 장애물

극복능력

◦ 의 기동능력을 제한하는 기동능력을 포함한 개념

생존

능력

◦ 의 으로부터 아군의 투력을 보존함으로써 조직 인 투력의

발휘를 보장하기 한 능력

◦ 화생방 등의 량살상무기로부터의 제독 방호력을 포함

전투

지속

능력

◦ 부 의 지속 인 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한 능률 인 투근무지원 능력

◦ 자산의 가시화로 지원 소요의 실시간 측이 가능한 능력을 포함

Page 8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5 -

○ 개별 투체계들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인체계

기존의 지상 유인체계의 성능개량 무인체계와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한

네트워크 자주화 장갑체계, 감시용으로 열감시세서(IR : Infrared, 다기

능 이더, NBC 센서 등이 탑재, 크기와 무게는 수송기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

능하게 개발.

미국의 경우는 보병 투차량, 지휘통제차량, 감시정찰차량, 차, 자주 곡사

포, 박격포차량, 구난정비차량, 의무지원차량 등 8종으로 구성. 아래 그림 참조

보병 수송차 (Infantry Carrier)

비가시선 박격포 (NLOS Mortar) 비가시선 자주포 (NLOS Cannon)

수색감시차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지휘통제차 (Command and Control)

구급차 구난정비차 (Recovery and Maintenance)

장갑차 (Mounted Combat System)

출처: 찰스 카트라이트(Charles Cartwright) 장, 데니스 뮐 버그(Dennis Muilenburg)의

미육군 회 과학기술 원회 젠테이션 “One Team—-Equipping Our Joint Warfighters

with the World’s Best Capability” (2005년 2월 11일, 버지니아 주 리엄스버그) 기반, 의회

산처 자료.

Page 88: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6 -

2. 무인지상체계

◦무인차량 : ARV-A는 병사들에게 원격 수색 무장엄호를 제공하고 감

시장비 무기를 벙커, 건물, 동굴 등에 투입하는 것. 지뢰용 MULE은 지

뢰를 탐지, 표시, 해체하며, SUGV는 14kg 이내의 량으로 보병이 휴 하

도록 설계되는 로 이며, 최 2.7kg의 장비(통상 자식 감시장비)를 탑재하

여 동굴, 터 , 건물, 기타 잠재 인 험지역을 조사함.

◦기타 무인지상체계 : 무인지상감시장비는 가형 소모성 다기능 감시장

비를 탑재하여 침입자, 생-화학 작용제를 탐지하고 원격 감시를 수행, 비가시

선 발사체계는 15발의 신형 미사일을 탑재하는 발사 로, 쉽게 배치할 수 있

고 원격 는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 지능형지뢰탄체계(IMS)는 감시장

비 통신링크를 장착하여 감시장비로 탐지한 인원 차량 정보를 송가

능하며, 원격 ON/OFF 할 수 있고, 개별 IMS가 잔류 험물이 되지 않도록

하기 하여 명령에 의해 는 미리 설정한 시간 후에 자폭하도록 설계됨.

Page 89: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7 -

3. 무인공 체계

I형 II형

III형 IV형

감시, 표 식별, 통신 계를 지원하는 네 종류의 무인항공기(UAV)를 개

발한다. 미 육군의 재 설계에 따르면 각 기종별로 계획된 임무에 따라 작

반경과 체공시간이 각기 다르다. 미군의 경우 4가지 형태로 개발됨.

◦ I형 UAV : 각개 병사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재 육군이 제시한 제원은

량 6.8kg 미만, 수직이착륙 가능, 작 반경 8km, 1시간 체공 가능 등이다.

◦ II형 UAV : 수직이착륙이 가능하지만 소형인 I형에 비해 작 반경이 두

배 넓고 체공시간이 더 길다. 보병 MCS 차량 를 지원하게 될 II형

UAV의 량은 45~68kg 사이로 상.

◦ III형 UAV : 에 정보를 제공할 정, 재의 설계 제원은 량이

136~227kg 사이, 작 반경 40km, 6시간 체공 가능.

◦ IV형 UAV : 여단 지원 모델로 생산. 육군 헬기와 조된 작 을 수행

할 수 있고, 최 24시간동안 통신을 계하고 최 75km 거리에서 수색, 조

기경보 감시 임무를 할 수 있다. 1,360kg이 넘을 수도 있고 길이는 최

7m에 이를 수 있음.

Page 90: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8 -

4. 병사체계

미 랜드워리어 개념과 유사하며, 개인화기, 네트워크 통신, 공용 작 상황

도(COP), 그리고 방호체계 등을 포함한다.

◦개인화기 : 한국형 차기소총을 포함하거나 이상의 성능 요구됨

◦미세 기후 조 장치 : 소형 환기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냉각되거나 더워진

물이나 공기를 회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병사들이 -18도∼49도의 범 내

에서 안락하게 작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소형화된 우주복정도)

◦카멜 온 투복 : 비, , 화생방 무기로 부터 모두 보호되는 투복으로

이동하는 환경에 따라 형태와 빛깔이 달라지는 장 기술, 구체 으로 나노기

술로 직조된 속성 특수섬유에 일정한 원을 가함으로서 동 기, 하 기와

같은 계 과 사막, 원, 림에 맞도록 투복의 색을 변화시키는 기술.

◦네트워크 통신 : 통신기, 임무 컴퓨터와 GPS능력이 통합된 착용하는 컴퓨

터와 투복과 일치된 안테나 의료진과 지휘자가 부 원의 신체 , 정신

인 비상태를 추 할 수 있도록 심장 박동수, 체온, 휴식시간, 물이 필요한 시

간 다른 요인 등을 감시하는 몸에 붙어있는 센서.

◦ 천후 헬멧시스템 : 투기 조종석에서 사용되는 HUD와 비슷한 형태와

헬멧 장착형 정보 달장치를 이용해 지도와 술자료는 물론, 차기소총에 장착

된 열상장비의 상을 달받는 헬멧으로 소리 감도를 높이기 하여 헬멧

에 달린 마이크로 폰이 장착되고, NBC 방호체계를 작동, 별도의 방독면 불필요

◦작은 수송용 로 : 약 225kg의 장비를 나르면서 분 를 따라 이동하는

천후 수송용 로 을 포함. 의 그림은 미국의 수소용 로 ‘빅독’

Page 91: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79 -

5. 지휘통제체계

지상복합 력체계 네트워킹을 한 체계제어망(RTCS)를 말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순히 FCS를 각 장비들을 합쳐놓은 것 이상의 능력.

즉, 데이터 공유, 범용 운용소 트웨어 사용, 통신 컴퓨터 장비는 원거리

복잡한 지형에서 보안성 신뢰성 있는 정보 이용이 가능한 체계.

Page 92: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0 -

다음은 가 치 측정을 한

응답요령입니다.

① 응답방법은 "A"항목과 “B"항목을 비교하여 상 으로 얼마나 요한가를

숫자상에 ”○“합니다.

② “응답 시 ”

문) “통합군사력건설”에 있어서 고려사항을 두개씩 비교할 경우 상 인

요도를 해당되는 숫자에 ”○“하여 주십시오(숫자 간은 짝수임).

고려사항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

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고려사항

(B)

9 7 5 3 1 3 5 7 9

북한 9 7 5 3 1 3 5 7 9 주변국

이는 ‘북한 ’이 ‘주변국 ’보다 단히 요함을 의미한다.

Page 93: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1 -

상 인 요도가 얼마나 되는지 해당되는 곳에 “○”하여 주십시오

(숫자 간은 짝수임)

Ⅰ. 미래 을 비한 육군 FCS 구축에서 ‘안보 환경’과 ‘기술 환경’ 간 상 비 은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고려사항

(A)

A가

A가 단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

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히 요

B가

요고려사

(B)9 7 5 3 1 3 5 7 9

안보

환경9 7 5 3 1 3 5 7 9

기술

환경

Ⅱ. 고려사항 평가기 에 의한 분야들의 비교를 실시해 주십시오.

1. 안보 환경에 있어서 요구능력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요구능력

(A)

A가

A가 단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히 요

B가

요 요구능력

(B)

9 7 5 3 1 3 5 7 9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정보/통신능력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기동능력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생존능력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정보/통신능력 9 7 5 3 1 3 5 7 9 기동능력

정보/통신능력 9 7 5 3 1 3 5 7 9 생존능력

정보/통신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기동능력 9 7 5 3 1 3 5 7 9 생존능력

기동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생존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Page 94: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2 -

2. 기술 환경에 있어서 요구능력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

하십니까?

요구능력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요구능력

(B)9 7 5 3 1 3 5 7 9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정보/통신능력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기동능력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생존능력

타격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정보/통신능력 9 7 5 3 1 3 5 7 9 기동능력

정보/통신능력 9 7 5 3 1 3 5 7 9 생존능력

정보/통신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기동능력 9 7 5 3 1 3 5 7 9 생존능력

기동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생존능력 9 7 5 3 1 3 5 7 9 투지속능력

Ⅲ. 요구능력계층 평가기 에 의한 분야들의 비교를 실시해 주십시오

1. 타격능력을 구비하기 해서 투체계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투체계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투체계(B)

9 7 5 3 1 3 5 7 9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지상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병사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Page 95: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3 -

2. 정보/통신능력을 구비하기 해서 투체계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

고 생각하십니까?

투체계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투체계(B)

9 7 5 3 1 3 5 7 9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지상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병사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3. 기동능력을 구비하기 해서 투체계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투체계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투체계(B)

9 7 5 3 1 3 5 7 9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지상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병사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Page 96: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4 -

4. 생존능력을 구비하기 해서 투체계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투체계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투체계(B)

9 7 5 3 1 3 5 7 9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지상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병사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5. 투지속능력을 구비하기 해서 투체계 계층 상호 비교시 비 을 어떻게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투체계

(A)

A가

A가 단

히 요

A가 요

A가약간 요

동 일B가약간 요

B가 요

B가 단

히 요

B가

요 투체계(B)

9 7 5 3 1 3 5 7 9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지상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유인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무인공 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지상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병사체계

무인공 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병사체계 9 7 5 3 1 3 5 7 9 지휘통제체계

Page 97: 육군 미래전투체계 구축을 위한

- 85 -

Ⅳ. 육군 FCS 구축에 한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어주십시오.

Ⅵ. 기타

☞ 다음은 인구통계학 사항에 한 설문입니다.

1. 귀하의 직 은 어떻게 되십니까?

가. 공무원 : ① 8~9 ② 6~7 ③ 5 ④ 4 이상

나. 군 인 : ① , 부사 ② 소령 ③ 령 ④ 령 이상

다. 연구원 : ① 책임연구원 ② 선임연구원 ③ 연구원

라. 기 타 : ( )

2. 귀하의 직책은 무엇입니까?

① 담당 ② 장 ③ 부장 이상 ④ 기 타 ( )

3. 귀하의 군 는 연구 련분야 근무연수는 몇 년입니까?

① 1~2년 ② 3~5년 ③ 6~10년 ④ 11년 이상

4. 귀하의 련 부서 근무연수는 몇 년입니까?

① 1~2년 ② 3~5년 ③ 5~10년 ④ 기 타 ( 년)

5. 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30 이하 ② 30 과 50 미만 ③ 50 이상

※ 수고하셨습니다. 귀하의 답변은 육군 FCS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