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시경과 만엽집

38
시시시 시시시 , 시시시시시시 시시시 시시시시시시 시시 0978398 시시시 1313065 시시시 1346024 시시시 1301375 시시시

Upload: -

Post on 10-Aug-2015

345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TRANSCRIPT

Page 1: 1조 시경과 만엽집

시경과 만엽집 , 현대유행가로 알아본 이데올로기의 변화

0978398 황희선 1313065 오하경1346024 이윤하 1301375 이혜선

Page 2: 1조 시경과 만엽집

우리가 오늘 살펴볼 것은

Contents 1 중국의 시경Contents 2

Contents 3

Contents 4

Contents 5

Contents 6

Contents 7

일본의 만엽집

Theme 1. 사회 비판

Theme 2. 군주와 신하

Theme 3. 사랑의 증표

Theme 4. 새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점과 차이점

Page 3: 1조 시경과 만엽집

영화 ‘ 연인’ 중 가인곡

북방에 가인 있어세상에 둘도 없는 절세 미인한 번 눈길에 성이 기울고두 번 눈길에 나라 기우네어찌 나라 기우는 것을 모르리다만 미인은 다시 얻기 어려워라

Page 4: 1조 시경과 만엽집

중국의 시경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Page 5: 1조 시경과 만엽집

중국의 시경1. 어떤 것 ?• 황허강 중류 중원 지방의 시• 본디 3,000 여 편이었던 것을 공자가 311 편으로

간추려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 오늘날 전하는 것은 305 편

2. 제작 시기

주나라 초 ~ 춘추시대 초

춘추시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음악으로 사용

음악적 요소들이 점차 상실

진대의 분서갱유 이후 한대에 이르러 시가 의미를 판별하는 것만으로 사용

Page 6: 1조 시경과 만엽집

중국의 시경3. 활용

• 채시관을 파견해 거리에 나돌고 있는 노래며 가사들을 모아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고 정치에 참고

•조정의 악관에게 곡조를 붙이게 해 다시 유행시킴으로써 민심의 순화

Page 7: 1조 시경과 만엽집

중국의 시경4. 내용•각부를 통하여 상고인의 유유한 생활을 구가하는 시•현실의 정치를 풍자하고 학정을 원망하는 시

Page 8: 1조 시경과 만엽집

중국의 시경5. 배경 사상 _ 공자가 시경을 편찬한 이유천하가 어지러운 춘추시대에 유교 사상이 태어남당시 최고의 덕목은 ‘ 인’ 이를 기반으로 ‘ 치국평천하’ 를 하는 것이 당대 최고의 목적

‘ 음악 ' 의 사회적 기능 : 심성 도야 , 민풍 순화☞ 음악이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풍조와 관습을 바꾸어 사회구성원 전체의 도덕수양과 심미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

‘ 음악’ 과 사회의 관계 사회정감실천으로서의 ‘흥 ( 興 )’사회도덕에 대한 관찰로서의 ‘관 ( 觀 )’사회적 협조관계로서의 ‘군 ( 群 )’사회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합리적 비판으로서의 ‘원 ( 怨 )’

Page 9: 1조 시경과 만엽집

일본의 만엽집 ( 萬葉集 )

Page 10: 1조 시경과 만엽집

일본의 만엽집1. 어떤 것 ?

• 일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높은 경지의 문학인 일본의 고대 문화유산

• 단가 ( 短歌 ) 및 장가 ( 長歌 ) 등의 노래가 총 4500여 수 수록

2. 서명의 유래

• 만요슈라고도 읽는다 . • 엽 ( 葉 ) 을 시가 ( 詩歌 ) 로 해석해 , ‘ 많은 시가를 모은

책’• 엽 ( 葉 ) 을 ‘대 ( 代 )’, ‘ 세 ( 世 )’ 의 의미로 해석해 ‘

만세에까지 영원히 전해져야만 할 가집’

Page 11: 1조 시경과 만엽집

일본의 만엽집3. 시기별 구분 : 4C~8C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조메이 천황 ( 舒明天皇 ) 시대인 629 년부터 준닌 천황 ( 淳仁天皇 ) 시대인 759년까지 특히 ! 만엽시대 (645~759) 는 다이카 개신 ( 大化改新 ) 으로 인해 활발한 작품활동

Page 12: 1조 시경과 만엽집

일본의 만엽집4. 내용

Page 13: 1조 시경과 만엽집

일본의 만엽집

신도 사상 불교 사상

선조신 숭앙 및자연 숭배 무상 관념

1. Description of the contents

5. 배경 사상

Page 14: 1조 시경과 만엽집

일본의 만엽집6. 특징

가체 ( 歌體 ) 가 일정하지 않고 표현형식도 모두 다르다 .

이 노래가 만들어진 배경이나 장소가 매우 다양하다 .

사용한 어휘가 생활실태와 밀착된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시대별 (時代別 ) 언어 연구에는 이 가집이 기본이 된다 .

오랜 세월에 걸쳐 위로 천황에서부터 아래로는 서민 · 한량에 이르기까지 작자가 각양각색이다 .

고대인들이 가졌던 즉흥적이고 의욕적인 힘인 섬약한 아름다움이 여과되지 않은 발랄한 생명의 숨소리를 느낄 수 있다 .

Page 15: 1조 시경과 만엽집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Theme 1. 사회비판

Page 16: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1. 사회비판 _공통점

1. 서태지 _ 시대유감검게 물든 입술 / 정직한 사람들의 시대는 갔어 숱한 가식 속에 / 오늘은 아우성을 들을 수 있어( 중략 )모두를 뒤집어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라네 (wow!)

가식적이고 거짓된 세상을 뒤엎고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져 있다 .

2. 시경 _큰 쥐큰 쥐야 , 큰 쥐야 , 우리 곡식 먹지 마라세 해나 너를 섬겼거늘 나를 보살피지 않는구나이제는 너를 떠나 저 즐거운 마을로 가련다즐거운 마을 , 즐거운 마을 , 누가 길이 울부짖으리

지배 계급의 가렴주구에 시달리던 하층민이 그에 대한 불만을 표시

착취가 없는 이상세계를 동경 자세한 내용은 다를지라도 고대 중국인과 현대인 모두 좀 더 나은 세계를 꿈꾸고 동경한다 .

Page 17: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1. 사회비판 _차이점

1. 빅뱅 _Dirty Cash눈 뜨면 뭐가 돈 될까 머리 또 굴리지 / dirty cash 에 배부른 니 주머니제발 좀 작작해 독 같은 dirty money / 부모 형제와 친구마저도 버린 거니학교에선 하얀 마음대신 하얀 봉투들이 사랑이고 사과 하나 없는 사과 상자 속엔 비열한 자들의 욕심이 가득해

☞ 물질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비판

2. 시경 _ 하루살이쾅쾅 바퀴 감 베어 황하 가에 놓으니 황하 물은 맑고도 일렁이네 .뿌리지도 거두지도 않으면서 어이하여 삼백 더미나 받나 ?새도 짐승도 사냥하지 않으면서 어이하여 그대 집 뜰에 걸린 메추리가 보이나 ?저 군자들은 놀고먹지는 않는다네 .

☞ 하층민들을 착취하는 귀족들의 실상을 드러내고 불만을 표시

☞ 과거에는 계층간의 부당함과 학정에 관련된 비판을 많이 한 반면 현대는 자본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물질주의와 경쟁심화를 비판하는 노래가

많다 .

Page 18: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1. 사회비판

☞ 시경은 사회비판과 관련된 것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음 춘추시대에 이르러서야 ‘ 시경’ 이 편찬 되었기 때문에 고단한 백성들의 삶을 담은 작품들이 많음 이런 시들은 당대의 백성들과 치정자들의 생활 태도를 엿볼 수 있고 더불어 태평성대를 꿈꾸는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동경도 반영되어 있음

☞ 만엽집은 사회비판에 관련된 것들을 찾기 힘듦 그저 단순히 일상적인 부분에 치중하여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려고 함

Page 19: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2. 군주와 신하

Page 20: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2. 군주와 신하 _시경

<왕풍 > 내 <토원 >내가 어렸을 때에는 , / 일이 없었는데내가 자라난 이후로 , / 백 가지 근심을 겪게 되는 구나 ,차라리 , 잠이 들어 어려운 일을 모르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일이 없었는데 ./ 내가 자라난 이후로 ,백 가지 걱정을 겪게 되는 구나 ./ 차라리 , 잠이 들어 알지나 말자 .내가 어렸을 때에는 , 일이 없었는데 ./ 내가 자라난 이후로 ,온갖 흉한 일을 다 보게 되는 구나 , / 차라리 , 잠이 들어 듣지나 말자 .

☞ 군왕이 믿음을 잃어 제후가 배반을 하여 군대가 패배한 시기에 나온 것 선비는 나라의 장래를 근심하여 단순하게 비관을 하는 것이 아니고 군왕에게 화자가 어렸을 때와 현재의 비극적인 상황을 비교하여 자신의 걱정되는 심정과 함께 그 원인과 결과를 가르쳐 주려고 함 . 왕이 그 원인을 고쳐 치국에 더욱 힘써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 간언을 하고 있음 .

Page 21: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2. 군주와 신하 _만엽집

1. 19-4260대왕님은 신이다 아카고마 늪지 밭을 서울로 만드시네

2. 19-4261대왕님은 신이시어라 물새 많은 늪지 서울로 만드시니

☞ 신에 대한 외경심 , 신은 전지전능자라는 신념으로 신을 자연 속의 존재로 추구 지배자의 권력과 부합되어 ‘ 천황은 신’ 라는 현신사상 반영 샤머니즘을 근간으로 한 도교와 신선 사상이 결합되어 나옴

Page 22: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2. 군주와 신하

☞ 시경에서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유교적 덕목 중 ‘충’ 을 중시 이는 군주에게 간언을 하면서 유교적으로 이상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왕과 신하가 서로 얘기할 수 있는 존재임을 시사

☞ 만엽집에서는 군주를 신적인 존재로 인식 이는 일본 전통의 신도사상이라고 하여 도교에 근거하는 신선사상과 관련되어 나옴 외경의 존재로서 표현함

Page 23: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3. 사랑의 증표

Page 24: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3. 사랑의 증표 _현대

1. 2AM_ 이 노래

예쁜 목걸일 사주고 싶지만멋진 차를 태워주고 싶지만예쁜 옷을 입혀주고 싶지만

☞ 상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인 단어로 표현한다 . 더불어 상대에 대한 애정을 물건을 줌으로써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

Page 25: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3. 사랑의 증표 _시경

1.『야유사균』들에 죽은 노루가 있는데 , 흰 띠풀로 싸다 줬지요 . 아가씨 봄날 그리는님 있으니 , 미쁜 사나이가 유혹하지요 . 숲에는 잔 나무가 있고 , 들에는 죽은

큰 노루가 있는데 , 흰 띠풀로 묶나니 , 옥같은 여자가 있네요

2. 『한풍 , 목과 3 장』내게 모과를 던져주기에 / 보답하기를 패옥으로 하고 ( 중략 ) 내게 복숭아를 던져주기에 / 보답하기를 아름다운 구슬로 하고 |( 중략 )

☞ 고대사회에서 남자가 여자에게 구애를 할 때 사냥한 들짐승을 여자에게 주었음

여자들이 밭에서 쉽게 딸 수 있는 과일을 남자에게 줌으로써 자신의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고 서로 잘 지내자고 하는 풍습

이에 대응하여 남자는 자신이 지니고 있던 옥 종류의 패물을 줌으로써 그 구애에 화답하는 것이 일종의 풍조였음

Page 26: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3. 사랑의 증표 _만엽집

1. 1092 / 작자미상속옷에 배는 만큼은 비야 내리지 마라 , 내 아내의 속옷을 입고 있으니

2. 권 16 : 3809 / 작자미상산 물건을 불량품도 아닌데 제멋대로 계약을 깨고 되돌려줘도 좋다는 법률이이 천자의 나라에 있다고 한다면 제가 당신에게 주었던 속옷은 반송되어도 좋을 것입니다하지만 어디 그런 법률이 있던가요 ?

☞옛날에 일본에는 사랑하는 남녀가 서로 속옷을 교환해서 입고 상대의 안전을 기원하는 풍습 남자가 변심할 경우 남자는 여자에게서 받은 속옷을 되돌려 줌 그 속옷을 받은 여자는 그것을 파경으로 해석 사랑하는 마음을 속옷이라는 증표로 표현

Page 27: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3. 사랑의 증표

☞ 시경과 만엽집 모두에서 자유 연애를 하고 있음을 시사 모두 거리낌 없이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으나 조심스러웠던 자세들을 엿볼 수 있음 더불어 당시의 사회 풍조를 알 수 있음

☞ 시경에서의 경우 고대 사회가 수렵사회임을 시사 노루고기와 채집한 열매로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는 풍조 ☞ 만엽집은 속옷을 사랑의 증표로 인식 당대의 사회상으로 봤을 때 속옷을 그만큼 귀중하게 여긴 것이므로 자신의 사랑의 증표로 쓰인 것이라고 해석 가능

Page 28: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4. 새

Page 29: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4. 새 _시경1. 권아 제 1 장봉황이 날으며 / 우르를 날개소리 치고멈출곳에 모여드네 / 많고 많은 왕의 길사들군자의 사자들로 / 천자에게 사랑 받네

2. 권아 제 3 장봉황 울음소리 / 저 높은 언덕에서 들리네오동나무가 자라는 곳 / 저 산 동쪽 양지 바른 곳이로다오동나무 무성하고 / 봉황 우는 소리 화락하도다

☞ 봉황은 신조 (神鳥 ) 로 천하가 평안함을 잘 나타냄으로써 현군을 상징 .

더불어 이 새의 성질이 변함없이 일정하므로 이를 비유적으로 표현 .

☞ 특히 시경에서는 새를 이용하여 시의 ( 詩義 ) 를 표현한 방법 새의 아름다운 외모 , 새의 습성 , 새의 울음 , 나는 모습

Page 30: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4. 새 _만엽집

1. 8.1494여름의 산 나무 끝 잎과 가지가 무성한데 두견새 우는소리 울리는 듯하구나 .

2. 5.827봄이 오면 , 매화나무 가지에 몰래 숨어서 꾀꼬리는 울면서 옮겨 다니네 .매화가 흩날리는 가지 아래로 매화가 흩날리는 언덕 가에는 꾀꼬리 울고 있네 .

☞ 계절마다 나오는 대표적인 새들을 의미함 . 이는 고대인들이 자연과 친화했음을 알 수 있다 .

☞ 계절에 대한 표현이 하나의 정형화된 형식으로 발전해 나간다 .- 봄 : 꾀꼬리 , 여름 : 두견새 , 가을 : 기러기 , 겨울 : 학

Page 31: 1조 시경과 만엽집

Theme 4. 새☞ 시경에서의 새는 ‘ 치국평천하’ 를 이루는 ‘ 군자’ 가 되기 위해 함양해야 할 자세들과 관련하여 많은 것들을 표현

이는 당시 어지러웠던 춘추 전국 시대였기 때문에 ‘ 군자’ 가 되기 위한 사회적인 열망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음 새를 상징으로서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함 ☞ 만엽집에서는 계절별로 대표하는 새들이 있음 그러나 시경과는 달리 어떤 다른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음 이는 도가사상의‘무위자연’ 과 불가의 ‘무아’ 등 이상을 담아냄

☞ 위의 기본적인 태도들은 굳이 새가 아니더라도 다른 자연물에도 비슷한 자세로 표현됨

Page 32: 1조 시경과 만엽집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점과 차이점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Page 33: 1조 시경과 만엽집

시경과 만엽집의 차이점

항목 시경 만엽집

사상 유교사상 =‘ 仁’ 을 바탕으로 한

‘ 치국평천하’

도교와 불교= 인간 이외의 것은 모두 ‘ 신’ 이라고 규정

내용 사회비판 , 사랑 , 군자에 대한 표현

그러나 순수한 자연의 변화와 관련된 시는 찾아보기

힘듦

사계절의 변화식물 , 사랑 등에 대한

표현은 있으나 사회비판이나 군자를 표현 하는 등의

표현은 미미함

Page 34: 1조 시경과 만엽집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점1. 각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들이다 .

2. 당대의 사상 , 의식 , 생활풍습들을 잘 반영하여 매우 가치 있다 .

3. 당시 나라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백성들의 민심을 파악하기 위해 노래들을 수집했다 .

4. 백성들에게 자신들의 지배 이념을 심어주기 위해 직접 만들어 퍼뜨리기도 했다 .

5. 자연물을 이용하여 상징성을 부여함

5. 후대 문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Page 35: 1조 시경과 만엽집

시경 , 만엽집 그리고 현대

같은 문화권이었기 때문에 표현하는 방법이나 상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테마를 네 개로 나눠서 볼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한 풍습이나 생활양식 등이 많았다 .더불어 과거와 현재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의 변화 , 생활양식 , 풍습 등을 살펴보면서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 어떻게 자주적인 문학양식이 발전했는지도 알 수 있다 .

Page 36: 1조 시경과 만엽집

참고문헌1. 단행본남종진 역주 ,『명언과 역사로 보는 시경 이야기』 , ( 다산미디어 , 2008)

류종목 외 3 명 역주 , 『시경 초사』 , ( 명문당 ,2012)

2. 논문김해명 , 「공자의 음악사상이 갖는 교육 · 사회적 의미」 , (『중어중문학

41』 , 2007)

박충순 , 「시경을 통해 본 시대고」 , (『중어중문학 6』 , 1984)

오만종 , 「중국 사대부의 정치적 역할과 시경해석」 , (『중국인문과학 32』 , 2006)

임성철 , 「시조와 만엽집의 자연관」 , (『일본문화 연구 29』 ,2009)

최광준 , 「 만요슈에 보이는 자연과 재해 」 ,(『일어일문학 56』 ,2012)

황명천 ,「만요슈 의 사상」 , (『일본문화연구 21』 ,2007)

Page 37: 1조 시경과 만엽집

참고문헌3. 사이트

< 고전해설 ZIP>,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66&docId=730917&mobile&categoryId=1073

< 두산백과 >,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17822&mobile&categoryId=200000803

위와 동일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091415&mobile&categoryId=200000810

<박헌순의 한시감상실 >, 2013.03.13. http://user.chollian.net/~tsym/

< 세계문학사 작은 사전 >,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65&docId=892799&mobile&categoryId=1066

Page 38: 1조 시경과 만엽집