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tta.or.kr/include/download.jsp?filename=newstdinfo/20...참여 연구원 : 홍창현...

198
최종연구보고서 (뒷면) (앞면) (편집순서 1) [인쇄번호] [2015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 포럼운영 2015. 12. 15. 포럼 사무국 ○○○○ (좌 철) (양면인쇄)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 -

최종연구보고서

(뒷면) (앞면)

주 의

(편집순서 1)

위여백5㎝

2015・1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아래여백3㎝

위 여백 5㎝

[인쇄번호]

[2015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 포럼운영

2015. 12. 15.

포럼 사무국 ○○○○

아래 여백 5㎝

(좌 철) (양면인쇄)

- 2 -

편집순서 1

※ 겉표지 뒷면에는 아래의 문구를 기재하여야 함.

주 의

1. 본 보고서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수

행한 방송통신표준화활동지원사업의 연구보고입니다.

2.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방

송통신표준화활동지원사업의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2015년도 ICT표준화포럼최종연구보고서

편집 및 발행인 : 임차식발행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463-824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47

TEL : +82-31-724-0114FAX : +82-31-724-0009

- 3 -

[TTA – 15076 - SA]

[2015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운영

2015. 12. 15.

포럼 사무국 한국통신학회

- 4 -

제 출 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귀하

본 보고서를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5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사무국) : 한국통신학회 (대표자) 노종선 (인)

연구 책임자 : 차재상 교수 (인) 참여 연구원 : 장영민 책임연구원 참여 연구원 : 이재호 선임연구원 참여 연구원 : 홍창현 선임연구원 참여 연구원 : 한정화 선임연구원

정보통신․ 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 5 -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R0166-15-1015

과 제 명 방송통신표준화활동지원- 사실표준화기구(포럼)협력대응 및 국제표준화전문가육성

포 럼 명 (국문)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영문) Multi Screen Service Forum

사 무 국 한국통신학회 연구책임자 차재상 교수

당 해 년 도사 업 기 간 2015. 4. 1. ~ 12. 15. ( 8.5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o 연구의 목적

N-Screen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표준을 마련하고 국제경쟁력을 확보하여 ITU-T, ITU-R,

IEEE 802, OMA, DLNA, UPnP, CCC, ISO 등의 국제표준회의에서 우리나라의 표준을 국제 표

준안으로 제안하고 반영하는데 있다. 국제 표준화에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국내기관

및 기업들과 논의하여 이견을 조정한다.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우리나라 표준을 관철시킬 수 있

는 방안을 논의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국가적 차원의 대응 방향을 설정하고 수행한다.

o 연구의 필요성

N-Screen은 이제 스마트폰시대에 필수적인 의사소통 중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가정에서

직장으로, 직장에서 여행지로 지구상 어느 곳에서도 내가 원하는 작업을 개인 PC에서 TV, 스마

트폰, 노트북, 네비게이션(Navigation), digital signage 등과 수시로 공유하며, 모든 스크린을

하나의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전략인 것이다. 이제 AT&T를 시작으로 구글, 애플이 N-Screen 사

업을 준비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방송사(KBS, MBC, SBS, EBS)를 필두로 KT, SKT,

SKP, LGU+, 삼성전자, LG전자, Erricsson-LG, CJHelloVision, 현대HCN, Tbroad, 세종텔레콤,

인텔리언시스템 등의 회사가 상호간 상호 협력의 형태를 이루며, 신규 N-Screen 서비스 개발

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포럼은 Multi Screen (N-Screen) 시장 확대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 표준안을 정부, 학계, 기업들이 논의할 수 있는 토론의 장으로

만들어 Next Generation 기술로 진화하는 첨병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2. 포럼 표준화 대상(ToR)

o 신규 멀티스크린 서비스(예, Digital Signage, Car, Glass, Watch, 체중계, Wearable

Screen, 카메라, Display 등) 발굴 및 기능 정의서 제안

o 스마트 디바이스(차, 안경, HMD) 기반 멀티스크린 망 연동 규격 및 서비스 표준화

o 멀티 스크린 콘텐츠/미디어, 플렛폼 개발 및 표준화

o 멀티 스크린 서비스간의 법제도 및 서비스 협업 기술 개발 및 표준화

o 멀티 스크린대응 콘텐츠 유통 포멧 및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 교환 규격 표준화

3. 주요 내용

o Wearable Device의 Security, Privacy, Contents 기능 개선안 방안

- 6 -

o UPnP Cloud 연동, DVB 및 ATSC 멀티스크린 연동 프로토콜 규약서

o 홈 내 가전기기 및 디바이스(Gas 밸브, 도어락, 윈도우 등)) 연동 규격서 표준안 마련

o 멀티스크린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규격서

o Screen-to-screen 통신, Screen over Networks, 멀티스크린 네트워크 연동 규약서 표준 안 마련

o Second Screen을 위한 Metadata 기술 및 콘텐츠 유통 프로토콜 규약서 표준안 마련

o UHD Digital signage 용 콘텐츠 연동 프로토콜 규약서 표준안 마련

o Wearable Device와 디지털 사인이지간 연동 프로토콜 규약서 표준안 마련

o 옥외 광고법 입법화 및 실감체험형/고객맞춤형 디지털 사인이지-모바일 연동 규약서

o 관련 산업체(벤처/중소/중견/대기업), 연구기관 및 대학의 참여를 통한 기술표준 제정 및 TTA에 제안

o 관련 협회/학회/포럼과의 상호협력을 통한 국제/국내 표준영향력 확대

o 해외 표준제정단체 활동을 통한 국내 서비스 모델 및 기술의 국제화 및 표준

o 대 정부 정책 지원(법률/제도 반영, 기술/제도 반영, 기술기준 제/개정, 정부 정책지원)

o 다수의 국내외 표준 작성을 추진하고 이를 위한 워크숍 및 단기강좌 개최

o 사업자간 N-Screen 시범 사업 추진: 다양한 사업자간의 이종 Cloud간의 연동관련 시범 사업 추

- 연구결과에 따른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주로 PG219와 협의하여 TTA 표준을 제안.)

- 관련 국제회의 참여. ICTC2015, ICUFN2015 등에 참여함.

o 회원사 구성

산업체연구소 학계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개수 16 53 22 23 114

백분율(%) 14.01 46.53 19.29 20.17 100%

4. 포럼 운영 결과 및 성과

구분건수

(계량치)구분

건수(계량치)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33

국내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정 -

기고서 반영 11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5기고서 제정 1 TTA표준 제정 4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66포럼표준

포럼표준 제․개정 10기고서 반영 15기고서 제정 1

기타성과 지표-1 2 기타성과 지표-2 9

1. Multi Screen 서비스 관련 기술 동향 파악 및 분석

- 국제 표준 보고서 작성팀 구성 및 운영

- Multi Screen 서비스 기술 소개 및 웹을 통한 제공

- TTA의 표준화 과제 및 국제 표준전문가 과제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국내의 국제

표준 전문가들과의 국제 표준화 활동 공조를 추진

2. Multi Screen 서비스 관련 단기강좌, 세미나, 워크샵 등 각종 행사 개최

- 국내 및 국제 워크샵/단기강좌 개최

- Multi Screen관련 국제회의에 국가적 차원의 대응을 위한 국내 기관별 협조 및 정보

교류

- Multi Screen 응용서비스 기술 및 관련 기술 개발에 대한 의견 교류

- 7 -

- 총회 및 기술 워크샵을 통해 Multi Screen 관련 활동 및 국제 표준화 동향에 대한

최신 기술을 소개

- Multi Screen 표준화 회의 참가 후 회의 결과 보고를 통해 최신의 표준화 동향을

국내에 알리기 위한 Multi Screen 보고회 1회 개최

- N-Screen 서비스 기술 워크샵을 7회 개최하여 최신 Multi Screen 및 Digital

Signage 기술을 소개

- 국제 컨퍼런스 2회를 개최하여 최신 Multi Screen 기술(서비스, 연동, 클라우드, 콘텐 츠)

을 소개

- 서비스 기술 워크샵 개최

- Multi Screen 서비스 표준화 활동 보고회 정기 개최

- Multi Screen 서비스 관련 단체들과의 공동 국내외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 표준화 분과 : 국내외 표준화 활동을 총괄 지원하고, 포럼의 교육 관련 사업을 기획

3. Multi Screen 서비스관련 국내 사실표준 규격 연구 및 개발

- Multi Screen 서비스 규격의 국내 표준화 규격 연구 및 개발

- 포럼의 분과들과 협력하여 연동을 위한 I/F 표준 개발

- Smart Car Connectivity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 분과를 보다 더 활성화하여 포럼 내의 각 기간간의 연동 시범 서비스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

으로 포럼표준 및 TTA 표준제안 및 국제 표준에 기고

- 분과별로 표준화 동향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동향보고서를 작성하고, 국내의 국가 기고서

발표를 지원하고, 멀티스크린 기술 관련 국내 단체 표준안을 검토

4. Multi Screen 서비스 국제표준화 및 관련 회의 등에의 참여 및 공동 대응

- Multi Screen 서비스 표준화 활동 참여 및 기고서 발표

- Multi Screen 서비스 표준에 대한 통일된 paper 및 기고서 발표

5. 국제 표준화 활동 내용을 공개적으로 알리고 효율적인 의견 수렴을 위한 웹 사이트 운영

(아래 그림 참조)

- Multi Screen 서비스 포럼 웹 사이트 운영 및 행사 정보 제공, 포럼 회원 관리

- Multi Screen 보고회 및 기술 워크숍 발표자료, 그리고 최종보고서 자료 제공

- Multi Screen 서비스 관련 질의/응답을 Multi Screen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절차 등의

정보를 제공

- 국제 표준화 및 국내활동 관련 의견 수렴을 위한 e-mail reflector 운영

6. 전시회 및 기타 실적

- 8 -

- KBS 미디어 콘텐츠 전시회 참가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o 관련 산/학/연의 의견수렴, 정부(미래부/TTA)에 대한 정책/제도 및 규제 건의하고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경쟁력 확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활동이 포럼을 중심으로 연계한 추진으로 인해

시너지 효과를 유발 및 새로운 마켓 창출.

o 멀티스크린기반의 서비스 표준화 및 활성화로 우리나라가 취약한 분야인 서비스 산업의 효

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ICT 기반의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도모

o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활용성 및 효용성을 증진시켜 개별적 시장

창출에 그치지 않고 통합 시장을 창출하여 규모의 경제 달성

o 관련 산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가들의 표준화 활동의 장을 마련하여 멀티스크린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

o 서비스 표준 도출의 기반이 되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형상의 예측이나

이에 따른 표준도출

o 제안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준안 작성

o 서로 다른 사업자의 서비스를 공동으로 이용하고, N-Screen 서비스의 단말 종속성을 최

소화한 다양한 융합(Mash-up) 서비스 제공

o 업계에서는 아직 멀티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정의와 그 동작 방식에 대한 표준 또는 가이드

라인이 없는 상황이다. 본 포럼에서는 기기간 연동방식을 분류하고 동작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멀티스크린 체계가 구축되어 나가는데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멀티스크린 서비스

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와 Device 개발 업체가 효율적으로 관련 응용서비스를 개발하여,

멀티스크린 서비스 보급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o Multi Screen 국제 표준을 활용한 주요 융합서비스, 방송, 통신, 콘텐츠, 클라우드, 스마트

Wearable 디바이스 (VR/AR Screen, 안경, 시계, HMD), Digital Signage (Open, Flexible, Wearable),

자동차 산업, Display 산업 등 관련 응용기술, 장비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

o 다양한 융합 산업 분야를 포괄하는 국제표준화 활동의 모델 사례로 활용

o 국내 방송통신 멀티미디어, N-Screen 시범 서비스 개발 및 기술개발 정책 수립에 반영

- Multi Screen 국제 표준화 활동을 위한 국내 기관 간 이견 조정 및 협력을 통하여 국내 개발 기술

의 국제 표준 반영 극대화

- IoT/M2M 산업의 일환으로 Internet of Things (Screens, Wearable Devices, Cameras, LED,

사인이지) 국제표준 반영 극대화

- 9 -

SUMMARY(영문요약문)

1. Project Title

Multi Screen Service Forum Activity

2. Goals and Importance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Activity 1) Goals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Activity

In order to maximize the adoption of Korean proposals and reflect the positions of

Korean National Body into the Multi Screen Servic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process, the Multi Screen Service Forum coordinates the technical and other related

issues in Korea and arbitrates any conflicts between them.

The Multi Screen Service Forum plans and acts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delegates

to cope with the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ization and related issues in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ization meetings.

2) Importance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ActivityIt is very important to have forum activity which enables active information sharing and

discussion of national policy on the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3. Major Activities 1) Organization of workshop and meetings

-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facilitated information sharing for taking

national policy and actions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 Development of application service technologies.

2) Participation to Multi Screen Servic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y- Collection of opinions on drafts(working draft, committee draft) of international

standards(ITU-T, IEEE802, OMA, DLNA, CCC etc.), Voting for/against the drafts,

submitting comments on them

- Advic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delegate to Multi Screen Service meetings and

selection of experts with support of expenses for participation

3) Domestic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ization activity- KS standards by translating the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s

- Advic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delegate to Multi Screen Service meetings and

selection of experts with support of expenses for participation

4) Operation of web site and e-mail reflectors for public relations and efficient

opinion gathering- operation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web site and provi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 management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members

- 10 -

- Multi Screen Service password distribution control

- operation of several e-mail reflectors, and gather domestic opinions on

standard-related issues.

5) Follow-up reports for importan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 Transl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 documents, tracking of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providing information needed for timely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y in Korea

4. Results 1) Organization of workshop and meetings

- We provided two specialized seminars.

- We held a technical workshops for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s and their

applications.

- We held four steering board meetings to discuss about the operation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2) Participation and consultant to Government activity:- Participation to KCC project about N-Screen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3) Multi Screen Service Forum projects for ABU members:- ICT Convergence fo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ra.

  Research Works:

This research studies survey on technical trends on realistic Multi Screen Service.

3) Participation to Multi Screen Servic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y- Advic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delegate to Multi Screen Service meetings and

selection of experts with support of expenses for participation

4) Domestic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ization activity- 9 Multi Screen Service specifications have been translated as Korean KS standards.

- 2 revised Multi Screen Service specifications have been standardized as Multi Screen

Service Forum standards.

5) Operation of web site and e-mail reflectors for public relations and efficient

opinion gathering- operation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web site and provi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 management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members

- Multi Screen Service password distribution control

- Operation of several e-mail reflectors, and gather domestic opinions on

standard-related issues.

6) Exhibition and etc

- Members of MSS Forum are actively participation to 5 International and domestic

exhibitions.

5. Suggestions for Applications-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s using Multi Screen Service

- 11 -

standards

- Joint work between Multi Screen Service Forum and KCC/NIA for the development for

interworking of N-Screen with Industry and academia.

- reflect to domestic policy for contents technology development

- use as reference model for other standard activities.

6. Expected Impact- Help maximize the adoption of technology developed in Korea into Multi Screen Service

international standards by facilitating arbitration of different opinions and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in Korea

- Help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products of Korea which utilize Multi

Screen Service standards by encouraging early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 Help strengthen the position of Korea and maximize the adoption of Korean opinions by

finding and supporting experts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 12 -

CONTENTS(영문목차)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Administration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Section 1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tus 1. Core Standard Technologies 2. Market Status and Outlook A. Status and Prospective of Domestic Market B. Status and Prospective of International Market 3.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s A. Domestic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s B. International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s Section 2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1. Objectives and Necessity 2. History 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A. Forum Structure B. Working Group Activities C. Members D. Standardization Structure

Chapter 3 2015 Multi Screen Service Forum Activities

Section 1 Summary of Major Achievements Section 2 Results of Activities 1. Results of Forum Adminstration 2. Activities of Domestic Standardization A. Domestic Standards B. Representative Domestic Standards 3. Activitie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 Proposals for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B. Representative Proposals 4. Other Activities

Chapter 4 2015 Work plan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Section 1 2015 Research Targets of Multi Screen Service Forum Section 2 Work plan Section 3 Approaches

Chapter 5 Conclusion

Appendix. 1. Member List2. Abbreviations3. References4. Results of 2016 Domestic Standard - (Draft) Standard

5. Results of 2016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 13 -

- 목 차 - 제 1 장 서론

제 2 장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운영제 1 절 국내외 현황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제 2 절 포럼 구성 및 운영1. 목적 및 필요성

2. 연혁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및 추진체계

나. 분과(or 워킹그룹)별 주요활동

다. 회원사 구성

제 3 장 2015년도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활동결과제 1 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제 2 절 활동 결과1. 포럼 운영 결과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

나. 기고서 실적(제정)

다. 대표 기고서 실적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4. 기타 활동 결과

제 4 장 2016년도 주요 수행계획제 1 절 2016년도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연구목표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제 5 장 결 론제 1 절 결론

제 2 절 기대효과

- 14 -

제 1 장 서론

21세기에 들어 방송과 통신, 이들이 융합 서비스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정보통신업계

에서는 방송통신 서비스의 주요한 변화 방향으로 다양한 기술들의 융합과 확산, 콘텐츠의 모바일로의

이동, 소프트위어 시장의 성장, 현장감과 사실감을 위한 실감 미디어 기술, 여러 기기들의 스크린을 이

용할 수 있는 N-Screen 등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출을 견인하는 IT 산업에서 멀티미디어 네트

워크가 큰 부분을 차지하며 이러한 분야에 있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은 기술규격 제정과 관련

된 국제표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이를 상용화하는 기술 투자 및 관련 산업에 적극적으로 적

용하여 왔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Multi Screen 서비스 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한 주요 대기업 및 연구

기관들뿐만 아니라 학계에서 표준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많은 국내 연구 개발결과들을

표준화 활동을 통하여 Multi Screen 서비스 표준으로 채택시키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표준의 선점은 시장의 지배로 이어지는 현대에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국제표준으로 만들어

신기술에 대한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선진 각국은 표준화 전

략을 주요 정책으로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 선두 기업들을 중심으로 표준화의 중요성의 인식이

확산되고 표준 선점을 통한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해 자국 산업기

술의 국제적 확산 및 세계 시장 선점의 전략으로 할용하고 있다. Multi Screen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

및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기존에 거둔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계속함과 동시에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국제 전문가 육성 및 지원, 공동 기술 개발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 등 정책적인 배려를 통해서 국내 기관들의 개발 결과를 결집하고 국제 표준화 동향

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미래부 소속 포럼 중의 하나인

Multi Screen 서비스(MSS) 포럼은 Multi Screen 서비스 국제표준화에 적극 대응하고 한국의 이익을 국

제 표준화에 최대한 반영하며, 최신 국제표준을 국내에 전파하여 국내 산업의 대응력을 높이고자 많은

활동을 수행하오고 있다. 최근 이러한 신기술의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N-Screen 전략이 이슈로 떠오르

고 있는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N-Screen 전략에 있어서 사업자별 N-Screen 전략, 추진동향 및 표

준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Multi Screen 서비스 포럼의 2015년도 활동 추진 내용

및 결과에 대해 정리한 것이다.

제 2 장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운영제 1 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무선망과 인터넷의 초고속화와 함께 비디오 스트리밍, 모바일 방송, IPTV 등 통방융합 환경에서의

비디오를 중심으로 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종의 접속망과 다양한

성능의 단말이 혼재하는 융합 콘텐츠 소비환경에서 스마트폰, Tablet PC, PC, TV 등 다양한

단말기에서 비디오, 음악, 게임,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끊김없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일반적으로

N-Screen 서비스라고 한다.

[그림 1] N-Screen 서비스 개념

N-Screen 개념 및 정의: N-Screen이란, 공통된 운영체계를 탑재한 다양한 장치(PC, 태블릿 PC, 노트

북, 스마트폰, Digital signage, Navigation 등)에서 공통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

다. 예를 들어 특정 영화나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구입하여 즐기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TV로, 혹은 PC로 동일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어떤 추가적인 비용이나 기술적인 장

- 15 -

애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대상이 되는 콘텐츠는 영화, 음악, 게임 등 엔터테이먼트 콘텐츠에 국한되지

않고, 주소록, 이메일 등 개인정보를 개인이 소유한 단말기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된다([그림 1, 2 참

조]). 이러한 N스크린 서비스는 얼마 전부터 이슈가 되어온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기반

을 둔다.

[그림 2] N-Screen 서비스 전략

위 그림들처럼 어떠한 콘텐츠가 있으면, 해당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하나의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다

양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N-Screen의 개념이다. 이러한 N-Screen 서비스는 원래 통신사업

자에 의해 시작되었다. 기존의 통신 서비스 가입자 기반 유지 및 확대, 그리고 TPS 분야에서의 경쟁력

유지 및 경쟁 차별화 요소 확보를 위해 통신사업자가 3스크린(3-Screen) 서비스를 처음 시작했다. 미국

의 최대 통신사업자인 AT&T가 최초로 3스크린플레이 서비스(3-Screen-play Service)라 하여 TV, PC,

휴대전화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했다.

그러나 단말기 사양, 콘텐츠 확보, 데이터 스토리지 부족 등의 이유로 스크린 간 콘텐츠의 진정한 동기

화가 실제화 되지 못한 것이 현재까지의 상황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문제, 단말기 사양, 콘텐츠 확보, 스토리지 부족의 문제가 최근 스마트

폰 시장의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의 본격화 그리고 스마트TV 개발 등 통신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해소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3스크린에서 더 다양한 단말로 범위가 확대된 N-Screen 서비스 전

략으로 전화하면서 서비스의 실현이 급진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N-Screen 개념이 Multi Screen

개념으로 변화되어 1세대, 2세대 및 3세대 Multi Screen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N-Screen 서비스: 최근 ICT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디바이스로는 스마트 TV, 스마트폰 그리고 태

블릿PC를 들 수 있다. 이들 세 종류의 새로운 디바이스들은 새로운 스마트 환경을 구성하는데 있어 중

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Indoor 환경과 Out-door 환경에서 끊김없는 서비스가 이용되도록 하고 있으

며, 낮에는 생산의 의미가 강한 오피스 기능으로, 저녁에는 소비의 의미가 강한 멀티미디어 소비촉진 기

능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환경변화를 이뤄나가고 있다([그림 3] 참조).

[그림 3] N-Screen 서비스 개념도

이렇게 개발되고 있는 각종 디바이스들은 초고속 유선 액세스는 물론 WiFi, WiMAX 및 4G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통신기술과 더불어 이용자들에게 끊김없는 통신 접속 능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를 통하여 이용자들은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각종 정보는 물론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들을 언제 어디

서나 즐길 수 있게 되고 있다.

- 16 -

N-Screen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려우나, 공통된 운영플랫폼을 탑재하는 다양한 단말기(스마트TV,

스마트폰, PC 등)에서 공통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퇴근 중에 지하

철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구매한 영화를 시청하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거실의 대형 스마트TV를 통해 영

화를 이어서 시청하는 상황이다. 이때 추가적인 비용이나 기술적인 장애가 없어야 하고, 대상이 되는 콘

텐츠도 영화, 음악 등 멀티미디어뿐만 아니라 통신 및 웹 응용 서비스도 지원 가능해야 할 것이다. 스마

트화의 진행이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의 본격화 그리고 스마트TV 개발 등으로 발

전 확장되면서 N-Screen 서비스의 실현이 급진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N-Screen 표준화 고려사항: N-Screen에 관한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우선하여 고려해야 할

것은 표준화 관점에서 N-Screen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N-Screen은 단일 기술이나 시

스템으로 구성되고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기술과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가 어우러져서 만들어

내는 하나의 복합체와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비즈니스 관점이나 기술적 흐름과 동향

을 설명할 때는 유용하나 이를 표준이라고 하는 특정한 활동에 연결시킬 때에는 그리 쉽지 않은 일이

된다. 이런 관점에서 우선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N-Screen을 시스템으로 정의하여 추진할 것인지 아니

면 서비스로 정의하여 추진할 것인지를 정하고, 이에 따른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시스템으로서의 표준화: 우선 N-Screen을 시스템으로 정의하는 경우에는 N-Screen을 위하여 동원되는

시스템적 요소가 상당히 방해하여 이를 통일되게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시스템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는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 N-Screen을 위해서는 통신 시스템의 경우 유무선 액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Connectivity 관련 시스템들과 서비스 품질, 이용자 보안 그리고

콘텐츠 전달을 담당하는 시스템들이 참여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많은 부분들이 이미 표준으로 개

발되어 있어 N-Screen의 관점에서는 새로운 표준의 개발보다는 기존 표준을 사용하는 쪽으로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서비스와 콘텐츠에 대한 이동성(Mobility), 끊김 없는 이동성(Seamless

Mobility)의 제공을 위한 네트워킹 능력의 개발 등은 표준화의 중요 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최

근 N-Screen 제공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기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의 경우 역시 중요한 표준화 전략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N-Screen의 제공을 위해서는 유무선 통신 환경, 단말 그리고 사업자 특성에 독립적인 개방형 플랫폼

의 개발과 이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대안으로는 Web 환경을 이용하는 방안들이 주가

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한 유관 표준화 작업 등(예: HTML5 등)에 N-Screen의 지원을 위한

기능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중요한 시스템적 요소는 단말에 대한 표준화로써, 스마트 TV를 기반으로 하는 TV계열과 스마

트폰으로 대변되는 모바일 단말, 그리고 PC와 같은 전형적 ICT 계열의 단말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플랫

폼 및 단말에서의 미디어 처리 능력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또한 CCC 및 Digital Signage에 대

한 표준화도 필요하다.

서비스로서의 표준화: 다음은 N-Screen을 하나의 서비스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이는 현재 N-Screen의 상황을 놓고 볼 때 가장 적절한 접근으로 사료된다. 왜냐하면 각 시스

템이나 요소 기술별로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인 기술 표준들을 N-Screen 서비스 특성에 적합하게 구성

하고 연결하여 이를 통해서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되고 운영되는지에 대한 표준을 만드는 작업이 되기

때문에, 기존 기술별 표준과의 중복을 피하면서도 N-Screen의 글로벌한 제공 및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요구사항과 기능들을 표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N-Screen에 대한 서비스 요구사

항들을 정립하고, 필요한 기능적 요소들을 구조 모델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N-Screen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개 미디어(예: 동영상, 문서, e-mail, 웹 정보 등)별로 서로 다른 서비

스 속성을 갖고 있는 개별 서비스들을 N-Screen이라는 서비스 개념 아래 다양한 액세스 환경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복수의 단말들에서 동시성을 갖거나 또는 연속성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들을 정의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글로벌한 환경에서 N-Screen 서비스를 고려한 경우에

는(예를 들어 서로 다른 국가 환경에 놓여있는 이용자들이 다른 액세스 망과 단말을 이용하여

N-Screen 서비스를 공유하는 경우와 같이), 이러한 서비스적인 특성들이 글로벌 표준화를 통하여 일치

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 17 -

웹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단말간 이동성 기술의 필요성: All-IP 환경의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상용

화와 아이폰(iPhone) 및 안드로이드(Android Phone)의 등장으로 항상 인터넷에 접속된 단말의 수가 증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단말과 브라우저에서도 제약 없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웹

표준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 표준화가 진행 중인 HTML5는 멀티미디어 재생, 게임 및

이미지 편집에 필요한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다양한 단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

는 API, 모바일 환경을 고려한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 API, 웹 소켓, 웹 워커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

션 개발에 필요한 API 등과 같이 웹 서버와 독립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웹 브라우저의 피어간 직접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통신을 위한 클라이언트 API 표준도

준비 중이다.

현재, IE9을 비롯한 대부분의 데스크톱 기반 브라우저는 HTML5의 기능을 빠르게 추가하고 있으며 아

이폰, 안드로이드폰과 같은 주요 스마트폰 플랫폼의 웹 브라우저도 HTML5의 주요 기능을 지원하고 있

다. 또한, 스마트 TV의 등장으로 TV에서도 HTML5 기능을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단말에서 HTML5 기능을 지원하게 되면서 한 번 개발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다양한 플랫폼의

단말에서 이용이 가능해진다. 향후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P2P 통신 기능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

스도 이용하게 될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반 광대역 유무선망의 보급으로 그림 4과 같이 방송, 데이터, 통화 서비스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고, 서비스별 단말도 인터넷에 접속됨에 따라 과거에는 각각 특정 단말을 통해

서만 이용하는 방송, 데이터, 통화 서비스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

다. 즉, 방송만을 시청하던 TV에서 웹 검색 및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방송, 데이

터, 통화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

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환경의 변화와 함께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여러 단말(스

마트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등)을 보유하고 있다. 각 단말이 가지는 특징과 사용자의 상

황에 따라 적합한 단말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이 사용자가 여러 단말을 이용하는 상황은 지속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단말을 변경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주변의 다른 사

람의 단말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여 더 나은 서비스 이용 경험을 얻고자 할 것이다. 이처럼 사용 중인

서비스를 다른 단말을 이용하여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동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

다.

ITU-T에서는 서비스 이동을 사용자의 위치와 단말에 관계없이 가입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자의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3GPP에서는 서비스 이동과 관련하여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

을 정의하고 있다. 3GPP의 서비스 연속성은 단말이 이동할 때와 사용자가 단말 간 이동할 때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세션 이동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정의한다. OIPF에서는 서비스 이동과

관련해서 서비스 이식성(service portability), 세션 연속성(session continuity), 세션 이식성(session

portability)을 정의하고 있다. 서비스 이식성은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며, 세션 연속성은 하나의 단말에서 다른 단말로 세션을 유지하면서 서비스 또는 애플

리케이션을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뜻하며, 세션 이식성은 실시간으로 세션의 연속성을 위해서 하

나의 단말에서 다른 단말로 변경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능력을 뜻한다. 본 글에서 논의하는

서비스 이동은 OIPF의 세션 연속성과 세션 이식성의 의미가 함축된 개념으로 정의한다.

서비스 이동은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수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 서비스 이용에 가장 적합

한 단말로 서비스를 이동시켜서 향상된 서비스 이용 경험을 얻을 수 있다는 점, 가장 저렴한 액세스 네

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로 서비스를 이동시켜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림 4] 융합 서비스 제공 환경 (단말에서의 멀티서비스 이용 환경).

- 18 -

단말 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 모습

본 보고서에서는 웹 기반 서비스 이동 기술의 대상을 3가지로 구분한다. 첫째는 비디오, 오디오, 음

악, 동영상과 동기화된 정보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 둘째는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비 실시간

데이터, 셋째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제어 기능 및 동일한 사용자 경

험(UX)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이다. 여기서는 서비스 이동 대상을 중심으로 단말 간 서비스

이동 모습을 살펴본다.

다른 단말로의 끊김 없는 서비스 이동: 한 단말에서 이용하던 서비스를 다른 단말에서 끊김 없이 이용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방송 서비스의 경우 집에서는 TV와 같이 큰 화면을 이용하고 이동 중에는 3G

또는 4G 이동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다. 또

한 휴대 단말의 배터리 용량이 부족한 경우 다른 휴대 단말을 통해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

다. 방송과 동기화된 정보가 함께 제공될 경우 모든 정보를 TV 화면에서 볼 수 있으나 휴대형 멀티미디

어 단말에 TV 화면을 그대로 이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 서비스의

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서비스 이동은 향상된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방

송 서비스의 이동을 단순하게 이어보기 형태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하나의 단말에서 다른 단말로의 서

비스 이동을 끊김없이 하기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단말의 화면

크기, 처리 능력, 접속 네트워크에 따른 제공되는 스트림 데이터의 변경 및 UI의 변경이 있어야 한다.

일부 서비스의 이동 (제어 기능 및 동영상 관련 정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VoD를 보다가 집에 도착

하여 커다란 TV로 이어서 보고자 할 때 동영상 미디어는 TV로 이동시키고 재생과 관련한 제어 기능은

스마트폰에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TV에 동영상과 관련된 정보가 함께 출력될 때 화면

에는 동영상만 디스플레이하고 관련 정보는 스마트 폰으로 옮기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TV

에 알맞게 정의된 리모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웹 기반의 프로토콜과 프레임워크의 표준으로

CEA-2014 가 제정되어 있다.

서비스에서 개인화 서비스의 분리 이동: 방송 중인 동영상과 관련된 쇼핑 정보와 게임이 융합된 서비스

가 TV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가 되고 있는데 가족 구성원이 서로 다른 서비스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버지는 동영상, 어머니는 쇼핑, 아들은 게임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TV 스크린 하나로는 모

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TV 화면에 나타낸 융합 서비스를 구성원의 욕구에

따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단말로 서비스를 이동시켜 이용하도록 하면 모든 구성원의 만족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방송에 대해서 투표를 하거나 의견을 업로드하는 것과 같이 방송과 관련한 인터액티브한 데

이터 서비스가 이루어질 때 가족 구성원 각자의 의견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TV 화면을 통해서 표현하는

것은 부적절하기 때문에 개인의 단말로 데이터 서비스를 복제 이동시켜 개별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는 것

이 더 유용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이동성 표준 기술: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에 관한 표준은 3GPP 와 OIPF에서 진

행되었다.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의 대상은 단말 종단 간의 미디어 흐름(media flow), 미디어 흐름에 대한

재생, 일시정지등의 기능을 뜻하는 미디어 흐름 제어기능(media flow control),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요

청 및 종료 권한에 해당하는 서비스 세션 제어 기능 (service session control)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또한 서비스 이동 요청의 주체에 따라 푸시(push) 방법, 풀 (pull) 방법, 제 3자(3rd party) 방법으로 분

류한다. 푸시 방법은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에서 서비스 이동 요청을 시작하는 것이고 풀 방법은 서

비스 이동을 받고자 하는 단말에서 서비스 이동 요청을 시작하는 것이다. 제 3자 방법은 서비스 이동을

주고받는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에서 서비스 이동 요청을 시작하는 것이다. OIPF는 단말 간 서비스 이

동과 관련해서 릴리즈 2의 서비스 및 플랫폼 요구사항을 2008년 12월에 발표한 이후 2010년 9월에 관

련 표준을 발표하였다. OIPF는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을 위해 세션 이동(session transfer)과 세션 복제

(session replication) 기능을 정의한다. 세션 이동 기능은 사용자가 현재 스트리밍 중인 세션을 다른 단

말로 이동하는 것으로 세션 이동을 통해 사용자는 목표 단말에서 같은 콘텐츠의 재생을 연속적으로 시

작할 수 있도록 한다. 세션 복제 기능은 사용자가 다른 단말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같은 시점부터 재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세션이 이동된 후에도 이전 단말의 세션은 유지한다. 세션 복제가 이루어진

- 19 -

후, 이전 단말과 목표 단말은 독립적인 서비스 세션을 가지게 된다. 서비스 이동은 서비스 이동 대상과

이동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l 미디어 흐름 전달 (푸시/풀/제 3자 방법)

l 세션 제어와 미디어 흐름 제어 기능 전달(푸시/풀/제 3자 방법)

l 미디어 흐름, 미디어 흐름 제어, 세션 제어 기능 전달(푸시/풀/제 3자 방법)

l 미디어 흐름, 미디어 흐름 제어, 세션 제어 기능 복제(푸시/풀/제 3자 방법)

미디어 흐름을 푸시 방법으로 전달하는 예는 스마트 폰과 스트리밍 서버간의 미디어 흐름을 스마트

폰의 세션 전달 요청에 의해 IPTV로 전달하는 것이고, 풀 방법으로 전달하는 예는 스마트 폰으로 보고

있는 미디어 흐름을 IPTV의 세션 전달 요청에 의해 IPTV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미디어 흐름을 제 3

자 방법으로 전달하는 예는 스마트 폰으로 보고 있는 미디어 흐름을 PC의 세션 전달 요청에 의해 IPTV

로 전달하는 것이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기술: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시장이 커지면서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 방송

또는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스트리

밍은 전용 스트리밍 서버와 RTP/RTCP/RTSP 등을 스트리밍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전통적인 스트

리밍 방법과 동영상 파일의 일부를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하며 재생을 하는 HTTP 프로그레시브 다운로

드 방법이 사용되었다. 전통적인 스트리밍 방법은 전용 스트리밍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미디어 압축률로 전송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에서 끊김없이 재생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데이

터 패킷만을 전송한다. 전통적인 스트리밍 방법은 RTSP 제어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미디어 데이터의

특정 위치로 재생 시점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멀티캐스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

스트리밍 서버는 원활한 미디어 재생을 위해서 클라이언트의 재생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네트워

크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전송률을 변경한다. 그러나 스트리밍 서버가 네트워크 상태의 변경에 따른 전송

률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미디어 스트리밍이 방화벽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

다.

HTTP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법은 전용의 스트리밍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웹 서버만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나,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파일을 요청하면 파일 모두를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중 재생을 중지하여도 대역폭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적응적으로 재

생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스마트 폰을 위한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으로 HTTP 기반의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법을 확장한 HTTP 적응적 스트리밍 방법이 제안되었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방법은 애

플의 HTTP 라이브 스트리밍과 마이크로소프트의 IIS Smooth 스트리밍 방법을 기반으로 여러 표준화

단체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방법은 미디어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조각

(chunk)으로 나눈 후 각각의 파일을 HTTP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법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실시간 스트리밍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 콘텐츠 캐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방화벽을 통

과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구조는 크게 콘텐츠 생성부, 콘텐츠 분배부, 클라이

언트의 세 영역으로 구분된다. 콘텐츠 생성부는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 기능, 인코딩된 스트

림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는 기능, 스트림 데이터에 관한 메타 데이터(MPD: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의 생성 기능, 스트림 데이터의 암호화 기능으로 구성된다. 콘텐츠 분배부는

실제 생성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로 구성이 가능

하며, 클라이언트는 스트리밍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로 스트림 데

이터의 복호화 기능, 네트워크 및 단말 부하 상태 분석 기능, 적응적으로 스트림을 스위칭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 요소를 MPEG의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표준을 기반으

로 표현하면 그림 5와 같다.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는 HTTP 캐시가 존재할 수 있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방법과 관련하여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어도비에서 별도의 솔루션을 내놓

았으며 OIPF, 3GPP, MPEG과 IETF에서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3GPP의 AHS(Adaptive HTTP

Streaming)은 2010년 5월에 Rel. 9 규격을 완료하였으며 OIPF의 HAS(HTTP Adaptive Streaming)는

3GPP 표준을 기반으로 2010년 9월에 Rel. 2 규격을 완료하였다. MPEG DASH는 FDIS(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완료를 목표로 표준화 중이다.

단말 간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시 고려사항: 단말 간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원활하게

- 20 -

이동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내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서비스 검색 기능: 단말 간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을 위해서는 주변에서 서비스를 이동할

수 있는 단말을 찾고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검색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 이동이 가능

한지도 함께 알 수 있어야 한다. 서비스 검색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UPnP/DLNA,

mDNS(multicast Domain Name System), WS-Discovery 이며 최근에 W3C의 Device API에서도 로컬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서비스의 검색을 위한 API의 정의를 고려하고 있다.

웹 콘텐츠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영상과 관련 정보의 융합 기능: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단순한 동영상 서비스가 아니라 동영상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개인화된 정보를 정

확하고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

와 개인화된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콘텐츠를 동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메커니즘과 필요

에 따라 융합된 콘텐츠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오픈 API 기반 웹 서비스들과

동적으로 매쉬업할 수 있는 구조와 이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도 필요하다. 융합된 콘텐츠들이 상호간

디스플레이 시점의 동기가 필요한 경우 단말 간 이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메커니즘도 고려하여야 한

다.

웹 브라우저 지원 코덱: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웹브라

우저가 H.264 코덱, AAC과 같은 특정 코덱을 지원하여야 한다. HTML5에서는 비디오, 오디오 엘리먼트

의 사용을 정의하고 있을 뿐 사용할 코덱을 정의하지 않아 현재의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오디오/비

디오 코덱이 다르다. 그러므로 다른 웹 브라우저간 서비스 이동을 위해서는 트랜스코딩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현재 HTTP 적응적 스트리밍 기술을 구현한 웹 브라우저가 사파리 밖에 없는 상태이기 때

문에 이를 지원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확장 기능의 추가가 필요하다.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 : 융합된 서비스를 단말 간 분리 이동하는 경우 융합된 서비스 간의 논리적인

관계인 서비스 세션의 유지가 필요하며, 이들 서비스를 이동하여 끊김 없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추출 기능과 전달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서비스 세션의 관리를 단말에서 할

것인지 네트워크의 서버에서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려가 필요하다. HTTP 프로토콜이 상태를 유지하

[그림 6] HTTP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구조의 구성 요소.

[그림 5] HTTP 기반 적용형 스트리밍 방법의 다중 압축률 제공 구조.

- 21 -

지 않기 때문에 웹 세션과 같은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며 서비스가 분리 이동되어 있는 것을 논리적으로

통합하는 가상의 단말 구조도 고려하여야 한다.

보안 기능 : 단말 간 서비스를 주고받을 때 개인 정보 유출과 자격이 없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

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아이디/패스워드와 같은 정보와 함께 서비스 이동과 관련한 사생활

정보 (예, 재생중인 콘텐즈 정보, 이동 단말 정보, 생활 패턴 등)와 서비스 이동의 범위, 이동에 대한 권

한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서비스 이동에 따른 스크린의 인증 기능을 어디에 구현할 것인가도

고려하여야 한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스위칭 시점: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는 작은 단위

(chunk)로 조각내어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다른 단말로 서비스를 이동할 때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전달

하여도 chunk 단위로 다운로드를 하기 때문에 스위칭 시점의 불연속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단말 간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 메커니즘/동종 단말 간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 메커

니즘: 동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은 특정 단말에서 이용 중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동종의 다른 단말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 단말 간 서비스 이동 시 전달해야 할 정보와 세션 제

어 서버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관리해야 할 정보가 존재한다.

서비스 이동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단말 및 서비스 검색 기능, 이동할 서비스 선택 기능, 서비스 이동

제어 및 관리 기능으로 구분하였다. 단말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서비스 전달을 위한 단말을 찾는 기능

으로 각 단말은 자신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저장한다. 이 정보로는 단말의 종류, 위치, 사용자

식별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할 서비스 선택 기능은 이동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분리하는

기능이다. 이동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후 서비스의 복제 또는 전달 기능을 요구한다. 서비스 이동

제어 및 관리 기능은 서비스 이동 요청에 따라 실제적인 이동 기능을 수행하며 서비스 이동에 따른 세

션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A가 서비스를 이동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사용자 B를 선택한

다. 사용자 A는 현재 자신의 단말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주소(URL)와 현재 재생 시간을 추출한 후 세

션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버에 저장한다.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세션 정보를 전달하기 위

해서 HTML5의 웹 소켓을 이용하는 방법(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정보의 푸시)과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의 상태 변경을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방법(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정보의 폴링)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도 HTML5의 기능을 이용하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정보 전달이 용이해지고 또한 브라우저

간 직접 통신으로 세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종 단말 간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 메커니즘: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대상으로 한다. 전달될 정보나 서비스 이동 구조는 동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과 같으나 이종 단

말의 경우 서비스를 전달하는 단말과 전달받는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속성, 네트워크 접속 방

법을 고려해야 한다.

제어 기능 이동 메커니즘: 서비스 이동 시 미디어 흐름 제어 기능의 이동을 고려하여야 한다. 미디어 흐

름 제어 기능을 가지는 단말에서 미디어 서비스의 재생을 제어한다. 그림 15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PC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제어하는 모습이다. 스마트폰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다가 PC로 미디어

흐름을 전달하고 미디어 흐름의 재생, 정지, 되감기 등의 기능은 스마트폰에서 제어한다. 이 기능을 확

장하여 PC 화면에 미디어 흐름과 관련 정보가 융합된 서비스를 이용 중에 미디어 흐름 제어 기능과 관

련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 개발이 요구된다.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단말 간

이동 기술은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 이용 환경과 최상의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 요

소이다. 또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가 HTML5 기능을 지원하면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의 이용도 증가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의 필요성과 서비스 이동 모습,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 관련한 표준 기술과 끊김 없는 서비스 이동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내용을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동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였다. 현재의

서비스 이동 기술은 동영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여러 서비스가 융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분리 이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여러 단말의 기능을 가상으로 결합하여 멀티미디

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주변장치 사용 시 이기종간 통신기술 메커니즘: 최근 Smart Phone 사용의 보급화가 급격하게 보편화됨

으로써 개인 데이터의 저장, 관리 및 처리되는 개인중심적 장치의 역할이 PC에서 Smart Phone으로 이

- 22 -

동되고 있으며, Smart Phone이나 Tablet PC 등 Handheld 형태의 소형 장치가 향후 모든 개인 삶의 가

장 중심적 장치가 된다는 가정이 어렵지 않게 예측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mart Phone, Laptop, Tablet PC 등의 소형 개인화 장치는 PC 등의 고전적인 개인화 장치

에 비하여 접근성과 즉시성 및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자당 사용시간 점유율

이 PC와 달리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형 장치를 Home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소

형 화면이라는 제한과 주변장치 사용 환경의 편의성이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이

Home 환경에서의 소형 개인화 기기 사용 활성화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무선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영상 전송 및 이에 따른 주변장치 (Peripheral Device) 사용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며 이

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참여형 디지털 사이너지 서비스 :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대다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방향 광고와

같은 수동형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 서비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향후 디지털 사이너지 기

술은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 맞춰 실시간 적응적 멀티 스

크린 서비스가 가능한 양방향 능동형 서비스로 발전할 전망이다. 이러한 양방향 능동형 텔레스크린은

사이니지와 휴대 단말이 연동되고, 공공 망과도 연동되는 M2M 융합 서비스까지 확대될 것이며, 모든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 상황에 최적화되어 표현 되는 상황적응적 최적의 실감형 멀티 스크린형 디지털

사이너지 서비스가 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많은 관련 기술들에 대한 표준연구, 플랫폼 연구등이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2.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그림-comcast, Binge Watching>

통신사업자는 콘텐츠 확보 역량 면에서는 케이블사업자 및 위성사업자보다 전통적으로 열위에 있기 때

문에 콘텐츠 확보를 위한 역량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의 AT&T는

Masters 골프경기 등 배타적 콘텐츠 계약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프랑스의 Orange 사는 배타적

콘텐츠 계약 확보 및 자체 콘텐츠 제작에 막대한 재정 및 인력을 투입함으로써 현재 프랑스 유료방송

선두 사업자인 Canal Plus와 거의 동등한 수준의 콘텐츠 경쟁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Orange 사의 이러

한 성장배경에는 통신사업자로서 기존에 확보하고 있던 유선 및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거대한 가입자 기

반과 콘텐츠 확보를 위한 막대한 재정적 투자가 있었다. 반면에 미국의 Verizon이나 프랑스의 SFR 등은

N-Screen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배타적 콘텐츠의 부재 및 콘텐츠 확보를 위한 투자 미비 등으로

서비스 부진을 겪고 있다.

유료방송사업자들에게 N-Screen 서비스는 새로운 수익원이기보다는 주로 기존 가입자 이탈 방지를

위한 부가 서비스로서의 개념이 강하여, N-Screen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주도권을 갖기 위해 적극적으

로 노력하기보다는 방어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다. 그리고 유료방송사업자들에게는 강력한 배타적 콘텐

츠 보유 역량이 N-Screen 서비스 제공에 있어 강점이 될 수 있으나, 모바일 기반의 부재가 심각한 장

- 23 -

애요소가 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로 가장 규모가 큰 케이블사업자인 Comcast는 2,400만 케

이블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 제작사인 NBC Universal 사를 최근 M&A를 함으로써 콘텐츠

역량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리고 모바일 플랫폼의 부재라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WiFi를 이용해

서 셋톱박스와 iPad를 연동해 채널편성표 확인 및 원격 채널 변경, DVR 녹화, 쿼티자판을 활용한 콘텐

츠 검색 및 SNS 서비스 이용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타입을 발표했다. 이러한 Comcast의

발표는 케이블사업자들이 태블릿PC, WiFi, 웹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N-Screen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국의 BSkyB 사는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콘텐츠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케이블 사업자로 N-Screen 서비스를 자사가 보유한 풍부한 콘텐츠를 재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판매 채널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의 부재라는 약점을 영국의 4개

의 이동통신사업자와 콘텐츠 파트너쉽을 맺고 콘텐츠를 재판매하는 것으로 보완하고 있다. 이로써 콘텐

츠 매출에는 기여할 수 있겠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완전한 N-Screen 서비스 제공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케이블사업자와 통신사업자 간 일정한 파이의 시장을 두고 격심한 경쟁을 벌였다면, 최근

이 시장에서 가장 큰 변화는 가전업체들의 새로운 시장진입이다. 이들은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자사의

다양한 전자제품과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당히 성공적인 과정에 있다고 판단된다. 다시 말하면, 기존 방

송통신 시장에서는 주요 플레이어가 아니었던 애플, 소니 등과 같은 가전제조업체가 멀티스크린 서비스

에서는 독특한 포지셔닝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가전제조업자들은 직접적으로 방송 채널을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기기 및 플랫폼을 보유하고 그 기능을 온전히 컨트롤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

양한 플랫폼 간의 동기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애플의 경우 혁신적인 서비스와 브랜드 가치, 그리

고 소프트웨어에 대한 강력한 투자 능력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N-Screen 서비스와 같은 신규 융합 서

비스를 실행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꼽히고 있다. 소니는 다양한 소비 가전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

면서, 기기제조, 콘텐츠 제작, 콘텐츠 공급 등 여러 가치사슬 상의 참여폭을 넓히는 노력을 통해

N-Screen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소니의 기기 간 통합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

나, 콘텐츠 통합은 아직 미진한 상황이다. 2010년 CES에서 ‘Sony Online Service’ 개념을 발표하여 향

후 Sony의 모든 콘텐츠를 단일한 스토어프론트(storefront)에 집결시키고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엑서

스를 가능하게 한다는 N-Screen 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 애플은 애플TV를 착수함으로써 N 스크린 전략을 위한 다양한 스크린 라인업을 완성했다. 애플

은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매킨토시PC, 그리고 iTV까지 다양한 스크린을 갖추고, 이 모든 스크린에

애플의 고유 OS라 할 수 있는 아이튠즈와 앱스토어를 탑재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MobileMe라고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모든 콘텐츠를 모든 스크린 상에서 동기화하여 향유할 수 있게

만들었다. 애플은 방송통신사업자가 아닌 가전제조업체로서 N-Screen 서비스에서 독특한 포지셔닝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 이유는 애플이 직접적으로 방송 채널을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기기

및 플랫폼을 보유하고 그 기능을 온전히 컨트롤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플랫폼간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애플의 혁신적인 서비스와 브랜드 가치 그리고 소

프트웨어에 대한 강력한 투자 능력이 N-Screen 서비스와 같은 신규 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원동

력으로 꼽힌다([그림 12] 참조).

[그림 12] Apple

구글은 애플과는 다른 또 하나의 독특한 N 스크린 전략을 보여준다. 구글 또한 방송사업자나 통신사

업자, 혹은 단말기제조업자가 아니지만 이 모든 사업자들이 해내기 힘든 N-Screen 전략을 가장 효과적

인 방법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다. 구글은 구글노믹스를 통해 그간 지메일, 피카사, 유튜브, 구글 독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러한 구글의 모든 서비스는 웹을 기반으로 하면서 디바이스와 관계

- 24 -

없이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는 기반을 그간 충실히 다져왔다. 구글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서 개인이 웹에서 콘텐츠를 내려 받은 뒤 TV, 핸드폰, 모바일 단말기 등 어떤 디바이스를 통해 그 콘텐

츠를 향유할지를 결정하기만 하면 되는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다. 구글은 구글폰과 마찬가지로 구

글TV에 자사의 개방형 OS인 안드로이드를 탑재시켜 자사의 플랫폼 활용을 확대하고, 웹에서의 콘텐츠

강점을 TV로 확대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림 13] 참조). 또한 Google Car에도 Connected Car 개념을

추가하여 신개념의 Smart Car를 개발하고 있다.

[그림 13] 구글의 N-Screen 전략 (자료: Atlas DB(2010.5))

대표적인 가전제조업체인 삼성전자는 세계 1위의 TV 및 이동전화 제조사로서 이미 위젯 기반의

Connected TV 시장에 진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소니와 유사하게 TV, 휴대폰, PC,

생활가전 등 다양한 기기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앱스를 통해 구입한

콘텐츠를 삼성 스마트TV, 갤럭시 스마트폰, 갤럭시 탭 등에서 끊김없이 이용하게 하는 N-Screen 전략

을 발표했다. 그리고 TV,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아우르는 단일 플랫폼으로서 스마트폰에 적용했던 바

다(bada) OS 및 삼성 앱스(Samsung Apps)를 적용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은 소프트웨어, 플랫

폼, 콘텐츠 등 N-Screen 전략에 가장 중요한 요소들의 개발 역사가 일천하고 질적인 향상이 크게 요구

된다. PC 시장에서 하드웨어 제조사보다 인텔, AMD와 같은 CPU 메이커의 영향력이 크듯이, N-Screen

서비스에서 단말기 하드웨어 보다 운영체제(OS), 플랫폼,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강력한 대비가 없다면 단순한 제조사로서 전락할 위험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그림

14] 참조).

[그림 14] 삼성의 N-Screen 전략 (자료: 삼성전자 홈페이지)

애플과 구글과 같은 인터넷 플랫폼 기업들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N-Screen 전략에 긴장하고

있는 또 다른 플레이어로는 포탈업체를 들 수 있다. 포탈은 메일, 뉴스, 검색 등의 서비스 무료제공으로

확보한 막대한 가입자 기반을 무기로 엄청난 광고 수익을 얻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그런데 애플이나 구

글과 같은 기업들이 N-Screen 전략을 온전히 실행하는 경우 포털의 가입자 기반에 적신호가 올 것이

자명해 보인다. 이에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는 최근 N 드라이브라는 일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

하여 그들만의 개인화된 클라우드 컴퓨팅(Personal Cloud Computing, PCC)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새로운 서비스의 출현으로 이탈할지도 모르는 가입자들을 묶어두면서 전통적인 광고 수익

을 유지하기 위해 포털업체도 신규 융합 서비스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것이다.

SNS 이용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새로운 광고의 등장에 따라 기업들은 이를 이용해 기업이나 브랜드

의 이미지를 개선 및 재고의 도구로 SNS 광고를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고정형 플

랫폼(PC)에서 벗어난 SNS는 이용자들 간의 상시적인 인맥 형성 및 관리를 가능하게 했고, 이는 결국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상시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SNS가 부각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MCN Investment MAP/ USA>

- 25 -

<해외MCN(멀티채널네트워크)서비스 현황>

BUZZFEED 버즈피드 (미국)

2006년 설립, 장르는 미디어(월 방문자 2억명) 1인 제작자를 관리하는 MCN과 달리 자체적으

로 콘텐츠를 생산 여러 유튜브 채널로 내보내는 방식으로 사업을 시작, 초창기 철저하게 입소

문을 내는 콘텐츠로 이용자에게 서비스. 현재 미디어형 기사처럼 ‘여성이 자신의 몸에 대해 모

르는 10가지’, 한국의 산낙지를 본 미국인들의 반응, K팝 댄스 따라하기 등 다양한 콘텐츠 제

공, CNN과 제휴 방송에 자막을 입혀 CNNBuzzfeed 채널 운영

- 26 -

PEW DIE PIE 퓨디파이 (스웨덴)

장르는 게임 비평가 – 2015년 4월29일 기준 전 세계 최고의 인터넷 1인 방송, 고정 시청자

3600만명 년 수익 100억원, 5월 한달 87억건의 동영상 유포, 콘텐츠는 게임 설명 특유의 말

장난을 이어가는 것 욕을 물론 입에 담기 어려운 말들이 동영상에 곳곳에 나옴.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HW와 관련 SW 플랫폼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및 광고 등 IT 토

탈솔루션을 제공하는 유망 IT분야로서 관련 시장의 규모 및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내외 공

공장소에 설치되어 일반 대중에게 정보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채널로서 주로 댁내 및 개인용으로

확산된 디스플레이의 시장영역을 공공장소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 인식, 상황인지, M2M, 빅

데이터 및 스크린간 협업 기술 등의 최신 IT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 맞춤형 정보 및 광고

제공이 가능하여, 새로운 광고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13년 세계시장은 ’12년 대비 6.8% 증가한 약 143억불이 예상되며, ’13~’17년간 연평균 5.4%의 성장

세로 ’17년 177억불 규모로 성장 전망된다. 초기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대체하는 관점에서 네트워크 접

속, 상황 및 사용자 및 상황정보 인지, 객체 추적, 상호작용, 맞춤형 콘텐츠 제공 등 스마트하게 진화

중 다양한 크기의 스크린간 협업을 통한 맞춤형 실감서비스 제공을 통해 상용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역

할 기대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텔레스크린 등 오픈스크린은 공간 네트워크기기로서 예술적 표현, 전시

효과 극대화, 재난/재해 예방 등 다양한 산업으로 응용범위가 확대 중이다.< 디지털 사이너지 관련 세계시장 전망(’13~’17) >

(단위: 억불)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CAGR

HW 77.6 82.0 84.4 86.4 88.2 3.2%

SW 3.5 3.9 4.3 4.7 5.0 9.4%

콘텐츠 14.5 15.0 15.4 15.9 16.3 3.0%

광고 47.9 52.2 56.9 61.9 67.4 8.9%

합계 143.5 153.2 161.0 169.9 176.9 5.4%

자료 : IHS(2013.10)

국내외 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변화에 대응하여 시장 선점을 위한 정부 주도의 산업 역량 결집

이 시급하다.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은 포스터, 간판 등 전통적인 옥외광고물 중심에서 IT기술이 결합된

‘디지털 사이니지’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주이며, 디스플레이 가격과 통신비용의 지속 하락으로 기존 공

공기관 중심에서 복합쇼핑몰, 프랜차이즈 매장 등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이 급속 팽창중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콘텐츠/미디어, 응용, 스마트 단말 산업이 결합된 신 융합 산업인 만큼

- 27 -

단순 광고 매체가 아닌 제4의 스크린으로서 폭넓은 산업적 파급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미 폭넓게 사용

되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들과 연계하여 멀티스크린 서비스가 가능한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가 될

것이다. 이러한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능동형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 전자 상거래 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즉각적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며, 공공 서비스, 교육, 재해 재난 방송 등

다양한 공공 분야에 적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공공 스크린(광고판)에서 개인 스크린과 연

동으로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 모델 발굴을 통한 스마트 스크린 서비스 시장 확대에 기여가 가능한 만큼

옥외 광고물이라는 협소한 인식 기반의 규제 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스마트 미디어로 인식하고, 기술

개발을 통한 적극적인 산업 육성 정책 필요 할 것이다.

- 삼성전자는 자체 비디오월 솔루션인 ‘매직인포 비디오월 S'를 통해 최대 16대의 LFD(Large Format

Display)를 연결하여 TV, PC, HDMI 등 여러 영상 소스의 동시 재생 또는 순차적 재생이 가능한 기능을

지난 2013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인포콤 2013”에서 선보임

- 삼성전자가 인포콤 2013에서 선보인 ‘매

직인포 비디오월 S'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를 재생하는 비정형 디지털 사이니지

- 인천국제공항과 공항여객터미널을 연결하는 중앙통로에 설치된 국내 최대의 디지털 미디어인 ‘인천

국제공항 게이트비전(Gate Vision)’은 일반 카메라를 통해 무빙워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움직임을 분석하

여 인터렉티브한 영상을 제공하는 등 멀티 센서를 활용하여 동작인식 시스템 구축이 활발할 것으로 예

상됨

- 국내 최대급의 디지털미디어로, 무빙워크 총 60미터 구간을 지나

는 2분 동안 노출되면서 인터렉티브가 가능한 유일무이한 매체

- 게이트비전 무빙워크 구간의 천정에 부착돼 있는 6대의 카메라가

사람을 인지해 벽면의 LCD에 특정 이미지를 표출시킬 수 있음

국내의 디지털 사이너지 시장의 경우, ’13년 약 7천억원 규모에서 연평균 20.4%의 고성장세로 ’17년

1.5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이중 하드웨어가 전체시장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광고 분야가

30%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또한 SW, 콘텐츠 및 광고 등이 HW 분야보다 높은 성장성이 기대된다.< 디지털 사이너지 국내시장 전망(’13~’17) >

(단위: 억원)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CAGR

HW 3,650 4,595 5,510 6,399 7,231 18.6%

SW 584 778 978 1,203 1,443 25.4%

콘텐츠 413 536 663 793 943 22.9%

광고 2,361 3,030 3,717 3,739 5,111 21.3%

합계 7,009 8,939 10,868 12,134 14,728 20.4%

자료 : 한국텔레스크린협회(2012.12) 기반 ETRI 추정

국내의 경우 스마트폰의 늦은 도입과 활성화로 모바일 생태계 구축이 지연되었고, IPTV 상용화의 지연

으로 양방향 서비스 및 융합콘텐츠 시장 조성이 늦어진 경험을 교훈 삼아, 스마트TV와 N-Screen 서비

스에 있어서는 관련 서비스 및 시스템들에 대한 표준화, 핵심기술개발, 그리고 인프라 구축에 있어 발

빠른 준비와 선제적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이미 방송통신위원회는 2010년 하반기 방송통신 중장기 기

술 로드맵을 통해 스마트 스크린 서비스의 정책적 추진지원계획을 발표했다. 국내 방송통신 시장은 무

료 기반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부족하고, 융합 콘텐츠 밸류 시스템이 미비하여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

이션 부문의 경쟁력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스마트TV 등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국내 시장과 통신, 방송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서비스 추진력을 바탕으로 N 스크

린 전략에 따른 관련 산업 성장에 대한 기회 요소도 존재한다.

이에 정부는 인터넷 확산에 따른 고부가가치 신 비지니스 창출형 서비스 도입, 다양한 융합 서비스 확

- 28 -

산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환경 구현, 융합 콘텐츠의 선순환 유통구조 확립을 통한 신규 수익 모델 창출

등의 산업 서비스 활성화 비전을 발표하고, 2012년 3-스크린 시범 서비스 및 2018년 실감형 스마트 스

크린 서비스 실현까지의 단계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스크린 간 상호 호환성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및 인프라 구축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등 핵심 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

인증체계 정립 등 기반 조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국내 N-Screen 서비스 활성화를 통

한 모바일 생태계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N-Screen 콘텐츠 서비스는, 2010년 TVing을 시작으로 Telco, Cable TV, 인터넷 포털 등 관련

업체가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그러나 주축이 되는 TV서비스 플랫폼이 Silo 형태로 구축되었

고 모바일 스크린에 바로 활용할 수 없는 등 기술적 이유로 아직은 Seamless 서비스 측면에서 TV를 포

함한 완전한 N-Screen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2012년 말에는 CableTV 스크린을 연

계한 완전한 N-Screen 서비스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현재 태동단계를 보이는 ASMD(Adaptive

Source Multiple Device) 서비스도 및 클라우드 연계 N-Screen 콘텐츠 서비스도 출시가 예정되어 있

다.

KT 올레 TV 모바일 : 국내 IPTV산업은 가입자규모가 세계4위에 달하며, 가입자 증가율이 연간 50% 이

상을 기록하면서 주요국 중 1위를 차지하는 등 본격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IPTV는

N-Screen에 있어 콘텐츠 소비의 중요한 스크린으로 부상하였고, 이에 따라 KT는 olleh tv now를 2011

년 5월에 출시하여, N-Screen으로 실시간 채널 및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iOS 및

Android 스마트 폰/태블릿에 앱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PC 스크린은 서비스 중에 있다. 이전에 출시된

다른 N-Screen 콘텐츠 서비스와 차별화된 점은 기존 IPTV플랫폼을 통해서 N-Screen 서비스가 제공되

는 점이다. IPTV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공유하여 보안성이 강화되었고 IPTV플랫폼을 사용하였기 때문

에 IPTV와의 연계 서비스가 비교적 쉽게 구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추후 진화된 형태의 N-Screen 서비

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1개 ID에 대한 복수 단말 수용, 타임머신 기능, PC기반 서비스, Seamless 서비

스 등의 기능 확장 추진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구매 콘텐츠 이용환경을 준비 중이다.

[그림 10] 올레 TV 모바일 서비스

삼성 Allshare : 가전을 포함한 대표적인 모바일 단말 제조사인 삼성은 다양한 단말 라인업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N-Screen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기존 Allshare 서비스는 홈 네트워크에서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기반으로 미디어를 공유하는 서비스였으나, 이를 확장하여 PC, 스마트폰/패

드, 스마트 TV, 스마트 가전 등 자사가 생산하는 모든 디지털 기기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와

연결하여 정보와 콘텐츠를 공유할 계획이다. N-Screen 콘텐츠 서비스의 경쟁력이 단말에서 플랫폼을

거쳐 콘텐츠로 이동하는 상황에서 삼성은 넓은 단말 군을 기반으로 규모의 경제를 이용하여 경쟁력 있

는 콘텐츠로 고객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림 11] 삼성 Allshare 서비스

AFREECA goes to YouTube

- 29 -

SNS 이용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새로운 광고의 등장에 따라 기업들은 이를 이용해 기업이나 브랜드

의 이미지를 개선 및 재고의 도구로 SNS 광고를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고정형 플

랫폼(PC)에서 벗어난 SNS는 이용자들 간의 상시적인 인맥 형성 및 관리를 가능하게 했고, 이는 결국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상시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SNS가 부각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KBS MCN Studio

TV처럼 일방적으로 공급되는 콘텐츠 대신 양방향 미디어 콘텐츠 소비 급증

매스미디어 개념 사라지고 ‘개인화’ ‘맞춤화’ 되어가며, 일반 TV나 영화에서 볼 수 없는 기발한 형식의

콘텐츠 등장을 요구

- 게임방송, 먹방, 미녀들의 수다 등 다양한 콘텐츠 장르 확보

2014년 12월 기준 40여명의 개인 제작자등과 시작, 우수BJ에게 스톡옵션 부여 등 창작를 우대

다년간 개인 방송 노하우로 글로벌 유튜브 스타를 키워낸다면 현재보다 분명 더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거란 기대

아프리카TV는 유튜브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 개인 콘텐츠 창작자와 아프리카 TV 브랜드가 동반 성

장하는 것을 목표로 함.

- Digital Influencer & Artist TV (CJ E&M MCN) , 2015년 리브랜딩 장르: 게임방송, 먹방 등 다양한 장르

CJ 2013년 7월부터 MCN사업을 시작. 22개월 만에 287팀과 제휴

2,200만명 구독자, 월간 조회수 5억3000건, 상위 창작자 월 평균 수익 583만원

현재 407명의 국내 유명 유튜브 창작자 관리, 2017년 까지 규모를 2천명으로 확대 목표.

- 30 -

1. 사업모델 발굴 -> 2. 플랫폼 확대 -> 3. 글로벌진출

- 중국 유쿠, 프랑스 데이리모션 북미 메이커 스튜디오(Maker Studios)

풀스크린(Fullscreen), 일본의 움(UUUM) 등 제휴 추진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세계적으로 보면 2011년 중반에는 60여개의 pay tv 공급자 들이 N-Screen 서비스를 공급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북미의 경우는 80%에 육박하는 공급자 들이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telco나 cable tv 사업자의 경우는 가입자의 retention과 cord cutting 방지 그리고 OTT(over-the-top)

서비스에 대비하기 위해 N-Scree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Apple 같은 단말사업자의 경우 별도

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해당 생태계를 독점하는 차원에서 자사 단말에 대해 클라우드 기반으로

N-Screen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TU-T SG16에 디지털 사이너지 이슈에 대한 표준화를 전담하는 라포터 그룹(Q14/16)이 설립되어 적

극적인 국제표준화 작업이 착수되었고, W3C에서는 웹 기반 텔레스크린 서비스 지원을 위한 요소 기술

에 대한 표준화가 시작되었다, 또한 ITU-T SG16 산하의 Q13 라포터 그룹에서는 IPTV 기반 디지털

사이너지 요구사항 표준을 완료하였고, 2013년도부터 새로 신설된 Q14(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서

비스) 라포터 그룹에서 관련 표준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o 도매 산업 마케팅을 위한 국제 무역 협회, POPAI(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International)

산하의 디지털 사이니지 그룹에서는 사이니지 기술과 응용 프로그램 채택을 위해 사용자 요구사항 정

의, ROI(Reture On Investment), 광고효과 분석 등의 연구와 동시에 표준 관련 문서도 개발하였다.

o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산하 웹기반 사이니지 비즈니스 구룹은 웹기반의 디지털 사

이니지 표준에 관심 있는 단체와 업체로 구성하여 스마트한 웹 브라우저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확산

을 위해 유스 케이스와 시스템 이미지/모델을 정의할 목적으로 표준 개발 이전에 표준화의 필요성과 유

스 케이스 및 요구사항을 연구하고 검토하고 있는 단계임

o 일본 총무성과 업체들 모임인 디지털 사이니지 컨소시엄(DSC: Digital Signage Consortium)과

디지털 사용자 포럼(DSUF: Digital Signage Users Forum)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표

- 31 -

준 제정에 노력중임

- 2008/2009년 광고 지표 가이드라인 정의, 2008년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가이드라인 발표

및 2009년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가이드 북 발표

Netflix: Netflix는 처음에는 DVD 대여업체로 시작하여, 현재는 DVD 대여와 더불어 온라인 영화 스트리

밍 서비스의 수위사업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Netflix의 콘텐츠 트래픽이 미국 인터넷 전체 사용량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특히 스크린 확장 측면에서 단순한 서비스 형태로 가장 많은

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략을 추진하여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N-Screen 관점에서 Netflix

의 주요 성공요인으로는 추가비용 없이 N-Screen이 가능하며, 거의 모든 주요 기기에서 Netflix 를 사

용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이어보기 등 사용자 관점에서의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Netflix의 단말 스펙트럼을 살펴보면, 2008년 7월 Microsoft사의 Xbox 360

을 시작으로 Sony사의 PlayStation 3, Nintendo사의 Wii 등 주요 게임 콘솔을 이용하여 TV로 Netflix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는데 게임 콘솔은 전체 Netflix 트래픽의 30%를 넘는 높은 비중

을 차지한다. 이와 함께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Blue-Ray 플레이어와 Smart TV에서도 LG, 삼성, 소니,

Insignia, Vizio 등 주요 가전사업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Netflix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Roku, TiVo의

인터넷 셋탑박스에서도 클라이언트를 제공한다. iPhone, iPad, iPod 등 iOS기기와 Android 스마트폰/패

드에도 앱 형태로 제공되어 Netflix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스마트폰/패드는

Netflix 콘텐츠를 TV로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 입장에서는 높은 편의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Apple TV와 Google TV 등 단말 플랫폼 벤더의 Smart TV STB에도 Netflix 애플리케이션이 주요 애플

리케이션으로 탑재되었다. 또한 Netflix는 2008년 10월부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공

개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자와의 협력, 상생의 생태계를 구축해 오고 있는데, 개발자들에게 Netflix 보

유 콘텐츠인 영화, TV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대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Netflix의 정보자원을 제3의 개발자

에게 개방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15] Netflix서비스

AT&T U-verse: AT&T는 2005년 12월 U-verse라는 이름으로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2008년 9월 홈네트워킹의 역할과 함께 4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녹화/재생하며, TV와 PC로 이어보기

를 제공하는 ‘Home DVR(Digital Video Recorder)’이라는 부가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림 16] AT&T U-verse 서비스

AT&T는 초기부터 TV만을 서비스 스크린으로 보지 않고 다양한 단말, 특히 모바일과의 연계를 중시

하는 전략을 추진했는데, 현재 4종 OS기반 14개의 단말기에서 U-verse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는 TV 채널을 녹화하고 녹화한 콘텐츠를 자신의 모바일 단말로 불러와 언제 어

디에서나 시청할 수 있다.

AT&T는 여기서 한발 더 나가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 전략을 강화 중이며, 이를 통해

이용자가 스포츠경기를 보면서 통계를 확인하고, 드라마를 보면서 배우에 대한 인물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등 스크린간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AT&T의 이러한 N-Screen 전략은 이동전화, 인터넷 상품과의 연계성을 강화시켜, U-verse TV 가입

자의 약 75%는 TPS 또는 QPS 번들 상품을 이용하고 있어 국내 통신 사업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

- 32 -

다고 할 수 있다.

Comcast Xfinity TV : 미국의 대표적인 케이블TV 공급사인 Comcast사는 Xfinity라는 브랜드로 TV, 인

터넷,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중 PayTV 서비스인 Xfinity TV는 PC와 모바일 환경으로 2009년 12월

부터 N-Screen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C환경의 경우 웹사이트(http://xfinitytv.comcast.net)를 통해서

제공하고 있으며, 모바일 환경은 iPhone, iPad, iPod 등 애플의 iOS 단말과 Android 단말을 대상으로

앱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Xfinity TV의 N-Screen은 VoD만 서비스하고 있으며 부가적으로 채널정보와

DVR 스케줄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후 Comcast는 Facebook을 연계한 소셜 네트워크, 판도라 인터

넷 라디오,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등을 추진 중이다.

[그림 17]Comcast Xfinity 서비스

Apple : 독자적인 에코시스템을 갖춘 단말 제조사인 애플은 2001년에 시작한 iTunes를 콘텐츠 플랫폼

의 기반으로 활용하여 이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편리한 N-Screen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시

장을 선도해가고 있다. 애플은 iOS 라는 모바일 OS와 애플 독자적인 단말을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타

경쟁사 대비 효과적이며 일관성있는 N-Screen 전략 구사가 가능하다. iTunes, Appstore, iCloud,

AirPlay 등 실질적인 N-Scree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환경을 활용하여 이용자에게 콘텐츠, 서

비스 및 이용 경험 등에 대한 연속적으로 연속성을 제공하고 있다. iTunes와 Appstore는 대표적인 애

플의 콘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이용자는 음악,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단

말에 다운로드하여 Play하거나 동기화할 수 있으며, iCloud는 음악과 앱을 동기화 없이 무선으로 어떤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가져올 수 있도록 직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Mac이나 PC에서 iBookstore를 통

해 구매한 구매한 책은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에서 별다른 설치 없이 읽기가 가능하다. AirPlay

는 집전체에 WIFI나 이더넷으로 연결된 오디오 기기에 동시에 Play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느 곳, 어느

때던지 음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끊김없는 이용환경을 제공한다.

iOS

iCloud

Apple TViPhone iPad PC

Shift & Sync

[그림 18]Apple iCloud 서비스

IPTV 및 스마트TV의 등장으로 인터넷을 통한 방송 전송 환경이 일반화 되었으며 인터넷의 전송

특징이 적용되어 양방향 방송서비스가 도입되었다. 또한 방송서비스가 통신, 정보, 웹서비스와 융합하는

융합서비스, 개인화 서비스 등이 등장하였다. 스마트 TV의 등장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콘텐츠의

개방화가 이루어졌으며 다량의 콘텐츠를 제한된 화면에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적

정보의 지능적 탐색, 추출, 표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N-스크린 서비스는 이러한 방송서비스의 양방향 융합화, 개인화, 지능화의 특징과 더불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유무선 단말에 다종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TV 시대의

킬러서비스이다. N-스크린 서비스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째, 다종 유무선 단말 간의 콘텐츠 공유로써, 서로 다른 성능 요소(스크린사이즈, CPU속도,

메모리, 코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속도 등)를 가진 유무선 단말 간에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다수의 업체에서 클라우드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동적 코덱 변환

등의 기술적인 이슈 들이 있다.

둘째, 단말 간의 이동성 제공 N-스크린 서비스로서 한 단말에서 자신이 보던 콘텐츠를 다른 단말로

이어보기를 하는 서비스이다. 이의 기술적인 해결을 위하여 프로파일을 이용한 서비스 이동성 및

프로토콜 확장을 통한 네트워크 이동성 기술이 있다.

- 33 -

셋째, 다양한 단말 간 서로 다른 유형의 서비스를 연동형으로 제공해주는 것으로, 예를 들어 TV를

통하여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특정 장면과 연관된 정보나 광고가 패드나 스마트폰에 연동하여 표시되는

서비스이다. 이 방식은 연동을 위한 동기화 기술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예로서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좌확장 또는 우확장의 영상을 시청하거나 경기장 날씨정보, 위치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N-스크린 기술은 AT&T에서 TV, PC, Mobile 디바이스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3-스크린’서비스를 시작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단말기 사양, 콘텐츠 확보, 스토리지 부족 등의 문제로 실제화 되지 못하다가

스마트 폰 시장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 본격화 및 스마트 TV 개발 등 통신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서비스 환경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는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인터넷 및

플랫폼사업자, 기기제조업체 등 다양한 사업자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통신사업자인 AT&T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강점을 활용해 개별 디바이스와의 연계를 중점적으로 실행하고 있으며

방송사업자인 컴캐스트, CBS등은 기존의 사업 모델을 유지하기 위해 TV-PC 연계 강화 및 결합

서비스를 고객 이탈 방지에 활용하고 있다. 인터넷 및 플랫폼사업자인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PC에서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을 Mobile TV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기기제조업체인 애플, 소니,

삼성전자 등은 다양한 하드웨어 연계 서비스 전략을 가지고 있다.

ITU-T SG13에서는 광대역 모바일 융합 서비스 시나리오 (Y.sof, Service Scenario over FMC)

기술이 국제표준화 되었다. ITU-T SG13 권고안은 광대역망, 무선랜(WiFi)과 모바일(3G, WiMAX/WiBro)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단말간에 끊김 없는 모바일 융합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능분석 모델을 적용해

세부 서비스 절차를 규정했다. 본 표준은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콘텐츠 및 서비스의 5가지 주요

요소의 특징 요소(Key Features) 추출과 이의 연관 관계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유무선 단말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융합서비스의 통합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을 제시하여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 기술에 적합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Y.sof에 대한 소개와 그 표준 서술

방식에 따라 기술된 세 가지의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 분류 예시를 다루며, 관련 국내외 표준화

동향 및 기술에 대하여 다룬다.

플랫폼 형태에 따른 N-스크린 서비스 분류 : N-스크린 서비스는 플랫폼 형태에 따라 단일플랫폼

서비스, 디바이스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 독립 형 서비스, Hybrid형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다.

단일플랫폼 서비스는 하나의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하여 TV, PC, Mobile 디바이스에 동일한

콘텐츠로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프랑스의 Orange사는 “Content Anywhere”라는 슬로건 아래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 영화사와 콘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Cinema Serie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바이스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는 콘텐츠를 획득하는 서비스나 플랫폼에 무관하게 획득된 콘텐츠를

디바이스간 공유를 통해 N-스크린을 구현한다. Sony사는 DLNA 기술을 탑재하여 집안 어디서나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독립 형 서비스는 한 사업자가 각각

별도의 서비스 플랫폼을 가지고 별도의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이다. Verizon사는

자사의 IPTV서비스를 PC와 Mobile 디바이스로 확장하여 서비스하는 “All in One”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ybrid형 서비스에서는 플랫폼을 통합하고, 디바이스간 네트워킹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N-스크린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AT&T사는 자사의 IPTV서비스의 PC 버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YouTube처럼 웹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3G 기반의 Mobile

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IPTV 서비스에 Wi-Fi를 이용하여 Mobile 디바이스로 접속하는

서비스를 구현 중이다.

[그림 19] 플랫폼 형태에 따른 N-스크린 분류

광대역 모바일 융합서비스 시나리오 기술 표준 : 차세대 광대역 망(NGN)을 사용하는 주요한 이점 중에

하나는 IPTV와 같은 이동성 유무선 융합서비스의 지원이다. 2011년 1월 ITU-T 미래네트워크 스터디그

- 34 -

룹(SG13)회의에서 “광대역 모바일 융합 서비스 시나리오” 기술이 국제표준화 되었다. 한국이 주도한

“광대역 모바일 융합 서비스 시나리오 (Y.Suppl.14, service scenarios over FMC)” 는 광대역망, 무선

랜(WiFi)과 모바일(3G, WiMAX/WiBro)와 같은 단말간에 끊김 없는 모바일 융합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

능분석모델을 적용하여 세부 서비스 절차를 규정하였다. 본 표준에 적용한 기능 분석모델은 사용자, 단

말, 네트워크, 컨텐트 및 서비스의 5가지 주요 요소의 특징(Key features)을 추출하여 이의 연관 관계

분석을 통하여 통합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른 광고서비스 및 IPTV서비스 절차를

규정하였다. 본 권고안은 2009년 9월에 표준개발을 시작하여, 2011년 1월 회의서 표준권고안을 최종

승인 받았다.

[그림 20] 단말 사용 방식에 따른 사용자 행동 패턴

주요 특징 요소 분류: 상기와 같은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는 모빌리티 관리와 융합서비스를 위한 주요

요소는 여러 요소에 따른 차별화된 특성으로 분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서비스를 이루는 주요 특징

요소를 기능 분석을 통하여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l Person (End User) : 서비스를 소비하는 주체로서 위치를 기반으로 “Same location”,

“Change location으로 특징요소를 분류한다.

[그림 21] Features of Person

l Terminal : 단말은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하면서 사람의 행동에 따라 동작하며 그 행동에

따라 단말의 능력이 결정된다. 세 가지 경우로 단말의 능력이 변하는 경우와 변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첫 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집에서 고화질 IPTV를 보다가 회사에 가야 하는 경우로서

사용자는 보던 프로그램을 자신의 모바일 단말로 이어보기를 원한다. 이 경우 단말의 능력은

single-mode 고정망의 TV에서 dual-mode, WiFi 망의 모바일폰으로 바뀐다. 두 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위치를 집에서 회사로 변경하는 경우로서 서비스 연속성을 위하여 단말의 능력이

네트워크 측면에서 WiFi에서 Mobile로 바뀐다. 세 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위치를 회사에서 학교로

옮기는 경우로 이 경우 단말의 능력 변화는 없다. 따라서 단말은 그 능력을 기반으로 “Same

capability”, “Different capability”로 분류된다.

[그림 22] Features of Terminal

l Network : 액세스망의 특징은 기술 기반으로 고정, 모바일, 무선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망의

능력은 각 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bandwidth가 변한다. 코어망은 사용자가 어떠한 액세스 망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코어망은 “Same capability”, “Different capability”로

분류된다.

[그림 23] Features of Network

- 35 -

l Content : 콘텐츠의 특징은 변환 QoS 파라미터, 인코딩 코덱, 해상도(CIF, SD, HD)나 프레임

수 등의 질적 요소(Quality)가 변하는 경우와 변하지 않는 경우로 결정된다.

SameQuality

DifferentQuality

[그림 24] Features of Content

l Service : 서비스는 형태에 따라 단일서비스와 융합서비스로 분류된다. 단일서비스의 개방형

API와 이의 메쉬업에 의하여 융합서비스가 생성, 제공된다.

[그림 25] Features of service

상기 요소들은 통합 기능분석 구성모델로 [그림 26]과 같이 표현된다. 본 모델에서 사람은 자신의

단말을 동일한 위치나 변경된 위치에서 사용하며, 단말은 사용 형태에 따라 그 능력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망의 지원 능력 또한 변경된다. 단말의 능력 변경은 콘텐츠의 질적 요소의 변경을 초래한다.

서비스는 어떤 형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단순서비스 또는 융합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림 26] 통합 기능분석 구성 모델

이와 같은 관계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포괄하는 통합 시나리오 모델이 제시되었다.

[그림 27] 광대역 모바일 융합서비스 통합 시나리오 모델

예를 들어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서비스에 사용하는 단말을 바꾸는 경우로서 IPTV를 통하여 방송을

보다가 태블릿으로 변경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단말과 네트워크의 관계에서 보면 IPTV에서는 고정망을

사용하고 태블릿에서는 모바일로 받는 경우로 시나리오에 해당한다. 단말의 해상도가 달라지므로

콘텐츠의 질적 요소가 바뀌는 시나리오에 해당하며 서비스는 단일서비스이므로 I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개별 서비스 기술 시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통합 시나리오 모델과 매핑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국외에서는 Use Cases and Service Scenarios의 명칭으로 서비스를 구성하는 여러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별도로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하여 이용자 관점에서

NGN의 이용 사례를 권고안 표준이나 supplementary 표준으로 개발하여 산업체나 이용자가 NGN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국에서 네트워크 및 융합서비스 관련 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전략 측면에서 NGN 서비스의 구축 방안은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N-스크린 광고 표준화 기술 :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 매스미디어를 통한 지금까지의 광고 기술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동일한 광고 미디어를 전송해 왔다. 위치기반 선택형 광고 기술은 사용자

- 36 -

위치, 프로파일 정보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관심을 갖을 만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현재 ITU-T에서 표준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콘텐츠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사용자

단말

콘텐츠라우터 ATV 서비스 플랫폼

휴대단말

노트북

라우터 BAP

STB

콘텐츠플랫폼

[그림 28] N-스크린 환경의 광고 기술

사용자는 시청 중인TV 콘텐츠에 노출된 상품에 관심을 갖고 해당 상품 관련 광고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위치, 성별, 나이, 선호도, 구매 내역 등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현재 TV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단말의 화면 크기, 네트워크 종류, 하드웨어 자원 등의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TV 콘텐츠 장르, 제작자, 배우, 언어 등의 콘텐츠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가장 적합한 광고

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일한 TV 콘텐츠를 보고 있지만 사용자별 다른 광고 미디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광고 미디어에 추가로 부가 서비스를 융합할 수 있다. 광고 미

디어는 TV 단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로도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는 TV, 휴대

단말 등 다종 단말 멀티 커넥션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 31는 이의 서비스 시나리오이다.

서비스 제공자네트워크 제공자

응용 기능

콘텐츠

전달 기능네트워크

기능

1

서비스

제어 기능

4

단말 기능

단말 A

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제공자 기능

광고 미디어

콘텐츠 제공자 기능

기타 콘텐츠

3

5

6단말 기능

단말 B 2

사용자

[그림 29] N-스크린 환경의 광고 서비스

1)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 제공자의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단말 A를 통해 TV 콘텐츠를 시청중에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는 유선, 무선, 모바일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간 서비스 세션을 설정한 후, 서비스

제공자의 콘텐츠 전달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요청된 TV 콘텐츠가 전송된다.

2) 사용자는 TV 콘텐츠를 시청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또 다른 개인 단말 B, C 등을 통해 광고를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보유한 각각의 단말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어 기능을 통해 선택형

광고 서비스 시작을 요청한다. 서비스 제어 기능은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 중 광고를 전송할 단말을

선택한다.

3) 서비스 제공자의 응용 기능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 미디어를 보유한 콘텐츠 제공자에게 해당

광고 콘텐츠를 요청한다.

4) 경우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응용 기능은 해당 광고 미디어에 부가 서비스를 추가하여 융합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5) 서비스 제공자의 콘텐츠 전달 기능은 응용 기능을 통해 광고 미디어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6) 서비스 제공자의 콘텐츠 전달 기능은 저장한 광고 미디어를 네트워크 제공자의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 B, C 등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 A를 통해 재생중인 TV 콘텐츠를

계속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전달된 광고 미디어는 위치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프로파일, 단말

프로파일, 콘텐츠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선택된다.

N-스크린 광고서비스 시나리오는 통합 서비스 시나리오와 아래 그림과 같은 대응 관계를 가진다.

N-스크린 IPTV 서비스 표준화 기술 : N-스크린 서비스는 스마트폰, 타블릿 PC 및 스마트TV의

등장으로 IPTV 서비스를 생산 및 소비할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 시스템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관점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ITU-T에서는 모바일 IPTV와 Web 기반 IPTV를 통해 다양한

- 37 -

멀티미디어를 수용하고 있다. 기존 IPTV 서비스는 NGN 구조와 연결되면서 FMC 기반의 IPTV 서비스를

수용하고 있다. Y.sof (Y.Sup 14)에서 기술된 FMC 기반 IPTV 서비스 중 다종 접속 단말 기반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를 소개한다. 유무선 환경은 NGN을 기반으로 유선, 3G, WiFi 및 WiMAX를

고려한다. N-스크린 서비스 지원 단말은 대부분 다중 접속 환경을 갖지만, 단일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접속 환경은 관계없다.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는 N-스크린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장소가 고정인 경우,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첫째, N-스크린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장소가 고정일 때 IPTV 시나리오는 그림 32와 같다. 이

시나리오는 ITU-T Y.Sup5의 IPTV 시나리오 중 VoD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N-스크린에 맞도록 정리하고

있다.Service ProviderNetwork ProviderEnd-User

Content Delivery

Functions

Application Functions

4

Service Control Functions

Location A

NetworkFunctions

8

6

7

2

2, 7

Content Mediation Functions

TerminalFunctions

Terminal A

3TerminalFunctions

Terminal B

Content Provider

Content Provider

Functions1

5

[그림 30] 네트워크 접속장소가 고정일 경우

① 서비스 제공자(플랫폼 제공자와 동일)는 콘텐츠 제공자를 통해서 IPTV 서비스에 맞는 콘텐츠를

공급한다.

②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 전달 기능을 통해 엔드 유저에게 전달한다. 이 때 네트워크 사업자는 엔드

유저의 접속 정보를 확보한다.

③ 엔드 유저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N-스크린 서비스는 계속 제공받는 상태에서, 접속 단말 변경을

요청한다.

④ 서비스 사업자는 변경될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자원 예약을 한다.

⑤ 서비스 제공자는 변경될 단말에 맞는 N-스크린 서비스용 콘텐츠를 콘텐츠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확보한다.

⑥ 서비스 제공자는 가공된 콘텐츠를 엔드 유저에게 전달하기 위한 콘텐츠 전송 서버로 전송한다.

⑦ 엔드 유저가 터미널을 변경 후 접속을 하면, N-스크린 서비스를 동일한 방법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전달한다.

⑧ N-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단말 변경이 완료되면 기존 단말의 접속을 종료한다.

둘째, N-스크린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장소가 변경될 때 IPTV 시나리오는 ITU-T Y.MM-WAW의

이기종 액세스 접속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의 Handover에 맞는 N-스크린 시나리오를 정리하고 있다.

Location A에서는 WiFi에 접속이 가능하고 Location B에서는 WiMAX에 접속할 수 있다.

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 전달 기능을 통해서 N-스크린 서비스 콘텐츠를 공급한다. 엔드 유저는 이

기종 망 접속 변경(장소 변경)을 준비한다.

② 엔드 유저는 WiMAX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L2 협약, 라우터 요청/광고 및 바인딩 정보

수정을 요청한다.

③ 네트워크 사업자는 AAA 인증을 요청하고 응답한다.

④ 엔드 유저는 네트워크 사업자로부터 바인딩 정보 수정 완료 응답을 받는다.

⑤ 네트워크 사업자는 WiFi 단말의 데이터 패킷을 받을 수 있는 WiMAX 접속점과 NGN 코어 네트워크

간에 터널이 생성된다.

⑥ 서비스 제공자는 WiFi 및 WiMAX간 Handover를 인지한다.

⑦ 서비스 제공자는 WiMAX 대역 및 엔드 유저의 단말 용량을 고려하여 N-스크린에 맞는 선택적으로

콘텐츠 변환한다.

⑧ 서비스 제공자는 가공된 콘텐츠를 엔드 유저에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 전송 서버로 전송한다.

⑨ 엔드 유저가 터미널과 접속 장소를 변경 후 접속을 하면, N-스크린 서비스가 동일한 방법으로

엔드 유저에게 전달된다.

- 38 -

앞에서 언급한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는 서비스 제공자가 개방형 플랫폼 내의 콘텐츠 가공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이는 대기업과 같은 경우에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이다. 반면에,

중소기업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일부 기능을 활용해 웹에서 IPTV 서비스를 N-스크린 서비스화 할 수

있는 브로커링 서비스 모델 시나리오(ITU-T Draft Recommendation Y.iptvbs)가 논의되고 있다.

End-user Network Provider Service Provider Content

Provider

.

.

.

ACAP

DVB

BrokeringService Provider

Web Environment

[그림 31] 웹 기반 IPTV 브로커링 서비스 모델

그림 33 에서 제안된 브로커링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콘텐츠

재가공 기능을 독자적으로 공급하는 형태이며, N-스크린 기반 IPTV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가능한 엔드

유저 환경으로 웹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환경으로 제공될 것이다. 현재 웹 기반 IPTV 브로커링 서비스

모델에 대한 표준안은 연내에 통과될 예정이다.

N-스크린 서비스 분류별 표준화 기술 :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N-스크린은 세 가지 유형을 분류

할 수 있다. 첫 번 째가 OSMU 형식으로 하나의 동일한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며, 둘째가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은 제공하는 것이고, 셋째가 단말 간 서로 다른 콘텐츠 및 서비스가

제공되며 서로 간 협업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별 N-스크린 서비스 및 Use case에 대한 표준

화가 ITU-T SG13, Q24, 7월 interim meeting에서 시작되었다. 이중 OSMU 유형의 N-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시나리오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그림 32] N-스크린 OSMU 서비스 시나리오

①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TV(단말 A)를 통하여 보고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콘텐츠를 랩탑(단말 B)과 모바일폰(단말 C)을 통해서도 보기 원한다.

②사용자는 단말의 메뉴를 통하여 단말 B에서도 콘텐츠 시청을 요청한다.

③사용자의 요청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어 기능을 통하여 제공 콘텐츠의 단말의 능력에 맞는

변환 등을 거쳐 사용자에게 제공될 준비를 한다.

④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할 단말에 맞춘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중요한 키워드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소셜TV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융합

기술로서 급성장하고 있으며 가상화, 원격 스토리지 등의 기술을 통해 홈 내 정보 동기화, 동적 자원 할

당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N-스크린 서비스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클라우

드 컴퓨팅을 이용한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해 우선 스마트 단말간에 미디어 콘텐츠의 Seamless한 이용

및 저장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 스크린 대상으로 미디어 서비스의 클라우드화가 필요하다. 그

리고 스마트 스크린으로 시공간 제약 없이 방송프로그램의 자유로운 시청을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IPTV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단말로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미디어를 이용하기 위해 스마트 스크

린 환경의 미디어 공유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N-스크린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들

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 내는 소셜TV 와의 접목이 중요하다. 소셜TV 는 SNS를 기반으로 TV 콘텐츠에

대한 댓글, 의견 공유 및 프로그램 추천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기존의 단 방향 TV를 양방향 서비스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N-스크린의 표준화는 ITU-T Q24/SG13을 통하여 서비스 시나리오 및 유스케

- 39 -

이스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추후 구조 표준화 및 클라우드 접목에 관한 부분에 대한 표준화도 진

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N-스크린 서비스 표준화 현황을 ITU-T SG13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

스마트폰의 늦은 도입으로 모바일 생태계의 구축이 지연되어 양방향서비스 및 융합콘텐츠 산업에서 외

국 기업에 뒤진 경험을 교훈삼아, 스마트TV의 킬러서비스인 N-스크린 서비스에 있어서 표준화, 핵심기

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 대응이 요구된다.

Multi Screen 서비스 이용형태

현재로 돌아와 우리 주변의 상황을 살펴보면,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단말을 보유(OPMD: One

Person Multi Device)한 경우가 더 이상 신기하지 않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비약적인 성공이라 할 수

있고,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선 또 다른 Blue Ocean의 발견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러한 상

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Multi Screen을 통해 사용자가 갖게 되는 편익은 어떤 것일까? 하는 의

문들을 해결하기 위해 구글이 발표한 “The New Multi Screen World (2012.8)”를 인용해 그 해답을 찾

아보도록 하겠다.

본 조사는 2012년 4월~6월, LA, 보스톤 등에 거주하는 21세에서 60세 사이 성인 16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래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했다.

l 하루에 Screen을 이용하는 시간은 얼마나 되며, 이용용도 및 Screen별 이용상황(Context)은 어떤 것

인가?

l Multi Screen의 이용형태는 어떠하며, Multi Screen 이용과정에서 특이점은 무엇인가?

l Screen별 소비특징은 무엇인가?

조사 대상 Screen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TV 네 종류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Screen 이용시간 및 이용상황

하루 여가시간 중 4.4시간을 Screen에 소비(동영상 시청 1.9시간, 인터넷 정보검색 등 기타 2.5시간)

하며, Screen별 이용상황은 [그림 41]와 같다.

[그림 41] PC, 스마트폰, 태블릿의 이용상황

Screen별 이용비중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38%, TV 29%, PC 24%, 태블릿 9%로 스마트폰과 TV가

전체 이용비중의 2/3를 차지하며, 태블릿의 경우 이용비중이 낮은 상황이다.

l Multi Screen 이용형태 및 특이점

Multi Screen의 이용형태는 두 가지 패턴(동시 Simultaneous, 순차적Sequential)으로 구분되며, 특히

동시에 두 개 이상의 Screen을 이용하는 상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림 42]은 가장 빈도가 높

은 Multi Screen 이용형태를 보여준다. 네 개 Screen 중 TV의 동시 이용비중(예: TV와 스마트폰, TV와

PC, TV와 태블릿)이 73%로, 동시 Multi Screen 이용의 가장 큰 촉진제 역할을 한다. 또한 TV와 스마트

폰의 동시 이용비중이 81%로 가장 빈번한 Multi Screen 이용형태라 볼 수 있다.

- 40 -

[그림 42] 동시 Multi Screen 이용형태

TV와 스마트폰의 동시 이용 시 스마트폰으로 TV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가 50% 이상으로, 독립적

인 Multi Tasking 보다는 보조적인 수단으로서의 Screen 활용 특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동

시 Multi Screen 이용 특징 중 협업 특성이 50%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43]은 순차적

Multi Screen 이용형태를 나타낸다. 집에서 TV로 동영상을 시청하다 밖으로 나가서 동일한 동영상을 이

어보는 이용경향보다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등 특정 서비스의 순차적인 이용경향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시작한 즉각적인 정보 검색을 좀더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검색을 위해

다른 Screen(예: 스마트폰 -> PC, 스마트폰 -> 태블릿)으로 이어가는 경우가 65%로 그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림 43] 순차적 Multi Screen 이용형태

l Screen별 포지셔닝

¡ Screen별로 서로 다른 소비특징을 보이고 있다. PC는 집이나 바깥의 고정된 공간에서 업무용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순차적 Multi Screen 이용에서 2차 정보 검색 용도의 의미가 있었다.

¡ 스마트폰은 이동 중 자투리 시간에 즉각적인 정보 검색 등의 용도로 활용성이 컸고, TV를 보면서

보조적 수단인 2ndScreen으로 이용되었다.

¡ 태블릿은 집에서 여가시간에 인터넷 접속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네 개 Screen 중 활용도가 가장

낮았으며, 아직 태블릿 고유의 소비특징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라 볼 수 있다.

¡ 마지막으로 TV는 집에서 동영상 시청 등 Entertainment 용도로 이용되었으며, Lean Back 특성으

로 인해 집중도가 가장 떨어지는 Screen이었다. 때문에 동시 Multi Screen 이용을 가장 많이 촉진

하는 Screen이기도 했다.

위에 기술된 조사 결과로부터 현재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Multi Screen의 시장 수준과 실제 소비 목적

을 모두 파악하기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새로운 소비를 창출하는데 성공했고, 태

블릿의 시장성은 아직은 모호한 상황이며,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Multi Screen을 이용하는 추세는 증가

하고 있다는 사실은 확인되었다. 또한 태블릿과 같은 Screen의 잠재적 소비특성을 반영한 킬러 콘텐트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미래: Multi Screen 서비스 전망

Multi Screen 관점에서 본 2007년에서 2013년까지 6년이라는 시간은 많은 기술의 발전이 있었고, 또

새로운 소비를 창출했던 의미가 있었다. 앞으로의 6년은 어떤 기술의 발전과 소비의 창출이 이어질까를

세 가지 측면에서 예측해 보고자 한다.

l스마트Wearable 단말 등 신규 Screen 등장

각종 센서, 컴퓨팅 파워,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달로 사람과 단말간의 스마트한 상호작용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저발열, 저전력, 초소형 모바일 컴퓨팅 구현과 초고속 네트워크, 근접통신기술의 발달로 스

- 41 -

마트 Wearable 단말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MS Research (2012)에 따

르면, 전 세계 스마트 Wearable 단말 출하량이 2016년 기준 최소 3,920만대에서 최대 1억7,100만대까

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44] 스마트 Wearable 단말 출하량

이러한 스마트 Wearable 단말은 안경, 시계, 의류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최근 제품 출시 일정을

발표한 구글의 사례를 살펴보겠다.

l구글의 ‘프로젝트 글래스’: 구글은 2012년 4월 유투브를 통해 헤드업 디스플레이 형태의 스마트 안

경 ‘프로젝트 글래스’ 관련 영상을 공개했다. ‘프로젝트 글래스’는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하고 있으며,

소형 Screen과 카메라, 메모리, GPS센서, 마이크, 스피커를 갖추고 있고, 블루투스와 WiFi를 통해 인

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프로젝트 글래스’렌즈 안쪽에 부착된 Screen을 통해 웹서핑 및

동영상 촬영과 함께 스마트폰에서 이용했던 실시간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 통화 및 메시지

전송, 일정관리 등의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 글래스’를 착용한 사람의 시선과 동일한

시점에서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구글은 ‘프로젝트 글래스’를 통해 광고 수

익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 단말을 광고 플랫폼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즉, ‘프로젝트 글래스’에 구글 검

색, 구글 맵스를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탑재하고 증강현실과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에 기반한 광고

를 넣겠다는 것이다. [그림45]은 구글의 ‘프로젝트 글래스’ 착용모습과 활용 화면이며, [그림46]는

‘프로젝트 글래스’ 시연 장면과 실제 스카이다이버 영상을 촬영한 것이다.

[그림45] 구글 ‘프로젝트 글래스’(출처: 구글)

l구글의 ‘글래스 리스트왓치’

‘글래스 리스트왓치’는 플립 업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 시계로 프로세서, 무선 송신기, 카메라, 터

치스크린 등을 탑재한다. 일반적인 시계 위에 증강현실 기능이 탑재된 열고 닫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추가한 것으로 음성인식과 Screen 터치로 작동한다. 단말에 내장된 GPS 기능과 구글 맵스를 통해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원하는 위치에 대한 이동방향을 제시해 주거나, 특정 제품을 카메라로 비추었을 때 제

품에 대한 정보를 증강현실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GPS와 카메라 인식 기능을 활용해 주변의

유명 건물이나 유적지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한 알람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글래스 리스트왓치 역시 구글의 위치기반 광고 플랫폼으로 활용될 전망이며, 이용자들

의 이동 경로, 관심사, 검색 패턴 데이터를 확보하고 개인화된 위치기반 광고시장을 장악하는 새로운 도

구로 포지셔닝 될 예정이다.

l PES기반 스마트 Screen 기술 보편화PES(Personal Environment Service)는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생활편의 기능을 자

동적, 지능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람이 움직이면 그에 따라 생활환경이 달라지고, 그 환

경에 맞는 사용자 선호도를 Screen이 자동으로 인식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는 각종 센서가 사람의 상태를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으로 생활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

요하다. 이를테면, 자리에서 이석 시 PC 가 지동으로 보안모드로 들어가고, TV를 보다가 다른 방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음량이 조절되며, TV를 처음 켜는 사람에 따라 선호 채널이 연결되는 등 다양한 상

- 42 -

황에서 사용자에 최적화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림 47] PES기반 스마트 Screen 서비스

요컨대 스마트 Screen 기술은 기존의 스마트폰, 스마트TV에 이어 모든 Screen이 스마트화되고, 사람과

Screen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황을 넘어서 Screen이 사람의 상태를 미리 파악해 사람이 요청하기

이전에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해 주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l홀로그램을 통한 Screen 의 Virtual화홀로그램은 그리스어로 ‘완전하다’는 의미의 holos와 ‘그림’을 뜻하는 gramma의 합성어로, 홀로그래피

원리에 의해 360도 입체영상을 재현한다. 홀로그래피는 실사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 되어 전파되는 빛의

분포를 기록 및 재현하는 기술로, 공간상에 실사에 대한 상을 완벽하게 재현한다. 기존의 3D 입체영상

역시 두 눈에 인식되는 영상의 시차에 의한 원근감을 통해 입체감을 제공하는 스테레오스코픽

(Stereoscopic) 방식에서 360도 전 방향에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홀로그램(Hologram) 방식으로 진화

하고 있다. 특히 홀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3D 입체영상은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보다 현실감이 강화되고,

누구나 편하게 어떤 각도에서도 홀로그램 3D 영상을 감상할 수 있어 기존 방식에서 야기되는 눈의 피

로감과 어지럼증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현재 신용카드의 보안,

공연과 광고의 디지털 영상처리에 홀로그램이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홀로그램을 통한 Screen의

Virtual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48] 홀로그램 활용 사례

선진국의 기술개발 동향

¡ 매장 내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l 인텔사가 개발한 Retail Shop 디지털 사이니지

l 매장 진열대의 양쪽 마지막 지점인 앤드캡(End Cap)에 설치

l 소비자 모바일에 설치 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연결되어 소비자가 관심 분야 콘텐츠와 니즈를 보

여주는 기능 보유

l 진열대의 특정 제품을 들었을 시 해당 제품의 정보나 광고를 보여주는 기능 보유

l 광고주나 매장은 소비자의 액션과 실제 판매 DB를 분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어 정확한 ROI측정과

마케팅 전략수립에 활용 가능

- 43 -

[그림 114] DSE® 2011 Gold Apex Award

¡ 터치스크린 방식의 3D 가상 시물레이터

l 인텔과 신발 제조사 아디다스가 만든 3D 가상 시물레이터

l 매장에 모든 종류의 신발을 구비해놓을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며 고객들이 원하는 제품을 3D로 체험할

수 있음,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신발을 커스터마이징 가능

[그림 115] DSE® 2011 Silver Apex Award

¡ 자기 주문방식의 디지털 메뉴 사이니지, 2010년 독일의 Holyfields Restaurant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메뉴판. 레스토랑의 메뉴를 보며 바로 주문이 가능.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시스템

[그림 116] 독일의 Holyfields Restaurant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메뉴판.

¡ 영화Avatar 프로모션용 가상페이스모핑(morphing) 디지털 사이니지

l 프로모션용으로 제작된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l ZenithOptimedia & Inwindow Outdoor의 페이스 모핑 디지털 사이니지로 1일 평균 1천명 이상이 이용

하였으며, 그 중 96%가 자신의 이메일로 전송하였음

[그림 1117] DSE 2011 Gold Interactive Content Award (Advertising/Promotional)

¡ 美 타임스퀘어 옥외 디지털 빌보드 (모바일 & 웹실시간연동) 프로모션

l 신발제조사인 “VANS”가 2010년 새해 소원을 공유하는 프로모션을 타임스퀘어의 디지털보드에 집행하였

l 소비자들은 웹과 모바일 등을 통해 자신의 소원과 함께 사진을 등록하며, 이를 실제로 타임스퀘어 비아

- 44 -

컴 디지털 빌보드에서 볼 수 있었음

l Vans는 본 캠페인을 통해 전세계 27개국에서 30 만명의 페이스북 팬을 얻었으며, 4천 개가 넘는 사진이

업로드 되었음

[그림 118] DSE 2011 Bronze Interactive Content Award.(Advertising/Promotional)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고속 모바일 네트워크 보급과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에 따라서 모바일 스크린의

가용성이 크게 높아졌고 이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의 N-Screen화도 가속되고 있다. N-Screen 콘텐츠

서비스는 콘텐츠 서비스를 TV, PC, 스마트폰, 태블릿, Digital signage, Car 등 다양한 스크린에서 소비

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인데, 주로 TV스크린을 중심으로 PC나 모바일로 확장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

다. 세계적인 추세를 살펴보면 서비스 스크린의 경우 아직은 모바일 보다 PC쪽 스크린을 우선적으로 확

장하는 상황이고 제공하는 서비스 콘텐츠는 VoD와 실시간 방송이 비슷한 비율로 서비스되고 있다.

[그림 49] 전 세계 N-Screen 콘텐츠 서비스 스크린 및 콘텐츠 비율(2011.7)

현재 N-Screen 서비스는 단순히 콘텐츠의 다시보기, 이어보기 형태의 수준이지만, 스마트 단말의 확

산 및 서비스 이용의 증가에 따라 몇 가지 트렌드에 맞추어 진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우선, N-Screen

콘텐츠 서비스 형태는 같은 콘텐츠를 여러 스크린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단순 N-Screen, 스크린 간

이용경험이 공유되는 Seamless N-Screen, 스크린 별로 최적화된 형태로 콘텐츠가 제공되고 협업하는

ASMD (Adaptive Source Multiple Screen)의 단계로 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 콘텐츠N-Screen서비스

Seamless 콘텐츠N-Screen서비스

ASMD(Adaptive Source Multiple Screen) 서비스

[그림 50] N-Screen 콘텐츠 서비스 형태 발전단계

또 하나의 트렌드로 클라우드화를 꼽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콘텐츠 및 정보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단말간의 콘텐츠 이용 경험을 일관성 있게 제공해 줌으로써 이용자에게 편리한 콘텐츠 소비 환경을 제

공하고 콘텐츠 소비를 진작시킬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N-Screen간 3S 서비스(Sync, Shift,

Share)가 근간이 될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플레이어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게 될 것이

- 45 -

다.

스마트카-IT 융합에 따른 차량용 엔스크린 기술의 변화 및 관련 동향

자동차-IT융합의 흐름은 짧은 시간 동안 자동차 시장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서로 다른 영역에

서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두 기술의 흐름(자동차와 IT)는 산업 융합의 흐름에 따라서 같은 진화 방향을

갖게 되면서, 다양한 경쟁 및 협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차량 헤드 유닛과 스마트폰의 연동을 바

탕으로 하는 차량용 엔스크린 시장은 자동차 업계와 IT 업계의 치열한 경쟁과 전략적인 협력을 바탕으

로 큰 도약을 이루었다. 차량용 엔스크린의 범위는 좁게는 차량 헤드유닛과 스마트폰간의 연동으로 볼

수 있으며 넓게는 헤드유닛과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보조석/뒷좌석 디스플레이, 블랙박스와 같은 카메

라,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차량용 엔스크린은 자동차의 특성 때문에 기존의 엔스

크린과는 약간 특성이 다른 면이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성, 편의성,편리성을 위하여 정보제공과 콘텐

츠 공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동차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정보 제공 환경, 콘텐츠 공유환경을 효과적으

로 제공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며, 사용자 편리성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이 이차적인 목표

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헤드 유닛을 중심으로 융합/발전하려는 흐름과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융

합의 흐름이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기기간 연동, 클라우드, 사용자 분석 등의 빅데이

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차량용 앱스토어, 고정밀 지도등의 기술들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자동차사

를 중심으로한 자동차 업계와 스마트폰 관련사를 중심으로 한 IT 업계는 관련 기술들을 본격적으로 상

용화하고 표준화함으로써 다양한 경쟁 및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업종별, 지역별, 업체별로 복잡

한 경쟁 및 협력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사는 헤드유닛 관련 플랫폼 개방, 차량용 앱스토어,

HTML5 기반 오픈 플랫폼 등의 IT 기반 전략을 통해서 경쟁에서 앞서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IT 업계

는 스마트폰과 함께 교통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 빅데이터 처리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

하려고 하고 있다. 차량용 엔스크린 관련 시장은 차량과 스마트폰 자체에서의 기술적인 진화 방향이 어

느 정도 마무리 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고속 네트워크와 클라우

드 서버가 중요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보조석 디스플레이등을 통한 일반 엔스크린 서비스와의 접목

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동차-IT 융합에 따른 시장 변화

기계 중심의 자동차 기술이 기계/전자/소프트웨어 융합의 흐름으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IT 기술이 접목되

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IT 기술도 다양한 기기/산업과 융합되면서 응용영역을 자동차로

확대하여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림 51] 자동차-IT 융합에 따른 협력 및 경쟁

이에 따라 자동차-IT 분야의 주요 관련 업체들 (자동차사, 전장업체, 스마트폰업체, 내비게이션 및 지도

업체, 이동통신사등)은 다양한 협력 및 경쟁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그림 51]과 같이, 자동차 관련

기술에서도 헤드 유닛을 중심으로 한 인포테인먼트 기술과 고속 네트워크 기반 클라우드 기술의 중요

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은 사용자 사용성 및 빅데이터 수집 및 처리의 강점을

바탕으로 자동차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각 업체 별로 여러 협력 모델을 통해서 새로운 진화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그림 52]와 같이 자동차 플랫폼과 IT 플랫폼 진화의

유사성이다. 자동차 플랫폼은 기계 플랫폼, 멀티미디어 플랫폼, 운전자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 클라우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46 -

[그림 52] 자동차 IT 플랫폼 진화의 유사성

IT 분야의 대표적이 업체인 구글은 멀티미디어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기계 플랫폼인 ROS (Robot

Operating System), 자율 주행 기술인 Autonomous Driving, 구글 클라우드 등의 소프트웨어/전자/기계

융합 플랫폼의 진화 모델을 그려가고 있다. 이와 같은 두가지 흐름은 향후 자동차-IT 관련 기술에서 치

열한 주도권 경쟁이 예상된다. 동시에 자동차 헤드 유닛을 중심으로 한 차량용 엔스크린 관련 시장에서

도 다양한 협력 및 경쟁 모델을 만들어 갈 것으로 전망된다.

차량용 N스크린 주요 특성 및 고려 사항

차량용 엔스크린의 범위

[그림 53] 차량용 엔스크린 범위

차량용 엔스크린의 범위는 [그림 53]과 같이 좁게는 헤드유닛과 스마트폰의 연동으로 볼 수 있으며 넓

게는 블랙박스, 카메라, 뒷좌석 디스플레이와 클라우드 서버까지를 포함한다. 특히 최근 차량 정보, 사

용자 운행 정보, 교통 정보 분석,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에 대한 분석 및 제공을 위해서 클라우드 서버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와 맞물려 있는 클라우드 서버 구축에 자동차 업계와 IT 업

계 모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량용 엔스크린의 주요 특성

표 1. 차량용 엔스크린 주요특성

주요 특성

서비스적 측면

정보 제공

콘텐츠 공유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유

다양하고 복잡한 진화 모델

자동차 중심 진화의 측면차량의 안전성, 안정성을 위한 독자적 진화

Connectivity based N-screen service

- 47 -

차량용 엔스크린의 주요 특성은 <표 1>과 같이 정리해 볼 수있다. 차량용 엔스크린은 멀티미디어 콘텐

츠의 공유가 주요 이슈가 되는 일반적인 엔스크린과는 특성이 약간 다른 면이 있다. 즉, 차량의 안전성

과 사용자의 편의성,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 정보의 제공과 콘텐츠의 공유가 중요하게 된다.

기술적으로는, 기기간 연동 프로토콜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중요시된다. 또한, 헤드유닛-스마트폰 연

동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블랙박스/카메라, 보조석 디스플레이를 연동하여 다양한 진화 모델이 가능한

측면이 있다. 산업적인 진화 방향의 측면에서는 자동차 중심과 IT 중심의 진화 방향을 살펴 볼 수 있으

며 두 흐름 간의 경쟁과 조화로 새로운 진화 방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자동차 업계의 측면에서는 차량

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독자적 진화 모델을 만들어 가려고 하고 있다. 연결성을 바탕으로한 엔스크

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헤드 유닛을 중심으로 스마트폰과 클라우드를 연동하면서 흐름을 주도하려

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비해서 스마트폰 중심의 융합을 가져 가려는 IT업계에서는 정보 제공과 사용

성의 편리함을 내세우고 있으며, 특히 집과 사무실의 이용환 경 및 콘텐츠를 차량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량용 엔스크린 주요 고려 사항 : 이러한 특성의 차량용 엔스크린을 위한 주요 고려 사항은 <표2>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현재 가장 중요한 이슈는 스마트폰/헤드 유닛의 연동과 사용자 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량용 앱스토어의 상용화에 따라서 독자 앱스토어 구축과

앱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인증에 대한 부분도 고려 되고 있다. 이외에도 차량 정보, 교통 정보 등의

빅데이터 분석과 콘텐츠의 효과적인 공유를 위한 클라우드도 중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차량내

엔스크린과 블랙박스/카메라 연동도 중요한 부분이다.

표2. 주요 고려 사항

자동차사 동향: 스마트폰의 활성화 이후 자동차사들도 한때 스마트폰 중심의 융합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 독일과 미국의 주요 자동차사들이 독자적인 플랫폼 진화를 발표하면서 지역별, 업체별로

복잡한 진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최근 HTML5 기반 플랫폼 상용화와 더불어 독자적인

플랫폼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독자적 네트워크 구축이나 스마트폰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From automobile to cloud

IT 중심 진화의 측면

정보 제공과 사용자 사용성을 바탕으로한 스마트폰 중심의 진화

Seamless N-screen service

From office and house to automobile

차량용 N-스크린에서 고려할 점

스마트폰/헤드 유닛 연동스마트폰과 헤드 유닛 연결 서비스의 안정성(예: 네트워크, GPS

등) 앱 스토어 구축

Graphical User

Interface사용편의를 위한 사용자 친화적 GUI

App. Download

구글, 애플과의 협력을 통한 전용 앱이나 앱 다운로드 환경 제공

독자적 앱 스토어 구축 필요성

시스템의 안정성 보장에 대한 문제

기기 인증/ 사용자 인증 얼굴 인식, NFC, 스마트 폰 인식

Security 정보 보안 및 해킹 방지

Alternative User

Interface음성 인식, 동작 인식, 얼굴 인식

Network외부 네트워크와 차량 네트워크 간의 연동 WCDMA, WLAN,

WiFi, Bluetooth, 4G LTE

Cloud 연동 클라우드에서 스마트폰과 내비게이션으로 콘텐츠 제공

Big data 차량 정보, 사용자 상태, 운전 패턴 등 서버 업로드

차량 내 엔스크린 헤드 유닛과 보조석 스크린

Blackbox/Camera 연동 Blackbox/Camera 영상 서버 업로드 및 스마트폰 연동

- 48 -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 가고 있으며 블랙박스/카메라, 뒷좌석 디스플레이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엔스크린 서비스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 자동차사의 주요 동향으로는 스마트폰

연동 기술들의 상용화, 헤드 유닛-스마트폰 연동 관련 개발 환경 공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확보를

위한 노력, 블랙박스/카메라/뒷좌석 디스플레이를 아우르는 엔스크린 서비스 활성화 등을 들 수 있다.

자동차사들은 스마트폰의 활성화에 따라서 차량 헤드유닛과 스마트폰을 연동하는 기술들을 상용화하고

있다. 주요 업체들은 거의 모두 독자적인 연동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또한 CCC의 단체 표준인

미러링크의 상용화와 포드 싱크 앱링크의 GENEVI 표준화 추진 등 표준화 노력과 세확산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그림 54] Ford SYNC AppLink 에뮬레이터 및 테스터(출처:포드)

차세대 플랫폼 진화 방향을 위한 노력 : 또한 차세대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위해서 개발환경의 공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독일 업체들의 HTML5 플랫폼 상용화 노력과 포드의 개발 환경 공개, GM의

개발환경 공개 등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확보와 플랫폼 선도를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카메라/블랙박스/뒷좌석 디스플레이 : 차량 외부 카메라를 통한 외부 정보의 제공과 블랙박스 등을 통한

영상 정보의 분석, 비전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센서 정보공유, 뒷좌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 등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그림 55] GM의 차량 외부 카메라 시연장면 (MWC 2013)

엔스크린 콘텐츠 : 정보 제공 및 콘텐츠 공유를 위한 자동차사의 자체적인 플랫폼 구축 노력에 따라서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음악, 뉴스 등의 음성 중심의 서비스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의 진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자동차사는 자체적인 스마트폰 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도요타-덴소-소니사의 차량 음악 콘텐츠 전문 회사 설립의 예처럼 차량

콘텐츠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 49 -

[그림 56] Ford Sync Applink 에서 서비스되는 어플리케이션 예(출처:포드)

IT사 동향 : 애플과 구글 등으로 대표되는 IT업체들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중심으로 다양한

차량-IT융합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스마트폰 업체들은 자동차사와의 다양한 협력을 통하여 서비스

모델의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내비게이션 업체 및 플랫폼 업체들의 생존을 위한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빅데이터 수집 및 처리의 면에서는 IT사가 자동차사 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다.

플랫폼 확산에 주력하는 애플과 구글 : 애플과 구글은 자동차로의 서비스 확대를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의 자동차 플랫폼 탑재와 구글 콘텐츠의 서비스 적용에 노력하고

있으며 여러 차량 제조사들과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애플은 헤드 유닛과 아이폰을 연결하도록 여러

회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음성 인식 기술인 시리의 확산에도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WWDC

2013에서 ‘iOS7 in the car’라는 새로운 자동차 용 iOS 플랫폼을 발표하고, 아이폰과 자동차에 내장된

대시보드 시스템간 통합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및 지도 업체들의 생존 노력 : 내비게이션 업체들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사용화 이후 가장 큰 타격을 입었던 내비게이션 업체들은 사용자 친화적인 UI와 지도

정보를 바탕으로 생존 경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탐탐사의 애플 지도 제공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스마트폰 업체와 자동차 업체의 사이에서 틈새 시장 전략을 가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57] 나브텍사의 숫자 및 글자 입력 MMI 기술 예 (출처:나브텍)

국내에서도 상용화되고 있는 스마트폰-헤드유닛 연동 기술 : SK플래닛과 2013년 1월 독자적으로

개발한 미러링기술 티맵 링크를 상용화하였다. 또한, 현대엠엔소프트는 2013년 4월 LG 유플러스와

공동으로 미러링 기술이 적용된 내비게이션 제품을 상용화하였다.

- 50 -

[그림 58] SK플래닛의 티맵링크 시연 예 (MWC2013)

CCC 표준 동향 :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는 스마트폰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연결을

위하여 MirrorLink에 대한 국제 표준 및 규격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MirrorLink란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콘텐츠를 차량 헤드유닛의 화면과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술을 말한다. 2011년 3월 MirrorLink 1.1

버전이 발표되었고 현재 MirroLink 1.2 버전이 개발 진행 중에 있다. CCC표준은 헤드유닛-스마트폰

연동을 위한 업체들의 고민과 노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진화 방향도

예측해 볼 수 있다. 앱의 2 단계 인증 시스템과 사용자 UI 가이드라인에서 차량의 안정성과 사용자

사용성 제고를 위한 CCC 회원사들의 고민과 노력을 엿 볼 수 있다. 또한, 차량 자체 데이터의

클라우드 제공

에 대한 부분도 향후 진화 방향에서 눈여겨볼 부분이다.

[그림 59] CCC의 UI 가이드라인 예 (출처: CCC)

현재 CCC에 대한 관심도는 지역별, 업종별로 차이가 있다. CCC에 대한 자동차사의 관심도는 현재 ‘적

극적인 일본, 미지근한 유럽, 차가운 미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스마트폰 플랫폼이 없는 일본, 노키아와

CCC초기 표준을 주도했지만 현재는 HTML5 진화를 선언한 독일, 구글/애플에 호의적인 미국 등 지역

별, 업종별로도 경쟁 및 협력 양상은 차별화되고 있다.

주요 과제 및 발전 방향 : 차량용 엔스크린은 헤드유닛-스마트폰 연동뿐만 아니라 블랙박스, 카메라,

뒷좌석 디스플레이, 클라우드 서버 등을 연동하게 됨으로써 향후 다양한 서비스 모델의 진화를

예고하고 있다. 차량용 앱 스토어는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는 지도정보,

교통정보, 사용자 운행 정보, 차량 정보 등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자동차 전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음성 중심의 서비스에서

엔스크린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기계적인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되면서, 급발진 등의 다양한 자동차 사고 원인 등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 업체별, 업종별로 다양한 경쟁 및 협력 모델이 예상되고 표준 경쟁을 통한 세확산

노력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51 -

스크린, 기기 및 클라우드 사이의 연결성 강화: 헤드유닛-스마트폰 연결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고속 네트워크 기술이 접목되면서 기기와 클라우드 등의 연결성이 크게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PC, 차량, 클라우드 서버를 연결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랫폼 개방 및 앱 스토어 활성화: 차량용 플랫폼의 개방은 연동 기술의 상용화 이후 콘텐츠 및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져가기 위한 업체들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독일 업체들을 중심으로 한 HTML5

플랫폼 및 앱스토어 구축 노력, 포드의 개방형 앱 개발 도구인 Ford Developer Program, GM의 헤드

유닛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 등의 개방은 향후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GM의 플랫폼 개방은 헤드 유닛 자체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여 플랫폼

개방의 미래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림 60] GM사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구조도

콘텐츠의 다양화 : 현재 음악 서비스를 중심으로 뉴스, 지도, 스포츠 등의 서비스가 차량용 콘텐츠의

킬러앱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향후 주행 분석, 차량 상태 정보 제공, 빅데이터 분석 정보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QNX, 7 digital의 협력모델과 도요타, 덴소, 소니의 협력 모델에서

보듯이 차량 전용 콘텐츠 제공을 위한 노력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뒷좌석 및 보조석

스크린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61] 7 digital HTML5 music store와 쉐보레 차량 뒷좌석 스크린 (출처: QNX, 쉐보레)

기계-멀티미디어 플랫폼 융합 및 연동: 자동차의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서 다양한 비전기술, 음성 인식,

동작 인식, 얼굴 인식 등의 상용화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외에 많은 카메라가

장착됨에 따라서 비전 기술을 활용한 기계 시스템 제어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향후 ADAS 기술이

자율 주행 기술로 진화함에 따라서, 이러한 인식 기술과 클라우드 서버 정보를 활용한 기계 기스템의

제어 기술이 다양하게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 데이터 처리 : 차량 운행 정보, 운전자 상태 정보, 운전 패턴, 블랙박스 및 카메라 정보 등이

수집되어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됨에 따라서 이러한 빅데이터의 분석, 처리 및 사용자 제공도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빅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 자동차사와 IT업계 모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량 정보의 수집과 사용자 정보 수집에 자동차사와 IT사가 각각 강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경쟁과 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IPTV의 N-스크린 서비스 개요: ITU-T SG16에서는 IPTV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 유형을 기능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관련 규격 개발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기본형 IPTV 단말은 실시간

IPTV 서비스(Linear IPTV)와 VoD 서비스 등의 기본적인 IPTV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로

ITU-T H.721 권고로 세부 규격이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PC 수준의 하드웨어 성능을 갖는 단말에

IPTV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는 고기능형 IPTV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에 대한 규격을 H.IPTV-TDES.3라는 권고초안을 현재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기기에 IPTV 기능을 구현하는 모바일 IPTV 단말을 H.IPTV-TDES.4라는 권고초안을

개발 중에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IPTV 단말 들이 존재하게 됨에 따라 이들 IPTV

- 52 -

단말간에 미디어 공유 및 다양한 IPTV 응용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IPTV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관련 표준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간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간 상호 동작 기능을 정의하는 문서가 H.IPTV-TDES.5 권고초안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IPTV 단말

규격 간의 관계와 상위 수준의 상호동작 모델은 각각 아래 그림과 같다. TDES.5 문서에서는 IPTV

단말간에 상호동작을 위한 서비스 유형과 주요 요구 기능, 단말내 기능요소, 미들웨어 요구사항,

단말간 인터페이스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또한, 단말간 상호동작이 일어나는 유스케이스와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 그리고 복수 단말간 동기화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이 문서는 2012년에 표준개발

작업이 착수되어 아직 표준화 초기 단계에 있으며, 2014년경에 표준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36].

[그림 62] IPTV 단말간 관계

[그림 63] 상위 수준의 IPTV 단말간 상호동작 개념

[그림 6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IPTV 단말은 홈 네트워크상에서 접속되어 있거나, 트랜스포트 네트

워크를 통해 다른 홈 네트워크상의 IPTV 단말과 접속되는 형태가 되게 된다. 복수 IPTV 단말간 상호 연

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주요 기능들로는 단말간 연결설정, 단말 탐색 및 선택, 인증, 단말

능력 탐색, 콘텐츠 탐색 및 선택, 서비스 상호연동 등이 있다.

IPTV N-스크린 서비스 유스케이스 : 복수 IPTV 단말들이 상호 연동되어 제공되는 인터랙티브 서비스

들의 대표적인 유스케이스로 복수 단말간 EPG(전자프로그램가이드) 공유, 복수 단말간 원격 제어, 복수

단말간 미디어 스트림 공유 및 제어, 엑스트라 콘텐츠의 사용 등이 있다. 복수 IPTV 단말간 EPG(전자프

로그램가이드) 공유 유스케이스는 [그림 64]과 같이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IPTV 단말 들이

프로그램 가이드를 공유하여 각 IPTV 단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북마크

기능 등을 이용해 친구에게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여 다른 단말에서 이를 플레이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응용 유스케이스 등이 가능하다.

[그림 64] 복수 IPTV 단말간 EPG와 미디어 콘텐츠 공유

복수 IPTV 단말간 원격 제어 유스케이스는 [그림 65]와 같이 원격으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

는 제어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패드 등의 다른 스마트 기기가

실행하고, 이용자는 대형 TV 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시청하는 유스케이스이다.

- 53 -

[그림 65] 복수 IPTV 단말간 원격 제어

복수 IPTV 단말간 미디어 파일이나 미디어 스트림을 공유하는 유스케이스는 [그림 6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다른 친구의 집을 방문하여 자신의 스마트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IPTV 단말을 통해 플레이 할 수 있게 하는 사례이다. 또한 이용자는 [그림 6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

단말에서 미디어 콘텐츠 플레이를 정지시키고, 다른 단말에서는 이를 재개시키는 스트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유스케이스도 실제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림 66] 복수 IPTV 단말간 미디어 공유 [그림 67] 다른 IPTV 단말에서 미디어 스트림 제어

또한 IPTV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주 콘텐츠 내용에 다른 부가 콘텐츠 또는 응용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엑스트라 콘텐츠를 복수 IPTV 단말을 이용하여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엑스트

라 콘텐츠는 [그림 68]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용자가 엑스트라 콘텐츠가 연결되어 있는 주 콘텐

츠를 플레이 시킬 때만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콘텐츠를 상호연계 콘텐츠

(Coupled content)라고 부른다. 이러한 유스케이스에서 이용자는 TV 스크린을 이용하여 특정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다른 IPTV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등의 부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그림 68] 복수 IPTV 단말에서 상호연계 콘텐츠 이용

ITU-T SG13 산하 Question 24 (서비스 시나리오, 전개모델, 전환 이슈)에서는 유뮤선융합(FMC) 환경

에서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표준문서(Y.nscreen-sc: N-Screen service scenarios over

FMC)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제안으로 과제가 채택되어 개발 중에 있다. Y.nscreen-sc 문서는 유무

선 융합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일반 사항, 서비스 시나리

오 모델, 그리고 유스케이스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사실상 유무선 융합 환경뿐 아니라 어떤 네트

워크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Y.nscreen-sc 문서는 아직 초기 단계로 추가적인 표준개발 작업이

요구되며, 2013년 중에 표준화 작업이 완료되어 승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ITU-T SG13 Q24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제안으로 모바일 IPTV 서비스 유스케이스와 서비스 시

나리오를 기술하는 문서 개발을 추진하여 지난 2012년 6월에 IPTV에 대한 표준 문서 들인 Y.1900-시

리즈 권고에 대한 부속서 문서인 ITU-T Supplement 20 문서로 최종 승인되었다. 이 문서에는 이용자

가 TV, PC, 스마트폰으로 이동해가면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동성을

- 54 -

제공하는 N-스크린 서비스 유스케이스에 대해 세부 동작 시나리오를 기술하고 있으며, N-스크린 서비

스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는 다양한 유스케이스와 시나리오를 기술하고 있다.

복수 단말상에서 IPTV 서비스 제공 가이드 : ITU-T SG16에서는 복수의 단말 상에서 IPTV 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한 구현 가이드라인을 기술하는 HSTP.IPTV-SMTD: “IPTV service over multiple terminal

devices” 문서를 개발 중에 있다. H.IPTV-SMTD 문서는 ITU-T Y.1910 (IPTV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접속되는 복수의 단말 들이 하나의 서비스 플랫폼 환경에서 IPTV 콘텐츠를 엑세스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조와 구현을 위한 세부 지침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 ITU-T는 IPTV-GSI를 통해 많은 IPTV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문서 들을 개발해 왔으며, 이

문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IPTV 관련 표준문서 들에 정의되어 있는 세부 기능 들을 이용하여 이용자 들

이 서로 다른 단말들을 통해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사업자로부터 IPTV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세부 지침을 기술하고 있으며, 아직은 표준개발 초기단계로 2013년 중에 문서 개발

작업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문서에서는 먼저 대표적인 IPTV 서비스 유형 들인 분산 콘텐츠 서비스, 인터랙티브 서비스, 통신 서

비스, 그리고 연계 서비스 들이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이용하고자 할 때의 기본 개념을 기술하고 있

다. 특히, 연계 서비스란 이용하고자 하는 콘텐츠간에 상호 연관관계가 있는 유형으로 주 콘텐츠를 TV

화면으로 보면서 해당 주 콘텐츠와 연결되어 있는 부 콘텐츠를 이동기기 등과 같은 다른 단말의 스크린

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는 유스케이스 등이 있다. 또한, 이 문서는 IPTV 서비스 제공 환경에서 N-스크

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요구사항 들과 세부 기능 요구사항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IPTV 환경에서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현구조 사례는 현재 [그림 69]과 같이 기술되어 있

다. 단말측에는 N-스크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 기능이 탑재되고, 홈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

워크 기능부에는 이동성 지원을 위한 세션모빌리티 기능이 탑재된다. 또한, 서비스제공사업자의 서버의

응용서비스 제어부에는 단말의 상황에 적합하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적응 기능이 요구

되고, 서비스 제어부에는 세션 모빌리티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이용자에게 제공할 콘텐츠 준비부에는

단말 특성에 따라 적합한 포맷의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제공하는 기능이 필요하고, 실시간으로 콘텐츠

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부에는 전송 단계에서 이용자 또는 단말 요구에 따라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변

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정합기능이 요구된다.

[그림 69] IPTV 환경의 N-스크린 서비스 구현 구조

IPTV-SMTD 문서에는 이러한 서비스 제공구조에 따라 요구되는 세부 기술들과 서비스 제공 흐름도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의 단말에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 중 하나는 콘텐츠 적응 기술로, 단말 상황이나 단말이 접속되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으로 그리고 오프라인

방식으로 콘텐츠를 정합시키는 기술 들과, 실제 콘텐츠 정합 기능이 동작하는 전체 서비스 제공 흐름도

를 기술한다. 또 다른 중요한 기능으로 서로 다른 단말간에 상호연동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끊김 없는 콘텐츠 엑세스를 위해 요구되는 세션 이동성 기술과 이를 통한 세션 전환 및

콘텐츠 전송 개념과 서비스 흐름도, 그리고 구현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이 문서에서는 또한 IPTV 서비

스에서 N-스크린 서비스를 지원하는 유스케이스와 프로그램가이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이

슈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문서는 아직 표준화 초기 단계에 있으며, 2013년중에 표준 개발이 완

- 55 -

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복수 IPTV 단말간에 콘텐츠 공유 및 응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는

다음 [그림 70]와 같다. 그리고, IPTV 서비스에서 콘텐츠 정합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 흐름

도는 [그림 71]과 같다. 또한, IPTV 단말간에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는 [그림 72]과 같이 표

시할 수 있다.

[그림 70] 복수 단말간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절차

[그림 71] IPTV 서비스에서 콘텐츠 정합 기능 서비스 흐름도

[그림 72] IPTV 단말간 원격 제어 서비스 흐름도

또한, 복수의 IPTV 단말간 콘텐츠 공유 및 제어와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서

비스의 품질 제고를 위해서는 미디어 동기화 메커니즘이 제공되어야 한다. 즉, 오디오/비디오 패켓 손실

과 네트워크 지연으로 인한 지터 발생 등에 대응하여 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공

하기 위해 복수의 IPTV 단말로 전송되는 미디어 스트림 간에 동기화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이러한 동기

화는 오디오와 비디오간 동기화 이슈와 화면에 표시할 때의 동기화 이슈가 고려되어야 한다.

H.IPTV-TDES.5 문서에서는 [그림 73] 및 [그림 74]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기화 처리를 위한

서버와 각 IPTV 단말들이 동기화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모델을 정의하고 세부 방식을 논의 중에 있으

나 아직은 개념 설정 중이므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림 74]에서 동기화 처리가 필요한 각

IPTV 단말 들은 사전에 동기화 그룹에 조인되어 있어야 한다.

- 56 -

[그림 73] 동기화 시스템의 기본 구조

[그림 74] 동기화 흐름도 사례

결론 :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기기 들이 급속하게 보급되고 사용이 확대되면서 복

수의 기기 스크린을 넘나드는 N-스크린/멀티크스크린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실제 서비스 보급이 확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ITU-T SG16에서는 IPTV 서비스의 연장 선상에서 N-스크린/멀티스크린 서

비스에 대한 세부 기술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최대의 IPTV 서비스 사업자인 차이나텔레콤

과 장비 제조사인 ZTE가 적극적으로 표준 개발 작업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IPTV 서비

스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국제적인 표준개발 작업에의 참여가 매우 미흡한 실정

이므로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IPTV N-스크린 서비스 기술의 국제 표준 반영을 위해 적극적인 참여

및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IPTV N-스크린 서비스 관련하여 개발되고 있는 ITU-T의 표준 규격이

아직은 표준화 초기 단계이며, 세부 요소 기술들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므로 국내에서의 IPTV 서

비스 제공 경험과 유사 서비스 기술을 규격화하여 ITU-T SG에 제안한다면 관련 국제표준화 작업을 한

국이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므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국내에서는 전기통신 분야의 기술표준을 제정하고 있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 IPTV/N-스크린

Project Group이 구성되어 활동을 개시하였으며, MSS (Multi-Screen Service) 포럼에서는 N-스크린 관

련 기술규격을 개발하여 TTA에 제안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국내 N-스크린 서비스 기술에 대한 표

준화 작업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국내 표준화 작업 추진 결과를 국제표준에

반영시키기 위한 세부 추진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Scalable HEVC 표준 기술 동향

최근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네트워크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스트리밍 받는 장치

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콘텐츠 제공자들은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를 위하여 각 환경에 최

적화된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simulcast 라고 하는

데, 이 simulcast 방식은 동일 영상에 대해서 서로 다른 부호화 조건을 사용하여 다수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기 때문에, 콘텐츠 서버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은 각 단말기의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구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서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본격적으로 4K-UHD (3840×2160)와 8K-UHD (7680×4320) 급의 영상에

대한 취득 및 재생 장치들이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VGA (640×480)급부터 Full-HD (1920×1080)급 해

상도를 갖는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이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simulcast 방식으로는 다

수의 단말기에 대해서 효과적인 콘텐츠의 제공이 점점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다양한 멀티

미디어 재생 장치의 보급은 N-스크린 서비스를 확산시킬 것으로 예상하는데 기존의 simulcast 방식으

로는 N-스크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단

말기 성능이나 네트워크 상황, 또는 단말기의 해상도 등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영상 압축 방법

으로 스케일러블 영상 코딩 (Scalable Video Coding, SVC)이 있다. SVC는 시간적 (Temporal), 공간적

(Spatial), 그리고 화질적 (Quality or SNR) 계위성을 갖도록 영상을 단일의 비트스트림으로 압축하는 방

- 57 -

식이다. SVC를 이용하면 [그림 78]과 같이 단말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네트워크 대역폭

(Bandwidth) 등 가변적으로 변하는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이미 부호화 된 단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일부의 비트스트림만을 추출하여 해당 환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SVC 기술을 사용하여

영상을 압축하면 기존의 simulcast 방식이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imulcast 방식에 비해서 압축률도 높아서 콘텐츠 서버의 용량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SVC 기

술은 이미 MPEG-2와 H.264/AVC 등의 표준에 대한 확장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simulcast 방식의 장점으로 인하여 실제로 서비스에 응용된 사례는 많지 않았다. 2013년 1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이라는 차세대 동영상 압축 표준 기술이 제정되면서 HEVC를 표준화하

였던 JCT-VC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는 HEVC를 기반으로 SVC 표준 기술을 개

발하고 있다. HEVC 기반의 SVC 표준 기술인 Scalable HEVC (SHVC)는 최근의 멀티미디어 환경을 고

려할 때, 기존의 MPEG-2, H.264/AVC 기반의 SVC에 비해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75] SVC 응용 서비스 예

SVC의 스케일러빌리티 (Scalability): [그림 76]는 SVC의 시간적 (Temporal), 공간적 (Spatial), 그리고

화질 (Quality) 계층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76]에서 각 블록은 SVC를 통해 부호화되는 단일

비트스트림의 일부 데이터를 의미한다. SVC는 simulcast와 달리 영상을 압축한 후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는 단일의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데, 해당 비트스트림은 [그림 76]와 같이 지원하는

스케일러빌리티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그림 76]에서 A의

비트스트림만을 전송하면 데이터를 전송 받은 단말장치에서는 SD급 해상도, 7.5fps, 일반 화질의

비디오를 복호화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B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더 전송 받은 경우에는

HD급 해상도의 비디오를 복호화 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C, D를 더 전송 받게 되는 경우 HD

급의 해상도 영상에 대해서 30fps까지 프레임 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E, F를 더 전송 받게 되면 HD

해상도, 30fps에서 고화질의 비디오를 복호화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76] SVC의 스케일러블 구조에 대한 개념도

시간적 (Temporal) 스케일러빌리티

SVC는 단일의 비트스트림으로 재생하려는 영상의 fps를 조절할 수 있는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

하며, 이를 위해서 [그림 77]과 같은 hierarchical-B 참조 구조를 사용한다. [그림 77]은 HEVC에서 사

용하는 hierarchical-B 참조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임의의 프레임을 기준으

로 하위에 위치한 프레임은 참조할 수 있으며, 상위에 위치한 프레임들은 참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1 프레임들은 하위에 위치한 B0, I, P 프레임들을 참조할 수 있지만, B2 프레임은 참조하지 않는다.

디코더 관점에서 다시 살펴보면, B1 프레임을 복호화 하는 데 B2 프레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비트스트림을 버려도 복호화 하는 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계층적 참조 구조를 이용

- 58 -

하면 영상의 프레임율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영상의 프레임율이 60fps인 경우,

단말기에서 B2 프레임들을 제외한 나머지 비트스트림만 추출하여 복호화하면 30fps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I,P, B0 프레임만 복호화하여 사용하면 15fps의 영상 재생이 가능하다.

[그림 77] HEVC의 hierarchical-B 참조 구조

공간적 (Spatial) 스케일러빌리티

SVC는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

한다. [그림 78]는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의 예이다.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영상

들은 SVC 부호화기를 통해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만들어진다.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단말기가 지원하

는 해상도에 맞게 필요한 비트스트림을 추출하여 복호화 하고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78]와

같이 세 가지 해상도의 영상을 SVC를 이용해 부호화하여 전송할 때, 노트북에서는 기본 계층과 향상

계층 1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만 있으면 노트북에서 지원하는 해상도 (1280×720)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기본 계층의 비트스트림만 추출하여 복호화하면 스마트폰 해상도

에 맞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SVC는 해상도가 서로 다른 각 계층의 비디오를 코딩 할 때 서로 독립

적으로 부호화하는 simulcast와 달리, 부호화하려는 계층의 하위 계층 정보를 참조하여 부호화하기 때

문에 압축 효율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림 78]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 응용 서비스의 예

화질적 (SNR or Quality) 스케일러빌리티

SVC는 단일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서로 다른 화질을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화질적 스케일러빌리

티를 지원한다. 이러한 화질적 스케일러빌러티를 사용하면 부호화된 단일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네트

워크 상황에 맞춰 제공하는 콘텐츠의 화질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고화질의 스포츠 중계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지하로 이동할 경우 네트워크 수신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고화질의 영상을 계속 전송하게 될 경우, 즉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단말기에서

는 데이터 수신이 원활하지 않아 영상을 제대로 재생할 수 없다. 하지만 화질적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상황이 변함에 따라 영상이 끊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하

다가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적은 용량, 낮은 화질에 대한 비트스트림만 전송하면

단말기에서는 화질은 떨어지지만 끊기지 않는 영상을 받아볼 수 있다. [그림 79]는 두 가지 화질을 제

공하는 SVC의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의 부호화 및 응용 서비스의 예를 보여준다. 화질적 스케일러빌리

티는 동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다른 화질로 부호화 하는 것이므로 모든 계층의 입력 영상 해상도는 동일

하다. 부호화하는 영상의 화질은 QP (Quantization Parameter) 값을 이용해 조절할 수 있으며, QP 값

이 높을수록 낮은 화질로 부호화된다. 부호화 된 비트스트림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Wi-Fi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화질 영상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

고,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폭을 갖는 3GS를 사용 중인 경우 기본 화질 (저화질)의 비트스트림만 보내줄

- 59 -

수 있다.

[그림 79] 화질적 스케일러비티 부호화 및 응용 서비스의 예

SHVC 표준화 동향

HEVC 표준이 완료되어감에 따라, 2012년 7월 JCT-VC 10차 회의에서 HEVC 기반 스케일러블 부호화

확장 표준을 위한 Final Call for Proposal이 발행되었다. 2013년 1월 JCTVC 11차 회의에서는 HEVC

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FDIS)를 발행하였으며, HEVC 확장 표준인 SHVC의 test model 경쟁

이 이루어졌다. 삼성, Vidyo, Nokia 등 여러 기관에서 SHVC test model 경쟁에 참여하였으며, 표준화

회의에서는 각각의 모델에 대한 전체적인 성능 비교를 하였다. 하지만 모델 별로 사용한 부호화 기술들

이 매우 다양해서 정확한 성능 평가를 하기엔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계층 간 텍스처 예측

기술만 포함하여 SHVC 소프트웨어 초기 모델을 결정하였고, test model로 제안되었던 스케일러블 코덱

의 부호화 기술 및 성능 평가를 위해 툴 테스트 (Tool Experiments,TE)를 진행하였다. 이 중 주요 기술

들을 바탕으로 현재 SHVC 표준화 회의에서는 SCE (Scalable Core Experiments)를 진행중이며, SCE

관련 기술에 대해서는 5장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SHVC 소프트웨어 초기 모델은 TextureRL과

RefIdx 방식을 모두 지원하였다. TextureRL은 현재 코딩중인 향상 계층의 블록에 대해서 계층 간 예측

시 필요한 참조 계층의 블록을 가져오는 방식이고, RefIdx는 어느 한 시점에서 향상 계층 픽쳐를 코딩

할 때, 시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참조 계층의 픽쳐를 향상 계층의 참조 리스트에 저장하여 계층

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SHVC 표준화 회의에서는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

기 위한 회의가 진행되었으며, JCT-VC 13 차 회의에서 RefIdx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현재

SHVC 참조 소프트웨어 (SHM)는 2.1 버전까지 릴리즈 되었으며, 이는 HEVC 소프트웨어인 HM-10.1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SHVC는 여러 계층의 영상을 코딩 할 뿐만 아니라 향상 계층의 부호화 성능을 증

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툴들이 추가되기 때문에 HEVC 대비 부․복호화기의 복잡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SHVC 표준화 회의에서는 기고되는 기술들에 대해 복잡도, 연산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세세하게 검토

하여 기술의 채택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표준화 회의에서는 SHVC의 SCE 관련 기술 및

부호화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과 더불어 툴의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기고되고 있으며,

2014년 6월에 최종적으로 SHVC 표준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SHVC 부․복호화기 구조

계층은 크게 기본 계층 (Base layer)과 향상 계층 (Enhancement layers)로 나눌 수 있으며, 향상 계층

은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최상위 계층을 제외한 하위 계층들 (기본 계층 포함)은 모두 최상위 계층

으로부터 공간적 또는 화질적 으로 다운 스케일 된 영상들이다. 기본 계층은 단일 시점 디스플레이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추가적인 툴 없이 HEVC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호화 되는 계층을 의미한다. 향상 계층

부호화기는 HEVC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하위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기술인 계층 간 예

측 툴 (Inter-layer prediction tool)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향상 계층의 부호화를 위해 참조 되는 하위

계층을 참조 계층이라 부르기도 한다. 향상 계층은 계층 간 예측 툴을 사용하기 때문에 하위 계층과의

의존성(dependency)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상 계층을 부․복호화 하기 전에, 먼저 해당 계층의 하위 계

층들을 모두 부․복호화 해야 한다. 계층 간 예측 툴에는 크게 하위 계층의 텍스처를 참조하는 기술과 움

직임 정보를 참조하는 기술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RefIdx 방식

을 사용하고 있는 SHVC는 참조 계층의 영상을 향상 계층의 참조 리스트에 저장하여 향상 계층에서 참

조 계층을 이용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향상 계층은 참조 리스트에 추가된 참조 계층의

영상으로부터 텍스처 및 움직임 정보 등을 참조하여 부호화 될 수 있다. 현재 SHVC에서 참조 계층은

향상 계층 참조 리스트의 맨 끝에 위치하게 되며, 이는 [그림 8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현재 코딩 중인

향상 계층 프레임이 E2이고 E2가 참조하는 프레임은 E0, E4, E8이라고 가정하면, E0는 참조 리스트

- 60 -

L0에, E4와 E8은 참조 리스트 L1에 들어가게 된다. E2와 시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참조 계

층 프레임인 B2는 향상 계층의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참조 리스트 구성이 끝난 후, 두 참조 리스트 L0,

L1의 맨 뒤에 위치하게 된다.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의 경우, 향상 계층과 참조 계층의 해상도가 다르

기 때문에 참조 계층 픽쳐를 향상 계층 해상도에 맞게 업 샘플링 한 후에 참조 리스트에 추가한다.

[그림 80] SHVC 부호화기 구조도

[그림 81] 4D 아키텍쳐

<SHVC 부호화 기술>

¡ 계층 간 예측 (Inter-layer prediction)

l 계층 간 텍스처 예측 (Inter-layer texture prediction)

스케일러블 영상 부호화에서 향상 계층 부호화 시, 시간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존재하는 하위 계층의 텍

스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계층 간 텍스처 예측이라고 한다. 현재 SHVC에서는 코딩 중

인 향상 계층 블록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참조 계층의 블록을 예측 블록으로 사용하고 있다. 참조

계층의 픽쳐는 향상 계층의 참조 리스트에 저장된 후에 계층 간 텍스처 예측에 사용된다. 공간적 스케

일러빌리티의 경우에는 계층마다 해상도가 다르기 때문에, 참조 계층의 텍스처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향상 계층의 해상도에 맞게 업 샘플링한 후 사용한다. 예를 들어, 2배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의 경우

향상 계층과 참조 계층의 해상도는 가로, 세로 각각 2배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참조 계층의 텍스처를

가로, 세로 2배 업 샘플링 한 후에 향상 계층의 참조 리스트에 저장한다. 텍스처 업 샘플링은 DCT기반

보간 (interpolation) 필터를 사용하고 있으다. 현재는 2배와 1.5배에 대한 필터 계수만 정의되어있으며,

추후 표준화 회의에서 다양한 배율 (arbitrary ratio)에 대한 필터 계수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82]은 공간적 케일러빌리티에서의 계층 간 텍스처 예측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향상 계층의 해

상도가 1920×1080이고 참조 계층의 해상도가 960×540인 경우, 참조 계층은 우선 향상 계층의 해상도

에 맞게 업 샘플링 된다. 향상 계층의 코딩 중인 현재 블록에 대하여, 업 샘플링 된 참조 계층 내의 동

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이 예측 블록으로 사용된다. 계층 간 텍스처 예측을 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동일한 위치의 참조 계층 블록을 예측 블록으로 사용하지 않고, 움직임 예측(motion estimation)을 수행

하여 참조 계층 내에서 최적의 블록을 찾을 수도 있으나, 현재 SHVC 소프트웨어에서는 동일한 위치의

- 61 -

블록만 사용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림 82]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에서 계층 간 텍스처 예측의 예

l 계층 간 움직임 예측 (Inter-layer motion prediction)

계층 간 움직임 예측은 하위 계층과의 움직임 정보가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이용해 참조 계층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향상 계층을 부호화하는 기술이다. HEVC 부호화기는 어떠한 블록에 대한 움직

임 정보를 전송할 때, 부호화 비트를 줄이기 위하여 값을 전송하지 않고 후보로 선택된 주변 블록의 움

직임 정보를 그대로 사용 (merge mode)하거나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와의 차이를 전송 (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AMVP)한다. 최적의 주변 블록을 결정하기 전에 [그림 83]와 같이 후보로

사용할 블록들을 탐색하며, 후보로 선택할 수 있는 총 블록의 개수는 5개이다. 현재 블록에 인접해있는

블록 중 4개를 spatial candidates로, 다른 시간에 위치한 프레임 내에 동일한 위치에 있는 블록 중 하

나를 temporal candidate로 선택한다. [그림 83]에서 AL (Above Left), A (Above), AR (Above Right),

L (Left), BL (Below Left) 블록은 현재 블록에 인접해 있는 블록들이며 T는 동일한 계층에서 시간적으

로 다른 프레임에 위치한 블록이다. SHVC에서는 하위 계층 내의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 (C)의

움직임 정보 또한 temporal candidate로 사용될 수 있으며, T와 비교하여 예측 성능이 좋은 움직임 정

보가 최종 temporal candidate로 쓰이게 된다. 공간적 스케일러 빌리티에서는 계층 간 텍스처 예측과

동일하게, 계층 간 해상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움직임 벡터 (Motion Vector, MV)를 업 스케일

(Up-scale) 한 후에 사용한다.

[그림 83] SHVC에서의 Merge 및 AMVP 후보

SHVC Core Experiments (SCE)

2013년 7월에 열린 JCT-VC 14차 회의에서는 SCE를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기술들의 성능을 검

토하였다. 본 절에서는 각각의 SCE 카테고리에 대한 설명과 세부 기술 및 성능에 대해 알아보고,

JCT-VC 15차 회의에서 진행 할 SCE 항목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SCE 1: Support for additional resampling phase shifts

SCE 1은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에서 참조 계층을 업 샘플링 할 때, 다운 샘플러의 phase shifts를 고

려한 업 샘플러를 테스트 하기 위한 SCE이다. 현재 SHVC 표준화에서 실험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다운

샘플링 된 영상들은 [그림 84]과 같이 다운 샘플링 (zero-phase) 되며, SHVC에서 사용하고 있는 업샘

플링 필터 계수는 이와 같은 다운 샘플링 된 영상에 대해서만 고려되어 있다. 다운 샘플러는 SHVC 표

준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만약 다운 샘플링이 [그림 84]과 같이 되어있지 않으면 참조 계층의 텍스

처를 업 샘플링 해야 하는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에서 부호화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운 샘플러의 phase shift를 고려한 업 샘플러를 사용해야 하며, SCE 1에서는 최

- 62 -

적의 업 샘플러를 선정하기 위해 다양한 업 샘플링 필터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림 85]은

SCE 1과 관련된 기술들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한 다운 샘플러의 phase shift를 나타낸 것이다. 다운

샘플러의 phase를 고려한 업 샘플러의 성능을 살펴보면, Qualcomm에서 제안한 고정된 필터 계수를

사용하는 업 샘플러를 사용했을 때 SHM2.0 인코더 대비 BD-rate 성능이 약 6.7% 향상되었다.

[그림 84] 휘도 성부에 대한 다운 샘플링

[그림 85] SCE1 테스트를 위한 다운 샘플링 방법

SCE 2: Combination of inter-layer syntax prediction and motion data compensation

앞서 계층 간 예측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위 계층의 움직임 정보와 같은 신택스 (syntax)를 참조하는

기술을 통틀어서 계층 간 신택스 예측 (inter-layer syntax prediction)이라고 한다. SCE 2에서는 하위

계층의 신택스 정보 중 하나인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 테스트를 한다. HEVC 표준은 현재

프레임에 대한 코딩이 끝나면 프레임 내의 모든 움직임 정보를 16×16 단위로 저장한다. 8×8 또는

8×4 등의 작은 블록 단위로 예측을 수행하였더라도 움직임 정보는 16×16으로 압축 (compression) 되

어 저장된다. SHVC에서 향상 계층 부호화는 하위계층 부호화가 끝난 후에 진행되기 때문에 향상 계층

에서 참조하는 하위 계층의 모든 움직임 정보는 16×16 단위로 압축된 형태이다. 따라서 계층 간 움직

임 예측 시 움직임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SCE 2에서는 계층 간 움직임 예측과 하위 계층

의 움직임 정보 저장 방법에 대한 성능을 분석해본다. SCE 2에 대해서는 Canon, Sony 등의 회사에서

기술을 제안하였다. Canon은 하위 계층의 움직임 정보가 압축되는 정도에 따라 향상 계층 블록과의 대

응되는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최대 0.15%의 BD-rate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SHVC 표준

에 채택되었다. Sony는 하위 계층의 움직임 정보를 압축하는 것을 두 단계로 나누는 방법을 제안하였

다. SHVC 부호화기는 시간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있는 모든 계층의 프레임들을 부호화 한 후에 다음 시

점에 대한 부호화를 진행한다. 즉, 하위 계층의 n번째 프레임을 코딩하고 향상 계층의 n번째 프레임을

코딩 한 후에 하위 계층의 n+1번째 프레임을 코딩 한다. 하위 계층의 n번째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

는 향상 계층의 n번째 프레임을 모두 부호화 한 후에 압축하여도 되기 때문에 향상 계층에서는 압축되

지 않은 하위 계층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Sony에서는 하위 계층 코

딩이 끝나면 움직임 정보를 16×16으로 압축하지 않고 8×8 단위로 압축을 하여 이를 향상 계층에서 참

- 63 -

조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향상 계층 프레임 코딩이 끝나면 하위 계층의 움직임 정보는 16×16으로 압

축된다. 이 기술은 BD-rate 성능을 최대 0.44% 향상시킬 수 있지만 추가적인 메모리가 요구된다는 단

점이 있다.

SCE 3: Inter-layer filtering

SCE 3는 계층 간 필터링 (inter-layer filtering) 관련 기술로, 참조 계층 픽쳐를 향상시키기 위해 취해지

는 필터들을 테스트 한다. 필터는 참조 계층을 향상 계층의 참조 리스트에 넣기 전에 적용되며,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의 경우 참조 계층을 향상 계층 해상도로 업 샘플링 한 후에 계층 간 필터링을 적용한

다. 계층 간 필터링의 종류에는 픽쳐 또는 블록 단위의 적응적 루프 필터 (adaptive loop-filter), 샤프닝

필터 (sharpening filter), 휘도 샘플을 이용한 색차 성분 필터 (chroma filter) 등이 있다. 휘도 성분에

대한 필터의 성능을 보면 대부분은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에서 성능이 높게 나타난다. 공간적 스케일러

빌리티에서는 0.1 ~ 0.5% 정도의 BD-rate 성능 향상이 있지만,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에서는 1.5 ~

2.0% 정도 부호화 성능이 향상된다. 삼성에서 제안한 색차 성분 필터의 경우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에

서는 8%,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에서는 6% 정도의 BD-rate 성능 향상을 보였다. JCT-VC 14 차회의

에서 SCE 3과 관련하여 채택된 기술은 없으며, 다음 회의에서 inter-layer filtering에 대한 SCE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JCT-VC 15차 회의를 위한 SCE

JCT-VC 14차 회의가 마무리되면서 다음 회의에서 논의할 SCE 주제를 결정하였다. SCE는 14차 회의

와 마찬가지로 총 3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졌으며, SCE 1과 SCE 2는 새로운 주제로 바뀌었고 SCE 3

는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SCE 항목 및 요약 내용은 <표 3>과 같으며, 각각의 SCE에 대한

세부적인 기술은 JCT-VC 문서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표 3.SCE 요약

No. Category Summary

1Arbitrary scalability ratio

support

2배, 1.5배 외에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

에 대한 다운 샘플링 및 업 샘플링

2Key pictures and single-loop

decoding

단일-루프 (single-loop) 구조 및 key picture

concept에 대한 scheme

3 Inter-layer filtering계층 간 텍스처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필터링

기술

Machine to Machine 기반의 N Screen 서비스 기술

UPnP (Universal Plug & Play) Forum /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UPnP Forum은 Networking을 통한 연동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 다양한 제조업체의 Device 간의 다

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90년대 후반부터 그 활동을 시작하였고, 현재는 제조업체, 칩셋업체, 소프

트웨어솔루션업체, 서비스공급업체 등의 IT분야의 Major 업체들이 대부분 참여하여 약 1000개 이상의

멤버가 활동 중에 있다. 본 Forum에서는 기기 간의 연동을 위한 Framework인 UPnP Device

Architecture 및 세부적인 서비스 규격인 UPnP Device Control Protocol을 [그림 89]와 같이 정의하고,

해당 규격을 지원하는 기기의 테스트 및 인증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UPnP Device Architecture 규

격에서는 우선 연동 기기를 Device(제어 대상 기기)와 Control Point(제어 기기)로 분류한다. Device와

Control Point는 어느 기기에나 적용될 수 있는 기기의 역할에 따른 구분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UPnP

기기 간의 Communication은 Device와 Control Point 간에만 발생할 수 있다. Device간 혹은 Control

Point간의 Communication은 지원되지 않으나, 모든 기기는 중복된 역할(즉, Device이면서 Control

Point)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Device/Control Point의 구분은 역할을 제약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다양

한 시나리오로의 유연한 확장을 위한 가장 Simple한 논리적 구분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기기의 분

류를 기반으로 UPnP Device Architecture 규격에서는 Device와 Control Point의 Addressing 및 Device

와 Control Point간의 Discovery, Description, Control 및 Eventing 등의 Mechanism을 정의한다.

- 64 -

[그림 86] UPnP 표준 규격 제정 현황

UPnP 기기는 우선 Address를 할당받을 필요가 있으며 이는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RFC2131)혹은 Auto-IP (RFC 3927)를 통해 보장된다. IP Address가 할당된 UPnP 기기 간의

Discovery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RFC2616 Section4)로 정의되어있다. UPnP

Forum에서 일반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Home Network 환경에서는 얼마나 많은 개수의 기기가 Network

에 연결되어있는지, Network에 연결된 기기의 Address가 무엇인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UPnP Device

Architecture는 Multicast 방식을 통해서 불특정 다수의 기기 간의 Discovery를 지원한다.

[그림 87] UPnP Discovery Mechanism: Advertisement & Search

또한 [그림 87]과 같이 Home Network환경에서는 기기가 수시로 Connected /Disconnected 될 수 있

으므로, UPnP Device Architecture는 Advertisement와 Search의 두 가지 Mechanism으로 Discovery를

정의하여 불필요하게 반복적인 메시지 교환을 하지 않고도 기기간의 Discovery를 가능하도록 한다.

Discovery 과정 이후 Control Point는 Device의 Device Description 및 Service Description 문서를 수

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특정 Device가 어떤 역할을 하는 기기이고 어떤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파악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의 수집 이후 Control Point를 통한 Device의 제어

및 상태확인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림 88] General UPnP Interaction Model

[그림 88]와 같이 Control Point는 XML로 표현된 SOAP Action을 Device에게 전달하여 Device를 제어

하기도하고, 그 응답 메세지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vice의 상태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 65 -

위해서 UPnP Device Architecture는 GENA (General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를 채용하여,

Device의 상태가 변경되면 Control Point의 SOAP Action없이도 Device가 Control Point에게 능동적으

로 상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그림 89]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이고 부가적인 규격이 필요하고 따라서 각각의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을 위한 Action 및 Variable

은 UPnP Device Control Protocol로서 정의되어 있다. Multi-Screen에 적용될 수 있는 Content

Sharing 관련 Device Control Protocol은 UPnP A/V Working Committee에서 정의하고 있다. A/V

Working Committee에서는 Device를 Media Server와 Media Renderer로 분류하고 컨텐츠 관리 및

Server 제어 (Content Directory Service), 세션 관리 (Connection Manager Service), 스트리밍 제어

(AV Transport Service) 및 Renderer 제어 (Rendering Control Service)를 정의하고 있다.

[그림 89]UPnP Eventing Mechanism

UPnP AV표준기술은 서로다른 제조업체의 기기 간 Content Shar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rchitecture와 Control Protocol을 제공하면서, 그 하위 계층 기술 (PHY/MAC, Transport) 및 상위 계

층 기술 (Media Format, Link Protection)에 대해서는 제조업체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약을

두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해당 계층 기술에 대한 제약이 필요하고 이러한

제약사항은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 규격화하고 있다. DLNA에서는 PHY/MAC 표준

기술로 Ethernet, Wi-Fi, MoCA, Bluetooth를 채택하고 있고, Device Discovery & Control 표준기술로

는 UPnP Device Architecture, Media Management 표준기술로는 UPnP AV Device Control Protocol,

Transport 표준기술로는 HTTP, RTP, Media Format 표준기술로는 MPEG2, MPEG4, AVC/H.264,

LPCM, MP3, AAC LC, JPEG 등을 채택하고 있으며, Link Protection 표준기술로는 DTCP-IP와

WMDRM-ND를 채택하고 있다. 최근 생산된 대부분의 PC, 스마트폰, 스마트TV 및 DVD/Blu-ray Player,

Game Console, Photo Frame, NAS (Network Attached Server)는 이미 UPnP/DLNA 기술이 구현되어

있으며, 그 수량은2012년 현재 3억대 이상으로 조사된 바있다 (ABI Research).

DIAL(Discovery And Launch) 과 AllJoyn 그리고 AllSeen

DIAL (Discovery And Launch) 기술은 Netflix 가 2nd 스크린 기기(스마트폰)에서 1st 스크린 (스마트

TV) 기기를 찾아서 App을 실행시키기 위해 개발된 개방형 기술로써 무료 라이선스로 배포되고 있으며,

LG, 삼성 등의 가전 업체 및 Youtube, Hulu, BBC 등의 콘텐트 제공 업체들에서 지원하고 있다. UPnP

기술이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UPnP 기기간에 저장된 콘텐트를 이용하는 것이라고 하면, DIAL기술

은 인터넷 상의 콘텐트를 DIAL을 지원하는 기기간에 App을 통해 이용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림 90] DIAL을 이용한 N 스크린 연동 방안

- 66 -

[그림 90]는 DIAL을 이용한 N 스크린 연동 방안으로 스마트폰에서 검색된 Youtube 콘텐트를 TV에서

이용하기 위한 시나리오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2차 스크린인 스마트폰에서 Youtube 상의 콘텐트

를 검색한 후에 1차 스크린 기기의 Youtube App을 DIAL을 통해 실행시키고 검색된 콘텐트 정보를 제

공해 준다. 그러면 1차 스크린 기기가 인터넷을 통해서 해당 콘텐트를 직접 play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DIAL은 2차 스크린에서 1차 스크린을 발견하는 과정과 1차 스크린의 App을 실행

시키고 콘텐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1차 스크린을 발견하는 과정은 UPnP와 동일

하며, SSDP를 사용하여 1차 스크린의 DIAL지원 여부를 알 수 있다. DIAL은 이를 위하여 새로운

ST(Service Type: urn:dial-multiscreen-org:service:dial:1)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발견된 1차 스크린의

App을 실행하는 방법은 UPnP에서 사용하는 제어 프로토콜인 SOAP을 사용하지 않고 REST API 기술을

사용하며, 이를 위해서 Application-URL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Application-URL 정보를 활용해서

2차 스크린 기기는 1차 스크린 기기의 App을 제어(실행, 중지, 애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할 수 있다.

한편, AllJoyn은 가정 및 자동차의 근접 네트워크 환경에서 연결된 기기 및 S/W App 간의 상호 연동성

을 제공하기 위한 S/W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 이 기술은 퀄컴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그림 91]과 같이 기기 및 서비스(App) 발견, 네트워킹 관리 및 메시지 라우팅, 다양한 OS 및

네트워킹 지원, 기기 및 서비스간 연결성 제공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메시지 인증

및 암호화를 제공하여 안전하게 기기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S/W 개발자

가 네트워크 계층이나 OS 계층의 동작에 대하여 신경을 쓰지 않고도 다양한 기기간 연동 S/W를 개발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Linux, Windows, Android, OS X등을 지원하는 SDK들을 배포하고 있으며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임베디드 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AllJoyn Thin Client,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Audio SDK, 짧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Nofication SDK 등을 추가적으로 배포하고 있다.

[그림 91]AllJoyn 프레임 워크

[그림 92] AllJoyn의 메시지 교환 구조

[그림 92]은 AllJoyn의 핵심인 기기간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각 기기

(Smartphone & Linux Host)에는 독립된 Daemon (D) 이 존재하고 각각의 기기에 있는 Client (C) 들과

Service (S) 들과 이 Daemon과 연결되어 있으며 Daemon 간의 연결은 AllJoyn Bus라는 논리적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 내부에서 메시지를 주고받을 경우에는 Daemon이 기기 내부에서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기기 외부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경우에는 기기 내부의Daemon이 다른 기기

의 Daemon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다른 기기의 Client 및 Service에게 전달되고, 다른 기기로부터 받

는 메시지들도 이 Deamon을 통해서 받게 된다. 기기 발견 및 서비스 발견을 위해서 각 Daemon들은

다른 기기의 Daemon을 발견하고 기기 내부의 Client 및 Service 들의 정보를 다른 기기의 Daemon에

게 제공하여야 한다. AllJoyn은 기기 내부의 App간 통신을 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다.

DIAL과 AllJoyn은 쉽게 기기간 연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업체 주도적으로 개발된 기술로서, 다른

기기의 서비스를 간편하게 발견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 기술들은 UPnP/DLNA

- 67 -

에서 제공하는 콘텐트 관리, 서버 제어, 스트리밍 제어와 같은 기술들에 대해서는 정의하지 않고 있다.

아직까지는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하지 않지만, 단순하고 개발자가 접근

하기 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으며, 때로는 UPnP/DLNA와는 경쟁하면서 또는

공존을 통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2013년 12월 퀄컴은 AllJoyn 소스 코드를 리눅스 재단에 기증하였고 리눅스 재단과 함께

AllSeen Alliance를 결성하였다. 주요 참여 업체로는 시스코, 하이얼, LG전자, 파나소닉, 샤프 등이며 가

전기기와 자동차, 컴퓨터간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는데 역점

을 두고 있다.

Smart TV Alliance

LG전자와 TP Vision은 2013년 6월에 20일에 공식 Press Release를 내고 글로벌 Smart TV 시장을 선

호하기 위하여 Smart TV Alliance(http://www.smarttv-alliance.org)를 만들었고, 현재는 Toshiba,

Panasonic 과 같은 가전사들을 포함하여 VESTEL, XUMO, Qualcomm, IBM, Opera, Technisat,

ABox42, Dolby, IBM, OBIGO, FPT Software, Realtek, Warner Brothers등의 19개의 멤버사들로 구성

이 되어 있다. Smart TV Alliance 목표는 스마트TV App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이며 플랫폼 독립적인 서

비스를 만들 수 있는 통합된 ecosystem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확장된 UX(User Experience)를 제공

하는 것이다. 통합된 ecosystem 및 플랫폼 독립적인 환경은 개발자들에게 각 제조사들의 플랫폼에 따

른 불필요한 리소스의 낭비를 최소화 하고 하나의 개발 환경으로 통합된 테스트를 통하여 창조적인 애

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Smart TV Alliance의 모토인 “Build once, Run Everywhere”

에서도 이러한 강력한 의지를 알 수 있다. Smart TV Alliance의 핵심 기술은Open Standard인 W3C

HTML5 기술이며, 이는 제조사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이다. W3C HTML5

표준 기술외에도 WebAp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부가 기술들이 필요하다.

[그림 93] Smart TV Alliance Invitation to Join (May 2014)

[그림 94] Schedule (Smart TV Alliance Invitation to Join (May 2014))

WebApp에서 비디오 전송을 위한 Adaptive Streaming, DRM 기술, 코덱, 멀티스크린 등이 포함된다. 다

음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Smart TV Alliance의 표준화 일정으로 현재 Smart TV Alliance

Specification v2.5가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 되었으며, 이에 따르는 개발 환경인 Eclipse 기반의 SDK

- 68 -

도 곧 배포될 예정이다. 현재는 v3.0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중에 있으며, IFA2013에 발표될 예정이다.

멀티스크린은 산업계에서 많은 표준화가 진행이 되고 있으나, 실제로 사용하는 기술들을 채택하여 사용

된 통합 표준은 Smart TV Alliance가 처음일 것이다. Smart TV Alliance Technical Specification v2.5

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Multiscreen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DIAL과 W3C WebSocket을 포함하

고 있다. DIAL은 앞 장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Smart TV 제조사들이 Netflix와 Youtube 등과 같은 App

들을 Smart TV 에서 원격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채용하고 있는 기능으로, Smart TV Alliance에서는 이

를 이용하여 2nd 스크린에서 Smart TV용 WebApp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Smart TV에서 실행한

WebApp과 2nd 스크린 간의 App to App 통신은 W3C WebSocket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으며,

2nd 스크린의 모바일 App은 WebSocket Server를 내장하여 Smart TV가 2nd 스크린의 모바일 App에

WebSocket 접속하여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App to App 통신 프로토콜은 서비스 제공자

가 개발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 주기 위하여 WebApp 개발자들에게는 보다 손쉽게 확장된 Multiscreen

기능을 WebApp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AllJoyn (https://www.alljoyn.org/) 기술을 선택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AllJoyn은 Open Standard로 누구나 쉽게 Smart TV Alliance SDK 및 AllJoyn SDK를 다운받아 개

발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AllJoyn은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므로 원하는 플랫폼의 모바일 App을 구현

할 수 있다.

[그림 95] Smart TV Alliance Architecture v2.5

Wi-Fi Display (Miracast)

Home Network 환경에서 멀티 스크린을 구성하는 또 다른 기술로서 Wi-Fi통신망을 응용하는 Wi-Fi

Display 표준 기술이 있다. 이 표준 기술은 Wi-Fi Alliance 에서 제안하고 2012년 8월 v1.0 표준이 발

표되었으며, 최근 출시되고 있는 많은 모바일 장치(스마트폰 등)와 댁내 화상 장치(TV, 모니터 등)가 이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본 기술은 Phone이나 노트북 등의 화면과 음성을 TV나 모니터 등의 대화면 기

기로 실시간 전송하여 재생시키는 응용 계층의 전송 기술로서 기존 Wi-Fi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의되었으며, 표준 기술로서 WFD(Wi-Fi Display)라 명

칭하며 마케팅 용어로서 Miracast라고 부른다. Wi-Fi는 노트북, 넷북, 태블릿 및 스마트폰의 필수 기능

일뿐만 아니라, 이들 장치에서 발생되는 트래픽 전송 방안에 있어서도 가장 지배적인 기술이다. 미국

comScore에 따르면 태블릿 트래픽의 90% 이상이 Wi-Fi를 통해 전송되고 있으며, 이러한 트래픽은 대

부분 가정 내에서 발생되고 있다. 오늘날 가정은 특정한 사용 용도나 contents 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온갖 연결된 장치들이 범람하고 있는 최첨단 환경이다. 이러한 contents는 가정용 데스크탑 등의 중앙

화된 위치에 저장되어 있기 보다는 모바일 등의 다양한 장치에 걸쳐 분산화되어 있다. 가정 내에 여러

모바일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contents를 사용자가 제조사나 유형에 관계없이 대화면 장치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WFD 기술은 보다 편리한 사용성과 끊김없는 영상 재생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준화 차원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WFD 기술은 [그림 96]와 같이 WFD Source 장치와 WFD Sink 장치로 구분되며,

각각 영상 정보를 공유하려는 모바일 장치와 이를 화면에 표출하기 위한 화상 장치가 이에 해당 된다.

[그림 96] Wi-Fi Display 각 구성 장치와 동작 흐름

- 69 -

먼저 WFD Source 장치는 자신의 영상과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Sink 장치에 송신하여 영상 공유를

수행하며, 이때, Sink 장치에서는 마우스 등의 주변장치를 통하여 화면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주변장

치 이벤트는 WFD Sink 에서 정보화하여 WFD Source로 송신되며, WFD Source 장치는 이 정보를 기

반으로 자신의 화면정보를 제어한 후, 변경된 화면 정보를 WFD Sink로 다시 송신하는 동작을 통하여

WFD Source장치와 WFD Sink의 주변장치간 동기화를 수행한다. WFD Source로서의 모바일 장치는 자

신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그림 97]과 같이 실시간으로 각각 인코딩하고 이를 Wi-Fi 기술을 매체로

무선으로 전송하며, WFD Sink로서의 화상 장치에서는 수신된 인코딩 데이터를 디코딩 한 후, 이 정보

를 화면에 표출하여 실시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한다.

[그림 97] Source 및 Sink 장치의 기능 구성

[그림 98] Wi-Fi Display Architecture

이때, 데이터 전송 매체로서 사용되는 Wi-Fi 무선 통신기술은 기존의 다양한 Wi-Fi 기술을 모두 지원하

지는 않으며, 장치간 단대단 통신을 위한 Wi-Fi Direct 표준 기술과 AP 접속 기반의 TDLS (Tunneled

Direct Link Setup)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WFD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도식화하면 [그림 98]와 같다. Wi-Fi Display를 사용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Architecture는 크게

Interface를 담당하는 Wi-Fi Direct 및 TDLS, 상위 WFD 구동을 위한 TCP/IP, 마지막으로 영상 전송을

위한 RTSP 및 RTP 등의 응용계층 프로토콜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AP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동일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하여 Wi-Fi Connection에 WFD Source와 WFD Sink 장치가 모두 참가하며, 이

때 영상 데이터의 Low Latency를 위하여 WFD는 TDLS 방식을 통하여 수행된다. 또한, AP가 존재.

Wi-Fi Display 각 구성 장치와 동작 흐름 하지 않는 환경에서 두 기기 간 직접 영상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WFD는 Wi-Fi Direct 방식을 추가적으로 지원한다. WFD는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선택

적으로 이루어진 무선 접속을 기반으로, 상위 응용계층의 프로토콜 수행을 위한 IP설정을 TV 등의 WFD

Sink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이때, 만약 Wi-Fi Direct를 통하여 무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두 기기

간의 일대일 접속을 통하여 네트워크가 단발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WFD Source 장치는 접속된

WFD Sink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IP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SFD Sink

장치는 자신을 위한 임의의 IP 주소를 설정한 후,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임의의 IP 주소를 WFD Source 장치에게 할당해 준다.

WFD 관련 응용 프로토콜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로 구분된다. RTSP는 WFD Session을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 Pairing 관련

부분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며, WFD Source와 WFD Sink의 Capability Negotiation (지원되는 동영상

Format, 해상도, Codec 정보 등), Session Management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또한 WFD Sink에서의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발생된 사용자 제어정보는 RTSP의 Back-Channel 기능을 통하

- 70 -

여 WFD Source로 송신된 후 Source 장치에서 명령 처리가 수행된다. RTSP 설정이 완료된 후, WFD

Source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한 Streaming 데이터는 RTP를 통하여 실시간 전송된다. 이러한

RTP 프로토콜 관련 설정 정보는 RTSP 협상 절차에서 확정되며, RTP port 정보 등이 포함된다.

현재 Wi-Fi Display는 Wi-Fi Display 2.0 (인증 프로그램 명칭 Miracast2)의 이름으로 새로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한 화면에서 여러 장치들의 화면을 분할하여 표현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다중 채널 등이 신규 기능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Digitals Signage

[그림 99] 디지털 사이니지 구조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모델과 기술

‘n-Screen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클라우드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n-Screen을 통해 정보와 콘

텐트가 공유되고 표현되는 서비스로 정의하고자 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TV에 이르기까지 정보

소비를 위한 기기들이 확대되면서 n-Screen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어 이제는 n-Screen이 아닌 것을

구분해 내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Screen에 최적화된 서비스들은 존재하고

있다. 특히 n-Screen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형을 다음과 같이 6가지 패턴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위의 유형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식화가 필요하다.

표 4. 일반적인 n-Screen 서비스 제공 패턴

패턴명 설명 사례

Coherence

제품 및 서비스가 각 단말에 걸쳐서

일관되게 보이고 동작함 (단말 최적

화에 중점)

에버노트

Synchronization단말 사이에 항상 데이터 동기화

(sync)가 일어남아마존 킨들 (북마크 동기화)

Screen Sharing여러 단말이 협력하여 하나의 정보를

표현함Junkyard Jumbotron

Device Shifting사용자가 적극적으로 하나의 단말에

서 다른 단말로 콘텐트를 옮김애플 에어플레이

Complementarity단말간에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제공

아이패드 Scrabble board

(아이패드로 보드게임을 진

행, 플레이어 의 아이폰

에는 각자의 게임 진행 정

보 뜸)

Simultaneity 각 단말이 동시에 활용됨

TV방송 중 실시간 설문 (방

송 중인 축구 게임의

결과 맞추기)

위의 유형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식화가 필요하다. 위의 유형간의 중첩되고 모호한 영역이

있다고 판단하여 좀 더 단순화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유형화 시켜보겠다.

- 71 -

[그림 100] 단수화 시킨 n-Screen 서비스 패턴

위의 구분은 콘텐트가 스크린상에서 표현되는 목적에 따른 분류인데 이제 각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

자. 첫 번째 콘텐트 미러링(Contents Mirroring)은 동일한 콘텐트나 정보를 여러 스크린 단말 상에서 공

유하고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스마트폰을 통해 에버노트에 올린 사진, 글 등의 정보를 PC나

태블릿에서도 동일하게 볼 수 있는 이유는 동기화를 통한 미러링의 일종이다. 앞서의 여섯 가지 패턴을

기준으로 보면 Coherence, Synchronization, Device Shifting이모두 해당 범주에 들어온다. 두 번째 보

완재(Complements)는 서로 다른 콘텐트들이 스크린 단말 위에 올라온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호 보

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스크래블 보드 게임에서 게임 진행을 위해 공유되는 화면(아이패드)과 각 사

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아이폰)이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예가 되겠다. TV로 방송 중인 내용과 관

련된 설문이나 TV가이드 정보 등이 연동되는 것도 해당될 수 있다. 앞서의 여섯 가지 패턴 중에서는

Complementarity, Simultaneity가 이에 포함된다. 세 번째로 스크린 공유(Screen Sharing)의 경우는 하

나의 콘텐트를 각 스크린에 맞게 분할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멀리서 보면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콘텐트

지만 여러 스크린을 통해 분할된 모습으로 보여진다.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다중 스크린을 이용한 비디

오아트 영역이 n-Screen 서비스 영역으로 손쉽게 넘어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MIT 대학의 점보

트론 (Jumbotron)이 사례가 될 수 있고, 여섯 개의 패턴중에서는Screen Sharing이 이에 해당한다.

표 5. 단순화된 n-Screen 서비스 제공 패턴별 특징

구분 설명 사례

Contents Mirroring동일 콘텐트를 여러 스크린 단말

간에 공유

에버노트, 아마존 킨들, 애플

에어플레이

Complements연관된 콘텐트를 여러 스크린 단

말간 연결하여 공유

아이패드 Scrabble board, TV

방송 중 실시간 설문

Screen Sharing하나의 콘텐트를 동시에 여러 스

크린 상에 분할하여 표현Junkyard Jumbotron

상기 n-Screen의 서비스 표현 유형들은 이미 알려진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여기서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패턴을 뽑아내기 위하여 간단한 매

트릭스를 활용하도록 하겠다. 비즈니스모델의 핵심 구성요소에는 고객, 상품, 채널, 수익 모델등이 있다.

이들 각각을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는 변화를 통해 나올 수 있는 각각의 패턴을 제시하고 있다. 보

통 신규 비즈니스를 기획하거나, 기존의 비즈니스모델을 강화(Empower)하거나 비틀거나 (Tweak), 전환

(Pivot)할 때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여기서는 n-Screen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어떤 비즈니스모

델 패턴을 이용하는 지를 분석하는 용도로 활용하였다. [그림 101]의 고객-상품-채널-수익모델에 따른

25가지 비즈니스모델 패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여기서는 그 중 n-Screen을 이용한 클라

우드 서비스와 관련된 몇 가지 패턴 위주로 살펴보겠다.

- 72 -

4x4 비즈니스모델 매트릭스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 시키기 위한 25개의 패턴

고객

상품

채널

수익

모델

+ - X %

피라미드 하층 공략 디마케팅 양면 시장

브로커

정밀 고객 타겟팅

번들링

크라우드 딜

채널 통합 중개인 제거 제휴 보상 프로그램 채널 분화

언번들링

패키지 분화

매스커스터마이징

교차 보조금

협업 생산

협업 소비

제3자 지불

프리미엄

구독

임대

기능 제거

비주력 제품 제거

선택권 제거

비고객 공략

[그림 101] 고객-상품-채널-수익모델에 따른 비즈니스모델 패턴 25가지 예시

상품 영역에서는 번들링과 교차보조금 패턴이 주로 적용 되고 있다. 번들링의 경우는 제품에 서비스를

번들하거나, 서비스에 제품을 번들하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최근에는 서비스에 다른 서비스를 번들하기

도 한다. 예를 들어 애플의 앱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앱들은 애플이 제작/판매하는 여러 단말에서 구동될

수 있다. 단말과 아이튠즈/앱스토어 서비스간의 번들링이 존재하는 것이다.

표 6. 상품 영역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패턴

패턴 설명 사례

번들링

하나 이상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같이 묶어서 제공함으

로서 가치를 증대시키는 방식. 일시적 1+1형 할인 이벤

트가 아닌 지속적인 결합 구조를 통해 경쟁력을 꾀함

노키아 컴위드뮤직, 아

이팟-아이튠즈, 킨들

교차 보조금

제품과 제품, 제품과 서비스, 서비스와 서비스간을 서

로 결합시킨 후 프로모션 차원과 수익차원의 제품 및

서비스를 구분하여 총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적용

질레트, 게임콘솔, 킨들,

이동통신 가입

교차 보조금의 경우는 번들링이 일어나면서 동시에 제품/서비스간에 수익과 보조금 관계로 연결된 경우

에 주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아마존에서는 전자책을 한번 구매하면 n-Screen에 걸쳐서 킨들 이북리더

로 전자책을 읽을 수 있다. 책을 보다가 적은 메모나 책갈피한 부분도 어떤 스크린으로 이동하던간에

유지되기 때문에 편하게 책을 볼 수 있다. 아마존의 킨들 이북리더는 아마존의 커머스 서비스를 판매하

기 위한 매개 제품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아마존의 쇼핑 사이트로만 접속이 가능하며 대신 단말 판매가

격을 원가에 근접하게 낮추어서 널리 보급 하고 콘텐트 수익을 서비스에서 내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다.

이제는 (유통)채널 영역에서는 채널 통합과 채널 분화 패턴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채널 통합의 경우는

여러 개로 나뉘어 있던 기존 채널들을 하나로 통합할 때 사용된다. 주로 통합으로 인한 효율화와 함께

판매 유통망을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구글 플레이의 경우 앱, 음악, 영상, 책 등 다

양한 콘텐트를 판매하는 스토어를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회원, 결제, 프로모션 등 다양한 기

능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는 이점 또한 존재한다.

표 7. 채널 영역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패턴

채널 분화의 경우는 반대로 기존에 구분없이 팔던 제품, 서비스를 유통 채널에 따라 구분하여 다른 브

랜드, 판매 방식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우코닝사에서는 기존 실리콘제품 판매를

늘리기 위해 자이어미터(Xiameter)라는 온라인 판매용 제품 브랜드를 만들고 기존의 제품과 서비스 수

준을 차등화하여 판매하였다. 수익모델 관점에서는 프리미엄과 구독(subscription)의 패턴 이 활용될 수

패턴 설명 사례

채널 통합

여러 개로 나뉘어 있던 자신의 유통 채널을 하나

로 통합하거나, 기존에 시장에 존재하던 채널들

을 묶어서 중개하는 형태의 통합을 추진함

쿡TV 스카이라이프, 애플

스토어, 구글 플레이

채널 분화

함께 구분 없이 팔던 제품, 서비스를 유통 채널

에 따라 구분하고 다른 브랜드, 판매 방식에 의

해 제공하는 형태를 의미함.

다우코닝 Xiameter

- 73 -

있다. 프리미엄의 경우 기본적인 기능은 공짜로 제공하고 좀 더 향상된 기능은 유료로 판매한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형 음악 서비스인 스포티파이(Spotify)의 경우 일정 곡까지는 무료로 서비스 제공하고, 그

이상에서는 유료 회원으로 전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표 8 수익모델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패턴

패턴 설명 사례

프리미엄

제품, 서비스의 기능 세트 (Feature)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할하여 일정 기능까지는 무료로

제공하고, 원하는 경우 유료 지불을 통해 별도

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유도함.

스포티파이, 링크드인, 드롭

박스, 에버노트

구독

판매 형태로 제공되던 제품을 월간/년간 구독

형태로 나누어서 내도록 제공하는 방식 (콘텐

트 판매 관점에서 주로 적용)

넷플릭스, 음악 월정액 서비

스, 전자책/게임 대여

구독의 경우는 기존에 건당 판매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서비스를 월간/년간으로 나누어 구독하는 방식

으로 전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의 경우 건당 구매 방식이 아닌 월정액 방식으로 운영되

는데, 회원제에 가입하면 기존에 확보되어 있는 수많은 영화들중에서 무제한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n-Screen 서비스 패턴 중에서 가장 비즈니스모델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

는 Contents Mirroring 방식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모델 패턴을 연결해 보도록 하겠다. 이를 좀 더 세밀하

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통신/방송 사업자, 단말 사업자, 서비스 사업자, 포털/OS 사업자 관점으로 구분

하여 정리하여야 한다.

통신사업자/방송사업자

통신사업자나 방송사업자는 기존의 IPTV또는 케이블방송과 관련된 서비스가 주로 TV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소비자 요구사항에 맞게 확장하여 n-Screen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유료방송 가입 고객을 지키기 위한 측면과 함께 n-Screen 지원을 통한 부가서비스 수익

창출, 타 경쟁사 대비 상대적인 차별점 부각 요소로서 활용하는 것이다.

[그림 102] 통신/방송사업자 측면 n-Screen 제공 가치

표 9. 통신/방송사업자의 n-Screen BM 패턴

- 74 -

BM패턴 설명

번들링통신/방송 사업자의 기존 IPTV/케이블방송 서비스와 n-Screen을 지원하는

부가서비스를 함께 번들로 제공

교차

보조금

주 수익원은 기존 방송 수신료와 PPV(Pay-Per-View)방식의 콘텐트 판매이

며 n-Screen을 이용한 서비스는 자체로서 수익을 내기 보다는 주수익원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활용되고 있음

채널 통합기존에 TV/PC등에서 따로 나뉘어서 제공되던 서비스를 n-Screen에 맞추어

유통채널을 하나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추세임

채널 분화

채널별로 저작권 계약에 따른 선별적 콘텐트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됨. 사

업의 중심이 되는 Screen에 최우선적으로 콘텐트를 제공하고, 나머지 스크

린에는 선별적, 또는 시간의 차이를 두고 제공하는 방식 존재

프리미엄

주로 기존 방송 서비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며 n-Screen 서비스 사용을

위한 한시적, 횟수 제한적인 프로모션을 진행. 유료 가입을 통해 전체 서비

스 이용 가능

구독방송 서비스의 특성상 구독 기반으로 월정액 + PPV 의 방식으로 결제가

이루어짐

단말 사업자

단말사업자의 경우는 n-Screen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하는 이유가 단말 자체의 가치를 높이

기 위한 것이다. 애플처럼 OS사업자와 단말사업자가 일치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단말사업자 나름대로의

차별화 요소로서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의 이유가 존재한다. 삼성전자가 Hub류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

스를 개발하여 단말에 기본 탑재하는 것도 같은 이유로 볼 수 있다. 또한 어떠한 단말을 사용하던지 같

은 회사의 제품을 사용할 경우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림 103] 단말 사업자 측면 n-Screen 제공 가치

표 10. 단말 사업자의 n-Screen BM 패턴

BM패턴 설명

번들링단말 사업자의 단말제품과 n-Screen을 지원하는 부가서비스를 담은

앱을 기본 번들로 제공

교차 보조금주 수익원은 단말 판매이며 n-Screen을 이용한 서비스는 자체로서 수

익을 내기 보다는 주수익원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음

채널 통합책, 영상, 음악, 앱 등 다양한 콘텐트를 하나의 스토어 유통 채널을 통

해서 판매하려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

채널 분화 채널별로 저작권 계약에 따른 선별적 접근은 동일하게 존재

프리미엄

일정, 메모, 개인 스토리지 제공 등 Private Cloud류의 서비스의 경우

특히 무료로 제공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저장 공간과 기능을 활용할

때에 추가적인 유료 결제를 요구함

구독 통상적으로 월정액 방식의 과금 모델을 채택하고 있음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는 수익을 내는 원천 자체가 서비스에 있으므로 n-Screen을 유통채널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하나의 서비스가 다양한 사용자 접점을 통해서 소비됨으로서 수익창출의 가능성이 더

- 75 -

높아지기 때문이다. 서비스 사업자들이 n-Screen에 접근할 때에는 직접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강력

한 제휴 전략이 종종 필요하다. 이는 서비스사업자가 모든 단말에 맞도록 서비스를 직접 개발/제공하는

데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고 해당 서비스가 단말상에서 사용자에게 잘 보이게 노출시켜야 할 필요도 있

기 때문이다.

[그림 104] 서비스 사업자 측면 n-Screen 제공 가치

표 11. 서비스 사업자의 n-Screen BM 패턴

OS 사업자

OS 사업자의 경우 기존에는 주로 마이크로 소프트처럼 OS 판매를 통한 매출이 수익원이었다. 여러 단

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윈도우와 달리 애플의 경우는 직접 디자인한 제품에서만 애플의 OS 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OS와 단말 제품이 번들되어 있다. 곧 OS와 단말이 수익을 공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구글

의 안드로이드는 무료로 제공하므로 이들과는 또 다른 수익모델을가진다. 구글 안드로이드OS에 구글의

검색이나 부가 서비스를 번들함으로서 광고 등의 부가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OS사업자위한 번들

제품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림 105] OS사업자 측면 n-Screen 제공 가치

표 12. OS사업자의 n-Screen BM 패턴

BM패턴 설명

번들링

서비스 사업자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단말제품에 올라가는 n-Screen

을 지원하는 앱이 함께 번들로 제공. 서비스 사업자는 앱의 기본 탑재와

우선 노출을 보장 받기 위하여 단말 사업자와 제휴 협력이 요구됨 (예:

넷플릭스)

교차 보조금주 수익원은 서비스 판매이며 n-Screen을 이용하여 유료 가입자 확보를

위한 접점과 서비스 유통채널로 활용하고 있음

채널 통합책, 영상, 음악, 앱 등 다양한 콘텐트를 하나의 스토어 유통 채널을 통해

서 판매하려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

채널 분화 채널별로 저작권 계약에 따른 선별적 접근은 동일하게 존재

프리미엄서비스 사업자에 따라 프리미엄 방식이 아닌 유료 가입만을 요구하는 경

우도 존재함.

구독 통상적으로 월정액 방식의 과금 모델 또는 건당 구매 방식을 채택함.

- 76 -

BM패턴 설명

번들링OS사업자의 n-Screen을 지원하는 부가서비스를 담은 앱을 기본 번들로 제

공. 단말사업자가 배제하려 할 경우 인증 프로그램 상의 불이익 가능성

교차 보조금

주 수익원은 사업자에 따라 다양함. 애플/삼성의 경우 단말 판매이며, 구글

의 경우 광고 수익,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단말 OS 판매임. 모두 동일하

게 n-Screen을 이용한 서비스 자체로서 수익을 내기 보다는 주 수익원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음

채널 통합

책, 영상, 음악, 앱 등 다양한 콘텐트를 하나의 스토어 유통 채널을 통해서

판매하려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 PC/태블릿/스마트폰 OS 간에도 채널 통합

의 방향으로 이동 중

채널 분화 채널별로 저작권 계약에 따른 선별적 접근은 동일하게 존재

프리미엄

일정, 메모, 개인 스토리지 제공 등 Private Cloud류의 서비스의 경우 특히

무료로 제공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저장공간, 기능을 활용할 때에 추가적

인 유료 결제를 요구함. 스토어 성격의 서비스는 초기부터 유료 결제 방식

병행

구독 통상적으로 월정액 방식의 과금 모델 또는 건당 구매방식을 채택함.

Digital Signage 국내 표준 기술

< 텔레스크린협회 산하 디지털 사이니지 표준포럼 >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재난경보 서비스 제공 표준(안)

Ÿ 2012년 4월 시작됨

목적: Expand existing digital signage market using web technologies

의장: Futomi Hatano(Newphoria)

Ÿ Web-based signage 워크샵 (6월 14~16일)

- 다양한 Use case에 대해 논의

Ÿ Web-based Signage Use cases and Requirements

http://www.w3.org/community/websignage/wiki/Web-based_Signage_Use_cases_and_Requiremen

ts

Ÿ New Document (W3C TPAC 회의: 2012.11.02)

- Best Practice for Web-based signage

- Discuss Map & Mapping using SVG

[그림 106] 웹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ITU-T 표준화 동향

2011년 3월 ITU-T SG16(Study Group16)회의에서 일본이 IPTV(Internet Protocol TV) 기반의 디지털사

이니지 아키텍처를 신규 아이템으로 제안한 후에, 2011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워크샵(ITU Digital

Signage Workshop)을 거쳐, 2012년 7월 “Digital signage: Service Requirements and IPTVbased

architecture”라는 제목으로 디지털사이니지 표준이 승인되었다. (Recommendation ITU-T H.780)

디지털사이니지 아키텍처

- 77 -

H.780에서는 IPTV 아키텍처(ITU-T Y.1910)에 기반을 둔 디지털사이니지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있는데,

5개의 필수 기능그룹(Functional groups: 단말장치 기능, 애플리케이션 기능, 콘텐츠 전송 기능, 네트워

크 기능, 콘텐츠 제공자 기능)과 1개의 선택 기능그룹(Optional functional group:서비스 제어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능들은 다수의 기능블록 (functional block: H.780 표준에서 세분하여 설명되는

최소의 단위 기능)들로 이루어져 있다.

○ 단말장치 기능 (Terminal device functions): 디지털사이니지 단말장치와 서비스 기반구조

(infrastructure) 간의 중개(mediation)역할

○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s): 단말장치 기능이 콘텐츠 아이템을 선정하고 표현할 수 있

도록 하는 역할

○ 콘텐츠 전송 기능(Content delivery functions):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부터 콘텐츠를 받아 이를 저

장, 처리하여 단말장치 기능에 전송하며, 네트워크 기능과 서비스 제어 기능을 이용함

○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s): 단말장치 기능과 다른 기능들 간에 IP(Internet Protocol) 레이어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IP상에서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모든 서비스들에게 공유됨

○ 콘텐츠 제공자 기능(Content provider functions):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 라이선스가 있거

나 소유하고 있는 개체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

○ 서비스 제어 기능(Service control functions): 시스템, 네트워크 혹은 서비스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

는 역할

애플리케이션 기능그룹 중의 한 요소인 디지털사이니지 애플리케이션(Digital signage application:서버

단) 기능은 [그림 107]와 같이 구성된다.

[그림 107] 디지털사이니지 애플리케이션 상세구조

○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 단말장치의 원격 환경설정과 단말장치의 상태 모니터링 역할

○ 시스템 관리(System management): 전송서버, 네트워크, 단말장치, 디스플레이 등의 동작 상황을 원

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기록

○ 플레이 로깅/리포팅(Play logging & reporting):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콘텐츠가 디스

플레이 되는지에 대한 로깅자료 및 성능분석 자료 생성과 활용

○ 콘텐츠 관리(Content management): 콘텐츠 소유자와의 협의에 따른 콘텐츠 생명주기 관리 (데이터

등록, import/export, 데이터 처리, 콘텐츠 검색/보기 등)

○ 스 케 줄 및 전 송 관 리 (Schedule and deliver ymanagement): 콘텐츠를 전송 기능(Content

delivery functions)에 export하거나 단말장치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등 전송과 스케줄을 관리

- 78 -

[그림 108] 디지털사이니지 클라이언트 상세구조

단말장치 기능그룹 중의 한 요소인 디지털사이니지 클라이언트 (Digital signage client: 클라이언트단)는

[그림 108]과 같이 구성된다.

○ 플레이 제어(Play control):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데이터의 플레이 순서를 제어하며, 그 결과 발생된

로그는 서버단의 플레이 로깅 & 리포팅 기능으로 보내짐

○ 미디어 처리(Media processing):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콘텐츠 디코딩 등 소프트웨어 혹

은 하드웨어 처리를 포함

○ 스토리지(Storage):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캐싱과 저장

○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단말장치가 콘텐츠 전송 서버와의 커넥션을 동적으로 변경할 경우

중요한 기능 수행

요구사항

H.780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 아키텍처의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단말장치의 환경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될 일련의 콘텐츠를 셋업하는 메커니즘을 지원할 필요가 있

○ 서비스 제공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일련의 콘텐츠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 다수의 단말장치에 동일한 일련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메커니즘을 지원하기를 권고함

○ 서로 다른 자원으로 부터 얻은 정보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커니즘을 지원하기를 권고함

○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재난이 발생할 경우 긴급 경보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기를 권고함

○ 단말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오디오볼륨을 조절하는 능력을 지원하기를 권고함

○ IPTV 아키텍처는 단말장치에 의해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의 발견을 지원하기를 권고함(디지털 사이

니지 아키텍처는 보통의 IPTV 아키텍처에 부가되어 사용될 수 있음)

○ 사용자들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특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터치 패널 혹은 모바일 링킹)를

선택적으로 제공 할 수 있음

○ 긴급 상황 혹은 특별한 실시간 서비스를 해야 하는 경우 QoS(Quality of Service) 네트워크 서비스

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함

○ 전송 지연(버퍼링 혹은 콘텐츠 전송 스케줄링)에 대비하는 기술을 선택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

○ 서비스 사용자 측정(measurement)을 선택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함H.780에서는 그 외에 콘텐츠

관리, 콘텐츠 전송, 시큐리티, 네트워크, 단말장치 등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플레이로그

플레이로그는 플레이되는 콘텐츠나 시스템 성능정보 등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이 생성하는 각종 정보

혹은 기록들을 총칭한다. 표준 플레이로그의 최상위 레벨은 playlogReport이다 [그림110].

- 79 -

[그림 110] 플레이로그(Playlog) 포맷

W3C 표준화 동향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의 개방형 표준을 위해 SMIL을 정의하였다.

SMIL은 스케줄링(S:Synchronized),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 멀티미디어(M:Multimedia), 멀티

죤(multi-zone) 스크린 레이아웃 (I:Integration), XML-based text file format(L:Language)을 의미한다.

1998년 SMIL1.0이 정의된 이후, 2001년 SMIL Animation, 2005년 SMIL2.1, 2008년 SMIL3.0이 표준으

로 확정되었으며, SMIL을 토대로 2010년 TTML1.0(Timed Text Markup Language), 2013년 7월

TTML1.0-Second Edition이 제안되어 수정 보완중이다. SMIL3.0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설계되

었다. 첫째, 인터랙티브하게 멀티미디어를 프레젠테이션 할 수 있는 XML 기반의 언어를 정의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의 시간적인 행위를 표현하거나, 멀티미디어 객체를 하이퍼링크 할 수 있거나,

혹은 스크린 상에 프레젠테이션 레이아웃을 표현할 수 있다. 둘째, 타이밍과 동기화가 필요한 사용자들

을 위해 SMIL3.0의 신택스와 시멘틱을 다른 XML기반 언어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timing

integration을 위해 SMIL3.0 컴포넌트를 XHTML(Extensible 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SVG(Scalable Vector Graphics)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SMIL2.1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기능들을

SMIL3.0에서 새롭게 혹은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산업체의 유용한 기능과 통합하여 모바일 프

로파일을 새롭게 정의한다.

Privacy Standards

DSF는 프라이버시와 투명성에 대한 산업계의 표준이 필요하며 이러한 표준은 사용자들에게 디지털사이

니지에 대한 신뢰를 줌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랙티브 마케팅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대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면서, 2011년 프라이버시 표준을 정의하였다. 프라이버시 표준은 Fair Information

Practices(FIPs)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국제적으로 널리 수용되고 있는 FIPs는 미국의 프라이버시에 관

련된 법안과 유럽연합의 데이터 보호 규정(Data Protection Directive)을 통합한 것이다. 프라이버시 표

준에서는 Transparency, Individual Participation, Purpose Specification, Data Minimization, Use

Limitation, Data Quality and Integrity, Security, Accountability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National Standards for DS Higher Education

DSF는 대학과 교육기관에서 교육자들이 디지털사이니지의 기본 개념과 디지털사이니지 산업발전을 가

져올 수 있는 지식과 기술들을 제공하기 위해 표준을 제정하고, 산업체와 학계의 전문가들로부터 입력

을 받아 정기적으로 수정보완하고 있다. 이 표준은 표준의 목적, 디지털사이니 역사 고찰과 미래 트렌드

예상, 7개 주요 요소의 정의(Hardware, Software, Connectivity, Content, Operations, Design,

Business), 공통 애플리케이션정의, 기술적 관점에서의 이해, 콘텐츠, 비즈니스 관점의 이해, 용어 정의

등 총 8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의 표준화 동향

디지털사이니지 콘소시엄

일본은 2007년 130여 회원사들이 모여 산업체 컨소시엄인 DSC(Digital Signage Consortium)를 결성하

- 80 -

였다. DSC에서는 2008년과 2009년에 광고지표 가이드라인 버전1,2를 정의하였다. 2008년 11월에는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이 가져야 할 최소한의 기능과 성능을 기술한 표준 시스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

였고, 2009년 6월에는 디지털사이니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고, 시스템 사용방법, 설치 장

소, 사용 콘텐츠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 가이드북을 발표하였다.

디지털사이니 사용자 포럼

일본의 총무성(MIC: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의 정보통신 부서인

Telecommunication bureau는 2011년 2월에 발간된 “Interim Report on Standardization Policies in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Fields”에서 디지털사이니지를 표준화의 중요분야 중 한 분

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표준 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일본내 디지털사이니지를 사용하는 비즈니스

업체들 다수가 모여 디지털사이니지 사용자 포럼(DSUF: Digital Signage Users Forum)을 결성하였다.

이 포럼에서는 DSC와의 협업을 홍보하면서 실제로 사이니지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작

성한 표준 명세를 일본 MIC에 제안하였고, MIC는 ITU-T에 표준안을 제안하였다.

표준화 활동

일본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2011년 3월 개최된 ITU-T SG16(Study Group16) 미팅에서 일본 업체

들이 제안서를 제출함으로써 표준활동이 본격화 되었다. 이 표준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2011년 12월

일본 도쿄 에서 ITU와 DSC가 지원하는 “ITU 디지털 사이니지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결

과로 2012년 7월 “ITU-T H.780:Digital Signage: Service Requirements and IPTV-based

architecture”가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또한 2011년 10월 W3C TPAC2011 (Technical Plenary/Advisory

Committee meeting) 회의에서 차세대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멀티스크린 디지털사이니지 형태인 웹 기

반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2012년 4월 웹 기반의 사이니지 비즈니스 그룹이 일본인을 의장으

로 하여 구성되었으며, 최초의 W3C 워크샵이 2012년 6월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이 워크샵에서 웹 브

라우저 기반의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의 사용자케이스(use case)와 모델을 정의하고, 이 시스템에 웹

표준을 통합하는 방법 등이 논의되었다.

[그림 111] 일본의 디지털 사이니지 표준화 동향

DPAA (Digital Place-based Advertising Association)

DPAA (Digital Place-based Advertising Association)는 기업체로 구성된 OVAB(Out-of-home Video

Advertising Bureau)에 광고대행업체들이 더해져, 회원들간의 협업을 통해 관련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6년 설립된 비영리 상업 조직체이다. 2008년 8월에는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가이드라인으

로서 “Audience Metrics Guidelines”을 제정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에서는 시장의 니즈(needs) 충족, 효

과적인 상담, 투명성, 베스트 프랙티스, 품질관리(QC) 제공 등을 기본 원칙으로, audience,

OTS(Opportunity To See), reach, frequency와 관련된 메트릭을 제공한다. 디지털사이니지와 미디어

시장 확대 및 유럽내에서의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OVAB-E (Out-of-home Video Advertising Bureau

Europe)가 2008년 설립되었다. OVAB-E에서는 DOOH(Digital Out of Home)와 디지털사이니지의 최소

요구사항을 반영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여, 2012년 10월 최종 드래프트(FD:Final Draft)를 발표하고,

2013년 1월부터 산업체에적용하고 있다.

- 81 -

[그림 112] OVAB-E의 표준 문서

IEEE 802.15.7r1 OWC 표준화 현황 LED 조명을 송신기로 이용한 가시광통신 시스템인 IEEE 802.15.7 표준규격을 2011년 11월에 완성하였으나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VLC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에는 VLC 동글(dongle)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상당한 걸림돌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IEEE 802.15 IG-LED를 운영하였으며, 2014년 1월부터는 IEEE 802.15.7a Optical Cameras Communication (OCC) Study Group (SG)으로 발전되었다. OCC SG는 주로 광 검출기를 다루는 IEEE 802.15.7와 달리 카메라(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LED Screen, LED Display, LED Digital Signage 또는 LED 조명에서 발생하는 신호 및 패턴을 수신하는 시스템에 집중하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관련하여 1만 나노미터(㎚)에서 190㎚ 파장을 포함하는 OWC로 표준화하기 위한 PAR를 2014년 11월 회의에서 결정하였고, 2015년 1월에 개최된 IEEE 802.15 Interim 회의부터 IEEE 802.15.7r1 OWC TG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원래는 이미지 센서 기반의 Optical Camera Communication만을 Amendment를 위해 추진이 되었지만 기존의 IEEE 802.15.7 VLC에서 가시광 주파수만 사용하고 규격 제목이 가시광만 이용하기에 IR과 UV도 사용 가능한 규격을 만들기 위해 IEEE 802 EC에서 Revision을 하도록 결정하였다. 다양한 IoT/D2D/M2M 시대를 대비하는 방향에서 제안된 프로젝트 802.15.7r1를 위해 PAR 및 CSD(Criteria for Standards Development)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광무선 주파수 관련 제약사항을 VL 외에 IR 및 UV도 추가하였다.

<IEEE 802.15.7r1 OWC TG의 표준화 일정>

이미지 센서 통신, 고속PD통신 및 저속PD통신 중 현재 상용화가 쉬운 이미지 센서 통신 기술은 데이터 수신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카메라 등)에 설치되어있는 카메라 내부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신을 할 수 있는 영상처리 기반의 혁신적인통신기술이다.

- 82 -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가시광통신(VLC)이미지센서통신(Image Sensor Communications)

간섭(Interference) Yes Yes Yes Less보안성(Security) High High Highest due to LOF Highest due to LOF링크 설정(Link Setup) Scan-and-Link Scan-and-Link LOS Link Look-to-Link

프로토콜(Protocol) IEEE 802.15.1 IEEE 802.11a and IEEE 802.11b IEEE 802.15.7 IEEE 802.15.7r1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2.4GHz 2.4, 3.6 and 5 GHz Visible light(400-800THz) Visible light, IR, UV.

데이터 전송 속도(Data transfer rate) 800 Kbps 11 MbpsPHY I: 11.67kbps-266.6 kbpsPHY II: 1.25Mbps-96MbpsPHY III: 12Mbps-96Mbps

- Lower than VLC- Enhanc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EDs, camera’s resolution커버 범위(Cover range) 30m 46m, up to 100m Near Can be extended using Zoom function (up to km)

<표 26> 이미지 센서 통신과 타 기술간의 비교

<디지털 사이니지/LED와 카메라(이미지 센서)간의 통신 서비스 예>

현재 사용되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프레임 속도는 일반 카메라의 비디오 프레임 속도와 같은 30 fps (frames/sec) 속도로 작동하며 카메라는 Rolling shutter 또는 Global shutter로 동작한다. 비디오 모드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 현재 시판 중인 스마트폰은 고정된 양의 사진 프레임을 찍는데 초당 최대 30 프레임을 찍을 수 있다. 물론 현재 상용으로 제공되는 160 ftp도 사용이 가능하다. 렌즈는 자연적으로 LED 광원사이의 Angle-of-Arrival (AOA)의 분리를 제공할 수 있기에 IEEE 802.15.7r1 OWC TG에서는 다양한 LBS 서비스를 위한 PHY 및 MAC 기능도 개정할 계획이다. 데이터 전송 시 Visual MIMO 개념의 변조된 LED를 사용하며 LED 조명뿐만 아니라 LED를 이용한 광고판, 스크린, 디지털 사이니지 및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빛이나 패턴을 낼 수 있는 것이면 이미지 센서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자 입장에서는 같은 광고판을 가지고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Display-to-Camera, Screen-to-camera와 같은 D2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vice Applications/Use casesCeiling light / Lighting Source IoT (M2M/D2D/ Internet of Light(IoL)), LBS/Indoor

Positioning Flash light Underwater Communication, IoT (M2M/D2D/IoL)Car light Vehicular Communication , Vehicular Positioning Indirect light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Vehicular Communication

< 표 27> 송신기 및 응용 예시

- 83 -

<이미지 센서 통신의 송수신 개념도>

Illuminated signage with diffused light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IoT (M2M/D2D/IoL)

Illuminated signage with discrete LEDs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IoT (M2M/D2D/IoL)

Digital signage (such as LCD)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IoT (M2M/D2D/IoL)

Traffic light and Intelligent Traffic System (ITS)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IoT (M2M/D2D/IoL), Vehicular Communication, Vehicular Positioning

Lighthouse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Seaside Communication

LED Tag LED based Tag application, Underwater Communication, Seaside Communication,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Display / Image patterns LED based Tag application, Underwater Communication, Seaside Communication, Offline to Online Marketing/Public Information System

고속PD통신 이미지센서통신수신기 (Receiver) PD Image Sensor(Camera)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Complex to Implement Easy to Implement다이버시티 (Diversity) Easy difficult

프레임 샘플링(Frame Sampling) No Yes

신호대잡음비 (SNR) Low High간섭

(Interference) High Low디코딩 기술

(Decoding technique)Signal Processing from received photo current

Image Processing using gray level or color of pixels

관심 업체(Interested Company)

pureLiFi, Fraunhofer, Fudan University, Ozyegin

University

Intel, Casio, Toshiba, China Telecom, Panasonic, Kookmin University,

SNUST

<표 28 > 고속PD통신과 이미지 센서 통신간의 비교

- 84 -

국내 기술개발 동향

한국은 IT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며, 2002년 이후부터 꾸준히 전동차, 지하철 버스

정류장 등 공공시설물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패널(LED·LCD 모듈, TV 등)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미디어가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지만 안타깝게도 저변 확대가 되지 않고 있다. 가까운 일본을 비롯

한 글로벌 유수 국가들은 하루가다르게 소기업 중심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제작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한것이 현실이다. 현재 지하철이나 복합 상가, 관공서 등 실내용으로 국한되어

있는 초기시장단계에서, 옥외용 디지털 사이니지 개발과 같은 기술발전과 사회전반의 관심에 힘입어 다

양한 목적으로 사업영역이 넓혀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디지털 사이니지의 품질 수준과 제품규격

에 대한 아무런 기준이 없어 향후 시장의 혼란 및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해당사업

의 발전과 해외업체들과의 경쟁에 있어 부정적 요소로 부각될 수 있다. 특히 옥외용 디지털 사이니지

의 경우 항온·방습·내구성 등 주요 특징에 대한 규격이 없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규격설정이 절실히

필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발전

을 위해 다양한 IT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뤄진 디지털 사이니지의 구성에 대한 표준화 및 규격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업체들이 모여 디지

털 사이니지 산업협회를 설립하고 각기 다른 분야의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공유함으로써 기술 발전의 로

드맵과 미래 시장의 방향을 함께 제시하여 앞으로 커져 나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 2 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o 산업적 필요성

- Multi Screen이란 TV, PC, 모바일, Digital signage, 내비게이션, 안경, 시계, 로봇 등 다양한

Wearable 디바이스를 통해 Seamless한 디지털 라이프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기술, 전략을 총칭하

며, 최근 단말 및 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비자들이 시간, 장소, 단말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정보,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을 원함에 따라 Multi-Screen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Multi Screen 환경 조성을 통한 통신, SW, 컨텐츠 및 정보가전을 포함한 단말산업 활성화 기대

- OMA, ITU-T, ITU-R, IEEE802, IETF, DLNA, UPnP, WFA, CCC 등은 멀티스크린, Smart 미디어, 스마트

Car, 스마트 Wearable 디바이스(안경, HMD) 및 Digital Signage 관련 멀티 콘텐츠 연동을 표준화하는 기

구로서 멀티 스크린 서비스포럼은 국내 미러 포럼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Mobile Cloud 및 Multi Network 기반의 Multi Screen 및 Smart Media 융합서비스/콘텐츠 표준화. 그리고

서비스 법제도 및 상호연동을 고려한 다양한 멀티 서비스 신호방식의 기술 개발 및 표준화 필요성

- 상호호환성 규격 수립의 필요성: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서비스 인프라 및 단말에 무관하게 효율적

이고 용이하게 Multi Screen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기 위하여 표준 규격을 수립

※ 멀티스크린: TV, 태블릿 PC, 스마트폰, Navigation, Digital Signage(Tele-screen) 등 다양한 Device

에서

콘텐츠를 Seamless하게 공유, 소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크린 확장 개념

o 경제적 필요성

- Multi Screen 컨버전스를 통하여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기반 및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한번 구매로 콘텐츠

및 서비스 이용을 가능케 하여 대국민 통신비 및 콘텐츠 이용료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CPND, 콘텐

츠, 단말, Cloud, Big Data, SW 등 IT 산업 활성화를 통한 고용창출 기대됨

-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개발의 용이성을 제공해줌으로써, 콘텐츠 개발. 제공시 중복투자

방지와 개발시간 단축을 통한 멀티스크린 서비스의 활성화를 촉진.

2. 연혁

o 2015.02.10 : 총회 – 2015 분과 업무 협의

o 2015.06.04 : TTA 멀티스크린 서비스 포럼 표준기술 워크숍 개최 o 2015.06.25 : 2015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특별세션 개최 o 2015.08.28 : IEEE802.15.7r1 OWC 표준화 워크숍 개최

- 85 -

o 2015.09.23 : Connected Car 워크숍 개최 o 2015.10.20 : 제9차 Multi Screen 서비스 워크숍 개최 o 2015.11.14 : 멀티스크린기반 디스플레이 연동형 사이니지 IoT기술 워크숍 개최 o 2015.11.26 : 제2회 IEEE802.15.7r1 OWC 표준화 워크숍 개최 o 2015.11.28 : 멀티스크린 응용 환경을 위한 IT융합기술 워크숍 개최 o 2015.12.11 : 멀티스크린서비스 워크숍 겸 총회 개최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및 추진체계

[조직도] [추진체계도]

나. 분과(or 워킹그룹)별 주요활동

1) Wearable Screen 분과: 다차원 스크린 미래스크린, Wearable screen, 차세대 멀티스크린 서 비스

기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안경, HMD, 시계

2) Home Screen 분과: UPnP, DLNA, Home N-screen Cloud Network

cloud computing-based intelligent AV(AudioVisual) system

using UPnP protocol and sensor collaborations(context awareness management)

home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 microwave, an oven, or a treadmill with a display and a touch

panel, ATSC Mobile DTV Broadcasting for N-Screen Smart Devices

Open Mobile Alliance (OMA) Mobile Broadcast Services Enabler Suite (BCAST) service guide

information

3) Contents and App 분과: a detailed technical specification of all APIs needed for the

multi-screen application model. will make a proposal for a standard or recommendation by relevant

standard bodies especially W3C, MPEG, ISO, W3C

4) Digital Signage 분과: N-Screen Display (LED, LCD, 디지털사인이지 등) 기반의 디지털사이니지 , Smart

Signage or Smart Public Digital Displays, ITU-T, IEEE802.15

5) Smart Car 분과: Smart Car Connectivity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CCC

- 86 -

6) Inter-Screen연동 분과: Screen over Networks,, 멀티스크린 네트워크 연동기술, networked

screen, Screen-to-Screen Communications, CATV, UHD, N-Screen 클라우드, Smart Digital Display,

Context-Awareness, Situation-Awareness, Correlated multi-screen display, SDN(software defined networks),

NFV(network functional virtualization)

7) 법제도 개혁 분과: Multi Screen 법제도 규제 개선 및 개혁, online 광고서비스, Multi Screen 서 비스

활성화

다. 회원사 구성

산업체연구소 학계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개수 16 53 22 23 114

백분율(%) 14.01 46.53 19.29 20.17 100%

제 3 장 2015년도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활동결과

제 1 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12월 30일 기준)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10 33 F.747.8 (ex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외 44건

기고서 반영 5 11

기고서 제정 2 1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5 66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pplications of OWC 외 81건

기고서 반영 2 15

기고서 제정 1 1

국내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정 1 -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3 5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환경의 I/O 디바이스 디스크립터 및

제어 메시지 형식 외 8건TTA표준 제정 3 4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개정 5 10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기본 구조 외 9건

기타성과 지표-1 2 2 ICTC2015, ICUFN2015

기타성과 지표-2 3 9 TTA 멀티스크린 서비스 포럼 표준 기술 워크숍 외 8건

- 87 -

제 2 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1-1. 회의 개최현황

1-2. 국내외 워크숍/세미나 개최현황

회의명 번호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총회 1 20150526 로리스더프라임립 2015 분과 업무 협의

2 20151211 비포럼 회의장1 2015 포럼 종료 회의

회의명 번호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운영위원회의

1 20150210 르네상스호텔 2015 포럼 준비 운영회의

2 20150327 르네상스호텔 2015 포럼 준비 운영회의

3 20150526 로리스더프라임립 2015년도 포럼 분과장회의

4 20150528 팔래스호텔 2015년도 포럼 분과장회의

5 20150724 르네상스호텔 워크샵 준비회의

6 20150804 박장대소 분과 업무 협희

7 20150826 스시효 2015년도 포럼 분과장회의

8 20150919 팔래스호텔 워크숍 준비회의

9 20151002 팔래스호텔 포럼운영회의

10 20151021 친친 2015 분과장 및 운영회의

11 20151117 만복림 2015 분과장 및 운영회의

12 20151211 비포럼 회의장1 2015 포럼 종료 회의

번호 워크숍명 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

국내행사

1TTA 멀티스크린 서비스 포럼 표준기술 워크숍

20150604 한국과총

웨어러블 기기의 진화와 사물인터넷 응용 핵심 기술 분석

올신 얼라이언스 동향 및 전망, OIC 동향 및 향후 전망, CES/MWC 2015의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 기기 동향, Wearable device를 위한 3D audio solution,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인솔형 웨어러블기기, 마이크로소프드의 비전컴퓨팅,홀로렌즈 , 가상터치를 이용한

인간-사물 인터랙션 등 발표

2

2015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특별세션

20150625제주

라마다호텔

Home IoT 기반의 Wearable Screen, 카메라 Sensor, Smart Car에 대한 기술 및 최신 동향을

발표하는 세션IoT 융복합 기반의 Conneted Car 및 Smart Car 시장동향 및 전망, 디지털사이니지와

표준화 동향, 디지털 사이니지와 카메라간의

- 88 -

OWC 표준화 핵심기술 발표.

3 IEEE802.15.7r1 OWC 표준화 워크숍 20150828 국민대학교

Screen, Display, Digital Signage 또는 LED 조명에서 발생하는 신호 및 패턴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집중하기 위해 표준화를 추진하고,OCC(or Image Sensor Communication) 기술

(데이터 수신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카메라 등)에 설치되어있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신을 할 수 있는 영 상처리 기반의 혁신적인 통신기술이다 ) 소개

TTA 가시광융합 PG 표준화, 카메라 플래시와 카메라간 통신, IEEE802.15.7 OCC 기반 Indoor navigation, 가시광 융합통신 사업화 추진 사례

및 성공 전략 등 발표

4 Connected Car 워크숍 20150923 한국과총

Smart Car ,ICT 융합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WAVE 기술 기반 충동방지 기술, Smart Car 시대를 위한 이미지 센서 기반의 통신기술 및 충돌방지

기술, E-call 구축사례 및 EDR 분석, Automated Driving in Urban Environments, 커넥티드

서비스 및 모빌리티, eHorizon for better car, Smar car 시대를 위한 미러링크 표준화 동향

발표

5 제9차 Multi Screen 서비스 워크숍 20151020 한국과총

멀티스크린 서비스 및 스마트 미디어자율주행 Human-Vehicle Interface,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 기술개발, 사용자 상황정보 기반 미디어/IoT 서비스 기술, kt 멀티스크린

미디어 서비스, 케이블TV 관점에서의 차별화된 N스크린 서비스,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발전방향, 멀티스크린 연동 및 서비스 협업

표준화 전략, Companion Screen Service and ACR, 디지털사이니지에서의 재난경보 서비스 표준화 동향, Home gateway for 3 Screen TV

등 발표

6멀티스크린기반

디스플레이 연동형 사이니지 IoT기술 워크숍

20151114 서울과기대

2020년 약 800억개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물(things : 물리적 개체)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IoT망은 특정 사물이 주변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칩셋(chip-set)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련 사업자들은 향후 사물인터넷 기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핵심 기술인 센싱 칩셋 및 네트워크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7 제2회 IEEE802.15.7r1 OWC 표준화 워크숍 20151126 한국과총

Screen, Display, Digital Signage 또는 LED 조명에서 발생하는 신호 및 패턴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집중하기 위해 표준화를 추진하고,OCC(or Image Sensor Communication) 기술

(데이터 수신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카메라 등)에 설치되어있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신을 할 수 있는 영 상처리 기반의 혁신적인 통신기술이다 ) 소개

8 멀티스크린 응용 환경을 위한 IT융합기술 워크숍 20151128 리츠칼튼호텔

2020년 약 800억개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물(things : 물리적 개체)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IoT망은 특정 사물이

- 89 -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

NO 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기고 반영

1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pplications of

OWC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311 -

IEEE 802.15-15-02

42-007a-

2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pplications of

OCC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311 -

IEEE 802.15-15-0243-007a

-

3 제정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March 2015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311 -

IEEE 802.15-15-0265-00-007r

1

-

4 제정

Draf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Structure

Discussion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311 -

IEEE P802.15-15-0312-00-007

a

-

5 기술반영

Prior art analysis on the adopted IVC

technologies

ISO/IEC JTC1

111th MPEG Meeting 김재곤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216 20150220 M35990 N15162

6 기술반영

Cross-check of m35746 on Bug report on ME initialization in

internet video coding (IVC) encoder

ISO/IEC JTC1

111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안

20150216 - M36045 -

7 기술반영

Cross-check of m35747 on Enhanced encoding technique on the quantized

coefficients of chroma for internet video coding (IVC)

ISO/IEC JTC1

111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

안20150216 - M36046 -

8 기술반영

Cross-check of m35748 on Improved

set of reference frames for internet

ISO/IEC JTC1

111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안

20150216 - M36047 -

주변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칩셋(chip-set)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멀티스크린 응용산업 활성화를 위한 IP활용방안, Channel characteristics of LED communication for tranmitting multiple

screen video, 멀티스크린 서비스용 임베디드 S/W의 활용 사례 등 발표

9 멀티스크린서비스 워크숍 (총회) 20151211 강남역 비포럼

회의장1

멀티스크린서비스 워크숍 겸 총회차세대 미디어와 MCN 전략, 디지털사이니지 기술 동향, Companion Screen of ATSC 3.0,

Web 기반 N-Screen 기술 등 발표

국제행사

10 ICUFN2015 20150707~0710 일본

최신 Multi Screen 기술(서비스, 연동, 클라우드, 콘텐츠)을 소개, IEEE802.15.7r1 표준화 회의

개최

11 ICTC2015 20151028~1030 제주도

최신 Multi Screen 기술(서비스, 연동, 클라우드, 콘텐츠)을 소개

- 90 -

video coding (IVC)

9 기술반영

Requirements of Multimedia and

Gesture for Wearable MPEG

ISO/IEC JTC1

111th MPEG Meeting 김재곤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216 - M35678 -

10 기술반영

4x4 Blocksize Inter Prediction for Internet Video

Coding

ISO/IEC JTC1

112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안

20150622 - M36361 -

11 기술반영

Cross-check of m36710 Chroma

enhancement technique on the

intra predicted block for IVC encoding

ISO/IEC JTC1

112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

안20150622 - M36763 -

12 기술반영

Use Case of Gesture Command for

Wearable MPEG

ISO/IEC JTC1

112th MPEG Meeting 김재곤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622 20150626 M36385

ISO/IEC JTC 1/SC

29 N15351

13 기술반영

Use Case of Gesture-Based

Multimedia Consumption for Wearable MPEG

ISO/IEC JTC1

112th MPEG Meeting 김재곤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622 20150626 M36388

ISO/IEC JTC 1/SC

29 N15351

14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synchronous OCC in Vehicular

environ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512 -

IEEE 802.15-15-0389-00-007a

-

15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Positioning issues of OCC based

Vehicular Communication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513 -

IEEE 802.15-15-0390-00-007a

-

16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OCC Application in Light

house-to-Ship Communication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513 -IEEE

802.15-15-0404-00-007a

-

17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OCC Application in Light

house-to-Ship Communication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513 -

IEEE 802.15-15-0414-00-007a

-

18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Draf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513 -

IEEE 802.15-15-0414-01-007a

-

19 제정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May 2015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514 -

IEEE 802.15-15-0436-00-007r

1

-

20 제정call-for-proposal-for-owc-channel-models.d

ocx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528 -

IEEE 802.15-15-0403-03-007a

-

21 제정

Kookmin University Comments to TCD 15-492r2: Flickering Consideration for

OWC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표준제안서승인

- 20150715

IEEE P802.15-15-0575-01-007

a

IEEE 802. 15-15-0527-01-007a

22 제정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Definition of Asynchronous OCC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표준제안서승인

- 20150715 -IEEE 802. 15-15-0527-00-007a

23 제정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표준제안서승인

- 20150716IEEE

P802.15-15-IEEE

P802.15-1

- 91 -

0492-00-007a

5-0492-03-007a

24 제정

Radiometriic and geometric

consideration for image sensor receiver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713 -

IEEE P802.15-15-0526-00-007

a

-

25 제정

Image Sensor Receiver Par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713 -

IEEE P802.15-15-0533-00-007

a

-

26 제정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714 -

IEEE P802.15-15-0492-01-007

a

-

27 제정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715 -

IEEE P802.15-15-0492-02-007

a

-

28 제정

Kookmin University Comments to TCD 15-492r2: Flickering Consideration for

OWC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715 -

IEEE P802.15-15-0575-00-007

a

-

29 제정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715 -

IEEE P802.15-15-0580-00-007

a

-

30 제정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July 2015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716 -

IEEE 802.15-15-0597-00-007r

1

-

31 제정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716 -IEEE

802.15-15-0580-01-007a

-

32 제정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914 -IEEE

802.15-15-0492-04-007a

-

33 제정

Channel Modeling for Image Sensor based Sea and Digital Signage Communication

IEEE802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914 -

IEEE 802.15-15-0718-00-007a

-

34 제정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914 -

IEEE 802.15-15-0580-02-007a

-

35 제정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기고서제

안20150914 -

IEEE 802.15-15-0580-03-007a

-

36 제정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기고서제안

20150914 -IEEE

802.15-15-0580-04-007a

-

37 제정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Nov 2015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표준제안서승인

- 20151112 -

IEEE 802.15-15-0933-00-0

07r1

38 기술반영

Extension of Chroma Intra Prediction

Modes in Internet Video Coding

ISO/IEC JTC1

113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안

20151017 -

ISO/IEC JTC1/SC29/

WG11 MPEG2015/

-

- 92 -

M37462

39 기술반영

Cross-check of m37355 MV bit cost calculation method for IVC encoder

ISO/IEC JTC1

113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안

20151017 -

ISO/IEC JTC1/SC29/

WG11 MPEG2015/

M37468

-

40 기술반영

Cross-check of m37356 Reference

frame distance-weighted

ME for IVC encoder

ISO/IEC JTC1

113th MPEG Meeting 김재곤 기고서제

안20151017 -

ISO/IEC JTC1/SC29/

WG11 MPEG2015/

M37469

-

41 제정

Y.fsul: Proposal for new addition of

“Appendix V : Creation and execution of

composite virtual objects (CVO) in WoO enabled environment

ITU-T STUDY GROUP 13 정일영

기고서제안

20150423 -T13-SG13-C-0866!R1!M

SW-E-

42 제정

Y.fsul: Proposal for revision of

“Appendix VI : Composition model in WoO enabled environment for

self-directed u-Learning“

ITU-T STUDY GROUP 13 정일영

기고서제안

20150423 -T13-SG13-C-0865!R1!M

SW-E-

43 제정

Y.fsul: Proposal for addition of “7.1. Web of objects

enabled environments for

self-directed u-learning”

ITU-T STUDY GROUP 13 정일영 기고서제

안20150423 -

T13-SG13-C-0864!R1!M

SW-E-

44 제정Proposal for new Annex I on “WoO deployment model”

ITU-T SG13RGM 정일영 기고서제안

20150701 -SG13RGM-141110-C-21

6-

45 제정

Proposal for revision of the Draft

Recommendation Y.sfem-WoO

ITU-T SG13RGM 정일영 기고서제안

20150701 -SG13RGM-141110-C-21

5-

46 제정

Proposal of new text for the Draft

Recommendation Y.WoO-hn

ITU-T STUDY GROUP 20 정일영 기고서제

안20151007 - C-0089 R1 -

47 제정 H.VHN: Proposed revised text ITU-T STUDY

GROUP 16 정일영 기고서제안

20150920 -(H.VHN)T13-SG16-C-1022!R1!MSW-E

-

48 제정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Sept 2015IEEE802

IEEE P802.15 Working Group

장영민 표준제안서승인

- 20150917 -

IEEE 802.15-15-0758-00-0

07r1

49 기술반영

Proposal for the revised draft

Recommendation Y.MM-MD

ITU-T SG13

Rapporteur Group

Meeting조성균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701 20150723

SG13RGM-150713-C-42

SG13RGM-150713-TD

-425

50 기술반영

Proposal for use case of smart office

service using trust

ITU-T SG13

Q.9 interim meeting 조성균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701 20150723 Q16-13-Sep

15-C-35

Q16-13-CG-Trust-Sep15-DOC-

16

51 기술반영

Proposal for updating section 5 in

draft Y.MM-MD

ITU-T SG13

Q.9 interim meeting 조성균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701 20150723

Q9-Oct6-C-01

T13-SG13-150723-TD-WP2-045

5 - R1

52 기술반 HSTP.DS-Gloss: Some ITU-T ITU-T SG16 김화숙 표준수정 20150928 20151015 COM16-C10 SG16

- 93 -

영 modifications to align with ITU-T H.781

제안서승인

42-ETD424

(WP2/16)

53 기술반영

HSTP.DS-META: Proposal to modify the text on “screen layout” and “region”

ITU-T ITU-T SG16 김화숙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928 20151015 COM16-C10

43-E

SG16 TD425(WP

2/16)

54 제정

Proposal for consistency and

alignment of structure of content

delivery message formats

IEEE NGSONP1903.1 이남경 표준제안

서승인20150209 20150212

IEEE 1903-14-0083-01-WGDC

1903-12-0014-08-WGDC-p190

3-1-ts

55 제정Proposal for

parameter formats of content delivery

IEEE NGSONP1903.1 이남경 표준제안

서승인20150209 20150212

IEEE 1903-14-0091-01-WGDC

1903-12-0014-08-WGDC-p190

3-1-ts

56 제정

Proposal for correction on

P1903.1 TS Draft Standard for Content Delivery Protocols of

NGSON

IEEE NGSONP1903.1 이남경 표준제안

서승인20150608 20150611

IEEE 1903-15-0004-00-WGDC

1903-12-0014-08-WGDC-p190

3-1-ts

57 제정

Proposal for use case of name-based

content routing on P1903.1 TS Draft

Standard for Content Delivery Protocols of

NGSON

IEEE NGSONP1903.1 이남경

표준제안서승인

20150608 20150611IEEE

1903-15-0009-00-WGDC

1903-12-0014-08-WGDC-p190

3-1-ts

58 제정

Proposal for use case of Context-aware

content routing on P1903.1 TS Draft

Standard for Content Delivery Protocols of

NGSON

IEEE NGSONP1903.1 이남경 표준제안

서승인20150608 20150611

IEEE 1903-15-0010-00-WGDC

1903-12-0014-08-WGDC-p190

3-1-ts

59 제정Proposal for protocol

specification of content discovery

IEEE NGSONP1903.1 이남경 표준제안

서승인20150608 20150611

IEEE 1903-15-0017-00-WGDC

1903-12-0014-08-WGDC-p190

3-1-ts

60 기술반영

F.IoT-ASM: Proposal for enhancement of

clauses 7 and 8ITU-T SG16 meeting 엄기문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211 20150220 ITU-T SG16

C818R1

ITU-T SG16 TD326

61 기술반영

Proposal of adding new texts and

updating texts for clause 3 and 7 of

F.IoT-ASM

ITU-T IoT-GSI 엄기문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421 20150423

ITU-T IoT-GSI C454

ITU-T IoT-GSI TD290

62 기술반영

Proposal of adding new texts and

updating texts for clause 8 of F.IoT-ASM

ITU-T IoT-GSI 엄기문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0421 20150423

ITU-T IoT-GSI C453

ITU-T IoT-GSI TD290

63 기술반영

F.IoT-ASM: Proposal for new texts for Introduction and updated texts for

clause 7

ITU-T SG16 meeting 엄기문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1014 20151023 ITU-T SG16

C936R1

ITU-T SG16 TD445

64 기술반영

F.IoT-ASM: Proposal for updated texts for

clause 8ITU-T SG16 meeting 엄기문

표준수정제안서승

인20151014 20151023

ITU-T SG16 C937R1

ITU-T SG16 TD445

65 기술반영

F.CCNMMS: Proposed Update ITU-T ITU-T SG16 정성호 기고서제

안20150209 -

ITU-T COM16- C.805

-

66 기술반영

H.EMQ: Revised Baseline Text ITU-T ITU-T SG16 정성호 기고서제

안20150209 -

ITU-T COM16-C.7

77R2-

67 기술반 H.EMQ: Proposed ITU-T ITU-T SG16 정성호 기고서제 20150209 - ITU-T -

- 94 -

영 architecture and functional entities 안

COM16-C.778R1

68 기술반영

F.CCNMMS: Proposed Changes ITU-T ITU-T SG16 정성호

기고서제안

20150209 -ITU-T

COM16-C.931R1

-

69 제정 IP Header Compression ATSC AHG conf.

call 권우식표준제안서승인

20150111 20150720

S33-1-265r0-LZG_Samsung_Sony - IP Header

Compression

S33-1-380r2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70 제정Recommendation for

IP header compression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

서승인20150615 20150720

S33-1-381r0-Recommendation for IP header

compression

S33-1-380r2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71 제정Small Group

Discussion on IP header compression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629 20150720

S33-1-388r0-Small Group

Discussion on IP header

compression_r1

S33-1-380r2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72 제정Small Group

Discussion on IP header compression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706 20150720

S33-1-388r1-Small Group

Discussion on IP header

compression

S33-1-380r2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73 제정Consideration on Multiple header

compression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720 20150803

S33-1-405r0-Considerati

on on Multiple header

compression

380r3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

LP)

74 제정Consideration on Multiple header

compression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727 20150803

S33-1-405r1-Considerati

on on Multiple header

compression

380r3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

LP)

75 제정Consideration on

Adaptation of ROHC-U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812 20150824

S33-1-431r0-Considerati

on on Adaptation of ROHC-U

380r4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

LP)

76 제정Consideration on

Adaptation of ROHC-U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

서승인20150824 20150824

S33-1-431r1-Considerati

on on Adaptation of ROHC-U

380r4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

LP)

77 제정 Generic_Packet_Format_LZG_Samsung_Sony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111 20150615

S33-1-258r1-Generic_Packet_Format_LZG_Samsu

ng_Sony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 95 -

78 제정 How_to_Evaluate_Input_Formatting ATSC AHG conf.

call 권우식표준제안서승인

20150125 20150615

S33-1-280r0_How_to_Evaluate_Input_Formatting-2014-01-25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79 제정 Evaluation_Criteria_efficiency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302 20150615

S33-1-307r0-Evaluation_Criteria_efficiency_LZG_Samsung_Son

y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80 제정 Evaluation_Criteria_efficiency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303 20150615

S33-1-307r1-Evaluation_Criteria_efficiency_LZG_Samsung_Son

y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81 제정 Response_to_Evaluation_Criteria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311 20150615

S33-1-311r0-Response_to_Evaluation_Criteria_LZG_Samsung_

Sony_r4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82 제정 Comments_to_TLV_Advantage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323 20150615

S33-1-326r0-LZG_Samsung_Sony_Comments_to_TLV_Advanta

ge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83 제정 ALP Overhead ATSC AHG conf. call 권우식

표준제안서승인

20150512 20150615

S33-1-358-ALP

Overhead_LZG_Samsung_Sony_r1

S33-1-380r0_WD_ATSC3.0_Link-layer_Protocol(ALP)

84 제정

S33-1-316r0-ATSC3 0_Service_Signaling_Proposal_Summary_rev1

3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Charles Lo

표준제안서승인

20150316 20151124

S33-1-316r0-ATSC3

0_Service_Signaling_Proposal_Summ

ary_rev13

S33-1-384r37-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85 제정 S33-1-317r1-Service_Signaling_Proposal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Charles Lo

표준제안서승인

20150326 20151124

S33-1-317r1-Service_Signaling_Prop

osal

S33-1-384r38-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86 제정S33-1-345r0-Requirements-for-Low-Level-

Signaling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ark Eyer

표준제안서승인

20150416 20151124

S33-1-345r0-Requirements-for-Low-Level-Signali

ng

S33-1-384r39-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87 제정 S33-1-353r0-Service-List-Table-SLT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ark Eyer

표준제안서승인

20150501 20151124S33-1-353r0-Service-List-Table-SLT

S33-1-384r40-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 96 -

88 제정 S33-1-363r0-SLT Use Cases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adeleine

Noland

표준제안서승인

20150515 20151124S33-1-363r0-SLT Use

Cases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89 제정 S33-1-404r0--OIL_Minsung_Edits_Proposed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720 20151124

S33-1-404r0--OIL_Minsung_Edits_Pro

posed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0 제정 S33-1-408r0-LLS-table-header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ark Eyer

표준제안서승인

20150724 20151124S33-1-408r0-LLS-table-h

eader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1 제정 S33-1-404r1_OIL_Minsung_Edits_Proposed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726 20151124

S33-1-404r1_OIL_Minsung_Edits_Prop

osed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2 제정S34-1-195r1-LG-Contribution_Signaling-3DA

nnex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Rich Chernok

표준제안서승인

20150728 20151124

S34-1-195r1-LG-Contribution_Signaling-3DAnnex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3 제정 S33-1-415r0-LGE_ATSC3 0_Video_Signaling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Rich Chernok

표준제안서승인

20150731 20151124

S33-1-415r0-LGE_ATSC3 0_Video_Sig

naling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4 제정

S33-1-417r0-open_issue_list_#113_inetSigLo

cation XML_POST_Method.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731 20151124

S33-1-417r0-open_issue_list_#113_inetSigLocatio

n XML_POST_

Method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5 제정

S33-1-417r1-open_issue_list_#113_inetSigLo

cation XML_POST_Method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809 20151124

S33-1-417r1-open_issue_list_#113_inetSigLocatio

n XML_POST_

Method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6 제정 S33-1-432r0-LGZ_AEA_Proposal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817 20151124S33-1-432r0-LGZ_AEA_Pr

oposal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7 제정 S33-1-436r0-LGE-markup-of-S33-1-384r7 ATSC

TG3/S33-1 AHG on Service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823 20151124 S33-1-436r0-LGE-marku

S33-1-384r41-clean-

- 97 -

나. 기고서 실적(제정)

다. 대표 기고서 실적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p-of-S33-1-384r7

WD-Signaling-Delivery-Sync-FE

C.

98 제정 S33-1-437r0-LGE-markup-of-S33-1-385r10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823 20151124

S33-1-437r0-LGE-markup-of-S33-1-

385r10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99 제정S33-1-448r0-LGE

Proposed Revisions to SLT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표준제안서승인

20150911 20151124

S33-1-448r0-LGE

Proposed Revisions to

SLT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100 제정S33-1-448r1-LGE

Proposed Revisions to SLT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Gomer Thomas

표준제안서승인

20151001 20151124

S33-1-448r1-LGE

Proposed Revisions to

SLT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101 제정S33-1-450r1-Status-of-EAS-Harmonization-S

ony-LGE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ark Eyer

표준제안서승인

20151005 20151124

S33-1-450r1-Status-of-EAS-Harmonization-Sony

-LGE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102 제정S33-1-467r0-Emergency-Alert-Signaling-Pro

posal-Sony-LGE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ark Eyer

표준제안서승인

20151022 20151124

S33-1-467r0-Emergency-Alert-Signaling-Proposal-Sony-LGE

S33-1-384r41-clean-WD-Signaling-Delivery-Sync-FE

C.

103 제정 S33-1-477r0 LGE Content Identifier ATSC

TG3/S33-1 AHG on Service

Delivery and Synchronizati

on Documents

Minsung Kwak

기고서제안

20151110 -

S33-1-477r0 LGE

Content Identifier

-

NO 표준구분 국제표준명 기구명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제정연월일

표준제정번호

1 제정

F.747.8 (ex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ITU-T SG16 meeting 엄기문국제표준

제정20151129 ITU-T F.747.8

2 제정 A/330 ATSCATSC S33-1

AHG권우석

국제표준제정

20151225 A/330

- 98 -

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 IEEE802/P802.15-15-0492-03-007a

- 내용: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칼라 QR Code와 비슷한 통신 기능 제공

제품 적용/ 시범서비스 반영 여부 : 국내에서는 현재 적용제품이 없지만 삼성전자, 국민대

및 기민전자에서 Prototype 제작 완료. 일본(Casio(Casio PicapiCamera), Panasonic 등)는

서비스 중이고 중국(China Telecom)에서는 서비스 시험 중임.

- 예상 제품 : 등대 통신, 부표와 통신, Digital signage, Display-to-Display통신, IoT 등

2) F.747.8 (ex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Audience-selectable 미디어(AnySourceMulticast) 서비스 매체 선택 옵션은 옵션 이익

과 취향에 따라로 관객들을 제공한다. 매체 선택 옵션의 예는 관심의 개체 선택, 관심

이 있는 카메라 개체의multi-camera 개체가 다른 풍경을 제공하며 사이에서 선택 포

함한다. 이 권고안 AnySourceMulticast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축 요구 사항과 참조 아

키텍처를 기술한다.

<그림-ASM 서비스의 개념>

- 99 -

Figure I.1 – Use case for an ASM broadcasting service using multi-camera objects

Figure I.2 – Use case for an open screen service using multi-camera objects, camera control server and

media server

3) Kookmin University Comments to TCD 15-492r2: Flickering Consideration for OWC -

IEEE802/IEEE 802. 15-15-0527-01-007a

- 100 -

-내용: Digital Signage 및 LED와 카메라간의 통신에서 Flickering 기준 제시

Digital Signage 및 LED와 카메라간의 통신에서 Flickering 기준 제시

-파급 및 기대 효과 : Flicker 및 Flicker Free 를 구분하는 주요한 자료며 이를 기준으로 국제

기고서 분류함.

-제품 적용/ 시범서비스 반영 여부 : 다양한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표준화가 가능

한 제품에 적용 가능

-예상 제품 : LED신호등과 카메라간의 통신, Digital signage, LED조명통신,

Display-to-Display 통신, 자동차 통신(Back light와 카메라간 통신), IoT, 수중 통신 등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단체/국가)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

회의명 구분과제채택 연월일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제정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환경의 I/O 디바이스 디스크립터 및 제어 메시지

형식

TTA 제87차 TA 표준제정 20140924 20151200 2014-275 TTAK.KO-08.0043

2 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기본 구조 TTA TC4 60차 회의 표준제정 20150923 20151200 2015-466 TTAK.KO-1

0.0840

3 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기본 구조 TTA TC4 60차 회의 표준제정 20150923 20151200 2015-467 TTAK.KO-1

0.0841

4 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수신기 기본 구조 TTA TC4 60차 회의 표준제정 20150923 20151200 2015-468 TTAK.KO-1

0.0842

5 제정디지털 사이니지 광고효과 분석을 위한 주변환경정보

분류 TTA 제96차CC 과제채택 20151201 - 2015-779 -

6 제정맞춤형 디지털 사이니지

홍보물 동적 구성 및 스케줄링 TTA 제96차CC 과제채택 20151201 - 2015-780 -

7 제정디지털 사이니지 광고효과 분석을 위한 주변환경정보

분류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표준제정 - 20150526 -

8 제정맞춤형 디지털 사이니지

홍보물 동적 구성 및 스케줄링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표준제정 - 20150526 -

9 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기본 구조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표준제정 - 20150804 -

10 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기본 구조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표준제정 - 20150804 -

11 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수신기 기본 구조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표준제정 - 20150804 -

12 제정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매니지먼트

포럼2015 MSS포럼

분과회의표준제정 - 20150526 -

13 제정디지털사이니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분할 인코딩 표준

포럼2015 MSS포럼

분과회의표준제정 - 20150526 -

14 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기본 구조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 - 20150919 -

15 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기본 구조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 - 20150919 -

16 개정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수신기 기본 구조 포럼

2015 MSS포럼 분과회의

- - 20150919 -

- 101 -

나. 대표 표준개발 및 활용 실적

1)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환경의 I/O 디바이스 디스크립터 및 제어 메시지 형식

본 표준의 목적은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방송 이외에 동영상, 메뉴,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디지털 사이니지, 사용자, 사용자가 이용중인 I/O 디바이스로 활용 될 단말, 이용하려는 서비스 정

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사용자가 양

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활용할 사용자 I/O 디바이스의 특성, 사용자 정보, 서비스 정보, 수신기

(디지털 사이니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디바이스 디스크립터와, I/O 디바이스와 디지털 사이니지 간

제어 메시지를 정의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I/O 디바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개발에 참고

가 되고자 한다.

(그림 1-1) I/O 서비스 구성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양방향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가 가진 I/O 디바이스로 부터 디바이스 특

성, 사용자 정보 디스크립터를 I/O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되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와 디지털 사이니지의 시스템 정보를 디스

크립터를 이용하여 해당 I/O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디스크립터 교환을 통해 I/O 디바이스와 디지털 사

이니지간 연동이 완료되면, 디지털 사이니지는 해당 I/O 디바이스를 통한 제어에 사용될 제어 메시지를

설정하고, I/O 디바이스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는 I/O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

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는 I/O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메시지와 서비스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 제어 메시지로 구분된다.

I/O 디바이스와 디지털 사이니지 간의 디바이스 디스크립터 정보 교환을 통해 디바이스 연

결이 완료 된 후, I/O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서 I/O디바이스와 디지털 사이니지간 제어 메시지 정의가

필요하다.

본 표준에서는 I/O 디바이스와 디지털 사이니지 간의 제어 메시지를 정의한다

- 102 -

(그림) 스마트폰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I/O 서비스 예

(그림) 서비스 디스크립터를 이용한 I/O 서비스

2) 맞춤형 디지털 사이니지 홍보물 동적 구성 및 스케줄링

(그림) 상황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스케줄링 개념도

통상적으로 홍보라 함은 개인, 기업, 단체 또는 조직체가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생각, 활동, 재화 등을 널리 알리거나 판매하기 위한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홍보 방법으로는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누는 것에서부터,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다양한 매스미디어를 이용하여 홍보의 파급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종류 및 방법이 매우 다양하다. 상기 홍보 활동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의 한 가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홍보 활동은 보고, 말하고, 냄새 맡고, 듣고, 느끼는 감각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현재의 환경에서는 TV나 인터넷 영상 서비스와 같이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면서도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홍보 방식은 신문, 라디오, TV와 같은 매스미디어 등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진화와 빠른 보급, 다

- 103 -

양한 미디어 저작 도구들의 등장으로 새로운 콘텐츠 전달 방식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업적 서비스에 적합한 내구성과 규격을 갖춘 새로운 정보 표시 매체로써 급성장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와 IoT기술이 연동된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가 대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의 진화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상에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필요한 홍보 목적에 적합한 고품질 홍보물의 동적 구성, 추천, 스케줄링 기술은 표준 관점에서는 크게 다루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는 비디오와 관련된 다양한 상업서비스 업체들이 치열하게 이 분야를 개척하여 막대한 수입을 얻고 있는 상황에 비춰볼 때 기술과 표준화의 필요성은 크게 입증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표준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상에서 사이니지가 위치한 환경이나 사용목적, 사용자 업종이나 위치나 시간, 사용자의 의도, 다양한 경로로부터 도출된 광고전략 등을 반영하여 적절한 콘텐츠를 구성 및 추천/구성/스케줄링 하기 위한 메타정보 규격 및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안한다. 상황정보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수준에서 이뤄진다. 먼저 홍보용 동영상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홍보용 동영상은 기본템플릿에 사진, 동영상, 음악, 텍스트 정보 등이 결합되고 각종 필터효과(filter effect)나 전환효과(transition effect)등이 부가되어 만들어진다. 이 다음 작업은 이전 단계에서 제작한 홍보용 동영상과 추가적인 리소스 혹은 정보를 활용하여 홍보용 콘텐츠를 공간 및 시간적으로 배치 및 조합하는 단계이다. 이를 그림 2-1에 나타냈다. 이러한 두 단계 과정을 통해 동영상 홍보물과 매쉬업 홍보물이 최종적으로 출력된다. 중요한 점은 최종 결과물들이 상황정보에 맞춰 고유한 특징과 목적을 가지게 된다는 점이다.

4. 기타 활동 결과

1) 포럼표준: 차량용 멀티 스크린 App framework(2014)

어플리케이션 기반 미러링 서비스는 App 멀티 스크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앱과 차량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uPnP 통신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화면, 음성 및 각종

알림(Notification) 이벤트 정보 제공 및 스마트폰과 차량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글로벌 카메이커를 중심으로 스마트폰과 연동한 Connected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공유할 수

있는 앱 미러링 서비스를 통해 폰 네비게이션을 차량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차량 내장형 네비게이션과

비교하여 업데이트가 간편하고,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가 가능하며 별도의 네비게이션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용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보완제 역할로 활용.

- 상용화 -르노삼성 SM7 노바 버전에 Default 탑재, 2015/12 ㅇ차량용 멀티 스크린 App Framework 적용

ㅇ자동차헤드유닛에 전용 뷰어를 적용하여 스마트폰 화면 공유 (스마트폰 45종 적용 완료)

- 104 -

-르노삼성 신규 SM5 버전에 Default 탑재 2015/2 (스마트폰 60종 적용)

-국내외 자동차 헤드유닛에 적용 검토 중

-적용 서비스 : 티맵(링크)

-확대 서비스 : 멜론, P2C, SNS 등

2) TV World 2015 국제포럼 패널 초청 참가

- TV World 2015 행사개요

전 세계 400개 미디어 기업이 참여하는 홍콩지역 최대 미디어

마켓 플레이스 및 국제 컨퍼런스

주최 : 홍콩 텔레비전협회 및 홍콩 무역발전국(HKTDC)

기간 : 2015 3/23 – 3/26 (홍콩컨벤션센터)

- TV World 국제포럼 참가

2015 주제 : Rise of TV streaming Opportunity & Challenges

- 확산되고 있는 TV 스트리밍 서비스 시대 기회와 도전

패널 초청 : 김진권 부장 (KBS 정보화기획국/MSS포럼 콘텐츠앤앱분과장)

- Lin Bin (중국 샤오미社 대표)

- Greg Peters (넷플릭스 스트리밍 서비스 책임자)

- Peter Au (홍콩 TVB채널)

포럼 일자 : 2015 3/24

3) OWC 표준화 국제워크숍 개최 – 2015.07.07. 일본, 삿포로

IEEE 802.15.7r1 OWC TG (의장: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운영위원장 장영민 교수)

-표준화 동향 소개IEEE 802.15.7r1 OWC TG 의 TCD(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 소개 및 의견 타진 -파급 및 기대 효과 :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을 통한 국제 표준화 반영 기회 제고함.

- 105 -

제 4 장 2016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6년도 멀티스크린서비스포럼 연구목표

- 각종 Wearable 기기와 IoT 기기간 멀티스크린 서비스 프레임워크 표준화

- VR (가상현실) 기반 스크린, 웨어러블 스크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안경,

스마트워치 관련 표준화

- 소형 기기의 화면을 대화면 장치로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영상 전송 기능

- 소형 기기의 사용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주변기기 접속에 대한 Connectivity Framework

- 디지털 사이니지 및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메타데이터 표준화 및 멀티스크린 서 비스 상호 호

환성 규격 보완

- 디지털 사이니지 및 멀티스크린 서비를 위한 콘텐츠 유통포맷 표준화 대응

-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의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 및 규격 표준화

-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 상호 호환성, 서비스 분할 및 협업을 위한 데이터 연동성 확보

- Smart, Open, Fiexible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개발, 상용화 및 표준화

- 비정형,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개발

-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프레임워크 규격 표준화

- 디지털 사이니지와 각종 사용자 기기 연동형 적응적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용 프레임워크 표준화

- 각종 IoT, 웨어러블 장치들간 원격 UI/UX, 원격 제어등이 연동 가능한 멀티스크린용 원격 UI/UX 제공 프레

임워크 표준화

- Smart car 및 car connectivity consortium 기반의 자동차 screen 표준화

- Display-to-Camera 통신 프로토콜 규격 표준화

- 멀티스크린 프로토콜 표준화, 플랫폼 표준화, 컨텐츠 표준화, 시나리오 표준화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 가상현실 기반 Wearable 기기와 IoT 기기간 정보 공유 및 원격 상호작용 관련 서비스 시나리오 정리 및

요구사항 정의

- Wearable 기기와 IoT 기기간 멀티스크린 서비스 UI 및 UX 요구사항 정의

- Wearable 기기와 IoT 기기간 멀티스크린 서비스에 필요한 메시지,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 표준화, 웨어러

블 스크린의 스마트 홈 제어 표준 규격- 멀티스크린 영상 전송 가능 장치에 대한 Discovery 기능

- 국제 표준전문가 과제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국내의 국제 표준 전문가들과의 국제 표준화 활동 공조 추진,

멀티스크린 관련 서비스 정의 및 부가 기능 정의 마련

- 화면분할 및 분할 인코딩 기술개발 및 표준화

디지털 사이니지의 대표적인 특성인 화면분할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화면을 다양하게 분할하여 필요에 따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등 다양한 이니지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기술개발

- 비정형 디지털사이니지 콘텐츠 제작 및 디스플레이 기술 표준화

사용자의 요구, 전시장환경, 콘텐츠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사이니지 구조물들이 나타나고 있다.

같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주변환경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구조가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한 번의 인코딩으로 다양한 디지털사이니지 형태에 맞출 수 있는 디지털사이니지 콘텐츠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술개발

- 대형화면 및 고해상도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을 위한 다중시스템 기술표준화

디지털사이니지가 대형화 및 초고해상도로 발전함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지원하

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수의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간 협력을 통하여 새로운 디지털사이니지 서비스가 가능하

도록 콘텐츠 및 인터랙션의 동기화를 할 수 있는 다중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 기술개발

- 이기종 Digital Signage와 각종 사용자 기기 연동형 적응적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 정의 및 요구사항

- 106 -

정의

- 멀티 스크린형 반응형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위한 컨텍스트, 인터페이스 및 서비스 프레임워크 표준

- 차량용 멀티스크린 프로토콜 기술 문서 작성 / 플랫폼, 컨텐츠, 시나리오 표준화 문서 작성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 Wearable 기기 관련 각종 전시회 참관, 신제품 파악, 신규 특허 및 논문 파악 등을 통해 최신 연구 및 서

비스 동향 파악

- 다양한 이종 멀티스크린 서비스 프레임워크간 호환 및 상호 연동 기술 개발

- Wearable 기기와 IoT 기기간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국내외 서비스 프레임워크 기술 표준화 및 오픈

소스 개발 진행

- Wi-Fi Display 및 Docking 등 유사 표준 동향 분석

- DLNA, UPnP 등 Display 관련 Connectivity 표준 분석

- Display-to-Camera 통신기술을 지원하는 IEEE 802 OWC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화,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OIC) 등 Device Connectivity 표준화 추진

- Allseen Alliance을 통한 AllJoyn open source project 표준화 추진 (Smart Home Connected Light)

-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기술 관련 기술 동향 파악 및 분석

- 국제 표준전문가 과제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국내의 국제 표준 전문가들과의 국제 표준화 활동 공조 추진

- 국제 표준 문서에 대한 분석 및 표준화 적극 추진

- 멀티스크린 서비스 관련 단기강좌, 세미나, 워크샵 등 각종 행사 적극 참여

- 회원사 및 유관 기관과 협력하여 콘텐츠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시나리오, 서비스 구조 및 인터페이스 프로

토콜 등에 대한 국제 표준화 활동 참여 및 기고서 발표

- TTA 디지털콘텐츠 PG를 통한 표준기고서 제안 및 표준화 추진

- Digital Signage 관련 전시회, 표준단체, 국가연구소 공조 등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 파악

- 스마트 Device들과 연동한 다양한 개방형 Digital Signage 서비스 동향 파악/분석

- 산업계, 시장 니즈를 파악하여 차세대 Digital Signage 멀티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에 적용

- 차세대 Digital Signage 관련 국내외 표준 규격 연구 및 개발(스마트 Digital Signage 멀티서 비스를 위한

국내외 기술 표준화 진행)

-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동향 분석, CCC spec 분석, Genevi spec 분석, HTML5 차량용 info

spec 분석, 국내외 기술 세미나, 워크샵 참석 (Smart car infotainment 기술 세미나, Car connectivity 기술

세미나), CCC (Car Connectivity Consortium) 규격 연구 개발, 국제 표준화 스펙 포럼 참석 및 F/U

제 5 장 결 론

제 1 절 결론

최근 Smart Phone, TV, PC, Pad, Navigation(Smart Car), Digital Signage, Connected Car, Wearable

screen, VR/AR Screen,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스마트 폰과 스마트 TV 열풍과 더불어 N-Screen 표준 기술

의 중요성이 더욱 커져 가고 있다. N-Screen의 경우 국가기관, 산업계, 연구기관 및 학계에서 적극적인 표

준화 참여와 국내 MSS 포럼을 중심으로 활발한 N-Screen 기술의 장이 마련되어 표준 전문가 파견뿐만 아

니라 기술 기고 기여도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특히, MSS 포럼을 중심으로 국내 기관들의

국제 표준화 활동에 대한 활동 노하우, 국가적 대응책 마련 및 최신 표준 기술 동향 전파 등 신속한 대응으로

이제는 N-Screen 국제표준화 활동에 있어서 다양한 표준화 기구에 많은 표준전문가들을 파견할 수 있으며,

추후 다양한 네트워크의 연동, 다양한 기술 분야 간의 융합 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의장단 진출 등 대

한민국의 국가 이익을 적극적으로 표준화에 반영되고 있다.(ITU, ISO, IEEE802, UPnP, DLNA, MirrorLink,

- 107 -

OIC, AllSeen, Alliance 등) 2014년 4차년도는 1차, 2차 및 3차년도의 기본적인 기술 분석을 통해 보다

더 체계적으로 MSS 포럼을 운영하고 추진하였다. N-Screen 기술 선도 뿐 만 아니라, N-Screen 표준기

술을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빨리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전향적인 자세를 취해 왔으며, 국내 서비스에 적용하

고자 하며 산업체의 가치 사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정의, 연동 기능 정의, 멀티스크린 미디어콘

텐츠 제작 프로세스 표준화를 추진하였다. 또한 사업자간 N-Screen 시범 사업 추진을 지속적으로 추진하

고 멀티스크린 대응 콘텐츠 유통포맷 표준화, 멀티스크린 플랫폼 UX 기반 표준화 및 글로벌 미디어 콘

텐츠 교환규격 표준화도 추진하였다. ABU (Asia Pacific Broadcasting Union) 내에 디지털미디어 마켓

플레이스 구축사업 공식화하며 ABU 방송사 및 범아시안 CP Alliancing 멤버쉽을 구축하고 있고 실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다차원 Screen, VR/AR Screen, Home Screen 연동, Inter-screen

Connectivity, Contents 및 앱 기술, Connected Car and Smart Car, Digital Signage,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기술, 표준 및 법제도개혁에 대한 구체적이고 국제적인 논의도 가속화될 계획이

다. MSS 포럼과 미래부/NIA의 주도하에 멀티스크린 서비스 상호호환성 규격도 보완할 계획이다. 그리

고 1세대 서비스 및 2세대 서비스에 이어 3세대 서비스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연동

(Collaboration) 규격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차세대 IoT와 다양한 디바이스 (screen, Camera, display,

sensors, LED screen, LED Light 등) 기반의 N-Screen 표준화에 산업계, 연구계 및 학계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표준화 기술 반영을 위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표준화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국제

표준의 선점이 곧 시장의 지배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표준화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표준 기술의 서비스 접목 및 상용화 기술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는 국내의 환경은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 및

시장 우월적 지위를 선도하는데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MSS 포럼은 국내 PC, Mobile,

IPTV, Smart TV, Digital Signage (Wearable Screen, Open Screen, Flexible Digital Signage), Car,

Display/LED-to-Camera 통신기술 등을 포함한 다양한 N-Screen 기술 활동 및 국제 표준화 활동을 위한

구심체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제 2 절 기대효과

o Multi Screen 국제 표준을 활용한 주요 융합서비스, 방송, 통신, 콘텐츠, 클라우드, 스마트 Wearable 디

바이스 (안경, 시계, HMD), Open and Flexible Digital Signage, 자동차 산업, Display 산업 등 관련 응용

기술, 장비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

o 다양한 융합 산업 분야를 포괄하는 국제표준화 활동의 모델 사례로 활용

o 국내 방송통신 멀티미디어, N-Screen 시범 서비스 개발 및 기술개발 정책 수립에 반영

- Multi Screen 국제 표준화 활동을 위한 국내 기관 간 이견 조정 및 협력을 통하여 국내 개발 기술의 국

- 108 -

제 표준 반영 극대화

- IoT/M2M 산업의 일환으로 Internet of Things (Screens, Wearable Devices, Cameras, LED, 사인

이지) 국제표준 반영 극대화

- Second Screen 응용서비스 개발 및 표준

o 관련되는 산학연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부에 대한 정책/제도 및 규제를 건의하고 방송통신융합서비스

경쟁력 확보. 기술개발 활성화 및 표준화 활동이 포럼을 중심으로 추진하여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고 새로

운 마켓 창출.

- 디지털사인이지 및 멀티스크린 규제개선 방안 제안

- Wearable Screen 및 가상현실 스크린 등과 같은 특별한 기술을 가진 중소중견기업 참여 확대를 통

한 산업의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 ICT융합산업의 제고를 통한 IoT 및 Internet of Screen 관련 ICT Eco-system 구축

- 109 -

표준화 추진과제(표준/기고서) 요약서 작성

1. 2015년도 국내표준화 활동실적-표준

표준(안)명- 국문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환경의 I/O 디바이스 디스크립터 및제어 메시지 형식- 영문 : The Device Descriptor and Control Message for using I/O Device on Digital Signage Environment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방송 이외에 동영상, 메뉴,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디지털

사이니지, 사용자, 사용자가 이용중인 I/O 디바이스로 활용 될 단말, 이용하려는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2. 추진 경위 ① 20140620, 20140824 ② 20140924, TTA 표준 완료일 및 문서번호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는 다양한 웹/앱 형태의 서비스를 사용자가 가진 스마트 단말을 활용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 시, 사용자 특성, 사용자가 가진 스마트 디바이스의 특성,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

여 최적의 웹/앱 형태의 서비스를 제어 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바이스 디스크립터와 제어

메시지를 정의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본 표준은 디지털 사이니지와 사용자 스마트 단말과 양방향 연계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사용하

게 될 I/O 디바이스의 디스크립터 및 콘트롤 메시지 표준을 활용하여 콘텐츠 활용도를 극대화, 사용자

편의 제공,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와 서비스 활용의 극대화를 제공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붙임

- 110 -

표준(안)명- 국문 :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기본 구조 - 영문 : Reference Transmitter Architecture for Image Sensor Communications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이미지 센서 통신에서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PHY)의 기본 구조와 송신기의 PHY

계층에 대하여 정의

2. 추진 경위 ① 20150620, 20150804 ② 20150923,

3. 대상 및 범위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

4. 내용요약표준은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PHY계층의 기본 구조와 송신기 PHY계층

을 정의하며, 송신기 PHY계층의 주요 기능과 기본 요소들을 기술

5. 기대효과(표준활용)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에 관련되는 산업들에 있어 특히

하드웨어, 더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기 제조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표준을

통해 이미지 센서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1 -

표준(안)명- 국문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기본 구조- 영문 : Reference Architecture for Image Sensor Communications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이미지 센서 통신에서의 PHY와 MAC 계층에 관련된 개념 구조에 대하여 정의한다.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의 기본구조와 MAC계층의 기본 구조에 대해 기술한다.

2. 추진 경위 ① 20150620, 20150804 ② 20150923,

3. 대상 및 범위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

4. 내용요약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PHY계층의 기본 구조에 해당하는 송수신

PHY/MAC계층을 정의하며, 송수신기 PHY및 MAC계층의 주요 기능과 기본 요소들을 기술한

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에 관련되는 산업들에 있어 특히

하드웨어, 더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기 제조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표준을

통해 이미지 센서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2 -

표준(안)명- 국문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수신기 기본 구조- 영문 : Reference Receiver Architecture for Image Sensor Communications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이미지 센서 통신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PHY)의 기본 구조에 맞춰 수신 PHY 계층에

대한 기본 구조를 정의

2. 추진 경위 ① 20150620, 20150804 ② 20150923,

3. 대상 및 범위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

4. 내용요약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PHY 계층의 기본 구조에 맞춰 수신

PHY 계층을 정의하며, 수신기 PHY 계층의 주요 기능과 기본 요소들을 기술한다. 또한 수신

PHY 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기능들을 대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함께 기술하고 있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에 관련되는 산업들에 있어 특히

하드웨어, 더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기 제조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표준을

통해 이미지 센서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3 -

표준(안)명- 국문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효과 분석을 위한 주변환경정보 분류- 영문 : Snapshot of Ambient Information for Feedback Information Analysis of Digital Signage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노출된 콘텐츠들에 대한 광고효과 피드백 조사 및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환경정보 스냅샷 방법을 소개하고, 분석을 위해 필요한 스냅샷을 구성하는

정보를 분류 및 정의 하는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 개발 시작일, 제정일 및 문서번호 ②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 표준 완료일 및 문서번호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본 표준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특정 광고 콘텐츠 또는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점, 그리고 운영자가 분석을 위해 필요로 하는 특정 시간에 주변환경정보를 스냅샷 하는

방법, 스냅샷을 구성하는 정보에 대한 분류 및 정의를 한 것으로써 본 표준의 주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디지털 사이니지에서의 주변환경정보 스냅샷의 정의 및 사용 시나리오

- 디지털 사이니지에서의 주변환경정보의 분류

5. 기대효과(표준활용)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콘텐츠 광고 효과를 분석하거나, 인터랙티브 사이니지 서비스와 같

이 사이니지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구현에 기여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4 -

표준(안)명- 국문 :맞춤형 디지털 사이니지 홍보물 동적 구성 및 스케줄링- 영문 : Dynamic Contents Creation and Scheduling for Targeting Service using Digital Signage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옥 내외 디지털 사이니지를 대상으로 홍보용 광고물을 스스로 제작하여 배포할 때 홍보물을

구성하는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적으로 추천/구성/스케줄링 하기 위한 메타정보 규격

및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것이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 개발 시작일, 제정일 및 문서번호 ②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 표준 완료일 및 문서번호 ③ 국가표준 채택일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주십시오.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본 표준은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상황정보로 정의되는 다양한 실시간 정보들을 반영하여 동적

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상황정보 기반 맞춤형으로 추천하기 위해 필요한 메타정보 혹은 인

터페이스 규격을 제안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맞춤형 광고, 매출이익 증대, 만족도 높은 콘텐츠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5 -

표준(안)명- 국문 :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기본 구조 - 영문 : Reference Transmitter Architecture for Image Sensor Communications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1. 표준의 목적 이미지 센서 통신에서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PHY)의 기본 구조와 송신기의 PHY

계층에 대하여 정의

2. 추진 경위 ① 20150620, 20150804 ② 20150923,

3. 대상 및 범위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

4. 내용요약표준은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PHY계층의 기본 구조와 송신기 PHY계층

을 정의하며, 송신기 PHY계층의 주요 기능과 기본 요소들을 기술

5. 기대효과(표준활용)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에 관련되는 산업들에 있어 특히

하드웨어, 더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기 제조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표준을

통해 이미지 센서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6 -

표준(안)명- 국문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기본 구조- 영문 : Reference Architecture for Image Sensor Communications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1. 표준의 목적 이미지 센서 통신에서의 PHY와 MAC 계층에 관련된 개념 구조에 대하여 정의한다.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의 기본구조와 MAC계층의 기본 구조에 대해 기술한다.

2. 추진 경위 ① 20150620, 20150804 ② 20150923,

3. 대상 및 범위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

4. 내용요약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PHY계층의 기본 구조에 해당하는 송수신

PHY/MAC계층을 정의하며, 송수신기 PHY및 MAC계층의 주요 기능과 기본 요소들을 기술한

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에 관련되는 산업들에 있어 특히

하드웨어, 더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기 제조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표준을

통해 이미지 센서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7 -

표준(안)명- 국문 :광무선통신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수신기 기본 구조- 영문 : Reference Receiver Architecture for Image Sensor Communications i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이미지 센서 통신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PHY)의 기본 구조에 맞춰 수신 PHY 계층에

대한 기본 구조를 정의

2. 추진 경위 ① 20150620, 20150804 ② 20150923,

3. 대상 및 범위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

4. 내용요약

이미지 센서 통신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 PHY 계층의 기본 구조에 맞춰 수신

PHY 계층을 정의하며, 수신기 PHY 계층의 주요 기능과 기본 요소들을 기술한다. 또한 수신

PHY 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기능들을 대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함께 기술하고 있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조명 및 다양한 가시광원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에 관련되는 산업들에 있어 특히

하드웨어, 더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기 제조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표준을

통해 이미지 센서 통신 분야의 하드웨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8 -

표준(안)명 - 국문 :멀티스크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영문 : Application Management for Multi-Screen service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기기간의 Multi-Screen 서비스를 활성화 하기 위한 기기간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를 위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제공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세부 규격을

정의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 개발 시작일, 제정일 및 문서번호 ②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 표준 완료일 및 문서번호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기기간의 Multi-Screen 서비스를 활성화 하기 위한 기기간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를 위한 규격으로, Application의 설치, 실행 및 Application간의 연동 등의 원격

제어를 위한 규격을 정의한다. 추가적으로 Multi-Screen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간의

Authentication 및 Synchronization 규격을 정의한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

사용자의 Multi-Screen 서비스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어 관련 산업의 확대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또한 Device와 Application의 역할을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제작 및 제공할 수 있게되어 해당 산업의 양적, 질적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19 -

표준(안)명 - 국문 : 디지털사이니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분할 인코딩 표준 - 영문 :

표준 상태 ① 포럼표준 제정 ■ ② TTA표준 제정 □ ③ 국가표준 제안/채택□,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표준의 목적 디지털사이니지 콘텐츠를 미리 화면유닛단위로 분할 인코딩해 둠으로써 기기(PC)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레이아웃 배치가 바뀌거나 저사양의 PC라 할지라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구사항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2. 추진 경위 ① 포럼표준 개발 시작일, 제정일 및 문서번호 ② TTA표준 과제채택일, TTA 표준 완료일 및 문서번호 3. 대상 및 범위

4. 내용요약

디지털사이니지 콘텐츠를 유닛단위로 인코딩 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레이아웃이

바뀌었을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유닛 콘텐츠들을 보내면 유닛들을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게 콘텐츠 재생이 가능하다. 저사양의 디지털사이니지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전체 콘텐츠를 송출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아니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할 부분만을 전송하여 재생하기 때문에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에 가해지는 부하를 낮출 수

있다.

5. 기대효과(표준활용)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콘텐츠를 준비하는 디지털사이니지 제작 시스템의 성능이

고해상도의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는 능력이 되지 않더라도 분할 인코딩하는 유닛단위로

로딩을 가능하게 하고 충분한 성능을 가진 시스템 사용시 병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코딩 효율을 높이는 것을 통해 디지털사이니지 콘텐지 제작 및 디스플레이 산업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다.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 표준과 관련성 ※ 국내외 관련 참조표준 기재하여 주십시오.

- 120 -

2. 2015년도 국제표준화 활동실적-기고서

포럼 명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pplications of

OW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3.09~2015.03.12

장소 베를린, 독일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기초적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기고

2. 기고서 주요 내용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절차,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에서의 비동

기 롤링 셔터, 위치인식응용프로그램, Internet of LED와 같은 응용프로그램 예시를 다룸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1 -

포럼 명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pplications of

OC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3.09~2015.03.12

장소 베를린, 독일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중 기술중 하나인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에 대한 기초적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기고

2. 기고서 주요 내용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에서의 데이터 디코딩 절차, OCC를 사용하기 위한 문제점, Optical MIMO,

D2D 기반의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간 통신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2 -

포럼 명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March 2015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3.09~2015.03.12

장소 베를린, 독일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15.7r1 이정표 및 일정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튜토리얼 발표, 3월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화

회의 내용 정리

2. 기고서 주요 내용

15.7r1 이정표 및 일정에 대한 프리젠테이션 ,튜토리얼 발표, 3월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표준화

회의 내용 정리, OCC, LED-ID, LiFi에 관한 CFA에 관한 16건의 발표 진행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3 -

포럼 명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Draf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Structure

Discussi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4.21

장소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를 작성하기 위한 포맷 파일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Techinical Consideration Document 작성을 위해 각 기술인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LiFi, LED-ID에 관한 기본 목차 작성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4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ior art analysis on the adopted IVC technologie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1t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2. 16 ~ 2. 26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비디오 응용을 위한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IVC(Internet Video Coding)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제안된 기술들 중 채택된 기술들이 Type-1 기술임을 조사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향후 IVC가

Type-1 표준임을 제시할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문서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 IVC에 채택된 기술의 특허를 분석하여 제안한 기술이 Type-1 기술임을 조사한 내용을 정리

- Type-1이 될 수 있는 기술은 관련 기술이 논문 등을 통하여 20년 전에 공지되었거나

- 관련 특허의 등록 시점이 20년이 경과하였거나

- 제안자 또는 관련 기술의 지적권 소유자가 관련 특허를 무료로 허여하겠다고 선언한 기술들임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1_Geneva/wg11/m35990-v1-

m35990.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5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Cross-check of m35746 on Bug report on ME initialization in

internet video coding (IVC) encoder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1t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2. 16 ~ 2. 26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비디오 응용을 위한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IVC(Internet Video Coding)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IVC에 새로이 제안된 제안서의 실험결과를 검증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This document reports the cross-check results on Bug report on ME initialization in internet

video coding (IVC) encoder (m35746) [1]. In the contribution, a bug that may not be intended

on ME initialization process is presented, and a simple way is proposed to fix it. All the

BD-rate results are exactly matched with those provided by the proponents. In order to check

the correctness of m35056, we checked the software and conducted the simul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n CS2. ITM 11.0 is used as the anchor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loses a 0.1% BD-rate on average

compared to that of ITM 11.0 in CS2 configurations, which is almost same with anchor.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1_Geneva/wg11/m36045-v1-

m35746.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6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Cross-check of m35747 on Enhanced encoding technique on

the quantized coefficients of chroma for internet video coding (IV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1t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2. 16 ~ 2. 26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비디오 응용을 위한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IVC(Internet Video Coding)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IVC에 새로이 제안된 제안서의 실험결과를 검증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This document reports the cross-check results on Enhanced encoding technique on the quantized coefficients of chroma for internet video coding (IVC) (m35747) [1]. The contribution proposes a simple encoding technique that tries to optimize the quantization process on chroma blocks. All the BD-rate results are exactly matched with those provided by the proponents. In order to check the performance of m35747, we checked the software and conducted two simulations of the proposed method in CS1 and CS2, respectively. ITM 11.0 is used as the anchor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BD rate saving is 0.8% in CS1, and 1.6% in CS2, respectively, in terms of average PSNRs over all components defined in [2].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1_Geneva/wg11/m36046-v6-

m35747.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7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Cross-check of m35748 on Improved set of reference frames for internet video

coding (IV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1t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2. 16 ~ 2. 26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비디오 응용을 위한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IVC(Internet Video Coding)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IVC에 새로이 제안된 제안서의 실험결과를 검증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This document reports the cross-check results onImproved set of reference frames for internet video coding (IVC) (m35748)[1]. The contribution presents an improved set of reference frames to increase the coding efficiency of IVC. All the BD-rate results are exactly matched with those provided by the proponents. In order to check the performance of m35748, we checked the software and conducted two simulations of the proposed method in CS1 and CS2, respectively. ITM 11.0 is used as the anchor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BD rate saving is 1.6% in CS2, and no gain in the case of CS1.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1_Geneva/wg11/m36047-v4-

m35748.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8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Requirements of Multimedia and Gesture for Wearable MPEG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1t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2. 16 ~ 2. 26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Wearable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표준으로 Wearable MPEG 표준화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관련 Use

Case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Exploration이 진행이다. 본 기고서에서는 제스쳐를 이

용한 스마트 글래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Use Case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Wearable MPEG의 요구사항

을 제시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에서는 제스쳐를 이용한 스마트 글래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Use Case를 제시하고 이를 위

한 Wearable MPEG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스마트 글래스에서는 두 손이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며 기존의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유로운 두 손을 이용한 NUI(Natural User Interface)가 주목받고 있다. 본 기고

서에서는 스마트 글래스 환경에서 손 제스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와 제스쳐

명령어 등 관련 Use Case와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1_Geneva/wg11/m35678-v1-

M35678.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29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4x4 Blocksize Inter Prediction for Internet Video Coding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2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6. 22 ~ 6. 26

장소 폴란드 바르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비디오 응용을 위한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IVC(Internet Video Coding)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IVC의 부호화 성능 개선을 위한 새로운 부호화 툴을 제한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In the current version of ITM 12.0 [1], 4x4 block size is available in intra predictive coding only. It was reported that the average BD rate saving of 0.8% and 2.6% is obtained in CS2 (low delay) and CS1 (random access), respectively, by adopting 4x4 block size in intra prediction and transform [2]. By the way, the block sizes of 16x16, 16x8, 8x16, and 8x8 are allowed in inter prediction in the ITM 12.0. 4x4 block may be effective in inter prediction, especially in more complex regions. Therefore, this document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4x4 block-based inter predictive coding in ITM 12.0, which results in the extension of variable block sizes including 4x4, 8x4, and 4x8 for inter prediction.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al results, the average bit saving over the anchor of ITM 12.0 was not achieved, even though meaningful bit savings were obtained in some classes of test sequences. Further improvement and refinement are necessary for obtaining overall coding gain of 4x4 inter predictive coding.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2_Warsaw/wg11/m36361-v2

-m3631.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0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Cross-check of m36710 Chroma enhancement technique on the

intra predicted block for IVC encoding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2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6. 22 ~ 6. 26

장소 폴란드 바르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비디오 응용을 위한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IVC(Internet Video Coding)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IVC에 새로이 제안된 제안서의 실험결과를 검증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This document reports the cross-check results on Enhanced encoding technique on the quantized coefficients of chroma for internet video coding (IVC) (m35747) [1]. The contribution proposes a modified chroma enhancement technique to prevent coding loss of the previous method [2], which changes DC value of quantized coefficients of chroma blocks. In order to check the performance of m36710, we checked the software and conducted two simulations of the proposed method in CS1 and CS2, respectively. ITM 12.0 is used as the anchor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s.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2_Warsaw/wg11/m36763-v1

-m36763.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1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Use Case of Gesture Command for Wearable MPEG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2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6. 22 ~ 6. 26

장소 폴란드 바르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Wearable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표준으로 Wearable MPEG 표준화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관련 Use

Case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Exploration이 진행이다. 본 기고서에서는 제스쳐를 이

용한 스마트 글래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Use Case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Wearable MPEG의 요구사항

을 제시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에서는 제스쳐를 이용한 스마트 글래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Use Case를 제시하고 이를 위

한 Wearable MPEG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스마트 글래스에서는 두 손이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며 기존의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유로운 두 손을 이용한 NUI(Natural User Interface)가 주목받고 있다. 본 기고

서에서는 스마트 글래스 환경에서 손 제스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스쳐 명령어 관련 Use

Case와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2_Warsaw/wg11/m36385-v1

-m36385.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2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Use Case of Gesture-Based Multimedia Consumption for

Wearable MPEG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111th MPEG

Meeting회의기간 2015. 2. 16 ~ 2. 26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Wearable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표준으로 Wearable MPEG 표준화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관련 Use

Case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Exploration이 진행이다. 본 기고서에서는 제스쳐를 이

용한 스마트 글래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Use Case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Wearable MPEG의 요구사항

을 제시한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서에서는 제스쳐를 이용한 스마트 글래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소비를 위한 Use Case를 제시하고 이를 위

한 Wearable MPEG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스마트 글래스에서는 두 손이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며 기존의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유로운 두 손을 이용한 NUI(Natural User Interface)가 주목받고 있다. 본 기고

서에서는 스마트 글래스 환경에서 손 제스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 및 Use

Case에 따른 시스템 관점에서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http://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2_Warsaw/wg11/m36388-v1

-m36388.zip (표준화기구 참여회원에 한하여 접근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3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synchronous

OCC in Vehicular environ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11.-2015.05.14

장소 밴쿠버, 캐나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비동기 OCC 차량 환경에 대한 기초적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기고

2. 기고서 주요 내용

비동기 Optical Camera Commmunication를 사용하는 차량 환경에 대한 시나리오, 고려사항 등에 대해 기고

하였음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4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Positioning issues

of OCC based Vehicular Communicati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11.-2015.05.14

장소 밴쿠버, 캐나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및 위치

인식 기초적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기고

2. 기고서 주요 내용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 및 차량 간의 위치인식 기술 및 장점들에 대

해서 기술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5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OCC Application

in Light house-to-Ship Communicati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11.-2015.05.14

장소 밴쿠버, 캐나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Camera Communication를 이용한 등대와 선박간의 통신에 대해 기고

2. 기고서 주요 내용

OCC를 이용한 등대와 선박간의 시나리오, 국민대에서 개발한 등대와 선박간에 사용가능한 OCC 구현의 대해

기고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6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Draf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11.-2015.05.14

장소 밴쿠버, 캐나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에 대한 국민대학교의 초안을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에 대한 TCD에 작성되어야 할 내용들을 작성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7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Draf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11.-2015.05.14

장소 밴쿠버, 캐나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의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에 대한 국민대학교의 초안을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에 대한 TCD에 작성되어야 할 추가내용들을 작성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8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May 2015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11.-2015.05.14

장소 밴쿠버, 캐나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의 5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표준화 회의에 대한 정리

2. 기고서 주요 내용

CFA 관련 기고서, TCD 작성을 위한 각 참여기관이 작성한 내용에 대한 의견 , 채널 모델에 대한 내용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39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call-for-proposal-for-owc-channel-models.docx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5.28

장소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WC 채널 모델에 대한 제안에 대한 문의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802.15.7r1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을 위한 채널 모델 관련 기고서 권유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0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Comments to TCD 15-492r2: Flickering

Consideration for OW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에서 LED를 사용하는 통신에서의 Flickering은 중요한 기술에 해당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Flicker의 정의, Flicker와 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한 것을 비교하였음.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1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Definition of

Asynchronous OC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WC 분야 중 하나인 OCC의 비동기 OCC에 대한 정의

2. 기고서 주요 내용

비동기 OCC에 대한 정의, 장점, 비동기 OCC를 사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술적 고려사항에 대하여 기술하

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2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ask Group의 표준 과정에서 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를 작성하여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 고려사항들을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LED-ID, LiFi는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각 분야마다의 고려사항들

을 작성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3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Radiometric and geometric consideration for image sensor

receiver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이미지센서 수신부의 Radiometric 및 기하학적 고려사항에 대해 작성하였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이미지 센서인 카메라의 Radiometry 및 Geometry에 대해 기술하였고, 카메라가 로테이션 할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한 OCC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기술하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4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Image Sensor Receiver Part of TG7r1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ask Group의 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를 위

해 Image Sensor Communication의 수신부 고려사항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를 위해 Image Sensor Communication의 수신부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

에 대해서 작성하여 기고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5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ask Group의 표준 과정에서 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를 작성하여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 고려사항들을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LED-ID, LiFi는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각 분야마다의 고려사항들

을 추가 작성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6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ask Group의 표준 과정에서 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를 작성하여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 고려사항들을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LED-ID, LiFi는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각 분야마다의 고려사항들

을 추가 작성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7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Comments to TCD 15-492r2: Flickering

Consideration for OW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에서 LED를 사용하는 통신에서의 Flickering은 중요한 기술에 해당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Flicker의 정의, Flicker와 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한 것을 비교하였음.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8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Call for Proposal에 대한 발행을 알리고, OWC 표준을 건설적인 제안으로 동기 부여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802.15 Task Group 7r1 “ Revision: Short-Rang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의 IEEE

802.15.7r1표준의 개발을 위한 Call for Proposals 발행한다. 이러한 제안의 범위는 엄격하게 표준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승인 요청 (PAR) 및 기준에 설명된 (CSD)에 제한된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49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July 2015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 OWC TG 의 7월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표준화회의 내용 정리

2. 기고서 주요 내용

8개의 세션으로 나뉘어서 표준화 회의는 진행되었고, 채널 모델은 4개의 세션에서 의논되었다. TCD 수정이

r3가 승인되었으며, Call for Proposal 준비가 시작하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0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7.13.-2015.07.16.

장소 미국, 하와이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Call for Proposal에 대한 발행을 알리고, OWC 표준을 건설적인 제안으로 동기 부여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802.15 Task Group 7r1 “ Revision: Short-Rang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의 IEEE

802.15.7r1표준의 개발을 위한 Call for Proposals 발행한다. 이러한 제안의 범위는 엄격하게 표준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승인 요청 (PAR) 및 기준에 설명된 (CSD)에 제한된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1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echnical Considerations Docu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9.14.-2015.09.17.

장소 태국, 방콕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802.15.7r1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ask Group의 표준 과정에서 Technical Consideration

Document를 작성하여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 고려사항들을 작성

2. 기고서 주요 내용

기존의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LED-ID, LiFi는 Image Sensor Communication, High Speed

Photodiode Receiver, Low Speed Photodiode Receiver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각 분야마다의 고려사항들

을 추가 작성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2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Kookmin University Response to 15.7r1 CFA: Applications of

OWC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장소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이미지센서 통신을 위해 해양 통신 및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응용프로그램이나 응용사례에서 고려되어야 할 채

널 모델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2. 기고서 주요 내용

이미지센서 통신의 채널모델의 수신기, 송신기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해양통신의 시나리오 및 실내 디지털 사

이니지 시나리에 대하여 기고하였다. 또 실험과 이론적인 채널모델에 대해 작성하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3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9.14.-2015.09.17.

장소 태국, 방콕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Call for Proposal에 대한 발행을 알리고, OWC 표준을 건설적인 제안으로 동기 부여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802.15 Task Group 7r1 “ Revision: Short-Rang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의 IEEE

802.15.7r1표준의 개발을 위한 Call for Proposals 발행한다. 이러한 제안의 범위는 엄격하게 표준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승인 요청 (PAR) 및 기준에 설명된 (CSD)에 제한된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4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9.14.-2015.09.17.

장소 태국, 방콕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Call for Proposal에 대한 발행을 알리고, OWC 표준을 건설적인 제안으로 동기 부여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802.15 Task Group 7r1 “ Revision: Short-Rang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의 IEEE

802.15.7r1표준의 개발을 위한 Call for Proposals 발행한다. 이러한 제안의 범위는 엄격하게 표준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승인 요청 (PAR) 및 기준에 설명된 (CSD)에 제한된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5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TG7r1 Call for Proposals (CFP)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09.14.-2015.09.17.

장소 태국, 방콕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Call for Proposal에 대한 발행을 알리고, OWC 표준을 건설적인 제안으로 동기 부여하기 위해 작성됨

2. 기고서 주요 내용

IEEE 802.15 Task Group 7r1 “ Revision: Short-Rang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의 IEEE

802.15.7r1표준의 개발을 위한 Call for Proposals 발행한다. 이러한 제안의 범위는 엄격하게 표준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승인 요청 (PAR) 및 기준에 설명된 (CSD)에 제한된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6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Extension of Chroma Intra Prediction Modes in Internet Video

Coding (m37462)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MPEG 회의기간 2015. 10. 17 ~ 23

장소 제네바, 스위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환경에서의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료 비디오 코덱에 대한 표준화인 IVC(Intetnet Video

Coding)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서는 IVC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비디오 부호화 툴을 제안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For intra prediction in the current version of ITM, five prediction modes (vertical, horizontal, CD,

down_left, and down_right) and four prediction modes (DC, horizontal, vertical, and plane) are available for

luma blocks and chroma blocks, respectively. In this docu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hroma

intra prediction, the candidates of prediction modes are extended with down_left and down_right which are

used in the luma intra prediction.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BD rate bit saving of 0.2% over ITM 12.0

in the average of all color components is obtained in All-Intra encoding configuration. Further improvement

may be obtained in ITM 13.0 with the chroma enhancement in the intra blocks.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 http://wg11.sc29.org/ input m37462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7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Y.fsul: Proposal for new addition of “Appendix V : Creation and execution of

composite virtual objects (CVO) in WoO enabled environ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일영 소속 한국외국어대학교

직급 교수 연락처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3

회의명 study group 13 회의기간 2015. 4. ~ 2015 4.

장소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2. 기고서 주요 내용

The web of objects (WoO) envisions a world where multiple types of objects share data with each other or

cooperate in groups to achieve intelligent and complex application goals. And WoO will facilitate distributed

applications to combine information from different domains. The WoO enabled environments targeted to

facilitate easy creation of cross-domain applications, and it is going to simplify their application

deployment, maintenance and operation through virtual objectification of service entities. These are subject

to strict constraints regarding resources as computing power, communication bandwidth and

communications environments. In response of them, WoO will contribute to improve service deployment to

promote features in many applications, security and safety, and the social services. The envisioned nature

of WoO provides a service architecture model to leverage applications in object based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lesser complex of resources, real-world objects ranging from simple entities to complex

ones.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8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Cross-check of m37355 MV bit cost calculation method for IVC

encoder (m37469)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재곤 소속 한국항공대학교

직급 부교수 연락처 02-300-041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SO/IEC JTC1 관련기술위원회 SC29/WG11

회의명 MPEG 회의기간 2015. 10. 17 ~ 23

장소 제네바, 스위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인터넷 환경에서의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료 비디오 코덱에 대한 표준화인 IVC(Intetnet Video

Coding)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기고서는 IVC에 새로이 제안된 제안서의 실험결과를 검증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This document reports the cross-check results on Reference frame distance-weighted ME for IVC

encoder (m37356). The contribution proposes a method that calculates the bit cost for reference frames to

increase compression performance for IVC encoder. In order to check the performance of m37356, we

checked the software and conducted two simulations of the proposed method in CS1 and CS2,

respectively. ITM 13.0 is used as the anchor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s.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Base Document

Reference http://wg11.sc29.org/ input m37469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59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Nov 2015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11.09.-2015.11.12

장소 미국, 댈러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2015년 11월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IEEE 표준화 회의의 내용 정리

2. 기고서 주요 내용

표준화 참여기관마다의 Call for Intent 발표, 총 16개의 기관에서 Intent 받았으며, High rate PD

Communications을 위한 실외 채널모델에 대한 토의하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0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IEEE 802.15.7r1 OWC TG Closing Report for Nov 2015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장영민 소속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직급 교수 연락처 02-910-4827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802 관련기술위원회 IEEE 802.15.7.r1 OWC TG

회의명 Plenary meeting 회의기간 2015.11.09.-2015.11.12

장소 미국, 댈러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þ, ② 기고서 반영þ,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2015년 11월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IEEE 표준화 회의의 내용 정리

2. 기고서 주요 내용

표준화 참여기관마다의 Call for Intent 발표, 총 16개의 기관에서 Intent 받았으며, High rate PD

Communications을 위한 실외 채널모델에 대한 토의하였다. 3. 중요도

Base Document

Referencehttps://mentor.ieee.org/802.15/documents?is_dcn=DCN%2C%20Title%2C%20

Author%20or%20Affiliation&is_group=007a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1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Y.MM-MD 권고안의 전반적인 수정 제안

- 영문 명 : Proposal for the revised draft Recommendation Y.MM-M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조성균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42-860-6461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SG13 관련기술위원회

회의명 Rapporteur Group

Meeting회의기간 2015. 7. 13 ~ 2015. 7. 23

장소 제네바, 스위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Y.MM-MD는 IP mobility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중 단말을 활용하여 단말 변경 시에도 끊김없는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자 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문서 전반에 걸쳐 editorial한 수정과 5절 서비스 개요에 대해서 case-by-case로 구분하여 서비스를 정의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Y.MM-MD의 base document로 활용됨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2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트러스트를 이용한 스마트오피스 유즈케이스 제안

- 영문 명 : Proposal for use case of smart office service using trus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조성균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42-860-6461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SG13 관련기술위원회

회의명 Q.16 interim

meeting회의기간 2015. 9. 2

장소 e-meeting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지식정보사회에서 사물지능에 대한 트러스트의 중요성과 역할, 그리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Technical Report 작성을 통하여, 향후 트러스트에 대한 표준화를 위한 초석으로 활용하고자 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스마트 오피스에서 트러스트를 활용한 다양한 객체 제어에 대한 use-case를 정의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Trust-CG의 technical report의 base document로 활용됨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3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Y.MM-MD 권고안의 5장 수정 제안

- 영문 명 : Proposal for updating section 5 in draft Y.MM-MD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조성균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42-860-6461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SG13 관련기술위원회

회의명 Rapporteur Group

Meeting회의기간 2015. 10. 6 ~ 2015. 10. 7

장소 e-meeting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Y.MM-MD는 IP mobility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중 단말을 활용하여 단말 변경 시에도 끊김없는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자 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5절 서비스 개요에 대해서 용어에 대한 수정과 case에 따른 그림을 추가함. 정의된 case에 따른 서비스 설명

과 MM 프레임워크에 대한 개요를 추가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Y.MM-MD의 base document로 활용됨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4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F.IoT-ASM표준 초안의 7절과 8절에 대한 수정제안

- 영문 명 : F.IoT-ASM: Proposal for enhancement of clauses 7 and 8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

회의명 SG16 meeting 회의기간 2015.2.9.-20.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 반영하기 위해 7절과 8절의 수정사항에 대해 작성 및 기고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SG16 TD-WP2-326,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SG16 meeting(제네바, 2.11~20,2015) 2. ITU-T SG16 C818R1, F.IoT-ASM: Proposal for enhancement of clauses 7

and 8,“ (제네바, 2.11~20,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5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F.IoT-ASM표준 초안의 3절과 7절에 대한 문구수정 제안

- 영문 명 : Proposal of adding new texts and updating texts for clause 3

and 7 of F.IoT-ASM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회의명 IoT-GSI 회의 회의기간 2015.4.21.-27.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 반영하기 위해 3절의 용어 정의와 7절의 요구사항 텍스트 수정을 제안한 기고서임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IoT-GSI TD-290,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IoT-GSI meeting(제네바, 4.21~27,2015) 2. ITU-T IoT-GSI C454, “F.IoT-ASM: Proposal of adding new texts and

updating texts for clause 3 and 7 of F.IoT-ASM,“ (제네바, 4.21~27,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6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F.IoT-ASM표준 초안의 8절에 대한 문구수정 제안

- 영문 명 : Proposal of adding new texts and updating texts for clause 8 of

F.IoT-ASM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회의명 IoT-GSI 회의 회의기간 2015.4.21.-27.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 반영하기 위해 8절의 참고구조 텍스트 수정을 제안한 기고서임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IoT-GSI TD-290,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IoT-GSI meeting(제네바, 4.21~27,2015) 2. ITU-T IoT-GSI C453,“Proposal of adding new texts and updating texts

for clause 8 of F.IoT-ASM,“ (제네바, 4.21~27,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7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F.IoT-ASM표준 초안의 Introduction 문구 추가 및 7절 수정제안

- 영문 명 : F.IoT-ASM: Proposal for new texts for Introduction and updated

texts for clause 7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회의명 SG16 meeting 회의기간 2015.10.12.-23.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 반영하기 위해 Introduction 문구 추가 및 7절 문구 수정 내용이 기고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SG16 TD-WP2-445,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SG16 meeting(제네바, 10.12~23,2015) 2. ITU-T SG16 C936R1,“F.IoT-ASM: Proposal for new texts for Introduction

and updated texts for clause 7,“ (제네바, 10.12~23,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8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F.IoT-ASM표준 초안의 8절에 대한 수정제안

- 영문 명 : F.IoT-ASM: Proposal for updated texts for clause 8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회의명 SG16 meeting 회의기간 2015.10.12.-23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 반영하기 위해 8절의 수정사항을 작성 및 기고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SG16 TD-WP2-445,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SG16 meeting(제네바, 10.12~23,2015) 2. ITU-T SG16 C937R1,“F.IoT-ASM: Proposal for updated texts for clause

8,“ (제네바, 2.11~20,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69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F.IoT-ASM표준 초안의 8절에 대한 수정제안

- 영문 명 : F.IoT-ASM: Proposal for updated texts for clause 8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

회의명 SG16 meeting 회의기간 2015.10.12.-23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 반영하기 위해 8절의 수정사항을 작성 및 기고됨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SG16 TD-WP2-445,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SG16 meeting(제네바, 10.12~23,2015) 2. ITU-T SG16 C937R1,“F.IoT-ASM: Proposal for updated texts for clause

8,“ (제네바, 2.11~20,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0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HSTP.DS-Gloss: Some modifications to align with ITU-T H.781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화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6319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IPTV-GSI

회의명 SG16 회의기간 2015.10.12. ~2015.10.23

장소 제네바, 스위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디지털사이니지 서비스 관련 용어 및 정의를 기술하는 문서인 HSTP.DS-Gloss 문서에서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구조와 관련된 기술 내용을 제정 완료된 디지털 사이니지 문서인 H.781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문서의 관련 내용을 수정 제안 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제안 기고는 문서내의 참고문헌 인뇬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draft recommendation ITU-T H.DS-ARCH를

recommendation ITU-T H.781로 수정함.

- 제안 기고는 “content delivery schedule”의 정의를 수정 제안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Technical Error Amendment

Reference

http://www.itu.int/md/T13-SG16-C-1042/en

http://www.itu.int/md/T13-SG16-151012-TD-WP2-0424/en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1 -

포럼 명 MSS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HSTP.DS-META: Proposal to modify the text on “screen layout”

and “regi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김화숙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6319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IPTV-GSI

회의명 SG16 회의기간 2015.10.12. ~2015.10.23

장소 제네바, 스위스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디지털사이니지 서비스 관련 메타데이터를 기술하는 문서인 H.DS-META 문서에서 포함되어 있는 “Screen

layout”과 “Region” 관련 메터테이터의 기술 부분의 내용이 현재 다른 메터데이터와 연관 관점에서 불명확하여

용어 정의의 변경과 명확성을 위한 추가 기술이 필요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제안 기고는 문서내의 Screen layout이 콘텐츠의 구성 형태로만 사용되고 있으므로 당초 정의된 콘텐츠의 집

합을 의미하는 문구의 삭제를 제안함.

- 제안 기고는 “Screen layout” 메타데이터를 기술하는 14절에 screen layout information의 전달시점과 전달

방법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제안함.

- 제안 기고는 “Region” 메타데이터를 기술하는 16절에 region의 용도와 region 정보의 전달 시점에 대한 내용

을 추가하여 제안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Technical Amendment

Reference

http://www.itu.int/md/T13-SG16-C-1043/en

http://www.itu.int/md/T13-SG16-151012-TD-WP2-0425/en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2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oposal for consistency and alignment of structure of content

delivery message format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남경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1148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관련기술위원회 P1903.1

회의명 NGSON 회의기간 2015.02.09 ~ 2015. 02.12.

장소 미국, 애너하임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P1903에서는 2011년 10월에 NGSON 구조 표준을 제정한 이후, P1903.1: 컨텐츠 전달, P1903.2: 서비스

조합, P1903.3: 자가 재구성 등 총 3개의 NGSON 세부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5년 제정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 본 기고서는 P1903.1 Content Delivery TS에서 Functional Entity간 Interface Message Format을 정의하여

제안

- 1903-12-0014-08-WGDC-p1903-1-ts-draft-standard-for-content-delivery-protocols-of-ngson문서에 반영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3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oposal for parameter formats of content delivery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남경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1148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관련기술위원회 P1903.1

회의명 NGSON 회의기간 2015.02.09 ~ 2015. 02.12.

장소 미국, 애너하임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P1903에서는 2011년 10월에 NGSON 구조 표준을 제정한 이후, P1903.1: 컨텐츠 전달, P1903.2: 서비스

조합, P1903.3: 자가 재구성 등 총 3개의 NGSON 세부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5년 제정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 본 기고서는 P1903.1 Content Delivery Technical Spec.에서 Content Delivery Operation의 전체 메시지 파

라미터 포맷을 제안

- 1903-12-0014-08-WGDC-p1903-1-ts-draft-standard-for-content-delivery-protocols-of-ngson문서에 반영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4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oposal for correction on P1903.1 TS Draft Standard for

Content Delivery Protocols of NGS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남경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1148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관련기술위원회 P1903.1

회의명 NGSON 회의기간 2015.06.08 ~ 2015. 06.11.

장소 미국, 샌프란시스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P1903에서는 2011년 10월에 NGSON 구조 표준을 제정한 이후, P1903.1: 컨텐츠 전달, P1903.2: 서비스

조합, P1903.3: 자가 재구성 등 총 3개의 NGSON 세부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5년 제정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 본 기고서는 P1903.1 Content Delivery Technical Spec.의 content request operation을 위한 section 5.1

content routing과 section 6.1 content delivery message structure를 확정 제안

- 1903-12-0014-08-WGDC-p1903-1-ts-draft-standard-for-content-delivery-protocols-of-ngson문서에 반영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5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oposal for use case of name-based content routing on

P1903.1 TS Draft Standard for Content Delivery Protocols of

NGS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남경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1148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관련기술위원회 P1903.1

회의명 NGSON 회의기간 2015.06.08 ~ 2015. 06.11.

장소 미국, 샌프란시스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P1903에서는 2011년 10월에 NGSON 구조 표준을 제정한 이후, P1903.1: 컨텐츠 전달, P1903.2: 서비스

조합, P1903.3: 자가 재구성 등 총 3개의 NGSON 세부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5년 제정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 본 기고서는 NGSON에서의 name-base 콘텐츠 라우팅 유즈 케이스를 제안

- 1903-12-0014-08-WGDC-p1903-1-ts-draft-standard-for-content-delivery-protocols-of-ngson문서에 반영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6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oposal for use case of Context-aware content routing on

P1903.1 TS Draft Standard for Content Delivery Protocols of

NGSON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남경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1148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관련기술위원회 P1903.1

회의명 NGSON 회의기간 2015.06.08 ~ 2015. 06.11.

장소 미국, 샌프란시스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P1903에서는 2011년 10월에 NGSON 구조 표준을 제정한 이후, P1903.1: 컨텐츠 전달, P1903.2: 서비스

조합, P1903.3: 자가 재구성 등 총 3개의 NGSON 세부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5년 제정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 본 기고서는 NGSON에서의 Context-aware 콘텐츠 라우팅 유즈 케이스를 제안

- 1903-12-0014-08-WGDC-p1903-1-ts-draft-standard-for-content-delivery-protocols-of-ngson문서에 반영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7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국문 명 : N/A

- 영문 명 : Proposal for protocol specification of content discovery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이남경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042-860-1148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EEE 관련기술위원회 P1903.1

회의명 NGSON 회의기간 2015.06.08 ~ 2015. 06.11.

장소 미국, 샌프란시스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 작성배경 및 목적

IEEE P1903에서는 2011년 10월에 NGSON 구조 표준을 제정한 이후, P1903.1: 컨텐츠 전달, P1903.2: 서비스

조합, P1903.3: 자가 재구성 등 총 3개의 NGSON 세부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 중에 있으며, 2015년 제정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 본 기고서는 P1903.1 Content Delivery Technical Spec.에서 NGSON 네트워크의 콘텐츠를 초기 검색하기 위

한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제안

- 1903-12-0014-08-WGDC-p1903-1-ts-draft-standard-for-content-delivery-protocols-of-ngson문서에 반영됨

3. 중요도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8 -

포럼 명 MSS 포럼

기고서 명

- 국문 명 : F.747.8(ex. F.IoT-ASM), “IoT 환경하에서의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요구사항 및 참고 구조

- 영문 명 : F.747.8 (ex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엄기문 소속 ETRI직급 책연 연락처 042-860-1084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2/Q25회의명 SG16 meeting 회의기간 2015.10.12.-23.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에서는 다중 카메라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본 구조를 정의하고 있음.

2. 기고서 주요 내용

본 기고문은 시청자 선택가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참고구조들을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최종 표준안임

3. 중요도

본 기고서의 내용은 “F. IoT-ASM: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 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문서의 base document로 활용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1. ITU-T SG16 TD-PLEN-438R1, F.747.8 (ex.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SG16 meeting(제네바, 10.11~23,2015)2. ITU-T SG16 TD-WP2-445, F.IoT-ASM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audience-selectable 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IoT environment” (New): output draft from SG16 meeting(제네바, 10.11~23,2015)3. ITU-T SG16 C937R1, “F.IoT-ASM: Proposal for updated texts for clause

8,“ (제네바, 10.11~23,2015)4. ITU-T SG16 C936R1,“F.IoT-ASM: Proposal for new texts for Introduction

and updated texts for clause 7,“ (제네바, 10.12~23,201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79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국문 명: F.CCNMMS(CCN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갱신

- 영문 명: F.CCNMMS: Proposed Update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성호 소속 한국외대

직급 교수 연락처 031-330-4642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1/Q.21

회의명 ITU-T SG16 회의기간 2015.02.09 ~ 2015.02.20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 ITU-T SG16에서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응용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음

- 미래인터넷의 중요 패러다임 중 하나인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콘텐츠 중심 네트

워킹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조 및 요구사항이 표준화되고 있음

- 상기 표준을 기술하고 있는 F.CCNMMS의 수정이 필요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F.CCNMMS 문서의 구조 수정 및 세부 항목, 그리고 세부 기술을 제안함

3. 중요도

- 제안된 기고서는 회의에서 채택되어 신규 권고안인 ITU-T F.CCNMMS의 Base Document에 반영됨

-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Reference http://www.itu.int/en/ITU-T/studygroups/2013-2016/16/ C.805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80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국문 명: H.EMQ(개선된 멀티미디어 품질 프레임워크) 권고의 기본 텍스트 수정

- 영문 명: H.EMQ: Revised Baseline Text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성호 소속 한국외대

직급 교수 연락처 031-330-4642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1/Q.2

회의명 ITU-T SG16 회의기간 2015.02.09 ~ 2015.02.20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 ITU-T SG16에서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응용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음

-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가 요구됨

- 상기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H.EMQ의 기본 텍스트의 업데이트가 필요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H.EMQ(개선된 멀티미디어 품질 프레임워크) 기본 문서의 구조 수정 및 세부 항목을 제안함

3. 중요도

- 제안된 기고서는 회의에서 채택되어 신규 권고안인 ITU-T H.EMQ의 새로운 Base Document로 승인됨

- 실시간 콘텐츠 전송 관련 분야,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야 등에 활용이 가능함

Reference http://www.itu.int/en/ITU-T/studygroups/2013-2016/16/ C.777R2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81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H.EMQ(개선된 멀티미디어 품질 프레임워크) 권고의 구조 및 기능 엔

티티 제안

- 영문 명: H.EMQ: Proposed architecture and functional entitie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성호 소속 한국외대

직급 교수 연락처 031-330-4642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1/Q.2

회의명 ITU-T SG16 회의기간 2015.02.09 ~ 2015.02.20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 ITU-T SG16에서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응용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음

-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가 요구됨

- 상기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H.EMQ의 구조 및 구성 요소가 필요함

2. 기고서 주요 내용

- H.EMQ(개선된 멀티미디어 품질 프레임워크)의 전체 구조 수정 및 기능 엔티티 제안

3. 중요도

- 제안된 기고서는 회의에서 채택되어 신규 권고안인 ITU-T H.EMQ에 반영됨

- 실시간 콘텐츠 전송 관련 분야,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야 등에 활용이 가능함

Reference http://www.itu.int/en/ITU-T/studygroups/2013-2016/16/ C.778R1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82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국문 명: F.CCNMMS(CCN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권고 초안 수정 제안

- 영문 명: F.CCNMMS: Proposed Changes

작성자 인적사항성명 정성호 소속 한국외대

직급 교수 연락처 031-330-4642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ITU-T 관련기술위원회 SG16/WP1/Q.21

회의명 ITU-T SG16 회의기간 2015.10.12 ~ 2015.10.23

장소 스위스 제네바

기고서 상태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 ITU-T SG16에서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응용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음

- 미래인터넷의 중요 패러다임 중 하나인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콘텐츠 중심 네트

워킹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조 및 요구사항이 표준화되고 있음

- 상기 표준을 기술하고 있는 F.CCNMMS의 기능 구조 및 세부 구성요소가 필요한 상황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 F.CCNMMS 권고초안의 수정 사항 (구조 및 세부 내용)을 제안함

3. 중요도

- 제안된 기고서는 회의에서 채택되어 신규 권고안인 ITU-T F.CCNMMS의 Base Document에 반영됨

-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Reference http://www.itu.int/en/ITU-T/studygroups/2013-2016/16/ C.931R1

국내표준화 여부 진행사항 없음

- 183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IP 헤더 압축

- 영문 명 : IP header compression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권우석

소속

LG전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10-7724-3323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회의명

AHG S33-1

회의기간

진행중

장소

USA 및 conference call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ATSC 3.0 방송 표준

1. 작성배경 및 목적

IP header compression 기법에 대한 방송 적용 방안

2. 기고서 주요 내용

- IP header compression 기법 소개

- 기존 기술 적용 방안

- 기존 기술 적용을 위해 표준에서 추가 되어야 할 사항

- 예상되는 송/수신기 구조 및 동작

3. 중요도

※ 해당 기술의 Base Document로, 표준 문서에 중요한 부분으로 반영 됨.

Reference

http://members.atsc.org/apps/org/workgroup/s33-1/documents.php (표

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 184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ALP (ATSC Link-layer Protocol) 표준 제정

- 영문 명 : ALP (ATSC Link-layer Protocol) 표준 제정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권우석

소속

LG전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10-7724-3323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회의명

AHG S33-1

회의기간

진행중

장소

USA 및 conference call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ATSC 3.0 방송 표준

1. 작성배경 및 목적

Working Draft 작성 및 기고.2. 기고서 주요 내용

- 제정 표준에 대해 표준 초안 전 단계 문서인 Working Draft에 대한 작성.

- 해당 기술 문서의 editor로, 그룹 의장과 함께 co-work 하며, 반영되는 기고에 대해 문서화 작업 및 기

고, 배포

- WD 작성 중 불완전한 기술에 대해 보완 작업 후 직접 반영

3. 중요도

※ 해당 기술의 Base Document로, 표준 문서 자체에 대한 작성분.

Reference

http://members.atsc.org/apps/org/workgroup/tg3/ballot.php?id=216 (표

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차방포럼 CSWG SSG에 동일 내용으로 표준화 진행중.(해당 문서를 그대로

참조)

- 185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링크계층 패킷 구조

- 영문 명 : Generic Packet structure for Link layer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권우석

소속

LG전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10-7724-3323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회의명

AHG S33-1

회의기간

진행중

장소

USA 및 conference call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ATSC 3.0 방송 표준

1. 작성배경 및 목적

ATSC 3.0 link layer protocol을 위한 패킷 구조 (공동 기고)2. 기고서 주요 내용

- IP packet 처리를 위한 패킷 구조

- MPEG-2 TS 처리를 위한 패킷 구조

- 패킷 구조에 대한 성능 분석 방식 제안

- 패킷 구조에 대한 성능 분석 결과 (경쟁 기법 포함)

3. 중요도

※ 해당 기술의 Base Document로, 표준 문서에 중요한 부분으로 반영 됨.

Reference

http://members.atsc.org/apps/org/workgroup/s33-1/documents.php (표

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LG, 삼성, 소니 에서 협의 후 표준화 단체에 공동으로 기고한 건입니다.모든 기고에 대해 파일명에 각 참여 회사가 기재 되거나 본문에 로고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국내표준화 여부

- 186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ALP (ATSC Link-layer Protocol) 표준 제정

- 영문 명 : ALP (ATSC Link-layer Protocol) 표준 제정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권우석

소속

LG전자

직급

선임연구원

연락처

010-7724-3323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회의명

AHG S33-1

회의기간

진행중

장소

USA 및 conference call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ATSC 3.0 방송 표준

1. 작성배경 및 목적

Working Draft 작성 및 기고.2. 기고서 주요 내용

- 제정 표준에 대해 표준 초안 전 단계 문서인 Working Draft에 대한 작성.

- 해당 기술 문서의 editor로, 그룹 의장과 함께 co-work 하며, 반영되는 기고에 대해 문서화 작업 및 기

고, 배포

- WD 작성 중 불완전한 기술에 대해 보완 작업 후 직접 반영

3. 중요도

※ 해당 기술의 Base Document로, 표준 문서 자체에 대한 작성분.

Reference

http://members.atsc.org/apps/org/workgroup/tg3/ballot.php?id=216 (표

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차방포럼 CSWG SSG에 동일 내용으로 표준화 진행중.(해당 문서를 그대로

참조)

- 187 -

포럼 명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S33-1-316r0-ATSC3 0_Service_Signaling_Proposal_Summary_rev13.pptx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Charles Lo

소속

Qualcomm

직급

연락처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TG3/S33-1

회의명

S33-1

회의기간

2015. 3. 16 ~ 2015.

3.31

장소

전화회의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 표준인 ATSC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화가 진행

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ATSC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ROUTE 서비스 시그널링 방안을 표준

설계한 내용을 정리 요약한 것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 ATSC 방송 표준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전송 Protocol 중의 하나인 ROUTE를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signaling 방안을 제시함.

- 제안서에 대한 내용을 요약 정리한 내용이며 그룹 논의 시 공유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for ROUTE service signaling summarization presentation.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http://members.atsc.org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차세대 방송 포럼 Codec and Systems Working Group

- 188 -

포럼 명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S33-1-317r1-Service_Signaling_Proposal.docx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Charles Lo

소속

Qualcomm

직급

연락처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TG3/S33-1

회의명

S33-1

회의기간

2015. 3. 31 ~ 2015.

4.14

장소

전화회의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 표준인 ATSC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화가 진행

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ATSC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ROUTE 서비스 시그널링 방안을 표준

설계한 내용에 대해 시그널링 레벨 별, 필요한 필드 및 내용을 기술한 제안서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 ATSC 방송 표준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전송 Protocol 중의 하나인 ROUTE를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signaling 방안을 제시함.

3. 중요도

Base Document for ROUTE service signaling specification.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http://members.atsc.org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차세대 방송 포럼 Codec and Systems Working Group

- 189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S33-1-345r0-Requirements-for-Low-Level-Signaling.docx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Mark Eyer

소속

Sony

직급

연락처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TG3/S33-1

회의명

S33-1

회의기간

2015. 4.20 ~ 2015. 5.11

장소

전화회의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 표준인 ATSC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화가 진행

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ATSC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Low Level Signaling 방안을 위한 요구

사항을 정리한 내용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 ATSC 방송 표준에서 사용되는 Low Level Signaling에 대한 요구사항 내용 정리사항임

3. 중요도

Base Document for Low Level Signaling Requirement.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http://members.atsc.org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차세대 방송 포럼 Codec and Systems Working Group

- 190 -

포럼 명 MSS Forum

기고서 명

- 국문 명 : N/A

- 영문 명 : S33-1-353r0-Service-List-Table-SLT.docx

작성자 인적사항

성명

Mark Eyer

소속

Sony

직급

연락처

제출 표준화 기구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

TG3/S33-1

회의명

S33-1

회의기간

2015. 4.20 ~ 2015. 5.11

장소

전화회의

기고서 상태

① 기고서 제안□, ② 기고서 반영■, ③ 기고서 제정□,

※ 관련항목에 체크하여 주십시오.(복수항목 체크가능)

표준화 내용요약

(주요 표준화 대상 및 범위)

1. 작성배경 및 목적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 표준인 ATSC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화가 진행

되고 있으며, 본 기고는 ATSC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Low Level Signaling 중 SLT의 Syntax

를 제안한 내용임

2. 기고서 주요 내용

- ATSC 방송 표준에서 사용되는 Low Level Signaling중의 하나인 SLT에 대해서 Syntax를 제안한 내용임

3. 중요도

Base Document for Low Level Signaling SLT Syntax

※ (Base Document/ Comment/ Technical Error(Amendment)) 등을 구분하여 기재하여 주십시오.

Reference

http://members.atsc.org (표준화기구 참여회원 access 가능)

국내표준화 여부

차세대 방송 포럼 Codec and Systems Working Group

- 191 -

3. 회원사 명부 작성

o 기관 회원 : 114 기관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LGU+ 의장사

2 KT

3 LG전자

4 현대HCN

5 SK Telecom

6 삼성전자

7 CJ

8 SK브로드밴드

9 SKP

10 Microsoft

11 에릭슨엘지

12 다음

13 현대모비스

14 르노삼성자동차

15 삼성디스플레이

16 LG디스플레이

산업체

(중소・벤처)

17 씨모텍

18 vi-nyl

19 인텔리안 시스템즈

20 CNM

21 클라우드협회

22 모다정보통신

23 티브로드 홀딩스

24 천리안

25 한국경제

26 케이블텔레콤

27 한국케이블텔레콤

28 세종텔레콤

29 아롬정보기술

30 넥스트브릿지

31 아이큐브

32 티켓몬스터

33 BLUEPIN

34 바른기술

35 비전아레나

36 CISCO

37 ERICSSON

38 ORACLE

39 TVSTORM

40 에어텍시스템

41 유니텔

42 한국컴퓨터통신

43 제노모바일

44 KiB

45 Nutech

46 CA

47 현대건설

48 세인

49 현대앰엔소프트

50 한국전기자동차산업협회

51 에이스테크

52 freescale

53 SPANSION

54 SAS

55 KBS

- 192 -

56 MBC

57 SBS

58 레딕스

59 footlogger

60 프롬투정보통신

61 해성옵틱스

62 싸인텔레콤

63 파이브텍

64 씨엠네트웍

6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

66 나무가

67 기민전자

68 유양디앤유

69 DB정보통신

연구 기관

70 LG경제연구원

71 ETRI

72 TTA

73 KISA

74 NIA

75 KIET

76 KISDI

77 KCTA

78 KETI

79 KAIT

80 KCA

81 KEIT

82 Klabs

83 KCC

84 한국통신학회

85 KERIS

86 IMRC

87 KSA

88 KOTI

89 KATECH

90 한국텔레스크린협회

91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학 계

92 고려대학교

93 국민대학교

94 이화여자대학교

95 한국산업기술대학교

96 아주대학교

97 수원대학교

98 인하대학교

99 한성대학교

100 광운대학교

101 서울대학교

102 한국외국어대학교

103 동국대학교

104 성신여자대학교

105 한밭대학교

106 숙명여자대학교

107 경희대학교

108 한국항공대학교

109 동의대학교

110 경북대학교

111 건국대학교

112 중앙대학교

113 충북대학교

114 한양대학교

- 193 -

o 개인회원 : 177명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김선태 LGU+ 부사장 의장

2 이경수 Juni Global 고문

3 송정희 여성공학인협회 고문

4 채종석 ETRI 포럼 부의장

5 임종태 클라우드협회 포럼 부의장

6 이영로 기표원 포럼 부의장

7 곽종철 ETRI 포럼 부의장

8 강선무 NIA 포럼 부의장

9 이호진 ETRI 포럼 부의장

10 서강원 KBS 포럼 부의장

11 성기현 Tbroad 포럼 부의장

12 이성춘 KT 포럼 부의장

13 강배근 LGE 포럼 부의장

14 이재일 KISA 포럼 부의장

15 전윤호 SKP 포럼 부의장

16 위규진 TTA 포럼 부의장

17 이상민 LGU+ 포럼 부의장

18 문종덕 KEIT 포럼 부의장

19 박현제 KEIT 포럼 부의장

20 윤기권 KEIT 포럼 부의장

21 윤명현 KETI 포럼 부의장

22 박현철 IITP 포럼 부의장

23 최용석 IITP 포럼 부의장

24 조광오 KEIT 포럼 부의장

25 김익수 KEIT 포럼 부의장

26 이재만 KEIT 포럼 부의장

27 최진성 SKT 포럼 부의장

28 연철흠 Airtech 포럼 부의장

29 최고희 LG전자 포럼 부의장

30 김영준 ERICSSON-LG 포럼 부의장

31 한동원 ETRI 포럼 부의장

32 박종현 ETRI 포럼 부의장

33 정현규 ETRI 포럼 부의장

34 서보현 KISDI 포럼 부의장

35 김성동 KETI 포럼 부의장

36 이재관 자부연 포럼 부의장

37 안치득 ETRI 포럼 부의장

38 황승구 ETRI 포럼 부의장

39 손승원 ETRI 포럼 부의장

40 함진호 ETRI 포럼 부의장

41 박광로 기가사업단 포럼 부의장

42 이승택 NIA 자문위원

43 권경인 ERICSSON-LG 자문위원

44 권기정 현대HCN 자문위원

45 김영준 ERICSSON-LG 자문위원

46 김용진 모다정보통신 자문위원

47 김진석 CJHelloVision 자문위원

48 류원 ETRI 자문위원

49 박광로 ETRI 자문위원

50 박원주 삼성전자 자문위원

51 박재현 매일경제신문 자문위원

52 박정수 KIET 자문위원

53 박창환 한국MS 자문위원

54 박희원 삼성전자 자문위원

55 서기만 LG경제연구원 자문위원

56 성보영 MBC 자문위원

57 신현덕 Klabs 자문위원

- 194 -

58 송영주 CISCO 자문위원

59 안현실 한국경제신문 자문위원

60 염용섭 SK경제연구소 자문위원

61 오민석 LGE 자문위원

62 이병선 ETRI 자문위원

63 이상용 CJHelloVision 자문위원

64 이성춘 KT 자문위원

65 이재환 SKT 자문위원

66 이재혁 다음 자문위원

67 이현규 KT 자문위원

68 임태범 KETI 자문위원

69 홍진우 ETRI 자문위원

70 임우성 MS 자문위원

71 함진호 ETRI 자문위원

72 조준순 LGU+ 자문위원

73 송평중 ETRI 자문위원

74 조택일 LGE 자문위원

75 최병환 CJHelloVision 자문위원

76 홍승배 IITP 자문위원

77 한운영 세종텔레콤 자문위원

78 홍명호 KCTA 자문위원

79 김진한 KT 자문위원

80 이진욱 LGE 자문위원

81 김형준 ETRI 자문위원

82 정진수 KT 자문위원

83 백민자 Oracle 자문위원

84 강신각 ETRI 자문위원

85 손욱호 ETRI 자문위원

86 문영준 교통연구원 자문위원

87 윤용익 숙명여대 자문위원

88 김재곤 항공대 자문위원

89 정구민 국민대 자문위원

90 이진욱 삼성전자 분과 위원장

91 정성택 KT 분과 위원장

92 김진필 LG전자 분과 위원장

93 최차봉 LGU+ 분과 위원장

94 김진권 KBS 분과 위원장

95 류원 ETRI 분과 위원장

96 김창호 SKB 분과 위원장

97 류길현 인텔리언시스템즈 분과 위원장

98 윤기송 ETRI 분과 위원장

99 정종진 KETI 분과 위원장

100 이상범 SKP 분과 위원장

101 이재관 자부연 분과 위원장

102 이문식 ETRI 분과 위원장

103 오종택 한성대 분과 위원장

104 안현실 한경 분과 위원장

105 김병운 ETRI 분과 위원장

106 김근형 동의대 분과위원회

107 김덕성 LG전자 분과위원회

108 김병균 KT 분과위원회

109 김수한 삼성전자 분과위원회

110 김영일 ETRI 분과위원회

111 김영재 TTA 분과위원회

112 김정수 블루핀 분과위원회

113 김주영 KISA 분과위원회

114 김진철 NIA 분과위원회

115 김태완 LGU+ 분과위원회

116 김평수 산기대 분과위원회

117 김한규 LGU+ 분과위원회

- 195 -

4. 약어표

118 김형수 KT 분과위원회

119 김태완 LGU+ 분과위원회

120 노병희 아주대 분과위원회

121 문경덕 ETRI 분과위원회

122 문호건 KT 분과위원회

123 박동주 ERICSSON-LG 분과위원회

124 박성철 KCA 분과위원회

125 박수홍 삼성전자 분과위원회

126 박재성 수원대 분과위원회

127 박종관 SKT 분과위원회

128 박종진 SBS 분과위원회

129 박주영 SKT 분과위원회

131 박창민 ETRI 분과위원회

132 박평규 ERICSSON-LG 분과위원회

134 배태면 SKT 분과위원회

135 손중제 삼성전자 분과위원회

136 송성규 삼성전자 분과위원회

137 안재영 ETRI 분과위원회

138 오배연 LGU+ 분과위원회

139 유병철 LGU+ 분과위원회

140 유상조 인하대 분과위원회

141 이동원 KCT 분과위원회

142 허해녕 KISA 분과위원회

143 이상호 ETRI 분과위원회

144 김욱 삼성전자 분과위원회

145 이성협 KCA 분과위원회

146 이승형 광운대 분과위원회

147 이신님 CJ헬로비전 분과위원회

148 이원만 KT 분과위원회

149 이원신 LGU+ 분과위원회

150 이은희 KCA 분과위원회

151 이윤주 KETI 분과위원회

152 이재호 한국통신학회 분과위원회

153 이재혁 NIA 분과위원회

154 이종근 LG경제연구원 분과위원회

155 이천호 현대HCN 분과위원회

156 이현우 ETRI 분과위원회

157 임수경 Oracle 분과위원회

158 정성호 한국외대 분과위원회

159 정운영 NIA 분과위원회

160 정준영 KT 분과위원회

161 정해석 Insprit 분과위원회

162 조기성 ETRI 분과위원회

163 조원득 SKT 분과위원회

164 조원진 KAIT 분과위원회

165 진성일 KT 분과위원회

166 차재상 서울과기대 분과위원회

167 차지훈 ETRI 분과위원회

168 최용훈 광운대 분과위원회

169 최우용 SKT 분과위원회

170 최해철 한밭대 분과위원회

171 최태상 ETRI 분과위원회

172 한광접 충북대 분과위원회

173 홍승표 SKT 분과위원회

174 황주성 서울과기대 분과위원회

175 곽병재 ETRI 분과위원회

176 김영훈 ETRI 분과위원회

177 조기성 ETRI 분과위원회

- 196 -

ASMD Adaptive Source Multi Device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AVB Audio-Video BridgingBEB Backbone Edge BridgeCA Contents AggregatorCAE Content Adaptation EngineCD Collision DetectionCDMI Cloud Data Management InterfaceCDS Content Delivery NetworkCEK Content Encryption KeyCFI Call For InterestCFM Connectivity Fault ManagementCMOS 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CN Congestion Notification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CPIP IEEE P2301, Draft Guide for Cloud Portability and Interoperability ProfilesETS Enhanced Transmission SelectionFCC Fedral Communication CommissionHLS Http Live Streaming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P Internet Protocol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K-WAC 한국형 Wholesale Application CommunityLAN Local Area NetworkM2M MachinetoMachineMAC Media Access ControlMAN Metro Area NetworkMBS Macro base stationMEN Metro Ethernet NetworkMIRP Multiple I-SID Registration ProtocolMMF Multi-mode FiberMPLS-TP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Transport ProfileMRP Multiple Registration ProtocolMTP Media Transfer ProtocolMVG Mobile Video Gateway 2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OCCI Open Cloud Computing InterfaceOSMU One Source Multi-UseOSOU One Source One UseOVF Open Virtualization FormatPAR Project Authorization RequestPBBN Provider Backbone NetworkPBB-TE Provider Backbone Bridge-Traffic EngineeringPFC Priority-based Flow ControlRA Remote AccessRDP Remote Desktop ProtocolREK Right Object Encryption KeyRS Reconciliation SublayerRSCI Remote Customer Service Interface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SFD Start of Frame DelimiterSIIF IEEE P2302, Draft Standard for Inter-cloudInteroperability and FederationSMAC Smart Mobile App CenterSMF Single Mode FiberSNIA Storage Networking Industry AssociationSNs Service Nodes

- 197 -

5. 참고문헌 등.

[1] ITU-T Rec. Q.1706/Y.2801, "Mobility management requirements for NGN," Nov., 2006.

[2] 3GPP TS 23.237 v9.5.1, "IP Multimedia Subsystem(IMS) Service Continuity; Stage 2," July, 2010.

[3] OIPF, "Service and Platform Requirements, v 2.0," Dec., 2008.

[4] 3GPP TR 23.838 v9.0.0, "IP Multimedia Subsystem(IMS) service continuity enhancements: service, policy and

interaction Stage-2," June, 2009.

[5] OIPF, "Functional Architecture v 2.0," Sept., 2009.

[6] Apple, "HTTP Live Stremaing Overview," 2010.

[7] Microsoft Corporation, "IIS Smooth Streaming Technical Overview," 2009.

[8] Adobe, "Using Adobe HTTP dynamic streaming," 2010.

[9] 3GPP, TS 26.234, v.9.4.0, "Transparent end-to-end Packet-switched Streaming Service (PSS) - Protocols and

codecs (release 9)," 2010.

[10] OIPF, "HTTP Adaptive Streaming (Release 9)," 2010.

[11] ISO/IEC JTC1/SC29/WG11, "MPEG systems technologies-Part6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2012.

[12] 최헌회, 김근형, “웹소켓을 활용한 웹 서비스 이동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1.

[13] 최헌회, 김근형, “HTML5 기반 HTTP 스트리밍 환경에서의 서비스 이동성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2011.

[14] Parks Associates, TV Everywhere:Growth, Solutions and Strategies, 2011

[15] 송민정, “스마트TV 플랫폼과 콘텐츠 이슈”, TTA IPTV기술세미나, 2011

[16] 이종근, “스마트기기 빅뱅시대, N스크린의 진화방향성은?”, 스마트 N스크린 이노베이션 2011

[17] 임태범, "N-Screen 서비스의 개념 및 동향“, 한국통신학회 N-Screen 서비스 워크샵. 2011

[18] CJ Tving website, http://www.tving.com

[19] KTH Playy website, http://www.Playy.co.kr

[20] SKTHoppin website, http://www.hoppin.nate.com

[21] KT olleh TV now website,

http://mycs.olleh.com/OllehProduct/SvcRegularMain.jsp?main_cd=12&sub_cd=101&prod_code=0000000176

[22] 강영연, 한국경제,“불 붙는 클라우드 전쟁”, 2011

[23] Brett Sappington, Advanced TV Services, Parks Associates webcast, 2011

[24] Netflix website, http://www.Netflix.com

[25] 공영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넷플릭스(Netflix) 부상(浮上)과 향후 전망”, 방송통신정책 제22권 19호, 2010

[26] AT&T u-verse website, http://www.att.com/shop/u-verse/index.jsp

[27] Comcast website, http://www.comcast.com

[28] Apple website, http://www.apple.com/icloud/

[29] 김윤화, “3 스크린 플레이 (3 Screen Play) 서비스 추진 현황”, 방송통신정책 제21권 11호 통권 464호, 2009

[30] 김윤화, “N 스크린 전략 및 추진 동향 분석”, 방송통신정책 제22권 20호/통권496호, 2010. 11.

[31] 김성우, “N-Screen과 클라우드 컴퓨팅 페러다임에서의 지속가능한 UX 생태계 구축에 대한 연구”, Journal of the

Ergonimics Society of Korea, Vol. 29, No.4, pp553-561, 2010.8.

[32] "Service scenarios over FMC," ITU-T Recommendation Series Y.2720 Supplement 14, 2011.1.

[33] 이현우, 엄태원, 이재섭, 류원, "스마트화와 N-Screen지원을 위한 IPTV 표준화 전략," 방송공학학회지, 16권 1호, pp.

82-90, 2011.03.

[34] "Supplement on IPTV service use cases," ITU-T Recommendation Series Y Supplement 5, 2008.

[35] "Web-based IPTV brokering service models and scenarios," ITU-T Draft Recommendation Series Y.iptvbs, September

2010.

[36] 강신각,“IPTV 환경에서의 N-스크린 서비스 표준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통신 표준 연구팀,2012

[37]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기술의 현주소, 어디까지 진화하나”, Specail Feature 자동차 인포테인 먼트와 ECU, 2012

http://www.mdstec.co.kr/mail/TC/AutoNews/down/infom.pdf

SSAC Smart Screen App CenterSVC Scalable Video Coding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TE Traffic EngineeringTESI Traffic Engineered Service InterfaceTF Task ForceTG Task GroupTSSI Time Synchronization Service InterfaceuBS MicrobasestationUC Unified CommunicationUMS Universal Mass StorageUPnP Universal Plug and PlayUTP Unshielded Twisted pairVHT Very High Throughput

- 198 -

[38] Matsukura, H. ; Yoneda, T. ; Ishida, H. "Smelling screen: Presenting a virtual odor source on a LCD screen," IEEE

Virtual Reality (VR), pp.167 – 168, 2013

[39] Elhart, I. ; Langheinrich, M. ; Davies, N. ; Jose, , "Key challenges in application and content scheduling for Open

Pervasive Display Networks,"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p. 393

–396, 2013

[40] T. ; Gomez, R. ; Kawahara, T. ; Matsuyama, T., "Multiparty Interaction Understanding Using Smart Multimodal Digital

Signage," IEEE Transactions on Human-Machine Systems, pp.625 – 637,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