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8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학과전담서비스 NEWSLETTER 제13호 01. 자료구입 신청 및 진행상황 확인 방법 02. Altmetric : 소셜미디어에서 논문의 반응 알아보기 03. OCLC Asia-Pacific Regional 컨퍼런스 참가기 04. Web of Science를 통한 KCI 서비스 개시

Upload: chorong-kim

Post on 06-Apr-2016

21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 2014.10.30.

TRANSCRIPT

Page 1: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

학과전담서비스NEWSLETTER 제13호

01. 자료구입 신청 및 진행상황 확인 방법02. Altmetric : 소셜미디어에서 논문의 반응 알아보기03. OCLC Asia-Pacific Regional 컨퍼런스 참가기04. Web of Science를 통한 KCI 서비스 개시

Page 2: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도서관에 자료를 신청(추천)해 보셨나요? 도서관 홈페이지(자료구입추천 코너)를 통하여 학부생들은 각종 자료를

많이 신청하지만 교수님들은 아직 소수의 몇몇 분들만 자료를 신청해 주십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료구입에 관련

된 모든 것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 자료 신청하기

자료신청은 학과전담 사서를 통하거나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원하는 자료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엔 직접 신청화면을 띄워 서지사항을 입력한 후 신청할 수

도 있습니다.

• 신청화면 들어가기 : 도서관 홈페이지 로그인 → 자료구입추천 → 신청하기

① 자료검색 후 신청하기 : 온라인 도서검색 신청 → 도서명 입력 후 검색 → 체크 후 신청 → 신청 → 신청완료

② 직접 입력하여 신청하기 :

직접신청 → 국내서, 서양서 체크 → 도서 서지사항 입력 → 신청 → 신청완료

자료구입 신청 및 진행상황 확인 방법

1

Page 3: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 신청한 자료 진행상황 확인하기

이용자가 신청한 도서는 매주 월요일 구매 대행업체에 주문합니다. 통상 주문된 자료의 구입은 국내서의 경우 1주

일, 서양서의 경우 1달 정도가 소요됩니다. 신청한 자료가 입수되기 전까지의 진행상황은 자료구입추천 화면의

‘처리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료구입 흐름도

자료신청 → 선정(매주 월요일, 소장여부 조사) → 주문(매주 1회) → 입수(국내서 7일, 서양서 30일 정도) → 검수

→ 정리(분류 및 도서정보 전산입력) → 문자메시지 전송 → 대출가능

• 진행상황 확인 : 홈페이지 로그인 → My Library → 자료구입추천 → 처리상태 확인

• 처리상태 용어 설명

1) 신청자료 : 이용자가 자료를 신청한 상태로, 원하지 않을 경우 취소할 수 있습니다.

2) 선정자료 : 신청된 자료의 도서관 소장여부를 조사한 다음 선정한 자료입니다. 이때부터는 신청한 도서를 취

소할 수 없습니다.

3) 주 문 중 : 선정된 자료를 구매 대행업체에 주문한 상태입니다. 통상 입수까지 국내서는 7일, 서양서는 30일

정도 소요됩니다.

4) 구입확정 : 주문한 도서가 구입되어 검수(구입확정)를 마친 단계입니다.

5) 인 계 중 : 구입된 도서에 장서인과 바코드 부착 후, 정리부서로 인계하는 단계입니다.

6) 정 리 중 : 구입된 도서의 주제를 파악하여 분류번호 부여 및 도서정보를 전산 입력하고, 청구기호 레이블을

부착하는 단계입니다.

7) 대출대기중(우선정리) : 정리 완료된 자료는 신청한 이용자에게 이용가능 메시지가 전송되며, 자료는 대출실

(2층) 예약선반에 대기 중인 단계입니다. 대출실에서는 3일간 보관하며 그 기간 내에 대출하지 않

을 경우 해당 자료실의 서가에 배열됩니다.

8) 대출가능 : 자료가 해당 자료실 서가에 배열되어 있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9) 주문취소 : 출판사의 품절, 절판 또는 기타사항으로 인해 자료를 구입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구입이 취소된

경우엔 간략하게 취소내용을 보여줍니다.

✐ 인문대/교육대학원 전담사서 이은호(259-2458)

2

Page 4: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하루에도 수천수만 건의 학술논문들이 검색 ・ 공유되

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연구자들 간의 논문 공유가 이메

일 등을 통해 개인이나 그룹 간에만 제한적으로 가능하

였다면, 요즘 연구자들은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와 블로그를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소통하고 있습

니다. 또한 연구자들만의 커뮤니티나 웹 기반의 서지관

리 툴을 사용하여 논문을 링크하고 저장합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논문 공유를

추적하고 논문에 대한 반응을 바탕으로 논문의 영향력

을 파악할 수 있는 툴이 Altmetric입니다.

연구자들은 자신의 논문이 얼마나 관심을 받고 있으

며, 사람들이 논문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알고

싶을 것입니다. 또한 내가 관심 있는 논문이 사람들에게

어떤 반응을 얻고 있는지도 궁금할 것입니다.

Altmetric은 학술논문에 대해 언급한 주요 SNS와 블

로그, 뉴스 기사, 게시판, 서지관리 프로그램 등을 매주

분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종류는

Explorer, Bookmarklet, API, Badges로 크게 4가지이

며, 이 중 북마클렛(Bookmarklet)과 배지(Badges)를 무

료로 제공하고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북마클렛은 논문의 Altmetric 점수와 소셜미디어별

언급 횟수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용방법은

Altmetric 사이트의 [Altmetric Bookmarklet] 버튼을 드

래그하여 즐겨찾기 바에 추가한 후, 확인하고자 하는 논

문의 웹페이지에서 추가한 즐겨찾기 [Altmetric it]을 클

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럼 다음 그림과 같이 우측 상

단의 Altmetric 도넛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숫

자가 Altmetric 점수이며, 둘러싸고 있는 색깔들이 각

소셜미디어를 의미합니다. 도넛 모양을 클릭하면 매체

별 언급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북마클렛 서비스는 현재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에서만 지원됩니다. 익스플로어에서는 아직 이용이 되

지 않으니 참고하셔야겠습니다. 또한 PubMed, arXiv

소셜미디어에서 논문의 반응 알아보기

3

소셜미디어에서 내 논문에 대해 누가, 어떻게 언급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내가 보고 있는 이 논문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하시죠!

Page 5: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등 무료 사이트와 논문의 DOI를 포함하고 있는 저널 사이트 및 데이터베이스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Twitter는 2011년 7월 이후 멘션부터 제공하고 있습니다.

배지는 개인 홈페이지에 Altmetric 도넛과 점수를 추가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임베

드 코드를 제공하고 있어 손쉽게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 매뉴얼을 링크합니다.

논문 홍보에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매뉴얼 다운로드

그렇다면 Altmetric 점수가 인용과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네덜란드 라이덴대학 과학

기술연구센터는 긍정적인 상관관계 갖지만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발표하였습니

다. 또한 인용지수가 높은 논문의 Altmetric 점수가 반드시 높다고 볼 수는 없다고

2014년 발표한 보고서1)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이처럼 Altmetric에서의 높은 점수가 논

문의 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대중의 관심이 높고 화제가 되는

연구라는 점은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Altmetric을 통해 내 논문의 관심도와 다른 사

람들의 피드백을 확인해 보세요!

1) Do Altmetrics Correlate with Citations? (2014, CWTS Leiden University) 2) 참고 : Postech 도서관 학술정보매거진, 노박사의 지식공작소3) 유사 툴 : Impact Story, Plum analytics

✐ 공대 전담사서 김초롱(259-2468)

4

동영상 이용방법 보기

▶︎

Bookmarklet 이용방법!

1. Altmetric의 Bookmarklet 프로덕트에 접속한다.

2. [Altmetric it]을 드래그하여 즐겨찾기 바에 추가한다.

3. 확인하고 싶은 논문 페이지에서 [Altmetric it]을 클릭한다.

Altmetric 바로가기 ➔

http://www.altmetric.com

Page 6: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지난 10월 13일에서 14일까지 제주에서는 OCLC의 아

시아-태평양 지역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OCLC는 On-

line Computer Library Center의 약자로 1967년 오하이

오 지역 대학 도서관들의 대학도서관의 네트워크로 시작

되어, 현재 전 세계 170개국의 74,000개 이상의 도서관들

이 함께하는 도서관계의 거대 비영리기구로 발전하여, 전

세계 도서관의 소장목록을 수집하는 WorldCat서비스, 그

리고 미주를 중심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세계 단위의 상호

대차서비스인, WorldShare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역 세미나의 주제는, 도서관의 협력이라는 주제

로 개최국인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말

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에서 각

국가의 OCLC 서비스 활용 사례나 도서관 간의 협력 사

례를 발표하였습니다.

첫날은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의 사례 발표가 있

었습니다. 한국에서는 KISTI의 정보서비스 3.0 모델과,

KERIS에서 운영하는 리포지터리 서비스인 Dcollection

서비스가 소개되었고, 일본에서는 연구자들의 연구 환경

변화에 따른, 출판사와 도서관의 대응사례, 중국에서는

중국학연구의 세계화, 대만에서는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도서관 이용환경 변화, 홍콩에서

는 도서관 주도의 연구실적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발표하

였습니다.

첫날 발표 일정이 끝난 후 제주대학교 도서관에 방문하

였습니다. 제주대학교 도서관은 제주 유일의 종합대학 도

서관으로서, 제주 최대의 규모를 가진 도서관입니다. 제1

도서관, 제2도서관, 의학도서관, 교육대학 분관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현재는 새로운 도서관을 건립하고 있습니다.

둘째 날 사례 발표는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싱가포

르, 뉴질랜드가 하였는데,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사례,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도서관

사서들의 ASEAN지역 진출, 태국에서는 ASEAN 지역 인

용색인 발전사, 싱가포르에서는 도서관 관리주체의 통합

을 통한 도서관의 역할 재정립, 뉴질랜드에서는 마오리어

목록 개발을 통한, 마오리족의 역사와의 협력을 발표하였

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시대의 협력이라는 주제로 만난 모임답

게 여러 국가의 사례 발표도 좋았으며, 다른 국가의 사서

들과 각 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라

는 점이 매우 좋았습니다. 또한, 다른 국가 사서들과 도서

관의 운영 사례나 한국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

가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의 많은 도서관들은 현실의 변화에 멈추지 않고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세계의 많은 도서관

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계획하여 새로운 투자를 하는 것과

같이, 울산대학교 도서관도 매년 서비스 범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스페인 국립도서

관의 자료 또한 울산대학교 도서관을 통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확대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도서관 간의

관계는 협력을 통해서 전 세계로 넓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도서관은 환경에 따라서 성장하고 변화한다는 뜻인 도

서관학 제5법칙 “도서관은 성장하는 유기체이다. The li-

brary is growing organism.”을 다시 생각하고 울산대학

교 도서관에도 앞으로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계획하겠다

는 생각을 하게 된 컨퍼런스 참여였습니다.

✐ 자연대/간호학과 전담사서 이원규(259-2472)

5

OCLC Asia-Pacific Regional Conference 참가기

Page 7: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Web of Science를 통하여 KCI(Korea Citation Index, 한국학술지인

용색인)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CI 등재 여부와 관계없이

KCI 논문을 Web of Sciene 플랫폼에서 검색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80% 이상의 콘텐츠를 영어와 한국어로 동시에 제공하고 있어 한국어

로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Web of Science에서 KCI 이용방법1. 도서관 홈페이지 > SEARCH > DATABASE에서 Web of Science에 접속합니다. 또는 바로가기 url http://www.webofknowledge.com을 통해 접속합니다.

2. [검색-모든 데이터베이스] 우측의 버튼을 이용하여 [KCI-한국어 학술지 데이터베이스] 메뉴를 선택한 후 검색합니다.

[KCI-한국어 학술지 데이터베이스]는 KCI 홈페이지(http://

www.kci.go.kr)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KCI 자료가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됨으로써 한국 연구자들이 작성한 방대한 학술정보

를 한눈에 찾아보고 인용정보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 공대 전담사서 김초롱(259-2468)

톰슨로이터-한국연구재단 Web of Science를 통한 KCI 서비스 개시

6

발행처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발행인 성범중발행일 2014.10.30.주소 울산시 남구 대학로 93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 052-259-2468 ㅣlibrary.ulsan.ac.kr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팀에서는 한 달 동안의 새로운 소식과 유용한 정보들을 모아 매달 30일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를 발행합니다. 과월호는 도서관 홈페이지(bit.ly/1lq8ugh)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age 8: 학과전담서비스 뉴스레터 v.13

7☑� 인문대/교육대학원 : 이은호(259-2458)☑ 사회대/경영대 : 박재웅(259-2469)

☑ 자연대/간호학과 : 이원규(259-2472)

☑ 공과대학 : 김초롱(259-2468)☑ 생활/건축/음악/미술/디자인대/스포츠과학부

: 이숙주(259-2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