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 - dspace.inha.ac.kr · 아홉째, 국내 선진기업의 러시아 시장 진출의 성공과...

144

Upload: others

Post on 12-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표지

    碩士學位請求論文

    우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투자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Korean Firms in Russia

    2007 年 2 月

    仁荷大學校 國際通商物流大學院

    國際通商學 專攻

    金 奉 岐

  • 속표지

    碩士學位請求論文

    우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투자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Korean Firms in Russia

    2007 年 2 月

    指導敎授 金 雄 熙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 ABSTRACT

    A Study on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Korean Firms in Russia

    Kim, Bong-ki

    Major in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Inha University

    In this study, Russia, a country of BRICs, is introduced as a new

    "target country" for market penetration by Korean companies, which will

    replace China, a current major country for market penetration by them.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plore the environment around the

    investment in Russian markets and related obstacles and present the

    ways for direct investment in Russian markets by Korean companies.

    First of all, Russian economy has recorded strong trend of high

    growth (annual average of 6.9%) since 2000 several factors: the

    sustained external bullish factors including the increase in the

    international prices of oil and raw materials since 1999; the secur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devaluation of Ruble;

  • the strong drive for economic reform by the Putin Administration based

    on its political stability since 2000. In 2005, Russia also realized

    high growth of 6% under the influence of sustained high international

    oil price and other factors. However, Russia has major constraints to

    call for prior settlement: industrial structure over-concentrating on

    energy sectors; less developed financial systems; poor environments for

    the attraction of investment; and bureaucratism and corruptions. Under

    this circumstances, much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is paid to the

    Russian government's will to reform and action plans for it.

    The investment in Russian market by Korean companies has been made

    primarily by larger companies, whereas investment by small and medium

    companies is still inactive. In addition, most of all the companies

    with incentives for the penetration into Russian market are larger

    companies. Small and medium companies invest in Russian market mainly

    for resource-seeking to reduce their production costs.

    Major strategies of successful companies in their investment in

    Russian markets include strong branding, strengthened localization,

    aggressive investment and business expansion, and secured distribution

    channels.

    The managerial bottlenecks in Russian markets include complicated

    license/permit and other administrative procedures, difficulties in th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manpower, lack of mutual trust, obsolete

    SOCs, ubiquitous bureaucratism and corruption, heavy tax burden, and

    increase in labor costs.

    In relation to the market penetration into Russian marke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and solutions for

  • Korean companies which currently invest, or intend to invest, in

    Russian markets:

    First, the penetration into the massive domestic markets of Russia

    requires persistent approach to it with the long-term elaborate plan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localization. Orion, for

    example, gives Russians who generally prefer a sweet taste a strong

    impression about the flavor and feeling specific to its Chocopie. In

    addition, Orion applies the uniformed packaging of red - the most

    favored color by Russians confirmed in a local

    Third, aggressive advertisement shall be considered to secure and

    enhance stronger brand recognition.

    Forth, since Russian companies tend to value loyalty and trust above

    everything,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develop business

    relationship based on mutual trust to sustain their positions in

    Russian market.

    Fifth, it is recommended that the penetration into Russian markets be

    made with the following order: initial export → CKD-type export /

    local assembly → local supply of parts and local assembly.

    Sixth, for the market penetration by initial export, companies should

    circumspectively select their local buyers after throughly reviewing

    whether they are reliable partners for future joint businesses who have

    sufficient abilities and human network.

    Seventh, it is expected that Russia's joining in WTO in 2007 will

    much improve the environments for foreign investment in Russian

    markets. It will be desirable to pay attention to the Russian

    government policies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in investment

  • environments for market penetration and reoccupation in two or three

    years.

    Eighth, it is necessary to build systematic cooperation with Korean

    general trading companies or other companies which are currently active

    in Russian markets for more effective market penetration.

    Ninth, based on the successful or failed practices of domestic

    forerunners in the penetration into Russian markets,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success and risk factors from SWOT analysis of the

    penetration into Russian markets and provide for legal, administrative

    and insurance alternatives to address risks.

    Tenth and finally, it is essential to train local experts. Korean

    forerunners in Russian markets have trained local experts (for market

    situations, laws and systems, risk factors, human network, etc.) for

    their initial penetration into Russian markets, and the training of

    local experts has contributed to minimizing risk factors in the intial

    stage of market penetration.

  • 국 문 초 록

    우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투자진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국제통상물류대학원

    국 제 통 상 전 공 김 봉 기

    최근 우리나라 기업의 對中 투자는 한국사회의 뜨거운 이슈가 되어 왔다.

    특히 對중국 투자의 급증으로 인해 국내 산업의 공동화가 재촉되고 있다는 우

    려와 함께 그 동안 중국이 갖고 있었던 시장잠재력은 중국 로컬기업과 해외의

    선진 글로벌기업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잃은 기업에게는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저가의 노동력과 원재료는 중국경제의 고도성장과 함께 가격이 상승

    하여 對中 투자는 그 매력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노력과 관련하여 현재 주요

    진출대상국인 중국을 대체할 BRICs의 일원인 러시아를 ‘진출대상국’으로 소

    개하고자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이 러시아 직접투자를 검토하

    는데 기본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러시아의 투자환경과 애로사항에 대하여 알아

    보고 직접투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러시아 경제를 살펴보면, 1999년 이후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의 상승

    이라는 대외적인 호재와 루블화 절하에 따른 국제 가격경쟁력 확보 그리고

    2000년 푸틴정부의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경제개혁정책 수행으로

    2000년 이후 높은 경제성장세(연평균6.9%)를 기록하였으며, 2005년에도 국제

    고유가 지속 등의 영향으로 6%의 고성장을 시현하고 있다.

    또한 2003년에는 BRICs의 일원으로 소개되며, 잠재력이 큰 신흥경제대국으

    로 세계 여러 국가로부터 투자적격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 이러한 러시아의 성장은 풍부한 자원과 우수한 기초 기술ㆍ인력, 소비시장

    의 확산, 그리고 정치적 안정과 푸틴의 경제개발 전략이라는 성장 동인으로

    더욱 가속력을 얻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 후진적인 금융시스템, 열악한 투자환경, 그리고 관료주의 및 부정

    부패 등에 대한 개선이라는 선결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존재하고

    있어 러시아 정부의 개선 의지와 실행정책에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

    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투자는 대다수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

    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對러시아 투자 실적은 저조한 상황이다. 2006년

    9월까지 투자금액기준으로 볼 때 대기업은 전체 투자금액 중 64%를 차지하나,

    중소기업의 경우 33.8%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대기업에 비하여 저조한

    상황이다. 또한 러시아에 시장진출을 위한 동기를 갖고 있는 기업들은 대기업

    으로 파악되었으며,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생산비 절감을 목적으로 한 자원추

    구형 투자진출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對러시아 직접투자 성공기업들의 주요 경영전략을 보면 강력한 브랜드구축,

    현지화 강화와 과감한 투자 그리고 사업 확장, 그 외에 유통채널확보로 조사

    되었다.

    다음으로 경영상의 애로사항은 까다로운 인ㆍ허가와 행정절차, 인력수급 및

    관리상의 문제, 상호 신뢰부족, 낙후된 SOC, 관료주의와 부정부패, 과다한 세

    금부과, 인건비 상승 문제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현재 우리나라의 對러시아 투자기업 또는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에게

    다음과 같은 진출과제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러시아의 거대한 내수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치밀한

    계획을 세워 인내심을 가지고 접근하여야 한다.

    둘째, 현지화 강화를 하여야 한다. 오리온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동부에 비

    해 초코파이의 인지도가 높지 않았던 모스크바를 공략하기 위해 길거리에서

  • 대규모 시식회를 벌이는 등 단맛을 좋아하는 러시아인들에게 초코파이의 맛과

    특유의 질감에 대한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으며, 제품구매를 유인할 수 있게

    현지 조사를 통해 가장 선호하는 색상인 빨간색으로 포장을 통일하고 포장에

    영어와 러시아어를 병기해 소비자들의 제품 이해를 돕고 유통채널별로 포장유

    형도 달리하였다.

    셋째,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광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자금력이 약한 중소기업은 전시회 및 박람회를 통해

    치밀하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하여야 한다. 또한 제품의 상담ㆍ협의 시 가격은

    최후에 협상하고 품질과 제품의 기능과 가치 설명에 주력하여 러시아 바이어

    와 신뢰와 관계를 형성하여 단기적인 사업관계보다는 장기적인 사업관계를 확

    보해야 한다.

    넷째, 러시아 시장은 러시아 기업들이 대체로 의리와 신뢰를 중시하므로 양

    호한 관계를 형성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면 지속적인

    시장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러시아 시장 진출의 형태를 초기수출→CKD방식 수출/현지조립→부

    품현지 조달 및 현지조립의 순으로 추천한다. 초기 수출은 시장상황과 구체적

    인 진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함이며, CKD방식의 진출은 현지의 부품제조능력을

    충분히 검증하고 현지의 부품제조협력사를 개발하는 기간의 확보가 목적이다.

    여섯째, 초기 수출을 통한 진출 시 현지 바이어가 향후 합작파트너로서의

    충분한 여력과 인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고 신뢰 있는 파트너인지를 충분히

    검토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일곱째, 2007년 러시아의 WTO의 가입은 외국기업의 진출 및 투자여건 그리

    고 환경이 크게 개선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시장선점을 위하여 정부정책 및

    여건의 개선 수준을 주시하고, 2~3년 내에 진출하여야 할 것이다. 러시아 기

    업의 특성이 신뢰와 의리 그리고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신뢰를 바탕으로 한

    시장선점은 지속적인 시장점유율 유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여덟째, 러시아 내에 활동 중인 우리나라의 종합상사나 진출기업과의 유기

    적인 협조는 초기단계의 업무수행에 있어 효과적인 진출방안이며, 우리나라

    현지기업과 연계하여 현지생산품의 가공 또는 부품산업 등에 진출도 적극 검

    토하는 것도 좋은 진출방안이 될 수 있다.

    아홉째, 국내 선진기업의 러시아 시장 진출의 성공과 실패사례에 기초하여

    진출에 따른 SWOT분석을 통해 성공요인 과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위험에 대처

    하기위한 법ㆍ절차ㆍ보험 등의 대안을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열째, 현지 전문가를 사전에 양성하여야 한다. 국내의 선진 진출기업들도

    초기진출을 위해 현지사무소를 개설하고 현지 전문가(시장상황, 법ㆍ제도, 위

    험요인,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를 양성하여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초기

    진출위험을 최소화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다.

  • 목 차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제 2절 문제의 제기 -------------------------------------------------- 3

    제 3절 연구방법 및 범위 --------------------------------------------- 8

    제 2장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이론적근거

    제 1절 해외시장 진입전략의 의의 ------------------------------------ 11

    1. 시장 진입전략의 일반적 절차 ------------------------------------ 11

    2. 진입방법 결정의 의의 ------------------------------------------- 13

    3. 진입방법의 기본유형 -------------------------------------------- 14

    제 2절 해외직접투자 개념 및 이론 ----------------------------------- 15

    1. 단독투자와 합작투자 -------------------------------------------- 17

    2. 신설과 인수&합병 ----------------------------------------------- 18

    3.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 19

    4. 해외직접투자의 전략적 동기 ------------------------------------- 20

    5. 해외직접투자의 이론 -------------------------------------------- 24

    제 3절 해외직접투자와 국가 ----------------------------------------- 35

    1. 해외직접투자가 현지국에 미치는 영향 ---------------------------- 35

    2. 해외직접투자가 투자국(본국)에 미치는 영향 ---------------------- 38

    3. 정부의 해외직접투자정책 ---------------------------------------- 40

    제 4절 BRICs국가의 위상과 급부상하는 러시아 ------------------------ 44

  • 제 3장 러시아의 정치ㆍ경제 현황 및 투자환경

    제 1절 러시아의 경제 현황 ------------------------------------------- 50

    1. 국내경제 동향 -------------------------------------------------- 50

    2. 대외경제 동향 -------------------------------------------------- 52

    3. 향후 경제전망 -------------------------------------------------- 54

    제 2절 러시아의 정치ㆍ사회 현황 ------------------------------------ 57

    1. 국내 정치 동향 ------------------------------------------------- 57

    2. 대외관계 ------------------------------------------------------- 58

    3. 사회 동향 ------------------------------------------------------ 59

    4. 러시아의 지정학적 역할 ----------------------------------------- 59

    제 3절 러시아의 성장 동인 및 장애요인 ------------------------------- 60

    1. 러시아의 성장잠재력과 발전 동인 -------------------------------- 60

    2. 러시아의 성장 장애요인 ----------------------------------------- 63

    제 4절 외국인 투자정책 및 제도 ------------------------------------- 66

    1. 외국인 투자허가 및 기업설립 절차 ------------------------------- 66

    2. 투자관련 기타사항 ---------------------------------------------- 67

    3. 외환 및 조세제도 ----------------------------------------------- 68

    4. 노동제도 및 노동조합 ------------------------------------------- 69

    5. 자유무역지대와 투자 관련 법률 ---------------------------------- 70

    제 4장 우리나라의 러시아 진출 및 직접투자사례

    제 1절 양국 간 교역 및 투자현황 ------------------------------------ 73

    1. 한ㆍ러 교역 및 투자 현황 --------------------------------------- 73

    2. 우리나라 기업의 직접투자 --------------------------------------- 74

    3. 주요 경제협력 현황 --------------------------------------------- 75

    4. 교역 및 투자 실무 ---------------------------------------------- 75

  • 제 2절 우리나라 기업의 러시아 투자사례 ------------------------------ 78

    1. LG전자(LG Electronics)의 투자사례 ------------------------------ 78

    2. 오리온의 투자사례 ---------------------------------------------- 81

    3. 현대자동차의 진출사례 ------------------------------------------ 85

    4. KT의 투자사례 -------------------------------------------------- 87

    5. 한국야쿠르트의 투자사례 ---------------------------------------- 91

    6. U-PHOTOS의 투자사례 -------------------------------------------- 95

    7. ○○어패럴의 투자사례 ------------------------------------------ 99

    8. 엔토팜의 투자사례 --------------------------------------------- 101

    9. (주) ○○ 의 러시아 투자사례 ---------------------------------- 103

    10. 미진양행의 봉제업 투자사례 ----------------------------------- 106

    11. 피혁제품 공장(코모로스社) 투자실패사례 ----------------------- 109

    제 3절 러시아 투자 애로사항에 대한 사례분석 ------------------------ 110

    제 5장 결론 ----------------------------------------------------- 118

    참 고 문 헌 ------------------------------------------------------ 124

  • 표 차 례

    [표1-1] 우리나라의 對러시아 투자현황 (기업규모별) ---------------------- 3

    [표2-1] 해외시장 진입방법의 유형 -------------------------------------- 14

    [표2-2] 외국기업의 국내직접투자에 대한 현지국정부의 유인/규제정책 ----- 41

    [표2-3] 우리나라기업의 BRICs 직접투자 현황 ---------------------------- 45

    [표3-1] 러시아 주요 국내경제 지표 ------------------------------------- 50

    [표3-2] 러시아 주요 대외경제 지표 ------------------------------------ 53

    [표3-3] 중기경제개발계획의 시나리오별 경제성장지표 전망 --------------- 55

    [표3-4] BRICs 4개국의 확인된 주요 천연자원 매장량 --------------------- 61

    [표3-5] 유한회사와 합작회사의 차이------------------------------------- 66

    [표4-1] 한ㆍ러 교역 현황(‘05.12) ------------------------------------- 73

    [표4-2] 對러시아 주요 해외투자 현황 ----------------------------------- 75

    [표4-3] 초코파이 매출액 추이 ------------------------------------------ 82

    [표4-4] 비스킷류 판매량순위 및 가격(2002년 3~4월 중) ------------------ 83

    [표4-5] 2006년 외제차 판매 상위 4개 업체 ------------------------------ 86

    [표4-6] KT의 사업성과 ------------------------------------------------- 89

    [표4-7] 對 러시아 투자기업의 투자동기--------------------------------- 111

    그 림 차 례

    [그림 1-1] 對러시아 투자환경 개선 설문응답 결과 ----------------------- 4

    [그림 1-2] 對러시아 교역의 애로사항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 -------------- 5

    [그림 1-3] 對러시아 사업추진 목표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 -------------- 6

    [그림 1-4] 對러시아 투자의 애로사항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 -------------- 7

    [그림 4-1] NTC 직원 연령구조 ( 2005년 3월말 기준 ) ------------------- 91

    [그림 4-2] 對러시아 투자 성공기업의 주요 경영전략 ------------------- 112

    [그림 4-3] 對러시아 투자기업의 경영상의 애로사항 -------------------- 114

  • - 1 -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우리나라 기업의 對中 투자는 한국사회의 뜨거운 이슈가 되어 왔으며,

    신문지상을 통해 중국 투자기업의 성공담이 들려오는가 하면 많은 기업이 어

    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례도 전해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중국투자의 급증으로

    인해 국내 산업의 공동화가 재촉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그 동안 중국이 갖고 있었던 시장잠재력은 중국 로컬기업과 해외의 선진

    글로벌기업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잃은 기업에게는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

    며, 저가의 노동력과 원재료는 중국경제의 고도성장과 함께 가격이 상승하여

    對中 투자는 그 매력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기업 중에서는 국내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장

    을 지속하기 위해, 또는 저가의 노동력과 원재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해외직접

    투자를 유일한 대안으로 판단하여 해외진출을 모색하려 하는 기업이 많지만

    과거에 중국이 갖고 있던 시장잠재력과 저가의 노동력을 대체하여 충족시켜줄

    대상 국가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노력과 관련하여 현재 주요

    진출대상국인 중국을 대체할 BRICs1)의 일원인 러시아를 ‘진출대상국’으로

    소개하고자한다. 그 이유는 첫째, 중국에 뒤지지 않는 성장잠재력과 소비시장

    1) 2003년 미국의 증권회사인 골드만삭스그룹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이다. BRICs는 BrazilㆍRussia

    ㆍIndiaㆍChina을 말하며,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들 4개국은 1990년대 말부터 빠른

    성장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신흥경제국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경제 전문가들은 2030년 무렵이면

    이들이 세계 최대의 경제권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고 있다. BRICs는 현재의 경제성장 속도와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미루어 볼 때, 4개국의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뜻에서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은 개

    념이다.

  • - 2 -

    의 확산이며, 둘째, 경제성장에 따른 건설 및 기타 제조설비의 신규증설과 대

    체 등 시장의 잠재력이 확대될 것이라는 점, 셋째, 중국의 저가제품과 유럽의

    고가품 사이에서 가격과 품질 수준을 적절하게 포지셔닝하여 시장에 접근한다

    면 충분히 틈새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 동안 러시아는 1991년 구소련 붕괴와 더불어 단행된 급진적인 시장경제

    로의 체제전환과정으로 심각한 경제 침체와 정치ㆍ사회적 혼란을 초래했다.

    이후 1998년 8월에는 디폴트의 전단계인 부분적인 모라토리엄(Moratorium, 채

    무 지불 유예)를 선언함으로써 국가 경제가 거의 파탄에 이르는 상태에 처하

    기도 했다. 그러나 1999년부터 러시아 경제는 국제유가의 상승이라는 대외적

    인 호재와 2000년 푸틴정부의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경제개혁정

    책 수행으로 2000년 이후 높은 경제성장세(연평균6.9%)를 기록하였으며, 2005

    년에도 국제 고유가 지속 등의 영향으로 6%의 고성장을 시현하고 있다.2)

    또한 2003년에는 BRICs의 일원으로 소개되며, 잠재력이 큰 신흥경제대국으

    로 세계 여러 국가로부터 투자적격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러시아는 시장이 국가체제의 영향으로 폐쇄적이었다는 것과 국가

    디폴트 상태로 인한 신용도 저하 등의 장애요인으로 외국인 직접투자와 진출

    실적이 저조하였으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러시아를 대상국으로

    한 해외직접투자 진출을 꺼려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이 러시아 직접투자를 검토하는데 기본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러시아의 투자환경과 애로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고 직접투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한국수출입은행, 『러시아 투자환경과 사례』,한국수출입은행, 2005, p. 9

  • - 3 -

    (단위 : 건, 천 달러)

    구 분신 고 기 준 투 자 기 준

    건 수 금 액 점유율 건 수 금 액 점유율

    대 기 업 68 369,762 59.7% 57 199,691 64.0%

    중소기업 162 234,326 37.8% 120 105,518 33.8%

    기 타 25 15,403 2.5% 16 6,852 2.2%

    전 체 255 619,491 193 312,061

    주1. 상기 자료는 2006년 9월까지 누적된 ‘기업규모별 해외투자현황’을 참고하여 재작성함

    자료:한국수출입은행 (www.koreaexim.go.kr)

    제 2절 문제의 제기

    현재 우리나라의 對러시아 투자는 대다수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對러시아 투자 실적은 저조한 상황이다.

    다음의 [표 1-1]을 보면, 2006년 9월까지의 우리나라의 對러시아 투자현황

    을 신고기준과 투자기준의 금액을 보면 모두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월등하게

    앞서고 있다. 투자금액기준으로 볼 때 대기업은 199,691천 달러로 전체 투자

    금액 중 64%를 차지하나, 중소기업의 경우 105,518천 달러로 33.8%를 차지하

    고 있듯이 상대적으로 대기업에 비하여 저조한 상황이다.

    [ 표 1-1 ] 우리나라의 對러시아 투자현황 (기업규모별)

    최근 우리나라의 전경련 산하의 국제협력실의 對러시아 교역 및 투자 애로

    사항3)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은 러시아의 투자환경의 개선여부와

    투자 애로사항을 알 수 있다.

    첫째, 최근의 러시아 투자환경 개선여부를 묻는 설문에 대해 응답기업 중

    59.4%가 조금 개선(50.7%)되거나 많이 개선(8.7%)되었다고 응답하여 러시아

    3) 본 조사자료는 전경련 회원사, 한국무역통계(교역), 한국수출입은행(투자) 및 현지 진출기업 등 교역

    과 투자진출 기업 약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2004년 5월 4일~ 6월 7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00개

    대상기업 중 응답기업 수는 74개사로 회수율은 24.7%이다.

  • - 4 -

    투자환경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기업 중 39%는 변화가 없

    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러시아 투자환경은 아직 개선여지가 많은 것

    으로 인식되고 있다.

    [ 그림 1-1 ] 對러시아 투자환경 개선 설문응답 결과

    둘째, 對러시아 교역에 있어서 애로요인으로는 시장정보 부족과 까다로운

    수입통관 절차가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지적되었음. 이 외에도 L/C 개설의 어

    려움, 높은 수출입 관세율도 애로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보

    면 응답기업들은 對러시아 교역 애로요인으로 시장정보 부족(26%), 까다로운

    수입통관 절차(24%), L/C개설 어려움(23%), 높은 수출입 관세율(20%), 기타

    (7%) 순으로 지적하였다.

    기 타7%

    높 은 수 출 입관 세 율20%

    L/C개 설어 려 움23%

    시 장 정 보부 족26%

    까 다 로 운 수 입통 관 절 차

    24%

    자료 : 전경련 국제협력실

  • - 5 -

    [ 그림 1-2 ] 對러시아 교역의 애로사항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

    위의 응답결과 중 러시아 시장에 대한 정보부족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

    적되고 있는 것은 예년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체 중 對러시아 시장진출을 고려

    하고 있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러시아의 시장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인

    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 밖의 애로사항

    으로는 언어문제(영어대화가 어려운 점 등), 까다롭고 복잡한 투자 절차, 법

    률체계의 모호, 현지 관료주의에 의한 사업진척도 저하, 사업적 이해 부족,

    문화적 이해 부족, 양국 간 친선관계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셋째, 對러시아 사업추진 목표로 알아보는 진출기업의 對러시아 시장진출

    목적을 살펴보면 수출기반 조성과 경쟁력 강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현지거점 확보, 원자재 수입, 현지화 추

    진 순으로 응답하였다. 응답기업들은 對러시아 사업추진 목표로 수출기반 조

    성(34.6%), 경쟁력 강화(24.4%), 현지 거점 확보(14.1%) 원자재 수입(9%), 현

    지화 추진(5.1%) 순으로 응답하였다.

    조 금 개 선5 1 %

    오 히 려 악 화1 %

    변 화 없 음3 9 %

    많 이 개 선9 %

    자료 : 전경련 국제협력실

  • - 6 -

    [ 그림 1-3 ] 對러시아 사업추진 목표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

    위의 응답결과 중 수출기반 조성이 차지한 비율이 가장 큰 이유는 아직도

    대부분의 기업이 해외시장진출 유형 중 수출을 통한 러시아 시장진출을 선호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본 선행 조사 자료의 분석내용을 보면 수출기반 조성 목적이 예년에

    비해 감소(64%→40%)하고 경쟁력 강화(28%)가 현지거점 확보(16%)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점차 러시아 시장진출에 대한 기업들의 목표가 다양화되고, 경

    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도입 등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

    다.4) 또한 현지 거점 확보는 일부 품목에서 가격경쟁력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을 물류비와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극복하고자

    하는 전략적 시장 접근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우리 기업의 對러시아 투자 시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까다로운 각종

    인‧허가 절차와 법 적용의 일관성 및 투명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까다로4) 원용득, 『對러시아 교역 및 투자 애로사항과 개선과제』, 전경련 국제협력실, 2004, p. 16

    원자재 수입10%

    현지화 추진6%

    수출기반 조성40%

    현지거점 확보16%

    경쟁력 강화28%

    자료 : 전경련 국제협력실

  • - 7 -

    운 외환관리 제도, 불합리한 조세행정,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협조체제 미흡

    도 애로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응답기업(복수선택 가능)들은 對러시아 투자 시 애로요인으로 인ㆍ허가 및

    등록절차(32.2%), 법 적용의 일관성 부족 및 투명성 부족(25.8%), 외환관리제

    도(18.3%), 조세행정(12.9%), 정부협조 미흡(5.4%), 기타(3.2%), 차별대우

    (2.2%) 순으로 지적하였다.

    [ 그림 1-4 ] 對러시아 투자의 애로사항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

    기타 사항으로는 관련정보 부족 및 합작파트너 선정 어려움, 운송문제 등이

    지적되었다.5)

    이상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對러시아 투자환경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는 기업의 사업진출 목표도 점차 경쟁력확보와 현지거점

    5) 원용득, 2004, 앞의 자료, p. 16

    기타3%

    현지법인 사업자차별대우

    2%

    까다로운인허가 절차

    33%

    법적용의일관성/투명성 부

    족26%

    중앙-지방간협조미흡

    5%

    까다로운외환관리

    18%

    불합리한조세행정

    13%

    자료 : 전경련 국제협력실

  • - 8 -

    확보를 위한 투자진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지화 추진과 현지

    거점 확보가 다른 사업목표에 비해 저조한 이유는 아직도 對러시아 시장정보

    부족과 투자 진출 시 까다로운 인ㆍ허가 절차 그리고 법 적용의 일관성 및 투

    명성 부족 등의 對러시아 교역 및 투자 애로사항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 對러시아 시장진출의 주요 애로사항인 對러시아 시장정

    보 부족과 관련하여 아직도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러시아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갖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를 결정하고, 현지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러시아에 진출한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현지에 대한 정

    보부족으로 인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러시아를 직접투자 대상국으로 검토하는 우리나라 기업의

    러시아 시장 진출 시 기본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러시아의 정치ㆍ경제ㆍ사회

    현황을 살펴보고, 현지 진출 시의 장애와 유의사항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우

    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직접투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러시아의 투자환경과 對러시아 직접투자 방안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므로 첫째, 해외직접투자이론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국내학자 및 연구

    자들의 이론서를 참고하여 해외직접투자이론을 서술하고자 한다.

    둘째, 한국수출입은행과 KOTRA의 발간자료 그리고 선행 연구 자료를 참고하

    여 러시아의 정치ㆍ경제 현황 그리고 對러시아 투자환경을 알아보고, 마지막

    으로 경제전망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우리 기업의 경협 대상국가로서의 잠재

    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 - 9 -

    셋째, 對러시아 투자 진출사례를 알아보고, 對러시아 교역, 투자 등 제반

    경협사항에 대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넷째, 우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진출과제와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對러시아

    투자 진출 기업과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나라 기업의 對러시아 직접투자 정보

    제공과 투자 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러시아를 직접투자 대상국으로 검토하는 기업을 대상으

    로, 제조를 기반으로 하는 기업의 진출방안으로 한정하며, 연구의 방법이 국

    내학자의 기존문헌 또는 국내연구기관의 조사결과와 사례를 토대로 연구하는

    것이기에 다소 실증적인 연구가 병행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증적인 연구가 되지 못하는 한계를 다소 극복하기 위해 전

    경련 산하 국제협력실의 설문조사 자료 및 결과를 인용하여 對러시아 투자 애

    로사항을 먼저 알아보고 이에 근거한 한국수출입은행 등 국내 조사연구기관의

    對러시아 투자사례를 통해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기업의 對

    러시아 진출과제와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논문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

    고자 한다.

    1장은 서론부분으로 우리나라 기업의 對中 투자의 한계와 문제점 그리고 그

    에 따른 해외 시장진출의 잠재력을 갖고 있는 투자대상국으로 러시아를 제시

    하고, 對러시아 시장진출의 문제, 연구의 목적, 방법 및 한계, 연구의 범위

    및 한계 등으로 구성한다.

    2장에서는 해외시장 진출의 개념과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유형에는 어떤 방

    법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다음으로 해외직접투

    자의 개념과 이론, 그리고 해외직접투자가 현지국과 투자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러시아의 경제동향과 향후전망, 그리고 정치ㆍ사회 동향을 살펴

    보고, 러시아의 성장동인 및 장애요인 그리고 러시아의 투자환경을 기업설립

  • - 10 -

    절차, 외환 및 조세, 노동제도, 투자관련 법률 등의 항목으로 알아보고자 한

    다.

    4장에서는 러시아 진출 및 직접투자사례부분으로 한ㆍ 러 교역 및 투자현

    황, 투자 애로사항 및 유의사항을 우리나라 기업의 러시아 투자사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며, 투자업체별로 진출동기, 영업현황, 경영(성공)전략, 애로사

    항(실패원인) 등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5장에서 결론 부분으로 러시아에 투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 또는 투자 진

    출을 고려하는 기업에게 투자 진출과제와 방안을 제시하며 본고를 마무리 하

    고자 한다.

  • - 11 -

    제 2장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이론적 근거

    제 1절 해외시장 진입전략의 의의

    1. 시장 진입전략의 일반적 절차

    해외시장 진출이라는 국제경영 활동은 일반적으로 첫째, 진출여부에 대한

    결정을 하고, 둘째, 진출시장의 선택과 셋째, 진입방법의 결정을 하는 과정으

    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추

    가적인 시장 진출과 진입방법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존의 진출 시장

    에 대해 진입방법의 변경이 검토될 수도 있다.

    1) 해외시장 진출여부의 결정

    해외시장 진출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의 논리적 출발점은 해외시장 진출여

    부를 결정하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국내시장을 대상으로 경영활동을 전개하여 경험을 축적

    한 후 해외시장 진출가능성을 검토하게 된다. 해외시장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는 동기는 국내시장의 성장한계, 과도한 경쟁, 규제, 국내에서의 성공에 힘

    입은 해외시장에서의 새로운 가능성 타진 등 다양하다. 특히 국내시장의 협소

    로 인해 수출을 통한 경제성장에 주력해 온 한국으로서는 해외시장의 중요성

    이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 - 12 -

    2) 진출시장의 선택

    일단 해외시장 진출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끝나 진출이 결정되면 그 다음 단

    계의 의사결정은 어떤 시장으로 진출하느냐, 즉, 진출 국가를 선정하는 일이

    다. 이는 해외시장 개척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하고도 신중을 요하는

    문제이다.

    해외 진출시장을 선택함에 있어 전 세계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검토 작업을

    벌인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개 초기단계에서는 심층 조

    사 및 분석을 요하는 국가들을 복수로 선정하고 이들 국가들을 대상으로 평가

    과정을 거쳐 진출 국가를 선택하게 된다.

    진출시장 선정과정에는 기본적으로 ‘기회(opportunity)’와 ‘위험(risk)'

    이라는 두 가지 차원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게 된다. 기회란 현재 혹은 잠재

    적인 시장의 크기(market potential)를 말하며, 위험이란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 등의 이질성이나, 불안전성을 의미한다. 경쟁의 양적, 질적 강도는 기회

    와 위험의 양 측면을 모두 내포한다 하겠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여러 요소들

    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국가 시장의 매력도(attractiveness)를 평가한

    후 그 순위에 따라 진출시장을 선택하게 된다.

    3) 진입방법의 결정

    진출 대상국가의 시장이 결정되면, 이제 그 시장에 어떤 방법으로 들어갈

    것인가, 즉 진입방법(entry mode)을 결정해야 한다.

    해외시장 진입방식은 크게 수출, 계약형태, 직접투자 등의 세 가지 유형으

    로 나눌 수 있다. 계약형태란 라이슨싱(licensing), 프랜차이징

    (franchising), 계약생산 등을 포함하며 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는 현지에서 직접 생산 활동을 하려는 것이다. 직접투자 방식은

  • - 13 -

    소유권 비율에 따라 단독투자와 합작투자로, 출발 형태에 따라 기존 기업의

    인수(합병)와 신규설립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진입방식을 결정하려면 해당시장의 규모 및 성장 가능성, 정치적 위험, 무

    역장벽이나 외환송금 규제와 같은 각종 규제, 전기, 도로, 항만, 통신 등과

    같은 하부구조(infrastructure), 노동력의 양과 질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

    다. 또한 기업의 목표와 동원 가능한 자본 및 기타 경영자원의 크기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2. 진입방법 결정의 의의

    시장 진입방법의 결정은 일단 한번 이루어지면 단기간에 변경하는 것이 쉽

    지 않으며 대규모 경영자원의 투입이 필요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결

    정이다. 따라서 진입방법의 결정에는 충분한 사전검토와 신중한 접근이 요구

    된다.

    대개 해외시장 진출 초기에 큰 위험부담 없이 선택할 수 있는 진입방법은

    수출이다. 처음부터 대규모 경영자원 투입이 수반되는 직접투자를 무리하게

    선택할 경우 예상보다 시장기회가 작거나 낯선 경영환경에 적응하지 못하여

    커다란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수출은 시장입지의

    조기 구축이나 더 큰 이익기회를 살리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도 있다.

    마찬가지로 라이슨싱 역시 자본 투입이나 정치적 위험에 대한 노출이 적어 직

    접투자에 비해 선호될 수도 있지만 기술유출이나 더 큰 이익기회의 상실이라

    는 기회비용으로 인해 잘못된 결정이 될 수도 있다.6)

    6)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국제경영』, 문영사, 2004.2, pp69~73 정리

  • - 14 -

    유형분류 기준 유 형 구체적 진입방법

    본국 혹은 제3국

    생산 후 완제품 수출수출(export)

    간접수출(indirect export)

    직접수출(direct export)

    생산요소의

    이전 후

    현지 생산

    생산요소의

    일부 이전

    계약방식

    (contractual mode)

    라이슨싱(licensing)

    프랜차이징(granchising)

    계약생산(contract manufacturing)

    관리계약(management contracts)

    턴키계약(turnkey contracts)

    BOT방식(build, operate, transfer)

    기타

    생산요소의

    복합 이전

    해외직접투자

    (foreign direct

    investment)

    단독투자(sole venture)

    합작투자(joint venture)

    신설(greenfield investment)

    인수/합병(merger/acquisition)

    3. 진입방법의 기본유형

    외국의 특정 시장에 들어가는 방법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살펴 볼 때 크게는

    두 가지, 좀 더 나누면 세 가지의 기본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표 2-1 ] 해외시장 진입방법의 유형

    우선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본국이든 제3국이든 목표 시장국가 이외의 생산

    기지에서 제조된 완제품을 수출하는 방법이다. 또 하나는 기술, 자본, 노동,

    경영활동 등의 생산요소를 목표시장으로 이전하여 현지 시장국가에서 완제품

    을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호텔, 놀이공원, 병원 등 서비스 산업의 경우에

    는 수출방식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소비자가 위치한 시장에서 직접 공급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비스 업종의 해외진출은 생산요소의 이전을

    통하는 수밖에 없다.

    생산요소를 이전하는 방법은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렇

  • - 15 -

    게 하면 바로 수출을 포함하여 세 가지 기본 유형이다. 즉 기술이나 특허권

    등의 무형자산, 경영활동 등을 그 자체로서 현지에 있는 기업에게 대가를 받

    고 제공하는 방법과, 이들 생산요소를 현지에서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전자, 즉 생산요소를 그 자체로서

    현지 업체에 제공하는 방법은 일반 적으로 계약형태의 진입방식(contractual

    entry mode)으로 불리어지는데 이는 제공되는 자산의 내용, 기간, 대가의 지

    불방법 등을 계약에 의해 정하고 제공받는 업체가 자신의 책임 하에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생산요소, 혹은 자산을 제공하는 업체는

    현지의 경영 활동에는 계약에 의한 사항 외에는 관여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으

    며 제공하는 자산 자체에 대한 대가만을 받게 된다. 따라서 책임과 위험이 적

    고 안정적 수입이 보장되지만 현지 시장에서의 통제권이 없고 투자수익의 기

    회도 없게 된다. 라이슨싱(licensing)이 이러한 진입방법의 대표적 예다. 후

    자의 방법, 즉 제반 생산요소와 경영자원을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이전하여

    현지에서 직접 경영활동에 참여하는 가운데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방식은 해

    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로 일컬어진다. 이는 기술, 특허권,

    경영 노하우 등을 그 자체로서 개별적으로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복합

    적으로 이전한 후 노동을 중심으로 하는 현지의 생산요소를 결합하여 현지에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방법이다. 자신의 책임 하에 경영활동이 수행되므로 위

    험이 수반되지만 통제권가 함께 높은 투자수익의 기회도 아울러 갖게 된다.7)

    제 2절 해외직접투자 개념 및 이론

    수출이나 계약형태의 진입방법은 목표시장국 내에서의 생산활동을 위한 지

    분투자(equity investment) 없이 현지 시장을 대상으로 경영활동을 전개하는

    7)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 2004.2, 앞의 책 pp73~75

  • - 16 -

    것이다. 이에 비해 해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는 목표시

    장 내의 제조 및 생산시설에 대한 지분 참여와 함께 직접 경영활동을 담당하

    는 형태의 시장진입 방법이다.8)

    이러한 제조 및 생산 시설은 모든 부품을 본국(home country)에서 수입하여

    단순 조립과정만을 거치는 조립공장으로부터 모든 생산과정을 전부 해결하는

    업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다.

    해외직접투자의 요체는 복합적인 기업자원을 패키지 형태로 이전한다는 점

    과 경영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통제권을 행사한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제품을 판매 목적으로 이전하는 수출이나 제품생산에 필요한 무형자산 자

    체를 이전하는 라이슨싱과 구별되며 경영참가 목적이 아닌 해외간접투자와 비

    교된다. 해외간접투자는 국내의 주식이나 채권투자와 마찬가지로 이자, 배당

    금, 자본이득 수취를 목적으로 외국의 증권에 투자하는 국제증권투자

    (international portfolio investment)라 할 수 있다.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모두 주식에 대한 투자로 나타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차이는 주된 투자목적을

    경영권 획득에 두느냐 하는 것이다.9)

    해외직접투자는 관리, 기술, 마케팅, 자본 및 기타 자산을 하나의 기업 형

    태로 결합하여 목표 시장에 이전하고 자신의 통제 하에 두기 때문에 해당 기

    업이 가지고 있는 경쟁우위를 가장 잘 실현할 수 있는 시장 진입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노동력과 같은 현지 시장국의 입지적 우위

    (location-specific advantage)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도 갖게 되며 수입장벽

    을 우회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현지 소비자의 요구와 반응을 재빠르게 반

    8)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해외직접투자가 제조나 생산 공장에 국한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예로 수출 물량

    의 적극적인 현지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 현지법인도 해외직접투자의 범주에 속한다. 다만 여기서는

    수출방식이나 라이슨싱을 포함한 계약형태 진입방법과 근본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현지 생산을 강

    조하였다.

    9)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비교적 쉬운 일이지만 구체적으로 몇 퍼센트 이상의

    지분 취득을 직접투자로 분류하느냐에 대해서는 명확한 객관적 기준이 없다. 통계 및 관리 목적으로

    사용되는 직접투자의 기준은 국가마다 다르며 의결권 주식의 10%이상 취득이라는 비교적 낮은 기준부

    터 50%이상을 요구하는 높은 기준까지 다양하다.

  • - 17 -

    영할 수 있다는 점도 현지생산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해외직접투자

    는 높은 위험을 수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진입방법에 비해 기업

    자원의 투입이 많다. 이는 곧 위험에 대한 노출 역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고 투자 회수기간이 길며, 미진한 성과나 전

    략 수정으로 인한 투자 철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투자의 결정은 신중

    한 판단을 요구한다. 해외직접투자는 투자기업의 지분 확보 비율에 따라 모기

    업이 100%의 지분을 가지고 전적인 경영권을 행사하는 단독투자(sole

    venture)와 다른 기업(대개의 경우 현지 기업)과 지분 및 경영권을 공유하는

    합작 투자(joint venture)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설립 형태에 따라

    새로이 기업을 설립하는 경우(new establishment)와 기존 기업에 대한 인수

    및 합병(acquisition & merger)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1. 단독투자와 합작투자

    단독투자는 지분 전체를 보유하고 100%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경

    영권을 장악하고 투자 이익도 독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런 만큼

    위험부담 역시 커지게 되며, 제품/산업 분야와 투자 대상국(host country)에

    따라서는 단독투자를 허용하지 않거나 합작투자에 비해 불이익을 주는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 투자지분을 다른 기업과 공유하는 합작투자는 과도한 투자비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적절한 합작선(partner)의 선정을 통해 자신의 약점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실상 합작투자는 정부 규제에 따라 단독투자가 불가능하거나 제한이 가해

    지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두 기업의 결합이라는 점이 그

    근본 취지요 요체라고 할 수 있다. 투자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의 약점이

    란 자본과 경영자원의 상대적 부족, 투자 대상국가의 현지사정에 대한 경험과

    이해 부족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국기업이라는 사실 자

  • - 18 -

    체가 현지 국민들에게 부정적 이미지를 줄 수도 있다. 이 중에서도 현지의 전

    반적인 환경에 대한 이해 부족이다. 공급자, 고객, 노조, 은행, 정부관리 등

    과의 인간적 관계를 포함한 현지 경영관행에 대한 경험 부족은 외국기업으로

    서 피하기 힘든 약점이 된다. 이런 경우 적절한 현지 기업을 투자 파트너로

    삼아 합작기업을 운영한다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상적인 합작투자는 항상 적절한 파트너의 선정이라는 쉽지 않은 과제의 해결

    을 전제로 하며, 양자의 이해가 일치하여 이상적인 관계로 출발했다 해도 시

    간의 흐름에 따라 이해가 상충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경영권을 분담하므

    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어려울 수 있고 독자적인 기술가 노하우가 합작을 통

    해 외부로 유출될 위험도 있다. 투자이익을 나누어야 한다는 점도 단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일단 합작형태로 진출했다가 현지시장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축적되면서 단독투자로 전환하는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합작투자는 투자지분의 비율에 따라 50% 이상의 다수지분(majority

    ownership), 50:50의 동등지분, 그리고 50% 미만의 소수지분(minority

    ownership) 합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신설과 인수/합병

    신설과 인수/합병은 투자대상 기업의 설립형태에 따른 구분이다. 즉 신설이

    란 기업을 처음부터 새로 세우고 경형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말하며10) 인수나

    합병(M&A, merger and acquisition)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현지 시장국가 내

    기존기업의 경영권을 확보하는 형태의 해외직접투자다.11)

    신설은 기업의 설립과 그 후의 경영활동 모두 계획에 따라 새롭게 진행할

    10) 기업의 신설은 new establishment 나 start-up 외에도 greenfield investment로 불리어지고 있다.

    11) 인수와 합병은 개념적으로나 법적으로 구별되지만 기존 기업을 투자나 사업 확장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며 통칭 M&A로 불리고 있다. 해외투자의 경우 현실적으로 합병보다는 인수가 거의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 19 -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간적으로 오래 걸리고 자금 부담도 커질 수 있

    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기존기업의 인수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사업을 전개할 수 있고 인수조건의 협상에 따라서는 자금부담도 경감할 수 있

    다. 또한 기존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술, 인력, 유통망, 거래관계, 마케팅 능

    력 등의 제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인수는 이러한 자

    산으로서의 측면뿐만 아니라 기존기업의 문제점이나 결점 등의 부채 측면도

    그대로 인수하는 것이므로 세심한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유능한 기술 및 경영인력을 적절한 동기부여와 함께 효과적으

    로 유지, 관리해야 한다는 점도 기업 인수의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인수 후 그

    러한 인력이 다른 기업으로 유출된다면 인수의 효과가 감소되고 때문이다.12)

    3.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해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란 앞에서 설명한 대로 기업

    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요소 및 경영자원을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해외로 이전

    하여 직접 경영활동을 전개하는 형태의 시장 진입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해외

    시장 진입방법의 하나로 설명되고 있지만 해외직접투자가 시장진입 방법으로

    서의 의미만 있는 것은 물론 아니다. 투자 대상국이 시장으로서의 의미보다는

    부품 혹은 완제품의 생산과 조립, 즉 조달(sourcing)기지로서의 의미가 더 큰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범세계적 조달(global sourcing), 혹은 범세계적 생산

    (global production)을 위한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시장 진입방법(entry mode)

    의 하나로서, 다시 말해 수출이나 라이슨싱과 비교되어 선택되는 대안으로서

    설명하려는 시도는 적절치 못하며, 오히려 생산의 입지결정(location

    decision)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해외직접투자는 수출 및 라이슨

    싱 등과 함께 대표적인 시장진입 방법의 하나로 배타적 선택대안으로서의 성

    12)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p82~86

  • - 20 -

    격도 가지고 있지만 상호 보완적 성격도 가지고 있다. 직접투자의 증가가 수

    출을 대체한다고만 볼 수 없는 것이다. 실제로 오늘날 전 세계 무역량의 상당

    부분은 직접투자가 없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것들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다

    국적 기업들은 원자재 조달, 부품 생산 및 조달, 완제품 조립 등을 세계 각국

    에 분산하여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다국적기업 시스템 내부, 즉 본사와 자회

    사들 사이에 원자재와 부품 등의 물동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이른바 기업

    내 무역(intra-firm trade)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활발한 해

    외직접투자의 증가는 무역, 즉 수출입의 증가로 이어지기도 한다. 투자하는

    기업 입장에서 볼 때 해외직접투자의 요체는 자본참여와 함께 경영활동에 직

    접 참여하고 통제권(control)을 행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투자에 대한 이익

    의 기회와 권한을 갖게 되지만 그만큼 책임과 투자손실의 위험이 수반되는 것

    은 물론이다. 해외직접투자는 투자 기업 당사자는 물론 투자 대상국(host

    country)과 본국(home country)에도 다양한 형태의 영향을 미친다. 대규모 자

    본의 유출입과 기술, 인력, 경영의 국가 간 이전이 양국의 경제, 사회, 문화

    에 상당한 정도의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이다. 각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해외

    투자, 외국 기업의 자국 내 직접투자에 대해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규제를

    가하거나 유인국 내 직접투자에 대해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규제를 가하거나

    유인(incentive)을 제공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13)

    4. 해외직접투자의 전략적 동기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동기는 산업 및 기업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을 유형화해 보면 시장 추구, 자원 추구, 생산효율 증대 등으로 크게 구

    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직접투자의 동기는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

    니며 복합적인 동기에 의해 해외직접투자가 이루어지기도 한다.14)

    13)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p158-160

  • - 21 -

    1) 시장 추구

    새로운 시장을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을 도모하려는 것은 해외

    시장 진출의 가장 일반적인 동기라 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새로운 해외시

    장에 진출하는 방법이 수출이나 라이슨싱 등이 아니라 왜 해외직접투자냐 하

    는 것이 설명되어져야 할 것이다. 우선 라이슨싱은 현지에서의 마케팅 활동을

    직접 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인 시장 추구의 대안으로 볼 수 없는 측면

    이 있다. 따라서 주로 수출과 비교하여 직접투자가 갖는 시장 추구 동기를 설

    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생산 및 마케팅 활동은 시장에 근접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소비자의 반응, 경쟁기업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생산과 마케팅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지 시장의 규모, 보다 정확하게는 자사 제품의

    판매 가능성이 충분히 크지 않을 때 현지 직접투자는 경제성이 없지만, 시장

    의 확대와 경험의 축적 등으로 여건이 성숙될 때 직접투자를 검토하는 것은

    당연하다. 시장국 내에 민족주의(nationalism)와 결합된 자국 생산 제품의 선

    호 경향이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 현지 시장까지의 수송비가 생산비나 제품의

    최종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 경우에도 직접투자가 해외시장 진출의 바람

    직한 대안이 된다.

    한편 무역장벽의 회피도 해외직접투자의 중요한 동기로 언급되고 있는데 이

    역시 시장 추구 동기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시장국가에 수입장벽이 있을 경

    우 해당 시장에 진출하는 현실적인 방법은 라이슨싱 혹은 직접투자를 통한 현

    지 생산이다.

    14)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p160-163

  • - 22 -

    2) 자원 추구

    원유, 철광, 원목, 커피 등의 천연자원을 주요 원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기

    업들은 이러한 자원을 직접 채굴, 개발, 가공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를 수행

    하기도 한다.

    원재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원유의 경우 주요 부존 지역이 주요 수요 국가와 다르기 때문

    에 이러한 수직적 통합으로서의 직접 투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자원개발을

    위한 해외투자는 원자재의 안정적인 공급이라는 측면 외에 수송비 절감 그리

    고 원재료로 사용하는 최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도 이루어진다.

    자원의 개념을 확장하면 자원 추구 동기는 천연자원 개발을 위한 직접투자

    외에도 다양한 해외 투자를 설명할 수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 국가 기업들의

    선진국 투자 중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하는 투자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나라 기업들도 미국 및 유럽의 첨단 분야 기업이나 연구소들의 밀집지역에 연

    구소를 설립하거나 기존 기업을 인수한 사례들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기술이

    나 정보 습득을 주요 목표로 하는 해외투자라고 볼 수 있다. 저렴한 인건비를

    염두에 두고 풍부한 노동력을 보유한 국가에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것이나 투

    자대상국(host country)정부의 각종 인센티브 제공에 따른 해외투자도 자원추

    구형 해외투자로 분류할 수 있다.

    3) 생산효율 추구

    오늘날 거대 다국적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효율적인 입지선정, 혹은 지리적

    배치(geographical configuration)를 통해 범세계적인 비용의 효율성(global

    cost efficiency)을 달성하려는 의도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의 비

    용이란 각종 부품의 직접적인 생산비, 조립 비용은 물론 부품공장과 조립공장

  • - 23 -

    사이의 수송비, 시장 국가까지의 수송비, 그리고 국가 간 이전에 따른 관세,

    각국의 환율이 고려된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단순히 저렴한 인건

    비나 풍부한 노동력 활용만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훨씬 종합적이고 복잡한 분

    석을 필요로 한다. 물론 국내 인건비 상승을 피해 노동집약적 산업을 노동력

    이 풍부한 국가로 이전시키는 단순한 저임금 추구형 해외투자도 상당히 많다.

    생산효율을 추구하는 해외투자는 시장 진입방법으로서의 의미보다는 조달

    (sourcing) 기지로서의 의미가 더 큰 경우가 많다.

    4) 경쟁적 반응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시장이나 생산효율을 추구하려는 적극적 동기뿐 아

    니라 경쟁기업의 선도적 행동에 대한 반응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이러한 해외

    투자를 반드시 수동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국내 경쟁기업의 해외진출, 혹

    은 국내 시장을 포함한 자신의 주요 시장에 대한 외국 경쟁기업의 공세에 대

    한 방어적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다. 특히 경쟁기업의 행동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과점 상태의 경쟁구조 하에서 이러한 해외투자가 많이 나타나는데, 경

    쟁기업의 선도적 해외진출에 불안을 느끼고 유사한 지역 혹은 다른 지역으로

    의 투자를 고려하게 된다.

    한편 외국의 경쟁기업이 국내기업에 진출하거나 해외의 다른 주요시장에서

    경쟁하게 될 경우 그 방어책으로 해당기업의 모국으로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

    많은 기업에 있어 본국 시장은 해외시장 개척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해 주는

    기반 시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쟁기업의 모국 시장에 진출하여 해당 기업

    의 안정적 재원확보를 견제 내지 억제 할 수 있다면 훌륭한 방어 전략이 될

    수 있다. 특히 해당 본국 시장이 글로벌 경쟁에 심하게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러한 안정적인 안방시장에 침입하는 것은 적어도 커다란 견제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 24 -

    5. 해외직접투자의 이론

    해외직접투자는 투자대상기업의 경영에 직접 참가함을 목적으로 자본, 경영

    능력, 기술, 상표 등의 생산요소를 복합적으로 해외에 이전시키는 기업 활동

    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해외직접투자는 투자동기 면에서 단순히 이자나 유동성 확보만을 지

    향하는 유가증권투자 또는 배당소득만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매입과는 달리,

    해외사업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경영 지배를 하는 것이 목

    적이다.

    둘째, 단순히 화폐적 형태의 자본이동 뿐만 아니라 유형ㆍ무형의 경영자원,

    즉 외면상으로는 경영자를 중핵으로 하고, 실질적으로는 경영관리상의 지식과

    경험, 특허(patent), 노하우(knowhow)는 물론 ‘마케팅’방법 등을 포함한 광

    범위한 전문적ㆍ기술적 지식, 판매ㆍ원료구입ㆍ자금조달 등 시장에 있어서의

    지위, 상표 혹은 신용, 정보수집ㆍ연구개발을 위한 조직 등을 포함한 포괄적

    이전을 의미한다.

    셋째, 해외직접투자는 자본의 수출인 동시에 기업의 수출로서 한 국가의 기

    업이 국내지향 및 수출지향에서 현지생산지향 및 세계지향경영으로 전환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또한 현재까지 해외직접투자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많

    은 이론들이 제시되었으나 이들 이론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근본적인 문제

    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5)

    첫째, 왜 기업은 해외직접투자를 선택하는가?

    둘째, 기업은 어느 국가에 해외직접투자를 하는가?

    셋째, 기업은 언제 해외직접투자를 하는가?

    넷째, 기업은 투자국에 어떻게 진입하는가? 이다.

    15) Franklin R.. Root,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5th ed., Clincinnati:South-Western

    Publishing Co., 1984, p.455

  • - 25 -

    이상과 같은 해외직접투자이론의 문제점에 대한 현재까지의 이론들을 유형

    별로 구분하면 다음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16)

    첫째, 해외직접투자를 해외간접투자의 상대적 개념으로 정의함으로써 직접

    투자를 국제자본이동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들이라고 할 수 있다.

    2차 대전 전까지만 해도 식민지경영에 따른 직접투자를 제외하면 해외투자의

    주류는 간접투자 즉 증권투자였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를 독창적 이론으로서

    설명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고 이자율의 차이에 따라 국가적 자본이동이 일

    어나는 국제 자본이동이론으로 직접투자가 설명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2차 대전 후 급격히 늘어난 해외직접투자를 단순히 국제자본이동이

    론만으로 규명이 불가능해지자 국제 자본이론의 입장에서의 이론발전은 주춤

    한 상태였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다시 자본이동의 관점에서 해외투자

    를 설명하려는 이론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둘째, 해외 직접투자를 수출의 상대 개념으로 정의하여 직접투자를 해외시

    장 진출의 한 방법으로서 수출 또는 생산요소의 단독이동에 대립되는 개념으

    로 파악, 발전된 이론들이다. 해외직접투자는 투자국내의 자본, 생산기술 등

    의 생산요소들을 해외로 이전하여 투자대상국의 생산요소인 노동ㆍ토지 등과

    결합하여 현지 생산 및 판매를 한다는 점에서 수출 및 생산요소의 국가 간 단

    독이행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관점에서의 이론들은 기업이 해외에

    진출하는 동기가 무엇이며, 익숙하지 않은 해외의 기업현장에서 현지기업과

    경쟁하여 이길 수 있는 요인은 어디에 있으며, 여러 가지 해외 진출 방법 중

    에서 해외직접 투자하는 방식을 택하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초점

    을 맞추고 있다.

    셋째, 해외직접투자를 단순히 개별기업의 차원에서 볼 것이 아니라 좀 더

    시야를 넓혀서 거시 경제적 관점 혹은 국제경제투자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16) 김인준, 『국제경영학』, 다산출판사, 1985, p.434

  • - 26 -

    는 점에서 발전된 이론들이다. 이와 같은 이론들은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직접

    투자를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외직접투자 이론은 무역이론에서 간과된 국제 생산활동을 중요하게 인식

    하여 개별기업을 중심으로 국제경쟁력을 분석하려고 한 미시적 접근방법이라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 이론은 무역이론과 함께 국제경쟁력에

    대한 근대적 이론의 기초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상에서 본 직접투자에 대한 이론들 중 일반화되고 주요한 이론들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산업구조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

    ① 독점적 우위론

    독점적 우위이론(monopolistic advantage theory)은 해외직접투자를 설명하

    는 가장 대표적인 이론 중의 하나이며, 하이머(S. H. Hymer)에 의해 주창되고

    킨들버거(S. P. Kindleberger)와 케이브스(R. E Caves)에 의해 더욱 발전된

    해외직접투자 이론이다.

    내수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갖고 있다고 해서, 해외시장에서 성공한다는 보장

    은 없다. 왜냐하면 해외직접투자에 있어서 해외기업은 외국의 현지기업에 비

    해 많은 불리한 점을 감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외국기업은 언어와 문화

    에 대한 이해의 측면에서 현지기업에 비해 불리하고, 현지국의 유통망, 정부

    관계에서 불리한 점인 외국인 비용(Liabilities of Foreignness)을 갖게 된

    다. 따라서 외국의 투자기업들이 현지시장에서 불리한 점에도 불구하고 경쟁

    에서 우위를 누리기 위해서는 외국인 비용으로 인한 불리한 점을 충분히 상쇄

    할 수 있는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17)

    독점적 우위 이론은 해외직접투자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려는 본격적 시도로

    17) 장세진, 『글로벌 경영』, 박영사, 1998, p.225

  • - 27 -

    서의 큰 가치를 가지고 많은 기여를 한 것이 분명하지만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다. 우선 독점적 우위이론은 기업이 특유의 우위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

    이 해외직접투자의 필요조건은 되나 충분조건은 되지 못하며, 기업특유의 우

    위요소를 해외직접투자라는 자본 부담이 많고 위험을 많이 내재하고 있는 형

    태를 통해 왜 활용하는가에 대해 설명을 못하고 있다.18)

    ② 제품수명주기 이론

    버논(Raymond Vernon) 등에 의해 대표되는 제품수명주기이론(Product life

    cycle theory)은 시간이라는 차원을 도입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무역 및 직

    접투자가 이루어지는 현상 및 패턴을 설명하고 있다.19) 즉, 기술진보의 과정

    에 따라 신규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을 도입 성장기 및 성숙기로 각각 구분하고

    각 단계에 있어 기업의 행동원리를 파악함으로써 해외 직접투자를 규명하려는

    이론이다.20)

    이 이론에 의하여 신규상품의 도입기에는 신상품을 개발한 기업의 독점적

    우위 또는 제품차별 때문에 동제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교적 작다.

    따라서 생산입지에 따른 비용격차가 크지 않으므로 기업은 국내에 생산입지를

    정하게 된다. 그러나 두 번째 단계인 성장기에 이르면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경쟁기업이 등장하며, 또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관심도 높아져 규모 있는 경제 제고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되는 가장 중

    요한 요소가 된다.21)

    마지막으로 성숙기에 접어들면 제품생산이 표준화되며 생산기술의 발전도

    거의 한계점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시장정보나 경영기술보다는 생산비가 기

    18) 조동성, 『국제경영학』, 경문사, 1989, pp. 81-82

    19)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 168

    20) Raymond Vernon, Sovereignty at Bay : The Multinational Spread Of U.S Enterprise, N.Y., Basic

    Books, 1971, pp 107-112

    21) Louis T. Wells, Product Life cycle International Trade, Boston, Havard Business School, 1972,

    pp 3-33

  • - 28 -

    업의 최대 관심사가 되어 생산입지는 노임이 낮은 개도국으로 이전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해외 자회사로부터의 역수입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버논(Raymond Vernon)의 이론은 개도국도 자본집약적인, 표준화

    된 일부 제품을 생산하여 선진국에 수출하는데 있어 비교우위를 지닐 수 있다

    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품생산기술의 표준화가 이루어

    지고 수요구조가 비슷한 다른 나라에서도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현지

    기업의 인수, 그리고 예상되는 무역장벽 및 입지의 경제성 때문에 기업은 현

    지생산, 즉 해외직접투자를 행하게 된다는 것이다.22)

    ③ 내부화 이론

    독점적 우위 이론이 ‘how’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why’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바로 위에서 언급하였다. 내부화 이

    론(Internalization Theory)은 바로 이 ‘why'의 문제, 즉 독점적 우위 혹은

    경쟁우위를 왜 외부 시장을 이용하여 판매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외국에 진출

    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택하느냐 하는 문제에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23)

    내부화 이론(Internalization Theory)은 코오스(R. H. Coase)에 의해 1937

    년에 주창되어 윌리엄슨(O. E. Williamson)을 거쳐 버크리(Buckly)와 카슨(M.

    Casson)에 의해 체계화되고, 러그만(A. M. Rugman)에 의해 더욱 심화 발전되

    어 해외직접투자의 일반이론으로까지 격상되었다.

    기업들이 해외경영을 하는데 필요한 지적자산과 원자재 등 경영자원의 국가

    간 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장을 이용하는 것보다 기업내부의 거래를 통해

    수행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다국적기업이 경영자원을 국가 간에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외직접투자가 일어난다는 설명은 거래비용이론(Transaction cost theory)의

    22) Raymond Vernon, op. cit, p110

    23)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 165

  • - 29 -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즉 기술과 브랜드와 같은 경영자원은 시장을 통해

    거래하기 힘든 경영자원이며, 원자재의 해외구매 역시 가격, 품질, 납기일 측

    면에서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해외직접투자는 경영자원과 원자

    재 등의 시장 거래를 기업내부의 거래로 내부화함으로써 시장거래비용을 줄이

    고 효율성을 높인다.24)

    내부화 이론은 외국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이 왜 직접투자를 택하는지

    에 대해 이론적인 답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며 독점적 우

    위 이론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화 이론은 직접투자를

    라이슨싱과 대비시켜 설명하는데 치중하고 있어 또 하나의 시장거래인 수출과

    의 비교 및 선택 문제는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25)

    또한 내부화 이론은 기업의 해외진출 동기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기업 스스로 특유의 우위를 영속화하기 위해 시장의 불완전성을 창출할 수 있

    다는 점과 생산입지의 설명, 즉 기업이 특정국가로 진출하는 이유를 밝히지

    못하는 한계성이 있다.26)

    ④ 절충 이론

    절충이론(Eclectic theory)은 던닝(J. H. Dunning)에 의해 제시되고 그 후

    후드(J. Hood)와 영(S. Young)이 발전시킨 것으로 이제까지의 전통적인 해외

    직접투자 이론이 해외직접투자의 한 측면만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을 종합 및 보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직접투자를 포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첫째, 외국비용에도 불구하

    고 어떻게 직접투자가 가능한가? (how), 둘째,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경쟁우

    위를 왜 시장이 아닌 기업 내부 조직, 즉 직접투자를 통해 활용하는가?

    (why), 셋째, 직접투자의 대상이 되는 현지국은 어디인가, 즉 어디로 진출하

    24) 장세진, 1998, 앞의 책, p. 226

    25)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 166

    26) 조동성, 1989, 앞의 책, pp.92-97

  • - 30 -

    는가? (where)등에 대한 답을 종합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절충이론에 의하면 수출, 라이슨싱, 직접투자 등의 시장진입 방법 중에서

    직접투자를 선택하려면 독점적 우위라는 기업특유의 우위(ownership-specific

    advantage), 내부화의 우위(internalization incentive advantage), 그리고

    투자 진출국의 입지특유 우위(location-specific advantage) 등 세 가지의 우

    위가 종합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들 중 하나라도 부족하다면 직접투자의

    선택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기업이 자신만의 독점적인 우위는 가

    지고 있고 내부화 우위도 있지만 현지국의 입지 우위가 없다면 국내에서 생산

    하여 수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업특유의 우위와 현지국의 입지우위는 있

    지만 내부화 우위가 없다면 외부시장을 통한 라이슨싱이 바람직한 대안이 된

    다. 결국 이 세 가지 우위를 모두 갖추어야 직접투자를 통한 현지 생산이 선

    택된다는 것이다.27)

    던닝(J. H. Dunning)은 무역과 해외투자를 포함한 국제생산 또는 국제경제

    참여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기업은 기업 특수적 요인과 입지 특수적 요인에 의

    해 수출 또는 해외 투자비용을 선택한다고 보았다.28) 전자는 국제경영학적

    접근방법이며 후자는 국제분업 또는 입지론적 접근방법으로 이 양자를 결합했

    다는 점에서 던닝 스스로 이를 절충이론이라고 불렀다.

    후드(J. Hood)와 영(S. Young)은 이를 보다 일반화하여 이제까지의 해외직

    접투자이론은 주로 시장의 불완전성에 기인하는 독점기업에 내부화된 생산요

    소의 우위, 즉 기업 특수적 요인만을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으로 보아 왔는데

    이는 직접투자가 이루어지기 위한 필요 요인이기는 하나 충분조건은 되지 못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

    업 특수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투자대상국의 기업 활동 여건 즉 입지적 특수적

    요인도 고려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후드(J. Hood)와 영(S.

    27)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 167

    28) J. H. Dunning,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Production, Oxford Economic Journal. Vol.

    105, 1973, pp. 290-335

  • - 31 -

    Young)은 기업 특수적인 요인으로 기술과 마케팅기법, 과점적 시장구성 및 경

    영능력의 우위, 재무 및 자금요인, 원재료 확보, 우위요인 등을 들고 있으며

    입지적 특수적 요인에는 무역장벽, 투자대상국의 정부정책, 비교 노동비, 시

    장의 규모와 시장성 등을 들고 있다.29)

    그리고 절충이론은 독점적 우위 이론과 내부화 이론은 물론 입지선정과 관

    련된 입지이론 등을 모두 포괄하여 해외직접투자를 종합적으로 설명한다는 점

    에서 큰 의의가 있다. 수출, 라이슨싱, 직접투자라는 대표적인 해외시장 진입

    방식을 모두 고려하는 상태에서 다른 두 대안이 아닌 직접투자를 선택하게 되

    는 조건과 상황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합적 성격으로

    인해 절충이론이 해외직접투자의 일반이론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나 바

    로 그 종합성 때문에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기존 이론들을 한데 모아 잘 포

    장한 것에 불과하다는 일부지적이 그것이다.30)

    2) 자본 이동론적 관점에서 본 이론

    초기의 해외기술은 간접투자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간접투자자의 발생

    원인은 국가 간의 이윤 격차였다. 그러나 국가 간 자본이동에는 제약이 따랐

    으며 설사 이동이 자유롭다하더라도 증권시장의 비교율이 존재한다면 기업은

    직접투자를 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론에 알리버(R. Z. Aliber)는 “강

    세통화는 약세통화에 대하여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에 강세통화의 국가에서 악

    세의 국가로 해외투자가 행하여진다.”는 통화 지역이론을 제시하였다.31) 즉

    강세통화는 그 프리미엄으로 인하여 해외에서 낮은 이자율로 차입을 하는 등

    의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해외투자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29) N. Hood and S. Young, The Economic of Multinational Enterprise, Longman, 1970, pp.44-48

    30) 전용욱ㆍ김주헌ㆍ윤동진, 2004.2, 앞의 책, p. 167

    31) R. Z. Aliber, A Theory of Direct Investment, in Kindleberger, The International Corporation,

    Cambridge : MIT Press, 1970, pp. 17-34

  • - 32 -

    이러한 알리버(R. Z. Aliber)의 이론은 프리미엄 효과가 간접투자에 오히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같은 통화지역간의 상호투자 등을 설명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

    3) 개도국의 해외직접투자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

    위에서 살펴본 이론들은 대부분 선진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초점을 맞추

    고 정립된 이론이므로 개발도상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다음에 설명하는 이론은 개발도상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설

    명하는 이론이다.

    ① 제품수명 주기이론의 수정

    레크로우(D. J. Lecraw)는 제품수명 주기이론을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