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14
민민민 민민 민민 민민 2008.10.16 발발발 발발발

Upload: miliani-thomas

Post on 30-Dec-2015

28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2008.10.16 발표자 정은영. 민주화. Democratic transition 민 주주의가 정착되기까지 전환기적 상황. 민주화란. 권위주의 독점적 권력배분 지배자의 선호에 따라 정책 결정. 민주주의 경쟁시장적 권력배분 정책은 시장 경쟁의 결과 ( 공정한 경쟁의 기회 제공 ). ‘ 불확실성의 제도화 ’. 참여 Participation. 책임 Accountability. 경쟁 competitiveness. 접근 Accessibility. 응답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2008.10.16

발표자 정은영

Page 2: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민주화

Democratic transition민주주의가 정착되기까지

전환기적 상황

Page 3: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민주화란

권위주의

독점적 권력배분

지배자의 선호에 따라 정책 결정

민주주의

경쟁시장적 권력배분

정책은 시장 경쟁의 결과(공정한 경쟁의 기회 제공 )

Page 4: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 불확실성의 제도화’

참여Participation

책임Accountability

접근Accessibility

응답Responsiveness

경쟁competitiveness

Page 5: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경제위기 이론

거시경제 정책의 실패

권위주의 체제 붕괴

민주주의권위주의

Page 6: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성공의 위기이론

권위주의체제의

경제정책 성공

역사적 임무의 완성

민주주의 체제

새로운 기능적 필수요건

Page 7: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계급 프로젝트 이론민주화란 특정계급의 프로젝트

페레이라 – 부르주아지의 헤게모니적 역할 ( 브라질 )

코나간 – 부르주아지의 계급특수이익적 프로젝트

특정계급 ( 부르주아지 ) 에게 확정된 역할 부여But 자본가들은 전략적 손익계산에 따라 지지결정

Page 8: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정통성위기이론

정통성의 위기를 맞은 권위주의는아래로부터의 저항에 부딪치면서 붕괴

( 군부독재의 안보이데올로기 )

권위주의 체제의 위협은대안적 헤게모니의 조직

Page 9: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 위로부터의 민주화”이론

권위주의 지배연합의 분열이민주화의 기본 동력

( 구조적 제약이나 반대세력은 불충분 )

강경파 – 억압적 권위주의체제의 유지온건파 – 체제반대세력과 협상으로 전환 시도

Page 10: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대안적 이론 모색위로부터의 화해 ( 협상 ) 와 시민사회로의압력간의 상호작용의 결과

집권세력과 반대세력의 대치상황의 해결책( 선거 또는 제도적 갈등의 방식 채택 )

러스토우의 대치이론 (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 )

Page 11: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전환의 방식 권위주의 체제세력

강경파 개혁파

급진파반대세력 온건파

민주혁명 또는재권위주의화 개혁적 민주화

현상유지 또는온화한 권위주의 협약에 의한 민주화

Page 12: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비민주화 (Non-Transition)

혁명 또는 반혁명 : 전환 정치의 주도권이

급진적 민중과 체제내 강경파에 있을 때

현상유지 또는 온화한 권위주의체제 :체제내의 강경파나 반대세력내의 온건파에게 주도권이 있을 경우

Page 13: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민주화개혁적 민주화 : 아래로부터의 평화적인 대중동원 , 시민권 확장과 민주적 경쟁영역의 확대전환은 어려우나 , 정착 후 지속 가능성협약에 의한 민주화 : 장기화된 대치의 지속에서 최적의 해결책인 민주주의에 타협경쟁 ( 선거 ) 의 결과에 상관없이 권력분점을 보장 , 정치세력의 체제 유지 용이배제적 , 사회경제적 보수주의 초래전환은 유리하나 , 장기적인 정착에 문제

Page 14: 민주화 비교 연구 서설

맺는말 : 한국의 민주화의 과제

한국의 민주화 유형 : 협약에 의한 민주화협약의 원리는 단지 제한된 경쟁과 참여만 허용

( 민주주의의 책임성 , 제도내의 경쟁에의 접근 , 국민 요구에 대한 응답의 원칙에 위배 )

한국 민주화의 과제 “협약민주주의의 민주화”참가장벽의 철폐를 통한 민주적 경쟁의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