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더넷포럼운영 - tta.or.kr peer aware communication wpan technology 3. details of forum...

95
[2015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한국이더넷포럼운영 2015. 12. 18. 포럼 사무국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Upload: hoangnga

Post on 06-Apr-2018

230 views

Category:

Documents


7 download

TRANSCRIPT

- 1 -

[TTA - 15069 -SA]

[2015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한국이더넷포럼운영

2015. 12. 18.

포럼 사무국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 2 -

제 출 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귀하

본 보고서를 “ 한국이더넷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보

고서로 제출합니다.

2015 년 12월 18일

포럼 수행기관(사무국) :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대표자) 신 용 태(인)

연구 책임자 : 윤종호 교수 (인)

참여 연구원 : 송나옥 교수(KAIST)

참여 연구원 : 최윤주 과장(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참여 연구원 : 박영은 과장(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 3 -

정보통신․ 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 4 -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R0166-15-1015

과 제 명 방송통신표준화활동지원-

사실표준화기구(포럼)협력대응 및 국제표준화전문가육성

포 럼 명 (국문) 한국이더넷포럼

(영문) Korea Ethernet Forum

사 무 국 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 연구책임자 윤종호

당 해 년 도사 업 기 간 2015. 4. 1. ~ 12. 15. ( 8.5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 유무선 LAN/MAN 분야의 기술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는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인 IEEE 802, 그리고 이와 연관된 국제 표준화 기구(ITU-T, IETF, MEF, OIF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국내의 표준화 대응 및 제반 활동을 수행하

기 위한 ICT 표준 개발 포럼 운영

­국내 산업체 의견을 반영한 국내 표준안 제정

­국내 보유 핵심 기술의 국제 표준화 추진 및 대응 지원

2. 포럼 표준화 대상(ToR)

◦ 이더넷 네트워킹 제어 기술

◦ 캐리어/초고속 이더넷 기술

◦ 기가급/장거리/고효율 전송 무선LAN 기술

◦ D2D 대상통신 무선PAN 기술

3. 주요 내용

◦ 포럼 일반 운영 활동

­대응 준비회의 운영 회수: 17회, 대응기구 분석활동 회수: 2회

­관련기술 동향보고서 제작 및 보급 건수: 2건

­최신 표준화 정보 보급(보도자료, 세미나) 건수: 2건

◦ 국제 표준화 추진 및 제반 활동

­국제공식 표준건수: 제안 30건, 반영 30건

­국제사실 표준건수:: 제안 12건, 반영 9건

­국제 표준화 회의 개최 : 1건

- 5 -

계속

◦ 국내 표준화 추진 및 제반 활동

­국내표준 건수: 제정 5건, 개정 4건

­표준기반의 제품‧서비스의 적용건수: 1건

◦ 회원사 구성

산업체연구소 학계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개수 7 9 2 6 24

백분율(%) 29.2 37.5 8.3 25.0 100%

4. 포럼 운영 결과 및 성과

구분건수

(계량치)구분

건수(계량치)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30

국내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정

기고서 반영 30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9

기고서 제정 TTA표준 제정 7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12

포럼표준

포럼표준 제․개정 9기고서 반영 9

기고서 제정

기타성과 지표- 1 1 기타성과 지표- 2 2

◦ (국제 활동- 공적 표준) ITU-T,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latest draft), 2015. 3. 등 30건

◦ (국제 활동- 사실상 표준) IEEE 802, “Proposed Text of Media Independent

Services Framework for Mobility Management in SDN based Mobile Networks

(SDMNs)" Section for IEEE 802.21.1 Draft Standard, 2015. 3. 등 12건

◦ (국내 활동- 단체 표준) TTA, 이더넷 가상 연결(EVC) 이더넷 서비스 정의, 2015.

12. 등 9건

◦ (기타성과 지표- 1): ITU-T SG15 Q12, Q14 SDN, ASON Joint Interim 회의 개최

후원, 2015. 03.

◦ (기타성과지표- 2) 패킷전달망에서 MPLS-TP 운영/관리/유지 방법

TTAE.IT-G.8113.1/Y.1372.1, 캐리어 이더넷 제품 서비스 적용 등 2건

- 6 -

계속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정부의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표준화 전략 로드맵 및 연구 개발 (R&D) 전략

로드맵 수립시 관련 분야의 참고 자료로 활용 가능

◦ IEEE 802 Group에서 개발되고 있는 새로운 기술이나 표준화 동향 정보를 취

합․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기관이나 정부의 전략, 정책수립에 기여

◦ IEEE 802회의에 제출할 표준안에 대해 관련기관들이 서로 협의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여 사전에 이해관계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호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한국의 표준참여 기관의 영향력 증대

- 7 -

SUMMARY

(영문요약문)

1. Purpose and Objective of Forum

Support the activity of IEEE 802- a de-fact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for wire/wireless LAN/MAN technology and the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ITU-T, IETF, MEF, OIF, etc.). Perform ICT standard

development to carry out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ctivities

corresponding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 Support domestic standard reflecting opinion of industries

◦ Suppor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omestic key technology

2. Term of Reference(ToR) of Forum

◦ Ethernet internetworking technology

◦ Carrier/Higher-speed Ethernet technology

◦ Giga/Long-distance/High-efficiency transmission WLAN technology

◦ D2D peer aware communication WPAN technology

3. Details of Forum Activities

◦ General Forum Activities

­EC/WG meeting (17), Analysis activity (2)

­Technology status and trend report (2)

­Offering(press release, seminar) of latest standardization information (2)

◦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ternational, official standardization: contribution(30), adoptions(30)

­De-fact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contribution(12), adoption(9)

­Hold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Meeting (1)

◦ Domestic Standardization Activities

­Domestic standardization: Publishment(5), Amendment(4)

­Standard-based product/service adoptions (1)

- 8 -

◦ Member List

Company ResearchInstitute

Academic TotalConglomerate Middle Size

Nos. 7 9 2 6 24

Percentage(%) 29.2 37.5 8.3 25.0 100%

4. Results of Forum Operation

Classification No. Classification No.

Inter-national activities

official

contributions 30

DomesticActivities

country standard

published -

adoptions 30TTA

standard

proposals and adoptions

9

published (revision) published 7

de-facto

contributions 12

Forumpublishment and

revision9adoptions 9

published (revision)

other contribution index-1 1 other contribution index-2 2

5. Utilization Plan and Expected Effects

◦ The materials produced by the Korea Ethernet Forum could be utilized as

references when planning the road-map of the government-involved ICT-related

standardization strategies and the R&D strategies

◦ The analysis of new standards & technologies and the latest standardization

activities of IEEE 802 Groups contributes on the R&D strategy plans or

policy-making of the government and related-research institutes

◦ The Korea Ethernet Forum provides a chance of the collaboration and negotiation

with the government, related R&D institutes, and companies in terms of standard

proposals for IEEE 802 standard meetings. It enables all related groups to bridge

the differences of their opinions and to draw the support of the proposals, and

then results in increasing the leverage of standard groups joined from our country

- 9 -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 13

Chapter 2 Operation of Forum ····························································································· 14

Section 1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 14

1. Main Standard Technology ······················································································· 14

가. Inter-networking Area ··························································································· 14

나. Wire LAN/MAN Area ···························································································· 16

다. Wireless LAN/MAN Area ······················································································· 18

2. Market Status and Forecast ····················································································· 19

가. International ·············································································································· 19

나. Domestic ··················································································································· 20

3.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atus ·························································· 21

가. International ·············································································································· 21

나. Domestic ··················································································································· 22

Section 2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Forum ······················································· 23

1. Objective ························································································································· 23

2. History ······························································································································ 23

3. Organization and Main Activity ················································································ 25

가.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tandard Strategy ·········································· 25

나. Working Groups ······································································································ 25

다. Members List ··········································································································· 26

Chapter 3 2015 Activity Results ··························································································· 27

Section 1 Summary ·············································································································· 27

Section 2 Activity Results ··································································································· 28

1. Forum Operation ·········································································································· 28

가. Meeting ······················································································································ 28

나. Workshop/Seminar ································································································· 29

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 29

가. Proposal(Contributed/Adopted) ·········································································· 29

- 10 -

가. Proposal(Published) ······························································································· 33

나. Representative ········································································································· 34

3. Domestic Standardization ·························································································· 35

가. Standard Development ·························································································· 35

나. Representative ········································································································· 35

4. Others ······························································································································ 37

Chapter 4 2016 Plan ················································································································ 38

Section 1 Objective ·············································································································· 38

Section 2 Activity ·················································································································· 38

Section 3 Strategy ················································································································ 38

Chapter 5 Conclusion ·············································································································· 40

Section 1 Conclusion ··········································································································· 40

Section 2 Expected Effect ································································································· 40

Appendix ····································································································································· 41

- 11 -

- 목 차 -

제 1 장 서론 ······························································································································ 13

제 2 장 한국이더넷포럼 운영 ·································································································· 14

제 1절 국내외 현황 ················································································································· 14

1. 핵심 표준화 대상 기술 ··································································································· 14

가. 인터워킹 분야 ·············································································································· 14

나. 유선 LAN/MAN 분야 ·································································································· 16

다. 무선 LAN/MAN 분야 ·································································································· 18

2. 시장 현황 및 전망 ········································································································· 19

가. 국외 시장 현황 및 전망 ···························································································· 19

나.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 20

3. 기술 개발 및 표준화 현황 ····························································································· 21

가. 국외 기술 개발 현황 ·································································································· 21

나. 국내 기술 개발 현황 ·································································································· 22

제 2절 포럼 구성 및 운영 ····································································································· 23

1. 목적 및 필요성 ················································································································· 23

2. 연혁 ··································································································································· 23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 25

가. 조직구성 및 추진체계 ································································································ 25

라. 분과별 주요활동 ·········································································································· 25

다. 회원사 구성 ·················································································································· 26

제 3 장 2015년도 한국이더넷포럼 활동결과 ······································································· 27

제 1절 주요 추진 실적 요약 ································································································· 27

제 2절 활동 결과 ····················································································································· 28

1. 포럼 운영 결과 ················································································································· 28

가. 회의 개최 현황 ············································································································ 28

나. 워크샵/세미나 개최 현황 ·························································································· 29

2. 국제 표준화 활동 결과 ··································································································· 29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 ····························································································· 29

- 12 -

나. 기고서 실적(제정) ······································································································· 33

다. 대표 기고서 실적 ········································································································ 34

3. 국내 표준화 활동 결과 ··································································································· 35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 35

나. 대표 표준개발 실적 ···································································································· 35

4. 기타 활동 결과 ················································································································· 37

제 4 장 2016도 주요 계획 ······································································································· 38

제 1 절 2016도 한국이더넷포럼 연구목표 ········································································ 38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 38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 38

제 5 장 결 론 ······························································································································ 40

제 1 절 결론 ····························································································································· 40

제 2 절 기대효과 ····················································································································· 40

부록 ················································································································································ 41

- 13 -

제 1 장 서론

1970년 발명된 1Mbps 속도의 이더넷 기술 및 관련 장비는 다른 경쟁 기술 대비 저렴한 가격,

용이한 설치 및 관리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LAN 영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초기 속도의 40만

배에 달하는 400Gbps 이더넷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이더넷은 현재 초기 LAN을 벗어나

사업자 영역인 MAN/WAN 적용을 위한 캐리어 이더넷, 무선인터넷을 가능케 하는 무선

LAN/MAN(WiFi/WiBro/WiMax) 그리고 공장 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이더넷(Industrial), 오디오

및 비디오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이더넷(Multimedia), 자동차/비행기 이더넷(Automotive

/Avionic)과 같은 새로운 분야로 그 활용 및 적용 영역을 계속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캐리어 이더넷은 IEEE 802.3 기반의 기존 이더넷에 확장성(Scalability), 신뢰성(Reliability),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표준화된 서비스(Standards Service), 서비스 관리(Service

Management) 등의 5가지 속성(Attributes)을 보완하여 이더넷을 망사업자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지향형 이더넷(COE) 기술로 유무선 통합 단일망의 패킷 전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인 IEEE 802.1 HILI WG(Working Group), 802.3 Ethernet WG, 802.11/15/16

Wireless WG, ITU-T SG 13 Next Generation Network, SG15 Optical and other Transport

Network Infrastructures, Metro Ethernet Forum 등에서는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발맞추어

새로운 영역에서의 이더넷 적용을 위한 다양한 표준 기술 개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IEEE 802는 LAN/MAN 유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선도 및 주도하고 있는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로써, 한국의 회의 참여율이 10-20%를 상회하고 있음에도 지금까지는

개인, 회사, 연구소 등이 개별적으로 활동하여 국가적인 시너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IEEE 802 LAN/MAN 유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기술 분야 및 연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표준화 대응 및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의 ICT 기술 표준 개발 포럼 및 대응 미러(mirror) 포럼 운영을 통해 국내 참여기관간의

유기적인 협조를 도모함으로써 한국의 국제 영향력을 높이고 특히 표준참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체를 지원해야 한다.

한국이더넷포럼은 2001년 5월 창립 이래 최신 유무선 LAN/MAN 기술의 국내 보급과 국내외

표준화의 제반 지원 활동을 수행해 왔으며, 2002~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미래창조과학부

(MSIP)·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전략 포럼 지원 사업의 포럼으로 선정되었다. 보고서는

2015년 포럼 지원 사업에 의한 한국 이더넷 포럼의 세부 활동 및 실적을 다루고 있으며, 제 2

장은 국내외 현황 및 포럼의 구성 및 운영, 제 3 장은 2015년도 포럼의 활동 결과, 제 4장은

포럼의 차기년도 주요 활동 계획을 기술하고, 5장에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 14 -

제 2 장 한국이더넷포럼 운영

제 1 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가. 인터워킹 분야

(IEEE802.1CF OmniRAN 인터워킹 기술) 802.1CF 기술은 IEEE 802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적용을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호

연동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스마트 그리드, 홈네트워킹, IOT 등은 서비스 제어,

보안, 연결설정 등에 대한 이기종 AP간의 통합 네트워크 구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통합을 규정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DN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이기종 인터페이스간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공유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을 추가할 때 진입장벽을 낮추

위한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2013년 11월 802.1CF 프로젝트로 802.1 워킹

그룹하에서 논의를 시작하여 2018년 표준완료를 목표로 현재 에디터 드래프트가 진행

중이다.

Access Ctrl

InternetR1 R3

R4

Access Ctrl

Internet

R3

R5

Terminal

R3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Location

CoA

Mobility

Encapsulation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Location

CoA

Mobility

EncapsulationDataPath

Access Core

Transport

• Reference Points represent a bundle of functions between peer entities- Similar to real network interfaces

• Functions are extensible but based on IEEE 802 specific attributes

R2

AccessR3

<802.1CF 기술 개요도>

(IEEE802.1Qca 경로 제어 및 예약 기술) 802.1Qca 기술은 IS-IS 응용을 확장한

기술로 기존의 최단 경로 브리징(Shortes Path Bridging) 기술을 확장하여 브리지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로토콜 절차 및 관리 객체를 정의한다.

802.1Qca 기술은 PCE가 경로를 계산하고 계산된 ERO 결과를 IS-I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경로 제어, 대역 및 스트림 예약, 보호절체, 동기/스케줄링을 위한 제어 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을 정의한다. 2012년 12월 공식 프로젝트로 승인되었고 2016년

- 15 -

표준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5년 현재 드래프트 2.2 문서가 표준화 진행

중이다.

<802.1Qca 기술 개요도>

(IEEE 802.1CB 프레임 복제 및 제거 기술) 802.1Qcb 기술은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술로 기존의 이더넷 스패닝 트리 따른 제한된 트리 토폴로지에서 패킷 전달의

개념을 확장하여 종단간 최단 거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최단 경로 브리징으로

확장했고 여기에 안정성 제공을 위한 방법으로 패킷 중복 전달 및 중복 전달된 패킷의

제거를 위한 기술을 정의한 것임. 패킷 중복 전달은 기존의 보호/복구 방법처럼 단일

패킷의 최대한 잘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서 중복된 패킷을 서로 다른 경로로 보내

하나만을 택함으로서 신뢰성을 증가하는 것임. 2013년 3월 공식 프로젝트로

승인되었고 2017년 표준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5년 현재 드래프트 2.1 문서가

표준화 진행 중이다.

<802.1 Qcb 기술 개요도>

- 16 -

나. 유선 LAN/MAN 분야

(IEEE802.3bq 25G/40GBASE-T 기술) 802.3bq 25G/40GBASE-T 기술은 데이터 센터

서버-랙(Server-rack)의 서버-스위간 연결에 사용하기 위해 UTP 상에

25Gbps/40Gbps 이더넷 신호를 최소 30m 거리까지 전송하기 위한 PHY를 정의하기

위한 기술이다. 또한 기존 UTP 표준과 같이 자동 협상(Auto-negotiation, 802.3 28절)

기능을 지원하고, 에너지 절감 기능(Energy Efficient Ethernet, 802.3 78절) 기능 등을

포함한다. 2012년 7월 CFI(Next Generation BASE-T)를 시작으로 NG BASE-T

스터디 그룹을 결성하였으며, 2013년 5월 공식 프로젝트로 승인받았고 2016년 5월

표준 완료를 목표로 표준화 진행 중이다.

<25G/40GBASE-T 기술 개요도>

(IEEE802.3bs 400GE 기술) 802.3bs 400GE 기술은 400 Gb/s 속도의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MAC/PHY를 정의하기 위한 기술이다. 802.3bs MAC은 400

Gb/s 데이터 속도를 지원한다 (BER 10-13). 802.3bs PHY는 멀티모드파이버상에서

최소 100 m, 싱글모드파이버상에서 최소 500 m, 2 km, 10 km 거리를 지원하는

PHY를 제공하고, 칩과 칩, 칩과 모듈 연결을 위한 400 Gb/s AUI(CDAUI; CD는

로마자 400을 의미)를 옵션으로 정의한다. 또한 OTN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고,

400 Gb/s PHY에 대한 에너지 고효율 이더넷(EEE) 기능을 옵션으로 지원한다.

2013년 3월 CFI(400Gb/s Ethernet)를 시작으로 400Gb/s Ethernet 스터디 그룹을

결성하였으며 2014년 4월 IEEE 802 정식 프로젝트 승인을 받았고 2017년 3월 표준

완료를 목표로 현재 베이스라인 기술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거리 광섬유 표준 기술

100m MMF 16 x 25Gbps PMD, NRZ

500m

SMF

4 x 100Gbps PMD, PAM-4 Modulation

2km 논쟁 중(50Gbps vs. 100Gbps)

10km 8 x 50Gbps PMD, PAM-4 Modulation

- 17 -

(로마자) X=10; XL=40; C=100; CD=400 ex.) XAUI – XLAUI – CAUI – CDAUI

<400GE 기술 개요도>

(IEEE802.3by 25GE 기술) 802.3by 25 Gb/s 이더넷 기술은 데이터 센터의 서버-ToR

(Top of Rack) 스위치 간 연결에 적용가능한 단일 레인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파장)의 25Gbps 이더넷 MAC/PHY를 정의하기 위한 기술이다. 802.3by PHY는

802.3bj-2014 93절에서 규정한 채널 특성과 일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서 동작하기 위한 단일 레인 25 Gb/s PHY를 정의하고, 최소 3m 또는 5m

길이의 동축 케이블(twin axial cables)과 일치하는 링크에서 동작하기 위한 단일 레인

25 Gb/s PHY를 정의하고, IEEE 802.3bm 95절과 일치하는 멀티모드파이버에서

동작하기 위한 단일 레인 25 Gb/s PHY 등을 정의하여 제공한다. 또한 OTN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고, 25 Gb/s PHY에 대한 에너지 고효율 이더넷(EEE) 기능을

옵션으로 지원한다. 2014년 7월 CFI를 시작(25Gbps Ethernet Over a Single Lane

for Server Interconnect)으로 25Gb/s Ethernet 스터디 그룹을 결성 PAR, CSD,

Objective 논의를 완료하여 2014년 12월 공식 프로젝트로 승인받고 2016년 9월을

목표로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25GE 이더넷 기술 개요>

- 18 -

다. 무선 LAN/MAN 분야

스마트폰과 IoT를 필두로 한 무선 디바이스의 확산에 따라 802.11 기반 기술을 사용한

기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EEE 802.11에서 PHY(Physical), MAC

계층의 무선접속기술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 IEEE 802.11은 IEEE 802.11x 와 같이

베이스라인 프로토콜에 별도의 TG을 생성함으로 발전해왔다. 2011년 이후 IEEE

802.11n을 이어갈 차세대 무선랜 표준으로 개발되고 있던 802.11ac가 비로소 표준

규격으로 승인되었으며 2013년 말부터 802.11ac 칩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이 줄줄이

등장하여 무선랜 분야의 속도 기가급 혁명이 일어났다.

사용자의 관심은 이제 802.11ac 다음의 기술, 즉 Beyond ac 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기가급 Wi-Fi로도 불리는 802.11ac 기술은 향후 수년간 다양한 무선기기들의 무선랜

환경을 제공하는데 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개인/통신 사업자의 무선랜에 대한

트래픽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무선랜 환경은 열악해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무선랜

AP들이 무분별하게 많이 포설 된 상황, 또는 야외에서도 사용자의 체감 성능 유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2013년 3월 HEW SG을 결성하였으며,

2014년 5월 IEEE 802.11 WG 회의에서 HEW SG을 802.11ax TG으로 승격되어

본격적인 표준화 논의가 시작되었다.

<IEEE 802.11ax 표준화 Timeline (IEEE 802.11-14/0649r1 문서 참고)>

IEEE 802.11ax 는 많은 AP와 STA들이 밀접해 있는 실제적인 환경에서 유저의

체감성능 특히 STA당 평균 데이터 전송률을 IEEE 802.11n/ac 대비 4배 이상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WG에서 다수 사용자 지원을 위한 다중 입출력 및

OFDMA 개선, 밀집 지역 및 실외 환경에서의 성능 개선이 주요하다.

또한 60GHz 대역의 802.11ad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2014년 9월 NG60 (Next

generation 60GHz SG)이 결성되었으며 2015년 5월 회의부터 IEEE 802.11ay TG로

승격 되었다. 이는 최대 20Gbps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물리 계층과 MAC 계층에

관한 표준이다. 기존 10Gbps 이상의 속도를 필요로 하던 유선 장치들을 무선으로

대체 가능하며 오프로딩, 무선 디스플레이, 실내외 백홀과 같은 환경에서 다양하게

응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19 -

고성능 무선 이동단말의 등장과 함께 두드러지는 또 하나의 추세는 D2D

(device-to-device) 통신에 대한 관심이다. D2D통신은 기지국 또는 AP를 거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해 줌으로써, 코어네트워크(core network)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면서도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 있어나 개발 중인 D2D 통신기술로는

Qualcomm의 FlashLinQ, Wi-Fi Alliance의 Wi-Fi Direct, 3GPP의 LTE-D2D, 그리고

IEEE 802.15.8의 PAC가 있다. 각 기술은 경쟁적으로 영역을 확장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이득인 기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들 중

PAC는 급증하는 D2D 통신에 대한 사용자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탄생한 표준인

만큼, 기존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전통적으로 기술 중심(technology driven)

이었다면 PAC는 응용 중심(application driven)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대 무선 이동 단말 사용자들의 사용 패턴을 반영하여 SNS와 광고

등이 PAC의 중요한 응용 분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SNS와는 달리 상황

인지 또는 사용자의 위치기반 SNS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며 광고에 있어서도

인프라에 의존하는 기존의 광고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를 주변의 광고주와 직접

연결하는 광고의 형태는 중소 상인들에게는 광고의 다양성과 자유를, 그리고

소비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하며, 특히 광고주가 주변의 소비자 들을

상대로 맞춤형 광고를 하는 precision marketing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룹 통신, 가전 기기들 간의 통신, 릴레이를 통한 커버리지 확장 등도 PAC의 중요한

응용 영역이다. 특히, Bluetooth나 Wi-Fi Direct의 경우 처음 장치를 연결할 때

사용자의 관여가 많이 필요하고 연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면 PAC는 사용자 관여를

최소화 하는 것은 물론 연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할 것으로 기대한다.

2.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유선 LAN/MAN 분야) 전 세계적으로 10Gbps 이더넷 스위치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고, 10Gbps 이더넷 스위치는 앞으로 5년간 지속적으로 이더넷 스위치 시장 성장을

주도적으로 견인할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40G/100G 이더넷 스위치 장비도 점차

성장세를 타기 시작하면서 2016년 이후에는 장비 도입이 크게 확산될 것 전망이다.

델오로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L2-L3 이더넷 스위치 시장은 오는 2016년에 280억

달러에 달하는 규모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10Gbps 이더넷

스위치 시장은 130억 달러 규모로 전망되고 이는 전체 이더넷 스위치 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규모다. 특히 2013~2014년에 대기업의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10Gbps 이더넷으로 서버 액세스 적용이 활발해지면서 10Gbps 이더넷 스위치 시장

- 20 -

확산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 비디오 트래픽 증가,

모빌리티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가 점점 더 고성능 네트워크 장비 도입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델오로그룹에 따르면 2015년 3분기 세계 이더넷스위치 시장

규모는 26억달러(약 3조519억원)였으며 이는 40기가비트이더넷(GbE) 스위치 물량의

견인으로 성장한 결과다. 델오로 그룹은 2016년 중 100GbE 이더넷스위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해 5억달러 규모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제시했다.

(무선 LAN/MAN 분야) 오늘날 사용자들이 유선 네트워크보다 무선랜을 선호하는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작년까지 무선랜의 주를 이루고 있던 IEEE

802.11n 기술이 유선 네트워크 시장을 대체하기 보다는 보완재로 인식되며 유선랜과

무선랜의 공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무선랜이 유선을 대체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고용량 멀티미디어, 대용량 파일전송 서비스처럼 높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는데 반해 기존의 802.11n 기술은 최대 300Mbps

급의 전송을 소화하기 때문이다. 주춤했던 무선랜 시장의 성장세를 도모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2011년부터 차세대 무선랜 기술로 각광받고 있던 IEEE

802.11ac가 2013년 말 비로소 표준 규격으로 승인된 것이다. IEEE 802.11ac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5GHz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6.9Gbps까지 지원 가능한 속도다.

기가급 와이파이로 불리는 IEEE 802.11ac의 등장으로 Wi-Fi의 데이터 트래픽

의존도가 높아졌으며 시장 또한 802.11n에서 802.11ac 기반의 Wi-Fi 장비로 옮겨가고

있는 중이다.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유선 LAN/MAN 분야) 국내 광전송 및 캐리어 이더넷 시장은 2011년 현재 약 3.5억

달러 수준에서 2016년까지 연 평균 0.22%로 성장하여 약 3.6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더넷이 주로 적용되고 있는 스위치 시장의 경우, 기존 캠퍼스

및 기업 네트워크를 위한 시장과 데이터센터 시장 크게 두 가지로 나뉘고 있는데

캠퍼스 및 기업 네트워크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들어 큰 변동이 예상되지 않는 반면

데이터센터 시장은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개념이 도래하면서 데이터센터의 통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스위치 시장규모 역시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데이터

센터내 서버와 스위치간 연결은 40Gbps 이더넷, 스위치와 스위치간 연결은 100Gbps

이더넷을 사용하는 시장이 태동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무선 LAN/MAN 분야) 국내 무선랜 시장에서도 IEEE 802.11ac 지원 제품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였다. 현재 시장에서는 채널 간섭의 영향이 실외 환경에 비해 적은

가정용 무선 공유기에 및 무선 라우터에 802.11ac 표준이 적용, 넷기어, 디링크,

티피링크 등이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아루바, 시스코 등이 엔터프라이즈용

AP 장비를 선보여 경쟁이 심화 될 예정이다. 802.11ad 기술을 10년 이후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시켜줄 초고속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근거리 무선전송기술로써

- 21 -

정하고 아직 시장이 형성되어있지는 않으며 관련 핵심 기술과 표준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단계이다.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유선 LAN/MAN 분야) 산업체를 중심으로 10x10 MSA, CFP MSA, IBTA CXP, SFF

위원회 QSFP+ 등을 통해 100Gbps 광트랜스폰더의 전기적, 물리적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Reflex Photonics, Finisar, Fujitsu, Opnext, SEI 등에서 100GBASE-SR10,

100GASE-LR4 광트랜스폰더 제품을 출시하였고, Cisco, Juniper, Huawei,

Alcatel-Lucent, Brocade 장비 업체에서도 이를 적용한 스위치 및 라우터 제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또한 Tektronix, Anritsu, IXIA, Spirent, 등에서도 장비 개발 및 시험을

위한 오실로스코프 및 네트워크 분석기 등의 관련 계측 장비 모듈을 출시하고 있다.

Avago, Brocade, IBM, JDS, Junipe, Molex, TE를 중심으로 결성한 CDFP MSA에서는

2014년 9월 파장당 25Gbps 총 16개 파장을 이용한 400GE 핫 플러거블 모듈 스펙

2.0을 발표하였다. 2015년 100GE 광트랜시버는 CFP (1세대) – CFP2 (2세대) –

CFP4 (3세대)까지 출시되고 있으며, 점차 초소형화 및 저전력화 되고 있음. CFP4

이후에는 가장 작은 크기의 QSFP28 광트랜시버를 개발 중에 있다. OIF는 OIF MLG,

IEEE 802.3 기술을 활용하여 라우터와 광전달망 장비간에 channelized 이더넷(n x

Ethernet; (예) 2 x 100GE)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FlexEthernet 표준화 진행

중이다.

(무선 LAN/MAN 분야) IEEE 802.11ac 표준 완료에 이은 WFA (Wi-Fi Alliance) 등의

산업체 규격을 인증 받은 기술 및 장비가 성공적으로 802.11a/b/g/n 등의 Legacy

Wi-Fi를 대체하고 있다. 가장 활발히 개발/인증되고 있는 기술로 Passpoint (Hotspot

2.0), Miracast (Wi-Fi Display), Wi-Fi Direct (Wi-Fi P2P) 서비스가 있다. Passpoint

는 셀룰러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한 Wi-Fi 기술로 Hotspot 네트워크를 셀룰러

네트워크처럼 간단히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외에도 Passpoint 인증 장비를 갖춘

핫스팟의 경우, 자동적으로 엔터프라이즈급 WPA2 방식으로 보안을 강화한다.

Miracast는 source 디바이스의 화면을 Sink 디바이스의 화면에 미러링 해주는 무선랜

기술이다. 쉬운 설치, 설정 및 제어를 무선으로 제공해 준다. IEEE 802.11n에 비해

체감성능이 4배 이상 빠른 802.11ac 규격의 무선랜이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4배 높은 4k 규격의 UHD 영상을 전송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특히 구글이

Miracast를 표준 무선 전송 규격으로 지정하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기본 기능으로

넣으면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Wi-Fi Direct는 AP 없이 Wi-Fi 인증 디바이스 간

peer-to-peer 연결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Smartphone과 Laptop간의 파일

전송, Laptop과 Laptop의 1:1 등이 있다. 유사 기술인 블루투스 보다 반경도 넓고

- 22 -

속도도 빠른 장점이 있다. 더불어 프린터, 카메라, TV 등 수많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 디바이스의 조합에 응용될 수 있어 기대되는 기술이다.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유선 LAN/MAN 분야) 코위버, HFR, 우리넷, 다산 네트워크 등 국내 주요 네트워크

업체들은 국내 주요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캐리어 이더넷 제품군 및 패킷-광 통합

시스템 개발 및 BMT를 진행하고 있다. ETRI는 다양한 10G급 광트랜시버 기술을 개발

보급해왔고, 최근 40G DPSK 광트랜시버, 세계최초 2-port 40G 이더넷 CFP

광트랜시버를 개발하여 산업체에 기술이전 및 상용화 추진 중에 있다. 현재 1세대

100G 이더넷 CFP 광트랜시버, DWDM 광전달망용 100G DC-DQPSK 광트랜시버가

개발을 완료하고 산업체에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광트랜시버 업체로는

오이솔루션, 옵티시스, 빛과전자, 테라디안, 옵토위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는

10Gbps 광트랜시버를 주력 제품으로 하고 있다.

(무선 LAN/MAN 분야) IEEE 802.11ac가 완료이후 차세대 Wi-Fi를 활용한 혁신적인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국내 무선랜 전문 업체들은 진보된 Wi-Fi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과거에 주를 이루었던 규격인 IEEE ‘802.11g’와 ‘802.11n’ 등의 시대를

벗어난 새로운 표준인 802.11ac Wi-Fi 기술을 선보였다. 차세대 Wi-Fi 기술인

802.11ac 시대에 진입하면서 본격적인 기가 인터넷 시대가 열린 것이다. 802.11ac는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을 무기로 Wi-Fi 통신기능을 탑재한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을

성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 범위가 개인

사용자를 넘어 기업시장에까지 개인기기를 업무에 활용하는 ‘BYOD’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23 -

제 2 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IEEE 802는 유무선 LAN/MAN 분야의 기술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는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로써, 이와 연관된 국제 표준화 기구(ITU-T, IETF 등)까지도 포함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술 표준화 대응 및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국내의 ICT 기술 표준 개발 포럼 및

대응 미러(mirror) 포럼 운영하여 산업체 중심의 국제 표준화 선도, 국내 표준 제정을 위한

국내외 표준화 제반 활동 지원을 목표로 한다.

2. 연혁

2000. 01. 10. 기가비트 이더넷 포럼 창립 준비위원회 구성

2000. 05. 29. 10기가비트 이더넷 포럼 창립, OSIA 사무국 설치

2000. 05. 10. 제 1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과총회관

2000. 11. 23. 제 2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LG 강남타워

2001. 05. 24. 한국 이더넷 포럼으로 재 창립

2001. 05. 24. 제 3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과총회관

2001. 12. 06. 제 4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코엑스

2002. 04. 08.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2. 06. 12. 정보통신중소기업 기술교육, 서울 과총회관

2002. 06. 26. 제 5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교육문화회관

2002. 11. 27. 제 6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전경련 회관

2003.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3. 05. 11.~14. IEEE802.3ah 인터림 미팅 호스팅, 서울 매리어트 호텔

2003. 06. 04. 제 5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과총회관

2003. 11. 12. 정보통신중소기업 기술교육, 서울 과총회관

2003. 11. 25. 제 6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한국전산원

2004.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4. 05. 20. 제 7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TTA

2004. 11. 23. 제 8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한국전산원

2005. 04. 2005년 정보통신부 &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5. 11. 02. 제 9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과학기술회관

2006.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6. 08. 23.~25. 유무선 LAN 보안 프로토콜 단기강좌 개최, 항공대

- 24 -

2006. 10. 20. 제 10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전자통신연구원 광주분원

2007.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7. 08. 09.~11. TIPS 단기 강좌 개최- 유문선 통신망 보안프로토콜, 항공대

2007. 09. 11.~13. IEEE802.3 워킹 그룹 인터림 회의 호스팅, 서울 신라호텔

2007. 11. 08. 제 11회 이더네 신기술 워크샵 개최, 대천 한화리조트

2008. 06.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8. 09. 15.~19. IEEE802.3 &.1 조인트 인터림 개최 지원, 서울 잠실 롯데호텔

2008. 09. 22.~26. ITU-T Q9 & Q11 조인트 인터림 개최, 제주 중문 롯데호텔

2008. 12. 03.~04. 제 12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2009.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09. 07. 07.~08. 제 1회 PTN 기술 워크샵 공동 개최, 무창포 비체팰리스

2009. 12. 10.~11. 제 13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용인 한화리조트

2010.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10. 06. 16.~17. 제 2회 PTN 기술 워크샵 공동 개최, 무창포 비체팰리스

2010. 09. 10.~11. 제 14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덕산 스파캐슬

2011. 04.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11. 05. 09.~20. IEC TC 65 표준화 회의 개최 지원,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2011. 07. 05.~06. 제 3회 PTN 기술 워크샵 공동 개최, 무창포 비체팰리스

2011. 10. 28.~29. 제 15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천안 휴러클 리조트

2012. 03.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12. 06. 11.~15. ITU-T MPLS-TP Expert Meeting 회의 개최, 서울 삼정호텔

2012. 07. 02.~04. TIPS 단기 강좌- OpenWrt 기반 모바일 임베디드

리눅스 네트워크 플랫폼 프로그램, 한양대

2012. 11. 30~12.1. 제 16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부여 롯데리조트

2013. 03.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13. 11. 29~30. 제 17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경기도 곤지암 리조트

2014. 03.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14. 06.30~07. 01. TIPS 단기 강좌 2014 개최- Openwrt기반 SDN 구축, 한양대

2014.10.16. 한국이더넷포럼 기술 세미나, 제주그랜드 호텔

2015. 02.25~26. TIPS 단기 강좌 2015 개최- Openwrt기반 SDN 구축, 한양대

2015.03. TTA 전략포럼으로 선정

2015.03.09.~15. ITU-T SG15 Q12 and Q14 Joint Interim Meeting 개최, TTA

2015.08.28.~29 제 18회 한국이더넷포럼 워크샵 개최, 홍천 대명리조트

- 25 -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및 추진체계

본 포럼은 총회와 운영위원회, 분과위원회(Working Group), 기술자문회(Technical

Assistant Group), 그리고 사무국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분과위원회에 여러 개의

분과 소위원회(Study Group)를 둘 수 있다.

한국이더넷포럼은 국내외 표준화 과정에서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산학연과 연계하여

핵심 선행 기술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도출, 해결책을 공동연구하고 TTA 및 연관

포럼과의 역할 분담 및 협조 방안을 마련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여 연구기관과

산업계의 국내외 표준화 단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한다. 또한 국내 연관

포럼과의 정보 교류 및 상호 협력을 통해 최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조직도] [추진체계도]

나. 분과(or 워킹그룹)별 주요활동

1) 인터워킹 분과: IEEE 802.1 인터워킹 그룹의 유무선 LAN/MAN 인터워킹, 멀티미디어,

산업, 운송 수단 등에 적용 가능한 시-민감성 네트워킹 기술에 대한 기술동향 분석서를

작성하고, 국내의 국제 기고서 발표를 지원함. 또한 관련 포럼 표준안을 채택 및 제정함

2) 유선 LAN/MAN 분과: IEEE 802.3 이더넷 워킹 그룹, ITU-T SG15, IETF MPLS WG

의 이더넷 고속화 기술, Ethernet/MPLS-TP 기반 보호절체 기술 등에 관한 기술동향 분

석서를 작성하고, 국내의 국제 기고서 발표를 지원함. 또한 관련 포럼 표준안을 채택 및

제정함

- 26 -

3) 무선 LAN/MAN분과: IEEE 802.11 무선 LAN 워킹 그룹의 기가급/장거리/고효율 무

선 전송 기술 등에 관한 기술동향 분석서를 작성하고, 국내의 국제 기고서 발표를 지원

함. 또한 관련 포럼 표준안을 채택 및 제정함

4) 교육표준화 분과: 상기의 각 기술분과위원회 표준화 활동 지원을 총괄하고, 포럼의 교

육 관련 사업을 기획함

다. 회원사 구성

산업체연구소 학계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갯수 7 9 2 6 24

백분율(%) 29.2 37.5 8.3 25.0 100%

- 27 -

제 3 장 2015년도 한국이더넷포럼 활동결과

제 1 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12 30O ITU-T SG15 기고서 제안/반영/제정 - MPLS-TP 선형보호절체 개정

기고서 반영 10 30

기고서 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8 12O IEEE802.21 기고서 제안/반영/제정 - SDN 기반 모바일 네트워에서의 이동성 관리 프레임 워크 등

기고서 반영 5 9

기고서 제정

국내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정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3 9 O TTA PG 218 - 이더넷 EVC 서비스 정의 등 TTA표준 제정 3 7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개정 3 9 O 이더넷 EVC 서비스 정의 등

기타성과 지표-1 1 1 O ITU-T SG15 인터림 회의

기타성과 지표-2 2 2O 캐리어 이더넷 제품 서비스 적용 1건O TTA 표준화 로드맵 2016 광통신네트워크 분야

◦ (국제 활동- 공적 표준) ITU-T,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latest draft), 2015. 3. 등 30건

◦ (국제 활동- 사실상 표준) IEEE 802, “Proposed Text of Media Independent

Services Framework for Mobility Management in SDN based Mobile Networks

(SDMNs)" Section for IEEE 802.21.1 Draft Standard, 2015. 3. 등 12건

◦ (국내 활동- 단체 표준) TTA, 이더넷 가상 연결(EVC) 이더넷 서비스 정의, 2015. 12.

등 9건

◦ (기타성과 지표- 1): ITU-T SG15 Q12, Q14 SDN, ASON Joint Interim 회의 개최

후원, 2015. 03.

◦ (기타성과지표- 2) 패킷전달망에서 MPLS-TP 운영/관리/유지 방법,

TTAE.IT-G.8113.1/Y.1372.1, 캐리어 이더넷 제품 서비스 적용 등 2건

- 28 -

제 2 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회의 개최 현황

호구분 회의명 개최일시 주요 내용 참석자 수 대표 참석 기관명(5개 이내)

1 운영 제 1차 운영위원회 20150330TTA 지원포럼과제 경과 보고, 2015년

운영방향 토의11

ETRI, Actus Networks, KT,

항공대, 한양대외

2 분과

제 1차

유선LAN/MAN분과

회의

20150522분과 운영 방향 토의(IEEE 802, IETF,

ITU-T 등)8 ETRI, KT

3 분과제 1차

인터워킹분과회의20150529 RoE(Radio over Etherent) 표준 협의 8

한양대, 세종대, ETRI,

삼성전자

4 운영 제 2차 운영위원회 20150529미러 포럼과의 관계 토의, 추진실적 검토,

워크샵 토의13

ETRI, KT, 우리넷, 항공대,

한양대

5 운영 제 3차 운영위원회 20150622 워크샵 프로그램 논의 등 11ETRI, 우리넷, TTA, 항공대,

한양대

6 분과

제 1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0526이더넷포럼 무선 LAN/MAN 전문가

세미나10

ETRI, 우리넷, TTA, 항공대,

한양대

7 분과

제 2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0603ISO/IEC 15118 V2G

Communication관련 논의6 KAIST, ETRI

8 분과

제 3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0630IEEE 802 Plenary meeting 참석

준비회의5 KAIST, 현대자동차, ETRI

9 운영 제 4차 운영위원회 20150716월별추진실적 검토, 워크샵 프로그램

확장 등12

ETRI, KT, 우리넷, 항공대,

한양대

10 분과

제 2차

유선LAN/MAN분과

위원회

20150721 포럼 국내 표준안 검토 외 7 ETRI, 코위버, 항공대

11 분과

제 4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0731 IEEE 802.15.8 기고서 준비 논의 6 KAIST, ETRI

12 분과

제 5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0904 IEEE 802.15.8 9월 기고서 관련 논의 6 KAIST, ETRI

13 분과

제 3차

유선LAN/MAN분과

위원회

20150923 포럼 국내 표준안 검토 외 5 ETRI, KT

14 운영 제 4차 운영위원회 20151016 워크샵 결산, TSN/AVB 분과 설립 외 13ETRI, 우리넷, KT, 액터스

네트워크, 항공대

15 분과

제 6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1019 IEEE 802.15.8 11월 기고서 준비 회의 6 KAIST, ETRI

16 분과

제 7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1102IIEEE 802.15.8 11월 기고서 검토 및

보완 회의7 KAIST, ETRI

17 분과

제 8차 무선

LAN/MAN

분과위원회

20151125IEEE 802 11월 Plenary 회의 결과 보고

및 1월 기고 준비 회의7 KAIST, ETRI

- 29 -

나. 워크샵/세미나 개최 현황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

표준

구분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제정

Virtualisation of

Mobile Core Network

Use Case - Draft

Version 2

IETF제 92차 IETF

회의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0131 20150131

draft-king-

vnfpool-mo

bile-use-ca

se-02

draft-king-

vnfpool-m

obile-use-

case-02

2기술

반영

Considerations for

the functional model

of MPLS-TP LSP

Trail Protection

ITU-TQ9 Interim

Meeting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0302 20150306 WD04 WD03R1

3기술

반영

Support for

MPLS-TP PW Linear

Protection in G.8131

ITU-TQ9 Interim

Meeting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0302 20150306 WD05 WD03R1

4 개정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latest draft)

ITU-TQ9 Interim

Meeting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0302 20150306 WD20 WD03R1

5기술

반영

G.8131/Y.1382:

Living ListITU-T

Q9 Interim

Meeting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0302 20150306 WD21 WD03R1

6기술

반영

Proposed generic

reference network

for G.mdsp

ITU-TITU-T

Q9/15 Interim정태식

기고서

제안20150302 20150306 WD11 WD03R1

7기술

반영

Considerations on

applicability analysis

on DNI support of

G.8032 in G.mdsp

ITU-TITU-T

Q9/15 Interim정태식

기고서

제안20150302 20150306 WD12 WD03R1

8기술

반영

Proposed approach

to support DNI in a

Protected

Subnetwork

protected by linear

protection in G.md네

ITU-TITU-T

Q9/15 Interim정태식

기고서

제안20150302 20150306 WD13 WD03R1

호회의개최 개최일시 주관 주요내용 참석자 수

1

Two-days Intensive

Practical Winter lecture

(TIPW) on SDN Testbed

& Programming

20150225-

0226

OSIA,

한국이더넷

포럼

OpenWrt기반 SDN 테스트베드 구축 및 프로그래밍 24

2

ITU-T Q12 and Q14

Joint Interim Meeting on

SDN, ASON, and DCN

20150309-0

315

ETRI,

한국이더넷

포럼

Transport SDN 및 ASON, DCN 관련 표준화 논의:

Transport SDN의 구조/제어통신/관리25

3한국이더넷포럼워크샵

2015

20150828-0

829

한국이더넷

포럼, OSIA

Ethernet and xHaul, Automotive Ethernet and AVB,

Ethernet for Power Planet Networks, Ethernet for High

Speed networks

45

- 30 -

표준

구분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9기술

반영

Classification of

ODU SMP ProtocolsITU-T

ITU-T SG15

Q9/10/14

Interim

윤지욱 기고서

제안20150302 20150306 WD16 WD03R1

10 제정

ProposedTextof"Medi

aIndependentService

sFrameworkforMobilit

yManagementin

SDN based Mobile

Networks

(SDMNs)" Section

for IEEE 802.21.1

Draft Standard

IEEE

802

IEEE 802

Plenary최진식

표준제안

서 승인20150311 20150313

21-15-015

8-00-SAUC

21-15-003

2-00-SAU

C-session

-67-closin

g-report

11 제정

Proposed Update

for “D2D

Communications

Service” Section of

IEEE 802.21.1 Draft

Standard

IEEE

802

IEEE 802

Plenary

이형호,

최진식

표준제안

서 승인20150311 20150313

21-15-002

1-00-SAUC

21-15-003

2-00-SAU

C-session

-67-closin

g-report

12 제정

Proposed Update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Service” Section of

IEEE 802.21.1 Draft

Standard

IEEE

802

IEEE 802

Plenary

이형호,

최진식

표준제안

서 승인20150311 20150313

21-15-002

0-00-SAUC

21-15-003

2-00-SAU

C-session

-67-closin

g-report

13 제정

Proposed Text of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 for

Software-defined

radio access

network (SDRN)”

Section for IEEE

802.21.1 Draft

Standard

IEEE

802

IEEE 802.11

interim최진식

표준제안

서 승인20150511 20150515

21-14-044

-00-SAUC

21-14-053

-00-SAUC

14 제정

Proposed Update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Service” Section of

IEEE 802.21.1 Draft

Standard

IEEE

802

IEEE 802.11

interim

이형호,

최진식

표준제안

서 승인20150511 20150515

21-14-045

-00-SAUC

21-14-053

-00-SAUC

15기술

반영

Proposed text of

“Software-defined

Mobile Networks

for

Q.Supplement-SDN”

ITU-TITU-T SG11

Interim최진식

기고서제

안20150422 20150429

T13-SG11-

C-0221

TD-GEN70

4

16기술

반영

Proposed text of

“scenarios and

corresponding

requirements of

seamless handover

for SDMN” in

Appendix V of

Q.Supplement-SDN

ITU-TITU-T SG11

Interim최진식

기고서제

안20150422 20150429

T13-SG11-

C-0222

TD-GEN70

4

17 개정

Draft revised

Recommendation

ITU-T G.873.2 (for

Consent)

ITU-TITU-T SG15

Plenary정태식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 TD354/P TD378/P

18 기술 Proposed ITU-T ITU-T SG15 정태식 기고서 20150621 20150703 COM15-C1 TD378/P

- 31 -

표준

구분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반영

mechanism to

support linear DNI in

G.mdsp

Plenary 제안 429-E

19기술

반영

Operation examples

of the MDSP

mechanism

supporting linear DNI

in G.mdsp

ITU-TITU-T SG15

Plenary정태식

기고서

제안20150621 20150703

COM15-C1

430-ETD378/P

20기술

반영

Interaction between

MDSP process

supporting linear DNI

and DRNI in G.mdsp

ITU-TITU-T SG15

Plenary정태식

기고서

제안20150621 20150703

COM15-C1

431-ETD378/P

21기술

반영

Proposed

corrections to the

DNI functional

models in G.873.2

ITU-TITU-T SG15

Plenary정태식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COM15-C1

432-ETD378/P

22 개정

Draft revised

Recommendation

ITU-T G.873.2 (for

Consent)

ITU-TITU-T SG15

Plenary정태식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701 20150703 TD354R1/P TD378/P

23 개정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for Consent)

ITU-TITU-T SG15

Plenary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TD353/PLE

NTD378/P

24기술

반영

G.8131/Y.1382:

Living listITU-T

ITU-T SG15

Plenary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TD

322/WP3TD378/P

25기술

반영

Proposal to finalize

and agree on the

technical paper

“Operation of G.hn

technology over

access and

in-premises phone

line medium”

ITU-TITU-T SG15

Plenary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 C1280 TD378/P

26기술

반영

Comments on

G.8121ITU-T

ITU-T SG15

Plenary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 C 1281 TD378/P

27기술

반영

Review comments

on draft G.8131

Amd1

ITU-TITU-T SG15

Plenary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 C1404 TD378/P

28기술

반영

Open Issues with

MDSP TerminologyITU-T

ITU-T SG15

Plenary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0621 20150703 C1443 TD378/P

29기술

반영

High Efficiency

RTS/CTS

Handshaking

Minimizing Exposed

Node Problems

IEEE802IEEE 802

Plenary송나옥

기고서

제안20150714 20150715

15-15-055

0-01-0008

15-15-055

0-01-0008

30 제정

Updates to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Linear

Protection in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PS)

IETFIETF 93rd

Meeting류정동

기고서제

2015-07-

27

2015-07-

27

draft-ryoo-

mpls-tp-ap

s-updates-

00

draft-ryoo

-mpls-tp-

aps-updat

es-00

- 32 -

표준

구분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Mode - Draft

Version 0

31정책

기고

Technical

Supplements to

SGPLC Report -

Technical Challenges

on PLC

Harmonization

ISO/IEC JTC1/SC6 송나옥

PWI

(Prelimina

ryWorkIte

m)

2015.8.13 - 6N16287 -

32 제정

Simulation Results

for an NAV Setting

Mechanism for

RTS/CTS

Handshaking

IEEEIEEE

802.15.8

곽병재,

송나옥

기고서

제안2015.9.15 -

IEEE

802.15-15-

0726-00-0

08

-

33 제정

Updates to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Linear

Protection in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PS)

Mode - Draft

Version 1

IETFIETF 94th

Meeting류정동

기고서제

2015-10-

17

2015-10-

17

draft-ryoo-

mpls-tp-ap

s-updates-

01

draft-ryoo

-mpls-tp-

aps-updat

es-01

34 개정

DraftAmendment1toR

ecommendationITU-

TG.8131/Y.1382(201

4)

ITU-T

ITU-T SG15

Q9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10.1

9.

2015.10.2

3wd09-06 wd09-03

35기술

반영

G.8131/Y.1382:

Living listITU-T

ITU-T SG15

Q9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

승인

2015.10.1

9.

2015.10.2

3WD 09-07 wd09-03

36기술

반영

Protection

Switching

performances within

an Interconnected

Domain (SP#12)

ITU-T

ITU-T SG15

Q9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10.1

9.

2015.10.2

3WD 09-19 wd09-03

37기술

반영

Applicability of

MDSP functional

model to G.8032

ITU-T

ITU-T SG15

Q9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10.1

9.

2015.10.2

3WD 09-20 wd09-03

38기술

반영

Proposals about

MDSP progressITU-T

ITU-T SG15

Q9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10.1

9.

2015.10.2

3WD 09-22 wd09-03

39기술

반영

Detection of failure

of protocol no

response defect

(dFOP-NR) in

G.8121

ITU-T

ITU-T SG15

Q10 & Q14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10.1

9.

2015.10.2

3WD 26 WD 03

40기술

반영

Detection of

dFOP-NR in G.8121ITU-T

ITU-T SG15

Q10 & Q14

Interim

Meeting

류정동

표준수정

제안서승

2015.10.1

9.

2015.10.2

3WD 42 WD 03

41 제정

MotionforanNAVSettin

gMechanismforRTS/C

TSHandshaking

IEEEIEEE

802.15.8

곽병재,

송나옥

기고서

제안

2015.11.1

1-

IEEE

802.15-15-

0920-01-0

008

-

42 제정

TextproposalforanNA

VSettingMechanismfo

rRTS/CTSHandshakin

g

IEEEIEEE

802.15.8

곽병재,

송나옥

기고서

제안

2015.11.1

1

2015.11.1

1

IEEE

802.15-15-

0921-01-0

008

IEEE

802.15-15

-0921-01-

0008

- 33 -

나. 기고서 실적(제정)

다. 대표 기고서 실적

대표 기고서명 :

Updates to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Linear Protection in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PS) Mode (draft-ryoo-mpls-tp-aps-updates-00)

- 기술 정의 :

MPLS-TP (MPLS-Transport Profile) 기술의 표준화는 전기통신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T와 인터넷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인터넷 표준규격을 개발하는 표준화 단체인

IETF가 서로 협력하여 기존 MPLS 데이터 평면 구조를 기반으로 전달망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인 망운용관리(OAM)기술과 보호절체(protection switching)기술을 추가하는

표준화 작업을 추진키 위해 2008년 4월부터 현재까지 표준화 작업을 진행해 오고

있음.

MPLS-TP 선형보호절체 표준화는 ITU-T의 APS 솔루션과 IETF의 RFC6378에 따른

PSC 솔루션이 충돌하여 왔으나, 기존 PSC 기반 솔루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비한 기능들을 보완하여 새로운 PSC 개정 솔루션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IETF의 표준화 절차에 따라 완성하고 이를 ITU-T G.8131에 채택하여 단일 국제표준을

완성한다는 합의가 IETF와 ITU-T에서 2013년에 이루어졌음.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

- 34 -

2013년 11월 IETF에서 기존 PSC 기반 솔루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비한

기능들을 보완하여 새로운 PSC 개정 솔루션에 대한 표준화 작업 문서가 MPLS WG

문서로 채택되었으며, 2014년 3월에 IESG Last Call을 통과하여 승인되어, 2014년

6월에 RFC 7271로 발간 완료되었음.

2014년 4월 ITU-T SG15 Plenary 회의에서는 IESG Last Call을 통과한 문서의

기술적인 내용을 담은 ITU-T G.8131 (Linear Protection Switching for MPLS-TP)

권고 초안을 consent 하였으며, consent된 ITU-T G.8131 권고는 AAP 승인 절차를

거쳐 2014년 7월에 최종 승인 및 발간 완료되었음.

- 주요 내용 :

본 대표 기고서는 국제 단일 표준으로 승인 및 발간 완료된 MPLS-TP 선형보호절체

표준인 IETF RFC 7271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안하는 문서이며, 상세하게는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초기화 동작을 정의하고 기존 상태천이테이블을 수정을

제안함.

본 대표 기고서에 기술된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초기화 동작은

로컬 Wait-to-Restore (WTR) 타이머 및 로컬 운영자 명령 처리, 로컬에서 감지한

장애 신호를 고려한 active path(현재 트래픽 전달에 사용되고 있는 경로) 유지 방법,

로컬 신호 감쇄에 대한 고려, 리모트에서 수행 중인 exercise 처리 등에 관하여

정의함.

- 활용 분야 :

패킷 전달망 장비, 캐리어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 기대 효과 :

국내 ICT관련 산업은 인터넷망 등의 기반 전송망의 패킷 서비스 및 연결 지향적

전송기능 요구가 증대 되면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패킷 전달 망으로서 MPLS-TP

기술이 필요하다. MPLS-TP 기술의 핵심인 선형보호절체 국제 단일 표준은 국내에서

연구된 고유 기술을 담고 있으며, ETRI를 비롯한 국내 전달망 장비 업체는 MPLS-TP

선형보호절체 기술에 대한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기술 확보 및 개발 중으로 기존 외산

장비 중심의 패킷 통신 장비 시장에 국내 통신 장비 업체들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국제 표준기반이 조성됨.

본 대표 기고서에 정의된 초기화 동작으로 순간적인 정전 및 장비오동작으로 인한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리부팅 시에도 트래픽 보호 가능함.

- 예상 제품 산업적 활용 :

MPLS-TP 기반의 패킷 전달망 장비와 캐리어이더넷 장비에 본 기술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함

- 35 -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 대표 표준개발 :

TTAE.OT-03.0024/R1, 이더넷 가상 연결(EVC) 이더넷 서비스 정의(Ethernet Virtual

Connection(EVC) Ethernet Services Definitions)

- 기술 정의 :

본 표준은 캐리어 이더넷 망에서의 점-대-점(Point-to-Point) 이더넷 가상 연결

(Ethernet Virtual Connection, EVC) 기반 이더넷 라인(E-Line) 서비스, 다점-대-다

점(Multipoint-to-Multipoint) EVC 기반의 이더넷 랜(E-LAN) 서비스, 루티드-다점

(Rooted-Multipoint) EVC 기반의 이더넷 트리(E-Tree) 서비스로 분류되는 3 가지 이

더넷 서비스 유형을 정의하고, 각 이더넷 서비스 유형에서 사용하는 속성 및 파라미

터를 명시한다.

- 주요 내용 :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회의명 구분

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

표준제정번

1 개정

IEEE802.3이더넷표준-개정1:확

장된이더넷수동형광가입자망을

위한물리계층및관리파라미터

TTA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

2015-306

TTAE.IE-8

02.3bk-20

13

2 제정

IEEE 802.3 이더넷 표준-

개정 2: 백플레인 및 구리선

케이블상의 100Gb/s 운용을

위한 물리계층 및 관리

파라미터

TTA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

2015-307

TTAE.IE-8

02.3bj-20

14

3 제정이더넷 관리 정보

베이스(MIB) 정의TTA

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2015-308

TTAE.IE-8

02.3.1-20

13

4 개정이더넷기반네트워크에서OAM기

능과구조 TTA

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2015-309

TTAE.IT-G

.8013/Y.1

731/R2

5 개정이더넷가상연결(EVC)이더넷

서비스정의TTA

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2015-310

TTAE.OT-

03.0024/R

1

6 개정 이더넷 서비스 속성 TTA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2015-311

TTAE.OT-

03.0025/R

1

7 제정이동백홀망의이더넷서비스

요구사항TTA

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2016 예정 2015-312

8 제정클라우드캐리어이더넷

서비스TTA

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

2015-12-

162015-313

TTAE.OT-

03.0028

9 제정

매체접근제어브리지와가상

브리지근거리통신망-동일

비용다중경로(ECMP)

TTA제 95차

운영위원회과제채택

2015-09

-232016 예정 2015-314

- 36 -

본 표준은 캐리어 이더넷 EVC 서비스를 정의함에 있어, 이더넷 서비스 정의

프레임워크 장(Chapter)에서는 이더넷 서비스 유형에 대한 공통 서비스 속성, UNI 별

서비스 속성, UNI 별 EVC 서비스 속성, EVC 별 서비스 속성을 정의하고 세부 내용을

설명한다.

이더넷 서비스 유형 장(Chapter)에서는 점-대-점 EVC를 기반으로 하는 이더넷 라인

서비스, 다점-대-다점 EVC를 기반으로 하는 이더넷 랜 서비스, 루티드-다점 EVC를

기반으로 하는 이더넷 트리 서비스를 정의한다.

이더넷 서비스 정의 장(Chapter)에서는 이더넷 사설 라인 서비스를 위한 (1) UNI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및 값 (2) UNI 별 EVC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및 값 (3) EVC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및 값을 명시하며, 이더넷 가상 사설 라인 서비스, 이더넷 사설

랜 서비스, 이더넷 가상 사설 랜 서비스, 이더넷 사설 트리 서비스, 이더넷 가상 사설

트리 서비스 각각을 위한 (1) UNI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및 값 (2) UNI 별 EVC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및 값 (3) EVC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및 값을 명시한다.

Working Transport Entity (for MT#A)

Protection Transport Entity (for MT#A)MT_C MT_C

SNC

Pro

tect

ion

Switc

hing

Pro

cess

SNC

Pro

tect

ion

Switc

hing

Pro

cess

MT_CP MT_CP

Protected MT#A SNC

MT#A (Normal Traffic)

MT#A (Normal Traffic)

Node A Node Z

<Multiple EVPL 서비스 예>

- 활용 분야 :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패킷 전달망 장비, 캐리어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 기대효과

ETRI를 비롯한 국내 전달망 장비 업체는 본 표준 기반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에 대한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기술 확보 및 개발 중으로 기존 외산 장비 중심의 패킷 통신

장비 시장에 국내 통신 장비 업체들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국내 표준 제공

- 예상 제품 산업적 활용 :

국내 ICT관련 산업은 인터넷망 등의 기반 전송망의 패킷 서비스 요구가 증대 되면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패킷 전달 망으로서의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어, 본 표준을 통해 패킷 전달망의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

- 37 -

4. 기타 활동 결과

- 캐리어 이더넷 제품 및 서비스에 표준안 적용

호구분 표준 명

표준제정

연월일

표준제정

번호적용업체

적용 제품 /

정부

시범서비스 명

적용

연월일

적용된

주요 내용

1

제품

서비스

적용

패킷전달망에서

MPLS-TP 운영,

관리, 유지 방법

2014.12

.16

TTAE.IT

-G.811

3.1/Y.1

372.1

KT, SKT,

LGU+,

코위버,우

리넷

PTN 장비 2015.01.

MPLS-TP 사용자

패킷과 OAM 패킷의

일반적인 전송 명세

- TTA 표준화 로드맵(SRM) 2016의 광통신네트워크분야 계획 수립 지원

- 38 -

제 4 장 2016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6년도 한국이더넷포럼 연구목표

IEEE 802는 유무선 LAN/MAN 분야의 기술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는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로써, 이와 연관된 국제 표준화 기구(ITU-T, IETF 등)까지도 포함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술 표준화 대응 및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국내의 ICT 기술 표준 개발 포럼 및

대응 미러(mirror) 포럼 운영하여 산업체 중심의 국제 표준화 선도, 국내 표준 제정을 위한

국내외 표준화 제반 활동 지원을 목표로 한다.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 핵심표준화 대상(ToR : Terms of Reference)

◦ 고속 이더넷 인터페이스 기술

◦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OAM 및 보호절체 기술

◦ 시-민감성/디터미니스틱 네트워크 기술

◦ 산업 융합 네트워크 기술

□ 주요 활동 내용

◦ 포럼 일반 운영 활동

‑ 대응 준비회의 운영 회수: 12회, 대응기구 분석활동 회수: 2회

‑ 관련기술 동향보고서 제작 및 보급 건수: 2건

‑ 최신 표준화 정보 보급(보도자료, 세미나) 건수: 2건

◦ 국제 표준화 추진 및 제반 활동

‑ 국제공식 표준건수: 제/개정 1건, 기술반영 10건

‑ 국제사실 표준건수: 제/개정 -건, 기술반영 5건

◦ 국내 표준화 추진 및 제반 활동

‑ 국내표준 건수: 제/개정 5건, 기술반영 2건

‑ 표준기반의 시범서비스, 산업체 기술이전, 제품‧서비스의 적용건수: 1건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 국책연구, 산업체/ETRI 표준연구반, 국내의 대학 연구 활동 등과의 유기적 연대를 통해

표준화 회의 전(후) 표준화 현황 분석, 표준화 진행 방향, 각 업체의 연구 개발 전략을

- 39 -

상세히 파악함으로써 국내의 기술 개발 방향 수립, 국내 표준화 접근 전략, 기고서 제안

전략 등을 수립하여 국제 표준화에 공동 대응한다.

□ 포럼 분과위원회를 통해 IEEE 802, ITU-T, IETF의 각 핵심 기술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산업에 파급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포럼 주관하에 산학연 전담반을

구성하고 세부 전략을 수립하여 국제표준화에 조직적으로 활동한다.

□ TTA 연관 PG 및 지원 포럼과의 역할 분담 및 상호 협조를 통해 국내 지적 재산권이

포함된 표준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관련 기술의 국산화를 위한 제반 활동을 지원한다.

□ 국내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세미나 및 워크샵을 년 1회 이상 개최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관련 최신 표준화 및 기술 개발 정보 제공한다.

포럼/산학연

포럼 표준안 개발표준화 공동 대응 및 정보 보급 외

ITU-TETH/MPLS-TP 기반

패킷 전달 기술

IEEE 802유무선 인터워킹 기술시-민감성 네트워킹 기술이더넷 고속화 기술기가급/장거리/고효율무선 LAN기술

TTA국내 표준안 개발

IETFMPLS-TP 기반패킷 전달 기술

~2017 ~2015~2015 ~계속

- 40 -

제 5 장 결 론

제 1 절 결론

본 보고서에 다룬 유무선 LAN/MAN 기술은 미국의 IEEE802 LAN/MAN 표준위원회에서

제정하는 LAN, MAN에 걸친 단거리 및 중거리의 유선 링크-구리선 및 광케이블을 통한 매체

액세스 제어 기술과 물리적 고속 전송 기술, 무선 링크를 통한 매체 액세스 제어 기술과

물리적 고속 전송 기술,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국 이더넷 포럼은 IEEE802의 워킹 그룹 중 IEEE802.1WG의 유무선 인터워킹 기술,

802.3WG의 유선 LAN/MAN 기술, IEEE802.11WG의 무선 LAN/MAN 기술 등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활동과 함께 연관기구인 ITU-T & IETF MPLS-TP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한국 이더넷 포럼은 2002년부터 TTA 지원 포럼으로 선정되어

국내외 표준화 제반 활동을 수행해 오고 있으며, 2015년에도 미래창조과학부와 TTA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유선 LAN/MAN, 무선 LAN/MAN, 인터워킹, 교육표준화 등의 4개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유무선 LAN/MAN 관련 표준기술 정보 제공, 국제 표준화 관련 공동

대응, 국내 산업체의 사실 표준화 활동 지원, 국내 표준 규격 개발, 유무선 LAN/MAN 시장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국산화 촉진 등을 목적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당해년도에는 42건의

국외기고서 제안 및 반영 (국제공식표준화기구 30건, 국제사실표준화기구 12건), 9건의

국내표준안 제안/채택/제정, 국제 표준화 개최 지원, TTA 산하 이더넷 PG 지원, 단기교육

강좌 및 워크샵 개최 등의 활발한 활동을 수행하였다.

제 2 절 기대효과

본 사업에 의해 한국 이더넷 포럼은 취약한 유무선 이더넷 관련 국내 표준화 개발을 위한

중심 창구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포럼에서 제시된 국내외 이더넷 관련 기술 개발 현황 및

발전 방향 등에 대한 내용은 통신사업자나 장비제조업체들의 장기 투자 계획을 수립하거나

연구개발 기획 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핵심 표준화 대상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 및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국내 업체와의 공동 연구/기고 등의 방안을

마련하여 국제 표준화 및 기술 개발 등을 공동으로 선도 가능하다. 핵심 표준화 대상 기술에

대한 통신사업자의 중장기 투자 계획 수립시 또는 장비 개발업체의 연구 개발 기획 수립시

국내지적재산권(IPR)을 적극 반영할 수 있는 토대 마련할 수 있다.

IEEE802 기반의 유무선 LAN/MAN 분야는 급변하고 있는 통신 환경 속 에서 빠른 시장 적용을

위해 신속한 표준화 및 기술 개발 등이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한국

이더넷 포럼의 활동들은 국내의 취약한 유무선 LAN/MAN 분야의 신속한 기술 확보와 함께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41 -

표준화 추진과제(표준/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5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

<국내표준안-1>

표준(안)명

- 국문 : IEEE 802.3 이더넷 표준- 개정1: 확장된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을 위한 물리계층 및 관리 파라미터 - 영문 : IEEE Standard for Ethernet-Amendment 1: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and Management Parameters for Extended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유선 LAN, MAN에 사용하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 (MAC layer) 및 물리 계층 (PHY layer) 규격을 정의하는 “IEEE 802.3-2012 이더넷 표준- 개정1”에 관한 것이다. 본 표준은 IEEE 802.3-2012 표준의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이하 EPON)에서 확장된 EPON 동작을 위한 물리 계층 규격 및 관리 파라미터를 기술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7.24.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IE-802.3bk-2013

3. 대상 및 범위 이더넷 가입자망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 본 표준은 EPON 규격 중 PX30 (29dB, 1G-EPON), PX40 (33 dB, 1G-EPON), PRX40 (33 dB, 10/1G-EPON), PR40 (33 dB, 10/10G-EPON)의 확장된 파워버짓을 지원하는 점-대-다중점 EPON 동작을 위한 물리 계층 규격 및 관리 파라미터의 변경 사항을 기술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본 표준은 관련 칩 및 장비 업체들에게 확장된 EPON의 물리계층 규격 및 관리 파라미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 및 장치의 개발과 응용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한다.

Reference 참고자료IEEE Std 802.3bk-2013, IEEE Standard for Ethernet- Amendment 1: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and Management Parameters for Extended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2013. 8. 23.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붙임

- 42 -

<국내표준안-2>

표준(안)명

- 국문 : IEEE 802.3 이더넷 표준- 개정 2: 백플레인 및 구리선 케이블상의 100Gb/s 운용을 위한 물리계층 및 관리 파라미터- 영문 : IEEE Standard for Ethernet- Amendment 2: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and Management Parameters for 100 Gb/s Operation Over Backplanes and Copper Cables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유선 LAN, MAN에 사용하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MAC layer) 및 물리 계층(PHYsical layer) 규격을 정의하고 있는 “IEEE 802.3-2012 이더넷 표준- 개정2”에 관한 것이다. 본 표준은 기존 IEEE 802.3-2012표준의 내용을 변경한 부분과 100Gbps백플레인 이더넷을 위해 새로 추가한 91절부터 94절의 내용(100GBASE-R PHY를 위한 RS-FEC, 100GBASE-CR4/-KR4/-KP4 PMD, 100GBASE-KP4 PMA, 부속서 등)을 기술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7.24.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IE-802.3bj-2014

3. 대상 및 범위 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 본 표준은 전기적 백플레인(electrical backplane) 및 2동축 케이블(twinaxial copper cables) 상에서 100Gb/s 동작을 위한 물리 계층, 관리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백플레인 및 2동축 케이블상에서 40Gb/s, 100Gb/s 동작을 위한 에너지 고효율 이더넷(Energy Efficient Ethernet)을 선택적으로 정의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 본 표준은 칩 및 장비 업체들에게 100Gb/s 속도의 백플레인 이더넷 물리계층 규격, 관리 파라미터 등을 제공하여 관련 기술 및 장치의 개발과 응용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한다.

Reference 참고자료IEEE Std 802.3bj-2014, IEEE Standard for Ethernet; Amendment 2: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and Management Parameters for 100 Gb/s Operation Over Backplanes and Copper Cables, 2014. 6. 12.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3 -

<국내표준안-3>

표준(안)명- 국문 : 이더넷 관리 정보 베이스(MIB) 정의- 영문 : IEEE Standard for 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 Definitions for Ethernet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TTAE.IE-802.3.1-2011(2012.12.21)의 개정판으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EEE 802.3/이더넷 표준 기반의 장치를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계층적 관리 객체들의 집합인 이더넷 관리 정보 베이스(MIB) 모듈에 대한 제반 사항을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7.24.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IE-802.3.1-2013

3. 대상 및 범위이더넷 장치 및 서비스

4. 내용요약 본 표준은 IETF에서 기 정의한 관리 정보 구조 버전 2 (SMIv2; Structure of Management Information Version 2) MIB 모듈 규격과 IEEE 802.3에서 기 정의한 관리 객체 정의 지침 (GDMO; Guidelines for the Definition of Managed Objects) MIB 모듈뿐만 아니라 IEEE 802.3 최신 개정으로 인한 확장 내용까지를 포함한다. SMIv2 MIB 모듈은 이더넷을 관리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위한 것이다. 본 표준은 이더넷 LLDP 확장 MIB, 이더넷 OAM MIB, 이더넷 리피터 장치 MIB, MDI를 통한 이더넷 DTE 전원 MIB, EPON MIB, Ethernet-like 인터페이스 MIB, EFMCu 인터페이스 MIB, 이더넷 WIS MIB, 이더넷 MAUs MIB등의 모듈을 정의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 본 표준은 IEEE 802.3/이더넷 MIB 정의에 대한 규격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사업자가 이더넷 기반 장치 (리피터/허브, 스위치 등)의 정보, 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ence 참고자료IEEE Std 802.3.1-2013, IEEE Standard for Management Information Base(MIB) Definitions for Ethernet, 2013. 6. 14.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4 -

<국내표준안-4>

표준(안)명 - 국문 :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의 OAM 기능과 메커니즘- 영문 : OAM functions and mechanisms for Ethernet based networks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TTAE.IT-Y1731/R1(2010.12.23)의 개정판으로,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이더넷 MAC 계층 서비스와 네트워크 운영 및 관리를 위한 OAM 기능과 절차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본 표준은 이더넷 OAM 프레임의 형식과 OAM 프레임 필드의 내용 및 체계 등을 기술한다. 이더넷 OAM 절차는 점-대-점(point-to-point)간 연결과 다점들(multipoint-to-multipoint 및 rooted-multipoint)간 이더넷 MAC 연결을 정의하고, 이더넷 MAC 계층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환경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7.24.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IT-G.8031(Y.1731)

3. 대상 및 범위 캐리이 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 본 표준은 ITU-T Y.1730에서 정의한 이더넷 OAM 네트워크에서의 요구사항에 따라 이더넷 사용자 영역의 OAM 기능과 절차를 정의한다. 특히 본 표준은 이더넷 MAC 계층에서 점-대-점 과 다점들간 연결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OAM 절차는 이더넷 MAC 계층에서의 서비스 제공과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기능을 정의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 본 표준은 이더넷 네트워크에서의 OAM기능과 구조에 대한 것을 정의하여 이더넷 장비에서 연결성 결함 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운용 및 관리에 관한 세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ence 참고자료 ITU-T G.8013/Y.1731, OAM functions and mechanisms for Ethernet based networks, 2013. 11.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5 -

<국내표준안-5>

표준(안)명 - 국문: 이더넷 가상 연결(EVC) 이더넷 서비스 정의- 영문: Ethernet Virtual Connection(EVC) Ethernet Services Definitions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본 표준은 TTAE.OT-03.0024의 개정판으로, 캐리어 이더넷 망을 통해 제공 가능한 이더넷 서비스 유형을

정의하고, 각 이더넷 서비스 유형별 속성 및 파라미터를 명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8.06.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OT-03.0024/R1

3. 대상 및 범위 패킷 전달망 장비, 캐리어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캐리어 이더넷 망에서 점-대-점(Point-to-Point) 이더넷 가상 연결(Ethernet Virtual Connection,

EVC) 기반 이더넷 라인(E-Line) 서비스, 다점-대-다점(Multipoint-to-Multipoint) EVC 기반의 이더넷 랜(E-LAN) 서비스, 루티드-다점(Rooted-Multipoint) EVC 기반의 이더넷 트리(E-Tree) 서비스로 분류되는 3 가지 이더넷 서비스 유형을 정의하고, 각 이더넷 서비스 유형에서 사용하는 속성 및 파라미터를 명시한다. 본 표준은 TTAE.OT-03.0024에 정의된 서비스 유형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속성, 속성 값 및 요구사항의 목록을 갱신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본 표준은 망 사업자 및 운영자가 캐리어 이더넷 망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이더넷 서비스 유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이더넷을 이용한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Reference 참고자료MEF Technical Specification MEF 6.2, “EVC Ethernet Services Definitions Phase 3”, August, 2014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6 -

<국내표준안-6>

표준(안)명 - 국문: 이더넷 서비스 속성- 영문: Ethernet Services Attributes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본 표준은 TTAE.OT-03.0025의 개정판으로, 캐리어 이더넷 망 가입자와 서비스 사업자간의 물리적

경계선인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 UNI)에서 가입자가 제공받는 이더넷 서비스 속성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8.07.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OT-03.0025/R1

3. 대상 및 범위 패킷 전달망 장비, 캐리어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이더넷 가상 연결(Ethernet Virtual Connection, EVC) 서비스 속성, UNI 서비스 속성, UNI별

EVC 서비스 속성, 다중 EVC 서비스 성능 속성, UNI 대역폭 프로파일, 이더넷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정의한다. 본 표준은 신규 항목으로서, 동기 모드 서비스 속성, UNI 복구 서비스 속성, 링크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서비스 속성 등을 추가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본 표준은 망사업자 및 운영자가 캐리어 이더넷 망을 통해 가입자간 이더넷 서비스 전달을 위해 서비스

등급 규격을 포함하는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이더넷 가상 연결의 속성을 정의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 참고자료

MEF Technical Specification MEF 10.3, “Ethernet Services Attributes Phase 3”, October, 2013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7 -

<국내표준안-7>

표준(안)명 - 국문: 이동 백홀망의 이더넷 서비스 요구사항- 영문: Mobile Backhaul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본 표준은 이동 백홀 망 구현 협정을 위한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요건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8.12.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6년 예정 ④ 문서번호:

3. 대상 및 범위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규격을 활용하는 이동 백홀망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본 표준에서는 이동 백홀 망 구현을 위한 이더넷 서비스와 종단간 이더넷 서비스 기능 및 요구사항 표준을

규정한다. 또한 서비스 항목과 이를 위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이동 백홀 망 구현 협정을 위한 이더넷 서비스를 정의하여 기존 SONET 기반의 백홀 망과 호환을 이루고

4G LTE 망 사업자의 이더넷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저렴한 장비 설치 및 망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Reference 참고자료MEF Implementation Agreement MEF 22.1, “Mobile Backhaul Phase 2”, Jaunary, 2012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8 -

<국내표준안-8>

표준(안)명 - 국문: 클라우드 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영문: Carrier Ethernet Services for Cloud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본 표준은 MEF 이더넷 서비스를 클라우드에 적용하는 것을 규정한다. 그 적용은 클라우드

프로바이더(Cloud Provider, CP) 데이터 센터 간 상호연결, 클라우드 수요자(Cloud Consumer, CC)와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데이터 센터 간의 액세스를 포함한다. 특히, MEF 6.2 이더넷 사설 라인(Ethernet Private Line, EPL) 서비스 및 이더넷 가상 사설 라인(Ethernet Virtual Private Line, EVPL) 서비스의 클라우드 사용 예와 관련 서비스 속성의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8.12.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5.12.16. 제87차 표준총회 ④ 문서번호: TTAE.OT-03.0028

3. 대상 및 범위캐리어 이더넷 서비스 규격을 활용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본 표준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사용되는 MEF 이더넷 서비스, MEF 외부 인터페이스, 그리고 관리

인터페이스의 요구사항을 규정하며, 서비스 중에 변경될 수 있는 이더넷 서비스 속성의 신축적인 동작양식(elastic behaviour)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두 가지의 넓은 범위의 카테고리가 있는데, 하나는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의 데이터 센터간 상호연결(Data Center Interconnect, DCI)이며, 다른 하나는 클라우드 수요자와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데이터 센터간 상호연결(Data Center Access, DCA)이다.

본 표준의 서비스 및 요구사항은 MEF 6.2 서비스 정의와 MEF 10.3 서비스 속성을 기반으로 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리어 이더넷 망과 점대점 이더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일 클라우드 프로바이더를 대상으로 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본 표준은 망 사업자 및 운영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MEF 캐리어 이더넷 활용에 대

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이더넷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Reference 참고자료MEF Technical Specification MEF 47, “Carrier Ethernet Services for Cloud Implementation Agreement”, October, 2014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49 -

<국내표준안-9>

표준(안)명- 국문 : 매체 접근 제어 브리지와 가상 브리지 근거리 통신망 – 동일 비용 다중 경로 (ECMP)- 영문 : Media Access Control (MAC) Bridges and Virtual Bridged Local Area Networks- Amendment 22: Equal Cost Multiple Path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매체 접근 제어 브리지와 가상 브리지 근거리 통신망에서 브리지의 기능 확장 표준으로서 다중 다음 홉(next hop) 선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최단 경로 브리징 기술의 MAC mode와 동일 비용 다중 경로 알고리즘을 정의하고자 한다. 본 표준은 IEEE 802.1Qbp-2014 부가 22에 관한 것으로서 최단 경로 브리징 기술의 부가와 이를 위한 수정 내용을 기술한다.

2. 추진 경위 ① TTA 표준 제안일: 2015.08.12.  ② TTA 표준 과제채택일: 2015.09.23. 제95차 운영위원회 정기회의 ③ TTA 표준 완료일(예정일): 2016년 예정 ④ 문서번호:

3. 대상 및 범위 이더넷 장비 및 서비스

4. 내용요약 본 표준은 브리지 근거리 통신망(Bridged LAN)에서 브리지의 기능 확장에 관한 표준으로서, 단일 서비스 지역 내에서 프레임 처리에 있어 다중 next hop 선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최단 경로 브리징 기술의 매체 접근 제어 모드(MAC mode)를 정의하고 이를 위해 흐름 해쉬(hash) 값을 사용하는 동일 비용 다중 경로 (Equal Cost Multiple Path)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 본 표준은 이더넷 장비 및 관련업체들의 망 관리 기기에게 물리적 토폴로지 정보표준관리 기능규격 발견을 위한 다중 사업자의 상호 운영성 및 표준화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센터와 같이 다수 링크를 이용한 서버 연결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관련 기술 및 장치의 개발과 응용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한다.

Reference 참고자료IEEE Std 802.1Qbp-2014, Media Access Control (MAC) Bridges and Virtual Bridged Local Area Networks-Amendment 22: Equal Cost Multiple Path, 2014. 6.27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참고표준을 영문 그대로 완전 수용

- 50 -

2. 2015년도 국제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국외기고서- 01>

기고서 명 - 국문 명 : 모바일 코어 망 가상화의 활용 예 - 드래프트 버전 2- 영문 명 : Virtualisation of Mobile Core Network Use Case - Draft Version 2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TF 관련기술위원회 VNFpool BoF회의명 제 92차 IETF 회의 회의기간 2015.03.22. ~ 2015.03.27.장소 미국 텍사스 댈러스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TF에서는 Virtualized Network Function Pool (VNFpool)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 BoF 단계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문서는 Virtualized Network Function Pool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작성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증가하는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로 인한 모바일 코어 망의 복잡성과 망 운용 이슈를 극복하기 위하여 망기능가상화(Virtualized Network Function Pool)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이는 문서이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draft-king-vnfpool-mobile-use-case-02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51 -

<국외기고서- 02>

기고서 명- 국문 명 : MPLS-TP LSP Trail 보호절체 기능 모델 고려 사항- 영문 명 : Considerations for the functional model of MPLS-TP LSP Trail Protecti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이다.며, 본 기고서는 MPLS-TP Trail 보호절체의 기능 모델 추가를 위해 작성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MPLS-TP Trail 보호절체의 기능 모델에 대한 기술적인 고려 사항을 담고 있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WD04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52 -

<국외기고서- 03>

기고서 명 - 국문 명 : MPLS-TP PW 선형보호 지원- 영문 명 : Support for MPLS-TP PW Linear Protection in G.813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을 Pseudowire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적인 고려 사항을 담은 기고서이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WD05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53 -

<국외기고서- 04>

기고서 명- 국문 명 : G.8131 개정 초안 - 영문 명 :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latest draf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권고의 에디터 초안이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WD20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54 -

<국외기고서- 05>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131 권고 Living List- 영문 명 : G.8131/Y.1382: Living Lis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Living List 문서임.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WD21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55 -

<국외기고서- 06>

기고서 명 - 국문 명 : G.mdsp를 위한 일반 레퍼런스 네트워크 제안- 영문 명 : Proposed generic reference network for G.mds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다중 도메인으로 분할된 전달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작성자가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를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을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IPR을 확보하고 이를 현재 논의 중인 G.mdsp (Multi-Domain Segment Network Protection)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G.mdsp에서 정의한 보호 서브네트워크 (Protected Subnetwork)와 상호 연결 도메인 (Interconnected Domain)의 정의가 현재의 레퍼런스 네트워크 모델과 일치하지 않고, G.mdsp에서 지원하기로 합의한 단일 노드 인터커넥션 (SNI: Single Node Interconnection),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 (Dual Node Interconnection) 그리고 하이브리드 인터커넥션 (Hybrid Interconnection)이 레퍼런스 네트워크 모델에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레퍼런스 네트워크 모델을 수정할 것을 제안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s://ifa-int.itu.int/t/2013/sg15/exchange/wp3/q9/2015-03-Ottawa/wd11_ETRI_G.mdsp_generic_r

eference_network.docx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지 않음

- 56 -

<국외기고서- 07>

기고서 명- 국문 명 : G.mdsp에서 G.8032의 DNI 지원에 관한 적용성 분석- 영문 명 : Considerations on applicability analysis on DNI support of G.8032 in G.mds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다중 도메인으로 분할된 전달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작성자가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를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을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IPR을 확보하고 이를 현재 논의 중인 G.mdsp (Multi-Domain Segment Network Protection)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G.mdsp에서 설명하고 있는 G.8032 이더넷 링 보호절체 메커니즘을 이용한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이 현재까지 합의된 사항, 즉 두 상호 연결 노드 간에 2개의 수직 링크를 두기로 한 상황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s://ifa-int.itu.int/t/2013/sg15/exchange/wp3/q9/2015-03-Ottawa/wd12_ETRI_G.mdsp_ERP_appl

icability_analysis.docx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지 않음

- 57 -

<국외기고서- 08>

기고서 명- 국문 명 : G.mdsp에서 선형 보호절체에 의해 보호되는 보호 서브네트워크에서 DNI 지원을 위한 방법 제안- 영문 명 : Proposed approach to support DNI in a Protected Subnetwork protected by linear protection in G.mds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캐나다 오타와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다중 도메인으로 분할된 전달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작성자가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를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을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IPR을 확보하고 이를 현재 논의 중인 G.mdsp (Multi-Domain Segment Network Protection)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 간에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선형 보호절체 메커니즘의 확장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두 개의 상호 연결 노드에서 각각 워킹 경로와 보호 경로가 종단되도록 하고, 선형 보호절체를 위한 APS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프로세스는 보호 경로가 종단되는 상호 연결 노드에 위치하며, 두 상호 연결 노드 간에 워킹 경로 장애 정보와 브리지/셀렉터 제어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s://ifa-int.itu.int/t/2013/sg15/exchange/wp3/q9/2015-03-Ottawa/wd13_ETRI_G.mdsp_linear_DN

I_mechanism.docx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지 않음

- 58 -

<국외기고서-9>

기고서 명 - 국문 명 : ODU 공유메쉬 보호절체 프로토콜 분류- 영문 명 : Classification of ODU SMP Protocol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윤지욱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email protected]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Q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03.02. ~ 2015.03.06.장소 Ottawa, Canada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n, ② 기고서 반영n,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에서 OTN 공유메쉬 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 작업을 G.odusmp로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다양한 방식의 보호절체 프로토콜들이 논의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본 기고서는 현재 논의 중에 있는 다양한 방식의 ODU SMP 프로토콜들의 주요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통합 프로토콜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3. 중요도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WD03r1-rapporteur-meetingReport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어 있지 않음

- 59 -

<국외기고서- 10>

기고서 명

- 국문 명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프레임워크를 SD Mobile

Network에 이용하기 위한 use cases

- 영문 명 :Proposed Text of " Media Independent Services Framework for

Mobility Management in SDN based Mobile Networks (SDMNs)" Section for

IEEE 802.21.1 Draft Standar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최진식, 이형호, 등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802.21

회의명 IEEE 802 Plenary 회의기간 2015.3.9 ~ 2015.3.13

장소 베를린, 독일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프레임워크를 SD Mobile Network에 이용하기 위한 use cases 표준문서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802.21 WG(Working Group)에서는 2013년 3월부터 TG(Task Group) 802.21.1을 구성하여 신규 매체 독

립 서비스(Media Independent Service)를 추가로 개발하기 위한 유스케이스(Use Case)를 논의하고 있다. 이 기고

서는 IEEE 802 기반의 무선 통신 방식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통신방식의 액세

스 네트워크들이 존재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빌리티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적의 협업 방법을 선택하

는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 시그널링 방식을 IEEE 802.21 MI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Use Case로 제안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21-15-0158-00-SAUC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0 -

<국외기고서- 11>

기고서 명

- 국문 명 : 네트워크 지원 (Network-Assisted) D2D(Device-to-Device) 통신의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 지원 D2D 통신을 위한 MIH 서비스

- 영문 : Proposed Update for “D2D Communications Service” Section of

IEEE 802.21.1 Draft Standar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형호, 최진식 등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21

회의명 IEEE 802 Plenary 회의기간 2015.3.9 ~ 2015.3.13

장소 베를린, 독일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네트워크 지원 (Network-Assisted) D2D(Device-to-Device) 통신의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 지원 D2D 통신

을 위한 MIH 서비스

2. 기고서 주요 내용

MIS protocol에 기반한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rotocol 제안; 도시바는 본 기고서와 관련하여 다수

단말간 그룹 통신에서의 단말 탐색과 관련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코멘트함

본 기고서의 유스케이스를 2014년 1월 IEEE 802 Wireless Interim 회의까지 워드 형식의 문서로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결정됨에 따라 워드 문서 형식으로 MIS protocol 기반의 draft를 작성한 것임.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21-15-0021-00-SAUC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1 -

<국외기고서- 12>

기고서 명

- 국문 명 : IEEE 802.21.1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서비스 섹션의 수정 제안

- 영문 명 : Proposed Update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Service”

Section of IEEE 802.21.1 Draft Standar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형호, 최진식 등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21

회의명 IEEE 802 Plenary 회의기간 2015.3.9 ~ 2015.3.13

장소 베를린, 독일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네트워크 지원 (Network-Assisted) Dynamic Radio Frequency Channel Allocation 서비스를 위한 MIH

프레임워크 제공방안

2. 기고서 주요 내용

MIS framework use case로 MIS protocol 기반의 draft 문서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IEEE 802.11 WLAN의 동적 채널 할당방안

유스케이스를 발표하였으며, 유스케이스의 필요성에는 공감을 이끌어 내었지만, 다른 표준화 그룹에서 유사한

표준화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는 지 더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코멘트를 받음.

퀄컴은 본 기고서의 유스케이스는 공감하였으나 DCA(Dynamic Channel Allocation)를 위해 왜 MIH를 사용해야

하는 지 질문하였고 MIH는 2.5 계층으로 물리계층(1계층)과 링크계층(2계층)의 제어가 우수하므로 DCA에 MIH가

적합하다고 답변함.

퀄컴은 액세스포인트간의 컨트롤 시그널링에 MIH 프로토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코멘트를 하였으나 NIST는

액세스포인트간의 컨트롤 시그널링은 IEEE 802.11r에서 진행했을 거라는 코멘트를 하였음.

도시바는 본 기고서의 IEEE 802.11 매체 의존적(Media Dependent) 성격을 지적하며 미디어 독립(Media

Independent) 성격으로 고려해보길 권장함.

본 기고서의 공동 저자인 한양대의 최진식 교수는 MIH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관리 측면에서 정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본 유스케이스의 적용 네트워크를 IEEE 802.16 WiMAX나 IEEE 802.15 WPAN에의 활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함.

IEEE 802.21 WG 의장은 본 유스케이스가 IEEE 802.11에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지에 대해 IEEE 802.11

WNG(Wireless Next Generation) SC(Standard Committee)의 의장인 삼성의 Clint Chaplin과 논의하길 권장함.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21-15-0020-00-SAUC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2 -

<국외기고서- 13>

기고서 명

- 국문 명 : IEEE 802.21.1의 SDFN 섹션의 MIH 서비스 수정 제안

- 영문 명 : Proposed Text of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 for

Software-defined fronthaul network (SDFN)” Section for IEEE 802.21.1 Draft

Standar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최진식, 이형호, 등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21

회의명 IEEE 802.21

interim회의기간 2015.5.11~ 2015.5.15

장소 벤쿠버, 카나다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프레임워크를 SD Mobile Network 중 Radio Access network

(Frontahul)에 이용하기 위한 use cases 표준문서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과 Radio access network (RAN) fronthaul을 위한 이동성 제어

프로토콜로 MIS framework을 활용한 모델 제시

MIS framework이 SDN 망에 오버레이된 모델에서 핸드오버 서비스를 위한 protocol 문서 제시.

IEEE 802.21 WG(Working Group)에서는 2013년 3월부터 TG(Task Group) 802.21.1을 구성하여 신규 매체

독립 서비스(Media Independent Service)를 추가로 개발하기 위한 유스케이스(Use Case)를 논의하고 있다. 이

기고서는 IEEE 802 기반의 무선 통신 방식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통신방식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이 존재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빌리티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적의 협업 방법을

선택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 시그널링 방식을 IEEE 802.21 MI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Use Case로

제안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21-14-044-00-SAUC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3 -

<국외기고서- 14>

기고서 명

- 국문 명 :네트워크 지원 (Network-Assisted) Dynamic Radio Frequency

Channel Allocation 서비스를 위한 MIH 프레임워크 수정

- 영문 명 :Revised Update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Service”

Section of IEEE 802.21.1 Draft Standar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형호, 최진식 등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21

회의명 IEEE 802.21

interim회의기간 2015.5.11~ 2015.5.15

장소 벤쿠버, 카나다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네트워크 지원 (Network-Assisted) Dynamic Radio Frequency Channel Allocation 서비스를 위한 MIH

프레임워크 제공방안

2. 기고서 주요 내용

MIS framework use case로 MIS protocol 기반의 draft 문서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IEEE 802.11 WLAN의 동적 채널 할당방안

유스케이스를 발표하였으며, 유스케이스의 필요성에는 공감을 이끌어 내었지만, 다른 표준화 그룹에서 유사한

표준화가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는 지 더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코멘트를 받음.

퀄컴은 본 기고서의 유스케이스는 공감하였으나 DCA(Dynamic Channel Allocation)를 위해 왜 MIH를 사용해야

하는 지 질문하였고 MIH는 2.5 계층으로 물리계층(1계층)과 링크계층(2계층)의 제어가 우수하므로 DCA에 MIH가

적합하다고 답변함.

퀄컴은 액세스포인트간의 컨트롤 시그널링에 MIH 프로토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코멘트를 하였으나 NIST는

액세스포인트간의 컨트롤 시그널링은 IEEE 802.11r에서 진행했을 거라는 코멘트를 하였음.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21-14-045-00-SAUC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4 -

<국외기고서- 15>

기고서 명

- 국문 : 다중 SDN 망에서 Sn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SDN 제어기들의 협동

시나리오에 대한 제안

-영문 : Orchestration scenario using Sn interface for multiple SDN control

entitie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최진식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1

회의명 SG11 Interim 회의기간 2015. 4. 22.- 4. 29.

장소 Geneva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multi-domain SDN bearer service를 위한 orchestration을 위한 시나리오 제시

SDN 관련 프로토콜 시나리오 문서로서 SDN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해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심과 관련 표준의 진행을 추진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SDN 프로토콜 표준은 아직 다른 SDO 등과 협력해야 할 상황이고 SG11 입장에서 SG13의 프레임워크나

functional architecture가 없이 어떤 권고를 만들지 전략이 필요한 상황임.

SDN Mobile Core network과 Mobile Access network 를 위한 핸드오버 기술도 필요함에 따라

SDN.supplimentary 문서에 반영함.

SG13의 SDN framework 기준으로 정해진 SDMobile network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프로토콜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향후 구체적인 프로콜 개발 및 표준화 작업이 필요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T13-SG11-C-0221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5 -

<국외기고서- 16>

기고서 명

- 국문 : Q.Supplement-SDN 문서를 위한 Software-defined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한 시나리오와 관련 요구사항에 대한 텍스트 제안

-영문 : Proposed text of “scenarios and corresponding requirements of

seamless handover for SDMN” in Appendix V of Q.Supplement-SD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최진식 소속 한양대

직급 교수 연락처 010-3141-034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1

회의명 SG11 Interim 회의기간 2015. 4. 22.- 4. 29.

장소 Geneva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Mobile Core network과 Mobile Access network 를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필요성

SDN Mobile network 프로토콜에 대한 핸드오버 서비스의 필요성

중국이 적극적인 관심과 관련 표준의 진행을 추진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Mobile Core network과 Mobile Access network 를 위한 기술 구별 필요성

SDN Mobile network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과제의 필요성

중국이 적극적인 관심과 관련 표준의 진행을 추진하고 있음

SDN 프로토콜 표준은 아직 다른 SDO 등과 협력해야 할 상황이고 SG11 입장에서 SG13의 프레임워크나

functional architecture가 없이 어떤 권고를 만들지 전략이 필요한 상황임.

SDN Mobile Core network과 Mobile Access network 를 위한 기술도 필요함에 따라 SDN.supplimentary

문서에 반영함.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T13-SG11-C-0222

국내표준화 여부

제정되어 있지 않음

- 66 -

<국외기고서- 17>

기고서 명 - 국문 명 : ITU-T G.873.2 드래프트 개정 권고안 (Consent 용)- 영문 명 : Draft revised Recommendation ITU-T G.873.2 (for Cons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2.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2012년에 제정된 광전달망 (OTN)을 위한 ODUk (Optical channel Data Unit – level k) 공유 링 보호절체 권고안 G.873.2 개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Q.9/WP3/SG15의 작업 계획 (Work Programme)에 따라 이번 2015년 7월 SG15 Plenary에서 권고안 G.873.2을 consent 추진키로 함에 따라 본 작성자가 권고안 G.873.2의 에디터로서 consent를 위한 드래프트 개정 권고안을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권고안 G.873.2의 에디터로서 consent를 위한 드래프트 개정 권고안을 제출한 것이다. 개정 초안에는 지난 2013년 7월 SG15 Plenary에서 합의된 사항을 반영하였으며, 그 내용은 SRP-1 (Shared Ring Protection supporting 1 ODU per Lambda) 보호절체 아키텍쳐가 OTUk (Optical channel Transport Unit – level k)에 실리는 LO (Lowest Order) ODU 뿐만 아니라 HO (Highest Order) ODU에 실리는 LO ODU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함으로써 SRP-1 아키텍쳐를 통해 G.mdsp에서 논의 중인 OTN 링 보호절체 인터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APS 프로토콜의 상태 천이 규칙 오류 등이 수정되었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www.itu.int/md/T13-SG15-150622-TD-PLEN-0354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67 -

<국외기고서- 18>

기고서 명 - 국문 명 : G.mdsp에서 선형 DNI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 제안- 영문 명 : Proposed mechanism to support linear DNI in G.mds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2.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다중 도메인으로 분할된 전달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작성자가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를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을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IPR을 확보하고 이를 현재 논의 중인 G.mdsp (Multi-Domain Segment Network Protection)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지난 2015년 3월에 본 작성자가 제안한 선형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 방식을 보다 구체화한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것으로 선형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 아키텍쳐, MDSP 프로세스 및 메시지, APS 프로세스 및 상호 연결 도메인 내 메커니즘과 MDSP 프로세스 간 연동을 포함한다. 본 기고서는 제안 메커니즘의 유효성을 보이는데 중점을 두어 다양한 경로에서의 신호 장애 (Signal Failure)만을 고려하며 신호 감쇄 (Signal Degrade)나 운영자 명령에 의한 절체 동작은 추후 설명한다. MDSP 프로세스와 상호 연결 도메인 내 메커니즘 간의 연동은 상호 연결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특정 메커니즘에 종속되지 않도록 정의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www.itu.int/md/T13-SG15-C-1429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68 -

<국외기고서- 19>

기고서 명- 국문 명 : G.mdsp에서 선형 DNI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 동작 예- 영문 명 : Operation examples of the MDSP mechanism supporting linear DNI in G.mds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2.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다중 도메인으로 분할된 전달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작성자가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를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을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IPR을 확보하고 이를 현재 논의 중인 G.mdsp (Multi-Domain Segment Network Protection)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C1429에서 제안한 선형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 메커니즘이 다양한 장애 시나리오 즉, 워킹 경로 장애, 보호 경로 장애, 수직 경로 장애, 상호 연결 도메인 고립 장애가 하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한다. 장애는 단방향 및 양방향 장애를 모두 고려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www.itu.int/md/T13-SG15-C-1430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69 -

<국외기고서- 20>

기고서 명- 국문 명 : G.mdsp에서 선형 DNI를 지원하기 위한 MDSP 프로세스와 DRNI 간 연동- 영문 명 : Interaction between MDSP process supporting linear DNI and DRNI in G.mds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2.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다중 도메인으로 분할된 전달망에서의 보호절체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작성자가 이더넷 선형 보호절체를 사용하는 두 보호 도메인을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으로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IPR을 확보하고 이를 현재 논의 중인 G.mdsp (Multi-Domain Segment Network Protection)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IEEE 802.1AX-2014에서 정의된 DRNI (Distributed Resilient Network Interconnect)가 G.mdsp의 상호 연결 도메인 메커니즘으로 사용될 때 다양한 장애 시나리오에서 트래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MDSP 프로세스 연동을 분석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www.itu.int/md/T13-SG15-C-1431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0 -

<국외기고서- 21>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73.2에서 DNI 기능 모델 수정 제안- 영문 명 : Proposed corrections to the DNI functional models in G.873.2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2.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2012년에 제정된 광전달망 (OTN)을 위한 ODUk (Optical channel Data Unit – level k) 공유 링 보호절체 권고안 G.873.2 개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기고서는 권고안 G.873.2에서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 기능 모델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제출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권고안 G.873.2 8.2.2.2절의 듀얼 노드 인터커넥션 (DNI) 기능 모델을 분석하고 그림 8-15와 그림 8-16을 수정할 것을 제안하고 기능 모델 설명을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www.itu.int/md/T13-SG15-C-1432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1 -

<국외기고서- 22>

기고서 명 - 국문 명 : ITU-T G.873.2 드래프트 개정 권고안 (Consent 용)- 영문 명 : Draft revised Recommendation ITU-T G.873.2 (for Cons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태식 소속 ETRI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64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Q.9/WP3/SG15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2.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2012년에 제정된 광전달망 (OTN)을 위한 ODUk (Optical channel Data Unit – level k) 공유 링 보호절체 권고안 G.873.2 개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Q.9/WP3/SG15의 작업 계획 (Work Programme)에 따라 이번 2015년 7월 SG15 Plenary에서 권고안 G.873.2을 consent 추진키로 함에 따라 본 작성자가 권고안 G.873.2의 에디터로서 이번 SG15 Plenary에 제출된 기고서들에 대한 논의 결과를 반영한 드래프트 개정 권고안을 consent용으로 제출하였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권고안 G.873.2의 에디터로서 작성한 개정 드래프트로서, 이번 회의에서 DNI 기능 모델 수정을 제안하는 기고서를 반영하여 consent용으로 제출되었다. 제출된 드래프트 개정 권고안은 SG15 Closing Plenary에서 consent되었으며 AAP LC를 거쳐 2015년 8월 최종 승인되었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http://www.itu.int/md/T13-SG15-150622-TD-PLEN-0354R1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2 -

<국외기고서- 23>

기고서 명- 국문 명 : G.8131 권고 개정 초안- 영문 명 :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for Cons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5.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는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권고의 에디터 초안이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TD353/PLEN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3 -

<국외기고서- 24>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131 권고 Living List- 영문 명 : G.8131/Y.1382: Living lis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5.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Living List 문서임.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TD 322/WP3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4 -

<국외기고서- 25>

기고서 명- 국문 명 : "가입자 및 택내전화선에 대한 G.hn 기술 적용" 기술 문서 작업 완료 및 agreement 제안- 영문 명 : Proposal to finalize and agree on the technical paper “Operation of G.hn technology over access and in-premises phone line medium”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5.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2014년 12월 SG15회의에 KT가 G.hn의 기술보고서를 제안한 후, 2015년 2월 25일, 3월 26일, 4월 16일 Q4/Q18간 합동 E-meeting에서 G.fast와 G.hn 진영간 기술보고서 내용에 대해 논의가 진행 되었으며, 2015년 3월 23일~26일, 5월 4일~7일 개최된 Q18 interim meeting에서 KT는 기술보고서 승인을 요청하였다. 본 기고서는 G.hn 기술을 가입자 및 택내전화선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문서 작업을 이번 회의에서 완료하고 agree할 것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홈네트워크기술인 G.hn 기술 중 전화선 기반 네트워크를 가입자망 구간으로 확대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 제안된 기술보고서에 대해 SG15 plenary 회의(2015년 6월 22일 ~ 7월 3일)에서 승인할 것을 제안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기고서이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C 1280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5 -

<국외기고서- 26>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121 코멘트- 영문 명 : Comments on G.812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

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5. ~ 2015.07.03.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10에서는 MPLS-TP 장비 규격인 G.8121 권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 이며, 본 기고서는 G.8121 MPLS-TP 장비 규격 권고안에서 보호절체 프로토콜 관리에 관한 텍스트를 제안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ITU-T G.8121(MPLS-TP 장비 규격) 개정 권고안에서 MPLS-TP 선형보호절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코멘트 및 수정 제안을 담은 기고서이며, 주요 내용으로는 선형보호절체 프로토콜 장애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이 바르지 않음을 지적하고 이를 수정하는 텍스트를 제안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C 1281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6 -

<국외기고서- 27>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131 개정 초안에 대한 검토 코멘트- 영문 명 : Review comments on draft G.8131 Amd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5.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개정 권고 초안에 대한 검토 코멘트를 담은 기고서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C 1404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7 -

<국외기고서- 28>

기고서 명 - 국문 명 : MDSP 용어 관련 이슈- 영문 명 : Open Issues with MDSP Terminology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Plenary 회의기간 2015.06.25. ~ 2015.07.03.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 보호절체 인터워킹인 멀티도메인 세그먼트 보호절체(G.mdsp)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mdsp (Multi-Domain Segmented Protection)의 용어에 관련된 이슈 해결을 제안한 기고서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C 1443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78 -

<국외기고서-29>

기고서 명- 국문 명 : 노출된 노드 문제 최소를 위한 고효율 RTC/CTS 핸드쉐이킹- 영문 명 : High Efficiency RTS/CTS Handshaking Minimizing Exposed Node Problems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송나옥 소속 KAIST직급 연구교수 연락처 042-350-761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1 TG8회의명 97th IEEE 802.15

WSN MEETING 회의기간 2015.07.12 ~ 2015.09.16장소 Kona, Hawaii, USA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1 TG8 에서는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MAC 계층 및 PHY 계층 전반의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선 채널의 자원 예약 방식인 RTS/CTS hand shaking을 통해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단말은 NAV 세팅을 통해 virtual carrier sensing을 하게 되는데 기존의 방식은 RTS/CTS 패킷의 충돌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개선하고자 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NAV 세팅 방식은 RTS 또는 CTS 제어 패킷에 포함된 전송 시간만큼 NAV 세팅을 하였지만, 제안한 방식에서는 RTS/CTS의 충돌을 고려한 효율적인 NAV 세팅 방식을 제안하여 불필요한 NAV setting을 예방하여, 성능을 개선 하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표준화 여부

- 79 -

<국외기고서- 30>

기고서 명- 국문 명 : MPLS-TP 선형보호절체 APS 모드 업데이트 - 드래프트 버전 0- 영문 명 : Updates to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Linear Protection in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PS) Mode - Draft Version 0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TF 관련기술위원회 MPLS WG회의명 IETF 93차 회의 회의기간 2015.07.19. ~ 2015.07.24.장소 체코 프라하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본 기고서는 국제 단일 표준으로 승인 및 발간 완료된 MPLS-TP 선형보호절체 표준인 IETF RFC 7271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안하는 문서이며,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초기화 동작을 정의하고 기존 상태천이테이블을 수정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MPLS-TP 선형보호절체 APS 모드의 초기화 동작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상태천이테이블에 대한 수정 사항을 담은 문서이며, 본 기고서에 기술된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초기화 동작은 로컬 Wait-to-Restore (WTR) 타이머 및 로컬 운영자 명령 처리, 로컬에서 감지한 장애 신호를 고려한 active path(현재 트래픽 전달에 사용되고 있는 경로) 유지 방법, 로컬 신호 감쇄에 대한 고려, 리모트에서 수행 중인 exercise 처리 등에 관하여 정의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draft-ryoo-mpls-tp-aps-updates-00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0 -

<국외기고서- 31>

기고서 명- 국문 명 : SGLC 리포트의 기술적 보완- PLC 조화에 기술적 도전- 영문 명 : Technical Supplements to SGPLC Report - Technical Challenges on PLC Harmonization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송나옥 소속 KAIST직급 연구교수 연락처 042-350-761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SO/IEC 관련기술위원회 JTC1/SC6회의명 회의기간 2015. 6. 29장소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Broadband PLC 상호공존 표준인 ISP (Inter System Protocol) 는 IEEE 1901과 ITU-T G.9960/9961의 상호공존 표준이다. ISO/IEC 12139-1를 포함한 Broadband PLC 상호공존 표준 확장함에 있어서, IEEE 1901과 ITU-T G.9960/9961측에서 Backward compatibility 보장을 요구하였다.이에 ISP 확장시 Backward compatibility 보장을 위한 방안을 찾으려 노력하였으나, Backward compatibility 보장하면서 기존의 Broadband PLC 상호공존 표준인 ISP 확장이 불가함을 확인하였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1901과 ITU-T G.9960/9961의 상호공존 표준인 ISP (Inter System Protocol)을 ISO/IEC 12139-1를 포함한 Broadband PLC 상호공존 표준 확장함에 있어서, IEEE 1901과 ITU-T G.9960/9961의 Backward compatibility 보장 요구가 불가함을 기술적으로 상세히 기술하였다.이는 IEEE 1901과 ITU-T G.9960/9961측에서 Backward compatibility 보장 요구에 대한 기술적인 대응 문서이며, 이의 결과로 Backward compatibility와 무관하게 ISP확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역할을 기대한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표준화 여부

- 81 -

<국외기고서- 32>

기고서 명- 국문 명 : RTC/CTS 핸드쉐이키을 위한 NAV 설정 메커니즘의 시뮬레이션 결과- 영문 명 : Simulation Results for an NAV Setting Mechanism for RTS/CTS Handshaking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송나옥 소속 KAIST직급 연구교수 연락처 042-350-761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 TG8회의명 IEEE 802.15 WSN

MEETING 회의기간 2015.09.13 ~ 2015.09.17장소 Bangkok, Thailand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1 TG8 에서는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MAC 계층 및 PHY 계층 전반의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선 채널의 자원 예약 방식인 RTS/CTS hand shaking을 통해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단말은 NAV 세팅을 통해 virtual carrier sensing을 하게 되는데 기존의 방식은 RTS/CTS 패킷의 충돌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개선하고자 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NAV 세팅 방식은 RTS 또는 CTS 제어 패킷에 포함된 전송 시간만큼 NAV 세팅을 하였지만, 제안한 방식에서는 RTS/CTS의 충돌을 고려한 효율적인 NAV 세팅 방식을 제안하여 불필요한 NAV setting을 예방하여 구한 성능 개선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표준화 여부

- 82 -

<국외기고서- 33>

기고서 명- 국문 명 : MPLS-TP 선형보호절체 APS 모드 업데이트 - 드래프트 버전 1- 영문 명 : Updates to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Linear Protection in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PS) Mode - Draft Version 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TF 관련기술위원회 MPLS WG회의명 IETF 94ck 회의 회의기간 2015.11.01. ~ 2015.11.06.장소 일본 요코하마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본 기고서는 국제 단일 표준으로 승인 및 발간 완료된 MPLS-TP 선형보호절체 표준인 IETF RFC 7271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안하는 문서이며,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초기화 동작을 정의하고 기존 상태천이테이블을 수정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MPLS-TP 선형보호절체 APS 모드의 초기화 동작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상태천이테이블에 대한 수정 사항을 담은 문서이며, 본 기고서에 기술된 MPLS-TP 선형보호절체 제어 프로세스의 초기화 동작은 로컬 Wait-to-Restore (WTR) 타이머 및 로컬 운영자 명령 처리, 로컬에서 감지한 장애 신호를 고려한 active path(현재 트래픽 전달에 사용되고 있는 경로) 유지 방법, 로컬 신호 감쇄에 대한 고려, 리모트에서 수행 중인 exercise 처리 등에 관하여 정의하며, 이전 버전에서 초기화 동작이 변경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draft-ryoo-mpls-tp-aps-updates-01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3 -

<국외기고서- 34>

기고서 명- 국문 명 : ITU-T G.8131 권고 개정 1 초안- 영문 명 : Draft Amendment 1 to Recommendation ITU-T G.8131/Y.1382 (2014)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는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개정 권고 초안이며, G.8131 에디터로서 제출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wd09-06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4 -

<국외기고서- 35>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131 리빙 리스트- 영문 명 : G.8131/Y.1382: Living lis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에서는 보호절체 기능에 관한 규격을 작성 및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8131 MPLS-TP 선형 보호절체 기술 권고안에 대한 개정 작업 중에 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8131 MPLS-TP 선형보호절체 Living List 문서이며, G.8131 권고안 에디터로서 제출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 참고자료WD 09-07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5 -

<국외기고서- 36>

기고서 명- 국문 명 : 상호연결도메인 내의 보호절체 성능(연구항목 #12)- 영문 명 : Protection Switching performances within an Interconnected Domain (SP#12)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 보호절체 인터워킹인 멀티도메인 세그먼트 보호절체(G.mdsp)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mdsp Living List 의 Study Point #19에 기술된 상호연결도메인의 후보 기술에 대한 성능 연구에 관한 기고서이며, 50 ms 보호절체 성능 만족을 제안함.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WD 09-19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6 -

<국외기고서- 37>

기고서 명 - 국문 명 : MDSP 기능 모델의 G.8032 적용- 영문 명 : Applicability of MDSP functional model to G.8032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 보호절체 인터워킹인 멀티도메인 세그먼트 보호절체(G.mdsp)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G.mdsp 에 기술된 MDSP 기능 모델과 G.8032 (이더넷 링 보호절체) 링 상호연결 메커니즘 사이의 매핑을 제시한 기고서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WD 09-20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7 -

<국외기고서- 38>

기고서 명 - 국문 명 : MDSP 표준화 과정에 대한 제안- 영문 명 : Proposals about MDSP progres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9회의명 SG15 Q9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9/WP3 보호절체 인터워킹인 멀티도메인 세그먼트 보호절체(G.mdsp)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G.mdsp 표준화 범위를 축소하자는 Ericsson의 제안에 대응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G.mdsp 기존 표준화 범위의 수정 없이 솔루션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자는 제안을 담고 있음.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WD 09-22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8 -

<국외기고서- 39>

기고서 명- 국문 명 : G.8121 무반응 프로토콜 장애의 감지- 영문 명 : Detection of failure of protocol no response defect (dFOP-NR) in G.812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10

회의명 SG15 Q10 & Q14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

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10에서는 MPLS-TP 장비 규격인 G.8121 권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 이며, 본 기고는 G.8121 MPLS-TP 장비 규격 권고안에서 보호절체 프로토콜 관련 텍스트의 수정 및 보완을 위해 작성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ITU-T G.8121(MPLS-TP 장비 규격) 개정 권고안에서 선형보호절체 프로토콜 장애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이 바르지 않음을 지적하고 이를 수정하는 텍스트를 제안함.

3. 중요도 Technical Error(Amendment)

Reference 참고자료WD 26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89 -

<국외기고서- 40>

기고서 명 - 국문 명 : G.8121 dFOP-NR 감지- 영문 명 : Detection of dFOP-NR in G.812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류정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53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5, WP3, Question 10

회의명 SG15 Q10 & Q14 Interim 회의기간 2015.10.19.~ 2015.10.23.

장소 중국 우한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TU-T SG15 Q10에서는 MPLS-TP 장비 규격인 G.8121 권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 이며, 본 기고는 G.8121 MPLS-TP 장비 규격 권고안에서 보호절체 프로토콜 관련 텍스트의 수정 및 보완을 위해 작성되었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ITU-T G.8121(MPLS-TP 장비 규격) 개정 권고안에서 선형보호절체 프로토콜 장애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기술하는 텍스트를 제안함.

3. 중요도 Technical Error(Amendment)

Reference 참고자료WD 42

국내표준화 여부제정되지 않음

- 90 -

<국외기고서- 41>

기고서 명 - 국문 명 : RTC/CTS 핸드쉐이킹을 위한 NAV 설정 메커니즘 모션- 영문 명 : Motion for an NAV Setting Mechanism for RTS/CTS Handshaking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송나옥 소속 KAIST직급 연구교수 연락처 042-350-761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 TG8회의명 IEEE 802.15 WSN

MEETING 회의기간 2015.11.08 ~ 2015.11.13장소 Dallas, Texas, USA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1 TG8 에서는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MAC 계층 및 PHY 계층 전반의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선 채널의 자원 예약 방식인 RTS/CTS hand shaking을 통해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단말은 NAV 세팅을 통해 virtual carrier sensing을 하게 되는데 기존의 방식은 RTS/CTS 패킷의 충돌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개선하고자 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NAV 세팅 방식은 RTS 또는 CTS 제어 패킷에 포함된 전송 시간만큼 NAV 세팅을 하였지만, 제안한 방식에서는 RTS/CTS의 충돌을 고려한 효율적인 NAV 세팅 방식을 제안하여 불필요한 NAV setting을 예방하여 구한 성능 개선 효과를 보인 고효율 NAV setting 방식 Text proposal에 대한 Motion을 위한 기고서이다.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표준화 여부

- 91 -

<국외기고서- 42>

기고서 명- 국문 명 :- 영문 명 : Text proposal for an NAV Setting Mechanism for RTS/CTS Handshaking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송나옥 소속 KAIST직급 연구교수 연락처 042-350-7616

제출 표준화 기구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 TG8회의명 IEEE 802.15 WSN

MEETING 회의기간 2015.11.08 ~ 2015.11.13장소 Dallas, Texas, USA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Text proposal) IEEE 802.11 TG8 에서는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MAC 계층 및 PHY 계층 전반의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선 채널의 자원 예약 방식인 RTS/CTS hand shaking을 통해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단말은 NAV 세팅을 통해 virtual carrier sensing을 하게 되는데 기존의 방식은 RTS/CTS 패킷의 충돌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Text proposal) 기존의 NAV 세팅 방식은 RTS 또는 CTS 제어 패킷에 포함된 전송 시간만큼 NAV 세팅을 하였지만, 제안한 방식에서는 RTS/CTS의 충돌을 고려한 효율적인 NAV 세팅 방식을 제안하여 불필요한 NAV setting을 예방하여 구한 성능 개선 효과를 보인 고효율 NAV setting 방식에 대한 Text proposal 이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표준화 여부

- 92 -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 24개 기관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7)

1 삼성전자

2 삼성종합기술원

3 LG전자

4 LS산전

5 LS전선

6 KT

7 SK 텔레콤

산업체

(중소・벤처)

(9)

8 다산네트웍스

9 액터스 네트웍스

10 글로넷 시스템즈

11 파인디지털

12 한아시스템

13 팍스콤

14 코위버

15 우리넷

16 HFR

연구 기관

(2)

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 전자부품연구원

학 계

(6)

19 한국항공대학교

20 충남대학교

21 한양대학교

22 동국대학교

23 숭실대학교

24 전북대학교

o 개인회원 : 200여 명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윤종호 한국항공대 교수

2 주범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연

3 이재훈 동국대학교 교수

4 류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연

5 김대영 충남대학교 교수

6 민경선 KT 상무

7 류현석 삼성종합기술원 전연

8 조광호 액터스 네트웍스 이사

9 박지상 LS전선 과장

10 손장우 NMC 컨설팅 이사

11 최진식 한양대학교 교수

12 김훈 삼성전자 책연

13 백영식 팍스콤 이사

14 이준구 KAIST 교수

15 엄정현 화웨이 코리아 대리

외 - - - -

- 93 -

4. 약어표

AP Access Point

APS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UI Attachment Unit Interface

BYOD Bring Your Own Device

CA Collision Avoidance

CAUI Centum Attachment Unit Interface

CFI Call For Interest

CFP 100(=Centum) Gigabit Form-factor Pluggable

COE Connection-oriented Etherne

CSMA Carrier Sencing Medium Access

CSN Coordinated Shared Network

D2D Device-to-Device

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QPSK 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RNI Distributed Resilient Network Interconnection

DTV Digital TV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EEE Energy Efficient Ethernet

ERO Explicit Route Object

EVC Ethernet Virutal Connection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GE Gigabit Ethernet

HEW High Efficient WLAN

IBTA InfiniBand Trade Association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OT Internet of Things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

LAN Local Area Network

MAC Media Access Control

MAN Metro Area Network

MLG Multi-Link Aggregation

MMF Multi-mode Fiber

- 94 -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TP MPLS - Transport Profile

MSA Multi-Source Aggreement

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TN Optical Transport Network

PAC Peer Aware Communication

PAR Project Authorization Request

PCE Path Computation Element

PHY Physical Layer

PMA Physical Media Attachment

PMD Physical Medium Dependent

PSC Protection Coordination Protocol

RAN Regional Area Network

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SG Study Group

SMF Single Mode Fiber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SPB Shortest Path Bridging

SSID Service Set Identifier

STA Station

TF Task Force

TG Task Group

UMI Uni Channel model

UTP Unshielded Twisted Pair

VNI Visual Networking Index

WFA Wi-Fi Alliance

WG Working Group

WLAN Wireless LAN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TR Wait-to-Restore

- 95 -

5. 참고문헌 등

[1] IEEE 802.1 Working Group, http://grouper.ieee.org/groups/802/1/

[2] IEEE 802.3 Working Group, http://grouper.ieee.org/groups/802/3/

[3] IEEE 802.11 Working Group, http://grouper.ieee.org/groups/802/11/

[4] ITU-T Study Group 13, http://www.itu.int/ITU-T/studygroups/com13/

[5] ITU-T Study Group 15, http://www.itu.int/ITU-T/studygroups/com15/

[6] IETF MPLS WG, http://datatracker.ietf.org/wg/mpls/charter/

[7] Metro Ethernet Forum, http://www.metroethernetforum.org/

[8] Optical Internetworking Forum, http://www.oiforum.com/

[9] Ethernet Alliance, Ethernet Alliance Technology Roadmap, 2014

[10] 이종진외 6인, 100Gb/s 광트랜시버 시장 및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015. 2.

[11] 윤지욱외 6인, 광전달망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015. 2.

[12] IEEE 802 사실표준화기구 동향분석서, 한국이더넷포럼, 2015. 08.

[8] 정보통신 중점기술 표준화 맵 2016, TTA, 20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