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4, No. 2, pp. 449~471, 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김 상 아 * 강 정 배 ** 변 찬 석 *** < 요 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습장애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총 7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논문 제목에 나타난 키워드를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어 클라우드,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중심성 분석의 3가지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 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248편으로 약 35%였으며, 치료, 교육심리, 의학, 심리학 등 다양 한 분야에서 학습장애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습장애아, 아동, 학생, 학습장애아동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2001년 이후부터는 학교 급을 초등학교에 한정 시킨 연구가 많았다. 셋째, 효과, 영향, 비교, 분석등이 논문 제목에서 다른 단어들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학습장애학생 + 프로그램 + 효과와 같은 프로그램 및 중재의 효과나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가 많았다. 넷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구 주제가 점차 다양해졌으나, 여전히 학업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가 많으며, 학습장애아의 사회성 연구는 적었다. 핵심어 :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학습장애, 연구 동향 *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Doctoral Course ** 대구대학교 연구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Research Professor,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Upload: others

Post on 29-May-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4, No. 2, pp. 449~471, 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김 상 아* ㆍ 강 정 배** ㆍ 변 찬 석***

< 요 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습장애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총

7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논문 제목에 나타난 키워드를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어 클라우드,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중심성 분석의 3가지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

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248편으로 약 35%였으며, 치료, 교육심리, 의학, 심리학 등 다양

한 분야에서 학습장애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습장애아’, ‘아동’, ‘학생’, ‘학습장애아동’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2001년 이후부터는 학교 급을 초등학교에 한정

시킨 연구가 많았다. 셋째, ‘효과’, ‘영향’, ‘비교’, ‘분석’ 등이 논문 제목에서 다른 단어들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학습장애학생+ 프로그램+ 효과’와 같은 프로그램 및 중재의 효과나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가 많았다. 넷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구 주제가 점차 다양해졌으나,

여전히 학업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가 많으며, 학습장애아의 사회성 연구는 적었다.

핵심어 :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학습장애, 연구 동향

*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Doctoral Course

** 대구대학교 연구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Research Professor,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Page 2: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50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94년 「특수교육 진흥법」의 개정과 함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에 학습장애가 포함

되면서, 학습장애아 교육의 법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와 더불어 학습장애에 대한 관심

이 증대되면서, 교사와 학습장애 관련 전문가들은 학습장애의 정의 및 특성, 진단ㆍ판별,

교육적 중재 등 다양한 연구들을 꾸준하게 진행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축적되어온 학습장애

분야의 학문적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의 연구 동향 및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노력이 요구

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학습장애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선행되었다.

학습장애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는 단어재인(손승현, 2006), 학습장애 영재(강승희, 2004),

교수전략(강옥려, 2004, 최한나, 김애화, 2013), ICT 활용 중재(박진형, 허유성, 2010),

판별 및 진단(김자경, 2001; 안정애, 2006), 대인관계(이대식, 2000) 등 특정 주제를 중심

으로 이루어졌으며, 학습장애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본 연구로는 이은림(1998)의

연구를 시작으로 김소희, 정혜승(2007), 김동일, 고은영, 정소라, 이유리, 이기정, 박중규,

김이내(2009)의 연구가 있었다.

이은림(1998)의 연구에서는 1984년부터 1998년까지 15년간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을

Kirk(1984)가 분류한 특정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ability: SLD) 분류에 따라

발달적 학습장애와 학업적 학습장애로 나누어 중재방법 및 하위유형, 표집방법, 진단 및

판별도구, 측정도구 및 측정치로 나누어 동향을 분석하였다. 김소희, 정혜승(2007)은 1996

년부터 2006년까지 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 방법,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선별준거, 중재전략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김동일 외(2009)의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간 발표된 연구들을 특성, 정의와 진단 및 판별, 중재 및 치료(학습/행

동), 출현율ㆍ역학, 생물학적 연관, 기타(인식)로 나누어 2년 단위로 한 동향 분석을 제시

하였다. 학습장애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는 학습장애, 읽기장애, 수학학습장애의 특성

을 하위 범주로 나누어 관련 문헌을 제시하였고, ‘정의와 진단 및 판별’에서는 학습장애와

읽기ㆍ수학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영재로 구분하여 각각의 하위 범주별로 관련 문헌을 제시

하였다. 학습장애의 ‘중재’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는 학습장애 영역을 읽기장애, 수학장애,

쓰기장애, 기타로 분류하여 각각의 장애 유형에 따른 중재별 관련 문헌을 제시하였다.

Page 3: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51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완전하게 구축되기 이전에 수행된 이은림(1998)의

연구를 제외한 김소희, 정혜승(2007)과 김동일 외(2009)의 연구에서는 논문 제공 데이터

베이스에서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논문 중에서 연구 주제와 일치하는 논문을 선정하여 분

석하는 문헌 연구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학습장애 관련 연구 주제나

중재 전략, 선별 준거, 연구 방법 및 유형에 따른 연구 현황을 분석하기에는 매우 의미 있

는 방법이다. 그러나 연구자가 논문의 초록이나 본문의 내용을 직접 읽어보고 분석을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선정 논문의 수가 방대할 경우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는 연도별 분석 결과에서 빈도수와 같은 기술적인 정보를 위주로 제공하였기 때문

에(김동일 외, 2009; 김소희, 정혜승, 2007) 연구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어려

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방법을 이용한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연구 방법

으로 국내의 많은 학문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특정 연구자의 관점이나 연구자가 정한

선험적 분류에 구애받지 않고, 분석하고자 하는 텍스트에 나타난 단어나 개념들 사이의

관계에서 의미를 찾아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객관적인 분석 방법이다(Doerfel & Marsh,

2003). 인과관계를 밝혀내거나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보완

이 필요하지만, 대량의 논문들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연구자 간의 신뢰도 검증

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은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주요 개념과 각 개념들 사이의 관계 강도까지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다(이혜준, 이동일, 이주현,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학습장애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학습장애

관련 연구의 특징과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 과제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습장애 분야의 전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5년 단위의 연차별 연구 동향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Page 4: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52

Ⅱ. 연구 방법

1. 전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논문의 인용 색인을 관리하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영 중인 KCI(Korea Citation

Index)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논문 중 학습장애 관련 연구의 유일한 학술지인 ‘학습장애

연구’에 수록된 전체 논문과, ‘학습장애연구’ 이외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학습장애’, ‘읽기장애’, ‘쓰기장애’, ‘쓰기 표현 장애’, ‘수학장애’, ‘산수장애’, ‘산술장애’, ‘난독증’의 단

어가 논문의 제목으로 사용된 논문을 1차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KCI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논문은 KCI 제도 이후에 등록된 논문을 중심으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KCI 제도

이전의 논문 검색은 불가능하였다. KCI 제도 이전의 논문은 김소희, 정혜승(2007)의 연구

에서 수집된 204편의 논문 중 1차 분석 대상이 된 논문을 제외한 논문을 추가하여 2차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김동일 외(2009)의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한 289

편의 논문 중 1차 분석 대상 논문 및 2차 분석 대상 논문과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분석

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논문은 1996년부터 2015년까지 총 701편이었으며, 수집된 논문의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표 2-1> 논문 분석 기준

구분 수집 논문 편수(편) 비고

KCI 시스템에 등록된 ‘학습장애’, ‘읽기장애’ 등의 단어를 포함한

논문과 ‘학습장애연구’에 수록된

전체 논문

479학습장애연구

: 2004. 5 ~ 2014. 12

김소희, 정혜승(2007)의

분석 대상 논문192 KCI 제도 이전의 논문

김동일, 고은영, 정소라, 이유리,

이기정, 박중규, 김이내(2009)의

분석 대상 논문

30 KCI 제도 이전의 논문

합계 701

2. 분석 방법

총 70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논문 제목에 나타난 키워드

Page 5: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53

를 중심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논문 제목

외에 초록과 논문 전문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방법도 있지만, 700편 이상 되는 대량의 논

문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의 내용과 핵심 주제를 가장 집약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논문의

제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문장의 의미를 연구자의 주관에 따라 분석하거나(한관종, 2003)

단순 빈도 분석을 통해 반복된 횟수를 정량적으로 나타내어 중요도를 강조하지 않고, 개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기초로 하고 있다(Doerfel & Connaughton, 2009). 분석

과정에는 빅데이터 분석 도구인 R과 한글 형태소 분석을 위해 KoNLP 패키지를 활용하였

다. 논문 제목에서 형태소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체언을 추출한 다음, 문장부호와 숫자를

제거하고, 영어 단어를 소문자화 한 후, 미사용 단어를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는 3가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강정배,

2015),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로 시각화

하여 제시하였다. 워드 클라우드는 태그 클라우드(Tag Cloud)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문서

에 사용된 단어의 빈도를 계산해서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단어의 중요도를

글자 크기나 색깔로 표시하는데, 많이 나오는 단어는 크게 표시되기 때문에 한 눈에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단어 기반의 계층적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덴드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클러스터링(Clustering)이란 유사성 등의 개념에 기초하여 데

이터를 몇몇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총칭하는 것으로 문헌 검색, 패턴 인식 등에 폭

넓게 응용되고 있으며, 덴드로그램(Dendrogram)은 공간의 인접, 상호 관계를 계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 제목에서 단어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

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다이어그램(Network diagram)으로 중심성 분석(Centrality Analysis)

을 하였다. 중심성 분석은 논문의 동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논문 제목 내에서 단어 간

인접관계, 출현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된 것으로 그래프와 네트워크

를 시각화하는 방법인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학습장애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연차별 분석 등을

통해 연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

Page 6: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54

Ⅲ. 연구 결과

1. 전체 연구 동향 분석

총 701편의 논문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1996년 14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2002년 36

편, 2003년 42편, 2004년 54편으로 증가하였고, 2005년 69편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2007년 35편으로 2005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2008년 45편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2009년에 다시 감소하였고, 2010년 이후 부터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도별 논문 수의 변화는 <그림 3-1>에 제시하였다.

<그림 3-1> 연도별 논문 수의 변화

학술지별 논문 수를 살펴보면, 총 69개의 학술지에서 게재 되었으며, ‘학습장애연구’에서

총 248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가장 많았고, ‘정서ㆍ행동장애연구’ 75편, ‘특수교육저널: 이론

과 실천’ 및 ‘특수아동교육연구’가 각각 62편, ‘특수교육학연구’가 49편 순으로 나타났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10편 이상의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가 9개, 5편 이상 10편 미만

인 학술지가 10개, 5편 미만의 학술지가 50개로 나타났다. 학술지별 논문 수의 변화는

<그림 3-2>에 제시하였다.

Page 7: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55

<그림 3-2> 학술지별 논문 수의 변화

학습장애와 관련된 전체 논문의 제목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장애’ 단

어를 포함하는 논문은 285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효과’를 연구한 논문이 167편이었다.

연구 대상을 나타낸 단어로 ‘학생’ 111편, ‘아동’ 104편, ‘학습장애아동’ 78편이 있었으며,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명시한 논문은 47편으로 나타났다. 대상의 범주적 측면에서는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연구된 논문이 52편으로 많이 나타났다. 학습장애의 세부 분야에서

는 ‘수학’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세부 결과는 <표 3-1>과 같다.

<표 3-1> 논문 제목에서 많이 사용된 상위 20개 단어와 논문 수

단어 논문 수 단어 논문 수

학습장애 285 초등학교 52

효과 167 학습장애아 47

학생 111 능력 41

아동 104 전략 39

학습장애아동 78 프로그램 39

중심 73 교수 38

분석 67 수학 38

영향 65 개발 37

비교 54 진단 37

특성 54 향상 36

Page 8: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56

<그림 3-3> 5회 이상 사용된 단어의 워드 클라우드

논문 제목에서 사용된 단어 중 5회 이상 사용된 단어를 워드 클라우드로 도식화 하면

<그림 3-3>과 같다. <표 3-1>의 상위 빈도 20개의 단어가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그

이외의 논문 제목에 사용된 단어의 특징을 보면, ‘수학학습장애’ ‘학습장애학생’, ‘중재’, ‘읽기

장애’, ‘인식’ 등의 단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단어를 보면 지기효능

감, 읽기이해, 관계, 문제해결, 통합교육, 수학 문장제, 선별, 교육적용, 일반아동, ADHD,

문장제, 학습부진 등의 단어가 주변부 단어로 나타났으며, 낮은 빈도로 사용되었지만, 중재

반응모델이나 언어학습장애아동, 학습치료사 등의 관련 연구가 5회 이상 있었다.

논문 제목에 사용된 단어 간의 관계성을 분석해 볼 수 있는 클러스터 덴드로그램으로

도식화 한 결과는 <그림 3-4>와 같다. 10개의 클러스터로 구분해 보면, ‘학습장애’는 모

든 단어와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 ‘영향’, ‘학습장애아동’, ‘분석’ 등의

단어는 독립적인 클러스터를 구성할 만큼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수학학습장애’와 ‘적용’, ‘자기효능감’과 ‘훈련’, ‘특성’과 ‘비교’, ‘프로

그램’과 ‘학습장애학생’ 등의 단어는 제목 내에서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수학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특정 교수모형이나 중재 전략, 프로그램 등을 ‘적용’한 연구(고혜정,

김동일, 2014; 김용욱, 우정한, 2012; 하정숙, 정대영, 2012),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특

정한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연구(강옥려, 고승

희, 2005; 김성숙, 김윤옥, 2008; 최세민, 2011), 학습장애아의 ‘특성’을 ‘비교’한 연구(김

자경, 강혜진, 김주영, 2013; 이윤미, 김애화, 2011; 이태수, 홍성두, 2007), ‘학습장애학

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박남수, 최성규, 정수권, 2009; 전우천,

김철호, 2010; 허승준, 2007)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Page 9: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57

<그림 3-4> 전체 논문 제목의 단어 연관성을 분석한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그림 3-5> 전체 논문 제목에서 관련 단어들의 연결 중심성

단어의 사용 빈도와 단어 간 관계의 분포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그림 3-5>와 같다.

그림에서 단어의 글자 크기가 클수록 논문 제목 내에서의 사용 빈도가 높음을 뜻하며, 연결

된 선의 굵기가 굵을수록 단어 간의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학습장애’, ‘효과’,

Page 10: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58

‘학생’, ‘아동’, ‘중심’ 등의 단어는 중앙에 위치하여 다른 단어와 많이 연결되어 있어 중심

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장애’와 ‘효과’는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과 ‘효과’, ‘수학학습장애’와 ‘진단’, ‘학습장애아’와 ‘특성’, ‘학습장애아’와 ‘훈련’, ‘프로그램’과 ‘효과’가 높은 연관성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 5년 단위별 연구 동향 분석

전체적인 흐름을 한 눈에 살펴보기 위해서 총 20년을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구간의 범주는 1996년 ~ 2000년, 2001년 ~ 2005년, 2006년 ~ 2010년, 2011년 ~ 2015년

으로 5년 단위로 나누어 4개의 분석 구간으로 하였고, ‘워드 클라우드’, ‘클러스터 덴드로

그램’, ‘중심성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워드 클라우드 분석

각 구간별로 논문 제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2>와 같다. 전체 4

개의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학습장애’를 포함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효과’, ‘아동’ 등의

단어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장애 아동’, ‘교수’는 1996년부터 2010년까지

많이 사용되었고, ‘학생’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많이 사용되었다.

<표 3-2> 논문 제목에서 많이 사용된 상위 20개 단어와 논문 수

1996년 ~ 2000년 2001년 ~ 2005년 2006년 ~ 2010년 2011년 ~ 2015년

단어 논문 수 단어 논문 수 단어 논문 수 단어 논문 수

학습장애 18 학습장애 99 학습장애 89 학습장애 79

학습장애아 14 효과 72 효과 52 학생 47

효과 13학습장애

아동39 학생 34 중심 31

학습장애

아동12 아동 32 아동 33 효과 30

아동 11 학생 27학습장애

아동23 아동 28

읽기장애 9 초등학교 25 영향 19 영향 27

프로그램 9 분석 21 개발 18 분석 23

영향 8 중심 17 수학 18 비교 23

중심 7 향상 17 중심 18 특성 19

분석 6 능력 14 분석 17 중재 17

Page 11: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59

‘프로그램’과 ‘학습장애아’는 1996년부터 2010년까지는 많이 사용되었으나 2011년 이후

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과 ‘분석’은 1996년부터 2015년까지 꾸준

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논문 제목에서 ‘중심’ 사용 빈도는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초등학교’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사용이 많지 않았으나, 2001년 이후부터

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단어를 제외하고, 각 구간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96년에서 2000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은 65편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장애

학생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독해전략 교수법의 인지적 효과 비교(최병연, 1999)’, ‘긍정

적인 정서 유인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업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변찬석, 1998)’ 등과

같이 ‘읽기장애’, ‘사회적’, ‘인지적’, ‘관계’, ‘교수법’과 관련한 연구들(김지혜, 김승태, 1996;

임영란, 김지혜, 김승태, 1997; 최혜라, 1996)이 많았다. 2001년에서 2005년 사이에 발표

된 논문은 219편 이었으며, 이전 구간의 분석에서 상위 20개 빈도에 나타나지 않았던 ‘초등

학교’, ‘향상’, ‘진단’, ‘훈련’, ‘고찰’ 등의 연구(강옥려, 2002; 김하경, 최득남, 2003; 정대영,

신현인, 2003)가 있었다. 2006년에서 2010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은 226편 이었으며,

1996년에서 2005년의 상위 20개 빈도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개발’, ‘인식’에 관한

연구(김애화, 신현기, 한경호, 황민아, 이준석, 박현, 2006; 이원령, 2006; 허승준, 2007)가

있었다. 2011년에서 2015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은 191편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 이전

의 상위 20개 빈도 분석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중재’, ‘ADHD’, ‘수학학습장애’ 등의 연구

(김동일, 고혜정, 조영희, 2014; 여승수, 손지영, 2013; 전윤희, 장경윤, 2013)가 있었다.

각 구간별로 3회 이상 논문에 사용된 모든 단어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 한 결과는 <그림

3-6>, <그림 3-7>과 같다.

비교 6 학습 14 특성 17 인식 16

사회적 6 교수 13 학습장애아 17 전략 15

인지적 6 학습장애아 13 비교 16 초등학교 13

특성 6 특성 12 탐색 16 ADHD 12

기술 4 영향 11 진단 14수학

학습장애12

전략 4 전략 11 초등학교 14 활용한 12

관계 3 진단 11 프로그램 14 개발 11

교수 3 훈련 11 교수 13 능력 11

교수법 3 고찰 10 능력 13 수학 11

능력 3 프로그램 10 인식 13 탐색 11

Page 12: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60

<그림 3-6> 워드 클라우드 (좌:1996년 ~ 2000년, 우:2001년 ~ 2005년)

<그림 3-7> 워드 클라우드 (좌 : 2006년 ~ 2010년, 우 : 2011년 ~ 2015년)

2)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분석

각 구간별로 논문 제목에 사용된 단어의 연관성을 클러스터 덴드로그램으로 도식화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13: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61

1996년 ~ 2000년 논문 제목에서 많이 사용된 단어들을 10개 범주로 군집화 한 결과,

‘학습장애아’, ‘아동’, ‘학습장애’, ‘학습장애아동’, ‘효과’는 논문 제목으로 사용된 단어 간에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세부적인 논문 제목의 단어 간의 연관성을 보면, ‘학습장애

학생 + 프로그램’, ‘인지적 + 특성’, ‘중심 + 분석’의 연구가 많았다. 또한 ‘사회적 + 행동’이나

‘능력 + 관계’ 또는 ‘능력 + 관계 + 기술’에 관련된 연구가 많았으며, ‘교수 + 학생’의 연구

와 ‘학습성취 + 비교’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다. 세부 분석 결과는 <그림 3-8>과 같다.

<그림 3-8>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2001년 ~ 2005년 논문 제목에서 많이 사용된 단어들을 10개 범주로 군집화 한 결과

일반적인 단어는 1996년 ~ 2000년의 연구 결과와 같이 ‘학습장애’, ‘중심’, ‘아동’, ‘학습장애

아동’, ‘분석’, ‘효과’ 등이었으나, 연구의 주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10개의 군집에서 단어의

수가 많이 늘었으며, ‘진단 + 특성’, ‘학습 + 향상’, ‘어휘력 + 프로그램’, ‘교수전략 + 고찰’, ‘사회 + 자기효능감’ 등 다양한 단어 간의 연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는 <그림

3-9>와 같다.

<그림 3-9>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Page 14: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62

2006년 ~ 2010년 논문 제목에서 많이 사용된 단어들을 10개 범주로 군집화 한 결과,

‘학습장애’, ‘효과’, 학생‘, ‘아동’, ‘학습장애아동’, ‘영향’이 독립적인 군집 범위가 되었다.

‘수학학습장애’의 진단’에 관한 연구(여승수, 홍성두, 박춘성, 2010; 정은주, 2010), ‘수학

문장제’ 관련 연구(나경은, 2010; 정세영, 김자경, 2010; 최세민, 2006), ‘읽기장애’에 적용

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정광조, 김동일, 2007; 조주현, 2008) 등이 많이 이루

어졌으며, 2006년부터 ‘수학학습장애’의 비중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학습장애 학생

들을 위한 효과적인 곱셈 구구 중재전략에 관한 문헌분석(황리리, 신현기, 2008)’, ‘학습

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김애화, 2006)’ 등 ‘국내’ 연구들을 ‘분석’ 한

논문이 많이 게재되었으며(김애화, 박현, 2010; 정혜승, 김소희, 2008) ‘탐색 + 특성 + 학습

장애아’ 등이 연관성 높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그림 3-10>과

같다.

<그림 3-10>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2011년 ~ 2015년 논문 제목에서 많이 사용된 단어들을 10개 범주로 군집화 한 결과,

10개 군집 중 7개의 군집이 1개의 단어로 구성되었다. 즉, ‘학습장애’, ‘인식’, ‘학생’, ‘효과’, ‘중심’, ‘분석’, ‘영향’ 7개 단어의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수학학습장애

+ 적용’, ‘위험군 + 탐색’, ‘초등학교 + 비교’ 등이 연관성 높은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ADHD아동의 읽기 이해점검능력(남윤정, 황민아, 임종아, 2012)’ 등 ‘ADHD 아동’의 학업

수준 및 능력에 관한 연구(김은향, 김동일, 고은영, 2013; 이경혜, 변찬석, 2013)들이 활발

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2006년 ~ 2010년의 ‘수학학습장애 + 진단’에서 더 나아가 ‘수학학습

장애 + 적용’과 ‘수학 + 학습부진 + 위험군 + 탐색’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그림 3-11>과 같다.

Page 15: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63

<그림 3-11>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클러스터 덴드로그램

3) 중심성 분석

각 구간별로 논문 제목에 사용된 단어의 사용 빈도와 단어 간의 관계 분포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그림 3-12>와 <그림 3-13>에 제시하였다.

<그림 3-12>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좌:1996년 ~ 2000년, 우:2001년 ~ 2005년)

1996년에서 2000년 사이의 분석 결과를 보면, ‘학습장애’, ‘효과’, ‘아동’, ‘영향’, ‘사회

적’은 다양한 단어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읽기장애’와 ‘분석’은

상호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는 ‘학습장애아동’, ‘인지적’과 높은

Page 16: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64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관계’, ‘행동’, ‘전략’ 등의 단어는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아 주

변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2001년에서 2005년 사이의 분석 결과를 보면, ‘효과’와 ‘향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은 ‘프로그램’, ‘특성’, ‘효과’ 등의 단어와

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훈련’은 ‘효과’, ‘능력’, ‘향상’, ‘전략’ 등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음운’과 ‘어휘력’은 연관성이 높은 단어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음운’의 경우 ‘프로

그램’과의 연관성이 높았으며, 음운 인식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들

(노선옥, 전헌선, 2003; 안성우, 2005)이 있었다.

<그림 3-13>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좌:2006년 ~ 2010년, 우:2011년 ~ 2015년)

2006년에서 2010년 사이의 분석 결과, ‘학습장애’, ‘학습장애아동’, ‘아동’은 다른 단어

들과 가장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서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학습장애’와 ‘진단’, ‘학습장애학생’과 ‘특성’, ‘국내’와 ‘분석’ 사이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이 시기에는 국내 학습장애 관련 연구들에 대한 문헌분석 논문(김동일 외, 2009; 안정애,

2006; 정은주, 2010; 허유성, 이우진, 2009)이 많았다. 2011년에서 2015년 사이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위험군’, ‘학습부진’, ‘수학’, ‘중재’ 등 다양한 단어들 간의 연관성이 확대

되고, 단어들 간에 많은 연결성이 발생하여, 2011년 이전에 비해 폭 넓은 연구가 진행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17: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65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여 년에 걸쳐서 이루어진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동향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이루어진 학습장애 연구는 총 701편이었으며, 2005년 69편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06년부터 매년 40편 이상의 연구가 꾸준하게 발표되고 있다. 학

습장애 연구들은 60개 이상의 학술지에서 발표되었으며, 그 중에서 ‘학습장애연구’가 248

편으로 약 35%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10편 이상의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 9개 중에서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가 7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특

수교육 전반에 걸쳐 학습장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치료, 교육심리, 의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도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명명속도 결손에 관한 비교 연구(김미경, 윤치연, 안성우, 2003)’, ‘언어지도를 병

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장애아동의 부적응행동 사례연구(김소영, 이근매,

2001)’ 등 학습장애에 관한 연구(전선영, 신민섭, 조수철, 김붕년, 2003; 추은정, 박중규,

윤화영, 이영호, 2007)들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추후에는 인접 학문 간 교류와 연계를

통한 연구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둘째, 단어의 사용 빈도를 중심으로 시각화 분석방법인 워드 킅라우드 분석로 분석한

결과,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학습장애’를 포함한 ‘효과’, ‘분석’, ‘영향’ 등의 단어는 높

은 횟수를 보였으며, 논문 제목에서 꾸준하게 사용되었다. 주로 ‘학습장애아’, ‘아동’, ‘학생’, ‘학습장애아동’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또한 ‘학습장애’ 영역을 세부

적으로 구분하여 진행한 연구 보다는 ‘읽기장애’, ‘쓰기장애’, ‘수학장애’ 등을 포함하는 보

다 포괄적인 범위의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2001년 이후부터는 학교

급을 초등학교에 한정시킨 연구(손희정, 박현숙, 2005; 정현승, 김애화, 2012)가 많이 이

루어졌다. 추후에는 연구 대상을 중ㆍ고등학생으로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 급별에 따라 학습장애아들의 인지적, 사회적,

학업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교육 현장에서 겪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학교 급별

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2006년 이후에는 학습장

애 및 학습장애아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김향리, 이대식, 2009; 변찬석, 박외곤,

2013; 이성숙, 김애화, 2008; 최정미, 박외곤, 2012)가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인식 개선이나 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학습장애아를 교육하는 교사들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18: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66

셋째, 클러스터 덴드로그램을 통해 동향성을 살펴본 결과, ‘효과’, ‘영향’, ‘비교’, ‘분석’ 등이 논문 제목에서 다른 단어들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구간별 분석에서도 많은 논

문에서 꾸준하게 사용되었다. 2000년 이전에는 ‘학습장애학생 + 프로그램 + 효과’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고, 2001년 이후에도 여전히 프로그램 및 중재의 효과나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비해서, 최근 특수교육 분야에서 주

목 받고 있는 보조공학을 활용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적극적으로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넷째,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통한 동향성을 살펴보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어와 단어

사이가 보다 치밀하고 복잡하게 연결되어 연구 주제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학업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가 많으며, 학습장애아의 사회성 연구

에 대해서는 소홀한 경향을 보였다. 자신감 결여, 교우관계 위축, 충동적 행동 등이 지속

되면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장애아의 사회성에 관한 연구에도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논문 제목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해석함으로써 실제 수행된 논문의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 할 수 있었으나,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의 경향 파악과 더불어 키워드에 대한 분석이 추

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영향’, ‘효과’ 등의 단어가 상위에 분포되어 있어 세부 분석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향후 세부

분석을 위해서는 ‘수학학습장애’와 같은 특정 단어를 중심에 두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특정 대상 또는 특정 상황에 어떠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학습장애 분야에서 필요하지만 연구가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를 찾아내어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분석 대상 논문의 범주를 확대하여

빅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장애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필요에 따라

종합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언어 네트

워크 분석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법이므로 국외의 연구동향과 국내의 연구동향을 비교

ㆍ분석하는 연구 또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국내에서 필요한 연구

들을 도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Page 19: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67

참 고 문 헌

강승희 (2004). 학습장애 영재의 연구동향과 연구내용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6(2), 355-375.

강옥려 (2002). 학습장애 아동과 학습부진 아동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관한 고찰. 정서ㆍ행동장애연구, 18(3),

133-150.

강옥려 (2004). 학습장애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으로서의 그래픽 조직자의 사용. 학습장애

연구, 1(1), 1-27.

강옥려, 고승희 (2005). 인지-메타인지전략 훈련이 학습장애아동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6(3), 135-154.

강정배 (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특수교육 분야 연구동향 분석:

1997년 ~ 2014년.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6(1), 281-306.

고혜정, 김동일 (2014).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규칙장모형을 적용한 수학문장제 문제해결

인지요소 숙달비율 및 성취비율 비교. 학습장애연구, 11(1), 119-146.

김동일, 고은영, 정소라, 이유리, 이기정, 박중규, 김이내 (2009).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아시아

교육연구, 10(2), 283-347.

김동일, 고혜정, 조영희 (2014).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중재 효과 분석-다층메타분석의 적용.

특수교육, 13(3), 387-408.

김미경, 윤치연, 안성우 (2003).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명명속도 결손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치료연구, 12(2), 241-254.

김성숙, 김윤옥 (2008). 어휘획득 전략 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어휘력 신장과 자기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 15(2), 281-307.

김소영, 이근매 (2001). 언어지도를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장애아동의 부적응행동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8(2), 197-214.

김소희, 정혜승 (2007). 국내 학습장애 교육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1996-2006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9(2), 223-256.

김애화 (2006).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2), 265-299.

김애화, 박 현 (2010).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과학교수에 관한 문헌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1), 147-175.

김애화, 신현기, 한경근, 황민아, 이준석, 박 현 (2006). 학습장애 위험학생 선별검사 개발에 관한 예비연구

결과 - 문항내적합치도와 내용타당도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1(3), 351-384.

김용욱, 우정한 (2012). 수학학습장애 진단 및 수학학습부진 중재를 위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의 적용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3(1), 257-281.

김은향, 김동일, 고은영 (2013). 아동학회지: ADHD 위험군 아동의 쓰기 수행 수준과 오류유형: ADHD와 쓰기

학습장애의 공존성 탐색. 아동학회지, 34(1), 71-86.

김자경 (2001). 학습장애의 판별방법 및 절차에 관한 고찰: 학습장애 정의에 따른 관련 논문 분석을 중심

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6(1), 101-126.

Page 20: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68

김자경, 강혜진, 김주영 (2013). 저소득층 학습장애 위험군의 학습문제 유형과 인지 및 학업적 특성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4(4), 57-80.

김지혜, 김승태 (1996). 읽기 장애 아동과 주의력 결핍/과잉 활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아ㆍ청소년

정신의학, 7(2), 224-232.

김하경, 최득남 (2003). 동료수용ㆍ이해훈련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의 이타적 행동 및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4(2), 109-132.

김향리, 이대식 (2009). 학습장애로 의심되는 아동의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초등교육

연구, 22(2), 257-280.

나경은 (2010).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문장제 해결 기술에 대한 도식기반중재의 효과. 학습장애연구, 7(1),

135-156.

남윤정, 황민아, 임종아 (2012). ADHD아동의 읽기 이해점검능력. 학습장애연구, 9(2), 215-229.

노선옥, 전헌선 (2003). 청각적 단서 제공 음운인식 프로그램이 읽기 장애 아동의 음운 인식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중복ㆍ지체부자유아교육, 42, 183-198.

박남수, 최성규, 정수권 (2009). 학습장애 학생의 내재적 동기 유발을 위한 사회과 놀이중심 문제해결 활동

프로그램 개발. 학습장애연구, 6(2), 173-194.

박진형, 허유성 (2010).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ICT 활용 중재 연구경향 및 중재 프로그램 분석. 학습장애

연구, 7(1), 197-221.

변찬석 (1998). 긍정적인 정서 유인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업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회지,

19(1), 427-441.

변찬석, 박외곤 (2013).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을 지닌 학생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시각장애연구, 29(4),

177-200.

손승현 (2006). 학습장애와 읽기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단어재인 교수법 동향 분석. 학습장애연구, 3(1),

139-160.

손희정, 박현숙 (2005). 자기결정기술 교수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 옹호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2(1), 93-114.

안성우 (2005). 읽기 장애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와 음운 인식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언어치료연구, 14(1), 105-125.

안정애 (2006). 국내 읽기학습장애 연구의 진단방법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1), 311-329.

여승수, 손지영 (2013).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수학적 자기효능감 비교 연구. 특수

교육, 12(1), 207-225.

여승수, 홍성두, 박춘성 (2010). 수학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진전도 기울기의 대안적 산출

방안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5(3), 101-113.

이경혜, 변찬석 (2013). ADHD 아동의 학업수행능력과 아버지 양육특성들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장애연구,

10(1), 167-182.

이대식 (2000). 학습장애 아동들의 대인관계 기술 부족에 관한 기존 연구 동향과 쟁점: 학습장애아를 위한

상담활동에 주는 시사점. 청소년상담연구, 8(1), 122-145.

Page 21: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69

이성숙, 김애화 (2008).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 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특수

교육요구아동연구, 20, 113-137.

이원령 (2006).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5(3), 21

-39.

이윤미, 김애화 (2011). 초등학교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실행기능 특성 연구. 특수교육연구, 18(1),

245-264.

이은림 (1998). 학습장애 연구에 관한 최근 동향 분석-국내 자료를 중심으로. 정서ㆍ학습장애연구, 14(2),

247-269.

이태수, 홍성두 (2007). 문장제 문제에 대한 일반아동과 저성취아동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중재반응 특성

비교 분석. 정서ㆍ행동장애연구, 23(1), 187-210.

이혜준, 이동일, 이주현 (2010).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14(2), 105-128.

임영란, 김지혜, 김승태 (1997). 학습장애 하위유형의 인지적, 신경심리학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1), 53-73.

전선영, 신민섭, 조수철, 김붕년 (2003).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K-ABC와 K-LDES의 진단적 타당도.

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 14(2), 209-217.

전우천, 김철호 (2010). 학습 장애학생의 주의집중향상을 위한 m-ARCS 모형기반 모바일앵커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4), 605-617.

전윤희, 장경윤 (2013). 학습장애 또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7(4), 139-163.

정광조, 김동일 (2007). 직접교수(DI) 원리를 적용한 한글읽기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읽기장애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8(1), 169-196.

정대영, 신현인 (2003). 예상도 작성법 훈련이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

연구, 5(1), 129-152.

정세영, 김자경 (2010). 수학학습장애 아동의 읽기학습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과 해결

과정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2), 1-20.

정은주 (2010). 국내 수학 학습장애 연구의 선별 및 진단 방법 분석:2000-2010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

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5(3), 115-133.

정현승, 김애화 (2012).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단순 연산 인출의 정확도 및 속도 비교

연구. 학습장애연구, 9(3), 205-229.

정혜승, 김소희 (2008). 국내 쓰기 학습장애아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2(4), 169-

191.

조주현 (2008). 균형적 문해 프로그램이 읽기장애 위험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5(2),

61-83.

최병연 (1999). 학습장애 학생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독해전략 교수법의 인지적 효과 비교. 교육심리

연구, 13(4), 201-225.

Page 22: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2호)470

최세민 (2006). 전략훈련과 설명적 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된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3(1), 95-116.

최세민 (2011). 작업기억 활성화 훈련이 학습장애아동의 어휘습득과 언어과제수행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8(2), 31-46.

최정미, 박외곤 (2012). 학습장애에 대한 초, 중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3),

291-311.

최한나, 김애화 (2013). 학습장애 학생의 철자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전략에 관한 문헌분석. 학습장애연구,

10(1), 123-150.

최혜라 (1996). 운동지각(運動知覺)과 읽기장애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4(1), 133

-157.

추은정, 박중규, 윤화영, 이영호 (2007). 사례연구: 초등1학년 읽기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읽기, 사회성

결합훈련의 효과. 놀이치료연구, 11(1), 77-87.

하정숙, 정대영 (2012).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중재반응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학습장애연구, 9(2), 113-141.

허승준 (2007).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앵커드 수업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효과. 학습장애연구, 4(1), 95-

116.

허유성, 이우진 (2009).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에 관한 국내 블로그 내용의 양적 분석. 학습장애연구,

6(1), 85-104.

한관종 (2003).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와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0(2), 219-235.

황리리, 신현기 (2008). 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곱셈 구구 중재전략에 관한 문헌분석. 특수교육학

연구, 43(1), 69-89.

Doerfel, M. L., & Connaughton, S. L. (2009). Semantic networks and competition: Election year

winners and losers in U.S.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1960-2004.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1), 201-218.

Doerfel, M. L., & Marsh, P. S. (2003). Candidate-issue positioning in the context of presidential

debates. Journal of Allied Communication Research, 31(3), 212-237.

Kirk, S. A., & Chalfant, J. C. (1984). Academic and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Denver, Love

Publishing.

Page 23: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1-%B1%E8%BB%F... · (Semantic Network Analysis)에서 사용되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471

<Abstract>

Analysis on the Trend of Studies Related to the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im, Sang A ㆍ Kang, Jung Bae ㆍ Byun, Chan Su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domestic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is, the total of 701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1996 to 2015 were selected, and the key

words of the research titles were analyzed with three methods being us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are word cloud, cluster dendrogram, and centrality

analysi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248 that constitutes approximately 35 percent, and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care, educational psychology, medical science, psychology, etc. Second,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 o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children’, ‘students’, etc. Since 2001,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whose scopes were limited in

the level of the elementary education. Third, it turned out that words such as

‘effect’, ‘influence’, ‘comparison’, ‘analysis’, etc showed high association with other

words in research titles. And as shown in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program + effect’,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 on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programs and interventions. Fourth, research topics have been gradually diversified.

However, many studies still put their focus on learning aspects, and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on the sociali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Key Words : Semantic Network Analysis, Learning Disabilities, Trend of Research

논문접수 : 2015. 04. 23 / 논문심사일 : 2015. 05. 13 / 게재승인 : 2015. 0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